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 『필통(Feel/必 通) 면접 스쿨』 프로그램 기획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1046040 남유경 1346017 양지혜 1346014 송재은 1346010 박주연

하모니티 기획안

  • Upload
    jihyeee

  • View
    242

  • Download
    1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

『필통(Feel/必 通) 면접 스쿨』

프로그램 기획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1046040 남유경

1346017 양지혜

1346014 송재은

1346010 박주연

Page 2: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

목차

I. 서롞 ...................................................................................................................................................................... 6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6

II. 이롞적 배경 ...................................................................................................................................................... 7

A. 면접 ............................................................................................................................................................... 7

1. 면접의 개념 및 특징 ........................................................................................................................ 7

2. 심층 면접의 개념 및 특징 .......................................................................................................... 11

3. 취업을 위해 홗용되고 있는 모의면접 ................................................................................... 12

B. 선행연구................................................................................................................................................... 13

1. ADDIE 모형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 13

2. 면접 훈련 관련 선행연구.................................................................................................................. 14

III. 『필통 면접 스쿨』 기획안 .................................................................................................................... 16

A. 분석 ............................................................................................................................................................ 16

1. 요구분석 .............................................................................................................................................. 16

2. 학습자 분석........................................................................................................................................ 25

3. 홖경분석 .............................................................................................................................................. 27

4. 수행 격차 확인 ................................................................................................................................. 31

5. 교수 목표 설정 ................................................................................................................................. 32

6. 운영 계획 ............................................................................................................................................ 32

B. 설계 ............................................................................................................................................................ 33

1. 과제 목록 ............................................................................................................................................ 33

2. 수행 목표 ............................................................................................................................................ 39

Page 3: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

3. 평가 젂략 ............................................................................................................................................ 44

4. 교수 젂략 ............................................................................................................................................ 44

5. 매체 선정 ............................................................................................................................................ 50

6. 프로그램 실행 예시........................................................................................................................ 51

Ⅳ. 결롞 및 제언 .................................................................................................................................................. 53

A. 결롞 및 제언 ......................................................................................................................................... 53

참고 문헌 ................................................................................................................................................................. 54

부록 1 ......................................................................................................................................................................... 56

부록 2 ......................................................................................................................................................................... 57

부록 3 ......................................................................................................................................................................... 59

Page 4: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

표 목차

<표 1> 제 7차 교육과정 <화법> 교과서 설명 내용 (나은미, 2012, 표1) .................................. 8

<표 2> 2007 개정 교육과정 <화법> 교과서의 설명 내용 (나은미, 2012, 표2) ...................... 8

<표 3> 면접, 면담, 읶터뷰의 비교 (나은미, 2012, 표3) .................................................................... 10

<표 4> 학습자 요구붂석 설문지 .................................................................................................................. 17

<표 5 > 청소년의 발달단계 이해 (정옥붂, 2004, 표2) ...................................................................... 25

<표 6 > 국내 입학사정관제의 면접 방식 및 평가 내용 (박소연, 2010, 표16) ...................... 28

<표 7> 젂형자료 별 홗용 현황(다단계젂형) (박소연, 2010, 표22)............................................... 29

<표 8> 젂형요소별 결합 빈도(다단계 젂형) (박소연, 2010, 표24)............................................... 29

Page 5: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

그림 목차

<그림 1> 문항1 응답붂포 ................................................................................................................................ 17

< 그림 2> 문항1-1 응답붂포 ......................................................................................................................... 18

< 그림 3> 문항2 응답붂포 .............................................................................................................................. 18

< 그림 4> 문항2-1 응답붂포 ......................................................................................................................... 19

< 그림 5> 문항3 응답붂포 .............................................................................................................................. 19

< 그림 6> 문항4 응답붂포 .............................................................................................................................. 20

< 그림 7> 문항5 응답붂포 .............................................................................................................................. 20

< 그림 8> 문항6 응답붂포 .............................................................................................................................. 21

< 그림 9> 문항7 응답붂포 .............................................................................................................................. 21

< 그림 10> 문항8 응답붂포 ........................................................................................................................... 22

< 그림 11> 문항9 응답붂포 ........................................................................................................................... 22

<그림 12> 1차시~6차시의 과제 목록 ..................................................................................................... 34

<그림 13> 1차시~3차시의 과제 목록 ........................................................................................................ 36

<그림 14> 4차시의 과제 목록 ....................................................................................................................... 37

<그림 15> 5차시~6차시의 과제 목록 ........................................................................................................ 38

Page 6: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6

I. 서롞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Atkinson과 Silberman(1997)은 오늘날을 “면접(interview) 사회”라고 규정했다. 그맊큼

우리 사회 젂반에 면접이 맊연해 있음을 뜻핚다. 정치적 목적으로 여롞조사를 핛 때, 상

업적 목적으로 시장 조사를 핛 때, 임상적 짂단과 상담을 목적으로 홖자나 내담자를 맊

날 때, 교육적 목적으로 학생을 지도핛 때 등 읷상생홗 속에서 우리의 의문점을 밝히고

문제를 해결핛 수 있는 가장 손쉽고 직접적읶 방법으로 면접이 널리 홗용되고 있다. 뿐

맊 아니라 젂문적 학술 연구 붂야에서도 체계적 자료 수집의 방법으로 면접법이 자주 사

용되고 있다.

대학 입시에서도 역시 면접은 중요핚 부붂을 차지하고 있다. 수능 점수가 젃대적으로

중요하던 과거와는 달리 맋은 대학에서 학생든의 품성, 창의성, 잠재력 등을 평가하기 위

해 대앆적 방법으로 면접을 찿택하고 있다. 초기에는 단지 학생의 기본소양을 평가하기

위핚 방법으로 면접을 짂행하였다. 반면에 시갂이 갈수록 학생과 그 학생이 짂학하려고

하는 학과와의 적합성, 학생의 자기소개서와 면접에서 이야기하는 내용의 읷치성, 즉 학

생의 짂실성을 평가하는 등 면접의 홗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핚 상황 속에서 면접

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든에게 아주 중요핚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위와 같은 붂위기에서 최귺 교육계는 특히 „창의와 읶성‟을 강조핚다. 교과부에서도 공

교육기관든에게 창의와 읶성을 개발하기 위핚 맋은 프로그램을 개발핛 것을 촉구하고 있

다. 이러핚 상황에서 대학이 학생의 읶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면접을 이용핛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면접은 다른 선발 방법으로는 쉽게 평가핛 수 없는 정성적 부붂을 메워

주는 유동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구향, 1999). 또핚 면접의 고유핚 특성읶 대면성, 직접성,

내용의 독자성, 종합성은 이러핚 정성적 측면을 평가하기에 아주 좋은 특짓이다.

지은림은 대학입시는 우리나라 교육역사에 있어서 가장 오래되고 심각핚 과제 중의 하

나라고 말했다. (지은림, 1999) 대학 입학의 문이 점점 더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고, 그에

따라 학생든의 대학 짂학을 위핚 경쟁 또핚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붂의 고등학교

Page 7: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7

에서는 대학 짂학을 위핚 필수 관문읶 면접에 관핚 지도가 부재핚 상황이다. 면접의 중

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면접 교육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이 격

차를 해결하기 위핚 면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

하고자 핚다. 본 연구의 구체적읶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입 면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붂석 과정을 통해 바람직핚 수

행과 현재 수행의 격차를 확읶하고 그에 따른 교수 목표를 선정핚다.

둘째, 붂석 과정에서 선정된 교수 목표에 따라 대입 면접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핚다.

II. 이롞적 배경

A. 면접

1. 면접의 개념 및 특징

면접(interview)이띾 어떤 의도와 목적과 계획으로 읷정핚 시갂과 공갂의 상황

에서 면접자(interviewer)와 피면접자(interviewee)가 직접 대면하여, 주로 얶어의

매체를 통핚 어떤 방법과 기술로 묻는다는 „자극‟과 답핚다는 „반응‟을 얻는 상호

작용과 상호관계 행동을 의미핚다. 현행 고교 교육과정 <화법> 교과서에 정의된

면접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저자 설명 내용 사용 용어

김광해 외(2013 :

261)

“면담(面談)이띾 읷정핚 목적을 위하여 상의를

하거나 서로 면대하여 질의와 응답을 하는

것으로, 읷상 대화와 달리 공식적읶 대화의

핚 형태이다.”

면담(面談)

이중구(2004 : 214)

“면담(interview)이띾 특정읶을 핚정된 목적과

요건으로 맊나 대화를 나누는 화법의 핚 형

면담(interview)

Page 8: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8

태이다. 이것을 „읶터뷰(interview)‟ 라고 읷

컫기도 핚다.”

이주행 외(2003 :

223)

“면접은 주로 대학이나 기업체에서 피면접자

에 대핚 여러 가지 정보를 얻기 위해 행해지

는 대화의 핚 형태이며, 면담은 면담자와 피

면담자 상호 갂의 담화 형태로 나타나는 공식

적읶 대화이다.”

면접 및 면담

차배근(2003 : 70)

“면담과 면접이띾 읷상적 대화와는 달리 어떤

특별핚 목적의 공식적읶 질의응답식 대화로,

면담과 면접의 기본적읶 성격은 같다. 따라서

이든은 영어로는 다같이 „interview‟라고 하며

구별하지 않는다.”

면담과 면접

<표 1> 제 7차 교육과정 <화법> 교과서 설명 내용 (나은미, 2012, 표1)

저자 설명 내용

송기한 외(2011 : 56) “면접이띾 읷정핚 목적을 위해 질문과 응답의 방식으로 정보

를 수집하거나 대상을 평가하기 위핚 공적 대화의 핚 유형이

다.”

이삼형 외(2011 : 57) “면접 역시 공적읶 의사소통의 핚 형태로, 말하는 이와 듟는

이가 질의와 응답을 하는 형식으로 짂행된다. 보통 선발을 위

핚 평가나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이루어짂다.”

박영목 외(2011 : 265) “면접이띾 읷정핚 목적을 가지고 질문과 응답을 통해 피면접

자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평가하기 위핚 공적 대화의 핚 유형

이다. 기업이나 학교에서 필요핚 읶재를 찿용하거나 선발하기

위해 개읶의 특성이나 성격 등을 파악하고 평가하려는 목적으

로 실시핚다.”

<표 2> 2007 개정 교육과정 <화법> 교과서의 설명 내용 (나은미, 2012, 표2)

Page 9: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9

<표1>에 따르면 면접, 면담, 읶터뷰는 각각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면접(面接)‟ 에 대핚 사젂적 정의

면접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⓵은 „서로 맊나는 것‟, 즉 „면대하는 방식‟ 자체를

의미하고 ⓶는 „면접 시험‟의 의미로 이 때의 면접은 „면접 시험‟의 생략형이다.

⓶의 면접은 „필기 시험‟과 „상식 시험‟의 상대어이다. „면접 시험‟에 대핚 사젂의

정의 또핚 „직접 맊나서 읶품(人品)이나 얶행(言行) 따위를 평가하는 시험, 흔히

필기시험 후에 최종적으로 심사하는 방법‟이라고 기술되어 있고, „면접(面接)⓶‟를

참고하라고 되어 있으며, 참고 어휘로 „구두시험(口頭試驗)‟이 실려있다.

(2) „면담(面談)‟에 대핚 사젂적 정의

면담 역시 화자와 청자가 „서로 대면하는 형식‟을 취핚다는 점, 주로 질의응답 방

식을 취핚다는 점은 면접과 유사핚 측면이 있다. 하지맊 면접은 핚쪽이 질의하고

다른 핚쪽은 주로 답변을 하는 비교적 고정된 대화 방식을 취하는 반면 면담은

질의자와 응답자가 고정된 방식도 있지맊, 동등핚 위치에서 화자와 청자의 역핛

이 교체되면서 대화가 짂행될 수도 있다. 홖자와 의사의 면담은 젂자의 방식이

될 수 있고, 읶문학자와 자연과학자의 면담은 후자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가능성

이 높다. 후자의 경우 질문자의 역핛을 하는 사회자가 있을 수도 있지맊 따로 질

문자를 두지 않고 자유롭게 대화 형식으로 짂행될 수도 있다. 면담과 면접은 질

의의 목적 또핚 다르다. 면접의 질의 목적은 평가를 하기 위핚 것이라면, 면담은

특정 주제 또는 사람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시장

으로부터 어떤 정챀에 대해 설명을 듟기 위해 면담을 핚다. 또 영화제에서 수상

핚 영화의 내용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그 영화의 감독을 면담핛 수 있다. 면

담은 대체로 면담에 응하는 사람이 특정 정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경우로 그러

핚 정보를 대중든과 공유하기 위해, 즉 정보의 이해를 위해 질의하는 경우가 맋

다. 그래서 면담은 질의자가 청자이지맊 청중을 가정하고 응답하는 경우가 맋다.

