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T T A S t a n d a r 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 제정일: 2014년 10월 13일 LTE 기반 철도 통신 기능 요구 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for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A Functional Requirements for LTE S based Railway … LTE 기반 철도 통신 기능 요구 ...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 Numbering Plan Requirements

  • Upload
    ngoque

  • View
    218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T T

A S

t a n

d a

r 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 제정일: 2014년 10월 13일

LTE 기반 철도 통신 기능 요구 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for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 제정일: 2014년 10월 13일

LTE 기반 철도 통신 기능 요구 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for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본 문서에 대한 저작권은 TTA에 있으며, TTA와 사전 협의 없이 이 문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업적 목적으로 복제 또는 배포해서는 안 됩니다.

Copyrightⓒ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4. All Rights Reserve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i

서 문

1. 표준의 목적

본 표준의 목적은 철도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개할 서비스를 소개하고, 이 서비스

들을 지원하는 데 요구되는 철도 통신 시스템의 기능 요구 사항과 성능 요구 사항을 정

의하는 데 있다.

2. 주요 내용 요약

주요 내용으로는 철도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전개될 서비스(음성, 데이터, 영상,

통화 관련, 그리고 철도특화서비스)를 소개하고, 이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

요로 하는 철도 통신 시스템의 기능 요구 사항과 성능 요구 사항을 기술한다.

3.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본 표준은 국내 철도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철도 통신망 구축의 기초가 되고 철도 통

신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철도 산업의 IT 기술

연계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4. 참조 표준(권고)

4.1. 국외 표준(권고)

- 3GPP TS 36.30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Release 10)’, 2011.09.

- 3GPP TS 36.101, ‘User Equipment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3GPP TS 36.104, ‘Base Station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3GPP TS 22.468,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for LTE (GCSE_LTE)’

- 3GPP TR 22.803, ‘Feasibility study for Proximity Services (ProSe)’

- UIC Spec. ‘UIC Project EIRENE Functional Requirements Specification, UIC’,

2010.

- UIC Spec, ‘FFFS for Location Dependent Addressing, UIC’, 2007.

- UIC Spec, ‘FFFS for Functional Addressing, UIC’, 2007.

- UIC Spec, ‘Railwa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UIC’, 2010.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ii

4.2. 국내 표준

- TTA, TTAT.3G-36.101(R10-10.6.0), ‘3GPP – E-UTRA; 단말 무선 전송과 수신

(R10)’, 2012.09.

- TTA, TTAT.3G-36.104(R10-10.6.0), ‘3GPP – E-UTRA; 기지국 무선 전송과 수신

(R10)’, 2012.09.

- TTA, TTAT.3G-36.300(R10-10.7.0), ‘3GPP – E-UTRA와 E-UTRAN; 전체적 서술

(단계 2) (R10)’, 2012.09.

5. 참조 표준(권고)과의 비교

5.1. 참조 표준(권고)과의 관련성

본 문서는 참조 표준들을 바탕으로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기능 요구 사항을 분석

하였다.

5.2. 참조한 표준(권고)과 본 표준의 비교표

본 문서는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기능 요구 사항과 성능 요구 사항 요구 사항을

분석한 표준으로서 참조 표준과 일대일 대응되는 것이 아니므로 비교가 불필요하다.

6. 지식 재산권 관련 사항

본 표준의 ‘지식 재산권 확약서’ 제출 현황은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표준을 이용하는 자는 이용함에 있어 지식 재산권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 후 이용한다.

※본 표준과 관련하여 접수된 확약서 이외에도 지식 재산권이 존재할 수 있다.

7. 시험 인증 관련 사항

7.1. 시험 인증 대상 여부

- 해당 사항 없음.

7.2. 시험 표준 제정 현황

- 해당 사항 없음.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iii

8. 표준의 이력 정보

8.1. 표준의 이력

판수 제정․개정일 제정․개정 내역

제 1 판 2014.10.13제정

TTAK.KO-06.0369

8.2. 주요 개정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iv

Preface

1. Purpose of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andard is to introduce the services using the future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se services, the standard defin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of the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2. Summary of Contents

The main contents of this document describe some services such as the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various railway specific

services which will be supported by future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The

contents of document also describ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of future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which will be applicable for

next generation railway services.

3. Applicable Fields of Industry and its Effect

This document will be used to reference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It also contributes to the advance

of railway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new railway application services.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ailway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overall whole railway infrastructure.

4.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4.1. International Standards(Recommendations)

- 3GPP TS 36.30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Release 10)”, 2011.09.

- 3GPP TS 36.101, “User Equipment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3GPP TS 36.104, “Base Station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3GPP TS 22.468,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for LTE (GCSE_LTE)”

- 3GPP TR 22.803, “Feasibility study for Proximity Services (ProSe)”

- UIC Spec, “UIC Project EIRENE Functional Requirements Specification, UIC”,

2010.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v

- UIC Spec, “FFFS for Location Dependent Addressing, UIC”, 2007.

- UIC Spec, “FFFS for Functional Addressing, UIC”, 2007.

- UIC Spec, “Railwa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UIC”, 2010.

4.2. Domestic Standards

- TTA, TTAT.3G-36.101(R10-10.6.0), “3GPP – E-UTRA; User Equipment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R10)”, 2012.09.

- TTA, TTAT.3G-36.104(R10-10.6.0), “3GPP – E-UTRA; Base Station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R10)”, 2012.09.

- TTA, TTAT.3G-36.300(R10-10.7.0), “3GPP – E-UTRA and 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R10)”, 2012.09.

5.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5.1. Relationship of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This document contains functional requirement of railway communication based

on reference standardizations of LTE communication system.

5.2. Differences between Reference Standard(Recommendation) and this Standard

This document is standardization document which analyzes functional requirement

and performance requirement of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no need to compare between this document and reference standards

since the documents are not correspond to the same issues.

6. Stat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related to the present document may have been declared to TTA. The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se IPRs, if any, is available on the TTA Website.

No guarantee can be given as to the existence of other IPRs not referenced on

the TTA website.

And, please make sure to check before applying the standar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vi

7. Statemen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7.1. Objec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7.2. Standards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 None

8. History of Standard

8.1. Change History

Edition Issued date Outline

The 1st edition 2014.10.13.Established

TTAK.KO-06.0369

8.2. Revisions

- None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vii

목 차

1. 개 요 ···············································································································································1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1

2.1. 구성 ······································································································································1

2.2. 범위 ······································································································································1

2.3. 적용성 ··································································································································2

2.4. 시스템 개요 ························································································································2

3. 참조 표준(권고) ····························································································································3

4. 용어 정의 및 약어 ·······················································································································4

5. 서비스 요구 사항 ·······················································································································11

5.1.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일반 서비스 ·····························································11

5.2. 통신망 서비스 요구 사항 ······························································································13

6.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15

6.1. 통신 시스템 개요 ············································································································15

6.2. 성능 요구 사항 ················································································································17

6.3. 기능 요구 사항 ················································································································18

7. 차량 이동국 장치 ·······················································································································20

7.1. 기능 요구 사항 ················································································································20

7.2. 차량 이동국 장치 MMI ··································································································29

7.3. 제어/명령 인터페이스 ····································································································29

8. 휴대용 무선 장치 ·······················································································································30

8.1. 기능 요구 사항 ················································································································30

8.2. 휴대용 무선 장치 MMI ··································································································34

9. 관제사 장치 ·································································································································35

9.1. 주 관제사의 MMI ············································································································35

9.2. 기타 관제사의 MMI ········································································································36

9.3. 관제사 단말기 인터페이스 ····························································································36

9.4. 다른 관제사 단말기로 기능 이양 ················································································36

10. M2M 무선 장치 ························································································································36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viii

11. 번호 부여 계획 ························································································································37

11.1. 번호 부여 계획 요구 사항 ··························································································37

11.2. 전화 번호 ························································································································38

11.3. 그룹 번호 ························································································································39

11.4.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화 ······························································································39

12. 가입자 관리 ······························································································································39

12.1. 우선 순위 할당 ··············································································································39

12.2. 통화 제한 ························································································································40

12.3. 그룹 구성원 ····················································································································41

12.4. LTE 기반 철도통신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목록 ·······················································41

12.5. 액세스 매트릭스 ············································································································41

13. 철도전용 호처리 ······················································································································42

13.1. 기능 어드레싱 ················································································································42

13.2. 위치기반 어드레싱 ········································································································45

14. 멀티미디어 메시징 ··················································································································45

14.1. 서비스의 정의 ················································································································45

14.2. 성능 ··································································································································46

14.3. 인터페이스 ······················································································································46

15. 철도 긴급 통화 ························································································································46

15.1. 철도 긴급 통화 ··············································································································46

15.2. 철도 긴급 통화의 관리 ································································································46

15.3. 철도 긴급 통화 수신 ····································································································48

15.4. 철도 긴급 통화 확인 ····································································································48

16. 링크 보증 신호 ························································································································49

16.1. 서비스의 정의 ················································································································49

16.2. 링크 보증 신호 개시와 종료 ······················································································49

16.3. 차량 이동국 장치에서의 링크 보증 신호 ································································49

17. 직접 통신 ··································································································································50

17.1. 기능 요구 사항 ··············································································································50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ix

Contents

1. Introduction ···································································································································1

2. Constitution and Scope ············································································································1

2.1. Constitution ························································································································1

2.2. Scope ··································································································································1

2.3. Application ·························································································································2

2.4. System Overview ··············································································································2

3. Reference Standards(Recommendations) ···········································································3

4. Terms and Definitions ···············································································································4

5. Service Requirements ·············································································································11

5.1. General Requirements ··································································································11

5.2. Network Service Requirements ··················································································13

6.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15

6.1. Communication System Overview ············································································15

6.2. Performance Requirements ·························································································17

6.3. Functional Requirements ·····························································································18

7. Cab Radio ··································································································································20

7.1. Functional Requirements ·····························································································20

7.2. Cab Radio MMI ··············································································································29

7.3. Control/Command Interface ·······················································································29

8. Portable Radio ··························································································································30

8.1. Functional Requirements ·····························································································30

8.2. Portable Radio MMI ······································································································34

9. Controller Equipment ···············································································································35

9.1. Primary Controller MMI ································································································35

9.2. Other Controller MMI ····································································································36

9.3. Controller Terminal Interface ······················································································36

9.4. Transfer Functions to Another Controller Terminal ············································36

10. M2M Equipment ······················································································································36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x

11. Numbering Plan ······················································································································37

11.1. Numbering Plan Requirements ················································································37

11.2. Telephone Numbers ····································································································38

11.3. Group Numbers ···········································································································39

11.4. Calls from/to External Networks ·············································································39

12. Subscriber Management ······································································································39

12.1. Allocation of Priorities ·······························································································39

12.2. Call Restriction ·············································································································40

12.3. Group Membership ·····································································································41

12.4.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List ···························41

12.5. Access Matrix ···············································································································41

13. Railway Specific Call Processing ·····················································································42

13.1. Functional Addressing ·······························································································42

13.2. Location Dependent Addressing ············································································45

14. Multimedia Messaging ··········································································································45

14.1. Service Definition ········································································································45

14.2. Performance ··················································································································46

14.3. Interface ·························································································································46

15. Railway Emergency Call ······································································································46

15.1. Railway Emergency Call ····························································································46

15.2. Management of Railway Emergency Calls ··························································46

15.3. Receipt of Railway Emergency Calls ····································································48

15.4. Confirmation of Railway Emergency Calls ························································48

16. Link Assurance Signal ··········································································································49

16.1. Service Definition ········································································································49

16.2. Start and Stop of Link Assurance Signal ···························································49

16.3. Link Assurance Signal for Portable Radio ··························································49

17. Direct Communication ··········································································································50

17.1. Function Requirements ······························································································50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

LTE 기반 철도 통신 기능 요구 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for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1. 개요

열차 운행의 높은 효율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철도용 무선통신망의 중요성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프로젝트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LTE를 기반

으로 하여 철도(고속철도, 간선철도, 광역철도, 도시철도)에 특화된 다양한 서비스 및 철

도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LTE 기반 철도통

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서비스를 고속의 이동환경에서 제공한다. 본 문서

는 IRIS 내 한국형 철도 통합 무선망 프로젝트의 산출물이며,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의 서비스, 성능, 기능 측면에서의 요구 사항을 명시한다.

