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데전서제1장christianmonitor.net/jusuk/dimode01.pdf하여항상새롭게한다.한편'은혜'는하나님이값없이주신구원의선물이며,'평강'은죄인이하나님...

Preview:

Citation preview

디모데전서�제1장

=====1:1� � 우리� 구주� 하나님� -� '구주'에� 해당하는� 헬라어� '소테로스'(*� � � � � � � � � � � � � � � � � � � � )는� 이

방신과�로마의�황제� 숭배에도�사용되었던�호칭이다(Guthrie). 바울은 여기에서'우리'라는� 말을� 첨가

함으로써� 하나님이� 사도� 바울� 자신뿐만� 아니라� 모든� 성도들을� 구속하시는� 분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

다.� � � 그리스도�예수의� 명령을�따라...사도� 된� 바울� -� '사도'(*� � � � � � � � � � � � � � � � � � � � � � � ,아포스톨로스)

는� '하나님의�복음을�전하기�위하여� � 파송된� � 사람'이라는� � 뜻이다(고전15:8,� � 9� ;� 갈� 2:8).� 처음� 사도

는� 예수의� 공생애(公生涯)� 기간에� 함께� 생활한� � 제자들을� 일컫는� 말이었는데(눅� 6:13),� 나중에는� 사도의�조건이�예수의�생활과�죽음과� � 부활을�전할수�있는� 사람으로�발전했다(행� 1:23-26).� 바울은�여기에

서� 사도적� 권위를� 가지고� 디모데에게� 맡겨진� 사역을� 잘� 감당하도록� 격려하고� 있다.� '사도'라는� 칭호는� �

당시바울� 외에� 복음� 사역에� 헌신하였던� 바나바,� 디도,� 아볼로,� 실라,� 디모데에게도� 동일하게� 사용되었

다(행� 14:14� ;� 고전� 4:6� ;� 빌� 2:25� ;� 살전� 2:6).

=====1:2� � 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 -� 디모데가� 바울의� 아들이� 되었다는� 것은� 신앙� � 안에서�

디모데가� 바울의� 영적� 아들이라는� 뜻이다.� 혹자는� '종속적� 원리'에서� 바울과� � 디모데의� 관계를� 생각하

지만(Calvin)� 여기서는� '선생과� 제자'� 사이의� 관계로� 봄이� � 타당하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선생과� 제자'

의� 관계를� 나타낼� 때� � '아버지와� � 아들'이라는용어가�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이다(Guthrie).� 바울은� 2차�

전도�여행 때� � 루스드라에서그리스도인의� 유대인� 모친과� 헬라인� 부친�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

디모데를� � 만났다(행16:1-3).� 그때� 디모데는� 바울의� 전도� 여행을� 따라다니면서� 신앙� 교육을� � 철저히� �

받았다.� 그리고나서� 바울이� 가장� 신임하는� 동역자� 중의� 한� 사람이� 되었기� � 때문에� � 바울이디모데를� 영

적으로� 양육(養育)한� 아들로� 보는� 것은� 타당하다(빌� 2:19-22).� � � 은혜와�긍휼과� 평강이�네게� 있을지어다� -� 바울은�그의� 서신에서�일반적으로� � '은혜와�평강'이라는�말을� 인사말로�썼다(고전� 1:3� ;� 고후� 1:2�

;� 갈� 1:3� ;� 엡� 1:2� ;� 빌� 1:2;� 골� 1:2� ;� 살전� 1:1� ;� 살후� 1:2� ;� 딛� 1:4� ;� 몬� 1:3).� 그러나� 본문에서는� �

'긍휼'이라는� 말을� 덧붙이고� 있다.� 이처럼� '긍휼'이� 서신의� � 인사말에� 언급된� 경우는� 본서� � 외에딤후�

1:2� ;� 요이� 1:3� ;� 유� 1:2에만� 해당된다.� '긍휼'의� 의미는� 하나님이� 인간의� � 모든상황을� 지배하시고� 한

없는� 사랑과� 위로를� 베풀어� 주신다는� 것이다(Hendriksen).� � 그러므로� 긍휼은� 죄인들을� 고통에서� 구원

하여�항상� 새롭게한다.� 한편� � '은혜'는� � 하나님이값없이� 주신� 구원의� 선물이며,� '평강'은� 죄인이� 하나님

으로부터�받은� � 은혜의� � 결과이다.� 이렇듯�은혜와�긍휼과�평강은�하나님으로부터�온다.

=====1:3� � 내가� 마게도냐로� 갈� 때에� 너를� 권하여� 에베소에� 머물라� 한� 것은� -� 바울은� 로마에서2년간�

옥에� 갇혔다가�석방된� 후에� 디모데를�데리고�그레데�섬을� 지나� 에베소까지�왔으나�계속� 동행하지�못하

고� 디모데를� 그� 곳에� 남겨둔� 채� 마게도냐로� 떠났다.� 바울이� � 마게도냐를� 방문한� 것은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바울이� 디모데를� '권하여'� 에베소에� 머물도록� 한� 이유는� 에베소� 교회에� 거짓� 교사들의� 미혹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실한동역자요,� 믿음의� 아들인� 디모데가� 아니면� 복음� 사역을� 감당할� 수� 없

었기�때문에�그를머물도록�한� 것이다(Hervey,� Calvin).� '권하여'의� � 헬라어� '파레칼레사'(* � � � � � � )는� '

간청하다',� '간절히� 원하다'는� 의미로� 디모데가� 바울과� 같이� 마게도냐로� 가기를� 원했으나� 에베소에� 머

물도록� 했음을� 시사한다.� � �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며� -� '다른� 교훈'에� 해당하는� � 헬라어� � '헤테로디

다스칼레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거짓� 교훈',� 즉� 정통� 교훈과� � 배치(背馳)되는� 이단적� 사상을� 의미한다.� 이것은� 초대� 교회에� 이미� 공인된� 기독교� � 교리가있었음을� 암시한다

(Guthrie).

=====1:4� 신화와� 끝없는� 족보� -� '신화와� 족보'는� 하나의� 표현으로� 나누어서� 생각해서는� 안된다

(Hendriksen).� 유대인들에게는� 모든�만물에� 영(靈)이� 있다는� 영지주의� 사상이� � 있었다(Earle).� 이� 영지주의자들과�유대교의�학자들은�가문을�소중하게 생각하는� � 유대의문화권� 속에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끝없는� 족보가� 있다고� 생각하였고,� 그리하여� � 구약� 인물들에� 대한� 가상적� 족보를� 만들었다.� 특

히� 아브라함과� 모세,� 대제사장들을� 중심으로� 족보와� 전기를� 만들어� 개개의� 자신들을� 그들의� 후예로� 만

들었다(Hervey,� � Hort).이러한� 특색은� 당시� 유대교의� 묵시� 문학에서� 발견되었다(Earle).� � � 믿음� 안에�

있는�하나님의�경륜을�이룸보다�도리어�변론을�내는� 것이라� - '경륜'에해당하는� 헬라어� '오이코도미안

'(*� � � � � � � � � � � � � � � � � � � � � � � )은� '청지기'� 즉� 복음� 사역을� 위한� '직분'을� 의미하지만(stewardship,�

RSV)� '계획'으로도� 번역할� 수� � 있다(plan,LB).� 그러므로� '믿음� 안에� 있는� 하나님의� 경륜'은� 복음이� 하

나님의� � 계시에� � 의해서만전달되고� 사람들이� 믿음으로서만� 받아들여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Hervey).�

이에� � 반해신화와� 족보는� 첫째,� 끝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킴은� 물론� 영지주의자들� 스스로� 유식� � 계급이

라고�자처(自處)하게� 하며,� 둘째,� 일반�성도들로�하여금�그것을�이해할 수� � 없는것으로� 만들어� 버린

다.� 그러므로� 바울은� 신화와� 족보는� 마침내� 하나님의� 교회에� � 계급주의와� 분파� 운동을� 불러� 일으켜� 변

론만�일삼게�한다고�지적하고�있다.

=====1:5� � 경계의�목적은...사랑이거늘� -� '경계'에� 해당하는�헬라어� '파랑겔리아스'(* � � �

� )는� '계명'을� 의미한다(commandment,� KJV).� 이것은� 디모데가� �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그리스도인의�

도덕적�책임을�다해야�함을�시사한다.� � 즉 하나님의말씀을� 맡은� 사역자는� 성도들을� 그릇된� 이단� 사

상에� 미혹되지� 않도록� � 권고해야� � 하며그� 권고의� 동기는� '아가페'� 사랑에� 두어야� 한다(Guthrie).� 이러

한� 사랑은� '청결한� �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으로부터� 온다(Robertson).� 여기서� '거짓이� �

없는믿음'이란� 자신의� 권위와� 이익을� 위해� 불순한� 동기로� 믿는� 것이� 아니라,� 신실한� � 동기를� 가지고�

믿는� 믿음을� 말한다(행� 15:9).� 당시의� 거짓� 교사들은� 자신의� � 이득을� � 위해쓸데없는�신학� 논쟁을� 일삼

으며�가식적인�믿음을�가지고�있었다.

=====1:6� � 이에서�벗어나�헛된� 말에�빠져� -� '벗어나'의�헬라어� '아스토케산테스'(* � � �

� � � � )는� '표적을� 벗어나다',� '잘못� 맞추다'는� 의미이다(have� goneoff,� JB).� 또한� '헛된� 말'에� 해당하는�

'마타이올로기안'(*� � � � � )은� 신약성경을� 통틀어� 본절에만� 나오는� 단어로� '공허한� 지껄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절은� 불행하게도� 어떤�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의� 신앙� 생활의� 기초인�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

과�거짓이�없는� 믿음에서�벗어나�쓸모없고�무의미한�말만�늘어 놓았다는뜻이다.

=====1:7� � 율법의� 선생이� 되려� 하나� -� 거짓� 교사들은� 자신들의� 논리를� 펴서� 율법� 선생이� 되려고� 했

다.� 그러나� 그들은� 모세� 율법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유대주의자들과� � 영지주의자들이� 가졌던� 신화와�

헛된� 족보를� 전파하여� 공중� 앞에서� 자신들의� 권위를� 세우고자� � 하였다(Earle,� Simpson).� 그들은� 이미�

그리스도인이� 가져야� 할� 사랑의� 계명을� 버렸기� 때문에� 그들의� 말은� 헛된� 궤변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바울은� 그들의� 헛된� 교만을� 꾸짖고있는� 것이다.� � � 자기의� 말하는� 것이나� 자기의�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도다� -� 헛된� 궤변을� � 남발하는� 자들의� 말은� 성경의� 권위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진리가� 아니다.�

또한� 그들이� 말하는� 것이나� 확증하는� 것은� 사랑의� 진리나� 율법에� 대한� 신성한� 목적에서� 벗어났기� � 때

문에� 무의미한� 잡담(雜談)에� 불과하였다(Guthrie).� 성경의� 심오한� 진리를� 깨닫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성경에� 대한� 해석을� 늘어놓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결국� 그와� � 같은�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과� 같

다.

=====1:8� � 율법은�선한�것인� 줄� 우리는�아노라� -� 바울은�여러� 곳에서�율법은� � 선하고� � 거룩한것이라

고� 말하였다(롬� 7:12� ;� 갈� 3:24� ;� 4:4,� 5).� 또한� 본절에서� 바울은� 율법을� � 원목적(原目的)에� 맞게� 사용할� 때� 그� 효용성이� 발휘된다는� 점에서� 율법이� 선하다고� 말하고있다.� 실상� 율법은� 인간의� 구원을� 완

성시킬� 수� 없으나� 인간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선한� 직능이� 있다(롬� 7:7).� 이러한� 의

미에서�율법은 인간을 구원으로인도하는� '몽학� 선생'으로� 묘사되었다(갈� 3:24).� 율법의� 직능(職能)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갈� 3:15-29� 주제� 강해� '율법과� 복음의� 비교'� 및� '율법의� 제한성과� 연속성'을� �

참조하라.

=====1:9� � 법은� 옳은� 사람을� 위하여� 세운� 것이� 아니요� -� 바울의� 주장은� 모든� 불의를� 열거하는것에�

목적이� 있지� 않았다.� 다만� 그가� 의도한� 바는� 율법이� 세워진� � 목적을� � 주장하려는것이다.� 당시� 에베소

에� 있는� 거짓� 교사들은� 율법에� 관해서� 갖고있는� 그들의� 잘못된� 견해들을� 그대로� 성도들에게� 가르치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성도들은� 미혹을� 당하고� � 있었다.� 그래서� 바울은� 율법이� 가지고� 있는,� 범죄를� 억

제하는� 기능과� 고발의� 기능에� � 대해서� 말하고� 있다.� 세상의� 법도� 악한� 범죄를� 다스리기� 위하여� 존재하

는� � 것이지� � 결코의로운� 사람의� 행동을� 제약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율법� 또한� 행악자를�

위하여� 있는� 것이지� 의로운� 자를� 위하여�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의로운� � 사람이� 율법� 없이�

살아간다는�것을�의미하지도�않는다(Lenski).� 혹자는�본절의� '법'(* � � � ,� 노모스)을� '모세의� 법'과�

연관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 견해는타당치� 않다.� 왜냐하면� '노모스'가� 정관사를� 수반하고� 있

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모세의법'이� 아닌� '일반적인� 도덕법'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바울이�여기서� '옳은� 사람'(*� � � � � � � � � � � � � � � � � � ,� 디카이오)이라고� 한� 것은� 넓은� 뜻으로� 그리스도인을�

대변하는� 말로서�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은자'를� 가리키는� 것이지� � 절대적으로완전한� 사람을� 가리키

는� 것은� 아니다(Calvin).� � � 불법한� 자와� 복종치� 아니하는� 자� -� '불법한� 자'란� 율법을� 제정하신� 하나님

을� � 무시하고� 자고(自高)하는� 자이다(롬� 2:12� ;� 고전� 9:21).� '복종치�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의규칙� 아래� 자신을� 복종시키기를� 거부하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자들이다(Earle).� 바울은본절에서� 자신들의� 말을�

하면서� 그리스도의� 말씀은� 알려고도,� 들으려고도� 안하는� 에베소의� 거짓� 교사들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고의적으로� 알려고� 하지� � 않고,들으려고� 하지� 않더라도� 하나님� 앞에서� 책임을� 회피할�

수� 없으며� 여전히� 법의� � 테두리안에� 있을� 수밖에� 없다.� � � 경건치� 아니한� 자와� 죄인� -� 이것은� 앞의� 문

구와� 연결지어� 해석해야� 한다.� 하나님의법을� 무시하고� 자기� 뜻과� 소견대로� 사는� 사람들이� 곧� 경건치�

아니한�자요� � � 죄인이다.'경건치�아니한자'의� 헬라어� '아세베시'(*� � � � � � � � � � � � � � � � � � � � )는� '믿지� 않는� �

자'란뜻인데(롬� 1:18)� 이는� 삶과� 행위에서� 하나님을� 무시하고� 하나님의� 뜻을� 업신여기는� 자를� 말한다.�

또한� '죄인'에� 해당하는� 헬라어� '히마르톨로이스'(*� � � � � � � )는� 자신의� 존재� 목적을�깨닫지� 못하고� 의식

적(意識的)으로� 하나님께� 영광돌리는� 것을� 상실한� 자를� 가리킨다.� � � 거룩하지� 아니한� 자와� 망령된� 자�-� '거룩하지� 아니한� 자'와� '망령된� 자'는� � 십계명중� 첫� 네� 계명을� 어기는� 자를� 지적한다(Lenski).� '거룩

하지� 아니한�자'의� 헬라어� � '아노시오이스'(*� � � � � � � � � � � � � � � � � � � � � � )는� '속되고� 부도덕한� 자'로서� 거

룩하신� � 하나님의� 영광을� 손상시키고� 그분의� 뜻을� 받들지� 않는� 자를� 의미한다(벧전� 1:15,� 16).� 이� 말

은� 신약성경에서� 본절과� 딤후� 3:2에서만� 쓰였으나� 70인역(LXX)에서는� 자주� 사용되었다(Barnes).� '망

령된� 자'의� 헬라어� '베벨로이스'(*� � � � � � � � � � � � � � � � � � � � � � )는� � '가다'를뜻하는� '바이노'(*� � � � � � � � � � � � �

� � � )와� '문지방'을� 뜻하는� '벨로스'(*� � � � � � � � � � � � � � )와의� 합성어로� '거룩한� 곳을� 범하는� 사람'이란� 뜻

이다(profane,� NASB).� 이� 단어는� � 신약성경에서� 목회서신과(4:7� ;� 6:20)� 히� 12:16에만� 언급된다.� 이

상에서� 열거된� 여섯� 가지의� 죄악들은� 모두� 하나님을� 거역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 � � 아비를� 치는� 자와�

어미를� 치는� 자며� 살인하는� 자� -� 이것은� 십계명의� 제5계명과� 6계명을� 거역한�자이다.� '아비를� 치는� 자

와� 어미를� 치는� 자'에� 해당하는� 헬라어� � '파트롤로아이스� 카이� 메트롤로아이스'(*� � � � � � )는� '아비'를�

뜻하는� '파테르'(*� � � � � � � � � � � � � � � � � � � )와� '어미'를� 뜻하는� '메테르'(*� � � � � � � � � � � � � � � � )에� '죽이다'를�

뜻하는� '알로이아오'(*� � � � � � � � � � � � � � � � � � � � )가결합된�형태이다(Bernard).� 그러므로�이는� 살인죄와�부

모를� 공경하지� 않은� 죄를� � 포함한다(Earle).� 또한� '살인하는� 것'은� 생명의� 주이신� 하나님께� 정면으로�

도전하는� � 행위라고�할� 수� 있다(요일� 3:15).

=====1:10� � 음행하는� 자며� 남색하는� 자� -� 이는� 십계명의� 제7계명을� 범하는� 자이다.� � '음행하는자'는�

미혼뿐만� 아니라� 기혼� 이성간에� 불륜을� 행하는� 자이다(고전� 6:18).� 그러므로� 음행하는� 자는� 부도덕하

고� 부정한� 자로서� 더러운� 행위를� 하는� 자이다(마� 5:27,� 28� ;� � 히13:4).� 그러나� 이것보다� 더� 추악한�

범죄는� '남색하는� 것',� 즉� 동성간에� � 성적� � 접촉을하는� 것이다(창� 19:1-11� ;� 롬� 1:26,� 27� ;� 고전�

6:9).� � � 사람을�탈취하는�자� -� 이는� 제8계명을�거역하는�자이다.� � 본문에�해당하는� � 헬라어'안드라포디

스타이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아네르'(*� � � � ,� '사람')와� '푸스'(*� � � � � � � � � � � � � �

,� '발')의� 합성어로� '발목을� 낚아채다',� � '노예로� 삼다'는� 뜻이다.� � 따라서� 이는� '노예� 매매자들'이나� '사

람을� 잡아� � 노예로� � 삼는자'를� 가리킨다(Robertson).� � 그리고� '안드라포디스테스'는� 어떤� � 목적으로� �

유괴하여사람의� 자유와� 권리를� 빼앗는� 행위까지� 포함한다(출� 21:6� ;� 신� 24:7).� � � 거짓말하는� 자며� 거

짓� 맹세하는�자� -� 이는� 십계명의� � 제9계명을�거역하는� � 자이다.'거짓말하는�자'는� 거짓�양심을�가진� 자

로서� 비진리(非眞理)를� 말하는� 자이고,� 행동이자신의� 신앙� 고백과� 일치하지� 않는� 자이다(요일� 2:4� ;�4:20).� '거짓� � 맹세하는� � 자'는자신의�권위나� 체면� 때문에� 이웃을�해(害)하는� 약속을�하거나�거짓� 증거를� 일삼는� � 자이다(마� 5:33� ;� 약� 5:12).� � � 바른� 교훈을� 거스리는� 자� -� '바른'의� 헬라어� '휘기아이누세

'(* )는� 눅� 5:31과� 요삼� 1:2에서� '육체의� 건강'에� 대해� 사용했으나� 목회� 서신에서는� 비유적인� 의

미로� 사용되었다.� 율법은� 어떠한� 사람도� 거스릴� 수� 없으며� � 회피할� � 수없다.� 죄인들은� 그� 교훈을� 받아

들일� 수밖에� 없고,� 또한� 그� 교훈은� 사람의� 영혼을� 건강하게� 한다.� 그러므로� 그� 교훈은� 바른� 교훈이� 된

다.� 이러한� 교훈을� 거스리는� 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지� 않고� 독선(獨善)에� 빠져� 사는� 사람이다(딤후� 4:3� ;� 딛� 1:9� � ;2:1).

=====1:11� 이� 교훈� -� '이� 교훈'은� 8절에서� 10절까지의� 내용을� 가리킨다.� 이� 교훈의� 요지는� 율법이�

악한�자들의� � 죄를 드러내고� � 그들을� � 의로운� � 모습으로� � 변화시킨다는� � 것이다(Lenski).� � � 복�

되신� 하나님� -� 이는� 본절과� 6:15에만� 나오는� 표현으로� 하나님의� 성품을� � 나타낸다.� 여기서� '복� 되신'

의� 헬라어� '마카리우'(*� � � � � � � � � � � � � � � � � � � � � � )는� 하나님과� � 교통하는� 자들이� 받는� 특별한� 은총들,�

즉� '죄� 용서함을�받는�축복'의� 의미로�사용되었다(롬� 4:7,� 8� ;� 14:22� ;� 고전� 7:40� ;� 딤전� 6:15).� � � 영

광의�복음� -� � 예수 그리스도를� � 통해서� � 오는� � 구원의� � 기쁜 소식을 나타낸다(Hervey).�

하나님은� 우리를� 구원하시고자� 복음을� 주셨고� 이는� 하나님� � 자신의� � 영광을드러낸� 것이다(Lenski).� 바

울은�이러한�영광의�복음에�근거하기�때문에�율법에�위배되는�사항을�강력하게�고발할� 수� 있었고�과거

에�교회를�핍박했던�자신을�신임하셔서� � 영광의�복음을�맡기신�하나님께�감사를�드리고�있다(12절).

=====1:12� � 나를�능하게�하신� -� 이에� 해당하는�헬라어� '엔뒤나모산티'(* � � � � )는� '힘있게� 하

였다'는� 뜻이다(has� given� me� strength,� NIV).� 이� � 단어가부정�과거�시상인�점은� 바울이�성령의�선물

인� 하나님의� 특별한� 능력을� 이미� 과거에� 부여받았음을� 시사한다(Guthrie).� 바울이� 고난과� 역경� 속에서

도�담대하게� � 말씀을� � 전할수�있었던�것은� 바로� 이� 능력� 때문이다.� � � 나를� 충성되이�여겨�내게� 직분을�

맡기심이니� -� 교회를� 핍박했던� 바울을� 그리스도께서� '충성되이� 여겼다'는� 말은� 이상하다.� 그러나� 이� 말

은� 절대적인� 주권� 사상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스도께서는� 바울을� 개종시키고� 그에게� 능력을� 부여하신�

다음에� 그를� � 충성되이� 여기신� 것이다.� 이는� 사도� 바울이� 결코� 위대하거나� 행위의� 온전함� 때문이� 아니

라� � 주님의� 주권에� 의하여� � 복음� 사역의� 사명을� � 수행하였기� 때문임을� 보여준다.� � '직분'(*� � � � � � � � � � �

� � � � � � � � � � � � � ,� 디아코니안)이란� 말은� � '봉사'를� � 의미한다(service,NIV,� JB).� 그러므로� 사도의� 직분은�

사랑과�헌신의�정신으로�주님께 드리는 봉사이다(Earle).� 사도� 바울은�본래의�자신이�어떠한�사람

인가를� 묻지� 아니하고� 자신에게� 직분을� 맡기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은� 바울이�

다메섹�도상에서�회심(回心)하였을�때�거의� 동시적으로�이루어진�것이었다(Hendriksen).

=====1:13� � 내가�전에는 훼방자요� 핍박자요� 포행자이었으나� -� '훼방자'의� � 헬라어� � '블라스페몬'(*� � �

� � � � � � � � � � � � � � � � � � � � � )은� '상해를�입히다'는� 뜻을� 지닌� '블라프토'(* � � � � )와� '연설'을� 뜻하는� '페

메'(*� � � � � � � � � � � � � � )의� 합성어로� 롬� 2:24에서는'모독하다'의� 뜻으로� 사용되었다(Robertson).� 또한� '

포행자'에� 해당하는� 헬라어� '휘브리스텐'(*� � � � � � � � � � � � � � � � � � � � � � )은� '거만(倨慢)한� 사람',� '다른� 사람을� 학대하는� 사람'을� 뜻한다.� 사도� 바울은� 자신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런� 행동을� 하였다는� 것을� 서

슴지� 않고� 고백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의� 부끄러운� 부분을� 말함으로써� 비웃음을� 살� 수도있으나�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고백한� 것은� 자신의� 무가치성을� 스스로� 인정하고�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위대성을� 강조

하기� 위함이었다(Calvin).� � � 긍휼을� 입은� 것은� 내가� 믿지� 아니할� 때에� 알지� 못하고� 행하였음이라� -� '알

지� � 못하고'는� 예수� 그리스도에� � 관해서� 지식적으로� 알지� 못하였다는� 의미가� � 아니다.� � 오히려이것은�

신앙적인� 문제이다.� 당시에� 그는� 그리스도인들을� 훼방하고� 핍박하는� 것이� 하나님을� 제대로� 섬기는� 것

인� 줄� 알았다.� 즉� 그는�하나님의�뜻을�분별하지�못하는�암매(暗昧)� 상태에�있었다.� 이처럼�바울의�과거�잘못은� 영적� 무지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 성령을� 거스리는� 죄까지는� 이르지� 않았다(Hendriksen).� 그러

므로�하나님께서�바울에게� � 징계� 대신에�긍휼을� 베푸셔서�복음�사역을�감당하는� 사도로�불러주신�것은�

그와�같은� 사실을�잘�말해준다.

=====1:14� 우리� 주의� 은혜가...넘치도록� 풍성하였도다� -� '풍성하였다'에� 해당하는�헬라어� '휘페레플레

오나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휘페르'(*� � � � � � � � � � � � � � ,'위에')와� '플레오나조

'(*� � � � � � � � � � � � � � � � � � � � � � ,� '많다')의� 합성어로� '대단히� � 풍성하였다'는� 의미이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훼방하는� 죄인�이었지만�하나님은�그에게� � 은혜를�베푸셔서�예수�그리스도를�믿고�구원을�얻도륵�하셨

다.� 혹자는� 바울의� 이러한� 표현은� 자신의� 사도직을� 공격하고� 중상� 모략(重喪謀略)하는� 악한� 무리들에게� 자신을� �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Calvin).� � � 믿음과� 사랑과� 함께� -� 믿음과� 사랑은� 은혜로부터�

온다.� 바울은�여기서� '함께'(* � � � ,� 메타)라는� 전치사를� 사용함으로써� 은혜로부터� 오는� 믿음과�

사랑의� � 뜻을더욱�분명하게�하였다.

