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8 8 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 8 장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Embed Size (px)

DESCRIPTION

제 8 장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 개요 (introduction) - 편도함수의 정의는 독립변수들 간에 어떤 함수관계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전제 로 함 ( 즉 , 상호독립적 ). - 그러나 일반함수형태가 모형에 포함되면 , 어떤 명시적 축약형의 해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 그러한 편리한 방법은 기대할 수 없음 . - 예를 들어 , 단순한 국민소득모형에서 Y=C+I 0 +G 0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제제 88 장장

일반함수모형일반함수모형의 의

비교정태분석비교정태분석

제제 88 장장

일반함수모형일반함수모형의 의

비교정태분석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 일반함수모형

개요 (introduction)

- 편도함수의 정의는 독립변수들 간에 어떤 함수관계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함 ( 즉 , 상호독립적 ).

- 그러나 일반함수형태가 모형에 포함되면 , 어떤 명시적 축약형의 해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 그러한 편리한 방법은 기대할 수 없음 .

- 예를 들어 , 단순한 국민소득모형에서

Y=C+I0+G0

C=C(Y, T0) [ 여기서 T0 는 외생변수로서의 조세 ]

개요 (introduction)

- 편도함수의 정의는 독립변수들 간에 어떤 함수관계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함 ( 즉 , 상호독립적 ).

- 그러나 일반함수형태가 모형에 포함되면 , 어떤 명시적 축약형의 해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 그러한 편리한 방법은 기대할 수 없음 .

- 예를 들어 , 단순한 국민소득모형에서

Y=C+I0+G0

C=C(Y, T0) [ 여기서 T0 는 외생변수로서의 조세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 일반함수모형

- 앞의 두 모형은 Y* 를 구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방정식 ( 하나의 균형조건 ) 으로 다음과 같이 축약할 수 있음 .

Y=C(Y, T0)+I0+G0

- 그러나 소비함수 C 가 일반함수형태로 주어져 있어서 명시적인 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함 .

- 균형해 Y* 를 외생변수 I0, G0, T0 의 미분가능함수라면 ,

Y*=Y*(I0, G0, T0) 또는 Y*C(Y*, T0)+I0+G0

- 앞의 두 모형은 Y* 를 구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방정식 ( 하나의 균형조건 ) 으로 다음과 같이 축약할 수 있음 .

Y=C(Y, T0)+I0+G0

- 그러나 소비함수 C 가 일반함수형태로 주어져 있어서 명시적인 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함 .

- 균형해 Y* 를 외생변수 I0, G0, T0 의 미분가능함수라면 ,

Y*=Y*(I0, G0, T0) 또는 Y*C(Y*, T0)+I0+G0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 일반함수모형

- 만일 앞의 식에서 ∂ Y*/∂T0 를 구하고자 한다면 , 함수

C 에 포함된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음 .

- 왜냐하면 , 이 경우 T0 는 직접적으로 C 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 Y* 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

- 따라서 편미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 수 없음 .

- 결과적으로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미분 (total differentiation) 이라는 편미분의 대비 개념이 필요함 .

- 만일 앞의 식에서 ∂ Y*/∂T0 를 구하고자 한다면 , 함수

C 에 포함된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음 .

- 왜냐하면 , 이 경우 T0 는 직접적으로 C 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 Y* 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

- 따라서 편미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 수 없음 .

- 결과적으로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미분 (total differentiation) 이라는 편미분의 대비 개념이 필요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 일반함수모형

- 전미분의 과정은 전도함수 (total derivative) 의 개념과 관련됨 .

- 전도함수는 C(Y*, T0) 와 같은 함수에서 독립변수 T0 가

다른 독립변수 Y* 에 영향을 줄 때 , 변수 T0 에 관한

그 함수의 변화율의 정도를 나타냄 .

- 전미분의 과정은 전도함수 (total derivative) 의 개념과 관련됨 .

- 전도함수는 C(Y*, T0) 와 같은 함수에서 독립변수 T0 가

다른 독립변수 Y* 에 영향을 줄 때 , 변수 T0 에 관한

그 함수의 변화율의 정도를 나타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도함수 dy/dx=f(x) 는 차분몫의 극한임 .

=f(x)=

- 따라서 ⊿ y/ x ⊿ 그 자체는 ( x⊿ 0 의 규정없이 ) dy/dx 와 같지 않음 .

