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현현 현현현현 현현현 현현 현현현현현 현현현현현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 Upload
    sylvie

  • View
    68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 서강대학교 전종호교수.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프랑스인의 에스프리 L'esprit français 프랑스어인 ‘ 에스프리 esprit’, 는 정의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 사전적인 의미로 이는 ‘ 심령 ’, ‘ 정기 ’, ‘ 재능 ’, ‘ 정신 ’, ‘ 사고능력 ’, ‘ 기지 ’, ‘ 행동양식 ’ 등으로 정의된다 . . 한국에 알려진 프랑스인을 설명하는 프랑스어로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서강대학교 전종호교수

Page 2: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1. 프랑스인의 에스프리 L'esprit français 프랑스어인 ‘에스프리 esprit’, 는 정의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 사전적인 의미로

이는 ‘심령’ , ‘ 정기’ , ‘ 재능’ , ‘ 정신’ , ‘ 사고능력’ , ‘ 기지’ , ‘ 행동양식’ 등으로

정의된다 .

한국에 알려진 프랑스인을 설명하는 프랑스어로 ‘ 에스프리 esprit’ 라는 단어와 ‘톨레랑스 tolérance’ 라는 두 단어가 있다 .

이를 중심으로 프랑스인의 기질을 접근 해 볼 수 있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ESPRIT

Page 3: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1) 재치

라는 말을 할 때 에스프리는 ‘기지’ , ‘ 재치’ 의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귀 미쇼

Guy Michaud 와 알랭 킴멜 Alain Kimmel 은 프랑스적인 에스프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적절한 재치와 기지 : 하나의 말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의미를 적절히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재치 있게 응수한다 . 심술궂은 언행 : 타인의 어떤 성격이나 행동에서 못마땅한 점을 보면 채찍을 때리듯이

때로는 부당하다 할 정도로 빈정거린다 .뜻밖의 논리 : 겉으로는 모순된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의 예기치 못한 국면을 보여주는

논리성이 있다 .

“ 프랑스인에게 에스프리는 매우 중요한 것이고 이것이 없다는 것은 큰 단점이 된다 .

이는 마치 영국인에게 유머가 없다는 것과 같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4: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2) 사고능력

에스프리를 ‘사고 능력’으로 이해할 때는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 프랑스인에게 ‘조직적인 사고 능력 esprit organisé’ 은 매우 중요하다 . 17 세기

데카르트 등에 의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철학은 ‘합리적인 이성’을

강조했는데 , 이는 기하학적으로 체계화된 이성을 뜻한다 . 17 세기 일어난 프랑스

고전주의 문예사조는 이러한 이성의 예술적인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 이는 베르사이유 궁전 등에 구현된 프랑스적

정원의 기하학적 균형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 현재까지도 프랑스인에게 수리적인 사고는

매우 중시되고 명료성과 간결성은 프랑스어 , 프랑스인을 특징짓는 단어가 되고 있다 .

Esprit de la géométrie : Un jardin à la française (Villandry)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5: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프랑스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에게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에스프리를

갖게 하는 데 있다고 말할 정도이다 . 수학이 그토록 프랑스 교육에서 중시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은 논문과 작문의

작성 등에서 조직적인 사고를 명료하게 전달하는 훈련을 받는다 . 특히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 것이 토론이다 . 프랑스인은 토론을 매우 즐기는데 , 카페나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 특히 텔레비전에서 토론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 특히

텔레비전에서의 토론은 마치 국민 스포츠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 여기서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간결하고 명백히 전달하는 감각을 익힌다 . 특기할 것은 이러한 과정에서 임기응변이 중시되고 재치 , 재능이 심오한

사고보다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 이를 ‘프랑스적 피상성 superficialié française’ 이라고도 한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6: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2. 똘레랑스 Tolérance 에 대해

홍세화씨가 『나는 파리의 택시 운전사』에서 소개한 ‘똘레랑스’라는 어휘는 이제

프랑스인의 기질과 문화를 설명하는 한 단어가 되었다 . 프랑스를 ‘똘레랑스’의

나라라고 평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7: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1) 홍세화씨가 소개한 똘레랑스

첫 번째 의미로 ‘다른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자유 및 다른 사람의

정치적 , 종교적 의견의 자유에 대한 존중’을 들 수 있다 .

