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2012. 11 29 ( 안안안안안안안안안안 ) 리리리 리리리리

2012. 11 29

  • Upload
    dotty

  • View
    32

  • Download
    2

Embed Size (px)

DESCRIPTION

리더와 역사인식. 2012. 11 29. 안 주 섭 ( 한국미래문제연구원장 ). 개관. 우리가 지켜야 할 영토 역사로 본 국가안보. 승리한 고난의 역사. 새 역사의 지평. 새로운 안보 문화 창조. 우리가 지켜야 할 영토 ( 강토의 변천 ). 고조선. 단군조선 (BC 2333 년 ). 청동기 문화 (BC 10C). 연 (BC 4C) : 만한번 지역. 위만조선 (BC 195~108 년 ). 한 , 군현 설치 (BC 108 년 ). 고구려.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012. 11 29

2012. 11 29

안 주 섭 ( 한국미래문제연구원장 )

리더와 역사인식

Page 2: 2012. 11 29

2

우 리 가 지 켜 야 할

영토

역사로 본 국가안보

개관개관

새로운 안보 문화 창조

승리한 고난의 역사

새 역사의 지평

Page 3: 2012. 11 29

3

우리가 지켜야 할 영토( 강토의 변천 )

Page 4: 2012. 11 29

4

고조선

단군조선 (BC 2333년 )

청동기 문화 (BC 10C)

연 (BC 4C) : 만한번 지역

위만조선 (BC 195~108년 )

한 , 군현 설치 (BC 108년 )

Page 5: 2012. 11 29

5

고구려

고구려 건국 (BC 37년 )

※ 동북아 최대 강국 (494년 )

낙랑 , 대방군 축출 (313

년 ) ※ 중국세력 지배종식

평양천도 (427 년 )

요동 , 요서 , 만주지역 확장 (436년 )

금강 / 청주 일대 진출 (475년 )

Page 6: 2012. 11 29

6

백제

노령산맥 이북 (364 년 )

노령산맥 이남 (5C 말 )

탐라국 [ 제주도 ] (476 년 )

백제 건국 (BC 18 년 )

Page 7: 2012. 11 29

7

신라

신라 건국 (BC 57 년 )

- 한강 장악

신라 진흥왕의 영토 확장

신라 국호 사용 (307 년 )

나 제 동맹 (472 년 )

백제 신라군의 반격 (551 년 )

창녕 , 북한산 , 황초령 ,

마운령비 (568 년 )

Page 8: 2012. 11 29

8

신라의 한반도 통일

백제 멸망 (660 년 )

고구려 멸망 (667 년 )

신라의 당 축출 (676년 )

※ 신라의 한반도 통일

※ 신라와 당의 협약 (648년 ) - 대동강 이남 - 연합군 편성

대동강 일대 확보 (735 년 )

Page 9: 2012. 11 29

9

통일 신라의 혼란기

후백제 건국 (900 년 )

후고구려 건국 (901 년 )

※ 후삼국 → 새로운 영토분쟁

후발해 건국 (927 년 )

거란 : 동단국 설치

정안국 (10C 중엽 )

※ 만주 지역 상실

발해의 멸망 (926 년 )

Page 10: 2012. 11 29

10후백제신라

※ 공험진 (1105 년 ~1107 년 )

천리장성과 공험진

천리장성

강동육주

보주

공험진

후삼국통일 (936 년 )

대동강선 (928 년 )

대령강선 (979 년 )

강동 6 주 (993 년 )

청천강선 (938 년 )

보주 확보 (1117 년 )

천리장성 축조 (1055 년 )

고려 건국 , 평양 대도호부 (918년 )

대동강선

청천강선

Page 11: 2012. 11 29

11

원명 교체기 고려의 영토 확장

위화도 - 위원 - 강계 - 갑산 -

길주선 진출 (1369 년 )

조선 명의 영토 협의 (1405 년 )

