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책임연구원: 김동춘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소장 공동연구원: 조현연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연구교수 김정훈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연구교수 김형철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연구교수 - i - <요 약> ○ 이 연구의 목표는 시민활동가들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시민활동가를 지원 하기 위한 공제회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 위의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설문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시행하였고, 보조적으로 질적 방법 및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 설문조사 결과 시민활동가들의 생활은 대단히 열악하였다. 시민활동가들은 최저생계비 수준의 월급을 받고 있었고, 소득에 대한 만족도도 대단히 낮았 다. ○ 시민활동가들은 반 정도 이상이 부채를 지고 있었고, 부채를 갖고 있는 사람 들은 소득에 비해 많은 부채를 안고 있었다. 이들은 혼인, 주거 등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부채가 증가하였다. ○ 시민활동가들은 노후대비 및 질병 및 사고대비와 같은 미래대비에 많은 불안 을 느끼고 있었지만, 주거비, 생활비와 같은 현실의 불안 때문에 미래대비에 충실하지 못했다. ○ 시민활동가들은 4대 보험은 대부분 제공받고 있었지만 퇴직충담금은 60%정 도의 단체만이 적립하고 있어 미래대비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다. ○ 이러한 시민단체 및 시민활동가들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시민단체의 재생 산에 심각한 위기가 나타나고 있었고, 그 원인은 낮은 임금이었다.

시민사회 활동가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정책연구과제 연구보고서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시민사회활동가실태조사및지원방안』

- 정책연구과제 연구보고서-

2013년 1월 24일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 연구소

책임연구원: 김동춘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소장

공동연구원: 조현연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연구교수

김정훈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연구교수

김형철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연구교수

- i -

<요 약>

○ 이 연구의 목표는 시민활동가들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시민활동가를 지원

하기 위한 공제회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 위의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설문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시행하였고, 보조적으로 질적 방법 및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 설문조사 결과 시민활동가들의 생활은 대단히 열악하였다. 시민활동가들은

최저생계비 수준의 월급을 받고 있었고, 소득에 대한 만족도도 대단히 낮았

다.

○ 시민활동가들은 반 정도 이상이 부채를 지고 있었고, 부채를 갖고 있는 사람

들은 소득에 비해 많은 부채를 안고 있었다. 이들은 혼인, 주거 등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부채가 증가하였다.

○ 시민활동가들은 노후대비 및 질병 및 사고대비와 같은 미래대비에 많은 불안

을 느끼고 있었지만, 주거비, 생활비와 같은 현실의 불안 때문에 미래대비에

충실하지 못했다.

○ 시민활동가들은 4대 보험은 대부분 제공받고 있었지만 퇴직충담금은 60%정

도의 단체만이 적립하고 있어 미래대비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다.

○ 이러한 시민단체 및 시민활동가들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시민단체의 재생

산에 심각한 위기가 나타나고 있었고, 그 원인은 낮은 임금이었다.

- ii -

○ 시민활동가들은 공제회의 필요성에 대해 거의 전원이 공감했다. 이들은 공제

회의 시급성에는 공감을 하지만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확실한 법적 보장을

받기를 원했다. 시민활동가들은 공제회가 주택 및 전세자금대출, 생활안정자

금 대출 같이 생활의 곤란함을 해결하는 활동을 해주기를 원했고, 월 3만원

정도의 공제 회비를 부담할 용의가 있었다.

○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시민활동가를 위한 공제회는 무엇보다 운영

의 안정성이 보장받아야 하고, 따라서 임의단체 보다는 법적 보장을 받는 형

태가 바람직 한 것으로 보인다.

○ 공제회를 만들어 시민활동가를 지원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국회에

서 ‘시민사회 활동가들을 위한 공제회 법’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만약

국회입법이 늦어질 경우, 서울시 차원에서 먼저 조례를 만들어 지원하는 것

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iii -

<목 차>

1. 연구 목적 및 의의 ·············································································································· 1

2. 연구 방법 ······························································································································ 2

3. 공제회에 대한 연구 ············································································································ 4

1) 공제회의 필요성 및 의의 ······························································································ 4

2) 공제회의 정의 ·················································································································· 5

3) 국내 공제조합의 현황 및 법률적 근거 ······································································ 6

4. 설문조사 ································································································································ 9

1) 설문조사개요 ···················································································································· 9

2) 설문조사결과 ···················································································································· 9

(1) 응답단체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9

(2) 시민단체 및 활동가들의 실태 ·············································································· 13

(3) 공제회의 필요성 및 대안 ······················································································ 31

5. 정책적 함의 ························································································································ 36

6. 결론 ······································································································································ 39

부록 1. 온라인설문지-단체 ································································································· 41

부록 2. 온라인설문지-활동가 ····························································································· 46

부록 3. 기초 통계표 - 단체 ······························································································· 54

부록 4. 기초통계표 - 개인 ································································································· 62

부록 5. 2012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급여기준 ························································ 73

- iv -

<표 목차>

<표 1> 국내 주요공제회 ········································································································ 7

<표 2> 기존 공제회의 법률적 근거 ···················································································· 8

<표 3> 응답단체의 일반적 특성 ························································································ 10

<표 4> 응답단체들의 일반적 특성(예산, 회원수, 활동가수) ····································· 11

<표 5> 서울과 비서울 단체 간의 차이 ········································································ 11

<표 6> 응답활동가들의 일반적 특성 ················································································ 12

<표 7> 응답활동가들의 일반적 특성(연령, 가족소득, 경력) ································· 13

<표 8> 활동가들의 월급 ······································································································ 14

<표 9> 활동가들의 직급별 월급 ························································································ 14

<표 10> 보건복지부고시 최저생계비 ················································································ 16

<표 11> 단체들의 재정확보수단 ························································································ 19

<표 12> 부채액 ······················································································································ 20

<표 13> 단체들의 법 준수 여부 ························································································ 26

<표 14> 공제회의 필요성 ···································································································· 31

<표 15> 공제회의 예상사업 ································································································ 38

<그림 목차>

<그림 1> 민간보험가입자와 사이타마현민공제 보험료 쓰임새 비교 ·························· 6

<그림 2> 서울과 비서울의 임금차 ·················································································· 15

<그림 3> 성별, 혼인여부별 임금차 ············································································· 16

<그림 4> 소득 만족도 ·········································································································· 17

<그림 5> 소득으로 생활가능여부 ······················································································ 18

<그림 6> 부족한 생활비 충당 방법 ················································································ 18

- v -

<그림 7> 부채여부 ················································································································ 20

<그림 8> 혼인여부에 따른 부채액 ·················································································· 21

<그림 9> 주거형태에 따른 부채액 ················································································ 21

<그림 10> 긴급자금 빌리는 곳 ························································································ 22

<그림 11> 생활상의 불안요인 ···························································································· 23

<그림 12> 미래대비형 금융상품 가입여부 ······································································ 23

<그림 13> 가입한 미래대비형 금융상품의 종류 ·························································· 24

<그림 14> 주거형태 ············································································································ 25

<그림 15> 가장 필요한 생활지원 ······················································································ 25

<그림 16> 단체의 상호부조제도 ························································································ 27

<그림 17> 단체의 복지서비스 ························································································ 27

<그림 18> 활동에 대한 만족도 ·························································································· 28

<그림 19> 활동가 충원의 어려움 ······················································································ 29

<그림 20> 활동가 충원 어려움의 원인 ············································································ 29

<그림 21> 경력 별 월급 ······································································································ 30

<그림 22> 공익활동가의 범위 ························································································ 32

<그림 23> 공제회원의 자격 ······························································································ 32

<그림 24> 공제회의 출범방식에 대한 견해 ···································································· 33

<그림 25> 공제회 추진 방법 ······························································································ 34

<그림 26> 공제회의 중점 사업 ·························································································· 34

<그림 27> 공제회 가입시 고려할 사항 ·········································································· 35

<그림 28> 개인부담금 액수 ······························································································ 35

<그림 29> 공제회 부담금 부담 용의 ················································································ 36

- 1 -

1. 연구 목적 및 의의

토크빌이 주장하듯이 자발적 결사체는 현대 사회의 핵심이며 민주주의의 자

산이다. 특히 NGO, NPO, CSO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시민단체’는 신뢰라

는 사회 자본을 확장시키는 핵심적 동력일 뿐 아니라 ‘시장실패’ 혹은 ‘국가실패’를

보완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이다. 최근 들어 시민단체는 단순한 서비스 제공을

넘어 ‘사회적 기업’ 등 적극적 가치창출행위를 통해 사회의 안전성 뿐 만 아니라 경

제발전의 새로운 동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사회적 행위자로 부각되고

있다.

시민단체들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시민단체

들의 실정은 밝지 못한 게 현실이다. 민주화 이후 대변형 시민단체에서 출발하여,

풀뿌리, 자활, 마을공동체 등의 다양한 활동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는 등 지속적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부문화의 미발달 및 국가 및 기업으로부터의 지원미비

로 재정 및 조직의 안정성에 있어 커다란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단체의 한계로 인해 시민활동가들의 ‘삶의 질’이 대단히 낮다는 것이다. ‘자

활단체에 있으면서 자활하지 못하는 활동가’라는 자조가 있을 정도로 기본적인 경

제생활이 불가능할 만큼의 낮은 임금과 복지제도의 미비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함께

활동가들의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고 있다. 만약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

면 활동가들의 업무의 안정성이 저해될 뿐 아니라, 활동가의 충원 및 조직의 재생

산에 위기가 올 것이 분명하고, 이것은 시민단체 및 공익활동의 쇠퇴를 낳을 것이

다.

시민단체의 사회적 중요성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단체 및 시민활동가들의 삶은 점점 더 피폐해지는 아이러니한 현실

은 극복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민주주의의 자산이며, 사회적 안전망이고, 나아가

경제발전의 새로운 동력인 시민단체를 더 이상 활동가들의 헌신과 선의에만 맡겨

둘 수 없다. 선의로 지탱되기에는 활동가들의 삶의 질이 너무나 피폐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시민활동가들의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 시민단체 및 시민활동가들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

다. 시민단체 및 활동가들의 재정상태 및 그들의 바람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에 입

- 2 -

각해야만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대책이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행

하게도 현재 한국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시민사

회단체연감이나 비영리민간단체의 등록현황처럼 단체의 수, 목표, 활동 등에 관한

자료는 존재하지만, 재정현황이나 활동가들의 경제적 상태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두 가지 연구목표를 가진다. 첫째, 시민활동가들의

경제적 현실에 대한 실태파악, 둘째, 현실에 근거한 지원방안, 즉 공제회 설립방안

에 대한 연구가 그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는 요즘, 아이

러니 하게도 한국에서는 시민활동가들의 경제적 곤란으로 인해 시민단체의 실질적

토대가 무너지고 있다. 시민단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책, 즉 ‘비영리민

간단체에 대한 지원법’을 넘어서는 보다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

다. 이 연구는 자발적이고, 공익적인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연구이

며, 동시에 시민활동가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에 관한

연구라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2.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선택했다. 설문조사 방법은 시민활동가들의 경제적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시

민활동가들에 대한 지원방법을 그들의 현실적 필요로부터 도출하기 위해 적합한 방

법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설문조사를 보다 완벽하게 하고, 양적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

해 질적 조사, 즉 인터뷰 및 FGI를 실시했고, 공제회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를 병행했다.

