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최종보고서 / 2011. 2

경남권역 주민 수은 노출 실태 및

노출원인 조사( I )

Survey of Mercury Exposure Level and Related

Factors in Gyeongnam Province ( I )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Page 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경남권역 주민 수은 노출 실태 및

노출원인 조사( I )

2011. 2.

국 립 환 경 과 학 원

Page 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Page 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경남권역 주민 수은 노출 실태 및

노출원인 조사( I )

2011. 2.

연구기관

동아대학교

국 립 환 경 과 학 원

Page 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Page 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i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경남권역 주민 수은 노출 실태 및 노출원인

조사( I )” 사업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 02.

연 구 기 관 : 동아대학교

연구수행기간 : 2010. 06. 15 ~ 2011. 02. 25

연 구 책 임 자 : 홍영습 교수

연 구 원 : 동아대학교 김병권 교수

동아대학교 김유미 교수

강원대학교 이상아 교수

울산대학교 유철인 교수

경상대학교 정백근 교수

Page 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Page 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iii -

Abstract

Objective : In previous research,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mercury

exposure level of limited area in Gyeongnam province was significantly

high.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evaluate the mercury exposure

level of residents in Gyeongnam province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 : Two thousand twenty two subjects(including 741 healthy

fertile women aged 20 to 49) in 31 area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measured about blood total mercury, methyl mercury,

urinary mercury, hair mercury concentration and filled up a

questionnai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job, education,

salary etc.) and dietary habits (frequency, amount). Finally two

thousand one subjects included the analysis because of missing data

about mercury exposure indices and the questionnaire.

Result : In all subjects, the geometric means of mercury exposure

indices were 5.13[5.01~5.25] ㎍/ℓ in blood total mercury, 4.07[3.80~

4.37] ㎍/ℓ in methylmercury, 1.27[1.23-1.32] ㎍/g in hair mercury,

1.55[1.48~1.58] ㎍/g cr in urinary mercury. In healthy fertile women the

indices were 4.13[3.92~4.34] ㎍/ℓ, 3.32[3.03~3.64] ㎍/ℓ, 0.98[0.93-1.03]

㎍/g, 1.71[1.60~1.83] ㎍/g c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ank of

mean blood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regions, that was higher in

coastal areas, like Gyeongnam Tongyeong-si, Busan Seogu and

Yeongdogu, then in inland areas. The blood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 were correlated with annual fish

Page 1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iv -

consumption amount.

Conclusion : This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the blood mercury

concentration of residents in Gyeongnam province, especially in the

coastal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international recommended level

and that fish consumption may be regarded as the main source of

mercury exposure. Therefore management programs of fish consumption

are needed for the decreasing blood mercury concentration of the

residents, especially healthy fertile women regarded as susceptible to

mercury exposure in coastal areas.

Page 1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v -

요 약 문

1. 제 목 : 경 남 권 역 주 민 수 은 노 출 실 태 및

노 출 요 인 조 사 ( I )

2 . 조 사 배 경 및 목 적

지난 2007년 전국 성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 결과 부산 울산 경남권역(이하 “경남권역”으로 표기)

일부 주민의 평균 혈중 수은 농도가 독일연방환경청(German Federal

Environmental Agency)의 HBM-II 기준인 15 ㎍/ℓ수준을 초과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HBM(Human Bio-Monitoring) 기준 값은 인체 독성학적 및

역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건강관련 평가에 사용하기 위해 제시한 값으로서,

특히 HBM-II 기준은 민감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으로 초

과할 경우에는 노출 저감, 건강검진 및 의료감시가 필요한 수준을 말한다.

이러한 2007년의 연구결과는 경남권역의 일부 지역 주민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결과로서 실제 경남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이 어느 정도의 수준

에 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은 노출 수준

을 초래하는 원인에 대한 조사 역시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경상북도의 경우, 2009년 일부 지역에서 실시된 조사 결과로 해당 지역

의 수은 노출 수준이 타 지역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형 심

해성 어류가 주요 노출원인으로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높은 혈중 수은 농도

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였다.

이에 비해 경남권역은 현재 지역별 혈중 수은 농도에 대한 세부적인 조

사가 미흡한 상태로, 수은 노출 수준에 있어 상대적 위험지역의 파악이 되

어있지 않으며 높은 혈중 수은 농도의 원인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한 상태

Page 1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vi -

이다. 일부 원인으로 어패류 섭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수은

노출 정도에 있어 어떤 종류의 어패류가 어느 정도의 섭취로 인해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는 알 수 없어 현실적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었

다.

따라서 경남권역 주민의 정도 높은 수은 노출 관리를 위해서는 2007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실시되었던 조사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지역들

을 연구 대상에 포함해야 하며, 위험집단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하기 위

하여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가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조사에서는 경남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 수준을 확인하고, 노출 위험

이 높은 집단에 대하여 수은 분석, 설문조사 및 식이조사를 통하여 노출경

로 및 노출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아울러 수은 노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조 사 내 용 및 방 법

1) 조 사 대 상 자

본 조사는 경남권역의 수은 노출현황을 파악하고 고 노출집단에 대한 관

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시 군 구 지역에서 31개

조사지역을 선정하였고 이들 31개 시 군 구 조사지역에서 2,000명의 대상

자를 배분하였다.

각 지역별로 연령, 성별을 고려하여 65명을 배분함에 따라 지역을 대표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특히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우 면적이 넓어 2

개 지역으로 나누어 2배수인 130명을 대상자를 할당하였다. 아울러 문헌상

수은 노출에 대한 취약집단으로 알려진 가임기 여성 700여명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Page 1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vii -

2) 표 본 추 출 방 법

지역별 인구수에 대비하여 비례 배분 할 경우 일부 인구수가 적은 시 군

구 지역의 노출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위험을 보완하기 위하여 할

당편의추출을 이용하였다. 지역별로 동일한 표본 수를 할당 배분하고(울산

광역시 울주군의 경우 2배) 해당 지역의 행정관청을 통하여 홍보를 실시해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본 조사연구에 참여하길 원하는 인원 중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라 적절한 표본 수가 확보되도록 세분화하였다.

3) 현 장 조 사

현장 조사는 사전 홍보와 당일조사로 구분되게 실시하였다. 사전 홍보는

해당 조사지역의 관공서의 협조 요청을 통하여 장소 및 조사 참여에 대한

홍보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당일 조사는 2개의 팀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1

팀은 대상자 섭외, 설문, 식이조사 및 운송을 담당하였고 2팀(임상병리사

포함)은 생체시료 채취 안내, 채취(혈액, 소변, 모발, 홍채사진), 자료 관리

를 담당하였다. 조사의 질 관리를 위해 책임 연구진들이 정기적으로 조사

원들이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현장 확인 및 조사 내용

지도, 생체 시료 채취, 보관, 운송 관리 등에 대한 확인 및 조사의 질 관리

를 수행하였다.

4) 식 이 조 사

가 . 간 이 형 음 식 섭 취 빈 도 조 사 (Sim ple F FQ )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Simp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imple

FFQ)는 일반인의 주된 수은 노출 원인으로 알려진 어패류 섭취에 대한 정

확한 노출비교를 위해 22가지 어패류 종류에 대한 섭취빈도와 섭취정도를

Page 1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viii -

조사하였다. 조사 식품 목록에는 식품의약안전평가원에서 조사한 다빈도

음식 20종과 지방특산품에 해당하는 상어고기 및 고래고기 2종을 추가하여

조사하였는데, 이 중 김, 미역 및 다시마 2종은 해조류에 해당되므로 어패

류 섭취량 산출시 이를 제외한 20개 종의 어패류만을 이용하였다.

나 . 24시 간 회 상 법

24시간 회상법은 16가지의 식품 종군에 대한 섭취빈도 및 섭취분량을 조

사하여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에서 실시한 어패류의 섭취빈도와 섭취량

을 포함한 일상섭취량을 추정하였으며 본 자료를 토대로 개인별, 지역별

등의 수은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5) 수 은 분 석

혈액, 요 및 모발 분석에서 혈중 총 수은과 요중 수은 및 모발 수은은

Gold amalgama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혈중 총 수은 및 모발 수은은

DMA-80(Milestone)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요중 수은은 SP-3DS(NIC) 장

비를 사용하였다. 한편 혈중 메틸수은은 Cold vapor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방법으로 MERX(Brooks Rand)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분석정도관리는 정기적인 내부정도관리와 외부정도관리를 실시하였으며

외부정도관리의 일환으로 독일의 G-EQUAS 인증(2010년)을 획득하였다.

분석 시 최소검출한계 이하의 시료에 대해서는 각 장비에 제안된 최소검출

한계의 값을 부여하였고 이를 포함한 분석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부록에

기재하였다.

Page 1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ix -

4. 조 사 결 과

1. 전체 조사 참여자로 2,019명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으나 생체시료 분석

과 일반 설문과 식이조사 설문의 미비 등으로 인해 최종 분석은 혈중 총

수은 농도 분석 기준으로 2,001명의 조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 경남권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은 노출 평가에서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5.13 ㎍/ℓ로 일반인 중 건강피해 위험성이 없는

HBM-I 기준인 5.00 ㎍/ℓ를 초과하였다. 혈중 메틸수은의 농도는 기하평

균이 4.07 ㎍/ℓ로 나타났으며, 이는 혈중 총 수은의 약 80% 정도의 비중

을 차지하는 것이다.

전체 대상자 중 혈중 총 수은 농도가 HBM-II 기준 15.00 ㎍/ℓ를 초과

하는 대상자는 57명으로 2.8%의 비율로 나타났다

모발 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1.27 ㎍/g으로 나타났으며, 요중 수은 농도

의 경우 소변시료를 얻지 못하거나 크레아티닌 수치가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권장기준(30~300 ㎎/㎗)을 만족하

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여 총 1,768명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때

의 기하평균은 1.55 ㎍/g cr으로서 혈중 총 수은 농도와 달리 권고기준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3. 조사 대상 지역인 31개 시 군 구 지역을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으로 나

누어 분석한 결과, 혈중 총 수은 농도는 해안지역 1,447명과 내륙지역 524

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고 해안지역의 기하평균이 5.40 ㎍/ℓ로 내륙지역

의 4.41 ㎍/ℓ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혈중 메틸수은 및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해안

지역의 기하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중 수은

의 경우 해안지역이 1.56 ㎍/g cr로 내륙지역의 1.49 ㎍/g cr보다 높게 나

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age 1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 -

4. 혈중 총 수은 농도를 시 군 구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하평균을 기준으

로 경남 통영(7.91 ㎍/ℓ), 경남 남해(6.78 ㎍/ℓ), 부산 영도구(6.26 ㎍/ℓ),

경남 사천(6.11 ㎍/ℓ), 경남 거제(6.10 ㎍/ℓ) 순서로 해안에서 가까운 지역

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한편

부산광역시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내륙에 위치한 북구(4.38 ㎍/ℓ)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경남 함양(3.63 ㎍/ℓ), 경남 김해(4.15 ㎍/ℓ), 경남 합천(4.16 ㎍/ℓ),

경남 함안(4.17 ㎍/ℓ)의 순서로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모두 해안지역보다는 내륙에 가까운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5. 혈중 메틸수은 농도를 시 군 구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남 통영(6.50 ㎍

/ℓ)이 가장 높았으며, 부산 영도구(5.98 ㎍/ℓ), 경남 남해(5.86 ㎍/ℓ), 부

산 사하구(5.73 ㎍/ℓ), 부산 서구(5.61 ㎍/ℓ)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고, 대

체적으로 혈중 총 수은이 높은 지역에서 혈중 메틸수은 및 모발 수은의 농

도 역시 높게 나타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농도가 낮게 나타난 지

역의 경우 높은 지역에 비해 순위가 일치하는 양상은 없었다.

6. 전체 조사대상자 중 400명을 지역별로 균등하게 추출하여 분석한 혈

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구성비)의 산술평균은 78.53%였으며 해안

지역과 내륙지역간의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의 비교 결과

내륙지역의 산술평균 80.87%로 해안지역의 77.74%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총 수은과 혈

중 메틸수은의 지역별 농도와 구성비의 분포는 일치하지 않는 양상이었다.

7. 본 조사에 포함된 741명의 가임기 여성 중 혈중 총 수은 분석 대상자

733명의 전체 기하평균이 4.13 ㎍/ℓ로 HBM-I 기준치 5.00 ㎍/ℓ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안 내륙지역으로 구분한 경우 해안지역의 기하평균이

4.37 ㎍/ℓ로 나타나 HBM-I 기준치 5.00 ㎍/ℓ에 보다 근접하고 있다. 전

체 기준 초과자 분석에서 HBM-II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상은 1명 0.1%로

Page 1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i -

나타났다.

8.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를 이용하여 산출된 20개 연간 어패류 섭취

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의

안 먹음에서 4.49㎍/ℓ, 섭취량 하위 50%에서 4.68 ㎍/ℓ, 섭취량 상위

50%에서 5.59 ㎍/ℓ로 나타남에 따라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

다. 이러한 추세는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9.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에 대한 연관성 정도를 확

인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적합시켰다.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통

상적으로 수은 노출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변수 및 본 연구의 결

과분석을 통해 수은 노출 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

수를 해당 수은 노출 지표의 독립변수로 구성하여 모형에 투입한 결과, 승

법모형을 기준으로 혈중수은과 혈중 메틸수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0.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 대상 어패류 중 특정 대형어류, 즉 참치,

상어, 고래의 경우 섭취 빈도와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나 수은 함

유량은 매우 높아 분석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편향된 결과를 제시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일반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특

정 대형 어류들을 독립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혈중 총

수은, 메틸수은, 모발 수은의 수은 노출 지표에서 모두 특정 대형 어류 섭

취군의 수은 농도가 비섭취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특정 대형 어류

섭취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의 기준치 초과자 비율 역시 기준에 따라

섭취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확인되었다.

11. 해안지역과 내륙 지역의 연간 어패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

으로 해안지역 대상자가 내륙지역 대상자보다 연간 어패류 섭취량은 약간

Page 1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ii -

높게 나타났지만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지표 비교에서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은은 유의하게 해안지역 대상자가 높게 나타났다.

5. 결 론 및 제 언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들의 연구와 2007년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

태조사 결과에서 경남권역 주민들의 수은 노출수준이 타 지역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일부 지역에 국한된 주민의

노출수준만을 평가한 연구로서 실제 경남권역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은 노출위험이 어느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 알 수 없었

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조사구를 31개 조사구로 확

대하고 일반 지역별 인구수에 대비하여 비례 배분할 경우 일부 인구수가

적은 시 군 구 지역의 노출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위험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할당편의추출을 이용하였다. 본 조사

는 비확률표본추출을 실시하였다는 한계점은 있으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표성의 확보차원에서, 그에 따른 실태파악 및 건강위험요인조사로서 상

당히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5.13 ㎍/ℓ로 일반인 중 건강피해 위험

성이 없는 HBM-I 기준인 5.00 ㎍/ℓ를 초과하였다. 혈중 메틸수은의 농도

는 기하평균이 4.07 ㎍/ℓ로 나타났으며, 이는 혈중 총 수은의 약 80% 정

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사람의 경우 메틸수은의 주요 노출원이 어패류 섭취에 의한 것임을 감안

할 때 해당 지역 주민들의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높게 측정된 주된 원인으

로 다량의 생선 섭취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시 군 구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경남 통영(7.91 ㎍/

Page 1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iii -

ℓ), 경남 남해(6.78 ㎍/ℓ), 부산 영도구(6.26 ㎍/ℓ), 경남 사천(6.11 ㎍/ℓ)

경남 거제(6.10 ㎍/ℓ) 순서로 해안에서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한편 부산광역시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내륙에 위치한 북구(4.38 ㎍/ℓ)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경남

함양(3.63 ㎍/ℓ), 경남 김해(4.15 ㎍/ℓ), 경남 합천(4.16 ㎍/ℓ), 경남 함안

(4.17 ㎍/ℓ)의 순서로 혈중 총 수은 총 농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

은 모두 해안지역보다는 내륙에 가까운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수은 폭로에 민감한 대상으로 본 조사에 포함된 741명의 가임기 여성 중

혈중 총 수은 분석 대상자 733명의 전체 기하평균은 4.13 ㎍/ℓ로 HBM-I

기준치 5.00 ㎍/ℓ이하로 나타났으나 해안 내륙지역으로 구분한 경우 해안

지역의 기하평균이 4.37 ㎍/ℓ로 나타나 HBM-I 기준치 5.00 ㎍/ℓ에 보다

근접하고 있다. 전체 기준 초과자 분석에서 HBM-II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

상은 1명 0.1%로 나타났다.

수은 폭로에 대한 식이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이형 음식섭취

빈도조사를 이용하여 20개 어패류의 연간 섭취량을 산출하고 각 수은 농도

의 영향력을 추정한 결과, 승법모형을 기준으로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

수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별 식이섭

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혈중 총 수은, 혈중 메틸수은)에 대해 이상치

영향력 정도를 축소시키기 위해 기하평균을 이용하여 어패류 섭취량에 따

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의 안 먹음

에서 4.49㎍/ℓ, 하위 50%에서 4.68 ㎍/ℓ, 상위 50%에서 5.59 ㎍/ℓ로 나

타남에 따라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가하는 추

세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특정 대형어류, 즉 참치, 상어, 고래의 경우 섭취 빈도와 섭취량은

Page 2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iv -

적은 편이나 수은 함유량은 매우 높아 분석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편향된 결과를 제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일반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특정 대형 어류들을 독립적으로 분류하여 섭취현황을 파

악하고 이들 어패류 섭취 대상자들에 대한 수은 노출 지표 분석을 별도로

실시하였는데 공통적으로 혈중 총 수은, 메틸수은, 모발 수은의 수은 노출

지표에서 모두 특정 대형 어류 섭취군의 농도가 비섭취군에 비해 높게 나

타났다. 또한 특정 대형 어류 섭취여부에 따른 기준치 초과자 비율 역시

기준에 따라 섭취 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확인되

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조사대상지역인 경남권역 주민들의 수은 노출

지표는 일부 국제 권고기준을 다소 초과하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

며, 국내의 타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조사대상 가임기 여성 중 HBM-II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상은 1명

0.1%에 불과하였지만 34.8%가 HBM-I 기준치 5.00 ㎍/ℓ 이상의 수은농도

를 보인 것은 수은 독성 영향을 고려한다면 지역보건적인 측면에서 볼 때

우선순위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는 광범위한 지역을 제한적인 시간과 여건에서 조사한 연구이지

만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요인과 실태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지역사회개입을

통한 수은 노출에 대한 저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아울러, 본 조사에서 배

제된 도서지역 등을 포함한 취약위험지역에 대한 조사연구의 필요성이 제

기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조사 연구를 위해서 지역에 바탕을 둔 국가지정

수은관리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제안하고자 한다.

국가지정 수은관리센터는 수은 관련 질환에 대한 포괄적 진료와 임상연

계 연구 및 기초기반의 연구를 통합한 연구 및 진료 센터를 지향하도록 구

성하고 이를 위하여 병원내의 환경의학 클리닉과 대학기관인 환경 및 산업

의학연구소를 중심적으로 활용한다. 수은 클리닉은 환경의학, 산부인과, 소

Page 2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v -

아과 등의 수은관련 질환자, 고위험군 및 일반 인구에 대응하기 위해 상시

적인 환경의학 외래, 건강검진을 포괄하며, 환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는 수

은 클리닉을 지원하고, 수은 클리닉을 중심으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행

하기 위하여 분석 센터, 역학 연구, 대 국민교육 및 홍보 등 수은 노출에

대한 예방 전략의 기능을 갖추고 상시적인 지역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수은

노출 저감의 거점으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운영한다.

Page 2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vi -

Page 2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vii -

차 례

제 출 문 ··············································································································ⅰ

Abstract ··············································································································ⅲ

요 약 문 ··············································································································ⅴ

차 례 ···········································································································ⅹⅵ

표 차 례 ···········································································································ⅹⅹ

그림차례 ········································································································ⅹⅹⅴ

제1장 조사배경 및 목적 ····················································································1

제1절 조사배경 ································································································1

1. 수은의 인체 위험성 ················································································1

2. 인체 수은 노출 지표 현황 ····································································5

3. 국내 수은 노출과 인체 영향 관련 연구 및 조사 사례 ··················9

제2절 조사의 필요성 ····················································································12

제3절 조사의 목적 ························································································14

1. 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수준 평가 ······················································14

2. 수은 노출 고위험 취약지역의 특성 분석 ······································14

3. 수은 노출 위험 요인의 분석 ······························································14

4. 수은 노출 저감 방안 제시 ··································································15

제2장 조사내용 및 방법 ··················································································16

제1절 조사 추진체계 ····················································································16

제2절 조사대상자 설계 및 표본 추출 ······················································17

1. 지역주민 조사 대상자 설계 ································································17

2. 표본 추출 방법 ······················································································18

Page 2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viii -

제3절 일반 및 식이관련 설문조사 ····························································18

1. 일반 설문 조사지 개발 ········································································18

2. 식이 조사지 개발 ··················································································19

3. 식이 조사 형태 ······················································································20

제4절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22

제5절 조사원 교육 ························································································23

제6절 현장조사 ······························································································23

1. 조사대상자 모집 ····················································································24

2. 생체 시료 채취 ······················································································25

제7절 수은분석 ······························································································26

제3장 조사결과 ··································································································27

제1절 조사대상자 현황 및 역학적 특성 ··················································27

제2절 조사대상자의 역학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30

1.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32

2.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38

3. 연령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48

제3절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노출 지표 비교 ····························58

1.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58

2.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비교 ····················································59

제4절 수은 노출 위험 지역 분석 ······························································60

1. 수은 노출 지표가 높은 지역 ······························································60

제5절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은의 비교 ········································78

1.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은 간 상관관계 ··································78

2.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 ··········································78

3. 지역별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 ······································79

Page 2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ix -

4.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 ······················81

제6절 식이 조사와 수은 노출 지표 ··························································82

1.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수은 섭취량 ················································82

2. 해안 내륙지역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89

3.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93

4. 24시간 식이회상법 결과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122

제7절 수은 노출 지표 기여 요인 다중회귀분석 ··································140

1. 혈중 총 수은 ························································································141

2. 메틸수은 ································································································146

3. 모발 수은 ······························································································151

4. 요중 수은 ····························································································156

제8절 가임기 여성에서의 수은 노출 지표 ············································158

1. 가임기 여성의 분포 ············································································158

2.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 ······························································158

3. 가임기 여성과 수은 노출 지표 ························································160

4. 가임기 여성의 수은 노출기준 초과자 비율 ··································166

5.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167

6.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의 비교 ························169

7. 가임기 여성의 식이 조사와 수은 노출 지표 ································171

제9절 수은 섭취 가이드라인 ····································································186

1. 수산물 섭취에 대한 국민생활습관 조사 ······································186

2. 수은 오염도 조사와 섭취 빈도에 따른 폭로 실태 분석 연구 ·· 193

3. 폭로 실태에 따른 취약계층의 수산물 섭취 가이드라인 ············199

4. 국내 수은 관련 수산물 섭취 가이드라인(안) ·······························203

Page 2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 -

제4장 고찰 ········································································································210

제1절 지역주민들의 수은 노출 지표 ······················································210

제2절 수은 노출 지표의 지역 비교(해안 vs 내륙) ·····························212

제3절 가임기 여성에서의 수은 노출 지표 ············································213

제4절 수은 노출 지표들 간의 수은 농도 비교 ····································214

제5절 수은 노출 지표 기여 요인 검토 ··················································217

제5장 결론 및 제언 ························································································220

참고문헌 ············································································································223

부 록 ············································································································233

Page 2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i -

표 차 례

표 1-1 2007 유해물질에 대한 CERCLA 우선순위 목록 ·····················································2

표 1-2 국가별 혈중 수은 분포 ··································································································6

표 1-3 국가별 메틸수은 분포 ····································································································7

표 1-4 국가별 요중 수은 비교 ··································································································7

표 1-5 국가별 모발 수은 분포 ··································································································8

표 1-6 각국의 산모 및 제대혈의 혈중 수은 농도 비교 ····················································10

표 1-7 각국 일반성인의 혈중 수은 농도 비교 ····································································11

표 2-1 설문조사 내용 요약 ······································································································19

표 2-2 식이조사 항목 ················································································································22

표 2-3 해안지역과 내륙지역 구분 ··························································································23

표 3-1 역학적 특성 ····················································································································29

표 3-2 전체 수은 노출 지표 ····································································································31

표 3-3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 ············································································33

표 3-4 역학적 특성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 ··········································································34

표 3-5 역학적 특성별 모발 수은 농도 ··················································································36

표 3-6 역학적 특성별 요중 수은 농도 ··················································································37

표 3-7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산술평균 ··································39

표 3-8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40

표 3-9 성별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산술평균 ····························································41

표 3-10 성별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42

표 3-11 성별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산술평균 ··································································44

표 3-12 성별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45

표 3-13 성별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산술평균 ··································································46

표 3-14 성별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47

표 3-15 연령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산술평균 ····························································49

표 3-16 연령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50

표 3-17 연령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산술평균 ··························································51

표 3-18 연령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52

표 3-19 연령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산술평균 ··································································54

표 3-20 연령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55

표 3-21 연령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산술평균 ··································································56

표 3-22 연령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57

Page 2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ii -

표 3-23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노출 지표 비교 ······················································59

표 3-24 31개 조사구별 혈중 총 수은 농도 ··········································································61

표 3-25 31개 조사구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 ········································································62

표 3-26 31개 조사구별 모발 수은 농도 ················································································63

표 3-27 31개 조사구별 요중 수은 농도 ················································································64

표 3-28 지역별 혈중 총 수은 기준 초과자 ··········································································70

표 3-29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기준 초과자 ········································································71

표 3-30 지역별 모발 수은 기준 초과자 ················································································73

표 3-31 지역별 요중 수은 기준 초과자 ················································································74

표 3-32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기준초과자 비교 ····················································77

표 3-33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구성비 ······································································79

표 3-34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구성비 ··············································80

표 3-35 해안 내륙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구성비 ··················································80

표 3-36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구성비 ··············································81

표 3-37 연간 어패류 섭취 대상자 현황 ················································································82

표 3-38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1 ······························································83

표 3-39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2 ······························································84

표 3-40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3 ······························································85

표 3-41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4 ······························································86

표 3-42 연간 어패류 섭취량 ····································································································87

표 3-43 연간 어패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 ············································································88

표 3-44 해안 내륙별 어패류 섭취량 ······················································································90

표 3-45 해안 내륙별 어패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 ······························································91

표 3-46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94

표 3-47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94

표 3-48 전체 어패류의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95

표 3-49 전체 어패류의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95

표 3-50 특정 대형어류(참치회, 상어고기, 고래고기) 섭취 빈도 ·····································97

표 3-51 특정 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100

표 3-52 특정 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기준치 초과자 ························101

표 3-53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103

표 3-54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103

표 3-55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104

표 3-56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104

표 3-57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산술평균 ····························106

Page 2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iii -

표 3-58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107

표 3-59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산술평균 ··························108

표 3-60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109

표 3-61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산술평균 ··································110

표 3-62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111

표 3-63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산술평균 ··································112

표 3-64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113

표 3-65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산술평균 ··················114

표 3-66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 기하평균 ················115

표 3-67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산술평균 ················116

표 3-68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117

표 3-69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산술평균 ························118

표 3-70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119

표 3-71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산술평균 ························120

표 3-72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121

표 3-73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산술평균 ············································123

표 3-74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124

표 3-75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산술평균 ··········································125

표 3-76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126

표 3-77 식품군별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산술평균 ··················································127

표 3-78 식품군별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128

표 3-79 식품군별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산술평균 ··················································129

표 3-80 식품군별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130

표 3-81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산술평균 ··································132

표 3-82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133

표 3-83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산술평균 ································134

표 3-84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135

표 3-85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산술평균 ········································136

표 3-86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137

표 3-87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산술평균 ········································138

표 3-88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139

표 3-89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142

표 3-90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143

표 3-91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가법모형 ··········143

표 3-92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144

Page 3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iv -

표 3-93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45

표 3-94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승법모형 ··········145

표 3-95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147

표 3-96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148

표 3-97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가법모형 ········148

표 3-98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149

표 3-99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50

표 3-100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승법모형 ······150

표 3-101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152

표 3-102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153

표 3-103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가법모형 ··············153

표 3-104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154

표 3-105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55

표 3-106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승법모형 ··············155

표 3-107 요중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156

표 3-108 요중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157

표 3-109 가임기 여성 현황 ····································································································158

표 3-110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 ··················································································159

표 3-111 전체 가임기 여성의 수은 노출 지표 ··································································160

표 3-112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 ································162

표 3-113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 ······························163

표 3-114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 ······································164

표 3-115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 ······································165

표 3-116 가임기 여성의 수은 기준 초과자 비율 ······························································166

표 3-117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별 수은 노출 지표 ············································168

표 3-118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구성비 ······································170

표 3-119 부산 울산 경남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구성비 ······················171

표 3-120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비율 ······················171

표 3-121 가임기 여성의 연간 어패류 섭취량 ····································································172

표 3-122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174

표 3-123 가임기 여성의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175

표 3-124 가임기 여성의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176

표 3-125 가임기 여성의 전체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승법모형 ··················································································································177

표 3-126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Page 3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v -

-승법모형 ···················································································································178

표 3-127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승법모형 ····················································································································179

표 3-128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승법모형 ····················································································································180

표 3-129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

평균-승법모형 ···········································································································182

표 3-130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

평균-승법모형 ···········································································································183

표 3-131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

제곱평균-승법모형 ··································································································184

표 3-132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승법모형 ···················································································································185

표 3-133 영국 총 식이 연구로부터 추정된 총 인구집단의 식이 폭로에 대한 유해

중금속의 각 식품군 기여도(%) ·········································································187

표 3-134 GEMS/Food monitoring food and contaminants ···········································192

표 3-135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수산어류 수은 함량 분석 ··························194

표 3-136 일본 후생노동성의 어패류 수은 함량 분석 ······················································195

표 3-137 영국 Food Standard Agency의 수산어류 수은 함량 분석 ···························195

표 3-138 국내 다소비 수산식품 중 총 수은 검출량 ························································196

표 3-139 국내 다소비 수산식품 및 심해성 어류 중 메틸수은 검출량 ························197

표 3-140 국제기구 및 외국의 수산물 함유 수은 관리 규격 ··········································199

표 3-141 담수 어패류(민물고기) 섭취권고 횟수 가이드라인 ·········································202

표 3-142 주2회 이상 섭취 시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202

표 3-143 해양 일반 어류의 수은 섭취 가이드라인(안) ···················································204

표 3-144 다소비 수산식품 및 심해성 어류 수은 섭취 가이드라인(안) ·······················206

표 4-1 생체시료별 수은 농도간의 상관분석표 ··································································215

Page 3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vi -

그림차례

그림 1-1 수은 오염 노출요인과 체내 축적과정 개괄도 ······················································3

그림 2-1 조사 추진 체계도 ······································································································16

그림 2-2 조사대상자 선정 ········································································································17

그림 2-3 표본 추출 방식 개괄 ································································································18

그림 2-5 현장 모발 채집모습 ··································································································25

그림 2-6 생체시료별 수은 분석 장비 ····················································································26

그림 3-1 연구조사별 참여대상자 수 ······················································································27

그림 3-2 표본추출지역의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58

그림 3-3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5

그림 3-4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5

그림 3-5 지역별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6

그림 3-6 지역별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6

그림 3-7 해안 내륙지역별 혈중 총 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7

그림 3-8 해안 내륙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7

그림 3-9 해안 내륙지역별 모발 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8

그림 3-10 해안 내륙지역별 요중 수은 농도-기하평균 기준 ············································68

그림 3-11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75

그림 3-12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75

그림 3-13 지역별 모발 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76

그림 3-14 지역별 요중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76

그림 3-15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 간 산점도 ··································································78

그림 3-16 지역에 따른 평균 어패류 섭취량 ········································································92

그림 3-17 지역별 특정 어류(참치, 상어, 고래) 섭취 대상자 비율 ·································98

그림 3-18 지지역별 참치회 섭취 대상자 비율 ····································································98

그림 3-19 지역별 상어고기 섭취 대상자 비율 ····································································99

그림 3-20 지역별 고래고기 섭취 대상자 비율 ····································································99

그림 3-21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143

그림 3-22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45

그림 3-23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148

그림 3-24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50

그림 3-25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153

그림 3-26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55

Page 3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xxvii -

그림 3-27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별 수은 노출 지표 평균 비교 ······················168

그림 3-28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 간 산점도 ····································169

그림 3-29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농도

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177

그림 3-30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

평균-승법모형 ·········································································································178

그림 3-31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승법모형 ················································································································179

그림 3-32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

승법모형 ···················································································································180

그림 3-33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

평균-승법모형 ·········································································································182

그림 3-34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

제곱평균-승법모형 ································································································183

그림 3-35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

제곱평균-승법모형 ·································································································184

그림 3-36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

평균-승법모형 ········································································································185

그림 3-37 섭취량 기준(80g) 예시 분량 ···············································································206

그림 3-38 정상성인의 어패류 섭취 가이드라인(안) ·························································208

그림 3-39 임산부의 어패류 섭취 가이드라인(안) ·····························································208

그림 4-1 생체시료별 수은 농도간의 상관분석도 ······························································216

Page 3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Page 3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 -

제1장 조사배경 및 목적

제1절 조사배경

1. 수은의 인체 위험성

가. 수은의 화학적 특성

수은은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금속으로 은백색을 띄며, 온도의 상승에

따라 규칙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실온에서 암

모니아,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산소 등에 반응하지 않지만 황과는 즉

시 결합하는 특성을 가진다. 수은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무기화합물과 유기

화합물로 구분이 가능하며, 무기화합물은 금속 수은, 제1수은 염, 제2수은

염, 아말감이 있으며, 유기화합물은 크게 알릴수은과 알킬수은으로 구분된

다. 알릴수은에는 초산페닐수은(농약), 머큐로크롬(소독약) 등이 있고, 알킬

수은에는 메틸수은, 에틸수은 등이 있다. 이중에서 메틸수은은 인체에 치명

적인 독성효과를 나타내며, 자연환경에서는 모노메틸수은과 다이메틸수은

으로 쉽게 발견될 수 있다.

나. 수은의 인체 노출과 독성 및 질병 영향

인체에 대한 수은의 노출은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

경보건학적으로 문제가 큰 물질로 분류된다(표 1-1). 수은 노출 경로 중 직

업적으로 수은에 노출되는 경우는 호흡기를 통하여 수은 증기를 흡입하는

경우인데, 근래에는 수은을 취급하는 작업장에서 안전관리를 엄격하게 실

행되고 있어 직업적 노출에 의한 중독사례는 드물다. 하지만 일반인의 경

우 수은 노출은 주로 생선의 섭취를 통한 소화 흡수에 의해 발생되며, 이

Page 3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 -

외에도 치과용 아말감, 농약 및 유기수은 화합물 등 환경적 노출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드물지 않게 민간요법에 의한 수은 중독 사

례가 보고되고 있다.

2007

순위이름 점수 2005 순위

1 비소(Arsenic) 1672.58 1

2 납(Lead) 1534.07 2

3 수은(Mercury) 1504.69 3

4 염화비닐(Vinylchloride) 1387.75 4

5 다염화비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s) 1365.78 5

6 벤젠(Benzene) 1355.96 6

7 카드뮴(Cadmium) 1324.22 8

8 다환족방향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1316.98 7

9 벤조피렌(Benzo(a)pyrene) 1312.45 9

10 Benze(a)fluoranthene 1266.55 10

* CERCLA(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종합환경대응보

상책임법, 미국)

※ 정보 근거(Sources of Information) (by US ATSDR)

1) 발생의 빈도(Frequency of occurrence)

2) 독성(Toxicity)

3) 인체폭로의 잠재적 가능성(Potential for human exposure)

표 1-1 2007 유해물질에 대한 CERCLA* 우선순위 목록

이렇듯 수은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으로 만성 폭로 시에 신경독성, 신

장독성을 나타내며 메틸수은의 경우 미나마타병에서처럼 기형 유발가능성

이 높다. 그리고 순환기계 영향으로 핀란드연구에서는 2배의 심장병위험이

보고되었으며, IARC에서도 발암 가능물질인 2B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돌

연변이성이 있으며 생식기계에의 질병가능성은 논란 중에 있다. 그 외에도

수은의 면역독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 중에 있다.

Page 3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 -

수은의 독성은 형태와 유입 경로, 노출량과 개인의 감수성에 따라 다양

하게 나타난다. 금속수은은 경구로 섭취된 경우 거의 흡수되지 않지만 기

화되면 흡수가 가능하다. 무기 수은은 소화관이나 피부로 흡수가 잘 되지

않으나 미생물에 의해 유기수은으로 전환 된 후 흡수될 수 있다. 유기 수

은은 지용성 물질로 생태계의 먹이연쇄과정을 거치면서 농축되는 성질이

있어 농 축산물 및 수산물의 주요한 오염원이 된다(그림 1-1). 소화관으로

90% 이상 흡수되며 주로 소변보다는 담즙을 통해 배설되며, 반감기가 70

일 정도로 체외 배설이 늦고 체내에 축적되기 쉽다.

그림 1-1 수은 오염 노출요인과 체내 축적과정 개괄도

다. 수은 연구 및 노출 관리의 중요성

인체 내 관찰되는 수은은 대부분 메틸수은의 형태로 나타난다. 메틸수은

은 생선을 통해서 대부분 인체 내로 흡수되는 유기수은으로 신경독성이 매

우 높은 중금속으로 최근 인체 노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

다. 한편, 생선이 수은 노출에 대한 주요한 원인이 되는 까닭은 대기, 폐수

Page 3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 -

중에 포함된 금속 및 무기수은이 수계로 유입되면서 수중생태계로 유입된

금속수은 및 무기수은이 유기수은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유기수은을 섭취

하는 수중생물을 포식하는 어패류에게 축적이 이루어져 수은에 오염된 어

패류를 인간이 섭취함으로써 인간에게 건강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Airey (1983)의 연구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중국, 서독, 홍콩, 이탈리아,

일본, 모나코,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남아프리카공화국, 영국 그리고 미

국의 13개국 어부들은 평균 생선섭취량이 많기 때문에 다른 일반인에 비해

유기수은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생선 섭취는 혈액 및

모발의 유기수은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Apostoli

(2002)의 연구에 따르면 치과용 아말감과 더불어 어류 섭취는 직업적 및

환경적 노출에 의한 요중 수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조사

되었다.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수산물의 중금속오염에 대한 위해성을 조기에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시행하고 있다. 예로 2004

년 미국에서는 식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과 환경안전청

(Environ 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공동으로 임신부 등 수은 노출에

취약한 집단에 대하여 생선의 섭취를 자제하는 내용의 권고사항을 발표하

였고, 2008년 유럽에서는 수은 배출을 제한하고 다른 물질들로 대체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국내의 경우 일부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적 노출에 대한 연구결과

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선진국과 비교하여 다소 부

족한 것이 사실이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특정지역에서의 수은 노출 수준

이 어느 정도이며, 수은 노출이 높은 지역에서는 어떠한 원인에 의한 것인

지 정확한 실태파악이 이뤄져 있지 않은 상태로 최근에서야 일부 연구자들

을 중심으로 취약계층 및 일부 지역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2009년 경북 일부지역의 주민들의 혈중 수은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조사

Page 3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5 -

되어 원인을 조사한 결과 해당 지역에서 유통되는 특산품인 대형어류가 원

인으로 확인되어 관련기관에서 식품의 일부를 회수 및 폐기처분한 것은 이

러한 일련의 연구에 대한 성과로 생각된다.

2007년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에서 부산 울산 경남권역(이하 “경남권역”으로 표기) 일부지역

주민에게서 수은의 노출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정확한 원

인은 아직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지 어류의 섭취에 의한 것으로만 추

정하고 있다.

2. 인체 수은 노출 지표 현황

가. 혈중 총 수은

혈중 총 수은은 최근의 수은 노출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혈액에서 측정되

는 수은은 무기수은과 유기수은을 합한 총 수은을 의미하는데 직업적 노출

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수은 노출은 대부분 생선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생선의 섭취를 통한 수은 노출은 대부분 유기수은의 형태인

데 이로 인해 일반인에게서 혈중 총 수은은 메틸수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혈중 총 수은은 측정하기 어려운 메

틸수은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지만 생선 이외의 식품

에 포함된 무기수은 형태의 섭취가 높은 경우에는 메틸수은의 해석에 있어

제한이 따른다.

최근 국가별 혈중 수은 농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혈중 총 수

은농도는 김윤신 등(2010)에 의해 2.7~4.0 ㎍/ℓ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독

일연방환경청(German Federal Environmental Agency)에서 권고하는

Human Bio-Monitoring I (이하 “HBM-I”으로 표기) 5 ㎍/ℓ에는 미달되

지만, 독일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Becker 등의 연구와 미국 국민을 대상

Page 4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 -

으로 실시한 Caldwell 등의 연구에 비하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혈중 총 수

은 농도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표 1-2). 또한

우리나라 일부 해안지역에서 조사된 혈중 총 수은 농도는 8.63 ㎍/ℓ로

HBM-I 의 권고기준을 초과하고 있어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수은 노출 수

준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가 연도 연구대상자 인원 수 평균 저자

Denmark 2009 어부 42 29.5 Choi et al

Germany 2002 일반인 4,645 0.580 Becker et al

US2009 일반인 16,780 0.830 Caldwell et al

2009 가임기여성 7,245 0.833 Caldwell et al

Korea

2010 일반인 890 3.70 Kim et al

2010 일반인 1,032 4.02 Yu et al

2010 일반인 1,023 2.74 Kim et al

2010 해안지역 293 8.63 Jo et al

표 1-2 국가별 혈중 수은 분포

나. 메틸수은

메틸수은은 인체에 유해성이 입증되어 있으며, 생선을 통해 인체에 흡수

되는 수은의 주된 형태이다. 수은을 포함한 생선을 섭취하면 메틸수은은

소화기관을 통하여 대부분 흡수되지만 배출이 느리고 반감기가 70~80 일

로 길어서 체내에 축적되는 경향을 가진다.

특히 메틸수은은 혈액에서 적혈구를 타고 이동을 하기 때문에 장기들에

퍼지기 쉽고,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과 태반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학적 이상과 태아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신

장에서도 대사되기 때문에 노출위험이 높은 경우 신 손상도 가능하다고 보

Page 4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 -

고되어 있다.

국가 연도 연구대상자 인원 수 평균 저자

Japan 2010 일반인 299 3.6 Arasinen et al

Brazil 2001 일반인 76 15.25 Barbosa et al

표 1-3 국가별 메틸수은 분포

다. 요중 수은

혈중 수은이 최근 수은의 노출수준을 반영하는 반면, 요중 수은은 6개월

이상 만성적 수은 노출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 요중 수은

에서 측정되는 수은은 일반적으로 무기수은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어

Nuttal은 혈중 수은이 유의한 수준으로 높지만 요중 수은이 정상적인 경우

메틸수은이 관여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요중 수은 분석을 위해서는 24시간 소변을 채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

법이지만 실제 검진에서 편의상 일시뇨에서 수은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으

며 일시뇨에서 수은을 평가하기 위해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마련한 크레아티닌의 적정수준(30~300 ㎎/㎗)을

만족하는 시료만을 분석에 포함하는 것이 좋다.

요중 수은과 관련하여 HBM-I 값은 25세 미만 3 ㎍/g cr, 25세 이상 5

㎍/g cr이나, 혈중 수은과 달리 요중 수은이 문제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Page 4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 -

국가 연도 연구대상자 인원 수 평균 저자

US2006 일반인 2,537 0.443 CDC

2006 가임기여성 1,748 0.710 CDC

Korea2010 일반인 1,022 0.95 Kim et al

2008 일반인 227 0.54 Beak et al

Germany 2002 소아 222 0.25 Pesch et al

Japan 2006 20세 여성 59 0.86 Ohno et al

표 1-4 국가별 요중 수은 비교

라. 모발 수은

최근 모발을 이용한 중금속 분석이 인체 내 중금속의 축적상태를 알아보

기 위해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모발 수은 분석 역시 체내 수은 축

적에 대하여 유용한 지표로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다. 하지만 모발 분석을

위해서는 조사대상자의 모발을 최소한 0.5 g을 채집해야 하는 만큼 대상자

들의 동의가 어렵기 때문에 조사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일부 모발 수은

분석에 있어 혈중 수은 농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모발 수은의 농도가 비

정상적인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염색, 파마 등 모발의 오염으

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되고 있다.

Page 4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 -

국가 연도 연구대상자 인원 수 평균 저자

US

2010 가임기여성 813 0.46 Hogan et al

2010 야영객 402 1.1 Lincoln et al

Europe 2002 심근경색 684 0.27 Guallar et al

Japan 2003 일반인 3,686 1.96 Yasutake et al

Korea 2010 일반인 1,589 0.83 Lim et al

Denmark 2009 어부 42 7.31 Choi et al

Malaysia 2008 일반인 380 11.45 Hajeb et al

Brazil 2001 일반인 76 21.4 Barbosa et al

표 1-5 국가별 모발 수은 분포

3. 국내 수은 노출과 인체 영향 관련 연구 및 조사 사례

가. 산모혈액 및 태아 제대혈액의 수은 농도에 관한 연구

홍영습 등(2007년)이 2006년 부산 모 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임산

부 59명을 대상으로 산모혈액 및 제대혈액의 총 수은 농도를 골드 아말감

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수은 노출 수준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임산부 59명을 분석한 결과 산모혈의 총 수은 평균 농도는

3.16 ± 1.21 ppb, 제대혈의 총 수은 평균 농도는 5.43 ± 2.22 ppb로 제대혈

이 산모혈보다 1.72배 높았으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무작위

로 선정한 임산부 36명의 총 수은 농도와 메틸수은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

과 산모혈의 경우 총 수은 평균 농도가 3.06 ± 1.17 ppb로 나타났고, 메틸

수은 평균 농도가 2.60 ± 1.11 ppb로 총 수은 농도의 85.0%를 차지하였고,

Page 4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 -

제대혈의 경우 메틸수은 평균 농도가 4.70 ± 1.97 ppb로 총 수은 평균 농

도 5.20 ± 2.36 ppb의 90.4 %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나타냈다.

연구 기간이 짧고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어서 메틸수은의 주요인으로 알

려진 생선 섭취와의 상관성을 찾지는 못했으나 국내의 임산부 수은 노출

실태를 일부 파악할 수 있는 연구 결과라고 생각된다.

국가 지역 연도 대상자 수산모혈중수은

(Maternal)

제대

혈중수은(Cord)범위 연구자

캐나다Quebec 1999 1,109 - 0.96 0.2-13.4 Rhainds et al.

Quebec 2004 92 0.48 0.52 0.0-1.60 Morrissette et al.

스웨덴Solna 2000 98 0.73 1.4 0.0-4.8 Vahter et al.

Uppsala 2003 130 - 1.3 0.1-5.7 Bjornberg et al.

터키 Istanbul 2007 143 0.38 0.5 0-2.3 Unuvar et al.

이란 Tehran 2006 365 1.34 1.7 0.0-13.1 Vigeh et al.

덴마크Faroe

island2005 996 - 22.35 0.90-351 Grandjean et al.

스페인 Seville 1992 24 6.23 6.43 2.00-15.1 Soriaetal.

일본

Kagoshima 1974 38 17.4 24.1 12-64 Shinkawa et al.

Nagoya 1984 231 19 30 1-735 Tsuchiaya et al.

Kagoshima 1985 41 12.8 21.1 Nakano et al.

Hyogo 1990 81 6.8 11.8 4.4-34.7 Deguchi and Ogata

Nagasaki,

Fukuoka,

Tokyo

2007 115 5.18 9.81 6.96-13.6 Sakamoto et al.

미국 20031,709

(16-49)1.2 - - Schober et al

표 1-6 각국의 산모 및 제대혈의 혈중 수은 농도 비교(ppb)

Page 4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 -

나. 일부 도시지역 주민의 혈중 수은 농도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홍영습 등(2010)은 부산경남의 해안가 지역에 위치한 한 도시지역 일반

주민 293명을 대상으로 역학적 요인에 따른 평균 혈중 수은 농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은 8.63 ppb이였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9.55 ppb)이, 여성

(7.76 ppb)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서는 남 여 모두

50대가(남성 11.48 ppb, 여성 8.32 ppb) 40대(남성 8.32 ppb, 여성 7.59

ppb), 60대 이상(남성 9.12 ppb, 여성 7.59 ppb) 보다 높은 양상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생선 및 어패류 섭취의 선호 여부 및 주간 섭취빈도를 조사해

보니 남성은 생선 및 어패률 섭취를 선호하는 집단 중 50대가 34.6%로 40

대 32.3% 60대 이상 33.1% 보다 높았으며 주간 섭취 빈도도 50대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혈중 수은 농도는 연령에 따른 영향보다는

생선 및 어패류 섭취 영향을 받는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다.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2007)

2008년에 조사한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결과의 혈중 수은

농도는 3.00 ㎍/ℓ로 ‘05년(4.34 ㎍/ℓ), ’07년(3.80 ㎍/ℓ) 결과에 비하여 약

간 낮았으나, 독일 인체모니터링 위원회(CHBM)의 HBM-II 기준(15 ㎍/ℓ)

및 미국과 독일의 조사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독일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와 비교

시 혈중 수은의 수준이 높고, 요중 수은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

한 소견으로 볼 때 한국인의 높은 수은 노출 수준은 유기수은에 의한 가능

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 -

국가 지역 시기 표본수 평균 범위 저자

한국

서울 2002 235 3.19 N.D.- 8.64 Ho et al.

전국 2005 2000 4.34 4.65-11.69 KCDC

전국 2008 2342 3.8 3.83-14.94 KCDC

미국전역 1999-2000 1,709 1 0.9-7.1* CDC

전역 2001-2002 1,928 0.8 0.7-4.6* CDC

오스트리아 빈 02-Apr 152 2.38 -Gundacker

et al.

캐나다 퀘벡 1998 289 1.1 0.10-4.81Mahaffey et

al.

덴마크 - 1992 - 1.38 -Grandjean

et al.

표 1-7 각국 일반성인의 혈중 수은 농도 비교(ppb)

제2절 조사의 필요성

지난 2007년 전국 성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 결과 경남권역 일부 주민의 평균 혈중 수은 농도가 독

일연방환경청의 HBM-II 기준인 15 ㎍/ℓ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HBM 기준 값은 인체 독성학적 및 역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건강관련

평가에 사용하기 위해 제시한 값으로 특히 HBM-II 기준은 민감한 사람에

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으로 초과할 경우에는 노출 저감, 건강검진

및 의료감시가 필요한 수준을 말한다.

이러한 2007년의 연구결과는 경남권역의 일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측

정한 결과치로서 실제 경남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지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은 노출 수준을 초래하는

원인에 대한 조사 역시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비해 2009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조사 보고된 경우는 해당 지

역의 수은 노출 수준이 다른 지역보다 높았지만, 대형 포식성 어류가 노출

Page 4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 -

원인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높은 혈중 수은 농도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였

다. 그렇지만 경남권역에서는 지역별 혈중 수은 농도에 대한 세부적인 조

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어느 지역이 수은 노출위험이 높은지 확인하

기 어렵다. 또한 높은 혈중 수은 농도의 원인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한 상

태이며 일부 원인으로 어패류 섭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적으

로 수은 노출 원인으로는 어떤 종류의 어패류 섭취가 주로 영향을 주는지

는 알 수가 없어 현실적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경남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 관리를 위해서는 2007년 국립환경과

학원이 조사했던 것보다 넓은 범위의 지역들을 연구 대상에 포함해야 하

며, 위험집단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가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목표하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식이섭취를 포

함한 다양한 노출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직업적 노출이 아닌 일

상생활에서의 수은 노출은 대부분 식이섭취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

려져 있기 때문에 식이영양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섭취 정도에 따

른 수은 노출 위험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생체 수은 노출지표로 혈중 총 수은 농도, 메틸수은 농도, 요중 수

은 농도 및 모발 수은 농도 등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들 각각의 수은 노출

지표가 반영하고 있는 수은 노출원과 노출 형태가 다르며 생체 내 축적 정

도를 반영하는 정도도 다르다.

즉 일반적으로 혈중 총 수은 농도는 단기적 노출을 나타내는 지표인 반

면에 모발 수은 농도는 체내 수은의 축적 정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요중 수

은 농도는 장기적 노출지표이면서 무기수은에 의한 폭로를 다른 생체시료

에 비해 잘 반영하여 직업적 폭로에 의한 수은 중독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수은 노출지표를 활용하면 지역주민에게 수은이 노출되는

Page 4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 -

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활용할 수 있는 수은

노출지표인 혈중 총 수은 농도, 메틸수은 농도, 요중 수은 농도, 모발 수은

농도를 동시에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여 노출상태와 노출원의 관련성을 평

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은 노출위험이 높은 경남권역 대부분의 지역을 대상으로 전 연

령층을 포함하는 연구대상자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대표성 있는 인체

수은 노출 지표 값을 산출하고, 위험집단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으며 아울

러 다양한 생체시료 분석을 통한 노출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수은 노

출원에 대한조사와 식이영양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수은 노출 위험이 높은

식품의 섭취를 낮추도록 권장하고 식이섭취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수은 노

출위험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제3절 조사의 목적

경남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 수준을 확인하고, 노출 위험이 높은 집단에

대하여 수은 분석, 설문조사 및 식이조사를 통하여 노출경로 및 노출요인

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아울러 수은 노출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수준 평가

경남권역에서 가임기 여성 600명 이상을 포함하는 2,000명 의 조사대상

자를 모집하여 혈액, 뇨 및 모발을 채취하여 각각 혈액 총 수은 및 메틸수

은 농도, 요중 수은 농도 및 모발 수은 농도를 측정하여 경남권역 주민의

수은 노출 수준을 평가한다.

Page 4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 -

2. 수은 노출 고위험 취약지역의 특성 분석

앞서 조사된 경남권역 주민에서의 수은 노출 수준을 지역별로 비교하여

수은 노출에 있어 고위험 취약지역을 파악하고 이들이 가지는 공통된 특성

을 비교 분석 한다.

