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ww.me.go.kr 2016. 8 11-1480000-001451-11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 12~ 14) [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점검 및 지표 평가 결과 ]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8 MINISTRY OF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1/023/012/5618404.pdf · [지속가능발전법 시행령] 제12조(지속가능성보고서의 작성) 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

    )

    M I N I S T R Y O F E N V I R O N M E N T

    http://www.me.go.kr

    2016. 8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000-001451-11

    2016.

    8

    ’12

    ’14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12~’14)[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점검 및 지표 평가 결과 ]

    MINISTRY OF ENVIRONMENT

    본 인쇄물은 친환경 용지를 사용하였습니다.

  • 본 보고서는「지속가능발전법」제14조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

    ’14년도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14.11)에 이은 ’16년도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임

    본 보고서는「지속가능발전법 시행령」에 규정된 국가 이행계획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결과, 국가 지속가능

    발전지표에 따른 국가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향후 개선 과제

    및 정책방향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지속가능발전법] 제14조(지속가능성보고서)

    ① 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2년마다 지속가능성 평가결과를 종합하는 지속

    가능성보고서를 작성하여 대통령에게 보고한 후 공표(公表)하여야 한다.

    [지속가능발전법 시행령] 제12조(지속가능성보고서의 작성)

    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최근 2년간을 대상으로 다음 연도 6월 말까지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1. 국가이행계획 추진상황 점검결과

    2. 국가의 지속가능성 평가결과

    3.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향후 과제 및 정책방향

    4. 그 밖에 국가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사항

  • ContentsContentsContents

    제1장 국내외 추진상황 ·························································································· 1

    1. 지속가능발전 국제 동향 ·························································································· 3

    2. 지속가능발전 국내 추진현황 ··················································································· 5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9

    1.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개요 ····································································· 11

    1) 기본계획의 체계 ································································································ 11

    2) 전략별 주요내용 ································································································ 12

    2. 전략별 이행평가 결과 ··························································································· 17

    1) 평가 총론 ··········································································································· 17

    2) 주요 성과지표 평가 ··························································································· 19

    3) 세부이행과제 추진실적 ······················································································ 22

    제3장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 55

    1.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개요 ················································································· 57

    1)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체계 ·················································································· 57

    2) 평가방법 ············································································································· 62

    2. 지표 평가 결과 ······································································································ 63

    1) 사회분야 평가(32개 지표) ················································································· 65

    2) 환경분야 평가(29개 지표) ················································································· 68

    3) 경제분야 평가(23개 지표) ················································································· 71

    3. OECD 회원국과 비교 평가 ·················································································· 73

    4. 관리 필요 주요 지표 ····························································································· 75

    1) 사회 분야 ··········································································································· 75

    2) 환경 분야 ··········································································································· 76

    3) 경제 분야 ··········································································································· 78

    제4장 향후 개선과제 ··························································································· 79

    1. 개선과제 및 제3차 기본계획과의 연계 ································································ 81

    2.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개편 ················································································· 86

    붙임 1. 지속가능발전 전략별 이행과제 및 관련부처 ·················································· 91

    붙임 2. 소관부처별 제3차 기본계획과의 연계 추진 계획 ··········································· 96

    붙임 3.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산정방법 및 출처 ···················································· 134

    붙임 4. UN SDGs 목표, 세부목표, 지표 ·································································· 138

  • ContentsContentsContents

    표 차례

    한국 지속가능발전 제도 및 추진체계 ································································· 6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추진현황 ········································································ 7

    전략별 이행과제, 세부이행과제, 성과지표 ······················································· 13

    제2차 기본계획 주요 성과지표 달성도 ····························································· 20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 사회분야 ································································· 58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 환경분야 ································································· 58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 경제분야 ································································· 58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 58

    '14년 평가 이후 지표 변화(제8기 지속위) ······················································· 61

    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결과('12 ~ '14년 변화) ············································· 63

    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결과('10년 이후 추세) ·············································· 64

    사회분야 지표 평가결과 종합 ········································································· 66

    환경분야 지표 평가결과 종합 ········································································· 69

    경제분야 지표 평가결과 종합 ········································································· 72

    OECD 회원국과의 평균 비교 ········································································· 74

    제2차 기본계획과 제3차 기본계획과의 연계 ················································· 83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지표체계 ····························································· 87

    그림 차례

    [그림 1]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17개 목표 ···················································· 4

    [그림 2] 제2차 계획('11 ~ '30) 비전 및 체계 ······························································ 11

    [그림 3] 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결과('12 ~ '14년 변화) ············································· 63

    [그림 4] 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결과('10년 이후 추세) ·············································· 64

  • 제1장국내외 추진상황

  • ❙제1장❙ 국내외 추진상황◤

    >>> 3

    제 1 장 국내외 추진상황

    1. 지속가능발전 국제 동향

    지속가능발전 개념은 '87년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WCED1))가 발표한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에서 정의되어 널리 알려졌다. WCED 보고서(브룬트란트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가능발전은 ‘미래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을 말한다. 지속가능발전은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에서 '92년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2), Rio 회의)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SSD3))’이라는 환경-경제 통합 개념으로 발전되었고, '02년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WSSD4), Rio+10)에서 환경-경제-사회의 통합과 균형을 지향하는 인류의 보편적인 발전전략으로 정착되었다.

    '92년 UNCED에서 리우선언과 의제21을 채택하였는데, 의제21에는 각국 정부가 경제적 ·환경적 · 사회적 목적을 균형적이고 통합된 방식으로 달성하기 위한 국가지속가능발전전략(NSDS5))을 채택해야만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97년에 개최된 유엔총회 특별세션(Rio+5)에서는 모든 나라가 '02년까지 국가지속가능 발전전략을 수립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많은 국가들이 국가 지속가능 발전전략을 수립

    하였다. 영국이 세계 최초로 '94년에 국가 지속가능발전전략을 수립하였고, 독일과 프랑스가 각각 '02년과 '03년에 수립하였다. '01년에는 EU 차원의 지속가능발전전략이 수립되었는데, 현재까지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국가지속가능발전전략을 수립 · 시행하고 있다.

    '12년 UN지속가능발전회의(UNCSD6), Rio+20)는 지난 20년간에 걸친 각 국의 지속가능발전 노력을 점검하고, 결의문인 ‘우리가 원하는 미래(The Future We Want)’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설정에 합의하였다. 그 후 3년에 걸쳐 진행된 후속 논의를 바탕으로, '15년 9월 제70차 유엔총회에서 17개 목표(goal)와 169개 세부목표(target)로 구성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담은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가 채택되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과거의 성장 위주 개발로 인하여 발생된 불평등, 환경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 적용되어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협력을 통해 이행해야 하는 보편적인 목표들과 과감하고 혁신적인

    1)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2)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3)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4)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5)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6) UN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4

  • ❙제1장❙ 국내외 추진상황◤

    >>> 5

    2. 지속가능발전 국내 추진현황

    우리나라는 '92년 UNCED 리우선언 이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적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체계를 정비하는 등 국제적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각 분야 별로 관련부처가 참여하여 '96년 3월에 ‘의제 21 국가실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한편, '00년 6월에는 종합계획인 ‘새천년 국가환경비전’을 선포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발전의 효과적 이행을 위한 기구로 '00년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출범하여 국내 지속가능발전정책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07년 8월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이 제정‧공포되어 국가와 지방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추진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08년에 녹색성장이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09년 대통령 소속 녹색성장위원회7)가 출범됨에 따라 녹색성장 국가전략이 수립되었다. '10년에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은 「지속가능발전법」으로 개정되었으며, 이에 지속가능발전위원회도 대통령 소속에서 환경부장관 소속으로 전환되어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02년 WSSD에서 도출된 요하네스버그 공동이행계획(JPOI8))에 합의하고 그 후속조치로 '05년 국가지속가능발전 비전을 선언하였으며, '06년에 국가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국가지속가능발전 전략 및 이행계획('06 ~ '10년)’(제1차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지속가능발전 정책 강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제1차 기본계획은 미래 세대의 환경을 보전하는 동시에 현 세대의 경쟁력을 보장하는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제시되었으며 경제, 사회, 환경 3대 부문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환경 친화적 성장 동력의 육성과 경제·사회의 동반성장을 융합하도록 하는 4개 전략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현 「지속가능발전법」)에 따라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 오고 있다. 2011년에는 사회적 형평성과 기후변화 대응, 환경자원의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한 이행과제를 중심으로 하는 4대 전략, 25개 이행과제로 구성된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2011 ~ 2030년)’을 수립하였다. 2016년 1월에는 “환경 · 사회 ·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비전으로 하여 4대 목표(건강한 국토 환경, 통합된 안심 사회, 포용적 혁신 경제, 글로벌 책임 국가), 14개 전략, 50개 이행과제로 구성된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2016 ~ 2035년)’을 수립하였다. 제3차 기본계획은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이행을 위해 이를 국내 여건에 맞게 반영하고, 국가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취약 분야 및 전문가 진단에 따른 지속가능발전 위협 요인들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제2차 기본계획에 비해 내용과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7) 녹색성장위원회는 '13년 「저탄소녹색성장 기본법」이 개정되면서 대통령 소속에서 국무총리 소속으로 전환되었다.8) Johannesburg Plan of Implementation.

