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
ISSN 1738-253X JKHS 30, 2019-12 효 학 연 구 Journal of Korean Hyo Studies 제 30 호 2019. 12. THE KOREAN HYO STUDIES ASSOCIATION

효 학 연 구 · 미들을 켄 윌버의 통합론으로 살펴보니, 1, 2, 3층이라는 수준에 의거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1층 수준의 효는 고래로 지금까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ISSN 1738-253XJKHS 30, 2019-12

    효 학 연 구Journal of Korean Hyo Studies

    제 30 호

    2019. 12.

    한 국 효 학 회THE KOREAN HYO STUDIES ASSOCIATION

  • 〔논 문〕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 박희원 ·········································································································· 1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 제주형 ········································································································ 19

    효의 관점에서 본 대화적 교육

    / 최남운 ········································································································ 45

    부모-자녀 의사소통, 효의식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몽골 비교연구

    / 나란도람, 김태균 ························································································ 75

    제 30 호 목 차 2019. 12.

  • Journal of Korean Hyo Studies

    〔ARTICLES〕

    A Study on Harmony HYO based on Integrational Viewpoint

    / Park, Hwee Won ····································································································· 1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Biblical Hyo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 Je, Joo Hyung ······································································································ 19

    Interactive Dialogu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yo

    / Choi, Nam Woon ··································································································· 45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Hyo consciousness on Youths'

    Self-esteem : Korea-Mongolia Comparative study

    / Galdandorj Narandulam, Kim Tae Kyun ····························································· 75

    THE KOREAN HYO STUDIES ASSOCIATION

    Vol. 30 December, 2019

  • 1

    『효학연구』제30호 https://doi.org/10.34228/khyosa.2019.30.1

    한국효학회, 2019. 12. pp. 1-17.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A Study on Harmony HYO based on

    Integrational Viewpoint

    박 희 원성산효대학원대학교 교수

    ◈ 목 차 ◈

    Ⅰ. 서 언

    Ⅱ. 켄 윌버의 통합론으로 살펴 본 효

    1. 시대 패러다임에 따른 통합론의 활용

    2. 의식의 스펙트럼

    Ⅲ. “하모니 7효”의 이해와 분석

    1. 1층 수준의 전통적 효

    2. 2층 수준의 성찰적 효

    3. 3층 수준의 전일적 효

    Ⅳ. 결 어

    인간사회에서 협력하고 사랑하도록 하는 해법을 효의 관점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효는 자녀가 부모를 잘 섬기는 일이다”라는 명제는 문헌에 기록되기 이전에도 존재한

    사실임이 확인 가능하다.

    효에 관한 문헌 자료는 주대(周代)의 금석문으로 부터이다. 중국의 시경, 서경에서

    찾을 수 있으며, 성경의 모세 오경에서도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효’ 자료를 살필 수

  • 효학연구 제30호2

    있다. 이는 AD 62년경 쓰여 진 디모데전서 5장 4절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부모에

    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에도 나타나 효의 장구함을 증명하고 있다.

    이처럼 오랜 연원을 지닌 효의 가치성을 규명하여 사회에 적용할 도구를 개발하고

    인류의 미래를 위한 하모니 정신의 구현방안을 제안한다. 우리의 삶에 밀착된 효의 의

    미들을 켄 윌버의 통합론으로 살펴보니, 1, 2, 3층이라는 수준에 의거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1층 수준의 효는 고래로 지금까지 전하여오는 ‘전통적’이라는 표현이 가능하며, 몸의

    행위와 관련된 효행들이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부모․어른․스승 공경’과 ‘가족사랑’ 그리고 ‘어린이․청소년․제자 사랑’이라는 효 교육의 목표들은 주로 ‘몸’과 관련된 실체적 문화행위인 것이다. 그리고 이를 ‘전근대’라는 의미와 동일하게 보았다.

    2층 수준은 ‘성찰적’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는 마음이 작동하는 상태이다. ‘나라사랑․국민사랑’, ‘자연사랑․환경보호’는 마음의 작동에 따라 실천할 수 있는 대상들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3층 수준은 ‘전일적’이다. 이는 ‘탈근대’이며, ‘혼’ 혹은 ‘영’의 상태와 관

    련이 있다. ‘이웃사랑․인류봉사’를 생각할 때, 이웃에 대한 무한사랑과 선한 청지기로서의 임무로 고뇌한다.

    요컨대, HYO로 표현하는 하모니 효는 종교, 이념, 지역, 시대, 그리고 남녀노소의 구

    분을 무론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을 마땅히 감당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주제어 : HYO, 의식, 하모니 7효, 통합론

    Ⅰ. 서 언

    우리 역사 이래로 지금의 이 시대만큼이나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이 첨예한

    적이 있었을까? 안정된 사회로 보이겠으나 실상의 보혁(保革) 대결구도를 조금만

    들여다보면 몹시 팽팽하게 대치하고 있는 형국임을 금새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

    도의 해결을 정치권에만 맡기거나, 종교, 윤리적으로 단순히 화해하고 서로 협력하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3

    며, 사랑하라는 구두선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과연 인간사

    회는 협력하고 사랑하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 일인가?

    그 해법을 인류의 발자취에서 찾아 살펴보되,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3천 년

    간 면면히 이어 온 효1)의 관점에서 그 해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효는 자녀가 부

    모를 잘 섬기는 일이다”라는 정의로만 설명은 부족하기 때문에 먼저 효의 기원으

    로부터 그 정신을 정리하기로 한다.

    20세기 초 프랑스의 라샤펠오생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 화석을 연구한 결

    과 노령으로 관절염을 앓고, 어금니가 빠진 상태로 오랫동안 살았던 노인의 화석이

    라는 결론을 얻었고, 1950년대 이라크의 샤니다르 유적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

    화석 역시 젊어서 크게 다쳤고, 누군가의 보호아래 노인이 될 때까지 살았다는 결

    론을 얻었으며, 터키북동쪽 조지아의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인류 화석 역시 노인이

    빙하기 전에 이가 다 빠진 상태로 살아있었다는 결론2)을 비추어 볼 때, 인류에게

    는 그 시초부터 효에 관한 의식이 존재했었음을 문헌이전의 자료로 확인할 수 있

    었다.

    효에 관한 문헌의 자료는 주대(周代)의 금석문을 비롯하여『상서』,『시경』등

    의 문헌으로 부터이다. 이때는 BC 1,100년에서 600년으로 보는데, 동 시대인 BC

    1,000년경 쓰여 진 것으로 추정되는 모세 오경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명백

    한 ‘효’ 교육 자료를 살필 수 있다. BC 771년까지 다스려진 서주시대의 종법제와

    관련하여 공자와 증자 이후로, 꾸준히 효를 체계화하고 제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하

    였다. AD 62년경 쓰여 진 디모데전서 5장 4절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부모에

    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 역시 효의 장구함을 증명하고 있다.

    요컨대, 연로한 부모에게 자녀로서 봉사하는 일을 효라고 이해한다면, 앞서

    언급한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은 효와 직접적 관계는 없다할 수 있다. 그러나 효가

    단지 부모-자녀 간의 관계성에서 그침이 아닌, 출발점이 되고, 그 효의식이 개인과

    사회에 확산이 되고, 확장이 되는 원리적 가치가 된다면, 인류는 태초로부터 인간

    1) ‘효란 부모를 섬기는 일’ (『說文解字(설문해자)』孝, 善事父母者.).

    공자가 말했다. “무왕과 주공은 세상 사람들이 모두 칭찬하는 효도이실 것이다. 효란 것은 사람의

    뜻을 잘 계승하며, 사람의 일을 잘 따라 행하는 것이다.(『中庸』孔子曰, 武王, 周公, 其達孝矣乎.

    ‘孝者, 善繼人之志, 善述人之事者也.)

    2) 이상희․윤신영,『인류의 기원』(서울: 사이언스북스, 2018), pp. 158-159.

  • 효학연구 제30호4

    사회에서 함께 상부상조하는 사회였으며, 그 원리가 효의 가치에서 출발한다고 단

    언할 수 있다.

    따라서, 효의 가치성을 규명하고 사회에 적용할 도구를 개발하여 대결구도의

    사회를 함께 어우러져 발전하는 인류의 미래를 위한 하모니 정신의 구현방안을 제

    안하고자 함이 본고의 목적이다.

    Ⅱ. 켄 윌버3)의 통합론으로 살펴 본 효

    1. 시대 패러다임에 따른 통합론의 활용

    효를 말할 때, 흔히 전근대적 사고라 부르는 경우4)가 왕왕 있다. 전근대적이

    라는 의미는 근대적 접근 이전의 시대를 말함이 당연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효는 BC1,000년 전 더 나아가 3만 년 전, 심한 경우 180만 년 전에 존재한 가치

    적 정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전근대적 정신이라 약속 하고자 한다.

    전근대의 장점은 신체, 마음, 혼, 영으로 말할 수 있는 의식의 스펙트럼을 다

    루는 존재의 대사슬로서 온 수준을 총망라한다는 점이다.5) 이는 실재의 존재론적

    영역이라고 하여, 대규모의 정적 체계이지만, 물질을 넘어 초월하는 것으로 간주되

    는 일종의 천국 혹은 어떤 천상적인 상태로 존재하는 ‘저 세상적 이라는’ 근대에

    대처할 준비가 부족하지만, 이는 근대를 거쳐, 탈근대의 과제로 남게 되는 문제이

    다.