3. 수은 노출 위험 요인의 분석

일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와 식이조사를 통하여 수은 노출 위

험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특히 식이 조사에서 지역특산품 및 수은

노출위험이 높은 일부 식품의 소비 행태를 파악하여 수은 노출원 및 노출

경로를 조사한다.

동시에 권역 주민의 생체 수은 노출 지표와의 분석을 통해 개인별 노출

요인 차이에 의한 수은 노출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수은 노출에

대한 기여위험도를 산출하여 객관적인 수은 노출 위험요인을 확인한다.

4. 수은 노출 저감 방안 제시

수은 폭로 지표를 통해 조사된 수은 노출 위험이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수은 노출 위험요인으로 확인된 요인을 제거하거나 위험 노출 요인을 줄임

으로써 권역 주민의 수은 폭로 지표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안에는 수은 폭로 정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수은의 위

험성에 대한 기본 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홍보 방안과 위험 노출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식이 섭취 관련 지침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Page 5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 -

제2장 조사내용 및 방법

제1절 조사 추진체계

본 조사는 경남권역을 포괄할 수 있도록 조직하였으며 연구기관인 동아대

학교에서는 설문자료의 개발, 생체 수은지표 분석, 통계처리, 결과지 발송

및 현장조사팀을 운영하였다. 지역별로는 부산권역(동아대학교), 울산권역

(울산대학교) 및 경남권역(경상대학교)으로 구분하여 조사대상자 모집과 행

정기관 협조를 담당하였으며, 식이분석은 강원대학교에서 분담하는 다기관

연구형태를 취하였다.

그림 2-1 조사 추진 체계도

Page 5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 -

제2절 조사대상자 설계 및 표본 추출

1. 지역주민 조사 대상자 설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시 군 구의 지역주민 조사 대상자 설

계 중 계획상 30개 지역구를 목표로 하였으나 울산 울주군의 경우 면적이

넓어 2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총 31개의 조사지

역이 선정되었다.

이들 31개 시 군 구 조사지역에서 2,000명의 대상자를 배분하였다. 각 지

역별로 연령, 성별을 고려하여 65명을 배분함에 따라 지역을 대표할 수 있

도록 설계하였으며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경우 면적이 넓어 2개 지역으로

나누어 2배수인 130명을 대상자를 할당하였다. 아울러 문헌상으로 수은 노

출에 대한 취약집단으로 알려진 가임기 여성 700여명이 포함하도록 설계하

였다.

그림 2-2 조사대상자 선정

Page 5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 -

2. 표본 추출 방법

지역별 인구수에 대비하여 비례 배분 할 경우 일부 인구수가 적은 시 군

구 지역의 노출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위험을 보완하기 위하여 할

당편의추출을 이용하였다. 지역별로 할당 배분한 뒤 해당 지역의 행정관청

을 통하여 홍보를 실시하고 본 조사연구에 참여하길 원하는 인원 중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라 할당한 인원을 채우는 방식으로 세분화하였다.

그림 2-3 표본 추출 방식 개괄

제3절 일반 및 식이관련 설문조사

1. 일반 설문 조사지 개발

일반 설문 조사 항목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특

성에는 성, 연령, 직업, 소득수준 및 교육수준이 포함되었으며 생활습관에

는 흡연 및 음주력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수은 노출과 관련된 항목으로는

Page 5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 -

치아 아말감 치료 여부를 포함하였다. 모든 설문 항목은 사전에 내부 및 외

부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 분 설문항목 세 부 내 용 비 고

일반적

특 성

성별 ① 남성, ② 여성 가임기 여성

연령 ① 20대, ② 30대, ③ 40대, ④ 50대, ⑤ 60대

경제적 수준

① 100만원 미만, ② 200만원 미만

③ 300만원 미만, ④ 400만원 미만

⑤ 400만원 이상

교육수준

② 중학교 졸업 이하, ③ 고등학교 졸업

④ 대학교 재학 및 전문대학 졸업

⑤ 대학교졸업이상

생활습관흡연 ① 흡연, ② 금연, ③ 비흡연

음주 ① 음주, ② 금주, ③ 비음주

노출요인 치과용 아말감 ① 사용, ② 사용하지 않음

표 2-1 설문조사 내용 요약

2. 식이 조사지 개발

기존 문헌조사를 통해 수은과 관련된 식이 요인을 정리하고 국민건강영

양조사 및 타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식이조사지 시안을 개발하였다. 완성

된 조사지 시안을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평가하고, 조사대상에 해당하는

인원을 10명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과정에서 추가로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하여 설문내용을 수정하였다.

Page 5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 -

3. 식이 조사 형태

가.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Simple FFQ)

일반인의 주된 수은 노출 원인으로 알려진 어패류 섭취에 대한 구체적인

노출 비교를 위해 22가지 어패류 종류에 대한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설문(Simp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을 이용하

여 조사하였다.

조사 식품 목록에는 식품의약안전평가원에서 조사한 다빈도 음식 20종과

지방특산품에 해당하는 상어고기 및 고래고기 2종을 추가하여 조사하였는

데, 이 중 김, 미역 및 다시마 2종은 해조류에 해당되므로 어패류 섭취량

산출시 이를 제외한 20개 종의 어패류만을 이용하였다.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의 2가지 해조류를 제외한 20가지 어패류 중 16

개의 어패류에 포함된 수은함유량에 대한 자료는 알려진 database

(2006-2009년, 식약청)과 본 연구진의 분석자료(2010년, 식약청)를 이용하

였다. 어패류에 포함된 수은함유량을 산출한 분석은 20개의 다빈도 어패류

중 5개(회, 조기, 도미, 가자미, 잉어/붕어)가 제외되어 있어 총 수은 함유

량의 산출이 불가하여 일부 제한적인 측면에서만 분석 활용되었다.

(1) 연간 어패류 섭취량 산출법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 설문지를 통해 어패류의 섭취빈도수와 일회 섭

취분량의 정보를 얻어 연간 어패류 섭취량을 파악한다. 어패류의 빈도수는

월에 몇 번 섭취하는지, 주에 몇 번 섭취하는지, 하루에 몇 번 섭취하는지

를 파악해 총 일년동안 평균 어패류를 몇 번 섭취하게 되는지 산출 한다.

먼저 월 단위 음식 섭취 횟수는 거의 안 먹을 경우=0, 월 1회=1, 월 2∼3

회=2.5, 주 1∼2회=6, 주 3∼4회=14, 주 5∼6회=22, 일 1회=30, 일 2회=60,

일 3회=90 이 되고 여기에 12를 곱하여 연 단위 음식 횟수를 산출한다.

Page 5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 -

연 단위 어패류 섭취 횟수가 구해지면 어패류의 기준 분량을 곱한 후 기

준량 보다 적게 섭취하는 사람은 0.5배, 기준 분량만큼 섭취하는 사람은 1

배, 기준 분량 보다 더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1.5배 하여 어패류의 연간 섭

취량을 구한다.

(2) 어패류에 의한 연간 수은 섭취량 산출법

참고로 하는 어패류에 포함된 수은량을 연간 어패류 총 섭취량에 곱하여

연간 수은 섭취량이 계산되어진다.

나. 24시간 회상법

대상 집단의 일반적인 식품 섭취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4시간 회상법

을 이용한 식이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1일 조사 자료만으로 16가지의 식품

종군에 대한 섭취빈도 및 섭취분량 분석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순

식이 빈도 조사에서 실시한 어패류의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포함한 일상섭

취량을 추정하였으며, 본 자료를 토대로 개인별, 지역별 등의 수은 섭취량

을 산출하였다. 각 식품별 섭취 분포는 항목이 너무 많은 관계로 우선 식

품군별 수은 섭취량의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수은 함량 계산을 위한 식품

항목은 기존 발표된 자료 중 식품 중 수은 함량이 알려진 database를 바탕

으로 계산되었다.

(1) 음식 섭취량

24시간 회상법 설문지를 통해 하루(24시간)동안 먹은 음식을 모두 파악

한다. 하루 동안에 어떤 음식을 섭취했는지, 일 회 섭취량은 기준분량 보다

더 섭취하는지 기준분량만 섭취하는지 기준분량보다 적게 섭취하는지를 파

악, can-pro 3.0에 24시간 회상법의 조사 결과 자료를 입력하여 24시간 음

Page 5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 -

식 섭취량을 산출해 낸다.

(2) 음식에 의한 수은 섭취량

조사된 115개 종류의 식품에 들어있는 수은 함량을 이용해 24시간 회상

법에 의해 파악된 식품 중 115개 항목에 해당하는 식품들의 수은 함량을

계산한다.

구 분 내 용

간이형

음식섭취

빈도조사

고등어구이, 참치 캔, 멸치 및 멸치볶음, 참치, 꽁치, 조기구이, 명태, 도

미, 가자미, 갈치, 오징어채 및 볶음, 꽃게장, 조개 및 골뱅이, 굴, 미꾸

라지, 잉어 및 붕어, 상어고기, 고래고기, 회, 젓갈, 김, 미역 및 다시마

22종 (김, 미역 및 다시마는 해조류로 분류, 향후 분석에서 제외)

24시간

회상법

곡류, 감자류, 당류, 두류, 종실류, 채소류, 과실류, 육류, 난류, 어패류,

해조류, 우유, 유지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 및 향신료 등 16종

표 2-2 식이조사 항목

제4절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1.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은 해안에서 떨어진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

였으며, 해안지역에는 부산 전체와 울산 전체 지역, 경남의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마산시, 사천시, 진해시, 창원시 통영시가 포함이 되었으며 내륙지

역에는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진주시,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이

포함되었다(표 2-3). 그렇지만 실제 거주지와 업무지가 다른 경우에 대한

사항은 제외하였고, 일부지역은 해안과 내륙의 경계가 불명확함에도 불구

하고 비교를 위하여 부득이하게 해안과 내륙으로 구분하였다.

Page 5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 -

구 분 표본추출 지역

해안지역

부산 기장군, 남구, 동구, 북구, 사하구, 서구, 수영구, 영도구, 해운대구

울산 남구, 동구, 북구, 중구, 울주군

경남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마산시, 사천시, 진해시, 창원시, 통영시

내륙지역 경남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진주시,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표 2-3 해안지역과 내륙지역 구분

제5절 조사원 교육

조사원 교육은 현장 조사가 실시되기 전 2차례의 사전교육을 실시하였

다. 교육내용은 설문조사에 필요한 항목에 대하여 2시간 교육하였으며 나

머지는 조사자의 태도, 설문 진행방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사전교육 후 조사자와 조사대상자 간의 역할을 체험하도록 시뮬레이션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잘못 이해한 부분에 대하여 점검하였다.

현장 조사과정에서 팀별 책임자 1인을 선정하여 당일 설문조사 내용을 검

토하고 현장 조사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경우가 발생될 경우 현장의 조사진

이 이를 확인하고 현장조사 팀과 협의하여 업무를 추진하며 다음번 조사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제6절 현장조사

현장 조사는 사전 홍보와 당일조사로 구분되게 실시하였다. 사전 홍보는

해당 조사지역의 관공서의 협조 요청을 통하여 장소 및 조사 참여에 대한

홍보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당일 조사는 2개의 팀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1팀은 대상자 섭외, 설문, 식

Page 5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 -

이조사 및 운송을 담당하였고 2팀(임상병리사 포함)은 생체시료 채취 안내,

채취(혈액, 소변, 모발, 홍채사진), 자료 관리를 담당하였다.

조사의 질 관리를 위해 책임 연구진들이 정기적으로 조사원들이 현장 조

사를 실시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현장 확인 및 조사 내용 지도, 생체 시

료 채취, 보관, 운송 관리 등에 대한 확인 및 연구의 질 관리를 수행하였

다.

1. 조사대상자 모집

조사 대상자의 모집 인원은 미리 계획한 해당 조사지역의 표본을 목표로

하였다. 현장에서의 대상자 선정은 섭외 시 조사의 목적, 조사방법과 내용

및 진행절차 등의 충분한 설명 후 조사 참여에 동의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

였다. 조사에 동의하는 경우 미리 작성된 조사 참여 동의서를 이용하여 다

시 보완 설명을 실시하였으며 참여자의 자필 서명한 경우에만 최종 조사대

상자로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림 2-4 현장 설문조사 및 식이조사

Page 5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 -

2. 생체 시료 채취

조사대상자의 생체 내 수은 노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혈액, 요 및 모

발시료를 채취하였다. 혈액(Whole blood)은 EDTA 처리된 3㎖ 진공 채혈

관(Vacutainer)에 임상병리사가 채취하여 응고되지 않도록 충분히 교반

하여 원심분리 후 아이스박스에 보관하였고, 요(Spot Urine)는 소변용

플라스틱 컵에 채취한 후 conical tube에 분주하여 보관 및 운송하였다.

모발(Hair) 채취는 조사 관련 사항을 충분한 설명한 후 채취에 동의

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후두부 목덜미 부분에서 모근에

최대한 가깝게 스테인리스 미용가위를 사용하여 채취하였다. 채취한 모

발은 거름종이로 포장하여 폴리에틸렌 백에 넣어 실온 상태의 암실에

보관하였다.

채취한 혈액 및 요, 모발 시료는 검진이동 차량 또는 고속버스 택배를

이용하여 냉장보관 상태로 분석기관으로 당일 운반하였다.

그림 2-5 현장 모발 채집모습

Page 6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 -

제7절 수은분석

혈액, 요 및 모발 분석에서 혈중 총 수은과 요중 수은 및 모발 수은은

Gold amalgama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혈중 총 수은 및 모발 수은은

DMA-80(Milestone)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요중 수은은 SP-3DS(NIC) 장

비를 사용하였다. 한편 혈중 메틸수은은 Cold vapor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방법으로 MERX(Brooks Rand)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분석정도관리는 정기적인 내부정도관리와 외부정도관리를 실시하였으며 외

부정도관리의 일환으로 독일의 G-EQUAS 인증(2010년)을 획득하였다. 분석

시 최소검출한계 이하의 시료에 대해서는 각 장비에 제안된 최소검출한계의

값을 부여하였고 이를 포함한 분석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부록에 기재하였다.

그림 2-6 생체시료별 수은 분석 장비

Page 6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 -

제3장 조사결과

제1절 조사대상자 현황 및 역학적 특성

조사지역은 행정구역으로는 30곳이지만, 울산시 울주군의 면적이 넓어

추가조사를 시행함에 따라 총 31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조사 참여자는 총 2,019명이었으나, 일반 및 식이조사 설문의 미비,

생체시료 미확보 등으로 최종 자료의 분석은 혈중 총 수은 분석자를 기준

으로 2,0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그림 3-1).

그림 3-1 연구조사별 참여대상자 수

Page 6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 -

전체 대상자 중 남성은 910명 45.1%, 여성은 1,109명 54.9%로 나타나 여

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연령은 43.6±14.6세로 20~29세군이 430

명 21.3%, 30~39세군이 458명 22.7%, 40~49세군이 395명 19.6%, 50~59

세군이 386명 19.1%, 60세 이상 군 350명 17.3%로 나타났다(표 3-1).

소득수준은 100만원 미만이 299명 15.0%, 100~199만원이 421명 21.1%,

200~299만원이 404명 20.7%, 300~399만원이 338명 17.0%, 400만원 이상

이 413명 20.7%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초등학교 졸업이 204명 10.2%, 중학교 졸업이 203명 10.2%,

고등학교 졸업이 479명 24.0%, 대학교 재학 및 전문대 졸업이 454명

22.8%,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653명 32.8%로 조사되었다.

흡연자는 356명 17.9%, 금연자는 250명 12.5%, 비흡연자는 1,388명

69.6%로 나타났으며 음주자는 1,259명 63.1%였으며, 금주는 166명 8.3%,

비음주는 569명 28.5%로 나타났다.

치아 아말감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1,158명 58.1%로 나타났다.

Page 6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9 -

특성 빈도(명) 백분율(%)

성병

남성 910 45.1

여성 1,109 54.9

연령

20~29 430 21.3

30~39 458 22.7

40~49 395 19.6

50~59 386 19.1

60~ 350 17.3

월 소득수준(만원)

~99 299 15.0

100~199 421 21.1

200~299 404 20.3

300~399 338 17.0

400~ 413 20.7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이하 407 20.4

고등학교 졸업 479 24.0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454 22.8

대학교 졸업 이상 653 32.8

흡연력

흡연 356 17.9

금연 250 12.5

비흡연 1,388 69.6

음주력

음주 1,259 63.1

금주 166 8.3

비음주 569 28.5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733 87.0

있음 260 13.0

표 3-1 역학적 특성

Page 6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0 -

제2절 조사대상자의 역학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조사에 참여한 주민 2,019명 중 수은 노출 지표 분석은 혈중 총수은

2,001명, 혈중 메틸수은 400명, 모발 수은 1,200명, 요중 수은 1,933명에 대

해 실시하였다.

이 중 요중 수은의 경우에는 소변시료를 얻지 못하거나 크레아티닌 수치

가 WHO의 권장기준(30~300 ㎎/㎗)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여

총 1,768명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발 수은의 경우 일부 주민

에서 염색 등 외부오염으로 인해 125.13 ㎍/g, 429.17 ㎍/g의 이상치로 판

단되는 관측값이 측정되었기 때문에 이는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매

우 큰 편향이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2개 관측값을 제외하여 1,198명

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혈중 총 수은의 경우 전체 기하평균(95% 신뢰구간)은 5.13(5.01-5.25) ㎍

/ℓ로 HBM-I(5.00 ㎍/ℓ)를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4.07(3.80-4.37) ㎍/ℓ로 나타났으며,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약 80 %를 차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모발 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1.27(1.23-1.32) ㎍/g이었으며, 요중 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1.55(1.48-1.58) ㎍/g cr으로서 혈중 총 수은 농도와 달

리 권고기준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표 3-2).

Page 6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1 -

구분혈중 총

수은(㎍/ℓ)

혈중 메틸수은

(㎍/ℓ)

모발 수은

(㎍/g)

요중 수은

(㎍/g cr)

n 2,001 400 1198 1,768

평균±표준편차 6.06±3.89 4.96±3.45 1.57±1.19 2.07±3.10

기하평균

(95%신뢰구간)5.13(5.01-5.25) 4.07(3.80-4.37) 1.27(1.23-1.32) 1.55(1.48-1.58)

최소값 0.00*

0.53 0.12 0.00**

제1백분위수 1.30 0.76 0.29 0.22

제5백분위수 2.10 1.31 0.45 0.55

제10백분위수 2.56 1.76 0.57 0.70

제25백분위수 3.50 2.60 0.83 1.03

중위수 5.10 4.23 1.24 1.55

제75백분위수 7.50 6.37 1.91 2.35

제90백분위수 10.70 8.82 2.9 3.35

제95백분위수 13.20 10.60 3.78 4.44

제99백분위수 19.80 17.10 5.9 10.47

최대값 55.70 35.30 17.01 73.86

* : 혈중 총 수은의 최소검출한계 이하의 값으로 해당값은 0.0000021 ㎍/ℓ 이하의 값

** : 요중 수은의 최소검출한계 이하의 값으로 해당값은 0.0000032 ㎍/ℓ 이하의 값

표 3-2 전체 수은 노출 지표

Page 6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2 -

1.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가. 혈중 총 수은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성별에 있어서 남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

타났고 50대까지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다

가 60대 이상에서는 다소 감소하였으며 소득수준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증

가하다 400만원 이상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육수준의 경우 전문

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군에서 가장 농도가 낮았고 중학교 졸업이하 및

대학교 졸업이상에서 농도가 가장 높았다.

흡연력에 따른 농도는 금연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주력에 따른

농도는 음주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말감 치료 경험에서는 치료경험

이 있는 대상자들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아말감 치료 여부를 제외한 모든 역학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3-3).

나. 혈중 메틸수은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경우 혈중 총 수은과 마찬가지로 남성에서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령군에서는 50대와 60대 이상에서 농도가 높게 나

타났고 20대군에서 농도가 가장 낮았다. 소득수준에 있어서는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농도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수준의 경우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군에서 농도가 가장 낮

았으며 반면에 대학교 졸업이상 군에서 농도가 가장 높았다. 흡연력에서는

금연군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음주력에서는 음주군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말감 치료 경험에서는 치료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교육수준과 아말감 치료 여부를 제외한 모든 역학

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3-4).

Page 6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3 -

특성

혈중 총 수은(㎍/ℓ)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성별

남성 906 7.12±4.60 0.514 6.03(5.75-6.17) <0.001

여성 1,095 5.18±2.90 4.47(4.37-4.68)

연령(세)

20~29 429 4.30±2.28 <0.001 3.80(3.63-3.98) <0.001

30~39 455 5.72±3.76 4.79(4.47-5.25)

40~49 390 6.42±3.87 5.50(5.25-5.89)

50~59 383 7.62±4.39 6.46(6.17-6.92)

60~ 344 6.57±4.15 5.50(5.25-5.89)

월 소득수준(만원)

~99 295 6.17±3.90 <0.001 5.25(4.90-5.62) <0.001

100~199 416 5.26±2.80 4.57(4.37-4.90)

200~299 401 6.30±4.65 5.25(4.90-5.50)

300~399 336 6.45±3.61 5.62(5.25-5.89)

400~ 410 6.55±4.22 5.37(5.01-5.89)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이하 400 6.55±4.65 <0.001 5.50(5.13-5.75) <0.001

고등학교 졸업 475 6.27±3.78 5.37(5.13-5.62)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451 4.98±3.13 4.17(3.80-4.47)

대학교 졸업 이상 649 6.33±3.78 5.50(5.25-5.75)

흡연력

356 6.85±4.28 <0.001 5.75(5.50-6.17) <0.001흡연

금연 249 8.18±5.44 6.76(6.31-7.41)

비흡연 1,371 5.46±3.20 4.68(4.57-4.90)

음주력

음주 1,250 6.37±4.14 <0.001 5.37(5.13-5.50) <0.001

금주 165 5.34±3.42 4.57(4.17-5.01)

비음주 561 5.56±3.28 4.79(4.57-5.01)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827 5.99±3.66 0.581 5.01(4.79-5.25) 0.360

있음 1,148 6.09±4.04 5.13(5.01-5.37)

표 3-3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ℓ)

Page 6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4 -

특성

혈중 메틸수은(㎍/ℓ)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성별

남성 200 5.75±3.99 <0.001 4.68(4.27-5.13) <0.001

여성 200 4.18±2.59 3.55(3.24-3.80)

연령(세)

20~29 60 3.32±1.89 <0.001 2.88(2.51-3.31) <0.001

30~39 61 4.68±2.20 4.27(3.80-4.79)

40~49 60 4.57±2.57 3.98(3.39-4.57)

50~59 102 5.74±3.60 4.68(4.07-5.37)

60~ 117 5.48±4.45 4.27(3.72-4.90)

월 소득수준(만원)

~99 86 4.69±3.38 0.238 3.72(3.24-4.37) <0.001

100~199 83 4.57±2.65 3.80(3.31-4.37)

200~299 73 5.13±4.80 3.98(3.31-4.68)

300~399 59 5.69±3.49 4.79(4.07-5.62)

400~ 78 5.44±2.88 4.79(4.17-5.37)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이하 126 5.17±4.20 0.577 4.07(3.63-4.57) 0.340

고등학교 졸업 93 5.03±3.25 4.07(3.55-4.68)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73 4.47±3.24 3.63(3.09-4.17)

대학교 졸업 이상 108 5.00±2.73 4.37(3.89-4.79)

흡연력

흡연 78 5.58±4.61 0.004 4.47(3.80-5.13) 0.013

금연 61 5.93±3.99 4.79(4.07-5.75)

비흡연 261 4.55±2.80 3.80(3.55-4.07)

음주력

음주 230 5.45±3.82 0.004 4.47(4.17-4.90) 0.001

금주 35 4.05±2.08 3.55(2.95-4.27)

비음주 135 4.37±2.92 3.55(3.16-3.98)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74 4.87±3.21 0.621 4.07(3.72-4.47) 0.880

있음 226 5.04±3.64 4.07(3.72-4.47)

표 3-4 역학적 특성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

Page 6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5 -

다. 모발 수은

모발 수은 농도의 경우 성별에 있어서 남성 군에서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50대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다

가 60대 이상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며 소득수준에 있어서도 소득수준이 증

가할수록 농도가 대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수준의 경우 전

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군의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군의 농도

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흡연력에서는 금연군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음주력에서는 음주

군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말감 치료 경험에서는 치료경험

이 있는 대상자들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아말감 치료 여부를 제외한 모든 역학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3-5).

라. 요중 수은

요중 수은 농도의 경우 성별에 있어서 다른 수은 노출 지표와 달리 여성

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50대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60대 이상에서 감소하였으며 소득수준의 경우

200~300만원 미만 및 400만원 이상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

에서는 중학교 졸업 이하군의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고등학교 졸업군의 농

도가 가장 높았다.

흡연력에서는 비흡연군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음주력에서도 비

음주군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의 정도는 미미하게

나타났다. 아말감 치료 경험에서는 치료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성별, 연령 및 흡연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표 3-6).

Page 7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6 -

특성

모발 수은(㎍/g)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성별

남성 599 1.90±1.28 <0.001 1.56(1.48-1.64) <0.001

여성 599 1.23±0.99 1.04(0.99-1.09)

연령(세)

20~29 241 1.01±0.58 <0.001 0.88(0.83-0.94) <0.001

30~39 252 1.60±1.43 1.32(1.23-1.42)

40~49 231 1.60±1.08 1.33(1.23-1.44)

50~59 246 2.00±1.32 1.63(1.50-1.77)

60~ 228 1.62±1.14 1.31(1.21-1.43)

월 소득수준(만원)

~99 183 1.51±1.07 0.013 1.24(1.13-1.35) 0.029

100~199 247 1.38±0.85 1.17(1.09-1.26)

200~299 245 1.63±1.22 1.31(1.21-1.42)

300~399 196 1.67±1.12 1.35(1.23-1.49)

400~ 253 1.73±1.55 1.38(1.28-1.49)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이하 263 1.64±1.22 0.349 1.32(1.22-1.43) <0.001

고등학교 졸업 282 1.64±1.11 1.35(1.25-1.45)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265 1.31±1.29 1.05(0.97-1.13)

대학교 졸업 이상 388 1.64±1.15 1.36(1.28-1.44)

흡연력

흡연 232 1.79±1.21 <0.001 1.48(1.37-1.60) <0.001

금연 165 2.10±1.24 1.77(1.61-1.94)

비흡연 801 1.39±1.14 1.14(1.09-1.19)

음주력

음주 765 1.70±1.31 <0.001 1.37(1.31-1.43) <0.001

금주 96 1.25±0.74 1.07(0.95-1.20)

비음주 337 1.37±0.95 1.13(1.06-1.20)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514 1.51±1.08 0.178 1.24(1.17-1.31) 0.181

있음 683 1.61±1.27 1.30(1.24-1.36)

표 3-5 역학적 특성별 모발 수은 농도(㎍/g)

Page 7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7 -

특성

요중 수은(㎍/g cr)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성별

남성 804 1.67±2.05 <0.001 1.32(1.26-1.38) <0.001

여성 963 2.41±3.74 1.74(1.66-1.82)

연령(세)

20~29 349 1.75±1.81 0.017 1.35(1.23-1.45) <0.001

30~39 410 2.07±2.01 1.58(1.48-1.74)

40~49 355 2.00±2.19 1.58(1.48-1.70)

50~59 343 2.54±5.14 1.70(1.58-1.86)

60~ 310 2.01±3.31 1.51(1.38-1.62)

월 소득수준(만원)

~99 257 2.10±3.05 0.603 1.58(1.48-1.74) 0.492

100~199 365 2.21±3.33 1.62(1.51-1.74)

200~299 350 1.94±1.86 1.51(1.41-1.62)

300~399 302 2.02±2.74 1.51(1.35-1.70)

400~ 367 2.29±4.37 1.62(1.51-1.78)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이하 358 2.27±3.93 0.437 1.62(1.48-1.74) 0.383

고등학교 졸업 435 2.08±2.73 1.48(1.35-1.62)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378 2.10±4.32 1.51(1.41-1.62)

대학교 졸업 이상 573 1.94±1.44 1.58(1.51-1.66)

흡연력

흡연 313 1.81±2.76 0.01 1.41(1.32-1.51) <0.001

금연 229 1.67±1.22 1.38(1.26-1.48)

비흡연 1203 2.23±3.44 1.62(1.55-1.70)

음주력

음주 1100 1.98±1.96 0.165 1.55(1.48-1.62) 0.868

금주 145 2.10±3.13 1.55(1.38-1.74)

비음주 500 2.30±4.77 1.58(1.48-1.66)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733 2.02±3.58 0.48 1.51(1.41-1.58) 0.131

있음 1011 2.13±2.75 1.58(1.51-1.66)

표 3-6 역학적 특성별 요중 수은 농도(㎍/g cr)

Page 7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8 -

2.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가. 혈중 총 수은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연령

이 증가하다가 60세 이상에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소득 수준의 경우

남성에서 소득이 낮아질수록 혈중 수은이 감소되는데 소득이 100만 원이하

인 군에서는 오히려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는 소득

수준에 따라 중가되다가 400만원 이상군에서 감소되는 차이를 나타냈다.

흡연의 경우 남녀 모두 흡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

의 경우에는 남성에서 음주군이 비음주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여성에

서는 반대로 비음주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에 따른 혈중 수은 농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3-8).

나. 혈중 메틸수은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연령과 관련하여 특별한 경향성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메틸수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60세 이상에서 감소

되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20대에서는 남녀 간의 농도차이가 가장 적게 나

타났다.

소득 수준의 경우에도 혈중 총 수은과 마찬가지로 남성에서 소득이 증가

할수록 메틸수은이 증가되는데 소득이 100만 원이하인 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남성에서는 연령, 소득수준, 학력에 따른 혈중 메

틸수은의 농도차이가 유의하게 관찰되었지만 여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관

찰되지 않았다.

흡연과 음주의 경우 남녀 모두 유의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3-10).

Page 7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39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연령

(세)

20~29 192 4.58±2.74 237 4.07±1.80 0.027

30~39 181 7.20±4.98 274 4.74±2.18 <0.001

40~49 168 7.99±4.58 222 5.23±2.68 <0.001

50~59 186 9.01±4.67 197 6.31±3.66 <0.001

60~ 179 6.99±4.52 165 6.11±3.67 0.049

p-value <0.001 <0.001

소득

수준

(만원)

~99 131 6.66±4.27 164 5.78±3.53 0.061

100~199 183 5.87±3.22 233 4.77±2.31 <0.001

200~299 196 7.42±5.66 205 5.24±3.08 <0.001

300~399 143 8.00±3.88 193 5.30±2.92 0.0001

400~ 178 8.44±5.13 232 5.10±2.55 <0.001

p-value <0.001 0.014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65 7.52±5.93 235 5.87±3.33 <0.001

고등학교 졸업 206 7.21±4.26 269 5.55±3.20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217 5.74±3.73 234 4.27±2.22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303 7.87±4.40 346 4.98±2.45 <0.001

p-value <0.001 <0.001

흡연력

흡연 334 6.94±4.37 22 5.62±2.35 0.024

금연 235 8.39±5.50 14 4.63±2.21 <0.001

비흡연 322 6.42±3.93 1,049 5.16±2.88 <0.001

p-value <0.001 0.594

음주력

음주 691 7.42±4.82 559 5.06±2.57 <0.001

금주 69 6.32±3.63 96 4.64±3.10 0.002

비음주 131 6.06±3.67 430 5.40±3.15 0.064

p-value 0.003 0.032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405 6.95±4.01 422 5.07±3.01 <0.001

있음 486 7.28±5.06 662 5.22±2.77 <0.001

p-value 0.282 0.425

표 3-7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7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0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연령

(세)

20~29 192 3.98(3.72-4.27) 237 3.72(3.55-3.89) 0.027

30~39 181 6.17(5.75-6.76) 274 4.07(3.63-4.57) <0.001

40~49 168 6.92(6.46-7.59) 222 4.68(4.37-5.01) <0.001

50~59 186 7.94(7.41-8.51) 197 5.37(5.01-5.89) <0.001

60~ 179 5.75(5.25-6.31) 165 5.25(4.90-5.75) 0.049

p-value <0.001 <0.001

소득

수준

(만원)

~99 131 5.50(4.90-6.17) 164 5.01(4.57-5.37) 0.061

100~199 183 5.01(4.68-5.50) 233 4.27(4.07-4.57) <0.001

200~299 196 6.17(5.62-6.61) 205 4.47(4.17-4.90) <0.001

300~399 143 7.08(6.61-7.76) 193 4.68(4.37-5.01) 0.0001

400~ 178 7.24(6.76-7.94) 232 4.37(3.80-5.01) <0.001

p-value <0.001 0.014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65 6.03(5.50-6.76) 235 5.13(4.79-5.50) 0.004

고등학교 졸업 206 6.17(5.62-6.61) 269 4.79(4.57-5.13)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217 4.79(4.37-5.13) 234 3.63(3.16-4.07)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303 6.92(6.46-7.24) 346 4.47(4.27-4.68) <0.001

p-value <0.001 <0.001

흡연력

흡연 334 5.89(5.50-6.31) 22 5.13(4.27-6.31) 0.024

금연 235 7.08(6.46-7.59) 14 4.17(3.24-5.50) <0.001

비흡연 322 5.50(5.13-5.75) 1049 4.47(4.27-4.68) <0.001

p-value <0.001 0.594

음주력

음주 691 6.31(6.03-6.46) 559 4.37(4.17-4.68) <0.001

금주 69 5.50(4.79-6.17) 96 4.07(3.63-4.47) 0.002

비음주 131 5.13(4.57-5.62) 430 4.68(4.47-4.90) 0.064

p-value 0.003 0.032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405 5.89(5.62-6.31) 422 4.27(3.89-4.68) <0.001

있음 486 6.03(5.75-6.31) 662 4.68(4.47-4.79) <0.001

p-value 0.282 0.425

표 3-8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7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1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연령

(세)

20~29 30 3.52±2.46 30 3.11±1.06 0.405

30~39 31 5.42±2.37 30 3.92±1.74 0.007

40~49 30 5.25±3.02 30 3.89±1.83 0.040

50~59 51 6.78±3.60 51 4.70±3.31 0.003

60~ 58 6.42±5.43 59 4.55±2.97 0.024

p-value 0.004 0.059

소득

수준

(만원)

~99 36 5.69±4.21 50 3.97±2.43 0.031

100~199 41 5.11±2.88 42 4.04±2.33 0.064

200~299 44 5.48±5.31 29 4.60±3.94 0.445

300~399 31 7.24±3.95 28 3.98±1.72 <.0001

400~ 36 6.38±3.04 42 4.64±2.51 0.007

p-value 0.196 0.628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53 6.35±5.57 73 4.31±2.56 0.016

고등학교 졸업 47 5.54±2.92 46 4.52±3.52 0.13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42 5.00±3.98 31 3.75±1.59 0.070

대학교 졸업 이상 58 5.91±2.89 50 3.94±2.11 <0.001

p-value 0.410 0.520

흡연력

흡연 74 5.63±4.72 4 4.69±1.88 0.696

금연 59 5.98±4.05 2 4.39±0.43 0.582

비흡연 67 5.67±3.00 194 4.17±2.62 <0.001

p-value 0.862 0.917

음주력

음주 147 6.05±4.23 83 4.39±2.67 <0.001

금주 17 4.39±1.98 18 3.73±2.17 0.359

비음주 36 5.15±3.57 99 4.08±2.61 0.108

p-value 0.163 0.548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92 5.66±3.55 82 3.97±2.51 <0.001

있음 108 5.82±4.35 118 4.32±2.65 0.002

p-value 0.777 0.349

표 3-9 성별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7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2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연령

(세)

20~29 30 2.82(2.19-3.63) 30 2.95(2.63-3.31) 0.706

30~39 31 5.01(4.27-5.89) 30 3.55(3.09-4.17) 0.005

40~49 30 4.57(3.72-5.62) 30 3.47(2.82-4.17) 0.050

50~59 51 5.89(5.01-6.92) 51 3.63(2.95-4.57) <0.001

60~ 58 4.90(3.98-6.03) 59 3.72(3.16-4.37) 0.041

p-value <0.001 0.501

소득

수준

(만원)

~99 36 4.47(3.47-5.75) 50 3.31(2.82-3.98) 0.059

100~199 41 4.27(3.47-5.25) 42 3.47(2.88-4.17) 0.123

200~299 44 4.27(3.47-5.25) 29 3.47(2.63-4.57) 0.231

300~399 31 6.31(5.13-7.76) 28 3.55(2.88-4.37) 0.626

400~ 36 5.75(4.79-6.76) 42 4.07(3.47-4.79) 0.005

p-value 0.026 0.603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53 4.79(3.89-5.89) 73 3.63(3.09-4.17) 0.020

고등학교 졸업 47 4.79(4.07-5.62) 46 3.47(2.82-4.37) 0.019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42 3.80(2.95-4.79) 31 3.39(2.88-4.07) 0.482

대학교 졸업 이상 58 5.25(4.47-6.03) 50 3.47(3.02-3.98) <0.001

p-value 0.109 0.966

흡연력

흡연 74 4.47(3.80-5.25) 4 4.37(2.24-8.71) 0.976

금연 59 4.79(4.07-5.75) 2 4.37 0.836

비흡연 67 4.79(4.17-5.62) 194 3.47(3.24-3.80) <0.001

p-value 0.697 0.657

음주력

음주 147 4.90(4.47-5.50) 83 3.80(3.39-4.27) 0.001

금주 17 3.98(3.02-5.13) 18 3.24(2.45-4.27) 0.272

비음주 36 4.07(3.16-5.25) 99 3.39(2.95-3.80) 0.150

p-value 0.157 0.338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92 4.68(4.07-5.37) 82 3.39(3.02-3.89) <0.001

있음 108 4.68(4.07-5.37) 118 3.55(3.16-4.07) 0.003

p-value 0.981 0.583

표 3-10 성별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7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3 -

다. 모발 수은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모발 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혈중 수은과 마

찬가지로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다가 60세 이상에

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소득 수준의 경우 남성에서 100만원 이하인 군을 제외하면 소득이 증가

할수록 혈중 수은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흡연력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 금연 군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 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도 동일하였다. 음주력에 있어서 남녀 모두

음주, 비음주, 금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3-12).

라. 요중 수은

성별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요중 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20~

29세 군의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50~59세 군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연령

에 있어서 특별한 경향성이 발견되진 않았다.

소득 수준의 경우에 있어서도 남녀 모두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으

며 교육수준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는 남성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아질수

록 낮아지다가 대학 졸업이상에서 다시 증가되었으며 여성의 경우 고등학

교 졸업 군이 가장 낮았으며 중학교 졸업 이하 및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

교 재학 군이 동일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흡연과 음주의 경우 요중 수은 농도에 유의한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

다.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차이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3-14).

Page 7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4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연령

(세)

20~29 126 1.06±0.58 115 0.96±0.57 0.183

30~39 126 1.92±1.28 126 1.28±1.51 <0.001

40~49 109 2.09±1.20 122 1.17±0.72 <0.001

50~59 124 2.52±1.36 122 1.47±1.04 <0.001

60~ 114 1.96±1.36 114 1.27±0.73 <0.001

p-value <0.001 0.002

소득

수준

(만원)

~99 80 1.79±1.24 103 1.29±0.86 0.003

100~199 118 1.59±0.90 129 1.19±0.76 <0.001

200~299 139 1.89±1.39 106 1.28±0.83 <0.001

300~399 100 2.18±1.23 96 1.14±0.67 <0.001

400~ 120 2.24±1.42 133 1.27±1.53 <0.001

p-value <0.001 0.790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10 2.09±1.51 153 1.32±0.83 <0.001

고등학교 졸업 136 2.02±1.19 146 1.28±0.90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145 1.44±0.96 120 1.16±1.58 0.090

대학교 졸업 이상 208 2.05±1.33 180 1.16±0.61 <0.001

p-value <0.001 0.374

흡연력

흡연 223 1.81±1.22 9 1.18±0.49 0.005

금연 158 2.13±1.25 7 1.39±0.96 0.123

비흡연 218 1.83±1.35 583 1.23±1.00 <0.001

p-value 0.038 0.908

음주력

음주 471 1.97±1.31 294 1.26±1.20 <0.001

금주 45 1.50±0.89 51 1.03±0.49 0.003

비음주 83 1.75±1.27 254 1.24±0.78 <0.001

p-value 0.312 0.035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69 1.88±1.23 245 1.11±0.70 <0.001

있음 330 1.92±1.33 353 1.31±1.15 <0.001

p-value 0.694 0.009

표 3-11 성별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산술평균

Page 7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5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연령

(세)

20~29 126 0.91(0.83-1.00) 115 0.85(0.78-0.93) 0.213

30~39 126 1.62(1.48-1.82) 126 1.07(0.98-1.17) <0.001

40~49 109 1.78(1.58-2.00) 122 1.02(0.93-1.12) <0.001

50~59 124 2.24(2.04-2.45) 122 1.17(1.05-1.35) <0.001

60~ 114 1.58(1.41-1.82) 114 1.10(0.98-1.20) <0.001

p-value <0.001 <0.001

소득

수준

(만원)

~99 80 1.45(1.23-1.66) 103 1.10(1.00-1.23) 0.005

100~199 118 1.35(1.23-1.51) 129 1.02(0.93-1.12) <0.001

200~299 139 1.55(1.38-1.70) 106 1.07(0.95-1.20) <0.001

300~399 100 1.86(1.66-2.09) 96 0.98(0.87-1.10) <0.001

400~ 120 1.91(1.70-2.09) 133 1.05(0.95-1.15) <0.001

p-value <0.001 0.597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10 1.66(1.48-1.91) 153 1.12(1.00-1.23) <0.001

고등학교 졸업 136 1.74(1.55-1.91) 146 1.07(0.98-1.17)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145 1.17(1.05-1.29) 120 0.91(0.81-1.02) 0.002

대학교 졸업 이상 208 1.74(1.58-1.86) 180 1.05(0.98-1.12) <0.001

p-value <0.001 0.033

흡연력

흡연 223 1.51(1.38-1.62) 9 1.07(0.71-1.58) 0.109

금연 158 1.82(1.62-2.00) 7 1.12(0.58-2.19) 0.044

비흡연 218 1.48(1.35-1.58) 583 1.05(1.00-1.10) <0.001

p-value 0.004 0.916

음주력

음주 471 1.62(1.55-1.70) 294 1.05(0.98-1.12) <0.001

금주 45 1.26(1.05-1.51) 51 0.91(0.79-1.05) 0.006

비음주 83 1.41(1.20-1.62) 254 1.05(0.98-1.12) <0.001

p-value 0.013 0.267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69 1.55(1.45-1.70) 245 0.95(0.89-1.02) <0.001

있음 330 1.55(1.45-1.66) 353 1.10(1.02-1.17) <0.001

p-value 0.996 0.004

표 3-12 성별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Page 8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6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연령

(세)

20~29 155 1.34±0.91 194 2.07±2.24 0.183

30~39 163 1.62±0.92 247 2.37±2.43 <0.001

40~49 155 1.56±1.01 200 2.35±2.74 0.465

50~59 169 2.13±3.71 174 2.94±6.21 <0.001

60~ 162 1.67±1.88 148 2.37±4.34 0.723

p-value <0.001 0.512

소득

수준

(만원)

~99 115 1.96±4.12 142 2.22±1.76 0.003

100~199 161 1.52±0.92 204 2.76±4.30 0.566

200~299 173 1.71±1.88 177 2.16±1.81 0.399

300~399 132 1.63±0.87 170 2.33±3.55 <.0001

400~ 160 1.78±1.80 207 2.68±5.57 <0.001

p-value <0.001 0.437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45 1.89±3.72 213 2.54±4.05 0.124

고등학교 졸업 194 1.69±2.08 241 2.39±3.13 0.457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176 1.47±0.98 202 2.66±5.78 0.090

대학교 졸업 이상 276 1.69±1.12 297 2.18±1.66 <0.001

p-value 0.344 0.520

흡연력

흡연 293 1.80±2.85 20 1.93±0.76 0.005

금연 216 1.63±1.20 13 2.24±1.41 0.123

비흡연 282 1.58±1.54 921 2.43±3.81 0.659

p-value 0.038 0.981

음주력

음주 622 1.67±1.48 478 2.38±2.40 0.610

금주 60 1.50±0.88 85 2.52±3.98 0.003

비음주 109 1.81±4.24 391 2.44±4.90 0.954

p-value 0.035 0.737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359 1.61±1.55 374 2.41±4.75 0.417

있음 432 1.73±2.40 579 2.42±2.94 <0.001

p-value 0.694 0.260

표 3-13 성별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산술평균

Page 8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7 -

특성

성별

p-value남성 여성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연령

(세)

20~29 155 1.12(1.02-1.23) 194 1.55(1.38-1.70) 0.213

30~39 163 1.38(1.26-1.51) 247 1.74(1.55-2.00) <0.001

40~49 155 1.29(1.17-1.45) 200 1.86(1.70-2.04) <0.001

50~59 169 1.55(1.38-1.70) 174 1.91(1.70-2.14) <0.001

60~ 162 1.32(1.20-1.45) 148 1.74(1.55-1.95) <0.001

p-value <0.001 <0.001

소득

수준

(만원)

~99 115 1.38(1.20-1.55) 142 1.82(1.62-2.00) 0.005

100~199 161 1.29(1.17-1.41) 204 1.95(1.74-2.14) 0.002

200~299 173 1.32(1.20-1.48) 177 1.74(1.55-1.91) 0.002

300~399 132 1.41(1.29-1.55) 170 1.58(1.32-1.91) 0.7897

400~ 160 1.41(1.29-1.55) 207 1.82(1.66-2.04) <0.001

p-value <0.001 0.533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45 1.35(1.17-1.51) 213 1.82(1.66-2.00) <0.001

고등학교 졸업 194 1.29(1.17-1.41) 241 1.66(1.45-1.91)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176 1.23(1.12-1.35) 202 1.82(1.62-2.00) 0.002

대학교 졸업 이상 276 1.45(1.35-1.55) 297 1.74(1.58-1.86) <0.001

p-value 0.038 0.669

흡연력

흡연 293 1.38(1.29-1.48) 20 1.78(1.48-2.14) 0.109

금연 216 1.35(1.23-1.48) 13 1.82(1.20-2.82) 0.044

비흡연 282 1.29(1.20-1.38) 921 1.74(1.66-1.86) <0.001

p-value 0.004 0.964

음주력

음주 622 1.38(1.29-1.45) 478 1.78(1.66-1.95) <0.001

금주 60 1.29(1.10-1.48) 85 1.78(1.51-2.09) 0.006

비음주 109 1.20(1.05-1.38) 391 1.70(1.58-1.82) 0.001

p-value 0.011 0.265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359 1.29(1.20-1.38) 374 1.74(1.62-1.86) <0.001

있음 432 1.38(1.29-1.45) 579 1.78(1.62-1.91) <0.001

p-value 0.996 0.110

표 3-14 성별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Page 8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48 -

3. 연령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가. 혈중 총 수은

연령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소득 수준의

경우 30세 미만과 60세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 소득이 증가할수록

혈중 총 수은의 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수준의 경우 40세

미만과 50~59세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혈중 총 수은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흡연력의 경우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체 연령에서 금연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흡연 군이 흡연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흡

연군과 음주군이 비흡연군과 비음주군보다 높은 혈중 총 수은 농도를 나타

내었다. 음주력에 있어서도 대체적으로 음주 군이 비음주 군에 비하여 높

은 농도를 보였다.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의 경우 30~39세 군에서만 경험이 있는 경

우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높게 관찰되었다(표 3-16).

나. 혈중 메틸수은

연령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소득 수준의

경우 50~59세에서만 소득이 증가할수록 혈중 총 수은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수준의 경우 혈중 총 수은과 마찬가지로 30

세 미만과 50~59세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혈중 메틸수은의 농도가 높은 것

으로 관찰되었다.

흡연의 경우 30~39세에서 흡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음주의 경우 50세

이상에서 음주군이 비음주군에 비해 높은 혈중 메틸수은 농도를 나타내었

다.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의 경우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유의한 경

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표 3-18).

