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
접수번호 21B20130012724 사업분야 인문사회 단위 전국 구분 사업단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 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비율(%) 40% 30% 3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신설학과 여부 사업단명 국문)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 영문) The Society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사업단장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성명 국문 최호철 전화 1972 팩스 이동전화 010-3167-1972 영문 CHOE, Ho Chol E-mail [email protected]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1차년도 (`13.3 ~`14.2) 2차년도 ('14.3 ~'15.2) 3차년도 ('15.3 ~'16.2) 4차년도 ('16.3 ~'17.2) 5차년도 ('17.3 ~'18.2) 6차년도 ('18.3 ~'19.2) 7차년도 ('19.3 ~'20.2) 국고지원금 897 897 897 897 897 897 897 총 사업기간 2013.3.1. ~ 2020.2.29.(84개월) 1차년도 사업기간 2013.3.1. ~ 2014.2.28.(12개월)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여 소정의 사업성과 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3년 06월 19일 작성자 사업단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1 / 554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BK21 플러스』인문사회분야 (사업단) 사업 신청서 최호철

『BK21 플러스』인문사회분야 (사업단) 사업 신청서 · 2018. 8. 21. ·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접수번호 21B20130012724

    사업분야 인문사회 단위 전국 구분 사업단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비율(%) 40% 30% 3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신설학과

    여부

    사업단명

    국문)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

    영문) The Society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사업단장

    소 속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직 위 교수

    성명

    국문 최호철전화 1972

    팩스

    이동전화 010-3167-1972영문 CHOE, Ho Chol

    E-mail [email protected]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1차년도

    (`13.3

    ~`14.2)

    2차년도

    ('14.3

    ~'15.2)

    3차년도

    ('15.3

    ~'16.2)

    4차년도

    ('16.3

    ~'17.2)

    5차년도

    ('17.3

    ~'18.2)

    6차년도

    ('18.3

    ~'19.2)

    7차년도

    ('19.3

    ~'20.2)

    국고지원금 897 897 897 897 897 897 897

    총 사업기간 2013.3.1. ~ 2020.2.29.(84개월)

    1차년도 사업기간 2013.3.1. ~ 2014.2.28.(12개월)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여 소정의 사업성과

    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3년 06월 19일

    작성자 사업단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1 / 554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BK21 플러스』인문사회분야 (사업단)

    사업 신청서

    최호철

  •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언어와 문학은 한 국가의 핵심적 문화 기저로 작용하며, 언어와 문학의 발전은 한 국가

    의 문화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언어와 문학 분야의 우수한 연구자

    와 교육자를 길러내는 일은 국가와 사회 발전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만드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언어와 문학은 한 나라의 문화적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선도적 역할을 하기

    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어문학의 발전은 우리 사회와 문화 발전의 동력이 되며, 나

    아가 한국문화의 세계적 확산은 물론 대외적으로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욱이 한국어문학의 발전적 토대구축은 미래의 문화적 소통과 연대라는 측면과 긴밀하

    게 연결되어 있다. 세계화라는 기치 아래 세계 여러 나라가 자국의 언어와 문학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자국의 언어와 문학 나아가 문화를 세계적으로 보

    급·확장시킴으로써 향후 문화적 영향력을 확장하고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것

    이다. 한국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문화의 핵심적 기저라

    할 수 있는 한국어문학의 확산과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사업 목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은 한국어문학의 세계화에 대한 새로운 모델

    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류 문명의 미래를 선도하는 핵심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설

    정한다. 이를 위해 본 사업단은 선진적인 소통형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한국어문학 분

    야를 선도하는 차세대 연구자와 교육자를 양성하여, 한국어문학의 세계화와 다원적 국제

    화에 기여하고 그에 필요한 새로운 발전 모델을 제시·실천함으로써 한국어문학의 미래지

    향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사업목표로 제시한다.

    교육역량 영역

    본 사업단은 사업 목표의 실현을 위해 유연하고도 실질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자 한

    다. 첨단 이론의 교체 시기가 가속화되고 다원적 사고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추세에 걸맞

    은 교육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본 사업단은 최신 문예 이론과 학제간 융합 교과를 적극

    적으로 개설하고, 학부생과 국내·외 대학원생이 다양하게 선택·참여할 수 있는 과목별

    구분 강의를 개설하는 등 구체적인 변화의 노력을 기하고자 한다. 한국어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청되는 시기에 본 사업단의 이러한 창의적 교육 모델은 미래의 핵심적 인재

    를 키우는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본 사업단은 한국어문학의 다원적 국제화를 위한 새로운 모델 개발이 긴요한 것

    으로 판단하여,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트리컨티넨탈(Tricontinental: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을 포함한 한국어문학의 국제화를 진행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학 및 한국어문학의

    분포는 중국, 미국, 일본에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사업단은 이들 국가와의 지속적

    인 교류를 진행하는 한편, 한국어문학의 보급과 확산 과정에서 소외되어왔던 국가들과도

    인적·물적 교류를 확대함으로써 한국어문학의 다원적 균형 발전을 꾀하려 한다.

    연구역량 영역

    본 사업단은 한국어문학에 대한 기초 및 이론 연구를 선도적으로 실행함은 물론, 다층

    적 지역학들과의 횡단적 소통 및 연구 교류의 세계화를 지향한다. 그 동안 국가 경제력의

    신장과 함께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상품의 세계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고무

    적인 흐름을 살려나가되 이를 문화적 소통과 연대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기초 및 이

    론 연구를 심화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며, 둘째 한국어문학의 문화학적 연구시야를 확

    대하고 문화상업적으로 응용해야 한다. 나아가 세계 곳곳에서 이미 다원적으로 이루어지

    고 있는 한국어문학 연구들을 적극 공유하고 그 특수성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각 문화권의

    한국어문학 연구 간에 새로운 소통과 상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장을 조성할 필요가 있

    다. 본 사업단은 중국, 미국, 일본뿐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를 아우르는 전 세

    계 다양한 문화 권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문학 교육 및 연구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중심어

    한국어문학 트리컨티넨탈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소통형 교육 체계 내향형(Inbound) 국제화 문화적 소통과 연대

    학제간 융합교과 외향형(Outbound) 국제화

    2 / 554

  • 건설하고 그 소통과 연대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사업단은 이상과 같은 사업 목표의 구체적 실행을 통해, 한국어문학 연구와 교육을

    선도하는 미래 우수 인재를 육성하고 새로운 교육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다. 또한 한국어문학의 다원적 국제화 사업은 전 세계적인 한국어문학의 균형적 발전을

    가져올 것이며, 국제 연구 네트워크의 다변화 사업은 보다 다양한 국가의 특수한 연구자

    산들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사업 목표의 실현은 한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한국문화의 세계적 확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

    가적 위상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3 / 554

  • 4 / 554

    Ⅰ 사업단 현황

    1 사업단 구성

    1.1 사업단장

    T_1_1:성명 T_1_2:한글 D_1_3:최호철 T_1_4:영문 D_1_5:CHOE, Ho Chol

    T_2_1:소속기관 D_2_3:고려대학교 D_2_4:문과대학 D_2_5:국어국문학과

  • 5 / 554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교수 현황 (단위: 명, %)

    T_1_1:기

    T_1_2:대

    과(

    부)

    T_1_3:전체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8:기존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13:신임 교수 수(임상, 교

    육, 분교, 기금 제외)

    T_1_18:임상, 교육, 분교, 기금

    교수 수

    T_2_3:전

    T_2_4:참여

    T_2_7:참

    (%)

    T_2_8:전

    T_2_9:참여

    T_2_12:참

    (%)

    T_2_13:전

    T_2_14:참여

    T_2_17:참

    (%)

    T_2_18:전

    T_2_19:참여

    T_2_22:참

    (%)T_3_4:전

    T_3_5:겸

    임T_3_6:계

    T_3_9:전

    T_3_10:겸

    임T_3_11:계

    T_3_14:전

    T_3_15:겸

    임T_3_16:계

    T_3_19:전

    T_3_20:겸

    임T_3_21:계

    D_4_1:201

    306

    19

    D_4_2:국

    D_4_3:19 D_4_4:17 D_4_5:0 D_4_6:17D_4_7:89.

    47%D_4_8:19 D_4_9:17 D_4_10:0 D_4_11:17

    D_4_12:89.

