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Upload
    lyhuong

  • View
    215

  • Download
    2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저 시-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l 저 물 리 목적 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교육학석사학위청구논문

4주간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훈련이 손잡이

유형에 따른 교차교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ble-tennis' Forehand Stroke

Training for 4 Weeks on Cross Education

according to a Handedness Type

2011년 2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 승 현

Page 3: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교육학석사학위청구논문

4주간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훈련이 손잡이

유형에 따른 교차교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ble-tennis' Forehand Stroke

Training for 4 Weeks on Cross Education

according to a Handedness Type

2011년 2월

지도교수 박 동 호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Page 4: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이 논문을 이 승 현의 석사학위 논문으로 인준함.2011년 2월

Page 5: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국문초록

4주간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훈련이 손잡이

유형에 따른 교차교육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승현

본 연구는 우세측 손잡이가 확실한 집단과 불확실한 집단에게 4주간 탁

구 포핸드 스트로크 트레이닝으로 나타나는 교차교육 효과를 비교하여, 기

존의 우세측의 이분법적 판단으로만 연구되어졌던 교차교육효과를 우세측

의 확실함과 불확실함이라는 특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비교해보

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 S구에 있는 M중학교 중3 남학생과 K구에 있는 K고등

학교 고1, 고2 남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1차 손잡이 설문지 검사를 이용하

여 OH집단 8명과, MH집단 15명을 선정하였으며, 2차 검사로 15명의 MH

집단에게 Purdue pegboard test를 실시하여 7명의 실험대상을 선정하였다.

표집 된 대상에게 자동탁구공 분사로봇을 이용하여 양손의 사전 탁구포

Page 6: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핸드스트로크 능력을 검사하였으며, 4주간 우선적으로 선택된 우세측사지

만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사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레이닝이 된 우세측과

되지 않은 비우세측의 포핸드스트로크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록된 자료는

혼합변량분석(2X2 Mixed ANOVA)을 이용하여 분석, 사후검증으로 대응표

본(시기) 및 독립표본(집단) t-검증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우세측 손잡이가 불확실한 집단에게서 교차교육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우세측 손잡이가 확실한 집단에게서는 유의하게 나

타났다. 또한 트레이닝을 실시하지 않은 사지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

작용이 나타났다.

따라서 교차교육 효과에 있어 손잡이의 분명함과 불문명함에 따라 다른

현상을 보인다 말할 수 있으며, 이런 교차교육 연구에 있어 우세측의 분명

함과 불분명함을 고려하여 연구되어져야한다. 또한 양쪽사지의 운동기능향

상을 목적으로 스포츠를 지도하는 지도자들, 혹은 편마비 환자를 재활하는

지도자들에게 있어 훈련트레이닝 적용 시 개개인의 사전 손잡이 우월함을

알고 있는 것이 더 성공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Page 7: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목 차

Ⅰ. 서 론 ··············································································································1

1.연구의 필요성 ··································································································1

2.연구의 목적 ······································································································4

3.연구가설 ············································································································4

4.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교차교육(Cross Education) ·········································································6

2. 손잡이 ············································································································11

Ⅲ. 연구방법 ·······································································································15

1.연구절차 ··········································································································15

2.연구대상 ··········································································································16

3.연구도구 및 실험방법 ··················································································20

4.연구의 제한점 ································································································23

5.자료처리 ··········································································································23

Page 8: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Ⅳ. 연구결과 ·······································································································24

Ⅴ. 논의 ·················································································································27

Ⅵ. 결론 및 제언 ·····························································································30

참고문헌 ················································································································32

Abstract ···············································································································37

부록 손잡이설문지 ································································································39

Page 9: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표 목 차

표 1. 피험자 특성 ···································································································16

표 2. 각 집단 간 non training limb 사전, 사후 60회 중 성공개수의 평균

과 표준편차 ··············································································································24

표 3. 각 집단 간 training limb사전, 사후 60회 중 성공개수의 평균과 표준

편차 ····························································································································25

Page 10: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그 림 목 차

그림1. 실험설계 ·······································································································15

그림2. 손잡이 설문지 분포 ···················································································18

그림3. Purdue pegboard test ···············································································19

그림4. 실험모식도 ···································································································21

그림5. Donic V-989E ····························································································21

그림6. 실험장면 ·······································································································22

그림7. 집단별 각 사지의 시기차이 그래프 ·······················································26

Page 11: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 -

Ⅰ. 서 론

1.연구의 필요성

좌우 양 사지를 사용한다는 것은 생활 속에서, 혹은 스포츠 상황에서 많

은 이점들을 가져다준다. 가령 야구 스위치 타자의 투수에 따른 타석 결정,

양발을 쓰는 축구선수의 자유도, 농구의 양손 레이업슛의 자세적인 이점,

400m 허들선수의 양발 허들링, 당구선수의 양손 스트로크로 인한 포지션

이점, 배구선수의 양손 스파이크 사용으로 인한 로테이션 이점 같은 것 등

이 그것이다. 양측의 사용은 운동의 상황에서 빠른 판단력과 자세적인 이

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스포츠 상황에서의 더 성공적인 성취를 가져다

준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간은 생활 속에서 오른쪽 사용 혹은 왼쪽사용의

편향성을 지닌다. 특히 빠른 포지션 결정을 해야 하는 스포츠 상황에서는

우세측(dominant limb) 사지의 이용이 무의식적으로 일어남을 볼 수 있다

(Magill, 1989; 김동건 & 염동삼, 1998).

양측성 기능 습득의 어려운 점은 태어날 때부터 우세측이 형성되어지는

유전적 학설(Annett, 1983; Lavy & Reid, 1976), 혹은 어릴 적부터 사용되

어진 습관에 의하여 우세측(dominant limb) 사지의 발달이 먼저 일어나 우

세측이 형성되어지는 성장적 학설로 설명하고 있으며(Collins, 1975;

Michell, 1981), 이런 것들로 인하여 우세측의 반복적 사용이 측편애성의

고착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Magill, 1989; Hellige, 1994). 초기 스포츠기능

습득에 있어서 이러한 측편애성 사용의 고착은 트레이닝으로 이어지고 그

차이가 점점 더 벌어져 양측성 기능발달을 가져오는데 장애로 작용한다(김

동건 & 영동삼, 1998). 이를 본다면 양측성 기능발달을 위해서는 비우세측

(non dominant limb)도 동일한 학습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age 12: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 -

양측성 기능발달을 위한 효율적 트레이닝 방법 이론 중 편측 트레이닝의

효과가 대측사지(contralateral limb)의 상동근육(homologous muscle), 혹은

운동기능으로 전이된다는 교차교육(cross education), 양측성 전이(bilateral

transfer)라 불리는 이론이 존재 한다(Cook, 1933; Hotobagyi et al., 1999;

Shima et al., 2002). 이 이론은 편측마비환자, 석고깁스 환자, 편측운동만

가능한 환자들의 재활치료에서의 이론적 바탕으로 알려져 있으며(박지원

등, 2002), 운동선수에게 있어서 양측성 기능발달의 방법적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해주는 이론이다.