Page 8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소득

수준

(만원)

~99 31 3.99±2.01 14 4.21±2.45 22 4.95±2.88 45 6.93±4.23 183 6.65±4.06 <0.001

100~199 95 4.36±2.05 106 5.18±2.61 60 5.35±2.87 85 5.77±2.85 70 5.90±3.49 0.002

200~299 82 4.27±2.61 124 6.01±5.37 82 6.87±4.31 76 7.73±4.10 37 7.58±5.79 <0.001

300~399 57 4.96±2.47 99 5.94±3.22 98 6.38±3.58 72 8.31±4.27 10 7.23±2.87 <0.001

400~ 92 4.40±2.56 103 5.94±3.06 115 6.83±4.29 85 9.25±5.37 15 6.42±2.84 <0.001

p-value 0.363 0.214 0.038 <0.001 0.349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9 6.46±3.24 6 12.43±21.27 18 5.56±2.25 141 6.34±3.23 226 6.61±4.47 0.029

고등학교 졸업 35 4.05±2.47 97 5.51±3.13 135 6.02±3.72 131 7.77±4.45 77 6.12±2.97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218 3.99±2.25 107 4.71±2.31 78 6.24±3.55 37 8.12±4.39 11 7.74±5.25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166 4.64±2.12 241 6.10±3.05 151 6.96±4.30 66 9.97±5.47 25 6.35±2.58 <0.001

p-value <0.001 <0.001 0.148 <0.001 0.602

흡연력

흡연 85 4.51±2.45 87 6.95±3.40 72 7.90±5.31 67 8.13±3.70 45 7.53±5.70 <0.001

금연 19 4.70±2.85 41 8.18±8.59 52 8.59±4.21 65 10.08±4.96 72 7.07±4.10 <0.001

비흡연 324 4.22±2.20 323 5.08±2.46 258 5.56±2.96 243 6.87±4.20 223 6.12±3.62 <0.001

p-value 0.420 <0.001 <0.001 <0.001 0.045

음주력

음주 333 4.31±2.28 315 6.09±4.09 250 7.12±4.26 208 8.58±4.72 144 7.21±4.31 <0.001

금주 32 4.40±2.09 43 4.46±2.86 26 4.70±2.26 21 6.09±2.99 43 6.94±4.73 0.002

비음주 63 4.17±2.41 93 5.08±2.70 106 5.18±2.65 146 6.55±3.80 153 5.73±3.51 <0.001

p-value 0.870 0.005 <0.001 <0.001 0.005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79 4.36±2.20 164 5.24±2.83 163 6.29±3.30 150 8.19±4.79 171 6.22±3.75 <0.001

있음 249 4.25±2.34 287 6.01±4.20 219 6.51±4.28 225 7.29±4.12 168 6.80±4.39 <0.001

p-value 0.623 0.021 0.575 0.062 0.191

표 3-15 연령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산술평균

- 4

9 -

Page 8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소득

수준

(만원)

~99 31 3.63(3.09-4.27) 14 3.63(2.69-5.01) 22 4.37(3.39-5.50) 45 5.89(5.01-7.08) 183 5.62(5.13-6.17) <0.001

100~199 95 3.98(3.63-4.37) 106 4.57(4.17-5.01) 60 4.79(4.27-5.37) 85 5.01(4.47-5.62) 70 5.01(4.37-5.75) 0.018

200~299 82 3.63(3.24-4.17) 124 5.01(4.57-5.50) 82 5.75(5.01-6.61) 76 6.61(5.75-7.59) 37 6.46(5.50-7.76) <0.001

300~399 57 4.37(3.80-5.01) 99 5.25(4.79-5.75) 98 5.50(4.90-6.17) 72 7.24(6.46-8.32) 10 6.46(4.37-9.55) <0.001

400~ 92 3.98(3.63-4.37) 103 4.68(3.47-6.31) 115 5.89(5.37-6.61) 85 7.94(7.08-8.91) 15 5.89(4.68-7.41) <0.001

p-value 0.241 0.027 0.024 <0.001 0.208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9 5.75(3.89-8.51) 6 5.25(1.38-20.42) 18 5.13(4.17-6.31) 141 5.50(5.01-6.03) 226 5.50(5.13-6.03) 0.989

고등학교 졸업 35 3.47(2.88-4.27) 97 4.79(4.37-5.37) 135 5.25(4.79-5.75) 131 6.61(6.03-7.24) 77 5.37(4.68-6.03)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218 3.55(3.31-3.80) 107 3.72(2.82-4.90) 78 5.37(4.68-6.03) 37 7.08(5.89-8.51) 11 6.31(3.89-10.00)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166 4.27(3.98-4.57) 241 5.37(5.13-5.75) 151 5.89(5.50-6.46) 66 8.91(7.76-10.00) 25 5.89(4.90-6.92) <0.001

p-value <0.001 0.002 0.189 <0.001 0.815

흡연력

흡연 85 3.98(3.55-4.47) 87 6.17(5.50-6.92) 72 6.76(5.89-7.59) 67 7.24(6.46-8.13) 45 6.17(5.01-7.41) <0.001

금연 19 4.07(3.24-5.25) 41 6.31(5.01-7.76) 52 7.59(6.61-8.71) 65 8.91(7.94-10.23) 72 5.89(5.13-6.92) <0.001

비흡연 324 3.80(3.63-3.98) 323 4.37(3.98-4.90) 258 4.90(4.57-5.25) 243 5.89(5.37-6.31) 223 5.25(4.90-5.62) <0.001

p-value 0.652 <0.001 <0.001 <0.001 0.159

음주력

음주 333 3.89(3.63-4.07) 315 5.13(4.57-5.62) 250 6.17(5.75-6.61) 208 7.41(6.92-7.94) 144 6.17(5.62-6.76) <0.001

금주 32 3.98(3.39-4.68) 43 3.89(3.31-4.57) 26 4.27(3.55-5.13) 21 5.25(3.98-6.92) 43 5.89(4.90-6.92) 0.001

비음주 63 3.63(3.16-4.17) 93 4.47(4.07-5.01) 106 4.57(4.17-5.01) 146 5.62(5.13-6.17) 153 4.90(4.47-5.37) <0.001

p-value 0.557 <0.001 <0.001 <0.001 0.002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79 3.89(3.63-4.17) 164 4.27(3.47-5.13) 163 5.50(5.13-6.03) 150 6.92(6.31-7.76) 171 5.25(4.79-5.75) <0.001

있음 249 3.80(3.55-3.98) 287 5.25(4.90-5.50) 219 5.50(5.13-5.89) 225 6.31(5.75-6.76) 168 5.75(5.25-6.31) <0.001

p-value 0.544 0.014 0.987 0.075 0.161

표 3-16 연령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 5

0 -

Page 8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소득

수준

(만원)

~99 4 2.33±1.20 3 4.38±2.30 10 3.30±1.73 69 5.04±3.60 0.223

100~199 16 3.40±1.89 10 4.72±2.17 8 4.21±2.66 24 4.49±2.36 25 5.45±3.30 0.193

200~299 10 2.42±1.00 19 4.40±2.57 15 3.73±1.76 19 6.09±4.24 10 9.53±9.66 0.005

300~399 10 3.90±2.49 15 4.97±2.05 13 5.58±3.93 20 7.04±4.07 1 9.24 0.115

400~ 11 3.60±2.06 17 4.73±2.06 19 4.73±1.91 27 6.88±3.42 4 7.24±3.41 0.003

p-value 0.358 0.908 0.441 0.009 0.042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 4.86 0 6 4.23±1.68 37 4.36±2.34 82 5.61±4.91 0.467

고등학교 졸업 5 2.37±1.35 9 4.02±1.41 17 4.50±3.35 34 5.92±3.64 28 5.08±3.09 0.124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31 3.00±1.91 12 4.22±1.92 17 5.26±2.60 13 7.18±5.19 0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23 3.89±1.87 40 4.97±2.40 20 4.16±1.99 18 7.20±3.54 7 5.54±3.54 <0.001

p-value <0.001 0.002 0.189 <0.001 0.815

흡연력

흡연 17 3.48±2.48 13 5.00±1.58 15 5.05±4.00 16 6.53±3.51 17 7.69±7.62 0.083

금연 2 1.65±0.10 9 6.29±3.16 10 4.90±1.54 20 6.72±4.43 20 5.92±4.70 0.439

비흡연 41 3.33±1.63 39 4.20±1.96 35 4.28±2.00 66 5.25±3.29 80 4.90±3.24 0.006

p-value 0.436 0.028 0.576 0.176 0.055

음주력

음주 48 3.18±1.79 41 4.90±2.42 41 5.07±2.80 53 6.80±3.80 47 7.07±5.53 <0.001

금주 7 4.43±2.48 7 4.05±1.10 3 3.38±1.81 4 2.85±2.16 14 4.34±2.36 0.731

비음주 5 3.10±1.85 13 4.35±1.90 16 3.53±1.57 45 4.74±3.04 56 4.42±3.34 0.558

p-value 0.255 0.540 0.088 0.004 0.006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0 3.30±2.04 22 4.92±2.15 34 4.74±2.85 37 5.76±3.55 61 4.89±3.65 0.101

있음 40 3.33±1.83 39 4.55±2.24 26 4.36±2.18 65 5.73±3.65 56 6.11±5.13 0.001

p-value 0.952 0.538 0.580 0.969 0.145

표 3-17 연령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산술평균

- 5

1 -

Page 8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소득

수준

(만원)

~99 4 2.14(0.95-4.68) 0 3 3.89(0.83-18.20) 10 2.82(1.74-4.47) 69 4.07(3.47-4.79) 0.141

100~199 16 2.95(2.24-3.98) 10 4.37(3.24-5.89) 8 3.47(2.04-6.03) 24 3.89(2.95-5.01) 25 4.37(3.16-6.03) 0.382

200~299 10 2.19(1.51-3.16) 19 3.89(3.02-4.90) 15 3.31(2.57-4.37) 19 4.68(3.09-6.92) 10 6.92(3.98-12.30) 0.003

300~399 10 3.31(2.19-5.01) 15 4.57(3.63-5.75) 13 4.57(3.16-6.76) 20 5.89(4.27-8.13) 1 9.33 0.120

400~ 11 3.16(2.29-4.47) 17 4.27(3.39-5.50) 19 4.27(3.31-5.50) 27 6.17(5.01-7.41) 4 6.61(2.82-15.49) 0.003

p-value 0.297 0.737 0.571 0.006 0.115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1 4.90 0 6 3.98(2.51-6.17) 37 3.63(2.88-4.57) 82 4.27(3.72-5.01) 0.636

고등학교 졸업 5 2.00(0.83-4.79) 9 3.80(2.88-5.01) 17 3.80(2.82-5.13) 34 4.79(3.72-6.17) 28 4.17(3.24-5.37) 0.083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31 2.57(2.14-3.16) 12 3.89(2.95-5.13) 17 4.57(3.39-6.17) 13 5.50(3.39-8.91) 0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23 3.55(2.95-4.27) 40 4.47(3.80-5.25) 20 3.63(2.82-4.68) 18 6.46(5.01-8.32) 7 3.98(1.51-10.72) 0.006

p-value 0.040 0.500 0.659 0.021 0.954

흡연력

흡연 17 2.75(1.86-3.98) 13 4.79(3.98-5.75) 15 3.98(2.69-5.75) 16 5.75(4.27-7.76) 17 5.89(4.07-8.51) 0.004

금연 2 1.66(0.95-2.82) 9 5.75(3.98-8.13) 10 4.68(3.72-5.89) 20 5.50(3.98-7.59) 20 4.47(3.09-6.46) 0.155

비흡연 41 3.02(2.63-3.47) 39 3.80(3.24-4.37) 35 3.80(3.09-4.57) 66 4.17(3.55-5.01) 80 3.89(3.39-4.57) 0.115

p-value 0.262 0.027 0.558 0.148 0.105

음주력

음주 48 2.75(2.34-3.24) 41 4.37(3.72-5.13) 41 4.37(3.63-5.25) 53 5.89(5.01-6.92) 47 5.75(4.68-6.92) <0.001

금주 7 3.98(2.45-6.31) 7 3.89(2.95-5.13) 3 3.09(0.89-10.72) 4 2.24(0.60-8.32) 14 3.80(2.75-5.25) 0.432

비음주 5 2.82(1.55-5.01) 13 3.98(3.16-5.13) 16 3.16(2.51-4.07) 45 3.72(3.02-4.68) 56 3.47(2.82-4.17) 0.764

p-value 0.260 0.771 0.121 <0.001 0.001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0 2.82(2.14-3.72) 22 4.47(3.55-5.50) 34 4.07(3.31-4.90) 37 5.01(4.17-6.03) 61 3.89(3.24-4.57) 0.017

있음 40 2.95(2.45-3.47) 39 4.17(3.55-4.79) 26 3.80(3.02-4.79) 65 4.47(3.72-5.37) 56 4.79(3.89-5.75) 0.005

p-value 0.813 0.581 0.676 0.409 0.116

표 3-18 연령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 5

2 -

Page 8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53 -

다. 모발 수은

연령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모발 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소득 수준의 경

우 50~59세에서 소득이 증가할수록 모발 수은의 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연령군에서도 대체적으로 소득 수준의 증가에 따라 수은 농

도 역시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할 수 있다.

교육 수준의 경우 40세 미만과 50~59세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수은의 농

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흡연의 경우 전체 연령에서 흡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음주의 경우에서

도 음주군이 비음주군에 비해 높은 수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표

3-20).

라. 요중 수은

연령에 따른 역학적 특성별 요중 수은 농도를 살펴보면 소득 수준의 경

우 40세 미만에서만 유의한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교육 수준의 경우 30세 미만, 40~49세와 60세 이상에서 유의한 경향성

이 관찰되었다.

흡연의 경우 비흡연군이 흡연군에 비해 수은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 음주

에 있어서는 특별한 경향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금주군이 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았고 음주군과 비음주군 간의 유사한 수은 농도가 나

타났다.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 30~39세 군에서만 경험이 있는 경우 혈중 총 수

은 농도가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표 3-22).

Page 8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소득

수준

(만원)

~99 14 0.93±0.48 8 1.04±0.66 12 0.98±0.42 27 1.73±1.29 122 1.61±1.10 0.028

100~199 56 1.11±0.75 52 1.37±0.64 36 1.41±0.82 55 1.55±0.97 48 1.51±0.99 0.065

200~299 44 0.86±0.37 76 1.70±1.36 47 1.66±1.04 50 1.97±1.07 28 1.98±1.67 <0.001

300~399 36 1.08±0.57 45 1.59±1.04 62 1.71±1.26 51 2.13±1.15 2 1.50±1.00 <0.001

400~ 53 1.08±0.59 67 1.76±2.12 70 1.66±1.08 54 2.44±1.73 9 1.70±0.69 <0.001

p-value 0.216 0.462 0.186 0.006 0.544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2 1.21±0.68 4 2.84±3.54 13 1.40±0.72 89 1.62±1.03 155 1.65±1.27 0.331

고등학교 졸업 17 0.93±0.43 50 1.44±1.09 75 1.40±0.90 86 2.15±1.33 54 1.56±0.85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129 0.95±0.64 55 1.54±2.19 49 1.72±1.03 27 1.88±1.15 5 1.29±0.60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93 1.11±0.49 143 1.64±1.04 94 1.74±1.24 44 2.52±1.69 14 1.62±0.82 <0.001

p-value 0.176 0.282 0.152 0.001 0.893

흡연력

흡연 49 1.06±0.56 65 1.81±1.21 45 1.96±1.19 45 2.20±1.18 28 2.06±1.58 <0.001

금연 12 0.93±0.40 26 1.95±1.53 34 2.13±1.03 48 2.63±1.27 45 1.90±1.06 <0.001

비흡연 180 1.00±0.59 161 1.46±1.49 152 1.38±0.98 153 1.74±1.31 155 1.45±1.04 <0.001

p-value 0.735 0.104 <0.001 <0.001 0.006

음주력

음주 192 1.03±0.59 187 1.69±1.60 151 1.84±1.18 138 2.32±1.41 97 1.91±1.23 <0.001

금주 17 1.08±0.53 20 1.28±0.84 18 1.00±0.44 11 1.62±0.90 30 1.35±0.83 0.180

비음주 32 0.85±0.52 45 1.37±0.66 62 1.21±0.67 97 1.58±1.09 101 1.42±1.08 0.002

p-value 0.232 0.237 <0.001 <0.001 0.004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01 0.96±0.45 93 1.44±0.94 103 1.61±1.04 101 2.03±1.38 116 1.53±1.09 <0.001

있음 140 1.05±0.65 159 1.69±1.65 128 1.60±1.11 145 1.98±1.28 111 1.71±1.20 <0.001

p-value 0.197 0.132 0.974 0.776 0.239

표 3-19 연령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산술평균

- 5

4 -

Page 8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소득

수준

(만원)

~99 14 0.83(0.65-1.10) 8 0.91(0.59-1.41) 12 0.91(0.69-1.17) 27 1.41(1.10-1.82) 122 1.32(1.17-1.48) 0.009

100~199 56 0.95(0.81-1.10) 52 1.26(1.10-1.41) 36 1.23(1.02-1.45) 55 1.29(1.10-1.55) 48 1.20(0.98-1.48) 0.039

200~299 44 0.78(0.68-0.89) 76 1.38(1.20-1.58) 47 1.41(1.17-1.66) 50 1.66(1.35-2.00) 28 1.51(1.15-2.04) <0.001

300~399 36 0.93(0.78-1.12) 45 1.32(1.10-1.58) 62 1.35(1.15-1.62) 51 1.78(1.51-2.14) 2 1.32(0.00-870.96) <0.001

400~ 53 0.95(0.83-1.10) 67 1.35(1.17-1.58) 70 1.38(1.20-1.58) 54 1.95(1.62-2.34) 9 1.58(1.15-2.19) <0.001

p-value 0.280 0.348 0.172 0.010 0.577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2 1.10(0.01-234.42) 4 1.66(0.28-10.23) 13 1.23(0.91-1.70) 89 1.35(1.15-1.55) 155 1.32(1.17-1.45) 0.939

고등학교 졸업 17 0.79(0.59-1.10) 50 1.20(1.05-1.41) 75 1.20(1.07-1.35) 86 1.78(1.51-2.04) 54 1.32(1.12-1.58)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129 0.81(0.74-0.89) 55 1.20(1.02-1.38) 49 1.41(1.17-1.70) 27 1.58(1.29-2.00) 5 1.12(0.48-2.63)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93 1.02(0.93-1.10) 143 1.41(1.29-1.55) 94 1.41(1.23-1.62) 44 2.14(1.74-2.57) 14 1.41(1.00-1.95) <0.001

p-value 0.008 0.173 0.326 0.001 0.928

흡연력

흡연 49 0.91(0.78-1.07) 65 1.55(1.38-1.78) 45 1.62(1.35-2.00) 45 1.95(1.66-2.24) 28 1.66(1.29-2.14) <0.001

금연 12 0.85(0.65-1.12) 26 1.62(1.26-2.04) 34 1.91(1.58-2.24) 48 2.34(2.00-2.69) 45 1.62(1.35-1.95) <0.001

비흡연 180 0.87(0.81-0.93) 161 1.20(1.10-1.32) 152 1.15(1.05-1.26) 153 1.38(1.23-1.55) 155 1.20(1.07-1.32) <0.001

p-value 0.817 <0.001 <0.001 <0.001 0.003

음주력

음주 192 0.91(0.83-0.98) 187 1.38(1.26-1.48) 151 1.51(1.38-1.70) 138 1.95(1.78-2.19) 97 1.58(1.38-1.78) <0.001

금주 17 0.95(0.71-1.26) 20 1.07(0.81-1.45) 18 0.91(0.71-1.15) 11 1.35(0.87-2.09) 30 1.15(0.91-1.41) 0.329

비음주 32 0.74(0.62-0.89) 45 1.23(1.07-1.41) 62 1.05(0.93-1.20) 97 1.29(1.12-1.48) 101 1.15(1.02-1.29) <0.001

p-value 0.100 0.143 <0.001 <0.001 0.001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01 0.85(0.78-0.93) 93 1.23(1.12-1.38) 103 1.32(1.17-1.51) 101 1.66(1.48-1.91) 116 1.20(1.07-1.38) <0.001

있음 140 0.89(0.81-0.98) 159 1.38(1.23-1.51) 128 1.32(1.20-1.48) 145 1.58(1.45-1.78) 111 1.41(1.29-1.58) <0.001

p-value 0.488 0.206 0.960 0.595 0.061

표 3-20 연령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 5

5 -

Page 9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소득

수준

(만원)

~99 22 1.41±0.97 10 1.97±1.78 20 2.08±1.42 41 3.27±6.88 164 1.92±1.42 0.028

100~199 83 2.13±2.84 87 2.48±2.23 59 1.96±1.52 74 1.99±1.73 62 2.46±6.49 0.331

200~299 64 1.72±1.54 115 1.79±1.23 73 2.04±1.19 64 2.22±2.35 34 2.14±3.57 0.381

300~399 45 1.94±1.60 95 1.83±1.05 88 2.09±3.77 65 2.25±3.52 9 2.12±1.15 <0.001

400~ 75 1.62±1.31 95 2.34±3.05 104 1.97±1.32 79 3.43±8.50 14 1.45±0.94 <0.001

p-value 0.216 0.462 0.433 0.006 0.583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7 2.51±3.53 5 2.06±2.36 18 1.69±1.22 126 2.62±4.50 202 2.11±3.75 0.779

고등학교 졸업 32 1.59±1.53 87 1.99±1.36 125 2.24±3.27 117 2.23±3.18 74 1.86±2.61 0.654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172 1.62±2.08 94 2.31±3.12 71 2.02±1.34 32 4.39±12.74 9 1.73±0.99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138 1.90±1.35 221 2.01±1.58 134 1.85±1.23 60 2.17±1.68 20 1.42±0.74 <0.001

p-value 0.352 0.658 0.491 0.190 0.799

흡연력

흡연 67 1.42±0.84 81 1.59±0.90 68 1.61±1.00 58 2.88±6.05 39 1.68±0.86 <0.001

금연 17 1.11±0.68 35 1.79±1.14 49 1.60±1.10 63 1.85±1.52 65 1.62±1.10 <0.001

비흡연 265 1.87±2.02 291 2.25±2.28 231 2.23±2.59 214 2.70±5.63 202 2.19±4.02 0.421

p-value 0.735 0.104 0.860 <0.001 0.967

음주력

음주 271 1.75±1.93 282 2.12±2.26 232 1.96±1.28 184 2.11±1.98 131 2.00±2.27 0.275

금주 27 1.56±1.18 38 2.02±1.20 23 3.35±7.06 19 2.58±2.79 38 1.56±0.82 0.180

비음주 51 1.83±1.41 87 1.96±1.36 93 1.83±1.37 132 3.21±7.85 137 2.13±4.43 0.583

p-value 0.232 0.237 0.669 <0.001 0.701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50 1.73±1.52 146 1.75±1.24 144 2.11±1.58 141 2.39±6.20 152 2.13±4.49 0.443

있음 199 1.76±2.01 261 2.26±2.32 204 1.95±2.56 194 2.71±4.34 153 1.87±1.46 <0.001

p-value 0.197 0.132 0.319 0.776 0.413

표 3-21 연령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산술평균

- 5

6 -

Page 9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특성

연령(세)

p-value20~29 30~39 40~49 50~59 6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소득

수준

(만원)

~99 22 1.20(0.95-1.51) 10 1.32(0.60-2.88) 20 1.66(1.20-2.29) 41 1.91(1.48-2.51) 164 1.58(1.45-1.74) 0.009

100~199 83 1.62(1.41-1.86) 87 1.91(1.66-2.24) 59 1.51(1.23-1.86) 74 1.55(1.32-1.82) 62 1.41(1.15-1.74) 0.048

200~299 64 1.26(1.02-1.55) 115 1.48(1.32-1.66) 73 1.66(1.41-2.00) 64 1.74(1.48-2.04) 34 1.45(1.10-1.86) <0.001

300~399 45 1.55(1.29-1.86) 95 1.35(1.00-1.82) 88 1.51(1.32-1.74) 65 1.66(1.38-1.95) 9 1.82(1.10-2.95) <0.001

400~ 75 1.29(1.12-1.51) 95 1.82(1.58-2.04) 104 1.62(1.45-1.82) 79 1.95(1.62-2.34) 14 1.10(0.66-1.82) <0.001

p-value 0.280 0.348 0.141 0.010 0.853

학력

중학교 졸업 이하 7 1.55(0.66-3.63) 5 1.10(0.17-6.76) 18 1.17(0.69-2.00) 126 1.74(1.51-2.00) 202 1.58(1.48-1.74) 0.220

고등학교 졸업 32 1.20(0.91-1.58) 87 1.38(1.00-1.95) 125 1.66(1.45-1.86) 117 1.62(1.41-1.82) 74 1.32(1.10-1.58) <0.001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172 1.23(1.10-1.35) 94 1.78(1.55-2.00) 71 1.70(1.45-2.00) 32 2.09(1.58-2.82) 9 1.48(0.93-2.34) <0.001

대학교 졸업 이상 138 1.51(1.35-1.74) 221 1.62(1.51-1.78) 134 1.55(1.38-1.70) 60 1.82(1.58-2.14) 20 1.17(0.83-1.62) <0.001

p-value 0.054 0.241 0.183 0.294 0.062

흡연력

흡연 67 1.20(1.05-1.41) 81 1.35(1.17-1.55) 68 1.38(1.20-1.58) 58 1.74(1.41-2.14) 39 1.48(1.23-1.78) <0.001

금연 17 0.93(0.68-1.32) 35 1.51(1.23-1.86) 49 1.26(1.00-1.58) 63 1.58(1.38-1.78) 65 1.32(1.12-1.55) <0.001

비흡연 265 1.41(1.29-1.55) 291 1.70(1.51-1.91) 231 1.74(1.58-1.91) 214 1.78(1.62-2.00) 202 1.55(1.41-1.74) <0.001

p-value 0.817 <0.001 <0.001 <0.001 0.019

음주력

음주 271 1.32(1.23-1.45) 282 1.58(1.41-1.82) 232 1.58(1.45-1.74) 184 1.70(1.58-1.86) 131 1.55(1.35-1.74) <0.001

금주 27 1.23(0.93-1.66) 38 1.66(1.32-2.09) 23 1.86(1.29-2.69) 19 1.95(1.38-2.69) 38 1.35(1.12-1.62) 0.329

비음주 51 1.45(1.17-1.78) 87 1.58(1.38-1.82) 93 1.51(1.32-1.70) 132 1.74(1.51-2.04) 137 1.51(1.32-1.70) <0.001

p-value 0.100 0.143 <0.001 <0.001 0.011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50 1.35(1.20-1.51) 146 1.41(1.26-1.58) 144 1.66(1.45-1.86) 141 1.62(1.48-1.82) 152 1.48(1.32-1.66) <0.001

있음 199 1.32(1.20-1.48) 261 1.74(1.51-1.95) 204 1.55(1.41-1.70) 194 1.82(1.62-2.04) 153 1.51(1.35-1.66) <0.001

p-value 0.488 0.206 0.542 0.595 0.194

표 3-22 연령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 5

7 -

Page 9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58 -

제3절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노출 지표 비교

1.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은 해안에서 떨어진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

였으며, 해안지역에는 부산 전체와 울산 전체 지역, 경남의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마산시, 사천시, 진해시, 창원시 통영시가 포함이 되었으며 내륙지

역에는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진주시,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이

포함되었다.

해안지역은 총 1,492명(남자 671명, 여자 821명)이었으며 내륙지역은 총

527명(남자 239명, 여자 288명)으로 해안지역 대상자가 많았다.

그림 3-2 표본추출지역의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구분

Page 9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59 -

2.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비교

해안지역의 혈중 총 수은농도 기하평균(95%신뢰구간)은 5.40(5.22-5.59)

㎍/ℓ로 내륙지역의 4.41(4.20-4.64) ㎍/ℓ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3-23).

이러한 경향은 혈중 메틸수은 및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해안

지역의 기하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중 수은의 경우 해안지역이 1.56(1.50-1.63) ㎍/g cr로 내륙지역의

1.49(1.39-1.59) ㎍/g cr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 륙 해 안

p-value*

n평균±

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평균±

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524 5.24±3.76 4.41(4.20-4.64) 1,477 6.35±3.89 5.40(5.22-5.59) <0.001

혈중 메틸수은

(㎍/ℓ)101 4.25±2.64 3.52(3.10-3.99) 299 5.20±3.66 4.26(3.96-4.58) 0.010

모발 수은

(㎍/g)319 1.42±1.29 1.15(1.08-1.23) 879 1.62±1.16 1.32(1.26-1.37) 0.001

요중 수은

(㎍/g cr)458 2.09±4.47 1.49(1.39-1.59) 1,310 2.07±2.46 1.56(1.50-1.63) 0.220

*: 기하평균 간의 비교

표 3-23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노출 지표 비교

Page 9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0 -

제4절 수은 노출 위험 지역 분석

1. 수은 노출 지표가 높은 지역

혈중 총 수은의 경우 31개 조사구 중 경남 통영시의 기하평균(95%신뢰

구간)이 7.91(7.02-8.91) ㎍/ℓ로 타 지역 및 전체 평균에 비하여 높은 수준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남 남해군, 부산 영도구, 경남 사천시, 경남 거제

시가 상위 조사구에 해당하였으며 모두 해안지역이었다.

내륙지역 중 가장 높은 혈중 총 수은 농도를 보이는 지역은 경남 양산시

로 기하평균(95%신뢰구간)이 5.29(4.57-6.12) ㎍/ℓ로 해안지역의 상위농도

지역에 비해 비교적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표 3-24).

혈중 수은이 높은 지역들은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도 같이 높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표 3-25, 3-26), 경남 통영시, 부산 영도구, 경

남 남해군, 부산 사하구, 부산 서구, 경남 사천 등 해안지역이 상위 조사구

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요중 수은의 경우에는 부산 동구의 기하평균(95%신뢰구간)이

2.64(2.22-3.15) ㎍/g cr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산 기장군, 경남 남해

군, 경남 고성군 등이 상위 조사구에 해당하여 타 노출 지표와는 다른 양

상을 보였다(표 3-27).

전반적으로 혈중 총 수은, 혈중 메틸수은, 모발 수은 및 요중 수은의 노

출수준이 높은 지역들은 대부분 해안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그림 3-3 ∼ 그림 3-10).

Page 9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1 -

평균순위* 조사구

대상자

수평균±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구분

1 경남 통영 52 8.64±3.77 7.91(7.02-8.91) 해안

2 경남 남해 62 7.44±3.32 6.78(6.08-7.57) 해안

3 부산 영도구 69 7.34±4.37 6.26(5.45-7.19) 해안

4 경남 사천 64 6.67±3.10 6.11(5.52-6.77) 해안

5 경남 거제 63 6.71±3.00 6.10(5.46-6.82) 해안

6 부산 사하구 66 6.99±3.89 5.98(5.18-6.89) 해안

7 부산 수영구 72 6.97±4.42 5.79(5.00-6.70) 해안

8 경남 마산 78 6.40±3.39 5.74(5.19-6.36) 해안

9 부산 해운대구 63 6.25±3.73 5.44(4.76-6.21) 해안

10 울산 남구 70 6.28±3.95 5.39(4.74-6.13) 해안

11 부산 서구 63 8.30±6.56 5.37(3.25-8.86) 해안

12 경남 양산 67 6.23±3.50 5.29(4.57-6.12) 내륙

13 경남 고성 57 6.18±3.31 5.21(4.39-6.18) 해안

14 울산 울주군 132 6.14±4.46 5.15(4.66-5.68) 해안

15 울산 중구 64 5.80±3.38 5.11(4.53-5.77) 해안

16 울산 북구 60 5.84±3.89 5.04(4.41-5.76) 해안

17 경남 창원 61 5.46±2.36 5.03(4.54-5.57) 해안

18 부산 기장군 58 6.00±4.11 4.93(4.17-5.82) 해안

19 경남 하동 64 5.85±4.16 4.85(4.18-5.63) 내륙

20 부산 남구 66 5.68±3.47 4.81(4.17-5.55) 해안

21 경남 진주 69 6.00±6.64 4.76(4.10-5.53) 내륙

22 경남 진해 66 5.40±3.06 4.73(4.18-5.35) 해안

23 울산 동구 65 5.11±2.63 4.56(4.06-5.13) 해안

24 부산 동구 60 5.66±4.04 4.56(3.84-5.43) 해안

25 경남 밀양 65 5.00±2.65 4.41(3.89-5.00) 내륙

26 부산 북구 66 4.99±2.80 4.38(3.86-4.95) 해안

27 경남 함안 61 4.67±2.15 4.17(3.66-4.74) 내륙

28 경남 합천 59 4.86±2.79 4.16(3.58-4.83) 내륙

29 경남 김해 81 4.78±2.62 4.15(3.68-4.68) 내륙

30 경남 함양 58 4.42±3.11 3.63(3.07-4.30) 내륙* : 기하평균 기준

표 3-24 31개 조사구별 혈중 총 수은 농도(㎍/ℓ)

Page 9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2 -

평균순위* 조사구

대상자

수평균±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구분

1 경남 통영 12 7.33±3.56 6.50(4.64-9.11) 해안

2 부산 영도구 14 7.06±4.02 5.98(4.18-8.55) 해안

3 경남 남해 12 6.70±3.92 5.86(4.19-8.21) 해안

4 부산 사하구 14 6.20±2.65 5.73(4.51-7.29) 해안

5 부산 서구 14 7.52±8.31 5.61(3.74-8.43) 해안

6 경남 거제 14 5.77±2.50 5.23(3.95-6.92) 해안

7 경남 양산 12 6.19±4.34 4.85(3.02-7.80) 내륙

8 경남 진해 14 5.45±2.87 4.81(3.57-6.48) 해안

9 부산 북구 14 5.30±2.89 4.57(3.27-6.40) 해안

10 울산 중구 14 5.37±4.56 4.31(2.97-6.27) 해안

11 경남 진주 12 5.01±2.57 4.23(2.77-6.46) 내륙

12 경남 밀양 12 4.65±2.38 4.11(2.96-5.73) 내륙

13 부산 수영구 14 5.14±4.35 4.07(2.77-5.98) 해안

14 경남 사천 13 4.38±1.68 4.05(3.10-5.29) 해안

15 경남 마산 14 5.05±3.19 4.04(2.64-6.19) 해안

16 울산 북구 14 5.03±4.19 3.91(2.57-5.95) 해안

17 경남 창원 12 4.48±2.23 3.89(2.65-5.71) 해안

18 울산 남구 14 4.43±2.30 3.86(2.80-5.34) 해안

19 울산 동구 14 4.50±2.76 3.80(2.69-5.38) 해안

20 경남 함안 12 4.21±2.08 3.77(2.77-5.14) 내륙

21 부산 남구 14 4.33±3.81 3.50(2.46-5.00) 해안

22 경남 고성 12 4.40±2.93 3.43(2.08-5.66) 해안

23 부산 해운대구 14 4.06±2.42 3.39(2.32-4.95) 해안

24 경남 함양 12 3.85±1.99 3.37(2.37-4.80) 내륙

25 부산 동구 14 3.76±1.95 3.31(2.44-4.49) 해안

26 부산 기장군 14 4.25±3.97 3.20(2.05-4.99) 해안

27 울산 울주군 14 4.20±2.75 3.17(1.89-5.31) 해안

28 경남 하동 14 3.72±2.27 3.10(2.13-4.52) 내륙

29 경남 김해 14 3.53±2.29 2.93(2.04-4.23) 내륙

30 경남 합천 13 3.17±1.93 2.59(1.70-3.95) 내륙* : 기하평균 기준

표 3-25 31개 조사구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

Page 9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3 -

평균순위* 조사구

대상자

수평균±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구분

1 경남 통영 40 2.24±1.40 1.86(1.52-2.29) 해안

2 부산 서구 40 2.36±2.02 1.80(1.42-2.28) 해안

3 부산 영도구 40 2.02±1.32 1.68(1.38-2.04) 해안

4 경남 남해 40 1.76±0.94 1.55(1.31-1.83) 해안

5 경남 양산 40 1.90±1.31 1.53(1.23-1.91) 내륙

6 경남 사천 40 1.73±0.94 1.51(1.27-1.79) 해안

7 울산 남구 40 1.69±0.95 1.45(1.20-1.75) 해안

8 경남 거제 40 1.69±1.07 1.43(1.19-1.72) 해안

9 울산 울주군 40 1.82±1.37 1.43(1.14-1.81) 해안

10 부산 사하구 40 1.73±1.16 1.37(1.08-1.73) 해안

11 경남 창원 40 1.55±1.12 1.32(1.11-1.57) 해안

12 경남 진해 40 1.66±1.30 1.32(1.07-1.62) 해안

13 경남 진주 40 1.59±1.31 1.29(1.06-1.58) 내륙

14 울산 북구 40 1.61±1.19 1.27(1.01-1.59) 해안

15 경남 고성 40 1.62±1.32 1.22(0.95-1.58) 해안

16 경남 마산 40 1.46±1.02 1.21(0.99-1.47) 해안

17 울산 동구 40 1.43±0.94 1.20(0.99-1.45) 해안

18 부산 기장군 40 1.43±0.96 1.20(0.98-1.46) 해안

19 부산 수영구 40 1.48±1.14 1.15(0.92-1.44) 해안

20 부산 해운대구 40 1.29±0.66 1.14(0.97-1.34) 해안

21 경남 합천 40 1.37±0.85 1.14(0.94-1.40) 내륙

22 울산 중구 40 1.42±1.12 1.12(0.90-1.40) 해안

23 경남 김해 40 1.31±0.85 1.11(0.93-1.33) 내륙

24 경남 하동 40 1.61±2.61 1.11(0.88-1.39) 내륙

25 경남 함안 40 1.18±0.53 1.10(0.97-1.24) 내륙

26 부산 동구 40 1.24±0.60 1.09(0.92-1.29) 해안

27 경남 밀양 39 1.23±0.67 1.07(0.90-1.27) 내륙

28 부산 남구 39 1.24±0.73 1.04(0.85-1.28) 해안

29 부산 북구 40 1.18±0.65 1.03(0.86-1.22) 해안

30 경남 함양 40 1.13±0.76 0.96(0.81-1.15) 내륙* : 기하평균 기준

표 3-26 31개 조사구별 모발 수은 농도(㎍/g)

Page 9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4 -

평균순위* 조사구

대상자

수평균±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구분

1 부산 동구 58 3.28±2.27 2.64(2.22-3.15) 해안

2 부산 기장군 50 2.60±1.41 2.30(2.00-2.64) 해안

3 경남 남해 56 2.49±1.21 2.21(1.93-2.54) 해안

4 경남 고성 50 3.19±6.11 2.11(1.70-2.61) 해안

5 울산 북구 49 2.40±1.57 1.98(1.64-2.39) 해안

6 경남 통영 45 2.19±1.53 1.89(1.63-2.20) 해안

7 경남 하동 60 3.82±10.02 1.84(1.44-2.36) 내륙

8 경남 사천 58 2.15±1.43 1.83(1.58-2.11) 해안

9 부산 영도구 59 2.04±1.54 1.77(1.56-2.01) 해안

10 부산 사하구 54 1.97±0.91 1.77(1.54-2.02) 해안

11 경남 합천 52 2.02±1.27 1.74(1.49-2.02) 내륙

12 울산 남구 63 2.22±2.25 1.71(1.44-2.04) 해안

13 경남 거제 55 2.11±2.29 1.69(1.43-1.98) 해안

14 경남 김해 73 1.93±1.43 1.64(1.44-1.86) 내륙

15 부산 남구 55 2.29±2.61 1.61(1.31-2.00) 해안

16 경남 함양 42 1.78±1.08 1.54(1.31-1.82) 내륙

17 부산 해운대구 56 2.11±1.63 1.51(1.19-1.92) 해안

18 부산 수영구 62 2.04±3.61 1.46(1.24-1.72) 해안

19 경남 함안 54 1.61±0.89 1.44(1.27-1.64) 내륙

20 경남 양산 60 1.64±0.86 1.41(1.21-1.64) 내륙

21 경남 진주 58 1.56±0.79 1.39(1.22-1.58) 내륙

22 울산 동구 54 1.55±0.79 1.38(1.21-1.58) 해안

23 경남 마산 74 1.68±1.56 1.38(1.20-1.58) 해안

24 부산 북구 61 1.51±0.71 1.36(1.20-1.53) 해안

25 울산 울주군 121 1.55±0.97 1.28(1.15-1.44) 해안

26 경남 진해 59 2.27±4.36 1.25(0.99-1.58) 해안

27 울산 중구 61 1.38±0.73 1.22(1.08-1.38) 해안

28 부산 서구 52 2.34±4.91 1.15(0.67-1.99) 해안

29 경남 밀양 59 2.27±6.66 1.05(0.77-1.42) 내륙

30 경남 창원 58 1.13±1.40 0.76(0.59-0.97) 해안* : 기하평균 기준

표 3-27 31개 조사구별 요중 수은 농도(㎍/g cr)

Page 9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5 -

그림 3-3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기준

그림 3-4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기준

Page 10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6 -

그림 3-5 지역별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기준

그림 3-6 지역별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기준

Page 10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7 -

그림 3-7 해안 내륙지역별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기준

그림 3-8 해안 내륙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기준

Page 10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8 -

그림 3-9 해안 내륙지역별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기준

그림 3-10 해안 내륙지역별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기준

Page 10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69 -

2. 생체시료별 수은 노출 기준 초과자

혈중 총 수은 노출 기준 초과자 산출은 HBM-I(5.00 ㎍/ℓ), HBM-II(15

㎍/ℓ)와 미 EPA의 일반인 권고기준(5.80 ㎍/ℓ)를 적용하였으며, 요중 수

은은 HBM-I(5.00 ㎍/g cr), HBM-II(20.00 ㎍/g cr)를 적용하였다.

모발 수은의 경우에는 FAO/WHO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가 위원회(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에서 제시하고

있는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인 5.00 ㎍/g을 적용하였다.

혈중 메틸수은의 경우 초과자 비율 산출에는 NCR(National Research

Council, 0.7 ㎍/㎏ body weight), Health Canada(1.4 ㎍/㎏ body weight),

JECFA(가임여성 1.6 ㎍/㎏ body weight, 성인남성 3.2 ㎍/㎏ body

weight), 일본(2.0 ㎍/㎏ body weight)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PTWIs)을 적용하였으며, 동시에 실제 혈중 메틸

수은에 있어 일정 수준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대상자의 비율을 비교하고 지

도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임의로 5.00 ㎍/g 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그

기준초과자를 산출하였다.

혈중 수은의 경우 HBM-I 대한 기준초과자 비율이 높은 지역은 경남 통

영, 경남 남해, 경남 사천 등의 순이었으며, HBM-II에 대한 기준초과자 비

율이 높은 지역은 부산 서구, 경남 통영, 부산 사하구 순이었다.

요중 수은의 경우는 HBM-I 대한 기준초과자 비율이 높은 지역은 부산

동구, 경남 하동, 부산 남구 등의 순이었으며, 요중 수은 HBM-II 및 모발

수은의 기준 초과자 비율에서는 지역별로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표 3-28

∼ 표 3-31).

Page 10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0 -

지역전체

대상자

혈중 총 수은 기준(㎍/ℓ)

≥5.0 ≥5.8 ≥15.0

전체 2,001 1,045(52.2) 839(41.9) 57(2.8)

부산

기장군 58 28(48.3) 22(37.9) 2(3.4)

남구 66 31(47.0) 26(39.4) 1(1.5)

동구 60 25(41.7) 22(36.7) 2(3.3)

북구 66 24(36.4) 19(28.8) 1(1.5)

사하구 66 37(56.1) 36(54.5) 4(6.1)

서구 63 40(63.5) 36(57.1) 7(11.1)

수영구 72 46(63.9) 36(50.0) 4(5.6)

영도구 69 44(63.8) 41(59.4) 4(5.8)

해운대구 63 37(58.7) 31(49.2) 1(1.6)

소계 583 312(53.5) 269(46.1) 26(4.5)

울산

남구 70 42(60.0) 32(45.7) 1(1.4)

동구 65 26(40.0) 17(26.2) 2(3.1)

북구 60 29(48.3) 22(36.7) 1(1.7)

울주군 132 71(53.8) 53(40.2) 6(4.5)

중구 64 31(48.4) 25(39.1) 1(1.6)

소계 391 199(50.9) 149(38.1) 13(3.3)

경남

거제 63 43(68.3) 32(50.8)

고성 57 33(57.9) 29(50.9) 1(1.8)

김해 81 32(39.5) 24(29.6)

남해 62 46(74.2) 42(67.7) 2(3.2)

마산 78 48(61.5) 37(47.4) 3(3.8)

밀양 65 26(40.0) 16(24.6)

사천 64 43(67.2) 35(54.7) 1(1.6)

양산 67 37(55.2) 30(44.8) 1(1.5)

진주 69 34(49.3) 25(36.2) 1(1.4)

진해 66 24(36.4) 20(30.3) 1(1.5)

창원 61 27(44.3) 21(34.4)

통영 52 46(88.5) 43(82.7) 4(7.7)

하동 64 27(42.2) 22(34.4) 2(3.1)

함안 61 25(41.0) 15(24.6)

함양 58 17(29.3) 10(17.2) 2(3.4)

합천 59 26(44.1) 20(33.9)

소계 1,027 534(52.0) 421(41.0) 18(1.8)

표 3-28 지역별 혈중 총 수은 기준 초과자 단위: 명(%)

Page 10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1 -

지역전체

대상자

잠정주간섭취허용량 PTWIs(㎍/㎏ body weight)

≥0.7 ≥1.4 ≥2.0

전체 1,888 103(5.5) 35(1.9) 19(1.0)

부산

기장군 55 3(5.5)

남구 63 2(3.2) 1(1.6)

동구 43 3(7.0) 2(4.7) 1(2.3)

북구 67 2(3.0) 1(1.5) 1(1.5)

사하구 66 2(3.0) 1(1.5) 1(1.5)

서구 63 4(6.3)

수영구 69 9(13.0) 5(7.2) 3(4.3)

영도구 69 1(1.4)

해운대구 0*

소계 495 26(5.3) 9(1.8) 5(1.0)

울산

남구 68 2(2.9) 1(1.5)

동구 65 3(4.6) 2(3.1) 1(1.5)

북구 61 2(3.3) 1(1.6) 1(1.6)

울주군 130 10(7.7) 3(2.3) 3(2.3)

중구 63 6(9.5) 1(1.6) 1(1.6)

소계 387 26(6.7) 9(2.3) 7(1.8)

경남

거제 63 1(1.6)

고성 57 5(8.8) 2(3.5)

김해 77 4(5.2)

남해 64 4(6.3)

마산 67 6(9.0) 3(4.5) 2(3.0)

밀양 63 5(7.9) 1(1.6) 1(1.6)

사천 64 1(1.6)

양산 66 3(4.5) 1(1.5) 1(1.5)

진주 69 3(4.3) 2(2.9)

진해 65 5(7.7) 3(4.6) 1(1.5)

창원 60 5(8.3) 2(3.3)

통영 50 1(2.0)

하동 63 2(3.2) 2(3.2) 1(1.6)

함안 60 1(1.7)

함양 58 2(3.4)

합천 60 3(5.0) 1(1.7) 1(1.7)

소계 1,006 51(5.1) 17(1.7) 7(0.7)* : 부산 해운대구의 경우 대상자의 몸무게가 측정되지 않아 잠정주간섭취허용량 PTWIs 산출 불가

표 3-29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기준 초과자 단위: 명(%)

Page 10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2 -

표 3-29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기준 초과자(계속) 단위: 명(%)

지역

PTWIs 혈중 메틸수은 기준(㎍/ℓ)

가임여성

대상자≥1.6

성인남성

대상자≥3.2

전체

대상자≥5.0

전체 699 10(1.4) 848 6(0.7) 400 158(39.5)

기장군 25 18 14 4(28.6)

남구 21 30 14 3(21.4)

동구 15 2(13.3) 20 14 3(21.4)

북구 24 2(8.3) 29 14 6(42.9)

사하구 24 30 14 10(71.4)

서구 24 27 14 8(57.1)

수영구 26 2(7.7) 31 14 5(35.7)

영도구 25 32 14 8(57.1)

해운대구 0* 0 14 4(28.6)

소계 184 4(2.2) 217 3(1.4) 126 51(40.5)

남구 25 30 14 5(35.7)

동구 25 2(8.0) 28 14 5(35.7)

북구 24 2(8.3) 27 14 5(35.7)

울주군 47 1(2.1) 58 2(3.4) 14 3(21.4)

중구 22 29 1(3.4) 14 6(42.9)

소계 143 3(2.1) 172 3(1.7) 70 24(34.3)

거제 22 30 14 9(64.3)

고성 17 28 12 5(41.7)

김해 29 32 14 3(21.4)

남해 26 29 12 7(58.3)

마산 23 34 1(2.9) 14 7(50.0)

밀양 23 27 12 3(25.0)

사천 27 28 13 4(30.8)

양산 27 29 1(3.4) 12 6(50.0)

진주 24 33 12 6(50.0)

진해 27 1(3.7) 29 1(3.4) 14 7(50.0)

창원 20 28 12 4(33.3)

통영 21 21 12 8(66.7)

하동 22 2(9.1) 28 14 3(21.4)

함안 18 28 12 3(25.0)

함양 24 24 12 4(33.3)

합천 22 31 13 4(30.8)

소계 372 3(0.8) 459 204 83(40.7)* : 부산 해운대구의 경우 대상자의 몸무게가 측정되지 않아 잠정주간섭취허용량 PTWIs 산출 불가

Page 10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3 -

지역전체

대상자

모발 수은(㎍/g)

≥5.0

전체 1,198 22(1.8)

부산

기장군 40

남구 39

동구 40

북구 40 1(2.5)

사하구 40

서구 40 3(7.5)

수영구 40 1(2.5)

영도구 40 1(2.5)

해운대구 40

소계 359 5(1.4)

울산

남구 40

동구 40

북구 40 1(2.5)

울주군 40 1(2.5)

중구 40 1(2.5)

소계 200 3(1.5)

경남

거제 40 1(2.5)

고성 40 1(2.5)

김해 40

남해 40 1(2.5)

마산 40 1(2.5)

밀양 39

사천 40

양산 40 2(5.0)

진주 40 1(2.5)

진해 40 2(5.0)

창원 40 1(2.5)

통영 40 3(7.5)

하동 40 1(2.5)

함안 40

함양 40

합천 40

소계 639 14(2.2)

표 3-30 지역별 모발 수은 기준 초과자 단위: 명(%)

Page 10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4 -

지역전체

대상자

요중 수은(㎍/g cr)

≥5.0 ≥20.0

전체 1,768 59(3.3) 8(0.5)

부산

기장군 50 3(6.0)

남구 55 3(5.5)

동구 58 11(19.0)

북구 61 3(4.9)

사하구 54

서구 52 3(5.8) 1(1.9)

수영구 62 1(1.6) 1(1.6)

영도구 59 1(1.7)

해운대구 56 3(5.4)

소계 507 25(4.9) 2(0.4)

울산

남구 63 3(4.8)

동구 54 11(20.4)

북구 49 3(6.1)

울주군 121 1(0.8)

중구 61

소계 348 7(2.0)

경남

거제 55 1(1.8)

고성 50 2(4.0) 1(2.0)

김해 73 1(1.4)

남해 56 2(3.6)

마산 74 1(1.4)

밀양 59 1(1.7) 1(1.7)

사천 58 3(5.2)

양산 60

진주 58

진해 59 5(8.5) 2(3.4)

창원 58 1(1.7)

통영 45 1(2.2)

하동 60 5(8.3) 2(3.3)

함안 54 1(1.9)

함양 42 1(2.4)

합천 52 2(3.8)

소계 913 27(3.0) 6(0.7)

표 3-31 지역별 요중 수은 기준 초과자 단위: 명(%)

Page 10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5 -

그림 3-11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그림 3-12 지역별 혈중 메틸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Page 11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6 -

그림 3-13 지역별 모발 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그림 3-14 지역별 요중수은 농도 기준 초과자

Page 11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7 -

3. 해안 및 내륙지역 수은 농도 기준초과자 비교

혈중 총 수은 농도의 HBM-II 초과자는 해안지역이 3.5%로 내륙지역의

1.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표 3-32).

혈중 메틸수은, 모발 수은, 요중 수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으나 해안지역의 기준치 초과자 비율이 내륙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해

안지역이 내륙지역에 비해 기준치 초과자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기준내륙 해안

p-value대상자 초과자 대상자 초과자

혈중 총

수은

(㎍/ℓ)

≥5.0

524

224(42.7)

1,477

821(55.6) <0.001

≥5.8 162(30.9) 677(45.8) <0.001

≥15.0 6(1.1) 51(3.5) 0.006

혈중

메틸수은

(㎍/ℓ)

잠정주

간섭취

허용량†

(PTWIs)

≥0.7

516

23(4.5)

1,372

80(5.8) 0.242

≥1.4 509(98.6) 1,344(98.0) 0.326

≥2.0 4(0.8) 15(1.1) 0.537

≥1.6 166 1(0.6) 477 8(1.7) 0.310

≥3.2 232 1(0.4) 616 5(0.8) 0.556

≥5.0* 101 32(31.7) 299 126(42.1) 0.063

모발

수은(㎍/g)≥5.0 319 4(1.3) 879 18(2.1) 0.366

요중 수은

(㎍/g cr)

≥5.0458

11(2.4)1,310

48(3.7) 0.195

≥20.0 3(0.7) 5(0.4) 0.434†: 단위-㎍/㎏ body weight * : 본 연구에서의 혈중 메틸수은 임의 기준

혈중 총 수은(㎍/ℓ)

≥5.0 : HBM -I

≥5.8 : EPA

≥15.0 : HBM-II

잠정주간섭취허용량

≥0.7 : NCR

≥1.4 : Canada Health

≥1.6 : JECFA 가임여성

≥2.0 : 일본

≥3.2 : JECFA 성인남성

모발 수은(㎍/g)

≥5.0 : JECFA

요중 수은(㎍/g cr)

≥5.0 : HBM -I

≥20.0 : HBM-II

표 3-32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수은 기준초과자 비교 단위: 명(%)

Page 11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8 -

제5절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은의 비교

1.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은 간 상관관계

조사대상자의 혈중 총 수은 농도와 혈중 메틸수은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

석결과 상관계수가 0.965(p<0.001)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림 3-15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 간 산점도

2.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은 전체 평균±표준편차가

78.53±14.67%로 나타났으며 최소값으로 25.99 %, 최대값으로 100%가 관찰

되었다(표 3-33).

Page 11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79 -

구분(분위수) 메틸수은 구성비(%)

평균±표준편차 78.53±14.67

최소값 25.99

제1 백분위수 36.83

제5 백분위수 50.3

제10 백분위수 58.18

제25 백분위수 68.67

중위수 79.96

제75 백분위수 90.74

제90 백분위수 95.59

제95 백분위수 97.86

제99 백분위수 99.01

최대값 100

표 3-33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구성비 단위: %

3. 지역별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의 평균±표준편차를 살펴

보면 부산지역이 77.75±14.34%, 울산지역이 77.02±14.62%, 경남지역이

79.54±14.88%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가장 높은 지역이 경남 양산으로

87.78±7.69%, 가장 낮은 지역이 울산 울주군으로 64.73±18.98%를 보였다

(표 3-34).

해안/내륙간 비교 결과, 내륙지역의 평균±표준편차가 80.87±13.70%로 해

안지역의 77.74±14.92%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3-35).

Page 11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0 -

지 역 해안, 내륙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비율

n 평균±표준편차 평균순위

전체 400 78.53±14.67

부산

기장군 해안 14 77.67±19.11

남구 해안 14 71.43±14.75

동구 해안 14 77.88±12.48

북구 해안 14 81.26±15.79

사하구 해안 14 75.66±9.51

서구 해안 14 80.18±13.48

수영구 해안 14 83.62±14.60

영도구 해안 14 75.78±15.95

해운대구 해안 14 76.25±11.77

소계 126 77.75±14.34

울산

남구 해안 14 80.59±8.92

동구 해안 14 84.37±12.04 4

북구 해안 14 80.18±13.73

울주군 해안 14 64.73±18.98

중구 해안 14 75.25±10.57

소계 70 77.02±14.62

경남

거제 해안 14 83.83±14.85

고성 해안 12 76.37±20.14

김해 내륙 14 80.64±16.00

남해 해안 12 85.58±10.73 3

마산 해안 14 74.44±20.04

밀양 내륙 12 78.39±19.35

사천 해안 13 73.43±15.35

양산 내륙 12 87.78±7.69 1

진주 내륙 12 77.54±11.57

진해 해안 14 79.85±12.71

창원 해안 12 71.26±16.86

통영 해안 12 80.90±12.02

하동 내륙 14 73.39±17.11

함안 내륙 12 86.71±10.26 2

함양 내륙 12 84.12±8.46 5

합천 내륙 13 79.81±10.55

소계 204 79.54±14.88

표 3-34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구성비 단위: %

메틸수은

구성비

내륙 해안p-value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101 80.87±13.70 299 77.74±14.92 0.064

표 3-35 해안 내륙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구성비 단위: %

Page 11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1 -

4.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

역학적 특성에 따른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을 보면 남성의 경우 여

성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흡연력,

치과 아말감 치료 경험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3-36).

특성메틸수은 구성비 (%)

p-valuen 평균±표준편차

성별남성 200 79.91±14.27

0.061여성 200 77.16±14.96

연령(세)

~99 60 75.37±14.69

0.154

100~199 61 80.48±12.94

200~299 60 76.04±14.53

300~399 102 79.32±15.70

400~ 117 79.74±14.46

월 소득수준

(만원)

100미만 86 77.88±14.49

0.295

100-200미만 83 78.21±14.70

200이상-300미만 73 77.23±15.46

300이상-400미만 59 79.17±14.66

400이상 78 81.85±12.18

학력

초등학교 졸 67 78.45±14.49

0.929

중학교 졸업 59 77.80±15.79

고등학교 졸업 93 78.69±14.88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73 77.63±15.42

대학교 졸업 이상 108 79.47±13.61

흡연력

흡연 78 80.82±13.78

0.309금연 61 77.85±15.07

비흡연 261 78.01±14.82

음주력

음주 230 79.10±14.60

0.610금주 35 78.70±14.06

비음주 135 77.52±14.98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74 78.16±13.650.657

있음 226 78.82±15.42

표 3-36 역학적 특성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구성비 단위: %

Page 11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2 -

제6절 식이 조사와 수은 노출 지표

1.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수은 섭취량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 결과 연간 어패류 섭취 대상자 현황에서 가장

많은 섭취 비율이 높은 어패류는 멸치/멸치볶음으로 나타났으며 고등어구

이/조림, 갈치, 오징어채/볶음 순으로 나타났다(표 3-37).

