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2017. 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Upload
    others

  • View
    1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2017. 6

Page 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목 차 >

<요 약> ···················································································· i

I. 거시경제 전망 ······································································ 1

1. 국내 실물경제 동향································································ 1

2. 대외여건 전망 ·········································································· 3

3. 2017년 국내경제 전망 ························································11

II. 12대 주력산업 전망 ····················································· 30

1. 2017년 상반기 동향 ····························································30

2. 2017년 하반기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34

3. 2017년 하반기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42

4. 정책적 시사점 ········································································54

Page 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i -

< 요 약 >

I.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수출 호조 ․ 내수는 투자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

○ 국내 실물경기는 올 들어 수출 확대가 뚜렷이 나타나는 가운데 내

수도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는 모습

- 내수는 대외 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설비투자가 비교적 크게 반등

하고, 건설투자도 아직까지는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소

비 증가세는 지난해보다 약간 미진한 수준

- 수출은 물량 기준으로 올 들어 증가 폭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단가도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지난해와 달리 빠르게 회복

□ 세계경제 : 연간 성장률 상승 예상

○ 2017년 세계경제는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적인 정책 기조 속에서 선

진권과 개도권의 동반 성장에 힘입어 전년보다 높은 성장률이 예상

- 선진권은 미국이 내수 호조 등으로 성장률의 상승이 기대되며, 유

로권과 일본도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로 완만한 성장세가 예상

- 중국은 구조조정과 금융규제 강화 등으로 성장 둔화가 예상

□ 유가 및 환율 : 연평균 유가 상승, 환율 소폭 하락

○ 국제유가는 하반기에 상승 요인(OPEC의 감산 연장, 세계경기 회복)

보다 하락 요인(미국 석유 증산, 금리 인상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

이 다소 우세하지만, 연평균으로 약 50달러 내외가 예상

○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달러화 강세 요인으로 작

Page 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ii -

용하나, 상반기에 급락한 영향으로 인해 연간 전체로는 전년(2016년

1,161.0원)보다 약간 낮은 수준(1,150원대)이 예상

□ 2017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GDP 2.8% 성장 전망

○ 2017년 국내경제는 하반기에 수출과 투자 증가세가 상반기보다는

다소 둔화되지만, 소비가 비교적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연간

전체로는 전년도와 비슷한 2.8% 내외의 성장률이 예상

-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동기비 성장률은 상저하고의 흐

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지난 연말에 비해 대외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고, 대내 불확실성 완화와 정책

기대감 등으로 인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2.5% → 2.8%로 0.3%p 상향

○ 대외적으로는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변화 여부와 정치적 불확실성

(독일 총선 등), 개도권의 경기 회복 지속 여부 등이, 국내적으로는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과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구조적 문제점

들(가계부채 등)의 해소 여부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 민간소비 : 연간 2%대 초반 증가 전망

○ 소비는 대내외 여건의 개선과 새 정부의 정책 기대감 등이 소비 심

리 안정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나, 소득 여건의 부진과 대

출규제 강화 등 일부 제약요인들로 인해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

□ 투자 : 설비투자 증가 지속, 건설투자 둔화 전망

○ 설비투자는 세계경기 회복세에 따른 수출산업의 생산 확대로 증가

세를 회복할 전망이며, 건설투자는 신규 민간건설 수요 둔화와 토

목건설 수요의 부진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Page 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iii -

□ 수출입 : 하반기 증가세 둔화, 연간 수출 약 11% 증가 전망

○ 수출은 하반기에 수출물량의 회복에도 수출단가 상승 폭의 축소와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율이 다소 낮아질 전망이나, 상반기 호조에

따른 영향으로 연간 증가율이 6년 만에 두 자릿수를 기록할 전망

- 2017년 수출과 수입은 각각 11.1%와 15.2%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827억 달러가 예상

<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6년 2017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3.2 2.5 2.8 2.7 2.9 2.8

민간소비 2.9 2.1 2.5 2.1 2.3 2.2

건설투자 9.9 11.4 10.7 7.4 3.0 5.0

설비투자 -3.7 -0.9 -2.3 10.3 4.4 7.3

통관 수출

(억달러, %)

2,412

(-10.2)

2,542

(-1.6)

4,955

(-5.9)

2,751

(14.0)

2,755

(8.4)

5,506

(11.1)

통관 수입

(억달러, %)

1,931

(-13.1)

2,130

(-0.6)

4,061

(-7.0)

2,313

(19.7)

2,366

(11.0)

4,679

(15.2)

무역수지 481 413 894 438 389 827

Page 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iv -

II. 12대 주력산업 전망

1. 하반기 주요 여건 변화 전망

□ IT산업과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 회복이 예상되나, 중국

산업 성장에 따른 공급과잉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지속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AI, IoT, Big Data 등 주요 기술이 부상하

고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면서 IT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

- 그동안 침체를 보여 온 신흥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이들 시장에서

비중이 높은 주력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보호무역주의 기조는 하반기에도 지속되며 12대 주력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 상계관세 등 수입규제 압력을 겪은 철강과 보호무역 강화로 교역

위축되어 해상물동량이 감축되면서 조선은 부정적 영향

- 12대 주력산업의 높은 판매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이 FTA 재

협상과 자국산업 보호 등의 주요 정책으로 국내업체들의 미국 시

장 내 판촉활동을 위축시키는 등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할 전망

□ 수출단가 상승은 하반기에도 12대 주력산업 수출 견인 지속

○ 2017년 주력산업 수출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수출단가의

변화 추이로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수출단가가 상승하면서 12대 주

력산업 수출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

○ 상반기 유가 상승에 수출단가 상승으로 수출이 증가한 석유, 석유

화학은 하반기 국제 유가의 횡보가 수출단가 상승에 제한 요인으로

작용 예상

Page 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v -

○ 대표적 부품소재산업인 철강과 반도체는 수요회복과 공급요인으로

수출단가 상승 지속 예상

- 철강은 수요회복,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 구조조정으로 공급과잉

해소 등 요인으로 수출단가 상승하였으며 하반기도 이러한 추세가

유지될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D램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

면서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되어 메모리반도체 단가 상승

· D램 단가는 하반기 안정화될 전망이나 낸드플래시 수요가 증가

하는 상황에서 경쟁업체가 매각을 앞두고 있는 요인으로 낸드플

래시 수출단가 상승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

○ 음식료와 자동차는 수출 제품 구성이 고가제품으로 변화되면서 수출

단가 상승

- 음식료는 프리미엄급 제품 수출 증가로 자동차는 중대형 승용차와

친환경차 등 단가가 높은 차종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하

반기에도 수출단가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

□ 중국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대중 수출 감소 전망

○ 12대 주력산업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약 25% 내외로 중국 시장 여건

이 국내 주력산업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 중국 성장 둔화 지속과 중국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이 겹치면서 국

내 산업의 중국 내 입지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

- 사드 배치에 따른 한한령(限韓令) 여파는 일부 소비재 산업에 영향

을 주는 등 제한적 영향

○ 소비재산업은 사드 배치에 따른 한한령(限韓令) 여파로 상반기 대중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하반기도 부정적 영향은 일부 지속될 전망

Page 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vi -

- 자동차, 음식료, 의류는 한국 브랜드 불매 운동 영향으로 2분기 이

후 급격한 판매부진을 겪었으며 하반기에 다소 개선이 기대되나

한국산 소비재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중국정부의 산업정책이 독자브랜드 경쟁력 제고와 고품질 자국산 제

품 확보를 목표로 자국기업 지원 확대가 중국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음.

- 가전의 경우 중국업체들이 선진국 기업 브랜드를 인수하여 글로벌시

장 진출을 확대하면서 우리 기업과 경합이 중국 내수시장을 넘어 글

로벌 시장으로 확대

- 정보통신기기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되는 시점에 중국 업체의

가격 및 품질경쟁력 강화로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내업체 입지 축소

- LCD는 중국의 생산능력이 한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경쟁관계 심화

될 전망이며 최근에는 OLED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

진행 중

○ 반면 중국 산업 경쟁력 및 규제 강화로 중국 내 조달이 어려운 고

사양 중간재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부 한국 제품의 수요 증가 예상

- 반도체는 중국 휴대폰업체들의 성장으로 한국업체의 모바일용 낸

드플래시 수요가 빠르게 증가

- 일반기계는 중국내 첨단 제조 장비 및 자동화 설비 투자수요 증가

로 기타 기계류의 수출확대 지속 전망

- 정유는 연료유 환경규제로 인한 고품질 경유수요 확대로 경유제품

수출 확대 지속

Page 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vii -

2.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 수출은 IT산업군, 소재산업군 중심으로 9.9% 증가 기록 전망

○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IT 경기개선과 신흥국 경기 호전에

따른 신흥국 수입수요 증가세가 유지되면서 증가 지속 예상

- 그러나 보호무역 정책 기조가 지속되고 향후 유가상승 지속여부가

불투명해 상반기에 비해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

<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2017년 총수출 대비 점유율 전망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중 조선, 가전,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산

업에서 증가세가 예상

- (기계산업군) 조선은 선박인도 물량이 크게 줄면서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자동차, 일반기계는 소폭의 증가에 그쳐 전년동기

대비 1.5% 하락 전망

- (소재산업군) 하반기 국제유가에 하방 압력이 작용되어 수출단가

상승 폭은 상반기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전년동기 실적의 부

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글로벌 수요 호조세로 전년동기비 13.1% 증

가 예상

Page 1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viii -

- (IT산업군) IT제품의 고도화와 IT부품의 수요산업 확대 등 IT산업

전반적인 업황 개선 요인으로 전년동기 대비 18.9% 증가 예상

·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반도체는 D램 분야에서 국내업체

들의 양강 구도로 공급을 주도하며 36.6% 증가 예상

□ 생산은 수출 증가와 전년 실적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 예상

○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생산은 신흥시장 수요가 늘어나 수출이

증가가 예상되고 신규공장이 가동되는 반도체가 성장을 견인할 전망

- 높은 수출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수출단가 상승요인이 큰 소재산업

의 생산증가는 소폭에 그칠 것으로 예상

- 연관산업으로의 파급 효과가 큰 조선(-25.8%)은 상반기에 비해 하락

폭이 확대될 전망

- 반도체는 평택에 신규공장이 가동 예정이며 미세공정을 개발하여 생

산성을 높이는 등 하반기에도 25.8%으로 높은 증가세 유지 예상

<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내수는 조선, 철강, 석유화학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

○ 12대 주력산업 내수는 4차산업 혁명으로 부상하고 있는 IT 신기술

의 수요가 늘면서 IT산업을 중심으로 증가 예상

Page 1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ix -

- 철강은 조선용 중후판 수요 부진과 기저효과로 석유화학은 생산설

비 가동율이 낮아지는 등 공급요인으로, 조선은 국내 정기선 부문

기반 재건 및 회복이 지연되면서 감소할 전망

- IT산업군은 UHD 방송, IoT 가전시장 형성, 신규 스마트폰 출시,

IT 제품 고도화 등의 요인으로 증가 예상

<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수입은 수입단가 상승, 역수입 증가 등 요인으로 증가

○ 12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내수가 다소 회복되면서 조선을 제외한 모

든 산업에서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동기 대비 8.2% 증가 예상

<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1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x -

- 수입단가가 상승한 소재산업군의 증가 폭이 높은 편이며 국내업체

의 현지생산에 따른 역수입 증가로 섬유와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

스플레이 등 IT산업의 증가세가 두드러질 전망

< 2017년 하반기 산업전망 기상도 >

수 출 생 산 내 수 수 입

기계

산업군

자동차 조 선 ☂☂ ☂☂ ☁ ☂☂

일반기계 ☁ 소재

산업군

철 강 ☼☼ ☁ ☁ ☼☼석유화학 ☼ ☁ ☼☼정 유 ☼☼ ☼☼섬 유 ☼

IT

제조업군

가 전 ☂ ☁ ☼정보통신기기 ☼☼ ☼ ☼ ☼디스플레이 ☁ ☁ ☼☼

반도체 ☼☼ ☼☼ ☼☼ ☼음식료

주 1) 전망 : 전년동기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0∼5%, ☼ 5∼10%, ☼☼ 10% 이상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Page 1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 -

I. 거시경제 전망

1. 국내 실물경제 동향

□ 수출 호조 ․ 내수는 투자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

○ 국내 실물경기는 올 들어 수출 확대가 이어지는 가운데 내수도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추이

- 민간소비가 전년도에 비해서 다소 미진한 모습이나, 건설투자가 비

교적 견조한 흐름이며, 설비투자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크게 확대

- 수출은 글로벌 경기의 회복과 반도체 수출 확대, 수출가격 반등세 등

영향으로 올 들어 증가 폭이 크게 확대

* GDP(전기비, %) : (’16.2/4) 0.9 → (3/4) 0.5 → (4/4) 0.5 → (’17.1/4) 1.1

* GDP(전년동기비, 이하 同, %): (’16.3/4) 2.6 → (4/4) 2.4 → (’17.1/4) 2.9

* 민간소비(%) : (’16.2/4) 3.5 → (3/4) 2.7 → (4/4) 1.5 → (’17.1/4) 2.0

* 설비투자(%) : (’16.2/4) -2.9 → (3/4) -3.9 → (4/4) 2.0 → (’17.1/4) 14.4

* 건설투자(%) : (’16.2/4) 10.6 → (3/4) 11.2 → (4/4) 11.6 → (’17.1/4) 11.3

* 통관수출(%) : (’16.2/4) -6.7 → (3/4) -5.0 → (4/4) 1.8 → (’17.1/4) 14.7

<그림 Ⅰ-1> GDP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주 : 내수는 민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합.

