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

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 · 2013. 3. 13. · b È Þ ² 3 < Ë ³ ~ 2 À Ñ ñ Ë ³ º Á t 2 ´ > D À Ñ ¸ ³, Â y ñ ¸ : ® $ ³ Ë ³u D m ² ý y ä ä î 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최종 보고서

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

-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분석 -

2003. 8

제 출 문

산업자원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정책연구과제『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중 세부 과제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산업(석유 및 전력산업) 비교우위 분석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3년 8월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참여 연구진>

□ 총괄책임자 : 이상곤 에너지경제연구원장

□ 연구책임자: 유승직 연구위원 에너지경제연구원

□ 원내참여자: 마용선

유혜

연구원

위촉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 원외참여자: 유정식

이태정

조광현

교수

교수

회계사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일신회계법인

i

제목차례

제1장 서 론 ······································································································1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

제1절 동북아 에너지 수급현황 및 전망 ···································································8

1. 동북아 에너지수급 현황 ··················································································8

2. 에너지 수요 전망 ···························································································13

제2절 에너지원별 시장현황 및 전망 ·······································································24

1. 석유 ················································································································24

가. 석유 매장량 및 수급 현황 ·······································································24

나. 국제 석유 시장의 특성 ·············································································27

다. 중국 ···········································································································30

라. 러시아 ·······································································································34

마. 한국 ···········································································································37

바. 일본 ···········································································································39

2. 석탄 ················································································································40

가. 석탄 매장량 및 수급 현황 ·······································································40

나. 국제 석탄 시장의 특성 ·············································································44

다. 중국 ···········································································································47

라. 러시아 ·······································································································49

마. 한국 ···········································································································50

바. 일본 ···········································································································51

3. 천연가스 ·········································································································52

가. 천연가스 매장량 및 수급 현황 ································································52

ii

나. 국제 가스시장의 시장의 특성 ··································································55

다. 중국 ···········································································································57

라. 러시아 ·······································································································60

마. 한국 ···········································································································63

바. 일본 ···········································································································64

4. 전력 ················································································································64

가. 중국 ···········································································································64

나. 러시아 ·······································································································68

다. 한국 ···········································································································70

라. 일본 ···········································································································72

제3절 에너지수요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 ····························································74

1. 인구구조 등의 수요에 미치는 요소의 변화 ··················································75

2. 정부정책 ·········································································································76

가. 중국 ···········································································································76

나. 러시아 ·······································································································78

다. 한국 ···········································································································78

라. 일본 ···········································································································80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83

제1절 기업의 경쟁력 ·······························································································83

1. 기업 경쟁력의 개념 및 원천 ·········································································83

2. 기업 경쟁력 분석 범위 및 방법 ····································································86

3. 대상 기업 선정 및 분석의 한계 ····································································96

제2절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98

1. 분석 대상 기업의 개요 ··················································································98

가. 전력 산업 ································································································98

나. 석유 화학 산업 ·····················································································102

iii

2. 전력기업의 비교 분석 ··················································································105

가. 안전성지표 ······························································································106

나. 수익성지표 ······························································································114

다. 성장성 및 활동성지표 ·············································································121

라. 생산성 및 설비운 ················································································126

3. 석유 기업의 비교 분석 ················································································133

가. 안전성지표 ······························································································137

나. 수익성지표 ······························································································143

다. 성장성 및 활동성지표 ·············································································150

라. 생산성 및 설비운 ················································································156

4. 에너지 협력을 위한 시사점 ·········································································162

가. 전력 기업 ································································································162

나. 석유 기업 ································································································164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67

제1절 비교우위에 관한 경제이론 ··········································································167

1. 비교우위에 관한 학설사적 검토 ··································································167

2. 비교우위 측정 지수 ·····················································································172

가. 현시된 비교우위 ·····················································································172

나. EAI-SAI-AAI 방법 ··················································································174

다. 점유율 변동지수 ·····················································································175

라. 산업 내 무역지수 ····················································································176

마. 수출경합도지수 및 수출결합도지수 ······················································176

제2절 기초자료분석 ·······························································································177

1. 기초 자료의 수집 ·······················································································177

가. 석유와 관련된 동북아 국가간 상호무역량 ···········································177

나. 석유제품별 무역관련 자료 ····································································178

iv

다. 에너지 가격 및 조세 ··············································································178

2. 기초자료분석 ······························································································178

가. 석유와 관련된 동북아 국가간 상호무역량 ···········································178

나. 석유제품별 관련 자료 ···········································································185

다. 에너지 가격 및 조세 ·············································································188

제3절 비교우위지수의 측정 및 변화추이 ······························································190

1. RCA 지수 ·····································································································190

가. RCA 1 ·····································································································190

나. RCA2 ·····································································································194

다. RCA3 ·······································································································198

라. RCA4 ·······································································································202

마. RCA5 ·······································································································204

바. 점유율 변동지수 ····················································································204

사. 산업 내 무역지수 ····················································································208

아. 효율우위지수 ·························································································212

자. 규모우위지수 (SAI) ·················································································216

차. 총우위지수 ·····························································································221

카. 수출경합도지수 ·······················································································225

타. 수출결합도 지수 ·····················································································227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229

1. 비교우위지수 요약 ·······················································································229

2. 산업집중도의 문제 ·······················································································232

3. 시사점 ···········································································································234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37

제1절 각국의 대외 무역제도 ·················································································237

1. 우리나라 ·····································································································237

v

가. 우리나라의 무역정책 개관 ······································································237

나.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개방화 정책 ·························································239

2. 중국 ··············································································································242

가. 중국 무역정책의 기조 ·············································································242

나. WTO 가입에 따른 중국 무역정책의 변화 ·············································243

3. 일본 ··············································································································248

가. 무역정책 개관 ·························································································248

나. 관세정책 ··································································································249

다. 비관세정책 ······························································································251

라. 석유산업의 규제완화 ··············································································253

제2절 동북아시아 각국의 석유관련 관세 및 기타 무역장벽 ································254

1. 관세 ··············································································································254

2. 비관세 장벽 ··································································································258

제6장 요약 및 결론 ······················································································265

<참고문헌> ····································································································273

vi

<표 차례>

<표 2-1> 동북아 국가 1차에너지 원별소비 현황 ························································9

<표 2-2> 북한과 몽골의 1차에너지 원별소비 현황 ···················································10

<표 2-3> 동북아 국가 1차에너지 원별 생산현황 ·······················································12

<표 2-4> 수요전망을 위한 기본 가정 ········································································14

<표 2-5> 중국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15

<표 2-6> 중국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16

<표 2-7> 러시아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18

<표 2-8> 러시아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19

<표 2-9> 한국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20

<표 2-10> 한국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21

<표 2-11> 일본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22

<표 2-12> 일본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23

<표 2-13> 2002년말 석유의 확인 매장량, 점유율 및 R/P비율 ·································24

<표 2-14> 석유 생산 현황 ··························································································25

<표 2-15> 석유 소비 현황 ··························································································26

<표 2-16> 2002년 세계 석유교역 현황 ······································································28

<표 2-17> 중국의 석유제품 밸런스 전망 ···································································32

<표 2-18> 러시아의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37

<표 2-19> 한국의 석유제품 밸런스 전망 ···································································38

<표 2-20> 일본의 석유제품 수요 전망 ······································································39

<표 2-21> 2002년말 석탄의 확인 매장량, 점유율 및 R/P비율 ·································40

<표 2-22> 석탄 생산 현황 ··························································································42

<표 2-23> 석탄 소비 현황 ··························································································43

<표 2-24> 세계 상위 10개사의 2000년 석탄 생산과 수출 ·······································44

vii

<표 2-25> 2002년말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 점유율 및 R/P비율 ·····························52

<표 2-26> 천연가스 생산 현황 ···················································································53

<표 2-27> 천연가스 소비 현황 ···················································································54

<표 2-28> 중국의 원별 발전 전망 ·············································································65

<표 2-29> 중국의 연료별 발전설비 전망 ···································································66

<표 2-30> 러시아의 원별 발전 전망 ··········································································69

<표 2-31> 러시아의 연료별 발전설비 전망 ·······························································70

<표 2-32> 한국의 원별 발전 전망 ·············································································71

<표 2-33> 한국의 연료별 발전설비 전망 ···································································71

<표 2-34>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 ······························································73

<표 2-35> 석유제품 가격 조정 계획 ········································································79

<표 2-36> 일본의 2010의 에너지 사용 감소를 위한 계획된 새로운 정책수단 ·········81

<표 3-1>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작성통화기준 ··················································107

<표 3-2>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원화기준 ·························································108

<표 3-3> 분석대상기업 재무 비율 ············································································109

<표 3-4> 전력회사의 유동비율 비교 ········································································110

<표 3-5> 유동비율의 국제 비교 ···············································································110

<표 3-6> 전력기업간 부채비율 비교 ········································································111

<표 3-7> 부채비율의 국제 비교 ·············································································112

<표 3-8> 전력기업간 차입금의존도 비교 ·······························································112

<표 3-9> 차입금 의존도의 국제 비교 ······································································112

<표 3-10> 전력기업간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비교 ········································113

<표 3-11> 업이익대비이자보상비율의 국제 비교 ···············································114

<표 3-12> 전력기업간 매출액 업이익률 비교 ·······················································115

<표 3-13> 매출액 업이익률의 국제 비교 ·······························································115

<표 3-14> 전력기업간 매출액순이익률 비교 ····························································116

<표 3-15> 매출액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117

viii

<표 3-16> 전력기업간 총자산순이익률 비교 ····························································118

<표 3-17> 총자산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119

<표 3-18> 전력기업간 자기자본순이익률 비교 ························································120

<표 3-19> 자기자본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120

<표 3-20> 전력기업간 총자산대비 업이익흐름비율 비교 ·····································121

<표 3-21> 전력기업간 매출액증가율 비교 ·······························································122

<표 3-22> 전력기업간 업이익증가율 비교 ····························································123

<표 3-23> 전력기업간 순이익증가율 비교 ·······························································124

<표 3-24> 전력기업간 총자산증가율 비교 ·······························································125

<표 3-25> 전력기업간 자산회전율 비교 ···································································126

<표 3-26> 자산회전율의 국제 비교 ··········································································126

<표 3-27> 전력기업간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비교 ···············································128

<표 3-28> 전력기업간 종업원 1인당 인건비 비교 ·················································129

<표 3-29> 전력기업간 총자본투자효율 비교 ····························································130

<표 3-30> 전력기업간 설비투자효율 비교 ·······························································130

<표 3-31> 전력기업간 노동소득분배율 비교 ····························································131

<표 3-32> 전력기업간 부가가치율 비교 ···································································132

<표 3-33>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작성 통화 기준 ·············································135

<표 3-34>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원화 통화 기준 ·············································136

<표 3-35> 분석대상기업 재무비율 ············································································137

<표 3-36> 석유회사의 유동비율 비교 ······································································138

<표 3-37> 유동비율의 국제 비교 ·············································································139

<표 3-38> 석유회사 부채비율 비교 ··········································································140

<표 3-39> 부채비율의 국제 비교 ·············································································140

<표 3-40> 석유회사 차입금의존도 비교 ···································································141

<표 3-41> 차입금 의존도의 국제 비교 ·····································································141

<표 3-42> 석유회사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비교 ············································142

ix

<표 3-43> 업이익대비이자보상비율의 국제 비교 ··············································142

<표 3-44> 석유회사 매출액 업이익률 비교 ··························································143

<표 3-45> 매출액 업이익률의 국제 비교 ·······························································144

<표 3-46> 석유회사 매출액순이익률 비교 ·······························································145

<표 3-47> 매출액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145

<표 3-48> 석유회사 총자산순이익률 비교 ·······························································147

<표 3-49> 총자산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147

<표 3-50> 석유회사 자기자본순이익률 비교 ····························································148

<표 3-51> 자기자본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149

<표 3-52> 석유회사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 비교 ·································150

<표 3-53> 석유회사 매출액증가율 비교 ···································································152

<표 3-54> 석유회사 업이익증가율 비교 ·······························································153

<표 3-55> 석유회사 순이익증가율 비교 ···································································154

<표 3-56> 석유회사 총자산증가율 비교 ···································································155

<표 3-57> 석유회사 자산회전율 비교 ······································································156

<표 3-58> 자산회전율의 국제 비교 ··········································································156

<표 3-59> 석유회사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비교 ···················································158

<표 3-60> 석유회사 종업원 1인당 인건비 비교 ·······················································159

<표 3-61> 석유회사 총자본투자효율 비교 ·······························································159

<표 3-62> 석유회사 설비투자효율 비교 ···································································160

<표 3-63> 석유회사 노동소득분배율 비교 ·······························································161

<표 3-64> 석유회사 부가가치율 비교 ······································································162

<표 4-1> 원유수입가 (US Dollars/bbl) ··································································189

<표 4-2> 평균 가격 및 조세 ····················································································190

<표 4-3> RCA1: 한국 ·······························································································191

<표 4-4> RCA1: 중국 ·······························································································192

<표 4-5> RCA1: 일본 ·······························································································193

x

<표 4-6> RCA1: 러시아 ····························································································194

<표 4-7> RCA2: 한국 ·······························································································195

<표 4-8> RCA2: 중국 ·······························································································196

<표 4-9> RCA2: 일본 ·······························································································197

<표 4-10> RCA2: 러시아 ··························································································198

<표 4-11> RCA3: 한국 ······························································································199

<표 4-12> RCA3: 중국 ······························································································200

<표 4-13> RCA3: 일본 ······························································································201

<표 4-14> RCA3: 러시아 ··························································································202

<표 4-15> 중국시장에서의 RCA4(한국) ····································································203

<표 4-16> 중국시장에서의 RCA4(일본) ····································································203

<표 4-17> RCA5(한국) ······························································································204

<표 4-18> RCA5(일본) ······························································································204

<표 4-19>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한국 ······························································205

<표 4-20>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중국 ······························································206

<표 4-21>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일본 ······························································207

<표 4-22>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러시아 ··························································208

<표 4-23> GLi : 한국 ·······························································································209

<표 4-24> GLi : 중국 ·······························································································210

<표 4-25> GLi : 일본 ·······························································································211

<표 4-26> GLi : 러시아 ····························································································212

<표 4-27> EAIij : 한국 ·····························································································213

<표 4-28> EAIij : 중국 ·····························································································214

<표 4-29> EAIij : 일본 ·····························································································215

<표 4-30> EAIij : 러시아 ··························································································216

<표 4-31> SAIij : 한국 ······························································································217

<표 4-32> SAIij : 중국 ······························································································218

xi

<표 4-33> SAIij : 일본 ······························································································219

<표 4-34> SAIij : 러시아 ··························································································220

<표 4-35> AAI- 한국 ································································································221

<표 4-36> AAI - 중국 ······························································································222

<표 4-37> AAI - 일본 ······························································································223

<표 4-38> AAI - 러시아 ···························································································224

<표 4-39> 산업별 한․중․일 수출경합도 추이 ·······················································226

<표 4-40> 석유제품별 중국에서의 한일간 수출 경합도 ··········································227

<표 4-41> 한․중․일 3국의 산업별 수출결합도 ·····················································228

<표 4-42> 일본시장에서의 한국의 무역결합도 ························································229

<표 4-43> 한국시장에서의 일본의 수출결합도 ························································229

<표 4-44> 시현된 비교우위 : 수출입 중심의 비교 ··················································230

<표 4-45> 시현된 비교우위 분석 결과 (1992~2000) ················································230

<표 4-46> 생산, 산업 내 무역 : 생산, 기호 차이 등 중심 ······································231

<표 4-47> 비교우위 분석 결과 (1992~2000) ·····························································232

<표 4-48> 품목별 시계열 Ci(t) ·················································································233

<표 5-1> 석유수출입관련 규제완화 ··········································································239

<표 5-2> 일본의 관세구조 ······················································································250

<표 5-3> 동북아 국가의 원유 및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율 ·····································256

<표 5-4> 국가별 고도화시설 보유현황 ·····································································261

xii

[그림 차례]

[그림 2-1] 중국의 석유 밸런스 전망 ········································································31

[그림 2-2] 러시아의 석유 밸런스 전망 ·······································································36

[그림 2-3] 세계에너지 소비에서 부분별 석탄 점유율 변화(%) ··································43

[그림 2-4] 중국의 부문별 석탄소비 전망 ···································································49

[그림 2-5] 중국의 천연가스 밸런스 전망 ·································································59

[그림 2-6] 러시아의 천연가스 밸런스 전망 ······························································62

[그림 4-1] 한국의 원유 교역 ·····················································································179

[그림 4-2] 일본의 원유 교역 ·····················································································179

[그림 4-3] 중국의 원유 교역 ·····················································································180

[그림 4-4] 러시아의 원유 교역 ·················································································181

[그림 4-5] 한국의 석유제품 교역 ··············································································182

[그림 4-6] 일본의 석유제품 교역 ··············································································182

[그림 4-7] 중국의 석유제품 교역 ··············································································183

[그림 4-8] 러시아의 석유제품 교역 ··········································································184

[그림 4-9] RCA1 - 한국 ····························································································191

[그림 4-10] RCA1 - 중국 ··························································································192

[그림 4-11] RCA1 - 일본 ··························································································193

[그림 4-12] RCA1 - 러시아 ······················································································194

[그림 4-13] RCA2 - 한국 ··························································································195

[그림 4-14] RCA2 - 중국 ························································································196

[그림 4-15] RCA2 - 일본 ··························································································197

[그림 4-16] RCA2 - 러시아 ······················································································198

[그림 4-17] RCA3 - 한국 ··························································································199

[그림 4-18] RCA3 - 중국 ··························································································200

xiii

[그림 4-19] RCA3 - 일본 ··························································································201

[그림 4-20] RCA3 - 러시아 ······················································································202

[그림 4-21] 점유율변동지수 - 한국 ···········································································205

[그림 4-22] 점유율변동지수 - 중국 ···········································································206

[그림 4-23] 점유율변동지수 - 일본 ···········································································207

[그림 4-24] 점유율변동지수 - 러시아 ·······································································208

[그림 4-25] GLi - 한국 ·····························································································209

[그림 4-26] GLi - 중국 ·····························································································210

[그림 4-27] GLi - 일본 ·····························································································211

[그림 4-28] GLi - 러시아 ··························································································212

[그림 4-29] EAIij - 한국 ···························································································213

[그림 4-30] EAIij - 중국 ···························································································214

[그림 4-31] EAIij - 일본 ···························································································215

[그림 4-32] EAIij - 러시아 ························································································216

[그림 4-33] SAIij - 한국 ····························································································217

[그림 4-34] SAIij - 중국 ····························································································218

[그림 4-35]SAIij - 일본 ···························································································219

[그림 4-36] SAIij - 러시아 ························································································220

[그림 4-37] AAI - 한국 ·····························································································221

[그림 4-38] AAI - 중국 ·····························································································222

[그림 4-39] AAI - 일본 ·····························································································223

[그림 4-40] AAI - 러시아 ·························································································224

[그림 4-41] 품목별Ci(t) ·····························································································234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본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 4개국의 석유 및 전력산업과 같은

에너지 산업의 비교우위를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동북아 지역국가들 간의 경제공동

체를 형성하는 논의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경제

협력의 주요 대상 중에서 에너지 관련 협력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002년

현재 동북아 4개국의 에너지 소비는 2,353백만toe로서 전 세계 에너지소비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동북아 4개국의 에너지 소비의 증가도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 2002년도 전 세

계 에너지 소비가 2.6% 증가한 데 비하여 동북아 4개국의 에너지 소비는 2001년 대

비 7.8% 증가하 다. 향후 동북아의 에너지 소비 전망에 의하면 중국의 에너지 소비

는 급증하여 2002년 현재 동북아 국가 중 중국의 에너지 소비비중인 42.4%에서 50%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북아 국가들은 에너지 수요의 규모가 클 뿐만이 아니라 에너지 소비구조에 있어

서도 다양한 구조를 나타낸다. 2002년 1차에너지 소비를 볼 때 우리나라는 전체 에

너지의 50%이상을 석유에 의존하고 있지만 중국은 전체 에너지의 60%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으며 석유는 전체 에너지에서 약 25%를 차지한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비

슷한 에너지 소비구조를 보여 전체에너지의 48%를 석유가 차지하며 다음으로 석탄

이 21%를 차지한다. 러시아는 천연가스위주의 에너지 소비가 이루어져 천연가스가

전체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이상이며 석유와 석탄의 비중은 각각 19%와

15%이다. 이처럼 다양한 에너지 소비 구조는 만약 동북아 국가들이 에너지원의 보유

에 있어서 동일한 분포를 보이는 경우 수요의 차이로 인한 에너지원의 국가간 교역

이 상당한 크기의 경제적 이득을 동북아 국가에게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북아의 다양한 수요의 특성은 각국의 에너지원별 보유의 차이를 부분적

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의 경우 천연가스의 생산량은 2001년 기준 530.6

2

백만toe이고 석유의 생산은 381.3백만toe로 천연가스와 석유의 높은 수준의 매장량을

반 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석탄의 생산이 높다. 2001년 기

준 석탄의 생산량은 680.7백만toe이다. 한편 중국의 석유 생산도 상당하여 2001년 현

재 178.4백만toe에 이른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한국과 일본의 경우 석유, 천연가

스 등의 자원은 거의 매장되어 있지 않거나 매장되어 있어도 그 양이 매우 작다.

이러한 에너지원에 대한 다양한 수요와 공급으로 인하여 동북아 지역 국가 중 한

국과 일본은 거의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다. 중국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환

경개선을 위한 노력의 결과 국내 석유자원의 생산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석유를 수입

하는 국가가 되었으며 향후 중국의 석유 수입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

다. 중국은 1993년 이후 석유제품의 순수입국이 되었으며 1996년 이후 원유의 순수

입국이 되었다. 그리고 에너지원의 공급에 있어서도 수요와 마찬가지로 국가별로 상

이한 구조를 보이므로 국가간 교역을 통하여 경제적 이득과 사회적 후생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에너지 자원의 국가간 교역, 즉 국제무역은 이러한 에너지원의 수요와 공급의 차

이를 보전하여 주는 기능을 하며 동북아 국가간의 에너지원의 교역은 그 잠재력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동북아 지역은 대규모 에너지 공급원인 러시아와 충

분한 소득에 의해서 뒷받침되는 한국과 일본의 에너지 시장, 그리고 현재 급속도로

증가하는 중국의 수요시장이 존재한다. 따라서 동북아 경제협력의 큰 틀에서 추진되

는 에너지 분야의 협력은 그 잠재력이 매우 크며 이를 통한 동북아 국가들의 이득은

매우 클 것이 분명하다.

에너지경제연구원(2002)에 의하면 러시아의 석유매장량은 작게는 48.6억톤, 많게는

270억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대규모의 매장량을 갖고 있는 러시아가 동북아

의 에너지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경우, 동북아 지역에서 주요한 에너지 공급원

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극동 러시아는 러시아 전체 석유매장

량의 5%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지역의 석유자원이 활발히 개

발되고 지리적 근접성의 장점을 살려 석유류의 국가간 교역이 활성화되면 주요 수출

국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가스 및 전력의 경우에도 마찬가

제1장 서론 3

지이다.

재화와 서비스의 국제무역에 있어서 단순한 자원의 매장여부 및 그 규모의 상대적

크기뿐만 아니라 해당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차이도 중요한 결정요소이다.

동북아 국가들은 에너지원의 매장, 생산, 그리고 소비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를 나타

낼 뿐만이 아니라 석유제품의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도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석

유는 원유의 형태로 국가간 이동을 하기도 하지만 정제과정을 거친 휘발유, 등유, 경

유, 그리고 중질유 등의 석유제품 형태로 국가간 이동을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석

유제품의 국가간 교역은 소비지 정제주의의 원칙이 강하게 지켜지는 상황 하에서는

그리 크지 않았다.

석유제품은 일종의 연산품으로 어느 특정상품만 독립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제품이 동시에 생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어느 한 국가에서 특정

석유제품에 대하여 수요가 많은 경우 특정 석유제품을 소비지 정제주의에 입각하여

원유를 수입하여 자체적으로 정제를 하는 경우 다른 석유제품은 공급과잉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석유제품은 수출을 통하여 그 수요처를 확보하여야 한다.

원유뿐만 아니라 석유제품에 대한 국제시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시장이 활발하게

운 되는 경우 소비지 정제주의의 중요성은 낮아질 수 있다. 연산적으로 생산되는

여러 가지 석유제품의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국 내에서 정제 생산되는 석유

제품의 양을 결정하고 국내 수요에 비하여 부족한 석유제품의 경우에는 수입을, 반

대로 국내 수요에 비하여 과도하게 생산되는 석유제품의 경우에는 수출을 하는 전략

을 채택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석유제품의 공급비용을 낮추고 그 결과 석유제품의 시

장 가격이 낮아져 소비자들의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의 국가간 전력거래의 가능성은 동북아 국가들의 전력 생산의 구조차 그리

고 전력에 대한 시간대별, 계절별 소비의 차이를 이용하여 교역이 이루어지는 경우

동북아 국가의 전력 설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이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전력의 국가간 교역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적, 정치적 문제를 해결

하여야 한다. 따라서 동북아 지역 내 전력망을 연계하여 전력의 교역이 실질적으로

발생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4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한창 논의되고 있는 동북아의 에너지협력이 보다 가시화되어

동북아의 에너지 교류가 활성화되는 경우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교역이 어떠한 방향

으로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선행 연구로서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4개국의 석유제

품의 흐름을 비교우위 이론에 근거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리카도의 비교우

위에 의한 재화와 서비스의 국가간 이동을 설명하는 국제무역이론은 헥셔-올린, 하벌

러, 레온티에프, 러너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국제무역이론은

국가간 생산기술, 생산요소의 부존량의 차이, 그리고 소비자 기호의 차이에 의해서

재화와 서비스의 교역방향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석유제품의 국가간 수출입에 대한 비교우위 분석에 있어서 노동 등 생산요소의 상

대 가격 혹은 생산성의 차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석유제품별로 생산요

소의 생산성 등을 분해하여 생산함수 등을 추정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상당한

양의 자료와 자료의 높은 수준의 질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우위성이 교

역을 통하여 나타난다는 관점에서 국가간 석유제품의 교역의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

하는 현시비교우위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동북아 4개국의 석유제품 이동의 특징을 살

펴보고 있다. 그리고 보조적으로 현시비교우위지수이외에 노동, 기술, 부존량이 포괄

되어 나타나는 생산 및 규모면에서의 비교우위, 점유율 변동, 산업 내 무역지수 등의

지표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시비교우위접근과 같은 동북아 4개국간의 국가간 석유제품의 이동에 관한 실증

적 분석의 기초로서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각국의 에너지 산업과 관련된 특징, 에

너지원별 생산 및 소비, 그리고 유통 구조의 특징 등을 상호 비교하며 그 흐름도 분

석하고 있다. 동북아 국가들의 잠재적 에너지 수요 전망은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산

업의 잠재적 규모를 결정지우며, 국내의 에너지 자원에 의한 공급여력을 초과하는

에너지 수요는 결국 이러한 에너지원의 국가간 이동을 통해서만이 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석유제품의 교역이 소비지 정제주의

에 입각하여 자국 내에서 생산, 공급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공급이 과잉이거나 부족

한 석유제품을 교역하는 특징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어느 특정 석유

제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원유의 정제가 다른 석유제품의 교역에 향을

제1장 서론 5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원, 혹은 석유제품과 같이 동일한 에너지지원에서 여러

가지 제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차이를 이용하여 잠재적인 에너지원의 국가간 교역

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 각국의 석유산업 및 전력산업의 경쟁력을 상호 비교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기업의 경 적인 요소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

어서 중요한 고려 요소는 생산하는 재화의 품질의 우수성, 생산 비용의 수준, 그리고

초과수익의 크기 등이다. 그러나 석유제품은 상대적으로 차별화가 쉽지 않으므로 생

산 비용, 그리고 국가간 제품의 운송에 따르는 비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전력에 있어서도 각 국별 전원 구성의 차이 및 생산요소의 가격의 차이 등과 같은

비용측면의 차이가 경쟁력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제하에 비용측면 중심의 경쟁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동북

아 각 국의 대표적인 석유업체, 전력업체를 한 개씩 선택하여 각각의 기업의 재무구

조의 특성, 생산성, 그리고 비용의 특성 등을 재무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경 분석은 기업의 재무제표를 비롯한 회계자료와 관련된 자료들을 기초로 기업의

과거와 현재의 경 성과 및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 분석은 기업의 유동성, 안정성, 생산성 지표, 수익성 등을 지표화하여

이를 근거로 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는

기업의 많은 사적인 정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이 어려우므로 인건비, 재료비, 시설투자비 등 가능한 자료를 최대한 이용하여 일정

한 기준에 의해서 비교를 행하여야 한다. 또한 동북아 지역 내 국가 중 러시아와 중

국은 사회주의 국가에서 점차로 시장경제로 이행하거나 이행중인 국가로서 대부분의

에너지 산업이 국가에 의해서 소유, 운 되어 온 특징 때문에 회계의 기준 등이 상

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하에서 본 연구는 해당회사의 산업 대표성뿐만 아니라

회계기준 등이 국제회계기준과 어느 정도 부합하는가도 고려하여 관련된 자료를 최

대한 수집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최대한 높이고자 하 다.

동북아 국가간 석유제품을 포함한 재화와 서비스의 이동에 있어서 각국의 에너지

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그리고 석유 등 에너지 산업 요소의 생산성, 소득, 부존자원

6

이외에 석유제품의 국제 무역에 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중요 요인으로서 동북

아 각국의 각종 무역 정책 및 석유산업의 환경 등이 있다. 동북아 각국의 원유 및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의 차이는 해당 제품이 국내의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결정

한다. 관세 이외에도 석유제품의 유통에 관한 각종 규제, 그리고 석유 수출입에 대한

사업허가 등의 국가간 차이도 동북아 지역 내에서 석유제품이 교역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세계무

역기구 (WTO)에 가입함으로서 석유제품의 수출입관련 각종 무역제도도 세계무역기

구가 추구하는 자유무역의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세계무역기구에 가입

에 따른 각국의 무역 정책의 변화 및 기본적 흐름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동북아 각국의 에너지 수요

의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보고 있다. 에너지 수요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가 국내의 에

너지 공급원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는 것도 함께 분석하여 각국의 에너지원에 대한

국제시장 참여의 잠재력도 살펴보고 있다. 제3장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러

시아 4개국의 대표적 석유 및 전력업체를 선정하여 이들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성

장성 등의 경 적인 요소를 분석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다양한 현시비교우위 지표

를 이용하여 동북아 국가간 석유제품 교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석

유제품을 포함한 에너지 산업의 국가간 교역에 향을 줄 수 있는 관세, 유통업 개

방, 그리고 석유산업의 시장변화와 같은 각국의 무역 정책 및 유통관련 정책을 살펴

보고 있다. 그리고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동북아지역은 정의에 따라 그 범위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 한국, 북한 6개국을 동북아지역으로 정의한다. 다만 현재 분석에서 동북아 국

가 중 몽고와 북한의 경우는 자료 획득이 용이하지 않고 경제규모가 작고 에너지 교

역에서의 역할이 비교적 미미하기 때문에, 동북아 국가 중 일본, 중국, 러시아, 한국

을 대상으로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자료를 살펴보았다.

동북아지역은 지역적으로는 인접하 지만, 정치적 사회적으로 다양할 뿐 아니라

경제적, 기술적인 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다. 에너지 시장의 상황은 이러한 국가별 차

이를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과 같이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있는 한편, 일본과 한국과 같이 에너지 자원이 빈약하여 에너지를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국가도 존재한다. 산업발전단계에서 상당한 차이점 및 유사성을 보이고 있는

동북아의 경우 이러한 차이의 존재는 무역이론에서 말하는 무역을 통한 이익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의 존재로 인하여 에너지 제품의 교역을

통한 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앞으로 동북아 지역협력이 성공적으로 정

착될 경우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의 동북아 에너지 협력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로서 동북아

각국의 에너지 시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장에서는 동북아 국가들의

시장현황 및 전망과 각 에너지원별 시장 상황을 설명하여 앞으로 동북아 에너지 시

장의 방향을 파악하도록 할 것이다.

본장에서는 먼저 1절에서 개괄적인 동북아 국가들의 에너지 수급현황 및 전망을

개관할 것이다. 다음으로 2절에서는 각 에너지원별로 국제시장의 특성과 수급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3절에서는 앞에서 전망된 수요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8

제1절 동북아 에너지 수급현황 및 전망

동북아 국가인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 4개국의 1차에너지 소비는 2002년 현재

2,353.2백만toe로 전세계 에너지 소비인 9,405.0백만toe의 25.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러한 에너지 다소비 지역으로서의 동북아의 위치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고, 개도국인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소비의 급증으로 앞으로 세계 에너지 시장에

서 동북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높아 질 것으로 예상된다.

1. 동북아 에너지수급 현황

다음의 <표 2-1>은 동북아 각국의 2001년과 2002년의 1차에너지 원별소비를 나타

내고 있다.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소비는 2001년 2,183백만toe로 전세계 에너지 소비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8% 다. 하지만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소비는 2002년 2,353

백만toe로 전년에 비해 7.8% 증가하 지만 전세계 에너지 소비는 2001년 9,165백만

toe에서 2002년 9,405백만toe로 2.6% 증가에 그쳤다. 이로 인하여 2002년 동북아국가

가 차지하는 에너지 소비비중은 23.8%에서 25.0%로 증가하 다. 이러한 에너지 소비

에서의 동북아의 위상변화는 중국의 에너지 소비의 급증에 따른 바가 크다. 2002년

동북아 국가 중 러시아는 0.2%, 일본은 -1.0%, 한국은 5.1%의 에너지 소비증가가 있

었지만, 중국은 2002년 전년에 비해 19.7%라는 놀라운 에너지소비 증가율을 보여주

고 있다.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동북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 매우 높은 수준이고,

이러한 동북아의 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의 경우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 에너지소비국으로 세계 에너지의 10%이상을

소비하고 있고, 미국, 러시아에 이은 세 번째 에너지 생산국으로서의 위치에 있어 세

계에너지 시장에 큰 향을 미치고 있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9

<표 2-1> 동북아 국가 1차에너지 원별소비 현황

(단위 : 백만toe)

석유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수력 합계

2001

러시아122.3

(19.1%)

335.4

(52.5%)

110.2

(17.3%)

31.0

(4.9%)

39.8

(6.2%)

638.7

(100.0%)

중국232.2

(27.9%)

25.0

(3.0%)

518.7

(62.2%)

4.0

(0.5%)

53.7

(6.4%)

833.6

(100.0%)

일본247.5

(48.1%)

71.1

(13.8%)

103.0

(20.0%)

72.7

(14.1%)

20.4

(4.0%)

514.8

(100.0%)

한국103.1

(52.6%)

20.8

(10.6%)

45.7

(23.3%)

25.4

(13.0%)

0.9

(0.5%)

195.9

(100.0%)

2002

러시아122.9

(19.2%)

349.6

(54.6%)

98.5

(15.4%)

32.0

(5.0%)

37.2

(5.8%)

640.2

(100.0%)

중국245.7

(24.6%)

27.0

(2.7%)

663.4

(66.5%)

5.9

(0.6%)

55.8

(5.6%)

997.8

(100.0%)

일본242.6

(47.6%)

69.7

(13.7%)

105.3

(20.7%)

71.3

(14.0%)

20.5

(4.0%)

509.4

(100.0%)

한국105.0

(51.0%)

23.6

(11.5%)

49.1

(23.9%)

27.0

(13.1%)

1.2

(0.6%)

205.8

(100.0%)

주 : 1차에너지 소비에서 상업적으로 거래되는 에너지원만 포함되었으며, 나무, 토탄(peat) 같은

재생에너지(renewable)는 소비통계의 신뢰성 때문에 중요한 에너지원이지만 현황에 포함되

지 않았다.

자료 :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3, June 2003.

러시아, 중국, 일본, 한국 4개국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 소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42.4%로 2001년의 38.2%보다 소비비중이 크게 증가하여 동북아 에너

지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역할이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지속될 것으로 보여 2030년

에는 동북아 에너지 소비의 약 반 정도를 중국이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

다. 중국 다음으로는 러시아의 에너지 소비가 640.2백만toe로 동북아 에너지 소비의

27.2%를 차지하고 있고, 일본은 509.4백만toe로 동북아 에너지 소비의 21.6%를 담당

하고 있다. 한국의 에너지 소비량은 다른 국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205.8백만

toe로 동북아 1차에너지 소비의 약 8.7%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동북아 국가중 몽골과 북한의 1차에너지 소비 자료는 <표 2-2>에서 보는 바와 같

이 그 절대량으로 볼 때 전체 동북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동북아 4개국의 약 3%에

불과해 그 비중이 작고 관련 자료의 입수도 용이하지 않다. 몽골의 경우, 에너지소비

10

량이 매우 적어 2001년 1.7백만toe에 불과하다. 북한은 몽골보다는 에너지소비량이

많으나 2001년 71.6백만toe에 불과하다. 또한 북한과 몽골의 에너지 소비가 석탄과

수력 등 자국에서 생산하는 에너지원에 집중되어 있고 원자력 및 천연가스 소비량도

없으며 석유소비량이 적어 에너지 교역이 크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목적인 에너지

산업의 비교우위 분석을 실시하기가 쉽지 않다.

북한의 경우 대부분의 1차에너지 소비는 석탄이 담당하고 있고 그 다음은 수력이

담당하고 있다. 몽골의 경우도 석탄이 대부분의 소비를 담당하고 있고, 지역적인 요

인으로 수력과 천연가스와 원자력 소비가 없으며 석유 소비가 소비의 일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표 2-2> 북한과 몽골의 1차에너지 원별소비 현황

(단위 : 백만toe)

석유 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수력 합계

1999북한 4.0 0.0 58.8 0.0 5.5 68.3

몽골 0.4 0.0 1.2 0.0 0.0 1.7

2000북한 4.5 0.0 61.9 0.0 5.5 71.9

몽골 0.4 0.0 1.2 0.0 0.0 1.6

2001북한 4.4 0.0 61.6 0.0 5.6 71.6

몽골 0.4 0.0 1.2 0.0 0.0 1.7

자료 : DOE/EIA, International Energy Annual 2001 , March 2003.

동북아국가들의 1차에너지 소비구조는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다. 중국의 경우는

석탄의 소비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러시아의 경우는 천연가스의 소비 비중이

높다. 한국과 일본은 에너지 소비구조가 비슷한데 석유류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2002년 중국의 석탄소비는 총에너지의 66.5%인 663.4백만toe를 차지하 다. 그 다음

은 석유가 1차에너지 소비의 24.9%, 수력이 5.6%를 담당하고 있다. 2001년과 비교하

면 석유의 비중이 27.9%에서 2002년에 24.6%로 감소한 반면 석탄의 비중이 62.2%에

서 66.5%로 증가하여 에너지 소비구조의 변화가 다른 국가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11

중국의 1차에너지 수요는 1990년에서 1996년 사이에 매년 5%이상 증가하 지만

1996년 이후 2000년까지는 조금 주춤한 상태이다. 이 기간 동안 경제성장은 매년 7%

이상이었는데 에너지 소비는 0.8%에 불과하다. 이는 산업부문의 석탄사용의 감소, 비

효율적 광산의 폐광, 석탄질의 증가, 에너지 절약 등의 향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

지만 2001, 2002년의 자료를 볼 때 다시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석유소비는

자동화와 주거부문에서 석탄과 비상업적 연료 사용의 대체로 인하여 증가하 다. 석

유의 소비는 1999년에서 2000년 사이 매년 7.4% 증가하 다. 천연가스 소비는 동 기

간동안 매년 6.7% 증가하 지만 아직도 절대적인 양에서는 낮은 상태에 있다.

러시아의 경우는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가 54.6%인 349.6백만toe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석유가 19.2%, 석탄이 15.4%의 소비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

의 소비구조의 변화를 볼 때 2001년과 2002년 사이 다른 에너지원의 소비비중은 거

의 변화가 없고, 석탄과 천연가스의 경우만 소비구조의 변화가 보이는데 석탄이 천

연가스로 대체되고 있다. 2001년 52.5%인 천연가스의 점유율이 2002년 54.6%로 증가

하 고, 석탄의 경우는 17.3%에서 15.4%로 감소하 다.

한국과 일본의 1차에너지 소비구조는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양국 모

두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각각 47.6%, 51.0%로 매우 높다. 그 다음은 석탄으로 일본

은 20.7%, 한국은 23.9%의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양국은 원자력이 1차에너

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은데 각각 14.0%와 13.1%의 점유율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에너지소비구조의 변화는 한국과 일본은 석유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고

천연가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석탄의 경우, 1970년대 이후 그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발

전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주거 부문에서 품질이 낮은 석탄은 천연가스

로 대체되고 있다. 보일러용 석탄(steam coal)은 대부분 수입되고 있다. 천연가스는

LNG 형태로 1986년에 도입되었다. 그 이후로 천연가스 소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

여 2002년 현재 1차에너지 소비에서 11.5%의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원자력의 경우

도 계속 증가하여 2002년 현재 13.1%를 1차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고 있다.

12

<표 2-3> 동북아 국가 1차에너지 원별 생산현황

(단위 : 백만toe)

석유 천연가스 석탄 수력 원자력 합계

2000

러시아 351.4 533.5 129.7 41.4 34.0 1,090.0

중국 176.2 28.0 613.2 57.7 4.1 879.2

일본 0.4 2.7 1.7 22.6 75.6 103.1

한국 0.0 0.0 2.0 1.0 26.2 29.2

2001

러시아 381.3 530.6 138.1 45.5 34.8 1,130.3

중국 178.4 31.3 680.7 69.0 4.3 963.7

일본 0.3 2.8 1.9 22.8 79.6 107.4

한국 0.0 0.0 1.8 0.6 27.0 29.4

자료 : DOE/EIA International Energy Annual 2001(March 2003).

<표 2-3>은 동북아 각국의 2001년과 2002년의 1차에너지 원별 생산현황을 나타내

고 있다. 2002년 동북아 국가 전체의 에너지 생산은 2,230백만toe로 2001년의 2,101.5

백만toe에 비하여 6.2% 증가하 다. 국가별 비중을 보면 2002년 러시아가 50.7%인

1,130.3백만toe의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어 동북아 최대 에너지 생산국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고, 중국이 43.2%인 963.7백만toe의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에너지 생산은 각각 107.4백만toe와 29.4백만toe에 그쳐 상대적으로 에너지 자원이 빈

약하여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해외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러시아의 경우 천연가스와 석유 생산이 다른 에너지원의 생산에 비해 높아, 천연

가스와 석유 자원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경우는 석탄 생산이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높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에너지 자원의 생산이 거의 없고 다만

원자력에 의한 에너지 생산이 국내 에너지 생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너지 밸런스를 생각할 때 생산과 공급의 차이는 수출입으로 설명될 수 있다. 물

론 에너지의 재고의 변동으로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격차를 해소하기도 하지만 전체

적인 에너지의 자급자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표 2-1>과 <표 2-3>으로 판단할

때 러시아의 경우 2001년 소비는 638.7백만toe이고 생산은 1,090.0백만toe로 약 360백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13

만toe의 에너지를 수출하고 있는 에너지 수출국임을 알 수 있다.1) 중국의 경우는

2001년 에너지소비는 833.6백만toe이고 생산은 963.7백만toe로 약 120백만toe의 에너

지원을 수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러시아는 거의 모든 에너지원을 수출하고

있는데 비하여 중국은 석유의 경우 많은 양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에너지 수출

의 대부분을 석탄이 담당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

은 석탄과 가스의 경우 세계 1위의 수입국이고, 한국의 세계 두 번째 가스와 석탄

수입국이고 세계 4번째 석유수입국이다.

2. 에너지 수요 전망2)

에너지 수요전망에는 기본적으로 장래에 일어날 일이므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망은 장래의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한 가정에 근거하여 전망한 것이므로 가

정된 상황이 변하는 경우 전망한 값들이 실재와 상이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다음

의 <표 2-4>는 수요전망을 위한 기본적인 경제지표인 동북아 국가들의 GDP 및 인구

에 대한 가정을 나타내고 있다.

<표 2-4>에 의하면 한국의 경우 2000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0.4%, GDP 증가율은 3.6%로 가정하 다. 중국의 GDP는 2030년까지 년 4.8%로 높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가정하 으며, 인구는 년 0.5%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 다.

러시아의 경우 GDP는 전망기간 동안 연평균 3.0%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 다.

2010년까지는 2.9%성장하다가 2010년에서 2020년 사이는 3.5%로 성장이 가속화되었

다가 그 후 10년은 2.6%의 GDP 성장률을 보일 것이다. 인구는 전망기간동안 연평균

0.6%로 증가할 것이다.

일본의 경우3) 인구 증가율이 거의 없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2000년 현재의

1) 여기의 에너지 밸런스는 생산, 소비자료원의 차이, 재고 등의 이유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2) 수요전망은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과, DOE/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3(May 2003)의 자료를 참고하여 정리한 것임.

3) 일본의 전망치는 주로 DOE/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3(May 2003)을 참조하 다.

14

인구 127백만명이 그대로 유지되어 2025년에는 약 128백만명으로 인구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GDP의 경우도 2000년 현재의 GDP 4,390십억불에서 2020년

6,162십억불4)로 다른 국가에 비해 증가율이 높지 않을 전망이다.

<표 2-4> 수요전망을 위한 기본 가정

GDP(십억불, 1995년 PPP기준) 인구(백만명)

러시아 중국 한국 러시아 중국 한국

1973 - 493 99 - 845 33

2000 1,086 4,681 776 145 1,272 47

2010 1,445 8,484 1,183 154 1,363 50

2030 2,636 19,753 2,259 174 1,481 53

2000∼2030

연평균 증가율(%)3.0 4.8 3.6 0.6 0.5 0.4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 2002 (September 2002).

에너지 수요전망에 의하면 세계 에너지 소비는 2025년에 약 640천조Btu로 2001년

현재의 404천조Btu보다 5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5). 이러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의한 지속적 성장의 향이 크며, 그중에서 특히 아시

아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소비의 증가에 큰 향을 받고 있다. 아시아

개도국의 경우 연평균 3%의 에너지소비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2025년까지

2배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전세계 평균소비증가율인 1.9%에 비하여 높아, 이러한 아시아 개도국의 빠른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증가된 총 에너지 소비의 40%를 아시아 개도국이 담당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동북아 국가 중 중국과 한국의 에너지 소

비는 빠른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시아 개도국의 경우 2001년에서

4) 일본의 GDP는 97년 US 달러를 기준으로 표시된 것이고, 다른 동북아 국가는 95년 달러를 기준으

로 표시된 것임.

5) DOE/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3, May 2003.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15

2025년까지 연평균 3.0%의 높은 에너지 소비 증가율을 보이는데 중국은 이보다 높은

3.5%의 소비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은 3.2%의 비교적 높은 소비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일본은 1.6%로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낮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소련의 경우는 3.0%의 에너지 소비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의 2030년까지의 원별 1차에너지 소비전망은 <표 2-5>에 나타나 있다. 중국의

경우 1차에너지수요는 2000년에서 2030년까지 매년 2.7% 증가하여 두 배 이상 증가

하는데, 그 증가추세는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0-2010년에는 3.2%,

2010-2020년에는 2.7%, 2020-2030년에는 2.3%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

다. 하지만 이러한 증가율은 대분의 다른 지역이나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전

망기간 동안의 수요증가량인 1,183Mtoe은 전세계의 에너지 증가량의 1/5 정도를 차

지할 것이다.

<표 2-5> 중국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1971 2000 2010 2020 2030

석탄 192 659 854 1,059 1,278

석유 43 236 336 455 578

가스 3 30 57 102 151

원자력 0 4 23 43 63

수력 3 19 29 44 54

기타재생 0 1 4 5 9

총계 241 950 1,302 1,707 2,133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1차에너지 수요에서 석탄의 비중은 2000년 69%에서 2030년 60%로 감소하고, 다른

에너지원의 비중은 증가할 전망이다. 석탄은 발전부문에서 여전히 주도적 위치를 차

지할 것이지만 산업부문과 가정부분에서는 다른 연료로 대체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중국의 석탄수요의 증가는 2000년과 2030년 사이, 전 세계 석탄 수요 증가분

16

의 거의 반을 차지할 것이다. 석유의 소비는 교통부분의 수요 증대에 따라 지속적으

로 증가할 것이다. 천연가스 사용은 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천연

가스의 사용량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매년 5.5%의 높은 에너지 수요증가율에도

불구하고 2030년의 점유율은 약 7%에 불과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정부의 2020년까

지 목표 점유율인 10%∼15%에 미치지 못한 점유율이다. 원자력발전은 현재의 에너

지 공급에서는 큰 역할을 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앞으로 매년 9%이상 성장하여 2030

년에는 총 에너지의 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최종에너지의 원별 및 부문별 소비를 나타낸 것이 <표 2-6>이다. <표 2-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국의 총 최종에너지 소비는 매년 2.7% 성장하여 2030년에는

1,264Mtoe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석탄소비는 매년 단지 0.7% 증가에 그쳐 소비

점유율은 2000년 43%에서 2030년 24%로 급격하게 떨어진다. 석유의 비중은 수송부

문의 수요 증가에 따라 40%로 증가한다. 다른 모든 개도국처럼 전력의 비중은 또한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다.

<표 2-6> 중국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1971 2000 2010 2020 2030

에너지원별

석탄 140 247 273 291 305

석유 38 192 283 394 510

가스 1 18 30 47 69

전력 10 93 153 232 323

열 0 25 36 46 56

재생에너지 0 0 0 0 0

부문별

산업 14 314 396 477 553

수송 6 85 136 206 286

기타 부문 1 146 204 283 374

비에너지 사용 169 32 38 44 50

총 최종에너지 189 577 774 1,011 1,264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17

산업용에너지 수요는 2000년 최종에너지의 54%를 차지하고 있지만, 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그 비중이 감소하여 2030년에는 43%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이

나 시멘트 같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은 수입품과의 경쟁에 직면하여, 소규모 생산자

의 경우는 합병을 통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진시킬 것이다. 에너지집약도가 낮고 노

동집약적인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의 경우는 중공업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과 가스가 석탄을 대체하여 전체 에너지 효율을 증진시키고 환경문제

를 완화할 것이다.

수송부문의 에너지소비는 매년 4.1% 증가하여 총 최종에너지에서의 점유율이 2000

년 15%에서 2030년 23%에 도달할 것이다. 비록 항공수송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

하지만 도로 수송이 수요 증가의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도로 수송은 지난 20년 동

안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8배로 증가하 다. 실제적으로 수송 수요의 증가는

석유제품의 형태로 증가한다. 석탄, 가스, 전력은 2000년 전체 수송 수요의 8%에서

2030년 단지 2%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감소할 것이다. 중국의 석유소비 증가분의 약

2/3가 수송부분의 증가에 의한 것이다.

최근의 도로수송용 연료 소비의 폭발적 증가는 자동차 소유의 증가에 따라 중국에

서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2000년 중국의 차량소유는 천명당 12대로 미국이나 캐

나다의 천명당 700대와 비교해 낮았다. 하지만 중국은 최근 1인당 GDP가 $3,500을

넘어서, 자동차 산업의 성장 문턱을 넘어섰다. 자동차 가격은 수입자동차에 대한 관

세의 폐지에 따라 떨어질 것이며, 이로 인하여 폭발적 자동차 수요와 연료 수요가

발생할 것이다. 도로운송에 대한 에너지 소비는 매년 4.7% 증가하여 2000년 54Mtoe

에서 2030년 213Mtoe로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까지 포화효과(saturation effect)를 포함한 도로수송의 증가 추세와 관련한 불확실성

이 있다. 또한 도로운송 연료의 수요 구조에 관한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현재 정부는

경유의 가격을 휘발유보다 낮게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경유 자동차의 사용을 장려

하여 도로수송 에너지 수요에서 경유의 비중을 증가시킨다. 또한 에너지 수요와 정

유 및 생산과의 불일치를 낳게 한다. 석유제품 수입에 대한 제한 철폐와 가격 개편

은 이러한 왜곡을 시정하는데 도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8

주거용 에너지 사용은 2000년 총 에너지 소비의 15%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주거용 수요는 매년 3.2% 증가하여 2000년 84Mtoe에서

2030년 217Mtoe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구 소득의 증가가 전기 기구의 사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총 주거용 에너지 사용에서 전력의 비중이 18%에서 37%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며, 석탄의 비중은 반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시골지역에 실재로 전

기가 들어올 것인지는 불확실성이 있다. 전력망은 중국 가정의 98%까지 확장 되었지

만 지방지역의 경우 전력 서비스가 신뢰성이 없기 때문에 실제 사용량은 아직까지

매우 낮다. 주거용 가스사용은 배관망의 건설과 다른 연료에 대한 최종 소비자 가격

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서비스 부문은 2000년 총 에너지 소비에서 단지 5%를 차지하고 있다. 상업이 급격

하게 발달하고 있고,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4.5% 증가하여 2000년 45Mtoe에서 2030년 111Mtoe로 증가할 것

으로 전망된다. 서비스 부분의 에너지 수요 증가는 전력과 석유가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러시아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를 나타낸 것이 <표 2-7>이다. 러시아의 1차에너지

수요는 전망기간 동안 매년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증가율은 전망기

간의 GDP 성장률 3%보다 낮을 전망이다.

<표 2-7> 러시아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2000 2010 2020 2030

석탄 111 131 125 125

석유 130 150 180 214

가스 319 392 471 512

원자력 34 41 41 38

수력 14 15 16 17

기타재생 4 4 7 12

총계 612 733 841 918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19

석유 수요는 연료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인 매년 1.7%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1차에너지에서의 석유의 비중은 2000년에서 2030년 사이에 2%포인트 증가할 전망이

다. 가스수요는 매년 1.6%의 속도로 증가하여 1차에너지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2000년의 52%에서 56%로 증가할 전망이다. 석탄 수요는 매년 단지 0.4% 증가할 예

정이다. 원자력은 2000년 6%의 점유율에서 2030년 4%로 그 점유율이 낮아질 전망이

다. 수력의 점유율은 조금 감소하여 약 2% 정도를 차지할 전망이다.

러시아의 총 최종에너지 소비는 1차에너지 공급보다 조금 느린 속도로 증가할 전

망이다. 앞으로 30년 동안 단지 1992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다. 수송부문은 최종에

너지 수요 증가분의 38%와 석유수요 증가분의 69%를 담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주거

부문과 산업부문은 가격 상승과 폐기물의 감소에 따라 열에 대한 수요가 많이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0년대에 전력과 열의 가격 상승은 물가상승보다 훨씬 낮았

다. 이것이 소비자의 에너지 효율 개선 유인을 약화시켰다. 결과적으로 난방이나 국

내 온수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이 다른 OECD 국가에 비하여 50% 이상 높다. 하지

만 장기적으로는 효율증진으로 인하여 상업용 건물과 주거용 건물의 최종에너지 소

비 증가율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를 나

타낸 것이 <표 2-8>이다.

<표 2-8> 러시아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2000 2010 2020 2030

에너지원별

석탄 21 21 24 26

석유 93 111 143 176

가스 115 136 172 201

전력 52 64 86 102

열 137 130 123 117

재생에너지 0 0 0 0

부문별

산업 148 165 199 217

수송 79 95 125 156

기타 부문 182 193 215 238

비에너지 사용 8 9 9 10

총 최종에너지 417 462 548 622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20

러시아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2000년 417백만toe에서 2030년 622백만toe로 증가할

것이다. 원별로 볼 때 석탄의 증가는 2000년 21백만toe에서 2030년 26백만toe로 23%

증가에 그치고 있으나, 석유, 가스 전력의 사용 증가는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석

유는 2000년 93백만toe에서 2030년 176백만toe로 약 89% 증가하 고 가스는 약 75%

증가, 전력은 96% 증가하여 최종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게 된다.

한국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를 나타낸 것은 <표 2-9>이다. 한국의 1차에너지는 연

평균 2.3% 증가하여 2030년에 378백만toe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서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이 1971년에서 2000년 사이에

연평균 에너지 수요 증가율인 8.8%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한국의 경우 석

유의 점유율은 2000년 54%에서 2030년 44%로 크게 떨어지지만 계속적으로 1차 에너

지 믹스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스는 가

장 빨리 증가하는 에너지원으로서 매년 4.4% 증가하여 2000년 9%에서 2030년 16%

로 증가할 것이다. 원자력의 비중도 점차 증가할 것이고 석탄은 점차 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석탄 비중의 감소는 크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것

으로 전망된다. 주로 풍력인 재생에너지의 경우는 매년 4%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표 2-9> 한국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1971 2000 2010 2020 2030

석탄 6 42 58 74 79

석유 11 104 126 150 165

가스 0 17 33 47 61

원자력 0 28 45 55 65

수력 0 0 0 1 1

기타재생 0 2 3 4 7

총계 17 194 264 331 378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1

한국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매년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산업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40%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분으로 남아 있을 것이지만

수송부문, 가정부문, 서비스부분의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산업부문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분의 에너지 소비는 2000년에서 2030년까지 매년 1.8% 증가할 것이다. 하지

만 1990년대에 9.1%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그 증가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 가격보

조금의 폐지는 모든 산업이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것이며 석유는

점차 전력과 가스로 대체될 것이다.