    47%D_4_13:0 D_4_14:0 D_4_15:0 D_4_16:0 D_4_17:0% D_4_18:0 D_4_19:0 D_4_20:0 D_4_21:0 D_4_22:0%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단위: 명, %)

    T_1_1:기준

    T_1_2:대학

    원 학

    과(부)

    T_1_3:대학원생 수

    T_2_3:석사 T_2_6:박사 T_2_9:석·박사 통합 T_2_12:계

    T_3_3:전체 T_3_4:참여T_3_5:참여

    비율%T_3_6:전체 T_3_7:참여

    T_3_8:참여비

    율%T_3_9:전체 T_3_10:참여

    T_3_11:참여

    비율%T_3_12:전체 T_3_13:참여

    T_3_14:참여

    비율%

    D_4_1:20130

    619

    D_4_2:국어

    국문학

    D_4_3:170 D_4_4:114D_4_5:67.06

    %D_4_6:236 D_4_7:178 D_4_8:75.42% D_4_9:0 D_4_10:0 D_4_11:0% D_4_12:406 D_4_13:292

    D_4_14:71.92

    %

  • 6 / 554

    Ⅱ 부문별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교육 비전 및 목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은 한국어문학의 세계화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이

    를 바탕으로 학문적·문화적 국부(國富)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핵심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사업단은 내향형Inbound 국제화와 외향형Outbound 국제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전공 특수화 위

    에서 학문 통합을 지향하며, 한국어문학의 국제적 확산을 지원하되 현지 소통형 인재를 육성하는 데 주력하

    도록 한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를 추진하는 데 있어 '다원과 균형'을 방법론적 기초로 삼기로 한다. '다원과 균

    형'은 연구와 교육, 국제와 국내, 학술과 실용 사이에서 균형 및 다원성의 추구를 원칙으로 한다. 1990년

    대 말 이래 한국의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있어, 또한 교육과 연구의 현장에 있어 핵심 모델로 기능해 왔

    던 것은 '선택과 집중' 모델이다. 급속한 세계화 속에서 '선택과 집중'은 한국의 성장 동력을 쇄신하고 문

    화적 영향력을 증대하는 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지금은 '차이메리카' G2의 성장 모델 자체가 정체된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장기적 과정

    이 되겠지만, G2 시대에 이어 트리컨티넨탈(Tricontinental: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의 시대가 도래하리라

    는 전망이 제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선택과 집중'을 보완할 후속안의 필요는 그만큼 더 절실하다 하겠다.

    본 사업단에서는 BK 21 사업을 수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선택과 집중' 모델의 장점을 이어가면서, 한국어

    문학 교육 및 연구의 현장에서 '다원과 균형'의 제 방략을 실천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적용 영역은 다음

    과 같다.

    1) 지역 간 균형: 한국어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권역별·수준별 접근

    2) 교육/ 연구의 균형: 교육과 연구의 환류 효과 제고

    3) 국내/ 국제의 균형: 국내 선도 역량과 국제적 선도 역할의 조화

    4) 특성화/ 융합의 균형: 학문 특성화와 그를 통한 융합의 내실화

    5) 내향Inbound/ 외향Outbound의 균형: 국내 수렴과 국제 진출의 동시 추진

    6) 중심/ 주변의 균형: 종주국 모델에서 협력/ 소통 모델로의 전환

    본 사업단은 위와 같은 여섯 가지 부문에서의 균형을 바탕으로 한국어문학의 세계화에 있어 다원성 모델

    을 구축하고자 한다.

    1) 세계적 다원성: 세계 각 지역 한국어문학과의 다원적 네트워크

    2) 사회적 다원성: 연구·교육·실용의 통합적 달성을 위한 다원적 실천 체계

    3) 학문적 다원성: 전공별 독자성·전문성에 기초한 다원적 융합의 학문 구조

    본 사업단은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의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 실천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어

    서 '다원과 균형'의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한다. 교육에 있어서는 세계적 다원성/ 사회적 다원성/ 학문적 다

    원성의 원칙을 근간으로 교과 과정 영역을 구성하고, 연구에 있어서는 다원성의 각 층위 사이 결합을 추

    진, '지역+교육적 효용+연구 주제'의 삼원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본 사업단에서는 교육 부문에 있어서는

    이런 전략을 통해 '세계 한국어문학을 선도하는 미래 인재 육성'을 비전으로 한다.

    언어와 문학은 한 국가의 핵심적 문화 기저로 작용하며, 언어와 문학의 발전은 한 국가의 문화 발전을 위

  • 7 / 554

    한 근본적인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언어와 문학 분야의 우수한 연구자와 교육자를 길러내는 일은 국가와

    사회 발전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만드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언어와 문학은 한 나라의 문화적 우수성

    을 세계에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어문학의 발전은 우리 사회와 문화 발전의

    동력이 되며, 나아가 한국 문화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동시 대외적으로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균형 잡

    힌 인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욱이 한국어문학의 발전적 토대 구축은 미래의 문화적 영향력 증진이라는 측면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

    다. 세계화라는 기치 아래 세계 여러 나라가 자국의 언어와 문학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

    는 것도, 자국의 언어와 문학 나아가 문화를 세계적으로 보급·확장시킴으로써 향후 자국의 문화적 영향력

    을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한국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문

    화의 핵심적 기저라 할 수 있는 한국어문학의 확산과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 ---------------

    ㅣ세계적 다원성ㅣ-------------ㅣ 협력과 균형 ㅣ

    --------------- ---------------

    ----------------

    ㅣ 한국어문학의 ㅣ --------------- ---------------

    ㅣ 세계화를 위한ㅣ --- ㅣ사회적 다원성ㅣ-------------ㅣ 소통과 개방 ㅣ

    ㅣ 미래인재육성 ㅣ --------------- ---------------

    ----------------

    --------------- ---------------

    ㅣ학문적 다원성ㅣ-------------ㅣ특성화와 융합ㅣ

    --------------- ---------------

    ==================================================

    교육 목표 1: 협력과 균형을 통한 세계적 다원성 추구

    ==================================================

    (1) 국제적 환경의 변화와 대학원생 수요의 변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에서는 한국어문학의 세계적 수요에 부응하고 또한 그 수준을

    제고시킬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1) 외국어 능력을 갖추고 2) 전공 분야

    에 대한 심화·특성화된 지식을 구비하고 있으며 3) 한국어문학 일반 및 인접 분야에 있어 융합적 연구 능

    력을 발휘하는 한편 4) 현지 소통 능력과 엄격한 윤리 감각을 겸비한 대학원생의 양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는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한국어문학 교육 담당자를 배출하

    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해 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어문학에 대한 세계적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교육의 목

    표 자체를 재설정해야 할 상황을 맞고 있다. 2013년 3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재학생 중 150명

    을 대상으로 교육 수요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바 그 결과 역시 국내 수요와 국제 수요를 동등하게 고

    려해야 할 정도로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졸업 후 취업 희망 지역을 묻는 문항에 응답자 중 45.7%(53명)이

  • 8 / 554

    국내를 선택한 데 비해 11.2%(13명)가 국외를, 35.3%(41명)가 국내외를 선택한 것이다. 즉 대학원생 중

    46.3%에 달하는 숫자가 국외 취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이들의 취업 희망 직종은 전공 분야 교수·연구 및 학술 행정직이 총 92.2%로 단연 압도적이다. 지역에

    있어서는 동북아시아(25.3%, 38명)와 북미 및 유럽(18%, 각 27명)을 선호하는 비율이 앞서지만, 동남아시아

    (12.7%, 19명)와 오세아니아주(10%, 15명)는 물론 중남미(7.3%, 11명), 중동 및 아프리카(4.7%, 7명), 중앙

    아시아(4%, 6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외국에서 취업할 경우 빈도 백분율

    희망 지역 (명) (%)

    ------------------------------------------------

    동북아시아 38 25.3

    동남아시아 19 12.7

    중앙아시아 6 4.0

    중동 및 아프리카 7 4.7

    오세아니아 15 10.0

    북미 27 18.0

    중남미 11 7.3

    유럽 27 18.0

    -----------------------------------------------

    합계 150 100.0

    -----------------------------------------------

    이런 추세는 해외 한국어문학 수요의 변화 추세와 대체로 일치한다. 외교통상부 산하의 한국국제교류재단

    의 사업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볼 경우, 북미 중심의 교수직 설치 지원 사업이 여전히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그 밖에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 지역에 한국학 객원 교수를 파견하는 사업이 해마다 활발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한국학 객원 교수 공모를 통

    해 보면, 총 43명을 파견한 가운데 40명이 광의의 트리컨티넨탈 지역에 파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

    며, 또한 43명의 교수 수요 가운데 39명이 한국어문학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아볼 수 있다.