2. 표준의 구성 및 범위

2.1. 구성

본 문서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요구 사항, 성능 요구 사항, 기능 요

구 사항을 명시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3장과 4장은 본 문서의 참고 표준과 용어정의에 대해 기술한다.

5장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요구 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6장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통신 기능 요구 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7장에서 10장까지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디지털 무선 장치에 대한 기능 요

구 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11장부터 17장까지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운영에 대한 기능 요구 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2.2. 범위

본 문서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기능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안전한 열차제어를 위한 실시간 열차 모니터링과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

해야 하고, 무인 운전을 위한 차내 모니터링 기술과 운영요원 및 기관사의 음성 및 데이

터 통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문서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구조, 제공 서비스, 시스템 성능, 기능

등과 관련된 모든 요구 사항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 등을 기술하고, 제조사간 상호운용

성 또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목표는 기존 3가지 방식(VHF, TRS-ASTRO, TRS-TETRA)의 열차 음성통신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

방식을 LTE 기반 철도통신 방식으로 일원화하고, 열차운행의 고밀도화, 실시간 열차 모

니터링, 열차제어 정보 전송 기능, 유지 보수 기능, 무인운전을 위한 차내 모니터링과 관

제 기능 등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 철도 네트워크의 각 기능이 통합되어 운용되기 위

해서 필요한 기능 요구 사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2.3. 적용성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기능 요구 사항 사양은 철도 운영 기관간의 상호운용성 및

제조 규모의 경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철도 통신 시스템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따라서 이 사양은 핵심 철도 기능이 제공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기능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기능 요구 사항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필수 기능 : 철도 통신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꼭 개발 되어야 할 기능으로서 본

문서에서는(M: Mandatory)로 표시 한다.

- 선택 기능 : 철도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개발 되어야 할 기능으로서 본 문서

에서는(O: Optional)로 표시 한다.

2.4. 시스템 개요

2.4.1. 시스템 서비스 참조 모델

(그림 2-1)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서비스 범위(참조모델)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철도서비스와 이를 위한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림 2-1)과 같이 철도서비스로는 열차/신호제어서비스, 비상연락서비스, 화재감시/영상감

시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통신망 서비스에는 음성송수신, 데이터송수신, 영상송수신 기능

과 함께 철도특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

털 무선 장치는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 관제사 장치, M2M 무선 장치로 분

류된다.

철도서비스에 대한 상세 설명은 5.1장, 통신망 서비스에 대한 상세 설명은 5.2, 각 유

형별 무선 장치는 7~10장을 참고한다.

2.4.2. 기타 어플리케이션용 베어러 서비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LTE 기반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어플리케이션은 열차의 운행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안전과 관

련된 차상 모뎀에 인터페이스 되는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 차내 방송장치

- 차내 인터컴

- 차내 인터폰

- 기관사 안전 장치

- 차내 기록 장치

- 차내 안내정보표시기

3. 참조 표준(권고)

본 표준은 아래와 같은 문서들을 참조하여 작성되었다.

- 3GPP TS 36.101, ‘User Equipment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3GPP TS 36.104, ‘ Base Station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 3GPP TS 36.300, ‘ Overall description’

- 3GPP TS 22.468, ‘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for LTE (GCSE_LTE)’

- 3GPP TR 22.803, ‘ Feasibility study for Proximity Services (ProSe)’

- UIC Spec, ‘UIC Project EIRENE Functional Requirements Specification, UIC’,

2010.

- UIC Spec, ‘FFFS for Location Dependent Addressing, UIC’, 2007.

- UIC Spec, ‘FFFS for Functional Addressing, UIC’, 2007.

- UIC Spec, ‘Railwa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UIC’, 2010.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

4. 용어 정의 및 약어

4.1. 용어 정의

4.1.1. 객차 번호

철도 차량에게 영구적으로 할당된 번호. 객차 번호는 철도 차량에 관한 사용자/시

스템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 번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4.1.2. 공공 긴급 통화

비철도기관(경찰서 및 소방서와 같은)에게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대점(point-to-point) 음성 통화. 차량이동국 장치 및 휴대용 무선 장치에서 발

신되는 공공 긴급 통화에 대해서는 반드시 관제사에게 알림이 제공되어야 한다.

4.1.3. 관계사

철도 차량의 운행을 집중 제어·통제·감시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본 사양의 목

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관제사의 기능에 따른 역할이 규정된다.

- 주 관제사

- 선 관제사

- 전력 관제사

- 신호 관제사

- 통신 관제사

- 설비 관제사

현지 상황에 따라, 단일 관제사에 의해 많은 기능적 역할이 수행될 수 있거나, 많

은 관제사에 의해 단일 기능적 역할이 수행될 수 있다.

4.1.4. 그룹 통화(PTT)

사전에 정해진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게 하는 통화. 그룹의 구성원 중 PTT 버튼을

누른 1인만 말할 수 있고, 다른 그룹 구성원은 모두 듣기만 한다. 그룹 통화의 구

성원은 철도 운영 기관에 따라 국지적인 구역, 운행노선, 또는 특정 기능 번호 등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4.1.5. 그룹 영상 통화(영상 PTT)

사전에 정해진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게 하는 영상 통화. 그룹의 구성원 중 PTT 버

튼을 누른 1인만 영상을 송출할 수 있고, 다른 그룹 구성원은 모두 영상을 보기만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5

한다.

4.1.6. 기관사 안전 장치

수동운전시 기관사의 졸음·질병 및 부주의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

기 위한 장치

4.1.7. 기관차 번호

견인 또는 동력 철도 차량 품목에게 영구적으로 할당된 번호. 기관차 번호는 견인

또는 동력 철도 차량 품목에 관한 사용자/시스템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 번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4.1.8. 기능 ID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 기능 ID는 문자와 숫자를 포함

할 수 있다.

4.1.9. 기능 번호

장치별 또는 사용자별 고유 전화 번호 외에, 해당 사용자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최종 사용자/시스템을 확인하기 위해 기능 어드레싱 체계 내에서 사용된 전체 번

호.

4.1.10. 기능 어드레싱(functional addressing)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전화 번호 외에 해당 사용자가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주소(전화 번호)를 지정하는 프로세스.

4.1.11. 다자간 통화(회의 통화)

통화 개시자가 선택한 3인 이상의 사람이 동시에 상호 통화할 수 있는 음성 통화

방법. PTT와는 달리 모든 상대방이 동시에 말할 수 있다.

4.1.12. 대승객 방송

관제사가 해당 열차의 차량 이동국 장치를 통해 객실 방송장치로 방송하는 기능이

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6

4.1.13. 동일 열차 내 다중 기관사 통신

다중 견인차량으로 구성된 열차 내 각 기관실의 기관사간 통신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

4.1.14. 링크 보증 신호

중요한 작업(예를 들어, 입환)을 하면서 사용자가 무선 링크 연결이 유지/중단되었

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무선 장치로부터 다른 무선 장치까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단방향 신호의 형태.

4.1.15. 방송 통화

하나의 무선자원만을 할당하여 사전에 정해진 그룹의 모든 구성원에게 하는 통화.

통화 개시자만 말할 수 있고, 다른 그룹 구성원은 모두 듣기만 한다.

4.1.16. 선 관제사

역의 상황 표시, 역의 실제 이력표시, 조정된 열차 스케쥴 표시, 열차번호의 이동,

삽입, 삭제, 제어/표시 등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솔을 이용하여 선 관제사

는 열차운행을 직접 제어한다.

4.1.17. 설비 관제사

기계설비의 중앙감시, 제어와 설비분야 관제설비의 운영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

는 관제사.

4.1.18. 신호 관제사

신호관제사는 신호관제설비와 현장신호설비의 운영상태 파악 및 감시를 하며, 신

호설비의 장애 및 사고 발생 시 복구에 관한 사항과 신호설비의 사고 및 장애 발

생 시 관련부서에 통보하고 현업에 출동지시를 한다. 신호설비 계열에 영향이 있

는 설비의 점검 및 작업통제와 신호관제설비의 점검 및 유지 보수를 한다.

4.1.19. 열차 번호

열차 운행을 위해 운행담당 직원에 의해 열차에게 제공된 번호. 열차 번호는 열차

에 관한 사용자/시스템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 번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7

4.1.20. 열차 팀장

차상에서 승객 관련 철도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책임지는 열차 승무원의 일원

4.1.21. 열차 제어 시스템

기관사가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열차의 이동이 영향을 받는 프로세스. 예를 들

면, KRTCS. 본 사양의 목적을 위해, 열차제어에 대한 내용은 열차자동방호, 열차

자동운행 및 차내 신호도 포함한다.

4.1.22. 운용 통신

열차의 입환 이동 또는 열차 운행과 직접 관련된 철도 통신이다. 예를 들면, 관제

사-기관사 통신.

4.1.23. 위치 기반 어드레싱

현재 사용자 위치(일반적으로 열차)를 바탕으로 특수 기능(일반적으로 관제사)의

주소를 지정하는 프로세스.

4.1.24. 이동 무선 장치

이동 무선 장치는 환경 및 역할에 따라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로 구

분 된다.

4.1.25. 입환 모드

기지 구내에서 기지 관제와 통화하기 위한 모드이며 철도 차량의 위치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열차를 조성하는 입환 작업시 링크 보증 신호를 제공함. 입환 모드

는 그룹 통화의 일부이다.

4.1.26. 입환팀

철도 차량의 위치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열차를 조성하는 사람들의 집단. 열차

의 전방쪽에 있는 기관사가 열차를 완충장치 또는 다른 잠재적 장애물 쪽으로 후

진할 때는 입환용 통신이 특히 중요하다. 이 경우에는 진행사항을 기관사에게 보

고하기 위해 간혹 감시인이 필요하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8

4.1.27. 전력 관제사

전력 네트워크 및 견인전력의 공급을 감시하며 제어하고, 역사장비의 현황을 감시

하는 관제사.

4.1.28. 주 관제사

열차운행을 직접 제어하지는 않으나, 전체 시스템과 선관제사의 업무 감시, 열차

운행스케쥴에 의한 열차계획과 역 단위, 열차단위의 상태와 상황을 감시하는 업무

를 하는 관제사. 주 관제사는 현재 열차 긴급 통화의 조정자이다.

