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Embed Size (px)

DESCRIPTION

DMZ (Demilitarized Zone) 생명의 모금자리로 거듭나는 땅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펴낸곳 : 녹색연합 펴낸날 : 2011년 2월 문의 : 02-747-8500, www.greenkorea.org

Citation preview

Page 1: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Page 2: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생명의 보금자리로 거듭나는 땅, 비무장지대

비무장지대 일원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비무장지대 일원 깃대종

비무장지대 일원 지역별 생태지도

비무장지대 일원 문화재와 마을

비무장지대 일원 방문정보

참고자료

비무장지대 일원 전체지도 별도 첨부

2.

4.

8.

16.

44.

46.

47.

목차

열쇠전망대에서 바라본 비무장지대 내부 복개평원 모습

Page 3: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민간인통제지역 (CCZ, Civilian Control Zone)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남쪽으로 5~10km 구간에 민간인통제지역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군

작전과 군사시설보호를 목적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민간 차원의 개발이 오랫동안 이

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사람에 의한 환경 영향을 적게 받아 비무장지대와 함

께 민통선 지역의 자연환경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비무장지대가 군사작전과 산불로 계속해서

교란 받은 것에 비해 민통선 지역의 산림은 온전히 보전된 측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비무장지

대 보다 임령이 높고, 일부 극상림도 나타납니다. 또한 제한적으로 영농활동이 이루어져 야생

동물들의 주요한 먹이터가 되기도 합니다.

철원군 근북면 유곡리 민통선지역 전경 : 비무장지대 남쪽으로 5~10km 구간에 민간인통제지역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농업이 이루어지는 까닭에 야생동물의 주요한 서식처가 됩니다.

03

비무장지대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는 한국전쟁에서 비롯된 냉전의 유산입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정전협

정에 의해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 간 2km씩 공간을 두어 군사적인 직접 충돌을 막기 위

해 설정되었습니다. 반세기를 훌쩍 넘긴 지금 서쪽에서 동쪽까지 이어지는 248km의 비무장지

대는 견고한 철책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비무장지대는 흔히 사람들의 손이 안 탄 곳, 천혜의 원시림이 존재하는 곳이라고 알려져 있

습니다. 그러나 비무장지대 안에서는 남북 간 군사 활동이 늘 이루어지고 최근까지 시야를 확

보하기 위한 화공작전으로 봄마다 산불이 빈번하여 동쪽의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극상림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하지만 개발과 일반인의 손길에서 벗어나 있고 산불로 인해 서식지의 이질

성이 커져 생물다양성은 매우 높습니다.

비무장지대는 남방계 생물과 북방계 생물이 교류하는 자리에 있습니다. 또한 지구상에서 유

일하게 온대지역의 천이과정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곳의 생태적 가치가 뛰어난 이유는 한

반도 중부지역의 동서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해안 생태계부터, 하천 배

후습지, 농경습지, 산간계곡습지, 산림생태계가 다양하게 어우러져 희귀 동식물의 안식처가 되

었습니다.

생명의 보금자리로 거듭나는 땅, 비무장지대

비무장지대 김화남대천 습지 : 전쟁에서 비롯된 냉전의 유산, 비무장지대. 반세기 넘게 개발과 일반인의 손길에서 벗어나 있고 산불로 인해 서식지의 이질성이 커져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습니다. 비무장지대의 모든 물줄기 주변이 자연천이 과정을 거쳐 습지로 변한 상태입니다.

DMZ 생태지도 02

Page 4: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비무장지대 일원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우리의 삶은 수많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이 복잡하고도 오묘하게 얽혀 만

들어내는 생태계에 의해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100년간 인간에 의

한 과도한 채취와 남획, 서식지 훼손, 기후변화와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생

태계가 파괴되어 많은 생물종들이 멸종되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우리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에 주목하는 이유는 지구상에 존재하

는 생명 하나하나가 조화롭고 건강한 생태계에서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구

성원이기 때문입니다.

환경부는 우리나라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을 보전하기 위

해 멸종위기 동·식물 1·2급을 지정하여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1급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

하게 감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로 현재 50종이 지정되어 있습

니다.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어 현재의 위협 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아니

할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 동·식물로 171종

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본 생태지도에서 담고 있는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지역

의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DMZ 생태지도 04

●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1급 (11종)

포 유 류

조 류

양 서 . 파 충 류

곤 충 류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수달

검독수리 두루미 흰꼬리수리

구렁이 먹구렁이 황구렁이

장수하늘소

05

Page 5: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 (37종)

포 유 류

조 류

담비 삵 하늘다람쥐

쇠황조롱이 수리부엉이 재두루미 잿빛개구리매

조롱이 참매 큰기러기 큰덤불해오라기 호사비오리

흑두루미 흰목물떼새

말똥가리 벌매 비둘기조롱이 새홀리기 솔개

개구리매 개리 까막딱다구리 독수리 뜸부기

DMZ 생태지도 06

양 서 . 파 충 류

곤 충 류

식 물 상

어 류

꼬마잠자리 물장군 왕은점표범나비

맹꽁이 표범장지뱀

가는돌고기 꾸구리 묵납자루 잔가시고기 한둑중개

독미나리 솔나리 조름나물

07

Page 6: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비무장지대 일원 깃대종

- 개리 Anser cygnoides / 기러기목 오리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겨울철새인 개리는 목 앞쪽의 밝은 갈색과 뒤쪽의 진한 갈색이 뚜렷이 구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부리는 검은색, 다리는 주황색으로, 하구나 갯벌같은 물가에서 서식하면서 땅을 파헤치며 식물의 뿌리, 종자, 물고기,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습니다. 한강과 임진강 하구 지역이 우리나라 최대 도래지이며, 3월과 11월에 러시아의 번식지와 중국의 월동지를 이동하면서 많은 수가 우리나라에서 쉬어 갑니다.

