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요약: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CSIS Project on U. S. Leadership in Development “Global Development Monitor 2017” 발행기관: Center for Strateg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발행년도: 2017년 11월 본 보고서는 한국국제협력단ODA연구원이 지식 공유 목적으로 작성한 요약문으로서 관련 내용은 한국국 제협력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CSIS Project on U. S. Leadership

in Development “Global Development Monitor 2017”

발행기관: Center for Strateg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발행년도: 2017년 11월

본 보고서는 한국국제협력단ODA연구원이 지식 공유 목적으로 작성한 요약문으로서 관련 내용은 한국국제협력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Page 2: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2 -

<목차>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지형 1. 중간소득 전환 2. 개발과 안정성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3. 중국의 다자은행의 도약과 미국의 리더쉽

Part 2. 개발 최근 관련 이슈 1.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개발 2. 사회안정과 경제성장 촉진 : 지역접근법에서 배운 교훈3. 도시, 농촌 그 사이 : 2030 의제에 대한 보다 스마트한 계획

PART 3. 개발과 국가 안보1. 왜곡된 정보 없이도 강제이주는 충분히 어렵다. 2. 인권존중을 위한 보안군에 대한 레버리지 확대방안 3.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ge 3: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지형

Image source: A Report of the CSIS Project on U. S. Leadership in Development “Global Development Monitor 2017”, CSIS

Page 4: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1. 중간소득국 전환

Rodney Bent(UN Information Center, Former Director )

(중간소득으로의 전환추세) 세계은행이 측정한 결과, 저소득 및 저중소득 국가 수는 2003년 약 125건에서 오늘날 약 80건으로 감소하였다.

(중간소득국 전환과 미국원조의 방향성) 미국원조기관은 1인당 국민소득이 변화한 국가들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할까? 전통적 해법은 간단했다: 원조기관(USAID)은 프로그램을 축소하고, 기타 정부기관1)은 미국의 민간부문의 진출기회를 확대하며, 다자기구2)가 해당국가를 더 발전할 수 있게 인도하면 되었다. (한국이나 터키가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진 대표적인 예임). 그러나 대다수의 국가에서는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인도의 사례) 인도의 1인당 GNI가 6,030달러인데도 보건 및 기타 개발이니셔티브에 대해 USAID로부터 연간 약 8천만~1억 달러를 지원받고 있다. 인도는 다른 수원국들이 꿈꾸는 기술에 대한 자본과 인력을 지니고 있으며 약 20만명의 연간소득이 100만달러 이상이다. 인도인은 H-1B(전문직)비자를 받아주는 미국기업의 고용인력 중 2015년 기준, 70% 이상을 차지한다3)

(왜 지원이 계속되고 있나?) 미국은 2030년에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남아시아의 2조달러 규모의 대형시장인 인도에 대한 영향력을 잃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2016 년 연간 인도-미국 교역규모는 약 680억 달러에 이른다.

(USAID의 인도 원조프로그램의 도전과제) USAID의 인도 원조활동은 아프리카 및 기타 저소득국가의 프로그램과 유사하다. (자세한 내용 원문참조) USAID의 현재 원조프로그램과 인도의 부와 기술력 사이에는 단절이 있으며 소득규모가 달라진 만큼 과거의 개발원조에서 파트너국가들과 성숙한 관계로 옮겨갈 때가 왔다.

(미국 개발원조의 나아갈 방향 1: 분석프레임워크 개발 및 엄격한 원조지원 검토) 수원국의 상황이 나아지면 공여국은 본능적으로 ‘새 술을 오랜 부대에 담는 것처럼’ 원조패러다임 변화보다는 원조프로그램에 새로운 목적을 찾는다. (인도의 경우 긴급식량구호(1951)-농촌개발(1970년 후반)-과학기술정책 등 (1980년대)) 자원의 올바른 분배를 위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원조프로그램을 엄격히 검토해야한다. 좋은 거버넌스와 경제성장의 전망을

1) 미국무역개발기구(USTDA), 해외민간투자기구 (OP1C), 수출입은행 등 2) WTO, Worldbank, 다자개발은행 및 IMF 3) 한편,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불평등한 국가이다. 유엔 인간개발지수에 따르면 인도는 188개국 중 131

위를 차지하고 있다

Page 5: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2 -

지닌 국가들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미국 개발원조의 나아갈 방향 2: 수원국과 파트너 국가 간 비정부 관계망을 살펴볼 것) 미국내 기관들과 파트너국가 간의 비정부 관계의 관계망이 깊고 풍부할수록 정부개입의 필요성은 줄어든다. 미국 정부는 활성화 될 수 있는 초기 비정부네트워크가 있는 곳에 투자해야 할 것이다. 비정부관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비즈니스 및 투자이다. 가장 큰 비즈니스거래는 OPIC과 같은 정부기관이 아닌 민간영역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거래의 결정요인은 해당국가 및 분야의 투자 및 비즈니스 환경이 될 것이다. 이는 미국정부가 아닌 인도 스스로 해야 할 몫이다.

Page 6: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3 -

2. 개발과 안정성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Romina Bandura (CSIS, Senior fellow)(SDGs 8번 양질의 일자리)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는 보다 풍요롭고 공정하며 안정된 세상을 이루는 중요 통로이다. 유엔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8번은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고용 및 모든 사람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사회에 촉구한다.