4.1.29. 지원 통신

열차 이동이나 열차 운행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 철도 통신이다. 예를 들면, 지원

통신은 음식 조달의 통과, 유지 보수 또는 시간표 정보와 관련될 수도 있다.

4.1.30. 직접 통신

지상 인프라를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 간 무선통신.

4.1.31. 차량 이동국 장치

운전실 내에 설치되어 있고, 주로 기관사가 사용할 무선 장치와 기타 인터페이스

를 지원하는 무선 장치.

4.1.32. 차상 기능 ID

특정 열차, 기관차 또는 객차에서 무선 장치의 사용자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정

의되는 사용자의 기능 ID 부분.

4.1.33. 철도 긴급 통화

기관사, 관제사 및 기타 관계 인력에게 미리 정해진 구역 내에서 모든 철도 이동

을 중지하라고 요구하는 위험 레벨을 통보하기 위한 우선 순위가 높은 통화. 두

가지 유형의 철도 긴급 통화가 정의된다.

- 열차 긴급 통화(철도 긴급 통화의 일부분이나 입환 운행과는 관련 없음)

- 입환 긴급 통화(철도 긴급 통화의 일부분이나 입환 운행과 관련됨)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9

4.1.34. 철도 차량 번호

견인 또는 철도 차량 품목에게 영구적으로 할당된 번호. 철도 차량 번호는 견인

또는 철도 차량 품목에 관한 사용자/시스템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

번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4.1.35. 통신 관제사

현장 통신설비를 제어감시하고 장애발생시 상황 확인 및 긴급조치를 하는 관제사.

4.1.36. 트랜스폰더

통과 열차와 통신하기 위해 통상 선로 근처에 탑재된 수동 또는 능동 장치.

4.1.37. 한국형 철도 통합 무선망 시스템

한국형 철도 통합 무선망 시스템은 LTE 표준 기반 철도 통신시스템이며, 이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FRS 및 SRS에 명기된 필수 기능을 모두 준수한다.

또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FRS 및 SRS에 명기된 선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를 포함한다.

4.1.38. 휴대용 무선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는 철도 운용과 관련된 사람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휴대용 무선

장치, 일반적인 업무에 활용 가능한 일반 무선 장치, 차상 승차권 발매용 단말기

등 기능에 따라 여러 형태의 휴대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유형의 단말기에

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철도 운영기관에 따른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0

ARQ 오류 검출후 재전송 방식(Automatic Repeat Request)

DSD 기관사 안전 장치(Driver Safety Device)

DU 기지국 장치(Digital Unit)

EMC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NB기지국(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ode

B)

FRS 기능요구 사항 사양서(Functional Requirements Specification)

GPS 지구지리정보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HARQ 복합 재전송 기법(Hybid Automatic Repeat Request)

HSS Home Subscriber Server

IMS IP Multimedia System

IRIS 지능형 철도시스템(Intelligent Railway Integrated System)

KRTCS한국형 무선통신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Korean Radio-based Train

Control System)

LSM LTE System Manager

LTE Long-Term Evolution

M2M Machine-to-Machine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I 사용자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

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GW PDN Gateway

PTT Push-To-Talk

QoS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RRU 기지국 장치(Remote Radio Unit)

S-GW Serving Gateway

SAE-GW 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Gateway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ON 자동구성네트워크(Self Organizing Network)

SRS 시스템요구 사항 사양서(System Requirements Specification)

TCMS 열차종합정보장치(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IC Union Internationale des Chemins de Fer

UE User Equipment

VBS 음성 방송 서비스(Voice Broadcast Service)

VGCS 음성 그룹 통화 서비스(Voice Group Call Service)

VoIP Voice over IP

4.2. 약어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1

서비스 기능

열차제어 및

신호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열차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 열차 이동권한, 열차 속도 프

로파일, 선로 정보, 열차 제어 명령 등 데이터 전송을 통하여 열차제

어 및 신호제어를 하는 서비스

비상연락 서비스

-열차의 사고나 선로 상의 문제를 관제에서 인지하고 해당 열차에 알

리는 서비스

-관제에서 직접 열차 내 승객에게 비상 상태를 알리는 서비스

-객실 내에 비상상황 발생 시 승무원(관제사)과 비상통화가 가능한

서비스

화재감시, 영상감시를

위한 영상서비스

-화재, 도난, 성추행 및 폭력 등 차량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사고 및 범죄활동 감시를 위한 영상 서비스

-사고발생시 현장의 각종 영상정보(도착역의 승강장 상황, 객실 상

황, 기관실 상황 등)를 활용한 실시간 감시 및 대응

e-티켓팅 서비스 -열차 승무원의 승차권 발권 등 e-ticketing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승객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5. 서비스 요구 사항

5.1.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일반 서비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그림 5-1)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서비스 요구 사항 범위 개요(참조모델)

<표 5-1>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제공 서비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2

서비스 기능

운용중인 철도시스템의

실시간 진단을 위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주행 중인 열차 내 전기・기계 장치의 진동, 온도, 전류, 전압 등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전차선과 팬토그래프 비정상 접촉, 터널 및 궤도 파손, 승강장 등의

이상 현상 감시 및 진단 데이터 실시간으로 전송

-운용 노선의 고장원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대처, 신속한 의사 결

정, 장애조치 및 운전재개시간 추정 및 예고 등에 연관된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

기존 철도 무선

통신시스템의 일원화

-고속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 경량전철 등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유

형의 철도 무선 통신시스템을 LTE 기반 철도통신으로 일원화

-수송용량 확대 및 효율적인 철도망 관리

열차운행 및

유지관리를 위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전송

서비스

-철도관제센터를 중심으로 한 음성통화

-열차승무원의 열차운행관련 데이터 전송

-현장 작업을 위한 데이터 및 영상정보 전송

-선로변 현장 운영자 및 작업자 인명 보호를 위한 열차 운영 및 열차

접근 경보 데이터 실시간 송수신

-차량 및 지상 인프라의 다양한 센서에 의한 실시간 이상 현상 진단

정보 전송

철도이용자를 위한

열차운행정보 제공

서비스

-정상시(또는 비정상시) 실시간 열차운행 및 환승정보

실시간 운영 및 유지

보수를 통한 최적화된

철도망 운영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차량 및 지상 인프라의 실시간 상태 감시

-열차 운영 및 열차 접근 경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한 선로변 운영자

및 작업자 인명 보호

-신속한 데이터 처리 및 처리 결과의 Feedback을 통한 운영 및 유

지 보수 효율화

화물열차의 화물 관련

이력 추적 및 정보

관리 서비스

-화물의 선적에서 하적작업까지 모든 상세 이동 경로 추적

-정보공유시스템을 통한 실시간 자동 화물 이력 정보 확인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3

서비스 세부 서비스 요구 사항 M/O

음성

서비스

개별 음성 통화시스템은 두 통화자 간의 음성 통화를 지원해야

한다.M

공공 긴급 통화시스템은 사용자가 공공 긴급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M

방송 통화 시스템은 방송 통화를 지원해야 한다. M

그룹 통화 시스템은 그룹 통화를 지원해야 한다. M

다자간 통화시스템은 최소 3인 이상의 상이한 상대방 간의

다자간 통화를 지원해야 한다. M

데이터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네트워크는 지상에서 이동 무선 장치 사용자까지

점대점 및 점대 다중점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지원해야 한다

M

일반 데이터 서비스지상과 이동 무선 장치 사용자 간의 광범위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해야 한다.M

열차제어 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안정적인 열차제어를 위해 끊김없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해야 한다.M

영상

서비스

개별 영상 통화시스템은 두 통화자 간의 영상 통화를 지원해야

한다.M

그룹 영상 통화 시스템은 그룹 영상 통화를 지원해야 한다. M

영상 정보 전송시스템은 열차 안전운행과 관련된 영상 정보 전송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M

통화 관련

서비스

착신/발신 사용자의

ID 표시

장비는 표준 전화 번호의 형태로 착신자나 발신자의

ID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M

착신/발신 사용자의

표시 제한

특정 사용자의 ID가 이동 무선 장치에 표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O

우선 순위 및

선점권

상이한 우선 순위 레벨의 구성원 중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구성원에게 통화가 할당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M

폐쇄형 사용자 그룹 외부에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그룹이 제한되어야 한다.M

착신 전환

한 사용자를 위한 착신 호나 데이터 메시지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치로 착신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M

5.2. 통신망 서비스 요구 사항

5.1절의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다음은 철도 통신망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기술한다.

<표5-2> 철도 통신망 서비스 요구사항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4

서비스 세부 서비스 요구 사항 M/O

통화 보류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통화를 보류시켜 기존

통화로부터 일시적으로 통화를 보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M

통화 대기

네트워크는 기존 통화를 하는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려 한다는 것을 통보할 수 있어야

한다.

M

과금 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요금을 청구할 수 있는 경우,

네트워크가 통화 요금 및 진행 중인 통화 과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O

통화 제한 네트워크 관리나 유지 보수 시설을 이용하여, 통화를

제한할 수 있어야 한다.M

자동 응답 서비스

착신 통화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의

통화가 연결중일 때,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통화에는 통화 대기 중이라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응답될 수 있어야 한다.

M

모든 음성/영상

통화 녹취

사고의 사후 분석을 위해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를

녹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M

철도특화

서비스

기능 어드레싱

관제사가 열차번호를 이용하여 열차 기관사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는 어드레싱 체계가 제공되어야

한다.

M

위치 기반 어드레싱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지 번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 어드레싱 체계가

제공되어야 한다.

M

철도 긴급 통화철도 운용 긴급 통화를 위해 우선 순위가 높은 음성

통화를 취급할 수 있는 체계가 제공 되어야 한다.M

입환 모드

입환 모드 통신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 무선

장치의 기능과 특징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규제하고

제어하는 체계가 제공 되어야 한다.

M

직접 통신

기지국 고장 등으로 인해 LTE 기반 철도통신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 단말기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O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5

분류 장치명 기능

기지국 장비

RRU RF 모듈과 안테나로 구성된 전파 송출 및 수신 장비

DU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분으로,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카드로 구성

코어장비SAE GW

(S/P-GW)

S-GW는 eNB와 P-GW 사이에 있는 시스템으로서, 여러 대의

eNB를 IP 네트워크에 정합하며 eNB와 P-GW 간에 트래픽을

송수신하고, QoS 제어함

P-GW는 S-GW와 PDN 사이에 있는 시스템으로서, 여러 대의

S-GW를 IP 네트워크에 정합하며 PDN과 UE 간에 트래픽을

6.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6.1. 통신 시스템 개요

(그림 6-1)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참조 모델)

(그림 6-1)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참조 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LTE를 기반으로 하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장치들은 다음과

같다.

