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국 국 국 국 국 국

국 제 법 의 주 체

  • Upload
    meara

  • View
    40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국 제 법 의 주 체 . 국제법 주체의 의의. 국제법 주체 (International legal person ) 의 의의 국제법상의 권리의무의 귀속자 즉 수범자 어떤 실체 (entity) 의 국제법적 인격과 특정국 내에서의 국내법적 인격 사이에 필수적인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전자는 국제법이 결정할 문제이고 , 후자는 국내법이 규율할 문제이다 . 따라서 국제인격으로부터 국내인격이 당연히 도출되는 것은 아니다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국 제 법 의 주 체

국 제 법 의 주 체

Page 2: 국 제 법 의 주 체

국제법 주체의 의의

국제법 주체 (International legal person ) 의 의의

국제법상의 권리의무의 귀속자 즉 수범자

어떤 실체 (entity) 의 국제법적 인격과 특정국 내에서의 국내법적 인격 사이에 필수적인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전자는 국제법이 결정할 문제이고 , 후자는 국내법이 규율할 문제이다 . 따라서 국제인격으로부터 국내인격이 당연히 도출되는 것은 아니다 .

국제인격자 (international person) 는 국제적 권리와 의무를 보유할 능력이 있고 , 국제청구를 제기함으로써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자격이 있는 실체이다

국제적 법인격 (legal personality) 의 징표 .

어떤 실체가 국제법의 주체이다 / 아니다의 이분법적 사고보다는 각 주체가 향유하는 법인격의 특징과 범위를 고찰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ICJ 도 Reparation Case 에서 “그 어떤 법체계에 있어서도 법의 주체들은 그 특질이나 혹은 그 권리의 범위에 있어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고 , 그들의 특질도 공동체의 필요에 달려 있다”고언급하여 , 법인격의 상대적 성격을 인정하고 있다 .

법의 주체 내지 법인격 개념은 가변적이고 동태적 개념이다 . 오늘날 자연인과 법인도 국제관습법이나 관련조약의 특정한 목적이나 분야에서 조약이 규정하는 바에 따라 국제적 법인격 향유가 가능하다 .

Page 3: 국 제 법 의 주 체

국제법 주체의 분류

1.등장시기를 기준으로 : 2 차대전 전후전통적 주체 : 국가 , 반란단체신주체 : 국제기구 , 민족자결권을 향유하는 민족 , 개인

2.국제법의 주된 규율대상이 누군가에 따른 분류1 차적 ( 기본적 ) 주체 : 국가부수적 주체 : 그 외 주체

3.국제법의 창설권한 즉 , 조약체결능력과 국제관습법의 형성능력에 따라능동적 주체 : 국가 , 반란단체 , 국제기구 , 민족 .

4.존재 그 자체로 주체성을 향유하는가 / 국가들의 합의에 의해 주체성이 인정되는가시원적 주체 : 국가파생적 주체 : 국제기구 , 개인

5.향유하는 권리능력의 범위에 따라포괄적 주체 : 국가제한적 주체 : 그 외 주체

6.영토적 주체 ( 국가 )

Page 4: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의 유형

1. 종속적 결합 : 결합국 간의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의 우열이 있는 경우비자치지역 ( 식민지 ), 신탁통치지역 ( 시정국 ), 피점령국 등피보호국

•보호조약을 통하여 보호관계를 형성하고 대외관계의 처리를 위임하고 타국의 보호를 받는 국가 •보호국은 피보호국에 대하여 외부의 침략이나 다른 압박으로부터 보호하고 , 피보호국은 주로 외교관계에대한 전권을 위임한다 . 외교적 보호권은 보호국이 행사한다 .•.•예 : 대한제국 ( 일본 ), 모나코 ( 프랑스 ), 부탄 ( 인도 ), 산마리노 ( 인도 ) 등 •을사조약 (1995) 제 2 조 : 일본국 정부는 재 동경 외무성을 경우하여 금후에 한국에 외국이 대하는 관계

및사무를 감리 , 지휘할 것이요 , 일본국의 외교대표자 및 영사는 외국에 있어서의 한국의 신민 및 이익을 보호할 것임

2. 대등적 결합 : 결합국간 권리능력과 행위능력의 우열이 없는 경우연방국가 , 국가연합 , 물적동군연합 , 인적동군연합 , 영연방 , 독립국가연합 등국가연합 : 복수의 국가가 공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약에 의하여 결합하고 , 일정범위의 국가기능을공동으로 행사하는 복합국가 , 결합국은 국가연합에 위임한 것을 제외하고 대내외적으로 독립성을 가진다 . 국가연합은 완전한 국가는 아니지만 결합국의 행위능력의 일부를 위임받는다 . 독일연합 , 스위스연합 등물적 동군연합 혹은 물상연합 (real union) : 조약으로 복수의 국가가 동일군주를 추대하고 , 국제법상으로도단일한 국제법주체를 형성하는 국가 ( 과거의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인적동군연합 혹은 신상연합 (personal union) : 왕위계승법의 규정에 의하여 복수의 국가가 우연히 동일의군주를 갖게 되나 , 국가간 결합관계는 없고 , 국제관계에 있어서도 개별의 독립국으로서 행동 ( 과거의

