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이화연 18) 1. 서론 한 언어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그들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상황이나 배경을 반영한다. 따라서 같은 한 언어 속에 나타나 는 언어의 다양성 및 언어적 차이는 (예를 들면 지역적인 요인에 의한 사투리나 방언, 연령에 따른 언어사용의 하나인 신세대 언어, 직업적인 요인에 의한 전문적 언어, 인종이나 교육정도, 또는 사회계층에 따른 독 특한 언어 등) 그 사회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대변하고 기록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의 사용에 나타나는 이러한 사회화적 차이 중에서 특히 성(gender) 에 따른 구조적인 언어적 차이를 살 펴보고자 한다. 거의 모든 사회는 (그 정도에서 차이는 있겠으나) 남성과 여성을 다 양하고도 아주 두드러진 방법으로 차이를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차이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인간의 사회화 과정(socializing process or socialization)을 통해 습득되고 학습된다. 따라서 여성들이 쓰는 특정 한 단어 선택이나 문장구조 어법 또는 독특한 언어적 표현을 포함하는 여성의 언어(women's language)는 사회구조 속에 나타나는 여성과 남 이화연 명지대학교 교수(응용언어학). 최근 논문으로 여성의 언어와 여성의 사 회문화적 위치에 관한 비교연구」 “L1 Influence: An Analysis of the Use of the Copula by Korean Speakers of English(2004) 등이 있음.

3 > ç È ¿D % x $ À à Ë ³ - ksrc.or.krksrc.or.kr/~socialissues/content/vol_8/ss8_9lhy.pdf · à ´ d È ¿ ± ¯ 3 > ç È ¿ d % x $ À à Ë ³ È Þ Ë ³ w \ i -blpgg -blpgg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이화연18)

1. 서론

한 언어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그들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상황이나 배경을 반 한다. 따라서 같은 한 언어 속에 나타나

는 언어의 다양성 및 언어적 차이는 (예를 들면 지역적인 요인에 의한

사투리나 방언, 연령에 따른 언어사용의 하나인 신세대 언어, 직업적인

요인에 의한 전문적 언어, 인종이나 교육정도, 또는 사회계층에 따른 독

특한 언어 등) 그 사회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대변하고 기록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의 사용에 나타나는 이러한 사회․문

화적 차이 중에서 특히 성(gender)에 따른 구조적인 언어적 차이를 살

펴보고자 한다.

거의 모든 사회는 (그 정도에서 차이는 있겠으나) 남성과 여성을 다

양하고도 아주 두드러진 방법으로 차이를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차이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인간의 사회화 과정(socializing process or

socialization)을 통해 습득되고 학습된다. 따라서 여성들이 쓰는 특정

한 단어 선택이나 문장구조 어법 또는 독특한 언어적 표현을 포함하는

여성의 언어(women's language)는 사회구조 속에 나타나는 여성과 남

이화연 명지대학교 교수(응용언어학). 최근 논문으로 「여성의 언어와 여성의 사

회문화적 위치에 관한 비교연구」 “L1 Influence: An Analysis of the Use of the

Copula by Korean Speakers of English”(2004) 등이 있음.

238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성의 불평등(inequity)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성에 의한 언어사용의 차이를 찾아보는데 있

다. 이러한 성에 따른 언어적 차이에 대한 연구는 여러 학문적 역을

넘나드는 학제간의(interdisciplinary)연구라는 특성을 지닌다. 즉 사회

학, 교육학, 인류학, 심리학, communication, 문학, 여성학 그리고 언어

학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순수 언어학의 역을 넘어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언어사용을 연구하는 화용론에 중점을 둔 응용언어학

의 역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학제간의 연구는 각각

의 학문적 분야의 특성과 제한을 생산적으로 통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여러 문화간의 의사소통(cross-cultural communication)이라는 관점

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지금까지 남성과 여성의 언어적 차이를 다루는 연구는 주로 문법적

요소에만 국한되었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동향은 단순히 어휘선택이

나 문장구조에서의 차이와 같은 언어적 요소를 연구하는데 그치는 것

이 아니라, 그 말이 사용된 사회적 상황이나 배경까지도 포함한다. 이

런 연구방법을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이라고 하는데, 단순한 문장

자체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장이 쓰인 앞과 뒤의 문맥과 상황을

연결시킨 담화를 연구하고 분석한다. 따라서 담화분석은 문장을 넘어

서 문장이 서로 연결된 언어구조를 지닌 담화를 연구함으로써 언어와

사회적 현상을 통합시킨다. 이런 담화분석의 방법을 통해서 언어적 요

소 뿐만 아니라 그 언어사용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상황이나

배경을 함께 접목하여 연구할 수 있게 된다.

2. 문헌연구

어를 대상으로 성과 언어의 관계를 조직적으로 연구조사한 최초의

논문은 1973년 Robin Lakoff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논문의 발표는 언

어와 성 그리고 언어와 성차별 (sexism)에 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39

여러 연구조사자들이 (Lakoff, 1973; Lakoff, 1975; Cameron, 1985;

Cameron, 1992; Key, 1975; Bernard, 1982) 제시한 여성 언어의 대표적

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색깔에 대한 자세하고 섬세한 구별 및 묘사(fine color discrimination)를

한다. 같은 벽을 쳐다보면서 남성과 달리 여성은 “The wall is

mauve” 라고 표현한다. 이 ‘mauve’라는 단어는 ‘핑크빛이 도는

엷은 보라색이나 담자색(a pinkish shade of purple)’을 뜻한다.

즉 여성은 ‘beige’(베이지, 밝은 다갈색), ‘ecru’(담갈색), ‘aqua-

marine’(청록색, 남옥색), 그리고 ‘lavender’(라벤더, 연한 자주색)와

같은 단어를 즐겨 사용하는데, 이런 색깔에 대한 섬세한 구별과

묘사는 남성들에게서는 좀처럼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2) 자신의 감정을 일정한 의미가 없는 어구(meaningless particle)나

약한 감탄사 및 감정 표현(weaker expletives)을 써서 나타낸다.

다음의 두 문장 중에서 어떤 것이 여성이 말한 문장인지 쉽게 찾

아낼 수 있다:

a) Oh dear, you've put the peanut butter in the refrigerator again.

b) Shit, you've put the peanut butter in the refrigerator again.

남성들이 ‘shit’이나 ‘damn’과 같은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

는 강한 감탄사 및 감정 표현을 쓰는 반면에, 여성들은 ‘oh dear’나

‘goodness’ 또는 ‘oh fudge’와 같은 약한 표현을 쓰게 된다.

3) 형용사의 사용을 보면 남성이나 여성 모두가 쓸 수 있는 중성적

(neutral) 표현보다는 여성만이 사용하는 특정 표현을 더 자주 쓴

다. 다시 말해 여성은 ‘great’나 ‘terrific’ 또는 ‘neat’ 같은 중성적

인 형용사보다는 ‘adorable’이나 ‘charming’ 또는 ‘sweet’이나

‘lovely’같은 부드러운 느낌의 형용사를 즐겨 사용한다.

4) 여성들이 남성보다 부가의문문(tag-question)을 더 빈번하게 사용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문법적으로 볼 때 부가의문문은 자신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놓지 않고 상대방의 동의나 의향을 묻

240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는 독특한 의문문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면 여성들은 “Is

John here?”라고 묻기 보다 “John is here, isn't he?” 또는 “John

isn't here, is he?”와 같은 부가의문문을 쓴다. 남성들보다 예의

바르게 보여야 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드러내지 않으며,

결정을 유보하는 형태의 표현들이 바로 부가의문문이기 때문이

다. 그리고 이러한 부가의문문의 사용은 특히 어에서 나타나는

여성언어의 가장 특징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부가의문문을 사용할 때 많이 쓰이는 실례로는 “isn't it?” “don't

you think?” “wouldn't it?”을 들 수 있는데 이런 표현들은 직설적인 언

급을 포함하는 평서문과 ‘yes or no’를 묻는 의문문의 중간 형태의 표현

이라 할 수 있다(Lakoff, 1975). 또한 잦은 부가의문문의 사용은 행위

중심의 표현을 하는 남성들과는 달리, 자신의 감정과 정서 위주의 표현

을 하는 여성에게 더 맞는 표현이라는 주장도 있다(Bernard, 1982). 더

욱이 이러한 여성들의 적극적인 감정표현은 - 특히 긍정적인(positive) 표

현일 때 더욱 - 상대방으로 하여금 따뜻하고, 사랑스러우며, 남을 배려

해 주는, 편안한 유대감(solidarity)을 느끼도록 하여, 서로의 관계를 돈

독히 해 주는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Dubois & Crouch(1975)는 여성이 아닌 남성이 오히려 부가

의문문을 더 많이 사용한 실험 결과를 내놓았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

비교적 학문적이고 전문적인 워크샵(workshop)을 하는 상황에서 부가

의문문의 사용을 관찰한 결과 남성이 33개의 부가의문문을 사용한 반

면, 여성은 한 개도 사용하지 않았다. Dubois와 Crouch가 관찰한 남성

들이 사용한 부가의문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You would miss it, wouldn't you?”

“Probably industrial too, isn't it?”

“They're going from a base of a so-called standard, aren't they?”

“Can't be very big, is it?”

물론 일상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상황이 아닌(연구 대상자의 선정 및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41

연구방법론의 문제도 포함하여) 제한된 상황에서 이루어진 Dubois &

Crouch(1975)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지만, 여

성의 부가의문문의 사용에 대한 이와 같은 반론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

다고 생각한다.

5) 이러한 특성들과 더불어 여성들은 대체로 일상어 형태의 언어를

쓰는 남성들에 비해 표준 어문법(Standard American English

grammar)에 맞는 정확한 언어사용에 더 민감하다고 한다.

Holmes(2001)는 이렇게 여성이 표준적인 언어형태를 선호하는 이

유로 ① 남성에 비해 잘 드러나지 않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위

세(prestige)를 지닌 표준어의 사용을 통해 표출하며, ② 자녀의 양

육을 책임지는 어머니로서의 역할 자체가 표준어의 사용이 기대

되고, 그리고 ③ 남성에 비해 여성은 예의바르고 올바른 언어사용

을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더불어 ④ 여성의 표준어 사

용이 눈에 띄는 것은 남성이 비표준적인 일상어를 많이 사용하므

로 오히려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뿐이라고 설명한다. 즉 남

성이 일상어를 주로 사용하고 속어를 포함한 거친 말투를 쓰는 것

을 남성적이거나 남자답고 멋있다고 해석하는 사회현상 때문이라

는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성차별에 근거하여 사회에서 차지하는

여성들의 불안정한 사회 문화적 위치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된다.

이렇게 남성과 여성을 구별짓고 차별하는 사회적 편견은 인간이 사

회화를 시작하는 아주 초기단계부터 습득된다. 예를 들면 유치원 과정

에서부터 어린아이들은 여성의 언어는 집과 집안 일에 관계된 활동과

관련시키는 반면, 남성의 언어는 집이 아닌 바깥 세계 그리고 경제적인

활동과 연계시키도록 배워나간다. 이러한 편견은 많은 경우에 사실

(truth)이라기 보다는 희박한 근거에 의해 습관적으로 사실이라고 믿는

사고방식(myth)에 기초한다. 잘 알려진 그리고 여성에게서조차도 보편

화된 사회적 편견중의 하나가 바로 여성이 남성보다 말이 많다는 속설

이다. 그러나 실험을 거친 여러 연구 조사(Spolsky, 1998; Fromkin &

242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Rodman, 1998)에 의하면 그 반대의 경우가 사실이라고 한다. 즉 여성

과 남성이 함께 섞여있는 집단에서 특히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말이 많다

는 연구결과를 밝혔다.

성에 의한 언어의 차이를 생물학적(biological) 또는 신경 생리학적

(neurophysiological) 근원에서 찾아보려는 연구도 있었다. 여성의 언

어의 특징 중에 두드러진 것의 하나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음도를 지

닌다는 것이다. 이것은 여성이 남성보다 짧은 성대를 지녔기 때문이라

고 한다. 그런데 음성학자인 Caroline Henton의 연구에 의하면 여성과

남성의 음의 고저의 차이는 생리학적인 요인 하나로만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한다(Fromkin & Rodman, 1998).