    (2) '한류'와 한국어문학 균형 발전의 필요

    세계적으로 한국어문학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는 한국의 경제 성장 및 민주화 경험이 크게 기여

    했지만, 2000년대 이후 이른바 '한류Hallyu'라는 문화적 현상이 특별한 기여를 한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영화·드라마·대중가요 등을 중심으로 한 '한류'는 한국에 대한 문화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

    공헌하고 있으나, 한편 상당 부분 10대들의 B급 문화로서 수용된데다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이 착종

    한 문제까지 보이고 있다. 한국어문학은 이 같은 '한류'에 이론적·문화적 근거를 제공하고 '한류' 자체를

    제고해 내는 데 특별한 책임을 짊어지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의 한국학 객원 교수 파견 현황을 서술하면서 언급했듯이 한국어문학은 해외 한국학 수

    요에서 핵심적인 분야이다. 한국학이 확산·성숙기에 이른 북미나 동북아시아 지역에 비해 개척·정착기에

    있는 트리컨티넨탈 지역에서 그런 특징은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2011년 이후 파견한 해

    외 한국학 객원 교수 43명 가운데 39명이 한국어문학 관련 교수일 정도다. 한국의 경제·정치적 성공에 대

    한 관심이 '한류' 열풍과 어우러져 한국어 학습 붐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2011년 1월~ 2013

    년 6월까지 한국학 객원 교수가 공모된 지역 및 대학의 목록이다.

  • 9 / 554

    ----------------------------------------------------------------------------------------

    국가 대학명 국가 대학명

    ----------------------------------------------------------------------------------------

    미국 미시시피 주립대학 멕시코 멕시코 대학

    코스타리카 국립 코스타리카 대학 쿠바 아바나 국립대학

    파라과이 고등교육원 페루 페루 가톨릭대학

    코트디부와르 코코디아비장 대학 폴란드 보르츠와프 대학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 러시아 고등경제 대학

    러시아 카잔연방대학 러시아 러시아 국립사회대학

    벨라루스 민스크 국립언어대학 슬로바키아 코메니우스 대학

    아르메니아 예레반 언어대학 벨라루스 벨라루스 국립대학

    터키 보아지치 대학 터키 에르지예스 대학

    카자흐스탄 카작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학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국립세계언어대학

    라트비아 라트비아 국립대학 일본 와세다 대학

    베트남 탈랏 대학 스리랑카 켈라냐 국립대학

    인도 네루 대학 인도 델리 대학

    태국 송클라 대학 태국 치앙마이 대학

    태국 실라파건 대학 인도네시아 가자마다 대학

    브루나이 브루나이 국립대학 아제르바이잔 바쿠 국립대학

    UAE UAE대학 요르단 요르단 국립대학

    이란 테헤란 대학 남아프리카공화국 위츠 대학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대학 케냐 나이로비 대학

    세네갈 다카르 경영대학원 이집트 아인샴스 대학

    튀니지 마누바 대학

    ----------------------------------------------------------------------------------------

    문제는 트리컨티넨탈 지역 대부분에서 한국어문학 교수 공급이 수요에 비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예컨

    대 인도의 경우 대학의 한국어문학 교수진 중 한국어능력시험 4급 기준을 충족시키는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실용 한국어 수준을 넘어서 한국의 지적·문화적 매력을 교수할 수 있는 인력은 더더욱 구하기 힘

    들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한국어문학에 대한 심화된 지식을 바탕으로 융합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하다고 판단, 본 사업단의 교육 방향을 정하는 데 이를 중요한 준거점으로 삼고자 한다.

    ==================================================

    교육 목표 2: 소통과 개방을 통한 사회적 다원성 추구

    ==================================================

    (1) 국내 대학 간 개방성과 수평적 네트워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에서 기약하는 역할은 개척자로서의 역할이지 독식자(獨

    食者)로서의 역할이 아니다. 한국어문학의 다원적 세계화는 그에 어울리는 국내 모델, 즉 지역별·전공별

    고유성과 자율성의 모델을 필요로 한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는 세계 한국어문학 교육의 허

    브(Hub)를 자임코자 하지만, 또한 허브로서의 공공성을 위해서라도 연구 및 교육 자원에 있어서의 균형을

    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사업단에서는 국내 대학 간 세계 한국어문학 교육을 위한 콘소시움을 구성하

    는 것을 장기적 목표로 하고, 구체적인 전략으로 본 사업 기간 중 대학원생 연합 학술 캠프 및 외국인 유학

  • 10 / 554

    생 사이 원탁 세미나 등을 추진하고자 한다.

    대학 간 학점 교류는 현재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지만, 그 수준을 뛰어넘는 교수·학생 간 교류의 모델은

    아직 크게 부족하다. 본 사업단 참여 교수 중 권보드래 교수는 개인적으로나마 교수·학생 간 교류의 다양

    한 양태를 시도했다. 권보드래 교수는 2011년 2학기에 성균관대 천정환 교수와 강의를 공동 운영, 고려대·

    동국대·서울대 대학원생들을 함께 지도한 바 있다. 본 사업단에서는 앞으로 이런 교류를 사업단 전체 차원

    에서 장려·지원할 계획이다. 교육 인프라의 공유를 통해 한국어문학 교육의 대학 간 소통 구조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것이 본 사업단의 중요한 구상 중 하나이다.

    (2) 교과목 설치 및 운영에 있어서의 개방성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교육 과정의 유연성과 개방성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교과 과

    목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는 현재 한국의 대학원 교육 환경에 있어 이런 특성은 제약될 수밖에 없다. 본 사

    업단에서는 장기적으로 미국형 대학원 모델(교과 과목 중심)과 유럽형 대학원 모델(개인별 주제 연구 중심)

    을 융합하는 새로운 교육 모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교과목의 유연성·개방성 증

    대를 위한 다양한 실험을 시도할 계획이다.

    대학원생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교과 과정 개선에 있어 유연성·개방성 증대에 대한 의견이 중요하게 나타

    났다. 인접 학문 분야와의 교류가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이 38%(57명, 복수 응답 가능)로 수위를 차지했으

    며, 최근 학문 동향의 수용이 두 번째로 꼽혔다(30.7%, 46명). 이렇듯 학제적 최신 동향을 수용하는 데 있

    어 5년을 주기로 하는 현재의 대학원 교과 과정 설계는 부족할 수밖에 없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개방형 교과목을 다수 설치하는 한편, 개방형 교과목의 구

    체 내용 설계 과정에 대학원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도록 할 것이다.

    이미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들은 교과목을 설계, 제안하는 데 매우 높은 참여 의사를 밝혔다. 매우 19%

    (22명), 약간 38.8%(45명), 보통 19.8%(23명)로 응답한 비율을 합하면 총 77.6%의 학생들이 교과 과목 설

    계 참여에 대한 의지를 피력한 셈이다.

    (3) 연구 능력과 교수 능력 환류 프로그램

    대학원생들은 연구 초심자인 동시에 예비 교육자다. 본 사업단에서는 말하기·글쓰기 교육 전문가 과정

    을 통해 소속 대학원생들이 교육자로서의 준비를 갖출 수 있게 지원해 왔다. 이번 사업 기간 중에는 지원

    사업을 더욱 확대해, ①대학원생 연구 소모임 중 교육 방법 관련 모임을 장려하고 ②교과목 설계에 있어 대

    학원생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 교과 과목의 개방성을 높이는 동시 대학원생들에게 교과 설계 경험을 쌓도

    록 하며 ③박사과정 제 3~4학기 중 한국어문학 관련 교재 및 교수안 개발의 경험을 갖도록 한다.

    세계적으로 한국어문학 수요가 증대됨과 더불어 한국어문학 교육 관련 OSC(Open Source Courseware) 및

    VOD(Video on Demand)에의 요구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박사과정 학생들의 교재 및 교수안 개발은 이들

    사업과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 개인별, 혹은 소모임별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10~20분 분량의 교육 동

    영상을 제작, 이를 내부적으로 공유하고 나아가 외부에 제공하는 것이 대략의 계획이다.