(양질의 일자리와 빈곤) 빈곤퇴치를 위한 지난 수십년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세계인구의 10명 중 1명은 하루에 1.90 달러 이하로 살고 있다. 직업은 빈곤에서 탈출구가 될 수 있지만 개발도상국 근로자들은 가족의 생계를 해결할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받지 못하고, 위험하고 비생산적인 근로에 종사하며, 사회보장 혜택을 받지 못한다. (2017년 기준 14억인구,약 전체 인구의 42%가 취약 고용층에 해당한다)

(양질의 일자리와 사회 안정) 양질의 일자리의 부족은 경제적 기회박탈에서 나아가 사회불안, 강제이주, 약물남용 증가와 같은 세계적인 추세로 나타나는 정치적사회적 불안정의 원천이 될수 있다. 모든 직업이 부와 번영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생산적인 고용기회를 장려하고 공정한 소득을 제공해야한다.

(청년층의 실업과 빈곤) 청년층(12-24세)은 세계 인구의 약 20 %를 차지하며, 청년은 전세계 실업자의 40 %를 차지한다. 또한 신흥 및 개발 도상국의 약 1억3천5백만명의 청년층들이 일하지만 아직 극빈 또는 중간빈곤층에 살고 있다. (1인당 3.10 달러 이하). 고용 이후에도 빈곤탈출이 쉽지 않다. 유엔은 2016년부터 2030년까지 특히 청년층의 시장진입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4억 7000 만개의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청년취업과 도시의 역할)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중간도시에서 가장 빠른 성장이 이루어질 것이고 2030 년까지 모든 도시 거주자의 60 %는 18 세 미만이 될 것이다. 도시는 청년을 위한 잠재적인 "번영의 장소"로 채용, 교육, 시민 참여, 직업훈련, 사회적자본 등을 제공하며, 청년고용이 증가하고 그들이 교육훈련 및 시민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사회전체를 이롭게 한다. 경제활동 과정에서 배제되면 청년층은 낮은 자존감을 지니게 되고 더 나아가 범죄, 십대임신, 갱단활동과 같은 더 위험하고 해로운 활동으로의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다.

(청년과 양질의 일자리) 젊은이들에게 투자하고, 특히 좋은 일자리를 제공한다면, 지구촌의 빈곤감소, 경제성장 및 안정성에 기여할 것이다. 국제기구, 정부, 시민사회단체, 기업 및 학술기관의 주요 과제는 새로운 세대가 가져올 잠재적인 역량, 아이디어 및 혁신이 훼손되지 않고 낙관적인 미래가 절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양질의 일자리는 젊은이들의 꿈과 열망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통로이기 때문이다.

Page 7: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4 -

3. 중국의 다자은행의 도약과 미국의 리더쉽

Conor M. Savoy(Global Innovation Fund,Director of Policy and Advocacy)

(중국의 다자은행 설립과 미국리더십이 직면한 과제) 지난 2년간 중국은 2개의 다자개발은행(MDBs) 설립을 발표했다. 이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과 브릭스국가의 신개발은행 (New Development Bank; NDB) 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AIIB에 가입하지 않도록 동맹국들에 압력을 가했으나 이 노력은 실패했고, 캐나다. 호주, 영국, 한국 등 57개국이 AIIB를 위한 초기자금 조달에 서명했다. 이러한 양상은 미국의 다자은행에 대한 리더십 개선과 본연의 역할 재편에 대한 경종일 것이다.

(AIIB와 NDB의 간단한 정의) AIIB는 초기자본 1,000억 달러의 개발은행으로 아시아의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인프라(사회간접자본) 에 대한 투자를 위해 설립되었다. 중국은 57개국의 서명을 받았으며 이 은행의 최대주주이다. NDB 또는 "BRICS Bank"는 현재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BRICS 국가의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중점을 두고 있다. 5개국만이 유일한 주주이며 각 은행은 은행의 지분 20 %를 보유하고 있다. 초기자본은 500억 달러였다. 추후 가입국들은 55%의 투표권을 BRICS 국가들이 선점하고 있다는 위험부담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AIIB와 NDB에 대한 우려) 가장 큰 우려는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원칙에 대한 행보이다. 미국 정책입안자들 사이에서 AIIB가 세계은행과 지역개발은행이 70년 이상 구축한 원칙들을 뒤엎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또한 중국의 지배수준은 명확하지 않고 다양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예: AIIB는 "낙오"국가 (예 :이란, 북한 및 짐바브웨)에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가? AIIB가 석탄발전사업에 자금을 지원하는가? 중국이 AIIB에 압력을 행사하여 중국국영기업들과 계약을 맺도록 하고 있나? 이는 근거 없는 우려는 아니다. 중국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지원을 위해 국내 정책은행을 그런 방식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꼭 필요한 의구심이었고 AIIB가 지구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의 기준안을 신속히 마련하고 승인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같다.

(AIIB와 NDB의 거침없는 행보) 지금까지 AIIB는 약 17억 달러를, NDB는 약 15억 달러의 차관을 지원했다. 두 기관 모두 운영 첫 해에 강한 거래흐름을 보였으나 투자책임자(Investment Officer)의 부족으로 주춤했다. AIIB의 경우, 대부분이 세계은행 또는 지역개발은행들과 공동출자 프로젝트였지만, 오만과 방글라데시에서 자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NDB는 BRICS 국가의 자금 조달에 한정되어 있으며, 모두 7개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모두 국가개발은행에 융자했다. AIIB는 연간약정을 150~200억 달러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NDB는 5년 후에 연간 150억 달러를 목표로 한다.

