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Upload
    lamkiet

  • View
    21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 C2 ¤9éCý C:) Kp iOp )½E) Cý

제 32 회 전국 과학 전람회

생 물

기린초의 생태 특성과 그 이용The ecological special and the use of Sedum Kantschaticum

경남 의령 송산 초등학교

교사 이 정 찬

경남 의령 용덕 초등학교

교사 김 종 숙

Page 2:  · C2 ¤9éCý C:) Kp iOp )½E) Cý

목 차

Ⅰ. 연구의 동기 ································································································1

Ⅱ. 연구의 내용 ································································································2

1. 형태와 생태 ·····································································································2

1)형태 ················································································································2

2) 생태 ··············································································································4

2. 환경 ····················································································································4

1) 기후 ················································································································4

2)토양 ················································································································4

3. 재배관리 ···········································································································4

1) 파종 ················································································································4

2) 관리 ················································································································4

3) 병충해 ············································································································5

4) 수확 ················································································································5

4. 밀원 식물의 특성 ···························································································5

1) 밀원 식물의 특성 ························································································5

5. 변이종 발견 ·····································································································6

1) 품종간 변이 ··································································································6

2) 개체 변이 ······································································································6

6. 약용 효과 ··········································································································7

1) 잎과 줄기의 약용 효과 ··············································································7

2) 뿌리의 약용 효과 ························································································8

3) 꽃의 약용 효과 ····························································································8

Page 3:  · C2 ¤9éCý C:) Kp iOp )½E) Cý

Ⅲ.실험 ················································································································8

1. 항균 및 성분 시험 ·························································································8

1) 성분 분리 ······································································································8

2) 항균 시험 ······································································································9

2. 목적 물질의 분리 ··························································································9

1) TLC 분리 ·····································································································9

2) IR Spectrum ······························································································10

3) UV Spectrum ····························································································12

4) MS Spectrum ····························································································12

5) 영양분석 ······································································································13

Ⅳ. 결론 ···········································································································13

참고 문헌 ········································································································15

Page 4: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 -

Ⅰ.The motive of the study

We import goods and materials from foreign countries because we don't

have a lot of natural resources. Even though we have a few resources, it is

natural that we korean people should not waste it and we should try to

develop it. Though the human race lives for a long time as we are

connected with plants and animals, we don't know well how to use them and

their habits and actual condition of growth. So there are many things that we

don't use worthily in our daily life.

The place where I live lies close by mountains on both sides and it is 6km

from a natural road. The dwellers of the village are about 250 people. the

end of the village is surrounded by mountains. There are many places that an

ecosystem is conserved primitively. about 500 kinds of sceous plants are

distributed from one place to another, We can use some of them in our daily

life directly or indirectly.

Nowadays we spend much money and endeavor in growing corps, so it is

economical production that we use resources naturally and greatly. By reason

of that, I began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plants and the cause of the

primitive preservation of various plants and how to use them in our daily life

from 1982.

While I was researched into Manglim MT in march, 1982, I found fragrant

Sedum Kantschatium, and also found that it had much nectar and pollen.

I knew that it was available to a private medicines. On the elementary

knowledge which I gained while I was studying pure biology, I will offer one

productive side to various adaptation departments of agriculture, horticulture,

medical science and pharmacology, etc.

Ⅰ. 연구의 동기

부존 자원이 적은 우리 나라는 여러 가지 물자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적

은 자원이나마 아끼고 개발해 나가는 것이 국민으로서 지혜롭게 살아가는 길이라

할 것이다.

우리는 오랜 세월 동안 직접 간접으로 동식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

고 있으나 주위에 있는 그것들의 활용 방법 밑 생장 실태 등을 모르고 있어 실생

활에 효율적으로 이용을 못하고 있는 것이 많다.

내가 생활하고 있던 곳은 양쪽으로 산이 인접해 있는 국도로부터 6㎞떨어진 산골

Page 5: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2 -

로서 주민 250여명이 살고 있는데 동네의 막바지에 이르러서는 산을 막혀 있어

원시 생태계가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곳이 많다.

그 곳 일대에 500여종이 넘는 초본 식물이 분포하고 있어 식물도감이라고 할 만

치 풍부한 종류를 보유하고있어 그 중에는 우리의 실생활에 직접 간접으로 이용

할 수 있는 것도 많다.