    그러면, 근대는 무엇인가? 근대는 전근대까지 신, 종교 혹은 국가라는 도그마

    아래서 억압받던 다양한 가치 영역을 분리시킨 즉, 민주주의 발달, 노예제도의 종

    식, 여권신장, 의학의 진보, 과학적 발달 등 감각을 바탕으로 한 시대를 말한다. 이

    3) 자아초월심리학자로 현 시대 최고의 통합사상가다. 학문적인 주류에서 벗어나 사유하고 저술한

    그는 심리학, 사회생물학, 철학, 신비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과학, 시스템이론을 총망라하여 인간

    의식의 발달 및 진화에 대한 특유의 통합이론을 제시하였다.

    4) 군주제 하의 봉건적, 가부장적, 남성 우월주의를 비하적으로 부르는 예로 사용됨

    5) Ken Wilber, 조옥경 역,『통합심리학』(서울: 학지사, 2008). pp. 106-109.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5

    는 유물론적 과학이 가치 분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냈다고 평할 수 있으나, 결국

    ‘감각적 과학’ 아래 정신적 가치 등을 억압하여 모든 가치를 붕괴시키는, 다시 말해

    유물론적 과학의 독백적 응시, 우주(Kosmos)의 다차원적 하모니를 잃어버리고 물

    질적 우주(cosmos)의 단조로운 멜로디만을 간직하게6) 되는 시대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탈근대를 알아 볼 차례이다. 먼저는 강력한 근대가 종종 간과했던

    수많은 목소리와 관점들이 ‘주변화 되는 것을’ 피하려는 시도, 다음은 종종 비이성

    적이고 불합리한 것을 억압하는 형식적 합리성의 ‘지배권’을 피하려는 시도, 그리고

    모든 종족, 모든 인종, 모든 사람, 모든 성을 상호 존중과 인정이라는 무지갯빛 연

    합으로 초대하려는 시도라 할 수7) 있다.

    전근대-근대-탈근대로 이어지는 시대의 연속성 속에서 전이되어 온 효와 효

    의 의식을 층위에 따라 설명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할 효의 실체를 규명해 보

    고자 한다.

    2. 의식의 스펙트럼

    효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가다 보면 그 이야기의 종말만이 아니라, 중심의 이

    야기조차 모호해짐을 느낄 때가 간혹 있었다. 이는 효가 가치적 이고, 관념적인 이

    야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그렇다면 그것은 ‘인간의 의식’이라는 문제로 풀

    어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의식’이라함은 “인간의 지식, 감정, 의지라는 일체의

    활동을 포함하고, 물질세계의 반영으로서 생긴 산물이며, 물질 변화의 발전 단계에

    서 일정한 물질적 제 조건이 갖추어짐으로써 나타난다.”8) 그러므로 이 의식에도

    주어지는 조건에 따라 그 수준의 위계가 있을 것임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윌버는

    인간의식은 발달하고 진화하며, 이러한 발달과 진화가 일어나는 구조와 수준, 질서

    와 방향성이 존재한다고 말하며, 인간의 발달은 구조 속의 수준을 밟아 올라가되,

    각 수준은 파동처럼 간섭하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한

    6) Wilber, 조옥경 역,『통합심리학』, pp. 19-20.

    7) Wilber, 조옥경 역,『통합심리학』, p. 218.

    8) 네이버 지식백과 철학사전 참조

  • 효학연구 제30호6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만도 아니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의식이 발

    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초월’ 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하위 수준에서 상위 수준

    으로 넘어갈 때마다 이 초월과 포함, 차별화와 통합이라는 과제를 수행하여야 한

    다.9)는 논의를 받아들여 효행의 발달 및 그 교육, 치료에 적용하고자 한다.

    앞서 ‘전근대’, ‘근대’, ‘탈근대’라는 시대적 패러다임의 특징을 언급한 바 있

    다. ‘전근대’는 ‘근대’에 견주면 전통적이라는 의미로 설명이 가능하다. 동일한 문화

    형태가 이어져 간 것을 전통적이라 부른다. 그러한 상태를 포함하여 전통적이라는

    의미를 수용하기로 한다. ‘전통적’을 의식수준으로 풀어서 본다면, 물질로부터 시작

    할 수 있으며, 물질은 몸을 포함한다. 몸은 행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통적이라 함

    은 물질을 포함한 몸의 행위,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문화적 영역까지를 설명하는

    총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1층 수준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여기서 1층은 ‘몸’ 혹

    은 ‘이기적’ 수준으로 ‘자기중심적 단계’로써 기초적 돌봄의 수준으로 이해한다. 육

    체적인 유기체를 자신과 동일시하여, 육체의 생존을 위해 애쓰는10) 단계, 캔다의

    설명으로는 이를 전통적 효행이라 명명한다.11)

    몸의 의식에서 그 수준이 심화되면, 낮은 마음, 구체적 마음, 논리적 마음, 높

    은 마음 혹은 규칙/역할 마음, 구체적 조작 사고, 형식적 조작 사고 라고 명명되는

    행위의 근원적 심리를 설명할 수 있는데, 이를 2층 수준12)이라 설명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캔다는 성찰적 효행13)이라 명명한다. 앞서 근대를 설명할 때, 진․선․9) Wilber, 조옥경 역,『통합심리학』, p. 18.

    10) Ken Wilber, 정창영 역,『통합비전』(서울: 물병자리,2009), p. 34.

    11) Edward R. Canda, “효와 영성발달 수준: 긍정적인 청소년기 발달 및 가족관계를 위한 유교적

    이상의 재구상”,『청소년과 가족, 멘토링, 시민권, 일탈, 영성: 동양과 서양에서의 정책 실천 연

    구』(제3회 세계청소년학연구 국제학술회의, 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p. 50. ; 전통적 효를 ①문화적으로 규정된 부모공양 및 공경의 관습에 일치, ②부모와 사회적 권

    위에 복종, ③부모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을 충족하기 ④가계혈통과 이상을 미래세대로 지속

    시키고자 하는 소망

    12) Wilber, 정창영 역,『통합비전』p. 34. 2층은 ‘마음’ 단계이다. 고립되어 있는 거친 몸에서 자기

    의 정체성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는 상태로 확장된다. 이는 다른 사람들과 가치관, 상호 관

    심사, 공통의 이상이나 꿈 등을 나누게 되는데, 마음을 사용해서 다른 사람의 역할을 떠맡아 다른

    사람이 느끼는 것처럼 느끼는 데까지 정체성이 확장된다.

    13) Canda, “효와 영성발달 수준: 긍정적인 청소년기 발달 및 가족관계를 위한 유교적 이상의 재구

    상”, p. 50. ; 성찰적 효를 ① 가족 본위의 사회적 관습으로서의 효를 이해하되 이러한 틀에 국한

    되지는 않기 ② 가정 외 바깥 사회에서도 역시 덕을 베푸는 삶을 영위함으로써 부모의 명예를 실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7

    미의 가치 분화를 이루었던 시대였듯이, 마음이 감각적, 과학적으로 분화를 이루었

    던 단계라고 설명을 할 수 있겠다. 이 마음 단계의 의식이 심화되면 혼 혹은 영의

    단계로 진입한다고 보겠다. 이를 3층 수준이라 부르며 캔다가 구분한 전일적 효와

    일원화된 효를 묶어서 전일적 효행14)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정리하자면, 전근대적 시대에는 몸 수준의 효행이 이루어졌다는 설명아래 전

    통적 효행이라 명명하며 이를 1층 수준의 효라 부르기로 한다. 근대에는 마음 수준

    의 효행이 대두되었기에 이를 살펴보자면 성찰적 효행이라 명명함에 이를 2층 수

    준의 효라 부르며, 마지막으로 탈근대에는 혼 혹은 영의 단계 수준, 모두의 상호

    존중과 인정이라는 무지갯빛 연합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전일적 효행이라 부르고자

    하며, 이를 3층 수준이라15) 명명하고자 한다. 이를 표로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전근대 전통적 효 몸 1층 수준의 효

    근대 성찰적 효 마음 2층 수준의 효

    탈근대 전일적 효 혼, 영 3층 수준의 효

    추시키지 않기 ③ 자아성찰 및 부모와의 교감에 기반하여 부모에게 진심 어린 시중을 들기 ④ 부

    모의 기호, 사회적 관습, 그리고 상황에 대한 개인의 도덕적 평가의 적절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배

    려심 있는 행동의 적용 ⑤ 부모가 도덕적 행위를 하도록 권장하고 해로운 결과를 미연에 방지하

    기 위해 부모의 잘못을 지적하기 ⑥ 미래 세대를 위해 가족의 이상을 실현하고 더 가꾸어나가기

    ⑦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생활 양식과 사회적 의무수행을 통해 가족의 차원을 넘어 연장자 및 권

    위자에 대한 존경으로 효의 의미를 확장하기로 보았다. 이 모두는 성찰적 의미의 것들로 본 논문

    에서는 2층 수준의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14) Canda, “효와 영성발달 수준: 긍정적인 청소년기 발달 및 가족관계를 위한 유교적 이상의 재구

    상”, p. 50. ; 캔다는 전일적 효를 ① 개인의 도덕과 봉사를 사회로 확대함으로 부모의 이름을 영

    예롭게 함. ② 가족, 사회, 세계, 자연에 대한 결속과 공동의 책임의식을 가짐 ③현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해 자비심의 대상을 마주치게 되는 모든 것들에게 까지 확대 하는 것을 전일적 즉

    Holistic을 구분하고, 이어서 일원화적(Unitary)효로 ①하늘과 대지를 부모로서 모든 사람들과 생

    명체들을 형제 자매처럼 여기는 우주와의 합일 ② 온 세상에 걸쳐 행복하고 평안한 삶, 사회정의,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촉진하기 위한 헌신 ③ 이기심, 자민족중심, 지나치게 종교 중심적이거나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을 초월을 구분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두 단계를 3층 수준으로 포괄

    하여 참조하였음을 밝혀둔다.

