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행정자치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건설교통부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Upload
    others

  • View
    9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행정자치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건설교통부

Page 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i -

- 목 차 -

제1장 기본계획 의의 ························································································· 1제1절 계획수립 배경 ······················································································ 2제2절 계획성격 ································································································ 3제3절 구성체계 및 세부추진과제 ································································ 4

제2장 실내공기질 관리여건 및 오염현황 ····················································· 6제1절 실내공기질 관리여건 ············································································· 7

1. 사회ㆍ경제적 여건 ·················································································· 72. 환경적 여건 ······························································································ 8

제2절 실내공기 오염원과 인체영향 ······························································ 101. 실내공기오염의 원인 ············································································· 102.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및 인체영향 ······································· 12

제3절 실내공기 오염실태 및 연구현황 ························································· 131. 실내공기오염의 특징 ············································································· 132. 실내공기오염의 실태 및 현황 ····························································· 143. 실내공기질 관련 국내 연구현황 ························································· 184. 현행 실내공기질 연구의 문제점 ························································· 19

제3장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21제1절 외국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22

1. 일본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232. 북미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253. 유럽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274. 외국의 건축자재 인증/표시제도 ························································· 335. 정책적 시사점 ························································································· 37

Page 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ii -

제2절 우리나라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391.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연혁 ··································································· 392. 부처별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 403.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주요내용 ··························································· 41

제4장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추진방향 ························································· 461. 정책기조 ··································································································· 472. 정책방향과 목표 ····················································································· 483. 지속가능한 실내공기질 관리전략 ······················································· 49

제5장 부문별 관리대책 ··················································································· 51제1절 정확한 실내공기질 실태파악 및 자료관리 ········································ 53

1.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 532. 신축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 ··························································· 543. 주요 시설에 대한 TMS(원격자동측정시스템) 구축 ······················ 564. 측정결과의 DB화 ··················································································· 575. 실내공기질 측정의 정확성 확보 ························································· 586. 실내공기질 측정의 신뢰성 확보 ························································· 61

제2절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합리화 ······························································ 641. 다중이용시설 관리기준 합리화 ··························································· 642.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기준설정 ················································· 663. 기준합리화를 위한 인체위해성 평가 ··············································· 68

Page 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iii -

제3절 건축자재 등 오염원 사전관리 ······························································· 701.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 702. 친환경건축자재 인증제 발전방안 ·························································· 733. 건축자재외 오염물질 방출제품 관리방안 ············································ 78

제4절 환기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관리 ···························································· 801. 환기설비의 설치 및 관리 ········································································ 802. 공기청정기 관리강화 ················································································ 833. 실내공기오염 저감을 위한 건축단계별 개선방안 ······························ 85

제5절 대상시설 확대 및 기타시설 관리방안 ·················································· 861. 다중이용시설 적용대상 확대 ·································································· 862. 공동주택 적용대상 확대 ·········································································· 873. 기타시설 관리방안 ···················································································· 89

가.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 89나. 업무시설(사무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 92다. 소규모 다중이용시설 적정 관리방안 ············································· 93라. 특수 실내환경 관리방안 ··································································· 94

제6장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 96제1절 법ㆍ제도 정비 ·························································································· 98제2절 실내공기질관련 산업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 ····································· 101제3절 교육 및 홍보 ·························································································· 107

1.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에 대한 교육 ·············································· 1072.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제작ㆍ배포 ···················································· 1083. 홍보 웹사이트 운영 ················································································ 109

Page 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iv -

제4절 협력체계 구축 ······················································································· 1101. 관계부처간 협력체계 구축 ··································································· 1102. 전문가 및 시민단체와의 협력강화 ····················································· 1143. 관련업체의 의견수렴 및 자율적 협력유도 ······································· 115

제5절 관리체계 보완ㆍ개선 ············································································ 1191. 부처별 관리체계 개선 ··········································································· 1192.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연구조직 강화 ························· 1203. 지방자치단체 역량강화 ········································································· 121

제6절 투자계획 및 소요재원 ·········································································· 1231. 실내공기질 관리분야의 투자현황 및 전망 ······································· 1232. 사업별 투자계획(정부부문) ·································································· 124

<부록 1> 실내공기질 관리 로드맵 ······························································· 126<부록 2> 각 부처별 주요 추진업무 ····························································· 136

Page 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 -

제 1 장

기본계획 의의

Page 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 -

제1절 계획수립 배경□ 실내공기오염의 심화와 국민 관심증대◦ 현대인들이 실내생활 증가에 비해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사용 확대

등으로 인한 실내오염발생원 증가와 함께 환기부족 등으로 실내공기오염 심화

◦ 최근 국민들의 Well-Being 의식 확대로 “새집증후군”등 실내공기 오염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고조

<WHO 연구결과(2000.9 관보)>

◦ WHO는 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수는 연간 최대 300만명이며, 특히 실내공기오

염에 의한 사망자는 280만명으로 추정

- 실내오염 물질이 실외오염 물질보다 인체의 폐에 전달될 확률은 1000배 높으며,

실내오염 20% 저감시 급성기관지 사망률 4~8% 감소 예상

□ 지속적인 도시화, 고층화에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 긴요◦ 지하역사, 지하상점가, 백화점, 실내주차장 등 대규모 다중이용시설의

지속적 증가에 따른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 좁은 국토와 높은 인구밀도에 기인한 공동주택 비율의 지속적 증가로

공동주택 실내공기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필요□ 대기중심의 관리에서 실내공기질과의 병행관리로의 전환◦ 그동안 실외공기(대기) 관리정책에만 중점을 두었으나 국민들이 실내에

체제하는 시간(하루중 80~90%)을 감안하여 양자의 병행관리 긴요◦ 대기오염이 심각한 대도시의 경우 오염된 대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

내오염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대기와 실내공기의 병행관리 필요

Page 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 -

제2절 계획 성격□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중ㆍ장기 종합계획◦ 실내공기질의 관리현황 및 전망, 정책의 기본방향, 부문별 대책 등 실

내공기질 관련 정책을 포괄하는 종합계획◦ 2004~2008, 5개년간의 실내공기질관리 중ㆍ장기 종합계획

□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국가 기본계획◦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에 의한 관리대상뿐만 아니라 다

른 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학교, 사무실 등에 대한 관리방향 제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부문별 세부대책뿐만 아니라 범부처적

연계관리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기본계획 수립

□ 실내공기질 관리 선진화를 위한 기본계획◦ 환경기준 설정, 오염원 사전관리, 환기설비 설치 등 실내공기질 관

리 선진화 추진◦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기술의 선진화 및 선진 정책의 적극 도입

□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실천계획◦ 정부뿐만 아니라 산업계, 학계, 국민 등 이해관계자의 세부 실천계

획 수립◦ 관계법령의 정비, 조직구성, 예산규모뿐만 아니라 추진일정 등 세부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명시

Page 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 -

제3절 구성체계 및 세부추진과제<구성체계>

정 책 목 표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통한 국민건강 보호

추진전략

제시

국외 현황분석국내 관리현황

진단

주요 정책과제 선정

실태조사를 통한 현황

파악

실내공기질기준

합리화

건축자재 등 오염원 사전

관리

공기정화설비 및환기설비

관리

대상시설 확대 및

기타 시설 관리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 법ㆍ제도 정비

◦ 관리체계 혁신

◦ 재원확보

◦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 민간참여와 협조기반 구축

◦ 대국민 홍보 강화

◦ 관련산업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

Page 1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 -

<실천목표 및 세부 추진과제>

실 천 목 표 세 부 추 진 과 제

실내공기질 정책추진을 위한 기초현황 파악

ㆍ 주요시설에 대한 전국적인 실태조사ㆍ 측정결과의 DB화

실내공기질 기준 합리화 ㆍ 인체위해성 평가ㆍ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설정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확대 ㆍ 오염물질다량방출건축자재 사용제한ㆍ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제 발전

환기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관리 ㆍ 환기설비 기준설정 및 설치 확대ㆍ 공기정화설비 성능기준 마련

적용대상시설 확대 ㆍ 다중이용시설 적용대상 확대ㆍ 공동주택 적용대상 확대

효율적 관리체계 구축 ㆍ 관리체계 혁신ㆍ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관련산업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 ㆍ 실내공기질 관련기술 중점 개발ㆍ 실내공기질 관련산업 지원ㆍ육성

Page 1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 -

제 2 장

실내공기질 관리여건 및 오염현황

Page 1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 -

제1절 실내공기질 관리여건1. 사회ㆍ경제적 여건□ 인구증가 및 도시화 심화◦ 2003년말 현재 우리나라 인구는 4,793만명(인구밀도 478.4명/km², 세계 3

위)으로 지속적인 증가- 인구증가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총 인구는 지속적 증가 추세

< 우리나라 인구현황 및 증가율 >

구 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인구(만명) 4,662 4,701 4,734 4,764 4,793

증가율(%) 0.71 0.84 0.71 0.63 0.60

◦ 도시화율이 2003년까지는 89.8%이며, 2010년까지는 90%이상 확대 예상

< 우리나라 도시화율 >

구 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도시화율(%) 87.1 87.7 88.3 88.5 89.8

※ 수도권 인구집중 : 수도권 면적은 국토의 11.7%에 불과하나 인구 약 45.3%가 집중

□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국민의 삶의 질 욕구 증가◦ 경제성장과 함께 국민소득이 증가하여 쾌적한 삶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 증가< 1인당 국민소득 추이 >

Page 1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 -

구 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인당 국민소득($) 9,438 10,841 10,162 11,493 12,646

Page 1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 -

□ 주택보급율 및 공동주택 비율 지속 증가◦ 주택보급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2년을 기점으로 100%를 초

과< 주택보급율 추이 >

구 분 1990년 1995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주택보급율(%) 72.4 86.0 94.1 98.3 100.2 101.2

◦ 공동주택은 2003년말 현재 645만호로 전국 총 주택의 52%이며, 특히 최근 주상복합 아파트가 증가 추세

2. 환경적 여건

□ 경제성장에 따라 환경오염물질의 지속적 증가◦ 2004~2010년중 안정․저성장 기조(연평균 약 4.4~5.1%)에서도 적극적인

정책대응 부재시 오염배출총량은 지속 증가 전망

◦ 자동차와 유기용제 사용의 증가 등으로 질소산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미세먼지, 오존 등에 의한 도시의 대기오염도 심화

◦ 유해화학물질 사용량이 자연정화능력을 초과하여 인간의 건강과 생물체의 기능에 이상 초래 우려

※ 국토면적당 화학물질생산량 세계 5위(3만 7천여종 유통, 매년 300여종 도입)

Page 1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 -

□ 건축자재 생산량 및 복합화학물질 사용량의 증가◦ 다중이용시설과 공동주택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른 건축자재 생산량 증가◦ 건축자재의 기능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복합화합물질 사용량 증가

< 건축자재 생산량 현황>

구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연평균증가율

단열재

(1,000㎡)43,202 60,904 77,200 94,107 107,357 37.1%

벽지

(10억원)220 230 260 270 300 9%

바닥재

(10억원)549 552 710 817 900 16%

창호재

(백만톤)64,795 80,478 120,239 182,545 245,169 69.6%

페인트

(㎘)498,569 659,392 726,565 789,382 784,267 14.3%

□ 국민의 생활양식 변화 및 생활환경의 중요성 부각 ◦ 국민들의 웰빙(Well-Being)의식 확대에 따라 “새집증후군” 등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관심 제고◦ 과거에는 대기, 수질, 폐기물 관리 등 외부 환경오염 방지에 치중하

였으나 최근에는 유해화학물질, 실내공기질 등 국민의 생활환경 개선에 대해 관심 부각

Page 1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 -

제2절 실내공기 오염원과 인체영향1. 실내공기오염의 원인

◦ 실내공기의 오염 원인에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건물 주변

의 대기오염에 의한 영향」으로 구분

◦ 실내공기오염은 실내건축물 특성, 계절, 지역, 실내거주자 특성, 환기형

태, 생활양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건축자재 및 가구류, 인간의 실내활동 등 다양한 오염원에서 기인

실내 발생오염물질 유형

ㆍ재실자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탄소(CO2), 담배연기에 의한 오염, 연소기구나

조리기구, 난방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

ㆍ인체활동에 의한 미세먼지, 화장품, 분무식살충제, 세제

ㆍ카펫이나 커튼에 존재하는 진드기, 곰팡이 등 미생물성 물질

ㆍ건축자재나 가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포름알데히드

(HCHO)

ㆍ단열재에서 발생하는 석면 및 지하수와 토양에 의한 라돈

ㆍ프린터, 복사기, 공기청정기 등에서 발생하는 오존

※ 실내오염물질분류 : 「입자상 오염물질」, 「가스상 오염물질」과 「병원성세균」

◦ 대기오염이 심각한 대도시의 경우 오염된 대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공기 오염을 가중시키므로 실내공기는 대기와 밀접한 관계

- 외부 대기에서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등이 유입

Page 1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 -

실내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

건축자재, 가구, 옷, 화장품 프린터, 복사기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오 존

단열재

석면미세먼지

이산화질소아황산가스

오염된외부대기

미세먼지이산화탄소담배연기

건물

밀폐화(환기부족)

인간활동 악취음식물쓰레기

일산화탄소아황산가스이산화질소

미생물성물질

라돈난로, 가스렌지 가습기, 애완동물, 카페트

토양, 지하수

※ : 발생원 : 오염물질

Page 1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 -

2.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및 인체영향오염물질 주요 발생원 인체영향

먼지, 중금속대기 중 먼지가 실내로 유입,

실내 바닥의 먼지, 생활활동 등

규폐증, 진폐증, 탄폐증, 석면

폐증 등

석 면단열재, 절연재, 석면타일,

석면브레이크, 방열재 등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석면증,

폐암, 중피증, 편평상피 등

담배연기 (각종가스,

HC, PAHs, 먼지 등)담배, 궐련, 파이프 담배 등

두통, 피로감, 기관지염, 폐렴,

기관지천식, 폐암 등

연소가스

(CO, NO2, SO2 등)

각종 난로, 연료연소, 가스

렌지 등

만성 폐질환, 기도저항 증가,

중추신경 영향 등

라 돈흙, 바위, 지하수, 화강암,

석고보드 등폐암 등

포름알데히드각종 합판, 보드, 가구, 단열재,

담배연기, 화장품, 옷감 등

눈, 코, 목 자극증상, 기침, 설사,

어지러움, 구토, 피부질환, 비염,

정서불안증, 기억력 상실 등

미생물성물질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꽃가루 등)

가습기, 냉방장치, 냉장고,

애완동물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질환 등

휘발성유기화합물

(벤젠, 톨루엔, 스틸렌,

알데히드, 케톤 등)

페인트, 접착제, 스프레이,

연소과정, 드라이크리닝 의복,

방향제, 건축자재, 왁스 등

피로감, 정신착란, 두통, 구토,

현기증, 중추신경 억제작용 등

악 취외부 악취가 실내로 유입,

체취, 음식물의 부패 등

식욕감퇴, 구토, 불면, 알레르기증,

정신신경증 등

오 존 복사기기, 생활용품, 연소기기 기침, 두통, 천식, 알레르기성 질환

Page 1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 -

제3절 실내공기 오염실태 및 연구현황1. 실내공기오염의 특징□ 총체적인 실내공기질 현황파악 곤란◦ 실내공기질은 대기나 수질과 달리 각 시설의 유형, 개별시설의 관리

상황에 따라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현황파악 곤란◦ 실내공기질 상시측정을 위해 각 시설마다 자동측정망(TMS) 설치가

어려워 시설별 오염도 변화추이 파악 곤란 □ 오염물질별 실내공기질 현황◦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신축 건물일수록 오염도가 높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경향◦ 미세먼지는 오래된 시설일수록 높게 나타나며 총부유세균은 개별 시

설의 용도와 위생상태에 따라 차이 발생◦ 이산화탄소는 재실자의 수, 환기상태에 따라 농도가 다르며 일산화탄

소는 연소기구의 유무에 따라 차이 발생□ 주요 시설별 실내공기 오염도 특징◦ 조사대상 신축 공동주택의 약 절반이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일본 권

고기준을 초과하는 등 “새집증후군” 현상 심각◦ 상당수의 지하역사가 미세먼지 농도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라돈은 역

사위치에 따라 지하수, 토양 등의 영향으로 권고기준 초과◦ 영유아 보육시설 일부가 총부유세균 기준을 초과하였고 일부 지하상

가에서 이산화탄소 기준 초과

Page 2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 -

2. 실내공기오염의 실태 및 현황◦ 실내공기질에 대해서는 대기, 수질 등 환경오염처럼 오염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상시 측정망에 의한 측정자료가 없으므로 그동안 실내공기질 관련 연

구ㆍ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내공기질 현황 및 실태분석

(1) 환경부 조사결과(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 2004.5)

□ 신축 공동주택◦ 국립환경연구원과 유역(지방)환경청에서 전국의 신축 1년 이내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와 4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에 대하여 조사('04.2~4)

◦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조사대상 총 90개소의 46.7%인 42개 지점에서 일본 권고기준(100㎍/㎥)을 초과- 조사대상의 평균농도도 105.4㎍/㎥로 일본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등 “새집증후군”의 실체를 공식적으로 확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중 인체의 간, 혈액, 신경계 등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진 톨루엔은 13%가 일본 권고기준 초과< 오염물질별 실태조사 결과 > (단위 : ㎍/㎥)

구 분 평균농도 최대값 최소값비교기준

(일본, 홍콩권고기준)비고

포름알데히드 105.4 308.5 2.26 일본 : 100 46.7%초과

톨루엔 127.3 768.9 6.54 일본 : 260 13.8%초과

에틸벤젠 30.0 391.3 ND 일본 : 3,800 -

자일렌 59.6 427.3 ND 일본 : 870 -

벤젠 2.4 14.13 ND 홍콩 : 16.1 -

Page 2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6 -

◦ 입주기간이 길수록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새집증후군” 현상을 뒷받침

< 입주기간별 평균 농도 >(단위 : ㎍/㎥)

구 분 1-3개월 4-6개월 7-9개월 10-13개월

포름알데히드 146.6 118.1 90.7 90.6

톨루엔 345.9 101.8 71.0 47.4

□ 주요 다중이용시설◦ 한양대학교 환경및산업의학연구소에서 수도권지역의 지하역사, 대규모

점포, 찜질방, 보육시설 등 10개 시설(총30개 지점)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총부유세균, 미세먼지(PM10) 등 3종의 오염물질 농도를 조사

◦ 「포름알데히드」는 준공이후 상당기간이 경과된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유지기준(120㎍/㎥) 이내의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나 최근(1년 이내) 리모델링한 음식점에서는 높은 수준(250㎍/㎥)으로 나타남

※ 오래된 건물일수록 농도가 낮고 신축 건물일수록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을 확인

◦ 「총부유세균」은 찜질방 1개소, 「미세먼지(PM10)」는 보육시설 1개소 등에서 유지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

-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유기화합물과는 달리 완공 이후의 경과기간보다는 위생상태와 시설의 용도에 따라 측정값에 큰 차이 발생

< 물질별 실태조사 결과 >

구 분 평균농도 최고농도 최저농도 유지기준 비고

포름알데히드(㎍/㎥) 43 250 4.0 120 3개소 초과

총부유세균(CFU)/㎥) 442 1,643 46 800 1개소 초과

미세먼지(㎍/㎥) 55 157 7.6 100~200 1개소 초과

Page 2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7 -

(2) 서울시 교육청 조사결과(학교, 2004년)

◦ 서울시 교육청이 고려대학교에 의뢰한 조사에서 대부분의 지점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150㎎/㎥)을 초과하였으며 최고치는 610㎎/㎥에 이르는 등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 이산화탄소 농도도 환기부족 등으로 상당수의 지점에서 기준(1,000ppm) 초과

◦ 총부유세균도 과반수가 넘는 지점에서 다중이용시설 기준(800 CFU/㎥)을 초과하여 위생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구 분CO2

(ppm)PM10(㎍/㎥)

포름알데히드(ppm)

톨루엔(ppm)

총부유세균(CFU/㎥)

기 준 1,000 150 0.10 0.07 800

OO학교

1지점 601 144 0.066 N.D 475

2지점 1,175 610 0.064 0.35 764

3지점 1,561 330 0.039 0.05 985

4지점 1,306 190 0.021 N.D 878

5지점 1,943 320 0.031 0.08 1,230

※ 포름알데히드는 다중이용시설 기준을 적용하고 톨루엔은 일본 권고기준 적용

(3) 한국소비자보호원 조사결과(공동주택, 2004.5)

◦ 한국소비자보호원, 건설기술연구원 공동으로 신축 후 2년이내 주택 18세대에 대해 포름알데히드와 총 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농도 조사

◦ 포름알데히드는 조사대상의 44.4%인 8세대에서 일본과 WHO 권고기준(0.08ppm)을 초과하였으며 평균농도(0.09ppm)도 권고기준 초과

◦ 총 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은 조사대상의 61.1%인 11세대에서 일본