네덜란드와룩셈부르크 )

Page 5: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의 일반적 형태

1. 단일국가 모든 국가권력은 헌법에 의하여 중앙정부에 귀속되어 있다 . 지방자치제도를 통하여 일정한 범위의 입법권을

지방당국에 부여하기도 하지만 , 중앙정부는 국가에 따라 헌법개정이나 의회입법에 의해 지방당국의 권한을축소하거나 폐지할 수 있다 .

2.연방국가 연방정부와 그 구성국간의 권한배분은 연방헌법의 규율사항으로 대내적 사항에 관한 권한은 연방정부와지방 ( 혹은 州 ) 간에 적절히 배분되고 , 대외적 사항은 원칙적으로 연방정부가 담당한다 . 주권의 분할 : 단일국가에서의 주권은 “단일불가분의” 것으로 인식되는데 반해 , 연방국가의 주권은 연방정부와그 구성국에 의하여 “분배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 그 결과 연방국가에서 연방정부와 그 구성국들 양자가각기 행사하는 일정 입법적 · 행정적 직무는 연방차원에서 그들에게 위임된 직무가 아니라 , “ 그들 자신의 국가성”에 의하여 자신들에게 속하는 것이며 , “ 연방헌법의 개정을 통해서도 절대 박탈할 수 없는” 자율적 직무로 이해된다 . 독일의 경우 연방제와 그 핵심적 측면들 ( 독일헌법 79 조 3 항 , 연방국의 주의 구분 , 그들의

입법과정에의 참여 ....... 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법의 개정은 금지된다 ) 은 헌법개정으로부터 보호된다 . 국제법상 연방국가의 지위 : 1933 년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몬테비데오 협약’ 제 2 조 : 연방국가는 국제법상 단일의 인격을 구성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연방국가가 국제법상 하나의 국가로 간주되는 이유는 국제법은 국제관계를 수행할 자격이 있는 실체만을 국가로 보기 때문이다 . 따라서 주의 국제의무위반은 연방정부의 대외적책임을 야기한다 .단 , 구성국들은 본래의 국가성을 고려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국제관계를 형성을 능력을 향유하기도 한다 .미국헌법 제 1 조 10 항은 “어떤 주도 조약 , 동맹 또는 연합을 맺을 수 없다”고 규정하면서 , “ 어떤 주도 연방의회의

동의 없이는 ...... 다른 주 또는 외국과 어떠한 협정이나 합의도 체결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

Page 6: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연합 / 유럽공동체 (EU) / CIS

1.국가연합 (confederated states)공동의 목적을 위하여 조약을 통하여 일정한 국가기능 ( 예를 들어 공동 국방정책 등 ) 을 공동으로 행사하기로 하는 국가간의 결합연방국가의 중앙정부는 구성국가들에 대해서 뿐 아니라 자신의 시민들에 대해서도 직접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반면에 국가연합의 정부당국은 그 회원국에 대해서만 권한을 미칠 수 있을 뿐이며 , 국민에게 직접 적용되는 법을 제정할 권한을 갖지 못한다 .. 다만 , 구성국간 결합의 강화로 지역통합기구로 발전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

2.유럽연합 (European Union)유럽연합의 경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연방적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 왜냐하면 유럽공동체는 아직 그 자체로하나의 연방국가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나 , 직접 회원국의 국민을 구속하는 입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있기 때문이다 .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연합의 성격을 유지하고 있기도 한데 , 회원국들은 공동체로 이전된 주권적 권한을 제외하고 여전히 국제공동체에서 주권독립국가로 존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 2009 년 12월 1 일 리스본 조약 발효에 의해 EU 의 법인격 인정

3.독립국가연합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 CIS)1991 년 12월 31 일 소연방해체의 결과 완전히 독립된 국가들로 형성된 복합국가러시아 ·몰도바 ·벨로루시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즈베키스탄 ·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 회원국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은 2005 년 8월 26 일 탈퇴 후에 준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루지야는 원래 회원국이였으나 , 2008 년에 러시아와 전쟁을 치른 후에 탈퇴를 선언했다 .구성국간 합의에 의한 행동 , 평등에 기초하여 설립된 조정기관을 통한 협력구성국 상호간 경제적 협력 , 자신의 헌법에 따른 국제법적 의무 이행