이는 ‘나’의 생각과 행동만이 옳다는 독선의 논리로부터 스스로 벗어나길

요구하고 , ‘ 나’의 정치적 이념이나 종교적 이념을 남에게 강제하는 행위에

반대함을 뜻한다 . 그는 ‘똘레랑스’가 강조되는 사회에서는 강요나 강제 대신

토론이 중시되는데 토론이란 결국 상대를 설득시키기 위한 노력이기 때문이다 .

TOLÉRANCE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8: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또한 사회생활에서 ‘나’와는 다른 것 ( 이웃 , 외국인 , 다른 생활방식 , 다른 문화 ) 에 대한 인정을 들 수 있다 . 프랑스는 외국인들을 자국인과 동등하게 대우하는데 , 사회보장 , 가족수당 , 주거수당 , 무료교육 등 ,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반대하고 있다 . 종교적인 ‘똘레랑스’로 프랑스는 종교의 자유를 존중하는

만큼 종교로부터의 자유도 중요시한다 . 이는 맹목으로

극단화되고 광신으로 치우친 신앙에 대한 견제이다 . 결국 ‘똘레랑스’는 소수에 대한 다수의 , 소수민족에 대한

대민족의 , 소수 외국인에 대한 다수 외국인의 , 약한 자에

대한 강자의 , 가난한자에 대한 가진 자의 횡포를 막으려는

이성의 소리이고 권력의 횡포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려는

의지이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9: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 똘레랑스’의 두 번째 의미는 ‘특별한 상황에서 허용되는 자유’ 로 소개한다 . 이는

‘한계오차’를 의미하는 공학적인 용어에서 온 것으로 허용된 ‘똘레랑스’를 벗어나지

않으려는 자율적 노력을 뜻한다 . 이는 관료의 편의주의와 일률적인 규격화에

반대하고 규정을 잘 지키지 않는 프랑스인의 특성을 잘 설명한다 . 즉 불의나

공권력의 남용보다는 차라리 무질서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10: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 나는 무엇을 아는가 ?’ 로 표현되는 프랑스의 철학 전통인 회의론에서 시작된

이성주의와 대혁명을 비롯한 사회 운동의 역사에서 ‘똘레랑스’가 비롯되었다 . 역사의 교훈에서 얻어진 극단주의에 대한 외면 , 비타협보다는 양보 , 처벌이나

축출보다 설득과 포용 , 홀로 서기 보다는 연대를 지지하는 성향이 프랑스의 ‘

똘레랑스’의 전통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 이처럼 홍세화씨는 ‘똘레랑스’라는

어휘로 프랑스사회와 프랑스인의 사고방식을 설득력 있게 소개했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11: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2) ‘ 똘레랑스’에 대한 비판과 보충

이러한 홍세화 씨의 소개에 대해 이영목씨는 그의 논문 『똘레랑스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에서 ‘똘레랑스’ 개념의 발생과정과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한다 .