이런 교차교육이론에는 각각의 사지트레이닝이 대측으로의 전이효과가

다르다 말하는 비대칭형효과와, 어느 쪽이든지 같다 말하는 대칭형 효과에

대한 설로 나뉘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비대칭성 이론을 지지하는

경향을 보이며 지금까지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이런 비대칭 전이이론 중

Dunham(1977)은 양측성 전이를 연쇄적 순서와 시열적 순서로 실험하여,

듣지 않는 사지(비우세측)의 연습에 앞서 듣는 사지(우세측)의 연습이 일련

의 동작 수준에 이를 경우 양측성 전이가 더 빨리 일어남을 보고하였다.

또한 Thorndike(1914)의 동일요소설이나, 기억의 표상(고흥환 등, 1994), 혹

은 위계적 표상구조에 의하여 나타나는 순차적 활성화의 학습에 의하면(김

진환, 1989), 비우세측 보다 월등이 좋은 운동학습 성취를 보이는 우세측

선학습의 전이가 그 반대에 비하여 더 빠르다 말한다. 이것은 '무엇을 해

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학습력이 좋은 우세측에서 먼저 습득함으로써 반

대측 활동 시 이를 재 습득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며, 비 우세측에 비하여

이런 습득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아 결론적으로 전이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

다고 제안하는 것이다(Magill, 1989). 또한 그 밖의 여러 연구에서 선 우세

측 트레이닝의 후 비우세측 효과가 그 반대측에 비하여 많은 전이량을 보

여, 더 효과적이다 라는 것이 지배적이다(Ammons, 1958; Magill, 1989). 이

런 여러 가지 이유로 양수발달을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선 우세측 후 비우

Page 13: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 -

세측 트레이닝이 최적의 방법이라 알려지고 있다.

이런 기존 교차교육연구에 좌우 비대칭적 효과의 검증에 있어서 과거까

지의 검증은 전이효과에 포커스가 맞춰 이루어져 왔으며 사람의 손잡이 성

향을 간과하고 단순한 우세측과 비우세측의 이분법적 구분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과거부터 내려져오는 손잡이 연구에서는 우세측과 비 우세측의 구분

은 명확한 우세측의 구분이 아닌, 양손잡이 혹은 혼합손잡이(mixed

hander), 비 일관적인 손잡이(inconsistent hander), 오른손잡이가 아닌 사

람들(non right hander) 등과 같은 중간집단의 구분을 포함해야한다 말하

고 있다(강연욱, 1994; Peters & Servos, 1989; Peters & Murphy, 1992).

이런 우세측이 불확실한 중간집단은 엄연히 존재하며, 지금까지 이런 중간

집단의 운동기술 전이에 관한 교차교육효과는 무시되어져 왔다. 강연욱

(1994)은 임상적, 혹은 실험적 연구를 목적으로 손잡이평가를 할 때 오른손

잡이 왼손잡이의 이분법적 분류를 사용한다면 많은 오류와 그 집단 간의

특이성을 검증할 수 없을 것이라 말하였다.

이런 불명확한 손잡이 집단에게서 나타나는 교차교육효과는 조금 더 능

숙한 양손 사용이라는 특징을 지닌 이유로, 손잡이가 명확한 집단의 교차

교육효과와는 다른 패턴과 양상을 보일 것이다.

또한 이것은 기존의 우세측 트레이닝이 비우세측으로 전이학습이 이루어

지는 양측성 발달에 있어서 이런 불명확한 손잡이 집단의 효과비교는, 전

통적으로 연구되어졌던 최적의 양측성 훈련 방법인 선 우세측 후 비우세측

트레이닝에 다른 시각의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14: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4 -

2.연구의 목적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세측 손잡이가 명확한 집단(One hands 이하OH)과

불명확한 양수사용 중간 집단(Mixed hands 이하 MH)에게 4주간 편측운

동인 탁구의 포핸드 스트로크 트레이닝으로 기존의 교차교육 연구와 다른

손잡이에 따른 교차교육 효과를 알아보고, 각 집단 간의 교차교육 효과에

대한 그 효율성을 비교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3.연구가설

첫째, 두 집단(OH, MH) 모두에서 교차교육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둘째, 우세측이 명확한 집단(OH)과 불명확한 중간집단(MH)에서 교차교

육효과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Page 15: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5 -

4.용어의 정의

1) 우세측사지(dominant limb)

본 연구에서 쓰이는 우세측사지란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시 주로 사용되

는 사지의 방향과 라켓을 들고 있는 쪽을 말한다.

2) 비우세측사지(non dominance limb)

본 연구에서 쓰이는 비우세측 사지란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시 사용되는

사지의 방향과 라켓을 들고 있는 쪽 이외의 반대측을 말한다.

3) 측면편애성

본 연구에서 말하는 측면편애성은 한쪽사지를 습관적으로 사용하여 고착

되어진 것을 말한다.

4) 편측운동

편측운동은 한쪽사지를 주로 사용하여 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본 연구

에서의 편측운동은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동작을 말한다.

5) 교차교육(Cross education)

본 연구에서 쓰이는 교차교육은 편측사지의 운동효과가 반대측으로 전이

되는 것을 말하며 양측성전이(Bilateral transfer)와 동일한 의미라 정의 한

다.

Page 16: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6 -

Ⅱ. 이론적 배경

1. 교차교육(Cross Education)

1) 교차교육(Cross Education)의 정의와 그 기전

교차교육(Cross education) 혹은 양측성 전이(Bilateral transfer)는 어느

한쪽 사지의 학습과 훈련의 결과가 반대편 사지의 수행향상에 영향을 준다

는 이론이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 까지 양측성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1933년부터 1936년까지 5편의 논문을 발표한 Cook은

이런 효과를 교차교육이라 부르며 운동선수가 어느 한쪽 손이나 발로 특정

의 운동기술을 발전시켰을 때의 그것이 반대편의 수족 혹은 대각선의 수족

에 미치는 영향력을 의미한다고 말하였다(Cook, 1936). Zhou(2000)는 교차

교육 효과를 대측의 운동 기술학습(motor skill learning)뿐만 아니라 대측

상동근육의(homologous muscle) 근력 증가 또한 포함되어진다 말하였다.

양측성 전이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훈련을 하지 않은 사지근력에서

처음 근력의 7.8~8%의 효과 크기를 보였다 말한다(Micheal. L &

Timothy. J.C, 2007).

생리적으로 전통적인 교차교육의 기전은 대뇌 피질과 뇌간에서의 적응

(adaptation)에 의해 중재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Carr et al., 1994;

Hellebrandt, 1951; Kristeva et al., 1991), 최근 근전도를 이용한 연구에서

는 척수(spinal) 수준의 적응기전이라는 것으로 원인을 찾고 있다

(Hortobagyi et al., 1999; Shima et al, 2002; Zhou, 2000). 또한 Micheal. L

Page 17: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7 -

& Timothy. J.C(2007)의 리뷰논문에 의하면 양측성 전이의 메카니즘을

저항성 훈련이 신경순환을 활성화 시켜서 그 운동효과가 운동 경로를 따라

대측사지로 전달된다 말한다.