<표 2-10> 한국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1971 2000 2010 2020 2030

에너지원별

석탄 140 247 273 291 305

석유 38 192 283 394 510

가스 1 18 30 47 69

전력 10 93 153 232 323

열 0 25 36 46 56

재생에너지 0 0 0 0 0

부문별

산업 14 314 396 477 553

수송 6 85 136 206 286

기타 부문 1 146 204 283 374

비에너지 사용 169 32 38 44 50

총 최종에너지 189 577 774 1,011 1,264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수송부문의 에너지소비는 다른 부문에 비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다. 매

년 2.7%의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송부문 소비에너지는 최종에너지에

서 2000년 23%에서 2030년 27%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과 수송을 제외한

22

다른 부분에서는 함께 2.4%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그 점유율은 점차 증

가하여 2030년 27%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력수요는 이보다 더 빠른 속

도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37%의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증가는 가

계 소득의 증가에 향이 크며 소득의 증가에 따른 전기기구의 판매 증가가 큰 향

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의 <표 2-11>은 일본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의

경우 1차에너지 소비는 1999년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다른 동북아 국가에 비하여 소비증가율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1차

에너지 소비는 1999년에 514.7백만toe에서 2020년 624.4백만toe로 21.3% 증가하는데

그칠 것이다. 같은 전망기간동안 천연가스의 소비증가율이 1.6%로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소비증가율이 높다. 다른 에너지원인 석유는 0.4%, 석탄은 0.8%에 그쳐 오히려

전체 에너지 소비증가율인 0.9%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원자력은 연평균

1.8% 증가하고, 재생에너지 및 수력의 증가율이 2.2%로 모든 에너지원 중에서 소비

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표 2-11> 일본의 1차에너지 원별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1999 2005 2010 2015 2020

석탄 87.3 89.9 90.1 91.6 102.8

석유 266.4 266.9 277.1 284.3 288.4

가스 62.2 68.1 78.7 83.5 86.1

원자력 82.0 90.1 99.2 113.2 120.5

수력/기타재생 16.9 20.7 24.1 25.3 26.7

총 계 514.7 535.8 569.2 598.0 624.4

자료 : APERC, APEC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02

일본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전망을 나타낸 것이 <표 2-12>이다. 일본의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3

최종에너지 소비는 1999년에서 2020년 동안 연평균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원별로 보면 석탄은 2020년 19.7백만toe를 소비할 것으로 전망되어 1999년의

19.9백만toe보다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매년 전력은 1.4%, 가스는

2.0% 소비가 증가하여 2020년에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석유의 경우는 0.6%의 연평균 소비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2020년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12> 일본의 원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전망

(단위 : 백만toe)

1999 2005 2010 2015 2020

에너지원별

석탄 19.9 19.4 19.3 19.4 19.7

석유 215.4 219.3 228.9 236.3 242.9

가스 21.8 24.8 28.0 30.6 33.3

전력 81.1 86.9 95.2 101.8 108.6

열 0.5 0.7 0.9 1.0 1.1

재생에너지 3.3 3.4 3.5 3.6 3.6

부문별

산업 144.8 144.2 147.2 151.1 155.9

수송 93.6 100.0 108.1 114.9 120.4

상업 43.8 47.0 51.4 55.6 59.8

가정 49.6 53.4 59.0 61.0 63.1

기타 10.1 10.1 10.1 10.1 10.1

총 최종에너지 342.0 354.6 375.8 392.6 409.3

자료 : APERC, APEC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02

산업부문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38.1%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문으로

2020년에서도 남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산업부문은 1999년 42.3%의 소비점유율에서

2020년에 감소하는데 비해 수송부문, 가정부문, 서비스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산업부

문보다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29.4%, 14.6%, 15,4%로 증가할 것이다.

24

제2절 에너지원별 시장현황 및 전망

1. 석유

가. 석유 매장량 및 수급 현황

1) 매장량

석유의 확인매장량(proved reserves)은 전세계적으로 약 1,047십억배럴, R/P비율은

40.6년으로 앞으로 현재의 생산수준이 지속될 경우 약 41년 정도 현재 확인매장량으

로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중에서 동북아 국가 중 일본과 한국의 경

우 확인매장량이 거의 없는 편이고 다만 중국과 러시아의 경우에만 석유 자원이 매

장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확인 매장량이 18.3십억배럴로 전세계 매장량의 1.7%를 차

지하고 있고 러시아는 60.0십억배럴의 석유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전세계 매장량의

5.7%를 차지하고 있다.

<표 2-13> 2002년말 석유의 확인 매장량, 점유율 및 R/P비율

확인매장량(십억배럴) 점유율(%) R/P 비율

중국 18.3 1.7 14.8

러시아 60.0 5.7 21.7

전세계 1,047.7 100.0 40.6

주 : R/P 비율은 매장량을 그 해의 생산량으로 나눈 값으로 생산이 동일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현재의 매장량이 지속할 수 있는 년수를 의미함.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하지만 석유는 전세계적으로 일부지역에 편중되어 매장되어 있는 자원으로 동북아

국가 중에서 중국의 경우도 전세계 매장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는 못하고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5

있다. 동북아 국가들의 R/P 비율은 전세계 평균인 40.6년보다도 낮아 러시아와 중국

이 각각 21.7년, 14.8년밖에 안 되는 형편이다. 따라서 석유 매장량이 풍부한 러시아

를 제외한 동북아 국가들은 석유부존량이 생산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

해야 되는 형편이다. 하지만 현재 석유를 수출하고 있는 러시아의 경우도 R/P 비율

이 21.7에 불과해 현재 생산을 유지할 경우 석유는 오래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은 아

니다. 하지만 러시아의 경우 탐사 및 개발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지속되지 못하 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확인된 매장량보다 탐사에 의해 발견 가능한 석유매장량이 매우

많다고 추정된다.

2) 석유 수급 현황

2002년 세계 석유생산량은 73.9백만 b/d로 전년대비 0.7% 줄어들었으며 1992년 이

후 10년간 연평균 1.2%의 생산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석유 생산량 중 OPEC은

2002년 28.2백만 b/d로 전년대비 6.4% 줄어들며 생산 점유율도 38.4%로 점유율 하락

을 기록한데 비해, 구소련을 포함한 비OPEC은 전년대비 3.3% 증산을 기록하고 생산

점유율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구소련의 석유 생산량은 시장경제로의 전환기 던 90

년대 중반까지 하락 추세 지만 90년대 중반을 저점으로 특히 2000년 이후 증산활동

이 본격화되는 추세에 있다.

<표 2-14> 석유 생산 현황

(단위 : 천 b/d)

1992 2001 2002 2002년 점유율

중국 2,841 3,306 3,387 10.7%

러시아 8,038 7.056 7,698 4.8%

전세계 65,713 74,305 73,935 100.0%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앞의 <표 2-14>는 중국과 러시아의 석유 생산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의 석유

26

생산은 석유소비의 성장 둔화와 함께 점차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 2001년 총 석유생

산은 74.3백만b/d 는데 2002년 73.9백만b/d로 전년도에 비해 0.7% 감소하 다. 하

지만 동북아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는 세계 석유생산 감소 경향과는 달리 2002년 전

년도보다 각각 2.5%, 9.1% 증가한 3.4백만 b/d와 7.7백만b/d를 생산하고 있다.

세계 석유소비는 점차 그 소비가 둔화되고 있다. 1992년 소비는 67.0백만b/d에서

2002에 75.7백만b/d로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1.0% 증가하고 있다. 이는 90년대 이

전의 석유 소비증가율에 비해 낮아 소비 증가가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02년은 전년에 비해 단 0.1% 증가하는데 그치고 있다. 하지만 동북아 국가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2.0%의 에너지 소비 증가를 보이고 있다. 비록 일본은 전년에

비해 2.0% 소비가 감소했으나 중국이 5.8%의 높은 소비 증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한

국과 러시아도 각각 1.8%, 0.5% 소비가 증가했다. 이를 나타낸 것이 다음의 <표

2-15>이다.

<표 2-15> 석유 소비 현황

(단위 : 천 b/d)

1992 2001 2002 2002년 점유율

중국 2,662 5,030 5,362 7.0%

러시아 4,494 2,456 2,469 3.5%

일본 5,521 5,434 5,337 6.9%

한국 1,518 2,235 2,288 3.0%

전세계 66,974 75,453 75,747 100.0%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중국의 빠른 석유소비의 증가에 따라 중국의 석유수입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

다. 이러한 에너지 대규모 소비국가로서의 중국의 변화는 앞으로도 급속한 경제성장

이 에너지 수요와 수입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대될 것이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7

나. 국제 석유 시장의 특성

1) 국제 석유시장

국제석유시장은 OPEC와 석유메이저들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으로 요약될 수 있

다. OPEC 회원국들은 1,2차 석유파동 시기 던 70년대 이후 석유산업을 대부분 국

체제로 관리하고 있어서, 국 석유회사와 자회사로 구성된 국 기업이 유전의 개발

과 생산 및 판매를 총괄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산유국 국 석유

회사들은 상류부문 사업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정제능력과 제품판매 등 하류

부문 사업은 취약한 편이다. 중국 등 개도국에서도 석유산업을 국 체제로 운 하고

있으나 중국은 부분적으로 이들 국 기업의 민 화를 추구하고 있는 형편이다.

석유메이저는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유전개발과 생산의 상류부문과 원유정제

및 제품판매의 하류부문을 총괄하는 통합시스템으로 운 되는 다국적 기업으로 세계

석유무역에서 막대한 향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국 석유회사와는 상대적으로 원유

정제와 제품판매 부문에서 막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70년대 이후 석

유시장의 변화에 따라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구조개편과 경 혁신이

지속되어 왔다.

80년대와 90년대를 거치는 동안 세계 석유시장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하

여 메이저 기업들의 인수합병이 이어졌다. 그 결과 1989년에 15개이던 미국계 석유

메이저는 현재 7개로 줄어들었고, 국 계열은 4개에서 2개로, 프랑스 계열은 3개 기

업이 1개로 줄어든 상황이다.

원유의 교역은 석유산업의 상류부문과 하류부문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로서 작용을

하고 있다. 석유산업의 상류부문은 유전 탐사와 개발, 생산까지를 의미하며, 하류부

문은 정제 및 석유제품 판매부문을 의미하고 있다. 원유교역은 상류부문의 생산성

가치를 좌우하며, 하류부문에서의 원료비용을 결정하게 된다.

석유의 정치적 향력 때문에 이제까지 가격결정 과정에서 순수 경제적 측면보다

정치적 측면이 우선시되어 왔다. OPEC은 원유가격 결정에 막강한 향력을 미치는

정치적 국제기구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대부분의 산업국가에서도 석유가 세

28

입의 주요 원천이라는 관점에서 가격 결정에 대하여 정부가 직간접적인 향력을 행

사하고 있다.

석유거래 시장을 볼 때, 70년대 이전에는 석유 메이저들이 원유공급의 대부분을

좌우하 기 때문에 현물시장의 거래 규모는 가격결정에 별다른 향을 미치지 못하

다. 하지만, 70년대 2차례 석유파동 이후 현물시장이 점차 활성화되는 가운데 1985

년∼1986년에 발생한 유가폭락 사태는 이후 원유거래에서 현물시장 구도가 정착되는

계기로 작용하 다. 80년대 초 현물시장과 함께 활성화되면서 현물시장에서의 가격

위험과 수급위험을 보완하기 위하여 IPE, NYMEX 등 석유 선물시장도 본격적으로

발달되기 시작하 다.

석유시장에서 현물거래 비중은 약 40% 미만이지만 결정되는 매매가격은 세계 석

유거래 가격 결정에 절대적인 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90년대 후반 이후 선물시장이

발달되면서 선물시장에서 결정되는 거래가격이 현물시장 가격 형성을 선도하는 흐름

을 보이고 있다.

<표 2-16> 2002년 세계 석유교역 현황

(단위: 천 b/d)

지역구분수 입 수 출

원 유 제 품 원 유 제 품

구소련 - 115 3,790 1,580

중동 84 107 15,811 2,251

아프리카 721 410 5,081 848

호 주 492 109 329 86

아시아 12,026 3,709 1,117 1,420

전 세 계 33,471 10,157 33,471 10,157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석유거래 시장으로서의 실물시장은 대표적으로 현물시장(spot market)에서의 거래

와 장기 기간계약(term contract)에 의한 원유 거래를 들 수 있다. 현물시장의 거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 최종 수요자에게 실물 인도되고 있어, 실제로 한 개의 원

유현물 카고는 계약에서 선적을 거쳐 최종 수요자에 인도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수많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9

은 석유회사와 무역업자들이 연계되어 연쇄적인 거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실물이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기 이전이라도 수송 도중에 현물거래로 되 팔리기도 해 현물로

거래되는 물량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기간계약(term contract)은 산유국과의 장기계약의 형태로 원유공급의 계약기간과

연간 도입물량을 계약하고, 적용되는 가격은 현물시장 가격에 연동시키는 방식으로,

기간계약에 적용되는 가격은 산유국 또는 국 석유회사가 공시하는 가격공식(term

contract price formula)에 의거한다. 중동산 원유는 미국시장과 유럽 및 극동지역 등

전 세계로 판매되기 때문에 판매되는 지역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원유가 다르며 가격

공식도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중동산 원유의 기간계약 판매가격에서 한국, 일본, 중

국 등 대 아시아 지역 판매가격이 유럽이나 북미지역 판매가격보다 배럴당 1-1.5 달

러 비싸게 형성되고 있는 현상을 아시아 프리미엄(Asia Premium)이라고 한다.

선물시장은 현물시장이나 기간계약과 같은 실물거래에서 예상되는 가격변동 위험

의 헤징을 목적으로 하는 시장으로 IPE, NYMEX, SIMEX와 같은 에너지 상품 선물

시장(futures market)에서 원유와 제품을 거래하고 있다. 선물시장의 특징은 실제로

상품을 인수하는 거래가 아니라 서류상으로 거래하여 매매차액을 정산하는 거래로

“paper market”이라고 하며, “청산거래”라고도 한다. 주로 아시아 시장에서는

SIMEX시장에서 거래되면 상장 품목은 원유(Brent)와 중유(fuel oil)가 있다.

선물시장은 실물시장의 보완적 기능으로 활성화되었으나 점차 대형 펀드매니저와

투기성 자금들이 참여하면서 거래가 확대되어 최근에는 선물시장에서 형성되는 원유

가격이 오히려 현물시세를 리드하는 추세이다.

미래의 일정시점을 상품의 인수일로 정하고 상품 가격과 수량을 정하여 매매하는

거래로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에 직접 계약체결이 발생되는 거래는 선도 거래이며,

선도거래는 선물거래와는 달리 공적기관의 개입 없이 상대방과의 직접거래를 통하여

계약조건이 정해지고 상호간에 거래이행의 책임이 수반되기 때문에 거래상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또한 선물거래는 대부분 청산거래인 반면 선도거래는 계약 만기일에

실물인도와 대금결제가 반드시 수반되는 거래이다.

30

2) 아시아 프리미엄

중동산 원유의 기간계약 판매가격에서 한국, 일본, 중국 등 대 아시아 지역 판매가

격이 유럽이나 북미지역 판매가격보다 배럴당 1-1.5 달러 비싸게 형성되고 있는 현상

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요인으로, 첫째는 아시아지역에 대한

원유공급선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며, 둘째 요인은 아시아지역 판매 원유에 대하여

제3자 판매 제한과 도착지 제한 원칙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지역의 중동

산 원유 공급점유율은 약 30% 수준인 반면, 극동 아시아지역의 중동산 원유 의존도

는 70%를 상회하고 있다. 중동 산유국들은 판매경쟁이 치열한 유럽과 북미지역으로

판매되는 원유에 대해서는 수송비만큼을 기준원유 가격에서 할인하여 판매하고 있으

나 아시아지역 판매 원유에 대해서는 가격할인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극동지역 판매 원유에 대한 도착지 제한과 제3자 거래 제한은 서구시장과 아시아

시장 사이에 재정거래(arbitrage)를 방해함으로써 중동 산유국들이 극동아시아 구매자

들에게 프리미엄을 용인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따라서 아시아 지역의 경우 원유공선이 제한되어 있어 대부분의 원유를 중동에 의

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원유의 중동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 공급선을 다원화 한다는

입장에서 러시아에서의 원유도입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 안보

의 측면에서 러시아에서 원유를 수입하는 것이 중동 정치상황의 불안정이나 공급 중

단의 위험 때문에도 더욱 고려할 만한 일이다. 다만 아시아 국가의 정유시설이 중동

산 원유에 맞도록 건설된 점이 이러한 러시아로의 수입선 다변화에 방해요인이 될

수 있다.

다. 중국

1차에너지 소비에서 석유의 매년 3% 예상된 소비증가는 주로 수송부문에에 의한

것이다. 석유 소비는 2001년 5mb/d 고 이는 2030년 12mb/d로 두 배가 될 것이다.

대부분의 이러한 석유수요의 증가는 수입에 의하여 충당될 것이다. 순석유 수입은

2001년 1.7mb/d에서 2010년 4.2mb/d, 2030년에 9.8mb/d로 증가하여 2000년 미국의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31

순석유 수입과 비슷하게 될 것이다. [그림 2-1]은 중국의 석유 밸런스 전망을 보여주

고 있다. 석유소비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

만 생산은 2000년대 중반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석유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1993년 이후 석유제품의 순수입국이 되었고, 1996년 이

후 원유의 순수입국이 되었다. 전체 석유수요의 수입비중은 2001년에 34% 지만

2030년에는 8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1] 중국의 석유 밸런스 전망

소비

생산

<표 2-17>은 중국의 석유제품별 밸런스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2000년 216천

b/d 던 수입이 2005년에는 806천b/d로 증가하고 2010년에는 1,055천b/d로 증가한

다. 이러한 이유는, 생산의 증가는 2000년 3,994천b/d 던 생산이 2005년 4,640천b/d

2010년 5,440천b/d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친데 비해 소비는 2000년 4,210천b/d에서

2005년 5,446천b/d, 2010년 6,495천b/d로 크게 증가한데 기인한다.

자동차의 증가, 석탄의 석유로 전환, 주거 및 서비스 부문의 연료전환 등으로 인해

중국의 석유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중국의 석유 수요는 2001년 5백만에서

2025년 10.9백만까지 연간평균 3.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은 수입될 것으

로 전망된다.

석유제품별 전망을 살펴보면 2010년에 대부분의 석유제품을 수입할 것으로 전망되

32

고 있다. 2000년 수출하고 있던 휘발유, 경유 등도 수송용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에 많은 양을 수입하게 된다. 특히 경유의 수입

증가가 무척 큰데 2000년 63천b/d를 수출하고 있었는데 2010년에는 무려 295천b/d

를 수입하게 된다. 중유와 LPG는 2000년에도 수입되고 있던 제품이었는데 수요증가

가 크지 않을 전망이어서 2010년에도 수입량에는 큰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표 2-17> 중국의 석유제품 밸런스 전망

(단위: 천 b/d)

2000 2005 2010

수요 생산 순수출 수요 생산 순수출 수요 생산 순수출

휘발유 723 850 127 1,007 1,007 0 1,279 1,244 -35

나프타 441 441 0 666 570 -96 838 707 -131

등유(Kerosine/Jet) 177 180 3 245 186 -59 308 218 -90

경유(Gas Oil) 1,380 1,443 63 1,830 1,624 -206 2,199 1,904 -295

중유(Heavy Fuel) 735 411 -324 787 464 -323 835 544 -291

LPG 479 373 -106 610 464 -146 710 442 -268

기타 276 298 22 300 325 25 327 381 54

총계 4,210 3,994 -216 5,446 4,640 -806 6,495 5,440 -1,055

자료 :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원, Outlook of Supply and Demand Trends of Petroleum

Products(August 2003).

2001년 중국의 1000명당 자동차 보유대수는 13대로 미국의 779대와 비교해 적으

나, 앞으로 경쟁이 증가하여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도로사업을 포함해 정부는 대폭

적인 기간산업을 계획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수송부문의 연료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생산의 주요 원천인 동부 지역의 오래된 유전에서의 원유 생산은 거의 증가가

없을 전망이지만 해양 생산은 멀지 않아 증가할 것이다. 세계 4번째로 큰 Daqing유

전은 2001년 1.1md/d를 생산해 대략 중국 생산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Daqing유전

은 1960년에 생산을 시작했지만, 생산은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해양에 많이 있는

최근의 새로운 유전은 Daqing의 생산량 감소나, Shengli, Liaohe 등과 같은 오래된

대규모 유전을 보충하고 있다. 중국국 석유회사(The Chinese National Petroleum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33

Corporation, CNPC)와 Philips는 2002년에 생산이 시작되기로 되어 있는 Bohai의 4.3

십억배럴의 Penglai 유전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다른 현재의 프로젝트는 중국서부에

있는 Tarim의 대규모 Tahe 유전의 탐사를 포함한다.

CNPC, 중국국 해양석유회사(The Chinese National Offshore Oil Corporation,

CNOOC), 중국 석유화학협회(the China Petrochemical Corporation, Sinopec)와 모든

SOEs는 생산공유(production sharing) 계약하에 외국 기업과 공동 탐사 및 개발 프

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해외 투자를 유인하려면 법적 정비를 계속 해야 할

것이다. 중단기적으로 현재의 생산을 유지하려면 중국은 발전된 원유 회복기술(oil

recovery technology)을 통하여 Daqing이나 다른 오래된 유전의 생산을 가능한 지속

해야 한다. 지속적인 에너지산업의 구조개편과 규제환경의 개혁이 석유의 국내 생산

의 전망을 밝게 할 것이다.

중국의 석유공급의 많은 부분은, 그 증가율이 아직 논쟁중이지만 해외에서 수입해

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원유수입은 중동에서 수입될 것이다. 러시아는 또한 조만간

중요한 공급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001년 6월 중국과 러시아는 시베리아의 석유

를 중국의 북동부로 보낼 수 있는 1,6십억불 규모의 2,200km의 파이프라인 건설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2005년을 시작으로 25년 이상 파이프라인을

통해 매일 400,000배럴의 석유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용량은 2010년에는

600,000b/d로 증가할 것이다. 만일 이러한 프로젝트가 수행된다면 러시아는 중국의

가장 큰 원유 공급국이 될 것이다. 중동원유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공급중단의 가능

성 때문에 중국정부는 이러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베네수엘라, 수단, 이라크, 페루 등의 탐사와 생산에 관여하고 있는

CNPC를 통하여 해외 석유자원에 대한 직접적 지배를 추구하고 있다.

석유와 가스부문은 내륙의 회사를 두개의 수직적으로 통합된 국 기업인 CNPC,

Sinopec로 재조직하 다. 해양에 대한 자산은 CNOOC로 옮겨졌다. 규제기능은

CNPC와 Sinopec에서 국가경제무역위원회(State Economic and Trade Commission)

로 이전되었다. 대부분의 석유와 가스 활동에 관련 있는 지역 회사들이 Sinopec과

CNPC로 통합되었다. 이런 자회사들의 소규모 지분은 뉴욕, 런던, 홍콩의 주식시장에

34

상장되었다.

오랫동안 하류부문에 거의 독점적 지위를 주었던 석유 수입규제는 중국의 WTO

가입에 따라 점점 사라지고 있다. 최근까지 정부는 국내 정유 설비를 최대화하기 위

하여 석유제품 수입보다는 원유수입을 위한 쿼터 시스템을 사용하 다. 중국정부는

WTO에 가입하자마자, 민간 무역회사에 원유수입 허가증을 발부하기 시작하 고 매

년 쿼터를 15% 인상하 으며, 2006년에 폐지할 예정이다. 원유수입관세는 2002년 폐

지되었으며, 석유제품수입 쿼터와 관세는 2003년 말 폐지될 예정이다. 국 기업이 현

재 석유수입의 90% 이상을 담당하고 있지만 이러한 비율은 2002년 말까지 80%로 떨

어질 것이다.

중국은 또한 2005년 소매 유통시장을 외국 석유회사에 완전히 개방할 예정이다.

도매 시장은 2007년에 개방할 예정이며, 외국 투자가 중국의 쇠퇴하고 있는 정유 산

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국내 정유산업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에 너

무 규모가 작다. 많은 작은 정유회사들이 적정 규모보다 작은 규모로 운 되고 있다.

경쟁의 압력은 국 기업이 인원의 감소 및 현대적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통하여 그

운 을 합리화하도록 할 것이다.

라. 러시아

러시아의 석유소비는 수송용 수요의 증가에 따라 전망기간동안 증가할 것이다. 석

유에 대한 수요는 매년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에너지의 수송부문에서

석유의 비중은 2000년 51%에서 2030년 59%로 상승할 것이다.

러시아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뒤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로 137십억배럴로 전세계 석유 매장량의 거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90년

대에 러시아의 석유 매장량은 탐사의 감소와 생산의 증가에 따라 고갈되었다.

2000년에 러시아 석유생산은 6% 증가하여 6.5mb/d이었다. 2001년에는 생산량 증

가율이 7%에 달하여 7mb/d에 달하 다. 시베리아에 있는 유전에서는 거의 70%의

석유를 생산하고 있다. Volga가 14%를 생산하고 있고 나머지는 주로 Urals과 러시아

의 유럽지역에서 소량을 생산하고 있다. Yukos, Sibneft, Surgutneftgaz 세 개의 석유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35

회사가 2001년 생산증가의 60%를 담당하 다. 최근의 석유생산의 증가경향은 주로

자본지출의 증가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자본지출의 증가는 높은 국제 석유가격과

1998년의 루블화 평가절하가 비용을 극적으로 줄 기 때문에 가능했다. 높은 가격은

외국회사와 제휴를 가능하게 하 고 러시아 석유회사가 선진 생산기술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 다.

전망에 의하면 2010년 석유생산은 8.6mb/d에 달하고 2030년 말에는 9.5mb/d에

도달할 것이다. 러시아는 세계 두 번째 석유 수출국이다. 2001년에 원유와 정유제품

의 순수출은 4.3mb/d에 달한다. 현재의 수출 호조는 높은 국제 석유가격과 현재의

수익을 증가시키려는 석유회사의 목적에 의한 것이다. 러시아는 이제 서구 국가들에

석유를 공급하는 중요한 비OPEC 국가이다. 러시아의 석유를 대규모로 수입하는 유

럽 국가들은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핀란드, 국 등이다.

최근의 러시아의 석유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할지는 확실치 않다. 많은 생산 유

전이 이전의 과잉생산으로 인한 피해를 교정하기 위하여 현대적 유전관리(reservoir

management)가 필요하다. 시베리아 서부에서는 가능한 빨리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물을 계속하여 주입하 다. 물의 주입은 유전에서 추출된 원유에서 물이 차

지하는 비중이 높게 만든다. 1976년에 50% 이었던 “물의 주입에 의한 생산(water

cut)”이 1990년까지 76%가 되었다.

단기적으로 러시아의 석유 생산 전망은 서시베리아의 현재 4.1mb/d∼4.6mb/d 생

산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중기적으로는 Timan-Pechora

와 Sakhalin 같이 유전 개발이 완숙되지 않은 지역에서 매장량이 얼마나 빨리 생산

으로 전환될 수 있는가에 의존한다. 장기적으로는 동 시베리아, Pechora해, 카스피해

같은 새로운 지역에서의 석유생산에 달려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새로운 투자

를 유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러시아의 에너지 전략에 의하면 매년 8십억

불∼10십억불이 2020년의 9mb/d의 러시아 목표 생산량에 도달하는데 필요할 것이

다. 국제 석유가격이 과거보다 높은 2000년에 상류투자가 5십억불이 안되었다. 생산

공유(production-sharing) 정책은 대규모의 투자를 끌어들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러시아의 세금체계와 일반적 법체계는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36

앞으로 10년 동안 러시아의 국내 석유 생산은 국내 수요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결과적으로 순수출은 2010년 5.5mb/d로 증가할 것이다. 그 후 생

산의 증가는 둔화되고 수요는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다. 순수출은 2020년 5.3mb/d

로 감소하고 그러한 수준이 계속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2] 러시아의 석유 밸런스 전망

소비

1990년대 초 원유 생산과 국내 수요의 급격한 하락 이후, 러시아의 석유 파이프라

인을 통한 총 공급이 감소하 다. 따라서 수출물량이 증가하면서 병목현상이 존재하

고 있다. 특히 북해에 있는 러시아의 중요한 수출항인 Novorossisk에서 이러한 문제

가 크다. 과거에는 러시아의 원유수출의 많은 부분이 구소련의 여러 정유소로 이동

되었고, 나머지의 대부분은 Druzhba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동유럽으로 이동되었다.

구소련과 동유럽의 석유 수요의 급격한 감소 이후 이러한 석유의 많은 양이 몇 개의

항구로 이동되었다. 구소련의 파이프라인 시스템은 주로 원유를 내부의 소비 지역으

로 운반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지금에 와서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

다. 현재 설비는 국내 수요의 증가분을 충당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Barents해의

Varandey의 북쪽터미널 같은 추가적인 수출 설비가 이미 완성되었다. 또한 많은 새

로운 파이프라인 프로젝트가 계획되고 있다. 다음의 <표 2-18>은 진행중인 이러한

프로젝트들을 나타내고 있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37

<표 2-18> 러시아의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파이프라인/루트 용량(kb/d)완성

년도비고

Caspian 파이프라인 콘소시엄 70 2015시설의 대부분이 Tengiz

생산을 위한 것임

Baltic 파아프라인 - Primorsk의

새로운 터미널까지의 파이프라인

연장

600(파이프라인)

24(터미널)2003

수출을 다변화, 하지만 지리적

요인이 비용을 높게 하고

있음

Sakhalin 수출 터미널과

파이프라인240-300 2005

Sakhalin에서 일본, 한국,

중국, 대만까지 파이프라인

Angarsk에서 Daging(중국) 400-6002005 -

2010

루트가 결정된 후 건설은

2003에 시작 예정

Druzhba 연장 200 2005크로아티아의 Omisalj까지

파이프라인이 연장될 것임

마. 한국

한국의 석유 수요는 연평균 1.5% 증가하여 2000년 2.1 mb/d에서 2030년 3.4md/b

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증가율은 지난 30년 동안의 증가율인 8.2%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것이다. 증가된 최종소비의 반 이상을 수송부문에서 담당하고 있다.

한국은 실제로 국내 석유자원이 없고 모든 것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석유의

75%를 중동에서 수입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가장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고,

다음은 아랍 에미리트, 이란, 오만 순이다. 한국은 최근 석유 수입선을 다변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한국 석유공사(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는 12개 국가에서 거

의 20개의 석유탐사 및 생산 프로젝트에 관련되어 있다. 한국석유공사의 최근의 가

장 큰 발견은 상업적 생산이 2004년에 시작되는 베트남 해안이다. 한국의 중동에 대

한 석유의존은 정유시설의 대부분이 중동유를 정유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러시아는 세계 두 번째 석유생산국으로서 러시아에서 석유

를 수입할 가능성이 파이프라인 건설과 함께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에너지 안보문제 때문에 정부는 국내 소비를 충족시키는 것보다 30% 많은 정유설

비를 유지할 것이다. 한국의 총 정유설비 능력은 2000년 2.4mb/d 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 고, 주요한 정유제품 수출국으로 2000년 800kb/d 이상을 수출하 다.

38

<표 2-19>는 한국의 석유제품별 밸런스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2000년 355천

b/d 던 수출이 2005년에는 181천b/d로 증가하고 2010년에는 10천b/d로 감소할 전

망이다. 이러한 이유는, 생산의 증가는 2000년 2,516천b/d 던 생산이 2005년 2,613

천b/d, 2010년 2,613천b/d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친데 비해 소비는 2000년 2,162천

b/d에서 2005년 2,432천b/d, 2010년 2,603천b/d로 크게 증가한데 기인한다.

<표 2-19> 한국의 석유제품 밸런스 전망

(단위: 천 b/d)

2000 2005 2010

수요 생산 순수출 수요 생산 순수출 수요 생산 순수출

휘발유 157 203 46 203 209 6 242 209 -33

나프타 580 422 -158 611 470 -141 636 470 -166

등유(Kerosine/Jet) 257 393 136 272 352 80 280 377 97

경유(Gas Oil) 386 645 259 453 694 241 502 710 208

중유(Heavy Fuel) 514 653 139 570 688 118 585 653 68

LPG 212 119 -93 253 183 -70 277 183 -94

기타 56 80 24 70 17 -53 82 10 -72

총계 2,161 2,516 355 2,432 2,613 181 2,603 2,613 10

자료 :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원(2003), Outlook of Supply and Demand Trends of Petroleum

Products

석유제품별 전망을 살펴보면 2000년 현재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등을 수출하고

있고 LPG와 나프타를 수입하고 있는데 이러한 석유제품 수출입은 2010년에는 대부

분 비슷하게 유지된다. 휘발유만 2000년 46천b/d를 수출하다가 2010년 33천b/d를

수입하게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등유, 경유, 중유는 2010년에도 계속 수출할 것이고,

나프타, LPG는 2010년에도 계속 수입할 것이다. 다만 국내 수요의 증가에 따라 수출

물량이 감소하여 수출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게 된다. 국내 수요의 증가도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와 경유 등의 증가가 클 것으로 전망되어 휘발유의 경우 2005년에는

순수출이 5천b/d로 감소하고 2010년에는 오히려 수요 증가에 따라 수입하게 된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39

바. 일본

일본의 1980년대 65% 정도 던 중동의 석유의존도가 현재 80%이상이 되었다. 거

의 모든 수입 국가처럼 일본의 석유의 중동 석유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석

유 공급위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2002년 일본의 석유 수요는 3년간 하락했다. 경제 침체의 지속으로 인해 전력시설

및 산업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석유의 수요는 계속 하락하 다. 2002년 9~12월 사이

의 증가가 있었으나(하루당 130천 배럴), 이는 원자로의 폐쇄에 따른 것으로 일시적

인 현상이다.

일본의 석유수요는 2001년 5.4mb/d에서 2025년 6.5mb/d로 연간 평균 0.8%의 증

가가 예상된다. 다음의 <표 2-20>은 일본의 석유제품별 수요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표 2-20> 일본의 석유제품 수요 전망

(단위: 백만 kl)

2000 2005

수요

2010

수요수요 생산 순수출

휘발유 58.2 56.7 -1.5 61 59

나프타 48.2 18.0 -30.3 42 42

등유(Kerosine/Jet) 29.9 27.9 -2.0 29 27

경유(Gas Oil) 42.3 0.0 -42.3 37 34

중유(Heavy Fuel) 29.5 28.6 -0.9 30 32

LPG(백만톤) 18.9 4.9 -13.9 21 22

기타 31.8 39.6 7.9 28 24

총계 244.4 224.0 -13.9 233 223

자료 :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원, Japan's Long-term Demand and Supply Outlook

http://eneken.ieej.or.jp/en/statistics/index.htm

먼저 2000년을 살펴보면 일본은 기타 석유제품인 BC유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석

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그중에서 특히 경유는 생산이 없어 거의 전량을 수입하고

있고 나프타와 LPG의 수입량도 크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에너지 수요가 2000년

40

244.4백만kl에서 2005년 233백만kl, 2010년 223백만kl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

고 있다. 수요 감소는 경유와 나프타에서 클 전망이며 휘발유의 소비는 크게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따라서 수요 감소로 인하여 생산의 잉여분을 수출할 가능성이 존재

한다. 따라서 현재 석유제품 수입국의 위치에 있는데 공급잠재력이 증대하는 경우

앞으로 석유제품 수출국으로의 변화가 가능하다.

2. 석탄

가. 석탄 매장량 및 수급 현황

1) 매장량

석탄의 확인매장량(proved reserves)은 약 984,453백만톤이고, R/P 비율이 204년으

로 앞으로 현재의 생산수준이 지속될 경우 204년간 지속할 수 있는 매장량이 존재하

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표 2-21>은 동북아 국가의 석탄 확인매장량의 점유율과

R/P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표 2-21> 2002년말 석탄의 확인 매장량, 점유율 및 R/P비율

확인매장량(백만톤) 점유율 R/P 비율

중국 114,500 11.6% 82

러시아 157,010 15.9% *

일본 773 0.1% *

한국 78 ** 23

계 984,453 100.0% 204

주 : *는 R/P 비율이 500년 이상인 경우이며, **는 점유율이 0.05%이하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음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석탄은 전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에 매장되어 있으며, 매장량도 다른 화석연료

에 비해 풍부하여 R/P 비율이 높다. 석유의 경우 R/P비율은 40.6년, 천연가스의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41

R/P비율은 60.7년에 불과하지만 석탄의 경우는 204년으로 비교적 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더구나 석탄은 여러 지역에 비교적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하지

만, 크게 세 지역인 미국(25%), 구소련(23%), 중국(12%)에 주로 분포되어 있고 호주,

인도, 독일, 남아프리카에도 많이 매장되어 있다. 동북아의 경우도 다른 에너지원에

비하여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만 러시아와 중국에 많이 매장되어 있다. 러시아는

157,010백만톤이 매장되어 전세계 매장량의 15.9%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전세계

매장량의 11.6%인 114,500백만톤의 석탄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는 각각 773백만톤과 78백만톤이 매장되어 있어 매장량이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석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매장량은 많지만 연간 국내 생

산에 의한 석탄소비량이 높아 R/P 비율이 82년으로 전세계 평균보다 낮으며 러시아

의 경우는 석탄소비가 상대적으로 낮아 R/P 비율이 500년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

나고 있다.

2) 석탄 수급 현황

세계의 석탄생산은 석탄소비의 성장 둔화와 함께 점차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

어 석탄생산은 1992년 4,537.7 백만톤에서 2002년 4,832.7 백만톤으로 6.5% 증가에 그

치고 있다. 이는 1992년에서 2002년까지 다른 화석연료의 생산 증가율을 보면 그 성

장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석유는 11.6% 증가, 천연가스는 22.1% 증

가하여 석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는 2001년에 비해 석탄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는데 아시아 태평양지

역은 2001년에 비해 생산량보다 증가량이 높아, 2002년 전체의 생산증가율이 6.2%로

1992년에서 2002년까지의 증가율 6.5%과 비슷한데 이는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생산증

가에 기인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동북아의 중국의 경우는 2001년에 비해 2002년

28.3%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생

산부분에서는 49.6%로 전체 생산의 절반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다음의 <표 2-22>는

동북아 지역의 석탄 생산 현황 및 점유율율 나타내고 있다.

42

<표 2-22> 석탄 생산 현황

(단위 : 백만toe)

1992 2001 2002 2002년 점유율

중국 559.9 547.8 703.0 29.5%

러시아 148.4 124.5 113.8 4.8%

일본 4.2 1.8 - -

한국 5.4 1.7 1.5 0.1%

계 2,204.7 2,239.1 2,379.4 100.0%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중국의 석탄생산은 2002년 703.0백만toe로 석탄의 최대생산국이며 전세계 생산의

29.5%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는 매장량에 비해 생산량이 그리 높지 않지만 2002년

113.8백만toe를 생산하여 전세계 석탄생산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2002년 석탄생산이 1.5백만toe에 불과하고 일본은 생산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석탄자

원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계의 석탄소비는 1980년 후반 이후로 성장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서유럽, 동유

럽, 구소련에 이러한 경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며, 이러한 경향은 계속될 전망이다.6)

2001년 세계 총 석탄 소비는 2398백만toe이었으며 1992년의 2,202백만toe에 비해

수요 증가가 그리 크지 않다. 또한 99년대에 석탄소비가 크게 감소하 다가 이후 다

시 증가 추세로 돌아섰고 2002년에는 전년에 비해 6.9%라는 높은 소비 증가를 보여

주고 있다. <표 2-23>은 동북아 국가의 석탄 소비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석탄소비는 2002년 663.4백만toe로 석탄의 최대소비국으로 전세계 석탄소비

의 27.7%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타자원에 대한 접속이 어렵고 석탄이 풍부하기

때문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부문에서 석탄이 주요 연료로 사용되어 석탄

수요의 비중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러시아는 에너지 소비에서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높지 않지만 2002년 98.5백만toe를 소비하여 전세계 석탄소비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2002년 석탄소비가 각각 105.3백만toe, 49.1백만

toe로 양국이 전세계 소비량의 6.4%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6) DOE/EIA, Interantional Energy Outlook 2003, (May 2003)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43

<표 2-23> 석탄 소비 현황

(단위 : 백만toe)

1992 2001 2002 2002년 점유율

중국 549.5 518.7 663.4 27.7%

러시아 154.7 110.2 98.5 4.1%

일본 78.0 103.0 105.3 4.4%

한국 23.6 45.7 49.1 2.0%

계 2,202.8 2,243.1 2,397.9 100.0%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일본, 한국의 최근 석탄 수요의 증가에 따라 석탄 수입도 증가해 왔다. 이는 전력

수요의 증가에 의한 석탄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1998년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 후퇴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국가의 수입석탄 수요는 전력수요의 증가로

증가했고 앞으로도 일정기간 동안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의 [그림 2-3]은 부

분별 석탄소비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2-3] 세계에너지 소비에서 부분별 석탄 점유율 변화(%)

33.9

23.8

31.0

16.4

21.7

17.5

0.0

10.0

20.0

30.0

40.0

전 력 부 문 기 타 계

2001 2025

자료 : DOE/EIA, International Energy Annual 2001, (March 2003)

석탄이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3.8%인데 이를 부문별로 보면, 전력부분의

경우 석탄의 점유율이 34%로 높은 비율을 유지하며, 다른 부문에서는 점유율이 18%

44

에 불과하다. 이러한 전력부문의 석탄의 점유율은 2025년이 되는 경우에도 31%로 유

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체 석탄 소비의 55%가 발전 부문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속되어 장래에 석탄은 발전용 연료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할 전망

이다.

나. 국제 석탄 시장의 특성

1) 석탄시장의 과점화 경향

세계의 석탄광업계는 과점화가 진행되고 있어 2000년 석탄 생산기업 상위 10개사

의 석탄생산 합계는 852백만톤으로 세계에서 생산되는 석탄의 23.4% 점유하고 있고,

세계 석탄시장에 공급하는 양은 183백만톤으로 전체의 31.8%를 점유하고 있다. 인도

와 중국의 국 기업에 의한 생산량을 포함할 때, 그 점유율은 60%에 미친다. <표

2-24>는 세계 상위 10개사와 중국, 인도의 국 회사의 석탄 생산량 및 수출량을 나타

내고 있다.

<표 2-24> 세계 상위 10개사의 2000년 석탄 생산과 수출

기업명 국적 생산(백만톤) 수출량(백만톤)생산량중

수출비율

Peabody 미국 176.1 10.5 6.0%

Rio Tinto 국 132.0 25.4 19.2%

Arch Coal 미국 106.3 4.0 3.8%

RAG 독일 97.0 7.0 7.2%

Billiton 국 68.6 34.0 49.6%

Angl 국 64.8 23.1 35.6%

Consol 미국 63.1 9.0 14.3%

BHP 호주 54.1 35.0 64.7%

Sasol Mining 남아프리카 50.9 3.5 6.9%

Glencore 스위스 39.1 31.0 79.3%

10사 합계 852.0 182.5 21.4%

전세계 총계 3,638.7 573.6 15.8%

10개사 점유율 23.4% 31.8%

10개사+중국, 인도 2,333.0 237.5 10.2%

10개사+중국, 인도 점유율 64.1% 41.4%

자료 : OECD/IEA, Coal Information 2001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45

각국의 석탄생산량에서 차지하는 세계 상위 10개 기업의 생산량 점유율은 주요 석

탄 생산국에서 매우 크다. 남아프리카에서는 석탄생산량의 87%를 Billiton, Angl,

Glencore, Sasol Mining 4개가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2000년 석탄생산량의

51%를 Peabody, Arch Coal, Rio Tinto, BHP, RAG, Consol 6사가 차지하고 있다. 호

주의 경우 석탄수출을 상위 10개사에서 거의 독점하고 있어 그 점유율 합계가 80%

를 넘고 있다. 이러한 과점화의 경향은 낮은 석탄가격에 기인해 구조개편을 한 향

도 크다.

2) 석탄회사들의 구조개편 노력

일반탄의 지표가격이 1996년 U$40.4/톤에서 2000년 U$28.8/톤으로 4년간 계속 하

락하 다. 이렇게 석탄가격이 낮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석탄회사들이 구조개편 및 대

응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 석탄가격의 하락에 따른 탄광의 수익성이 악화되어 생

산비용을 저감할 수 없는 탄광은 폐쇄되었으며 새로운 투자가 억제되고 있고, 생산

성 향상, 비용 감소, 기술개발 등에 노력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석탄회사

의 과점화가 진행되고 있다.

호주의 경우 노동조합의 힘이 강하여 노동생산성 향상에 저해가 되고 있었는데,

1997년 직장관계법(The Workplace Relations Act 1996)을 시행한 후, 많은 노동관행

및 제한의 간소화 등을 통하여 유연한 노동시장을 이룩하여 노동자 1인당 생산성 향

상을 도모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철도는 주정부의 독점사업이었으며, 철도요금이 석탄의 FOB 비용의

1/4∼1/3 가량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민 화 등을 통한 경쟁도입으로

철도요금의 저하를 통한 비용감소에 노력하고 있고 노천굴의 경우에는 생산지역의

심부화에 따른 박토 처리량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중기의 대형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석탄산업의 재편과 집중이 추진되어 캐나다의 석탄수출산업은

Fording, Luscar, Teck 3회사로 집약되었고, 1998년 캐나다 서부탄의 생산량의 95%를 3

개 회사가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상위 10개 회사의 시잠점유율은 1998년 35%에서 99

년 63%로 급증하 으며, 특히 상위 5개 회사의 점유율은 전체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46

호주의 경우 상위 5개사의 생산능력의 전생산량에 대한 비율이 94년 44%에서 99

년 61%로 증가하 다.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 석탄 생산 및 소비자로서의 중국에 큰

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은 최근에 석탄의 수출에 큰 관심을 가지고 동북아 지역

에 수출을 꾀하고 있는데, 중국의 국 석탄회사의 구조개편은 동북아 석탄시장에 큰

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3) 석탄시장의 공급불안 위험

석탄의 경우 R/P 비율이 204년에 달하는 막대한 매장량을 가지고 있고, OECD 국

가 점유율이 총매장량의 45.3%, 총생산의 42.2%, 총소비의 46.6%로 비OECD 의존율

이 낮아 국제 석탄시장에서 OPEC과 같은 카르텔의 등장 가능성은 희박하다. 수출입

에 있어서도 OECD 수출이 세계수출의 51%(2001년 기준)를 점유, 수입은 세계수입의

70%를 점유하여 수출 점유율보다 19% 포인트 높으며, OECD의 수출과 수입의 물량

차이는 119백만 톤이다.

또한 주요 수출국의 지정학적 다양성 및 정치적 다양성(호주, 미국, 남아공, 중국,

인도네시아, 폴란드, 콜롬비아 등)이 존재하며, 생산 중 국제거래 물량의 비율이 17%

수준에 불과(석유 59%, 천연가스 22%)하다. 또한 석유, 가스 등 손쉬운 대체재가 존

재하고 있어 국제시장의 공급불안이나 가격불안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하지만 1980년을 전후하여 제2차 석유파동과 함께 석탄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항

에서의 병목현상(bottleneck) 등으로 공급에 일부 애로가 발생하고, 가격이 상승한 바

있지만, 이후 국제 석탄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서유럽, 동유럽의 국가들과 러시아는 석탄수요가 천연가스로 대체되면서 석탄의

점유율이 크게 감소하고 있지만, 많은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는 국가에너지 시장에

서 주종 연료로 석탄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고 미국, 일본, 호주

등의 국가는 석탄사용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어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석탄의 점유

율은 조금 감소하기는 하지만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47

다. 중국

1차 석탄수요는 지난 30년 동안 매년 4.3% 증가하 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될 전

망이지만 그 속도는 낮아질 것이다. 중국의 석탄 소비는 2000년에서 2030년 사이에 평

균 2.2% 증가하여 2030년에 2십억톤에 도달할 것이다. 이런 증가의 대부분은 전력발전

에 사용될 것이며, 철강산업의 코크스 같은 산업용 수요도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다. 주거부문과 상업부문의 최종 석탄소비는 전망기간동안 큰 변화가 없을 것이다. 최

근에 중국석탄 소비의 상승 경향의 변화는 수요에 관한 전망에 불확실성을 주고 있다.

1990년대 중반이후 중국의 석탄 수요의 감소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중국

의 장래 에너지 소비와 CO2 배출에 대한 불확실성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몇 가지

요인이 이러한 쇠퇴를 기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회사의 합병이 규모의 경제를 증가시키고 에너지 필요를 감소시켰다. 1996

년 산업용 석탄소비의 거의 70%를 담당하고 있던 철강, 시멘트, 비료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비효율적인 공장을 폐쇄하 고, 석탄소비를 줄 다. 증가된 경쟁이 또한 국

기업이 에너지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 다. 석탄의 품질의 증가는 같

은 양으로 열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석탄의 양을 줄이게 되었다. 공식적 자료는 이

런 요인에 대한 설명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

로 추정된다. 환경보존정책의 강화로 비효율적 공장이 문을 닫고 에너지를 좀더 효

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 으며 도시지역의 주거용, 상업용 소비자는 석탄을 석유제

품과 가스로 대체하 다. 1998년 이후 정부는 47,000개 이상의 소규모 석탄 광산을

안전과 환경적 이유로 폐광하 다. 몇 개의 민간 광산이 불법적으로 다시 채광하

지만 그 산출량은 더 이상 공식적 자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중국은 국내에 전세계의 확인 매장량의 12%인 114십억톤의 석탄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매장된 석탄의 83%가 보일러용 석탄(steam coal)이고 나머지

는 코크스와 가스석탄(gas coal)이다. 석탄생산은 1980년과 1996년 사이에 2배 이상이

되어 620Mt에서 1,402Mt가 되었다. 하지만 소규모 광산의 폐광, 국내 수요의 감소

등으로 다시 1,231Mt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중국은 아직까지 세계 최대 석탄 생산국

으로 2000년 전세계 생산의 27%를 생산하고 있다.

48

중국의 석탄 생산의 노동생산성은 국제적 기준에서 매우 낮지만 가장 비효율적인

광산의 폐광으로 인하여 점차 개선되고 있다. 정부는 초과공급을 없애고, 건강과 안

전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1998년에 석탄 폐광과 관련된 중요한 프로그램

을 시작하 다. 2000년 말 정부는 47,000이상의 오염물질 배출이 많고 위험한 소규모

로 손실을 보고 있는 대부분의 광산을 폐쇄할 것을 발표하 다. 이러한 광산 중 일

부는 아직도 운 되고 있는데 이는 폐광시 문제가 되는 일부 지역의 고용창출이나

소득 창출 효과 때문이다.

석탄 매장량중 채광이 가능한 깊이는 150미터로 제한되어 있어 앞으로의 생산은

높은 비용을 초래하는 깊은 지하에서 채광하는데 중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거대한

새로운 광산 몇 곳에서 몇 년 안에 생산을 시작할 것이다.

정부는 최근 들어 석탄 수출을 증가할 계획이다. 대부분 보일러용 석탄이 차지하

는 석탄 수출은 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의 낮은 가격 때문에 1999년 37Mt에서 2001

년 91Mt로 증가하 다. 이중, 한국이 중국 수출의 60%를 수입하고 있다. 1998∼2001

년 중국의 석탄 수출은 1998년 36Mt에서 2001년 100Mt로 178% 증가하 으며, 2002

년 동안 석탄 수출은 97Mt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정부는 석탄 수출 할인 및 수출 출

하요금 감소 등으로 석탄 수출을 장려하고 있고, 최근 중국 정부의 전망에 따르면

2005년까지 132Mt로 석탄수출을 계획하고 있다.

중국의 석탄산업이 전망된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속적으로 수출을 확대할 수

있을지는 확실치 않다. 현존하는 대규모의 탄광이나 새로운 프로젝트에 해외 투자를

도입하여 석탄부문을 개방하는 구조개편의 수행이 중국의 장기적 생산 전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해외의 참여는 석탄의 액화나 탄층메탄 생산, 새로운 현탄액(slurry)

파이프라인 운송 같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음에는

환경에 도움을 주고, 어느 정도 석탄 관련 액화 연료가 수입된 석유를 대체하여 에

너지 안보를 높일 것이다.

정부는 또한 석유, 가스 부문의 경우처럼 몇 개의 대규모 기업을 만드는 식으로

일련의 석탄산업의 구조 개편을 진행할 계획이다. 새롭게 만들어진 기업은 CNPC,

Sinopec, CNOOC 등처럼 국제 증권시장을 통한 해외 자본 유입을 추구할 것이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49

그렇지만 재산법 등의 법규와 이익의 처분에 대한 규제에서의 중요한 변화가 투자자

를 유인하기 위해서 필요할 것이다.

홍콩은 이미 많은 양의 석탄을 호주에서 수입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수입 관세가

감소하고, 국내 석탄에 대한 가격 보조가 없어진다면 해안지방의 경우 수입된 석탄

은 경제적일 수 있다. 석탄의 일반적인 수송수단이 철도는 이미 거의 한계용량에 달

하고 있다. 이것이 해상수송 석탄수입을 해안지방에 경우 국내 공급보다 더욱 경제

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림 2-4] 중국의 부문별 석탄소비 전망

[표 2-4]는 중국의 부문별 석탄 수요를 나타내고 있다. 석탄수요는 전망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 659Mtoe에서 1,278Mtoe가 될 전망이다. 그중에서 발전

용 석탄수요의 증가가 가장 큰데, 2000년 석탄수요의 47.6%가 전력부문에서 소비되

었다. 이러한 전력부문에서의 석탄소비의 증가는 계속되어 2030년에는 발전용 석탄

소비는 849Mtoe로 중국 석탄수요의 66.4%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 러시아

러시아의 석탄수요는 1992년 316Mt에서 1998년 219Mt로 급격하게 감소하 다. 하

50

지만 이러한 감소경향은 1999년에 반전되었다. 1차에너지에서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

은 2030년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석탄수요의 증가도 매년 0.4%에 불과할 전망

이다. 석탄수요의 증가분의 거의 2/3은 발전에 사용될 것이며, 철강업에서의 사용에

의한 산업부문 석탄 수요만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러시아는 세계 석탄매장량의 16%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2000년 세계 석탄생산

의 5%를 생산하고 있는 5번째 석탄 생산국이다. 러시아는 오랜기간 동안 주로 석탄

노동자들에게 지원형태로 석탄산업을 보호해 왔다. 노동생산성은 국제적 기준에 비

하면 낮은 편이다.

1990년 석탄수출은 급격히 감소하 지만 2000년에 와서 35Mt로 회복되었다. 그러

나 러시아 광산의 위치와 석탄의 낮은 품질이 수출가능성을 저해하고 있다. 2000년

석탄수출의 55%정도가 유럽이고, 20%가 아시아 다. 현재의 항구 시설로서 러시아는

몇 년 동안 8%∼10%이상의 석탄 수출은 증가하기 어렵다. 전망기간 동안 러시아의

기반시설의 제약과 다른 석탄 수출국과의 경쟁 등으로 러시아의 석탄 수출은 안정적

인 상황을 유지할 것이다.

“2020년까지의 러시아 정부의 에너지 전략(Energy Strategy of the Russian

Federation to 2020)"에 러시아 정부는 약 270Mt의 현재 생산 수준을 앞으로 증가할

계획을 세웠다. 매장량이 앞으로 몇 십년동안 국내 수요를 충당하기 충분하기 때문

에 석탄생산의 증가는 기반시설구축, 새로운 투자 유치, 가격개편, 러시아 석탄 수출

의 잠재력 등에 달려 있다.

마. 한국

한국은 1970년대 석유위기 이후 석탄 사용을 크게 확대했는데, 이러한 증가의 대

부분을 발전과 산업부문에서 소비하고 있다. 1970년대 주거부문에서 사용되던 석탄

을 가스와 전력이 대부분 대체하 다. 석탄수요는 2000년에서 2030까지 매년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부문에서 석탄 소비 비중은 1990에 23%에서 2000년에 63%로 급증하 다. 이

러한 발전용 연료믹스의 변화는 천연가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의 석탄가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51

격에 기인한다. 이러한 석탄사용 패턴의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2030년 약 72%의 석탄이 발전부문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19년째 생산이 지속되고 있는 저급의 무연탄의 경우만 조금 매장량이 있을

뿐 거의 대부분의 석탄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지속적으로 비

효율적인 석탄광산을 폐광할 예정이다.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 보일러용 석탄

(steam coal)과 코크스(coking coal) 수입국이다. 국제석탄시장은 경쟁적이고 가격이

안정적이고 석탄은 전세계에 걸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안정적인 자원이다. 한국

은 역사적으로 호주에서 대부분의 석탄을 수입하 지만 지리적인 이유와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수출 정책에 의하여 중국에서의 수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

로 중국에서의 수입이 증가될 전망이다.

바. 일본

일본은 세계 최고의 석탄 수입국으로 2001년 171Mt의 석탄을 수입하 다. 그 수입

의 대부분을 호주에서 하여 호주산 석탄에 대해서 가장 큰 단일 시장이다. 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의 호주산 석탄수입의 증가가 더욱 빠르지만 최대 호주산 석탄 수입국으

로의 일본의 위치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호주 석탄산업은 경쟁압력과 기술변

화에 따른 생산성 증가를 목표로 합병, 경 합리화 등을 진행하고 있고 중국도 중

국 정부의 지원, 수출 가격, 운송 거리 등으로 인한 것으로 전망기간 동안 중국이 아

시아에 수출하는 비중은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앞으로 아시아 석탄 시장에

호주와 중국의 경쟁이 증가될 전망이다.

일본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석탄을 대부분 호주에서 수입하며, 그 절반을 철강산

업에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발전부문에서 사용되며 석탄은 전체 전력 공급의

25%를 담당하고 있다. 일본에서 2001∼2010년 사이에 16GW의 신규 석탄발전소가

건설될 계획이다. 이는 앞으로도 발전부문에서 석탄의 역할이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일본은 세계 제1의 수입국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1980년에 85%에서

1990년에는 48%, 2001년에는 48%로 시간이 지나면서 아시아 석탄 총수입에서 차지

52

하는 일본의 비중은 점점 감소해 왔지만, 2025년에도 세계 총 수입의 24%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어 예전보다는 지배적이지 않지만, 일본의 철강 및 전력산업은 연간

가격 협상을 통해 아시아의 석탄 시장에 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3. 천연가스

가. 천연가스 매장량 및 수급 현황

1) 매장량

전 세계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은 2002년 말 기준 155.78tcm이다. 가스 확인매장량

은 과거 10년간 연 평균 1.2%씩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석유매장

량의 증가추세(0.2%)를 압도하고 있으며, 꾸준한 가스탐사 성공과 기존 가스전에 대

한 재평가 작업에 기인하여 매장량이 증가하고 있다.