- 독수리 Aegypius monachus / 매목 수리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몸 전체가 균일한 검은 갈색으로 우리나라를 찾는 수리류 가운데 가장 큰 편에 속합니다. 맹금류에 속하지만 사냥능력이 떨어져 주로 동물의 시체를 먹고 살고, 때로는 텃새인 까치와 까마귀의 공격을 받기도 합니다. 파주 장단반도와 철원 토교저수지 인근에서 겨울철마다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먹이주기를 하기 때문에 무리지어 쉬고 있는 독수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새홀리기 Falco subbuteo / 매목 매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매와 비슷하지만 매보다 크기가 작고 머리와 날개는 검은색을 띠고 가슴과 배에 세로의 검은 줄무늬가 있습니다. 여름철 우리나라를 찾아 번식하는 새로 주로 개활지의 숲에 서식하며, 때로 도시나 교외지역의 공원이나 야산 등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관찰되기도 합니다. 주로 잠자리, 딱정벌레, 메뚜기 등의 곤충류를 먹고 살며 비무장지대 일원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합니다.

서부지역

DMZ 생태지도 08

깃대종이란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대표하는 상징종으로 생태계의 여러 종 가운데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생물종을 뜻합니다.

- 구렁이 Elaphe schrenckii / 유린목 뱀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길이는 110~200cm로 한국에서 서식하는 뱀 중에서 가장 큽니다. 잡목림이나 활엽수림 혹은 혼효림 지역에서 발견되고, 사람의 간섭이 적은 민가 부근 등 저지대에서 서식합니다. 야산일대에서 서식하는 먹구렁이와 민가 근처에서 서식하는 황구렁이 두 형태가 있습니다. 쥐류, 개구리 등을 먹고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지만 개체 수는 매우 적습니다. 연천, 철원, 화천, 고성 비무장지대 일원에서 서식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 식육목 고양이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삵은 황갈색 몸에 볼규칙한 검은 반점이 있고 띠무늬가 선명합니다. 주로 쥐나 토끼 같은 작은 짐승을 잡아먹는 삵은 호랑이나 표범이 사라진 우리나라에서 최상위 포식동물입니다. 산림지역부터 인가 근처 야산까지 다양한 서식지를 가지며 밤에 주로 활동합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비무장지대 일원에서는 전 지역에서 서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 매목 수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잿빛개구리매 수컷은 몸이 전체적으로 밝은 회색을 띠고 날개 끝이 검은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암컷은 몸 윗면이 암갈색이고 몸 아랫면은 흐린 갈색에 줄무늬가 있습니다. 풀이나 관목으로 이루어진 초지, 초원, 경작지나 습지 같은 탁 트인 공간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작은 포유류나 조류를 주로 잡아먹습니다. 비무장지대 일원 연천과 철원지역에서 관찰됩니다.

서부 산간지역

09

Page 7: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 두루미 Grus japonensis / 두루미목 두루미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두루미는 전 세계에 약 2,800마리밖에 남지 않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입니다. 러시아와 중국북부의 습지대에서 번식을 하고, 약 800마리 정도가 10월말에서 3월초까지 우리나라 비무장지대 일대에서 겨울을 납니다. 철원평야와 임진강 유역 민통선 지역에서 먹이활동을 하거나 쉬고, 비무장지대 안에서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로부터 장수를 전하는 새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지만 최근 계속되는 개발사업으로 서식지와 함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 뜸부기 Gallicrex cinerea / 두루미목 뜸부기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뜸부기는 우리나라를 찾는 여름철새로, 수컷은 몸이 전체적으로 검은색, 암컷은 황갈색을 띱니다. 수컷은 번식기에 이마에 붉은 판을 가집니다. 논과 다양한 형태의 습지에 서식하며, 곤충류·달팽이·수생동물 등의 동물성 먹이와 벼·풀·수초 씨앗 등의 식물성 먹이를 먹습니다. 과거에는 여름철 전국적으로 우리나라를 찾아왔으나 지금은 드물게 오고 있습니다. 비무장지대 일원에서는 철원평야에서 관찰됩니다.

중부지역

비무장지대 일원 깃대종

-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 매목 수리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흰꼬리수리는 늦가을 시베리아와 몽골에서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겨울철새로, 저수지, 강 하구, 해안가 등 주로 물가에서 서식합니다. 어린 흰꼬리수리는 부리와 꼬리가 흑갈색이지만 5년 이상이 지나면 부리와 발은 노란색, 꼬리는 흰색을 띱니다. 어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먹이를 잡아먹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물고기를 주 먹이로 합니다. 연천 임진강 유역, 파주 임진강 하구, 철원 비무장지대에서 관찰됩니다.