- 여기서 이 두 몫의 불일치를 로 나타내면 ,

- = 또는 = + [ 단 , x⊿ 0 에 따라 0]

- x⊿ 가 0 에 무한접근하면 , 불일치항 도 0 에 무한접근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도함수 dy/dx=f(x) 는 차분몫의 극한임 .

=f(x)=

- 따라서 ⊿ y/ x ⊿ 그 자체는 ( x⊿ 0 의 규정없이 ) dy/dx 와 같지 않음 .

- 여기서 이 두 몫의 불일치를 로 나타내면 ,

- = 또는 = + [ 단 , x⊿ 0 에 따라 0]

- x⊿ 가 0 에 무한접근하면 , 불일치항 도 0 에 무한접근

dy

dx

⊿y⊿x

lim

⊿x0

⊿y⊿x

dy

dx

⊿y⊿x

dy

dx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앞의 식을 양변에 ⊿ x 를 곱하면 다음과 같음 .

⊿y= x+⊿ x ⊿ 또는 ⊿ y=f(x) x+⊿ x⊿

- 이 식은 ⊿ x 의 특정변화로 인한 y 의 변화 (⊿y) 를 나타냄 . - 여기서 ⊿ x 가 충분히 작은 수이면 도 충분히 작은 수가

되고 , x⊿ 는 더욱 작은 수가 됨 . - 따라서 f(x) x⊿ 는 y 의 증분 ⊿ y 의 근사값 으로 사용할 수 있음 .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앞의 식을 양변에 ⊿ x 를 곱하면 다음과 같음 .

⊿y= x+⊿ x ⊿ 또는 ⊿ y=f(x) x+⊿ x⊿

- 이 식은 ⊿ x 의 특정변화로 인한 y 의 변화 (⊿y) 를 나타냄 . - 여기서 ⊿ x 가 충분히 작은 수이면 도 충분히 작은 수가

되고 , x⊿ 는 더욱 작은 수가 됨 . - 따라서 f(x) x⊿ 는 y 의 증분 ⊿ y 의 근사값 으로 사용할 수 있음 .

dy

dx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 그림 8.1] 의 x0 에서 x0+ x⊿ 로 변하면 , y=f(x) graph 에서

점 A 에서 점 B 로 이동함 .

- 이때 ⊿ y 는 CB 이고 , 두 거리의 비율 (= 기울기 ) 은 CB/AC=

⊿y/ x⊿ 임 .

- 이를 수식으로 다시 정리하면 ,

⊿y= x= AC=CB⊿

dy= dx= AC=CD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 그림 8.1] 의 x0 에서 x0+ x⊿ 로 변하면 , y=f(x) graph 에서

점 A 에서 점 B 로 이동함 .

- 이때 ⊿ y 는 CB 이고 , 두 거리의 비율 (= 기울기 ) 은 CB/AC=

⊿y/ x⊿ 임 .

- 이를 수식으로 다시 정리하면 ,

⊿y= x= AC=CB⊿

dy= dx= AC=CD

⊿y⊿x

CB

ACdy

dx

CD

AC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여기서 점 A 를 지나는 접선을 그리고 , CB 대신 CD 를 ⊿y 의 근사값으로 사용하면 , 불일치 또는 근사값 오차는 DB 가 됨 .

- AD 의 기울기는 f(x0) 이므로 , x⊿ 가 감소함에 따라 ( x⊿ 0)

점 B 에서 점 A 로 이동함 . 이에 따라 불일치를 줄이고

f(x0), 즉 dy/dx 를 ⊿ y/ x⊿ 에 더 가까운 근사값으로 만듬 .

- 따라서 ⊿ x 가 감소함에 따라 dy 와 ⊿ y 의 차이도 0 에 접근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여기서 점 A 를 지나는 접선을 그리고 , CB 대신 CD 를 ⊿y 의 근사값으로 사용하면 , 불일치 또는 근사값 오차는 DB 가 됨 .

- AD 의 기울기는 f(x0) 이므로 , x⊿ 가 감소함에 따라 ( x⊿ 0)

점 B 에서 점 A 로 이동함 . 이에 따라 불일치를 줄이고

f(x0), 즉 dy/dx 를 ⊿ y/ x⊿ 에 더 가까운 근사값으로 만듬 .

- 따라서 ⊿ x 가 감소함에 따라 dy 와 ⊿ y 의 차이도 0 에 접근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 그림 8.1] 에서 접선 AD 의 기울기는 dy/dx 가 됨 .