Page 2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8 -

권고기준(0.4㎎/㎥)을 초과하였으며 평균농도(0.6㎎/㎥)도 권고기준 초과

< 오염물질별 실태조사 결과 > (단위 : ㎍/㎥)구 분 평균농도 최대값 최소값 비교기준 비고

포름알데히드(ppm) 0.09 0.25 0.03 WHO, 일본 : 0.08 44.4%초과

TVOC(㎎/㎥) 0.6 1.2 0.3 일본 : 0.4 61.1%초과

(4)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조사결과(지하역사, 2003년)

◦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03년 4/4분기에 주요 지하역사 35개소의 미세먼지를 측정한 결과 8개소(22.9%)가 서울시 기준(140㎍/㎥)을 초과

※ 서울시의 경우 조례에 의해 미세먼지 기준을 140㎍/㎥으로 강화

- 가장 오래된 1호선은 5개 역사중 4곳에서 기준을 초과하였고 평균농도(154.2㎍/㎥)도 기준 초과

<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측정결과 >

구 분 측정역사 측정지점 평 균 최 대 최 소 기준(140㎍/㎥)초과역사 기준초과율

계 35 72 117.9 220 43 8 22.9%

1호선 5 10 154.2 220 89 4 80%

2호선 5 10 119.8 216 85 2 40%

3호선 4 9 112.6 126 72 - -

4호선 5 11 105.27 181 57 1 20%

5호선 5 10 83.6 110 50 - -

6호선 4 8 84.75 124 43 - -

7호선 4 8 116.75 166 82 1 25%

8호선 3 6 95.8 108 80 - -

Page 2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9 -

◦ 라돈은 239개 역과 29개 환승통로중 12개 지점에서 환경부 권고기준(4pCi/l) 초과

(5) 지방환경청 점검결과(지하역사, 2003년)

◦ 지방청의 ‘03년도 전국 지하역사 미세먼지 현황조사 결과 조사대상29개 역사중 24.1%인 7개 역사에서 미세먼지 기준 초과

- 서울, 부산, 대구의 지하역사중 서울의 미세먼지 평균농도(125.3㎍/㎥)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 부산 순으로 오염농도가 높게 나타남

<지방환경청 지하역사 점검결과>

구 분 측정역사 측정지점 평 균 최 대 최 소 기준초과역사 기준초과율

계 29 52 108.3 237.8 20.0 7 24.1%

서울 6 6 125.3 178.3 89.4 3 50%

부산 15 30 101.5 237.8 20.0 3 20%

대구 8 16 111.4 178.2 52.8 1 10%

3. 실내공기질 관련 국내 연구현황□ 국내 실내공기질 연구동향(1980~현재)

Page 2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0 -

구 분 세 부 연 구 동 향

1980년대 중반이전

◦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연구가 실외의 대기오염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실내공기오염이라는 용어자체가 생소

1980년대 후반

◦ 1980년대 후반부터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연구가 일부 수행

◦ 1990년 이전에는 주로 이산화질소 농도를 개인용 측정기구를 이용하

여 주택(거실, 주방)농도, 실외농도 및 개인 노출량을 측정

1990년대 중반까지

◦ 1990년대 중반까지는 대부분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총 부유분진 등 몇몇 오염물질에 관한 조사가 부분적으로 수행

최 근

◦ 최근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중금속, 미세먼지, 석면, 다환방향족탄

화수소(PAHs), 미생물, 라돈 등 특수 또는 미량의 유해오염물

질에 대한 조사 증가

□ 지난 10년간 실내공기관련 연구사례 분석(오염물질별, 시설별)

◦ 실내공기 오염물질별로 10여년간에 수행된 국내 실내공기질 연구는 주로 PM10, NO2, CO, CO2 등을 중심으로 수행

< 국내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 논문중 대상 오염물질 >

오염물질 CO PM10 CO2 NO2 TSP Rn HCHO VOCs SO2

연구 빈도 19 17 16 15 14 12 10 10 10

◦ 다양한 실내환경중 주로 주택, 지하철, 지하상가, 사무실, 병원, 학교 등의 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연구수행

< 국내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논문중 연구대상시설 >

Page 2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1 -

대상시설 주택 지하철 지하상가 사무실 병원 학교 백화점

연구 빈도 12 11 11 10 7 6 4

4. 현행 실내공기질 연구의 문제점□ 실내공기질 현황에 대한 체계적 조사 미흡

◦ 실내환경중 오염원을 규명하고, 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는 기초 연구 부족

◦ 실내공기오염 측정망 부재로 구체적 실내공기오염 실태자료의 부족과 관련자료의 DB 구축 미흡

□ 실내공기 오염저감대책 연구 미흡◦ 주요 시설별 관리대책과 체계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연구

등 구체적인 정책대안에 대한 연구 부족- 대부분 국내 실내공기오염연구는 공학적 제어, 일정 장소의 부분

적 오염도 측정․분석에 한정◦ 실내공기질 기준 마련을 위해 필요한 유해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체 영향에 대한 실질적 위해성 평가 관련 연구 부족

□ 조사대상의 한정과 실태조사 차원의 연구

Page 2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2 -

◦ 버스, 지하철, 선박, 항공기와 같이 건축물 이외의 특수 실내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및 관리방안 부족

◦ 국민들의 생활양식과 활동하는 장소 및 노출시간별 인체영향에 대한 조사 자료 매우 빈약

◦ 실내공기 주된 오염원중 하나인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 미흡

Page 2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3 -

제 3 장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Page 2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4 -

제1절 외국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선진국의 정책동향(총괄)〕

□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 정책은 1980년대 이후 새로운 환경정책 분야로 대두하여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관련법령 및 정책 수립․추진

◦ 일본은 최근 5년간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관련 법령 제정․운영

◦ 미국은 다양한 실내공간에 대한 법적 규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작업환경의 실내공기 오염물질 가이드라인 제시

◦ 유럽 국가들은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1987년 제정한 「유럽공기질 기준 지침치(Air Quality Guideline for Europe)」에 근거하여 나라별 실정에 맞는 기준 설정

□ 체계적인 실내공기질관리를 위하여 건축자재에 대한 “친환경건축자재인증제도” 및 건축물에 대한 “실내환경라벨링(ICL : Indoor Climate Labelling)” 제도 시행

◦ 친환경건축자재인증제도는 핀란드, 독일, 미국 등 대부분 국가에서 민간 또는 정부차원에서 시행

◦ 실내환경 라벨링제도는 건물내 실내공기질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캐나다, 핀란드 등의 국가에서 시행

Page 3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5 -

1. 일본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일본은 “새집증후군”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후생노동성, 문부과학성 등 관계

부처와 전문가, 관련업계 등이 참여하는 ‘건강주택연구회’를 조직하여 범정부

적으로 대처(‘96.7)

□ 후생노동성◦ 주택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 13가지 화학물질 농도의

권고기준을 연차적으로 설정('97~2002)< 실내공기중 화학물질농도 가이드라인 >

오 염 물 질 기 준

①포름알데히드 100㎍/㎥(0.08ppm)

②아세트알데히드 48㎍/㎥(0.03ppm)

③톨루엔 260㎍/㎥(0.07ppm)

④자일렌(크실렌) 870㎍/㎥(0.20ppm)

⑤에틸벤젠 3,800㎍/㎥(0.88ppm)

⑥스틸렌 220㎍/㎥(0.05ppm)

⑦p-디클로로벤젠(P-DCB) 240㎍/㎥(0.04ppm)

⑧테트라데칸 330㎍/㎥(0.04ppm)

⑨클로피리포스 1.0㎍/㎥(0.07ppb)0.1㎍/㎥(0.007ppb)-소아대상

ꊉꊒ페놉캡 33㎍/㎥(3.8ppb)

ꊉꊓ디아지논 0.29㎍/㎥(0.02ppb)

ꊉꊔ디부틸 푸탈레이트 220㎍/㎥(0.02ppm)

ꊉꊕ프탈릭 에스테르-2-에틸헥실(DEHP) 120㎍/㎥(7.6ppb)

※ 포름알데히드와 클로로피리포스는 건축기본법의 규제대상 물질

※ ①~⑥ 항목은 주택성능표시에서 농도를 측정하는 물질

◦ 3,000㎡ 이상의 흥행장, 백화점, 사무실, 학원, 여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CO, CO2, 부유분진에 대한 기준 설정(건축물의위생적환경확보에관한법률)관리대상 CO CO2 부유분진 온도 상대습도 기류

기준 10ppm 1,000ppm 150㎍/㎥ 17~28℃ 40~70% 0.5m/s

Page 3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6 -

□ 국토교통성

◦ 개정 “건축기준법(04.7.1)”에 의해 포름알데히드 농도에 의한 건축자재 사용면적 제한, 건축물의 환기설비 설치 의무화

◦ “주택품질확보촉진법”에 의거하여 「주택성능표시제도」시행(2000.6 )- 총 9개 항목중 목질계 내장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실내화학물

질 농도, 환기 등 3가지 실내공기 관련 항목 표시항 목 내 용

포름알데히드- 목질계 내장재의 방산량에 따른 등급 표시

- 등급 4~등급 1까지 4개 등급으로 분류

실내화학물질농도 표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스티렌

환기표시 전체 환기설비 및 국소환기설비 표시

□ 문부과학성

◦ 학교환경위생기준을 개정(2004. 2)하여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학교보건법)- 온열 및 공기청정도에 대한 기준 및 포름알데히드와 주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기준설정< 학교 실내공기질 기준 >

대상

물질CO2 CO NO2

부유

분진

낙하

세균

포름

알데

히드

톨루엔 자일렌

파라디

클로로

벤젠

에틸

벤젠스티렌

기준1500

ppm

10

ppm

0.06

ppm

0.10

mg/m3

10

CFU/㎥

100

㎍/㎥

260

㎍/㎥

870

㎍/㎥

240

㎍/㎥

3800

㎍/㎥

220

㎍/㎥

※ 그밖에도 환기회수 및 진드기 알레르겐 기준에 대해 규정

Page 3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7 -

□ 경제산업성 및 농림수산성

◦ 경제산업성, 일본공업규격협회 주관으로 건축자재의 「포름알데히드」방출농도에 따라 F☆☆☆☆에서 등급외까지 4가지 등급 부여(JIS)

◦ 농림수산성에서는 일본합판공업조합과 함께 JAS(일본농림규격)을 제정하여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 따라 4등급으로 구분

2. 북미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는 대기 및 방사선국(OAR : Office of

Air and Radiation) 산하의 실내환경과(IED : Indoor Environments Division)에서 실질적인 업무 담당

- IED는 국가적인 공기질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내공기질위원회(CIAQ : Committee for Indoor Air Quality)'의 활동 주도

※ CIAQ는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중요한 오염물질 7가지에 대해 그룹별로 구분하여 연구

- 안전하고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를 위해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제시

< 환경부(EPA) 가이드라인 >

항 목 기준

부유분진(PM10) 50㎍/㎥(연평균)이하

이산화질소(NO2) 0.05ppm(연간) 이하

라 돈 4pCi/L 이하

◦ 미국은 다양한 실내공간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오염물질별 법적 규제는 하지 않고 있으나 작업장 환경에서의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가

Page 3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8 -

이드라인 제시- 산업안전보건국(OSHA :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과

미국산업위생사협회(ACGIH :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에서 작업환경조건의 공기질 기준 제시

◦ 실내공기오염물질에 대한 지침이나 권고이외에도 실내공기질 개선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증제도 실시

- 건물전체의 관점에서 에너지와 친환경성을 평가하고 건축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민간자율로 시행하고 있는 환경성능평가제도인 LEED(Leadership in Energy Environmental Design)"시행

◦ 민간단체인 냉난방공조학회(ASHRAE :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에서 주거용 건축물에 관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안)(62.2 Draft, 2000.8.11) 제시

※ 2003년 12월 최종판에서는 전 항목을 삭제하고 추후 검토 예정

< 미국 냉난방공조학회(ASHRAE) 가이드라인(안) >

Page 3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29 -

오염물질 목표 가이드라인

일산화탄소 (CO) 9ppm(8시간 평균)

포름알데히드 (HCHO) 120㎍/㎥(0.1ppm)(30분 평균)

납 (Pb) 1.5㎍/㎥(3개월 평균)

이산화질소 (NO2) 100㎍/㎥(1년간 평균)

냄새거주자나 방문자의 80%이상이

허용 가능하다고 예측

오존(O3) 100㎍/㎥(50ppb)(8시간 평균)

부유입자(PM10) 50㎍/㎥(1년간 평균)

라돈 4pCi/Liter(1년간 평균)

이산화황(SO2) 80㎍/㎥(1년간 평균)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1) 300㎍/㎥ 미만

2) 300~3,000㎍/㎥ 미만

3) 3,000㎍/㎥ 이상

□ 캐나다◦ 작업장 및 주거지의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에 따라 관리

- 발암물질과 비발암물질로 구분 관리하고 있으며, 생물학적인 오염원과 기타 먼지, 담배연기 등을 포함한 권고기준 설정

- 캐나다 보건부에서 임상실험, 동물실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권장)기준치 설정(1987년 제정, 1989년 개정)

< 주거공간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노출 가이드라인(권장) >

Page 3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0 -

오염물질 목표 가이드라인

포름알데히드60㎍/㎥ 이하 (Target Level)120㎍/㎥ 이하 (Action Level)

이산화탄소 3,500ppm 이하

일산화탄소1시간 평균 25ppm 이하8시간 평균 11ppm이하

이산화질소 1시간 평균 0.25ppm 이하

오존 1시간 평균 0.15ppm 이하

미세먼지(PM2.5) 1시간 평균 100㎍/㎥ 이하

이산화황 5분 평균 0.38ppm 이하

라돈 연평균 800Bq/㎥

습도 여름철 30~80% 겨울철 30~55%

◦ 신축 및 기존사무실 건물의 실내공기질 인증제도 “BEPAC(Build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Assessment Criteria System) 시행

3. 유럽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총 괄>

◦ 유럽국가들의 경우 노르웨이, 핀란드 등 많은 나라에서 WHO에서 1987년에

제정한 「유럽공기질기준지침서(Air Quality Guideline for Europe)에 근

거하여 기준 설정

◦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오염원의 제어를 위하여 건축자재와 설비

기준 관리

- 건물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의 방출특성에 대한 정보를 건

축가나 전문관리자에게 제공

◦ WHO 가이드라인-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권장치로 대기와 실내에 모두 적용※ 1987년 제정 후 2000년 재검토를 통해 개정

< WHO 가이드라인(WHO Air Quality Guideline for Europe) >

Page 3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1 -

항목 가이드라인(㎍/㎥) 평균 노출시간

카드뮴(Cd) 0.005 연간

이황화탄소(CS2) 100 24시간

일산화탄소(CO)

100,00060,00030,00010,000

15분30분1시간8시간

1,2-디클로로에탄 700 24시간

1,4-디클로로메탄3,000450

24시간1주일

포름알데히드 100 30분

황화수소 150 24시간

납(Pb) 0.5 연간

망간(Mn) 0.15 연간

무기수은(Hg) 1 연간

이산화질소(NO2)20040

1시간연간

오존 120 8시간

스티렌 260 1주일

이산화황(SO2)50012550

10분24시간연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250 연간

톨루엔 260 1주일

바나듐(V) 1 24시간

라돈(Rn) 100Bq/㎥ 연간

* 출처 : WHO Air Quality Guideline for Europe 2nd Edition 2001(http ://www.who.dk/air/Activities/20020620_1)

Page 3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2 -

□ 덴마크◦ 「환경보호청(EPA)」에서 실내공기의 오염관리 담당◦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오염원의 제어를 위하여 건축자재와

설비기준을 강화- VOCs, PAHs, 라돈, 포름알데히드, 석면 등과 같은 물질의 실내

배출원을 엄격히 통제◦ 실내환경협회는 건물재료와 인테리어 재료들이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

친다는 점을 중시하여 「실내환경인증」을 실시

□ 독 일◦ 독일 연방정부 차원에서 환경, 보건, 경제, 건설, 노동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IAQ 연구위원회 운영◦ 보건부에서 라돈의 권고치를 250Bq/㎥(6.8pCi/L), 포름알데히드는

0.1ppm,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은 1㎎/㎥으로 설정ㆍ관리

□ 노르웨이◦ 보건부, 노동부, 건축물 관련부처 등이 실내공기질 관련업무 수행◦ 보건부 산하 국립공중위생원(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에서 라

돈, 석면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마련※ 보건부는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실내공기질 개선요청 및 건물폐쇄 등이 가능

<노르웨이의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항 목 기 준

라 돈 200 Bq/㎥ 이하

석 면 0.001 fiber/㎖ 이하

광물섬유(MMMF) 0.01 fiber/㎖ 이하

분진(PM 2.5) 20 ㎍/㎥(24시간) 이하

Page 3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3 -

□ 핀란드◦ 환경부에서 포름알데히드, PM10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권장치 제정

<핀란드의 실내공기질 권장치>

항 목 기 준

암모니아, 아민 20 ㎍/㎥ 이하

석면 0 fiber/㎖ 이하

포름알데히드(HCHO) 50 ㎍/㎥ 이하

일산화탄소(CO) 8 ㎍/㎥ 이하

분진(PM10) 50 ㎍/㎥ 이하

라돈 200 Bq/㎥ 이하

스티렌 1 ㎍/㎥ 이하

◦ 건축자재로 인한 실내공기의 오염방지를 위해 냄새를 유발하거나 유해한 VOCs의 방출율에 관한 정보를 건축가나 건물관리자에게 제공

◦ 건물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오염물질 농도분포 예측과 건물의 실내표면에 오염물질이 흡착된 후 방출되는 과정까지 고려한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ㆍ활용

◦ 핀란드 실내공기질협회(FiSIAQ) 주관으로 라돈,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질 인증제도(2000) 실시

항목 단위등급기준

S1 S3 S3

라돈 Bq/㎥ 100 100 200

이산화탄소(CO2) ppm 700 900 1200

암모니아, 아민(NH3) ㎍/㎥ 30 30 40

포름알데히드(HCHO) ㎍/㎥ 30 50 100

VOCs(TVOC) ㎍/㎥ 200 300 600

일산화탄소(CO) ㎍/㎥ 2 3 8

오존(O3) ㎍/㎥ 20 50 80

냄 새 3 4 5.5

분진(PM10) ㎍/㎥ 20 40 50

Page 3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4 -

□ 호 주◦ 보건후생성에서 실내공기질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실내공기질의

인체영향 및 관리방향에 대한 지침서 발간◦ 건축물 설계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환기규정」을 정하였으며

환기기준, 측정방법 명시◦ NHMRC(National Health and Medial Research Council)에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제안<호주의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항목 기준

라돈 연평균 200Bq/㎥이하

부유분진 연평균 90B㎍/㎥이하

포름알데히드 12ppb이하

VOCs1시간 평균 TVOC 500㎍/㎥이하

1시간 평균 250㎍/㎥이하

일산화탄소 8시간 평균 9ppm 이하

오존 240ppb이하

이산화황 1시간 평균 700ppb이하

납 3개월 평균 1.5㎍/㎥이하

□ 싱가폴◦ 환경부에서 실내공기질 업무를 관리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관리

지침 제정(1996)◦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건물의 소유자는 매 2년마다 실내공기질 정

밀심사를 실시하며, 환기시스템은 매 6개월 마다 정밀검사 의무 부여◦ CO2, CO, HCHO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관리

<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

오염물질 CO2 CO HCHO O3 VOC 총세균 부유분진

기준 1000ppm 9ppm 0.1ppm 0.05ppm 3ppm 500cfu/㎥ 150㎍/㎥

※ 온도 (22.5-25.5℃), 상대습도(70%), 기류(0.25m/s)

Page 4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5 -

< 국내외 실내공기 오염물질 기준 비교 >

한국 일본 홍콩 캐나다 싱가포르 WHO

대상시설다중이용

시설특정용도건축물

사무실,공공시설

주거공간 사무실실내 및

대기

일반

오염

물질

미세먼지150 ㎍/㎥

이하

150 ㎍/㎥이하

180 ㎍/㎥ 100 ㎍/㎥이하

150 ㎍/㎥ -

이산화탄소1,000 ppm

이하

1,000 ppm이하

1,000 ppm 3500 ppm이하

1000 ppm -

포름

알데히드

120 ㎍/㎥이하

100 ㎍/㎥이하

100 ㎍/㎥ 60 ㎍/㎥이하

120 ㎍/㎥ 100㎍/㎥이하

총부유세균800 CFU/㎥

이하- 1,000 CFU/㎥

이하- 500

CFU/㎥ -

일산화탄소10 ppm이하

10 ppm이하

8.7 ppm 25 ppm이하

9 ppm 10,000㎍/㎥이하

이산화질소0.05 ppm

이하- 80 ppb 0.25 ppb

이하- 40㎍/㎥

이하

라돈4.0 pCi/L

이하- 200 Bq/㎥ 800 Bq/㎥

이하- 100Bq/㎥

이하

TVOC 500 ㎍/㎥ - 600 ㎍/㎥ - 3 ppm -

석면0.01개/cc

이하- - - - -

오존0.06 ppm

이하- 61 ppb 0.12 ppm

이하0.05 ppb 120㎍/㎥

이하

개별

VOC

벤젠 - - 16.1 ㎍/㎥ - - -

톨루엔 - 260 ㎍/㎥ 1092 ㎍/㎥ - - 260㎍/㎥이하

에틸벤젠 - 3800 ㎍/㎥ 1447 ㎍/㎥ - - -

자일렌 - 870 ㎍/㎥ 1447 ㎍/㎥ - - -

1,4-디클로로

벤젠- 240 ㎍/㎥ 200 ㎍/㎥ - - -

스티렌 - 220 ㎍/㎥ - - - -

Page 4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6 -

4. 외국의 건축자재 인증/표시 제도(1) 핀란드

◦ 핀란드 건설정보센터(RTS)에서 주관하여 바닥재, 페인트 등 내장재에 대해 VOC,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발암성물질 등을 기준으로 M1, M2, M3 3등급으로 인증