    15) Wilber, 정창영 역,『통합비전』, p. 34.; 자신의 정체성이 한 번 더 확장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는 세상이 다양하다는 점을 이해함과 동시에 인간과 문화의 유사성과 공통점을 함께 이해하게 되

    어 모든 존재는 유익을 함께 구하게 된다는 의식 세계로 한 번 더 확장하게 되는 수준이다. 이를

    영적 단계라고 한다.

  • 효학연구 제30호8

    Ⅲ. 하모니 7효의 이해와 분석

    앞서 유교 문화권의 한자 풀이에 따른 효의 사전적 의미는 설명하였지만, 그

    에 더하여지는 효에 관한 정의 혹은 내용 등은 종파와 정파 등의 주장에 따라 그

    해석은 다양하게 된다.

    먼저, 원시유가와 성리학의 사례만을 보더라도 가정윤리『부자자효(父慈子孝,

    부자유친(父子有親), 부위자강(父爲子綱)』의 범주를 벗어나 정치윤리『군신유의(君

    臣有義), 군위신강(君爲臣綱)』더 나아가 정치체제 유지논리『종법제(宗法制), 효렴

    제(孝廉制)』등에서 효충사상에 관한 것들을 폭 넓게 고찰할 수 있다.

    불가에서는 지은(知恩)과 보은(報恩)을 효의 의미로 본다. 아울러 부모님으로

    하여금 불법에 귀의하게 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고 해탈과 열반의 세계로 제도 하

    는 것이 부모에게 드리는 최상의 효라 한다.16)

    플라톤에 드러난 효 정신17)과 아리스토텔레스의18) 우애로 정리하는 효 정신

    을 살펴보더라도, 효가 단순히 부모를 잘 섬기는 일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다.

    시대를 뛰어넘어 1960년대에서 80년까지 산아제한 인구정책의 강행은 출산율

    감소에 따른 현상으로 가족관계가 ‘효’에서 ‘자식사랑’으로 바뀌었다19), 이러한 현

    상은 결국 인구절벽이라는 암울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게 된 바, 효가 단순히 부

    모 봉양, 공경 등의 섬김에 국한할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효를 자녀가 부모에 대한 희생이라고 오인할 때는 우리의 귀중한 효

    16) 이병철, “효사상의 의미구현과 전통”, 『한국사상과 문화』 제95집, (1995. 10)

    17) Platon, 천병희 역, 『법률』(서울: 도서출판 숲, 2016), pp. 565-568 “우리는 신을 섬기는 일

    에 관한 다음과 같은 전문이 부모를 존중하거나 무시하는 일에 적용해도 옳은 지 알아봐야 할 것

    입니다. -중략- 부모가 우리의 효도에 크게 기뻐한 나머지 자식에게 복을 내려달라고 간절히 기

    도하면 신들은 이번에도 기꺼이 그 기도를 들어주고 우리에게 복을 내려 줄 것. -중략- 이런 권

    고에 따라 법이 정한 온갖 명예로써 자기 부모를 공경해야 합니다.”

    18) 아리스토텔레스, 최병관 역,『니코마코스 윤리학』(서울: 서광사), pp. 229-231. 부모는 자식에

    대하여 그리고 자식은 부모에 대하여 본성적으로 이러한 친애의 감정을 느끼는 듯 싶은데, 이것

    은 인간에게서만 아니라 또한 새들이나 그 밖의 대부분의 동물에게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다.

    19) 임돈회 외,“한국 효 문화의 변용”『한국문화인류학34-2』(한국문화인류학회, 2001) 장윤식

    1989, 77∼94, 재인용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9

    사상 함양에 설득력을 상실한다. 효는 사람이면 누구나 희망하는 최고의 진리를 얻

    는 지름길이고, 행복을 얻는 핵심이며, 세계평화를 달성하는 출발점이라는 사실을

    인식할 때20) 비로소 효의 가치를 규명하는 일이 가치가 있게 될 것이다. 앞서 말

    한 이기동은 효도는 천지만물과 하나가 되는 진리를 터득하는 출발점이 된다고 하

    였다.

    최성규는 성경적 효21)를 주창하며, 천지만물을 만든 하나님과 연합하는 출발

    점이 효의 시작이라고 갈파하였다. 이는 성경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출애굽기 20장 12절)

    /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되

    고 땅에서 장수하리라”(에베소서 6장 2절 3절)라 한 바에 근거하여, 1996년 삼풍

    백화점 붕괴사고 시, 사회적 현상을 목도하며, 효 정신을 새롭게 해석하여 활성화

    시키는 계기가 되어, 마침내 성경 7효의 교육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로부터 성경의

    효 운동을 일으켰으며, 효를 연구하는 대학교를 설립하고, 마침내 “효행장려 및 지

    원에 관한 법률” 제정의 주춧돌을 놓아 『한국효문화진흥원』,『인천광역시 효행장

    려지원센터』등의 기관 설립이라는 가시적 효과를 보이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시 하모니 7효(HYO)에 관하여 좀 더 살펴보자면, 1효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 2효 부모․어른․스승 공경, 3효 어린이․청소년․제자 사랑, 4효 가족사랑, 5효 나라사랑․국민사랑, 6효 자연사랑․환경보호, 7효 이웃사랑․인류봉사로 구분하여 효를 설명하고 있다.

    성경적 효의 내용은 물론 성경에 근거하고 있지만, 원시유가나 성리학에서 말

    하는 실천덕목과 견주어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오륜22)에서 말하는 ‘부자유친’은 2

    효 ‘부모․어른․스승 공경’와 3효 ‘어린이․청소년․제자 사랑’를 설명함이요, ‘군신유의’는 5효의 ‘나라사랑․국민사랑’이고, ‘부부유별’은 4효의 ‘가족사랑’이며, ‘장유유서’, ‘붕우유신’은 7효인 ‘이웃사랑․인류봉사’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6효인 ‘자연20) 이기동, “효의 근본 의미와 중요성”,『호남문화연구』(호남문화연구소, 2004. 12)

    21) 최성규, 『효신학개론』(서울: 성산서원, 2010), pp. 18-19 성경을 하나님 아버지 말씀으로 보

    자, 하나님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하고, 하나님 아버지의 약속을 믿는 것이 바로 성격적 효이다.

    즉 성경적 효란, 아버지이신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서 그 말씀대로 사는 것을 말한다.

    22)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

    有信)의 다섯 가지 실천 덕목

  • 효학연구 제30호10

    사랑․환경보호’는 전통사회에서는 실천덕목이 될 필요가 없었다. 왜냐하면, 인류는 자연의 일부로 살아왔지 지금처럼 자연을 지배하려하거나 환경을 해치는 일은 상

    상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효의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은

    신앙적 동의가 필요하다. 유가에서도 역시 천(天)의 사상은 매 한가지로 있었다. 그

    러나 천(天)사상은 그 존재 자체가 대상인 반면,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은 천지를

    만든 유일신 하나님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 하나님이 곧 나의 아버지가 된다는 신

    앙이 필요하다는 점이 구분된다. 성경적 효를 굳이 오륜과 견주는 것은 우리가 전

    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효 의식에 기반 하여 설명할 때, 그 이해의 범주가 동의되

    기 때문이다. 이제 이 7가지 효의 실천 목표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켄 윌버가

    설명하는 3층 구조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1. 1층 수준의 전통적 효

    1층은 ‘몸’ 혹은 ‘이기적’ 수준으로 ‘자기중심적 단계’로써 기초적 돌봄의 수준

    이라고 앞서 설명한 바 있으며, 아울러 ‘전통적 효’라고 정의하였다. 성규탁이 범주

    화한 효의 이유 13가지23) 중, 가족의 영속, 이웃과의 화합, 종교적 교의, 못다 한

    일의 보상을 제외하면 모두가 전통적 효의 범주에 속한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이

    는 성경적 효에서 말하는 제2효인 ‘부모․어른․스승공경’과 제4효인 ‘가족사랑’에 다름 아니다. 다만, 제3효인 ‘어린이․청소년․제자사랑’은 유가의 부자자효(父慈子孝)에서 말하는 부자(父慈)의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애의 마음을 효와 다름 아니게

    베풀자는 정신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성경에서는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24)고 하

    며, 또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 어린 아이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요 또 누

    구든지 나를 영접하면 곧 나 보내신 이를 영접함이라 너희 모든 사람 중에 가장

    작은 그이가 큰 자 이니라”25)를 통하여 존중과 사랑이 곧 효의 구체적 표현 방법

    23) 성규탁,『한국인의 효』(서울 : 이담북스, 2010), p. 31. ①부모에 대한 존경, ②부모에 대한애

    정, ③부모에 대한 책임, ④가족의 화합, ⑤부모를 위한 희생, ⑥부모의 은혜 보답, ⑦가족의 영속,

    ⑧부모에 대한 동정, ⑨이웃과의 화합, ⑩못다 한 일의 보상, ⑪종교적 교의, ⑫가족의 체면 유지,

    ⑬부모의 재산 상속

    24) 신약성경, 에베소서 6장 4절

    25) 신경성경, 누가복음 9장 48절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11

    이 됨을 알 수 있다.