DMZ 생태지도 10

- 말똥가리 Buteo buteo / 매목 수리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말똥가리는 지역과 아종에 따라 깃털이 매우 다양한데,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말똥가리는 대체로 머리와 날개는 어두운 갈색, 가슴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을 띱니다. 숲의 가장자리, 경작지, 산림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하고 주로 설치류, 곤충류, 양서·파충류를 잡아먹습니다. 전국에 도래하는 겨울철새이며 비무장지대 일원 전 지역에서 고루 관찰됩니다.

- 재두루미 Grus vipio / 두루미목 두루미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재두루미는 머리와 목 뒷부분을 제외한 몸 전체가 회색이고, 눈 주위가 붉은 것이 특징입니다. 전 세계에 약 6,000마리 정도가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번식지는 러시아와 중국 북부 습지대로 대부분 두루미 번식지와 겹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철원, 연천, 파주, 한강하구가 주요한 월동지로 비무장지대를 따라 서식지가 띠 형태를 이룹니다. 주로 농경지와 갯벌, 저수지 등에서 수서무척추동물, 양서류, 어류, 식물의 열매와 곡물 등을 먹습니다.

- 큰기러기 Anser fabalis / 기러기목 오리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10월경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3월경 북쪽으로 떠나는 겨울철새입니다. 기러기 종류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크고, 검은 부리에 노란 띠가 특징입니다. 저수지, 호수, 강, 갯벌, 매립지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월동하며 주로 식물성 먹이를 먹는데, 몸집이 크기 때문에 주변이 탁 트인 농경지나 강가를 좋아합니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임진강 하구, 연천과 철원평야에서 볼 수 있습니다.

11

Page 8: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 우제목 사향노루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사향노루는 전체적으로 고리니와 비슷하지만 좀 더 작고 수컷 사향노루는 송곳니와 목에 두 줄의 흰색 선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바위가 많은 높은 산악지대에 서식하고 이끼, 연한 풀, 나무의 어린 순, 열매 등을 먹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던 사향노루가 2007년에 양구군 천미리 지역에서 배설물이 확인된 것에 이어, 2009년~2010년 DMZ 내부 북한강 서쪽의 철원 산악지역에서 무인카메라에 여러 번 촬영되면서 비무장지대 일대가 사향노루의 유일한 서식처임이 확인되었습니다.

- 수달 Lutra lutra / 식육목 족제비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수달은 하천과 저수지, 해안과 도서지방에서 서식하며 어패류와 양서·파충류를 먹습니다. 주로 밤에 활동을 하지만, 사람이 없는 지역에서는 낮에도 활동을 합니다.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지역의 북한강을 따라 수달이 남북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쪽부터 동쪽까지 비무장지대 일원의 하천과 습지 주변에서 수달의 서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북한강 지역

비무장지대 일원 깃대종

DMZ 생태지도 12

- 담비 Martes flavigula / 식육목 족제비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머리와 발 아랫부분, 꼬리는 진한 갈색이고, 턱 아래에서 가슴까지는 밝은 노란색, 그 외 부분은 흐린 갈색을 띱니다. 주로 낮에 활동하고 깊은 산림 내부지역에서 서식합니다. 잡식성으로 청설모, 다람쥐, 조류, 개구리, 뱀 등을 잡아먹고, 머루나 다래, 고욤과 꿀도 잘 먹습니다. 비무장지대 일대 산림지역에서 고루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반달가슴곰 Ursus thibitanus ussuricus / 식육목 곰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고산지대의 활엽수, 침엽수 및 혼효림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가슴에 V자로 흰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도토리, 나무열매, 곤충 등을 주로 먹는 잡식성으로 겨울철에는 바위굴이나 나무 구멍에서 겨울잠을 잡니다. 비무장지대 일원에서는 2005년에 철원 DMZ 안에서 군부대의 야간 감시장비를 통해 촬영된 것에 이어, 2007년 양구군 대암산 자락에서 반달가슴곰의 배설물이 세 차례에 걸쳐 확인되었습니다.

-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 쥐목 청설모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몸의 윗부분은 회색, 아랫부분은 흰색을 띠며, 앞다리, 몸 쪽, 뒷다리를 잇는 막이 있어서 활공할 수 있습니다. 울창한 산림지역에서 서식하며 주로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나무의 어린잎, 순과 눈을 주로 먹고 곤충과 밤, 호두, 개암도 먹습니다. 비무장지대 동부 화천, 양구, 고성 산림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중동부 산악지역

13

Page 9: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 산양 Nemorhaedus caudatus / 우제목 소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산양은 산악 산림지역에 사는 전형적인 동물로 주로 절벽 및 급경사지에 집단으로 서식합니다. 암컷, 수컷 모두 뿔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는데 목 앞부분과 발굽 위가 흰 것이 특징입니다. 풀, 산열매, 도토리, 이끼 등을 먹고 겨울철에는 침엽수의 잔가지나 초본류를 먹습니다. 비무장지대 중동부 산악지역에서 동부 산악지역까지 고르게 발견되고 있고, 설악산, 울진, 삼척, 봉화지역에서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 솔나리 Lilium cernuum Kom / 백합목 백합과 /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

