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ksponco.or.kr · 2015. 4. 3. · / ' 0'1 0&234& 56 037 68 9:; < & .!=>? *@a? *bc >dcef0&2g" , h3i3 9:; < & j,hk l mn,h#oe %p ,hf0e q< & r i3s>tujv3 w.cef0e q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職 員 年 俸 規 程

    2009. 9. 29 制定

    2010. 6. 24 改正

    2010. 9. 15 改正

    2011. 1. 31 改正

    2011. 3. 31 改正

    2011. 5. 12 改正

    2011. 7. 7 改正

    2011. 11. 25 改正

    2011. 12. 23 改正

    2012. 9. 27 改正

    2012. 11. 29 改正

    2012. 12. 12 改正

    2013. 6. 27 改正

    2013. 12. 17 改正

    2014. 5. 29 改正

    2014. 10. 31 改正

    2014. 11. 27 改正

  • - 1 -

    목 차

    제 1 장 총 칙

    제 1 조 목적 ········································································································ 3

    제 2 조 적용대상 ································································································ 3

    제 3 조 용어의 정의 ··························································································· 3

    제 2 장 연봉의 계산 및 지급방법

    제 4 조 보수의 지급시기 등 ·············································································· 3

    제 5 조 기본연봉 ································································································ 3

    제 5 조의 1 성과연봉 ························································································ 3

    제 6 조 기본연봉의 조정 ···················································································· 4

    제 7 조 기본연봉 조정의 예외 ··········································································· 4

    제 8 조 휴가․휴직 및 징계기간의 연봉지급 ··················································· 4

    제 9 조 잔무처리기간중의 보수 ········································································· 5

    제 10 조 파견기간중의 보수 ·············································································· 5

    제 11 조 수습기간중의 보수 ·············································································· 5

    제 12 조 겸임근무중의 보수 ·············································································· 5

    제 13 조 신규채용시 기본연봉 책정 ································································· 5

    제 14 조 승진시 기본연봉 책정 ········································································ 6

    제 15 조 연봉조정위원회 ··················································································· 6

    제 16 조 연봉의 통보 ························································································ 6

    제 17 조 비밀유지 ······························································································ 6

  • - 2 -

    제 3 장 연봉외수당 및 성과연봉

    제 18 조 시간외근무 및 휴일근무수당 ····························································· 6

    제 19 조 야간근무수당 ······················································································· 7

    제 20 조 장기근속수당 ······················································································· 7

    제 21 조 가족수당 ······························································································ 7

    제 22 조 직책수당 ······························································································ 8

    제 23 조 피파견자 수당 ····················································································· 8

    제 24 조 [제5조의 1로 이동(’14.5.29)] ······················································· 8

    제 4 장 퇴직금

    제 25 조 퇴직금 ································································································· 8

    제 25 조의1 퇴직연금제도 ················································································· 8

    제 25 조의2 퇴직금의 제한 ··············································································· 8

    제 26 조 삭제(’11. 1. 31) ·············································································· 9

    제 27 조 삭제(’11. 1. 31) ·············································································· 9

    제 28 조 삭제(’11. 1. 31) ·············································································· 9

    제 29 조 삭제(’13. 12. 17) ··········································································· 9

    제 5 장 보 칙

    제 30 조 위임규정 ······························································································ 9

    부 칙 ·························································································································· 9

  • 직 원 연 봉 규 정

    - 3 -

    직 원 연 봉 규 정

    제 1장 총 칙

    제 1 조 (목적) 이 규정은 한국체육산업개발주식회사 직원의 연봉제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2 조 (적용대상) 이 규정의 적용대상은 일반직, 기술직(이하 “직원”이라 한다)으로 한

    다.(’10.9.15 개정)

    제 3 조 (용어의 정의)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보수”는 연봉과 연봉외수당을 합산한 금액을 말한다.(’14.5.29 개정)

    2. “연봉”이라 함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지급되는 다음 각 목의 기

    본연봉과 성과연봉을 합산한 금액을 말한다.(’14.5.29 개정)

    가. 기본연봉은 직무와 관련된 기본적인 급여로 연봉조정의 기본이 되는 급여를 말한다.