Page 8: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미국의 리더십 과제 1: 기존 다자은행과 신흥 중국다자은행과의 통합 노력) 미국은 AIIB에 (가입하지 않아야하고) 가입하진 않겠지만 기존 다자은행에 대한 개혁을 모색하며 동시에 새롭게 등장한 중국 다자은행들을 기존시스템에 통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브레튼 우즈 시스템의 강력한 리더십을 제공하는 것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 미국의 리더십의 전환을 필요로 할 것이다.

(미국의 리더십 과제 1: 기존 다자은행의 자금 승인절차 개혁) “자비로운 방관” (Benign Neglect)정책은 AIIB와 NDB의 공간을 만들어주었지만 더불어 기존 다자은행체제 개혁의 절실한 필요성을 노출시켰다. 인프라 프로젝트 자금이 즉각적으로 필요한 시점에 자금조달의 승인이 수년씩 걸리는 것은 불합리하다. 승인 절차을 가속화하기 위한 개혁이 필요하다.

(미국의 리더십 과제 1: 다자은행은 수요에 기반하여 움직일 것) 나아가 現 개발트렌드 중심이 아닌 Demand-driven, 즉 수요 중심으로 움직여야한다. 이는 미국이 기존 다자은행체제의 최대 혹은 두 번째 주주로서 리더쉽을 재편할 수있는 기회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지 여부는 지켜볼 일이다.

Page 9: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Part 2. 개발 최근 관련 이슈

Image source: A Report of the CSIS Project on U. S. Leadership in Development “Global Development Monitor 2017”, CSIS

Page 10: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7 -

1.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개발

Ann Mei Chang(USAID, Former chief innovation officer)

(개발영역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활용) 휴대폰, 인터넷 등으로 이루어진 디지털기술 혁명은 인류의 삶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이는 글로벌개발 영역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디지털 기술은 개발영역에서 더욱 많은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개발전문가들은 피드백을 보다 빠르게 수집하고, 의사결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보데이터를 활용하며,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술을 활용해야한다.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등장이 개발에 미치는 영향) 자동화와 인공지능(AI) 기술의 거시경제적 논의가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저소득국가 소작농들은 더 나은 임금을 받기 위해 도시로 이주하고 생산직과 콜센터에 종사한다. 향후 이러한 저숙련 단순노동 일자리는 로봇과 컴퓨터에 의한 첫 번째 희생양이 될 것이다.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통적 사다리는 사라질 확률이 높다. 서비스경제의 기반이나 자본이 축척되지 않은 저소득국가의 경우에 자동화와 인공지능은 글로벌개발의 중대하고 어려운 도전과제가 될 것이다.

(인터넷과 휴대폰, 그리고 연결성) 개발주체는 핵심인프라로서 모바일 및 인터넷 연결을 고려해야한다. 여러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결성 (Connectivity) 증가는 GDP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 기준 인구의 60%가 개발도상국에서 오프라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온라인접근의 성별격차 역시 큰 실정이다.

(디지털 금융과 개발) 디지털 금융서비스는 개발도상국은 ‘뛰어넘는 기술도약’을 가능하게 해준 가장 큰 성공 사례중 하나이다. 기존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약 20억명의 인구는 모바일머니(ex. M-PESA)와 같은 시스템 혁신으로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4)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 발전은 비용을 절감하고 거버넌스의 투명성을 제고함으로써 개발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와 개발) 보건, 농업, 교육, 시민참여, 고용 등 다양한 니즈에 대응해 수많은 디지털 서비스가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많은 이들의 삶을 개선하고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준다. 휴대전화만 있다면 모든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세계은행은 아프리카 내에 173개의 첨단허브와 창업육성센터를 확인했고 가장 널리 알려진 케냐의 iHub에서는 150개가 넘는 스타트업이 세워졌다.

4) 모바일머니와 같은 디지털 금융서비스는 가족이 등록금, 영농, 소상공인의 크레딧, 소매업자들의 보험가입등을 위한 저축을 가능하게 하고 가정의 전기,수도,교육 등의 유료화 서비스에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Page 11: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8 -

(기술도입을 통한 개발 도달범위 확대) 개발프로그램에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더 작은 비용으로 더 많은 이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있다. 문자메시지는 질병 및 재난 경보, 시장가격 전달 등 유용한 정보를 빠르게 많은 이들에게 도달할 수 있는 도구이다. 또한 개발기관은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통해 직원, 납품회사 및 수혜자 및 파트너들에게 신속하고 투명하며 안전하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기술도입을 통한 개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기술도입은 프로그램 질적 향상을 가지고 올 것이다. 개발전문가들은 모바일기반 설문조사, 폴링 및 지오태깅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수집수단을 활용할 수있다. 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직접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개입이 어떻게 작용 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Rapid SMS는 SMS기반서비스를 통해 대규모데이터 수집을 할 수 있는 무료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또한 우간다 교육부는 학교출석과 같은 지표를 추적하는데 eduTrac을 구동한다. 향후에는 데이터수집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 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프로그램에 신속하게 적용하는 피드백루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글로벌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기획수단으로서만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학습이나 결과를 위한 활용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기술과 디지털 경제 생태계 구축) 새로운 기술변화에 대한 대응책 중 하나는 디지털 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하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Cisco Networking Academy는 개발도상국의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IT 기술인력으로 양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고 HP LIFE e-Learning은 클라우드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필수 비즈니스 및 IT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정부와 민간부문이 협력할 때, 우수한 기술인력 양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기술은 가치중립적이다) 기술은 가치중립적이며, 변화를 위한 수단이다. 가속화되고 있는 혁신속도는 우리에게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며 기존 관행에 맞설 것을 주문한다. 우리는 강력한 기술의 힘을 활용해 빈곤층의 역량을 강화하고 원조 효과를 극대화하며 많은 이들에게 도달하는 영향력 있는 개발을 만들어 가야한다.