=====1:15� 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 구원은� 행위가� 아니라� 은혜로� 말미암는다는�

사실은� 이미� 12-14절에서� 언급되었다.� 바울이� 큰� 죄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 그리스도께서� 베푸신� 은

혜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다는� 사실은� 모든� 사람이� 확실하게� 알아야� 할� 사실이다.� '미쁘다'에� 해당하

는� 헬라어� '피스토스'(*� � � � � � � � � � � � � � � � � � )는� '충분히� 믿을� 만하다',� '전적으로� 확실하다'는� 의미로�

확실하게� 권유(勸諭)하는� 완곡어법이다.� 이런� 표현은� 목회� 서신에만� 5번� 나오는데(3:1� ;� 4:9� ;� 딤후�2:11� ;� 딛� 3:8)� � 본절과� 4:9에서는�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이라는� 부가� 어구가� 첨가되었다(Earle).� 혹

자는� 이� 말에� 대해� 당시에� 요한이� 자주� 사용하던� 표현으로� 추측하나(Robertson)� 이� 견해는� 타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런� 표현은� 목회� 서신에만� 나오는� 바울의� � 표현방식이기때문이다.� � � 그리스도� 예수께

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 � 예수께서� � 말씀하셨고(마� 9:13)� 여러� 사도들도� 증거하였

던(롬� 5:8)� 이� 말씀은� 기독교� 진리의� � 가장� � 중요한사실,� 곧� 복음의� 본질을� 잘� 요약하고� 있다

(Simpson).� '세상에�임하셨다'는� 단순히� � 성육신에만�국한되는�것이�아니라� 세상을� � 떠나기까지� � 일어

난모든� � 것을� � 다 포함한다(Lenski).� � �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 바울이� 괴수라고� 고백한� 본문에� 대

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1)� 내가� 괴수� 죄인들의� 무리에� 속해� 있다.� (2)� 내가� � 역사적으로� � 첫

번째괴수이다.� (3)� 내가� 가장� 나쁜� 죄인이다.� 여기서는� (3)의� 해석이� 가장� 타당하다.� 혹자는� 본절에서�

바울이� � '건전하지� � 못한� � 비실제적인� � 겸손'을� � 취하고� � 있다고� � 말하며(Scott),� 또한� '형식적인�표현'

을�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Easton).� 그러나� � 본절에서� 바울은� 참으로� 자신을� 낮추며� 하나님의� 은혜

를�드러내고�있다(Guthrie).� 특히� 바울은�현재형�동사를�사용하여(* � ,� 에이미,� '...이다')�

회심한� � 지� � 수년이지난� 지금에도� 자신의� 과거를� 깊이� 회개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바울의� 이러한�

죄의식과�참회의�고백은�그의� 복음� 사역을�승리로�이끄는�근본적인� � 동인(動因)이� � 되었다.

=====1:16� 내가� 긍휼을� 입은� 까닭은� �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게� 먼저� 일체� 오래� 참으심을� � 보이사� -�

13절에� 이어� 바울은� 자신이� 긍휼을� 입은� 이유를� 밝히고� 있다.� 예수의� 긍휼은� � 그의� 오래� 참으심에서�

온다(Lenski).� '먼저'에� 해당하는� 헬라어� '프로토'(*� � � � � )는� 행렬� 가운데서� 순서상� '첫번째'를� 말한다.�

따라서� 바울� 자신은� 미래의� � 신자들� 가운데서� 예수의� 오래� 참으심의� � 첫번째� � 대상으로서� � 본보기가

되었다는� � 것이다(Guthrie).� � � 주를� 믿어� 영생� 얻는� 자들에게� 본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 '

믿어'라는� 동사� 다음에� 나오는� 구문을� 보면� '위에'(*� � � � � � � � � � � � ,� � 에피)라는� 전치사가� 여격과� � 함께� �

온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믿음의� 확고한� 기초가� 됨을� 나타낸다(Guthrie).� 이처럼� 요동하지� 않는� 굳건

한� 반석� 위에� 신앙의� 근거를� 둔� 사람들에게� 바울은� 모본(模本)이� 되었다.'본'의� 헬라어� '휘포튀포신'(*�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실례',� � � '본보기'라는뜻이다(example,� NIV).� 이는� 바울이� 예수께서� 구

원하시기�위하여�오신� 바로�그�죄인들의� '견본'이라는�말이다(벧후� 2:6).

=====1:17� � 만세의� 왕� -� 본절은� 바울이� 위대하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여� 가슴으로부터� 나오는�

감사의� 외침이다.� 혹자는�이것을� '유대교의� 예배� 의식'이라고�주장하지만(Lock)� 두가지� 면에서� 이� 견해

는� 타당하지� 않다.� 첫번째,� '만세의� 왕'이라는� 표현이� 바울� � 서신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엡� 2:7� ;�

3:9,� 11).� 이� 표현이�유대인에게�친숙한 표현이긴하지만,� 바울이� 이� 말을� 사용한� 것은� '영원토록'�

다스리시는� 하나님과,� 위대한� 왕으로자칭했으나� 단명한� '네로'와의� 대조를�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두번

째,� 유대� � 사회에서는� 두� 세대,� 즉� 현� 세대와� 오는� 세대를� 구분하는� 습성이� 있었다.� 바울은� 두� 세대�

가운데서� 공히� 지배하시는� 왕으로서의� 하나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Guthrie).� � � 썩지� 아니하고� 보

이지� 아니하고�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 -� 본문은� '만세의� 왕'과� � 동격으로� 세상의� 모든� 왕이나� 다른� 신

들을�능가하는�하나님의�유일한 지존성(至尊性)을강조한다.� '썩지� 아니하고'(*� � � � � � � � � � � � � � � � � � �

� ,� 아프다르토)는� 성경� 전체에� � 언급되는� 하나님의� 속성이다(시� 103:15-17� ;� 롬� 1:23).� 하나님은� 피

조물들과� 달리� � 불변성을� 지니시기에(시� 45:6� ;� 히� 13:8)� 신자의� 영생에� 대한� 보증이� 되신다.� '보이지� �

아니하고'(*� � � � � � � � � � � � � � � � � � ,� 아오라토)는� 하나님이�인간의�이해를�초월하여�계신�영이심을�말한다

(골� 1:15� ;� 6:16).� 따라서� 인간은� 하나님을� 볼� 수도� 알� 수도� 없으며� � 다만믿음을� 통해서� 가능하다(히�

11:27).� '홀로� 하나이신'(*� � � � � � � � � � � � � � ,모노)은� 하나님이� 다른� 신들과� 비교할� 수� 없는� 유일하시고�

초월적인�신으로서�우리의�유일한� � 경배의대상이�되심을�강조한다(요� 17:3� ;� 엡� 4:6).

=====1:18� 내가� 네게� 이� 경계로서�명하노니� -� '경계'는� 3절과� 5절에서�각각� 제시되었는데� � 그내용은�

3-17절에서�설명되고�있다.� '경계'에� 해당하는�헬라어� '파랑겔리안'(* � � � � � )는� '교훈',� '지

시',� '명령'을� 의미한다(instruction,� NIV).� 이것은� 디모데가� 사람들에게� 율법을� 불법하게� 사용하지� 않

고� 적법(適法)하게� 사용하도록가르쳐서� 그리스도께로� 돌아오도록� 하라는� 지시이다.� '명하노니'의� 헬라어� � '파라티데마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옆에� 두다'를� 뜻하는� '파라티데미'(*

� � � � � )의� 현재� 중간태� 직설법으로� 중요한� 임무를� 맡길� 때� 사용되었다(눅� 12:48� ;� 딤후� 2:2,�

Guthrie).� 그리고� 눅� 23:46에서는�예수께서� '내� 영혼을�아버지손에�부탁하나이다'라고� 하실� 때� 사용되

었다.� � � 전에� 너를� 지도한� 예언� -� 이것은� 디모데가� 목회자로서� 안수를� 받을� 때� 바울을� 통해내려진� 하

나님의� 예언을� 가리킴이� 분명하다(Guthrie).� 이� 예언은� 하나님� 나라를� � 위해복음� 사역의� 사명을� 부여

받은�디모데가�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사명을�잘� 감당할�수� 있게� 하는� 말씀들일�것이다.� � � 그것으로�선

한� 싸움을� 싸우며� -� '그것'은� 예언된� 하나님의� 말씀을� 가리킨다.� � 바울은� 디모데에게� 이러한� 예언들을�

힘입어� 용감하게� 싸울� 것을� 명하고� 있다.� 이는� 디모데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소명(召命)을� 깨달은� 자에게�담대한�싸움을�싸울� � 것을� � 명하는것이다.

=====1:19� � 믿음과� 착한� 양심을� 기지라� -� 선한� 싸움의� 도구는� � '믿음과� � 착한� � 양심'이다.� � 엡

6:10-17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전신� 갑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 본절에서는교리와� 행동에�

연관된� 근본적인� 측면만을� 언급하고� 있다.� '믿음과� 착한� 양심'은� 본� 서신� 안에서� 세� 번�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1:5� ;� 3:9)� 보아� 믿음과�착한� 양심이�서로� � 밀접한�관계가�있음을�알�수�있다. 본문의� '믿

음'은� 딤후� 2:17,� 18에서� 기록된� � 것처럼'진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Hendriksen).� 사람의� 양심이�

파괴되면� 도덕적� � 부패와함께� 영적� 파멸까지�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바울� 사도는� 양심을� 버림

으로써� 오는� 믿음의� 파멸을� 막기� 위해� 선한� 양심,� 즉� 성령으로� 거듭난� 양심과� 진리인� 믿음을� 가지라고�

권면한다.� � � 어떤이들이� 이� 양심을� 버렸고� 그� 믿음에� 관하여는� 파선하였느니라� -� '선한� 양심'은그리스

도인들이� 안전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만약� 양심이� 파괴되면� � 믿음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

다.� 여기서� 바울은� 양심을� 버림으로써� 파멸이� 초래됨을� � 경고하고� 있다.� 본절의� '버렸고'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포사메노이(*� � � � � )는� 자의적(自意的)으로� 거부했음을�뜻한다(have� rejected,� NIV).

=====1:20� � 후메내오와� 알렉산더� -� 믿음이� 파선당한(19절)� 대표적인� 두� 사람이� 열거되고� 있다.그들

은� 에베소� 교회에서� 극단적인� 이단자였다.� '후메내오'는� 딤후� 2:17,� 18에� � 의하면이단� 교사로� 언급되

어� 있는데� 그는� 부활에� 관해서� 이미� 지나갔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을혼란에� 빠뜨렸다.� '알렉산더'의� 정체

에� 대해서는� 행� 19:33과� 딤후� 4:14에� � 언급된� � 두사람� 중� 어떤� 사람인지는� 분명치� 않다.� 혹자는� 행�

19장의� 알렉산더로� � 주장(Calvin)하나� 그가� 유대인으로서� 그리스도인으로� 개종했다가� 다시� 이단자가�

되었다는� 것은� � 단지추측일� 따름이다.� 아무튼� 그들은� 율법� 선생이� 되기를� 간절히� 원했던� 자칭� 의로운�

사람들이었으나� 지나친� 오류에� 빠져� 교회를� 혼란� 속에� 빠뜨리고� 있었다.� � � 내가� 사단에게� 내어준� 것은�

저희로� 징계를� 받아� -� 이러한� 표현은� � 고전� � 5:5에서도사용되고� 있다.� 여기� 언급된� '징계'는� 사도적인�

권위만이� 아니라,� 회중� 앞에� 제시하여결의된� 것으로� 두� 가지로� 해석된다.� (1)� 교회로부터� 쫓겨나� 사단

의� 영역(비기독교� � 세계)으로� 추방된� 것이다(Robertson,� Guthrie,� Earle).� (2)� 육체적인� 고통을� 겪게�

한� 것이다(Hendriksen,� Easton).� 혹자는� 후자의� 경우를� 반대하나(Lenski)� 어떤� 경우든지� 사단에게� 내

어준�바�되었다는�점이�중요하다.� 한편�저들을�징계한�목적은�파멸에�이르도록하는 것이� � 아니

라� � 회개에� � 이르도록 하려는 교정적(敎正的)인� � 것이다(Hervey,Bernard).� 이는� 본절에� '하려�함이니라'로� 번역된�헬라어� '파이듀도신'(* )이� '배우게� 하려� 함이니라'(may� learn,� AV)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분명해진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들이� 죄인임을� 깨닫고� 회개하여� 더� 이상� 진리에� �

대해서훼방하지�않게�하려는�사도�바울의�사랑의�마음을�엿볼� 수� 있다.� � � 디모데전서�제� 2장

=====2:1� �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 모든� 사람을� 위하여� �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 -'첫째

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프로톤� 판톤)는� 시간적인� � 우선보다는중요성에� 강조점을�

두고�있다(Guthrie,� Robertson).� 바울이�첫번째 중요한 사항으로말하는� 것은� 기도에� 어떤� 사람

을� 포함시킬�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본절에서� 바울은� � 기도의� 대상을� '모든� 사람'으로� 기록하고� 있다.�

혹자는� '모든� 사람'을� � '모든� � 죄인들과성도들을� 포함하는� 범세계적인� 사람'(Robertson)으로� 규정하지

만� 이것은� 타당하지� � 않다.� 오히려� 본절의� '모든� 사람'은� 문자적인� 의미보다는� '인종이나� 국적이나� 사

회적� 지위의� 구별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Hendriksen).� � 이것은� � 기도의대상을�

생각함에� 있어� 인간의� 관습과� 제도를� 초월(超越)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 본절에� 나오는� 네� 개의� 기도에� 대한� 명사인� '간구',� '기도',� '도고',� '감사'가� 각기� � 뚜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느냐,� 아니면� 단순한�

동의어로서� 반복� 사용되었느냐에� 대해서는논란이� 많다(Hervey).� 혹자는� 이� 네� 단어의� 의미를� 따로이�

규정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Guthrie).� 그러나� 이� 네� 단어들이� 열거된� 것은� 단순히� 무의미한� � 반복

만은� � 아니다.� 그� 단어들을� 원어상으로�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구'에� 해당하는� � 헬라어� '데

에세이스'(*� � � � � � � � � � � � � � � � � � � � )는� '긴박한�상황에서의�어떤� � 특별한� � 성취를위한�탄원'을� 의미한다

(Earle).� 둘째,� '기도'에� 해당하는�헬라어� '프로슈카스'(* � � � � � )는� 일반적인�의미로� '하

나님을� 향한� 모든� 경건한� 아룀'을� 뜻한다(Hervey).� 셋째� '도고'에� 해당하는� 헬라어� '엔튜크세이스'(*� � � �

� � � )는� 신약성경에서� 딤전� 4:5과� 본절에서만� 언급되는� 단어로� '접근',� � '인터뷰','사회적� 교제'� 등의� 개

념으로� 사용되었으나� 본절에서는�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 위해서간구하는� '중보� 기도'를� 가리킨다

(Hervey).� 넷째,� '감사'에� 해당하는� 헬라어� � '유카리스티아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과

거의�하나님의�은총에대한� '감사의�기도'를� 뜻한다(Lenski).

=====2:2� �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 본절은� 기도의� 대상으로� 특별히�

권세자들을�포함할� 것을� 지시한다.� '임금들'(*� � � � � � � � � � � � � � � � � � � � � ,� 바실레온)은� 당시에� 그리스도인

들을� 핍박하였던� 네로� 황제� 뿐만� 아니라� 지위가� 낮은� 분봉왕들도포함한다(Scott,� Earle).� 그러나� '임금

들'을� 당시의� 황제와� 왕들에만� 국한시킬� 필요는없다.� 오히려� 본절의� 명령은� 모든� 세대와� 모든� 지역을� �

초월하여� � 적용되는 명령이다(Lenski).� 하나님께서�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권세자들을� 두시고� 그

들을� 주관하시기� 때문에(롬� 13:1)� 그들이� 아무리� 합당치� 못한� 통치를� 한다� 하더라도� 그들을� 위해서� �

기도를� 해야만� 한다(Calvin).� 당시에� 로마� 제국을� 지배하던� 네로가� 기독교를� 극심하게� � 핍박한� 사실을�

염두에� 둘� 때� 바울의� 명령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가를� 알� 수� 있다.� � �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한�

중에� 고요하고�평안한� 생활을�하려� 함이니라� -� 권세자들을� 위한� 기도는� 나라의�안녕과� 사회� 질서에� 중

대한� 영향을� 미친다.� 정부와� 사회가� 평안한� 상태로� 나아갈� 때� 그리스도인들도� 자신의� 안정된� 신앙� 생

활을� 영위해� � 나갈수� 있다.�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은� 외적� 장애인� 전쟁이� 없고,� 내적� 장애인� 근심이�

없는� 생활을� 말한다(Hendriksen).� 그리고� '경건'(*� � � � � � � � � � � � � � � � � � � � � � ,� 유세베이아)과� '단정'(*� � �

� � � � � � � � � � � � � � � � � � � � � ,� 셈노테티)은� 그리스도인의� 신앙심과� 고상한� 품성� 및� 도덕적인� 덕행을� 의미한

다.� 이상에서� 언급한� 신앙� 생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그리스도인들은� 통치자들을� 위하여� 하나님께� 중

보� 기도를� 해야� 한다.� 이는� 단지� � 위정자들과� 국가� 지도자들에게� 밀착되어서� 자신들의� 이권을� 얻기� 위

한� 것이� � 아니라� � 질서와안녕의�축복이�모든� 사람들에게�미치게�하기�위함인�것이다(Lenski).

=====2:3� 이것이�우리� 구주� 하나님�앞에� 선하고�받으실�만한� 것이니� -� 권세자들을 포함하여모

든�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하나님� 앞에� 합당한� 일임을� 말한다.� '받으실� � 만한것'에� 해당하는� 헬

라어� '아포데크톤(*� � � � � � � � � � � � � � � � � � � � � � � � )은� 본절과� 5:4에만� 나오는� 단어로� '기쁘게�받아들이다'

라는�뜻을� 지닌� 동사� '아포데코마이(* � � � � � )의� 형용사형이다.� 모든� 사람을� 위한� 선한� 기도는�

하나님�앞에� 상달되며그것은�하나님께서�흔쾌히�응답하여�주신다(요일� 5:14).

=====2:4� �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 본� 구절은� 17세기� 칼빈주의자들과� 알미니안주의

자들� 사이에� 일어났던� 논쟁의� 주요� 쟁점이다.� 알미니안주의자들은� 본절을� 두고�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

는다는� 보편� 구원설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알미니안주의자들의� 보편� 구원론적� 해석은� 타당치� 않다.� 구

원은� 모든� 사람을� 위해� 예비되었지만� � 그� � 구원을받아들이는� 사람만� 구원을� 얻는다(Earle).� 그래서� 칼

빈(Calvin)은� '모든� 사람'은� 하나님께서� 구원하시기로� 예정한�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사실은� '구

원을� � 받으며'의헬라어� '소데나이'(*� � � � � � � � � � � � � � � � � � � � )가� 수동형으로서� 구원의� 주체는�오직� '우리

구주� 하나님'이시며� 인간은� 하나님의� 구원� 의지를� 받아들일� 때� 구원을� 얻는다는� � 점을시사한다는� 것에

서� 지지를� 받는다.� 결론적으로� 바울은� 본절을� 통해� 어떤� 계층이나� � 종족의� 특성� 때문에� 구원의� 대상에

서� 제외되지는� 않음을� 말하는� 것이지� 개별적으로� 모든인간이� 구원받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Lenski).� �

� 진리를� 아는� 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 진리에� 대한� 지식은� 구원의� 뿌리요,� 열매이다.� 이러한� 지식

은� 인간의� 자의적(自意的)인� 노력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 � 아니라하나님의� 역사하심으로� 말미암아�획득된다(마� 16:17� ;� 딤후� 2:25).� 모든� 사람이� � 구원받기를� 원하시는� 하나님(겔� 33:11)은� 사람들로�

하여금�진리를�깨닫게�하심으로�구원에이르게�하신다.

=====2:5� �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 바울이� 이처럼� 유일하신� 하나님에� 대해서� � 강조하고� � 있는것은�

하나님만이� 인간에게� 구원을� 주시는� 분이며,� 진정으로� 모든� � 사람이� � 구원받기를원하시는� 분임을� 부각

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사실은� 개역성경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헬라어� 본문에� 나오는� 접속사� '가

르'(*� � � � � � � � � � � ,� '왜냐하면')가� 앞절� 내용에� 대한� 이유나� 근거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해진다.�

또한� '가르'는� 하나님께� � 드리는선하고�받으실�만한� 기도(1-3절)가�구원의�소망을 확고히 해 준 다 는� �

점을 나타낸다(Calvin).� � �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 � '중보'에� 해당하는�헬라어� '메시테스'(*� � � � � � � � � � � � � � � � � � � � )는� 원래� '화친이나�계약을� � 맺기� 위해�

두� 사람� 사이를� 중재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mediator,� NIV,� JB).� � 그리스도는� 십자가의� 죽음으로써�

인간의� 죄로� 인해� 깨진�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 회복하였기� 때문에�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보

자이다.� 바울� 사도는� 중보자이신� 예수� �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아무것도�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회복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 있다(Guthrie).� 한편� 바울이� '사람이신'이라는� 말을� 부가하여� 예수� � 그리

스도의� � 인성을부각시키고� 있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인성을� 소유하심으로써� 인간의� 구원을� � 성취

하셨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결코� 그리스도의� 신격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구원주를� 하늘� 저

편에서�찾아야�하는� 것이� 아니라�우리와�함께� 계시사�우리의 친구되신예수(요� 15:13,� 14)를� 믿음으

로써�구원을�받는다(Calvin).

=====2:6� � 그가� 모든� 사람을� 위하여�자기를� 속전으로� 주셨으니� -� 바울은� 본절에서� 그리스도의속전이�

모든�사람을� 구원하기에� 충분하다는� 사실을� 들어�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이� 구원얻기를� 바라신다는� 사실

의�당위성을�설명한다.� '속전'의� 헬라어� '안틸뤼트론'(* � � )은� 신약성경에서� 이곳에만�

나오는� 단어로� � 노예나� 죄수의'몸값'을� 나타내는� '뤼트론'(*� � � � � � � � � � � � � � )과� '대신'을� 뜻하는� 헬라어�

'안티'(* )가� 합성된� 말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몸값으로� 우리를� 죄로부터� 해방시키셨다.� 그러나�

모든�사람이�다� 구원을�받는� 것은�아니다.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을위하여� 죽으셨지만,� 그의� 속전

을� 받아들이는� 사람만이� � 죄의� 멍에로부터� 풀려나게� � 된다(롬� 10:10-13).� � � 기약이� 이르면� 증거할� 것

이다� -� 본� 구절은�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된다.� (1)� 그리스도의� 구속은� 기회가� 있는� 대로� 우리가� 증거해

야하는� 사실이다(Hendriksen).� (2)� � 그리스도의� 구속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에� 이르러� 일어났다

(Guthrie,� JB).� 본� 구절의� '기약이�이르면'에� 해당하는�헬라어� '카이로이스�이디오디스'(* � � � � � )가�

문자적으로� '그� 자신의�때에'를�뜻한다는�사실을�염두에�둘� 때� 두번째�견해가�타당하다(Earle).

=====2:7� � 이를� 위하여�내가� 전파하는�자와� 사도로�세움을�입은� 것은� -� '이를� 위하여'라� 함은'예수께

서� 모든� 사람을� 위하여� 친히� 자신을� 속전으로� 내어주신� 것을� 증거하기� 위하여'라는� 의미이다(6절).� '전

파하는�자'에� 해당하는�헬라어� '케뤽스'(*� � � � � � � � � � � � � � � )는원래� '임금,� 군주,� 행정� 장관,� � 총독,� 군대�

장관� 등의� 공식� 통신문을� 배달하거나,� � 공공문서를� 전달하고� 기타� 여러� 가지� 의무를� 이행하는� 배달인�

또는� 사자(使者)'라는� � 의미로� 사용되었다.� 신약성경에서는� 이� 용어가�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고� 선포하는� � 사람'을� 의미한다(Thayer).� 또한� '사도'에�해당하는�헬라어� '아포스톨로스'(* )는� '보내심

을� 받은� 자'라는� 뜻으로� '하나님께서� � � 세우신� � 하나님의종'을� 가리킨다.� 바울은� 하나님의� 종으로서� 예

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전파하는� � 사명을받았고� 이� 일을� 위하여� 그의� 생애를� 바쳤다(행� 9:15� ;�

20:24).� � � 참말이요�거짓말이�아니니� -� 바울이�복음선포에�대한�그의� 직무의�진정성을�이처럼강력하게�

밝히는� 것은� 1:3,� 19,� 20에서� 시사되듯이� 에베소� 교인들� 중에� 유대주의� 거짓교사들이� 그의� 사도적� 권

위에� 도전하고� 있었음을� 반영한다(Scott).� � � 믿음과� 진리� 안에서� 내가� 이방인의� 스승이� 되었노라� -� 바

울이� '믿음과� 진리� 안에서이방인의� 스승이� 된� 것'은� '전파하는� 자와� 사도로� 세움을� 입은� 것'과� 동격을� �

이룬다.특별히� 바울의� 사도직이� 많은� 도전을� 받은� 이유는� 사도란� 예수의� 공생애� 기간� 중� 그의죽음과�

부활을� 목격하고� 그� 본� 것을� 전파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했기� 때문이다.� � 그러나� 바울은� 자신의� 사도�

직분이� '믿음과� 진리� 안에서'� 된� 것임을� 강조하여� 에베소� 교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권위나� 디모데의� 권

위에� 대한� 의심을� 불식시키고자� 한다(Calvin).실제로� 바울은� 헬라� 학문의� 3대� 중심지(알렉산드리아,� 아

테네,� 다소)� � 중의하나였던다소에서� 출생하여� 히브리인� 중의� 히브리인이요(빌� 3:5)� 엄격한� 바리새인으

로� � 양육과교육을� 받았고� 이러한� 적절한� 배경하에서� 주� 예수로부터� 이방인을� 위한� 사도의� 사명을받은�

자였다(행� 26:15-18).