공험진 이남 : 조선

명과 조선이 합의한 동북부 경계

공험진

철 령

4 군

6 진

4 군 6 진의 설치 압록강 - 두만강 국경 형성

공험진

1416-1443 년 : 4 군

1398-1449 년 : 6 진

조선 건국 (1392 년 )

천리장성

Page 12: 2012. 11 29

12

한반도 분단

조∙일전쟁 (1592 년 ~1598 년 )

※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경계 역할

조 · 청전쟁 (1636 년 )

청일한반도패권전쟁 (1894년 )

러일동북아패권전쟁 (1904년 )

2 차 대전 종전 (1945 년 )

625 전쟁 (1950 년~1952 년 )

강화도조약 (1876 년 )

Page 13: 2012. 11 29

13

역사로 본 국가안보

Page 14: 2012. 11 29

14

지형적 환경 : 대륙과 해양이 연계된 반도 • 최적의 기후

• 천혜의 요새

• 무한대 가능성

지정학적 여건 : 작지만 가치있는 사잇국가 (between land)

• 지세적 안보가치 : 중국 방위의 문턱 , 일본 방위의 절대 이익선

• 대륙 · 해양 세력 확장의 교차지역 ( 교두보 역할 )

환경적 여건

국제 정세 변화의 첨예한 영향 지대

Page 15: 2012. 11 29

15

대륙 ( 천하 ) 질서 변동 시 : 만주지역 세력과 전쟁

국제질서 변동과 국가 생존

고구려 당 신라 · 당 전쟁 (670-676 년 )

당 요 고려 · 요 전쟁 (993-1019 년 )

금 원 강동성 전투 (1218-19) 년 , 고려 · 몽골 전쟁 (1231-54) 년

원 명 홍건적의 난 (1359 년 , 1361년 )

명 청 모문룡 (1622 년 ), 조 · 후금 전쟁 (1627 년 ), 조 · 청 전쟁(1636 년 )

Page 16: 2012. 11 29

16

대륙과 해양질서의 재편시 : 교두보 역할 • 원의 일본 원정 시 공격 출발지역 - 1, 2 차 원의 일본 원정 (1274 년 , 1281 년 )

• 일본의 대륙 진출의 발판

- 1 차 실패 : 조 · 일 전쟁 (1592 ~ 1599 년 ) : 명정가도 , 한반도 분할 시도

- 2 차 확보 : 강화도조약 (1876 년 ) : 무혈입성

•청일 한반도 패권 전쟁 (1895 년 ) : 전쟁터

•러일 동북아 패권 전쟁 (1905 년 ) : 강점 ( 식민지 )

※ 병참기지

만주 사변 (1930 년 )

중일전쟁 (1937 년 )

태평양전쟁 (1940~45 년 )

국제질서 변동과 국가 생존

Page 17: 2012. 11 29

17

대륙과 해양세력의 최전선 지역 : 한반도 분할

국제질서 변동과 국가 생존

1897 1910

조선 대한제국

일본 조선 총독부

대한민국임시정부

쏘련

미국

북한

대한민국 ( 섬 )

6.25전쟁

1919

1945 1948 1950~1952 2012

독립정신( 민족 )

호국정신 민주화정신( 국민 ) ( 시민 )

( 보훈 )

한반도 역대 전쟁의 특징

• 주변국제정세 변동에 대한 종속 변수로써 전쟁 수행

• 전쟁 당사국 , 지원군과 침략군의 전장터

• 전쟁 결과 : 제후국 , 식민지 , 분단국

1895

Page 18: 2012. 11 29

18

국가 방위 체제

방위개념 • 전국을 군사 진영화 ( 병영국가 ) : 생존 필수 조건

- 도 ( 주진 ) 단위 지역 ( 향토 ) 방위

※ 진관체제 개념 : 행정 군사 일원화 ( 분리 ), 역참 , 봉수 운영

- 성 중심 방어 수행

• 중앙군 : 도성방어 ( 왕권수호 )

• 비변사 중심의 위협대비

군역 ( 국방의무 ) 체제 • 양인 개병제 ( 천인제외 ) → 양천 개병제

- 16~60 세의 남성 ( 양반 : 직무수행 )