Page 12: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9 -

2. 사회안정과 경제성장 촉진 : 지역접근법에서 배운 교훈

Joseph M. Naylor(Chevron Corp., Vice president ofPolicy, Government, and Public affairs)

(Chevron의 개발활동: 지역사회와의 협력의 중요성) Chevron은 미국을 기점으로 나이지리아,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등 전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국적 석유회사이다. 우리는 Chevron의 성공이 지역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Chevron은 지역사회의 갈등을 완화하고 지역경제의 안정을 위하여 파트너십을 활성화하고 있다. 우리는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쉽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의 성공적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해야 할 것들에 대한 주요교훈을 공유하고자 한다.

(주요교훈 1. 파트너십은 중요하다) 지역공동체가 개발이니셔티브의 설계 및 실행에 동참하고 지역공동체와 개발행위자들이 긴밀하게 협력할 때 프로그램의 성공률이 높아진다. (앙골라 사례) Chevron,은 27년 내전을 겪은 앙골라에서 국가재건과 화해에 도움을 주기위해 2천5백만 달러를 투입했고, 갈등완화를 위해 앙골라 파트너십 이니셔티브 (Angola Partnership Initiative; API)를 형성, 사회적지원을 제공했다. API는 지속적인 개발이니셔티브를 위한 현지역량을 구축하여 경제 발전을 도모했고, 난민통합, 보건 및 교육을 통해 국가평화와 안정성에 기여했다.

(주요교훈 2. 시간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와의 상생은 지속적인 참여와 장기간의 헌신이 필요하다. (콜롬비아 사례) Chevron은 콜롬비아에서 가장 많은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는 라과지라(La Guaji ra) 지방의 Wayuu지역에서 활동한다. 우리는 Wayuu주민 및 지역기관들과 파트너십를 맺고 전통생계수단을 활성화하였다. 수산시장을 개발하고 수공예협동조합의 역량을 구축하여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소득창출에 기여할 수있도록 전통가방 직조교육을 진행하였다. 필요한 신뢰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 것은 사실이지만 Wayuu 커뮤니티와의 파트너십 덕분에 우리는 더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있었고 정교하고 영향력 있는 개발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주요교훈 3. 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것 그리고 제도적 역량을 구축할 것) 지역사회의 수요를 기반으로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존 조직의 개발 역량을 강화한다. (나이지리아 사례) 지역사회는 글로벌양해각서 (Global Memorandum of Understanding, GMOU)를 통해 Chevron이 제공한 자금 활용과 프로젝트 실행에 대한 책임을 진다. Chevron은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지방위원회와 이사회에 참여하고 연례 프로젝트기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였다. 2016년에는 약 4백만 달러 상당의 65개 지역사회 발 프로젝트가 실행되어 153,000명 이상의 수혜자들이 생겼다. 2010년 Chevron은 Niger Delta 파트너십 이니서티브 (Niger Delta Partnership Initiative; NDPI)와 파트너십 이니셔티브 재단 (Partnership Initiatives in the Niger Delta ; PIND)을

Page 13: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0 -

설립하여 소득, 고용증진 및 지역 주민의 경제성장을 도모했다. 지역수요에 기반한 설문조사는 주민들의 최우선 과제가 고용 및 생계유지라는 점을 밝혀내었고, 프로그램 설계시 이 점을 고려하여 농산물시장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과 정부, 시민단체 및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역량강화를 포함하였다.

(NDPI와 PIND의 결과 및 시사점) 개선과제가 남아 있긴 하지만 NDPI과 PIND는 결과적으로 지역개발을 위한 개인 및 조직 (주로 지역사회) 관계망을 강화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사회 내 9천2백만 달러 상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를 창출해낼 수 있었다.

Page 14: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1 -

3. 도시, 농촌 그 사이 : 2030 의제에 대한 보다 스마트한 계획

Patrick C. Fine and Tricia Petruney (FHI360, CEO)

(도시와 농촌 정의의 중요성) 도시와 농촌의 정의를 세우는 것은 경제성장을 위한 개발계획 수립 및 자원 배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국가의 인구가 어디어 어떤형태로 분포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그림이 없으면 국내재원동원(DRM), 인프라 투자, 사회보장 서비스에 대한 결정은 불가능하다. 개발과 관련된 모든 의사결정은 사람들이 어디에 얼마만큼 거주하는지 알려주는 충분한 자료가 있어야 한다.

