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의 형성과 발전 -...

Preview:

Citation preview

고고학의 형성과 발전

想像[상상]의 시대

1

• 대부분의 문화(문명)는 그 이전에 존재했던 사회에 매료되기 쉬움.

예 : (호남성 묘단장가산 4호 후한묘) 중국

銅爵 [동작]

銅觶 [동치]

은대 제품

2

예 : (강소성 연수현 전한묘) 중국

銅鼎 [동정] 銅犠尊 [동희존]

전국시대

은대의 동기 2점이 한참 후에야 부장된 일에 대해서 중국 연구자는 옛 사람 중에서도 을

좋아하는 자가 있어 수집품을 자기의 무덤에 넣곤 했다고 설명.

골동품

뿐만 아니라 전한묘에서 수습된 전국시대의 동기들도 청동기에 독특한 감흥을 느낀 당시 사람들에 의해 되었다가 훨씬 후대에 다시 땅 속에 묻힌 게 아닐까 판단됨. 도굴

3

황실에서는 지방의 관리들이 바친 청동기를 특별한 인 太室[태실]에

보관했음.

고대에는 특이한 청동기의 발견을 의 중대사로 간주한 일도 있었음.

후대의 통치자들 역시 청동기를 상징으로 생각했음.

국가

상서로운

종묘

예 : 나보니도스(Nabonidus) (Babylonia) 의 마지막 왕(기원전 559-539년) 바빌로니아

오래된 물건에 비상한 관심을 가졌음.

그는 신전을 발굴하여 2,200년 전에 놓여진 기단석을 발견.

이를 포함한 많은 유물들을 수도 바빌론에 만든 에 수습. 박물관

• 14~17세기 유럽의 영주들이 ‘진품진열장’을 만들어 이국적인

물품이나 동식물, 광물들을 장식.

그 후…..

• 같은 시기 그들은 고대의 유물을 수습하여 연구하기 시작함.

4

야외의 기념물 카르낙 열석 프랑스 스톤헨지 영국

일반 주민들 : 거인이나 악마가 조영

윌리암 스타쿠레이

(1687~1765년): 고대 사람들이 조영

최초의 발굴

5

폼페이 : 이탈리아의 나폴리 동남 21km에 있었던 고대 도시.

79년 베수비우스(Vesuvius) 화산 폭발로 매몰.

1755년부터 발굴.

화쇄류의 속도는 시속 100 km 이상이었기 때문에 시민은 도저히 도망칠 수 없었고 한 순간에 매몰.

발굴 시 유체 부분만 부식되어 없어져 화산재 안은 텅 빈 상태였음.

고고학자들은 텅 빈 공간에 석고를 속에 집어 넣어 시민들이 죽었을 때의 모습을 재현.

7

건축물 : 고대 로마의 모습이 잘 보존

9

생활

10

11

근대 고고학의 시작

12

① 인류의 역사

• 인류의 기원을 증명한다는 아이디어는 19세기 고고학의 역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일 중

하나임.

예 : 프랑스 솜므 (somme)강 채석장

자크 부셰 드 페르테(Jacques Boucher de Perthes, 1788~1868년)이 타제 와 함께 절멸한 뼈가 수습된 것을 발표.

그는 이에 대해 성서에서 적힌 홍수전설보다도 더욱 오래전부터 가 존재한 증거로 주장.

석기 동물

인류

13

이 正否[정부]는 지질학, 고생물학, 고고학, 신학을 휩쓸리게 한 큰 논쟁으로 발전.

즉 성서가 말하는 마지막의 홍수로 인해 절망한 과 이 만든 유물이 수습되었다는

것은 최후의 홍수 이후 신(god)에 의해 창조된 인류라는 이야기와 완전히 모순함.

인간 동물

1859년 권위있는 영국 고고학자 존 에번스(John Evans)가 자크 부셰 드 페르테의 연구성과를 인정.

1) 의 기원은 더욱 먼 과거까지 거슬러 올라감.

2) 우리 세계는 불과 수천년 전에 창조되었다는 의 내용을 받아드리지 못하게 되었음.

