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국국 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 04. 10. 28. 04. 10. 28. 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 Upload
    joylyn

  • View
    132

  • Download
    17

Embed Size (px)

DESCRIPTION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 04. 10. 28. 식품의약품안전청 이광호. 주요 내용. 현행법규 현안문제 향후 발전방향. I. 현행 법규. 기준 · 규격 관련 주요 경과조치. 1962. 1. 법률 제 1007 호 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과 성분에 관한 규격을 제정할 수 있는 근거 마련 1968. 7. 부령 제 249 호 합성수지제 기구 및 용기 · 포장 4 종에 대한 기준 · 규격 제정 공포 1996. 4. 용기포장과 신설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안전성 관리 현황

’ ’04. 10. 28.04. 10. 28.

식품의약품안전청 이광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이광호

Page 2: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I. 현행법규

II. 현안문제

III.향후 발전방향

주요 내용

Page 3: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기준기준 ·· 규격 관련 주요 경과조치규격 관련 주요 경과조치 1962. 1. 법률 제 1007 호 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과 성분에 관한 규격을 제정할 수

있는 근거 마련

1968. 7. 부령 제 249 호 합성수지제 기구 및 용기 · 포장 4 종에 대한 기준 · 규격 제정

공포

1996. 4. 용기포장과 신설 식품의약품안전본부 (KFDA) 발족

I. I. 현행 법규 현행 법규

Page 4: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정의정의

식품위생법 제식품위생법 제 22 조 조 44 항 및 항 및 55 항항 기구 음식기와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의 채취 , 제조 , 가공 , 조리 , 저장 ,

운반 , 진열 , 수수 또는 섭취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에 직접 접촉되는 기계 · 기구 기타의 물건

용기 · 포장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넣거나 싸는 물품으로서 식품 , 또는 식품첨가물을 수수할 때 함께 인도되는 물품

Page 5: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 유독 · 유해물질이 들어있거나 묻어 있어 인체의 건강을 해할 우려가 있는 ---

유독기구등의 유독기구등의 판매금지판매금지

식품위생법 제식품위생법 제 88 조조

Page 6: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용기 · 포장류 제조업

옹기류 제조업

영업의 종류영업의 종류

식품위생법시행령 제식품위생법시행령 제 77 조조 77 항항

시 · 도지사에게 영업신고

식품위생법시행령 제식품위생법시행령 제 1313 조조

Page 7: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국립검역소장 ( 서울 , 부산 , 인천 , 김해검역소장 제외 )

수입 신고수입 신고

식품위생법 제식품위생법 제 1616 조조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 1111 조조

Page 8: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동일한 재질의 제품일 경우 재질별로 검사가능

동일 재질별로 2 월마다 1 회 이상 실시

검사기록서를 2 년간 보관

자가품질검사의 의무자가품질검사의 의무

식품위생법 제식품위생법 제 1919 조조

Page 9: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표시기준표시기준

식품위생법 제식품위생법 제 1010 조조

업소명 및 소재지

재질명을 구분 표시

랩 : 주원료 및 가소제 , 안정제 ,

산화방지제등의

첨가제 , 사용상 주의사항 표시

Page 10: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1 항 – 기구 , 용기 · 포장 제조방법에 관한 기준과 그

원재료에 관한 규격 고시

2 항 – 한시적 기준 · 규격

기준과 규격 기준과 규격

식품위생법 제식품위생법 제 99 조조

Page 11: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납땜을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오염되기 쉬운 구조이어서는

아니된다

동제 또는 동합금제는 식품에 접촉하는 부분을

위생상

위해가 없도록 적절하게 처리하여야 한다

식품공전식품공전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규격

일반기준일반기준

Page 12: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허용된 착색료 이외의 것을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인쇄잉크를 충분히 건조하여야 하며 식품과

접촉하

는 면에는 인쇄를 하지 않아야 한다

- 잔류용제 ( 톨루엔 ) 2mg/m2

DEHP( 일명 DOP) 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식품공전식품공전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규격

Page 13: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합성수지제 ( 총 40 ) 셀로판 : 재생셀룰로오스필름제 고무제 종이제 또는 가공지제 금속제 금속관 목재류 유리 , 도자기 , 법랑 및 옹기류 전분제

식품공전식품공전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규격

재질별 규격재질별 규격

Page 14: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식품공전식품공전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규격

합성수지제합성수지제재질명재질명

11 Polyvinylchloride(PVC)

22Polyethylene(PE), Polypropylene(PP)