- 정병 ( 변상 / 유방 ) / 정병의 봉족 ( 보인 ) 으로 근무

Page 19: 2012. 11 29

19

주진

거진

제진

제영

군익도

진군

북방

해안

( 목 , 도호부 /4~6 진 )

( 도 )

( 군 , 현 , 독진 )

절제사

첨절제사

동첨절제사

겸임영장전임영장

(5 영 )

1457 년 1594 년

5 위 군제 속오군제

국가 방위 체제

사단

영군 남방 : 도

연대

대대

진관 체제 : 안보 중심의 통치 기반 구축

( 행정 / 군사 일치 ) ( 행정 / 군사 분리 ])

Page 20: 2012. 11 29

20

국가 방위 체제

국방 체제 붕괴 • 군역의 세금화 → 군사 제정 확보 , 세금 징수 도구화

- 정병 : 대립 ( 가족→보인→국가 )

- 보인 ( 봉족 ) : 근무간지원

• 신분제 붕괴

- 양인층 붕괴 : 피역 ( 노비화 , 출가승려 , 유망 등 )

- 양반층 비대 : 면역 ( 향교입학 , 공명첩 , 대립 등 )

• 군역의 천역화

- 속오군제 시행 이후 양천 혼합 부대 편성 ( 속오군제 - 대립 - 천민 ( 빈민 ) 중심 )

- 수군 , 봉수 , 역참의 부실화

납포 균역제

안보의 본질 훼손 : 착취수단화 , “ 생존 공동체”파괴

Page 21: 2012. 11 29

21

역사 인식에 대한 국가간 차이

중화주의 ( 종주국 ) • 천하관 • 중국방위의 문지방 역할

개화문명 ( 지배국 ) • 정한론 ( 조공국 )  • 이익선 ( 중립국 )

사 대• 대륙중심• 제후국 인식• 열등의식

민족 민중• 민족 통일 중심• 주체적 인식• 저항의식

식 민• 일본중심사고• 피지배국 인식• 패배의식

※ 역사기술 : 제국의 지역사 일국사 - 정권 ( 왕권 ) 유지 , 국난극복

Page 22: 2012. 11 29

22

1. 국제질서가 작용하는 관계속에서 매몰된 우리의 안보 - 강요된 전쟁만 있었다 - 국제관계의 가치기준 : 오직 국가이익 ( 공짜는 없다 , 안보의존은 곧 예속화 )

2. 전쟁은 있어서는 안된다 (자의든 , 타의든 ) - 인간성 파괴 , 사회체제 붕괴 , 경제적 파탄

3. 국가생존 : 국제관계속에서 “힘”에 의한 쟁취 - 약할 때 우호나 협력은 없다 . 오직 흥정과 침략만 있다

역사적 교훈

전쟁 없는 대한민국

Page 23: 2012. 11 29

23

새로운 안보 문화 창조

Page 24: 2012. 11 29

24

국제질서 : 힘에 의해 유지

힘의 작용 : 국가이익

관계설정 : 이합집산 ( 동맹 )

※ 항상 변한다

반도지역 : 대륙과 해양질서 교차

작은 국가 : 주변국가의 영향권

보편적 원리 : 힘의 논리

한국적 여건

※ 전쟁위협 상존

Vision

목 적

목 표

이땅에서 전쟁없는 통일된

대한민국으로 존재

주권적 협력안보 달성( 상생의 협력적 공존 )

생존과 번영

힘의 창출 = 생존가능

생존원리와 비젼

Page 25: 2012. 11 29

25

생존과 번영

국민적 의식전환 : 악순환의 역사차단의지

종속 ( 패배 , 열등 )

상호의존자존

강요된 역할 주권적 선택 협력적 상생

지정학적 여건의 이해와 극복

1. 지역 안보적 가치 공유 : 안정과 번영의 융합

※ 침탈 → 상생 ( 공존 )