Page 7: 국 제 법 의 주 체

영연방 (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

1. 의의 영국을 포함한 컴먼웰스의 구성국으로 성립하는 특수한 형태의 국가결합으로 , 구성국은 대외적으로 완전한

독립국이나 구성원 상호간의 관계에서는 국제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내부관계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 최근에 구성국간의 내부관계가 국제관계로 변경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영국의 왕관을 공통의 상징으로 하여 결합한 독특한 복합국가

현재의 여왕을 원수로 하고 있는 나라: 영국 , 캐나다 , 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 , 스리랑카 등

대통령을 원수로 하는 나라: 인도 , 파키스탄 , 가나 , 키프로스 , 케냐 , 나이지리아 , 싱가포르 등

술탄 ( 이슬람 국가의 군주 ) 을 원수로 하고 있는 나라: 말레이시아 , 레소토 등

2. 기원 : 1931 년 웨스터민스터 조례 연방국가도 아닌 또한 결성조약이나 중추기관이 없으므로 국가연합도 아닌 독특한 복합국가 (53 개국 )

3. 특징구성국가에 파견 접수되는 사절을 고등판문관이라고 한다 . 종래 외교특권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 1952 년 영국

의 외교면제법을 근거로 외교특권이 인정된다 .각 구성국은 조약을 체결할 경우 사전에 구성국에게 통고할 의무가 있다 . 다른 구성국은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상호간의 분쟁은 통상의 국제분쟁과는 구별되고 , 국제재판소에 부탁되지 않는 관행이 있었으나 , 최근 들어

완화되고 있다 .영연방 구성국의 국민 전부는 컴먼웰스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는다 . 자신의 국적을 가지면서 , 컴먼웰스

시민의 지위를 향유하며 , 단순한 외국인과는 다른 특별한 대우를 받는다 . .

Page 8: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의 성립요건

1. 항구적 인구 (permanent population)

국가는 그 유지 · 존속을 위해 항구적 인구를 보유하여야 한다 . 남극은 이 요건의 결여로 인해 그 자체로 국가가 될

수 없다 . 반면 소말리아의 경우처럼 다수의 유목민이 국경선을 넘나들고 있다고 하더라도 현저한 수의 항구적주민이 있는 한 국가자격에는 영향이 없다 . .인구수는 단순한 숫자에 불과 / 인구수에 관한 최소기준은 없다인종적 , 민족적 , 종교적 , 언어적으로 단일한 종류일 것은 요구되지 않는다 .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몬테비데오 협약 제 1 조 : 국제법의 인격자로서의 국가는 다음의 자격을

보유하

여야 한다 . (a) 항구적 인구 , (b) 일정하게 확정된 영토 , (c) 정부 , (d) 다른 국가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

미국 대외관계법 주석 : 국제법 하에서 국가는 확정된 영토와 당해 국가 정부의 통치하에 있는 영구적 인

구 , 타 실체와 공식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거나 혹은 유지할 수 있는 자격과 능력을 가진 실체

(a) 영토에 대한 주권과 국민에 대한 일반적 권한

(b) 법인체로서 재산을 소유 , 취득 , 양도할 수 있고 , 계약관계를 성립할 수 있으며 , 국제적 합의에 참여할 수

으며 , 국제기구들의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 ( 국제적 합의하에서의 ) 구제책을 요청할 수 있고 , 국제

적 합의의 지배를 받을 수 있는 지위

(c) 타국과 공동으로 국제법을 제정하는데 참여할 수 있는 능력

Page 9: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의 성립요건

2. 한정된 ( 일정한 ) 영토 (a defined territory)

인민이 거주하는 일정한 영역이 있어야 한다 . 다만 ‘한정된’ 영토라 하는 경우 , 국경선이 분명하거나 영토관련분쟁이 없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 따라서 한정된 영토의 요건은 비록 영토의 범위가 불확실하거나 시간이지남에 따라 변화하더라도 일정 영토가 의문의 여지없이 당해 국가의 통제 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영토는해안선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으며 , 한 국가의 모든 영토가 서로 인접하고 있어야 할 필요도 없다 . 이와 관련하여 영토가 몹시 작고 인구 또한 극소인 국가를 극소국가 ( 혹은 미소국가 , Mini State, Micro state) 라고 한다 . Nauru 는 인구가 14,000 여명이며 섬둘레는19Km 에 불과하다 . 준국가적 실체인 바티칸시국은 영토면적이 O.5㎢에 시민권보유자는 829(2010)명