Page 1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 -

○ 지난해 말 이후 수출 호조와 투자여건의 개선으로 인해 산업생산은 광

공업과 서비스업이 동반 증가세로 전환

* 광공업(전년동월비, %) : (’17.1월) 1.3 → (2월) 6.7→ (3월) 3.3 → (4월) 1.7

* 서비스(전년동월비, %) : (’17.1월) 2.6 → (2월) 2.5→ (3월) 2.8 → (4월) 2.5

<그림 Ⅰ-2> 산업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자료 : 통계청.

○ 경기선행지표는 상승폭이 크지는 않지만 완만한 오름세가 지속

* 동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17.1월) 0.2 → (2월) 0.0 → (3월) 0.3 → (4월) 0.0

* 선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17.1월) 0.1 → (2월) 0.2 → (3월) -0.1 → (4월) 0.2

<그림 Ⅰ-3>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 : 통계청.

Page 1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 -

2. 대외여건 전망

(1) 세계경제

□ 세계경제 동향 : 연초 성장세 완만한 상승

○ 세계 실물경기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선진권의 회복세 강화와 개도

권의 완만한 회복세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개선 추이

- 선진권은 미국이 올해 연초 소비 둔화에도 불구하고 투자와 수출

확대 등에 힘입어 연 2%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과 유

로권은 비교적 완만한 성장 흐름을 유지

- 개도권은 중국이 올해 들어 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출 확대 등

에 힘입어 6%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으며, 브라질과 러시아 등도

그간의 경기 침체에서 점차 벗어날 조짐

- 전세계 산업생산은 지난 연말에 2014년 말 이후 처음으로 3%대 증

가율을 기록, 선진권과 개도권은 각각 2%대와 4%대 증가율 회복

* 세계 산업생산 : (2016) 1.9% (2016.하반기) 2.3% (2017.1∼3월) 2.9%

· 선 진 권 : (2016) 0.2% (2016.하반기) 0.7% (2017.1∼3월) 1.6%

· 개 도 권 : (2016) 3.5% (2016.하반기) 3.7% (2017.1∼3월) 4.1%

<그림 Ⅰ-4>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2

-1

0

1

2

3

4

5

6

7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전세계 산업생산 선진국 개도국

(%, 전년동월비)

자료 : CPB Netherlands Bureau for Economic Policy Analysis.

Page 1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 -

□ 세계경제 전망 : 연간 성장률 소폭 상승 예상

○ 2017년 세계경제는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적인 정책 기조 속에서 선

진권과 개도권의 동반 성장에 힘입어 전년보다 높은 성장률이 예상

- 미국경제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데다,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감세안 등이 내수 부양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성장률의 확대가 예상

- 일본과 유로권은 중앙은행들의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가 당분간 유

지되면서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중국은 구조조정과 금

융규제 강화 등으로 완만한 성장 둔화가 예상

- 세계경기 향방의 주요 변수들로는 개도권의 경기 회복 지속 여부

와 국가간 통상 마찰 심화 여부, 정치적 불확실성(독일 총선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에 주목

<표 Ⅰ-1>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전기비 연율))

2015 2016 2017 전망치

조정폭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연간(f)

세 계 3.4 3.1 3.5 △0.1

선진권 2.1 1.4 1.3 1.5 1.8 1.7 1.7 2.0 △0.1

미 국 2.61.6

(0.8)

1.3

(1.4)

1.7

(3.5)

2.0

(2.1)1.6

2.0

(1.2)2.3 0.0

유 로 2.0 1.7 1.6 1.8 1.8 1.7 1.9 1.7 △0.1

일 본 1.1 0.5 0.9 1.1 1.6 1.0 1.3 1.2 △0.4

개도권 4.2 4.1 4.5 0.0

중 국 6.9 6.7 6.7 6.7 6.7 6.6 △0.1

세계교역 2.7 2.2 3.8 0.0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17.4월) 등. 주 : 전망치 조정폭은 2017.1월과의 변화폭이며, △는 상향조정을 의미.

Page 1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 -

<그림 Ⅰ-5> OECD 산업생산 및 경기선행지수 변화율 추이

-6

-4

-2

0

2

4

6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20

-15

-10

-5

0

5

10

15

20

OECD 전산업생산지수(우) OECD 경기선행지수(좌)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비)

<표 Ⅰ-2> OECD 및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경기선행지수(장기 추세=100)

전월비 변화율(%))

전년동월비

경기 전망**

2016 2017 2016 201716.4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OECD 99.9 100.0 100.1 100.1 100.1 0.08 0.07 0.04 0.02 0.00 0.50 안정 성장

유로권 100.2 100.3 100.4 100.4 100.4 0.07 0.06 0.05 0.05 0.04 0.40 안정 성장

아시아 5개국* 99.4 99.4 99.4 99.4 99.4 -0.03 -0.03 -0.03 0.01 0.03 -0.09 안정 성장

선진권(G7) 99.8 99.9 100.0 100.0 100.0 0.12 0.09 0.06 0.03 0.00 0.64 안정 성장

캐나다 100.3 100.4 100.5 100.6 100.6 0.16 0.13 0.10 0.06 0.03 1.51 안정 성장

프랑스 100.3 100.4 100.5 100.5 100.6 0.09 0.08 0.06 0.05 0.05 0.37 안정 성장

일 본 100.0 100.0 100.1 100.1 100.1 0.08 0.05 0.03 0.03 0.02 0.48 안정 성장

독 일 100.3 100.4 100.5 100.6 100.7 0.14 0.12 0.12 0.12 0.11 1.34 경기 확장

이탈리아 100.2 100.2 100.2 100.1 100.0 0.00 -0.02 -0.03 -0.05 -0.09 -0.58 안정 성장

영 국 99.6 99.7 99.7 99.7 99.7 0.11 0.07 0.04 0.00 -0.04 0.49 안정 성장

미 국 99.6 99.7 99.8 99.8 99.7 0.14 0.11 0.06 0.02 -0.02 0.67 안정 성장

브라질 101.2 101.5 101.8 102.0 102.3 0.26 0.28 0.29 0.29 0.28 4.17 경기 확장

중 국 98.9 98.8 98.8 98.8 98.8 -0.07 -0.08 -0.05 -0.01 0.04 -0.30 안정 성장

인 도 99.7 99.7 99.6 99.6 99.7 -0.06 -0.04 -0.02 0.00 0.02 -0.46 안정 성장

러시아 100.8 101.1 101.3 101.4 101.6 0.30 0.26 0.20 0.15 0.12 3.41 경기 확장

자료 : OECD. 주 1)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2) 지수가 100 이상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expansion(또는 downturn), 반대로 100 미

만(음영 부문)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recovery(또는 slowdown)를 의미.

Page 1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6 -

<그림 Ⅰ-6> 세계 주요국별 경기선행지수 추이

(a) 미 국 (b) 유 로

(c) 일 본 (d) 중 국

(e) 브라질 (f) 러시아

자료 : OECD.

Page 1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7 -

(2) 유 가 : 연평균 전년 대비 상승

○ 국제유가는 OPEC의 감산조치가 유효하면서 2016년 이전의 약세 기

조로부터 반등하여 2017년 1월 이후 배럴당 50달러대 초반에서 횡

보하다가 6월 들어 40달러대 후반으로 소폭 하락

- 작년 유가상승의 원인은 주로 공급 측 요인으로서, 2016년 11월

OPEC 정기총회에서 합의된 8년 만의 감산 기조가 그동안 무리

없이 이행된 것으로 설명

- 그러나 원유가격이 회복하여 배럴당 50달러를 상회하자, 작년 6월

이후 증가한 원유 시추기를 기반으로 미국 셰일가스 생산업체들이

생산을 늘림으로써 원유 상승세가 주춤

<표 Ⅰ-3> 국제유가 현황(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5년 2016년 2017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5월 6월

WTI 48.6 57.9 46.4 42.2 48.8 33.5 45.7 45.0 49.3 43.4 51.8 48.6 46.6

Brent 55.2 63.5 51.2 44.7 53.6 35.2 47.0 47.0 51.1 45.1 54.6 51.4 48.8

Dubai 52.1 60.5 49.7 40.8 50.8 30.3 43.2 43.2 48.2 41.3 53.0 50.4 47.8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2017년 6월은 6.14일 현재 기준.

<그림 Ⅰ-7> 최근 국제유가 추이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음영 부문은 연간 변동 범위(최소값~최대값)임.

Page 2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8 -

○ 하반기 국제유가는 상승 요인(OPEC의 감산 연장, 세계경제의 회복

세)보다는 하락 요인(미국 석유 증산,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

세)이 약간 우세하여 대체로 40달러대 후반이 예상

- 수요 측면에서는 신흥국을 비롯한 세계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

이고(IMF 올해 3.5% 성장 전망), 그에 따른 원유 수요 증가를 예상

- 공급 측면에서는 일부 회원국들(리비아, 나이지리아)의 감산 불이

행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OPEC이 2017년 5.25일 총회에서 2018년

3월까지 감산기간 연장을 결정하였고, 비회원국인 러시아 역시 공

조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이 공급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그러나 미국 원유생산업체들의 증산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유가

상승폭이 제한되고 당분간 공급과잉 상태가 유지될 전망

※ 셰일가스 업체들의 경우 최근 채굴 효율성 향상으로 생산단가가 하락하여(배럴당 50달러) 현 유가수준에서 생산여력 확보

- 또한 금융 측면에서 미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 강세가 예상

된다는 점도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2017년 유가는 상반기 51.9달러(전년동기비 40.7% 상승), 하반기

49.5달러(8.3% 상승), 연간 50.7달러(22.8% 상승) 내외가 예상

2016년 2017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두바이유36.9

(-34.5)

45.7

(0.9)

41.3

(-18.8)

51.9

(40.7)

49.5

(8.3)

50.7

(22.8)

<표 Ⅰ-4> 2017년 유가 전망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주 :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Page 2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9 -

(3) 원/달러 환율 : 전년 대비 소폭 하락

○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달러화 강세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상승하였다가 2017년 1월 이후 미 달러화의 약

세 기조 하에서 수출 호조 등 영향으로 하락

- 지난해 말부터 美 경제지표 호조,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기대감 등으

로 인한 환율 상승세가 연초까지 이어진 후, 트럼프 정부의 달러

강세 경계 발언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정책 등 영향과 우리나라 수

출 호조,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등 영향으로 하락세로 반전

- 2분기 이후 북한 핵 문제로 야기된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으로 재차 상승하였으나, 미국의 금리 인상과 정책 불확실성 증대,

유럽의 정치 불안 이슈 등으로 달러화 가치가 등락을 거듭하면서 원/

달러 환율 역시 완연한 하락 기조 속 급등락을 반복

<그림 Ⅰ-8> 최근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자료 : 한국은행.

○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

으로 보이나, 상반기에 이어 원화 강세 압력이 유지되면서 상승 폭

을 제한, 2017년 평균치는 2016년보다 소폭 낮은 수준이 예상

-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은 연내 1회 정도(12월 예상) 유력시되나, 금

리인상 자체는 더 이상 추가적인 달러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지

Page 2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0 -

는 않을 전망이며, 美 연준이 준비 중인 대차대조표 축소 논의(양

적 긴축)이 가시화되면 달러화 강세의 압력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

- 다만 신흥국 및 자원수출국의 경기부양과 글로벌 제조업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이고, 국내적으로는 신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수

출 호조세 지속과 경상수지 흑자기조 유지 등이 환율 상승 요인과

상쇄되면서 연평균 환율은 전년보다 소폭 하락한 수준이 예상

○ 2017년 원/달러 환율은 상반기 1,142원(전년동기비 3.4% 하락), 하

반기 1,168원(2.4% 상승), 연간 1,155원(0.5% 하락) 내외가 예상

2016년 2017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181.9

(7.6)

1,140.1

(-2.0)

1,161.0

(2.6)

1,141.7

(-3.4)

1,168

(2.4)

1,155

(-0.5)

<표 Ⅰ-5> 원/달러 환율 전망

주 1)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2) 2017년 상반기는 2017년 6월 현재 기준.