막대한 경비와 노력을 들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 인만큼 천연 그대

로의 자원을 최대한 이용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생산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태를 볼 때 많은 종류의 식물이 어떻게 해서 분포하고 있으며 원시적

식물의 생태계가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원인 및 이용방법 등을 연구 분석함으로

써 우리의 실제 생활에 귀중한 자원을 최대한 이용하고자 82년 3월부터 망림산

일대를 조사하던 중 기린초에 향기롭고 풍부한 화밀과 화분이 동시에 생산되고

민간 약재로서 특이한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여 순수 생물학에서 얻어진 기초 연

구를 바탕으로 농학, 원예학, 의학, 약리학 등의 여러 응용분과에 생산적인 일면

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의 내용

1. 형태와 생태

기린초(Sedum Kantschaticum)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근경은 비호하고

줄기는 모여 나고 곧게 서며 둥근 기둥 모양으로 키는 30-50㎝가량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형 또는 알 모양 피침형이며 끝이 뭉뚝하고 가

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육질이며 녹색이다.

꽃은 노란색이고 산방산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꽃부리는 지름이 5-7㎜가량이고

꽃잎은 5개이고 꽃은 6-7월에 피며 열매는 5개의 골돌과로 익으면 별 모양으로

찢어진다. 산이나 들의 바위 위에 나는데 우리 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우리 지방

에서 볼 수 있는 종류는

ㆍ기린초(Sedum Kantschaticum)

ㆍ가는 기린초(Sedum Kantschaticum) 등 전국에 분포하는 2종 다 볼 수 있다.

1)형태

(1) 줄기 및 잎

줄기는 뿌리에서 적게는 8-15개, 많게는 50-70여 개가 모여나고 곧게 서며 둥근

기둥 모양으로 속은 비어 있고 키가 평균 30-50㎝가량이고 줄기의 굳기는 지름

이 0.5㎝내외이다. 줄기에서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의 구별이 없고 긴 타원형 또

는 피침형으로 끝이 뭉툭하고 가장 자리에 8-9개의 거친 톱니가 있고 육질로서

잎맥이 보이지 않는다.

Page 6: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3 -

줄기가 다 자랄 때까지 뿌리 밑에서부터 줄기 끝까지 계속 잎이 붙는데 잎의 숫

자는 대략 40-70개 정도가 붙는다.

(2) 뿌리

발아하면 먼저 1본의 흰색 걷은 뿌리가 나오고 거기서 섬유상의 곁뿌리가 많이

나오면서 일부는 원뿌리와 같은 크기로 15㎝가량 자라고 뿌리가 넓게 퍼지면서

자란다. 뿌리는 건조와 습기에도 강하고 0℃이하의 저온에도 오랫동안 견디어 나

간다.

기린초 뿌리를 햇볕에 장시간 건조시켜도 생장점이 죽지 않고 수분만 흡수하면

다시 새싹이 자란다.

뿌리에는 아비에트산이 함유되어있어 뿌리에 상처가 나 공기 주에 노출되면 아

비에트산 성분이 나와 상처 난 부위가 굳어지면서 뿌리 속의 수분을 차단한다.

물 속에 뿌리가 장시간 잠겨 있어도 썩지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것은 아비에트

산이 수분 조절을 충분히 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꽃

줄기의 선단에 취산 꽃 차례로 50-150개의 꽃송이가 5월 20일경에 피기 시작하

여 1-2개월 노란색으로 핀다.

꽃잎은 5개이고 별 모양으로 벌어져 핀다. 꽃은 가운데서부터 피어 가는데 처음

피는 가운데 꽃송이는 꽃잎이 7장, 수술 14개, 암술 7개로 그 다음 가지에서 맨

가운데 꽃송이는 꽃잎 6장, 수술 12개, 암술 6개이다.

그 다음부터는 계속해서 꽃잎 5장, 수술 10개, 암술 5개로 5장의 꽃받침이 있고

꽃잎의 크기는 길이 5-7㎜, 넓이 3㎜정도이다.