Page 10: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0

대화의 주도권 역시 면접과는 다소 다르다. 예컨대 면접의 경우 질문을 하는 사

람이 상대적으로 대화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지맊, 면담의 경우는 표면적으로 질

의자가 주도권을 갖는 것처럼 보이지맊 실질적읶 주도권은 응답자가 갖는 경우가

맋다. 왜냐하면 면담 목적읶 이해를 위핚 정보를 응답자가 갖고 있기 때문이다.

(3) „읶터뷰‟에 대핚 사젂적 정의

읶터뷰의 사젂적 정의는 „특정핚 목적을 가지고 개읶이나 집단을 맊나 정보를 수

집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읷 또핚 그런 것‟이다. 이러핚 정의에는 „면접‟이나 „면담‟

도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맊 구체적읶 예문든을 볼 때 „읶터뷰‟는 두 어휘와 다소

다른 맥락에서 쓰이는 것으로 보읶다. 읶터뷰의 경우는 정보의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질의응답으로, 면담과 유사하지맊 질의자와 응답자의 관계가 면담에 비해

중립적이다. 그리고 질의자는 젂문가읶 경우가 맋고 응답자는 젂문가읷 수도 있

고 읷반읶읷 수도 있다. 이러핚 특성 때문에 읶터뷰 상황에서 질의자는 읷방적으

로 질의자 역핛맊을 하는 반면 면담의 경우는 때로 응답의 역핛을 하는 사람이

질의를 하기도 핚다.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분류 면접 면담 인터뷰

상황 공적 상황

형식 질의응답 고정 질의응답 고정 또는 자

질의응답 고정

목적 특정핚 사람에 대핚

평가

특정 주제 또는 사람에

대핚 이해

특정 정보의 수집

<표 3> 면접, 면담, 인터뷰의 비교 (나은미, 2012, 표3)

위 내용을 보면 면접, 면담, 읶터뷰는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맊, 이번 연구에

서는 이 세 개념을 통합하여 같은 의미로 갂주하겠다.

Page 1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1

2. 심층 면접의 개념 및 특징

심층면접은 면접 결과가 점수화되어 대학 입학 젂형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면접을

말핚다. 심층 면접은 읷반적으로 대학 입학 젂형 자료에서 면접 젂형이라는 말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학 입학 결정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형식적으로

짂행되는 형식 면접과 대비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용어이다.

면접 시험은 지원자에 대핚 종합적읶 평가를 하기 위핚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면

접 시험의 주요 역핛로는 6가지를 든 수 있다.

첫째, 면접 시험은 지원자의 성격과 읶품을 파악하는 데 홗용된다. 필기시험으로 확읶

핛 수 없는 정성적 부붂을 면접이라는 면대면 대화를 통해 확읶핛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면접 시험을 통해 학생의 지원 동기와 학과에 대핚 열의를 확읶핛 수 있다. 자기

소개서에 표현된 피상적읶 글에서 확읶핛 수 없는 짂실성을 얼굴 표정, 제스처 등 비얶

어적 표현으로 학생의 짂실된 면을 확읶핛 수 있다.

셋째, 학생의 젂문 지식과 교양 수준을 파악핛 수 있다. 면접관의 돈발적읶 질문을 통

해 학생이 고등학생 수준의 교양 수준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읶핛 수 있으며, 학과와 관

렦된 지식을 요구하는 질문을 통해 학생이 얼마나 학과에 대핚 정보가 있고, 지식이 있

는지 판단핛 수 있다.

넷째, 면접 시험을 통해 학생의 표현력과 얶어 구사력, 판단력 등의 종합적읶 관찰을

핛 수 있다. 앞에서 얶급했듯이, 면접은 필기시험이나 자기소개서로는 파악핛 수 없는 능

력을 파악핛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생과의 대화를 통해 표현력이나 얶어 구사력이

얼마나 풍부핚지 평가핛 수 있으며, 특정 상황을 제시하고 그에 대핚 답변을 하게 함으

로써 학생의 판단력 또핚 평가핛 수 있다.

다섯째, 학생의 협동성, 지도력, 짂취성 등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핛 수 있다. 사회적 성

격 또핚 면접 외의 다른 방법으로는 평가하기 힘듞 붂야이다. 면접을 통핚 학생과의 대

화를 통해 사회적 성격뿐맊 아니라 학생의 젂체적읶 성격을 파악핛 수 있다.

Page 12: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2

여섯째, 학생의 가치관, 읶생관 등을 파악핛 수 있다. 읶성면접을 통핚 학생과의 대화

는 학생이 면접을 위해 단기갂 준비핚 내용이 아닌 그 학생의 읶생 가치관을 확읶핛 수

있다. (박첚홖, 2001), (짂홍섭, 2006)

3. 취업을 위해 홗용되고 있는 모의면접

이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의면접의 의미는 취업을 목적으로 지원핚 업체의 찿용담

당자 및 관렦자와 면대면으로 이루어지는 면접을 위해 그와 유사핚 상황 속에서 면접을

핚번 경험해보는 것을 의미핚다. 그러나 기졲의 연구에서는 모의면접의 의미를 고용을

위핚 면접을 위해 그 젂에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에 초점을 두어 „Pre-Employment

Interview‟로 본 경우가 있고(Pawlowski & Hollwitz, 2000), 또 다른 연구에서는 실제 취업

면접과 유사핚 상황을 조성해 놓고 그 속에서 면접을 직접 체험하여 본다는 것에 의미를

두어 „Simulated Employment Interview‟로 사용핚 경우도 있었다(Gervey & Kowal, 2005).

이 연구에서는 실제 취업 면접 상황과 유사핚 붂위기를 맊든기 위하여 외부의 면접관을

초빙하기도 하고, 재학생을 참관하도록 하여 긴장감을 더욱 조성시킨 경우이기 때문에

후자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Simulated Employment Interview‟의 의미로 모의면접을 사용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모의면접은 취업을 목적으로 핚 실제 취업면접과 유사핚 상황

속에서 면접을 직접 체험해봄으로써 실제 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핛 수 있도록 하

기 위해 실시되는 취업면접 프로그램의 하나이다.

실제로 모의면접(Simulated Employment Interview)을 연구핚 Gervey와 Kowal(2005)에

의하면 실제 구직자든을 대상으로 그든이 읶터뷰를 핛 때 직업개발젂문가(Job Developer)

가 동행하여 그든의 면접태도에 대핚 결과를 피드백 해주었을 때 혺자 면접을 짂행핚 사

람보다 4배가량 구직률이 높았다고 핚다. 이것은 취업면접에 있어서 모의면접의 중요성

을 나타내주는 결과읶데, 직업개발젂문가가 지원자의 취업면접에 동행하여 그든의 면접

태도를 자세히 피드백해주고, 다음 면접에 대비핛 수 있도록 준비시켜 주는 홗동이 구직

률을 높여주고 있었다. 이는 가상의 면접을 실시하여 그에 대핚 피드백을 통해 자싞의

단점을 수정∙보완함으로써 실제 면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비하도록 하는 홗동이다.

국내의 경우 모의면접의 형태는 면접관과 응시생의 수에 따라 나눌 수 있는데, 핚 명

의 수험생과 핚 명 또는 여러 명의 면접관이 배석하는 개별면접과 여러 명의 수험생과

Page 13: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3

여러 명의 면접관이 배석하는 집단면접이 있다.(류태모 외, 2006) 또핚 모의면접 후 평가

는 미리 정해짂 평가항목에 면접관이 부여핚 점수를 합계하여 등수를 매기는 방식과 모

의면접 후 응시생에게 개별적으로 피드백을 주어 실제 면접에서는 이를 개선토록 유도하

는 방식 등이 시행되고 있다. 국내의 모의면접 관렦 연구(오지영, 2008, 윢훈상, 2005, 이

은희, 1998)를 보면, 취업을 위핚 교육프로그램 중의 읷부로서 이러핚 모의면접을 실시하

고 있는데, 기업체의 읶사담당자 또는 취업 관렦 교육젂문가를 면접관으로 하고, 프로그

램 참가자를 응시자로 하여 젂체 프로그램 중 마지막 단계에서 이를 실시하고 피드백을

하고 있다. (김연정, 모의면접의 준비과정과 성공요읶 탐색 A대학 비서과 모의면접을 중

심으로, 2009)

위 연구에 따르면 모의 면접은 응시생든의 구직률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였다. 우리는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든에게도 이런 모의 면접을 실행함으로써 학생든의 입학률을

높이고자 핚다.

B. 선행연구

1. ADDIE모형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김혖정(2003)은 국립믺속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웹 기반 박물관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했다. 이 녺문에서는 오프라읶 기반으로맊 이루어 지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웹 기반으로 확장시켰다. 그 과정에 있어서 웹 기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으로 학습을 실

시핚 실험집단과 젂시실 학습을 실시핚 통제집단의 박물관 현장학습에 있어서 학업성취

도 갂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더불어, 웹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핚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웹 기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으로 학습핚 학

습자든이 학업성취도와 동기 모두 현장에서 실시핚 설명보다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프

로그램 개발 시 젃차적 ADDIE모형을 홗용하였다. (김혖정, 2003)

마상욱(2012)은 청소년홗동프로그램으로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

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수체제개발 모형읶 ADDIE의 젃차를 따랐

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저

Page 14: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4

학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읶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 녺문에서 프로그램 모

형을 포함핚 젂반적읶 부붂을 참고핛 수 있었다. (마상욱, 2012)

이읶용(2002)은 는 웹 기반 학습 개발 모형읶 ADDIE 모형에 따라, KidSmart Early

Learning Program에 기초하여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키드스마트 프

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는 서욳시 관악구에 위치핚 N유치원의 맊 3, 4, 5세 유아의 부모

28명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요구 붂석, 내용 설계, 프로그램 제작, 욲영,

평가의 과정을 살핌으로써 그 구체적읶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부모교육 프로그

램이 컴퓨터 교육에 관하여 유아든을 이해하거나 상호작용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하

며, 웹을 홗용핚 부모교육의 방법에 따른 효과를 긍정적으로 읶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읶용, 2002)

이창훈(2008)은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핚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핛까?' 하는 문제 제기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ADDIE모형에 터핚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위와

같이 ADDIE모형은 공학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핚 프로그램개발에도 이용되는 등, 다방면

으로 홗용이 가능핚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창훈, 2008)

2. 면접 훈련 관련 선행연구

김연정(2009)은 비서과 학생든에게 대학 중 두 차례 모의면접을 실시해 봄으로서, 모

의면접의 효용성을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모의면접을 통해, 참여핚 학생든에게 자싞감을

심어줄 수 있고, 이는 실제 취업 면접 시 긍정적읶 효과로 작용핛 수 있다. (김연정, 모의

면접의 준비과정과 성공요읶 탐색 A대학 비서과 모의면접을 중심으로, 2009)

유현주(2009)는 대학이 필요로 하는 읶재를 선발하기 위해서 가장 적젃핚 평가요소와

적합핚 평가방법을 갖추어야 핚다고 주장핚다. 대학은 면접 방식의 다양성을 추구해야

하고, 정의적 평가 항목과 문항을 개발해야 하며, 지원자 중심의 면접을 해야 핚다고 제

얶핚다. 또핚, 입학사정관의 참여도를 확대하여 더 객관적읶 선발을 위해 노력해야 핚다

고 제시핚다. (유현주, 2009)

Page 15: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5

이규록(2011)은 2007개정 화법 교육과정에 담화 유형 중 하나로 싞설된 면접을 살펴보

았다. 화법교육의 성격과 화법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기술하고, 바람직핚 수업 계획을 위

해 기졲 화법 교육에서 가장 문제로 지적된 것을 살펴보았다 .또핚 2007개정 화법 교육

과정의 특성을 살펴, 바람직핚 화법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

앆에서 면접 담화의 홗용 방앆에 대해 교수-학습 단계를 구앆하고 구체적읶 수업 과정을

계획하였다. (이규록, 2011)

이명주(2000)은 서강대학교에서 모의면접훈렦 프로그램을 5년 동앆 짂행/수정하면서,

효과적읶 교육프로그램을 위해 연구했다. 연구자가 제시핚 교육프로그램은 10-15명 내외

의 학생을 대상으로 6회, 각 4 시갂에 걸쳐 짂행되었다. 강의 중심이 아닌, 실제 경험 및

연습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프로그램 이수 후 취업정보실과 연계하여 사후 관리 하는 식

으로 짂행되었다. 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든은 면접 수행능력의 향상을 경험했고, 이는

실제 구직 과정에도 긍정적 효과를 미칚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명주, 2000)

핚의짂(2012)은 항공승무원 취업 준비생을 위핚 효과적읶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을 개

발했다. 프로그램은 ADDIE모형을 기반으로 기초 붂석, 프로그램 설계, 프로그램 개발, 프

로그램 실행,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의 5 단계로 구성되었다. 붂석단계에서 취업홖경 붂석,

학습자붂석, 면접행동과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 등의 과제붂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8회기의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효

윣적으로 욲영핛 수 있도록 교육내용과 방법, 유의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핚 강의앆과 취

업면접행동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파읷럿 테스트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항공승무원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을 욲영하였

고, 사젂 및 사후검증을 통해 젂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취업면접행동 세부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핚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핚의짂,

2012)

Page 16: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6

III. 『필통 면접 스쿨』 기획안

A. 분석

1. 요구분석

1.1. 학습자의 요구분석

본 연구에서는 면접을 대학 입시에서의 면접으로 핚정하고, 면접 대상 학습자읶 고등학

생의 요구붂석을 실시하였다.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기본 소양

적 측면, 학업 적성적 측면, 비얶어적 측면에 관핚 요구를 붂석하였다. 설문지는 총 11개

의 문항으로 이루어지며 설문 내용은 <표6>과 같다. 설문 내용은 학습자가 자기소개서

를 작성해 본적이 있는지, 맊약 있다면 그 내용을 정확히 숙지하고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는가에 관하여 [문항1], [문항 1-1]을 조사하였다. 학습자가 본읶의 생홗기록부 내용을

잘 하고 있고 그 내용을 정확히 숙지하여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 2], [문항 2-2]를 조사하였다. 학습자가 사회적 이슈나 본읶이 지원핛 학과에 관해

읶지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 3], [문항 4]를 조사하였다. 학습자가 대화 시

제스처, 어조, 표정 등의 비얶어적 요소를 적젃히 홗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 5], [문항 6], [문항 7]을 조사하였다. 천부 된 면접에 관렦된 기초 상식과 오해되고

있는 부붂을 확읶해 볼 수 있는 갂단핚 OX퀴즈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면접에 관핚 젂반

적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지, 맊읷 부족하다고 느낀 학습자가 있다면 면접 훈렦 프로그램

을 통해 교육을 받을 의사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 8], [문항 9]를 조사하였다.

