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Vol.18. No.3 2019. 11. pp. 1~24 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경북 칠곡 A아파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 이 재 민 *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Parenting Community Experience of the ‘Maeul' Community Leaders : Gyeongbuk Chilgok A Apartment 'Friendly Neighbor Community' Case Lee, Jae Min 국문 요약 최근 한국사회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공동육아 공동체 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공동육아는 마을을 기반으로 하는 마을공동체와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연 구는 마을공동체의 리더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활동하는 경험을 통해 가치와 의미를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고찰하는 시도이다. 연구참여자들의 구술자료를 토대로 ‘인과적 조건, 상황적 맥락, 중심현상, 중재적 조건, 상호작용 전략, 결과’의 내용이 담긴 근거이론 패러다임을 연구결과로 제시하였 다. 이를 통한 핵심범주는 ‘지속적인 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해 가족의 인격적 성장’으로 분석하였다. 주제어 : 마을리더, 공동육아, 근거이론, 마을공동체, 공동육아 공동체 Abstract Recently, the low birthrate and aging of Korean society are very serious, and the co-child care community is drawing attention as a solution. In particular, co-parenting is combined with the 'Maeul' community based on the village, and appears in the form of co-parenting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leaders of the 'Maeul' community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through th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Based on the oral data of the participants,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containing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text, central phenomenon, interventional condition, interaction strategy, and result' was presented as a research result. Through this analysis, the core category was analyzed as ‘Personal growth of family through continuous community involvement’. *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BK21플러스사업팀 연구교수(Research Professor, BK21 PLUS, Department of Folklore Andong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Vol.18. No.3 2019. 11. pp. 1~24

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경북 칠곡 A아파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이 재 민*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Parenting Community Experience of the

‘Maeul' Community Leaders

: Gyeongbuk Chilgok A Apartment 'Friendly Neighbor Community' Case

Lee, Jae Min

국문요약

최근 한국사회는 출산, 고령화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 이며, 이에 한 방안으로 공동육아 공동체

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공동육아는 마을을 기반으로 하는 마을공동체와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연

구는 마을공동체의 리더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활동하는 경험을 통해 가치와 의미를 근거

이론 근을 통해 고찰하는 시도이다. 연구참여자들의 구술자료를 토 로 ‘인과 조건, 상황 맥락,

심 상, 재 조건, 상호작용 략, 결과’의 내용이 담긴 근거이론 패러다임을 연구결과로 제시하

다. 이를 통한 핵심범주는 ‘지속 인 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해 가족의 인격 성장’으로 분석하 다.

주제어 : 마을리더, 공동육아, 근거이론, 마을공동체, 공동육아 공동체

Abstract

Recently, the low birthrate and aging of Korean society are very serious, and the co-child care

community is drawing attention as a solution. In particular, co-parenting is combined with the

'Maeul' community based on the village, and appears in the form of co-parenting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leaders of the 'Maeul' community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through th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Based on the oral data of the participants,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containing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text, central phenomenon, interventional condition, interaction strategy,

and result' was presented as a research result. Through this analysis, the core category was

analyzed as ‘Personal growth of family through continuous community involvement’.

* 안동 학교 민속학과 BK21 러스사업 연구교수(Research Professor, BK21 PLUS, Department of Folklore Andong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Page 2: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2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Key Word : Community Leader, Co-parenting, Grounded Theory, Village Community,

Co-parenting Community

Ⅰ. 서 론

한국사회의 출산, 고령화 문제는 단시간에 풀 수 없는 구조 인 문제로, 매우 심각한 수

에 이르고 있다. 이에 한 안으로 서울의 성미산 마을, 천안의 모두 가족 품앗이, 구의

정다운 마을 등과 같은 ‘공동육아’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공동육아는 인지교육 심의 유

아교육이 아닌 자연친화 인 야외학습과 놀이를 통해 건강한 아이로 가르치고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김정희, 2000). 이 활동을 통해 아이들에게는 어머니와 안정된 애착 계가 형성되어

자아존 감이 제고되며(우민정, 2011), 어머니들에게는 각자의 재능과 공에 따라 아이들의

선생님이 되기 때문에 자존감이 형성되며, 육아 살림에 한 정보 공유의 장이 될 수 있다

(이 림, 2008). 더욱이 경력단 어머니들에게는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경력을 유지

시켜주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 많은 지자체에서는 ‘공동육아’를 주요 콘텐츠로 하는 마을공동

체 활동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한 심은 나날이 증 되고 있다.

