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9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곽소윤 | 이창훈 KEI Working Paper 2015-19

2015-19 곽소윤 | 이창훈webbook.me.go.kr/DLi-File/091/023/009/5610023.pdf참여연구진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20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곽소윤 | 이창훈

    KEI W

    ork

    ing P

    aper 2015-

    19

  • 연구진

    연구책임자 곽소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참여연구진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20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발행인 박광국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B동(과학・인프라동) (우편번호) 30147전화 044)415-7777 팩스 044)415-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5년 12월 26일

    발행 2015년 12월 31일

    등록 제17-254호(1998년 1월 30일)

    ISBN 979-11-5980-011-5 93530

    이 보고서를 인용 및 활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 표시해 주십시오.

    곽소윤, 이창훈.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값 13,000원

  • 서 언

    발전 및 성장 위주의 경제활동은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해 왔으나, 점차

    경제성장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환경문제가 전 지구적으로 해결해야 할 주요한

    문제로 강조되어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대 이후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마련을 통해 다양한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국민의 수요와 부합하여 수립될 때에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에 국민들의 환경의식에 대한 수준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기초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환경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관련 정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필요한 과정입니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지난

    2012년 시작된 이후로 네 번째 조사로서 국민들의 환경의식을 확인하고 지난 조사들과의

    비교를 통해 환경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습니다. 향후 조사결과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이를 통해 다양한 분석들이 시도되기를 기대하며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 연구를 맡아 수행한 곽소윤 박사와 이창훈 박사의 노고에

    감사를 표합니다.

    2015년 12월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원 장 박 광 국

  • 국문 요약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국민의 의식과 태도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2년

    부터 시작된 국민환경의식조사는 환경인식, 환경의식 및 태도, 환경 실천, 환경정책 수요,

    삶의 질·지속가능성에 대해 다루는 기본부문과 조사 연도의 이슈를 다루는 특별부문으로

    구성된다. 2015년 조사에서는 기후변화와 생태계서비스가 특별부문의 주제로 선정되었다.

    본 설문조사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전문기관의

    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환경인식 부문에서는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아름다운 자연경관’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왔고, 환경에 대한 만족도 역시 ‘자연경관’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국민의

    과반수가 평소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나타내는 점수는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에 대한 질문에서는 환경보전이 경제성장을 촉진

    할 수 있다는 명제에 동의하는 국민이 많았다. 환경실천 부문에서는 지난 한 달 동안 한

    행동으로 ‘쓰레기 분리수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정보에 대한 충분성을

    묻는 질문에는 보통 수준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고, 환경문제 중 정보가 가장 부족한

    분야로는 ‘자연자원의 고갈’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특별부문에서는 국민 대부분이 기후변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 부족한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기후변화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국민환경의식 조사결과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다양한 통계분석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국민환경의식조사, 환경인식, 환경실천, 생태계서비스

  • 차 례

    제1장 서 론···············································································································1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3

    1. 조사 개요 ········································································································3

    2. 조사 항목 ········································································································6

    3. 조사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7

    4. 환경 인식 ········································································································8

    가.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8

    나. 환경에 대한 만족도 ··················································································9

    5. 환경의식 및 태도 ·························································································10

    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및 환경보전의 중요성 인식 ······························10

    나.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12

    6. 환경 실천 ······································································································13

    가. 환경보전을 위해서 한 행동 ···································································13

    나. 친구, 동료와 비교 시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 정도 ·······························14

    7. 환경수요/정책 ·······························································································15

    가.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15

    나.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한 분야 ···················16

    다. 환경보전과 환경오염의 책임 ··································································17

    라. 환경문제 해결 방안 ················································································18

    8. 삶의 질/지속가능성 ······················································································19

    가. 국가발전지표 ···························································································19

    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 ··························································20

  • 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21

    9. 기후변화 ········································································································22

    가. 기후변화 인지 여부 및 떠오르는 이미지 ··············································22

    나.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및 노력 강화 필요성 ································23

    10. 생태계서비스 ·······························································································24

    가.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항목별 중요성 ······················24

    나. 생태계서비스 용어의 적절성/적절한 용어의 선택 ·································27

    다.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28

    제3장 조사 결과 분석·························································································29

    1. 환경 인식 ······································································································29

    가.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9

    나. 우리나라의 환경 상태 ············································································33

    다. 우리나라 환경과 선진국 환경 비교 ·······················································35

    라. 지난 한 주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좋았던 경험 ································37

    마. 지난 한 주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나빴던 경험 ································40

    바. 의미를 알고 있는 용어 ··········································································43

    2. 환경의식 및 태도 ·························································································46

    가. 평소 환경문제 관심 정도 ·······································································46

    나.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 ·························································49

    다. 환경의식/태도에 관한 의견 (1) ·····························································52

    라. 환경의식/태도에 관한 의견 (2) ····························································54

    마.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55

    3. 환경실천 ········································································································57

    가.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해 한 행동 ··········································57

  • 나. 친구나 동료보다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실천 정도 ······························60

    다. 환경단체 회원 여부 또는 지난 1년 동안 환경을 위한 기부 경험 ·······63

    라. 생활에 가까운 항목 (1) ········································································64

    마. 생활에 가까운 항목 (2) ········································································66

    바. 생활에 가까운 항목 (3) ········································································69

    4. 환경수요/정책 ·······························································································71

    가.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 ·········································································71

    나.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72

    다. 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분야 ····································76

    라. 환경문제에 대해 신뢰하는 대상 ····························································77

    마.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78

    바. 환경보전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 ··························································88

    사. 환경오염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 ···························································91

    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93

    5. 삶의 질/지속가능성 ······················································································96

    가. 우리나라 발전 평가 기준 ·······································································96

    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00

    다. 환경문제의 국제협력 필요성 ································································104

    라. 선진국의 환경문제 책임 ·······································································106

    마. 우리나라의 환경보전 국제협력 ····························································108

    바.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111

    사. 삶에 대한 만족도 ·················································································120

    6. 기후변화 ······································································································123

    가. 기후변화 인지 여부 ··············································································123

    나.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126

  • 다.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 ······························································131

    라.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의 위협 ······························································134

    마. 정부의 기후변화 적응정책 인지도 ·······················································137

    바. 온실가스의 감축 노력 ··········································································139

    사. 온실가스의 감축 노력 강화 필요성 ·····················································141

    7. 생태계서비스 ·······························································································143

    가. 생태계서비스 인지도 ············································································143

    나. 생태계서비스 연상 이미지 ···································································146

    다. 생태계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147

    라. 생태계로부터 받은 혜택의 항목별 중요성 ···········································149

    마. 생태계서비스 용어의 적절성 ································································151