    1층 수준의 효를 정리하자면, 부모에 대한 책임과 희생이 따르는 봉양, 부모

    의 은혜에 대한 보답을 포함하는 부모에 대한 공경과 어린이, 자녀에 대한 존중과

    사랑, 그리고 가족 간의 사랑의 관계를 도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처음은 부모

    를 극진히 섬김에서 자기의 존재를 확인하게 되며, 임금을 섬김26), 즉 ‘나라사랑․국민사랑’의 단계로 넘어감은 의식의 성장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2. 2층 수준의 성찰적 효

    2층은 성찰적 효라 명명하였다. 성찰이란 단어에서 느낄 수 있듯이 마음의

    작동이 함께 이루어짐을 말한다.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었던 단계에서 이제는 마

    음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어가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가치관, 관

    심사 등의 교류로 서로 다른 입장을 이해하게 되는 단계이다. 의식의 성장이 수반

    되었음을 앞 절에서 언급하였듯이 자아성찰 등과 관련하여 각주 14를 참작할 때,

    마음 단계인 성찰적 효는 제5효인 ‘나라사랑’과 제6효인 ‘자연사랑․환경보호’를 들 수 있다.

    이는 다시 근대의 패러다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당히 긴 시간동안 유효한

    효는 전(前)근대와 근대(近代) 그리고 탈(脫)근대를 관통하면서 여전히 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을 통시적이라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동일한 가치가

    줄 곧 존속(存續)되어 온 것은 물론 아니다. 각 시대에 따른 해석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근대는 과학화, 개별화,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전통적 효에 대한 판

    단이 객관적, 우호적이지 않은 시대이다. 이는 순전히 감각적 과학주의에 의한 봉

    건 잔재 청산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유가주의에서 효를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한 폐단의 오점은 사실이나, 이에 대한 논의는 줄이기로 한

    다.

    26) 신수진, “가족 성원의 삶을 산다는 것, 특히나 한국 사회에서”, 국제한국학회 편,『한국문화와 한

    국인』(서울: 사계절, 2002), p. 222 “군사부일체라는 사고를 확산시켜 부모를 공경하는 마음을

    왕에까지 이르게 하고 효를 근본으로 하여 왕을 이 효로 모시면 충이 되고 타인을 효로 대하면

    애경(愛敬)이 되어 공동체의 결속과 화목을 위해서는 효보다 중요한 것이 없다는 교훈이 실현된

    다.”

  • 효학연구 제30호12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나라사랑과 국민사랑’, 그리고 ‘자연사랑 환경보호’는

    내 자아가 성찰하고 마음작용을 통하여 타인과 가치와 정보 등을 교류하며, 상생을

    위한 노력이 드러나는 단계임을 알 수 있다. 즉, 나의 신체와 부모를 포함한 ‘가족

    사랑’에 노력을 기울였던 효행은 마음을 통하여 국가 사회와 교류실천으로 이어지

    기 때문이다.

    ‘자연사랑, 환경보호’ 역시 마찬가지 효 관점의 논리이다. 전통적 시대에는 구

    지 자연과 환경에 관한 언급이 불필요하였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였기 때문이다.

    오히려 풀 한포기도 함부로 베지 말라거나, 풀 한포기 나무 한 그루에도 천지의 기

    운이 들어있다는 자연과의 일체만을 이야기 하였을 뿐이다.27) 그러나 근대화의 과

    학문명 발달로 인한 인간의 지배력이 우리의 환경을 훼손하기 시작하였으므로 이

    에 대한 경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3. 3층 수준의 전일적 효

    3층은 나를 초월하는 단계이며, 나에서 우리로 확대되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우리’라는 인간과 문화 등이 다양성과 공통성을 지녔음을 이해하고, 이를 확장한

    다. 즉, 민족중심에서 세계중심으로 확장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탈근대이며, 혼 혹은 영의 단계 수준으로서, 상호 존중과 인정의 무지갯빛 하

    모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층 수준의 전일적 효는 7효 ‘이웃사랑․인류봉사’, 그리고 1효인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을 3층 수준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효의 확장은 봉사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 논문은 효를 봉사 활동으로 잘 귀결시키는 결론을 맺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효 정신에 입각한 자원봉사야말로 사회적인 부조리나 개인의 도덕적 타락에

    의한 소모와 낭비를 방지하는 정신적 자산이 될 것이다. 바람직한 인생의 모범을

    삶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이론적인 문제보다도 매일 매일의 일상 속에서 인간의

    따뜻한 배려와 관심을 통하여 인간 정서를 느끼고 나누는 방법이 중요하며, 가족뿐

    27) 장재의 서명이나, 정자의 성리대전 참조.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13

    만 아니라 지역 사회와 인류에게 자원봉사를 확장해 나가야 한다. -중략- 개인으

    로서 효도를 완수하는 길은 내 가정에서 부모님께 효성을 극진히 하고 사회와 인

    류에 봉사함으로써 부모님의 명예를 천추에 빛나게 함으로써 끝나는 것28)이는 문

    헌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이다. 『구약성경』의 ‘십계명’과 ‘새 계명’29)의 근

    본정신은 사랑이다. 그리고 그 사랑이 밖으로 표출되는 것이 봉사이다. 그 사랑과

    봉사를 받은 자는 예외 없이 동일한 사랑과 봉사를 실천해야 한다.30)

    아울러, 봉사 실천에 중요한 첨언을 하자면, “이는 서로 대접하기를 원망 없

    이 하고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각양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

    로 봉사하라31)”는 문헌대로 실천할 때, 영과 혼의 울림이 완성되는 효행의 완성이

    라 하겠다.

    이는 1효인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의 효행과 상통하는 귀결점이 될 수 있

    다. 사실 유가에서 말하는 천(天)의 사상과 크게 다를 바는 없으되, 앞서 말하였듯

    이,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은 실체 현상의 천(天)에 그침이 아닌 천지만물을 창조

    한 창조주가 곧 아버지라는 신앙적 고백이 선결되어야 한다.

    Ⅳ. 결 어

    효를 논의하면서 부득불 HYO로 효를 설명하는 시도는 효(孝)를 ‘시아오’로 부

    르고 孝라고 표기하는 중국의 효(孝)와 구별하고자 하는 이유이다. 孝에 대한 정의

    를 각주 2에서 언급한 바에 한정한다면, 효에 대한 논의는 한계에 직면한다. 그러

    나 통교적, 통시적, 통념적 의미의 3통의 효를 동의한다면 효의 의미는 우리의 삶

    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우리의 삶에 밀착된 효의 의미들을 켄 윌버의 통합론으로 살펴보니, 1, 2, 3

    층이라는 수준에 의거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1층 수준의 효는 고래로 지금까지 전

    28) 김주현 외, “효문화와 자원봉사정신에 관한 연구”,『한국사상과 문화』제48집. 2007. p. 366.

    29)『신약성경』「요한복음」 13장 34절;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30) 최성규, 『효신학개론』, p. 69.

    31)『신약성경』「베드로전서」4:9-10

  • 효학연구 제30호14

    하여오는 ‘전통적’이라는 표현이 가능하며, 몸의 행위와 관련된 효행들이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부모․어른․스승 공경’과 ‘가족사랑’ 그리고 ‘어린이․청소년․제자 사랑’이라는 효 교육의 목표들은 주로 전통적 교훈과 ‘나’ 혹은 ‘너’ 개인이든 ‘우리’라는

    집단이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몸’과 관련된 실체적 문화행위인 것이다. 그리고

    이를 ‘전근대’라는 의미와 동일하게 보았다.

    2층 수준은 ‘성찰적’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는 마음이 작동하는 상태이다. ‘나라

    사랑․국민사랑’, ‘자연사랑․환경보호’는 마음의 작동에 따라 실천할 수 있는 대상들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몸’과는 무관한가? 그렇지 않음을 앞서 2층으로의

    성장은 1층 수준을 포함하며 초월하는 것이므로 ‘몸’의 행위가 당연히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3층 수준은 ‘전일적’이다. 이는 ‘탈근대’이며, ‘혼’ 혹은 ‘영’의 상태

    와 관련이 있다. ‘이웃사랑․인류봉사’를 생각할 때, 1회성 혹은 단편적인 이웃사랑으로 본다면, 전일적 수준이라고 수긍하기 어렵지만, 이웃에 대한 무한사랑과 선한

    청지기로서의 임무로 고뇌한다면, 1층 수준을 품고 발달하여, 2층 수준의 성찰적

    수준을 품고 발달한 연후에 능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단계라 말할 수 있다. 3층

    수준에 종교적 함의를 담고 있는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김’의 교육 목표가 위치함

    은 당연한 일이다.

    요컨대, HYO로 표현하는 하모니 효는 종교, 이념, 지역, 시대, 그리고 남녀노

    소의 구분을 무론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을 마땅히 감당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가는 그 대상별 주제별 내용

    에 연구할 과제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HYO란 무엇이고 이 가치를 활용하여 대결구도의 사회를 조

    화로운 사회로 만들기 위한 방법 제시를 위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각자의

    역할을 감당하고, 그 의식의 수준을 확장하면 보다 더 성장된 의식 구조 내에서 확

    장된 사회적 역할 감당이 궁극에는 조화로운 세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 투고일자: 2019.12.09. / 심사일자: 2019.12.20. / 게재확정일자: 2019.12.23.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15

    성규탁.『한국인의 효』Ⅰ-Ⅳ. 서울: 이담북스, 2010.

    신수진. “가족 성원의 삶을 산다는 것, 특히나 한국 사회에서”, 국제한국학회편,

    『한국문화와 한국인』. 서울: 사계절, 2001.

    아리스토텔레스. 최명관 역.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서광사, 2003.

    유승국, “효와 인륜사회” 효사상과 미래사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플라톤. 천병희 역, 『법률』. 서울: 도서출판 숲, 2016.

    狩野直喜. 오이환 역. 중국철학사. 서울: 을유문화사, 1997.方東美. 남상호 역. 원시 유가 도가 철학. 서울: 서광사, 1999.林安弘. 이상임 역. 유가의 효도사상. 서울: 에디터, 2002.Canda, Edward R. “효와 영성발달수준”,『청소년과 가족, 멘토링, 시민권 일탈,

    영성: 동양과 서양에서의 정책, 실천 연구』세계청소년학아카데미 자료집

    (2011).