-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 접선 AD 의 기울기 =f(x)

- 위 식의 양변을 dx 로 곱하면 , dy=f(x)dx

따라서 dx 의 어떤 특정한 값이 주어지면 , 그것에 f(x) 를 곱함으로써 ⊿ y 의 근사값으로서의 dy 를 구할 수 있음 .

- 변화량 dy 와 dx 를 각각 x 와 y 의 미분 (differential) 이라 함 .

미분과 도함수 (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 그림 8.1] 에서 접선 AD 의 기울기는 dy/dx 가 됨 .

-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 접선 AD 의 기울기 =f(x)

- 위 식의 양변을 dx 로 곱하면 , dy=f(x)dx

따라서 dx 의 어떤 특정한 값이 주어지면 , 그것에 f(x) 를 곱함으로써 ⊿ y 의 근사값으로서의 dy 를 구할 수 있음 .

- 변화량 dy 와 dx 를 각각 x 와 y 의 미분 (differential) 이라 함 .

dy

dx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함수 Q=f(P) 의 가격탄력성은 ( Q/Q)/( P/P)⊿ ⊿ 로 정의됨 .

- 위 식에서 근사값을 사용하면 , 독립적 변화 ⊿ P 와 종속 적 변화 ⊿ Q 는 dP 와 dQ 로 바꿀 수 있음 .

- 따라서 d(elasticity 를 나타내는 그리스 문자 epsilon)

로 표현되는 수요의 점탄력성 (point elasticity) 이라는 근사값으로서의 탄력성측도를 얻음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함수 Q=f(P) 의 가격탄력성은 ( Q/Q)/( P/P)⊿ ⊿ 로 정의됨 .

- 위 식에서 근사값을 사용하면 , 독립적 변화 ⊿ P 와 종속 적 변화 ⊿ Q 는 dP 와 dQ 로 바꿀 수 있음 .

- 따라서 d(elasticity 를 나타내는 그리스 문자 epsilon)

로 표현되는 수요의 점탄력성 (point elasticity) 이라는 근사값으로서의 탄력성측도를 얻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의 점탄력성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d= = =

- 수요의 점탄력성은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 - 위 식에서

d 일 때 수요는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의 점탄력성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d= = =

- 수요의 점탄력성은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 - 위 식에서

d 일 때 수요는

dQ/Q

dP/P

dQ/dP

Q/P

한계함수 (marginal function)

평균함수 (average function)

=1=11=0

완전탄력적 (perfectly elastic)탄력적 (elastic)단위탄력적 (unitary elastic)비탄력적 (inelastic)완전비탄력적 (perfectly inelastic)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함수 Q=100-2P 일 때 수요의 점탄력성 (d)?

=-2 및 =

-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인 점탄력성은

d= =-2/ =

- 이처럼 탄력성은 P 의 함수로 주어짐 . 따라서 특정한 가격이 선택되면 점탄력성의 크기가 결정됨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함수 Q=100-2P 일 때 수요의 점탄력성 (d)?

=-2 및 =

-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인 점탄력성은

d= =-2/ =

- 이처럼 탄력성은 P 의 함수로 주어짐 . 따라서 특정한 가격이 선택되면 점탄력성의 크기가 결정됨 .

dQ

dP

Q

P

100-2P

P

dQ/dP

Q/P

100-2P

P

-P

50-P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예를 들어 , P=25 일 때 d=-1 또는 d=1 이므로 수요는

이 가격 ( 점 ) 에서 단위탄력적임 .

- P=30 일 때 d =1.5 이므로 수요는 이 가격에서 탄력적임 .

- 만약 25P50 일 때 d1 이므로 수요는 탄력적이고 ,

0P25 일 때 d1 이므로 수요는 비탄력적임 .

- 여기서 만약 P=50 이라면 d=( 완전탄력적 ) 가 되고 ,

P=0 라면 d=0( 완전비탄력적 ) 이 됨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예를 들어 , P=25 일 때 d=-1 또는 d=1 이므로 수요는

이 가격 ( 점 ) 에서 단위탄력적임 .

- P=30 일 때 d =1.5 이므로 수요는 이 가격에서 탄력적임 .

- 만약 25P50 일 때 d1 이므로 수요는 탄력적이고 ,

0P25 일 때 d1 이므로 수요는 비탄력적임 .

- 여기서 만약 P=50 이라면 d=( 완전탄력적 ) 가 되고 ,

P=0 라면 d=0( 완전비탄력적 ) 이 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공급함수 Q=P2+7P 일 때 공급의 점탄력성 (s)?