    바. 생태계로부터 얻은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의 선택 ······························153

    사.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155

    아. 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측정/가치 화폐화 필요성 ··································157

    자. 자연자원 관리정책 관련 추가 납세 용의 ············································160

    제4장 결 론········································································································163

    참고문헌·················································································································167

    부 록······················································································································169

    1. 집계표 ·········································································································169

    2. 질문지 ·········································································································421

    Abstract ················································································································435

  • 표 차례

    표본설계(Sampling Design) ······························································3

    조사 방법(Survey Method) ······························································3

    응답자 특성 ························································································4

    설문조사 항목 ····················································································6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1) ······················································31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 ······················································32

    우리나라의 환경 만족도 - 환경 전반 ·············································34

    우리나라 환경과 선진국 환경 비교 - 환경 전반 ···························36

    지난 한 주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좋았던 경험 ··························38

    지난 한 주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나빴던 경험 ··························41

    환경 관련 전문용어 인지 개수 ························································44

    평소 환경문제 관심 정도 ·································································47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 ···················································51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 ‘경제성장은 늘 환경에 해롭다’ ··56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1) ·································58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2) ································59

    친구나 동료보다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실천 정도 ·······················61

    생활에 가까운 항목 (1) ································································65

    생활에 가까운 항목 (2) ································································67

    생활에 가까운 항목 (3) ································································70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74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 중앙정부 ·······································79

  •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 지방자치단체(시, 군) ···················81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 기업 ··············································82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 시민단체(환경단체) ······················84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 일반국민 ·······································86

    환경보전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 ··················································89

    환경오염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 ··················································92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1순위) (1) ···············94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1순위) (2) ···············95

    우리나라 발전 평가 기준 결과 비교 ·············································97

    우리나라 발전 평가 기준 ·······························································98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 환경의 상태 ······························101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 경제적 요인 ······························102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 - 사회적 요인 ······························103

    국경을 초월한 국제협력 불가피 ··················································105

    선진국의 환경문제 책임 ·······························································107

    우리나라의 환경보전 국제협력 기여도 ········································109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1순위) (1) ····················112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1순위) (2) ····················114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1+2+3순위) (1) ·········116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1+2+3순위) (2) ·········118

    삶에 대한 만족도 ·········································································121

    기후변화 인지 여부 ······································································124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1) ···········································127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 ···········································129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 인식 ·············································132

  •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의 위협 ······················································135

    정부 기후변화 적응정책 인지도 ··················································138

    온실가스의 감축 노력 ··································································140

    온실가스의 감축 노력 강화 필요성 ·············································142

    생태계서비스 인지도 ····································································144

    생태계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148

    생태계서비스 용어 적절성 ···························································152

    생태계로부터 얻은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의 선택 ······················154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156

    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측정/가치 화폐화 필요성 ··························158

    자연자원 관리정책 관련 추가 납세용의 ······································161

  • 그림 차례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8

    우리나라의 환경상태 ·······································································9

    평소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10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 ················································11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12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해 한 행동 ·································13

    친구나 동료보다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실천 정도 ·····················14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15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 ·······························································16

    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한 분야 ···············································16

    환경보전 책임과 환경오염 책임 ·················································17

    환경문제 해결 방안 ····································································18

    국가발전 평가 기준 ····································································19

    삶에 미치는 영향 ········································································20

    삶에 대한 만족도 ········································································20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21

    기후변화 인지 정도 ····································································22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2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23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강화 필요성 ···································23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24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1) ····························25

  •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2) ···························26

    생태계서비스 용어의 적절성/생태계로부터 얻은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의 선택 ················································································27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28

    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측정/가치 화폐화 필요성 ·························28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9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결과 비교 ········································30

    우리나라의 환경상태 ····································································33

    우리나라 환경과 선진국 환경 비교 ·············································35

    지난 한 주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좋았던 경험 ······················37

    지난 한 주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나빴던 경험 ······················40

    의미를 알고 있는 용어 ·································································43

    평소 환경문제 관심 정도 ·····························································46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 ···············································49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 결과 비교 ····························50

    환경의식/태도에 관한 의견 (1) ·················································53

    환경의식/태도에 관한 의견 (2) ·················································54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55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해 한 행동 ·······························57

    친구나 동료보다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실천 정도 ···················60

    환경단체 회원 여부 또는 지난 1년 동안 환경을 위한 기부 경험 ·· 63

    생활에 가까운 항목 (1) ·····························································64

    생활에 가까운 항목 (2) ·····························································66

    생활에 가까운 항목 (3) ·····························································69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 ·····························································71

  •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72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결과 비교 ·········································73

    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분야 ························76

    환경문제에 대해 신뢰하는 대상 ·················································77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평가 ························································78

    환경보전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 ···············································88

    환경오염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 ···············································91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93

    우리나라 발전 평가 기준 ···························································96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00

    국경을 초월한 국제협력 불가피 ···············································104

    선진국의 환경문제 책임 ···························································106

    우리나라의 환경보전 국제협력 기여도 ····································108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111

    삶에 대한 만족도 ······································································120

    기후변화 인지 여부 ··································································123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126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 ···················································131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의 위협 ··················································134

    정부 기후변화 적응정책 인지도 ···············································137

    온실가스의 감축 노력 ·······························································139

    온실가스의 감축 노력 강화 필요성 ··········································141

    생태계서비스 인지도 ·································································143

    생태계서비스 연상이미지 ··························································146

    생태계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147

  • 생태계로부터 받은 혜택의 항목별 중요성 (1) ························149

    생태계로부터 받은 혜택의 항목별 중요성 (2) ························150

    생태계서비스 용어 적절성 ························································151

    생태계로부터 얻은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의 선택 ···················153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155

    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측정/가치 화폐화 필요성 ·······················157

    자연자원 관리정책 관련 추가 납세용의 ···································160

  • 제1장 서 론 1

    제1장 서 론

    새로운 환경정책의 수립 또는 기존 정책의 수행 시 정책대상집단인 국민의 수요에

    기반을 두어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국민의

    의식과 수요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이 필수적이고 중요하다. 환경부에서는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조사주기가 비교적 길고, 일부

    문항은 세부적인 주제에 대한 질문을 담고 있어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는 2012년 이후 매년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2012년에 국제 비교를 위해 EC(2011), DEFRA(2009) 등의 유사

    설문을 참조하여 매년 반복되는 기본부문과 당해 연도 정책이슈를 다루는 특별부문

    으로 구성하여 설문지를 완성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2013년에 세부 항목을

    일부 변경 및 신설하였고 이후 동일한 구도를 유지하며 2014년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본부문은 환경인식, 환경의식 및 태도, 환경 실천, 환경정책 수요, 삶의 질·지속