    9) ①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② 사회통합과 국민건강 증진 ③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④ 기후변화 대응과 지구환경 보전.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6

  • ❙제1장❙ 국내외 추진상황◤

    >>> 7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지속가능발전 조례를 만들고 관련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지방정부에서는 지속가능발전 관련 정책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지방 녹색성장 추진계획과 통합하여 추진하는 경우가 많다.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강원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등이 그러한 경우이다.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는 지방 단위의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별도로 수립 · 시행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울산광역시는 기존의 지방의제 21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푸른경기 21, 푸른울산 21). 나아가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등은 해당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정도에 대한 별도의 평가를 진행 또는 추진하고 있다. 한편 광역지방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기초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민관협력 네트워크인 지속가능 발전협의회가

    전국적으로 구성되어, 지방의 지속가능발전 추진 과정에서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다.

    연도 주요 추진 내용

    '92 ∘ UN환경개발회의(UNCED) : 리우선언, 의제21 채택'96 ∘ 의제21 국가실천계획 수립·시행

    '00∘ 새천년 국가환경비전 선언∘ 대통령 소속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

    '02 ∘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WSSD) : 요하네스버그 선언 채택'05 ∘ 국가지속가능발전비전 선언

    '06∘ 국가 지속가능발전 전략 및 이행계획 수립∘ 지속가능발전지표(77개) 선정

    '07 ∘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제정

    '10∘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 「지속가능발전법」으로 개정∘ 환경부장관 소속 지속가능발전위원회로 개편

    '11∘ 제2차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1~'30년) 수립∘ UN지속가능발전센터(UNOSD) 유치

    '12 ∘ UN지속가능발전회의(UNCSD) : UN 지속가능발전목표 설정 합의'15 ∘ 제70차 UN총회 : 2030 지속가능발전 의제 채택'16 ∘ 제3차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6~'35년) 수립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추진현황

  • 제2장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11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1.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개요

    1) 기본계획의 체계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1 ~ '30년)’(이하 제2차 계획)은 국토환경자원의 투입과 에너지 소비 증가를 수반하는 전통적인 성장 위주 정책에서 탈피하고, 친환경적인 정책 이행 및 사회의 안정 · 통합이 경제 성장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발전 정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수립되었다.

    제2차 계획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50조10)에 법적근거를 두고 수립되었으며,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내‧외 여건분석, 비전 및 목표, 4대 전략 및 25개 이행과제, 84개 세부이행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2] 제2차 계획('11 ~ '30) 비전 및 체계

    자료: 관계부처 합동('11년),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제50조(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의 수립·시행) ① 정부는 1992년 브라질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한 의제21,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최된 세계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에서 채택한 이행계획 등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제적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국가의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12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13

    이행과제 세부이행과제 성과지표(단위)주요

    성과지표 여부

    (전략 1) 환경 및 자원의 지속가능성 강화

    1-1.국토·도시의 통합성 강화 및 구조 구축

    1-1-1. 국토·도시관리의 통합성 강화 국토관리 지속가능성 지표 활용률(%) ○

    1-1-2. 국가공간정보 통합체계 구축 국가공간정보 통합체계 구축률(%)

    1-1-3. 도시 생태공간 확충 및 네트워크 강화생태복원 면적(㎡)

    1인당 도시공원 면적(㎡) ○

    1-2.지속가능한 산림경영

    1-2-1. 가치 있는 산림자원 육성조림면적(천ha)

    숲가꾸기면적(천ha) ○

    1-2-2. 산림복지 서비스 확대치유의 숲 운영 실적(명) ○

    숲길 조성 실적(Km)

    1-3.지속가능한 연안·해양 환경 관리

    1-3-1. 연안·해양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연안오염 총량관리 운영 실적(개소수)

    갯벌 면적(㎢) ○

    1-3-2. 청정하고 활력있는 연안·해양 환경 조성

    연안오염도(ppm) ○

    1-3-3. 연안의 생물다양성 유지권역별 생물다양성 현황 모니터링 실적

    해양생물 생태종 목록작성 실적

    1-3-4. 지속가능한 어업 체계 구축 연근해 수산자원량(만톤)

    1-4.토양오염

    관리체계 강화

    1-4-1. 토양오염관리 기준개선 및 평가 강화 토양오염 위해성평가 실적

    1-4-2. 토양오염 사전예방 체계 강화 토양오염도(지하수 포함) 조사지점수(개수)

    1-4-3. 토양오염 취약지역 관리 강화 토양·지하수 산업지역 오염 개선율(%) ○

    1-4-4. 토양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토양·지하수 오염방지기술개발사업 현장

    시험실적

    토양·지하수 오염방지기술 실용화 실적(백만 원)

    1-5.지속가능한 습지관리 기반 마련

    1-5-1. 산발적 관리에서 광역적인 습지관리로전환

    생태하천 및 습지복원 실적(건수)

    국가 습지정보 DB 구축률(%)

    1-5-2. 선진 습지관리체계 도입 람사르습지 등록 실적(누적, 개소) ○

    1-5-3. 습지의 보전과 이용의 조화기반 마련 습지 인식증진 프로그램 참여자 수

    1-6.생물다양성

    확보

    1-6-1. 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한반도 기록생물종수(누적) ○

    1-6-2.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 보전을 위한대책 수립

    비무장지대 일원(내부포함) 생태계 조사 실적

    1-6-3. 멸종위기의 동·식물 보호 강화멸종위기종 복원 실적(서식지 내, 국립공원)

    멸종위기종 전국 분포조사 실시율(%)

    1-6-4. 생태계 교란 외래 생물종 관리 강화 생태계 교란종 모니터링 및 실태조사 실시율(%)

    1-6-5.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자연생태계 위해성 평가체계 확립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자연생태계 위해성평가 실적(연, 계획대비 %)

    1-7.지속가능한수자원 관리

    1-7-1. 지속가능한 물관리 정책 수립하천수질오염도(BOD, ppm) ○

    114개 중권역의 BOD기준 좋은 물 비율(%)

    1-7-2.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 및 공급 확대농어촌 면단위지역 상수도 보급률(%)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률(%)

    1-7-3. 하수처리시설 확충 및 관리 강화하수관거 보급률(%)

    농어촌지역 하수도 보급률(%)

    전략별 이행과제, 세부이행과제, 성과지표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14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15

    이행과제 세부이행과제 성과지표(단위)주요

    성과지표 여부

    2-4.기후변화 조기대응체계 구축

    2-4-1. 농업부문 탄소저장능력 확충 기후변화 감시소 개설 수(누적)

    2-4-2.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및 기후변화예측 모델 개발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실적(누적)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기후변화 정보 산출(건수)

    2-5.국가 식량안보

    체계 확립

    2-5-1.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생산 영향평가 및 예측

    기후변화 예측・적응기술개발 건수(누적)아열대형 신소득작목 보급종수 ○

    2-5-2. 기후친화형 식량생산 기반 마련기후변화 및 재해 적응 품종·어종 개발 실적

    식량자급률(%) ○

    2-5-3. 곡물 주요 생산·소비국 작황 정보시스템 구축

    해외 작황모니터링체계 구축수

    2-5-4. 탄력적인 식량수급을 위한 국제협력 확대

    개도국 인력 신농업기술 연수 실적

    국제농업협력사업 실적

    2-6.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발굴 강화

    2-6-1. 신사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지원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매출액 증가율(%)

    2-6-2. 기후산업의 육성 및 기상 자원지도 개발

    기상자원지도 활용률(%)

    기상·기후산업 육성(억원) ○

    (전략 3) 사회적 형평성 및 국민건강 증진

    3-1. 사회취약 계층의

    경제활동 증진

    3-1-1.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경제적 지원 강화

    드림스타트 설치 지역수

    빈곤인구비율(%) ○

    고령인구비율(%)