인지적 설명으로 보여 지는 교차교육의 발생 이유는 선 학습에 의한 인

지적 학습정보를 훈련이 안된 사지의 학습, 혹은 수행에 이용할 수 있다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한쪽 사지에서 인지적 정보의 습득은 동일한 골격과

신경전달 루트를 가진 대측사지에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Thorndike(1914) 는 전이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동일요소 이론(identical el-

ements theory) 을 제시 하였다. 이것은 두 기능이나 두 수행상황의 구성

요소나 특성들 사이의 유사성에 의해 전이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편측의 운동 수행 시 학습하는 요소가 대측사지에서 또한 유사 하거나 동

일하게 존재하기에 운동학습이 전이가 일어난다 말하고 있다. 또한

Lee(1988)는 전이에 적절한 처리이론(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theory) 을 말하며 두 가지 수행상황이 요구하는 인지적 처리특성의 유사

성에 의해 전이가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Thorndike가 말한 수행의

동일한 구성요소와 특성뿐만 아니라 머릿속에서 수행에 대한 절차

(processing)에 있어 유사하거나 동일한 특성 이 있다면 전이가 일어난다

말한다. 이 두 이론을 말하자면 학습자가 오른팔로 어떤 기능에서 숙련될

경우, 왼팔도 동일한 기능을 연습하기 시작할 때에는 공통적인 인지적 요

소인 "무엇을 해야 할지"를 제 학습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차교육에 대한 저항성트레이닝의

효과에 관하여 검증된 연구, 혹은 근전도계(EMG: Electromyography)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촬영(f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이용한 전이

도 판별과 같은 연구가 대부분이다. 아직까지 실질적 운동기능 상황에서의

성취도로 인한 전이도 검증은 미비한 상태이다.

Page 18: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8 -

2) 대칭&비대칭전이

교차교육 효과, 혹은 양측성전이 효과는 과거 심리학적 운동학습 적 연

구에서 많이 다루어 졌으며 전이의 방향과 관련된 연구 또한 많이 이루어

져 왔다. 한쪽사지로 부터 의 전이가 다른 쪽 사지로부터의 전이보다 큰

비대칭적 전이와, 어느 쪽 사지가 먼저 이용되는지와 관계없이 한쪽 사지

로 부터 다른 쪽 사지로의 전이 량이 유사한 대칭적 전이가 그것이다. 이

것은 이론적 관점에서 볼 때 두 반구는 운동제어에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

하는가 아니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대한 답을 제공할 수 있다.

비대칭적 전이가 지배적일 경우 치료사, 지도자, 또는 코치에게 있어 학

습자에게 어느 한쪽의 사지를 먼저 트레이닝을 시키도록 요구 할 것이며,

대칭적 전이가 지배적일 경우에는 어느 쪽 사지를 먼저 연습하던 양측성

기능 발달 측면에서는 상관이 없을 것이다 말한다.

교차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어지는 결론은 비대칭적 전이이다. 이중

전통적 양측성 기능 발달 측면에서 선호하는 우세측사지(dominant limb)의

선 학습의 전이가 비 선호하는 비 우세측사지의(non dominant limb) 선

학습 전이량에 비하여 월등히 많으며 이 때문에 선호 사지의 선 학습이 양

측 기능 발달에 효과적이라 말하고 있다.

3) 정적 전이&부적전이

정적전이(Positive transfer)란 일반적인 전이효과로 이전의 경험이 새로

운 상황에서의 기능수행이나 새로운 기능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그 기능수

Page 19: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9 -

행이나 학습을 촉진 발전시킬 때를 말한다(Magill, 1989). 예를 들면 야수

선수의 투구를 위한 투구 모션의 연습, 재활치료를 통한 생활로의 복귀, 혹

은 스케이트 선수의 비시즌 지상 인라인 스케이트 연습 등에서 오는 정적

운동효과의 전이를 말할 수 있다. 정적전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운동기술요

소의 유사성과 처리과정, 또는 인지과정의 유사성에 의하여 발생한다(김선

진, 2000) 운동기술요소의 유사성은 Thorndike(1914)의 동일요소 이론으로

설명되어지며, 운동기술간의 동일한 움직임 요소(elements) 혹은 환경적 요

소가 동일하게 존재함으로 움직임 학습의 전이가 일어난다 말한다. 예를

들면 테니스 서브동작과 배구 서브 동작은 두 운동기술간의 유사성이 높기

때문에 전이가 정적으로 발생한다(김선진, 2000). 처리과정의 유사성에서는

정적전이가 두 가지 기능이나 수행상황이 요구하는 인지적 과정의 유사성

에서 기인함을 주장한다. Magill(1989)은 전이에 적절한 처리 이론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theory)을 말하며 두 가지 수행상황이 요

구하는 학습이나 수행의 인지적 과정이 지닌 유사성에 의하여 정적전이가

발생한다 말한다. 연습조건과 전이조건간의 인지적 처리 활동이 유사할수

록 정적전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Shea & Morgan,(1979)이 주장한 맥락간

섭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맥락간섭이 높은 연습조건일수록

파지검사에서 나타난 수행력이 높은 것처럼 연습조건에서 맥락간섭을 많이

받은 집단의 전이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말하고 있다. Wickens(1980)

은 과제간의 유사성이 떨어질 경우에도 연습과제와 전의과제의 처리과정이

유사하면 정적인 전이가 일어난다 말했다. 이것은 인지적 순서 혹은 처리

과정의 유사성이 정적전이를 만들어준다 는 증거 이다.

부적전이(negative transfer)란 정적전이와는 다르게 이전의 경험이 새로

운 상황에서의 기능수행이나 새로운 기능의 학습을 간섭하거나 방해할 때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Magill, 1989) 흔히 배드민턴 포핸드스트로크를 배

우기전에 테니스의 포핸드를 배운 사람에게서 부적전이 현상이 종종 발견

Page 20: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0 -

되며, 이런 비슷한 상황에서의 학습 초반 흔히 발생한다. 부적전이의 발생

이유는 두과제의 운동수행 상황에서 획득하는 지각정보의 특성이 유사하지

만 움직임임 특성이 다른 경우 발생한다(김선진, 2000). 그 예로 자신이 운

전해온 차와 다른 차를 운전 할 때 자동차 후진기어의 위치변화는 운전학

습 초기 부적전이를 일으켜 자주 실수 하게 만든다. 김선진(2000)은 이것을

인지혼란(cognitive confusion)으로 설명하며 지각정보 또는 인지적 정보의

유사성은 있으나 환경적 공간적위치의변화 혹은 다름 때문에 나타나는 혼

란이라 설명한다. 이런 부적 전이 효과는 초기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

이라 말하고 있다. 새로운 방식의 수행이 전이량을 순간적으로 반감시키는

것이며 이는 혼란이라는 기전에 의해 야기되어진다.

Page 21: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1 -

2. 손잡이

1) 손잡이 형성원인

손잡이 형성 결정요인은 크게 두 가지 설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선

천적으로 유전에 의하여 결정되어지는 설과, 후천적인 환경이나 학습에 의

하여 정해진다는 설로 나눠진다.