    ====================================================

    교육 목표 3: 특성화와 융합을 통한 학문적 다원성 추구

    ====================================================

    (1) 기존 학문 분야의 쇄신과 통합

  • 11 / 554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은 국어학·한국어문화교육학·고전문학·한문학·현대문학의 다섯 가지

    세부 전공을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수십 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이들 세부 전공의 독자성·자율성·

    전문성은 그것대로 유지·심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동시에 연구 및 교육에 있어 새로운 수요의 대두는

    서로 다른 학문 분야 사이 융합과 소통 또한 요구하고 있다. 국내적으로 2000년대 이후 한국어문학 분야에

    서 이루어진 혁신은 ①일국적 시야에서 다국적 시야로의 확대 ②문화·제도론적 시각의 본격화 ③정전(正

    典) 재편과 소수적 텍스트의 편입 ④글쓰기 및 한국어문화 교육 수요의 증대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본 사업단에서는 '세미나' 및 '특수과제'라는 과목을 다수 배치, 이렇듯 변화하는 연구 동향 및 교육 수요

    를 유연하게 반영해 내고 있다. 전공 내부에서의 혁신 작업에 이어 전공 사이 통합을 이루어내고 또한 인

    접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한국어문학 자체를 쇄신해 내는 것이 다음 목표다. 권역별·수준별로 다른 세계

    각국의 한국어문학 수요에 응답하기 위해서도 이같은 쇄신과 통합은 필요하다. 본 사업단에서는 연구 분야

    에 있어 지역별 특성과 연구 주제별 특성을 결합시킨 국제화 사업을 제안하고 있는 바, 그것과 연계하여 교

    육 과정에 있어서도 통합과 쇄신의 방법을 채용하고자 한다.

    (2) 특성화와 융합의 동시 추구를 위한 교과 과정 설계

    대학원생 상대 설문조사에서도 드러났듯 학문 분야 간 연계와 통합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 '한국어문학 인재로서 가장 중요한 능력'을 묻는 설문에 응답자 중 52.7%(79명)가 '전공 분야

    에 대한 심화 지식'을 1순위로 꼽은 데서 표현되듯 전공별 전문성에 대한 요구 또한 오히려 중요해지고 있

    는 추세다. 이 상황은 전공별 독자성·자율성·전문성을 유지·심화하는 한편 학문 간 연계성·통합성·학

    제성을 지향·확산할 이중적 필요를 제기하고 있다.

    -----------------------------

    전공별 독자성/ 자율성/ 전문성-------> 유지/ 심화

    ----------------------------- ↘ --------------

    + 교과 과정 설계

    ----------------------------- ↗ --------------

    학문간 연계성/ 통합성/ 학제성-------> 지향/ 확산

    -----------------------------

    본 사업단에서는 '다원과 균형'이라는 원칙을 연구 및 교육 과정 설계에 있어서도 도입하려 한다. 국내

    적 연구 역량의 축적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세계 한국어문학의 확산을 위해서도 한국어문학 내 전공 분야

    의 균형 잡힌 발달은 필수적이다. 본 사업단은 학부 과정의 국어국문학과 및 한문학과 두 학과가 통합, 국

    어국문학과 대학원을 조직함으로써 구성된 사업단인 바, 예컨대 가장 전문성이 높은 전공 분야 중 하나인

    한문학적 자산이 세계 한국어문학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 구성 요소라고 판단하고 있다. 본 사

    업 기간인 7년 동안 추진할 교육 '목표'와 더불어 그로써 추구할 장기적 '비전'을 제시했듯, 한국어문학의

    세계화는 10년, 20년에 걸쳐 추진해야 할 장기 프로젝트다. 이를 이해 본 사업단에서는 한국어문학 내 전공

    별 특성화를 통해 융합을 촉진하고, 나아가 인접 분야와 융합을 기해 세계적으로 한국어문학의 수준을 제고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문학을 중요한 발판으로 하는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 역시 이로써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 12 / 554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 교육과정 구성/운영 현황 및 계획

    2.1.1 교과과정의 구성 및 운영 계획의 우수성

    +++++++++++++++++++++++++++++++++++++++++++++++

    1. 교과과정의 구성 및 운영 현황의 우수성

    2. 교과 외 교육과정 특별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적

    3. 교과 과정 운영 계획

    4. 교과 외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계획

    +++++++++++++++++++++++++++++++++++++++++++++++

    1. 교과과정의 구성 및 운영 현황의 우수성

    =========================

    1) 이수학점 규정의 적절성

    2) 전공교과 편성의 체계성

    3) 교육과정 운영 현황

    =========================

    본 사업단이 소속된 대학원은 전공분야의 심화 학습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한편 학제간 전공 교육과 참신

    한 교과목 설계를 강화하도록 교과를 구성하고 있다. 전공 지식을 다양한 학문과 연계시켜 보다 폭넓은 학

    문적 시야 통합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통한 연구 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1) 이수학점 규정의 적절성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은 기본적으로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의 내규에 의거하고

    있다. 이 규정은 2단계 BK 사업 수행을 계기로 개선된 것이다. 현행 학점이수 규정은 다음과 같다.

    ■ 현황 및 개선실적

    -----------------------------------------------------------------------------------------------

    과 정 이수 학점 운영 현황

    -----------------------------------------------------------------------------------------------

    석사 24학점 전공과목 18학점 이상 이수 ①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아 타전

    공 분야 및 타학과의 교과목 이수시 6학점까지

    전공학점으로 인정

    박사 36학점 전공과목 24학점 이상 이수 ②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지 않은 석사 또는 박사

    과정 학생은 반드시 지도교수 지정과목 이수.

  • 13 / 554

    다만, 출신 대학에서 이미 이수한 과목은

    지도교수와 학과주임의 승인을 얻어 이수 면제

    ③ 학과 지도교수 지정과목: 한국문학의 이해,

    국문학의 이해,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사,

    국어음운의 이해, 국어의미의 이해, 국어형태론,

    국어문법의 이해, 고전소설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국한문학강독,

    현대문학강독, 현대작가론

    -----------------------------------------------------------------------------------------------

    - 전공분야의 심화학습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전공 이수 최소 학점을 규정하고 있다.

    - 국어국문학과 이외의 석사 또는 박사과정 학생이 심화된 전공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 이수 과목으로

    지도교수 지정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 전공분야 외에 타전공 분야 및 타학과 교과목 이수시 전공이수학점으로 인정함으로서 학제간 연구를 통

    한 보다 다원적이고 균형 있는 시각을 지닌 연구자를 배출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2) 전공교과 편성의 체계성

    ================================================

    (1) 전공교과 편성 총괄

    (2) 학부 교육과 연계된 대학원 교과목의 편제

    (3) 참신한 과제를 수시로 반영한 교과목 편성 사례

    ================================================

    (1) 전공교과 편성 총괄

    본 대학원에서는 5개 전공분야 232과목과 공통과목 12과목을 포함하여 현재 총 244과목이 편성되어 있다.

    ■ 전공교과과정 편성 실적

    ------------------------------------------------------------------------------------------------

    구분 국어국문학 공통과목 국어국문학 전공과목

    ------------------------------------------------------------------------------------------------

    기초공통과목 영어강의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한문학 한국어문화 총계

    일반공통과목 전공 전공 전공 전공 교육학전공

    ------------------------------------------------------------------------------------------------

    과목수 10 2 57 43 45 50 37 244

    ------------------------------------------------------------------------------------------------

    - 한국어문화교육학을 제외하면 전공과목 평균 과목수가 비교적 고르게 편재되어 있어, 세부전공 사이의 불

    균형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 한국어문화교육학의 경우, 2006년 신설된 전공분야로 점차 전공과목 수 또한 타 전공 교과 수 정도로 늘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 기초공통과목의 경우, 기초 이론 교과를 공통과목으로 배치함으로써 심화된 전공교육을 받을 수 있는 최

    소한의 능력을 키우고 동시에 외국어 강의를 개설해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본 토

    대를 구축하고자 했다.