    Wilber, Ken. 조옥경 역.『통합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8.

    ________. 정창영 역. 『통합비전』. 서울: 물병자리, 2009.

    ________. Sex, ecology, spirituality, Boston: Shambala, 2000.

  • 효학연구 제30호16

    A Study on Harmony HYO based on

    Integrational Viewpoint

    Park, Hwee Won

    To love working in human society to find solutions in terms of filial

    piety. “Filial piety is good a way of providing their children had parents.” is

    true that existed before the literature is available.

    Literature data on filial piety is since Stone Inscriptions Room of the

    state Supreme (周代) ordered. China's around the Laws and a longitude of

    the Bible, which can be found in the Pentateuch “to respect one's your

    father.” in ‘hyo’ can see how the data. It also proves the longevity of filial

    piety in the Diomedical Book of around 62 AD, Part 5:4 of the book, "Let

    us learn to repay our parents by doing filial piety in our own homes."

    To identify the value of filial piety with such long-term support,

    develop tools to apply to society and propose ways to implement the spirit

    of harmonies for the future of mankind. Looking at the meaning of filial

    piety in our lives in Ken Wilber's theory of integration, we were able to

    explain it based on the level of one, two, and three stories.

    The first level, filial piety can be described as 'traditional' that has

    been passed on so far, indicating that the body's behavior is central. Filial

    piety that ‘respect teacher parents, adults,’ and ‘love my family.’ and ‘love

    child, youth and student’ the aims of education are mainly ‘body’ and the

    related substantive. An act of culture. And that means ‘pre-modern’, and

    looked the same.

    The second level was described as ‘reflective’. It is running one's

  •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모니 HYO 소고 17

    mind. ‘The love of country and love’, ‘love natur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mp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ind could

    tell them are targets.

    Finally, the third levels are ‘hole’. Now that is ‘talgeundae’, and is

    related to the status of ‘Horn’ or ‘Young’. When you think of "My

    Neighborhood Love. Humanity Volunteer," you suffer from an infinite love

    for your neighbor and a mission as a good purifier.

    In short, it can be concluded that Harmony Effect, which is expressed

    in HYO, is to properly handle one's role in each position regardless of

    religion, ideology, region, age, and distinction between man and woman.

    Key Words : Integrational viewpoin, harmony, hyo, consciousness

  • 19

    『효학연구』제30호 https://doi.org/10.34228/khyosa.2019.30.19

    한국효학회, 2019. 12. pp. 19-44.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Biblical Hyo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제 주 형원천교회 목사

    ◈ 목 차 ◈

    Ⅰ. 서론

    Ⅱ. 기독교 세계관의 목적성과 성경적 효

    Ⅲ. 성경적 효 실천과 사회참여

    Ⅳ. 결론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효가 갖는 의미를 기독교 세계관을 통해 규명하

    는 것이며, 이러한 시각에서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은 사회참여의 삶

    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경적 효는 신앙(믿음, 행함)을

    통해 구조화됨으로써 반성적 평형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내고, 원칙과 현실 속에서 이루

    어지는 도덕적 판단의 정합성을 찾는 과정 속에서 신앙과 삶 또는 사회참여의 접합점이

    된다.

  • 효학연구 제30호20

    따라서 성경적 효는 하나님 아버지에게 자녀로서 응답하는 것과 그 방식으로 부모의

    삶에 참여하는 것이며, 성경적 효의 ‘사랑의 신뢰관계 속에서 상호 요구받는 관심, 돌

    봄, 채움의 의지를 통한 반성적 평형의 연대와 사회참여’라는 관점은 매우 중요하다. 이

    는 신학적 연대와 사회참여를 통해 관계적 삶과 그 삶의 문제들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성경적 관점의 효, 또는 현대적 관점의 효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근방에서의 미시적 연대

    (Micro solidarity)와 공간적 차원의 문화(가치) 공감을 통한 중도적 연대(Meso

    solidarity), 시간적 차원의 문화(가치) 수용과 세대 공감을 통한 거시적 연대(Macro

    solidarity)가 필요하다. 이러한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대는 사적 윤리로서 효를 사회

    적 윤리로 확대되어질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이며, 반성적 평형의 효와 세대 개념을 통한

    시간적, 공간적 균형과 조화의 동반성숙을 의미한다.

    주제어 : 기독교 세계관, 성경적 효, 통합점, 동반성숙, 연대, 사회참여

    Ⅰ. 서 론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는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이 종교개혁정

    신을 잃어버리면서 신앙과 삶의 균형과 힘을 상실했고, 삶 속에서 기독교적(또는

    성경적) 합의와 영향력을 잃어버린 절망선(the line of despair)이 형성되었다고 주

    장한다. 이는 믿음의 상실, 성경적 규범의 상실, 은혜의 상실을 말하며,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 상실, 인간에 대한 목적성 상실, 삶의 방향성 상실을 의미한다.1) 그

    결과는 인간이 일관성을 잃고 부정직, 자기모순, 합리화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유물론적 전제로 인해 통합점(Integrated point)을 잃어버린 그리스

    도인들과 현대인들 모두에게 개인적 안녕과 물질적 풍요 속에서 현대적 가치와 규

    1) 절망선은 절대적 보편자인 하나님의 존재를 전제하고, 보편자로부터 인간 삶의 통합점을 찾거나

    찾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시대에서 하나님의 객관적 존재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삶의 통합

    점을 상실한 시대로의 전환점을 말한다. ‘통합점’은 인간의 삶 전체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절

    대적이고 보편적인 규범을 제시하여 삶의 방향을 찾게 하는 의미와 가치의 체계이다. Francis A.

    Schaeffer, The Great Evangelical Disaster, 320-336. 이상원,『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세계

    관과 윤리』(서울: 살림출판, 2003), 50, 102-109. 재인용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21

    범을 잠식하게 만든다고 본다.2)

    쉐퍼가 말하는 통합점은 인간의 삶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보편적 규범이

    라는 점에서 윤리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는 이 윤리적 규범을 하나님에게서 찾

    을 때 올바른 기독교 세계관의 올바른 실천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쉐퍼의 통합점

    은 신앙(믿음)과 실천(행함)이라는 측면에서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브와 도덕적 삶

    의 다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접합점은 신율3)적 계명이라는 점에서 신앙과

    도덕의 경계에 걸쳐 있는 제5계명이라고 할 수 있고, 그렇게 볼 때 그 접점은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성경적 효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경적 효는 하나님 아버지에게

    자녀로서 응답하는 것이며, 그 방식으로 부모의 삶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는 부모

    자녀 관계의 효 개념을 하나님과 인간 관계에 설정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자녀삼

    음’과 인간의 ‘자녀됨’을 통해 ‘아버지’라는 메타포로 하나님을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한다.4)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이 성경적 효를 실천하며 도덕적 삶을 사는 것은

    아버지 하나님이 소망하는 자녀의 삶을 구현하며 그 방식으로 부모의 삶에 참여하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삶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이미

    사회참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그리스도인들이 효에 대한 개념적 혼돈을 겪거나, 효를

    제대로 하지 못한 죄책감을 갖는다면 유교적 효의 개념을 받아들여 신앙과 도덕의

    통합점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5) 유교적 효 개념은 부모제사 또는 조

    상제사의 문제가 십계명의 제1~3계명과 충돌하며, 이것이 제5계명 실천의 어려움

    2) Francis A. Schaeffer, The New Super-Spirituality, 정혜숙 역,『기독교 영성과 지성사이의 대화』(서울: 솔로몬, 1994), 17.

    3) 인간의 삶은 자율(autonomy), 타율(heteronomy), 신율(theonomy)의 갈등 구조 속에 존재하며,

    현실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자율과 타율의 건전한 통합을 위해 신율을 의지하게 된다. 신율은

    신(theos)과 법(nomos)의 합성어이며, 그 자체의 기원과 근거가 신적인 것에 있음을 인식하고 있

    는 자율이다. Paul Tillich, Systematic Theology, Vol.Ⅰ.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1), 83-85.

    4) 류한근, “성경적 효 관점에서 ‘조화’(harmony)의 이해”,『성산논총』제17집 (성산학술연구원,

    2016), 80.

    5) 현대사회 속에서도 효의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그 실천과 표현 방식이 시대-사회-문화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거나 변화하지 못하고 충돌하는 측면과 오늘날에도 풍성하게 제사를 지내는 모

    습으로써의 예(5)를 가장 큰 효로 여기는 것이 기독교 신앙과 충돌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

    해 제한적, 단편적으로 유교적 효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 효학연구 제30호22

    으로 작용하고, 따라서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을 분리되게 만든다는 인식을 말한

    다.6) 이러한 인식은 봉건사회의 신분제와 가부장제를 기반으로 하는 특정 시대의

    사회적 관점으로서 유교적 효의 개념을 현대사회의 변화된 생활방식과 세계관, 그

    리고 기독교 세계관의 성경적 효에 적용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인들과 그리스도인들이 전통적 당위 또는 계명에 의한 의

    무적 태도를 취함으로 인해서 오히려 자의적(arbitrary) 효를 행하게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7) 이러한 어려운 점에 대해 쉐퍼는 세속화된 현대 사회가 교

    회를 세상에 순응하게 하고, 기독교 신앙을 개인의 사생활 차원으로 전락하게 만들

    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현대 사회 속에서도 기독교 신앙은 여전히 의미가 있

    고,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윤리적 역할과 행동은 성경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을

    토대로 한다고 주장한다. 신앙의 회복은 절대적 보편자인 하나님의 존재를 전제하

    고, 보편자로부터 인간 삶의 통합점을 찾는 것을 말한다. 한마디로 쉐퍼는 하나님

    에게서 통합점을 찾는 올바른 기독교 세계관의 올바른 실천이 도덕적 절망에 빠져

    있는 현대사회의 문제들을 치유하고 바람직한 사회와 문화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8)

    이러한 주장에 대해 다른 견해도 있다. 마크 놀(Mark Noll)과 잭 로저스

    (Jack Rogers)는 쉐퍼를 이론구조를 가진 학자로 볼 수 없고, 그의 주장은 학문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말하며, 로날드 웰즈(Ronald A. Wells)는 그가 철학, 역사, 문

    화를 지나치게 일반화 시켰다고 보았다. 그러나 데니스(Lane T. Dennis)와 패커(J.

