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 1 -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 이성재 1) 이우진 2) < > 본 연구에서 우리는 협조적 게임이론 의 균형개념 중 하나인 (cooperative game theory) 샤플리값 을 이용하여 소득과 자산을 구성하는 다양한 원천들이 우리나라 소득 (Shapley value)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에 각각 얼마나 기여하였는지 분석한다 불평등을 원천별로 분해하는 방 . 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부분 불평등 지수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한계로 인해 일반화된 분해 기법이 될 수 없다 반면 샤플리값을 이용한 불평등의 기여요인별 분해방법은 어떠한 불 . 평등지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재정패널 개년 . 7 (2008~2014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집단과 연령대별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 . 기여도 분석에는 크게 점유율을 고려한 샤플리값 분해 방법과 점유율을 고려 Equalized 하지 않는 샤플리값 분해 방법이 존재한다 Zero .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재정패널 년 기준 소득 지니계수는 이고 총자산의 지니 , 2014 0.391 계수는 순자산의 지니계수는 로 자산 불평등도가 소득 불평등도보다 그리고 순 0.585, 0.601 , 자산의 불평등도가 총자산의 불평등도보다 더 크다 . Chantreuil and Trannoy(1999)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전체집단의 경우 소득불평등에 대한 Equalized , 노동소득의 절대기여도는 약 이상을 차지하고 자산소득은 로 기여도가 적은 편이다 80% 4.2% . 자산 불평등도의 경우에는 부동산자산의 기여도가 약 이상을 차지하고 금융자산은 80% 12% 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는 반대로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한 결과는 자산소득의 기 . Zero 여도가 약 를 차지하고 노동소득의 기여도는 로 불평등도를 오히려 감소시키는 요인 80% 35.3% 으로 나타난다 자산 불평등에서는 금융자산이 약 를 차지하고 부동산자산이 를 차지하 . 40% 28% 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때 소득과는 다르게 자산의 경우 점유율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부동산 . 자산의 불평등 기여도가 꽤 높게 나타나 자산 불평등의 주요 요인은 점유율 고려 여부와 (28%) 상관없이 부동산자산임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득 불평등도가 증가하는데 , , 주요 원인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산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자산의 경 . 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부동산자산의 기여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그 중 현 거주주택자산의 기 여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전월세 보증금의 기여도가 높아진다 . , . 핵심 주제어 불평등 소득 자산 부동산 샤플리값 분해 : , , , , 1)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 ([email protected]) 2)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Upload
    ngonhi

  • View
    21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 -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

이성재1) 이우진 2)

초 록< >

본 연구에서 우리는 협조적 게임이론 의 균형개념 중 하나인 (cooperative game theory)

샤플리값 을 이용하여 소득과 자산을 구성하는 다양한 원천들이 우리나라 소득(Shapley value)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에 각각 얼마나 기여하였는지 분석한다 불평등을 원천별로 분해하는 방.

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부분 불평등 지수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한계로 인해 일반화된

분해 기법이 될 수 없다 반면 샤플리값을 이용한 불평등의 기여요인별 분해방법은 어떠한 불.

평등지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재정패널 개년. 7 (2008~2014

년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집단과 연령대별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

기여도 분석에는 크게 점유율을 고려한 샤플리값 분해 방법과 점유율을 고려Equalized

하지 않는 샤플리값 분해 방법이 존재한다Zero .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재정패널 년 기준 소득 지니계수는 이고 총자산의 지니, 2014 0.391

계수는 순자산의 지니계수는 로 자산 불평등도가 소득 불평등도보다 그리고 순0.585, 0.601 ,

자산의 불평등도가 총자산의 불평등도보다 더 크다 의 . Chantreuil and Trannoy(1999)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전체집단의 경우 소득불평등에 대한 Equalized ,

노동소득의 절대기여도는 약 이상을 차지하고 자산소득은 로 기여도가 적은 편이다80% 4.2% .

자산 불평등도의 경우에는 부동산자산의 기여도가 약 이상을 차지하고 금융자산은 기80% 12%

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는 반대로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한 결과는 자산소득의 기. Zero

여도가 약 를 차지하고 노동소득의 기여도는 로 불평등도를 오히려 감소시키는 요인80% 35.3%–으로 나타난다 자산 불평등에서는 금융자산이 약 를 차지하고 부동산자산이 를 차지하. 40% 28%

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때 소득과는 다르게 자산의 경우 점유율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부동산.

자산의 불평등 기여도가 꽤 높게 나타나 자산 불평등의 주요 요인은 점유율 고려 여부와 (28%)

상관없이 부동산자산임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득 불평등도가 증가하는데 그 , ,

주요 원인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산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자산의 경.

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부동산자산의 기여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그 중 현 거주주택자산의 기

여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전월세 보증금의 기여도가 높아진다. , .

핵심 주제어 불평등 소득 자산 부동산 샤플리값 분해: , , , ,

1)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 ([email protected])2)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Page 2: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 -

서론I.

한국경제는 최근 경제성장 둔화와 불평등 증가라는 두 가지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

년 이래 연 의 고도성장을 지속하던 우리 경제는 년대 들어 지속적 성장률 둔화1970 8~10% 1990

를 경험하고 있다 년대에 그나마 대로 유지되던 성장률은 최근에는 의 성장률로 . 2000 5% 2~3%

주저앉았고 글로벌 경제 침체로 인한 수출감소와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인해 미래의 경제 전망

도 지극히 부정적이다 여기에 소득불평등 계층 간 양극화 그리고 기회 불평등도 지속적으. , , ,

로 증가하여 사회적 갈등과 불안을 유발하고 있다.

불평등이 심화되어 감에 따라 불평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불.

평등을 연구하는 분야와 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단순한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에서 교육. ,

문화생활 소비 건강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의 불평등을 다루고 있으며 불평등이 사회에 , , ,

미칠 영향 불평등의 원인 국제 비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불, , .

평등의 주된 요인을 찾는 것은 올바른 정책수립 및 해결책 제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불평등의 요인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계량적 모형을 통한 추정 .

방법이 있고 와 같은 집단별 분해방법을 통해서도 분석할 수 있으며, Shorrocks(1984) ,

와 같은 원천소득별 분해방법을 통해서도 분석 Shorrokcs(1982), Lerman and Yitzhaki(1985)

할수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방법. Lerman and Yitzhaki(1985)

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협조적 게임이론의 균형개념중 하나인 샤플리값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을 원천별로 분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소득원천이 차지하는 점유율.

을 고려하는 의 샤플리값 분해방법뿐 아니라 점유율Chantreuil and Trannoy (1999) Equalized

을 고려하지 않는 샤플리값 분해방법을 모두 사용해 각각의 분해방법이 갖는 서로 다른 Zero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보다 복합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샤플리값을 이용한 분해방법은 다른 방법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

이나 의 분해방법은 지니계수 전자의 경우 나 Lerman and Yitzhaki(1985) Shorrocks(1982) ( )

후자의 경우 에 대해서만 분해가 가능하지만 샤플리SCV(Squared Coefficient of Variation)( ) ,

값을 이용한 분해방법은 모든 불평등 지수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불평등 지수에 .

따라 기여도 값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샤플리값을 이용한 분해. ,

방법은 샤플리값 분해방법이나 샤플리값 분해방법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존재Zero Equalized

하여 분석의 목적에 맞게 기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에 , . , Chantreuil and Trannoy (2011)

의하면 샤플리값을 이용한 분해방법을 사용하면 원천소득에 대한 불평등 분해뿐만 아니라 집

단별 소득 불평등도 분해도 가능하다 그 외에도 에 의하면 샤플리값을 이용. Shorrocks(2013)

한 분해방법은 빈곤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도 분석에 활용될 수 ,

있어 이용가치가 매우 크다.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 우리는 재정패널 개년 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전7 (2008~2014 ) ,

체집단의 불평등 기여도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전체 집단뿐 아니라 연령대별로.

도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절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쓰인 . 2 Lerman

분해방법을 간략히 소개한 후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를 예시and Yitzhaki(1985)

한다 제 절에서는 본 논문에서 우리가 시도하는 샤플리값을 이용한 분해방법에 관한 이론을 . 3

Page 3: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3 -

소개하고 샤플리값과 샤플리값의 차이를 설명하며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두 Zero Equalized ,

방법의 결과를 비교한 후 이를 분해방법과도 비교해 본다 제 절 Lerman and Yitzhaki(1985) . 4

에서는 불평등 분해에 관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불평등의 주요 요인을 분석한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다 제 절에서는 사용자료 재정패널 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과 함께 소. 5 ( )

득과 자산의 불평등에 관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제 절에서는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하여 소. 6

득 및 자산 불평등의 기여도를 분석한다 제 절은 결론으로 본 논문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 7

고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기술한다.