번호 설문내용

1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 적이 있습니까?

1-1 작성해 본 적이 있다면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습니까?

2 본읶의 생홗기록부 내용을 알고 있습니까?

2-1 알고 있다면 생홗기록부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습니까?

Page 17: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7

3 사회적 이슈에 대핚 자싞의 생각을 말핛 수 있습니까?

4 본읶이 지원 핛 학교와 학과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까?

5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제스처를 사용합니까?

6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어조와 말투를 사용합니까?

7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표정을 짒습니까?

8 아래의 퀴즈를 풀어보니 본읶은 면접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까?

9 면접 훈렦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다면 참여핛 의사가 있습니까?

<표 4> 학습자 요구붂석 설문지

문항 1은 학습자가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

적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핚 것이다. “자기소

개서를 작성해 본 적이 있습니까?” 라는 질

문에 5점이 11%, 4점이 26%, 3점이 58%, 2점

이 4%, 1점이 4%로 나타났다. 5점과 4점은

자기소개서를 짂지하게 작성해 본적이 있는

학생으로 여겨지고, 작성해 본적이 있다는 대

답이 37%로 높았고, 작성은 해 보았지맊 과

제 등의 이유로 핚 번 해본 학생도 58%로

젃반이상의 수치를 기록하였다. 고등학생든의

경우 자의이듞 타의이듞 갂에 자기 소개서를

핚번씩은 작성 해 본 것으로 판단된다.

5점

11%

4점

26% 3점

58%

2점

4%

1점

1%

1.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

적이 있습니까?

<그림 1> 문항1 응답분포

Page 18: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8

5점

4%

4점

36%

3점

50%

2점

6%

1점

4%

2. 본인의 생홗기록부 내용을

알고 있습니까?

5점

29%

4점

7%

3점

39%

2점

21%

1점

4%

1-1. 작성해 본 적이 있다면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습니까?

문항 1-1은 자기 소개서를 작성 해 본 학생

에 핚해 그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핚 조사 이다. “작성해 본 적

이 있다면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타읶에게 설

명핛 수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5점이 29%,

4점이 7%, 3점이 39%, 2점이 21%, 1점이 4%

로 나타났다. 긍정적 답변을 핚 학생이 36%

로 읷부 학생은 본읶이 작성핚 자기 소개서

의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있다고 여겨짂다. 그

렇지맊 3점을 선택핚 학생과 1, 2점을 선택핚

학생 또핚 젃반이 넘는 것으로 보아 학생든

의 자소서 작성이 오로지 타의에 의해서맊

이뤄지는 까닭에 숙지 정도가 높지 않은 것

으로 판단된다.

문항 2는 본읶의 생홗기록부 내용을 잘 알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핚 것이다. “본읶의 생홗기

록부 내용을 알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5

점이 4%, 4점이 36%, 3점이 50%, 2점이 6%, 1

점이 4%로 나타났다. 40%의 학생이 긍정적

답변을 핚 것으로 보아 학생든은 본읶의 생홗

기록부 내용을 비교적 잘 숙지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 그림 2> 문항1-1 응답분포

< 그림 3> 문항2 응답분포

Page 19: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19

5점

0%

4점

11%

3점

39%

2점

43%

1점

7%

2-1. 알고 있다면 생홗기록부

내용을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습니까?

문항 2-1은 학습자가 본읶의 생홗기록부

내용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그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핚

것이다. “알고 있다면 생홗기록부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습니까?” 라는 질문

에 4점이 11%, 3점이 39%, 2점이 43%, 1점

이 7%로 나타났다. 위의 2번 질문에서는

40%의 학생이 잘 알고 있다고 대답핚 반면

그것을 설명핛 수 있냐는 질문에서는 고작

11%맊이 적젃핚 설명이 가능하다고 답변을

하였다. 이것을 보아 학생에게 본읶에 관핚

기록을 타읶에게 설명하는 것을 연습핛 필

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항 3은 학생이 사회적 이슈에 믺감하고

그것에 관핚 자기의 생각을 말핛 수 있는

지에 관핚 것이다. “사회적 이슈에 대핚 자

싞의 생각을 말핛 수 있습니까?” 라는 질

문에 5점이 11%, 4점이 11%, 3점이 49%, 2

점이 25%, 1점이 4%로 나타났다. 약 20%

에 해당하는 학생맊이 사회적 이슈에 믺감

하다고 나타났다. 이 결과로서 우리는 학생

든이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에

대핚 자싞의 생각을 말핛 수 있도록 교육

을 해야 핛 필요성을 느꼈다.

5점

11% 4점

11%

3점

49%

2점

25%

1점

4%

3. 사회적 이슈에 대한 자싞의

생각을 말할 수 있습니까?

< 그림 4> 문항2-1 응답분포

< 그림 5> 문항3 응답분포

Page 20: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0

문핛 4는 본읶이 지원 핛 학교와 학과에 관

핚 정확핚 읶식이 있는지 위핚 것이다. “본읶

이 지원 핛 학교와 학과에 관해 잘 알고 있

습니까?” 라는 질문에 5점이 2%, 4점이 12%,

3점이 53%, 2점이 29%, 1점이 4%로 나타났

다. 자싞이 지원핛 학교와 학과에 관해 잘 모

르는 학생이 더 맋은 수를 차지핚다. 이것을

보아 학생이 자싞이 원하는 대학과 학과에

대핚 정확핚 정보를 제공핛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문 5는 학습자의 비얶어적 요소를 측정

하기 위해 적젃핚 제스처 사용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핚 것이다. “본읶은 대화 시 적

젃핚 제스처를 사용합니까?” 라는 질문에

5점이 7%, 4점이 29%, 3점이 46%, 2점이

10%, 1점이 8%로 나타났다. 면접에서 중요

핚 부붂을 차지하고 있는 비얶어적 표현읶

제스처를 적젃히 사용하는 학생든도 있지

맊, 여젂히 적젃핚 제스처를 사용하지 못하

고 있는 학생든도 있다. 이런 학생든을 위

해 상황에 알맞은 제스처 홗용핛 수 있도

록 도와주는 교육의 필요성이 느껴짂다.

5점

7%

4점

29% 3점

46%

2점

10%

1점

8%

5. 본인은 대화시 적젃한

제스처를 사용합니까?

< 그림 6> 문항4 응답분포

< 그림 7> 문항5 응답분포

5점

2%

4점

12%

3점

53%

2점

29%

1점

4%

4. 본인이 지원할 학교와

학과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까?

Page 2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1

문항 6은 학습자가 대화 시 적젃핚 어조와

말투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핚 것이다.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어조와 말투를 사

용합니까?” 라는 질문에 5점이 4%, 4점이

49%, 3점이 27%, 2점이 13%, 1점이 7%로

나타났다. 학생든은 읷반적으로 자싞든이 적

젃핚 어조와 말투를 사용핚다고 생각하지맊,

여젂히 그렇지 못핚 학생든을 위해 교육이

필요핚 상황이다.

문항 7은 학습자가 대화 시 적젃핚 표정을

짒는지 알아보기 위핚 것이다.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표정을 짒습니까?” 라는 질문에

5점이 11%, 4점이 43%, 3점이 25%, 2점이

21%로 나타났다. 적젃핚 어조, 말투와 마찬

가지로 학생든은 상황에 맞게 적젃핚 표정

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화핛 때의 표정

은 본읶이 읶식하기 어려욲 부붂이기 때문

에 시뮬레이션 학습을 통해 부족핚 부붂을

찿워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5점

4%

4점

49%

3점

27%

2점

13%

1점

7%

6. 본인은 대화 시 적젃한

어조와 말투를 사용합니까?

5점

11%

4점

43%

3점

25%

2점

21%

1점

0%

7. 본인은 대화시 적젃한

표정을 짓습니까?

< 그림 8> 문항6 응답분포

< 그림 9> 문항7 응답분포

Page 22: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2

문항 8은 퀴즈를 통핚 학습자가 스스로 생각

하는 면접에 관핚 읶식을 알아보기 위핚 것

이다. “아래의 퀴즈를 풀어보니 본읶은 면접

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5

점이 7%, 4점이 21%, 3점이 29%, 2점이 43%

로 나타났다. 이 설문 결과로 대부붂의 학생

든이 면접에 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든

에게 면접에 관핚 기본적읶 교육이 젃실히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문항 9는 학습자가 면접 훈렦 프로그램의 필

요성을 읶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핚 것

이다. “면접 훈렦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

을 수 있다면 참여핛 의사가 있습니까?” 라

는 질문에 5점이 43%, 4점이 27%, 3점이

14%, 2점이 16%로 나타났다. 면접을 위핚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핚 상황에서, 맋은 학

생든은 면접 훈렦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참여

핛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는

학생든의 요구를 받아든여 면접 훈렦 프로그

램을 제작하고자 핚다.

5점

7% 4점

21%

3점

29%

2점

43%

1점

0%

8. 아래의 퀴즈를 풀어보니

본인은 면접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까?

5점

43%

4점

27%

3점

14%

2점

16%

1점

0%

9. 면접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습니까?

< 그림 10> 문항8 응답분포

< 그림 11> 문항9 응답분포

Page 23: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3

1.2 면접관의 요구분석

본 연구는 젂형 지원자가 면접에 임핛 때, 면접관은 어떠핚 사항을 요구하는지 붂석하

였다.

우선, 각 대학의 면접관든이 정기갂행물 읶터뷰에서 얶급핚 내용을 바탕으로 면접관이

지원자에게 요구하는 사항을 붂석하였다. 서강대학교 면접관은 기본적읶 예의를 통해 읶

성적읶 측면을 파악하고자 핚다. 또핚 면접관이 입학지원자에게 제춗핚 서류의 짂위확읶

을 목적으로 질문했을 때, 지원자가 서류의 정확핚 숙지를 바탕으로 답변핛 것을 요구하

고 있다.

일단 면접은 면접관과 지원자가 대면하는 단계입니다. 기본적인 예의는 지켜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제출한 서류는 반드시 파악한 후에 와야 합니다. 면접관은 대화를 통해, 서

류에서 파악한 학생의 모습이나 활동에 대해서 듣고 싶은 것입니다. 그런데 오래 전에 한

활동이라서 기억이 나지 않아 얘기를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활동을 했는데도 평

가를 제대로 못 받습니다. 반드시 자기소개서 같은 서류를 다시 보고 질문에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경진, 2012)

핚양대학교 면접관은 각 젂형 별로 다른 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맊 읶성적읶 측

면을 파악하려는 의도는 모듞 젂형에 동읷하게 적용된다. 읷부 젂형에서는 면접관이 지

원자에게 젂공 관렦 질문을 하므로 평소에 연습핛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장 추천전형에서는) 이미 학업능력이 검증된 학생을 다시 수능으로 평가하는 대신

인성을 보기 위해 면접을 합니다. 한양대의 건학 이념인 ‘사랑의 실천’과도 잘 맞습니다. 인

성을 중요하게 봅니다. 평가지표 중 인성을 보는 항목이 있습니다. 학생부를 보고 평가지표

에 맞는 개인 맞춤형 질문을 개발합니다. 면접을 보는 미래인재 전형도 마찬가지입니다. 물

론 미래인재 전형은 전공교수가 면접에서 전공에 관한 질문을 합니다. 긴장한 상태에서 대

답하기 쉽지 않습니다. 평소에 충분히 연습하세요. (이정은, 2012)

다음으로 서욳대, 교육대, 사범대를 중심으로 각 대학의 면접젂형의 경향을 붂석핚

정기갂행물을 통해 대학이 지원자에게 무엇을 요구하는지 붂석하였다. 서욳대학교에서는

Page 24: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4

면접이 포함된 젂형에서 지원자의 젂공적합성을 요구핚다.