    3-1-2. 사회취약계층의 취업 확대취약계층 취업자수(만명) ○

    여성경제활동 참가율(%)

    3-1-3. 고령사회 대비 중고령 인력활용 제고고령자 고용률(%)

    노인일자리 참여자수

    3-2.사회

    취약계층의 생활환경 개선

    3-2-1.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지원체계 강화

    의료급여 수급권자 수(천명)

    3-2-2.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지원 강화 보금자리 주택 공급실적(천호)

    3-2-3. 청소년 건강관리 증진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도

    청소년의 행복감

    3-3.농어촌

    발전을 위한 사회기반 구축

    3-3-1. 농업인의 소득 및 경영 안정농업인 안전보험 가입률 (%)

    농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 대상업체 매출액 증가율(%)

    3-3-2. 농어촌 보건·의료 기반 확충 응급환자 현장 이송중 적절 응급처치 시행률(%)

    3-3-3. 농어촌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 농어촌 불량주택 정비율(%)

    3-3-4. 농어촌 지역개발 기반 마련권역주민 만족도(%) ○

    핵심리더 양성인원(명)

    3-3-5. 농어업 분야 위험관리 강화 진단액 공급 가축전염병의 감소율(%)

    3-4. 환경변화에

    따른 국민생명 보호

    3-4-1. 환경성질환 예방 및 관리 강화폐금속광산 지역주민 건강영향조사 실시율(%)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물질 비율(%) ○

    3-4-2. 호흡기 질환 대기오염물질 관리 강화수도권 미세먼지 농도(㎍/㎥) ○

    미세먼지 예보 적중률(%)

    3-4-3. 유해화학물질 및 유해폐기물 안전관리 선진화

    사업장 화학물질 취급량 대비 배출량 저감률(%)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16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17

    2. 전략별 이행평가 결과

    제2차 계획 평가는 4대 추진전략, 25개 이행과제, 84개의 세부이행과제에 따라 각 이행 실적을 평가한 것이다. 본 보고서는 2년 주기로 이행 실적을 점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16년 1월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6 ~ '35)’이 이미 수립된 것을 감안하여 제2차 계획의 전반기 5년('11년 ~ '15년)을 평가대상 기간으로 한다.11) 평가의 순서는 우선 4대 전략별로 주요 성과 및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다음으로 제2차 계획에 따라 '15년 목표치가 설정되어 있는 전략별 주요 성과지표를 이용해서 전략별 달성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는 세부이행과제별로 추진실적을 점검한다.

    1) 평가 총론

    전략1(환경 및 자원의 지속가능성 강화)의 10개 이행과제 중 국토(1-1), 산림(1-2), 연안 ·해양(1-3), 토양(1-4), 습지(1-5), 생물다양성(1-6) 등 6개는 자연환경의 보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 과제들은 대체로 계획에 따라 원만하게 추진되었다. 부처 간 협업을 통해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의 통합을 강화할 제도적 기반을 확립하였고,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 확대, 자연휴양림 · 치유의 숲 확충이 이루어졌다. 연안 · 해양 생태계 조사 체계화, 수산자원 남획 방지 등 산림 및 연안 · 해양의 생태계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었다. 또한 토양오염조사 및 토양환경 기술개발 확대 등을 통해 토양오염 관리체계를 강화하였으며, 습지보호지역 지정 확대, 습지보전등급 재평가 등을 통해 습지 보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권역별 국립생물자원관 개관 등 국가 생물주권 확보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호 · 증식 및 생태계 교란 외래생물종 관리 강화 등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이 강화되었다.

    한편 전략1의 나머지 4개 이행과제는 각기 다른 성격을 갖는다. 수자원 관리(1-7)와 관련해서 재이용수 확대, 수도요금 현실화 노력 등이 시행되었지만 1인당 물 사용량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자연재해 방지(1-8)와 관련해서는 홍수위험지도 제작, 재난문자 서비스 개선 등 과학적 · 체계적 관리를 위한 노력이 추진되었다. 지속가능발전 교육 ·홍보(1-9) 관련해서 학교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추진되었지만, 개발 실적 건수가 감소하고 있어 지속적 노력이 요구된다. 전략1의 마지막 이행과제인 국제협력 강화(1-10)를 위해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었지만,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 (ODA) 규모(GNI 대비 비율)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11)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은 20년을 계획기간으로 5년마다 수립하는 연동계획이다.(「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50조).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18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19

    2) 주요 성과지표 평가

    제2차 계획에서 '15년 목표치가 설정된 주요 성과지표는 모두 47개이며, 이 중에서 사업 변경이나 성과지표 변경 등으로 인해 평가가 불가능한 9개 지표를 제외한 38개 주요 성과지표가 평가 대상이다. 38개 주요 성과지표의 구성 비율은 전략1 15개(39.5%), 전략2 8개(21.1%), 전략3 8개(21.1%), 전략4 7개(18.4%)이다.

    전략1의 주요 성과지표 15개의 달성도 평균은 82.4%이다. 토양 · 지하수 산업지역 오염 개선율, 람사르습지 등록 실적, 한반도 기록생물종수, 지속가능발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적 등의 지표는 목표를 100% 달성한 반면, 숲가꾸기 면적, 치유의 숲 운영 실적, 자연재해 피해, GNI 대비 ODA 비율 등의 지표는 70% 이하의 달성도를 보이고 있다.

    전략2의 주요 성과지표 8개의 달성도 평균은 90.7%이다. 탄소라벨링 인증 품목수, 국가 온실가스 종합 시스템 구축, 산림 탄소저장량, 아열대형 신소득작목 보급종수 등의 지표가 목표를 100% 달성한 반면,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는 전략2에서 가장 낮은 달성도(64.7%)를 보이고 있다.

    전략3의 주요 성과지표 8개의 달성도 평균은 90.1%이다. 취약계층 취업자수,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물질 비율, 기대수명 등의 지표가 목표를 100% 달성한 반면, 의료취약지 거점의료기관 지정 및 지원 개소수 지표는 70%의 달성도를 보이고 있다.

    전략4의 주요 성과지표 7개의 달성도 평균은 99.5%이다. 폐기물 재활용률 지표(96.4%)를 제외하고는 모든 지표가 목표치를 100% 달성하였다.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20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21

    이행과제 주요 성과지표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목표치('15년)

    목표달성도(%)

    2-5. 국가 식량안보체계 확립

    아열대형 신소득작목보급종수

    23 26 32 38 40 15 100

    식량자급률(%)(사료용제외)

    45.2 45.7 47.5 49.750.2(잠정)

    57 88.1

    2-6.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발굴 강화

    기상·기후산업 육성(억원)

    839 1,364 1,388 1,349 - 1,375 81.2

    (전략 3) 사회적 형평성 및 국민건강 증진

    3-1. 사회취약계층의 경제활동 증진

    빈곤인구비율(%)(전체가구기준)

    15.2 14.6 14.6 14.4 13.8 13 93.1

    취약계층 취업자수(만명) 10 12 14 14 16 10 100

    3-3. 농어촌 발전을 위한 사회기반 구축

    권역주민 만족도(%) 78.8 79.8 80 81.1 81.8 88 93.0

    3-4. 환경변화에 따른 국민 생명 보호

    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물질 비율(%)

    4.4 19 34 100 100 100 100

    수도권 미세먼지 농도(㎍/㎥) (황사일 제외)

    44 41 44 44 42 40 95.2

    3-5. 공공보건 의료 강화

    의료취약지 거점의료기관 지정 및 지원 개소수(누적)

    3 5 9 12 14 20 70.0

    기대수명(년) 81.2 81.4 81.9 82.4 - 81.4 100

    국민의료비 중 공공재원 비율(%)12)

    55.9 54.9 54.3 - - 60.6 93.2

    (전략 4) 경제 및 산업구조 지속가능성 제고

    4-1. 자원순환형 경제사회 조성

    자원순환정보체계 구축률(%) 41 57 73 89 100 100 100

    폐기물 재활용률(%) 83.7 84.4 83.9 84.8   90 96.4

    4-2. 지속가능한 경제기반 조성

    녹색제품 시장규모(조원) 26.8 30.3 34 37 - 20 100

    4-3. 에너지 이용의 효율 증대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

    2.74 3.18 3.52 4.08 4.33 4.33 100

    에너지원단위(toe/천$)(2000년PPP기준)

    0.176 0.174 0.17 0.165 - 0.178 100

    4-4. 인재양성 및 일자리 창출

    녹색기술·산업 연구인력 양성 수(만명)

    3 1.5 1.9 - -5.7

    (누적)100

    고용률(%)(15-64세인구기준)

    63.8 64.2 64.4 65.3 65.7 64.3 100

    ※ '15년 실적치가 없을 경우, 2차 계획의 '10년 실적치 및 '15년 목표치를 이용해서 '14년 목표치를 추정한 후, '14년

    실적치와 비교하여 목표 달성도를 계산함. '13년 실적치만 있는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13년 목표치를 추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목표 달성도를 계산함.