다시 말해 평균적으로 볼 때 여성과 남성의 실제적인 음의 차이는

성대의 차이가 보여주는 음의 차이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

서 생리학적인 요소 이외에 말을 배울 시기에 나타나는 사회적 요소가

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말을 할 때 여성과 남성의 음성

학적 과정을 과학적으로 관찰한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남성은 왼쪽

뇌에서만 음성학적 과정이 일어나는 반면에 여성은 왼쪽 뇌와 오른쪽

뇌 둘 다에서 음성학적 과정이 나타난다고 밝혔다(Spolsky, 1998). 그

러나 음성학적 과정의 효율성에서의 차이나 근본적인 신경생리학적 차

이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여성과 남

성의 언어적 차이의 근원은 생물학적(biological)이라기보다는 사회적

(social)이라는 것이다. 즉 남성과 여성의 언어의 차이는 그 언어를 쓰

는 사람의 직업, 사회적 위치나 지위, 사회활동의 폭과 같은 사회․문화

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이 논문은 성과 언어의 관계를 조직적으로 연구한 여러 연구조사자

들이(Lakoff, 1975; Cameron, 1992; Key, 1975; Bernard, 1982) 어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다. 인도유럽어에 속한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43

어와는 아주 다른 어족(language family)에 속해 있는 한국어에서 이러

한 여성언어의 특성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 연구해 보는데 연구

의 목적을 둔다. 즉 어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대표적인 특성들이 한

국의 여성언어에도 적용되는지 비교 연구를 실시하 다. 따라서 이 연

구조사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여성언어의 특성에 대한 가설에 기초한다:

① 색깔에 대한 구체적이고 섬세한 구별 및 묘사가 있는가?

② 감탄사 및 의미없는 어휘나 감탄사적 표현을 사용하여 감정표현

을 하는가?

③ 여성만의 특정한 형용사의 표현이 존재하는가?

④ 명령 또는 청유 형태의 문장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가?

⑤ 이야기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한국어에서 남녀의 언어사용의 차이를 살펴보는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부록에 있는 설문지 샘플 참조). 첫째, 같은

색을 보고 그 색을 묘사하는데 남녀가 각각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

펴보았다. 색상은 삼원색 중에서 빨강과 파랑은 기본 색보다 짙은 색

으로, 노랑은 다중 색 처리에 펄이 첨가된 변형 색을 사용하 다. 둘째,

부정적인 상황과 긍정적인 상황에서 남녀가 각각 어떤 감탄사를 사용

하고 감정 표현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지나가는 차에 흙탕

물을 뒤집어 쓴 부정적인 상황과 생일에 친구들이 깜짝 파티를 열어준

긍정적인 상황을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셋째, 남녀의 형용사 선호도

를 알아보기 위하여 9가지 다른 카테고리에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

는 형용사를 3가지씩 엄선하여, 남녀 각각에게 자주 사용하는 형용사와

자주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를 선택하도록 하 다. 넷째, 남녀가 각각

어떠한 명령 또는 청유의 표현을 쓰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도서관에서

떠드는 학생과 식당 배식구에서 줄에 친구들을 끼워주는 학생에게 어

떻게 반응하는지 조사하 다. 마지막으로 남녀의 이야기 스타일을 알

아보기 위하여 네 개의 컷으로 된 그림을 보고 오늘 그 일이 자신에게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상황을 설명해 보도록 함으로써 나타나는 특징을

244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점검해 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는 20대 초반의 남녀학생들

로서 명지대학교 학생들을 선정하 다. 우선 2002년 10월 여학생 60명,

남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위의 항목들을 조사하 다.

설문조사는 대형 강의시간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는데 남녀비율이 일정

치 않아서 여학생이 많은 반과 남학생이 많은 반으로 두 차례 이루어졌

다. 설문지를 통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인터뷰 질문내용을 재정비한

후, 2002년 11월 남녀학생 각각 32명을 대상으로 하루에 2시간씩 5차례

에 걸쳐 1대1의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인터뷰를 통하여 데

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질문의 성격상 설문조사를 통

한 데이터가 더 객관적이고 적합하다고 인정된 제 3항목 형용사의 사

용과 제 5항목 이야기 스타일의 차이 두 항목에 한하여 그 자료를 수용

하 다.

1) 색채 표현

다음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남녀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색

상을 묘사하도록 하 다. 여기에서 ‘기본’이라고 함은 단답형으로 특정

색을 지적한 경우(예를 들면 ‘파란 색’)이며, 단순 묘사는 기본색에 ‘짙

은,’ ‘탁한,’ ‘어두운’ 등의 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를 첨가한 형태로 대

답한 경우를 말하고(‘짙은 파란 색’), 그리고 상세 묘사는 보다 자세하게

묘사한 경우를(‘반짝이는 펄 들어간 주황색’) 말한다. 또한 비유는 사물

에 빗대어 표현한 것을(예를 들어 ‘빨간 색인데 단풍나무 잎같은 색’)

말한다. 숫자는 인원수를 나타내고 괄호 안의 %는 소수점 첫째자리에

서 반올림하 다.

이 조사를 통하여 알게 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색채 묘사에서 여학생은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자세하게 묘사

하려는 경향이 강하지만 남학생은 간결하게 표현한다. 여학생은

평균 32%(각각 50%, 16%, 31%)가 기본형으로 대답한 반면에 남

학생은 평균 67%(각각 63%, 50%, 88%)가 기본형으로 대답하 다.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45

<표 1> 세 가지 색상을 통해 본 남녀의 색채 표현의 차이

파란 계통 (#35)펄과 그라데이션이 있는

노란 계통 빨간 계통 (#N51)

여 남 여 남 여 남

기본(특정색) 16(50) 20(63) 5(16) 16(50) 10(31) 28(88)

단순 묘사 7(22) 7(22) 4(13) 4(13) 8(25) 2(6)

상세 묘사 5(16) 2(6) 13(41) 9(28) 8(25) 2(6)

비 유 4(13) 3(9) 10(31) 3(9) 6(19) 0(0)

합 계 32 32 32 32 32 32

나. 상세 묘사의 경우 여학생과 남학생의 묘사는 질적으로 다르다.

여학생은 자세한 묘사를 하기 위해서 주관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만 남학생의 묘사는 간단하고 설명적이다. 실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붉은색. 정열적인 느낌. 불만 같은 거 있는 거 같구 질투심

같은 것도 느껴짐. (여1)

② 빨간색은 빨간색인데 여러 가지가 있잖아요. 제 주관적으로

는 시원하지 못한 분명하지 못하고 선명하지 못한 빨간색.

흐리고 분홍색에 좀 더 가까운 색인 것 같고 답답해 보이는

색깔. (여22)

③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는데요. 보라색하고 붉은 색... (남10)

④ 자주색... 다홍색 같은 색. (남14)

다. 여학생은 자세한 묘사를 위하여 비유를 사용하지만 남학생은 자

세한 묘사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유를 사용한다.

① 저녁노을 같은 갈색과 노란색의 중간, 겨자 색이라고 해야

하나... (여17)

② 석양같아요. (남14)

246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2) 감탄사 및 감정 표현

남녀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상황(Case 1)과 긍정적 상황

(Case 2)을 제시하고 이때 어떤 감탄사와 감정 표현을 구사하는지 연어

휘로 조사하 다. 여기에서 ‘기본’이라 함은 감탄사만 사용한(“아!/어!”

나 “어머!”) 것이며, ‘감탄사 + α’ 는 감탄사를 포함한 추가 표현을 한

경우를 말하는데, “아! 진짜 저질”이나 “어머! 열 받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표 2> 두 가지 상황에 따른 남녀의 감탄사 및 감정 표현의 차이

Case 1 여 남 Case 2 여 남

기본감탄사만 사용 5(16) 1(3)

기본감탄사만 사용 2(6) 4(13)

감탄사 +α 21(66) 18(56) 감탄사 +α 16(50) 5(16)

욕설 3(9) 18(56) 감사의 표현 13(41) 11(34)

속어 8(25) 14(44) 반어적 표현 7(22) 5(16)

한탄적 표현 15(47) 1(3) 무언 6(19) 10(31)

무언 0(0) 1(3) 욕설 0(0) 1(3)

이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감탄사 사용에서 여학생은 부정적 상황(82%), 긍정적 상황(56%)

모두에서 남학생(각각 59%, 29%)에 비해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어머!’나 ‘엄마야!’는 여학생들만이 사용하는 감탄사

이다.

나.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욕설 및 속어의 사용을 자제한다. 부정

적인 상황에서 남학생은 3명(감탄사만 사용, 한탄적 표현, 무언)

을 제외한 91%가 욕설 및 속어(“이런, 젠장할...” 혹은 “에이 씨!

X같네”)를 사용하 으며, 긍정적인 상황에서도 1명이 욕을 사용

하여(“아이, X새끼들!”) 친근감을 표현하 다. 욕설을 사용한 여

학생 3명중 2명은 외래어 욕(“쉿/shit!”)을 사용하 는데, 이는 외

래어이기 때문에 느낌이 약하게 와 닿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47

다. 여학생들은 다양한 한탄적인 내용이 담긴 표현(“뭐야, 어떡해, 큰

일났네, 왠 일 이니, 너무 한다” 등)을 사용한다. 이중에서 ‘어떡

해!’ ‘왠~일 이니’는 여학생들만이 사용하는 표현임을 알 수 있다.

3) 형용사의 사용

여학생 60명, 남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형용사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9가지 다른 카테고리 속에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용사를 3가지씩 엄선하 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예쁜, 귀여운, 깜찍한 ⅱ) 굉장한, 끝내주는, 기막힌

ⅲ) 미운, 추한, 못생긴 ⅳ) 황홀한, 짜릿한, 설레이는

ⅴ) 부끄러운, 창피한, 열받는 ⅵ) 속상한, 괴로운, 언짢은

ⅶ) 더러운, 꾀죄죄한, 칠칠맞은 ⅷ) 무서운, 끔찍한, 무시무시한

ⅸ) 재수 없는, 빌어먹을, 망할

각 그룹에서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형용사에 표시하고 해당 형용사

가 없을 경우에는 기타 난에 적어달라고 하 으며 같은 그룹을 다시 한

번 제시하고 이번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에 표시해달라고 하

다. 조사결과 형용사의 사용에서 남녀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다음의 표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표 3> 남녀의 형용사의 선호도 차이

자주 사용하는 형용사 자주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

여 남 여 남

예쁜 37(54) 21(34) 1(1) 5(8)

귀여운 20(30) 32(52) 1(1) 1(2)

굉장한 15(22) 9(15) 19(28) 28(45)

끝내주는 11(16) 23(37) 22(32) 5(8)

설레이는 35(51) 16(27) 2(3) 11(18)

짜릿한 6(9) 18(29) 21(30) 8(13)

속상한 43(62) 15(24) 1(1) 10(16)

괴로운 6(9) 17(27) 10(14) 3(5)

재수 없는 57(83) 29(47) 2(3) 3(5)

빌어먹을 1(1) 10(16) 36(52) 13(21)

248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이 조사를 통하여 관찰하게 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남학생은 느낌이 강하고 자극적인 형용사를 자주 사용하고 여학

생은 너무 강하고 자극적인 표현을 남학생에 비해 덜 사용한다.

즉 여성이 ‘굉장한’, ‘설레이는’, ‘속상한’, ‘재수없는’ 등의 형용사

를 쓰는 반면, 남성은 ‘끝내주는’, ‘짜릿한’, ‘괴로운’, ‘빌어먹을’ 등

을 선호한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주 사용하는 형용사로

는 ‘죽이는’, ‘망할’, ‘개같은’ 등이 있다.

나. 여학생은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너무 저속한 표현을 쓰지 않는다.

83%의 여학생이 ‘재수 없는’을 사용한 반면에 50% 이상의 남학

생은 ‘빌어먹을, 망할’을 포함하여 다양한 저급 표현(기타 난에 기

술함)을 사용하 다. 다른 형용사 그룹의 경우에서도 남학생은

기타 난에 다양한 속어 표현(‘지랄하는’, ‘젠장할’, ‘씨발’ 등)을 기

술하 다.