지니계수와 분해II. Lerman and Yitzhaki(1985)

지니계수1.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으로부터 도출된다 소득분포를 예로 들면 로렌츠곡선은 소득이 .

가장 낮은 사람부터 높은 순서로 줄을 세운 인구 백분위율에 대한 누적 소득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 !를 소득분포에 대한 백분위율이라 하고 "#!$를 이에 대응하는 소득

수준이라 하면 !백분위율까지 해당하는 사람들이 차지하는 누적소득점유율은

%#!$& '()*

+

" #!$

,-#,$.,&'()*

+

!

"#/$./가 되고 단 , ( (&*+

,-#,$., 이를 ) !축에 대해 그림

으로 그린 것이다.

그림 1 로렌츠곡선

그림에서 지니계수는 1&'234

2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 234 &+56이므로 이를 이용

하여 식을 변형하면 1&72&)874가 된다 여기서 . 4 &*+

)

%#!$.!이므로 지니계수는

1&) 8 7*+

)

%#!$.!&)8'(

7*+

)

*+

!

"#/$./.!로 표현될 수 있다 또 적절한 변환을 거치면 위의 .

Page 4: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4 -

공식은 1&'(79:;#"#!$<!$로 표현할 수도 있다 지니계수에 대한 또 다른 공식은 .

1&'7(

) *+

)

*+

)

="#/$8"#!$=./.!이다 이외에도 지니계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매우 다양하다. .3)

의 지니계수 분해2. Lerman and Yitzhaki(1985)

기존의 국내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어진 지니계수 분해방법인 Lerman and Yitzhaki(1985)

방법은 다음과 같은 지니계수의 공식에 근거한다 앞서 살펴본 다양한 지니계수 계산 식 중 .

1&'(

79:;#"#!$<!$에서 "#!$&>, !&?#>$의 역함수 관계로 식을 정리하면 다음의 식으로 변

형 가능하다 이때 . >는 총소득, ?#>$는 총소득에 대한 누적분포이다.

1 &'(

79:;#><?#>$$5

총소득 >는 @개의 원천소득으로 구성된다고 하면 > &AB& )

@

>B이고 지니계수는 다음과 같다, .

1 &'(

7AB & )

@

9:;#>B< ?$5

여기서 C:;#>B<?$는 B번째 원천소득 >B와 전체소득에 대한 누적분포함수 ? 의 공분산이

다 위의 식에서 원천소득 . >B와 그에 해당되는 누적 분포 ?B의 공분산 C:;#>B< ?B $와 원천소득

>B의 평균인 (B을 곱하고 나누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분해가 가능하다.

1 &AB & )

@ D

E='C:;#>B<?B $

C:;#>B< ?$ F

GH∙D

E='(B

7C:;#>B< ?B $ F

GH∙'((B

& AB & )

@

JB∙1B ∙KB5

위의 식에서 JB는 B번째 원천소득과 전체 소득 간의 지니 상관계수를 나타내며, 1B는 B

번째 원천소득에 대한 지니계수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 KB는 B번째 원천소득이 전체 소득에

서 차지하는 점유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점유율이 곱해지는 것을 통해 . B번째 원천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기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예 1: 재정패널의 년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 불평등도에 대한 원천소득의 기여도를 2008

방법을 이용해 Lerman and Yitzhaki(1985) 계산해 보면 다음의 표 과 같다1 .4)

3) 이와 같은 다양한 공식들의 도출은 를 참조하라 Lee (2015) . 4) 예 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 재정패널의 횡단면 가중치와 가구원수의 제곱근으로 나누는 균등화 작업은 실시하지 1

않았다.

Page 5: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5 -

2008 지니 상관계수#JB$

원천소득 지니계수#1B$

소득 점유율#KB$

절대기여도#JB1BKB$

상대기여도#JB1BKBL1$

노동소득 0.932 0.483 0.867 0.389 0.932 자산소득 0.456 0.964 0.027 0.012 0.028 기타소득 0.185 0.845 0.106 0.017 0.040 총소득 1.000 0.418 1.000

표 1 재정패널 년 자료의 분해 2008 Lerman and Yitzhaki(1985)

결과를 살펴보면 총소득의 지니계수 불평등도는 이다 그리고 그 중에 노동소득이 , 0.418 .

총소득의 불평등에 기여하는 바는 로 를 기여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자산 소득이 0.390 93.2% ,

로 를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소득이 로 만큼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0.012 2.9% . 0.017 4%

나타났다 각 원천소득의 절대적 기여의 합은 총소득의 불평등도와 동일하다. .

샤플리값과 샤플리값 분해III 5)

샤플리값1.

샤플리값은 협조적 게임 이론에서 게임의 참여자간 협조로 얻어진 총 (cooperative game)

이득을 각 참여자의 한계적 기여 에 따라 배분하는 균형배분규칙이다(marginal contribution) .

예컨대 M을 게임 참여자들의 전체집합이라 하고 임의의 부분집합 참여자 집단( ) K⊂M에

대해 실수 값을 부여하는 함수 ; O 7P→J을 특성 함수 이라 하자(characteristic function) .

;#K$는 어떤 집단 가 협동으로 얻을 수 있는 총 보수이다 단 S . ( ;#∅$ &+이라 가정한다 협.)

조적 게임은 M과 ;에 의해 규정된다 협조적 게임 . S#M<;$에서의 T번째 참여자의 샤플리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KUT#M<;$& AK⊂M< T∈K'PV

#W8)$V#P8W$V#;#K$8;#K8XTY$$56)

예 2: 참여자가 명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즉 3 . M&X)<7<ZY이다. M의 부분집합은

5) 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Sastre and Trannoy(2002) .

6) P명의 참가자가 있을 때 이들을 한 줄로 세우는 방법은 PV개 이다. PV개의 순서에 대해서 각 참가자

의 한계적 기여를 계산하는데 이때 계산은 그 참가자 T가 포함 되었을 때의 특성함수 값 ;#K$에서 T

가 포함되지 않았을 때의 특성함수 값 ;#K8XTY$을 빼는 것으로 한계적 기여를 계산하며 그러한 한,

계적 기여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만큼 곱한 다음 모든 순서의 개수 , PV로 나누어 계산한

다 한계적 기여 . ;#K$ 8;#K8XTY$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계산해보자 집합 . K를 한 줄로 세

울 때 참가자 T를 가장 마지막으로 두고 나머지는 경우의 수는 #W8) $V개이고 그 뒤에 나머지 ,

#P8W$명을 한 줄로 세우는 방법은 #P8W$V개다 두 값을 곱한 . #W8)$V×#P8W$V가 한계적 기여

;#K$8;#K8XTY$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된다.

Page 6: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6 -

X∅<X)Y< X7Y< XZY< X)<7Y<X)<ZY<X7<ZY< X)<7<ZYY로 7Z &\개가 된다 집단 . K의 협동으로 얻어진

보수가 ;#K$&]T∈KT로 주어진다고 하자 그러면 각 부분집합. K의 ;#K$는 다음의 표 와 같다2 .

부분집합(S) ;#K$

∅ 0{1} 1{2} 2{3} 3{1,2} 2{1,3} 3{2,3} 6{1,2,3} 6

표 2 부분집합 K의 ;#K$

한계적 기여MC: ND‘s MC JS’s MC KT’s MC 합계<1 2 3> 1 1 4 6<1 3 2> 1 3 2 6<2 1 3> 0 2 4 6<2 3 1> 0 2 4 6<3 1 2> 0 3 3 6 <3 2 1> 0 3 3 6

합계 2 14 20 36샤플리값 2/6 14/6 20/6 6

표 3 참여자 의 샤플리값 분해 1, 2, 3

이제 각 참여자들의 한계적 기여도를 계산해보자 세 명의 참여자를 배열할 수 있는 가능.

한 순열은 총 ZV & ^가지가 있는데 먼저 순서가 일 경우를 고려해 보자 참여자 의 한계<1 2 3> . 1

적 기여는 ;#X)Y$8;#∅$ & )8+ & ) 참여자 의 한계적 기여는 , 2 ;#X)<7Y$8;#X)Y$ & )×78) & )이

고, 참여자 의 한계적 기여는 3 ;#X)<7< ZY$ 8;#X)< 7Y$ & )×7×Z8) × 7 & _이다 이런 식으로 여.

섯 가지의 순서에 대해 각 참여자들의 한계적 기여를 계산하면 표 3과 같다 그런데 각 참여.

자의 한계적 기여는 순열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우리는 이 여섯 가지 한계적 기여의 평균을

취할 수 있는데 이 평균값이 바로 샤플리값이다.