<표 2-25> 2002년말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 점유율 및 R/P비율

확인매장량(tcm) 점유율(%) R/P 비율

중국 1.51 1.0 46.3

러시아 47.57 30.5 21.7

전세계 155.78 100.0 60.7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전 세계 가스 확인매장량의 70%가 중동과 구소련에 분포되어 있다. 북미와 유럽지

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의 확인매장량이 10년 전에 비해 늘어났으며, 특히 중동

지역의 확인매장량의 증가가 두드러진 반면, 러시아의 경우는 탐사활동에 대한 투자

의 부족으로 인하여 정체상태에 있다. 동북아 지역의 경우 러시아의 매장량이 30.5%

의 점유율을 보여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매장량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경우는 매장

량이 1.51tcm으로 점유율이 1.0%에 불과하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53

2002년말 기준 매장량과 생산량을 기준으로 본 전세계 천연가스의 R/P 비율은

60.7년으로 1992년 기준시의 R/P 비율(67.6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생산의 증가가 확

인매장량 증가보다 더 높았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R/P 비율은 81.2년으로 전세계 평

균보다 높고 중국은 46.3년으로 전세계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천연가스 자원은 중장기적으로 공급제약이 없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현재 밝혀진

확인 매장량의 두 배 수준인 약 300tcm의 가스자원이 미확인 매장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부 잠재 가스전은 소비지로부터 먼 지역, 수심이 깊은 바다 및 생산 경제성

의 한계를 벗어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공급을 위해서는 생산기술이

더 발전되어야 하고 경제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2) 천연가스 수급현황

천연가스 매장은 전세계적으로 풍부해서 세계 가스수요의 증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지만, 지역간의 매장분포도는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시장별로는 수요 규모

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표 2-26> 천연가스 생산 현황

(단위 : bcm)

1992 2001 2002 2002년 점유율

중국 15.1 30.3 32.6 1.3%

러시아 597.4 542.4 554.9 22.0%

전세계 2,045.2 2,493.3 2,527.6 100.0%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2002년 기준 전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은 2,528bcm이었다. 동북아 지역에서 러시아

는 전세계 생산량의 22.0%를 생산하여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하

지만 러시아는 90년대 계속 생산이 저조해 92년의 597.4tcm에 계속 생산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생산이 증가되고 있어 2002년은 1992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32.6bcm을 생산하고 있지만 그 생산량은 전세계 생산에서

54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하다. 한국과 일본은 가스 생산이 없고 거의 전량을 해

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세계 가스 수요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소비증가율이 높은데 1992년 소비는

2,040.1bcm에서 2002년 2,535.5bcm으로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2.2% 증가하고 있다.

다음의 <표 2-27>은 동북아 국가들의 천연가스 소비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표 2-27> 천연가스 소비 현황

(단위 : bcm)

1992 2001 2002 2002년 점유율

중국 15.1 27.8 30.1 1.2%

러시아 417.3 372.7 388.4 15.3%

일본 56.0 79.0 77.4 3.1%

한국 5.1 23.1 26.2 1.0%

전세계 2,040.1 2466.3 2,535.5 100.0%

자료 : BP, Energy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03).

전세계의 2002년 수요 증가는 2.8%로 10년 동안의 연평균 증가율보다 높으나 동북

아 지역의 경우 일본만 전년에 비해 2.0% 수요가 감소했고 중국, 러시아, 한국이 각

각 8.0%, 4.2%, 13.4%라는 높은 소비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소비 증가는 앞

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CEDIGAZ에 따르면 세계 천연가스 수요는 연평균 3%이상

의 꾸준한 증가를 할 것이며, 2010년에는 3,280∼3,450bcm에 달하며 1차에너지중 천

연가스의 수요비중은 2000년의 24.2%에 비교해서 2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요

증가 요인은 천연가스는 화석연료중 가장 청정한 연료여서 환경부담의 증대에 이상

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는 조세 수단의 사

용 증가가 가스산업에 큰 향을 미쳐 에너지 소비구성에서 에너지원간의 역할을 재

분배하는 것 등이다.

원자력은 주민의 수용거부 및 금융부담으로 성장에 제약을 갖고 있으며, 석탄은

배출기준의 강화의 향으로 성장이 연간 2%이하로 완화된 상태이고 석유는 2020년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55

까지 연간 2%로 성장하겠지만, 전통적인 난방부문과 발전연료부문에서 가스로 대체

될 전망이다.

나. 국제 가스시장의 시장의 특성

1) 새로운 시장참여자의 출현

현재 아시아와 유럽에서는, 1990년대 미국과 국에 나타났듯이, 규제완화와 산업

구조개편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 한국의 전력 및 가스부문의 급격한 구조변화는 새

로운 시장참여자의 출현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LNG 구매자들이

갖고 있던 호혜적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분배회사가 대규모 소비자에게

가스를 판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시장 참여자가 발생하고 있고,

경쟁이 촉진되고 있다. 또한 LNG 구매자의 구매 포트폴리오도 지리적으로 다양하고

분산하게 되었다.

유럽에서는 시장공개의 절차가 최종단계에 와 있다. 시장참여자들의 지위와 관련

한 구조변화의 특성은 새로운 참여자에 유리하도록 시장점유율을 재분배하는 것과

가스수요를 미세화 하는 것이다.

2)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협력증진

가스시장의 새로운 변화에 긍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협력관

계가 요구되고 있다. 1990년대 말에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발생했던 금융위기로 인해,

Take-or-Pay에 의한 LNG 장기계약의 위약성이 나타났다. 장기계약은 공급조절의 신

축성이 낮아 수입국의 수요에 부응할 수 없었으며, 그 당시 활발히 추진된 에너지부

문에서의 구조개편 때문에 수입국들은 수요변화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는 수급체계를

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장기계약을 통해 수요자에 대한 공급 안정화와

생산자에 대한 신규프로젝트의 금융문제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삼고, 일부는 중단기

계약으로 구성하여 수요의 변화에 맞춰 공급을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혼합적인 도입

구조가 선호되었다.

56

3) 기술적 문제의 해결 및 비용절감

가스기술의 발전은 가스연관 산업의 비용을 절감하고 대체에너지에 대한 천연가스

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가스산업의 성장에 있어서는 필수적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장거리 수송부문에서의 기술발전은 천연가스의 자연적 특성이 안고 있는

장애를 경감시키고 있어, 이러한 기술발전은 프로젝트 개발 투자와 LNG 연관 산업

전체의 비용 절감에 향을 미치고 있다.

액화설비의 1 트레인당 능력이 1990년대 3.5백만톤/년에서 현재 4.5백만톤/년으로

급격히 증가한 것은 액화기술의 비용절감에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따

라 액화기지의 평균적인 단위투자비도 1980년대 350달러/톤/년에서 1990년대말에는

250달러/톤/년으로 하락했으며, 현재 추진되는 신규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200달러/

톤/년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135,000㎥급의 LNG 수송선 한 척의

건조비용은 1990년대의 평균 2.5억 달러에서 2001-2002년에는 1.6억 달러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 결과 중동지역의 천연가스를 극동아시아로 공급하는 전형적인 LNG 프로젝트

의 경우, 도입국 공급망 인입점에서의 LNG 비용이 1990년의 3.5∼4.1 달러/MMBtu

에서 2000년 2.8∼3.4 달러/MMBtu로 급감되었다.7)

4) 새로운 천연가스 이용기술의 개발

파이프라인과 LNG에 의한 천연가스 유통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2001

년에는 물동량이 680bcm에 달하 다. 가스 매장지역과 대규모 소비지역과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세계의 가스거래물량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2010년까지는

파이프라인과 LNG의 물동량이 1조㎥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높은 수송비용은 파이프라인과 LNG 수송선과는 다른 새로운 거래방식을 모색하

게 하는데, GTL 공법에 대한 관심이 석유가격의 추세에 따라 부침을 하고 있지만

향후 가스거래 성장의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와 관련한 몇 가지의 프로젝트들

이 현재 고려 중에 있다.

7) 기화비용(0.5∼0.8 달러/MMBtu)을 포함한 비용임.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57

이 프로젝트들은 가스에 대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며 가스이용 가능성(석

유제품, 윤활유, 올레핀)을 확대하는 것이며 발전소에 경제적인 연료원(메탄올, 디메

틸에테르)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장거리 수송 및 중대규모 가스수송에 대해서, 특히

거리 때문에 파이프라인이나 LNG수송이 불가능하 던 지역에 GTL 전환은 잠재력이

큰 대안이 될 것이다.

다. 중국

천연가스의 소비는 전망기간동안 2000년 32bcm에서 2010년 61bcm, 2030년

162bcm으로 거의 다섯 배가 증가할 것이다. 1차에너지 공급에서 가스의 비중은 이러

한 급격한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2030년에 7%에 불과할 것이다. 이러한 예상은 공

급비용 등의 문제로 상당히 불확실하다. 또한 가스 유전을 개발, LNG 기화시설의 건

설, 통합된 국가 운송 네트워크 건설할 자금의 조달 가능성 등에 달려 있다 발전부

문에서의 석탄과의 경쟁 또한 가스 수요 증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중국의 가스자원의 매장량은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제한된 탐사 때문에 불확실하

다. 확인가스 매장량은 2000년 초 2.3tcm이었다. 하지만 이중에서 1tcm만이 경제적으

로 가치가 있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가스를 포함한 총 매장량은 50.6tcm으로 추정되

며 그중 13.3tcm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총매장량의 약 59%가 서부 지역과 중앙지역에 매장되어 있다. Tarim,

Sichuan, Ordos 세 지역이 총 가스 자원의 52%를 보유하고 있다. Sichuan은 2000년

국가 가스 생산 30.5bcm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Tarim, Ordos, Qinghai,

해양 유전에서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Xinjiang 지방의 Tarim의 북동부에

200bcm의 매장량을 발견하 다고 발표하 다. 서부의 생산지역에서 동부의 잠재적

시장과 연결하는 것은 장거리 운송 파이프라인의 건설을 필요로 하고 분배 네트워크

의 확장을 요구한다.

따라서 서부의 Tarim이나 중국 중앙의 Ordos에서 Shanghai로 가스를 운송하는

4,000km의 동서 파이프라인은 국가적 가스시장을 설립하고자 하는 국가 계획의 중심

이다. 이것은 빈곤한 서부지역과 중앙지역의 경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 기반

58

시설 건설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매년 12bcm의 용량을 가질 파이프라인의 건설에 6

십억불의 비용이 들것으로 예상되지만, 파이프라인 네트워크와 연결하려는 상류와

하류 설비에 대한 투자는 20십억불의 비용이 들 것이다. CNPC의 중요한 운 자회사

인 PetroChina와 Royal Dutch Shell에 의해 구성된 컨소시엄8)이 파이프라인을 건설

할 것이다. 프로젝트의 시작은 2002년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Sichuan의 Changqing

가스유전에서 Shanghai로의 가스 이동은 2004년에 시작될 것이다. 하지만 발전소나

대규모 산업체 등의 대규모 소비자들의 사용에 대한 공약 등을 통해 프로젝트를 경

제성이 있도록 하는 것, 어려운 지형을 통과하여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기술적 문

제 등은 아직 극복해야 할 문제들이다.

이러한 동서파이프라인의 건설은 중국의 지역간 경제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 중국의 지역간 소득과 경제구조에는 큰 차이가 존재하여

북경이나 상하이 같이 발전된 도시지역은 경공업이나 서비스업, 행정활동에 집중하

여 다른 지역에 비해 에너지 집약도가 낮다. 중국의 산업지역인 북동지역은 1999년

북동지역의 총 산업생산의 거의 80%를 에너지 집약적 중공업이 차지하고 있다.

Shandong이나 Guangdong 같은 해안지역은 최근의 경공업의 폭발적 성장과 FDI의

향으로 국가 평균보다 높은 1인당 소득을 보여주고 있다.

ADB9)에 의하면 1998년 서부지역의 1인당 GDP는 국가 평균의 2/3이고 중앙지역

의 80%이며 해안지역의 1/3에 불과하다. Guizhou의 1인당 소득은 Shanghai의 단지

8%에 불과하다. 80백만명의 극빈층의 절반 이상이 서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내륙지역의 지역적 고립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부는 내륙지역에서 천연자원을 이용

하는 것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계획을 소위 “서진정책(Go West)”이라고 한다.

Shanxi와 내몽골에는 석탄이 풍부하고, Shanxi와 Xinjiang, Sichuan에는 천연가스가

많이 매장되어 있고, 수력은 Sichuan과 Guizhou에 풍부하다. 정부는 이러한 자원을

이용할 광대한 시설 계획을 세우고 있다. Xinjiang의 Tarim Basin과 상하이의 시장을

8) PetroChina가 2002년 6월 컨소시엄 계약에 의하면 50%의 지분을 보유할 것이다. 파이프라인 허가

권(concession)은 45년간 지속될 것이다.

9) ADB(2000), Country Economic Review: People's Republic of Chin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59

연결하는 4,000km의 동서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가 이러한 계획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중․서부 지역에는 150,000km의 새로운 도로와 955km의 철도를 건설하고 있

다.

정부는 서진정책(Go West Policy)이 많은 편익을 창출할 것을 믿는다. 석유와 가스

의 생산이 석탄을 대체하여 국가에너지 안보를 증진하고 환경적 이익을 가져올 것이

다. 에너지공급 시설에 대한 투자는 또한 개발이 지연된 지역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득을 높일 것이다. 하지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필요한 투자를 동원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지역간(inter-provincial) 교역에 시장 장벽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림 2-5] 중국의 천연가스 밸런스 전망

순수입

수입의존도(%)

(%)

중국의 가스생산은 2000년 30bcm에서 2010년 55bcm, 2030년 115bcm으로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동서 가스 파이프라인과 다른 국내 프로젝트가 진행되어도 중국은

예상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대규모의 가스를 수입해야 할 것이다. [그림 2-5]

를 보면 천연가스 생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수요가 더욱 빠른 증가하여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천연가스 수입에 따른 수입의존도는 1990년에는 0% 으

나 점차 상승하여 2030년에는 거의 30%에 도달하게 될 전망이다. 단기간에는 남동아

시아와 중동에서 대부분을 수입하지만, 2015년 이후에는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

60

들에서 수입할 것이다. 이러한 국가들로부터 2030년까지 중국의 가스수입의 거의 반

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년초 중국 정부가 LPG 수신터미널 건설을 승인한 후 LPG 형태로 수입하는

계획이 제안되었다. 홍콩에 북쪽 Guangdong에 초기 용량이 3Mt/년으로 터미널이

건설될 것이다. 2002년 중국과 호주는 25년 동안 오스트리아의 북서 shelf 프로젝트

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하 다. 처음의 가스 수입은 2005년에 시작될

것이다. 장기적으로 중국은 러시아 시베리아의 Irkutsk의 Kovykta 가스유전에서 파이

프라인은 통하여 가스를 수입할 수 있다. 이 가스파이프는 한국, 일본까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라인에 대한 중국의 관심은 동서 가스 파이프라인에 대한 전망 때문에

1990년대 말 이후로 약해지고 있다. Irkutsk의 실재 매장량에 대한 회의와 유전의 개

발비용, 파이프라인 건설비용 또한 중국의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줄이고 있다. 아

직까지 Irkutsk 가스는 중국의 동서 가스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가스가 Shanghai에 운

송되는 것보다 낮은 비용으로 가능하다. 만일 Irkutsk의 파이프라인이 건설되면 러시

아는 이미 유럽시장에서처럼 아시아 시장에서 중심 공급국가가 될 것이다.

Turkmenistan이나 Kazakhstan 같은 먼 해외지역에서의 파이프라인은 이미 제안되었

지만 20년 내에는 진행될 수 있기 힘들게 된다.

라. 러시아

러시아의 에너지 믹스에서 현재의 천연가스의 지도적 지위는 앞으로 더욱 공고해

질것으로 전망된다. 1차에너지에서 차지하는 가스의 비중은 2000년 52%에서 2030년

56%로 상승할 것이다. 또한 최종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현재의 27%에서 2030

년에 32%로 상승할 것이다. 1차에너지에서 가스의 증가분의 대부분은 전력부문에 사

용될 것이다. 발전용 연료에서 가스의 점유율이 2000년 42% 던 것에 비해 2030년에

는 60%로 급증할 것이다.

2001년 초 러시아의 확인 및 예상 가스 매장량은 Cedigaz에 따르면 46.6tcm이었

다. 러시아는 세계 확인 천연가스 매장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서시베리아는

37tcm으로 국가 전체의 매장량의 79%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61

거대한 가스 유전이 존재할 것이다. 대륙붕에 4tcm이 있으며, Gazprom은 전체의

73%에 해당하는 34tcm의 가스에 대한 탐사권을 보유하고 있다. Gazprom의 60% 정

도의 매장량은 주로 서시베리아의 Nadym-Pur-Taz 지역 유전에 있다. 1990년대 탐사

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가스 매장량이 다소 감소하 다. 하지만 아주 보수적으로

추정하여도 러시아의 가스 생산은 2000년과 같은 속도로 40년 이상을 지속할 수 있

을 것이다.

가스생산은 1990년 640bcm에서 상류부문의 투자감소와 국내 수요의 하락으로 인

하여 2000년에 583bcm으로 감소하 다. 러시아의 주요 가스 생산 유전은 2000년 러

시아 가스 생산의 85%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서시베리아에 있으며, 약 30%가 고갈

되었다. 세 개의 거대유전인 Medvezh'ye, Yamburg, Urengoy에서의 생산은 지속적

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Gazprom은 이러한 생산 감소를 2001년에 시작된

Zapolyarnoye 유전과 Nadym-Pur-Taz 등의 새로운 지역에서의 유전에서의 생산에

의하여 상쇄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Gazprom은 Yamal에 총 30십억불 규모의 유전개

발을 계획하고 있다.

Gazprom은 자회사인 Gazexport를 통하여 서유럽에 가스를 수출하는 유일한 러시

아의 회사이다. 1990년대의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럽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고 이제는 러시아 총생산의 37%를 수출하고 있다. 2001년에 Gazprom의 생

산은 2000년의 5% 감소에 이어 2001년 2% 감소하 다. 하지만 러시아 총 가스생산

은 가스생산자(2001년 가스 생산의 6%), 석유회사(2001년 가스 생산의 6%)의 가스

생산 증가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더욱더 Gazprom을 제외한 생산자가 여

러 부분에서의 투명성의 향상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가스 시장에서 Gazprom의 위치는 너무나 확고해서 새로운 회사들

이 Gazprom과 경쟁하는 것은 극도로 어렵다. 하지만 연방에너지위원회(Federal

Energy Commission)에 의한 지속적인 구조개편, 각 회사의 시장 점유율 목표 등의

설정으로 새로운 회사에 경쟁에 유리한 점을 주려고 하고 있다.

거대한 자원아래 러시아 가스 생산은 전망기간동안 증가할 것이다. 러시아는 2030

년에도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충당하면서 세계 제일의 가스 수출국으로서의 지위를

62

유지할 것이다. OECD 유럽으로의 가스 수출은 2001년 총 110bcm이었다. 서유럽에

대한 수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요한 시장은 아시아이다. 이를 위해

Sakhalin-2 프로젝트는 LNG를 수출할 계획이며, Sakhalin-1 프로젝트는 일본까지 천

연가스를 수출하기 위해 해저 파이프라인을 건설할 예정이다. Kovykta의 Sibirian 유

전에서 중국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은 또 다른 가스 파이프라인을 통한 한국과 일본

에 수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과 아시아 OECD 국가들에 대한 가

스 수출은 2030년에 20bcm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유럽에 수출하는 양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지만 러시아의 잠재 시장을 다원화하고 수입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의 [그림 2-6]은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과 순수출을 나

타내고 있다. 러시아의 천연가스 밸런스를 보면 생산과 순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림 2-6] 러시아의 천연가스 밸런스 전망

소비

순수출

러시아의 총 가스 생산은 2000년 583bcm에서 2010년 709bcm, 2030년 914bcm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안 가정에 의하면 총수출은 현재 188bcm에서 2030년

280bcm으로 증가할 것이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63

마. 한국

1차에너지소비에서 가스소비는 매년 4.4% 증가하여 2000년 19.6bcm에서 2030년

70.2bcm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증가된 가스수요의 2/3 정도가 발전부문에 사용

되며 나머지 증가된 가스의 반이 거주 부문에서 사용될 것이다.

한국은 가스 매장량이 매우 제한되어 있어 국내수요는 지금 LNG 형태로 된 수입

을 통하여 충족되고 있다. 2000년 가스수입의 42%를 인도네시아, 22%를 카타르에서,

17%를 말레이시아에서 그리고 브루나이, 아랍 에미리트, 호주, 오만 등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최근 중동에서의 가스수입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모든 LNG 수입계획은 한

국가스공사에 의하여 체결되고 있다. 한국의 가스수요에서 한국의 남동부에 있는 동

해-1 유전(field)에서 2003년 상업적 생산을 시작하 지만 그 양은 미미하다. 향후

일본과 함께 러시아에서 파이프라인을 통한 가스 도입이 한국의 중요한 가스 정책이

다.

2000년 11월에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석유회사, 중국석유공사(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는 러시아에서 중국과 한국으로 가스를 운송하는 것의 가능

성에 대한 연구를 동의하 다. 한국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가스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에너지 공급안보를 증진시키는 프로젝트로 판단하고 있다.

확인매장량이 0.9∼1.1tcm이 있는 러시아의 Irkutsk 지역의 Kovykta 유전에서의 파

이프라인을 통한 가스운송에 대한 프로젝트로, 이를 위하여 4,000km의 파이프라인의

건설이 필요하다. 파이프라인은 두 가지 길이 있는데 하나는 몽골을 통과하는 것이

고, 다른 하나는 몽골을 우회하는 것이다. 이는 몽골과의 통과료에 대한 협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56인치의 파이프라인을 설치할 때 초기비용은 7십억불 정도로 추정

된다. 공급은 빨라야 2008년에 시작될 수 있는데, 여러 가지 문제들로 프로젝트의 완

성이 지연되고 있다. 여기에는 중국, 러시아, 한국간의 가스의 운송가격의 협상, 중국

의 동서간 파이프라인 계획 등이다. 중국의 자체 동서 파이프라인 건설계획은 중국

의 러시아의 가스 수요를 감소시키고 한국과 Irkutsk간의 원가를 상승시킬 것이다.

또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긴장도 추가적인 위험 요소이다.

64

한국가스공사의 구조개편을 포함한 가스부분의 구조개편 계획은 가스의 전망에 불

확실성을 준다. 구조개편계획은 전력 산업이 비슷한 계획을 채택한 후 1999년 11월

에 발표되었다. 구조개편계획에 의하면 한국가스공사의 민 화를 요구하고 있다. 하

지만 한국가스공사의 민 화와 가스산업 구조개편의 예정표는 매우 불확실하다. 세

부 계획들은 아직 해결해야 하고 한국가스공사의 부채(2001년 4.6십억불), 노동조합에

서 강력한 반대 등도 이러한 구조개편을 불확실하게 하고 있다.

바. 일본

일본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호주, 브루나이, 아랍 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미

국 알래스카에서 천연가스를 LNG 형태로 수입하고 있다. 2000년 수입은 72.3bcm으

로 세계 최대 가스 수입국이었다. LNG는 전망기간 동안 가스수요의 증가를 담당할

것이다. 일본은 이미 말레이시아와 2003년에 LNG를, 호주(NWSP)와 2004년에 LNG

를 수입할 것이다. 이러한 물량은 부분적으로 계약의 만료에 따른 수입 감소분을 보

충할 것이다.

러시아로부터 일본시장에 가스를 공급하는 두개의 주요한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

트가 있는데, Krkutsk의 Kovykta 유전에서 중국과 한국을 경유하여 연결하는 것과

Sakhalin유전에서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결하는 것이다. 아시아 태평양 에너지

연구센터(Asia Pacific Energy Research Center, APERC)의 운송비용 추정에 의하면

단기간에는 LNG와 경쟁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전력

가. 중국

중국의 전력소비는 증가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지지만 평균적으로 전망기간

동안 매년 4.2% 증가할 것이다. 최종소비에서 전력의 비중은 16%에서 26%로 급증할

것이다. 이러한 수요의 증가는 산업부문과 상업부문의 생산량 증가, 개인소득의 증

가, 석탄과 석유로부터의 대체 등에 의한 것이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65

전력발전은 2000년에 1,387TWh로 그중 78%를 석탄으로 발전하 다. 석탄이 전력

발전에서 중요한 연료로 계속적으로 남아있겠지만 그 점유율은 2030년에 73%로 감

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력과 가스에 의한 발전은 증가하여 2030년 총발전량 중

가스는 7%, 전력은 5%의 발전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표 2-28> 중국의 원별 발전 전망

(단위 : TWh)

1971 2000 2010 2020 2030

석탄 98 1,081 1,723 2,509 3,503

석유 16 46 51 53 54

가스 0 19 74 209 349

수소-연료전지 0 0 0 0 0

원자력 0 17 90 163 242

수력 30 222 333 511 622

기타 0 2 10 16 42

총계 144 1,387 2,282 3,461 4,813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중국은 2000년말 319GW의 발전용량을 가지고 있었다. 전력수요의 빠른 성장과 노

후한 발전소의 대체를 위하여 중국은 2030년까지 800GW의 새로운 발전 시설을 건

설하여 총발전용량을 1,087GW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새로운 발전시설의 건설에 800

십억불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

발전의 높은 석탄의존도는 전망기간에도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은 풍부

한 석탄자원을 가지고 있고 석탄발전소 건설비용이 낮기 때문에 대부분의 새로운 발

전시설은 석탄 발전소가 될 것이다. 석탄발전소의 용량은 2030년에는 지금보다 세배

증가하여 696GW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석탄발전소의 효율은 27%∼29% 사이

로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매우 낮다. 평균효율은 새로운 발전소가 좀더 효율적이

며 많은 소규모 비효율적인 발전소가 폐쇄될 것이기 때문에 전망기간동안 증가하여

2030년에 35%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의 <표 2-29>는 중국의 연료별 발전설

비의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66

<표 2-29> 중국의 연료별 발전설비 전망

(단위 : GW)

1999 2010 2020 2030

석탄 199 342 499 696

석유 21 22 22 23

가스 4 27 69 113

수소-연료전지 0 0 0 0

원자력 2 11 21 31

수력 73 112 171 209

기타 1 3 5 15

총계 300 517 787 1087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석탄발전소의 환경적 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부는 좀 더 엄격한 환경

규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는 중국이 청정 석탄 기술을 수입하

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천연가스 전력발전은 2000년 19TWh에서 2030년 349TWh로 증가할 전망이다. 가스

발전소는 2005년 이후 LPG가 수입되는 해안지방에서 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현재

매우 낮은 가스 발전 용량은 2010년 27GW, 2030년에 113GW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정부는 발전부문에 가스사용의 확대에 우선권을 두었다. 가스발전시장이 활성

화 되려면 동서 가스 파이프라인과 LNG 터미널 등의 건설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가스분배 네트워크의 개발이나 석탄에 대한 가스의 경쟁력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

재한다. 가스사용의 증가는 석유발전소에 대한 투자의 감소를 유도할 것이다. 석유발

전 용량은 거의 증가하지 않아 전력발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30년에 1%로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력발전은 1991년에 중국에 도입되었다. 발전용량은 현재 2GW에 이르러 2000

년 중국의 전력발전의 1%를 차지하 다. 긴 리드타임(lead time)과 높은 발전소의 자

본비용 때문에 발전용량은 2010년 11GW, 2020년 21GW, 2030년에 31GW에 머물 것

이다. 2030년에는 원자력발전에 의한 전력 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5%를 차지할 것이

다. 이러한 전망은 중국의 공식적 장기 계획인 2020년에 40GW 용량보다는 보수적이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67

다. 앞으로의 원자력발전의 확대는 국민들의 수용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

망된다.

중국은 풍부한 수력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Three Gorge Dam이 완성되면 총

18GW의 수력발전이 가능하다. 중국의 수력발전은 2000년 79GW에서 2010년

112GW, 2030년 209GW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러한 용량의 증가가 환

경적 문제와 사회적 문제로 인한 반대 때문에 달성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또한

서부 지역의 댐에서 멀리 동부의 시장지역으로 전력을 보낼 송전선의 건설비용에 대

한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앞으로 30년 동안 재생에너지원의 비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앞으로 전력망

이 없이 고립된 지역의 전력발전에서 역할이 증가할 것이다. 풍력발전은 가장 유망

한 기술이다. 그 용량은 2000년 0.4GW에서 2030년 12GW로 증가할 것이다. 지력, 태

양력, 바이오매스 공급도 2010년 이후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

지만 전체 발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30년에도 매우 작을 것이다.

중국은 1996년 시작한 Brightness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을 위한 태양 패널 및 풍

력 터빈의 사용을 저비용의 대출로 장려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는

2005년까지 8백만, 2010년까지 2천3백만의 국민들에게 태양력/풍력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중국정부는 풍력 발전에 대해 MWh당 $6~$7의 평균비용을 감소시

켜 부가세가 절반까지 절감된다는 것을 고지해 왔다.

중국정부는 최근에 전력부문의 구조개편의 새로운 단계를 시작하 다. 이러한 구

조개편은 효율과 서비스 질의 향상, 경쟁을 통한 비용 감소, 해외투자 유치 등을 목

표로 하고 있다. 경쟁입찰은 발전소를 판매하려는 발전사업자들에게 도입될 것이고

근대적 규제 시스템이 확립될 것이다. 경쟁 도매시장을 만들려는 시범적 프로그램이

1998년 몇몇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정부는 발전소와 송전자산의 공동소유가

초래하는 문제 때문에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지 않다. 새로

운 정부의 계획은 2002년 2월에 승인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배적인 국가 발전회사를 분리하고, 발전부문과 송전부문을 완전히 분리한다.

68

․송전망을 남부(Southern Power Grid Company)와 북부(State Power Grid

Company) 두개의 국 회사로 구성하여 각 회사가 어떠한 발전자로부터 전력을

구매할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국민의회(state council)에 규제의원회(national regulatory commission)를 만든다.

송전망과 배전망에 병목현상(bottleneck)은 중국의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중국

에는 14개의 지역적 전력망이 있는데, 각 지역은 행정적 경계에 의하여 정의되고 있

다. 단지 이러한 전력망 중 일부만 연결되어 있다. 발전시설에 대한 과도한 집중은

송전망이나 배전망에 대한 자금조달의 미비를 가져왔다. 현재의 발전에서의 초과 설

비를 없애려면 송배전망을 확대 증진시키는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효율적인 국내 자본시장 뿐 아니라 선진국의 투자가 필요하다. 전력부문 구조개편

계획은 결국 효율적인 발전소와 전력망 운 , 합리적인 가격, 발전소와 송․배전망간

의 효율적 자원의 배분을 기대하고 있다.

나. 러시아

전력 수요는 전망기간동안 매년 2.3% 증가하여 최종 에너지원중 가장 빠른 속도로

수요가 증가하는 에너지가 될 것이다. 수요 증가는 2010년대는 2%지만 2020년대는

3%로 성장 속도가 빨라질 예정이지만 그 이후는 경제의 안정으로 인하여 다시 낮아

질 것이다.

러시아의 전력발전은 2000년 876TWh 다. 전력발전에 사용된 에너지원은 가스는

42%, 석탄 20%, 수력 19%, 원자력 15%, 석유 4%를 차지하고 있다. 발전시설의 가동

률이 낮아 추가적인 수요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의 여유는 있지만 대부분의

발전소가 노후해 지속적인 운 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다음의 <표 2-30>은 러시아의 원별 발전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특이한 현상

은 석유의 발전량이 1992년에 100TWh에서 2000년 33TWh로 극감하고 이후에도 지

속적으로 감소하여 2030년 21TWh로 감소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스발전의 경우 90

년대에 발전량의 감소가 있었지만 향후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000년 42% 던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69

가스 발전량이 2030년에는 60%인 1,007TWh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화석연료 발전소는 부하율이 낮고, 원자력과 수력의 낮은 운 비용 때문에 둘의

운 을 가능한 많이 할 유인이 있다. 결과적으로 전력생산에서 화석연료의 비중은

1992년 71%에서 2000년 60%로 감소하 다. 원자력발전은 1994년 이후 증가하여

2000년 131TWh가 되었다.

<표 2-30> 러시아의 원별 발전 전망

(단위 : TWh)

1992 2000 2010 2020 2030

석탄 154 176 213 216 277

석유 100 33 33 27 21

가스 461 370 472 803 1,007

수소-연료전지 - 0 0 0 0

원자력 120 131 157 155 143

수력 172 164 169 190 196

기타 2 3 8 14 27

총계 1,008 879 1052 1405 1671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전망기간동안 가스 발전은 전체의 60%로 증가할 것이다. 새로운 발전설비의 80%

이상이 가스 발전으로 건설될 것이다. 보다 효율적인 발전 기술부문에 투자를 유인

하려면 높은 소비자 가격과 지불 보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것이다.

발전용량은 30년동안 205GW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력발전은 20GW로 증

가할 전망이다. 러시아는 현재 44GW의 수력발전 용량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10GW

의 수력발전소가 앞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러시아는 1976년에 시작한 2.3GW급의 대

규모 수력 사업을 건설 중에 있다.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중지되었으나 2000년 러시

아 Unified Energy System(UES)이 건설을 다시 착수하여 2003년 말 운 개시를 계

획하고 있다. UES는 또한 Turukhan에서 20GW급의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으로의 수출뿐만 아니라 러시아 서부의 공급을 담당할 것이다.

70

추가적으로 주로 바이오매스와 풍력인 7GW의 재생에너지 발전이 또한 계획중이

다. 발전시설 확충을 위해서는 앞으로 157십억불의 비용이 필요할 것이다. 러시아의

첫 번째 상업적 풍력 사업이 2002년 7월에 Kaliningrad지역에서 시작되었고, UES 및

덴마크 회사(SEAS)에 의해 45MW급의 Kulikovo 사업이 건설되었다.

<표 2-31> 러시아의 연료별 발전설비 전망

(단위 : GW)

1999 2010 2020 2030

석탄 53 52 50 64

석유 12 12 11 9

가스 88 90 159 205

수소-연료전지 0 0 0 0

원자력 20 23 22 21

수력 44 47 53 54

기타 0 2 3 7

총계 216 225 298 360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다. 한국

최종전력수요는 매년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1971년에서 2000년

사이의 연평균 증가율인 12.1%에 비하면 그 증가율이 매우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은 한국의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가장 빨리 증가하는 에너지

원이다. 최종소비에서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18%에 2030년 2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발전은 2000년 292TWh로 석탄발전이 43%, 원자력발전이 37%를 차지하고 있

다. 앞으로 발전연료는 2000년 10% 미만인 천연가스 쪽으로 움직여 2030년에는 비중

이 1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탄과 원자력은 2030년에도

발전연료의 75%를 차지하는 주요 발전연료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망된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한국은 88십억불의 비용으로 100GW의 새로운 발전설비를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1

건설할 필요가 있다.

<표 2-32> 한국의 원별 발전 전망

(단위 : TWh)

1992 2000 2010 2020 2030

석탄 1 126 185 253 275

석유 8 25 23 22 18

가스 0 28 60 95 121

수소-연료전지 0 0 0 1 17

원자력 0 109 171 210 248

수력 1 4 5 6 7

기타 0 0 2 5 15

총계 11 292 446 592 701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한국은 총용량이 14GW인 16개의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정부계획은 2015

년까지 추가적으로 12개의 발전소를 건설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건설부지선

정의 어려움, 가스와 석탄간의 심한 경쟁으로 건설이 지체되고 있다. 원자력 용량은

2000년 21GW에서 2030년 31GW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표 2-33> 한국의 연료별 발전설비 전망

(단위 : GW)

1999 2010 2020 2030

석탄 14 24 33 36

석유 10 11 10 8

가스 11 26 41 53

수소-연료전지 0 0 0 5

원자력 14 21 26 31

수력 4 4 4 6

기타 0 0 2 5

총계 52 86 116 144

자료 : OECD/IEA World Energy Outlook2002(September 2002)

72

한국정부는 재생에너지의 경우 2006년에 일차에너지의 비중을 2%, 2010년에는 5%

라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2000년의 비중이 단지 1%에 불과하다.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은 재생에너지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풍력과 바이오

매스가 재생에너지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풍력발전 용량은 2030

년에 5GW에 달하여 총 에너지의 2.5%를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망에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이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1999

년 1월 한국정부는 일반적 규제개혁의 일환으로 전력공급 구조개편 기본계획을 채택

하 다. 기본계획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수직적으로 통합된 한국전력공사를 발전, 송전, 배전, 마케팅/공급활동으로 분리

2) 2002년부터 시작하여 몇 개의 자회사와 분리하고, 하나씩 민 화 하면서 발전에

경쟁도입

3) 규제기구로 처음에는 산자부에 의해 주도되는 기구를 설립 후, 구조개편이 완성

된 후 완전히 독립

4) 소비자 선택권 도입

몇 가지 변화가 현재 시행되었다. 한전의 비원자력 발전시설은 2001년 5개의 발전

자회사로 분리되었다. 발전자회사들은 2002년을 시작으로 민 화되기 시작했다. 해외

기업과 국내기업 모두 발전회사의 지분을 구매 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의 원자력발

전소는 536MW의 수력 시설과 함께 정부소유 기업이다. 규제기구로서 전기위원회

(the Electricity Commission)는 산자부내에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구조개편계획은 아

직 계획보다 늦게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발전회사의 민 화의 조건, 도매시장의

설립, 계획된 가격변화의 사회적 효과 등으로 인하여 많은 논의가 있다.

라. 일본

일본은 발전을 주로 원자력, 천연가스, 석탄으로 하고 있다. 2000년 현재 총발전량

은 1,082TWh인데, 그중 석탄의 발전량이 254TWh, 천연가스 239TWh, 원자력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3

322TWh로 전체 발전량의 75.3%를 담당하고 있다. 앞으로 원자력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의 일본 에너지 계획은 천연가스, 원자력, 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의 증가이다. 원자력 에너지는 지금 4개의 발전소가 건설중에 있어 2006년

까지 4.7GW의 설비가 추가될 것이다. 16개의 다른 발전소가 현재 계획 중이다. 만일

이러한 계획이 시행된다면 2015년까지 20.8GW의 시설 용량이 추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전망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의 용량은 지금의 44GW에서 2010년 55GW, 2020년

67GW, 2030년 75GW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원자력발전의 증가에 따라 2030년 일

본은 전세계 원자력 발전 공급의 21%를 담당하게 된다. 또한 일본정부는 현재의

205MW의 광기전성(photovoltaic)을 2010년까지 5GW로 증가시킬 계획을 하고 있다.

<표 2-34>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

회사 발전소 용량(MW)공급개시

년도

건설중

Tohoku Onagawa #3 825 2002

Chubu Hamaoka #5 1,380 2005

Tohoku Kigashidori # 1,110 2005

Hokuriku Shikra #2 1,358 2006

예정중

Tokyo Fukushima Daiichi #7 1,380 2007

EPDC Oma 1,383 2008

Tokyo Fukushima Daiichi #8 1,380 2008

Hokkaido Tomari #3 921 2008

JAPC Tsuruga #3 1,538 2009

Chugoku Shimane #3 1,373 2010

Tokyo Higashidori #1 1,385 2010

JAPC Tsuruga #4 1,583 2010

Tokyo Higashidori #2 1,385 2010 ∼

Tohoku Higashidori #2 1,385 2010 ∼

Tohoku Namieodaka 825 2012

Tohoku Maki #1 825 2012

Hokuriku/Chubu & Kansai Suzu #1 1,350 2012

Hokuriku/Chubu & Kansai Suzu #2 1,350 2012

Chugoku Kaminoseki #1 1,373 2012

Chugoku Kaminoseki #2 1,373 2015

총 계 20개 발전소 24,437 2015

74

일본의 전력소비의 증가는 2001년에서 2025년까지 1.3%로 다른 에너지원의 소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10) 2000년 일본의 순 전력소비는

944TWh로 2010년 1,073TWh, 2020년 1,229TWh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의 전력 시장은 열 및 원자력발전이 지배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성장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1997년 중반의 신재생에너지 사용 증진에 관한 특별 조치가

발표되어 풍력발전을 장려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1989~1998사이

일본의 풍력 용량은 단지 31MW 증가하 으나, 풍력발전 장려 이후 설치된 용량은

1999년 40MW, 2000년에는 5MW까지 증가하 으며, 2001년 40MW 용량이 추가되었

다.

제3절 에너지수요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

1절, 2절에서 논의한 에너지 시장의 전망 및 에너지 수요구조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향을 받는다. 먼저 에너지 수요에 큰 향을 미치는 것은 소득이다.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는 증가하게 되는데, 앞으로 빠른 경제성장이 지속될 경

우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높을 것이고, 경제성장률이 낮은 경우 에너지 소비는 큰

증가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경제상황이 에너지 수요에 큰 변화를 줄 것이

다. 둘째는 인구 및 인구통계학적 변화이다.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경우 에너지

의 수요는 증가하게 되고 인구증가가 정체되는 경우는 수요 증가율이 다소 낮을 것

이다. 또한 인구구조의 변화도 에너지 수요에 향을 줄 수 있다. 셋째는 에너지 가

격으로 국제시장에 결정된 원유의 가격이나 천연가스 도입가격, 석탄의 수입가격 등

이 에너지 수요에 큰 향을 미치게 된다. 높은 에너지 가격은 에너지 절약의 유인

을 높여 에너지 수요를 줄이게 된다. 마지막으로는 정부의 정책으로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장래의 에너지 소비구조 및 소비증가에 큰 향을 미치게 된다. 정부의

정책은 에너지 산업의 구조개편이나 에너지 가격개편 등이며, 에너지 산업의 구조개

편이 에너지의 소비자가격에 큰 향을 미치게 된다. 구조개편이 성공적으로 진행되

10) DOE/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3(May 2003)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5

어 시장화가 성공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원가하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서 유인된 에너지 가격의 변동은 에너지 수요에 큰 향을 미치게 되며 그 결과 에

너지산업의 비교우위에도 향을 미치게 된다. 경제상황이나 에너지 가격에 대한 전

망은 많이 다루고 있어 본 절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각국의 구조개편 및 에너

지가격정책에 대한 개관을 중심으로 정부정책에 대한 부분을 살펴 볼 것이다.

1. 인구구조 등의 수요에 미치는 요소의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는 에너지 수요구조에 향을 미칠 수가 있는데, 향후 인구구조의

핵심은 노령화 사회로의 진전일 것이다. 출생률과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전체 인구중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의 경우 거대한 인구 변화(demographic change)를 겪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에너지 수요의 변화에 향을 미칠 것이다. 일본의 인구는 2010년 이

후 감소할 전망이어서 이는 결과적으로 가구원의 수를 줄일 것이다. 출산율(fertility

rate)은 현재의 인구를 유지할 수 없도록 할 것이다. 일본의 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of Japan은 2006년 초를 최대로 일본의 인

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예측에 의하면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인구의 비

중이 2000년 17%에서 2020년 28%, 2030년 거의 3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반면에 노동인구(15세∼64세)의 비중은 2000년 68%에서 2020년 59%, 2030년 58%

로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경제에 큰 향을 미치는데, 경제 성장의 핵심인 노동

력을 줄이게 된다. 가구의 저축률은 하락하고 사회보장부담의 증가에 따라 정부의

예산의 압박도 증가할 것이다. 반면에 노동시장은 현재의 여성과 노인들에게 일자리

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노동에 비해 풍부한 자본으로 인하여 자본집약

적 부분이 확대될 것이다. 기술변화는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순효과는 사회

보장, 기술 변화 등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 달려 있다.

이러한 변화에 의하여 주거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큰 향을 받을 것이다. 주거용

76

에너지 수요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가구원의 수인데, 가구원의 수는 2015년 감소

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에너지 믹스를 변화

시킬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에너지원보다는 전력기구가 보다 안전하고 작동하

기가 쉽기 때문에 전력수요를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정부정책

가. 중국

에너지 보조는 중국에서 오랜 기간동안 유지되었다. 에너지 가격의 조정 및 손실

을 보고 있는 국 기업(state-owned enterprises, SOEs)에 변제(payments)하는 것은

에너지부문에서 경제적 비효율성을 낳도록 하 다. 비록 가격시스템이 국제시장의

비용과 가격을 반 하기 위하여 변하 지만 중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연료의 가

격은 아직까지 정부당국에 의하여 결정되고 있다.

석탄산업의 구조개편에 의하여 석탄가격은 2002년에 통제를 해제하 다. 이제 소

규모 탄광뿐 아니라 정부소유의 탄광에서의 석탄가격은 경쟁적인 생산자와 산업계

최종소비자, 배급업자간의 협상에 의하여 결정되고 있다.

석유산업 구조 개편은 석유가격을 국제시장 수준과 연동하도록 하 다. 1998년 이

후 국내 원유 생산자와 정유업계는 자유롭게 정유시설에 운반되는 원유의 가격을 협

상할 수 있게 되었다. 계약을 체결하지 못할 경우만 국가개발계획위원회(State

Development Planning Commission, SDPC)가 가격을 결정하는데 개입하게 되었다.

SDPC는 또한 휘발유와 경유의 소매판매에 대한 기준가격(base price)을 정하고 있다.

2001년 10월 이후 이러한 가격은 싱가포르, 뉴욕, 로테르담 시장에서의 현물가격(spot

price)에 근거하 다. 석유회사는 소매가격을 이러한 기본가격의 8% 범위 안에서 결

정하도록 허용하 다. 석유가격에 대한 모든 규제는 앞으로 5년 내에 모든 폐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천연가스는 이중가격(dual-pricing) 체계를 취하고 있다. 1995년 이전에 시작된 프

로젝트에 의한 가스에 대해서는 산지(Wellhead)가격 및 소매가격은 고정되어 있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7

비료생산자는 가장 낮은 가격을 지불하는 반면 상업용 및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는 가장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1995년 이후 시작된 프로젝트에 의

한 가스 가격의 경우는 12%의 수익(return)을 포함하여 개발비용에 따라 프로젝트별

로 다르다. 이러한 가격은 경쟁연료와 물가상승에 따라 주기적으로 조정된다. SDPC

는 구매자간의 수요 특성의 차이, 시장 상황의 변화, 프로젝트별 비용 등을 정확하게

반 하기 위한 추가적인 개혁을 고려하고 있다.

소매 전력가격은 전기 배전회사(distributor)에 의하여 정해지는데 국가에 의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1980년대 초까지 전력가격은 정부에 의하여 직접 통제되었고

단지 공급비용의 일부분만 반 하 다.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경우 전력가격은 장기

한계공급비용과 비슷하거나 높다. 그러나 가격책정은 아직 비효율적이다. 장기계획에

의하여 배전회사가 독립적 발전회사에 지불하는 도매요금(Wholesale tariff)은 부하에

서 계절적 변동과 시간대별(time-of-day) 변동을 고려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발전

시설이 항상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송전은

독립적 서비스로 가격을 책정하지 않고 있으며, 비용은 소비자 가격에 충분히 반

되고 있지 않다. 이런 상황이 지역간 전력교역을 제한하고, 발전설비의 과잉 건설을

유도하고 있다.

중국은 에너지 보조금이 앞으로 2011년 까지 점차 사라질 것을 가정하고 있다.

2010년까지 가격은 공급비용을 충분히 반 할 것이고 국제적 에너지 가격 경향을 반

할 것이다.

또한 중국의 경우 현재 시장경제로의 전환이 시도되고 있고 각종 규제들을 완화하

고 있다. 중국은 2001년 WTO에 가입하 는데, 가까운 장래에 세계의 중심 교역국이

될 것이다. 중국의 WTO 가입은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것이지만 단기적으로는 무

역자유화의 부정적 향에 대한 대응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WTO 가입은

중국의 경제에 중요한 향을 줄 것이다.

관세를 낮추고 비관세장벽을 제거하고, 외국 참여자들에게 국내시장을 개방함으로

서 효율성의 상승을 가져오지만 초반기에는 실업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아시아

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은 WTO 가입의 장기적 이익은 GDP의 1∼2%에

78

달할 정도로 클 수 있다고 추정한다. 섬유나 의류 같은 노동집약적 산업과 서비스는

무역자유화로 인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중국소비자들도 낮은

가격과 다양한 선택에 의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익이 현

실화 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부문간 구조조정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낮은 수입

관세와 외국과의 경쟁은 토지집약적, 자본집약적 국내 생산자들에게 경쟁의 압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석유화학업체는 단기적으로 그들이 상황이 나쁠 것이라고 판단하

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정비용은 해외직접투자가 서비스 부문에서 증가된다면 감

당할 수 있는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은 증가할 것이지만 중국이 이미 무역관

세를 낮추고 있고 수입품의 3/4를 거의 비관세하고 있기 때문에 놀란 만한 일은 아

니다.

나. 러시아

최근의 러시아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 중 하나는 가스부문과 전력부문의 시장화이

다. 1998년 화폐를 통한 가스와 전력의 국내 판매가 이전의 바터(barter)나 채무상환

등을 대체하 다. 정부는 공공부문에서 2000년 1월부터 비현금 거래를 금지하 다.

이제 현금 판매는, 특히 전력에서 널리 퍼져 있다.

러시아 정부는 전송망과 분배망에 제3자적 접근(third party access)을 통하여 가스

와 전력의 생산과 공급에 경쟁을 도입할 계획이다. 2001년 6월 정부는 전력산업에

대한 일반개편전략을 승인하 다. 계획에 의하면 RAO UES에 속하는 발전회사는 독

립적 회사로 개편된다. 이러한 계획의 성공은 비용과 엄격한 지불 강제 등을 충당할

수 있는 높은 전력 가격의 여부이다. 비슷한 구조개편이 가스산업에도 계획되어 있

다. 가스부문에 이미 회계기준을 높이고, 전문 회계감사, 투명성 증진을 도입하안 개

편이 진행되고 있다.

다. 한국

한국정부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부분에 깊이 개입하여 왔다. 한국전력공사나 한국

가스공사 같은 국가 에너지 기업을 관리하는데 정부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79

이러한 상황은 1993년 5개년 계획에서 에너지부분의 구조개편을 시작하 다. 이러한

경향은 경제위기를 겪은 후 더욱 가속화되었다.

기존에 수출입을 승인, 허가제 등 민간 정유산업을 규제하는 것은 1998년에 사라

지게 되었다.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의 경우 1999년에 시작되었다. 정부는 한국전력공

사를 2001년에 7개로 분리하 다.

몇 년 동안 한국의 주요한 에너지 정책의 목표는 에너지 가격을 낮게 유지하는 것

이다. 따라서 한국의 최종 에너지 가격은 국제 수준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낮은 에너지 가격은 산업을 경쟁력 있도록 하고 일반 가정

에 이익이 되는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정부는 국 에너지 기업의 경우는 직접 관

리하고 일반 민 기업의 경우는 가격통제를 하면서 에너지 가격을 규제하 다.

석탄가격은 이제 대부분 시장에서 결정되지만 정부는 아직도 대부분은 저소득층이

나 농업부문에 소비되는 국내생산 무연탄의 가격에는 가격상한을 설정하고 있다.

원유와 석유제품의 가격은 아직 규제되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개편이 2006년까지

계획되어 있어 가격은 왜곡을 제거하기 위하여 점차 조정될 것이다. 수송연료에서

값싼 경유와 LPG의 가격으로 인하여 에너지원의 대체가 비효율적으로 발생하 다.

<표 2-35> 석유제품 가격 조정 계획

(휘발유 가격=100)

휘발유 경유 LPG

개편 이전 100 47 26

2001년 6월 100 52 32

2002년 6월 100 56 38

2003년 6월 100 61 43

2004년 6월 100 66 49

2005년 6월 100 70 54

2006년 6월 100 75 60

자료 : 산업자원부

가스와 전력의 가격은 아직 정부가 승인해야 하는 상황이며, 교차보조가 존재하며,

80

평균가격이 총공급비용을 충당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구조개편의 과정중의 모든

보조금을 폐지할 계획이다. 한국의 최종에너지 가격은 2010년에는 점차 상승하여 국

제 수준이 될 것이며, 국제 시장과 비슷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에너지 안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국 정부는 북한 및 다른 인접국가와

에너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따라서 남한은 북한에 전력을 수출한다

든지, 북한 해안의 원유 매장량에 대한 공동탐사의 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과 동북아 에너지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협력에는 전력의 계통 연결 프로젝트나 동북아 석유시장이나 파이프라인을 통한 천

연가스 수송 등을 포함한다.

라. 일본

일본은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세전(pre-tax) 가격을 낮추기 위

하여 에너지 부분의 자유화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석유부문의 규제철폐는 석

유제품 마케팅에 극심한 경쟁을 초래하 다. 이러한 압력으로 하여금 회사들이 그들

의 운 을 합리화하고 비용을 줄이도록 하 다. 또한 몇 개의 회사는 2000년 이후

합병하 고, 국가의 많은 정유시설들이 작동을 중지하 다.

일본 의회는 1999년 3월 부분적으로 전력부문에 경쟁을 허용하도록 하여 전력산업

법(Electric Utilities Industry Law)을 수정한 법안을 통과하 다. 일본의 전력시장의

1/3에 해당하는 약 8,000의 대규모 산업 및 상업 소비자가 이제 전력공급자를 선택

할 수 있게 되었다. 독립적 발전 사업자가 이미 시장에 진입하 다. 정부는 2007년까

지 전력시장을 완전히 개방할 예정이다. 일본의 전력가격은 현재 OECD 국가중에서

가장 높다.

가스산업구조개편은 부분적으로 시장에 경쟁을 도입하는 것으로 1999년에 시작되

었다. 공급자는 이제 그들의 전통적인 서비스 지역 외부의 소비자에 대한 공급에 대

해 경쟁할 수 있다. 전력설비와 석유회사는 도시가스 회사와 경쟁하여 가스를 판매

할 수 있게 되었다. Kansai지역에는 서로 상대방의 역에서 시장 지분을 얻으려고

오사카 가스와 Kansai 전력회사의 경쟁이 매우 격렬하다.

제2장 동북아 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81

에너지부문의 구조개편의 수행과 구조개편이 최종소비자 가격에 미치는 향은 에

너지 수요의 전망의 불확실성에 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아시아 태평양 국

가의 시장 가스 가격의 역할을 하는 일본의 LNG 수입가격은 원유가격에 비하여 상

대적으로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석탄의 가격은 2010년

까지 큰 변화가 없을 것이고 그 이후는 매우 느린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관련법에 의해 에너지 정책은 향을 받게 된다. 1999년에 개정된 에너지

보전법(Energy Conservation Law), 1999년에 채택된 에너지의 합리적 사용에 관한

법(Law on the Rational Use of Energy), 지구온난화 대응촉진법(Law on the

Promotion of Measures to Cope with Global Warming) 등으로 인하여 일본은 <표

2-36>과 같은 정책들을 수행하고 있다.

<표 2-36> 일본의 2010의 에너지 사용 감소를 위한 계획된 새로운 정책수단

부문/수단 Mtoe %

산업Keidanren 자발적 Action Plan 18.95 5.4

효율적 산업 용광로(furnace) 사용 0 0

주거/서비스

전기기구 효율 표준 5 1.5

빌딩 효율 표준 7.96 2.3

효율적 전기기구의 장려 0 0

가정에너지 관리 시스템 장려 0 0

사업 에너지 관리 장려 0 0

수송 부문

자동차 효율 표준 5 1.5

천연가스,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차 장려 0.74 0.2

컴퓨터 관련 기술제품 장려 8.97 2.6

공통 부문 효율적 보일러, 조명 장려 0 0

총 계 46.26 13.5

자료 : 일본 경제 통상 산업부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2001

“Keidanren 프로그램”아래 30개 이상의 산업협회에서 자발적 액션플랜(action

plan)을 발표하 다. 주거 및 상업부문에서는 여섯 종류의 건물에 대한 열손실을 막

기 위한 기준과 가정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효율성 기준에 관한 정책을 수행하고

82

있다. TV와 냉장고 같은 전기기구에서 일본은 가장 효율적인 제품이 시장에서 유리

하도록 기준을 주는 "top-runner"를 도입하 다. 수송부문에서는 크기와 연료에 따른

자동차와 트럭의 연료 절약 표준(fuel economy standards)을 만들었다.

이러한 새로운 정책수단들의 실행과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장래의 일

본 에너지 수요에 향을 미칠 것이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83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제1절 기업의 경쟁력

1. 기업 경쟁력의 개념 및 원천

지구촌 무한경쟁시대를 맞아 전 세계적으로 기업과 국가의 경쟁능력에 대한 관심

이 고조되고 있다. 경쟁력이라는 개념은 경 전략이론에서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M. Porter에 의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 다.

경쟁력이란 원래 미시적인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의 경 능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개념으로 활용되었다가 기업 경쟁력의 거시적 환경 및 그 성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면서 산업은 물론 국가 단위로 까지 논의와 분석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기업경쟁

력’, ‘산업경쟁력‘, ’국가경쟁력‘ 등의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각각의

개념과 접근 방법, 이들 상호간의 관계가 확실히 규명된 것은 아니다. 특히 경쟁력

개념을 국가 차원으로까지 확대 적용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데, 국가

경쟁력이 한 국가의 경제적 성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준으로 일국의 경제시스템

의 구조적 특징을 집약적으로 표현한다고 적극 수용하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국가

는 기업과는 상이한 경제적 목표를 갖고 있거나 혹은 학문적으로 정의, 분석될 수

있는 단일한 목표를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정의된 경쟁력은 무의

미하거나 위험하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본 연구에서 경쟁력이란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기업의 제품

이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국내외 경쟁기업에 비해 우수한 품질과 낮은 비용의

상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공급하여 계속적으로 수요를 창출하고 유지하여 동종의 여

타 기업에 비해 초과수익을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으로, 기업경쟁력은 세계시장에서 해당기업이 일정 수준이상의 수익성을 획득

84

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으로써 경쟁기업보다 우월한 시장 지위를 차지하는 것

을 말하며 일정수준 이상의 수익성 획득은 기업의 존재가능성과 기업가치의 증가를

의미하며, 수익성이 확보되어야 기업이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덤핑 등의 손실

을 초래하는 Market Share의 확보는 결국 기업에 위험 요인으로 회귀되는 것을 의미

한다.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한다는 것은 동태적 경쟁력의 유지를 의미하며 기업이 경쟁

력을 갖기 위해서는 잠재적인 경쟁자에게도 경쟁력을 유지하여야함을 의미하는 것이

다. 우월한 시장 지위는 경쟁력이 있는 기업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소로서 시

장 내의 표준화, 가격 등을 통제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기업차원의 경쟁력은 가격경쟁력과 비가격경쟁력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가격경쟁

력은 환율, 임금, 금리, 재무구조 및 요소 생산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비가격경

쟁력은 품질, 디자인, 마케팅 능력, 상품이미지, 소비자 만족도 등의 요인에 의해 결

정되는 것이다.

기업경쟁력의 원천에 대한 분석은 비교적 단순하고 널리 알려진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재화가 주를 이루던 시기에는 생산요소의 국제간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전제

로 하여 노동력의 국제적 차이가 경쟁력의 근원으로 파악되었다. 아담 스미스는 절

대적인 노동생산성의 차이에 기반을 둔 절대우위론(Theory of Absolute Advantage)

을 주장하 고, 리카르도는 노동생산성의 상대적 차이인 비교우위론(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을 주장하여 기업경쟁력의 열쇠는 투입된 노동의 양과 생산

량의 비율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파악하 다. 그 후, 핵셔-오린은 국가간의 원천

적인 생산요소의 부존량과 산업간 기술수준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요소집약도의 차이

가 국제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분석하 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와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른 기술격차와 기업의 동태적 발전

이 경쟁력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자 동태적 비교우위론(Theory of

Dynamic Comparative Advantage)이 등장하게 되었다.