    (2) 학부 교육과 연계된 대학원 교과목의 편제

  • 14 / 554

    본 대학원은 학부에서 습득한 학술 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심화하여 국가와 사회에서 요구하는 전문지식인

    과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대학원 교육은 학부와 긴밀한 연계성을 지

    니며 보다 체계적이고 심화된 전공지식의 배양을 추구한다. 현대문학 전공의 한 사례를 들어본다.

    ■ 학부교육과 연계된 전공교과 편성 사례

    ---------------------------------------------------------------------------------------------------

    전공분야 학부전공 과목 연계내용 대학원 전공과목

    ---------------------------------------------------------------------------------------------------

    1.

    - 희곡 문학을중심으로 극문학 일반의

    기본 원리와 이론 및 텍스트에 대한 - 희곡의 사조, 경향

    이해를 도모하는 과목 주제 연구

    2.

    - 한국현대희곡사의 주요 작품들에 - 희곡사의 이론적

    나타난 사조, 경향, 주제에 대해 쟁점 연구

    연구하는 과목

    3

    - 한국현대희곡사 및 연극사의 주요

    이론적 쟁점을 연구하는 과목

    --------------------------------------------------------------------------------------

    1.

    - 한국극문학사에 나타난 주요 극작가들의

    현대문학전공 작품세계를 살펴보는 과목

    - 희곡작가 연구

    2.

    - 한국희곡작가의 작품론을 연구하는 과목

    - 영화작가 연구

    3.

    - 한국영화작가의 작품론을 연구하는 과목

    --------------------------------------------------------------------------------------

    1.

    - 희곡 창작실습을 통해 극문학의

    창작원리에 대한 이해를 함양하는 과목

    - 희곡과 공연예술학 연구

    2.

    - 공연예술학의 탐구를 통해

    희곡 창작 원리를 연구하는 과목

    ---------------------------------------------------------------------------------------------------

    학부교육과 연계된 전공교과를 편성하여, 학부와 대학원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노

    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학부생이 대학원생들과 함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교과를 개설하여, 대학원 진

    학을 원하는 학부생들에게 대학원을 추체험하게 하고 실제적인 멘토링을 실시함으로써 대학원 진학과 이후

    교육과 연구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 15 / 554

    (3) 참신한 과제를 수시로 반영한 교과목 편성 사례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한국어문학 분야의 학문 동향도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변화된

    사회 속에서 인간의 가치를 평가하고, 새로운 삶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인문학의 속성상 이에 뒤진다면 존립

    하기 어렵다.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에서는 최신의 학문이론과 과제,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쟁점을 탐구하

    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개설 당시마다 새로운 과제와 내용으로 운영할 수 있는 '세미나'와

    '특수과제연구' 과목을 전공별로 10개 내외로 편성, 전체 50여 개로 편제되어 있다. 전공별로 몇 개의 사

    례를 들어본다.

    ----------------------------------------------------------------------------------------------------

    과목 개설학기 주제 내용 의의

    ----------------------------------------------------------------------------------------------------

    국어학 2008년 현대 한국어 어휘 각 의미에 대하여 유의, 21세기 새로운 언어 연구의

    특수과제 1학기 의미 분석 반의, 상하 관계를 고찰 흐름을 의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연구 --------------------------------------------------------- 단어 의미 분석, 인지언어학적

    (1,2,3) 2010년 인지언어학적 인지언어학적 관점 하에서의 방법론에 의한 구문문법 탐구,

    2학기 언어 이해 구문문법 이론과 은유 문제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의사

    --------------------------------------------------------- 소통과 그 능력평가의 방향 모색

    2011년 의사소통장애의 구어 의사소통능력 평가방법과 이라는 과정으로 심화

    1학기 국어학적 문제 평가의 미래 방향 모색

    ----------------------------------------------------------------------------------------------------

    고전문학 2010년 현대 이론으로 고전 문학을 포스트모더니즘

    특수과제 1학기 본 고전문학 이론으로 바라보기 현대 인문학 이론으로 고전문학

    연구 --------------------------------------------------------- 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

    (1, 3) 2012년 현대 인문학으로 프로이트, 라깡, 지젝, 들뢰즈 이를 실제의 작품 해석으로 연결

    1학기 고전작품 해석 데리다, 푸코 등의 철학 담론

    으로 고전문학 작품 해석

    ----------------------------------------------------------------------------------------------------

    현대비평 2011년 사회이론과 베르나르 스티글레르의 사회 다양한 인문학적 이론을 문학과

    특수과제 1학기 한국문학 이론 이해와 한국문학에의 응용 소통시키고 융합하는 데 주목한

    연구 --------------------------------------------------------- 교과 연계

    (1, 3) 2011년 욕망 및 허구이론과 욕망이론 및 허구이론 비교를

    2학기 문학이론 통한 문학이론의 새로운 구성

    ----------------------------------------------------------------------------------------------------

    한문학 2011년 자전적 글쓰기의 일기 및 자전문학과 자전적 한문학과 인접 예술의 소통,

    특수과제 1학기 전통 글쓰기의 전통 고찰 일기 및 자전문학 전통 등의

    연구 --------------------------------------------------------- 새로운 주제로 연구 영역 확장

    (3, 4) 2012년 한문학과 회화 한문학과 회화의 상관성에

    2학기 대한 이론적 접근

    ----------------------------------------------------------------------------------------------------

    4) 교육과정 운영 현황

    =====================================

    (1) 전공교과 운영의 적절성

    (2) 타 대학 및 기관과의 학점교류 실적

    =====================================

  • 16 / 554

    (1) 전공교과 운영의 적절성

    ===================================================

    ① 교과 개설의 현황 및 실적

    ② 지도교수 지정과목 운영을 통한 전공 기초소양 강화

    ③ 타과 과목 수강을 통한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

    ④ 이론과 현장 병행 학습의 교과운영

    ⑤ 초과학점 승인제 운영에 의한 졸업 과정 단축

    ===================================================

    ① 교과 개설의 현황 및 실적

    본 대학원에서는 매학기 평균 22개 과목의 기초공통과목과 전공과목을 운영하였다. 교과개설 현황은 다

    음 표와 같다.

    ■ 교과개설 실적

    단위 : 과목수, ( )안은 영어강의 개설 수

    ---------------------------------------------------------------------------------------------------

    구분 2010년1학기 2010년2학기 2011년1학기 2011년2학기 2012년1학기 2012년2학기 계

    ---------------------------------------------------------------------------------------------------

    기초공통 1 1 1 1(1) 3(1) 1 8

    국어학전공 5 5 6 5 3 4 28

    고전문학전공 4 3 4 3 3 4 21

    현대문학전공 4 6 6 6 7 6 35

    한문학전공 6 4 4 4 4 4 26

    한국어문화교육 2 2 2 2 2 2 12

    ---------------------------------------------------------------------------------------------------

    계 22 21 23 21 22 21 130

    ---------------------------------------------------------------------------------------------------

    - 기초공통과목은 매학기 1과목 이상, 전공과목은 전공분야별로 평균 4~6과목 정도가 개설되었고, 2007년

    에 신설된 한국어문화교육 전공의 경우는 평균 2과목이 개설되었다. 그 중에도 현대문학 전공과목이 평균 6

    과목으로 가장 많이 개설된 것은 현대문학 대학원생 수가 많았기 때문이다.

    - 기초공통과목 가운데 영어강의 개설이 매학기 개설되지는 않았으나, 국제화 시대의의 흐름에 부응하기 위

    해 그 수를 확대개편할 예정이다.

    ② 지도교수 지정과목 운영을 통한 전공 기초소양 강화

    본 대학원에서는 학부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석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지도교수 지정과목

    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출신 대학에서 이미 이수한 과목은 지도교수와 학과주임의 승인을 얻어 이수를 면

    제받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학과내규 제3항) 지도교수 지정과목 이수

    는 대학원의 심화된 전공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전제조건에 해당하며, 학부와 대학원의 연계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현재 본과의 지도교수 지정과목은 다음과 같다.

