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6. 효율적 시장 1. 효율성과 시장 2. 효율적 자본시장의 의미 3. 효율적 시장의 세 가지 유형 4. 투자심리와 행동금융 5. 시장은 효율적인가? 6. 증시의 맹목성 7. 투자정보와 투자조언

ch.6 효율적시장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6. 효율적 시장

1. 효율성과 시장

2. 효율적 자본시장의 의미

3. 효율적 시장의 세 가지 유형

4. 투자심리와 행동금융

5. 시장은 효율적인가?

6. 증시의 맹목성

7. 투자정보와 투자조언

Section01 효율성과 시장

□ 효율성이란? ‘ 들인노력에 비해얻는결과의내용이높은특성’

▶ 경제학에서의 효율성- 배분의 효율성(allocational efficiency) – 모든 사람을 더이상만족시킬 수없는최적의자원 배분

- 사회의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키기 위해 한정된 희소자원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자원배분방식- 계획경제, 시장경제 )

- 이론적으로 완전경쟁시장에서 자원이 최적으로 배분됨 cf ) 독과점 시장

▶ 경영학에서의 효율성- 운영의 효율성(operational efficiency)- 최소의 input 으로 최대의 output

- 같은 생산량에 대해 투입을 최소화, 같은 투입량에 대해 산출을 최대화

▶ 자본시장에서의 효율성- 정보의 효율성(informational efficiency)- ‘주가는이용가능한정보를충분히반영한다’

- 효율적 자본시장이란 현재의 주가가 모든 이용가능한 정보를 반영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보가 나오면 이를 즉시 가격에 반영시키는 시장을 의미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1

과민반응

효율적 시장 반응지연반응

공시일

가격

□ 새로운 정보와 주가

▶ 효율적 시장반응 : 가격은 새로운 정보를신속하고 완전하게 받아들임

▶ 지연반응 : 가격은 새로운 정보를부분적으로 받아들임

▶ 과민반응 : 가격은 새로운 정보를과도하게 받아들임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2

□ 효율적 시장의 조건

▶ 이익의 극대화를 꾀하는 합리적인 투자자들이 다수 존재

▶ 정보가 무작위(random)로 창출되고 대가 없이 이용가능

▶ 투자자들이 새로운 정보를 즉각 평가하여 주가에 반영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3

Section02 효율적 자본시장의 의미

□ 효율적 자본시장의 의미

▶ 주가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 정보가 시장에 유입되면 가격조정이 재빨리 일어남- 가격변화는 과거나 현재의 가격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들어오는 새로운 정보에 의해무작위로 일어남

▶ 어느 누구도 일관성 있게 초과수익을 얻을 수 없다- 경쟁이 치열한 자본시장에서 언제나 실수 없이 시장을 앞설 수 없음- 공짜 점심은 없다. 눈먼 돈이 없다.

▶ 무작위로 주식을 사고팔아도 전문가만큼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시가는 그 회사의 내재가치를 반영하게 된다- 시장이 효율적 = 모든 자산들이 적정하게 평가되고 있음- 고평가 및 저평가되었다는 것이 의미가 없음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4

Section03 효율적 시장의 세 가지 유형

□ 효율적 시장의 세 유형

약형 효율성

(역사적 정보 반영)

준강형 효율성

(공적 정보 반영)

강형 효율성

(모든 정보 반영)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5

▶ 약형 효율적 시장- 과거의 모든 역사적 정보를 반영하고 있는 시장- 과거의 가격, 거래량 등의 행태를 도표로 분석함으로써 증권의 매매시기를 포착하고자하는 기술적 분석은 소용이 없음

- 과거의 역사적 정보는 이미 반영되어 소용이 없으며, 새로운 정보가 시장에 유입되면즉시 가격조정이 일어남

▶ 준강형 효율적 시장- 과거의 역사적 정보 +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반영하고 있는 시장- 경제 및 산업 기사의 분석, 재무제표를 연구함으로써 기업의 실질가치를 파악하고자하는 기본적 분석은 소용이 없음

- 모든 공개된 정보가 이미 반영되었으므로 시가는 그 회사의 내재적 가치를 적정하게나타내고 있으므로 저평가 및 고평가된 종목이 있을 수 없게 됨

▶ 강형 효율적 시장- 공개된 정보 + 비공개된 내부정보 또는 독점적 정보까지 반영하고 있는 시장- 특권적 위치에 있는 내부자나 뛰어난 능력을 가진 투자전문가 또한 초과수익 획득 불가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6

Section04 투자심리와 행동금융

□ 행동금융(behavioral finance)

- 만일 투자자들이 냉철하게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지 않다면?- 심리적 요인이 투자자의 행동과 시장의 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투자자들의 비이성적 행동을 파악하고 이를 투자에 활용하면 초과수익 가능

Ex) 비이성적 과열(irrational exuberance) →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금융위기 초래

□ 행동적 투자편의

행동편의(오류)의유형

1) 과신(overconfidence): 자신의능력을과신

2) 확인편의(confirmation bias): 자기주장을뒷받침하는정보만찾음

3) 보수적편의(conservationbias): 늦게반응하거나수정하지않으려함

4) 손실/후회회피(loss aversion): 손실종목을장기간보유

5) 쏠림현상(herding): 군중심리에편승

6) 통제착각(illusion of control): 통제가능하다고 착각

7) 기타심리적함정(other psychological pitfalls)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7

Section05 시장은 효율적인가?