=2P+7 및 = =P+7

-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인 점탄력성은

s= =

- 여기서 P=2 일 때 , 공급탄력성의 값은 11/9(1) 임 . 따라서 공급은 P=2 에서 탄력적 (elastic) 임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공급함수 Q=P2+7P 일 때 공급의 점탄력성 (s)?

=2P+7 및 = =P+7

-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인 점탄력성은

s= =

- 여기서 P=2 일 때 , 공급탄력성의 값은 11/9(1) 임 . 따라서 공급은 P=2 에서 탄력적 (elastic) 임 .

dQ

dP

Q

P

dQ/dP

Q/P

2P+7

P+7

P2+7P

P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앞의 [ 그림 8.2] 에서 두 경우 모두 곡선상의 점 A 에서

( 또는 정의역 x=x0 에서 ) 한계함수의 값은 접선 AB 의

기울기로 측정됨 .

- 한편 , 평균함수의 값은 직선 OA( 원점에서 곡선상의 점 A 를 연결한 직선 ) 의 기울기로 측정됨 .

- 따라서 점 A 에서 점탄력성은 평균함수와 한계함수의 기울기 수치의 비교로 알 수 있음 .

- 점 A 에서 ⒜의 경우 비탄력적 , ⒝ 의 경우 탄력적임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앞의 [ 그림 8.2] 에서 두 경우 모두 곡선상의 점 A 에서

( 또는 정의역 x=x0 에서 ) 한계함수의 값은 접선 AB 의

기울기로 측정됨 .

- 한편 , 평균함수의 값은 직선 OA( 원점에서 곡선상의 점 A 를 연결한 직선 ) 의 기울기로 측정됨 .

- 따라서 점 A 에서 점탄력성은 평균함수와 한계함수의 기울기 수치의 비교로 알 수 있음 .

- 점 A 에서 ⒜의 경우 비탄력적 , ⒝ 의 경우 탄력적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점탄력성은 두 기울기 수치의 비교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되는 두 기울기는 두 각 (m 과 a; 하첨자

m 과 a 는 한계와 평균 을 의미 ) 의 크기에 의존함 .

- 따라서 두 기울기를 비교하는 대신에 이에 상응하는 두 각을 비교해도 무방함 .

- [ 그림 8.2]⒜ 는 (ma) 비탄력적 , ⒝ 는 (ma) 탄력적

- [ 그림 8.3] 에서는 ⒜와 ⒝ 기울기의 두 각이 모두 같음

(m=a). 즉 , 주어진 곡선상의 점 C 에서 단위탄력적임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점탄력성은 두 기울기 수치의 비교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되는 두 기울기는 두 각 (m 과 a; 하첨자

m 과 a 는 한계와 평균 을 의미 ) 의 크기에 의존함 .

- 따라서 두 기울기를 비교하는 대신에 이에 상응하는 두 각을 비교해도 무방함 .

- [ 그림 8.2]⒜ 는 (ma) 비탄력적 , ⒝ 는 (ma) 탄력적

- [ 그림 8.3] 에서는 ⒜와 ⒝ 기울기의 두 각이 모두 같음

(m=a). 즉 , 주어진 곡선상의 점 C 에서 단위탄력적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지금까지 살펴본 기하학적 방법은 함수 y=f(x) 의 종속 변수 y 가 세로축에 표시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함 ( 왜냐하면 , 경제학에서는 정반대로 표시 하기 때문 ).

- 따라서 수요와 공급의 점탄력성을 구하고자 할 때 ,

종속변수인 수요 (Qd) 와 공급 (Qs) 이 가로축에 위치하면

점탄력성을 구하는 방법은 정반대로 수정 되어야 함 .

미분과 점탄력성 (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지금까지 살펴본 기하학적 방법은 함수 y=f(x) 의 종속 변수 y 가 세로축에 표시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함 ( 왜냐하면 , 경제학에서는 정반대로 표시 하기 때문 ).

- 따라서 수요와 공급의 점탄력성을 구하고자 할 때 ,

종속변수인 수요 (Qd) 와 공급 (Qs) 이 가로축에 위치하면

점탄력성을 구하는 방법은 정반대로 수정 되어야 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 (differentials) 미분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의 개요 - 미분의 개념은 독립변수가 둘 이상인 다변수함수에 대해서도 확장할 수 있음 .