공동육아는 ‘품앗이 육아’와 유사하며(이아람, 2015), 지역사회 에서 형성된 범 한 계

망이 내 아이와 남의 아이를 공동으로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조윤경, 2011). 따라서 공동육아

는 ‘다 같이 함께 아이를 키워보자’는 생각을 가진 부모들과 아이들이 함께 참여하는 육아공동

체로 문화와 생활에 있어서 공동체를 지향하고, 안 인 생활양식을 실천함으로써 ‘ 계

심’의 생활환경을 아이들에게 제공하기 한 공동체의 형태이다(김미란, 2008). 이 같은 공동

육아 공동체가 경제 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인격 으로 키우며, 공동체의식을 함양

하기 한 공간으로 마을과 결합하여 새로운 마을공동체 운동으로 개되고 있다(김기홍,

2014). 그리고 공동육아 공동체 활동은 통마을 보다는 아 트 마을에서 보다 많이 이루어지

고 있는데, 이는 거주민들의 연령과 사회문화 인 환경이 육아를 실천하기 한 합한 조건

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경북 칠곡군의 A아 트에서는 육아공동체를 형성하여 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많은 주

목을 받고 있다. A아 트는 2,600세 가 넘는 단지로 그 규모가 경북에서 두 번째로 크며,

임 아 트의 주거 특성과 작은 평수의 주택크기로 인하여 신혼부부와 어린 자녀를 둔 가정

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아 트에는 어린아이들이 많이 있으며, 주변 어린이집․유치

원 등의 민간 보육 시설도 다수 갖추어져 있다. 더욱이 A아 트에서는 2004년부터 새마을문

고 사업을 시작으로 하여 작은도서 을 심으로 공동체활동을 시작하 으며, 이 시기부터 공

동체 활동에 한 의식을 마을 주민들이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에는 도서 사자가

Page 3: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어들어 공동체가 와해될 순간에 이르 지만 마을리더가 새로 선출되고, 새로운 마을리더의

능력과 주민들의 공감 가 형성되어 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2013년에는 칠곡군이 인문학

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되었고, 인문학마을로서 활동을 시작하 다. 이 시기부터 6명의 공동 마

을리더들이 활동을 하는 ‘공동육아’공동체로서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2015년에는 생활

문화공동체 지원사업에 선정되면서 공동육아 공동체로서의 성격을 더욱 공고히 하고, 다양한

로그램을 기획하여 모든 연령이 공감할 수 있는 공동체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처럼 A아 트의 다정한 이웃 공동체가 최근 큰 각 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마을공동체

능력․주민들의 참여의지 등이 있지만, 마을리더의 역량과 열린 자세가 가장 큰 것으로 단

된다. A아 트 6명의 공동 마을리더들은 마을활동에 따른 물질 보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활발하고 지속 인 공론장을 통해 공동체 활동을 이끌어 나가는 원동력을 만들고 있다. 실제

로, 마을리더들은 마을공동체 활동에 있어 로그램을 기획․홍보․진행할 뿐만 아니라, 주민

들과 행정을 연결하는 매개자의 역할도 수행하는 등 큰 비 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마을리

더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을 참여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 같은 경험

에 한 반 인 이해에 한 연구는 필요하다. 하지만 지 까지 국내의 육아공동체를 비롯

한 마을공동체에 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지만, 마을리더들을 상으로 이들에 한 구체

이며 경험 이며 해석 인 연구는 부족하다. 더욱이 국내에서 아 트 거주비율이 높아짐에

도 불구하고 아 트 마을 공동체에 한 연구 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 칠곡군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공동마을리더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공동체 활동의 참여배경과 참여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여