< 핀란드의 실내건축 마감재료의 분류체계 >

(FiSIAQ & SAFA, 1995, 2000)구분 M1 M2 M3

VOCs 0.2㎎/㎡h 0.4㎎/㎡h

M2에서 정의한 범위를 넘는 물질

포름알데히드 0.05㎎/㎡h 0.125㎎/㎡h암모니아 0.03㎎/㎡h 0.06㎎/㎡h

벤젠 등 1급 발암물질

0.005㎎/㎡h 0.005㎎/㎡h

냄 새무취성의 재료(냄새에 대한 불만족도 15% 이하)

강한 냄새가 나지 않는 재료(냄새에 대한 불만족도 30% 이하)

기 타 플라스터 등에는 카세인이 포함되지 않아야 함

대상자재 바닥재, 페인트, 니스, 보드류, 광물섬유, 플라스터, 첨가제 등

(2) 독 일

◦ 독일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환경친화적 상품을 구매토록 할 목적으로 1997년 독일 접착제 생산업체들이 「GEV(Gemeinschaft Emissions kontrollierte Verlegewerkstoffe)」라는 비영리단체를 만들어 환경라벨링 실시- 현재 유럽 5개국, 30개 업체가 참가하여 400여 제품에 대해

EMICODE 등급(2000년 기준) 부여< 독일 건축자재(실내공기환경) 인증기준 >

Page 4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7 -

등급 방출량 범위 총 VOC(프라이머)

총 VOC(모르타르)

총 VOC(접착제 등)

EMICODE EC1 매우 낮음 100㎍/㎥ 이하 200㎍/㎥ 이하 500㎍/㎥ 이하

EMICODE EC2 낮음 100-300㎍/㎥ 200-600㎍/㎥ 500-1500㎍/㎥

EMICODE EC3 다소 높음 300㎍/㎥이상 600㎍/㎥이상 1500㎍/㎥이상

◦ Blue Angel- 독일 환경부에서 주관하여 88개 생활용품에 대해 환경에 유해한 정

도, 재활용성, 인체 유해성, 폐기물활용 등을 평가하여 친환경 마크 부여

- RAL-UZ38. Blue Angel의 일환으로 환경부와 연방재료연구소가 제정. 챔버법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후 공기농도로 판정

구 분

평면형상의 제품(도어, 판넬, 적층플로어링, 목재바닥)

입방형상의 제품(가구 등)

초기값24시간 후

최종값28일 후

초기값24시간 후

최종값28일 후

포름알데히드 - 0.05ppm - 0.05ppm

VOCs - 300㎍/㎥ - 600㎍/㎥

SVOCs - 100㎍/㎥ - 100㎍/㎥

벤젠 등 1급 발암물질 1㎍/㎥미만 1㎍/㎥미만 1㎍/㎥미만 1㎍/㎥미만

(3) 미 국

◦ 카펫과 피혁협회(CRI : Carpet and Rug Institute) 주관으로 카펫 인증 프로그램(시험방법 : ASTM D5116) 운영

구 분 성 분 기 준(㎎/㎡h)

카펫

TVOC 0.5Styrene 0.4

4-phenylcyclohexene 0.05Formaldehyde 0.05

접착제TVOC 10

Formaldehyde 0.052-Ehty1-1- Hexanol 3

Page 4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8 -

◦ 주택도시개발부(HUD)와 합판 협회(HPVA)주관으로 포름알데히드 인증 프로그램 운영

구 분 기 준 Loading Factor (ft2/ft3)

벽용합판 0.2ppm 0.29

파티클보드, 산업용 합판 0.3ppm 0.13

◦ 파티클보드협회(National Particleboard Association) 주관 인증 프로그램구 분 기 준 포름알데히드 Loading Factor (ft2/ft3)

산업용 파티클보드 ANSI A208.1 0.3ppm 0.13

바닥용 파티클보드 ANSI A208.1 0.2ppm 0.13

테크용 파티클보드 HUD 0.3ppm 0.13

MDF ANSI A208.2 0.3ppm 0.08

◦ Green Guard- 비영리 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친환경 기구 및 건자재 인증 프로그

Page 4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39 -

구 분 성 분 기 준

접착제

일반건축재

바닥재

TVOCs 0.50㎎/㎥

포름알데히드 0.05ppm

총 알데히드 0.1ppm

4-phenylcyclohexene 0.0065㎎/㎥

스티렌 0.70㎎/㎥

가정용 기구

TVOCs 0.50㎎/㎥

포름알데히드 0.05ppm

총 알데히드 0.1ppm

천정재

단열재

TVOCs 0.50㎎/㎥

포름알데히드 0.05ppm

총 알데히드 0.1ppm

분진 0.05㎎/㎥

사무가구

(의자, 데스크, 테이블 등)

TVOCs 0.25㎎/㎥

포름알데히드 0.025ppm

총 알데히드 0.05ppm

4-phenylcyclohexene 0.00325㎎/㎥

페인트

TVOCs 0.50㎎/㎥

포름알데히드 0.05ppm

총 알데히드 0.1ppm

스티렌 0.070㎎/㎥

벽지

직물

가구(워크스테이션)

TVOCs 0.50㎎/㎥

포름알데히드 0.05ppm

총 알데히드 0.1ppm

4-phenylcyclohexene 0.0065㎎/㎥

Page 4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0 -

(4) 캐나다

◦ 캐나다 환경부에서 1988년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29개 생활용품에 대해 환경에 유해한 정도, 재활용성, 인체 유해성, 폐기물활용 등을 평가하여 친환경 마크 부여- 접착제, 페인트, 카펫 등의 건자재가 대상이며 용도별로 VOCs

함유량 및 독성물질 기준 지정종 류 성 분 기 준 비 고

페인트 VOCs 함량 200g/L이하

카펫TVOC 0.25㎎/㎡h 24시간 이후

포름알데히드 0.02㎎/㎡h 48시간 이후

카펫접착제TVOC 0.05㎎/㎡h 72시간 이후

포름알데히드 0.02㎎/㎡h 72시간 이후

(5) 일 본

◦ 경제산업성, 일본공업규격협회 주관으로 건축자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농도에 따라 F☆☆☆☆에서 등급외까지 4가지 등급 부여(JIS)- 대상 자재확대 및 강화, 방산속도 개념을 적용하여 2003년 3월 20일 개

정< JIS(일본공업규격) 포름알데히드 방출기준 >

Page 4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1 -

등 급

규 격

비고방산속도(㎍/㎡ㆍh)

방산량(㎎/L)

방산량(㎎/L)

F☆☆☆☆ 5 이하 0.12 이하 0.3 이하 건축기본법상 제한없음

F☆☆☆ 20 이하 0.35 이하 0.5 이하건축기본법상

면적제한F☆☆ 120 이하 1.8 이하 1.5 이하

등급외 120 초과 1.8 초과 1.5 초과 건축기본법상 사용금지

적용자재 접착제류 6종단열재류 3종 도료류 11종 보드류 2종

(섬유판, 파티클보드)

◦ 농림성에서는 일본의 합판공업조합과 함께 JAS(일본농림규격)을 제정하여 합판 등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 따라 4등급의 검사제도 시행

< JAS(일본농림규격) >

※ 2003년 2월 7일 개정(상위등급 추가 등급표시 기호 변경)

이전 개정

표시기호방산량(㎎/L)

표시기호방산량(㎎/L)

평균치 최대치 평균치 최대치

F☆☆☆☆ 0.3 0.4

Fc0 0.5 0.7 F☆☆☆ 0.5 0.7

Fc1 1.5 2.1 F☆☆ 1.5 2.1

Fc2 5.0 7.0 F☆ 5.0 7.0

적용자재

합판(보통 합판, 구조용 합판, 특수합판,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

난연합판, 방염합판), 구조용 페널, 플로어링, 집성재, 단판적층재, 구조용

단판적층재

Page 4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2 -

5. 정책적 시사점

□ 실내공기질의 인체위해성 연구에 기반한 정책추진◦ 실내공기질이 인체에 미치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와 민간연구소에

서 지속적인 연구 수행◦ 실내공기질 관리(권고)기준도 오염물질과 인체영향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바탕으로 설정

□ 규제적 방법과 비규제적 방법을 병행 사용◦ 실내공기질 관리(권고)기준과 함께 환기설비 기준 등 강제기준을 설

정하여 추진◦ 건축자재의 환경성 인증ㆍ표시제도를 도입하여 오염방출건축자재 사

용 제한과 함께 친환경건축자재 사용 유도◦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하여 「실내공기질 인증제도」를 통해 소비자에

게 정보제공◦ 쾌적한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기 위한 실천방안에 대한 홍보 강화

□ 범부처적 협력체계 구축 및 민ㆍ관 공동노력◦ 일본의 “건강주택연구회”와 같이 실내공기 오염문제 해결을 위해 다

양한 부처가 공동으로 참여

Page 4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3 -

◦ 실내공기질 기준 제시, 친환경건축자재 인증제도 수립ㆍ시행 등에 있어 민간연구소가 적극 참여

□ 첨단 모델링 프로그램과 시스템 적극 활용◦ 핀란드에서는 오염물질 농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 일본건축학회에서 건축실무종사자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주거용

건축물의 간이진단시스템 및 체크리스트 소프트웨어 개발

Page 4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4 -

제2절 우리나라의 실내공기질 관리현황1.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연혁

□ 지하공간 환경기준 권고치 설정(1989년)

◦ 지하도상가, 지하주차장 등 다양한 지하공간에 대한 환경기준 권고치를 설정하여 각 시․도에서 적정 관리하도록 요청('89.9.18)

- 아황산가스, 먼지, 납 등 14개 오염물질에 대한 권고치 설정

□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제정(1996년)

◦ 통합 실내공기질관리법 제정 추진이 어렵게 되어, 다중이 이용하는 지하역사, 지하도상가를 규제대상으로 하는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 제정('96.12.30) 시행('97.12.31)

- PM10, CO2, CO, HCHO, NO2, SO2, Pb 등 7개 오염물질 기준 설정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제정('03.5.29), 시행('04.5.30)

◦ 2003년도에 타법의 관리대상시설 이관, 미관리 주요 시설을 추가하여 통합 실내공기질관리법의 토대 마련(대상시설 확대 : 2개 시설군→ 17개 시설군)

◦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설정,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사용제한 등 다양한 관리기법 도입

◦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시공자의 측정ㆍ공고의

Page 5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5 -

무 반영

2. 부처별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환경부는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에 의해 다중이용시설

(17개 시설군) 및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관리

◦ 그 외에도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건설교통부 등 여러 부처가 개별법에 의해 학교, 사무실, 공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

<각 부처별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Page 5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6 -

담당부처

기준물질환경부 보건복지부 노동부

교육인적

자원부

건설

교통부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

(지하역사, 의료기관,

찜질방 등 17개 시설군)

공중이용시설

(학원, 공연장,

업무시설 등)

사무실, 작업장 학교

주차장

(2000㎡

이하)

근거법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

공기질관리법공중위생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보건기준에

관한규칙

학교보건법 주차장법

측정항목

10개 항목

(미세먼지, CO,

CO2, NO2, HCHO,

총부유세균,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

석면, 오존)

3개항목

(미세먼지, CO,

CO2)

4개항목

(미세먼지, CO,

CO2, HCHO)

2개 항목

(미세먼지,

CO2,)

1개 항목

(CO)

관리방법

다중이용시설 유지기준

준수, 다중이용시설에

환기설비 설치,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ㆍ공고

공기정화시설

교체ㆍ청소

필요시 사무실

공기정화, 실외

오염물질의 유입

방지(건물 개ㆍ

보수시 공기오염

관리)

연1회 점검

의무 및

적정조치

강구

적정

환기설비

설치

Page 5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7 -

3.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주요내용(1)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

□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 확대◦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의 대상을 종전 지하역사, 지하도상가의 2개

시설군에서 도서관, 의료기관, 찜질방, 대규모점포 등 15개 시설군을 추가하여 17개 시설군으로 확대

<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 >

시 설 명 규 모

지하역사 모든 지하역사

지하도상가(지상건물에 딸린 지하층의 시설제외)

여객자동차터미널, 철도역사의 대합실

실내주차장(기계식 주차장 제외)

연면적 2천㎡이상

공항시설중 터미널 연면적 1천5백㎡이상

항만시설중 터미널 연면적 5천㎡이상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연면적 3천㎡이상

의료기관(입원진료병상이 100개 이상) 연면적 2천㎡이상

지하에 위치한 장례식장, 국공립 보육시설,

노인의료보호 시설중 국공립 노인전문요양시설

ㆍ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ㆍ노인전문병원

연면적 1천㎡이상

찜질방 연면적 1천㎡이상

산후조리원 연면적 5백㎡이상

대규모점포 모든 대규모점포

Page 5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8 -

□ 다중이용시설의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설정◦ 실내공기질 오염물질중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

히드(HCHO),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CO) 등 5개 물질에 대해서는 유지기준을 설정하고 위반시 과태료부과 등 제재 조치

<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

오염물질 항목

다중이용시설

PM10

(㎍/㎥)

CO2

(ppm)

HCHO

(㎍/㎥)

총부유세균

(CFU/㎥)

CO

(ppm)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

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

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150

이하

1,000

이하

120

이하

- 10

이하

의료기관, 보육시설,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100

이하

800

이하

실내주차장200

이하-

25

이하

◦ 외부에 오염원이 있거나 위험도가 비교적 낮은 이산화질소(NO2), 라돈(Rn),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석면, 오존(O3) 등 5개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권고기준을 설정하여 자율적 준수 유도

Page 5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49 -

<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

오염물질 항목

다중이용시설

NO2

(ppm)

Rn

(pCi/ℓ)

VOC

(㎍/㎥)

석면

(개/cc)

오존

(ppm)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0.05

이하

4.0

이하

500

이하

0.01

이하

0.06

이하

의료기관, 보육시설,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400

이하

실내주차장0.30

이하

1,000

이하

0.08

이하

□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에게 교육의무 부여◦ 다중이용시설의 소유자등은 실내공기질 관리에 관한 교육을 환경부

장관이 위탁하는 교육기관에서 받도록 의무화

□ 다중이용시설에 환기설비 설치의무 부여◦ 다중이용시설을 설치하는 자는 공기정화설비 및 일정 구조․기준의 환

기설비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위반시 개선명령 등을 통해 제재

Page 5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0 -

< 환기설비 설치기준 >

다중이용시설

산정기준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철도역사의

대합실,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

항만시설중 대합실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장례식장, 찜질방,

대규모점포

의료기관,

보육시설,

노인의료시설,

산후조리원

실내주차장

환기횟수(회/h) 0.3이상 0.5이상 0.7이상 3이상

이용인원당

환기량(㎥/인․h)25이상 25이상 25이상 25이상

□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포름알데히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등의 오염물질을 기준이상

방출하는 건축자재를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고시하고, 다중이용시설에 사용 금지

< 건축자재별 방출기준 >(단위 : ㎎/㎡․h)

구 분 오염물질 접 착 제 일반자재

포름알데히드 4이상 1.25이상

휘발성유기화합물 10이상 4이상

□ 실내공기질 측정의무 부여◦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책임자는 유지기준 오염물질은 연1회, 권고기준

오염물질은 2년에 1회 측정하고 그 결과를 매년 1월 31일까지 시・도지사에게 보고

Page 5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1 -

(2)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관리

□ 개 요◦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의 시공자는 주민입주 전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지자체의 장에게 제출하고 주민입주 3일전부터 출입문 게시판 등 주민들의 확인이 용이한 장소에 60일간 공고하도록 의무화

□ 도입취지◦ “새집증후군”이 특히 문제되는 신축 공동주택의 시공자에게 실내공

기질 측정․공고의무를 부여하여 입주자에게 실내공기질의 오염현황을 알리고 오염물질 방출이 적은 건축자재를 자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

□ 측정물질 및 방법◦ “새집증후군” 증상의 주원인인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등 총 7종◦ 실내공기질은 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100세대의 경우 3개의 측정

장소를 그리고 초과하는 100세대마다 1개의 측정장소 추가

□ 제재수단◦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측정결과를 제출․공고하지 아니하거나 거

짓으로 제출․공고한 자에게는 500만원이하의 과태료 부과

Page 5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2 -

제 4 장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추진방향

Page 5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3 -

1. 정책기조가. 지속가능성의 원칙

□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보호와 다중이용시설과 거주공간의 지속가능성 확보

◦ 다중이용시설과 공동주택은 세대를 연결하는 환경으로 현세대와 후세대의 삶의 질을 모두 배려하는 환경친화적 구조로 건축

나. 예방의 원칙

□ 설계, 시공, 운영의 각 단계에서 청정기술의 적용, 친환경적 자재 사용, 자연친화성 제고 등을 통하여 실내공기오염원을 줄임으로써 사후적인 관리비용 절약

◦ 건축과 생활양식자체를 친환경적으로 전환하여 예방차원의 환경관리 유도

다. 통합 및 효율성의 원칙

□ 실내공기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합 사용하고, 적정한 인센티브를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정책목표 달성

◦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의 실효성을 갖추기 위하여 정책의 순응비용 최소화 노력

라. 참여와 파트너쉽의 원칙

□ 실내공기질 관리와 관련된 모든 경제주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의 바탕위에 정책 수립ㆍ추진

◦ 의사결정과정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 파트너쉽 형성을 유도하고 환경친화적인 생활환경의 함양 및 확산 지원

Page 5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4 -

2. 정책방향과 목표<정책방향>

□ 날로 높아지고 있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질을 적극적으로 개선

□ 21세기 환경정책 추진에 맞추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에 기초한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구축

◦ 복합적인 실내공기질에 대한 발생원별 실내공기오염의 저감 및 관리방안 마련

□ 장기적으로는 실내환경에 의한 인간에 미치는 영향 등 장기적인 역학조사를 기초한 과학적 관리 도모

□ 부처별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의 유기적인 연계강화 및 범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공동대처방안 마련

<정책목표>

□ 궁극적 목표 ː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통한 국민건강 보호□ 세부목표

◦ 건강하고 쾌적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조성◦ 공동주택 등의 “새집증후군”방지◦ 사전예방적 오염원 관리 및 적정환기 시스템 구축◦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 중기목표(2004~2008) ː “실내공기질에 의한 인체영향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실내공기질 관리시스템 구축”

Page 6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5 -

<긍극적 목표>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통한

국민건강 보호

<세부목표>

건강하고 쾌적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조성

공동주택 등의

“새집증후군”

방지

사전예방적

오염원관리 및

적정환기시스템

구축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3. 지속가능한 실내공기질 관리전략<세부 관리전략>

쾌적한 실내공기질 유지ㆍ개선을 위하여 4가지 추진전략 제시

가. 과학적ㆍ체계적 연구조사에 기초한 정책추진◦ 대상시설은 정확한 실태조사를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 방향 설정◦ 비관리 대상시설은 광범위한 조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확충 ◦ 실내공기질과 인체 유해성 연관분석 등 과학적 연구자료 활용◦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하여 전과정(LCA) 위해성 평가 활용◦ 국민건강을 위하여 실내공기질의 합리적인 기준 설정

나. 오염저감을 위한 적정수단 확보◦ 실내공기질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수단(규제적/자율적

수단)의 활용◦ 사후조치보다는 사전예방중심의 실내공기질 관리대책 추진

Page 6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6 -

◦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및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확대◦ 친환경 가구 및 가정용품 사용․육성방안 수립 추진◦ 적정 환기설비와 공기정화설비 유지관리방안 수립 추진◦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체 및 건설업체의 육성ㆍ지원

다. 참여와 실천을 통한 실내공기질 관리◦ 국민, 기업 등 이해관계인의 자율성과 참여를 바탕으로 정책추진◦ 건설업계의 자율적 참여 유도와 실천적 의무부여 ◦ NGO, 주민 등을 통한 자율감시 체계 구축◦ 시공자로부터 수요자(사용자)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D/B 구축

라.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개선◦ 체계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관련법령 정비 및 선진정책의 도입◦ 실내공기질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연구기관 설립 등 전문 인프라 구축◦ 실내공기질관련 유관부처 및 관계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 ‘실내환경개선협의회’등 전부처 합동의 협의체 구성