○ 원/엔 환율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안전자산으로의 엔화

수요 압력이 커질 수 있으나, 미 달러화의 강세로 인해 원/엔 환율은

2016년(1,068원)보다 소폭 낮은 수준이 예상

Page 2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1 -

3. 2017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 2017년 국내경제는 하반기에 수출과 투자 증가세가 상반기보다 다

소 둔화되지만, 소비가 비교적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연간

전체로는 전년도와 비슷한 2.8% 내외의 성장률이 예상

- 연간 수출이 대외 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6년 만에 처음으로 두 자

릿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내수에서는 설비투자가 증가세를 회복하

지만, 건설투자와 민간소비는 지난해보다 증가율이 낮아질 전망

-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동기비 기준으로는 상저하고의

성장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지난 연말에 비해 대외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고, 대내 불확실성 완화와 정책

기대감 등으로 인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2.5% → 2.8%로 0.3%p 상향

○ 수출이 하반기에는 유가 안정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폭의 축소와 전

년도의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상반기보다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지

만, 연간 전체로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

- 2017년 수출은 약 11%, 수입은 약 15% 증가하면서 무역흑자 규모

는 전년보다 축소된 약 827억 달러 내외가 예상

○ 내수는 민간소비가 다소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난해 성

장을 견인한 건설투자가 전년도에 비해서 둔화되는 반면, 설비투자

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침체를 벗어날 전망

- 소비는 대내외 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소비 심리가 안정되고, 새 정

부의 일자리 추경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되

Page 2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2 -

나, 소득 여건의 부진과 대출규제 강화 등 일부 제약요인들로 인해

지난해보다 약간 낮은 2%대 초반의 증가율이 예상

- 건설투자는 정부의 SOC 예산 축소 등으로 둔화세가 이어질 것이

나, 설비투자는 일부 공급과잉 업종들(철강, 조선 등)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IT와 자동차 등 주력 업종들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기대

○ 대외적으로는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변화 여부와 정치적 불확실성

(독일 총선 등), 개도권의 경기 회복 지속 여부 등이, 국내적으로는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과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구조적 문제점

들(가계부채 등)의 해소 여부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표 Ⅰ-6>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6년 2017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3.2 2.5 2.8 2.7 2.9 2.8

민간소비 2.9 2.1 2.5 2.1 2.3 2.2

건설투자 9.9 11.4 10.7 7.4 3.0 5.0

설비투자 -3.7 -0.9 -2.3 10.3 4.4 7.3

통관 수출

(억달러, %)

2,412

(-10.2)

2,542

(-1.6)

4,955

(-5.9)

2,751

(14.0)

2,755

(8.4)

5,506

(11.1)

통관 수입

(억달러, %)

1,931

(-13.1)

2,130

(-0.6)

4,061

(-7.0)

2,313

(19.7)

2,366

(11.0)

4,679

(15.2)

무역수지 481 413 894 438 389 827

자료 : 산업연구원.

Page 2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3 -

(2) 부문별 전망

1) 민간소비

○ 민간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와 신차 출시 효과 등으로 인해 지난해

3분기까지 비교적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최근에는 다소 둔화

- 정부의 소비 진작책 시행 이후 내구재 소비가 지난해 하반기에

5% 미만의 낮은 증가세를 보이다가 올해 1분기에는 소폭 반등,

준내구재와 비내구재 소비는 최근에 증가세가 둔화

- 저유가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과 실질구매력의 증가 효과는 점차

약화되고 있는 상황

<표 Ⅰ-7> 민간소비 추이

(단위 : 전년동기비, %)2015년 2016년 2017년연간 1/4 2/4 3/4 4/4 연간 1/4 4월

민간소비 2.22.3 3.5 2.7 1.5

2.52.0 -

(-0.1) (0.8) (0.6) (0.2) (0.4) -

소매판매액지수 4.15.0 5.9 3.5 2.5

4.32.0 2.8

(-0.2) (2.0) (-1.2) (2.1) (-0.4) (0.7)

실질 GNI 6.54.8 4.8 3.1 3.3

4.02.5 -

(3.3) (-0.2) (-0.4) (0.7) (2.7) -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 )안은 계절조정 자료의 전기비.

<그림 Ⅰ-9> 재화별 소비 추이(전년동기비 증가율)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동향조사.

Page 2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4 -

○ 소비자 심리지수가 올 들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는 등 소비 여

건이 나쁘지 않은 편이나, 소득 여건의 부진 지속과 대출규제의 강

화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

-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 등으로 가계의 경기 인식이 개선되고,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지난 4~5월에는 100 이상을 기록하는 등 소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

- 반면에 소득 여건은 고용이 연 1%대 증가율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아직도 부진한 실정이며, 대출규제 강화는 특히 저소득층에 대한

유동성 제약 요인으로 작용

<그림 Ⅰ-10> 소비자심리지수 <그림 Ⅰ-11> 가계부채 추이

자료 : 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 2017년 민간소비는 대내외 여건의 개선과 새 정부의 정책 기대감

등이 소비 심리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나, 소득 여건의 부진과

대출규제 강화 등 일부 제약요인들로 인해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

- 대내외 여건의 개선은 소비 심리 안정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

용하고 있으며, 새 정부의 일자리 추경안도 정책 기대감을 통해

소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

Page 2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5 -

- 다만 교역조건의 개선 효과가 점차 약화되고 있는 데다, 소득 여

건의 부진과 대출규제 강화 등 제약요인들로 인해 연간 소비는 지

난해보다 약간 낮은 2%대 초반의 증가율이 예상

<참고> 소비 부진의 배경과 회복 가능성 점검

○ 최근 수년 동안 소비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배경은 구조적 측면(소비성향의 저하와 가계부채 부담 등)과 경

기적 측면(제조업 고용 침체 등)에 기인

- 소비성향 저하는 인구 고령화 추세와 연계되어 특히 고령 가구

(60세 이상) 소득이 부진한 데 기인하며, 가계부채는 저금리 추

세와 함께 빠르게 확대되면서 원리금 상환 부담의 가중 요인

* 가계부채와 윈리금 상환 비중 변화(%, 가처분소득 대비, 2010년 → 2016년)

가계부채 비중 16.2 → 26.6, 원리금 상환 비중 151.6 → 165.4

- 경기 측면에서는 소득 여건과 관련된 고용 지표가 주요하게 작

용하는 바, 지난 2016년에 제조업 고용이 수출 침체와 더불어

급감하면서 근로자들의 소득 개선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그림 1> 소비성향과 고령가구 <그림 2> 산업별 취업자 증가율

0

10

20

30

40

50

60

70

8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45

50

55

60

65

70

75

80

85

60세 이상 가구 비중(좌) 60세 이상 소득(전가구 대비, 우) 전가구 평균소비성향(우)

(%) (%)

-3

-2

-1

0

1

2

3

4

5

6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제조업 비제조업

(%, 전년동기비)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Page 2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6 -

○ 그러나 올 들어서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로 인한 소비 심리 안정

과 금융시장 회복에 따른 자산효과, 그리고 새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은 소비 회복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경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비자들의 내구재 구입 의사와

관련된 내구재지출 전망CSI가 최근 들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

어 내구재 소비의 증가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

- 자산시장도 전국 주택매매가격 변화율이 반등 국면을 형성하는

모습이며, 주식시장도 대외 여건의 개선과 함께 회복세를 보이

고 있어 소득과 소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그림 3> 내구재 소비와 지출 전망CSI <그림 4> 소비와 주택 및 주식가격

-20

-10

0

10

20

30

4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30

-20

-10

0

10

20

30

내구재 소비(실질, 좌) 내구재지출 전망CSI(우)

(%, 전년동기비) (%)

-2

0

2

4

6

8

1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60

-40

-20

0

20

40

60

국내 소비지출(명목, 좌) 전국 주택매매가격(좌) KOSPI 지수(우)

(%, 전년동기비) (%)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국민은행.

- 또한 새 정부가 출범 직후에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여건의 개선

을 위해 예년과 비슷한 약 11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마련하고,

향후 추가 지원 확대도 계획하고 있어 정책 기대감이 고조

* 이번 추경안은 내용 면에서 모두 일자리와 관련된 사항들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며, 특히 청년층과 저소득층과 같은 취약계층의 소득기반 확

충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 주 내용

Page 2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7 -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안)

규모 11.6조 11조 11.2조

목표 메르스 극복 및 민생 안정 구조조정 지원과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여건 개선

주요내용

① (메르스 대응) 메르스 대응 및 피해업종 지원 : 2.5조

① (구조조정지원) 국책은행 출자, 선박 발주, 보증보험 출연 : 1.9조

① (일자리 창출) 공공부문, 중소기업 청년 취업지원, 창업 촉진 등 : 4.2조

② (가뭄 및 장마) 재해대비 투자 및 농산물 소비 촉진 : 0.8조

② (일자리 창출 및 민생안정) 창업자금, 조선업 밀집지역 일자리, 생계급여 및 긴급복지, 취업성공 패키지 : 1.9조

② (일자리 여건 개선) 세대별 맞춤형 일자리, 여성 일자리 환경 개선, 소상공인 지원 : 1.2조

③ (서민생활안정) 고용창출 및 서민생활 안정 : 1.2조

③ (지역경제 활성화) 생활밀착형 시설정비,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지역사업 활성화 : 2.3조

③ (일자리기반 서민생활 안정) 치매․의료비 부담 경감, 주거․교육 등 생계부담 완화, 미세먼지․안전․에너지 절감 : 2.3조

④ (지역경제 활성화) 안전투자 및 기역경제 SOC 확충 : 1.7조

④ (지방재정보강) 지방교부세, 지방교육재정교부금 : 3.7조

④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방재정 보강) : 3.5조

⑤ (재정보강) 기금운용계획 변경, 지출확대 : 3.1조

<표> 최근 3년 추가 경정 주요 내용

자료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 실제로 새 정부의 일자리 추경 발표 직후에 청년층과 저소득층

을 중심으로 낙관적인 기대감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나며,

이들 계층은 소비성향도 상대적으로 높아 ‘고용 창출 → 소득

증대 → 소비 확대’의 선순환 구조 형성에도 일조할 가능성

* 취업기회 전망CSI (2017.1월 → 2017.5월) : 전가구 69 → 113

[연령별] 40세 미만 73 → 121, 40대 68 → 115, 50대 66 → 109

[직업별] 봉급생활자 69 → 117, 자영업자 69 → 108, 기타 69 → 104

[소득수준별] 월수입 100만원 미만 61 → 100, 200∼300만원 68 → 110

Page 3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8 -

<그림 5> 연령별 소비성향(2016년) <그림 6> 소득분위별 소비성향(2016년)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 소비가 일부 요인들로 인해서 다소 미약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

나, 불확실성 완화와 금융시장 회복, 정책 기대감 등에 힘입어 회

복세로 접어들 것으로 기대되며, 성장률 제고에도 기여할 전망

- 지난해 소비가 상고하저 패턴의 양상을 보인 점에서 올해는 앞

서 언급한 불확실성 완화와 금융시장 회복, 정책 기대감 등에

기인하여 상저하고 패턴으로 비교적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

- 고용 창출을 통한 소득 증대와 소비 효과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

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인구 고령화나 가계부채

부담 등 구조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경주할 필요

Page 3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19 -

2) 설비투자

○ 설비투자는 2016년 4분기부터 극심한 부진에서 벗어나면서 올해 1

분기에는 전년동기비 14.4%나 증가

* 설비투자(전년동기비, %) : (‘16.1분기) -4.6 → (2분기) -2.9 → (3분기) -3.9

→ (4분기) 2.0→ (‘17.1분기) 14.4

○ 형태별로는 일반기계류의 회복과 운송장비의 부진이 뚜렷이 대비되

는 모습

- 극심한 투자 부진을 보이던 일반기계류는 지난해 4분기 이후 증가

세로 돌아선 이후 올해 1분기 25.5%로 증가 폭이 대폭 확대

- 자동차를 비롯한 운송장비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설비투자가 감소

세로 돌아선 이후 3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

2016년 2017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1)

전년

동기비

설비투자 -4.6 -2.9 -3.9 2.0 14.4

기계류 -11.1 -7.2 -1.1 9.5 25.5

운송장비 10.5 5.6 -10.3 -12.6 -6.3

전기비

설비투자 -7.0 2.6 0.9 5.9 4.4

기계류 -7.2 2.8 6.8 7.5 6.4

운송장비 -6.8 2.2 -10.2 2.5 -0.5

<표 Ⅰ-8> 설비투자 추이

(단위: %)

자료 : 한국은행. 주: 1) 잠정치

Page 3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0 -

2016년 2017년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1) 4월1)

총지수    3.3 -4.0 -3.3 10.2 10.5 10.3 19.5 23.3 14.1

기계류   8.1 6.7 3.3 11.0 21.2 18.5 25.2 29.1 20.8

일반기계류 14.9 14.1 9.7 18.7 34.5 36.9 48.3 56.8 37.4

전기 및 전자기기 -6.9 -4.5 -11.8 0.7 3.8 -5.9 -11.9 -12.5 -6.2

정밀기기 11.5 4.7 4.6 5.0 9.9 9.0 17.5 18.0 13.7

기타기기 4.7 1.5 14.7 4.8 4.6 1.7 18.8 11.8 2.9

운송장비 -7.4 -24.0 -16.0 8.9 -9.0 -8.0 6.5 9.0 -0.5

자동차 -11.8 -5.4 -9.1 7.2 -12.6 -5.8 8.4 8.3 -7.5

기타운송장비 6.4 -55.2 -30.0 14.2 3.3 -13.4 0.6 11.7 27.1

<표 Ⅰ-9> 부문별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단위: %, 전년동기비)

자료 : 통계청. 주 1) 잠정치 기준.

<그림 Ⅰ-12> 설비투자지수 추이 (전년동기비)

(a) 설비투자(국민계정) (b) 설비투자지수(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설비투자지수는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을 이용.