정도이다 . 극소 ( 미소 ) 국가의 개념은 이들 국가에게 국제기구에서의 투표권을 제한하는 등 차별적 대우를 부여하기 위한의도로서 제시된 개념이다 . 그러나 미소국가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객관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3. 정부 (government)

영토와 인구에 대하여 입법 , 사법 , 행정적 기능의 측면에서 실효적 통제를 행사할 수 있고 다른 국가로부터 독립된 정부를 보유하여야 한다 . .실효적 통제 : 정부는 원칙적으로 그 영토와 영토 내의 인구에 대하여 실효적 통제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특히 일부 영토가 분리 · 독립하여 신국가를 수립하는 경우 실효적 통제의 요건은 엄격하게 요구된다 . 다만 , 내란으로 인하여 국가가 실효적 통제를 행사하는 정부를 일시적으로 상실하더라도 그 국가는 계속해서존재한다 . 한편 전쟁으로 인하여 정부가 일시 영토를 비우는 경우 즉 , 망명정부의 경우 여전히 그 국가는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

Page 10: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의 성립요건

3. 4. 외교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 (capacity to enter into relations with other states)

다른 국가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은 흔히 독립성의 요건으로 지칭된다 . 어떤 공동체가 모국으로부터분리된 후 법적으로 혹은 실제로 타국의 위성국가가 된다면 독립의 일차적 조건을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며 ,국가로서 승인 받을 자격을 갖지 못할 것이다 .

•예 : 1931 년 일본은 만주국을 정복하고 , 1932 년 이 지역을 신생 만주독립국으로 승인하였다 .국제연맹은 1933 년 2월 24 일 만주에 대한 주권은 중국에게 있다고 결의하였다 . 즉 , 만주국은

독립국가가아니었으며 단지 일본의 괴뢰정부 (puppet state) 에 지나지 않았다 .

5. 국가 승인의 필요여부 :

어떤 실체가 국가가 되기 위한 모든 요건을 갖춘 경우 다른 국가들이 당해 국가와 국제관계를 맺기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되는가 ? 이른바 국가승인의 문제이다 .

Page 11: 국 제 법 의 주 체

국가의 성립방식

1. 창설 :

2. 분리독립 : 국가의 일부 ( 주로 식민지 ) 가 독립하여 신국가를 건설하는 경우 . 1776 년 영국으로부터의 미국의 독립 , 1946 년 미국으로부터 필리핀의 독립 등

3. 분열 : 한 국가가 분열하여 복수의 신국가를 형성하는 경우

4. 병합 : A + B = A

5. 합병 :

Page 12: 국 제 법 의 주 체

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1. 국제기구 ( 조직 ) 의 의의

일정한 공동 목표의 달성을 위해 조약에 의해 설립되는 상설결합체로서 , 기구의 영속성을 상징하는 사무국(Secretariat), 모든 회원국으로 구성되는 총회 (Assembly), 일부 소수의 회원국으로 구성되는 집행이사회(Governing Body) 등 세 기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 때때로 자신의 사법기관을 보유하는 경우도 있다 .

2. * 2003 년 ILC “ 국제기구의 책임에 관한 잠정초안규정” 제 2 조

본 초안규정의 목적상 , 국제 기구란 조약 또는 국제법의 의하여 규율 되는 기타문서에 의하여 수립되고 , 그자신의 국제법인격을 가지는 기구를 지칭한다 . 국제기구는 회원으로서 국가 이외의 다른 실체를 포함할 수 있

다 .

다만 이 정의 방식은 조약초안규정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 모든 목적을 위한 것은 아니다 . 그러나 이 정의는국제기구에 관한 최근의 정의를 반영하고 있다 .

.

국제기구는 조약뿐만 아니라 “국제법에 의하여 규율 되는 기타문서”에 의해서도 수립될 수 있다 . 물론 대부분의국제기구가 ‘사전’조약에 의해 설립되고 있으나 , 조약 없이 설립되었다가 후에 설립조약이 채택 ( 예 : 북유럽이사회 Nordic Council) 되거나 , 국제기구 또는 국가간 회의에서 채택되는 ‘결의 (resolutions)’ 을 통해

수립되는경우 ( 예 : 석유수출국기구 OPEC,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도 있기 때문이다 .