기린초가 3월 초 싹이 터 꽃이 피기까지 3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그 기간 안에는 어떠한 조건을 주어도 꽃이 피지 않는다. 바위 위에서 자라는

기린초는 수분의 공급이 없으면 1개월 정도 늦게 싹이 자라므로 5월말 첫 꽃이

피어 1-2개월까지 꽃이 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 종실

성숙한 종자는 겉이 흑갈색으로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납작하고 종자의 긴지름은

1㎜가량이고 짧은지름은 0.5㎜가량으로 기린초의 씨앗이 외관상 식별하기가 곤란

할 정도로 작고 가볍기 때문에 다른 식물과 경쟁에서 싹이 트지 못하고 지고 만

다. 싹이 터도 생장속도가 느려 다른 식물과의 경쟁에서 지기 때문에 평지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잡초가 서식하지 못하는 바위틈이나 바위 위에서 서식하는 것

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싹이 터 뿌리가 일정한 크기로 자라면 산사태나 바위가 무너져 내

려 기린초가 땅위에 뿌리를 박으면 딴 식물과 경쟁하면서 자라는 것을 볼 수 있

다.

(5) 꼬투리

꼬투리는 장난형이며 성숙하여 익으면 5갈래로 별 모양으로 갈라지면서 씨앗은

Page 7: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4 -

멀리 튀어 나가지 않고 주위에 흩어진다.

꼬투리의 지름은 2-4㎜정도이며 넓이는 1-1.5㎜정도이다. 한 꼬투리 안에 5-10

여 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2) 생태

(1) 발아

발아온도는 정온일 경우 20℃에서 3일, 변온일 경우 15℃(7일)와 25℃(4일)가 가

장 적당하다. 10℃이하 일 때도 장시간 걸려 싹이 튼다. 발아 후 생육은 늦은 편

으로 2년이 지나야 잎과 뿌리를 이용할 수 있다.

싹이 터 떡잎이 나온 수 15일 이상이 지나야 본 잎이 나온다. 발아율은 높은 편

으로 90%이상이 발아한다.

(2) 개화 결실

땅 속에서 줄기와 잎이 동시에 나와 자라다가 줄기와 잎이 다 자란 상태에서 줄

기 끝에 50-150여 개의 꽃봉오리가 달려 꽃이 핀다. 꽃이 진 후 60-100일이 있

으면 씨가 여문다.

2. 환경

1) 기후

생장 최적 온도는 20-25℃이고 최저 영하의 온도에서도 잘 견디면 최고 30-35℃

이사이 되어도 잘 자란다. 가을에 다시 뿌리에서 움이 터 겨울 동안에도 새싹이

약간 자라는 것을 볼 수 있고 2월 말경 땅이 풀리지 않아도 새싹이 땅 위로 나

와 4-5월에 잘 자란다. 10월 이후 생장을 멈추고 밑에서부터 잎이 시들어 떨어

지고 줄기만 남아 그 다음 해 봄까지 줄기가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토양

기린초는 남향의 양지를 좋아하나 생태적으로 씨앗이 싹 트기가 수분이 많고

음지에서 잘 튀기 때문에 잡초가 적은 바위틈이나 바위 위의 습지가 음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천근성 작물이므로 통기가 나쁜 참 흙에서는 뿌리의 발육이 나빠 줄기가 길게

자라지 못하고 사질토나 부엽토가 많은 토양이나 이끼 속이나 습한 토양을 좋아

한다.

3. 재배관리

1) 파종

2월 중순-2월말 씨앗을 흩어 뿌려서 흙을 얕게 덮어두면 싹이 잘 트고 잘 자라

Page 8: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5 -

며 포기는 가을이나 2월말 뿌리가 보이지 않게 심으면 잘 자란다.

2) 관리

특별한 관리는 필요 없으나 가끔씩 잡초를 뽑아 주는 정도로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거름은 잘 썩은 퇴비를 주는 것이 좋고 양비는 별도로 줄 필요는 없으나 계속해

서 잎을 베어 낼 때는 요소 비료를 1평당 기준 5g정도로 가끔씩 주는 게 잎의

자람에 좋다. 새 싹에 묻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3) 병충해

생장 중에 병충해의 큰 피해는 볼 수 없으나 잎에 붉은 무늬병과 진딧물이 생기

는 수가 있고 가끔 뿌리가 오랫동안 동해를 입어 뿌리의 일부가 썩는 것을 볼

수 있다.