4) 명령 및 청유의 표현

남녀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도서관에서 떠드는 학생에게 조용히 하

라고 말할 경우(Case 1)와 학생 식당에서 양해를 구하지 않고 친구 여

러 명을 끼워 주는 학생에게 항의하는 경우(Case 2)를 설정하여 각각의

대응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 다.

<표 4> 남녀의 명령 및 청유 표현의 차이

Case 1 여 남 Case 2 여 남

명령직선적 표현 3(9) 2(6) 명 령 3(9) 4(13)

완곡한 표현 1(3) 3(9)

청유일반 청유형 6(19) 10(31) 청 유 4(13) 0(0)

완곡 청유형 15(47) 10(31)

기타간접적 표현 7(22) 2(6)

기타간접적 표현 17(53) 10(31)

무반응 0(0) 4(13) 무반응 8(25) 18(56)

합 계 32 32 합 계 32 32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49

이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관찰할 수 있다:

가. Case 1의 경우 남녀의 차이는 청유의 표현에서 나타나는데, “야,

닥쳐!” 혹은 “조용히 해! 입 닥쳐!”와 같은 직접명령이나 비난을

하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은 공손한 표현을 더 많이 쓴다. 예

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① 저기 여기 말소리가 너무 크신 것 같은데 다른 사람 공부하니까

조금만 조용히 해 주세요. (여24)

나. 여학생은 상대방을 책망하거나 무엇을 요구하는데 소극적이다.

따라서 직접 말을 못하고 혼잣말로 한다든지 옆의 친구에게 말하

여 상대방에게 들리게끔 하는 등 간접적 방식으로 의사표현을 한

다. 즉 여성은 화가 난 상황에서도 상대에게 예의를 갖추려는 경

향이 강하여, 명령보다는 ‘∼해 주세요’ (“저기, 여기 말소리가 너

무 크신 것 같은데 다른 사람 공부하니까 조금만 조용히 해 주세

요”)등의 직접의뢰표현과 ‘∼해 주실 수 있을까요?’(“좀 조용해 주

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등의 간접의뢰표현을 많이 사용했다.

다. Case 2에서 같은 무반응의 경우에라도 여학생은 “말을 못 한다”

와 같은 상대방을 의식하는 답을 한 반면에, 남학생은 “말을 안

한다”라는 상대방을 개의치 않는 답을 하 다.

① 속으로 진짜 짜증나지만 아무 말 못해요. (여11)

② 그냥 싫은 표정만 짓고 말을 못해요. (여12)

③ 말 안하죠. 저도 그러니까요. (남5)

④ 말 안할 것 같은데... (남9)

따라서 남학생은 청유의 표현을 하지 않고 확실한 의사표현을 하든

지 무시하든지 양극현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라. 또한 여성은 혼잣말의 경우에도 욕설 및 속어사용을 피하는데,

혼잣말의 경우 여성은 “이쪽이 순서 기다리고 있는데” 또는 “좀

더 생각해주면 좋겠는데”와 같은 소극적인 원망을 한다. 이에

250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비해 남성은 “똑바로 해!” 나 “있을 수 없지!” 혹은 “죽고 싶어?”

등과 같이 상대에 대한 적극적인 비난의 내용을 담고 있다.

5) 이야기 스타일의 차이

여학생 60명, 남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야기 스

타일과 표준어 사용 및 문법적 표현을 알아보았다. 아래 표에서 분석

하고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첫째, 문장의 길

이는 남녀 전체의 사용 단어 수가 5,137개이므로 1인당 평균 40단어를

사용한 셈이다. 따라서 평균 사용 단어 수를 중심으로 30∼50단어는

‘중’으로, 50단어 이상은 ‘상’, 30단어 미만은 ‘하’로 분류하 다. 둘째,

내용은 그림으로 표현된 상황을 문장의 길이에 상관없이 정보전달 중

심으로 이야기한 경우는 ‘단순한 정보만 제공’한 것으로, 화자가 자신의

입장에 맞게 상황을 재설정하거나 부연 설명을 한 경우는 ‘자세한 묘사

및 표현’으로 분류하 다. 셋째, 구성은 4가지 장면을 빠뜨리지 않고

짜임새 있고 충실하게 전달한 경우는 ‘충분한 전달’로, 하나 또는 그 이

상을 빠뜨리거나 앞뒤가 맞지 않게 전달한 경우는 ‘불충분한 전달’로 분

류하 다.

<표 5> 남녀의 이야기 스타일의 차이

여 남

문장의

길 이

상(50단어 이상) 21(31) 4(7)

중(30∼50단어) 41(60) 32(53)

하(30단어 미만) 6(9) 24(40)

내 용단순한 정보만 제공 37(54) 45(75)

자세한 묘사 및 표현 31(46) 15(25)

구 성충분한 전달 36(53) 29(48)

불충분한 전달 32(47) 31(52)

어 휘

속어 29(43) 46(77)

의태어 및 첩어 21(31) 11(18)

축약형 25(37) 19(32)

발음대로 표기 10(15) 12(20)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51

이 조사를 통하여 파악된 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가. 여학생이 사용하는 문장이 남학생이 사용하는 문장에 비해 길다.

여학생은 1인당 평균 47단어를 사용하고 남학생은 1인당 평균 33

단어를 사용하 다.

나. 상황 설명을 할 때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더 생생하고 자세하게

묘사한다.

① 나 오늘 시계소리 못 듣고서는 8시에 일어나서 잽싸게 나왔지.

정류장에 막 뛰어나왔는데 703번이 갈려는 거야. 막 뛰어가서 겨

우 왔는데 학교 와 보니까 어제 2시까지 쓴 레포트를 안 가져온

거 있지? 아유, 오늘 재수 없는 날인가 봐. (여47)

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고 충실하게 이야

기를 구성한다.

② 여덟시에 일어나려고 시계 알람을 맞춰두고 잤는데 알람 소리를

못들은 거야. 그래서 늦게 일어났거든. 아침을 대충 먹으려고

빵이랑 커피를 준비하고 가방에 책을 넣고 여러 가지 일을 하다

보니까 커피를 윗도리에 쏟아버렸어. 끈적하고 지저분해서 옷을

갈아입고 싶었는데 시간이 너무 없어서 대충하고 버스 정류장으

로 뛰었거든, 근데 눈앞에서 버스가 그냥 가버리는 거야. 몇 초

차이로 버스 놓칠 때가 제일 짜증나잖아. 간신히 학교에 와서 수

업시간에 앉았는데 책을 빠뜨리고 왔지 않겠니? 거의 절망하고

싶더라. 가끔 그런 날이 있잖아, 왜. 그래서 그냥 교수님 얘기만

들었어. (여11)

라. 속어의 사용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③ 나 오늘 연나 늦게 일어나서 연나 빨리 준비해서 나왔는데 차를

놓친 거야! 아 그것도 열 받는데 수업시간에 책 검사하는 걸 까

먹고 책까지 안 가지고 왔어! (남57)

252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마. 여학생의 의태어 및 첩어 사용이 남학생에 비해 두드러지고 다양

하다. 여학생이 사용한 의태어 및 첩어로는 ‘벌 벌 , 헐레벌떡,

허둥지둥, 진짜진짜, 허겁지겁, 깜빡깜빡, 넘넘(너무너무), 겨우겨

우, 질질, 부랴부랴, 후다닥’이 있고 남학생이 사용한 의태어 및

첩어는 ‘대충대충, 헐레벌떡, 허겁지겁, 후다닥, 허둥지둥, 부랴부

랴, 겨우겨우’가 있다.

바. 남녀학생 모두 맞춤법에 맞지 않는 축약형을 많이 사용한다.

④ 근데>그런데, 암튼>아무튼, 구>그리고, 넘>너무, 낼>내일, 섭>

수업, 어케>어떻게, 재섭었다>재수 없었다, 인나서>일어나서, 하

튼>하여튼, 여까지>여기까지, 겁나 >겁나게

사. 남녀학생 모두 맞춤법과 상관없이 발음대로 표기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⑤ 어뜩해>어떡해, 열시미>열심히, 승질나>성질나, 레포트까정>레포

트까지, 온겨>온거야, 이러케>이렇게, 역쉬나>역시나, 디게>되게,

드럽지>더럽지, 미쵸>미쳐, 놓친겨>놓친거야, 노치고>놓치고, 드

러워>더러워, 댕기기>다니기, 자써>잤어, 디질라고>뒤질려고, 짜

정나>짜증나, 개쉐이>개XX, 어뜨카냐>어떡하냐, 죽갔어>죽겠어

4. 결론

이 논문은 어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5가지 특성들이 한국어의 여성

언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비교분석을 통해 관찰해 보았다. 즉 나이,

교육정도, 직업 등의 변수를 될수록 최소화한 대학생 집단에서도 여성

언어의 특성들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약하면 한

국어의 여성언어는 남성언어에 비해 색채에 대해 섬세하고 자세한 묘

사와 비유를 썼으며, 감탄사 및 감탄사적 표현에서는 특히 긍정적인 상

황에서 감탄사를 많이 사용했고 또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남성과는 다

르게 욕설이나 비난을 자제하고 자신의 감정을 완곡하게 표현했음을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53

볼 수 있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그리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

에서도 여성들만이 즐겨 쓰는 독특한 형용사적 표현이 존재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상대에 대한 명령이나 요청 또는 의뢰의 표현이 요구되

는 상황에서는 여성들이 상대편에 대해 명령이나 비난을 피하고 될수

록 요청이나 의뢰의 형식을 빌어 완곡하게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마지막으로 남녀의 이야기스타일에서는 여성이 사용한 문장의 길

이가 상대적으로 길었고 내용에서도 단순한 정보만을 전달하기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실어 생생하고도 충실한 내용전달과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이야기스타일 형태를 보 다. 또한 남성에 비해 표준어를 주로

쓰며 문법적인 표현에 맞는 언어사용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여성의 언어와 여성이 갖는 사회적 위치에 대한 연구는 언어

사용에 나타나는 성의 차이를 인식하고 강조함으로써, 우리 사회 구조

속에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성차별 및 불평등을 줄여나가는 계기를 마

련할 수 있을 것이다. 남성과 여성의 언어가 다름(different)은 열등함

(inferior)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성에 따른 언어적 차이와 성과 사회․문화적 역할 및 위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언어와 사회 그리고 언어와 문화가 얼마나 접하

게 연계되어 있는가를 명백히 보여준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언어사

용의 차이에 관한 사회언어학적인 접근을 통해, 이러한 언어적 차이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할 수 있는 역동적이라는 것이

다. 즉 여성언어가 지닌 특성은 상대방(특히 남성들)과의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Tannen(1994)이 역설한 것처

럼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의 사회적 역할은 그냥 주어지는(given)

것이 아니라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 가는(created)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254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 참고문헌 ▣

Bernard, J.(1982), The Female World, New York: The Free Press.

Cameron, D.(1985), Feminism and Linguistic Theory, New York: St.

Martin's Press.

Cameron, D.(1992), The Feminist Critique of Languag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Dubois, B. L. & Crouch, I.(1975), “The Question of Tag Questions in

Women's Speech: They Don't Really Use More of Them, Do

They?”, Language in Society, Vol 4, No. 3, pp. 289∼294.

Eckert, P.(2000), Linguistic Variation as Social Practice. Malden, MA:

Blackwell Publishers.

Fromkin, V. & R. Rodman(1998), An Introduction to Language. Orlando,

FL: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Geertz, C.(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New York: Basic Books.

Gumperz, J. J.(1982), Discourse Strategie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Guy, G. R.(1988), Language and Social Class, In F. J. Newmeyer (ed.),

Linguistics: The Cambridge Survey.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ll, E. T.(1977), Beyond Culture, New York: Anchor Books.

Holmes, J.(1995), Women, Men and Politeness, New York: Longman.

__________(2001),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New York:

Longman.

Key, M. R.(1972), “Linguistic Behavior of Male and Female”,

Linguistics, Vol. 88, pp. 15∼31.

____________(1975), Male/Female Language, Metuchen, NJ: The

Scarecrow Press.