○ 2017년 들어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따른 수출산업의 생산 확대가 이

어지면서 설비투자의 회복세가 다소 강해질 전망

- 제조업 투자전망 심리지수와 설비투자조정압력 등 대부분의 선행

지표들 역시 회복세가 뚜렷해지는 모습

Page 3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1 -

- 그동안 부진의 늪에 빠졌던 기계수주액은 올해를 기점으로 증가율

이 크게 높아지는 상황

- 수출산업을 중심으로 생산 가동률이 점차 높아지고, 새 정부의 출

범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설비투자의 회복세도 점차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

- 하지만 업종별로는 여전히 명암이 뚜렷하여 제4차 산업혁명 선도

업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등에서 투자 확대가 예상되나

공급과잉인 철강과 조선의 투자 부진은 지속될 전망

<그림 Ⅰ-13>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기계수주와 설비투자조정압력 (b) 제조업 설비투자 전망(BSI)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주 1) 기계수주(선박제외 불변금액 국내수요)와 설비투자조정압력은 3개월 중심항 이동 평균. 2) 설비투자조정압력 = 제조업 생산지수 증감률 – 제조업 생산능력 증감률. 3) 설비투자 전망은 다음 달 전망.

○ 설비투자는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따른 수출산업의 생산 확대가 이

어지면서 그 동안의 극심한 부진에서 벗어나 7.3% 증가 전망

- 상반기는 강한 기저효과로 인해 10.3%, 하반기에는 4.4% 증가 예상

- 업종별로는 자동차, 석유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수출 호조산

업의 설비투자가 강세를 보일 전망

Page 3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2 -

3) 건설투자

○ 지난해 내내 이어진 건설투자의 호조는 올해 들어서도 지속되어 1

분기에는 11.3% 증가

- 아파트 등 주택건설을 중심으로 분양 및 착공이 활발하여 주거용

건물에 대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

- 새 정부 들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주택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주거용 건설투자의 증가세 지속

2016년 2017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1)

전년

동기비

건설투자 9.0 10.6 11.2 11.6 11.3

형태별

건물건설 16.2 18.3 16.4 18.1 16.4

주거용 건물 20.1 24.8 21.2 22.0 20.4

비주거용 건물 12.0 12.6 12.4 14.5 12.0

토목건설 -4.9 -4.0 -1.2 -1.6 -1.1

주체별

민간 6.4 10.4 13.4 13.3 12.8

정부 28.6 11.4 4.3 5.6 1.7

전기비

건설투자 7.6 3.1 2.2 -1.2 6.8

형태별

건물건설 6.0 4.9 4.1 1.7 4.9

주거용 건물 7.0 6.4 3.6 3.0 6.3

비주거용 건물 5.0 3.5 4.6 0.4 3.4

토목건설 11.3 -1.1 -2.3 -8.5 12.2

주체별

민간 7.7 5.1 2.3 -1.4 7.2

정부 7.1 -5.0 2.1 -0.6 5.2

<표 Ⅰ-10> 건설투자 추이

(단위: %)

자료 : 한국은행 주: 1) 잠정치

Page 3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3 -

<그림 Ⅰ-14>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전년동기비)

(a) 건설투자 (b) 건설기성액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건설기성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 올해의 건설투자는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상고하저의 패턴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주거용 건물 투자는 도시 재생 등을 통한 주택 공급 및 개량 정책

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

- 반면에, 토목건설 투자는 정부의 SOC 예산 삭감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큰 폭의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 건설수주와 부동산 심리지수 등 건설경기 선행지표들이 여전히 호

조를 보이고 있어 건설경기 전망에 긍정적으로 작용

- 다만, 최근 서울 등 일부 도시를 부동산 투기 우려가 불거지면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이 실시될 경우 건설투자에 영향

○ 건설투자는 주택건설의 증가세가 이어지겠으나 신규 민간건설 수요

의 둔화와 토목건설 수요의 부진으로 5.0% 증가에 그칠 전망

Page 3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4 -

- 상반기에는 지난해의 증가세가 이어져 7.4% 증가, 하반기에는 증

가세가 다소 둔화되면서 3.0% 증가 예상

<그림 Ⅰ-15>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건설수주액(전년동기비) (b)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자료 : 통계청, 국토연구원. 주 : 건설수주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Page 3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5 -

3) 수출입

□ 수출입 동향 : 올 들어 두 자릿수 증가로 전환

○ 2015년 이후 계속 감소세를 보였던 수출입이 작년 4분기 증가로 돌

아선 이후 올해 들어 증가 폭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

- 수출증가율(%) : -6.7(16.2Q)→-5.0(3Q)→1.8(4Q)→14.7(17.1Q)→18.8(4∼5월)

- 수입증가율(%) : -10.1(16.2Q) -5.1(3Q)→4.1(4Q)→23.9(17.1Q)→17.8(4∼5월)

<그림 Ⅰ-16> 수출입 및 무역수지 추이

자료 : 한국무역협회.

○ 5월까지 수출은 전년동기비 16.4%, 수입은 21.4%의 두 자릿수 증가

를 기록, 작년도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폭발적인

증가로 평가

- 수출확대는 유가상승으로 인한 석유화학·석유제품의 수출 급증과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주요 제품의 수출단가 상승, 세계경제의 회

복세에 따른 중국·EU 등 주요 지역에 대한 수출 호조 등에 기인

- 수입도 유가 상승 등으로 원유 등 에너지 자원의 수입액이 대폭

증가한 데다 주력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인한 자본재 수입의

급증으로 두 자릿수 증가

Page 3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6 -

- 수출입이 모두 확대되는 가운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증가함

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들어서 다소 감소

○ 수출을 단가와 물량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수출단가는 작년 하반기

이후 하락률이 빠른 속도로 완화되다가 올해 들어서는 상승세로 전

환하였으며, 수출물량도 올해 들어 증가 폭이 확대

- 수출단가의 회복은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인한 석유제품·석유화학

의 가격 급등과 수급개선으로 인한 반도체·디스플레이의 가격 상

승에 기인

- 작년 미미한 증가에 그쳤던 수출물량도 올해 들어서는 증가 폭이

확대됨으로써 세계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DB. 주 : 수출단가지수는 수출금액지수를 수출물량지수로 나누어 산정.

○ 산업별로는 수출단가 상승에 힘입어 석유제품, 석유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이 급증한 반면, 가전, 무선통신기기 등은 여

전히 부진

- 석유제품·석유화학은 유가급등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으로, 반도

체는 메모리 수출단가 상승과 탑재용량 증가 등으로, 그리고 디스

플레이는 LCD패널단가 상승과 OLED 수출 확대로 두 자릿수 증가

<그림 Ⅰ-17> 수출단가 및 수출물량 추이

Page 3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7 -

- 무선통신기기(갤럭시S8 출시 지연), 가전(해외생산 확대)은 올해에

도 두 자릿수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며, 자동차(부품)도 대미수출

부진 등으로 한 자릿수 증가

<표 Ⅰ-11> 산업별 수출 증가율

(단위 : 전년동기비, %) 

 

2015 2016 2017

연간 연간 1/4 2/4 3/4 4/4 1∼4월

석유제품 -37.0 -17.4 -35.6 -19.2 -16.1 5.2 46.9반도체 0.4 -1.1 -9.4 -5.5 -0.9 11.4 47.7

석유화학 -21.6 -4.3 -12.8 -9.3 -3.3 9.3 34.8조선 0.6 -14.5 -40.3 16.6 -4.0 -16.7 23.0

디스플레이 -8.2 -15.5 -26.6 -25.5 -10.0 3.5 17.5철강 -15.0 -5.5 -10.6 -9.2 -4.1 3.3 16.6

일반기계 -3.4 -2.9 -7.7 -8.0 -1.2 6.0 13.1컴퓨터 0.4 8.5 -4.6 2.5 24.1 13.6 5.5자동차 -6.4 -11.3 -13.0 -13.9 -17.7 -1.7 5.2섬유 -10.2 -4.5 -6.0 -7.2 -3.3 -2.3 0.8

자동차부품 -4.1 -4.5 -6.1 -6.3 -2.2 -3.0 -2.1가전 -15.9 -11.8 -15.2 -10.5 -15.1 -4.3 -15.0

무선통신기기 10.2 -9.0 8.1 -5.9 -15.6 -17.6 -19.6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지역별로는 아세안, 중국, 일본, EU 등에 대한 수출이 크게 늘어난

반면, 대미, 대중동 수출은 여전히 부진

<그림 Ⅰ-18> 지역별 수출 증가율

Page 4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8 -

- 아세안, 중국, 일본에 대한 수출은 석유제품, 석유화학, 반도체 등

의 수출호조로 크게 증가한 반면, 대미수출은 자동차 및 부품, 무

선통신기기의 부진으로 올해 들어서도 감소

○ 수입은 유가 급등으로 원유 등 1차산품의 수입이 대폭 증가하였으

며, 주력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자본재

수입도 급증

- 중간재 수입도 수출회복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두 자릿

수 증가하였으나, 소비재는 가계부채 증가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한 자릿수 증가에 그침

<표 Ⅰ-12> 가공단계별 수입

(단위 : 억 달러, %)

자료 : 한국무역협회.

□ 2017년 전망 : 하반기 증가세 둔화, 연간 수출 약 11% 증가 전망

○ 하반기 수출은 세계경제의 회복으로 수출물량의 회복이 지속되겠으

나, 상반기 대비 유가 안정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폭 축소와 기저

효과 등으로 증가율은 다소 줄어들 전망

- 유가 안정으로 석유화학·석유제품 등의 수출 증가 폭이 축소되나,

신흥국 경기 회복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신규 수요 창

출, 무선통신기기의 회복 등으로 수출증가세는 유지될 전망

  2016 2017(1~4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총수입 4,062 -6.9 1,542 22.2 100.0

1차산품 790 -15.3 341 53.4 22.1

(원유) 443 -19.6 195 67.3 12.7

중간재 2,075 -7.7 743 10.8 48.2

자본재 592 -2.6 230 31.8 14.9

소비재 598 4.3 199 3.1 12.9

Page 4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29 -

○ 하반기 수입은 수출회복에 따른 중간재 수입 증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내수의 완만한 성장세 등으로 증가세가 지속되나, 유가 안정과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율은 상반기보다 다소 줄어들 전망

○ 하반기에도 수출입이 모두 확대되는 가운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

게 증가함에 따라 금년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

○ 미국의 통상압력, 사드에 따른 중국과의 통상마찰, 국제유가의 향방

등이 올해 수출입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평가

-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른 차세대반도체 등 새로운 IT제품의 수요

확대, SSD·OLED·화장품·의약품 등 새로운 수출유망품목의 확

산, 갤럭시S8 본격 출시 등은 향후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

으로 기대

<표 Ⅰ-13> 2017년 수출입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6년 2017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통관기준 수출2,412

(-10.2)

2,542

(-1.6)

4,954

(-5.9)

2,751

(14.0)

2,755

(8.4)

5,506

(11.1)

통관기준 수입1,931

(-13.1)

2,131

(-0.5)

4,062

(-6.9)

2,313

(19.7)

2,366

(11.0)

4,679

(15.2)

무역수지 481 412 892 438 389 827

주 :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Page 4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0 -

Ⅱ. 12대 주력산업 전망

1. 2017년 상반기 동향

□ 수출: 가전, 정보통신기기를 제외한 10개 주력업종에서 증가

○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가전, 정보통신기기를 제외한 10개 산업에서

수출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조선, 철강, 정유, 석유화학, 정유, 디스플

레이, 반도체 등은 10% 이상의 가파른 상승세 기록

○ (기계산업군) 일반기계는 중국 건설경기 회복세, 국내업체들의 해외

생산기지 구축에 따른 수요 증가로 8.2% 증가, 조선은 기당 금액이

높은 해양플랜트 인도 등으로 27.6% 일시적 급등하였으며 자동차는

부품 수출 부진으로 0.4% 소폭 증가

○ (소재산업군) 소재산업은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과 수요 회

복이 겹치면서 전년동기비 17.8% 증가

- 철강은 보호무역주의 강화에도 수출제품 고급화, 수출물량 증가 등

으로 14.5% 증가

- 석유화학, 정유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일시적인 공

급부족 등으로 각각 12.0%, 39.4% 증가, 섬유는 중국, 미국 수출 감

소에도 해외생산기지로 섬유소재 수출이 늘면서 0.9% 증가

○ (IT제조업군) IT 완제품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부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비 21.3% 큰 폭으로 증가

- 가전은 해외수요 부진으로 TV, LED 조명기기 등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12.8% 감소, 정보통신기기는 갤럭시노트 발화사건으로 조기 단종 여파

가 이어져 9.3% 감소

Page 4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1 -

- 반도체는 IT제품 고사양화로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디스플레이도 공급제약에 따른 가격상승과 고가인

OLED 수요확대로 각각 48.4%, 16.9%의 높은 증가세 기록

○ 음식료는 중국 내수부진과 사드 여파로 대중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동남아 신규 시장 확대로 8.8% 증가

□ 생산: 철강, 석유화학 등 소재산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성장 견인

○ 생산에서 수출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은 주력산업 특성상 상반

기 수출호조로 대부분 산업에서 생산 증가

○ (기계산업군) 상반기 내수 부진에 따른 영향으로 생산 감소가 나타나고 있음.