◦ 환경관련 기존 법령, 제도 등 기존 시스템간의 적절한 조화

<관리전략의 단계>

◦ 매년 세부계획을 수립, 추진하되 실태조사 등 각 분야별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시급한 연구사업부터 단계적으로 추진

◦ 국내 현실적인 여건과 국가의 한정된 재원문제 등 정부의 준비현황 등을 고려

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전략적으로 추진

◦ 실내공기질 관리의 시급성을 감안하여 조기에 시행되어야 할 단기대책과 기술

개발 및 지원 등의 중ㆍ장기적인 대책으로 구분 시행

Page 6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7 -

제 5 장

부문별 관리대책

Page 6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8 -

부문별 관리대책(총괄)

< 관리대상 > < 실태조사 및 기준합리화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

관리법 적용대상

(17개 시설군)

개별법 적용대상

(학교, 사무실, 작업장)

미관리대상

(영화관, 음식점 등)

정확한 실내공기질 실태파악

실내공기질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

실내공기질 기준 합리화

< 적정관리 및 지원확대 >

대상시설 확대 방안(다중이용 시설, 공동주택)

학교 및 업무시설 등 적정관리

기타시설 관리방안(소규모시설, 특수 실내환경)

< 실내공기오염 관리방안 >

건축자재 등 오염원 사전관리

(오염원 제어)

◦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제 발전

◦ 건축자재외 오염물질 방출제품 관리

환기설비 관리

(환기제어)

◦ 환기설비 기준 설정

◦ 환기설비 설치비 지원

공기정화설비관리

(제거제어)◦ 공기청정기 관리강화 및 정보제공

Page 6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59 -

제1절 정확한 실내공기질 실태파악 및 자료관리1.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1) 현황 및 문제점

◦ 다중이용시설중 주로 지하철, 지하상가, 사무실, 병원, 학교에 대한 실내공기오염 실태조사 수행

- 상당수의 지하역사가 미세먼지 농도기준치를 초과, 라돈은 역사위치에 따라 지하수, 토양 등의 영향으로 권고기준 초과

- 영유아 보육시설 일부가 총부유세균 기준을 초과, 일부 지하상가에서 이산화탄소 기준 초과

◦ 개별 연구자들에 의해 조사가 단편적으로 수행되었고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조사연구는 거의 전무

(2) 조사계획 수립ㆍ시행

◇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실내공기질 오염도가 높아 관리가 필요한 시설을 중심

으로 규제대상시설 범위 결정

◦ 지하역사, 병원, 대합실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실시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적용대상에서 아직 누락된 영화관, 학원, 업무시설 등을 조사

- 적용대상시설을 확대하기 위하여 미규제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오염실태조사 필요

Page 6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0 -

< 연차별 조사대상 >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측정대상

음식점,

영화관,

업무시설

PC방,

학원,

노래방

공연장,

혼인예식장,

고시원

실내체육시설,

2이상 용도

건축물

※ 주요 조사내용 :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2. 신축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1) 현황 및 문제점

◦ 정부차원의 공동주택에 대한 실내공기 오염실태 조사가 거의 없으며 최근 실시한 조사에서도 한정된 조사대상 선정으로 일반화에 한계

- 국립환경연구원과 유역(지방)환경청에서 실시한 공동주택 실내공기오염도 전국조사 ('04.2~4) : 90개 조사대상

- 소비자보호원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조사결과('04. 4) : 18개 조사대상

※ 일본은 2000년부터 신축 1년 이내의 주택내 공기질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여 2000년

2,800여 세대, 2001년 1,700여 세대, 2002년 1,900여 세대 조사

◦ 주민이 입주하기전 아파트에 대한 정확한 실내공기질 실태파악 미흡※ 새집증후군이 2004.1 사회쟁점화 되어 관련 Data가 많지 않음

◦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오염도 변화추이에 대한 시계열 조사자료 부족- 일반적으로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농도는 시간이 지남

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Page 6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1 -

자료 부족

Page 6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2 -

(2) 개선방안

□ 입주전 아파트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전국의 신축 공동주택을 도시별, 회사규모별, 계절별 등으로 구분하여

대규모 실태조사 실시- 매년 400여 가구를 대상으로 대도시와 중소도시, 대기업과 중소기

업, 4계절별로 각각 구분하여 조사※ 실태조사 결과를 근거로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설정에 참고자료로 활용

□ 오염이 심한 공동주택에 대한 추적조사 실시◦ 1차 대규모 실태조사 결과 오염도가 심한 주택에 대해 연도별 오염도

변화에 대한 시계열 조사 실시※ 그 외 오염도가 심해 민원제기, 손해배상청구 등 문제가 된 공동주택

◦ 시간 경과에 따른 오염도 변화 차이가 심한 입주민의 거주행태조사- 베이크아웃(Bake-Out) 실시여부, 환기횟수, 리모델링 실시여부, 가

구의 종류 등◦ 입주민들의 피부질환, 두통, 천식 등 “새집증후군” 증상여부 확인◦ 거주행태에 따른 오염도 차이에 대한 통계분석 실시◦ 오염도 차이와 거주민들의 건강상태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 공동주택 리모델링시 공기질 변화 조사◦ 공동주택의 신축뿐만 아니라 개ㆍ보수시에도 건축자재에서 오염

물질이 방출되므로 오염물질 농도변화 조사- 사용된 건축자재 유형과 오염도간의 통계적 유의성 분석

Page 6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3 -

3. 주요 시설에 대한 TMS(원격자동측정시스템) 구축(1) 현황 및 문제점

◦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는 실내오염측정시 일상적인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환기, 물청소 등 실내오염 저감조치 후 측정할 개연성 상존

- 대기보다 오염도의 변화가 더욱 큰 실내공기질에 대해 가장 낮은 오염도를 근거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신뢰성에 문제점 야기

◦ 년 1회 측정으로 인하여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의 실내공기 오염저감 노력이 1회성에 그칠 우려※ 일본은 측정상 신뢰성 문제를 감안, 2개월 1회씩 측정ㆍ보고(건축물의위생적

환경확보에관한법률)

※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책임자는 유지기준 오염물질은 매년 1회, 권고기준 오염

물질은 2년에 1회 측정하여 지자체의 장에게 제출하도록 의무화(법 제12조)

(2) 개선방안

◦ 지하역사, 터미널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은 실내오염도 상시 측정으로 측정자

료를 체계적으로 관리

※ 현재 지하철 사당역과 건대입구역에 TMS(원격자동측정시스템)가 설치되어 있으

나 이를 더욱 확대하는 것이 필요

□ 실내공기질 TMS(원격자동측정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대기 TMS 현황 및 외국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TMS 설치현황 등을

실태조사 후 도입 검토◦ 국내 시설별 실내공기질 자동측정망 설치․운영의 타당성 검토

Page 6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4 -

□ TMS 구축에 필요한 사항 제시◦ 자동측정망 우선 설치시설, 측정대상 오염물질 항목 도출◦ 측정방법, 측정기기 설치위치, 측정결과의 관리 및 전송방식 등

측정체계의 운영․관리요령 제시◦ 측정체계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법적체계 및 소요재원 마련

□ 단계적으로 주요 시설에 TMS 설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하역사 등 TMS가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시설을

선정하여 단계적으로 설치

4. 측정결과의 DB화◦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 현황,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등 관련 자료들을 효율

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일관되고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 확보 필요

◦ 측정데이터의 수집, 보관, 검색이 원활히 수행되어야 각종 조사연구에 근거한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 가능

□ 실내공기질 연구결과 DB화를 위한 기반구축◦ 국립환경연구원이 주축이 되어 과거의 연구, 지도․점검, 타부처 점검

결과, 외국의 관리대책, 인체위해성 평가결과 등 제반 자료 수집◦ 국립환경연구원에 측정결과 DB화를 위한 정보화 시스템 구축

□ 기존문헌 및 외국사례 측정분석 결과의 DB화◦ 기존문헌 분석을 통해 주요 측정분석결과 DB화◦ WHO, 일본, EU, 미국 등 외국의 오염물질별 기준과 주요 정책 DB화

Page 7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5 -

□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DB화◦ 입주전 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조사결과(조사대상, 조사기간, 온․습도 등

제반조건, 오염도, 주요 오염원)◦ 오염도가 심한 공동주택에 대해 실시한 연도별 오염도 변화에 대한

시계열 조사 결과(실시연도, 오염도, 입주민의 행태 및 건강상태)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DB화◦ 적용대상 다중이용시설의 면적, 이용객수 등 제반시설 현황 DB화◦ 적용대상 시설별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결과(오염원 및 오염도)

□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결과 DB화◦ 건축자재에 대한 시장조사를 실시하여 접착제, 벽지, 바닥재 등 종

류별로 생산현황, 시장점유율 등에 대한 DB화◦ 오염물질 방출량 조사결과 나타난 각 자재별 포름알데히드, TVOC

농도 DB화◦ 기준 초과로 다중이용시설에 사용을 금지한 건축자재 현황 DB화

5. 실내공기질 측정의 정확성 확보(1) 현황 및 문제점

◦ 실내공기질의 정확하고 통일된 측정을 위하여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제정

ㆍ고시(2004.6.5, 환경부 고시 제80호)

- 다중이용시설ㆍ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측정방법, 오염물질방출 건축자

재 측정방법 등에 대해 규정

◦ 실내공기질 측정대행업체의 기술능력ㆍ시설 및 장비의 기준ㆍ등록절차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한 「실내공기질측정대행업의등록등에관한규정」 제정ㆍ

공고

Page 7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6 -

◦ 법 시행 초기여서 고가의 측정장비 구입 등의 문제로 등록된 측정대행업의 수가 과소

- 실내공기질 측정을 위해서는 GC/MS 등 총 19종 장비 구입 필요(총 약 4억 소요)※ 기존 환경오염 측정대행업체들이 장비를 보완하여 등록 추진

◦ 실내공기질 측정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실내오염도의 정확한 측정에 애로

◦ 국립환경연구원과 각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실내공기질 정도분석을 위한 시스템 구축 미비

(2) 개선방안

◦ 실내공기질 측정의 과학화ㆍ정밀화를 통하여 측정의 신뢰도에 대한 논란

방지

◦ 민간시험, 검사기관의 객관성 확보로 자율적인 실내공기질 관리체제 확립

◦ 도하개발아젠다(DDA)에 따른 시장개방 논의에 대비, 시험ㆍ검사분야 환경서

비스의 경쟁력 확보

□ 공정시험방법 선진화ㆍ표준화ㆍ다양화◦ 비전문가도 측정ㆍ분석이 용이하도록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에 대

해 자세히 해설한 공정시험방법 표준절차 지침서(SOP) 제작ㆍ보급◦ 알데히드류, 환경호르몬 등 새로운 오염물질에 대한 공정시험방법 제정◦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을 국제규격(ISO)에 합치하도록 표준화◦ 예비조사 등 그 목적에 따라 간이측정을 허용하여 측정의 정확성과

경제성 조화

Page 7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7 -

□ 측정분석기관에 대한 정도관리 실시◦ 측정분석기관 자체적인 내부정도관리 강화

- 자체적인 SOP를 마련하여 측정결과를 표준화하고 실험과정에 대한 평가시스템 구축

- 측정분석요원에 대한 자체교육 실시 등을 통해 측정분석 능력 향상

◦ 측정기관에 대한 외부 정도관리 실시-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실내공기질 표준시료를 통해 정도관리를 실

시하여 측정능력 평가(연 1회)

□ 측정기기 형식승인 정도검사제도 도입◦ 실내공기질 측정기기에 대한 형식승인 제도를 도입하고 주기적으로

(연 1회) 정도검사를 실시하여 승인받은 기계가 사용되도록 의무화

□ 실내공기질 측정 전문인력 양성◦ 실내공기질 측정전문가에 의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실내공기질 기사제

도(실내환경기사) 도입

□ 실내공기질 정도분석을 위한 인프라 구축◦ 국립환경연구원 및 지방청,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등 일선기관의 정

도분석 능력 및 향상을 위한 측정기기 확충

Page 7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8 -

6. 실내공기질 측정의 신뢰성 확보

(1) 현황 및 문제점

◦ 신축 공동주택의 시공자는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 및 공고하

도록 의무화(법 제9조 및 시행규칙 제7조)

◦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책임자는 실내공기질을 스스로 측정하거나 측정대행업

자로 하여금 측정(법 제12조 및 시행규칙 제11조)

- 유지기준 오염물질은 연 1회, 권고기준 오염물질은 2년에 1회 측정하여 시․도지사에게 보고

□ 문제점

<다중이용시설>

◦ 관리책임자의 자가측정이나 대행측정 모두 실내공기질이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이를 사실대로 시․도지사에게 보고하지 않을 우려 상존

※ 실내공기질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매년 허위측정결과를

보고하는 요식행위에 그칠 가능성

◦ 허위로 측정결과를 제출하였을 경우 제재수단이 5백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불과(법 제16조 제2항 제2호 및 제3호)

Page 7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69 -

<신축 공동주택>

◦ 최근 건설업체간의 브랜드 경쟁, 업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시공자는 신축아파트 실내오염의 허위공고 우려

※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Bake-Out 실시 등 바람직한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도를

저감시킬 수도 있으나 허위로 결과를 제출․공고할 가능성 우려

◦ 경쟁업체가 측정결과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경우 이에 대한 검증이 어려워 분쟁발생의 소지

※ 특히 신축 공동주택의 공기질 측정대상인 포름알데히드와 VOCs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농도가 감소하므로 측정의 재현성 곤란

(2) 개선방안

□ 측정대행업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 유역(지방) 환경청에서 측정대행업자의 인력․장비 보유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 실시(년 1회)

◦ 측정대행기록부, 실험일지, 검량선 기록지, 시약소모대장, 차량운행일지 등 관련서류를 확인하여 허위측정여부 점검(년 1회)

◦ 측정대행업자들에게 보다 강화된 자율규약을 제시하여 허위측정을 사전에 방지하고 준수업체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부여

- 전국자가측정대행자협의회 등 관련단체와 자율협약 체결 등

Page 7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0 -

□ 측정대행업자의 허위측정에 대한 제재수단 마련◦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법률”에 실내공기질 측정대행업자의 허위

측정시 제재할 수 있는 법적근거 마련(2005.2월 예정)※ 측정대행업체의 허위측정시 1개월간 영업정지 가능

□ 실내공기질 측정에 공무원 및 관계인 참여◦ 지자체 공무원의 실내공기질 관리 업무지침에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

기질 측정시 관계공무원이 입회하도록 유도※ 시․도지사는 관계공무원으로 하여금 신축 공동주택에 출입하여 오염물질을

채취하거나 관계서류 등에 대한 검사 가능(법 제13조)

◦ 입주민대표나 경쟁업체가 측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 검토

□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의한 측정◦ 관계공무원의 입회하에 측정한다고 해도 분석방법, 측정결과 등에서

측정의 신뢰성이 문제가 될 경우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측정․공고하는 방안 검토

□ 허위측정에 대한 제재수단 강화◦ 허위측정이 사회문제화 될 경우 허위측정에 대한 제재수단을 강화하

여 과태료 액수를 높이거나 벌금을 부과하는 방안 추진◦ 허위측정 사실에 대한 공표를 통해 건설업체 이미지에 불이익을 주는

방안 추진

Page 7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1 -

제2절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합리화1. 다중이용시설 관리기준 합리화(1) 현황 및 문제점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의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대상 오염물질 선정과 기준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재검토 필요

- 기준설정을 위해 실시한 연구의 실태조사 조사대상표본의 수가 적고, 오염물질별 인체위해성 평가에 근거한 기준설정 미흡

◦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등 새롭게 증가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실내공기질 기준설정 미흡

- 매년 300여종씩 새롭게 생산되는 화학물질중 실내공기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위해성을 파악하여 실내공기질 규제기준 마련 필요

(2) 개선방안

□ 조사대상물질 선정 및 위해성 평가 실시◦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오염물질(10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ㆍ조사

추진◦ 미규제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조사 결과, 관리가 필요한 오염물질

추가 선정(전문가 자문)

Page 7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2 -

< 조사대상 오염물질(안) >

유지기준(5) 권고기준(5) 미규제 대상오염물질

- 미세먼지

- 이산화탄소

- 포름알데히드

- 총부유세균

- 일산화탄소

- 이산화질소

- 라돈

- 휘발성유기화합물

- 석면

- 오존

- 내분비계 장애물질

(프탈레이트류)

- 아세트알데히드

- 프로피온알데히드

- 벤즈알데히드 등

◦ 각 시설별로 이용자들의 오염물질 예상노출시간을 파악하고 인체영향에 대한 위해성 평가 실시(국립환경연구원)

□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기준의 적합여부에 대한 실태조사◦ 추가 선정 오염물질은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지속적인 조사ㆍ평가

후 기준대상 오염물질로 선정(국립환경연구원, 환경부)◦ 조사결과 기준이 과대․과소 설정된 경우에는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기준 변경

※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개선방향

- 위해성 평가결과 권고기준 오염물질중 관리가 특히 요구되는 것은 유지기준

으로 변경

- 유지기준 오염물질 중 거의 검출이 되지 않거나 위해성이 문제되지 않는

물질은 권고기준으로 변경하거나 대상물질에서 제외

- 미규제 오염물질중 다량 검출되어 규제가 필요한 물질에 대해서는 기준

물질로 편입

Page 7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3 -

2.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기준 설정(1) 현황 및 문제점

◦ 새집증후군(SHS)등 공동주택 실내공기오염 문제해결을 위해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의 시공자는 주민입주 전 유해물질을 측정하여, 출입문 게시판

등 주민들의 확인이 용이한 장소에 60일간 공고 의무화(법 제9조)

※ 시공자에게 오염물질 방출이 적은 건축자재를 자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

◦ 측정물질 :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

디클로로벤젠, 스틸렌) 등 총 7종

◦ 신축공동주택의 측정된 오염물질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없어 국민들에게 막연한 불안감 조성

◦ 일정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국민들은 건축업체간 측정치에 대해 비교를 하게 되므로 건축업체간의 과도한 경쟁 야기

(2) 개선대책

□ 권고기준 설정을 위한 법적근거 마련◦ 시행규칙에 권고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다중

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개정 추진(2005.2 임시국회 상정예정)

□ 실내공기질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연구(Pilot Study) 실시◦ 입주전 신축공동주택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오염물질 농도현황 조사- 수도권지역의 공동주택 총 180여 개소에 대해 업체규모별로 구분하

여 조사 실시

Page 7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4 -

◦ 일본, 홍콩 등 공동주택과 관련한 실내공기질 기준을 설정한 외국사례를 연구하고 기준에 대한 비교․분석

- 일본 :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 13가지 항목에 대한 권고기준 설정(1997-2002년)

- 홍콩 :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11가지 화학물질에 대한 권고기준 설정(2003년)

◦ 포름알데히드 및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분석하고 인체 위해성 측면에서의 허용 농도기준 산정

◦ 건축업체가 준수할 수 있는 수준에서 국민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실내공기질 (잠정)기준 제시

◦ 연도별로 로드맵을 설정하여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방안 검토

□ 잠정 설정된 기준 확정을 위한 실태조사 및 기준조정◦ 전국 공동주택 400~500여개 개소에 대해 지역, 업체 규모별로 구분

하여 조사실시◦ 시민, 환경단체, 건설업체, 자재생산업체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잠정기준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의견수렴◦ 민간단체간담회, 전문가회의,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부처협의, 입법예고, 규제개혁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최종안 제시

Page 8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5 -

3. 기준 합리화를 위한 인체위해성 평가(1) 현황 및 문제점

◦ 실내공기질 기준설정 과정에서 정부차원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인체 위해성 평가 연구 부족

- 체계적이고 장기간에 걸쳐 조사한 연구는 부족하며 조사내용도 몇몇 오염물질에 대한 실태조사에만 국한

◦ 실내환경 오염물질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위해성 평가를 위해 필요한 기반 부족

- 관련 전문인력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한 장기적인 연구․관리대책 미흡

(2) 개선방안

□ 국립환경연구원에 위해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 국립환경연구원에 실내오염 위해성 평가를 위한 실내공기질종합연

구동, 측정장비 등 제반 시스템 구축◦ 국내 위해성 평가 전문가로 자문단 구성(5명의 전문위원 위촉)

□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조사◦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오염실태 조사(오염원 및 오염도)◦ 오염물질과 건축물내 거주자 개인별 반응과의 상관관계 조사◦ 어린이, 병자, 노인 등 노약자 집단에 대한 인체위해성 평가◦ 피조사자의 과거 병력 조사◦ 실내공기질 환경기준 설정을 위한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인체 위해성

간의 일반적인 상관관계 분석

Page 8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6 -

장기적인 정책목표로서의 환경기준 설정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상의 한계

◦ 현재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과 권고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나

국민들이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생활하는데 있어 판단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실내공기질 환경기준은 아직 미설정

◦ 현재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기준이 적용대상별로 설정되어 있어 적용대상이 아닌 시설에 대한 오염물질 농도의 적정성 판단 곤란