<표 6-1>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주요 장치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6

분류 장치명 기능

송수신하고, QoS를 제어함

MMEeNB와 S-GW 사이에 있는 시스템으로서, 여러 대의 eNB에

대한 Mobility control 역할을 수행

LSM운용자가 eNB 시스템의 SW 로딩, 형상정보, 장애정보,

성능정보, 상태정보를 관리하고, SON 기능을 제공

HSS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고 인증 정보 등을 관리

PCRF

IMS(IP Multimedia Subsystem)를 통한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 서비스 데이터 flow별로 QoS 및 과금 정책(PCC

rule)을 담당

LTE 기반

철도통신

서비스 서버

Call 서버VoIP 음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VoIP 신호 처리의 주요

기능인 SIP를 처리하는 서버

PTT 서버

IP 네트워크 상에서 SIP 기반으로 단말에 무전기능을 결합한

형태의 시스템으로 반 이중 통신(half duplex communication)을

지원

다자간

통화 서버

가입자 3명 이상이 동시에 상호 통화할 수 있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제공

영상 서버 영상통화, 승객의 안전 및 사고 등에 대한 영상 서비스를 지원

관제 서버

Call 서버, PTT 서버 및 다자간 통화 서버와 연동되어 차상용

통신장치와 휴대용 통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각 서버의 DB를

통해 관리하고, 통신교환관리 및 Communication Logging 등의

정보를 저장

녹취 서버사고의 사후 분석을 위해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를 녹취하는

기능을 제공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7

항목 내 용 비 고

커버리지 및

성능

커버리지는 시간적·공간적으로 연속적이어야 하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간적·공간적 범위는 외부

안테나가 설치된 차량을 기준으로 98% 이상이어야 한다.

네트워크는 철도 통신용 이동 단말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시스템은 선로 제한속도나 500 km/h 중 더 낮은 속도로

이동할 때 통신을 제공 하여야 한다.

통화 설정 시간

철도 긴급 통화 < 1초(90%), < 2초(100%)

방송 및 그룹통화 < 1초(90%), < 2.5초(100%)

상기 사항에 의해 해당 되지 않는 모든 음성/영상 통화*

< 3.5초(90%), < 5초(100%)

*외부 PSTN

연결은

고려하지 않음

핸드오버 성공률네트워크는 끊김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야하며

핸드오버 성공률은 99% 이상이어야 한다.

호접속 성공률 통화 호 접속 성공률은 99% 이상이어야 한다.

장시간 접속

절단율

장시간 통화를 하면서 시간당 0.01회 이하의 절단율을

보장해야 한다.

열차제어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는 열차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99%

이상의 데이터 신뢰성을 보장해야 한다.

열차제어 데이터는 가장 높은 수준의 우선 순위를 가져야

한다.

네트워크 이중화기지국장비, 코어장비, 서버 등의 네트워크는 안정성 및

가용성을 위해 이중화되어야 한다.

단, 이중화의

적용 범위는

운영기관에

따른다.

방송 및 그룹

통화 구역

어떤 규정된 구역 내에 있는 무선 장치는 방송 및 그룹

통화에 참여할 수 있고, 통화 중에 방송 및 그룹통화

구역을 벗어나는 무선 장치는 통화에서 제외된다.

6.2. 성능 요구 사항

다음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성능 특성을 기술한다.

<표 6-2>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8

항목 내용

차량 이동국 장치 열차의 기관실에 탑재되어 기관사 및 열차팀장에 의해 사용

휴대용 무선 장치 입환 및 선로 측 유지 보수와 같이 열차 운행과 관련된 철도 인력이나

일반 업무를 하는 철도 인력에 의해 사용

관제사 장치우선 순위별 통화, 그룹통화 설정/폐쇄/시작/종료

착신 통화/통화 요청에 대한 대기 목록 생성

M2M 무선 장치무선 장치에 연결된 장비에 IP 기반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6.3. 기능 요구 사항

본 장에서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기능 특성을 기술한다. 다음의 표는 LTE 기

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디지털 무선 장치를 나타낸다.

<표 6-3>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무선장치

6.3.1. 이동 무선 장치

이동 무선 장치는 환경 및 역할에 따라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로 구분 된

다. 본 절에서는, 이동 무선 장치별 제공하는 서비스 및 기능에 대해 요약하며, 7장과 8

장에서 상세한 요구 사항을 기술한다.

6.3.1.1. 서비스 및 기능

이동 무선 장치 유형별로 지원되어야할 음성 통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

개별 음성 통화 M M

공공 긴급 통화 M M

방송 통화 M M

그룹 통화 M M

다자간 통화 M M

<표 6-4> 음성 통화 서비스

이동 무선 장치 유형별로 지원되어야할 데이터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19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

발신 사용자 ID 표시 M M

착신 사용자 ID 표시 M M

사용자 ID 표시 제한 O O

폐쇄형 사용자 그룹 M M

착신 전환:

- 무조건

- 사용자가 통화 중인 경우

- 무응답인 경우

- 가입자 통화불능인 경우

M

O

O

O

O

O

O

O

통화 보류 M O

통화 대기 M M

통화 과금 정보 표시 O O

통화 제한 M M

자동 응답 서비스 M M

모든 음성/영상 통화 녹취 M M

<표 6-7> 통화 관련 서비스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M M

일반 데이터 서비스 M M

열차제어 정보 전송 서비스 M O

<표 6-5> 데이터 서비스

이동 무선 장치 유형별로 지원되어야할 영상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

개별 영상 통화 M M

그룹 영상 통화 M M

영상 정보 전송 M M

<표 6-6> 영상 서비스

이동 무선 장치 유형별로 지원되어야할 통화 관련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0

이동 무선 장치 유형별로 지원되어야할 철도 특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 장치

기능 어드레싱 M M

위치 기반 어드레싱 M M

철도 긴급 통화 M M

입환 모드 M O

직접 통신 O O

<표 6-8> 철도 특화 서비스

6.3.2. 기타 무선 장치

이동 무선 장치를 제외한 관제사 장치 및 M2M 무선 장치의 기능 요구 사항은 9장과

10장에서 기술한다.

7. 차량 이동국 장치

본 장에서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차량 이동국 장치에 대한 기능 요구 사항에

대하여 서술한다. 또한 본 장에서는 차량 이동국 장치의 MMI, 열차제어 인터페이스에 대

하여 설명한다.

7.1. 기능 요구 사항

7.1.1. 요약

차량 이동국 장치가 제공할 기능은 다음과 같다.

열차 기관사 통화 기능:

- 관제사와 통화

- 다른 기관사와 통화

- 철도 긴급 통화 발신/수신

- 철도 긴급 통화 수신 확인

- 동일 열차에 탑승한 다른 기관사와 통화

- 열차 내 직원과 통화

- 다른 인가된 사용자와 통화

- 음성 통화

- 개별 또는 그룹 영상 통화

- 그룹 또는 방송 통화

- 다자간 통화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1

- 통화 종료

-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 입환 모드 시작/종료

- 직접 통신 시작/종료

- 차량 이동국 장치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 통화 모니터

- 기관사 휴대용 무선 장치로 착신 전환

기타 열차 기관사 관련 기능:

- 차량 이동국 장치 전원 켜기 끄기

- 차량 이동국 장치 MMI 켜고 끄기

- 스피커 볼륨 조정

- 무선 네트워크 선택

- 열차 번호 등록 및 해제

- 차량 이동국 장치 사용자 등록 및 해제

- 철도 차량 번호 등록 및 해제

- 번호 및 내역 저장/검색

- 부가 서비스 기능

- 시험 기능

기타 기능:

- 승무원 및 차상 장치와의 착/발신 통화 취급

- 통화 우선 순위의 취급

- 실시간 진단

- 기관사 안전 장치 인터페이스

- 차량 이동국 장치 기록 장치 인터페이스

- 모든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녹취

- 대승객 방송

7.1.2. 기관사 통화 관련 기능

통신이 설정되면, 연결된 상대방과 상호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차량 이동국 장

치의 송수화기 혹은 스피커로 통화가 가능하다. 기관사 통화는 그룹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7.1.2.1. 관제사와 통화

관제 통화를 위하여 기관사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예: 원 버튼 조작) 관제사와 손쉽게

통화가 가능하여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2

관제 통화에서는 기능 ID를 지원하여야 하며 관제장치에서 기능 ID가 현시되어야 한다.

기능 ID는 차량 이동국 장치의 전화 번호 대신 열차 번호, 기관차 번호, 선도 차량 번호

를 이용하여 호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관사의 차량 이동국 장치에서는 통화 상대방의 기능 ID를 현시할 수 있어야 하며 호

처리가 실패하였을 경우, 실패하였다는 시청각 표시가 기관사에 전달되어야 한다.

7.1.2.2. 다른 기관사와 통화

열차 기관사는 특정된 구역 내 다른 기관사와 그룹 통화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때 기관

사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통화 설정을 진행하여야 하며 차량 이동국 장치에 참여 그룹의

ID가 현시되어야 한다. 그룹 통화 시 PTT 기능이 지원되어야 하며, 스피커를 통한 통화

도 지원되어야 한다. 통화 연결은 끊어졌을 경우, 시청각 표시가 기관사에 전달되어야 한

다.

7.1.2.3. 철도 긴급 통화 발신

열차 비상사태 시 철도 긴급 통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철도 긴급 통화와 관련된

이벤트들은 차량 이동국 장치와 연결된 기록 장치에 저장되어야 한다. 철도 긴급 통화

기능이 작동되었을 경우, 일정시간동안 시청각적 표시가 기관실내에 제공되어야 하며 스

피커를 통한 통화도 지원되어야 한다.

7.1.2.4. 철도 긴급 통화 수신

철도 긴급 통화수신은 일반적인 그룹이나 방송 통화의 수신과 동일하나 MMI는 철도긴

급 통화용 시청각 표시를 제공해야 하며, 철도 긴급 통화의 내역은 차량 이동국 장치 기

록 장치로 전송되어야 한다.

7.1.2.5. 철도 긴급 통화 수신 확인

철도 긴급 통화를 수신하게 되면 차량 이동국 장치에 의해 자동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야 한다. 이는 어떤 열차가 철도 긴급 통화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7.1.2.6. 동일 열차에 탑승한 다른 기관사와 통화

다중 기관차 연결의 경우, 본무 기관사는 동일 열차의 다른 보조 기관사와 안정적인 통

화 연결을 지원하여야 한다. 언제라도 본무 기관사는 그룹의 구성원을 제거할 수 있어

야 한다. 만약 통화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해당 기관사에게 시청각 표시를 제공하여야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3

한다. 관제사와 본무 기관사와의 관제 통화에서 관제사는 동일 열차의 다른 보조 기관사

를 관제 통화에 참여 하도록 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7.1.2.7. 열차 내 직원과 통화

기관사가 음성 통화를 이용하여 동일 열차 내 아래의 직원과 연락할 수 있어야 한다.

- 열차 팀장

- 승무원 1

- 승무원 2

- 카트승무원 (식음료 판매) 1

많은 열차에서, 직원은 무선 장치보다 오히려 인터컴이나 내부 전화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차량 이동국 장치는 내부 통신시스템과 통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7.1.2.8. 다른 인가된 사용자와 통화

기관사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반 전화 통화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정해진 규칙은 다

음과 같다.

- 미리 정해진 목록에서 선택

- 가입자 번호로 직접 전화 걸기

- 기능 번호로 전화 걸기

7.1.2.9. 음성 통화

음성 전화가 왔을 때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발신자의 ID를

차량 이동국 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기관사는 송수화기 혹은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7.1.2.10. 개별 또는 그룹 영상 통화

개별 또는 그룹 영상 전화가 왔을 때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통

화 연결 시, 발신자의 기능 ID가 현시되어야 한다.