Kramsch, C.(1993),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55

___________(1998), Language and Cul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abov, W.(1972), Sociolinguistic Pattern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Lakoff, R.(1972), “Language in Context”, Language, Vol. 48, pp. 907∼927.

_________(1973), “Language and Women's Place”, Language in Society,

Vol. 2, No. 1, 5∼80.

_________(1975), Language and Women's Place, New York: Harper

Colophon Books.

Leclerc, A.(1992), Woman's Word. In D. Cameron (ed.), The Feminist

Critique of Language(pp. 74∼79),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ride, J. B.(1971), The Social Meaning of Languag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Spolsky, B.(1998), Sociolinguistics, N.Y.: Oxford University Press.

Tannen, D.(1994), Gender and Discourse, N.Y.: Oxford University Press.

Thorne, B.․Kramarae, C.․Henley, N. (eds.)(1983), Language, Gender

and Society, Rowley, MA: Newbury House.

- 초 록 -

* 주제어: 성과 언어, 여성언어, 남녀의 언어사용의 차이,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

한 언어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그들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상황이나 배경을 반 한다. 따라서 같은 한 언어 속에 나타나

는 언어의 다양성 및 언어적 차이는 그 사회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대

변하고 기록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의 사용에 나타

나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차이 중에서 특히 성(gender)에 따른 구조적

256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인 언어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어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5가지 특성들이 한국어의 여성

언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해 비교분석해 보았다.

요약하면, 첫째 한국어의 여성언어는 남성언어에 비해 색채에 대해 섬

세하고 자세한 묘사와 비유를 썼으며, 둘째 감탄사 및 감탄사적 표현에

서는 특히 긍정적인 상황에서 여성이 감탄사를 많이 사용했고 또 부정

적인 상황에서는 남성과는 다르게 욕설이나 비난을 자제하고 자신의

감정을 완곡하게 표현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자주 사용하는 그리

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에서도 여성들만이 즐겨 쓰는 독특한 형

용사적 표현이 존재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넷째로 상대에 대한 명령이나 요청 또는 의뢰의 표현이 요구되는 상

황에서 여성은 상대편에 대해 명령이나 비난을 피하고 될수록 요청이

나 의뢰의 형식을 빌어서 완곡하게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

막으로 남녀의 이야기스타일에서의 차이는 여성이 사용한 문장의 길이

가 상대적으로 길었고 내용에서도 단순한 정보만을 전달하기보다는 자

신의 감정을 실어 생생하고도 충실한 내용전달과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이야기스타일 형태를 보 다. 또한 남성에 비해 표준어를 주로

쓰며 문법적인 표현에 맞는 언어사용이 두드러졌다.

- Abstract -

A Study of Women's Language and Their

Socio-cultural Place in Korean Society

Lee, Hwa-yeon19)

Language reflects and records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in a

speech community. Amo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focuses on

Lee, Hwa-yeon Professor in Applied Linguistics, Myongji University.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57

gender differences, for in most societies language differentiates

between men and women in various marked ways. Thus, the

primary aim of this linguistic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language use,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speech in Korean and English.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omen's speech in English,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f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language

through oral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linguistic study of women's language are as follows:

1. Fine color discrimination is more relevant for women than for

men.

2. Women frequently use meaningless particles or weaker expletives,

while the stronger expletives are reserved for men.

3. Women are apt to use some specific adjectives that are largely

confined to women.

4. In expressing personal feelings or opinions, women's speech

comes across as much more polite than men's. They tend to

avoid confirmation and commitment.

5. Whereas men prefer colloquial speech, women use more

grammatical vocabularies and sentences that conform to

grammatical standards.

* Key Words: language and gender, women's language, linguistic

differences, women's socio-cultural place/status

258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부록 :《설문지 샘플 》

다음에 제시된 그림을 보고 질문에 대해서 성의 있게 응답해 주십시오.

1. 다음은 어떤 색입니까?

① ② ③

2. (1) 오늘은 면접시험을 보러 가는 날입니다. 면접관에게 잘 보이기 위해 한껏 멋을 내고 버스를 기다리던 중 지나가는 차에 흙탕물을 뒤집어쓰게 되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말합니까? (자신이 평소에 즐겨 쓰는 감탄사나 표현 등을 사용하십시

오.)

(2) 오늘은 내 생일입니다. 아무도 내 생일을 기억해주지 않아 나 혼자 밖에서 시간을 보내다가 집으로 와보니 친구들이 깜짝 파티를 준비해 놓고 있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말합니까? (자신이 평소에 즐겨 쓰는 감탄사나 표현 등을 사용하십시오.)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259

3. (1) 다음 각 항에서 당신이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형용사에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는 기타에 써 주십시오), 평소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에 × 를 표시해 주십시오.

① □ 예쁜 □ 귀여운 □ 깜찍한 기타__________

② □ 굉장한 □ 끝내주는 □ 기막힌 기타__________

③ □ 미운 □ 추한 □ 못생긴 기타__________

④ □ 황홀한 □ 짜릿한 □ 설레이는 기타__________

⑤ □ 부끄러운 □ 창피한 □ 열받는 기타__________

⑥ □ 속상한 □ 괴로운 □ 언짢은 기타__________

⑦ □ 더러운 □ 꾀죄죄한 □ 칠칠맞은 기타__________

⑧ □ 무서운 □ 끔찍한 □ 무시무시한 기타__________

⑨ □ 재수 없는 □ 빌어먹을 □ 망할 기타__________

⑩ □ 더러운 □ 꾀죄죄한 □ 칠칠맞은 기타__________

⑪ □ 무서운 □ 끔찍한 □ 무시무시한 기타__________

⑫ □ 재수 없는 □ 빌어먹을 □ 망할 기타__________

4. (1) 도서관에서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는데 맞은편 테이블에 앉아있는 학생들이 잡담을 하며 떠들고 있습니다. 몇 번 눈치를 줬지만 계속 떠듭니다. 이 때 당신은 그 학생에게 뭐라고 말하겠습니까?(겉으로 표현하지 않을 경우 혼잣말을 쓰셔도 좋습니다.)

(2) 식당 배식구 앞에 학생들이 길게 줄을 서 있습니다. 당신 앞줄에 있던 학생이 서너명의 친구를 끼워줍니다. 이 때 당신은 그 학생에게 뭐라고 말하겠습니까? (겉으로 표현하지 않을 경우 혼잣말을 쓰셔도 좋습니다.)

5. 오늘 당신에게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 상황을 친구에게 말하듯이 자세히 설명해 보십시오.

① ②

③ ④

본 설문지는 연구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성별 □ 남 □ 여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 등장인물의 이미지 및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안주아20)

1. 문제제기

올 여름도 초대형 블록버스터와 미스터리 호러물, 애니메이션이 극

장가를 강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제까지 디즈니에서 주도해오던

애니메이션이 주춤한 가운데, <슈렉2>는 미국에서 개봉 43일 만에 최

단기간 4억 달러 흥행 수익 고지에 올랐다. 우리나라에서도 개봉 20일

째인 7일 전국 관객 253만명을 돌파했다(http://www.nkino.com). 이

로써 <슈렉2>는 전편 <슈렉>의 기록을 넘어섬과 동시에 국내 개봉한

애니메이션의 흥행 기록도 갈아치웠다. 화는 지난 한 세기 동안 가

장 강력한 예술형태이자 대중적인 엔터테인먼트로 자리잡았으며, 상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사회의 문화, 생활의 핵심에 자리잡고 지대

한 향을 끼치고 있다(최관호, 1999). 또한 상으로서의 애니메이션

도 이제 문화산업으로서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된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상은 그 자체만으로는 단지 상징이거나 상징의 집

합에 불과하지만, 상징과 텍스트를 통해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의미는

안주아 동신대학교 언론광고학과 교수(언론학). 최근 논문으로 「부정적 소구 공

익광고에서 메시지와 배경음악의 일치성(congruency) 이 광고회상과 광고태도

에 미치는 향분석」(2004)과 “An Opinion Poll in Internet: Focus on

Responses between Voluntary and Compulsory Participants in An Opinion

Poll” 공저(2004) 등이 있음.

262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개인의 경험을 기초로 이해한다는 점에서는 주관적이지만, 사회적으로

함께 공유되기도 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가 표현

되고 생산되는 것이 곧 메시지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는 이러한 메시지를 이해하는 두 가지 관점이 있는데, 하나는

미디어의 의미전달에 다른 하나는 인간의 의미 생산 및 상호작용에 관

심을 둔다. 전자를 과정학파(the process school), 후자를 기호학

(semiotics)라고 하는데(Fiske, 1990), 과정학파는 두 사람이 서로 관계를

유지하고 행동에 향을 주며 마음의 상태나 정신적인 응답을 다른 사

람에게 전달하는 것을 사회과정으로 정의하는 반면, 기호학은 인간 개

개인이 문화나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되는 것을 사회과정으로 파

악한다.

기호학의 대표적 학자로 퍼스(Pierce)와 소쉬르(Saussure)를 들 수 있

다. 퍼스는 기호(sign)를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

분하 는데, 대상의 특성 혹은 유사성을 공유하는 것이 도상, 대상과 연

결됨으로써 인과관계로 표현되는 것이 지표, 관습에 의해 그 대상으로

해석될 확률을 많이 가짐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상징으로 설명한다.1)

소쉬르는 기호는 소리 혹은 이미지인 기호표현(signifier)과 소리와

이미지가 사람의 마음에 불러일으키는 개념인 기호내용(signified)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한다.2) 그는 기호가 기표와 기의의 결합적 총체로 보

고, 메시지를 구성하는 계열적 구조와 통합적 구조를 밝힘으로써 메시

지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텔레비전이나, 광

1) 퍼스에 의하면 도상적 기호는 유사성에 근거하는 것으로 전화번호 수첩에서의

전화그림(☏), 사진 등이 예가 될 수 있고, 지표적 기호는 인과관계에 의한 것으

로 기침(감기에 걸렸음을 지시), 연기(불이 났음을 지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

며, 상징적 기호는 약속에 의한 것으로 각종 수학적 기호, 언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도상적, 지표적, 상징적 기호는 상호배타적이라기 보다는 어떤 성향이 강

한지에 의해 구분이 된다.

2) 우리가 ‘개’라고 말하거나 로 표현했을 때의 음성과 자체는 기호표현, 그 음

성과 이 지칭하는 다리가 넷 달리고 주로 집에서 기르는 포유류의 동물은 기

호내용이 된다. 일반적으로 기호표현과 기호내용은 분리할 수 없는 개념으로

이 둘의 결합이 곧 기호이다. 기호표현과 기호내용은 ‘기표’와 ‘기의’로 불리기

도 한다. 이 논문에서도 이하 내용에서는 기표와 기의로 지칭하 다.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63

고, 사진, 화 등에서 의미가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기

호학은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Berger, 2000: 35∼38).

소쉬르의 이론을 수용한 바르뜨(Barthes)는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있

는,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 당연한 가치관인 이데올로기를 신화(myth)라

보았으며, 신화 속에는 대중으로 하여금 그 신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

이게 하는 간교한 책략이 숨어있다고 주장하 다. 신화를 가장 자연스

럽게 유포하는 것이 미디어로, 특히 알튀세르(Althusser)는 이데올로기

적 국가 장치로서 미디어가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한다고 보았

다(Allen, 1987). 이러한 점에서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 즉

메시지는 수용자들에게 어떤 현상을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하게 해주는

척도를 제공하고, 또한 현실세계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ideology)와

보편적 이데올로기를 반 하여 이를 확대하고 재생산하는 역할을 담당

한다고 볼 수 있다(윤정주, 2000).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최근 재미있는 캐릭터와 고

정관념을 깬 결말의 독특성으로 작품성과 오락성 양면에서 주목받았던

장편 애니메이션 화3) <슈렉>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미국에서만 입

장수입 2억 5천만 달러의 고지를 돌파해 2001년 여름 최고의 흥행성적

을 기록하여 애니메이션 사상 최고의 흥행작으로 꼽혔던 <라이언 킹>

을 돌파한 <슈렉>은 제 54회 칸 화제 경쟁부문에까지 진출하 다

(http://www.chosun.com). 이는 1973년 체코와 프랑스가 공동제작한

<판타스틱 플래닛> 이후 처음 있는 일로, <인어공주>에서 <다이노소어>

에 이르기까지 디즈니사의 주도로 이끌려 온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판

3) 만화란 자유로운 과장법과 생략법을 써서 암시를 노린다는 점에서 순수회화와

구별된다. 캐리커처(caricature)는, 이는 이탈리아어의 caricare(과장하다)라는 동

사에서 나온 말로서, 일부 유럽지역에서 시사만화를 가리켜 쓰는 말이며, 일반적

으로는 과장된 인물화를 일컫는다. 대개 시사만화나 한 장면 만화는 카툰

(cartoon)이라고 하며, 4컷 이상이 연결되어 스토리가 이루어지는 만화는 코믹스

(comics) 또는 코믹 스트립스(comic strips)라고 하는데 이는 주로 미국에서 쓰는

말로, 유럽에서는 보통 카툰이라고 한다. 또한 소설처럼 긴 스토리를 엮어나가

는 만화를 극화(劇畵) 즉 애니메이션이라 하며, 극장상 을 목적으로 제작한 만

화 화를 장편 애니메이션, 극장용 애니메이션 혹은 애니매이션 화라고 한다.