=====2:8� � 그러므로� 각처에서� 남자들이� 분노와� 다툼없이� 거룩한� 손을� 들어� 기도하기를� 원하노라� -� '

그러므로'는� 새로운� 주제가� 도입됨을� 나타낸다.� 즉� 본절에서부터는� 공중� 예배에있어서� 남자와� 여자가�

지켜야�할� 규율을�다루고�있다.� '원하노라'에� 해당하는� � 헬라어'불로마이'(*� � � � � � � � � � � � � � � � � � � � � � )는�

바울의� 강한� 소원이며,� 또한� � 명령의� � 의미를내포한다(Simpson).� 혹자는� 본� 구절을� '왕의� 명령'에� 비

유하고� � 있다(Scott).� � 바울은먼저� 남자들이� 교회� 내에서� 서로� 화목한� 상태에서� 하나님께� 기도할� 것을�

엄격히� � 명하고� 있다.� 예수께서도� 말씀하시기를� '하나님께� 기도하고� 경배하는� 일에� 앞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가�먼저� 있어야� 한다'고� 하셨다(마� 5:23,� 24).� 특별히� 바울� 사도가� '분노와�다툼이� 없이'란�

말을� 사용한� 것은� 본� 구절의� 문맥을� 살펴볼� 때� 이방인과� � 유대인의� 관계에� 대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당시� 유대인들은� 여전히� 선민� � 의식(選民意識)을� 고수하고� 있었으므로� 이방인들이� 하나님의�은혜에�동참하는�것을 배척하고있었다.� 그래서� 종종� 이방인과� 유대인� 사이에� 다툼이� 일어났는데�

이러한�분쟁은� � 하나님의�자녀가�된� 교인들�가운데서�종식되어져야�했다(Calvin).� 한편 본 절 에 는� �

기도의자세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성경에� 기록된� 일반적인� 기도의� 자세는� 서서� � 손을� � 들고손바닥은�

위로�향하여� 펴는� 것이었다(출� 9:29� ;� 왕상� 8:22� ;� 시� 63:4� ;� 눅� 18:11).� 그러나� 본절에서� 바울이�의

도하는� 기도의� 자세가� 꼭� 손을� 들고� 기도하는� 자세를� � 말하는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분노와� 다툼

이� 없는� 손'이다.� 살인이나,� 간음이나,� 도적질을� 행하거나,� 기타� 범죄를� 짓고� 나서� 더럽혀진� 손을� 든다

는�것은� � 하나님을 모독하는것이다(Lenski).� 만일� 우리가� 그런� 손을� 든다면� 하나님께서� 돌아서

실� 것이다.� � 따라서우리가� 기도할� 때는� 몸의� 자세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영혼이� 가지고� 있는� 내

면적인�태도가�더�중요하다.

=====2:9� � 이와� 같이� 여자들도� -� 본절은� 8절에� 언급된� 바,� 남자들이� 공중� 예배에� 참석할때� 경건한�

마음의� 자세를� 가지고� 참석하여� 거룩한� 손을� 들어야� 하는� 것처럼� 여자들도� � 똑같이� 거룩한� 심령을� 가

지고� 공중� 예배에� 참여하여야� 함을� 말한다.� � � 아담한� 옷을� 입으며� -� '아담한'에� 해당하는� 헬라어� '코스

메인'(*� � � � � � )은� 본절과� 3:2에서만� 나오며,� 그� 뜻은� '행동이� 단정한',� '질서가� � 잘� � 잡힌'이다.� '옷'의�

헬라어� '카타스톨레'(*� � � � � � � � � � � � � � � � � � � � � � � � )도� 신약성경에서� � 이곳에만�나오는단어로� '옷'� 그� 자

체보다는� '복장이나� 태도의� � 단정함'이란� � 의미를� � 갖는다(Hervey,� Barlow).� 바울은� 본문에서� 여인들

의� 옷이� 단정하고� 품위가� 있어야� 함을� 말함으로써� 예배에� 임하는� 올바른� 태도를� 교훈하고� 있다.� � � 염

치와�정절로�자기를�단장하고� -� '염치'에� 해당하는�헬라어� '아이두스'(* � � � )는� 본래� '예절',� '고상함'

을� 의미한다(decency,� NIV).� 본절에서� 이� �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예절의� 한계에서� 벗어나는� 것을� 삼

가하는� 것'(Hendriksen),� � '여자다운� 조건에서� 벗어나지� 않는� 현숙함'(Bernard)이다.� � 또한� '정절에� 해

당하는� � 헬라어'소프로쉬네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마음의�확고함',� '빠른� 이해력'을의

미하는� 말로� '확고한� 판단'� 또는� '명석한� 판단력'으로� 번역할� 수� 있다(Earle).� 바울사도가� 이처럼� 주장

한� 것은� 당시에� 여자들이� 내면의� 아름다움보다� 외적인� 화려함에� 더치중을� 하였기� 때문이다.� 예배에� 참

석할� 때�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영적� 상태에� 대해서신경을� 쓰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를� 과시하

기� 위하여�옷치장을�하는�것은� 헌신적인�신앙과� 거리가�멀다.� � � 땋은� 머리와� 금이나�진주나� 값진� 옷으

로� 하지� 말고� -� '땋은� 머리'의� 헬라어� � '플레그마신'(*� � � � � � � � � � � � � � � � � � � � � � � � )은� 신약성경에서� 이

곳에만� 나오며,� 포도나무� 덩굴이나� 버드나무� 가지로� 만든� '세공품',� '화환'을� 의미한다.� 본절에서� 바울

이� 땋은� 머리까지도� 반대하는� 것은� 건전하게� 땋은� 머리가� 아니라� 뒷말과� 연결지어서� 보면� 겉만� � 번지

르르한� 허영을�말하고� 있음을�알� 수� 있다.� 당시에� 땋은� 머리는�재산의� � 많음을� 나타냈다(Hendriksen).�

'금이나� 진주나� 값진� 옷'� 등으로� 꾸미는� 것은� 예배에� 합당한� � 자세로� 볼� 수� 없다.� 이것은� 하나님앞에�

드리는�마음� 자세라기보다�사람에게� � 관심을� � 끌게하는�행동이기�때문이다.

=====2:10� � 오직� 선행으로� 하기를� 원하라� -� '선행'은� '자선� � 행위'를� � 가리킨다(5:10� � ;� � 고후9:8,�

9� ;� 골� 1:10).� 바울은� 당시에� 교리와� 행위를� 별개의� 것으로� � 취급하려는� � 경향이있었기� 때문에� 자선�

행위의� 필요성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Guthrie).� � 신앙의� 아름다운� 열매인� 선행은� 하나님과� 사람� 앞

에서� 보석이나� 값비싼� 옷을� 훨씬� 능가하는� � 가치있는� 요소이다.� � � 이것이� 하나님을� 공경한다� 하는� 자

들에게� 마땅한� 것이니라� -� � '하나님을� � 공경한다하는� 자들'로� 번역된� 헬라어� '에팡겔로메나이스� 데오세

베이안'(* � )은� 문자적으로� '하나님� 공경함을� � 고백한자들'

이다(who� profess� to� worship� God,� NIV).� 이것은�그리스도인�여성들의�품행이�단정해야�하는�그� 수

준이� 일반� 여성들과� 같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 부끄럼이� 없어야� 한다는� 데에� 있음을� 말해준다

(Guthrie).

=====2:11� � 여자의� 일절� 순종함으로� 종용히� 배우라� -� 바울은� 여자들이� 집회에서� 마땅히� 보여야할�

정숙함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종용'이란� '침묵'을� 의미한다.� 곧� 공적인� 장소에서말하려고� 나서지� 않는�

것이다(고전� 14:34,� 35).� 또한� '종용'은� 여자들이� 봉사하는� � 행위에� 있어서� 남자들과� 동등한� 입장에�

서지� 않는� 것을� 말한다.� '순종함으로'는� � 개인의권리의� 포기나� 무조건적인� 굴복을� 의미하기보다는� 조직

된�권위,� 예를들어�교회의�법규와�질서�및�권위에�복종하는�것을�가리킨다(Ramsay).

=====2:12� � 여자의�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주관하는� 것을� 허락지� 아니하노니� -� � 바울은� � 교회의질서

를� 바로잡기� 위해서� 여자의�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주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였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편지할�때도� 여자는�남자의�권위� 아래�있다는�사실을� � 상기시켜�주기� 위해�머리에�수건을�쓰라

고� 당부하였다(고전� 11:2-6).� 이것은� 남존� � 여비(男尊女卑)의� 사상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의� 기능� 차이와� 창조� � 질서를� � 언급한것이다.� 여자도� 남자와� 동등하게� 하나님의� 은혜에� 참여할� 수� 있다(갈� �

3:28).� � 본절의가르치지� 말라는� 것은� 교회의� 공공� 집회에서� 금하는� 것이지� 자신의� 가족들과� 가정에서

하는� 가르침까지� 박탈하는� 것은� 아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남자에게� 맡겨주신� 가르치는� 직분을� 강조

하고�있다(Calvin).

=====2:13� � 이는� 아담이� 먼저� 지음을� 받고� 이와가� 그� 후며� -� 여자가�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 주관하

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바울은� 그� 이유를� 두� 가지로� � 제시한다.� 먼저는� 하나님

께서� 법으로� 제정하셨다는� 점(13절)과� 여자가� 범죄함으로� 인한� 처벌로� 여자에� 부과하였다는� 것(14절)

이다.� 여기서� 남자가� 먼저� 지음을� � 받았다고� � 해서남자가� 우월하고� 여자가� 열등하다는� 말은� 결코� 아니

다.� 단지� 창조의�순서일 뿐� � 이다(창� 2:18-25).� 그러나� 이� 순서는� 절대적인� 하나님의� 주권에� 의한

다.

=====2:14� � 아담이� 꾀임을� 보지� 아니하고� 여자가� 꾀임을� 보아� 죄에� 빠졌음이니라� -� 여자가� � 남자를�

주관치� 못하는� 두번째� 이유는� 여자의� 범죄� 행위를� 인함이다.� 여자가� 사단의� 유혹에� 빠진� 것은� 모든� 인

류를� 죄의� 노예로� 만들었다(창� 3:1-6).� 이러한� 사실은� 여자는� 가르치는� 일을� 맡길� 수� 없을� 정도로� 쉽

게� 꾀임을� 받는다는� 주장을� 가져왔다.� 사실� � 하와의� 타락은� 그녀에게� 정해주신� 위치를� 무시하였을� 때�

일어났다.� 그녀는� 복종하는� 것� 대신� 앞장서는� 것을� 택하였다.� 그녀의� 범죄는� 순종의� 길에서� 벗어나버

린� 것이었다.� 그래서� 이제� 그녀는� 그녀� 자신의� 죄악된� 본으로� 인해� 남편에게� 순종하여야� � 하며,� � 남자

를주관해서는�안된다(Hendriksen).

=====2:15� � 여자들이� 만일� 정절로서�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에� 거하면� -� '하와'라는� � 개인으로부터� 이

제는� 일반적인� 여자에게로� 주제를� 바꾸로� 있다.� 본절은� 그리스도인� 여성에게� � 있어서� 네� 가지� 미덕을�

소개한다.� 즉� '정절과�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이� 그것인데,� � 이것들은�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뛰어날� 수�

있는� 적절한� 품성들이다(Guthrie).� � �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 -� 본� 구절은� 목회� 서신� 중� 가장� 난

해한� 구절로서� 여러가지� 해석이� 있다.� (1)� 여자는� 여자의� 삶의� 모든� 조건들에� 순종함으로써� 구원을� �

얻을것이다(Calvin).� (2)� 여인� 마리아가� 예수� 그리스도를� 해산함으로써� 그를� 믿는� 모든� 자들이� 구원을�

얻게�될�것이다(Elicott,� Lock).� (3)� 여자가�해산을� � 안전하게 치름으로구원을� 얻을� 것이다(Moffatt).�

(4)� 자녀를� 양육하면� 구원을� 얻을� 것이다(Chrysostom).(5)� 여자는� 해산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원

을� 얻을� 것이다(Scott).� 이상의� 견해� 중에서� 마지막� 견해가� 가장� 타당하다.� 그� 이유는� 여자는� 형벌로�

주어진� � 해산의� � 고통을감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원에� 있어서는� 남자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 � 디모

데전서�제� 3장

=====3:1� 미쁘다� 이� 말이여� -� 2장에서� 공중� 예배의� 지침을� 말한� 바울은� 본장에서� 직분을� � 맡을� 자

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미쁘다� 이� 말이여'에� 대해서� 혹자는� 2장과� 연결된� 것으로� 보나(Lock,�

Chrysostom)� 이것은�타당하지�않다.� 왜냐하면� 2장에 언급된 여자들의태도에� 대한� 교훈은� 이런� 표현

을�쓸� 정도로�강력한�것이� 아니기�때문이다(Calvin).� 또한�이런� 표현은�바울이�인용구의�앞에�사용하였

다(1:15;딤후� 2:11).� 따라서�본문은�바로� 다음� 구절� 이하의�내용을�염두에�둔� 것으로�보는� 것이� � 타당

하다(Hervey).� � 본문의의미에�대해서는� 1:15주석을�참조하라.� � � 사람이�감독의� 직분을�얻으려�하면� 선

한� 일을� 사모한다� 함이로다� -� '감독의� � 직분'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피스코페스'(*� � � � � � � � � � � � � � � � � )

는� '내려� � 다� � 보다',� � '돌보다',� '감독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에피스코페오'(*� � � � � � � � � � � � � � � � )에서�

유래된� � 말이다.� 이� 단어는� 벧전� 2:25에서� '양떼를� 돌보는� 사람'으로� 쓰였고� 예수� � 그리스도에게적용�

되었다.� 본절에서� 이� 말은� 하나님의� 백성들을� 주관하도록� 선택된� 목사와� � 장로들과� 기타의� 사역자들을�

포함한다(Calvin).� 초대� 교회� 당시에� 감독이� 되는� 것은� � 온전한헌신과� 희생이� 요구되었던� 만큼� 대단히�

어려운�것이었다.� 그러나�이것은�하나님께� � 영광스런일이�되었기에� '선한�일'로� 간주되었다.� 여기서� '선

한� 일'이란� � 교회에� � 유익을끼치는�모든�일을�통칭한다.

=====3:2� 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 감독의� 직분� 자체가� � 선한것이기에� � 감독은특별한�

자격� 조건을� 필요로� 한다.� 바울은� 감독에게� 요구되는� 품성으로� 15개� 조항을� 열거하고있다.� 그� 첫번째�

자격으로� 책망할� 것이� 없는� 자를� 들고있는데,� '책망할� 것이� 없으며'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네필렘프톤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공격을� � 받지� 않는'이란� 뜻으로� 레슬링�선수나� 권투선수가� 공격하

는� 선수에게� � 몸을� � 노출시키지않는데서� 유래되었다(Hervey).� 본절에서� 이� 말은� 감독의� 신령한� 권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비행(非行)이�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 � 한� 아내의� 남편이되며� -� 어떤� 학자들은� 이� 말이� '한번� 결혼한� 후의� 재혼을� � 금지하는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Bernard,� Tertullian,� Moffatt).� 이

러한�주장은� � 초대교부�시대부터�한번�결혼한�이후� 독신자가� 되어버린�성직자들의�재혼을�금지시킨� 관

례와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성직자들의� 금욕주의를� 내세웠던� 예에서� 영향을� � 입은� � 듯하다.그러나� 이�

말은�목회자는�꼭�결혼한�자이어야�한다는�주장도�아니며�재혼을 금지하는내용도� 아니다.� 이것

은� 다만� 일부� 일처제(monogamy)와,� 감독은� 자기아내에게� 충실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Earle,�

Calvin,� Scott).� 사도� 바울은� 결혼� 상대가� 죽었을� 경우� 재혼을� 반대하지는� 않았다(롬� 7:2,� 3;고전�

7:9).� � � 절제하며� -� 감독의� 세번째� 조건은� '절제'이다.� 이� 말에� 해당하는� � 헬라어� � '네팔리온'(*� � � � � � �

� � � � � � � � � )은� 본래� '술� 취하지�않은� 상태'란� 의미를�가지며� � 후에� � '온전한',� '신중한'등의� 광범위한�의

미를� 갖게� 되었다(Earle).� 이와같은� 원어의� 의미를� � 염두에� 둘� 때� 감독은� 술이나� 다른� 육적인� 쾌락을�

삼가하고� 영적으로�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함을� 시사한다(Hervey).� � � 근신하며� -� '소프로나'(*� � � � � �

� � � � � � � � )는� '건전한� 정신의',� � '자제하는',� � '차분한'의� 의미를� 가진다(딛� 1:8;2:2,� 5).� 감독은� 갑작스

런� 충동으로� � 좌지우지(左之右之)아니하고� 매사에� 분별력� 있게� 행동해야� 한다(discreet,� JB).� � � 아담하며� -� 헬라어� '코스미온'(*� � � � � � � � � � � � � � )은� '질서� 있는',� '예의� 바른',� '명예로운'(respectable,� NIV)이

란� 뜻이다.� 이� 말은� 사람의� 행위에� 있어서� 도가� 지나치지않고� 점잖으며� 정중하게� 행동하는� 것을� 가리

킨다.� � � 나그네를� 대접하며�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 '필로크세논'(*� � � � � � � � � � � � � � � � � � )은'나그네를�

사랑하는'이란� 뜻이다(딛� 1:� 8;벧전� 4:9).� 1세기에� 여행을� 하던� 그리스도인들은� 이교(異敎)� 분위기에�싸인� 여관을� 피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하룻밤을� 유숙할� � 그리스도인� 가정을� 찾아다니곤� 했다.� 이로� 말

미암아� 멀리� 떨어진� � 지역으로부터� � 모여든신자들이� 서로알게� 되고� 우애와� 친교를� 나눌� 수� 있었다.� 그�

당시에는� 이와� 같이� � 나그네를� 대접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중요한� 미덕이었다(Earle).� � � 가르치기를�

잘하며� -� 일곱번째� 자격인� '가르치기를� 잘하는� 것'(*� � ,� 디다크티콘)은� 수다스러운� 혀로� 달변하는� 것을�

의미했다기� 보다는� 하나님의� � 말씀을� 삶에� 적용시켜� 영적으로� 가르칠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Earle,�

Calvin).� 이는� � 또한불신자를� 전도하고� 자신이� 맡은� 양떼를� 말씀으로� 잘� 양육할� 능력을� 말한다(마�

9:35).

=====3: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 '술을� 즐기지'에� 해당하는� 헬라어� '파로이논'(*� � � � � )은� '술곁에�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을� 뜻하는� '파로이니오스'(*� � )의� 후기� 단어이다(Robertson).감독은� 무절제하게�

술을� 즐기며,� 술을� 통해서� 마음의안위와� 쾌락을� 누리는� 자가� 아니어야� 한다.� � � 구타하지� 아니하며� -�

이는� 성질이� 급하여� 폭력을� 즐겨� 쓰는� 행위뿐만� 아니라� � 자기의� 주장만� 일삼는� 언어의� 폭력까지를� 포

함한다.� � � 오직� 관용하며� -� '관용하며'에� 해당하는�혤라어� '에피에이케'(*� � � � � � � � � � � � � � � )는정확히� 번

역하기� 힘든� 단어로� '호의적인',� '친절한',� '참을성� 있는',� '동정심� � 많은','관대한',� '다정한'등의� 의미를�

갖는다(Simpson).� 혹자는� 이� 단어를� '친절한� � 분별력'으로� 번역하였다(Matthew� Arnold).� 따라서� 이�

말은� 성경의� 가르침과� 배치되지� � 않는다면� 어떤� 손해나� 아픔이라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 � 다투지� 아니하며� -� 이� 말은� 본절과� 딛� 3:2에만� 나온다.� 이것은� '관용'과� 통하는� 말이며,� 자

기� 주장만� 내세우지� 아니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 자세를� � 의미한다.� � � 돈을� 사랑치� 아니

하며� -� 이� 말은� � 부정적인� � 태도로� � 치부(致富)하지� � 않으며(딤전3:8),� 재물을� 모으는� 것을� 생의� 첫번째�목표로�삼지않는�자를�가리킨다(Barnes).

=====3:4� � � 자기�집을� 잘� 다스려�자녀들로�모든�단정함으로�복종케�하는� 자라야�할지며� -� 감독은�하

나님께서� 주신� 자기� 가정의� 흘륭한� 가장(家長)이� 되어� 자녀들을� � 복종시켜야� � 한다.� '다스려'에� 해당하는�헬라어� '프로이스타메논'(*� � � � � � � � � � � � � � � � � � � � � � � � )은� '앞에�서다'� 또는� '앞에� 두다'를� 뜻하는�동

사� '프로이스테미'(*� � � � � � � � � � � � � � � � � )의� � 현재� 분사로� '앞서서� 행하는'이란� 의미를� 지닌다.� 감독이�

모든� 일에� 자녀들의� 모범이� 될때에� 자녀들은� 신뢰를� 가지고� 부모를� 공경하며� 예의� 범절을� 지킬� 수� 있

다.� 이는� � 또한감독이� 자녀들을� 신앙으로� 양육하는데� 있어서� 그� 품위를� 잃지� 않고� 자녀들을� 진리� � 가

운데로�인도하는�것에�힘쓰는�것을� 의미한다.� '단정함'(*� � � � � � � � � � � � � � � � � � � � ,� � 셈노테토스)은� '방탕'

과� 반대되는�말로서�행동이�정숙하고�기품과�규모가�있는� 것을� � 말한다(Calvin).

=====3:5� � (사람이� 자기� 집을� 다스릴� 줄� 알지� 못하면� 어찌� 하나님께� 교회를� 돌아보리요)� -� 본절에�

괄호가� 있는� 것은� 이� 구절이� 앞절을� 설명하는� 삽입구임을� 암시한다.� 가정은� 사회집단의� 최소단위이다.�

이� 최소� 단위를� 잘� 다스릴� 수� 없는자는�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교회를� 잘� 돌볼� 수� 없다.� 한편� '교회'의�

헬라어� '엑클레시아스'(*� � � � � � � � � � � � � � � � � � )는'엑칼레오'(*� � � � � � � � � � � � � ,� '불러낸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로� � 본래� � '정규로소집된� 시민의� 정치적� 집회'를� 의미하였으나� 점차� 이스라엘의� 종교적� 집

회에도�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그리스도인들의� 집단'을� 가리키게� 되었다.� 따라서� 이는� 건물을� 가리키기

보다는� '그리스도인의� 공동체'를� 가리킨다.� 교회는� 가정과� 유사점이� � 많다.� � 복음의사역자에� 대한� 권위

가� 가정의� 가장으로서의� 권위와� 비슷하고� 그리스도의� 피로모인� � 형제와� 자매가� 있는� 것도� 그렇다.� 이

러한�의미에서�교회는� � 큰� � 가정이라� � 할 수� � 있다(Barnes).

=====3:6� � 새로� 입교한� 자도� 말지니� -� '새로� 입교한� 자'의� 헬라어� '네오퓌톤'(*� � )� 은� '새롭게� 씨를�

뿌린'이란� 뜻으로� 최근에� 개종하여� 교회가� 받아들인� 자를� 가리킨다(Earle).� 바울이� 새로� 입교한� 자들에

게� 감독직을�맡기지� 말라고�한� 이유는�새� � 신자에게� 그와� 같은� 중직(重職)을� 맡길� 경우� 오만과� 야심에�곧장� 휩쓸리기� 때문이다.� � � 교만하여져서� -� '교만하여져서'로� 번역된� 헬라어� '튀포데이스'(*� � � � � � � � � � �

� � � � � )의� 문자적� 의미는� '연기에� 싸이다'이다.� 확실한� 소명의식이나� 지휘� 능력이� 없는� � 새로운� 개종자

는� 갑자기� 확보된� 지위에� 의하여� 교만의� 연기에� 싸이기쉽다.� 그� 자만심은� 높은� 지위에� 대해� 잘못된� 생

각을� 갖게� 하며,� 그� 결과� 타락의� 길로� 가게� 할� 가능성이� � 많다(Guthrie,� Scott).� � � 마귀를� 정죄하는�

그� 정죄에� 빠질까� 함이요� -� 본� 구절은� 난해한� � 구절이다.� � 여기서'마귀'에� 해당하는� '디아볼루'(*� � � � � �

� � � � � � � � � � )를� '사단'으로� 볼� 것인가� '중상모략자'로� 볼� 것인가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진다.� (1)� '사단'

으로� 볼� 경우에는� '마귀가� � 당할� 정죄'의뜻이다.� 이는� 사단이� 하나님의� 피조물로� 창조되었으나(창� 1장)�

자신의� 교만으로� 타락하게� 되었고� 자만심의� 죄에� 대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을� 암시한다.� 이와� � 같이교만

한� 사람들은� 그와� 같은� 심판을�받게� 된다(Earle,� Calvin,� Chrysostom,� � Ellicott,Alford,� Guthrie).� (2)�

'중상모략자'로� 보는� 경우에는� 하나님의� 교회에� � 세움을� � 받은자가� 자신의� 교만으로� 인해� 마귀가� 가져

오는�정죄,� 즉� 마귀가�놓은 올무에 빠진다는뜻이다.� 이러한� 견해는� 마귀를� 주격� 소유격으로� 보는� 이

론이다.� 그러나� '정죄'라는� 단어가� '중상모략'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극히� 드물고,� 성경상의� � 표

현으로� � 보아마귀가� 정죄의� 올무를� 놓는다는� 의미보다는� 마귀가� 정죄를� 받는다는� 전자의� 의미가� 타당

하다(창� 3:15;사� 14:12;슥� 3:2;마� 4:10;롬� 16:20).

=====3:7� 외인에게서도�선한�증거를� 얻은� 자라야�할지니� -� 감독의�열다섯번째�자격을� 언급하는� 본절

은� 기독교에� 대해� 적대적이었던� 당시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실행하기� � 어려운것이었으나.� 교회가� 필

요없는� 비방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 마땅한� � 요구� � 사항이었다.'외인'은�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이다.�

외부� 사람들에게� 좋은� 증거를� 필요로하는� � 것은바울이� 가졌던� 관심으로� 여러� 곳에� 나타난다(고전�

10:32;골� 4:5;살전� 4:12).� 교회� � 지도자가�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얻지� 못할� 때� 교회와� 그�

교회에� 속한� 사람들은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한다.� 그리스도인은� 하늘나라의� 시민인� 동시에� 이� 세상에� �

속한사람들이기때문에� 세상과의� 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벧전� 2:12).� 여기서� 바울이� 의도하는� 것은� 감

독이� 세상사람들에게� 아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정직하고� 모범적으로� 행동하여� 인정받으라는� 것이다

(Calvin).� � � 비방과� 마귀의� 올무에� 빠질까� 염려하라� -� 외부인으로부터� 선한� 증거를� � 얻지� � 못한사람은�

쉽게� 비방을� 받게� 된다.� '비방'이란� 사람들에게� 비판을� 받는� 것이다.� � '마귀의올무'를� 혹자는� '마귀가�

잡힌� 덫'� 즉� '교만'으로� 해석한다(Earle,� � Guthrie).� � 그러나여기서는�마귀가�순진한�그리스도인들을�잡

기�위해�설치하여�놓은�올가미로 해석해야옳다.� 마귀는� 환난을� 통하여� 믿음이� � 연약한� � 자를� � 잡으

려고� � 올무를� � 설치한다(벧전5:8).� '올무'에� 해당하는�혤라어� '파기나'(*� � � � � � � � � � � � )는� '붙들어�매다'

를� � 뜻하는'페그뉘미'(*� � � � � � � � � � � � � � )에서� 나온� 단어로� 새나� 짐승을� 잡기� 위해� 설치한� '덫'(눅

21:34),� '함정'(름� 11:9)을� 뜻한다(Robertson).