3) 인류에 있어서 이 꼭 필요하는 학문.

인류

성서

선사학

14

네안데르탈인(Homo neanderthalensis)의 발견

1830년 최초 발견된 인류화석(네안데르탈인)은 벨기에의 아이의 두개골임.

발견 당초 이 뼈에 대한 정체를 알 수 없었으나 1857년 켈트인(기원전 1,500~기원전 400년) 이전의

유럽 거주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됨.

비판.

15

의 진화론이 발표됨에 따라 문제의 고인골도 진화론의 시점에서 재검토됨.

1863년 이 고인골을 유인원과 호모 사피엔스의 가운데에 위치시킬 의논 개시.

찰스 다윈

올두바이(Olduvai)유적

• 동(東)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에 있는 유적군.

• 1959년 영국 인류학자 루이스 리키, 메아리

리키 박사부부가 사람의 화석(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 호모 하빌리스 )을 발견하여

인류진화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유적

중 하나로 되었음.

과 : 사람과 (Hominidae)

속 : (Homo)

과 : 사람과 (Hominidae)

속 : 파란트로푸스속 (Paranthropus) 사람속

16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Sahelanthropus Tchadensis)

중앙아프리카의 차드에서 600∼700만년 전의 지층을 통해

발견된 화석.

사람과 침팬지와 분기한 무렵 또는 그 직전에 해당.

초기 인류

17

② 진화의 개념

• 인류의 기원을 탐구하는 아이디어는 (Charles Darwin)의

연구성과와도 잘 부합됨.

『 』 (1859년): 진화의 개념을 수립

생존경쟁에 있어서 특정한 종 가운데 주위의 환경보다 더욱

적응한 개체가 살아남고 (아니면 자연스럽게 도태되고),

적응성이 떨어진 것은 사라진다.

공통의 조상에서 갈아서 서로 다른 종이 생김.

에 적응해서 개체가 변화함.

살아남은 개체는 유리한 특성을 유전에 의해 자손에 전하지만 종의 특질은 서서히 변화하여 마침내 새로운 종이 출현하게 이른다.

찰스 다윈

종의 기원

환경

18

『인류의 기원』(1871년) :

「환경 적응」그리고 「유전자학적인 변이체의 갑작스러운 등장」

고고학의 기술을 구사하여 물질적인 기록 속에 인류의 기원을 탐구하는 가능성이 생김.

19

③ 시대법 : 三時代區分法 [삼시대구분법]

『북방 문화재 가이드』(1836년) :

• 선사시대를 주요 도구의 재질에 따라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의 3기에 분류하는

시대구분법.

덴마크 고고학자 톰센(Thomsen)이 제창.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편년적(시간적) 순서나 해당 시기에 대해 견해를 밝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음.

20

④ 형식학적 연구법

몬텔리우스(Montelius,1843-1921년) : 스웨덴의 고고학자

• 유물의 형태・재질・기법・장식 등의 여러 특징에 의해

분류된 형식(type)를 연대적 변천과 지역적인 상호비교를

통해 그 유물(형식)의 시기적 혹은 분포상의 위치관계를

밝히는 방법.

의 영향을 받음. 다윈의 진화론

그 제품(유물)은 제작자가 놓여진 (사회적 제조건)으로부터

제약을 받아 일정의 발전 법칙(유전 ・ 변이 ・ 선택)에 따라 변화.

환경

고고자료에 대한 자세한 관찰을 통해 구체적인 형태(형식)으로

제시한 후 유물의 시대순 혹은 발전순으로 나열하는 방법을 완성.

21

22

⑤ 와 고고학

• 이 시대의 사상에서 확인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세계 여러 지역에 현존하는

사회에 대한 민족지학자들에 의한 연구들이었음.

민족지

• 에서 관찰되는 간단한 도구와 공예는 유럽의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과 유사함.

과거의 사람들의 생활형태에 대한 이해에는 가 유용함을 알게 됨.