(도시인구의 증가추세) 개발도상국의 인구는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세계인구의 절반 이상 (36억 인구)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은 2030년까지 개발도상국 인구 14억의 9%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농촌과 도시의 구시대적 정의) 급변하는 개발 분야에서 "도시"와 "농촌"이라는 용어를 수십 년 동안 똑같은 정의로 활용하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다. 2010년 이후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 생산된 인구보고서는 10년 전 인구조사 수행 시 사용했던 정의를 그대로 쓰고 있다. 인구유입(이주)이나 성장이 일정하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도시화와 이주가 빈곤과 개발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현재의 맥락에서 70년대 정의로 돌아가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도시와 농촌의 단순한 구별) 나미비아에서 가장 최근에 실시된 인구조사에 따르면 도시는 "공식적인 주택 구조가 있는 도심 지역"을 의미하고 농촌은 "지방 (읍면 단위) 및 상업 농지"를 의미한다고 한다. 도시에 대한 높은 기준이 설정되어 농촌으로 남는 경우도 많다.(국가별 사례) 보츠와나는 5천명 이상의 주민과 비농업 활동에 종사하는 노동력의 최소 75%가 있는 경우 도시로 분류한다. 따라서 비농업 종사인력이 70%인 8만 명의 중소도시는 농촌으로 간주된다. 스와질란드의 농촌인구는 79%에 이른다. 도시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1980년대 이후 본질적으로 변함없는 수치이다. 케냐는 높은 도시 이주율을 경험한 국가 중 하나이지만 농촌지역의 인구를 전체인구의 80% 이상이라고 보고한다.

(도시중심부 외곽지역의 성장의 미반영) 저소득국가에서 농촌인구들의 첫번째 도시 이주 정착지는 도시외곽이다. 대부분의 국가는 도시 근교나 교외에 대한 인구통계 규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은 여전히 농촌으로 분류된다.

(새롭게 등장하는 도시에 대한 정책 필요성) 최근 인도의 가장 큰 변화는 도시주변에 형성된 "도시외곽(urban conurbations)" 또는 지방(Locales) 의 성장이다.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비농업인구의 증가함에 따라, 새로 인정된 도시정착지 중 90% 이상이 공식적 지방자치단체하에 있지 않다. 따라서 이들은 정부투자 및 공공 서비스를 받을 권한이 없다. 비공식적인 신도시

Page 15: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2 -

정착촌의 대부분은 배관 및 위생시설 부족, 도로혼잡, 환경오염, 전기 공급 부족 등에 시달리고 있다. 도시재분류에 따르는 재정 및 정책 파급효과는 강력한 정치적 본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에티오피아의 사례와 같이 종족이나 정당의 영향이 있는 경우, 정부의 개선 속도는 느릴 수밖에 없다. (새로운 인구센서스의 등장과 향후 과제) 상당수의 국가가 향후 정책입안자, 통계전문가, 도시계획 전문가와 협력하여 새로운 인구센서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지역분류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확장하고 합의하게 될 것이며 도시인구의 40%가 재분류를 통해 나오게 될 것이다. 이 점을 고려하면 농촌–도시 스펙트럼을 넘어서서 최근 데이터가 보여주고 있는 소도시의 급증, 외곽지역의 발달, 도시간의 불균형문제를 심도 있게 다뤄야한다. 더불어 도시의 빈곤 감소와 서비스 제공에 힘써야 할 것이다. 시대적 변화 흐름에 맞춰 개발전략도 우선순위도 변화해야한다.

(정부와 국제사회의 실행 방안) 정부와 국제사회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중요한 "공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UN회원국들과 합의된 내용을 아젠다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는 ‘도시'의 구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것이며 국가수준에서의 자료 및 통계역량 강화에 관한 권고도 포함된다. 이 작업은 인구조사팀이 도시 및 농촌의 개념을 현대화할 때 보다 적절하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신도시 및 소도시에서의 사회경제 육성전략은 농업 중심의 농촌개발과는 다르다. 또한 대도시에 적합한 도시화와도 다를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국제사회는 농촌과 도시의 연속선상에서 이에 맞는 가장 적합한 정책과 투자의 우선순위를 현명하게 조율해야 할 것이다.

Page 16: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Part 3. 개발과 국가 안보

Image source: A Report of the CSIS Project on U. S. Leadership in Development “Global Development Monitor 2017”, CSIS

Page 17: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4 -

1. 왜곡된 정보 없이도 강제이주는 충분히 어렵다

Erol K. Yayboke (CSIS, Deputy director)

(강제 이주자에 대한 왜곡된 정보) 오늘날 진실은 조작된 진실과 구별하기가 어렵다. 국가가 주관하고, 사실을 왜곡하고 조작함으로써 정보 소비자들은 무엇을 왜 걱정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는 종종 자신들이 모르는 “타인”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두려움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어디에 질문하느냐에 따라 시리아난민인 아흐마드가 기업가, 직업을 뺏아가는 사람, 잠재적인 테러리스트가 된다는 사실은 놀랄 일이 아니다. 아흐마드와 같은 강제 이주자(Forced migrants)5)는 어렵고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더 어렵게 하는 것은“난민의 악마화” 이다.

(강제이주의 가속화)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강제로 이주하는 추세이다. 실제 강제이주를 추적하기 어렵기에 강제이주자 6천5백만이라는 숫자는 실제보다는 낮은 수치이다. 향후에 이 숫자는 계속 많아질 것이다. 정치탄압, 분쟁, 기후변화, 갱단폭력, 상업시설 건설을 위한 불법정착촌의 강제철거에 따라, 강요된 이주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다.