=====3:8� � 집사들도� 단정하고� -� 본절부터� 13절까지는� 집사의� 자격에� 대한� � 기술이다.� � 집사의자격

요건은� 앞서� 언급한� 감독의� 자격� 요건과� 흡사하다.� 이는� 초대� 교회의� 집사들이� 장차� 감독이� 될� 사람들

이었다는� 점을� 염두에� 둘� 때� 자연스럽게� 이해된다.� '집사'에� 해당하는� 헬라어� '디아코누스'(*� � � � � � � � � �

� � � � � � � )는� '종'이라는� 의미를� � 가지고� � 있으며특히� 식사때� 시중드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

었다(Josephus).� 그런데� 이� 말이초대교회에서는� '섬기는� 자',� '봉사하는� 자'의� 의미로� 발전하였다.� '집

사'라는� 표현은행� 6장에서� 최초로� 나온다.� 예루살렘� 교회의� 사도들은� 기도하는� 것과� 말씀� 전하는� � 일

에� 전념하기� 위해서� 가난하고� 불우한� 교인들을� 물질적으로� 돌보는� 구제� � 사업을� � 맡을일곱� 집사를� 선

택하였다(행� 6:1-6).� 집사직은� 제도화되기� 전까지� 두� 측면에서� � 언급되었는데,� 첫째는� 교회의� 영적� 생

활과� 재정업무를� 돌보던� 사람에게� 사용되었고(빌� � 1:1)둘째는� 비공식적인� 입장에서� 봉사하는� � 자� � 모

두를� � 의미하는� � 말로도� � 사용되었다(엡6:21).� 이처럼�집사는� 군림하는� 자가� 아님� 돌보고� 섬기는� 일에�

자기를� 희생하는� � 사람이다(Earle).� '단정하고'에� 대해서는� 4절� 주석을� 참조하라.� � � 일구� 이언을� 하지�

아니하고� -� '일구� 이언'의� 헬라어� '딜로구스'(*� )는� '두� 번'을� 뜻하는� 부사� '디스'(*� � � � � � )와� '말하다'

를� 뜻하는� '레고'(*� � � � � � � � )의� 합성어로� 이� 사람에게는� 이� 말을하고� 저� 사람에게는� 다른� 말을� 하는�

이중적인� 언행(言行)을� 의미한다(Hervey,� Earle).� 결국� 이말은� '불성실하다'는� 개념을� 가진다.� 집사는�공명� 정대(公明正大)하며� 성실한� 언행을� 가져야한다.� � � 술에� 인박이지� 아니하고� -� '많은� 술에� 마음이�사로잡히지�않는'의� 뜻으로�술에� � 탐닉하지�않는� 것을� 뜻한다.� � � 더러운� 이를� 탐하지�아니하고� -� '더러

운� 이를� 탐하지'의� 헬라어� '아이스크로케르데이스'(*�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부끄러운'을� 뜻

하는� '아이스크로스'(*� � � � � ,� 엡� 5:12)와� '유익'을� 뜻하는� '케르도스'(*� � � � � � � � � � � � ,� 빌� 1:21)의� � 합

성어로'비열한� 수단으로� 사소한� 이익을� 취하는� 것'을� 뜻한다.� 부정으로� 취한� 것은� 항상� 더러운� 것이다.�

또한� 정당한� 이익이라고� 할지라도� 과도한� 욕망으로� 인한� 것은� 더러운� 것에포함된다(Robertson).� 본문

은� 앞서� 언급한� 초대교회�집사직의� 역할에�비추어�볼� 때� 분배할�구제품을� 횡령하거나�그것을� 이용하여�

이익을�남기려고�이리저리�유용하는� � 행위등을�염두에�두고있는�것� 같다(Scott).

=====3:9� � 깨끗한�양심� -� 이상과�같이� 그리스도를위하여�맡은�바� 직분을�감당할�자격을� � 갖춘사람은�

깨끗한�앙심을�가진� 자이다.� '깨끗한�양심'은� '선한�양심'과�같은� 의미로(1:5,19)� 그리스도의�보혈로�깨

끗함을� 받은�앙심이다(히� 10:22).� 혹자는� 이를� '보석을� 보관할� 수� 있는� 작은상자'에� 비유하였다(Lock).� �

� 믿음의�비밀을�가진자� -� '비밀'에� 해당하는� 헬라어� '뮈스테리온'(*� � � � � � � � � � � � � � )� � � )은� 오랫동안�숨

겨져� 있다가� 마침내� 사람들에게� 공개되거나� 선택된� 사람들에게� �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믿음의� 비밀'

은� '성령에의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계시되는� � 예수그리스도의� 구원의� 비밀'이다.� 따라서� 믿음의� 비밀을�

가진� 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 가르침을� 좇아서�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그리스도인으로서� 바른� � 지식을� �

소유한� � 자'이다(Calvin).

=====3:10� 이� 사람들을�먼저�시험하여�보고� -� '시험하다'의� 헬라어� '도키마제스도산'(* � � �

� )은� '금속을� 시험하다'를� 뜻하는� '도키마조'(*� � � � � � � � � � � � � � � � )의� 명령형이다.� 추천된� 사람들을� 먼저�

시험하여� 보고�집사로� 임명하라는�바울의� � 명령은�기간을�설정해�놓고� 합격여부를�결정하라는�것이� 아

니라�그� 사람이� 진실성과� � 구원에� 관한� 확고한� 믿음의�도리를� 가졌는지를�시험하라는�것이다.� 8,9절에�

나와� 있는� � 것처럼�집사가� 될� 사람을� 판단할� 때는� 떠돌아다니는� 풍문(風聞)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며반드시� 교회� 전체를� 통한� 조화나� 관찰을� 거쳐야한다.� 이� 시험은� 세� 단계를� 갖는데,� 그것은� 시험과� 시험

에� 대한� 증명,� 그리고� 시험의� 결과에대한� 인정이다.� 여기서는� 이� � 세단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듯하

다(Earle).

=====3:11� 여자들도�이와� 같이� 단정하고� -� '여자들'에� 해당하는�헬라어� '귀나이카스'(* � )는� '여자'�

또는� '아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여자들'이� 어느� 집단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

하다.� (1)� 집사들의� 아내라는� � 주장(NIV,� � KJV,Earle,� Moffatt,� Jeremias,� Easton,� Weiss).� 즉� 전후�

문맥상� 8-10절,� 12,� 13절이� 집사의� 자격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 '집사의� 아내'라고� 보는� 것

이� 타당하다는� � 것이다.� (2)� 일반적인� 여자라는� 주장.� 이� 주장은� 8-12절의� 문맥상� 합당하지� � 않다.� �

(3)여집사라는주장(Bernard,� Lock,� Robertson,� White,� Alford,� � Ellicott,� � Chrysostom).이� 견해를�

주장하는� 자들은� 본절의� '여자들'을� 감독이나� 집사처럼� 교회에서� 특별한� 직분을� 맡아� 봉사하는� 자들로�

이해한다.� 다만� 여기서� 여집사의� 자격� 요건에� 대해� 분리된문항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여집사가� 제2의�

직분이라는� 차별� 의식을� 갖지� 않도록� 하기위함이었다고� 말한다.� 세번째� 주장이� 가장� 타당하다고� 본다.� �

� 참소하지� 말며� -� '참소하지'에� 해당하는� 헬라어� '디아볼루스'(*� )는� '비방하는',� '거짓으로� 고발하는'의�

뜻이다.� 특별히� 목회� 서신에만� 나타나는� � 이말(딤후� 3:3;딛� 2:3)은� 초대� 교회에� 요구되는� 사항이었으

며,� 오늘날에도� 역시� � 필요한경고이다(Earle).� � � 절제하며�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네팔리우스'(*� � � � � �

� � � � � � � � � � � � )는� 2절� � 주석을� 참조하라.2� � 모든일에� 충성된� 자라야� 할지니라� -� '모든일에� 충성된� 자'

는� 포괄적인� � 필요조건이다.� 교회를� 위해� 일하는� 사람은� 자신이� 부여받은� 직분과� 사명에� 충실해야� 한

다.� � 혹자는� '모든일에�충성된�자'를� '절대적으로�신뢰할�수� 있는� 자'로� 해석하였다(Moffatt).

=====3:12� � 집사들은� 한� 아내의� 남편이� 되어� 자녀와� 자기� 집을� 잘� 다스리는� 자일지니� � -� � 이제집사

에게도� 감독과� 마찬가지로� 가정의� 질서를� 위해서� 남편된� 책임과� 자녀를� 잘� 다스려야� 할� 것이요구된다.�

'다스리는'(*� � � � � � � � � � � � � � � � � � � � � � � � ,� � 프로이스타메노이)것은글자� 그대로� '머리가� 되는것'이다.� 롬�

12:8과�살전� 5:12에서는�이� 단어가�교회의�영적지도자에게�쓰였다.

=====3:13� � 집사의� 직분을� 잘한� 자들은� 아름다운� 지위와� -� '아름다운� 지위'는� 교회에서� 직분을훌륭

하게� 감당했을� 때� 얻게� 되는� 첫번째� 결과이다.� '집사의� 직분'에� 해당하는� � 헬라어'디아코네산테스'(*�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여자� 집사(롬� 16:1)와� 바울� 자신과바울의� 동역자들에게도� 사용되었다(고

전� 3:5;고후� 3:6;6:4;11:23;엡� 3:7;골� 1:23).� 그러므로� '디아코니아'(*� � � � � � � � � � � � � � � � )는� 일반적인�

봉사의� 직분를� 칭한다고� � 할� � 수있다.� 따라서� 본문은� '집사직분을� 잘한'으로� 번역하기보다는� '직분을�

한'으로� � 번역함이� 더� 타당하다고� 본다(Lenski,� Hendriksen).� 한편� '지위'에� 해당하는� � 헬라어� � '바드

몬'(*� � � � � � � � � � � � )은� '가다'를� 뜻하는� 동사� '바이노'(*� � � � � � � � � � )에서� 나온� � 단어이다.� 칠십인역

(LXX)에서는� '밉탄'(*� � � � � � � � ,� 삼상� 5:5)이란� 말을� '바드몬'으로� 번역하였는데� 원래� 이� 말은� '문지방'

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로� 사용될� 경우에는� '계단을� 오르는� 걸음'이란� 뜻을가진다(Robertson,�

Earle).� 이� 말은� 교회에서의� 직위� 승진을� 시사한다기보다는� 오히려� 그들이� 교회에서� 성실히� 직분을� 감

당했을�때� � 사람들에게높은�평판을�얻게�되고� 그들� 스스로가�그리스도에대한�확고한�믿음을� � 갖게 되

리라는의미이다.� � �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에� 큰� 담력을� 얻느니라� -� 직분을� 잘� 감당하는� 자들에

게� 오는� 두� 번째� 결과이다.� 직분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는� '믿음에� 큰� 담력'을� 얻게� 된다.� '담력'(*� � � � �

� � � � � � � � � � � � � ,� 파르레시안)은� 그리스도를� 섬기는� 데� 있어서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데� 있어서�

담대한� 것을� 말한다(Hervey).� 이� � 담력이� � '그리스도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연결되는� 것은� 담력이� 예

수� 그리스도를�의지하는�데서�비롯됨을�보여준다(Lenski).

=====3:14� 내가� 속히� 네게� 가기를� 바라나� 이것을� 네게� 쓰는것은� -� '이것'은� 2:1-3:13에� � 기록된� 내

용을� 가리킨다.� 바울� 사도는� 디모데가� 있는� 에베소� 교회에� 가기를� 원했으나(1:3)지체되는� 경우를� 생각

해서� 목회� 서신을� 기록한� 목적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사도� 바울이� 에베소를� 떠나기전에� 디모데에게�

직접� 이러한� 지침들을� 전하지않고� 서신으로� � 전한이유는� 무엇인가?� �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혹자는� 디

모데가� 너무� 미성숙한� 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Easton).� 그러나� 이것은� 정당한� 이유라고� 볼� 수�

없다.� 바울은� � 다음과�같은� 의도에서�이� 지침들을�서신으로�전했을�것이다.� 첫째,� 본� 서신은�바울이�에

베소를� 떠날� 때� 말로써� 충고하였던� 것을� 더� 확실하게하기� 위하여� 기록된� 것이라고� � 볼수� 있다.� 둘째,�

바울이�디모데에게만�편지를� 쓰는� 것이� 아니고�수신자인�에베소� � 교인들로�하여금�디모데의�권위를� 인

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신을� 기록하였다.� 셋째,� 바울이� 에베소를� 서둘러� 떠나야만� 했기� 때문에� 미처�

알려주지�못했던�지침들을�전달하고자하였다(Guthrie)

=====3:15� 너로� 하나님의� 집에서� 어떻게� 행하여야� 할� 것을� 알게� 하려� 함이니� -� 본절에서� 바울사도

는� 하나님의� 집을� 다스리는� 청지기�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몇� 사본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헬

라어�사본에서� '행하여야'라는� 동사의�주어가�생략되어�있다.� � 따라서�이� 동사의�주어는�일반적인�사람

이나� 디모데가� 포함될� 수있다.� 비록� 본� 동사('알게� 하려')의� 주어가� 디모데이나� 앞의� 구절에서� 열거되

었던� 지침들을� 살펴보면� � 문맥상일반적인� 사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Guthrie).� 한편� '하나님의� 집

'(*� � ,오이코� 데우)은� '하나님을� 아버지로� 우러러보는� 그리스도인� 전체의� 가족'을� 나타내기� 때문에� '하

나님의� 가정'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이는� 지상에� 있는� 보편적� 교리를� 가리킨다.� 교리를�

집이라고� 일컬은�것은� 하나님께서�당신의� 자녀되는� � 가족들을�소유하고�계시고�그들과� 함께� 계시기� 때

문이다(Earle,� Lenski).� � � 이� 집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 교리는�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형성되었

기� � 때문에� 영원히� 살아� 계셔서� 주관하시는� 하나임의� 소유이다.� 바울이� 이처럼� 교리를� � 살아계신� 하나

님의� 소유라고� 말한� 것은� 교회를� 돌보는� 사람들이� 지킬� 거국하고� 흠없는� � 생활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Hervey).� � � 진리의�기둥과�터이니라� -� 여기서� '기둥'은� '터'에� 의해� 더욱� 강화되는� 지주(支柱)의� 개념을� 갖는다.� 그리고� 본문� 전체를� 볼때� '기둥'과� '터'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계시되는� '진리'의� 확

실성과� 견고성을� 강조한다.� 혹자는� 본문을� '하나님께서� 각지역� � 교회의� 신앙의� 증인들을� 사용하사� 교

인들의�삶의�터전�위에� 진리를� � 강화시켜� � 나가신다는의미로�해석한다(Lock).

=====3:16� � 크도다�경건의� 비밀이여� -� 이� 구절은� 놀라우신� 하나님의� � 신비에� � 대한� � 찬양이다.'경건

'의� 헬라어� '유세베이아스'(*� � � � � � � � � � � � � � � � � � )는� 원래� '영혼의� � 자질이나� � 상태'를� 의미하나,� 여기

서는� 이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로� 삶� 속에� 나타난� 경건을� � 의미한다(Hendriksen).� 곧� 예수께서� 우리에

게� 계시하신� 복음으로�말미암아�우리의� 삶� 전체를하나님께�참되게� 헌신하는� 것으로�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참된� 경건의� 본질이다.� � 이경건은� 비밀로� 언급된다.� 그� 이유는� 예수께서� 나타내� 보이지� 않으셨다

면� 우리가� � 그분을� 알지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Lock).� � � 그는� 육신으로� 나타난� 바� 되시고� -� 이제� 위

대하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6행으로� 찬송한다.� 이� 6행의� 찬송은� 그리스도의� 탄생으로부터� 시작해서� 그

의�영광스러운 승천으로끝을� 맺는다.� 이는� 초대� 교회에서� 행하던� 찬양의� 형태로서� 풍부한� 운율과�

의식적(儀式的)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육신으로� 나타난� 바� 되시고'는� � 그리스도의� � 비하(卑下)를� 가리킨다.� 그는� 하나님으로부터�보냄을�받고� 동정녀에게서�탄생하셨다.� 이처럼�저주를�받아� 연약해진� 인간의� 육신을� 스스로� 입으셨으므로,� 이를� 통하여�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이� 명백히� 드러났다

(요� 1:1-14;고후� 8:9;빌� 2:5-11).� � � 영으로� 의롭다� 하심을� 입으시고� -� 앞에서� 예수의� 인성(人性)을� 묘사한� 반면� 본문은예수의� 신성(神性)을� 언급한다.� 예수는� 비록� '육신으로� 나타난� 바'� 되셨으나� 죄가� � 없는� 하나님의�아들이시다.� 예수의�신성은�그의�말씀과�그가�행하신�기적들의 근거였고사망을� 이기

신� 그의� 부활을� 통하여� 절정적(絶頂的)으로� 증거되었다(Simpson).� � � 천사들에게� 보이시고� -� 예수는�그의� 모든� 생애를� 천사들에게� 보이셨다.� 대표적으로그의� 탄생(눅� 2:12-14),� 사단의� 시험(마� 4:11),� 부

활(마� 28:2-7;막� 16:5-8;요� � 20:12,13).� 그리고� 승천시에(행� 1:9-11)천사들이� 예수� 곁에� 등장하였다.�

무엇보다본문에서의�의미는�부활에서�나타내�보이신�의미가�깊다고�할� 수� � 있다(Hendriksen,

Lenski).한편� 천사들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신자들의� � 구속에도� � 관심을� � 갖고있다(벧전1:12).� � �

만국에서� 전파� 되시고� -� 예수께서는� 승천하시기� 전에� '모든� 족속으로� 가서� � 제자를삼으라'고� 하셨다(마�

28:18-20).� 인간의� 연약함과� 질고를� 담당하시기� 위해� 친히� � 낮아지사� 고난의� 생애를� 보내신� 그리스도

는� 이제� 세상의� 구주로서� 온� 세상에� 전파되고� � 있다.� '만국'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드네신'(*� � � � � � � � � �

� � � � )은� 글자� 그대로� � '민족들'을� 의미하지만(the� nations,� NIV),� 유대인들과� 구별되는� 이방인� 뿐만아

니라� '천하� � 만민'을� 가리킨다(Robertson).� � � 세상에서� 믿은� 바� 되시고� -� 이제� 세상� 가운데� 전파되신�

그리스도는� 세상의� � 구세주로� 받아들여� 지셨다.� 이것은� 많은� 사람이� 믿음으로� 응답하는� 역사를� 말한

다.� 참된� � 복음의� 권세는� 그� 복음을� 듣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를� 믿고� 받아들이는� 신앙을� 가져다� 준다.� �

� 영광� 가운데서� 올리우셨음이니라� -� 이것은� 그리스도의� 승천에� 대한� 언급이다.� 하늘에서� 오신� 예수� 그

리스도는� 다시� 하늘로� 오르셨다(행� 1:9).� 지상에서의� 사역을� 승리로종결지으시고� 승천하신� 그리스도는�

이제�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 계셔서� 하늘의� 영광� 가운데� 계신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인류

의�찬송을�받으시기에�합당하신� � 분이다(빌� 2:9-11).� � � 디모데전서�제� 4장

=====4:1� � 성령이� 밝히� 말씀하시기를� -� 본장에서� 바울은� 이단에� 대한� � 경계를� � 명하고� � 있다.1-5절

은� 거짓� 교사들이� 가르치는� 금욕주의에� 대한� 교훈이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 에베소� 교회의� 거짓� 예배

가� 하나님의� 참된� 예배를� 더럽히고� 있는것을� 경계시키고,� � 이것이성령에� 의한� 예언임을� 밝히고� 있다

(Guthrie).� � � 후일에�어떤� 사람들이�믿음에서�떠나�미혹케�하는�영과� 귀신의�기르침을 좇으리라-� '

후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휘스테로이스� 카이로이스)은� 묵시� 문학적으

로� '말세'(막� 13:5-37� ;� 딤후� 3:1)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가까운� 장래'를� 의미한다.� � 즉� 이것은� 어떤�

특정한� 시간에� 실현되는� 임박성을� 가리킨다(Earle).'...에서� 떠나'의� 헬라어� '아포스테손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버리다',� '취소하다'의� 뜻으로(desert,� JB)� '마음이� � 변하다',� '배교하다'로�

번역할�수� 있다.� 성령의�인도함을�받지�않고� '미혹케�하는� 영과� 귀신의�가르침'을� 좇기� 때문에� � 배교자

들이� 생긴다.� 한편� '미혹케하는� 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프뉴마신� 플라노이

스)은� '거짓말하는� 영'을� 가리킨다(왕상� 22:22).� 이� 말은� 방황을� 뜻하는� '플라네'(*� � � � � � � � � � � � � � � � )

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방황하게� 하다',� '길을� 헤매게� 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 또한� � '귀신'이라는� �

말은� � KJV과� � NEB에서는� � '악마'(devil)로� 번역하였다.� 그러나�헬라어�본문에서는� '다이모니온'(* � ,�

'귀신')과� '디아볼로스'(*� � � � � � � � � � � � � � � � � � � � � � ,� '마귀')로�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마� 12:24� ;� 막�

5:8,� 9).� '귀신'은� 복수로�사용되었고� '마귀'는�단수로�사용된�것이� 특징이다.

=====4:2� 자기� 양심이� 화인맞아서� -� 이는� 믿음에서�떠난� 자의� 상태를� 말한다.� � '화인맞은'에해당하는�

헬라어� '케카우스테리아스메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문자적으로� '인두로�

도장을� 찍은'이란� 뜻이다.� 이� 말은� 노예� 매매시� 주인이� 노예에게� 신체� 부위에� 불로� 지져서� 자기� 소유

를� 표시했던� 사실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다.� � 이부위는� 점차� 딱딱해져서� 감각(感覺)이� 없어지게� 된다.�즉� 양심이� � 화인맞은 사람들은자기� 자신들의� 악한� 행동에� 대해서� 감각이� 무디어진� 자들이다(엡�

4:19).� 이처럼� � 그들의� 감각을� 무디게� 하여� 진리를� 구별할� 수� 없게� 하는� 그들의� 소유자는� 사단이다

(Lock).� � � 외식함으로� 거짓말하는� 자들� -� 이� 말은� '마귀들로부터� 조종받는� 사람들'로� �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Guthrie,� Calvin).� 사단은�사람들을�꼬여�하나님�위에� 오르기� � 위한수단으로�이용한다.

=====4:3� 혼인을� 금하고� 식물을� 폐하라� -� 에베소� 교회의� 이단들은� � 금욕주의자였다.� � 그들은물질은�

악하고� 정신은� 선한� 것이며,� 육적인� 것은� 악에� 물들게� 하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들

은�혼인을�불쾌하게�여겼고�몇몇� 음식을�먹지� � 않았던� � 엄격한채식주의자였다(롬� 14:1,� 2,� Scott).� '혼

인을� 금하는'� 풍습은� � 엣세네파(Essenes)에서시작하여� 테라퓨테파(Therapeutae)에서� 유행하였는데

(Josephus,� Philo),� 이것이� � 발전하여� 영지주의자(Gnostics)들의� 교리가� 되었다.� 이러한� 교리는� 1세기

에�교회에�들어와서� 2세기�경까지�교회에�두루�퍼졌다.� 영지주의자들은�육체적�쾌락을� � 죄로 규

정하였고,� 성결(聖潔)하게� 되는� 것은� 금욕을� 통해서만�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 결혼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위해� 특별히� 만드신� 제도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세상을� 창조하실� 때� '보시기에� 좋게'� 창

조하셨다(창� 1:10,� 12,� 18,� 21,� 25,� 31).� 따라서�억지로� � 행하는�금욕주의와�금식주의는�하나님의� 창

조� 섭리와� 배치(背馳)된다.� � � 식물은� 하나님이� 지으신� 바니� 믿는� 자들과� 진리를� 아는� 자들이� 감사함으로� 받을� 것이니라� -� 특정한� 음식을� 금지하는� 것은� 모세� 율법에� 규정되어� 있다(레� 11장).� � 그러나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으로� 하여금� 모든� 불법으로부터� 자유하게� 하셨다(갈� 5:1-6).� � 따라서� 우리는� 어떤� 특

정한� 음식을� 먹지� 않고� 채식만을� 고집할� 필요는� � 없다.하나님께서만드신� 만물들을� 감사함으로� 받아들

이면�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 소중한� � 것들이다(막7:5� ;� 롬� 13:14� ;� 딛� 1:15).� 그러나� 전적으로� 타락

한�인간들은�하나님이�주신�것을� 감사함으로�받지�않는다(롬� 1:21).

=====4:4� 하나님의� 지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 -� � 본절은앞절을�

설명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지으신� 것이� 선하다'는� 것은� '하나님의� � 보시기에좋았더라'는� � 창1장의� 말

씀을� 통해서� � 확인해� 볼� 수� 있다(창� 1:10,� 12,� 18,� 21,� � 25).'지으신� 것'에� 해당하는� 헬라어� '크티스

마'(*� � � � � � � � � � � � � � � � � )는� '창조하다'를� 뜻하는�동사� '크티조'(*� � � � � � � � � � � � � � � � � )에서� 유래한�단어

로� '창조된� 피조물'을� 뜻한다.바울은�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것'을� 말함으로써� 어떤� 것도� 버릴� 것이� 없

다고� � 표현한다.� 사실� 인류에게� 아무� 쓸모� 없는� 것은� 없으며,� 모든� 것은� 그� 나름대로� 가치가� � 있다

(Hendriksen).� 따라서� 본문은� '만일� 감사함으로� 받으면'으로� 조건적� 분사로� 해석할� 수도� 있고,� '하나님

이� 지으신� 것이� 선하기� 때문에� 감사함으로� 버릴� 것이� 없다'는� � 원인,결과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Scott).

=====4:5� �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짐이니라� -� 하나님께서� 제정(制定)하신� 결혼을� 창조자의�축복으로� 받아들이고� 일용할� 양식과� 마시는� 것도� 하나님께서� 주신� 축복의� 조건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전제라면�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는� 그것을� 거룩하게� 하는필수적인� 조건이다.� 혹자는� '말씀과� 기

도'가� 음식물� � 자체를� � 거룩하게� � 한다고� � 하나(Simpson)� 그것은� 지나친� 해석이며� 그것보다는� 우리와�

하나님� 사이를� 연결시키는� 고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스도인은� 먹고� 마시는� 행위에� 있어서� 결

코� 세상� 사람들처럼� 쾌락과� 만족을� 추구해서는� � 안되며� � 하나님의� � 영광을� � 위해서� � 해야� � 한다(고전

10:31).