- 함수 z=f(x, y) 에서 x 와 y 의 증분을 각각 ⊿ x, y⊿ 라면 ,

⊿z=f(x+ x, y+ y)-f(x, y)⊿ ⊿

- 위 식의 우변에서 f(x, y+ y)⊿ 를 빼고 더하면 ,

⊿z=[f(x+ x, y+ y)⊿ ⊿ -f(x, y+ y)⊿ ]+[f(x, y+ y)⊿ -f(x, y)]

- 첫 번째 대괄호 안에서 x 는 변하고 y 는 고정 되어 있고 ,

두 번째 대괄호 안에서 y 는 변하고 x 는 고정 되어 있음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의 개요 - 미분의 개념은 독립변수가 둘 이상인 다변수함수에 대해서도 확장할 수 있음 .

- 함수 z=f(x, y) 에서 x 와 y 의 증분을 각각 ⊿ x, y⊿ 라면 ,

⊿z=f(x+ x, y+ y)-f(x, y)⊿ ⊿

- 위 식의 우변에서 f(x, y+ y)⊿ 를 빼고 더하면 ,

⊿z=[f(x+ x, y+ y)⊿ ⊿ -f(x, y+ y)⊿ ]+[f(x, y+ y)⊿ -f(x, y)]

- 첫 번째 대괄호 안에서 x 는 변하고 y 는 고정 되어 있고 ,

두 번째 대괄호 안에서 y 는 변하고 x 는 고정 되어 있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의 개요 - 한편 , 앞의 식은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함 .

=fx(x, y)+1

=fy(x, y)+2

- 여기서 각각 ⊿ x, y⊿ 를 양변에 곱하고 ,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남 . ⊿z=fx(x, y) x+f⊿ y(x, y) y+⊿ 1 x+⊿ 2 y⊿

- 위에서 fx 와 fy 는 각각의 편도함수 (partial derivatives) 임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의 개요 - 한편 , 앞의 식은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함 .

=fx(x, y)+1

=fy(x, y)+2

- 여기서 각각 ⊿ x, y⊿ 를 양변에 곱하고 ,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남 . ⊿z=fx(x, y) x+f⊿ y(x, y) y+⊿ 1 x+⊿ 2 y⊿

- 위에서 fx 와 fy 는 각각의 편도함수 (partial derivatives) 임 .

f(x+ x, y+ y)-f(x, y+ y)⊿ ⊿ ⊿⊿x

f(x, y+ y)-f(x, y)⊿⊿y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의 개요 - 한편 , 앞의 식에서 ⊿ x 와 ⊿ y 가 각각 0 에무한접근하면 ,

각각의 불일치항인 1 과 1 도 0 에 무한접근함 .

- 따라서 1 x⊿ 와 1 y⊿ 도 더욱 더 작은 수가 되므로 ,

z 의 총변화 (dz) 는 근사값으로 다음과 같이 미분됨 .

dz= dx+ dy 또는 dz=fx(x, y)dx+fy(x, y)dy

- 위 식에서 dz 는 두 원천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의

합 이기 때문에 , 이것을 dz 의 전미분이라 함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의 개요 - 한편 , 앞의 식에서 ⊿ x 와 ⊿ y 가 각각 0 에무한접근하면 ,

각각의 불일치항인 1 과 1 도 0 에 무한접근함 .

- 따라서 1 x⊿ 와 1 y⊿ 도 더욱 더 작은 수가 되므로 ,

z 의 총변화 (dz) 는 근사값으로 다음과 같이 미분됨 .

dz= dx+ dy 또는 dz=fx(x, y)dx+fy(x, y)dy

- 위 식에서 dz 는 두 원천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의

합 이기 때문에 , 이것을 dz 의 전미분이라 함 .

∂z

∂x

∂z

∂y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를 들어 , 저축함수 S=S(Y, i); 여기서 S 는 저축 ,

Y 는 국민소득 , i 는 이자율임 .

- 여기서 각각의 편도함수 ∂ S/∂Y 는 한계저축성향(MPS),

∂S/∂i 는 한계이자율성향 (MPI) 을 나타냄 .

- 따라서 Y 의 미소변화 dy 에 따른 S 의 변화는근사값 (∂S/∂Y)dy 로 , i 의 미소변화 di 에 기인하는 S 의

변화는 근사값 (∂S/∂i)di 로 나타낼 수 있음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를 들어 , 저축함수 S=S(Y, i); 여기서 S 는 저축 ,

Y 는 국민소득 , i 는 이자율임 .