◦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준거 및 장기목표로 기능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 장기대책 마련에 애로

※ 대기, 수질, 소음ㆍ진동 등은 개별법에 의한 규제기준과 별도로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환경기준을 규정하여 환경오염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과 쾌적한 환경에 대한

준거로서 기능

□ 「환경정책기본법」에 실내공기질 환경기준 설정

◦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 실내공기질 환경기준

설정

◦ 현재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에 규정되어 있는 실내공기질 권고

기준을 환경기준으로 전환하는 방안 검토

Page 8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7 -

제3절 건축자재 등 오염원 사전 관리1.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1) 현황 및 문제점

◦ 기준이상 오염물질을 방출하는 건축자재를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고 다중이용시설에 사용제한(법 제11조)

◦ 2004년 하반기부터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시장조사를 거쳐 시장점유율이높은 자재부터 선별하여 시험후 공고

- 선별된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는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에 의해 소형챔버법으로 측정

※ 현재 ISO 측정기준이 소형챔버법으로 정립되는 과정에 있으며 일본도 JIS 규격에

소형챔버법 포함

□ 대상별 규제기준에 대한 설정근거 미약◦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에 대한 기준은 연구용역(2003. 1, 경원대)을

통하여 기준을 제시하였으나 그 근거가 미약※ 특히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기준이 완화되어 있어 기준 적정성 문제 제기

◦ 인체 위해성이 불분명한 TVOC를 기준으로 하기 보다는 유해성이 입증된 개별 VOC 기준을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 제기

◦ 동 기준에 대한 규제개혁위원회 심사과정에서 가급적 많은 자재에 대한 검증을 거칠 것을 요구하며 2년간 시행기간(‘06.5.30)을 두고 추후 존속여부를 결정하는 규제일몰제 적용

Page 8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8 -

□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을 위한 시스템 미비◦ 건축자재 방출시험을 위해서는 독립된 전처리실, 실험실 등이 필요하

나 현재 단독 실험공간 미확보 ◦ HPLC, GC/MS, 소형챔버 등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분석

을 위한 전용장비 미확보

□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방출시험계획 및 고시절차 미비◦ 국내에서 생산․판매되는 건축자재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 부족◦ 2만여 종의 건축자재에 대한 구체적인 연차별 측정․고시계획 부재

※ 국내에서 생산되는 2만여 종의 자재와 신규로 시판되는 자재에 대해 모두 측정하기

에는 한계가 있으며 선정과정에서 형평성 문제 대두 우려

◦ 오염방출 건축자재는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고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해 미규정

(2) 개선방안

□ 오염물질 방출시험을 위한 측정시스템 구축◦ 건축자재방출시험을 위한 실험실, 전처리실, 자재보관실 등 오염물질

방출시험시설 및 실내공기질 종합연구를 위하여 국립환경연구원에 “실내공기질종합연구동” 신축(2005. 10)

◦ HPLC, GC/MS 등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방출시설을 위한 실험분석 장비 및 연구인력 확보

Page 8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79 -

□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고시를 위한 구체적 절차 마련◦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시험위원회” 구성(16명의 위원)

- 환경부,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등 관계부처와 국립환경연구원 등 측정기관, 업계대표, 시민단체 등으로 협의체 구성

◦ 기준 이상으로 오염물질이 방출된 자재에 대해서는 재측정 및 업체에 소명기회 부여(청문절차 수행)

◦ 재측정시에도 기준이상 오염물질이 방출되었을 경우 생산업체명, 건축자재명, 방출량 등에 대해 고시하여 다중이용시설에 사용금지※ 오염방출시험대상 건축자재 선정기준

- 국내에서 유통되는 건축자재에 대한 시장조사를 통해 시장점유율이 높은

자재 선정

-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방출된다는 민원이 제기된 자재

- 건축자재생산업계, 시민단체,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시험대상 자재선정

□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방출기준의 합리적 근거 마련◦ 국립환경연구원에서 ‘05. 2월 초까지 200여개 자재에 대한 방출시험을

통하여 합리적인 근거 마련◦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

특성 및 인체 유해성을 조사하여 국내 기술수준 및 경제성, 사회여건 등을 고려한 오염물질 방출기준 제시

- 국내외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 및 규격의 비교분석- 외국의 건축자재 관리방법 및 방출기준 조사

Page 8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0 -

□ 측정방법 일원화 및 측정결과 DB화◦ 기술표준원에서 제정중인 KS규격이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과 일

치할 수 있도록 협의※ 자재의 오염물질 함량과 방출량에 대한 상관관계 및 소형챔버법과 데시케이트법

측정값의 상관관계 규명

◦ 각 건축자재별 현황 및 방출오염도에 대한 자료를 DB화

□ 적용대상 범위를 공동주택으로 확대◦ 현재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는 다중이용시설에만 사용을 제한하고 있

으나 공동주택 ‘새집증후군’방지를 위해 적용대상 범위를 공동주택으로 확대

2. 친환경건축자재 인증제 발전방안◦ 오염물질 다량방출 자재 사용금지와 함께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를 소비

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장에서 자발적 사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친환경 건

축자재 인증제도 도입

※ 현재 환경마크, HB마크가 운영중이며, KS마크는 주로 품질에 중점을 두고 운영

(1) 현황

<환경마크>◦ 환경마크협회는 '92년 4월부터 환경마크제도(환경표지)를 시행하고

있으며 건축자재 분야에 41개 업체(144개 자재)에 대해 인증(페인트, 벽지, 보온단열․흡음재, 실내용 장식 바닥재 등)

Page 8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1 -

◦ 제품(원목을 주원료로 한 제품은 제외)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28일 후 방산량은 0.2mg/㎡․h 이하이거나 7일 후 방산량이 0.4mg/㎡․h 이하

< 목제 바닥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기준예 >

구 분 파티클보드 섬유판 기타 재료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mg/L] 1.5 이하 1.5 이하 0.5 이하

<HB마크>◦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건축자재에 대해 오염물질 방출실험을 실시하

여 실험결과에 따라 HB마크 부여('04.2월부터 시행)

< HB마크 등급기준 >(단위; ㎎/㎡․h)

구 분 일반자재 페인트 접착제

표시(5개)◦◦◦◦◦

TVOC 0.10 미만 0.10 미만 0.25 미만HCHO 0.03 미만 0.03 미만 0.06 미만

표시(4개)◦◦◦◦

TVOC 0.10 이상~0.20 미만 0.10 이상~0.20 미만 0.25 이상~0.50 미만HCHO 0.03 이상~0.05 미만 0.03 이상~0.05 미만 0.06 이상~0.12 미만

표시(3개)◦◦◦

TVOC 0.20 이상~0.40 미만 0.20 이상~0.40 미만 0.50 이상~1.50 미만HCHO 0.05 이상~0.12 미만 0.05 이상~0.12 미만 0.12 이상~0.40 미만

표시(2개)◦◦

TVOC 0.40 이상~2.00 미만 0.40 이상~2.00 미만 1.50 이상~5.00 미만HCHO 0.12 이상~0.60 미만 0.12 이상~0.60 미만 0.40 이상~2.00 미만

표시(1개)◦

TVOC 2.00 이상~4.00 미만 2.00 이상~4.00 미만 5.00 이상~10.00 미만

HCHO 0.60 이상~1.25 미만 0.60 이상~1.25 미만 2.00 이상~4.00 미만

Page 8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2 -

<KS마크>◦ KS마크는 가구류의 소재인 합판, 섬유판, 파타클보드류와 벽지, 벽지용

전분계 접착제 등을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 따라 등급화< KS 규격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기준 >

일반자재 등급포름알데히드 방산량(㎎/L)

평 균 최 대

합판 (KS F 3101)기타 합판류

F1 0.5 0.7

F2 5 7

F3 10 12

파티클보드 (KS F 3104)섬유판 (KS F 3200)치장 목질 플로어링보드 (KS F 3126)

E0 0.5

E1 1.5

E2 5

무늬목 치장합판 플로어링보드(Ks F 3111)

일반용 10 12

온돌용 5 7

벽지(KS M 7305) - 2

벽지용 전분계접착제(KS F 3217) 5

<환경마크, HB마크, KS마크 비교 >

구 분 환경마크 HB마크 KS마크

인증기관 환경마크협회 한국공기청정협회 한국표준협회

법적근거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법률 제20조 -산업표준화법

제11조, 13조

시험 항목(환경성

관련 항목)

12항목실내공기(포름알데히드, TVOC, VACs등)중금속 등 유해물질 함량(납, 카드뮴, 비소, PBBs 등)자원 및 에너지, 소비 등 환경전반 평가

2항목실내공기(포름알데히드, TVOC)

1항목(포름알데히드)

인증 성격 환경부 공인 인증 민간 자율인증 산자부 공식인증

Page 8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3 -

(2) 운영상 문제점

□ 인증제도가 분산되어 관련업체에 비용부담 우려◦ 자재 생산업체는 건축업체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동일한 제품에 대해

HB마크, 환경마크, KS마크 등 여러 인증을 중복 취득하는 경우 발생

◦ 제품별로 각각 인증을 취득해야 하므로 중소 자재생산업체의 경우에는 취득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부담 우려

※ 환경마크는 연간 270~680만원(신청료10만원, 검사비 170만원, 연간 마크사용료

90~500만원), HB마크는 연간 330만원(검사비 250만원, 심의료 30만원, 3년간 사용료

150만원)

□ 인증제도의 신뢰성 부족과 인증수준의 적정성 논란◦ HB 마크의 경우 공인된 측정기관이 아닌 대학연구소에서 측정함에 따

라 측정의 신뢰성 문제 제기※ 외국 수출시 HB마크가 국제적인 공인을 받지 못해 별도 인증 취득

◦ HB마크의 경우 기준이 너무 완화되어 있어 최우수 등급을 받기가 수월하다는 지적 제기

◦ HB마크는 오염물질 방출수준에 따라서만 인증이 이루어지고 제품의 성능에 대한 고려는 전무한 반면 KS마크는 환경적 고려 미흡

□ 각 인증제별 측정방법 차이로 인한 혼란◦ 포름알데히드는 KS마크와 환경마크는 데시게이터법을 사용하고 HB

마크는 소형챔버법을 사용하고 있어 측정치 비교 곤란◦ HB마크의 경우 목질제품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이로운 휘발성유기화

Page 8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4 -

합물까지 TVOC로 산정되는데 대한 자재업체의 불만(2) 개선대책

◦ 환경마크와 HB마크 인증제도를 각각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여 발전

※ 단 시장에서 소비자가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각 인증제도에 대한 정확한 정

보 제공

◦ 인증제의 신뢰성 제고를 위하여 적정인증수준 모색과 측정방법 일원화 추진

□ HB마크 개선방안◦ 현행 인증비용(검사비 250만원, 심의료 30만원, 3년간 사용료 150만원)에

대해 재검토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인증이 가능하도록 유도◦ HB마크 인증의 주무단체인 (사)한국공기청정협회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여 인증의 공정성과 투명성 강화◦ 건축자재 방출시험 결과와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1등급에서

5등급까지 기준을 합리적으로 조정※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방법을 개선하여 TVOC중 인체에 유익한 물질은 합산과정에서

제외되도록 조정하거나 인체위해성이 입증된 개별 VOC기준으로 전환하는 방안 검토

□ 환경마크 개선방안◦ “친환경상품구매촉진법”을 제정하여 환경마크 부착상품에 대해서는

공공기관 구매시 우선구매 되도록 조치◦ 친환경가구, 친환경사무기기, 친환경건축자재, 친환경수도용기자재 등

품목별로 특성화◦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해 오염물질 방출 기준에 따라 등급제 실시 검토

□ KS마크 개선방안

Page 9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5 -

◦ 제품의 성능외에도 실내공기질 등 환경적 고려 강화 추진3. 건축자재외 오염물질 방출제품 관리방안(1) 현황

◦ 가구, 방향제, 살충제, 세정제, 향수, 화장품 등 각종 생활용품에서도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오염물질 배출

◦ 특히 폐목제, 톱밥, 박피 등과 같은 재료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만든 합성목재에서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유해물질 방출

< 생활용품에서 발생하는 주요 오염물질 >

발생원 오염물질

생활용품

난방기구(가스, 석유 등) CO2, CO, 암모니아, NO, NO2, VOC

가습기, 공기정화기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오존

방향제, 살충제, 세정제 포름알데히드, VOC

의류 미세먼지, 세균, 곰팡이, VOC

화장품 VOC

사무기기(복사기 등) 오존, 포름알데히드, VOC

가구 포름알데히드, 트리클로로에틸렌(TCE)

건축자재 벽지, 바닥재, 접착제, 페인트, 단열재 등 포름알데히드, VOC, 라돈

(2) 문제점

◦ 건축자재외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기타 실내 오염물질 및 발생원에 대한 관심 부족

-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는 가구,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함유된 향수, 화장품 등에 대한 관리 소홀

◦ 각종 오염원으로부터의 오염물질방출강도, 인체영향 등에 대한 실태조사 및 대책이 미흡

Page 9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6 -

- 생활용품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측정방법 미비(3) 개선방안

□ 가구류에 대한 방출시험을 통해 오염물질 다량방출 가구 규제검토◦ 가구에 대한 시장조사, 외국사례 비교․분석, 가구에서 방출되는 오염

물질 방출특성 등에 대한 실태조사※ 가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대형챔버법 등 측정방법이

국제적으로 확립되면 도입여부 검토

◦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기준이상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가구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

※ 방출시험결과를 토대로 가구 오염물질 방출량 기준 제정 등

□ 기타 화장품, 향수, 살충제 등에 대한 유해물질 관리대책 추진◦ 화장품, 살충제 등 각 제품군별로 유해물질 함유량에 대한 실태조사◦ 유해화학물질을 기준이상 함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함량규제 검토

-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해물질 함유량에 대한 정확한 표기를 의무화

□ 오염물질 저방출 생활용품에 대한 인증제 추진◦ 환경마크제도 등 관련 인증제를 활성화하여 친환경 생활용품 사용

확대 유도- 환경마크제도의 대상품목에 제외되어 있는 카펫, 살충제 등을 대상

품목에 포함◦ 각 사업자단체 자율로 오염물질이 적게 방출되거나 함유된 제품에 대

Page 9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7 -

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유도제4절 환기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관리1. 환기설비의 설치 및 관리 (1) 현황 및 문제점

◦ 기존시설에 대한 환기설비 소급적용 문제- 실내공기질 기준을 준수하는 기존 시설도 3년 이내에 공기정화설

비 또는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소급적용의 문제발생※ 만일 동 조항대로 기존 건물도 환기설비 설치를 강제할 경우 소급적용에 따른 건물

주에 대한 비용부담 (건축비의 1~5%) 문제발생

- 특히 기존 다중이용시설이 임대차일 경우, 환기설비 교체공사 등의 불편을 이유로 건물소유자의 일방적인 계약해지 통보 등이 우려

※ 규제개혁위원회는 이를 이유로 부칙 제2항 단서 삭제권고

<기존 시설에 대한 환기설비 설치의무 삭제>

◦ 기존 시설도 3년의 범위내에 환기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한 부칙 제2항 단서를 삭제(2005년 2월 임시국회 상정을 목표로 법개정 추진)

◦ 공동주택 환기설비 기준미비-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환기설비 기준은 있으나 공동주택의 환기설

비 기준은 미설정- 최근 자연환기가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여서 이에 대한 대책 필요◦ 주요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환기기준 미설정

- 현재의 환기설비 기준이 온도, 이산화탄소 등에 중점을 두고 있어 다중이용시설에서 특히 문제되는 미세먼지와 공동주택의 포름

Page 9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8 -

알데히드 등 주요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환기기준 미설정

(2) 개선방안

□ 환기설비 기준 및 제시방향

◦ 적정 실내공기질 유지를 위한 건물의 용도별 환기장치설치의 최적화

◦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환기시스템의 운전방안 및 관리기법 정립

◦ 환기시스템 정착을 위하여 환기성능, 환기효율의 측정 및 평가방법 제시

□ 환기설비 설치기준 설정환기설비 설치기준

다중이용시설

◦ 다중이용시설별 특성에 따른 환기설비 제시

◦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 설치기준 제시

- 환기설비 종류, 용량, 설치위치 등

◦ 이산화탄소 외에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미세먼지(PM10) 저감을 위한

환기기준 제시

- 덕트형, 벽설치형 등 환기설비 유형별 관리 및 점검방법

공동주택

◦ 공동주택별 특성에 따른 설치가능 환기설비 유형 제시

◦ 공동주택의 환기설비 설치기준 제시

- 환기설비 종류, 용량, 설치위치 등

- 이산화탄소 외에 HCHO나 VOC 등에 따른 환기기준 제시

□ 실내공기질 적정관리 행동지침 제시◦ 환기방법, 청소방법, Bake-Out 요령 등 실내공간에서 거주자 및 관리

Page 9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89 -

자들이 손쉽게 이행가능한 행동지침 제시< 환기시스템 >

필요환기량 결정

ᆞ 건물용도별

ᆞ 제거대상 오염물질별

HCHO 담배연기

CO2 미세먼지

VOC Co

실내오염 공기제거

외기도입제어시스템

배기 흡기

환기시스템 설계방안

최적 유지관리방안 도출

□ 환기설비 설치 확대를 위한 설치비 지원 검토◦ 기존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환기설비를 설치하는데 많은 부담이 있

으므로 시설설치비 일부 지원 필요◦ 환기설비 설치비 지원기준 마련 및 지원예산 확보

- 영유아 보육시설, 노인복지시설 등 노약자 시설이면서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환기설비 설치비 지원이 시급히 요구되는 시설 선정

◦ 다중이용시설 환기설비 설치비에 대한 국고지원 여부 검토

Page 9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0 -

2. 공기청정기 관리강화(1) 현황 및 문제점

□ 현황◦ 최근 “새집증후군” 등 실내공기 오염이 사회문제화 되고 국민의 웰빙

(Well-Being)의식 확대로 공기청정기가 인기상품으로 부각<공기청정기 종류>

구분 공기정화원리 비고

기계식 필터를 사용하거나 물을 분무하여 집진 및 탈취 -

전기식 고전압을 이용하여 분진을 하진시켜 집진 및 탈취 고전압에 의한 오존발생

복합식 기계식과 전기식의 기능을 복합하여 집진 및 탈취 〃

◦ 공기청정기 생산현황-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망라하여 총 103개 업체에서 공기청정기 생

산구 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시장규모 1,200억원 1,400억원 1,700억원 2,200억원 3,000억원

생산대수 25만대 30만대 36만대 45만대 60만대

◦ 공기청정기 성능규격 현황

Page 9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1 -

인증종류 규격명 인증기관 특 징

KS마크KS C 9314-1994 (공기청정기)

한국표준협회

◦ 일본규격(JIS C 9615-1995)을 도입하여 규정

◦ 집진효율은 덕트를 이용한 비색법, 가스제거효율은 SO2, NOx에 대하여 덕트법을 사용

◦ 오존 농도는 0.05ppm 이하

환경마크(EL407-2003/1/2003-114)

환경마크협회

◦ 외부로 발생하는 오존 농도는 0.01ppm 이하

◦ 소음기준, 재활용 용이성 기준

◦ 가스 제거용량 등은 KS 규격과 동등하고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의한 전기용품 안전기준에 적합

CA마크 KACA 1998-01한국공기청정협회

◦ 집진, 탈취, 소음, 오존, 적용범위에 대하여 시험법을 규정

◦ 오존농도는 0.05ppm 이하

□ 문제점◦ 공기청정기 업체 난립 및 불량제품으로 인한 민원 발생

- 100개 이상 넘는 업체에서 공기청정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일부 불량 공기청정기로 인한 민원발생

◦ 공기청정기에서 발생하는 오존으로 인한 인체위해 우려- 고전압을 이용하는 전기식 공기청정기의 경우 고전압에 의한 오존

이 발생하여 인체위해 발생- 오존에 대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만 규정되어 있고 공기청정기 자

체에서 발생되는 오존에 대한 규제 불비

(2) 개선대책

□ 공기청정기 성능기준 제시◦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공기청정기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 공기청정기 성능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여 공인된 성능기준을 마

련하고 KS규격 등에 반영

Page 9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2 -

□ 공기청정기 선택에 대한 정보제공◦ 공기청정기의 효과, 선택기준,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책자 제작◦ 냄새제거, 살균 등 사용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도록 홍보◦ 처리용량, 발생 오존량 등에 대한 정확한 표기를 의무화하고 위반시

소비자보호원, 공정거래위원회 등과 협조하여 제재□ 공기청정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에 대한 규제기준 마련◦ 공기청정기에서 발생되는 오존 기준을 마련하여 오존이 기준이상 생

성되는 공기청정기의 판매를 제한함으로써 부작용 방지

Page 9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3 -

3. 실내공기오염 저감을 위한 건축단계별 개선방안◦ 건축물의 전생애단계에서 사전예방적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확립