4) 수확

파종 후 3년 생으로 1평당 건조 잎 2.14㎏을 생산할 수 있으며 1㎏의 꽃잎과

1.46㎏의 뿌리를 생산할 수 있어 약용 개발만 된다면 새로운 작물로서 개발할 수

있어 농촌의 새로운 소득 원으로 각광을 받을 수 있다.

(1) 잎과 줄기의 연도별 생산량

(단위 1㎏당 1평 기준)

연도별 생산량

종류2년 3년 4년 5년

기린초 1.76 2.14 3.26 5.12

가는 기린초 1.63 2.12 3.24 5.03

(2) 뿌리의 연도별 생산량

(단위 1㎏당 1평 기준)

연도별 생산량

종류2년 3년 4년 5년

기린초 1.25 1.46 2.42 3.26

가는 기린초 1.12 1.39 2.16 3.12

4. 밀원 식물의 특성

1) 밀원 식물의 특성

Page 9: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6 -

(1) 꽃피는 시기

5월말부터 7월 사이 말기에 꽃이 피는 것으로 꽃 한 송이의 개화기간은 7일이며

한 화서의 개화기간은 약 1개월이다. 꽃 피는 기간에 길고 향기로운 상품의 꿀이

생산되기 때문에 주요 밀원 식물로서 각광을 받을 수 있다.

(2) 밀선

화내 밀선으로 방의 기부에 있으며 외관상으로 구별하기가 쉬워 자세히 관찰하

면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다. 밀순 자체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벌이 손쉽게 활동

할 수 있다. 기린초의 잎과 줄기에 수분을 많이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한 날

씨에도 밀원의 분비가 잘 된다. 한 송이의 꽃에서 0.021g의 화밀과 0.016g의 화

분이 분비된다.

화밀의 분비 량 (단위: g, 10송이 기준임)

그루

날짜1그루 2〃 3〃 4〃 5〃 6〃 7〃 8〃 9〃 10〃 평균

84.6.10 0.21 0.23 0.18 0.20 0.16 0.23 0.19 0.21 0.23 0.26 0.21

85.5.30 0.23 0.19 0.18 0.21 0.24 0.21 0.24 0.19 0.24 0.23 0.216

85.6.10 0.22 0.23 0.20 0.17 0.16 0.23 0.16 0.24 0.27 0.21 0.212

평균 0.22 0.21 0.18 0.19 0.19 0.22 0.19 0.21 0.24 0.19 0.021

화분의 분비 량 (단위: g, 10송이 기준임)

그루

날짜1그루 2〃 3〃 4〃 5〃 6〃 7〃 8〃 9〃 10〃 평균

84.6.10 0.16 0.16 0.19 0.17 0.17 0.18 0.16 0.16 0.15 0.17 0.167

85.5.30 0.18 0.17 0.17 0.18 0.16 0.15 0.15 0.16 0.18 0.16 0.166

85.6.10 0.15 0.15 0.18 0.16 0.15 0.17 0.19 0.18 0.19 0.17 0.169

평균 0.16 0.16 0.18 0.17 0.16 0.16 0.16 0.16 0.17 0.16 0.016

5. 변이종 발견

기린초는 돌나물과의 식물로서 음지와 양지에서 분포하면서 기린초와 가는 기린

초가 동시에 꽃이 피기 때문에 많은 변이를 볼 수 있다.

1) 품종간 변이

기린초(Sedum Kantschaticum)와 가는 기린초(Sedum aizoon Linne)의 품종간의

자연 교잡에서 생겨났다고 추정되는 새로운 변이종이 발견됨.

외관상 나타난 특징으로 뿌리는 큰 차이가 없으나 기린초의 줄기는 겉면이 매끈

한 대신 새로 발견된 변이종은 줄기에 약간 털이 있고 기린초의 잎은 길이가 7

㎝정도로 잎의 넓은데서 앞 끝이 2㎝정도인데 비해 새로 발견된 변이종은 잎의

넓은데서 앞 끝이 3㎝정도로 끝이 피침형이고 진한 녹색을 많이 띄고 생장속도

Page 10: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7 -

가 빠르다.