    가능성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별부문은 2012년에는 녹색성장정책, 원자력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2013년에는 기후변화 및 화학물질, 2014년에는 기후변화

    부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2013년, 2014년 조사에 이어 2015년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시행하고 국민의 환경의식 및 수요를 확인하고자 한다. 조사의 연계성 확보를 통해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5개 기본 부문을 유지하고 최근의 이슈와 필요성을 반영

    하여 기후변화와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설문을 특별부문에 수록하였다. 과거의 설문

    조사결과 및 해외 설문조사결과와 올해 조사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조사결과의 차이에 대한 검토를 통계적으로 수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환경분야 정책수요 분석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4년간에 걸쳐 축적된 데이터는 향후 이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통계

  • 2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분석을 수행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으며 이를 통해 국민의

    수요에 기반을 둔 정책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3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1. 조사 개요

    본 조사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 의식 및 태도, 환경실천,

    환경수요/정책 등의 의견을 파악하여 향후 환경을 개선하는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 분 내 용

    모 집 단 전국 만 19세 ~ 69세 성인 남녀

    표 본 크 기 1,002명(유효 표본)

    표본 추출 방법 다단계 층화 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표 본 오 차 ±3.1%(신뢰수준 95%)

    표본설계(Sampling Design)

    표본할당은 행정자치부에서 제공하는 주민등록 인구통계자료(2015년 7월 기준)를

    이용하여, 인구학적 특성변수(지역별, 성별, 연령별)로 비례배분을 실시하였다. 조사

    수행기관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로,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내 용

    조 사 방 법 방문면접조사

    자료 수집 도구 구조화된 질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

    조 사 기 간 2015년 9월 1일 ∼ 9월 23일 (23일간)

    조사 방법(Survey Method)

  • 4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응답자 특성

    구 분 사례 수(명) 백분율(%)

    전 체 (1,002) 100

    성별남 자 (509) 50.8

    여 자 (493) 49.2

    연령

    2 0 대 (196) 19.6

    3 0 대 (214) 21.4

    4 0 대 (244) 24.4

    5 0 대 (221) 22.1

    6 0 대 (127) 12.7

    권역

    수 도 권 (513) 51.2

    경 남 권 (158) 15.8

    경 북 권 (130) 13

    전 라 권 (98) 9.8

    충 청 권 (103) 10.3

    지역

    크기

    대 도 시 (474) 47.3

    중 / 소 도 시 (408) 40.7

    읍 / 면 / 동 (120) 12

    학력

    중 학 교 졸 업 이 하 (69) 6.9

    고 등 학 교 졸 업 (444) 44.3

    대 재 이 상 (489) 48.8

    직업

    화 이 트 칼 라 (407) 40.6

    블 루 칼 라 (88) 8.8

    자 영 업 (199) 19.9

    농 림 축 산 업 (12) 1.2

    전 업 주 부 (197) 19.7

    학 생 (70) 7

    기 타 / 무 직 (29) 2.9

    혼인

    여부

    미 혼 (262) 26.1

    기 혼 (720) 71.9

    기 타 (20) 2

    10세 이하

    자녀

    없 다 (719) 71.8

    1 명 (161) 16.1

    2 명 이 상 (122) 12.2

    60세 이상

    가구원

    없 다 (796) 79.4

    1 명 (102) 10.2

    2 명 이 상 (104) 10.4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5

    구 분 사례 수(명) 백분율(%)

    가구

    월평균

    소득

    1 0 0 만 원 미 만 (19) 1.9

    1 0 0 ~ 2 0 0 만 원 미 만 (65) 6.5

    2 0 0 ∼ 3 0 0 만 원 미 만 (151) 15.1

    3 0 0 ∼ 4 0 0 만 원 미 만 (280) 27.9

    4 0 0 ∼ 5 0 0 만 원 미 만 (230) 23

    5 0 0 ∼ 6 0 0 만 원 미 만 (147) 14.7

    6 0 0 ∼ 7 0 0 만 원 미 만 (56) 5.6

    7 0 0 ∼ 8 0 0 만 원 미 만 (30) 3

    8 0 0 만 원 이 상 (23) 2.3

    모 름 / 무 응 답 (1) 0.1

    사회

    계층

    인식

    상 / 중 (96) 9.6

    중 (431) 43

    중 하 (415) 41.4

    하 (59) 5.9

    모 름 / 무 응 답 (1) 0.1

    정치적

    성향

    매 우 진 보 적 (35) 3.5

    다 소 진 보 적 (258) 25.7

    중 도 적 (372) 37.1

    다 소 보 수 적 (208) 20.8

    매 우 보 수 적 (50) 5

    잘 모 르 겠 음 (79) 7.9

    응답자 특성 (계속)

  • 6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2. 조사 항목

    본 조사는 5개의 기본부문과 2개의 특별부문으로 구성되었고, 세부적인 설문

    항목은 와 같다. 기본부문의 세부 항목은 2014년의 조사와 대부분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특별부문의 경우 일부 문항이 수정되거나 신설되었다.

    분 야 세 부 항 목

    환경인식

    - 환경에 대한 이미지

    - 우리나라 환경 상태 및 선진국과의 비교

    - 환경과 관련하여 기분이 좋거나 나빴던 경험

    - 의미를 알고 있는 최신 용어

    환경의식 및 태도

    -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 환경보전의 중요성

    - 생태주의적 세계관 및 환경 관련 태도

    -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환경실천

    - 환경보전을 위해 실천한 행동 및 평가

    - 환경단체의 회원 또는 기부 경험

    - 생활에서의 환경실천 정도

    환경수요/정책

    - 가장 우려되는 환경문제

    - 환경 정보에 대한 충분성

    - 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한 분야

    - 환경문제에 대해 신뢰하는 대상

    -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주체별 평가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

    삶의 질/ 지속가능성

    - 국가발전의 평가 기준

    -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환경문제의 국제협력

    -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 삶에 대한 만족도

    기후변화

    - 기후변화 인지 여부 및 이미지

    - 기후변화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원인

    - 기후변화의 영향과 정부의 노력

    생태계서비스

    - 생태계서비스 인지 여부 및 이미지

    - 생태계서비스 혜택의 중요성

    - 생태계서비스 개념과 정책

    설문조사 항목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7

    3. 조사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본 보고서에 수록된 자료는 단위 미만을 반올림하였기 때문에 합계의 숫자와

    각 항목별 합계의 숫자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층별로 조사된 결과에 모집단의

    비율을 가중치를 통해 반영하였기 때문에 문항의 특정 층의 항목별 응답비율을

    응답자 수로 환산할 경우 정수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각 문항에 대해 제시되어 있는 평균점수는 매우 충분하다, 매우 그렇다, 매우

    중요하다 등 긍정적인 응답을 5점으로 점수화하여 평균을 구한 값이다.