종류2010년 조사

수은 함유량(㎍/㎏)n

어패류 섭취

대상자

어패류 섭취

대상자 백분율

고등어구이,조림 42.16 1,988 1,610 81.0

참치 캔 42.668 1,986 1,025 51.6

멸치/멸치볶음 23.5 1,988 1,783 89.7

참치회(마구로,다랑어) 389.875 1,989 428 21.5

꽁치 62.447 1,989 819 41.2

조기구이 - 1,987 1,328 66.8

명태(동태찌개) 22.055 1,989 1,135 57.1

도미 - 1,989 348 17.5

가자미 - 1,988 779 39.2

갈치 62.504 1,988 1,573 79.1

오징어채,오징어볶음 108.475 1,985 1,351 68.1

꽃게장/게 25.01 1,987 966 48.6

조개/골뱅이 4.916 1,985 1,050 52.9

굴 16.62 1,986 822 41.4

미꾸라지(국) 13.771 1,987 932 46.9

잉어/붕어 - 1,987 148 7.4

상어고기 1584.178 1,986 69 3.5

고래고기 288 1,985 81 4.1

회 - 1,987 1,556 78.3

젓갈 13.275 1,986 1,091 54.9

표 3-37 연간 어패류 섭취 대상자 현황

Page 11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3 -

지역 구군고등어구이

, 조림참치 캔

멸치/멸치

볶음

참치회

(마구로,

다랑어)

꽁치

전체 1610(81.0) 1025(51.6) 1783(89.7) 428(21.5) 819(41.2)

부산

기장군 40(66.7) 34(57.6) 48(80.0) 14(23.3) 15(25.0)

남구 61(92.4) 40(60.6) 59(89.4) 19(28.8) 31(47.0)

동구 47(74.6) 31(49.2) 61(96.8) 13(20.6) 25(39.7)

북구 54(80.6) 34(50.7) 63(94.0) 11(16.4) 22(32.8)

사하구 56(84.8) 33(50.0) 61(92.4) 20(30.3) 25(37.9)

서구 57(90.5) 38(60.3) 55(87.3) 21(33.3) 27(42.9)

수영구 57(79.2) 40(56.3) 58(80.6) 19(26.4) 24(33.3)

영도구 56(81.2) 31(44.9) 63(91.3) 13(18.8) 23(33.3)

해운대구 45(70.3) 27(42.2) 54(85.7) 13(20.3) 19(29.7)

울산

남구 59(85.5) 34(49.3) 66(95.7) 8(11.6) 27(39.1)

동구 57(87.7) 31(47.7) 59(90.8) 14(21.5) 36(55.4)

북구 49(80.3) 30(49.2) 54(88.5) 10(16.4) 32(52.5)

울주군 103(79.2) 75(57.7) 121(93.1) 36(27.7) 62(47.7)

중구 55(87.3) 37(58.7) 53(84.1) 14(22.2) 39(61.9)

경남

거제 53(84.1) 34(54.0) 59(93.7) 9(14.3) 18(28.6)

고성 38(66.7) 18(31.6) 48(84.2) 7(12.3) 16(28.1)

김해 62(79.5) 48(61.5) 69(88.5) 15(19.2) 33(42.3)

남해 51(79.7) 29(45.3) 61(95.3) 10(15.6) 11(17.2)

마산 55(79.7) 41(59.4) 61(88.4) 20(29.0) 28(40.6)

밀양 48(75.0) 36(56.3) 53(82.8) 13(20.3) 25(39.1)

사천 49(76.6) 30(46.9) 61(95.3) 18(28.1) 25(39.1)

양산 54(81.8) 37(56.1) 59(89.4) 13(19.7) 39(59.1)

진주 54(78.3) 38(55.1) 59(85.5) 14(20.3) 32(46.4)

진해 57(86.4) 43(65.2) 59(89.4) 17(25.8) 30(45.5)

창원 54(91.5) 29(49.2) 54(90.0) 13(21.7) 34(56.7)

통영 39(78.0) 17(34.0) 46(92.0) 11(22.0) 10(20.0)

하동 53(84.1) 25(39.7) 58(92.1) 11(17.5) 16(25.4)

함안 50(83.3) 29(48.3) 55(91.7) 11(18.3) 34(56.7)

함양 44(75.9) 26(44.8) 52(89.7) 10(17.2) 22(37.9)

합천 53(88.3) 30(50.0) 54(90.0) 11(18.3) 39(65.0)

표 3-38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1

Page 11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4 -

지역 구군 조기구이명태

(동태찌개)도미 가자미 갈치

전체 1328(66.8) 1135(57.1) 348(17.5) 779(39.2) 1573(79.1)

부산

기장군 32(54.2) 28(46.7) 6(10.0) 15(25.0) 43(71.7)

남구 54(81.8) 32(48.5) 18(27.3) 23(34.8) 53(80.3)

동구 44(69.8) 41(65.1) 11(17.5) 19(30.2) 46(73.0)

북구 48(71.6) 30(44.8) 9(13.4) 27(40.3) 54(80.6)

사하구 46(69.7) 44(66.7) 12(18.2) 31(47.0) 53(80.3)

서구 44(69.8) 31(49.2) 17(27.0) 34(54.0) 52(82.5)

수영구 42(58.3) 36(50.0) 10(13.9) 23(31.9) 47(65.3)

영도구 45(65.2) 41(59.4) 8(11.6) 35(50.7) 52(75.4)

해운대구 36(56.3) 37(57.8) 7(10.9) 23(35.9) 49(76.6)

울산

남구 43(62.3) 38(55.1) 9(13.0) 37(53.6) 50(72.5)

동구 44(67.7) 39(60.0) 15(23.1) 36(55.4) 51(78.5)

북구 42(68.9) 36(59.0) 7(11.5) 31(50.8) 49(80.3)

울주군 96(73.8) 67(51.5) 21(16.2) 57(43.8) 102(78.5)

중구 38(60.3) 35(55.6) 9(14.3) 30(47.6) 40(63.5)

경남

거제 44(69.8) 33(52.4) 17(27.0) 23(36.5) 52(82.5)

고성 33(58.9) 29(50.9) 20(35.1) 19(33.3) 47(82.5)

김해 51(65.4) 46(59.0) 11(14.1) 32(41.0) 60(76.9)

남해 32(50.0) 38(59.4) 7(10.9) 19(30.2) 54(84.4)

마산 44(63.8) 43(62.3) 12(17.4) 26(37.7) 55(80.9)

밀양 40(62.5) 36(56.3) 11(17.2) 22(34.4) 56(87.5)

사천 42(65.6) 48(75.0) 22(34.4) 30(46.9) 55(85.9)

양산 48(72.7) 44(66.7) 8(12.1) 35(53.0) 54(81.8)

진주 42(60.9) 41(59.4) 11(15.9) 24(34.8) 56(81.2)

진해 52(78.8) 37(56.1) 14(21.2) 24(36.4) 52(78.8)

창원 45(75.0) 38(63.3) 13(21.7) 28(46.7) 53(88.3)

통영 29(58.0) 31(62.0) 18(36.0) 29(58.0) 39(78.0)

하동 44(69.8) 28(44.4) 8(12.7) 13(20.6) 51(81.0)

함안 45(75.0) 41(68.3) 7(11.7) 18(30.0) 52(86.7)

함양 44(75.9) 31(53.4) 7(12.1) 12(20.7) 48(82.8)

합천 39(65.0) 36(60.0) 3(5.0) 4(6.7) 48(80.0)

표 3-39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2

Page 11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5 -

지역 구군오징어채,

오징어볶음꽃게장/게

조개/

골뱅이굴

미꾸라지

(국)

전체 1351(68.1) 966(48.6) 1050(52.9) 822(41.4) 932(46.9)

부산

기장군 32(53.3) 21(35.0) 26(43.3) 19(31.7) 28(46.7)

남구 44(66.7) 21(31.8) 22(33.3) 20(30.3) 21(31.8)

동구 46(74.2) 36(57.1) 29(46.0) 23(36.5) 27(42.9)

북구 44(65.7) 32(47.8) 38(56.7) 20(29.9) 32(47.8)

사하구 42(63.6) 36(54.5) 39(59.1) 33(50.0) 26(39.4)

서구 38(60.3) 36(57.1) 36(57.1) 30(47.6) 28(44.4)

수영구 41(56.9) 36(50.0) 29(40.8) 28(38.9) 34(47.2)

영도구 46(66.7) 32(46.4) 45(65.2) 25(36.2) 33(47.8)

해운대구 45(70.3) 27(42.9) 25(39.1) 26(41.3) 25(39.1)

울산

남구 40(58.0) 29(42.0) 33(47.8) 31(44.9) 31(44.9)

동구 48(73.8) 25(38.5) 30(46.2) 25(38.5) 28(43.1)

북구 41(67.2) 29(47.5) 31(50.8) 27(45.0) 21(34.4)

울주군 94(72.3) 59(45.4) 69(53.5) 58(44.6) 74(56.9)

중구 48(77.4) 27(42.9) 28(44.4) 29(46.0) 31(49.2)

경남

거제 42(67.7) 32(50.8) 42(66.7) 35(55.6) 24(38.1)

고성 32(56.1) 30(52.6) 27(47.4) 20(35.1) 21(36.8)

김해 51(65.4) 45(57.7) 37(47.4) 32(41.0) 47(60.3)

남해 44(68.8) 37(57.8) 46(73.0) 30(46.9) 26(40.6)

마산 55(80.9) 35(51.5) 40(58.8) 31(45.6) 34(50.7)

밀양 40(62.5) 31(48.4) 30(46.9) 28(43.8) 40(62.5)

사천 49(76.6) 36(56.3) 42(65.6) 35(54.7) 26(40.6)

양산 48(72.7) 31(47.0) 29(43.9) 22(33.3) 38(57.6)

진주 48(69.6) 37(53.6) 34(49.3) 29(42.0) 34(49.3)

진해 45(68.2) 41(62.1) 45(68.2) 28(42.4) 35(53.0)

창원 48(80.0) 30(50.0) 35(58.3) 25(41.7) 37(61.7)

통영 30(60.0) 23(46.0) 33(66.0) 26(52.0) 12(24.0)

하동 40(63.5) 26(41.3) 40(63.5) 22(34.9) 21(33.3)

함안 44(73.3) 33(55.0) 33(55.0) 25(41.7) 32(53.3)

함양 40(69.0) 33(56.9) 33(56.9) 20(34.5) 31(53.4)

합천 46(76.7) 20(33.3) 24(40.0) 20(33.3) 35(58.3)

표 3-40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3

Page 12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6 -

지역 구군 잉어/붕어상어고기

고래고기 회 젓갈

전체 148(7.4) 69(3.5) 81(4.1) 1556(78.3) 1091(54.9)

부산

기장군 4(6.7) 4(6.7) 3(5.0) 50(83.3) 35(58.3)

남구 3(4.5) 2(3.0) 1(1.5) 51(77.3) 35(53.0)

동구 4(6.3) 3(4.8) 7(11.1) 46(73.0) 32(50.8)

북구 4(6.0) 2(3.0) 3(4.5) 51(76.1) 38(56.7)

사하구 2(3.0) 2(3.0) 2(3.0) 55(83.3) 40(60.6)

서구 6(9.5) 4(6.3) 7(11.1) 52(82.5) 28(44.4)

수영구 3(4.2) 2(2.8) 5(6.9) 51(70.8) 38(52.8)

영도구 2(2.9) 2(2.9) 57(82.6) 35(50.7)

해운대구 4(6.3) 2(3.1) 2(3.1) 47(73.4) 28(44.4)

울산

남구 1(1.4) 3(4.3) 7(10.1) 57(82.6) 41(59.4)

동구 4(6.2) 4(6.2) 7(10.8) 53(81.5) 33(50.8)

북구 3(4.9) 2(3.3) 5(8.2) 49(80.3) 32(52.5)

울주군 12(9.2) 11(8.5) 9(6.9) 100(76.9) 80(61.5)

중구 3(4.8) 4(6.5) 5(8.1) 56(88.9) 35(55.6)

경남

거제 3(4.8) 1(1.6) 2(3.2) 56(88.9) 40(63.5)

고성 2(3.5) 36(63.2) 23(40.4)

김해 8(10.3) 1(1.3) 2(2.6) 55(70.5) 43(55.1)

남해 6(9.4) 1(1.6) 55(85.9) 33(51.6)

마산 10(14.9) 3(4.5) 1(1.5) 60(89.6) 42(62.7)

밀양 9(14.1) 7(10.9) 4(6.3) 51(79.7) 39(60.9)

사천 8(12.5) 56(87.5) 38(59.4)

양산 3(4.5) 2(3.0) 2(3.0) 50(75.8) 37(56.1)

진주 13(18.8) 3(4.3) 1(1.4) 53(76.8) 39(56.5)

진해 3(4.5) 1(1.5) 1(1.5) 55(83.3) 42(63.6)

창원 1(1.7) 46(76.7) 33(55.0)

통영 2(4.0) 37(74.0) 29(58.0)

하동 5(7.9) 1(1.6) 44(69.8) 31(49.2)

함안 6(10.0) 1(1.7) 2(3.3) 41(68.3) 32(53.3)

함양 3(5.2) 1(1.7) 41(70.7) 26(44.8)

합천 12(20.0) 1(1.7) 1(1.7) 45(75.0) 34(56.7)

표 3-41 어패류 종류별 연간 섭취 대상자 현황-4

Page 12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항목 n평균±

표준편차95%신뢰구간 최소값 P1 P5 P10 P25 중위수 P75 P90 P95 P99 최대값

전체 1,989 20.40±29.40 19.10-21.69 0 0 2.04 3.77 7.53 13.67 24.06 40.47 55.71 124.77 784.44

고등어구이, 조림 1,988 2.53±5.18 2.30-2.76 0.0 0.0 0.0 0.0 0.4 1.1 2.5 5.0 7.6 18.5 75.6

참치 캔 1,986 1.73±4.13 1.54-1.91 0.0 0.0 0.0 0.0 0.0 0.6 1.5 4.5 7.2 16.8 108.0

멸치/멸치볶음 1,988 1.53±2.71 1.41-1.65 0.0 0.0 0.0 0.0 0.2 0.5 1.6 4.0 5.4 16.2 24.3

참치(다랑어) 1,989 0.43±3.21 0.29-0.57 0.0 0.0 0.0 0.0 0.0 0.0 0.0 0.6 1.5 4.2 81.0

꽁치 1,989 0.67±2.69 0.55-0.79 0.0 0.0 0.0 0.0 0.0 0.0 0.6 1.5 3.6 8.4 81.0

조기구이 1,987 1.40±2.63 1.29-1.52 0.0 0.0 0.0 0.0 0.0 0.6 1.5 3.6 5.4 12.6 27.0

명태(동태)찌개 1,989 1.30±3.88 1.13-1.47 0.0 0.0 0.0 0.0 0.0 0.4 1.1 2.1 5.0 17.6 75.6

도미 1,989 0.26±1.69 0.19-0.34 0.0 0.0 0.0 0.0 0.0 0.0 0.0 0.6 1.5 4.2 54.0

가자미 1,988 0.58±1.78 0.50-0.66 0.0 0.0 0.0 0.0 0.0 0.0 0.6 1.5 2.3 5.4 54.0

갈치 1,988 1.87±4.13 1.69-2.05 0.0 0.0 0.0 0.0 0.3 0.6 2.3 3.6 5.4 12.6 81.0

오징어채,오징어볶음 1,985 1.10±2.90 0.97-1.23 0.0 0.0 0.0 0.0 0.0 0.4 1.1 2.5 3.8 12.6 56.7

꽃게장/게 1,987 0.97±2.51 0.86-1.08 0.0 0.0 0.0 0.0 0.0 0.0 0.8 2.1 5.0 11.8 50.4

조개/골뱅이 1,985 0.77±2.05 0.68-0.86 0.0 0.0 0.0 0.0 0.0 0.2 0.6 2.5 2.5 9.2 37.8

굴 1,986 0.46±1.95 0.38-0.55 0.0 0.0 0.0 0.0 0.0 0.0 0.4 1.1 1.6 5.9 56.7

미꾸라지(국) 1,987 1.11±3.62 0.95-1.27 0.0 0.0 0.0 0.0 0.0 0.0 0.8 2.1 5.0 11.8 75.6

잉어/붕어 1,987 0.23±2.78 0.11-0.35 0.0 0.0 0.0 0.0 0.0 0.0 0.0 0.0 0.8 2.1 75.6

상어고기 1,986 0.06±0.68 0.03-0.09 0.0 0.0 0.0 0.0 0.0 0.0 0.0 0.0 0.0 1.1 25.2

고래고기 1,985 0.06±0.66 0.03-0.09 0.0 0.0 0.0 0.0 0.0 0.0 0.0 0.0 0.0 1.3 25.2

회 1,987 2.35±5.29 2.12-2.58 0.0 0.0 0.0 0.0 0.4 0.8 2.1 5.0 7.6 25.2 113.4

젓갈 1,986 1.02±3.21 0.88-1.17 0.0 0.0 0.0 0.0 0.0 0.2 0.6 2.5 3.8 12.6 56.7

표 3-42 연간 어패류 섭취량(kg/year)

- 8

7 -

Page 12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항목 n평균±

표준편차95%신뢰구간 최소값 P1 P5 P10 P25 중위수 P75 P90 P95 P99 최대값

전체 1,989 864.63±2568.60 751.68-977.58 0.0 0.0 52.2 100.4 229.9 451.5 866.8 1653.3 2400.0 6259.5 84595.0

고등어구이, 조림 1,988 106.56±218.23 96.96-116.16 0.0 0.0 0.0 0.0 17.7 44.3 106.2 212.5 318.7 779.1 3187.3

참치 캔 1,986 73.64±176.30 65.89-81.4 0.0 0.0 0.0 0.0 0.0 25.6 64.0 192.0 307.2 716.8 4608.1

멸치/멸치볶음 1,988 35.89±63.80 33.08-38.7 0.0 0.0 0.0 0.0 4.2 12.7 38.1 93.1 126.9 380.7 571.1

참치(다랑어) 1,989 166.48±1250.59 111.48-221.47 0.0 0.0 0.0 0.0 0.0 0.0 0.0 233.9 584.8 1637.5 31579.9

꽁치 1,989 41.99±168.20 34.59-49.39 0.0 0.0 0.0 0.0 0.0 0.0 37.5 93.7 224.8 524.6 5058.2

조기구이 1,987 - -

명태(동태)찌개 1,989 28.60±85.56 24.84-32.36 0.0 0.0 0.0 0.0 0.0 9.3 23.2 46.3 111.2 389.1 1667.4

도미 1,989 - -

가자미 1,988 - -

갈치 1,988 116.73±258.30 105.37-128.09 0.0 0.0 0.0 0.0 18.8 37.5 140.6 225.0 337.5 787.6 5062.8

오징어채,오징어볶음 1,985 119.12±314.97 105.26-132.98 0.0 0.0 0.0 0.0 0.0 45.6 113.9 273.4 410.0 1366.8 6150.5

꽃게장/게 1,987 24.21±62.78 21.45-26.98 0.0 0.0 0.0 0.0 0.0 0.0 21.0 52.5 126.1 294.1 1260.5

조개/골뱅이 1,985 3.76±10.06 3.32-4.21 0.0 0.0 0.0 0.0 0.0 1.0 3.1 12.4 12.4 45.4 185.8

굴 1,986 7.69±32.40 6.26-9.11 0.0 0.0 0.0 0.0 0.0 0.0 7.0 17.5 26.2 97.7 942.4

미꾸라지(국) 1,987 15.24±49.85 13.04-17.43 0.0 0.0 0.0 0.0 0.0 0.0 11.6 28.9 69.4 162.0 1041.1

잉어/붕어 1,987 - -

상어고기 1,986 93.81±1073.84 46.55-141.06 0.0 0.0 0.0 0.0 0.0 0.0 0.0 0.0 0.0 1663.4 39921.3

고래고기 1,985 18.04±190.37 9.66-26.42 0.0 0.0 0.0 0.0 0.0 0.0 0.0 0.0 0.0 362.9 7257.6

회 1,987 - -

젓갈 1,986 13.60±42.62 11.73-15.48 0.0 0.0 0.0 0.0 0.0 2.8 8.4 33.5 50.2 167.3 752.7

표 3-43 연간 어패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year)

- 8

8 -

Page 12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89 -

2. 해안 내륙지역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를 통해 산출된 연간 어

패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전체 해안지역 대상자의 평균±표준편차가

21.00±31.66 kg/year로 나타나 내륙지역 18.67±21.69 kg/year보다 많은 어

패류량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여기서 전체 어패류 섭취량은 본 연구에서 실시된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

사를 통해 산출된 20개 개별 어패류 섭취량을 모두 합산한 결과이다.

개별 어패류 비교에 있어서 참치 캔, 가자미, 고래고기, 회의 경우 모두

해안지역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인 개별 어패류 섭취량에 있어서도 그 차

이의 정도는 있으나 해안지역의 섭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44).

또한 이에 어패류 섭취량에 의한 수은 섭취량을 표 3-46에 제시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어패류 섭취량에 2010년 조사된 어패류별 수은 함유량(㎍/㎏)

을 곱한 값이며 몇 개의 주요 어패류에 관해서는 수은 함유량 조사가 이루

어지지 않아 본 조사의 모든 어패류에 대한 수은 섭취량을 산출하는데 어

려움이 있어 향후 분석에서는 어패류 섭취량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자 하였다.

Page 12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0 -

항목

내륙 해안

p-value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전체 518 18.67±21.69 1,471 21.00±31.66 0.065

고등어구이, 조림 518 2.45±4.17 1,470 2.56±5.49 0.645

참치 캔 518 1.45±2.91 1,468 1.82±4.48 0.032

멸치/멸치볶음 518 1.57±3.00 1,470 1.51±2.61 0.691

참치(다랑어) 518 0.30±1.61 1,471 0.47±3.61 0.144

꽁치 518 0.61±1.52 1,471 0.69±3.00 0.401

조기구이 518 1.42±2.70 1,469 1.39±2.61 0.853

명태(동태)찌개 518 1.18±2.49 1,471 1.34±4.26 0.307

도미 518 0.19±1.06 1,471 0.29±1.86 0.142

가자미 518 0.39±1.09 1,470 0.64±1.96 <0.001

갈치 518 1.87±4.79 1,470 1.87±3.88 0.994

오징어채, 오징어볶음 518 0.96±1.99 1,467 1.15±3.16 0.132

꽃게장/게 518 0.83±1.73 1,469 1.02±2.73 0.070

조개/골뱅이 518 0.68±1.66 1,467 0.80±2.17 0.190

굴 518 0.41±1.30 1,468 0.48±2.13 0.367

미꾸라지(국) 518 1.22±3.25 1,469 1.07±3.74 0.389

잉어/붕어 518 0.16±0.80 1,469 0.26±3.19 0.305

상어고기 518 0.04±0.29 1,468 0.07±0.77 0.195

고래고기 518 0.02±0.24 1,467 0.08±0.75 0.021

회 518 1.88±3.83 1,469 2.51±5.71 0.005

젓갈 518 1.05±3.29 1,468 1.02±3.18 0.857

표 3-44 해안 내륙별 어패류 섭취량(kg/year)

Page 12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1 -

항목

내륙 해안

p-value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전체 518 730.74±1280.88 1,471 911.77±2887.40 0.054

고등어구이, 조림 518 103.22±175.86 1,470 107.74±231.36 0.645

참치 캔 518 61.95±123.98 1,468 77.77±191.25 0.032

멸치/멸치볶음 518 36.91±70.45 1,470 35.53±61.30 0.691

참치(다랑어) 518 116.96±627.32 1,471 183.91±1405.53 0.144

꽁치 518 37.99±95.22 1,471 43.40±187.25 0.401

조기구이 518 - -

명태(동태)찌개 518 26.00±54.95 1,471 29.52±94.00 0.307

도미 518 - -

가자미 518 - -

갈치 518 116.81±299.24 1,470 116.70±242.35 0.994

오징어채, 오징어볶음 518 104.58±216.08 1,467 124.26±343.06 0.132

꽃게장/게 518 20.72±43.20 1,469 25.45±68.33 0.070

조개/골뱅이 518 3.32±8.16 1,467 3.92±10.65 0.190

굴 518 6.81±21.58 1,468 8.00±35.44 0.367

미꾸라지(국) 518 16.75±44.71 1,469 14.70±51.54 0.389

잉어/붕어 518 - -

상어고기 518 57.80±452.47 1,468 106.51±1219.65 0.195

고래고기 518 7.01±70.23 1,467 21.93±217.37 0.021

회 518 - -

젓갈 518 13.89±43.74 1,468 13.50±42.24 0.857

* : 2010년 조사 -- 어패류별 수은 함량 적용

표 3-45 해안 내륙별 어패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year)

Page 12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2 -

그림 3-16 지역에 따른 평균 어패류 섭취량

Page 12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3 -

3.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가.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을 산출하여 0 kg/year의 값을 가지는 대상자를

거의 안 먹음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연간 어패류 섭취량이 존재하는 대상

자 중 중앙값을 기준으로 하여 중앙값 이하의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를

하위 50% 범주(중앙값 포함)로, 중앙값 초과의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를

상위 50% 범주로 구분하여 범주 간의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하였다.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의 안 먹음의 평균±표준편차가 6.33±6.53

㎍/ℓ으로 하위 50%의 5.28±3.04 ㎍/ℓ, 상위 50%의 6.26±3.70 ㎍/ℓ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상치를

가지는 몇 명의 대상자가 편중된 것으로 판단된다(표 3-46).

이상치 영향력 정도를 축소시키기 위해 기하평균(95% 신뢰구간)을 이용

하여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의 안 먹음에서 4.49(3.31-6.10) ㎍/ℓ, 하위 50%에서

4.68(4.52-4.85) ㎍/ℓ, 상위 50%에서 5.59(5.34-5.86) ㎍/ℓ로 나타남에 따

라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

할 수가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중 수은의 경우 어패류 섭

취량이 많을수록 수은 농도가 높아지는 추세가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정

도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통계적인 유의성도 발견되지 않았다(표 3-47).

Page 12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4 -

구분

연간 어패류 섭취량 (kg/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혈중 총 수은

(㎍/ℓ)29 6.33±6.53* 732 5.28±3.04 728 6.26±3.70 <0.001

혈중 메틸수은

(㎍/ℓ)6 2.23±1.42 146 4.34±2.98 146 5.50±3.94 0.003

모발 수은

(㎍/g)15 1.09±0.93 590 1.42±1.03 590 1.73±1.33 <0.001

요중 수은

(㎍/g cr)27 1.78±2.45 640 2.10±3.32 641 2.26±3.75 0.601

*: 어패류를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대상자들의 그룹의 혈중 총 수은의 산술평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9명의 대상자 중 4명이 11.0, 21.5, 24.0, 26.8 ㎍/ℓ 값을 가지는 것에 기인한다.

표 3-46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구분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29 4.49(3.31-6.10) 971 4.68(4.52-4.85) 971 5.59(5.34-5.86) <0.001

혈중 메틸수은

(㎍/ℓ)6 1.85(0.90-3.82) 146 3.51(3.14-3.92) 146 4.52(4.08-5.01) <0.001

모발 수은

(㎍/g)15 0.79(0.49-1.26) 590 1.16(1.11-1.22) 590 1.40(1.33-1.48) <0.001

요중 수은

(㎍/g cr)27 1.21(0.89-1.65) 640 1.57(1.49-1.67) 641 1.58(1.48-1.70) 0.245

표 3-47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Page 12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5 -

구분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혈중 총 수은

(㎍/ℓ)32 6.52±6.35* 970 5.63±3.37 969 6.45±4.21 0.004

혈중 메틸수은

(㎍/ℓ)8 2.85±1.70 196 4.56±3.12 196 5.46±3.74 0.076

모발 수은

(㎍/g)18 1.32±1.08 589 1.50±1.09 588 1.64±1.29 0.069

요중 수은

(㎍/g cr)30 1.80±2.34 855 2.07±3.09 855 2.10±3.18 0.864

*: 어패류를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대상자들의 그룹의 혈중 총 수은의 산술평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9명의 대상자 중 4명이 11.0, 21.5, 24.0, 26.8 ㎍/ℓ 값을 가지는 것에 기인한다.

표 3-48 전체 어패류의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산술평균

구분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32 4.71(3.54-6.26) 970 4.82(4.65-4.99) 969 5.43(5.18-5.68) <0.001

혈중 메틸수은

(㎍/ℓ)8 2.33(1.27-4.29) 196 3.68(3.34-4.04) 196 4.58(4.22-4.98) <0.001

모발 수은

(㎍/g)18 0.94(0.60-1.46) 589 1.22(1.16-1.28) 588 1.34(1.27-1.41) <0.001

요중 수은

(㎍/g cr)30 1.26(0.94-1.67) 855 1.57(1.49-1.64) 855 1.54(1.46-1.63) 0.285

표 3-49 전체 어패류의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기하평균

Page 13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6 -

나. 특정 어류(참치회, 상어고기, 고래고기) 섭취 여부

(1) 지역별 특정 어류 섭취 비율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 결과 특정 대형어류, 즉 참치, 상어, 고래의 경

우 섭취 빈도와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나 수은 함유량은 매우 높

아 분석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편향된 결과를 제시할 가능성이 존

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일반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특정 대형 어류들을 독

립적으로 분류하여 섭취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어패류 섭취 대상자들에 대

한 수은 노출 지표 분석을 별도로 실시하였다.

특정 대형어류 중 참치회(마구로, 다랑어) 섭취 대상자는 428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21.5%의 구성비를 보였으며, 상어고기 섭취 대상자는 69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3.5%, 고래고기 섭취 대상자는 81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4.1%의 구성비를 보였다. 3개 대형어류를 섭취하는 대상자는 486명으로 전

체 대상자의 24.4%가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50).

특정 대형어류 중 상어고기의 2010년 조사 수은 함유량은 1584.2 ㎍/㎏

으로 조사된 어패류들 중 가장 높은 수은 함유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참치회 389.9 ㎍/㎏, 고래고기 288.0 ㎍/㎏으로 비교적 높은 수은 함유

량을 나타냈다(표 3-37).

Page 13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7 -

지역 구군

참치회

(마구로,

다랑어)

상어고기고래고기

3개 어패류

전체

전체 428(21.5) 69(3.5) 81(4.1) 486(24.4)

부산

기장군 14(23.3) 4(6.7) 3(5.0) 17(28.3)

남구 19(28.8) 2(3.0) 1(1.5) 21(31.8)

동구 13(20.6) 3(4.8) 7(11.1) 18(28.6)

북구 11(16.4) 2(3.0) 3(4.5) 13(19.4)

사하구 20(30.3) 2(3.0) 2(3.0) 20(30.3)

서구 21(33.3) 4(6.3) 7(11.1) 23(36.5)

수영구 19(26.4) 2(2.8) 5(6.9) 22(30.6)

영도구 13(18.8) 2(2.9) 15(21.7)

해운대구 13(20.3) 2(3.1) 2(3.1) 15(23.4)

울산

남구 8(11.6) 3(4.3) 7(10.1) 15(21.7)

동구 14(21.5) 4(6.2) 7(10.8) 17(26.2)

북구 10(16.4) 2(3.3) 5(8.2) 13(21.3)

울주군 36(27.7) 11(8.5) 9(6.9) 44(33.8)

중구 14(22.2) 4(6.5) 5(8.1) 18(28.6)

경남

거제 9(14.3) 1(1.6) 2(3.2) 10(15.9)

고성 7(12.3) 7(12.3)

김해 15(19.2) 1(1.3) 2(2.6) 16(20.5)

남해 10(15.6) 1(1.6) 11(17.2)

마산 20(29.0) 3(4.5) 1(1.5) 20(29.0)

밀양 13(20.3) 7(10.9) 4(6.3) 19(29.7)

사천 18(28.1) 18(28.1)

양산 13(19.7) 2(3.0) 2(3.0) 13(19.7)

진주 14(20.3) 3(4.3) 1(1.4) 14(20.3)

진해 17(25.8) 1(1.5) 1(1.5) 17(25.8)

창원 13(21.7) 1(1.7) 13(21.7)

통영 11(22.0) 11(22.0)

하동 11(17.5) 1(1.6) 12(19.0)

함안 11(18.3) 1(1.7) 2(3.3) 12(20.0)

함양 10(17.2) 1(1.7) 11(19.0)

합천 11(18.3) 1(1.7) 1(1.7) 11(18.3)

표 3-50 특정 대형어류(참치회, 상어고기, 고래고기) 섭취 빈도 단위: 명(%)

Page 13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8 -

그림 3-17 지역별 특정 어류(참치, 상어, 고래) 섭취 대상자 비율

그림 3-18 지지역별 참치회 섭취 대상자 비율

Page 13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99 -

그림 3-19 지역별 상어고기 섭취 대상자 비율

그림 3-20 지역별 고래고기 섭취 대상자 비율

Page 13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0 -

(2) 특정 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특정 대형어류의 섭취군과 비섭취군으로 구분하여 수은 노출 지표를 비

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의 기하평균(95% 신뢰구간)의 경우 섭취군은

5.62(5.25-6.17) ㎍/ℓ로 비섭취군의 4.90(4.79-5.13) ㎍/ℓ보다 높게 나타났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메틸수은의 경우 섭취군의 기하평균이 4.47(3.98-5.01) ㎍/ℓ, 비섭

취군이 3.89(3.63-4.27) ㎍/ℓ로 나타나 섭취군의 기하평균이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났으며 모발 수은의 경우에서도 섭취군의 기하평균이

1.45(1.35-1.55) ㎍/ℓ, 비섭취군이 1.20(1.17-1.26) ㎍/ℓ로 섭취군의 기하평

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즉 공통적으로 세 개의 수은 노출 지표에서 모두 대형 어류

섭취군의 농도가 비섭취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요중 수은의 경우 섭취군과 비섭취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

견되지 않았다(표 3-51).

참치, 상어, 고래고기 비섭취 참치, 상어, 고래고기 섭취

p-value*

n평균±

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평균±

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1,489 5.78±3.51 4.90(4.79-5.13) 482 6.87±4.79 5.62(5.25-6.17) 0.002

혈중 메틸수은

(㎍/ℓ)298 4.86±3.53 3.89(3.63-4.27) 102 5.26±3.23 4.47(3.98-5.01) 0.070

모발 수은

(㎍/g)898 1.50±1.16 1.20(1.17-1.26) 297 1.77±1.28 1.45(1.35-1.55) <0.001

요중 수은

(㎍/g cr)1,308 2.17±3.52 1.58(1.51-1.66) 432 1.80±1.29 1.48(1.38-1.58) 0.117

* : 기하평균 간의 비교

표 3-51 특정 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Page 13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1 -

(3) 특정 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기준치 초과자

특정 대형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기준치 초과자의 비율

을 살펴본 결과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모든 수은 지표의 기준치 초과

자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으며 혈중 총 수은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52).

기준특정 어류 비섭취 특정 어류 섭취

p-value대상자 초과자 대상자 초과자

혈중 총

수은 (㎍/ℓ)

≥5.0

1,489

737(49.5)

482

286(59.3) <0.001

≥5.8 582(39.1) 239(49.6) <0.001

≥15.0 35(2.4) 21(4.4) 0.021

혈중 메틸

수은 (㎍/ℓ)

잠정

주간

섭취

허용

량†

(PTWIs)

≥0.7

1,426

24(1.7)

462

79(17.1) <0.001

≥1.4 8(0.6) 27(5.8) <0.001

≥2.0 2(0.1) 17(3.7) <0.001

≥1.6 546 5(0.9) 153 5(3.3) 0.046

≥3.2 590 0(0.0) 258 6(2.3) 0.848

≥5.0*298 117(39.3) 102 41(40.2) 0.868

모발 수은(㎍/g)

≥5.0 898 13(1.5) 297 9(3.0) 0.079

요중 수은

(㎍/g cr)

≥5.01,308

48(3.7)432

11(2.6) 0.263

≥20.0 8(0.6) 0(0.0) 0.103

†: 단위-㎍/㎏ body weight * : 본 연구에서의 혈중 메틸수은 임의 기준

혈중 총 수은(㎍/ℓ)

≥5.0 : HBM -I

≥5.8 : EPA

≥15.0 : HBM-II

잠정주간섭취허용량

≥0.7 : NCR

≥1.4 : Canada Health

≥1.6 : JECFA 가임여성

≥2.0 : 일본

≥3.2 : JECFA 성인남성

모발 수은(㎍/g)

≥5.0 : JECTFA

요중 수은(㎍/g cr)

≥5.0 : HBM -I

≥20.0 : HBM-II

표 3-52 특정 어류 섭취 여부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기준치 초과자 단위: 명(%)

Page 13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2 -

다.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다른 수은 노출 지표

특정 대형어류(참치회, 상어고기, 고래고기)를 제외한 나머지 17개 어패

류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20개 전체 어패류 섭취

량에 대한 분석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의 안 먹음에서 기하평균(95% 신뢰구간)이

4.71(3.54-6.26) ㎍/ℓ, 하위 50%에서 4.73(4.54-4.92) ㎍/ℓ, 상위 50%에서

5.19(4.99-5.40) ㎍/ℓ로 나타남에 따라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혈중 메틸수은에서도 역시 경우 거의 안 먹음에서 2.33(1.27-4.29) ㎍/ℓ,

하위 50%에서 3.58(3.21-4.00) ㎍/ℓ, 상위 50%에서 4.42(3.98-4.91) ㎍/ℓ로

나타나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메틸수은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동일하게 모발 수은에서도 거의 안 먹음에서

0.79(0.49-1.26) ㎍/ℓ, 하위 50%에서 1.13(1.07-1.20) ㎍/ℓ, 상위 50%에서

1.32(1.25-1.40) ㎍/ℓ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요중 수은의 경우 하위 50%와 상위 50%의 기하평균의 차이가 거의 없

었으며 거의 안 먹음과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

성은 없었다(표 3-54).

Page 13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3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혈중 총 수은

(㎍/ℓ)32 6.52±6.35* 729 5.51±3.15 728 6.03±3.65 0.009

혈중 메틸수은

(㎍/ℓ)8 2.85±1.70 145 4.42±2.97 145 5.42±4.00 0.014

모발 수은

(㎍/g)15 1.09±0.93 442 1.37±0.94 441 1.63±1.33 0.001

요중 수은

(㎍/g cr)30 1.80±2.34 639 2.12±3.37 639 2.24±3.72 0.700

*: 어패류를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대상자들의 그룹의 혈중 총 수은의 산술평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9명의 대상자 중 3명이 21.5, 24.0, 26.8 ㎍/ℓ 값을 가지는 것에 기인한다.

표 3-53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32 4.71(3.54-6.26) 729 4.73(4.54-4.92) 728 5.19(4.99-5.40) 0.005

혈중 메틸수은

(㎍/ℓ)8 2.33(1.27-4.29) 145 3.58(3.21-4.00) 145 4.42(3.98-4.91) 0.002

모발 수은

(㎍/g)15 0.79(0.49-1.26) 442 1.13(1.07-1.20) 441 1.32(1.25-1.40) <0.001

요중 수은

(㎍/g cr)30 1.26(0.94-1.67) 639 1.59(1.50-1.68) 639 1.57(1.47-1.68) 0.294

표 3-54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Page 13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4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혈중 총 수은

(㎍/ℓ)32 6.52±6.35 729 5.51±3.15 728 6.03±3.65 0.009

혈중 메틸수은

(㎍/ℓ)8 2.85±1.70 145 4.42±2.97 145 5.42±4.00 0.014

모발 수은

(㎍/g)18 1.32±1.08 440 1.42±0.97 440 1.58±1.31 0.095

요중 수은

(㎍/g cr)30 1.80±2.34 639 2.12±3.37 639 2.24±3.72 0.700

*: 어패류를 섭취를 거의 하지 않는 대상자들의 그룹의 혈중 총 수은의 산술평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9명의 대상자 중 4명이 11.0, 21.5, 24.0, 26.8 ㎍/ℓ 값을 가지는 것에 기인한다.

표 3-55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32 4.71(3.54-6.26) 729 4.73(4.54-4.92) 728 5.19(4.99-5.40) 0.005

혈중 메틸수은

(㎍/ℓ)8 2.33(1.27-4.29) 145 3.58(3.21-4.00) 145 4.42(3.98-4.91) 0.002

모발 수은

(㎍/g)18 0.94(0.60-1.46) 440 1.17(1.10-1.24) 440 1.28(1.21-1.36) 0.020

요중 수은

(㎍/g cr)30 1.26(0.94-1.67) 639 1.59(1.50-1.68) 639 1.57(1.47-1.68) 0.294

표 3-56 특정 어류 제외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Page 13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5 -

라. 개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1) 개별 어패류의 연간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개별 20개 어패류의 연간 섭취량 및 그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어패류에서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높아지

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은 함유량이 높은 특정 대형 어류의 경우 그 경향성이 더욱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표 3-58).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의 경우에도 혈중 총 수은과 유사하게 섭취량

이 많을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다

수의 어패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60, 표 3-62). 특히 모발 수은

의 경우에는 특정 대형어류의 경우 거의 안먹음의 대상자들과 하위 50%

및 상위 50% 대상자들의 기하평균의 차이정도가 비교적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요중 수은의 경우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보

되지 않았다(표 3-64).

(2) 개별 어패류에 의한 연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개별 20개 어패류에 의한 연간 수은 섭취량과 및 그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의 경우 대부분의 어패류에서 수은 섭취

량이 높을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66).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의 경우에도 혈중 총 수은과 유사하게 수은

섭취량이 높을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

로도 다수의 어패류에서 그러한 추세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60,

표 3-70). 그러나 요중 수은의 경우 어패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에 따른 통

계적인 유의성은 확보되지 않았다(표 3-72).

Page 14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6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20.57±29.01 29 6.33±6.53 973 5.44±3.23 969 6.65±4.28 <0.001

고등어구이, 조림 2.53±5.20 376 5.37±3.63 716 6.01±3.98 878 6.37±3.88 <0.001

참치 캔 1.72±4.13 952 6.51±4.02 553 5.56±3.90 463 5.68±3.48 <0.001

멸치/멸치볶음 1.52±2.72 203 5.73±4.54 901 5.86±3.57 866 6.32±4.02 0.020

참치(다랑어) 0.42±3.20 1,547 5.89±3.66 241 6.33±3.74 183 7.02±5.46 <0.001

꽁치 0.67±2.70 1,158 5.72±3.44 453 6.20±3.81 360 6.92±5.03 <0.001

조기구이 1.41±2.64 649 5.62±3.60 690 6.01±3.52 630 6.53±4.47 <0.001

명태(동태)찌개 1.28±3.84 849 5.46±3.64 621 6.18±3.47 501 6.88±4.55 <0.001

도미 0.25±1.58 1,627 5.74±3.63 216 6.81±3.44 128 8.72±5.99 <0.001

가자미 0.58±1.78 1,196 5.51±3.46 434 6.56±3.94 340 7.30±4.78 <0.001

갈치 1.86±4.14 411 5.16±3.51 724 6.03±3.67 835 6.50±4.16 <0.001

오징어채,볶음 1.09±2.86 625 6.32±4.27 670 5.91±3.28 672 5.90±4.01 0.081

꽃게장/게 0.96±2.51 1,012 5.80±3.66 560 6.26±3.74 397 6.38±4.56 0.012

조개/골뱅이 0.77±2.06 926 5.80±3.74 517 6.18±3.68 524 6.37±4.30 0.018

굴 0.46±1.96 1,154 5.51±3.37 474 6.44±3.93 340 7.32±4.97 <0.001

미꾸라지(국) 1.08±3.46 1,048 5.72±3.63 522 6.22±4.32 400 6.68±3.86 <0.001

잉어/붕어 0.19±2.21 1,825 5.91±3.64 96 7.23±6.42 49 8.75±4.82 <0.001

상어고기 0.06±0.68 1,901 5.99±3.72 44 7.84±8.26 24 7.52±3.78 0.001

고래고기 0.06±0.66 1,887 5.93±3.76 51 8.15±4.06 30 9.78±7.39 <0.001

회 2.35±5.31 430 4.86±3.25 809 5.62±3.26 731 7.22±4.51 <0.001

젓갈 1.02±3.21 889 5.76±3.83 574 6.12±4.10 506 6.48±3.69 0.004

표 3-57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4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7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20.57±29.01 29 4.49(3.31-6.10) 973 4.67(4.51-4.84) 969 5.60(5.35-5.87) <0.001

고등어구이, 조림 2.53±5.20 376 4.47(4.27-4.79) 716 5.01(4.79-5.37) 878 5.50(5.25-5.62) <0.001

참치 캔 1.72±4.13 952 5.50(5.25-5.75) 553 4.68(4.37-5.01) 463 4.90(4.68-5.13) <0.001

멸치/멸치볶음 1.52±2.72 203 4.57(4.17-5.01) 901 5.01(4.68-5.25) 866 5.37(5.25-5.62) 0.001

참치(다랑어) 0.42±3.20 1,547 5.01(4.90-5.13) 241 5.13(4.47-5.89) 183 5.75(5.37-6.31) 0.016

꽁치 0.67±2.70 1,158 4.79(4.68-5.01) 453 5.37(5.01-5.62) 360 5.75(5.50-6.17) <0.001

조기구이 1.41±2.64 649 4.57(4.37-4.90) 690 5.25(5.01-5.37) 630 5.50(5.37-5.75) <0.001

명태(동태)찌개 1.28±3.84 849 4.57(4.47-4.79) 621 5.25(4.90-5.62) 501 5.89(5.62-6.17) <0.001

도미 0.25±1.58 1,627 4.90(4.68-5.01) 216 6.03(5.62-6.46) 128 7.41(6.76-8.13) <0.001

가자미 0.58±1.78 1,196 4.68(4.57-4.90) 434 5.50(5.13-6.03) 340 6.17(5.89-6.61) <0.001

갈치 1.86±4.14 411 4.27(4.07-4.57) 724 5.13(4.79-5.37) 835 5.50(5.37-5.75) <0.001

오징어채,볶음 1.09±2.86 625 5.25(5.01-5.50) 670 5.13(4.90-5.37) 672 4.90(4.68-5.25) 0.314

꽃게장/게 0.96±2.51 1,012 4.90(4.79-5.13) 560 5.37(5.13-5.62) 397 5.13(4.68-5.62) 0.021

조개/골뱅이 0.77±2.06 926 4.90(4.68-5.01) 517 5.37(5.13-5.62) 524 5.37(4.90-5.75) 0.012

굴 0.46±1.96 1,154 4.68(4.47-4.90) 474 5.50(5.25-5.89) 340 6.17(5.89-6.61) <0.001

미꾸라지(국) 1.08±3.46 1,048 4.79(4.57-5.01) 522 5.37(5.13-5.62) 400 5.75(5.50-6.03) <0.001

잉어/붕어 0.19±2.21 1,825 5.01(4.90-5.13) 96 5.75(5.01-6.61) 49 7.59(6.46-8.91) <0.001

상어고기 0.06±0.68 1,901 5.01(4.90-5.25) 44 6.31(5.25-7.41) 24 6.61(5.25-8.32) 0.019

고래고기 0.06±0.66 1,887 5.01(4.90-5.13) 51 7.41(6.46-8.32) 30 7.59(5.75-10.00) <0.001

회 2.35±5.31 430 4.07(3.89-4.37) 809 4.90(4.79-5.13) 731 6.03(5.75-6.46) <0.001

젓갈 1.02±3.21 889 4.79(4.57-5.01) 574 5.25(5.01-5.50) 506 5.62(5.37-5.89) <0.001

표 3-58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4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8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20.41±21.96 6 2.23±1.42 197 4.45±3.01 197 5.56±3.78 <0.001

고등어구이,

조림2.31±4.73 81 4.04±3.10 141 5.10±3.05 178 5.27±3.83 0.024

참치 캔 1.55±5.88 216 5.19±3.91 91 4.67±2.70 93 4.72±2.94 0.354

멸치/멸치볶

음1.39±2.46 41 4.90±5.95 169 4.63±2.85 189 5.29±3.21 0.196

참치(다랑어) 0.27±0.75 311 4.91±3.54 52 4.97±2.81 37 5.42±3.60 0.698

꽁치 0.59±1.47 241 4.86±3.26 84 4.77±2.60 75 5.50±4.67 0.325

조기구이 1.53±2.74 116 4.69±3.30 147 4.81±2.91 137 5.35±4.06 0.258

명태(동태)찌

개1.50±4.06 164 4.79±4.16 121 5.09±3.06 115 5.08±2.66 0.706

도미 0.20±0.59 322 4.79±3.57 48 5.35±2.71 30 6.19±2.96 0.076

가자미 0.61±1.36 221 4.40±3.55 95 5.73±3.37 84 5.58±3.04 0.001

갈치 1.76±2.69 79 4.03±3.22 142 5.03±3.00 179 5.32±3.81 0.021

오징어채,

볶음0.95±3.24 149 5.02±4.01 127 4.97±3.17 122 4.75±2.69 0.788

꽃게장/게 0.98±2.53 202 4.73±3.62 123 5.45±3.62 74 4.80±2.56 0.172

조개/골뱅이 0.68±1.63 193 4.93±3.87 101 4.79±2.91 106 5.18±3.13 0.704

굴 0.46±1.38 221 4.64±3.27 104 4.70±2.47 74 6.33±4.69 <0.001

미꾸라지(국) 1.29±3.47 190 4.95±3.96 117 4.84±3.09 93 5.14±2.73 0.829

잉어/붕어 0.24±2.58 368 4.90±3.44 21 5.17±3.83 11 6.69±3.11 0.230

상어고기 0.06±0.47 384 4.95±3.49 10 4.36±1.62 6 6.72±3.41 0.395

고래고기 0.06±0.28 378 4.92±3.46 14 5.82±2.33 7 6.00±5.12 0.458

회 2.50±4.27 82 4.18±3.06 151 4.28±2.51 167 5.96±4.08 <0.001

젓갈 1.18±3.34 176 4.85±3.76 121 4.94±3.03 103 5.19±3.39 0.726

표 3-59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4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09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20.41±21.96 6 1.85(0.90-3.82) 197 3.61(3.29-3.96) 197 4.67(4.30-5.08) <0.001

고등어구이, 조림 2.31±4.73 81 3.09(2.57-3.63) 141 4.27(3.89-4.79) 178 4.37(4.07-4.79) <0.001

참치 캔 1.55±5.88 216 4.17(3.80-4.57) 91 3.89(3.47-4.47) 93 3.98(3.55-4.57) 0.796

멸치/멸치볶음 1.39±2.46 41 3.24(2.40-4.27) 169 3.89(3.55-4.27) 189 4.47(4.07-4.79) 0.009

참치(다랑어) 0.27±0.75 311 3.98(3.72-4.27) 52 4.37(3.80-5.01) 37 4.57(3.72-5.50) 0.349

꽁치 0.59±1.47 241 3.98(3.63-4.27) 84 4.07(3.63-4.68) 75 4.47(3.80-5.13) 0.388

조기구이 1.53±2.74 116 3.72(3.31-4.27) 147 4.07(3.63-4.47) 137 4.37(3.89-4.90) 0.166

명태(동태)찌개 1.50±4.06 164 3.72(3.31-4.17) 121 4.27(3.80-4.79) 115 4.47(3.98-4.90) 0.043

도미 0.20±0.59 322 3.89(3.63-4.17) 48 4.68(4.07-5.50) 30 5.37(4.27-6.76) 0.007

가자미 0.61±1.36 221 3.55(3.24-3.89) 95 4.90(4.37-5.50) 84 4.79(4.17-5.37) <0.001

갈치 1.76±2.69 79 3.09(2.63-3.72) 142 4.27(3.89-4.68) 179 4.37(3.98-4.79) <0.001

오징어채,볶음 0.95±3.24 149 3.89(3.47-4.37) 127 4.17(3.72-4.57) 122 4.07(3.63-4.47) 0.774

꽃게장/게 0.98±2.53 202 3.80(3.39-4.17) 123 4.57(4.07-5.01) 74 4.17(3.63-4.68) 0.046

조개/골뱅이 0.68±1.63 193 3.89(3.47-4.27) 101 4.07(3.63-4.57) 106 4.37(3.98-4.90) 0.246

굴 0.46±1.38 221 3.72(3.39-4.07) 104 4.07(3.72-4.57) 74 5.13(4.47-6.03) <0.001

미꾸라지(국) 1.29±3.47 190 3.89(3.55-4.37) 117 3.98(3.55-4.47) 93 4.37(3.89-5.01) 0.364

잉어/붕어 0.24±2.58 368 3.98(3.72-4.27) 21 3.98(2.88-5.62) 11 6.03(4.27-8.51) 0.128

상어고기 0.06±0.47 384 4.07(3.80-4.27) 10 4.07(3.16-5.37) 6 5.89(3.09-11.22) 0.380

고래고기 0.06±0.28 378 3.98(3.72-4.27) 14 5.37(4.17-6.92) 7 4.47(2.04-9.77) 0.250

회 2.50±4.27 82 3.24(2.75-3.80) 151 3.63(3.31-3.98) 167 5.01(4.47-5.50) <0.001

젓갈 1.18±3.34 176 3.89(3.47-4.27) 121 4.17(3.72-4.68) 103 4.27(3.80-4.90) 0.398

표 3-60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4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0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21.18±32.66 15 1.09±0.93 590 1.42±1.03 590 1.73±1.33 <0.001

고등어구이,

조림2.41±4.92 229 1.35±1.01 427 1.60±1.30 538 1.63±1.17 0.010

참치 캔 1.73±4.61 595 1.67±1.18 324 1.46±1.11 273 1.47±1.32 0.012

멸치/멸치볶

음1.47±2.61 118 1.33±1.15 564 1.50±0.96 512 1.69±1.41 0.003

참치(다랑어) 0.35±1.96 928 1.51±1.16 161 1.73±1.26 106 1.79±1.38 0.014

꽁치 0.65±2.14 697 1.47±1.13 276 1.64±1.24 222 1.77±1.30 0.002

조기구이 1.44±2.64 381 1.48±1.06 421 1.50±1.08 392 1.72±1.41 0.008

명태(동태)찌

개1.43±3.97 486 1.38±0.98 373 1.66±1.41 336 1.73±1.18 <0.001

도미 0.30±1.94 969 1.47±1.16 135 1.78±1.16 91 2.22±1.37 <0.001

가자미 0.63±2.08 701 1.38±0.97 272 1.78±1.55 221 1.90±1.23 <0.001

갈치 1.86±3.61 234 1.29±0.90 448 1.51±1.07 513 1.74±1.38 <0.001

오징어채,

볶음1.10±3.23 399 1.64±1.27 420 1.53±1.01 374 1.52±1.30 0.267

꽃게장/게 0.98±2.69 596 1.47±1.05 352 1.66±1.39 246 1.65±1.22 0.031

조개/골뱅이 0.81±2.33 554 1.46±1.09 326 1.68±1.46 314 1.63±1.05 0.017

굴 0.52±2.37 686 1.41±1.01 298 1.65±1.18 210 1.96±1.61 <0.001

미꾸라지(국) 1.16±4.05 633 1.48±1.24 318 1.60±1.08 244 1.75±1.19 0.009

잉어/붕어 0.25±2.78 1,105 1.53±1.17 61 1.84±1.42 29 2.26±1.53 0.001

상어고기 0.07±0.81 1,150 1.55±1.19 30 1.97±1.52 15 1.95±0.97 0.074

고래고기 0.07±0.79 1,141 1.54±1.19 35 2.16±1.13 18 2.20±1.48 <0.001

회 2.64±6.30 245 1.25±0.90 478 1.39±1.13 472 1.91±1.31 <0.001

젓갈 1.06±3.39 533 1.46±1.11 355 1.55±1.06 306 1.77±1.44 0.001

표 3-61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산술평균

Page 14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1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21.18±32.66 15 0.79(0.49-1.26) 590 1.16(1.11-1.22) 590 1.40(1.33-1.48) <0.001