- 수주잔량이 줄면서 건조량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조선은 10.8% 큰

폭으로 감소, 자동차도 내수 부진 영향으로 1.3% 소폭 감소한 반면

일반기계는 전년동기 실적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3.1% 증가

○ (소재산업군) 내수 및 수출증가 증가로 섬유를 제외한 모든 소재산업

에서 생산 증가 기록

- 철강은 봉형강류, 판재류, 강관 등이 높은 증가를 기록하며 4.5% 증

가, 석유화학, 정유는 전반적인 수출 호조에 내수도 증가하면서 각각

0.8%, 5.2% 증가

- 섬유는 국내 생산기반이 급격히 줄고 있는 면방 등 원사 부문과

직편물, 염색가공 부분은 수출이 부진하여 이들 품목을 중심으로

3.3%감소

○ (IT제조업군) 수출이 크게 증가한 반도체,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생

산이 증가

Page 4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2 -

- 가전은 내수 회복세가 더디고 중저가 수입가전이 크게 증가하면서

3.8% 감소, 정보통신기기는 스마트폰 수출 감소 영향으로 6.8% 감소

- 디스플레이는 가격상승, 수출 증가 등 생산여건 개선으로 6.0% 증가,

반도체는 전년동기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 급증의 영향

으로 26.2%의 높은 증가

□ 내수: 전년동기 내수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반적인 증가

○ 전년 실적이 부진했던 IT산업과 연관산업 업황 개선 요인으로 소재

산업은 내수 회복세

○ (기계산업군) 자동차는 한시적 개별소비세 인하에 따른 선수요가 실

현 여파로 2.9% 감소, 일반기계는 일부 업종 설비투자 증가로 기계

수주가 늘어나면서 0.9% 소폭 증가

○ (소재산업군) 철강은 민간부분 건설투자 증가세 지속으로 건설용 강재

를 중심으로 2.5% 증가, 석유화학, 정유는 연관산업 수요 회복으로 각

각 3.0%, 1.5% 증가한 반면 섬유는 의류소비 감소 등으로 2.2% 감소

○ (IT제조업군) 이른 더위, 미세먼지 이슈 등으로 에어컨, 공기청정기 수

요가 늘면서 가전은 6.1% 증가, 정보통신기기는 전년 실적 부진에 따

른 교체수요 증가로 5.8% 증가

-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은 TV, 컴퓨터 등 수요산업 회복과 IT기기 고

성능화 등으로 각각 3.8%, 8.5% 증가

○ 음식료는 유통채널 다양화, 간편조리식 제품 수요 증가로 2.8% 증가

□ 수입: 소재산업 단가 상승으로 높은 증가세

○ 12대 주력산업 중 자동차, 조선을 제외한 10대 산업에서 수입이 증가

Page 4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3 -

○ (기계산업군) 자동차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폭스바겐의 디젤 차량 배출

가스 조작으로 인한 판매 금지로 4.5% 감소, 조선은 수주잔량 감소

에 따른 관련 기자재 수요가 줄면서 15.8% 감소한 반면 일반기계는

기계류 내수 회복으로 5.2% 증가

○ (소재산업군) 석유화학(38.0%), 정유(10.0%), 철강(21.6%)은 수입단가

상승과 생산 증가에 따른 수입 중간재 수요가 늘면서 큰 폭의 증가

율을 기록

- 섬유는 경기부진에 따른 중저가 제품 수요 증가, 국내업체들의 해

외생산에 따른 역수입 증가 등으로 7.0% 증가

○ (IT제조업군) 가전은 국내업체들의 해외생산에 따른 역수입과 중국산

소형가전 수요가 늘면서 14.9% 증가, 정보통신기기는 2016년 국내업

체 스마트폰의 배터리 문제로 조기단종에 따른 대체수요 증가로

10.5% 증가

- 디스플레이는 기저효과와 LCD 생산물량 축소에 따른 해외 조달 수요

로 인해 77.8%의 높은 증가세 기록, 반도체는 국내 생산이 어려운 시

스템 반도체 수요 확대로 5.5% 증가

○ 음식료는 가공식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 수요와 기호식품 소비가 늘

면서 8.7% 증가

Page 4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4 -

2. 2017년 하반기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 IT산업과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 회복이 예상되나, 중국

산업 성장에 따른 공급과잉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지속

○ 하반기에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이 글로벌 수요침

체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AI, IoT, Big Data 등 주요 기술이 부상

하고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면서 IT산업을 중심으로 글로

벌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

- 또한 그동안 침체를 보여 온 신흥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이들 시장

에 비중이 높은 주력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표 Ⅱ-1> 하반기 글로벌 여건 변화가 12대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공급과잉

글로벌 수요변화

해외생산확대

보호무역강화 기타 종합평가

자동차 □ □ × × - ×

조선 □ ○ × × - ×

일반기계 □ ○ □ × - □

철강 × ○ □ × - ○

석유화학 × □ - □ × (국제유가변동) □

정유 □ ○ - - - ○

섬유 × ○ × □ - ○

가전 × ○ ×× × - ×

정보통신기기 × × × - - ×

디스플레이 □ □ × - - □

반도체 - ○ □ ○ ○(글로벌 공급부족) ○

음식료 □ ○ × □ - ○

주 : 매우 긍정적 ◎, 긍정적 ○, 중립 □, 부정적 ×, 매우 부정적 ××, 해당사항 없음 -

○ 하반기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철강, 석유화학, 섬유, 가전, 정보통신

기기 등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 철강은 글로벌 공급과잉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시작되

Page 4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5 -

었으나 가시화된 성과가 미흡한 상황으로 하반기 국제 철강가격

회복에 제약을 가하는 상시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석유화학은 우리나라 시장점유율이 높은 제품(SM, PX)의 수급구조

는 안정화 추세이나 동아시아 지역의 주요 생산설비가 하반기부터

정상 가동되면 공급과잉 심화 예상

- 가전, 정보통신기기, 정유는 중국업체간 경쟁 격화 및 세계시장 진

출 확대 등으로 공급물량 증가가 예상

- 반면 반도체는 세계시장에서 메모리반도체 공급 업체가 제한적으로

공급부족이 나타나고 있어 국내 업체들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작용

- 디스플레이는 OLED에서 중국업체들의 적극적인 신규투자가 이루

어지고 있으나 품질, 양산력 등에서의 격차는 상당기간 유지되어

국내업체들의 독점구조가 지속될 전망

○ 보호무역주의 기조는 하반기에도 지속되며 12대 주력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 상계관세 등 수입규제 압력을 겪은 철강과 교역 위축에 따른 해상

물동량 감축으로 수주 감소가 예상되는 조선은 보호무역 강화에

더욱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 미국의 한국산 섬유제품의 반덤핑 조사 시작 등 한국 섬유관련 수

입규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가전의 경우 반덤핑 제소 등 미국 월풀

의 한국제품에 대한 지속적 견제

- 12대 주력산업의 높은 판매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트럼프 정

부의 FTA 재협상과 자국산업 보호 등의 주요 정책으로 국내업체

들의 미국 시장내 판촉활동을 위축시키는 등 부정적 영향으로 작

용할 전망

Page 4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6 -

□ 소재산업 중심의 수출단가 상승이 12대 주력산업 수출 견인 지속

○ 2017년 주력산업 수출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수출단가의

변화 추이로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수출단가가 상승하면서 12대 주

력산업 수출 상승세를 견인

○ 국제유가 동조성이 높은 석유, 석유화학은 유가상승에 따른 원유관

련 제품 가격도 상승하면서 수출단가가 크게 증가

- 하반기 석유는 고부가가치 경질유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수

출단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하반기 국제 유가의 횡보가 수출

단가 상승에 제한적 요인으로 작용

○ 대표적 부품소재산업인 철강과 반도체는 수요회복과 공급요인으로

수출단가 상승 예상

- 철강은 수요회복,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 구조조정으로 공급과잉

해소 등의 요인으로 수출단가 상승하였으며 하반기도 이러한 추세

가 유지될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D램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

면서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되어 메모리반도체 단가 상승

· D램 단가는 하반기 안정화될 전망이나 낸드플래시 수요가 증가

하는 상황에서 경쟁업체가 매각을 앞두고 있는 요인으로 낸드플

래시 수출단가 상승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

○ 음식료와 자동차는 수출 제품 구성이 고가제품으로 변화되면서 수출

단가 상승

- 음식료는 중국, 아세안 등 내수시장을 겨냥한 프리미엄급 제품 수출

이 증가하면서 수출단가 상승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

- 자동차는 중대형 승용차와 친환경차 수출이 증가하면서 수출 단가

도 증가하고 있으며 하반기 승용차에 비해 가격이 높은 SUV 신차

Page 4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7 -

가 수출시장에 투입되고 다양한 친환경차들이 수출이 지속되면서

수출단가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

○ 가전, 정보통신기기, 의류는 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인하 압력 등으로

수출단가 하락이 예상

- 가전은 글로벌 수요 부진 및 공급과잉, 중국과의 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인하 압력, 부품가격 하락 등의 요인으로 수출단가 하락 추세

이나 UHD TV 대형화, 고가의 OLED TV 수출 증가로 하반기 하

락 추세 다소 완화 예상

- 정보통신기기는 중저가 제품 수요가 높은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중

심으로 성장하고 업체간 경쟁이 확대되면서 주요 품목의 수출단가

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

- 의류는 모바일, 인터넷 등 온라인 거래 확대로 대형 오프라인 바이

어들의 수주단가 인하 압력이 예상

□ 중국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대중 수출 감소 전망

○ 12대 주력산업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약 25% 내외로 중국 시장 여건

이 국내 주력산업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 중국 성장 둔화 지속과 중국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이 겹치면서 국

내 산업의 중국 내 입지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

- 사드 배치에 따른 한한령(限韓令) 여파는 일부 소비재 산업에 영향

을 주는 등 제한적 영향

- 최근 중국경제가 중성장 체제로 진입함에 따라 국산 소재․부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되는 경향

○ 소비재산업은 사드 배치에 따른 한한령(限韓令) 여파로 상반기 대중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하반기도 부정적 영향은 일부 지속될 전망

Page 5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8 -

- 자동차는 한국 브랜드 불매 운동 영향으로 2분기 이후 급격한 판매

부진을 겪었으며 특히 국내 완성차업체들의 현지생산 납품 비중이

높은 부품 대중 수출이 크게 감소

- 음식료, 의류는 사드 배치 문제가 상반기 수출 감소에 영향을 준 것

으로 판단되며 하반기에 다소 개선이 기대되나 한국산 소비재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중국정부의 산업정책이 독자브랜드 경쟁력 제고와 고품질 자국산 제

품 확보를 목표로 자국기업 지원 확대가 중국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

어지고 있음.

- 가전의 경우 중국업체들이 선진국 기업 브랜드를 인수하여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하면서 우리 기업과의 경합이 중국 내수시장

을 넘어서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

- 정보통신기기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되는 시점에 중국 업체의

가격 및 품질경쟁력 강화로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내업체 입지 축소

- LCD는 중국의 생산능력이 한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경쟁관계 심화

될 전망이며 최근에는 OLED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

진행 중

○ 반면 중국 산업 경쟁력 및 규제 강화로 중국 내 조달이 어려운 고

사양 중간재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부 한국 제품의 수요 증가 예상

- 반도체는 중국 휴대폰업체들의 성장으로 한국업체의 모바일용 낸

드플래시 수요가 빠르게 증가

- 일반기계는 중국내 첨단 제조 장비 및 자동화 설비 투자수요 증가

로 기타 기계류의 수출확대 지속 전망

- 정유는 연료유 환경규제로 인한 고품질 경유수요 확대로 경유제품

수출 확대 지속

Page 5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39 -

<표 Ⅱ-2> 하반기 12대 주력업종의 중국시장 변화에 따른 영향

영향정도

중국 수출비중

수출 영향 주요 요인

20%이상

디스플레이 △ 75% - LCD는 중국제품 시장잠식 및 한국기업 현지생산 확대로 국내수출 대체

석유화학 □ 50.4%- 중국 석유화학 최종재 시장에서 한국산 중간재 대체가능성은 낮은 편- 한한령 등 국내 석유화학산업 영향 미미

반도체 ○ 38.9% - 내수확대 및 중국 로컬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로 반도체 수요 확대

정보통신기기

△ 24.3%- 포화상태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 가격 대비 품질 향상 으로 자국산 선호도가 높아져 국내 스마트폰 경쟁입지 크게 축소

음식료 □ 23%- 사드로 인한 한국산 식품 수요 감소- 중국 내수기업의 경쟁력 제고 추세

10%이상

일반기계 ○ 19%- 중국 제조업 및 건설 경기 회복 기조- 자동화 설비 투자 확대- 중국내 해외이전 설비투자 종료

정유 ○ 18%- 전반적 석유제품 수요증가율 둔화- 상반기 대비 정제설비 가동률 증가로 석유제품의 자급률 및 수출 확대- 고품질 경유 수요 증가

섬유 △ 15.4%- 중국 의류 수출 부진은 한국산 섬유소재 수요 위축 초래- 중국 저성장에 따른 한국산 의류 수요 감소

철강 △ 14%- 중국내 수요정체에도 불구하고 철강 생산이 늘어나면서 중국의 수출 확 대 가능성 높은 편

- 중국의 수출압력이 높아지면서 세계 철강 수출시장의 경쟁압력 심화

10%미만

가전 ▲ 9.2%- 중국 가전기업의 경쟁력 상승으로 중국내 한국 브랜드 선호도 하락- 중국 가전기업들의 재고 누적과 한국 기업의 중국외 생산기지 이전으로 한국산 가전부품수요 감소