샤플리값 분해2.

이러한 샤플리값은 불평등도를 원천별 기여에 따라 분해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소득의 원천으로 근로소득 자산소득 기타소득 세 가지가 있는 경우를 고려. , ,

해 보자 이 경우 우리는 소득의 원천 각각을 게임의 참여자로 원천소득의 다양한 조합으로 . ,

이루어진 집합(K 과 그에 따른 불평등도를 연결시켜주는 함수를 특성함수로 연결 할 수 있다) .

그런데 샤플리값을 불평등도 분해에 적용할 때는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각 원천의 점유율이 다른 것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기존의 샤.

플리값은 각 참여자를 동일한 비중으로 놓고 계산하지만 원천의 경우에는 각 원천별로 점유율

이 다르므로 기존의 샤플리값을 그대로 이용한다면 각 원천의 점유율을 고려하지 않은 기여,

도 분석의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렇다면 샤플리값에 어떠한 방법으로 점유율을 적용할 수 있을까 해답은 ? K에 속하지

않는 소득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에 달려있다 먼저 그룹 . K에 속하지 않는 소득은 모든 가구

에 을 부여함으로서 해당 소득 자체가 없는 것으로 여기고 부분집합 의 불평등도를 계산하0 S

는 방법이 있다 우리는 이를 샤플리값 분해방법 이라 부르기로 한다 다른 한 가지 방. ‘Zero ’ .

법은 부분집합 K에 속하지 않는 소득은 모든 가구가 동일한 평균값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후 이를 부분집합 에 더하여 불평등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우리는 이를 샤플리S . ‘Equalized 값 분해방법 이라 부르기로 한다 샤플리값 분해방법은 ’ . Equalized Chantreuil and

Page 7: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7 -

가 고안하였다Trannoy(1999) .

이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구들의 전체 집합을 . ` & X)<555<T<555<PY라 하

고 원천 소득들의 전체집합을 , a & X)<5555<B<555<@Y이라 하고 ,TB을 가구 T의 B번째 원천소득이라

하자 그러면 . B번째 원천소득의 소득분포는 ,B & b ,)B<555<,P

B c 와 같이 P차원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7) 전체 원천소득들의 부분집단을 K⊂ a 라 할 때 , @개의 원천소득들로 만들 수 있는 부

분집합 K는 총 7@ 개가 존재하게 된다.

집합 K에 속하는 원천소득들로 만들어지는 소득은 집합 K에 있는 각 원천 소득의 합이

며 이것의 소득 분포는 다음과 같이 P차원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K$ & DE=AB∈K,)B< 555<A

B∈K,PB FGH5

이것은 모든 가구에게 집합 K에 속하지 않은 원천소득들의 값은 이라고 가정한 후 이0

를 더하여 처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반면 집합 K에 속한 원천소득에 집합 K에 속하지 않은 원천소득의 평균을 더하면 다음

과 같다.

>d#K$& DE=AB∈K,)B 3A

B∉K

(#,B $< 555<AB∈K,PB 3A

B∉K

(#,B $FGH5

여기서 (#,B $는 B번째 원천소득에 대한 평균을 의미한다.

이제 소득 분포 > &b>)<555>P c에 대한 불평등도 1#>$로 나타낼 때, B번째 원천소득의 Zero

샤플리값은

KUB #̀ <a<1$ & AK⊂aB∈K'@V

#W8)$V#@8W$Vb1#>#K$$81#>#K8XBY$$ c

이고 B번째 원천소득의 Equalized 샤플리값은 다음과 같다 .

KUBd #̀ < a<1$ & A

K⊂aB∈K

'@V

#W8)$V#@8W$V b1#>d#K$$81#>d#K 8XBY$$ c 5

예 3: 앞서 불평등 분해에서 사용된 재정패널의 차 년 소득 자료를 바탕으로 이 1 (2008 )

두 개념의 차이를 보이고자 한다 편의를 위해 노동 자산 기타 로 나타낸다. =ND, =JS, =KT .

먼저 샤플리값 분해를 계산하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및 와 같다Zero 4 5 . 표 는 4

각각의 부분집합에 대한 지니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노동소득은 노동소득의 불평등.

도를 나타내며 노동 자산소득은 두 소득의 합의 불평등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원천별 한, + .

계적 기여를 계산하는 과정은 표 에 정리하였다5 .

7) 이때 ,TB값은 꼭 양수일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부채로 인해 음수 값이 나오는 순자산에 대한 불평등을 분해.

할 때도 사용 가능하다.

Page 8: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8 -

부분집합(K ) 지니계수 1#>#K$$

∅ 0.000

ND 0.483

JS 0.964

KT 0.845

ND+JS 0.475

ND+KT 0.423

JS+KT 0.827

ND+JS+KT 0.418

표 4 재정패널 년 지니계수 2008

한계적 기여MC: ND‘s MC JS’s MC KT’s MC 합계

<ND JS KT> 0.483 -0.008 -0.057 0.418

<ND KT JS> 0.483 -0.005 -0.060 0.418 <JS ND KT> -0.489 0.964 -0.057 0.418

<JS KT ND> -0.409 0.964 -0.137 0.418 <KT ND JS> -0.422 -0.005 0.845 0.418

<KT JS ND> -0.409 -0.018 0.845 0.418 합계 -0.764 1.892 1.380 2.508

절대적 기여합계 ( /6) -0.127 0.315 0.230 0.418

상대적 기여절대적 기여 합계( / ) -0.304 0.754 0.550 1.000

표 5 재정패널 년 자료의 샤플리값 분해 2008 Zero

세 원천소득의 합인 총소득에 대한 불평등도의 기여도를 살펴보면 자산소득과 기타소득

의 기여도는 로 높게 나타났고 노동소득의 기여도는 로 오히려 노동소득0.314, 0.229 , -0.125

이 전체소득의 불평등도를 완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앞서 살펴본 .

분해의 결과와는 크게 다르다Lerman and Yitzhaki(1985) .

다음으로 샤플리값을 구하는 과정을 표시하면 표 및 과 같다 표 은 Equalized 6 7 . 6 K에

속하지 않는 다른 원천소득들의 평균값을 K에 속한 원천 소득의 값에 더한 것의 불평등도를

계산한 것이다 예를 들어 노동 자산소득의 경우 기타소득의 평균을 노동 자산소득의 개인별 . + +

값에 일률적으로 더한 후 이렇게 생성된 소득의 불평등도를 계산한 것이다 각 원천별 한계적 .

기여를 계산하는 과정을 표 에 나타내었다7 .

부분집합(K ) 지니계수 1#>d#K$$

∅ 0.000

ND 0.418

JS 0.026

KT 0.090

ND+JS 0.424

ND+KT 0.412

JS+KT 0.110

ND+JS+KT 0.418

표 6 재정패널 년 2008지니계수 Equalized

한계적 기여MC: ND‘s MC JS’s MC KT’s MC 합계

<ND JS KT> 0.418 0.006 -0.006 0.418

<ND KT JS> 0.418 0.006 -0.006 0.418

<JS ND KT> 0.398 0.026 -0.006 0.418

<JS KT ND> 0.308 0.026 0.084 0.418

<KT ND JS> 0.322 0.006 0.090 0.418

<KT JS ND> 0.308 0.020 0.090 0.418

합계 2.173 0.091 0.246 2.509

절대적 기여합계 ( /6) 0.362 0.015 0.041 0.418

상대적 기여절대적 기여 합계( / ) 0.866 0.036 0.098 1.000

표 7 재정패널 년 자료의 샤플리값 분해 2008 Equalized

Page 9: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9 -

결과를 살펴보면 샤플리값 분해의 결과와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Zero

다 상대적 기여도를 비교해 보면 샤플리값은. Zero

KUP.#`<a<1$ & 8Z+5_f

KUBW #̀ <a<1 $ & g65_f

KU@h #̀ <a<1 $ & 66f

인 반면 샤플리값은, Equalized

KUP.d #̀ <a<1$ & \ 5̂^f

KUBWd #`<a<1$ & Z5^f

KU@hd #`<a<1$ & i5\f

로 큰 차이가 나타난다 앞서 보인 의 노동소득의 상대기여도는 . Lerman and Yitzhaki(1985)

자산소득의 기여도는 기타소득의 기여도는 로 샤플리값과 유사한 93.2%, 2.8%, 4% Equalized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샤플리값이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 Lerman and

분해에서 구한 원천소득의 총 소득대비 점유율을 살펴보면 노동소득의 점유Yitzhaki (1985) ,

율은 자산소득 점유율은 기타소득은 이다 표 참고86.7%, 2.7%, 10.6% .( 1 )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의 방법과 샤플리값의 Lerman and Yitzhaki(1985) Equalized

결과는 점유율과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의 경우 . Lerman and Yitzhaki(1985)

계산과정에 점유율이 들어가며 또한 점유율이 높은 노동소득의 경우 지니 상관계수 또한 높,

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불평등도가 작더라도 기여도 자체는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샤플리값의 경우엔 점유율이 높은 소득의 평균을 다른 소득의 불평등을 계산할 때 Equalized

더하면 다른 소득의 불평등도 자체가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다른 소득의 기여

도 자체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자산 소득의 자체 불평등도는 이지만 노동소득과 . 0.964

기타소득의 평균을 더한 값의 불평등도는 로 크게 낮아진다 결국 샤플리값과 0.028 . Equalized

의 상대적기여도는 해당 소득의 점유율을 불평등 기여에 반영하여 Lerman and Yitzhaki (1985)

그 값이 비슷하지만 샤플리값의 경우는 점유율보다는 불평등도 자체를 중점적으로 반영, Zero

하므로 값이 달라진다.