□ 시장은 효율적인가, 그리고 얼마나 효율적인가?

- 한 기간에서 좋은 성과와 나쁜 성과가 그 다음 기간에도 계속 이어지는관성효과(momentum effect)가 단기적으로 존재

- 장기적으로 한 기간에서 좋은 성과와 나쁜 성과가 다음 기간에 반대되는반전효과(reversal effect)가 나타남

⇒ 단기적으로 과잉반응이 있고, 장기적으로 시장이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하기 때문

□ 시장이례현상(market anomaly)

준강형 효율성과 배치되는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현상1)기업규모효과 : 소기업효과2)계절효과 : 1월효과, 주말효과, 월중효과, 산타랠리 등3) PER 효과 : 저 PER종목4) 최초 공모주 (IPO) 현상

장점: 시장가격이 계속 공정한 가치로 접근하도록 하는 원동력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8

□ 1월효과와 주말효과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9

Section05 시장은 효율적인가?

□ 1월효과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9

뚜렷한 호재가 없어도 1월 중 주가가 다른 달에 비해 많이 오르는 주식시장의 특이 현상으로 중소형주의 초과수익이 1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전세계 각국 증시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발견됨.

원인: 주식 분석가들이 새해 예산반영등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주가 상승률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펀드매니저들은 연말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블루칩에 편입시키고 이에 소외된 소형주들이 목표가 되고, 소형주 대주주들이연초에 지분율을 높이기 위해 자사주 매수에 나서는 영향.

Section05 시장은 효율적인가?

□ 산타랠리

미국에서는 해마다 크리스마스를 전후한 연말에 각종 보너스가 집중. 또 가족이나 친지들에게 선물을 하기 위해 소비가 증가하면서 내수가늘어나고, 관련 기업의 매출도 증대됨에 따라 해당 기업의 발전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그 기업의 주식을 매입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러한 경향은 결국 증시 전체의 강세 현상으로 이어지는 현상

□ 주말효과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9

Section05 시장은 효율적인가?

주식시장에서 월요일의 수익률이 다른 요일의 수익률에 비해 낮은현상을 말한다. 기업들은 나쁜 정보가 있을때 주말 폐장이후에 발표하여 투자자들의 충동적인 반응을 회피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즉, 기업은 나쁜 정보가 주중에 발표되면 투자자들이 주식을 즉각적으로매도할 것이므로 불리한 정보는 주로 한주의 폐장이후에 발표하기때문에 월요일의 수익률이 특히 낮아지게 된다.

□ 월중효과

거래 월을 반으로 구분하여, 월의 초반이 월의 후반보다 평균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

□ 각 PER 주식군과 PBR그룹의 성과차이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10

PER(주가수익비율)=현재주가/EPS EPS(주당순이익)=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

적정PER : 10 ~ 15저 PER> 적정 PER < 고 PERPER는 상대적 지표로 비교를 통해 판단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주당순자산(BPS)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1주당 순자산이 주가를몇배 창출했느냐는 의미

BPS(주당순자산)=순자산/발행주식수* 순자산은 기업의 부채가치를 뺀 금액

Section05 시장은 효율적인가?

Section06 증시의 맹목성

□ 맹목주의

어떤 줏대를 가지고 회사의 내재가치에 바탕을 둔 장기적 투자를 하기 보다는,

어떤 재료에 의한 특정 세력의 주도하에 맹목적으로 움직이는 투자심리

투자자가 맹목적으로 그저 외국인투자자들의 행태를 뒤좇는다면 피땀 흘려 쌓아올린우리의 결실을 고스란히 갖다 바치는 꼴이 됨

→ 실력을 갖춰 해외에서 돈을 벌어들일 수 있어야 함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11

Section07 투자정보와 투자조언

• 주식은 서로 다른 주관적 판단에 의해 거래되며 누가 옳았느냐는 그 뒤에 시장에서 결정

• 정보비대칭 - 평범한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정보싸움에서 불리함• 대안으로 직접 투자보다는 펀드등 간접 투자가 유리함. • (국내 주식형 운용사별 수익 추천상품 : 한국밸류, 신영고배당)

• 정보의 비대칭과 거래수수료의 희생양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거시적 경제환경, 업종별전망, 기업의 내재가치 등에 바탕을 둔 소신 있는 투자행위가 필요함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12

주식투자 의견

1.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만 할 뿐 맹신하지 않으며, 2. 본인책임하에 하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투자한다.3. 매수시 적정가격을 정하여 ,과감한 매도를 하여야 한다.4. 우량한 기업선정하여, 꾸준한 매수전략 (SK 텔레콤의 예)

참고자료

□ 시장이례현상(market anomaly)

ⓒ 2014 김석진 All reserved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