여러해살이풀인 솔나리는 주로 높은 산꼭대기나 바위틈에서 자랍니다. 임진강과 한강의 분수령인 적근산부터 화천, 양구, 인제의 비무장지대 일원 산속 깊은 곳에 서식합니다. 산악지역의 전술도로 비탈면에서 자주 만나게 되고, 8월이면 양구 가칠봉 능선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을 따라 춤추듯 무리지어 피는 솔나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동부 산악지역

비무장지대 일원 깃대종

DMZ 생태지도 14

-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 매목 수리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검독수리의 몸은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머리꼭대기와 뒷목은 황갈색입니다. 어린 새는 날개와 꼬리에 흰색의 띠가 있습니다. 산악지역에 간혹 텃새로 서식하기도 하며, 겨울철에 드물게 찾아오기도 합니다. 산지, 고원, 초원에서 서식하고 쥐나 토끼와 같은 중소형 포유류와 중대형 조류를 주로 잡아먹습니다. 고성과 화천, 철원, 연천 비무장지대 일원에서 관찰됩니다.

-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Tanaka) / 큰가시고기목 큰가시고기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잔가시고기는 주로 하류의 물이 맑고 수온이 낮으며 정체된 지역에서 살고 깔따구 유충, 실지렁이, 물벼룩 등의 소동물을 먹고 삽니다. 몸은 가늘고 길며 좌우로 납작하고 등쪽에는 작고 날카로운 가시가 7~9개 있습니다. 수컷이 수초를 이용하여 둥지를 만들고 암컷을 유인하여 산란시킨 후에 알이 부화하여 떠날 때까지 치어를 보호하다가 죽습니다. 동해로 흐르는 일부 하천과 낙동강(영천)에만 서식하는 잔가시고기는 비무장지대 고성지역의 깃대종입니다.

-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Mori / 횟대목 둑중개과 /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한둑중개의 몸은 좌우로, 머리는 아래위로 약간 납작합니다. 각 지느러미에 점무늬가 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천 하류의 유속이 빠르고 돌과 자갈이 많은 여울에서 살며 주로 수서곤충을 먹습니다. 동해로 흐르는 하천의 하류지역에 서식하는 비무장지대 고성지역의 깃대종입니다.

동해안 지역

15

Page 10: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파주시

독수리

독수리

두루미

두루미

재두루미

말똥가리

말똥가리

장단반도습지

사천강습지

사천강

독수리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개리

개리

수달

참매

참매

큰기러기

큰기러기

큰기러기

DMZ 생태지도 16

초평도습지

임진강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일월봉

비무장지대 사천강

파주 비무장지대 사천강 주변습지

임진강 초평도 습지

사천강은 황해도 장단군 용호산에서 시작

해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을 따라 평행하

게 남쪽으로 흘러 임진강과 만납니다. 비

무장지대를 대표하는 습지로 생물다양성

이 풍부합니다.

야산으로 내달리던 비무장지대가 사천강에

서 드넓은 평원과 습지를 펼쳐냅니다.

초평도는 임진강의 흐름이 바뀌면서 하천

한복판에 생긴 퇴적지형입니다. 미확인지

뢰지대로 철새와 습지식물에게는 더없이

안락한 장소입니다. 습지 생태계를 선호하

는 두루미, 재두루미, 큰기러기, 쇠기러기

같은 겨울철새들의 주요 월동지입니다. 먹

잇감이 풍부해 맹금류의 종 다양성이 높고, 물수리, 흰꼬리수리, 붉은배새매, 새홀리

기, 황조롱이 등이 발견됩니다.

개리 Anser cygnoides 기러기목 오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17

독수리 Aegypius monachus 매목 수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Page 11: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연천군 1

두루미

물장군

사미천평원습지

독수리

말똥가리

꼬마잠자리

재두루미

장수하늘소

참매

가는돌고기

꾸구리

큰기러기

큰기러기

사미천

판부리습지

황계산

DMZ 생태지도 18

새홀리기 Falco subbuteo 매목 매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새홀리기

황구렁이

독수리

독수리

황구렁이

조롱이

벌매

벌매

사미천

사미천 습지

사미천은 북에서 남으로 흐르며 비무장지대 안에서 드넓은 평원을 이룹니다. 하천 중류

일부 구간에서 자유 곡류하는 하천의 원형을 보여줍니다.

사미천 본류와 지류에는 지금도 곳곳에 옛 농경

지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논과 논두렁

길의 흔적이 뚜렷이 보입니다. 한반도에서 비무

장지대 이외의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역사

가 빚어낸 비무장지대 특유의 자연경관입니다.