    응답자 특성별 분석은 연속형 변수(5점 척도)의 경우,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범주형 변수의 경우 카이제곱 독립성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변수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유의확률 0.05 이하) 단, 복수응답의 경우는 통계적인 분석을

    제외하였고, 그룹별로 사례 수가 적어 통계분석이 어려운 계층이나, ‘모름/무응답’은

    응답자 특성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그룹별 응답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판별된 변수는 사후 검정(SCHEFFE 유의확률 0.05

    이하)을 통해 어느 그룹에서 응답의 차이가 기인하는지 확인하였고 이후 해당 그룹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8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4. 환경 인식

    가.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환경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꼽은 비율이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도시, 농촌의 오염’이 22.0%, ‘기후

    변화’가 11.8%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28.0

    22.0

    11.8 9.9 9.2 6.1 6.1 5.1

    1.7 0.1 0.1

    아름다운

    자연

    경관

    도시,

    농촌의

    오염

    기후

    변화

    태풍,

    홍수 등

    자연

    재해

    우리가

    후손에

    물려줄

    환경의

    상태

    기름

    유출

    사고 등

    인적

    재해

    우리가

    사는

    곳의

    삶의 질

    다양한

    생물

    자원의

    고갈

    4대강

    녹조

    공기

    오염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9

    나. 환경에 대한 만족도

    우리나라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자연경관(경치)’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만족도 3.45점), 그 다음으로, ‘하늘/공기’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만족도 점수 3.38점) 단, ‘소음’, ‘쓰레기처리’,

    ‘화학물질로 인한 오염 및 사고’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2.6점대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단위: %)

    주: 매우 만족(5), 만족(4), 보통(3), 불만족(2), 매우 불만족(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우리나라의 환경상태

  • 10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5. 환경의식 및 태도

    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및 환경보전의 중요성 인식

    평소 환경(환경문제)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알아 본 결과, ‘관심이 있다’(매우

    관심 + 관심 있는 편)가 53.6%로 ‘관심이 없다’(전혀 관심 없다 + 관심 없는 편)

    9.9%보다 높게 나타났다.(5점 척도 평균 3.50점)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물어 본 결과, ‘중요하다’(매우 중요하다+

    중요한 편이다)의 응답이 83.4%로 높게 나타난 반면, ‘중요하지 않다’(전혀 중요

    하지 않다 +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의 응답은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5점

    척도 평균 4.06점)

    (단위: %)

    보통이다36.5

    관심이없는

    편이다8.7

    관심이있는 편이다

    45.7

    매우관심이 있다

    7.9

    전혀관심이 없다

    1.2

    관심이 없다9.9%

    관심이 있다53.6%

    평균 : 3.50점

    주: 평균은 매우 관심이 있다(5), 관심 있는 편이다(4), 보통(3), 관심이 없는 편이다(2), 전혀 관심이

    없다(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평소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11

    (단위: %)

    중요하지않은 편이다

    1.2

    중요한 편이다59.3

    매우중요하다

    24.1

    전혀중요하지 않다

    0.2

    보통이다15.3

    중요하지 않다1.4%

    중요하다83.4%

    평균 : 4.06점

    주: 평균은 매우 중요하다(5), 중요한 편이다(4), 보통(3),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2),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

  • 12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나.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에 대해 물어본 결과, ‘환경보전은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이 필요하다.’, ‘경제성장은

    늘 환경에 해롭다.’의 순으로 동의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위: %)

    동의함동의안함 평균

    3.50점

    3.38점

    3.17점

    7.4

    9.0

    46.8

    40.3

    29.2

    34.5

    31.1

    42.4

    10.9

    18.8

    21.15.8

    0.4

    0.8

    1.4

    경제성장 촉진성

    경제성장 필요성

    경제성장 해로움

    매우 동의함 동의함 보통이다 동의 안함 전혀 동의 안함

    주: 평균은 매우 동의함(5), 동의함(4), 보통(3), 동의 안 함(2), 전혀 동의 안 함(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13

    6. 환경 실천

    가. 환경보전을 위해서 한 행동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해서 한 행동으로는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였다’

    (80.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에너지 소비를 줄였다’(61.2%),

    ‘1회용품의 소비를 줄였다’(58.2%) 순으로 나타났다.

    (단위: %)

    80.361.2 58.2 56.3

    28.6 24.5 21.3 19.2

    1.3

    쓰레기분리수거를

    하였다

    에너지소비를줄였다

    1회용품의소비를줄였다

    물 소비를줄였다

    여행할 때좀 더

    친환경적인교통수단을이용했다

    친환경마크나집에서재활용마크가있는

    제품을샀다

    가까운지역에서생산된

    농산물이나물건을샀다

    자가용이용을줄였다

    위 보기중에

    해당되는항목이없다

    지난 한 달 동안 환경보전을 위해 한 행동

  • 14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나. 친구, 동료와 비교 시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 정도

    친구나 동료보다 환경보전을 위해 더 많은 행동을 실천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더 실천한다(훨씬 더 실천한다 + 약간 더 실천한다)의 응답이 33.1%로

    나타났다.(5점 척도 평균 3.24점) 반면, 덜 실천한다(훨씬 덜 실천한다 + 약간 덜

    실천한다)의 응답은 10.8%로 나타났다.

    (단위: %)

    비슷하다56.0

    훨씬 덜실천함

    1.8

    훨씬 더실천함

    3.4

    약간 더실천함29.8

    약간 덜실천함

    9.0

    덜 실천함10.8%

    더 실천함33.1%

    평균 : 3.24점

    주: 평균은 더 실천함(5), 약간 더 실천함(4), 비슷(3), 약간 덜 실천함(2), 훨씬 덜 실천함(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친구나 동료보다 환경보전을 위한 행동 실천 정도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15

    7. 환경수요/정책

    가.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일반시민의 16.1%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갖고 있다(매우 충분하다 +

    충분한 편이다)고 응답한 반면, 환경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매우 부족하다 +

    부족한 편이다)고 응답한 비율은 38.7%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점 척도

    평균 2.74점)

    (단위: %)

    부족한편이다33.7

    충분한편이다15.0

    매우충분하다

    1.1

    매우부족하다

    5.0

    보통이다45.2

    부족하다38.7%

    충분하다16.1%

    평균 : 2.74점

    주: 평균은 매우 충분하다(5), 충분한 편이다(4), 보통(3), 부족한 편이다(2), 매우 부족하다(1)을 점수화

    하여 평균화한 값임

    환경에 대한 정보 충분성

  • 16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나.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한 분야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로는 1순위 및 1+2+3순위 모두 ‘쓰레기 증가’(22.5%/