◦ 건축물의 설계ㆍ시공ㆍ운영의 각 단계에서 청정기술의 적용, 친환경 건축자재

의 사용 등을 통하여 실내공기 오염원을 줄임으로써 사후적인 관리비용 절

□ 건축물의 설계단계에서 실내공기질 개선 시스템 고려◦ 건축자재 및 공법의 변화, 건축 수요의 변화, 국제 기술수준 및 기

준의 변화 동향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환기설비 및 공기정화설비의 설치기준 마련◦ 건축물의 실내공기질 유지 및 적정 환기가 가능하도록 설계지침 제시

□ 건축물의 시공단계시 목표성능 실현 노력◦ 시공자를 위한 실내공기질 유지관리 지침의 개발 및 보급◦ 오염물질 저방출 건축자재의 사용 확대를 위한 시방기준 제정◦ 감리 대상에 친환경 건축자재의 사용 및 실내공기오염 저감공법 시

공여부 등을 확인하도록 권고

□ 공동주택의 사용단계시 쾌적한 실내공기 환경 관리지침 수립ㆍ운영◦ 건축물의 전 생애과정 중 거주자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용단

계에서 실천적 지침 개발ㆍ운영◦ 입주자 및 관리자를 위한 실내공기질 유지관리 지침의 개발 및 보급◦ 환경친화적인 건물의 개․보수방안 수립

Page 9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4 -

제5절 대상시설 확대 및 기타시설 관리방안1. 다중이용시설 적용대상 확대(1) 현황 및 문제점

◦ 법 시행초기인 점을 이유로 우선 면적이 큰 시설에 한정하여 적용대상으로 함으로써 소규모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 곤란

◦ 시행령에서 적용대상에 편입된 시설중 영유아 보육시설, 노인의료시설 등 일부는 국공립 시설에 한정

◦ 보건복지부에서 이관 받은 시설 등 시행령에 규정하고자 하였던 주요 시설이 규제개혁위원회 심사시 적용대상에서 제외

- 업무시설, 2이상용도 건축물, 공연장, 실내체육시설 등◦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민원이 많은 시설이면서 아직 적용대상에 포함

되지 못한 영화관, 음식점 등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 부재

(2) 개선대책

□ 실태조사를 통한 대상시설 확대◦ 실태조사 결과를 근거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실내공기 오염이 심

각한 시설부터 규제심사를 거쳐 대상시설에 편입- 국공립보육시설 등 국공립으로 한정된 시설은 민간이 운영하는

시설까지 대상 확대◦ 소규모 시설도 실내공기질 관리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적용대상 면

적의 범위를 점차 확대

Page 10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5 -

□ 적용대상 시설 확대예고◦ 점진적으로 대상시설을 확대해 나가고 국민이 예측할 수 있도록 관

리대상시설 및 기준을 사전에 예고※ 제23회 국무회의(2004. 5.18)시 대통령님 말씀 : 실내 공기질의 유지․관리 대상시설 및

기준을 사전에 예고하여 시설주 등이 미리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바람

구 분 2005 2006 2007 2008

향후 적용대상 -

업무시설,

영화관,

지하상점가

음식점,

학원공연장

2. 공동주택 적용대상 확대(1) 현황 및 문제점

◦ 적용대상 공동주택을 아파트와 연립주택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다세대주택과 기숙사는 제외

◦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만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세대수가 작을수록 오히려 관리의 필요성이 긴요

- 중ㆍ소규모 건축업체가 건축하는 소규모 공동주택일수록 비용절감을 위해 오염물질이 다량 방출되는 건축자재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음

◦ 최근 “새집증후군”이 사회문제가 된 이후 100세대 이하의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도 대상에 포함시켜 달라는 많은 민원이 제기

Page 10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6 -

(2) 개선방안

□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 공동주택중 다세대주택, 기숙사 및 100세대 미만 주택 등에 대한

현황 조사◦ 100세대 미만 공동주택에 대하여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오염농도 실태조사

□ 공동주택간 오염도 현황 분석 및 규제 필요성 검토◦ 소규모 공동주택 등에 대한 규제에 따른 편익과 비용을 분석하여 규

제필요성 검토◦ 현행 적용대상 공동주택과 소규모 공동주택과의 오염현황 비교․분석

□ 단계적 적용대상 확대◦ 향후 공동주택의 범위에 다세대주택 및 기숙사 포함 추진◦ 모든 공동주택에 대해 100세대 이상만 적용되도록 한 것에서 연립

주택은 50세대 이상일 경우 적용대상이 되도록 확대◦ 최종적으로는 모든 공동주택이 적용대상이 되도록 확대

Page 10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7 -

3. 기타 시설 관리방안가.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방안(1) 관리의 필요성

<학교 실내공기질의 특징>◦ 학교의 교실환경은 중앙공급식인 공기조절 장치가 아니라 대부분 창문을 이용

한 자연환기시스템으로 외부 환경영향에 취약

- 외부 환경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2중창 등으로 창문을 밀폐하여, 건축물의 단

열재, 실내내장재 등에 의한 유해물질 방출

◦ 학교는 같은 면적에 활동하는 학생수가 사무실용 빌딩에 근무하는 사람보다

약 4배 이상 많아 학생활동에 의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으로 실내 공기

열악

◦ 특히, 학교 교육은 미술ㆍ과학ㆍ가정수업 등의 오염원으로 인하여 다양한 오염

물질 존재

◦ 학교 내의 “좋은 실내 공기질”은 건강한 실내환경 유지 및 학습효과 향상에 중요 요소

- 성장기 학생들이 거의 대부분의 시간(7시간~14시간)을 학교에서 생활

◦ 실내 공기질 관리가 적절치 않을 경우 건강 및 교육환경 등에 많은 문제점 발생

- 기침, 눈병, 두통, 천식 등 알레르기 반응 등 장․단기 건강문제 증가 및 공기감염성 질병의 확산 촉진

- 학생들에게 나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불쾌감과 질병 또는 결석 등을 유발하고 교사들의 업무효율 저하

◦ 성장기 어린 학생들은 몸무게에 비해 더 많은 양의 공기를 호흡해야

Page 10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8 -

하므로 어른들보다 실내공기오염에 더욱 민감(2) 현황 및 문제점

◦ 전국의 초등, 중등, 고등학교의 수는 2003년 현재 총 11,129개로 매년 100여개교 이상의 학교 신설

<연도별 학교현황>

구분 1999 2000 2001 2002 2003

계 11,129 10,810 10,883 10,982 11,112

초등학교 6,283 5,931 5,953 5,987 6,041

중 학 교 2,789 2,795 2,829 2,865 2,903

고등학교 2,057 2,084 2,101 2,130 2,168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2년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학교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리항목 및 농도기준을 설정하였으나 관리항목 과소

- 실내공기질에 대한 2가지 규제항목 및 허용기준(CO2 농도 : 1,000ppm, 미세먼지 : 150㎍/㎥) 설정으로 다중이용시설등실내공기질관리법상의 10개 항목에 비해 부족

- 이 기준을 5년의 유예기간을 두어 기준에 적합하게 보완토록 규정

◦ 환경부는 실내공기질을 측정함에 있어 정확성과 통일을 유지하기 위하여「실내공기질공정시험방법」을 고시(제2004-80호, 2004.6.5) 운영하고 있으나, 학교보건법에서는 아직까지 측정방법에 대하여 미설정

Page 10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99 -

◦ 신축 학교 및 학원에 대한 건축자재 및 재료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인 HCHO와 VOCs에 대하여 규제기준 미설정

Page 10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0 -

(3) 개선방안

□ 효율적인 유지관리 기준 및 행정체계 확립◦ 학교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관리항목 추가 및

관리기준 강화◦ 신축학교에 대하여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에 대한 사용제한 규제 도입 추진◦ 교육인적자원부를 중심으로 관련부처, 전문가 및 학부모 등이 참여하

는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 협의체 설립□ 학교 공기질 평가를 위한 측정방법 설정 및 정기적인 측정◦ 정확한 측정과 관리를 위하여 학교실정에 적합한 실내공기질 평가를

위한 측정방법 설정◦ 학교시설 관리자는 정기적인 검사와 측정을 통하여 발생오염물질의

발생경로를 파악하여 오염물질 발생을 근원적으로 제거□ 전담인력 지정 및 교육◦ 장기적으로 환경보건 전담인력을 육성하여 학교 또는 교육행정기관에

배치하는 방안 검토◦ 학생, 학교직원을 대상으로 실내환경개선을 위한 교육 실시

- 보건(환경) 교육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방안 검토□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학교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위한 지침서를 개발하여 보급(2005년까지)◦ 오염물질다량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제한, 환기시설 설치기준 등 학교

건물의 개조나 건축시 사용할 수 있는 설계지침 작성 제공

Page 10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1 -

나. 업무시설(사무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방안(1) 현황 및 문제점

◦ 대부분의 국민이 업무시설 등에서 장시간 생활하고 있어, 업무시설의 괘적한 실내환경 유지는 국민의 건강 및 업무능률 향상에 중요 요소

◦ 현재, 업무시설(사무실)은 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에 의한 사무실과 보건복지부의 공중위생관리법에 의한 업무시설이 중복규제

주 관 법적근거 측정항목 및 기준 비 고

사무실, 작업장 노 동 부 산업안전보건법CO(10ppm), CO2(1,000ppm), 호홉성 분진(150㎍/㎥), 포름알데히드(0.1ppm)

업무시설 보건복지부 공중위생관리법미세먼지(150㎍/㎥), CO(25ppm), CO2(1,000 ppm)

※ 사무실 :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실내공간과 그 부속시설인 휴게실ㆍ식당ㆍ화장실

ㆍ회의실ㆍ강당ㆍ보건의료시설ㆍ복도ㆍ계단 등의 공간(산업보건기준에관한

규칙 제46조)

※ 업무시설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외국공관의 건축물 등 공공업무시설과

금융업소, 사무소, 오피스텔(업무와 주거를 함께할 수 있는 건축물) 등의

일반업무 시설을 의미(건축법시행령 별표 1)

◦ 실내공기 오염물질 관리항목이 사무실 4개 항목, 업무시설 3개 항목으로 한정

- 신축 사무실(또는 업무시설)에 대하여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인 HCHO와 VOCs에 대한 규제 미비

◦ 보건복지부는 “공중이용시설위생에관리기준에대한공정시험법”(1990.12.29)을 제정운영, 노동부는 시험방법 미설정※ 환경부는 오염물질 측정의 정확성과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고시(제2004-80호, 2004.6.5) 운영

Page 10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2 -

(3) 개선방안

□ 업무시설과 사무실에 대한 중복규제 해소◦ 업무시설과 사무실로 중복하여 관리하는 것을 일원화◦ 사무실에 해당하지 않는 업무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를 “다중이용

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에 편입 추진□ 사무실과 업무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강화

◦ 사무실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사무실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해 필요한 관리대상 항목 확대

◦ 관리기준, 관리항목, 허용기준 및 시험방법 등 관리기준 강화□ 신축 사무실 또는 업무시설에 대하여 오염물질다량방출 건축자재의 사

용제한 규정 법제화◦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오염물질을 다량 방출하는 건

축자재 사용제한 대상을 사무실 등으로 확대

다. 소규모 다중이용시설 적정 관리방안(1) 현황 및 문제점

◦ 노래방, PC방, 소형 음식점, 주점 등 소규모 시설에 대한 관리 부재-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이며 실내흡연, 연소기구 사용 등으로 실내

공기오염이 심각하나 아직 법 적용대상에서 제외◦ 소규모 시설에 대한 규제는 관리 행정력상의 문제, 오염물질 측정비용,

환기설비 설치비용 등 문제발생 예상

Page 10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3 -

(2) 개선대책

□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다중이 이용하는 소규모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 오염도 실태조사를 통

해 오염현황 및 주요 오염원 파악□ 행정지도를 통한 자발적 저감 유도◦ 노래방협회, 요식업협회 등 업주대표기구와 협의를 통해 실내공기 오

염을 자발적으로 저감하도록 유도◦ 주요 소규모 시설업계와 실내공기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체결

□ 실내공기 오염저감을 위한 지침서 배포◦ 실내금연, 적정환기 등 업주 스스로 실내공기 오염저감이 가능하도록

관리지침서를 제작하여 각 업소에 배포

라. 특수 실내환경 관리방안(1) 현황 및 문제점

◦ 특수 실내환경에서는 환기상태, 공기체적 등에 따라 오염의 정도가 가중되며 외부공기와의 순환이 어려워 장시간 오염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

※ 특수 실내환경 : 자동차, 지하철, 비행기, 선박, 방공호, 잠수함 등 건축물 외의

실내공간

◦ 특수 실내환경내 다양한 실내오염물질에 의한 위해요인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영향에 관련된 연구나 법규는 미비한 실정

※ 최근 새차 운전시 두통, 현기증 등이 발생하는 ‘새차증후군’ 문제 대두

Page 10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4 -

(2) 개선방안

□ 주요 특수실내환경에 대한 오염실태조사◦ 특수 실내 환경내의 종합적인 실태조사와 함께 인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 파악- 각 특수 실내환경별 오염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유해인자에 대한

발생원 및 발생량을 추정하고 환경별 특성 파악

□ 특수 실내환경의 공기질 권고기준 및 공조시설기준 제시◦ 각 특수 실내환경 및 이용자의 특성과 노출시간 등을 고려한 실내공

기오염물질의 권고기준 설정◦ 특수실내환경의 공기질 유지를 위한 적정 공조설비 기준 제시

□ 특수 실내환경 관리에 대한 홍보강화◦ 특수 실내환경에 대한 홍보로 노출자의 인체 영향을 인식시켜 사회적

차원에서의 실내공기오염 물질에 대한 노출감소를 유도※ 홍콩의 경우 다중이용시설 및 공동주택 이외에도 특수 실내환경에 대한 홍보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Page 11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5 -

제 6 장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Page 11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6 -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부문별 관리지원

법ㆍ제도 정비

◦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 학교보건법

◦ 산업안전보건법 등

실내공기질 관리

기반 구축

협력체계 구축

◦ 관계부처

◦ 전문가

◦ 언론 및 시민단체

◦ 관련업계

관리체계 강화

◦ 정부

◦ 연구기관

◦ 지방자치단체

교육ㆍ홍보 강화

◦ 실내공기질관리

지침서 제작ㆍ배포

◦ 다중이용시설 관리

책임자 교육

◦ Web-site 운영

투자재원 확보

◦ 실내공기질 조사연구비

◦ 연구시스템 구축비

◦ 환기설비 설치비

기술개발 지원

◦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

◦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육성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총괄)

Page 11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7 -

제1절 법ㆍ제도 정비현행 실내공기질 관련법 체계에서 관리체계의 분산, 적용대상 시설의 제한 등

입법상 미비점은 관련법의 제ㆍ개정시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하여 관련사항의

정비 추진

(1)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개선방안

□ 기존시설에 대한 환기설비 설치의무 규정 삭제◦ 부칙 제2항 단서에 의하면 기존 시설도 3년 이내에 법 제8조에 의한

공기정화설비 또는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소급적용의 문제발생※ 정부원안에는 없었으나 국회 법사위 심사시 동 경과조치 규정 삽입, 하위법령 규제

개혁위원회 심사시(2004.4) 삭제 권유

◦ 특히 기존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유지기준을 준수하는 기존 건물도 환기설비 설치를 강제할 경우 소급적용에 따른 건물주에 대한 비용부담이 크고(건축비의 1~5%) 임대차일 경우, 환기설비 교체공사 등의 불편을 이유로 건물소유자의 일방적인 계약해지 통보 등이 우려됨

⇒ 기존 시설에 대한 환기설비 설치의무 소급적용에 따른 사회적 혼란을 막고 하위법령 미비를 방지하기 위해 부칙 제2항 단서 삭제

□ 지하도 상가중 지상건물에 딸린 지하층 시설 제외규정 삭제◦ 법 개정시('03.5.29) 지하도 상가중 지상건물에 딸린 지하층 시설의 실내

공기질은 보건복지부에서 공중이용시설(공중위생관리법)로 관리하고 있어 적용대상에서 제외

Page 11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8 -

◦ 시행령에 대한 부처협의시 보건복지부에서 관리하던 공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환경부로 이관하기로 합의('04.2.9)에 따라 제외규정 삭제

⇒ 모든 지하상점가를 적용대상으로 하기 위해 법률 제3조제1항제2호에서 “(지상건물에 딸린 지하층의 시설을 제외한다)”는 규정 삭제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설정◦ 내년 말까지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을 마련하여 환경부

령에 규정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법률에 근거가 필요⇒ 법 제9조에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

한다.”는 제3항을 신설하여 근거 마련

□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사용제한을 공동주택에도 확대◦ 법 제11조제2항에 의해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는 다중이용시설에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으나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증후군” 등 공동주택 실내공기오염 방지를 위해 공동주택에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더욱 긴요

※ 최근 서울경제신문(‘04.4.26)에서 공동주택에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 사용을 허용

하는데 대해 문제제기가 있었으며, 소비자보호원, 민간단체 등에서도 공동주택에 대한

사용제한을 건의

⇒ 법 제11조 제2항에서 “다중이용시설”을 “다중이용시설 또는 공동주택”

Page 11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09 -

으로 개정하여 사용제한 범위 확대□ 건축자재외 오염물질 방출상품 관리근거 마련◦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사용제한 외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기타 실내 오

염물질 및 발생원에 대한 관심 부족※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는 가구,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함유된 향수, 화장품 등

◦ 기준이상 오염물질이 방출되는「가구」등의 생활용품 관리를 위한 법적근거 마련 추진

(2)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하위법령 개정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실내공기 오염이 심각한 시설부터 규제심사를 거쳐 대상시설에 편입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을 마련하여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에 규정

(3)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법률 개정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법률」의 측정대행업 관리규정에 실내공기질 측정대행업을 추가하여 측정대행업자의 위법행위에 대한 행정처분 근거 마련

◦ 측정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허위측정, 무자격측정, 허위결과보고 등에 대해 엄격한 제재 조치

(4) 기타 관련법의 개정

◦ 시설 이용자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오염물질 관리항목 추가 및 관리기준 강화

Page 11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0 -

- 학교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공중위생관리법 등

Page 11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1 -

제2절 실내공기질관련 산업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실내공기질 개선과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하여 실내공

기질 관리기술 개발과 환경산업의 육성ㆍ발전 적극 지원

(1) 현황

□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현황◦ 최근 자재업계는 “새집증후군”의 부각과 국민의 Well-Being 의식을

고려하여 오염물질 방출이 없는 건축자재 및 소재 적극 개발- 보행재(장판), 카펫, 강화목 바닥재, 페인트ㆍ접착제, 미장재, 레크타

일 실내마감재, 빌트인가구 등에서 친환경건축자재 개발<주요 자재업계별 친환경자재 개발현황>

A 사ㆍ바닥재 : 화농성질환, 대장균 등 650여개 유해균 차단

ㆍ벽 지 : 유해물질 방류량 삭감

B 사 ㆍ페인트 : VOC 방출이 없는 무취형 도료

C 사 ㆍ단열재 : 흡음, 단열마감재로 사용되며, 해충, 진드기, 흰개미, 곰팡이 예방

D 사 ㆍ바닥재 : 대나무와 천연 아교등을 사용 유해물질 예방

E 사 ㆍ벽 지 : 천식,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방지효과

F 사 ㆍ페인트 : 탈취 및 방취효과

G 사 ㆍ페인트 : 시멘트 독성 중화효과

□ 실내공기질 오염저감기술◦ 최근 건물의 고단열ㆍ고기밀화로 환기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실내공

기의 쾌적성과 에너지를 고려한 신개념의 환기설비 개발 착수- 국내 환기설비 관련기술은 현재 일본의 약 50~70% 수준

Page 11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2 -

<국내와 일본의 주요 환기시스템의 기능별 비교>

24시간 환기시스템의 종류VOC제거효과

에어밸런스

기계소음

외부소음침입

황사분진대응

시공성

국내국내 주요 보급 타입

(강제급기+강제배기 타입)○ ○ △ △ ○ ○

일본

단순 강제배기+자연급기 타입 △ △ ○ △ △ ◎

강제급기+유틸리티팬에 의한 강제배기

타입(거실 외벽에 급기팬 설치 형태)○ ◎ △ △ ○ ◎

강제급기+유틸리티팬에 의한 강제배기

타입(실내덕트 중간에 급기팬 설치형태)○ ◎ △ ○ ○ ○

발코니 외부에 급ㆍ배기팬(열교환유티트)을

설치한 강제 급배기 타입○ ◎ ◎ ○ ○ ○

※ ◎ : 매우우수, ○ : 우수, △ : 보통

◦ 공기청정기 생산기술은 거의 선진국과 동등한 수준(80%~90%)까지 도달하였으며 광촉매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50% 정도

<공기정화기 부품 국산화율>

부품 Air Filter 탈취 Filter Fan & Motor

국산화율 90% 70% 80%

□ 측정기기의 국산화 현황◦ 휘발성유기화합물․포름알데히드 시료채취기(50%), 화학발광법 오존

측정기(20%) 등 일부에 대해서만 국산화가 이루어졌고 나머지는 거의 수입기기에 의존

□ 실내공기질 관련 차세대 핵심 기술개발 현황◦ '01년부터 '04년까지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 개발사업은 총 12개 과제