    나. 성과연봉은 전년도 평가결과에 따라 지급되는 급여를 말한다.

    3. “연봉월액”은 연봉을 12등분한 금액을 말한다.(’14.5.29 개정)

    4. 연봉외수당은 연봉에 포함되지 않는 제수당을 말한다.(’14.5.29 개정)

    제 2장 연봉의 계산 및 지급방법

    제 4 조 (보수의 지급시기 등) ①보수는 매월 1회 지급하며 그 지급일은 당월 20일로 한

    다. 다만, 지급일이 휴일 또는 토요일인 경우에는 그 전일에 지급한다.

    ②직원의 보수 계산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로 한다.

    ③보수는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규채용, 승진, 전직, 전보, 감봉 그

    밖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발령일을 기준으로 일할계산하여 지급한다.

    ④퇴직․공상으로 인한 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는 당해월분 보수 전액을 지급한다.

    제 5 조 (기본연봉) 직급별 기본연봉은 별표 1의 기본연봉표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10.9.15,

    ’11.7.7, ’11.11.25, ’12.9.27, ’13.6.27, ’14.11.27 개정)

    제 5 조의 1 (성과연봉) ①직원에게는 별표 9에 따른 성과연봉을 지급한다.(’11.7.7, ’12.9.27,

  • 직 원 연 봉 규 정

    - 4 -

    ’13.6.27 개정)

    ②제1항의 성과연봉은 전년도 평가결과에 따라 별표 10의 지급률을 적용하여 지급한다.

    (’11.7.7 신설)

    ③성과연봉의 지급기준 등에 대하여는 대표이사가 따로 정한다.(’11.7.7 개정)

    [제24조에서 이동(’14.5.29)]

    제 6 조 (기본연봉의 조정) ①직원의 기본연봉은 전년도의 기본연봉, 임금인상률 등을 고

    려하여 조정한다.

    ②기본연봉의 차등인상은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전년도의 기본연봉에 전년도 평가결

    과에 따른 별표 3의 차등인상률을 적용하여 조정한다. 단, 일반직․기술직 3급 이상의

    직원에 대해서는 누적식으로 기본연봉을 조정한다.(’11.7.7 개정)

    ③기본연봉의 감액 또는 증액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별도로 조정할 수 있다. 기본연봉

    을 조정하는 경우 천원 미만은 반올림한다.(’11.5.12 개정)

    제 7 조 (기본연봉 조정의 예외) ①징계처분을 받은 자는 인사규정 제51조에 따른 제한기

    간에 대해 기본연봉을 조정하지 아니한다.

    ②(’11.7.7 삭제)

    ③제6조 제2항의 평가결과 산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중간등급을 적용한다.(’11.7.7 개정)

    제 8 조 (휴가․휴직 및 징계기간의 연봉지급) ①휴가중에는 보수전액을 지급한다. 다만,

    임신중인 여자직원의 산전후 휴가의 경우 최초 60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75일)간만 유급휴가로 한다.(’14.10.31 개정)

    ②휴직자는 다음에 따라서 지급한다.

    1. (’14.5.29 삭제)

    2. 신체․정신상의 장애로 장기요양을 위하여 휴직한 직원에게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보수를 지급한다.(’12.12.12, ’14.5.29 개정)

    가. 휴직기간이 1년 이하인 경우 : 연봉월액의 60퍼센트

    나. 휴직기간이 1년 초과 2년 이하인 경우 : 연봉월액의 40퍼센트

    3. 10년 이상 근속한 직원이 인사규정 제137조 제2항 제2호에 의한 해외유학을 위하여

    휴직한 경우 연봉월액의 40퍼센트를 지급 한다. 이 경우 학위취득을 위한 해외유학은

    2년 이내로 지급하며, 그 밖의 경우는 1년 이내로 지급한다.(’10.6.24 신설, ’14.5.29

    개정)

  • 직 원 연 봉 규 정

    - 5 -

    4. 그 밖의 휴직의 경우 보수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③징계처분 또는 직위해제된 자는 다음에 따라서 지급한다.