이 연구는 착수간담회부터 시민활동가들의 경험을 설문조사에 반영하기 위

해 노력하였다. 연구팀은 ‘시민사회공익활동가공제회(가칭) 실무추진위원회’측 인사

들을 모시고 시민활동가들의 어려운 현실을 청취하는 한편, 공제회 추진의 현활 등

을 청취함으로써 설문조사의 현실성과 구체성을 높이려고 하였다.

- 3 -

‘시민사회공익활동가공제회(가칭) 실무추진위원회’는 대변형 단체, 자활단체,

풀뿌리 단체, 그리고 사회적 기업까지를 포괄하는 다양한 단체들의 중요 활동가들

이 시민활동가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모인 조직으로, 비록 임의 조직이지만 중

요 구성원들이 명망 있는 활동가들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구성원들이 속한 조

직들이 한국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조직들이어서 자문과 협조를 얻기에는 이상적인

조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팀은 착수간담회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시민사회공익활동가공제회(가

칭) 실무추진위원회’ 구성원들과 접촉하여 설문지의 현실성과 구체성을 확보하는 한

편, 이들의 협조를 얻어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민사회단체 연대회

의’, ‘한국지역자활센터연합’ 등의 이메일을 활용하여 설문대상자를 확보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팀은 ‘시민사회공익활동가공제회(가칭) 실무추진위원회’와의 협조와 함

께 다양한 시민활동가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3회에 걸쳐 FGI도 실시하였다. 특히

젊은 활동가들과의 그룹인터뷰를 통해 시민활동가로서의 입문, 결혼, 육아 등에서

나타나는 현실적 어려움을 청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연구와 함께 연구팀은 공제회에 대한 이론적 법률적 검토도 병

행하였다. 연구팀은 정부 및 기업으로부터의 지원이 적고 또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역시 적은 한국적 현실에서 시민활동가들 간의 연대와 협력, 즉 상부상조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관점에서 공제회에 착목하였다. 따라서 연구팀은 한국에서 시민

활동가 공제회가 가능할 수 현실적 가능성에 주목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였고, 이

러한 문헌연구의 결과를 설문조사에 반영하여 시민활동가들이 어떤 공제회를 원하

는지를 활동가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팀은 이러한 경험조사 및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2개월에 걸쳐 설문조사

를 실행하였고, 설문조사를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결과보고회를 개최하여 토론하고

수정하였다.

- 4 -

3. 공제회에 대한 연구

1) 공제회의 필요성 및 의의

시민사회에서 공제회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이 일어난 것은 2012년 봄과 여

름에 걸쳐 잇달아 일어난 ‘녹색회’와 ‘녹색교통’ 활동가들의 갑작스런 죽음 때문이

다. 이들의 죽음은 시민활동가들에게 현실적 생활의 어려움 뿐 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안이라는 공감대를 낳았고, 이러한 공감대는 공제회라는 현실적인 대안을

추진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국내 1만여 등록 비영리 민간단체에서 활동가 수 만 여명이 종사하고 있지

만, 대다수 종사자들의 낮은 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등 기본적인 생활여건 조차 불

안한 상황 속에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이들은 건강 악화, 재정상황 악화

등 개인적 어려움에 처했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 부재하여

시민활동가로서 안정적인 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생활에의 불

안은 경험 있는 활동가들의 중도이탈 뿐만 아니라, 신입활동가 충원의 어려움을 낳

아 시민운동의 재생산마저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한 사회의 민주주의의 원천이며, 사회적 안정망이고, 나아가 경제발전의 새

로운 동력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시민사회가 이와 같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것

은 ‘사회자본’의 재생산에 커다란 위기가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시

민사회를 재활성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민사회, 보다 정확히는 시민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제회는 이러한

위기에 봉착한 시민사회를 재활성화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

다. 그것은 무엇보다 새로운 외부자원의 투입이 아니라 시민사회 자체의 힘으로 자

활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시민활동가를 대상으로 하는 공제회는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상호부조․협동․연대적 지원을 통해 시민활동가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킴

은 물론 시민활동가들에게 자긍심을 고취하고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긍정적인 효과

를 갖고 있다.

또한 시민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공제회는 상호부조기능의 확대를 통해 시민

활동가들의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것을 넘어 시민사회단체, 자활후견기관, 협동조

합, 노동조합들 간의 연대의식을 높여 시민사회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

- 5 -

다. 나아가 시민사회의 새로운 경제적 역할, 즉 금융의 사유화에 대하여 민주적이고

공적인 자조금융기반을 구축하는 사회 경제적 효과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공제회의 정의

공제회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국어사전에서는 공제회를 “어떤 단체에

서 구성원들에게 일정한 금액을 갹출(醵出)하여 만든 기관. 구성원들에게 질병이나

상해(傷害)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정해진 금액을 지급하여 구제하기 위해서이

다.”로 정의된다.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공제회는 그 규모, 운영방식, 법적 형식

의 구애 없이 다양한 상호부조기간으로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임의단체 형식의 상호부조기관은 아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

서 여기서 논의되는 공제회는 현실의 다양한 상호부조기관 중 법적 형태를 갖춘 기

관, 즉 ‘공제조합’이다. 공제조합은 ‘협동조합 형태의 보험회사’로 정의될 수 있다.

공제사업이 우리들의 생활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위험 즉, 생명의 위험이나

주택재해, 교통사고 등의 위험에 대비해서 서로 돕는다는 정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보장사업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협동조합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민간보험회사들과 차별화된다.

협동조합 형태의 보험회사, 즉 공제조합은 민간보험회사에 비해 다음의 장

점을 갖고 있다. 첫째, 공제사업의 내용을 조합원들의 현실적인 수요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둘째, 조직된 조합원들의 위험에 기초하고 있는 협동조합 공제사업은 대량

생산의 역량을 가지고 있다. 셋째, 협동조합 공제사업의 운영비용이 전통적인 보험

회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넷째, 신뢰에 기반 한 조합원들 사이의 공동가입은

조합원들 사이의 도덕적 해이와 같은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예방적인 효과를 갖

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1)

다음의 그림은 공제조합과 민간보험회사의 보험료의 쓰임새를 비교하고 있

다. 공제조합이 민간보험회사에 비해 가입자에게 유리한 구조임을 잘 보여주고 있

다.

1) ICOOP생협연구소, 2012.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연합회의 공제조합운영에 관한 연구보고서”

- 6 -

<그림 1> 민간보험가입자와 사이타마현민공제 보험료 쓰임새 비교

(한겨레, 2012.8.3)

공제회는 기본적으로 적립형 공제, 금융서비스, 회원복지서비스를 일반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적립형 공제는 1인당 가입 구좌 수만큼 급여에서 공제하고, 약

정 기간 동안 적립하여 특정 이자율로 적립금을 분할 또는 일시 지급하는 형태를

말한다. 금융서비스는 생활안정자금 대출, 주택전세자금, 주택 구입 자금 대출 및

각종 제휴보험사업, 학자금 대출 등의 서비스를 말한다. 회원복지서비스는 의료, 교

육 등 회원의 각종 생활복지서비스를 말한다.

3) 국내 공제조합의 현황 및 법률적 근거

사회보장제도가 미흡한 한국사회에서 이미 민영생명보험 및 손해보험 시장

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 왔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 협동조합의 공제사업 역시

낯설지 않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미 대표적으로 농업협동조합과 신용협동조합

에서 공제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협동조합 공제사업은 전체 생명보험,

손해보험사 중에서 전체 순위 4위에 해당하는 규모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각종 직

능단체에서 구성원들의 욕구에 기초해서 자체 공제사업을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다.

- 7 -

공제회 명 대상 홈페이지

한국사회복지 공제회 사회복지사 www.kwcu.or.k

경기도사회복지공제회 사회복지사 www.gswmaa.or.kr

한국자원봉사 공제회 자원봉사자 www.kvcu.or.kr

민주화운동 공제회 민주화운동 참여자 www.minjugongje.or.kr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 동자동 주민 및 쪽방촌 거주자

자활공제협동조합 자활참여자

한겨레두레공제조합 일반시민 (장례관련) www.handurae.org

건설근로자 공제회 건설근로자 www.cwma.or.kr

한국교직원 공제회 교직원 www.ktcu.or.kr

군인공제회 군인 www.mmaa.or.kr

대한교정 공제회 교정 공무원 www.cmaa.or.kr

어린이집안전 공제회 어린이집 www.csia.or.kr

대한소방 공제회 소방공무원 www.sogong.kr

경찰공제회 경찰공무원 www.pmaa.or.kr

교육시설재난 공제회 교육시설 및 연구활동종사자 www.edufa.or.kr

한국지방재정 공제회 지방자치단체 건물 및 시설물 www.klfa.or.kr

과학기술인 공제회 과학기술인 www.sema.or.kr

전국교수 공제회 교수 www.kpms.co.kr

<표 1> 국내 주요공제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영리사단법인, 비영리사단법인, 공제회 등을 보험사업

의 영위주체로 인정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보험사업의 영위

주체를 주식회사와 상호회사로 한정하고 공제나 협동조합보험 등을 보험업법 규제

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공제회는 아래의 표에서 알 수 있듯

이 관련 특별법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다.

- 8 -

형태 내용 비고

특별법

관련

특별법

제정

- 한국사회복지공제회 / 사회복지사등처우및지위향상을위한법률

- 과학기술인공제회 / 과학기술인공제회법

- 한국교직원공제회 / 한국교직원공제회법

- 군인공제회 / 군인공제회법

- 신용협동조합중앙회 / 신용협동조합법

- 건설공제조합 및 전문건설공제조합 / 건설산업기본법

- 전기공사공제조합 / 전기공사공제조합법

- 대한지방행정공제회 / 대한지방행정공제회법

- 새마을금고연합회 / 새마을금고법

조례지자체

조례제정

- 경기도사회복지공제회 / 경기도사회복지공제회설립및운영지원

에 관한 조례

민법

32조

비영리

기관설립- 근거법이 없는 경우 비영리기관 설립

기존법영유아

보육법개정- 어린이집안전공제회

<표 2> 기존 공제회의 법률적 근거

협동조합기본법은 공제조합, 즉 협동조합 형태의 보험회사가 설립될 수 있

는 새로운 기회였다. 그러나 2012년 12월 1일부터 발효된 협동조합기본법에는 신

용사업과 공제사업을 협동조합사업에서 배제하고, 소액대출과 상호부조 또한 사회

적 협동조합의 부수사업으로만 할 수 있게 제약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활동하고

있는 공제조합들, 예를 들면 자활공제협동조합,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 등은 협동

조합명칭을 사용하지만 임의단체라는 법적 성격을 갖고 있다.

- 9 -

4. 설문조사

1) 설문조사개요

설문조사는 두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시민단체를 조사하는 설문과 시민활동

가를 조사하는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설문조사의 대상은 시민단체와 시민단

체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였다.