선행 연구 IV.

이 절에서는 불평등 분해에 관한 다양한 분석 방법을 이용해 불평등 기여도를 분석한 국

내외의 연구들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는 불평등에 관해 연구한 다양한 국가의 논문들을 비교 정리Davies and Shorrocks(2000)

하여 미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한국 일본 스웨덴 등의 나라의 순자산에 대한 점유율과 , , , , , ,

지니계수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소득 불평등에 비해 순자산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밝혔.

으며 금융자산과 상속자산에 의한 불평등도가 전체의 불평등도보다 높음을 보였다, .

는 년에 에서 가구를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총자산Leipziger et al.(1992) 1988 KDI 4291

에 대한 지니계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로 나타났는데 그들은 의 원자료가 평균 자산. 0.58 KDI

Page 10: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0 -

에 대해 과소추정 되었고 특히 부동산 자산에 대한 과소추정이 가장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들은 한국의 토지 관련 자산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밝혔으며 한국의 조세 정책을 조,

사하여 이 정책들이 불평등 완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도 밝혔다.

원종학 성명재 는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인구학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소득분배, (2007)

구조를 분석하여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총소득의 지니계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을 밝혔다.

또한 의 방법과 의 방법 이 두 가지 지니계수 분해방법Lerman and Yizhaki(1985) Pyatt(1976) ,

을 통해 각각의 연령 집단의 상대소득 격차가 커지고 있으며 연령 집단 간 평균 소득의 격차,

도 커지고 있음을 보였다 그 외에 년부터 년까지의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 자료를 . 1980 2005

활용하여 임금 격차의 원인과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별 임금 격차는 축소되고 있는 . ,

추세이며 학력별 임금 격차는 년 중반이후 확대되다가 년 이후로 감소하고 있다고 , 1990 2000

밝혔다 또한 연령대별 임금 격차는 년 대 이후 확대되고 있음을 밝혔다. 1990 .

김경아 강성호 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차 년 년도 자료를 바탕, (2008) (KLIPS) 2~9 (1999~2005 )

으로 중 고령층의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을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 , ,

자산 불평등도가 소득 불평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신가구와 비독신가구의 집단 간 . ,

불평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셋째 대부분의 결과에서 집단 내 불평등도가 집단 간 불평등도. ,

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넷째 독신가구 소규모 자영업자 및 미취업가구 기타지역 거주. , , ,

가구 소득 및 자산 수준이 낮은 가구에 불평등도가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상호 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차 년 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우(2008) (KLIPS) 2~9 (1999~2005 )

리나라 가구의 자산분포 불평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년 우리나라 순자산 지니계수는 . 2006

총소득의 지니계수는 로 나타나 자산의 불평등이 소득의 불평등보다 높음을 밝혔0.731, 0.438

다 또한 총소득과 자산 간의 상관계수는 미국 보다 낮은 으로 나타나 저축으로 자. (0.49) 0.313

산을 형성하는 정도가 미국보다도 낮다는 증거로 제시하고 있다.

남상호 권순현 은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 년 를 이용하여 중 고령층의 자(2008) (2005 ) ·

산 불평등과 자산빈곤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산 원천별 요인 분해는 . Lerman and Yizhaki

의 원천별 분해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구성 그룹별 불평등 요인 분해는 를 이용하(1985) , GE(2)

여 분해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상위 가 순자산의 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순자산에서 . 10% 49.3%

부동산 자산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빈곤자산계층에 대한 연구에서 . Caner

등의 연구에서와 같이 중위자산의 를 자산 빈곤선으로 정하and Wolff(2004), Wolff(1990) 50%

여 그 이하의 자산을 가진 가구를 빈곤가구로 정의하였다 빈곤가구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

로짓 모형을 통해 빈곤 결정모형을 추정한 결과 가구주 성별이 여성인 경우 월세를 (Logit) ,

살고 있는 가구일 경우 세 미만의 아동이 있는 경우 가구주 연령이 세 이후가 될 경우 , 5 , 63

자산빈곤가구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기백 의 연구에서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차 년 자(2014) 3~5 (2009~2001 )

료를 이용하여 개별 소득 유형이 소득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변이제곱계수. (SCV)

를 사용 하여 각 원천소득의 년간 변화가 전체 불평등에 미친 기여를 분석하였다1 . 2009~2010

년 기간의 경우 노동소득의 공분산효과가 로 분산효과 을 거의 상쇄하고 있으며0.335 0.420 , –공분산효과가 음수 이므로 노동소득의 증가가 소득분배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적다 반면 자. ,

본소득의 공분산효과는 양수로 나타나고 있어 자본소득 증가분 대비 변이제곱계수 변화가 노

동소득보다 크므로 동일한 소득증가에 있어서 자본소득의 증가가 소득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

킬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는 기존의 회귀분석을 기초한 불평등 분해를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하여 Devicienti(2010)

Page 11: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1 -

임금 분포 변화에 대한 불평등 분해를 제안하여 샤플리값 분해가 회귀분석을 기초한 불평등

분해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는 샤플리값 분해의 원천 소득 분해와 그룹별 분해의 다양Chantreuil and Trannoy(2011)

한 명제들과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변이제곱계수. (SCV: Squared Coefficient Variation)

로 불평등을 계산한 경우 의 변이제곱계수 분해의 결과가 샤플리, Shorrocks(1982) Equalized

값 분해와 같음을 증명하였다.

는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하여 빈곤에 관한 분석에 적용되는 방법들을 소Shorrocks(2013)

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장과 재분배가 빈곤 변화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과 빈곤지수를 . ,

분해는 것 그리고 빈곤이 시간에 따라 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샤플리값 분해를 활용할 ,

수 있음을 보였다.

자료 설명 및 기초 분석V.

재정패널 1.

본고에서 우리는 전체집단과 연령대별 집단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재정

패널 차 년 자료를 이용하였다1~7 (2008~2014 ) .

재정패널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서 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전국에 거주하2007

는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로 정부 정책 효과를 검증하고 가계의 조세부담 및 복, ,

지수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모집단은 년도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2005

를 이용하였으며 첫 조사 시점인 년과의 모집단의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년 이후 입2008 2005

주가 시작된 신축 아파트 단지를 추가 표집으로 사용하였다 재정패널자료의 장점은 설문과 .

함께 세금에 대한 증빙서류를 포함하고 있어 세금 및 소득 자료가 다른 패널 자료에 비해서

정확하다는 것과 패널 유지율이 다른 패널조사와 비교해볼 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는 점이 있다.8) 재정패널의 큰 특징은 복지혜택과 세금부담에 대한 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

기 때문에 복지혜택을 많이 받는 저소득층과 세금부담이 높은 고소득층을 과대 표집 하였다는

것이다 재정패널의 소득 자료는 가구단위가 아닌 가구원 단위이기 때문에 이것을 가구단위로 .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년의 총 가구 수는 가구 년은 가구. 2008 5014 , 2009 5096 ,

년은 가구 년은 가구 년은 가구 년도는 가구 년 2010 4884 , 2011 4843 , 2012 4782 , 2013 , 4800 , 2014

가구이다4796 .

소득 항목은 노동소득 자산소득 기타소득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노동소득은 노동소득 , , .

항목과 사업소득 항목을 합한 것으로 하였다 자료를 분석해 보면 사업소득이 있는 사람들의 .