    I. Packer)는 쉐퍼를 신학, 예술, 철학, 윤리학, 영성, 대중문화 등에 관해 예리한

    글들을 남긴 탁월한 학자라고 말하고 있다.9) 본 연구자는 데니스, 패커와 같은 입

    장에서 쉐퍼가 말하는 올바른 기독교 세계관의 올바른 실천을 기독교의 거대 내러

    6) 소요한, “한국 선교사(宣敎史)에 나타나는 제례문제와 의미”,『대학과 선교』34권 (한국대학선교

    학회, 2017), 385-408.

    7) ‘자의적 효’는 대상과 맥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친숙하고, 쉽고, 피하기 용이한 일련의

    대응들로 이루어지는 효를 말한다. 류한근, “효와 복지 융합으로서 사회보장의 철학-사회체계의

    연결망과 효실천-”,『성산논총』제15집 (성산학술연구원, 2014), 103.

    8) 조만준, “쟈크 엘룰(Jacques Ellul)과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를 통해 본 그리스도

    인의 사회 윤리적 과제 연구”,『기독교사회윤리』37권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213-215.

    9) 이상원,『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세계관과 윤리』, 34-36. 재인용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23

    티브와 도덕적 삶, 달리 말하자면 믿음과 행함이라는 차원에서 수용하고, 그 접합

    점으로서 쉐퍼가 하나님에게서 찾는 통합점을 ‘아버지’라는 메타포로 하나님을 이

    해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하는 성경적 효에서 찾고 있다. 이는 기독교 세계관으로 본

    그리스도인의 삶은 그 자체가 사회참여이며, 이 사회참여는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

    브와 도덕적 삶을 토대로 하고, 성경적 효를 접합점으로 삼는다는 본 연구의 관점

    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효가 갖는 의미를 기독교 세계관

    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며, 이러한 시각에서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

    천은 사회참여의 삶이 된다는 것을 탐구하고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순서는 Ⅱ장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목적성, 관계성, 삶의 동기, 통합점의 기

    초가 되는 하나님의 인격적 실재에 관한 철학적 필연성과 도덕적 삶의 실천을 탐

    구할 것이다. 이 과정은 성경적 효가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브와 도덕적 삶의 접합

    점이 된다는 사실을 규명한다. Ⅲ장에서는 성경적 효 실천이 부모, 세대, 공동체,

    자연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동반성숙과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대를 통해 사회참

    여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기독교 세계관의 성경적 효 실천과

    사회참여의 연계성을 규명하고 밝히는 것이다. Ⅴ장은 결론으로서 내용을 요약하고

    제언을 할 것이다.

    Ⅱ. 기독교 세계관의 목적성과 성경적 효

    기독교 세계관은 인간의 존재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서 종교와 역사적 인

    식을 포괄하는 세계관이다. 이는 모든 세속적 역사들이 복종해야 하는 ‘죄와 죽음

    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기독교적 목적성에 대한 인식이며, 어떠한 세속적 진보도

    기독교적 목적과 다르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0) 그리고 성경적 효는 기독교 세

    계관을 사고의 틀로 사용한 행위의 준칙 또는 그 실천이며,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

    브와 도덕적 삶의 접합점이 될 수 있다.

    10) Karl Löwith, Meaning in History, 이석우 역,『歷史의 意味』(서울: 예조각, 1979), 222.

  • 효학연구 제30호24

    Ⅱ장에서는 ‘죄와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목적성을 가진 그리스도인의

    삶이 창조-타락-구속 내러티브의 아가페 사랑을 지향한다는 점, 하나님에 관한 철

    학적 필연성을 통해 통합점을 찾은 그리스도인은 구속과 하나님의 자녀삼음에서

    얻은 심리적, 전인적, 관계적 회복을 통해 도덕적 삶을 살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

    다.

    1. 기독교 세계관의 지향성

    기독교 세계관의 ‘죄와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목적성은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십자가의 율법적 대속을 실현한 아가페 사랑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관

    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죄와 죽음으로부터 해방은 예수 그리스도의 주요 사역이며

    이 과정에서 그가 하나님을 ‘아버지’로 호칭하는 획기적 사건이며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변화를 만든다.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는 이른바 효의 개념이 들어설 여지를

    만들게 되고, 효의 개념으로 ‘하나님 아버지’를 보게 한다.

    성경적 효는 부모자녀 관계의 효를 하나님에게 설정함으로써 ‘아버지’라는 메

    타포로 하나님을 이해하고, 하나님 아버지의 뜻을 따라 가치, 의미, 삶의 방향을 찾

    게 하는 인식망이다. 하나님의 관점에서 창조, 타락, 구속은 관계를 만드는 개념으

    로서 관계의 생성, 단절, 회복을 의미한다.

    관계의 생성으로서 창조는 인간의 관점으로 관계의 시작이다. 기독교 세계관

    의 존재론적 토대는 하나님과 하나님의 창조에 있다. 성경은 인간의 본질을 하나님

    의 형상(Imago Dei)으로 창조되었다고 제시한다.11) 그리고 하나님-인간의 관계 속

    에서 하나님은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불려진다. 아버지라는 이름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확증된 관계의 새로운 이상(vision)이다. 새 계명에서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것

    은 율법적 관념의 경직된 관계에서 벗어나 하나님을 ‘아빠’(Αββα), 즉 ‘사랑하는 아

    버지’(Dear Father)라고 부를 수 있는 하나님-인간의 친애적 사랑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창조주는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전환되며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게 된다.

    11) 하나님의 존재와 계시를 전제로 하는 기독교적 입장에서는 결국 하나님의 존재와 그가 창조하신

    세상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근거로 진리를 논하기 때문에 일종의 존재론적 인식론(형이상학적 인

    식론)이 된다. 이승구,『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서울: SFC, 2009), 161.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25

    관계의 단절로서 타락은 관계의 왜곡이다. 기독교 세계관이 제시하는 죄관

    (罪觀)은 모든 인간이 죄책을 가지고 살게 되었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된 상태

    의 영적인 죽음에 놓이게 되었으며, 최후의 심판을 통해 영원한 죽음에 이르게 된

    다는 것이다.12) 그러므로 타락하여 인격적으로 자기개혁(self reform)의 능력이나

    가능성이 없는 인간은 하나님의 특별한 도움이 필요하다.13) 이는 인간이 존엄성,

    만인 평등, 종교성을 지닌 존재이며, 계약관계에서 하나님과 맺어진 존재이고, 문화

    명령(노동명령)을 부여받은 존재이며, 죄로 타락하여 구원이 필요한 존재라는 말이

    다.14) 아버지로 호칭된 하나님의 관점에서 인간의 타락은 자녀를 잃을 수 있는 아

    픔이다. 왜곡된 관계의 아픔은 자녀보다 오히려 부모의 입장이 절실할 수 있다. 이

    러한 이해의 지평을 여는 것이 하나님이 아버지로 호칭된다는 해석이다.

    관계의 회복으로서 구속은 관계의 지속을 의미한다. 성경은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인간이 회복되어진 형상(reformed image)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

    고, 또한 피조세계의 모든 관계성을 회복하고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또한

    회복되어 졌다는 관점의 은혜언약(covenant of grace)을 보여준다.15) 인간에게 주

    어진 은혜언약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을 통한 관계의 회복이다. 이를 통해

    인간은 다시금 하나님을 염두하고 바르게 느끼고 살며, 올바른 윤리적 판단을 내리

    고 살고, 진리에 대해 바르게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16) 아버지 하나님은 예수를

    통해 인간을 자녀삼으며, 자녀의 관계를 유지하고 지속시키기 원하신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삶의 모티브

    하나님을 준거로 하고 통합점을 찾는 것은 하나님에 관한 철학적 필연성이

    12) Francis Nigel Lee, The Origin and Destiny of Man, 이승구 역,『성경에서 본 인간』(서울: 엠마오, 1992), 74-92.

    13) Larry Richard, The Dictionary of Basic Bible Truths, 김진우 역,『신학 용어 해설 사전』(서울: 생명의말씀사, 1994), 442.

    14) 박해경,『조직신학요해』(서울: 아가페, 1994), 52.

    15) 제자원 편,『그랜드종합주석』제1권(고양: 성서아카데미, 2004), 234-237.

    16) 이승구,『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168-172.