    12) 보건복지부, 「2013년 국민의료비 및 국민보건계정」 기준.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22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23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산림경관을 창출하였다. 또한 훼손된 산림을 복원하기 위해 ‘산림복원 기본계획('12 ~ '17년)’을 수립하고, 생태축이 도시로 연장되도록 하는 한반도 핵심생태축(백두대간 · 민북지역) 복원 및 도시주변 훼손산림 복원(285ha) 사업을 추진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1‑1‑1. 국토‑도시 관리의 통합성 강화국토관리 지속가능성 지표 활용률(%) - 80 80 85 951‑1‑2. 국가공간정보 통합체계 구축국가공간정보 통합체계 구축률(%)13) 50 1001‑1‑3. 도시 생태공간 확충 및 네트워크 강화생태복원 면적(㎡) 406,000 790,500 675,000 467,000 514,0001인당 도시공원 면적(㎡) 8.3 8.9 8.6 8.6 8.6

    (1-2)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1-2-1) 가치 있는 산림자원 육성

    가치 있는 산림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보호구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산림습지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소생물권의 산림식물종 보전 · 관리를 위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신규지정을 확대('11년 127천ha → '13년 149천ha → '15년 152천ha)하고,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를 위한 산림생태관리센터를 설치 · 운영('15년 점봉산, 향로봉 등 8개소) 하고 있다.

    또한 산림자원의 보호를 위하여 산림병해충 관리체계를 확립하였다. 주요 산림병해충 및 외래병해충 적기예찰로 고사목 피해면적이 감소('13년 122 → '14년 110 → '15년 104천ha) 추세로 전환되었으며, '15.6월에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특별법을 개정하는 등 방제 제도를 정비하였다. 특히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방부 등 관계기관 공동방제로 수도권 지역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를 감소('14년 239천본 → '15년 234천본)시키는 등 산림병해충 방제 사각지대를 해소하였다. 또한 국 · 공립 나무병원(13개소) 및 수목진단센터(7개소) 지정 · 운영, 전문적 수목진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민간컨설팅 확대('11년 3,000건 → '15년 4,000건) 등을 추진하였다 .

    한편 자연친화적인 산림자원 육성을 위해 ‘산지관리 기본계획('13 ~ '17)’ 및 ‘민북지역 산지관리 종합계획('15 ~ '17)’을 수립하였다. 이로써 산림경관권역 및 산지유역에 따른 유형별 맞춤형 산지관리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각종 개발 사업으로 단절되는 산줄기 연결망 보전 · 관리를 강화하고 생태적 산지 전용 등 저밀도 개발방식 도입으로 자연친화적 산림자원 육성체계를 구축하였다.

    (1-2-2) 산림복지 서비스 확대

    자연휴양림('15년 165개소, 방문자 1,563만명)과 치유의 숲('15년 5개소, 방문자 1,173천명) 등 다양하고 자연친화적인 산림복지시설은 매년 1천만 명 이상의 국민이 방문하는 대한민국 대표여가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13) 기완료 된 성과지표('12년 국가공간정보 통합체계 시스템 구축을 완료함).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24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25

    조사를 '15년부터 해양생태계 종합조사로 통합하였고, 조사결과는 ’바다생태정보나라‘로 통합관리하기 시작했다. 또한 산재되어 있는 해양생물 다양성 정보의 분류체계를 표준화하고, 통합 DB 및 해양생명자원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한-와덴해 MOU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갯벌 보전정책을 도입하고, 연안의 생물다양성을 제고하였다.

    (1-3-4) 지속가능한 어업 체계 구축

    지속가능한 어업 체계 구축을 위해 '11 ~ '15년 동안 자원량에 비해 과도한 연근해어선 2,280척을 감척하되, 어선 1척당 어획량('05년 17.0톤 → '14년 23.1톤)을 증가시켜 잔존어업자의 경영여건을 개선하였다.

    또한 총허용어획량(TAC)16) 참여어업인 경영개선 자금을 지원('11 ~ '15년, 430억원)하고, '15.6월에 수산자원조사센터를 건립하여 수산자원 관리 인프라를 확충하였다.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어업인의 자원관리에 대한 인식변화로 불법어업이 감소('11년 3,293건 → '14년 2,213건) 추세에 있다. 또한 해역별 · 업종별로 불법행위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여 “선제적 맞춤형 지도 · 단속”을 추진함으로써 불법어업 예방 및 어업인 중심의 자율적인 어업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11년에는 수산자원조성사업 시행 및 전담기구로 한국수산자원 관리공단이 설립되었고, 지속가능한 연안생태계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1‑3‑1. 연안·해양의 통합관리체계 구축

    연안오염 총량관리 운영 실적(개소수) 1개소(마산만)1개소

    (마산만)

    2개소(마산만,시화호)

    2개소(마산만,시화호)

    3개소(마산만,시화호,

    부산연안)갯벌 면적(㎢) 2,489.4 2,489.4 2,487.2 2,487.2 2,487.21‑3‑2. 청정하고 활력 있는 연안·해양환경 조성연안오염도(동해/서해/남해 COD, ppm) 0.7/1.5/1.0 0.7/1.5/1.1 0.9/1.5/1.1 1.0/1.5/1.2 0.8/1.6/1.21‑3‑3. 연안의 생물다양성 유지

    권역별 생물다양성 현황 모니터링 실적

    연안(제주도/이어도)

    갯벌(경기/인천)보호구역(문섬)다양성

    (매물도/홍도)

    연안(동해남부)

    갯벌(경상/제주)보호구역(대이작도)다양성(추자도)

    연안(동해북부)

    갯벌(전국보완조사)

    보호구역(신두리)다양성

    (동해남부)

    연안(울릉도)갯벌(동해)

    보호구역(문섬/가거도)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서해, 남해서부)

    해양생물 생태종 목록작성 실적(건) 795 761 - - -1-3-4. 지속가능한 어업 체계 구축연근해수산 자원량(만톤)17) - - 860 - -

    16) 총허용 어획량(Total Allowable Catch, TAC): 하나의 단위자원(종)에 대한 어획량을 총량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물학적, 사회경제학적으로 허용된 총량.

    17) 모델링에 기초한 추정치로서 '13년까지 5년 단위로 통계를 생산하여 왔으나, 이후 통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통계 생산이 중단되었다. '16년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에서도 동일한 이유로 주요지표종(5종)의 자원량 변화로 대체되었다.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26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27

    혁신역량을 제고하였다. 또한 토양오염 정화 수요 창출을 통한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15.2월에 ‘토양환경센터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토양지하수 분야 산업육성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였다. 실제로 '15년 말에 완료된 장항제련소 비매입부지 토양정화 사업에 중금속 오염부지 정화기술이 활용되는 등 토양환경 기술이 국가적 토양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1‑4‑1. 토양오염관리 기준개선 및 평가 강화토양오염 위해성평가 실적(건) 2 2 2 0 21‑4‑2. 토양오염 사전예방 체계 강화토양오염도 조사지점 수(개수) 1,521 1,521 1,521 2,000 2,0001‑4‑3. 토양오염 취약지역 관리 강화토양·지하수 산업지역 오염 개선율(%) 76.5 78.9 87.4 89.9 90.51‑4‑4. 토양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토양·지하수 오염방지기술 개발사업 현장 시험실적(건) 8 9 10 11 12토양·지하수 오염방지기술 실용화 실적(백만 원)18) 2,442 14,980 15,000 20,000 25,000

    (1-5) 지속가능한 습지관리 기반 마련

    (1-5-1) 산발적 관리에서 광역적인 습지관리로 전환

    내륙과 연안습지를 통합하는 광역적인 습지관리를 위하여 권역 및 지역에 근거한 습지보호지역을 '11 ~ '15년까지 9개소(내륙 6, 연안 3) 확대 지정(25.04㎢) 하였으며, '15.12월에는 생물다양성협약(CBD) 아이치 목표(Aichi Target : '20년까지 보호지역 육상17%, 해상10%) 달성을 위하여 환경부 ·국토교통부 · 해양수산부 · 문화재청 · 산림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가보호지역 확대 로드맵’을 마련하여 국제사회의 권고기준 이행을 위한 국가 중장기 실천계획을 마련하였다.