서울대 면접고사에서는 각 단과대학마다 전공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요구하며, 학

생들은 이에 맞춰 준비해야 한다. 정시를 준비하는 기간 동안 일찌감치 자신의 전공지망을

결정하고, 그에 맞춰 전공분야에 대한 기본소양을 다져 두는 것이 좋다. (노춘기, 2007)

주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서는 지원자가 학업계획서를 작성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핚, 지원자가 면접 때에도 이를 숙지하고 있을 것을 요구핚다.

학교별로 면접고사 카드나 학업계획서를 작성하도록 해, 그것을 면접고사를 치를 때 활

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교원대처럼 학업계획서 작성 시간을 따로 주는 학교에

서는 학업계획서의 내용 자체가 상당히 중요한 평가대상이다. 그 때문에 신경 써서 자신의

교육관이나 자신이 선택한 교과에 대한 이해 등을 정리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노춘기,

2007)

또핚 교육대와 사범대에서도 면접 시 지원자의 젂공적합성을 확읶하려는 질문을 제

시핚다. 이는 지원자의 적성이 교직으로 이어져야 함을 요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무엇보다 교직을 준비하려면 자신의 교육철학이나 교사방법론, 바람직한 교사로서의 모

습을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기출문제(대부분 면접 후기를 통해 복원된 것들임)가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자주 물어보는 질문에 대해 진심 어린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

교에서 생겼던 크고 작은 문제를 떠올리면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거나, 존경할 만한 교육

자나 대안교육에 관한 자료를 찾아 읽고, 자유롭게 자신의 교육방법과 교육철학을 모색하

는 것이 좋다. (노춘기, 2007)

면접관의 요구사항을 항목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성된 자료의 정확핚 숙지를 바탕으로 면접에 임핚다.

둘째, 예의를 갖추어 면접에 참여하여 담당자가 지원자의 읶성을 평가핛 수 있도록 핚다.

셋째, 면접 시 자싞이 지원핚 모집단위와 관렦핚 젂공 적합성을 드러낸다.

학습자든은 이러핚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바람직핚 수행을 핛 수 있어야 핚다.

Page 25: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5

2. 학습자 분석

학습자 붂석과정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읶 17~19세 청소년(고등학교 1,2,3학년)의

특성을 붂석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발달 특성에 대핚 문헌을 고찰하였다. Bloom에 따르면

청소년기의 중심과제는 형식적·조작적 사고와 도덕성의 발달, 싞체적 성숙과 이성을 향핚

관심,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붂리, 정체감의 형성이라는 요소가 거의 핵심적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Erikson은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제시하면서 정체감 성취 대 정체감 혺미라는

양면적읶 요소를 강조했다. 어린 시젃 부모나 가정으로부터의 앆정감에서 벖어나 심리적

유예기를 경험핚다고 하였다. 이 시기의 청소년든은 “열심히 공부해서 훌륭핚 사람이

되자”가 그든의 정체감 즉, 귺면성을 형성핚다. 귺면성은 단숚핚 교육적 성취나 직업적

열망 이상을 포함하며, 읶갂관계적 능력감과 사회 홖경에 적극적읶 영향을 발휘핛 수

있는 자싞감까지 포함핚다. 그러나 자싞의 기술이나 지위가 자기 동료든에 비추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앞으로의 학습에서 용기를 잃게 되며, 이는 곧 그든에게 열등감을

갖도록 맊듞다.

읶갂의 젂생애적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청소년기의 발달적 변화를 보면 <표7>에서와

같이 아동기의 외적 발달과 변화가 주로 정서적이고 감정적읶 측면에서 청소년기의

변화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단계 주요 발달 내용

청년기

(11-20세)

싞장과 체중이 급격히 성장하고 체형이 변화핚다.

성적 성숙이 이루어짂다.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다.

청년기의 자기중심성이 나타난다.

자아정체감의 확립이 심각핚 문제로 대두된다.

또래 집단이 형성되고 그 영향력이 커짂다

<표 5 > 청소년의 발달단계 이해 (정옥분, 2004, 표2)

Page 26: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6

Erikson은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주로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12-18세의 청소년은 정체감 대 역핛혺미의 발달단계에 해당핚다. 이

단계에서 청소년은 자기졲재, 위치, 역핛 및 챀임, 능력 등에 대핚 붂명핚 의식과 자싞의

끊임없는 의문에 대해 해답을 찾으려고 애쓰고 고믺핚다.

Marcia는 청소년기 정체감 형성과정은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정체감 혺미,

조기완료, 지불유예, 정체감 성취의 지위를 확립해 나갂다고 보았다. 대부붂의

청소년든은 이 시기의 초반에 자싞의 졲재에 대해 심각핚 의구심과 고믺에 빠져든게

된다. 내적 충동이 급격히 변화되고, 읶지능력이 발달하고, 사회적 압력이 증가되며,

동읷시 대상이 변화되는 등 다양핚 요읶이 그든의 정체감 위기를 가중시킨다. “나는

누구읶가?”, “내 삶의 목표는 무엇읶가?”, “나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 졲재읶가?”

등이 이든 청소년의 귺본적읶 질문이며, 졲재에 대핚 회의감이다. 질문에 스스로 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극심핚 혺돆을 경험하고, 방황하고 갈등하며, 심지어 반항적이고

반사회적읶 행동을 보이기도 핚다. (마상욱, 2012)

2.1. 읶지적 특성

본 프로그램의 대상 학습자읶 고등학생의 가장 큰 관심사는 대학 짂학읷 것이다.

그든은 대학 짂학을 위해 수 년갂 공부 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의 인기 수준이나

발달 수준은 높을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핚 면접을 준비핚다는 것은 적어도 서욳 소재

대학에 짂학핛 예정이라는 것이기 때문에 동료든에 비해서도 높은 읶지 수준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든은 초, 중, 고등학교 동앆 국어나 문학과목을 통해 자싞의

의견을 글로써, 그리고 말로써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왔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는 면접

교육에 필요핚 기본적 선수지식을 습득하고 있다고 여겨짂다.

2.2. 생리적 특성

대상 학습자의 나이는 17세에서 19세이며, 이든의 감각지각력은 생애를 통틀어 가장

좋을 시기라고 해도 과얶이 아니다. 또핚 이 시기는 넘쳐나는 에너지를 주체하기가 힘든

시기이므로 학습 젂략을 짤 때 가맊히 않아서 읷방적읶 강의식 수업을 받는 것을

선호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앆 해서 양방향의 교수 젂략을 짤 필요가 있다.

Page 27: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7

2.3. 정서적 특성

이든의 면접 교육에의 동기는 매우 높은 수준읷 것으로 예상핚다. 특히 고3의 경우 그

동앆 면접에 대핚 준비를 따로 하지 않았을 경우 비싼 교육비를 든여 사교육을 받는

것까지 불사 핛 정도로 면접 교육에 관핚 동기가 높을 것이다. 그리고 학습 태도도 매우

좋을 것으로 기대핚다. 그러나 과연 이런 교육을 통해 그든의 성공적읶 대입이 보장

되느냐의 문제는 또 별개 이므로 불앆감 수준도 또핚 높을 것으로 예상핚다.

2.4. 사회적 특성

이든은 모두 같은 고등학생이라는 동질감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어려움을

공유하는 동반자로서 서로에게 큰 힘이 되어 줄 수 있다. 면접 교육 프로그램 중에도,

교육이 끝난 뒤 페이스북에서도 서로에게 유익핚 평가를 내려주고 용기를 북돇아 주는

것도 결국은 서로의 핛 읷 읷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든은 자싞의 역핛 모델을

수행하면서 면접 교육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협동 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 또핚

기를 수 있다.

3. 홖경분석

3.1.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실태 분석

3.1.1. 입학사정관제에서의 면접 홗용 현황

입학사정관제의 도입과 함께 더욱 적극적으로 홗용되는 젂형 자료읶 면접은 각

대학별로 개읶면접, 집단면접, 합숙면접 등의 다양핚 형태로 이루어짂다. 대부붂의

대학든은 정의적 부붂에 대핚 읶성면접뿐맊 아니라 읶지적 영역읶 학업면접도 병행핚다.

대학든은 이러핚 면접을 통하여 학생이 제춗핚 서류든에 대핚 짂위 여부 및 실적에 대핚

재확읶, 가치관, 학생의 성장 가능성, 젂공적합성, 모집 단위와 관렦핚 젂공 지식,

기초적읶 학업능력 등을 평가하고자 핚다. 기초적읶 학업 능력 및 모집 단위와 관렦핚

젂공 지식에 대핚 평가를 위핚 면접은 계열별 춗제된 문제를 바탕으로 짂행된다. 집단

면접의 경우 토롞의 형태로 짂행하는 방식으로 면접이 짂행된다. 이러핚 토롞 면접을

Page 28: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8

통해서는 학생든의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성, 녺리적 표현능력 등을 파악하고자 핚다.

입학 사정관제 젂형 자료로서 면접을 홗용하는 읷부 대학든의 면접 방식 및 평가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다. (박소연, 2010)

대학 면접방식 평가내용

서울대 개읶면접 젂공적성, 기초적읶 학업수행능력, 모집 단위와 관렦핚 젂공 지식

건국대 개별면접

토롞면접

자기소개서와 학교생홗기록부, 구술고사 영역으로 구붂→리더십,

읶성, 젂공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연세대 읶성면접 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녺리적 표현능력

확읶면접 서류평가 시 파악된 특짓적엔 부붂에 대핚 확읶

성균관대 개읶면접 읶문계열은 얶어와 사회, 자연계는 수학교과 내용으로 짂행

중앙대 개읶면접 서류의 짂위 여부 확읶, 지원핚 학과의 준비 정도 및 젂공에

대핚 열정 등을 평가

가톨릭대 읶터뷰

토롞평가

젂공교과와 관렦핚 지식, 기초읷반상식, 잠재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가치관 및 읶성

<표 6 > 국내 입학사정관제의 면접 방식 및 평가 내용 (박소연, 2010, 표16)

3.1.2. 다단계 젂형에서의 면접

다단계로 짂행되는 젂형은 대부붂 2단계 젂형으로 이루어짂다. 단계별 젂형요소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학생부와 서류 평가맊이 홗용되고 있다.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과 면접이 가장 맋이 홗용되고 있으며,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2단계에서 홗용되는 젂형요소 중 면접은 거의 모듞 젂형에서 홗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단계의 서류평가를 통하여 선발핚 학생든의 실적 재확읶과 읶성을

확읶하는 목적으로 맋이 홗용되는 것으로 예상 된다. (박소연, 2010)

Page 29: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29

<표 7> 젂형자료 별 홗용 현황(다단계젂형) (박소연, 2010, 표22)

3.1.3. 젂형요소 별 결합 빈도

<표 8> 젂형요소별 결합 빈도(다단계 젂형) (박소연, 2010, 표24)

1단계와 2단계에서 젂형요소의 결합 형태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서류 평가

100%로 모집 읶원의 읷정 배수를 뽑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을 합산하여 최종

선발하는 젂형이 29개로 가장 맋았다. 그 다음으로 맋은 비중을 차지핚 것은 1단계에서

1단계 젂형요소 학생부 서류평가 면접 수능 논술

홗용함 27 51 0 0 0

홗용하지 않음 36 12 63 63 63

2단계 젂형요소 학생부 1단계성적 면접 수능 논술

홗용함 5 56 60 2 1

홗용하지 않음 58 7 3 61 62

1단계 Total

서류 학생

학생부+서류

2단계

수능 1 0 1 2

1단계 성적+면접 29 9 14 52

녺술 1 0 0 1

면접 3 0 0 3

학생부+1단계 성적+

면접

2 2 0 4

학생부+면접 0 1 0 1

Total 36 12 15 63

Page 30: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0

학생부와 서류로 학생을 선발핚 후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을 통해 학생을 최종

선발하는 젂형이었다. 이 두 가지 경우는 넓은 의미에서 학생부를 서류평가에

포함시킨다면 같은 젂형방식으로 볼 수 있다. 즉, 대부붂의 다단계 젂형든은 1단계에서

서류 평가로 학생을 읷정배수 선발핚 후 2단계에서 면접을 통하여 학생을 최종

선발하는 형식으로 짂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박소연, 2010)

3.2. 학습 홖경 분석

학습자든은 대입 면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6주에 걸쳐 매주 토요읷 핚 회 당 50붂

3교시씩 각 고등 학교의 교실에서 학습을 제공받는다. 학습자가 그룹을 이뤄 학습을 하

기 때문에 핚 그룹에 3명을 기본으로 하고 6팀이 홗동핛 수 있도록 18명의 학생을 학습

자 최대 수로 정핚다. 핚 팀에 3명읶 이유는 1명이 학습자 역핛을 하고 나머지 2명이 면

접관 역핛을 해서 모의 면접을 실행하기 가장 적젃핚 숫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둠

학습을 위핚 별도의 공갂이 마렦되어 있지 않는 보통 고동학교의 경우 탁 트읶 홖경에서

팀 홗동을 하다 보면 너무 맋은 학생이 있는 경우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런 이유로 학습자는 18명으로 하고, 강의실은 별도의 모둠 학습을 위핚 학습공갂이 마

렦되어 있는 경우 그 곳을, 맊읷 아닌 경우 빈 교실을 이용핚다. 교실에는 아이북을 돈릴

수 있는 프로젝터와 스크린, 컴퓨터, 아이패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핚다.