264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도에 드림웍스사의 3D 애니메이션 <슈렉>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

리게 했다(http://www.cine21.co.kr).

특히 이 연구에서 <슈렉>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슈렉>이 지난해

개봉한 <신밧드: 7대양의 전설>, <니모를 찾아서>보다 미국 내 흥행뿐

만 아니라 국내 흥행에서도 성공적이었으며, 화진흥위원회와 (주)아

이엠픽쳐스(2001)에 의하면 서울관객 기준으로 <라이언 킹> 이후 국내

개봉 외국 화 중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유일하게 흥행 1위를 했기 때문

이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다른 장르의 화와는 달리 훨씬 더 대중적

이며 침투력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성인관객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막강한 헐

리웃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매년 전 세계에서 개봉하고 있는 애니메이

션 화가 유포하는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슈렉>의 등장인물과 줄거리를 중심으로,

그 의미구조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여 함축의미를 밝혀보고자 하 다.

2.이론적 배경

1)기호학

기호학은 기호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일종의 메시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기호학은 소쉬르가 언어학의 일부로써 기호의 일반과학

존재 가능성을 주장하면서 비로소 성립된 학문으로, 문자언어를 포함한

모든 체계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즉 기호학의 연구대상인 기호체계는

그것이 의미를 가지고 있어 의식, 관습, 공중오락의 내용을 구성하는 한

에서 모든 기호 체계들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소쉬르는 기호학을 ‘사회에서 기호들의 삶을 연구하는 하나의 과학’

으로 정의했으며, ‘무엇이 기호를 구성하는지’, ‘어떤 법칙이 기호를 지

배하는지’와 관련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Saussure, 1974). 또한 기호란

물질적 운반체로서의 기표와 그것을 담고 있는 의미 또는 정신적 개념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65

으로서의 기의가 합쳐진 것으로, 그렇게 되었을 때 비로소 의미 있는

기호가 되며 이때 기표와 기의를 갖게 되는 것을 의미작용(signification)

이라고 정의한다. 기존의 메시지 연구방법 중 대표적인 내용분석 방법

은 메시지를 분석단위로 나누어 수량적으로만 파악하기 때문에 메시지

의 내적 구조의 파악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기호학은 메시지를

구성하는 기호를 기표와 기의가 결합된 총체로 보고, 메시지를 구성하

는 통합적 구조와 계열적 구조를 밝힘으로써 메시지의 의미구조를 파

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호학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인 메시

지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의 한 체계로 양적연구에서 밝히기 어려운 의

미를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호학은 모든 현상을 기호화 기호들의 관계를 토대로

의미를 분석하고 그것의 숨겨진 의미를 파헤친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

적 분석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의미가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이미 현존하는 구조로부터 나온 기표들을 사용함으로써 구성된다고 하

을 때, 기호의미의 구성에 관한 소쉬르의 논의는 매스미디어가 새로

운 기호의미를 창출하기보다는 이미 현존하는 기호들을 사용함으로써

의미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기호학자들이 수용하고 있는 의미작용의 2단계 아이

디어는 바로 바르뜨 이론의 핵심으로서, 소쉬르의 의미작용 개념을 보

다 확대한 것이다.

가. 외연과 내포

기호학 분석에서 중요한 개념은 의미작용의 2단계인 ‘외연

(denotation)’과 ‘내포(connotation)’이다. 바르뜨는 소쉬르가 제시한 기

표와 기의가 합쳐져서 생성된 기호를 ‘외연’이라 하 고, 의미작용의 1

단계로 불 다. 이것은 피스크가 ‘상식적이고 분명한 의미’라고 제안했

던 것으로 낱말의 사전적 의미를 제공한다(Fiske, 1990). 외연적 의미의

실제적이거나 문자 그대로의 성질을 감안해 볼 때, 외연적 수준에서 메

시지의 불완전한 해석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외연적 의미

266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는 같은 문화구성원이나 같은 언어 사용자들 간에는 유사한 경향이 있

다. 즉 외연적 의미는 언어공동체의 합의로 이루어지는 비주관적 의미

를 일컫는다.

의미작용의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생성된 기호가 새로운 기표가 되

어 새로운 기의와 결합하면서 특정한 의미를 지닌 내포를 형성한다.

내포는 지시 이면에 있거나 지시에 의존적인 의미를 나타내며(Dyer,

1989), 주관적인 의미로서 문맥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내포에 대한 이해는 주관적이고 해석학적이다. 바르뜨

는 이렇게 내포로 만들어진 3단계 의미화 과정을 바로 신화로 정의하

며(정 아, 1992), 신화는 이데올로기의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외연과 내포는 분석적 개념으로 경험 속에서 발견되기 보다 경

험에 대한 분석과 설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연과 내포는 동시적

으로 이해되며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는 분리될 수 없다. 하나의 기

표에 대한 의미는 자의적인 것으로 문화적인 산물이기 때문이다.

나. 계열체와 통합체

소쉬르는 기호가 특정 의미를 갖게 되는 관계 또는 구조를 계열적(수

직적) 구조와 통합적(수평적) 구조를 이용해 설명하고 있다. 계열적 구

조는 선택된 기호가 같은 계열내의 선택되지 않은 다른 기호들의 차이

체계에 의해 특정 의미를 갖는 것이며, 통합적 구조는 기호가 다른 기

호와의 선후관계 또는 결합 체계에 의해 특정 의미를 갖는 것을 말한

다. 다시 말해 계열체적 차이는 전체를 형성하기 위해 기호들이 선택

된 세트(set)와 관련되며, 통합체적 차이는 기호들이 구성될 수 있는 중

요한 순서 혹은 전체와 관련된다.

계열적 관계는 계열내의 다른 것들과의 선택의 문제 즉 ‘이것 혹은

저것’의 관계로, 이때 기호는 선택된 기호와 선택되지 않은 기호, 즉 기

호의 원래 가치를 통해서가 아니라 그것의 상대적인 위치를 통해서 기

능한다. 즉 계열체는 어떤 공통성을 지닌 기호의 모임으로,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발생시키는 이항대립의 유형을 말하는 것으로서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67

텍스트의 심층의미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서 호, 1994). 따라

서 계열체 분석은 의미를 생성하는 숨겨진 패턴을 찾는다.

통합적 관계는 각 요소가 어떤 문맥 속에서 서로 일정한 자리에 위

치하면서 연쇄를 이루고 있는 관계, 즉 ‘이것과 저것’의 관계이다. 따라

서 계열적 구조가 선택과 관련된다면 통합적 구조는 조합과 관련되며,

이러한 관계에 의해 의미가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다. 즉 통합체란 계

열체에서 선택한 기호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기호복합체 즉 약호, 메

시지, 이야기, 지식 같은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통합체 분석은 어떤

종류의 이야기체를 형성하는 사건들의 결과로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

이다(안선경, 2002: 125). 계열적, 통합적 관계는 사물들이 존재하는 상

황들이며 그 상황들로부터 결국 의미가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러시아의 민속학자 프롭(Propp)은 민담분석에서 33가지 이야기

기능과 7가지 행위자 유형을 중심으로 의미화된 구조를 분석하 다

(Berger, 2000: 44∼48). 프롭은 기본적인 이야기 단위를 ‘기능(function)’

이라 불 는데, 이 기능은 줄거리 전개과정에서 그 의미를 규정받는 인

물의 행동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통합체 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3가지의 하위 범주 이야기에 의해서 7명의 등장인물 중심

의 이야기 연계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계열체 분석으로 활용이 가능하

다. 7가지 행위자 유형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표 40> 프롭의 7개 행위자 유형

프롭의 7개 행위자 유형

1 악한2 기부자 3 조력자 4 공주 그 아버지 5 파견자 6 웅 7 가짜 웅

웅과 다툰다웅에게 마술적 도구를 제공한다웅이 어려운 과업을 푸는 것을 돕는다추구해야 할 인물 어려운 과업을 부여한다웅을 임무에 파견한다무엇을 찾거나 악한과 싸운다웅이라고 주장하지만 가면이 벗겨진다

출처: Berger, A. A.(2000),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p.47.

268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2) 이데올로기와 신화

이데올로기의 역은 기호의 역과 일치하며, 따라서 기호의 출현

과 동시에 이데올로기 역시 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르뜨의 외

연과 내포에 관한 설명 역시 이데올로기의 작용에 대한 이해와 관련되

는데, 인간노동의 산물들이 자연적으로 나타나게 만들어진 방식들을 설

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Barthes, 1972).

바르뜨에 의하면 신화는 이데올로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역

사적 의도에 자연스러운 정당성을 부여하며, 어떤 것이 우연히 계속해

서 나타나게 만드는 임무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데올로기를 신

화로 번역하는데, 신화는 현존하는 권력관계를 역사적이고 우연적인 인

간행동의 결과가 아니라 자연의 결과인 것으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현

존하는 권력관계를 합법화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

다. 결국 신화란 이데올로기로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상황과 사물

에 대한 지배적인 믿음을 말한다.

소쉬르의 1단계 의미작용모델의 확장인 바르뜨의 2단계 의미작용모

델은 모든 문화적 현상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

의 주장의 핵심은 하나의 기호는 의미작용의 다른 수준에 참여할 수 있

으므로, 소쉬르의 의미작용과정은 확장되어야 하며 의미작용의 다른 수

준에서 하나의 새로운 기의는 기표가 된다는 것이다. 내포적 의미를

창출하는 의미작용의 2단계에서 그는 신화차원의 기표를 형식(form),

기의를 개념(concept), 기호를 의미작용이라 부른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2단계 의미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모든 기

호학은 3개의 상이한 항들이 지닌 기호학적 체계 즉 기표와 기의 그리고

이들의 결합인 기호를 다룬다. 신화 속에서도 기표, 기의, 기호라는 3차

원의 도식이 발견되는데, 신화는 신화이전에 존재하는 기호학적 연쇄에

서 출발해 세워진다는 특수한 체계이다. 이것은 제 2의 기호학 체계로,

1단계에서 개념과 이미지의 결합체인 기호는 2단계에서는 단순한 기표가

된다.4) 바르뜨는 언어차원의 의미작용 개념을 신화차원의 개념으로 확

대하여 그 기호가 작용하는 문화적 가치를 추가했다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69

<그림 1> 바르뜨의 2단계 의미작용

언어

신화

1. 기표 2. 기의

3. 기호 Ⅰ. 기표(form)

Ⅱ. 기의(concept)

Ⅲ. 기호(significance)

* 아라비아 숫자는 소쉬르의 기호 형성과정을 의미하며, 로마 숫자는 바르뜨의 기호 형성과정을 나타냄.

3) 이데올로기 및 신화 분석 텍스트로서의 극장용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한 세기가 채 안되었지만 빠르게 성장하 고,

월트 디즈니라는 걸출한 애니메이션 작가가 등장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은 명실상부한 세계 대중문화의 주류에 위치하게 되었다. 애니메이션

은 만화 중에서도 텔레비전이나 극장에서 상 하도록 만들어진 만화

화를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용 만화 화를 단편 애니메이션,

극장용 만화 화를 장편 애니메이션이라 칭한다(박철홍, 1996).