=====4:6� � 네가� 이것으로� 형제를� 깨우치면� -� '이것'(*� � � � � � � � � � � � � � � ,� 타우타)은� 1-5절의� 내용을�

지시한다.� '형제'(*� � � � � � � � � � � � � � � � � � � � � � ,� 아델포이스)는� 교회� 안에� 소속된�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

다(벧전� 2:17� ;� 5:9).� 에베소� 교인들은� 바울의�형제들이요,� 영적식구들이다.� 바울이�여기서� 이� 말을� 한�

것은� 결코� 권위를� 나타내려고� 함이� 아니라� � 이단� 세력으로부터� 에베소� 교인들을� 보호하려는� 사랑에서� �

비롯된� � 것이다(Hendriksen).한편� '깨우치다'에� 해당하는� 헬라어� '휘포티데메노스'(*� � � � � )는� '아래에�

놓다'를� 뜻하는� '휘포티데미'(*� � � � � � � � � � � � � � � � � � � )에서� 유래한� 말로� '제시하다'로� 번역할� 수� 있다

(point,� NIV).� 이때� 본절은� '만일� 네가� 이것들을� 제시한다면� 그들의� 행위에� 대한� � 기초가� � 되므로� � 너

는� � 이것들을� � 명(命)하라'는� � 뜻이다(Scott).� � � 그리스도� 예수의� 선한� 일꾼이� 되어� -� '일꾼'(*� � � � � � � �� � � � � � � � � � � � � ,� 디아코노스)은� 3:8,� 12에서� '집사'라는� 전문�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본절에서는� 그리스

도를� � 위하여봉사하는� 것을� 기쁨으로� 아는� 자들을� 일컫는다(Robertson,� Lenski).� � 혹자는� 이� � 말이'집

사'라는� 용어로� 정착(定着)되기� 전에� 바울이� 디모데를� 위하여� 사용하였을� 것이라고추측하나(Hervey)�정확한� 근거가� 없다.� � � 믿음의� 말씀과� 네가� 좇은� 선한� 교훈으로� 양육을� 받으리라� -� '믿음의� 말씀'은� �

기독교�진리의� 참된� 복음의�말씀이며,� '선한� 교훈'은� 거짓� 교훈과�대조되는�하나님의� 말씀에�근거한�교

훈들을�말한다.� '네가�좇은'에�해당하는�헬라어� '파레콜루데카스'(* )

는� '옆에서� 바싹� 따르다',� '어떤� 일에� 열중하다'라는� 의미이다.� '양육을� 받으리라'에� 해당하는� 헬라어� '

엔트레포메노스'(* � � )는� '기르다'를� 뜻하는� 동사� '엔트레포'(*� � � � � � � � � � � � � � � � � � )에서나온�

말이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어릴� 때부터� 어머니와� 할머니를� 통해서� 받아� 온� 믿음의� 양육으로� 인해� 신

실한�하나님의�선한�일꾼된�디모데�자신의�모습을�다른 사람들에게� 보일� 것을� 권고하고� 있다

(Calvin).

=====4:7� 망령되고� 허탄한� 신화를� 버리고� -� 본절에서는� 그리스도의� 선한� 일꾼이� 되기� 위해서디모데

가� 해야� 할� 일을� 말하고� 있다.� '망령'(*� � � � � � � � � � � � � � � � � � � ,� 베벨루스)에� 대해서는� 1:9� 주석을� 참조

하라.� '허탄한�신화'에� 해당하는�헬라어� '그라오데이스� � 뮈두스'(* � � �

� � � )는� 늙은� 노파가� 어린아이에게� 들려주고� 싶어하는� 헛된� 말을� 가리킨다(old� wives'� tales,� NIV,� JB,�

Scott).� 즉� � 본절의� � '망령되고허탄한� 신화'란� 이단들이� 주장하는� 끝없는� 족보와� 신화를� 나타낸다(딤전�

1:4).� 바울은유대인의� 신화와� 족보를� 이렇게� 무의미한� 것으로� 여기고� 디모데에게� 이런� 것들을� 내버리

라고� 권고한다.� � � 오직� 경건에� 이르기를� 연습하라� -� '경건'(*� � � � � � � � � � � � � � � � � � � � � � � � ,� 유세베이안)

은� 순결한� 양심으로� 하나님께� 예배할� 수� 있는� 마음을� 뜻한다(Calvin).� � 이런� � 경건(敬虔)의� 연습은� 8절의� '육체의� 연습'과� 대조를� 이룬다.� � '연습하라'에� 해당하는� � 헬라어'귐나조'(*� � � � � � � � � � � � � � � � � )는�

'벌거벗은'을� 뜻하는� '귐노스'(*� � � � � � � � � � � � � � � � )에서� 유래한� 말로� '벌거벗고� 운동하다'라는� 뜻을� 지

닌다.� 당시� 헬라에는� '달리기'와� '격투'� 등의� 경기장이�있었는데�그곳에서는�옷을�벗고� 경기에�임하였다

(Josephus).� � 따라서�이� 비유가�운동� 경기에서�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혹자는�이� 비유에� � 금욕주의

적훈련도�포함된다고�말한다(Earle).

=====4:8� 육체의� 연습은� 약간의� 유익이� 있으나� -� '육체의� 연습'이란� 고대의� 운동� 경기자들이경기에�

나가기� 전에� 부지런히� 훈련하던� 모습을� 연상케� 하는� 말이다.� 이것은� 육체를� 단련하기� 위한� 운동뿐만�

아니라� 외식적인� 신앙� 행위� 즉� 철야� 기도,� 금식� 기도� 등을� 포함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연습은� 엣

세네파에서�중요시하던�규칙이었다(Calvin).� 그런데� 이러한�것은� 잠시� 동안� 유익이� 된다.� '약간의'에� 해

당하는� '프로스�올리곤'(* � � )은� 시간의� 길이를� 뜻하는� '얼마간'을� 의미하기� 때문이

다.� � � 경건은� 범사에� 유익하니� 금생과� 내생에� 약속이� 있느니라� -� 경건한� 삶을� 사는� � 자는금생(今生)에�

하나님과� 더불어� 삶으로써� � 은혜가� � 넘치는� � 평화스러운� � 삶을� � 살며(시34:1,� 2),� 내생(來生)에� 있어서는�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된다(막� 10:30).� 이러한� 삶은잠시� 동안만� 유익을� 주는� 육체적� 삶과� 달리�

항상� 유익을� 준다.� 이처럼� 경건의� � 축복을말하는� 본절은� 자신이� 처한� 세상� 환경에� 관계없이� 가장� 풍족

한�삶을�누리는 그리스도인의�참된�실존(實存)을� 잘� 말해준다(Guthrie).

=====4:9� � 미쁘다� 이� 말이여� 모든� 사람들이� 받을만하도다� -� 이� 관용적� 표현은� 1:15에서도� � 동일하

게� 나온다.� 그런데� 이� 말이� 8절의� 경건과� 관련된� 것인지,� 10절과� 관련된� 것인지는논란이� 있다.� 많은�

주석가들은� 당시� 10절보다� 8절� 내용이� 널리� 알려져� 있던� 사실� 때문에� 전자를� 따르고� 있다

(Hendriksen,� Scott,� Robertson).� 그러나� 경건의� 주제를� 다루는8절보다� 소망의� 하나님을� 언급하는�

10절이� 더� 중요한� 신학적� 주제를� � 다루고� � 있으며,또� 10절� 초두에� 나오는� '이를� 위하여'가� 8절의� '경

건'을� 말하고� 있으므로� 후자가� 타당할� 것이다(Earle,� Guthrie).� NIV는� 후자가� 타당하다는� 견해에� 따라�

10절�초두,� 즉� '이를� 위하여�우리가�수고하고�진력하는�것은'을� 괄호로�묶고� 있다.

=====4:10� � 이를� 위하여� 우리가� 수고하고� 진력하는� 것은� -� 바울은� 앞에서� 인용한� 말씀,� 즉� � 경건이�

주는�유익과�약속은�복음을�위하여�수고하는�여러�동역자들의 노력의 근거라는말로� 위로하고� 있다.�

복음� 때문에� 현재� 고통받고� 있는� 신자들은� 그들의� � 양심� � 가운데하나님과� 더불어� 누리는� 교제가� 있고,�

장차� 즐겁고� 복된� 날을� 소망하기� 때문에� 고통을이길� 수� 있다.� '수고하고'에� 해당하는� 헬라어� 동사� '코

피오멘'(*� � � � � � )는� '힘을� 다하여� 열심히� 일하다'의� 뜻을� 가진다.� 또한� '진력하는'의� 헬라어� 동사� '아고

니조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운동� 경기에서� � 이기기� � 위하여최선을� 다하여�싸울� 때�

사용되는� 말이다.� 바울이� 이� 단어들을� 사용한� 것은� 자신이� � 복음을� 위하여� 모든� 수고와� 고생을� 참아냈

던� 것처럼� 어떠한� 어려움과� 박해도� 감내(堪耐)하라는� 권고의� 의미이다(고전� 4:9-13� ;� 고후� 11:23-27�;� 딤후� 3:11,� Hervey).� � � 우리�소망을�살아�계신� 하나님께�둠이니� -� 이는� 바울과�그의� 동역자들이 수

고하고진력(盡力)한� 이유이다.� 경건은� 현재를� 살아가는� 삶뿐만� 아니라� 장차� 영원한� 삶을� � 확실히� 보장하는� 하나님의� 약속이므로� 현재의� 고난을� 견뎌낼� 수� 있다.� 특히� 자신이� 하나님과� 교리를� 위하여� 힘을�

다한�수고가�썩어져�없어질�이� 땅에� 소망을�두는�것이� � 아니라�모든� 사람을�다스리는�하나님께�소망을�

두고� 있기� 때문에� 결코� 흔들림이� 없이� 자신이� 맡은� 책임을� 위하여� 수고하고� 진력할� 수� 있다(고후�

4:16-18� ;� 벧전� 1:3,� 4).� �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이� 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을� 때,� 그� 고난은� 살아� 계신�

하나님을� � 향한소망을� 더욱� 깊게� 하기� 때문에� 진정한� 감사의� 조건이� 된다.� � � 곧� 모든� 사람� 특히� 믿는�

자들의� 구주시라� -� 본절에� 나타난� 사상은� � 하나님은� � 모든사람이� 구원받기를� 원하신다는� 것이다(2:4).�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은� 모든� 사람의� � 구주라고� 불리는� 것이� 타당하다(Lenski).� 또한�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지키시고� 보살펴주신다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람들의� 구주가� 되신다는� 주장도� 있다

(Hendriksen).� � 그런데� 모든� 사람이� 다� 구원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여기서� 바울은� '믿는� �

자들의'라는� 문구를� 첨가함으로써� 그� 의미를� 분명히� 하고� 있다.� 하나님의� 구원� 의지는� � 차별적으로� 임

하는� 것은� 아니지만(Calvin),� 하나님의� 선하신� 구원의� 의지를� 믿고� 받아들이는� 자들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White).� 자신의�완고한�불신앙�때문에�진리를� � 받아들이지�않는�자들은�구원에�이르지�못한다.

=====4:11� � 네가�이것들을�명하고�가르쳐라� -� '명하다'에� 해당하는�헬라어� '파랑겔레'(* � � �

� � )는� 원래� 군대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였다.� 예수께서는� 신적�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실� 때� 이� 단어를� 사

용하셨다(마� 10:5� ;� 15:35� ;� 막� 8:6� ;� 눅� 8:29� � ;9:21).� 그리고� 바울� 사도는� 자신의�동역자들에게� 하

나님의� 권위를� 나타낼�때� 이� � 단어를� 여러� 차례� 사용하였다(살전� 4:11� ;� 살후� 3:4,� 6).� 본절에서� 바울

은� 디모데에게� � 확실한� 진리를� 바탕으로� 하여� 권위(權威)를� 가지고� 교회를� 가르치라고� 말하고� 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확고한� 신념을� 심어주고� 싶은� 의도가� 있었던� 것이다(Guthrie).� '이것들'은� 바울이�

6-10절에서� 말한� 모든� 것을� 지시한다.� '가르치라'(*� � � � � � � � � � � � � � � � � � ,디다스케)는� 현재� 명령법으로�

'계속하여�가르치라'는� 것을�의미한다.

=====4:12� � 누구든지� 네� 연소함을� 업신여기지�못하게� 하고� -� '연소함'(*� � � � � � � � � � � � � � � � � � � � ,네오

테토스)이란� '젊음'을� 뜻하는� '네오스'(*� � � � � � � � � � � � )에서� 온� 말로서� 유대� � 사회에서� 군대를� 갈� 만큼�

자란�나이에서부터� 40세까지�달하는�사람을� � 가리켜� � 사용하였다(Lock).� 많은� 학자들은�디모데의�나이

가� 매우� 어렸을� 것으로� 추측(推測)하지만� 바울이여기서� 사용한� '연소함'은� 장로들이나� 교인들� 틈에서�경륜이�적은� 디모데가� � 상대적으로� 지도자�역할을�감당하기에�어려운�점을� 의미하는�것이지�나이에� 대

한� 연소함을� � 뜻하는� 것은� 아니다(Guthrie).� 바울� 사도는� 그리스도의� 사역자가� 연륜과� 경륜� 때문에� 업

신여김을� 받는� 것을� 원치� 않았다.� 따라서� 바울은� 디모데가� 가지고� 있는� 상대적인� 연소함을� 행동의� 진

지함으로� 보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것은� 장로들과� 나이� 많은� 교인들에게� 연소함으로� 업신여김을�

받는다면,�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서� 권위를� 지니라는� 말이다(Calvin).� 그리스도의� 사역자로서의� 권위는�

외부적인� 치장이나� 장식,� 그리고� 연령으로� 오는것이� 아니고� 진정한� 가르침과� 거룩한� 생활에서� 오는� 것

이다.� � � 오직� 말과� 행실과�사랑과� 믿음과�정절에�대하여� 믿는� 자에게�본이� 되어� -� '말'이란공개적인�연

설뿐만� 아니라� 사적인� 대화까지도� 포함한다.� '행실'(*� � � � � � ,� 아나스트로페)은� 다른� 사람과� 관계되는�

행동을� 의미한다.� 또한� 다음으로� 언급되고� 있는� 세� 가지� '사랑',� '믿음',� '정절'은� 그리스도인의� 내면적

인� 성품이며,� � 이것들도� 결국� 타인과� 관계된� 생활과� 연결된다.� '사랑'은� 말과� 행위로� 표현되고� � '믿음'

은사랑에� 근거를� 둔다.� '정절'의� 헬라어� '하그네이아'(*� � � � � � � � � � � � � � � � � � )는� � '순결한양심을� 지키다'

라는� 뜻을� 가지는� 헬라어� 동사� '하그뉴오'(*� � � � � � � � � � � � � � � )에서� 유래된� 말로,� 생활에� 있어서� 죄가�

없는� 것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 철저한� 순결을� 의미한다(5:2,� Robertson).� 한편� '본'에� 해당하는� 헬라

어� '튀포스'(*� � � � � � � � � � � � � � � )는� '상처를� 내다'는� 뜻인� '튀프포'(*� � � � � � � � � � � � � � � )로부터� 나온� 단어

로서� 어떤� 것을� � 만드는데� 필요한� '양식'� '모델',� '본보기'라는� 뜻이다(빌� 3:17� ;� 살전� 1:7� ;� 살후�

3:9).� � 바울은� 본절에서� 디모데가� 비록� 젊은� 사람이었지만� 경험(經驗)이� 충분한� 인생을� 산� 사람처럼�말과�행실에� 있어서� 사랑과� 믿음을�가지고� 다른� 사람을�보살펴줌으로써�하나님과사람� 앞에서� 믿음직한�

행동을�할� 것을� 권하고�있다.

=====4:13� � 내가� 이를� 때까지� -� 본문은� 내용상� 3:14의� '내가� 속히� 네게� 가기를� 바라나'와� 일치한다.�

바울은� 자신이� 에베소에� 없는� 중에� 디모데가� 대리자의� 직무를� 수행하여� 공중� 예배에� 관한� 사명을� 잘�

감당하기를�바랐던�것으로� 보인다.� � � 읽는� 것과� 권하는�것과� 가르치는�것에�착념하라� -� '읽는� 것'은� 공

적으로� 성경을� 읽는� 것을� 말한다.� 헬라어성경과� 개역성경에서는� 그냥� '읽는� 것'이라고� 하였지만� � NIV

에서는� '성경'(Scripture)이라는� 말을� 첨가하였다.� 초대� 교회의� 유대교� 회당에서는� 모든공적� 예배에서�

성경을� 공식적으로� 낭독(朗讀)하였다(눅� 4:16� ;� 행� 3:15� ;� 고후� 3:14).본절에서는� 율법서와� 선지서뿐만�아니라�사도들의�가르침과�바울이 교회들에게� � 보낸편지를�공개적으로�읽는�것을� 말하고�있

다(골� 4:16,� Hendriksen).� '권하는� 것'은� 교리와� 도덕에� 어긋남이� 없게� 하기� 위하여� 충고하고� 권유하

는� 것을� � 의미한다.� � '가르치는것'은� 그리스도께서� 하신� 것처럼(눅� 4:16-30)� '그릇된� 사상에� 미혹되지� �

않고� � 확고한믿음�위에�설� 수� 있도록�해석하고�권유하는�것'을� 뜻한다.

=====4:14� 네� 속에� 있는� 은사...조심� 없이� 말며� -� 본절은� 디모데가� 받은� 은사를� 사용하지� � 않고� 헛

되게�묻어두는�것을�경계한�것이다.� '은사'의� 헬라어� '카리스마토스'(* � � )는� '카리스'(*� � � �

� � � � � � � � � � ,� '은혜')에서� 나온� 말이며,� 이는� 성령으로� 부여받는� 모든� 영적� 은혜와� 능력을� 의미한다(눅�

7:42� ;� 행� 27:24� ;� 롬� � 8:32).본절의� '은사'는� 교회의� 직분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수(按手)를� 통해서�성령께서� � 주시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Hervey).� 이러한� 의미에서� 혹자는� 본절의� '은사'는� '직분'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나(Scott),� 적절한� 해석이라고�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디모데에게� 주어진� 은

사는� '예언으로� 말미암아� 받은� 것'이고,� 안수는� 초대� 교회에서� � 직분을� 맡을� 자에게� 행하는� 통상적인�

방법이었기�때문이다(Lenski,� � Calvin). 그러므로여기서는� 일반적인� 은사의� 의미와� 직분의�의미가�

동시에�고려되어야�한다.� � '조심� � 없이(* � � � ,� 메� 아멜레이)는� '멸시하여� 소홀히� �

여긴다'는� � 뜻이다.바울은� 여기서� 디모데에게� 목회자라는� 위치가� 성령으로� 말미암아� 주어진� 것이고� �

성별된� 것이므로� 소홀히� 여기거나� 헛되게� 하지� 말� 것을� 명하고� 있다.� � � 장로의� 회에서� 안수받을� 때에�

예언으로� 말미암아� 받는� 것� -� 디모데가� 안수를� � 받은것이� 언제,� 어디서,� 행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

다.� 그러나� 아마도� 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때에� 루스드라에서� 일어났던� 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때� 안

수를�행하던 사람들은성령의� 충만한� 은혜가� 덧입혀짐으로� 예언의� 말씀을� 통하여� 디모데에게� 은사

가� � 임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Hendriksen).� 또� 혹자는� 이� 안수� 의식이� 바울이� 디모데를에베

소에�남겨두고�떠날�때에� 거행되었을�것이라고�생각하기도�한다(Lock). '장로회'는� 장로들의� 단체,� 즉�

교회의�공회를�가리킨다.� 장로회는�점차�성례전을�행하는� � 단체로�직제화(職制化)되었다.� � 아마� 바울도�이� 장로회의� 일원이었을� � 것이다(딤후� � 1:6).'안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피데세오스� 톤� 케이론)는� 고대로부터� 유대� 사회에� 내려온� 관습으로서� 권위나� 축복,� 능력� 등을�

공급하시는� 하나님이� 그� 대상자에게� 전달하는� 상징적인� 행위였다.� 이것이� 초대� 교회에서는� 장로회에서�

실시되었다.� 따라서� 디모데는� 인간의� 의식으로� 교회의� 지도자가� 된� 것이� 아니라� 안수를� 통하여� 하나님

의�축복인�권위를�인정받은�것이다.

=====4:15� 이� 모든� 일에� 전심� 전력하여� -� '모든일'이란� 디모데가� 목회자로서� 수행해나가야� 할일을�

가리킨다.� '전심'의� 헬라어� '멜레타'(*� � � � � � � � � � � � � � � � � � )는� 문자적으로는� � '관심을� 갖다'라는� 의미지

만� 여기서는� '실시하다',� '경작하다'의� 뜻으로�사용되었다.� � � 너의� 진보를�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게� 하라�

-� '진보'에�해당하는�헬라어� '프로코페'(* � � � � � � )는� '똑바로� 나아가다',� '발전하다'를� 뜻하

는� '프로코프트'(* � � � � � � )에서� 나온� 단어이다.� 바울의�관심은�디모데의�진보가�모든� 사람에게�

드러나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디모데의� 진보가� 교회� 내의� � 사람들뿐만� � 아니라접촉하는� 모든� 외인들에

게까지�드러남으로써�자신의� 구원을�이룰�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구원도�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4:16� 네가� 네� 자신과�가르침을�삼가�이� 일을�계속하라� -� 이� 말은� '네� � 자신과� � 가르침에유의하

라'는� 뜻이다.� 이는� 디모데가� 스스로� 조심하고� 자신이� 가르치는� 내용을� 잘� 살펴보라는� 것이다.� '삼가

'(*� � � � � � � � � � � � � � ,� 에페케)는� '주의하다'를� 뜻하는� 동사� � '에페코'(*� � � � � � � � � � � � � � )에서� 온� 말로서�

시상이� 현재� 명령법이다.� 그런데� � 여기서는� � '네자신을'� 뜻하는� 여격� '세아우톤'(*� � � � � � � � � � � � � � � � � � �

)과� 합성되어� 그� 의미가� '너� 자신에게� 관심을� 계속해서� 가져라'는� 뜻을� 나타낸다.� 한편� '가르침'은� '교

훈'이라고� � 볼수� 있다(doctrine,� KJV).� � 따라서�본절의� '가르침'은� 공적(公的)인� 가르침으로�보아야한다(Lenski).� '계속하라'에� 해당하는� 헬라어� '에피메네'(*� � � � � � � � � � � � � � � � � � � )는� 문자적으로� '어떤� 것의�

옆에� 계속� 머물러�있다'라는� 뜻이다.� 바울은�디모데에게� '그� � 곳에� 계속� 머물러�내가� 지시한�일들을�계

속해서�행하라'고� 권면하고�있다.� � � 디모데전서�제� 5장

=====5:1� 늙은이를�꾸짖지�말고� 권하되� -� '늙은이'에� 해당하는�헬라어� '프레스뷔테로'(* � � �

� � � )는� � 다른� � 곳에서� � 교회의� � 직책을� � 나타내는� � '장로'(elder,presbyter)로� 사용되었으나(17,� 19절�

;� 딛� 1:5)� 여기서는� 문자적인� 의미가� 그대로� � 적용되어� '노인'(older� man,� NIV)을� 뜻한다.� 또한� '꾸짖

지'의� 헬라어� '에피플렉세스'(* � )는� 본래� '주먹으로� 치다'의� 뜻인데� 여기서는� '

말로써� 때리다'는� 뜻으로� 공격적인� 심한� 질책을� 나타낸다.� 디모데는� 비록� 연소하였으나(4:12),� 한교회

의� 목회자로서� 때에� 따라서는� 자신보다� 훨씬� 나이� 많은� 연장자라� 할지라도� 그들의잘못을� 지적하고� 고

쳐주어야�했다.� 그럴� 경우�바울은�온유한�태도로�권할� 것을� 충고하였다.� '권하되'의�헬라어� '파라칼레이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올� 것을� � 요구하다',� '충고하다',� '위로하다'의�뜻으로�자신에게�오게�

하여� 충고하며� 위로하는� 따뜻한� 권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권면은�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디모데가� 그

의 교인들을향해� 지녀야� 할� 태도로서� 2절까지� 이어진다.� � � 아비에게� 하듯� 하며� -� 연장자를� 권면

할� 때에는� 모든� 예의와� 겸손함을� 갖추고� � 신중히� 해야� 함을� 말한다.� 인간적인� 예의� 범절은� 종교나� 시

대,� 공간을�막론하고 지켜져야할� 영속적인� 규범이며� 특별히� 노인을� 존대하는� 것은� 부모에� 대한�

효와� 마찬가지로� � 기독교의� 기본적인� 윤리이다(레� 19:32).� � � 젊은이를� 형제에게� 하듯하고� -� '형제'(*� �

� � � � � � � � � � � � � � � � � � � � ,� 아델푸스)라는� 말속에는� 기독교의� '평등� 사상'이� 포함되어� 있다(Hendriksen).�

또한� 교회� 내에서� 누구를불문하고� '형제'라고� 부르는� 것은� 하나님을� 영적� 아버지로� 모시고� 사는� � 교회

의� � 구성상태를� 가장� 적합하게� 나타내는� 말이다(고전� 12:26,� 27).� 모든� � 성도들은� � 그리스도의피로�

연결된�한� 형제이며�따라서�서로간에�분열과�반목(反目)을� 피하고� � 선을� � 이뤄야한다.

=====5:2� 늙은� 여자� -� 이것은� 1절의� '늙은이'와� 서로� 짝을� 이루는� 말로서� 그� 말이� � '장로'를뜻하는�

말이�아니라�단지� '노인'을� 뜻하는�것임을�분명히�해준다.� � � 젊은� 여자를�일절� 깨끗함으로�자매에게�하

듯� 하라� -� '깨끗함'(*� � � � � � � � � � � � � � � � � ,하그네이아)은� '성적� 순결'을� 뜻하는�말로� 바울이�디모데가�젊

은� 여자를� 대할� 때� 느낄수� 있는� 성적� 욕망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라고� 한다(Lenski).� 그러나� 이는� 단

순히� � 성적인�순결뿐만�아니라�마음과�육체를�통틀어�아무�흠이� 없는�상태를�나타내는� � 포괄적인�의미

로�해석하는�것이�보다� 타당하다(Guthrie).

=====5:3� 참과부인� 과부� -� '참과부'에서� '참'에� 해당하는� 헬라어� '온토스'(*� � � � � � � � � � � � � � )는� '실제

로',� '진실로'라는� 뜻으로� '참과부'란� 남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아무도� � 돌보아줄� 사람이� 없는� 과부를�

말한다(Guthrie,� Hanson).� 당시에는� 남편과� 사별한� 여인들과더불어,� 일부� 다처제(一夫多妻制)의� 성행으로�인해�남편에게�버려져�혼자된 여인들도많았으며� 당시� 교회는� 이들을� 돕는데� 적극� 참여하였다(행�

6:1).� 성경에서는� 이곳뿐� 아니라� 과부를� 보살펴� 줄� 것을� 여러� 곳에서� 언급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는�

과부를� 억울하게� 하지� 말라고� 명하고� 있으며(신� 10:18� ;� 24:17� ;� 시� 68:5).� 특별히� 하나님은� 그들의�

보호자가�되신다고�하였다(사� 1:17).� 신약성경에서도�과부에�대한� 관심은�계속되었다.� 예수께서는�그들

에� 대한� 사랑을� 아끼지� 않으셨다(막� 12:42,� 43� ;� � 눅� � 7:11-17� � ;18:3-5).� 더욱이� 초대� 교회안에� 집

사� 제도가� 생기게� 된� 큰� 원인으로서� 과부를� � 보살피는� 일을� 들� 수� 있다(행� 6:1-6).� 그런데� 때로는� 과

부를� 돕는� 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여�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으므로(행� 6:1)� 교회는� 진정으로� 도

움이� � 필요한� � 과부에대한� 규정을�정할� 필요가� 있었다.� � � 경대하라� -� 헬라어� '티마'(*� � � � � � � � � � � � )는�

'존경하다'의� 뜻으로�명사� '티메'(* � � � )에서� 파생되었다.� '티메'는� '가치'� 혹은� '값'을� 의미하며� � 영어

의� � '사례금'(honorarium)은� 이에서� 파생되었다.� 혹자는�본� 구절에서�과부들의�당연한� 권리로서그들이�

받아야� 할� 연금(pension)을� 바울이� 언급한� 것이라고� 본다(Scott).� � 따라서� � 본구절은� 과부들에게� 예의

를�갖추어�존경하라는�의미와�아울러�그들에게�필요한� � 경제적도움을�주라는�뜻으로�해석될�수�있다.