    1. 감봉 : 1개월(회)당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감하고, 감봉회수가 2개월(회)

    이상일 경우에도 총감봉액이 1임금지급기의 임금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

    한다.

    2. 정직 : 연봉월액의 100분의 30과 연봉외 수당 3분의 1을 감하고 지급한다.(’11.7.7,

    ’14.5.29 개정)

    3. 직위해제 : 연봉월액의 100분의 16과 장기 근속수당의 10분의 2를 감하고 지급하

    되, 징계의결 요구 중이거나 형사사건으로 기소되어 직위해제된 자가 직위해제일로

    부터 3월이 경과하여도 직위를 부여받지 못한 경우에는 그 3월이 경과한 후의 기간 중

    에는 연봉월액의 10분의 4와 장기근속 수당의 10분의 5를 감하고 지급한다.(’14.5.29

    개정)

    ④유계결근일이 20일을 초과한 자에 대하여는 초과한 매1일에 대하여 기본연봉 일액의

    3분의 2를 감하고 지급하며, 무단 결근자에 대하여는 결근일수에 상당하는 보수를 지급

    하지 아니한다.

    제 9 조 (잔무처리기간중의 보수) 퇴직자가 잔무처리를 위하여 계속 근무하는 경우에는

    재직당시의 보수를 일할 계산하여 지급한다. 다만, 그 일수는 15일을 초과할 수 없다.

    제 10 조 (파견기간중의 보수) 타기관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직원의 보수는 다른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전액 지급한다. 다만, 실적에 따라 지급하는 보수는 근무기관에

    서 지급하는 경우에 한해 지급하지 아니한다.

    제 11 조 (수습기간중의 보수) ①수습기간중에는 기본연봉만 지급한다.

    ②채용전 임용후보자에 대한 교육훈련 기간 중에는 채용 예정직급의 기본연봉 하한액에

    해당하는 월봉의 5할을 지급한다.

    제 12 조 (겸임근무중의 보수) 직원이 겸임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다른 법령에 특별한 규

    정이 없는 한 본직의 보수와 겸임하는 직의 보수 중 많은 것을 지급한다.

    제 13 조 (신규채용시 기본연봉 책정) ①직원을 신규채용하는 경우 기본연봉은 별표 1의

    채용직급 하한액으로 책정한다.(’10.9.15, ’11.11.25, ’11.12.23, ’12.9.27, ’13.6.27,

    ’14.11.27 개정)

    ②신규채용자가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별표 4의 기본연봉 책정기준표를 따르되, 1년 미

  • 직 원 연 봉 규 정

    - 6 -

    만의 기간에 대해서는 15일 이상은 1월로 하고 15일 미만은 버린 후 월할 계산하여 가

    산한다.(’11.7.7 개정)

    ③군복무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3년을 한도로 매 1년에 대해 별표 5에서 정한 채용직급의

    경력가산 기준액을 월할계산하여 가산하고 당해 기간은 제2항의 경력연수에서 제외한

    다.(’10.9.15, ’11.7.7, ’11.12.23, ’12.9.27, ’13.6.27, ’14.11.27 개정)

    제 14 조 (승진시 기본연봉 책정) ①직원이 승진하는 경우 기본연봉은 승진전 기본연봉에

    별표 6의 승진가산액을 합산하여 책정한다. 다만, 합산하여 산정한 금액이 별표 1에서

    정하는 해당직급의 기본연봉 하한액에 미달될 경우에는 하한액을 적용한다.(’10.9.15,

    ’11.12.23, ’12.9.27, ’13.6.27,’14.11.27 개정)

    ②2급으로 승진하는 경우 기본연봉은 승진전 기본연봉에 연차휴가보상금을 제외한 법정

    수당을 포함후 별표 6의 승진가산액을 합산하여 책정한다. 다만, 합산하여 산정한 금액

    이 별표 1에서 정하는 해당직급의 기본연봉 하한액에 미달될 경우에는 하한액을 적용한

    다.(’11.7.7 신설, ’11.12.23, ’12.9.27, ’13.6.27, ’14.11.27 개정)

    ③3급으로 승진하는 경우 기본연봉은 별표 8의 기준을 적용하여 책정한다. 다만, 합산하

    여 산정한 금액이 별표 1에서 정하는 해당직급의 기본연봉 하한액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하한액을 적용한다.(’11.7.7 신설, ’12.9.27, ’13.6.27, ’14.11.27 개정)

    제 15 조 (연봉조정위원회) ①연봉에 대한 이의신청 등을 심사하기 위하여 연봉조정위원

    회를 둔다.