    - 한국문학의 이해(3학점) / 국어학의 이해(3학점) / 현대문학사(3학점) / 국어음운의 이해(3학점) / 국어

  • 17 / 554

    의미의 이해(3학점) / 국어형태론(3학점) / 국어문법의 이해(3) / 고전소설론(3학점) /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3학점) / 한국한문학강독(3학점) / 현대문학강독(3학점) / 현대작가론(3학점)

    ■ 지도교수 지정과목 운영 실적

    단위 : 인원수, ( )안은 외국인 대학원생 수

    ---------------------------------------------------------------------------------------------------

    구분 2010년1학기 2010년2학기 2011년1학기 2011년2학기 2012년1학기 2012년2학기 계

    ---------------------------------------------------------------------------------------------------

    한국문학의이해 5(5) 5(5)

    국어학의이해 6(4) 1(0) 2(1) 9(5)

    현대문학사 7(5) 7(5)

    국어음운의이해 6(4) 8(6) 3(3) 17(13)

    국어의미의이해 4(3) 1(1) 5(4)

    국어형태론 7(7) 1(1) 8(8)

    국어문법의이해 6(4) 3(3) 9(7)

    고전소설론 1(1) 1(1)

    외국어로서의한국어 2(2) 2(2)

    한국한문학강독 1(0) 1(0)

    현대문학강독 1(1) 1(1)

    현대작가론 1(0) 1(0)

    ---------------------------------------------------------------------------------------------------

    계 15(13) 13(9) 1(0) 25(19) 9(7) 4(4) 67(52)

    ---------------------------------------------------------------------------------------------------

    본 대학원에서는 대학원생들이 전공분야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 능력을 배양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지도교수 지정과목의 수를 2010년부터 3과목에서 12과목으로 늘렸다. 최근 지도교수 지정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중 외국인이 다수 포함되었다. 외국 유학생들의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지정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들 또한 증가하였다고 판단된다. 외국인 수가 증가하는 추이에 따라 외국인 맞춤식 교육 방법이나 외국인만

    을 위한 지도교수 지정과목을 개설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③ 타과 과목 수강을 통한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

    본 대학원에서는 대학원생이 전공학점 가운데 일부를 지도교수와 학과주임의 승인을 전제로 타과나 타전

    공의 학점으로 대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현대 학문의 특성인 다학문적 전문지식을 획득할 수 있으

    며, 사회적 인력수요에 따른 학제간 연구·교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문학 창작과 이론 강의

    에 관심 있는 학생은 문예창작학과 강의를, 문화산업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은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을, 정보처리분야에 관심있는 학생은 응용어문정보학협동과정·영상정보처리 협동과정을, 국제비교 문화분

    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은 비교문학협동과정을 전공과목과 동시에 수강할 수 있다.

    연계 학과와의 수강생 교류는 대학원생들의 전공 지식을 다양한 학문과 연계시켜 보다 폭넓은 학문적 시

    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통합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통한 연구 활동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최근 들어 다양한 연계 전공들이 늘어감에 따라 대학원생들의 수강 기회와 수강 과목 선택의 폭

    이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④ 이론과 현장 병행 학습의 교과운영

    본 대학원에 개설된 일부 교과목은 이론학습뿐만 아니라 현장조사·현장체험을 병행하여 연구방법론을 체

    험적으로 터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론과 현장을 병행하는 학습은 현장조사, 현지답사, 자료채록 등을 수

  • 18 / 554

    반하고, 현장실습을 통하여 관련분야의 응용력을 제고하며, 현장체험을 통해 대상 분야에 대한 이해력을 향

    상시켜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대문학, 고전문학, 한문학, 국어학, 한국어문화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

    에서 현장 병행 학습을 통해 이론과 현장과의 접맥을 통해 실제적인 학습이 되도록 진행하였다. 문학 분야

    에서는 공연관람 및 문헌조사와 관련된 교과목, 어학 분야에서는 교육지도와 관련된 교과목에서 현장병행학

    습이 이루어졌다.

    ----------------------------------------------------------------------------------------

    개설시기 교과목명 담당교수 현장학습내용

    ----------------------------------------------------------------------------------------

    2010. 1학기 한국어지도론연구 김정숙 한국어 교육기관 체험 및 조사

    2010. 1학기 한국문화교육론연구 박영순 박물관 탐방 및 체험

    2010. 2학기 현대문학사특수과제연구Ⅲ 이상우 영상자료원 탐방

    2011. 1학기 고전문학과인접예술 배연형 국립중앙박물관 및 고궁박물관 탐방

    2011. 1학기 한문학산문연구 송혁기 서울 지역 산성 탐방

    2011. 2학기 판소리문학연구 김기형 판소리 공연 관람

    2012. 1학기 한국민요연구 이소영 예술의 전당 토요상설무대 참여 및 관람

    2012. 2학기 현대희곡특수과제연구Ⅱ 이상우 연극 공연 관람

    ----------------------------------------------------------------------------------------

    ⑤ 초과학점 승인제 운영에 의한 졸업 과정 단축

    본 대학원에서는 석사 과정에서 총 24학점을 이수하면 과정을 수료할 수 있으나, 박사과정에서의 이수 부

    담을 줄이기 위해서 초과학점 이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즉 석사 과정에서 규정 학점 이외에

    추가로 이수한 과목을 박사과정 진입 시 이수한 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초과학점 승인 실적

    ---------------------------------------------

    연도 2010 2011 2012

    ---------------------------------------------

    인원 38 32 36

    총 승인 학점 168 150 171

    ---------------------------------------------

    현재 석사과정의 우수학생 상당수가 이 제도를 활용하면서, 박사학위 취득까지의 소요 기간을 단축시키

    는 효과를 보고 있다.

    (2) 타 대학 및 기관과의 학점교류 실적

    본 대학원은 한국어문학연구의 국제적 소통 시각을 강화하여 다문화시대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한국학

    의 세계화를 선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연구분야에서 교내 비교문학협

    동과정 및 국제대학원 등과의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타 대학과의 학점 교류를 확대해왔다. 타 대학 및 타 기

    관에서 개설된 교과목을 수강하고자 하는 학생은 소속 대학원의 지도교수 및 학과주임교수의 승인을 얻어

    교과목을 수강하고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수강과목은 당해 학기에 개설된 전임교수의 담당과목이어야

    하며, 소속대학원과 교류대학원에서 동시에 개설된 교과목은 수강할 수 없다. 교류대학원에서 취득하는 학

    점은 한 학기에 3학점 이내에서 인정되며, 총 인정학점은 석사과정 6학점, 박사과정 12학점 이내로 한다.

    또한 본 사업단이 소속된 대학원은 본교와 국외대학 사이에 체결된 학술교류협정을 근거로 마련된 ‘교환학

    생제도(ESP, Exchange Student Program)’을 시행하고 있다. 교환학생의 학점 인정은 원칙적으로 정규학기

  • 19 / 554

    학술교류협정의 교환프로그램으로 제한하며, 석사과정 9학점, 박사과정 18학점까지 인정한다.

    ■ 국내·외 학점 교류 실적

    -----------------------------------------------------------------------------------------

    연도 과정 교류 학생 수 국가(교류학교)

    -----------------------------------------------------------------------------------------

    2010년도 박사과정 9명 성균관대, 경희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년도 박사과정 9명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숙명여대, 한국외국어대

    2011년도 석사과정 1명 일본 리츠메이칸대학(공동학위 취득)

    2012년도 박사과정 4명 성균관대, 경희대,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의평가 100% 시행·공개 및 환류 실적

    ----------------------------------------------------------------------------------------------------

    학기 개설과목수 강의평가 실시 강의평가비율(%) 강의평가 공개과목수 강의평가공개비율(%)

    ----------------------------------------------------------------------------------------------------

    2010년 1학기 22 22 100% 22 100%

    2010년 2학기 21 21 100% 21 100%

    2011년 1학기 22 22 100% 22 100%

    2011년 2학기 22 22 100% 22 100%

    2012년 1학기 22 22 100% 22 100%

    2012년 2학기 21 21 100% 21 100%

    ----------------------------------------------------------------------------------------------------

    본 대학원에서는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개설된 강좌의 강의평가서를 수합하여 학생들의 평가 항목을

    참조한 후에 다음 학기 강좌 개설에 대한 참고 자료로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최근의 학문 동향 및 문화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수업에 대한 실질적 요구를 확인케 하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강의 평가가 높게 나타난 교원에게는 다음 학기 강의를 적극적으

    로 요청하여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강의평가 결과는 전체 문항별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로 제시된다. 이를 수합한 전체 평균과 표준편차가 대

    학원 개설학과 및 대학원 전체 강의개설 교수의 그것과 대비되어 나타난다. 본 사업단은 강의평가 공개를

    위해 담당교수의 강의평가물을 사업단에 비치하고, 사업단 홈페이지 공지사항란에 올린 바 있다. 이는 대학

    원생과 교수들이 자율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강의평가 결과자료는 이후의 교과목 개설에

    주요한 참조사항으로 활용된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강의평가 공개율은 1·2학기 모두 100%의 공개율을 보였다. 강의평가 결과자료가

    이후 교과목 개설과 학생의교과 선택에 주요한 참조사항으로 활용된다는 측면에서 100%의 강의평가 공개는

    교과 개설과 학생 선택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강의 평가 문항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 교과목은 100% 강의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강의평가는 본교의 포탈시스템(KUPID)

    의 ‘EKU’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수강자는 학기 종료 후 성적 공람기간에 성적확인을 위해 반드시

    강의평가에 응해야 한다. 강의 평가 내용은 수업과 관련하여 학생 자신의 참여도 평가가 5항목, 수업 진행

    및 교수에 대한 평가가 15항목, 기타 개방형 설문이 5항목이며, 수업에 대한 자유의견을 기술할 수 있다.