우선 홍세화 씨가 참조하였던 『로베르 소사전』의 개념들은 그 의미를 상당히

소극적으로 만드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 즉 “타인의 사고 및 행동 양식에 대한

이해” , 또는 “타인의 자유에 대한 존중 ”은 그 태도를 취하는 주체가 일종의

상대주의적인 태도와 혼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12: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여기서 이영목은 『로베르 소사전』의 다른 어의인 “유기체가 ( 주체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 병적인 징후 없이 약물이나 , 일정한 화학적 , 물리적 작용 들을

견디어 낼 수 있는 능력”을 제시한다 . 이는 ‘똘레랑스’의 의학적 , 생물학적 의미로

허용할 수 없는 것’ , ‘허용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허용이라는 모순적인 의미를

내포한다는 것이다 . 그렇다면 , 허용할 수 없는 것을 ‘왜’ , 그리고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즉각 제시된다 .

vs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13: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이 질문은 결국 ‘똘레랑스’ 개념이 제기하는 궁극적인 문제이며 , 이는 상대적인

가치관과는 거리가 먼 주체의 분명한 가치 판단이 전제된다는 것이다 . 즉 ‘

똘레랑스’ 개념은 ‘엥똘레랑스 intolérance’ 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수반되어야 한다 . ‘ 단일한 불가분의 공화국’을 지향하는 프랑스는 ‘라이시테 laïcité’ 등 공화국의

근간이 되는 원칙을 훼손할 위험이 있는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한 태도를 취했다 . 즉 ‘엥똘레랑스’의 기준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는 것이다 . 또한 이민자에 대한

‘통합주의’적 정책은 이민자에게 프랑스공화국의 일원으로 종교적 , 문화적인

분파주의를 허용하지 않는 정책을 견지하였다 . 이는 영미의 ‘다문화주의’

정책과는 대비된다 . 또한 홍세화씨의 첫 번째 정의는 굳이 ‘똘레랑스’라는 거창한 개념에 의지하지

않더라도 ,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정신인 토론과 합의의 정신을 통해 충분히

실현될 수 있고 또 그렇게 해만 하는 태도라고 비판할 수 있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14: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이 영목 은 ‘ 똘 레 랑스 ’ 의 문 제 는 표 면 상 으로 는 개 인의 문 제처 럼 보 이나

본질적으로는 사회 , 정치상의 문제임을 지적한다 . 즉 , 어디까지 ‘똘레레

toléré’ 할 것인가의 대답은 단어의 의학적 의미에서 찾을 수 있는데 , 이는 “

유기체가 병적인 징후를 보이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 이를 정치적인 용어로 바꾸자면 , ‘ 똘레랑스’는 국가 , 또는 어떤 사회 집단이 그

존재를 위협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 여기서 무엇이

사회라는 유기체의 존재에 위협적인 요소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판단은

역사적으로 변화한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Page 15: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실지로 ‘똘레랑스’라는 이론은 종교적인 문제에서 시작되었다 . 로크 Locke 나

루소 Rousseau 는 ‘똘레랑스’를 역설함과 동시에 단호하게 ‘엥똘레랑스’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 이의 판단은 항상 정치적이었으며 , 그 차이는 정치권력의 사명 및

기능의 해석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

제 2 강 – 프랑스인의 기질을 소개하는 두 가지 접근

이영목의 주장은 홍세화 씨의 ‘똘레랑스’의 개념이 지닌 약점을 보충하게 해 준

다 . 즉 ' 똘레랑스‘는 개인적 덕목이기 보다는 사회적 , 정치적인 덕목이며 ’

엥똘레랑스‘에 대한 분명한 입장정리가 표현되어야 한다 . ’ 똘레랑스‘와 ’

엥똘레랑스‘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다 . 여기서 ’똘레랑스‘는 궁극적 해결에

필요한 합의 과정을 가능케 하는 필수 조건이다 .

Page 16: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참고문헌

이영목 , “ 똘레랑스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 『 18 세기 연구 제 3 호』 , 태학

사 , 2001, 305-328쪽홍세화 , 『나는 파리의 택시운전사』 , 창작과 비평사 , 1995『쎄느 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 한계레 신문사 , 1999http://fr.fotopedia.com/items/6nf9pniglhbor-ncOnMd7OB4E서울대학교 불어권 문화연구소 , 『프랑스 하나 그리고 여럿』 , 강 , 2008. (특히 1 부의 문경자 , 「공존의 원리」를 참조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