왼손잡이의 발생비율은 왼손잡이 부모를 가지고 있지 않은 어린이들 보

다 왼손잡이 부모의 어린이에게서 더 높았다 보고되어지고 있으며(Levy,

1976), 통계학자들의 통계수치에 따르면 왼손잡이 어린이의 부모 중 한쪽

부모의 왼손잡이 인경우보다 양쪽부모의 왼손잡이 인 경우의 형태가 훨씬

더 많이 나타난다(Load,1986). Annett(1983)는 왼손잡이 부모를 둔 어린이

115명의 손잡이 선호와 손기술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왼손 오른손

각각의 편애성을 지닌 각각의 유전인자가 부모를 통한 유전에 의해결정 되

어 진다 보고하고 있다. 또한 Annett(1983)는 어린이들 왼손잡이 발생비율

이 양쪽부모 모두 오른손잡이일 경우 10%, 양쪽부모 모두 왼손잡이일 경

우 35%로 발생함을 보고하고 있다. 이밖에도 많은 연구들에서 유전에 의

한 손잡이 결정 된다 는 설을 지지하고 있다.

Collins(1975)는 손의 측면편애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유전보다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며 유전적으로 동일한 쥐들의 발 선호 연구를 통하

여 주장하였다. 이에 의하면 유전적으로 동일한 발을 사용하는 쥐들을 어

느 한쪽발의 사용만을 유리하도록 하지 않은 환경에서 길러진 쥐들에게서

는 오른발잡이 쥐와 왼발잡이 쥐의 수가 거의 똑같게 나타난 반면 그 반대

의 조건하에서는 90% 정도가 강제된 측면편애성을 갖게 되었다는 사실을

Page 22: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2 -

발견했다. 또한 다른 많은 학자들 또한 왼손잡이 혹은 오른손잡이가 되는

원인은 후천적인 사용습관의 고착형태라 정의한다.

2) 대뇌기능편향과 손잡이

인간의 대뇌 반구는 해부학적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어 져 있으며,

이런 양측 대뇌 반구는 뇌량(corpus callosum)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런

대뇌의 좌우반구는 대뇌의 좌우 차(cerebral laterality)라 말하며 이런 해부

학적 차이뿐만 아니라 각 반구의 기능에서 또한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박

창근 외 , 1990). 1936년 Marc dax의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좌측 대뇌반구의 손상을 발견하며 대뇌기능의 분화 이론이 연구되어지기

시작 했다. Sperry(1958), Gazzaniga(1970)는 뇌기능 분화이론을 들어 대

뇌 반구의 좌우기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말한다. 보통 좌측 대뇌 반구(Left hemisphere)는 논리적, 언어적, 분석적,

계열적 기능과 숫자를 조작하는 등의 기능이 특징이며, 우측 대뇌반구는

(Right hemisphere) 비언어적, 전체적, 공간적, 창의적, 미적 기능을 특징으

로 하고 있다. 이런 대뇌 기능의 분화는 인지적 사고의 기능뿐 아니라 운

동학적 기능에서도 분화 되어 있다. 움직임에 있어 대뇌의 정보처리는 보

통 좌측 대뇌반구는 우측 사지의 기능에, 우측 대뇌반구는 죄측 사지의 기

능에 영향을 준다. 보통 뇌졸증(stroke)환자들의 편측 시각 장애, 편측사지

의 감각신경 마비, 편측사지의 운동기능 마비 경향이 대측 대뇌반구의 손

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면 쉽게 그 영향을 알 수 있다.

강연욱(1994)은 손잡이는 사람에게 가장 분명하게 겉으로 드러나는 대표

적인 비대칭적인 행동이라 말하며 신경심리학적 평가에 있어서 손잡이는

대뇌 기능 편향의 중요한 단서로 사용되어 왔다 말한다. 또한 왼손잡이와

Page 23: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3 -

오른손잡이는 언어중추를 포함한 대뇌 조직화의 양상이 서로 다르다 말하

며(Hecaen & Sauguet, 1971), 여러 가지 인지적 과제들의 수행 수준이나,

간질, 발달장애, 면역체계 이상, 정신질환 등을 지닌 임상 집단에서 왼손잡

이가 더 많이 발견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손잡이 연구는 인지적, 지각적,

정서적 발달 및 질병과 대뇌기능편향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임을 시사 하고 있다(강연욱, 1994; 신현정과 최성진, 2001; 김수일

외, 2008). 이렇듯 현제 손잡이 연구는 모든 신경심리학적 평가와 연구에

있어서 반듯이 포함되는 중요한 변인중 하나로 인정 되고 있다(Harris,

1992).

3) 손잡이평가 방법

손잡이 평가 분류의 방법은 여러 신경심리학자들에 의 하여 계발되어져

왔다. 이 계발되어져 온 방법은 전기 생리학적 검사방법, 생화학적 방법

Dichotic Listening test, 스스로 일상생활에서 손잡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하는 방법, 제 3자가 일상생활에서 손잡이 사용 경향을 관찰하는 방법

(Warren, Abplanalp & Warren, 1967) 어느 손으로 글씨를 쓰느냐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손잡이 설문지를 사용하는 방법(Annett, Oldfild,

Raczkowski, Tames Bliss& Joseph, Porac과 Coren의 Lateral Preference

Questionnare등의 방법), 어느 쪽 손이 더 기민한지 실질적 과제를 주어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Dotfilling 검사(Tapley & 뱂법(den, 1985),

Finger Tapping 검사(Reitan & Davison, 1974), Purdue Pegboad검사

(Tiffin, 1968), Grooved Pegboad검사(Matthew & Klove, 1964), Grip

strength검사(Reitan & Davison, 1974) 등이 있다(김동건 & 염동삼, 1998,

Page 24: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4 -

재인용; 강연욱, 1997). 일반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판명하는 방법은 검

사 자 에게 장애가 적으며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이나 관심을 요구할 필요가

없으며 대뇌의 지배적 편향성을 쉽게 알 수 있어 일반적으로 정신학적 질

환을 위한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Page 25: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5 -

Ⅲ. 연구방법

1.연구절차

본 연구에 절차는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그 대상에게 처치를 하는 순서로

연구가 진행 되었다. 연구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 1차 손잡이설문지 작성

후 판별된 집단에게 2차 손잡이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최종 두 집단을 선

정하였다. 선별된 집단에게 사전 포핸드스트로크 검사를 실시한 뒤 4주간

의 포핸드스트로크 트레이닝 처치를 한 후 사후 사전과 동일한 검사를 실

시하였다. 연구에 관한 도식절차는 그림<1>과 같다.

그림 1. 실험 설계

Page 26: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6 -

2.연구대상

본연구의 실험대상은 탁구운동선수의 경험이 없는 인천시 S구, K구에

소재한 M중학교 3학년 남학생과 K고등학교 1,2학년남학생 204명을 대상으

로 1차 손잡이 설문지 검사를 거쳐 2차 선별검사를 실시, 최종15명을 대상

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피험자의 특징은 표<1>과 같다. 실험 전 대상

자에게 연구에 대한 설명과 사전 실험참여 동의서를 받았으며 실험 후 소

정의 탁구용품을 지급하였다.