    '08년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 개최를 계기로 습지 가치에 대한 국민 관심과 인식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신규 습지 발굴 · 지정과 함께 통합적인 국가습지 관리체계 확립을 위하여 “국가 습지의 생태가치 재창출“을 목표로 국가 습지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 관리방안, 지속가능한 습지 보전과 복원방안, 습지 현명한 이용 · 활성화 방안 등을 담은 최상위 습지계획인 제2차 국가 습지보전기본계획('12.12월, '13 ~ '17)을 수립하여 통합적 기반의 지속가능한 습지 보전 ·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1-5-2) 선진 습지관리체계 도입

    선진 습지관리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우선 국제 기준에 부합되는 습지보호지역을 국제협약에서 인증하는 람사르습지로 지속적으로 등록하여

    람사르습지의 개수는 '11년 17개소에서 '15년 21개소로 확대되었으며, 습지보호지역도 '11년 27개소에서 '15년 36개소로 증가하였다.

    18) 성과지표 단위 변경(건수 → 금액).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28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29

    아울러 습지보호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생태관광지역 지정제도를 도입 · 운영(13년, 17개소) 하고 있으며, 지자체 공무원들의 습지관리 역량을 증진하고 현명한 이용 및 습지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지자체 습지 보전 · 관리업무 담당공무원 역량강화 워크숍을 추진하고 있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1‑5‑1. 산발적 관리에서 광역적인 습지관리로 전환생태하천 및 습지복원 실적(건수)19) 135 159 176 167 147국가 습지정보 DB구축률(%) 20 30 50 60 701‑5‑2. 선진 습지관리체계 도입람사르습지 등록 실적(누적, 개소) 17 18 18 19 211‑5‑3. 습지의 보전과 이용의 조화기반 마련습지 인식증진 프로그램 참여자 수(명) 1,200 1,000 1,500 1,500 1,500

    (1-6) 생물다양성 확보

    (1-6-1) 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14.10월 나고야의정서 발효로 국가의 생물주권이 강화됨에 따라, 해외생물자원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생물자원 발굴 및 확보는 매우 중요해졌다. 이에 환경부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20년까지 6만종 목표로 자생생물을 발굴해나가는 한편, 생물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용성을 발굴하고 검증하는 연구를 강화할 것이다. 또한 생물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량증식 등 상용화 기술개발과 기술이전을 지속할 것이다. '15년까지 45,295종의 한반도 자생생물을 조사 · 발굴하여 국가생물종목록을 구축하였다.

    (1-6-2)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 보전을 위한 대책 수립

    '13년 건립된 민북지역산림생태관리센터 · '14년 건립된 국립DMZ자생식물원을 거점으로 실효적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DMZ 식물조사 · 수집 · 보존 ·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CBD COP12, 세계리더스보전포럼 등을 통해 DMZ의 생태적 가치와 보전필요성에 대한 국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1-6-3) 멸종위기의 동 · 식물 보호 강화

    국립공원 내 반달가슴곰, 여우, 산양 등 멸종위기야생동물 증식 · 복원사업으로 야생개체수를 증가(지리산 반달가슴곰 '11년 17마리 → '15년 39마리)시켰다. 멸종위기야생생물 서식지외 보전기관 24개소를 지정 · 운영하여 멸종위기야생생물의 증식・보전(327종)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 특산식물의 분포 및 개체군 조사 결과를 DB화함으로써 희귀식물의 보전지위를 평가하였다.

    19) 성과지표 단위 변경(연, 개소 → 건수).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30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31

    (1-7)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1-7-1) 지속가능한 물 관리 정책 수립

    지속가능한 물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물 수급에 대한 합리적 예측을 기하기 위해 '11년에

    ‘제4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제2차 수정계획’('11 ~ '20년)을 보완수립 하였으며, 국가지하수정보

    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6,500건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지하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하였다. 또한 지하수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하여 '15년 103개 시 · 군에 지하수정보지도를

    구축하였으며, 지하수정보관리협의회 구성 · 운영(연2회), '15년 지하수길잡이 앱 개발 등 지하

    수정보 대국민서비스를 확대하였다.

    (1-7-2)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 및 공급 확대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 및 공급을 위해 한강 하류권 급수체계 조정(4건) 등을 통해 과잉수요 ·

    중복투자 방지, 노후관로 갱생 및 관로 복선화(5건)를 추진하였다.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녹조 수계이나 고도화 계획이 미 수립된 21개 정수장 중 녹조 심각도 등을 고려해 남양주

    등 5개 정수장에 대해 고도화 사업을 확정하고, 전국 486개 지방정수장 중 총 57개

    정수장(9,810천㎥/일, 누적)에 고도정수처리시설 추가 설치를 완료하였다. 또한 농어촌 지역

    상수도보급률을 제고('11년 58.8% → '15년 73.1%)하고, 농어촌(면지역) · 도서지역 상수도

    확충사업에 '11 ~ '15년 최근 5년간 1,164개소 1조 4,494억원(국비)을 지원하는 등 급수취약

    소외계층에 대한 안정적 수자원 공급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1-7-3) 하수처리시설 확충 및 관리 강화

    하수처리시설 고도화 및 총인처리시설 설치로 하천에 미치는 오염부하량 제거율(BOD : '11년

    96.6% → 14년 97.4%, T-P : '11년 77.0% → '14년, 86.4%)이 증가되었으며, 하수처리시설

    확충으로 하수도보급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하여 하수도 서비스 수혜자를 확대('10년

    4,600만명 → '14년 4,900만명)하였다.

    (1-7-4) 친환경 대체용수 개발 및 물 재이용 확대

    물 재이용 확대의 일환으로 '11.6월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 '11.9월 물 재이용 기본계획 수립, '14.7월 빗물 및 중수도시설 설치 의무대상 확대 등 법적 ·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확대('11년 7.8억톤 →

    '14년 9.4억톤) 및 재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11년 13.1% → '14년 14.3%)하였다.

    (1-7-5) 물 값 현실화를 통한 물 수요관리체계 확립

    가뭄에 따른 물 절약 필요성, 상수도 원가부담('15년 생산원가 대비 83.8%), 수도관로 복선화 ·

    노후관 교체에 필요한 투자재원 필요성 등으로 수도요금 현실화가 요구됨에 따라 '14 ~ '17년까지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32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33

    (1-8-2) 반복피해 방지를 위한 재해 복구 시스템 개선

    대규모 복합피해 지역의 근원적 피해원인을 해소함으로써 반복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구단위종합복구계획 제도를 도입 · 실시('12년 전북 군산시, 경남 거창군, '14년 부산 기장군)하였다. 또한 피해지역별 풍수해저감 종합계획을 반영한 개선복구사업을 '11〜'15년에 44개소에서 추진함으로써, 근원적 피해원인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였다.

    (1-8-3)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피해 예방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11년 ~ '15년 국비 1조 6,442억원을 투입하였으며, 태풍 · 호우 등 각종 재해에 대한 취약 요인을 해소(388개소)하였다. 또한 '11년 ~ '15년에는 국비 1조 1,663억원을 투입하여 소하천 1,754km에 대한 정비를 실시함으로써 수해 피해의 근원적 예방 및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기여하였다.

    (1-8-4) 수요자 중심의 풍수해보험제도 안정적 정착

    '13년부터 “풍수해 보험요율산정 지도개발 R&D” 수행을 통한 보험요율 DB 구축을 시작하였고, 지역별 재해특성이 반영된 풍수해 위험지도를 활용하여 과학적인 자연재난 방재대책 체계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13.1월에는 풍수해 보험 대상재해에 ‘지진’을 추가하여 지진발생 시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 중심으로 풍수해보험 상품을

    개선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8‑1.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체계 구축자연재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액(명/억원)(최근 5년 평균)

    78 / 7,942 16 / 10,892 4 / 1,721 2 / 1,800 -

    개선복구사업 실적(대상 건/사업완료 건)23) 55 / 55 50 / 48 7 / 7 10 / 10 -

    1‑8‑2. 반복피해 방지를 위한 재해 복구 시스템 개선재해복구 관리시스템 선진화율(%) 30 20 50 - -

    1‑8‑3.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피해 예방재해예방사업 조기발주율(%) 90(2월말) 90(2월말) 90(2월말) 90(2월말) 90(2월말)

    재해예방사업 조기준공율(%) 60(6월말) 60(6월말) 60(6월말) 60(6월말) 60(6월말)

    1‑8‑4. 수요자 중심의 풍수해보험제도 안정적 정착주택의 풍수해보험 가입률(%) 17.7 14.9 18.8 17.3 19.6

    온실의 풍수해보험 가입률(%) 2.2 2.9 4.0 4.6 3.7

    23) 개선복구사업은 복구금액이 30억 원 이상인 사업을 의미한다.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34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35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 역량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11년에는 UN 경제사회국(DESA)산하 UN지속가능발전센터(UNOSD25))를 인천 송도에 유치하였다. 이로써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역량강화 지원사업, 연례적인 지속가능발전 분야 정책지도자 포럼 개최 등 관련분야의 국제사회 논의를 주도하였다.