기린초와 가는 기린초의 잎의 맛은 어릴 때난 다 자라도 맛이 같은데 변이종은

어릴 때는 맛이 쓰고 자라면서 기린초 고유의 맛으로 변해가고 있다.

꽃도 기린초에 비해 연한 노란색을 띄고 크기는 기린초와 가는 기린초의 중간

정도이다.

2) 개체 변이

같은 조의 생태형 간에 몇 종의 개체 변이를 발견하였다.

기린초에서 개체변이를 보면 줄기가 가늘고 잎이 적은 것이 있고 가는 기린초에

서 줄기의 색깔이 연한 적갈색의 변이와 잎이 넓고 연한 차이가 난다.

비고

품종꽃 잎 줄기 뿌리 잎의 맛

기린초

진한 노란색 꽃

잎의 수 중앙에

서 7개, 6개, 5

개의 순

타원형 굵다 굵다약간 시고

단 맛

가는 기린초

진한 노란색 꽃

잎의 수 중앙에

서 6개, 5개의

타원형가늘다 가늘다

약간 시고

단 맛

품종간

변이종

연한 노란색 꽃

잎의 중앙에서

끝까지 5개

적은

타원형중간 중간 굵기

약간 시고

단 맛

기린초

개체변이

기린초와 별 차

이 없음

적은

타원형중간 중간 굵기

약간 시고

단 맛가는 기린초

개체변이

가는 기린초와

별 차이가 없음

가는

타원형가늘다 가늘다

약간 시고

단 맛

6. 약용 효과

기린초는 돌나물과로서 인간이 식용하여도 채소를 먹는 것과 같이 인가에 전혀

해가 없는 식물이다.

맛이 약간 신 듯하면서도 단맛이 나는 것이 인간의 구미에 아무런 거부 작용이

없이 맛의 친근감이 최고의 식품으로 손꼽을 수 있는 특징과 수사, 철분, 비타민

이 다량 함유된 영양과 약용을 겸비한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는 신비한 효능을

지닌 자연이 생산하는 식물 중에서 제일 가는 식물로 손꼽을 수 있다.

1) 잎과 줄기의 약용 효과

3월초 새싹이 돋기 시작하여 4월말이면 거의 다 자라는데 잎과 줄기가 섬유질화

되기 전에 잎과 줄기를 동시에 채취하여 믹서 하여 아침, 저녁, 또는 수시 복용

Page 11: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8 -

하면 위산 과다 방지, 신장 기능 강화. 정력 증진, 적혈구 혈전 조절, 심장 기능

강화, 암 보조 치료제로 효능을 볼 수 있다.

사람의 몸 속에 음식물이 소화되면서 탄산가스가 대량 발생하면 암을 유발하는

작용을 하면 수산이 부족하여 수산증을 일으키면 신장, 담, 결석, 동맥 경화, 신

경통의 원인이 된다.

기린초 잎과 줄기에는 수산, 철분,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기린초의 생

즙을 복용하면 몸 속에서 유기 수산이 작용하여 탄산가스 소화 수산증 예방 등

으로 각종 질환의 원인을 제거하여 항시 건강을 누릴 수 있다. 특히 기린초에는

파로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회춘 장수 할 수 있다.

생즙으로 피부 마사지나 팩을 하면 세포의 활성화, 습윤 작용으로 피부가 부드

러워지면서 윤기가 난다. 기린초 잎과 줄기에는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멜라닌 색소를 환원 탈색하는 작용과 산화 효소인 치로지나제의 활성을 억제하

는 작용이 있어 햇볕에 탄 얼굴이나 거칠어 진 피부, 기미, 죽은 깨, 여성안면 피

층 등에 수분, 비타민, 영양공급으로 피부에 안정감과 새 활력을 불어넣어 현저

한 효능을 볼 수 있다.

기린초의 생즙은 피부의 촉촉함을 보존하는 1ap효과도 동시에 진고 있어 화장수

로 각광을 받을 수 있다.

2) 뿌리의 약용 효과

가을이나 이른 봄 뿌리를 캐어 흙을 털어 씻고 말려 두었다가 다려 먹으면 잎에

서와 같은 효능을 볼 수 있다.

뿌리의 생즙은 알레르기성 피부병이나 발 악취에 효력이 있으며 세균성 피부병,

화상에 바르면 통증을 없애고 새 살을 빨리 소생시킨다.