    44.3%)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1순위 및 1+2+3순위 모두 ‘자연자원의 고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위: %)

    22.5 20.0

    10.5 9.8 8.44.8 5.9 6.5

    1.30.51.71.82.2 2.2 2.1

    44.3

    36.3 33.4 32.1

    19.815.1

    22.326.3

    12.3 11.5 11.5 9.5 11.1 7.3 7.0

    쓰레기증가

    자연자원의고갈

    대기오염

    수질오염

    우리의소비습관

    생물다양성의감소

    자연재해

    기후변화

    화학물질로인한건강위험/사고

    유전자변형

    식물의사용확대

    도시환경악화

    인적재해

    소음 농업분야오염

    자동차위주의교통체계

    1순위 1+2+3순위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

    (단위: %)

    18.812.2 11.2 10.5 8.1 7.7 7.6 7.2 4.4 2.5

    0.63.4 2.9 1.6 1.5

    32.926.6 28.3

    21.928.7

    22.4 24.627.0

    20.8

    12.4 14.216.9

    10.0 9.04.2

    자연자원의고갈

    쓰레기증가

    생물다양성의감소

    우리의소비습관

    유전자변형

    식물의사용확대

    수질오염

    기후변화

    화학물질로인한건강위험/사고

    대기오염

    인적재해

    농업분야오염

    자연재해

    소음 도시환경악화

    자동차위주의교통체계

    1순위 1+2+3순위

    환경문제 중 정보가 부족한 분야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17

    다. 환경보전과 환경오염의 책임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에 대한 주체별 평가로는, ‘시민단체’의 평가점수가 3.25점

    으로 가장 높은 반면, ‘기업’의 평가점수가 2.38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경보전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는 ‘중앙정부’라는 응답이 38.3%로 나타났고,

    환경오염의 책임이 가장 큰 주체는 ‘일반국민’이라는 응답이 41.7%로 나타났다.

    (단위: %)

    주: 환경보전에 대한 노력 점수는 각 주체들의 노력에 대한 응답을 매우 잘하고 있다(5), 잘하고 있다(4),

    보통(3), 못하고 있다(2), 매우 못하고 있다(1)로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환경보전 책임과 환경오염 책임

  • 18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라. 환경문제 해결 방안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1순위 및 1+2+3순위 모두

    ‘환경정보 및 환경교육 확산’이 높은 비율로 응답되었다.(31.6%/42.1%)

    (단위: %)

    31.6

    18.115.4

    10.46.5 6.1 5.9

    0.9

    5.1

    42.137.4

    29.627.2

    17.3 15.8 15.111.7

    3.8

    환경정보및

    환경교육확산

    환경규제의엄격한집행

    법위반자에대한

    벌금 강화

    더 엄격한환경

    규제의도입

    환경오염행위에대해

    세금 부과

    자연자원의

    효율적인이용

    환경보전노력에대한보상

    국민,기업 등개별

    주체의노력

    기술발전을

    위한 지원

    1순위 1+2순위

    환경문제 해결 방안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19

    8. 삶의 질/지속가능성

    가. 국가발전지표

    우리나라의 발전을 평가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45.2%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경제적 기준’

    (21.4%) > ‘사회적 기준’(17.5%) > ‘환경적 기준’(15.9%)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국가발전 평가 기준

  • 20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역시 평가 기준과 동일하게 ‘경제적 기준’(3.95점) >

    ‘사회적 기준’(3.71점) > ‘환경적 기준’(3.6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11점 척도로 물어본 결과, 7점 이상의 만족을 보인 비율은

    52.8%로 나타난 반면, 3점 이하의 불만족을 보인 비율은 5.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11점 척도 평균 6.33점)

    (단위: 점)

    주: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의 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답을 매우 많이(5), 상당히

    (4), 보통(3), 조금(2), 전혀 없음(1)로 점수화하여 평균을 낸 값임

    삶에 미치는 영향

    (단위: %)

    3.3 16.7 20.0 31.3 17.2

    0.5

    0.7

    0.7

    5.3 3.0 1.2

    0점불만족

    10점만족

    평균

    6.33점

    삶에 대한 만족도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21

    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역시 1순위 및 1+2+3순위 모두, ‘실업’

    및 ‘물가’가 높은 응답을 보여, 전반적으로 ‘경제적 요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43.9

    21.3

    11.37.8 7.1

    3.0 1.80.10.20.8

    1.7 1.1

    67.5

    56.5

    39.143.1

    26.9

    16.413.4 13.6 10.9 8.8

    3.20.1

    실업 물가 복지/보건

    환경/오염

    치안 국방 에너지/전력

    기후변화 주택 교통 이민/외국인노동자

    국민의안전

    1순위 1+2+3순위

    정부가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할 분야

  • 22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9. 기후변화

    가. 기후변화 인지 여부 및 떠오르는 이미지

    기후변화 인지 여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어느 정도 알고 있다’의 응답비율이

    6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는 ‘온실

    가스 증가’, ‘평균기온 상승’,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4.7

    65.7

    27.1

    2.5

    자세히알고 있다

    어느 정도알고 있다

    이름만 들어 본정도이다

    들어본 적 없다

    기후변화 인지 정도

    (단위: %)

    27.725.4

    18.6

    11.4

    6.43.5 2.5 2.0 1.9

    0.4 0.1

    온실가스증가

    평균기온상승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해수면상승

    계절적변화

    대기오염악화

    감염병유행

    생물종다양성감소

    어종변화

    재배곡물/

    과일 변화

    위 보기중에 없다

    기후변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23

    나.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및 노력 강화 필요성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대한 평가는 5점 척도 평균 2.73점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강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5점 척도 평균 3.64점으로

    나타났다.