    (1-10-2) ODA의 확대 및 녹색화 추진

    한국의 총 ODA규모는 '10년 11.7억 달러(GNI 대비 0.12%)에서 '14년 18.6억 달러(GNI 대비 0.13%)로 증가하였으며, OECD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연평균 ODA 증가율 12%를 기록('10 ~ '14년 연평균 증가율(%): 美 2.8, 日 -4.3, 英 10.3, DAC 평균 1.7)하였다. 또한 KOICA는 ODA사업 추진 과정에서 개도국의 지속가능개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친환경 건축 및 태양광 적용 가이드라인’을 수립 · 적용하고, 환경주류화 추진계획 수립 ·이행 및 환경영향평가를 강화하여 녹색 ODA를 내실화하였다. 또한 KOICA를 통해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개도국 대상 수자원 분야, 에너지 분야, 농촌 개발 분야 등 녹색 ODA사업 80여건을 추진하는 등 녹색 성장을 위한 제도 및 협력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개도국의 온실가스 저감 및 대응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10‑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개도국 온실가스 저감사업 신규발굴 지수(건/억원)26) - 0.98 1.1 1.3 1.63

    1‑10‑2. ODA(공적개발원조)의 확대 및 녹색화 추진GNI 대비 ODA 비율(%) 0.12 0.14 0.13 0.13 0.14(잠정)

    전략 2. 기후변화 적응 및 대응체계 확립

    (2-1) 탄소저감을 위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2-1-1)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

    산업부문에서는 '11년부터 일정규모(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이상의 사업장과 업체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 에너지 목표관리제를 도입하여 '12년부터 온실가스 배출 목표설정과 감축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산업분야는 온실가스 감축여력이 낮은 중소 ·중견기업의 감축역량 강화를 위해 대 · 중소기업 간 에너지동행, 에너지경영시스템(EnMS) 구축, 온실가스 · 에너지 감축시설 지원,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 지원(Eco-Best), 융자금 지원 확대 강화('13년 74% → '14년 85% → '15년 97%)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5) UN Offi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6) '13년 성과지표 변경(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지원 실적 → 개도국 온실가스 저감사업 신규발굴 지수).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36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37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2‑1‑1.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인) 13.7 13.7 13.8 - -온실가스 감축 가이드라인 실천 사업장 확대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27)

    - - - - -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률(%) - 100 100평가 진행 중(목표관리제)

    평가 진행 중(목표관리제)

    2‑1‑2. 건설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건축물 창호의 단열기준 강화율(%) - -

    40%(3.0→1.5)

    -25%

    (1.5→1.2)2‑1‑3. 교통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대도시 대중교통 분담률(%) 54.6 54.7 54.8

    54.7(잠정치)

    54.9(전망치)

    그린카 보급대 수 20,609 37,783 28,877 36,465 42,2452‑1‑4.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가용폐자원 에너지화율(%) 3.99 4.29 8.15 11.5 122‑1‑5. 농림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농림수산식품 부문 온실가스 감축률(%) 17.2 14.9 15.6 - -화학비료(N, K, P) 사용량 (kg/ha) 249 264 262 258 262

    (2-2) 탄소 배출원의 투명성 제고

    (2-2-1) 탄소정보 공개지표 개발 및 관리

    탄소정보 공개지표의 일환으로 기후변화대응 경쟁력지수 평가를 시행 중이며, '15년 관리업체 222개, 목표관리업체 134개, 비관리업체 44개 등 총 400개 업체를 대상으로 20개 항목에 대하여 기후변화대응 경쟁력지수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산업부문 기후정책 수립에 반영되고 있다.

    (2-2-2) 부문 · 대상별 탄소정보 공개 활성화 추진

    탄소정보 공개 활성화를 위하여 탄소라벨링 인증제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라벨링 인증제품 1,923개('11 ~ '15년 연평균증가율 39%)를 달성하였으며, 저탄소 지속가능 소비 및 생산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15년에는 저탄소생활 실천운동에 대한 인지도를 52.1%까지 높였다.

    (2-2-3)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 구축 및 운영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 산정, 보고, 검증(MRV) 지침을 지속적으로 개선('11 ~ '15년, 총5회 개정)하였고, '15.6월에는 국제적 수준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 확보를 위해 국가 온실가스 통계 총괄관리계획(2015 ~ 2019)을

    27) 평가불가 지표(목표관리제 시행으로 사업 종료).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38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39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2‑3‑1. 산림의 탄소 흡수원 확대산림 탄소저장량(백만tCO2) 1,694 1,736 1,785 1,846 (16년 산정)2‑3‑2. 바이오 순환림 조성바이오 순환림 조성 실적(천ha) 7.8 6.4 5.2 4.0 3.9해외산림자원 개발실적(천ha) 25 26 35 43 422‑3‑3. 농업부문 탄소저장능력 확충토양의 탄소저장량 증가율(%)29) - - - - -

    (2-4) 기후변화 조기 대응체계 구축

    (2-4-1) 기후변화 감시망 확충

    기후변화 감시망 확충을 위하여 한반도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유입 지역에 해당하는 서해안에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제주도 고산 기후변화감시소와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유출지역에 해당하는 동단인 울릉도 · 독도 기후변화감시소('11.10월 독도, '14.5월 울릉도)를 운영하였다. 또한 '11.10월 세계기상기구(WMO30)) 육불화황31)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하고, 국제업무와 기술지도, 적합성 평가 및 분석에 필요한 표준가스를 보급하는 등 기후변화 감시망 구축에 기여하였다.

    (2-4-2)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및 기후변화예측 모델 개발

    IPCC의 5차 평가보고서에 대응하여 '11∼'15년에 걸쳐서 국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특히 기후모델에 지구시스템의 다양한 요소기술을 융합시킨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기후변화 예측능력을 강화하였으며, '14∼'15년에는 에어로졸, 탄소과정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기후변화 정보를 산출하였다. 한편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을 위해 행정구역별 상세 기후변화 정보를 생산(229개 지자체 중 166개 지자체 생산 완료, '13년 34개 → '14년 65개 → '15년 67개)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표준화된 시나리오를 토대로 지역별 · 부문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 후 일관된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수립하여 중복투자 방지 및 성과창출을 위해

    노력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2‑4‑1. 기후변화 감시망 확충기후변화 감시소 개설 수(누적) 2 2 2 3 32‑4‑2.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및 기후변화예측 모델 개발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실적(누적) 7 19 22 25 28지구시스템모델 기반 기후변화 정보 산출(건수)32) 50% 60% 70% (4건) (4건)

    29) IPCC 가이드라인에 따른 토양유기탄소축적계수(SOCref) 개발(2017년) 후 산정 가능

    30)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31) 육불화황(SF6) : 높은 절연 특성이 있어 반도체 생산 공정과 가스 절연변압기 또는 배전반 등의 절연체로 주로 사용되며 LCD 공정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32) '14년 성과지표 변경(통합지구시스템 모델 개발률(%)→지구시스템모델 기반 기후변화 정보 산출(건수)).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40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41

    우량 벼 종자생산시범(필리핀), 사료용 옥수수 및 양계 복합영농시범(캄보디아) 등 새마을 운동과 연계한 KOPIA(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시범마을을 조성하고, 내병성 땅콩 종자 개발 ·보급 및 농민교육(베트남), 채소 생산성 향상기술 농가확산 및 농업인 교육(케냐) 등 협력 사업을 통하여 개도국을 지원하였으며, 연수 추진으로 국내외 인력을 양성하는 등 국제협력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2‑5‑1.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생산 영향평가 및 예측기후변화 예측・적응기술개발 건수 (누적)35) 2 9 18 28 35아열대형 신소득작목 보급종수 23 26 32 38 40