Page 13: 국 제 법 의 주 체

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2. * 2003 년 ILC “ 국제기구의 책임에 관한 잠정초안규정” 제 2 조

조약 또는 국제법에 의하여 규율 되는 기타문서에 의해 국제기구가 설립된다 할지라도 국제문서의 채택에 참여할능력 없는 실체가 동 기구의 회원이 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다 .국제기구는 그 자신의 국제법인격 즉 , 회원국과는 별개의 국제법인격을 가져야 한다 .국제기구는 회원으로서 국가 이외의 다른 실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국가의 참여를 필수적 요소로 하되 비국가적 실체를 추가적인 회원 (additional members) 로 거느리는 국제기구를 위한 문구이다 . 따라서 오로지국제기구만을 회원으로 하는 국제기구는 이 초안의 목적상 국제기구가 아니다 .

3. 국제기구의 역사

19세기 말 : 기술적 , 행정적 문제들을 공동으로 수행할 목적의 단순한 결합체

•예 : 1875 만국우편연합 , 1883 산업재산권보호동맹 , 1905 국제농업협회 , 그 외 라인강 · 다뉴브강

등을 위한 하천위원회 등

1 차 대전 후 : 국제연맹과 국제노동기구 (ILO) 등 정치적 성격의 국제기구가 등장하였으나 , 여전히 회원국들

로부터 집합체적 성격의 기구로 인식되었고 , 회원국들로부터 독립된 역할이나 존재를 거의 갖지 못하였다 .2 차 대전 후 : 국제관계에 있어 국제기구의 고유한 즉 , 회원국들과 구분되는 실체로서의 역할과 비중을 갖는

국제기구가 등장하였고 , 여기에는 세계적 차원 및 지역적 차원의 국제기구가 포함된다 .현재 대략 400 여 개의 국제기구가 활동 중이다 .

Page 14: 국 제 법 의 주 체

4. 국제기구의 국제법인격

국제인격자 (international person) 는 국제적 권리와 의무를 보유할 능력이 있고 , 국제청구를 제기함으로써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자격이 있는 실체이다 .국제기구의 국제법상 법인격은 목적이나 회원국이 국제적 규모라는 이유만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

①국제기구를 수립하는 국가들은 그 설립조약을 통하여 당해 기구에 대하여 ‘회원국’의 국내법상의 인격을 부여하기로 약속할 수 있다 .

예 : UN 헌장 제 104 조가 “기구는 각 회원국의 영토 내에서 그 임무수행과 목적달성에 필요한 법적능력을 향유한다”고 규정하는 것은 회원국들이 UN 으로 하여금 자국영토 내에서 재산을 소유하거나계약을 체결하거나 소송을 제기하는 등의 국내인격의 향유를 허락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 따라서 이 규정을 어떻게 이행하는가는 회원국의 헌법상의 문제이다 . 그러므로 국제법의 국내적 도입방식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헌장 제 104 조의 도입에 있어서도 그 도입방식과 효력은 국가에 따라 상이할 수 밖에 없다 .유엔의 특권 , 면제에 관한 협약 제 1 조 “유엔은 법인격을 향유하며 계약체결 , 동산 및 부동산의 취득 및 처분 , 제소능력을 가진다”

②어떤 기구가 조약에 의하여 ‘회원국’ 영토 내에서 법인격을 부여 받은 것이 ‘비회원국’의 영토 내에서 당연히법인격을 부여 받은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 조약은 제 3 국에 대해서는 구속력이 없기 때문이다 . UN 의 경우 비회원국의 영토 내에서도 일정 인격을 향유하기 위하여 관련 국가들과 개별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

③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것은 국제기구의 ‘국내’ 법인격의 문제이고 , 국제기구가 조약에 의해 국내법인격을 부여받는다고 하여 당연히 ‘국제’ 법인격을 부여 받는 것은 아니다 .

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Page 15: 국 제 법 의 주 체

④ 국제기구가 회원국들에 대한 관계에 있어 국제적 인격을 갖는가 ?

.UN 헌장 제 104 조에서 인정되는 국내적 인격과 달리 , 국제적 인격에 관한 명시적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다만 UN 은 회원국과의 관계에서 어느 정도의 국제인격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근거규정 : UN

헌장 제 43 조 ( 안보리와 회원국간의 병력제공에 관한 조약체결 ), 헌장 제 105 조 ( 목적달성에 필요한 특권과

면제 ) UN 기관의 결정의 회원국에 대한 구속력

그러나 국제기구의 법인격은 국가와 같은 포괄적인 것이 아니고 , 설립조약에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규정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만 인정된다는 점에서 제한적이고 파생적이다 . 따라서 , 국제기구의 법인격을논할 때 , 추상적 법인격에 관한 논의보다는 특정 기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국제적 권리와 의무를 가지는가를 논하는 것이 타당하다 . UN 은 군사행동을 취할 수 있으나 , WHO 는 그러한 권한이 없다 .