고등어구이, 조림 2.41±4.92 229 1.10(1.00-1.17) 427 1.29(1.23-1.38) 538 1.35(1.26-1.41) <0.001

참치 캔 1.73±4.61 595 1.35(1.29-1.41) 324 1.17(1.10-1.26) 273 1.20(1.12-1.29) 0.004

멸치/멸치볶음 1.47±2.61 118 1.02(0.89-1.15) 564 1.26(1.20-1.32) 512 1.35(1.29-1.45) <0.001

참치(다랑어) 0.35±1.96 928 1.23(1.17-1.29) 161 1.41(1.29-1.55) 106 1.45(1.29-1.62) 0.002

꽁치 0.65±2.14 697 1.20(1.15-1.26) 276 1.32(1.23-1.45) 222 1.41(1.29-1.55) 0.001

조기구이 1.44±2.64 381 1.20(1.12-1.29) 421 1.23(1.17-1.32) 392 1.38(1.29-1.48) 0.003

명태(동태)찌개 1.43±3.97 486 1.12(1.07-1.20) 373 1.35(1.26-1.41) 336 1.41(1.32-1.51) <0.001

도미 0.30±1.94 969 1.20(1.15-1.26) 135 1.48(1.35-1.66) 91 1.86(1.66-2.14) <0.001

가자미 0.63±2.08 701 1.12(1.07-1.17) 272 1.45(1.35-1.55) 221 1.58(1.45-1.70) <0.001

갈치 1.86±3.61 234 1.05(0.98-1.15) 448 1.26(1.17-1.32) 513 1.41(1.32-1.48) <0.001

오징어채,볶음 1.10±3.23 399 1.29(1.20-1.38) 420 1.26(1.20-1.35) 374 1.23(1.17-1.32) 0.615

꽃게장/게 0.98±2.69 596 1.20(1.15-1.26) 352 1.35(1.26-1.45) 246 1.35(1.26-1.48) 0.006

조개/골뱅이 0.81±2.33 554 1.17(1.10-1.23) 326 1.35(1.26-1.45) 314 1.38(1.29-1.48) <0.001

굴 0.52±2.37 686 1.15(1.10-1.20) 298 1.38(1.29-1.45) 210 1.58(1.48-1.74) <0.001

미꾸라지(국) 1.16±4.05 633 1.17(1.12-1.23) 318 1.35(1.26-1.41) 244 1.45(1.35-1.58) <0.001

잉어/붕어 0.25±2.78 1,105 1.26(1.20-1.29) 61 1.48(1.26-1.78) 29 1.82(1.41-2.34) <0.001

상어고기 0.07±0.81 1,150 1.26(1.20-1.32) 30 1.62(1.32-2.04) 15 1.74(1.29-2.29) 0.015

고래고기 0.07±0.79 1,141 1.26(1.20-1.29) 35 1.91(1.55-2.29) 18 1.74(1.20-2.51) <0.001

회 2.64±6.30 245 1.00(0.93-1.10) 478 1.15(1.10-1.23) 472 1.58(1.48-1.66) <0.001

젓갈 1.06±3.39 533 1.17(1.12-1.26) 355 1.29(1.20-1.38) 306 1.45(1.35-1.55) <0.001

표 3-62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Page 14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2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21.09±30.43 27 1.78±2.45 857 2.05±2.96 856 2.13±3.31 0.772

고등어구이,

조림2.53±5.07 317 2.51±5.54 631 1.91±1.68 791 2.05±2.63 0.020

참치 캔 1.76±4.31 844 2.21±3.79 478 2.06±2.64 416 1.85±1.94 0.150

멸치/멸치볶

음1.56±2.77 166 1.83±2.55 801 2.07±3.12 772 2.15±3.25 0.500

참치(다랑어) 0.46±3.41 1,361 2.17±3.47 211 1.77±1.31 168 1.79±1.13 0.101

꽁치 0.70±2.82 1,009 2.17±3.61 404 1.87±1.39 327 2.08±3.08 0.287

조기구이 1.42±2.67 564 1.99±2.76 611 2.05±3.23 563 2.22±3.35 0.428

명태(동태)찌

개1.33±3.76 721 2.06±3.42 562 2.15±3.10 457 2.03±2.65 0.833

도미 0.27±1.78 1,431 2.10±3.20 196 1.80±1.05 113 2.30±4.35 0.322

가자미 0.60±1.86 1,044 2.09±3.39 387 2.02±1.96 308 2.14±3.41 0.879

갈치 1.90±4.24 352 1.87±1.85 638 2.10±3.76 749 2.16±3.01 0.354

오징어채,

볶음1.11±2.76 540 2.11±2.54 598 2.02±3.34 598 2.11±3.39 0.836

꽃게장/게 1.00±2.63 880 2.00±2.50 506 2.23±4.23 352 2.08±2.64 0.441

조개/골뱅이 0.78±2.11 802 1.97±2.37 468 2.21±4.03 466 2.16±3.25 0.356

굴 0.48±2.05 1,008 2.08±3.01 420 1.92±1.26 310 2.30±4.82 0.276

미꾸라지(국) 1.14±3.76 902 2.21±3.91 469 2.05±2.06 367 1.82±1.79 0.132

잉어/붕어 0.25±2.97 1,608 2.10±3.23 85 1.80±1.08 45 1.99±1.68 0.673

상어고기 0.06±0.72 1,678 2.10±3.18 38 1.68±1.24 21 1.50±0.85 0.496

고래고기 0.07±0.69 1,661 2.09±3.18 49 1.94±1.74 26 2.19±1.48 0.938

회 2.38±5.43 363 2.03±4.03 720 2.10±2.91 655 2.10±2.77 0.939

젓갈 0.99±2.90 771 2.11±3.67 514 1.96±1.52 452 2.17±3.48 0.553

표 3-63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산술평균

Page 14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3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21.09±30.43 27 1.21(0.89-1.65) 857 1.57(1.50-1.65) 856 1.54(1.46-1.63) 0.219

고등어구이, 조림 2.53±5.07 317 1.66(1.51-1.78) 631 1.51(1.45-1.62) 791 1.51(1.45-1.62) 0.228

참치 캔 1.76±4.31 844 1.58(1.51-1.66) 478 1.55(1.48-1.66) 416 1.45(1.38-1.55) 0.200

멸치/멸치볶음 1.56±2.77 166 1.35(1.23-1.51) 801 1.55(1.45-1.62) 772 1.62(1.55-1.70) 0.040

참치(다랑어) 0.46±3.41 1,361 1.58(1.51-1.62) 211 1.45(1.32-1.58) 168 1.48(1.35-1.62) 0.280

꽁치 0.70±2.82 1,009 1.58(1.51-1.66) 404 1.45(1.32-1.58) 327 1.55(1.41-1.66) 0.160

조기구이 1.42±2.67 564 1.51(1.41-1.58) 611 1.58(1.48-1.66) 563 1.58(1.45-1.70) 0.521

명태(동태)찌개 1.33±3.76 721 1.51(1.41-1.58) 562 1.58(1.51-1.70) 457 1.58(1.48-1.66) 0.317

도미 0.27±1.78 1,431 1.55(1.48-1.62) 196 1.51(1.38-1.66) 113 1.58(1.41-1.82) 0.842

가자미 0.60±1.86 1,044 1.55(1.48-1.62) 387 1.62(1.51-1.74) 308 1.48(1.32-1.66) 0.345

갈치 1.90±4.24 352 1.48(1.35-1.58) 638 1.58(1.51-1.66) 749 1.55(1.48-1.66) 0.337

오징어채,볶음 1.11±2.76 540 1.62(1.51-1.70) 598 1.51(1.45-1.62) 598 1.51(1.41-1.62) 0.257

꽃게장/게 1.00±2.63 880 1.55(1.48-1.62) 506 1.58(1.48-1.70) 352 1.51(1.35-1.66) 0.553

조개/골뱅이 0.78±2.11 802 1.51(1.45-1.58) 468 1.58(1.51-1.70) 466 1.55(1.45-1.70) 0.385

굴 0.48±2.05 1,008 1.55(1.48-1.62) 420 1.58(1.48-1.70) 310 1.51(1.35-1.70) 0.725

미꾸라지(국) 1.14±3.76 902 1.58(1.51-1.66) 469 1.62(1.51-1.70) 367 1.38(1.26-1.51) 0.005

잉어/붕어 0.25±2.97 1,608 1.55(1.48-1.62) 85 1.51(1.35-1.74) 45 1.62(1.38-1.95) 0.868

상어고기 0.06±0.72 1,678 1.55(1.51-1.62) 38 1.38(1.12-1.70) 21 1.26(0.91-1.70) 0.265

고래고기 0.07±0.69 1,661 1.55(1.48-1.58) 49 1.55(1.29-1.86) 26 1.82(1.41-2.34) 0.565

회 2.38±5.43 363 1.48(1.35-1.58) 720 1.55(1.45-1.62) 655 1.58(1.51-1.70) 0.222

젓갈 0.99±2.90 771 1.55(1.48-1.62) 514 1.55(1.45-1.70) 452 1.51(1.41-1.62) 0.913

표 3-64 개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Page 14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4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872.95±2575.71 32 6.52±6.35* 970 5.63±3.37 969 6.45±4.21 0.004

고등어구이, 조림 106.68±219.06 376 5.37±3.63 716 6.01±3.98 878 6.37±3.88 <0.001

참치 캔 73.44±176.33 952 6.51±4.02 553 5.56±3.90 463 5.68±3.48 <0.001

멸치/멸치볶음 35.79±63.86 203 5.73±4.54 901 5.86±3.57 866 6.32±4.02 0.020

참치(다랑어) 163.66±1246.59 1,547 5.89±3.66 241 6.33±3.74 183 7.02±5.46 <0.001

꽁치 41.87±168.62 1,158 5.72±3.44 453 6.20±3.81 360 6.92±5.03 <0.001

조기구이

명태(동태)찌개 28.20±84.70 849 5.46±3.64 621 6.18±3.47 501 6.88±4.55 <0.001

도미

가자미

갈치 116.50±258.88 411 5.16±3.51 724 6.03±3.67 835 6.50±4.16 <0.001

오징어채,볶음 118.22±310.66 625 6.32±4.27 670 5.91±3.28 672 5.90±4.01 0.081

꽃게장/게 24.09±62.83 1,012 5.80±3.66 560 6.26±3.74 397 6.38±4.56 0.012

조개/골뱅이 3.78±10.10 926 5.80±3.74 517 6.18±3.68 524 6.37±4.30 0.018

굴 7.69±32.53 1,154 5.51±3.37 474 6.44±3.93 340 7.32±4.97 <0.001

미꾸라지(국) 14.86±47.61 1,048 5.72±3.63 522 6.22±4.32 400 6.68±3.86 <0.001

잉어/붕어

상어고기 92.93±1075.97 1,901 5.99±3.72 44 7.84±8.26 24 7.52±3.78 0.001

고래고기 18.19±191.19 1,887 5.93±3.76 51 8.15±4.06 30 9.78±7.39 <0.001

젓갈 13.55±42.65 889 5.76±3.83 574 6.12±4.10 506 6.48±3.69 0.004

표 3-65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4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5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872.95±2575.71 32 4.71(3.54-6.26) 970 4.82(4.65-4.99) 969 5.43(5.18-5.68) <0.001

고등어구이, 조림 106.68±219.06 376 4.47(4.27-4.79) 716 5.01(4.79-5.37) 878 5.50(5.25-5.62) <0.001

참치 캔 73.44±176.33 952 5.50(5.25-5.75) 553 4.68(4.37-5.01) 463 4.90(4.68-5.13) <0.001

멸치/멸치볶음 35.79±63.86 203 4.57(4.17-5.01) 901 5.01(4.68-5.25) 866 5.37(5.25-5.62) 0.001

참치(다랑어) 163.66±1246.59 1,547 5.01(4.90-5.13) 241 5.13(4.47-5.89) 183 5.75(5.37-6.31) 0.016

꽁치 41.87±168.62 1,158 4.79(4.68-5.01) 453 5.37(5.01-5.62) 360 5.75(5.50-6.17) <0.001

조기구이 . .

명태(동태)찌개 28.20±84.70 849 4.57(4.47-4.79) 621 5.25(4.90-5.62) 501 5.89(5.62-6.17) <0.001

도미 . .

가자미 . .

갈치 116.50±258.88 411 4.27(4.07-4.57) 724 5.13(4.79-5.37) 835 5.50(5.37-5.75) <0.001

오징어채,볶음 118.22±310.66 625 5.25(5.01-5.50) 670 5.13(4.90-5.37) 672 4.90(4.68-5.25) 0.314

꽃게장/게 24.09±62.83 1,012 4.90(4.79-5.13) 560 5.37(5.13-5.62) 397 5.13(4.68-5.62) 0.021

조개/골뱅이 3.78±10.10 926 4.90(4.68-5.01) 517 5.37(5.13-5.62) 524 5.37(4.90-5.75) 0.012

굴 7.69±32.53 1,154 4.68(4.47-4.90) 474 5.50(5.25-5.89) 340 6.17(5.89-6.61) <0.001

미꾸라지(국) 14.86±47.61 1,048 4.79(4.57-5.01) 522 5.37(5.13-5.62) 400 5.75(5.50-6.03) <0.001

잉어/붕어 . .

상어고기 92.93±1075.97 1,901 5.01(4.90-5.25) 44 6.31(5.25-7.41) 24 6.61(5.25-8.32) 0.019

고래고기 18.19±191.19 1,887 5.01(4.90-5.13) 51 7.41(6.46-8.32) 30 7.59(5.75-10.00) <0.001

회 . .

젓갈 13.55±42.65 889 4.79(4.57-5.01) 574 5.25(5.01-5.50) 506 5.62(5.37-5.89) <0.001

표 3-66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ℓ) 농도- 기하평균

Page 15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6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788.51±1204.60 8 2.85±1.70 196 4.56±3.12 196 5.46±3.74 0.076

고등어구이,

조림97.48±199.57 81 4.04±3.10 141 5.10±3.05 178 5.27±3.83 0.024

참치 캔 66.02±250.73 216 5.19±3.91 91 4.67±2.70 93 4.72±2.94 0.354

멸치/멸치볶

음32.60±57.77 41 4.90±5.95 169 4.63±2.85 189 5.29±3.21 0.196

참치(다랑어) 106.58±291.93 311 4.91±3.54 52 4.97±2.81 37 5.42±3.60 0.698

꽁치 36.77±91.51 241 4.86±3.26 84 4.77±2.60 75 5.50±4.67 0.325

조기구이

명태(동태)찌

개33.02±89.48 164 4.79±4.16 121 5.09±3.06 115 5.08±2.66 0.706

도미

가자미

갈치 110.14±168.32 79 4.03±3.22 142 5.03±3.00 179 5.32±3.81 0.021

오징어채,

볶음103.00±351.63 149 5.02±4.01 127 4.97±3.17 122 4.75±2.69 0.788

꽃게장/게 24.59±63.17 202 4.73±3.62 123 5.45±3.62 74 4.80±2.56 0.172

조개/골뱅이 3.35±8.00 193 4.93±3.87 101 4.79±2.91 106 5.18±3.13 0.704

굴 7.67±22.90 221 4.64±3.27 104 4.70±2.47 74 6.33±4.69 <0.001

미꾸라지(국) 17.76±47.84 190 4.95±3.96 117 4.84±3.09 93 5.14±2.73 0.829

잉어/붕어

상어고기 102.30±745.78 384 4.95±3.49 10 4.36±1.62 6 6.72±3.41 0.395

고래고기 16.52±81.75 378 4.92±3.46 14 5.82±2.33 7 6.00±5.12 0.458

젓갈 15.67±44.28 176 4.85±3.76 121 4.94±3.03 103 5.19±3.39 0.726

표 3-67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5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7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788.51±1204.60 8 2.33(1.27-4.29) 196 3.68(3.34-4.04) 196 4.58(4.22-4.98) <0.001

고등어구이, 조림 97.48±199.57 81 3.09(2.57-3.63) 141 4.27(3.89-4.79) 178 4.37(4.07-4.79) <0.001

참치 캔 66.02±250.73 216 4.17(3.80-4.57) 91 3.89(3.47-4.47) 93 3.98(3.55-4.57) 0.796

멸치/멸치볶음 32.60±57.77 41 3.24(2.40-4.27) 169 3.89(3.55-4.27) 189 4.47(4.07-4.79) 0.009

참치(다랑어) 106.58±291.93 311 3.98(3.72-4.27) 52 4.37(3.80-5.01) 37 4.57(3.72-5.50) 0.349

꽁치 36.77±91.51 241 3.98(3.63-4.27) 84 4.07(3.63-4.68) 75 4.47(3.80-5.13) 0.388

조기구이 .

명태(동태)찌개 33.02±89.48 164 3.72(3.31-4.17) 121 4.27(3.80-4.79) 115 4.47(3.98-4.90) 0.043

도미 .

가자미 .

갈치 110.14±168.32 79 3.09(2.63-3.72) 142 4.27(3.89-4.68) 179 4.37(3.98-4.79) <0.001

오징어채,볶음 103.00±351.63 149 3.89(3.47-4.37) 127 4.17(3.72-4.57) 122 4.07(3.63-4.47) 0.774

꽃게장/게 24.59±63.17 202 3.80(3.39-4.17) 123 4.57(4.07-5.01) 74 4.17(3.63-4.68) 0.046

조개/골뱅이 3.35±8.00 193 3.89(3.47-4.27) 101 4.07(3.63-4.57) 106 4.37(3.98-4.90) 0.246

굴 7.67±22.90 221 3.72(3.39-4.07) 104 4.07(3.72-4.57) 74 5.13(4.47-6.03) <0.001

미꾸라지(국) 17.76±47.84 190 3.89(3.55-4.37) 117 3.98(3.55-4.47) 93 4.37(3.89-5.01) 0.364

잉어/붕어 .

상어고기 102.30±745.78 384 4.07(3.80-4.27) 10 4.07(3.16-5.37) 6 5.89(3.09-11.22) 0.380

고래고기 16.52±81.75 378 3.98(3.72-4.27) 14 5.37(4.17-6.92) 7 4.47(2.04-9.77) 0.250

회 .

젓갈 15.67±44.28 176 3.89(3.47-4.27) 121 4.17(3.72-4.68) 103 4.27(3.80-4.90) 0.398

표 3-68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5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8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861.56±2737.55 18 1.32±1.08 589 1.50±1.09 588 1.64±1.29 0.069

고등어구이,

조림101.55±207.59 229 1.35±1.01 427 1.60±1.30 538 1.63±1.17 0.010

참치 캔 73.71±196.72 595 1.67±1.18 324 1.46±1.11 273 1.47±1.32 0.012

멸치/멸치볶

음34.44±61.25 118 1.33±1.15 564 1.50±0.96 512 1.69±1.41 0.003

참치(다랑어) 136.11±766.04 928 1.51±1.16 161 1.73±1.26 106 1.79±1.38 0.014

꽁치 40.49±133.84 697 1.47±1.13 276 1.64±1.24 222 1.77±1.30 0.002

조기구이

명태(동태)찌

개31.44±87.45 486 1.38±0.98 373 1.66±1.41 336 1.73±1.18 <0.001

도미

가자미

갈치 116.31±225.88 234 1.29±0.90 448 1.51±1.07 513 1.74±1.38 <0.001

오징어채,

볶음118.86±350.06 399 1.64±1.27 420 1.53±1.01 374 1.52±1.30 0.267

꽃게장/게 24.56±67.40 596 1.47±1.05 352 1.66±1.39 246 1.65±1.22 0.031

조개/골뱅이 3.99±11.48 554 1.46±1.09 326 1.68±1.46 314 1.63±1.05 0.017

굴 8.72±39.39 686 1.41±1.01 298 1.65±1.18 210 1.96±1.61 <0.001

미꾸라지(국) 15.91±55.71 633 1.48±1.24 318 1.60±1.08 244 1.75±1.19 0.009

잉어/붕어

상어고기 108.39±1283.45 1,150 1.55±1.19 30 1.97±1.52 15 1.95±0.97 0.074

고래고기 20.63±228.76 1,141 1.54±1.19 35 2.16±1.13 18 2.20±1.48 <0.001

젓갈 14.04±44.96 533 1.46±1.11 355 1.55±1.06 306 1.77±1.44 0.001

표 3-69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산술평균

Page 15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19 -

식품

연간

수은 섭취량

(㎍/year)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861.56±2737.55 18 0.94(0.60-1.46) 589 1.22(1.16-1.28) 588 1.34(1.27-1.41) <0.001

고등어구이, 조림 101.55±207.59 229 1.10(1.00-1.17) 427 1.29(1.23-1.38) 538 1.35(1.26-1.41) <0.001

참치 캔 73.71±196.72 595 1.35(1.29-1.41) 324 1.17(1.10-1.26) 273 1.20(1.12-1.29) 0.004

멸치/멸치볶음 34.44±61.25 118 1.02(0.89-1.15) 564 1.26(1.20-1.32) 512 1.35(1.29-1.45) <0.001

참치(다랑어) 136.11±766.04 928 1.23(1.17-1.29) 161 1.41(1.29-1.55) 106 1.45(1.29-1.62) 0.002

꽁치 40.49±133.84 697 1.20(1.15-1.26) 276 1.32(1.23-1.45) 222 1.41(1.29-1.55) 0.001

조기구이 1,194 1.26(1.23-1.32) . .

명태(동태)찌개 31.44±87.45 486 1.12(1.07-1.20) 373 1.35(1.26-1.41) 336 1.41(1.32-1.51) <0.001

도미 1,195 1.26(1.23-1.32) . .

가자미 1,194 1.26(1.23-1.32) . .

갈치 116.31±225.88 234 1.05(0.98-1.15) 448 1.26(1.17-1.32) 513 1.41(1.32-1.48) <0.001

오징어채,볶음 118.86±350.06 399 1.29(1.20-1.38) 420 1.26(1.20-1.35) 374 1.23(1.17-1.32) 0.615

꽃게장/게 24.56±67.40 596 1.20(1.15-1.26) 352 1.35(1.26-1.45) 246 1.35(1.26-1.48) 0.006

조개/골뱅이 3.99±11.48 554 1.17(1.10-1.23) 326 1.35(1.26-1.45) 314 1.38(1.29-1.48) <0.001

굴 8.72±39.39 686 1.15(1.10-1.20) 298 1.38(1.29-1.45) 210 1.58(1.48-1.74) <0.001

미꾸라지(국) 15.91±55.71 633 1.17(1.12-1.23) 318 1.35(1.26-1.41) 244 1.45(1.35-1.58) <0.001

잉어/붕어 1,195 1.26(1.23-1.32) . .

상어고기 108.39±1283.45 1,150 1.26(1.20-1.32) 30 1.62(1.32-2.04) 15 1.74(1.29-2.29) 0.015

고래고기 20.63±228.76 1,141 1.26(1.20-1.29) 35 1.91(1.55-2.29) 18 1.74(1.20-2.51) <0.001

회 1,195 1.26(1.23-1.32) . .

젓갈 14.04±44.96 533 1.17(1.12-1.26) 355 1.29(1.20-1.38) 306 1.45(1.35-1.55) <0.001

표 3-70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Page 15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0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전체 905.32±2742.43 30 1.80±2.34 855 2.07±3.09 855 2.10±3.18 0.864

고등어구이,

조림106.70±213.88 317 2.51±5.54 631 1.91±1.68 791 2.05±2.63 0.020

참치 캔 75.23±183.91 844 2.21±3.79 478 2.06±2.64 416 1.85±1.94 0.150

멸치/멸치볶

음36.56±65.09 166 1.83±2.55 801 2.07±3.12 772 2.15±3.25 0.500

참치(다랑어) 178.40±1330.11 1,361 2.17±3.47 211 1.77±1.31 168 1.79±1.13 0.101

꽁치 43.43±176.21 1,009 2.17±3.61 404 1.87±1.39 327 2.08±3.08 0.287

조기구이

명태(동태)찌

개29.23±82.99 721 2.06±3.42 562 2.15±3.10 457 2.03±2.65 0.833

도미

가자미

갈치 118.55±265.17 352 1.87±1.85 638 2.10±3.76 749 2.16±3.01 0.354

오징어채,

볶음120.03±298.91 540 2.11±2.54 598 2.02±3.34 598 2.11±3.39 0.836

꽃게장/게 25.10±65.82 880 2.00±2.50 506 2.23±4.23 352 2.08±2.64 0.441

조개/골뱅이 3.85±10.39 802 1.97±2.37 468 2.21±4.03 466 2.16±3.25 0.356

굴 7.95±34.04 1,008 2.08±3.01 420 1.92±1.26 310 2.30±4.82 0.276

미꾸라지(국) 15.74±51.74 902 2.21±3.91 469 2.05±2.06 367 1.82±1.79 0.132

잉어/붕어

상어고기 97.68±1139.53 1,678 2.10±3.18 38 1.68±1.24 21 1.50±0.85 0.496

고래고기 18.92±199.93 1,661 2.09±3.18 49 1.94±1.74 26 2.19±1.48 0.938

젓갈 13.17±38.55 771 2.11±3.67 514 1.96±1.52 452 2.17±3.48 0.553

표 3-71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산술평균

Page 15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1 -

식품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전체 905.32±2742.43 30 1.26(0.94-1.67) 855 1.57(1.49-1.64) 855 1.54(1.46-1.63) 0.285

고등어구이, 조림 106.70±213.88 317 1.66(1.51-1.78) 631 1.51(1.45-1.62) 791 1.51(1.45-1.62) 0.228

참치 캔 75.23±183.91 844 1.58(1.51-1.66) 478 1.55(1.48-1.66) 416 1.45(1.38-1.55) 0.200

멸치/멸치볶음 36.56±65.09 166 1.35(1.23-1.51) 801 1.55(1.45-1.62) 772 1.62(1.55-1.70) 0.040

참치(다랑어) 178.40±1330.11 1,361 1.58(1.51-1.62) 211 1.45(1.32-1.58) 168 1.48(1.35-1.62) 0.280

꽁치 43.43±176.21 1,009 1.58(1.51-1.66) 404 1.45(1.32-1.58) 327 1.55(1.41-1.66) 0.160

조기구이

명태(동태)찌개 29.23±82.99 721 1.51(1.41-1.58) 562 1.58(1.51-1.70) 457 1.58(1.48-1.66) 0.317

도미

가자미

갈치 118.55±265.17 352 1.48(1.35-1.58) 638 1.58(1.51-1.66) 749 1.55(1.48-1.66) 0.337

오징어채,볶음 120.03±298.91 540 1.62(1.51-1.70) 598 1.51(1.45-1.62) 598 1.51(1.41-1.62) 0.257

꽃게장/게 25.10±65.82 880 1.55(1.48-1.62) 506 1.58(1.48-1.70) 352 1.51(1.35-1.66) 0.553

조개/골뱅이 3.85±10.39 802 1.51(1.45-1.58) 468 1.58(1.51-1.70) 466 1.55(1.45-1.70) 0.385

굴 7.95±34.04 1,008 1.55(1.48-1.62) 420 1.58(1.48-1.70) 310 1.51(1.35-1.70) 0.725

미꾸라지(국) 15.74±51.74 902 1.58(1.51-1.66) 469 1.62(1.51-1.70) 367 1.38(1.26-1.51) 0.005

잉어/붕어

상어고기 97.68±1139.53 1,678 1.55(1.51-1.62) 38 1.38(1.12-1.70) 21 1.26(0.91-1.70) 0.265

고래고기 18.92±199.93 1,661 1.55(1.48-1.58) 49 1.55(1.29-1.86) 26 1.82(1.41-2.34) 0.565

젓갈 13.17±38.55 771 1.55(1.48-1.62) 514 1.55(1.45-1.70) 452 1.51(1.41-1.62) 0.913

표 3-72 개별 어패류 연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Page 15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2 -

4. 24시간 식이회상법 결과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가. 식품군별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24시간 식이회상법에 따라 대상자들의 최근 1일간의 식품군별 섭취량 조

사 결과, 곡류, 채소류, 우유 및 그 제품, 음료 및 주류 등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섭취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는 두류, 채소, 어패류, 우유, 유지

류, 음료, 조미료 등의 제품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섭취수준이 증

가함에 따라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는 어패류, 음료, 조미료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74).

혈중 메틸수은에서 섭취량에 따른 메틸수은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된 식품군은 채소, 유지류가 있었지만, 거의 안 먹는 인원의 수

치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대표성을 갖추진 못한 결과로 판

단되며, 혈중 총 수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던 어패류

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표 3-76).

모발 수은에서도 섭취에 따라 수은 농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식품군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는 하나 섭취정도에 따른 경향성

은 없었다, 어패류에서 섭취에 따라 수은 증가가 일관되지 않은 것으로 관

찰되었다(표 3-78).

요중 수은에서는 섭취여부에 따른 수은 분포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

지는 식품군이 확인되지 않았다. 섭취수준에 따른 수은 농도의 차이도 미

미한 수준이었다(표 3-80).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품군별 섭취량은 가장 최근 하루간의 식이섭취

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앞선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결과와 다소의 차

이를 보일 수 있다.

Page 15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3 -

식품

1일

섭취량

(g/day)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223.26±79.97 19 5.57±3.54 962 5.95±3.91 963 6.15±3.85 0.467

감자류 및

전분류69.75±75.39 1,053 6.08±4.11 468 5.99±3.59 423 6.00±3.58 0.892

당류 및

그 제품10.26±7.79 374 6.09±3.76 782 6.05±4.31 788 6.02±3.45 0.957

두류 및

그 제품53.67±53.01 877 5.85±3.86 532 6.40±4.10 535 6.01±3.65 0.037

종실류 및

그 제품1.36±1.13 1,156 6.00±4.01 458 6.01±3.48 330 6.23±3.92 0.623

채소류 및

그 제품298.07±157.15 6 6.21±8.15 968 5.74±4.07 970 6.35±3.62 0.002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7.12±172.00 1,063 6.05±3.65 432 6.02±4.68 449 6.05±3.53 0.991

난류 86.35±85.30 474 6.30±3.90 777 6.08±3.82 693 5.83±3.91 0.114

어패류 및

그 제품45.65±32.82 857 6.17±3.67 544 6.02±4.30 543 5.87±3.73 0.347

해조류 및

그 제품73.29±65.89 414 5.62±4.42 766 5.75±3.44 764 6.56±3.92 <0.001

우유 및

그 제품3.85±3.23 1,199 6.10±4.05 345 5.62±3.36 400 6.23±3.74 0.067

유지류 198.61±101.52 1,422 6.30±4.07 190 5.39±3.09 332 5.33±3.23 <0.001

음료 및 주류 10.09±7.10 176 5.73±3.83 880 6.38±4.39 888 5.77±3.27 0.002

조미료 및

향신료류304.90±366.84 893 5.84±3.43 526 6.03±4.57 525 6.40±3.82 0.033

표 3-73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5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4 -

식품

1일

섭취량

(g/day)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223.26±79.97 19 4.57(3.31-6.31) 962 5.01(4.79-5.25) 963 5.25(5.01-5.37) 0.281

감자류 및

전분류69.75±75.39 1,053 5.13(4.90-5.25) 468 5.13(4.90-5.37) 423 5.13(4.90-5.50) 0.893

당류 및

그 제품10.26±7.79 374 5.13(4.90-5.50) 782 5.01(4.90-5.25) 788 5.13(4.90-5.37) 0.867

두류 및

그 제품53.67±53.01 877 4.90(4.68-5.13) 532 5.50(5.13-5.75) 535 5.13(4.90-5.37) 0.011

종실류 및

그 제품1.36±1.13 1,156 5.13(4.90-5.25) 458 5.01(4.68-5.50) 330 5.25(5.01-5.62) 0.514

채소류 및

그 제품298.07±157.15 6 3.80(1.38-10.72) 968 4.79(4.57-5.01) 970 5.50(5.25-5.62) <0.001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7.12±172.00 1,063 5.13(5.01-5.37) 432 4.90(4.47-5.37) 449 5.25(5.01-5.50) 0.242

난류 86.35±85.30 474 5.25(5.01-5.62) 777 5.13(4.79-5.37) 693 5.01(4.79-5.25) 0.354

어패류 및

그 제품45.65±32.82 857 5.13(4.90-5.37) 544 5.13(4.90-5.37) 543 5.01(4.79-5.25) 0.658

해조류 및

그 제품73.29±65.89 414 4.68(4.37-4.90) 766 4.90(4.57-5.13) 764 5.62(5.37-5.89) <0.001

우유 및

그 제품3.85±3.23 1,199 5.13(5.01-5.37) 345 4.68(4.17-5.13) 400 5.37(5.13-5.62) 0.006

유지류 198.61±101.52 1,422 5.25(5.13-5.50) 190 4.68(4.27-5.01) 332 4.68(4.37-4.90) <0.001

음료 및 주류 10.09±7.10 176 4.79(4.37-5.25) 880 5.37(5.13-5.50) 888 4.90(4.68-5.13) 0.020

조미료 및

향신료류304.90±366.84 893 5.01(4.90-5.25) 526 5.01(4.79-5.25) 525 5.37(5.01-5.75) 0.162

표 3-74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5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5 -

식품

1일

섭취량

(g/day)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223.83±80.71 3 4.92±3.38 193 4.93±3.79 198 5.01±3.13 0.9722

감자류 및

전분류69.21±81.86 211 5.25±3.93 91 4.78±2.92 92 4.52±2.71 0.2028

당류 및

그 제품11.09±8.68 79 5.22±3.56 158 5.13±4.02 157 4.69±2.74 0.4077

두류 및

그 제품48.89±45.58 188 4.86±3.10 110 5.45±4.37 96 4.63±2.89 0.2033

종실류 및

그 제품1.54±1.40 236 5.06±3.79 82 4.79±2.82 76 4.88±3.03 0.8135

채소류 및

그 제품308.94±166.04 1 19.80 196 4.87±3.69 197 4.99±3.07 <.0001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3.96±172.94 238 4.66±2.90 80 5.16±4.51 76 5.74±3.74 0.0525

난류 86.88±78.33 105 5.20±3.42 147 4.93±4.06 142 4.84±2.76 0.7168

어패류 및

그 제품44.88±33.37 183 5.01±3.50 103 5.08±3.84 108 4.79±3.02 0.811

해조류 및

그 제품76.32±66.13 91 5.19±5.01 145 4.48±2.40 158 5.29±3.16 0.0983

우유 및

그 제품4.17±3.70 242 5.04±3.74 82 4.33±2.18 70 5.46±3.61 0.1156

유지류 204.26±111.55 288 4.98±3.21 37 4.70±3.00 69 5.08±4.57 0.8613

음료 및 주류 10.40±7.34 39 4.74±3.46 178 5.49±4.16 177 4.50±2.51 0.0233

조미료 및

향신료류326.13±448.84 183 4.86±3.24 102 4.66±2.76 109 5.44±4.29 0.228

표 3-75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6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6 -

식품

1일

섭취량

(g/day)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223.83±80.71 3 4.17(0.66-26.30) 193 3.98(3.63-4.37) 198 4.17(3.80-4.57) 0.854

감자류 및

전분류69.21±81.86 211 4.17(3.80-4.57) 91 3.98(3.55-4.57) 92 3.80(3.39-4.37) 0.479

당류 및

그 제품11.09±8.68 79 4.27(3.63-4.90) 158 4.07(3.72-4.57) 157 3.89(3.55-4.37) 0.645

두류 및

그 제품48.89±45.58 188 3.98(3.63-4.37) 110 4.37(3.80-4.90) 96 3.89(3.39-4.37) 0.392

종실류 및

그 제품1.54±1.40 236 4.07(3.80-4.47) 82 3.98(3.47-4.57) 76 4.07(3.47-4.68) 0.936

채소류 및

그 제품308.94±166.04 1 19.95 196 3.89(3.55-4.37) 197 4.17(3.80-4.57) 0.035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3.96±172.94 238 3.89(3.55-4.17) 80 4.17(3.63-4.79) 76 4.68(3.98-5.37) 0.088

난류 86.88±78.33 105 4.17(3.63-4.79) 147 3.89(3.55-4.37) 142 4.17(3.80-4.57) 0.700

어패류 및

그 제품44.88±33.37 183 3.98(3.55-4.37) 103 4.27(3.89-4.79) 108 3.98(3.55-4.47) 0.561

해조류 및

그 제품76.32±66.13 91 3.80(3.24-4.47) 145 3.89(3.47-4.27) 158 4.47(3.98-4.90) 0.098

우유 및

그 제품4.17±3.70 242 4.07(3.72-4.47) 82 3.72(3.31-4.27) 70 4.47(3.80-5.25) 0.250

유지류 204.26±111.55 288 4.07(3.80-4.37) 37 3.89(3.16-4.79) 69 4.07(3.47-4.79) 0.938

음료 및 주류 10.40±7.34 39 3.72(2.88-4.68) 178 4.37(3.89-4.79) 177 3.89(3.55-4.17) 0.157

조미료 및

향신료류326.13±448.84 183 3.89(3.55-4.37) 102 3.98(3.63-4.47) 109 4.37(3.80-4.90) 0.462

표 3-76 식품군별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6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7 -

식품

1일

섭취량

(g/day)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223.01±77.59 13 1.23±0.74 574 1.52±1.27 588 1.63±1.14 0.195

감자류 및

전분류70.35±77.65 638 1.56±1.12 280 1.64±1.43 257 1.51±1.11 0.482

당류 및

그 제품10.55±8.08 236 1.58±1.09 467 1.55±1.35 472 1.59±1.10 0.848

두류 및

그 제품54.42±55.26 531 1.50±1.26 326 1.71±1.26 318 1.55±1.03 0.049

종실류 및

그 제품1.41±1.16 698 1.56±1.27 268 1.54±1.02 209 1.66±1.20 0.492

채소류 및

그 제품301.02±161.29 6 1.24±1.45 588 1.49±1.24 581 1.66±1.15 0.044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4.86±167.53 661 1.62±1.28 256 1.48±1.19 258 1.52±0.99 0.201

난류 87.11±89.62 296 1.70±1.30 474 1.60±1.31 405 1.43±0.95 0.010

어패류 및

그 제품46.40±33.92 532 1.63±1.18 319 1.50±1.04 324 1.55±1.38 0.295

해조류 및

그 제품71.95±64.41 246 1.46±1.51 463 1.53±1.09 466 1.67±1.12 0.070

우유 및

그 제품3.96±3.39 731 1.56±1.16 204 1.43±0.90 240 1.72±1.49 0.035

유지류 201.10±103.81 874 1.62±1.16 105 1.44±0.93 196 1.43±1.49 0.064

음료 및 주류 10.21±7.23 108 1.31±0.98 527 1.71±1.37 540 1.48±1.04 <0.001

조미료 및

향신료류316.24±404.25 536 1.53±1.05 313 1.53±1.18 326 1.68±1.44 0.154

표 3-77 식품군별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산술평균

Page 16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8 -

식품

1일

섭취량

(g/day)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223.01±77.59 13 1.05(0.72-1.51) 574 1.23(1.15-1.29) 588 1.32(1.26-1.41) 0.041

감자류 및

전분류70.35±77.65 638 1.29(1.20-1.35) 280 1.32(1.20-1.41) 257 1.23(1.15-1.32) 0.509

당류 및

그 제품10.55±8.08 236 1.29(1.17-1.38) 467 1.23(1.17-1.32) 472 1.32(1.23-1.38) 0.385

두류 및

그 제품54.42±55.26 531 1.20(1.15-1.29) 326 1.38(1.29-1.48) 318 1.26(1.17-1.35) 0.011

종실류 및

그 제품1.41±1.16 698 1.26(1.20-1.32) 268 1.29(1.20-1.38) 209 1.35(1.23-1.48) 0.317

채소류 및

그 제품301.02±161.29 6 0.81(0.32-2.14) 588 1.20(1.15-1.26) 581 1.35(1.29-1.45) 0.001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4.86±167.53 661 1.32(1.23-1.38) 256 1.20(1.12-1.29) 258 1.26(1.17-1.35) 0.222

난류 87.11±89.62 296 1.35(1.23-1.45) 474 1.29(1.23-1.38) 405 1.20(1.15-1.29) 0.068

어패류 및

그 제품46.40±33.92 532 1.29(1.23-1.38) 319 1.26(1.17-1.35) 324 1.23(1.15-1.32) 0.550

해조류 및

그 제품71.95±64.41 246 1.12(1.02-1.23) 463 1.26(1.17-1.32) 466 1.38(1.32-1.45) <0.001

우유 및

그 제품3.96±3.39 731 1.26(1.20-1.32) 204 1.20(1.12-1.32) 240 1.38(1.29-1.51) 0.041

유지류 201.10±103.81 874 1.32(1.26-1.38) 105 1.20(1.07-1.35) 196 1.12(1.02-1.23) 0.005

음료 및 주류 10.21±7.23 108 1.05(0.93-1.20) 527 1.35(1.29-1.45) 540 1.23(1.17-1.29) <0.001

조미료 및

향신료류316.24±404.25 536 1.26(1.20-1.32) 313 1.23(1.15-1.32) 326 1.35(1.26-1.45) 0.240

표 3-78 식품군별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Page 16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29 -

식품

1일

섭취량

(g/day)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224.87±77.99 14 2.14±1.54 865 2.05±2.77 834 2.09±3.45 0.968

감자류 및

전분류68.72±73.16 923 2.04±2.61 410 2.09±3.12 380 2.12±4.06 0.915

당류 및

그 제품10.21±7.76 322 1.91±1.71 696 2.00±2.18 695 2.21±4.21 0.291

두류 및

그 제품54.50±54.01 754 2.15±4.04 480 2.07±2.39 479 1.94±1.77 0.514

종실류 및

그 제품1.35±1.06 1,007 2.06±3.56 408 1.93±1.51 298 2.28±3.08 0.344

채소류 및

그 제품298.97±153.40 5 1.61±0.82 857 2.06±3.30 851 2.08±2.91 0.944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188.34±172.92 938 2.03±2.47 379 2.00±2.20 396 2.23±4.77 0.491

난류 86.83±86.55 412 2.28±4.03 693 2.11±3.40 608 1.87±1.74 0.108

어패류 및

그 제품46.16±33.80 751 2.10±2.91 483 1.85±1.73 479 2.24±4.27 0.137

해조류 및

그 제품73.28±66.09 360 2.06±2.78 678 2.08±3.76 675 2.06±2.50 0.990

우유 및

그 제품3.83±3.22 1,046 2.07±2.80 311 1.92±1.44 356 2.18±4.65 0.555

유지류 198.28±102.98 1,257 2.06±3.24 169 1.99±1.49 287 2.16±3.24 0.843

음료 및 주류 10.12±7.09 142 1.75±1.41 784 1.99±2.06 787 2.20±4.05 0.185

조미료 및

향신료류305.16±376.10 793 2.00±2.48 463 2.13±2.86 457 2.13±4.16 0.666

표 3-79 식품군별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산술평균

Page 16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0 -

식품

1일

섭취량

(g/day)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224.87±77.99 14 1.74(1.23-2.51) 865 1.55(1.45-1.62) 834 1.55(1.48-1.62) 0.8108

감자류 및

전분류68.72±73.16 923 1.51(1.45-1.62) 410 1.58(1.48-1.70) 380 1.58(1.48-1.70) 0.671

당류 및

그 제품10.21±7.76 322 1.51(1.41-1.62) 696 1.55(1.48-1.66) 695 1.55(1.45-1.66) 0.849

두류 및

그 제품54.50±54.01 754 1.51(1.45-1.62) 480 1.58(1.48-1.74) 479 1.51(1.41-1.62) 0.5195

종실류 및

그 제품1.35±1.06 1,007 1.51(1.45-1.58) 408 1.51(1.41-1.66) 298 1.66(1.51-1.82) 0.2054

채소류 및

그 제품298.97±153.40 5 1.45(0.72-2.82) 857 1.51(1.41-1.58) 851 1.58(1.51-1.66) 0.2307

과실류 및

그 제품1,713 1.55(1.48-1.58) . . .

육류 및

그 제품188.34±172.92 938 1.55(1.45-1.62) 379 1.58(1.48-1.70) 396 1.51(1.41-1.62) 0.651

난류 86.83±86.55 412 1.55(1.41-1.70) 693 1.58(1.51-1.70) 608 1.48(1.41-1.55) 0.1821

어패류 및

그 제품46.16±33.80 751 1.58(1.48-1.66) 483 1.45(1.32-1.55) 479 1.62(1.51-1.70) 0.0584

해조류 및

그 제품73.28±66.09 360 1.51(1.41-1.62) 678 1.51(1.41-1.62) 675 1.58(1.51-1.66) 0.483

우유 및

그 제품3.83±3.22 1,046 1.55(1.48-1.62) 311 1.51(1.41-1.66) 356 1.51(1.38-1.62) 0.7185

유지류 198.28±102.98 1,257 1.55(1.48-1.62) 169 1.58(1.41-1.74) 287 1.51(1.38-1.66) 0.8945

음료 및 주류 10.12±7.09 142 1.41(1.26-1.58) 784 1.51(1.45-1.62) 787 1.58(1.51-1.66) 0.2192

조미료 및

향신료류305.16±376.10 793 1.51(1.41-1.58) 463 1.62(1.51-1.74) 457 1.51(1.45-1.62) 0.3081

표 3-80 식품군별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Page 16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1 -

나.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조사대상자의 1일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에서 곡류, 채소류, 유지류, 조미

료 및 향신료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징

적으로 해조류 및 그 제품에 의한 1일 수은 섭취량의 평균±표준편차가

3.37±16.99 ㎍/day 로 매우 높은 수치로 나타났는데 이는 74.6 ㎍/day,

114.0 ㎍/day, 633.7 ㎍/day 등의 극단치라 할 수 있는 값을 가지는 대상자

가 다수 존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어 된다.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는 두류, 채소, 해조류,

우유, 유지류, 조미료 등의 제품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은 섭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는 채소류, 해조

류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82).

혈중 메틸수은에서 수은 섭취량에 따른 메틸수은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표 3-84).

모발 수은에서도 수은 섭취량에 따라 수은 농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식

품군은 채소류, 해조류로 확인되었다(표 3-86).

요중 수은에서는 수은 섭취량에 따른 수은 분포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지는 식품군이 확인되지 않았다. 수은 섭취량 수준에 따른 수은 농도의

차이도 미미한 수준이었다(표 3-88).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은 가장 최근 하루간의 식이

섭취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앞선 연간 어패류에 의한 수은 섭취량의 결과

와 다소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Page 16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2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0.57±0.51 19 5.57±3.54 963 6.02±4.06 962 6.08±3.70 0.819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1,053 6.08±4.11 465 6.00±3.60 426 6.00±3.57 0.892

당류 및

그 제품0.04±0.03 374 6.09±3.76 786 5.97±3.87 784 6.10±3.94 0.783

두류 및

그 제품0.05±0.04 877 5.85±3.86 530 6.38±4.10 537 6.03±3.66 0.048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1,156 6.00±4.01 458 6.01±3.48 330 6.23±3.92 0.623

채소류 및

그 제품0.34±0.18 6 6.21±8.15 969 5.76±4.09 969 6.32±3.60 0.006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0.18±0.25 1,063 6.05±3.65 441 6.11±4.74 440 5.96±3.43 0.848

난류 0.20±0.35 474 6.30±3.90 737 6.19±3.90 733 5.73±3.82 0.018

어패류 및

그 제품0.06±0.05 857 6.17±3.67 544 6.02±4.30 543 5.87±3.73 0.347

해조류 및

그 제품3.37±16.99 414 5.62±4.42 769 5.79±3.47 761 6.53±3.90 <0.001

우유 및

그 제품0.04±0.04 1,199 6.10±4.05 370 5.70±3.67 375 6.19±3.47 0.154

유지류 0.43±0.29 1,422 6.30±4.07 337 5.42±3.37 185 5.23±2.81 <0.001

음료 및 주류 0.03±0.02 176 5.73±3.83 884 6.20±4.33 884 5.95±3.36 0.218

조미료 및

향신료류0.29±0.42 893 5.84±3.43 518 5.91±4.50 533 6.51±3.90 0.004

표 3-81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6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3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혈중 총 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0.57±0.51 19 4.57(3.31-6.31) 963 5.01(4.79-5.25) 962 5.13(5.01-5.37) 0.521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1,053 5.13(4.90-5.25) 465 5.13(4.90-5.37) 426 5.13(4.90-5.37) 0.895

당류 및

그 제품0.04±0.03 374 5.13(4.90-5.50) 786 5.01(4.68-5.25) 784 5.25(5.01-5.37) 0.350

두류 및

그 제품0.05±0.04 877 4.90(4.68-5.13) 530 5.37(5.13-5.75) 537 5.13(4.90-5.37) 0.014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1,156 5.13(4.90-5.25) 458 5.01(4.68-5.50) 330 5.25(5.01-5.62) 0.514

채소류 및

그 제품0.34±0.18 6 3.80(1.38-10.72) 969 4.79(4.57-5.01) 969 5.50(5.25-5.62) <0.001

과실류 및

그 제품1,944 5.13(5.01-5.25) . . .

육류 및

그 제품0.18±0.25 1,063 5.13(5.01-5.37) 441 4.90(4.57-5.37) 440 5.13(4.90-5.37) 0.474

난류 0.20±0.35 474 5.25(5.01-5.62) 737 5.13(4.90-5.50) 733 4.90(4.79-5.13) 0.151

어패류 및

그 제품0.06±0.05 857 5.13(4.90-5.37) 544 5.13(4.90-5.37) 543 5.01(4.79-5.25) 0.658

해조류 및

그 제품3.37±16.99 414 4.68(4.37-4.90) 769 4.90(4.68-5.13) 761 5.62(5.37-5.75) <0.001

우유 및

그 제품0.04±0.04 1,199 5.13(5.01-5.37) 370 4.68(4.27-5.13) 375 5.37(5.13-5.62) 0.010

유지류 0.43±0.29 1,422 5.25(5.13-5.50) 337 4.68(4.37-4.90) 185 4.57(4.27-5.01) <0.001

음료 및 주류 0.03±0.02 176 4.79(4.37-5.25) 884 5.13(5.01-5.37) 884 5.13(4.90-5.37) 0.345

조미료 및

향신료류0.29±0.42 893 5.01(4.90-5.25) 518 4.90(4.68-5.13) 533 5.50(5.01-5.89) 0.024

표 3-82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총 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6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4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0.60±0.58 3 4.92±3.38 196 5.04±3.88 195 4.90±3.01 0.915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211 5.25±3.93 91 4.78±2.92 92 4.52±2.71 0.203

당류 및

그 제품0.04±0.04 79 5.22±3.56 158 5.05±3.92 157 4.76±2.88 0.593

두류 및

그 제품0.04±0.04 188 4.86±3.10 105 5.39±4.43 101 4.74±2.91 0.342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236 5.06±3.79 82 4.79±2.82 76 4.88±3.03 0.814

채소류 및

그 제품0.35±0.19 1 19.80± 197 4.81±3.77 196 5.05±2.95 <0.001

과실류 및

그 제품394 4.97±3.46 .