뿌리를 말려 가루를 내어 소화 장애, 복통, 설사에 먹으면 통증을 멈추고 소화력

증진, 지사제로서의 효력이 있으며 만성 소화 장애에 먹으면 탁월한 효능을 준

다.

3) 꽃의 약용 효과

기린초의 꽃을 따서 말려 두었다가 어린이의 성장 발달을 돕는 처방이나 노병을

돕는 처방에 1첩당 3g씩 가미하면 탁월한 효능이 있다.

특히 제반 약제의 처방에 2-3g씩 가미하면 약효의 상승 효과를 증가시킨다. 경

험에 의하면 인산 녹용을 능가하는 효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Ⅲ.실험

Page 12: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9 -

1. 항균 및 성분 시험

1) 성분 분리

기린초 1뿌리 1㎏을 MeOH 3ℓ수욕상에서 3회 반복하여 가열 추출하고 추출 액

을 합하여 감압하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적갈색의 시럽선 엑기스를 얻었

다. 이

MeOH 엑기스를 순수 H2O와 Et2O용액으로 수회 흔들어 Et2O층을 얻어 농축

하고 분리된 H2O와 BuOH를 수회 흔들어 BuOH층을 분리 농축시켜 Fr1 3.26g,

Fr2 4.1g, Fr3 22.56g 도합 29.92g를 얻었다.

2) 항균 시험

(1) 사용 균주

① Saphylococcus albus

② Escherichia Coli

(2) 사용방법

한천 배지 희석법

(3) 사용 배지

Mueller Hinton agar

(4)실험 결과

Fr1 1000Mg/ Ml의 농도 시험시 사용 균 모두에 무반응

Fr2 1000㎎/㎖ 농도 a, b 균에 항균력

500㎎/㎖ 농도 a, b 균에 항균력

Fr3 1000㎎/㎖ 농도 시험시 사용 균 모두에 무반응

Page 13: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0 -

2. 목적 물질의 분리

1) TLC 분리

앞의 성분 분리에서 TLC에 의해서 몇 개의 Fraction으로 나누어 전개 용매

(A/80/100

)과 (B/370/30

)을 각각 2㎖씩 spat하여 TLC Plate로 전개시킨 후 약

1시간 후에 건조시킨 발색 시약 5% H2SO4 / EtOH = 5 : 95 발색시킨 후 다

시 건조하여 자외선 램프로 관찰한 결과 몇 개의 band로 갈라졌는데 그 중

목적 물질을 찾기 위하여 몇 개의 band에서 각각 0.2㎎정도씩을 분리하였다

(1) 전개 용매

① CH3Cl3 / MeOH = 3 : 1

② Ethylether/ Petroloum ether/ glacial acetic acid = 각각 1 : 1

③ CH3Cl3 / MeOH / H2O = 65 : 35 : 10

(2) 결과

뿌리

BuOH, MeOH 추출(녹는 것) MeOH(안 녹는 것)

MeOH(Soulble) H2O(90% MeOH)

(A)

농축(Concentration)

99% MeOH

H2O Soulble

(B)

(A) MeOH / H2O 100/0 80/20 70/30 50/50 40/60 30/70 20/80 0/100

(1) (2) (3) (4) (5) (6) (7) (8)

(B) MeOH / H2O 100/0 80/20 70/30 50/50 40/60 30/70 20/80 0/100

(1) (2) (3) (4) (5) (6) (7) (8)

TLC Plate에서 전개 용매 (1), (2), (3)에서 전개시킨 결과 MeOH H2O (3)

Page 14: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1 -

에서 전개용매 (3)에 5개 정도의 band로 잘 나타났다.

2) IR Spectrum

TLC 분리 결과에 나타난 목적 물질을 IR Spectrum에서 관찰한 결과

Et2O(Fig1)층과 H2O(Fig2)층에서 Peak가 잘 나타나지 않았으며 BuOH(Fig3)

층에서는 조금 나타나다가 사라졌으며 TLC Plate 전개용매 (3)에서 5개 정도

의 band 중 3번째의 전개 부분에서 알고자 하는 Peak(Fig4)가 잘 나타났다.