대부분이 노동소득이 없었기 때문에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사업소득으로 속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자산소득은 부동산 및 임대 소득 이자 및 배당금 소득의 합으로 계산하. ,

였다 기타소득은 기타소득 항목에 타 가구 이전소득 경조사비 보험 및 연금 소득을 합한 . , ,

것이다 기타소득은 정부지원금 복권 당첨금 등을 의미한다 자산은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 . , ,

기타자산으로 분류하였다 주택 및 주택이외에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과 전세 및 월세 보증금 .

8) 재정패널 자료 설명회 자료집 활용 2015

Page 12: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2 -

총액을 부동산자산으로 하였다 금융자산은 은행 등 금융기관 예 적금 펀드 채권 주식. · , , , ,

저축성 보험 연금성 보험 빌려준 돈 타지 않은 곗돈 등으로 구성하였다 기타자산은 승용, , , .

차 보유 회원권 농기계 가축 선박 건설 중장비 귀금속 골동품 예술품 등을 포함한다, , , , , , , , .

점유율 분석2.

이번 절에서는 소득과 자산의 점유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득과 자산 분포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관찰해 보고자한다 소득과 자산의 점유율을 계산하기 위해 그룹을 나누는 .

방식은 가 소개한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위 그룹은 상위 상위 상위 Piketty(2014) . 1%, 5% 10%

를 누적하여 상위 집단을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하위 그룹은 하위 로 구성하였으며 중산. 50% ,

층으로 여기는 중위 그룹은 상위 와 하위 사이의 중위 로 구성하였다10% 50% 40% .

소득 점유율1)

재정패널 자료의 소득 점유율을 분석해 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참조. ( 8 .)

2008 총소득 노동소득 자산소득 기타소득상위1% 5.54 5.80 50.40 17.99 상위5% 18.03 19.06 90.49 48.40 상위10% 29.39 31.19 100.00 68.52 중위40% 49.83 53.23 0.00 31.48 하위50% 20.78 15.57 0.00 0.00 전체 100.00 100.00 100.00 100.00 2011 총소득 노동소득 자산소득 기타소득상위1% 5.41 5.79 44.05 19.00 상위5% 17.84 18.94 80.56 49.95 상위10% 29.41 31.30 96.11 69.09 중위40% 50.95 54.31 3.89 30.91 하위50% 19.64 14.40 0.00 0.00 전체 100.00 100.00 100.00 100.00 2013 총소득 노동소득 자산소득 기타소득상위1% 6.06 6.27 44.62 25.01 상위5% 18.15 19.24 82.09 61.65 상위10% 29.54 31.45 97.04 81.69 중위40% 51.14 54.48 2.96 18.31 하위50% 19.33 14.08 0.00 0.00 전체 100.00 100.00 100.00 100.00

표 8 년 자료의 소득 점유율 2008, 2011, 2013

첫째 년을 기준으로 상위 가 전체 소득의 약 의 소득을 가져가는 것으로 , 2013 10% 29.54%

나타나며 중위 가 약 를 차지한다 반면 하위 는 약 의 소득을 차지하고 , 40% 51.14% . 50% 19.33%

있다 둘째 년에는 전체 인구의 이하에게만 자산소득이 있었으나 점차 그 비율이 증가. 2008 10%

한다 그러나 년에도 전체 집단의 가 약 를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 2013 10% 97% ,

산소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셋째 시계열적으로 상위 가 차지하는 소득의 비율은 점차 증. , 10%

가하고 있는 반면 하위 가 차지하는 소득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50% .

Page 13: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3 -

자산 점유율2)

재정패널 자료의 자산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참조 첫. ( 9 .)

째 년 총자산을 기준으로 상위 가 전체 자산의 약 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위 , 2013 10% 42.51% ,

가 약 하위 는 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해가 지나면서 시계열적으로 자40% 45.86%, 50% 11.64% . ,

산 점유율의 변화가 상위 의 총자산 비율은 줄고 중위 와 하위 의 총자산 비율은 늘10% 40% 50%

고 있어 소득분배 불균형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전체 자산에서 금융자산이 . ,

차지하는 비중이 조금씩 늘고 있다 넷째 기타 자산의 경우 다른 자산에 비해 변동성이 크게 . ,

나타난다.

2008 순자산 총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상위1% 12.36 11.51 12.42 18.22 20.79 상위5% 34.80 32.67 34.50 44.73 36.19 상위10% 50.14 47.66 50.07 61.26 48.02 중위40% 42.92 42.98 42.08 36.57 48.77 하위50% 6.95 9.36 7.86 2.18 3.22 전체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2011 순자산 총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상위1% 12.42 11.97 12.86 21.51 12.29 상위5% 32.26 31.60 33.74 46.83 29.87 상위10% 46.35 45.93 48.64 62.39 43.09 중위40% 44.35 43.73 42.58 34.53 52.13 하위50% 9.30 10.34 8.78 3.08 4.78 전체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2013 순자산 총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상위1% 10.39 9.76 10.48 19.45 10.57 상위5% 29.54 28.33 30.09 43.40 27.75 상위10% 43.74 42.51 44.90 58.64 40.86 중위40% 45.70 45.86 45.28 37.34 53.10 하위50% 10.56 11.64 9.82 4.01 6.05 전체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표 9 년 자료의 자산 점유율 2008, 2011, 2013

불평등도 분석3.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도는 지니 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횡. 단면 가중치를 적용하

여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도를 계산하였으며 소득의 경우 의 기준에 맞게 소득을 가구원, OECD

수의 제곱근으로 나누는 균등화 작업 후 계산하였다.

소득 불평등도1)

년 총 소득의 불평등도는 노동소득은 자산소득은 기타소득은 2014 0.391, 0.466, 0.953,

로 나타났다 노동소득의 불평등도에 비해서 자산소득의 불평등도가 월등히 높은 이유는 자0.827 .

산 소득을 대략 이상이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총소득의 불평등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80% .

가하고 있다 노동소득은 년까지 변화가 없다가 년에 크게 증가한다 자산소득은 시간이 . 2011 2014 .

지나면서 불평등도가 조금씩 완화되고 있다.

Page 14: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4 -

Gini 총소득 노동소득 자산소득 기타소득

년도

2008 0.385 0.446 0.967 0.8442011 0.388 0.441 0.951 0.8482014 0.391 0.466 0.953 0.827

점유율(2014) 100% 84.5% 3.1% 12.4%

표 10 년 자료의 소득 불평등도 2008, 2011, 2013

자산 불평등도2)

Gini 순자산 총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

년도

2008 0.677 0.624 0.654 0.762 0.6942011 0.617 0.602 0.633 0.766 0.6372014 0.601 0.585 0.620 0.729 0.629

점유율(2014) 100% 82% 12.3% 5.7%

표 11 년 자료의 자산 불평등도 2008, 2011, 2013

년 총자산의 불평등도는 부동산 자산은 금융자산은 기타자산2014 0.585, 0.620, 0.729,

은 로 나타났다 부동산 자산과 금융자산의 불평등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화되면서 0.629 .

총자산에 대한 불평등도도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소득 및 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 VI.

본 장에서는 샤플리값 분해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기여도를 계산하였

다 시간의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해 해당 값들을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그래프를 구성하는데 사. ,

용된 원자료는 부록에 첨부하였다 불평등도는 모두 지니계수로 횡단면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

소득의 경우 기준에 맞추기 위해 가구원수의 제곱근으로 나누는 균등화 작업 후 불평등 기여OECD

도를 계산하였다.

소득 불평등 기여도 분석1.

전체집단의 소득 불평등 기여도를 분석해본 결과 샤플리값의 경우 년 기, Equalized 2014

준 총소득의 불평등도 에 대해서 노동소득의 기여도는 로 이고 자산소득의 기0.391 0.328 84% ,

여도는 으로 이며 기타소득은 으로 만큼 기여한다 샤플리값의 경0.016 4.2% , 0.046 11.9% . Zero

우 년 기준 총소득의 불평등도 에 대해서 노동소득은 로 만큼 기여하2014 0.391 0.138 35.3%– –고 자산소득은 로 만큼 기여하며 기타소득은 로 기여한다, 0.31 79.4% , 0.218 55.9% .

시간이 지나면서 전체 불평등은 증가하는데 노동소득이 불평등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

작용하고 있고 나머지 두 소득은 불평등 증가에 기여하는 바는 적다, .

Page 15: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5 -

만일 소득 불평등도 크기 자체를 줄이는 것이 목표라면 효과적인 방법은 샤플Equalized

리값의 결과를 통해 기여도가 높은 노동소득의 불평등울 완화시키는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적

절하다 그러나 만일 불평등도가 높은 특정 원천의 불평등을 완화시키는 것이 목표라면 이땐 .

샤플리값의 결과를 토대로 기여도가 높은 자산 소득의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Zero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림 2 소득 불평등 샤플리값 Equalized

그림 3 소득 불평등 샤플릭값 Zero

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2.