7.1.2.11. 그룹 또는 방송 통화

그룹 혹은 방송 통화가 왔을 경우,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룹

통화의 경우 그룹 ID가 현시되어야 하며, 기관사는 송수화기 혹은 스피커를 통하여 통화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4

가 가능하여야 한다.

방송 통화가 진행 중이면, 차량 이동국 장치 MMI에 방송 통화중임을 현시하여야 하며,

기관사는 해당 방송 통화의 청취만 가능하다.

그룹통화의 경우, 차량 이동국 장치 MMI는 PTT 버튼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7.1.2.12. 다자간 통화

다자간 통화가 왔을 때,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기관사는 송수화

기 혹은 스피커를 통하여 통화가 가능하여야 한다.

7.1.2.13. 통화 종료

차량 이동국 장치는 기관사가 통화를 종료하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단 기관사가

시작하지 않은 철도 긴급 통화 및 입환 그룹통화는 제외) 또한 그룹 혹은 방송 통화에

대해서 기존의 통화를 끝내지 않고 자신만의 통화를 종료하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7.1.2.14.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차량 이동국 장치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7.1.2.15. 입환 모드 시작/종료

차량 이동국 장치는 통신 링크가 살아있을 때 링크 보증 신호음을 제공하는 ‘입환 모

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존 통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는 입환 모드를 시작할 수

없다. 링크 보증 신호음은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된다.

7.1.2.16. 직접 통신 시작/종료

차량 이동국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애 혹은 커버 지역을 벗어났을 때, 상대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직접모드로 동작하다가 추후 네트워크 사용이 가능하면

사용자에게 시청각 표시를 제공하여야 한다.

7.1.2.17. 차량 이동국 장치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장치 통화 모니터

차량 이동국 장치는 기관사 이외에 차내 인터폰 등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된 장치가 관제 통신을 위하여 사용 중일 수 있다. 기관사가 관여하지 않으면서 차량 이

동국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 차량 이동국 장치는 사용 중이라는 표시를 기관사에게 제공

하여야 한다. 또한 이때 기관사에게 그 통화를 청취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5

만약 기관사가 송수화기를 들면, 현재 통화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통화를 위하

여 현재 통화를 종료 시킬 수 있어야 한다.

7.1.2.18. 기관사 휴대용 무선 장치로 착신 전환

기관사 휴대용 무선 장치로 착신 전환을 위하여 차량 이동국 장치는 다음의 기능을 지

원하여야 한다.

- 휴대용 무선 장치 사용여부 표시 제공

- 휴대용 무선 장치 충전 인터페이스 제공

- 휴대용 무선 장치 사용 시 자동 착신 전환 기능 제공

- 휴대용 무선 장치 비사용 시 착신전환 자동 취소 기능 제공

- 기관사가 휴대용 무선 장치로 가는 착신 전환 무효화 기능 제공

7.1.3. 기관사 관련 기타 기능

7.1.3.1. 차량 이동국 장치 전원 켜고 끄기

차량 이동국 장치가 켜지면, 자동 장비 시험, 초기 설정값 세팅, 열차제어 시스템 등록,

무선 네트워크 등록이 수행되고, 만약 무선 네트워크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관사

에게 시청각 표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운전실 무선 장치 전원을 끌 경우, 자동적으

로 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끊어지며, 차량 이동국 장치에 저장된 번호는 꺼진 후에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7.1.3.2. 차량 이동국 장치 MMI 전원 켜고 끄기

차량 이동국 장치는 MMI 전원 켜기/끄기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MMI 켜기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 MMI 기능의 자가 시험

- 차량 이동국 장치 상태 MMI 현시

- 전원이 켜졌을 때 MMI는 항상 디폴트 상태로 구성된다.

MMI 끄기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 현재 통화의 종료

- 열차번호 등록 취소(해당하는 경우)

- 필요한 데이터 저장

- 철도 긴급 통화에 대한 확인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6

MMI 전원을 껐을 때에도, 차량 이동국 장치는 다음 기능이 계속 제공되어야 한다.

- 승객 안내 방송 장치

- 열차 팀장 호출

- 인터컴

- 인터폰

7.1.3.3. 스피커 볼륨 조정

스피커 볼륨은 미리 정해진 레벨에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기관사가 선택된 조정 범위

내에서 스피커 볼륨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기관사가 송수화기를 집어

들었을 때, 스피커는 계속 작동하지만 볼륨 레벨이 줄어야 한다.

7.1.3.4. 수동 네트워크 선택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기관사는 인가된 모든 LTE 기반 철도 무선 네트워크의 우선 순

위가 정해진 목록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기관사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특정 네트워크 사용 중에는 수동 네트워크 전환을 진행할 수 없

으며, 네트워크 전환이 완료된 후 새로운 네트워크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기관사에게 제

공되어야 한다.

7.1.3.5. 외부 지정 네트워크 선택

차량 이동국 장치는 외부 장치(예: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정보에 의하여 LTE 기반 철

도통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7.1.3.6. 자동 네트워크 선택

차량 이동국 장치는 적합한 LTE 기반 철도 무선 네트워크 목록으로부터 무선네트워크

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외부 지정 네트워크 선택 혹은 자동 네트워크 선택 기능

은 사용자 개입 없이 네트워크 변경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새로운 네트워크 ID에 대한 시

청각 표시가 기관사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7.1.3.7. 열차 번호 등록 및 해제

기관사는 열차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열차 번호 자동화 배정 요구에 따라 열차번호를

등록하고 혹은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입력한 열차 번호 정보는 현시 장치에서 나타나

고 추가 조치를 취하기전에 기관사에 의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동일한 열차 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다면 기관사에게 시청각표시로 경고가 되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7

7.1.3.8. 차량 이동국 장치 사용자 등록 및 해제

열차번호가 등록/해제될 때는 기관사의 기능 번호가 자동으로 등록/해제되어야 한다.

이때 다른 승무원의 기능 번호도 동일하게 자동으로 등록/해제되어야 한다.

7.1.3.9. 철도 차량 번호 등록 및 해제

철도 차량에 거치된 전화 번호와 철도 차량 번호와는 규칙적인 연관관계가 있어야하며

이러한 연관관계는 해당 단말이 변경되어도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7.1.3.10. 번호 및 내역 저장/검색

차량 이동국 장치는 특정 사용자와 통화하기 위한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추어야 하

며, 사용자는 이 번호를 임의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7.1.3.11. 부가 서비스 기능

차량 이동국 장치 MMI는 통화보류, 통화중 착신전화정보 표시, 기존 통화 보류 후 임

시 착신전화 수신, 다중 기관사 통화 기능을 지원하여야 하며, 기관사의 휴대용 무선 장

치로 착신 전환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7.1.3.12. 시험 기능

차량 이동국 장치 및 MMI의 고장 유무를 점검하는 시험 기능을 기관사에게 제공하여

야 한다. 이러한 시험은 기존 통화를 방해하지 않아야 하며, 시험의 결과는 차량 이동국

장치를 켰을 때 시행하는 자가 시험과 같은 포맷으로 현시되어야 한다.

7.1.4. 기타 기능

7.1.4.1. 승무원 및 차상 장치와의 착/발신 통화 취급

차량 이동국 장치는 기관사 뿐만 아니라 열차의 승무원 혹은 열차의 다른 장치와 착/

발신 통화 취급을 지원하여야 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은 차량 이동국 장치의 MMI가 꺼져

있어도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7.1.4.2. 통화 우선 순위의 취급

차량 이동국 장치는 서로 다른 착신 통신에 대하여 동시에 대응 가능하여야 하며 각

착신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에 따라 착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우선 순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8

를 위하여 기존 통화를 보류하거나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Pre-emption). 기존 통화보다

높은 순위의 발신통화를 시도할 경우, 기존 통화를 보류할 수 있어야 한다(Precedence).

통화 우선선점권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7.1.4.3. 실시간 진단

차량 이동국 장치는 열차의 TCMS에 의해 수행된 실시간 진단 정보를 관제센터에 전송

해야 한다.

7.1.4.4. 기관사 안전 장치 인터페이스(Driver Safety Device)

DSD는 기관사가 열차운행 중 갑작스러운 유고 상황이나 의식을 잃었을 경우 자동으로

대응하는 장치이다. 차량 이동국 장치는 DSD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야

하며 상황 발생 시 다음의 메시지를 주 관제사에 자동 송출하여야 한다.

- 열차번호

- 기관차 번호

- 위치 정보

7.1.4.5. 차량 이동국 장치 기록 장치 인터페이스

차량 이동국 장치는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이동국 장치 기록 장치 또는 기타

장비에게 다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차량 이동국 장치 철도 긴급 통화 버튼의 작동

- 철도 긴급 통화의 수신

- 발신 또는 착신된 철도 긴급 통화의 종료

- 무선 통신 결함

- 기관사 안전 장치(DSD) 경보 메시지 전송

- 철도 긴급 통화와 관련된 주요 정보

- TCMS와 인터페이스된 열차 운행정보

- 화재 경보

7.1.4.6. 모든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녹취

차량 이동국 장치를 이용하는 모든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대화는 녹취 서버에 저장이

되어야 한다.

7.1.4.7. 대승객 방송

관제사가 차량 이동국 장치를 통해 객실 방송장치로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29

7.2. 차량 이동국 장치 MMI

차량 이동국 장치의 MMI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현시장치

- 제어 패널

- 스피커

- PTT 버튼이 장착된 송수화기

기관사실의 무선장비는 기관사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열차의 안전 운전을 방해하지 않

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통화와 관련되지 않은 모든 기능은 송수화의 온/오프와 상관없이

동작하여야 한다. 또한 현시장치는 주변 밝기에 따라 명도와 조도를 기관사가 직접 조정

이 가능하여야 한다. 철도 긴급 통화 버튼은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실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현시 장치는 명확히 판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표시되

는 문자의 최소 높이는 5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 이동국 장치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일부 차량 이동국 장치는 장갑을 낀 직원이 무리 없이 작동할 수 있어야하고 다양한

조건에서(방말(splash proof), 방진, 직사광선, 암흑 등) 원활하게 작동해야 할 필요가 있

다.

7.2.1. 서비스 가용성

무선통신망과 접속되지 않으면, 차량 이동국 장치는 해당 접속상태에 대한 시청각 표시

를 제공해야 한다.

7.3. 제어/명령 인터페이스

차량 이동국 장치는 열차제어에 대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0

8. 휴대용 무선 장치

본 장에서는 휴대용 무선 장치에 대한 기능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이는 휴대용 무선

장치에 의해 제공될 기능을 포함하며, 휴대용 무선 장치 MMI 기능도 포함된다.

8.1. 기능 요구 사항

8.1.1. 요약

휴대용 무선 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통화 관련 기능

- 인가된 사용자와 통화

- 관제사와 통화

- 철도 긴급 통화 발신

- 철도 긴급 통화 수신

- 음성 통화

- 개별 또는 그룹 영상 통화

- 그룹 또는 방송 통화

- 다자간 통화

- 통화 종료

- 입환 모드 시작/종료

- 직접 통신 시작/종료

기타 기능

- 휴대용 무선 장치 전원 켜고 끄기

- 무선 네트워크 선택

- 스피커 볼륨 조정

- 기능 번호 등록 및 등록 해제

- 번호 및 통화 내역 저장/검색

- 컴퓨터 인터페이스

- 긴급 통화 관련 이벤트 저장

- 모든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녹취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1

8.1.2. 통화 관련 기능

8.1.2.1. 인가된 사용자와 통화

휴대용 무선 장치는 철도 무선네트워크에 의하여 적절한 번호를 통하여 사전에 인가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어야 한다.