포스너, 후프바우어는 신상품의 개발과 소진과정에서 기술격차가 경쟁력을 결정한

다는 기술격차론(Technical Gap Model)을 주장하 고 버논은 제품의 성숙도, 산업발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85

전 단계 등에 따른 제품 수명 주기가 각 기업의 비교우위를 결정한다는 제품수명론

(Product Life Cycle Theory)을 주장하 다.

마이클 포터 이후에는 기업경쟁력 개념이 도입되면서 해당 기업과 산업을 둘러싸

고 있는 외부여건이 강조되었다. 특정 산업이나 기업이 기업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

는 것을 그 국가가 갖고 있는 독특한 요인으로 설명하 으며, 생산 요소 요건, 기업

의 전략과 조직 및 경쟁양상, 관련 및 지원 산업, 수요 조건 등이 경쟁력의 근본 요

인이고 외생적으로 정부 및 기회 요인이 있다고 설명하 다.

국가차원의 경쟁력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1980년 M.

Porter의 연구결과를 모태로 하여 1980년대 중반 이후, 당시 미국의 산업경쟁력에 대

한 미국 내 위기의식을 배경으로 촉발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소위 신경제 현상

속에 미국, 일본 등의 국가들 간에 경쟁력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여타 국가들 간에

도 거시경제성과의 격차가 벌어지는 양상이 전개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

되었는데, 일본, 스위스, 홍콩 등 여러 나라들에 의한 각각의 국가경제력 전략보고서

와 함께 IMD(International Management Development)와 WEF(World Economic

Forum)와 같은 국제연구기관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가 이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루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경쟁력의 중요성을 새롭게 깨닫게 된 것은 최근 외환 위기

이후라 볼 수 있다. 외환위기를 계기로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절감하고 우리

경제의 발전 잠재력에 대한 종래의 막연한 확신이나 자족감이 희석되었으며, 위기

극복을 위한 일종의 긴급 구제 조치로서 금융 및 기업 구조조정, 규제 개혁, 시장 개

방 등 각종 경제 개혁 조치가 진행되었다. 위기 극복과정에서 지식정보화 시대, 지구

촌 경제시대의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개방형 시장경제체제의 구

축을 위한 우리 경제의 일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특히 외국자본 및 외국인 투자 유치의 중요성, 그리고 이를 위한 국내투자환경의 개

선이 필요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의 경쟁력 위상과 전망에 대한

국제 사회의 평가 내지 시각을 나타내 주는 일종의 척도이며, 실제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자본의 흐름에 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IMD, WEF, S&P 등과 같은 국가경쟁

86

력 혹은 경제 환경 평가기관들의 평가결과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게 되었다.

최근에는 2003년 국민 참여 정부가 새로 들어서면서 한국을 동북아 경제 중심 국

가로 육성하고 1인당 국민소득 20,000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활발히 논

의 되고 있다. 위와 같은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국가 차원의 국제

시장 경쟁력의 확보가 필수적인 요소인데 이를 위하여 기업경 환경의 개선 및 생산

성 향상을 위한 정부 규제 철폐 및 다양한 금융 및 조세 지원 정책 등이 제시되고

있다.

동북아 경제 중심 국가란 한반도의 지정학적 입지 조건인 해양 국가인 일본과 대

륙 국가인 북한, 몽고, 러시아와 중국을 지정학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싱가포르, 홍콩 등이 동남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으로서 경제 발전을 이룩한 모델을 원용하여 한국을 동북아 지역의 물류중심지로 만

드는 한편 기업과 금융 활동의 거점으로 조성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동북아 중심 국가로의 육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면에

서 이야기가 될 수 있는데 에너지 수요 국가인 한국, 일본 및 중국과 에너지 공급

국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산업의

비교우위를 검토함으로서 궁극적인 동북아 지역 내에서의 에너지 협력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이에 대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한 에너지 협력을 통하여 동북아 중심 국가로서의 한국의 역할을 증대하고,

미래 중추 산업인 에너지 관련 부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새로운 시대의 국가 발

전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 기업 경쟁력 분석 범위 및 방법

최근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러 방안은 원천적으

로 해당 국가의 산업 및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 국가가 경쟁력

을 갖기 위해서는 그 국가에 경쟁력이 있는 산업이 다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산업

내에 경쟁력이 있는 기업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기업경쟁력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87

의 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기업경쟁력이란 한 기업이 다른 기업에 비해 시장에서 지배력을 확보하고 일정 수

준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일정 수준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한 연구를 근간으로 한다. 초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근간에는

투입자원, 원자재를 완제품으로 전환시키는 프로세스, 기업의 투입원가에 향을 미

칠 수 있는 조세제도나 물류 환경 등의 외부 요인과 사후적인 성과치를 평가하는 방

법이 있다.

투입자원에 대한 분석은 생산요소인 원자재, 중간재, 노동, 설비 등의 투입량과 생

산량과의 관계를 계량화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생산성 및 설비 효율성 등을 계산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생산 프로세스는 원자재가 완제품으로 변환되어 소비자에게 도

달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제품개발, 생산, 부품 조달, 판

매, 기술개발 및 경쟁방식 등을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외부요인이란 금리, 환율, 세금, 관세, 보조금 및 정부 규제 등을 총괄하는 것으로

현대 경쟁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후 성과치는 한 기업의

성장잠재력을 나타내는 시장점유율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제반 수익률 지표를 분석하

는 방법으로 최근에 와서 많이 쓰이는 경쟁력의 측정 척도이다.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기업경쟁력 분석 방법인 경 분석(Business analysis) 기법을

통하여 한국, 일본, 러시아와 중국의 전력 및 석유화학 기업의 경쟁력을 비교해 보기

로 한다.

경 분석은 기업의 재무제표를 비롯한 회계자료와 기타 관련된 자료들을 기초로

기업의 과거와 현재의 경 성과 및 재무상태를 판단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으

로, 20세기 초 미국에서 은행이 자금신청자의 단기채무 지급능력을 판단하는 신용분

석(Credit analysis)의 수단으로 사용한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경 학의 발달과 함께

경 분석은 전문적인 투자자들의 투자분석, 기업 내부의 자체평가, 기업 인수합병의

타당성 검토, 기업 부실의 예측 등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수단으로 사용

되고 있다.

경 분석은 전반적인 경 활동, 즉 생산, 판매, 재무 등 모든 경 활동의 효율성을

88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분석으로, 경 분석을 위한 분석 자료에는 재무제표 등의

회계자료와 기타 계량화된 자료뿐만 아니라 비계량적인 질적 자료들도 포함된다. 이

와 같이 경 분석은 가장 객관적인 자료인 공표된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비율을 계산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여 상대적인 비교 우위를 찾아내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기업 활동과 관련된 광범위한 내용을 분석하는 체계로서, 여기에서

는 선정기업이 공표하는 객관적인 자료인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결

정하는 요소 중 가격경쟁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향을 미치는 재무구조와 관련이

깊은 유동성, 안정성, 생산요소와 관계가 깊은 생산성 지표, 기업의 업활동의 결과

치에 근거하는 수익성과 회사 투입 자산의 활동성 등을 중심으로 기업 경쟁력을 분

석하려고 한다.

비율분석(Financial ratio analysis)은 재무제표상의 개별항목간의 비율(“재무비율”)

을 산출하여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 성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재무비율은 특성에 따

라 일반적으로 기업의 자본 조달 구조, 즉 재무 구조와 연관성을 가지는 유동성비율,

레버리지비율, 안정성비율과 기업의 업활동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수익성비율,

생산 투입 요소인 원재료, 인건비, 제조 설비 등과 관련이 있는 생산성비율,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활용도를 나타내는 성장성비율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경제적 부가가치(Economic value added)의 개념이 도입되었는데, 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란 경 활동 결과 새로이 창출한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

로 기업은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하고 이를 제품으로 가공한 후 판매하는 과정을 거

치며 되풀이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얻게 되는 신규 창출가치를 부가가치라 하는

데 최근에는 중요한 기업경쟁력의 판단 기준이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무비율 중 유동성비율(Liquidity ratio 또는 Current ratio)은

기업의 단기 채무를 측정하기 위한 비율로서,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누어서 계산

한다. 유동 비율이 가지는 의미는 해당 기업이 상환해야하는 단기채무 변제에 충당

할 수 있는 유동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유동비율은 은행대출시

채무자의 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은행가비율

(Banker's ratio)이라고도 불리 운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89

유동성(Liquidity)이란 현금화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쉽게 현금화시킬

수 있는 자산을 유동성이 높은 자산, 즉 유동자산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매출채

권, 재고자산 등은 고정자산에 비해 높은 유동성을 갖고 있다. 기업이 높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1년 내에 만기가 돌아오는 단기 채무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

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유동자산을 유동부채와 비교하는 이유는 단기채무인 유동부채를 갚을 수 있는 힘

의 원천을 유동자산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은 200%를 넘어야

해당기업의 유동부채 지급능력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은 기업에 자금을 대출한 금융기관이나 신용으로 상품을 공급

한 상품공급자와 같은 단기신용 제공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비율이다. 따라서 해

당 기업의 유동비율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기 운 자금의 조달

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속적인 기업 활동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생산 활동에 필

요한 원자재 등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원자재 매입 단가도 높아지게 되어

그만큼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부채비율(Debt ratio)은 기업이 타인자본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비율로서 레버리지비율(Leverage ratio)이라고도 한다. 부채비율은 위험이 비교

적 큰 부채와 위험이 작은 자본(자기자본)의 구성 상태에 대한 분석으로, 타인자본

(부채)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며 일반적으로 100%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다.

부채비율이 갖는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부채비율은 기업경 에 따르는 위험을 누가 부담하고 있는지를 나타내 준다.

예를 들면 만약 타인자본이 총자본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 경우, 기업의 위험은

주로 채권자들이 부담하게 된다.

둘째,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소유주는 적은 자기자본으로 기업을 지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자본을 운용하여 얻는 수익률이 이자율을 초과하면,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자

기자본수익률이 확대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손익확대효과(Leverage effect)라 한다.

90

부채비율을 계산할 때 고려한 기업의 총 채무에는 업활동에서 필요한 외상으로

구매한 매입채무도 포함하고 있는데, 총 채무 중에서 금융기관만의 채무를 별도로

고려하여 금융기관차입금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한 비율을 차입금의존도라고 하

는데, 이는 기업의 파산을 초래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채무만을 고려한 것으로 부채

비율에 비해 훨씬 더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시용되는 지표

이다.

한편, 실제로 기업의 부채비율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방법은 대차대조표를 이용하여 자기자본(또는 총자본)과 타인자본의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비율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둘째 방법은 손익계산서를 이용하여 업이익이 타인자본 사용에 따라 이자 비용

을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는 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이자보상비율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그런데 대차대조표상의 부채비율은 일정 시점에서의 부채의존도만을 알려주는 정

보일 뿐, 일정 기간 동안의 부채 사용의 적정성 여부를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을 갖

고 있다. 다시 말해서 부채비율은 부채와 자기자본 간의 구성이 균형을 이루는 지를

말할 뿐, 부채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이자 비용을 정상적인 업활동으로부터 얻는

업이익으로 충분히 커버하고 있는 지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부채를 많이 사용

하고 있더라도 업이익이 이자 비용을 충분히 보상해 주기만 한다면, 기업의 부채

사용은 단기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자보상비율(times interest earned)을 고려하게 되는데 이는 업이익을 이자비용으

로 나누어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이자보상비율이 적어도 1.5배 정도가 되어야 이자비

용을 정상적으로 지급하고 원금의 일부를 원활히 상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이자보상비율이 중요한 이유는 이 비율이 투자수익률과 자본비용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투자수익률이 자본비용을 초과해야 만이

기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하 음을 알려주고 따라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이루어졌음

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수익성(Profitability)은 기업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일정 기간 동안의 경 성과를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91

의미하는 것이며, 수익성비율(Profitability ratio)은 일정기간 동안 경 성과를 종합적

으로 측정하는 비율이다.

수익성비율은 매출액에 대한 수익성과 투하 자본에 대한 수익성비율로 분류된다.

매출수익성비율은 기업이 실현한 수익(매출액) 중에서 어느 정도 이익을 얻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며, 자본수익성비율은 투자한 자본에 대한 이익의 비율, 즉 투

자수익률을 나타내는 비율이다.

수익성비율 중에서 매출액 업이익률은 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서 기

업 고유의 업활동의 효율성(Operating efficiency)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매출액순이

익률은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므로 해당 기업의 업활동의 결과와

부채로 인한 이자지급의 효과까지를 반 한 비율로서 기업의 전체적인 경 효율성을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다시 말해 매출액순이익률은 업활동과 재무활동을 총망라

한 경 활동의 성과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다.

총자산수익률(Return on total assets)은 총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 ROI)

라고도 부르며 순이익을 총자산(또는 총자본)으로 나눈 비율이다. ROI는 기업에 투자

된 총자본이 최종적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서 기업

의 종합적인 경 상태를 요약해서 나타내는 비율이다.

ROI의 분모는 주주와 채권자가 제공한 금액이고 분자는 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

이므로 ROI는 분모와 분자가 잘 대응되는 비율이 아니나 ROI는 기업의 대차대조표

와 손익계산서를 집약한 성과 지표로서 종합적인 재무비율로 폭 넓게 이용되고 있

다.

자기자본순이익률(Return on equity : ROE)은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서 주주가 기업에 투자한 자본에 대해 벌어들이는 수익성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즉,

ROE는 주주가 제공한 자기자본에 대해서 벌어들이는 수익성을 사후적으로 측정한

비율이다. ROE는 주주의 투자수익률을 나타내기도 하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후적

인 자기자본비용의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총자산대비 업현금흐름비율은 기업의 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총자산과

비교하는 비율이다.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에 투하된 총 자본 대비 회수

92

되는 현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투하자본의 회수기간이 빠르며, 신규 투자

를 위한 현금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유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증가하기 마련인데, 활동

성비율(Activity ratio)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자산, 자본 등)을 일정 업기간

동안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활동성

비율은 매출액을 보유자산 (또는 자원)으로 나눈 회전율로 측정하며, 재고자산 회전

율, 매출채권회전율, 총자산회전율 등이 있다.

총자산회전율(Total asset turnover)은 총자본회전율이라고도 하며, 매출액을 총자

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이 비율은 총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이 투자한 총자산의 활용도를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산출된

총자산회전율을 이용하여 총자산회전기간(Total asset collection period)을 구할 수

있는데 이는 1/총자산회전율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는데 총자산규모만큼을 매출액

으로 실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성장성비율(Growth ratio)은 일정 업기간 동안 자산, 수익 및 이익이 어느 정도

증가했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서, 기업의 성장 정도를 평가하는 비율이다. 즉, 성장

성비율(Growth ratio)은 기업의 당해연도 경 규모 및 성과가 전년도에 비하여 얼마

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의 경쟁력이나 미래 수익창출능력을 간접

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성장성비율 중 매출액증가율(Sales growth rate)은 매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당해연

도에 얼마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매출액은 정상적인 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업수익이므로 매출액증가율은 기업의 외형적 신장세를 판단하는 대표적

인 비율이다. 경쟁기업보다 빠른 매출액증가율은 결국 시장점유율이 증가하 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매출액증가율은 경쟁력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 중의 하나이다.

매출액증가율을 구하는 산식은 당기매출액에서 전기매출액을 차감하고 이를 전기

매출액으로 나누어 계산하는데 매출액에 대한 최종 마진이 확보되는 경우에는 매출

액의 증가는 수익성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우리나라가 고도성장을 구가하는 시기에

는 매출액증가율이 기업성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비율로 인식되기도 하 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93

총자산증가율(Total asset growth rate)은 기업에 투하되어 운 된 총자산이 전년도

에 비하여 당해연도에 얼마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전체적인

외형적 성장 규모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총자산증가율은 당기말 총자산에서 전기말

총자산을 차감하고 이를 전기말 총자산으로 나누어 구하는데 경제가 호황이어서 수

요가 증가할 때 총자산증가율이 높고 불황일 때 낮은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업이익증가율(Operating income growth rate)이나 당기순이익증가율(Net profit

growth rate)은 기업 활동의 성과인 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전년도에 비해 당해연

도에 얼마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매출액증가율이 외형적 성장세를 보

여준다면 업이익증가율이나 당기순이익증가율은 실질적인 성장세를 보여주는 지표

라 할 수 있다. 구하는 산식은 당기 업이익(당기순이익)에서 전기 업이익(전기순

이익)을 차감하고 이를 전년도 업이익 또는 전년도 순이익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기업은 노동과 자본을 투입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기업이 자원을 투자하여

얼마나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지는 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생산성(Productivity)이란 용어는 조직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

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량은 일정량의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 을 때 그 결

과로 얼마만큼의 산출이 이루어졌느냐 하는 ‘산출량/투입량’의 상대비율로 측정된다.

생산성비율(Productivity ratio)은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 활동의 능률 내지 업적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즉, 생산성비율은 산출량(Output)이 투입량(Input)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즉, 생산성이란 투입량과 산출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생산성 = 산출량/투입량

기업경 에 있어서 생산성은 기업 활동의 능률 내지 성과를 측정, 평가하고 그 발

생원인과 성과 배분의 합리성 등을 분석하는 데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생산성에 관

한 지표는 곧 경 합리화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먼저 투입량은 기업이 경 활동을 위하여 투입하는 자원은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94

볼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이 노동과 자본이다. 이들 투입량은 곧 노동량과 자

본액을 의미한다. 노동량이란 기업 활동에 투입된 노동의 규모를 의미하며, 일반적으

로 평균종업원 수를 지칭한다. 자본액이란 기업 활동에 투입된 자본의 크기를 말하

며, 일반적으로 총자본을 지칭한다.

산출량 측면에서는 우선 매출액을 생각할 수 있으나 매출단가의 차이를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업의 생산성을 분석할 때는 매

출액 대신 부가가치(Value added : VA)를 산출량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업의 부가가치란 경 활동 결과 새로이 창출한 가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기

업은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하고 이를 제품으로 가공한 후 판매하는 과정을 되풀이한

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얻게 되는 신규 창출 가치를 부가가치라 한다. 따라서 부

가가치는 기업의 1년 동안의 생산액에서 재료비, 외주가공비 등의 외부 투입액을 차

감하여 구할 수 있으나 공표된 기업의 재무제표는 기간손익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부가가치를 산출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 활동의 결과 치를 표시하는 재무제표에서

부가가치를 구성하는 경상이익, 인건비, 순금융비용, 임차료, 조세공과 및 감가상각비

를 합산하여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부가가치를 측정하는 구성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이익은 업이익에서 업외수익을 가산하고 업외비용을 차감한 잔액

을 말하는 것으로 경상이익에는 특별손익, 법인세, 배당 그리고 유보액이 포함된다.

즉, 경상이익은 정부와 주주에게 분배되는 몫을 의미한다.

둘째, 인건비는 제조원가명세서의 노무비, 복리후생비 항목과 손익계산서의 판매비

와 일반관리비 중 급료, 임금, 상여금, 제수당, 퇴직급여충당금전입액, 복리후생비 항

목의 합계액을 말한다. 즉, 인건비는 근로자에게 직, 간접으로 분배된 몫이다.

셋째, 순금융비용은 차입금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지급이자 및 할인료와 회사채

이자의 합계액에서 이자수익을 차감한 잔액이다. 즉, 순금융비용은 채권자에게 분배

되는 몫을 의미한다.

넷째, 임차료는 제조부문과 판매관리부문에서 사용된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의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95

임차료를 의미한다. 임차료는 말 그대로 토지와 건물을 사용할 때 반대급부로 지급

하는 비용이다. 즉 임차료는 지주 및 건물 소유주에게 배분되는 몫이다.

다섯째, 조세공과는 법인세를 제외한 모든 세금(재산세 등)과 공과금을 말한다. 즉,

조세공과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게 분배되는 몫이다.

여섯째,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의미한다. 감가상각비는 제조

부문과 판매관리부문에서 발생된 감가상각비를 말한다. 즉, 감가상각비는 궁극적으로

기업에 재분배되는 몫을 말한다.

이와 같이 부가가치는 기업이 창출한 가치로서 기업 활동에 도움을 준 이해관계

자, 즉 정부, 주주, 근로자, 채권자, 지방자치단체, 기타 자본가 등에게 분배된다.

기업의 생산성을 평가하는 주요 재무정보 중에서 부가가치율(Ratio of gross value

added to sales)은 일정 기간 동안 창출된 부가가치를 같은 기간 중의 매출액으로 나

눈 비율이다. 부가가치율은 원래 기업의 생산액 중에서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나, 추정이 복잡한 생산액 대신에 매출액을 사용하여 구한 비율이다.

부가가치율은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할수록 높아진다. 즉, 부가가치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창출한 가치의 비중이 높다는 것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되는 몫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양기업일수록 부가가치율이 낮고 성장기업일수

록 부가가치율이 높다.

노동생산성(Productivity of labor)은 종업원1인당 부가가치(Gross value added per

capita)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노동력 단위당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노동생산

성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보유노동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지표는 동일산업 내에서 개별기업의 경쟁력

측정은 물론 전체 국민경제적인 입장에서도 대외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다.

노동생산성은 노동투입량을 기준으로 생산성을 평가하는 비율로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를 의미한다. 즉, 노동생산성은 종업원 1인이 1년 동안 창출한 가치를 의미

하며 임금결정의 주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노동집약적인 기업일수록 노동생산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동생산성만을 기준으로 생산성을 평가할 수 는 없다. 예를 들면, 생산 공

96

정을 자동화시킨 기업은 노동투입량이 줄어들어 노동생산성은 높으나 자본생산성은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생산성은 자본생산성과 더불어 평가되어야 한다.

총자본투자효율(Ratio of gross value added to total assets)은 자본생산성

(Productivity of capita)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기업에 투하된 총자산이 1년 동안 부

가가치를 얼마나 창출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며, 설비투자 효율(Productivity of

fixed assets)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설비의 1년 동안 부가가치 창출 규모를 나

타내는 비율이다. 총자본투자효율과 설비투자효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총자산 및 설비가 효율적으로 운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나, 이 비율은 노동

생산성과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

노동소득분배율(Distribution ratio of labor income to value added)은 부가가치의

절대 규모와 상관없이 부가가치의 분배와 관련되는 비율로 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

중에서 근로자에게 지급된 금액의 비율이다. 즉, 이 비율은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데

공헌한 근로자에게 지급한 대가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비율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성과배분의 합리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이용된다. 일반적

으로 기술혁신 등을 통하여 노동생산성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또는 물가가 급격히 상

승한 경우, 인건비 상승이 노동생산성이나 물가의 상승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노

동소득분배율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3. 대상 기업 선정 및 분석의 한계

비교, 분석 대상 기업의 선정은 한국, 러시아, 중국, 북한, 일본, 몽골, 일본 등 동

북아 6개국 중에서 상대적으로 재무정보의 입수가 용이한 한국, 러시아, 중국 및 일

본의 석유 및 전력 기업 중에서 각 나라의 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있고, 각국의 관련

산업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을 선정하 다. 대표 기업은 시장 점유율을 기준으로 가

능하면 1위 업체를 선정하려 하 으며, 그 기업의 원가 수준이 그 나라 동종업종 기

업의 평균 수준이 되도록 조정하 다.

또한, 원가요소의 분석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통해서 계산 가능한 인건비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97

및 노무비, 재료비 등 회계적 비용 항목을 고려 대상으로 하 으며, 선정 기업의 노

동 집약도, 자본 구성, 수익률 및 부채 비율 등 기업 경쟁력에 향을 미칠 수 있는

비 원가구성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 다. 생산 규모 및 범위의 경제성 등에 대한 분

석도 생산성 및 투입 자산의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되도록 하 다.

분석 대상이 된 회사의 재무제표는 모두 제3의 객관적인 회계법인의 감사를 받은

자료를 원칙으로 하 고, 개별 국가별로 상이한 회계기준을 고려하여 미국회계기준

(US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에 준거한 재무제표를 입수하려 하

으나, 일부 기업의 경우 외국 증권 시장에 아직은 주식 상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

가피하게 해당 국가의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것도 있었으나, 그러한 경우에도 국제회

계기준(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에 의한 것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 기 때

문에 회계기준에 의한 편차는 많이 제거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기업이 여러 사업 부문을 가진 경우 - 예를 들면 석유화학기업이 천연

가스 사업도 별도로 수행하거나 일관 생산체계를 갖추어 원유 탐사부터 채굴, 석유

화학 제품 생산의 동시 수행하거나 자회사를 통해 관련 부문 사업 병행 - 에도 가능

하면 분석대상이 되는 업종으로만 관련 자료를 분리하려 하 으나, 정확성을 기하기

에는 원천 자료가 부족한 경우도 있었다.

비율분석이 아닌 금액으로 산출되는 비교 대상(종업원 1인당 인건비,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등)은 해당 기업이 미국달러 표시 재무제표를 공표하는 경우에는 그 자료

를 이용하 으며, 해당 국가의 통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002년 말 현재 기준 환율

을 적용하여 환산하 다.

98

제2절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 분석 대상 기업의 개요

가. 전력 산업

1) 한국 -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

한국의 전력산업은 1898년 1월에 설립된 한성전기주식회사와 1918년 8월에 설립된

대흥전기주식회사, 1943년 8월에 설립된 조선전기주식회사를 모태로 하여 설립된 한

국전력공사가 일반전기공급을 독점하는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1961년 7월 1일에 설립된 한전은 1982년 1월 공사체제로 전환하 으며, 전원개발

의 촉진과 전기사업의 합리적 운 으로 전력수급의 안정과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전력의 경제적 수송과 판매 등 우리나라 기간산업의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송변전설비 확충, 운 및 유지보수, 경제 급전을 위한 송변전 사업,

배전설비 확충과, 운 및 유지 보수, 배전전압 승압을 위한 배전 사업, 신규 공급, 검

침 및 수금, 고객 관리와 전력 수요(Peak) 관리를 위한 업 사업, 연구 및 기술개발 사

업과 부대사업으로 해외전원 개발 및 공급, KEDO원전 공급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2001년 4월 2일 정부의 전력산업합리화 방안에 따라 발전부문을 분리하여 한국남동

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

수력원자력발전(주)과 한국전력거래소 등 7개 회사로 분사하여 민 화에 대비하고 있다.

2002년 말 현재 한전은 한국전력기술(주) 등 그룹회사 5개, 2001년에 분사된 한국

수력원자력(주) 등 발전회사 6개 회사, 한전필리핀지주회사 등 해외법인 2개, 출자회

사인 회선임대 및 CATV전송망 사업체인 (주)파워콤, LNG 제조 및 공급하는 한국가

스공사, 집단에너지 생산, 수송, 분배 사업을 위하는 한국지역난방공사 등을 거느

리고 있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99

2002년 12월 31일 현재 한전의 요약 재무 현황은 자산 총액 539,456억원, 자기자본

354,477억원, 연간 매출액 210,478억원, 당기순이익 30,598억원, 당해연도 전력판매량

278,451,371Mwh이고, 종업원은 19,306명이다. 납입자본은 32,005억원으로 주주구성을

살펴보면 정부가 32.4%, 민간이 40.9%, 외국인이 26.5%를 소유하고 있으며 최근 3년

간의 당기순이익 추이는 2000년 17,925억원, 2001년 17,783억원, 2002년 30,598억원

등으로 2002년에는 전반적인 경 합리화 방침에 의한 비용 감소 및 자회사에 대한

지분법 평가이익 발생 등에 따라 당기순이익이 급증하 다.

한국의 전력 산업은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국 기업인 한전이 독점하고 있으며,

한전의 2002년 말 현재 총 발전설비 용량은 53,801MW으로 이중 원자력이 차지하는

용량은 15,716MW로서 전체의 29.2%를 차지하고 있으며, 화력은 34,209MW(63.6%)이

고 나머지는 수력에 의한 발전 용량이다. 총 발전량은 306,474백만kWh이고 원자력

발전에 의한 비중은 38.9%로서 원자력 발전의 경제성을 고려하면 점차 원자력에 의

한 발전량은 향후에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2년 동안 전력판매량은

278,451백만kWh로서 전년 동기 대비 약 8% 증가하 으며, 1인당 전력소비량은

5,845kWh로서 2001년 1인당 전력소비량 5,444kWh 대비 7.4% 증가하 다. 한국의 지

속적인 경제 발전 추이를 고려하면 향후에도 전력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되고 있다.

2) 일본도쿄전력주식회사 (Tokyo Electronic Power Company, Incorporated)

일본의 전기공급사업자를 보면 1951년 5월에 설립된 9개의 주요 전력회사와 20개

의 화력발전회사, 소규모의 수력발전회사 49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9개의 주요 전

력회사는 일본 전국을 9개 공급 지역으로 분할하여 담당공급구역에서 지역적 독점력

을 행사하여 각 구역별로 전력공급의 책임을 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발전, 송전, 변

전 및 배전을 위한 시설의 건설에서 보수, 운 에 이르기까지 지역별 수직적 통합

독점체제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1951년 5월 1일에 설립된 도쿄전력주식회사(이하 “도쿄전력”)는 일본의 9개 전력

회사 중 하나로서, 3개의 원자력 발전소와 15개의 화력 발전소, 15개의 수력 발전소

100

와 1개의 풍력발전소를 운 하여 동경지역에서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및 이와 관련

되는 업 등을 목적으로 한 일본 최대의 전력회사이다.

도쿄전력이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도쿄지역은 수도 도쿄를 비롯하여 8개의 관할

구역을 포함하여 넓이가 39,496평방킬로미터, 인구 43백만 명인 일본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로서 일본 경제의 약 40%를 점하고 있는 일본 최대의 경제 활동 집 지역이

다. 2003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에 도쿄전력의 고객호수(Number of

customers)는 27.280백만 가구이고 총전력판매량은 281,900백만 kWh이고 이는 이탈

리아 전체의 전력수요를 능가하는 규모이다.

도쿄전력의 현황을 요약해 보면, 2003년 3월 31일 현재 자산총액 13,812.5십억엔(약

1,455,257억원), 연간 전력 판매액 4,808.4십억엔 (약 506,603억원)이고, 종업원은

40,725명을 두고 있다. 납입자본금은 676.4십억엔(약 71,264억원)으로 주요 주주를 살

펴보면 다이이치생명보험, 미츠비씨금융회사, 일본생명보험과 도쿄시 등이다.

일본의 전체적인 전력 산업은 총 발전 설비 258,837MW, 총 발전량 1,091,500백만

kWh, 전력소비량 839,064백만kWh, 전력판매량 837,923백만kWh, 1인당 전력소비량은

6,614kWh/년을 기록하고 있으며, 장기간에 걸친 경기침체로 전반적인 전력수요는

정체 상태에 빠져 있다.

3) 중국 - 화능국제전력공사 (Huaneung Power International, Inc.)

중국의 전력산업은 기존 정부기관인 전력공업부의 해체로 1997년 1월 국가전력공

사(SPC: State Power Corporation)가 설립되었으며, SPC는 국무원이 전액 출자한 독

립된 기업으로 투자 및 경 의 주체가 되어 지역간 송전 업무를 담당하고 국가의 전

력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중국 전체 발전 설비 중 약 60%를 점유하고 있다.

급격한 경제발전을 이루어 가고 있는 중국의 전체적인 전력 산업은 총 발전 설비

319,321MW, 총 발전량 1,368,482백만kWh, 전력소비량 1,346,622백만kWh, 1인당 전력소

비량은 1,064kWh/년을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높은 경제성장률에 따라 급증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설비를 증설해 나가고 있는 과정에 있다.

화능국제전력회사(이하 “화능전력”)는 2001년 미국 포츈지 선정 중국 100대 기업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01

중 14위에 선정된 전력기업으로 주로 해안을 따라 자리 잡은 산동성, 광동성 및 상

하이 등을 대상으로 화력발전소를 건설, 전력을 생산하여 이 지역에 공급하는 중국

내 최대의 민간전력회사로서 총 발전설비 용량은 14,780MW를 보유하고 있다.

화능전력은 1994년 6월 30일 설립되었으며, 1994년 10월 4일 성공적으로

1,250,000,000주를 뉴욕증권시장에 상장시켰고 (31,250,000 American Depository

Shares ("ADS")), 이 후 홍콩 및 상하이 증권시장에서도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화능전력은 기존 수익성 있는 발전회사의 인수합병과 신규 발전

소 건립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여 2,900MW의 발전 설비 용량을 가진 회사에서

14,780MW의 설비 용량을 보유한 회사로 급성장하게 되었다. 특히, 2001년에는 뉴욕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던 산동화능전력개발을 인수하여 지속적으로 업규모와 수

익성을 확대시키고 있다.

2002년 말 현재 화능전력은 13개의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3개 발전소에 대해

서는 경 권을 행사하고 있고, 3개 발전소에 대해서도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발전소들은 중국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동해안을 따라서 자리 잡은 산

동성 등 7개 성에 위치하고 있다.

화능전력은 2002년 12월 31일 현재 자산총액 48,099백만 인민폐(US$ 5,811백만),

자본총계 29,169백만 인민폐(US$ 3,524백만), 연간 매출액 18,474백만 인민폐(US$

2,232백만)이며 당기 전력판매량은 132 백만 Kwh에 달하며, 종업원은 6,222명이 일하

고 있다.

4) 러시아 - RAO <UES OF RUSSIA>

RAO <UES OF RUSSIA>는 2002년 말 현재 러시아 총 발전설비 용량의 72.5%를 보

유하고 있으며 러시아 전력 생산의 69.4%를 점하고 있는 러시아 최대의 전력 기업으로

서 러시아 연방법에 의한 대통령령 제 923호에 의거 1992년 8월 15일에 설립되었다.

몇 번에 걸친 유상증자 시 외국계 기업을 참여 시킨 결과로 RAO <UES OF

RUSSIA>는 ING 와 Deutsche Bank 등 외국계자본과 합작기업이지만 2002년 말 현

재 러시아 연방정부가 지분의 52.55%를 소유하고 있는 정부 산하기관이다. 이는 전

102

력공급을 국가기간산업으로 간주하여 일정 부분 향력을 행사하려는 러시아 정부의

의도를 반 한 것이나 전반적인 운 은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경 진에 의해 독자적

으로 운 되고 있다.

RAO <UES OF RUSSIA>의 2002년 12월 31일 현재 발전 용량은 10,813.5MW를

가지고 있으며, 13개의 발전소를 운 하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의 경제재건 계획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 설비를 증설하고 있다.

2002년 12월 31일 현재 자산총액 341,151백만 루블 (원화 127,590억원), 자본총계

270,905백만 루블 (한화 약 101,318억원), 연간 매출액 52,591백만 루블 (원화 약 19,699

억원)이며 당기 전력판매량은 579.8 백만 Kwh에 달하며, 종업원은 671,400명이다.

나. 석유 화학 산업

1) 한국 - SK 주식회사

SK주식회사는 1962년 대한석유공사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한국 정부의 민 화

방침에 따라 주식회사 선경 (현 SK 로벌(주))이 Gulf사가 보유하고 있던 동사의 주

식과 경 권을 인수하 으며 1984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 다. 또한, 동

사는 1982년에 회사 상호를 주식회사 유공으로, 1998년 3월에는 SK주식회사로 변경

하 다. SK주식회사는 한국 내 최대의 석유 정제 시설과 주유소 네트워크를 구축하

여 에너지 산업 분야의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자동차, 전자, 통신의 첨단 소재

에서 페인트, 볼펜, 화장품, 세제 등의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석유 화학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일관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SK 주식회사는 석유제품 및 화학제품 등의 생산, 판매와 같은 전통적인 석유화학

산업에서부터 해외 유전 개발 참여, 대체에너지 개발사업 진출 등 원천적인 에너지

원의 확보를 위한 분야로의 진출을 꾸준히 지향하고 있다.

SK 주식회사는 2002년 12월 31일 현재 자산총액 138,256억원, 자본 총계 52,985억

원, 연간 매출액 133,881억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518

억원의 수익을 획득하 다. 종업원은 5001명이 있는 한국 최대의 석유화학회사이다.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은 국내외적으로 지난 5년에 걸쳐 무리한 설비 증설에 따른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03

과당경쟁과 후발업체인 중국석유화학회사들의 약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한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거대 시장인 중국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점차 개선

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2) 일본 - 신일본석유회사 (Nippon Oil Corporation)

1999년 4월 종합에너지회사로의 도약을 위해 일본석유회사와 미쓰비씨석유회사가

합병하여 설립된 신일본석유회사는 원유 및 천연가스의 탐사, 생산, 정제 및 석유화

학제품의 생산, 판매의 수직적 일관통합 생산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2002년 3월 31일

현재 자산총액 25,900백만 달러 (한화 약 307,251억원), 자본총계 7,772백만 달러 (한

화 약 92,199억원), 연간 매출액 29,696백만 달러 (한화 약 352,284억원)이며, 종업원

은 4,800명이 있다.

일본의 석유화학산업은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일본 경제의 장기 스테그플레이

션(Stagflation)에 따라 민간소비가 위축되고, 민간 투자도 감소되면서 전반적으로 일

본석유회사들의 업환경은 악화되어 왔으며, 특히, 석유제품 가격 자유화에 따른 경

쟁격화로 인한 소비자가 인하에도 불구하고 원유 도입 원가 상승과 엔화 강세에 따

른 환율 상승으로 석유화학회사의 업환경은 더욱 악화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본경기의 회복 조짐과 중국시장의 성장으로 호전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중국 - 중국석유천연가스유한공사(PetroChina Company Limited)

중국석유는 2001년 미국 포츈지 선정 중국 100대 기업 중 2위에 선정된 중국 최대

의 석유, 천연가스기업으로서 1999년 11월 5일 중국국 석유회사(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 “CNPC“)의 구조 조정 목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회사법

에 따라 주식회사 형태의 합작회사로 설립되었다. 중국국 석유회사는 이러한 구조

조정 과정에서 중국국 석유회사가 소유하고 있던 석유 관련 유전개발, 생산, 정제

및 판매 와 관련되는 자산, 부채와 석유화학 및 천연 가스 사업을 중국석유회사에

일괄 이전하 고, 자산, 부채의 양수와 관련하여 중국석유는 1,600억 주(액면가액

RMB 1.00)의 신주를 발행하 으며, 초기 설립자본금 1,600억 RMB가 설립자본금이

되었다. 그 후 중국석유는 2000년 4월 6일에 American Depositary Shares ("ADSs")

104

를 뉴욕증권시장에 상장하 으며, 동년 4월 7일에는 홍콩증시에도 상장하 다.

중국 석유는 중국 내 최대의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 판매회사이며, 광범위한 석유

관련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석유는 석유제품 및 화학제품과 윤활유제품

등의 생산·판매, 유전개발, 대체에너지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는데, 2002년

12월 31일 현재 자산총액 483,149백만 인민폐(US$ 58,370백만), 자본총계 321,530백만

인민폐(US$ 38,844백만), 연간 매출액 244,424백만 인민폐(US$ 29,529백만)이며 당기

원유 판매량은 769.81백만 배럴에 달하며, 총 종업원은 409,266명 (천연가스 관련 부

문 10,332명 제외)을 거느린 중국 내 최대의 석유화학기업이다.

4) 러시아 - YUKOS Oil Company (이하 “Yukos")

Yukos는 국 기업 민 화 및 구조조정에 관한 대통령령 1403호에 따라 1993년 4

월 15일 합작회사의 형태로 서시베리아의 Yuganskneftegaz사와 Kuibyshev의 정유소

그리고 그 외 판매유통회사가 통합되어 일관조업석유회사로서 설립되었다. 1997년에

는 서시베리아 남동부의 Tomsk주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회사인 Vostokneft(Eastern

Oil)사를 인수하고 그 후 2001년에는 Yurubchen유전을 보유한 동시베리아의

Vostibneft의 지분을 획득한데 이어 사할린 공화국 Talakan 유전의 개발권을 낙찰 받

아 Sakhaneftegaz사의 지분 25%를 취득하 다.

YUKOS는 원유 탐사, 개발, 생산 및 천연가스, 석유화학 제품 생산, 판매 등 수직

적 일관 통합 생산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민간기업 중 세계 최대의 원유매장량을 보

유한 유전 (2002년 말 SPE 기준 13.734 billion 배럴 추정)을 확보하고 있으며, 세계

4위의 원유 생산, 정제, 판매 수출 회사이다.

Yukos는 미국 뉴욕 증권시장에서 OTC로 거래되는 Level 1의 ADR을 상장시켰으

며, 런던, 베를린, 뮌헨 등의 증권거래소에도 Yukos의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 특히,

Yukos는 미국 뉴욕시장에 주식 상장을 계기로 업지역을 미국, 중국 및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시장을 목표로 600

kbopd Russia-China Pipeline Project (대경 루트)를 추진하고 있다.

2002년 12월 31일 현재 원유생산량은 508백만 배럴에 달하며, 원유 정제량은 241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05

백만 배럴, 경질유 생산 수율은 58.79%에 이르고 있다. 자산 총액은 14,394백만 달러

(한화 약 170,756억원), 자본 총계 10,871 백만 달러 (한화 약 128,963억원), 연간 매출

액 11,272 백만 달러 (한화 약 134,918억원)이며 종업원은 약 100,000명을 거느린 러

시아 최대의 석유 관련 일관 생산 체제를 갖춘 회사이다.

전체적인 러시아의 석유산업의 구조를 살펴보면, 원유파이프라인시스템은 국 회

사인 Transneft사가 운 , 관리하고 있는데 Transneft사가 보유한 파이프라인의 총 길

이는 468,000Km, 파이프의 지름은 평균의 약 2배인 860mm(33인치), 펌프 스테이션

(Pump station)은 395개, 저장시설은 868개, 총 수송능력은 12.7백만m2에 이르고 있

다. Lukoil사의 무르만스크(Murman나) 루트와 Yukos사의 대경(Daquing) 루트와 같

이 민간 석유회사들이 최근에는 파이프라인이 미 정비된 미개발 지역에서 원유 및

석유 제품 수출을 위하여 자신들의 요구에 맞는 수출송유관을 독자적으로 건설하고

자 하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러시아에는 현재 10군데의 원유수출터미널이 있는데 그 중 9군데가 유럽에 있으

며, 유일하게 태평양연안에 있는 나홋카(Nakhodka) 터미널은 주로 석유제품을 수출

하고 있으며, 나홋카(Nakhodka)항은 향후 러시아 원유를 태평양시장으로 공급하는

수출터미널로 하자는 논의가 러시아 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유 및 석유화학제품 수출은 국제원유가격의 동향 및 수송단가에 의

존하고 있는데, 러시아에서 원유 및 석유화학제품 수송은 주로 파이프라인과, 열차

및 해상 수송로를 이용하고 있다.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수송이 수송비 단가면 에서

는 가장 유리하나, 한정된 용량과 지역 때문에 점차 열차와 해상 운송의 이용 비중

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 판매량의 증가가 생산능력의 증가에 비

해 훨씬 낮고 러시아의 석유화학기업들의 주된 업 지역이 수송비의 경제성을 확보

할 수 있는 러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2. 전력기업의 비교 분석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표된 해당 기업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유동성비율 등의

106

재무 비율을 계산하고 이러한 비율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해 보기로 한다.

동북아 4개국 분석 대상 기업의 공표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요약한 재무현황표는

아래에 제시하 다.

<표 3-1>은 공표된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해당 재무제표 표시통화로 작성된 것이

며, <표 3-2>는 2002년 12월 31일자 기준 환율로 환산한 재무제표이다. 또한, <표

3-3>은 상기 재무제표에 기초하여 계산한 재무비율이다.

아래 표들에서 보는 것처럼 해당 기업이 가지고 있는 설비 또는 민 화시기에 따

라 당연히 제반지표는 상이할 것이며 그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찾아내

는 것이 재무비율 분석이 가지는 기본 목표이다. 그러한 분석을 위해서 크게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을 표시하는 지표와 업활동의 결과에 의한 수익성 지표, 기업 활동

의 미래 성장가능성을 나타내주는 성장성 지표 및 생산성 지표 등의 순서로 언급하

기로 한다.

가. 안전성지표

1) 유동비율

유동비율(current ratio)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서 단기채무 변제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유동비

율은 200%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고 있으나 획일화된 기준은 없다.

유동자산을 유동부채와 비교하는 이유는 단기채무인 유동부채를 갚을 수 있는 힘

의 원천을 유동자산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유동비율이 100%일 때 기업의 유동성은

충분하지 못하다. 즉, 기업이 1년 안에 갚아야 할 유동부채만큼 유동자산을 보유하는

것으로는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된다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유동자산 중에는 장부

에 기록된 금액 보다 시장가격이 훨씬 낮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07

<표 3-1>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작성통화기준

대차대조표한전

(단위:백만원)

UES

(백만루블)

도쿄전력

(백만달러)

화능국제전력

(천인민폐)

유동자산 4,914,492 163,284 5,247 5,117,758

투자자산 3,834,671 0 10,210 5,423,883

고정자산 61,303,754 863,688 88,209 37,557,114

기타자산 459,202 34,464 5,742

기말총자산 70,512,119 1,061,436 109,408 48,098,755

유동부채 10,106,155 176,099 23,305 5,116,608

고정부채 24,844,176 94,941 69,727 13,812,670

부채총계 34,950,331 271,040 93,032 18,929,278

차입금 23,970,362 55,697 67,657 13,812,670

단기차입금 157,733 0 4,585

유동성장기부채 5,662,613 42,236 8,470

장기차입금 17,670,721 13,461 54,602 4,525,539

주주차입금

외화차입금 479,295 9,287,131

자기자본 35,561,788 790,396 16,376 29,169,477

확인 사항 70,512,119 1,061,436 109,408 48,098,755

손익계산서

당기매출액 21,365,675 503,409 38,496 18,474,469

당기 업이익 5,046,783 18,300 4,788 5,578,014

이자비용 1,016,422 3,973 2,286 561,875

당기순이익 3,048,105 38,847 1,398 4,077,038

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8,757,115 82,311 10,988 4,199,503

전기매출액 20,224,988 460,543 39,212 15,791,362

전기 업이익 3,988,827 12,505 5,362 5,014,034

전기순이익 1,634,850 63,514 1,526 3,521,889

전기말총자산 70,562,143 1,090,098 107,299 47,292,775

부가가치 11,947,615 189,611 17,819 10,147,349

- 경상이익 5,170,858 14,564 2,192 5,067,749

- 인건비 996,833 88,290 3,954 1,035,700

- 순금융비용 925,493 3,973 2,286 510,300

- 임차료 (70,050) 0 0

- 조세공과 18,343 23,613 2,505 0

- 감가상각비 4,906,138 59,171 6,882 3,533,600

108

<표 3-2>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원화기준

(단위: 백만원)

대차대조표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유동자산 4,914,492 6,106,822 6,224,516 733,477

투자자산 3,834,671 0 12,112,123 777,351

고정자산 61,303,754 32,301,931 104,642,337 5,382,686

기타자산 459,202 1,288,954 6,811,735 0

기말총자산 70,512,119 39,697,706 129,790,710 6,893,514

유동부채 10,106,155 6,586,103 27,646,722 733,312

고정부채 24,844,176 3,550,793 82,717,140 1,979,632

부채총계 34,950,331 10,136,896 110,363,862 2,712,944

차입금 23,970,362 503,441 80,261,499 1,979,632

단기차입금 157,733 0 5,439,186 0

유동성장기부채 5,662,613 10,047,961 0

장기차입금 17,670,721 503,441 64,774,353 648,600

주주차입금 0 0 0

외화차입금 479,295 0 1,331,032

자기자본 35,561,788 29,560,810 19,426,849 4,180,569

확인 사항 70,512,119 39,697,706 129,790,710 6,893,514

손익계산서

당기매출액 21,365,675 18,827,497 45,667,805 2,647,761

당기 업이익 5,046,783 684,420 5,680,004 799,441

이자비용 1,016,422 148,590 2,711,882 80,528

당기순이익 3,048,105 1,452,878 1,658,447 584,321

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8,757,115 3,078,431 13,035,064 601,873

전기매출액 20,224,988 17,224,308 46,517,196 2,263,218

전기 업이익 3,988,827 467,687 6,360,941 718,611

전기순이익 1,634,850 2,375,424 1,810,294 504,757

전기말총자산 70,562,143 40,769,665 127,288,804 6,778,001

부가가치 11,947,615 7,091,451 21,138,680 1,454,318

- 경상이익 5,170,858 544,694 2,600,370 726,310

- 인건비 996,833 3,302,046 4,690,630 148,437

- 순금융비용 925,493 148,590 2,711,882 73,136

- 임차료 (70,050) 0 0 0

- 조세공과 18,343 883,126 2,971,682 0

- 감가상각비 4,906,138 2,212,995 8,164,117 506,436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09

<표 3-3> 분석대상기업 재무 비율

비율분석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1. 안전성지표

유동비율 48.63% 92.72% 22.51% 100.02%

부채비율 98.28% 34.29% 568.10% 64.89%

차입금의존도 33.99% 1.27% 61.84% 28.72%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496.52% 460.61% 209.45% 992.75%

2. 수익성지표

매출액 업이익률 23.62% 3.64% 12.44% 30.19%

매출액순이익률 14.27% 7.72% 3.63% 22.07%

총자산순이익률 4.32% 3.66% 1.28% 8.48%

자기자본순이익률 8.57% 4.91% 8.54% 13.98%

총자산대비 업현금흐름비율 12.42% 7.75% 10.04% 8.73%

3. 성장성 및 활동성지표

매출액증가율 5.64% 9.31% -1.83% 16.99%

업이익증가율 26.52% 46.34% -10.70% 11.25%

당기순이익증가율 86.45% -38.84% -8.39% 15.76%

총자산증가율 -0.07% -2.63% 1.97% 1.70%

자산회전율 30.29% 46.80% 35.53% 38.73%

4. 생산성 및 설비 운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원) 618,855,019 10,562,186 519,059,047 233,738,036

종업원 1인당 인건비(원) 51,633,326 4,918,150 115,178,151 23,856,722

총자본 투자 효울 16.94% 17.86% 16.29% 21.10%

설비 투자 효율 19.49% 21.95% 20.20% 27.02%

노동소득 분배율 8.34% 46.56% 22.19% 10.21%

부가가치율 55.92% 37.67% 46.29% 54.93%

일반적으로 채권자들은 특정 기업의 유동비율이 200% 이상이어야 그들의 채권이

안전하게 회수될 수 있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기업의 파산이나 제품가격

의 변동 또는 기업자산의 과대계상에 따른 위험에 대비하여 유동자산의 50% 정도를

평가감하여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110

<표 3-4> 전력회사의 유동비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유동비율 48.63% 92.72% 22.51% 100.02%

동북아 전력회사의 유동비율은 <표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제조회사에

비하여 유동비율이 낮은 편이다. 이는 크게 2가지로 설명될 수 있는데 우선은 전력

산업 자체가 장치산업이기 때문에 회사의 가용자원을 유동자산으로 보유하기가 어렵

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 제조업체의 유동자산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외상매출금이

나 재고자산의 비중이 전력회사인 경우에는 현저히 낮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표 3-5> 유동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유동 비율 106.1% 123.3% 128.5%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표 3-4>에서도 설명되듯이 전력회사들의 유동비율은 앞에서도 언급한 이유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제조회사의 유동비율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나 이러한 위험은 전력사

업이 갖는 독과점성에 기인한 수요의 고정성과 계속성에 의해 상쇄되고 있다.

2) 부채비율

부채비율(debt ratio)은 타인자본(부채)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이며 일반적으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다. 이 기준은 자금을 제공하는 금융기관 등의 채권

회수의 안전성만을 고려한 것으로, 타인자본이 자기자본을 초과하면 재무위험이 증

가하여 기업의 지급능력이 약화되기 쉽고 회사를 청산할 때에 금융기관의 채권 회수

가능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므로 부채비율이 100%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IMF 직후 기업구조조정의 기준을 부채비율 200%로 정한 적

이 있었는데 이로 인하여 기업의 부채비율이 상당 부분 개선된 측면도 있었으나, 한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11

편으로는 기업의 신규 투자 의욕을 저하시키고 일률적인 부채비율 200%적용은 산업

간의 재무구조의 특성을 무시하게 되어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하 다.

분석대상기업의 부채비율은 <표 3-6>에서 보는 것처럼 도쿄전력을 제외하고는

100% 이하로 유지되고 있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6> 전력기업간 부채비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전력

부채비율 98.28% 34.29% 568.10% 64.89%

전력회사의 특성은 정상적인 업활동을 개시하기 전에 대규모의 시설 투자를 통

해 발전, 송전, 변전 및 배전 시설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채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임을 감안할 때 분석 대상이 된 동북아 전력기업들의 부채비율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쿄전력의 경우에만 매우 높은 부채비율을 기록하 다. 이

는 장기적인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로 상대적으로 생산 단가가 싼 원자력발전

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관련 부문에 대규모 설비투자를 위한 차입금의 증가에 기인

한 것이다. 그러나 2002년부터 도쿄전력은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비

투자를 중단하고 기존 시설 운용의 효율성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어서 향후

도쿄전력의 부채비율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표 3-7>은 분석의 편의를 위해 부채비율의 주요 선진국의 예를 제시하 는데 일

본의 경우에는 부채비율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이자율이 낮아 실제로 기업이 부담하

는 이자비용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점은 한국의 부채비율이 미국, 일본 등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IMF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기업의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결

실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112

<표 3-7> 부채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부채 비율 135.4% 167.3% 162.5%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3) 차입금의존도

차입금의존도(total borrowings and bonds payable to total assets)는 총자본 중 외

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전성도 낮아진다.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 / 총자본 * 100

즉, 차입금의존도는 부채비율을 계산할 때 고려한 기업의 총채무 중에서 금융기관

만의 채무를 별도로 고려하여 금융기관차입금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한 비율로서

분석대상기업의 차입금의존도를 계산해 보면 <표 3-8>과 같다.

<표 3-8> 전력기업간 차입금의존도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차입금의존도 33.99% 1.27% 61.84% 28.72%

<표 3-9> 차입금 의존도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차입금의존도 31.7% 26.5% 31.3%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러시아의 UES의 경우에는 절대적으로 차입금의존도비율이 낮은데 이는 러시아 정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13

부가 보유하고 있던 설비를 그대로 민 화된 회사에 현물출자의 형식으로 양도하면

서 신설회사의 주식을 받았기 때문에 UES의 경우에는 설비투자를 위한 자금 차입이

전혀 필요가 없었다. 그러한 상황을 반 하여 UES의 부채 비율은 낮은 것이며 도쿄

전력의 경우에는 부채 비율이 높은 만큼 당연히 차입금의존도도 높은 것이다.

차입금의존도를 국제수준과 비교하여 보면 일본의 도쿄전력만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는 부채비율이 높은 이유와 동일한 원인으로 보면 될 것 같다.

4)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times interest earned)은 기업의 정상적인 업활동의

결과로서 벌어들인 업이익이 타인자본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이자비용의 몇 배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이 비율은 기업이 부채사용에 따른 이자비용을 지

급할 능력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절대적인 부채규모만을

고려하는 부채비율이나 차입금의존도에 비해 훨씬 더 합리적인 분석틀을 제공한다.

즉, 자본과 경 이 분리된 기업의 입장에서는 자기자본이든 타인자본이든 간에 투입

된 자본의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초과수익을 얻는다면 이는 국가 전체적으로 부가가

치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자보상비율이 100%만을 초과하면 해당 자

금의 사용은 정당화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차입금의 상환까지를 고려하면 이자

보상비율이 적어도 150% 정도가 되어야 이자비용을 정상적으로 지급하고 원금의 일

부를 원활히 상환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이자보상비율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는 것은 이 비율이 투자수익률과 자본

비용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즉,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의 투자

수익률과 자본비용의 관계가 함축되어 있는 비율로서 이 비율이 100%를 넘어서지

않으면 해당 투자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3-10> 전력기업간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496.52% 460.61% 209.45% 992.75%

114

즉, <표 3-10>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대상 기업의 업이익대비 이자

보상비율은 모두 200%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차입금을 이용한 업활동은 부가가치

를 창출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계금융시장 전반에 흐르고 있는 저금리 추세를

감안하면 당분간 차입을 통한 설비투자는 상당 부분 활력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표 3-11> 업이익대비이자보상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260.3% 278.9% 384.5%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표 3-10>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대상기업은 도쿄전력을 제외하고는 해

당 국가의 제조업평균에 비해 높은 업이익대비이자보상비율을 시현하고 있고 건전

성 판단 기준인 200%도 상회하고 있으므로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쿄전력의 경우에는 일본의 초저금리를 고려한다면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209.5%는 건전성 판단 기준 200%를 초과하더라도 과다한 부채비율을 고려하면 차입

금 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2003년 도쿄전력의 Annual Report에서도 현 경

진은 과다한 채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추가적인 설비투자를 최대한 억제하여 차

입금의 조기상환에 경 기조를 두기로 한다고 천명하 다.

나. 수익성지표

수익성(profitability)이란 기업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일정기간 동안의 경 성과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익성 비율(profitability ratio)은 일정기간 동안 경 활동의 성과

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비율이다. 수익성비율에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매

출액 대비 수익성비율과 투하자본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자본수익성비율이 있다.

1) 매출액 업이익률

매출액 업이익률(operating income to sales ratio)은 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15

비율이다. 업이익이란 해당 기업의 고유 업활동인 제품 생산, 판매의 결과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비율은 기업 고유의 업활동의 효율성(operating efficiency)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매출액 업이익률 = 업이익 /매출액 * 100

<표 3-12> 전력기업간 매출액 업이익률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매출액 업이익률 23.62% 3.64% 12.44% 30.19%

<표 3-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러시아 UES의 매출액 업이익률이 매우 낮은데 이

는 민 화 초기단계에서 오는 비효율성을 반 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도쿄전력의

경우에는 장기간 지속된 경기 침체로 판매 단가의 인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

태에서 원유 등의 원재료가격은 계속 상승하 고, 인건비 등의 노무비 및 일반관리

비 등은 꾸준히 증가하여 마진폭이 줄어든 것에 그 원인이 있다.