육류 및

그 제품0.18±0.24 238 4.66±2.90 82 5.27±4.45 74 5.64±3.81 0.073

난류 0.18±0.30 105 5.20±3.42 144 5.26±4.26 145 4.52±2.43 0.139

어패류 및

그 제품0.06±0.05 183 5.01±3.50 103 5.08±3.84 108 4.79±3.02 0.811

해조류 및

그 제품2.88±3.81 91 5.19±5.01 152 4.52±2.45 151 5.29±3.15 0.123

우유 및

그 제품0.04±0.04 242 5.04±3.74 80 4.42±2.53 72 5.33±3.34 0.238

유지류 0.48±0.31 288 4.98±3.21 62 5.12±4.74 44 4.70±2.95 0.828

음료 및 주류 0.03±0.02 39 4.74±3.46 178 5.15±3.99 177 4.84±2.85 0.646

조미료 및

향신료류0.33±0.53 183 4.86±3.24 96 4.60±2.64 115 5.45±4.28 0.175

표 3-83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산술평균

Page 16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5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혈중 메틸수은(㎍/ℓ)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0.60±0.58 3 4.17(0.66-26.30) 196 4.07(3.72-4.47) 195 4.07(3.72-4.47) 0.995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211 4.17(3.80-4.57) 91 3.98(3.55-4.57) 92 3.80(3.39-4.37) 0.479

당류 및

그 제품0.04±0.04 79 4.27(3.63-4.90) 158 4.07(3.63-4.47) 157 3.98(3.55-4.37) 0.730

두류 및

그 제품0.04±0.04 188 3.98(3.63-4.37) 105 4.27(3.72-4.90) 101 3.98(3.47-4.47) 0.627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236 4.07(3.80-4.47) 82 3.98(3.47-4.57) 76 4.07(3.47-4.68) 0.936

채소류 및

그 제품0.35±0.19 1 19.95 197 3.80(3.47-4.27) 196 4.27(3.89-4.68) 0.014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0.18±0.24 238 3.89(3.55-4.17) 82 4.27(3.72-4.90) 74 4.47(3.89-5.25) 0.134

난류 0.18±0.30 105 4.17(3.63-4.79) 144 4.17(3.72-4.68) 145 3.89(3.55-4.27) 0.643

어패류 및

그 제품0.06±0.05 183 3.98(3.55-4.37) 103 4.27(3.89-4.79) 108 3.98(3.55-4.47) 0.561

해조류 및

그 제품2.88±3.81 91 3.80(3.24-4.47) 152 3.89(3.47-4.27) 151 4.47(4.07-4.90) 0.084

우유 및

그 제품0.04±0.04 242 4.07(3.72-4.47) 80 3.72(3.24-4.27) 72 4.47(3.80-5.13) 0.285

유지류 0.48±0.31 288 4.07(3.80-4.37) 62 4.07(3.47-4.79) 44 3.98(3.31-4.79) 0.970

음료 및 주류 0.03±0.02 39 3.72(2.88-4.68) 178 4.07(3.72-4.57) 177 4.07(3.80-4.47) 0.657

조미료 및

향신료류0.33±0.53 183 3.89(3.55-4.37) 96 3.98(3.55-4.47) 115 4.37(3.80-4.90) 0.419

표 3-84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기하평균

Page 17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6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0.58±0.54 13 1.23±0.74 580 1.55±1.28 582 1.60±1.13 0.448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638 1.56±1.12 279 1.64±1.44 258 1.51±1.11 0.447

당류 및

그 제품0.04±0.04 236 1.58±1.09 468 1.54±1.30 471 1.60±1.15 0.791

두류 및

그 제품0.05±0.05 531 1.50±1.26 322 1.70±1.26 322 1.55±1.03 0.057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698 1.56±1.27 268 1.54±1.02 209 1.66±1.20 0.492

채소류 및

그 제품0.34±0.18 6 1.24±1.45 586 1.49±1.30 583 1.65±1.09 0.053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0.18±0.24 661 1.62±1.28 260 1.52±1.21 254 1.48±0.96 0.198

난류 0.20±0.37 296 1.70±1.30 437 1.60±1.12 442 1.45±1.20 0.016

어패류 및

그 제품0.07±0.05 532 1.63±1.18 319 1.50±1.04 324 1.55±1.38 0.295

해조류 및

그 제품2.81±3.89 246 1.46±1.51 466 1.52±1.04 463 1.68±1.16 0.032

우유 및

그 제품0.04±0.04 731 1.56±1.16 219 1.45±0.91 225 1.72±1.52 0.058

유지류 0.44±0.29 874 1.62±1.16 192 1.53±1.54 109 1.25±0.77 0.010

음료 및 주류 0.03±0.02 108 1.31±0.98 540 1.62±1.15 527 1.58±1.29 0.059

조미료 및

향신료류0.30±0.46 536 1.53±1.05 311 1.55±1.23 328 1.67±1.39 0.224

표 3-85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산술평균

Page 17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7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모발 수은(㎍/g)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0.58±0.54 13 1.05(0.72-1.51) 580 1.23(1.17-1.32) 582 1.32(1.23-1.38) 0.202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638 1.29(1.20-1.35) 279 1.32(1.20-1.41) 258 1.23(1.12-1.32) 0.462

당류 및

그 제품0.04±0.04 236 1.29(1.17-1.38) 468 1.23(1.17-1.32) 471 1.29(1.23-1.38) 0.562

두류 및

그 제품0.05±0.05 531 1.20(1.15-1.29) 322 1.38(1.29-1.48) 322 1.26(1.17-1.35) 0.014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698 1.26(1.20-1.32) 268 1.29(1.20-1.38) 209 1.35(1.23-1.48) 0.317

채소류 및

그 제품0.34±0.18 6 0.81(0.32-2.14) 586 1.17(1.12-1.26) 583 1.38(1.32-1.45) <0.001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0.18±0.24 661 1.32(1.23-1.38) 260 1.23(1.15-1.32) 254 1.23(1.15-1.32) 0.314

난류 0.20±0.37 296 1.35(1.23-1.45) 437 1.32(1.23-1.38) 442 1.20(1.15-1.26) 0.039

어패류 및

그 제품0.07±0.05 532 1.29(1.23-1.38) 319 1.26(1.17-1.35) 324 1.23(1.15-1.32) 0.550

해조류 및

그 제품2.81±3.89 246 1.12(1.02-1.23) 466 1.26(1.17-1.32) 463 1.38(1.32-1.48) <0.001

우유 및

그 제품0.04±0.04 731 1.26(1.20-1.32) 219 1.23(1.12-1.32) 225 1.38(1.29-1.51) 0.080

유지류 0.44±0.29 874 1.32(1.26-1.38) 192 1.20(1.10-1.32) 109 1.05(0.95-1.17) 0.002

음료 및 주류 0.03±0.02 108 1.05(0.93-1.20) 540 1.32(1.23-1.38) 527 1.29(1.23-1.35) 0.006

조미료 및

향신료류0.30±0.46 536 1.26(1.20-1.32) 311 1.23(1.15-1.35) 328 1.35(1.23-1.45) 0.286

표 3-86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모발 수은 농도(㎍/g)-기하평균

Page 17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8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n

평균±

표준편차

곡류 및

관련 제품0.57±0.49 14 2.14±1.54 851 2.08±2.83 848 2.06±3.39 0.986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923 2.04±2.61 407 2.09±3.13 383 2.11±4.05 0.921

당류 및

그 제품0.04±0.03 322 1.91±1.71 696 2.15±3.43 695 2.06±3.27 0.534

두류 및

그 제품0.05±0.05 754 2.15±4.04 479 2.07±2.39 480 1.94±1.77 0.510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1,007 2.06±3.56 408 1.93±1.51 298 2.28±3.08 0.344

채소류 및

그 제품0.34±0.17 5 1.61±0.82 854 2.11±3.50 854 2.03±2.68 0.837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0.19±0.24 938 2.03±2.47 388 2.13±4.23 387 2.11±3.18 0.826

난류 0.20±0.35 412 2.28±4.03 651 2.12±3.47 650 1.88±1.75 0.113

어패류 및

그 제품0.06±0.05 751 2.10±2.91 483 1.85±1.73 479 2.24±4.27 0.137

해조류 및

그 제품3.42±17.92 360 2.06±2.78 684 2.08±3.72 669 2.06±2.54 0.985

우유 및

그 제품0.04±0.04 1,046 2.07±2.80 333 1.91±1.41 334 2.21±4.80 0.444

유지류 0.43±0.28 1,257 2.06±3.24 295 2.10±2.55 161 2.09±3.02 0.976

음료 및 주류 0.03±0.02 142 1.75±1.41 785 1.94±1.72 786 2.26±4.21 0.057

조미료 및

향신료류0.29±0.43 793 2.00±2.48 458 2.04±1.80 462 2.22±4.70 0.444

표 3-87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산술평균

Page 17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39 -

식품

1일 수은

섭취량

(㎍/day)

요중 수은(㎍/g c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평균±

표준편차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곡류 및

관련 제품0.57±0.49 14 1.74(1.23-2.51) 851 1.55(1.45-1.62) 848 1.55(1.48-1.62) 0.819

감자류 및

전분류0.05±0.07 923 1.51(1.45-1.62) 407 1.58(1.48-1.70) 383 1.58(1.48-1.70) 0.674

당류 및

그 제품0.04±0.03 322 1.51(1.41-1.62) 696 1.58(1.51-1.66) 695 1.51(1.41-1.62) 0.490

두류 및

그 제품0.05±0.05 754 1.51(1.45-1.62) 479 1.58(1.48-1.74) 480 1.51(1.41-1.62) 0.514

종실류 및

그 제품0.00±0.00 1,007 1.51(1.45-1.58) 408 1.51(1.41-1.66) 298 1.66(1.51-1.82) 0.205

채소류 및

그 제품0.34±0.17 5 1.45(0.72-2.82) 854 1.51(1.41-1.58) 854 1.58(1.51-1.66) 0.387

과실류 및

그 제품

육류 및

그 제품0.19±0.24 938 1.55(1.45-1.62) 388 1.58(1.48-1.70) 387 1.55(1.45-1.66) 0.833

난류 0.20±0.35 412 1.55(1.41-1.70) 651 1.62(1.51-1.70) 650 1.48(1.41-1.55) 0.150

어패류 및

그 제품0.06±0.05 751 1.58(1.48-1.66) 483 1.45(1.32-1.55) 479 1.62(1.51-1.70) 0.058

해조류 및

그 제품3.42±17.92 360 1.51(1.41-1.62) 684 1.51(1.45-1.62) 669 1.58(1.48-1.66) 0.680

우유 및

그 제품0.04±0.04 1,046 1.55(1.48-1.62) 333 1.51(1.41-1.66) 334 1.51(1.38-1.62) 0.732

유지류 0.43±0.28 1,257 1.55(1.48-1.62) 295 1.55(1.41-1.70) 161 1.51(1.35-1.70) 0.933

음료 및 주류 0.03±0.02 142 1.41(1.26-1.58) 785 1.51(1.45-1.62) 786 1.58(1.51-1.66) 0.155

조미료 및

향신료류0.29±0.43 793 1.51(1.41-1.58) 458 1.58(1.48-1.70) 462 1.55(1.45-1.66) 0.500

표 3-88 식품군별 수은 섭취량 및 요중 수은 농도(㎍/g cr)-기하평균

Page 17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0 -

제7절 수은 노출 지표 기여 요인 다중회귀분석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를 통해 산출된 연간 어패류 섭취량의 수은 노

출 지표에 대한 연관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적합

시켰다. 변수변환 없이 수은 노출 지표 원래의 관측값을 그대로 사용한 모

형(가법모형)과 수은 노출 지표를 대수변환한 후의 모형(승법모형) 중 모형

의 정규성이 만족될 수 있는 승법모형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어패류 섭취량을 범주화 하는데 있어 범주별 충분한 표본 수

확보와 범주 간 수은 노출 지표의 변화량의 명백한 표현을 위해 사분위수

를 기준으로 하여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즉, 소수의 거의 안 먹음(어패류 섭취량 0 ㎍/㎏) 대상자를 포함하여 사

분위 수 중 Q1 이하의 대상자를 25 % 이하 범주(Q1 포함)로, 나머지 중앙

값 이하의 대상자를 25~50 % 이하 범주(중앙값 포함)로, 나머지 Q3 이하

의 대상자를 50~75% 이하 범주(Q3 포함)로, 그 이외의 대상자를 75 %

초과 범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통상적으로 수은 노출 지표에 영향을 미친

다고 알려진 변수 및 본 연구의 결과분석을 통해 수은 노출 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를 해당 수은 노출 지표의 독립변수로

구성하여 모형에 투입하였다.

Page 17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1 -

1. 혈중 총 수은

혈중 총 수은 농도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

력, 소득수준, 교육수준, 아말감 치료경험, 해안 내륙여부를 독립변수로 투

입하여 보정하였고 어패류 섭취량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한 뒤 그에 따른 혈

중 총 수은 농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혈중 총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어패류 섭취량

4개 범주 β 계수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들을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4.49(4.20-4.79) ㎍/ℓ, 25~50% 이하 범

주에서 4.91(4.56-5.28) ㎍/ℓ, 50~75% 이하 범주에서 5.04(4.70-5.39) ㎍/

ℓ, 75% 초과 범주에서 5.60(5.22-6.00) ㎍/ℓ로 나타나 어패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이 증가하는 뚜렷한 경향성

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표 3-92, 3-93).

또한 어패류 섭취량이 한 단위(본 연구에서는 1kg) 증가할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증가 정도, 즉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모형에 적합 시킨 결과 β 계수가 1.001.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고려된 어패류 섭취량을 기준으로 1kg의 섭취량 증가 시 혈중

총 수은 농도가 1.001배(㎍/ℓ)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94).

Page 17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2 -

(1) 가법모형

요인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절편 1.725 0.447 <0.001

남녀

남성 1.342 0.225 <0.001

여성 0

연령

60~ 2.300 0.361 <0.001

50~59 3.024 0.308 <0.001

40~49 1.727 0.278 <0.001

30~39 1.173 0.258 <0.001

20~29 0

음주력

음주 0.498 0.205 0.015

금주 -0.294 0.331 0.374

비음주 0

흡연력

흡연 0.396 0.271 0.144

금연 1.144 0.304 <0.001

비흡연 0

월 소득수준(만원)

400~ 0.701 0.330 0.034

300~399 0.576 0.337 0.087

200~299 0.484 0.315 0.125

100~199 -0.474 0.299 0.113

~99 0

교육수준

대학교 졸업 이상 0.343 0.321 0.285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0.474 0.338 0.162

고등학교 졸업 -0.387 0.286 0.175

중학교 졸업 이하 0

아말감 치료 경험

있음 0.286 0.168 0.088

없음 0

해안 내륙

해안 1.018 0.188 <0.001

내륙 0

어패류 섭취량*

> 75% 1.387 0.226 <0.001

50~75% 이하 0.664 0.224 0.003

25~50% 이하 0.377 0.239 0.115

≤25% 0*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89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Page 17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3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5.40(5.02-5.78) A

25~50% 이하 5.78(5.36-6.20) BC

50~75% 이하 6.07(5.67-6.46) CD

> 75% 6.79(6.38-7.19) D*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90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그림 3-21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어패류 섭취량 0.008* 0.003 0.003

* : 다중회귀모형에서 고려된 요인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소득수준, 교육수준, 아말감 치료경험, 해안

내륙여부를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

표 3-91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가법모형

Page 17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4 -

(2) 승법모형

요인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절편 2.467 2.12-2.87 <0.001

남녀

남성 1.227 1.14-1.32 <0.001

여성 1

연령

60~ 1.467 1.30-1.66 <0.001

50~59 1.616 1.46-1.79 <0.001

40~49 1.339 1.22-1.47 <0.001

30~39 1.186 1.09-1.29 <0.001

20~29 1

음주력

음주 1.072 1.00-1.15 0.047

금주 0.956 0.86-1.07 0.424

비음주 1

흡연력

흡연 1.064 0.97-1.17 0.180

금연 1.140 1.03-1.26 0.012

비흡연 1

월 소득수준(만원)

400~ 1.079 0.97-1.21 0.179

300~399 1.110 0.99-1.24 0.071

200~299 1.057 0.95-1.17 0.308

100~199 0.949 0.86-1.05 0.304

~99 1

교육수준

대학교 졸업 이상 1.121 1.01-1.25 0.039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0.912 0.81-1.02 0.114

고등학교 졸업 0.972 0.88-1.07 0.565

중학교 졸업 이하 1

아말감 치료 경험

있음 1.062 1.00-1.12 0.037

없음 1

해안 내륙

해안 1.205 1.13-1.28 <0.001

내륙 1

어패류 섭취량*

> 75% 1.248 1.16-1.35 <0.001

50~75% 이하 1.122 1.04-1.21 0.003

25~50% 이하 1.094 1.01-1.19 0.029

≤25% 1*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92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Page 17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5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4.49(4.20-4.79) A

25~50% 이하 4.91(4.56-5.28) BC

50~75% 이하 5.04(4.70-5.39) CD

> 75% 5.60(5.22-6.00) D*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93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22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어패류 섭취량 1.001* 1.0004-1.0023 0.007

* : 다중회귀모형에서 고려된 요인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소득수준, 교육수준, 아말감 치료경험, 해안

내륙여부를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

표 3-94 혈중 총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승법모형

Page 18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6 -

2. 메틸수은

혈중 메틸수은 농도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성별, 연령, 음주력, 흡

연력, 소득수준, 해안 내륙여부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보정하였고 어패류

섭취량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한 뒤 그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변화양

상을 확인하였다.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어패류 섭취

량 4개 범주 β 계수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들을 보정

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

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3.00(2.61-3.45) ㎍/ℓ, 25~50% 이하

범주에서 3.69(3.17-4.30) ㎍/ℓ, 50~75% 이하 범주에서 4.11(3.55-4.75) ㎍

/ℓ, 75% 초과 범주에서 3.98(3.43-4.61) ㎍/ℓ로 나타나 어패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이 증가하는 대체적인 경향

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표 3-98, 표 3-99).

또한 어패류 섭취량이 한 단위(본 연구에서는 1kg) 증가할수록 혈중 메

틸수은 농도(㎍/ℓ)의 증가 정도, 즉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모형에 적합 시킨 결과 β 계수가 1.003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본 연

구에서 고려된 어패류 섭취량을 기준으로 1kg의 섭취량 증가 시 혈중 메

틸수은 농도가 1.003배(㎍/ℓ)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100).

Page 18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7 -

(1) 가법모형

요인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절편 -1.047 0.804 0.194

남녀

남성 0.912 0.447 0.042

여성 0

연령

60~ 3.970 0.644 <0.001

50~59 2.724 0.584 <0.001

40~49 1.174 0.632 0.064

30~39 1.190 0.617 0.054

20~29 0

음주력

음주 1.023 0.413 0.014

금주 -0.310 0.650 0.634

비음주 0

흡연력

흡연 0.433 0.527 0.411

금연 0.289 0.585 0.622

비흡연 0

월 소득수준(만원)

400~ 2.282 0.622 <0.001

300~399 2.438 0.662 <0.001

200~299 1.626 0.615 0.009

100~199 1.051 0.555 0.059

~99 0

해안 내륙

해안 0.689 0.378 0.070

내륙 0

어패류 섭취량*

> 75% 1.071 0.446 0.017

50~75% 이하 1.409 0.452 0.002

25~50% 이하 0.976 0.476 0.041

≤25% 0*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95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Page 18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8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3.52(2.75-4.29) A

25~50% 이하 4.50(3.66-5.34) B

50~75% 이하 4.93(4.13-5.74) B

> 75% 4.59(3.78-5.41) B*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96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그림 3-23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어패류 섭취량 0.013* 0.007 0.068

* : 다중회귀모형에서 고려된 요인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소득수준. 해안 내륙여부를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

표 3-97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가법모형

Page 18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49 -

(2) 승법모형

요인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절편 1.221 0.92-1.62 0.172

남녀

남성 1.203 1.03-1.41 0.023

여성 1

연령

60~ 2.079 1.65-2.61 <0.001

50~59 1.741 1.42-2.14 <0.001

40~49 1.378 1.10-1.72 0.005

30~39 1.456 1.17-1.81 <0.001

20~29 1

음주력

음주 1.242 1.07-1.44 0.004

금주 1.001 0.79-1.26 0.992

비음주 1

흡연력

흡연 1.023 0.85-1.23 0.811

금연 1.034 0.84-1.27 0.749

비흡연 1

월 소득수준(만원)

400~ 1.549 1.24-1.93 <0.001

300~399 1.532 1.21-1.94 <0.001

200~299 1.211 0.97-1.51 0.087

100~199 1.218 1.00-1.48 0.050

~99 1

해안 내륙

해안 1.146 1.00-1.31 0.048

내륙 1

어패류 섭취량*

> 75% 1.326 1.13-1.55 <0.001

50~75% 이하 1.370 1.17-1.61 <0.001

25~50% 이하 1.231 1.04-1.46 0.016

≤25% 1*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98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Page 18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0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3.00(2.61-3.45) A

25~50% 이하 3.69(3.17-4.30) BC

50~75% 이하 4.11(3.55-4.75) CD

> 75% 3.98(3.43-4.61) D*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99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24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어패류 섭취량 1.003* 1.0008-1.0061 0.011

* : 다중회귀모형에서 고려된 요인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소득수준. 해안 내륙여부를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

표 3-100 혈중 메틸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승법모형

Page 18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1 -

3. 모발 수은

모발 수은 농도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소득수준, 해안 내륙여부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보정하였고 어패류 섭취

량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한 뒤 그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변화양상을 확

인하였다.

모발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어패류 섭취량 4

개 범주의 β 계수 중 25% 이하 범주를 기준으로 할 때 25~50% 이하 범

주와의 차이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들을 보

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

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1.08(1.00-1.16) ㎍/g, 25~50% 이하

범주에서 1.17(1.07-1.27) ㎍/g, 50~75% 이하 범주에서 1.21(1.12-1.32) ㎍

/g, 75% 초과 범주에서 1.30(1.19-1.41) ㎍/g로 나타나 어패류 섭취량이 증

가할수록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이 증가하는 뚜렷한 경향성을 확

인할 수 있었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104, 표 3-105).

또한 어패류 섭취량이 한 단위(본 연구에서는 1kg) 증가할수록 모발 수

은 농도(㎍/g)의 증가 정도, 즉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모형에 적합시킨 결과 β 계수가 1.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어패류 섭취량을 기준으로 1kg의 섭취량 증가 시 모

발 수은 농도가 1.001배(㎍/g)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106).

Page 18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2 -

(1) 가법모형

요인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절편 0.176 0.154 0.254

남녀

남성 0.638 0.088 <0.001

여성 0

연령

60~ 0.773 0.126 <0.001

50~59 0.954 0.109 <0.001

40~49 0.553 0.109 <0.001

30~39 0.556 0.105 <0.001

20~29 0

음주력

음주 0.202 0.084 0.016

금주 -0.162 0.137 0.237

비음주 0

흡연력

흡연 -0.088 0.105 0.407

금연 0.052 0.118 0.658

비흡연 0

월 소득수준(만원)

400~ 0.320 0.126 0.011

300~399 0.208 0.132 0.117

200~299 0.159 0.123 0.195

100~199 -0.022 0.118 0.849

~99 0

해안 내륙

해안 0.162 0.074 0.030

내륙 0

어패류 섭취량*

> 75% 0.338 0.090 <0.001

50~75% 이하 0.149 0.089 0.094

25~50% 이하 0.137 0.096 0.150

≤25% 0*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101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g)

Page 18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3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1.28(1.13-1.43) A

25~50% 이하 1.42(1.25-1.59) AB

50~75% 이하 1.43(1.27-1.59) AB

> 75% 1.62(1.45-1.78) B*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02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그림 3-25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가법모형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어패류 섭취량 0.001* 0.001 0.193

* : 다중회귀모형에서 고려된 요인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월 소득수준. 해안 내륙여부를 보정한 어패

류 섭취량의 한계효과

표 3-103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가법모형

Page 18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4 -

(2) 승법모형

요인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절편 0.541 0.46-0.63 <0.001

남녀

남성 1.461 1.34-1.60 <0.001

여성 1

연령

60~ 1.601 1.41-1.82 <0.001

50~59 1.799 1.61-2.01 <0.001

40~49 1.459 1.31-1.63 <0.001

30~39 1.450 1.31-1.61 <0.001

20~29 1

음주력

음주 1.122 1.03-1.22 0.007

금주 0.900 0.79-1.03 0.131

비음주 1

흡연력

흡연 0.971 0.87-1.08 0.579

금연 1.073 0.95-1.21 0.241

비흡연 1

월 소득수준(만원)

400~ 1.170 1.03-1.33 0.014

300~399 1.107 0.97-1.26 0.132

200~299 1.068 0.95-1.21 0.293

100~199 0.999 0.89-1.12 0.991

~99 1

해안 내륙

해안 1.116 1.04-1.20 0.004

내륙 1

어패류 섭취량*

> 75% 1.206 1.10-1.32 <0.001

50~75% 이하 1.128 1.03-1.23 0.008

25~50% 이하 1.087 0.99-1.19 0.087

≤25% 1*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104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g)

Page 18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5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1.08(1.00-1.16) A

25~50% 이하 1.17(1.07-1.27) AB

50~75% 이하 1.21(1.12-1.32) B

> 75% 1.30(1.19-1.41) B*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05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26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어패류 섭취량 1.001* 0.9997-1.0017 0.193

* : 다중회귀모형에서 고려된 요인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월 소득수준. 해안 내륙여부를 보정한 어패

류 섭취량의 한계효과

표 3-106 모발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어패류 섭취량의 한계효과-승법모형

Page 19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6 -

4. 요중 수은

요중 수은 농도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성별, 연령, 흡연력을 독립변

수로 투입하여 보정하였고 어패류 섭취량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한 뒤 그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요중 수은 농도에 대하여 어패류 섭취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107, 3-108).

(1) 가법모형

요인 β 계수 표준오차 p-value

절편 2.106 0.232 <0.001

남녀

남성 -0.787 0.212 <0.001

여성 0

연령

60~ 0.305 0.270 0.260

50~59 0.845 0.261 0.001

40~49 0.209 0.257 0.416

30~39 0.234 0.247 0.344

20~29 0

흡연력

흡연 0.118 0.258 0.648

금연 -0.148 0.282 0.600

비흡연 0

어패류 섭취량*

> 75% 0.062 0.216 0.773

50~75% 이하 0.163 0.215 0.449

25~50% 이하 -0.055 0.229 0.809

≤25% 0

*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107 요중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가법모형

Page 19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7 -

(2) 승법모형

요인 β 계수 95% 신뢰구간 p-value

절편 127.775 44.82-364.27 <0.001

남녀

남성 0.163 0.06-0.42 <0.001

여성 1

연령

60~ 2.019 0.60-6.84 0.260

50~59 7.006 2.16-22.73 0.001

40~49 1.619 0.51-5.17 0.416

30~39 1.715 0.56-5.24 0.344

20~29 1

흡연력

흡연 1.311 0.41-4.20 0.648

금연 0.712 0.20-2.54 0.600

비흡력 1

어패류 섭취량*

> 75% 1.155 0.44-3.06 0.773

50~75% 이하 1.456 0.55-3.85 0.449

25~50% 이하 0.880 0.31-2.47 0.809

≤25% 1

* :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대해 사분위수 범위를 이용해 4개의 범주로 구분

표 3-108 요중 수은 노출위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승법모형

Page 19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8 -

제8절 가임기 여성에서의 수은 노출 지표

1. 가임기 여성의 분포

가임기 여성은 연령이 20~49세 이하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수

는 741명으로 확인되었다(표 3-109). 본 연구조사에서 가임기 여성으로 분

류된 조사 참여자는 향후 코호트의 형태로 추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구축하였다.

전체 여성 가임기 여성

연령(평균±표준편차) 43.58±14.63 42.77±14.02 34.39±7.73

대상자 수 2,019 1,109 741

연령

20~29 430(21.3%) 238(21.5%) 238(32.1)

30~39 458(22.7%) 276(24.9%) 276(37.2)

40~49 395(19.6%) 227(20.5%) 227(30.6)

50~59 386(19.1%) 199(17.9%) 0

60~ 350(17.3%) 169(15.2%) 0

표 3-109 가임기 여성 현황 단위: 명(%)

2.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

가임기 여성의 연령을 5세 단위로 구분하였을 때 25~29세의 비율이

20.8%로 가장 높았으며 24세 이하 비율이 11.34%, 45세 이상 비율이

11.61%로 가장 낮았다. 그 외의 연령 구성비는 약 18~19%를 유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은 400만원 이상이 27.9%으로 가장 높았으며 교육

수준은 고학력일수록 높은 구성비를 보여 대학교 졸업 이상이 44.6%로 나

Page 19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59 -

타났다. 흡연력과 음주력에 있어서 모두 비흡연, 비음주의 구성비가 높게,

아말감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가 2.5%로 나타났다(표 3-110).

특성 빈도(명) 백분율(%)

연령

20~24 84 11.3

25~29 154 20.8

30~34 142 19.2

35~39 134 18.1

40~44 141 19.0

45~ 86 11.6

월 소득수준(만원)

~99 37 5.32

100~199 157 22.56

200~299 153 21.98

300~399 155 22.27

400~ 194 27.87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이하 13 1.8

고등학교 졸업 176 24.0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218 29.7

대학교 졸업 이상 327 44.6

흡연력

흡연 14 1.9

금연 11 1.5

비흡연 709 96.6

음주력

음주 457 62.3

금주 71 9.7

비음주 206 28.1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75 37.5

있음 459 62.5

표 3-110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

Page 19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0 -

3. 가임기 여성과 수은 노출 지표

가. 전체 가임기 여성의 수은 노출 지표

전체 741명의 가임기 여성의 수은 노출 지표 분석 결과 혈중 총 수은농

도의 분석 대상자는 733명으로 기하평균(95% 신뢰구간)이 4.13(3.92-4.34)

㎍/ℓ로 HBM-I의 권고기준 5.00 ㎍/ℓ 미만으로 나타났다(표 3-111).

구분혈중 총 수은

(㎍/ℓ)

혈중 메틸수은

(㎍/ℓ)

모발 수은

(㎍/g)

요중수은

(㎍/g cr)

n 733 90 363 641

평균±표준편차 4.67±2.28 3.64±1.61 1.14±1.04 2.27±2.48

기하평균

(95%신뢰구간)4.13(3.92-4.34) 3.32(3.03-3.64) 0.98(0.93-1.03) 1.71(1.60-1.83)

최소값 0.00* 1.07 0.26 0.00**

P1 1.40 1.07 0.32 0.22

P5 2.00 1.59 0.43 0.63

P10 2.40 1.97 0.52 0.78

P25 3.10 2.43 0.7 1.13

중위수 4.20 3.30 0.98 1.75

P75 5.70 4.23 1.35 2.74

P90 7.60 6.05 1.77 3.98

P95 8.80 6.85 2.04 4.91

P99 12.60 8.34 4.96 10.19

최대값 18.40 8.34 17.01 35.35

* : 혈중 총 수은의 최소검출한계 이하의 값으로 해당값은 0.0000021 ㎍/ℓ 이하의 값** : 요중 수은의 최소검출한계 이하의 값으로 해당값은 0.0000032 ㎍/ℓ 이하의 값

표 3-111 전체 가임기 여성의 수은 노출 지표

Page 19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1 -

혈중 메틸수은(90명)의 기하평균은 3.32(3.03-3.64) ㎍/ℓ로 나타났으며,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약 80 %를 차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모발 수은

(363명)의 경우에는 기하평균은 0.98(0.93-1.03) ㎍/g로 나타났다.

요중 수은 농도의 분석대상자는 크레아티닌 수치가 WHO의 권장기준(3

0~300 ㎎/㎗)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한 641명에 대하여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기하평균은 1.71(1.60-1.83) ㎍/g cr으로 나타났다.

나.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별 수은 노출 지표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

을 보였고 소득수준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증가하다 400만원 이상에서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육수준의 경우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

의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중학교 졸업이하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흡연력

에서는 흡연군이 가장 높았으며, 음주력에서는 반대로 비음주군이 가장 높

게 나타났다. 아말감 치료 경험에서는 치료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교육수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3-112).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경우는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

났으며 적은 표본수로 인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되지 않았다(표 3-113).

모발 수은 농도의 경우 역시 모든 역학적 특성별로 두드러진 차이가 발

견되진 않았으며 연령 및 아말감 치료 경험을 제외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나타난 특성도 발견되지 않았다(표 3-114).

요중 수은 농도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뚜렷하게 단계적으로 증가되

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교육수준에 있어서는 고등학교 졸업의 농도가 제일 낮았으며 중학

교 졸업이하가 가장 높았다. 흡연력 및 음주력에서는 비흡연군, 비음주군에

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말감 치료 여부에서는 치료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 더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표 3-115).

Page 19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2 -

특성

혈중 총 수은(㎍/ℓ)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연령(세)

20~24 83 3.46±1.63 <0.001 3.09(2.82-3.47) 0.001

25~29 154 4.39±1.81 4.07(3.80-4.37)

30~34 140 4.61±2.12 4.17(3.89-4.47)

35~39 134 4.87±2.24 3.98(3.16-5.01)

40~44 140 5.06±2.30 4.57(4.27-4.90)

45~ 82 5.54±3.22 4.79(4.27-5.37)

월 소득수준(만원)

~99 37 4.36±2.39 0.680 3.89(3.39-4.57) 0.908

100~199 155 4.55±1.99 4.17(3.89-4.47)

200~299 150 4.72±2.54 4.17(3.80-4.47)

300~399 154 4.83±2.32 4.37(3.98-4.68)

400~ 192 4.78±2.20 4.07(3.47-4.79)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13 5.10±2.09 <0.001 4.68(3.47-6.31) <0.001

고등학교 졸업 173 5.06±2.58 4.47(4.17-4.90)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216 4.09±1.88 3.47(3.02-3.98)

대학교 졸업 이상 324 4.82±2.28 4.37(4.17-4.57)

흡연력

흡연 14 5.36±2.50 0.334 4.79(3.63-6.31) 0.646

금연 11 4.02±1.29 3.80(2.95-4.90)

비흡연 701 4.66±2.28 4.07(3.89-4.37)

음주력

음주 452 4.72±2.31 0.128 4.17(3.80-4.47) 0.491

금주 71 4.14±1.95 3.80(3.39-4.17)

비음주 203 4.72±2.29 4.27(3.98-4.47)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74 4.53±2.40 0.210 3.80(3.39-4.27) 0.069

있음 452 4.75±2.19 4.27(4.17-4.47)

표 3-112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

Page 19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3 -

특성

혈중 메틸수은(㎍/ℓ)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연령(세)

20~24 10 3.12±0.87 0.325 3.02(2.45-3.72) 0.618

25~29 20 3.11±1.17 2.95(2.51-3.47)

30~34 17 4.16±2.01 3.72(2.88-4.79)

35~39 13 3.60±1.31 3.39(2.82-4.17)

40~44 20 3.83±1.66 3.47(2.82-4.27)

45~ 10 4.02±2.24 3.31(2.00-5.50)

월 소득수준(만원)

~99 3 3.51±1.49 0.604 3.24(0.93-11.22) 0.502

100~199 17 3.63±1.76 3.31(2.63-4.17)

200~299 16 3.07±1.47 2.75(2.19-3.55)

300~399 21 3.82±1.51 3.55(2.95-4.27)

400~ 28 3.85±1.71 3.47(2.95-4.17)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2 4.85±2.87 0.535 4.37 0.578

고등학교 졸업 17 3.29±1.41 3.02(2.40-3.80)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26 3.81±1.60 3.47(2.95-4.17)

대학교 졸업 이상 45 3.62±1.66 3.31(2.88-3.80)

흡연력

흡연 2 3.31±1.10 0.777 3.24 0.667

금연 2 4.39±0.43 4.37

비흡연 86 3.63±1.64 3.31(3.02-3.63)

음주력

음주 53 3.50±1.54 0.601 3.16(2.82-3.63) 0.594

금주 10 3.78±1.53 3.55(2.69-4.68)

비음주 27 3.87±1.80 3.47(2.95-4.17)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37 3.64±1.65 0.992 3.31(2.88-3.80) 0.999

있음 53 3.64±1.60 3.31(2.95-3.72)

표 3-113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 (㎍/ℓ)

Page 19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4 -

특성

모발 수은(㎍/g)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연령(세)

20~24 35 0.70±0.32 0.030 0.63(0.54-0.74) <0.001

25~29 80 1.07±0.61 0.95(0.87-1.07)

30~34 66 1.12±0.50 1.02(0.91-1.12)

35~39 60 1.45±2.12 1.12(0.98-1.29)

40~44 79 1.15±0.67 1.00(0.89-1.12)

45~ 43 1.21±0.80 1.07(0.91-1.23)

월 소득수준(만원)

~99 16 0.88±0.34 0.708 0.81(0.66-1.00) 0.419

100~199 75 1.14±0.63 1.02(0.93-1.15)

200~299 71 1.16±0.77 1.00(0.87-1.12)

300~399 75 1.07±0.59 0.93(0.83-1.05)

400~ 108 1.23±1.63 1.00(0.91-1.12)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8 1.13±0.44 0.997 1.07(0.78-1.45) 0.167

고등학교 졸업 84 1.14±0.67 1.00(0.91-1.12)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107 1.16±1.67 0.89(0.79-1.00)

대학교 졸업 이상 164 1.13±0.58 1.02(0.95-1.10)

흡연력

흡연 6 1.06±0.49 0.978 0.95(0.52-1.74) 0.982

금연 4 1.08±0.49 1.00(0.49-2.04)

비흡연 353 1.14±1.05 0.98(0.93-1.02)

음주력

음주 227 1.18±1.25 0.563 1.00(0.93-1.07) 0.612

금주 35 1.00±0.42 0.91(0.78-1.07)

비음주 101 1.10±0.54 0.98(0.89-1.07)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144 1.01±0.58 0.032 0.91(0.83-0.98) 0.016

있음 219 1.22±1.24 1.02(0.95-1.10)

표 3-114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

Page 19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5 -

특성

요중 수은(㎍/g cr)

빈도(명) 평균±표준편차 p-value기하평균

(95%신뢰구간)p-value

연령(세)

20~24 68 1.80±1.28 0.434 1.45(1.23-1.70) 0.354

25~29 126 2.22±2.61 1.58(1.38-1.86)

30~34 127 2.19±1.34 1.82(1.62-2.04)

35~39 120 2.56±3.20 1.70(1.32-2.19)

40~44 122 2.26±1.40 1.91(1.70-2.14)

45~ 78 2.48±4.03 1.78(1.51-2.09)

월 소득수준(만원)

~99 29 2.32±1.55 0.385 1.86(1.45-2.40) 0.088

100~199 135 2.68±2.86 2.00(1.78-2.24)

200~299 129 2.09±1.41 1.70(1.51-1.91)

300~399 136 2.18±3.18 1.48(1.20-1.86)

400~ 171 2.30±2.50 1.78(1.62-2.00)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12 3.31±2.73 0.344 2.57(1.62-4.07) 0.435

고등학교 졸업 156 2.42±3.06 1.66(1.35-2.04)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교 재학187 2.29±2.93 1.74(1.58-1.91)

대학교 졸업 이상 280 2.15±1.66 1.70(1.55-1.86)

흡연력

흡연 13 2.00±0.88 0.893 1.86(1.45-2.34) 0.844

금연 10 2.48±1.54 2.00(1.15-3.47)

비흡연 612 2.28±2.52 1.70(1.58-1.82)

음주력

음주 389 2.38±2.45 0.132 1.78(1.58-1.95) 0.418

금주 65 2.55±4.30 1.78(1.48-2.14)

비음주 181 1.98±1.45 1.58(1.45-1.78)

아말감 치료 경험

없음 240 2.17±1.66 0.313 1.70(1.58-1.86) 0.949

있음 395 2.35±2.87 1.74(1.55-1.91)

표 3-115 가임기 여성의 역학적 특성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

Page 20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6 -

4. 가임기 여성의 수은 노출기준 초과자 비율

가임기 여성 중 혈중 총 수은의 HBM-II 초과자는 1명 0.1%으로 확인되

었다.

혈중 메틸수은의 경우에는 본 연구의 임의 기준 5.0 ㎍/g를 초과하는 대

상자는 20.0%인 18명이었으며 모발 수은은 0.8%인 3명이 JECFA 기준을

초과하였다.

요중 수은에서는 4.7%인 30명이 HBM-I을, 0.5%인 3명이 HBM-II를 초

과하였다(표 3-116).

기준 대상자 수 초과자 수 초과자 백분율

혈중 총

수은 (㎍/ℓ)

≥5.0

733

255 34.8

≥5.8 178 24.3

≥15.0 1 0.1

혈중 메틸

수은 (㎍/ℓ)

잠정주

간섭취

허용량†

(PTWIs)

≥0.7

699

37 5.3

≥1.4 11 1.6

≥1.6 10 1.4

≥2.0 6 0.9

≥5.0* 90 18 20.0

모발 수은

(㎍/g)≥5.0 363 3 0.8

요중 수은

(㎍/g cr)

≥5.0641

30 4.7

≥20.0 3 0.5†

: 단위-㎍/㎏ body weight *: 본 연구에서의 혈중 메틸수은 임의 기준

혈중 총 수은(㎍/ℓ)

≥5.0 : HBM -I

≥5.8 : EPA

≥15.0 : HBM-II

잠정주간섭취허용량

≥0.7 : NCR

≥1.4 : Canada Health

≥1.6 : JECFA 가임여성

≥2.0 : 일본

모발 수은(㎍/g)

≥5.0 : JECFA

요중 수은(㎍/g cr)

≥5.0 : HBM -I

≥20.0 : HBM-II

표 3-116 가임기 여성의 수은 기준 초과자 비율

Page 20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7 -

5.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해안지역 및 내륙지역별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농도는 기하평균

(95% 신뢰구간)은 각각 4.37(4.07-4.68) ㎍/ℓ, 3.47(3.31-3.72) ㎍/ℓ로 해안

지역의 가임기 여성이 내륙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혈중 메틸수은의 경우, 해안지역의 기하평균은 3.47(3.16-3.80) ㎍/ℓ, 내

륙지역은 2.95(2.34-3.72) ㎍/ℓ로 해안지역에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는 않았다.

모발 수은 역시 해안지역의 기하평균이 1.00(0.95-1.07) ㎍/g, 내륙지역은

0.91(0.81-1.00) ㎍/g으로 해안지역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으나(p=0.086) 기각역(0.05)에 근사하는 수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중 수은의 경우에는 해안지역이 1.74(1.58-1.91) ㎍/g cr로 내륙지역의

1.62(1.48-1.82) ㎍/g cr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117).

Page 20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8 -

내 륙 해 안

p-value*

n평균±

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평균±

표준편차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192 3.90±1.86 3.47(3.31-3.72) 541 4.95±2.35 4.37(4.07-4.68) <0.001

혈중 메틸수은

(㎍/ℓ)24 3.39±1.90 2.95(2.34-3.72) 66 3.73±1.50 3.47(3.16-3.80) 0.197

모발 수은

(㎍/g)97 1.12±1.68 0.91(0.81-1.00) 266 1.14±0.67 1.00(0.95-1.07) 0.086

요중 수은

(㎍/g cr)163 2.15±2.60 1.62(1.48-1.82) 478 2.31±2.43 1.74(1.58-1.91) <0.001

*: 기하평균 간의 비교

표 3-117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별 수은 노출 지표

그림 3-27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별 수은 노출 지표 평균 비교

Page 20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69 -

6.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의 비교

가.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 간 상관관계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농도와 혈중 메틸수은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상관계수가 0.962(p<0.001)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28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과 메틸수은 간 산점도

나.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은 전체 평균으로 76.51±13.79%를 보였

으며 최소값으로 37.67 %, 최대값으로 98.76%이 관찰되었다(표 3-118).

Page 20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0 -

구분(분위수) 메틸수은 구성비(%)

n 90

평균±표준편차 76.51±13.79

최소값 37.67

제1 백분위수 37.67

제5 백분위수 52.07

제10 백분위수 58.75

제25 백분위수 67.45

중위수 76.84

제75 백분위수 87.86

제90 백분위수 94.80

제95 백분위수 97.33

제99 백분위수 98.76

최대값 98.76

표 3-118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구성비

다. 가임기 여성의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비율

가임기 여성의 지역별 총 수은 대비 혈중 메틸수은 비율의 평균±표준편

차를 살펴보면 부산지역이 71.46±15.66%, 울산지역이 76.47±12.67%, 경남지

역이 79.35±12.41%로 나타났다(표 3-119).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비율을 살펴보면

내륙지역이 79.66±11.95%, 해안지역이 75.36±14.32%로 내륙지역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표 3-120).

Page 20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1 -

지 역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비율

n 평균±표준편차

부산 27 71.46±15.66

울산 15 76.47±12.67

경남 48 79.35±12.41

표 3-119 부산 울산 경남 지역별 혈중 총 수은 대비 메틸수은 구성비

메틸수은

구성비

내륙 해안

p-value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24 79.66±11.95 66 75.36±14.32 0.193

표 3-120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별 혈중 총 수은 중 메틸수은 비율

7. 가임기 여성의 식이 조사와 수은 노출 지표

가. 가임기 여성의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 결과 연간 어패류

섭취 대상자 현황에서 가장 많은 섭취 비율이 높은 어패류는 멸치/멸치볶

음으로 나타났으며 고등어구이/조림, 갈치, 회 순으로 나타났다.

연간 섭취량의 평균±표준편차에서 가장 높은 어패류는 고등어구이/조림

으로 2.35±4.48 kg/year로 나타났으며 참치 캔 1.97±3.31 kg/year, 갈치

1.74±4.31 kg/year, 회 1.71±3.94 kg/year 순으로 나타났다(표 3-121).

Page 20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2 -

종류

2010년 조사

수은 함유량

(㎍/㎏)

n어패류 섭취

대상자

어패류 섭취

대상자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전체 733 726 99.0 18.32±22.59

고등어구이,조림 42.16 733 608 82.9 2.35±4.48

참치 캔 42.668 731 469 64.2 1.97±3.31

멸치/멸치볶음 23.5 733 668 91.1 1.46±2.72

참치회(마구로,다랑어) 389.875 733 145 19.8 0.44±4.28

꽁치 62.447 733 269 36.7 0.43±1.16

조기구이 - 732 498 68.0 1.37±2.50

명태(동태찌개) 22.055 733 388 52.9 1.06±3.87

도미 - 733 85 11.6 0.11±0.58

가자미 - 733 261 35.6 0.42±1.00

갈치 62.504 732 572 78.1 1.74±4.31

오징어채,오징어볶음 108.475 731 562 76.9 1.37±3.15

꽃게장/게 25.01 732 362 49.5 0.99±2.39

조개/골뱅이 4.916 730 417 57.1 0.86±2.02

굴 16.62 731 259 35.4 0.33±2.20

미꾸라지(국) 13.771 732 308 42.1 0.86±3.43

잉어/붕어 - 732 35 4.8 0.10±1.41

상어고기 1584.178 732 19 2.6 0.02±0.14

고래고기 288 731 12 1.6 0.02±0.22

회 - 732 563 76.9 1.71±3.94

젓갈 13.275 731 357 48.8 0.76±3.05

표 3-121 가임기 여성의 연간 어패류 섭취량(kg/year)

Page 20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3 -

나.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지역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

해안지역과 내륙지역별로 가임기 여성의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를 통

해 산출된 연간 어패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전체 해안지역 대상자의 평

균±표준편차가 19.14±24.39 kg/year로 나타나 내륙지역 15.98±16.23

kg/year보다 많은 어패류량을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기서 전체 어패류 섭취량은 본 연구에서 실시된 간

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를 통해 산출된 20개 개별 어패류 섭취량을 모두 합

산한 결과이다.

세부 어패류별 비교에 있어서 가자미, 조개/골뱅이, 회의 경우 모두 해안

지역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인 세부 어패류 섭취량에 있어서도 그 차이의

정도는 있으나 해안지역의 섭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122).

Page 20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4 -

항목

내륙 해안

p-value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전체 190 15.98±16.23 543 19.14±24.39 0.045

고등어구이, 조림 190 2.38±3.98 543 2.34±4.64 0.901

참치 캔 190 1.71±2.80 541 2.06±3.47 0.169

멸치/멸치볶음 190 1.25±2.69 543 1.53±2.72 0.223

참치(다랑어) 190 0.13±0.45 543 0.55±4.96 0.051

꽁치 190 0.41±0.82 543 0.44±1.26 0.767

조기구이 190 1.32±2.50 542 1.39±2.50 0.738

명태(동태)찌개 190 0.83±1.82 543 1.14±4.36 0.176

도미 190 0.06±0.33 543 0.12±0.65 0.102

가자미 190 0.30±0.71 543 0.46±1.08 0.020

갈치 190 1.93±6.48 542 1.67±3.22 0.597

오징어채, 오징어볶음 190 1.25±2.45 541 1.42±3.36 0.460

꽃게장/게 190 0.79±1.61 542 1.07±2.61 0.088

조개/골뱅이 190 0.62±1.25 540 0.94±2.23 0.014

굴 190 0.23±0.52 541 0.36±2.54 0.256

미꾸라지(국) 190 0.86±1.92 542 0.85±3.83 0.966

잉어/붕어 190 0.07±0.28 542 0.10±1.64 0.651

상어고기 190 0.01±0.09 542 0.02±0.15 0.350

고래고기 190 0.03±0.37 541 0.02±0.14 0.772

회 190 1.20±2.03 542 1.88±4.40 0.005

젓갈 190 0.60±2.89 541 0.82±3.10 0.403

표 3-122 가임기 여성의 해안 내륙별 연간 어패류 섭취량(kg/year)

Page 20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5 -

다. 가임기 여성의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이 0 kg/year일 경우 거의 안 먹음, 중앙값 이하

의 섭취량일 경우에는 하위 50%(중앙값 포함), 중앙값 초과의 섭취량일 경

우에는 상위 50% 범주로 구분하여 범주 간의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하였다.

혈중 총 수은의 경우 거의 안 먹음의 평균±표준편차가 5.07±2.95 ㎍/ℓ으

로 하위 50%의 4.40±2.15 ㎍/ℓ, 상위 50%의 4.90±2.36 ㎍/ℓ보다 높게 나

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상치를 가지는

몇 명의 대상자가 편중된 것으로 판단된다(표 3-123).

이상치 영향력 정도를 축소시키기 위해 기하평균(95% 신뢰구간)을 이용

하여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거의 안 먹음

4.49(2.80-7.20) ㎍/ℓ, 하위 50% 3.96(3.78-4.16) ㎍/ℓ, 상위 50%

4.26(3.88-4.67) ㎍/ℓ로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

가하는 뚜렷한 추세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에서는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수은 농도

가 증가하는 추세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고 요중 수은에서

도 뚜렷한 추세는 확인할 수 없었다(표 3-124).

구분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n 평균±표준편차

혈중 총 수은

(㎍/ℓ)7 5.07±2.95 359 4.40±2.15 359 4.90±2.36 0.011

혈중 메틸수은

(㎍/ℓ)0 - 45 3.59±1.68 45 3.69±1.55 0.768

모발 수은

(㎍/g)3 1.09±0.78 180 1.07±0.62 180 1.21±1.33 0.445

요중 수은

(㎍/g cr)6 1.35±0.71 314 2.27±2.01 314 2.31±2.90 0.643

표 3-123 가임기 여성의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산술평균

Page 21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6 -

구분

연간 어패류섭취량 (kg/year)

p-value거의 안 먹음 하위 50% 상위 50%

n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n

기하평균

(95%신뢰구간)

혈중 총 수은

(㎍/ℓ)7 4.49(2.80-7.20) 359 3.96(3.78-4.16) 359 4.26(3.88-4.67) 0.377

혈중 메틸수은

(㎍/ℓ)0 - 45 3.24(2.82-3.72) 45 3.40(3.00-3.85) 0.615

모발 수은

(㎍/g)3 0.93(0.18-4.80) 180 0.95(0.88-1.02) 180 1.01(0.94-1.09) 0.454

요중 수은

(㎍/g cr)6 1.21(0.71-2.07) 314 1.76(1.62-1.92) 314 1.69(1.51-1.89) 0.512

표 3-124 가임기 여성의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기하평균

라.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최소제곱평균분석

가임기 여성에서 생체 내 수은 농도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성별,

연령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보정하였고 어패류 섭취량을 4개의 범주로 구

분한 뒤 그에 따른 생체 내 수은 농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전체 어패류 섭취량을 범주화 하는데 있어 범주별 충분한 표본 수 확보

와 범주 간 수은 노출 지표의 변화량의 명백한 표현을 위해 사분위수를 기

준으로 하여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즉, 소수의 거의 안 먹음(어패류 섭취량 0 ㎍/㎏) 대상자를 포함하여 사

분위 수 중 Q1 이하의 대상자를 25 % 이하 범주(Q1 포함)로, 나머지 중앙

값 이하의 대상자를 25~50 % 이하 범주(중앙값 포함)로, 나머지 Q3 이하

의 대상자를 50~75% 이하 범주(Q3 포함)로, 그 이외의 대상자를 75 %

초과 범주로 구분하였다.

Page 21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7 -

(1) 혈중 총 수은

혈중 총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

뢰구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3.91(3.56-4.30) ㎍/ℓ, 25~50%

이하 범주에서 4.17(3.72-4.68) ㎍/ℓ, 50~75% 이하 범주에서

3.95(3.57-4.38) ㎍/ℓ, 75% 초과 범주에서 4.54(4.10-5.03) ㎍/ℓ로 나타났

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25).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3.91(3.56-4.30) A

25~50% 이하 4.17(3.72-4.68) A

50~75% 이하 3.95(3.57-4.38) A

> 75% 4.54(4.10-5.03)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25 가임기 여성의 전체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29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가임기

여성의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1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8 -

(2) 혈중 메틸수은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

뢰구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3.04(2.58-3.59) ㎍/ℓ, 25~50%

이하 범주에서 3.48(2.84-4.27) ㎍/ℓ, 50~75% 이하 범주에서

3.06(2.56-3.66) ㎍/ℓ, 75% 초과 범주에서 3.86(3.21-4.63) ㎍/ℓ로 나타났

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26).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3.04(2.58-3.59) A

25~50% 이하 3.48(2.84-4.27) A

50~75% 이하 3.06(2.56-3.66) A

> 75% 3.86(3.21-4.63)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26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0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1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79 -

(3) 모발 수은

모발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

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

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0.94(0.86-1.04) ㎍/g, 25~50% 이하

범주에서 0.96(0.86-1.08) ㎍/g, 50~75% 이하 범주에서 0.95(0.86-1.06) ㎍

/g, 75% 초과 범주에서 1.04(0.94-1.16) ㎍/g로 나타났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27).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0.94(0.86-1.04) A

25~50% 이하 0.96(0.86-1.08) A

50~75% 이하 0.95(0.86-1.06) A

> 75% 1.04(0.94-1.16)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27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1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1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0 -

(4) 요중 수은

요중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

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

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1.68(1.48-1.90) ㎍/g cr, 25~50% 이

하 범주에서 1.89(1.62-2.20) ㎍/g cr, 50~75% 이하 범주에서

1.58(1.38-1.82) ㎍/g cr, 75% 초과 범주에서 1.77(1.54-2.03) ㎍/g cr로 나타

났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28).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1.68(1.48-1.90) A

25~50% 이하 1.89(1.62-2.20) A

50~75% 이하 1.58(1.38-1.82) A

> 75% 1.77(1.54-2.03)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28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2 가임기 여성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1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1 -

마.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최소제

곱평균분석

가임기 여성의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최소제곱평균을 살펴본 결과 특별

한 경향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특정 대형어류, 즉 참치, 상어, 고래의

경우 섭취 빈도와 섭취량은 낮은 편이나 수은 함유량은 매우 높아 분석결

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이상치로 작용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특정 대형어류를 섭취하는 대상자를 제외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수은 노출지표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성별, 연령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보정하였고 특정 어류 제외 어패류 섭취량을 4개의 범주로 구분

한 뒤 그에 따른 각 수은 노출지표 농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1) 혈중 총 수은

혈중 총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

뢰구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3.73(3.48-3.99) ㎍/ℓ, 25~50%

이하 범주에서 4.20(3.87-4.57) ㎍/ℓ, 50~75% 이하 범주에서

4.24(3.93-4.57) ㎍/ℓ, 75% 초과 범주에서 4.41(4.10-4.75) ㎍/ℓ로 나타나

어패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이 증가하

는 뚜렷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129).