  • 효학연구 제30호26

    된다. 철학적 필연성은 존재의 문제와 삶의 문제를 기초영역으로 삼는다. 쉐퍼에

    따르면 기독교 세계관은 성경에서 인간의 존재 영역과 실존의 문제, 도덕적 딜레마

    에 대한 신율적 규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변화를 모티브로 하여 삶을 살아갈 동

    력을 찾는다고 한다. 이를 성경적 효의 관점으로 본다면 하나님의 ‘자녀삼음’과 인

    간의 ‘자녀됨’에 관한 인식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형이상학적 모티브는 인간과 맺어진 하나님의 관계성이다. 인간의 삶에 형이

    상학적 모티브와 통합점을 제시하는 원인은 무한하신 창조주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인격적 존재로 창조된 인간은 의식적으로 다른 인간의 존재적 가치와 모든 피조물

    들이 지닌 고유한 질서와 단계를 존중하게 마련이다.17) 이러한 윤리적 태도는 인

    간의 형이상학적 모티브, 즉 인간다움을 실천할 수 있는 신율적 윤리를 기반으로

    하되, 인간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보편적 관계에서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 보편적

    관계는 하나님으로부터 관계 왜곡된 이들,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으로 얻어진 관계회

    복, 이런 개념과 유리된 이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하나님의

    ‘아버지’ 개념은 신율적 윤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성경적 효는 하나님의

    사랑을 토대로 한 구속사와 동일한 목적과 지향성을 가지고 있고, 효의 실천은 하

    나님의 아버지됨을 기억하고 실천하는 것이라는 독특성을 갖게 한다.

    도덕적 모티브는 바람직한 삶의 기준이 드러내는 명확성이다. 무한한-인격적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은 우주의 도덕적 절대기준이 되며, 동시에 인간의 도덕적 모

    티브가 된다. 그리고 절대적 선으로서 하나님의 존재는 참된 도덕으로서 도덕의 영

    역에 대한 유일한 답변이 되며,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이 진정한 도덕

    과 도덕적 절대기준을 소유할 수 있게 한다.18) 하나님이 원하는 바람직함은 하나

    님과 맺는 관계성에서 하나님의 의도를 잘 파악할수록 도덕적 실천력이 향상된다.

    도덕적 행위일수록 그 관계를 돈독하게 한다. 도덕적일수록 관계에서 일체감을 얻

    을 수 있다.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브와 도덕적 삶의 토대가 되는 성경적 효의 신율

    적 모티브는 효를 실천할 수 있는 힘과 방향이 되고, 효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17) 이상원,『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세계관과 윤리』, 20-22. 153-155.

    18) Francis A. Schaeffer, The Complete Works of Francis Schaeffer: A Christian Worldview, Vol. Ⅰ. A Christian View of Philosophy and Culture, 문석호 역,『기독교 문화관』(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324-336.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27

    있는 힘이 된다.

    인식론적 모티브는 인지적 선명성이 삶의 동력이 됨을 의미한다. 기독교 세

    계관의 인식론적 모티브는 비그리스도인들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음을 알

    고, 현대인들이 상실한 보편자(절대적인 것)를 무한한-인격적 하나님에게서 찾는

    것에 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근거로 하나님과 인간 존재의 실존을 아

    는 것이고, 진리와 사랑으로 살아가는 방법이 그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아는

    것이고, 이런 앎이 세대를 넘어 후세대와 조화로운 소통과 전수로 진행된다는 가능

    성을 말한다.19) 아버지로서 자녀에게 원하는 바를 아버지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자

    녀는 의지를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확한 인지와 의지가 고된 삶 속에

    서 진리를 찾아가는 동력이 되게 한다. 윤리적 삶은 신학적 인식론이 인식자의 삶

    에 정당하게 자리를 잡았는지 확인하고, 지식이 올바르고 효과적인 것이었는지 검

    증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20)

    3. 기독교 세계관과 삶의 접합점

    기독교 세계관은 죄와 죽음의 상태로부터 영원한 생명으로의 궁극적인 해방

    을 목적으로 하며, 창조-타락(관계의 단절)-구속(관계의 회복)-구원(충만한 생명)의

    삶을 지향하는 인식체계이다.21) 하나님에게서 통합점을 찾는 그리스도인은 신율적

    계명, 즉 신적 기원에 대한 자율에서 행위 준칙을 찾는 도덕적 삶을 살 수 있으며,

    이는 성경적 효 실천의 강력한 동기가 된다.

    기독교 세계관이 지향하는 진정한 사랑은 무한한-인격적 하나님의 사랑과

    구속을 받은 인간의 심리적 회복과 자유함에서 오는 인격적 관계를 기본으로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인간의 모든 죄책은 합리적, 실질적, 객관적으로 처

    리되어지며, 심리적으로도 실재적, 실질적 회복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성부 하나

    님과의 관계에서 성자 예수가 조정자의 역할을 감당한 것과 같이 구속받고 믿음으

    로 사랑을 실천하는 그리스도인은 대인관계에서의 조정자가 되며, 하나님의 아들이

    19) Francis A. Schaeffer, 문석호 역,『기독교 문화관』, 337-383.

    20) 김선권, “칼뱅의 신학적 인식론”,『한국조직신학논총』41권 (한국조직신학회, 2015), 225-266.

    21) Nancy R. Pearcey, Total Truth, 홍병룡 역,『완전한 진리』(서울: 복있는사람, 2016), 237.

  • 효학연구 제30호28

    라고 불리게 된다.22)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과 의지가 ‘아들’ 그리스도로 인해 성

    취되는 거대 내러티브는 자녀가 됨으로써 얻어지는 심리적 회복을 가져다 준다. 왜

    곡된 부모자녀관계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고통이 관계회복을 통해 삶의 자유로움으

    로 전환되는 체험이 가능해진다.

    인간의 전인적인 회복은 속죄를 통해 지(知)ㆍ정(情)ㆍ의(意)가 모두 회복된

    상태로서 회복되어진 관계 속에서의 성숙한 자세, 태도, 능력, 책임감을 말한다.23)

    성경은 하나님의 아가페 사랑과 예수의 모범을 기억하면서 장성한 분량까지 이르

    도록 힘쓰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통합점을 발견한 인간이 믿음과 인식(지식)의 조

    화를 이루고 성숙한 자녀로서 전인적으로 회복된 삶을 사는 것이라고 보여주고 있

    다. 인간이 삶의 통합점을 발견하게 되면 전인적 회복과 함께 하나님의 평가 기준

    을 가지고 생활하게 된다.

    인간은 하나님과 인격적인 교제를 나누면서 하나님을 사랑하도록 지음 받았

    고, 하나님은 무한하고 인격적인 초월적 실재로서 언제나 인격적 관계를 바탕으로

    인간을 대한다. 또한 인간은 피조물이라는 대등한 위치를 토대로 다른 사람과의 인

    격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사랑하라는 관계성을 부여받았다.24) 새 계명의 ‘하나

    님 사랑’과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성숙한 하나님 자녀의 삶은 실제적 삶과 대신-

    대인 관계의 인격적 연결고리로서 제5계명의 효를 통한 성경적 사랑의 구체적 실

    천을 가르치고 있다.

    Ⅲ. 성경적 효 실천과 사회참여

    예수를 통해 하나님이 아버지와 아들로 관계 맺어짐의 사건은 예수의 삶을

    효의 시각에서 보는 통로를 열어준다. 예수의 효로 이루어진 사회참여와 하나님과

    인간의 신학적 연대는 성경적 효 실천의 전형이 된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성경적

    22) John Joseph Owens, 라형택 편,『원어분해성경』신약1권(서울: 로고스, 2008), 93.

    23) Francis A. Schaeffer, The Complete Works of Francis Schaeffer: A Christian Worldview, Vol. Ⅲ. A Christian View of Spirituality, 박문재 역,『기독교 영성관』(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2), 357-370.

    24) Francis A. Schaeffer, 박문재 역,『기독교 영성관』, 371-387.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29

    효를 통해 구조화됨으로써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의미를 만들어내며, 그 삶 자체가

    동반성숙과 사회적 연대25)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참여26)이다. 또한 참여행위와

    연대행위는 동일한 관계적 행위라는 점에서 관계적 윤리의 전형인 효의 사회적 연

    대와 사회참여의 배경(틀)으로 사용될 수 있고, 효가 사회문제 연구를 위한 일반이

    론이 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볼 수 있다.

    Ⅲ장에서는 성경적 효 실천이 부모, 세대, 공동체, 자연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동반성숙과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대를 통한 사회참여가 된다는 사실의 실제적

    예시로 성경7효를 탐구하고,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도덕적 삶의 균형을 통한 사회참

    여를 믿음과 행함이라는 차원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야고보서를 관련하여 설명

    한다.

    1. 성경적 효의 동반성숙과 사회참여 영역

    본회퍼에 따르면,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현실(세계)과 세상의 현실(세계),

    두 현실(세계)은 하나로 관계를 맺게 되었고,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라는 두

    영역의 사고를 극복하고 보편적 윤리적 사고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은 예

    수 그리스도이다.27) 하나님의 현실(세계)과 세상의 현실(세계)은 그리스도를 통해

    화해된 것이다. 예수의 화해는 하나님의 아들됨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것이다. 이

    ‘아들됨’의 실천이 성경적 효의 전형으로 되는 것이다. 성경적 효는 예수의 ‘아들

    됨’으로서 삶의 모습에 근거한다.

    하나님과 화해됨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관계적 책임윤리는 하나님을 사랑하

    는 것과 이웃을 사랑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른바 ‘성경7효’는 그러한 사랑실천의

    25) Hans Braun, “Und wer ist mein Nächster?" Solidäritat als Praxis und als Program, 정재훈, 김태희 역,『사회연대의 이론과 실천』(서울: EM커뮤니티, 2006), 8-33.

    26) 那須宗一 외 3인 편,『社會病理學事典』, 송정부 역,『사회문제이론』(파주: 현학사, 2004),

    11-12, 82-84.