    ②연봉조정위원회의 구성은 대표이사가 따로 정한다.

    제 16 조 (연봉의 통보) 연봉은 매년 서면 또는 전자적인 업무처리를 통해 개인에게 직접

    통보하며 통보된 연봉에 이의가 있는 자는 연봉 통보일로부터 10일 이내에 별지 제1호

    서식에 의하여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제 17 조 (비밀유지) 연봉은 업무담당자와 대상자만이 알아야 하며 동내용을 타인에게 발

    설하거나 인지하게 한 자는 인사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징계할 수 있다.

    제 3 장 연봉외수당 등(’14.5.29 개정)

    제 18 조 (시간외근무 및 휴일근무수당) ①특명에 따라 규정된 근무시간외에 근무한 자에

  • 직 원 연 봉 규 정

    - 7 -

    대하여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별표 7에 따른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한다. 다만, 보상휴가

    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②특명에 따라 규정된 휴일에 근무한 자에 대하여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별표 7에 따른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한다. 다만, 보상휴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 19 조 (야간근무수당) 야간(22시부터 익일 6시까지)에만 근무하는 자와 주․야 교대

    근무자로서 야간근무를 하는 자에 대하여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별표 7에 따른 야간근무

    수당을 지급한다.

    제 20 조 (장기근속수당) ①일반직․기술직 4급 이하 직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매

    월 별표 7에 따른 장기근속수당을 지급한다.(’11.7.7 개정)

    ②장기근속수당의 지급에 따른 근속연수 계산은 이 규정의 적용을 받는 직원으로 최초

    채용된 날로부터 한다.

    제 21 조 (가족수당) ①일반직․기술직 4급 이하 직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매월 별

    표 7에 따른 가족수당을 지급하되 부양가족의 수는 4인 이내로 한다.(’11.7.7 개정)

    ②제1항의 “부양가족”이라 함은 직원과 주민등록표상 세대를 같이하는 사람으로서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그 가족의 취학ㆍ요양 또는 거주의 형편이

    나, 직원의 근무형편에 따라 별거하는 경우(장남ㆍ장녀에 한한다)에도 부양가족에 포함

    한다.

    1. 배우자

    2. 20세 미만의 직계비속

    3. 60세 이상의 직계존속(여자인 경우에는 55세, 다만, 배우자가 사망하였거나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인 경우에는 그 배우자의 직계존속도 포함한다)

    4. 60세 미만의 직계존속 및 20세 이상의 직계비속 중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

    ③제2항의 제3호 및 제4호의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1.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장애등급 제1급에서 제2급까지

    2.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4조에 따른 상이등급 제1급

    부터 제2급까지

    ④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부양가족에 대하여 부양하는 직원이 2인 이상인 경

    우에는 그중 1인에게만 수당을 지급한다.

    ⑤가족수당을 지급받고자 하는 자는 매년 부양가족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부양가족

  • 직 원 연 봉 규 정

    - 8 -

    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⑥직원이 거짓으로 제1항의 수당을 지급받은 경우에는 그 지급받은 수당에 해당하는 금액

    을 변상하도록 하고, 해당직원에게는 1년의 범위에서 가족수당의 지급을 정지한다.