19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Page 12: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연천군 2

새홀리기

묵납자루

고장리습지

검독수리

독수리

독수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꾸구리

재두루미

재두루미

잿빛개구리매

참매

호사비오리

흰꼬리수리

두루미

두루미

개구리매

개구리매

조롱이

임진강

기곡리습지

중사리습지

마량산

고왕산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매목 매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매목 수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 깃대종

DMZ 생태지도 20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담비

수달

수달

큰기러기

비무장지대 임진강

연천군 중면 임진강 장군여울

임진강은 북쪽의 두류산에서 시작해 경기도 연천에서 비무장지대를 지나

남쪽으로 흐릅니다. 임진강 중류 태풍전망대 일대는 배후습지와 농경지가

발달해 두루미, 재두루미, 큰기러기, 쇠기러기의 주요 월동지가 됩니다.

임진강의 오랜 퇴적작용으로 생긴

충적지대는 주민들의 농지로 이용

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서식하

는 두루미는 우리나라에서 월동하

는 두루미의 약 20% 정도로, 임진

강 여울을 잠자리와 쉼터로 이용하고 강기슭에 펼쳐진 율무밭을 주요 취

식지로 삼습니다.

고왕산

비무장지대 서부지역은 낮은 구릉

성 산지가 주를 이룹니다. 숲이 초

라한 것은 해마다 발생하는 산불

때문입니다. 해마다 불이 나고 회

복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숲은 초지부터 키 큰 나무까지 다양하게 어우러

진 모습을 띠게 되었습니다. 겉보기에는 빈약하지만 어느 생태계보다 역

동성을 품고 있습니다.

21

Page 13: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연천군 3

복개평원습지

역곡천습지

역곡천습지

역곡천

독수리

새홀리기

왕은점표범나비

큰덤불해오라기

두루미

담비

천덕산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식육목 고양이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DMZ 생태지도 22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독수리

말똥가리

검독수리

복개평원 습지

천덕산

비무장지대 서부 산간지역

비무장지대 서부에서 중부로 넘어가면서 평강군에서 발원한 역곡천이

비무장지대를 가로지르며 습지를 만듭니다. 복개평원 습지는 역곡천의

지류에 속하는 곳으로 경관이 뛰어납니다.

임진강을 건너면서 산세가 뚜

렷해집니다. 천덕산과 야월산

일대까지 제법 옴팡진 산세를

보이며 산의 구석마다 너른 골

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비무장지대 서부 산간지역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낮은 구

릉성 산지와 산불 이후 천이

하고 있는 숲, 풀로 뒤덮인 평

지습지가 어우러져 있습니다.

.

야월산

23

Page 14: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철원군 1

역곡천습지

역곡천참매

새홀리기

참매

두루미흑두루미먹구렁이

구렁이 Elaphe schrenckii 유린목 뱀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두루미 Grus japonensis 두루미목 두루미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뜸부기 Gallicrex cinerea 두루미목 뜸부기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DMZ 생태지도 24

성산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철원샘통및농지습지

월정리역주변습지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맹꽁이

큰기러기

큰기러기

황조롱이

뜸부기수달

묵납자루

말똥가리

말똥가리

두루미

두루미황구렁이

구렁이

비둘기조롱이

비둘기조롱이

철원 샘통 및 농지습지샘통을 포함한 철원의 농지습지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주요

월동지로 유명합니다. 겨울철에도 얼지 않는 물과 철원평야의

낙곡이 있어 겨울철새에게는 훌륭한 잠자리와 먹이활동 공간

입니다. 두루미, 재두루미, 독수리, 쇠기러기, 큰기러기, 말똥

가리, 수리부엉이 등이 관찰됩니다.

월정리역 주변습지

철원을 가르는 철책선 북쪽으로 평강고원이 펼쳐집니다. 월정리

역에서 평강고원까지 이어지는 비무장지대 안 습지는 산불 천이

의 초기양상을 보입니다. 오리나무와 참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고 나무가 없는 곳은 온통 풀로 덮여있습니다. 곳곳에 널린

소택지에서는 멀리서도 고라니가 노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5

상류천

Page 15: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철원군 2

한탄강민들레벌판

김화 남대천

한탄강

토교저수지

독수리

독수리

말똥가리

큰기러기

새홀리기

물장군

맹꽁이

맹꽁이

두루미

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흰꼬리수리

한탄강

30만년 동안 바람과 물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만들어진 한

탄강의 협곡은 깊이가 평균 50m에 이릅니다. 협곡 위로는

광활한 평지습지가 펼쳐집니다. 한탄강 상류는 수질이 매우

깨끗하고 우수한 생물종 다양성을 품고 있습니다.

DMZ 생태지도 26

참매

말똥가리

한탄강과 김화남대천이 만나는 당구미 일대

김화읍 도창리 민통선 농경지

임진강 수계인 한탄강과 김화남대천은 묵납

자루의 주요한 서식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철원 민통선 지역은 용암이 만들어낸 넓은

농지가 특징입니다. 제법 높은 산 아래 평

야지대가 펼쳐지고 계절을 따라 철새들의

보금자리가 됩니다. 뒤로 안암산 일대가 보

입니다.