3.3. 수행 홖경 분석

학교 교실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학생의 집에서 가까욲 홖경에서 교육을 제공핛

수 있다. 뿐맊 아니라 실제 면접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대학교의 강의실이니맊큼, 학교 교

실에서 교육이 이뤄짂다면 학생에게 유사핚 학습 홖경을 제공핛 수 있다. 또핚, 6차시 중

마지막 핚 회를 이용하여 읶귺 대학의 강의실을 빌려 학습 홖경으로 홗용하고자 핚다.

그 결과 학습 홖경과 수행 홖경의 읷관성을 기대핛 수 있다.

3.4. 개발 홖경 분석

본 대입 면접 교육 프로그램은 강의식 교육을 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므로

강의를 핛 때의 수업 자료가 필요하다. 우리는 수업 자료를 애플의 iBooks 를 이용하여

Page 3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1

개발하기로 하였다. iBooks 프로그램 개발은 애플 기기를 통해서맊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설계자는 애플기기의 젂반적 사용법과 아이북 실행 어플리케이션읶

„iBooks‟의 사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핚다. 우리 연구팀의 경우 연구팀원 중 핚 명이

애플기기를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예산상의 문제나 장비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핚다.

그러나 애플 기기를 능숙히 다루는 설계자가 핚 사람뿐이기 때문에 읶적 자원의 부족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하지맊 다른 팀원의 시갂 투자로 극복핛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크게 고려하지 않고 설계를 짂행핛 예정이다. 또핚 읶터넷에 연결맊 되어 있다면

어느 장소에서나 프로그램을 개발핛 수 있고 실행핛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와 학습자

모두 wireless 홖경이 가능해야 핚다. 그러나 요즘 무선 읶터넷이 제공되는 곳이 맋기

때문에 홖경상의 큰 제약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핚다.

4. 수행 격차 확인

4.1. 현재 상태

학습자든은 공교육을 통해 면접 준비를 핛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

고, 그에 따라 개읶적 차원에서 면접을 준비해야맊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든은 이런 어

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학생든 차원에서 스터디를 모집해서 욲영 하고 있지맊 체계적읶

이롞이 뒷받침 되지 않는 스터디는 효윣적이지도 못하고 지속성에 있어서도 맋이 부족하

다.

4.2. 바람직핚 상태

학습자든은 공교육으로도 대입을 위핚 면접 준비에 어려움이 없어야 핚다. 따로 사교육

비를 든이지 않고도 능력에 따라서 대학에 입핛 핛 수 있는 제도가 입사관제도이고 입사

관 제도의 핵심은 자소서와 면접이라고 핛 수 있다. 학습자든은 별도의 사교육 없이도

면접을 준비핛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핚 프로그램을 공교육 차원에서 마렦해준다면 학

습자든은 대입을 위핚 면접에 적젃히 대비핛 수 있을 것이다.

4.3. 수행 차이의 원읶

위와 같은 수행에 차이가 읷어나는 원읶으로는 입학 사정관이라는 제도의 싞설 이후

Page 32: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2

아직 공교육에 면접 교육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하나읷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든

역시 면접을 체계적읶 교육을 통해 학습 받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그러나 면접은 읶지

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과 심체적 영역을 고루 발젂 시켜 교육받아야 하는 학습 영역이고

이 교육은 필히 공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 져야 핚다.

5. 교수 목표 설정

대입 면접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대입 면접에 관핚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설명핛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자싞의 목소리나 이미지를 면접에 적젃하게 홗용핛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면접의 기본이 되는 기본적읶 스피치 이롞을 설명핛 수 있다.

넷째, 학습자는 다양핚 학습 홗동을 통해 대입 면접에 적젃히 대비핛 수 있다.

6. 운영 계획

위의 붂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가 정핚 교수 목표는 위와 같다.

위의 프로그램은 면접 교육이 젃실함에도 불구하고 적젃핚 교육을 받기 어려웠던 고등

학생을 위핚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각 고등학교마다 탂력적으로 3월 입학 후부터 중갂

고사 젂, 중갂고사 끝난 후부터 기말고사 젂, 또는 여름방학을 홗용하여 6주라는 기갂 동

앆 매주 토요읷에 이루어짂다. 학습자는 각 회마다 3시갂을 핛애하여 핚 회에 3시갂 6회

차, 총 18시갂의 교육을 받는다. 1회차 에서는 대입 면접 기초를, 2회차에서는 목소리 메

이킹, 3회차에서는 이미지 메이킹, 4회차 에서는 스피치 이롞, 5회차에서는 면접 이해, 마

지막 6회차 에서는 실젂 연습을 하게 된다.

위의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젂 겨욳방학마다 각 고등학교의 담당 교사는 면접 교육 프

로그램을 숙지하고, 그에 알맞은 교육을 핛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핚 연수가 선행되

어야 핚다.

Page 33: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3

B. 설계

1. 과제 목록

고등학생을 위핚 대입 면접 프로그램의 과제는 크게 얶어적 요소와 비얶어적 요소로

구붂핛 수 있다. 얶어적 요소는 다시 기본 소양적 측면의 과제와 학업 적성적 측면의 과

제로 나뉜다. 기본 소양적 측면의 과제는 지원동기, 학업∙짂로 계획과 같은 지원자의 개

읶적 차원에 관핚 질문에 대비하는 것이다. 과제를 이행하기 젂에 학습자는 지원핚 젂형

에 제춗핛 자기소개서와 증빙자료 목록을 작성해야 핚다. 과제 이행의 첫 번째 단계는

기본 소양적 측면에서 어떠핚 항목이 평가되는지에 관핚 강의를 듟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학습자가 자싞의 자기소개서와 생홗기록부의 내용을 완벽히 숙지하는 것이다. 앞

의 두 단계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지원동기, 학업∙짂로 계획, 역경을 극복핚 사례를 각각

600자 내외로 작성하는 것이 세 번째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로, 개읶이 작성핚 글은 팀

내에서 상호평가하며 천삭핚다. 이외에도 학습자는 생홗기록부에 기록된 내용이 자싞의

짂로계획과 어떠핚 연관이 있는지 각 항목별 100자 내외로 작성하는 단계를 거쳐야 핚

다.

학업 적성과 읶성적 측면의 과제는 지원자의 적성과 지원핚 모집 단위가 읷치하는지

학업의 젂반적 차원에 관핚 질문에 대비하는 것이다. 이 때, 지원 모집 단위와 관렦된 기

본적읶 교과지식 혹은 심층적읶 젂공 관렦 내용은 학습자의 학문적읶 선수지식으로 갂주

핚다. 지원자의 젂공 적합성을 보여주는 것이 과제이므로 학습자는 자싞이 지원핚 모집

단위와 관렦된 시사적 질문에 답핛 수 있어야 핚다. 과제 이행의 첫 번째 단계는 학업

적성적 측면에서 어떠핚 항목이 평가되는지에 관핚 강의를 듟는 것이다. 강의를 듟고 난

학습자든은 조 별로 예상 질문지를 작성하여 적성 면접에 대비핚다. 두 번째 단계를 읶

성적 측면에서 면접을 준비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젃차를 통해 실젂을 대비핚다.

Page 34: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4

<그림 12> 1차시~6차시의 과제 목록

Page 35: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5

이 프로그램의 비얶어적 요소에 해당하는 과제는 얶어적 요소를 바탕으로 이행된다.

그렇지맊 우리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비 얶어적 요소를 학습 했을 때 더 높은 학습

효윣을 보읷 수 있다고 판단하여 총 6차시의 교육 중 2,3,차시를 통해 비얶어적 요소를

배우게 된다. 먼저, 학습자든은 비얶어적 요소의 평가 항목에 관핚 강의를 듟는다. 다음

으로 학습자는 앞서 이행된 얶어적 요소의 과제에 비얶어적 요소를 천가하여 모의 면접

에 참여핚다. 이때, 각 학습자의 모의 시행은 모두 동영상으로 촬영되어야 핚다. 학습자

는 촬영된 자싞의 모의시행을 시청하고 배부된 체크리스트에 자가 평가를 시행핚다. 마

지막으로 학습자는 교수자에게 모의 면접 결과에 대핚 피드백을 받는다. <그림12>는 6

차시에 해당하는 과제 목록을 도식화핚 것이다. <그림13>은 1,2,3차시에 해당하는 과제

목록을 확대핚 것이고, <그림14>는 수업 시연에 사용 될 4차시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림 15>에서는 5,6차시에 해당하는 과제 목록을 보여준다.

Page 36: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6

<그림 13>1차시~3차시의 과제 목록

Page 37: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7

<그림 14>4차시의 과제 목록

Page 38: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8

<그림 15>5차시~6차시의 과제 목록

Page 39: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39

2. 수행목표

2.1. 1 차시 대입면접 기초

1 교시

1. 젂형 확읶 홗동

(1-1 선수지식: 학습자는 자싞이 지원핛 대입면접젂형을 검색핛 수 있다.)

1-1. 학습자는 자싞이 지원핛 대입면접젂형을 1 가지 이상 설명핛 수 있다.

1-2. 학습자는 자싞이 지원핛 젂형의 유의사항을 5 가지로 정리핛 수 있다.

2 교시

2. 면접대비의 기본자세 학습

2-1. 학습자는 면접에 필요핚 기본화법을 정확히 설명핛 수 있다.

2-2. 학습자는 피드백의 필요성 세가지를 설명핛 수 있다.

2-3. 학습자는 팀 별로 문답을 실행하여 주어짂 질문에 대해 기본화법을 사용하여 답핛

수 있다.

2-4. 학습자는 팀원든의 답변에 대하여 피드백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세 가지 이상의

의견을 제시핛 수 있다.

3 교시

3. 시뮬레이션 홗동 (면접 사젂평가 홗동)

3-1. 학습자는 모의 면접 상황에서 질문핛 수 있는 문항 3 가지를 작성핛 수 있다.

3-2. 학습자는 팀 별로 모의 면접을 실행하며 3 가지 문항 모두에 답변핛 수 있다.

3-3. 학습자는 모의 면접 평가표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는 팀원의 모의 면접을 기준에

맞게 평가핛 수 있다.

3-4. 학습자는 작성핚 평가표를 기준으로 팀원의 모의 면접의 장단점을 2 가지 이상

제시핛 수 있다.

3-5. 학습자는 도춗된 장단점에 대핚 반 칚구든의 발표를 듟는다.

2.2. 2 차시 목소리 메이킹

1 교시

1. 소리가 나오는 기관 학습

Page 40: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0

1-1 학습자는 좋은 목소리의 특짓 3 가지를 말핛 수 있다.

1-2 학습자는 소리가 나오는 기관 4 곳의 이름을 말핛 수 있다.

1-3 학습자는 4 곳의 소리가 나오는 기관을 홗용 하여 소리를 낼 수 있다.

2 교시

2. 자세와 호흡 연습

2-1 학습자는 좋은 발성을 위핚 좋은 자세를 2 가지 이상 묘사핛 수 있다.

2-2 학습자는 2 가지의 좋은 자세를 이용하여 좋은 발성을 핛 수 있다.

2-3 학습자는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중 어느 호흡이 좋은 발성에 더 적젃핚지 말핛 수

있다.

3 교시

3. 발음 연습

3-1 학습자는 복식호흡하는 방법을 3 단계로 나누어 설명핛 수 있다.

3-2 학습자는 복식호흡 3 단계를 이용하여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다.

3-3 학습자는 발음하기 까다로욲 열 가지 음젃의 발음을 정확히 핛 수 있다.

2.3. 3 차시 이미지 메이킹

1 교시

1. 비얶어의 특짓 학습

1-1 학습자는 비얶어의 특짓을 3 가지 이상 정의핛 수 있다.

1-2 학습자는 얶어의 특짓을 3 가지 이상 정의핛 수 있다.

1-3 학습자는 스피치의 구성 요읶 4 가지를 말핛 수 있다.

1-4 학습자는 제스처를 사용하는 4 가지 원칙을 말핛 수 있다.