8.1.2.2. 관제사와 통화

관제 통화를 위하여 휴대용 무선 장치의 사용자는 무선 장치를 최소한으로 조작하여

관제사와 손쉽게 통화가 가능하여야 한다.

일부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휴대용 무선 장치를 사용하는 구역에 따라 각 관제사 유형

별로 최대 20개의 유효 번호가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적절한 유효 번호가 획득되면,

휴대용 무선 장치는 철도 운용 우선 순위를 가진 이 번호로 통화를 설정해야 한다.

관제사에게 통화를 연결중일 때, 통화 연결이 될 때, 그리고 시스템이 통화를 연결할

수 없을 때, 사용자에게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용할 수 있다면, 연결된 상대방의 기능 ID가 사용자에게 현시되어야 하고, 연결된 상

대방의 ID에 대한 문자 숫자식 설명이 현시되어야 한다.

8.1.2.3. 철도 긴급 통화 발신

철도 긴급 통화는 전용 버튼 또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시작될 수 있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휴대용 무선 장치의 긴급 통화 기능 장애 시 시청각 표시가 제

공되어야 한다.

- 무선 장치의 전원이 켜질 때

- 무선 장치의 다른 기능은 정상적이나 철도 긴급 통화 기능의 장애 시, 긴급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버튼을 눌렀을 때

8.1.2.4. 철도 긴급 통화 수신

철도 긴급 통화 수신은 일반적인 그룹이나 방송 통화의 수신과 동일하나 MMI는 철도

긴급 통화용 시청각 표시를 제공하여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2

8.1.2.5. 음성 통화

음성 전화가 왔을 때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용할 수 있는 경

우, 발신자의 기능 ID가 현시되어야 한다.

8.1.2.6. 개별 또는 그룹 영상 통화

개별 또는 그룹 영상 전화가 왔을 때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용할 수 있는 경우, 발신자의 기능 ID가 현시되어야 한다.

8.1.2.7. 그룹 또는 방송 통화

그룹 혹은 방송 통화가 왔을 경우,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룹

통화의 경우 그룹 ID가 현시되어야 한다.

방송 통화가 진행 중이면, 휴대용 무선 장치의 사용자는 해당 방송 통화의 청취만 가능

하다.

그룹통화의 경우, 휴대용 무선 장치 MMI는 PTT 버튼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통화 진행 중에 사용자가 그룹 또는 방송 통화 구역을 벗어난다면, 사용자에게 호 상실

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8.1.2.8. 다자간 통화

다자간 통화가 왔을 때, 착신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8.1.2.9. 통화 종료

휴대용 무선 장치는 영상통화, 음성통화와 사용자가 시작한 방송 또는 그룹통화를 종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야 한다.

8.1.2.10. 입환 모드 시작/종료

휴대용 무선 장치는 통신 링크가 살아있을 때 링크 보증 신호음을 제공하는 ‘입환 모

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존 통화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는 입환 모드를 시작할 수

없다. 링크 보증 신호음은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된다.

8.1.2.11. 직접 통신 시작/종료

직접 통신을 시작/종료할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3

8.1.3. 기타 기능

8.1.3.1. 휴대용 무선 장치 전원 켜고 끄기

휴대용 무선 장치에 전원 켜기/끄기 스위치가 있어야 한다. 휴대용 무선 장치의 전원을

‘켜면’ 다음 사항이 시작된다.

- 현시장치, 제어장치 또는 표시기의 일시적 점등

- 자동 자가 시험

- 자가 시험 중 문제가 발생하면,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 무선통신망에 연결

- 연결이 성공되면, 해당 네트워크의 명칭이 현시되고 성공적 연결에 대한 청각 확인

신호가 제공되어야 한다.

- 연결이 성공되지 못하면, 그에 따른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휴대용 무선 장치는 전화 번호 또는 적절한 그룹 통화 번호를 이용하여

시작된 모든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무선 장치의 전원을 끄면 다음 사항을 진행한다.

- 무선 장치의 통제 하에 있는(즉, 무선 장치가 시작한) 모든 통화의 종료

-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장치 연결 해제

- 현시장치 및 표시기 끄기

전원이 꺼졌을 때, 무선 장치는 당시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과 번호를 계속 유지해야 한

다.

8.1.3.2. 무선 네트워크 선택

휴대용 무선 장치가 1개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네트워크의 이

용 선택은 자동이어야 한다. 이때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변경할 때는 시청각 표시가 제공

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동 네트워크 선택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단, 통화

중에는 무선 네트워크 선택을 할 수 없다.

8.1.3.3. 스피커 볼륨 조정

스피커 볼륨은 미리 정해진 레벨에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조정 범위

내에서 스피커 볼륨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4

8.1.3.4. 기능 번호 등록 및 등록 해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기능 번호를 등록하고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 사용자가 기능번호를 설정하고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기능 번호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변경시도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8.1.3.5. 번호 및 내역 저장/검색

사용자가 저장된 번호와 정보를 찾고 휴대용 무선 장치에 현시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

자가 특정 번호와 해당 정보를 휴대용 무선 장치에 저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8.1.3.6. 컴퓨터 인터페이스

휴대용 무선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나 로그 등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표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8.1.3.7. 긴급 통화 관련 이벤트 저장

휴대용 무선 장치는 사고 분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긴급 통화 이벤트들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 긴급 통화 버튼의 작동

- 철도 긴급 통화의 수신

- 발신 또는 착신된 철도 긴급 통화의 종료

8.1.3.8. 모든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녹취

휴대용 무선 장치를 이용하는 모든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대화는 녹취 서버에 저장이

되어야 한다.

8.2. 휴대용 무선 장치 MMI

8.2.1. 일반 사항

휴대용 무선 장치는 다음 사항의 일반 무선 장치 MMI를 구성하여야 한다.

- 현시장치

- 제어 패널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5

- 스피커

- 마이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낮과 밤에 모두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8.2.2. 현시 장치

현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최상의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8.2.3. 제어 패널

일반적으로 4개의 단축버튼이 제공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현지 관제사와 신속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부주의한 오동작으로 비상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부주의한 오동작으로 입환 모드를 위한 링크 보증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전용 PTT 버튼이 제공되어야 한다.

8.2.4. 표시창

10% 이내의 양방향 통화에 해당하는 배터리 용량이 남았을 경우, 시청각 표시를 통하

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면 사

용자에게 시각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청각적 표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9. 관제사 장치

철도 운용 구조 내에서는 주 관제사, 선 관제사, 전력 관제사, 설비 관제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상이한 관제사 유형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같은 장

소에 배치될 수 있으나, 대다수는 주 관제사와 상호작용한다. 본 장에서는 주 관제사의

MMI, 기타 관제사의 MMI, 관제사 단말기 인터페이스, 환경 사양에 대하여 기술한다.

9.1. 주 관제사의 MMI

주 관제사의 MMI는 다음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모든 착신 통화/통화 요청에 대한 통화 대기 목록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 관제사에게 통화 대기 목록을 현시하고, 각 통화별 발신자의 기능 ID 및 우선 순위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6

를 나타낸다. 이 때, 긴급 통화는 우선 순위별 통화 대기 목록의 가장 상위에 제시되어야

한다.

- 관제사가 MMI를 통해 현재 대기 중인 착신 통화 중 어떤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다.

- 관제사가 MMI로부터 선택하여, 철도 긴급 통화, 공공 긴급 통화 또는 철도 운용 우

선 순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관제사가 그룹 통화를(철도 긴급 통화, 공공 긴급 통화 또는 철도 운용 우선 순위 통

화에서) 설정, 폐쇄, 시작 및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사고의 사후 분석을 위해, 관제사 장치는 운용상의 음성 및 영상 통화의 대화와 데이터

를 모두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12.1.에 규정된 바와 같은 착신 통화 우선 순위에 따라 호출이 자동 응답될 수 있어야

한다.

9.2. 기타 관제사의 MMI

기타 관제사 MMI의 기능 요구 사항은 본질적으로 주 관제사와 동일하지만, 업무 범위

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서브시스템이 MMI 자체 기능 관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9.3. 관제사 단말기 인터페이스

관제실의 통신망 구조는 철도 운영 기관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런 관제실의 통신망과

관제사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의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의 범위를 벗어

난다.

9.4. 다른 관제사 단말기로 업무 기능 이양

관제사 단말기는 그 업무 기능을 다른 관제사 단말기로 이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10. M2M 무선 장치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M2M 무선 장치는 연결된 장비에 IP 기반 통신 기능을 제

공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장치이다. 유선으로 연결된 장비의 무선화와

장비간 원격 통신을 통한 무인화에 그 목적이 있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7

M2M 무선 장치는 자체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어야 하며, 필요 시 외부 안테나를 연결

할 수 있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M2M 무선 장치는 다양한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물리적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야 한다.

최소한, USB 인터페이스를 기본 제공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운영체제와 칩셋을 지원하

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 호 관리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제공해야 한다.

11. 번호 부여 계획

네트워크간의 상호연동을 보장하려면 번호 부여 계획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가입

자에 대한 번호 할당을 표준화하면 식별, 제한이 용이해진다. 본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술한다.

- 번호 부여 계획 요구 사항

- 표준화된 전화 번호

- 그룹 번호

-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로 발신한 통화

11.1. 번호 부여 계획 요구 사항

11.1.1. 일반 사항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기능 번호에 의해 통화를 시작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각 무선 장치는 고유 전화 번호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11.1.2. 열차번호 이용

열차번호를 사용하여 부여된 전화 번호는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의하여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되어야 한다.

모든 차상 기능은 고유 표준 번호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11.1.3. 기관차/객차 번호 이용

기관차/객차 번호를 사용하여 부여된 전화 번호는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의하여 사용

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되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8

모든 기관차상/객차상의 기능은 고유 표준 번호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11.1.4. 입환팀, 유지 보수팀 또는 관제사 번호 이용

모든 입환팀 번호는 다음 사항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 작업 구역 식별인자

- 입환팀 식별인자

모든 유지 보수팀 번호는 다음 사항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 작업 구역 식별인자

- 유지 보수팀 유형(전문성 코드)

- 유지 보수팀 식별인자

모든 관제사 번호는 다음 사항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 관제사 위치

- 관제사 식별인자

다른 팀에 대한 번호 부여는 유지 보수팀 번호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11.1.5. 그룹 통화 이용

그룹 음성 및 그룹 영상 통화의 그룹의 범위는 각 철도 운영 기관의 운용 책임 이내에

서 국지적인 구역, 운행노선, 또는 특정 기능 번호 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

어야 한다. 또한, 이동 무선 장치의 이동성에 따라 그룹 음성 및 그룹 영상 통화의 그룹

의 범위가 달라지는 경우, 통화 그룹은 자동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11.1.6. 문자 숫자식 번호 이용

각 철도 운영 기관의 시스템에 따라 열차번호가 문자 숫자식일 수 있다. 번호 상호운용

성을 위해, 문자 숫자식 번호를 지원하는 것은 의무사항이 아니다.