표 1. 피험자 특성

no. 나이 신장(Cm) 체중(Kg)Purdue

pegboardtest score

training주손

성별

Group

OH(N=8)

1 16 180.0 58.1 3.5 R 남

2 16 179.1 66.2 3.0 R 남

3 16 165.0 58.3 6.0 R 남

4 16 170.6 61.0 3.0 R 남

5 16 166.0 62.0 3.5 R 남

6 17 175.2 67.2 2.5 R 남

7 17 172.3 65.1 6.0 R 남

8 18 174.8 65.0 4.0 R 남

M 16.50 172.78 62.86. 3.94

SD(±) ±0.76 ±5.49 ±3.53 ±1.35

MH(N=7)

9 16 168.8 58.0 0.5 R 남

10 16 165.7 60.7 -1.0 R 남

11 18 179.1 71.2 -1.5 L 남

12 18 177.0 63.5 -1.0 L 남

13 16 169.6 55.2 0.0 R 남

14 17 176.3 61.1 0.5 R 남

15 16 172.4 68.2 -0.5 R 남

M 16.71 172.70 62.56 -0.43

SD(±) ±0.95 ±4.93 ±5.60 ±0.79

OH=One hands group(use consistent hand group)

MH=Mixed hands group(use inconsistent hand group)

Page 27: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7 -

1) 손잡이 질문지(Oldfild, Annett, Crovitz-Zener Handedness

Inventory)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Mixed Hander 집단은 통계적으로 3~15%정도 분

포하는 것을 바탕으로 인천의 모 고등학교의학생중 무선 표집으로 선별한

고등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Edinburgh handedness Inventory 손잡이 검사

지(Oldfild, 1971)와 Annett Questionnaire 손잡이 검사지(Annett, 1970),

Crovitz-Zener Questionnaire 손잡이 검시지(Crovitz & Zener,1962)문항들

로 이루어진 손잡이 질문지(Handedness Inventory. Table 1)를 사용하여

우세측 손잡이가 명확한 집단(OH)과, 불명확한 양수사용 집단(MH)을 1차

선별하였다. 질문지의 총 문항은 20문항으로 이루어 졌다.

손잡이 판명은 대부분 선행연구(Healey et al., 1986; Steenhuis &

Bryden, 1989)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중앙치를 그 준거점으로 사용하여 1

(항상 왼쪽)부터 5(항상 오른쪽)의 리커트척도 로 검사하여 실시하였다. 20

문항의 각항의 점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점수가 2.6~3.5점은 MH(maixed

hander), 2.6미만과 3.5초과는 OH(One hander)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손잡

이검사지로 MH집단은 15명을 선정하였으며, OH집단은 무선표집을 통하여

8명을 표집 하였다. 남학생 204명의 손잡이 분류 결과는 그림<2>와 같다.

Page 28: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8 -

그림 2. 손잡이 설문지 분포(N=204)

Page 29: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19 -

2) Purdue pegboard test

1차 선별된 우세측 손잡이가 불명확한 집단(MH)15명에게 손잡이판명 검

사로 많이 쓰이는 그림<3> Purdue pegboard test(Tiffin, 1964)를 실시, 최

종 선발 집단을 확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urdue pegboard test는 오

른손과 왼손, 그로고 양손으로 작은 구멍 속에 30초 동안 집어넣은 핀

(peg)의 수를 측정하여 양손 수행차이를 측정하는 검사로 신경심리학적 병

변 환자 판명이나 작업치료 시 편마비 환자의 재활, 향상도 측정을 위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각 손당 2회를 측정하며 30초 동안에 집어넣은 핀의 수를 평균으로 오른

손(Right)에 대한 왼손(Left)의 차를 구하여 -1이상 1이하의 점수를 가진

집단을 MH집단으로 판별하였다.

그림 3. Purdue pegboard test

Page 30: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0 -

3.연구도구 및 실험방법

선별된 집단을 주손이 명확한 OH집단(Group1), 주손이 불명확한 (MH)

집단(Group2) 이렇게 두 집단으로 나뉘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두 집단

을 비우세측, 우세측 사지의 탁구포핸드 스트로크 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 성취도로 교차교육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1) 측정방법(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기능 검사)

실험은 8월2일과 8월3일, 8월27일과 8월30일 측정하였으며, 모두 동일한

시간 때, 동일한 온도습도, 동일한 장소인 인천의 K국민체육센터, 동일한

라켓으로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그림 4>와 같이 탁구대의 좌측상단과

우측상단에 가로30cm 세로40cm의 공간을 Masking TAPE으로 유효범위를

설정해 놓은 후 그림<5> Donic사의 자동식 탁구공 분사기(V-989E)에 분

당 30개의 공을 60개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시 트레이닝이 되지 않은 비우세측사지와 트레이닝이 된 우세측사

지의 포핸드 스트로크를 각각 3회씩 실시하였다. 수행 전 사전 적응 훈련

으로 10개의 타구를 연습한 후 실시하였으며 유효범위에 들어간 공은 성공

으로 인정하여 Trial과 Success를 측정하였다. 유효범위 적용은 video

camera(Sony HDR-UX7)로 촬영하여 sony vagas8.0 프로그램으로 탁구공

타구 시 테이블에 접촉순간 사운드와 좌표를 측정하여 성공 실패를 판단하

Page 31: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1 -

였다. 각 사지 당 3회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사후에

도 동일한 측정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그림 4. 실험 모식도.

그림 5. Donic V-989E

Page 32: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2 -

그림 6. 실험장면

2) 탁구 포핸드스트로크 트레이닝

양측성 전이를 위한 4주간의 포핸드 스트로크 훈련과 기본 탁구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시 자신의 탁구 수행 시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우세측 손

만을 사용하여 훈련을 실시하며 주 3회, 1회당 1시간 트레이닝을 실하였다.

자신의 비우세측 손은 포핸드 스트로크 훈련 시 사용을 하지 않도록 연구

자가 구두로 통제하였으며, 훈련 내용에서는 하루에 일반적인 탁구 강습과

더불어 탁구 머신을 이용한 우세측의 포핸드 스트로크를 200개씩 3회에 걸

쳐 600개의 스트로크를 실시하였다.

Page 33: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3 -

4.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1) 연구대상이 인천시 S구와K에 소재한 M중학교와 K고등학

교남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

계가 있다.

2) 연구대상의 성장과정은 고려하지 않았다.

5.자료처리

모든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자를 산

출 하였다. 집단별 사전, 사후의 포핸드스트로크 성공 횟수 차이는 혼합변

량분석(2X2 Mixed ANOVA)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사후 분석 방법으로

는 대응표본(시기) 및 독립표본(집단) t-검증을 이용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Page 34: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4 -

Ⅳ. 연구결과

본 실험에 참여한 각 집단의 4주간 포핸드 스트로크 트레이닝이 안 된

비 우세측사지의 사전, 사후 포핸드 스트로크 성공개수와 성공률은 표<

2>와 같으며, 4주간 트레이닝된 우세측사지의 사전, 사후 포핸드 스트로크

성공개수와 성공률은 표<3>와 같다.