Page 21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2 -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3.73(3.48-3.99) A

25~50% 이하 4.20(3.87-4.57) AB

50~75% 이하 4.24(3.93-4.57) B

> 75% 4.41(4.10-4.75) B

*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29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3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총 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2) 혈중 메틸수은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

뢰구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3.15(2.59-3.84) ㎍/ℓ, 25~50%

Page 21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3 -

이하 범주에서 2.75(2.11-3.59) ㎍/ℓ, 50~75% 이하 범주에서

3.35(2.68-4.17) ㎍/ℓ, 75% 초과 범주에서 3.49(2.77-4.39) ㎍/ℓ로 나타났

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30).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3.15(2.59-3.84) A

25~50% 이하 2.75(2.11-3.59) A

50~75% 이하 3.35(2.68-4.17) A

> 75% 3.49(2.77-4.39)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30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4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혈중 메틸수은 농도(㎍/ℓ)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1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4 -

(3) 모발 수은

모발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

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

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0.90(0.81-1.00) ㎍/g, 25~50% 이하

범주에서 1.01(0.88-1.15) ㎍/g, 50~75% 이하 범주에서 0.95(0.84-1.07) ㎍

/g, 75% 초과 범주에서 1.02(0.91-1.16) ㎍/g로 나타났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31).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0.90(0.81-1.00) A

25~50% 이하 1.01(0.88-1.15) A

50~75% 이하 0.95(0.84-1.07) A

> 75% 1.02(0.91-1.16)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31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5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모발 수은 농도(㎍/g)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1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5 -

(4) 요중 수은

요중 수은 농도의 다중선형회귀모형 중 승법모형 결과 성별, 연령을 보

정한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의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

간)의 비교 결과 25 % 이하 범주에서 1.70(1.47-1.98) ㎍/g cr, 25~50% 이

하 범주에서 1.92(1.59-2.31) ㎍/g cr, 50~75% 이하 범주에서

1.82(1.54-2.15) ㎍/g cr, 75% 초과 범주에서 1.65(1.40-1.94) ㎍/g cr로 나타

났으며 다중비교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3-132).

어패류 섭취량 최소제곱평균(95% 신뢰구간) 다중비교**

≤ 25% 1.70(1.47-1.98) A

25~50% 이하 1.92(1.59-2.31) A

50~75% 이하 1.82(1.54-2.15) A

> 75% 1.65(1.40-1.94) A*

: 요인 성별, 연령을 보정한 최소제곱평균** : Tukey-Kramer 다중비교 결과로 유의수준 5%하에서 범주 간 동일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

표 3-132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그림 3-36 가임기 여성의 특정 어류 제외 섭취량에 따른

요중 수은 농도(㎍/g cr)의 최소제곱평균-승법모형

Page 22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6 -

제9절 수은 섭취 가이드라인

1. 수산물 섭취에 대한 국민생활습관 조사

가. 국가별 총 식이 조사(Total Diet Study)

(1) 미국

1950년대 말부터 핵 실험과정 중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에 식품이 오염될

위험이 있음을 파악하고 전형적인 미국인의 대표 식품과 음료를 포함하는

총 식이 조사(Total Diet study)를 1961년에 처음으로 실시하였다.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주관으로 미국 전역을 4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1년 동안 지역별로 각각 한 번씩 연

4번을 수행하고 있다. 처음에는 2가지 방사성물질과 몇 가지 잔류 농약

(pesticides residues: organophosphates and organochlorines)에 대하여 분

석하였으나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추가적인 잔류 농약과 독성 인자

(toxic elements) 산업 화합물질(industrial chemicals)이 포함되는 분석물질

목록이 확대되었다.

현재는 200개 이상의 분석물질에 대해 280여가지의 식품을 13개의 유사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식품은 3가지의 표본을 모아 분석을 한다. 그리고

미국의 위해도 평가 시스템은 식품의약품안전청 산하 CFSAN이 중심이 되

어 위해 분석을 실시하며 위해관리, 위해평가, 위해 정보교환 팀으로 구성

되고 이들 간의 업무를 조율하는 위해 분석 조정팀이 업무를 수행한다.

(2) 영국

영국에서는 식품의 원료가 되는 재료에서 생태계 먹이사슬을 통한 어류

나 조개류 등의 중금속 축적과 중금속의 농작물 오염으로 인한 유해 물질

의 위험성을 인지하여 1966년 처음 총 식이 연구(Total Diet Study)를 실

Page 22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7 -

시한 이래 매 3년마다 Food Standard Agency에서 수행하고 있고 이를 통

하여 국민의 일반적인 식이 형태와 유해중금속, 독성물질, 잔류 농약 및 일

부 영양소의 노출량을 평가하고 있다.

Food GroupContribution to dietary exposure (%)

Al As Cd Cr Cu Pb Mn Hg Ni Se Sn Zn

Bread 7 2 17 7 12 10 14 4 5 19 < 1 10

Miscellaneous Crereals 45 4 17 15 15 21 14 9 11 4 < 1 10

10Carcase meat < 1 < 1 < 1 2 3 < 1 < 1 1 < 1 6 < 1 14

Offal < 1 < 1 < 1 < 1 2 < 1 < 1 < 1 < 1 1 < 1 < 1

Meat products 2 1 4 9 6 4 1 3 2 14 < 1 14

Poultry < 1 2 < 1 4 2 0 < 1 1 < 1 12 < 1 4

Fish 1 83 2 3 1 3 < 1 65 1 13 < 1 1

Oils and fats 1 1 < 1 5 < 1 1 < 1 2 1 1 < 1 < 1

Eggs < 1 < 1 < 1 1 < 1 < 1 < 1 < 1 < 1 5 < 1 2

sugar & preserves 5 2 7 11 14 12 3 1 25 1 < 1 6

Green vegetables 1 < 1 5 1 2 5 2 < 1 2 1 < 1 1

Potatoes 3 < 1 31 16 10 4 4 2 7 2 < 1 4

Other vegetables 3 1 8 3 6 12 2 1 3 3 < 1 2

Canned vegetables 1 < 1 2 2 3 2 1 < 1 9 1 61 2

Fresh fruit < 1 < 1 1 1 7 2 5 1 2 < 1 < 1 1

Fruit products 1 < 1 < 1 3 2 7 4 < 1 3 < 1 37 < 1

Beverages

(no mineral water)30 1 2 11 8 13 47 4 22 2 < 1 3

Milk < 1 1 < 1 3 1 2 < 1 2 2 10 < 1 15

Daily products 1 1 1 3 3 1 < 1 2 2 4 < 1 8

Nuts < 1 < 1 1 < 1 2 < 1 1 < 1 5 2 < 1 1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3-133 영국 총 식이 연구로부터 추정된 총 인구집단의 식이

폭로에 대한 유해 중금속의 각 식품군 기여도(%)

Page 22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8 -

(3) 일본

일본은 1976년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에 의해

설립된 GEMS/Food 프로그램(Global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ood Contamination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me) 지침을 기

초로 하여 설정 되었으며 National Institute of Hygienic Science와 중앙

정부 및 지방과 도시의 공중위행학회의 지도하에 1977년부터 시행되고 있

으며 식품에 오염 가능성이 있는 유해 중금속인 카드뮴과 납의 함량조사를

시작으로 살충제, PCBs 및 중금속 잔류물 검사를 추가하여 조사하고 있다.

그리고 다이옥신에 대한 항목이 1996년에 추가되었고 일본국민영양조사의

식품 소비 행태를 기초로 하여 각 지역 10곳에서 식수 식이 음료를 포함한

표본을 채취하여 분석하고 있다.

(4)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일상적인 식품 소비를 통해 섭취하는 영양소나 다른 성분

들의 수준을 평가하기위해 대표식품 100 여종을 선정하고, 전국의 10 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당 2~3개의 식료품점에서 식품을 구입하여 Market

Basket Study를 실시하는데 1986년부터는 방사성원소의 노출량 평가 조사

를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1999년에 추가로 무기질과 유기오염물질의 섭취수

준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1940년대부터 각 집단 (학교,

군대, 레스토랑, 연령별, 채식주의자)에게 제공되는 식사를 중심으로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의 주관하여 Duplicate diet studies를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Duplicate diet studies는 실제섭취량 자료를 산출할

수는 있으나, 조사방법이 조사대상자에게 부담스러워 대상자의 수가 제한

될 수 있고, 조사기간 동안 식사의 패턴이 평소와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

이 있다.

Page 22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89 -

(5)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식품에서 검출되는 유해물질과 화학물질의 수준을 평가,

감시하여 식품의 유해물질 수준이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한 허용량을 초과하

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 이러

한 조사는 196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실행 시기는 비주기적으로 3~4년간

수행되며 실시 항목으로는 유해 중금속, 농약, PCBs, veterinary drugs, 기

타 유해화학물질 등이 포함되어 수행된다. 210개의 식품시료를 각각 3~4

개의 슈퍼마켓에서 구매하며, 식품 시료는 Kemptville College로 보내지고

이곳에서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의 형태로 조리, 가공된 후 분석된다.

또한 식품에 함유된 독성물질과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화학물질들을 분석하

며,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유해물질들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 연령, 성별로

분류한 사람들의 식이섭취량과 결합시켜 캐나다 국민의 대표식품을 통한

유해물질 섭취량을 평가하게 된다.

(6) 대한민국

우리나라 총 식이 조사의 목적은 국민이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

으로부터 중금속 및 오염물질 섭취량을 평가하고, 개별 중금속에 대한 감

시 및 시험법을 확립함으로써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품에 대한 관련 규제

및 잔류허용기준을 검토 및 재평가하고 궁극적으로 오염물질의 위해도 평

가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식품 위

생 및 안전성을 목적으로 중금속을 조사하기 시작한 것은 1967년 농촌진흥

청이 주관한 국내산 쌀 시료의 수은 함량 측정이 처음이다.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바뀐 국립보건원에서 1985년부터 어류 중 미

량 중금속 조사연구를 시작으로 방대한 개별적인 식품 재료들에 대한 중금

속 감시 위주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1994년 한국식품연구소의 주관 하에

미량영양성분과 유해물질의 기준 설정을 위한 총 식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Page 22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0 -

식품 목록 선정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음식 군별로 많이 소

비되는 음식의 종류와 양 (1인1일 섭취량)을 산출하고, 109가지 음식을 조

리한 후 As, Cd, Pb, Cu, Na, K, Zn, Fe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기에 사용

되었던 기초데이터인 우리나라 국민의 식이섭취량 자료는 가구단위 조사인

국민영양조사에서 가구별 단위로 집계된 식이섭취량을 가구원수로 나누어

계산된 1인당 섭취량이었다.

우리나라의 총 식이 조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주관 하에 2000 년 이후

현재까지 매년 한국인의 대표식품 중 중금속을 비롯한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연구의 형태로 지속되어 왔다. 그리고 ‘국민건강 영양조사’ 중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조사된 ‘식이섭취량 자료’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계

절별로 대표식품을 구입, 각 식품의 대표조리법에 따라 조리한 후 각 중금

속에 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 지역별, 성별, 연령층별 섭취량, 극단섭취

량을 조사한 후 JECFA에서 설정한 PTWIs 및 MTDI(Maximum

Tolerable daily intake)와 비교하여 위해도를 평가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가

장 적합한 식품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시스템 구축에

활용되도록 시행하고 있다.

(7) 국가별 비교

총 식이 조사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의 실시 목적은 각 국가의 국민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이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에 어느 정도 노출되

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 분석을 통하여 각 식품의 유해물질 허용섭취량과

규정들을 설정하고 수정하여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는 모두 같다고 할 수 있으나 상세한 연구운영체계나 규정 등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Duplicate diet studies만을 시행하는 경우 일반 국민을 대표하기에는 어

려움이 있고 특정 집단에 대한 제한된 자료만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제한

Page 22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1 -

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스웨덴의 경우 duplicate diet studies와

market basket survey 또는 total diet study를 병행 시도하여 일반 국민이

나 극단 섭취집단의 섭취량 평가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미국,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의 경우 표본의 조리, 가공과정을 전문으로 하는 기

관을 설립, 위탁하고 안정적인 연구과정을 통해 더욱 확실한 결과를 가지

고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체계적인 분석, 평가가 가능하게 한다.

한국의 경우 타 국가들에 비해 총 식이 조사의 역사가 짧지만 매년 꾸준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선진국의 체계적인 연구방식과 시설

등을 벤치마킹하여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현재 여러 나라들이

Total diet study 또는 Market basket survey 등의 총 식이 조사를 주기적

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국제적인 협력 속에 더욱 많은 연구와 노력을 통해

상세한 섭취허용량과 규정을 설정하여 전 세계 사람들이 안심하고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나. 주간 수은 폭로 허용량

중금속은 인류가 금속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인체에 대한 위해인자로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산업화 과정에서 공업의 급속한 발전과 인간

활동의 증가에 따라 중금속에 의한 환경오염이 급격히 중가 되고 있다. 특

히 수은, 납, 카드뮴, 비소 등의 유해 중금속이 과도하게 생태계로 유입됨

으로 인해 자연생태계의 자정능력을 초과하게 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이 유

발되고 있음. 게다가 오염된 환경에서 생산되는 각종 식품재료를 사용하여

제조, 가공, 조리되는 식품은 자체적으로 유해 중금속을 함유하여 인체의

중금속 노출 위험성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나아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1974년 세계식량계획/세계보건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FAO/WHO) 합동회의

Page 22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2 -

에서는 식품에 잔류하는 중금속, 잔류농약, 유기염소계 화합물들에 대한 지

속적인 감시 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감시대상이 되

는 화학 오염물질 중 중금속 오염물질로서 수은, 납, 카드뮴, 비소 등을 우

선순위로 언급하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중금속의 식품 생약 오염 현황조사

와 방지대책을 수립하기 시작하였고 식품섭취를 통한 유해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뒤이어

1976년 UNEP에 의해 설립된 GEMS/Food 프로그램에서는 FAO, UNEP

및 WHO와 합동으로 식품 중 환경오염물질의 유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

니터링 사업을 시작하여 세계 각국의 식품에 함유된 중금속 등 오염물질의

함량에 대한 자료를 수집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FAO/WHO 합

동 식품규격위원회에 제공되어 식품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폭로 기준을 설

정하기 위한 국제 규격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FAO/WHO는 수은에 대한 잠정허용주간섭취량(PTWIs)을 5 ㎍/㎏ body

weight로 정하고 메틸수은에 대해서는 1.6 ㎍/㎏ body weight으로 제시하

고 있다.

Page 22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3 -

contaminants Foods

Aldrin, dietdrin, DDT, TDE,

DDE, endosulfon, endrin,

hexachlorocyclohexane,

hexachlorobenzene, heptachlor,

heptachlor epoxide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전유, 버터, 동물성 지방과 기름, 생선,

곡류, 모유

Lead

우유, 통조림된 육류/신선한 육류, 신

장, 곡류, 통조림된 과일/신선한 과일,

과일주스, 향신료, 유아용식품, 음료수

Cadmium 신장, 연체동물, 갑각류, 곡류

Mercury 생선

Aflatoxins우유, 옥수수, 땅콩, 다른 견과류, 말린

무화과 열매

Diazinon, fenitrothion, malathion,

methyl parathion, methyl pirimiphos곡류, 과일, 채소

Inorganic arsenic 음료수

표 3-134 GEMS/Food monitoring food and contaminants

2. 수은 오염도 조사와 섭취 빈도에 따른 폭로 실태 분석 연구

가. 식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TDS)

기존에 실시되어 왔던 평가는 1967년 농촌진흥청이 주관한 국내산 쌀 시

료에 포함된 수은 함량 측정이 처음이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바뀐

국립보건원에서 1985~1991년 어류 중 미량 중금속 조사 연구를 시작으로

1992~1996년 농산물, 1999년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식품 중 중금속 규격화

를 위한 당류 및 당류가공식품, 해산어패류, 담수어류, 곡류, 두류, 채소류,

과실류, 육류, 기타 향신료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개별적인 식품 재료들에

대한 중금속 감시 및 분석 위주의 연구로 수행되어 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식품 감시 및 분석 결과에 의하면 쌀, 보리, 대두,

팥 등 곡류와 상추, 파, 시금치, 등 채소류 및 가자미, 갯장어, 넙치, 백합

Page 22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4 -

등 어패류 중 수은 등의 중금속 함량이 오히려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다른 식품도 모니터링을 수행한 1985~1999년 사이 중금속 함량

에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 국민이 섭취하는 식

품의 중금속 함량은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2000년 이후 2009년도까지의 ‘한국인의 대표식단 중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연구 결과에 의하면, 비소, 카드뮴 및 납이 해조류 등의 식

품에서 검출되었으나, 잠정허용주간섭취량(PTWIs)과 비교한 상대 위해도가

전체 중금속에 있어 일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중금속의 섭취 수준은 상대적

으로 안전하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그동안 수행되어온

식품 중 중금속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품 중 수은과 같은 중금속 함

량은 외국의 모니터링 자료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우리나라 국민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한 수은 섭취량은 FAO/WHO에서

정한 잠정허용주간섭취량(PTWIs)과 비교한 경우 섭취량의 약 4%로서 우리

나라 국민의 수은 노출위험성은 낮은 편으로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 국외 수산어패류 수은 함유량 조사

미국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수산어패류에 대한 시료를 수

집하여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메틸수은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새치와

상어류가 메틸수은 허용기준치인 1.0 ㎎/㎏을 초과하여 부적합으로 판정을

받은 건이 각각 35.9%와 39.5%를 차지하여 매우 높은 부적합 비율을 보이

고 있다. 특히 일부 상어의 경우 최대 4.54 ㎎/㎏의 함량치를 보여 기준치

의 4.5배를 보여 이러한 어류의 섭취를 통해 수은의 폭로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Page 22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5 -

어류 건수 함량(㎎/㎏) 부적합건1) 비고

황새치 (Swordfish) 453 0.96 (0.00~3.22) 163 (35.9%) 메틸수은

다랑어류 (Tuna)2) 156 0.26 (0.00~0.96) 메틸수은

청새치 (Marlin) 15 0.46 (0.10~0.92) 메틸수은

상어류 (Shark) 281 1.00 (0.00~4.54) 111 (39.5%) 메틸수은

통조림

(다랑어류)

Albacore 9 0.24 (0.00~0.49)

메틸수은

light 11 0.13 (0.00~0.85)

Albacore 390 0.36 (0.03~0.85)

총 수은

light 336 0.12 (0.00~0.72)

1) 메틸수은 허용기준 : 1.0㎎/㎏ 이하

2) Albacore, Bigeye, Skip Jack, Yellow Fin 등 (냉동포함)

표 3-135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수산어류 수은 함량

분석(1990~2004)

일본의 경우 2005년 후생노동성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다랑어류 중

에서 인도 마구로의 평균 수은 함량이 총 수은 기준치 0.4 ㎎/㎏와 메칠수

은 0.3 ㎎/㎏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흑다랑어 및 상어의 경우

에도 총 수은이 1.15 ㎎/㎏, 0.98 ㎎/㎏으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메칠수

은의 경우에도 흑다랑어가 0.81 ㎎/㎏으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발표되

었다.

Page 23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6 -

어류 건수 함량(㎎/㎏) 비고

다랑어류

인도 마구로8 1.08 (0.68~2.0) 메틸수은

8 1.27 (0.79~2.6) 총수은

가다랭이 15 0.17 (0.29~4.2) 총수은

흑다랑어19 0.81 (0.29~4.2) 메틸수은

19 1.15 (0.39~6.1) 총수은

상어 상어 331 0.98 (0.05~4.54) 총수은

고래류

밍크고래(남극해) 227 0.03 (0.00~0.07) 총수은

밍크고래(북서태평양)40 0.12 (0.02~0.19) 메틸수은

638 0.20 (0.0~0.83) 총수은

표 3-136 일본 후생노동성의 어패류 수은 함량 분석(2005)

영국의 경우 2006년 Food Standard Agency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다랑어와 황새치가 각각 0.10, 0,27 ㎎/㎏의 수은 검출치가 관찰되었다.

어류 건수 검출치 (㎎/㎏) 비고

가다랑어 (Skip Jack) 12 0.10 (0.02~0.44) 총수은

황새치 (Swordfish) 1 0.27 총수은

표 3-137 영국 Food Standard Agency의 수산어류 수은 함량

분석(2006)

다. 국내 수산어패류 수은 함유량 조사

우리나라 중금속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식품재료 중 중금속 잔류량을

분석하여 식품재료 오염도를 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국민들의 식생

활 의식수준이 향상되면서 식품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 생산 식품 재료를 포함하여 무차별하게 유입되는 수입 식품

Page 23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7 -

재료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수산어패류에 대한 수은 함유

량 조사는 현재 농림수산식품부와 환경부로 크게 양분되어 있는 실정이다

민물어패류의 경우 환경부에서 분석을 하고 해양 수산물에 대한 부분은 농

림수산식품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1) 2009년 식품의약품안전청 발표 자료(해양 수산식품)

2009년 국내 다소비 수산 식품 중 총 수은 검출량 발표 자료를 살펴보면

어류의 경우 0.011~0.291 ppm, 연체류의 경우 0.006~0.077 ppm, 패류의

경우 불검출~0.020 ppm의 총 수은 함유량을 보이고 있어 기준치인 1

ppm 이하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구 분 건 수 검 출 량

어류1)

96 0.011~0.291 ppm

연체류2)

35 0.006~0.077 ppm

패류3)

42 불검출~0.020 ppm

비고 : 1) 어류 : 고등어, 갈치, 조기, 명태, 메기, 가물치

2) 연체류 : 오징어, 낙지

3) 패류 : 굴, 바지락, 홍합

표 3-138 국내 다소비 수산식품 중 총 수은 검출량(2009)

이에 비하여 다소비 수산 식품 중에서 다랑어류의 경우 불검출~0.894

ppm, 새치류의 경우 불검출~1.160 ppm, 다랑어가공품의 경우 불검출~

0.246 ppm, 냉동다랑어/새치포장제품은 불검출~0.770 ppm, 귀상어, 흑기흉

상어, 곱상어, 청새리상어, 악상어, 적어, 은민대구, 체장메기등과 같은 심해

성 어류는 0.037~2.009 ppm의 메틸수은 검출량을 보이고 있다.

메틸수은의 검출량은 새치류의 경우 최대 1.160 ppm을 나타내고 심해성

어류의 경우 2.009 ppm으로 기준치를 모두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과량 섭

Page 23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8 -

취할 경우 수은의 위해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구 분 건 수 검 출 량

다랑어류 64 불검출~0.894 ppm

새치류 40 불검출~1.160 ppm

다랑어가공품 34 불검출~0.246 ppm

냉동다랑어/새치포장제품 11 불검출~0.770 ppm

심해성 어류1) 496 0.037~2.009 ppm

비고 : 1) 심해성 어류 : 귀상어, 흑기흉상어, 곱상어, 청새리상어, 악상어, 적어, 은민대구, 체장메기

2) 상어섭취량 : 0.2 g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표 3-139 국내 다소비 수산식품 및 심해성 어류 중 메틸수은 검출량

(2) 2009년 환경부 조사 민물 어패류 조사

환경부는 ’06년부터 ’08년까지 전국 4대강유역 하천, 호소, 저수지 등 주

요 담수수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수질, 퇴적물) 및 어패류 내 수은농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전국 4개강 유역 담수 수계에 서식하는 주요 어패류에 대한 종합적인 수

은농도 모니터링은 처음으로 실시하였는데 전국 4대강 유역 하천과 호소지

역을 대표하는 총 92개 지점에 서식하는 57종(3,710개체)에 대한 어패류 내

수은 농도를 분석한 결과 담수 어패류의 종별 평균 총 수은 농도는 3.9~

163.2 ㎍/㎏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수산물에 대한 총 수은 규격 기준(500

㎍/㎏, ’08 식품공전) 이하이고, 수은 함량이 높은 어종은 쏘가리(163.2 ㎍/

㎏), 참몰개(123.8 ㎍/㎏), 치리(116.6 ㎍/㎏), 강준치(115.3 ㎍/㎏), 끄리

(110.9 ㎍/㎏) 순이며, 출현빈도가 높은 5개 어종(붕어, 블루길, 누치, 피라

미, 메기)의 평균 수은농도는 43.8~92.0으로 조사되었다.

Page 23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199 -

(3) 2009년 한국인의 대표식품 중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08년도 겨울철, ’09년 봄철에 구입 조리된 대표식

품의 두 계절 평균 수은의 1일 섭취량, 평균 주간 섭취량은 각각 0.0024 ㎎

/person/day, 0.0169 ㎎/person/week이었으며, 겨울철, 봄철에 구입 조리된

대표식품의 계절별 수은의 1일 섭취량, 주간 섭취량은 각각 0.0022 ㎎

/person/day, 0.0026 ㎎/person/day와 0.0156 ㎎/person/week, 0.0182 ㎎

/person/week으로 봄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2’07년 여름과 가을 대표식품 계절 평균 수은의 1일 섭취량, 평균 주간

섭취량은 각각 0.0028 ㎎/person/day, 0.0196 ㎎/person/week이었으며, 여름

철, 가을철에 구입 조리된 대표식품의 계절별 수은의 1일 섭취량, 주간 섭

취량은 각각 0.0024 ㎎/person/day, 0.0031 ㎎/person/day와 0.0168 ㎎

/person/week, 0.0217 ㎎/person/week으로 가을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렇듯 ’07년 결과와 ’08~’09년 결과는 가을 섭취량이 약간 높게 나타났을

뿐 전반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05년도 여름철, 가을철, ’06년 초 겨울철 및 봄철 사계절평균 수은의 1일

섭취량, 평균 주간 섭취량은 각각 0.00224 ㎎/person/day, 0.01577 ㎎

/person/week이었으며 여름철, 가을철, 겨울철, 봄철에 구입 조리된 대표식

품의 계절별 수은의 1일 섭취량, 주간 섭취량은 각각 0.00221 ㎎

/person/day, 0.00155 ㎎/person/day, 0.00247 ㎎/person/day, 0.00274 ㎎

/person/day와 0.01567 ㎎/person/week, 0.01084 ㎎/person/week, 0.01740

㎎/person/week, 0.01916 ㎎/person/week으로 나타났으며 대표식품을 통한

수은 섭취량은 ’08~’09년 결과와 ’05~’06년 결과에서 유사한 범위의 수은

섭취량을 나타내었다.

Page 23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0 -

3. 폭로 실태에 따른 취약계층의 수산물 섭취 가이드라인

가. 국외 수은 폭로 허용 가이드라인

(1) 국제기구 및 외국의 수산물 함유 수은 관리 규격

국제기구 및 외국의 경우 총 수은과 메틸수은으로 기준치를 각각 나누어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과 Codex에서는 총 수은이 아닌 메틸수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특히 육식성 어류에 대하여 1.0 ㎎/㎏의 함유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총 수은은 어류 중에서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

류 제외하여 0.5 ㎎/㎏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의 경우 메틸수은으로 1.0 ㎎/㎏의 기준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

고 각각의 국가에서는 수산식품에서 대부분 메틸수은의 위해성을 우려하여

메틸수은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단위(㎎/㎏)

총수은 메틸수은

한국 어류0.5(심해성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제외)

1.0 (심해성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Codex어류

-0.5

육식성어류 1.03

미국 어류 - 1.04 (wet weight)

일본 어류 0.4 0.35

EU어류 0.5

-육식성어류 1.01

호주

뉴질랜드

어류 0.5-

육식성어류 1.02

1) Gemfish, orange roughy, rays, all species of shark 등

2) Anglerfish, marlin, pike, plain bonito, 상어(모든종), snake mackerel or butterfish, sturgeon, swordfish, tuna 등

3) 육식성어류(상어, 황새치,참치, pike등등)에 한함

4) 어류, 패류, 갑각류 및 다른 수산동물 (생물, 냉동 또는 가공), 가식부

5) 다랑어류(다랑어, 청새치, 가다랑어) 및 내수면 수역하천 어패류, 심해성 어패류 등에 한함. 금눈동,

대구 및 상어는 제외

표 3-140 국제기구 및 외국의 수산물 함유 수은 관리 규격

Page 23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1 -

(2) 미국의 수은 관련 식품 섭취 권고안

2004년 3월에 식약청(FDA)과 환경청(EPA)가 공동으로 ‘어류와 조개 류

및 갑각류를 먹는 것에 대한 임신 중인 여성과 가임기 여성, 모유 수유중

인 여성, 어린 아이들을 위한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여성과 어린이는 ‘높은 농도의 수은에 오염된 네 종류의 어류(왕고등어

(삼치), 황새치, 상어, 타일피쉬(옥돔))를 먹지 말도록’ 권고하였으며 수은

함량이 적은 어종(새우 라이트 참치 통조림, 연어, 대구 메기)은 1주일에

12온스 (340 g)로 섭취를 제한하도록 권고하였다.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권고를 따름과 동시에 양을 줄이도록 권고하였다.

미국 식약청은 이 네 종류의 어류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 하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평균 총수은 오염 농도는 왕고등어 0.73 ppm, 황새치 0.97

ppm, 상어 0.99 ppm, 타일피쉬 1.45 ppm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추가로 미국의 보건국 소속 독소 및 질병관리청(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에서는 어류를 섭취하는

사람의 혈중 수은농도는 일반적으로 2~20 ppb이며 성인, 산모 및 7세 이

하 아동의 혈중 수은 농도가 20 ppb 이상일 경우 높다고 간주되므로 이

경우 어류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3) 일본의 수은 관련 수산물 섭취 가이드라인

2003년 임산부와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상어, 황새치 금눈돔, 고래 등

높은 수은 함유 어종에 대하여 섭취제한을 권고하였다.

○ 돌고래 ; 1회 60-80 g을 2개월에 1회 이하

○ 고래(쯔찌 구지라, 고비레 곤도, 말향고래), 상어(근육) ; 1회 60-80 g

을 1주일에 1회 이하

○ 황새치, 금눈돔 ; 1회 60-80 g을 1주일에 2회 이하

Page 23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2 -

(4) EU의 수은관련 수산물 섭취 가이드라인

2004년 임산부, 가임여성, 수유중인 산모, 유아에 대하여 다음의 어패류

에 대한 섭취 제한을 권고하였다.

○ 대형의 포식성 생선(황새치, 상어, 청새치, 파이크 등)은 1주일에 최대

1식 (100 g 미만) 이하로 제한할 것

○ 대형의 포식성 생선을 먹은 경우, 그 주에는 어떠한 생선도 먹지 말 것

○ 또한, 참치를 1주일에 2회 이상 먹지 말 것

나. 국내 수산 어패류 섭취 가이드라인

(1) 담수 어패류(민물고기) 섭취권고 횟수 가이드라인

우리나라 국민의 일반적인 어패류 섭취량(한국노출계수 핸드북, ’07)과

수은일일허용섭취량(JECFA, IOMC 기준)을 활용하여 섭취 빈도에 따른 허

용 어패류 수은 농도를 산정한 결과, 일반성인의 경우 일반적인 어패류 섭

취빈도(2.5회/주, 국민건강영양조사(’01))를 고려할 때, 담수 어패류 섭취로

인한 수은의 건강영향은 우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담수 어패류의 기하평균농도가 임산부의 주 2회 섭취가능 농도인 194 ㎍

/㎏ 이하이므로, 평균적인 담수 어패류 섭취빈도를 고려할 때 평상시 큰

제한 없이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Page 23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3 -

허용 섭취횟수어패류 수은 농도 (㎍/㎏)

임산부 유아/아동 일반성인

3회/주 ~130 ~204 ~267

2회/주 ~194 ~306 ~400

1회/주 ~389 ~612 ~801

1회/2주 ~778 ~1224 ~1601

※ 주당 평균 어패류 섭취횟수가 2.5회일 때 일 회당 어패류 섭취량은 가임여성/태아는 228.5g/회, 유

아/아동은 138.3g/회, 일반성인은 244.2g/회 (장재연 등(2007), 한국노출계수핸드북)

※ 수은 일일허용섭취량 (TDI, Tolerable Daily Intake) : 임산부 0.23㎍/㎏‧day, 일반인 0.46㎍/㎏‧day

(JECFA&IOMC)

※ 임산부(임신예정 여성포함), 어린이(1~12세), 일반성인(13세 이상)

표 3-141 담수 어패류(민물고기) 섭취권고 횟수 가이드라인(환경부)

주2회 이상 섭취 시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는 임산부와 12세

이하에게는 각각 쏘가리, 참몰개, 치리. 베스, 강준치, 끄리, 꺽저기와 쏘가리

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일반성인의 경우 섭취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구분 섭취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임산부  쏘가리, 참몰개, 치리. 베스, 강준치, 끄리, 꺽저기

12세 이하  쏘가리

일반성인  제한 없음. 다만 민물고기 애호가의 경우 섭취량 유의

표 3-142 주2회 이상 섭취 시 유의할 필요가 있는 어패류의 종류

4. 국내 수은 관련 수산물 섭취 가이드라인(안)

가. 해양 일반 어류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권고안을 검토하였다.

Page 23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4 -

(1) 일반성인의 경우(60 kg 성인 기준)

FAO/WHO에서 제시하는 메틸수은의 잠정허용주간섭취량(1.6 ㎍/kg체중

/주(week))을 적용할 경우 체중 60 kg의 성인의 메틸수은 잠정허용주간섭

취량은 96 ㎍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준에서 해양 일반 어류의 1회 섭취량을 80g 으로 할 경우 식품

의약품안전청의 조사 검출량(총수은의 80%를 가정)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

수은 량이 0.704~18.624 ㎍ 이며 주당 평균 섭취횟수를 환경부 참고자료

(2.5회/주)를 대입하면 주당 평균 섭취 메틸수은 량이 1.76~46.56㎍으로 잠

정허용 주간 섭취량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연체류와 패류의 경우에도 1회 섭취량을 80 g 으로 가정하여

계산하면 1회 섭취시의 메틸수은 섭취량은 0.384~4.928 ㎍, 0~1.28㎍이며

주당 섭취 횟수(2.5회/주)를 대입하면 주간 평균 메틸수은 섭취량이 연체류

와 패류 각각 0.96~12.32 ㎍, 0~3.2 ㎍으로 잠정 허용 주간 섭취량에 미달

하므로 연체류 및 패류의 경우 성인에 있어 섭취에 제한을 할 필요성은 없

는 상태이다.

(2) 임산부의 경우(50 kg 여자성인 기준)

FAO/WHO 제시 메틸수은 잠정허용주간섭취량 적용 시 체중 50 kg의

임산부의 메틸수은 잠정허용주간섭취량은 80 ㎍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준에서 해양 일반 어류의 1회 섭취량을 80g 으로 할 경우 식품

의약품안전청의 조사 검출량(총수은의 80%를 가정)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

수은 량이 0.704~18.624 ㎍ 이며 주당 평균 섭취횟수를 환경부 참고자료

(2.5회/주)를 대입하면 주당 평균 섭취 메틸수은 량이 1.76 ~ 46.56 ㎍ 으

로 잠정허용 주간 섭취량을 초과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연체류와 패류의 경우에도 1회 섭취량을 80 g 으로 가정하여

계산하면 1회 섭취시의 메틸수은 섭취량은 0.384~4.928 ㎍, 0~1.28 ㎍이며

Page 23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5 -

주당 섭취 횟수(2.5회/주)를 대입하면 주간 평균 메틸수은 섭취량이 연체류

와 패류 각각 0.96~ 12.32 ㎍, 0~3.2 ㎍ 으로 잠정 허용 주간 섭취량에 미

달하므로 연체류 및 패류의 경우 성인에 있어 섭취에 제한을 할 필요성은

없는 상태이다.

구 분식약청 조사 검출량

(1회 80g 기준)

주 2.5회

섭취 시 폭로량

일반성인

(60kg기준)

임산부

(50kg기준)

어류1) 0.704 ~ 18.624 1.76 ~ 46.56

96 80연체류2) 0.384 ~ 4.928 0.96 ~ 12.32

패류3) 0 ~ 1.28 0 ~ 3.2

비고 1) 어류 : 고등어, 갈치, 조기, 명태, 메기, 가물치

2) 연체류 : 오징어, 낙지

3) 패류 : 굴, 바지락, 홍합

※ 제한점 : 추정치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는데 메틸수은에 대한 농도가 없고

총 수은에 대한 농도가 있어 총수은 대비 메틸수은 농도를 80% 적용하여 검토함

표 3-143 해양 일반 어류의 수은 섭취 가이드라인(안) 단위: ㎍

나. 다소비 수산식품 및 심해성 어류

(1) 일반성인의 경우(60 kg 성인 기준)

FAO/WHO에서 제시하는 메틸수은의 잠정허용주간섭취량(1.6 ㎍/kg체중

/주(week))을 적용할 경우 체중 60 kg의 성인의 메틸수은 잠정허용주간섭

취량은 96 ㎍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준에서 다랑어류의 1회 섭취량을 80 g 으로 할 경우 식품의약

품안전청의 조사 검출량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수은 량이 0~71.52 ㎍ 이며

주당 평균 섭취횟수를 환경부 참고자료(2.5회/주)를 대입하면 주당 평균 섭

취 메틸수은 량이 0~178.8 ㎍ 으로 검출최대치를 적용 할 경우 잠정허용

Page 24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6 -

주간 섭취량을 초과하게 된다.

새치류의 경우 1회 섭취량을 80 g 으로 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조

사 검출량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수은 량이 0~92.8 ㎍ 이며 주당 평균 섭

취횟수를 환경부 참고자료(2.5회/주)를 대입하면 주당 평균 섭취 메틸수은

량이 0~232 ㎍ 으로 검출최대치를 적용 시 잠정허용 주간 섭취량을 초과

하게 된다.

특히 심해성 어류의 경우 1회 섭취량을 80 g으로 할 경우 식품의약품안

전청의 조사 검출량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수은 량이 2.96~160.72 ㎍으로

검출최대치를 적용 시 1회 섭취만으로도 잠정허용주간섭취량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심해성 어류의 경우 메틸수은의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

우에는 섭취를 제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2) 임산부의 경우(50 kg 여자성인 기준)

FAO/WHO 제시 메틸수은 잠정허용주간섭취량 적용 시 체중 50 kg의

임산부의 메틸수은 잠정허용주간섭취량은 80 ㎍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준에서 다랑어류의 1회 섭취량을 80 g 으로 할 경우 식품의약

품안전청의 조사 검출량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수은 량이 0~71.52 ㎍ 이며

이 경우 임산부는 주 1회 섭취 시에 검출 최대치를 적용하면 허용량의

89.4%를 섭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어류에 대해서는 주 1회이하의

섭취 빈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새치류에서는 1회 섭취량을 80 g 으로 할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조사

검출량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수은 량이 0~92.8 ㎍ 이며 다랑어류에 비해

검출 최대치를 적용 1회 섭취 시 허용량의 116%를 섭취할 가능성이 있으

므로 새치류의 경우 2주에 1회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

된다.

특히 심해성 어류의 경우 1회 섭취량을 80 g으로 할 경우 식품의약품안

Page 24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7 -

전청의 조사 검출량을 대입하면 섭취 메틸수은 량이 2.96~160.72 ㎍으로

검출 최대치를 적용 시 1회 섭취만으로도 잠정허용주간섭취량을 과다하게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심해성 어류의 경우 임산부에게는 월 1회 이하로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 분식약청 조사 검출량

(1회 80g 기준)

주 2.5회

섭취 시 폭로량

일반성인

(60kg기준)

임산부

(50kg기준)

다랑어류 0 ~ 71.5 0 ~ 178.8

96 80

새치류 0 ~ 92.8 0 ~ 232.0

다랑어가공품 0 ~ 19.7 0 ~ 49.2

냉동다랑어/

새치포장제품0 ~ 61.6 0 ~ 154.0

심해성 어류1) 2.96 ~ 160.72 7.4 ~ 401.8

비고 : 1) 심해성 어류 : 귀상어, 흑기흉상어, 곱상어, 청새리상어, 악상어, 적어, 은민대구, 체장메기

표 3-144 다소비 수산식품 및 심해성 어류 수은 섭취 가이드라인(안) 단위: ㎍

그림 3-37 1회 섭취량 기준(80g) 예시 분량

Page 24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8 -

다. 인구 집단별 섭취 가이드라인

(1) 일반성인(60 kg 성인 기준)

○ 심해성 어류와 새치류를 제외한 모든 어패류에 대한 섭취 제한이 없음

○ 심해성 어류와 새치류의 경우 최대 농도의 경우 주 1회 이내 1회 섭취

80g 이내로 제한할 필요가 있지만 평균 농도로 평가 할 경우에는 섭취

제한이 없음

(2) 민감집단(임산부) (50 kg 여자성인 기준)

○ 2주에 1회(80g) 이하로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

- 심해성 어류(귀상어, 흑기흉상어, 곱상어, 청새리상어, 악상어, 적어,

은민대구, 체장메기)

- 새치류

○ 1주에 1회(80g) 이하로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

- 다랑어류

- 냉동 다랑어/새치 포장제품

○ 1주 섭취량 제한 없이 섭취 가능

- 다랑어 가공품

- 어류(고등어, 갈치, 조기, 명태, 메기, 가물치)

- 연체류(오징어, 낙지)

- 패류(굴, 바지락, 홍합)

Page 24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09 -

그림 3-38 일반 성인의 어패류 섭취 가이드라인(안)

그림 3-39 임산부의 어패류 섭취 가이드라

Page 24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0 -

제4장 고찰

제1절 지역주민들의 수은 노출 지표

우리나라 국민들의 수은 노출 수준에 대해서 환경부의 조사보고 자료 및

일부 연구결과를 외국의 연구결과와 비교 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높음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었

다.

즉, 외국에서는 비직업적인 수은 노출을 포함한 다양한 노출원에 의한

저농도의 만성적인 수은 독성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연구

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은 노출에 관한 인체

내 노출 참고 기준을 제정,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외

국과 비교하여 다소의 늦은 감은 있으나 충분히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고 판단된다.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들의 연구(홍영습 등, 김영욱 등)와 2007년 국민 생

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 연구결과에 의해 경남권역 주민들의 수은 노

출수준이 타 지역에 비해 다소 높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이러한 연구결과

들은 일부 국한된 지역주민의 노출수준만을 평가한 연구로서 실제 경남권

역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은 노출위험이 어느 수

준에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조사구를 31개 조사구로 확

대하였다. 일반 지역별 인구수에 대비하여 비례 배분 할 경우 일부 인구수

가 적은 시 군 구 지역의 노출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표성의 확보차원에서, 그에 따른 실태파악

및 건강위험요인조사의 성격을 충분히 반영되도록 지역별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할당편의추출을 이용하였다.

Page 24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1 -

앞서의 연구에서는 연령대별 편중된 경향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

령군별로 20~29세군이 430명(21.3%), 30~39세군이 458명(22.7%), 40~49

세군이 395명(19.6%), 50~59세군 386명(19.1%), 60세 이상군 350명(17.3%)

으로 균등 배분하여 조사한 점은 비확률표본추출을 실시하였다는 한계점은

있으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표성의 확보차원에서 상당히 큰 의미가 있

다고 판단된다.

전체 조사대상자에 대한 혈중 총 수은의 기하평균은 5.13 ㎍/ℓ로 일반

인 중 건강피해 위험성이 없는 HBM-I 기준인 5.00 ㎍/ℓ를 초과하였고,

전체 대상자 중 혈중 총 수은 농도에 있어서 HBM-II 기준 15.00 ㎍/ℓ를

초과하는 대상자는 57명으로 2.8%의 비율로 나타났다

혈중 메틸수은의 기하평균은 4.07 ㎍/ℓ조사되었으며, 혈중 총 수은의 약

8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의 경우 메틸수은의 주요

노출원이 어패류 섭취에 의한 것임을 감안할 때 해당 지역 주민들의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다소 높게 측정된 주된 원인으로 다량의 생선 섭취를 고려

해 볼 수 있다.

요중 수은 농도는 소변시료를 얻지 못하거나 크레아티닌 수치가 WHO의

권장기준(30~300 ㎎/㎗)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여 총 1,768명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중 수은의 전체 기하평균은 1.55 ㎍/g cr으

로서 혈중 총 수은 농도와 달리 권고기준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요중 수은의 대부분이 무기 수은인 점을 감안하고, 아울러 본 조사

대상자들의 혈중수은에서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이 대부분 차지하는 것으로

볼 때 설명이 가능한 검사 값으로 판단되어진다.

모발 수은의 기하평균은 1.27 ㎍/g로 JECFA에서의 건강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수준으로 제시한 기준치 5.00 ㎍/g 및 WHO의 기준치 50.00 ㎍/g 보

다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 시 군 구 지역별로 살펴보면 모발 수

은의 분포가 혈중 총 수은의 분포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기하평

Page 24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2 -

균을 기준으로 경남 통영(1.86 ㎍/g), 부산 서구(1.80 ㎍/g), 부산 영도구

(1.68 ㎍/g), 경남 남해(1.55 ㎍/g), 경남 양산(1.53 ㎍/g) 순서로 높게 나타

났으며, 모발 수은이 높은 상위 5개 지역은 혈중 총 수은이 높은 상위 5개

지역(경남 통영, 경남 남해, 부산 영도구, 경남 사천, 경남 거제)과 거의 일

치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수은 노출 수

준의 참고값으로서 모발수준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에

대해서 보다 정밀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2절 수은 노출 지표의 지역 비교(해안 vs 내륙)

어패류 섭취가 수은의 주요 노출원이라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해안지역

은 내륙에 비하여 어패류를 섭취할 기회가 더 많게 되고 때문에 어패류 섭

취를 통한 수은 노출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김영욱 등(2010)이 부산 경남의 일부 해안지역 주민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 관련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조사에서 혈중 총 수은

을 기준으로 해안지역 1,477명과 내륙지역 524명이 조사되었으며, 이들의

기하평균은 해안지역(5.40 ㎍/ℓ)이 내륙지역(4.41 ㎍/ℓ)에 비하여 높은 것

으로 확인되었다. 동일하게 혈중 메틸수은, 모발 수은, 요중 수은도 모두

해안지역이 내륙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준치 초과자에

대한 분석에서도 해안지역 주민들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

었다.

이에 대한 요인분석으로 해안지역과 내륙 지역의 연간 어패류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없었지만(p=0.065) 전체적으로 해

안지역 대상자가 내륙지역 대상자보다 연간 어패류 섭취량은 약간 높게 나

타났고,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지표 비교에서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

은은 유의하게 해안지역 대상자의 수은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4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3 -

해안지역과 내륙지역간의 수은 노출지표가 유의한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

하고, 해안지역과 내륙지역간의 어패류 섭취량이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은, 첫 번째로 20개 종류의 전체 어패류 섭취량를 이용하였기 때문

에 동일한 양을 섭취하였다 하더라도 각 개별 어패류의 수은 함량에는 차

이가 있으며 해안지역의 주민들이 수은 함량이 높은 어패류를 섭취하기 때

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참치, 상어, 고래 등의 대형 어류는 다른 어패류에 비해서 매우 높

은 수은 함량을 가지는데 이들의 지역별 섭취 분포를 살펴보면 해안지역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지역에 존재하는 다른 기타 오염

요인이 작용한 가능성이다. 이들의 대해서는 보다 심도있고 구체적인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조사가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제한

된 시간에 진행된 집단검진 형태의 조사임을 고려하면 조사자체의 한계도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제3절 가임기 여성에서의 수은 노출 지표

가임기 여성에게 수은 노출은 태아의 뇌신경발달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은 노출에 민감한 집단으로 특히 생선의 섭취를 통한 메틸

수은은 태반을 쉽게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임신부를 포함한 가

임기 여성들은 수은 노출을 최소화할 필요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Grandjean 등(1992)은 덴마크형 파로제도에서 출생코호트를 구축하여 7

년간 추적 관찰 결과 산모의 수은 노출이 출생아의 집중력, 기억력, 언어능

력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으며, Crump 등(1998)은 뉴질랜드에서

도 수은 노출 수준에 따른 출생 코호트에 대한 건강장해를 연구하였는데

6-7세 소아 200명에 대한 신경정신적 발달 수준은 모체의 모발 중 수은 노

출과 유의한 연관관계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Page 24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4 -

이러한 연구결과는 메틸수은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발생되는데, 메

틸수은은 뇌가 형성되고 발달중인 태아와 어린이의 뇌세포분열,

microtubule 형성, 뉴런이동을 방해하여 성인보다 광범위하고 치명적인 손

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ghes et al, 1957).

Grandjean 등(1997)은 고래고기 섭취를 통한 모체의 메틸수은 노출이 태

아의 신경 장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US EPA(1997)에서는 메틸수은

이 태반을 쉽게 통과하고(WHO/IPCS, 1990) 뇌에 강한 친화력을 가지며

태아의 유산 및 사산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간주하고 메틸수은에 의한 위험

수준을 정하고 있다.

본 조사에 포함된 741명의 가임기 여성 중 혈중 총 수은 분석 대상자

733명에 대한 기하평균은 4.13 ㎍/ℓ로 나타나 HBM-I 기준치 5.00 ㎍/ℓ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해안 내륙지역으로 구분한 경우 해안지

역의 기하평균이 4.37 ㎍/ℓ로 나타나 HBM-I 기준치 5.00 ㎍/ℓ에 보다

근접하고 있다.

가임기 여성 중 HBM-II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상은 1명 0.1%에 불과하

였지만 34.8%가 HBM-I 기준치 5.00 ㎍/ℓ 이상의 수은농도를 보인 것은

수은 독성 영향을 고려한다면 지역보건적인 측면에서 볼 때 우선순위의 관

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4절 수은 노출 지표들 간의 수은 농도 비교

인체 수은 노출 평가지표로 사용되는 혈중 총 수은, 혈중 메틸수은, 요중

수은, 및 모발 수은을 통해 수은 노출원과 노출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조사에서 지역별 수은 노출 수준을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에서 상

위 5개 지역 중 모발 수은 상위 5개 지역과 중복되는 지역이 3곳이 있었으

며, 혈중 메틸수은 역시 상위 3개 지역에서 일치하였다. 또한 생체시료별로

Page 24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5 -

수은 농도를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수은 간에

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모발수은도 메틸수은과 높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ahaffey (1999) 등은 혈중 총 수은이 높아질수록 혈액에서 전체 수은

중에서 메틸수은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조사에

서도 메틸수은과 혈중 총 수은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Mahaffey(1999) 등이 발표한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중 총 수은에

서 메틸수은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은 혈중 총 수은이 높을수록 메

틸수은의 유해한 영향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혈중 총

수은이 높은 지역에서는 2004년 미국 FDA에서 발표했던 것처럼 생선의

섭취에 대한 권고사항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은 노출과 관련한 모니터링을 위하여 사용되는 생체시료 중에서 모발

은 다른 노출 지표에 비하여 외부오염으로 인한 오차 발생의 가능성 크기

때문에 혈중 총 수은을 노출지표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조사에서도 경남 밀양과 부산 남구 지역에서 각각 1명의 모발 수

은 농도가 125.13 ㎍/g, 429.17 ㎍/g로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매우

큰 편향이 유발할 수 있다는 이상치로 판단하였다. 이들 2개 모발은 다른

생체시료와의 비교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던 바, 모발의 외부

오염에 의한 오차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Berglund 등은 요중 수은은 장기적인 노출지표이며, 체내에서 건강문제

를 야기하는 문제가 되는 메틸수은 등 유기수은보다는 상대적으로 위해가

적은 무기수은에 대한 노출을 더 잘 반영한다고 하였다.

또한 요중 수은 측정에 대하여 정확한 노출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24

시간 소변을 채집하여 분석해야 하지만, 단기간의 검진에서는 수행하기 어

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WHO에서 크레아티닌이 30∼300 ㎎/㎗

를 만족해야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혈중 총 수은에 비하여 제한사항이

Page 25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6 -

많은 편이다.

본 조사에서 혈중 총 수은은 모발수은과 메틸수은에 대하여 상관관계가

높은 수준이었으며, 측정하기 쉬워 수은 노출을 반영하는 유용한 지표라고

판단된다. Berglund 등은 메틸수은에 대한 노출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혈중

총 수은이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지만, 무기수은에 대한 노출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혈중 총 수은이 가지는 의미를 고평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수은의 노출 수준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노출지표인 혈중 총 수은 및 메틸수은, 요중 수은, 모발 수은의 측정의 의

미와 제한점 등을 충분히 고려하고, 노출평가가 이뤄진다면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연구를 진행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조사에

서 제시한 노출지표 값의 의미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연구들이 계속 이뤄져

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요중 수은 모발 수은 메틸수은

혈중 총 수은상관계수 0.212 0.770 0.949

p-value <.0001 <.0001 <.0001

요중 수은상관계수 0.229 0.198

p-value <.0001 <.0001

모발 수은상관계수 0.698

p-value <.0001

표 4-1 생체시료별 수은 농도간의 상관분석표

Page 25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7 -

그림 4-1 생체시료별 수은 농도간의 상관분석도

제5절 수은 노출 지표 기여 요인 검토

수은 노출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중선형회귀

모형에 성별, 연령, 음주력, 흡연력, 소득수준, 교육수준, 아말감 치료경험,

해안 내륙지역 여부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보정하였고 간이형 음식섭취빈

도조사를 통해 산출된 어패류 섭취량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한 뒤 수은 노출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각 수은 노출 지표의 정규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수변환을 실시하

였고 승법모형을 기준으로 혈중수은과 혈중 메틸수은에 어패류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4시간 회상법 의한 조사결과에서도 어패류 섭취가 혈중수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조사결과는 일반

Page 25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8 -

적으로 알려진 비직업적인 수은 노출의 첫 번째 원인은 어패류 섭취라는

점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본 조사에서 어패류에 포함된 수은함유량을 산출하여 수은 노출 지표와

의 관련성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20종의 어패류 중 5개의 어패류의 수은함

유량을 알 수 없는 상태여서 총 수은 함유량의 산출이 불가하여 이에 대한

의미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생각된다.

향후 이에 대한 보완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개별 식이섭취량에 따른 분석을 수은 노출지표(혈중 총 수은, 혈중 메틸

수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전체 연간 어패류 섭취량을 산출하여

0 kg/year의 값을 가지는 대상자를 거의 안 먹음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연

간 어패류 섭취량이 존재하는 대상자 중 중앙값을 기준으로 하여 중앙값

이하의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를 하위 50% 범주(중앙값 포함)로, 중앙값

초과의 섭취량을 가지는 대상자를 상위 50% 범주로 구분하여 범주 간의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하였다.