=====5:4� 어떤�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거든� -� 본절의� '과부'는� '참과부'가� 아닌� 자들로서� 자손

들로부터�도움을�받을� 수� 있는�자들이다.� '손자'의� 헬라어� '에크고나'(* � � � � � )는� 칠십인역(LXX)에서

는� 자주� 언급되나� 신약성경에서는� 이곳에만� � 나온다.� KJV에서는� 이� 단어를� '조카'(nephew)로� 번역하

였는데� 이것은� 17세기� 이전의� � 용법으로� 그� 당시에는� '조카'가� 일반적으로� '손자'를� 뜻하는� 말이었다

(Guthrie).� � � 먼저�자기� 집에서�효를� 행하여� -� '먼저'에� 해당하는�헬라어� '프로톤'(* )은� '첫째로

'(first� of� all,� NIV)라는� 의미의�부사이다.� 이것은�집안에서� � 효를� 행하는�일이� 무엇보다도�우선되야�할�

중요한�일임을�나타낸다.� � � 부모에게�보답하기를�배우게�하라� -� '부모'의� 헬라어� '프로고노이스'(* � � �

� � � )는� 부모� 이상의� 조상들을� 포함한다.� 또한� '보답하기를'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모이바스� 아포디도나

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문자적인� 뜻은� '되돌려� 줄� 것을� 주다'이다.�

이러한� 의미에� 따라� '그들이� 자신들의� � 부모로부터� 받은� 것을� 보상하라'는� 의미로� 해석한다(Scott).� 특

히� '되돌려� 주다'는� 뜻을지닌� 헬라어� '아포디도나이'는� 현재� 능동� 부정사로서� 되돌려� 주는� 행위가� 그치

지�않고계속되어야�함을�나타낸다.

=====5:5� � 참과부로서� 외로운� 자� -� '외로운'에� 해당하는� '메모노메네'(*� � � � � � � )는� '모노스'(*� � � � � � �

� � � � � � � � ,� '홀로')의� 완료� 수동� 분사로� '홀로� 남겨진'의뜻을� 갖는다.� 이것은� '참과부'의� 특성으로서� 돌

보아줄� 자녀나� 친척도� � 없음을� � 의미한다.� 혹자는� 자신이� 돌보아야� 할� 어린� 자녀를� 둔� 과부도� 여기에�

포함시킨다(Lenski).� � �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거니와� -� 바울은� 참과부의� �

또다른� 자격을� 제시한다.� 그것은� 육신적으로� 자신을� 돌보아� 줄� 사람이� 없을뿐만� � 아니라영적으로� 하나

님께� 소망을� 두어� 주야로� 간구와� 기도를� 하는� 자라는� 것이다.� 이러한� 참과부의� 실례는� 눅� 2:36,� 37에�

성전에서�주야(晝夜)로� 금식하며�기도한�과부� 안나를�들수� 있다.

=====5:6� � 일락을�좋아하는�이� -� '일락을�좋아하는'에� 해당하는�헬라어� '스파탈로사'(* � � �

)는� '방탕하게� 살다'의� 뜻이다.� 당시에는� 사회� 전체가� 물질적으로풍요롭지� 못하였으며� 고용의� 기회도�

거의� 없었던� 때이므로� 많은� 과부들은� � 매춘(賣春)등의� 부도덕한� 방법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혹자는� 바울이� � '스파탈로사'를사용한� 것은� 당시� 생활이� 궁핍했던� 과부들이� 매춘의� 유혹을� 받고� 있

었음을� 염두에� � 두었기� 때문이라고� 한다(Guthrie).� � � 살았으나� 죽었느니라� -� 바울의� 역설적인� 표현으

로서�육체적으로�살아�있으나� � 영적으로는�죽은�것을�뜻한다(Lenski).

=====5:7� � � 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 '또한'(*� � � � � � � � � � ,� 카이)은� 본절이� � 6절과� � 연결됨을나타

낸다.� 그러나� 본절의� '이것을'(*� � � � � � � � � � � � � � ,� 타우타,'이것들')이� 6절에만� � 국한(局限)된� 것으로� 볼�수� 없으며� 3-4절의� 내용� 모두를� 가리키는� 것으로� � 보아야� � 한다(Hendriksen).� 즉� 참과부를� 존경하며�

물질적으로� 도와줄� 것과(3절),� 자녀들이나� � 손자들은� 과부인� 어머니나� 할머니를� 잘� 봉양(奉養)할� 것과(4절)� 연고자가� 아무도� 없는� � 참과부로서� 경건한� 생활을� 하는� 자들과� 그렇지� 못한� 자들을� 구별할� 것

(5,� 6절)� 등을� � 포함한다.

=====5:8� � 누구든지�자기� 친족� 특히�자기� 가족을�돌아보지�아니하면� -� '자기� 친족'(* ,�

톤� 이디온)은�구체적인�범주를�정하기는�어려우나� '자기� 가족'(* � � � ,� 오이케이온)은� '

직계� 가족'을� 의미한다(Guthrie).� '돌아보지'의헬라어� '프로노에이'(*� � � � � � � � � � � � � � � � � � � � )는� 문자적

으로� '미리� 생각하다',� '준비하다',� '공급하다'의� 뜻을� 갖는다.� � �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

한� 자니라� -� 혹자는� 기독교의� 사랑은� 모든� 사람들을� 향한� 것인데� 자기의� 직계가족조차� 돌보지� 아니하

는� 자는� 불신자보다� 못한� 자로서� 전혀� 복음에� 참여할� 수� 없다는� 뜻으로� 본� 구절을� 해석한다(Scott).�

또한 여기에서의� '믿음'은� 개인의� 주관적� 믿음이� 아니라�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고백되는� 신앙� 고백

을일컫는� 것으로� 해석하여� '믿음을� 배반한� 것'을� '교회의� 가르침을� 저버린� 것'으로� 보기도� 한다

(Lenski).� 결론적으로� 본� 구절은� 일반� 성도� 전체를� 향한� 교훈으로� 볼� 수� � 있으며� 그들의� 신앙� 고백이�

어떻든�간에� 가족을�돌보지�않는� 자는� 하나님을� 섬기고�교회에봉사할�만한�기본적인�자세가�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인간의�원초적인�책무를�무시하는�자이므로�정죄받아�마땅하다는�의미이다.

=====5:9� � 과부로�명부에�올릴� 자� -� '명부에�올릴'로� 번역된�헬라어� '카탈레게스도'(* � � �

� � � )는� 신약성경에서�이곳에만� 나오는�말로서� 당시의� 과부들에� 대한� 물질적� 원조가�제도적으로� 확립되

었음을� 나타낸다.� 명부에� 이름이� 올라� 제도적으로생계를� 보장받은� 과부들은� 특별한� 자격을� 구비(具備)한� 자들이었다는� � 것이 학자들의지배적인� 견해이다(Ellicott,� Robertson,� Scott).� 또한� 혹자는� 당시�

과부� 제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Bernard,� Hendriksen),� 이성간의� 접촉이� 엄격히� 제한되었던� �

상황� 속에서� 교회에서� 남자들이� 하기� 곤란한� 일들을� 이들� 과부들이� � 담당하였을� � 것으로추측한다

(Hendriksen).� � � 나이�육십이�덜� 되지� 아니하고� -� 나이를�육십으로�제한한�이유에�대하여�혹자는�재혼

할� 의도나� 재혼할� 가능성이� 없는� 나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Lenski).� 또한� 노령으로인해� 남의� 도움� 없

이는� 살아가기가� 불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규정을� 두었을� 가능성이� 높다.� � � 한� 남편의� 아내이었

던�자� -� 본문이�어떤� 사람을�가리키는�것인지에�대해 두� � 가지견해가� 있다.� (1)� 고대에는� 과부들에게�

특별한� 정절(貞節)을� 요구하여� 재혼을� � 삼가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성경의� 증거로� 눅� 2:36,� 37의�과부� 안나가� 84년� 동안� � 재혼하지� 않고� 혼자� 지냈다.� 따라서� 본� 구절은� 한� 남편� 외에는� 재혼한� 경험

이� � 없는� � 과부를말한다(Scott,� Guthrie).� (2)� 혹자는� 바울이� 14절에서� 젊은� 과부에게� 다시� 시집갈� �

것을� 권면하면서� 본절에서� 재혼한� 경험이�없는� 과부만을� 참과부의� 명단에� 올리라는� 것은모순이�되므로�

(1)� 의� 견해에� 반대한다(Hendriksen).� 여기서는� (2)� 의� 견해가� 전후� 문맥상� 타당성을� 가진다.� 이렇게�

볼� 때� 본문은� 결혼� 생활중에� 남편� 외에� 다른� 남자와� 관계가� 없던� 자로� 결혼� 생활에� 충실했던� 자를� 뜻

한다.

=====5:10� 선한� 행실의� 증거가� 있어� -� 과부의� 명단에� 올려� 구제해야� 할� 참과부의� � 조건으로는구체

적� 선행이� 제시된다.� � � 자녀를� 양육하며� -� 본절은� 문자적� 의미보다는� 어머니다운� 품성을� 지녔는가� 하

는� 점을� 강조한다.� 혹자는� 바울이�참다운� 모성애를� 실천하는�것은� 여자가�할� 수� 있는� � 가장큰� 일� 가운

데� 하나라고� 간주하였기� 때문에� 그가� 이런� 말을� 하였다고� 한다(Lenski).� 또다른� 견해로는� 명부에� 등록

된� 과부의� 할� 일� 가운데� 하나가� 어린이들을� 돌보는� � 일이었다는� 주장이� 있다(Scott).� 여기서는� 전자의�

견해가� 더� 타당한� 것� 같다.� � � 나그네를� 대접하며� -� 초대� 교회에서는� 나그네를� 접대하는� 일이� 하나의�

공식적인� 일이었으므로� 이런� 일을� 잘� 감당할� 수� 있는� 자들이� 필요하였다.� 나그네를� 대접한� 과부의실례

로서� 사르밧의� 과부(왕상� 17:9),� 수넴� 여자(왕하� 4:8-11),� 루디아(행� 16:40)� 등을들� 수� 있다.� � � 성도

들의� 발을� 씻기며� -� 이것은� 종이나� 하는� 천한� 일로서� 여기서는� 이웃과� � 나그네를� 위한� 겸손하고� 헌신

적인�봉사를�의미하는� 비유적인�표현이다(Hendriksen).� � 이러한정신은� 그리스도께서�친히� 모범을�통해�

가르치신� 바이다(요� 13:14).� � � 환난당한� 자들을� 구제하며� -� '환난'은� 초대� 교회� 성도들이� 신앙으로� 인

해� 받은� � 박해를�가리킨다(살전� 1:6� ;� 살후� 1:4).� � � 모든� 선한� 일을� 좇은� 자라야�할� 것이요� -� '좇은'에�

해당하는� � 헬라어� � '에페콜루데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추구하다',� '헌신하다'의� �

뜻이다.� � 결국'선한� 일을� 좇는다'는� 것은� 단순히� 선한� 양심과� 신앙을� 갖는다기보다는� 실제� 생활에서선

행을�추구한다는�의미를�갖는다.

=====5:11� � 젊은� 과부는� 거절하라� -� '젊은� 과부'는� 60세� 이하의� 과부들을� 지칭한다.� 바울이� 이들을�

명부에�올리지�말라고� 한� 이유는�일단� 명부에�이름이�오른� 과부는�그에게� 맡겨진임무를�수행하기�위하

여� 온전한� 헌신이� 요구되었는데� 젊은� 과부는� 다시� 재혼할�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 � 이는� 정욕으로�

그리스도를� 배반할� 때에� 시집가고자� 함이니� -� '정욕으로'의� � 헬라어'카타스트레니아소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성적인� 욕망에� 사로잡히다'라는� 의미를� 갖는다(Robertson).� 젊은� 과부

가� 남편을� 원하여� 재혼하는� 그� 자체는� 죄가� 아니나� 자신에게� 맡겨진� 직분을� 외면하는� 것은� '그리스도

를� � 배반하는� � 것'이된다.

=====5:12� 처음� 믿음을� 저버렸으므로� -� 과부의� 명부에� 이름이� 오르기� 위하여� 그들은� 다시� � 재혼하

지� 않고� � 평생� � 동안� � 그리스도께� � 헌신할� � 것을� � 서약하였을� � 것이다(Robertson,Rocke).� 혹자에� 의

하면� 후대에� 이런� 사람들을� � '그리스도의� � 배우자'(the� � spouse� � ofchrist)라고� 불렀다고� 한다

(Hanson).� 따라서�본절의� '처음� 믿음'(* � � � � � � � ,� 텐� 프로텐�피스틴)이란� '젊은� 과부들의�

처음� 서약'을� �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것이� 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저버렸으므로'에� 해당하는� � 헬

라어� '에데테산'(*� � � � � � � � � � � � � � � � � � � � � )의� 문자적인� 뜻은� 계약이나�법률�따위를� '폐기하다',� '위반하

다',� '따로� 떼어두다'� 등이다.결국� 이� 말은� 젊은� 과부가� 그리스도께� 헌신하겠다는� 서약을� 파기(破棄)한다는� 의미이다.� � � 심판을� 받느니라� -� '심판'(*� � � � � � � � � � � � � � ,� 크리마)은� KJV에서� '저주'(damnation)

로� 번역하고� 있으나�이것은� 다소� 과격한�표현으로�볼� 수� 있다.� 그러므로�여기서는� � 옳은� 것과� 그른� 것

을� 가리는� '심판'(judgment,� NIV)으로� 해석하여� 그들의� 잘못을� 책망받는다는� 의미로� 보아야� 한다

(Guthrie).

=====5:13� � 저희가�게으름을�익혀� -� '게으름을�익혀'에�해당하는� '아르가이�만다누신'(*

� � � � � )을� 혹자는� '게으름을� 배워� 게으름뱅이들이� 되었다'로� 번역하여� 젊은� 과부들의�

게으름은� 무의식적으로� 몸에� 배인� 습관이� 아니라� � 의도적으로� 배운� 것임을� 나타낸다(Scott).� � � 집집에�

돌아다니고� -� 이것은� (1)� 명부에�올라� 있는�과부들의�임무� � 중에 교인들의집을� 방문하여� 신앙

적인�상담과� 조언을�하는� 일이� 있었는데�그것을� 악용(惡用)한� 것으로�볼� 수도� 있으며(Earle,� Guthrie),�(2)� 그들이� 가정에� 매이지� 않은� 홀몸으로서� 시간적인� 여유가� 많았기� 때문에� 행해진� 쓸데없는� 방문을�

가리킨� 것으로� 해석할� � 수� � 있다.대체적으로� (1)의� 견해가� 지배적이다.� � � 망령된� 폄론을� 하며� 일을� 만

들며� 마땅히� 아니할� 말을� 하나니� -� '망령된� 폄론'에� 해당하는� 헬라어� '플뤼아로이'(*� � � � � � � � � � � � � � � � �

� � )는� 혹자에� 의하면� '음식� 등이� 끓어거품이� 오르다'를� 의미하는� '플뤼오'(*� � � � � � � � � � � � )에서� 파생된� �

말로서(Robertson),'쓸데없는� 말을� 경박하게� 늘어� 놓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 '일을� � 만들며'의� � 헬라

어'페리에르고이'(*� � � � � � � � � � � � � � � � � � � � � � � )는� '자신과� 관계없는� 일들에� 간섭하기� 좋아한다'는� 의미

이다(Earle).� 그러나� 혹자는� 이� 단어가� 행� 19:19의� '마술을� 행하던'의� 헬라어� '페리에르가'(*� � � � � � � � � �

� � � � � � � � � � � )와� 동일한� 단어이므로� 본절의� '일을� � 만들며'는� '마술적인� 행위'를� 나타낸다고� 보며,� '마

땅히� 아니할� 말'� 역시� � '마술의� � 주문'(呪文)이라고� 주장하나(Hanson)� 일반적인� 견해는� 아니다.� 여기서� '마땅히� 아니할� � 말'이란� 교회에� 덕이� 안� 되는� 해로운� 말로� 해석하는� 것이� 무난하다.� 바울은� 젊은� �

과부들이� 모두� 게으름을� 부렸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그들� 중의� 일부는� 신앙� 생활과� 자신의�

일상� 생활을� 게을리� 하기� 때문에� 마음이� 항상� 긴장되어있지� 못하고� 쉽게� 남의� 말이나� 교회� 전체의� 문

란을�초래하는�악담을� 하고� 비밀이� 지켜져야�하는�사적인�이야기들을�집집마다�하여�교회� 내에� 문제를�

야기시켰을�것을�염두에�두고� 한� 말이다.

=====5:14� � 그러므로�젊은이는� -� 본절이� 접속사� '그러므로'(*� � � � � � � � � ,� 운)로� 이어지는� � 것으로� 보

아서� 바울이� 지금까지� 해왔던� 이야기를� 계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11절의� '젊은� 과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네오테라스� 케라스)가� 언급된것으로� 보아� 여기서의� '젊은이'(*� � � �

� � � � � � � � � � � � � � � � � ,� 네오테라스)는� '젊은� � 과부'를� 말하는� 것이� 분명하다.� � � 시집가서� -� 바울은� 여기

서� 젊은� 과부들에게� 재혼할� 것을� 권면하였는데� 이것은� 고전7:25-29의� 내용에서� 결혼을� 금하지는� 않았

으나� � '그냥� � 지내는� � 것이� � 좋으니라'(고전7:26)고� 한� 말과� 사뭇� 다르다.� 이에� 대해� (1)� 혹자는� 바울

이� 고린도에� 편지할� � 때와는달리� 지금� 본� 서신을� 쓸� 때에는� 그의� 인생의� 말년으로� '임박한� 파루시아'

에� 대한� 신념을� 포기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Scott).� (2)� 이와는� 다른� 견해로� � 본절의� � '젊은이'는이미�

자제심(自制心)을� 잃은� 자이기�때문이라는�주장도�있다(Guthrie).� � 두 견해� � 중(1)의� 견해가� 보다�

타당하다.� 왜냐하면� 후대� 교회,� 즉� 2,� 3세기의� 교회에서는� � 금욕주의의� 결과로� 독신으로� 지내는� 것을�

가치있게�생각하였으나 바울은 금욕주의에� � 반대(4:3)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아이를� 낳고� 집을�

다스리고� -� 하나님께서�여자들에게�허락하신�특권이자 사명이라할� 수� 있는� 출산하는� 일과� 집안을� 관할

하는�일을�바울은� 적극� 추천하였다.� 혹자는� '집을� 다스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오

이코데스포테인)라는� 말에서� � 아내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영향력이� 높이�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 한다(Liddon).� � � 대적�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안티케이메노'(*�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

반대자',� '대항자'의� 뜻으로서� � 일반적으로� � '기독교를� � 적대시하는� � 사람'을� � 가리킨다(Hendriksen,�

Earle).� 그러나� '대적'� 앞에� 관사� '토'(*� � � � � � � )가� 붙었다고� � 하여� � 이단어가� '마귀'를� 나타낸다고� 주

장하는� 사람도� 있다(Lenski).� 그런데� 후자의� 경우도� 마귀가� '사람'을� 통해� 역사한다는� 해설을� 덧붙여�

말함으로써� 두� 견해가� 궁극적으로는� 동일한� 견해임을� 알� 수� 있다.� � � 훼방할� 기회를� 조금도� 주지� 말기

를� 원하노라� -� '훼방할'에� 해당하는� 헬라어� � '로이도리아스'(*� � � � � � � � � � � � � � � � � � � � � � � )는� '욕하다',� '

매도하다',� '조롱하다'의� 강한� 뜻을� 갖는� 말로서� 젊은� 과부들의� 그릇된� 행동으로� 인해� 교회가� 받을� 수�

있는� 비난에� � 대한� 바울의�우려를�나타내고�있다.� 또한� '기회'의� 헬라어� '아포르멘'(*� � � � � )은� '진격� 기

지'를� 뜻하는�군사� 용어로� 바울은� 이러한�표현을� � 즐겨� � 사용하였다(롬� 7:8,� 11� ;� 고후� 5:12� ;� 11:12�

;� 갈� 5:13).� 그는� 늘� 교회가� 외부� 세계로부터� � 악평의� 대상이� 되지� 말� 것을� 경고해� 왔는데� 그당시� 교

회가� 불신자들에게� 비난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고� 참된� 진리를� 소유하고� 있다는�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가장�큰�무기는� � 성도들의�사랑과�변화된�생활이었다(약� 2:7,� 8� ;� 벧전� 2:12� ;� 4:4,� 14,� 15).

=====5:15� � 이미� 사단에게�돌아간�자들도� 있도다� -� '사단'에� 대하여�글자� � 그대로� � '대적자'의의미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11절의� '그리스도'와� 정반대되는�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Lenski).� 그러나� 혹자는�

보다� 구체적으로� 복음을� 통해� 얻은� 자유를� 남용하여� 젊은� 과부들이� 천박하고� 부도덕한� 행위에� 빠지는�

것을� 뜻한다고� 본다(Scott,� Guthrie).� � 따라서� 본� 구절은� 젊은� 과부� 중에� 일부는� 이미� '처음� 믿음'(12

절)을� 저버리고� 여러� 부도덕한� 행위에� 빠져� 교회에� 물의(物議)를� 일으켰음을� 나타내며,� 아울러� 믿음의�생활을� � 떠난� 자는� 반드시�사단의�노예로�전락한다는�것을�말하고�있다.

=====5:16� 믿는� 여자에게� 과부� 친척이� 있거든� 자기가� 도와� 주고� 교회로� 짐지지� 말게� � 하라� � -'믿는�

여자'(*� � � � � � � � � � � � � � ,� 피스테)가� 누구를�가리키는�것인가에�대해� � 논란이� � 많다.� 왜냐하면�앞의� 8절

에서� '누구든지...돌보지� 아니하면'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 반면에� 본절에서는� '믿는� 여자'로� 국한시키고�

있기�때문이다.� (1)� 그런데�몇몇� 후기� � 헬라어�사본들에서� '피스토스'(*� � � � � � � � � � � � � � � � � ,� '믿는� 남자

')를� � 첨가시켜� � '피스토스에� 피스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믿는� 남자와� 믿는� 여

자')로� 표기하고� 있으며� 흠정역(KJV)도� � 이에� � 준해� � '남자나� � 여자'로� � 번역하고� � 있다.� � 심프슨

(Simpson)이나� 거스리(Guthrie)� 역시� 여기에� 동의한다.� (2)� 그러나� 대부분의� 본문� � 비평가들(Alford,�

Ellicott,� Speaker,� Moffat)은� 보다� 짧은� 본문인� '피스테'만을� 택하고있다.� 혹자는� 몇몇� 사본에서� '믿는�

남자'를� 삽입시킨� 것은� 필사자(筆寫者)들이� 바울의뜻을�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며,� 여기서의� '믿는� 여자'란� 신자가� � 아닌� � 남편을둔� 여자� 교인이거나,� 개인적인� 경쟁력을� 갖춘� 과부나� 미혼녀를� � 가리

킨다고 주장한다(Lenski).� (3)� 또다른� 견해로는� '믿는� 여자'가� 14절에서� 언급한� '젊은� 과부'를� 가리키

는� 말로서� 비록� 그들이� 교회에서� 공식적인� 일은� 맡지� 못하였으나� 가정에� 소속되어� � 다른� 과부를� 도움

으로써� 교회에� 덕을� 끼치는� 일을� 하도록� 바울이� � 권면한� � 것으로� � 본다(Scott).� 이상과� 같이� '믿는� 여

자'가� 누구를� 가리키는� 것인지에� 대해� 여러� 견해가� � 있으나�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친척� 중에� 과부

가� 있는� 자로서� 친척� 과부를� 돌보아� 줄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여자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이렇게� � 도움을줄� 능력이� 있는� 여자가� 자기� 친척� 과부를� 도와줌으로써,� 교회는� 아무� � 연고가� �

없어서반드시�도움이�필요한� '참과부'를� 도울� 수� 있었다.

=====5:17� � 잘� 다스리는�장로들을� -� '다스리는'에� 해당하는�헬라어� '프로에스토테스'(* � � �

� )는� 교회의� 감독권을� 시사하며� 주로� 행정적인� 업무를� 관장(管掌)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장로'의� 헬라어� '프레스뷔테로이'(*� � � � � � )는� 딛� 1:7에� 나오는� '에피스코폰'(*� � � � � � � � � � � � � � � � � � � � � � � ,� '감독')

과� � 같은뜻으로� 사용되었다.� 혹자는� 이에� 대해� 교회의� 행정적인� 임무를� 강조할때는� '감독'이라는� 용어

를�사용했으며�나이든�어른으로서�받아야�할� 존경을�강조할 때는� � '장로'라는용어를� 사용하였다고�

한다(Hendriksen).� � � 배나� 존경해� 자로� 알되� -� '존경'에� 해당하는� 헬라어� '티메스'(*� � � � � � � � � � � � � � � )

는원래� '가치',� '가격'을� 의미하는� 말로서� '보상'으로� 번역되거나(White)� � '사례금'으로번역될� 수� 있다

(Liddon).� 이에� 대해� 두� 가지� 견해가�있다.� (1)� 혹자는�여기서는� � 물질적인� '보상'의� 의미는� 없다고�보

고� � 정신적인� � '존경'(honor)만을� � 주장한다(Lenski).(2)� 물질적인� 의미와� 정신적인� 의미를� 함께� 수용

하는� 견해도� 있다(Hendriksen).� � 후자의� 견해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배'의� 헬라어� '디플레스'(*� � �

� � � � � � � � � � � � � � � )에대하여� 몇� 가지� 주장이� 있다.� (1)� 존경과� 보상의� 이중적인� 의미.� (2)� � 과부들보다� �

두배의� 존경과� 보수(Calvin,� Rocke).� 그러나� 일반적인� 견해는� 숫자적인� 의미보다는� 장로들에대한� 특별

한� 존경심과� 풍족한� 물질적인� 공급을� 뜻하는� 말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Guthrie,� Scott).� � � 말씀

과� 가르침에� 수고하는� 이들� -� '말씀과� 가르침'에� 대하여� 혹자는� '전도와� � 가르치는� 일'로� 해석한다

(Robertson).� 본� 구절은�교회를�행정적으로�처리하는�장로들과�말씀을�전파하고�가르치는�일에�전력을�

기울이는� 장로들이� 초대� 교회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아마� 오늘날의� '목사'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을�것이다.