- 여기서 각각의 편도함수 ∂ S/∂Y 는 한계저축성향(MPS),

∂S/∂i 는 한계이자율성향 (MPI) 을 나타냄 .

- 따라서 Y 의 미소변화 dy 에 따른 S 의 변화는근사값 (∂S/∂Y)dy 로 , i 의 미소변화 di 에 기인하는 S 의

변화는 근사값 (∂S/∂i)di 로 나타낼 수 있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그러면 , 저축 S 의 총변화는 다음과 같이 미분으로 근사 할 수 있음 .

dS= dY+ di 또는 dS=SYdY+Sidi

- 만약 i 는 일정한데 Y 만 변한다면 , 이 경우 di=0 이

되고 , 전미분은 dS=(∂S/∂Y)dY 로 되고 , 양변을 dY 로나누면

=

- 따라서 ∂편도함수 S/∂Y 는 독립변수 i 가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 두 미분 dS 와 dY 의 비율과 같음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그러면 , 저축 S 의 총변화는 다음과 같이 미분으로 근사 할 수 있음 .

dS= dY+ di 또는 dS=SYdY+Sidi

- 만약 i 는 일정한데 Y 만 변한다면 , 이 경우 di=0 이

되고 , 전미분은 dS=(∂S/∂Y)dY 로 되고 , 양변을 dY 로나누면

=

- 따라서 ∂편도함수 S/∂Y 는 독립변수 i 가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 두 미분 dS 와 dY 의 비율과 같음 .

∂S

∂Y

∂S

∂i

∂S

∂Y

dS

dY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n 개의 독립변수로 구성된 일반함수형태의 효용함수

U=U(x1, x2,, xn)

- 위 함수의 전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음 .

dU= dx1+ dx2++ dxn

또는 dU=U1dx1+U2dx2++Undxn=Uidxi

- 위 식에서 우변의 각 항은 어떤 하나의 독립변수가 미소변화할 때 초래되는 총효용변화의 근사값임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n 개의 독립변수로 구성된 일반함수형태의 효용함수

U=U(x1, x2,, xn)

- 위 함수의 전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음 .

dU= dx1+ dx2++ dxn

또는 dU=U1dx1+U2dx2++Undxn=Uidxi

- 위 식에서 우변의 각 항은 어떤 하나의 독립변수가 미소변화할 때 초래되는 총효용변화의 근사값임 .

∂U

∂x1

∂U

∂x2

∂U

∂xn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다른 함수와 마찬가지로 점탄력성을 구할 수 있음 .

- 그러나 각 탄력성은 여러 개의 독립변수 중 오직 어떤 하나의 독립변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 변화로 정의됨 .

- 따라서 앞서 저축함수는 두 개의 탄력성이 정의될 수 있고 , 효용함수는 n 개의 탄력성이 정의될 수 있음 .

- 이 때 , 각각의 독립변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 변화는 편도함수가 되고 , 이들의 탄력성을 편탄력성(partial

elasticity) 이라 함 .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다른 함수와 마찬가지로 점탄력성을 구할 수 있음 .

- 그러나 각 탄력성은 여러 개의 독립변수 중 오직 어떤 하나의 독립변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 변화로 정의됨 .

- 따라서 앞서 저축함수는 두 개의 탄력성이 정의될 수 있고 , 효용함수는 n 개의 탄력성이 정의될 수 있음 .

- 이 때 , 각각의 독립변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 변화는 편도함수가 되고 , 이들의 탄력성을 편탄력성(partial

elasticity) 이라 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앞에서의 저축함수에 대한 편탄력성은 다음과 같음 .

SY= = Si= =

- 효용함수에 대한 n 개의 편탄력성은 다음과 같음 .

Uxi= = (i=1, 2,, n)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앞에서의 저축함수에 대한 편탄력성은 다음과 같음 .

SY= = Si= =

- 효용함수에 대한 n 개의 편탄력성은 다음과 같음 .