표 2. 각 집단 간 non training limb사전, 사후 60회 중 성공개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prenon dominant

limb test

postnon dominant

limb test F p

Mean±SD Mean±SD

Group

OH

(N=8)5.71±3.01 11.16±3.85

집단 1.89 .192

시기 53.60 .000MH

(N=7)11.04±6.07 12.09±4.74

시기*집단 24.59 .000

*Greenhouse-Geisser 값

OH=One hands group(use consistent hand group)

MH=Mixed hands group(use inconsistent hand group)

Page 35: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5 -

표 3. 각 집단 간 training limb사전, 사후 60회 중 성공개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predominantlimb test

postdominantlimb test F p

Mean±SD Mean±SD

Group

OH

(N=8)8.62±2.67 17.04±4.33

집단 2.84 .116

시기 98.58 .000MH

(N=7)12.47±4.37 19.71±4.64

시기*집단 .56 .468

*Greenhouse-Geisser 값

OH=One hands group(use consistent hand group)

MH=Mixed hands group(use inconsistent hand group)

트레이닝이 되지 않은 비 우세측사지에 대한 사전 사후 성공수를 보면

OH집단의 사전 성공수(성공률)의 평균은 5.71(9.51%)로 나타났으며, 사후

성공수(성공률)는 11.16(18.61%)로 나타났다. MH집단의 사전 성공수(성공

률)의 평균은 11.04(18.61%)로 나타났으며 사후 성공수(성공률)는

12.09(20.15%)로 나타났다. 시기차이에서는 사후분석 후 OH집단에서만 유

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두 집단 간 시기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F=24.59, p=.000).

트레이닝이 된 우세측사지에 대한 사전 사후 성공수를 보면 OH집단의

사전 성공수(성공률)의 평균은 8.62(14.37%)로 나타났으며, 사후 성공수(성

공률)는 17.04(28.40%)로 나타났다. MH집단의 사전 성공수(성공률)의 평균

은 12.47(20.78%)로 나타났으며 사후 성공수(성공률)는 19.71(32.85%)로 나

타났다. 시기차이에서는 사후분석 후 두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age 36: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6 -

그림 7. 집단별 각 사지의 시기차이 그래프

집단별 각사지의 포핸드스트로크 시기차이는 그림<7>과 같이 트레이닝

이 되지 않은 비 우세측사지에서 OH는 평균 5.45 증가하였으며 MH는 평

균 1.05 증가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는 아니었다. 트레이닝이 된

우세측사지에서 OH집단은 평균 8.42 증가하였으며 MH집단은 평균 7.24

증가 하였다.

Page 37: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7 -

Ⅴ. 논의

본 연구는 우세측 손잡이가 명확한 집단과 불명확한 양수사용 중간 집단

에게 4주간 편측운동인 탁구의 포핸드 스트로크 트레이닝으로 기존의 교

차교육 연구와 다른 손잡이에 따른 교차교육 효과를 알아보고, 각 집단 간

의 교차교육 효과에 대한 그 효율성을 비교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두 집단의 baseline의 차이로 인한 사전성취 불균형은 트레이닝이

된 우세측사지의 학습 성취를 볼 때 두 집단 모두 비슷하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사전 스트로크 능력의 차이로 인한 학습능력의 차이가 교차교육효

과의 집단별 차이에 영양을 미치지 않았다고 사료된다.

실제 운동 기능적 교차교육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간 실험자의 우세

측을 트레이닝한 후 비우세 측으로의 교차교육효과를 측정한 결과 우세측

이 명확한 집단(OH)에게서 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불명확한 집단

(MH)에서는 적지만 미미한 증가현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Non training limb에서 두 집단 간 시기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F=24.59, p=.000). 따라서 첫 번째 가설인 두 집

단(OH, MH)모두에서 교차교육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

었고, 두 번째 가설인 우세측이 명확한 집단과 불명확한 중간집단에서 교

차교육 효과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은 성립되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보여진 단순한 편측사지에서 대측사지로의 교차교

육 효과검증과는 다르게 우세 측의 분명함과 불분명함이라는 특징적 이유

로 다른 효과를 보여준 연구결과라 생각되어진다. 이것은 거울을 보고 글

씨쓰기 과제 연습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여 안 듣는 손의 수행력을

실험한 Mark Latash(1999)의 연구, 편측발의 축구공 리프팅을 이용하여 교

차교육효과를 검증한 이규영(1998)의 연구, 키보드를 이용한 손의 교차교육

Page 38: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8 -

효과를 검증한 백명희(1997)의 연구 등 기존의 손잡이를 고려하지 않고 많

이 연구되어졌던 교차교육효과를 연구한 결과와는 다른 시사점을 제공해주

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는 운동전이 이론 중 부적 전이(negative transfer)현

상으로 설명되어질 것이라 생각된다. 부적 전이 현상이란 이전의 경험이,

새로운 상황에서의 기능수행이나 새로운 기능의 학습을 간섭하거나 방해할

때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김선진, 2000; Magill, 1989).

이런 부적 전이 이론의 원인으로, 두 가지 운동과제의 수행상황에서 학

습시 발생하는 지각정보 특성이 서로유사하나 움직임특성(동작특성)이 서

로 다른 경우를 들 수 있다(김선진, 2000; Magill, 1989). 움직임특성(동작

특성)이 다른 것이라면 보통 동작의 공간적 위치변화, 혹은 동작의 타이밍

구조가 다름을 말한다. 이중 공간적 위치변화로 말한다면, 이전학습의 경험

혹은 능숙함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지각정보가 유사한 새로운 운동을

수행 시, 만약 공간위치의 다름이나 환경의 변화가 발생된다면, 이것은 혼

란을 가져오게 되여 부적전이가 발생된다. 이것은 이전의 능숙한 수행의

학습에 지각정보가 유사한 다른 수행을 할 때 정적인 상관이 아닌 부적인

상관이 가지게 된다.

김선진(2000)은 이런 현상을 인지혼란(cognitive confusion)으로 설명하

며 자동차와 키보드 위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자동차의 기어위치를

바꾸거나 키보드 키 위치를 바꾸게 되면 기어를 넣거나 키보드를 치는 동

작의 지각적 시스템의 문제가 있기보다는 위치변화로 인한 인지혼란을 야

기 시켜 부적전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설명한다.

본 실험에서 실시한 양손의 각각의 포핸드 스트로크는 동작 시 좌우움직

임의 공간적 특성이 다르다. 우세측이 불확실한 집단은 양측사지 동작의

수월함이 Magill(1989)이 말한 양사지의 공간적 특성과 동작인지 사이에

혼란(cognitive confusion)을 더 많이 가져다주었다 사료되며, 우세측이 확

Page 39: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29 -

실한 OH 집단에게서는 동작의 비 수월함이, 공간과 동작인시 사이 혼란을

덜 가져다주어 부적전이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라 사료된다. 마치

빈 도화지에 학습전이라는 그림을 그린 집단보다, 낙서가 되여 있는 도화

지에 학습전이라는 그림을 그린 집단의 그림이 불명확해진 것으로 비유 할

수 있다.

결국 부적전이이론에서 말하는 인지적 처리와 공간적 처리의 불균형이

큰 우세측이 불확실한 집단에서의 편측 트레이닝은 교차교육 효과를 크게

가져다주지 못했다 생각되어진다.

하지만 Magill(1989)에 의하면 부적전이는 지속적인 연습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이런 장기적 연습은 이전에 도달했던 수준을 초월하게 된다 말한

다. 본 실험에서의 4주간 트레이닝의 기간이 더 장기적이었다면 단기적으

로 나타난 부적전이 현상이 감소되어 다른 양상을 보일수도 있을 꺼라 기

대한다.