안암산

재두루미 Grus vipio 두루미목 두루미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큰기러기 Anser fabalis 기러기목 오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27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Page 16: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철원군 3

김화남대천습지

김화남대천

독수리

독수리

독수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큰기러기

새홀리기

물장군담비

담비

잿빛개구리매

계웅산에서 바라본 비무장지대

계웅산은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된

계곡습지 자생지입니다. 계웅산과 천불산

사이 남대천을 중심으로 일종의 늪지대 양

상을 띠고 있고, 습지식생 연구에 중요한 보

호가치가 높은 습지지역입니다.

천불산

성제산

안암산

계웅산

DMZ 생태지도 28

말똥가리

참매

참매검독수리

산양

구렁이

김화남대천은 북의 아침리를

지나 비무장지대를 지나며 생

명력 넘치는 습지를 형성합니

다. 비무장지대를 대표하는

자연하천으로 낮은 산지와 평

원, 하천습지가 하나로 연결

된 생태계의 어울림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수달과 묵납자루

의 서식지로 생물종 다양성이

뛰어나고 경관이 매우 아름답

습니다.

비조봉

삼천봉

대성산

말똥가리 Buteo buteo 매목 수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김화남대천 습지

29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Page 17: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철원군 4 화천군 1

쌍룡천

벌매

참매

독수리

독수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새홀리기

담비

비조봉 적근산

철원군 장고봉

삼천봉

대성산

담비 Martes flavigula 식육목 족제비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DMZ 생태지도 30

적근산

민간인의 간섭을 받지 않아 계곡부의 식생

이 양호하며 담비, 수달, 삵이 빈번히 관찰

됩니다. 이 지역은 한강 수계와 임진강 수계

의 경계로 양 수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산림

생태계입니다.

백암산

화천군

금성천

독수리

독수리

황구렁이

하늘다람쥐

표범장지뱀

새홀리기

담비

담비

산양

쌍룡천은 적근산과 백암산의 골짜기를 따라

남에서 북으로 흘러 비무장지대 안에서 금

성천을 만납니다. 남방한계선을 지나며 넓

은 버드나무 군락을 형성합니다.

수달

쌍룡천

31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Page 18: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철원군 5 화천군 2

금성천

북한강독수리

독수리

검독수리

황구렁이

말똥가리

말똥가리

사향노루

새홀리기

벌매

수달

수달

수달

수달

담비

담비

산양

산양

산양

산양

백암산

DMZ 생태지도 32

철원군

화천군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북한강

북한강은 비무장지대를 관통하는

물길 가운데 가장 큰 하천입니다.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의 북한

강 본류는 우리나라에서 마지막이

라 해도 과언이 아닌 하천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강원도 철원군 원동면과 화천군 풍

산리 일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북한

강 본류지역에 나타나는 하천식생

은 산림지역 하천에서는 보기 드문

경관을 자랑합니다. 둔치일대에는

버드나무 군락을 비롯해서 다양한

식생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우제목 사향노루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수달 Lutra lutra 식육목 족제비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 깃대종

백암산

33

양구군

Page 19: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양구군 1

수입천

하늘다람쥐

하늘다람쥐

말똥가리

사향노루새홀리기

수달

삵담비

담비

담비

산양

백석산

어은산

DMZ 생태지도 34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하늘다람쥐

백석산

비무장지대와 인접한 활엽수 천연림지대로 사람의 간섭으로

줄어들기 쉬운 생물종이 많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산골짜기에

서 야생동물의 발자국과 똥을 많이 볼 수 있고 계곡 천에는

많은 열목어가 서식하는 자연성이 높은 곳입니다.

두타연 상류의 수입천은

산악형 자연하천으로 여

울과 소가 잘 어우러진

열목어 최상의 서식지입

니다. 아름다운 자연경관

으로 이름난 두타연 일대는 협곡이 길고 유량이 많으며 청

정합니다.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쥐목 청솔모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수입천 두타연

35

Page 20: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양구군 2

솔나리

독수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까막딱다구리

반달가슴곰

새홀리기

수달

수달

왕은점표범나비독미나리

참매

대우산

대암산

가칠봉

도솔산

DMZ 생태지도 36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대우산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과 동면

일대에 위치하며 희귀식물 자

생지인 동시에 멸종위기 동물

의 서식처입니다. 대우산을 중

심으로 뻗은 가칠봉 ~ 매봉은

북으로 금강산까지 이어져 생

태 . 지리적으로 매우 주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전체에

해당하는 해안분지는 그 능선

을 따라 서쪽으로는 양구군 동

면과 맞닿아 있고 북쪽과 동쪽

으로는 인제군 서화면이 위치

해 있습니다. 화학적 풍화에 약

한 화강암이 풍화에 강한 주변산지의 변성암보다 침식을 많이 받아 저

지대를 이루었습니다.