    (’12.11.29 신설)

    제 22 조 (직책수당) 지도주임에게는 별표 7에서 정하는 직책수당을 지급한다.(’11.7.7,

    ’12.9.27 개정)

    제 23 조 (피파견자 수당) 회사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회사에 파견된 자(공무원 등)에게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피파견자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제 24 조

    [제5조의 1로 이동(’14.5.29)]

    제 24 조의2(안전관리수당) 안전관리를 위하여 관련법령에 따라 선임된 직원 또는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에 한하여 별표 7에 따른 안전관리수당을 지급한다. 다만, 2종류

    이상 중복되는 직원에게는 1종류에 한하여 수당을 지급한다.(’14.10.31 신설)

    제 4 장 퇴직금

    제 25 조 (퇴직금) ①직원이 1년 이상 근속하고 퇴직 또는 사망하였을 때에는 퇴직금을

    본인 또는 유족에게 지급한다.

    ②퇴직금 지급기준액은 평균임금으로 하며 평균임금은 다음 각 호의 금액을 합산한 금액

    으로 한다.

    1. 퇴직전 3개월분의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11.3.31 개정)

    2. (’11.3.31 삭제)

    3. 퇴직전 가장 가까운 시기에 지급된 연차수당 및 성과급을 365일로 나눈 금액

    (’11.3.31 개정)

    ③이 규정 이외의 사항은 근로기준법 등 관계법령에 따른다.

    제 25 조의1 (퇴직연금제도) 회사는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에 기여하기 위하여

    퇴직연금제도를 시행하며,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은 퇴직연금규약에 의한다.(’11.1.31

    신설)

    제 25 조의2 (퇴직금의 제한) ①직원이거나 직원이었던 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퇴직금을 감액하여 지급 한다.(’14.5.29 신설)

    1. 재직 중 직무와 관련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경우(소속상관의 정당한 직무상의

    명령에 따르다가 과실로 인한 경우는 제외한다)

    2. 징계에 의하여 파면된 경우

  • 직 원 연 봉 규 정

    - 9 -

    3. 금품 및 향응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경우

    ②제1항의 규정에 따른 따른 퇴직금 감액은 다음 각호의 구분에 따른다.(’14.5.29 신설)

    1.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자

    가. 재직기간이 5년 미만인 자 : 그 금액의 4분의 1

    나. 재직기간이 5년 이상인 자 : 그 금액의 2분의 1

    2.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 자

    가. 재직기간이 5년 미만인 자 : 그 금액의 8분의 1

    나. 재직기간이 5년 이상인 자 : 그 금액의 4분의 1

    ③직원이거나 직원이었던 자가 직무와 관련금고 이상의 형에 처할 범죄행위로 인하여 수

    사가 진행중 이거나 형사재판이 계속중일 때에는 다음과 같이 퇴직금의 일부만 지급 한

    다. 단, 불기소처분시,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지 아니하였을 때, 금고 이상의 형의 선

    고유예판결을 받고 그 유예기간이 지났을 때에는 그 잔여금을 지급하되, 그 잔여금에 법

    정 이자를 가산하여 지급한다.(’14.5.29 신설)

    1. 재직기간이 5년 미만인 자 : 그 금액의 4분의 3

    2. 재직기간이 5년 이상인 자 : 그 금액의 2분의 1

    ④제1항 및 제3항에 의한 퇴직급여 지급액이「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른 최저금액

    보다 적을 경우에는 최저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지급한다.(’14.5.29 신설)

    제 26 조 (’11.1.31 삭제)

    제 27 조 (’11.1.31 삭제)

    제 28 조 (’11.1.31 삭제)

    제 29 조 (’13.12.17 삭제)

    제 5 장 보 칙

    제 30 조 (위임규정) 이 규정을 시행함에 세부적인 사항은 대표이사가 따로 정한다.

    부 칙

    제 1 조 (시행일)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로부터 시행한다. 단, 본 규정 중

    보수에 관한 사항은 2009년 1월 1일부터 기산하되, 직책수당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 직 원 연 봉 규 정

    - 10 -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 2 조 (제 규정의 폐지) 이 규정의 시행과 동시에 보수규정, 연봉제운영규정 및 지도직

    직원규정은 폐지한다.