세계 애니메이션 시장의 규모는 게임과 캐릭터 산업을 포함하여 약

2,622억 달러(약 314조원)로(문화관광부, 1999), 그중 미국이 30%, 일본

이 65%, 우리나라가 약 1.8%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80년대 이후 극장

용 애니메이션 제작이 많아지고 있는데,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종주국

미국은 월트 디즈니사를 앞세워 전 세계 극장용 애니메이션 시장을 석

권하고 있다. 디즈니사가 89년 제작한 <인어공주>는 1억 달러 이상의

흥행성적을 올렸고, 91년 <미녀와 야수>는 1억 4천만 달러, 94년 제작

된 디즈니 최고의 흥행작 <라이온 킹>은 전 세계적으로 약 7억 4천만

달러의 수입을 거두었다(김응종, 1996). 특히 더넘버스닷컴(http://

4) 신화 형성과정을 정우성과 고소 이 등장했던 삼성카드 시리즈 광고로 예를 들

어 설명하면, ‘부부의 여가’가 소쉬르의 기표, ‘부부의 즐겁고 행복하고 우아한

여유’가 소쉬르의 기의라고 할 수 있다. 이 기표와 기의가 합쳐져서 다시 바르

뜨의 기표가 되고, 이때 기의는 ‘능력있는 남편과 미인 아내의 즐겁고 행복하며

우아한 생활의 여유’가 된다. 이러한 기의가 바로 신화적 차원으로, 마치 능력있

는 남성만이 미인 아내를 얻을 수 있으며 경제적 여유가 행복을 창조한다는 신

화가 되는 것이다.

270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www.the-numbers.com)의 화흥행 순위 자료에 의하면, 2002년까지의

역대 화 흥행 전 세계 순위에서 애니메이션으로는 유일하게 <라이언

킹>이 10위를 차지하며 20위권 안에 들었다. 또한 미국내 흥행순위에

서는 <라이언 킹>이 10위, <슈렉>이 18위로 나타나, 90년대 최고의 애

니메이션이 <라이언 킹>이었다면, 2000년대 최고의 애니메이션은 <슈

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한 화사에서 제작된 화들이 연이어 성공하는 경우는 미

국 내에서도 드문 일로, 최근 들어 애니메이션 화가 현대인들에게 중

요한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는 반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의

진정한 저력은 수익금뿐만 아니라 캐릭터와 이데올로기의 파생효과에

있다. 특히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인종과 국경을 넘어 전 세계인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이유는, 자국시장만을 겨냥하지 않는 철저한 전략 때

문이다. 즉 미국의 특수하고 편협한 내용을 탈피하여 누구나 이해하고

공감하는 명작동화나 전설을 다루고 있고, 철저하게 건전하고 보수적이

며 보편적인 가치관인 권선징악, 해피엔딩을 담음으로써 타문화권 관람

자에게도 거부감을 주지 않는다.

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Christian Science Monitor, 1991)는 미국

의 미디어 상품이 각국의 문화전반에 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다.

크로토와 호인스(Croteau & Hoynes, 2000) 역시 자본집약적인 미디어

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 화는, 미국의 지배가 월등하여 미국의 제작자

들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서구의 미디어

및 미디어 상품을 유입함으로써 개발도상국의 전통적 가치가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적인 향력을 가

지면서도 별다른 여과 없이 상 되고 있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데올로기 분석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특히 디즈니에서 최

고의 실력을 인정받았던 제프리 카젠버그가 드림웍스로 자리를 옮겨,

등장인물과 줄거리에서 기존의 전형성을 타파하여 디즈니와는 차별화

했다는(http://www.chosun.com) 애니메이션 <슈렉>에 대한 분석은,

기존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이데올로기를 추정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

이라 사료된다.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71

3. 연구방법

1) 연구문제

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슈렉>의 의

미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 다.

<연구문제 1> <슈렉>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 역할 및 이미

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슈렉>에서 나타나는 이데올로기 및 신화는 어떠

한가?

2) 분석방법

분석방법으로는 <슈렉>에 나타난 인물들의 성격 및 역할과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호학적 접근방법인 통합체 분석과 계열체 분석을

하 다. 기호학적 분석방법은 미디어의 내용을 분석하는데 양적연구에

서 발견하기 힘든 텍스트 전체의 심층적 의미를 규명하고, 미디어 내용

의 잠재적인 이데올로기 및 신화를 파악하는데 매우 적절하다. 이 연

구에서는 계열체 분석에서는 프롭의 7가지 행위자 분석을 통해 인물들

의 기능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텍스트에 나타난 함축의미 즉 이

데올로기 및 신화를 밝혀내기 위해 바르뜨의 신화분석을 채택하 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표 2>와 같다.

<표 2> 분석방법

분석유형 분석틀 분석대상

연구문제 1 계열체 분석

(Propp의 행위자 분석) 등장인물

통합체 분석 줄거리

연구문제 2 신화분석 이데올로기

272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4. 연구결과

1) 기호학적 분석

가. 계열체 분석

화 <슈렉>에는 ‘슈렉’, ‘파콰드’, ‘피오나’, ‘덩키’가 주요 등장인물이

라고 할 수 있으며, 그밖에 ‘익룡’, ‘거울’ 및 기존의 만화 주인공들과 군

사들 및 군중들이 나온다. 주요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슈렉

은 성밖 늪지대에서 외롭게 사는 괴물로 여리면서도 강한 다중성격의

소유자라고 할 수 있고, 파콰드는 성의 주이자 독재자이며 왕이 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피오나와 결혼하려는 잔인하고 비열

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피오나는 약간의 공주병을 가지고 있고 여리면

서도 동시에 강한 면모를 보여주며, 덩키는 수다스럽고 방정맞으며 넉

살이 좋다. 등장인물의 성격분석은 <표 3>과 같다.

<표 3> 등장인물의 성격 분석

이름 성별 신분 등장인물 사이의 관계 등장인물의 성격

슈렉 남 괴물 -피오나를 좋아함-피오나와 사랑에 빠짐

-성밖 늪에 사는 못생긴 괴물-혼자만의 시간을 즐기며 여리면서도 강인한 면이 있음

파콰드 남 주-피오나에게 한눈에 반함

-피오나에게 청혼

-숏다리 콤플렉스의 소유자-성의 독재자 -잔인하고 비열함

피오나 여 공주-슈렉을 좋아함

-슈렉과 사랑에 빠짐

-얌전한 듯하나 활달하고 거침 없

는 성격-한편으로는 수동적으로 운명을 받아들임

덩키 남 당나귀 -슈렉의 친구

-수다스럽고 방정맞음-슈렉을 귀찮게 하나 슈렉과 피오

나의 사랑을 이어줌

-슈렉을 돕기 위해 용을 꼬심

용 여 - -덩키를 좋아하게 됨-단순, 코믹, 순진

-덩키의 꼬임에 금방 넘어감

거울 남 - -파콰드에게 피오나를 소개-단순, 코믹, 아부-목숨부지를 위해 파콰드에게 거짓

말을 함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73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등장인물들의 역할과 이미지를 분석해보

면, 슈렉은 거구의 괴물이나 무섭거나 잔인하기보다는 코믹하면서도 온

화하며 여리고 강한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피부색이 중성색인 초록색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피오나의 옷 색깔과

동일한 색이다. 파콰드는 검은머리의 백인으로 고집스럽고 비열하게

묘사되고 있으며, 피오나 역시 백인이나 빨강머리와 주근깨는 자아가

강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덩키는 말많고 천방지축이나 피

오나를 가두고 있는 용을 꼬셔서 피오나를 구하기 위해 용의 성에 들어

온 슈렉을 위기로부터 구한다.

또한 등장인물들을 프롭의 7명의 행위자로 구분해보면, <슈렉>에서

는 웅에게 마술적 도구를 제공하는 기부자만 빠져있을 뿐, 나머지 유

형은 모두 잘 나타나고 있다. 프롭은 ‘악한’을 주인공과 싸움을 하는

대상으로 규정짓고 하위범주로 정탐, 속임, 피해, 싸움, 패배가 있다고

하 는데, <슈렉>에서 파콰드는 전형적인 악한으로 등장한다. 파콰드

는 동화 속 주인공들을 내쫓아 슈렉에게 피해를 입히며, 담판을 지으러

온 슈렉과의 다툼에서 패하자 그를 속이고 공주구출의 임무를 부여한

다. 또한 슈렉이 해결해야 할 문제의 원인 제공자로 슈렉이 웅으로

변모하는 것에 기능하고 있다. 웅에게 임무를 부여한다는 점과 군중

들을 선동하여 웅을 누르고 왕이 되려 한다는 점에서, ‘파견자’와 ‘가

짜 웅’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조력자’의 역할로는 덩키가 등장하는데, 웅을 도와 힘든 과업을 달

성하게 하고 웅을 구조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슈렉을 도와 공주

구출에 성공하고 슈렉과 피오나의 오해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며, 가짜

웅이자 악한인 파콰드와 슈렉이 대결하도록 함으로써 파콰드와 피오

나의 결혼을 막는다. 피오나는 ‘공주’로 자신의 부재 즉 결핍의 기능을

통해 주인공이 그 사회에서 자리를 획득하게 한다. 피오나 때문에 슈

렉은 ‘ 웅’으로서 악한인 파콰드와 대결하며, 공주인 피오나를 구출하

고 결말에는 결혼한다.

274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결국, 슈렉은 전형적인 웅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멋진 모습으로의

변신이 부재한다는 점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에서의

야수와는 차별화된 ‘변형된 야수’의 모습으로 분석된다. 또한 피오나는

여성스러우면서도 당찬 말괄량이로, 마술에 걸린 모습이 미녀이고 원래

의 모습이 추녀라는 점에서 애니메이션의 전형성에서는 일탈된 모습이

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운명을 받아들이고 선택받아야 하는 수동적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변형된 미녀’라고 할 수 있다.

<표 4> 등장인물들의 역할과 이미지 분석

이름 등장인물의 외모 등장인물의 역할프롭의 행위자 분석에 의한 등장인물 이미지

슈렉

-못생긴 거구의 괴물이지만 선한 얼굴-초록색 몸-대머리

-동화 속 주인공들을 대표하여 주에 대항-피오나 구출-피오나와 결혼

-변형된 ‘야수’ ( 웅)

파콰드-난장이-검은 단발머리-흰피부, 진한 눈썹

-왕이 될 목적으로 피오나와 결혼하려함-결혼실패 -익룡에게 잡아먹힘

-전형적인 악역 (악한, 파견자, 가짜 웅)

피오나

-빨강머리-초록색 드레스-날씬한 미녀/뚱뚱한 추녀-흰피부, 주근깨

-말괄량이 공주-마술에 걸림-슈렉과 결혼

-변형된 ‘미녀’ (공주)

덩키 -갈색 당나귀

-떠벌이 -슈렉을 도와 피오나 구출 -슈렉과 피오나의 로맨스에 기여

-전형적인 조연 (조력자)

용 -분홍색-마지막에 덩키와 함께 슈렉을 도움

-전형적인 조연 (변형된 조력자)

거울 -회색 -파콰드에게 피오나 소개 -

* ( )의 내용은 프롭의 체계에서 7개의 배역중 해당부분임.

나. 통합체 분석

줄거리를 통해서 볼 때, 파콰드와 담판을 지으러 떠나겠다는 슈렉에

게 동화 속 주인공들은 빨간 가운을 걸쳐줌으로써 평범한 괴물 슈렉을

주인공 즉 웅으로 인정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슈렉은 단순하고 무

식해 보이지만 동화속 주인공들의 억울함을 대변하는 의리 있는 모습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75

으로 그려지며, 듀락 성에서 파콰드의 부하들과 싸워 승리하고, 불을 뿜

는 용의 성에 피오나 구출의 임무를 부여받고 거침없이 떠나는 점에서

용감함을 지닌 인물로 묘사된다. 피오나를 구출할 때 낭만적인 키스를

하지 않고 “나부터 살고 봐야지”라는 대사가 평범한 웅이 아님을 암

시하지만, 끝내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피오나와 덩키를 구출하는 모

습은 전형적인 웅의 이미지이다.