시민단체 및 활동가들의 범위가 워낙 광범위하고, 짧은 조사 일정 때문에,

응답자들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민사회공익활동가공제회(가칭) 실무추진위

원회’의 협조를 얻었다. 이 위원회에는 한국 시민단체를 대표하는 ‘시민사회단체 연

대회의’, 자활단체의 연합체인 ‘한국지역자활센터연합’ 등의 대표들이 참여하고 있어

응답자의 대표성을 확보하는데 용이하고, 또한 조사대상자에 접근하는데 용이한 장

점이 있었다.

조사내용은 시민활동가들의 소득 및 생활, 부채, 복지, 공제회에 대한 태도,

시민단체의 재생산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방법은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조사와 설문지로 이루어졌다. ‘시민사회

단체연대회의’와 ‘한국지역자활센터연합’의 이메일을 활용하여 설문안내메일을 보내

고, 조사대상자들이 온라인에서 직접 응답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조사는 2012년 10

월 29일부터 시작되어 12월 25일까지 시행되었다.

2) 설문조사결과

(1) 응답단체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최종적으로 얻은 설문응답은 단체 127개, 개인 300개였다. 응답단체 및 응

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단체의 일반적 특성

응답단체를 보면, 지역적으로는 서울이 61개(48%)였고, 비서울지역이 66개

- 10 -

(52%)였다. 이들 단체들을 활동목적에 따라 구분해 보면 서비스제공단체가 16개

(12.7%), 사회적 이슈 및 대안제시 단체가 49개(38.9%), 그리고 두 목적을 동시에

가진 단체가 61개(48.4%)였다. 그리고 이들 단체들은 단일목표(12.6%) 보다는 2개

이상의 목표를 동시에 추진하는 단체들(87.4%)이었고, 설립연도는 1913년에 설립

되어 100년이 넘은 단체부터 작년에 설립된 단체까지 다양한 역사를 가진 단체들

이 포함되었지만, 84.8% 이상이 90년 이후에 설립되어 민주화 이후에 설립된 단체

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활동범위로 보면 전국을 활동영역으로 하는 단체가 51개

(40.2%)로 가장 많았고, 광역시도 45개(35.4%)와 시군구 27개(21.3%)가 그 뒤를

이었다. 법적성격으로 보면, 비영리민간단체와 사단법인이 54개(43.5%)와 53개

(42.7%)로 대다수를 이루었다. 단체의 일반적 특성은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표와

같다.

단체의성격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역

서울 61 48.0 48.0

비서울 66 52.0 52.0

합계 127 100.0 100.0

목적

회원 및 비회원들에게 서비스 제공

16 12.6 12.7

사회적 이슈 및 대안 제시

49 38.6 38.9

서비스와 사회적 이슈 제기의 혼합

61 48.0 48.4

합계 126 99.2 100.0

활동목표

단일 목표 16 12.6 12.6

2개 이상의 목표 111 87.4 87.4

합계 127 100.0 100.0

활동범위

전국 51 40.2 40.5

광역시도 45 35.4 35.7

시군구 27 21.3 21.4

소규모 공동체 3 2.4 2.4

합계 126 99.2 100.0

법적 성격

사단법인 53 41.7 42.7

재단법인 7 5.5 5.6

협동조합 6 4.7 4.8

비영리민간단체 54 42.5 43.5

임의조직 4 3.1 3.2

합계 124 97.6 100.0

<표 3> 응답단체의 일반적 특성

- 11 -

응답한 시민단체들의 1년 예산은 평균예산은 6억 6885만 4450원이었는데,

중간 값이 1억 4500만원이로 예산의 차이가 매우 컸다. 회원 수는 평균 1538명이

었는데, 중간 값은 400명으로 회원의 규모 역시 단체별로 차이가 많았다. 그리고

활동가수는 평균 15명 정도 였는데, 중간 값이 5명이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표와 같다.

(단위, 천원)

빈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1년 예산 120 1500 25,000,000 668,854.45 2483991.47

회원수 121 7 30000 1538.03 3893.19

활동가수 124 1 400 14.89 40.94

<표 4> 응답단체들의 일반적 특성(예산, 회원수, 활동가수)

여기서 주목할 점은 위의 세 항목에서 서울과 비서울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

타났다는 점이다. 서울에 위치한 단체들이 예산, 회원 수, 활동가수에 있어 서울 이

외의 지역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다. 우리나라의 시민운동이 중앙중심적 시민운동이

라는 일반적인 주장은 아래의 통계를 통해서도 입증된다.

(단위:천원,명)

    빈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1년 예산 

서울 57 16000 25000000 1134611.75 3522229.97

비서울 63 1500 3500000 247454.99 507384.36

회원수 

서울 57 33 30000 2587.16 5400.258

비서울 64 7 7000 603.66 1032.032

활동가수 

서울 58 1 400 22.88 57.581

비서울 66 1 70 7.86 12.557

<표 5> 서울과 비서울 단체 간의 차이

- 12 -

② 활동가들의 일반적인 특성

응답한 활동가들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여성은 180명(61%)였고, 남성

은 115명(39%) 이었다. 혼인상태로 보면 기혼자들이 비혼자들에 비해 많았는데,

기혼자는 154명(52.9%), 비혼자는 137명(47.1%)였다. 최종학력은 대졸이 208명

(7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대학원 졸 73명(24.9%)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는 118명(40.5%)였고, 서울이 아닌 지역

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는 173명(59.5%)였다. 이들 활동가들의 평균부양가족수는 대

부분 4인 이하(90.1%)였고, 4인 가족이 70명(24%)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직위

별로 살펴보면, 평활동가가 116명(38.9%), 중간책임자 105명(35.2%), 사무처장이

상의 책임자급이 77명(25.8%)였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표와 같다.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성별

남성 115 38.3 39.0

여성 180 60.0 61.0

합계 295 98.3 100.0

혼인

혼인 154 51.3 52.9

비혼 137 45.7 47.1

합계 291 97.0 100.0

학력

중졸 1 .3 .3

고졸 11 3.7 3.8

대졸 208 69.3 71.0

대학원졸 73 24.3 24.9

합계 293 97.7 100.0

지역

서울 118 39.3 40.5

비서울 173 57.7 59.5

합계 291 97.0 100.0

부양

가족수

1 73 24.3 25.0

2 54 18.0 18.5

3 66 22.0 22.6

4 70 23.3 24.0

5 21 7.0 7.2

6 6 2.0 2.1

7 2 .7 .7

합계 292 97.3 100.0

직위

간사(평활동가) 116 38.7 38.9

팀장 및 부장(중간책임자) 105 35.0 35.2

사무처장 및 사무총장 이상 77 25.7 25.8

합계 298 99.3 100.0

<표 6> 응답활동가들의 일반적 특성

- 13 -

응답활동가들의 평균 연령은 38.24세 였고, 본인포한 월평균 가구소득은

316만 2천원이었다. 이들은 활동경력은 평균 8.05년 이었고, 현 단체에서의 활동경

력은 4.97년 이었다.

빈도 최소값 최대값 평균

연령 292 23 69 38.24

본인 포함 가족 전체 월 소득액(만원) 281 0 1500 316.20

활동경력 (개월) 296 1 360 96.61

현 단체 활동경력 (개월)

296 0 240 59.60

<표 7> 응답활동가들의 일반적 특성(연령, 가족소득, 경력)

(2) 시민단체 및 활동가들의 실태

본 설문조사는 시민활동가들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단체와 활동가로 나누

어 월급, 노동시간, 만족도, 주거형태, 부채, 미래대비 등을 질문하였다.

① 소득

응답한 활동가들의 평균월급은 133만 6200원이었고, 중간 값이 130만원이

었다. 응답자들의 월급을 구간별로 나누어 보면 41%가 100에서 150만원 미만의

월급을 받고 있었다. 아래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무급 활동가를 제외한다면 시민

활동가들의 월급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14 -

  빈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100만원 미만 54 0 98 49.35 39.219

100-150만원 미만 123 100 148 117.41 14.501

150-200만원 미만 73 150 199 164.73 15.425

200-250만원 미만 24 200 240 211.04 15.602

250-300만원 미만 13 250 280 255.38 10.500

300-350만원 미만 5 300 300 300.00 .000

월급 292 0 300 133.62 61.276

<표 8> 활동가들의 월급

월급의 차이는 당연히 직위에 따라 나타났다. 평활동가들의 평균월급이

115만 2200원인데 비해 중간책임자급의 평균월급은 151만 4900원이었다. 흥미로

운 점은 사무처장 및 사무총장 등의 책임자급 활동가들의 평균임금이 팀장 및 부장

등의 중간책임자급 보다 낮다는 것이다. 이는 책임자급의 월급이 적다기 보다는 책

임자급 중에서 무급직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직위 빈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간사(평활동가) 115 0 270 115.22 46.526

팀장 및 부장(중간책임자) 104 0 300 151.49 57.001

사무처장 및 사무총장 이상 73 0 300 137.15 78.008

<표 9> 활동가들의 직급별 월급

흔히 한국의 시민운동은 중앙중심적인 운동으로 비판받는다. 앞에서도 확인

했듯이 서울에 위치한 단체들이 예산, 활동가수, 회원 수에서 지방에 있는 단체들보

다 많았다. 그렇다면 서울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들의 월급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양자의 차이가 그리 크지는 않았다. 서울거주 활동가들을

비서울 지역의 활동가들에 비해 평균 5만원 정도 더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

되었기 때문이다.

- 15 -

(단위: 만원)

<그림 2> 서울과 비서울의 임금차

월급 격차가 크게 나타난 것은 성별과 혼인유무였다. 남성 활동가들의 평균

월급이 146만 1200원인데 반해, 여성 활동가들의 평균월급은 126만 4000원으로

약 20만원 정도 차이가 났다. 대부분의 시민단체의 경우, 남녀 불문의 기본급에 나

이 혹은 경력에 비례한 호봉제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성에 따른 임금차가 나타날

수 없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남성 활동가와 여성 활동가들의 나이

혹은 경력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들의 임금제도는 혼인과 비혼의 경우에도 반영되어 양자의 차이가

많이 남을 알 수 있다. 시민단체들은 호봉제와 함께 각종 수당을 통해 낮은 임금을

보완하는데 가족수당은 중요한 수당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 16 -

(단위: 만원)

<그림 3> 성별, 혼인여부별 임금차

월급의 높고 낮음을 떠나 시민활동가들은 다른 직종 종사자들에 비해 절대

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고 있다. 활동가들이 받고 있는 월급은 아래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2012년 기준으로 볼 때 최저생계비에 겨우 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앞

에서 살펴보았듯이 4인 가족이 가장 많고, 대부분 4인 이하의 가족인데, 이들의 월

급과 최저생계비를 비교해보면 응답한 시민활동가들의 월급은 최저 생계비선으로

월급만으로는 일반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단위: 원)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2012 533,354 942.197 1,218,873 1,495,550 1,772,227 2,048,904

2013 572,168 974,232 1,260,315 1,546,339 1,832,483 2,118,567

<표 10> 보건복지부고시 최저생계비

활동가들이 받는 월급을 비교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활동가의 영역에

들어가기도 하는 사회복지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월급이라 할 수 있다.

- 17 -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이들의 급여기준을 보면 활동가들의 평균월급은 기능직 1호봉

(130만 3천원)보다 조금 많고, 관리직 1호봉(139만 7천원) 보다도 적다(부록 5참

조). 이러한 비교를 통해 볼 때, 시민활동가들의 급여수준이 대단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주요 단체들의 급여 목표가 기본급 150만원이지만, 대부분의 단체들

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터뷰 결과가 설문조사결과에서도 확인

되고 있다.