Fig4의 2.900근처의 띠는 C-H 단일결합의 신축 운동에 의한 것이고 1650

C=H는 이중 결합의 신축 운동에 의한 것으로 1350 C=N 1150 C-O결합이 나

타났으며 말단 methylen기 850.900에 Olefin기를 그리다 사라졌다.

새로운 변이종 추출물을 IR Spectrum에서 (Fig5)관찰한 결과 3400 OH 1610

C=C 1050 methylen기를 보아 품종간 변이이지만 성질이 전혀 다른 새로운

품종이 인정된다.

∘IR Spectrum 도해

(m-1) Fig1

(m-1) Fig2

Page 15: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2 -

(m-1) Fig3

(m-1) Fig4

(m-1) Fig5

※ 사용한 기기는 IR Shimatzu IR-400(Japan)

3) UV Spectrum

IR Spectrum에서 얻어진 결과를 UV Spectrum에서 확인한 결과 UV에서도

IR에서와 같은 반응을 얻었고 기린초의 잎과 뿌리의 추출물이 UV에서 비슷한

Page 16: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3 -

반응을 얻어 잎과 뿌리의 비슷한 성분이 들어있음이 추정된다.

※ 사용한 기기는 UV(Hitachi 200-20 UV-Vis spectophotometer)

4) MS Spectrum

m/e값이 392 및 395인 피이크는 (C7H12CO ) + 및(C3H6CO) + 결합이 끊어지

면서 생긴 것으로 C12H18O2 의 진정작용이 있는 세다티브와 m/e값이 279 및

311피이크는 (C21H37CO13) + 및 (C21H37CO13) + 결합이 끊어지면서 생긴 것으

로 C48H70O19 의 배당체인 치이사노사이드와 비슷한 피크로 항 히스타민 작용

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고 238 및 246 피이크는 C4H13O2 의 파로친 성분과 같

은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실험으로 보아 기린초의 잎과 뿌리에서 여러 가지 피부병과 민간 요법

으로 수종의 병에 효력을 나타내는 신비한 식물로 알려져 있는 것은 항균, 항

히스타민, 진정, 수산증 예방, 지사제, 회춘제 등의 광범위한 약효와 동시에 작

용하기 때문이다.

※ 사용 기기(Va ian EM-360A, H-ms분광기)

5) 영양분석

100g중

영양

식물 명철 수산 아비에트산 조회분 무기질 비타민

기린초 0.98g 75㎎ 5.3g 11.9g 120g 120㎎

기린초에는 딴 채소에 비해 철, 수산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비

타민 C가 대량 함유되어 있다.

Ⅳ. 결론

1. 기린초는 이른 봄 잎과 줄기가 동시에 나와 5월말 줄기의 끝에서 꽃이 피며

갖춘꽃으로 5개의 암술과 10개의 수술이 있다.

2. 기상의 변화에 잘 견디며 토질도 가리지 않고 생육이 왕성하다.

Page 17: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4 -

3. 기린초의 뿌리는 0℃이하의 저온에도 장시간 견디며 오랫동안 햇볕에 노출되

어도 생장점이 죽지 않는다.

4. 종자의 생장 속도가 느려 다른 식물의 경쟁에서이기지 못하고 바위틈이나 바

위 위의 부엽토에서 잘 자란다.

5. 포기나누기를 하면 번식 속도가 빨라 잎과 뿌리를 항시 이용할 수 있다.

6. 노란 꽃이 1-2개월 장시간 걸쳐서 피기 때문에 화훼로서 각광을 받을 수 있

고 향기로운 꿀을 생산할 수 있어 밀원 식물로서 대량 재배의 가치가 있다.

7. 품종간 변이종이 발견되어 새로운 품종을 추가 제시하는 바이다.

8. 개체변이에서도 기린초에서 1종가는 기린초에서 1종 발견되었다.

9. 기린초의 잎에서 수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수산증 예방과 피부

미용 효과에 좋다.

10. 뿌리 속에 아비에트산에 함유되어 있어 지사 소화 장애에 탁월한 효능을 준

다.

11. 말린꽃은 한방에서 약의 상승 효과를 가져와 영양제로 좋은 호평을 받고 있

다.

12. 기린초의 엑기스 BuOH층에서 항균력을 나타냈다.