Uxi= = (i=1, 2,, n)

∂S/∂Y

S/Y

∂S

∂Y

Y

S

∂S/∂i

S/i

∂S

∂i

i

S

∂U/∂xi

U/xi

∂U

∂xi

xi

U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1 : U(x1, x2)=ax1+bx2 ( 여기서 a, b0)

=U1=a =U2=b

dU=U1dx1+U2dx2=adx1+bdx2

- 예 2 : U(x1, x2)=x12+x2

3+x1x2 ( 여기서 a, b0)

=U1=2x1+x2 =U2=3x22+x1

dU=U1dx1+U2dx2=(2x1+x2)dx1+(3x22+x1)dx2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1 : U(x1, x2)=ax1+bx2 ( 여기서 a, b0)

=U1=a =U2=b

dU=U1dx1+U2dx2=adx1+bdx2

- 예 2 : U(x1, x2)=x12+x2

3+x1x2 ( 여기서 a, b0)

=U1=2x1+x2 =U2=3x22+x1

dU=U1dx1+U2dx2=(2x1+x2)dx1+(3x22+x1)dx2

∂U

∂x1

∂U

∂x2

∂U

∂x1

∂U

∂x2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3 : U(x1, x2)=x1ax2

b ( 여기서 a, b0)

=U1=ax1a-1x2

b=

=U2=bx1ax2

b-1=

dU=U1dx1+U2dx2=( )dx1+( )dx2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3 : U(x1, x2)=x1ax2

b ( 여기서 a, b0)

=U1=ax1a-1x2

b=

=U2=bx1ax2

b-1=

dU=U1dx1+U2dx2=( )dx1+( )dx2

∂U

∂x1

∂U

∂x2

ax1ax2

b

x1

bx1ax2

b

x2

ax1ax2

b

x1

bx1ax2

b

x2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4 : z=2x+5xy+y

=z1=2+5y =z2=5x+1

dz=z1dx+z2dy=(2+5y)dx+(5x+1)dy - 예 5 : z=2x2+y2

=z1=4x =z2=2y

dz=z1dx+z2dy=4xdx+2ydy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4 : z=2x+5xy+y

=z1=2+5y =z2=5x+1

dz=z1dx+z2dy=(2+5y)dx+(5x+1)dy - 예 5 : z=2x2+y2

=z1=4x =z2=2y

dz=z1dx+z2dy=4xdx+2ydy

∂z

∂x

∂z

∂y

∂z

∂x

∂z

∂y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6 : u=xy2z3

=u1=y2z3 =u2=2xyz3 =u3=3xy2z2

du=u1dx+u2dy+u3dz=y2z3dx+2xyz3dy+3xy2z2dz

- 예 7 : y=

=y1= =y2=

dy=y1dx1+y2dx2= dx1+ dx2

전미분 (total differentials)

- 예 6 : u=xy2z3

=u1=y2z3 =u2=2xyz3 =u3=3xy2z2

du=u1dx+u2dy+u3dz=y2z3dx+2xyz3dy+3xy2z2dz

- 예 7 : y=

=y1= =y2=

dy=y1dx1+y2dx2= dx1+ dx2

∂u

∂x

∂u

∂y

∂u

∂z

x1

x1+x2∂y

∂x1

x2

(x1+x2)2

∂y

∂x2

-x1

(x1+x2)2

x2

(x1+x2)2

-x1

(x1+x2)2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함수 y=f(x1, x2) 의 전미분 dy 를 구하는 간단한

방법은

편도함수 f1 과 f2 를 구하고 , 다음 식에 대입하는

것임 .

dy=f1dx1+f2dx2

- 그러나 다음과 같은 미분법칙을 적용하는 것이 편리함 .

- 여기서 k 는 상수이고 , u, v 는 변수 x1, x2 의 함수

임 .

[ 법칙 1] dk=0 ( 상수함수의 법칙 )

[ 법칙 2] d(cun)=cnun-1du ( 멱함수의 법칙 )

[ 법칙 3] d(uv)=dudv ( 합과 차의 법칙 )

[ 법칙 4] d(uv)=vdu+udv ( 곱의 법칙 )

함수 y=f(x1, x2) 의 전미분 dy 를 구하는 간단한

방법은

편도함수 f1 과 f2 를 구하고 , 다음 식에 대입하는

것임 .

dy=f1dx1+f2dx2

- 그러나 다음과 같은 미분법칙을 적용하는 것이 편리함 .

- 여기서 k 는 상수이고 , u, v 는 변수 x1, x2 의 함수

임 .

