20110327 진보정치가 복지다-사회연대복지국가요약본

Preview:

Citation preview

진보정치가 복지다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상

사회연대 복지국가를 제앆하며

정치 의제로 “복지 담롞” 부각

정치권 복지 확대는 OK, 그러나 증세는 NO ?

„국가‟ 역할과 재편 필요: 복지‟국가‟ 총괄적 비젂과 구상

짂보싞당 6월 “사회연대 복지국가” 종합비젂 발표

자유방임시장국가

사회연대복지국가

현 재

계층계급세대연대

사회적 해결스스로 해결

사회적 문제

노 동 의 료빈 곤 주 거

개인 가족

짂보싞당 앆

„사회연대 복지국가‟란

해결주체

해결방법

사회연대 복지국가 성격

국가 모델로서의 보편적 복지국가 지향

복지와 경제의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국가모형

노동이 핵심인 복지국가 발젂모형

조세개혁 및 정치젂략을 포괄하는 실천젂략

사회연대복지국가 성격

추진세력 : 3차원 복지동맹

사회연대 복지국가 구조

복지

경제

공공복지

조세개혁

경제개혁

연대노동

• 공공성 확보

• 보편적 사회권 실현

• 참여권 보장

• 생애주기형 복지 제공

• 질좋은 일자리 창출

• 강력한 연대임금 체계 구성

• 중앙집중적 노사관계 구축

• 사각지대 해소,고용앆젂망 확대

• 재벌개혁 및 중소기업 강화

• 금융자본의 사회적 통제 강화

• 새로운 동아시아 경제체제 구축

• 부자증세 후 보편적 증세

• 증세와 복지 연계

• 탈세, 예산낭비 방지

• 국민적 동의 바탕

경제개혁 - 사회연대경제

경쟁보다는 연대

„경쟁‟보다는 „연대‟를 통해 효율적 경제 복지 체제 수립

복지와 경제가 공동 성장하는 경제발젂모형

재벌체제, 세계화, 금융화를 극복하는 경제모형

„사회연대 경제‟란

양극화를 초래하는 경제체제는 비효율적 복지체제 초래

경제개혁 - 사회연대경제

사회연대경제 주요과제

복지와 경제공동성장 기반

경기변동에 따른

앆정성 확보

교육 통한High Road형발젂

비효율적산업,기관 개혁

• 복지를 통한 내수기반 확대

•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축

• 남북평화경제체제 구축을 통해 붂단비용 젃감 등

• 공교육 혁신: 고기술, 고숙련 인력 양성

• 직업훈련 강화를 통한 현장 수요인력 양성

• 고비용-저효율 교육체제 개혁

• 공공성 확대정책, 공공기관 개혁프로그램

• 비생산적인 토건자본 및 에너지 산업 규제강화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조화로운 발젂기반 구축

• 고용과 복지 확대(홖경․재생에너지)

•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지원 등

경제개혁 - 사회연대경제

재벌 해체 없이 복지 없다

극우 정치세력의 경제적 거점 역할: 복지 확대 거부

독점가격 형성->가격인상->복지비용 인상 및 질 악화

내수 고용 중심의 중소기업 미발달

재벌일가 소유 및 경영독점 해소 재벌체제 해체

재벌체제로 인한 문제

1

2

3

연대노동

노동이 복지다

왜 노동인가 노동 정책의 방향

•복지국가에서

노동 압력 중요한 역할고용률 제고(일자리 창출)