(시리아난민인 아흐마드의 이야기) 2011년 시리아가 내전에 휘말리기 전, 아흐마드는 다마스커스 외곽에 산업용장비를 생산하는 공장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는 수백명의 종업원을 고용한 성실한 납세자였고 지역학교의 후원자였다. 미사일이 공장의 일부를 파괴하고, 안팎으로 다친 그는 가족과 함께 조국을 떠나기로 결심하였다. 결국 아흐마드 가족은 전세계적으로 6천5백만이 강제이주민 집단에 합류하게 되었다.

(고국으로 돌아와도 환영받지 못하는 사람들) 아흐마드와 같은 사람들은 생산성 있는 자산과 직업을 가졌기에, 난민의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시리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인력이다. 많은 강제이주민들처럼 아흐마드도 언젠가는 돌아올지도 모르지만 내전이 내일 끝나더라도 본국에 돌아가서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또한 그가 돌아가면, 본국에 남겨져 전쟁의 고통을 겪었던 사람들의 분노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5) 용어의 정리(저자주): 국제이주기구(IOM)의 정의에 따르면 이주 (Migration) 국경을 넘었거나 혹은 특정 국가 내에서 사람이나 집단이 이동하는 것. 그 기간과 구성, 원인에 상관없이 어떤 형태의 인구이동이든 포괄하는 개념으로 난민, 이재민, 경제적 이주자 그리고 가족재결합 등의 목적을 위해 이동하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난민과 이주민 간에는 중요한 법적 차이가 있다. 난민이란, 박해, 분쟁, 폭력, 기타 공공질서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상황 등으로 인한 공포로 출신 국가를 떠났기 때문에 ‘국제법적 보호’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이다. 서구 유력 언론 및 공공토론에서 ‘난민’과 ‘이주민’이라는 용어를 혼용하거나 ‘이주민’으로 사용하는 분위기이지만 반면 아랍권은 가급적이면 난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주장한다.

Page 18: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5 -

(주변국들의 직면한 문제) 이주 경로의 인근 지역과 주변 국가들은 난민대응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옷가지 정도만 지닌 강제이주민들에게는 즉각적 관심이 필요하지만 이런 관심의 문제는 이주를 받는 국가(host countries)들에 대한 근본적인 개발문제로 비화되곤 한다. 요르단과 같은 개발도상국이 경우에 따라 하룻밤 사이 한 마을인구의 2 배 이상의 난민유입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식수와 위생시설은 어떻게 제공하는가? 아흐마드의 자녀들처럼 1 년 또는 그이상의 학교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의 교육은 어떻게 되는가? 환자는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이 모든 비용은 누가 지불할건가? 이주민의 유입은 host country 의 사회적 분열을 야기 한다. 난민들은 기존 국민들보다 낮은 임금으로 기꺼이 일할 것이고 host country 의 경제적 약자인 빈곤층은 난민에 대한 현금 및 기타지원에 대해 분개할 것이다. 강요된 이주자의 이동은 도전과제와 복잡성, 상황, 다루기 어려운 문제들로 산적해있다. 유엔난민기구 (UNHCR) 복지관들과 강제이주민들의 자치정부는 이러한 해결책을 위해 싸움하는 동시에 종종 만연한 오보들과도 동시에 싸우고 있다.

(왜곡된 정보를 통한 강제이주민 인식 형성 사례) 로힝야족 밀수꾼들이 방글라데시에서 체포된 사실을 부각함으로서 전체 로힝야족이 범죄자라는 인식이 발생한다. 콜롬비아 이주여성이 토착민들에게는 없는 승용차를 가지고 있음에도 국제 NGO 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는 사례도 마찬가지이다. 시리아사업가가 레스토랑을 오픈함으로서 이웃 터키인 레스토랑이 메뉴가격을 낮출 수밖에 없었다는 사례를 통해 모든 시리아인들은 모든 터키내 산업에 악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형성한다. 특정세력들은 정치적 이익을 위해 강제이주민들에 의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자연스럽게 비난하고 있다.

(왜곡된 정보는 정치적 이익을 위해 확대된다) Host country 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는 인도주의적이다. 방글라데시는 로힝야족에게 피난처를 제공하였고, 터키의 300 만명이 넘는 시리아인들에 대한 지원은 칭찬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이러한 인도적 행위들조차 정치적 현실과 선거에 직면하게 되면 더 큰 공약과 정치적 이익을 위해 왜곡되고, 특정부분이 확대되고 조종된다. 미국에서 필리핀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가내 선거과정에서 이주문제를 기반으로 많은 득표와 권력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난제에 대한 지속적인 해결책 제시에는 실패하였다. 해결책을 실현할 수 있는 권력자들은 피해자들을 비방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시간과 노력을 문제해결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주민의 현실은 잘못된 정보 없이도 충분히 어렵다) 아흐마드 가족은 요르단의 작은아파트에서 1 년 넘게 미국 내 정착에 관한 소식을 기다리는 중이다. 이들은 "엄청난" 수준의 검증절차를 완료했고 수개월동안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의 비행기시간에 대한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2016 년 11 월초 이래로 자신들의 지위에 관해 아무 소식도 듣지 못했다. 실제 이주민들이 겪는 현실은 충분히 어렵고 힘든 상황이다. 정치적 전술과 파문으로 인해 왜곡된 현실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Page 19: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6 -