<표 3-13> 매출액 업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매출액 업이익률 6.7% 5.5% 2.7%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표 3-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러시아의 UES를 제외하면, 동북아전력회사의 매출

액대비 업이익률은 일반적인 제조회사의 경우와 비교하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전력회사의 전기공급의 독점성과 전기가 갖는 필수품의 성격에 기인한 것

으로 보인다. 또한, 전력회사의 장치 산업 특성상 차입금이 많을 것이므로 지급 이자

를 포함하여 가격을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은 일반

제조회사에 비해 높은 것이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116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 산업 생산이나 가계활동의 필수품인 전기는 가격

에 대한 수요탄력성이 거의 0에 가까울 것으로 보이며, 또한 수요자측면에서는 대체

품이나 대체공급자가 없으므로 가격 변화에 대해 거의 반응할 수가 없고 수용하는

입장밖에 취할 수가 없어 가격인상은 일반제조회사에 비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각국 정부에서 일정 수준의 가격통제를 하고

는 있으나 전력산업이 점차 민 화되어 가면서 그 통제의 정도는 약화될 수밖에 없

기 때문에 일반 제조회사에 비해 높은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둘째, 초기에 거대 자본을 필요로 하는 전력산업은 막대한 외부자본의 조

달이 필수적이므로 판매단가를 결정할 때 외부자본의 사용원가인 이자 비용도 이미

고려하여 반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업이익에는 차입금에 대해 지급해야 하는 이

자비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매출액 대비 업이익률은 상대적으로 일반제조회사에

비해 크게 나타날 것이다.

2)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net income to sales ratio)은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이다. 이 비율은 기업의 전체적인 경 효율성을 판단하는 데 이용되는 비율이다. 다

시 말해서 매출액순이익률은 기업의 고유한 업활동의 결과인 업이익과 자금조달

의 결과인 지급이자 등의 금융비용을 반 한 재무활동을 총망라한 경 활동의 성과

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다.

매출액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100

<표 3-14> 전력기업간 매출액순이익률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매출액순이익률 14.27% 7.72% 3.63% 22.07%

<표 3-14>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출액순이익률은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의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17

크기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당기순이익

을 계산하려면 매출액에서 직접 생산에 소요되는 원가인 매출원가를 차감하고 다시

해당 제품의 판매 및 일반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인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공제하고

남는 금액이 업이익이 된다. 다시 업이익에서 업과는 직접 관련은 없으나

업활동에 필수적인 비용(이자비용 등의 금융비용 등)과 법인세 등을 차감하면 당기순

이익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러시아 UES의 매출액순이익률은 매출액 업이익률에 비해 증가하 는데 이

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러시아 UES는 금융기관 차입금이 거의 쓰지 않고 오히려

순금융수입이 있기 때문이다. 그 외 3개 회사는 매출액순이익률이 해당 회사가 금융

기관 차입금을 이용하고 있는 만큼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에 비해 낮아지고 있다.

<표 3-15> 매출액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매출액순이익률 6.3% 3.5% 0.1%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매출액순이익률의 국제비교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국의 전력 기업은 일반

제조회사에 비해 높은 매출액순이익률을 시현하고 있는데 이는 전력 공급의 독점성

으로 인한 초과수익 부분과 기존 시설의 대체 및 신규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일정 부분의 이익잉여금 적립 목적 때문이다. 한국 전력의 경우에는 매출액순이익률

이 일반제조회사의 경우보다 거의 15% 정도가 높은데 이는 2002년에 동사가 보유하

고 있는 자회사들의 업성과가 향상됨에 따른 투자자산의 지분법 평가이익과 투자

자산 처분이익, 외화환산이익 등의 비정상적인 이익이 많이 발생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한국 전력의 2001년도의 매출액순이익률은 9.0%이었다.

3) 총자산순이익률

총자산순이익률(return on investment : ROI)은 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이

다. 일반적으로 당해 회사가 보유한 총자산은 그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채권자(타인

118

자본) 또는 주주(자기자본)가 기여한 자본의 합계와 동일할 것이므로 총자산순이익률

은 총자본수익률이라고도 불린다. 총자산순이익률은 기업에 투자된 총자본이 최종적

으로 얼마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서, 기업의 종합적인 경 상태를

요약해서 나타내는 비율이다.

그러나 총자산순이익률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총자산(총자본)은 주주와 채권자 모

두가 제공한 금액이고 분자는 이미 채권자에게 귀속되는 이자비용 등을 차감한 주주

에게만 귀속되는 순이익이므로 총자산순이익률은 분모와 분자가 정확하게 대응되는

비율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자산순익율은 기업의 자금조달 활동의 결과인

재무상태와 조달된 자금의 사용내역을 표시하는 자산 현황을 표시하는 대차대조표와

업활동의 결과물인 손익계산서를 동시에 고려한다는 점에서 아직도 유용한 재무비

율로 인정받고 있다.

총자본순이익률 = 순이익 / 총자산 * 100

<표 3-16> 전력기업간 총자산순이익률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총자산순이익률 4.32% 3.66% 1.28% 8.48%

<표 3-16>에서 보는 것처럼 화능국제전력을 제외한 분석대상기업의 총자산수익률

은 전반적으로 낮은데 이는 장치산업의 특성상 고정자산의 금액이 크기 때문일 것으

로 풀이된다. 또한, 도쿄전력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분석 대상 기업의 총자산

수익률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계속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순이익 감

소와 대규모 시설 투자에 따른 자산의 비유동성화 증가, 발전소 설비 및 부지 등의

대체 사용가능성 미비 등이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19

<표 3-17> 총자산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총자산순이익률 6.78% 3.1% 0.09%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한국전력, UES 및 화능국제전력의 경우에는 총자산순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

타나고 있는데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전력산업의 독과점과 대규모 장치산업의 특성

에 의한 대체 투자나 신규 투자에 대비한 초과수익 및 잉여자금의 확보를 위한 목적

으로 풀이된다.

반면, 도쿄전력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분석 대상 기업의 총자산수익률에 비

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제조회사의 평균치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4) 자기자본순이익률

자기자본순이익률(return on equity : ROE)은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서 주주가 기업에 투자한 자본에 대해 벌어들이는 수익성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총

자산순이익률(ROI)이 분모에 타인자본(부채)과 자기자본(자본금)의 합계액을 이용함

으로서 분모, 분자의 대응력이 부족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한 ROE는

주주가 제공한 자기자본에 대해서 이자비용과 법인세를 차감한 당기순이익만을 고려

함으로서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성을 사후적으로 측정한 비율이다. ROE는 주주의 투

자수익률을 나타내기도 하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후적인 자기자본비용의 대용치이

기도 하다.

자기자본순이익률 = 순이익 /자기자본 * 100

일반적으로 기업에 자금을 공여하는 자는 사전적이든 사후적이든 자금공여에 따른

기회비용을 보상받기 위해 일정율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데 이를 투자수익률이라고

120

한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이 투자수익률은 당연히 무위험수익률인 시중은행의 정기

예금금리나 국공채의 수익률 보다는 높아야 자금제공자가 제공한 자금을 해당기업으

로부터 이탈시키려하지 않을 것이다.

분석 대상 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은 해당 기업이 속해 있는 국가의 금리 수준을

고려하면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표 3-18> 전력기업간 자기자본순이익률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자기자본순이익률 8.57% 4.91% 8.54% 13.98%

<표 3-19> 자기자본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자기자본순이익률 17.3% 8.2% 2.0%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분석대상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을 국제 수준 및 해당 기업이 속하는 나라의 제

조업 평균치와 비교하면 한국 전력의 경우에는 한국제조업평균치에 비해서 상당히

떨어지는데 이는 구조조적인 전력회사로서의 과다차입으로 인한 이자비용이 많은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5)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

총자산 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은 기업의 3가지 주요한 활동인 업활동, 자금

조달과 관련이 있는 재무활동, 조달한 자금을 적절하게 운용하는 투자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고유의 업활동에서 조달한 현금을 총자산과 대비한 비율이다. 이 비

율은 투하된 총자산 중에서 업활동을 통해 회수한 금액의 비율을 표시하는 것으로

서 이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당해 기업의 업을 통한 현금 회수가 빨라 투하자금

의 조기회수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투하자본 중 타인자본, 즉 차입금의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21

상환능력도 충분함을 나타내 준다.

<표 3-20> 전력기업간 총자산대비 업이익흐름비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총자산대비

업이익흐름비율12.42% 7.75% 10.04% 8.73%

과거 공급이 시장을 지배하던 시기에는 제품의 생산은 곧 판매를 의미하 고 따라

서 제품 생산 능력의 확보가 기업 성장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었다. 즉, 성장 지향시

대에는 총자산 규모, 매출액 등 외형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후 수요 창출이

기업성장의 열쇠를 쥐고 있던 시기에는 외형 보다는 수익성이 중시되었다. 그러나

그 후 기업 도산이 일반화되고 기업 환경 변화가 훨씬 역동적인 현대 경제 사회에서

는 적절한 현금 창출과 현금 보유가 매우 중요한 경 자의 경 능력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표 3-20>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대적으로 민 화가 오래 진행된 한국 전력과

도쿄전력의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흐름의 비중이 높은데 이는 감가상각비 등 비현

금성 비용의 계산 등으로 회계상 순이익률 등은 UES나 화능국제전력에 비해 낮으나

효율적인 업활동을 통해 최근 기업성장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 떠오른 현금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 성장성 및 활동성지표

성장성비율(growth ratio)은 기업의 당해연도 경 규모 및 경 성과가 전년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성장성비율은 기업의 경쟁력이나

미래 수익창출능력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성장성비율은 일반적으로 매출액 및 순이익증가율을 가지고 계산하는데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제품이 시장에서 그만큼 많이 팔린다는 것

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향후 기업 성장의 열쇠가 되는 시장점유율을 의미하는 매우

122

중요한 비율이다. 한편, 기업의 시장 지배력은 해당 기업이 어느 정도 가격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가격결정력이 크면 클수록 순이익규모

도 커질 수 있는 것이므로 매출액증가와 더불어 기업경쟁력을 표시하는 중요한 지표

인 것이다.

활동성비율(activity ratio)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자산, 자본 등)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매출액을 보유자산으로 나눈 회전

율로 측정된다.

1) 매출액증가율

매출액증가율(sales growth rate)은 매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당해연도에 얼마나 증

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매출액은 정상적인 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업수

익이므로 매출액증가율은 기업의 외형적 신장세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비율이다. 경

쟁기업보다 빠른 매출액증가율은 결국 시장점유율이 증가하 음을 의미하는 것이므

로 매출액증가율은 경쟁력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 중에 하나이다.

매출액증가율 = (당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 100

<표 3-21> 전력기업간 매출액증가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매출액증가율 5.64% 9.31% -1.83% 16.99%

<표 3-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UES나 화능국제전력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출액 증

가율이 높은데 이는 해당 국가의 급격한 경제발전과 해당 기업의 여유 설비 보유에

기인한 것이다. 즉, 러시아는 1999년 국가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지속적인 경제 개혁

과 시장 개방 조치에 따라 국가 경제 재건 정책이 실효를 거두어 최근에는 세계 7위

의 외환보유국으로 발돋움할 정도로 경제 활력을 되찾았다. 중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구가하고 있을 만큼 경제성장 속도가 빠른데 여기에다 화능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23

국제전력이 계속적인 기존 전력회사 매입과 신규 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어 매출

액 증가율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경우에는 계속되는 경기침체와 자국기업의 해외 이전으로 인해 전기 수요

가 정체 내지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은 성장잠재력의 둔화 및 전력소모

가 많은 제조회사들이 고임금을 피해 중국 등으로 생산 거점을 옮겨 가는 추세여서

단기간에 대폭적인 매출 증가는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 업이익증가율

업이익증가율(operating income growth rate)은 기업 고유 활동인 업활동의 결

과인 업이익이 전년도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주는 비율이다. 매출

액증가율이 기업 외형적인 성장세만을 표시한다면 업이익증가율은 해당 기업 제품

의 시장 지배력과 시장점유율 등을 표시하는 실질적인 성장세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

한 지표이다.

업이익률의 증가 여부는 해당 기업의 원가 구성 요소와도 관계가 있다. 즉, 해당

기업이 자본집약적인 성격이 강하면 이미 투하된 설비의 생산능력으로도 추가 제품

생산이 가능하므로 투입되는 변동비 부분만을 초과하면 업이익으로 귀속될 수 있

다. 따라서 자본집약적인 산업은 매출액증가율 보다 업이익률 증가율이 크게 나타

난다. 반면에 노동집약적인 산업은 매출액이 증가되는 비율만큼 변동비 부분인 노무

비가 동시에 증가되므로 업이익으로 귀속되는 부분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전력산업은 원천적으로 대규모 발전, 송전, 변전 및 배전 설비를 통해 전기를 공급

하는 것을 고유 사업으로 하므로 매출액증가율에 비해 업이익증가율의 증가가 크

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표 3-22> 전력기업간 업이익증가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업이익증가율 26.52% 46.34% -10.70% 11.25%

124

상기 분석대상 기업별 업이익증가율을 살펴보면 한국전력의 경우에는 매출액증

가율 5.64%를 훨씬 상회하는 26.52%를 나타내고, UES의 경우는 매출액증가율 9.31%

를 초과하는 46.34%를, 도쿄전력의 경우에도 매출액 감소 폭 1.83%보다 높은 10.70%

의 업이익 감소율을 기록하여 일반적인 전력산업의 장치산업으로서의 특징을 잘

반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능국제전력의 경우에는 매출액증가율에도

못 미치는 업이익증가율을 기록하 는데 이는 2002년 중에 화능국제전력이 새로

인수한 발전회사들의 인원을 정리하면서 이에 따른 일시 해고부담금을 지급한 것이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3) 당기순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net profit growth rate)은 기업 활동의 최종성과인 순이익이 전년도

에 비해 당해연도에 얼마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매출액증가율이 외

형적 성장세를 보여준다면 순이익증가율은 업이익증가율과 더불어 실질적 성장세

를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순이익증가율 = (당기 순이익 - 전기 순이익) / 전기 순이익 * 100

<표 3-23> 전력기업간 순이익증가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순이익증가율 86.45% -38.84% -8.39% 15.76%

<표 3-23>에서 보는 것처럼 한국전력의 순이익률증가율이 다른 분석대상기업에 비

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한국전력은 자회사 보유

지분 평가 및 처분에 따른 특별이익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UES의 순이익증가율

-38.84%는 2001년에 금융수익 등의 업외 수익이 55,987백만 루블에서 -3,736백만

루블로 격감한 것이 그 원인이다. 화능국제전력의 순이이익증가율 15.76%는 매출액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이고, 도쿄전력은 매출액 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로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25

-8%대의 순이익 감소를 기록하 다.

4) 총자산증가율

총자산증가율(total assets growth rate)은 기업에 투하되어 운 된 총자산이 전년도

에 비하여 당해연도에 얼마나 증가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전체적인

외형적 성장 규모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총자산증가율 = (당기말 총자산 - 전기말 총자산) / 전기말 총자산 * 100

<표 3-24> 전력기업간 총자산증가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총자산증가율 -0.07% -2.63% 1.97% 1.70%

<표 3-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석대상기업의 자산 증가율은 매우 완만한 상태를

나타나는데, 이는 현재의 발전용량에 아직 수요가 미치지 못하여 여유가 있는 것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특히 한국 전력의 경우에는 자산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투자자산 중의 일부를 처분한 것이

기 때문이다.

5) 총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total assets turnover)은 총자본회전율이라고도 하며, 매출액을 총자

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이 비율은 총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이 투자한 총자산의 활용도를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총자산

예를 들어 총자산회전율이 0.5회전이라면, 이는 이 기업이 1년 동안 실현한 매출액

126

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50%밖에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당연히 보유자

산의 회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당해 기업은 보유자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 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전력기업과 같은 장치산업의 경우에는 총자산회전율이

일반제조기업의 회전율에 비해 낮다. 또한, 총자산회전율이 0.5회전이라면 총자산금

액을 회수하는 데는 2년이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을 총자산회전율로 나누

면 보유자산의 회수기간을 구할 수 있는데 이는 투자의사결정 시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표 3-25> 전력기업간 자산회전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자산회전율 0.30회전 0.46회전 0.36회전 0.39회전

<표 3-25>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0.5회에도 못

미치고 있으나 UES만은 0.46회전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러시아 경제 재건에

따른 전력 수요의 급증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3-26> 자산회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자산회전율 1.08회전 0.95회전 0.88회전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자산회전율은 전력산업의 경우에는 장치산업의 특성상 일

반 제조기업의 자산회전율에 미치지 못하다는 것을 위의 자산회전율 국제 비교에서

알 수 있다.

라. 생산성 및 설비운

생산성비율(productivity ratio)은 기업 활동의 능률 내지 업적을 측정, 평가하고 그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27

발생원인과 성과배분의 합리성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비율이다. 그러므로 생산

성에 관한 지표는 곧 경 합리화의 척도로서 기업 활동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성과물

의 적절한 배분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생산성을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산출물을 투입물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

이다. 산출물을 고려할 때, 산출물을 단순히 해당 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는 경

우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등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편, 투입량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기준으로는 총자산, 생산에 직접 기여

하는 설비자산 및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생산성을 측정하는 방법과 그것이 가지는 의미 등

을 분석대상 기업의 경우를 통해 설명해보기로 한다.

1)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기업의 부가가치란 경 활동 결과 새로이 창출한 가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

업은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하고 이를 제품으로 가공한 후 판매하는 과정을 되풀이한

다. 부가가치는 1년 동안의 생산액에서 재료비, 외주가공비 등의 외부투입액을 차감

하여 구하는데, 이런 방법을 차감법이라 한다.

그러나 실제로 부가가치를 이와 같이 측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왜냐하면 공표된 기업의 재무제표를 사용하여 1년 동안의 생산액과 외부투입액을 정

확히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즉, 공표된 기업의 재무제표는 기간손익을 측정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서 정확한 부가가치를 산출하기가 어

렵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으로 인하여 한국은행을 비롯한 대부분의 재무정보 제공자들은 차감법

대신에 가산법을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구하고 있다. 가산법이란 부가가치의 구성요

소들을 모두 합하여 부가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즉, 부가가치 = 경상이익 + 인건비 + 순금융비용 + 임차료 + 조세공과 + 감가상

각비

128

감가상각비를 포함하여 구한 부가가치를 총 부가가치(gross added value)라 하고,

감가상각비를 제외하고 구한 부가가치를 순 부가가치(net added value)라고 한다. 일

반적으로 기업의 부가가치를 구할 때에는 총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고, 산업 또는

국가 전체의 부가가치를 구할 때에는 순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왜냐하면 산업

또는 국가의 부가가치를 구할 때 개별기업의 총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합산하면 감가

상각비 부분이 중복 계산되기 때문이다.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gross value added per capita)란 노동력 단위당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생산성(productivity of labor)이라고도 불린다. 노동생산성이 높

다는 것은 기업이 보유노동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했

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지표는 동일산업 내에서 개별기업의 경쟁력 측정은

물론 전체 국민경제적인 입장에서도 대외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다.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 부가가치 / 종업원 수

노동생산성은 종업원 1인이 1년 동안 창출한 가치를 의미하며 임금결정의 주요 기

준이 되기도 하는데, 노동집약적인 기업일수록 노동생산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표 3-27> 전력기업간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비교

(단위: 백만 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619 11 519 233

<표 3-27>에서 보는 바와 한국 전력의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가 분석대상 기업 중

에서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종업원의 업무 숙련도와 양질의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하지만 UES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적정인원을 초과한 인원 보유 및 수요 부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29

2) 종업원 1인당 인건비

종업원 1인당 인건비는 분석대상기업의 제조원가 및 판매일반관리비 중에서 인건

비 성격의 비용 합계액을 종업원 수로 나눈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업원 1인당 인건

비 금액도 중요하지만 이 금액은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금액과 비교하여야 하는데

1인당 부가가치 금액이 인건비 금액의 10배는 되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기준이

다.

<표 3-28> 전력기업간 종업원 1인당 인건비 비교

(단위: 백만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종업원 1인당

인건비52 5 115 24

<표 3-28>에서 보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이 속한 국가별 물가 수준을 반 하여 종

업원 1인당 인건비 금액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도쿄전력의 경우에는 도쿄

지역의 높은 물가 수준을 고려하면 당연히 그 금액이 다른 분석대상기업의 경우보다

높을 것이다. 화능국제전력의 경우에는 예상 보다 훨씬 높은데 이는 과다인원을 정

리하면서 일시적으로 지급한 퇴직위로금 성격의 급여가 2002년도 많이 계산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1인당 인건비 금액을 종업원 1인당 산출 부가가치와 비교해 보면 한국 전력

의 경우 52대 619, 도쿄전력 115대 519, 화능국제전력 24대 233으로 일반적인 기준인

10배를 모두 초과하고 있으나 UES만은 5대 11로 2배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

는 UES의 경우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보유 인원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다 적극적인 개선책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총자본투자효율

총자본투자효율(ratio of gross value added to total capitals)은 기업에 투하된 총

130

자본이 1년 동안 부가가치를 얼마나 창출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이 비율은

자본생산성(productivity of capital)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자본생산성이 높다는 것은

총자본이 효율적으로 운 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자본생산성은 자본투자액 1원이 1년 동안 창출한 부가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서 자본집약적인 기업일수록 자본생산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비율은 노동생

산성과 함께 기업의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이용되고 있으며,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비율은 노동생산성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표 3-29> 전력기업간 총자본투자효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총자본투자효율 16.94% 17.86% 16.29% 21.10%

<표 3-29>에서 보는 것처럼 총자본투자 효율은 분석대상기업 모두 큰 편차 없이

나타났다. 참고로 한국 제조회사의 총자본투자효율은 23.58%인데 이에 비추어 보면

전력기업의 총자본투자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고정자산 때문인 것을 풀이된다.

4) 설비투자효율

설비투자효율은 기업에서 실제로 생산 활동에 사용되고 있는 설비자산이 어느 정

도의 부가가치를 생산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총자본투자효율의 보조 지표로

사용된다.

설비투자효율 = 부가가치 / 설비 자산 * 100

<표 3-30> 전력기업간 설비투자효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설비투자효율 19.49% 21.95% 20.20% 27.02%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31

<표 3-30>에서 보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의 설비투자효율은 20%와 27% 사이에서

로 큰 편차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한국 및 일본의 제조회사 평균 설비투자효율은

56.04%와 69.4%에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총자본투자

효율과 함께 장치산업으로서의 전력산업의 특성을 잘 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노동소득분배율

노동소득분배율(distribution ratio of labor to value added)은 기업이 창출한 부가

가치에 대한 근로자에게 지급된 금액의 비율이다. 이 비율은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데 공헌한 근로자에게 지급한 대가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비율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성과배분의 합리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이용된다. 일반적

으로 기술혁신 등을 통하여 노동생산성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물가가 급격히 상승한

경우 인건비 상승이 노동생산성이나 물가의 상승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노동소득

분배율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노동소득분배율 = 인건비 / 부가가치 * 100

<표 3-31> 전력기업간 노동소득분배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도쿄전력 화능국제전력

노동소득분배율 8.34% 46.56% 22.19% 10.21%

<표 3-31>에서 보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은 큰 편차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분석대상기업이 운 중인 설비의 자동화정도 및 적정 인원 보유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먼저, 한국 전력의 부가가치 구성 내역을 살

펴보면 감가상각비(41%)와 경상이익(43%) 등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보유설비의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고 또 이들 설비 대체를 위한 유보 금액

과 법인세와 주주 배당을 위한 금액 비중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

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UES의 경우에는 보유 인원이 적정 수준을 초과함에 따라 인

건비 부분이 과다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도쿄전력의 경우에는 절대적인 임금

132

수준이 다른 분석 대상기업에 비해 높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노동소득 분배율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6) 부가가치율

부가가치율(ratio of gross value added to sales)은 일정기간 동안 창출된 부가가치

를 같은 기간 중의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부가가치율은 원래 기업의 생산액 중

에서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나, 추정이 복잡한 생산액 대신에 매출액을

사용하여 구한 비율이다.

부가가치는 매출액에서 다른 기업이 생산한 외부투입액인 재료비, 외주가공비 등

을 차감한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생산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 부가가치율도

높아지게 된다.

부가가치율 = 부가가치 / 매출액 * 100

부가가치율은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할수록 높아진다. 부가가치율이 높다는 것

은 기업이 창출한 가치의 비중이 높다는 것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되는 몫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양기업일수록 부가가치율이 낮고 성장기업일수

록 부가가치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전력기업은 장치 산업이므로 부가가치 계산에 포함되

는 감가상각비 금액이 크다는 것을 감안할 때 부가가치율은 일반 제조회사에 비해

훨씬 큰 것이 일반적이다.

<표 3-32> 전력기업간 부가가치율 비교

구 분 한국전력 UES 동경전력 화능국제전력

부가가치율 55.92% 37.67% 46.29% 54.93%

한국 및 일본 제조회사의 평균 부가가치율은 21.79%와 21.4%로 각각 나타나는데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33

분석대상기업의 부가가치율과 비교하면 한국전력 및 도쿄전력의 부가가치율은 해당

국가 평균에 비해 거의 2배에 이를 정도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3. 석유 기업의 비교 분석

석유기업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동북아 4개국의 대표적인 석유화학 기업 4개회사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재무 비율을 계산하고 이러한 비율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해 보

기로 한다.

동북아 4개국 분석 대상 기업의 공표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요약한 재무현황표는

아래에 제시하 다.

<표 3-33>은 공표된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해당 재무제표 표시통화로 작성된 것이

며, <표 3-34>는 2002년 12월 31일자 기준 환율로 환산한 재무제표이다. 또한, <표

3-35>는 상기 재무제표에 기초하여 계산한 재무비율이다.

전력산업의 비교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석유화학 산업도 국가 기간산업에 해당되

므로 안정적인 석유자원의 확보를 위해 처음에는 각국의 정부가 대부분의 지분을 소

유하고 경 해 왔다. 그러나 공기업이 가지는 비효율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석유화학

기업은 민 화의 길을 밟게 되었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1980년에 대한석유공사가 민

화되었고, 러시아나 중국도 경제 개방화 정책에 따라 민 화되었다.

공표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계산한 제반 비율들은 당연히 해당 기업이 가지고 있

는 설비 또는 민 화시기에 따라 상이할 것이며 그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의미

를 찾아내는 것이 재무비율 분석이 가지는 기본 목표이다. 그러한 분석을 위해서 크

게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을 표시하는 지표와 업활동의 결과에 의한 수익성 지표,

기업 활동의 미래 성장가능성을 나타내주는 성장성 지표 및 생산성 지표 등의 순서

로 언급하기로 한다.

입수한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Yukos의 경우에는 원유의 탐사 및 생산 부

문과 정제 및 판매부문의 재무자료를 분리한 사업부별 재무 자료를 입수하기가 불가

능하 다. 그러나 미국회계기준에 의한 재무제표를 검토한 결과 생산부문에서 정제

134

부문으로 판매된 금액은 내부매출, 매입으로 처리하여 그 금액만큼을 이미 제거하

기 때문에 손익에 미치는 순 효과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관련 자산 금액은 총

액으로만 되어 있어서 비율분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

한 이유 때문에 분석대상기업간의 차이분석 시 설명하기 어려운 차이가 있을 수 있

으며 이때는 별도로 언급하 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35

<표 3-33>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작성 통화 기준

대차대조표SK

(백만원)

YUKOS

(백만달러)

NOC

(천달러)

Petrochina

(백만RMB)

유동자산 3,742,243 7,232 10,671,293 75,164

투자자산 3,957,512 446 2,083,181 5,680

고정자산 6,125,866 6,116 11,669,827 397,798

기타자산 600 1,476,001 4,507

기말총자산 13,825,621 14,394 25,900,302 483,149

유동부채 5,356,956 1,704 10,612,286 89,353

고정부채 3,170,084 1,819 7,516,256 72,266

부채총계 8,527,040 3,523 18,128,542 161,619

차입금 5,268,676 499 8,827,676 81,288

단기차입금 2,036,981 121 1,578,684 20,633

유동성장기부채 892,859 1,751,586

장기차입금 1,871,629 378 5,497,406 60,655

주주차입금

외화단기차입금 467,206

자기자본 5,298,581 10,871 7,771,767 321,530

확인 사항 13,825,621 14,394 25,900,309 483,149

손익계산서

당기매출액 13,388,151 11,373 29,696,023 244,424

당기 업이익 388,195 3,483 565,647 72,341

이자비용 381,266 64 262,256 3,516

당기순이익 296,812 3,058 226,045 46,910

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234,317) 2,967 1,470,737 98,341

전기매출액 14,114,862 9,461 30,653,308 241,320

전기 업이익 565,361 3,634 526,910 71,139

전기순이익 91,215 3,156 223,962 45,469

전기말총자산 14,241,505 10,502 29,859,037 462,665

부가가치 1,585,209 8,153 1,825,316 139,705

- 경상이익 390,662 3,810 328,609 68,972

- 인건비 392,321 1,066 381,361 16,735

- 순금융비용 347,549 (269) 262,256 3,053

- 임차료 7,407

- 조세공과 25,845 3,087 14,163

- 감가상각비 421,425 459 853,090 36,782

136

<표 3-34> 분석대상기업 재무현황표- 원화 통화 기준

(단위: 백만원)

대차대조표 SK YUKOS NOC Petrochina

유동자산 3,742,243 8,579,322 12,659,355 10,772,504

투자자산 3,957,512 529,090 2,471,278 814,058

고정자산 6,125,866 7,255,411 13,843,916 57,012,409

기타자산 711,780 1,750,980 645,943

기말총자산 13,825,621 17,075,602 30,725,528 69,244,915

유동부채 5,356,956 2,021,455 12,589,355 12,806,072

고정부채 3,170,084 2,157,880 8,916,534 10,357,163

부채총계 8,527,040 4,179,335 21,505,889 23,163,235

차입금 5,268,676 591,964 10,472,272 11,650,196

단기차입금 2,036,981 143,542 1,872,793 2,957,122

유동성장기부채 892,859 0 2,077,906 0

장기차입금 1,871,629 448,421 6,521,573 8,693,075

주주차입금 0 0 0

외화단기차입금 467,206 0 0 0

자기자본 5,298,581 12,896,267 9,219,647 46,081,680

확인 사항 13,825,621 17,075,602 30,725,537 69,244,915

손익계산서

당기매출액 13,388,151 13,491,790 35,228,392 35,030,848

당기 업이익 388,195 4,131,883 671,027 10,367,912

이자비용 381,266 75,923 311,114 503,913

당기순이익 296,812 3,627,705 268,157 6,723,141

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234,317) 3,519,752 1,744,735 14,094,232

전기매출액 14,114,862 11,223,584 36,364,019 34,585,982

전기 업이익 565,361 4,311,014 625,073 10,195,641

전기순이익 91,215 3,743,963 265,686 6,516,617

전기말총자산 14,241,505 12,458,523 35,421,776 66,309,148

부가가치 1,585,209 9,671,904 2,165,372 20,022,521

- 경상이익 390,662 4,519,803 389,829 9,885,067

- 인건비 392,321 1,264,596 452,409 2,398,460

- 순금융비용 347,549 (319,115) 311,114 437,556

- 임차료 7,407 0 0 0

- 조세공과 25,845 3,662,108 0 2,029,841

- 감가상각비 421,425 544,512 1,012,021 5,271,596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37

<표 3-35> 분석대상기업 재무비율

비율분석 SK YUKOS NOC Petrochina

1. 안전성지표

유동비율 69.86% 424.41% 100.56% 84.12%

부채비율 160.93% 32.41% 233.26% 50.27%

차입금의존도 38.11% 3.47% 34.08% 16.82%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101.82% 5442.19% 215.69% 2057.48%

2. 수익성지표

매출액 업이익률 2.90% 30.63% 1.90% 29.60%

매출액순이익률 2.22% 26.89% 0.76% 19.19%

총자산순이익률 2.15% 21.24% 0.87% 9.71%

자기자본순이익률 5.60% 28.13% 2.91% 14.59%

총자산대비

업현금흐름비율-1.69% 20.61% 5.68% 20.35%

3. 성장성 및 활동성지표

매출액증가율 -5.15% 20.21% -3.12% 1.29%

업이익증가율 -31.34% -4.16% 7.35% 1.69%

당기순이익증가율 225.40% -3.11% 0.93% 3.17%

총자산증가율 -2.92% 37.06% -13.26% 4.43%

자산회전율 95.40% 91.36% 106.51% 51.69%

4. 생산성 및 설비 운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백만원)316,978 96,719 451,119 48,923

종업원 1인당 인건비(백만원) 78,448 12,646 94,252 5,860

총자본 투자 효울 11.47% 56.64% 7.05% 28.92%

설비 투자 효율 25.88% 133.31% 15.64% 35.12%

노동소득 분배율 24.75% 13.07% 20.89% 11.98%

부가가치율 11.84% 71.69% 6.15% 57.16%

가. 안전성지표

1) 유동비율

유동비율(current ratio)은 대차대조표상에 있는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

로서 유동자산에는 현금, 시장성 유가증권, 외상매출금과 재고자산 등이 포함되며,

유동부채에는 장기부채 중 1년 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부분과 외상매입금 등 단기부

채 및 그 밖의 미지급비용 등이 포함된다.

138

유동비율은 단기채무 변제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

는 비율로서 기업의 유동성을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율이며 비율분석에

서 가장 중요하고 재무 분석의 시발점이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은 200%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고 있으나 획일화된 기준은 없다.

그러나 유동자산은 일반적으로 높은 수익을 가져오는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유동

비율이 높다는 것이 기업의 채권자 입장에서는 바람직해 보이지만 경 자 입장에서

는 자산 운용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 즉, 유동비율은 다른 재무비율과 마찬가지로

양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기업이 처한 상황이나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표 3-36> 석유회사의 유동비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유동비율 69.86% 424.41% 100.56% 84.12%

<표 3-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Yukos의 유동비율이 비교회사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Yukos의 경우에는 주식상장 및 업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시장성

있는 채권 및 증권에 운용하고 있고, 외상매출금과 환금가능한 부가세 잔액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Yukos를 제외한 분석대상기업의 유동비율은 아래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

적인 제조회사에 비하여 유동비율이 낮은 편이다. 이는 크게 2가지로 설명될 수 있

는데 우선은 석유산업 자체가 장치산업이기 때문에 회사의 자산 구조상 유동자산보

다는 설비 등의 고정자산의 보유 비중이 월등히 높고, 일반 제조회사의 유동자산 중

비중이 높은 재고자산 금액이 생산 제품의 특성상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

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39

<표 3-37> 유동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유동 비율 106.1% 123.3% 128.5%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표 3-36>에서도 설명되듯이 석유회사들의 유동비율은 앞에서도 언급한 이유에서

와 같이 일반적인 제조회사의 유동비율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나 이러한 위험은 보

유자산의 금액이 절대적으로 많고 또한 보유자산의 담보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이러

한 낮은 유동비율에 의한 재무 위험은 상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부채비율

부채비율(debt ratio)은 총자본을 구성하고 있는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의 비율을 말

하는 것으로 타인자본(부채)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특히 장기부채의 원리

금상환능력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타인자본은 유동부채, 장기차입금, 사채 등을 포

함하며, 자기자본에는 보통주, 유보이익인 이익잉여금, 자본준비금 등이 포함된다.

부채비율은 일반적으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으나 절대적으로 모든 기

업 또는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은 없다. 즉, 미래의 경기전망이 좋으면 앞에서

도 언급한 것처럼 부채의 손익확대효과가 있기 때문에 부채 사용이 주주입장에서는

바람직할 수도 있는 것이며, 기업이 새로운 자금조달을 원하는 경우에 보통주를 발

행하면 기존 주주들의 기업지배권이 약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타인자본으로 조달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IMF 이후 정부와 금융기관들의 꾸준한 노력으로 기업의 부

채비율이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분석대상기업의 부채비율은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비교적 최근에 민 화된

Yukos와 중국석유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관련 되는 설비 대부분이

국 회사가 보유하다 현물출자의 형식(관련 설비의 양도 대가로 현금을 수취하지 않

고 새로 설립되는 회사의 주식으로 받는 것)을 취했기 때문에 설비 취득을 위한 자

140

금 조달이 불필요하여, 상대적으로 민 화가 오래된 SK나 일본석유에 비해 부채가

작은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Yukos의 경우에는 누적 순이익금이 9,599백만 달러에

달하여 누적된 이익잉여금을 배당하지 않고 거의 회사 내부에 유보하 거나 다른 동

종회사를 인수하는 데에만 사용하여 내부 자금 조달 비중이 월등히 큰 것도 상대적

으로 부채비율을 낮춘 이유 중의 하나이다.

<표 3-38> 석유회사 부채비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부채비율 160.93% 32.41% 233.26% 50.27%

석유회사의 특성이 대규모장치산업인 점을 감안하면 분석 대상이 된 동북아 석유

회사들의 부채비율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표 3-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석대상기업의 부채비율은 해당 국가의 제조업 평

균치를 상회하고 있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

럼, 한국의 부채비율이 미국, 일본 등에 비해서 낮아진 것은 IMF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기업의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한 정부와 금융기관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표 3-39> 부채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부채 비율 135.4% 167.3% 162.5%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3) 차입금의존도

차입금의존도(total borrowings and bonds payable to total assets)는 조달한 총

자본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일반적으로 차입금의존도

가 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전성도 낮아진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41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 / 총자본 * 100

즉, 차입금의존도는 부채비율을 계산할 때 고려한 기업의 총채무 중에서 금융기관

만의 채무를 별도로 고려하여 금융기관차입금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한 비율로서

분석대상기업의 차입금의존도를 계산해 보면 <표 3-40>과 같다.

<표 3-40> 석유회사 차입금의존도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차입금의존도 38.11% 3.47% 34.08% 16.82%

러시아의 Yukos나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차입금의존도비율이 낮은데 이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민 화에 따른 현물출자로 설비투자를 위한 외부자금조달의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표 3-41> 차입금 의존도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차입금의존도 31.7% 26.5% 31.3%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차입금의존도를 국제수준과 비교하여 보면 분석대상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평균치

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times interest earned)은 기업의 정상적인 업활동의

결과로서 벌어들인 업이익이 타인자본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이자비용의 몇 배에

142

해당하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서, 해당 기업이 부채사용에 따른 이자비용을 지급할

능력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이용된다. 앞에서 언급한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

도가 자기자본 대 타인자본의 금액을 가지고 결정하는 정적 개념(static concept)의

성격을 갖는 것이라면,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은 손익계산서상에서 기업의 정상

적인 업이익이 부채로 인한 금융비용의 지출을 어느 정도 감당할 능력이 있는지를

표시하는 동적 개념(dynamic concept)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절대적인 부채의 규

모만을 고려하는 부채비율보다는 훨씬 더 합리적인 분석틀을 제공한다. 즉, 이자비용

을 초과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투입원가(이자비용)를 초과하는

부분을 향유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투자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

나 차입금은 미래 상환해야 하는 것이므로 상환을 위한 자금 유보까지 고려하면 이

자보상비율은 적어도 150% 정도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표 3-42> 석유회사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101.82% 5,442.19% 215.69% 2,057.48%

즉, <표 3-42>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대상 기업의 업이익대비 이자

보상비율은 모두 100%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차입금을 이용한 업 확대는 부가가치

를 창출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Yukos나 중국석유의 상대적으로 낮은 차입금 의

존도는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와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등의 재무구조 안정성

을 여실히 입증하고 있다.

<표 3-43> 업이익대비이자보상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260.3% 278.9% 384.5%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43

<표 3-42>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대상기업은 Yukos와 중국석유를 제외

한 SK와 일본석유는 해당 국가의 제조업평균에 비해 낮은 업이익대비이자보상비

율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는 전반적인 석유화학 경기의 침체로 인한 업이익률 저

하와 대규모 장치산업 위를 위한 과다한 차입금 규모가 그 원인으로 보인다.

나. 수익성지표

기업의 수익성(profitability)은 기업의 여러 가지 정책과 의사결정의 종합적인 결과

로서 나타나는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안정성 비율이 기업이 어떻게 운 되고 있는가

를 부분적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수익성지표는 기업의 모든 활동이 종합적으로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가를 측정한다. 따라서 수익성 비율(profitability ratio)은 일정

기간 동안 경 활동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비율이다. 수익성비율에는 앞에

서도 언급한 것처럼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는 매출액 대비 수익성비율과 투

하자본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자본수익성비율이 있다.

1) 매출액 업이익률

매출액 업이익률(operating income to sales ratio)은 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서 매출액 1원당 얼마의 업이익을 거두었는지를 말해 주는 지표이다. 업

이익이란 해당 기업의 고유 업활동인 제품 생산, 판매의 결과로서 나타는 것이기

때문에 이 비율을 통해 기업 고유의 업활동의 효율성(operating efficiency)을 측정

할 수 있다.

매출액 업이익률 = 업이익 /매출액 * 100

<표 3-44> 석유회사 매출액 업이익률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매출액 업이익률 2.90% 30.63% 1.90% 29.60%

144

<표 3-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러시아 UES와 중국석유의 매출액 업이익률이 높

은데 이는 다음 2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석유화학산업의 원료인 원유가 해

당 국가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운송비 등을 고려하면 원료 매입단가가 SK나 일본석

유에 비해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러시아와 중국의 자국 경제 성장률이 한

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높아서 적정이윤을 확보할 수 있는 내수가 뒷받침되기 때문인

것을 보인다. 또한, 지역 독점성을 확보하고 최근 민 화에 따른 정부의 우호적 규제

를 받고 있는 점도 Yukos와 중국석유의 매출액 업이익률을 높게 하는 원인인 것으

로 보인다.

부연하여 얘기하면, 중국의 경우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모자라는 상황이므로 일본이나 한국의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과이득을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러시아의 경우에는 수직일관생산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따른 저

비용, 저원가의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3-45> 매출액 업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매출액 업이익률 6.7% 5.5% 2.7%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표 3-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석대상기업의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은 일반적인

제조회사의 경우와 비교하면 내수가 침체되어 있고 과잉설비에 따른 출혈경쟁을 하

고 있는 한국의 SK나 일본의 일본석유는 해당 국가의 제조업 평균치에도 못 미치고

있어 해당 산업의 어려움을 알려주고 있다. 반면에 Yukos와 중국석유는 앞에서 언급

한 이유로 초과이윤을 확보하고 있다.

2)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net income to sales ratio)은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로서 매출액 1원에 대하여 순이익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통 매출 마진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45

(margin on sales)이라는 용어를 많이 쓴다. 이 비율은 기업의 전체적인 경 효율성

을 판단하는 데 이용되는 비율로서, 기업의 고유한 업활동의 결과인 업이익과

자금조달의 결과인 지급이자 등의 금융비용을 반 한 재무활동을 총망라한 경 활동

의 성과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다.

매출액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100

<표 3-46> 석유회사 매출액순이익률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매출액순이익률 2.22% 26.89% 0.76% 19.19%

<표 3-46>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출액순이익률은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의

크기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당기순이익

을 계산하려면 매출액에서 직접 생산에 소요되는 원가인 매출원가를 차감하고 다시

해당 제품의 판매 및 일반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인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공제하고

남는 금액이 업이익이 된다. 다시 업이익에서 업과는 직접 관련은 없으나

업활동에 필수적인 비용(이자비용 등의 금융비용 등)과 법인세 등을 차감하면 당기순

이익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은 매출액 업이익률이 높고 금융기관차입금이 적은 Yukos와 중국

석유의 경우에는 높게 나타나고 반대로 매출액 업이익률이 낮고 금융기관차입금이

많은 SK와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낮게 나타나고 있다.

<표 3-47> 매출액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매출액순이익률 6.3% 3.5% 0.1%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146

매출액순이익률의 국제비교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국가의 경기 현황과

원유 등 석유자원의 부존자원의 유무에 따라 매출액순이익률이 큰 편차를 보이고 있

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제조업평균치에 비해서 매출액순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해당 국가에서의 석유화학 업황이 장기간 지속된 공급과잉

현상으로 수익성이 극히 악화된 것을 반 하는 것이다. Yukos와 중국석유는 자국에

서 생산되는 원유 수급의 용이성 및 수송단가가 저렴하고 해당 국가의 관련 제품 수

요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액순이익률을 시현하고 있다.

3) 총자산순이익률

총자산순이익률(return on investment : ROI) 또는 총자본순이익률(net profit to

total assets)은 순이익과 총자산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업의 수익성을 대표

하는 비율이다. 원래 ROI를 이용한 분석기법은 듀퐁(du Pont)사에서 개발되어 1930

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된 것으로 기업의 목표를 투자수익률로 하여 이를 결정하는

재무요인을 체계적으로 관찰해서 문제가 발생되는 재무요인을 중점적으로 통제하는

방법이다. 총자산수익률은 기업의 경 성과와 그 효율을 투자수익률과 관계된 재무

요인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분석, 통제하는 것이므로, 재무비율들을 기업 전체적 입

장에서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종합적인 비율분석의 방법이다.

총자산수익률은 순이익을 총자산액으로 나눈 것인데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아래

와 같다.

총자산수익률 = 순이익 / 총자산액

= 순이익/매출액 X 매출액/총자본

= 매출액순이익률 X 총자본회전율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자산수익률은 앞에서 논의한 수익성을 표시하는 매출액

순이익률과 자산의 활용도를 나타내는 총자본회전율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기업

활동의 수익성측면과 활동성측면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47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총자산순이익률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총자산(총자본)은

주주와 채권자 모두가 제공한 금액이고 분자는 이미 채권자에게 귀속되는 이자비용

등을 차감한 주주에게만 귀속되는 순이익이므로 총자산순이익률은 분모와 분자가 정

확하게 대응되는 비율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자산수익률은 기업의 자금조

달 활동의 결과인 재무상태와 조달된 자금의 사용내역을 표시하는 자산 현황을 표시

하는 대차대조표와 업활동의 결과물인 손익계산서를 동시에 고려한다는 점에서 아

직도 유용한 재무비율로 인정받고 있다.

<표 3-48> 석유회사 총자산순이익률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총자산순이익률 2.15% 21.24% 0.87% 9.71%

<표 3-48>에서 보는 것처럼 SK나 일본석유의 총자산순이익률이 상대적으로 Yukos

나 중국석유에 비해 낮은데 이는 앞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매출액순이익률이 낮은데

기인한다. 총자산순이익률의 다른 구성 요인인 총자본회전율은 SK, Yukos, 일본석유

의 경우 모두 100% 안팎이므로 큰 향을 미치지 않으나 중국석유의 총자본회전율

은 52%정도이므로 매출액순이익률 19.19%의 절반정도인 9.71%의 총자산순이익률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총자산순이익률은 매출액대비 업이익률이

나 매출액순이익률에 비해 훨씬 낮은데 이는 총자산 규모에 비하면 절대적인 매출규

모가 작고 보유 설비의 활용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표 3-49> 총자산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총자산순이익률 6.78% 3.1% 0.09%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SK의 경우 총자산수익률이 해당국가의 제조업평균에 못 미치고 있는데 이는 한국

148

의 경우 석유화학산업의 업계의 환경이 워낙 나쁘고 또한 지급이자의 부담도 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총자산순이익률이 절대적으로도 워낙

낮지만 일본의 제조업평균치가 워낙 낮으므로 일본석유의 총자산순이익률은 제조업

평균치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Yukos나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한국, 일본, 미국

의 제조업 평균치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4) 자기자본순이익률

자기자본순이익률(return on equity : ROE 또는 net profit to net worth)은 순이익

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서 주주가 기업에 투자한 자본에 대해 벌어들이는 수익

성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총자산순이익률(ROI)이 분모에 타인자본(부채)과 자기자본

(자본금)의 합계액을 이용함으로서 분모, 분자의 대응력이 부족한 것을 보완하기 위

해 사용되기 시작한 ROE는 주주가 제공한 자기자본에 대해서 이자비용과 법인세를

차감한 당기순이익만을 고려함으로서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성을 사후적으로 측정한

비율이다. ROE는 주주의 투자수익률을 나타내기도 하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후적

인 자기자본비용의 대용치 이기도 하다.

자기자본순이익률 = 순이익 /자기자본 * 100

일반적으로 기업에 자금을 공여하는 자는 사전적이든 사후적이든 자금공여에 따른

기회비용을 보상받기 위해 일정율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데 이를 투자수익률이라고

한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이 투자수익률은 당연히 무위험수익률인 시중은행의 정기

예금금리나 국공채의 수익률 보다는 높아야 자금제공자가 제공한 자금을 해당기업으

로부터 이탈시키려하지 않을 것이다.

<표 3-50> 석유회사 자기자본순이익률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자기자본순이익률 5.60% 28.13% 2.91% 14.59%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49

분석 대상 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총자산수익률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분석대상기업들이 부채를 이용하여 투자를 해서 부담한 이

자비용보다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여 자기자본 투자자인 주주에게 추가분만큼의 이

익이 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해당 기업이 속해 있는 국가의 금리 수준을 고려

하면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표 3-51> 자기자본순이익률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자기자본순이익률 17.3% 8.2% 2.0%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분석대상기업의 자기자본순이익률을 국제 수준 및 해당 기업이 속하는 나라의 제

조업 평균치와 비교해 보면 SK의 경우에는 한국제조업평균치에 비해서 상당히 떨어

지는데 이는 장치산업인 석유화학사업을 위하는 SK가 과다차입으로 인한 이자비

용이 많고 한국 및 주력 수출 시장인 아시아의 업황 상황이 좋지 않은데 기인한 것

으로 보인다.

5)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

총자산 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은 기업의 3가지 주요한 활동인 업활동, 자금

조달과 관련이 있는 재무활동, 조달한 자금을 적절하게 운용하는 투자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고유의 업활동에서 조달한 현금을 총자산과 대비한 비율이다. 이 비

율은 투하된 총자산 중에서 업활동을 통해 회수한 금액의 비율을 표시하는 것으로

서 이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당해 기업의 업을 통한 현금 회수가 빨라 투하자금

의 조기회수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투하자본 중 타인자본, 즉 차입금의

상환능력도 충분함을 나타내 준다.

150

<표 3-52> 석유회사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

흐름비율

-1.69% 20.61% 5.68% 20.35%

제품의 공급과 수요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과거 공급이 시장을 지배하던

시기에는 제품의 생산은 곧 판매를 의미하 고 따라서 제품 생산 능력의 확보가 기

업 성장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었던 성장 지향시대에는 총자산 규모, 매출액 등 외형

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후 제품 생산 능력에 비해 수요가 이에 미치지 못하

는 시기에는 해당 기업의 제품에 대한 수요 창출이 기업 성장의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었고 이 시기에는 외형 보다는 수익성이 중시되었다. 그러나 그 후 차입경 에 의

한 기업 도산이 일반화되고 기업 환경 변화가 훨씬 역동적인 현대 경제 사회에서는

기업 활동을 통한 적절한 현금 창출과 현금 보유가 매우 중요한 경 자의 경 능력

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표 3-52>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상대적으로 매출액 업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

이 양호하여 업활동에 의한 수익성과 보유자산의 활용도가 높은 Yukos와 중국석

유의 경우에는 총자산대비 업이익현금흐름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 고유

의 업활동에 의한 수익성이 높고 활발한 매출액 증가가 업활동에서 창출되는 현

금을 증대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매출액 업이익

률과 총자산회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업활동에 의해 창출되는 현금 규모

도 작다는 것을 말해준다. SK의 경우에는 시장 상황이 호의적이지 않은데다 경쟁도

훨씬 치열해 재고자산 보유 금액이 증가하고 또한 판매에 따른 현금 횟수 기일도 증

가하여 오히려 업활동에서 현금흐름을 창출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 성장성 및 활동성지표

일반적으로 재무비율은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한 대차대조표나 일정 기간의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51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기업 경 의 한단면만 보여

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추세분석(trend analysis) 기법은 이러한 비율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율의 시간적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기업의 미래 재무 상태나 경

성과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성장성비율(growth ratio)은 일종의 추세분석의 하나로서

기업의 당해연도 경 규모 및 경 성과가 전년도에 비하여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성장성비율은 해당 기업에 대한 시장의 평가를 객관적으로 보여

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해당 기업의 경쟁력이나 미래 수익창출능

력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성장성비율은 일반적으로 매출액 및 순이익증가율을 가지고 계산하는데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제품이 시장에서 그 만큼 많이 팔린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향후 기업 성장의 열쇠가 되는 시장점유율을 의미하는 매우

중요한 비율이다. 한편, 기업의 시장 지배력은 해당 기업이 어느 정도 가격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가격결정력이 크면 클수록 순이익규모

도 커질 수 있는 것이므로 순이익증가율은 매출액증가율과 더불어 기업경쟁력을 표

시하는 중요한 지표인 것이다.

활동성비율(activity ratio)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원(자산, 자본 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비율이다. 이와 같은 비율들은 매출액에 대

한 각 중요자산의 회전율로 표시되는 것이 보통인데, 여기서 회전율이란 자산의 물

리적 효율성(physical efficiency)을 말하는 것으로, 자산의 효율적 이용으로 인한 화

폐적 성과와는 다르다. 기업의 경 성과를 화폐가치로 환산하는 효율성은 앞에서 언

급한 수익성 비율을 통해 알 수 있다. 활동성비율은 일반적으로 매출액을 보유자산

으로 나눈 회전율로 측정된다.

1) 매출액증가율

매출액증가율(sales growth rate)은 해당 기업의 매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당해연도

에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매출액은 정상적인 업활동에서 발

생하는 업수익이므로 매출액증가율은 기업의 외형적 신장세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152

비율이다. 경쟁기업보다 빠른 매출액증가율은 결국 시장점유율이 증가하 음을 의미

하는 것이므로 매출액증가율은 경쟁력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이다.

매출액증가율 = (당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 전기 매출액 * 100

<표 3-53> 석유회사 매출액증가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매출액증가율 -5.15% 20.21% -3.12% 1.29%

<표 3-53>에서 보는 바와 같이 Yukos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데

이는 해당 국가의 급격한 경제발전과 Yukos의 공격적인 동종업종 회사의 인수 등에

기인한 것이다. 즉, 러시아는 1999년 국가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지속적인 경제 개혁

과 시장 개방 조치에 따라 국가 경제 재건 정책이 실효를 거두어 최근에는 세계 7위

의 외환보유국으로 발돋움할 정도로 경제 활력을 되찾아가면서 내수 및 수출 모두가

활발한 성장세를 보 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구가하고 있을 만큼 경제성장 속도가 빠르고 내수 증가율도 높은 편이

나 2002년 중에 원유 수출 단가가 2001년 US$23.61에서 US$22.48로 떨어진데 따라

매출액증가율이 1.29%의 완만한 상승세밖에 시현하지 못했다. SK나 일본석유의 경우

에는 상당 기간 지속되어온 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공급 과잉 현상(과잉 설비 보유와

지역 경제의 침체) 및 해당 국가 경기상황과 석유화학 업황을 반 하여 오히려 마이

너스의 매출증가율을 가록하 다.

2) 업이익증가율

업이익증가율(operating income growth rate)은 기업 고유 활동인 업활동의 결

과인 업이익이 전년도에 비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주는 비율이다. 매출

액증가율이 기업 외형적인 성장세만을 표시한다면 업이익증가율은 해당 기업의 재

품의 시장 지배력과 시장점유율 등을 표시하는 실질적인 성장세를 보여주는 매우 중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53

요한 지표이다.

업이익률의 증가 여부는 해당 기업의 원가 구성 요소와도 관계가 있다. 즉, 해당

기업이 자본집약적인 성격이 강하면 이미 투하된 설비의 생산능력으로도 추가 제품

생산이 가능하므로 투입되는 변동비 부분만을 초과하면 업이익으로 귀속될 수 있

다. 따라서 자본집약적인 산업은 매출액증가율 보다 훨씬 업이익률 증가율이 크게

나타난다. 반면에 노동집약적인 산업은 매출액이 증가되는 비율만큼 변동비 부분인

노무비가 동시에 증가되므로 업이익으로 귀속되는 부분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석유화학산업은 원천적으로 대규모 설비를 필요로 하는 장치산업이므로 매출액증

가율에 비해 업이익증가율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표 3-54> 석유회사 업이익증가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업이익증가율 -31.34% -4.16% 7.35% 1.69%

상기 분석대상 기업별 업이익증가율을 살펴보면 한국의 SK 경우 무려 31.34%가

감소하 는데 이는 내수 시장의 경쟁 격화에 따른 광고 선전비의 증가와 부실채권의

정리에 따른 대손상각비의 증가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러시아의

Yukos의 경우에도 예상과는 달리 4.16% 감소하 는데 이는 기업 인수에 따른 업

권 상각과 일시적인 인력 구조조정을 위한 인건비 증가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일

본의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7.35% 증가하 는데 이는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통한 원가

절감 효과 등이 실효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중국석유는 매출액 증가

에 따른 설비 가동률 증가로 매출액 대비 업이익률도 그만큼 늘어난 것이기 때문

이다.

3) 당기순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net profit growth rate)은 기업 활동의 최종성과인 순이익이 전년도

에 비해 당해연도에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보여주는 비율이다. 매출액증가율이 외

154

형적 성장세를 보여준다면 순이익증가율은 업이익증가율과 더불어 실질적 성장세

를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순이익증가율 = (당기 순이익 - 전기 순이익) / 전기 순이익 * 100

순이익증가율은 당연히 매출액대비 업이익률 증가 추이와 금융비용 등 업외손

익의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표 3-55> 석유회사 순이익증가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순이익증가율 225.40% -3.11% 0.93% 3.17%

<표 3-55>에서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순이익증가율은 SK의 경우 업이익률이 감

소하 음에도 불구하고 225.4%나 대폭 증가하 는데 이는 유리한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환차익, 비 업용자산인 투자자산처분에 따른 이익과 투자자산 처분 대금으로 차

입금을 상환한데 따른 이자 비용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다. 일본석유의 경우 업

이익률의 증가에 비해 당기순이익률 증가폭이 미미한데 이는 고정자산 처분에 따른

손실과 고정자산 수선을 위한 충당금 설정 등에 따른 비용 증가에 따른 것이다.

Yukos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업이익증가율은 7.35%이나 금융수익이 전년도에

비해 대폭 감소한데 따라 순이익증가율은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4) 총자산증가율

총자산증가율(total assets growth rate)은 기업에 투하되어 운 된 총자산이 전년도

에 비하여 당해연도에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전체적인

외형적 성장 규모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총자산증가율 = (당기말 총자산 - 전기말 총자산) / 전기말 총자산 * 100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55

<표 3-56> 석유회사 총자산증가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총자산증가율 -2.92% 37.06% -13.26% 4.43%

총자산증가율은 SK의 경우 소폭 감소하 으며, Yukos는 동종 업종 회사를 공격적

으로 인수함에 따라 37% 증가하 다.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설비를 처분함에 따라 13% 감소하 으며,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완만한 상승세를 기

록하고 있다.