33 Polystyrene(PS)

44 Polychlorovinylidene(PVDC)

55 Polyethyleneterephthalate(PET)

66 Phenolformaldehyde(PF)

77 Melamineformaldehyde(MF)

88 Ureaformaldehyde(UF)

99 Polyacetal(POM)

1010 Acryl

재질명재질명

1111 Nylon(PA)

1212 Polymethylpentene(PMP)

1313 Polycarbonate(PC)

1414 Polyvinylalcohol(PVA)

1515 Polyurethane(PU)

1616 Polybutene-1(PB-1)

1717 Butadien resins(BDR)

1818 (ABS) (AS)

1919 Polymethacrylstyrene(MS)

2020 Polybutyleneterephthalate(PBT)

Page 15: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식품공전식품공전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규격

합성수지제합성수지제재질명재질명

2121 Polyarylsulfon(PASF)

2222 polyarylate(PAR)

2323 Hydroxybutylpolyester(HBP)

2424 Polyacrylonitrile(PAN)

2525 Fluoro resins(FR)

2626 Polyphenyleneether(PPE)

2727 Ionomer

2828 Ethylenevinylacetate(EVA)

2929Methylmethacrylat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MABS)

3030 Polyethylenenaphthalate(PEN)

재질명재질명

3131 Silicone

3232 Epoxy

3333 polyetherimide

3434 Polyphenylensulfide(PPS)

3535 polyethersulfone(PES)

3636Polycyclohexane-1,4-dimethylterphthalate(PCT)

3737 Ethylenevinylalcohol(EVOH)

3838 Polyimide(PI)

3939 Polyetheretherketon(PEEK)

4040 Polylactide(PLA)

Page 16: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주요 관리대상 유해물질주요 관리대상 유해물질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 규격

중금속중금속 원료물질원료물질 기타기타 납

카드뮴

안티몬

비소

톨루엔

DOP

PCBs

형광증백제

염화비닐단량체 스티렌 페놀 포름알데히드 멜라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탐 비스페놀 A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BADGE, BFDGE

Page 17: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재질규격 (mg/kg)(1) 납 및 카드뮴 : 각각 100 이하

용출규격 (mg/l)

(1) 중금속 : 1.0 이하 ( 납으로서 )

(2) 증발잔류물 : 30 이하 (3) 포름알데히드 : 4.0 이하 (4) 페놀 : 30 이하 (5) 멜라민 : 30 이하

(( 예예 )) 재질별 규격재질별 규격 제제 6. 6. 기구 및 용기기구 및 용기 ·· 포장의 기준포장의 기준 ··

규격규격

멜라민수지 멜라민수지 (Melamineformaldehyde : MF)(Melamineformaldehyde : MF)

Page 18: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기준과 규격이 고시되지 아니한 기구 및 용기 ·

포장

인정대상자 : 용기포장류 제조 , 가공업자

식약청 검토기간 : 30 일

한시적 기준한시적 기준 ·· 규격규격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 44 조조

식약청고시 제식약청고시 제 1999-191999-19 호호 (2003.12.8.(2003.12.8.

개정개정 ))

Page 19: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한시적 기준한시적 기준 ·· 규격 인정신청규격 인정신청

공인시험성적서 독성시험결과 검체 2 점

인정신청서인정신청서

첨부자료첨부자료

제품명 제조방법 기준 및 규격 정의 , 재질규격 , 용출규격 , 시험방법

Page 20: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2000. 3. 캔음료 용기에서 비스페놀 A 검출 2001. 2. 침출차의 종이 포장재와 PVC 용기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 검출

2002. 8. 병마개에서 가소제 검출

2003. 1. 샌드위치 포장지에서 톨루엔 검출 2004. 7. 불소수지코팅 후라이팬에서 신종 유해물질 검출

2004. 9. 업소용 식품포장 랩에서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 검출

최근의 유해성 발표사례최근의 유해성 발표사례

Page 21: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II. II. 현안문제현안문제

신종 화학물질 사용에 대한 사전 안전성 검토 체계 미비

유해물질의 사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필요

선진 외국과의 상이한 관리체계로 인해 유해물질에

대한 신속한 대응 미비

문제점문제점

Page 22: 국내 식품용기포장재의  안전성 관리 현황

III. III. 향후 발전방향향후 발전방향

허용물질목록 (Positive List:PL) 제도를 통한

원료물질 사전 관리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 및 신종유해물질등의

기준규격 설정

기준 · 규격의 국제적 조화

용출시험의 과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