응답한 활동가들의 소득이 대단히 적기 때문에 소득에 대한 만족도 역시 그

리 높지 않게 나왔다. 만족한 응답자들은 11. 3%에 불과했고, 대부분이 보통이거나

불만족스러워 했다.

(단위: 퍼센트)

<그림 4> 소득 만족도

응답자들은 현재 소득에 만족하지 못할 뿐 아니라 현재 소득으로 생활이 불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소득으로 생활이 가능한 응답자는 보통까지 포함해도

35.7%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현재 소득으로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 18 -

(단위:퍼센트)

<그림 5> 소득으로 생활가능여부

응답자들이 현재 소득으로 생활이 불가능하다면 모자란 부분을 충당하는 방

법은 무엇인지를 물어보았다. 응답자들은 무엇보다 배우자의 소득을 통해 생활을

유지하였고, 다음으로는 아르바이트를 하여 모자란 부분을 충당하였다. 이 결과를

보면 아르바이트라는 추가노동이외에는 가족 및 친지로부터 모자란 부분을 충당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위:퍼센트)

<그림 6> 부족한 생활비 충당 방법

- 19 -

이것을 잘 보여주는 지표는 본인 포함 전체 가구의 월 소득액이다. 응답자

들의 월 평균소득은 133만 6천 2백원 이지만, 가구소득은 월 316만 2천원이었다.

가구소득 자체로 높은 것은 아니지만 활동가 개인의 소득으로 부족한 부분을 다른

가족들의 소득을 통해 충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활동가들이 생활고를 겪는 현실은 활동가들이 속한 단체의 사정에 비추어

볼 때, 나아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응답한 단체들은 수입의 대부분을 회비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회비 수입이 급격히 늘어나는

일을 기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회비 수입의 극적인 확대가 불가능하

다면 현실적으로 유일한 방법은 외부로부터, 특히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인데,

전체 재정수입에서 정부지원 비율이 대단히 낮을 뿐 아니라 정부로부터 인건비성

경비를 지원받는 단체 역시 전체 응답 중 14.4%에 불과하였다.

빈도 유효 퍼센트

재정확보수단

회비(후원금 포함) 92 74.2

정부지원 13 10.5

기업지원 3 2.4

영리사업 9 7.3

기타 7 5.6

합계 124 100.0

정부로부터 인건비성 경상비 지원 여부

예 18 14.4

아니오 107 85.6

합계 125 100.0

<표 11> 단체들의 재정확보수단

② 부채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응답자들이 다른 가구원들의 노력으로 생활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고 있고, 이들이 가치관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이 검소한 생활을 추구

하기 때문에 부채를 가진 사람이 아주 많지는 않았다. 부채를 지고 있는 사람은 전

체 응답자 중 166명(57%)이었다.

- 20 -

(단위:%)

<그림 7> 부채여부

부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평균 부채는 3,745만 1900원이었다. 그런데 중

간 값을 보면 2000만원으로 부채를 지고 있는 사람들의 부채액이 평균만큼 크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단위:만원)

빈도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부채액 162 40 50000 3745.19 5708.220

<표 12> 부채액

일반적인 경우 혼자 살 때 보다는 결혼을 하고 아이를 양육하면서 돈이 많

이 들어간다. 시민활동가들도 예외가 아닐 텐데 소득이 적은 상황을 감안하면 결혼

을 하면 부채가 늘어났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응답자들의 경우도 예상을 벗어

나지 않았다. 응답자들의 경우 혼자 사는 경우 보다 결혼했을 경우 부채액수가 거

의 4배나 늘어났다.

- 21 -

(단위:만원)

<그림 8> 혼인여부에 따른 부채액

본 조사에서는 부채의 원인에 대해서는 직접 조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부채

의 원인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결과가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하우스

푸어의 문제가 중요해진 것처럼, 시민활동가들도 주거형태에 있어 자가 소유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채를 지고 있었다. 부채의 양이 전세, 월세, 부모님 집으로

갈수록 점점 적어진다는 사실은 주거비 부담이 상당함을 알려준다.

(단위: 만원)

<그림 9> 주거형태에 따른 부채액

- 22 -

응답자들은 긴급히 돈이 필요할 경우 주로 가족, 친지, 친구에게 돈을 빌리

거나, 제 1금융권으로부터 돈을 빌려 소득에 비해 부채의 양은 월급에 비해 많은

편이지만, 부채의 질은 그리 나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위:퍼센트)

<그림 10> 긴급자금 빌리는 곳

③ 생활상의 불안 및 미래대비

응답자들이 활동을 하는데 있어 불안해하는 것은 일반인들과 같이 노후대비

였고, 다음으로는 질병 및 사고대비였다. 낮은 임금 때문에 현재를 살아나가는 것은

가능하지만 미래대비를 전혀 되어 있지 않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특징

적인 것은 생활비와 주거비가 세 번째와 네 번째로 높은 선택을 받았다는 점이다.

현재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것 자체에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이 대단히 많다는 것은

이들의 생활상의 곤란이 심각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다.

- 23 -

<그림 11> 생활상의 불안요인

이렇게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있다면 이들은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이들이 미래대비형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여부를 물어보았더니 59.1%가 금

융상품에 가입하고 있었고 가입자들은 월평균 36만 1500원을 불입하고 있었다. 그

러나 중위값이 20만원으로 편차가 많았다. 미래에 대한 불안이 상당함에도 불구하

고 40.9%가 미래대비 금융상품에 전혀 가입하고 있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생활고

가 상당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단위:%)

<그림 12> 미래대비형 금융상품 가입여부

- 24 -

미래대비형 금융상품의 종류를 보면 질병 및 사고대비 상품이 가장 많았고,

노후대비 자녀교육 순이었다. 이를 생활상의 불안요인과 비교해보면, 가장 빈도가

높았던 노후대비에 대해서는 거의 하지 못한 반면 상대적으로 직접적인 불안인 질

병 및 사고대비는 그 나마 반 정도의 응답자가 대비하고 있었다. 이 역시 생활고로

인하여 충분한 미래대비가 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단위:%)

<그림 13> 가입한 미래대비형 금융상품의 종류

흥미로운 점은 응답자들의 주거형태를 보면 자가 소유가 29.7%로 3분의 1

에도 못 미침에도 불구하고 주택마련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비율이 대단히 낮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응답자들은 생활고로 인하여 주택마련을 거의 포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25 -

(단위:퍼센트)

<그림 14> 주거형태

이런 생활고속에서 응답자들은 가장 필요한 생활지원은 노후대비라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주거비, 자녀 양육 및 교육비 순으로 답했는데, 이는 노후에 대한 불

안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현재의 생활이 대단히 어려움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

다.

<그림 15> 가장 필요한 생활지원

- 26 -

④ 복지

시민활동가들의 복지수혜여부는 단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복지의 기본

이 되는 4대보험 제공여부에 대해서는 88%의 단체가 4대 보험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중요한 미래대비 수단인 퇴직금에 관해서는

겨우 61.8% 정도의 응답단체만이 퇴직충당금을 적립하고 있었다. 시민단체들의 열

악한 재정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활동가들의 복지가 자리 잡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제도적 장치는 고용계약서 작성여부일 것이다. 응답 시민단체들의

경우 고용계약서 작성비율 역시 61.8% 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아마 시민단체들의

관행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빈도 퍼센트

4대보험

예 110 88.0

아니오 15 12.0

합계 125 100.0

퇴직충당금 적립

예 76 61.8

아니오 47 38.2

합계 123 100.0

고용계약서

예 76 61.8

아니오 47 38.2

합계 123 100.0

<표 13> 단체들의 법 준수 여부

응답 시민단체들이 회원 복지향상을 목적으로 위와 같은 제도적 장치 이외

에 어떤 상호부조제도를 갖고 있는지를 물어보았다. 불행히도 대부분의 단체들이

공식적, 비공식적 상호부조제도를 갖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현실은 공제회와 같은

조직의 필요성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 27 -

(단위: 퍼센트)

<그림 16> 단체의 상호부조제도

응답한 단체들은 상호부조제도는 없지만, 활동가들의 복지를 위하여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응답단체들이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는 출산육아휴직,

상조, 교육비지원, 안식년, 자기개발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위: 퍼센트)

<그림 17> 단체의 복지서비스

- 28 -

⑤ 시민단체의 재생산

낮은 임금, 열악한 복지서비스, 그로 인한 생활고에도 불구하고 응답한 시

민활동가들의 일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이는 시민운동이 돈보다는 가치

지향적인 일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시민활동가들은 62.2%가 만족감을

보이며, 보통까지를 포함하면 무려 86.1%에 달한다.

(단위:퍼센트)

<그림 18> 활동에 대한 만족도

현재 활동하고 있는 시민활동가들은 자신들의 일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단체들은 활동가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조사에

서도 이러한 어려움이 드러났다. 활동가 충원이 어렵냐는 질문에 79%의 단체가 어

렵다고 응답하였다.

- 29 -

(단위:퍼센트)

<그림 19> 활동가 충원의 어려움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낮은 임금, 열

악한 근무조건, 비전의 부재, 낮은 인지도 순으로 그 이유를 선택했다. 현재 시민단

체의 실태가 시민단체의 재생산을 위협할 만큼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단위:퍼센트)

<그림 20> 활동가 충원 어려움의 원인

- 30 -

시민단체의 재생산에 있어 월급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은 월급 자체

가 절대적으로 낮은 탓도 있지만 월급이 경력에 비해 지나치게 오르지 않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최근의 열악한 고용조건에 비교해 볼 때 100만원 대

초봉이 높지는 않지만 공익적 활동이라는 가치를 감안하면 그리 못참을 만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아래의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경력이 쌓여도 월급이 거의 올라

가지 않는 사실은 신입활동가에게는 절망적인 현실이지 않을 수 없다. 일반적인 직

장의 경우 처음에는 비정규직에 박봉이라도 경력이 쌓이면 어느정도 그에 합당한

대우가 있는 반면, 시민활동가들의 경우 경력과 대우가 비례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시민단체의 재생산에 있어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단위:만원)

<그림 21> 경력 별 월급

- 31 -

(3) 공제회의 필요성 및 대안

① 공제회의 필요성

낮은 임금, 생활고, 그리고 미래불안속에서 응답한 활동가들은 공제회의 필

요성에 대해 대부분 공감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공익활동만을 지원하는 금융기

관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대다수 찬성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공제회에 대해

서는 98.3%가, 공익활동지원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95.5%가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

었다.

빈도 퍼센트

공제회의 필요성

예 288 98.3

아니오 5 1.7

합계 293 100.0

공익활동만을 지원하는 금융기관의 필요성

예 277 95.5

아니오 13 4.5

합계 290 100.0

<표 14> 공제회의 필요성

② 공제회의 범위

공제회를 설립하려면 공제회 구성원의 범주를 설정하여야 한다. 공제회 구

성원의 범주를 설정하기 위해 공익활동가의 범위를 질문하였는데 응답자들은 아래

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시민운동단체, 풀뿌리단체, 생활협동조합, 자활단체에 대해

서는 70%이상 인정하였으나, 재단과 같은 중간지원 단체, 사회적 기업과 같은 사회

적 경제조직, 그리고 노동조합 및 노동지원 단체에 대해서는 그보다 낮은 인정을

하였다.

