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1 Chap 7. 유도기 7.1 다상유도기의 구조 다상권선을 가진 고정자 적층 철심 농형권선 또는 축의 슬립링에 연결된 다상권선을 가진 회전자 적층 철심 충분히 작은 공극을 유지하는 강한 샤프트 베어링이 있는 고정자 하우징을 위한 프레임 냉각시스템 정지기 / 회전기 직류기 교류기 : 유도기, 동기기 M. Faraday 유도전류, 비동기기, 1886 Tesla “발명” 농형/권선형, 공극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전자기학) (회로이론) (수치해석)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Chap 7. 유도기 - Daum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

Chap 7. 유도기

7.1 다상유도기의 구조

• 다상권선을 가진 고정자 적층 철심

• 농형권선 또는 축의 슬립링에 연결된 다상권선을 가진 회전자 적층 철심

• 충분히 작은 공극을 유지하는 강한 샤프트

• 베어링이 있는 고정자 하우징을 위한 프레임

• 냉각시스템

• 정지기 / 회전기

• 직류기

교류기 : 유도기, 동기기

• M. Faraday

• 유도전류, 비동기기, 1886 Tesla “발명”

• 농형/권선형, 공극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전자기학) (회로이론) (수치해석)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3상농형유도기 방적용 10마력, 3상, 60Hz, 230/460V

2

3

4

7.2 고정자가 만드는 회전자계

5

6

7

7.3 토크생성

7.4 Slip

• S=1 : n=0 , S=0 : n=ns , s=0~1 (0.005~0.05)

<Ex 7.4.1> 4% slip : ns, fr, fs

• 고정자 3상교류 회전자계 발생 회전자 유도전류 회전력 발생 회전자 회전

(회전자계 속도 : 동기속도) <------ 차이 : SLIP ---------> (회전자 속도)

8

7.5 등가회로

• 고정자 :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9

• 회전자 :

10

• 고정자 + 회전자 :

11

12

13

<Ex 7.5.1> 400V, 50Hz, 3상 유도기

14

7.6 유도기 시험법

(1) 무부하시험 : 전동기 회전, Po, Vo, Io 측정 gc, bm 결정

• If R1=0, Xl1=0 :

(0) R1 측정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15

• 마찰손+풍손 = 회전손실 – 철손 :

• 무부하에서 전압상승시의 Power로 부터 손실분리 :

16

(2) 구속회전자시험 : 전동기 구속(S=1), 저전압인가, : Ps, Vs, Is 측정 Xl1, Xl2, R2’ 결정

17

<Ex 7.6.1> 시험결과 회로상수결정

3상, Y 결선, 10hp. 440V, 60Hz, 8극 농형 유도전동기

무부하 시험 : 선간전압 440 V, 총 입력 전력 350 W, 선전류 6 A

구속회전자 시험 : 선간전압 95 V, 총 입력 전력 900 W, 선전류 14 A

고정자에서 측정한 직류저항 : 상당 평균 0.75Ω, (구속시험후 바로 측정)

<Ex 7.6.2> 시험결과 회로상수결정

18

7.7 3상유도기 성능

• 입력전력 :

• 공극전력 :

(=회전자입력)

• 회전자 동손 :

• 기계적 출력 :

• 기기 회전력 :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19

• Slip :

• 회전자 동손 = 공극전력 x S :

• 기계적 출력 = 공극전력 x (1-S) :

• 따라서

- 즉 S가 작을수록 기계적 출력이 크고 동손은 작다

• 축출력 :

• 효율 :

• 전동기(0<S<1), 발전기(S<0), 플러깅(S>1)

20

<Ex 7.7.1> 3상 유도전동기, 입력 50kW, 고정자 동손 1kW, S=4% 회전자동손, 기계적 출력

<Ex 7.7.2> 3상 유도전동기, 10hp, 4극, 50Hz, 1450rpm, 고정자동손 231W, 회전손실 343W

축토크, 기계적 출력, 공극전력, 회전자동손, 입력전력, 효율

<Ex 7.7.3> 등가회로정수 고정자 입력 전류, 역률, 회전자 속도, 기계적 출력, 출력 토크, 효율

21

7.8 토크-속도 특성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 If Xm big,

V1a=V1,

R1’’=R1, X1’’=X1

22

23

• 최대토크값과 발생슬립 :

: 최대토크가 발생하는

발생슬립은 R2’에 비례하며

최대토크값은 R2’에 무관하다.