⑤ 국제기구의 제 3 국에 대한 국제인격 여부

국제기구의 인격이 조약당사국 이외의 제 3 국에 대하여 원용될 수 있는가 ? 국제기구는 설립조약에 근거하여 비회원국 또는 타국제기구와 조약을 체결하거나 외교사절을 교환할 수 있다 . 그러나 이러한것을 근거로 대세적 인격이 인정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 왜냐하면 국제기구의 이와 같은 활동은 타방당사자의 동의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 ICJ 가 객관적 인격을 인정한 사례

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Page 16: 국 제 법 의 주 체

[ 사실관계 ] 1948 년 제 1 차 중동전 당시 팔레스타인 분쟁해결을 위해 국제연합 조정관으로 현지 임무수행 중이던

Bernadotte백작과 다른 유엔감시장교가 팔레스타인 과격분자에 의해 살해된 사건이 발생하자 UN총회는 직원의 보호문제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ICJ 에 권고적 의견을 부탁하였다 .

[쟁점 ] UN 직원이 임무 수행 중 국가책임을 수반하는 손해를 입었을 경우 , UN 은 국제기구의 지위에서 그 손해에

관하여 책임 있는 법률상 또는 사실상 정부에 대하여 적절한 보상을 위해 국제청구를 제기할 수 있는가 ? 만일 그러하다면 희생자 국적국의 외교적 보호권과의 조화는 어떻게 할 것인가

[판결 ] UN 은 국제청구를 제기할 권한이 있으며 , 그 직원이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청구를 UN 에 대한 의무위반만을

이유로 제기할 수 있으므로 국적국과의 충돌은 조화될 수 있다

[판결이유 ]

1) 국제인격자는 국제적 권리와 의무를 보유할 능력이 있고 , 국제청구를 제기함으로써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자격이 있는 실체이다 .

2) UN 의 국제적 인격 보유 여부에 관하여 : UN 은 단순한 국제기구가 아니며 , 많은 임무수행을 위한 각각의 기관을 두고 있고 , 각 국가와 관계를 맺어 목적달성을 위해 임무를 수행하고 있음을 볼 때 , UN 은 국제적 인격을 가진 기구임에 분명하다 .

3) 국제적 권한에 의한 청구능력의 보유여부에 관하여 : UN 의 국제적 권리의무는 헌장에 규정되어 있거나 국제관행에 의한 임무와 목적에 따른다 . UN 이 담당하는 막중한 임무와 그 성격상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국제적 청구능력이 인정되어야 한다 .

Reparation for Injuries suffered in the Service of the United Nations / ICJ 1948

Page 17: 국 제 법 의 주 체

4) 기능적 보호권의 행사여부 : 전통적으로 외교적 보호는 국적국에 의해 행사되어왔다 . 그러나 비록 헌장에 명시적

규정이 없다하더라도 그 임무수행을 위해 UN 은 기능적 보호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 UN 의 기관이 UN 에 의한 보호에 대하여 확신을 가진 경우에 그 임무수행의 원활성을 기할 수 있고 , 그 국적국으로부터의 독립도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

5) 유엔은 비회원국에 대해서도 그 국제적 법인격이 인정되며 , 특히 국제적 청구를 제기할 수 있는 권능도 있다 .

6) 국적국의 보호와의 충돌 : 만일 국적국과 UN 의 보호권이 충돌되는 경우 선의 (good will) 와 양식 (common sense) 에 의하여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각 사건에서 개별적인 협정이나 일반적인 협정을 체결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7) 그러나 가해국의 이중배상의무는 없다 .

Reparation for Injuries suffered in the Service of the United Nations / ICJ 1948

Page 18: 국 제 법 의 주 체

국제기구

5. 국제기구의 국제법상 권능

전문성의 원칙 : 원칙적으로 국제기구는 회원국으로부터 부여받은 목적과 권한의 범위 내에서만 직무를수행할 수 있다 . . : 설립조약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그 목적 달성이나 임무수행과관련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권한은 묵시적으로 국제기구에 부여된 권한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

조약체결권 : 국제기구의 법인격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조약체결권이 인정된다 . •UN 헌장 제 43 조 , 제 57 조 , 제 63 조 , 제 105 조 3 항 등•설립조약에 명시적 규정이 없더라도 임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묵시적 권한에 의하여 조약체권이 부여된다 .