- 32 -

(단위: 퍼센트)

<그림 22> 공익활동가의 범위

공제회 구성원의 범주를 구성하는데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변수는 활동경

력이다. 아래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고용계약 시에 자격을 주자는 의견이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는 1년 이상 경력이 많았다. 두 경우를 합치면 69.2%로 대다수의 응

답자들이 활동가의 경력을 크게 문제시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단위: 퍼센트)

<그림 23> 공제회원의 자격

- 33 -

③ 공제회의 성격 및 방법

현행법상 상조 및 소액대출을 하는 공제회는 임의단체형식으로 가능하지만,

보험 및 금융상품, 그리고 고액대출을 취급하는 금융공제회는 특별법 등을 통해 특

정한 법적 지위를 보장받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그런데 법적 상황은 위에서 살펴

보았듯이 시민활동가들의 열악한 환경에 따른 공제회의 시급한 필요성과 대치된다.

따라서 본 설문에서는 이러한 현행법의 현실을 알려주고 어떻게 공제회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물어보았다.

이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임의단체형식으로 일단 출범’하자는 의견과

‘법적형태를 갖춘 후에 출범하자는 의견’ 중 후자의 의견이 조금 높게 나왔지만, 두

의견 다 비슷하게 나왔다. 전자의 응답이 공제회의 시급성에 대한 반응이라면, 후자

의 응답은 그 시급성에도 불구하고 공제회의 신뢰성 확보가 우선이라는 반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단위: 퍼센트)

<그림 24> 공제회의 출범방식에 대한 견해

현공제회의 신뢰성을 위해 임의단체가 아닌 법으로 보장되는 공제회를 만들

경우, 그것을 만드는 방법은 현행법을 활용하여 최선의 대안을 찾거나 아니면 현행

법을 개정 혹은 새로운 법을 입법하여 공제회의 법적 근거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 34 -

이에 대한 응답자들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질문을 하였는데, 이 질문에 대한

응답 역시 비슷하게 나왔지만, 법 개정 및 입법을 통해 해결책을 찾자는 응답이 조

금 높게 나왔다.

<그림 25> 공제회 추진 방법

공제회가 만들어질 경우 무엇이 공제회의 중점사업이 되어야 하는지도 물어

보았다. 응답자들은 주택 및 전세자금 대출, 생활안정자금 대출, 질병치료자금 대출,

회원 서비스, 학자금대출, 다양한 상품개발 순으로 주요 업무를 꼽았다. 앞에서 살

펴 본 생활상의 곤란이 공제회의 사업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위: 퍼센트)

<그림 26> 공제회의 중점 사업

- 35 -

공제회가 가입할 때 무엇을 가장 먼저 고려할지를 물어보았다. 이는 만약

공제회가 만들어졌을 경우 공제회가 신뢰를 확보하는데 어떤 점이 중요한지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었다. 결과를 보면 응답자들은 압도적으로 운영의 안정성을 꼽았다.

이는 응답자들이 금융기관의 역할을 하는 공제회에게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정성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단위: 퍼센트)

<그림 27> 공제회 가입시 고려할 사항

공제회가 만들어질 경우 본인이 부담할 수 있는 액수를 물어보았다. 이는

공제회에 대한 응답자들의 적극성 및 응답자들의 부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

다. 이 질문에 대해 응답자들의 반수는 1만원에서 3만원 미만을 택하였다.

(단위: 퍼센트)

<그림 28> 개인부담금 액수

- 36 -

공제회가 만들어진다면 공제회비는 단체부담금과 개인부담금으로 이루어진

다. 위에서는 개인들의 부담정도를 알아보았다면, 단체 역시 공제회비의 부담에 동

의하는지를 아는 것 역시 중요하다. 단체가 단체부담금을 부담할 용의가 있는지를

물어보았더니 응답한 단체의 대부분의 단체는 부담금을 낼 용의가 있다고 답하였

다.

(단위:퍼센트)

<그림 29> 공제회 부담금 부담 용의

5. 정책적 함의

이상의 조사를 통해 시민활동가들의 생활수준이 대단히 열악하고, 이로 인

해 시민단체의 재생산까지 위협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민활동가들은 이러한 생

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공제회 설립에 대해 적극적인 호응을

보이고 있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시민 활동가들의 열악한 생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

의 소득을 직접적으로 올려주는 것이다. 시민활동가들이 그 사회 직장인들의 평균

소득과 비슷한 서구의 사례처럼, 기부문화를 활성화하고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너무 많은

시간을 요구하거나 혹은 소모적인 논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

법을 장기적인 과제로 한다면 시민활동가들간의 상호부조와 연대를 강화하는 공제

- 37 -

회의 설립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며,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시민활동가들은 공제회 가입의 조건으로 운영의 안정성을 꼽았다. 운영의

안정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법적 보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민활동

가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때, 우리나라에서 현행법상 법적 보장을 할 수 있는 방법

은 첫째, 한국교직원 공제회, 군인공제회, 과학기술인 공제회 등을 법적으로 보장하

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개별 특별법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협동조합 기

본법에 적용을 받지 않고 개별협동조합법으로 보장되기 때문에 공제사업을 할 수

있는 신용협동조합법과 새마을금고법에 근거하여 NPO신협이나 새마을 금고를 만드

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호보험회사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새로운 신협이나 새마을 금고의 섭립 허가를 안 해주고 있고,

상호보험회사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200억의 자본금이 필요한 점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 금전적 여유가 없는 시민사회 활동가 집단으로서는 이를 감당할 수 없을 것

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현실적 상황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공제회를 제도적으

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례에 따라 국회에서 특별법인 ‘시민활동가들을 위

한 공제회법’을 제정하고, 이 법에 따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 가장 시민활동가들

의 요구에 가장 부합되는 방법으로 추천된다.

이 법을 통해 공제회의 목적, 참여범위, 사업, 정부의 지원 등을 명시하는

것이 참여할 시민활동가들의 불안을 달래면서, 동시에 공제회가 일정한 수 이상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다고 할 때 시민활동가들의 전국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촉발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새롭게 설립될 공제회의 사업내용은 장기

정립형공제급여, 소액대출, 회원복지서비스, 기관지원서비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표와 같다.

- 38 -

사업명 주요내용

장기

적립형

공제

급여

- 장기(5년이상) 약정 공제액 적립 (회원 약정액 + 기관매칭액)

*회원 : 1약정1인당 1구좌 ~ 50구좌 이내 (1구 좌당 1만원)

*기관 : 1소속 회원 당 무조건 1만원

*최소 납입 기한 : 1년

- 상품 종류 (최소 기준 5년)

*장기적립 연금형 : 약정기간별 금리로 분할 지급

*장기적립 만기형 : 약정기간 만료 후 일시지급 또는 유족일시금 지급

소액

대출

- 마이크로파이낸스 대출 (급여 및 적립공제금 기준)

: 현재 연봉이내 또는 적립공제금의 10배수 이내

- 주택 구입, 전세 자금 대출 (제휴 은행 약정 기준)

: 제휴은행의 대출 조건에 따름

회원복

지서비스

- 제휴병원 우대서비스 (건강검진 등)

- 제휴카드 우대서비스 (금융수수료 등)

- 숙박, 레저 등 제휴시설 할인서비스

- 교육지원서비스 (활동가 관련 특강 개설 등)

기관

지원

서비스

- 4대보험 사무대행 등

<표 15> 공제회의 예상사업

국회 입법에 시간이 걸린다면, 서울시 차원에서는 조례를 제정해 공제회를

설립하는 것도 활동가들의 시급한 요구에 비추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조례

를 통한 지역단위의 입법은 ‘경기도 사회복지 공제회’ 사례가 있어 이를 참고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는 2009년 경기복지재단 청사진 보고에서 사회복지

종사자 공제조합 설립이 제안되었다. 2009년 12월 경기도로부터 5억 예산이 지원

되었고, 다음해인 2010년 3월 ‘공제회 실무추진위원회’가 구성되였다. 공제회 추진

위원회는 같은 달 경기도로부터 25억의 지원을 받았고, 다음 달인 4월 ‘경기도 사

회복지 공제회 설립 및 운영지원’ 조례가 제정되어 창립되었으며, 2010년 5월 경

- 39 -

기도로부터 사단법인 설립허가를 얻어 그 해 12월 업무를 개시하였다.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는 2012년 4월 현재 가입회원 6,181명, 가입금액

19억 5천 4백만원, 운영상품으로는 적립형 공제급여사업, 대출사업, 회원복지서비

스사업이 있다.2)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의 사례는 지방정부가 지원하고 지방의회의 조례제정

을 거쳐 설립된 사례로 전국단위 법제정이 시일이 걸릴 경우 서울시 단위에서 시도

해 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다. 다만 이 경우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처럼

전국단위의 조직, 즉 이 경우에는 한국 사회복지공제회 같은 조직이 생길 경우 그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에 관한 문제를 안고 있다.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

의 경우 조직을 독자적으로 유지하면서 협력관계를 설정하고 있는데, 시민사회공제

회의 경우는 농협과 같이 협동조합연합회 방식으로 통합한다면 큰 문제는 없어 보

인다.

6. 결론

이 연구는 시민활동가들의 실태를 조사하고, 공제회라는 지원방안을 구체화

하려는 목표 하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활동가들

의 소득, 부채, 복지, 미래대비, 시민단체의 재생산 등 시민활동가들의 구체적인 생

활실태를 파악하였고, 또한 공제회에 대한 태도를 질문하여 활동가들의 필요에 입

각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시민활동가들의 소득은 최저생계비 수준으로 아주 열악하

였고, 활동가들의 소득만으로는 생활이 불가능하여 가족과 친지의 도움으로 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또한 단체들의

재정도 열악하여 단기간에 시민활동가들의 소득이 향상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

웠다.

시민활동가들은 반 정도 이상이 부채를 지고 있었고, 부채를 갖고 있는 사

람들은 소득에 비해 많은 부채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부채를 가족과 친지 및 은행

에 지고 있어, 부채는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었다. 이들은 혼인, 주거 등 나이를 먹

2)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에 관해서는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사회복지공제회 활성화 방안”, 2012에 근거했다.

- 40 -

어감에 따라 부채가 증가하였다.

시민활동가들은 노후대비 및 질병 및 사고대비와 같은 미래대비에 많은 불

안을 느끼고 있었지만, 주거비, 생활비와 같은 현실의 불안 때문에 미래대비에 충실

하지 못했다. 가장 많이 불안을 느끼는 노후대비 보다는 질병 및 사고대비를 주로

하고 있었고, 주거불안에도 불구하고 주택마련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율은 상대적으

로 낮았다.

시민활동가들의 복지를 살펴보면, 4대 보험은 대부분 제공받고 있었지만 퇴

직충담금은 60%정도의 단체만이 적립하고 있어 미래대비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

다. 단체의 상호부조제도도 거의 없었고, 복지서비스는 출산육아휴직, 상조 등 일반

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시민단체 및 시민활동가들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시민단체의 재생

산에 심각한 위기가 나타나고 있었다. 시민단체들은 활동가 충원에 대부분 어려움

을 겪고 있었고, 그 원인은 낮음 임금이 가장 중요한 이유를 차지했다.