민족지

민족지

루이스 모건(1818~1881년, Lewis Morgan) :

미국 문화인류학자

『 』 (1877년): 고대사회

인디언 사회의 관찰을 통해 인간사회의 발전을 ・ ・ 의 3개 단계로 구분. 야만 미개 문명

원시적 수렵 ・ 단순농경 ・ 사회 최고의 형태

23

사람은 원래 원시 공산체(원시 공동체) 속에서 생활하여 자원을 평등하게 분배하고 있었음.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년)

맑스사전

맑스사전

엥겔스(Friedrich Engels, 1820-1895년)

자본을 사회의 공유재산으로 함으로서 노동자가 자본을 增殖[증식]하기 위해 사는 비참한

성질을 폐지시켜, 계급이 없는 사회를 도모

문명 이전

24

• 상기와 같이 1880년대까지 현재 고고학의 기초가 되는 많은 아이디어가 탄생 ・ 발전.

• 아이디어 그 자체는 고대 문명의 대발견을 배경으로 구체화하였음.

엘만 서비스(E. Service) : 『Primitive Social Organization(원시사회조직)』(1962)

사회발전단계를 Band[ ]→Tribe[ ]→

Chiefdom[ ]→State[ ]

많은 고고학자가 이를 이용해 분류된 사회와 특정 유적 및 취락 패턴을 파악.

유동적 수렵체집민 집단 사회 부족 사회

수장제 사회 초기 국가

춘천

현암리

25

26 26

⑥ 초기 문명의 발견

1) 1798~1800년 의 이집트 원정 : 의 발견 나폴레옹 로제타스톤

내용을 알기까지는 14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됨.

1822년 샹폴리옹(Champollion)에 의해 해독.

이로 인해 이집트 히에로글리프를 이해하는 열쇄가 되었음.

27

2) 슐리이만(H. Schliemann)의 발굴 트로이

사업가(은행원)였던 그는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드 』에 등장하는

트로이 전쟁의 기술로 인해 전설의 도시 트로이의 실재를 증명하려고 함.

현 터키 북서부, 기원전 약 3,000~1,240년 경

-층위학적 방법의 이용

-연속된 층위를 통하여 그리스의 역사를 선사시대로까지 확대

28

29

3) 슐리이만(H. Schliemann)의 발굴 미케네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 동남부에 위치

기원전 약 1,450~1,150년 경

-층위학적 방법의 이용

-면밀한 기록

아가멤논

30

⑦ 고든 차일드(Gordon Childe)(1892~1957년 ; 영국)

• 유럽 및 구대륙 선사고고학의 선두주자

1) 초기의 연구

유물복합체(assemblage) =

일정한 지역에서 한 시기에 사용되었던 유물과

유구를 복합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되는 용어

문화(culture)

인간집단의 민족성, 문화적 양상을 시사함.

31

2) 후기의 연구

그는 왜 과거에 여러 일이 발생 ・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과제에 몰두함.

이 문제에 대해 혁명의 영향을 받아……

[신석기혁명] 新石器革命 (Neolithic Revolution) :

식물재배와 가축에 의한 식량생산의 개시

인구진화의 지표를 의 증가에서 구함.

첫 번째 혁명 :

[도시혁명] 都市革命 (Urban Revolution) :

첫 번째 결과로 발생하는 로 인해 건축재의 발달,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관개농업

두 번째 혁명 :

곧 그들이 거주하는 도시가 성립하여 지배계층의 출현.

정주

이들이 산출한 잉여생산을 토대로 교역과 운송기관이 발달, 또한 청동제품의 전업공인 등의 존재로

분업이 성립

고대 오리엔트와 이집트에서 달성한 후 세계로 전파.

러시아

인구

고고학 (New Archaeology)의 등장

32

1. 전통 고고학에 대한 문제제기와 신고고학의 태동

1) 編年[편년]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의문

C14(방사선탄소연대법)의 출현과 함께 상대연대법으로 시기를 비정하는 연구는 이제와서 주요 연구테마가 아니게 됨.

2) 고고학자의 현상 설명방식에 대한 의문

문화변화에 대해 사람들의 이주 및 영향이라는 설명 이외에 없음.