[ 법칙 1] dk=0 ( 상수함수의 법칙 )

[ 법칙 2] d(cun)=cnun-1du ( 멱함수의 법칙 )

[ 법칙 3] d(uv)=dudv ( 합과 차의 법칙 )

[ 법칙 4] d(uv)=vdu+udv ( 곱의 법칙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 법칙 5] d( )= (vdu-udv) ( 몫의 법칙 )

[ 법칙 6] d(uvw)=dudvdw

[ 법칙 7] d(uvw)=vwdu+uwdv+uvdw

이상의 법칙들이 응용되는 실례를 살펴보기로 함 .

- 예 1 : y=5x12+3x2

이 함수의 편도함수 f1=10x1 및 f2=3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10x1dx1+3dx2

그러나 u=5x12 과 v=3x2 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

dy=d(5x12)+d(3x2)=10x1dx1+3dx2

[ 법칙 5] d( )= (vdu-udv) ( 몫의 법칙 )

[ 법칙 6] d(uvw)=dudvdw

[ 법칙 7] d(uvw)=vwdu+uwdv+uvdw

이상의 법칙들이 응용되는 실례를 살펴보기로 함 .

- 예 1 : y=5x12+3x2

이 함수의 편도함수 f1=10x1 및 f2=3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10x1dx1+3dx2

그러나 u=5x12 과 v=3x2 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

dy=d(5x12)+d(3x2)=10x1dx1+3dx2

u

v

1

v2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 예 2 : y=3x12+x1x2

2

편도함수 f1=6x1+x22 와 f2=2x1x2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6x1+x22)dx1+2x1x2dx2

u=3x12 과 v=x1x2

2 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

dy=d(3x12)+d(x1x2

2)=6x1dx1+x22dx1+x1d(x2

2)

=(6x1+x22)dx1+2x1x2dx2

- 예 2 : y=3x12+x1x2

2

편도함수 f1=6x1+x22 와 f2=2x1x2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6x1+x22)dx1+2x1x2dx2

u=3x12 과 v=x1x2

2 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

dy=d(3x12)+d(x1x2

2)=6x1dx1+x22dx1+x1d(x2

2)

=(6x1+x22)dx1+2x1x2dx2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 예 3 : y=

편도함수 f1= 와 f2=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 dx1+ dx2

u=x1+x2 와 v=2x12 으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

dy=(1/4x14)[2x1

2d(x1+x2)-(x1+x2)d(2x12)]

=(1/4x14)[2x1

2(dx1+dx2)-(x1+x2)4x1dx1]

=(1/4x14)[-2x1(x1+2x2)dx1+2x1

2dx2]

= dx1+ dx2

- 예 3 : y=

편도함수 f1= 와 f2=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 dx1+ dx2

u=x1+x2 와 v=2x12 으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

dy=(1/4x14)[2x1

2d(x1+x2)-(x1+x2)d(2x12)]

=(1/4x14)[2x1

2(dx1+dx2)-(x1+x2)4x1dx1]

=(1/4x14)[-2x1(x1+2x2)dx1+2x1

2dx2]

= dx1+ dx2

x1+x2

2x12

-(x1+2x2)

2x13

1

2x12

-(x1+2x2)

2x13

1

2x12

-(x1+2x2)

2x13

1

2x12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미분연산법칙 (rules of differentials)

- 예 3 : y=3x1(2x2-1)(x3+5)

위 식의 편도함수 f1=3(2x2-1)(x3+5), f2=2(3x1)(x3+5),

f3=3x1(2x2-1)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f3dx3=3(2x2-1)(x3+5)dx1

+2(3x1)(x3+5)dx2+3x1(2x2-1)dx3

u=3x1, v=2x2-1, w=x3+5 으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

dy=(2x2-1)(x3+5)d(3x1)+3x1(x3+5)d(2x2-1)

+3x1(2x2-1)d(x3+5)

=3(2x2-1)(x3+5)dx1+2(3x1)(x3+5)dx2+3x1(2x2-

1)dx3

- 예 3 : y=3x1(2x2-1)(x3+5)

위 식의 편도함수 f1=3(2x2-1)(x3+5), f2=2(3x1)(x3+5),

f3=3x1(2x2-1)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f3dx3=3(2x2-1)(x3+5)dx1

+2(3x1)(x3+5)dx2+3x1(2x2-1)dx3

u=3x1, v=2x2-1, w=x3+5 으로 놓고 , 미분법칙을 적용

dy=(2x2-1)(x3+5)d(3x1)+3x1(x3+5)d(2x2-1)

+3x1(2x2-1)d(x3+5)

=3(2x2-1)(x3+5)dx1+2(3x1)(x3+5)dx2+3x1(2x2-

1)dx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