    부 칙

    (개정 2010.6.24)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0.9.15)

    제 1 조 (시행일)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제 2 조 (직종통폐합에 따른 경과조치) 직종 통폐합 이후 보수는 종전 보수를 지급하되

    통폐합이후 부여된 직급의 기본연봉 상한액을 초과할 수 없다. 단, 지도직 직원에서 일

    반직 7급을 부여받는 직원 중 기본연봉 상한액을 초과할 경우 직종 통폐합전 기본연봉을

    지급한다.

    부 칙

    (개정 2011.1.31)

    이 규정은 2011년 1월 1일부터 소급 적용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1.3.31)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1.5.12)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1.7.7)

    이 규정은 이사회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하되, 2011년 7월 1일부터 소급적용한다.

  • 직 원 연 봉 규 정

    - 11 -

    부 칙

    (개정 2011.11.25)

    이 규정은 이사회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하되, 2011년 1월 1일부터 소급적용한다.

    부 칙

    (개정 2011.12.23)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하되, 별표 1 및 별표 2의 개정사항은 2012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부 칙

    (개정 2012.9.27)

    이 규정은 2012년 1월 1일부터 소급적용 시행하되, 별표7의 개정사항은 2012년 10월 1일

    부터 적용한다.

    부 칙

    (개정 2012.11.29)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2.12.12)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3.6.27)

    이 규정은 이사회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하되, 2013년 1월 1일부터 소급적용 한다.

    부 칙

    (개정 2013.12.17)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4.5.29)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개정 2014.10.31)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 직 원 연 봉 규 정

    - 12 -

    부 칙

    (개정 2014.11.27)

    이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받은 날로부터 시행하되, 2014년 임금 인상에 관한 사항은

    2014년 1월 1일부터 소급하여 적용한다.

  • 직 원 연 봉 규 정

    - 12 -

    (별표 1) (’10.6.24, ’10.9.15, ’11.5.12, ’11.7.7, ’11.11.25, ’11.12.23 ’12.9.27,

    ’13.6.27, ’14.11.27 개정)

    기 본 연 봉 표

    (단위 : 원)

    구 분 하 한 액 상 한 액

    일반직

    기술직

    1급 58,915,000 81,202,000

    2급 56,178,000 77,276,000

    3급 43,071,000 69,623,000

    4급 38,965,000 63,700,000

    5급 34,394,000 57,405,000

    6급 30,409,000 51,738,000

    7급 23,027,000 46,638,000

    (별표 2) (’11.12.23 삭제)

    - 12 -1 -

  • 직 원 연 봉 규 정

    - 13 -

    (별표 3) (’11.7.7 개정)

    등급별 차등인상률

    ○ 일반직․기술직 1∼3급

    평가등급 S A B C D

    배 분 율 10% 15% 50% 15% 10%

    차 등

    인 상 률

    기준인상률

    +1.0%

    기준인상률

    +0.5%기준인상률

    기준인상률

    -0.5%

    기준인상률

    -1.0%

    ○ 일반직․기술직 4급 이하

    평가등급 S A B C D

    배 분 율 10% 15% 50% 15% 10%

    차 등

    인 상 률

    기준인상률

    × 2

    기준인상률

    × 1.5기준인상률

    기준인상률

    × 0.5동결

    ※ 기준인상률은 당해연도의 총인건비 인상률 범위 내에서 대표이사가 정한다.

    (별표 4) (’11.7.7 개정)

    기본연봉 책정기준표

    경력연수

    기본연봉3년 이하 3년 초과

    금 액 하한액 하한액 + [기준액 × (경력연수 - 3)]

    ※ ‘기준액’이라 함은 별표 5의 경력가산 기준액을 말한다.