(비례추이)

• 기동토크(S=1) :

: 기동시 최대토크가

발생하도록 하는 저항값

24

• 비례추이 :

• 외부저항으로 최대토크 발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최대토크기동, 최대토크운전 등) • 충분히 큰 회전자 저항을 만들면 슬립 0~1 사이에서 거의 선형적인 토크 슬립 관계를 만들 수 있다. • R1과 R2를 아주 작은 값으로 만들면, 동손이 줄고 효율이 높아진다. • X1과 X2를 아주 작은 값으로 만들면, 좋은 기동토크와 적절한 최대토크를 가질 수 있다. • 누설 리액턴스를 줄이고 자화 리액턴스를 증가시키면 역률 개선이 가능하다.

<Ex 7.8.1>

25

• 단순 등가회로(R10, Xm∞) :

<Ex 7.8.2> <Ex 7.8.3>

26

7.9 원선도

• 기계적 부하(R2’/S)의 변동에 따른 슬립, 전류, 토크 등의 변화

• 원선도 유도 :

27

• 원선도 작성 :

1. 상당 정격전압(V1)을 표현하는 수직선 OV를 그린다. 무부하 시험 자료로부터 무부하 전류 I0의 위상각 Θ0=cos-1 (P0/V0I0)를 계산한다. V1에서 각도 Θ0만큼 뒤지도록 I0(OA)를 그린다. 2. 구속회전자 전류 Is(OB)를 각도 Θs(=cos-1(PsVsIs))만큼 뒤지도록 V1 뒤에 그린다. 3. 두 점 A, B로 원을 만든다. 원의 중심을 구하기 위해A와 B를 잇고, AB 선분의 중점에서 수직으로 수선을 세운다. 수평선 AX와 만나는 교차점이 원의 중심(C)이 된다. 4. C를 중심으로 하여 반원 ABX를 그린다. 5. 점 B에서 선분 AX 위에 교차점 E를 갖도록 수선을 내려서 선분 BE를 그린다. 선분 BE 위에 점 D를 찍는다. 점 A와 D를 잇는다. 선분 AB는 출력선이 되며, 선분 AD는 토크선이 된다. 6. 모든 운전상태를 원 위에 점 P로 나타낼 수 있다. 스케일을 고려하면 원선도로 부터 다음 특성들을 바로 구할 수 있다. OA = 무부하 전류, A/phase, OP = 입력 전류, A/phase, AP = 회전자 전류, A/phase PM = 고정자 입력 전력, W/phase, SM = 철손, W/phase, SR = 고정자 동손, W/phase RQ = 회전자 동손, W/phase, RP = 공극전력 W/phase or 축 토크 N·m PQ = 축출력, W/phase, RM/OP = 입력역률, RQ/RP = 단위 슬립, PQ/PM = 단위 효율 DB = 기동토크, N·m/phase.

28

• 최대토크(LG), 출력(NH) • 한계 : 기동시 및 최대토크시의 자기포화, 회전자도체의 전류분포, 회전자저항의 변동 등

<Ex 7.9.1>

29

• Sum : 30

전기기기<->등가회로(회로정수)<->특성방정식<->특성곡선 (전자기학) (회로이론) (수치해석)

7.10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 단순한 구조, 견고, 싼 가격

• 정속운전 / 가변속운전

• 극 변환방법 (P) :

• 가변주파수 변환법 (f) : VVVF

• 가변 인가전압법 (V) :

• 가변 회전자저항법 (R) :

• 회전자 슬립 주파수 제어 :

31

• 회전자 슬립 주파수 제어 :

• 회전자 슬립에너지 회생법 :

<Ex 7.10.1>

<Ex 7.10.2>

32

7.11 유도전동기의 기동

• 회전자 저항기동 / 감압기동(Y-Δ, 단권변압기, 고정자임피던스)

<Ex 7.11.1>

<Ex 7.11.2>

• 심층권선과 이중농형 회전자 :