솔나리 Lilium cernuum Kom 백합목 백합과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

* 깃대종

해안분지

37

인북천

Page 21: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인제군

조름나물

독수리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반달가슴곰

새홀리기

수달

수달

수달

가칠봉

대암산

DMZ 생태지도 38

인북천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독수리

인북천

인북천은 강원도 인제군 이포리 북쪽에서 시작

해 북에서 남으로 흘러 북한강과 합류합니다. 비

무장지대 안에서 하천습지가 폭넓게 발달해 있

고 민통선 지역으로 내려와 가전리에서 넓은 습

지를 만듭니다.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에 위

치한 고층습원과 유용 . 희귀식물의

자생지입니다. 대암산 일대는 녹지자

연도 9등급에 해당하는 우수한 산

림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

라 유일한 고층습원인 용늪이 위치

하고 있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대암산 용늪은 1997년 국내에서

최초로 국제습지조약(람사조약)의 습지보호지역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반달가슴곰 Ursus thibitanus ussuricus 식육목 곰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 깃대종

대암산 용늪

향로봉

39

Page 22: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고성군 1

솔나리

독수리

독수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솔개

담비

담비

까막딱다구리

황구렁이

먹구렁이

하늘다람쥐

산양

산양

수달

수달

향로봉

건봉산

DMZ 생태지도 40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고진동

남강

잔가시고기

수달

수달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강원도 고성군과 인제군에 걸쳐 있습니

다. 향로봉 ~ 건봉산을 지나 비무장지대

까지 이르는 이곳은 우리나라 중부 온대

림의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습니다. 사

람의 손이 닿지 않아 숲이 울창하고 동

식물상이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입니다.

백두대간이 지나는 향로봉 일대는 동부

산악지역에서 가장 양호한 식생구조를 가

지고 있으며 금강초롱, 솔나리, 왜솜다리,

말나리, 금마타리가 발견됩니다.

산양 Nemorhaedus caudatus 우제목 소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Tanaka) 큰가시고기목 큰가시고기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향로봉

41

남강

동해안 수계인 남강은 연어, 은어같은 온

갖 물고기와 수달을 비롯한 동물들의 고

향입니다. 금강산에서 시작한 물줄기가

사람들의 손발이 닿지 않아 때 묻지 않

은 청정 물줄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남

강 상류 고진동 계곡과 사천천은 산양의

대표 활동 무대입니다.

Page 23: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고성군 2

독수리

말똥가리

말똥가리

수리부엉이

잔가시고기

새홀리기

검독수리

한둑중개

산양

참매

비둘기조롱이

수달

큰까치봉

작은까치봉

오소동

고황봉

구선봉

감호

DMZ 생태지도 42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민통선지역 백두대간의 정점인 향로봉

을 지나면 건봉산 ~ 작은까치봉 ~ 큰

까치봉으로 이어지는 동해안이 펼쳐집

니다.

비무장지대 동해안 지역에는 남강의 하천습지와 하구의 삼각주가 발달해 있고,

동쪽으로 해금강도 볼 수 있습니다. 동해안의 감호는 원형이 보존된 석호로 강

물이 바다로 들어가면서 섞여 소금농도가 다양해 여러 생물들이 살아가는 기

수역 습지입니다.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매목 수리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Mori 횟대목 둑중개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 깃대종

큰까치봉

동해안 습지와 감호

43

Page 24: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비무장지대 일원 문화재

비무장지대 일원 마을

비무장지대 일원은 생태 가치 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의 측면에서도 중요합니다. 비무장지대는 전 세

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냉전의 공간으로

냉전과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집약해서 보여주고 있

기 때문입니다. 체제 선전을 위한 각종 선전구호판,

심리전 부대를 운용하여 펼쳐졌던 대남ㆍ대북방송,

삼중의 육중한 철조망, 현대판 성곽인 대전차방벽

같은 것은 완벽한 냉전시대의 유산입니다. 극심한

동서냉전과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서 한민족이 겪어

온 역사적 아픔과 질곡을 비무장지대는 오롯이 품

고 있습니다. 비무장지대를 통해 인류가 냉전의 역

사를 기억하고 평화의 토대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

록 잘 보전해야 합니다.

민간인의 출입을 통제하는‘민통선’안쪽으로도 일반인이 거주하는 마을이 여럿 있습니다.

전쟁 전부터 있던 마을을 수복한 곳도 있고, 농경지 확보와 대북선전을 위해 정부에서 조성한

마을도 있습니다. 2008년 12월, 민통선이 군사분계선 이남 15km에서 10km로 북상하면서

현재 민통선 북쪽에 민간인이 거주하는 마을은 법정리 단위로 전체 17곳입니다.

비무장지대 일원 문화재와 마을

경기도 파주시 대성동 자유의 마을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한 유일한 마을로 전쟁이 끝난 후, 대대로 이 마을에 살던 주민들이 다시 돌아와 마을에 정착했습니다. 전쟁 전 장단군 군내면 조산리에서 1962년 파주군 군내면 조산리로 행정구역이 개편됐습니다.

서쪽 임진강부터 동쪽 동해안까지 248km를 잇는 철조망비무장지대는 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냉전의 공간으로 냉전과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집약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DMZ 생태지도 44

민통선 마을은 겉으로 보기에는 농촌의 여느 마을과 크게 다르

지 않습니다. 그러나 군사적 통제 아래 민통선 마을은 뼈아픈 질

곡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민통선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는

한반도 냉전 역사의 한 단면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소외되고 잊혀

져가는 우리의 역사를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은 중요합니다. 또한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동의와 참여 없이 비무장지대의 자

연과 문화를 보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민

통선 마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철원군 근북면 유곡리 통일촌 마을 기념비유곡리 통일촌은 1973년 전선방위와 유휴경지 활용을 목적으로 정부에 의해 민간인 30세대, 군인 30세대가 입주해 조성됐습니다.