=====5:18� � 성경에� 일렀으되� 곡식을� 밟아� 떠는�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말라� 하였고� -� 본� � 구절은�

신� 25:4로부터� 인용된� 말씀이다.�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의� 타작방법은� 곡식단을� � 풀어� 타작마당에� 펴�

놓고� 그� 위를� 소가� 지나가게�하거나� 소가� 끄는� 타작� 기구가� � 지나가게�하였다.� 그때� 주인은�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않고� 일하는�동안� 그� 곡식을� 마음대로먹게�하였다.� � � 일꾼이� 그� 삯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

하였느니라� -� 본� 구절은� 눅� 10:7의� � 인용이다.마� 10:10에도� 동일한� 기록이� 나온다.� 그런데� 후자에서

는� '먹을� 것'(* � � ,� 테스� 트로페스)으로� 나온� 반면� 여기서는� '삯'(*� � � ,� 투� 미스두)으로� 기록된� 차이

가� 있다.� 따라서� 바울은� 누가복음을� 인용하였다고� 본다.� 특히� 누가는� 바울의� 동역자로서� 바울이� 로마

의�감옥에�처음� 투옥되었을때� � 그와함께� 있었다(골� 4:14� ;� 몬� 1:24).� 또한� 혹자는� 누가복음이� 그때에�

기록되었을� � 것으로보고�바울이�그것을�인용하였거나�그것에�대한�자료를� � 인용하였을 것으로 추

측한다(Hendriksen).� 결국� 본절의�요지는�일하는�짐승에게도�충분한�곡식을�제공하는데�하물며�그리스

도와�교회를�위해� 봉사하는�일꾼들에게�충분한�보상을� 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으로서�당연히�해야� 할� 일

임을�강조한�것이다(고전� 9:9,� 14).

=====5:19� � 장로에� 대한� 송사는� 두� 세� 증인이� 없으면� 받지� 말� 것이요� -� 모세� 율법에� 의하면� 두사람�

이상의� 증인이� 있어야� 죄를� 판결(判決)할� 수� 있었다(신� 19:15� ;� 민� 35:30).� 이와같은� 규정은� 초대� 교

회에서도�적용되었다(고후� 13:1).� 특히�장로는 지도자의� � 위치에있었으므로� 교회� 안과� 밖에서�

늘� 주목을� 받았다.� 따라서� 그들은� 악의(惡意)와� � 근거없는� 비난으로부터� 보호받을� 필요가� 있었으므로�두� 세� 명의�증인이�요구되었다.

=====5:20� � 범죄한� 자들을� 모든� 사람� 앞에� 꾸짖어� -� '범죄한� � 자들'은� � 장로들을� � 가리킨다(19절).�

'모든� 사람� 앞에'로� 번역된�헬라어� '에노피온�판톤'(* � � � � )은� '모든� 장로들� 앞에'를� 뜻할� 수도� 있고

(Earle),� 혹은� '온� 교회� � 앞에'를� 뜻할� 수도� 있다(Guthrie).� 일단� 장로의� 범죄가� 발견되었을� 때는� 그에�

대한� � 징계를공개적으로�행하여야�했다.

=====5:21� �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와�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 앞에서� -� 이와� 같은� 표현은� � 예배의식

적인� 표현으로서,� 여기에� 언급된� 것은� 이� 세� 존재가� 최후� 심판에� 참여할� 것이라는사상에서� 기인한다

(눅� 9:26� ;� 계� 14:10).� 특히� '택하심을� 받은� 천사들'이란� 말은� 바울특유의� 표현으로� 자기� 초소를� 떠난�

타락한� 천사들(계� 18:1� ;� 19:17� ;� 20:1� ;� � 21:9)과대조를� 이루는� 말이다.� � � 내가� 엄히� 명하노니� -� 헬

라어� '디아마르튀로마이'(*� � � � )는� '엄숙히� 단언하다',� '엄숙히� 선언하다'의� 뜻을� 갖는� 강의� 복합어로서�

교회� 지도자들의� 징계�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신중해야� 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명령은� 바울개인의�

감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그리스도와� 택하심을� 받은� � 천사들� � 앞에서하는� 엄숙한� 것이었다.� �

� 편벽되이�하지� 말며� -� '편벽'(偏僻)에� 해당하는�헬라어� '프로스클리신'(* � � )은� '저울을� 한� 쪽

으로� 기울어지게� 하다'는� 뜻의� 동사� '프로스클리노'(*�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파생된� 말로� '편

애'(favoritism,� � NIV)로� � 번역될수� 있다.� 즉� 디모데는� 교회의� 지도자로서� 개인적인� 편견이나� 편애를�

철저히�배제하고,사랑과�의에�입각한�공정한�판결을�하여야�했다.

=====5:22� � 아무에게나�경솔히� 안수하지� � 말고� -� 본절의� '안수'(*� � � � � � � � � � � � � � � � � � � � ,� � 에피티데

이)가� 어떠한� 성격을� 갖는가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다.� (1)� 타락한� 장로들을� 다시용서하고� 받아들이는�

의식으로서의�안수이다(Rocke,� White,� Robertson).� � (2)� � 장로를비롯한�다른�성직을�임명하는�의식으

로서�행해진� 것이다(Earle,� � Kelly,� � Theodoret).(3)� 본절은�장로에� 관한� 문제를� 취급한�것으로서� 장로

를� 임명할� 때� 행한� 공개적인� � 의식� 이었다(Lenski).� 위� 의견들� 중에� 두번째� 것이� 가장� 지배적이다.� 교

회의�중요한� � 직분을�맡기기위해�안수할�때�그�사람의�신앙이나�인품�등을� 충분히�고려해야 중

직자들의� 과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 � 다른사람의� 죄에� 간섭지� 말고� -� '간섭지'에� 해당

하는�헬라어� '코이노네이'(* )는� '함께� 나누다',� '동반자가� 되다'의� 뜻을� 갖는다.� 이에� 대해� �

(1)혹자는� 바울이� 디모데에게� 타락한� 일부� 장로들이� 짓는� 죄에� 동참하지� 말아야� 할� � 것을권면한� 것으

로� 보는� 견해(Lenski)와� (2)� 어떤� 사람을� 안수하여� 장로로� 임명하는� � 것은그� 사람을� 보증하는� 것이� 되

므로,� 그� 사람이�죄를� 지었을�때�공동의�책임을 면할� � 수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견해가� 있다(Earle).� 문맥상� 후자의� 견해가� 타당하다.� 바울은� 본절을� 통해� 안수의� 중요성을� 디모데에게�

인식시키고�있다.

=====5:23� � 물만� 마시지� 말고...포도주를� 조금씩� 쓰라� -� 이스라엘� 사회에서는� 금욕주의적인� 계율이�

있었다.� 즉� 나실인� 서약자는� � 포도주나� � 포도로� � 만든� � 것을� � 먹지� � 않았으며(민6:1-21),� 레갑인들도�

포도주를� 마시지� 않았다(렘� 35:5-8).� 따라서� 디모데는� 이러한� 유대� 계율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

고� 22절에서� 바울이� 요구한� 대로� 자신의� � 정결을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을� 것이다(Scott).� 그� 결과�

그는� 나름대로� 금기(禁忌)� 사항을마련해� 두고� 오직� 물만� 마시고� 포도주는� 먹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근동�지방의� � 물들은�대개� 병균들로�오염되어�있었으므로�끓이지�않고� 계속�마실� 경우� 이질이나� � 위장

병에�걸릴� 가능성이�높았다.� 여기서의� '비위'(*� � � � � � � � � � � � � � � � � � � � � � ,� � 스토마콘)는'위장'을� 뜻한다.�

즉� 디모데는� 위장병과� 다른� 질병을� 앓고� 있었을� 것이며� 따라서� 바울은� 그의� 질병을� 위해� '포도주를� 조

금씩� 쓰라'고� 권면하였다.� 한편� 당시의� 포도주는� 도수가� 약하였고� 특히� 유대인들� 사이에서� 사용된� 포

도주는�흔히�물이 섞인� � 포도주였다(Earle).

=====5:24� � 어떤� 사람들의� 죄는� -� 바울은� 본절에서� 다시� 17절� 이후에서� 그가� 다루어� 왔던� 문제로�

돌아가� 장로의� 임직(任職)뿐만� 아니라� 교회의� 규율에� 대해� 말하고� 있다.� 혹자는� 23절에� 기록된� 대로�디모데가� 병약하였으므로� 교회를� 처리하는� 면에� � 있어서� 미비한� � 점이� 있었을� 것으로� 가정한� 바울이�

처리에� 도움이� 되는� 말을� 디모데에게� 한� 것으로� 생각한다(Alford).� � � 밝히� 드러나� 먼저� 심판에� 나아가

고�어떤�사람들의�죄는�그� 뒤를� 좇나니� -� '밝히'의헬라어� '프로델로이'(*� � � � � � � � � � � � � � � � � � � � � )는� '이

미� 알려진'� 혹은� '명백한'이란� 뜻으로서� 그들의� 죄는� 판단에� 있어서� 문제가� 없는� 명백한� 죄들이다.� 또

한� '좇나니'의� 헬라어� '에파콜루두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뒤를� 따라� 가다'의�

뜻으로� '어떤� 사람들의� 죄'가� 드러나지� 않고� 감추어진� 죄임을� 나타낸다(Hendriksen).� 그러나� 이것� 역

시� 앞의� '밝히� 드러난�죄'의�전철(前轍)을� 밟아� 밝혀지게�된다.

=====5:25� 이와� 같이� 선행도� 밝히� 드러나고� 그렇지� 아니한� 것도� 숨길� 수� 없느니라� � -� � 혹자는바울

이�디모데에게�성급한� � 판단을� � 피하라는� � 의미로� � 본구절을 쓴� � 것으로� � 본다(Alford).� 즉� 선한� 일

이나�악한� 일은�처음에는�그�모습이�잘�드러나지�않을�수� 있으나시간이�지나면�자연히�본� 모습을�나타

내게�될�것이므로�경솔한�판단을�삼가하라는� � 뜻이다.� � � 디모데전서�제� 6장

=====6:1� � 무릇� 멍에� 아래� 있는� 종들은� -� '종들'의� 헬라어� '둘로이'(*� � � � � � � � � � � � � � � � � � � )는글자�

그대로� '노예들'을� 말한다.� 당시� 로마에는�많은�수의� 노예들이� 있었는데� � 학자에따라서�삼분의�일� 이상

으로� 보기도� 하며� (Hendriksen)� 절반� 이상으로� 추정하기도� 한다(Earle).� 로마는� 전쟁을� 통하여� 패전국

으로부터� 노예를� 확보하거나,� 주위의� 약소� 국가들로부터� 노예를� 사들이기도� 하였다.� 또는� 로마의� 자유

민� 중에� 빚을� 청산하지� � 못하거나,� 죄를� 짓고� 노예가� 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많은� 경우� 노예의� 부모에

게서� 태어나� � 노예가� 되었다.� 로마인들은� 노예들에게� 후한� 대우를� 해주었으며� 그중에는� 요리사,� � 이발

사,� � 주치의� 등� 전문적인� 일을� 하며� 상당한� 지위를� 갖고� 있는� 노예들도� 있었다.� � 신약성경에� 노예에�

관한� 기사가� 자주� 나오는� 것으로� 보아� 초대� 교회� 교인들� 가운데에는� 이러한� 노예들이� 상당수�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전� 7:21-24� ;� 12:13� ;� 엡� 6:5-8� ;� 골3:11,� 12� ;� 벧전� 2:18).� � � 자기� 상전들을� 범

사에� 마땅히� 공경할� 자로� 알지니� -� 본� 구절은� 바울이� 노예� 제도를인정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그러나� 혹자에� 의하면� 바울은� 외형적으로는� 노예제도를� 인정하여�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을� 피하면서�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점진적인� 노예� 제도의� 폐지를� 목표로� 삼았다고� 본다

(Hendriksen).� 여기서'상전'에� 해당하는�헬라어� '데스포타스'(*� � � � � � � � � � � � � � � � � � � � � )는� '퀴리오스'(*

� � � � � � ,� '주')와� 동의어로서� 후자가� 보다�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반면� � 전자는종의� 상전으로서�

권세를� 강조한� 말로(Trench)� 하나님(눅� 2:29� ;� 행� 4:24� ;� 계� 6:10)과그리스도(유� 1:4)께� 본� 단어가�

적용되었다.� 또한� 영어의� 'despot'(폭군,� 전제� 군주)가본�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 � 이는� 하나님의� 이름

과� 교훈으로� 훼방을� 받지� 않게� 하려� 함이라� -� 바울이� 노예� 신자들에게� 상전을� 공경(恭敬)하라고� 권면한� 주된� 이유는� 노예� 제도를� 인정해서가� � 아니라하나님의�영광과�성경의�가르침에�손상을�입히거나� 욕

을�당하지�않도록�하기� 위함이었다.� 여기서� '훼방을�받지'에� 해당하는�헬라어� '블라스페메타이'(* � �

)는� '비방하다',� '욕하다'의� 의미이다.� 또한� '교훈'의� 헬라어� � '디다스칼리아'(*�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복음의�가르침'을� 뜻한다(Hendriksen).

=====6:2� � 믿는� 상전이� 있는� 자들은� -� 앞절이� 일반적인� 모든� 노예들,� 특히� 불신자를� 주인으로둔� 노

예들에게� 적용된� 것이라면� 본절은� 믿는� 상전을� � 둔� � 노예들에게� � 적용된� � 것이다(Alford).� � � 그� 상전

을� 형제라고� 경히� 여기지� 말고� -� 믿는� 노예들은� 자신의� 주인이� 동등한� 신자일� 경우� 종의� 신분에서� 벗

어나는� 행위를� 하여� 주인의� 권위를� 무시하는� 경우가� � 있었을것이다.� 또한� 혹자는� 믿는� 노예들� 가운데�

교회의� 장로가� 된� 자들도� 있었을� 것으로� � 추측한다(Robertson).� � � 유익을� 받는� 자들이� 믿는자요� 사랑

을� 받는� 자임이니라� -� '유익을� 받는� � 자'는� � '주인'을� 가리킬� 수도� 있고� '노예'를� 가리킬� 수도� 있다.� 그

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 문맥으로� 보아� 전자로� 해석한다(Scott,� Guthrie,� Lenski).� 이들은� 믿는� 신자

인� 동시에� '사랑을�받는'(*� � � � � � � � � � � � � � � � � � � � � ,� 아가페토이)� 자들이었다.� 혹자는�이� 단어가�상전이�

노예로부터� 사랑을� 받는� 것으로� 해석하는가� 하면(Earle,� Alford)� 다른� 학자는� 하나님과� 다른� 신자들로

부터� 사랑받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Hendriksen).� � 후자의� 견해가� 문맥상� 더� 적합하다.�

이처럼� 믿는� 노예들이� 섬기는� 상전들� 역시� 믿는� � 사람들이며,� 하나님과�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존재들

일�경우�믿음을�가진� � 노예들은� � 그상전을�더욱� 잘� 섬겨야�한다.

=====6:3� � 다른� 교훈을�하며� -� 이에� 해당하는�헬라어� '헤테로디다스칼레이'(* )

가� 1:3에서는� '신화와� 끝없는� 족보'를� 가리키는� 것에� � 반해여기서는� '이단� 사상'을� 가리킨다.� 당시� 헬

라� 세계에는� '소피스트'(Sophist)라고� 불리는� 궤변론자들이� 많았는데� 그들은� 웅변과� 변론술을� 가르치고�

돈을� 받았다.� 또한� � 영지주의자들이� 이단� 사상을� 교회에� 끌어들여� 초대� 교회에� 혼란을� 야기시켰다.� � �

바른�말�곧�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말씀과�경건에�관한� 교훈� -� '바른� 말'(*

,� 휘기아이누신로고이스),� 곧� � '그리스도의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하신� 말씀뿐만� 아니라� 그분의� � 말씀에근거하여� 기독교의� 진리를� 설명한� 교훈이다(Guthrie).� 그러

므로�이 '바른� � 말'속에는예수의� 말씀에� 근거한� 사도들의�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다.� � � 착념치� 아니하면�

-� '착념치'의� 헬라어� '프로세르케타이'(*� � � � � � )는� '...에게로� 가다'� 혹은� '접근하다'의� 뜻으로� 신약성경

에서� 자주� 사용되었다(히� 4:16� ;� 7:25).� 여기에서는� 이� 단어가� 유일하게� 비유적으로� � 사용되어� � '동의

하다'혹은� '정신적으로�가까이�다가가다'를�의미한다(agree,� NIV).

=====6:4� 저는� 교만하여� 아무것도� 알지� 못하고� -�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 관한� � 교훈'을무시하

고� 자기� 마음에� 맞는� 이단� 사상을� 좇아가는� 자는� 하나님의� � 권위를� � 무시한다는측면에서� '교만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테튀포타이)라고� 할� 수� � 있다.� � 이런자들은� 참된� 진리인� 그리스도에� 관하여

는�전혀�무지한�자들이다.� � � 변론과�언쟁을�좋아하는�자니� -� '언쟁'의� 헬라어� '로고마키아스'(* � � �

� )는� '로고스'(*� � � � � � � � � � � � � � ,� '말')와� '마코마이'(*� � � � ,� '싸우다')의� 합성어로� '설전'(舌戰)을� 의미한다.� 영어의� 'logomachy'(말다툼)가이� 단어에서� 유래하였다.� 또한� '좋아하는'의� 헬라어� '노손'(*� � � � � � � �

� � � � � � )은� '병들다'는� 뜻이다.� 이러한� 의미에� 따라� 혹자는� 본� � 구절을� � '논쟁을� � 병적으로� � 갈망하는

'(having� a� morbid� craving� for� argument)으로� 해석하였다(Easton).� � � 투기와� 분쟁과� 훼방과� 악한�

생각이� 나며� -� 이와� 같은� 것들은� '변론과� 언쟁'의� 결과로� 생겨나는� 것들이다.� '투기'(*� � � � � � � � � � � � � � � �

� ,� 프도노스)는� '시기'를� 뜻한다.� 논쟁에서� 패배한� 자는� 승자에� 대해� 질투의� 악감정을� 갖게� 된다.� '분쟁

'(*� � � � � � � � � � � � � ,에리스)은� '투기'에서�비롯된다.� '훼방'의� 헬라어� '블라스페미아이'(* � � � � )가� 하

나님께� 적용될� 때는� '신성� 모독'(blasphemy)을� 뜻하나� � 여기에서는사람에게� 적용되어� '욕'이나� '비방'

을� 의미한다.� '악한� 생각'에서� '생각'에� � 해당하는헬라어� '휘포노이아이'(*� � � � � � � � � � � � � � � � � � � � � )는� '

의심하다'� � '추측하다'를� � 뜻하는헬라어�동사� '휘포노에오'(*� � � � � � � � � � � � � � � � � � � )에서� 파생된�말로� � '

의심'을� � 뜻한다(행� 13:25� ;� 25:18� ;� 27:27).� 따라서� '악한� 생각'은� � '악한� � 의심'(evil� �

suspicions,NIV)으로� 번역될� 수� 있다.� 불필요한� 변론에� 치우치는� 것은� 사람들을� 의심하게� 할� 뿐만아니

라(Hendriksen)� 그리스도와�복음에�대한� 의심을�불러일으킬�것이다.

=====6:5� � 마음이� 부패하여지고� 진리를� 잃어버려...다툼이� 일어나느니라� -� 4절에서는� '변론과언쟁을�

좋아함'으로써� 생기는� 악한� 열매� 네� 가지가� 열거되었다.� 본절에서는� 마지막� 다섯번째� 결과로� '다툼'이�

언급된다.� 이� 말에� 해당하는�헬라어� '디아파라트리바이'(* � � � � � � )는� '디아'(*� �

� � � � � � � ,� '통하여')와� � '파라트리바이'(* � � � � ,� '화나게� 함')의� 합성어로서� '서로

에게� 화를� 내는� � 것'을� 뜻한다.� 이러한� '다툼'은� � '마음이� 부패하여지고� 진리를� 잃어버린� 자들'에게서� �

난다.� 여기서� '부패하여지고'의� 헬라어� '디에프다르메논'(*� � � � )은� 완료� 수동� 분사로� '철저히� 부패된� 상

태'를� 나타낸다(Earle).� 또한� '잃어버려'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페스테레메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자신의권리를� 상실하게� 됨'을� 뜻한다(White).� 일단� 그들은� 진리를� 소유한� � 경험이� � 있

었으나지금은� 그것을� 박탈(剝奪)당했다(Lenski).� � � 경건을� 이익의� 재료로� 생각하는� -� '이익의� 재료'로�번역된�헬라어� '포리스몬'(* � � � )은 '얻다',� '획득하다'를� 뜻하는� 동사� '포리조'(*� � � � � )에서�

파생된� 말로� '경제적인� 이익'을� 뜻한다(financial� gain,� NIV).� 진리를� � 떠나� 다른� 교훈을� 좇는� 자들은� '

경건'(� � � � � � � � � � � � � � � � � � � � � � � ,� 유세베이안)� 즉� '종교'라는� 이름으로(Scott)� '그들의� 거짓된� 교훈'을�

가르쳐주고�그�대가로�물질적인�사례를요구하였다(Lenski,� Hendriksen).

=====6:6� 그러나� 지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이� 큰� 이익이� 되느니라� -� 스토아� 학파의� � 철학자들은�

'현자란� 지상의� 행복과� 불행에서� 완전히� 독립하여� 마음의� 평정을� 누리는� 사람'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

나� 이들이� 주장하는� 것은� 금욕주의적인� 경건에� 도움을� 줄지언정� 참된� 만족을� 주지는� 못한다.� 또한� 이

단� 사상을� 전파하는� 자들이� 추구하였던� 만족은그� 원천(源泉)을� 마음속에� 두고있는� 것이� 아니라� 물질적인� 것에� 두고� 있었다.� � 바울은이러한� 것들과� 대조적으로� 오직� 평강의� 근원이신� 하나님과� 교제함으로써�

얻어지는� '지족'(*�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우타르케이아스)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 지족의마

음을� 소유한� 자는� 세상적인� 유혹과� 물질에� 대한� 지나친� 관심을� 떨쳐버리고� 하나님께만� 소망을� 둠으로�

부족함을� 느끼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풍족한� 삶을� 살게� � 된다(빌4:11-13).� 그에게� 있어� 진정한� 행

복이란�물질의�많음에�있지�않고� 하나님과의�바른�관계에�있기�때문이다.

=====6:7� 우리가�세상에�아무것도�가지고�온� 것이� 없으매�또한� 아무것도�가지고�가지� 못하리니� -� 구

약� 지혜� 문학에� 나오는� 내용의� 인용으로� 보이는(욥� 1:21� ;� 전� 5:14,� 15).� 본절은� 두개의� 문장이� 접속

사� '호티'(*� � � � � � � � � ,� '왜냐하면')로� 연결되어� � 있다.� � 따라서"우리가�세상에�아무것도�가지고�온� 것이�

없다.� 왜냐하면� 아무것도� 가지고� 가지� � 못할것이기� 때문이다"이다.� 이것은� 태어나는� 것보다� 죽는다는�

것에�강조점을�둔� 것으로�긍극적으로�세상의�물질적인� 것이�아무런� 도움이�되지� 못한다는�것을�나타낸

다(White).

=====6:8� �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알� 것이니라� -� '먹을� 것'의� 헬라어� '디아트로파스

'(*� � � � � � � � � � � � � � � � � � � � � � � )는� 복수로서� 생존에�필요한�모든� 음식을� � 포함한다(Hendriksen).� 또한� '

입을� 것'의� 헬라어� '스케파스마타'(*�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덮다'를� 뜻하는�동사� '스케파조'(*� �

� � � � � � � � � � � � � � � � � )에서� 파생된� 복수� � 명사로서� '의복'이나� '덮개'� 혹은� '은신처'� 등을� 의미한다

(Earle).� 바울의� 이러한� 권면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정당한� 부의� 축적마저� 부인되어야� 한다는�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바울이� 여기에서� 강조하는� 것은� 어느� 것에� 관심을� 가지고� 생활해야� 하느

냐하는� 점이다.� 즉� 최소한의� 먹을� 것과� 입을것만을� 취하라는� 의미보다는�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에�

더� 큰� 관심을�가지라는�권면이다(마� 6:33).

=====6:9� � 부하려�하는�자들은� -� '부하려�하는'에서� '하는'에� 해당하는�헬라어� � '불로메노이'(*

� � � � )는� '의도하다',� '갈망하다',� '결정하다'의� � 뜻을� � 갖는다.� 따라서� 본문은� 부자가�

되려는� 강한� 욕구를� 갖고� 있는� 자들을� 말한다.� � � 시험과� 올무� -� '시험'의� 헬라어� '페이라스몬'(*� � � � � � �

� � � � � � � � � � � � � � � � )은� '유혹'(temptation,� KJV,� NIV)을� 의미하며� '올무'의� 헬라어� '파기다'(*� � � � � � � � � �

� � � � � � � )는'덫',� '함정'을� 뜻한다.� 부자가�되려는�지나친�욕망에�사로잡힌�자는�필경� 유혹을� � 받아� 마귀

의� 올무에� 걸리게� 된다(딤후� 2:26).� � � 어리석고� 해로운� 정욕에� 떨어지나니� -� 재물에� 대한� 지나친� 욕구

는� 영혼의� 눈을� � 어둡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하나님과의� 교제가�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결

과는인간의� 영적� 죽음이요� 완전한� 파멸이다.� � � 곧� 사람으로� 침륜과� 멸망에� 빠지게� 하는� 것이라� -� 혹자

는� '침륜'(*� � � � � ,� 올레드론)이� 현세(現世)에서의� 파멸을� 의미하며� '멸망'(*� � ,� 아폴레이안)은� 사후(死後)의� 파멸을� 뜻한다고�본다(Scott).� 하지만� 그보다는�유사한� 의미를�갖는� 단어를�중복시킴으로� 물질의�지나친� 추구가� 멸망을� 초래한다는� 사실을강조한� 말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빠지게� 하는'의� 헬라

어� '뷔디주신'(* � � � )은� '배가� 바다깊이�침몰하는'� 것을� 묘사한�말이다(눅� 5:7).� 바울은�물질

을� 소유하려는� 욕구� 자체를� 죄악시하지는� 않았다.� 혹자가� 지적한� 대로� � 바울은결코� 금욕주의자가� 아니

었다(Hendriksen).� 그러나�이� 욕구를�제어하지�못하고� � 물질의획득에�지나친�관심을�두어� 거기에만�몰

두하는�것은�잘못된�삶의� 형태이다.