Page 40: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0 -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우세측 손잡이가 확실한 집단(OH)과 불확실한(MH)집단에게

4주간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트레이닝으로 나타나는 교차교육(Corss

education)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인천 S구에 있는 M중학교 중3남학생과 K구에 있는 K고등

학교 고1남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1차 손잡이 설문지 검사를 이용하여

RH&LH집단 8명과, MH집단 15명을 선정하였으며, 2차 검사로 15명의

MH집단에게 Purdue pegboard test를 실시하여 7명의 실험대상을 선정하

였다. 실험대상에게 자동탁구공 분사로봇을 이용하여 우세측사지(dominant

limb)과 비우사측사지(non dominant limb)의 사전 탁구포핸드스트로크 능

력을 검사하였다. 4주간 우선적으로 선택된 우세측사지만 트레이닝을 실

시한 후 사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세측과 비 우세측의 포핸드 스트로크

검사를 실시했으며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손잡이가 불확실한 집단(MH)에게서 교차교육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게 나타났으며 손잡이가 확실한 집단(OH)에게서는 유의하게 나타나

두 집단 모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트레이닝을 실시하지

않은 사지의 측정시기와 집단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따라서 교차교육 효과에 있어 손잡이의 분명함과 불문명함에 따라 다른

현상을 보인다 말할 수 있으며, 이런 기존의 연구되었던 단순한 교차교육

효과는 선 학습과 습관에서 비롯된 손잡이 형성 타입을 고려하여 연구되어

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특히 양쪽사지의 운동기능향상을 목적으로 스포

츠를 지도하는 지도자들, 혹은 편마비 환자를 재활하는 치료사에게 있어

훈련 트레이닝 적용 시 개개인의 사전 손잡이 우월함을 알고 있는 것이 더

성공적인 방법이 될 거라 생각한다.

Page 41: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1 -

후속연구의 제언으로는 학습초기 나타난 교차교육의 부적전이 현상이 트

레이닝의 가간이 더 늘어났을 때 어떤 식으로 보여 질지에 대한 연구가 필

요하며 뇌병변이나 편마비 환자에게 있어 실제적으로 운동학습 시 적용되

어질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Page 42: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2 -

참고문헌

강현욱(1994). 누가 왼손잡이인가: 한국인들의 손잡이 (Handedness)평가.

한국임상심리학회지, 13(1), 97-113.

강현욱(1997). 동작검사에서 나타나는 양손의 수행차이와 손잡이 효과. 한

국임상심리학회지, 16(2), 397-403.

고흥환, 김기웅, 장국진(1994). 운동행동의 심리학. 서울: 보경문화사.

김동건, 염동삼(1998).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의 체력에 관한 연구. 충남대

학교 체육과학 연구지, 16(1), 26-34

김선진(2000). 운동학습과 제어. 서울: 대한미디어.

김수일, 김원식, 조근자(2008). 한국 대학생들의 손잡이(Handedness)형태

유형과 손잡이평가항목 상관성 분석.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1(3), 245-253.

김진환(1988). 운동프로그램의 기억구조- 위계적 표상과 제어-. 고려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박지원, 김종만, 서정환, 김연희(2002). 편측 협응훈련에 의한 운동신경망의

재조직 교차훈련의 효과. 한국 전문물리치료 학회지, 9(3),

67-76.

박창근, 김은희, 박매자, 배용철, 홍해숙, 조희중, 주강(1990). 한국인 학생의

腦機能 優勢(Cerebral Dominance)와 손잡이(Handedness)의 傾

向. 경북의대, 31(4), 293-302.

박지원(2003). 편측 운동학습에 따른 뇌 신경망의 가소성과 교차훈련 효

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백명희(1997). 정신연습이 양측성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Page 43: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3 -

신현정, 최성진(2001). 대학생들의 손잡이 평가. 심리과학연구, 2(2),

29-37.

이규영(1998). 축구공 리프팅 과제수행의 양측성 전이현상. 한국체육교육

학회지, 2(2), 36-42.

Ammons, R. B. (1958). Le movement. in G. H. Stevard and J .P .

Steward(Eds.). Crrent Psychological issues. New York :

Rinehart & Winston.

Annett, M. (1970). A classification of hand preferemce by association

analysi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61(3), 303-321.

Annett, M. (1983). Hand preference and skill in 115 children of two left

handed par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4(1), 17-32.

Cook, T. W. (1936). Studies in cross education. V. Theoretical.

Psychological Review, 43(2), 149-178 .

Carr, L. J., Harrison, L. M., Stephens, J. A. (1994). Evidences for bi-

lateral innervation of certain homologous motoneurone pools

in man. J Physiol, 475(2), 217-227.

Collins, R. L. (1975). When left-handed mice live in right-handed

worlds. Science, 187(4172), 181-184.

Crovitz, H. F., & Zener, K. (1962). A group-test for assessing hand and

eye dominanc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75, 271-276.

Dunham, P. Jr. (1977). Effect of practice order on the efficiency of bi-

lateral skill acquisition. Research Quarterly, 48(2), 284-287.

Gazzaniga, M. W. (1970). The Bisected Brain, Appleton - Century -

Crofts. New - York: blackwell Publishing.

Harris, L. J. (1992). Left-handedness. In F . Boller & J . Grafman

(Edu.), Handbook of Neuropsychology. New-York: Elsevier

Page 44: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4 -

Science Publishers B. V.(145-208).

Hecaen, H., & Sauguet, J. (1971) Cerebral dominance in left handed

Subjects. Cortex, 7(1), 19-48.

Hortobagyi, T., Scott, K., Lambert, J., Hamilton, G., Tracy, J. (1999).

Corss-education of muscle strength is greater with stimu-

lated than voluntary contraction. Motor Control, 3(2)

205-219.

Hellebrandt, F. A. (1951). Cross educatio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effects of unimanual training. J Appl Physiol, 4(2), 136-144.

Hellige, J. B. (1994). Handedness. In V. S. Ramachandran (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491-500.

Healy J. M., Liederman, J., Geschwind, N. (1986). Handedness is not a

unidimensional trait. Cortex, 22(1), 33-53.

Kristeva, R., Cheyne, D., Deecke, L. (1991). Neuromagnetic fields ac-

companying unilateral and bilateral voluntary movements:

Topography and analysis of cortical source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81(4), 284-298.

Lavy, J. (1976). Cerebral lateralization and spatial ability. Behaviour

Genetics, 6(2), 171-188.

Lavy, J., & Reid. M. (1976). Variation on Writing Posture and Cerebral

Organization. Science, 194(4262), 337-339.

Lee, T. D. (1988). Complex motor behaviour: "The"motor-action con-

troversy, Chapter7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practice effects in motor

learning, 210-215. Amsterdam: Elsevier.

Page 45: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5 -

Load, T. R. (1986). Right-handed and Left-footed?:How Andrea Learned

to Question the Facts. Science and Children, 24(2), 22-25.

Michel, G. F. (1981). Right-handedness: A consequence of infant supine

head-orientation preference?. Science, 212(4495), 685-687.

Michael, L., & Timothy. J., Carroll. (2007). Possible Mechanisms for the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Soprts

Med, 37(1), 1-14.