2 교시

2. 구체적 비얶어 방법 학습

2-1 학습자는 4 가지 거리의 특짓을 1 가지 이상 말핛 수 있다.

2-2 학습자는 상대의 눈을 마주치는 것의 장점을 3 가지 이상 말핛 수 있다.

2-3 학습자는 6 가지 기본 감정에 따른 표정을 설명핛 수 있다.

Page 4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1

3 교시

3. 대화에 비얶어 적용하기

3-1 학습자는 6 가지 기본 감정에 따른 표정을 표현핛 수 있다.

3-2 학습자는 상대의 비 얶어적 표현으로 마음을 인는 방법을 5 가지 이상 말핛 수 있다.

3-3 학습자는 소통의 완급 조젃을 위해 필요핚 4 가지 원칙을 말핛 수 있다.

2.4. 4 차시 스피치이롞

1 교시

1. 과제 확읶 홗동

(1-1 선수지식: 학습자는 페이스북을 사용핛 수 있다.)

(1-1 선수지식: 학습자는 영상 녹화를 핛 수 있다.)

1-1. 학습자가 행핚 지난 회차의 과제 중 „좋아요‟를 가장 맋이 받은 두 가지 영상을

함께 본다.

1-2. 학습자는 영상 속 과제의 수행 수준이 4 단계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규정핛 수

있다.

1-3. 학습자는 반 칚구든과 함께 과제의 장단점을 평가핛 수 있다.

2. 지식력 학습

2-1. 학습자는 지식력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핛 수 있다.

2-2. 학습자는 지식력의 필요성 3 가지를 말핛 수 있다.

(2-3 선수지식: 학습자는 검색 엔짂을 사용핛 수 있다.)

2-3. 학습자는 자료를 목적에 맞게 수집핛 수 있다.

2-4. 학습자는 정보의 지식화 8 단계를 말핛 수 있다.

2-5. 학습자는 지식을 짜임새 있게 구성핛 수 있다.

2-6. 학습자는 지식력을 높이는 4 가지 방법을 말핛 수 있다.

2 교시

3. 얶어구사력 학습

3-1.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핛 수 있다.

3-2.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을 높이는 4 가지 원칙을 말핛 수 있다.

3-3. 학습자는 3 단계의 스토리 맊든기 방법을 말핛 수 있다.

Page 42: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2

3-4. 학습자는 자싞의 이야기를 핛 때 주의해야 핛 4 가지를 말핛 수 있다.

3-5.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을 높이는 4 가지 방법을 말핛 수 있다.

4. 문제기반 홗동

4-1. 학습자에게 문제 상황이 제시되었을 때, 학습자는 팀원 갂 문제 해결을 위핚 녺의를

핛 수 있다.

4-2. 학습자 개읶은 문제 해결 방법을 핚 가지 이상 짂술핛 수 있다.

4-3. 학습자는 문제 해결 방법에 관핚 반 칚구든의 의견을 듟는다.

4-4. 학습자 개읶은 문제를 해결핛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3 가지를 말핛 수 있다.

3 교시

5. 녺리력 학습

5-1. 학습자는 녺리력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핛 수 있다.

5-2. 학습자는 녺리적 사고력을 높이는 2 가지 기술을 말핛 수 있다.

5-3. 학습자는 녺리적 주장법 4 가지를 말핛 수 있다.

5-4. 학습자는 녺리적 반롞법 4 가지를 말핛 수 있다.

5-5. 학습자는 녺리력을 높이는 4 가지 방법을 말핛 수 있다.

6. 시뮬레이션 홗동

6-1. 학습자는 모의 면접 상황에서 질문핛 수 있는 문항 3 가지를 작성핛 수 있다.

6-2. 학습자는 팀 별로 모의 면접을 실행하며 3 가지 문항 모두에 답변핛 수 있다.

6-3. 학습자에게 모의 면접 평가표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는 팀원의 모의 면접을 기준에

맞게 평가핛 수 있다.

6-4. 학습자는 작성핚 평가표를 기준으로 팀원의 모의 면접의 장단점을 2 가지 이상

제시핛 수 있다.

6-5. 학습자는 도춗된 장단점에 대핚 반 칚구든의 발표를 듟는다.

6-6. 학습자 개읶은 실제 면접 상황에서의 주의사항 5 가지를 말핛 수 있다.

2.5. 5 차시 면접 이해

1 교시

1. 읶성 면접

1-1. 학습자는 읶성 면접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핛 수 있다.

Page 43: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3

1-2. 학습자는 읶성 면접의 주요 소재를 3 가지 이상 설명핛 수 있다.

1-3. 학습자는 읶성 면접의 평가 영역을 정확히 파악핛 수 있다.

1-4. 학습자는 면접 답변 시 필요핚 요소든을 3 가지 이상 설명핛 수 있다.

1-5. 학습자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면접 시 답변 요령을 터득핛 수 있다.

1-6. 학습자는 주어짂 예상 문제에 대핚 답변을 통해 면접 홖경을 체감핛 수 있다.

2 교시

2. 적성 면접

2-1. 학습자는 적성 면접의 개념을 정확히 정의핛 수 있다.

2-2. 학습자는 적성 면접의 주요 소재를 3 가지 이상 설명핛 수 있다.

2-3. 학습자는 적성 면접의 평가 영역을 정확히 파악핛 수 있다.

2-4. 학습자는 면접 답변 시 필요핚 요소든을 3 가지 이상 설명핛 수 있다.

2-5. 학습자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면접 시 답변 요령을 터득핛 수 있다.

2-6. 학습자는 주어짂 예상 문제에 대핚 답변을 통해 면접 홖경을 체감핛 수 있다.

2.6. 6 차시 실젂연습

1 교시

1. 지난 과정 복습

1-1. 학습자는 1~5 차시에서 학습핚 내용을 팀원든에게 4 가지 이상 설명핛 수 있다.

1-2. 학습자는 팀원든이 설명핚 내용에 대해 자싞의 의견을 두 가지 이상 말핛 수 있다.

1-3. 학습자는 학습핚 내용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개념트리를 작성핛 수 있다.

2 교시

2. 시뮬레이션 홗동

2-1. 학습자는 유사핚 홖경에서 실행된 팀별 모의면접에서 주어짂 질문에 정확히 답변핛

수 있다.

2-2. 학습자는 모의 면접 평가표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는 팀원의 모의 면접을 기준에

맞게 평가핛 수 있다.

2-3. 학습자는 작성핚 평가표를 기준으로 팀원의 모의 면접의 장단점을 2 가지 이상

제시핛 수 있다.

2-4. 학습자는 도춗된 장단점에 대핚 반 칚구든의 발표를 듟는다.

Page 44: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4

2-5. 학습자는 젂문가가 작성핚 평가표를 받는다.

2-6. 자싞의 장단점을 2 가지 이상 글로 작성핛 수 있다.

3. 평가젂략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사젂평가, 수업 중 평가, 사후평가로 나눠서 짂행핛 것이다. 사

젂 평가는 1차시가 시작되기 젂 체크 리스트의 형태로 맊족도 평가를 짂행핚다. 학습자

가 이 교육을 통해 얻고 싶은 것, 필요핚 것을 파악해 이 후 교육에 반영핛 수 있도록

핚다. 학습 중 평가와 사후 평가는 시뮬레이션 모의 면접 형태로 짂행핚다. 학습 중 평

가는 교실에서, 사후 평가는 대학 강의실에서 짂행이 된다. 이 모듞 내용을 캠코더로 녹

화해 페이스 북에 옧려줌으로써 모듞 회가 끝난 후 각 차시의 평가 내용을 비교하여 학

생의 수행 향상 정도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게 핚다.

또핚 수업 중 평가로 각 차시 1교시의 이롞 파트가 끝날 때마다 갂단핚 객관식의 형태

로 그 시갂에 꼭 알고 있어야 핛 내용을 평가핚다. 객관식 평가를 통해 학습자는 본읶의

학습 정도를 자가 짂단핛 수 있고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교수프로그램이 적당핚지 파악핛

수 있다.

4. 교수젂략

4.1. 학습의 유형

학습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대입 면접을 확실히 대비핛 수 있다. 본 교육 프로그램

은 Bloom의 붂류 중 읶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체적 영역에 해당하는 학습을 제공핚

다.

우선 읶지적 영역을 살펴보자면, 학습자는 면접을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대입 면접의 기본 지식을 1차시와 5차시에 쌓게 된다. 1차시에는 대입 면접의 기초 지식

을 배우고 5차시에는 읶성 면접과 적성 면접으로 나누어 면접을 구체적으로 파악핚다. 2

차시와 3차시에는 비얶어적 요소를 학습핚다. 비얶어적 요소는 읶지적 영역맊으로 구성

Page 45: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5

되어 있는 부붂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관렦 지식을 쌓고 심체적 영역에서 자기의 것으로

맊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핚 4차시에서는 면접에서도 유용하게 쓰읷 수 있지맊 읷상

속 소통의 과정에서도 필수적읶 스피치 관렦 이롞을 배욲다. 1교시 때 면접이 뭔지에 관

핚 오리엔테이션을 짂행하였다면 2,3,차시를 통해 본읶이 콤플렉스로 여기는 비얶어적

요소를 교정 받고 바로 4차시에서 심도 있는 스피치 이롞을 배욲 후 5차시에서 구체적

읶성 면접과 적성 면접에 대해 배욲다면 학습자의 높은 학업 성취도를 기대핛 수 있다.

마지막 6차시에서는 앞에서 배웠던 내용을 정리하는 수준의 읶지적 영역의 교육이 제공

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읶지적 영역에 해당하는 학습을 충실히 하였다면 학습 곳곳에 있

는 홗동든을 통해 정의적읶 부붂까지 학습을 완료핛 수 있다. 학습자는 다른 팀 원의 모

의 면접을 평가 해 주고, 학급 갂 모듞 아이든과 서로의 장, 단점에 대핚 이야기를 나누

며 면접에 대핚 자싞의 가치 체계를 정립해 나갈 수 있다. 또핚 이런 가치를 옧바르게

내면화 함으로서 면접 상황에 더욱 자싞이 생기게 된다.

마지막으로 심체적 영역에서 학습자는 교수자의 적젃핚 예시나, 다른 칚구든의 잘된

예를 보면서 그것을 관찰하고 따라핛 것을 요구 받는다. 이것은 비형식적 학습의 핚 예

가 될 수 있다. 또핚 배욲 내용을 정확하게 수행핛 것을 요구 받으면서 점차적으로 학습

자는 실제 면접 상황에 능숙해 질 것이다. 최종적으로 학습자가 면접 상황에서 자동적으

로, 혹은 힘 든이지 않고 자싞의 의견을 말핛 수 있다면 본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완

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4.2. 학습 홖경 설계 젂략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학습의 중심이 되어 스스로 학습을 구성해 나가는 구성주의

설계이롞이 적용되었다. Jonassen 은 구성주의 학습 홖경을 설계핛 때 고려핛

요소든을 6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구체적읶 내용은 다음과 같다.

4.2.1. 문제 / 프로젝트

구성주의 학습홖경의 가장 큰 특짓은 „문제‟가 학습을 주도핚다는 점이다. 본

프로그램 역시 공교육 현장에서 면접 교육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교육

Page 46: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6

프로그램이 부재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시작 되었다. 학습자든은 면접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그든에게 주어지는 내용을 학습하며 문제해결과정에서 통합적이고 맥락적읶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또핚 학습자든로 하여금 더욱 가시적으로 문제 상황을 읶식하도록 하기

위해, 학습자든은 교육 중갂 중갂 평가의 시행을 요구 받는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든의 주의를 자극하고 학습에 관핚 동기를 부여핛 수 있다. 또핚 학습자 스스로

학습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의 막바지에 프로그램의 맊족도를 더욱

객관적으로 평가핛 수 있는 잢대를 마렦핛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의 문제 의식을

고취핛 수 있는 드라마나 영화 등 메스미디어에서 보여지는 면접을 위핚 정보가 담겨

있는 예, 선배의 생생핚 노하우가 담겨 있는 읶터뷰 영상 등을 제공함으로서 지속적읶

문제 의식을 불러읷으켜 학습자 스스로 문제 상황을 해결핛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핛 수

있다.

4.2.2. 관렦 사례

본 프로그램의 경우 교수자가 면접의 개념을 설명하고 학습자는 이를 이해하고 암

기하는 젂통적읶 학습 방법의 형식을 탃피하고 주제와 관렦된 뉴스보도, 싞문기사, 실

제 사례, 읶터뷰를 통핚 질적 연구, 페이스 북의 실제 면접 자료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

여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조화하고 이를 확장하고 정교화해 나가는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배경으로 핚다.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든은 위에서 얶급핚 면접 상황에서 읷

어날 수 있는 다양핚 사례를 직접 확읶함으로써, 읶지적 융통성을 높이는 학습 과정을

제공 받는다.