시민활동가들은 공제회의 필요성에 대해 거의 전원이 공감했다. 시민활동가

들은 공익활동가의 범위를 노동조합까지를 포함하여 아주 폭넓게 인식하고 있었고,

공제회원도 고용계약부터 인정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시민활동가들은 공제회의 출

범 방식 및 법적 형태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누어졌는데, 공제회의 시급성에는 공감

을 하지만 운영의 안정성을 위해 확실한 법적 보장을 받기를 원했다. 시민활동가들

은 공제회가 주택 및 전세자금대출, 생활안정자금 대출 같이 생활의 곤란함을 해결

하는 활동을 해주기를 원했고, 공제회의 가입 시 고려사항으로 운영의 안정성을 선

택하였다. 시민활동가들은 월 3만원 정도의 공제회비를 부담할 용의가 있었고, 단

체 역시 대부분 공제회 부담금을 부담할 용의가 있었다.

이 연구는 시민활동가들의 경제적 실태가 대단히 열악함을 보여주는 한편,

시민활동가들이 공제회의 필요성에 대다수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시민활동가를 위한 공제회는 무엇보다 운영의 안정성이 보장

받아야 하고, 따라서 임의단체 보다는 법적 보장을 받는 형태가 바람직 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공제회들이 특별법을 통해 법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받는 상황

에 비추어 볼 때, 시민활동가들을 지원하는 공제회는 특별법의 제정을 통해 설립되

는 것이 현실적이고, 시민활동가들의 요구에 적합한 것이라 판단된다.

- 41 -

부록 1. 온라인설문지-단체

시민사회 활동가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단체용

안녕하십니까?

지금부터 '시민사회 활동가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 - 단체용'을 시작하겠습니다.

개인용 설문을 하실 분은 메일로 돌아가셔서 개인용 설문주소를 클릭하시기 바랍니

다.

주관식 질문에 대한 답변은 박스 안에 입력해 주시고,

객관식 질문은 번호 앞의 원이나 박스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기타 사항이 있으시면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을 마치신 후에는 반드시 '보내기'를 클릭하셔야 응답내용이 저장됩니다.

'보내기'를 클릭하시고 응답이 저장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조사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응답하신 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이

절대 보장됩니다.

바쁘시더라도 모든 항목에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에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소장 김동춘

1. 귀 단체의 명칭은 무엇입니까?

2. 귀 단체의 주소는 어떻게 됩니까? 시군구까지만 써주십시오.예) 서울시 00구, 강

원도 00시

- 42 -

3. 귀 단체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 nmlkj① 회원 및 비회원들에게 서비스 제공

• nmlkj② 사회적 이슈 및 대안 제시

• nmlkj③ 서비스와 사회적 이슈 제기의 혼합

4. 귀 단체는 주요 목표로 하는 이슈는 몇 개입니까?

• nmlkj① 단일 목표

• nmlkj② 2개 이상의 목표

5. 귀 단체가 다루는 주요 목표를 중요도 순서로 3가지 이내로 써주십시오.단일목

표일때는 하나만써도 무방합니다.

6. 귀 단체는 언제 결성되었습니까?(예. 0000년 00월)

7. 귀 단체의 활동 범위는 어디까지 입니까?

• nmlkj① 전국

• nmlkj② 광역시도

• nmlkj③ 시군구

• nmlkj④ 동, 면, 소규모공동체

8. 귀 단체의 법적 성격은 무엇입니까?

• nmlkj① 사단법인

• nmlkj② 재단법인

• nmlkj③ 협동조합

• nmlkj④ 사회적 기업

• nmlkj⑤ 비영리 민간단체

• nmlkj⑥ 임의조직

• nmlkj기타:

- 43 -

9. 귀 단체의 1년 예산은 얼마입니까?

10. 귀 단체의 재정에 가장 기여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입니까?

• nmlkj ① 회비(후원금 포함)

• nmlkj ② 정부지원

• nmlkj ③ 기업지원

• nmlkj ④ 영리사업

• nmlkj 기타:

11. 귀 단체는 정부로부터 인건비성 경상경비를 지원받고 있습니까?

• nmlkj ① 예

• nmlkj ② 아니오

12. 귀 단체의 회원은 총 몇 명입니까?

13. 귀 단체의 활동가는 총 몇 명입니까?

14. 귀 단체의 하루 평균노동시간은 몇 시간입니까?

15. 귀 단체 활동가들의 평균 근속년수는 얼마입니까?

예) 00년 00개월

16. 귀 단체 활동가들의 평균 월급은 얼마입니까?

• nmlkj① 100만원 미만

• nmlkj ② 100만원 이상 - 150만원 미만

• nmlkj③ 150만원 이상 - 200만원 미만

• nmlkj ④ 200만원 이상 - 250만원 미만

- 44 -

• nmlkj⑤ 25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

• nmlkj⑥ 300만원 이상

17. 귀 단체는 4대 보험을 제공하고 있습니까?

• nmlkj① 예 (17-1로 가시오)

• nmlkj② 아니오(18번으로 가시오)

17-1. 귀 단체가 제공하는 4대 보험은 무엇입니까? 모두 표시하세요17번에서 아니

오를 선택하셨으면 생략하시고 18번에 답해주십시오.

• gfedc① 건강보험

• gfedc② 고용보험

• gfedc③ 국민연금

• gfedc④ 산재보험

18. 귀 단체에서는 퇴직충담금을 적립하고 있습니까?

• nmlkj① 예

• nmlkj② 아니오

19. 귀 단체에서는 고용 계약서를 작성하십니까?

• nmlkj① 예

• nmlkj② 아니오

20. 귀 단체에는 다음 중 어떤 상호부조제도가 있습니까? 존재하는 모든 제도를 선

택해 주세요.

• gfedc① 계

• gfedc② 상조회

• gfedc③ 공제회

• gfedc④ 없다

• gfedc기타:

21. 귀 단체에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는 무엇이 있습니까? 존재하는 서비스를 모두

- 45 -

선택해 주세요.

• gfedc ① 안식년제

• gfedc② 자기개발지원

• gfedc ③ 출산・육아휴직

• gfedc④ 교육비 지원

• gfedc ⑤ 상조(경조사 부조 등)

• gfedc⑥ 급전 대출(질병, 상해 등)

• gfedc기타:

22. 귀 단체는 활동가 충원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 nmlkj ① 예(22-1번으로 가세요)

• nmlkj② 아니오(23번으로 가세요)

22-1. 어려움이 있다면 가장 큰 이유를 두 개만 선택하십시오.22번에서 아니오를

선택하신 경우 답하지 마시고 23번으로 가십시오.

• gfedc ① 낮은 임금

• gfedc ② 열악한 근무조건

• gfedc ③ 비전의 부재

• gfedc ④ 낮은 인지도

• gfedc 기타:

23. 귀 단체는 공익활동가를 위한 공제회가 생긴다면, 단체부담금을 내실 용의가

있습니까?

• nmlkj① 예

• nmlkj ② 아니오

보내기

- 46 -

부록 2. 온라인설문지-활동가

시민사회 활동가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활동가용

안녕하십니까?

지금부터 '시민사회 활동가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 - 활동가용'을 시작하겠습니다.

단체용 설문을 하실 분은 메일로 돌아가셔서 단체용 설문주소를 클릭하시기 바랍니

다.

주관식 질문에 대한 답변은 박스안에 입력해 주시고,

객관식 질문은 번호 앞의 원이나 박스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기타 사항이 있으시면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을 마치신 후에는 반드시 '보내기'를 클릭하셔야 응답이 저장됩니다.

'보내기'를 클릭하시고 응답이 저장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조사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응답하신 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이

절대 보장됩니다.

바쁘시더라도 모든 항목에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에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소장 김동춘

1. 귀하의 소속 단체를 써 주십시오.

2. 귀하의 활동경력은 얼마나 됩니까?예) 0년 0개월

3. 귀하의 소속단체에서의 현 직위(직급)는 무엇입니까?

- 47 -

1 2 3 4 5

매우 만족 nmlkj nmlkj nmlkj nmlkj nmlkj

매 우 불만족

1 2 3 4 5

매 우 만족 nmlkj nmlkj nmlkj nmlkj nmlkj

매 우 불만족

1 2 3 4 5

• nmlkj① 간사(평활동가)

• nmlkj ② 팀장 및 부장(중간책임자)

• nmlkj③ 사무처장 및 사무총장 이상

4. 현 소속단체에서 활동하신 경력은 얼마나 됩니까?예) 0년 0개월

5 귀하의 월급은 얼마입니까?

6. 귀하는 현재의 소득에 만족하십니까?

7. 귀하는 하루에 평균 몇 시간 일하십니까?

8. 귀하는 현재의 일에 만족하십니까?

9. 귀하의 주거형태는 다음 중 무엇입니까?

• nmlkj ① 자가

• nmlkj② 전세

• nmlkj ③ 월세

• nmlkj 기타:

10. 귀하는 현재의 소득으로 생활이 가능하십니까?

- 48 -

매 우 그렇다 nmlkj nmlkj nmlkj nmlkj nmlkj

전혀 그렇지 않다

10-1. 현 소득으로 생활이 불가능하다면 모자란 부분은 누구의 도움을 받습니까?

현 소득으로 생활이 가능하면 응답하지 마시고 11번으로 가십시오.

• nmlkj① 배우자

• nmlkj② 부모

• nmlkj③ 형제

• nmlkj④ 친구

• nmlkj⑤ 없다

• nmlkj기타:

11. 귀하는 긴급 자금이 필요하실 때 어디서 주로 빌리십니까?

• nmlkj① 친지 및 친구

• nmlkj② 제1금융권(은행)

• nmlkj③ 제2금융권(저축은행 및 카드회사)

• nmlkj④ 대부업체

• nmlkj⑤ 사채

• nmlkj기타:

12. 귀하는 현재 부채가 있습니까?

• nmlkj① 예

• nmlkj② 아니오

12-1. 부채가 있다면 그 총액은 얼마입니까?부채가 없으신 경우 13번으로 가십시

오.

13. 귀하는 활동을 하면서 다음 중 어떤 것이 가장 불안하십니까? 세 개만 골라 주

십시오.

• gfedc① 주거비

• gfedc② 생활비

- 49 -

• gfedc③ 자녀교육비

• gfedc ④ 노후대비

• gfedc⑤ 질병 및 사고대비

• gfedc ⑥ 자기개발

• gfedc 기타:

14. 귀하는 미래 대비형 금융상품에 가입하고 계십니까?

• nmlkj ① 있다(14-1, 14-2번으로 가십시오)

• nmlkj ② 없다(15번으로 가십시오)

14-1. 가입하고 계시다면 어떤 종류에 가입하고 계십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가입 상품이 없으신 경우 15번으로 가십시오.

• gfedc ① 질병 및 사고 대비

• gfedc② 주택마련

• gfedc ③ 노후대비

• gfedc④ 자녀교육

• gfedc기타:

14-2. 가입하고 있다면 그 총액은 얼마입니까?예) 월 00만원

15. 귀하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활지원은 무엇입니까?