국제기구의 특권과 면제•.•유엔의 특권 · 면제에 관한 협약 , 전문기구의 특권 · 면제에 관한 협약

국제책임 및 국제적 청구의 권한•자신이 입은 손해에 관하여 국제적인 청구를 제기하거나 위법행위에 의한 손해 발생에 관하여 스스로국제책임을 진다 .•국제기구의 법인격과 ICJ 제소권한 : ICJ 제소권한은 국가만이 가지고 있다 .

기능적 보호권 : 그 직원이 입은 손해에 대하여 가해국을 상대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기능적 보호권을 가진다 . 기능적 보호권은 국제기구 직원의 본국에 의한 외교적 보호권과 별개로 국제기구 자신의 권능으로인정된다 .

Page 19: 국 제 법 의 주 체

비정부간 국제기구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 International NGOs)

비정부간 국제기구는 국적을 달리하는 사인 또는 사적 단체들의 국제적 차원의 항구적 결합을 지칭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 구성에 있어 국제적이긴 하지만 조약에 의해 설립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자체로 국제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것이 아니라 설립지의 국내법에 의하여 규율된다 .

비정부간 국제기구는 그들이 수행하는 국제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국제인격을 향유하지 못한다 .

다만 , 때때로 국제기구의 요청이 있는 경우 자신의 전문분야에 관련된 문제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경제사회이사회 (ECOSOC) 는 헌장 제 71 조에 의거하여 자신의 권한 내의 문제와 관련 있는 비정부국제기구의

조언과 의견을 구할 수 있다 .

국제상공회의소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 ICC) 는 전 세계의 수천개 기업 및 사업자단체와

결합하고 있으나 , 이는 프랑스법에 의거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

그린피스 (Greenpeace) 는 1971 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환경보호단체의 하나로서 핵무기 반대 , 고래잡이 반대 , 생물다양성 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다른

단체들과 달리 다소 공격적인 시위를 벌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 본부는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 있다 .

Page 20: 국 제 법 의 주 체

바티칸시국과 ICRC

1. 바티칸시국 ( 로마교황청 )1870 년 영토가 이탈리아에 병합되었다가 , 1929 년 이탈리아정부와 교황청사이의 라테란조약으로 탄생한바티칸시국 (State of the Vatican City) 은 교황을 원수로 하고 , 바티칸 궁전과 그 주변지역을 포함하는 약 0.5

㎢의영토를 차지하고 있는 교회국가이다 . 교황청은 정부조직에 해당하며 , 대략 1,500명의 내부종사자를 국민으로 두고 있으나 , 이들은 모두 이중국적즉 , 본국을 가지고 있는 자들이다 . 교황조차도 바티칸의 시민이면서 동시에 출신국의 국민이다 . 바티칸은 외교관 패스포트 (diplomatic passports) 만을 발급하고 있다 .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맺고 , 조약을 체결한다 ..바티칸의 국가적 기능의 많은 부분 ( 행정관리적 업무 ) 은 실제로는 이탈리아 정부가 수행하고 있다 .1949 년 4월 한국을 승인했으며 1963 년 12월 외교관계를 공식 수립함에 따라 서울의 교황사절단이

공사관으로승격되었다

2. 국제적십자위원회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1863 년 스위스국적의 앙리뒤낭에 의해 민간단체로 창립1912 년 발효한 스위스민법에 의하여 국내인격을 부여받았고 , 본부건물은 제네바 소재1949 년 제네바 4 개협약과 1977 년 2 개의 추가의정서에 의해 전쟁희생자들을 대리하여 정부에 간섭할 수

있는일정한 권한을 명시적으로 부여받았고 , 국가나 국제기구들과 조약을 체결하고 있기도 하다 . 전시에 있어서의 민간인보호에 관한 1949 년 8월 12 일자 제네바협약 ( 제 4 협약 ) 제 142 조 및 제 143 조

Page 21: 국 제 법 의 주 체

영세중립국

1. 의의

조약에 의해 영구 중립을 유지할 의무를 지고 , 타국이 그 독립과 영토 보전을 보장하는 국가를 말한다 . 자위의 경우를 제외하고 영구적으로 전쟁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며 , 동맹조약도 체결할 수 없다 . 약소국인 중립국의 경우 국제정치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 강대국의 경우에는 영세중립국을 완충지대로 설정하여 세력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 다만 , 오늘날 집단안정보장체제의 등장으로 영세중립국의 제도적 의의는 반감하고 있다 .