그림 4 자산 불평등 샤플리값 Equalized

그림 5 자산 불평등 샤플리값 Zero

년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샤플리값의 경우 총자산의 불평등도 에 2014 , Equalized 0.585

대해서 부동산자산의 기여도가 로 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금융자산은 로 0.487 83.3% , 0.071

를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자산은 로 를 차지해 기여도가 가장 낮은 12.2% . 0.026 4.4%

것으로 나타났다 샤플리값의 경우 총자산 불평등도 에 대해서 금융자산의 기여도. Zero 0.585

가 로 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부동산자산은 로 만큼 기여하는 것으로 0.234 40.1% , 0.165 28.2%

나타났다 기타자산은 으로 를 기여한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자산불평. 0.186 3.18% . ,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데 샤플리값의 경우 그 주요 요인이 부동산자산, Equalized

으로 나타나지만 샤플리값의 경우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Zero .

부동산자산의 기여도가 샤플리값 뿐만 아니라 샤플리값의 경우에도 높을 Equalized Zero

것으로 볼 때 부동산자산의 불평등은 자산 불평등의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Page 16: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6 -

부동산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3.

자산 중 불평등도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부동산자산 중에 어떤 자산이 불평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부동산자산에 대한 샤플리값 분해를 시행하였다.

년을 기준으로 샤플리값의 경우 부동산자산 불평등도 에 대해서 현 2014 Equalized , 0.62

거주주택자산이 로 를 차지하여 기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그 다음으로는 주택0.307 49.5% .

외부동산이 으로 를 차지하였고 거주주택 외 주택자산이 로 를 차지하였0.146 23.5% , 0.11 17.7%

다 가장 적게 차지한 것은 전월세 보증금으로 로 를 차지하였다 샤플리값의 . 0.055 5.7% . Zero

경우 부동산자산 불평등도 에 대해서 주택 외 부동산이 로 를 기여하고 거주주0.62 0.242 39% ,

택 외 주택자산이 로 를 기여한다 현 거주주택자산은 로 를 기여하고0.229 36.9% . 0.005 0.8% ,

전월세 보증금은 로 를 기여한다0.145 23.3% .

를 기준으로 거주주택 외 주택자산과 주택외부동산의 경우 점유율에 비해서 상Equalized

대기여도가 높은데 이는 두 자산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전체 자산이 많은 사람들이므로 두 ,

자산이 불평등을 기여하는 바가 점유율보다 높게 나타나게 된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

면 현 거주주택자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기여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주택외부동산은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림 6 부동산자산 불평등 샤플리값 Equalized

그림 7 부동산자산 불평등 샤플리값 Zero

연령대별 소득 불평등 기여도 분석4.

연령대별 소득 및 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을 위해 년 기준 세 세2010 30~39 , 40~54 ,

세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로 55~70 . ,

샤플리값의 경우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산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커진다 년 Equalized . 2014

기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산소득의 불평등 기여도는 로 높아진다0.003 0.013 0.037 . → →

이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축적된 자산을 이용하여 소득을 생성하는 사람이 늘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로 노동소득의 기여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커지다가 은퇴세대가 되어서는 크.

게 감소한다 반대로 기타소득의 기여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작아지다가 은퇴세대가 되어.

서는 크게 증가한다 이는 은퇴로 인한 노동소득의 큰 감소와 더불어서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

정부지원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Page 17: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7 -

그림 8 연령대별 소득 불평등 샤플리값 Eualized

샤플리값의 경우 자산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가장 크면서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감Zero

소하는 형태를 띤다 이를 통해 자산소득의 불평등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불평등도 자체는 .

줄어들지만 그 비중이 늘어 점유율을 고려할 땐 기여도가 증가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

기타소득도 동일하다.

그림 9 연령대별 소득 불평등 샤플리값 Zero

연령대별 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5.

샤플리값의 경우 연령대별 자산 불평등 상대 기여도는 연령대 그룹별로 큰 Equalized ,

차이가 없는데 모든 연령대에서 부동산자산의 상대기여도는 이상으로 자산 불평등의 주요 , 80%

원인으로 나타난다 절대 기여도에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불평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나는데 이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득 편차가 자산 편차로 전환되는 정도가 늘어나기 때문으

로 보인다 전체 자산 불평등 감소의 주된 요인은 젊은 층의 자산 불평등 완화에 기인한 것으.

로 보인다 이에 반해 . 샤플리값의 경우에는 특정한 규칙이 없어 유의한 결과를 도출해내Zero

기 어려워 보인다.

Page 18: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8 -

그림 10 연령대별 자산 샤플리값 Equalized

그림 11 연령대별 자산 샤플리값 Zero

연령대별 부동산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 6.

연령대별 부동산 자산 불평등 기여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샤플리값의 경우Equalized ,

젊은 연령층일수록 전월세 보증금자산의 불평등 기여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젊은 세대는 자가

소유 주택을 가지지 못한 채 전세나 월세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

주택외부동산의 기여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커지는데 이는 나이가 들면서 축적된 자산이

주택자산 이외의 부동산에 투자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계열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주.

택자산의 기여도가 모든 연령대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Page 19: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19 -

그림 12 연령대별 부동산자산 불평등도 샤플리값 Equalized

샤플리값의 경우 현거주주택자산의 불평등 기여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Zero

것과 동시에 시간이 지나면서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나이가 들수록 거주 .

주택이 없던 사람들이 거주주택을 구입하면서 불평등도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택 외 .

부동산과 거주주택 외 주택의 기여도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 전월세 보증금에. ,

는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것은 와는 반대로 전월세 보증금이 인 사람의 Equalized 0

비중이 늘면서 불평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림 13 연령대별 부동산자산 불평등도 샤플리값 Zero

Page 20: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0 -

결론VI.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와 의 방법으로 정해Lerman and Yitzhaki(1985) Shorrocks(1982)

진 불평등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분해 기법을 사용하여 원천소득별 불평등 기여도를 분석하

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가 고안한 분해기법의 경우 다양한 불평등도에 활. Shapley(1953)

용될 수 있어 하나의 일반화된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기여도 분석에 활용될 수 있,

어 그 가치가 크다 본 연구는 의 샤플리값 분해와 . Chantreuil and Trannoy (1999) Equalized

샤플리값을 이용하여 재정패널 차 자료를 토대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기여도를 분Zero 1~7

석하였다.

소득 불평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가운데 샤플리값을 기준으로 노, Equalized

동소득의 기여도가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나 소득 불평등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된다 그80% .

러나 샤플리값을 기준으로 할 경우 노동소득은 불평등도를 오히려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Zero

고 자산소득이 주요 요인이 된다 만일 소득 불평등도 자체를 줄이는 것이 목표라면 , .

샤플리값의 결과를 따라 노동소득의 불평등도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Equalized .

러나 만일 불평등도가 높은 원천의 불평등도 완화가 목적이라면 샤플리값 결과를 따라 Zero

자산소득의 불평등도 완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자산 불평등도는 시계열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되는 가운데 샤플리값을 Equalized

기준으로 부동산자산이 전체 불평등에 정도를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샤플리값80% Zero

도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산불평등의 주요 요인은 부동산자산임을 알 수 있다28% .

부동산자산 중 현 거주주택자산이 샤플리값의 경우 를 차지하고 있으나 그 기여Equalized 50%

도가 감소하고 있다 반면에 거주주택 외 주택자산과 주택외부동산의 기여도는 대 이지만 . 20%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부동산자산의 불평등도 요인이 시간이 지날수록 가계주택 외의 부동산

자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연령대별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의 기여도를 살펴보면 먼저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득 불평,

등도는 크게 증가하며 그 주요 요인은 점유율을 고려한 샤플리값을 기준으로 할 , Equalized

때 자산소득과 기타소득에 대한 불평등 기여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

축적된 자산을 통해 소득을 얻는 사람이 늘게 되고 노년층에 이르러서 정부지원금이 증가되,

기 때문이다 노동소득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다가 은퇴세대가 된 이후에는 감소.

하게 되는데 이는 은퇴로 인해 노동소득의 비중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자산의 경우 연. ,

령대가 높을수록 자산의 불평등 또한 높아지면서 부동산자산의 절대 기여도 또한 높아지게 되

는데 부동산자산 중에서도 현 거주주택자산의 불평등 기여도가 높아진다 반면 전월세 보증, . ,

금의 경우는 젊은 연령대일수록 불평등기여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젊은 층이 대부분 주택을 전

월세로 구입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먼저 자산소득에 대한 과세율을 높이는 등의 ,

정책수단을 통해 해당 원천의 불평등도를 완화시키면서 동시에 노동소득 불평등의 개선이 필

요하다 자산 불평등 완화를 위해서는 부동산자산 불평등 완화에 집중하되 특히 가계의 주택 .

