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ck here to load reader
View
0
Download
0
Embed Size (px)
6장 네트워크
컴퓨터공학 개론
학습 목표
컴퓨터들이 어떻게 연결되는 지를 배운다
여러 다른 유형의 전송 매체와 익숙해진다
유도 매체와 비유도 매체의 차이를 배운다
어떻게 프로토콜이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지 배운다
2
학습 목표 (계속)
ISO/OSI 참조 모델에 관하여 학습한다
네트워크 유형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근거리 네트워크 (LAN)에 관하여 공부한다
광역 네트워크 (WAN)에 관하여 공부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WLAN)에 관하여 공부한다
3
학습 목표 (계속)
네트워크 통신 장치에 관하여 배운다
어떻게 WAN이 스위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지를 배운다
어떻게 장치들이 통신 매체를 공유할 수 있는지를 배운다
DSL, 케이블 모뎀, 위성 통신에 관하여 배운다
4
네트워크를 배워야 하는 이유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주변 장치를 연결한다 효과적으로 시스템 버스를 확장한다
네트워킹의 핵심에 TCP/IP 프로토콜이 있다
네트워크는 모든 형태의 컴퓨팅의 중심이 되었다 전자상거래, 연구, 통신
컴퓨터 학자와 네트워킹 근본적인 지식
5
컴퓨터들의 연결
시스템 버스를 통해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CI 버스는 98 개의 선을 갖고 있다
원격 연결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문제는 네트워크로 해결된다
전선과 같은 매체가 전기 신호를 나른다
통신 프로토콜 (TCP/IP)은 그 절차를 관리한다
6
전송 매체
전송 매체: 전기 또는 자기 신호를 전도하는 능력을 가진 물질
전송 매체는 4 가지 방식으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대역폭: 초당 비트 수로 측정되는 매체의 속도
신호 대 잡음 비: = 10 log10 (신호/잡음)
비트 오류율: 단위 시간 당 전송 받은 총 비트 수에서 오류를 가진 비트들의 비율
감쇠: 신호가 이동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것
7
전송 매체 (계속)
전송 매체의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
유도: 구리선과 같은 물리적 매체
비유도: 전자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공기와 공간
8
유도 매체
두 가지 일반적 형태
구리선
차폐된 또 차폐되지 않은 전선쌍
동축 케이블 (coax)
광섬유 케이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유리와 빛을 사용
9
10
그림 6-1 유도 매체인 동축선, 전선쌍, 광섬유 케이블
유도 매체 (계속)
구리선: 동축과 전선쌍 동축 케이블 (coax)
잡음을 줄이기 위해 구리선을 금속 막으로 감쌈
600 MHz 까지 대역폭 지원
예: 10Base2,10Base5
전선쌍 유도 현상의 효과를 감쇠시킨다
두 가지 유형: 차폐와 비차폐 (UTP)
UTP가 차폐된 전선쌍이나 동축에 비하여 인기가 높다
11
12
표 6-1 EIA/TIA 전선쌍 케이블의 카테고리
유도 매체 (계속)
임피던스: 구리 선에서 신호가 감쇠되는 현상
광섬유 케이블
유리 섬유가 빛 파동을 유도한다
구리선에 비하여 감쇠의 영향이 적다
자기 유도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구리 선에 비하여 수백배의 대역폭 지원
규모의 경제가 제조 가격을 안정시켰다
13
비유도 매체: 무선 기술
무선 기술의 장점
케이블 비용을 없앰
장치의 이동성과 휴대성
무선 기술의 기반: 라디오 파
라디오, 휴대폰, 무전기, 차고용 리모콘, 전자 오븐이 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14
15
그림 6-2 무선 기술
비유도 매체: 무선 기술 (계속)
라디오 파 조작 전자 신호를 증폭
신호를 전자파 형태로 전송
수신 안테나가 전자파를 전자 신호로 환원
여러 다른 주파수에서 전송 가능
산업계 표준 (2.4 GHz 대역에 기반) IEEE 802.11 시리즈: 가장 보편화
블루투스: 단파: 3 인치에서 328 피트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다른 I/O 장치)
16
비유도 매체: 무선 기술 (계속)
광 전송
짧은 거리에서 적외선 사용 가능
최대 4 Mbps의 전송 능력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시야 확보 필요
마우스, 키보드, PDA,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및 다른 휴대형 장치에 사용
17
18
표 6-2 무선 기술
프로토콜
프로토콜: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규칙의 집합 예: 교실에서의 질의 응답
타이밍 다이아그램을 통해 상호 작용 표현
많은 기계 사이의 프로토콜 정보 전달의 순차적 흐름을 정의
예: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충실한 메시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오류 검출과 재전송을 수행
19
20
표 6-3 프로토콜 타이밍 다이아그램
21
표 6-4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타이밍 다이아그램
ISO/OSI 참조 모델
7 개의 독자적 계층으로 구성된 개념적 모델
물리적 계층: 물리적 링크에 대한 명세를 정의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전송, 물리적 주소 지정과 그에 대한 통지, 프레임의 순차적 전달, 흐름 제어를 담당
네트워크 계층: 연결성과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 또 메시지에 주소를 할당
22
ISO/OSI 참조 모델 (계속)
전송 계층: 데이타그램의 전달을 보장. 또한, 결함 감지, 오류 복구 및 흐름 제어를 담당
세션 계층: 세션의 설정, 관리, 종료
프리젠테이션 계층: 번역, 포매팅, 구문 선택과 같은 데이터의 포매팅을 담당
응용 계층: 응용을 네트워크에 접속
23
ISO/OSI 참조 모델 (계속)
각 계층은 두 개의 구성 요소에 의해 정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헤더: 계층과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
메시지 전송
응용에서 출발
프로토콜 스택을 따라 각 계층에 의해 확장되며 물리적 계층에 의해 전송 매체에 놓여진다
수신 노드는 역순으로 메시지를 해체
모듈화: 재설계와 변경을 쉽게 해준다
24
25
그림 6-3 OSI 모델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
네트워크 유형
크기와 인접성에 의해 분류
LAN (근거리 네트워크)
근거리에서 작은 수의 컴퓨터를 연결
대개 건물이나 인접 건물로 제한
일반적으로 구리선으로 연결
W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WAN (광역 네트워크)
LAN들과 WLAN들을 연결 (넓은 지역)
26
네트워크 유형 (계속)
MAN (도시 네트워크)
도시 또는 대도시 지역을 연결
유형에 따른 구별
표준화된 정의는 없다
인터넷은 WAN으로 분류
27
28
그림 6-4 WAN 구성 예
LAN의 토폴로지
네트워크 구성을 종종 네트워크 토폴로지라 부른다
노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각 노드는 고유의 네트워크 주소를 갖는다
세가지 기본적인 LAN 토폴로지
링: 컴퓨터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루프로 연결
스타: 컴퓨터들이 중심 허브에 연결
버스: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와 같은 구조 (가장 인기)
29
30
그림 6-5 LAN 토폴로지
LAN 통신 기술
이더넷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업계 표준 기술
버스 토폴로지에 기반
스타 토폴로지로도 연결 가능 (스타/버스)
원래의 이더넷은 10 Mbps로 전송
고속 이더넷은 100 Mbps로 전송
기가비트 이더넷은 1 에서 10 Gbps로 전송
31
LAN 통신 기술 (계속)
토큰 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