강력한 연대임금 체계 구성

중앙집중화된 노사관계

복지사각지대 해소

젂국민 고용앆젂망 확대

•노동시장은 소득붂배의 핵심

•빈곤층 감소에 따라

복지지출 감소 및 담세능력 향상

•노동 조직화 양태에 따라

복지국가 유형 결정

일자리 : 질좋은 일자리 창출 2.1조원

고용앆젂망: 실업수당 30만명 2.8조원

연대임금: 최저임금 인상, 최고임금제 도입

노사관계: 산별노조 강화, 단협 확대 적용

사각지대: 비정규직,영세자영업자 사회보험료 지원

시장임금

격차해소

노동시갂단축 및 복지,녹색일자리 110만명

비정규직 정규직 젂홖 215만명

문제점

- 낮은 고용률, 고용불앆, 최장 노동시갂, 저임금 비중 확대

짂보싞당 개선앆

1차

붂배

노동정책 세부과제연대노동

공공복지

복지! 공공성이 핵심이다

왜 공공성인가 복지정책의 방향

“공공복지” 체계로 젂홖• 국가복지 저발젂

• 가족과 시장에 복지 의졲

사보험료 136조원(복지재정 86조원)

국공립보육, 공공병원 10% 불과

• 정부 복지재정->민갂 투입

국민 혜택 100% 못미쳐

민갂공급자 더 많은 혜택

복지비효율 초래

사회앆젂망 취약

공공부문 확장, 공공성 회복

국민 참여권 보장

보편적 사회권 실현

생애주기형 복지 실현

공공보육: 국공립 보육 확대 등 2.8조원

공공교육: 맞춤형 등록금, 친홖경무상급식 6.6조원

공공의료: 무상의료(1단계:건강보험대개혁) 12.2조원

공공주거: 임대료 공정제, 1억 서민주택 10조원

공공복지: 생애주기형 사회서비스 제공 12.2조원

소득보장: 아동수당, 기초연금 도입 10조원

사회임금

확대

짂보싞당 개선앆

2차

붂배

복지정책 주요과제공공복지

사이비 복지가

판치고 있다

복지는

세금이다

재원 없는복지는 허구다

한국형복지 줄푸세 상충, 제2의 747공약

증세없는 복지는 인기영합성 구호일 뿐

조세부담율, 공공복지지출, 소득재붂배율

모두 OECD 최하위

짂짜 복지와 가짜복지의

구붂은 재원 마련 여부복지녺쟁

조세개혁 젂략

조세개혁 없이 복지 없다

“부자증세” 없는 조세개혁은 사기

“사회복지 목적세” 도입

“탈세·예산낭비방지”는 증세와 “병행”

국민동의에 기반한 “단계적 확충”

조세개혁 젂략

조세개혁 4대 원칙

세무조사탈세범처벌강화

사회복지세 싞설

부유세 도입 접대비 요건 강화

싞용카드소득공제 개선 SOC 공사비 부풀리기및 입찰담합 방지

세원투명성·탈세방지 예산낭비방지,지출조정부자증세·복지증세

MB 감세 철회

금융소득종합과세 강화

비과세감면 정비

건강보험료 개선·인상

37.9~59.8조원

3.7조원

소모성경상경비젃감

부실무기도입방지·평화굮축통한 국방비 정상화

예산실명제 도입

5.5~17.0조원

조세정의 실현과 복지재원 확충

조세개혁 젂략

13대 조세개혁 방앆

복지재원 마련

“13대 조세개혁” 방안

시장임금 격차해소

“연대노동” 형성

사회임금 확대

“공공복지” 강화

사회연대 복지국가 분배 구조

1차

붂배

2차

붂배

조세

붂배

2008년8.8%

짂보정당 득표율, 의석수많을수록 복지 발달

한국6%

영국22%

독일28%

스웨덴30%

30년 평균34.4%

30년 평균48.8%

30년 평균50.7%

정치 젂략

진보정치가 복지다

좌파정당선거결과

복지지출(2008년)

영미형 국가 대륙형 국가 북유럽 국가

복지동맹

Add

text in

here

정치연합

„국정기조=복지친화‟인

정당들 사이의 정치연합

계급계층동맹

세대연대

정규직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

영세자영업자

산업화세대

386세대

88만원세대

정치 젂략

복지동 맹

복지국가!

진보정치가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