자가 경험에 한 반 인 상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즉, 마을리더들의 공동체 활동에

한 참여요소와 참여과정을 질 연구 방법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근

거이론 방법은 연구자가 참여자들의 시각에서 형성과정, 행동, 상호작용에 한 일반 인 설

명( 는 이론)을 창출하는 질 연구 방법론 하나이다(조흥식 외(역), 2007). 본 연구의 결과

는 아 트 마을 활동가들의 욕구 삶의 가치를 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육아 마을공동체

활동의 시사 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마을리더들이 공동육아공동체 활동을 지속 으로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마을리더들이 공동육아공동체 활동의 경험 내용과 과정은 무엇인가?

Page 4: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4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Ⅱ. 선행연구 검토

한국사회에서 마을공동체 활동은 다양한 유형으로 진행되고 있다. 유선아(2016)는 마을공

동체 활동을 하나의 운동으로 규정하고, 주민 참여형 운동・마을공동체형 운동․사회 기업

형 마을공동체 운동․교육형 마을공동체 운동, 형 마을공동체 운동 등으로 분류하면서 이

와 련한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 유형 에서 형 마을공동체 운동에 한 연구에 가

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의 마을공동체 운동은 물리 개선과 하게

연 되어 발 하 다고 분석하 다(유선아, 2016).

이 밖에도 국내 마을공동체에 한 연구는 여러 방향과 으로 근하 다. 연구 상별로

는 마을공동체 운동에 주체 으로 참여하는 참여주체에 한 연구, 마을공동체 운동에 한

정책과 제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이왕기․정승 (2014)은 마을활동가들의 설문결과

를 심으로 고령사회에 응한 마을만들기 략과 발 방안을 모색하 다. 박 범(2012)은

고령사회에 응한 마을공동체 활동을 인천지역 마을활동가 설문결과를 토 로 연구하 다.

그는 마을공동체 활동의 성공 인 수행을 해 노인참여율 확 를 한 로그램 개발보 ,

공동체 구성원의 노인문제 이해도 제고 로그램 시행, 노인 상 마을공동체 활동에 한 지

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언 하 다(박 범, 2012).

마을 공동체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마을리더의 역할은 매우 큰 비 을 차지한다(박

범, 2012). 이는 본 연구의 사례지인 A아 트와도 련이 깊다. 지 까지 국내에서의 마을리더

에 한 연구는 주로 농 지역 마을리더들이 주 연구 상으로 농 지역의 마을만들기 는

마을개발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리더들의 역량, 교육 등에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오승

․박천오․진종순, 2016; 윤 상․김소윤․김성록, 2015; 박한식․김남조, 2008; 박은식,

2007 등). 그리고 농 지역 마을리더 이외에 여성리더들의 리더십 등에 한 연구가 이루어졌

다(박승, 2016;, 윤석정, 2014 등). 이들의 연구는 농 지역의 발 을 해서는 리더의 역할과

인재양성이 요하다는 것을 제하고 있다. 이 에서 마을리더들의 변 리더십(윤

상․김소윤․김성록, 2015), 마을리더들의 인간 계․감성인지․ 리․의사소통․산업지식

기술 역량군(오승 ․박천오․진종순, 2016)이 마을공동체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매우

요하며, 이러한 역량 차이에 의해 농 마을만들기 사업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보았다.

우리나라는 속히 진행된 도시화로 인하여 아 트의 공 이 늘어났다. 아 트는 사회

에서 경제성․편리성․기능성 등에서 많은 장 을 가지고 있으나, 이웃 간 단 ․인간소외․

공동체 의식 와해 등은 문제로 지 되어 왔다(강순주 외, 2014). 이를 극복하기 하여 피트니

스 센터․마을 도서 등의 공유공간이 아 트에 조성되었으며, 이 같은 공유공간을 활용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아 트마을은 통마을 보다 공동육아 공동체 활동을 진행하기가 용이하다. 그 이유는 첫째

Page 5: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로, 유아 인구의 비 이다. 아 트 마을의 평균연령은 시골지역의 통마을 보다 낮아 신혼부