    (단위: %)

    평균

    2.73점

    충분하다 부족하다

    1.1 14.4 45.5 34.5 4.4

    매우 충분하다 충분한 편이다 보통이다 부족한 편이다 매우 부족하다

    주: 평균은 매우 충분하다(5), 충분한 편이다(4), 보통(3), 부족한 편이다(2), 매우 부족하다(1)을 점수화

    하여 평균화한 값임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단위: %)

    평균

    3.64점

    그렇다그렇지않다

    9.2 51.5 33.5 5.5 0.4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주: 평균은 매우 그렇다(5), 그렇다(4), 보통(3), 그렇지 않다(2), 전혀 그렇지 않다(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강화 필요성

  • 24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10. 생태계서비스

    가.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항목별 중요성

    생태계로부터 얻은 직·간접적 혜택이 본인에게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평가는

    5점 척도 평균 3.86점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대부분의 항목의 중요도가 4점대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특히 ‘먹는

    물 또는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이 중요도가 4.5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위: %)

    평균

    3.86점

    중요하다중요하지

    않다

    14.8 58.7 23.9 2.30.2

    매우 중요하다 중요한 편이다 보통이다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

    주: 평균은 매우 중요하다(5), 중요한 편이다(4), 보통(3),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2),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25

    (단위: %)

    중요하지않다 평균

    먹는 물 또는 생활용수로사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

    중요하다

    오염물질 처리를 통한수질정화

    대기오염물질 흡수를 통한대기질 정화

    탄소흡수를 통한 기후조절

    홍수, 가뭄, 산불과 같은자연재해 조절

    경제활동으로 인한 폐기물또는 유해물질 흡수 및 처리

    토양의 형성, 유지를통한 침식방지

    토양의 비옥도 및생산성 유지

    영양분 순환

    동·식물의 서식공간 제공

    4.54점

    4.33점

    4.25점

    4.04점

    4.18점

    4.15점

    3.95점

    3.95점

    3.92점

    4.01점

    61.6

    43.7

    26.3

    29.6

    31.3

    46.6

    44.7

    46.9

    43.7

    49.8

    48.2

    46.6

    47.4

    45.2

    6.9

    9.0

    12.6

    21.3

    16.9

    14.8

    23.2

    23.8

    22.2

    1.7

    2.3

    1.6

    3.0

    3.4

    2.50.5

    24.2

    41.0

    25.4

    33.7

    37.8

    29.5

    24.7

    0.2

    0.7

    1.6

    2.9

    1.6

    0.1

    0.7

    1.7

    2.3

    0.1

    0.3

    0.4

    0.3

    매우 중요하다 중요한 편이다보통이다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전혀 중요하지 않다

    주: 평균은 매우 중요하다(5), 중요한 편이다(4), 보통(3),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2),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1)

  • 26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단위: %)

    중요하지않다 평균중요하다

    생물다양성(멸종위기종/법적보호종) 유지 및 보호

    식물 또는 작물생산을위한 수분 매개

    음식으로 사용하기 위한작물, 어패류, 야생동물 등

    원료로 사용가능한섬유, 골재, 목재 등

    의료・의약품 생산에기반이 되는 유전물질 제공

    생태(녹지)공간이 제공하는정신적 편안함 또는 안정감

    생태관광

    하이킹, 캠핑과 같은야외 여가활동 기회 제공

    환경교육, 과학적 정보제공등 교육 및 과학적 가치

    생태계에 기반한 종교적?

    영적 체험 및 문화유산

    4.04점

    4.02점

    4.06점

    3.92점

    3.95점

    4.11점

    3.91점

    3.80점

    3.95점

    3.83점

    30.0

    27.8

    21.6

    22.5

    47.8

    49.0

    46.8

    44.9

    46.3

    45.4

    45.8

    44.3

    50.1

    45.5

    19.1

    21.1

    19.8

    25.2

    23.6

    18.2

    25.7

    27.4

    25.6

    3.8

    3.4

    6.0

    5.4 0.9

    25.7

    26.5

    34.1

    24.5

    31.0

    24.2 22.5

    2.0

    2.9

    3.7

    2.3

    1.9

    2.5

    0.3

    0.7

    0.2

    2.3

    0.4

    0.3

    0.3

    0.5

    0.2

    매우 중요하다 중요한 편이다보통이다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전혀 중요하지 않다

    주: 평균은 매우 중요하다(5), 중요한 편이다(4), 보통(3),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2),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을 점수화하여 평균화한 값임

    생태계서비스로부터 받은 혜택의 중요성 (2)

  • 제2장 조사 설계 및 결과 요약 27

    나. 생태계서비스 용어의 적절성/적절한 용어의 선택

    생태계로부터 얻은 다양한 직·간접적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로 생태계서비스가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6.4%로 나타났고,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33.6%로 나타났다.

    생태계로부터 얻은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로 생태계서비스가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337명을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용어를 물어본 결과, ‘자연의 가치

    (Nature's Value)’의 응답이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위: %)

    생태계서비스 용어의 적절성/생태계로부터 얻은 혜택을 의미하는

    용어의 선택

  • 28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다.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생태계 보전 또는 자연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에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결과는 5점 척도 평균 3.91점으로 나타났다.

    생태계서비스 개념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한 966명에 대해 생태계

    서비스 공급량의 측정 또는 가치의 화폐화에 대한 필요성을 질문한 결과는 5점

    척도 평균 3.75점으로 나타났다.

    (단위: %)

    평균

    3.91점

    필요하다필요하지

    않다

    15.2 64.4 16.8 3.5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하지 않다

    주: 평균은 매우 필요하다(5), 필요하다(4), 보통(3), 필요하지 않다(2), 전혀 중요하지 않다(1)을 점수화

    하여 평균화한 값임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필요성

    (단위: %)

    평균

    3.75점

    필요하다필요하지

    않다

    10.7 57.8 27.9 3.2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하지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주: 평균은 매우 필요하다(5), 필요하다(4), 보통(3), 필요하지 않다(2), 전혀 중요하지 않다(1)을 점수화

    하여 평균화한 값임

    생태계서비스 공급량 측정/가치 화폐화 필요성

  •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29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1. 환경 인식

    가.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환경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꼽은 비율이

    28.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도시, 농촌의 오염’이 22.0%, ‘기후변화’가

    11.8%,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가 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문) 환경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을 하나만 선택해 주십시오.

    (단위: %)

    28.0

    22.0

    11.8 9.9 9.2 6.1 6.1 5.1

    1.7 0.1 0.1

    아름다운

    자연

    경관

    도시,

    농촌의

    오염

    기후

    변화

    태풍,

    홍수 등

    자연

    재해

    우리가

    후손에

    물려줄

    환경의

    상태

    기름

    유출

    사고 등

    인적

    재해

    우리가

    사는

    곳의

    삶의 질

    다양한

    생물

    자원의

    고갈

    4대강

    녹조

    공기

    오염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 30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우리나라에서는 환경이라는 이미지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도시, 농촌의 오염’ 응답은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15년 조사에서 2014년 조사와 비교해 4.4%p 증가한 22%로 나타났다. ‘태풍,

    홍수 등의 자연재해’ 부문은 2014년 조사까지 그 비중이 계속 증가하다 올해 조사

    에서는 감소하였다.

    (단위: %)

    주: 5개 조사에 공통적으로 반영된 보기항목만 표기하여 나머지 항목은 기타로 합산함.