5) 총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total assets turnover)은 총자본회전율이라고도 하며, 매출액을 총자

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총자산은 총자본과 동일한 것으로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합

한 것이며, 이 비율은 총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

업이 투자한 총자산의 활용도를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총자산회전율이 높

으면 유동자산, 고정자산 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 회전율

이 낮으면 과잉투자와 같은 비효율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총자산회전율 = 매출액 / 총자산

예를 들어 총자산회전율이 0.5회전이라면, 이는 이 기업이 1년 동안 실현한 매출액

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50%밖에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당연히 보유자

산의 회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당해 기업은 보유자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 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전력기업과 같은 장치산업의 경우에는 총자산회전율이

일반제조기업의 회전율에 비해 낮다. 또한, 총자산회전율이 0.5회전이라면 총자산금

액을 회수하는 데는 2년이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을 총자산회전율로 나누

면 보유자산의 회수기간을 구할 수 있는데 이는 투자의사결정 시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156

<표 3-57> 석유회사 자산회전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자산회전율 0.95회전 0.91회전 1.07회전 0.52회전

<표 3-57>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 중 중국석유를 제외하면 대개

2002년에 자산회전율은 1에 근접하고 있다. 중국석유의 경우 총자산회전율이 낮은데

이는 총자산에 훨씬 못 미치는 매출액 때문이며 향후 중국석유시장의 팽창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표 3-58> 자산회전율의 국제 비교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자산회전율 1.08회전 0.95회전 0.88회전

자료: <기업경 분석> 한국은행, 2003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자산회전율은 석유화학산업이 장치산업인 점을 감안하면

분석대상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이 해당국가의 제조기업의 자산회전율과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의 어려운 업황을 고려하면 해당 기업의 설비가동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수익성은 저조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해당기업의 제품가액이 고정비 부분만을 커버하면 판매하는 출혈경

쟁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라. 생산성 및 설비운

생산성비율(productivity ratio)은 기업 활동의 능률을 측정, 평가하여 그 발생원인

과 성과배분의 합리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부가가치에 의한 생산성측정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는 기업의 과거 판매실적 제일주의의 경 으로부터 능률, 임

금, 순이익, 고용 등의 조화를 통해 기업 경 을 합리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음

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생산성에 관한 지표는 곧 경 합리화의 척도로서 기업 활동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57

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성과물의 적절한 배분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생산성을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산출물을 투입

물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이다. 산출물을 고려할 때, 산출물을 단순히 해당 기업의 매

출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

우 등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편, 투입량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기준으로는

총자산, 생산에 직접 기여하는 설비자산 및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생산성을 측정하는 방법과 그것이 가지는 의미 등

을 분석대상 기업의 경우를 통해 설명해보기로 한다.

1)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기업의 부가가치란 경 활동 결과 새로이 창출한 가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

업은 외부에서 자원을 조달하고 이를 제품으로 가공한 후 판매하는 과정을 되풀이한

다. 부가가치는 1년 동안의 생산액에서 재료비, 외주가공비 등의 외부투입액을 차감

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고 , 부가가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합하여 부가가치를 계산

하는 방법이 있는데 최근에는 후자의 방법을 통해 부가가치를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

다.

즉, 부가가치 = 경상이익+인건비+순금융비용+임차료+조세공과+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를 포함하여 구한 부가가치를 총 부가가치(gross added value)라 하고,

감가상각비를 제외하고 구한 부가가치를 순 부가가치(net added value)라고 한다. 일

반적으로 기업의 부가가치를 구할 때에는 총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고, 산업 또는

국가 전체의 부가가치를 구할 때에는 순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gross value added per capita)란 노동력 단위당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생산성(productivity of labor)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종업원 1인

당 부가가치생산액을 말한다.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노동생산성이 높다는 것으로

기업 보유 노동력이 그만큼 효율적으로 이용되어 부가가치를 많이 산출했다는 뜻으

158

로서, 기업의 장래는 물론 국가경제 전반의 장래성을 측정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즉,

이 지표를 이용하여 동일산업 내에서 개별기업의 경쟁력 측정은 물론 전체 국민경제

적인 입장에서도 대외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다.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 부가가치 / 종업원 수

노동생산성은 종업원 1인이 1년 동안 창출한 가치를 의미하며 임금결정의 주요 기

준이 되기도 하는데, 노동집약적인 기업일수록 노동생산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표 3-59> 석유회사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비교

(단위: 백만 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317 97 451 49

<표 3-59>에서 보는 바와 한국의 SK와 일본석유의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가 분석

대상 기업 중에서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합리적인 노무 관리, 종업원

의 업무 숙련도와 양질의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하지만 Yukos

및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적정인원을 초과한 인원 보유, 종

업원의 자질 및 아직은 민 화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노동력 활용의 비효율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종업원 1인당 인건비

종업원 1인당 인건비는 분석대상기업의 제조원가 및 판매일반관리비 중에서 인건

비 성격의 비용 합계액을 종업원 수로 나눈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업원 1인당 인건

비 금액도 중요하지만 이 금액은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금액과 비교하여야 하는데

1인당 부가가치 금액이 인건비 금액의 10배는 되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기준이

다.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59

<표 3-60> 석유회사 종업원 1인당 인건비 비교

(단위: 백만 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종업원 1인당

인건비78 13 94 6

<표 3-60>에서 보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이 속한 국가별 물가 수준을 반 하여 종

업원 1인당 인건비 금액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도쿄

지역의 높은 물가 수준을 고려하면 당연히 그 금액이 다른 분석대상기업의 경우보다

높을 것이다. 또한 SK나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1인당 인건비와 1인당 부가가치산출액

이 약 5배 정도밖에 안되는데 이는 해당국가의 석유업황의 치열한 경쟁에 따른 마진

율 저하를 고려하면 수용가능한 수준이나 향후에는 생산성 향상을 통해 증대되어야

할 부분이다. 반면 Yukos나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기준을 감안하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3) 총자본투자효율

총자본투자효율(ratio of gross value added to total capitals)은 기업에 투하된 총

자본이 1년 동안 부가가치를 얼마나 창출하 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이 비율은

자본생산성(productivity of capital)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자본생산성이 높다는 것은

총자본이 효율적으로 운 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자본생산성은 기업에 투하된 자본

을 운 한 결과로 얻어진 부가가치금액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비율이므로 이 비율

의 크기로 자본이 부가가치창출에 어느 정도 이바지했는가를 알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자본생산성은 노동생산성과 함께 기업의 생산성측정의 대표적인 척도

가 된다.

<표 3-61> 석유회사 총자본투자효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총자본투자효율 11.47% 56.64% 7.05% 28.92%

160

<표 3-61>에서 보는 것처럼 Yukos와 중국석유의 총자본투자 효율이 상대적으로

훨씬 높은데 이는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가가치율이 다른 분석대상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4) 설비투자효율

설비투자효율은 기업에서 실제로 생산 활동에 사용되고 있는 설비자산이 어느 정

도의 부가가치를 생산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총자본투자효율의 보조 지표로

사용된다. 이는 대차대조표상에서 유형고정자산의 금액만을 별도로 고려하여 부가가

치금액과 비교한 것으로 유형설비자산이 부가가치 창출에 공여한 비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해당기업의 생산이 대규모의 설비에 의한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나고 노동

집약적인 경우에는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설비투자효율 = 부가가치 / 설비 자산 * 100

<표 3-62> 석유회사 설비투자효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설비투자효율 25.88% 133.31% 15.64% 35.12%

<표 3-62>에서 보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의 설비투자효율은 큰 편차를 보이는데

이는 아래 6)에서 보는 것처럼 부가가치율 자체가 분석대상기업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며 또한 해당 기업별로 보유 설비의 활용도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즉, 상대적

으로 해당 국가의 석유화학 산업의 업황이 좋은 경우에는 높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

는 낮게 나타난다.

5) 노동소득분배율

노동소득분배율(distribution ratio of labor to value added)은 기업이 창출한 부가

가치에 대한 근로자에게 지급된 금액의 비율이다. 이 비율은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61

데 공헌한 근로자에게 지급한 대가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비율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성과배분의 합리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이용된다. 일반적

으로 기술혁신 등을 통하여 노동생산성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물가가 급격히 상승한

경우 인건비 상승이 노동생산성이나 물가의 상승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노동소득

분배율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노동소득분배율 = 인건비 / 부가가치 * 100

<표 3-63> 석유회사 노동소득분배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노동소득분배율 24.75% 13.07% 20.89% 11.98%

<표 3-6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업원 1인당 인건비 금액이 큰 SK와 일본석유의

경우에는 노동소득분배율이 높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종업원 1인당 인건비 금액이

적은 Yukos와 중국석유의 경우에는 낮게 나타난다.

6) 부가가치율

부가가치율(ratio of gross value added to sales)은 일정기간 동안 창출된 부가가치

를 같은 기간 중의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부가가치율은 원래 기업의 생산액 중

에서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나, 추정이 복잡한 생산액 대신에 매출액을

사용하여 구한 비율이다.

부가가치는 매출액에서 다른 기업이 생산한 외부투입액인 재료비, 외주가공비 등

을 차감한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생산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 부가가치율도

높아지게 된다.

부가가치율 = 부가가치 / 매출액 * 100

162

부가가치율은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할수록 높아진다. 부가가치율이 높다는 것

은 기업이 창출한 가치의 비중이 높다는 것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되는 몫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양기업일수록 부가가치율이 낮고 성장기업일수

록 부가가치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

<표 3-64> 석유회사 부가가치율 비교

구 분 SK Yukos 일본석유 중국석유

부가가치율 11.84% 71.69% 6.15% 57.16%

<표 3-64>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분석대상기업의 부가가치율은 해당 기업의 국

가별 석유화학산업의 업황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국이나 일

본의 경우처럼 만성적인 공급과잉에 시달리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마진율 하락으로

부가가치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활발한 경제 성장에 따른 초과 수요가 있는 중국이나

러시아의 중국석유, Yukos의 부가가치율은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에너지 협력을 위한 시사점

가. 전력 기업

앞에서는 분석대상기업의 공표된 재무제표를 기초로 하여 재무비율을 계산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보았다. 이제 그러한 비율 분석을 통해 향후 동북아 에너지 협력을

위한 방안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재무비율 중 재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유동비율 등 제반 안정성 지표는 UES와

화능국제전력이 월등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제반 설비

들을 외부적으로 조달한 차입에 의하지 않고 기존 국 회사가 보유하던 설비를 현물

출자의 형식으로 매입하 기 때문인 것이 그 원인이다. 반대로 한국 전력이나 도쿄

전력은 자체 보유 자금이나 외부 조달 자금으로 발전 관련 설비 등을 건설함에 따라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63

이러한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향후 해당 국가의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추가 발전 설비 증설 시 국제금융시장에

서 외부 자금 조달 조건은 UES나 화능국제전력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업활동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수익성 측면에서는 한국전력, 화능국제전력, 도쿄전

력 그리고 UES의 순으로 수익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력 공급 사업이 지

역적 독점성을 근간으로 하므로 가격 측면에서 적용하는 가격이 원가를 상회한다고

가정하면 공급 측면에서의 원가 관리의 효율성에 따라 이익률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상대적으로 한국 전력이나 화능국제전력의 원가관리가 훨씬 더 효율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향후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발전의 속도가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앞설 수 있다고 가정하면, 중국의 화능국제전력과 러시아의

UES의 제반 수익성 지표는 보다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를 검토한 결과 해당기업의 분석대상연도 특이성을

배제하면 해당 국가의 경제 발전이 전력 수요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UES 및

화능국제전력의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동

북아 에너지 협력을 위해서는 한국 전력의 적극적인 중국 및 러시아 전력 시장 진출

노력이 요구되는데, 원천적으로 전력산업은 생산지와 소비지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른 수송문제와 이에 따른 비용급증 등을 고려하면 한국에서 생산한 전력을 해외로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최근 한국 전력이 중국의 하남성에 10만kW

급 발전소 건설 및 운 사업 합자계약을 체결, 총투자금액 중 일정비율의 투자금액

을 한국 전력이 집행하고 그 대신 발전소 건설 후 운 에 관한 경 권을 확보하고

일정 기간 후 이를 중국에 귀속시키는 BOO(Build, Own & Operate)방식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을 통한 해외진출 등을 고려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BOO방식의 해외투자는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위해 국제적으로 통

용되는 선진금융기법으로서 적절한 위험관리와 함께 저리의 자금조달이 가장 중요한

성공의 열쇠인데 한국 전력의 경우에는 발전소 운 자로서 우수한 기술력과 경험을

갖추고 있고 한국 전력의 해외신임도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해외전력시

장 진출방안으로 판단된다.

164

생산성 및 설비 운 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오랜 기간 축척된 기술력과 운 노하우

가 있는 한국 전력이나 도쿄전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격차는

단기간 내에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한국 전력은

프로젝트파이낸싱 방식의 합작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전력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되는 중국 및 러시아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나. 석유 기업

석유기업의 경우에는 원천적으로 분석대상기업이 속한 국가의 부존자원 유무와 이

에 따른 일관생산체제 구축여부가 해당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가 된다. 중국이나 러시아는 원유 등의 부존자원이 풍부하고 경제발전 속도 또한 한

국이나 일본에 앞선 상태이므로 전반적으로 중국석유나 Yukos가 SK나 일본석유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앞서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재무비율 중 재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유동비율 등 제반 안정성 지표는 Yukos와

중국석유가 월등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기회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석유관련 설비들을 외부적으로 조달한 차입에 의하지 않고 기존 국 회사가 보유하

던 설비를 현물출자의 형식으로 매입하 기 때문인 것이 그 원인이다. 또한 아시아

시장에 장기간 지속된 공급과잉에 따라 상대적으로 내수 기반이 취약한 SK나 일본

석유의 수익성이 훨씬 저조한 것도 하나의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중국이나

러시아의 석유제품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추가설비 증설

시 국제금융시장에서 외부 자금 조달 조건은 Yukos나 중국석유가 상대적으로 유리

할 것으로 보인다.

업활동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수익성 측면에서도 Yukos와 중국석유의 지표가 상

대적으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대상기업 해당국가의 석유관련 산업 상

황이 한국이나 일본은 만성적인 공급과잉과 이로 인해 야기된 과당경쟁으로 인한 수

익성 저하, 아직 미흡한 구조조정, 원천적인 원료 자립도의 취약성 등으로 인해 적정

한 이윤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을 반 하고 있다. 반면, 중국이나 러시아의 경우에는

해당 국가 내에서 꾸준한 수요 증가로 합리적인 수준의 이윤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

제3장 동북아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비교 분석 165

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를 검토한 결과 해당기업의 분석대상연도 특이성을

배제하면 해당 국가의 경제 발전이 석유제품 수요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Yukos와 중국석유의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및 설비 운 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Yukos나 중국석유가 상대적으로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이윤확보가 가능한 시장 상황을 반 해주는

것이며 향후 석유기업의 성패는 수요 증가가 그 관점임을 말해준다.

이에 따라 SK는 동북아 에너지 협력을 위해서는 향후 이 지역에서 에너지 공급원

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중국 및 러시아 진출을 합작회사의 형태로 꾸준히 추진해야

하며 또한 원유 확보를 위한 해외자원 개발 사업에도 계속적인 투자를 해야 할 것이

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67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제1절 비교우위에 관한 경제이론

1. 비교우위에 관한 학설사적 검토

현대경제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경제주체들 사이의 특화와 분업화를 통해 시

장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리카도의 비교우위에 관한 이론은 이러한 특

화 및 분업화가 어떤 원리로 이루어지는가를 매우 간결하면서도 논리적으로 설명하

고 있다. 비교우위의 원리는 개인간 (interpersonal), 기업간 (interfirm), 지역간

(interregional)에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개념의 태동에서부터 현재까지 대부분의 논

의는 국가간 (international)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리카도는 ‘국가’라는 개념을 그 지역에서의 ‘요소부존량‘, 특히 노동량과 그 노동을

사용해서 서로 다른 최종재 (예컨대 옷과 포도주)를 생산할 때 생산성으로 표현되는

‘기술‘의 두 가지 형태로 포착하 다. 리카도의 머릿속에서 단순화된 경제체계 내에

서 비교우위의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고 있다. 포르투칼에서는 한 단위의 노동

으로 1단위의 옷이나 혹은 1단위의 포도주를 생산할 수 있는데 비해 국에서는 1단

위의 노동으로 4단위의 옷이나 혹은 2단위의 포도주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하자. 이렇

게 노동의 기회비용이 주어진 경우 경쟁시장을 통해 자유로운 교역이 이루어진다면

두 재화 모두를 양국이 생산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시장에서의 재정

과정 (arbitrage)을 통해 국에서는 포도주, 포르투칼에서는 옷을 생산할 이유가 없

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상대국으로부터 수출입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다. 이때 양국에서 두 재화가 모두 소비되고 있다면 균형에서의 교역조건은 포

도주 1단위 당 옷 1-2 단위 사이의 구간에서 결정될 것이다. 어떤 국가가 하나의 재

화생산에 완전특화를 할 것인가의 문제는 그 국가의 노동부존량으로 평가된 규모와

168

세계시장에서의 수요조건에 의해 좌우된다. 예컨대 포르투칼이 국가규모(노동부존량)

가 작을수록, 그리고 세계시장에서의 수요가 옷보다는 포도주의 소비에 치우쳐 있을

수록 포르투갈이 포도주 생산에 완전 특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비교우위의 원리에 따르면 두 가지 실증적 예측이 가능하다. 첫째, 각국은

생산의 기회비용 면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생산품을 수출할 것이며 둘째, 교역조건은

각국에서의 재화 간 기회비용비율 구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실증적 예측

을 통해 각국의 국민은 특화와 자유무역을 통해 거래로부터의 이득 (gains from

trade)을 얻게 되므로 더 잘 살 수 있게 된다는 규범적 명제가 도출될 수 있다. 이러

한 규범적 명제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서 해석하는 것

이 필요하다.

먼저 리카도 모형은 노동의 부문간 완전 이동성(perfect mobility)을 전제로 한 것

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 국가가 어느 제품의 생산에 특화한다는 것은

다른 제품을 생산하던 노동이 추가비용 없이 완벽하게 그 부문으로 이동할 수 있다

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극단적 경우로서 예컨대 노동이 전혀 다

른 부문으로 이동할 수 없는 완전히 부문에 특화된 (sector-specific)경우를 생각해 보

자. 이때 각국에서는 옷과 포도주를 고정된 비율로 생산할 수밖에 없으며 자유무역

이 진행된다면 수출부문의 노동은 이득을 보는 반면 수입대체부문의 노동은 피해를

보게 될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무엘슨의 총효용가능곡선이 밖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에서 자유무역을 통해 잠재적 후생은 증가할 수 있다.

리카도의 비교우위이론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그의 책 정치경제학원리의 제 7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책에서 비교우위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전제되고 있

으나 사실 비교우위의 형태는 기술, 요소부존비율, 그리고 사람들의 선호 간에 발생

하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된다. 리카도의 모형에서 생산가능곡선은 직선으

로 표현되지만 일반적으로 원점에 오목한 생산가능곡선을 상정하는 경우 결국 비교

우위의 형태는 자급자족 상황에서의 균형에서 얻을 수 있는 기울기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다양한 경제변수에 의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리카도의 선구적 업적이후 헥셔(Hecksher)- 올린(Ohlin), 하벌러(Harberler), 레온티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69

에프(Leontief), 러너(Lerner)등에 의해 발전된 국제무역과 관련한 신고전학파 일반균

형이론에 의하면 비교우위의 모습은 대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주어진 요소공급조건과 기술 하에서 그 경제의 생산가능곡선이 도출되며 이러

한 공급조건과 함께 소비자 기호는 자급자족 상태에서의 상대가격체계를 결정할 것

이다. 따라서 동일한 기술, 동일한 요소부존, 동일한 소비자 수요조건을 가진다면 자

급자족 상태에서의 상대가격체계가 같게 되므로 무역의 유인이 없을 것이다. 즉 비

교우위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조건, 즉 1) 기술 2) 요소부존

3) 소비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기술과 요소부존

이 동일하다면 다른 나라에 비해 소비자들이 덜 좋아하는 제품에 그 국가의 비교우

위가 존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리카도 모형처럼 요소부존과 소비자 기호가 동일하

다면 보다 효율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부문에 비교우위가 존재한다. 비교우위에

있어 요소부존의 중요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신고전학파 모형이 헥셔-올린 모형이다.

각국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생산요소를 보다 집중적으로 사용하여 생산된 제품을 수

출한다는 소위 헥셔-올린 정리는 국제경제학이론에서 가장 많이 논의된 주제 중의

하나이다. 특히 헥셔-올린 정리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고려되는 모든 임금/이자 상대

가격비율 하에서 요소집약 역전 (factor intensity reversal)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

다는 조건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이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헥셔-올린 정리에 결부되어 논의된 또 하나의 중요한 연구결과 중의 하나는 무역

을 통해 상대적으로 희소한 요소가 혜택을 입게 된다는 점을 논증한 스톨퍼-사무엘

슨 (Stolper-Samuelson) 정리이다. 이후 이 정리를 연장하여 러너(Lerner)와 사무엘슨

은 설령 생산요소가 국제적으로 이동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조건하에서 자유

무역을 통해 요소 수익이 완전히 같아지게 된다는 유명한 요소가격 균등화 (Factor

Price Equalization)정리를 주장하 다. 이 정리를 규범적으로 이해하는 경우 리카도

모형과는 달리 자유무역만으로도 생산 및 자원배분에 있어 전 세계적인 효율성을 달

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리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대

단히 까다로운 조건들을 필요로 한다. 특히 무역상대국간 요소부존비율이 충분히 유

사해서 생산패턴이 유사해야 한다는 조건은 현실과 잘 맞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170

소위 ‘동태적’ 비교우위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모형은 오니키-우자와

(Oniki-Uzawa)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 노동은 주어진 외생적 비율로 증가하고 자본

은 각국별로 주어진 저축성향에 의해 축적된다. 이들은 장기적으로 각국은 특정한

자본/노동 비율로 수렴하는데 저축성향이 높은 나라일수록 그 비율이 커질 것이라는

것을 이 모형을 통해 증명하 다. 경제발전에 따라 자본/노동비율이 변화할수록 소

규모 개방경제의 비교우위는 시간이 갈수록 자본집약적 재화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비교우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동태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교우위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리카도 모형에 관한 맥두갈 (MacDougall;1951)의

선구적 연구이후 레온티에프 (Leontief;1954)가 실증적으로 발견한 유명한 역설 (“미

국의 수출품이 수입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동집약적이다“)로 인해 중요한 연구주제

로 떠올랐다. 이러한 역설에 대해 자연자원이 상대적으로 희소해 짐에 따라 수입대

체품에서 자본이 자연자원을 대체함에 따라 발생한 것이라는 설명 (Vanek ; 1963),

인적 자본의 중요성을 간과했기 때문이라는 설명 (Kenen ; 1965), 단순한 물리적인

자본집약성보다 미국 수출품이 수입품보다 훨씬 기술집약적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해

야 한다는 각종 경험적 연구들이 쏟아지기 시작하 다. 이러한 경험적 연구에 따라

헥셔-올린 모형을 설명할 때 노동과 자본이라는 단순한 생산요소 분류가 아니라 숙

련노동, 비숙련노동을 구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숙련노동을

얻는 것은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내생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무역

에 의해 임금차이가 결정되고 이러한 차이가 교육에 대한 투자를 낳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점들을 포괄하는 일반균형이론의 구축이 점차 필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

다.

무역의 패턴은 각국의 주어진 기초조건 (initial conditions)과 이러한 기초조건을

반 하여 나타나는 각종 정형화된 현상 (stylized facts)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러

한 조건들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무역이론도 이에 대응하여

발전한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절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어느 국가가 다른 나라에 많

은 수출을 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리카도의 노동단위비용에 근거한 비교우위이

론이 나왔는데 이는 당시 지배적이었던 노동가치론의 향 때문이었다고 할 것이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71

마찬가지로 20세기 초반에 들어와서 재화가 국경을 넘어 활발하게 거래되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생산요소는 이동이 어려웠던 시기에는 무역이 요소이동을 대체하는 것이

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헥셔-올린이론이 나오게 되었던 것이다. 즉 무역을 통해 재화

에 체화된 형태로 생산요소가 상대적으로 풍부한 곳에서 그렇지 않은 곳으로 이동한

다는 것이다. 최근에 와서 전체 무역량에서 산업부문 내 무역 (intra-industry trade)

량이 급증하게 되자 외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행태가 중심적인 분석대상으로 등장하

기도 하 다.

현대이론에서 무역과 관련된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사항을 염

두에 두어야 한다. 첫째, 각국은 서로 다른 요소생산성 (노동 및 자본생산성)을 가지

고 있다는 것이다. 요소생산성의 차이는 생산기술의 차이에도 기인하지만 노동 및

자본 투입의 효율성에 의해서도 나타나게 될 것이다. 둘째, 자본의 이동성이, 특히

1980년대 이후 산업화된 국가간에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

지 점을 고려한다면 이론적으로 볼 때 기술적 차이와 자본의 이동성을 충분히 고려

한 모형을 선택해서 분석해야 할 것인데 이러한 모형은 Kemp(1966), Jones and

Ruffin(1975), Ruffin(1985), Saito(1999)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모형의 핵심은 결

국 요소부존량 보다는 생산기술의 차이에 비교우위의 원천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헥

셔-올린 모형보다는 리카도 모형의 근본정신에 보다 가까운 결과를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산업, 그 중에서도 특히 석유제품 산업을 중심으로 비교우

위를 설명하는 것이 주 목표이므로 비교우위를 설명하는 원천으로 노동생산성의 차

이에 주목하는 리카도의 논의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왜냐하면 그러

한 작업을 위해서는 석유산업 각 부문간 노동생산성을 분해하여 자료를 구해야 하는

데 현실적으로 그러한 자료를 구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

교우위성이 교역을 통해 현시된다는 점에 주목하는 현시비교우위지수를 중심으로 석

유제품 부문별 비교우위를 설명하는 지표로 삼고자 한다. 물론 현시비교우위지수이

외에 노동, 기술, 부존량이 포괄되어 나타나는 생산 및 규모면에서의 비교우위, 점유

율 변동, 산업 내 무역지수 등의 지표를 통해 포괄적으로 각 부문의 비교우위성을

평가하게 될 것이다. 한편 석유산업 전체에 대한 비교우위를 구하는 작업도 유의미

172

한 일이겠지만 이러한 작업은 이미 일정부분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기

존연구로부터 참조하도록 할 것이다.

2. 비교우위 측정 지수

가. 현시된 비교우위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 RCA)

비교우위를 분석하는데 가장 쉽게 구할 수 있고 많이 쓰이는 방법은 수출비중을

비율로 구하여 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는 크게 다음과 같이 5 가지 지수

를 생각할 수 있다. (i : 해당 국가, j : 해당 제품, k : k 국가)

1) RCA1 = (Xij

Xi.

)/ (X.j

X..

)

Xij : i 국가의 j 제품 수출

Xi. : i 국가의 총수출

X.j : j 제품 총수출

X.. : 세계 총수출

위 식에서 i 국가의 j 제품 수출이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i 국가의 총수출

이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면 RCA는 1보다 크게 되며 이는 j 제품의

생산에 있어 비교우위를 “현시”한 것으로 간주된다. 위 식에서 비교우위를 평가하는

데 수입은 제외하고 수출만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입규

제가 수출규제보다 광범위한 현상이기 때문에 편의상 제외했지만 국가의 규모에 따

른 효과가 크다면 해석상 주의가 필요하다.

위 식에서 j 제품 수출이 한 국가의 수출의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j

제품이 전체 세계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은 경우 RCA 지수는 매우 큰 값

을 가지게 되며 이 경우 국가간 비교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어느 국가에서 j 제품 수출이 차지

하는 총수출 중 비중을 j 제품 수출이 세계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가중평균)으로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73

나누어 구하는 것이 아니라 비가중평균 (unweighted average)으로 나누어 구하는 것

이다. 이때 비가중평균은 각국의 j 제품 수출이 차지하는 총수출 중 비중을 다 더해

단순평균한 값으로 구해진다. 이렇게 구한 RCA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2) RCA2 = (Xij

Xi.

)/ 1nΣi= 1

n

(Xij

Xi.

)

위 식의 장점은 각국의 총수출에 관계없이 동일한 비중으로 현시비교우위를 평가

한다는데 있다. 평균지분을 분모로 사용함으로써 수출비중이 큰 국가나 적은 국가나

동일한 비중으로 평가되어 극단적 값을 배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법의 또 하

나의 장점은 평균적인 RCA는 1의 값을 갖게 됨으로써 국가간 비교가 보다 용이하다

는 것이다. 물론 이 방법의 문제는 위 식의 분자에 해당되는 통계치를 각국 모두로

부터 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3) RCA3 = Xij − Mij

Xij+Mij

또 하나의 다른 방법은 총무역대비 순무역으로 비교우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위

식에서 Mij 는 i 국가의 j 제품 수입이다. 위 식에서 RCA의 값은 − 1 (Xij = 0)에

서 + 1 (Mij = 0) 사이의 값을 갖게 된다.

4) RCA4 = (X j

ik

Xik

)/ (X.j

X..

)

위 식은 야마자와 (Yamazawa)에 의해 고안된 무역집중도 지수로 j 상품의 i 국가

에서 k 국가로의 수출이 i 국가에서 k 국가로의 모든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j 상

품 전체 세계수출이 세계수출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비율로 표시된다. 이

값이 1보다 크면 i 국가의 j 상품은 k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무

역집중도지수는 쌍방무역에서 각국의 무역장벽이 같을 경우에 나타나는 무역패턴에

서 실제 무역의 흐름이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174

5) RCA5 = (X j

ik

Xij

)/(Xi.

X..

)

이 방법은 고지마 (Kojima)에 의한 방법으로 k 국가 시장에서 i 국가의 j 상품 수

출이 전체 j 상품 총수출중 차지하는 비중과 세계 총수출에서 i 국가가 차지하는 비

중을 비교하여 무역집중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나. EAI-SAI-AAI 방법

어느 지역에서의 생산 혹은 규모의 상대적 우위를 측정함으로써 비교우위를 추정

하는 것으로 이에는 효율우위지수 (Efficiency Advantage Indices : EAI), 규모우위지

수 (Scale Advantage Indices : SAI), 그리고 이들을 기하평균하여 구한 총우위지수

(Aggregated Advantage Indices : AAI)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좀 더 포괄적으로

비교우위를 논의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지수를 고려할 수 있다.

1) EAIij = APij/APi

APj/AP

EAIij = i 지역에서의 j 제품 효율우위지수

APij = i 지역에서의 j 제품 산출량

APi = i 지역에서의 모든 제품의 평균생산

APj = j 제품의 평균생산

AP = 전 제품의 전체 평균생산

EAIij > 1 이면 j 제품의 생산이 다른 제품의 생산에 비해 전체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기술 수준, 기술 확산 및 도입 등에서 큰 차이가 없다면 EAI 는 자연

자원의 부존량 및 기타 지역적 경제사회문화요인에 기인하는 상대적 효율성을 나타

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AI 는 전체 평균과 대비된 어느 지역에서의 한 제품 집중도를 표현하는 개

념이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75

2) SAIij = GSij/GSi

GSi/GS

SAIij = i 지역에서의 j 제품 규모우위지수

GSij = i 지역에서의 j 제품 국내공급규모

GSi = i 지역에서의 모든 제품 총 국내공급규모

GSj = j 제품의 전지역 총 국내공급규모

GS = 모든 제품의 전지역 총공급규모

SAIij > 1 이면 i 지역에서의 j 제품 집중도가 전 지역 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위에서 국내공급규모는 전체적인 경제적 요인이 총합하여 반 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AAI 는 EAI 와 SAI를 기하평균한 값이다.

3) AAIij = √

EAIijSAIij

AAIij > 1 이라면 I 지역에서의 j 제품이 전 지역 평균보다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

다고 평가될 수 있다. EAI 는 상대적으로 평가된 산출량 지수이고 SAI 는 상대적으

로 평가된 잠재적 생산지분 지수이므로 이들을 기하평균한 값은 비교우위를 나타내

는 총지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 점유율 변동지수

특정국가의 특정상품의 수출이 세계 (또는 비교대상국가들)의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 tij =

X tij

X t.j

−X t− 1

ij

X t− 1.j

위에서 상첨자 t는 시점을 표시한다. 따라서 ∆S tij > 0 이라면 i 국가의 j 상품

176

의 수출이 비교대상 국가들의 수출보다 더 많이 증가했다 (더 적게 감소했다)는 것이

며 ∆S tij < 0 이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특정산업을 대상으로 국가간의 수출성과

만을 비교하는데 있어 RCA 보다 점유율 변동지수가 보다 유용한 개념이다. RCA는

일반적으로 특정국가의 산업별 상대적 비교에 유용한 반면 점유율 변동지수는 절대

적인 성과를 평가하기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이다.

라. 산업 내 무역지수

석유산업같이 산업 내 무역이 빈번한 경우 산업 내 무역지수를 살펴보는 것도 분

석에 도움이 된다. 측정방법으로 여러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가장 흔하게 사용되

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Grubel-Lloyd 지수(GL지수)이다.

GLij = (Xij − Mij )− │Xij − Mij│

(Xij − Mij )

산업 내 무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분자식은 0 이 되며 GL 지수 값도 0 이다. 반

면에 모든 무역이 산업 내에서 이루어진다면 X = M 이 되므로 GL 지수 값은 1이

된다.

마. 수출경합도지수 및 수출결합도지수

동북아 국가들 사이에서의 국가간 경쟁관계와 보완관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수출

경합도지수와 수출결합도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수출경합도는 양국의 수출상품구조

가 유사할수록 경쟁가능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 어느 산업부문에 대한 각국의 수출상

품구조의 유사성 정도를 계량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ESIab = Σi MIN(X ia/Xa, X

ib/Xb )

여기서 Xa 는 a국의 총수출, X ia 는 a 국의 i 상품 수출을 표시한다.

즉 어떤 시장에서 a, b 국가간의 수출경합도지수 ESI는 그 시장에서 a국과 b국의

수출에서 i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 중에 작은 값을 선택하여 모든 상품에 대하여 그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77

값을 더한 것으로 정의된다. 양국의 수출구조가 유사할수록 i 상품의 수출비중이 비

슷한 값을 갖게 될 것이며 그 결과 수출경합도지수의 값은 커지게 될 것이다. 즉 ESI

가 1의 값에 가까워질수록 양국의 수출구조가 유사함을 의미하며 더 경합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무역결합도지수는 각국의 총무역에 대한 상대적 무역비중을 고려하여 당사국

간 교역의 상호간 의존정도를 평가하는 지수이며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2) Iij = Xij

Xi

/Mj

M

위에서 Xij 는 i국의 j국에 대한 수출, Xi 는 i국의 총수출, Mj는 j국의 총수입,

M은 세계의 총수입을 나타내고 있다. 무역결합도가 1보다 크면 결합관계가 높다는

것을 1보다 작으면 결합관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국가간 무역결합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면 이들 국가간에는 이미 기

능적으로 통합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통합이 일어난다면 추가적인 교

역확대 및 상호의존 증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절 기초자료분석

1. 기초 자료의 수집

에너지 산업 중 석유 산업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자료를 수

집하 다.

가. 석유와 관련된 동북아 국가간 상호무역량 (원유, 석유제품, 총량)

(첨부자료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국별 수출입량 1998-2001)

자료원 : B/P (각호)

178

나. 석유제품별 무역관련 자료

여기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자료가 있다

a) 동북아 각국의 상호간 무역량이 아니라 동북아 일부국가 (특히 한국, 일본)

의 제품별 총수입량 및 총수출량 시계열자료 1992-2000

자료문제 : 총량표기이므로 동북아 국가간 상호 무역현황파악이 어려움

자료원 : IEA 에너지 통계

b) 한국과 일본의 동북아 국가에 대한 제품별 수출입 자료

자료문제 : 시계열적으로 일관된 자료가 없으며 일부 자료만 가능

자료원 : IEA 에너지 통계

다. 에너지 가격 및 조세

제품별 조세부과 전 가격 및 조세부과 후 가격의 시계열자료

자료문제 : 러시아와 중국의 경우 1990년대 초기자료가 일부 존재할 뿐, 이후

자료는 발견할 수 없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시계열자료 확보가능

자료원 : IEA, Energy Prices and Taxes 2002

2. 기초자료분석

가. 석유와 관련된 동북아 국가간 상호무역량(원유, 석유제품, 총량)

1) 동북아 국가간 원유 무역

가) 한국

중국으로부터의 원유수입은 감소추세이며 러시아로부터의 원유수입은 증가추세를

나타낸다. 즉 한국의 원유수입에 있어서 중국의 비중은 급격히 감소하고 러시아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 2001년을 기준으로 아시아 전체 중에서 동북아의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79

교역비중 (수입)은 0.26, 그리고 세계 전체에서는 0.02이다.

[그림 4-1]한국의 원유 교역

-2.6

68.7

6.18.3

26.6

50.1

0.00.42.3

11.111.4

10.6

-20

0

20

40

60

80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년 도

천b/d

C r u d e 일 본 C ru d e 중 국 C ru d e 러 시 아

나) 일본

일본의 석유 수입에서 동북아 국가중에서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압도적이다.

2000년까지는 동북아 국가 중에서는 유일하게 중국으로부터만 수입을 하 다. 한편

2001년을 기준으로 아시아 전체 중에서 동북아 교역(수입)의 비중은 0.23이고, 세계전

체에서는 0.02이다.

[그림 4-2]일본의 원유 교역

151 .4

74 .4

2 .50 .0-0 .4-2 .8

102 .2105 .7

0 .0 0 .05 .50 .0

-50

0

50

100

150

200

1998 1999 2000 2001년 도

천b/d

한 국 중 국 러 시 아

180

다) 중국

중국의 대일본 수출 비중은 높으나, 대일본, 대한국 수출의 절대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오히려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시아

전체에서의 수입규모와 수출 규모는 비슷하지만 수입이 조금 많은 편이다.

[그림 4-3]중국의 원유 교역

-68.7

-6.1

-151.4

-105.7-102.2

-74.4

-11.4 -11.1

11.434.728.9

2.9

-200

-150

-100

-50

0

50

1998 1999 2000 2001년 도

천b/d

일 본 한 국 러 시 아

세계전체로 보면 수출/수입 비중이 136/1209 정도이다. 2001년을 기준으로 아시아

전체에서의 수입 중 러시아 비중은 0.22, 세계에서의 비중은 0.03, 아시아 전체에 대

한 수출 중 한일 양국의 비중은 0.67, 세계전체로의 수출 중 한일 양국의 비중은

0.60이다.

라) 러시아

아시아 전체 국가 중에서 한국, 일본, 중국 등 3국에 대해서만 수출하고 있으며 이

들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없다. 그리고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 비중은 각각 0.56,

0.05, 0.39이다. 세계 전체적으로 수출/수입 비중은 2001년 기준으로 27.85(=2841/102)

이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81

[그림 4-4]러시아의 원유 교역

-34.7

-5.5

0.00.0

-2.9

0.0

-28.9

-11.4-8.3

-26.6

-50.1

-10.6

-60

-40

-20

0

1998 1999 2000 2001년 도

천b/d

일 본 중 국 한 국

2) 동북아 국가간 석유제품 무역

가) 한국

한국으로부터 전체 아시아에 대한 석유제품의 수출/수입 비중은 3.56(=631/177)으

로 수출이 수입을 초과한다. 전 세계에 대한 수출과 수입의 비중도 1.97(=933/473)으

로 역시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고 있다. 전체 아시아국가로부터의 수입에서 일본, 중

국,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27/177, 26/177, 6/177이다. 즉, 한국의 동북아시

아 국가로부터의 석유제품의 수입에서 일본과 중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다. 한편 아시아 국가에 대한 석유제품의 수출 중에서 일본, 중국, 러시아가 차지하

는 비중은 각각 229/631, 216/631, 0.3/631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한국의 일본과 중국에 대한 수출입 모두 증가추세인 반면 러시

아로의 수출은 수준 자체가 미미할 뿐만이 아니라 감소추세이다. 일본과 중국의 교

역비중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182

[그림 4-5]한국의 석유제품 교역

-189.7

-202.4

-221.2

-186.2

-125.1

-173.4

-172.9-172.9

-13.4

5.8

-1.3-1.3

-250

-200

-150

-100

-50

0

50

1998 1999 2000 2001년 도

천b/d

P ro du c ts 일 본 P rodu c ts 중 국 P rodu c s ts 러 시 아

나) 일본

일본은 석유제품의 거래에 있어서 한국으로부터 순수입국이며 그 규모도 클 뿐만

아니라 절대적 교역비중도 크다. 전체아시아와 전 세계 교역에 있어서도 수출/수입

비중이 각각 66/360, 93/948 로 수입비중이 높은 편이다. 러시아와의 교역 수준은 미

미하며 중국과의 교역 수준도 낮고 정체상태를 이룬다.

[그림 4-6]일본의 석유제품 교역

-34.9

202.3

221.2

186.2

125.1

-5.73.2

-16.2

3.2 5.6 7.93.3

-50

0

50

100

150

200

250

1998 1999 2000 2001년 도

천b/d

한 국 중 국 러 시 아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83

다) 중국

중국은 한국과의 교역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석유제품의 수출입 모두 꾸준히 증

가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한국과의 석유제품의 수출/수입 비중은 26/216 으로 순수

입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과의 교역은 낮은 상태에서 정체중이며 러시아로부터의 수

입은 증가추세이다. 아시아전체 및 세계전체의 수출/수입 비중은 각각 132/344,

164/589 로 순수입을 나타낸다.

[그림 4-7]중국의 석유제품 교역

189.7

34.9

16.2-3.2

5.6

173.4 172.9164.7

41.0 58.150.1

17.9

-50

0

50

100

150

200

1998 1999 2000 2001년도

천b/d

일본 한국 러시아

라) 러시아

러시아의 석유제품의 수출은 대중국 수출만 두드러질 뿐 나머지는 낮은 수준에서

정체상태이다. 한국, 중국,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거의 없고 중국을 제외한 수출규

모도 낮은 편이다. 한편 아시아 및 세계 전체와의 수출/수입 비중은 105/0.4,

1002/13 정도로 순수출국가이다.

184

[그림 4-8]러시아의 석유제품 교역

-34.7

-5.5

0.00.0

-2.9

0.0

-28.9

-11.4-8.3

-26.6

-50.1

-10.6

-60

-40

-20

0

1998 1999 2000 2001년 도

천b/d

일 본 중 국 한 국

3) 동북아 석유 수출입 구조(종합)

가) 한국

한국의 석유 수출입 구조에 있어서 일본, 중국과의 교역비중이 비슷한 수준으로

높고 순수출국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한국과 러시아의 교역비중은 일본, 중국에 비

하여 1/4 수준이지만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며 수출은 감소추세이다.

한국이 전체 아시아 및 세계에서 차지하는 수출/수입 비중은 각각 634/396,

936/2809로 아시아에서는 순수출국, 세계적으로는 순수입국이다.

나) 일본

일본의 석유 수출입에 있어서 한국, 중국, 러시아 순의 교역비중이 높고 모두 수입

이 수출을 초과하는 특징을 보인다. 전체 아시아 및 세계에서의 수출/수입 비중은

각각 66/707, 93/5157로 순수입을 나타낸다.

다) 중국

중국의 석유교역에 있어서 한국과의 교역규모가 가장 크며 한국, 러시아에 대해서

는 순수입, 일본에는 대해서는 순수출국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대일본, 대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85

한국 수출은 점차 감소추세이나 한국,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은 증가추세이다. 전체 아

시아 및 세계에서의 수출/수입 비중은 각각 253/502, 299/1798로 순수입국이다.

라) 러시아

한중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아주 미미하며 한국, 중국에 대한 수출은 상당히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 세계 수출수입량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아시아 쪽

으로의 수출은 증가세이다.

나. 석유제품별 관련 자료

1) 동북아 4개국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의 제품별 생산, 국내 총공급,

수입, 수출, 최종소비 (1992-2000)

가) 나프타

국내생산 (production) 은 2000년 기준으로 중국, 한국, 일본 순이며 러시아의 생산

은 없다. 반면에 일본, 한국 순으로 수입규모가 크기 때문에 국내총공급 (domestic

supply)은 일본, 한국, 중국 순이다. 이에 따라 최종소비총합(total final consumption)

도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국내생산을 통해 최종소비를 하

므로 국제무역량이 전혀 없으며 러시아는 1995년 이후 생산, 소비활동 모두 없다.

나) 휘발유

국내생산, 국내총공급, 최종소비총합 모두 일본, 중국, 러시아, 한국 순이다. 중국은

수입량이 점차 감소하여 1999년 이후 수입이 없으며 한국은 1997년까지 수입이 없다

가 98년 이후 소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는 1997년까지 수입량이 꾸준히 증가

하다가 이후 수입량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생산수준에 비해 4개국 모두 수입량의

비중이 매우 낮은 편이다. 반면에 중국과 러시아의 수출규모는 상대적으로 크다.

다) LPG

생산수준은 중국, 러시아, 일본, 한국 순이나 일본과 한국, 중국의 수입규모가 크기

186

때문에 국내총공급, 최종소비총합 모두 일본, 중국, 한국, 러시아 순으로 나타나고 있

다.

라) 등유

생산수준은 러시아, 일본, 한국, 중국 순이나 일본은 수입량이, 한국의 수출량이 크

기 때문에 국내 총공급과 최종소비총합 모두 일본, 러시아, 중국, 한국 순으로 나타

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1996년 이후 대외거래가 없다.

마) 중유

생산수준은 러시아, 일본, 한국, 중국 순이나 수입량은 중국, 수출량은 러시아, 한

국이 많기 때문에 국내총공급은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최종소비총합은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와 한국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최종소비총합이 생산수준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

나고 있다.

바) 경유

생산수준은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순이다. 러시아와 한국은 수출비중이 높기 때

문에 국내총공급이나 최종소비총합 모두 생산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2) 한국과 일본의 동북아 국가에 대한 제품별 수출입 자료

가) 한국

(1) 나프타

대일본 수출의 비중이 매우 높고 증가추세에 있으며 중국에 대해서는 1999년까지

순수출하 으나 이후 순수입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무역량은 크지 않다.

러시아와는 교역이 없다가 1999년 이후 소량 수입하고 있다.

(2) 휘발유

대일본 순수출 비중이 크며 중국, 러시아 등과 교역이 있으나 그 크기는 미미한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87

편이다. 일본과의 교역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 등유

일본, 중국에 대해 순수출하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은 증가세,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세이며 중국으로의 수출은 증가세이나 수입은 뚜렷한 추세가 없는 편이

다. 러시아와의 교역수준은 미미한 편이다.

(4) 경유

대일본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에 대한 수출은 1997년 정점을 지나 점

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전체적으로 순수출을 하고 있으며 중국과 러시아로부터의 수

입은 미미한 편이다.

(5) 중유

중국에 대한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 러시아, 중국으로부터의 수

입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러시아와의 교역은 매우 미미하다.

(6) 원유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점차 감소하고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이 빠르게 늘고 있다.

(7) LPG

중국으로의 수출이 두드러진 반면 다른 교역량은 미미한 편이다.

나) 일본

(1) 나프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매우 크며 증가추세이다. 중국이나 러시아와의 교역은 순

수입상태이지만 그 규모는 작다.

(2) 휘발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는 반면 다른 교역량은 미미한 편이다.

188

(3) 등유

한국으로부터 수입이 역시 두드러진다.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수출을 초과하고 있

지만 그 양은 많지 않다. 러시아와는 교역이 없는 편이다.

(4) 경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두드러지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점차 감소하여 1998년

이후에는 수입이 없다. 중국으로의 수출 역시 1997년을 정점으로 급속하게 감소하

다. 러시아로부터 일정량을 수입하고 있으나 수출은 없다.

(5) 중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중국으로의 수출이 두드러진다. 러시아와의 교역이 소규모로

존재하다가 1999년 이후 사라지고 있다.

(6) 원유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두드러지지만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러시아로부터의 수

입은 2001년도에 커졌지만 뚜렷한 추세는 아니다.

(7) LPG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소폭 증가하고 있을 뿐 교역량이 매우 미미한 편이다.

다. 에너지 가격 및 조세

상대적으로 일관성 있는 자료는 한국, 일본의 경우에만 입수가 가능하 다.

1) 원유도입가

1998년을 제외하고 한국이 일본보다 0.3 ~ 0.7 $/bbl 싸게 도입하고 있다 .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89

<표 4-1> 원유수입가 (US Dollars/bbl)

(평균단위가, CIF)

국가

년도일본 한국

1995 18.02 17.32

1996 20.55 20.11

1997 20.55 20.34

1998 13.68 13.72

1999 17.38 16.91

2000 28.72 28.22

2001 25.01 24.87

2) 제품별 가격

High Sulphur Fuel Oil, Light Fuel Oil 등은 조세부과 전 가격이 일본보다 한국이

더 비싼 반면 Low Sulphur Fuel Oil, Kerosene, Automotive Diesel등의 조세부과 전

가격은 한국이 더 싼 편이다. 전반적으로 한국의 조세비중이 높으나 Automotive

Diesel의 경우는 일본의 조세가 더 많다.

190

<표 4-2> 평균 가격 및 조세

년도

제품 국가

2000 2001

일본 한국 일본 한국

High Sulphur Fuel Oil For

Industry

(원/톤)

세전 가격 263516 283346 253582 296126

총조세 12673 28335 12683 31619

세후 가격 266189 311681 266265 327745

Low Sulphur Fuel Oil

Industry

(원/톤)

세전 가격 341079 292726 323939 306721

총조세 17054 29273 16194 32679

세후 가격 358133 321999 340134 339400

Light Fuel Oil for Industry

(원/㎘)

세전 가격 324035 409638 306484 418625

총조세 16207 135278 15327 155331

세후가격 340242 544916 321810 573956

Korosene for Households

(원/㎘)

세전 가격 494866 423228 478387 424340

총조세 24739 136637 23923 155899

세후 가격 519606 559865 502310 580239

Automotive Diesel for

Commercial Use

(원/ℓ)

세전 가격 317.09 377.40 380.75 377.36

총조세 388.55 235.37 355.17 267.22

세후 가격 704.54 612.77 663.92 644.58

Regular Unleaded (91 Ron)

Gasoline

(원/ℓ)

세전 가격 525.18 396.14 491.38 419.40

총조세 648.49 852.24 594.30 860.61

세후가격 1174.67 1248.38 1085.68 1280.01

자료 : OECD/IEA, Energy Prices and Taxes 2002.

제3절 비교우위지수의 측정 및 변화추이

1. RCA 지수

가. RCA 1

일반적으로 RCA 지수는 산업별 분류를 통해 (특히 공산품을 중심으로) 각 산업의

비교우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므로 ‘수출량‘이 아닌 ’수출액‘으로 수출상품

의 시장점유율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북아 국가를 중심으로 석유제품 간 비교

우위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출량‘을 자료로 사용하 다. 이는 수출액을

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 (IEA 발간 자료는 모두 ’양‘으로 표시되어 있

다)이 큰 이유지만 상대적으로 제품 간 품질격차가 크지 않고 물량을 통해 시장점유

율을 계산하는 것이 보다 현실을 잘 반 하는 것이라는 점도 감안되었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91

1) 한국

<표 4-3> RCA1: 한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2.71 3.87 4.08 4.31 3.97 3.30 2.60 2.51 2.68

휘발유 0.01 0.05 0.00 0.00 0.16 0.47 0.67 0.42 0.44

LPG 0.34 0.28 0.54 0.98 0.66 0.83 0.77 1.08 0.96

등유 3.27 2.66 2.39 3.24 3.87 3.11 2.54 2.34 2.30

중유 1.21 1.10 1.12 0.89 0.75 0.66 0.70 0.89 0.83

경유 0.86 0.90 0.87 0.86 0.89 1.06 0.91 0.84 0.89

한국에서는 나프타와 등유의 비교우위가 두드러진다. 휘발유가 상대적으로 비교열

위에 있으며 LPG 의 비교우위성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반면에 중유의 비교우위성은

다소 하락 추세에 있으며 경유는 97년까지 다소 상승하다가 하락추세로 반전되고 있

다.

[그림 4-9]RCA1 - 한국

0

1

2

3

4

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1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192

2) 중국

<표 4-4> RCA1: 중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4.88 6.52 7.90 8.02 5.21 4.15 6.51 9.66 7.73

LPG 0.22 0.10 0.19 1.19 4.03 4.68 4.08 0.49 0.15

등유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26 0.20 0.04 0.18 0.24 0.26 0.42 0.13 0.17

경유 0.91 0.99 0.87 0.91 1.06 1.10 0.58 0.31 0.25

휘발유의 비교우위가 두드러지는 반면 다른 제품들은 전반적으로 비교열위상황 하

에 있다. 특히 나프타와 등유는 전혀 수출이 되지 않는 품목이다. LPG의 경우 현시

된 비교우위가 급격한 등락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95-98년 사이에 시현된 높은

비교우위의 모습과 이후 급락하는 비교우위성이 인상적이다. 경유도 98년 이후 급격

하게 비교열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림 4-10]RCA1 - 중국

0

2

4

6

8

10

1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1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93

3) 일본

<표 4-5> RCA1: 일본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5.28 1.39 1.55 0.87 0.75 0.71 0.27 0.81 0.59

휘발유 0.00 1.04 1.31 1.75 1.44 0.83 1.41 1.66 0.50

LPG 0.11 0.06 0.14 0.09 0.03 0.02 0.31 1.11 0.43

등유 1.79 1.28 0.38 0.46 1.04 1.40 0.52 2.27 3.72

중유 0.98 1.07 1.03 0.94 1.23 1.22 1.20 0.69 0.57

경유 1.14 0.91 0.94 1.02 0.77 0.87 0.97 1.04 1.27

일본의 비교우위의 모습은 전체적으로 일관되어 나타나는 품목이 없이 모든 제품

이 변동이 매우 심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나프타의 경우 비교우위의 모습을 강

하게 가지고 있다가 점차 급격히 비교우위가 하락하는 추세이다. 등유의 경우 전반

적으로 볼 때 비교우위성을 아직 가지고 있는 품목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LPG는

전반적으로 비교열위의 모습이고, 경유는 1 근처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휘발유는 비교우위의 모습을 보이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등락

이 심한 편이다.

[그림 4-11]RCA1 - 일본

0

1

2

3

4

5

6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1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194

4) 러시아

<표 4-6> RCA1: 러시아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2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96 0.85 0.63 0.66 0.97 1.01 0.77 0.47 0.73

LPG 1.44 1.46 1.37 1.14 1.05 0.90 1.01 0.98 1.15

등유 0.26 0.46 0.75 0.42 0.00 0.00 0.00 0.00 0.00

중유 1.03 1.02 1.04 1.11 1.11 1.20 1.24 1.20 1.22

경유 1.04 1.04 1.07 1.05 1.07 0.98 1.10 1.19 1.13

러시아는 나프타와 등유 수출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나머지 제품들도

RCA 지수가 1 근처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어 강력한 비교우위 제품이 드러나지 않

고 있다.

[그림 4-12]RCA1 - 러시아

0

0.2

0.4

0.6

0.8

1

1.2

1.4

1.6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1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나. RCA2

RCA2의 장점은 각국의 총수출에 관계없이 동일한 비중으로 현시비교우위를 평가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95

한다는데 있다. 평균지분을 분모로 사용함으로써 수출비중이 큰 국가나 적은 국가나

동일한 비중으로 평가되어 극단적 값을 배제할 수 있으며 평균적인 RCA는 1의 값을

갖게 됨으로써 국가간 비교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1) 한국

<표 4-7> RCA2: 한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36 2.93 2.90 3.33 3.37 3.29 3.62 3.03 3.28

휘발유 0.01 0.02 0.00 0.00 0.08 0.29 0.29 0.14 0.19

LPG 0.64 0.60 0.96 1.15 0.46 0.52 0.50 1.18 1.43

등유 2.46 2.42 2.72 3.14 3.15 2.76 3.21 2.03 1.56

중유 1.39 1.30 1.39 1.14 0.90 0.79 0.79 1.22 1.19

경유 0.87 0.93 0.93 0.90 0.94 1.06 1.02 1.00 1.00

RCA2로 평가한 결과 한국은 나프타와 등유에서 확실한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휘발유의 비교열위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LPG나 경유, 중유 등은 RCA 지수

가 1 근처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그림 4-13]RCA2 - 한국

0

0.5

1

1.5

2

2.5

3

3.5

4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2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196

2) 중국

<표 4-8> RCA2: 중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3.34 3.08 3.21 3.07 2.68 2.57 2.78 3.17 3.29

LPG 0.42 0.21 0.35 1.40 2.79 2.91 2.65 0.53 0.22

등유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30 0.23 0.05 0.23 0.29 0.31 0.48 0.18 0.24

경유 0.92 1.02 0.93 0.95 1.12 1.10 0.65 0.36 0.28

휘발유를 제외한 나머지 제품에서 모두 비교우위 열세를 보이고 있다. 경유의 비

교우위가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림 4-14]RCA2 - 중국

0

0.5

1

1.5

2

2.5

3

3.5

4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2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97

3) 일본

<표 4-9> RCA2: 일본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2.64 1.05 1.10 0.67 0.63 0.71 0.38 0.97 0.72

휘발유 0.00 0.49 0.53 0.67 0.74 0.51 0.60 0.54 0.21

LPG 0.21 0.13 0.25 0.10 0.02 0.01 0.20 1.21 0.64

등유 1.35 1.16 0.43 0.45 0.85 1.24 0.79 1.97 2.44

중유 1.13 1.26 1.27 1.21 1.47 1.47 1.34 0.95 0.82

경유 1.15 0.97 1.00 1.06 0.82 0.87 1.09 1.23 1.44

일본은 등유와 경유가 다소 비교우위적인 측면이 있을 뿐 나머지 제품들은 대체적

으로 비교열위 추세이다. 최근에 이르러 중유가 비교열위로 돌아서고 있는 점이 주

목된다.