파콰드 역시 전형적인 악인으로 그려지고 있다. 숏다리에 왜소한 외

모에다가 왕이 되기 위해 피오나와의 정략결혼을 감행하려 함으로써, 자

신의 욕망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비열한 인간으로 묘

사되고 있다. 또한 외모만으로 여성을 평가하여 결혼상대자를 일방적으

로 결정하고 피오나를 선택하 으나, 피오나가 마법에 풀려 추녀로 변하

자 그녀를 혐오하며 왕위만을 빼앗고자 하다가 용에게 잡아먹힌다. 파

콰드는 나쁜 일을 하다가 결국에는 응징을 받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반면, 피오나는 멋지고 용감한 왕자가 나타나 자신을 구하고 사랑의

키스로 마법을 풀어줄 것을 기대하는 수동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답습

하고 있다. 듀락 성으로 가는 길에 로빈 훗을 만나 이단 옆차기와 돌려

차기로 용감하게 무찌르지만 이는 줄거리상의 묘미일 뿐, 결정적인 순

간에는 수동적인 여성이 되어버린다. 해가 지면 추녀로 변하는 자신을

두고 “이렇게 못생긴 괴물을 누가 좋아하겠어?”라며 한탄하고, 마법이

풀린 후에 “왜 아름답게 변하지 않죠?”라고 되물으며 못생긴 자신을 인

정하기보다는 못생긴 자신을 아름답다고 말해주는 슈렉에게 의지하는

가련한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다.

결국, 기존의 디즈니류의 인물 범주에서 주인공들의 성격상 부분적

인 일탈성을 보여주지만 용감한 남성과 수동적인 여성의 결혼이야기라

는 기본적인 골격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슈

렉>의 줄거리를 도입, 전개, 절정, 대단원의 4단계로 살펴보면 <표 5>

와 같다.

276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표 5> 줄거리 구조 분석

구분 줄 거 리

도입

성 밖 늪지대에 사는 엄청나게 못생기고 큰 괴물 슈렉은, 지저분한 진흙으로 샤워를 즐기고 동화책은 화장실에서 휴지 삼아 쓰며 혼자만의 시간을 즐긴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만의 고요한 안식처에 쉴새없이 떠들어대며 귀찮게 하는 천방지축 당나귀 덩키가 우연히 찾아온다. 덩키를 따돌리려 하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는데 설상가상으로 백설공주, 신데렐라, 빗자루를 탄 마녀, 피리부는 아저씨, 피터팬, 피노키오 등 동화 속의 주인공들이 모두 슈렉의 집 앞으로 쳐들어온다. 알고 보니 키가 1m도 안되는 숏다리 주 파콰드가 동화 속의 주인공들을 다 쫓아낸 것이었다. 결국 슈렉은 파콰드 주와 담판을 짓기 위해 파콰드가 살고 있는 듀락 성으로 떠나고 성에서 그의 부하들과 결투를 벌인다. 그러나 왕이 되기 위해 공주와 결혼하려는 음모를 꾸미던 파콰드는 공주구출의 임무를 완수하면 동화속 주인공들을 성 안에서 살게 해주겠다고 약속하면서 공주구출의 임무를 부여한다. 슈렉은 파콰드 주 대신 불 뿜는 익룡의 성에 갇힌 피오나 공주를 구하러 떠난다.

전개

피오나 공주를 구하기 위해 무시무시한 성에 도착한 슈렉과 덩키는 생각보다 깊은 용암골짜기, 성의 위압감, 센 불을 뿜어내는 용 때문에 겁에 질린다. 하지만 슈렉의 재치와 덩키의 미남계로 용을 따돌리고 피오나 공주를 찾아낸다. 멋진 왕자님이 자신을 구해줄 것을 기다리던 피오나는 슈렉을 보고 실망하지만 슈렉 일행과 함께 성을 탈출하기로 한다. 슈렉과 덩키는 우여곡절 끝에 피오나와 함께 성밖으로 무사히 나오는데 성공한다.

절정

피오나 공주를 주에게 인도하기 위해 성으로 향하는 슈렉 일행은 피오나를 슈렉에게서 빼앗으려는 로빈 훗 등 다른 동화 속 주인공들을 만나지만 피오나의 공중제비와 무술로 이들을 물리친다. 이런 과정에서 슈렉과 피오나는 사랑을 느끼게 되고 서로에게 사랑을 고백하려 하지만, 마법에 걸려 해가 지면 뚱뚱한 추녀로 변하는 피오나와 외모에 자신이 없는 슈렉은 서로를 오해하게 되면서 결국 슈렉은 피오나를 파콰드에게 넘긴다.

대단원

원한 사랑의 키스로 자신의 마법을 풀고자 하는 피오나는 파콰드와의 결혼을 결심하고 해가 지기 전에 결혼식을 감행하려고 한다. 한편 뒤늦게 피오나에게 사랑을 고백하러 온 슈렉과 덩키는 결혼식장으로 달려오고, 해가 지자 피오나는 많은 하객들이 있는 앞에서 추녀로 변해 정체가 드러나고 만다.순간 파콰드는 못생긴 피오나를 혐오하며 왕위만을 빼앗으려다 덩키가 데려온 익룡에게 잡아먹히고, 슈렉은 사랑의 키스로 피오나의 마법을 풀어주려 한다. 그러나 키스 후에도 피오나가 미녀로 변하지 않자 추녀의 모습이 원래 피오나의 모습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추녀의 모습이 자신의 원래 모습이었고 미녀의 모습이 마법에 걸린 모습이었다는 것을 깨달은 피오나는 실망하지만, 피오나를 여전히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슈렉은 그녀와 결혼한다.

2) 이데올로기 및 신화 분석

가. 디즈니 신화

<슈렉>은 어릴 적 읽었던 혹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의 동화 이야

기들을 패러디하여 비꼬고 있다. 동화속 주인공들이 수도 없이 등장하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77

지만 그들은 전부 주변적인 웃음거리의 소재밖에는 되지 않는다. 첫

장면에서 슈렉이 화장실에서 동화책을 찢어 휴지로 사용할 때, 이미

<슈렉>은 우리가 알고 있는 동화와의 결별을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

동화에서 흔히 나오는 악한으로서의 마녀는 난장이 아저씨로 바뀌었

고, 피오나 공주는 쿵푸를 해대는 왈가닥 푼수이며, 피오나를 성에 가두

고 지키고 있는 용은 덩키의 꼬임에 한순간에 무너지는 사랑을 갈망하

는 여성이 되고 만다. 공주는 예뻐야 하고 왕자는 멋있어야 하는 것이

고정관념으로 되어있는 관객에게, 마법에 걸리지 않아도 괴물의 모습인

슈렉과 마법에 걸려있을 때만 미인인 피오나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길들여진 관객들이 무의식중 기대했던 결말과는 틀림없이 빗나갔다고

할 수 있다.5)

그러나 슈렉은 못생긴 거구이지만 <미녀와 야수>의 야수와는 달리

더 친근하고 온화한 표정이다. 더군다나 말과 행동 역시 친근하고 귀

여우며 인간적이다. 또한 마법에 걸린 피오나는 날씬한 팔등신 미녀로

이는 파콰드의 “완벽해”라는 한마디로 인정된다. 마법에서 풀려 못생

긴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을 때에도 흉물스럽기보다 착하고 순박한 이

미지이다. 파콰드는 슈렉과는 달리 인간의 모습이지만 외모가 슈렉보

다 더 왜소하고 불균형적으로 묘사되고 있고, 성격 역시 괴팍하면서도

잔인하게 표현되어 기존의 디즈니 화에서의 전형적인 악인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덩키와 용, 거울 역시 기존의 디즈니 애니

메이션에서 보여졌던 수다스럽고 천방지축이며 주인공을 도와주는 전

형적인 조연의 역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슈렉>은 < 래디에이터>, <매트릭스>, <와호장룡>, <미녀 삼

총사> 등의 많은 화들의 장면을 패러디하여 성인취향을 가미했지만,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신화를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친근하고 인간적인 야수와 마법에 걸려 미인이었지만 착하고 못생긴

5) 디즈니 최고의 흥행작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언킹>, <미녀와 야수>, <인어공주>

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주는 계열체는 선과 악이라

는 이항대립이며, 신화는 예쁘고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못생기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을 답습하고 있다.

278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공주 이야기로 변형되었을 뿐, ‘권선징악’과 ‘해피엔딩’의 디즈니 신화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나. 왕자(남성)와 공주(여성) 신화

또한 <슈렉>은 왕자(남성)와 공주(여성)의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슈렉은 전형적인 왕자로 우직하며 씩씩하고 의리있으며 어렵고 힘든 일

을 거부하지 않는다. 이는 자신에게 닥친 어려운 일을 적극적으로 해결

하고 끊임없이 귀찮게 구는 덩키마저도 친구로 대한다. 즉, 슈렉은 괴

물의 모습이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웅적 행동으로 인정받는다.6)

한편, 피오나는 마법에 걸려 용의 성에 갇힌 공주라는 신분을 통해

누군가에게 ‘구출되어야만 하는’ 나약한 존재로 그려진다. 슈렉에게 구

출되는 위기의 순간까지도 그녀는 “날 구해줄 용감한 기사를 기다리고

있었어요”, “우리의 첫 만남인데 뭔가 멋있고 낭만적이고 그래야 되는

것 아니예요?”, “이 순간을 최대한 즐겨야 되요. 최소한 달콤한 시라도

읊어 줘야죠”라며 투정을 부린다. 낭만적인 키스를 꿈꾸며 왕자 즉, 남

성들이 그녀를 구하러 왔다가 용이 내뿜는 불에 죽임을 당했다는 것으

로 용기 있는 남성만이 그녀를 구할 수 있으며, 진실한 사랑의 첫 키스

가 마법에서 풀리게 할 수 있는 열쇠라는 점에서 남성에게 진실한 사랑

을 받아야 하고 키스를 받아야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이런

점에서 여성에 대한 보편적인 신화를 실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7)

6) 남성과 관련한 보편적인 신화는 남성은 여성보다 강해야 하고, 용감하고 의리

있으며, 여성을 리드하면서 보살펴줄 수 있을 만큼의 재력을 겸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황태자의 첫사랑’, ‘파리의 연인’ 등 각종

드라마와 광고에서 재생산되고 있다.

7) 즉, 여성은 조신하고 순결해야하며, 남성에게 순종하고 육아와 가사노동에 적합

한 존재라는 것이다. 시집 잘 가서 아이를 잘 기르고 내조를 성심껏 하는 전통

적인 여성, 생활을 전적으로 남성에게 의존하는 수동적인 여성, 생산의 주체가

아닌 소비지향적 가치를 추구하는 여성, 남성의 성적 대상으로 존재하는 여성이

곧 아름다운 여성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이데올로기 및 신화

는 위협하는 여성(악녀, 마녀, 마귀할멈, 악한 계모 등), 존경받는 여성(자기 희생

적인 성모마리아나 순결한 처녀), 성적대상물(남성을 유혹하는 여성, 매춘부, 젊

고 매력적인 여성), 대지의 어머니(비옥함, 양육, 자연적인 것), 쓸모 없는 인간

(중성적 여성, 독신여성, 자아가 강하거나 공격적인 여성)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79

또한 마법에서 풀렸어도 미인의 모습이 아닌 못생긴 모습을 한 자신

을 의아하게 여기다가 “당신은 여전히 아름다워요”라는 슈렉의 말에서

야 비로소 용기를 얻는 모습은 남성에게 미(美)를 인정받아야 하는, 즉

미의 인정은 남성의 몫이고 그것을 여과없이 받아들이는 사람은 여성

인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피오나가 성에서 구출된 이후 로빈 훗

등을 무술로 물리치는 장면과는 상당한 대조를 이루는데, 결국 전반적

으로 나약하고 수동적인 피오나가 중간 중간에 능동적이고 엽기적인

모습으로 그려진 것은 줄거리 상의 잔재미를 위한 것이었을 뿐 피오나

의 본래 모습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왕자와 공주 신화는 슈렉과 피오나와의 관계뿐만이 아니라 덩키

와 용의 관계에서도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천방지축 덩키는 피오나를

구하기 위해 슈렉과 함께 간 마법의 성에서 용을 꼬시게 되고, 덩키의

적극적인 애정공세에 넘어간 용은 본분도 잊은 채 결국 덩키와 함께 슈

렉을 돕게 된다. 남성으로 표현된 덩키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용에게

거짓 애정공세를 펴게 되고, 이에 넘어간 여성으로 표현된 용은 덩치와

는 어울리지 않게 덩키에게 애교를 부리며 덩키의 말에 순종한다.