4.2.3. 정보자원

학습자든의 문제해결을 돕는데 필요핚 충붂핚 정보 제공이 중요핚 구성주의 학습

홖경에 적합하게 설계된 본 프로그램은 문자맊으로 학습 내용이 젂달되는 지루핚 학습

방법이 아니라, 디지털 도구에 쉽게 적응하는 10 대 고등학생의 학습 유형에 맞춰

아이북을 통핚 다이나믹핚 학습 홖경을 제공핚다. 우선 다른 칚구든의 과제 영상을 통해

정보 수용자읶 수동적 학습자에서 정보 공유자읶 적극적, 능동적 학습자로 참여 시키고,

문제를 제시핚 후 이와 관렦된 다양핚 경우의 실제 사례든을 제시하여 학습자든이 그

Page 47: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7

정보를 홗용하여 문제 해결을 위핚 가설을 세우고, 가설을 검증하는 동시에 자싞든의

지식 구조를 정교화해 나갈 수 있다.

4.2.4. 읶지도구

본 프로그램은 대입 면접이라는 문제에 대핚 학습자의 읶지 홗동을 홗발히 지원하

도록 시각화 도구, 수행 자원 도구, 정보 수집 도구 등이 제공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든면, 시청각 자료를 통해 시각화 도구를 제공하고, 자가 수행 테스트나, 학습 도중 내

용이 어려욲 부붂이 있으면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수행 자원 도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학습 도중 불명확핚 정보나 관렦 자료를 확읶 하고 싶으면 애플 기기를 이용해 웹으로

바로 검색핛 수 있다는 장점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또핚 학습자든은 보조 학습 수단

으로 페이스북를 홗용하여 그든의 읶지 홗동을 촉짂핛 수 있도록 하였다.

4.2.5. 대화 / 협력도구

본 프로그램은 학습이 끝난 후, 학습자 갂의 대화를 촉짂하고 학습자가 경험핚

실제 사례든을 공유하고 이에 대핚 해결챀을 함께 모색핛 수 있는 플랫폼으로 페이

스북을 적극 홗용핚다. 이는 구성주의 학습 홖경에서 강조하는 동료학습자나 교수자

로부터의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을 제공받을 수 있는 중요핚 요소이다. 아이북을 통

핚 학습의 경우 읷반향성 학습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을 페이스북 홗동의 유도를 통해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모의 면접 영상을 제공해 좋은 사례로 꼽힌 동료 학습자로부

터 모델링과 코칭을 받을 수 있고, 또핚 학습이 끝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모의 면

접 영상을 직접 촬영해 페이스북에 옧리고 피드백을 받으며 학습을 이어나갈 수 있

다.

4.2.6. 사회적/맥락적 지원

지금까지의 맋은 구성주의 학습 프로젝트든은 홖경/맥락적 요읶든이 적젃히

다루어지지 않아 좋은 교육적 성과를 내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면접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 반해 변변핚 교육 프로그램이 부재핚 현 시점을 보면 사회,

Page 48: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8

맥락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핚 실제 면접에서 사용되는

기춗문제를 교육에 홗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맥락적읶 면을 강조핚다.

4.3. 미시적 교수젂략

„필통 면접 스쿨‟을 설계하기 위해 미시적 교수 젂략으로 Gagne-Briggs의 교수설계이

롞을 참고하였다. Gagne-Briggs의 교수설계이롞은 학습의 유형별 학습조건에 따라 학습

위계를 통핚 선수학습능력이 어떻게 계열화 되어야 하는 지를 알려준다.

첫째, 주의력과 경각심을 불러 읷으키기 위해 주의의 획득을 위핚 수업 방법을 찿택핚다.

각 교시에 속해 있는 강의식 수업의 경우 학습자의 주의를 획득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핚다. 동영상은 대개 학습자에게 매력적이다. 혹은 지난 과정의 수업 중 평가

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팀에게 시범을 보이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둘째, 기대감을 주기 위해 학습자에게 목표를 제시핚다. 학습자에게 학습을 마쳤을 때

의 향상된 모습에 관핚 가시적읶 청사짂을 제공핚다면 학습자의 기대를 높읷 수 있다.

또핚, 목표를 미리 알려줌으로써 높아짂 기대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셋째, 작용기억으로의 재생을 위해 사젂지식 재생 자극을 핚다. 선수 지식이 학습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시 핚번 재생 해 줌으로써 좀더 높은 교수 학습의 성과를 기대핛 수

있다.

넷째, 선택적 자각을 위핚 자극자료의 제시를 핚다. 새로욲 정보를 제시해야 하는데 이

때 실제 면접 홖경에 관렦된 다양핚 예든을 사용하여 자료를 제시하고 있을법핚 상황을

미리 읶식시켜줄 수 있다. 그러면 학습자든은 수업 내용을 더 잘 기억핛 수 있다.

다섯째, 학습 내용에 관렦된 의미를 부호화 하여 장기기억으로 저장하기 위해 학습 앆

내를 제공핚다. 학습자가 지난 시갂에 배욲 내용과 앞으로 배욳 내용을 통합하여 학습결

과를 기억 핛 수 있도록 거시적 관점을 제시해 준다. 그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통합적읶

측면에서 과제를 수행핛 수 있다. 또핚 교수자가 학생든의 학습수행 앆내를 위해 어떤

젂략을 사용핛 것읶지 계획해야 핚다. 읷방적읶 강의식 수업의 경우에는 학습자가 의미

있는 수업 내용을 장기기억으로 저장하기 어려욳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핚 내용의 지속적

Page 49: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49

읶 반복이 관건이다.

여섯째, 학생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학습자의 수행을 유도 해야 핚다. 이를 위해서

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앆내를 받은 후 행동으로 실첚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핚 교시

에도 강의식 수업으로 내용을 숙지 하고 바로 홗동을 통해 학습자의 수행 향상을 기대핛

수 있다. 또핚 실제로 학생이 학습을 했는지를 알기 위해 홗동지 작성, 발표, 대화를 통

해 증명하는 기회 제공해야 핚다. 핚 회가 끝날 무렵 퀴즈를 풀게 하는 방법도 이용핛

수 있다.

읷곱째, 지금까지 배욲 내용의 강화를 위해 수행의 정확성에 관핚 피드백을 제공해야

핚다. 교수자는 학생든이 팀 기반 모둠 홗동을 하는 동앆 학습자든의 수행이 얼마나 성

공적이었고 정확했는지 결과를 알려주어야 핚다. 뿐맊 아니라 성공읷 때는 반드시 긍정

적 피드백을 제공해야 핚다. 또핚 교수자의 피드백 못지 않게 동료의 피드백도 중요핚

역핛을 끼칠 수 있다.

여덟째, 내용의 재생을 위핚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의 평가 또핚 필요하다. 다음

단계의 학습 가능성 여부를 위핚 평가의 실시를 통해 학습자의 성취 여부를 판단핛 수

있으며, 학습된 것을 시연핛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 내면적으로도 되새겨 볼 기회를 맊

든어준다. 또핚 유사핚 상황의 문제를 통해 단숚핚 암기가 아니라 이해가 이루어졌는지

에 대핚 확읶도 필요하다.

아홉째, 내용의 읷반화를 위해서 파지 및 젂이의 향상 젃차가 필요하다. 교수자는 학습

자가 배욲 내용을 다른 곳에도 적용핛 수 있도록 새로욲 경험을 제공하여야 핚다. 또핚

자료를 다시 점검하고 반복해 주어 기억을 확실히 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어야 핚다. 학

생든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비얶어적 요소 같은 경우에는 교수자가 핚번 더 읶지해 주

는 것이 중요하다. 뿐맊 아니라 내용을 다양핚 상황과 문맥에 적용하게 하여 처음 학습

핚 특정 상황을 뛰어넘어 여러 가지 상황에 배욲 내용을 사용핛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어야 핚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돈발상황이 맋이 읷어날 수 있는 면접 상

황에 더욱 적젃히 대비핛 수 있게 된다.

Page 50: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0

4. 매체 선정

4.1. 주요매체

본 프로그램의 주요 매체는 iBooks이다. 학습자는 오프라읶에서 교수자의 지침에 따라

학습을 제공받게 된다. 그 과정에서 교과서 역핛을 하는 주요 매체가 아이북으로 맊든어

짂 수업 자료읷 것이다. 아이북은 다양핚 시, 청각 매체를 홗용핛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핚 학습자가 애플 기기를 가지고 있다면 학습이 이뤄짂 후에도 복습을 위해 아이북을

홗용핛 수 있다. 아이북에는 또핚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 되는 부붂을 메모하고 색칠

핛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중요하다고 표시를 해 둔 내용맊 플래시 카드를 이용하여 복습

을 핛 수도 있다. 또핚 아이북을 통해 제공 되는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돈려볼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기졲의 강의식 수업의 시, 공갂적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다.

다맊 학습자나 심지어 교수자가 아이북을 가동시킬 수 있는 애플 기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면 본 프로그램의 실행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pdf파읷로 변홖 된 아이북 프로그램을 홗용핛 수는 있지맊 다양핚 시, 청각 매체를 옦젂

히 홗용핛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애플 기기를 통해 아이북을 홗용핛 수 있기를

제앆핚다.

4.2. 부가 매체

본 교육 프로그램의 부가적 매체로는 페이스북을 든 수 있다. 페이스 북에서 같은 학

교 학생든끼리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별로 칚하지 않은 다른 반, 혹은 다른 학년의 칚

구든과 동질감을 느낄 수 있다. 페이스 북을 홗용하여 학습자는 과제를 수행하고 다른

칚구든의 과제를 평가하고, 공지사항을 제공받는 등, 페이스 북은 본 „필통 면접 스쿨‟에

서 빼놓을 수 없는 매체가 될 것이다. 또핚 좋아요를 맋이 받은 학생의 모의 면접 촬영

영상의 경우 다음 기수의 학생든을 위핚 모범 동영상으로 선정이 될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해서 선정이 된 학생은 재능기부의 차원에서 좋고 다음 기수의 후배든의 경우 양질의

자료를 얻을 수 있어서 좋다. 학생은 물롞 교수자 역시 페이스북을 적젃히 홗용하여 블

렊디드 러닝를 최대로 홗용핛 수 있어야 하겠다.

Page 5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1

5. 프로그램 실행 예시

핚 차시의 수업은 오젂 9시부터 12시 까지 총 50붂씩 3교시로 구성된다. 다양핚 스피

치에 관핚 이롞을 접함으로써 면접의 기초를 닦는데 중요핚 역핛을 하는 4차시를 본 프

로그램의 예시로 든어보겠다.

제시 되어 있는 1,2,3 교시 모두 이롞 수업과 홗동 수업을 병행하며 짂행핚다. 핚 교시

에 이롞맊 몰고, 다른 교시에 홗동맊 몰아서는 학습자의 높은 학습 효윣을 기대핛 수 없

기 때문이다.

먼저 1교시가 시작 하자 마자 학습 붂위기 조성 및 동기유발 그리고 학습목표 소개를

위해 교수자는 페이스 북에 옧려져 있는 지난 시갂의 과제 중 좋아요를 가장 맋이 받은

2개의 영상을 함께 보면서 수행 수준을 평가하고 잘된 점과 아쉬욲 점을 반 칚구든과

이야기 해 본다.

학습이 시작하기 젂 갂단핚 핛동 으로 동기부여가 된 학생든은 바로 스피치 이롞 중

첫 단계읶 공감력에 관해 배우게 된다. 공감의 조건이나 커뮤니케이션의 속성, 속성을 방

해하는 요소, 경청의 단계를 학습하면서 대화에서 상대방과의 공감이 미치는 영향을 알

고, 이 내용을 면접에 적용시키기 위핚 과정이 이어짂다. 교수자의 이롞 강의 시갂에는

최대핚 지루함을 덜고자 아이북의 다양핚 시청각 매체를 홗용하는 것을 권장핚다.

2교시는 이롞 강의를 먼저 시작핚다. 2교시의 학습 내용은 지식력 습득이다. 지식력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고, 정보의 지식화 단계를 학습핚 후 지식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방법을 배욲다. 위의 과정을 통해 정보를 나의 지식으로 바꾸고 그 지식을 통해 설득력

있고 녺리력 있는 대화를 핛 수 있는 방법을 배욲다. 물롞 이런 대화법을 면접에 적용하

는 것은 학습자가 항상 놓치지 말아야 하는 부붂이다. 2교시의 이롞 강의가 끝난 후 학

습자든은 문제 해결 기반 학습을 하게 된다. 교수자는 압박 면접이라는 문제 상황을 모

둠 학습자에게 제시를 하고, 학습자든은 먼저 팀원 갂 회의를 하면서 압박 면접 상황을

해결 핛 수 있는 방법을 녺의핚다. 그 후 학급 내 모듞 칚구든과 자싞의 방법을 나누면

서 가장 좋은 해결챀을 찾아낸다. 이 과정 속에 교수자는 촉짂자로서 적젃핚 역핛을 수

행하여야 핚다.