부 는 어린 자녀를 둔 부부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단된다. 실제로 본 연구의 사

례인 A아 트의 경우에도 내부자료에 의하면 2017년 기 , 28.6세의 은 평균연령을 알 수

있다. 둘째로, 아 트 거주민들은 놀이터, 공원, 산책로, 어린이집 등의 공간을 통해 공동체 활

동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들은 육아 련 화, 아이들의 친분에 의한 부모들의 만남(이경석,

2016)이 쉽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 아 트 마을에서도 노인회·부녀회·청년회·도서 모임

등 주민자치조직이 구성되어 있어, 이 같은 조직의 활용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동의 구심 역

할을 기 할 수 있다(이재민, 2018). A아 트의 경우에도 2004년부터 마을도서 을 심으로

시작한 ‘새마을 도서 ’ 공동체가 진보하여 지 의 공동육아 공동체가 되었다. 따라서 아 트

마을이 가지고 있는 사회 문화 인 조건들에 의하여 아 트 마을에서의 공동육아는 다른 유

형의 마을보다 훨씬 합하다.

마을공동체 활동의 참여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바로 그 활동의 심 상의 발생 이유와 과

정에 한 이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백 민 외(2016)는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

들은 구인지, 이들의 가치와 정치 이념에 해 규명하기 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 다.

이 연구에서 마을공동체 활동은 강력한 리더십을 시하고, 권 주의 가치를 선호하는 보수

시민들이 주도하며, 이들은 마을공동체 활동을 통해 환경보호・공동육아 등 안 가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백 민 외, 2016). 박진아․김병석(2016)은 근린환경만족도와 지역

사회 애착도가 마을만들기 활동 참여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는 근린환경만

족도가 장소애착심에 향을 주고 있으며, 장소애착심은 마을만들기 활동에 정 인 향을

미친다고 보았다(박진아․김병석, 2016). 노병찬․주덕(2016)은 마을공동체 활동이 사회 자

본의 가치 제고에 향을 미치며, 이 네트워크, 규범, 호혜성 등과 같은 요인에서 정 인

평가를 하 다. 즉, 마을공동체 활동의 참여에서 나타나는 정 인 요소들은 다양하고, 이는

참여자에게 혜택을 주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노병찬․주덕, 2016).

이처럼 마을리더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에 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었지만,

부분의 연구는 역량모델 개발, 자기효능감, 교육 로그램 분석, 삶의 만족도 등으로 실증

인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마을공동체 활동의 참여과정 참여경험을 질

으로 고찰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이 개인의 삶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구명하는 연구는

꼭 필요하다.

Page 6: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6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Ⅲ.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1. 근거이론

근거이론은 귀납 인 경험 찰 는 자료를 근거로 일반 인 특징을 발견하는 방법론이

다(Martin & Turner, 1986). 기존의 이론을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을 생성하는 근거이론

근은 교육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학, 간호학, 아동학 등 다양한 분과학문에서 활용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과정을 조사하여 그 참여가 주는 삶의 만족을

단하고 그 참여활동이 지속되고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칠곡군 A아 트 공동체 사례를 통하여 아 트 마을에서의 지속 가능한 마을 마

들기 경험의 의미를 질 연구 방법을 통해서 이해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 이 있다.

이를 해 본 연구에서는 질 연구의 여러 방법론 근거이론을 선택하 다. 근거이론 연구

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해 ‘통일된 이론 설명’, 즉 이론을 생성하고 발견하는 것이다.

근거이론에서 핵심아이디어는 과정을 경험해온 연구참여자들로부터 나온 자료에서 창출되었

거나 그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는 의미이다(조흥식 역, 2007).