11.2. 전화 번호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 특정 기능에 대해서는 표준화된 전화 번호가 부여되

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39

- 철도 긴급 통화

- 가장 적절한 관제사

- 공공 긴급 통화

11.3. 그룹 번호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내 유선 철도망 간에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

해, IRIS 그룹 번호 부여 표준화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경계 구역에서는, 상호 호환이 될 수 있도록 사전에 합의된 그룹 번호가 부여

되어야 한다.

11.4.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내에서 인가된 사용자는 LTE 기반 철도 통신 시

스템 네트워크 외부 발신자로부터 오는 통화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12. 가입자 관리

각 철도 운영 기관별 네트워크에 일관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간에 이

동하는 열차 기관사 및 다른 사용자를 위한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화된 가입

정보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준화된 가입 정보를 규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가입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 차량 이동국 장치

- 차내 무선 장치

- 관제사

- 선로측 작업자

- 일반 직원

- 데이터 전송 전용 무선 장치

- 감독/관리

12.1. 우선 순위 할당

각각 다른 사용자 및 통화유형에 다른 등급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우선 순위 레벨이

필요하다. 아래와 같은 5개 우선 순위 수준이 규정되어야 한다.

- 철도 긴급 통화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0

- 관제 명령(안전 관련)

- 공공 긴급 통화

- 철도 운영

- 철도 정보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우선 순위는 다음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일관성 있게 할당되어야 한다.

IRIS 우선 순위 자동 응답* 선점 권한

우선 순위

1철도 긴급 통화 예 관제 명령(안전) 이하 수준

우선 순위

2관제 명령(안전) 예 공공 긴급 통화 이하 수준

우선 순위

3공공 긴급 통화 예 철도 운영, 관제

명령(정보알림) 이하 수준

우선 순위

4철도 운영(예: 관제사에 의해

시작된 기관사들과 관제사들

간의 통화) 및 관제

명령(정보알림)

예** 철도 정보 이하 수준

우선 순위

5철도 정보 및 기타 모든 통화 아니오

<표 12-1> 우선 순위 할당

* 자동 통화 응답은 음성 통화에만 적용된다.

** 차량 이동국 장치에 한해 의무사항이며,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해서는 선택사항이

다.

높은 우선 순위의 통화는 더 낮은 우선 순위의 개별 및 그룹 통화를 중지시키고 통화

가 가능해야 한다.

12.2. 통화 제한

철도 운영 기관은 추가 보안 대책으로서 다양한 유형의 통화 제한을 활용할 수 있다.

상용망에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접근이 제공될 경우 특히 중요하다(예:

일반 대중이 기관사에게 전화를 걸지 못하게 하고, 기관사가 일반 대중 구성원에게 전화

를 걸지 못하게 하기 위함). 단, 그런 통화 제한의 실행이 철도 운영 기관간 상호운용성

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1

12.3. 그룹 구성원

이동 무선 장치는 여러 통화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이동 무선 장치에서는 각 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어야 하며 활성화된 그룹하고만 통화할 수 있어야 한

다.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 이동국 장치는 다음과 같은 표준 그룹들에 속해야

한다.

- 철도 긴급 통화

- 모든 열차 기관사

- 선로측 작업자

철도 긴급 통화 그룹에 속한 모든 이동 무선 장치는 운용 중에 철도 긴급 통화 그룹을

비활성화 할 수 없어야 한다.

12.4. LTE 기반 철도통신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목록

인가된 LTE 기반 철도통신 무선 네트워크는 다음 순서로 나열되어야 한다.(단, 자동 선

택이 가능하다면 자동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 기본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 보조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현재 선택한 네트워크 내에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기능을 이용할 수 없고, 자

동 선택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모든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불가능하면 사용자에

게 시청각적 표시를 제공해야 한다.

12.5. 액세스 매트릭스

액세스 매트릭스는 어떤 가입자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어떤 다

른 가입자와 접속할 수 있는지를 규정한다.

“예”는 네트워크가 특정 발신자로부터 특정 수신자에게 가는 통화를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는 최소한 동일 열차에 탑승한 사용자에게만 통화가 허용되어야 한

다는 것을 나타낸다. “개방”은 철도 운영 기관의 특정 통신 요구 사항에 따라 허용 권한

을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액세스 매트릭스에서 음영이 있는 셀은 이 통화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사양의 규정 범위를 벗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2-2>에 액세스

매트릭스가 나타나 있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2

수신자

관제사 본무 기관사 보조 기관사 열차 팀장 방송장치

관제사 예 개방 개방 개방

본무 기관사 예 개방 예* 예* 예*

보조 기관사 예 예* 예* 예* 예*

열차 팀장 개방 예* 예* 예* 예*

방송장치

<표 12-2> 액세스 매트릭스

필요하다면, 철도 운영 기관은 액세스 매트릭스에 대해 제한사항을 추가할 수 있다.

13. 철도 전용 호처리

철도 통신 시스템에서는 일반 전화 번호보다도 ‘기능’과 ‘위치’에 따라 통신 주소를 지

정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특정 시간 동안만 이와 같은 주소를 부여받게 된다.

13.1. 기능 어드레싱

13.1.1. 원칙

사용하는 단말기 장비에 할당된 전화 번호보다 기능 구분 번호에 의해 사용자를 확인

할 수 있는 어드레싱 체계가 제공되어야 한다. 주 용도는 관제사가 열차번호를 이용하여

열차 기관사와의 통신을 설정하는 것이다. 운전실 내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장비의

전화 번호가 변경될 가능성은 없지만, 열차번호는 운행마다 변하기 때문이다. 다른 용도

는 차내 기능 및 유지 보수팀 구성원 등과 같이 특수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사용자를 구

분하는 것이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사용자에게 한 번에 최소 3개의 기능 번호를 할당할 수 있

어야 하며, 각 기능 번호는 다른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는 고유 번호이어야 한다. 기능 번

호는 한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더라도 그대로 유효해야 한다. 단, 각 철

도 운영 기관이 열차번호를 다르게 관리할 경우 다른 철도 운영 기관의 네트워크로 이동

했을 때 새로운 기능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번호는 자동으로 적용되지

않아야 하며, 기능 번호 적용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기능 어드레싱 체계는 이동 무선 장치 및 단말기 장비의 특정 구성과 상관없어야 한다.

예를 들면, 특정 열차에 탑승한 차장의 기능 번호는 차장이 차내 무선 장치를 통해 네트

워크에 접근하는지 또는 별도의 전용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이동 무선 장치를 가지

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3

모든 단말기(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및 비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에서 기능

번호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어야 한다. LTE 기반 철도 통

신 시스템 이동 무선 장치, 관제사 단말기, 철도 유선망 전화 및 공중전화가 포함된다.

그런 통화는 모두 접근 제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12.5. 액세스 매트릭스 참조)

기능 어드레싱 체계는 관제사가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시스템을 별도로 참고하지

않아도 관제 구역 내에 있는 열차까지 쉽게 통화할 수 있어야 한다.

13.1.2. 기능 번호의 형식

각 기능 번호는 모든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전반에 걸쳐 고유해야 한다.

기능 번호는 숫자만으로 구성된다.

13.1.3. 기능 ID 표시

통화를 개시한 사용자에게 수신자의 기능 ID가 표시되어야 하며 개시자의 기능 ID가

수신 사용자에게 표시되어야 한다. 방송 및 그룹 통화에 대해서는, 표시된 기능 ID가 방

송 또는 그룹 ID여야 한다. 만약 통화를 개시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기능 ID를 보유하

고 있다면, 통화 연결 이전에 사용자가 수신 사용자에게 어떤 기능 ID를 제시할 것인지

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열차번호를 차량 이동국 장치의 기능 ID로 할당한 경우, 이는 다른 기능 ID보다 우선해

야 하며, 다른 사용자에게 표시될 기능 ID라야 한다.

기능 ID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되어야 한다(예: ‘abcd01’보

다 ‘열차 abcd의 기관사’ 또는 ‘xyz03’보다 ‘xyz 입환팀 3’).

13.1.4. 기능 어드레싱 등록 절차 원칙

이동 무선 장치 사용자에 의한 기능 번호와 전화 번호 간의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세

가지 절차는 다음과 같다.

13.1.4.1. 등록

기능 어드레싱 체계는 간편하게 기능 번호를 등록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가 기능 역

할을 시작하는 즉시 쉽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모든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사용자 장비에는 기능 번호 등록 기능이 있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4

시스템은 특정 유형의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인가받지 않은 기능 번호를 등록하지 못하

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 열차번호

- 열차 기관사

차량 이동국 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장비 품목에 최대 10개의 기능 번호가 30초 이

내에 할당될 수 있어야 한다. 등록 중에 기능 번호의 할당 오류가 발생하면 안된다.

시스템은 기능적 어드레싱 기능이 손상된 시스템의 고장 시 일관성 있는 복구용 데이

터 세트와 복구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복구 중에, 시스템은 미확인 기능 번호가 사용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13.1.4.2. 등록 취소

모든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장비는 기능 번호 등록 취소 기능을 지원해야 하며,

기능 어드레싱 체계는 간편한 등록 취소 절차를 지원해야 한다. 이 절차는 기능 역할이

끝났을 때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차량 이동국 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장비에 최대 10개의 기능 번호를 30초 이내에

등록 취소할 수 있어야 한다.

취소 권한이 주어진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 이전 사용자가 실수로 등록을 취소하지 않은 경우, 현 사용자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기능 번호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예: 한 기관사가 다른 기관사가 등록 취소를

잊어버린 열차번호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 한 번의 조작으로, 동일 이동 무선 장치와 연관된 모든 기능 번호의 등록을 취소.

(예: 기관사가 운행이 끝나면 모든 기능의 등록을 취소한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이동 무선 장치는 표시된 기능 번호를 제거했을 때 사용자

에게 등록 취소가 발생했음을 표시해야 한다.

13.1.4.3. 재등록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간의 이동을 위해, 시스템은 새로운 네트워크가

선택된 후 기능 번호의 재등록 절차를 지원해야 하며, 이 절차는 수동 개입 없이 자동으

로 수행되고, 새로운 등록 내역이 사용자에게 표시되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5

13.2. 위치기반 어드레싱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부여된 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위치기반 어드레싱이 제

공되어야 한다.

이동 무선 장치의 위치에 따라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의 대상은 다음과 같다.

- 관제사

- 철도 관제센터

관제 구역의 동적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위치와 통화 목적지 간의 통신이 쉽게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예: 관제 구역 경계가 철도 운영 기관의 조직 또는 교통 수요의 변경에

대응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위치기반 어드레싱으로 운행할 때는, 이동 무선 장치가 관제 구역 경계를 넘어갈 때 시

스템이 자동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위치기반 어드레싱 체계를 모든 이동 무선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최소한의 위치 정보는 네트워크 자체로부터 도출되어야 한

다(예: 이동 무선 장치가 사용되는 현재 셀 또는 기지국).