예 : 고든 차일드의 혁명

2. 신고고학의 등장 : 고고학사상 전환의 시기

1) 체계이론(system theory)적 관점

고고학적 결론은 학자의 개인적인 권위에 따른 것이 아니라 ‘ ’을 추구하여 논리적인 의론이라는 명확한 틀 속에서 진행되어야 함.

2) 문화변동에 대한 체계적 연구 강조

한 문화가 다른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애매모호한 의논을 피하고,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생업, 기술, 사회 시스템, 교역, 사상 등의 연구를 진행.

도시

설명

33

3) 현존하는 과거 : 민족지학적 조사 연구

민족지적 고찰 자체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고고학적 시점에서 민족고고학의 탄생.

루이스 모건(미국 문화인류학자) :

Lewis R. Binford는 1969~1973년에 걸쳐 알래스카 수렵채집민 에스키모의 민족지 조사를 실시.

34

• 노 주변의 버려진 뼈 조각에서

특징적인 패턴이 관찰됨

- 몇몇으로 구성되어 있었는지.

-캠프가 사용된 계절은 언제인지…

35

4) 『 고고학(Analytical Archaeology) 』 :

데이비드 클라크 (David Clarke)(영국, 1968년 출판)

분석

• 분석 고고학이란 고고학적 자료의 분석과정에서 통계적

방법, 즉 통계학의 개념 및 각종 통계적 기법을 도입하여

사용하는 고고학의 한 분야를 말함.

시기별 배신비율의 상자도표

17 26 34 34 18 129

100.0% 100.0% 91.9% 26.6% 8.9% 31.4%

0 0 3 23 27 53

.0% .0% 8.1% 18.0% 13.3% 12.9%

0 0 0 71 158 229

.0% .0% .0% 55.5% 77.8% 55.7%

17 26 37 128 203 41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빈도

뚜껑받침턱형태의 %

빈도

뚜껑받침턱형태의 %

빈도

뚜껑받침턱형태의 %

빈도

뚜껑받침턱형태의 %

한성기

웅진기

사비기

시기

전체

a b c d e

뚜껑받침턱형태

전체

후기과정고고학 (Post Processual Archaeology)

36

1) 신고고학의 연구방법

- 모델의 구축(민족지, 통계이론 등을 빌려서..)한 후 이를 매개로 해석을 하는 방법론을 채택.

- 전통고고학의 근거 없는 유추해석에서 탈피하여 근거 있는, 설명할 수 있는 해석으로 이동.

그러나 모든 고고학 현상을 패턴화하는 경향을 만들어버림.

2) 후기과정고고학의 연구방법

- 모든 민족에는 역사가 있고 반드시 패턴화시킬 수 없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민족지 모델 혹은

민족학의 모델을 매개로 더욱 인 설명을 부가한 고고학으로 성립.

- 신고고학에서는 개별 사회나 문화 그리고 의 의미가 무시

고고학자는 과거의 문화기반을 재구성 할 때 당시 사람들의 마음의 움직임을 추측함.

역사는 행위자의 의도나 사고에 접하여 당시 사람들이 가진 의미를 밝혀야 함.

즉 유적, 유물을 남긴 사람들의 특정 행위가 과학적인 사실이나 법칙성에 객관적으로 또 자동적으로 따르고 있다고 도저히 생각할 수 없음.

역사적

개인

37

3) 과정고고학의 해석

1) 고고학의 해석

2) 고고학의 해석

• 이주설, 전파설

크레타 섬의 집단묘

• C14(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로

크레타 섬의 무덤보다 오래됨.

영국의 거석무덤은 독자적으로 발전함.

• 연구결과를 인용

가족의 무덤을 명시하는 것은 영역 내에서의 대대로

계승해 온 토지 소유권과 이용권의 정당화를 의미.

• 유럽 사회에 있어서 거석무덤이 존재하는 를

고찰할 필요가 있음.

역사적 맥락과 개인에 주목해서 파악.

전통

후기

민족학적

의미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