이상치 영향력 정도를 축소시키기 위해 기하평균을 이용하여 어패류 섭

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

의 안 먹음에서 4.49㎍/ℓ, 하위 50%에서 4.68 ㎍/ℓ, 상위 50%에서 5.59

㎍/ℓ로 나타남에 따라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

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중 수은의 경우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수은 농도가 높아지는 추세

가 있다고 할 수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간이형 음식섭취빈도조사 결과 특정 대형어류, 즉 참치, 상어, 고래

의 경우 섭취 빈도와 섭취량은 적은 편이나 수은 함유량은 매우 높아 분석

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편향된 결과를 제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Page 25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19 -

이러한 이유로 보다 일반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특정 대형 어류들을 독

립적으로 분류하여 섭취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어패류 섭취 대상자들에 대

한 수은 노출 지표 분석을 별도로 실시하였는데 공통적으로 혈중 총 수은,

메틸수은, 모발 수은의 수은 노출 지표에서 모두 대형 어류 섭취군의 농도

가 비섭취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특정 어류 섭취여부에 따른 기준

치 초과자 비율 역시 기준에 따라 섭취 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조사대상지역인 경남권역 주민들의 수은 노출

지표는 일부 국제 권고기준을 다소 초과하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

며, 국내의 타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는 광범위한 지역을 제한적인 시간과 여건에서 조사된 연구이나

확인된 요인과 실태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지역사회개입을 통한 수은 노출

에 대한 저감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본 조사에서 배

제된 도서지역 등을 포함한 취약위험지역에 대한 조사연구의 필요성이 제

기된다.

Page 25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0 -

제5장 결론 및 제언

지금까지 일부 연구자들의 연구와 2007년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

태조사 결과에서 경남권역 주민들의 수은 노출수준이 타 지역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일부 지역에 국한된 주민의

노출수준만을 평가한 연구로서 실제 경남권역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은 노출위험이 어느 수준에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조사구를 31개 조사구로 확

대하고 일반 지역별 인구수에 대비하여 비례 배분 할 경우 일부 인구수가

적은 시 군 구 지역의 노출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위험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할당편의추출을 이용하였다.

본 조사는 비확률표본추출을 실시하였다는 한계점은 있으나 인구학적 특

성에 따른 대표성의 확보차원에서, 그에 따른 실태파악 및 건강위험요인조

사로서 상당히 큰 의미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전체 조사대상자에 대한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기하평균은 5.13 ㎍/ℓ로

일반인 중 건강피해 위험성이 없는 HBM-I 기준인 5.00 ㎍/ℓ를 초과하였

고, 혈중 메틸수은의 농도의 기하평균은 4.07 ㎍/ℓ로 나타났으며, 이는 혈

중 총 수은의 약 8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사람의 경우 메틸수은의 주요 노출원이 어패류 섭취에 의한 것임을 감안

할 때 해당 지역 주민들의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다소 높게 측정된 주된 원

인으로 다량의 생선 섭취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시 군 구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하평균을 기준으로 경남 통영(7.91 ㎍/

ℓ), 경남 남해(6.78 ㎍/ℓ), 부산 영도구(6.26 ㎍/ℓ), 경남 사천(6.11 ㎍/ℓ),

경남 거제(6.10 ㎍/ℓ) 순서로 해안에서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혈중 총 수은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한편 부산광역시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내륙에 위치한 북구(4.38 ㎍/ℓ)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경남

Page 25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1 -

함양(3.63 ㎍/ℓ), 경남 김해(4.15 ㎍/ℓ), 경남 합천(4.16 ㎍/ℓ), 경남 함안

(4.17 ㎍/ℓ)의 순서로 혈중 총 수은 총 농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

은 모두 해안지역보다는 내륙에 가까운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수은 폭로에 민감한 대상으로 본 조사에 포함된 741명의 가임기 여성 중

혈중 총 수은 분석 대상자는 733명으로 전체 기하평균은 4.13 ㎍/ℓ로

HBM-I 기준치 5.00 ㎍/ℓ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안 내륙지역으로 구

분한 경우 해안지역의 기하평균이 4.37 ㎍/ℓ로 나타나 HBM-I 기준치

5.00 ㎍/ℓ에 보다 근접하고 있으며 가임기 여성 중 HBM-II 기준치를 초

과하는 대상은 1명 0.1%에 불과하였지만 34.8%가 HBM-I 기준치 5.00 ㎍/

ℓ 이상의 수은농도를 보인 것은 수은 독성 영향을 고려한다면 지역보건적

인 측면에서 볼 때 우선순위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은 폭로에 대한 식이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이형 음식섭취

빈도조사를 이용하여 20개 어패류의 연간 섭취량을 산출하고 각 수은 농도

의 영향력을 추정한 결과, 승법모형을 기준으로 혈중 총 수은과 혈중 메틸

수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별 식이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혈중 총 수은, 혈중 메틸수은)에

대해 이상치 영향력 정도를 축소시키기 위해 기하평균을 이용하여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수은 노출 지표를 비교한 결과 혈중 총 수은 농도의 경우

거의 안 먹음에서 4.49㎍/ℓ, 하위 50%에서 4.68 ㎍/ℓ, 상위 50%에서 5.59

㎍/ℓ로 나타남에 따라 어패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혈중 총 수은 농도가 증

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

는 혈중 메틸수은과 모발 수은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특정 대형어류, 즉 참치, 상어, 고래의 경우 섭취 빈도와 섭취량은

적은 편이나 수은 함유량은 매우 높아 분석결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편향된 결과를 제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일반적인

Page 25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2 -

결과 도출을 위해 특정 대형 어류들을 독립적으로 분류하여 섭취현황을 파

악하고 이들 어패류 섭취 대상자들에 대한 수은 노출 지표 분석을 별도로

실시하였는데 공통적으로 혈중 총 수은, 메틸수은, 모발 수은의 수은 노출

지표에서 모두 대형 어류 섭취군의 농도가 비섭취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

다. 또한 특정 어류 섭취여부에 따른 기준치 초과자 비율 역시 기준에 따

라 섭취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조사대상지역인 경남권역 주민들의 수은 노출

지표는 일부 국제 권고기준을 다소 초과하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

며, 국내의 타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는 광범위한 지역을 제한적인 시간과 여건에서 조사된 연구이나

확인된 요인과 실태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지역사회개입을 통한 수은 노출

에 대한 저감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본 조사에서 배

제된 도서지역 등을 포함한 취약위험지역에 대한 조사연구의 필요성이 제

기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조사 연구를 위해서 지역에 바탕을 둔 국가지정

수은관리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제안하고자 한다.

국가지정 수은관리센터는 수은 관련 질환에 대한 포괄적 진료와 임상연

계 연구 및 기초기반의 연구를 통합한 연구 및 진료 센터를 지향하도록 구

성하고 이를 위하여 병원내의 환경의학 클리닉과 대학기관인 환경 및 산

업의학연구소를 중심적으로 활용한다.

수은 클리닉은 환경의학, 산부인과, 소아과 등의 수은관련 질환자, 고위

험군 및 일반 인구에 대응하기 위해 상시적인 환경의학 외래, 건강검진을

포괄하며, 환경 및 산업의학 연구소는 수은 클리닉을 지원하고, 수은 클리

닉을 중심으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행하기 위하여 분석 센터, 역학 연

구, 대 국민교육 및 홍보 등 수은 노출에 대한 예방 전략의 기능을 갖추고

상시적인 지역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수은 노출 저감의 거점으로 역할을 수

행하도록 운영한다.

Page 25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3 -

참고문헌

1. Airaksinen R, Turunen AW, Rantakokko P, Mannisto S, Vartiainen

T, Verkasalo PK, Blood concentration of methylmercury in relation to

food consumption, Public Health Nutr 2010;14(3):480-9

2. Airey D. Total mercury concentration is human hair from 13

countries in relation to fish consumption and location. Sci Total

Environ 1983; 31(2): 157-180.

3. Apostoli P, Cortesi I, Mangili A, Elia G, Drago I, Gagliardi T, et al.

Assessment of reference values for mercury in urine: the results of

an italian polycentric study. Sci Total Environ 2002; 289: 13-24.

4. Bang SH, Kim KJ, Park JT. A Follow up Study on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Air and in Urine of Workers after Implementing

Controls of Work Environment in Mercury Vapor Exposed Industry.

Korean Ind Hyg Assoc J 1994; 4(2): 198-207. (korea)

5. Barbosa AC, Jardim W, Dorea JG, Fosberq B, Souza J, Hair mercury

speciation as a function of gender, age, and body mass index in

inhabitants of the Negro River basin, Amazon, Brazil, Arch Environ

Contam Toxicol, 2001;40(3):439-44

Page 25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4 -

6. Becker F, Kaus S, Krause C, Lepom P, Schultz C, Seiwert M, Seifert

B, German environmental survey 1998(GerES III) :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blood of the German population, Int J Hyg Environ

Health, 2002;205(4):297-308

7. Bjornberg KA, Vahter M, Petersson-Grawe K, Glynn A, Cnattingius

S, Darnerud PO, et al. Methyl Mercury and Inorganic Mercury in

Swedish Pregnant Women and in Cord Blood: Influence of Fish

Consumption. Environ Health Perspectives 2003; 111: 637-641.

8. Bloom NS. On the chemical form of mercury in edible fish and

marine invertebrate tissue. Can J Fisher Aq Sci 1992; 49: 1010-1017.

9. Brune D, Nordberg GF, Vesterberg O, Gerhardssom L, and Wester

PO. A review of normal concentrations of mercury in human blood.

Sci Total Environ 1991; 100; 235-282.

10. Caldwell KL, Mortensen ME, Jones RL, Caudill SP, Osterloh JD,

Total blood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US population : 1999-2006,

Int J Hyg Environ Health, 2009;212(6):588-98

11. Carpi A. Mercury from combustion sources: a review of the

chemical species emitted from their transport in the atmosphere.

Water Air Soil Pollut 1997; 98: 241-254.

Page 25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5 -

12. Choi AL, Weihe P, Budtz-Jorgensen PJ, Salonen JT, Tuomainen TP,

Murata K, Nielsen HP, Petersen MS, Askham J, Grandjean P,

Methylmercury exposure and adverse cardiovascular effects in

Faroese whaling men, Environ Health Perspect. 2009;117(3):367-72

13. Cole DC, Wainman B, Sanin LH, Weber JP, Muggah H, Ibrahim S.

Environmental contaminant levels and fecundability among

non-smoking couples. Reproductive Toxicology 2006; 22: 13-19.

14. Falter R, Scholer HF. Determination of methyl-, ethyl-, phenyl and

total mercury in Neckal River fish. Chemosphere 1994; 29(6):

1333-1338.

15. Grandjean P, White RF, Weihe P, Jorgensen PJ. Neurotoxic risk

caused by stable and variable exposure to methylmercury from

seafood. Ambulatory Pediatrics 2003; 3(1): 18-23.

16. Hajeb P, Selamat J, Ismail A, Bakar FA, Bakar J, Lioe HN, Hair

mercury level of coastal communities in Malaysia : a linkage with

fish consumption, Eur Food res Technol, 2008;227(5):1349-55

17. Hsu CS, Liu PL, Chien LC, Chou SY, Han BC. Mercury

concentration and fish consumption in Taiwanese pregnant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7; 114: 81-85.

Page 26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6 -

18.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1999.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Fifty-third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6. pp 87-93. World

Health Organisation, Geneva.

19.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2003.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e sixty-first meeting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pp.

18-22. Available on http://www.who.int/pcs/jecfa/Summary61.pdf.

20.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2010.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e seventy-second meeting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pp. 12. Available on http://www.who.int/pcs/jecfa/Summary73.pdf.

21. Jo EM, Kim BG, Kim YM, Yu SD, You CH, Kim JY, Hong YS,

Blood mercury concentration and related factors in an urban coastal

area in Korea

22. Kim NS, Lee BK, Blood total mercury and fish consumption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in KHANES III, 2005, Sci Total Environ,

2010;408(20):4841-7

Page 26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7 -

23. Kim NS, Lee BK, National estimates of blood lead, cadmium and

mercury level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11;84(1):53-63

24. Kim YS, Lee EJ, Bae SH, Ryutaro Ohtsuka, Tsuguyoshi Suzuki.

Mercury Concentrations in Pregnant Women`s Hair in the Seoul

Area. Kor J Env Hlth Soc 1992; 18(1): 105-111. (Korea)

25. Lincoln RA, Shine JP, Chesney EJ, Vorhees DJ, Grandjean P, Senn

DB, Fish consumption and mercury exposure among Lousiana

recreational anglers, Environ Health Perspect, 2011;119(2):245-51

26. Lincoln RA, Shine JP, Chesney EJ, Vorhees DJ, Grandjean P, Senn

DB, Fish consumption and mercury exposure among Lousiana

recreational anglers, Environ Health Perspect, 2011;119(2):245-51

27. Magos L, Clarkson TW, Aparrow S, Hydson AR. Comparison of the

protection given by selenite, selenomethionine and biological selenium

against the renotoxicity of mercury. Archives Toxicology 1987; 60:

422-426. 3

28. Mahaffey KR, and Mergler D. Blood level of total and organic

mercury in residents of the upper St. Lawrence River basin, Quebec:

Association with age, gender, and fish consumption. Environ Res

1988; 77: 104-114

Page 26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8 -

29. Mahafffery KR, Clicker RP, Bodurow CC. Blood organic mercury

and dietary mercury intak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 and 2000. Environ Health Perspect 2004;

122(5): 562-570.

30. Morgan JN, Berry MR, Graves RL. Effects of commonly used

cooking practises on total mercury concentration in fish and their

impact on exposure assessments.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1997; 7(1): 119-133.

31. Mortada WI, Sobh MA, El-Defrawy MW, Farahat SE. Reference

Intervals of Cadmium, Lead, and Mercury in Blood, Urine, Hair, and

Nails among Residents in Mansoura City, Nile, Delta, Egypt.

Environmental Research Section A 2002; 90: 104-110.

32. Navarro M, Lopez H, Sánchez M, Lopez MC. The effect of

industrial pollution on mercury levels in water, soil and sludge in

the coastal area of Montril, Southeast Spain. Arch Environ Contam

Toxicol 1993; 24(1): 11-15.

33.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Committee on the

Toxicological Effects of Methylmercury: Toxicological Effects of

Methylmercur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age 26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29 -

34. Ohno T, Sakamoto M, Kruosawa T, Dakeishi M, Iwata T, Murata

K, Tatal mercury levels in hair, toenail, and urine among women

free from occupational exposure and their relations to renal tubular

function, Environ Res, 2007;103(2):191-7

35. Passos CJS, Mergler D, Lemire M, Fillon M, Guimaraes JRD. Fish

consumption and bioindicators of inorganic mercury exposure. Sci

Total Environ 2007; 373: 68-76.

36. Pesch A, Wilhelm M, Rostek U, Schmitz N, Weishoff-Houben M,

Ranft U, Idel H, Mercury concentrations in urine, scalp hair, and

saliva in children from Germany,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2002;12(4):252-8

37. Putman JJ. Quicksilver and slow death. Natl Geogr Mag 1972;

142(4): 506–527.

38. Rark SB. The Relationship between Amalgam Use and The

Concentration of Urine Mercury of Workers in Dental Hospitals.

Yeungnam University; 2009. (korea)

39. Schober SE, Sinks TH, Jones RL, Bolger PM, McDowell M,

Osterloh J, et al. Blood Mercury Levels in US Children and Women

of Childbearing Age, 1999-2000. JAMA 2003; 289: 1667-1674.

Page 26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0 -

40. Sakamoto M, Kaneoka T, Murata K, Nakai K, Satoh H, Akagi H.

Correlations between mercury concentrations in umbilical cord tissue

and other biomarkers of fetal exposure to methylmercury in the

Japanese population. Environ Res 2007; 103(1): 106-111.

41. Storelli MM, Stuffler RG, Marcotrigiano GO. Total and

methylmercury residues in tuna-fish form the Mediterranean sea.

Food Addit Contam 2002; 19(8): 715-750.

42. Urieta I, Jalon M, Eguilero I. Food surveillance in the Basque

Country(spain). II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heavy metals, arsenic, aflatoxin M1, iron and zinc through

the Total Diet Study, 1990/1991. Food Addit Contam 1996; 13(1):

29-52.

43. US CDC. (200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urth

National Report on Human Exposure to Environmental Chemicals.

Available from : http://www.cdc.gov/exposurereport/ December, 2009.

44. US EPA. Mercury Study Report to Congress. US EPA Dec 1997.

Downloaded from http://www.epa.gov/airprogm/oar/mercury.html.

45. Vupputuri S, Longnecker MP, Daniels JL, Guo X, Dale P. Blood

mercury level and pressure among US women: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0.

Environ Res 2005; 97: 195-200.

Page 26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1 -

46. Wennderg M, Lundh T, Bergdahl IA, Hallmans G, Jansson JH,

Stegmayr B, et al. Time trends in burdens of cadmium, lead, and

mercury in the population of northern Sweden. Environ Res 2006;

100: 330-338.

47.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 : Mercury. WHO. Geneva

1976; 94-131.

48. WHO/IPCS. Methylmercury In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01.

WHO. Geneva 1990.

49. Woods JS. Mechanisms of metal-induced alterations of cellular heme

metabolism. Comments Toxicology 1989; 3: 3-25.

50. Yamamura Y, Yoshinaga Y, Arai F, Kishimoto T. Background levels

of total mercury concentrations in blood and urine. Sangyo lgaku

Japanese journal of industrial health 1994; 36(2): 66-69.

51. Yasutake A, Matsumoto M, Yamaguchi M, Hachiya N, Current hair

mercury levels in Japanese : survey in five districts, Tohoku J Exp

Med, 2003;199(3):161-9

52. Zarski TP, Zarska H, Samek M, Siluk I. Mercury contamination of

the tissues of cattle from various regions of Poland. Ann Warsaw

Agricult Univ-SGGW, Vet Med 1997; 20: 107-111.

Page 26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2 -

53. 식약청. 유해물질안전관리통합노출평가기반연구, 2010

54. 식약청. 식품 중 중금속 실태조사, 2006

55. 식약청. 식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2009

56. 식약청. 한국인의 대표식품 중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2007

57. 식약청. 한국인의 대표식품 중 오염물질 섭취량 및 위해도 평가, 2009

Page 26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3 -

부록

1. 특 정 어 류 수 은 함 량 분 석

2.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O P)

• 혈 중 수 은

• 요 중 수 은

• 모 발 수 은

• 메 틸 수 은

3. 설 문 지 및 식 이 조 사 지

Page 26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4 -

특 정 어 류 수 은 함 량 분 석

지역별로 많이 소비하는 특정 어류에 대한 수은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부산, 울산에서 어종의 생선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어종에는 고래고기, 상

어고기, 곰장어, 참치이며, 울산 지역은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에서 고래에

대한 어획을 금지하면서 유일한 고래해체 작업장(장생포)이 위치한 곳으로

고래고기 전문식당이 많이 있어서 지역주민들이 타지역에 비해 고래고기를

많이 섭취할 수 있다. 상어고기는 일부 부산, 경남지역 주민들도 소비하고

있어서 조사대상으로 포함하였으며, 그 외에 부산에서 즐겨먹는 생선인 곰

장어와 수은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황새치 등 참치 등도 추가하였다.

안동대학교에서 수거한 생선에 대한 수은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EPA-

3052 Microwave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생선 시료 0.2 g과 질산 9 ml를

혼합하여 Microwave에 넣고 완전 분해한다. Microwave 장비는 CEM

corporation사의 Mars 5를 사용하였으며, 분해조건은 5분 30초 동안 180 ±

5 ℃로 올리고, 9분 30초 동안 유지시킨다. 분해가 완료된 후 용액을 냉각

시켜서 필터링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AAS를 이용하여 수은 함량을 분

석한다. 분석장비는 Perkin-Elmer corporation사의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AAS)를 이용하였다.

Page 26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5 -

지역 어종 수은 함량 지역 어종 수은 함량

부산 고래 가슴살 179.0419 울산 고래 뱃살 7.4826

부산 고래 우네 2.6161 울산 고래 육회 188.972

부산 고래 내장 29.2515 울산 고래 오베기 1.9025

부산 고래 목살 2.0503 울산 고래 생고기B 7.0567

부산 고래 생고기 10.2128 울산 고래 뱃살 202.18

부산 고래 꼬리 82.7108 울산 고래 목살B 2.7741

부산 고래 뱃살 0.2793 울산 고래 내장 69.1558

부산 고래 목살 186.643 울산 고래 지방 6.2489

부산 고래 수육A 214.3497 울산 고래 꼬리 112.004

부산 고래 오베기 65.4118 부산 상어고기A 294.114

부산 고래 수육B 161.0396 부산 상어고기B 112.696

울산 고래 생고기A 4.1846 부산 곰장어 978.97

울산 고래 목살A 51.3164 부산 참치뱃살A 248.948

울산 239.98 239.98 부산 참치뱃살B 410.286

울산 315.923 315.923 부산 참치뱃살C 1236.28

표. 특정 어류에 대한 수은 함량(㎍/㎏) 분석결과

Page 27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6 -

혈중 총 수은 분석 표준 작업 지침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1. 분석원리 (가열기화 금아말감법)

이 장치는 시료를 습식분해하지 않고 Hg를 직접 정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료를 고온으로 가열 분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 다공성물질

의 표면에 금을 코팅한 수은 포집제에 포집 농축(Hg-Amalgam)시킨다.

이어서 포집제를 가열하여 유리된 수은증기를 흡수셀에 도입 파장

253.7nm에서 원자흡광도를 측정하여 수은의 농도를 구한다.

2. 분석시약 및 조제방법

분석시약의 조건 : 해당 분석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급시약을 사

용하여야 하며, 만기일 반드시 확인하고 초과하였을 경우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연장유무를 파악한다.

시약은 최초 개봉 일로부터 3년 이내의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초과시는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실시하여 오차가 10 % 이내일 경우 1년간 연장

사용할 수 있다.

가. 시료 및 표준물질

(1) STD용액

Mercury standard solution(HgCL2 1000ppm)에서 1ml를 취하여100ml

Page 27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7 -

flask에 넣고, 3차 탈이온수 사용으로 100ml로 맞추어 10ppm Hg용액을 만

든다.

이용액을 단계 희석하여 Hg표준용액을 만든다.

(2) 초자기구 세척

초자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세척하여야 한다.

① 사용한 초자는 물로 세척 후,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한다

② 산처리용 용기에 HNO3 와 증류수를 1:1로 혼합한다.

③ 초자기구가 용액에 잠기도록 넣은 후 1일간 방치한다.

④ 초자기구를 꺼내어 증류수로 5회 헹군다.

⑤ 인큐베이터(35℃)에서 먼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건조한다.

⑥ 사용 시 조제에 사용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헹구어내고 실험에 사용한

다.

(3) 시약 조제 시 주의사항

① 각종 초자 기구 및 기타 기구들은 적합성 여부를 확인 후 사용한다.

② 사용시약 및 조제시약에는 시약명, 보관방법, 조제일, 조제자, 입고일,

개봉일, 만기일, 보관방법을 반드시 기재한다.

③ 산을 취급 시에는 안전 Goggle, Glove, Mask를 착용 후 Hood에서 작

업한다.

④ 각 실험 과정은 SOP에 준하여 실시한다.

3. 표준물질 조제

가. Stock solution and Working solution 조제

Page 27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8 -

분류 조제방법 비고

Stock

solution

1000 ppm(1000 ㎍/㎖)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구입사용WAKO

Working

solution

100 ㎖ volumetric flask 탈이온수를 절반가량 넣고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1000 ㎍/㎖)을 100㎕

주입한 후 표선을 맞추어 제조하였다.

DW

나. Calibration standard solution 조제

분 류Blood Analysis

용 매농 도 희석배율

Calibration

standard

STD 1 2 ㎍/l 2/1000

DWSTD 2 4 ㎍/l 4/1000

STD 3 6 ㎍/l 6/1000

STD 4 8 ㎍/l 8/1000

4. 정도관리

가. 외부정도관리

(1) Survey 명

①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2) 시행 주기

①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 2회 / 년

(3) 독일 G-EQUAS

① 분석정도관리 실시 : 2회 / 년

Page 27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39 -

Page 27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0 -

나. 내부정도관리

(1) 물 질 명

① Whole Blood metals control (Seronorm)

(2) 허용 범위

물질명 Level Range (Mean) : ㎍/ℓ

Whole Blood

metals control

1 2.0 - 2.4 (2.2)

2 7.4 - 10 (8.7)

(3) 방법

환자검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하며 매 batch 마다

Whole Blood metals control 가 허용 범위에 든 것을 확인 후 검사에 임

하며 검체 40개마다 Whole Blood metals control를 세워 지속적인 quality

를 유지한다.

5. 시료전처리 및 분석

가. 시료 전처리 과정

시료 전처리 시에는 시약 주입순서 오류, 분석순서 오류 등의 오차가 발

생되지 않도록 Labeling을 하고 시료 주입을 한 후 다시 한 번 List를 작

성하도록 한다.

[검체 : Whole Blood]

① 산처리가 끝난 test tube를 준비한다.

② 시료주입

Page 27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1 -

나. 분석장비

① 기기명 : 수은전용분석기( Mercury Analyzer )

② 모델명 : DMA-80

③ 제조사 : MILESTONE, Italy

다. 분석조건

- Instrument Parameter (Furnace Program)

Step Temp(℃) Time (sec)

Dry 250 60

Decomposition 650 720

Waiting 0 30

Amalgamator 950 12

Recording 0 30

Page 27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2 -

- Standard Solution

Elements

ID

Hg

Standard 1 2㎍/l

Standard 2 4㎍/l

Standard 3 6㎍/l

Standard 4 8㎍/l

- Procedures

Standard (㎖) Total Volume(㎖)

Blank - -

Standard 1 0.1 0.1

Standard 2 0.1 0.1

Standard 3 0.1 0.1

Standard 4 0.1 0.1

Page 27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3 -

라. 분석 전 기기 점검사항

번호 점검항목 분석시 1개월 1년

1 Graphite furnace tube 점검 ●

2 Washing solution 점검 ●

3 Hollow cathod lamp 점검 및 Alignment ●

4 Autosampler arm 위치조절 및 청결상태 점검 ●

5 Ventilation system ●

6 Cooling water on/off 점검 ●

7 Waste bottle 점검 ●

8 Computer on-line 점검 ●

9 Argon gas 점검 ●

10 기기 청결 상태 점검 ●

11 Wavelength calibration check ●

12 Autosampler precision check ●

※ 각 항목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담당자는 즉시 팀장에게 보고한 후 점

검일지에 기재한다.

마. 분석시 주의 사항

① 특이결과 발생 : 담당 → 팀장 → 부서장 과정으로 보고한다.

② 분석 시 사용기기(AAS)는 점검일지의 점검항목에 따라 점검을 실시

하고 이상발생시 팀장에게 보고하고 팀장은 자체 보수여부를 판단하고 자

체 보수가 어려울 경우 A/S를 요청한다.

③ 지나친 기기(lamp 포함)의 예열을 금지한다.

④ 검량선 및 분석결과가 분석기준에 적합한 결과인지를 점검한 후 결과

Page 27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4 -

를 보고한다.

바. 분석절차에 대한 sop 제시

(1) 대상물질의 분석방법 및 절차 (SOP)

① 시료의 운송, 분리 및 보관

분리해 온 샘플을 냉장보관함.

② 기기분석 절차 및 방법

㉠ 재검 조건

농도 5㎍/L 이상 recheck

㉡ 검출한계, 회수율 및 검량선, R2 값

분 류 설 정 방 법 결과값

Limited of

Detection

1. Standard range중 중간값을 대상으로 실시

2. 선정된 농도를 5회 이상 반복 측정

3. Standard deviation (SD)을 구한다.

4. 검량선의 회귀방정식 기울기(b)를 구한다.

5.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

[ LOD = 3.3 × SD / b ]

[ LOD ]

= 0.0021 ng

※ 이 값은

매회 조금씩

변화가 있음

Linearity검량선의 직선성(r)이 0.998 이하일 때는

재검을 실시 한다.

[ r ]

= 0.998 ⇪

표준물질

(Seronorm시료)

반복측정 후 (5회이상) 회수율을 구한다

회수율은 Seronorm사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참고치의 범위내에 있음을 한다.

각 측정시의 CV(변동계수 %)는 20% 이내임을

확인한다.

③ 시료와 표준물질의 배치순서(Replicate, duplicate, Batch 당 시료수

등)

Page 27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5 -

시료 분석 전 표준물질을 이용해 검량선 확인

샘플 40개마다 표준물질로 check

④ 표준물질(SRM)의 활용방안 등

검량선 확인 및 40개마다 R.M 체크

Page 28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6 -

요중 수은 분석 표준 작업 지침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1. 분석원리 (가열기화 금아말감법)

이 장치는 시료를 습식분해하지 않고 Hg를 직접 정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료를 고온으로 가열 분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 다공성물질

의 표면에 금을 코팅한 수은 포집제에 포집 농축(Hg-Amalgam)시킨다.

이어서 포집제를 가열하여 유리된 수은증기를 흡수셀에 도입 파장

253.7nm에서 원자흡광도를 측정하여 수은의 농도를 구한다.

2. 분석시약 및 조제방법

분석시약의 조건 : 해당 분석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급시약을 사

용하여야 하며, 만기일 반드시 확인하고 초과하였을 경우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연장유무를 파악한다.

시약은 최초 개봉 일로부터 3년 이내의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초과시는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실시하여 오차가 10 % 이내일 경우 1년간 연장

사용할 수 있다.

가. 시료 및 표준물질

(1) STD용액

① L-sisteine 용액: L-sisteine 10mg과 질산 2ml를 1000ml 플라스크에

Page 28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7 -

넣고 증류수를 첨가해 전체량이 1000ml로 맞춘 다음, 잘 혼합하여 0.001%

L-sisteine 용액을 만든다.

② Mercury standard solution(HgCL2 1000ppm)에서 1ml를 취하여100ml

flask에 넣고, 0.001% L-sisteine으로 100ml로 맞추어 10ppm Hg용액을 만

든다. 이용앨을 10배씩 단계 희석하여 1, 0.1, 0.01ppm의 Hg표준용액을 만

든다.

(2) 첨가제 (전처리시약)

① ADDITIVE HG – BHT (산화알루미늄)

② ADDITIVE HG – MHT (수산화칼륨 + 탄산나트륨 1:1 혼합물)

가열기화법의 특성상 시료의 가열 분해시 발생하는 측정말해물질(SOX,

NOX, Cl, Organic vapor...)및 타르, 검댕 등은 그 일 부가 시료보트, 연소

관, 촉매, 금아말감포집제, 측정cell,등에 흡착 오염되어 측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첨가제를 시료와 함께 사용하여 원천적으로 방해물질을 제거한

다. 이 효과는 측정감도, 재현성을 높이고 기기오염을 근원적으로 방지한

다.

나. 초자기구 세척

초자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세척하여야 한다.

① 사용한 초자는 물로 세척 후,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한다

② 산처리용 용기에 HNO3 와 증류수를 1:1로 혼합한다.

③ 초자기구가 용액에 잠기도록 넣은 후 1일간 방치한다.

④ 초자기구를 꺼내어 증류수로 5회 헹군다.

⑤ 인큐베이터(35℃)에서 먼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건조한다.

⑥ 사용 시 조제에 사용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헹구어내고 실험에 사용한

Page 28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8 -

다.

다. 시약 조제 시 주의사항

① 각종 초자 기구 및 기타 기구들은 적합성 여부를 확인 후 사용한다.

② 사용시약 및 조제시약에는 시약명, 보관방법, 조제일, 조제자, 입고일,

개봉일, 만기일, 보관방법을 반드시 기재한다.

③ 산을 취급 시에는 안전 Goggle, Glove, Mask를 착용 후 Hood에서 작

업한다.

④ 각 실험 과정은 SOP에 준하여 실시한다.

3. 표준물질 조제

가. Stock solution and Working solution 조제

분류 조제방법 비고

Stock

solution

1000 ppm(1000 ㎍/㎖)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구입사용WAKO

Working

solution

100 ㎖ volumetric flask 0.001% L-cysteine을 절반가량

넣고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1000 ㎍/㎖)을

100㎕ 주입한 후 표선을 맞추어 제조하였다.

0.001%

L-cysteine

Page 28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49 -

나. Calibration standard solution 조제

분 류Urine Analysis

용 매농 도 희석배율

Calibration

standard

STD 1 2 ㎍/l 2/1000

0.001% L-cysteineSTD 2 4 ㎍/l 4/1000

STD 3 6 ㎍/l 6/1000

STD 4 8 ㎍/l 8/1000

4. 정도관리

가. 외부정도관리

① Survey 명

㉠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② 시행 주기

㉠ 특수건강진단 정도관리 : 2회 / 년

③ 독일 G-EQUAS

㉠ 분석정도관리 실시 : 2회 / 년

Page 28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0 -

Page 28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1 -

나. 내부정도관리

(1) 물 질 명

Urine metals control (Bio-Rad)

(2) 허용 범위

물질명 Level Range (Mean) : ㎍/ℓ

Urine metals control 1 17.6 - 38.2 (27.9)

2 45.1 - 110 (77.7)

(3) 방법

환자검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하며 매 batch 마다

Urine metals control 가 허용 범위에 든 것을 확인 후 검사에 임하며 검

체 40개마다 Urine metals control를 세워 지속적인 quality를 유지한다.

5. 시료전처리 및 분석

가. 시료 전처리 과정

시료 전처리 시에는 시약 주입순서 오류, 분석순서 오류 등의 오차가 발

생되지 않도록 Labeling을 하고 시료 주입을 한 후 다시 한 번 List를 작

성하도록 한다.

[검체 : Urine]

① 산처리가 끝난 test tube를 준비한다.

② 시료주입

Page 28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2 -

Step Temp(℃) Time (sec)

Heating 200 60

Decomposition 800 240

Collecting 150 20

Amalgamator 600 60

Recording 0 30

나. 분석장비

① 기기명 : 수은전용분석기( Mercury Analyzer )

② 모델명 : SP-3DS

③ 제조사 : NIC, Japan

다. 분석조건

- Instrument Parameter (Furnace Program)

Page 28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3 -

- Standard Solution

Elements

ID

Hg

Standard 1 2㎍/l

Standard 2 4㎍/l

Standard 3 6㎍/l

Standard 4 8㎍/l

- Procedures

Standard (㎖) Total Volume(㎖)

Blank - -

Standard 1 0.1 0.1

Standard 2 0.1 0.1

Standard 3 0.1 0.1

Standard 4 0.1 0.1

Page 28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4 -

라. 분석 전 기기 점검사항

번호 점검항목 분석시 1개월 1년

1 Graphite furnace tube 점검 ●

2 Washing solution 점검 ●

3 Hollow cathod lamp 점검 및 Alignment ●

4 Autosampler arm 위치조절 및 청결상태 점검 ●

5 Ventilation system ●

6 Cooling water on/off 점검 ●

7 Waste bottle 점검 ●

8 Computer on-line 점검 ●

9 Argon gas 점검 ●

10 기기 청결 상태 점검 ●

11 Wavelength calibration check ●

12 Autosampler precision check ●

※ 각 항목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담당자는 즉시 팀장에게 보고한 후 점

검일지에 기재한다.

마. 분석시 주의 사항

① 특이결과 발생 : 담당 → 팀장 → 부서장 과정으로 보고한다.

② 분석 시 사용기기(AAS)는 점검일지의 점검항목에 따라 점검을 실시

하고 이상발생시 팀장에게 보고하고 팀장은 자체 보수여부를 판단하

고 자체 보수가 어려울 경우 A/S를 요청한다.

③ 지나친 기기(lamp 포함)의 예열을 금지한다.

④ 검량선 및 분석결과가 분석기준에 적합한 결과인지를 점검한 후 결과

Page 28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5 -

를 보고한다.

사. 분석절차에 대한 sop 제시

(1) 대상물질의 분석방법 및 절차 (SOP)

① 시료의 운송, 분리 및 보관

분리해 온 샘플을 냉장보관함.

② 기기분석 절차 및 방법

가. 검출한계, 회수율 및 검량선, R2 값

분 류 설 정 방 법 결과값

Limited of

Detection

1. Standard range중 중간값을 대상으로 실시

2. 선정된 농도를 5회 이상 반복 측정

3. Standard deviation (SD)을 구한다.

4. 검량선의 회귀방정식 기울기(b)를 구한다.

5.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

[ LOD = 3.3 × SD / b ]

[ LOD ]

= 0.0032 ng

※ 이 값은

매회

조금씩

변화가 있음

Linearity검량선의 직선성(r)이 0.998 이하일 때는 재검을

실시 한다.

[ r ]

= 0.998 ⇪

표준물질

(BioRad,

Seronorm시료)

반복측정 후 (5회이상) 회수율을 구한다

회수율은 BioRad(Seronorm)사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참고치의 범위내에 있음을 한다.

각 측정시의 CV(변동계수 %)는 20% 이내임을

확인한다.

나. 시료와 표준물질의 배치순서(Replicate, duplicate, Batch 당 시료

수 등)

시료 분석 전 표준물질을 이용해 검량선 확인

샘플 40개마다 표준물질로 check

다. 표준물질(SRM)의 활용방안 등

Page 29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6 -

검량선 확인 및 40개마다 R.M 체크

Page 29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7 -

모발 중 수은 분석 표준 작업 지침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1. 분석원리 (가열기화 금아말감법)

본 분석방법은 시료를 습식분해하지 않고, 수은을 직접 정량할 수 있다.

시료를 고온으로 가열 및 분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서 다공성물질의 표

면에 금을 코팅한 수은 포집제에 포집 및 농축시킨다. 이후 포집제를 가

열하여 유리된 수은증기를 흡수장치에 도입 파장 253.7nm에서 원자흡광도

를 측정하여 수은의 농도를 구한다.

2. 분 석 시 약 및 조 제 방 법

가 ) 분 석 시 약 의 조건

해당 분석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급시약을 사용하여야 하며, 만기

일을 꼭 확인하고 초과하였을 경우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연장

유무를 파악한다.

시약은 최초 개봉 일로부터 3년 이내의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초과시는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실시하여 오차가 10 % 이내일 경우 1년간 연장

사용할 수 있다.

나 ) 시 료 및 표 준 물 질

Standard solution(STD 용액)

Page 29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8 -

Mercury standard solution(HgCl2 1,000 ppm)에서 1 ml를 취하여 100

ml flask에 넣고, 3차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100ml로 볼륨을 맞추고 10

ppm Hg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단계 희석하여 Hg 표준용액을 만든다.

다 ) 초 자 기 구 세척

초자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세척하여야 한다.

① 사용한 초자는 물로 세척 후,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한다

② 산 처리용 용기에 HNO3 와 증류수를 1:1로 혼합한다.

③ 초자기구가 용액에 잠기도록 넣은 후 1일간 방치한다.

④ 초자기구를 꺼내어 증류수로 5회 헹군다.

⑤ 인큐베이터(35℃)에서 먼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건조한다.

⑥ 사용시 조제에 사용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헹구어내고 실험에 사용한

다.

라 ) 시 약 조 제 시 주 의 사 항

① 각종 초자기구 및 기타 기구들은 적합성 여부를 확인 후 사용한다.

② 사용시약 및 조제시약에는 시약명칭, 보관방법, 조제일자, 제조자, 입

고일, 개봉일, 만기일 및 보관시 주의사항을 반드시 기재한다.

③ 산을 취급시에는 안전장구(고글, 장갑, 마스크 등)를 착용 후 후드에서 작업

한다.

④ 각 실험 과정은 SOP에 준하여 실시한다.

Page 29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59 -

3. 표 준 물 질 조 제

가 . Stock solution and W orking solution 조 제

분류 조제방법 비고

Stock

solution

1000 ppm(1000 ㎍/㎖)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구입사용WAKO

Working

solution

100 ㎖ 부피의 플라스크에 탈이온수를 절반가량 넣고,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1000 ㎍/㎖)을 100㎕ 주입한

후 표선을 맞추어 제조하였다.

DW

나 . Calibration standard solution 조 제

분 류Blood Analysis

용 매농 도 희석배율

Calibration

standard

STD 1 5 ㎍/l 1/200000

DW

STD 2 10 ㎍/l 1/100000

STD 3 20 ㎍/l 1/50000

STD 4 40 ㎍/l 1/25000

STD 5 50 ㎍/l 1/20000

STD 6  100 ㎍/l 1/10000

STD 7 200 ㎍/l 1/5000

STD 8 400 ㎍/l 1/2500

STD 9 500 ㎍/l 1/2000

STD10 1000 ㎍/l 1/1000

STD11 2000 ㎍/l 1/500

STD12 3000 ㎍/l 3/1000

STD13 5000 ㎍/l 1/200

STD14 10000㎍/l 1/100

Page 29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0 -

4. 정 도 관 리

가 . 내 부 정 도 관 리

1) 물질명

Mess-3

2) 허용 범위

물질명 Level Range (Mean) : ㎎/㎏

Mess - 3 82-100 (91)

3) 방법

환자검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하며 매 batch마다 가 허용범위에

든 것을 확인 후 검사에 임하며 검체 40개마다 를 세워 지속적인 quality

를 유지한다.

5. 시 료 전처리 및 분 석

가 . 시 료 전처리 과 정

시료 전처리 시에는 시약 주입순서 오류, 분석순서 오류 등의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Labeling을 하고 시료 주입을 한 후 다시 한 번 List를

작성하도록 한다.

나 . 분 석 장 비

① 기기명 : 수은전용분석기( Mercury Analyzer )

② 모델명 : DMA-80

Page 29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1 -

③ 제조사 : MILESTONE, Italy

다 . 분 석 조건

① Instrument Parameter (Furnace Program)

Step Temp(℃) Time (sec)

Dry 750 210

Decomposition 200 30

Amalgamator 850 12

Recording 850 24

Page 29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2 -

② Standard Solution

Elements

IDHg

Standard 1 5 ㎍/l

Standard 2 10 ㎍/l

Standard 3 20 ㎍/l

Standard 4 40 ㎍/l

Standard 5 50 ㎍/l

Standard 6 100 ㎍/l

Standard 7 200 ㎍/l

Standard 8 400 ㎍/l

Standard 9 500 ㎍/l

Standard 10 1000 ㎍/l

Standard 11 2000 ㎍/l

Standard 12 3000 ㎍/l

Standard 13 5000 ㎍/l

Standard 14 10000 ㎍/l

Page 29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3 -

③ Procedures

Standard (㎖) Total Volume(㎖)

Blank - -

Standard 1 0.1 0.1

Standard 2 0.1 0.1

Standard 3 0.1 0.1

Standard 4 0.1 0.1

Standard 5 0.1 0.1

Standard 6 0.1 0.1

Standard 7 0.1 0.1

Standard 8 0.1 0.1

Standard 9 0.1 0.1

Standard 10 0.1 0.1

Standard 11 0.1 0.1

Standard 12 0.1 0.1

Standard 13 0.1 0.1

Standard 14 0.1 0.1

Page 29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4 -

라 ) 분 석 전 기 기 점검사 항

호점검항목 분석시 1개월 1년

1 Graphite furnace tube 점검 ●

2 Washing solution 점검 ●

3 Hollow cathod lamp 점검 및 Alignment ●

4 Autosampler arm 위치조절 및 청결상태 점검 ●

5 Ventilation system ●

6 Cooling water on/off 점검 ●

7 Waste bottle 점검 ●

8 Computer on-line 점검 ●

9 Argon gas 점검 ●

10 기기 청결 상태 점검 ●

11 Wavelength calibration check ●

12 Autosampler precision check ●

※ 각 항목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담당자는 즉시 팀장에게 보고한 후 점

검일지에 기재한다.

마 . 분 석 시 주 의 사 항

① 특이결과 발생 : 담당 → 팀장 → 부서장 과정으로 보고한다.

② 분석시 사용기기(AAS)는 점검일지의 점검항목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

고, 이상발생시 팀장에게 보고하고 팀장은 자체 보수여부를 판단하

고, 자체보수가 어려울 경우 A/S를 요청한다.

③ 지나친 기기(lamp 포함)의 예열을 금지한다.

④ 검량선 및 분석결과가 분석기준에 적합한 결과인지를 점검한 후 결과

를 보고한다.

Page 29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5 -

바 . 분 석 절 차 에 대 한 sop 제 시

① 대상물질의 분석방법 및 절차 (SOP)

- 시료의 운송, 분리 및 보관

- 분리해 온 샘플을 암실보관함.

② 기기분석 절차 및 방법

③ 검출한계, 회수율 및 검량선, R2 값

분 류 설 정 방 법 결과값

Limited of

Detection

1. Standard range중 중간값을 대상으로 실시

2. 선정된 농도를 5회 이상 반복 측정

3. Standard deviation (SD)을 구한다.

4. 검량선의 회귀방정식 기울기(b)를 구한다.

5.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

[ LOD = 3.3 × SD / b ]

[ LOD ]

= 0.0021 ng

※ 이 값은

매회 조금씩

변화가

있음

Linearity검량선의 직선성(r)이 0.998 이하일 때는 재검

실시한다.[ r ] > = 0.998

표준물질

(Mess -

3시료)

반복측정(5회 이상) 후 회수율을 구한다.

회수율은 Mess-3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한다.

각 측정시 CV(변동계수)는 20 %이내임을

확인한다.

④ 시료와 표준물질의 배치순서

- 시료 분석 전 표준물질을 이용해 검량선 확인

- 샘플 40개마다 표준물질로 check

⑤ 표준물질의 활용방안 등

- 검량선 확인 및 40개마다 RM 체크

Page 30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6 -

혈중 수은 분석 표준 작업 지침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1. 분 석 원 리

1) Liquid Handling

- 각 vial은 auto sampler 탐침에 의해 구멍이 뚫어지게 되며, 질소가

스에 의해 자동으로 purge cessel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종료 후 purging

을 시작하며 준비된 Tenax trap에 흡착을 시작한다.

- Trap Processing : 첫 번째 Trap은 vial로부터 ethylated Hg 종들을

흡착하는 동안 다른 trap은 탈착을 위해 가열이 시작되며, 아르곤 가스

를 통해 GC로 이송된다. 그와 동시 3번째 trap은 새로운 sample을 받기위

해 클리닝과 건조되어 진다.

- GC Separation : 방출된 Hg 종들은 GC 칼럼에서 분리되고, 수은종들

은 elemental Hg, methylmercury, Hg2 순으로 분리가 되어 디텍터로 이동

한다.

- CVAFS 검사 : MERX는 민감도가 아주 높은 특허 받은 렌즈가 부

착된 Blooks Rand Model Ⅲ CVAFS(cold vapor atomic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분석된다.

2. 분 석 시 약 및 조 제 방 법

가 ) 분 석 시 약 의 조건

해당 분석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급시약을 사용하여야 하며, 만

Page 30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7 -

기일을 꼭 확인하고 초과하였을 경우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연

장유무를 파악한다.

시약은 최초 개봉 일로부터 3년 이내의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초과시

는 새로운 시약과 비교실험을 실시하여 오차가 10 % 이내일 경우 1년간

연장사용할 수 있다.

나 . 시 료 및 표 준 물 질

Standard solution(STD용액)

Methyl mercury standard solution(MeHgCl 1ppm)에서 100ul를 취하여

100㎖ Teflon Bottle에 넣고, 3차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100㎖로 볼륨을 맞

추어 1 ppb Hg 용액을 만든다. 이 용액을 단계 희석하여 Hg 표준용액을

만든다.

다 . 초 자 및 실 험 기 구 세척

초자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세척하여야 한다.

① 사용한 초자는 물로 세척 후,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한다.

② 산처리용 용기에 HNO3 와 증류수를 1:3로 혼합한다.

③ 초자기구가 용액에 잠기도록 넣은 후 2일간 방치한다.

④ 초자기구를 꺼내어 증류수로 3회 헹군다.

⑤ 산처리용 용기에 HCl 과 증류수를 1:4로 혼합한다.

⑥ 초자기구가 용액에 잠기도록 넣은 후 2일간 방치한다.

⑦ 인큐베이터(35℃)에서 먼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건조한다.

⑧ 사용 시 조제에 사용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헹구어내고 실험에 사용한

다.

Page 30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8 -

라 . 시 약 조 제 시 주 의 사 항

① 각종 초자기구 및 기타 기구들은 적합성 여부를 확인 후 사용한다.

② 사용시약 및 조제시약에는 시약명칭, 보관방법, 조제일자, 제조자, 입

고일, 개봉일, 만기일 및 보관시 주의사항을 반드시 기재한다.

③ 산을 취급시에는 안전장구(고글, 장갑, 마스크 등)를 착용 후 후드에서 작업

한다.

④ 각 실험 과정은 SOP에 준하여 실시한다.

3. 표 준 물 질 조 제

가 . Stock solution and W orking solution 조 제

분류 조제방법 비고

Stock

solution

1 ppm(1㎍/㎖) Methyl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구입사용Brooks Rand

Working

solution

-100 ㎖ Teflon bottle에 탈이온수를 절반가량 넣고

Mercury Standard Stock solution (1 ㎍/㎖)을

100㎕ 주입한 후 표선을 맞추어 제조하였다.

-100 ㎖ Teflon bottle에 탈이온수를 절반가량 넣고

1 ng/㎖ std용액을 1㎖ 주입한 후 표선을 맞추어

제조하였다.

DW

Page 30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69 -

나 . Calibration standard solution 조 제

분 류Blood Analysis

용 매농 도 희석배율

Calibration

standard

STD 1 1 pg/㎖ 1/1000000

DW

STD 2 2 pg/㎖ 2/1000000

STD 3 10 pg/㎖ 10/1000000

STD 4 50 pg/㎖ 50/1000000

STD 5 100 pg/㎖ 100/1000000

STD 6 250 pg/㎖ 250/1000000

4. 정 도 관 리

가 . 내 부 정 도 관 리

1) 물질명

Toxic Metals in Caprine Blood (955c)

2) 허용범위

물질명 Level Range (Mean) : ㎍/ℓ

Toxic Metals in Caprine Blood 3 4.5 ± 1.0

3) 방법

환자검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하며, 매 batch마다 Whole Blood

metals control가 허용 범위에 든 것을 확인 후 검사에 임하며

검체 40개마다 Whole Blood metals control를 세워 지속적인

quality를 유지한다.

Page 30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0 -

5. 시 료 전처리 및 분 석

가 . 시 료 전처리 과 정

① 시료 전처리 시에는 시약 주입순서 오류, 분석순서 오류 등의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Labeling을 하고 시료 주입을 한 후 다시 한 번

List를 작성한다.

② 검체 : Whole Blood

- 산 처리가 끝난 test tube를 준비한다.

- 시료주입

나 . 분 석 장 비

① 기기명 : 메틸수은전용분석기(Methyl mercury Analyzer)

② 모델명 : MERX

③ 제조사 : Blooks rand (USA)

다 . 분 석 조건

1) Instrument Parameter (Furnace Program)

Page 30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1 -

Step Temp(℃) Time (min)

Digestion (Heating) 65 180

Reaction - 17

Purge - 17

Dry - 7

Desorption 400-500 -

2) Standard Solution

Elements

IDHg

Standard 1 1 pg/㎖

Standard 2 2 pg/㎖

Standard 3 10 pg/㎖

Standard 4 50 pg/㎖

Standard 5 100 pg/㎖

Standard 6 250 pg/㎖

Page 30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2 -

3) Procedures

Standard (㎖) Total Volume(㎖)

Blank - 40

Standard 1 0.03 40

Standard 2 0.03 40

Standard 3 0.03 40

Standard 4 0.03 40

Standard 5 0.03 40

Standard 6 0.03 40

라 . 분 석 전 기 기 점검사 항

번호 점검항목 분석시 1개월 1년

1 Graphite furnace tube 점검 ●

2 Washing solution 점검 ●

3 Hollow cathod lamp 점검 및 Alignment ●

4 Autosampler arm 위치조절 및 청결상태 점검 ●

5 Ventilation system ●

6 Cooling water on/off 점검 ●

7 Waste bottle 점검 ●

8 Computer on-line 점검 ●

9 Argon gas 점검 ●

10 기기 청결 상태 점검 ●

11 Wavelength calibration check ●

12 Autosampler precision check ●

※ 각 항목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담당자는 즉시 팀장에게 보고한 후 점

검일지에 기재한다.

Page 30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3 -

마 . 분 석 시 주 의 사 항

① 특이결과 발생 : 담당 → 팀장 → 부서장 과정으로 보고한다.

② 분석시 사용기기(AAS)는 점검일지의 점검항목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

고, 이상발생시 팀장에게 보고하고 팀장은 자체 보수여부를 판단하

고, 자체보수가 어려울 경우 A/S를 요청한다.

③ 지나친 기기(lamp 포함)의 예열을 금지한다.

④ 검량선 및 분석결과가 분석기준에 적합한 결과인지를 점검한 후 결과

를보고한다.

바. 분석절차에 대한 sop 제시

① 대상물질의 분석방법 및 절차 (SOP)

- 시료의 운송, 분리 및 보관

- 분리해 온 샘플을 냉장보관함.

② 기기분석 절차 및 방법

- 재검 조건 : 농도 5㎍/L 이상

③ 검출한계, 회수율 및 검량선, R2 값

Page 30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4 -

분 류 설 정 방 법 결과값

Limited of

Detection

1. Standard range중 중간값을 대상으로 실시

2. 선정된 농도를 5회 이상 반복 측정

3. Standard deviation (SD)을 구한다.

4. 검량선의 회귀방정식 기울기(b)를 구한다.

5.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

[ LOD = 3.3 × SD / b ]

[ LOD ]

= 0.001ng/l

※ 이 값은

매회 조금씩

변화가 있음

Linearity검량선의 직선성(r)이 0.998 이하일 때는

재검한다.[ r ] > 0.998

표준물질

반복측정(5회 이상) 후 회수율을 구한다.

회수율은 NIST (955c)사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한다.

각 측정시의 CV(변동계수)는 20% 이내임을

확인한다.

④ 시료와 표준물질의 배치순서

- 시료분석 전 표준물질을 이용해 검량선 확인

- 샘플 20개마다 표준물질로 check

⑤ 표준물질(SRM)의 활용방안 등

- 검량선 확인 및 20개마다 RM 체크

Page 30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5 -

설 문 지 및 식 이 조 사 지

Page 31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6 -

Page 311: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7 -

Page 312: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8 -

Page 313: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79 -

Page 314: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0 -

Page 315: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1 -

Page 316: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2 -

Page 317: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3 -

Page 318: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4 -

Page 319: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5 -

Page 320: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067.pdf · 경남지역 수은 최종보고서 인쇄용 ... 1/=

- 2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