구입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과 더불어 부동산 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 은.

퇴와 맞물려 급격하게 높아지는 중 고령자 집단의 소득불평등도 완화를 위해서는 상대적 빈·

곤층을 위한 지원이나 일자리 사업이 확산되어야 한다.

Page 21: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1 -

참고문헌

김경아 강성호 우리나라 중 고령자가구의 자산 및 불평등도 분해에 관한 연, , (2008), ·「

구 재정학 연구 제 권 제 호 , 1 3 pp.21~52.」 『 』

남상호 가계자산 분포와 불평등도의 분해 노동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2008). : , 「 」

한국노동연구원 .『 』

남상호 권순현 우리나라 중 고령자 가구의 자산분포 현황과 빈곤 분석 국, , (2008). · : 「

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 권 제 호(KReIS) , , 28 2 .」 『 』

박기백 유형별 소득이 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재정학연구 제 권 , (2014). , , 7「 」 『 』

제 호2 , pp.95~116

원종학 성명재 소득분배 격차 확대의 원인과 정책대응 방향 한국조세연, , (2007). , 「 」 『

구원 연구보고서 , 07-10.』

토마 피케티 세기 자본 글항아리. (2014) 21 , .「 」

Caner, A and Wolff, E. N. (2004). “Asset Poverty in the United States, 1984-99: Evidence from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vol. 50.

Issue 4. pp. 493-518.

Chantreuil, F. and Trannoy, A. (1999). “Inequality Decomposition Values: The

Trade-off Between Marginality and Consistency.” THEMA. DP 99-24.Chantreuil, F, and Trannoy, A. (2011). "Inequality Decomposition Values." Annals

of Economics and Statistics, pp. 13-36.

Cowell, F. (2011). “Measuring In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Davies, J. B. and Shorrocks, A. F. (2000). “The Distribution of Wealth.”

Handbook of Income distribution.

Devicienti, F. (2010). "Shapley-value Decompositions of Changes in Wage

Distributions: a note." The Journal of Economic Inequality 8.1, pp. 35-45.

Gini, C. (1912). “Variability and Mutability”, C. Cuppini, Bologna, 156 pages. Reprinted in Memorie di metodologica statistica (Ed. Pizetti E, Salvemini, T).

Lee, W. J. (2015). “A Field Guide to Estimating Income Distributions” unpublished lecture note.

Leipziger, D. M., D. Dollar, A. F. Shorrocks, & S. Y. Song. (1992).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in Korea.”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Lerman, R. and Yitzhaki, S. (1985). “Income Inequality by Income Source: a New Approach and Applications to the United Stat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istics 57,1, pp. 151-156.

Lorenz, M. O. (1905). "Method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Wealth".

Publications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9, No. 70 pp. 209 219. –Pyatt, G. (1976). “On the Interpretation and Disaggregation of the Gini

Coefficient.” Economic journal, pp. 243~254.Sastre, M. and Trannoy. A. (2002). “Shapley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sents: Some Methodological Issues.” Journal of Economics 9. pp51-89.

Page 22: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2 -

Shapley, L. S. (1953). "A Value for n-person Games". In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Games, volume II, by Kuhn, H. W. and Tucker, A. W., editors. Annals of

Mathematical Studies v. 28, pp. 307 317. Princeton University Press.–Shorrocks, A. F. (1980). “The Class of Additively Decomposable Inequality

Measures.” Econometrica Vol. 48, No. 3, pp. 613-625Shorrocks, A. F. (1982).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nents.”

Econometrica pp. 1~20,

Shorrocks, A. F. (1984) “Inequality Decomposition by Population Subgroups” Econometrica, vol. 52, issue 6, pp. 1369-85.

Shorrocks, A. F. (2013). "Decomposition Procedures for Distributional Analysis: a

Unified Framework Based on the Shapley Value." Journal of Economic Inequality, pp.

1-28.

Wolff, E. N. (1990). “Wealth Holdings and Poverty Status in the U.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vol. 36, Issue 2. pp.143-165.

Page 23: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3 -

부록

소득

자산

부동산자산 불

평등 기

여도 전체

1.

, ,

()