Strauss & Corbin(1998)은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상들과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상들에 해 설명해주는 하나의 과정이며, 이 과정의 형성에서 나타나는 개념들과 사회 인

실체에 해 인과 계를 변해주는 과학 인 연구방법이라고 하 다. 상학 등 다른 질

근들은 구체 인 연구 차를 가지기 보다는 상의 기술을 통한 본질, 즉 의미 찾기에 주로

을 맞추고 있는 반면 근거이론은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고 단계별 코딩과정에 따라 특정

상이 함축하고 있는 개념들 간의 구조화된 이론을 생성, 발견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근거이론의 방법은 개방 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의 크게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 개방코딩은 수집된 자료를 개념어로 바꾸는 작업이며,

이는 미시 분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객 인 시각에서 상

을 해석하여야 하며 그 의미 한 객 인 으로 범주화 시키는 연구자의 노력이 요구된

다. 축 코딩은 개방코딩을 통해 출 된 여러 범주를 패러다임이라는 틀에 맞게 나타나는 심

상을 심으로 하나의 축에 연결시켜 분석을 하는 과정이며, 범주의 계를 밝 내는 과정

이다. 즉, 결과에 나타난 의미들 사이의 상호 계를 연결하여야 한다. 선택코딩은 연구자가 추

상화 시키는 단계로 상황을 해석하고 해결하는 과정으로 하나의 이야기하기를 통해 결론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근거이론은 질 연구 방법의 틀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다른 연구방법론 보다 객 성

을 갖춘 연구방법론으로, 연구참여자들에 한 경험과 과정을 질 이면서도 객 인 성격을

담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을리더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공동체 활동과정과 의

미를 구명하는 목 의 연구로서, 근거이론을 용하는 것이 매우 타당하다.

Page 7: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 연구의 공간적 배경: 칠곡군 석적읍 ☆☆아파트 다정한 이웃공동체

본 연구의 사례지인 A아 트는 행정 으로 경상북도 칠곡군 석 읍 3리, 4리, 5리에 소

재하고 있는 아 트이다. 이 아 트는 구미와 인 하고 있어, 구미지역의 생활권을 이루고 있

다. 주변에는 공단이 많이 자리하고 있어, 마을 주민들 에서 공장 근로자들이 가장 많은 비

을 차지하고 있다. 1998년에 착공을 하여 2000년부터 입주를 시작하 고, 2001년 완공을 하

다. 총 세 수는 2,635세 로 경상북도에서 가장 두 번째로 큰 세 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연령은 약 28.6세(2017년 기 )1)이다.

A아 트 공동체는 2004년 새마을문고를 조성하여 활동하 으며, 2009년에는 새마을문고가

새마을작은도서 으로 변경되었다. 사실 이 시기에는 도서 사자가 없어 자칫 공동체가 와

해될 수 도 있었지만, 새로운 리더가 선출되고 난 뒤, 공동체 조직과 로그램이 정비되었다.

따라서 A아 트 공동체가 본격 인 공동체로서 로그램을 운 하고, 주민 사자들을 섭외

하여 운 한 것이 이 시기이다. 그리고 ‘공동육아’라는 테마를 가지고 처음으로 활동한 시기이

기도 하다.2)

A아 트에서 추구하는 공동육아는 거 한 규모의 거창한 성격의 것이 아니다. A아 트 도

서 의 사자들은 슬하에 자녀를 두었으며, ‘우리 한번 아이들 같이 키워볼래?’라는 단순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활동 기에는 동조합을 만들어 리사업을 수행하고, 시설을 조성하

는 등 일반 인 어린이집처럼 아이들의 교육과 일상을 돌보고자 하는 목표가 있었다. 하지만

산 운 등 실 인 한계를 느껴, 재는 아 트에서 진행할 수 있는 문화 술, 교육

등의 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아이들을 돌보고 있다.3)

처음에 대구, 부산 하고 다른 지역에 공동육아보러 막 댕겨봤어요. 그리고 여기 엄마들은 예전에 활동하다가

돈도 필요하고, 애도 키워야하고 그래서 꿈을 접고 여기서 살다가 우리가 이런거 하니까 수업 받으러 오잖아

요. 그런데 수업은 듣고 싶은데, 아들을 봐 줄 사람이 없다고 카면 옆에 보육 자격증 있는 엄마들이 내가 봐준

다고, 그러면서 수업을 하고, 수업들으면서 애들은 옆에서 같이 봐주고. 그 정도로 하고 있어요.

