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9 언어와 인지ocw.sogang.ac.kr/rfile/SmartEducation/2012/1semester... · 2012. 11. 1. ·...

Preview:

Citation preview

3309 언어와 인지

조숙환

swcho@sogang.ac.kr

여행: ‘마음’ (mind)으로!!! 우리는 어떻게…? 보고 들을까? (perception) 움직일까? (motor control) 사고하고 말할까? (cognition & language)

학습하고 알까? (development) 느낄까? (emotion) 인간관계를 가질까? (social psychology) (personality)

The Sciences of Mind Cognitive Sciences

Psychology

Neuroscience Evolutionary biology

Genetics Artificial Intelligence

connections

to:

Social sciences Humanities

Mind란?

경험론 (Locke, Skinner…)

tabula rasa

the blank slate

언어구조와 심성주의

(가) 앎:

언어를 안다는 것은 심성 상태

(mental state)에 있다는 것

(나) 심성주의와 언어지식:

심성구조를 구성하는 규칙과 원리

(Chomsky, 1980)

Chomsky, `1980

“To know a language, I am assuming, is to be in a certain mental state…. What kind of mental state? I assume further that to be in such a mental state is to have a certain mental structure consisting of a system of rules and principles that generate and relate mental representations of various types.” (p. 48)

1. 경험론 (empiricism):

J. Locke, B.F. Skinner, L. Bloomfield

knowledge stimulus response

imitation, reinforcement의 역할의 중요성 강조

2. 선험론 (nativism, innatism) R. Decartes, N. Chomsky

knowledge UG

experience

Chomsky (1988)는 이러한 경험의 빈곤 (‘poverty of the stimulus')을 ‘플라톤의 문제’ (‘Plato's Problem')와 연관지었다 (Plato ((427 B.C.-347 B.C.) ‘플라톤의 문제‘는 Plato의 소크라테스와 메논의 대화 (The Meno)에서 논증되어 있다. 메논에게는 노예 소년이 있었는데, 이 소년은 과거에 어떤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았는데도 소크라테스와 대화하는 과정에서 피타고라스 정의 (Pythagorean Theorem)를 깨달았다고 한다. 피타고라스 정의: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의 제곱의 합은 빗변의 길이의 제곱과 같다. 소크라테스는 이 소년이 학습의 경험 없이 기하학적 명제를 알게 되는 과정을 보면서 메논에게 소년의 기하학적 깨달음은 지식의 ’회상‘ (recollection)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소크라테스와 메논의 대화를 잠시 보면 다음과 같다.

Chomsky의 본유설 (nativism) POVERTY OF STIMULUS

소크라테스: 메논, 어떻게 생각하나? 이 소년은 자기의 의견이 아닌 다른 의견으로 대답을 한 적이 있었나요? 메논: 아니오. 늘, 자기 의견으로 답변한다. 소크라테스: 소년은 기하학에 대해 사전에 아는 것이 하나도 없었지요. 메논: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 그렇다면, 이런 기하학적 지식은 그 아이 내면의 어디에인가 이미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어디엔가 있다가 회상된 것이 아닐까요?

Chomsky는 ’경험의 빈곤‘ 문제를 ’플라톤의 문제‘로 풀이하면서 지식의 습득에 대하여 ’내재화‘ (internalization)의 관점에서 설명을 시도한다. 즉, 인간은 체계적인 가르침을 받지 않아도 본성적으로 언어 규칙을 내면화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일례로, 언어의 보편적 특징인 어휘와 구 범주(예: 명사, 동사, 동사구 등), 기능 범주(시제, 시제구 등) 등의 통사적 지식이 선험적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Chomsky의 반행동주의적 선험론은 특히 인지혁명 (cognitive revolution)의 시대라고 일컫는 1960년-1970년대 전후 심리학 이론의 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동물 언어

– Pigment? (색소) – 3D Occlusion? (측방교합) – 2D Occlusion? – Curvature?(곡률) – Translucency?(반투명) – Shading

Dark area next to light area

on retina

Steven Pinker, Harvard University

(1) Plato's Problem: Poverty of the Stimulus 우리가 겪는 경험은 매우 제한적인데 (양적으로, 질적으로), 우리가 갖고 있는 지식은 매우 풍부하다. (2) Realism: 언어 내적 지식은 實在한다. (3) Idealism: 실제 생활에서 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행능력 (performance)과 별도로 인간은 언어지식 (competence)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지식은 수행 형태와 무관하게 늘 잠재적으로 존재한다. "ideal speaker-listener" a. philosophy of science (연구방법의 필수요건) b. idealism/realism (4) Innatism: 언어지식은 본능적 (선천적)이다.

3309 언어와 인지 한 학기 동안 논의될 주제 핵심:

1. 경험론 (Watson, Skinner) vs. 본유설 (선험론, Chomsky,

J Jackendoff, Pinker)

2. 언어지식의 내재화 (내재문법) 3. 언어지식의 습득, 장애

4. 언어지식과 언어 외 다른 인지영역의 정보처리 및 습득

5. 언어의 내재문법과 언어 외 다른 인지영역의 내재문법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