자동차 ▲ 8.7%- 중국 토종업체 경쟁력 상승으로 중국 내수시장 점 유율 확대- 사드 배치로 인한 한국 브랜드 불매 운동 영향

조선 □ 1.4%- (기자재) 직접 수출비중이 큰 중국의 건조물량이 줄어 수출 감소 전망- (선박) 중국발 물동량 변화에 따른 간접 영향, 노후선 교체지원 등은 다 소 부정적

주: 크게 증가 ●, 증가 ○, 영향 미미 □, 약간 감소 △, 크게 감소 ▲ 2016년 개별산업의 총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

□ IT산업을 중심으로 신기술 기반 제품 수출 증가 전망

○ 4차산업 혁명 이슈가 부각되는 가운데 신기술에 기반한 제품들의

수출 증가가 예상되며 기술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IT산업군이 수출

제품 고도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

Page 5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0 -

- 가전에는 국내업체가 글로벌 시장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OLED

TV, 프리미엄 냉장고가, 정보통신기기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처

리속도가 향상된 SSD 등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 성장

- 디스플레이는 Post-LCD로 성장하고 있는 OLED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업체들이 확실한 양산력을 지니고 있어 선발자 효과를

향유할 것으로 기대

- 반도체는 3D 낸드플래시, MCP, AP, DDI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

증가 예상

○ 자동차도 수출량은 미미하지만 HEV, PHEV, EV 등 전기동력자동

차의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중간재의 경우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특성상 중국 시장구조 변화

에 따라 수출 품목변화 예상

- 일반기계는 중국 정부의 친환경정책 강화로 인해 공해방지 설비

및 자동화 설비 수요가 늘면서 공작기계류, 기타기계류 수출이 증

가할 전망

- 석유화학은 중국 석유화학 완제품 생산이 늘면서 국내 중간원료에

대한 수입이 늘면서 P-X, MMA 제품 수출 증가 예상

○ 소비재산업의 경우 국내제품의 이미지 및 경쟁력 제고 등으로 수출

품목 변화가 예상

- 섬유는 한류 열풍 등으로 한국산 제품 이미지 상승으로 직물 제품

에서 코트, 자켓, 셔츠, 유아복 등 의류 제품 수출 확대 전망

- 음식료는 고급화, 개인화, 고기능성화가 진행되면서 제품 경쟁력이

높아져 유제품, 과자류, 커피류 등 시장 확장이 용이한 가공식품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 부상

Page 5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1 -

<표 Ⅱ-3>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호조/부진 품목 전망

수출 호조 품목(부품) 수출 부진 품목(부품)

자동차 ․소형SUV, 하이브리드차 ․중형승용차, 섀시 관련 부품

조선․LNG선, 탱커, 극초대형 컨테이너선․FSRU, FPSO

․선박용 엔진, 벌크선, 드릴십

일반기계․농기계․공작기계, 기타기계류․건설광산기계

․섬유 및 화학기계․냉난방기

철강 ․스테인레스, 에너지용 강관 ․H형강, 철근, 열연

석유화학

․기초유분: 프로필렌, 톨루엔․중간원료: P-X, MMA․합성수지: PVC PMMA․합섬원료: DMT․합성고무: IIR

․기초유분: 벤젠, 자일렌․중간원료: VAM, PO․합성수지: EPS․합섬원료: EG, TPA․합성고무: SB-Latex

정유 ․ 휘발유, 경유, 납사, 항공유, LPG ․아스팔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 합성섬유․편직물, 폴리에스테르직물 ․직물제 의류(코트 및 자켓, 블라우스/스웨터/언더셔츠, 남성셔츠, 유아용의류 등)

․면, 견, 모 등 천연섬유사 및 직물․의류부속품

가전․OLED TV․프리미엄 냉장고․일부 음향기기(카스테레오, 부품 등)

․가전부품․중국향 전기밥솥․조명기기

정보통신기기

․SSD, PC, 프린터, 무선중계기 ․휴대폰, 컴퓨터부품, 모니터

디스플레이

․모바일용 OLED, 초고화질대형 LCD ․중저급형 LCD, 모바일용 LCD

반도체

․모바일용 메모리반도체․3D 낸드플래시․MCP(Multi Chip Package)․AP(Application Processor)․DDI(Display Driver IC-디스플레이구동칩)․파운드리

․Packaging

음식료․유제품, 베이커리, 커피조제품, 과자류 ․당류, 유지류, 소스류 등

․한국적 특성이 강한 가공식품 (장류, 김치류, 주류 등)

Page 5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2 -

3. 2017년 하반기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수출은 IT산업군, 소재산업군 중심으로 9.7%의 높은 증가 기록 전망

○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IT 경기개선과 신흥국 경기 호전에

따른 신흥국 수입수요 증가세가 유지되면서 증가 지속 예상

- 그러나 보호무역 정책 기조가 지속되고 향후 유가상승 지속여부가

불투명해 상반기에 비해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

-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중 조선, 가전,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증가세가 예상

<그림 Ⅱ-1>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2017년 하반기 총수출 대비 점유율 전망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 (기계산업군) 하반기 조선은 선박인도 물량이 크게 줄면서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자동차, 일반기계는 소폭의 증가에 그쳐 전

년동기비 1.5% 하락 전망

- 자동차는 하반기 중동, 러시아, 중남미 등 신흥시장 수요회복으로

완성차는 증가 예상되나 국내업체 현지생산 부진이 지속되면서 부

품 수출 감소가 지속되어 전년동기비 1.8% 소폭 증가 예상

Page 5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3 -

- 조선은 상선 인도물량의 지속적 감소, 시추 및 생산 해양플랜트의

인도 연기 등 부정적 요인으로 전년동기비 약 15.6% 감소

- 일반기계는 신흥국 생산 인프라 및 SOC 투자 확대, 중국 제조업 고

도화 정책에 따른 자동화 설비 투자 증대 요인으로 전년동기비

4.2% 증가

<표 Ⅱ-4> 2017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전망 주요 요인

증감률(%)수출 증감 주요 요인

상반기 하반기

호조

반도체 48.4 36.6- D램 단가 안정세, 낸드플래시 단가 상승세 지속- 글로벌 시장 공급부족 현상 지속

철강 14.5 20.0- 세계 철강경기 회복- 국제 철강가격 안정세 유지

정유 39.4 15.7- 경쟁국의 정제설비 증설 지연 및 취소- 중국의 수출 쿼터제 강화

정보통신기기

-9.3 10.5- 신규 전략스마트폰 출시 - 인도, 동남아 등 신흥국 4G 이동통신서비스 확대

석유화학 12.0 9.8- 글로벌 경기 호조세 유지- 아세안 시장 수입수요 증가

양호

일반기계 8.2 4.2- 중국 건설경기 회복,- 인도, 베트남 등 신흥국 SOC 투자 확대-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상존으로 제한적 수출 확대 전망

섬유 0.9 2.1 - 신흥국 수출시장 수요회복

자동차 0.7 1.8- 중남미, 중동 등 신흥시장 경기 회복- 전년 실적부진에 따른 기저효과

음식료 8.8 0.8- 수출 품목 다양화- 한류 이미지 지속- 대중국 수출 감소 추세 지속

부진(감소세 전환)

디스플레이 16.9 -2.5- 중국 LCD패널 8세대이상 생산라인 가동확대- 삼성/LG의 중국 패널공장 생산확대- TV패널 공급부족 완화로 가격하락 가능성

조선 27.6 -15.6- 드릴쉽 등 일부 해양 프로젝트 인도 연기 및 계약 취소,수주잔량 감소

- 해양플랜트 인도 실행여부가 수출 방향성 좌우

부진 가전 -12.8 -8.2- 국내업체의 베트남 등 해외생산 확대- 미국 보호주의 정책 지속- OLED TV 등 신제품 수출 확대로 수출 감소세 둔화

○ (소재산업군) 하반기 국제유가에 하방압력이 작용되어 수출단가 상승

폭은 상반기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전년동기 실적의 부진에 따

Page 5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4 -

른 기저효과와 글로벌 수요 호조세로 전년동기비 13.1% 증가 예상

- 철강은 수요의 안정적 회복, 높은 수준의 철강가격 등 긍정적 요인

이 하반기에도 유지되면서 전년동기비 20.0% 높은 증가 예상

- 석유화학은 수출단가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주요 수출

국의 수입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비 9.8% 증가 전망

- 정유는 하반기 경쟁국의 정제설비 가동률 확대와 국제유가 하방압

력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나 중국의 구조조정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글로벌 석유 수급 호조세 지속 등으로 전년동기비 15.7%의

높은 증가 예상

- 섬유는 기저효과, 선진권의 의류 소비 회복세 및 봉제 생산국의 의

류 수출 증가에 따른 한국산 섬유소재 수요 확대로 전년동기비

2.1% 증가 예상

○ (IT산업군) IT제품의 고도화와 IT부품의 수요산업 확대 등 IT산업 전

반적인 업황 개선 요인으로 전년동기비 18.9% 증가 예상

- 가전은 OLED TV, UHD TV와 IoT 가전 등의 초프리미엄 신제품

의 해외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수출단가 하락과 해외생산 확대의

부정적 요인이 우세하여 전년동기비 8.2% 감소할 전망

- 정보통신기기는 전년동기 실적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신규 전략스마

트폰 출시, SSD 실적호조 등으로 전년동기비 10.5%의 증가 예상

- 디스플레이는 국내기업의 LCD 출하량 감소, 중국기업들의 8세대

이상 생산라인 가동 확대 등으로 상반기의 수출 호재가 사라지면

서 전년동기비 2.5% 감소 예상

- 반도체는 하반기 D램 가격이 안정 추세이나,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

Page 5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5 -

속적으로 상승하고 반도체 수요 신규산업이 확장하면서 수출 호조

세는 지속되어 전년동기비 36.6% 높은 증가 예상

○ 음식료는 상반기 기조를 그대로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나 지난 하반기

큰 폭으로 증가했던 영향으로 전년동기비 0.8% 소폭 증가 전망

- 대중국 수출은 다소 정체가 예상되나 아세안, 인도, 중동 등 신흥

시장의 기초 가공품 및 면류 등 주력 제품의 수요 확대 예상

<그림 Ⅱ-2> 2017년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2017년 총수출 대비 점유율 전망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 2017년 12대 주력산업 수출증가율이 국내 총수출 증가율을 상회하

면서 총수출 대비 12대 업종 비중은 2016년 77.0%에서 1.0p 높아진

78.0%를 기록할 전망

<그림 Ⅱ-3> 12대 주력산업의 총수출 비중

Page 5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6 -

- 12대 주력산업의 총수출 비중은 2007년 82.5%를 기점으로 하락하

고 있는 추세

□ 생산은 수출 증가와 전년 실적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 예상

○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생산은 신흥시장 수요가 늘어나 수출이

증가가 예상되고 신규공장이 가동되는 반도체가 성장을 견인할 전망

- 높은 수출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수출단가 상승요인이 큰 소재산업의

생산증가는 소폭에 그칠 것으로 예상

<그림 Ⅱ-4>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기계산업군) 하반기 자동차는 내수 및 수출 증가세 전환과 2016년

3분기 부분파업에 따른 실적 부진의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비 3.6%

증가 전망

- 조선은 하반기 지속된 수주량 감소로 인도시점별 건조량이 계속 줄어

전년동기비 약 25.8% 감소 예상

- 일반기계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요 수요기업들의 설비투자 확대

기조와 정부의 적극적인 첨단산업 육성 정책에 따른 투자 수요 증대

등으로 전년동기비 1.2% 증가 예상

Page 5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7 -

○ (소재산업군) 철강은 내수성장세 둔화로 주요 철강업체들이 가동률을

조정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후판, 주단강 등 수요 부진이 지속되는

품목의 생산 위축이 지속되어 전년동기비 1.1% 소폭 감소 예상

- 석유화학은 하반기 수출은 증가하나 내수 감소로 인해 전반적인 생

산은 정체되면서 전년동기비 0.3% 증가가 예상되며, 재고량 증가

추세도 생산에 부정적 영향

- 정유는 산업용 석유제품 등 내수확대가 예상되지만 하반기 주요국

의 가동률 상승에 따른 글로벌 공급 확대가 국내 석유제품의 수출

물량 감소로 이어지며 전년동기비 2.8% 소폭 상승 예상

- 섬유는 하반기 내수 및 수출이 늘어나 증가세 회복이 예상되나, 내

수에서 수입점유율이 높고, 해외 생산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

기비 0.6%로 소폭 증가 전망

○ (IT산업군) 하반기 가전은 더딘 내수 회복세와 국내업체의 해외생산

증가가 지속되면서 전년동기비 1.4% 감소 예상

- 정보통신기기는 기저효과와 수출 및 내수 회복 등으로 전년동기비

9.0% 증가할 전망이며 수출용 휴대폰 부품 및 SSD 등이 생산 증

가를 견인

- 디스플레이는 LCD 구조조정에 따른 출하량 감소, 수출 위축, 재고

조정 등이 복합적으로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전년동기비

2.0% 감소 예상

- 반도체는 월 30만장의 웨이퍼 생산이 가능한 신규공장이 하반기부

터 가동 예정이며 세계 최고 수준의 미세공정을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등 긍정적 요인으로 전년동기비 25.8% 높은 증가 전망