Magill, R. A. (1989). Motor learning: Conception and application(6th

ed.). Mc graw hill Publishers, 박상범 역(2005).

Mark, L. Latash. (1998) Progress in motor control Volume 1:

Bernstein's traditions in movement studies. United Stated

:Human Kinetics.

Oldfield, R. C. (1971). The asse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9(1), 97-113.

Peters, M., & Servos, P. (1989). Performance of subgroups of left-hand-

ers and right-handers. Canadian Journal of Psychology,

43(3), 341-358.

Peters, M., & Murphy, K. (1992). Cluster analysis reveals at least three,

and possibly five disy fct handedness groups.

Neuropsychologia, 30(4), 373-380.

Shea, J. B., & Morgan, R. L. (1979)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on

the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of a motor skil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Learning and

Memory, 5(2), 179-189.

Shima, N, Ishida, K., Katayama, K., Morotome, Y., Sato, Y., Miyamura,

M. (2002). Cross education of muscular strength during uni-

Page 46: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6 -

lateral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6(4), 287-294.

Sperry, R. W. (1958). Corpus callosum and interhemispheric transfer in

the monkey. The anatomical Record, 131, 297.

Sperry, R. W. (1975). Left-brain, Right-brain. Saturday Review, 2(23),

88-89.

Steenhuis, R. E., & Bryden, M. P. (1989). Different dimensions of hand

preference that relate to skilled and unskilled activities.

Cortex, 25(2), 289-304.

Tifiin, J. (1968). Purdue pedboard: Examiner manual. Chicago: Research

Associates.

Thorndike, E. L. (1914). Educational psychology: Briefer course. New

York: Colimbia University press.

Warren, J. M., Abplanalp, J. M., & Warren, H. B. (1967). The develop-

ment of handedness in cats and rhesus monkeys. In H.

Stevenson, E. H. Hess., & H. Rheingold(Eds.), Early be-

havior, 73-101. New-york: Wiley.

Wickens, C. D. (1980). The structure of attentional resources. In R. S.

Nickerson (Ed.), 239-257. New Jersey: Attentionn R.

Serformance Ⅷ.

Zhou, S. (2000). Chronic Neural Adaptations to Unilateral Exercise:

Mechanisms of Cross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po-

tential mechanisms for the effects of unilateral strength

training on homologous muscles in the contralateral limb are

analyzed.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8(4),

177-184.

Page 47: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7 -

Abstract

The Effect of Table-tennis' Forehand Stroke

Training for 4 Weeks on Cross Education

according to a Handedness Type

Lee, Seung- Hyun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compare how cross education effects

being studied as only the existing dominant dichotomous judgment

appear according to sureness and uncertainty of dominance by

comparing cross education effects appearing as table-tennis' forehand

stroke training for 4 weeks in groups that dominant handedness are

sure and uncertain.

This research target was 204 students composed of boy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 Middle School located in S-gu of Incheon and boy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K High School located in

K-gu, and 8 students of OH group and 15 students of MH group were

selected by using first handedness questionnaire test, and 7 subjects

were selected by carrying out a Purdue pegboard test to a MH of 15

students as the second test.

Page 48: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8 -

The present research tested prior table-tennis's forehand stroke

ability of both hands of sampled subjects by using an automatic robot

of injecting a ping-pong ball, and a forehand stroke test about a

dominant side and non-dominant side trained in the same method as

the prior test was carried out after conducting training with the limbs

preferentially selected for 4 weeks. The recorded material was analyzed

by using 2X2 Mixed ANOVA, and a t-test of paired-samples(period)

and independent samples(group) was us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Effects of cross education appeared 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from a group that dominant handedness is uncertain, and it appeared to

be significant from a group that dominant handedness is sure. In

addition, an interaction appeared between a measurement period and

group of the limbs that is not trained.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a different phenomenon appears in

effects of cross education according to clearness and obscurity of

handedness, and it should be researched by considering clearness and

obscurity of dominance in a cross education research.

In addition, in case of leaders leading sports for the purpose of motor

function improvement of both limbs or leaders rehabilitating hemiplegia

patients, What leaders know predominance of handedness of an

individual previously in case of training application would be a more

successful method.

Page 49: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39 -

부록 손잡이설문지

안녕하십니까? 귀중한 시간을 허락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지는 "4주간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훈련이 손잡이(handedness) 유형(MH, OH)에 따른 교차교육 (cross education)효과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작성한 것 입니다. 이 연구는 우세측(dominance limb) 사지와 비 우세측(non dominance limb) 사지가 명확한 집단과 불명확한 중간집단에게 4주간 편측운동인 탁구의 포핸드 스트로크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기능적면의 운동에서의 교차교육(cross education)효과를 비교하고 각 집단 간의 전이도에 대한 그 효율성을 비교하여 양측성 운동기능의 효율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귀하의 손잡이 특성은 오직 연구목적으로만 활용될 것이며 귀하의 신상에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밝힙니다. 귀하의 응답 하나하나가 운동기능적 학습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스포츠 과학 분야 전체에서 크게 기여될 것입니다.

2010년7월

지도교수: 박 동 호

연구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이 승 현

연락처: 010-4106-9872

Page 50: Disclaimer - Inha DSpace: Home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40 -

다음 질문들은 여러 다양한 상황에서 당신이 어느 쪽 손을 사용하기를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각 질문에 대해서 당신에게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곳에 V표시 하여 주십시오. 만약 당신이 확실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질문이 있다면, 지금 그 행동을 흉내 내어 보거나 눈을 감고 그 행동을 하는 모습을 상상하여 본 후 답해주십시오. 당신이 어느 쪽 손을 사용하는지는 가가행동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질문마다 따로따로 신중히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한문제도 빠짐없이 대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손잡이 설문지

이름: 성별: 나이: 연락처: 주로 사용하는 손: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당신은 어느

쪽 손을 사용하시겠습니까?

항상왼쪽

대체로 왼쪽

양쪽똑같이

대체로 오른쪽

항상오른쪽

1 글씨를 쓸 때2 그림을 그릴 때3 종이를 자를 때 가위를 드는 손4 칫솔질할 때 칫솔을 드는 손5 국을 뜰 때 수저를 드는 손6 물 주전자를 따를 때 주전자의 손잡이를 쥐는

손7 바늘귀에 실을 꿸 때 실을 잡는 손8 못을 박을 때 망치를 드는 손9 도마 위에서 야채나 고기를 썰 때 칼을 쥐는

손10 물을 마실 때 물잔을 드는 손11 성냥불을 켤 때 성냥을 쥐는 손12 상자의 뚜껑을 열 때 뚜껑을 쥐는 손13 설거지 하면서 접시를 닦을 때 접시를 쥐는손14 목표를 맞추기 위해 어깨너머로 작은 공을 던

질 때15 트럼프(혹은 화투)를 할 때 다른 사람들에게

카드를 나누어 주는 손16 사과를 깍을때 사과를 쥐는 손17 테니스 또는 배드민턴 라켓을 쥐는 손18 꽉 닫힌 병을 열 때 병뚜껑을 쥐는 손19 대 빗자루를 두 손으로 잡고 마당을 쓸 때 빗

자루의 끝을 잡는 손20 두 손으로 삽질할 때 삽자루의 끝을 잡는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