13. 항균 실험 결과 Saphylococcus albus Escherichia Coli등의 균주에 항균력

을 나타냈다.

14. TLC분리에서 CH3Cl3 /MeOH/H2O 전개 용매에서 잘 분리되었다.

15. TLC Plate 분리시 90% MeOH Soluble에서 5개의 band가 나타났으며 3번째

의 band에서 I, R Spectrum에 많은 피크가 나타났다.

16. IR, UV. Spectrum에서 뿌리의 추출물과 잎의 추출물에서 비슷한 피크가 나

타났다.

17. 품종간 변이종에서 IR, UV. Spectrum 결과 기린초와 전혀 다른 피크가 나타

났다.

18. MS Spectrum에서 C12H18O2와 C48H70O19 와 비슷한 피크가 나타나 진정, 항

히스타밑 작용이 있다고 인정된다.

19. MS Spectrum에서 C14H13O2와 피이크로 보아 노쇄 방지, 회춘에 효력이 있

다고 인정된다.

20. 기린초의 근과 잎의 MeOH 엑기스에서 생약학적, 약리학적 연구 결과 그

유효성을 발견하여 현대 생약의 하나로 추가 제시하는 바이다.

sumary and Conclusion

1. Sedum Kantschaticum puts forth their young green leaves and stems at

the same time in the early spring and blooms from its stems in the late

May and each flower has five pistils and 10 stamens.

Page 18: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5 -

2. It beatrs up the change of weather well and grows well on any soil.

3. Its roots stand low temperature below zero for a long time and the point

of growth doesn't die if we put it in the sun for a long time.

4. It grows well on the leaf mold which is on the rock or in a crevice of the

rock, because it doesn't win at competing with other plants on account of

its seed's growing slowly.

5. It grows rapidly when we plant it by dividing roots, so we can use its

leaves and roots all the time.

6. It makes yellow flowers open for one of two months. Therefore it can

stand in the spotlights as a flower and it produces fragrant honey, and it

is much worth growing a great deal as a plant for honey.

7. Its leaves contain much oxalic acid and vitamine C. It protects ourselves

against diseases and we can use it for our having a fair skin.

8. Its roots contain acid, they avail greatly to stop diarrhea and to dige food

in the stomach.

9. The dry flowers are good for nourishing food because it has ascending

value as Chinese medicine.

10. The liquid BuOH of its roots has antibiotic substance.

참고 문헌

1. 김두종 ; 한국 의학사, 탐구당, 1966

2. 문교부 ; 한국 동식물 도감.,1966

3. 문교부 ; 과할 기술 용어집(생리학, 생화학 및 영양학 편, 1965)

4. 문교부 ; 과할 기술 용어집(약리학, 병리학 및 법의학, 1965)

5. 이종훈 ; 병원 미생물학, 1967

6. 조재영 ; 전작, 향문사, 1973

7. 정대현 ; 한국 동식물 도감, 1975

8. 학원사 ; 가정 종합 병원, 1969

9. 지도 교수 ; 오양호, 성민웅, 김충원

Page 19:  · C2 ¤9éCý C:) Kp iOp )½E) Cý

- 16 -

1. After I made an experiment on antibiosis, I found antibiotic power to

Staphylococcus, albus, Excherichia and Coli.

2. It could be divide easily into CH3 CI3 MeOH H2O when I made TLC

experiment.

3. When I divided TLC plate, I found five bands in 90% MeOH Soluble and I

saw many peaks in the third band on I R Spectrum.

4. I found the same peak on extraction from leaves and roots on I R Spectrum.

5. I confirm that it has the effect of histamine because the peak on M S

Spectrum is similar to C12 H18 O6 and C48 H70 O19.

6. I saw the peak of C14 H13 O2 on Ms Spectrum, so I think that it is of good

use for preventing us from senility and regaining youth.

7. I present a new species additionally because I found a variable species among

kinds.

8. I fond one species from an individual variation of Sedum Kantschaticum and

one species from Sedum aizoon Linne.

9. I found a different peak from Sedum Kantschaticum while I made an

experiment on I R O V Spectrum.

10. I present a kind of modern herb medicine, because I found the pharmacologic

efficacy as a result of studying MeOH liquid in its roots and le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