• nmlkj ① 주거비

• nmlkj ② 자녀양육 및 교육비

• nmlkj ③ 질병 및 상해시 치료비

• nmlkj ④ 노후대비

• nmlkj 기타:

16. 공익활동가들을 위한 공제회가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16-21번 까지는 공제회에 관한 질문입니다. 공제회란 협동조합방식의 상호부조사

업을 의미합니다. 공제회는 각종 경조사에 대한 부조 및 소액대출 같이 낮은 수준

- 50 -

에서도 활동이 가능하고, 현재 사기업이 하고 있는 보험회사처럼 다양한 상품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높은 형태의 활동도 가능합니다.

• nmlkj① 예

• nmlkj② 아니오

17. 공익활동(NGO 혹은 NPO 활동)만을 지원하는 금융기관이 필요하다고 보십니

까?

여기서 금융기관이란 공익목적 신용협동조합, 공제협동조합, 혹은 공익보험회사 등

을 의미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런 금융기관이 없습니다.

• nmlkj① 예

• nmlkj② 아니오

18. 공익활동가 공제회라고 할 때, 그 공익활동가의 범위는 어디까지라고 생각하십

니까? 모두 선택 하십시오.

• gfedc① 시민운동단체

• gfedc② 자활단체

• gfedc③ 풀뿌리 단체

• gfedc④ 생활협동조합

• gfedc⑤ 중간지원단체(예, 재단)

• gfedc⑥ 사회적 경제조직(사회적 기업)

• gfedc⑦ 노동조합 및 노동지원단체

• gfedc기타:

19. 공제회를 만들 경우, 가입에 필요한 활동경력은 어느정도라고 보십니까?

• nmlkj① 고용계약시

• nmlkj② 1년이상

• nmlkj③ 2년이상

• nmlkj④ 3년이상

20. 공익활동가를 위한 공제회는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현행법 상 상조 및 소액대출(백만원 단위)을 하는 공제회는 임의단체형식(사단, 재

단법인 가능)으로 가능하지만, 보험 및 금융상품, 그리고 고액대출을 취급하는 정식

- 51 -

금융기관으로서의 공제회는 불가능합니다.

• nmlkj ① 상조 및 소액대출이 긴급히 필요하기 때문에 임의단체형식으로 일단 출범

• nmlkj② 운영의 안정성과 다양한 금융상품 취급이 가능한 정식 금융기관을 만드는

방식으로 출범

21. 법으로 허용된 공제회, 즉 금융기관을 만드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무엇이라

고 생각하십니까?

보험 및 금융상품을 취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공제회, 즉 금융기관으로서의 공

제회는 사보험에 비해 대단히 가입자에게 유리하지만 현행법상 불가능합니다.

• nmlkj ① 법 개정이 어렵기 때문에 현행법 하에서 가능한 방법 모색(예, 공익보험회

사 혹은 공익신용협동조합 설립)

• nmlkj ② 법 개정 및 입법을 통해 법적 근거 마련(예, 공제사업이 가능하도록 협동

조합법 개정, 혹은 공익활동가 공제회를 위한 특수입법)

22. 다음 중 공제회의 중점사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세가지 선택해 주

십시오.

• gfedc① 다양한 상품개발(예, 다양한 보험상품)

• gfedc ② 회원서비스 확대(예, 여행, 문화, 자기개발 서비스)

• gfedc③ 주택 및 전세자금 대출

• gfedc ④ 학자금 대출

• gfedc ⑤ 생활안정자금 대출

• gfedc ⑥ 질병치료자금 대출

• gfedc 기타:

23. 공제회에 가입한다면 다음 중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nmlkj① 운영의 안정성

• nmlkj ② 상품의 우수성

• nmlkj③ 다양한 회원복지 서비스

• nmlkj ④ 금융서비스

• nmlkj 기타:

- 52 -

24. 공제회에 가입하신다면, 월 개인부담금으로 얼마정도를 부담하실 용의가 있습

니까?

• nmlkj① 1만원 미만

• nmlkj② 1만원에서 3만원 미만

• nmlkj③ 3만원에서 5만원 미만

• nmlkj④ 5만원에서 7만원 미만

• nmlkj⑤ 7만원에서 10만원 미만

• nmlkj⑥ 10만원 이상

25. 귀하의 성별은?

25번 부터는 마지막 인구통계학적 질문입니다. 통계적으로만 활용되오니 빠짐없이

써주시기 바랍니다.

• nmlkj① 남성

• nmlkj② 여성

26. 귀하의 나이는?

27. 귀하의 혼인상태는?

• nmlkj① 혼인

• nmlkj② 비혼

28. 귀하의 최종학력은?

• nmlkj① 중졸

• nmlkj② 고졸

• nmlkj③ 대졸

• nmlkj④ 대학원졸

29. 귀하의 현 주거지는? 시(군)구까지 써주세요.예) 서울시 00구, 강원도 춘천시

- 53 -

30. 본인을 포함하여 가족 전체의 월 소득의 합은 얼마입니까?

31. 귀하의 본인 포함 부양 가족 수는?

• nmlkj ① 1인

• nmlkj ② 2인

• nmlkj ③ 3인

• nmlkj④ 4인

• nmlkj ⑤ 5인

• nmlkj⑥ 6인

• nmlkj ⑦ 7인 이상

보내기

- 54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비서울 66 52.0 52.0 52.0

서울 61 48.0 48.0 100.0

합계 127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회원 및 비회원들에게 서비스 제공

16 12.6 12.7 12.7

사회적 이슈 및 대안 제시

49 38.6 38.9 51.6

서비스와 사회적 이슈 제기의 혼합

61 48.0 48.4 100.0

합계 126 99.2 100.0  

결측시스템 결측값

1 .8    

합계 127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단일 목표 16 12.6 12.6 12.6

2개 이상의 목표

111 87.4 87.4 100.0

합계 127 100.0 100.0  

부록 3. 기초 통계표 - 단체

※ 번호는 설문지의 문항번호

2. 단체 소재지

3. 단체목적

4. 단체 주요 목표

- 55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1913 1 .8 .8 .8

1947 1 .8 .8 1.6

1970 1 .8 .8 2.4

1982 1 .8 .8 3.2

1983 1 .8 .8 4.0

1986 1 .8 .8 4.8

1987 6 4.7 4.8 9.6

1988 1 .8 .8 10.4

1989 6 4.7 4.8 15.2

1990 2 1.6 1.6 16.8

1991 3 2.4 2.4 19.2

1993 5 3.9 4.0 23.2

1994 9 7.1 7.2 30.4

1995 6 4.7 4.8 35.2

1997 6 4.7 4.8 40.0

1998 4 3.1 3.2 43.2

1999 10 7.9 8.0 51.2

2000 4 3.1 3.2 54.4

2001 3 2.4 2.4 56.8

2002 6 4.7 4.8 61.6

2003 5 3.9 4.0 65.6

2004 2 1.6 1.6 67.2

2005 6 4.7 4.8 72.0

2006 8 6.3 6.4 78.4

2007 7 5.5 5.6 84.0

2009 4 3.1 3.2 87.2

2010 3 2.4 2.4 89.6

2011 5 3.9 4.0 93.6

2012 8 6.3 6.4 100.0

합계 125 98.4 100.0  

결측시스템 결측값 2 1.6    

합계 127 100.0    

6. 단체 결성시기

- 56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전국 51 40.2 40.5 40.5

광역시도 45 35.4 35.7 76.2

시군구 27 21.3 21.4 97.6

소규모 공동체 3 2.4 2.4 100.0

합계 126 99.2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1 .8    

합계 127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사단법인 53 41.7 42.7 42.7

재단법인 7 5.5 5.6 48.4

협동조합 6 4.7 4.8 53.2

비영리민간단체 54 42.5 43.5 96.8

임의조직 4 3.1 3.2 100.0

합계 124 97.6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3 2.4    

합계 127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20 7 669 145 100 2,484 6,170,213,606,434 1.5 25,000

7. 단체의 활동 범위

8. 단체의 법적 성격

9. 1년 예산(단위:백만원)

- 57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회비(후원금 포함) 92 72.4 74.2 74.2

정부지원 13 10.2 10.5 84.7

기업지원 3 2.4 2.4 87.1

영리사업 9 7.1 7.3 94.4

기타 7 5.5 5.6 100.0

합계 124 97.6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3 2.4    

합계 127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18 14.2 14.4 14.4

아니오 107 84.3 85.6 100.0

합계 125 98.4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 1.6    

합계 127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21 6 1,538 400 250a 3,893 15,156,919 7 30,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24 3 15 5 2a 41 1,676 1 400

10. 주요 재정확보 수단

11. 정부로부터 인건비성 경상경비 지원 여부

12. 회원수

a. 여러 최빈값이 있습니다. 가장 작은 값이 나타납니다.

13. 활동가수

a. 여러 최빈값이 있습니다. 가장 작은 값이 나타납니다.

- 58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100만원 미만 19 15.0 15.3 15.3

100만원 이상 - 150만원 미만

75 59.1 60.5 75.8

150만원 이상 - 200만원 미만

27 21.3 21.8 97.6

200만원 이상 - 250만원 미만 3 2.4 2.4 100.0

합계 124 97.6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3 2.4    

합계 127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24 3 8 8 8 1 2 2 12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19 8 4 4 3 2 5 1 11

14. 하루 평균노동시간

15. 평균 근속년수

16. 평균 월급

- 59 -

  빈도 유효 퍼센트

건강보험 110 100.0

고용보험 110 100.0

국민연금 110 100.0

산재보험 106 96.4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76 59.8 61.8 61.8

아니오 47 37.0 38.2 100.0

합계 123 96.9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4 3.1    

합계 127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76 59.8 61.8 53.2

아니오 47 37.0 38.2 100.0

합계 123 96.9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3 2.4    

합계 127 100.0    

17. 4대 보험 제공 여부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110 86.6 88.0 88.0

아니오 15 11.8 12.0 100.0

합계 125 98.4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 1.6    

합계 127 100.0    

17-1. 제공하는 4대 보험 종류(모두 선택)

18. 퇴직충담금 적립 여부

19. 고용 계약서 작성 여부

- 60 -

  빈도 유효 퍼센트

계 3 2.6

상조회 3 2.6

공제회 1 .9

없음 102 88.7

  빈도 유효 퍼센트

안식년 47 40.5

자기개발지원 46 39.7

출산육아휴직 73 62.9

교육비지원 57 49.1

상조 68 58.6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98 77.2 79.0 79.0

아니오 26 20.5 21.0 100.0

합계 124 97.6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3 2.4    

합계 127 100.0    

20. 단체내 존재하는 상호부조제도(모두 선택)

21. 단체가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모두 선택)

22. 활동가 충원의 어려움

- 61 -

  빈도 유효 퍼센트

낮은 임금 75 86.2

열악한 근무조건 37 42.5

비전의 부재 17 19.5

낮은 인지도 16 18.4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106 83.5 88.3 88.3

아니오 14 11.0 11.7 100.0

합계 120 94.5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7 5.5    

합계 127 100.0    

22-1. 활동가 충원이 어려운 이유(택 2)

23. 단체부담금 부담 용의

- 62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간사(평활동가) 116 38.7 38.9 38.9