  • 직 원 연 봉 규 정

    - 14 -

    (별표 5) (’10.6.24, ’10.9.15, ’11.12.23, ’12.9.27, ’13.6.27, ’14.11.27 개정)

    경력가산 기준액

    (단위 : 원)

    구 분 기 준 액

    일 반 직

    기 술 직

    1급 866,000

    2급 819,000

    3급 607,000

    4급 553,000

    5급 500,000

    6급 443,000

    7급 392,000

  • 직 원 연 봉 규 정

    - 15 -

    (별표 6) (’10.6.24, ’10.9.15, ’11.12.23, ’12.9.27, ’13.6.27, ’14.11.27 개정)

    승 진 가 산 액

    (단위 : 원)

    구 분 기 준 액

    일 반 직

    기 술 직

    2급 → 1급 3,262,000

    3급 → 2급 3,262,000

    4급 → 3급 3,262,000

    5급 → 4급 3,304,000

    6급 → 5급 3,304,000

    7급 → 6급 3,304,000

  • 직 원 연 봉 규 정

    - 16 -

    (별표 7) (’11.7.7, ’12.9.27, ’14.10.31 개정)

    연봉외수당 지급기준표

    구 분 지급기간 및 지급액

    1. 시간외근무 및 휴일근무수당 ◦ 근로기준법 제56조의 규정에 따라서 지급

    - 통상임금×1.5/209×근무시간

    2. 야간근무수당 ◦ 근로기준법 제56조의 규정에 따라서 지급

    - 통상임금×1.5/209×근무시간

    3. 장기근속수당 ◦ 5년 이상 근속직원(매월)

    50,000원+{(근속년수-5)×10,000}

    ※ 최대 20년까지 지급

    4. 가족수당 ◦ 배우자 : 30,000원(매월)

    ◦ 배우자를 제외한 부양가족 1인당 : 20,000원(매월)

    (배우자포함 최대 4인)

    5. 안전관리수당 ◦ 지급대상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산업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

    - 전기사업법에 따라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하여 고압가스안전관리자,

    도시가스안전관리자, 검사대상기기조종자(보일러안전관리자)

    로 선임된 자

    -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소방안

    전관리자로 선임된 자

    -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하여 위험물관리자로 선임된 자

    -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에 의하여 승강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

    -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하여 재난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

    - 수상시설물 관리 등을 위해 잠수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자

    ◦ 지 급 액

    - 기 사 : 50,000원(매월)

    - 산업기사 : 30,000원(매월)

    - 기 타 : 20,000원(매월)

    6. 직책수당 ◦ 수석주임 : 월 100,000원(’12.9.27 신설)

    ◦ 지도주임 : 월 70,000원(’12.9.27 개정)

  • 직 원 연 봉 규 정

    - 17 -

    (별표 8) (’11.7.7 신설, ’13.6.27 개정)

    3급 승진시의 기본연봉 책정기준

    승진후 기본연봉 = 승진전 기본연봉 +장기근속수당 및 가족수당의 1년간 총액 +

    별표 6의 승진가산액 - 성과연봉전환금(5,550,000원)

    (별표 9) (’11.7.7, 신설, ’12.9.27, ’13.6.27 개정)

    성 과 연 봉 표

    (단위 : 원)

    구 분 금 액

    1급실장급 19,922,000

    팀원급 13,213,000

    2급

    실장급 19,454,000

    팀장급 15,641,000

    팀원급 12,745,000

    3급

    실장급 19,301,000

    팀장급 15,488,000

    팀원급 12,592,000

    4급

    팀장급 7,266,000

    팀원급일반직 3,630,000

    기술직 3,878,000

    5급일반직 3,298,000

    기술직 3,464,000

    6급일반직 2,903,000

    기술직 3,223,000

    7급일반직 2,663,000

    기술직 2,748,000

  • 직 원 연 봉 규 정

    - 18 -

    (별표 10) (’11.7.7 신설)

    등급별 성과연봉 지급률

    ○ 일반직․기술직 1∼3급

    평가등급 S A B C D

    배 분 율 10% 15% 50% 15% 10%

    지 급 률 135% 117% 100% 83% 65%

    ○ 일반직․기술직 4∼7급

    평가등급 S A B C D

    배 분 율 10% 15% 50% 15% 10%

    지 급 률 130% 115% 100% 85% 70%

  • 직 원 연 봉 규 정

    - 19 -

    (별지 제1호 서식)

    연 봉 이 의 신 청 서

    1. 이의신청 사유 및 내용

    2. 이의신청 사유 근거

    3. 요청사항

    년 월 일

    직 위 :

    직 급 :

    성 명 :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