(참여자 D, 2018.01.12. 면담)

최근 A아 트 공동체는 2013년 인문학 도시조성 사업, 2015년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에 선정

되어 더욱 다양한 로그램을 운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공동육아’를 공동체 활동의

큰 테마로 설정하고, 어린아이들을 상으로 하는 교육 로그램, 문화 술 로그램 등이 큰

비 을 차지하며, 아이들 외에도 청소년들, 부모님들 등 다양한 연령에서 공감을 할 수 있는

1) A아 트 내부자료 참조2) 연구참여자 A의 구술 (2018. 01. 11. 면담)3) 연구참여자 C, D, E, F 구술 정리 (2018. 01. 12. - 2018. 01. 27. 면담)

Page 8: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8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로그램을 만들어 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지 까지 A아 트 공동체 활동 진행과정을 그림

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그림 1 참조>.

이처럼 A아 트 공동체는 새마을도서 부터 시작하여 재까지 활동을 하면서 와해될

기도 있었지만, 새로운 마을리더의 능력과 주민들의 극 인 활동을 통해 기를 벗어났다.

이후 인문학 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되면서 기존의 도서 사자 4인과, 신규 사자 1인을 공

동 마을리더로 선정하 으며, 마을축제․꼬마장터 등의 로그램도 추가되어 더욱 활발한 공

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한 2015년에는,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모든 연

령 가 함께 할 수 있는 가족탐방 , 마을 운동회 등의 로그램을 운 하 고, 이에 마을리더

들은 성취감, 만족감을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 보상도 없는 마을리더들이 공동

체 활동을 하는 이유와 참여에 한 궁 증에서 시작하 으며, 이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칠곡군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마을리더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 다.

<그림 1> A아파트 공동체 진행 과정

이처럼 A아 트 공동체는 새마을도서 부터 시작하여 재까지 활동을 하면서 와해될

기도 있었지만, 새로운 마을리더의 능력과 주민들의 극 인 활동을 통해 기를 벗어났다.

이후 인문학 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되면서 기존의 도서 사자 4인과, 신규 사자 1인을 공

Page 9: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동 마을리더로 선정하 으며, 마을축제․꼬마장터 등의 로그램도 추가되어 더욱 활발한 공

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한 2015년에는,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모든 연

령 가 함께 할 수 있는 가족탐방 , 마을 운동회 등의 로그램을 운 하 고, 이에 마을리더

들은 성취감, 만족감을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 보상도 없는 마을리더들이 공동

체 활동을 하는 이유와 참여에 한 궁 증에서 시작하 으며, 이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칠곡군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마을리더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 다.

3. 연구참여자

질 연구에서 연구참여자가 차지하는 비 은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는 칠곡군

☆☆아 트 마을공동체 활동을 하고 있는 마을리더 6인이다. 이들 6인은 회장, 부회장, 기획,

총무, 교육 로그램의 업무를 수행하며 마을공동체 활동을 주체 으로 참여하는 공동 마을리

더들이다.

연구참여자들의 거주시기는 2000년 경 부터이며, 약 10여년 정도 아 트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다. 이들 5명은 작은도서 활동으로 공동체 활동을 시작하여, 인문학 사업과 연계

되어 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과정을 분석하고 지속 으로 참여

하는 요인을 도출하기 한 연구목 에 가장 합한 연구참여자이다.

ID 출생년도 성별 직책 업무 거주시기공동체

활동시기리더활동시기

A 1975년 여

인문학 마을리더,

작은도서 회장,

장난감도서 장

책임 총 2008년- 재 2009년 2009년

B 1981년 여사업단 총무, 인문학

마을기자, 주민교사 가베 로그램 2007년- 재 2011년 2013년

C 1975년 여

작은도서 총무,

공동 마을리더,

주민교사

미술, 음악,

요가 로그램

담당

2002-2006년

2008년- 재2013년 2013년

D 1972년 여

작은 도서 부회장,

공동 마을리더,

주민교사

기획업무,

청소년 담당2000년- 재 2013년 2014년

E 1971년 남공동 마을리더,

주민교사

목공

로그램,

청소년 담당

2000년- 재 2013년 2014년

F 1968년 여

공동 마을리더, 작은

도서 감사,

주민교사

성인담당 2000년- 재 2007년 2013년

<표 1> 연구참여자 정보

Page 10: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10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4. 자료수집 및 연구윤리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연구자는 자료 수집도구로서 심층면담의 질 연구방법