    2‑5‑2. 기후친화형 식량생산 기반 마련기후변화 및 재해 적응 품종 개발 실적36) 27 16 11 32 30(잠정)

    식량자급률(%)(사료용제외) 45.2 45.7 47.5 49.7 50.2(잠정)

    2‑5‑3. 곡물 주요 생산·소비국 작황 정보시스템 구축해외 작황모니터링체계 구축 수 3 5 4 3 3

    2‑5‑4. 탄력적인 식량수급을 위한 국제협력 확대개도국 인력 신농업기술 연수 실적(건) 286 240 265 198 318

    국제농업협력사업 실적(건) 11 24 37 56 59

    (2-6)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발굴 강화

    (2-6-1) 신사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 지원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발굴을 위하여 '13년 리스크평가도구 개발, '15년 Web 기반 평가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민간기업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지원 및 컨설팅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하여 200명의 전문인력 양성과 '11 ~ '15년 간 SCI급 논문 8편 포함 총 719편의 연구논문 등재 등 연구기반 확대를 도모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신사업 육성을 위하여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에 총 29억 원을 지원(5과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융 · 복합 전문 인력 118명을 배출하였다. 동시에 기후변화 관련 교재 36건 개발, 국내외 논문 108편 게재 등 기후변화 관련 대내외 정책 여건과 산업계 인력수요에 부응하도록 기후변화 관련 인력기반 조성에 기여하였다. 또한 '15.12월 파리 당사국 총회(COP21) 합의에 따른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해 국내외 정책 및 산업계 수요를 반영하여 4단계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기후변화 법 · 제도 전문가 양성(숭실대), 기업 BM 개발 전문가 양성(경북대))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35) '11년 성과지표 변경(농업생산성 영향평가 지표 및 시스템 개발률(%)→기후변화 예측・적응기술개발 건수(누적)).36)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수치.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42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43

    (3-1-2) 사회취약계층의 취업 확대

    경력단절여성, 조건부수급자, 장애인, 신용불량자 등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취업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였다. 우선 새일센터의 지속적인 확충('11년 98개소 → '12년 110개소 → '13년 130개소 → '14년 140개소 → '15년 147개소)으로 임신 · 출산 ·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에게 취업상담,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함으로써 여성의 사회적 진출에 기여하였다. 또한 조건부수급자, 장애인 등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사업 참여자의 자비부담 경감 및 계좌한도 확대를 통해 훈련수료자 수가 증가('14년 81,073명 → '15년 107,192명) 하였다. 또한 '15.8월부터 대표적인 사각지대 근로빈곤층인 신용불량자 등 신용회복이 필요한 대상자의 자활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드림셋)을 시작하였으며, 장애인 고용기회 확대 및 맞춤형 취업지원 · 훈련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장애인 의무고용 일자리('11년 154,432개 → '15년 193,625개)와 장애인 고용인원('11년 133,451명 → '15년 164,496명)이 증가하였다.

    (3-1-3) 고령사회 대비 중고령 인력활용 제고

    고령사회에 대비한 중장년 대상 전직지원 기반 마련, 맞춤형 재취업 지원 서비스 강화 등의 노력을 통해 고령자 고용률이 '15년 65.9%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확대로 공익 · 민간분야 등 다양한 노인일자리가 대폭 확충('11년 225천명 → '15년 386천명) 되었으며, 일자리 참여기간을 확대(7 → 9개월)하고 연중일자리를 신설 및 확대 ('14년 32,303명 → '15년 80,345명)하였다. 또한 재능을 보유한 노인에게 사회적 재능나눔 활동 기회를 부여하여 사회참여를 통한 노후 성취감을 제고하기도 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3‑1‑1.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경제적 지원 강화드림스타트 설치 지역 수 131 181 211 219 229

    빈곤인구비율(%)(전체가구기준) 15.2 14.6 14.6 14.4 13.8

    고령인구비율(%)38) 11.4 11.8 12.2 12.7 13.1

    3‑1‑2. 사회취약계층의 취업 확대취약계층 취업자 수(만 명) 10 12 14 14 16

    여성경제활동 참가율(%)39)

    (15-64세여성인구기준)54.9 55.2 55.6 57.9 57.9

    3‑1‑3. 고령사회 대비 중고령 인력활용 제고고령자 고용률(%) 62.1 63.1 64.3 65.6 65.9

    노인일자리 참여자 수(천명) 225 248 262 336 386

    38) 평가불가 지표(목표치 오류).

    39) 여성가족부 제공 수치.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44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45

    한편 주류 · 담배 판매업소 7,100개소를 대상으로 감시 · 계도활동을 실시하여 주류 · 담배의 청소년 불법 판매에 대해 주의를 환기(불법판매율 '14년 18.6% → '15년 17.9%)시키고, 술 · 담배 등 유해약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일반 청소년 및 위기청소년(소년원 · 보호관찰소 등)을 대상으로 흡연 · 음주예방 교육을 실시(일반청소년: 6,848명, 위기청소년: 2,578명)하였다.

    특히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를 지속적으로 확충('11년 186개소 → '15년 200개소)하고, CYS-Net을 기반으로 자살징후 등을 보이는 고(高)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청소년동반자’를 확대('11년 880명 → '15년 1,044명)배치하여 위기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고 상담하는 통합서비스를 지원하였다. 아울러 청소년수련시설,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지역자원을 연계 ·활용함으로써 공동체의식 및 인성 함양을 위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11년 244만명 → '15년 351만명) 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3‑2‑1.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지원체계 강화의료급여 수급권자 수(천명) 1,609 1,507 1,459 1,441 1,5443‑2‑2.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지원 강화보금자리주택 공급실적(천호)40) 126.4 101.0 104.5 127.3 141.03‑2‑3. 청소년 건강관리 증진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도(%) - 59.2 - - -청소년의 행복감(%) - 62.6 - - -

    (3-3) 농어촌 발전을 위한 사회기반 구축

    (3-3-1) 농업인의 소득 및 경영 안정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하여 농업인 안전보험 보장수준 및 범위를 확대(유족급여 '11년 70백만원 → '15년 110백만원)하여 '15년 농업인 안전보험 가입률을 56.4%로 향상시켰다. 또한 '15년 농가의 소득 · 경영 안정을 위해 14개 시 · 군을 대상으로 콩, 양파, 포도 3품목에 대하여 ’농업수입보장보험‘ 시범사업에 착수하였다.

    한편 WTO, FTA 등 개방화에 대비한 품목산업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여 생산자 중심의 소비촉진 및 시장개척 등 자율적인 수급조절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12.12월 농어촌관광사업(농어촌 체험 · 휴양마을, 관광농원, 농어촌 민박) 등급제 시행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정보공급과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농촌마을 정원 조성 모델 개발, 농촌지역 재난유형 분석 및 재난 대응체계 개선 방안(2건) 마련, 농촌관광마을 6차 산업화 및 농촌축제 경쟁력 강화 매뉴얼 개발 등을 통하여 농업인의 소득 증대와 경영 안정에 기여하였다.

    40) '13년 성과지표 변경('13∼'15년 4.1 부동산대책에 따른 공공주택(기금지원 민간임대, 매입전세임대 등 포함) 준공실적).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46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47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3‑3‑1. 농업인의 소득 및 경영 안정농업인 안전보험 가입률(%)41) 53.7 54.2 57.7 55.3 56.4

    농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 대상업체 매출액 증가율(%) 26.6 28.1 28.4 26.4 18.0

    3‑3‑2. 농어촌 보건·의료 기반 확충응급환자 현장 이송중 적절 응급처치 시행률(%) 36.6 54.6 - - -

    3‑3‑3. 농어촌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농어촌 불량주택 정비율(%) 80.9 82.1 83.5 84.5 85.5

    3‑3‑4. 농어촌 지역개발 기반 마련권역주민 만족도(%) 78.8 79.8 80.0 81.1 81.8

    핵심리더 양성인원(명)42) 3,767 4,012 4,230 - -

    3‑3‑5. 농어업 분야 위험관리 강화진단액 공급 가축 전염병의 감소율(%)43) 5.21 0.99 -0.98 13.7 10.1

    (3-4) 환경변화에 따른 국민 생명 보호

    (3-4-1) 환경성질환 예방 및 관리 강화

    환경성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를 위해 '11 ~ '15년에 걸쳐 폐금속광산(62개소), 시멘트공장(소성로 보유 4개소 및 미보유 19개소), 국가 산단(8개소) 등의 취약지역 주민에 대한 ‘주민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비직업성 진폐환자 등 유병자에 대한 치료와 건강검진 지원, 보건 상담 등 환경보건 사후관리를 강화하였다. 비소(As) 고노출자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폐석장 복구 등 관찰대상 폐금속광산 환경보건평가 결과를 광해복구사업으로 연계한 점과

    국가산단 주변지역의 환경보건평가 결과를 지역사회 위해소통 및 환경보건관리방안 마련

    자료로 활용하여 정책으로 연계한 점 등이 높이 평가되었다. 또한 석면피해 예방 및 관리를 위해 '11.1월에 「석면피해구제법」을 시행하고, 석면피해구제기금을 조성하여 석면피해의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였다.