수행중(61억원)

Page 11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3 -

(2) 문제점

◦ 실내공기질관련 업계별로 차이는 있으나 실내공기질 국민인식 제고에 따라 투자를 시작하는 단계

<실내공기질 관련 사업현황 및 문제점>

구 분 현황 및 문제점

건설업계

◦ 대기업에서는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ㆍ공고에 대비하여

‘건강주택팀’ 등의 T/F를 구성하고 청정아파트 개발추진

◦ 일부 중소기업에서 실내공기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제반여건상 대비가 미흡

자재업계

◦ 대기업을 비롯한 일부 자재업체는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을 통해

시장점유율 제고와 기업 이미지 개선 도모

◦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는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에 소극적

입장 견지

가전업계

◦ 최근 “새집증후군”의 부각과 국민의 웰빙의식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대기업에서도 공기청정기 본격 생산

◦ 일부 불량공기청정기로 인한 민원발생

측정기생산업계◦ 국내 업체의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측정기기 생산수준이 낮아 거의

모든 제품을 수입하여 사용

◦ 중소기업 및 영세기업의 경우 제품개발의 필요성은 인식하나 인력과 경제력이 부족하여 기술개발 추진에 애로

◦ 실내공기질 관련기술 개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개발사업에 참여비율 저조

◦ 실내공기질 관련산업의 정확한 통계자료 부족으로 체계적인 육성책 마련 곤란

◦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정보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신기술 개발에 따른 판로개척에 애로

Page 11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4 -

(3) 개선대책

□ 유망 실내공기질 관련기술 선정 및 중점개발◦ 실내오염물질이 적게 방출되는 친환경건축자재 개발사업 지원◦ 실내공기질 측정장비 국산화를 위한 개발 및 생산업체 지원◦ 환경친화적인 지능형 공조시스템 설계기술 및 환기시스템 개발사업◦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오염저감 기술개발 등

□ 실내공기질 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 등 기술개발을 위한 업계별 연구협의체 구

성ㆍ지원◦ 연구기관, 건설사, 자재업계, 대학 등의 실내공기질 연구 및 시험시설

인프라 지원□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정보 D/B구축 및 정보제공 서비스◦ 기업의 기술․신제품 개발, 신규투자 등 기업경영에 필요한 산업․과학․

기술 정보를 적시에 산업계․학계․연구소 등에 제공◦ 외국의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 동향, 산업시장정보 등을 수집분

석하여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에 제공□ 실내공기질 우수기술인력 양성◦ 실내공기질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수립 및 집중 투자

- 의학, 화학, 정보(IT) 등과의 융합기술개발 등에 따른 실내공기 기술인력 양성※ 학제간 연계교육․훈련계획 마련,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등

◦ 실내공기질 전문인력 수요와 공급을 연계하는 수급예측시스템 구축◦ 우수 실내공기 기술 실용화․사업화 지원 강화로 전문능력 배양

Page 12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5 -

□ 실내공기질 신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연 협력 강화◦ 인력․장비․정보․기술․자금 등 기술개발 역량 확충을 유도하여 기술개발

효율성 제고◦ 개발기술의 신속한 이전․실용화촉진 및 지속적인 기술 개선 추진◦ 산학연 공동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연구과제 선정 및 확대

- 과제별로 산ㆍ학ㆍ연 연구 컨소시엄 구성ㆍ운영<공동연구가 필요한 연구사업>

과 제 명 주 요 내 용

건축자재 방출특성 DB화시간변화에 따른 건축자재의 방출특성 DB화(방출특성을

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Regression에 의한 표현식 창출)

실내농도 예측 프로그램 개발실내공간에서의 오염물질 농도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 개발

자재제조 및 공사 표준시방서

연구오염물질 저방출 자재의 제조 및 공사 표준시방서 연구

준휘발성유기화합물(SVOCs)에

관한 연구

최근 외국자료를 확인하여 보면 SVOCs 유해성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 필요

가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측정시스템 개발

건축자재 표면뿐만 아니라 복잡한 형상의 부피형태로

존재하는 가구의 오염농도 방출 강도 측정시스템 개발과

특성 연구

□ 우수 실내공기질 기술 상용화 추진◦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제품을 평가하여 우수기술 개발 보급◦ 환경마크 인증제품 등에 대한 정부 우선구매 등 지원강화◦ 기술이전․기술평가 및 기술정보의 유통 등 활용기반 확충

Page 12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6 -

□ 실내공기질 신기술 홍보 강화◦ 실내공기질 기술분야 종합전시회, 환경신기술 발표회 등을 개최

- 실내공기 오염저감을 위한 신기술을 소개하는 “국제클린에어텍” 등

□ 차세대 핵심환경기술 개발사업 참여 확대◦ 현재 전체 환경기술개발사업의 2.2%를 차지하는 실내공기질 관련사

업 지원비중을 2008년까지 5%로 제고

□ 실내공기질 관련산업 발전 지원◦ 실내공기질 관련산업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를 작성하여 현황파악◦「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조의 중소기업의 범위에 “실내공기질

정화사업”을 추가하여 중소기업 투자세액 공제◦ 실내공기오염저감에 기여한 업체에 대해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

법률」 제19조의2항에 의한 환경친화기업으로 지정하여 우대조치

□ 환경개선자금 등 융자지원◦ 실내공기질 관련산업 및 기술개발에 환경개선자금 등 융자지원 강화◦ 실내공기정화, 친환경 건축자재 등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에 환경

기술개발ㆍ산업화자금 융자지원

Page 12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7 -

제3절 교육 및 홍보전략1.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에 대한 교육□ 교육 필요성◦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의 경우 공기질 관리를 위한 설비운영 방법,

실내공기질 관리에 필요한 법령 등에 대한 사전교육 필요◦ 적절한 교육에 의한 관리자의 인식제고로 기준 위반사례 저감 및 다

중이용시설에 대한 체계적 관리 지원< 법령상 교육관련규정 >

◦ 법 제7조에 의해 다중이용시설 소유자 등은 환경보전협회 등 교육기관에서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도록 규정

- 신규교육 :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책임자가 된 날부터 1년 이내에 1회

- 보수교육 :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마다 1회※ 교육을 받지 아니할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교육의 주요내용◦ 각 교육과정을 유기적으로 편성하여 관리자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이 되도록 구성교육과목 주 요 내 용 비 고

오염물질의 특성 및 피해사례

다중이용시설 공기 오염물질의 특성과 피해사례 교육을 통한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과 경각심 제고

동영상교육

실내공기질관리법 이해

관련법등의 설명과 적용사례를 교육함으로서 적법한 관리와 위생적인 실내공기 유지의 필요성 각인

강의

오염물질의 발생원인 및 원인별 저감대책

각 사업장별로 오염물질 발생 원인을 이해하고 원인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기술을 교육

* 실내공기 오염원 관리, 주기적인 물청소 등

동영상교육

실내공기질의 정화 및 환기설비 관리방안

오염된 공기의 정화를 위한 환기설비 등의 합리적 운영관리와 기술을 소개하여 실내공기질 개선을 유도

* 환기ㆍ공기정화설비 적정가동 등

동영상교육

Page 12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8 -

□ 교육기관 : 환경보전협회 서울본회외 11개 시ㆍ도지회

Page 12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19 -

2.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제작ㆍ배포공동주택의 “새집증후군” 등 각종 실내공간에서의 공기오염으로 인한 신종

환경질환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어 국민들의 불안감이 증대하고 있으므로 실내공기

오염의 원인 및 대처방안 등을 국민들에게 적극 홍보

□ 각 시설별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제작ㆍ배포◦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배포대상 : 공동주택 입주민과 시공자, 다중

이용시설․노약자시설 관리책임자 등◦ 일반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실내공기 오염원인과 관리방안을

소개하는 관리지침서 발간- 실내공기질의 중요성, 주요 오염원, 오염원별 특성 및 인체영향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등 관련법규 소개- 베이크아웃(Bake-Out), 적절한 환기, 물청소 등 오염저감방안

□ 홍보프로그램을 통한 대국민 홍보 실시◦ 실내공기관리 중요성을 매스컴(TV, 신문 등)을 통해 홍보함으로써 국

민들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제고

실내

공기질

관리

지침서

실내

공기질

관리

지침서

실내공기질 관리 지침서 제작을 통한 대국민 홍보방안실내공기질 관리 지침서 제작을 통한 대국민 홍보방안

Page 12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0 -

3. 홍보 웹사이트 운영실내공기질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증가에 대응하여 실내공기 오염원인, 오염

원별 특성, 저감방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국민 홍보를 위한 실내공

기질 전문 웹사이트(Web-site) 설치

□ 환경부 홈페이지에 전문배너 설치◦ 환경부 홈페이지에 실내공기질 전문 배너를 설치․운영◦ 실내환경에 관한 법규, 오염원, 유해오염물질의 발생량,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징 및 실내공기질에 대한 연구동향 및 정보 공유

□ 웹사이트 운영◦ 실내공기질(IAQ)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전문적인 내용은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링크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운영(환경부, 실내공기질 관련학회)

◦ 국민에게 실내공기오염물질의 유해성 및 인체영향을 홍보하여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 제고

◦ 웹사이트를 전문가의 질의․응답, 자문, 상호 의견교환 및 회의도구로 적극 이용

□ 국내외의 주요 실내공기질 Website와 연결◦ 국립환경연구원, 한국공기청정협회, 실내환경학회, 각 대학 연구소 등

실내공기질 관련 국내외 연구기관을 링크 활용◦ 미국 EPA 등 외국의 주요 실내공기질 연구기관과 연결 사용

Page 12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1 -

제4절 협력체계 구축[관계기관 및 집단]

관계기관 및

이해집단

관계부처

환경부(생활공해과), 건설교통부(건축과, 주거환경과), 노동부(산업보건환경과), 교육인적자원부(특수교육보건과), 보건복지부(질병정책과), 산업자원부(산업환경과)

산업계다중이용시설관리책임자공동주택시공업체건축자재 생산업체측정대행업체환기설비업체, 공기정화설비업체

외부관계집단시민단체언 론전문가그룹국 민

1. 관계부처간 협력체계 구축(1) 필요성

◦ 실내공기질 관리업무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관계부처의 이해와 협조 필요

- 일관된 실내공기질 정책 추진을 위한 부처간 정기적인 협의 추진※ 일본은 “새집증후군” 문제 해결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건강주택연구회”를 구성

◦ 실내공기질 관리업무는 환경뿐만 아니라 건축, 보건 등 다양한 행정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많은 요인 고려

Page 12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2 -

(2) 추진방안

□ 가칭 “실내환경개선협의회” 구성․운영◦ 환경부, 건설교통부, 노동부, 교육인적자원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등 관계부처 공동으로 실내공기질의 통합관리를 위한 협의체 구성- 업무를 분담하여 각 기관별 전문성과 특수성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과장급으로 구성)◦ 정기적인(반기별) 모임을 개최하고 실내공기질 관련 주요 현안이 있을

경우 사전협의를 통해 공동대책 추진노 동 부 교육인적자원부

실내환경개선협의회환 경 부 건설교통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 부처간 주요 협의사업 >

주요 사업명 추진일정 주관기관 협조기관

1. 환기시설 설치기준 등 마련 ‘05~’06 건설교통부 환경부

2.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강화(측정

항목, 허용기준 및 측정 방법 등)‘05~’06

환경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건설교통부

3. 관리대상시설의 확대 ‘06~’07 환경부 보건복지부

4. 오염물질다량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제한 근거규정 마련

(학교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05~’06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건설교통부

Page 12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3 -

□ 공동실태조사 추진◦ 노동부, 교육인적자원부와 사무실, 작업장, 학교 등 주요 시설에 대한

공동 실태조사 추진

□ 통합적 실내공기 관리체계 확립◦ 실내공기 오염저감을 위한 건축물의 건축 단계별 대응방안을 마련하

여 사전예방적 실내공기 관리대책 추진◦ 각 부처별로 설정된 실내공기질 기준을 이용자의 특성과 관리체계에

부합되게 조정하고 기준 합리화◦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제한, 환기설비 설치기준 등 마련

- 신축학교 또는 업무시설에 대한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HCHO와 VOCs에 대한 관리기준 근거 마련

- 학교, 업무시설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환기설비 기준 마련< 실내공기질 관련 관계부처 >

관리대상 소관부처 근거법령

다중이용시설, 신축공동주택 환 경 부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주 차 장 건설교통부 주차장법

사무실, 작업장 노 동 부 산업안전보건법

학 교 교육인적자원부 학교보건법

공중이용시설 보건복지부 공중위생관리법

Page 12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4 -

<주요 정부부처의 실내공기질 관련정책 추진현황>

담당부처 추 진 현 황

환경부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제정 및 시행

- 실내공기질관리 중장기 종합대책 수립

-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의 시행

- 다중이용시설 등의 환기설비 설치기준(성능기준) 설정 추진

-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기준 설정 추진

-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 추진

건설교통부

- 주요 건축물의 환기설비 설치기준(사양기준) 추진

- 오염물질 방출저감을 위한 건축자재 시방기준의 설정 추진

- 건축물의 품질등급제 추진

-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지속적 추진

산업자원부

- 건축자재의 오염물질방출량 시험방법의 KS화 추진

- 오염물질방출 등급제도 관련 KS의 제/개정 추진

- 건축자재 시험방법에 대한 표준화위원회 설치

교육인적자원부

- 학교보건법의 개정 추진

- 국내 약 18,000여개 학교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실내공기질 측정은 55개 학교에 대해 실시)

- 학교시설의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측정 및 평가방법의 제정 추진

노 동 부-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기준을(노동부 고시 2003-12, 2002.12.31)

개정하여 사무실 범위 확대

보건복지부 - 공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업무를 환경부로 이관 추진('04.2)

Page 13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5 -

2. 전문가 및 시민단체와의 협력강화□ 전문가의 정책참여 확대◦ 실내공기질은 환경, 건축, 역학조사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있

으므로 각 분야별 전문가 참여 확대◦ 실내공기질 전문가와 관련 세미나, 심포지엄 등을 공동 개최하여 정

책입안시 전문가의 참여 확대◦ 전문가간의 활발한 상호 의사소통을 유도하여 정보교류를 통한 실내

공기질 연구발전에 기여

□ 언론과의 협력강화◦ 주요정책 추진시 보도자료 등을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과 정

책추진 현황을 알려 홍보효과 극대화◦ 주요 정책 및 현안에 대한 충분한 사전설명을 통해 정책추진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 방지

□ 민간단체와의 협력강화◦ 민간단체와의 공식 정책협의기구인 “민간환경단체정책협의회”를 적

극 활용하여 주요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및 현안 협의- 민간단체를 통하여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에 대한 국민의견을 효과

적으로 수렴◦ 민간단체와 협력하여 각종 홍보자료를 국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전파하

고 공동 캠페인을 추진하는 등 홍보ㆍ교육에 민간단체 참여 확대

Page 13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6 -

3. 관련업체의 의견수렴 및 자율적 협력유도

◦ 실내공기질 관리대책 추진에 따라 관련기업의 적극적인 협조유도 및 의견수

◦ 실내공기질 측정대행업체, 환기설비업체, 공기청정기 및 광촉매업체 등에 대해

서는 업체 난립방지와 이로 인한 시민피해 최소화

◦ 일방적인 강제규정에 의해 최소한이 수준에서 목적이 달성되는 것보다 자율

적인 참여를 통한 최대한의 효과 제고가 필요

◦ 실내공기질 관리는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 및 이용자, 공동주택 시공자와 주민

등 관계인들의 이해와 능동적인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

□ 주요 정책입안시 관련업체의 의견수렴◦ 주요 실내공기질 관리정책 결정과정에 관련업계의 의견수렴

- 신축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설정, 다중이용시설 및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기준 조정 등

□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성에 대한 홍보 강화◦ 규제대상인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 공동주택 시공자, 자재생산업계

등에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 홍보◦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규제의 불가피성에 대하여 홍보와 설득을 통

해 이해와 협조 당부

Page 13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7 -

□ 자율적 협약(Voluntary Approach) 적극 활용◦ 실내공기질 관리와 관련된 위법을 사전에 방지하고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측정대행업체의 연합체인「전국자가측정대행자협의회」와 자발적 협약 추진※ 준수업체에 대해서는 포상, 우수업체 공고 등을 통해 인센티브 부여

◦ 음식점, PC방, 주점 등 주요 소규모 시설업계와 실내공기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체결

- 노래방협회, 요식업협회 등 업주대표기구와 협의를 통해 실내공기 오염을 자발적으로 저감하도록 유도

◦ 정부와 공동주택 시공자와의 자발적 협약체결- 한국건설경제협의회, 대한건설협회 등 건설업계와 오염물질다량

방출건축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ㆍ공고시 허위측정을 금지하는 자발적 협약체결

□ 자발적 준수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재정지원을 통해 자발적 실내환경 개선 유도

-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환기설비 설치․개선을 하고자 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환기설비 설치비 일부 지원 검토

-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설비나 공법 도입에 대한 융자 지원

Page 13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8 -

◦ 실내공기질 우수건축물에 대한 시상제도 도입- 지하역사, 의료기관 등 주요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측정

값, 관리현황, 환기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실내공기질 우수건축물을 지정․고시하고 관련업체에는 포상

-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우수 건설회사를 선정하여 환경의 날 행사 등에 포상실시

◦ 실내공기질 개선 우수건설업체에 공공검사의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PQ제도)시 가산점 부여 검토

◦ 실내공기오염 저감에 기여한 업체에 대해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법률」에 의한 환경친화기업으로 지정하여 우대조치

□ 실내공기질 자율감시체제 구축◦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시 입주자 대표가 참관하도록 하여 신

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도록 유도◦ 국민들이 실내공기 오염현황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다중이용

시설과 공동주택에 대해 실내공기질 등급제 도입 검토◦ 다중이용시설 이용객의 실내환경 만족여부를 확인하는 체크리

스트를 개발․보급하여 이용자의 의견을 관리책임자가 자율적으로 반영하도록 유도

Page 13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29 -

< 관계기관 및 이해관계인의 주요 역할 및 관심분야 >

구 분 이해관계자 주요역할 및 관심분야

관계부처

건설교통부

(건축과, 주거환경과)

◦ 환기설비 설치기준 설정, 공동주택 시공후 마감처리, 공동주

택 등급제 도입 등 여러 분야에서 관련

노 동 부

(산업보건환경과)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작업장, 사무실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업무 수행

교육인적자원부

(특수보건과)◦ 학교보건법에 의해 학교의 실내공기질 담당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 공중위생관리법에 의해 업무시설, 공연장 등 공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 담당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 기술표준원에서 실내공기질 측정방법 일원화 주장

◦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에 대해 반대입장

외 부

관계집단

시민단체 ◦ 실내공기 오염의 심각성을 부각시키며 대책마련 촉구

언 론 ◦ “새집증후군” 등 실내공기질에 대한 문제제기

전문가그룹◦ 실내공기 오염의 심각성과 대책에 대한 연구수행

◦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에 대한 아이디어 제공

국 민◦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 증대

◦ “새집증후군”예방을 위한 강력한 대책 요구

수혜집단

측정대행업체 ◦ 실내공기질 측정의무화로 측정을 대행하여 수수료 수입증가

환기설비업체 ◦ 환기설비 설치 의무화에 따른 환기설비 수요증가로 이득

공기정화설비업체◦ 실내공기질 오염의 심각성이 부각됨에 따라 공기청정기,

광촉매 등 공기정화설비 수요증가로 이익

비 용

부담집단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

◦ 환기설비 설치의무, 오염물질 측정의무, 교육의무 등 여러 가

지 부담과 각종 제재로 인한 불이익

공동주택 시공업체

◦ 공동주택 입주전 측정․공고의무에 따른 측정비용, 공사비 증가,

민원 등 각종 부담

◦ 일부업체의 경우 건강 아파트라는 브랜드이미지 제고 기회

건축자재 생산업체◦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로 고시될 경우 업체의 이미지 타격

◦ 친환경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업체는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기회

Page 13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0 -

제5절 관리체계 보완ㆍ개선◇ 실내공기질 통합관리체계 운영 및 기획기능 강화◇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구축◇ 실내공기질 관리강화에 걸맞는 지방자치단체 조직역량 확충

1. 부처별 관리체계 개선(1) 현황 및 문제점

◦ 최근 “새집증후군” 등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폭되어 업무가 급증하고 있으나 관련 조직과 인력 태부족

- 환경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건설교통부 등에서 부분적으로 실내공기질 관련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실내공기 전담조직은 부재

<각 부처별 담당조직 주요업무>

부 처 담당조직 주요 소관 업무

환 경 부 생활공해과 소음ㆍ진동규제대책 수립, 실내공기질관리, 비산먼지관리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보건과 특수교육진흥에 관한 정책, 학교보건 및 환경위생 관리

산업자원부 산업환경과 환경친화적 산업발전, 환경설비산업의 육성 및 기술개발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감염질환, 희귀질환, 기타 비전염성 질환의 예방 및 관리