2. 대륙과 해양진출의 요충지 : 주도적 활용

※ 수동적 교량 역할→ 도약의 발판

3. 절대 부족자원 ( 작은 국가 ) : 근면성 회복

특화된 삶의 방식 추구

Page 26: 2012. 11 29

26

특화된 삶의 방식 추구 o 특성있는 공동체 문화창출 - 생존과 번영의 융합

o 더 일하는 근면성 향상 : 풍요의 지름길 - 힘의원천 ( 부족함을 극복 ) - 신뢰보장 : 성실 + 역량

※ 더 해야만 하는 일 ( 한국인이기 때문에 ) - 인적자원의 지적 역량 개발 - 자존의 안전보장에 대한 개인별 역할 - 개인별 다양한 언어능력 숙달

생존과 번영

( 안보 ) ( 교육 , 문화 , 산업 등 )

Page 27: 2012. 11 29

27

생존과 번영이 융합된 국가사례

스위스 이스라엘

산악 , 내륙

4 개국과 접경

광야 , 바다

5 개국과 접경

상시 무장 중립국

다언어 국가 ( 독 ,불 , 이 )

기술 지식 강국 ( 관광 , 금융 )

상시 무장 교전국

다언어 국가 (히 , 영 , 아 )

기술 , 지식 강국

20-50 세 남성 - 19 세 :18 주

48 시간 내 동원 : 40 만 (10 년 / 재훈련 )

예비역 : 33-42 세

후비역 : 43-50 세

※ 상비 18.7 만명

18-54 세 유대인 ( 일부선택 ) - 의무복무 : 남 3 년 , 여 2 년

48-72 시간내 동원 (44.5 만명 ) ( 훈련 1 개월 / 년 )

※ 상비 : 17.6 만명

Page 28: 2012. 11 29

28

1. 안보공감대 형성 ( 주권적 안보의지 - 국가관 , 안보관 )

o 왜 ? 나라를 지켜야 하는가 ? : 안보가치의 절대성 공감

- 국가존재 속에 내가 존재

- 전쟁의 참혹상 : 이해 , 공감

o 국가생존을 위한 능력과 한계 인지 : 상시 전쟁대비

- 국제관계 , 군사력 사용

o 안보전통의 개선 , 계승발전

- 전국민 개병정신 , 전국군사진영화 , 전문기술군화 등

역동적인 안보 문화 정착

잊으면 잃어 버린다 = 생존의 역사교육

Page 29: 2012. 11 29

29

역동적인 안보 문화 정착

2. 안보의지의 생활화 - 나라사랑 o 내가 가는 군대 (끌려가는 군대가 아님 ) - 군대 : 국민안보의지의 결정체 , 국가 힘의 실체 - 국가안녕 : 나 , 가정 , 이웃의 안녕 ( 개인의 의무 , 책임 )

o 군인은 총든 시민 , 시민은 총안든 군인 - 내땅에서 전쟁 : 전투원 ( 모든사람 ) 민수 , 군수산업 구분이 없음 - 군의 문제 = 국민의 문제

o 평화시기는 전쟁준비 기간이다 - 위협상존 , 전쟁준비 없으면 전쟁이 일어난다

상시 전쟁 대비

Page 30: 2012. 11 29

30

국가 생존의 특성

수용하고 극복 ■ 역사의 악순환 차단 ■ 안보문화 창조

결 론

국제질서가 작용하는 관계 속에서우리의 안위가 좌우된다 .

전쟁없는 대한민국

축복의 땅

Page 31: 2012. 11 29

31

감 사 합 니 다

Page 32: 2012. 11 29

32

한러국경선 (1985)녹둔도 연육 ( 1860 :

북경조약 )

EEZ 와 어업협정국가연안선 : 200 해리

신어업협정 (1999 년 )

※ 울릉도 기점 : 중간 수역※ 독도 영해 : 12 해리

분쟁의 현장1999 년에 발효한 한일 어업 협정 수역도

한중 국경선 (1962)간도 (1909 : 간도협약 )

휴전선과 NLL

이어도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