    자료: 이미숙 외(2013, 2014); 이창훈 외(2012); European Commission(2011).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결과 비교

  •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31

    특성별로 살펴보면 권역별로 경남권, 지역크기별로 대도시인 계층에서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전라권, 읍면동인 계층에서는

    ‘도시, 농촌의 오염’을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1)

    (단위: %)

    구 분 보 기 항 목

    응답자 특성 (사례 수)아름다운

    자연 경관

    도시,

    농촌의

    오염

    기후변화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

    우리가

    후손에

    물려줄

    환경의

    상태

    기름유출

    사고 등

    인적 재해

    전 체 (1,002) 28.0 22.0 11.8 9.9 9.2 6.1

    성별남 자 (509) 27.6 21.5 13.1 8.0 9.5 5.8

    여 자 (493) 28.4 22.5 10.3 11.8 8.9 6.3

    연령

    2 0 대 (199) 30.1 24.5 8.7 11.5 9.0 3.1

    3 0 대 (208) 31.7 21.5 8.3 8.1 10.5 4.7

    4 0 대 (240) 24.6 20.8 15.3 9.4 8.1 8.5

    5 0 대 (224) 25.0 20.4 15.7 11.0 8.6 7.2

    6 0 대 (131) 30.5 23.7 8.5 9.2 10.3 6.4

    권역

    수 도 권 (511) 27.5 19.3 12.3 11.2 9.0 5.7

    경 남 권 (160) 34.6 20.5 13.4 10.6 7.6 3.2

    경 북 권 (130) 32.1 23.9 10.9 4.7 10.7 6.3

    전 라 권 (98) 11.3 36.0 11.7 3.0 12.0 9.0

    충 청 권 (103) 31.1 21.4 7.6 15.4 7.9 9.5

    지역

    크기

    대 도 시 (469) 33.1 20.0 14.1 7.1 8.0 4.2

    중 / 소 도 시 (412) 24.3 21.7 10.1 11.6 9.4 8.6

    읍 / 면 / 동 (121) 20.9 30.5 8.4 15.0 12.8 5.0

    가구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 (19) 30.0 32.9 6.1 0.0 21.1 4.7

    100~200만 원 미만 (66) 23.0 20.2 14.9 9.1 13.9 4.8

    200∼300만 원 미만 (150) 35.1 23.4 12.6 7.2 5.4 4.0

    300∼400만 원 미만 (280) 24.7 23.1 10.1 12.9 10.4 6.3

    400∼500만 원 미만 (229) 27.9 18.8 14.3 11.3 9.0 6.5

    500∼600만 원 미만 (147) 27.2 20.6 9.3 8.1 10.1 7.4

    600∼700만 원 미만 (56) 33.8 21.6 12.6 7.2 7.3 7.1

    700∼800만 원 미만 (30) 30.1 26.3 10.1 10.3 3.2 0.0

    800만 원 이상 (23) 26.1 30.5 12.9 4.5 4.2 8.9

    모 름 / 무 응 답 (1) 0.0 0.0 0.0 0.0 0.0 100.0

  • 32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

    (단위: %)

    구 분 보 기 항 목

    계응답자 특성 (사례 수)

    우리가

    사는 곳의

    삶의 질

    다양한

    생물

    자원의

    고갈

    4대강

    녹조공기오염

    전 체 (1,002) 6.1 5.1 1.7 0.1 0.1 100.0

    성별남 자 (509) 7.1 4.5 2.5 0.2 0.2 100.0

    여 자 (493) 5.0 5.8 1.0 0.0 0.0 100.0

    연령

    2 0 대 (199) 7.1 4.5 1.5 0.0 0.0 100.0

    3 0 대 (208) 7.8 3.2 4.1 0.0 0.0 100.0

    4 0 대 (240) 5.4 6.2 1.2 0.4 0.0 100.0

    5 0 대 (224) 5.9 4.5 1.4 0.0 0.4 100.0

    6 0 대 (131) 3.3 8.1 0.0 0.0 0.0 100.0

    권역

    수 도 권 (511) 7.4 5.5 1.9 0.0 0.2 100.0

    경 남 권 (160) 2.5 6.9 0.6 0.0 0.0 100.0

    경 북 권 (130) 4.6 3.9 2.9 0.0 0.0 100.0

    전 라 권 (98) 8.0 5.0 3.0 1.1 0.0 100.0

    충 청 권 (103) 5.0 1.9 0.0 0.0 0.0 100.0

    지역

    크기

    대 도 시 (469) 6.5 5.1 1.6 0.0 0.2 100.0

    중 / 소 도 시 (412) 6.6 5.2 2.4 0.3 0.0 100.0

    읍 / 면 / 동 (121) 2.4 5.1 0.0 0.0 0.0 100.0

    가구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 (19) 5.3 0.0 0.0 0.0 0.0 100.0

    100~200만 원 미만 (66) 6.2 6.4 1.5 0.0 0.0 100.0

    200∼300만 원 미만 (150) 6.6 5.2 0.6 0.0 0.0 100.0

    300∼400만 원 미만 (280) 5.4 4.6 2.0 0.4 0.0 100.0

    400∼500만 원 미만 (229) 6.0 4.0 2.1 0.0 0.0 100.0

    500∼600만 원 미만 (147) 6.2 8.9 2.1 0.0 0.0 100.0

    600∼700만 원 미만 (56) 3.6 3.4 1.7 0.0 1.8 100.0

    700∼800만 원 미만 (30) 10.1 6.8 3.2 0.0 0.0 100.0

    800만 원 이상 (23) 12.9 0.0 0.0 0.0 0.0 100.0

    모 름 / 무 응 답 (1) 0.0 0.0 0.0 0.0 0.0 100.0

  •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33

    나. 우리나라의 환경 상태

    우리나라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자연경관(경치)’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만족도 점수 3.45점), 그 다음으로, ‘하늘/공기’

    (만족도 점수 3.38점), ‘물/강/호수/바다’(만족도 점수 3.17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음’, ‘쓰레기처리’, ‘화학물질로 인한 오염 및 사고’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2.6점대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환경 전반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3.07점으로 나타났다.