[그림 4-15]RCA2 - 일본

0

0.5

1

1.5

2

2.5

3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2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198

4) 러시아

<표 4-10> RCA2: 러시아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2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66 0.40 0.25 0.25 0.50 0.63 0.33 0.15 0.31

LPG 2.74 3.06 2.44 1.35 0.73 0.56 0.65 1.07 1.71

등유 0.20 0.42 0.85 0.41 0.00 0.00 0.00 0.00 0.00

중유 1.18 1.21 1.29 1.43 1.34 1.44 1.39 1.65 1.75

경유 1.05 1.08 1.14 1.09 1.13 0.98 1.24 1.41 1.28

러시아는 중유, 경유에서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으나 휘발유, 나프타, 등유 등에서

는 비교열위를 보이고 있다. LPG 가 비교열위-우위-열위의 등락을 보이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그림 4-16]RCA2 - 러시아

0

0.5

1

1.5

2

2.5

3

3.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Year

RC

A2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다. RCA3

RCA를 측정하는 또 하나의 다른 방법은 수입까지 고려하여 총무역대비 순무역으

로 비교우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RCA3의 값은 − 1 (Xij = 0)에서 + 1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199

(Mij = 0) 사이의 값을 갖게 된다.

1) 한국

<표 4-11> RCA3: 한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80 -0.72 -0.77 -0.54 -0.45 -0.37 -0.40 -0.37 -0.39

휘발유 1.00 1.00 0.00 1.00 1.00 1.00 0.97 0.92 0.90

LPG -0.97 -0.94 -0.95 -0.90 -0.89 -0.85 -0.65 -0.62 -0.76

등유 1.00 1.00 1.00 0.98 0.57 0.66 0.96 0.79 0.90

중유 0.19 0.21 0.06 0.23 0.17 0.29 0.66 0.66 0.48

경유 0.65 0.52 0.28 0.10 0.49 0.57 0.96 0.95 0.94

한국의 경우 RCA1과 RCA2 모두에서 비교우위의 모습을 강하게 보 던 나프타가

수입까지 고려하는 경우 전 기간에 걸쳐 비교열위로 떨어지는 점이 가장 두드러진

다. 반면에 휘발유와 등유는 강한 비교우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LPG 는 전반적으

로 비교열위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중유와 경유의 비교우위성은 시간이 갈수록 호

전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4-17]RCA3 - 한국

-1.5

-1

-0.5

0

0.5

1

1.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3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00

2) 중국

<표 4-12> RCA3: 중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78 -0.08 0.33 0.84 0.89 0.91 0.98 1.00 1.00

LPG -0.15 -0.97 -0.98 -0.94 -0.83 -0.80 -0.81 -0.95 -0.99

등유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46 -0.87 -0.97 -0.92 -0.93 -0.93 -0.93 -0.97 -0.96

경유 -0.54 -0.76 -0.67 -0.65 -0.49 -0.52 -0.52 0.32 0.36

중국에서 LPG 와 중유는 전 기간에 걸쳐 비교열위를 보이고 있다. 휘발유는 전반

적으로 높은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는 반면 경유는 비교열위에서 우위쪽으로 반전되

는 모습을 보인다.

[그림 4-18]RCA3 - 중국

-1.5

-1

-0.5

0

0.5

1

1.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3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01

3) 일본

<표 4-13> RCA3: 일본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94 -0.98 -0.98 -0.98 -0.98 -0.98 -0.99 -0.98 -0.99

휘발유 -1.00 0.04 -0.21 -0.11 -0.14 -0.32 -0.05 -0.27 -0.73

LPG -1.00 -1.00 -1.00 -1.00 -1.00 -1.00 -0.99 -0.98 -1.00

등유 -0.92 -0.92 -0.98 -0.94 -0.90 -0.81 -0.81 -0.64 -0.54

중유 -0.48 -0.21 -0.17 0.01 -0.13 0.26 0.38 -0.20 -0.35

경유 -0.16 -0.05 0.04 0.21 -0.10 0.37 0.39 -0.09 -0.13

일본에서는 전품목이 비교열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나프타와 LPG의 비교

열위가 주목된다.

[그림 4-19]RCA3 - 일본

-1.2

-1

-0.8

-0.6

-0.4

-0.2

0

0.2

0.4

0.6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RC

A3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02

4) 러시아

<표 4-14> RCA3: 러시아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97 0.96 0.82 0.71 0.48 0.37 0.28 0.69 0.93

LPG 1.00 0.99 1.00 1.00 0.91 0.92 0.96 0.99 0.98

등유 -0.46 -0.50 -0.26 0.1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96 0.85 0.99 0.98 0.96 0.95 0.93 0.98 1.00

경유 0.89 0.98 0.99 0.88 0.95 0.84 0.89 0.98 0.99

러시아는 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등에서 매우 높은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다.

[그림 4-20]RCA3 - 러시아

-1

-0.5

0

0.5

1

1.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Year

RC

A3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라. RCA4

RCA4는 야마자와 (Yamazawa)에 의해 고안된 무역집중도 지수로 이 값이 1보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03

크면 i 국가의 j 상품은 k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무역집중도지수

는 쌍방무역에서 각국의 무역장벽이 같을 경우에 나타나는 무역패턴에서 실제 무역

의 흐름이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RCA4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국별 수출입현황을 석유제품별로 구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러한 자료를 시계열적

으로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국시장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무역

집중도를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한다.

<표 4-15> 중국시장에서의 RCA4(한국)

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0.85 0.04 0.04 0.97 2.53 0.25

1998 0.98 0.25 0.02 1.19 0.93 1.74

1999 1.25 0.03 0.00 0.89 0.25 2.50

2000 0.53 0.00 0.01 1.05 0.79 2.17

<표 4-16> 중국시장에서의 RCA4(일본)

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0.01 0.38 0.00 0.15 1.39 1.63

1998 0.03 0.21 0.03 0.00 1.13 2.00

1999 0.22 0.52 0.12 1.09 1.20 1.57

2000 0.00 0.72 0.23 0.52 1.58 1.32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이 한일 모두 중유부문에서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

다. 경유의 경우 일본의 경쟁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97

년 이후 급격하고 하락하고 있다. 중국시장에서 LPG와 등유는 한국의 경쟁력이 일본

보다 다소 앞서 있으나 전체적으로 1 이하의 값을 가지고 있다.

204

마. RCA5

또 다른 무역집중도지수로서 RCA5를 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4-17> RCA5(한국)

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21.76 0.14 0.87 3.60 9.49 1.59

1998 17.35 0.94 0.43 2.97 4.34 13.46

1999 16.88 0.11 0.00 3.10 1.33 12.80

2000 16.06 0.00 0.38 4.12 4.66 16.30

<표 4-18> RCA5(일본)

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86.58 45.29 0.00 10.22 51.09 45.03

1998 9.93 57.91 2.08 0.00 38.00 69.49

1999 26.04 50.23 7.07 35.68 46.93 94.52

2000 0.00 121.68 42.22 10.50 51.93 115.46

바. 점유율 변동지수

특정국가의 특정상품의 수출이 세계 (또는 비교대상국가들)의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점유율 변동지수는 0보다 큰 경우 i 국가의 j 상품

의 수출이 비교대상국가들의 수출보다 더 많이 증가했다 (더 적게 감소했다)는 것이

며 0보다 작다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특정산업을 대상으로 국가간의 수출성과만을

비교하는데 있어 RCA 보다 점유율 변동지수가 보다 유용한 개념이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05

1) 한국

<표 4-19>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한국

년도

제품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나프타 0.29 -0.03 0.07 0.03 0.00 0.04 -0.02 0.02

휘발유 0.01 -0.01 0.00 0.04 0.09 0.12 -0.10 0.00

LPG -0.01 0.05 0.10 -0.05 0.08 0.06 0.12 -0.06

등유 -0.09 -0.11 0.19 0.23 -0.03 0.07 -0.06 -0.03

중유 -0.01 -0.02 -0.04 -0.01 0.01 0.08 0.07 -0.04

경유 0.02 -0.02 0.00 0.03 0.09 0.04 -0.02 0.00

점유율 변동지수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등유의 등락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

이 주목된다. 97-99년 동안 휘발유와 LPG의 등락폭이 크게 나타난 반면 등유의 경우

오히려 그 전보다 변동폭이 줄어든 점이 눈길을 끈다.

[그림 4-21]점유율변동지수 - 한국

-0.2

-0.1

0

0.1

0.2

0.3

0.4

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년도

△s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06

2) 중국

<표 4-20>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중국

년도

제품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04 0.11 -0.07 -0.17 -0.01 0.05 0.26 -0.10

LPG -0.01 0.01 0.05 0.11 0.07 -0.08 -0.14 -0.02

등유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01 -0.01 0.01 0.00 0.00 0.00 -0.01 0.00

경유 -0.02 0.00 -0.01 0.00 0.01 -0.03 -0.01 0.00

중국의 경우 휘발유와 LPG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동이 미미하다.

[그림 4-22]점유율변동지수 - 중국

-0.2

-0.1

0

0.1

0.2

0.3

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년도

△si

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07

3) 일본

<표 4-21>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일본

년도

제품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나프타 -0.31 0.04 -0.07 -0.03 0.00 -0.04 0.02 -0.02

휘발유 0.09 0.05 0.04 -0.07 -0.05 0.02 -0.01 -0.06

LPG 0.00 0.01 -0.01 -0.01 0.00 0.02 0.03 -0.03

등유 -0.03 -0.07 0.01 0.04 0.03 -0.07 0.06 0.03

중유 0.01 0.02 -0.01 0.00 0.00 -0.02 -0.04 -0.01

경유 -0.01 0.02 0.01 -0.04 0.01 -0.01 -0.01 0.00

일본의 경우 나프타, 휘발유, 등유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림 4-23]점유율변동지수 - 일본

-0.4

-0.3

-0.2

-0.1

0

0.1

0.2

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년도

△si

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08

4) 러시아

<표 4-22> △Sij (점유율 변동지수 ) : 러시아

년도

제품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나프타 0.01 -0.01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06 -0.15 0.03 0.20 -0.03 -0.19 -0.16 0.15

LPG 0.02 -0.06 -0.14 -0.06 -0.15 0.00 -0.02 0.11

등유 0.13 0.18 -0.20 -0.27 0.00 0.00 0.00 0.00

중유 0.00 0.01 0.05 0.01 -0.01 -0.06 -0.02 0.04

경유 0.01 0.01 0.00 0.02 -0.11 0.00 0.04 0.00

러시아의 경우 휘발유, LPG가 상대적으로 꾸준한 변동 폭을 보이고 있다. 등유의

경우 97년을 기점으로 극심했던 변동 폭이 사라진 점이 눈에 띈다.

[그림 4-24]점유율변동지수 - 러시아

-0.3

-0.2

-0.1

0

0.1

0.2

0.3

93-92 94-93 95-94 96-95 97-96 98-97 99-98 00-99

년도

△s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사. 산업 내 무역지수

산업 내 무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GL 지수 값은 0이다. 반면에 모든 무역이 산업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09

내에서 이루어진다면 X = M 이 되므로 GL 지수 값은 1이 된다.

1) 한국

<표 4-23> GLi : 한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20 0.28 0.23 0.46 0.55 0.63 0.60 0.63 0.61

휘발유 0.00 0.00 0.00 0.00 0.00 0.00 0.03 0.08 0.10

LPG 0.03 0.03 0.05 0.10 0.11 0.15 0.35 0.38 0.24

등유 0.00 0.00 0.00 0.02 0.43 0.34 0.04 0.21 0.10

중유 0.81 0.79 0.94 0.77 0.83 0.71 0.34 0.34 0.52

경유 0.35 0.48 0.72 0.90 0.51 0.06 0.04 0.05 0.06

한국의 경우 나프타와 중유의 산업 내 무역지수는 매우 높은 편이다. 나프타는 지

속적으로 산업 내 무역지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중유와 경유는 전반적으로 감소추세

이다. 휘발유와 LPG의 산업 내 무역지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림 4-25]GLi - 한국

0

0.2

0.4

0.6

0.8

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GLi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10

2) 중국

<표 4-24> GLi : 중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22 0.92 0.67 0.16 0.11 0.09 0.02 0.00 0.00

LPG 0.85 0.03 0.02 0.06 0.17 0.20 0.19 0.05 0.01

등유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54 0.13 0.03 0.08 0.07 0.07 0.07 0.03 0.04

경유 0.46 0.24 0.33 0.35 0.51 0.48 0.48 0.68 0.64

중국에서는 경유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산업 내 무역지수가 낮은 편이다. 특히

휘발유와 LPG, 중유의 산업 내 무역지수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그림 4-26]GLi - 중국

0

0.2

0.4

0.6

0.8

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GLi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11

3) 일본

<표 4-25> GLi : 일본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6 0.02 0.02 0.02 0.02 0.02 0.01 0.02 0.01

휘발유 0.00 0.96 0.79 0.89 0.86 0.68 0.95 0.73 0.27

LPG 0.00 0.00 0.00 0.00 0.00 0.00 0.01 0.02 0.00

등유 0.08 0.08 0.02 0.06 0.10 0.19 0.19 0.36 0.46

중유 0.52 0.79 0.83 0.99 0.87 0.74 0.62 0.80 0.65

경유 0.84 0.95 0.96 0.79 0.90 0.63 0.61 0.91 0.87

일본의 경우 휘발유, 중유, 경유 등의 산업 내 무역지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

다. 등유의 경우에도 지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나프타와 LPG의 지수 값이 매

우 낮은 점이 흥미롭다.

[그림 4-27]GLi - 일본

0

0.2

0.4

0.6

0.8

1

1.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GLi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12

4) 러시아

<표 4-26> GLi : 러시아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03 0.04 0.18 0.29 0.52 0.63 0.72 0.31 0.07

LPG 0.00 0.01 0.00 0.00 0.09 0.08 0.04 0.01 0.02

등유 0.54 0.50 0.74 0.90 0.00 0.00 0.00 0.00 0.00

중유 0.04 0.15 0.01 0.02 0.04 0.05 0.07 0.02 0.00

경유 0.11 0.02 0.01 0.12 0.05 0.16 0.11 0.02 0.01

러시아의 산업 내 무역지수는 휘발유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휘발유도 98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추세이다. 등유의 경우 95년까지 매우 높았던

지수가 96년 이후 0이 된 점이 주목된다.

[그림 4-28]GLi - 러시아

0

0.2

0.4

0.6

0.8

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GLi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아. 효율우위지수

EAIij > 1 이면 j 제품의 생산이 다른 제품의 생산에 비해 전체평균보다 높다는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13

것을 표시한다. 기술 수준, 기술확산 및 도입 등에서 큰 차이가 없다면 EAI 는 자연

자원의 부존량 및 기타 지역적 경제사회문화요인에 기인하는 상대적 효율성을 나타

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한국

<표 4-27> EAIij : 한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80 1.57 1.17 1.79 1.74 1.84 1.87 2.02 2.02

휘발유 0.32 0.37 0.33 0.45 0.47 0.45 0.44 0.42 0.42

LPG 0.70 0.59 0.45 0.56 0.50 0.55 0.70 0.69 0.72

등유 0.76 0.82 0.82 1.23 1.26 1.16 1.57 1.31 1.41

중유 1.23 1.24 1.58 1.25 1.22 1.16 1.13 1.31 1.32

경유 1.02 1.04 0.71 0.93 0.96 0.98 0.92 0.82 0.82

한국의 경우 나프타, 등유, 중유 등이 전반적으로 효율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등유의 효율우위지수가 점차 증가하는 반면 경유의 지수는 점차 하락하고

있다

[그림 4-29]EAIij - 한국

0

0.5

1

1.5

2

2.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EA

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14

2) 중국

<표 4-28> EAIij : 중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46 1.19 1.67 1.62 1.73 1.59 1.62 1.40 1.36

휘발유 1.37 1.45 1.43 1.27 1.28 1.29 1.26 1.22 1.20

LPG 1.17 1.21 1.44 1.39 1.47 1.46 1.52 1.40 1.29

등유 0.36 0.37 0.46 0.47 0.55 0.61 0.52 0.64 0.61

중유 0.85 0.80 0.72 0.75 0.64 0.58 0.56 0.49 0.50

경유 0.92 0.96 0.97 0.98 1.00 1.02 1.04 1.15 1.16

중국에서는 나프타, 휘발유, LPG 등에서 효율우위를 보이고 있다. 등유와 중유는

효율열위를 보이고 있으며 경유는 96년 이후 열위에서 우위로 반전되었다.

[그림 4-30]EAIij - 중국

0

0.5

1

1.5

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EA

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15

3) 일본

<표 4-29> EAIij : 일본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13 1.12 1.15 1.08 0.95 0.88 0.81 0.86 0.87

휘발유 1.18 1.17 1.23 1.13 1.17 1.75 1.20 1.24 1.25

LPG 1.08 0.96 0.99 0.91 0.91 0.90 0.79 0.76 0.71

등유 0.75 0.86 0.95 0.89 0.85 0.96 0.96 0.99 0.99

중유 0.78 0.78 0.75 0.81 0.81 0.85 0.87 0.86 0.88

경유 1.13 1.13 1.14 1.12 1.11 1.07 1.07 1.04 1.01

일본에서 확실한 효율우위를 보이는 제품은 휘발유에 불과하다. LPG와 경유 모두

지수가 시간이 갈수록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등유와 경유

는 지수가 1에 매우 근접해 있다.

[그림 4-31]EAIij - 일본

0

0.5

1

1.5

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EA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16

4) 러시아

<표 4-30> EAIij : 러시아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44 0.59 0.31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88 0.82 0.89 0.93 0.90 0.92 0.91 0.91 0.91

LPG 0.95 1.05 1.04 1.02 1.00 1.01 0.95 1.08 1.19

등유 1.57 1.55 1.52 1.42 1.38 1.30 1.11 1.17 1.17

중유 1.16 1.21 1.08 1.28 1.39 1.44 1.49 1.48 1.47

경유 0.94 0.90 1.05 0.92 0.90 0.91 0.93 0.93 0.93

러시아의 경우 등유, 중유 등이 확실한 효율우위를 보이고 있다. LPG는 점차 효율

우위를 보여주고 있으나 그 크기는 미미하다. 휘발유와 경유는 열위를 보이고 있지

만 지수 값이 1에 근접해 있다.

[그림 4-32]EAIij - 러시아

0

0.5

1

1.5

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EA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자. 규모우위지수 (SAI)

SAIij > 1 이면 i 지역에서의 j 제품 집중도가 전 지역 평균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17

한다. 규모는 국내 총 공급을 대리변수로 삼아 추정하 다.

1) 한국

<표 4-31> SAIij : 한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89 1.83 1.71 1.64 1.62 1.76 2.16 2.15 2.10

휘발유 0.35 0.37 0.43 0.46 0.48 0.46 0.46 0.47 0.44

LPG 1.21 1.17 1.08 0.99 0.94 0.94 1.00 1.07 1.03

등유 0.49 0.54 0.76 0.82 0.80 0.82 0.80 0.86 0.83

중유 1.18 1.15 1.16 1.21 1.23 1.23 1.04 1.11 1.23

경유 0.93 0.95 0.94 0.92 0.92 0.84 0.76 0.70 0.68

한국에서 규모우위를 보이는 품목은 나프타와 중유이다. LPG도 1에 가까운 지수

값을 가지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규모우위를 보이는 품목이다. 휘발유의 규모우위 지

수 값이 가장 작은 점이 주목된다.

[그림 4-33]SAIij - 한국

0

0.5

1

1.5

2

2.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SA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18

2) 중국

<표 4-32> SAIij : 중국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94 0.74 0.91 0.90 0.95 0.94 0.94 0.80 0.80

휘발유 1.35 1.36 1.23 1.16 1.15 1.09 1.08 1.03 1.01

LPG 0.54 0.63 0.69 0.83 0.89 0.88 1.01 0.89 0.93

등유 0.31 0.31 0.36 0.41 0.45 0.52 0.51 0.60 0.61

중유 0.95 0.93 0.93 0.95 0.88 0.91 0.96 0.91 0.90

경유 1.07 1.12 1.12 1.11 1.13 1.15 1.09 1.24 1.24

중국의 경우 경유와 휘발유가 규모우위를 보이고 있다. LPG와 중유는 규모열위이

나 1에 근접한 지수 값을 갖는다. 등유의 규모우위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그림 4-34]SAIij - 중국

0

0.2

0.4

0.6

0.8

1

1.2

1.4

1.6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SA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19

3) 일본

<표 4-33> SAIij : 일본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37 1.32 1.27 1.37 1.27 1.19 1.08 1.17 1.18

휘발유 1.04 1.04 1.01 0.99 0.98 1.02 1.02 1.05 1.09

LPG 1.71 1.67 1.50 1.38 1.36 1.33 1.27 1.24 1.15

등유 0.89 0.97 0.96 0.99 1.03 1.02 1.07 1.01 0.99

중유 0.73 0.67 0.72 0.71 0.73 0.72 0.72 0.74 0.76

경유 1.01 1.05 1.06 1.03 1.04 1.03 1.09 1.01 0.98

일본의 경우 전반적으로 규모우위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절대적

크기는 크지 않다. 등유와 경유는 1 근처에서 등락하고 있으며 나프타, 휘발유, LPG

등은 규모우위를 보이고 있으나 큰 수치는 아니다. LPG의 규모우위지수가 점차 하락

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림 4-35]SAIij - 일본

0

0.5

1

1.5

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SA

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20

4) 러시아

<표 4-34> SAIij : 러시아

년도

제품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34 0.47 0.24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98 0.94 1.11 1.22 1.26 1.31 1.26 1.29 1.29

LPG 0.46 0.43 0.47 0.53 0.49 0.58 0.44 0.62 0.78

등유 1.70 1.74 1.80 1.85 1.87 1.87 1.77 1.79 1.92

중유 1.26 1.36 1.39 1.41 1.52 1.49 1.61 1.60 1.52

경유 0.97 0.87 0.83 0.88 0.81 0.86 0.86 0.83 0.88

등유, 중유 등의 규모우위지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휘발유도 규모우위를

갖는 것으로, LPG와 경유는 규모열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4-36] SAIij - 러시아

0

0.5

1

1.5

2

2.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SA

Iij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21

차. 총우위지수

효율우위지수와 규모우위지수를 기하평균한 값인 총우위지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

<표 4-35> AAI- 한국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84 1.70 1.41 1.71 1.68 1.80 2.01 2.08 2.06

휘발유 0.33 0.37 0.38 0.45 0.47 0.45 0.45 0.44 0.43

LPG 0.92 0.83 0.70 0.74 0.69 0.72 0.84 0.86 0.86

등유 0.61 0.67 0.79 1.00 1.00 0.98 1.12 1.06 1.08

중유 1.20 1.19 1.35 1.23 1.22 1.19 1.08 1.21 1.27

경유 0.97 0.99 0.82 0.92 0.94 0.91 0.84 0.76 0.75

나프타와 중유의 비교우위가 두드러지는 반면 휘발유, LPG, 경유 등의 총우위지수

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등유의 총우위지수가 점차 상승하고 있다는 점

이 눈에 띈다.

[그림 4-37]AAI - 한국

0

0.5

1

1.5

2

2.5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22

2) 중국

<표 4-36> AAI - 중국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17 0.94 1.23 1.21 1.28 1.22 1.23 1.06 1.04

휘발유 1.36 1.40 1.33 1.21 1.21 1.19 1.17 1.12 1.10

LPG 0.79 0.87 1.00 1.07 1.14 1.13 1.24 1.12 1.10

등유 0.33 0.34 0.41 0.44 0.50 0.56 0.51 0.62 0.61

중유 0.90 0.86 0.82 0.84 0.75 0.73 0.73 0.67 0.67

경유 0.99 1.04 1.04 1.04 1.06 1.08 1.06 1.19 1.20

중국에서는 나프타, 휘발유, 경유 등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등유, 중유 등의 총우위지수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나프타와 휘발유의 총우

위지수가 하락추세인 반면 경유, LPG 등은 상승추세이다.

[그림 4-38]AAI - 중국

0

0.2

0.4

0.6

0.8

1

1.2

1.4

1.6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23

3) 일본

<표 4-37> AAI - 일본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1.24 1.22 1.21 1.22 1.10 1.02 0.94 1.00 1.01

휘발유 1.11 1.10 1.11 1.06 1.07 1.34 1.11 1.14 1.17

LPG 1.36 1.27 1.22 1.12 1.11 1.09 1.00 0.97 0.90

등유 0.82 0.91 0.95 0.94 0.94 0.99 1.01 1.00 0.99

중유 0.75 0.72 0.73 0.76 0.77 0.78 0.79 0.80 0.82

경유 1.07 1.09 1.10 1.07 1.07 1.05 1.08 1.02 0.99

나프타, 휘발유, 경유 등의 강세가 눈에 띈다. 이들은 전반적으로 1에 가까운 지수

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휘발유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간이 갈수록 총우위지수값이

하락하고 있다. 특히 LPG의 하락이 두드러지고 있다. 등유와 중유는 총우위지수값이

1보다 작으나 시간이 갈수록 완만하게 지수 값이 상승하고 있다.

[그림 4-39]AAI - 일본

0

0.2

0.4

0.6

0.8

1

1.2

1.4

1.6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224

4) 러시아

<표 4-38> AAI - 러시아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39 0.53 0.27 0.00 0.00 0.00 0.00 0.00 0.00

휘발유 0.93 0.88 0.99 1.07 1.06 1.10 1.07 1.08 1.08

LPG 0.66 0.67 0.70 0.74 0.70 0.77 0.65 0.82 0.96

등유 1.63 1.64 1.65 1.62 1.61 1.56 1.40 1.45 1.50

중유 1.21 1.28 1.23 1.34 1.45 1.46 1.55 1.54 1.49

경유 0.95 0.88 0.93 0.90 0.85 0.88 0.89 0.88 0.90

등유와 중유의 비교우위가 두드러진 가운데 휘발유도 시간이 갈수록 상승하여 총

우위지수값이 1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나프타는 1995년 이후 공급자체가 이

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LPG와 경유도 비교열위를 보이고 있으나 그 값이 1에 매우

근접해 있다.

[그림 4-40]AAI - 러시아

0

0.5

1

1.5

2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25

카. 수출경합도지수

2000년 현재 OECD 무역통계 HS 2단위로 분류한 한중일 3국간에서 수출경합도를

총체적으로 살펴 보면 한국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

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3국간 경합관계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크게 증가하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HS 6단위로 대분류를 했을 경우 경합관계의 수준은 많이 떨

어진 값을 보인다. 특히 한일간 수출경합도가 HS 2단위로는 크게 증가하지만 HS 6

단위로는 변화가 없다는 사실은 업종 내에서 한국과 일본의 수출상품 간 차별화가

진행되어 왔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2000년 현재 산업별 수출경합도지수를 살펴보면 한일 양국의 경우 컴퓨터 산

업 다음으로 석유제품의 경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1994년에 비해서는

다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26

<표 4-39> 산업별 한․중․일 수출경합도 추이

한일 한중 중일

1994 2000 1994 2000 1994 2000

석유제품 0.945 0.826 0.645 0.687 0.649 0.734

플라스틱제품 0.668 0.645 0.481 0.405 0.375 0.365

고무제품 0.540 0.579 0.521 0.556 0.600 0.627

피혁제품 0.432 0.516 0.146 0.312 0.316 0.402

제지 0.368 0.344 0.293 0.254 0.318 0.382

섬유류 0.457 0.432 0.362 0.346 0.194 0.196

비금속광물제품 0.376 0.481 0.380 0.300 0.292 0.227

철강제품 0.475 0.502 0.232 0.271 0.231 0.242

비철금속 0.394 0.426 0.400 0.400 0.219 0.299

금속제품 0.389 0.414 0.563 0.549 0.441 0.371

기계류 0.505 0.547 0.383 0.393 0.424 0.451

정 기기 0.388 0.443 0.509 0.504 0.313 0.293

가전 0.541 0.453 0.428 0.494 0.445 0.340

전자부품 0.572 0.276 0.241 0.304 0.422 0.605

컴퓨터 0.589 0.907 0.511 0.707 0.797 0.758

통신기기 0.589 0.459 0.597 0.707 0.444 0.507

자동차 0.579 0.639 0.177 0.163 0.245 0.209

조선 0.834 0.794 0.625 0.815 0.670 0.850

기타제조업 0.262 0.337 0.468 0.379 0.154 0.131

화학제품 0.381 0.416 0.228 0.217 0.327 0.358

제조업 0.417 0.419 0.300 0.336 0.224 0.303

전산업 0.402 0.398 0.291 0.328 0.205 0.282

자료 : 박중구(2003)

한중간의 경우를 보면 석유제품의 경합도는 조선, 컴퓨터, 통신기기 다음으로 나타

나고 있다. 중일간의 수출경합관계를 보면 조선, 컴퓨터 다음으로 경합도가 높게 나

타난 것이 석유제품이다. 한중, 중일 간 모두 1994년에 비해 2000년도에 경합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석유제품을 종합해서 산업으로 볼 때 한중일 3국간

경합관계는 매우 높은 산업으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지표는 한중일 모

두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경합도를 평가한 것이다.

우리의 관심사인 동북아 시장에서의 수출경합도를 석유제품별로 파악하기 위해서

는 품목별 각국간 무역량을 알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구하기 어려운 자료이다. 가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27

능한 자료로서 한국과 일본의 경우를 비교해 볼 때 중국시장에서의 수출경합도는 다

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표 4-40> 석유제품별 중국에서의 한일간 수출 경합도

품목

년도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0.00 0.03 0.04 0.04 0.37 0.26

1998 0.01 0.01 0.05 0.03 0.40 0.25

1999 0.03 0.05 0.04 0.10 0.33 0.27

2000 0.01 0.04 0.05 0.11 0.36 0.21

<표 4-40>을 보면 중국시장에서의 한일간 수출경합도는 경유, 중유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타. 수출결합도 지수

한국의 대일본 수출결합도는 1994년 1.64에서 2000년 1.44로 하락하 다. 이는 동

기간 중 한국의 교역상대국으로서 일본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하락하 음을 의미한

다. 반면 일본의 대한국 수출결합도는 동기간 중 2.0 내외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

다. 한편 한국의 대중국 수출결합도는 1994년 1.8에서 2000년 2.23으로 상승하여 중

국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본의 대중국 수출결합도

는 기간 중 1.8정도를 보이고 있는 점과 대비된다.

산업별로 보면 중국시장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결합도는 공통적으로 석유제

품, 플라스틱 제품, 섬유류 등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한일 양국의 주력 수출상품인 전자부품, 컴퓨터, 통신기기 등의 수출결합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산업화 수준이 아직 낮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시장에 대한 한국 및 중국의 수출결합도는 철강제품, 비금속광물, 기계류 등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228

<표 4-41> 한․중․일 3국의 산업별 수출결합도

한국시장 중국시장 일본시장

중국수출결합도 일본수출결합도 한국수출결합도 일본수출결합도 한국수출결합도 중국수출결합도

1994 2000 1994 2000 1994 2000 1994 2000 1994 2000 1994 2000

석유제품 3.59 1.63 2.48 4.02 3.34 3.65 1.07 3.48 2.13 3.51 0.69 0.84

플라스틱제품 0.57 0.73 5.31 6.75 1.91 3.01 2.09 3.21 3.72 4.25 1.75 1.89

고무제품 0.97 1.22 1.17 1.57 0.68 1.15 0.88 1.09 0.59 0.84 0.66 0.93

피혁제품 0.76 1.04 1.39 1.97 2.49 3.08 1.73 1.98 0.34 0.55 1.01 0.86

제지 0.38 1.38 2.49 3.27 6.19 2.91 2.79 2.62 0.67 1.87 1.39 2.60

섬유류 1.90 1.97 4.06 3.42 1.32 2.29 4.58 6.68 1.46 0.80 1.99 2.57

비금속

광물제품1.09 1.99 5.41 4.40 0.89 4.31 2.87 3.44 4.31 3.43 1.49 2.29

철강제품 2.08 2.31 1.97 2.76 1.35 1.99 1.86 2.26 5.41 4.26 3.92 3.70

비철금속 1.41 1.58 2.52 2.41 1.73 1.53 3.34 1.78 1.97 1.08 1.28 1.17

금속제품 0.31 0.76 4.24 7.03 1.28 3.61 2.19 4.88 1.92 2.70 0.88 1.82

기계류 0.36 0.78 2.00 2.21 2.11 2.48 1.18 1.61 2.61 2.36 2.58 2.97

정 기기 0.23 0.73 2.47 2.38 0.88 1.55 1.90 1.90 1.59 1.92 2.21 1.95

가전 0.57 0.77 2.15 2.68 0.50 1.95 1.60 1.84 1.70 1.39 1.99 1.54

전자부품 0.51 1.35 1.40 1.21 0.34 0.76 1.30 1.22 1.88 1.38 1.92 1.83

컴퓨터 0.98 1.44 1.13 1.07 1.13 0.94 1.26 1.23 0.58 1.22 1.17 0.75

통신기기 0.32 0.97 1.07 3.05 0.21 0.61 1.27 1.61 1.38 0.75 2.39 2.24

자동차 0.85 3.66 1.74 1.97 1.51 1.26 1.85 1.69 0.44 0.46 2.60 5.17

조선 0.43 0.35 0.46 1.21 0.22 0.08 0.91 1.15 0.24 0.07 1.57 1.89

기타 제조업 1.29 1.54 3.23 2.77 2.11 17.01 2.84 3.09 2.39 1.78 0.81 0.87

화학제품 1.70 1.81 3.04 3.09 3.88 3.45 1.63 1.64 1.75 1.18 2.00 2.05

자료 : 박중구(2003)

석유제품별 무역결합도를 자료를 입수할 수 있는 한국, 일본시장으로 한정할 경우

다음과 같은 값을 얻을 수 있다.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29

<표 4-42> 일본시장에서의 한국의 무역결합도

품목

년도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0.02 1.83 0.06 1.09 0.66 0.23

1998 0.02 1.91 0.06 0.98 0.49 0.03

1999 0.03 1.93 0.10 1.13 0.99 0.25

2000 0.03 2.08 0.20 1.29 1.41 0.28

<표 4-43> 한국시장에서의 일본의 수출결합도

품목

년도LPG 나프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1997 0.00 0.22 0.00 1.07 0.12 2.71

1998 0.12 0.03 0.00 0.28 0.36 0.78

1999 0.50 0.00 0.22 1.37 1.67 0.45

2000 0.00 0.00 0.32 0.92 2.33 1.23

<표 4-42>, <표 4-43>을 보면 일본시장에서 한국의 무역결합도가 큰 제품은 나프

타, 등유 (2000년도 경유)등으로 나타나고 있고 한국시장에서 일본의 무역결합도가

큰 제품은 (시계열에 걸쳐 모두 1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등유 (1997,

1999), 경유 (1999, 2000) 중유 (1997, 2000)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양 시장에서

모두 상대방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제품은 등유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제 4절 요약 및 시사점

1. 비교우위지수 요약

이미 언급한 대로 비교우위지수는 크게 수출입량을 중심으로 하여 구할 수 있는

시현된 비교우위 지수와, 생산, 규모 및 산업 내 무역 등을 중심으로 비교우위를 추

230

정하는 지수들로 대별할 수 있다. 이들 지수들을 구한 결과는 아래의 표들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표 4-44> 시현된 비교우위 : 수출입 중심의 비교

지수 정의 특징

RCA1 (Xij/Xi)/(X.j/X)• 수출만을 가지고 평가

• j제품의 비중에 따라 왜곡 가능

RCA2 (Xij/Xi)/(1/n)(X.j/X)• 각국의 총수출에 관계없이 동일한 비중을 적용

• 국제 평균인 1을 중심으로 국가간 비교가 용이

RCA3 (Xij-Mij)/(Xij+Mij) • 수입을 동시에 고려한 순무역 사용

RCA4 (Xijk/Xik)/(X.j/X)• k국에 대한 수출의 특성을 고려

• 1을 기준으로 2개국 무역의 특성 파악

RCA5 (Xijk/Xij)/(Xi/X)• RCA4는 전세계의 j상품에 대한 교역을 기준으로 하

으나 RCA5는 I국의 수출 비중이 기준

dSij (Xijt/Xjt)-(Xijt-1/Xjt-1) • 특정 국가 수출의 상대적 변화를 추정

Xij(Mij) : i국가의 j제품 수출(수입), Xi : i국가의 총수출, Xj : j제품의 전세계수출

X : 전세계수출, Xijk : I국으로부터 k국으로의 j제품 수출(수입)

<표 4-45> 시현된 비교우위 분석 결과 (1992~2000)

지수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RCA1

•등유,나프타 우위

•휘발유 열위

•LPG의 우위 개선

•휘발유 우위

•중, 경유 열위

•LPG 열위로 전환

•등유 우위

•뚜렷한 우위 제품

부재

•LPG우위

•뚜렷한 우위제품

부재

RCA2

•나프타, 등유 지속적

우위

•중유, 경유 우위성

등락 반복

•휘발유 우위

•경유의 우위가 급

•등, 경유 우위

•중유가 우위 전환

•중유, 경유우위

•LPG 등락 반복

RCA3

•휘발유, 등유 우위

•나프타 열위로 전환

•LPG 열위

•중, 경유 우위성 호

•휘발유 우위

•경유 열위로 반전

•LPG, 중유 열위

•전품목 열위

•나프타, LPG 매우

높은 열위

•나프타, LPG를 제

외한 제품에서 우

dSij

•변동폭이 큼

•2000년 현재 나프타

증가

•등유의 변동폭 축소

•LPG, 휘발유를 제

외한 다른 제품의

변동폭이 미비

•나프타, 휘발유, 등

유 변동폭 큼

•경유 변동폭 미비

•LPG, 휘발유, 큰

변동폭

•나프타, 경유 변동

폭 미미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31

<표 4-45>를 정리해 보면 전반적으로 한국은 나프타, 등유 등에서, 중국은 휘발유,

일본은 등유, 경유 등에서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시현하고 있는 반면 러시아의 경

우 특정 제품의 뚜렷한 우위가 감지되지 않고 있다.

<표 4-46> 생산, 산업 내 무역 : 생산, 기호 차이 등 중심

지수 정의 특징

EAI (APij/APi)/(APj/AP)• 특정 가정학에서 자연자원의 부존량 및 기타 요인을 반

한 일반적 생산의 특징

SAI (GSij/GSi)/(GSi/GS)• EAI와는 달리 지역 기준으로 생산의 특성 파악

• 생산량 대신 공급 기준으로 파악

AAI SQRT(EAI*SAI) • 종합적 평가기준으로 AAI>1, 비교우위 존재

GL (순수출-|순수출|)/순수출• 산업 내 무역지수로서 생산기술의 차이뿐만 아니라 수요

및 규모의 경제 등 경제 종합적 무역 특성 파악

Aij : i국가의 j제품 생산량, GSij : i국가의 j제품의 총국내공급량

232

<표 4-47> 비교우위 분석 결과 (1992~2000)

지수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EAI

•나프타, 중/등유 높

은 효율

•경유의 효율지수 낮

•나프타, LNG, 휘발

유, 높은 효율

•경유는 열위에서 우

위로 반전

•휘발유만 우위

•LPG/경유 하락 추

•등, 중유 우위

•휘발유, 경유는 1에

근접

SAI

•나프타, 중유 우위

•휘발유의 우위지수

가 가장 낮음

•경유, 휘발유 우위

•LPG, 중유 1에 근접

•등유 지수 가장 낮

•전반적 1에 근접

•나프타, LPG, 휘발

유 규모 우위

•등, 중유 우위

•휘발유 우위 존재

AAI

•나프타와 중유의 비

교우위

•등유의 총우위지수

가 점차 상승

•나프타, 휘발유, 경

유 등이 비교우위

•나프타, 휘발유의 총

우위지수가 하락추

세인 반면 경유,

LPG 등은 상승추세

•나프타, 휘발유, 경

유 등의 강세, 전반

적으로 1에 가까운

지수

•휘발유를 제외하고

는 대부분 시간이

갈수록 총우위지수

값이 하락 (특히

LPG 의 하락)

•등유와 중유의 비교

우위, 휘발유도 시

간이 갈수록 상승하

여 총우위지수값이

1보다 큼

•나프타는 1995년 이

후 공급자체가 이루

어지지 않고 있음

LPG 와 경유 비교

열위

GL

•나프타, 등유, 중유

무역 활발

•경유 무역 급감(‘90

초 대비)

•휘발유 무역 증가추

•경유의 높은 무역

•휘발유, 중유 급감

•LPG는 ‘90중반 급

등, 이후 감소

•휘발유, 중유, 경유

등의 지수가 높음

•나프타, LPG는 낮은

지수

•휘발유를 제외한 제

품의 지수 낮음

•휘발유도 ‘98이후

감소 추세

•등유는 ‘90년대초

높은 지수

생산과 규모 측면에서 보는 경우 한국은 나프타, 중유, 중국은 휘발유, 경유, 일본

은 휘발유, 러시아는 등유, 중유 등에서 전반적으로 상대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

2. 산업집중도의 문제

위의 논의에서 언급되지 않은 것 중의 하나는 동북아 지역의 석유제품 생산에서

제품별로 산업집중도가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산업의 상대적 집중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33

을 측정하는 지수로 발라사 지수의 표준편차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i (t ) =

√1m

Σ j (cij − c aij )

c[ij = xij (t )/Σjxij (t ), caij = xij (t )/ΣiΣjxij (t )

여기서 m 은 국가의 수, xij (t )는 t 년도 j 국가의 i 산업 생산을 가리킨다. 즉

cij (t )는 동아시아 j 산업에서 j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을, c aij (t )는 동아시아 전체

산업에서 j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따라서 C 가 증가한다는 것은 산업의

지리적 집중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4-48> 품목별 시계열 Ci(t)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나프타 0.13 0.19 0.23 0.27 0.27 0.27 0.28 0.27 0.27

휘발유 0.06 0.19 0.17 0.16 0.17 0.18 0.18 0.18 0.18

LPG 0.03 0.13 0.14 0.16 0.17 0.17 0.18 0.18 0.18

등유 0.14 0.22 0.2 0.2 0.2 0.16 0.18 0.16 0.17

중유 0.05 0.16 0.17 0.17 0.19 0.19 0.19 0.21 0.21

경유 0.02 0.11 0.1 0.1 0.09 0.08 0.09 0.11 0.11

<표 4-48>을 보면 시간이 갈수록 대부분의 석유제품들의 산업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휘발유, LPG, 중유 등의 산업집중도 증가가 눈에 띈

다.

234

[그림 4-41]품목별Ci(t)

0

0.1

0.2

0.3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년도

나프타 휘발유 LPG 등유 중유 경유

3. 시사점

비교우위 지수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요약 된다

• 2000년 현재 OECD 무역통계 HS 2단위로 분류한 한중일 3국간에서 수출경합

도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3국

간 경합관계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일본의 경

합관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 2000년 현재 산업별 수출경합도지수를 살펴보면 한일 양국의 경우 컴퓨터 산업

다음으로 석유제품의 경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1994년에 비해서

는 다소 완화되고 있다.

• 중국시장에서의 한일간 수출경합도는 경유, 중유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전체적으로 한국의 대일본 수출결합도는 1994년 1.64에서 2000년 1.44로 하락하

제4장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 산업 비교우위 평가 235

다. 이는 동기간 중 한국의 교역상대국으로서 일본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하락하 음을 의미한다. 반면 일본의 대한국 수출결합도는 동기간 중 2.0내외에

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의 대중국 수출결합도는 1994년 1.8에서

2000년 2.23으로 상승하여 중국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

여준다.

• 산업별로 보면 중국시장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결합도는 공통적으로 석유

제품, 플라스틱 제품, 섬유류 등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일본시장에서 한국의 무역결합도가 큰 제품은 나프타, 등유 (2000년도 경유) 등

으로 나타나고 있고 한국시장에서 일본의 무역결합도가 큰 제품은 (시계열에

걸쳐 모두 1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등유 (1997, 1999), 경유 (1999,

2000) 중유 (1997, 2000)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양 시장에서 모두 상대방

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제품은 등유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 RCA를 중심으로 평가한다면 전반적으로 한국은 나프타, 등유 등에서, 중국은

휘발유, 일본은 등유, 경유 등에서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시현하고 있는 반면

러시아의 경우 특정 제품의 뚜렷한 우위가 감지되지 않고 있다.

• 생산과 규모 측면에서 보는 경우 한국은 나프타, 중유, 중국은 휘발유, 경유,

일본은 휘발유, 러시아는 등유, 중유 등에서 전반적으로 상대적인 우위를 보이

고 있다.

• 시간이 갈수록 대부분의 석유제품들의 산업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휘발유, LPG, 중유 등의 산업집중도 증가가 눈에 띈다.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37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제1절 각국의 대외 무역제도

1. 우리나라

가. 우리나라의 무역정책 개관

우리나라는 다자간 무역이 우리나라에게 상당한 이득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전제

하에 개방화된 다자간 무역체제의 확대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1967년 관세 및 무역

에 관한 일반협정인 GATT에 가입한 후 수출주도에 의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왔다.

1999년 현재 총무역의 규모는 국내총생산의 65%를 차지한다. 1995년 세계무역기구의

탄생이후 우리나라는 정보통신제품, 금융부문에 관한 무역협상을 끝냈으며 다자간

무역체제의 강화를 위한 총괄적 협상의 조속한 시행을 지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우루과이 라운드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양허관세의 비

중을 높이고 있다. 1999년 현재 전체 관세대상 중 91.6%가 양허관세이고, 공산품의

경우에는 92.6%가 양허관세 대상이다. 그리고 최혜국에 대한 관세는 대부분의 원자

재에 대해서는 1~3%이며 완제품의 경우에는 8%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농산물에

대한 관세는 우루과이 라운드의 이행기간의 특성상 보다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

다. 1999년 현재 단순 평균한 적용관세는 6.89%이고 공산품의 경우는 4.71%, 농산품

의 경우에는 41.47%이다. 한편 무관세를 적용받는 제품은 HS 6단위분류에 의하면 80

개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경우 비관세 장벽은 서서히 철회되거나 완화되고 있다. 1999년 한국은

수입다변화 정책 하에서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금지를 완전히 철폐하 다. 또한 6개

의 자발적 수출제한도 철폐하 다. 보조금 지급의 경우도 1996년 26개의 보조금 지

급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1999년 현재 19개로 감소하 다.

238

기술적 측면에서의 무역장벽도 완화되어 한국의 공업표준기준을 정비하고 향후 수

년 내에 ISO혹은 IEC의 표준과 일치시키는 작업을 마치려고 한다. 또한 반덤핑 정책

이나 세이프가드와 같은 국내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을 가능한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

고 있다. 통관에 관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전자 정보교환체제를 도입하여 신속하고

투명한 통관제도를 운 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게 도입되거나 개정된 통관절차를 대

내외적으로 신속하게 전달하고 있다.

서비스 부문에 대한 개방화도 급격히 진행되어 서비스관련 무역량은 1991년 228억

달러 으나 1999년에는 490억 달러로 확대되어 1998년 기준 세계전체 서비스관련 무

역량의 1.8%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의 표준산업분류에 의하면 현재 471개의 서비스

부문이 개방되었으며 현재 24개의 부문에 대해서만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금융, 유통, 통신, 건설부문에 대한 시장 개방이 급속도로 진전되었다. 은행, 주

식, 보험과 같은 금융부문의 시장은 1997년 개방되었으며 기업과 금융기관들의 외환

거래도 자유화되었다. 유통부문의 개방화도 1998년 백화점과 쇼핑센터의 경제적 필

요분석을 철회하여 자유롭게 개설할 수 있도록 하 다.

일본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3번째로 큰 시장으로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11%를 차

지한다. 그리고 199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수입대상국 중 2번째의 위치를 차지하여

1999년 기준으로는 전체 수입의 20.2%를 수입한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수입다변

화 조치는 1999년 6월을 기준으로 완전히 철폐되어 더 이상 일본제품의 수입이 제한

을 받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APEC, ASEM 등 다자간 지역협력을 통한 무역의 확대에 대해서도 적

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APEC 창립회원국 중 한 국가로서 지역 내 개방

의 활성화를 통하여 무역을 확대하고자 하는 각국의 행동 강령 및 전체 행동 강령을

마련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다자간 무역협정을 우선

시하지만 우리나라의 국익에 도움을 주는 경우 양자간 자유무역협정도 체결하고자

한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1999년 12월 이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을 논의하

고 있다. 칠레이외에도 일본, 뉴질랜드, 태국 등과 같은 국가와도 자유무역협정의 가

능성을 연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39

나.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개방화 정책

우리나라는 1998년 10월을 기점으로 정유업의 신규진입 자유화와 외국기업의 투자

제한 철폐와 주유소 업을 허용하여 개방화가 이루어졌다. 즉, 1998년 5월을 기점으

로 외국인에 대한 주유업을 허용하고 정제업은 1998년 10월에 허용되었다. 또한 석

유제품의 수입도 석유수출입업 등록제 및 수출입 계약 승인제를 폐지함으로써 저장

시설과 비축의무만을 이행하는 경우에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되었다. 비축과 관

련하여 비축대행사업을 허용하여 비축제도의 탄력적 운용이 가능하게 되어 석유수입

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비축대행업의 허용은 과거 대규모 토지와 자본을 필요로 하는 비축시설을 건설 운

용할 수 없는 중소규모의 석유제품 수입업자에게는 석유제품의 수입을 할 수 없는

진입장벽이었다. 그러나 1995년 석유사업법을 개정하여 비록 자기의 저장시설이 없

더라고 설비 임차를 통하여 비축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중소규모의 석유제품

수입업자의 수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98년 석유수입자유화이후 최초로 경

유가 비축설비의 임차를 통하여 수입되었다.

<표 5-1> 석유수출입관련 규제완화

시기 주요 내용

1992. 10 국제석유시장에서의 원유수입계약에 대한 포괄승인제 실시

수출입업자의 저장시설 보유기준 완화 (60일에서 45일로 축소)

1993. 11 아스팔트 수출입 신고제도 폐지

1995. 1

석유화학원료에 대한 수출입승인제도 폐지

석유제품수출입승인제도 폐지(LPG 제외)

석유판매소, LPG 판매소 외국인직접투자 허용

1995. 4 수입석유제품중 자기가 사용하는 석유제품에 대한 품질검사 생략

1996. 1 LPG 충전소 외국인 직접투자 허용

1997. 1 수출입업자 매년 신고제를 등록제로 전환

석유수출입 승인제도 폐지

1998. 5 주유소운 업 외국인직접투자 허용

1998. 10 석유정제업 외국인투자한도 폐지 (50%에서 100%)

주: 이달석 (2002) 표 II-1 부분 인용

240

정제업에 대한 외국인의 투자제한은 정제업의 허가요건으로 외국인의 투자비율이

과대하지 않을 것을 명문화하여 이루어졌다. 석유사업법에 의하여 석유정제처리업,

윤활유 및 그리이스 제조업, 그리고 기타 석유정제분획물 재처리업의 경우 외국인투

자 비율이 50%를 초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요건의 명문화는 자본력이 뛰어난 외국

메이저에 대한 국내정제업 시장의 지배를 막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행된 것이다. 그

러나 점차 공급시설의 부족과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해소를 위한 외국인 자본의

적극적인 유치가 필요함에 따라 예정보다 1년 앞당겨 1998년 10월에 정제업 허가조

치를 석유정제업 등록제로 전환화고 외국인의 투자비율 제한을 폐지하 다.

한편 석유유통업분야의 외국인 진입은 1984년 석유대리점에 한하여 허용되었다.

그러나 1993년 우루과이라운드 협상타결이 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석유유통업의 개방

일정을 확정지었다. 석유와 LPG의 판매소는 1995년 1월에, LPG충전소는 1996년 1월

에 개방되었다. 하지만 석유 및 LPG 판매소의 개방은 이들 업종이 대부분 세한 업

체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지기 힘든 업종이었다. 실질적인 유통

시장의 완전한 개방이라 할 수 있는 주유소업에 대한 개방은 1998년 5월에 이루어졌

다. 그리고 산업용중간재 및 재생재료 무역업은 외국인투자가 부분적으로 허용되다

가 1997년에 전면 개방되었다.

석유수입자유화는 1995년 석유사업법의 개정으로 이루어졌다. 석유사업법이 개정

되기 이전에는 대외무역법에 의해서 허가를 받은 사업자가 석유수출입을 통상산업부

장관에게 신고할 뿐만 아니라 수입계획까지 신고하도록 되어 있어 사실상 정유업체

만이 수출입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석유사업법의 개정을 통하여 석유수입업을 등

록제로 변경하고 수입계획의 신고도 없앴다. 그리고 석유수입계약과 수송계약의 승

인제가 삭제되었으며 휘발유, 등유 경유에 대한 품질보증시설 의무조항도 삭제되었

다. 석유수입업의 가장 큰 진입장벽으로 작용하 던 품질보증시설 (휘발유의 경우 개

질시설, 등유 경유의 경우 수소첨가탈황시설)이 폐지됨으로서 국내에 이러한 시설을

갖지 않고도 석유제품을 수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석유수입업자의 저장시설보유 의

무를 45일로 감축하 다.

석유수입의 자유화는 석유제품과 원유에 대한 관세의 차별화 필요성을 증대시킬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41

수 있다. 정유시설은 대규모 투자로서 장기간에 걸쳐 투자비가 회수되는 경향이 있

다. 반면에 수입되는 석유제품은 많은 경우 국제시장에서 정유와 관련된 고정비를

반 하지 않은 가격에 거래되어 수입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석유제품이 수입되어

국내시장에서 국내에서 정제된 석유제품과 경쟁하는 경우 국내제품이 가격면에서 불

리할 수 있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석유는 일반적으로 소비지 정제주의를 따르

고 있다. 따라서 소비지 정제주의를 고수하는 한 수입된 석유제품에 대하여 원유보

다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석유제품의 수입과 더불어 중요한 요인은 수입제품의 품질이다. 국가별 환경정책,

정제기술 수준 등의 차이로 인하여 석유제품에 대한 기준이 상이한 경우 수입된 석

유제품이 수입국의 기준에 미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질 석유제품이 국내에 수입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품질검사를 강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달석 (2002)은 1997년 석유제품의 수입을 자유화한 이후의 석유산업의 전략적 행

위의 변화여부를 석유기업들의 정제마진과 생산량을 기준으로 검토하 다. 연구결과

에 의하면 석유류제품의 정제마진은 석유제품의 수입자유화 이전과 이후에 별로 변

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수입자유화 조치가 시행되었어도 정유사들의 정

제이윤에는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수입자유화 이전에도 정부가 유가연동제

를 통해 국내 석유제품의 가격을 적절하게 결정하여 정유사들의 과도한 정제이윤을

방지하 으며 수입자유화 이후에도 과거 정부의 가격규제방식을 원용하여 석유제품

의 가격을 결정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석유제품의 수입자유화가 정유회사의 정제마진의 크기에는 별다른 향을 주지 못

했지만 정유회사의 제품별 정제마진에는 변화를 준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석유제품

의 수입자유화 이후 등유와 경유 수입제품의 시장점유율은 과거 2~3%에서 2001년

5%수준으로 증가하여 정제마진이 급속히 하락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이러한 하락분을

중질유인 B-C유에서 보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42

2. 중국

가. 중국 무역정책의 기조

박상수(1994)는 중국이 대외무역체제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한 것은 1970년

대 으나 개혁을 시행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후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

한 개혁의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은 1990년 이후이다. 특히 1992년 이후에는

세계무역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대폭적인 관세인하를 단행하거나 수입조절세를 폐

기하 다. 1994년에는 단일변동환율제를 도입하고 외환유보제, 상납제 등을 폐지하

다. 중국은 1986년 7월 세계무역기구의 전신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General Agreement on Trade and Tariff, GATT)의 가입을 신청하 다. 이후 중국

의 가입승인 여부 및 조건에 관한 협상이 진행되다가 1995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세

계무역기구가 형성됨에 따라 중국의 가입에 대한 협상은 세계무역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중국의 세계무역기구에 대한 가입은 2001년 11월 10일 카타르의

도하에서 개최된 장관급회의에서 회원국에 의해서 승인이 되어 2001년 12월 11일을

기준으로 143번째 국제무역기구의 정식회원이 되었다.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는 조건은 궁극적으로 거의 모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하여 시장을 개방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외국기업이 중국 내로 수입을 하거나

중국 내에서 재품을 유통시키는 것에 관한 규제를 철폐하거나 제한을 완화하여야 한

다. 사업과 관련된 모든 거래에 대한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로 하 다.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에 관한 논의에서는 최혜국 대우, 비관세 장벽이 기술적

제약, 무역관련 투자, 수입허가, 보조금, 무역과 관련된 지적 재산권, 서비스 부문의

시장 개방 등에 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중국이 WTO에 가입함으로서 무역상대국이 겪을 수 있는 노동 및 산업에 대

한 부정적 향에 관한 보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11)

11) 예를 들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하여 수입국의 관련 산업 및 고용에 심각한 향을 미치는

경우 12년간 수입의 증가를 억제하거나 섬유산업에 대한 특별 보호조치의 인정, 혹은 15년간 중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43

중국이 WTO에 가입함으로써 한편으로는 다른 국가에서 중국도 다른 국가와 동일

하게 최혜국 대우(Most favored nation)를 받을 수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 중국의 정

치 및 인권문제 때문에 중국이 대미 수출을 하는데 있어서 불이익을 피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중국은 WTO에 가입함으로써 세계 시장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

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 내 기업, 특히 국 기업들이

외국기업과 경쟁하게 되어 상당수의 기업이 경쟁력을 상실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

다. 이러한 부정적 효과는 단기적인 것으로 시장에서 퇴출한 기업들로 인한 금융교

란 및 실업의 향을 최소화하면 중장기적으로는 중국경제의 기초가 견실하게 되는

것이다.

중국의 WTO 가입 전제조건은 상당한 규모의 시장개혁과 무역규제에 대한 완화이

다. 2001년 말 WTO 가입한 이후에 WTO 가입 조건에 대한 중국의 이행에 대한 평

가는 미국 무역대표부의 보고서(2002)에 나타나 있다. 이 보고서를 중심으로 주요 무

역정책의 변화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나. WTO 가입에 따른 중국 무역정책의 변화

1) 관세 인하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무역기구 회원국들과의 양자 협상 등을 통하여 관세를

인하하기로 하 다. 중국의 관세인하는 최대관세율을 정해 놓고 최대관세율보다 낮

은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WTO 가입 시 약속한 바와 같이 2002년 1월 1일부터

관세를 인하하 다.12) 공산품의 경우 1997년 기준 평균관세율이 약 25%이었으나 가

입이후 5년에 걸쳐 7%로 인하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중국은 가입과 동시에 인

하목표에 근접하도록 즉각적인 관세의 인하가 이루어졌다. 특히 정보통신 산업에 대

한 관세에 있어서는 컴퓨터, 반도체, 기타 정보통신관련 제품에 대한 관세는 2005년

1월까지 철폐하기로 하 다. 한국과 중국의 경우에는 2000년 3월 10일 양국간 특혜

국회사에 대한 반덤핑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비시장경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

등이 있다.