  • 20 / 554

    수업진행 및 교수에 대한 평가 문항은 다음과 같다.

    1. 나는 평소에 이 과목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2. 나는 결석하거나 지각하지 않고 이 강의를 열심히 수강하였다.

    3. 나는 강의의 학습 진도에 맞춰 예습과 복습을 하였다.

    4. 나는 이 강의에서 부과된 과제물을 충실하게 준비하여 제출하였다.

    5. 이 강의를 듣고 해당분야에 대한 나의 전문지식과 연구능력이 향상되었다.

    1. 강의계획서의 내용이 충실하게 작성되었다.

    2. 강의계획서를 토대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3. 강의의 교재/자료/참고문헌이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적절하게 선택되었다.

    4. 교수님의 강의준비가 철저하였고, 최근 이론이나 연구동향을 적절하게 소개하였다.

    5. 교수님의 개인사정으로 인한 휴강없이 수업을 진행하였고, 불가피하게 휴강할 경우에도 충분한보강이 이

    루어졌다.

    6. 교수님은 학생들의 창의력과 연구능력을 증진시키려고 노력하였다.

    7. 교수님은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질문에 성실하게 답변하였다.

    8. 수업내용이 전체적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다.

    9. 강의를 통해 해당분야의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0. 강의는 명확하게 전달되었고, 이해하기 쉬웠으며, 교수방법도 적절하였다.

    11. 시험문제와 과제물은 적절하였고, 강의내용을 잘 반영하였다.

    12. 분명한 평가 원칙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평가방법(중간고사, 기말고사, 중간과제물, 기말과제물, 퀴

    즈, 발표, 참여도, 출석)이 활용되었다.

    13. 학습평가가 타당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졌다.

    14. 이 과목 수강을 통해 전반적으로 배운 것이 많았고, 만족한 학습효과를 얻었다.

    15. 교수님이 원생들과의 토론에 적극적이었고, 학생들의 토론 참여도도 높았다.

    1. 이 강의를 선택하게 된 동기는 무엇입니까?

    2. 이 강좌에서 특별하게 좋았던 점은 무엇입니까?

    3. 이 수업을 통해 본인의 실력에 향상이 있었다면/없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4.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에 개선할 점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주십시오.

    5. 강의 환경에 대해 개선할 점이 있다면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십시오.

    ■ 2010학년도 강의평가 결과가 2011학년도 교과목 개설에 반영된 사례

    (장경준) : 이 과목은 대학원생들의 강의평가서를 바탕으로 2010년 2학기에 개설되었던 '점토

    구결 연구의 기초과정'의 후속편(심화과정)으로 편성되었다. 특히 이 과목은 2009년 2학기에 강의한 석독구

    결 연구의 연속성 상에 있어 2009년, 2010년의 강의평가서에 의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서 의미가 있다. 고대국어의 주요 연구 자료인 계통 점토구결의 해독 방법을 심화하는 방향으

    로 진행되었다는 점을 높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홍종선) : 이 과목은 2010년 1학기 학생들의 강의 평가서를 바탕으로 국어의 단어형

    성과 관련된 심화과정에 해당한다. 국어 단어의 구조와 형성 원리 및 이론과 실제를 고찰했던 것에서 나아

    가 자신의 새로운 견해를 발견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21 / 554

    ■ 2011학년도 강의평가 결과가 2012년 교과목 개설에 반영된 사례

    (이상우) : 이 과목은 2012년 1학기에 개설되었으며, 학생들의 강의 평가서를 바탕으로

    식민지시대 희곡 문학을 '이중어 글쓰기'를 중심으로 설정된 과목이다. 이 과목은 2011년 1학기에 개설

    된 '식민지 시대 한국연극의 정체성'()이란 과목의 연장선상에 있다. 식민지 시대

    의 한국연극과 희곡 작품들이 가진 정체성을 '이중어 글쓰기'라는 환경 요인적 요인으로 확장하여 살펴봄으

    로써 식민지 시대 희곡이 어떠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는지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정우봉) : 이 과목은 2012년 1학기에 개설되었으며, '한문산문으로서의 유기(遊

    記, 기행문학)'의 글쓰기 방식과 다채로운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설정된 과목이다. 이 과목은 대학원생들

    의 강의평가서를 바탕으로 2011년 1학기에 개설된 '한문산문으로서의 일기문학과 자전문학'()의 후속편으로 편성되었다. 이 강의는 강의평가서에 의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

    서 의미가 있다. 특히 이 과목들은 우리 한문산문 문학뿐 아니라, 동아시아의 한문산문 문학과의 비교사적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우리 한문산문 문학의 위상을 재점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하겠다.

    2. 교과 외 교육과정 특별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적

    =================================================

    1) 외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실적

    2) 취업관련 초청강연 및 세미나 운용 프로그램 실적

    3) 해외석학 초빙 강연 주요 실적

    4) 글쓰기·말하기 전문가 과정의 활성화 실적

    5) 교과목 외 연구모임 지원 실적

    =================================================

    1) 외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실적

    글로벌 시대의 학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국제적 언어소통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차원에서

    본 대학원은 정규 교과 외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외국어 교육은 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은 2010년 여름학기까지는 에서 위탁 교육으로

    이루어졌으며 영어 회화와 영어 글쓰기 교육이 중심이 되었다. 2010년 겨울학기부터는 본 사업단이 주관하

    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010년 겨울학기에는 을, 2011년 여름·겨울학기에는 인문학

    강좌와 병행하는 영어 강독 강좌가 진행되었다.

    (1) 영어 교육 프로그램

    본 사업단은 대학원생들의 언어소통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공용어인 영어를 교육하는 특별 프로그램

    을 개설, 운영하였다. 집중적인 학습과 관리를 통한 1. 영어 능력의 향상 2. 문학 비평 또는 문학 이론의

    학습 효과 증대 3. 한국 문학 연구 역량 강화 4. 상호텍스트 활용과 주변 텍스트에 대한 이해 능력 향상을

    목표로 운영되었다.

    2010년 여름학기까지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외국어교육 전문기관인 에 위탁하여,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010년 겨울학기부터는 본 사업단이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진행하였다. 2010년 겨울학기에는 대학원생들의 논문 작성에 도움을

  • 22 / 554

    주기 위해, '영문초록 작성법' 강좌를 개설하였다. 영문학전공의 교수요원을 섭외하여 실제 영문초록 작

    성 및 영어논문 작성을 위한 강의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호응이 높았고 학생들이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었다. 그리고 2011년 여름학기와 겨울학기에는 문학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학이론이나 인문학적 지식을 외국어 원서를 통해 습득함으로써, 외국어 실력뿐 아니라 문학

    혹은 인문학적 지식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010년에서 2012년에 걸쳐 진행된 강의 세부내용은 다음

    과 같다.

    ----------------------------------------------------------------------------------------------------

    시기 강사 교육 기간 교육 내용 수강 인원

    ----------------------------------------------------------------------------------------------------

    2010년 여름 Robert Ward 2010. 7. 3~8. 7 CONVERSATION 초급, WRITING 초급 7명

    2010년 겨울 권지은 2011. 1.~ 2. 영문초록작성법 15명

    (고려대 교양교육원 교양영어실)

    2011년 여름 민승기 2011. 7. 5.~8. 11. Jacques Derrida, Specters of Marx, tr., 15명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대학 객원교수) Peggy Kamuf, New York:Routledge, 1994.