    27) Dietrich Bonhoeffer, Ethik Dietrich Bonhoeffer Werke ; Bd. 6 (MÜnchen: GÜtersloher Verlaghaus, 1986). Dietrich Bonhoeffer, Ethik. 손규태, 이신건, 오성현 역,『윤리학』(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37-56. 장수현,『본회퍼의 공동체 이해와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관계적 책

    임윤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61-67. 재인용

  • 효학연구 제30호30

    영역과 대상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최성규가 성경적 효의 사회적 연대와 사회

    참여를 ‘Harmony of Young and Old' 관점의 ‘효’(HYO)로 제시하는 것은 예수가

    언급한 화해 실천의 대상을 구체화한 것이다.28) 하나님의 현실(세계)과 세상의 현

    실(세계), 또는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라는 두 영역의 사고를 극복할 수 있

    는 보편적 윤리는 예수가 보여준 삶 자체이다. 하나님과 관계, 부모와 자녀 및 가

    족의 관계, 이웃 및 공동체와의 관계, 세대적 관계, 자연 및 환경과의 관계를 아우

    르는 성경7효는 신학적 전통을 기초로 하는 사회적 연대와 사회참여를 모색하는

    시도가 될 수 있다.29)

    그리스도인의 삶은 하나님의 ‘자녀삼음’에 의한 ‘자녀됨’의 내러티브 속에 각

    자가 주인공으로 참여하는 삶을 사는 것이며, 성경적 효는 그 속에서 하나님을 아

    버지로 섬기고, 부모를 공경하며, 이웃을 자기 자신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다. 이는

    자유-평등-분배의 정의를 넘어서는 신율적 정의의 사회참여를 말한다. 사회적으로

    28) 최성규,『효신학개론』(서울: 성산서원, 2004), 18-31, 46-71.

    29) 최성규의 성경7효는 사회적 근방의 부모-자녀 세대 또는 노인-젊은이 세대의 하모니와 이를 위

    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노력, 그리고 문화적 연대와 문화적 수용 및 세대전수의 차원에서 이루

    어지는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대를 통한 사회참여의 실천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경7효를

    통한 하모니의 사회적 연대와 사회참여는 크게 나누어서 교육・문화 참여, 정책・복지 참여, 연구・운동 참여의 세 가지 형태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최성규 편,『함께하는 효 행복한 사회』성산효백서1994-2013 (인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3), 15-453의 내용을 요약하여

    표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참여 형태 사회참여 내용

    교육・문화 참여

    ∘ 교육기관(성산효대학원대학교, 순복음유치원, 성산어린이집, 성산효마을학교, 성산보육교사교육원, 성산신학원, 국제효어학당, 한국효행교육원, 한국효지도

    사교육원)

    ∘ 효 교육(인성, 생활, 진로, 직무, 종교)∘ 효 문화-콘텐츠-브랜드

    정책・복지 참여

    ∘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재단 및 복지기관(성산효재단, 성산종합사회복지관, 효피플센타, 효행장려 및

    효복지진흥원, 인천효행장려지원센타, 성산청소년수련원)

    연구・운동 참여

    ∘ 재단 및 사회단체(성산청소년효재단, 한국청소년효행봉사단, 한국효운동단체총연합회, 효나라운동중앙회, 효나라운동인천본부, 효나라운동세종본부, 한국효

    지도사협회)

    ∘ 프로그램 개발(어린이, 청소년, 성인, 가족)∘ 학술논문, 교육교재, 도서∘ 성산효행대상(어린이・청소년, 성인)∘ 효박람회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31

    근접한 부모-자녀 세대 또는 노인-젊은이 세대의 조화로운 관계는 사회적, 공동체

    적 차원의 미시적 연대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적 연대와 수용은 중도적 연대,

    문화의 세대전수는 거시적 연대 행위이다. 따라서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대는

    사회참여의 정합성을 실제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한다.30) 사회참여의 영역은 하나

    님의 자녀됨으로서 비롯되는 도덕적 실천의 영역이다. 하나님과의 관계, 이에서 지

    목되는 사랑의 대상들 즉, 부모영역, 공동체영역, 세대영역, 자연영역이다. 어느 한

    영역과 잘 되는 혹은 잘 되지 못하는 이유나 원인을 찾는 것이 검증의 의미이다.

    성경적 사랑은 제5계명을 연결고리로 하여 대신-대인 관계의 최소도덕으로

    주어진 십계명(율법)의 완성이라는 차원에서 신율적 사랑의 새 계명으로 요약되며,

    성경적 사랑의 실천은 ‘하라’는 내용 및 ‘하지 말라’는 내용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 번 더 판단해야 하는 균형 잡힌 회복 메커니즘을 통해 성숙함이 이루어진

    다. 실천자와 대상자의 관계적 동반성숙의 가장 기본적인 모델은 부모자녀 관계의

    효에서 찾을 수 있다. 효는 세대 간의 동반성숙을 통해 소통과 책임을 검증하며,31)

    성경적 사랑의 긍정적 실천은 효의 세대 전수와 실천을 통한 사회참여의 원동력이

    된다.

    30) 본 연구는 하나님과 인간의 신학적 연대를 기초하면서 한스 브라운의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

    대의 개념(틀)을 보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그리스도

    인의 성경적 효 실천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지라도 사회참여를 하고 있는 것이라는 관점

    은 한스 브라운이 일차적 사회관계에서의 내재적 연대 행위를 다른 대안이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들의 연대적 행위에 대한 자각 없이 연대적 행위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는 것

    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Hans Braun, 정재훈, 김태희,『사회연대의 이론과 실천』, 8-19,

    23-27, 30-33. 또한 본 연구자는 퀸이 사회병리학적 장해(障害) 현상으로서 사회문제에 대해 사

    회참여론을 가지고 접근하는 방식에 동의하며, 성경적 효의 사회참여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의

    문제들을 사회병리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접근하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퀸의 사회병리학적

    관점의 사회참여론은 자유주의경제에 내재하는 모순과 결함(퇴폐, 부패, 부의 편재, 빈곤, 불로소

    득, 계급투쟁)을 끌어내어 사회변혁의 동기를 시사하는 반면,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문제들을 사

    회병리학적 장해 현상으로 보면서도 그 원인이 하나님에게서 찾는 통합점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라

    고 보는 것과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브와 도덕적 삶의 접합점으로서 성경적 효의 사회참여를 논한

    다는 점에서 퀸의 사회참여와 다르다. 다시 말해 본 연구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는 ‘죄와 사망에서 해방’이라는 기독교 세계관의 목적성과 아가페 사랑에 기초하

    여 그 목적을 지향하는 그리스도인의 도덕적 삶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리스도인의 사회참여

    를 사회학의 틀을 가지고 접근함에 있어 사회문제와 현상들을 이해하는 도구로 퀸의 사회참여론

    의 사회병리학적 관점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那須宗一 외 3인 편, 송정부 역,『사회문제이론』,

    19.

    31) 류한근, “세대갈등 극복을 위한 효 반응체계”,『효학연구』12호 (한국효학회, 2010), 55-82.

  • 효학연구 제30호32

    2. 미시적 연대를 위한 통합성과 정체성

    예수 그리스도의 아들됨을 경험한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그들의 신앙과 삶의

    복잡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예수를 통한 영적 경험, 신앙을 가진 사람들 사이의

    이해와 대립은 예수의 가르침에 고뇌하는 가운데 해법을 찾아내게 한다. 초기 기독

    교 형태인 야고보공동체32)는 경건과 조직화된 종교 사이의 신앙 형태들로 인한 내

    적, 외적 갈등 속에서 기독교 신앙과 도덕적 행동으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통합

    성을 강화함으로써 공동체의 존속을 꾀하고 있다. 이는 일상적 사회근방에서 이루

    어진 자발적 결사체로서 신앙공동체가 디아스포라 도시공동체에서 집단으로 참여

    하는 형태의 미시적 연대와 사회참여의 좋은 예가 된다.

    이제 야고보공동체를 분석하며 미시적-중도적-거시적 연대를 통합성, 정체

    성, 참여의 세 개념으로 설명하고, 미시적 연대가 중도적 문화 공감으로, 거시적 세

    대 공감으로 연결됨을 제시한다.

    가. 일상적 연대를 위한 통합성

    야고보가 권면한 믿음(πίστις)은 기독교의 거대 내러티브에 대한 지적인 동의를 넘어 삶에서 실천하는 것을 권면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야고보공동체에서

    일차적으로 이루어진 연대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 간에 이루어진 미시적 연대였다.

    미시적 연대는 일상적 연대를 말하며, 이는 사회적 근방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

    태의 지원과 보호로서 가족, 친족, 친구 관계의 포괄적 결속 행위로 나타난다. 이러

    한 결속과 연대는 관계적 자아에 대한 인식과 공통된 정체성으로부터 시작되며, 공

    동체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나. 상징적 연대를 위한 정체성

    미시적 연대는 매일의 삶과 생활 속에서 대면하게 되는 소수의 관계망에 대

    32) 야고보공동체는 초기 기독교의 디아스포라 신앙공동체 중 하나이다. 이들은 외부적으로 이방인

    들과 유대교 유대인들에게 핍박, 배척, 유혹을 당하였고, 내부적으로는 미성숙한 신앙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들과 갈등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자는 야고보공동체가 이러한 체계 내적, 외적 갈

    등을 극복하고 통합과 존속을 이루는 과정을 신앙(믿음, 행함)과 도덕적 삶을 통해 신앙공동체의

    일차적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미시적 연대, 디아스포라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공감과 수용의 중도적 연대, 세대 공감과 전수의 거시적 연대와 사회참여로 보고 있다.

  •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성경적 효 실천의 사회참여 33

    한 심리적, 상징적 결속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새 언약 공동체라는 야고보공동체는

    외부의 여타 공동체와 구분되는 정체성을 통해 결속과 통합을 유지하게 된다. 사랑

    과 효의 실천은 그 자체가 디아스포라에서 형성되는 마을효과(village effect)를 통

    한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