    문) 귀하는 다음 각각의 우리나라 환경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단위: %)

    만족

    3.38점

    물/강/호수/바다

    소음

    쓰레기처리

    화학물질로 인한 오염(실내공기질 등) 및 사고

    생물의 다양성

    도시의 녹지

    자연경관(경치)

    환경전반

    불만족 평균

    3.17점

    2.67점

    2.65점

    2.64점

    3.10점

    3.18점

    3.45점

    3.07점

    하늘/공기 4.9

    5.2

    6.6

    44.1

    33.6

    13.9

    17.0

    10.6

    27.8

    34.0

    42.3

    23.8

    36.4

    36.7

    37.0

    34.1

    43.7

    47.3

    39.0

    40.9

    13.9

    21.9

    40.3

    37.7

    37.6

    20.8

    21.7

    9.8

    18.5

    1.9

    2.7

    3.9

    2.9

    1.9

    1.9

    55.0

    6.1

    0.7

    2.6

    6.1

    9.3

    1.3

    1.3

    0.5

    0.8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우리나라의 환경상태

  • 34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환경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특성별로 살펴보면 지역크기별로 읍/면/동(3.23점)

    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권역별로는 경남권(2.96점), 지역크기

    별로는 대도시(3.02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환경 만족도 - 환경 전반

    (단위: %)

    구 분 보 기 항 목

    계평균

    (점)응답자 특성 (사례 수)

    ①+②

    보통

    ④+⑤

    매우

    만족

    만족

    만족

    매우

    불만족

    전 체 (1,002) 1.9 23.8 25.7 55.0 18.5 0.8 19.3 100.0 3.07

    성별남 자 (509) 1.7 24.6 26.4 54.7 17.9 1.0 19.0 100.0 3.08

    여 자 (493) 2.0 22.9 24.9 55.4 19.1 0.6 19.7 100.0 3.07

    연령

    2 0 대 (199) 2.0 28.0 30.1 51.6 17.3 1.1 18.3 100.0 3.13

    3 0 대 (208) 2.7 21.6 24.3 53.8 20.5 1.4 21.9 100.0 3.04

    4 0 대 (240) 2.1 19.6 21.6 57.9 20.5 0.0 20.5 100.0 3.03

    5 0 대 (224) 0.0 25.9 25.9 54.6 18.6 0.9 19.5 100.0 3.06

    6 0 대 (131) 3.1 24.9 28.0 57.5 13.6 0.8 14.4 100.0 3.16

    권역

    수 도 권 (511) 1.6 21.0 22.5 57.6 19.5 0.4 19.9 100.0 3.04

    경 남 권 (160) 0.0 23.8 23.8 48.0 28.2 0.0 28.2 100.0 2.96

    경 북 권 (130) 7.5 22.1 29.7 55.2 11.3 3.8 15.1 100.0 3.18

    전 라 권 (98) 0.0 32.3 32.3 50.0 16.7 1.1 17.7 100.0 3.13

    충 청 권 (103) 1.0 31.7 32.6 57.6 9.7 0.0 9.7 100.0 3.24

    지역

    크기

    대 도 시 (469) 0.4 23.7 24.1 55.0 19.9 1.1 21.0 100.0 3.02

    중 / 소 도 시 (412) 3.4 22.6 26.0 53.9 19.5 0.7 20.2 100.0 3.08

    읍 / 면 / 동 (121) 2.5 28.2 30.7 59.1 10.2 0.0 10.2 100.0 3.23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71) 4.4 21.2 25.6 60.8 12.1 1.5 13.6 100.0 3.15

    고등학교 졸업 (445) 1.5 27.7 29.3 53.7 16.4 0.7 17.0 100.0 3.13

    대재 이상 (486) 1.8 20.5 22.4 55.4 21.5 0.8 22.3 100.0 3.01

    가구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 (19) 5.1 15.1 20.2 57.1 22.7 0.0 22.7 100.0 3.03

    100~200만 원 미만 (66) 3.1 24.0 27.2 50.0 19.8 3.0 22.8 100.0 3.04

    200∼300만 원 미만 (150) 3.3 13.0 16.2 57.9 25.2 0.6 25.8 100.0 2.93

    300∼400만 원 미만 (280) 0.7 22.0 22.6 58.6 17.7 1.1 18.8 100.0 3.03

    400∼500만 원 미만 (229) 0.4 30.0 30.5 51.8 16.9 0.9 17.8 100.0 3.12

    500∼600만 원 미만 (147) 2.8 30.4 33.1 51.8 15.1 0.0 15.1 100.0 3.21

    600∼700만 원 미만 (56) 3.3 19.6 22.9 54.1 23.0 0.0 23.0 100.0 3.03

    700∼800만 원 미만 (30) 3.4 29.9 33.3 56.7 10.0 0.0 10.0 100.0 3.27

    800만 원 이상 (23) 4.2 17.6 21.9 61.2 16.9 0.0 16.9 100.0 3.09

    모 름 / 무 응 답 (1) 0.0 100.0 100.0 0.0 0.0 0.0 0.0 100.0 4.00

  •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35

    다. 우리나라 환경과 선진국 환경 비교

    선진국 환경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환경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물어본 결과, ‘하늘

    /공기’ 및 ‘자연경관(경치)’에 대해서는 선진국에 비해 좋다(매우 좋다+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5점 척도 점수: 2.96/2.97점)

    반면, ‘쓰레기 처리’에 대해서는 선진국에 비해 떨어진다(매우 떨어진다 + 떨어

    진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5점 척도 점수: 2.38점)

    문) 귀하는 다음 각각의 우리나라 환경이 미국, 일본, 서유럽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단위: %)

    좋다

    물/강/호수/바다

    소음

    쓰레기처리

    화학물질로 인한 오염(실내공기질 등) 및 사고

    생물의 다양성

    도시의 녹지

    자연경관(경치)

    환경전반

    떨어진다 평균

    2.96점

    2.84점

    2.48점

    2.38점

    2.46점

    2.73점

    2.69점

    2.97점

    2.74점

    하늘/공기

    3.7

    27.4

    22.8

    11.8

    10.8

    11.0

    17.6

    19.8

    27.2

    16.3

    36.9

    36.8

    31.1

    28.7

    31.9

    35.9

    31.1

    36.3

    26.0

    28.9

    41.4

    39.0

    40.3

    34.9

    37.1

    26.9

    35.2

    1.9

    1.5

    1.9

    1.2

    0.8

    1.1

    2.7

    2.6

    1.4

    1.6

    2.1

    2.2

    1.0

    1.5

    41.0

    12.7

    5.1

    7.4

    12.2

    17.6

    6.7

    8.6

    5.1

    5.0

    2.4

    2.7

    3.1

    매우 좋다 좋다 비슷하다 떨어진다 매우 떨어진다 모르겠다

    우리나라 환경과 선진국 환경 비교

  • 36 2015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선진국과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환경전반에 대한 수준을 특성별로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학력별로 중졸 이하(6%),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 원 미만의 저소득층(5.9%/4.7%)의 계층에서 ‘모르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환경과 선진국 환경 비교 - 환경 전반

    (단위: %)

    구 분 보 기 항 목

    모르

    겠다계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