    2011년 겨울 김석 2012. 1. 9.~ 2. 23. Ecrits : The first complete edition in

    (건국대학교 자율전공학부 강의교수 English / Jacques Lacan ; translated by 15명

    /파리 8대학 철학 박사) Bruce Fink in collaboration with

    Heloise Fink and Russell

    2012년 여름 서용순 2012. 7. 4.~8. 10. Alain Badiou ; translated by Steven 15명

    (파리 8대학 철학 박사) Corcoran London ; New York

    : Continuum, 2008

    ----------------------------------------------------------------------------------------------------

    (2)일본어 교육 프로그램

    본 사업단에서는 단순한 어학실력 향상을 넘어 동아시아라는 큰 틀에서 한국어문학을 바라보기 위해 일본

    어 강독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복잡다단하게 얽힌 한국과 일본의 관계로 인해, 한국어문학을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일본 문헌의 강독 능력이 필요한 동시에 일본의 한국학 연구자들과의 교류가 필요하다.

    본 사업단은 한국어문학 연구의 내실을 다지는 동시에 학문의 국제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일본어 소통능력

    을 갖춘 대학원생들을 양성하는 특별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일본어 회화와 강독의 기초적 소양을 쌓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강사(TAJIMA TETSUO, 연세대 국학연구원)는 해당 국가 유학(연수) 경험이 있으면서, 원전 독해능력이 탁

    월한 자로 선정하였다. 이 강좌는 참여대학원생 이외의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들에게도 개방하였다. 강좌

    를 수강한 대학원생들은 수업참여도를 고려하여 일본어권 해외 장·단기연수생 선발 시 참조사항으로 활용

    하였다. 구체적인 운영현황은 다음과 같다.

    ----------------------------------------------------------------------------------

    시기 교육 기간 교육 내용 수강인원

    ----------------------------------------------------------------------------------

    2010년 여름 2010. 6.~8. 丸山眞男, 『日本の思想』 15명

    (岩波書店, 1978)

    2010년 겨울 2011. 1.~ 2. 川端康成, 『雪國』 7명

  • 23 / 554

    (岩波書店, 2003 改版)

    2011년 여름 2011. 6. 28.~8. 10. 前田愛, , 6명

    筑摩学芸文庫, 1993.

    2011년 겨름 2012. 1. 11.~ 2. 24. 柄谷行人, 7명

    東京 : 岩波書店 , 2004.

    2012년 여름 2012. 7. 3.~8. 16. 柄谷行人, 5명

    東京 : 岩波書店 , 2004.

    ----------------------------------------------------------------------------------

    본 사업단은 매학기 방학을 이용 외국어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대학원생의 어학 능력을 고취시켰다. 영어

    와 일어가 중심이 된 외국어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권까지 확대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학원

    생들의 수요의식을 설문 등의 형태로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정규 교과 외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외국어 강독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기적 플랜을 가지고 지속력이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최근 문예 이론이나 인문학 강좌 시리즈를 만든다면 많은 학생이 참여할 것으

    로 판단된다.

    2) 취업관련 초청강연 및 세미나 운용 프로그램 실적

    본 사업단은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들의 취업에 도움을 주고자, 사회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취업

    노하우를 전수받은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대학원생들의 발표와 토론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발표와

    토론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효과적인 토론과 논증 및 프레젠테이션 기술을 전문가

    로부터 전수받음으로써 취업에 필요한 노하우와 대응 기술을 습득했을 것이라 기대된다. 구체적인 운영현황

    은 다음과 같다.

    사회 각계에서 국어국문학 분야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대학원생들이

    접하는 정보는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원생들이 각계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

    가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여 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고 다양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강연 일자 강연자 강좌명 참석 인원

    ----------------------------------------------------------------------------------------------------

    2010. 12. 7. 김정우 전략적으로 산다는 것 30명

    (한성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2010. 11. 3. 도원영 토론 능력 함양 및 지도 방안 34명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0. 11. 9. 지연숙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작성 및 활용 방안 42명

    (순천대 연구교수)

    2011. 12. 8. 금교돈 주인이 될래? 머슴이 될래? 20명

    (조선미디어 C에디터 대표이사)

    2011. 11. 22. 도원영 토론 능력 함양 및 지도 방안 24명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1. 11. 23. 지연숙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작성 및 활용 방안 20명

    (순천대 연구교수)

    2012. 12. 4. 남봉우 신문 산업의 미래와 기자 10명

    (내일신문 편집국장)

    ----------------------------------------------------------------------------------------------------

  • 24 / 554

    3) 해외석학 초빙 강연 주요 실적

    본 사업단에서는 해외석학 초청 강연회를 개최하여, 참여대학원생 및 본교 소속 연구자들이 해외의 주요

    연구 성과를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 수준의 교육기회 제공을 통한 교육품질 제

    고, 수준 높은 영어강의를 통한 교육의 국제화 제고를 위해 2007학년도 2학기부터 해외석학 초빙교수 제도

    를 시행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학술적 권위와 저명도가 높은 학자를 초빙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강의료 이

    외에 왕복항공료 및 숙식비를 지원하고 있다. 본 사업단에서 개최한 주요 해외석학 초청 강연회는 다음과

    같다.

    ----------------------------------------------------------------------------------------------------

    연번 강연자(소속) 일시 및 장소 강의주제

    ----------------------------------------------------------------------------------------------------

    1 Ayman El-Desouky 2010. 4. 1. 인촌기념관 Comparative Critical Method, Interdisciplinarity

    (SOAS, University of London, UK.) and Agency of the Non-European

    2 Jieun Kiaer 2010. 4. 20. 인촌기념관 On Syntactic Choice: the case of Korean

    (University of Oxford, UK.)

    3 李光一 2010. 8. 6. 문과대 B110 광복 이후 조선족 소설의 전개 양상

    (中國延邊大學朝鮮韓國學學院)

    4 Andrii Ryzhkov 2010.12.28. 문과대 B110 동유럽 한국학 교육의 현황

    (National Taras Shevchenko University of Kyiv, Ukraine)

    5 Jieun Kiaer 2011. 3. 30. 인촌기념관 Towards Spoken Syntax

    (University of Oxford, UK.)

    6 Peter.A.O. Wasamba 2011. 4. 18. 문과대 B110 African Oral Literature and the Korean Wave

    (University of Nairobi, Kenya.) : A Call for Dialogue

    7 KYOIM YUN (윤교임) 2011. 4. 28. 문과대 215 제주 신화와 굿에서의 거래

    (University of Kansas, USA)

    8 Charlotte Horlyck 2011. 8. 17. 문과대 B110 19-20세기 한국미술품의 서구 유출 경로

    (SOAS, University of London, UK.)

    9 히나타 카즈마사 2012. 5. 25. 인촌기념관 는 어떻게 읽혀왔는가

    (明治大學, 日本.)

    10 Charlotte Horlyck 2012. 8. 16. 문과대 B110 The Stories Art Objects Tell

    (SOAS, University of London, UK.)

    11 이병원 2012. 12. 20. 문과대 317 아리랑과 정치-한국 북한 중국에서

    (하와이 주립대, USA.) 민요의 정치적 의미

    ----------------------------------------------------------------------------------------------------

  • 25 / 554

    4) 글쓰기·말하기 전문가 과정의 활성화 실적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글쓰기 교육을 담당할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고려대학교의 강좌를 비롯한 많은 대학의 글쓰기 관련 강좌에서도 강사들의 높은 수준

    과 전문성이 점차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이 글쓰기 교육 분야에서 전문성을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정규 프로그램이 대학원 내에 부재하여, 대학원생들의 개인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

    가 있었다. 본 사업단은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글쓰기 교육 전문가 과정을 개설, 운영하여 대학원생들이

    효율적, 체계적으로 글쓰기 교수자로서의 자격 요건을 갖추어 해당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본 대학원 소속의 '국어소통능력연구센터'가 주축이 되어 전문적으로 커리큘럼을 제작하여 자체 자료집

    을 만든 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왔다.

    특히 2단계 BK사업의 시작과 동시에 진행된 글쓰기 교육 전문가 과정은 그 동안 많은 참여대학원생들이

    과정을 수료한 후 실제 대학 강사로 활동하면서 그 능력을 발휘하였다. 과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