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소셜 디자인 이명호 강사 (OD Corea 대표 컨설턴트)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Embed Size (px)

DESCRIPTION

디자인싱킹에 대한 소개와 디자인싱킹(HCD)을 이용한 사회와 커뮤니티 혁신을 위한 방법을 소개

Citation preview

Page 1: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소셜 디자인

이명호 강사 (OD Corea 대표 컨설턴트)

Page 2: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이 왜 중요한가?

명품 = 브랜드(Brand) + 디자인 (Design)

디자인의 영역 확대

브랜드: 오랫동안 고객의 사랑을 받으면서 구축된 이미지

디자인: 제품을 소유하고 사용함으로써 고객의 만족감을

높여주는 요소 (고객가치의 극대화)

상품/제품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공공/사회 디자인

Page 3: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이란?

Design =

Technology + Art (아름답게 기능하도록 하는 방법)

Page 4: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의 4가지 유형

1. 디자인에 대한 개념 결핍 단계

• 기능 구현에만 치중, 형태나 사용자 편의 무시

2. 디자인을 스타일(Style)로 접근

• 기능 구현 우선, 외형을 맵시 있게 다듬는 수준

3. 기능(Function) 향상 단계

• 고객이 제품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태 변형

4.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단계

• 스타일과 형태를 뛰어넘어 고객에게 감동을 제공

Page 5: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스티브 잡스는 디자인에 대해…

“사람들은 디자인을 겉치레로

여긴다. 그러나 디자인보다 중

요한 것은 없다. 디자인은 인

간이 만든 창조물의 영혼이다.

제품이나 서비스라는 외양으로

표출되는 영혼 말이다.”

Page 6: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스타일 중심의 디자인

서울시의 디자인 구둣방: 누구를 위한 구둣방?

• 밖에선 깔끔, 안에선 답답

• 내부 공간이 작고 시야가 답답

• 창문이 작아 환기가 안됨

• 출입문 턱이 높아 손님이 불편

구둣방의 사용자인 구두 수선공의 입장이 아닌 외부인의

입장에서 디자인됨 (사용자 관점의 부재)

Page 7: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이 사회를 바꾼다!

범죄예방 디자인의 효과

마포구 염리동 : 이전 이후

• 범죄 두려움: 9.1%, 13.6% 감소

• 동네에 대한 애착: 13.8% 증가

• 범죄예방효과: 78.6%

• 만족도: 83.3%

Page 8: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의 관점에서 보다

디자인과 디자이너

디자이너가 일하는 방식

디자인: Technology (기능) + Art (아름다움)

기술자(엔지니어) 디자이너 예술가(아티스트)

• 다른 사람과 협력해서 일한다

• 관찰하며 소비자/인간의 욕구를 이해한다

• 소비자/인간이 느끼는 체험을 중요시 한다

• 손으로/시각적으로 사고한다

• 만들어 보고 테스트하고 개선한다 안나 G. 와인 오프너

Page 9: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 싱킹이란?

인간중심적인 디자인 관점의 혁신적 사고 방법

• 생산자 관점이 아닌 수요자 관점

• 경험과 공감 사람에 대한 이해

• 해결책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디자인 관점의 통합적 사고 = 논리적 사고 + 감성적 사고

= 분석적 사고 + 직관적 사고

Page 10: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디자인 싱킹와 소셜 디자인

IDEO의 인간중심 디자인 HCD Toolkit

•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받아 제작

• IDEO에서 제3세계에서 디자인 싱킹으로 커뮤니티의

혁신을 이끌어 내는, 즉 소셜 디자인 방법론을 설명

• 영문판은 7만 4천부가 무료로 다운로드 됨

• 한글 판도 무료로 배포 예정

Page 11: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소셜 디자인 프로세스

수혜자와 같이 팀을 이루어 시작하는 소셜 디자인

듣기(Hear)

창작하기(Create)

전달하기(Deliver)

Page 12: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소셜 디자인: 듣기 단계

듣기(Hear): 관찰하고 통찰 얻기

•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수집

• 이야기를 공유하며 통찰하기

• 사람들이 진심으로 바라는 것을 이해하기

Page 13: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소셜 디자인: 창작 단계

창작하기(Create):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

• 수집한 이야기를 패턴, 프레임워크로 구조화

• 핵심 문제를 파악하고 기회 영역을 탐색

• 솔루션 및 프로토타입을 구상

Page 14: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적합성

실현 가능성

지속성

소셜 디자인: 전달 단계

전달하기(Deliver): 실행/발전시키기

• 수익-비용 모델링

• 실행 역량 평가

• 실행계획 수립

• 적합성: 사람들이 진심으로 바라고 원하는 것은?

• 실현가능성: 기술, 조직적 측면에서 실현 가능한가?

• 지속성: 경제,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한가?

Page 15: 소셜디자인-HCD와 디자인싱킹

사회를 혁신하는 소셜 디자인

소셜 디자인으로 사회를 아름답게

•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파악

• 커뮤니티에 혁신을 이끌어 내는 방법론

• 다양한 데이터를 실제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로 변환

• 새로운 혁신과 사업의 기회를 볼 수 있도록 도와 줌

• 신속하고 효율적인 새로운 솔루션 개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