12) 중국에는 2002년 현재 약 7,000가지의 관세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44

관세적용 양허각서에서 2001년 1월1일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전자제품, 페인트 등 691개 품목에 대한 관세율을 인하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가) 세관 가치추정

세관통과시 수입품의 가치는 관세부과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세계무역기구에 대

한 가입은 일관성 있고 투명한 수입품의 가치 결정 방법이 있어야 한다. 중국은 세

계무역기구에 가입하면서 세계무역기구의 기준, 즉 수입업자의 실질수입가격에 근거

하여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 다. 그러나 실행에 있어서는 실질수입가격을 기준으로

하기 보다는 참고가격 등을 기준으로 수입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경우가 있어서 일반

적으로 높은 관세가 부과되는 경향이 발견된다. 이에 대하여 미국을 비롯한 세계무

역기구 회원국들은 중국에 대하여 일관성 있고 투명한 세관 통과 가치 결정 방법을

적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2) 비관세조치 철폐

중국은 세계무역기구 가입과 더불어 쿼터(quota), 허가, 까다로운 요구조건과 같은

무역을 왜곡하는 비관세 무역조치들을 즉시 철폐하거나 2005년 1월 1일까지 철폐하

기로 하 다. 특히 자동차, 자동차 부품, 원유, 석유정제품, 그리고 타이어에 대한 쿼

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 다. 중국은 유예기간동안 이러한 쿼타를 할당

하는 절차에 대해서도 합의하 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러한 쿼타 조정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데 이러한 원인으로는 첫째로 초기 시행

에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둘째로 중국 당국의 보호주의적 입장이 완전히 가시지 않

았기 때문이다.

가) 반덤핑조치

외국의 수입품의 덤핑으로 인하여 국내산업이 피해를 본 경우 이에 대한 대응 조

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외국으로부터의 수입의 덤핑판정을 하여야 할 것

이다. 이에 대해서는 1994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제4조 이행을 위한

WTO 협정이 있으며 중국도 2002년 12월 대법원의 반덤핑에 관한 법률적 해석 등을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45

통하여 이를 이행하고자 한다. 하지만 아직도 몇 가지 부문에서는 불확실하거나 투

명성이 결여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미국의 반덤핑 전문가

들은 중국의 반덤핑 적용 및 결정과정의 투명성 및 충분한 정보의 제공, 정당한 절

차, 보호조치의 강구 등에 대하여 회의적이다. 특히 피해 조사시 고려 사항 및 이들

의 적용, 이해당사자 및 관련자들의 범위, 수출가격과 정상가격을 산정하는 방법 그

리고 반덤핑조치를 회피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조치 등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

로 이루어지고 있다.

나) 세이프가드(Safeguard)

중국도 WTO 가입을 하게 됨에 따라 중국 내 세이프가드를 적용하는 기준, 절차,

그리고 일시적 쿼타 혹은 관세의 적용 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 다. 세이프가드의

적용은 수입량의 증가가 국내산업에 대하여 피해를 주었다는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 절차 등에 관한 내용은 아직도 완전히 마련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다) 수출 규제

세계무역기구 가입에 대한 조건으로 중국은 세계무역기구의 제도 하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출규제를 하지 않기로 하 다. 또한 수출에 대한 각종

관세 혹은 부과금을 철폐하는 데 동의하 는데 원칙적으로 수출부과금은 서비스에

따른 요금만을 부과하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중국은 세계무역기구 가입 후에도

몇몇의 원료 및 중간재에 대하여 수출부과금을 부과하 다. 이러한 수출부과금 부과

의 근거는 재생 불가능한 천연자원의 국내외 수요 및 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었

으나 형석의 경우와 같이 국내소비를 보호하기 위해서 수출부과금이 부과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미국은 일본 등 다른 세계무역기구 회원국들과 함께 중국에 대하여 국

내에 동등한 규제가 없는 수출품에 대한 부과금 부과를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라) 수출입 허가

중국은 세계무역기구 가입이전에 국 혹은 지방정부에 의해서 소유된 소수의 기

246

업에 대해서만 국제무역 허가를 주어 무역을 전담하도록 하 다. 하지만 세계무역기

구 가입과 더불어 중국은 국 혹은 지방정부 소유의 기업뿐만 아니라 일정한 자본

규모 이상의 모든 중국인 소유 기업이 무역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하 다. 또한 과거

에서는 제조업자만이 무역 업무를 이행할 수 있었으나 제조업자뿐만이 아니라 무역

상사들도 수출입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었다.

다만, 향후 3년간에 걸쳐 수출입 허가를 중국인이 소유한 기업에서 점차 확대하여

외국인이 지분이 작은 기업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외국인의 지분이 많거나 외국

인에 의해서 설립된 기업에 대해서도 수출입을 할 수 있도록 향후 3년, 즉 2005년까

지 제도를 점차적으로 바꿀 계획이다.

3) 국내조치의 개혁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및 이를 뒤이은 세계무역기구가 추구하는 2가지 기

본원칙은 어느 한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재화 및 서비스를 수입할 때 특정국가에

대한 혜택을 다른 국가에도 적용하는 최혜국 대우 (Most Favored Nations, MFN)와

외국의 수입품을 자국에서 생산된 재화와 동일한 대우를 하는 자국민 대우(National

Treatment)이다. 이러한 자국민과 동일한 대우는 외국기업의 투자, 재화 및 서비스의

국내 운송, 유통 등에도 적용된다.

중국도 세계무역기구 가입을 통하여 외국의 수입 및 수출품에 대하여 자국내 생산

과 동일한 대우를 하기로 하 지만 러시아와의 무역에 있어서 러시아의 수입품에 대

하여 수입관세 혹은 부가가치세의 부과에 있어서 특혜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

등 다른 국가의 보일러, 고압선, 의약품, 화학제품 등의 수입품에 대하여 부가가치세

및 보증 수리 등에서 국내 생산품과 다른 차별적 대우를 하고 있다.

가) 조세 및 보조금

중국은 수입품 및 수출품에 대하여 1994년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에 따

라 세금을 부과하기로 하 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중국에서는 일부 재화의 경우 국

내생산품에 대하여는 실질적인 세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수입품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어 국내 소비세 등의 부과에 있어서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47

한편 중국은 수출품에 대한 보조금, 그리고 수입경쟁 국내 제품의 생산에 대한 보

조금의 지급을 철폐하기로 하 다. 현재 선진 WTO 회원국들은 중국이 이러한 보조

금 지급에 관한 내용을 상세히 밝히지 않고 있어 이러한 유형의 보조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중국에 대하여 요구하고 있다.

나) 가격 규제 및 기술장벽

WTO는 규격 등과 같은 기술상의 문제를 가지고 불필요한 무역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중국은 특정 재화에 대한 가격규제를 최소하하고

동시에 기술적 규제를 WTO의 기준에 맞추어 시행할 것을 약속하 다. 원칙적으로

중국 국내 생산품과 수입품 간에 기술적 평가에 있어서 차별을 두지 않기로 하 지

만 아직까지 수입품은 국내의 특정 수입품 검사소에서만 검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

이다.

한편 중국은 2002년 1월 현재 전체 기술 표준 중에서 약 44%가 국제 표준과 일치

하고 향후 5년 안에 70%이상의 기술표준을 국제표준 규격과 일치시키고자 한다. 하

지만 자동차, 통신장비, 전자장비, 냉난방 기기, 양주 및 비료 등에 있어서는 국제적

인 기준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국내 표준규격을 계속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다) 서비스 부문

중국은 WTO 가입 전 서비스 부문에 대한 외국기업의 진출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또한 유통에 있어서도 외국기업이 유통사업을 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 다. 다

시 말해서 중국에서 서비스 부문에 대한 진출을 하기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정부에 의해서 초청을 받은 사업자만이 서비스 부문에 대한 사업

허가를 얻고 사업을 전개하 다. 이러한 정부의 사전적 통제는 외국기업의 서비스

부문에 대한 진출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었다. WTO 가입과 더불어 중국은 이러한 관

행을 폐지하고 허가과정을 투명하고 예측 가능하도록 하 다.

248

2. 일본

가. 무역정책 개관

1990년대 심각한 경기 침체에 직면한 일본은 공공부문의 투자확대, 통화정책, 금융

부문의 체질 강화와 더불어 다자간 무역체제의 강화를 통하여 경기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장기간 경기침체의 결과 국내수요 증대를 통한 경기회복을 기대

할 수 없으므로 세계시장에서 일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켜 경기를

회복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경제 정책도 규제완화와 시장에서의 경쟁강

화를 통하여 국내의 생산과 소비를 세계시장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데 초점이 맞추

어지고 있다. 규제완화와 경쟁강화를 통하여 생산 비용과 가격을 세계시장 수준으로

내려 수요를 진작시키고 경제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세계무역

기구의 협정과 더불어 대외적으로는 무역 및 외국인들의 투자를 확대하는 결과를 가

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역과 관련하여 일본은 일차적으로 규제를 완화하고 한편 무역과 관련된 투명성

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외무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2000년 4월에 발표된 규제완화

3개년 계획에 의하면 금융서비스, 통신, 에너지, 교통 및 유통을 중심으로 규제완화

를 강도 높게 진행시키고자 한다. 한편으로는 전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한 다자간 무

역을 확대하려고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 내 자유무역 협정 등을 통하여 지역

내 다자간 혹은 양자간 무역을 확대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양자간 무역협정에 있

어서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를 상대로 한 양자간 자유무역이 정부 혹은 정부와 연관

된 주체를 중심으로 논의를 한 결과, 2002년 싱가폴에 대하여 특별한 대우를 주고받

는 양자간 무역협정을 체결하 다. 한편 2001년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APEC 회의

에서는 APEC 회원국간의 무역활성화 조치가 제안되어 서류없이 무역이 이루어지고

통관절차에 대한 단순화, 표준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하 다.

일본은 APEC을 중심으로 한 개방화된 지역주의(open regionalism)를 옹호하고 있

다. 이러한 원칙 하에서 지역간 경제협력 뿐만 아니라 인적 자원의 개발, 통신 및 인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49

터넷 시설의 보급 확대를 추구하며 동시에 공정하고 규칙에 근거한 다자간 무역체제

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유럽연합과의 교류를 확대하며 무역을 활성화하고

투자를 촉진시키고자 하는 행동강령을 마련하는 ASEM회의의 주요 참여국이었으며

특히 조달과 세관절차의 간소화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는 무역과 관련된 규제 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도 농업부문에

대해서는 낮은 개방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나. 관세정책

일본의 경우 관세는 주요 대외무역 정책이다. 2002년 기준 HS (Harmonized

System) 9단위분류에 의하면 전체 관세는 9,304개로 분류되어 있다. 모든 세계무역기

구 회원국에 대하여 최혜국 대우를 적용하고 있으며 전체 관세 중 99%가 양허

(bound)되어야 한다. 양허되지 않는 관세는 주로 수산물, 석유, 목재품 등에 부과된

다. 이러한 높은 양허관세의 비중은 1998년 이후 유지되어 왔으며 대일본 수출국들

이 일본 관세에 대해서 갖는 불확실성을 거의 줄 다.

한편 전체 관세부과대상 수입재화 및 서비스 중에서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무관세

의 비중은 1998년 37.7%에서 2000이후 36.7%로 약간 낮아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비중은 우루과이 라운드가 완전히 실행되는 2009년까지 41.2%로 상승할 것으

로 기대된다. 그리고 5.0%이하의 낮은 관세가 부과되는 경우도 전체 관세 대상 중

27.6%이다.

2000년 기준 평균관세는 약 6.5%이었다. 일본은 지속적인 관세인하를 추진하고 있

어 2004년 평균관세율을 6.4%로, 그리고 우루과이 라운드의 관세인하조치가 완성되

는 2009년까지 6.3%로 인하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표 5-2>에 의하면 양허관세

의 경우 단순 평균은 5.6%이었으나 점차로 상승하여 2002년에는 8.5%이다. 그러나

이를 농산품과 공산품으로 분류하여 보면 이러한 상승의 원인이 농산품에 대한 양허

관세가 상승하 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1998년 농산품에 대해서는 12.4%의 양허관

세가 부과되었으나 2002년에는 26.6%의 양허관세가 부과되었다. 반면에 공산품에 대

한 양허관세는 1998년 이후 4.1%를 유지하고 있다.

250

<표 5-2> 일본의 관세구조

분류 1998 1999 2000 2001 2002 U.R.

양허관세 (전체관세대상에서 차지하는 비중) 98.9 98.9 98.9 98.9 98.9 98.9

무관세 (전체관세대상에서 차지하는 비중) 37.7 36.6 36.7 36.8 36.7 40.6

비종가세 (전체관세대상에서 차지하는 비중) 6.8 7.3 7.2 7.2 7.0 6.3

관세할당 (전체관세대상에서 차지하는 비중) 2.0 2.0 2.0 2.0 2.1 2.1

단순 평균 양허 관세 5.6 8.0 8.8 8.6 8.5 8.4

- 농산물 12.4 24.5 27.2 27.0 26.6 26.6

- 공산품 4.1 4.1 4.3 4.1 4.1 3.9

단순 평균 적용 관세 5.4 6.7 7.1 6.9 6.9 ..

- 농산물 11.8 17.5 18.9 18.8 18.6 ..

- 공산물 3.9 4.0 4.1 4.0 3.9 ..

단순 평균 적용관세보다 3배이상 높은 관세 6.8 5.5 4.7 5.7 6.0 3.8

15%이상의 고율관세 7.4 7.7 7.5 7.4 7.6 7.5

관세의 표준편차 7.6 24.8 33.4 33.1 32.4 59.9

관세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1.4 3.7 4.7 4.8 4.7 7.2

주: WTO(2002), p.29에서 인용

부과되는 관세의 형태에 있어서도 비종가세는 농산품 등에 부과되는 것으로 전체

관세부과 대상 중 6.9%를 차지한다. 그러나 비종가세에 대해서도 이러한 부과내용을

명시하고 있으며 비종가세의 50% 정도에 대해서는 이를 종가세로 환산하여 발표하

고 있다. 비종가세를 종가세로 환산하는 경우에 상당히 높은 수준이 파악되는 경우

도 있다.

일본의 수입재화 중 높은 관세가 부과되는 것의 대부분은 비종가세가 부과되는 것

으로 이를 종가세로 환산하면 2002년을 기준으로 47.2%에서 1,739%에 이른다. 이러

한 비종가세 중 종가세로 환원되어 있는 관세를 단순평균하면 2002년 기준으로

44.2%이다. 평균적으로 비종가세를 종가세로 환원하여 일반적인 종가세의 평균과 비

교하면 비종가세는 종가세가 부과되는 것보다 약 10배 높은 수준의 관세가 부과된

다. 비종가세가 부과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입품의 가격이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종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51

가세로 환산한 관세율이 높게 평가되므로 상대적으로 수입품의 가격이 낮은 2002년

에는 높은 관세가 부과된 것으로 파악된다.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가공단계별로 차등화된 관세를 적용하는 관세율차등구조

(Tariff Escalation)를 가지고 있는 데 이는 국내 산업보호를 위하여 자국과 경합이 높

은 제품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정유제품의

경우에는 가공 1단계에 수입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관세는 평균적으로 1.8%이지만 반

가공(Semi-processed)된 경우에는 1.1%, 완제품의 경우에는 4.6%의 관세가 적용된다.

HS분류에 의하면 가공 1단계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는 8개, 반가공된 경우에 해당하

는 제품의 수는 6개, 완제품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은 50개이다.

다. 비관세정책

수입과 관련된 비관세제도로는 할당(Quota)제, 관세 할당, 통관 등의 절차 적용의

차별화, 표준 및 기타 기술적 장벽을 적용하는 것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화에

대한 수입규제 정책으로서 스포츠화의 갑피 소재의 50%이상이 가죽제품으로 이루어

진 경우 가죽제품으로 분류되어 관세 할당이 적용되어 할당량의 범위 내에서는

26.3%의 관세가 적용된다. 그러나 할당량을 초과하여 수입되는 수입량에 대해서는

56.3%의 관세가 적용되는 데 이는 우리나라가 현재 스포츠화에 적용하는 8%의 관

세에 비하여 매우 높은 편이다. 관세할당은 이외에도 200여개의 농산품에 대해서도

부과되어 2002년 현재 전체 관세 중 약 2.1%를 차지한다. 일본의 관세할당의 크기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입할당범위 내의 관세 평균은 18.3%이지만 할당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25.5%이다.

수량제한을 행하는 할당제는 어류, 실크, 폭발물, 의약품 등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

다. 이 중 실크에 대한 수량제한은 중국과 우리나라에 대하여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국가안보, 소비자의 건강 보호, 국내 동식물 보호, 그리고 환경보호 등을 목적으로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수입허가제를 시행하고 있다. 한편 임시적 보호무역 정책인

세이프 가드, 반덤핑 및 상계 관세 등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었으나 2002년 우리

나라와 대만으로부터 수입되는 폴리에스테로 섬유에 대하여 반덤핑조치를 취하 다.

252

2001년 11월 도하에서 열린 WTO 각료회의에서 일본은 반덤핑에 관한 규칙을 보다

분명히 하여 무역자유화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주장하 다. 한편 수출에 있어

서도 국내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공공의 안전을 저해하는 경우 대외 수출을 금지하거

나 규제하고 있다.

한편 제품의 표준 규격을 다른 국가 혹은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규격과 달리하는

경우 이 또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의 공산품에 대한 표준 규격인

JIS (Japan Industrial Standards)와 농산품에 대한 규격인 JAS (Japan Agricultural

Standards)는 2002년 5월 기준 각각 8,932종, 351종이 있다. JIS의 90%는 2002년 3월

현재 세계표준규격과 일치하고 있어 규격의 차이에 따른 대일본 수출입의 장애요인

은 그리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외국에서 실험한 것을 인정하는 범위도 확대

하고 있다. 특히 2001년 일본과 유럽연합은 상호 인지협정 (Mutual Recognition

Agreement)을 맺어 양국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적합성을 주어진 조건을 충족시키

는 경우 인정하기로 하 다.

일본은 통관관련 규제와 절차를 단순화하 다. 해상운송 수입품의 경우 통관에 소

요되는 시간은 1998년에는 평균적으로 5.6시간이었으나, 2001년에는 4.9시간으로 감

소하 으며, 항공으로 운송된 수입품의 경우에도 통관에 소요되는 시간은 0.7시간에

서 0.6시간으로 감소하 다. 또한 화물이 도착하여 수입을 허가하는 데 소요되는 시

간도 해상운송 수입품의 경우 3.6일에서 3.1일로 감소하 다. 2001년 3월 일본은 수

입절차 단순화제도를 도입하여 허가된 제품의 경우 수입에 필요한 자료의 수를 줄이

고 수입통보를 전자양식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하 다.

일본은 OECD 국가 중 경제규모에 있어서 세계 2위를 차지하지만 외국인 투자유

치에 있어서는 19번째이다. 대일본 외국인 투자 중 유럽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기준으로 50%정도이고 북미가 약 32%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의 일본에 대한

투자가 전체 외국인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현재 0.1%로 매우 낮은 수준

이다. 또한 일본이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것도 일본의 대외 직접투자 중에서 1.7%를

차지한다. 외국으로부터의 직접투자를 높이기 위하여 일본은 지속적으로 외국인의

투자환경을 개선하여 외국인투자제한 조치, 외국인 고용제한 등의 조치를 폐지하거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53

나 완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문과 케이블 TV부문에 대한 외국인 투자 제한

조치를 폐지한 상태이다.

일본의 경우 정부 조달의 규모는 1998년 기준 국내총생산의 16.8%에 이른다. 정부

조달에 있어서도 국내생산품에 대하여 특별한 혜택을 부여하지 않고 있으며 정부조

달 내용을 인터넷을 통하여 공고하고 있다. 2000년 기준으로 정부조달품 중 17.4%가

외국제품이다. 이 중 의료기기의 경우에는 약 36.5%가 외국제품이며 전자통신장비,

철도장비 등도 외국제품의 조달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외국 공급자로

부터의 조달은 가치 기준으로 2000년 기준 전체 조달의 6.9%를 차지한다.

일본 내 유통과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보조금 지급은 주로 에너지관련 부분에 집

중되어 있다. 석유제품과 관련된 보조금은 정제의 합리화, 정제기술의 연구개발, 탈

황활성화, 국내 소매사업의 구조조정, 저장시설의 건설 등이다.

라. 석유산업의 규제완화13)

일본은 1962년 석유업법을 제정하여 정부의 석유공급계획 수립의무, 정제업 신증

설의 허가제 실시, 수업업 및 판매업의 신고제, 필요시 석유가격을 고시할 수 있도록

명시하 다. 그 후 석유위기가 닥치자 석유비축의무를 부과하는 석유비축법이 제정

되었다. 그러나 점차 석유유통에 있어서 주유소의 과당경쟁으로 시장이 혼란에 빠지

고 저질 휘발유가 많이 유통하게 되자 주유소의 과당 경쟁을 막고 석유산업의 경

기반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휘발유 판매업법이 제정되었다.

한편 1980년대 후반부터 석유제품의 수입이 급증함에 따라 정유설비의 가동이 크

게 낮아지고 정유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1986년 특정석유수입 잠정조치법을 제정하

여 석유수입은 대체 생산능력을 갖거나 비축능력, 품질조정능력을 지닌 등록업자만

이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정유사 이외에는 석유제품을 수입할 수 없게 되었

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석유수입 잠정조치법은 1996년 폐지되었다. 그 결과 비축의무

및 품질관리의무만 수행하면 어떠한 유중의 석유제품도 수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로 인하여 일본의 석유산업은 경쟁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수입

13) 정우진(1999)을 요약 정리함

254

은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일본의 석유업체들이 석유제품의 수입

을 막기 위하여 저지각격을 설정하 고 1997년 이후 장기 경기침체의 향으로 석유

의 공급이 수요를 능가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7년 BP의 일본시장 진입과

Exxon의 제네랄 석유 주식취득으로 외국기업의 일본석유시장 진입이 본격화되었다.

BP는 일본의 이세야 그룹과 연계하여 주유소와 쇼핑을 결합한 주유소망을 건설하여

운 하고 있다. Exxon은 제네랄 석유의 주식을 과반수 획득하 으며 자회사인 Esso

석유회사는 전액 출자하 다. 그 결과 일본 내 시장 점유율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석유제품의 유통구조에 있어서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대규모 판매업자들

이 원매시장으로 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며 반대로 원매사도 계열판매인 특약점을 통

하지 않고 직판을 늘이고 있는 상태이다. 그 결과 대규모의 독립적인 유통업체가 등

장하여 정유사업자와 직접 계약을 맺고 판매소에 직판하는 업체가 등장하 다. 이와

같은 유통의 변화와 시장의 경쟁강화는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부담하는 최종 소비가

격의 하락을 가져와 소비자의 후생을 증대시키고 있다.

제2절 동북아시아 각국의 석유관련 관세 및 기타

무역장벽

1. 관세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원유와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와 같다. 원유 및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의 형태는 종가세와 종량세가 있다. 종

가세를 적용하는 국가는 한국과 중국이다. 한국은 원유에 대해서는 실질 적용세율을

기준으로 5%의 관세가 부과된다. 중국의 경우 관세는 톤당 85元의 관세가 있는 것으

로 되어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관세가 부과되고 있지 않다. 한편 종량세를 적용하는

일본의 경우 1㎘당 170¥의 수입관세가 부과되는 데 이를 종가세로 전환하는 경우

약 0.55%에 해당하는 것으로 관세의 크기는 매우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55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는 일반적으로 원유에 대한 관세보다 높은 수준으로 부과되

고 있다. 한국의 경우 실질 관세는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등에 대하여 7%가 부과

된다. 그리고 원료로 사용되는 납사에 대해서는 실질 관세는 1%가 적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원유에 대한 석유제품의 관세는 1에서 1.4배 수준이다.

일본의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부과 수준은 원유에 대한 부과수준의 3.3에서 약 19.4

배 수준이다. 종량세를 기준으로 원유에 대해서는 1㎘당 170¥의 관세가 부과되지

만 휘발유에 대해서는 1㎘당 1,386¥의 실질관세가 부과되어 원유에 대한 관세의

810%수준이다. 한편 중유에 대해서는 관세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부과되는 데 비중

0.9037이하의 중유에 대한 최고 실질 관세는 3,306¥으로 원유에 대한 관세의 1,940%

수준이다. 일본에 있어서도 원료로 쓰이는 납사에 대한 관세는 매우 낮을 뿐만 아니

라 실질 관세에 있어서 원유에 대한 관세보다도 낮다.

중국의 원유에 대한 수입관세는 실질적으로 부과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휘발유, 등유, 경유, 그리고 중유에 대한 관세율은 5%에서 9%에 이른다. 휘발유

와 등유에 대한 관세율은 9%이고, 원료로 쓰이는 납사에 대해서는 5%, 그리고 중유

와 경유에 대해서는 6%의 실질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실질관세를 기준으로 원유와

석유제품간의 관세율은 4배에서 8배의 수준이다.

256

<표 5-3> 동북아 국가의 원유 및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율

구분 한국 일본 중국

원유 5%무세

(170¥/㎘)

85元/톤

(무세)

휘발유8%

(7%)

1,830¥/㎘

(1,386¥/㎘)

14%

(9%)

등유8%

(7%)

1,760¥/㎘

(564¥/㎘)

14%

(9%)

경유8%

(7%)

1,640¥/㎘

(1,257¥/㎘)

11%

(6%)

중유8%

(7%)

600¥/㎘

(0.3%이하:2,593¥/㎘,

0.3%이상:3,306¥/㎘)

(비중0.9037이하),

390¥/㎘

(0.3%이하:2,376¥/㎘,

0.3%이상:3,202¥/㎘)

(비중0.9037이상)

20%

(6%)

납사5%

(1%)

1,830¥/㎘

(12¥/㎘)

20%

(6%)

아스팔트 5% 무세35%

(8%)

윤활유 7%

9.6%

(7.9%)

(비중 0.8494이상)

17%

(9%)

원유대비

관세비교1~1.4배 3.3~19.4배 4~8배

자료: 조세연구원(2002), 원유 및 석유제품의 적정관세율 연구의 표 재정리

동북아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원유에 대해서는 석유제품에 비하여 낮은 관세를 부

과하고 석유제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또한 석유제품

에 있어서도 휘발유와 등유에 부과되는 관세는 경유와 중유에 부과되는 관세보다 높

거나 같은 수준이다. 그리고 원료인 납사에 대한 관세율도 일반적으로 원유수준과

같거나 낮다.

석유제품에 대한 실질 관세율을 국가간 비교하면 휘발유에 대한 관세율은 중국이

9%로 가장 높다. 다음으로 우리나라는 7%를 부과하며, 그리고 종량세를 적용하는 일

본을 종가세로 전환하는 경우 실질 적용 관세는 6.5%이다.14) 등유에 있어서도 휘발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57

유와 마찬가지로 중국, 일본, 우리나라의 순으로 실질 관세율이 적용된다. 한편 경유

에 대한 관세는 우리나라가 7%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중국과 일본은 실질관

세에 있어서 약 6%수준을 유지한다. 중유에 있어서도 한국은 7%의 관세가 적용되며,

중국은 6%, 그리고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3.5%가 적용된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경질유의 경우 실질관세 부과수준은 중국, 우리나라, 그리고 일본의 순이지

만 점차 중질유로 갈수록 우리나라의 관세 수준이 중국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국가간 관세 비교에 있어서 동북아시아 국가 중 중국과 우리나라는 종량세

를, 일본은 종가세를 부과하고 있다. 종량세 형태의 관세와 종가세 형태의 관세를 비

교하면 다음과 같다. 종량세는 제품의 가격과 상관없이 수량에 대하여 부과하는 것

으로 관세가 수입제품의 가격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부과된다. 이러한 방법은 관세부

과에 있어서 세액산출이 용이하고 행정절차가 단순하여 행정비용이 낮은 특징이 있

다.

그러나 종량세는 앞에서 지적하 듯이 수입제품의 가격과 상관없이 수량에 따라

일정률이 적용되므로 저가수입품과 고가수입품에 대하여 동일한 관세가 적용되어 불

공정한 세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입제품의 수입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상

대적으로 관세의 부담은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종가세는 관세의 기준이 수입가격으로, 수입가격에 대하여 일정률을 적용한다. 종

량세와는 달리 수입재화의 가격이 변화하는 경우 수입재화에 부과되는 관세의 크기

도 변화하게 되어 수입재화 가격의 변화 및 고가 수입품과 저가 수입품에 대하여 상

대적으로 공정한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한편으로는 세계 시장

의 가격 변화가 그대로 국내시장에 전가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종가세는 실

질 적용에 있어서 관세 부과의 기준이 되는 수입가격을 어떤 것을 기준으로 적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동시에 관세를 산정, 부과하고 이를 관리하는 행정비

용이 상당히 복잡하다.

종량세와 종가세를 혼합하여 동일한 품목에 동시 적용하는 혼합세와 수입제품별로

각각 종량세와 종가세를 적용하는 선택세가 있다. 한편 국내의 산업을 외국의 저가

14) 종가세로 환원 시 적용환율은 1300원/$, 1000원/100¥임.

258

제품의 수입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는 종량세가 종가세에 비하여 높다. 종가세는 수

입가격을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수입제품에 대한 국내산업보호를 위한

관세 부과의 효과는 가격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난다.

반면에 종량세를 부과하는 경우 관세율이 수입가격과 상관없이 적용되므로 상대적

으로 가격이 낮을수록 실질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관세율은 높아지게 되어 저가상품

에 대한 관세부과의 상대적 부담은 크게 된다. 따라서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관점에

서는 종량세가 보다 우월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조세연구원 (2002)은 저

가의 해외 석유제품의 일시적 유입에 의한 국내 시장 교란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현행 종가세를 종량세로 전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석유

제품과 같이 제품간의 차별화가 어려운 경우 종량세 부과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

므로 종량세 부과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관세 환급과 같은 행정 절차에

있어서도 종량세가 보다 우수함을 지적하고 있다.

2. 비관세 장벽

유엔 무역개발회의(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는 세

계 각국의 비관세 무역장벽을 조사하 다. 이 중 원유 및 석유제품의 무역과 관련

된 비관세 장벽을 살펴보면 동북아시아 국가 중 한국과 일본의 경우 원유 및 석유제

품에 대한 비관세 장벽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5) 물론 한국과 일본의

경우 원유 및 석유제품에 대하여 수입부과금을 부과하고 있지만 이는 비관세 장벽으

로 간주되지 않고 있다.

동북아시아 국가 중 중국은 석유제품에 대해서는 행정적인 가격 결정

(Administrative pricing), 특정인에 제한된 구입허가제도 (License for Selected

Purchasers), 그로발 쿼터 (Global Quota), 그리고 수입검사 (Import Inspection)와 같

은 비관세 장벽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원유에 대해서도 그로발 쿼터를 제외한 행정

적인 가격 결정, 특정인에 제한된 구입허가제도, 수입검사와 같은 비관세 장벽이 적

15) 정재호(2002), p.194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59

용되고 있다.

하지만 제 1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국은 2001년 12월 11일을 기하여 세계무

역기구 (WHO)의 정식회의에서 위에서 지적되고 있는 비관세 무역정책을 일정기간

에 걸쳐 점차로 철회하여 2005년까지 이를 이행하기로 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수출

입허가제도를 개선하여 점차로 중국 내 국, 공 기업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에 의해

서도 수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허가할 뿐만 아니라 점차로 이를 중국인의 지분

이 대부분인 기업, 중국인의 지분이 소규모라도 차지하고 있는 기업, 그리고 궁극적

으로는 외국인 소유의 기업에게까지 수출입허가를 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예정이므로

위에서 지적된 석유제품과 관련된 비관세 장벽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점차로 사라

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표적 비관세 정책이 수입 쿼타에 있어서도 현재 시계, 자동차, 모터사이클, 유류,

고무 등에 대하여 쿼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회원국인 세계무역기구

가입협정에 의하면 매년 쿼타양을 15%씩 증가하여야 하며 이를 가입협정에 의해서

상세히 규정된 바에 의해서 이를 배정토록 되어 있어 쿼타제의 실효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석유제품의 교역에 상당한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소비지 정제주의 원칙이다. 소비지 정

제주의란 국내의 석유제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국이 원유를 도입, 정제

하여 석유제품을 자체적으로 생산,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비지 정제주의 원칙으

로 인하여 석유제품의 순수입은 대부분 20%이하로 나타나고 있다.16)

소비지 정제주의의 장점으로는 첫째로 원유의 안정적 공급이 뒷받침되면 석유제품

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다. 국제시장에서 원유는 상대적으로 탄

력적인 공급이 이루어져 석유제품보다는 필요시 소유 물량을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소비지 정제주의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국제시장의 불안정성이 국내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소비지 정제주의로 인하여 석유제품

16) 조세연구원(2002)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1960년대 초 소비지 정제주의를 채택하여 국내에 정유공장

을 건설하 고 이러한 정책은 계속적으로 우리나라 석유정책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우리나라 정유

산업 발전의 근간을 이룬 것을 파악하고 있다.

260

의 국제시장 규모는 원유시장 규모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수급불안정에 따른 국제

석유제품 가격변동의 폭이 크다.

소비지 정제주의에 의해서 국내에서 석유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경우 국제석유제품

시장의 가격 변동의 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국제시장의 가격변동이 국내시장의

가격에 미치는 향을 줄일 수 있다. 석유제품 공급의 안정성 확보와 국제시장가격

변동의 완화와 같은 효과이외에도 석유정제 산업의 고용창출효과 및 국내총생산의

증가, 그리고 원유의 대량수송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소비지 정제주의 하에서 석유제품의 국제거래는 일반적으로 국내소비

를 충당하고 남은 잉여생산물의 거래이다. 국가별로 석유제품의 수요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석유제품은 연산제품으로서 석유제품 중 일부는 초과생산이 있을 수

있고 다른 석유제품은 초과공급이 있을 수 있다. 만약 원유의 정제가 석유제품의 국

내 생산을 모두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부 석유제품에 있어서는 초

과공급이 발생한다.

이러한 국내 일부 초과 공급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중질유를 경질유로 전환

시키는 고도화시설을 설치 운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상승함에 따라 경질

유에 대한 수요가 중질유에 대한 수요보다 크므로 경질유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원유 정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중질유의 초과생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초

과 생산된 중질유를 경질유로 전환시키는 시설이 고도화시설인데 동북아시아 국가의

고도화율은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

세계 최대의 석유소비국이며 정제 능력이 가장 큰 미국의 경우 고도화율은 약

70% 수준이며 국, 독일, 캐나다의 경우도 50%를 초과하거나 이에 근접한 수준이

다. 그러나 동북아시아 국가인 일본과 우리나라의 고도화율은 각각 31%, 18%로 이들

국가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 중질유에 대

한 수요가 증대하지 않는 한 이를 수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61

<표 5-4> 국가별 고도화시설 보유현황

(단위: 천배럴/일, %)

국가 상압정제시설고도화시설 고도화율

(%)중질유분해 접촉개질 소계

일 본 4,989 859 705 1,564 31.3

캐 나 다 1,852 554 349 903 48.8

미 국 15,433 7,114 3,689 10,803 70.0

독 일 2,108 652 399 1,051 49.9

이탈리아 2,2622 759 287 1,046 46.2

국 1,941 650 334 984 50.7

한 국 2,438 247 181 428 17.6

자료: Oil & Gas Journal, 조세연구원(2002), p.39에서 재인용

조세연구원 (2002)은 원유와 석유제품간의 차별화를 증대와 같은 관세정책을 통하

여 고도화 시설 설치에 대한 투자 동기를 부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즉 원유에 대

한 5%의 관세는 현재 일반적으로 원자재 품목들에 대한 관세율인 1~2%보다 높고,

반대로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부과는 기본세율인 8%대신에 할당관세의 형태로 7%가

부과됨을 지적하며 이러한 관세 체제가 오히려 예외적임을 지적하고, 그 결과 소비

지 정제주의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부족한 면을 지적하 다. 그리고 석유제품에 대

한 적정관세율은 원유에 대한 관세를 5%로 가정하는 경우 이보다 5~6%p 높은 관세

를 부과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수요를 초과하여 생산된 석유제품은 일반적으로 국제시장에서 판매되는 데

정유회사들은 국내시장에서 정제에 따른 비용을 회수하고 국제시장에 대한 공급은

석유제품의 가변비용을 회복하는 수준의 가격 하에서 이루어진다. 즉, 동일한 석유제

품에 대한 국내가격과 국제가격간의 차이가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국내 판매가격이

국제 공급가격보다 높게 된다. 만약 수송비가 그리 크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규제

가 없는 경우 이러한 제품과 타국에서 생산된 석유제품은 다시 국내로 수입하여 국

내 판매 석유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는 소비지 정제주의에 의해서 국내 생산과 판매를

262

통하여 정제에 따른 생산 원가를 회복하는 정유사들의 판매가 감소하여 고정비를 전

부 회수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정유사들의 경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지 정제주의

의 원칙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과거에는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이

존재하 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에서 현재에도 적용되고 있는 원

유와 석유제품에 대한 차별관세의 적용이 그 예이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원

유와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은 상태로 저가의 석유제품이 수

입되는 것을 저지하기에는 불충분한 상태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경우, 원유에 대한 관세는 5%, 석유제품에 대한 관세는 7%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

국의 경우는 원유와 석유제품간의 관세율 차이가 상대적으로 커서 원유에 대한 실질

관세율은 0%, 그리고 휘발유, 등유 등에 대한 관세율은 9%수준이다.

저가의 석유제품의 수입을 저지하기 위한 비관세 장벽으로는 가격규제와 수입규제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97년 석유산업 전반에 걸친 자유화 이전까지 석유

제품의 국내가격을 정부가 정부고시에 의해서 일괄적으로 정하 으며, 석유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허가제로 운 하 다. 그러나 1997년 1월부터 시행된 석유산업의 자

유화로 인하여 석유제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1998년 5월을 기준으로 석유 판매업에

대한 외국인의 투자도 허용되었다. 따라서 1997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소비지 정제주

의를 견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 수단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중국의 경우에 살펴본 바와 같이 WTO 체제 하에서는 석유제품의

수입 판매에 있어서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의 차별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

운 상태이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석유제품의 수출입 허가 및 판매 제한 등과 같은 비관세

정책과 원유와 석유제품간의 관세 차별화 등을 통하여 소비지 정제주의 원칙을 유지

하고자 하지만 이러한 정책의 효과는 향후 점차로 약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석

유제품 중 경질제품의 비중을 높일 수 있는 고도화 시설의 비중이 동북아시아 국가

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석유 전제품에 대한 국내의 수급균형 유지를 위한 설

비도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비지 정제주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향후 석유

제품의 국가간 이동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제5장 동북아 국가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 263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석유수출입 자유화 조치 이후 저가석유제품 수입업

자들이 출현하 으나 석유제품 유통망 확보의 문제점으로 상시적 수입판매보다는 일

시적으로 저가의 석유제품을 수입하여 이를 판매하여 이윤을 획득하고 사업을 종식

하는 Hit and Run방식의 수입이 지속된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즉, 향후 동북아

시아의 소득 증대에 따라 경질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게 되는 경우 이에 대한 수급

조정이 불안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석유정제의 고도화 시설에 대한 투자 확대,

혹은 이와 같은 저가의 석유 수입의 상시적 판매망이 확보되지 않고 현재와 같은

Hit and Run 방식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석유제품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 안정이 이

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석유제품의 수출입의 증가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제6장 요약 및 결론 265

제6장 요약 및 결론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소비는 2002년 현재 세계에너지 소비의 25%를 차지하고 있

다. 그리고 이러한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소비는 중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향후 급

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2001년에서 2002년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에너지 소

비는 2.6% 증가한 데 비하여 동북아 지역의 에너지 소비는 7.8% 증가하 다. 이처럼

급속한 에너지의 소비 증가는 안정적인 에너지원의 공급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안

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달성하기 위한 동북아 지역 내 에너지 협력에 관한 논의는 매

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전제하에서 동북아 지역 내 에너지의 국가간 이동이 활발하게

되는 경우 어떠한 형태의 에너지 교류가 발생하게 될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석

유산업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의 석유제품의 교류를 분석하 다. 이러

한 분석은 우선적으로 동북아 각국의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현황, 그리고 향후 30여

년간의 에너지 수요 전망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현황 및 전망으로부터 동북아 각

국의 에너지에 대한 국제교역의 잠재력을 분석할 수 있다. 최근까지 한국, 일본은 원

유를 중국 및 러시아로부터 구입하고 있다. 중국도 자국내에서 원유를 생산하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로부터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석유제품에 있어서도 국가간 거래에 있어서도 한국은 주로 일본과 중국으로부터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일본은

석유제품에 있어서도 순수입국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은 석유제품의 교역에

있어서 한국과의 교역이 활발하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한국에 대한 수출을 초과

하는 순수입국이다. 그리고 러시아는 석유공급원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

으며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대하여 원유 및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국가로부터의 석유제품의 수입은 미미한 상태이다.

2010년을 기준으로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와 이에 대한 국내 석유산업으로부터의

공급, 그리고 순수입 등을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2010년 기준 국내 석유제품

266

의 수요가 2,603천 b/d이고 국내 생산이 2,613천 b/d로 초과 생산이 발생하여 9천

b/d의 순수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에도 수송부문의 에너

지 수요 증가 등으로 휘발유의 경우 약 33천 b/d의 순수입이 필요할 전망이다. 반면

에 한국은 등유와 가스유에 있어서 순수출국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각각 97천

b/d, 208천 b/d의 규모로 수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석유제품에 대

한 수요는 6,495천 b/d인 데 국내의 생산은 5,440천 b/d 1,055 천 b/d의 석유제품을

수입하여야 한다. 특히 중국은 전체 석유제품에 있어서 순수입국이 될 것으로 전망

된다.

동북아 지역 에너지 협력의 강화는 동북아 지역 각국의 에너지 관련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시장의 확대를 의미하기도 하고 시장 개방과 더불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업

들에게는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경 전략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관

점에서 본 연구는 동북아 4개국의 전력 및 석유산업의 회계 및 재무관련 자료의 획

득이 가능한 대표적 기업을 선택하여 이들 기업의 재무구조의 특성, 생산성, 수익성,

안정성 등과 같은 경 분석지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 다. 전력 회사의 경 분석은

한국의 한국전력(주), 일본의 도쿄전력(주), 중국의 화능국제전력(주), 그리고 러시아

의 UES 전력회사에 대하여 시행하 다. 그리고 석유 회사는 한국의 SK(주), 일본의

일본석유(주), 중국의 중국석유, 그리고 러시아의 Yukos회사를 분석대상으로 하 다.

동북아 국가들의 전력회사에 대한 경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재무적 안정성을 나

타내는 유동비율 등 재무의 전반적인 안정성에 있어서 러시아의 UES와 중국의 화능

국제전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이 높은 재무의 안정성을 보이는 이

유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제반 설비들을 외부의 자금을 차입하지 않고 기존 국 회사

가 보유하던 설비를 현물출자의 형식으로 매입하 기 때문이다. 반면에 한국의 한국

전력이나 일본의 도쿄전력은 발전설비 등의 투자자금을 자체 보유 자금이나 외부 조

달의 형식으로 조달하 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재무의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동북아 각국의 전력회사들이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위하여 발

전 설비 등을 증설하기 위하여 국제금융시장에서 외부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 그 조

달 조건은 러시아의 UES나 중국의 화능국제전력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보인

제6장 요약 및 결론 267

다.

업활동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수익성 측면에서는 한국의 한국전력, 중국의 화능

국제전력, 일본의 도쿄전력 그리고 러시아의 UES의 순으로 수익성이 좋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발전설비의 운용의 효율성 제고 등과 같은 공급 측면에서의 원가 관리

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여 이익률을 높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북아 지

역 4개국의 대표적 전력회사를 비교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한국의 한국 전력이나 중

국의 화능국제전력의 원가관리가 훨씬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발전의 속도가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앞서는 경우 이들 전력회사의 효율성이 상승하게 되어 중국의 화능국제전력과 러시

아의 UES의 제반 수익성 지표는 보다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를 검토한 결과에 의하면 해당 국가의 경제 발전이 빠른 국

가의 전력회사의 성장성 및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들 국가의 경제

성장에 따라 전력 수요가 증대하기 때문이다. 생산성 및 설비 운 의 효율성 측면에

서는 오랜 기간 축척된 기술력과 운 노하우가 있는 한국 전력이나 도쿄전력이 상대

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격차는 단기간 내에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이와 같은 동북아 전력회사의 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및 활

동성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전력이 중국의 하남성에 10만kW급 발전소

건설 및 운 사업 합자계약을 체결, 총투자금액 중 일정비율의 투자금액을 한국 전

력이 집행하고 그 대신 발전소 건설 후 운 에 관한 경 권을 확보하고 일정 기간

후 이를 중국에 귀속시키는 BOO(Build, Own & Operate)방식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Project financing)을 통한 해외진출 등을 고려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BOO방식의 해외투자는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위해 국제

적으로 통용되는 선진금융기법으로서 적절한 위험관리와 함께 저리의 자금조달이 가

장 중요한 성공의 열쇠인데 한국 전력의 경우에는 발전소 운 자로서 우수한 기술력

과 경험을 갖추고 있고 한국 전력의 해외신임도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해외전력시장 진출방안으로 판단된다.

동북아 석유업계의 경 비교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의 SK(주), 일본의 일

268

본석유(주), 중국의 중국석유, 그리고 러시아의 Yukos회사를 분석대상으로 하 다. 석

유산업의 경쟁력은 일차적으로 해당 국가에 매장된 원유를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

와 이에 따른 일관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지의 여부가 해당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중국이나 러시아는 매장된 원유가 풍부하고 경제발

전 속도 또한 한국이나 일본에 앞선 상태이므로 전반적으로 중국석유나 Yukos가 SK

나 일본석유에 비해 성장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앞서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재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유동비율 등 제반 안정성 지표는 Yukos와 중국석유가

월등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기회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석유관련 설

비들을 외부적으로 조달한 차입에 의하지 않고 기존 국 회사가 보유하던 설비를 현

물출자의 형식으로 매입하 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중국이나 러시아의 석유제품

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추가설비

자금의 조달에 있어서 Yukos나 중국석유가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활동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수익성 측면에서도 Yukos와 중국석유의 지표가 상

대적으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대상기업 해당국가의 석유관련 산업 상

황이 한국이나 일본은 공급과잉과 이로 인해 야기된 과당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저

하, 아직 미흡한 구조조정, 원천적인 원료 자립도의 취약성 등으로 인해 적정한 이윤

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을 반 하고 있다. 반면, 중국이나 러시아의 경우에는 해당 국

가 내에서 꾸준한 수요 증가로 합리적인 수준의 이윤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

로 보인다. 한편,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를 검토한 결과 해당기업의 분석대상연도 특

이성을 배제하면 해당 국가의 경제 발전이 석유제품 수요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Yukos와 중국석유의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및 설비 운 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Yukos나 중국석유가 상대적으로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이윤확보가 가능한 시장 상황을 반 해주는

것이며 향후 석유기업의 성패는 수요 증가가 그 관점임을 말해준다.

결국 우리나라와 일본의 석유기업들은 국내 수요의 정체성을 극복하고 동북아 에

너지 협력이 구체화됨에 따라 향후 이 지역에서 에너지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러시아 등에 대한 진출을 합작회사의 형태로 꾸준히 추진해야 하며 또한 원유 확보

제6장 요약 및 결론 269

를 위한 해외자원 개발 사업에도 계속적인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현시된 비교우위의 지수는 일반적으로 어느 특정국가의 수출에서 특정 재화 및 서

비스가 차지하는 비중과 전 세계에서 이러한 재화 및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의 상

대적 차이를 구하여 어느 국가가 이러한 특정재화의 수출에 있어서 세계평균보다 높

으면 이러한 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에 있어서 비교우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

이다. 이러한 현시된 비교우위의 지수는 구체적 계산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여러 가

지 지수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이외에도 어느 특정 지역 혹은 국가가 생산 및 규

모의 상대적 우위를 측정하여 비교우위를 측정하는 효율우위지수, 규모우위지수, 그

리고 이들을 기하 평균한 총우위지수가 있다.

한편 비교우위를 산업간 무역에서 찾는 대신에 산업내 무역의 특성에서 분석하는

것으로 Glubel-Lloyd의 산업내 무역지수가 있다. 또한 동북아 국가들 사이에서의 국

가간 경쟁관계와 보완관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수출경합도지수와 수출결합도 지수

가 있다. 수출경합도 지수는 양국의 수출상품구조가 유사할수록 경쟁가능성이 높다

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그리고 무역결합도지수는 각국의 총무역에 대한 상대적

무역비중을 고려하여 당사국간의 교역의 상호간 의존정도를 평가하는 지수이다.

10여 년간의 비교우위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나프타와 등유에 있어서 지속적으

로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휘발유에 있어서는 비교 열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

악되었다. 반면에 LPG의 비교우위는 개선되고 있으며 반대로 중유의 비교우위성은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휘발유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다른 석유제품에 있어서는 비교 열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유와 LPG의 경우 90년대 중반이후 비교열위로 전환한 것이 특징적

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등유 혹은 경유에 한하여 낮은 수준의 비교우위를 보이고 다른

석유제품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비교열위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휘발유의 경우 기

간별로 비교우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러시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동북아 지

역에서의 교역이 미미한 관계로 뚜렷한 비교 우위를 보이지는 않는다. 상대적으로

휘발유의 경우 비교 열위를 강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270

수입까지 고려한 비교우위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에 나프타가 더 이상 비교우위

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반면에 휘발유와 등유가 강한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중

국의 경우에는 수입을 고려하여도 휘발유는 지속적으로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본은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제품에서 비교열위를 나타내고 있

으며 러시아는 동북아 지역에서의 수입이 거의 없으므로 거의 모든 석유제품에 있어

서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교우위를 파악하는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특정국가의 특정상품의 수출이 세계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변동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를 동북아 지역의 수출을 기

준으로 파악하면 한국의 경우 전체 석유제품에 있어서 연도별로 음과 양을 값을 달

리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교우위의 변화는 미미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일본의 경우 휘발유는 최근 수출의 비교우위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

며 다른 석유제품의 경우도 음과 양의 값을 갖는다. 러시아의 경우도 중국과 같이

상대적으로 변동의 폭이 작게 나타난다.

한편 일국의 재화 및 서비스가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그 정도를 파

악하는 산업내 무역지수에 의하여 파악한 결과 한국의 경우 나프타와 중유에 있어서

산업내 무역이 활발히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휘발유와 LPG의 산업내

무역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 다. 이는 한국의 경우 국내의 수급 상

황에 따라 휘발유와 LPG의 수출입이 매우 신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본도 높은 산업내 무역의 형태를 나타내는 데 특히

휘발유, 중유, 경유에 있어서 그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경유를 제

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낮은 산업내 무역을 나타내고 있다. 러시아는 휘발유를 제외하

고 전반적으로 낮은 산업내 무역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러시아의 석유제품의 무

역이 아직도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생산 측면에서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효율우위지수와 규모우위지수를 살펴보면 한

국의 경우 나프타와 중유에 있어서 효율과 규모면에서 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결과 총우위지수에서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등유는 점차적으로 효율우

위성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중국은 휘발유, 나프타, 그리고 LPG에 있어서

제6장 요약 및 결론 271

효율의 우위를 나타내고 경유와 휘발유에 있어서 규모의 우위를 나타낸다. 일본은

앞의 비교우위 지표에서 열위를 보이던 휘발유가 효율과 규모에 있어서 우위를 나타

내고 있으며 LPG의 우위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러

시아는 등유, 경유에서 규모 및 효율의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아 국가간 에너지 산업이 수출에 있어서 나타내는 경합도를 나타내는 수출경

합도를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과 일본

의 경합관계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경합관계는 시간이 흐름

에 따라 점차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중국과 일본의 경합관계가 높아질 것으

로 예상되고 있다. 그리고 석유산업의 동북아 국가간 경합도를 타산업과 비교하여

분석하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경합도를 나타낸다.

국가간 무역에 있어서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나타내는 수출결합도를 살펴보면 산업

전체적으로 일본과 한국의 수출결합도는 전반적으로 하락한 반면 한국과 중국의 수

출결합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의 수출에 있어서 일본의 중요

성이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중국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무역결합도를 살펴보면 일본 시장

의 경우 나프타와 등유에서 높은 결합도를 나타내며 한국 시장에서는 등유, 경유, 중

유이다. 이를 종합하면 석유제품 중 양국에서 높은 무역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은 등

유이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동북아 지역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나프타, 중유, 중국은

휘발유, 그리고 일본은 등유와 경유에서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한편 생산, 국가간 석유제품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반 한 산업내 무역을 중

심으로 살펴보면 한국은 나프타, 중유, 중국은 휘발유, 경유, 일본은 휘발유, 그리고

러시아는 등유, 중유 등에서 상대적인 우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역 정책 측면에서 2001년 12월 11일을 기준으로 중국이 세계무역기구 회원국으

로 가입함에 따라 동북아 지역에서 석유제품을 비롯한 자유무역의 틀이 형성되고 있

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소비지 정제주의의 원칙을 고수할 지라도 향후 석유제품의

국가간 교역은 증대할 것이며 외국의 제품과 자본의 유입을 가로막는 관세 및 비관

272

세 장벽은 서서히 완화될 것임이 분명하다. 특히 외국의 자본이 정제업 뿐만 아니라

석유제품의 수출입, 그리고 유통업에까지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림으로서 동북아

에너지 협력과 더불어 기술력과 자금이 풍부한 회사의 타국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중국과 러시아의 에너지 산업내 기업들의 경 구조의 안

정성이 높고 향후 소득증대에 따른 에너지 소비의 증가가 가속화되는 경우 기업의

성장가능성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석유제품에 대한 비교우위에 있어

서도 국가별로 각각 다른 석유제품에 대하여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동북아 에너지 협력의 가능성을 충분히 뒷받

침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한편으로는 국내 석유 및 전력

회사의 안정성을 높이며 향후 시장의 규모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

및 러시아의 석유시장에 대한 투자의 기회를 확대하고 이를 최대한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거 10여 년간의 석유제품의 동북아 지역 내 국가간 무역을 중

심으로 분석한 것이므로 반드시 미래의 석유제품의 흐름 및 비교우위를 결정짓는 것

은 아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듯이 비교우위는 그 측정기준에서, 그리

고 측정시점에서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임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즉, 비

교우위는 고정된 재화 및 서비스의 교역개념이 아니라 수시로 변화할 수 있는 개념

이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분석은 일회적으로 완료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기

적으로 시행되어 동북아 에너지 산업내 비교우위의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실현된 무역의 흐름에 근거하여 무역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이

러한 연구와 더불어 동북아 국가간 석유제품의 생산의 특성과 소비의 차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분석을 행한다면 본 연구 결과와 함께 동북아 에너지 산업의 국가간

무역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예측력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73

<참고문헌>

국제경제연구, 남북한 무역의 비교우위와 동아시아경제권이 남북한 경제통합에 미

치는 효과 , 1997. 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대외무역관리제도 , 1994. 10.

─────────, 러시아의 수출입제도 , 1994. 12.

─────────, 러시아의 석유 가스 수송체계 , 1997. 5.

─────────, 중국의 에너지 산업 현황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 1997. 12.

─────────, 2003 중국경제연보 , 2003. 4.

대한석유협회, 주요 아시아국가의 석유제품 수급동향과 석유의 안정공급에 관한 조

사 , 2000. 12.

박중구, “한중일 산업경쟁력 비교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하계정책 세미나 논문자료

집, 2003, 6.20.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한국의 FTA 전략 , 2003. 5.

───────, Issue Paper 신 에너지 위기요인과 동북아 에너지 협력 , 2003. 6.

정우진, 석유산업의 대외개방이 미치는 향 및 대응방안 연구 , 에너지경제연구원,

1999. 10.

이달석, 석유산업 자유화 이후의 동향과 과제 , 에너지경제연구원, 2002. 2.

일본에너지경제연구원, Outlook of Supply and Demand Trends of Petroleum Products,

August 2003.

──────────, Japan's Long-term Demand and Supply Outlook

외교통상부, 외국의 통상환경 , 2002. 12.

주간석유뉴스, 동북아 경제협력과 석유산업의 역할 , 2003. 7.

한국국제경제학회, 동북아 경제 중심 - 이상과 현실 , 2003. 6

한국수출보험공사, KEIC 컨트리 리포트 , 2001. 7.

274

한국조세연구원, 원유 및 석유제품의 적정관세율 연구 , 2002. 8.

ADB, Country Economic Review: People's Republic of Chin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Alan Troner, Miller, Sarah J., Energy And The New China, January 1995.

APERC, APEC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02

Bai-Yang Liu, Bong Joon Yoon, "China's Economic Reform and Regional

Productivity Differentials",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25, No. 2,

December 2000.

BP,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3, June 2003.

Chen, Natalie, "Intro-national versus International Trade in the European Union:

Why do National Borders Matters?" Discussion Paper No. 3407, Centr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June 2002.

DOE/EIA, International Energy Annual 2001, March 2003.

─────-,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3, May 2003.

DORIAN, JAMES P., Energy in China, 1996.

Forslid, Rikard, Jan I. Haaland, Karen Helene Midelfart Knarvik, "A U-shaped

Europe? A simulation study of industrial loc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57, 2002, pp. 273-297.

Forslid, Rikard, lan Wooton, "Comparative Advantage and the Location of

Production," Discussion Paper No. 2118, Centr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March 1999.

Lim, Kang-Taeg, Jae-Young Kim,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s and Import

Demand Behavior of North Korea",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27,

No. 1, June 2002.

OECD/IEA, Energy Policy of IEA Countries Japan 1999 Review.

─────-, Coal Information 2001

─────-, World Energy Outlook 2002.

참고문헌 275

─────-, Energy Prices & Taxes, 2003 2nd quater.

─────-, Oil Information 2003.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2002 Report to Congress on China's WTO

Compliance, December 2002.

WTO, Trade Policy Review: KOREA, August 2000.

WTO, Trade Policy Review: JAPAN, October 2002.

WTO, Annual Report 2003, March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