    한편 유아 · 어린이의 환경성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를 위해 '11 ~ '15년에 어린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유해인자 135종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 위해성 기준을 초과하는 물질(4종)에 대하여 어린이용품에 사용을 제한하였다. 또한 '1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어린이용품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사용제한 기준 등을 초과한 제품에 대한 판매중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41) '15년 성과지표 명칭 변경(농어업인 안전공제 가입률(%)→농업인 안전보험 가입률(%)).

    42) 평가불가 지표(사업 변경).

    43) '14년 성과지표 변경(방역관리 대상 질병의 진단액 공급품목 증가율→진단액 공급 가축 전염병의 감소율(%)).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48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49

    또한 희토금속류, 나노물질 등 첨단 신소재 화학물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신종 직업병 발생 우려가 증가하고 있어, '11 ~ '15년 간 사전 예방적 차원으로 총 10건의 신소재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 위험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물질 유해성 시험 · 평가 자립기반 구축을 위해 국내 비영리 GLP(Good Laboratory Practice) 인증 시험 · 평가 기관과 민간 중소시험 · 평가기관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였으며, 「화학물질평가 및 등록에 관한 법률(화평법)」 대응을 위해 4개 항목(pH에 따른 가수분해, 생분해성, 흡착/탈착 스크리닝, 흡착/탈착 추가정보)에 대한 GLP(Good Laboratory Practice) 인증을 획득하였고, 이와 관련한 전문인력 40여명을 양성하였다.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3‑4‑1. 환경성질환 예방 및 관리 강화폐금속광산 지역주민 건강영향조사 실시율(%) 25.9 25.9 39.5 53.1 68.0어린이용품 위해성평가 물질 비율(%) 4.4 19 34 100 1003‑4‑2. 호흡기 질환 대기오염물질 관리 강화수도권 미세먼지 농도(㎍/㎥)(서울기준, 황사일 제외)

    44 41 44 44 42

    미세먼지 예보 적중률(%) - - 73 84 883‑4‑3. 유해화학물질 및 유해폐기물 안전관리 선진화사업장 화학물질 취급량 대비 배출량 저감률(%) 13.0 19.7 29.4 31.2

    32.9(추정)

    (3-5) 공공보건 의료 강화

    (3-5-1) 공공보건 의료체계 효율화

    공공보건 의료체계의 효율화를 위해 의료취약지 거점의료기관(소아청소년과) 2개소('14년 1개소, '15년 1개소)를 운영하고, 지역거점공공병원 39개소에 대해 시설 신축 · 증개축 및 의료장비를 지원하였다. 또한 수익성이 부족한 공공보건 의료서비스 공급체계 개선을 위해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을 전부 개정하고 '13.2월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보건의료의 개념을 기관 중심에서 기능 중심으로 개편하고, 공공적 기능을 수행하는 민간 공공보건의료 수행기관에 대한 지정 · 지원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13 ~ 15년 호흡기(5개소) 및 류마티스 ·퇴행성관절염(5개소) 전문질환센터를 개원 · 운영하는 등 수익성이 낮아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전문진료 분야는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하였다.

    (3-5-2) 필수 보건의료 안전망 확충

    분만과 같은 필수 보건의료 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분만 취약지 지역에 공공형 산부인과를

    설치 · 운영하는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60분내 분만 가능한 의료기관에 접근하지 못하는 취약인구는 사업 전 45만명에서 23만명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지역별 의료수요 · 공급 · 이용, 의료 취약지 및 병상 수급상황 등 통계자료를 지도형태로 시각화한 Health Map 웹 서비스 모형을 구축하여 취약지 의료서비스 제공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50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51

    성과지표(단위)성과지표 추진결과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4‑1‑1. 국가통합 자원순환 관리체계 구축자원순환정보체계 구축률(%)46) 41 57 73 89 100

    4‑1‑2. 시장주도의 자원순환 활성화 기반 구축폐기물 재활용률(%) 83.7 84.4 83.9 84.8

    4‑1‑3. 음식물쓰레기 저감 및 자원화 사업 추진 확대음식물폐기물 감량 국민인지도(%) 73.8 80.4 86.9 85.5 86.6

    음식물폐기물 저감률(%) - - 2.4 2.5 -0.08

    (4-2) 지속가능한 경제기반 조성

    (4-2-1) 녹색소비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소비체계 확대

    녹색소비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소비체계의 확대를 위하여 녹색매장 확대, 녹색구매지원센터 신설 등 유통인프라 확충, 그린카드 발급 확대('11년 73만좌 → '15.11월 1,153만좌)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통해 친환경소비를 활성화시켰고, '14년부터 에코인테리어 지원사업 실시로 친환경 건축자재 유통인프라를 마련하는 등 녹색제품 소비 추진기반을 확대하여 녹색제품

    시장규모의 목표치를 조기에 달성('10년도 25조원 → '14년도 37조원)하였다. 또한 친환경제품의 생산 · 유통 · 소비 활성화를 위한 산업계 친환경구매 자발적 협약을 '05년부터 시작하여 '15년 현재 87개사와 유지하는 등 확대 추진하였으며, 녹색구매지원센터를 설치 · 운영('13년 2개소 → '15년 5개소)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친환경제품 정보제공, 교육 등 그린 커뮤니티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4-2-2) 지속가능한 생산체계 확대

    지속가능한 생산체계를 위해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대상단지를 확대('14년 46개 → '15년 105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15년 국가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량 324만톤의 11.4%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37만톤을 감축하였다. 또한 '11 ~ '15년에는 개도국 진출 국내 협력사의 청정생산체계 구축 및 현지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글로벌 그린파트너십 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생산체계의 확대를 위해 '10 ~ '15년까지 481개의 재생제품에 대한 우수재활용제품(GR) 인증을 지원하고, '13.5월 자원순환정책 포럼 구성 및 '13.10월 2차 포럼, '14.10월 3차 포럼을 개최하여 GR 제도의 중장기적인 발전방안 등을 협의하고자 노력하였다.

    46)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수치.

  • 국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12 ~ ’14)◥

    52

  • ❙제2장❙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 53

    (4-3) 에너지 이용의 효율 증대

    (4-3-1) 국가 에너지 자립도 증대

    국가 에너지 자립도 증대 노력의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를 추진 중이다. 구체적으로 '12년 1월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48)를 도입하여 50만kW 이상의 발전설비(신 · 재생에너지설비 제외)를 보유한 발전 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신 ·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수송분야 신 ·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친환경연료 사용을 늘리기 위해 '15.7월 ‘신재생연료혼합의무화제도(RFS49))’를 본격 시행하였다. '15년도 누적기준 RPS를 통한 신 ·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용량은 6,044MW로 '12년 RPS 시행 이후 발전소 수는 총 16,255개이며, RPS 도입 4년 만에 FIT 전체 설비용량의 약 6배 이상을 보급하였다.

    (4-3-2) 에너지 저소비형 경제구조 구축

    신기후체제 출범에 대응하여 에너지 저소비형 경제구조를 구축해 나가기 위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 정책」을 '14.7월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ICT기반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사업을 통해 에너지사용자가 과학적으로 에너지를 관리 할 수 있는 클라우드기반 EMS 등의 에너지절약시스템을 보급하였다. 또한 에너지원단위가 개선 추세('11년 0.176 → '15년 0.165)에 있으며, 에너지 고효율 기기 보급('11 ~ '15년 5,239,708 대수) 역시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4-3-3) 에너지 기술개발 시스템 고도화

    에너지자원분야 기술개발에 최근 5년간 약 3조 3천억원(평균 6,725억원)을 투자하였으며, '14.12월 ‘제3차 에너지 기술개발 계획('14 ~ '23년)’의 조기 수립을 통해 에너지 수요관리 중심 정책을 강화하고, 에너지 공급-수요-융합혁신의 유기적인 R&D마일스톤을 '14.12월 구축하여 에너지 기술개발을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