결국 <슈렉>은 남성은 용기 있고 씩씩하며 정의로우며 적극적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며, 여성은 누군가를 기다리고 구출되거나 도움

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남성은 사랑에서 능동적이

고 적극적이며 청혼을 해야하는 존재로, 여성은 청혼을 받아야 하며 진

실한 사랑의 키스를 받아야 비로소 마법에서 풀린다는 수동적이고 소

극적인 여성의 신화를 실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결론 및 함의

<슈렉>은 기술적으로 진보된 3D 애니메이션임에는 틀림없다. 어린

이들을 겨냥하지 않고 청소년과 성인관객을 타겟으로 잡은 것은 분명

디즈니 애니메이션과는 차별된다. 또한 동화 이야기가 디즈니에 의해

지로 나타난다(백선기, 1995).

280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서 재포장 및 재생산되어졌고, 그것이 우리 의식에 공주는 아름다워야

하고 왕자는 공주를 구출해야만 한다는 일종의 고정관념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깨닫게 한 점은 실소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슈렉>은

그야말로 진부한 동화 이야기를 벗어나지는 못했으며, 표현양식에서는

디즈니와 별다를 게 없었고, 소재에서도 헐리웃 애니메이션의 울타리

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슈렉>의 등장인물들을 프롭의 7가지 행위자로 구분해보면, 슈렉은

전형적인 ‘ 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멋진 모습으로의 변신이

부재한다는 점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에서의 ‘변형된

야수’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피오나는 ‘공주’로서 여성스러우면서도

마법에 걸린 모습이 미녀이고 원래의 모습이 추녀라는 점에서 애니메

이션의 전형성에서는 일탈된 모습이지만, 운명을 받아들이고 선택받아

야 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변형된 미녀’라고 할 수 있다.

파콰드는 전형적인 ‘악한’으로, 웅에게 임무를 부여한다는 점과 군중

들을 선동하여 웅을 누르고 왕이 되려 한다는 점에서 ‘파견자’와 ‘가

짜 웅’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덩키는 ‘조력자’로, 웅을 도와 힘든

과업을 달성하게 하고 웅을 돕는다. <슈렉>에서는 웅에게 마술적

도구를 제공하는 기부자만 빠져있을 뿐, 프롭의 행위자 유형이 모두

잘 나타나고 있다.

슈렉은 못생긴 거구이지만 <미녀와 야수>의 야수와는 달리 더 친근

하고 말과 행동 역시 귀여우며 인간적이다. 또한 피오나는 날씬한 팔

등신 미녀로, 마법에서 풀려 못생긴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을 때에도 흉

물스럽기보다 착하고 순박한 이미지이다. 파콰드는 슈렉과는 달리 인

간의 모습이지만 슈렉보다 더 왜소하고 불균형적으로 묘사되며, 성격

역시 괴팍하면서도 잔인하게 표현되어 전형적인 악인의 모습을 보여주

고 있다. 결국, <슈렉>은 친근하고 인간적인 야수와 마법에 걸려 미인

이었지만 착하고 못생긴 공주 이야기로 변형되었을 뿐, ‘권선징악’과

‘해피엔딩’의 디즈니 신화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기존의 디즈니류의 남녀 주인공의 범주에서 주인공들의 성격상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81

부분적인 일탈성을 보여주고, 선남선녀의 해피엔딩이 아닌 추남추녀의

해피엔딩이긴 하지만, 용감한 남성과 수동적인 여성의 결혼이야기라는

기본적인 골격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결혼이라는 이데올

로기는 철저히 남성에 의해 지배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파콰드는 거울

을 통하여 신부감을 물색하고 공주라는 신분에 외모까지 겸비한 피오

나를 신부감으로 낙점하게 된다. 피오나는 남성에게 청혼을 받기 위해

기다리고 인내하고, 파콰드가 볼품 없고 포악한 성격이지만 자신을 사

랑하고 있다는 믿음 하에 일순간 결혼을 승낙하고 복종하며, 마법에서

풀려나기 위해 결혼하는 것도 사랑에 의해서 결혼하는 것이라는 낭만

적 사랑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계는 덩키

와 용의 관계에서도 드러나는데, 덩키는 피오나를 구하기 위해 슈렉과

함께 간 마법의 성에서 용을 꼬시게 되고, 덩키의 적극적인 애정공세에

넘어간 용은 덩키에게 애교를 부리며 덩키의 말에 순종한다.

특히, 여성의 외모와 관련해서 <슈렉>은 기존의 미의 신화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피오나는

슈렉이나 파콰드를 외모로 평가하지는 않는다. 즉 피오나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을 사랑하느냐 하지 않느냐 하는 것이다. 진실한 사랑의 힘

으로 마법을 풀고자 한 피오나에게는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자신의 외모

가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이다. 반면, 슈렉은 마법의 성에서 피오나를 구

출하면서 사랑의 감정을 느끼며, 파콰드 역시 첫눈에 피오나에게 반하

게 된다. 남성에게는 여성이 자신을 사랑하느냐는 별로 중요하지 않게

묘사되며, 단지 내가 사랑할 대상으로서의 여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

러한 맥락에서 마법이 풀려 못생긴 원래의 모습을 찾은 피오나에게 슈

렉이 “그래도 당신은 아름다워요”라고 한 말은 슈렉을 인자하고 너그

러우며 썩 괜찮은 인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즉 여성이 남성의 외모

를 따지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남성이 여성의 미를 포기하는 것

은 진실한 사랑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디

즈니 신화를 벗어난 추남추녀의 해피엔딩은 하나의 에피소드로 전락해

버리고 만다.

282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결국, <슈렉>은 남성은 용기 있고 씩씩하며 정의로우며 적극적이라

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줌으로써,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남성의 신화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 여성은 누군가를 기다리고 청혼을 받아야 하며

진실한 사랑의 키스로 마법에서 풀린다는 소극적인 여성의 신화를 실

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슈렉>은 우리가 알고 있는 디즈니류의 애

니메이션과 확실하게 다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디즈니 신화와 왕자와 공주 신화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슈렉>이라는 한 편의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을 분석한 것

으로, 디즈니 애니메이션 전체와의 비교는 다소 무리일 수 있고 원문

시나리오를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애니메이션과의 차별화를 표방하 고 흥행면에서도 성공적이라

평가되는 <슈렉>의 등장인물의 성격 및 역할과 이미지 그리고 줄거리

에서 우리 사회에 유포되어 있는 이데올로기 및 신화를 얼마나 실천하

는지에 중점을 두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참고문헌 ▣

김응종(1996),「문화상품으로서 만화 캐릭터에 관한 연구」, 홍익대 산

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화관광부(1999),『99 통계로 보는 문화산업』.

박철홍(1996),「대중예술로서 만화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 부산

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선기(1995),「텔레비전과 페미니즘: TV코미디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

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겨울호.

서 호(1994),「TV 드라마의 기호학적 분석: MBC TV드라마 <명태>의

사례연구」,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선경(2002),「TV 시트콤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커

뮤니케이션 연구」, 17, 119∼154.

화진흥위원회, (주)아이엠픽쳐스(2001), 국적별 관객점유율, 배급사별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83

시장점유율,『흥행베스트 10 보고서』. http://www.kofic.or.kr/index. asp

윤정주(2000),「시트콤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와 그 신화의 의미구조:

SBS TV 순풍산부인과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성균관대 언론정보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 아(1992),「TV 드라마의 기호학적 연구: MBC 특집드라마 <에미>

의 사례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최관호(1999),「 화상품의 흥행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관객의 구매의

사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Allen, R. C.(1987), Channels of Discourse. 김훈순 역(1992),『텔레비

전과 현대비평』, 서울: 나남출판사.

Barthes, R.(1972), Mythologies, London: Paladin.

Berger, A. A.(2000),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류춘열, 김대호,

김은미 역(2001),『커뮤니케이션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커뮤

니케이션북스.

Christian Science Monitor(1991), “Cultural dispatches from around

the globe, Nashua, NH Telegraph”, July(8).

Croteau, D., & Hoynes, W.(2000), Media Society: Industries, images

and audiences. 전석호 역(2001),『미디어 소사이어티: 산업, 이미지,

수용자』, 서울: 나남출판사.

Dyer, G.(1989), Advertising as Communication, New York: Routledge.

Fiske, J.(1990),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London:

Routledge.

Saussure, F. D.(1974),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London: Fontana,

Collins.

조선닷컴 http://www.chosun.com/svc/news/www/viewArticle.html?id= 200105170203

씨네마 21 http://www.cine21.co.kr/kisa/sec-001200200/2001/04/010425141842004.html

더넘버스닷컴 http://www.the-numbers.com/movies/records/index.html

엔키노닷컴 http://www.nkino.com/NewsnFeatures/article.asp?id= 13427

284 제4회『사회연구 학술상』수상논문

- 초록 -

* 주제어: 기호학, 계열체와 통합체, 이데올로기와 신화, 애니메이션, 슈렉

이 연구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관객층이 성

인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막강한 헐리웃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최근 개봉한 애니메이션 중 최고의 흥행성적을 거둔 <슈렉>을 기호학적

으로 분석하 다. 계열체와 통합체 분석결과, 슈렉은 전형적인 웅의 역

할을 수행하지만 멋진 모습으로의 변신이 부재하는 ‘변형된 야수’, 피오나

는 마술에 걸린 모습이 미녀이고 원래의 모습이 추녀라는 점에서 애니메

이션의 전형성에서는 일탈되었으나 결정적인 순간에 운명을 받아들이고

선택받아야 하는 ‘변형된 미녀’임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애니메이션 인

물 범주에서 주인공들이 부분적인 일탈성을 보여주지만 용감한 남성과

수동적인 여성의 결혼이야기라는 기본적인 골격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데올로기 및 신화분석 결과, 친근하고 인간적인 야수와 마법에

걸려 미인이었지만 착하고 못생긴 공주 이야기로 변형되었을 뿐, ‘권선징

악’과 ‘해피엔딩’의 디즈니 신화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은

사랑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며 청혼을 해야하는 존재로, 여성은 청혼을

받아야 하며 진실한 사랑의 키스를 받아야 비로소 마법에서 풀린다는 수

동적이고 소극적인 여성의 신화를 실천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 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285

- Abstract -

Semiotical Analysis of Animation Movie ‘Shrek’: Characters' Images and Ideologies

Ahn, Joo Ah8)

This study presents a qualitative finding to explain ideology or

myth of characters and the story of the animation “Shrek” based on

semiotic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analysis shows that Shrek is a ‘modified

beast’, acting the role of hero without changing into a prince or ‘nice

guy’, and that Fiona is a ‘modified beauty’, varying from the

stereotype of animation films because she is a beautiful princess when

under a spell, while her real appearance is ugly. Despite these

variances, however, the basic framework of the story ultimately

follows the pattern of a typical fairy-tale -- the marriage of a brave

and active man and a passive woman.

This leads to the second finding, which shows that as a result of

ideology and myth analysis, we find that except for a few

transformations, Shrek follows in the Disney myth of ‘happily ever

after’ and ‘good overcomes evil’ plot. Also, the hero must enact the

part of ‘brave knight’ and actively seek out the hand of the princess,

while the princess must passively wait to receive ‘the kiss of true love’

and a proposal of marriage in order to escape from magic of

imprecations.

* Key Words: semiotics, syntagma & paradigma, ideology & myth,

Shrek, animation

Ahn, Joo Ah Full-time Instructor, Dept. of Mass Media & Advertising,

Dongsh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