2. 인권존중을 위한 보안군에 대한 레버리지 확대방안

Shannon N. Green(CSIS, Chief of Human rights initiative)

(보안군의 역할과 위험) 올바른 민주주의 국가에서 민간인을 통제하는 보안군(Civilian-controlled Security force)은 민간인을 보호하고 분쟁을 완화하며 국내외 보안위협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공공 및 민간 보안군은 민간인을 방어하고 이들에게 봉사하는 역할대신, 취약한 정부, 만연한 부패 및 무력충돌의 환경 속에서 심각한 인권침해를 자행하고 있다. 훈련되지 않고 무질서한 군부대가 대규모 인력 및 장비를 가진 광산 및 에너지 회사에 대한 보안을 책임지고 있을 경우, 위험은 더 커질 수 있다.

(보안군의 위험 사례) 앙골라의 민간부대는 마체테라는 검으로 다이아몬드 광부들을 고문한사실이 밝혀졌고, 가나의 보안군은 광산 운영에 항의 시위하는 구성원들과 격렬한 투쟁을 벌였다. 수단 가스회사들은 내란 중에 민간인들에 대한 정부의 탄압을 강화하는 데 일조했다.

(VPs 채택을 통한 인권유린 방지) 시민사회단체는 사업운영과 연계된 인권 유린에 대하여 기록으로 남겼고 결과적으로 많은 민간기업들은 인권을 존중하고, 기업운영의 안전과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본골격인 보안 및 인권에 관한 자발적원칙 (Voluntary Principles on Security and Human Rights; VPs)을 채택하였다.

(VPs 의 의의) 2000 년에 만들어진 VPs 는 민간부문, 시민사회 및 정부가 인권유린을 방지하고 갈등해소에 있어서 상호관심사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소통문제와 도전과제가 존재하지만 석유, 가스, 에너지 및 광산 업계의 관계자들은 최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보안과 인권의 균형을 맞추는 난해한 과제에 함께 대처해 나갈 기회를 얻는다.

(보안군의 인권교육 사례) 민간부문은 정부 및 시민사회와 협력하여 보안요원에 대한 양질의 인권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카메룬 석유가스회사인 Kosmos Energy는 보안군이 흔히 접할수 있는 상황과 이를 다루는 "옳은" 방법과 "옳지 않은" 방법을 제시하는 만화책 시리즈 Captain Cameroun (카메룬 선장) 을 선보였다. 또한 교육자료의 제작에 보안군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서 효율적인 실용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계약과 문서를 통한 합법적인 체계 설정) 기업 및 정부은 인권원칙과 보호를 계약, 프로젝트 문서에 기재하여 보안담당자들의 행위를 규정하고 책임을 지울 수 있다. 지역주민들의 권리에 대한 존중은 가장 중요한 사항이 될 것이다. 이들 문서에는 보고체계 및 분쟁 대응방안이 포함되어야 하며, 보안군의 인권의무 위반사실이 밝혀질 시의 처벌조항이 있어야 한다. (감시체제 확립) 사업을 운영하는 회사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제 3 자를 통해 광범위한 감시 및

Page 20: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7 -

평가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VPs 에 대한 공약뿐만 아니라 법적의무를 지키고 있는지 판정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와 보안군간의 소통 향상) 기업은 정기적인 대화와 회의를 통해 기업, 지방관료, 지역사회 및 보안군 간의 의사소통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부 회사들은 불만 및 제안을 익명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긴급직통전화를 설치하기도 했다. 또한 에너지 및 광산운영과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는 포럼을 개최하여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인권침해나 갈등이 표출되기 전 해당 포럼을 통해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게 한다.

(파트너십 형성) 기업은 정부 및 시민사회의 강력한 지지와 파트너십을 필요로 한다. 보안군을 개혁하고 전문화하려는 노력은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그들의 전략과 요점을 합의하여 하나의 목소리를 낼 때 가장 효과적이다. 가나정부는 기업과 시민사회와 협력하여 민간부문과 지역활동가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특정주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원탁회의를 주최하였다. “평화를 위한 기금“에 의해 실행되고 미국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이 프로그램은 가나전역 4 개 목표지역에서 지역대화플랫폼을 통해 모든 관련 당사자들 간의 신뢰를 증진시킨다.

(VPs의 성공적인 이행은 공동체의 협업에 달려있다) 기업, 정부, 해당국가 및 시민사회는 모두 공공 및 민간 보안군이 스스로 전문적으로 행동하고 국제인권기준을 준수하며 법률과 규정을 존중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공동의 목표을 지닌다. VPs의 성공적인 국내이행은 모두의 공동책임이다. 공동체의 협업은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력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성공의 열쇠이다.

Page 21: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8 -

3. 다음 블랙스완6) 사건은 글로벌 전염병인가?