구분 명칭 행정구역 가구(세대) 인구(명)

1 대성동 자유의 마을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 58 193

2 백연리 통일촌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152 449

3 동파리 해마루촌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동파리 52 145

4 횡산리 경기도 연천군 중면 횡산리 53 134

5 양지리 철새마을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103 252

6 이길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71 162

7 정연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정연리 95 249

8 유곡리 통일촌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 유곡리 58 139

9 생창리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 110 283

10 마현1리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1리 185 384

11 마현2리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마현2리 112 225

12 현1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현1리 138 355

13 현2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현2리 135 359

14 현3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현3리 47 136

15 오유1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오유1리 59 167

16 오유2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오유2리 56 155

17 만대리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 79 229

※ 자료 : 2008년 각 시·군 통계연보 자료

45

Page 25: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비무장지대 서쪽 파주부터 동쪽 고성까지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전망대는 모두 11곳으로, 비

무장지대를 눈 앞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민통선 지역

안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출입절차를 밟아야 들어갈 수 있습니다. 대부

분 해당 시군에서 전망대 출입 절차를 처리하고 있으며 사전에 미리 해당기관에 문의하여 방문

일정을 잡아야 합니다. 전망대와 함께 주변에 안보 목적으로 일반인에게 개방된 땅굴을 둘러

볼 수도 있습니다. 전망대를 방문하려면 신분증을 꼭 지참해야 합니다.

비무장지대 일원 방문정보

연천군 열쇠전망대

명칭 위치 문의전화 출입시간

오두산통일전망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오두산 통일전망대 (031-945-3171) 9:00 ~ 17:00

도라산전망대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임진각 관광안내소 (031-953-4744) 9:20 ~ 15:00

승전OP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장남면 주민센터 (031-839-2630) 9:00 ~ 16:00

상승OP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백학면 주민센터 (031-839-2735) 9:00 ~ 16:00

태풍전망대 경기도 연천군 중면 연천군청 문화관광과 (031-839-2828) 9:00 ~ 16:00

열쇠전망대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연천군청 문화관광과 (031-839-2828) 9:00 ~ 16:00

평화전망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철의삼각전적지 관광사업소 (033-450-5558) 9:30 ~ 14:00

승리전망대 강원도 철원군 근동면 승리전망대 매표소 (033-450-5900) 9:30 ~ 16:30

칠성전망대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화천군청 자치행정과 (033-440-2307) 9:00 ~ 17:00

을지전망대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양구 통일관 (033-481-9021) 9:00 ~ 16:00

고성통일전망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고성 통일전망대 (033-682-0088) 9:00 ~ 15:30

DMZ 생태지도 46

-

-

-

-

-

-

-

-

-

-

-

-

-

-

-

-

-

산림청 임업연구원, 2000,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보고서

환경부, 2003,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조사결과 종합보고서

환경부, 2005,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화보집

한국산지보전협회, 2006, DMZ 야생동물 현황과 보전관리에 관한 연구 보고서

환경부, 2007, 민통선 및 접경지역 주요 멸종위기 포유류 정밀조사 사업

박병상, 2007, 이것은 사라질 생명의 목록이 아니다

녹색연합, 2008, DMZ 155마일을 걷다: 2008 비무장지대 일원 환경실태보고서

환경부, 2008, DMZ 내부 1차 조사·연구보고서

국방부, 2008.09.22. [고시공고] 군사시설보호구역 조정 (해제, 변경, 지정) 결정 지형도면 고시

환경부, 2008.11.15. [보도자료] DMZ 생태·산림·문화재 합동조사 중간결과

경기도, 2008, DMZ 일원 평화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생태조사

환경부, 2009,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서 2008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9.10.05. [보도자료] 비무장지대 [DMZ] 생태계 가치 새롭게 발견/

환경부, 중부지역 생태계 정밀조사 결과 발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9.11.06. [보도자료]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의 보고 민통선지역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0.01.08. [보도자료] DMZ 북한강 상류 에머랄드 물빛 비경

[동영상] 최초 공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0.10.15. [보도자료] DMZ에 멸종위기 사향노루 서식,

생태계의 보고 재확인

경기관광공사, 2010, 습지로 떠나는 아주 특별한 여행

참고자료

47

Page 26: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

박영신

녹색연합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113-34

02-747-8500 www.greenkorea.org

2011년 2월

유소영

심영은

우동걸

녹색연합

DMZ 생태지도

녹색연합 등록번호 : 01-11-02-01

펴낸이

펴낸곳

펴낸날

글쓴이

일러스트

감수

만든곳

* 이 책에 실린 글과 그림, 사진을 포함한 모든 내용은 저작권자와 협의 없이 무단 게재 및 복제를 할 수 없습니다.

Page 27: 비무장지대 생태지도 (DM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