20082009

20102011

20122013

2014

Gini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노동

소득

0.8530.317

0.838 0.833

0.314 0.813

0.8480.315

0.850 0.851

0.316 0.823

0.8690.358

0.838 0.841

0.334 0.837

0.8450.328

0.840자

산소

득0.027

0.014 0.038

0.0270.015

0.039 0.027

0.014 0.037

0.0290.016

0.041 0.030

0.016 0.041

0.0340.018

0.046 0.031

0.0160.042

기타

소득

0.1210.047

0.125 0.140

0.057 0.148

0.1250.042

0.113 0.121

0.052 0.136

0.1010.041

0.122 0.125

0.047 0.117

0.1270.036

0.119총

소득

1.0000.378

1.000 1.000

0.386 1.000

1.0000.371

1.000 1.000

0.384 1.000

1.0000.415

1.000 1.000

0.399 1.000

1.0000.391

1.000

표 12

소득

불평

샤플

리값

Equalized

20082009

20102011

20122013

2014

Gini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노동

소득

0.853-0.169

-0.4480.833

-0.144-0.374

0.848-0.143

-0.3870.851

-0.166-0.433

0.869-0.128

-0.3090.841

-0.128-0.321

0.845-0.138

-0.353자

산소

득0.027

0.3160.836

0.0270.313

0.8120.027

0.3120.842

0.0290.31

0.8070.030

0.3070.741

0.0340.31

0.7770.031

0.310.794

기타

소득

0.1210.231

0.6110.140

0.2170.562

0.1250.202

0.5450.121

0.240.625

0.1010.236

0.5680.125

0.2170.544

0.1270.218

0.559총

소득

1.0000.378

1.0001.000

0.3861.000

1.0000.37

1.0001.000

0.3841.000

1.0000.415

1.0001.000

0.3991.000

1.0000.391

1.000

표 13

소득

불평

샤플

리값

Zero

20082009

20102011

20122013

2014

Gini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부동

산자

산0.837

0.528 0.847

0.8520.525

0.863 0.827

0.510 0.843

0.8390.512

0.851 0.837

0.524 0.849

0.8190.484

0.832 0.819

0.4870.833

금융

자산

0.1050.064

0.103 0.091

0.056 0.092

0.1150.068

0.113 0.104

0.063 0.105

0.1020.058

0.103 0.121

0.073 0.122

0.1230.071

0.122기

타자

산0.058

0.032 0.050

0.0570.027

0.045 0.058

0.027 0.044

0.0570.027

0.044 0.061

0.024 0.048

0.0600.024

0.047 0.057

0.0260.044

총자

산1.000

0.624 1.000

1.0000.608

1.000 1.000

0.605 1.000

1.0000.602

1.000 1.000

0.606 1.000

1.0000.581

1.000 1.000

0.5851.000

표 14

자산

불평

샤플

리값

Equalized

Page 24: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4 -

20082009

20102011

20122013

2014

Gini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부동

산자

산0.837

0.528 0.847

0.8520.525

0.863 0.827

0.510 0.843

0.8390.512

0.851 0.837

0.524 0.849

0.8190.484

0.832 0.819

0.1650.282

금융

자산

0.1050.064

0.103 0.091

0.056 0.092

0.1150.068

0.113 0.104

0.063 0.105

0.1020.058

0.103 0.121

0.073 0.122

0.1230.234

0.401기

타자

산0.058

0.032 0.050

0.0570.027

0.045 0.058

0.027 0.044

0.0570.027

0.044 0.061

0.024 0.048

0.0600.024

0.047 0.057

0.1860.318

총자

산1.000

0.624 1.000

1.0000.608

1.000 1.000

0.605 1.000

1.0000.602

1.000 1.000

0.606 1.000

1.0000.581

1.000 1.000

0.5851.000

표 15

자산

불평

샤플

리값

Zero

20082009

20102011

20122013

2014

Gini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현거

주주

택0.601

0.371 0.577

0.5710.341

0.538 0.556

0.3340.518

0.5310.305

0.483 0.538

0.309 0.492

0.5370.301

0.487 0.550

0.3070.495

거주

주택

외주

택0.154

0.122 0.189

0.1720.132

0.208 0.162

0.1260.197

0.1630.127

0.201 0.186

0.147 0.234

0.1720.134

0.216 0.143

0.1100.177

주택

외부

동산

0.1370.107

0.166 0.136

0.109 0.171

0.1570.128

0.200 0.149

0.121 0.192

0.1290.101

0.160 0.163

0.128 0.208

0.1830.147

0.235전

월세

보증

금0.108

0.044 0.068

0.1210.052

0.082 0.125

0.0550.085

0.1560.078

0.124 0.147

0.071 0.114

0.1630.055

0.089 0.129

0.0570.093

부동

산자

산1.000

0.644 1.000

1.0000.633

1.000 1.000

0.6431.000

1.0000.631

1.000 1.000

0.628 1.000

1.0000.618

1.000 1.000

0.6201.000

표 16

부동

산 자

산 불

평등

플리

Equalized

20082009

20102011

20122013

2014

Gini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소득

유율

절대

여도

상대

여도

현거

주주

택0.601

0.0330.051

0.5710.028

0.0440.556

0.0280.044

0.5310.019

0.030.538

0.0190.031

0.5370.009

0.0140.550

0.0050.008

거주

주택

외주

택0.154

0.2360.367

0.1720.227

0.3580.162

0.230.359

0.1630.229

0.3630.186

0.2340.372

0.1720.231

0.3740.143

0.2290.369

주택

외부

동산

0.1370.232

0.3610.136

0.2390.377

0.1570.244

0.3810.149

0.2440.387

0.1290.234

0.3730.163

0.2360.381

0.1830.242

0.39전

월세

보증

금0.108

0.1430.222

0.1210.139

0.220.125

0.1380.215

0.1560.138

0.2190.147

0.140.223

0.1630.142

0.230.129

0.1450.233

부동

산자

산1.000

0.644 1.000

1.0000.633

1.000 1.000

0.6431.000

1.0000.631

1.0001.000

0.6281.000

1.0000.618

1.0001.000

0.6201.000

표 17

부동

산 자

산 불

평등

플리

Zero

Page 25: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5 -

소득

자산

부동산자산 불

평등 기

여도 연령대별

2.

, ,

()

절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노동

소득

0.2650.308

0.3110.317

0.2870.311

0.2750.316

0.3040.317

0.2650.328

기타

소득

0.0040.014

0.0220.014

0.0070.013

0.0260.016

0.0030.013

0.0370.016

자산

소득

0.0320.023

0.0790.047

0.0220.023

0.1100.052

0.0220.022

0.1000.046

총소

득0.301

0.3450.411

0.3780.316

0.3470.411

0.3840.329

0.3520.403

0.391상

대 기

여도

20082011

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노동

소득

0.880.894

0.7560.838

0.9080.897

0.670.823

0.9240.901

0.6580.84

기타

소득

0.1070.066

0.1920.125

0.0690.065

0.2660.136

0.0090.038

0.0930.042

자산

소득

0.0130.041

0.0530.038

0.0230.038

0.0640.041

0.0670.061

0.250.119

총소

득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

표 18

연령

대별

소득

불평

샤플

리값

Equalized

절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노동

소득

-0.304-0.283

-0.105-0.169

-0.291-0.264

-0.078-0.166

-0.302-0.251

-0.023-0.138

기타

소득

0.330.324

0.3070.316

0.3240.318

0.2910.31

0.3260.313

0.2960.31

자산

소득

0.2750.303

0.2090.231

0.2830.294

0.1990.24

0.3050.29

0.1290.218

총소

득0.301

0.3450.411

0.3780.316

0.3470.411

0.3840.329

0.3520.403

0.391상

대 기

여도

20082011

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노동

소득

-1.009-0.82

-0.255-0.448

0.316-0.762

-0.19-0.433

-0.918-0.711

-0.058-0.353

기타

소득

1.0960.94

0.7460.836

1.0260.915

0.7070.807

0.9910.888

0.7360.794

자산

소득

0.9130.881

0.5090.611

0.8970.846

0.4830.625

0.9260.823

0.3210.559

총소

득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

표 19

연령

대별

소득

불평

샤플

리값

Zero

Page 26: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6 -

절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부동

산자

산0.453

0.5060.521

0.5280.453

0.4940.507

0.5120.37

0.4730.481

0.487금

융자

산0.064

0.0610.063

0.0640.046

0.0640.068

0.0630.071

0.0670.074

0.071기

타자

산0.029

0.0310.033

0.0310.026

0.0260.023

0.0270.026

0.0250.023

0.026총

자산

0.5460.597

0.6170.624

0.5240.584

0.5980.602

0.4670.565

0.5780.585

상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부동

산자

산0.83

0.8480.845

0.8470.864

0.8470.847

0.8510.793

0.8370.832

0.833금

융자

산0.117

0.1010.102

0.1030.087

0.110.114

0.1050.152

0.1190.128

0.122기

타자

산0.053

0.0510.053

0.050.049

0.0440.039

0.0440.055

0.0440.04

0.044총

자산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표 20

연령

대별

자산

불평

샤플

리값

Equalized

절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부동

산자

산0.17

0.1850.14

0.170.183

0.1590.147

0.1660.125

0.1680.139

0.165금

융자

산0.204

0.2340.252

0.2430.204

0.2590.26

0.2510.223

0.2360.235

0.234기

타자

산0.172

0.1780.225

0.2110.137

0.1650.191

0.1850.119

0.1610.203

0.186총

자산

0.5460.597

0.6170.624

0.5240.584

0.5980.602

0.4670.565

0.5780.585

상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부동

산자

산0.311

0.310.227

0.2720.349

0.2720.246

0.2760.267

0.2970.241

0.282금

융자

산0.375

0.3920.409

0.3890.39

0.4440.435

0.4170.477

0.4180.408

0.401기

타자

산0.315

0.2990.365

0.3390.261

0.2830.319

0.3070.256

0.2840.351

0.318총

자산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표 21

연령

대별

자산

불평

샤플

리값

Zero

Page 27: 샤플리값을 이용한 소득과 자산 불평등의 원천별 기여도 분석cdj.snu.ac.kr/DP/2016/DP201606.wjlee.pdf · 논문에서 우리는 기존의 문헌에 자주 사용되는

- 27 -

절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현거

주주

택0.352

0.3290.37

0.3710.23

0.2650.335

0.3050.269

0.2630.301

0.307거

주주

택외

주택

0.1260.14

0.1080.122

0.140.147

0.1090.127

0.1150.134

0.0880.11

주택

외부

동산

0.0160.106

0.1290.107

0.0890.107

0.1390.121

0.0310.142

0.1960.146

전월

세보

증금

0.1030.051

0.0180.044

0.1220.092

0.0380.078

0.1110.065

0.0170.057

부동

산자

산0.596

0.6250.625

0.6440.581

0.6110.621

0.6310.526

0.6030.602

0.62상

대 기

여도

20082011

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현거

주주

택0.59

0.5260.592

0.5770.395

0.4340.54

0.4830.511

0.4360.5

0.495거

주주

택외

주택

0.2110.223

0.1730.189

0.2410.241

0.1760.201

0.2190.222

0.1460.177

주택

외부

동산

0.0270.169

0.2060.166

0.1540.175

0.2240.192

0.060.235

0.3250.235

전월

세보

증금

0.1720.082

0.0290.068

0.210.15

0.060.124

0.2110.108

0.0290.093

부동

산자

산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

표 22

연령

대별

부동

산자

산 불

평등

플리

Equalized

절대

기여

도2008

2011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현거

주주

택0.095

0.023-0.016

0.0330.035

0.002 -0.019

0.019-0.002

-0.013-0.04

0.005거

주주

택외

주택

0.2350.231

0.2360.236

0.2360.221

0.224 0.229

0.2370.219

0.2250.229

주택

외부

동산

0.2420.238

0.2130.232

0.2670.250

0.223 0.244

0.2430.253

0.2210.242

전월

세보

증금

0.0250.134

0.1930.143

0.0430.138

0.1930.138

0.0480.143

0.1970.145

부동

산자

산0.596

0.6250.625

0.6440.581

0.6110.621

0.6310.526

0.6030.602

0.62상

대 기

여도

20082011

2014

Gini30~39

40~5455~70

전체

30~3940~54

55~70전

체30~39

40~5455~70

전체

현거

주주

택0.159

0.036-0.025

0.0510.061

0.003-0.03

0.03-0.003

-0.021-0.067

0.008거

주주

택외

주택

0.1590.369

0.3770.367

0.4050.362

0.360.363

0.450.364

0.3740.369

주택

외부

동산

0.4050.381

0.340.361

0.460.41

0.3590.387

0.4620.42

0.3670.39

전월

세보

증금

0.0420.214

0.3080.222

0.0740.225

0.3110.219

0.0910.238

0.3270.233

부동

산자

산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

표 23

연령

대별

부동

산자

산 불

평등

플리

Z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