위치기반 어드레싱에 대해 더 높은 정확도가 필요한 경우,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외부 시스템에 의해 추가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런 정보의 출처에는 다음 사항

이 포함될 수 있다.

a) 지상 신호시스템

b) 차내 시스템(예: KRTCS 장비, 트랜스폰더 판독기, GPS 등)

c) 기타 이동 무선 장치 내장 시스템

14. 멀티미디어 메시징

이동 무선 장치간 또는 이동 무선 장치와 지상 장치간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호 교

환하기 위해,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이 무선 장치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

기 위한 베어러로서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

14.1. 서비스의 정의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을 통해 지상과 이동 무선 장치 간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문자, 영상, 사진, 음성 메시지를 포함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6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안전과 관련된 메시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규정하지 않

으며 표준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한다.

14.2. 성능

메시지의 최대 길이는 제한이 없으며, 메시지는 화면의 표시 설정, 즉 글자 크기, 최대

글자 표시 수,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다. 단, 메시지

기능이 사용자의 무선 장치 운용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14.3. 인터페이스

이동 무선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모듈 간의 표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15. 철도 긴급 통화

긴급 통화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 및 사건 후 분석을 위한 기록 저장, 철도 운용 긴급

통화용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음성 통화를 취급하는 것을 기술하며, 공공 긴급 통화(즉,

‘112’, ‘119’ 통화 취급)는 포함하지 않는다.

15.1. 철도 긴급 통화

철도 긴급 통화는 구역 내에 있는 모든 기관사 및 관제사에게 열차 긴급 통화를 발신

해야 하며, 이 긴급 통화 구역은 운용 요구 사항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필요한 경우, 긴

급 통화용으로 미리 정의된 구역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철도 긴급

통화가 시작 될 때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에 통보되어야 한다.

15.2. 철도 긴급 통화의 관리

15.2.1. 요약

철도 긴급 통화는 세 단계로 규정될 수 있다.

- 1 단계: 경고

- 2 단계: 정보

- 3 단계: 종료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7

15.2.2. 1 단계: 경고

철도 긴급 통화를 간단한 MMI 조작으로 시작될 수 있어야 한다(예: 운전실 및 휴대용

무선 장치에서 동일한 MMI 조작방법 제공). 사전에 정의된 이동 무선 장치 및 관제사 수

신 대상에 대해서는 철도 긴급 통화 우선 순위의 연결(12.1. 참조)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

다.

시스템이 통화를 연결할 수 없다면, 시스템은 30초 동안 자동으로 계속 통화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이 기간 동안 사용자에게 시스템이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있다는 시청각

표시를 제공해야 한다. 30초 기간이 지난 후 연결을 성공하지 못했으면, 시스템은 통화

를 연결할 수 없었다는 또 다른 시청각 표시를 제공해야 한다.

통화를 시도하면 비상 기능이 작동되었다는 경고음이 발신 및 수신 사용자에게 제공되

어야 하며, 시각적 표시는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발신 및

수신 단말기에서 상이한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경고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해당 영향 구역으로 진입하는 열차에도 동일한 시청각 표

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15.2.3. 2 단계: 정보

경고 신호음 직후에 긴급 통화의 발신자가 비상사태의 성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통화가 연결되어야 한다. 경고 신호음을 수신한 관제사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대화

가 가능해야 한다. 이 외에도, 경고 신호음을 수신한 다른 이동 무선 장치 사용자가 정보

를 제공할 수 있도록 대화가 가능해야 한다. 정보는 경고 신호음을 수신하는 동일 사용

자 집합에 수신되어야 한다.

15.2.4. 3 단계: 종료

철도 긴급 통화는 다음 사항에 의해서만 종료될 수 있다.

- 통화 발신자

- 통화에 참여한 관제사

- 대화가 없는(운영기관에서 결정한) 기간 이후, 네트워크

긴급 통화 진행 중에 무선 장치가 통화 가능 구역을 벗어난다면, 사용자에게 호 상실에

대한 시청각 표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8

15.3. 철도 긴급 통화 수신

인가된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이동 무선 장치는 이동 무선 장치 전원이 켜져 있

는 동안에 언제라도 철도 긴급 통화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동 무선 장치에 의해 시작된 철도 긴급 통화에 대해서는, 관제사의 현시장치가 다음

사항을 표시한다.

- 위치

- 발신 이동 무선 장치의 기능 ID, 이는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이용할 수 있다면, 열차번호

- 열차번호를 이용할 수 없다면, 기관차 번호

- 열차번호도 기관차 번호도 이용할 수 없다면, 선도 운전실의 객차 번호

15.4. 철도 긴급 통화 확인

사후 분석을 위해, 이동 무선 장치에 의한 철도 긴급 통화의 발신과 수신이 지상 기반

중앙 장치(그리고 차내 기록 장치에도 기록된)로 전송된 메시지에 의해 확인되는 것이 중

요하다.

메시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생성되어야 한다. 메시지 전송은 통

화가 끝났을 때 또는 무선 장치가 긴급 통화 구역을 벗어났을 때 시작되어야 한다. 무선

장치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상실하면, 최대 5분 동안에 가능한 한 빨리 통신 회복에 관

한 메커니즘이 시작되어야 한다.

이동 무선 장치에 의해 시작된 철도 긴급 통화에 대해서는, 시작 이동 무선 장치의 자

동 기록 장치의 메시지에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통화 설정 시각

- 해제 시각

- 통화 발신자의 기능 번호

- 열차라면, 통화 발신자의 열차번호와 기관차 번호

이동 무선 장치가 수신한 철도 긴급 통화에 대해서는, 수신 이동 무선 장치의 자동 기

록 장치의 메시지에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통화가 최초로 수신된 시각

- 통화가 상실(또는 종료)된 시각

- 발신자의 그룹 ID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49

- 수신자의 기능 번호

- 열차라면, 수신자의 열차번호와 기관차 번호

기록 장치의 메시지는 통화 종료 후 5분 이내에 99% 성공 확률로 중앙 장치에 수신되

어야 한다. 기록 확인 절차의 수행이 현재 이동 무선 장치 사용에 따라 달라지면 안 되

며 네트워크에 과부하를 걸면 안 된다.

16. 링크 보증 신호

16.1. 서비스의 정의

링크 보증 신호는 사용 중인 단말기의 음성 통신 링크가 정상이라는 것을 사용자가 확

인하는 수단이다. 이 기능은 주로 유지 보수 근로자가 선로변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무

선 통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하다.

16.2. 링크 보증 신호의 개시와 종료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 이동 무선 장치는 링크 보증 신호를 개시 및 종료할 수 있

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단, 그 방법이 철도 긴급 통화 발신 또는 수신 후 링크 보증

신호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혼란을 주어서는 안 된다.

유지 보수 그룹 구성원 중 누구나 링크 보증 신호를 개시 또는 종료할 수 있으며, 개시

후 종료할 때까지 그룹 구성원 모두의 이동 무선 장치에서 링크 보증 신호가 작동하여야

한다.

링크 보증 신호는 간헐적인 청각 신호음(800과 850Hz 사이)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신

호음의 지속기간은 1초라야 하며, 그 후 2초의 묵음이 뒤따른다.

사용자가 말하기 위해 PTT 버튼을 누를 때 이동무선 장치의 링크 보증 신호가 중단되

어야 하지만, 취소되지는 않는다. 링크 보증 신호는 철도 긴급 통화의 발신 또는 수신한

즉시 작동 정지되어야 한다.

16.3. 차량 이동국 장치에서의 링크 보증 신호

LTE 기반 철도 통신 시스템은 운행 중인 열차의 차량 이동국 장치가 위치한 셀을 기준

으로 열차 진행 방향의 2번째 셀 이내에 링크 보증 신호가 작동 중인 이동 무선 장치가

있을 경우, 링크 보증 신호 개시 신호를 차량 이동국 장치에 전송해야 한다. 개시 신호를

수신한 차량 이동국 장치의 MMI는 진행 방향에 유지 보수 근로자가 있음을 알리는 시청

각 표시를 제공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50

링크 보증 신호가 작동 중인 이동 무선 장치가 위치한 셀의 다음 셀로 차량 이동국 장

치가 이동하면 시스템은 차량 이동국 장치에 링크 보증 신호 종료 신호를 전송해야 한

다. 종료 신호를 수신한 차량 이동국 장치의 MMI는 유지 보수 근로자가 있음을 알리는

시청각 표시를 종료하여야 한다.

17. 직접 통신

직접 통신에 대한 작동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정상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고장나는 경우에 열차 기관사와 선로측 인

력 간에 단거리 대체 통신을 제공

- 이동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원거리 구역에서 활동하는 철도 인력을 위

해 단거리 통신을 제공

- 이동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열차 내 승무원을 위해 단거리 통신을 제공

17.1. 기능 요구 사항

직접 통신의 실행은 선택사항이다.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다음 요구 사항은 의무사항

이다.

- 직접 통신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개활지 내 최소한 1000m까지의 범위

- 다중 홉 라우팅 기능

- 링크 보증 신호 사용을 지원하는 음성 전용 기능

- 전송 중인 사용자의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직접 통신 전송을 활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전송을 수신하도록 하는 ‘개방’ 작동 모드

- 사용자는 말하거나 들을 수만 있지, 둘 모두 할 수는 없다. 말할 수 있는 능력은

PTT 기능을 이용해서 달성되어야 한다.

- 장비가 정상 및 직접 통신 능력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2개 모드 사이를 간편한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 사용자는 정상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을 때만 직접 통신을 선택할 수

있다.

- 제어장치는 사용하기에 간편해야 한다. 예컨대,

- 직접 통신 켜기/끄기 스위치

- PTT 기능

- 볼륨 제어

- 단말기 배터리 경고

- 직접 통신으로 작동 중인 휴대폰에 대한 배터리 수명은 다음 사이클을 바탕으로 최

소한 12시간이라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51

- 20% 송신

- 20% 수신

- 60% 대기

- 직접 통신이 대체시스템으로 사용될 때는 이동통신 서비스 정상화에 대한 시청각 표

시가 제공되어야 한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06.036952

구분 성명 위원회 및 직위 연락처 소속사

표준(과제)

제안

성낙운 IMT 프로젝트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이숙진 - [email protected] ETRI

표준 초안

작성자

김준식 IMT 프로젝트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ETRI

윤병식 - [email protected] ETRI

이숙진 - [email protected] ETRI

정민우 - [email protected] ETRI

최용석 - [email protected] ETRI

김경희 IMT 프로젝트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KRRI

최현영 IMT 프로젝트그룹 위원 [email protected] KRRI

정우석 - [email protected] KRRI

김주엽 - [email protected] KRRI

송용수 - [email protected] KRRI

김용규 - [email protected] KRRI

표준 초안

검토

이현우 IMT 프로젝트그룹 의장[email protected]

.kr단국대학교

외 프로젝트그룹 위원

표준안

심의

오민석전파/이동통신

기술위원회 의장

031-450-2916

[email protected]

m

엘지전자㈜

외 기술위원회 위원

사무국

담당

오충근 IMT프로젝트그룹 간사031-724-0094

[email protected]

김대중 TTA 전파방송부 부장031-724-0090

[email protected]

표준 작성 공헌자

표준 번호 : TTAK.KO-06.0369

이 표준의 제정․개정 및 발간을 위해 아래와 같이 여러분들이 공헌하였습니다.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LTE 기반 철도 통신 기능 요구 사항

(Functional Requirements for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발행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발행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463-82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47

Tel : 031-724-0114, Fax : 031-724-0109

발행일 : 20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