2. 영세중립국의 권리와 의무

. 전쟁불개입의무 : 동맹불가입 중립의 보장 : 영세중립국조약상 당사자들은 중립적 지위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 영토할양의 금지

3. 사례 스위스 : 1815 년 3월 빈회의에서 스위스 영세중립 · 영역불가침보장선언 , 2002 년 UN 가입 오스트리아 : 1955 년 오스트리아의 중립국선언에 의한 강대국 및 주변국가의 승인 , UN 가입 라오스 : 1962 년 라오스영세중립선언 및 의정서 캄보디아 : 1989 년 7월 영세중립선언 , 외국과의 군사조약 폐기 로마교황청 : 사실상의 영세중립국

Page 22: 국 제 법 의 주 체

개인

1.전통 국제법 하에서 개인은 단지 법의 객체로 취급되었을 뿐이다 . 즉 , 개인은 국제법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어떠한

권리도 도출해 내지 못하고 , 개인이 외국으로부터 부당한 침해를 받으면 최종적으로 자국의 외교적 보호에

호소하여야만 하였다 . 또한 자국정부에 의한 개인의 침해의 경우 , 이것은 오로지 국내문제 (domestic affair) 에

불과하고 ,국제법의 규율 범위 밖에 있었다 .

“19세기에는 국가가 국제법의 유일한 법인격자였다 . 국제법은 국내법이 동물을 바라보듯 개인을 바라보았다 이러한 태도는 여전히 국제재판소에서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

2.1955 년 ICJ Nottebohm 사건 : “ 외교보호와 국제적 사법절차의 조치에 의한 보호는 국가들의 권리를

방어하기 위한

조치를 구성한다 . PCIJ 도 반복하여 말한바와 같이 , 국가는 자국민 중 어느 한 사람의 사건을 떠맡음으로써

그리고 그를

위하여 외교적 행동이나 국제적 사법절차에 호소함으로써 , 실제로는 그 자신의 권리 즉 국제법규에 대한 존중을

확보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

.

3.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1 차대전 후 개인의 권리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직접적으로 국제법의 보호하에 놓이게

되었고 ,이러한 경향을 점차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

Page 23: 국 제 법 의 주 체

개인

4.개인의 국제법주체성의 인정범위에 대해서는 개인의 국제법주체성을 긍정하는 견해에 의할지라도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 일부 견해는 국제법규 ( 주로 조약 ) 가 개인의 권리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기만 하면 개인의

국제법주체성이

인정된다는 견해가 있다 . 그러나 이것만으로 개인의 국제법상의 권리를 인정할 수 있는가 ? 또는 국제법상 일정한

권리를 인정할 것을 국가에 요구하는 것에 불과한가 ?

예 ) 통상조약 : 체약국 국민의 거주 , 영업의 권리가 규정된 경우 개인이 이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은 국내법상의

관계에서만이다 . 즉 , 이 경우 국가의 약속에 불과하다

예 ) 국제법상 개인의 국제법주체성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개인이 직접 국제절차에 의해 그 권리의 주장이 가능할

것이 필요하다 . 의무에 관하여도 국제법상 의무부과만이 아니라 국제절차에 의해 소추되는 관계에 있을 것이

필요하다 .

Page 24: 국 제 법 의 주 체

국제법상 개인의 권리와 의무

1. 개인과 국제재판소 1907 년 중미사법재판소설치조약 - 체약국 국민은 다른 체약국을 상대로 조약위반 기타 국제법적 성질의 사건에

관하여 직접 제소할 수 있음 1 차대전 후 베르사이유조약에서는 연합국 국민의 혼합중재재판소에의 출소권 인정 유럽공동체의 유럽사법재판소에의 출소권인정

2. 개인의 국제조직에 대한 청원권 또는 신고권 ILO 헌장 제 24 조 : 사용자 또는 근로자의 단체는 조약 불이행에 관하여 사무국에 신고할 수 있다 . UN 헌장 제 86 조 : 신탁통치지역의 국민은 신탁통치 이사회에 대하여 직접 청원할 수 있다

3. 개인의 국제조직에의 대표권 ILO : 회원국은 2 인의 정부대표 / 사용자대표 및 근로자 대표 각 1 인 총회의 토의와 표결에의 참여인정

이사회구성원 48명 중 사용자대표 및 근로자대표 각 12 인 참여

4. 집단살해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 /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에 관한 로마규정

5. 인권조약상 개인통보 ( 청원 , communication) . 고문방지협약 이주노동자 권리협약 장애인권리협약

6. . : 소송당사자가 아니지만 판결의 결과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법정에 제출하는 서류를 말한다 . 사건 당사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치 있는 정보나 법률문제를 제공하기도 하고 , 혹은 기관에 의한 로비를 위해 biref 가 제출되는 경우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