<Ex 7.11.3>

33

34

7.17 유도전동기의 응용

• NEMA 분류

• D형: 매우 큰 구속토크 큰 슬립, 큰 속도변동 - 플라이 휠, 펀치프레스 - 엘리베이터 권상기 • C형: 큰 구속토크 낮은 항복토크 - 피스톤식 펌프 - 컴프레서, 전동스크린 • A/B형: 기준형 큰 기동전류, 저 기동토크 고효율운전 - 송풍기, 전동기구 - 원심펌프, 팬 * E형은 고효율기기

35

36

37

7.12 유도발전기

• S<0 , -R2/S :

• 동기발전기에 비해 유도발전기는 계통에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없고, 대신 무효전력을 소모한다. 그림처럼 커패시터 뱅크에 의해 자화 무효전력이 공급된다면 유도발전기의 독립운전이 가능하다. • 유도발전기는 큰 유도성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유도발전기는 견고함과 단순한 제어 때문에 풍력 전기 발전기에 사용될 수 있다.

38

7.13 코깅과 크롤링

• 공간상의 정현적 분포 / 공간고조파 함유

: 농형전동기의 극과 고정자 슬롯과 회전자 슬롯의 특정 조합에서는 고조파 토크가 커져서,

코깅(cogging)과 크롤링(crawling)이 발생함.

• 고정자 슬롯수가 회전자 슬롯수와 같은 유도전동기는 코깅 현상이 발생하여 기동이 되지 않는다.

: 고정자와 회전자 슬롯의 조합이 정지 시 접선방향의 토크보다 더 큰 정렬토크를 발생시킴.

• 고정자 자속의 고조파는 정상속도보다 낮은 속도에서 운전하게 하는데, 이를 크롤(crawl)이라 한다.

• 고정자 슬롯을 경사 슬롯(skewed slot)으로 만들어 줄일 수는 있다.

39

7.14 단산유도전동기

• 2극 / 4극, 5hp 이하용량,

• 기동토크 없음, 보조권선 필요(위상차)

• 불균일자계회전 , 토크맥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발생

40

• 기동시 : 교번자계 발송, 2차측이 단락된 정지형 변압기와 동일, 회전력 Zero

• 회전시 : 속도기전력 발생, 전류유기(위상차발생), 회전력 발생

i=I cos ωt B(t)=Bm cos ωt

: 공간상으로 정/역회전하는 두 자계의 합

41

• 정/역 회전하는 두 자계의 슬립 :

• 정/역 회전하는 두 자계의 등가회로 :

42

• 정/역 회전하는 두 자계에 의한 토크 :

입력전력 :

- 공극전력 :

기계적 출력 :

축출력 :

축토크 :

- 정방향토크 :

- 역방향토크 :

합성토크 :

<Ex 7.14.1> <Ex 7.14.2>

43

7.15 무부하시험과 구속시험

7.16 단상유도전동기의 기동법

• 분상(Phase Splitting)과 회전자계 :

If

Then , 위상차 90도

: 합성기자력은 진폭 Fm과 전원과 동일 주파수로 회전

진폭이 각도함수, 불균일 회전력, 맥동토크 발생

44

• 단상유도전동기의 종류 :

(1) 저항분상전동기 :

주권선(굵은코일)

보조권선(가는코일, 적은 L)

원심스위치(75%속도)

45

(2) Capacitor motor :

커패시터 기동형 분상 전동기, 2중 커패시터 전동기, 영구분상형 커패시터 전동기

46

(3) Shaded-pole motor :

극의 자속 시간차 발생, 이동자계 생성, 저효율

(4) 반발유도전동기 :

1/3hp~5hp, 직류전동기 정류자 단락, 고속에서 원심스위치로 브러시 분리,

47

48

7.17 유도전동기의 응용

• NEMA 분류

• D형: 매우 큰 구속토크 큰 슬립, 큰 속도변동 - 플라이 휠, 펀치프레스 - 엘리베이터 권상기 • C형: 큰 구속토크 낮은 항복토크 - 피스톤식 펌프 - 컴프레서, 전동스크린 • A/B형: 기준형 큰 기동전류, 저 기동토크 고효율운전 - 송풍기, 전동기구 - 원심펌프, 팬 * E형은 고효율기기

49

50

51

52

53

<Problems>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