=====6:10� �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 본� 구절은� � 비온(Bion)과� � 데모크리투스

(Democritus)가� 한� 말� 곧� '돈을� 사랑함이� 모든� 악의� 척도이다'(*� � � � ,� 텐필라르귀리안� 에이나이� 메트

로폴린� 판톤� 톤� 카콘)와� 유사하므로� 학자들은� � 바울이� 이것을� 인용한� 것이라고� 추정한다(Guthrie,�

Robertson).� 그러나� 이에� 반해� � 렌스키(Lenski)는� 본� 구절이� 바울의� 독자적인� 말임을� 주장한다.� 한편� �

'사랑함'의� � 헬라어'필라르귀리아'(*�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 '탐욕'(covetousness)을� � 의미한

다.돈� 그� 자체는�악하지�않으나�그것에�탐욕을�품게� 될� 때� 악이�발생한다.� 여기서�바울이'일만�악의�뿌

리'가� 된다고� 말한� 것은� 돈을� 사랑함이� 모든� 악의� 유일한� 근원임을� 말한다기보다� 재물을� 지나치게� 탐

하게�될� 때� 일어나는� 극단적인� 결과를� 강조하고�있는� � 것이다(Guthrie).� � � 이것을� 사모하는� 자들이�미

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 '사모하는'의� 헬라어� � '오레고메노이'(*�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

잡으려고�손을�뻗치다',� '갈망하다'의� 뜻을� 갖는�동사� '오래고'(*� � � � � � � � � � � � � � � )의� 현재� 분사로� '항상

'� 돈을� 갈망하고� �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게� 된다.� 여기서� '떠나'

에� � 해당하는� 헬라어� '아페플라네데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별이� � 자신의일정한�

궤도에서� 이탈하여� 유성처럼� 떠돌아� 다니는� 것을� 의미한다(Lenski).� � � 많은� 근심으로써� 자기를� 찔렀도

다� -� '근심'의�헬라어� '오뒤나이스'(* )는� '깊은� 슬픔'을� 의미한다.� 또한� '찔렀도다'의� 헬라어� '페리에페

이란'(* � � � )은� '꿰뚫어� 관통하였다'는� 뜻으로(pierced,� � KJV)� � 주로고기를� 쇠갈고

리로�꿸� 때� 사용되었던�말이다.� 결국� 돈에� 지나친� 탐욕을� � 품은� � 자들은신앙보다�물질에� 더� 관심을�갖

게� 되어�신앙을�잃고�방황하게�될�뿐만� � 아니라� � 극심한슬픔으로�고통을�받게� 된다.

=====6:11� � 오직� 너� 하나님의�사람아� -� '하나님의�사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안드

로페� 데우)이라는� 호칭은� 디모데로� 하여금� 자신이� 어떠한� 존재이며� 어떤� 삶을� � 살아야� 마땅한� 것인가

를� 일깨워� 준다.� 이� 말은� 구약� 시대에는� 선지자들이나� 특별한� 인물들에게� 적용되었다.� 예를� 들면� 모세

(신� 33:1� ;� 시� 90:1),� 다윗(대하� 8:14), 선지자들(삼상� 2:27� ;� 9:6),� 엘리야(왕하� 1:9),� 하나님의�

사자들(왕상� 12:22)� � 등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신약� 시대에� 와서는�이러한� 호칭이� 보다� 일반적인�의미

로� � 사용되어� � 일반신자들(딤후� 3:17)이나� 디모데와� 같은� 복음� 사역자들에게� 사용되었다.� � � 이것들을�

피하고...좇으며� -� '이것들'이란� 4-10절에서� 언급된� 멸망의� 요인들을� � 가리킨다.� '좇으며'의� 헬라어� '디

오케'(*� � � � � � � � � � � � � � � )는� '추구하다'(follow� � after,KJV)의� 뜻으로� '피하고'(*� � � � � � � � � � � � � � � ,� 퓨

게)의� 반의어이다.� 여기서� 바울은� � 딤후2:22에서와� 마찬가지로� 그의� 특유의� 대조법을� 사용하여� 권면하

고자� 하는� 바를� � 선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 � 의와� 경건과� 믿음과�사랑과� 인내와� 온유� -� 바울은� 하나님

의� 사람인� 디모데가� � 추구해야� 할� 여섯� 가지� 덕목을� 열거한다.� '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디카이오쉬넨)는� 법률� 용어로� '공의'(公義)를� 뜻한다(Lenski).� '경건'(*� � � � ,� 유세베이안)은� 하나님과�더불어� 살고� 있다는� 경외심을� 간직하는� 것으로서� �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행위로도� 볼� 수� 있다(벧

후� 1:3).� '믿음'(*� � � � � � � � � � � � � � � � ,� 피스틴)에� 대하여� 혹자는� '이것은� 주관적인� 믿음으로서� 하나님과�

그의� 말씀을� � 신뢰하는것을� 뜻한다'고� 본다(Hendriksen).� 그런데� 렌스키(Lenski)는� 이와� 다른� 견해를�

피력한다.� 즉� 기독교에� 있어서� '믿음'은� 가장� 근본적인� 것인데� 처음에� 열거되지� 아니하고� 세번째� 나온�

것으로� 보아� 이것은� 신앙적인� 차원의� 믿음이�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을� � 믿고신뢰하는� 하나의� 미덕(美德)을� 뜻하는�것이라고�주장한다.� 그러나�여기서는�전자가�타당하다.� 본절에서�바울은�일반적인�미덕이�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 덕목을� �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랑'(*� � � � � � � � � � � � � � � � � ,� 아가펜)

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 위해하신� 일� 중� 가장� 위대한� 것으로서� 인간이� 본받아야� � 할� � 신앙의� � 핵심� �

요소이다(요일4:10).� '인내'(*� � � � � � � � � � � � � � � � � � � � � ,� 휘포모넨)는� 불행과� 고난에도� 불구하고� � 흔들리

지� 않고� '견디는� 것'을� 말한다(살전� 1:3� ;� 5:14).� '온유'(*� � � � ,� 프라위파디안)는� 신약성경�중� 본절에만�

나오는� 단어로� '온순'(meekness,� KJV)으로� 번역된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은� 자가� 지니는� 특

징� 중의� � 하나로서� � 다른사람들에게� 안위를� 제공하고� 대인� 관계에� 있어서� � 늘� � 여유있는� � 상태를� � 가

리킨다(마11:29� ;� 고후� 10:1).

=====6:12� � 믿음의�선한� 싸움을�싸우라� -� '싸우라'에� 해당하는�헬라어� '아고니주'(* � � � � )는� 올

림픽� 같은� 운동� 경기에서� '시합하다',� '시합에� 이기기� � 위해� � 애쓰다'의� 뜻을� 갖는다.� 이것과� 동족어인�

명사� '싸움'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곤'(*� � � � � � )은� 원래� 운동� 경기를� 위한� '집회'를� 의미하였는데� 이것

이� 점차� 경기� 자체를� 의미하는� 말이� 되었다.� 따라서� 본� 구절을�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다.� "선한� �

경기에서경쟁하라."� 혹은� "선한� 경기에서� 이기기� 위해� 애쓰라."� 결국� 이말은� 믿음이라는� � 경기에서� 이

기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 기울일� 것을� 권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Simpson).� � � 영생을� 취하라� -� '

취하라'의�헬라어� '에필라부'(*� � � � � � � � � � � � � � � � � � � � � )는� '꼭� 붙잡다'라는� 뜻이다(take� hold� of,� NIV).�

바울은� '영생을� 시합에서� 이긴자가� 얻는� � 상급에� 비유하여� 그것을� 꼭� 붙잡으라고� 권면하고� 있다.� 한편�

본절의� '영생'에� 관하여�몇가지� 해석이� 있다.� (1)� 모든� 싸움이� 끝나고� 죽음� 이후에�최종적으로� 하늘� 나

라에서� 얻게되는� 영광이다(Lenski).� (2)� 이것은� 믿는� 신자가� 이미� 소유한� 것으로서� � 죽음� � 이후에완성

된다(Scott).� (3)� 여기서의� '영생'은� '끝없는� 생명'이란� 양적� 의미보다는� � 질적인것으로� 하나님의� 속성

인� 거룩함과� 사랑,� 평안,� 기쁨� 등에� 함께� � 참여하는� � 하나님과의교제의� 삶을� 말한다(Hendriksen).� 이

상의� 세� 견해는� 근본적으로� 서로� 배치되지� 않으며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갖는다.� � � 이를� 위하여� 네가� 부

르심을� 입었고� 많은� 증인� 앞에서� 선한� 증거를� 증거하였도다� � -디모데가� 영생을� 얻을� 수� 있는� 것은� 하

나님의� '부르심'(*� � � � � � � � � � � � � � � � � � � ,� 에클레데스)에� 의한� 것이었다.� 한편� '증거하였도다'에� 해당하

는�헬라어� '호몰로기안'(* � � � � )은� 세례받을� 때� 많은� 사람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신앙을� 고

백하다'의� 뜻이다(Robertson,� Earle).� 바울은� 이러한� 신앙� 고백� 앞에� '선한'(*� � � � � ,� 칼렌)� 곧� '아름다

운',� '명예로운'이라는�수식어를�붙였다.� 당시에는� � 기독교가박해를�받고�있었던�때이므로�그와�같은� 신

앙� 고백은�더욱� 가치있는�것이었을�것이다.

=====6:13� 만물을� 살게� 하신� 하나님� 앞과� -� 본� 구절은� 민� 16:22의� '모든� 육체의� 생명의� � 하나님'과�

같은� 표현으로� 모든� 존재에게� 생명을� 부여하시는� 하나님의� 최고의� 창조� � 능력을나타낸다.� 이처럼� 바울

은� 그의� 서신에서� 하나님을� 증인으로� 자주� 채택하였다(롬� 1:9� ;고후� 1:23� ;� 빌� 1:8� ;� 살전� 2:5).� 바울

이� 하나님을� '만물을� 살게� 하신'� 분으로� 언급한이유에� 대하여� 혹자는� '디모데로� 하여금� 생명의� 위협에�

굴하지� 않는� 믿음을� � 부여하게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Hendriksen).� � � 본디오� 빌라도를� 향하여� 선한�

증거로� 증거하신� 그리스도�예수� 앞에서� -� 바울은� � 디모데가�해야� 할� 증거와� 역사적으로�본디오� 빌라도�

앞에서�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 증거를� 비교하여� 디모데에게� 엄숙히� 권면한다.� 여기서� 그리스도께서� 하

신� � '선한� � 증거'란'고백'을� 의미한다는� 것에�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의한다(Lenski).� 이� 고백의� � 내용

은그리스도께서� 자신이� 메시야(Messiah)라는� � 사실을� � 밝힌� � 것이라고� � 볼� � 수� � 있다(요18:36,� 37).�

그러나� 고백의� 내용이� 정확히� 무엇이었는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는� � 없다.여기에서� 바울이� 강조하고자�

하는�바는� 사형을�언도(言渡)할� 수�있는� 빌라도�앞에서도꿋꿋하셨던�그리스도의�담대함이었다(Scott).

=====6:14�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나타나실� 때까지� -� '나타나실'에� 해당하는� 헬라어� � '에피파네이아

스'(*�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중요한�인물의� '출현'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다.� 예컨대� 로마의�

황제� 칼리굴라(Caligula)의� 비문에서� 그의� 출현과�관련해� 사용되었음을�발견할�수� 있다.� 본절에서는� 이�

말이� '그리스도의� 현현'(the� Epiphany),� � 즉'그리스도의� 재림'을� 나타내는� '파루시아'(*�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 � 점도� 없고� 책망받을� 것도� 없이� 이� 명령을� 지키라� -� � '명령'(� �

� � � � � � � � � � � � � � � � � � ,엔톨렌)에� 대하여� 몇� 가지� 견해가� 있다.� (1)� 마� 28:20에서� 예수께서� '내가� 네게� �

명한모든� 것을� 지키라'고� 말한� 것과� 그외� 다른� 복음서(요� 14:15,� 21� ;� 15:10)에서도� � 같은말이� 언급

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명령'은� '예수의� 말씀'을� 가리킨다(Lenski).� (2)디모데가� 세례받을� 때� 서약

한� 의무일� 것이다(Guthrie,� Wordsworth).� (3)� 목회자인� � 디모데에게� 부과된� 모든� 의무를� 말한다

(Hendriksen,� Scott).� (4)� 11절과� 12절에� � 언급된명령을� 가리킨다.� (2)� 와� (3)� 의� 견해는� 일면� 타당

성을�지니나�전후�문맥상�마지막�견해가�가장� 타당하다.

=====6:15� � 기약이� 이르면� 하나님이� 그의� 나타나심을� 보이시리니� -� '기약'의� 헬라어� '이디오이스'(*� �

� � � � � � � � � � � � � � � )는� 복수로서� '시간들'(times,� KJV)이란� 뜻이다.� 그러나� � 이것은� 단수로� 취급할� 수� 있

는� 관용적� 용법으로� '때'라고� � 표현할� � 수� � 있다(눅� � 20:10� � ;23:7).� 여기서의� 이� '때'는� 그분� 자신의�

때로� 아무도� 알� 수가� 없다(행� � 1:7).� � 그러나하나님께서� 정하신� 때가� 이르면� 반드시� 성취될� 것이다.�

한편� '그의� 나타나심'은� � 그리스도의� 재림을� 가리킨다.� � � 하나님은� 복� 되시고� 홀로� 한� 분이신� 능하신�

자이며� -� 여기서부터� 16절까지는� � 하나의� '영광송'(doxology)이다.� 이� 영광송에� 관해� 몇가지� 견해가�

있다.� (1)� 이것은� � 아마도� 유대인의� 회당� 의식에서� 모방한� 초대� 그리스도인의� 찬송이었을� 것이다

(Scott).� (2)이것은� 바울이� 유대인의� 회당� 예배에서� 하는� 신앙� 고백을� 회상하여� 한� � 말이다(Lock).(3)� �

바울� � 자신의� � 독자적인� � 말이다(Guthrie).� � (4)� � 구약성경에서� � 인용한� � 것이다(Hendriksen,� Earle).�

특히� 헨드릭슨(Hendriksen)은� 여기서의� 영광송과� 유사한� 구약성경의� 구절들을� 일일이� 열거하고� 있다.

하나님을� '복되시고'(*� � � � � � � � � � � � � � � � � � � � � ,� 마카리오스)로� 표현한� 것은� 오직� � 본절과� 1:11에서만�

나타난다.� '능하신�자'(*� � � � � � � � � � � � � � � � � � � � � ,� 뒤나스테스)는� � '통치자'(ruler,� NIV)를� 뜻하는�말로서�

행� 8:27에도� 등장하는데�하나님께�적용된�경우는�이곳� 뿐이다.� 그러나�외경� 마카비하의� 3:24� ;� 12:15�

;� 15:27�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능하신'� 앞에� '홀로'(*� � � � � � � � � � � � � � ,� 모노스)가� 첨가되어� 있

는� � 것은� � 우상이나황제� 등� � 지상의� � 어떠한� � 권세보다� � 하나님의� � 권세가� � 우월함을� � 나타낸다

(Guthrie,Scott).� � � 만왕의� 왕이시며�만주의� 주시요� -� 이와� 유사한�구절이�계� 17:14과� 19:16에서� � 그

리스도께�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당시에는� 로마� 황제를� 하나의� 신(神)으로� 숭배하였기에� 이러한� 표현은�로마의�황제에�대하여�사용하던�문구였다.� 그런데�이것을 하나님께적용시킨� 것은� 황제� 숭배에� 대

한� 강한� 반발과� 직결된다(Hanson).� 한편� 하나님을� � 표현하는� 이� 칭호는� 이방� 종교에서� 온� 것이� 아니

라�구약성경의�신� 10:17� ;� 겔� 26:7� � ;� � 단2:37에서�빌어온�것이다(Hendriksen).

=====6:16� � 오직� 그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고� -� 15절에서는� 하나님이� 우주와� 세상을� 다스리시는�

진정한� 통치자임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본절에서는� 모든� 피조� 세계를� 초월해� 계신하나님의� 절대적인�

속성을�찬미한다.� '죽지� 아니함'의� 헬라어� '아다나시안'(* � )은� 부정� 접두어� '아'(*� � � � � �

)와� '죽음'을� 뜻하는� '다나토스'(* � )의� 합성어로� '불멸'(不滅)� 혹은� '불사'(不死)를� 뜻한다.�이것은� 곧하나님께서� 생명의� 근원이� 되심을� 밝힌� 말이다(Guthrie).� 또한� '오직'(*� � � ,� 모노스)이라는�

말의� 첨가는� 오로지� 하나님에게만� 불멸이� 있음을� 강조한다.� � 혹자는� 이러한� 사상을� 히브리적인� 사고�

방식이라� 한다.� 헬라인들은� 사람의� 영혼이나� � 마음은� 본질적으로� 영원하여� 죽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

러나� 히브리인들은� 죽음� 이후의� 생명은� 오직� 하나님께서� 주시는� 선물이라고� 생각하였다(Hanson).� � 그

런데� � 히브리어에는'불멸'에� 정확히� 상응하는� 말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히브리적� 사고� 방식을� � 헬라� �

말을빌어�표현한�것으로�볼� 수� 있다.� � � 가까이�가지� 못할� 빛에� 거하시고� -� 이것은�시� 104:2의� '주께서�

옷을� 입음같이� 빛을입으시며'와� 에스겔� 선지자가� 빛� 속에서� 하나님의� 모습을� 본� 것(겔� 1:4)과� 비교될� �

수있다.� � � 아무� 사람도� 보지� 못하였고� 또� 볼� 수� 없는� 자시니� -� 이것은� 출� 33:20-23과� 요� 1:18의� "본

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아버지� 품속에� 있는�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느니라"와� 요� 4:24의�

"하나님은�영이시니"� 등에서�찾아볼�수�있는� 개념이다.� 한편� � 헬라� � 철학에서도 이러한 신 ( 神 ) 의� �불가시적(不可視的)개념을� � 찾아� � 볼� � 수� � 있으나(Hanson),� 신약에� 언급된� 하나님의� 불가시적� 개념의�연원은� 구약� 히브리� 사상에� 있다.� � � 존귀와� 영원한� 능력을� 돌릴지어다� 아멘� -� 대부분의� 송영은� 하나님

께� 영광을�돌림으로써�결론을�맺지만� 여기서는� '존귀와�능력'을� 돌림으로써� 결론을�맺고� 있다.� � 이것은

15절의� '능하신'이라는�말과�잘�조화를�이룬다.� '아멘'은�영광송의� � 종결을� � 나타낸다(1:17).

=====6:17� � 네가� 이� 세대에� 부한� 자들을� 명하여� -� 8-10절에서� 언급된� 교훈은� '부하려는� 자들에게'�

준� 교훈인� 반면,� 본절에서� 19절까지는� 당시� '이미� 부자인� 자들에게'� 주는� � 교훈이다.� 그� 당시� 에베소

는� 부유한� 도시로서� 부자� 교인들이� 많았을� 것이다.� � � 마음을� 높이지� 말고� -� '마음을� 높이지'에� 해당하

는�헬라어� '휩셀로프로네인'(* � � � � )은� 신약성경에서� 본절에만� 나오는� 단어로� �

'자랑하다','교만하다'는� 뜻이다.� 바울은� 부자들을� 향해� 재물로� 인해� 교만하게� 행하지� 말것을� � 제일의�

교훈으로� 권면하고� 있다.� � �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 두지� 말고� -� '정함이� 없는'의� 헬라어� '아델로테

티'(* )는� '불확실성'의� 뜻을� 갖는� 말로� 신약성경에서�본절에만� 나온다.� 재물은�있

다가도�없을�수� 있고�없다가도�있을�수� 있으므로�믿을�것이 못� � 된다(눅� 12:13-21).� 잠� 23:5에도�

"정녕� 재물은� 날개를� 내어� 하늘에� 나는� 독수리처럼� � 날아가리라"고� 기록� 되어� 있다.� 한편� '소망을� 두

지'에� 해당하는�헬라어� '엘피케나이'(* � � � � � � � )는� '엘피조'(*� � � � � � � � � � � � � � � � � ,� '바

라다')의� 완료� 능동� 부정사로서� '신뢰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구절은� '불확실한� 재물을� 신뢰하지�

말고'라는� 뜻이다.� � � 오직�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두며� -� � 하나님은� �

후(厚)하신� 분으로� 그의� 자녀에게� 영육간에� 필요한� 모든� 것을� 풍족히� 채워� 주시는� � 분이시다(시�37:25� ;� 행� 14:17� ;� 약� 1:17).� 또한� 하나님은� 모든� 것을� 풍족히� 주실� 뿐만� 아니라� 그것을� '누리게'하

셨다.� '누리게'의� 헬라어� '아폴라우신'(*� � � � � )은� '즐기다'(enjoyment,� NIV)의� 의미를� 갖는다.� 혹자는�

바울이� � 그의� � 마음속에영지주의자들(Gnostics)을� 의식하고� 이� 말을� 하였을� 것이라고� 한다(Hanson).�

즉� � 그들은� 금욕주의적인� 것을� 교인들에게� 가르쳤으나(4:3)� 바울은� 금욕주의를� 반대했다(4:4).결국� 본

절에서�바울이�경계한�것은�과도한�재물욕과�그로�인해� 파생되는�악한� � 요소들이었다.

=====6:18� � 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부하고� -� 17절이� 하나님께�대한�부자들의� 태도에�역점을�

두었다면� 본절은� 타인들에� 대해� 그들이� 지녀야할� 태도에� 대해� 말하고� 있다.� 부자들은� 자신들이� 소유한�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음을�깨닫고�자신의� 재물을�선하게사용할�수� 있어야�한다.� 한편� '선한� 일'

에� 해당하는�헬라어� '아가도에르게인'(* � � � � � � � )은� 본절과� 행� 14:17에만� 등장한다.� � �

나눠�주기를�좋아하며� -� 이에�해당하는�헬라어� '유메타도투스'(* � � � � � � )는� '대가� 없이� 주다'�

혹은� '인색(吝嗇)하지� 않게� 주다'는� � 뜻을� � 갖는말로� 본절에서만� 언급되는� 단어이다.� � � 동정하는� 자가�되게�하라� -� '동정하는'의� 헬라어� '코이노니쿠스'(* � � � � � � )는� '함께� 나누다',� '공감하다',� '교제하다'

의� 뜻을� 갖는다.� 따라서� 이말은� 그리스도인인� 부자들은� 그들이� 갖고� 있는� 물질뿐만� 아니라� 그들의� 정

신적인� 것과영적인� 것까지� 없는� 자들과� 함께� 나누고� 서로� 교제해야� 함을� 의도한다(행� � 2:42-44� �

;4:34-37).

=====6:19� 이것이� 장래에� 자기를� 위하여� 좋은� 터를� 쌓아� -� 본� 구절에� 대하여� � 구구한� � 해석이있다.�

(1)� 이것은� 토비트� 4:9,� 곧� "궁핍한� 날을� 대비하여� 자신을� 위해� 좋은� 보화를� 쌓아� 두라"의� 인용이다

(Hanson).� 토비트서는� 기원전� 200년경에� 쓰여진� 것으로� 외경� 마카비서와� 함께� 유대문학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책이다.� (2)� 본구절의� '터'는� 눅� 6:48,49의� 반석� 위에� 지은� 집과� 흙� 위에� 지은� 집의� 비유

를� 통해� 그� 의미를� 보다� 잘� � 파악할수� 있다.� 또한� '터'(*� � � � � � � � � � � � � � � � � � � � � ,� 데멜리온)는� 이중적

인� 의미,� 즉� � '기초'와� '자본'의� 두� 가지� 뜻을� 함께� 내포하고� 있는� 말일� 수� 있다(Scott).� (3)� '터'란� 단

순히� '보화'를� 의미한다(Alford).� (4)� NIV에서는� 본� 구절을� "이렇게� 하여� 그들은� 장래에자신들을� 위한�

하나의� 견고한� 기초로서� 보화를� 쌓게� 될� 것이다"로� 번역하고� 있다.� � 이것은� 마� 6:19-21의� 말씀,� 곧� "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와� 의미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본� 구절에� � 대한올바른� 해석이다(Earle).� 한편� 여기서� (2)� 를� 제외한� 나머지� 세�

견해는� '터'를� '보화'로� 해석하는�일치를�보이고�있다.

=====6:20� � 디모데야�네게�부탁한�것을�지키고� -� '부탁한� � 것'의�헬라어� '파라데켄'(* � )

은� '기탁물'(deposit)로� 번역된다.� 이것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 같다.� (1)� 디모데에게� 위탁(委託)된� 건전한� 교리,� 혹은� 교훈을� 말한다(Lenski,� � Earle).(2)�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뜻한다(Simpson).� (3)�

복음을� 포함한� 성경� 전체를� 포괄한� 말이다(Hendriksen).� (4)� 이것은� 넓은� 의미를� 갖는� 말로서,� 그리스

도부터� 시작하여사도를� 거쳐� 디모데에게�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전체적인� 것을� 지칭하는� 말이다(Scott).

이상의� 견해들은� 상호� 대립되지� 않으나� 전후� 문맥상� (1)� 의� 견해가� 가장� 타당하다.� 그런데� 디모데에게�

맡겨진� 건전한� 교훈은� 본서� 전체에� 걸쳐� 언급된� 것이다.� � � 거짓되이� 일컫는� 지식� -� 이는� 당시� 영지주

의자들(Gnostics)의� 가르침이나� 유대주의의� 가르침을� 가리킨다(Earle).� � � 망령되고� 허한� 말과� 변론을�

피하라� -� '망령되고'(*� � � � � � � � � � � � � � � � � � � � � � ,� 베벨루스)는� '신성을�더럽히는'의� 의미이며(레� 10:10� ;�

딤후� 2:16),� '허한'(* � � � � � ,� 케노포니아스)은� '공허한'을� 뜻한다(1:6).� 또한� '변론'의� 헬라어� � '안

티데세이스'(*�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반대',� '대조'(antithesis)를� � 뜻한다.이러한�뜻의� '변론'

은� 영지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한� 논법으로� 혹자는� '변론'이� � 이단자마르시온(Marcion)이� 저술한� 유명한�

영지주의적� 책� '안티데세스'(Antitheses)를� � 염두에� 둔� 것으로� 보아� 마르시온의� 가르침을� 지칭하는� 것

이라고�주장하기도�한다(Scott).

=====6:21� � 이것을� 좇는� 사람들이� 있어� 믿음에서� 벗어났느니라� -� 본절은� 20절에서� 바울이� 권면한�

것을� 유념해야� 할� 이유를� 말한� 것으로� 디모데가� 그의� 교인들을� 향하여� 해야할�경고이다(Lenski).� '좇는

'에�해당하는�원어� '에팡겔로메노이'(* � � )는� '단언하다',� � '주장하다',� '고백하다'(profess,� NIV)

의� � 뜻을� � 갖는다.또한� '이것'은� 20절의� '거짓되이� 일컫는� 지식'을� 말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좇는� � 사

람들'이란� 영지주의나� 유대주의의� 가르침을� 주장하며� 그들의� 신앙으로� 그것을� � 고백하는자들을� 가리킨

다.� 이들은� 교회와의� 관계가� 단절(斷絶)된� 자들이� 아니라� 교회� 안에� � 있으면서� 교회를� 어지럽히는� 자들로서� 1:6의� '헛된� 말에� 빠진� 자들'이었다(Hendriksen).� � � 은혜가� 너희와� 함께� 있을지어다� -� 본구절

은� 바울의� 서신� 가운데� 가장� 짧은� � 축도문이다.� 바울은� 본� 서신� 서문에서도� '은혜와� 긍휼과� 평강'을� �

말하였다(1:2).� � 여기서의'은혜'(*� � � � � � � � � � � � � � � ,� 카리스)는� 하나님께서�주시는�복� 가운데�가장� 귀한� �

것으로바울은� 마지막� 축도를� 이� '은혜'로� 마치고� 있다.� 한편� KJV는� � '너희'(*� � � � � � � � � � � � � ,휘몬)를� '

너'(you)로� 번역하고� 있으나� 원문에는� 복수� '너희'로� 되어� 있다.� 따라서� � 이편지가� 디모데에게만� 국한

(局限)된� 것이� 아니라�모든� 교인들을�향해�쓰여진�것임을�알수� 있다(Guthri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