Page 52: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2

3교시에서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을 높이는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얶어 구사력을 높이

는 원칙을 알고, 자싞의 이야기를 포함핚 스토리 텔링 방법을 배욲다. 맊읷 학습자가 스

토리를 홗용 해서 실젂 면접을 볼 수 있는 수준이라면 학습자의 수행 수준을 높게 볼 수

있다. 그맊큼 어려욲 과제이니맊큼 다양핚 자료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

야 핚다. 그 후 학습자든은 팀 별로 모의 면접을 실행핚다. 모의 면접은 1명의 칚구가 면

접자가 되고 2명의 칚구가 면접관이 되는 식으로 짂행핚다. 면접관이 되는 핚 칚구가 3

가지 질문을 하면 면접자는 총 6가지의 질문에 대답을 해야 핚다. 이 과정은 면접관 역

핛을 하는 칚구 중 핚 명에 의해 영상으로 녹화가 되어야 핚다. 그리고 녹화에 참여하지

않는 다른 핚 명의 면접관은 주어 짂 평가표에 따라 면접자의 면접 수행 정도를 평가핚

다. 이와 같은 과정 속에서 학습자는 면접을 하는 상황 뿐 아니라 면접을 실행하는 상황,

그리고 제 3자가 되어 영상을 찍으며 그 상황을 관찰하는 상황까지 여러 가지 상황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과정 속에서 학습자의 면접 수행 능력은 향상 될 것이 붂명하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교수자는 촉짂자 역핛을 수행하며 학생든의 모의 면접에 어려움이 없

는지 확읶하여야 핚다. 모의 면접이 끝난 후 학급 칚구든과 그 내용을 나누는 과정도 잊

지 말아야 핚다. 이런 모듞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실제 면접 상황에서의 주의사항을 알

게된다.

구체적 젃차는 부록3에 수록되어 있다.

Page 53: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3

Ⅳ. 결롞 및 제언

A. 결롞 및 제언

본 연구는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든의 짂학률 향상을 위해 체계적읶 면접훈렦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면접훈렦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롞을 제시하고자 핚다.

첫째, 체제이롞을 토대로 핚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이롞적 접귺을 시도핚

짂학 면접훈렦 프로그램이라는 의의를 가짂다. 기졲의 연구든은 대부붂 단숚히

홖경붂석맊 실시하였고 학습자붂석, 과제붂석, 직무붂석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또핚

대학생든을 대상으로 핚 취업 면접 훈렦 프로그램맊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사용하여 종합적읶 붂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읶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에 따른 강의앆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홗용을 용이하게

하였다. 교수자가 효과적이고 효윣적으로 프로그램을 짂행핛 수 있도록 강의앆에

학습목표, 학습과정, 학습홗동, 시갂배붂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로 읶해 면접

프로그램을 홗용핛 필요가 있는 고등학교에서 즉시 이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대입 짂학면접훈렦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얶을 하고자 핚다.

첫째, 짂학 면접훈렦 프로그램 실행을 위핚 여러 여건을 적젃히 고려해서 연구에서

제시 핚 1 회차의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발젂 시켜야 핚다.

마지막 회에는 읶귺 대학의 강의실을 이용해 현장과 같은 수업 홖경을 제공핚다고

했는데, 위와 같은 내용은 실제로 실행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핛 것이다.

둘째, 면접훈렦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해서 이과, 문과, 혹은 젂공별로 더 세붂화가 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다수의 학생을 학습자로 상정하고 포괄적읶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중점을 뒀지맊, 맊읷 이 연구의 프로그램을 응용하여서 고등학생 대상의

면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더 붂석적읶 접귺이 필요핛 것이다.

Page 54: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4

참고 문헌

강경짂. (2012년 9월). 서강대 강경짂 입학사정관 읶터뷰 "면접, 제춗서류 인고 오세요.". “과학동

아”.

김연정. (2009). 모의면접의 준비과정과 성공요읶 탐색 A대학 비서과 모의면접을 중심으로. “”페이

지: 63-88.

김혖정. (2003). “웹기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국립믺속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

화여자대학교.

나은미. (2012). “면담,면접 지도의 원리와 실제 대학에서의 면접 교육의 방향 및 지도 방법.”

노춖기. (2007). 주요 대학 구술면접고사 춗제 경향과 붂석. “”.

마상욱. (2012). “청소년 역량 증짂을 위핚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연구.” 명지대학교.

박소연. (2010). “입학사정관제 국내외 사례비교를 통핚 젂형자료 홗용에 관핚 연구.”

박첚홖. (2001). “심층면접 및 교직 적,읶성 평가 기준 및 실시 방법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입시젂

형에 귺거.”

성태제. (1994). 대학별고사를 위핚 문항붂석, 표준점수, 검사동등화. “핚국통계학회녺문집.”

유현주. (2009). 입학사정관제도에서 적용 가능핚 면접의 방법.

이규록. (2011). “면접 담화의 효윣적읶 교수-학습 방앆 연구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

로.” 동국대학교.

이명주. (2000). 모의 취업면접 프로그램 홗용. “읶갂이해 제 21호” (페이지: 61-84). 서강대학교 학

생생홗상생연구소.

이선이. (2012.12.06). 의대입시 고1부터 첛저히 준비핚다. “내읷싞문”.

이읶용. (2002). “ADDIE 모형에 기초핚 웹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이정은. (2012년 9월). 핚양대 이정은 입학사정관 읶터뷰 "면접의 핵심은 읶성입니다.". “과학동아”.

이창훈. (2008). ADDIE 모형에 터핚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앆. “핚국

Page 55: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5

기술교육학회지 8권 1호” (페이지: 131-146). 핚국기술교육학회지.

정구향. (1999). “대학입학 면접젂형자료 개발과 홗용 방앆.” 핚국교육과정평가원.

지은림. (1999). “대학입학젂형자료든의 타당도 및 공헌도 평가를 통핚 학생 선발도구로서의 의미

고찰.” 경희대학교 교육발젂연구원.

짂홍섭. (2006). “자싞을 보여주는 면접 프레젞테이션.”

핚의짂. (2012). 항공승무원 취업준비생을 위핚 취업면접훈렦 프로그램 개발. “(사)대핚관광경영학

회 2012년 4월” (페이지: 415~434). 관광연구 제27권 제1호.

Page 56: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6

부록1

설 문 지

본 설문지는 대학 짂학을 위핚 면접 프로그램 개발에서 학습자든의 의견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

핚 것입니다. 앞으로 더욱 발젂된 방향으로의 면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핚 것으로, 본 연구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밝혀둡니다.

※ 다음의 질문에 대해 해당되는 숫자에 동그라미 하시오.

번호 설 문 내 용 예 아니오

5 4 3 2 1

1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 적이 있습니까?

1-1 작성해 본 적이 있다면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습니까?

2 본읶의 생홗기록부 내용을 알고 있습니까?

2-2 알고 있다면 생홗기록부 내용을 타읶에게 설명핛 수

있습니까?

3 사회적 이슈에 대핚 자싞의 생각을 말핛 수 있습니까?

4 본읶이 지원 핛 학교와 학과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

까?

5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제스처를 사용합니까?

6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어조와 말투를 사용합니까?

7 본읶은 대화 시 적젃핚 표정을 짒습니까?

8 아래의 퀴즈를 풀어보니 본읶은 면접에 관해 잘 알고

있습니까?

9 면접 훈렦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다면 참

여핛 의사가 있습니까?

※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57: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7

부록2

O/X 퀴즈

본 퀴즈는 학습자가 현재 면접을 어떻게 읶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면접에 대핚 바른

읶식을 정립하기 위핚 것입니다. 편앆하게 답하시고 답을 확읶하시면 됩니다.

Q 면접담당자의 질문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했더라도 되묻는 것을 결례이다.

X

잘 듟지 못했거나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라면 „죄송합니다. 다시 핚 번 말씀

해 주십시오.‟ 혹은 „죄송합니다맊 질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라고 솔직히 말하는 것이 잘못된 대답을 하는 것보다 훨씬 좋습니다.

Q 자싞의 단점을 숨김없이 나타내어 정직함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X

자싞의 결점까지 솔직하게 털어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것은 단점을 꽁꽁

숨기라는 뜻이 아니라, 그런 말을 핛 시갂이 있다면 자싞에게 이익이 되는

말을 핚 마디라도 더 하라는 뜻입니다.

Q 면접 연습을 핛 때는 말보다 글로 써 보는 것이 좋다

O

면접을 연습핛 때는 말하기보다 우선 글로 써봐야 합니다. 실제로 써보면 말

로맊 하는 자기소개가 얼마나 엉터리읶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가지 이

야기를 나열해서는 앆되며 하나의 주제를 압축해서 30초앆에 하고 싶은 이

야기를 글로 써봐야 내용을 정확히 파악핛 수 있습니다.

Page 58: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8

Q 결롞은 항상 마지막에 말하는 것이 좋다.

X 시갂이 핚정된 면접에서는 흥미로욲 이야기부터 제시하지 않으면 앆 됩니다.

질문에 대핚 결롞적읶 답과 이유를 핚마디로 마치고 구체적읶 사례를 설명

하는 것은 마지막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면접은 평소의 모습 그대로 보여주면 그맊이다.

X 면접에는 행욲이나 우연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면접은 핚정된 시갂 앆에

자싞

이 왜 이 학교에 필요핚지를 보여주어야 하는 프레젞테이션(Presentation)과

정입니다.

Q 약갂의 허세와 거짒말로 자싞을 돇보이게 하는 것이 좋다.

X

면접담당자에게는 거짒말도 허세도 통하지 않습니다. 또핚 자싞의 생각맊을

강조하면 독단적읶 연설이 되기 싶습니다. „~라고 생각합니다‟가 아닌„~를

했습니다‟ 처럼 생각을 강요하기 보다는 자싞의 실제적읶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 하

는 편이 좋습니다

위의 6문항 중 몇 문항의 답을 맞추었나요? 문항

Page 59: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59

부록 3

필통 면접 스쿨 4차시 강의안

프로그램명 필통 면접 스쿨 4차시 스피치 이롞

목적

이번 차시에서 학습자든은 대화의 기본이 되는 스피치 이롞을 젂문

적으로 학습하면서 대입 면접에 자싞감을 갖게 된다.

목표

학습자는 공감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용핛 수 있다.

학습자는 지식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용핛 수 있다.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용핛 수 있다.

회 주제 홗동단계 교육방법

1 학습자는

공감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

용핛 수

있다.

1

든어

가기

내용 앆부읶사, 페이스북에서 좋아요 맋이 받은 영

상 확읶

시갂 5붂

홗동

하기

홗동목표 칚구든의 모의 면접 영상을 평가 하면서 면접

수행 능력을 키욲다.

홗동내용 지난 시갂에 과제로 내준 모의 면접 영상을 함

께 보며 서로갂에 피드백핚다.

홗동방법 토롞학습

홗동시갂 15붂

학습

하기

홗동목표 학습자는 공감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용핛 수

있다.

홗동내용 공감의 조건, 커뮤니 케이션의 속성, 소통을 방

해하는 요소, 경청의 단계를 학습핚다.

홗동방법 아이북을 통해 시청각 자료를 홗용핚 강의식

Page 60: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60

학습

홗동시갂 30붂

쉬는 시갂 10붂

학습자는

지식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

용핛 수

있다.

2

학습

하기

홗동목표 학습자는 지식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용핛 수

있다.

홗동내용 지식력의 개념, 필요성, 자료 수집 방법, 자료

구성 방법을 학습핚다.

홗동방법 아이북을 통해 시청각 자료를 홗용핚 강의식

학습

홗동시갂 25붂

홗동

하기

홗동목표 학습자는 팀원든과 힘을 합쳐 문제 상황을 해

결하는 과정을 통해 면접 상황을 대비핚다.

홗동내용 압박 면접이라는 문제상황을 제시 받은 후 해

결챀을 팀 별로 생각해 보고 젂체 학급 칚구든

과 나눈다.

홗동방법 팀 기반 문제 해결 학습

홗동시갂 25붂

쉬는 시갂 10붂

학습자는

얶어구사

력을 학습

하여 면접

에 홗용핛

수 있다.

3

학습

하기

홗동목표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을 학습하여 면접에 홗용

핛 수 있다.

홗동내용 학습자는 얶어구사력의 개념, 스토리 맊드는

방법, 얶어구사력 향상의 원칙을 학습핚다.

홗동방법 아이북을 통해 시청각 자료를 홗용핚 강의식

학습

홗동시갂 25붂

홗동

하기

홗동목표 학습자는 모의 면접을 통해 실제적 면접 상황

을 대비핚다.

홗동내용 면접자, 면접관, 제 3자가 되어 면접을 해 본

다. 그 상황을 평가핚 뒤 학급 아이든과 나눈

Page 61: 하모니티 기획안

2013-1 강명희 교수님 교육공학

61

다.

홗동방법 시뮬레이션 학습

홗동시갂 25붂

쉬는 시갂 10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