팀장 및 부장(중간책임자) 105 35.0 35.2 74.2

사무처장 및 사무총장 이상 77 25.7 25.8 100.0

합계 298 99.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 .7    

합계 300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292 8 133.62 130.00 100 61.276 3754.779 0 3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296 4 96.61 89.00 120 69.485 4828.177 1 36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296 4 59.60 44.00 36 51.875 2690.986 0 240

부록 4. 기초통계표 - 개인

※ 번호는 설문지의 문항번호

2. 활동경력(단위: 개월)

3. 현 직위(직급)

4. 소속단체 활동 경력(단위: 개월)

5. 월급(단위: 만원)

- 63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매우 만족 5 1.7 1.7 1.7

만족 28 9.3 9.6 11.3

보통 103 34.3 35.3 46.6

불만족 112 37.3 38.4 84.9

매우 불만족 44 14.7 15.1 100.0

합계 292 97.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8 2.7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매우 만족 34 11.3 11.6 11.6

만족 149 49.7 50.7 62.2

보통 70 23.3 23.8 86.1

불만족 38 12.7 12.9 99.0

매우 불만족 3 1.0 1.0 100.0

합계 294 98.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6 2.0    

합계 300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291 9 8.83 9.00 8 2.091 4.370 2 19

6. 소득만족도

7. 하루 평균 근무시간

8. 일에 대한 만족도

- 64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자가 85 28.3 29.7 29.7

전세 105 35.0 36.7 66.4

월세 58 19.3 20.3 86.7

부모님집 30 10.0 10.5 97.2

기타 8 2.7 2.8 100.0

합계 286 95.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14 4.7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매우 그렇다 6 2.0 2.0 2.0

그렇다 26 8.7 8.8 10.9

보통 73 24.3 24.8 35.7

그렇지 않다 123 41.0 41.8 77.6

매우 그렇지 않다 66 22.0 22.4 100.0

합계 294 98.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6 2.0    

합계 300 100.0    

9. 주거형태

10. 현재 소득으로 생활가능 여부

- 65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배우자 102 34.0 44.2 44.2

부모 45 15.0 19.5 63.6

형제 7 2.3 3.0 66.7

친구 8 2.7 3.5 70.1

아르바이트 54 18.0 23.4 93.5

기타 7 2.3 3.0 96.5

없다 8 2.7 3.5 100.0

합계 231 77.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69 23.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가족, 친지, 친구 131 43.7 48.0 48.0

제1금융권(은행) 106 35.3 38.8 86.8

제2금융권(저축은행 및 카드회사) 32 10.7 11.7 98.5

대부업체 1 .3 .4 98.9

기타 3 1.0 1.1 100.0

합계 273 91.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27 9.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166 55.3 57.0 57.0

아니오 125 41.7 43.0 100.0

합계 291 97.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9 3.0    

합계 300 100.0    

10-1. 현 소득으로 생활이 불가능시 충당방법

11. 긴급 자금 필요시 주로 빌리는 곳

12. 부채여부

- 66 -

  빈도 퍼센트

주거비 125 43.1

생활비 129 44.5

자녀교육비 86 29.7

노후대비 198 68.3

질병 및 사고대비

154 53.1

자기개발 91 31.4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172 57.3 59.1 59.1

아니오 119 39.7 40.9 100.0

합계 291 97.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9 3.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질병 및 사고대비 137 84.0

주택마련 31 19.0

노후대비 64 39.3

자녀교육 18 11.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62 138 3745.19 2000.00 2000 5708.220 32583776.674 40 50000

12-1. 부채 총액(단위: 만원)

13. 활동시 불안요소(택3)

14. 미래 대비형 금융상품 가입 여부

14-1. 가입 상품의 종류(모두 선택)

- 67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주거비 83 27.7 29.3 29.3

자녀양육 및 교육비 64 21.3 22.6 51.9

질병 및 상해시 치료비 42 14.0 14.8 66.8

노후대비 92 30.7 32.5 99.3

기타 2 .7 .7 100.0

합계 283 94.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17 5.7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288 96.0 98.3 98.3

아니오 5 1.7 1.7 100.0

합계 293 97.7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7 2.3    

합계 300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165 135 36.15 20.00 20 84.886 7205.553 2 1000

14-2. 가입 총액(단위:만원)

15. 귀하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활지원은 무엇입니까?

16. 공제회의 필요성

- 68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예 277 92.3 95.5 95.5

아니오 13 4.3 4.5 100.0

합계 290 96.7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10 3.3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시민운동단체 284 97.3

자활단체 210 71.9

풀뿌리단체 267 91.4

생활협동조합 213 72.9

중간지원단체(예, 재단) 152 52.1

사회적 경제조직(사회적 기업) 191 65.4

노동조합 및 노동지원단체 176 60.3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고용계약시 112 37.3 38.0 38.0

1년 이상 92 30.7 31.2 69.2

2년 이상 38 12.7 12.9 82.0

3년 이상 53 17.7 18.0 100.0

합계 295 98.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5 1.7    

합계 300 100.0    

17. 공익활동만을 지원하는 금융기관의 필요성

18. 공익활동가 공제회 회원의 범위(모두 선택)

19. 공제회 가입에 필요한 활동경력

- 69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상조 및 소액대출이 긴급히 필요하기 때문에

임의단체형식으로 일단 출범139 46.3 47.8 47.8

운영의 안정성과 다양한 금융상품이 가능한 법적 형태를 갖춘 후에 출범

152 50.7 52.2 100.0

합계 291 97.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9 3.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법 개정이 어렵기 때문에 현행법 하에서 가능한 방법 모색(예, 공익보험회사 혹은

공익신용협동조합 설립)

137 45.7 47.6 47.6

법 개정 및 입법을 통해 법적 근거 마련(예,

공제사업이 가능하도록 협동조합법 개정, 혹은

공익활동가 공제회를 위한 특수입법)

151 50.3 52.4 100.0

합계 288 96.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12 4.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다양한 상품개발 66 22.4

회원서비스 114 38.8

주택및 전세자금 대출 201 68.4

학자금대출 102 34.7

생활안정자금대출 189 64.3

질병치표자금 166 56.5

20. 공제회의 초기 모형

21. 법적 기반을 가진 공제회를 만드는 방법

22. 공제회의 중점사업(택 3)

- 70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운영의 안정성 232 77.3 79.5 79.5

상품의 우수성 11 3.7 3.8 83.2

다양한 회원복지 서비스 32 10.7 11.0 94.2

금융서비스 14 4.7 4.8 99.0

기타 3 1.0 1.0 100.0

합계 292 97.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8 2.7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1만원 미만 29 9.7 9.9 9.9

1만원에서 3만원 미만 155 51.7 52.7 62.6

3만원에서 5만원 미만 78 26.0 26.5 89.1

5만원에서 7만원 미만 13 4.3 4.4 93.5

7만원에서 10만원 미만 11 3.7 3.7 97.3

10만원 이상 8 2.7 2.7 100.0

합계 294 98.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6 2.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남성 115 38.3 39.0 39.0

여성 180 60.0 61.0 100.0

합계 295 98.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5 1.7    

합계 300 100.0    

23. 공제회에 가입 시 우선 고려사항

24. 공제회에 가입시 가능 부담액(단위:만원/월)

25. 성별

- 71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혼인 154 51.3 52.9 52.9

비혼 137 45.7 47.1 100.0

합계 291 97.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9 3.0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중졸 1 .3 .3 .3

고졸 11 3.7 3.8 4.1

대졸 208 69.3 71.0 75.1

대학원졸 73 24.3 24.9 100.0

합계 293 97.7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7 2.3    

합계 3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비서울 173 57.7 59.5 59.5

서울 118 39.3 40.5 100.0

합계 291 97.0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9 3.0    

합계 300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292 8 38.24 38.00 35a

7.747 60.011 23 69

26. 나이

a. 여러 최빈값이 있습니다. 가장 작은 값이 나타납니다.

27. 혼인상태

28. 최종학력

29. 거주지

- 72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1 73 24.3 25.0 25.0

2 54 18.0 18.5 43.5

3 66 22.0 22.6 66.1

4 70 23.3 24.0 90.1

5 21 7.0 7.2 97.3

6 6 2.0 2.1 99.3

7 2 .7 .7 100.0

합계 292 97.3 100.0  

결측 시스템 결측값 8 2.7    

합계 300 100.0    

N평균 중위수 최빈값 표준편차 분산 최소값 최대값

유효 결측

281 19 316.20 300.00 300a

172.216 29658.344 0 1500

30. 가구소득(단위:만원/월)

31. 본인 포함 부양 가족 수

- 73 -

직위

(호봉)원장

사무

국장

과장및

생활복지사

생활지도원기능직 관리인

촉탁의사선임 직원

1호봉 1,927 1,695 1,585 1,532 1,484 1,303 1,397 2,290

2호봉 2,010 1,774 1,639 1,590 1,529 1,350 1,443  

3호봉 2,096 1,857 1,696 1,634 1,576 1,397 1,489  

4호봉 2,185 1,943 1,757 1,695 1,624 1,444 1,535  

5호봉 2,273 2,031 1,839 1,777 1,671 1,493 1,581  

6호봉 2,374 2,124 1,924 1,861 1,772 1,585 1,673  

7호봉 2,472 2,217 2,011 1,948 1,815 1,634 1,723  

8호봉 2,572 2,312 2,099 2,032 1,874 1,683 1,770  

9호봉 2,673 2,408 2,185 2,113 1,929 1,752 1,839  

10호봉 2,773 2,500 2,269 2,192 2,002 1,821 1,908  

11호봉 2,870 2,590 2,349 2,270 2,072 1,884 1,969  

12호봉 2,946 2,662 2,414 2,333 2,130 1,928 2,012  

13호봉 3,019 2,730 2,476 2,393 2,186 1,970 2,053  

14호봉 3,087 2,794 2,534 2,450 2,240 2,014 2,095  

15호봉 3,152 2,856 2,590 2,505 2,291 2,057 2,134  

16호봉 3,213 2,913 2,644 2,558 2,341 2,110 2,187  

17호봉 3,271 2,968 2,695 2,607 2,390 2,155 2,230  

18호봉 3,325 3,021 2,744 2,655 2,435 2,198 2,270  

19호봉 3,377 3,070 2,790 2,702 2,480 2,240 2,313  

20호봉 3,425 3,117 2,833 2,746 2,522 2,284 2,354  

21호봉 3,471 3,161 2,875 2,788 2,562 2,349 2,416  

22호봉 3,514 3,203 2,915 2,828 2,601 2,390 2,459  

23호봉 3,555 3,243 2,953 2,866 2,638 2,433 2,498  

24호봉 3,594 3,280 2,989 2,903 2,673 2,477 2,539  

25호봉 3,630 3,316 3,023 2,938 2,706 2,519 2,582  

26호봉 3,664 3,350 3,056 2,973 2,737 2,563 2,623  

27호봉 3,695 3,382 3,084 3,001 2,763 2,607 2,664  

28호봉 3,722 3,409 3,110 3,028 2,788 2,620 2,676  

29호봉 3,748 3,434 3,135 3,054 2,813 2,663 2,718  

30호봉 3,773 3,459 3,159 3,079 2,836 2,677 2,729  

부록 5. 2012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급여기준

2012년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급여 기준(단위:천원/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