Christine Crudo Blackburn, Gerald W. Parker Jr., and Andrew Natsios(Scrowcroft institute. etc)

(블랙스완의 정의와 사례)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예측할 수 없었던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키는 사건을 말한다. 1914 년 페르디난트대공 암살, 1991 년 소련 붕괴, 2001 년 911 테러는 모두 블랙스완 사건의 사례들이다. 이 사건들은 장고한 인류 역사 속 찰나의 순간에 불과하지만 현대사에 기념비적인 역할을 했다. 그동안 사례를 지켜보았을 때 다음 블랙스완은 전염병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전염병이 세계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 지난 100년간 전세계적으로 모두 4차례(1918년, 1957년, 1968년, 2009년)에 걸쳐 독감이 유행했다. 1918년, 독감 바이러스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4천~9천만의 세계인구를 사망에 이르게 했다. 다른 3건의 글로벌 전염병은 덜 치명적이었지만, 인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2008년 세계은행은 1968년, 1957년, 1918년도의 글로벌 독감과 유사한 경증, 중증의 글로벌 전염병으로 인해 전세계 GDP가 각각-0.7%, -2%, -4.8%나 변동했고 특히 개발도상국들이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추정했다.

(우리가 전염병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 블랙스완사건이 글로벌전염병이 된다면, 가장 취약하고 준비가 안 된 국가들(개발도상국들 중 취약국가)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전염병인 블랙스완은 전 세계를 강타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 이다. 저개발국가에서부터 선진국에 이르기까지 글로벌전염병에 대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도전과제 1: 보건인프라 부족)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병원, 공중보건연구소, 의료진, 도로를 포함하는 의료 기반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개발도상국 내 전염병 발생시, 해외로 전파되기 이전에 조기 진화될 확률은 극히 희박하며, 글로벌 전염병이 될 수 있는 잠재적 질병들의 확산 위험이 높을 수밖에 없다.

(도전과제 2: 도시화와 육류소비 증가는 전염병 확산에 기여) 도시화로 인해 많은 개인들이 더욱 가깝게 살게 되었으며 채식 위주에서 육류소비 위주의 식생활로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도시화가 빠르게 증가하는 개발도상국일수록 육류소비의 수요를 맞추기 위하여 점점 더 인간과 동물의 접촉이 증가한다. 아프리카 총 가축 수는 1990년 2억 마리에서 2007년 2.5억 마리로 증가했다 역사상 가장 심각한 질병들은 동물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 인간이 유발한 전염병

6) 2007년 리스크 관리 전문가이자 헤지펀드 매니저였던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한 ‘블랙스완’이란 책을 내면서 세계적인 시사용어로 자리잡았다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이 실제로 벌어진 상황을 뜻하며 세계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을 의미한다.

Page 22: 미국의 개발 리더십에 관한 CSIS 프로젝트 보고서 A Report of the … 다음 블랙스완 (Black Swan) 사건은 유행성질병 인가? Part 1. 개발의 변화하는

요약:

- 19 -

대부분은 인간과 동물의 접촉을 통해 유입된다. 최근 발생한 에볼라,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및 신종인플루엔자 (AH1N1)는 모두 동물매개 전염병들이다.

(도전과제 3: 글로벌 이주 증가에 따른 전염병 창궐과 확산) 분쟁과 강제이주는 신규질병의 잠재력에 영향을 끼친다. 많은 이주자(특히 난민)들이 영양실조와 광범위한 의료부족으로 곤란을 겪고 있으며 위생에 취약한 실정이다. 다양한 요인들의 조합은 난민과 실향민들을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들며 해당 개발도상국은 질병 창궐의 온상이 되고 있다. 남수단에서 펼쳐지고 있는 인도주의적 위기는 하나의 사례이며 이곳에서는 부족간 분쟁, 잔학행위와 더불어 콜레라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해결책 1: 보건인프라 구축) 개발도상국은 특정 질병이 글로벌 전염병으로 악화되기 전에 질병 발생을 조기 진단하고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기관, 인력 및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기관 설립은 저개발국의 공중보건 기반 시설 및 역량에 관한 국제 공동투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해결책 2: 수평적 질병관리 시스템에 집중) 미국정부 및 기타 공여국, 다자기구 및 자선단체들은 특정 질병만을 위한 수직적 자금제공을 중단하고 "모든 위험 요소" 접근을 제공하는 의료기관들에 대한 자금지원에 집중해야 한다. 국가는 수평적 역량강화를 통해 발생중인 전염병이 글로벌 전염병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예방, 탐지 및 대응할 수 있다.

(해결책 3: 글로벌 보건체제 재구성) 국제 보건체제를 재편하여 글로벌 전염병에 대한 대비해야한다. 개발도상국들이 직면한 보건문제를 해결하려면, 국제보건기구(WHO)의 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 WHO가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2014년의 에볼라사태는 이러한 필요성을 입증해주었다. 만일 개혁이 어렵다면, UN 산하기관에게 전염병 대응을 위한 통제권을 부여하고 WHO가 기술자문으로서의 역할을 지속하는, 다른 리더십모델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해결책 4: 취약국가에 대한 보건투자) 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의 개발도상국들이 질병위험에 노출되어있지만, 분쟁 또는 취약한 정부에 의해 고통 받고 있는 국가들이야 말로 가장 큰 위험국가이다. 취약국가지수(Fragile State Index) 상에 "매우위험"으로 분류된 8개국과 "위험"으로 분류된 8개국이 있다. 이들 16개국은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있다. 이들은 전염병 파급효과에 대응할 인프라와 전문지식을 가질 확률이 가장 낮다. 취약국가 내의 제도구축과 차기 전염병 대비를 위한 리더쉽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