노 동 부 산업보건환경과 근로자 진폐ㆍ건강증진, 작업환경․유해물질 관리

건설교통부건 축 과 건축법령 운영, 친환경 건축물 관련제도 운영, 건축설비 기준

주거환경과 주거환경개선사업, 건축공사 시공실태 점검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으로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측정․공고 등 업무신설

- 학교, 업무시설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강화 등 관련업무 증가

Page 13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1 -

(2) 개선방안

◦ 대상시설에 따라 각 부처에서 분산관리하고 있는 실내공기질 관리업무를 통합 조정할 수 있는 협력체계 운영

◦ 장기적인 국가의 실내공기질 종합 관리대책을 수립․운영하기 위한 기획 및 업무조정 기능 강화

- 각 소관부처별로 실내공기질 담당업무를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담당조직 및 인력 확대

※ 실내공기질 관리대책 전담수행을 위해 환경부에 「실내공기질관리과」 신설추진

2.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연구조직 강화(1) 현황 및 문제점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04.5.30)에 따라 공신력 있는 연구시험기관 필요

- 법 제4조에 의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제정․운영, 법 제11조에 의한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측정시험 실시 등 업무 신설에 따른 조사연구 수행

◦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업무를 과학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기구 신설 및 인력보강 필요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기준 타당성 연구」,「각 시설별 실내공기질 오염현황 조사 및 개선연구」등

※ 현재 국립환경연구원내에 임시조직으로 「실내환경연구사업단」설치ㆍ운영(‘04.9.15)

Page 13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2 -

(2) 개선대책

◦ 과학적인 조사연구에 근거한 실내공기질 관리대책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체계 강화

◦ 실내공기 오염에 관한 체계적 조사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 주요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인체위해성 평가, 배출원

별 오염관리,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시험 등을 위한 연구조직 확보

◦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에 「실내환경과」 신설 추진

3. 지방자치단체 역량강화(1) 현황 및 문제점

종전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이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

법」으로 개정되면서 유역(지방)환경청에서 관리하던 실내공기질 업무가

지방자치단체로 이관

□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권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 개선명령 및 불이행시 벌칙부과◦ 다중이용시설 및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지도․점검◦ 다중이용시설의 관리책임자 또는 신축 공동주택의 시공자에게 측정결

과 및 관련자료 징구◦ 공기질 유지기준 위반,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사용, 교육의무 위반,

Page 13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3 -

특정결과 미제출 등에 대해 과태료 부과□ 문제점◦ 지자체에서 처음 업무를 담당하게 되므로 법에 대한 지식 부족◦ 실내공기질 측정방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부족◦ 실내공기질 관리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 부족

※ 실내공기질 업무 이외에도 악취관리, 총량제 도입 등 대기분야에 대한 신규업무 증설로

지자체 공무원의 부담가중

(2) 개선대책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운영, 실태조사, 지도점검, 교육

ㆍ홍보 등 관련업무 증가에 따른 조직 확대

◦ 법 집행의 실행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담당인력 확대

□ 실내공기질 관리 업무지침 작성 및 교육실시◦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의 주요내용 소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업무처리절차 및 FAQ 등 설명

□ 조직보완 및 인력증원◦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관련부서 증

설 유도․지원◦ 지자체의 관리계획 수립, 관리대상 시설의 지도․점검 등 실내공기질 관

련 업무증가에 따른 인력증원 지원이 가능하도록 각 지지체에 유도□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협력체계 구축◦ 실내공기질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정보교

류 및 인적자원 교류

Page 13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4 -

◦ 법의 주요 내용 및 측정방법에 대한 교육을 환경부와 국립환경연구원 공동으로 실시

Page 14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5 -

제6절 투자계획 및 소요재원1. 실내공기질 관리분야의 투자현황 및 전망□ 현황 및 문제점◦ 지금까지 정부의 실내공기질 관리예산은 연구ㆍ조사 등에 주로 투자

-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및 기술개발을 위하여 차세대 환경기술개발사업 등에 지난 3년간 약 66억원 투자

※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사업비 5억원, 차세대환경기술개발사업비 61억원

- 서울시지하철공사가 환기시설개량, 도상개량 등 3년간 약 1,000억원 투자

◦ 민간부문에서는 최근 국민들의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관심제고에 따라 친환경상품 및 소재개발 등을 위해 건설업, 건설자재업, 공기정화기 등 관련 산업에서 투자의 시작단계

□ 전망◦ 실내공기질 관리와 관련된 기초적인 연구ㆍ조사는 국가의 기본적인

의무로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투자증가 예상- 각 시설별 실내공기오염 실태조사, 인체영향조사, 관련 환경기준

설정 등을 위한 조사비 지원 확대- 친환경건축자재, 오염원 제거기술 등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융자금 지원 확대◦ 산업계에서는 오염방출건축자재 사용 제한 등의 의무규정에 따라

친환경상품 및 소재개발을 위한 투자확대- 건설업체와 건설자재업은 깨끗한 실내환경 제공에 주안점을 둔

Page 14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6 -

주택보급과 관련 상품의 개발을 위한 투자확대

Page 14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7 -

2. 사업별 투자계획(정부부문)【 향후 투자방향 】

<단기방향>◦ 실내공기질의 현황파악과 관련기준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비 및

연구사업 지원◦ 실내공기질 조사 및 분석 등을 위한 기초장비 확보 지원◦ 실내공기질의 적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교육․홍보비<중․장기방향>◦ 실내공기질과 관련한 중․장기적인 연구조사비 지원

- 실내공기질과 인체피해, 환경영향 조사를 위한 연구비 지원◦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인 기술개발지원 및 산업육성

◦ '05년에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시험, 부유세균 분석, 라돈실험 등 실내공기질 정도분석을 위한 종합연구동 설치(국립환경연구원, 24억원)

◦ 실내공기질 조사 및 분석 등을 위한 기초장비(GC/MS 등 17종) 확보지원- 국립환경연구원의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 및 실내공기질

조사를 위한 장비구입비 지원- 지방자치단체의 실내공기질 지도․점검을 위한 장비구입비 지원 추진

◦ 실내공기질 관리대상시설 확대를 위한 기초조사비 지원(‘05년부터 매년 33백만원)

- 조사대상 : 주요 다중이용시설 당 100개소(총 300지점)- 측정항목 :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오염물질 10종

구 분 2005 2006 2007 2008

측정대상음식점,영화관,

업무시설

PC방,학원,

노래방혼인예식장

2이상 용도 건축물,실내체육관

Page 14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8 -

◦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연구비 지원(‘05년부터 매년 4억원)

측정항목 측 정 대 상 소 요 예 산

포름알데히드,

주요 개별

VOC, TVOC

- 대도시, 중소도시로 구분하여

700여 세대에 대한 조사

-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 마련

700 × 464천원 및 연구비용

약 75백만원 = 400 백만원

◦ 오염물질방출건축자재 방출시험을 위한 조사연구비(2005~2009, 31억원)

- 접착제, 벽지, 바닥재, 페인트 등 주요 건축자재에 대한 시장조사를 거쳐 시장점유율이 높은 자재부터 매년 단계적으로 방출시험을 실시

구분 계 2005 2006 2007 2008 2009

소요예산 3,052백만원 218백만원 545백만원 654백만원 763백만원 763백만원

측정대상 2,800개 자재-총 400개

건축자재

- 총 800개의

건축자재

- 총 900개의

건축자재

- 총 1,000개의

건축자재

- 총 1,000개의

건축자재

◦ 국민 스스로 실내공기질을 적정 관리할 수 있는 환기, Bake-Out 등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적극 추진(‘05년부터 매년 2억원)

◦ 그 외 중장기적인 조사연구비와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지원

-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인체 영향에 대한 위해성 평가, 실내공기질 예측 프로그램 개발연구 등

- 친환경 건축자재 개발, 오염물질 측정장비 국산화, 환경친화적인

Page 14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39 -

지능형 공조시스템 개발 등

Page 14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0 -

<부록 1>

실내공기질 관리 로드맵

Page 14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1 -

추 진 목 표

<최종목표>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통한

국민건강 보호

<세부목표>

건강하고 쾌적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조성

공동주택 등의

“새집증후군”

예방

사전예방적

오염원관리 및

적정환기 시스템

구축

과학적인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Page 14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2 -

추 진 방 향

관리방법 선진화

사후처방적 관리 사전예방적 오염원 관리

관념적ㆍ대증요법식 관리 과학적ㆍ체계적 관리

관리주체 및 대상 확대

각 부처별 분산관리 범부처적 통합관리

한정된 시설 관리 관리대상시설 확대

관리수단 혁신

규제위주의 관리 홍보ㆍ지원ㆍ육성 위주의 관리

정부주도의 일방적 관리 참여와 자율에 의한 관리

Page 14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3 -

추 진 전 략

과학적ㆍ체계적 연구조사에 기초한

정책추진

◦ 정확한 실태조사에 근거한 관리대상 확대◦ 인체 위해성 평가 등 과학적 연구기법 활용◦ 합리적인 실내공기질 기준 설정

오염저감을 위한

적정수단 확보

◦ 건축자재 등 실내공기 오염원 사전 제어◦ 적정환기 및 공기정화시스템 구축◦ 실내공기오염 저감기술 개발ㆍ육성

참여와 실천을 통한

실내공기질 관리

◦ 이해관계인의 참여와 자발적 준수 유도◦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위한 홍보강화◦ NGO, 주민조직 등을 통한 자율감시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개선

◦ 관련법령 정비 및 선진정책 도입◦ 전문인력ㆍ기관 등 실내공기질 관리 인프라 확보◦ 유관부처와의 협력을 통한 범 부처적 관리

체계 확립

Page 14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4 -

부문별 추진계획

1. 정확한 실내공기질 실태파악 및 자료관리

◦ 다중이용시설 및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

◦ 주요 시설에 실시간 측정체계 구축 및 측정결과의 DB화

◦ 공정시험방법의 선진화 등을 통해 실내공기질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

2004 2005 2006 2007 2008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측정ㆍ분석시스템 구축

조사계획 수립 연차적으로 주요 시설에 대한 조사

신축 공동주택에 대한 추적조사

입주전 공동주택에 대한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오염이 심한 공동주택 추적조사

주요 시설에 대한TMS 구축

설치타당성 조사 소요재원 확보

설치대상시설 선정 주요시설에 TMS 설치

측정결과의 DB화정보화시스템 구축

기존 자료 수집ㆍ분석 각 시설별 측정결과 DB화

측정의 정확성 확보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선진화ㆍ표준화

측정기관 및 기계에 대한 정도관리 실시

측정의 신뢰성 확보측정대행기관에 대한 정기점검

허위측정에 대한 제재수단 마련

Page 15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5 -

2.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합리화

◦ 정확한 실태조사와 인체위해성 평가 등을 기초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합리화

◦ 외국사례분석, 실태조사 등을 거쳐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설정

◦ 장기적인 정책목표로 환경정책기본법에 실내공기질 환경기준 설정

2004 2005 2006 2007 2008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합리화

조사대상물질 선정 실태조사 및 결과분석

다중이용시설 기준 조정

신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권고기준 설정

예비조사 및 외국사례 분석

실태조사 및 의견수렴

법적근거 마련 및 기준제시

오염물질에 대한 인체 위해성 평가 실시

위해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

기초자료 조사 위해성 평가 실시

실내공기질 환경기준 설정

대상 오염물질 설정

인체위해성 평가 및 기준마련

환경정책기본법에 환경기준 설정

Page 151: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6 -

3. 건축자재 등 오염원 사전관리

◦ 오염물질이 다량 방출되는 건축자재 사용을 제한하여 실내공기오염 사전예방

◦ 자발적인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환경마크 등 친환경 건축

자재 인증제 발전

◦ 가구, 살충제, 화장품 등 생활용품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저감대책 수립

2004 2005 2006 2007 2008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사용 제한

측정분석시스템 구축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 및 고시

건축자재 방출기준 합리화

사용제한 대상시설 확대(공동주택, 학교, 업무시설)

친환경 건축자재인증제 발전

인증비용 인하 HB마크 등급기준 조정

‘친환경상품구매촉진법’제정 등을 통한 친환경자재 사용 확대

KS마크의 환경성 기준 강화

건축자재외 오염물질 방출제품(가구, 화장품,

살충제 등) 관리

측정방법 확립 가구 등 오염물질 방출제품 방출특성 조사

관리기준 도입

오염물질 저방출 생활용품에 대한 인증 확대

Page 15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7 -

4. 환기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관리

◦ 쾌적한 실내공기질 유지를 위한 적정환기기준 제시 및 환기설비 설치비 지원

◦ 공기청정기 성능기준 강화 및 소비자의 올바른 선책을 위한 정보제공

◦ 건축물의 설계ㆍ시공ㆍ사용 등 전 생애 단계에서 사전예방적 실내공기질 관리

체계 확립

2004 2005 2006 2007 2008

환기설비의 설치

및 관리

적정환기설비 기준 설정

주요시설에 환기설비 설치확대

공기청정기 관리강화공기청정기

성능기준연구공기청정기 발생오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

KS 등 관련 규격강화 및 소비자에게 정보제공

전 건축과정에서의 오염저감대책 마련

시스템 마련을 위한 부처협의

친환경 공법에 대한 시방기준 제정 설계지침 제시

실내공기질 유지관리 지침의 개발 및 보급

Page 153: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8 -

5. 관리대상시설 확대 및 기타 시설 관리

◦ 미관리 다중이용시설과 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연차적으로 관리대

상 시설 확대

◦ 개별법에서 관리하고 있는 학교, 업무시설 등은 실태조사를 통해 관리항목 추

가 및 오염물질 기준 강화

◦ 법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소규모 시설에 대해서는 자발적 협약 등 행정지도

와 오염저감 정보제공

Page 154: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49 -

2004 2005 2006 2007 2008

다중이용시설

적용대상 확대

조사계획수립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업무시설 영화관,

지하상점가

음식점,학원 공연장

공동주택 적용대상 확대미적용 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

100세대 미만 주택

다세대주택 및 기숙사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

측정방법 설정 정기 실태조사 및 기준강화

정기측정 의무화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사용제한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ㆍ운영

업무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조사 실내공기질 기준강화

정기측정 의무화

오염물질 방출건축자재 사용제한

소규모 다중이용시설 관리실태조사 업주대표와 자발적 협약 체결

관리지침서 제작ㆍ배포

특수실내환경(버스, 비행기, 선박 등) 관리

조사대상 오염 물질 선정 권고기준 설정

실태조사 관리지침서 제작ㆍ배포

Page 155: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0 -

6.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 다중이용시설등에실내공기질관리법 등 관련 법ㆍ제도를 정비하고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인적ㆍ물적 기반 구축

◦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하여 기술개발지원 및 재정지원 강화

◦ 실내공기질 적정 관리를 위한 교육ㆍ홍보를 강화하고 관계부처, 전문가, 시민

단체 등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2004 2005 2006 2007 2008

법ㆍ제도 정비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령 개정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법률 개정

학교보건법 등 개별법 개정

실내공기질 관련산업 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

기술개발정보 DB 구축 관련정보 제공

산ㆍ학ㆍ연 공동연구 추진 우수기술인력 양성 지원

신기술개발을 위한 재정지원 확대

교육 및 홍보교육계획 수립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 교육 실시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제작ㆍ배포

전문배너 설치 전문 웹 사이트 운영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관계부처 협의 ‘실내환경개선협의회’ 구성ㆍ운영

전문가, 언론, 시민단체와의 협력강화

유관업계와 자발적 협약체결

관리체계 보완ㆍ개선

실내공기질 담당 행정인력 증원 환경부에 ‘실내공기질관리과’신설 추진

실내환경연구사업단 구성ㆍ운영 「실내환경과」신설

업무편람 작성ㆍ교육 지자체 담당인력 증원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투자강화

측정분석 시스템 구축비

실내공기질 조사ㆍ연구비

실내공기질 적정관리를 위한 홍보비

Page 156: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1 -

<부록 2>

각 부처별 세부 추진계획

Page 157: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2 -

각 부처별 세부 추진계획

Page 15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3 -

추진분야 세 부 과 제 추진시기 소관부처

정확한 실내공기질 실태파악 및

자료관리

◦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측정장비 도입 및 분석 시스템 구축- 연차적으로 주요 시설에 대한 조사 실시

2004~20052005~2008

환경부, 보건복지부

◦ 신축 공동주택에 대한 추적조사- 입주전 공동주택에 대한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오염이 심한 공동주택 추적조사

2004~20082006~2008

환경부, 건교부

◦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TMS 구축 및 DB화- 주요시설에 TMS 단계적 설치- 측정결과 및 관련자료 DB화

2006~20082006~2008

환경부

◦ 측정의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 실내공기질 측정방법 선진화․표준화- 측정기관 정기점검 및 정도관리 실시

2004~20082005~2008

환경부, 산자부, 노동부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합리화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합리화 2005~2008환경부◦ 신축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설정 2004~2005

◦ 오염물질에 대한 인체위해성 평가 실시 2006~2008

건축자재 등 오염원 사전관리

◦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 및 고시- 건축자재 방출기준 합리화- 사용제한 대상시설 확대(공동주택, 학교, 사무실

등)

2004~20082004~20052004~2008

환경부(건교부, 교육부,

노동부)

◦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제 활성화- 인증제 기준조정 및 공정성․투명성 강화- 친환경건축자재 사용 확대 유도- KS마크의 환경성 기준 강화

2005~20062004~20082005~2008

환경부, 산자부(건교부, 교육부,

노동부)

◦ 건축자재외 오염물질 방출제품 관리- 가구 등 오염물질 방출제품 방출특성 조사- 오염물질 함유량 표기 의무화- 오염물질 저방출 생활용품에 대한 인증 확대

2006~20082007~20082004~2008

환경부, 산자부

Page 15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4 -

추진분야 세 부 과 제 추진시기 소관부처

환기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관리

◦ 환기설비 설치 및 관리- 다중이용시설의 적정 환기설비기준 설정- 공동주택의 적정 환기설비기준 설정

2004~20052004~2005

건교부, 환경부(교육부, 노동부)

◦ 공기청정기 관리강화- 공기청정기 성능기준 연구- KS 등 관련규격 강화 및 소비자에게 정보제공

20052006~2008

산자부, 환경부

◦ 전 건축과정에서의 오염저감대책 마련- 친환경공법에 대한 시방기준 제정- 친환경 설계지침 및 개보수 지침 마련

2005~20062007~2008

건교부

관리대상 시설 확대 및

기타시설 관리

◦ 다중이용시설 적용대상 확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단계적으로 미적용시설을 관리대상으로 편입

2005~20082006~2008

환경부, 보건복지부

◦ 공동주택 적용대상 확대- 미적용 공동주택에 대한 실태조사 후 편입- 다세대주택 및 기숙사 편입

2005~20082008

환경부, 건교부

◦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강화- 학교 실내공기질에 대한 실태조사- 실내공기질 정기측정 의무화- 오염물질 관리항목 확대 및 기준강화- 학교에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운영

2005~20082006

2005~20062006~20072005~2008

교육부, 환경부

◦ 업무시설 실내공기질 관리강화- 업무시설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사무실에 해당되지 않는 업무시설 편입추진

20052006

보건복지부,환경부

◦ 사무실․작업장 실내공기질 관리강화- 사무실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실내공기질 정기측정 의무화- 실내공기질 기준강화- 사무실에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 사용제한

2005~20082006

2005~20062006~2007

노동부, 환경부

Page 160: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webbook.me.go.kr/DLi-File/F002/000/131560.pdf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안) 2004.12 관계부처 합동 국무조정실, 교육인적자원부,

- 155 -

추진분야 세 부 과 제 추진시기 소관부처

관리대상 시설 확대 및

기타시설 관리

◦ 소규모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 업주대표와 자발적 협약 체결- 실내공기 관리지침서 제작․배포

2006~20082006~2007

환경부

◦ 특수실내환경(버스, 지하철 등) 관리- 특수실내환경 실태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및 공조설비기준 설

정- 실내공기 관리지침서 제작․배포

2005~20062006~20072007~2008

환경부, 산자부, 건교부

실내공기질 관리기반 구축

◦ 법․제도 정비-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 학교

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법령 정비2004~2008 각 부처

◦ 실내공기질 관련산업 육성 및 기술개발 지원- 기술개발정보 DB구축 및 제공- 산․학․연 공동연구 추진- 우수기술인력 양성 지원

2005~20082005~20062007~2008

환경부, 산자부, 건교부, 노동부

◦ 교육 및 홍보- 다중이용시설 관리책임자 교육 실시- 실내공기질 관리지침서 제작․배포- 전문 웹사이트 설치․운영

2005~20082005~20062005~2008

각 부처

◦ 유관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실내환경개선협의회’ 구성․운영- 업계, 전문가, 시민단체와의 협력강화

2005~20082004~2008

각 부처

◦ 관리체계 보완․개선- 실내공기질 담당 행정 및 연구인력 증원- 지방자치단체 담당인력 증원 유도

2005~20082005~2006

행자부(각 부처)

◦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투자 강화 2005~2008 각 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