○ 음식료는 하반기 내수 진작을 위한 정책이 기대되며, 이에 대응하기 위

Page 6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8 -

한 음식료 제품 생산 증가가 예상되어 전년동기비 2.3% 증가 예상

<그림 Ⅱ-5> 2017년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내수는 조선, 철강, 석유화학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

○ 12대 주력산업 내수는 4차산업 혁명으로 부상하고 있는 IT 신기술

의 수요가 늘면서 IT산업을 중심으로 증가 예상

<그림 Ⅱ-6>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기계산업군) 자동차는 전년동기 실적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최근

판매가 늘고 있는 소형 SUV 신차출시 등 긍정적 요인에도 대기수

요가 상당부분 실현되면서 전년동기비 1.3% 소폭 증가 예상

Page 6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49 -

- 조선은 기존 내수 창출 정책 외에 국내 선사의 노후선박 신조 교체

지원 효과 등이 예상되나 국내 정기선 부문 기반 재건 및 회복이

지연되면서 전년동기비 2.0% 감소할 전망

- 일반기계는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에 따른 관련 투자와 반도체, 디

스플레이 등의 설비투자 확대가 예상되나 전년동기 실적호조에 따

른 기저효과로 전년 하반기와 비슷한 수준 유지 예상

<표 Ⅱ-5> 2017년 12대 주력산업의 내수 변화 주요 요인

증감률(%)내수증감 주요 요인

상반기 하반기

호조반도체 8.5 11.3

- IoT, Big Data, VR 등 반도체 수요 신규산업 확대- 하반기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정보통신기기

5.8 6.2- 신규 스마트폰, PC교체수요 확대, IoT 서비스 확산- 단통법 일몰은 변수 작용 전망

양호

가전 6.1 3.5- 지상파 UHD 방송 개시- IoT 가전시장 형성

음식료 2.8 2.0 - 소비자의 선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 구성 확대

정유 1.5 1.8- 석유화학제품 원료인 납사 소비의 확대- 산업용 수요확대

섬유 -2.2 1.5 - 고용 및 소득 개선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

자동차 -2.9 1.3- 대기수요 소진- 상품성 개선 및 소형SUV 신모델 출시

디스플레이 3.8 1.1- 대형 TV의 선호도 증가- TV 및 스마트폰, PC 시장의 성장정체로 수요증가 한계

일반기계 0.9 0.0- 로봇, 스마트공장 등 첨단산업 육성정책에 따른 관련 투

자 수요 증가

부진 조선 -3.7 -2.0- 국내 정기선 부문 기반 재건 및 회복 지연- 운임 및 용선료 느린 회복

부진(감소세전환)

철강 2.5 -2.1 - 조선, 가전 등 수요 산업의 생산 활동 위축 혹은 감소

석유화학 3.0 -3.4- 건설산업 경기 부진- 석유화학 생산설비 가동률 저하

○ (소재산업군) 철강은 조선용 중후판 수요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자동차, 금속제품 등의 철강수요는 유지할 전망이나 기저효과로 전

년동기비 2.1% 감소할 전망

- 석유화학은 전방산업 중 건설업 경기가 하반기에도 호전되기 어려

울 것으로 예상되며 석유화학산업 생산설비 가동률도 낮아지는 등

공급요인으로 전년동기비 3.4% 감소할 전망

Page 6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0 -

- 정유는 발전용 및 수송용을 비롯한 전반적 석유제품의 소비 확대

가 제한적이지만 산업용 석유제품의 소비 확대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기비 1.8% 소폭 증가할 전망

- 섬유는 민간소비가 증가하고 수출 경기 점진적 회복에 따른 시장

활성화로, 의류 소비 증가가 예상되면서 전년동기비 1.5% 소폭 증

가 전망

<그림 Ⅱ-7> 2017년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IT산업군) 하반기 가전은 UHD 방송에 따른 UHD TV 수요 확대와

IoT가전 시장 형성이 기대되나, 소비심리 위축, 소비 진작 정책 부

재 등으로 전년동기비 3.5%로 상반기보다는 낮은 증가세 예상

- 정보통신기기는 하반기 내수는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가 작용하

고 슬림형 노트북PC 수요와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전년동기비

6.2%를 기록하며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 디스플레이는 TV와 PC 등 수요산업의 성숙화 등 구조적 제약으로

인한 수요 모멘텀이 부족하나 스마트폰 신제품에 대한 완만한 수

요 증가는 중소형 패널의 수요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전년

동기비 1.1% 소폭 증가 예상

Page 6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1 -

- 반도체는 가정용, 사무용 PC 시장 성장둔화에도 불구하고 IoT, Big Data,

VR 등 신규 수요산업 성장으로 전년동기비 11.3% 높은 증가가 예상

○ 음식료는 내수시장에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간편식, 소포장 중심

의 제품 판매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정부 출범에

따른 소비 심리 회복이 기대되면서 전년동기비 2.0% 증가 예상

□ 수입은 수입단가 상승, 역수입 증가 등 요인으로 증가

○ 12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내수가 다소 회복되면서 조선을 제외한 모

든 산업에서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동기비 8.2% 증가 예상

- 수입단가가 상승한 소재산업군의 증가 폭이 높은 편이며 국내업체

의 현지생산에 따른 역수입 증가로 섬유와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

스플레이 등 IT산업의 증가세가 두드러질 전망

<그림 Ⅱ-8>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 (기계산업군) 자동차는 최근 수입차 증가에 따른 AS 부품 수요 증

가와 안전 및 편의 관련 첨단기능이 늘면서 수입 부품 수요가 늘

어나면서 전년동기비 2.6% 증가 전망

Page 6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2 -

- 하반기 조선은 대중국 벌크선 수입의 증가 기조 유지가 예상되나

해외의존 비율이 높았던 해양기자재, 일부 조선 기자재 수요가 줄

면서 전년동기비 16.0% 감소 예상

- 일반기계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일반기계 수요 기업들의 설비투

자 확대가 수입 증가를 견인하면서 전년동기비 2.8% 증가 전망

○ (소재산업군) 철강은 제품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과 저가 제

품 위주로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전년동기비 14.6% 증가 예상

- 석유화학은 국내 생산량이 전년동기비 횡보 혹은 소폭 증가하면서

수입수요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국제유가의 하방 압력에도 불

구하고 수입단가 상승세가 유지되면서 전년동기비 19.0% 감소 예

- 정유는 석유제품 수입물량은 국내 생산 대체효과 및 국내 수요의

횡보로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이나 국제유가 상승에 따

른 수입단가 상승으로 전년동기비 22.1% 높은 증가 예상

- 섬유는 해외생산 의류의 역수입이 지속 확대되고, 국내 생산업체들

의 채산성 개선을 위한 중저가 섬유소재 수입이 급격히 늘면서

전년동기비 5.5% 증가 예상

○ (IT산업군) 가전은 구매여력 부족으로 중저가 제품 선호가 늘어나고

중국기업의 국내진출 확대 및 해외생산 제품의 역수입 증가, 기저

효과 등으로 전년동기비 5.2% 증가 예상

- 정보통신기기는 외산 신규 스마트폰, 노트북과 태블릿 등 휴대형

PC, 완제품의 역수입이 지속 증가하고 수출용 휴대폰부품 수입이

늘어나면서 전년동기비 5.1% 증가 예상

- 디스플레이는 국내생산의 구조조정 추진의 영향을 받아 중국, 베트남

Page 65: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3 -

등 해외공장으로부터의 역수입이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비 10.7% 증가

예상

- 반도체는 IoT, Big Data, AI,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신규 산업에서

수요가 많은 시스템 반도체는 종류가 다양하고 고성능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국내에서 제작하기 어려운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면서 전년동기비 9.7% 증가 전망

○ 음식료는 하반기 유지류, 당류, 사료류 등 대표적인 1차 가공품에

대한 견고한 수입 수요에 힘입어 전년동기비 2.9% 증가 예상

<그림 Ⅱ-9> 2017년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66: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4 -

4. 정책적 시사점

□ 내수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

○ 수출은 하반기에도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과

달리 내수는 기저효과에 따른 상승으로 본격적인 회복은 더딜 것으

로 전망

- 해외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버팀목으로 작용할 국내

실적이 중요한 만큼 내수를 회복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

- 정부는 내수 회복을 통해 견고한 수요가 유지되도록 지원하는 한

편, 제조기반 강화를 통해 제조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

정책 추진 필요

○ 기존 경쟁력 저하 부문에 대한 구조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고부가 및 유망 신산업 부문으로의 충분한 투자 확대가 이

루어지도록 지원 필요

- 내수 활성화를 위해 정부 R&D는 민간과의 시너지 효과가 큰 분

야,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의 재원 집중 구조 필요

- 전기차 등 전력기반차의 보급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취약한 민간 수요기반 강화와 전기차 이용자 편의성 확보를 위한

충전인프라, 보험 등의 기반마련 필요(자동차)

-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과 연계된 유망 신규

분야에서 수요 창출 지원 필요하며 스마트공장의 첨단로봇 활용을

통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달성 및 로봇산업 기술 경쟁력 확보라는

시너지 창출 가능(일반기계)

- UHD TV 확산을 위해 제약요인들의 조기 해소 필요(가전)

Page 67: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5 -

- 스마트폰 유통구조 및 제도를 안정적으로 정립하고 사물인터넷,

AR·VR 등 신규 서비스 조기 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이 필요(정

보통신기기)

- 기존의 수요산업 이외에도 헬스케어, 항공우주 등 신산업에 필요한

중간재를 공급하는 역할 유지를 위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

발 투자를 확대할 필요(석유화학, 섬유)

<표 Ⅱ-6> 산업별 내수 활성화 방안

내수 활성화 방안

자동차 - 노후차 교체비용 지원 등 내수진작 정책

조선

- 노후 관공선의 친환경선으로의 교체 발주 및 건조애로 해소- Eco-ship 펀드, 여객선 현대화 펀드 발주 후속 조치 실행- 대출상환기간 연장, 담보 인정비율 상향조정 등 추진- 국내 선사 노후선 신조교체 지원 신속한 실행- 다양한 투자주체의 선박 보유 허용(운영은 선사) 및 고속 감가상각 적용

일반기계 - 스마트공장 고도화 사업을 통해 유망 신규분야 수요 창출 및 설비 자동화 촉진

철강 - 재정의 안정적 운용과 사회인프라 투자 활성화

석유화학 - 제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

정유- 원유 및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비효율적인 관세 및 세금에 대한 검토- 석유제품 유통시장 구조의 효율화를 통한 소비 확대

섬유 - 섬유소재의 고부가가치화 지원

가전- UHD TV확산을 위해 제약요인들의 조기 해소- 가구 형태 변화에 대응한 맞춤형 가전개발로 틈새시장 창출-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 구매지원 정책 시행

정보통신기기- 사물인터넷, AR·VR 등 신규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 스마트폰 시장의 단말 유통구조와 제도를 안정적으로 정립

디스플레이- 초중등 학교를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준비하는 쌍방향 수업용 전자칠판(e-Board) 및 교육용 태블릿PC, AR/VR기기의 보급 확대

반도체- IoT, Big Data, AI, 자율주행자동차 등 반도체 수요 신규산업 육성을 통한 내수활성화

음식료- 내수 진작을 통한 수요 확대- 신제품 개발 확대

□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플레이어 육성을 통한 수출 확대

○ 주력 수출시장 포화와 경쟁심화에 따른 성장한계 극복을 위해 신분

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유망 중소·중견업체들의 글로벌 플레이어로

의 육성 지원

Page 68: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6 -

- 해외 완성차업체나 자동차 연관산업내 업체들이 국내 부품업체와

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어서 국내 협력업체들의 납품선 다변화를

통한 수출 증대를 추진할 필요(자동차)

- 친환경 국제규정 강화와 함께 창출되는 시장에 중소조선 및 기자

재 업체들이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위축된 신조시장을 보완할 영역

으로 공략하도록 지원(조선)

- 중소형 가전제품의 부가가치 고도화로 경쟁력 있는 중소형가전 기

업 육성(가전)

- 중소·중견 부품업체에 대한 신규 진출분야의 핵심역량 강화와 유망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를 위해 기술·금융 지원, 시장정보 제공 등의

지원을 강화(정보통신기기)

□ 수출품목 고부가가치화, 신산업 선도 투자로 미래성장 잠재력 확충

○ 주력 수출품목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생산기반 약화에 대응하고

미래성장동력 분야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투자 강화 중요

- 국내 완성차업체 수출 차종의 스마트화와 고급화를 통해 수출단가

상승으로 수출물량 감소에 대응(자동차)

- 지속적 고도화설비 투자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확대와 설

비효율성 향상(정유)

- 차세대 TV, 실감형 TV, IoT가전, 실버 도우미 로봇 가전 등 고부가가

치 및 첨단 핵심부품 개발을 통해 한·중 분업구조 고도화 추진(가전)

-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 차원에서 핵심 수요처인 중국 세트기업과의

전략적 제휴(공동 마케팅, 지분투자, 신제품 공동개발 등) 강화(디

스플레이)

Page 69: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7 -

<표 Ⅱ-7> 산업별 수출 촉진 방안

수출 촉진 방안

자동차- 수출차종의 고급화 및 첨단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 국내 부품업체들의 납품선 다변화와 해외 OEM과의 협업 모색- 동남아, 아프리카 등 신규 수출지역 발굴

조선 - RG 가이드라인의 탄력적 운영(수주 촉진)- 글로벌 환경규정 강화로 창출되는 신조/개조시장 공략

일반기계 - 신흥국 산업구조 변화를 고려한 수출 유망 품목 발굴 및 시장 조기 진출을 위한 지원 마련 필요

철강

- 수출 지역별․품목별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수입규제조치에 선행하는 자율규제 유도

- 해외 진출 대형 프로젝트에 대해 소재-부품 공급업체 공동진출 동시 추진을 위한 제도 마련

석유화학 - 비관세장벽 대응 전략 수립

정유

- 수출지역 다변화 전략의 지속적 노력- 수요확대가 예상되는 미주, 남미, 아프리카 등의 신규 수출확대- 중국으로의 고품질 경유, 항공유, 윤활유 제품 및 고기능성 아스팔트 등 고부가가치 석유제품의 수출강화

- 중국과 경합이 예상되는 미국, 일본, 호주, 말레이시아에서의 수출경쟁력 유지

섬유 - 한류 연계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가전 - 중소형 가전제품의 부가가치 고도화로 경쟁력 있는 중소형가전 기업 육성- 고부가가치/첨단 핵심부품 개발

정보통신기기

- 인도, 동남아, 아프리카 등 중소기업의 신규시장 개척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간접적 지원 확대

- 모바일 지능형 반도체, 핵심센서, 이차전지 등 스마트기기 핵심부품의 경쟁력 확보

디스플레이

- 안정적 고객확보 차원에서 핵심 수요처인 중국 세트기업과의 전략적 제휴(공동마케팅, 지분투자, 신제품 공동개발 등) 강화

- OLED의 양산력 확보를 통한 LCD대비 가격경쟁력 제고 - OLED 시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마케팅 강화

반도체- 기술우위 전략을 유지하며, 세계 시장에서 요구하는 맞는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개발, 신규 시장개척으로 시장 선도자 지위 강화

- 시스템반도체 분야 활성화를 통한 시장 확대 및 중소기업의 참여 촉진

음식료

- 신규 시장 확보- 제조기반 강화를 통한 제조 경쟁력 제고- 신규 시장 정보 생산- 현지 전략형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

□ 신흥 개도국 수출시장 적극 발굴

○ 기존 수출시장의 경쟁심화에 따른 성장한계 극복을 위해 신시장 진출

등의 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 동남아, 아프리카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수요분석을 통한 신

Page 70: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8 -

규시장 개척 전략 강화(자동차, 정유,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국가들의 본격적인 산업화 진행

에 따른 첨단 기계설비 수요 확대가 여타 국가에 비해 큰 점 활용

필요(일반기계)

○ 동남아, 중남미 등 신흥국 들은 수입쿼터, 내국세 등을 비관세장벽

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우리와 교역량이 작아 비관세 장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부족

- 국가별로 다양한 비관세장벽 관련 정보와 노하우를 대기업과 중소

기업이 적극적으로 공유

- 개별 기업이 대응하기 힘든 비관세장벽을 허물기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 필요

□ 4차 산업혁명 대응을 통한 산업고도화 추진

○ 중장기적으로 우리 산업의 비교우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한국형 4

차 산업혁명 전략을 수립하고 대응 필요

- 기존의 제조업과 산업정책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새로운 여건변화

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

-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제품)군에 대하여 산업발전에 대한 로드맵을 검토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관련부품·핵심소재의 확보 전략을 마련

- 창의와 혁신에 기반한 제도혁신과 여건조성을 위해 기술중심적 관

점에서 수요지향적 관점으로 전환하고 경제시스템의 유연성을 높

여 개방·융합·혁신을 통한 생태계 구축 주력

Page 71: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59 -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업종 2015 2016 2017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72,601 33,254 32,948 66,202 33,378 33,538 66,916

(-5.6) (-10.9) (-6.6) (-8.8) (0.4) (1.8) (1.1)

조선40,107 18,525 15,743 34,268 23,637 13,286 36,923

(0.6) (-17.3) (-11.1) (-14.6) (27.6) (-15.6) (7.7)

일반기계40,811 19,839 19,760 39,599 21,467 20,600 42,067

(-2.5) (-7.5) (2.0) (-3.0) (8.2) (4.2) (6.2)

철강30,201 14,544 13,991 28,535 16,650 16,795 33,445

(-5.0) (-9.9) (-0.5) (-5.5) (14.5) (20.0) (17.2)

석유화학37,791 17,065 17,563 34,628 19,111 19,291 38,402

(-21.7) (-12.2) (-4.3) (-8.4) (12.0) (9.8) (10.9)

정유32,002 12,099 14,374 26,473 16,869 16,632 33,501

(-37.0) (-27.7) (-6.5) (-17.3) (39.4) (15.7) (26.5)

섬유14,490 6,805 7,002 13,807 6,865 7,150 14,015

(-10.0) (-6.7) (-2.8) (-4.7) (0.9) (2.1) (1.5)

가전12,831 5,515 5,828 11,343 4,810 5,350 10,160

(-16.6) (-12.9) (-10.3) (-11.6) (-12.8) (-8.2) (-10.4)

정보통신기기

38,834 17,537 17,174 34,711 15,904 18,980 34,884

(6.3) (-4.6) (-16.0) (-10.6) (-9.3) (10.5) (0.5)

디스플레이

29,716 11,443 13,663 25,106 13,380 13,317 26,697

(-8.3) (-26.2) (-3.8) (-15.5) (16.9) (-2.5) (6.3)

반도체62,917 28,686 33,543 62,229 42,576 45,817 88,393

(0.4) (-7.5) (5.1) (-1.1) (48.4) (36.6) (42.0)

음식료4,087 2,094 2,282 4,376 2,279 2,301 4,580

(-2.4) (3.5) (10.6) (7.1) (8.8) (0.8) (4.7)

12대 합계416,388 187,406 193,871 381,277 216,926 213,057 429,983

(-8.8) (-12.4) (-4.6) (-8.4) (15.8) (9.9) (12.8)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3)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4)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72: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60 -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생산 전망

(단위 : %)

업종 2015 2016 2017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 동 차(천대)

4,556 2,196 2,033 4,229 2,168 2,105 4,273

(0.7) (-5.4) (-9.0) (-7.2) (-1.3) (3.6) (1.0)

조 선(만CGT)

1,270 650 570 1,220 580 423 1,003

(5.0 ) (-1.5 ) (-6.6) (-3.9) (-10.8 ) (-25.8) (-17.8)

일 반 기 계(10억원)

103,701 49,775 52,252 102,027 51,313 52,900 104,212

(1.3) (-4.4) (1.1) (-1.6) (3.1) (1.2) (2.1)

철 강(백만톤)

73,102 35,835 37,492 73,327 37,441 37,098 74,539

(-1.4) (-2.0) (2.6) (0.3) (4.5) (-1.1) (1.7)

석 유 화 학(천톤)

20,991 10,585 10,494 21,080 10,670 10,524 21,193

(0.0) (0.0) (0.9) (0.4) (0.8) (0.3) (0.5)

정 유(십만배럴)

11,170 5,727 5,849 11,576 6,027 6,015 12,042

(8.4) (4.7) (2.6) (3.6) (5.2) (2.8) (4.0)

섬 유(10억원)

74,654 38568 33697 72,265 37290 33891 71,181

(-3.0) (-2.4) (-4.1) (-3.2) (-3.3) (0.6) (-1.5)

가 전(10억원)

32,244 15,947 15,673 31,620 15,342 15,448 30,789

(-3.4) (0.9) (-4.7) (-1.9) (-3.8) (-1.4) (-2.6)

정보통신기기(10억원)

70,308 31,028 30,007 61,035 28,919 32,706 61,625

(0.4) (-8.6) (-17.5) (-13.2) (-6.8) (9.0) (1.0)

디스플레이(10억원)

38,934 16,825 17,886 34,711 17,832 17,526 35,358

(-2.8) (-16.2) (-5.2) (-10.9) (6.0) (-2.0) (1.9)

반 도 체(10억원)

74,635 37,039 39,598 76,637 46,749 49,804 96,553

(0.3) (-4.8) (10.8) (2.7) (26.2) (25.8) (26.0)

음 식 료(10억원)

81,604 40,945 42,820 83,765 42,445 43,825 86,270

(2.1) (3.5) (1.9) (2.6) (3.7) (2.3) (3.0)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

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73: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61 -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내수 전망

단위 : %

업종 2015 2016 2017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 동 차(천대)

1,834 938 890 1,828 910 902 1,812

(1.6) (9.2) (-8.7) (-0.3) (-2.9) (1.3) (-0.9)

조 선(만CGT)

114 54 51 105 52 50 102

(3.8) (-3.6) (-5.4) (-7.8) (-3.7) (-2.0) (-2.9)

일 반 기 계(10억원)

87,982 40,823 42,800 83,622 41,183 42,783 83,966

(-1.2) (-5.7) (-4.2) (-5.0) (0.9) (0.0) (0.4)

철 강(백만톤)

55,487 28,055 28,682 56,738 28,755 28,072 56,827

(-0.1) (2.4) (2.1) (2.3) (2.5) (-2.1) (0.2)

석 유 화 학(천톤)

10,525 5,511 5,714 11,225 5,676 5,520 11,197

(2.5) (4.0) (9.3) (6.7) (3.0) (-3.4) (-0.3)

정 유(십만배럴)

8,562 4515 4,727 9,242 4581 4,813 9,394

(1.2) (8.1) (7.8) (7.9) (1.5) (1.8) (1.6)

섬 유(10억원)

74,445 38143 34935 73,078 37319 35463 72,782

(-1.5) (-0.9) (-2.8) (-1.8) (-2.2) (1.5) (-0.4)

가 전(10억원)

23,612 12,670 12,389 25,059 13,442 12,820 26,262

(3.8) (9.3) (3.1) (6.1) (6.1) (3.5) (4.8)

정보통신기기(10억원)

51,875 23,040 24,038 47,078 24,375 25,536 49,911

(-2.1) (-9.7) (-8.8) (-9.2) (5.8) (6.2) (6.0)

디스플레이(10억원)

9,822 5,054 4,295 9,349 5,247 4,343 9,590

(-7.2) (-2.8) (-7.1) (-4.8) (3.8) (1.1) (2.6)

반 도 체(10억원)

48,672 23,497 24,450 47,946 25,488 27,216 52,705

(12.3) (0.3) (-3.1) (-1.5) (8.5) (11.3) (9.9)

음 식 료(10억원)

89,184 44,741 46,601 91,342 45,981 47,538 93,519

(2.2) (3.1) (1.7) (2.4) (2.8) (2.0) (2.4)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

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74: 2017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ww2.mynewsletter.co.kr/kcplaa/201707-1/1.pdf< 2017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 주 1) 달러표시 가격

- 62 -

2017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입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업종 2015 2016 2017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15,503 8,344 7,824 16,168 7,967 8,026 15,993

(7.5) (8.3) (0.3) (4.3) (-4.5) (2.6) (-1.1)

조선4,399 1,699 1,563 3,262 1,431 1,313 2,744

(10.8) (-19.8) (-31.1) (-25.8) (-15.8) (-16.0) (-15.9)

일반기계26,913 11,986 11,619 23,605 12,612 11,938 24,550

(-7.7) (-12.7) (-11.9) (-12.3) (5.2) (2.8) (4.0)

철강22,319 9,644 10,350 19,994 11,730 11,867 23,597

(-25.2) (-18.6) (-1.1) (-10.4) (21.6) (14.6) (18.0)

석유화학13,339 5,577 5,414 10,991 6,132 6,441 12,573

(-18.9) (-20.6) (-14.2) (-17.6) (10.0) (19.0) (14.4)

정유15,348 5,599 6,403 12,002 7,728 7,817 15,545

(-49.1) (-27.9) (-15.5) (-21.8) (38.0) (22.1) (29.5)

섬유14,305 6,439 8,068 14,507 6,890 8,510 15,400

(-0.6) (1.1) (1.7) (1.4) (7.0) (5.5) (6.2)

가전5,090 2,742 2,948 5,690 3,150 3,100 6,250

(-3.4) (9.6) (13.9) (11.8) (14.9) (5.2) (9.8)

정보통신기기22,001 10,795 12,198 22,993 11,933 12,818 24,751

(8.1) (1.2) (7.6) (4.5) (10.5) (5.1) (7.6)

디스플레이3,988 1,500 1,538 3,038 2,669 1,702 4,371

(-2.5) (-24.4) (-21.3) (-23.8) (77.9) (10.7) (43.9)

반도체38,280 18,076 18,531 36,607 19,064 20,330 39,394

(5.0) (-1.7) (-6.9) (-4.4) (5.5) (9.7) (7.6)

음식료10,795 5,298 5,655 10,953 5,760 5,820 11,580

(-6.8) (-3.4) (6.5) (1.5) (8.7) (2.9) (5.7)

12대 합계192,280 87,699 92,111 179,810 97,066 99,682 196,748(-11.0) (-8.3) (-4.7) (-6.5) (10.7) (8.2) (9.4)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3)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4)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