을 사용하 다. 심층면담은 2018년 01월 11일부터 01월 27 일까지 7회 진행하 으며, 일 일

개인면담으로 진행하 다. 반구조 인 면담과 비 구조화된 면담을 병행하 으며, 각각의 면

은 1시간 10분부터 1시간 40분 정도 이루어졌다. 인터뷰 장소는 참여자들의 편의를 반 하여

아 트 내 작은도서 ․석 읍 장난감 도서 ․직장 부근 카페에서 이루어졌다. <표 2>와 같

이 사 에 비된 질문을 바탕으로 면 을 진행하되 편안한 분 기를 조성하여 최 한 자유

로운 화를 유도하 다. 모든 연구참여자들에게 면 을 하기 녹취에 한 허락을 구하

으며, 조사 반에 걸쳐 장노트를 기록하 다.

구분 질문내용

참여자정보- A아 트 거주시기 공동체 활동 시기는 언제입니까?

- 재 직업은 어떻게 되십니까?

공동육아 활동 이유- 공동체 활동을 참여하는 이유 동기는 무엇입니까?

- 공동체 활동 이 , 공동체 활동에 해서 알고 있었습니까?

공동육아 활동 경험

- 공동체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공동체 활동에서 어떤 일을 맡고 계십니까?

- 공동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말 해 주세요.

- 공동체 활동 에서 인상 깊었던 은 무엇입니까?

- 공동체 활동 에서 힘드신 은 없으십니까?

- A아 트 공동체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앞으로의 기- 공동체 활동을 하면서 변화한 은 무엇입니까?

- 앞으로 공동체 활동은 어떻게 되시길 바랍니까?

<표 2> 면접 질문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차를 수하여 개방코딩(open

coding), 축 코딩(axial coding),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의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는 개방코딩의 과정으로 연구자는 녹취내용과 면 노트 등 수집 자료를 수차례 반복하여

읽고 연구참여자들의 구술한 내용을 범주화하는 과정으로 우선 하 범주로 설정하 으며, 이

를 추상화 과정을 통해 상 범주의 개념으로 정리하 다. 이 과정은 본 연구의 목 에 부합할

수 있도록 ‘마을 공동체 활동 경험’이라는 요소에 을 맞추었다. 두 번째 단계는 축 코딩으

로서 패러다임 모형에 기 하여 범주화된 내용들을 인과 조건, 맥락 조건, 심 상, 재

조건, 상호작용 략, 결과의 6가지 속성으로 구분하 다. 두 가지 이상의 속성에 복되는

경우에는 하 차원에 한 반복 인 분석을 통해 더욱 두드러지는 한 가지 속성으로 결정하

Page 11: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1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다. 마지막 단계는 선택 코딩으로 본 연구의 핵심 질문인 ‘마을 공동체 활동 경험에 한

이론을 구체화하기 해 분석결과를 도식화하여 재구성하 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된

결과는 해당 내용을 잘 보여주는 면 내용들을 6가지 속성 별로 직 인용을 통해 보여주고,

이 내용이 공동체 경험의 의미를 나타내기 한 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졌다.

Ⅳ. 연구결과

1. 마을 공동체 참여 경험의 개념 및 개념 범주화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을 통해 얻은 구술자료를 근거로 반복 인 질문과 비교분

석의 차를 통해 개념 범주를 구성하 다. 서로 유사한 개념은 통합하 으며, 이에 64개의

개념과 23개의 하 범주 8개의 범주가 분석되었다<표 3 참조>.

패러다임 상 범주 하 범주 개념어

인과

조건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이유

무료함․우울증 ・우울증을 앓고 있었음

・출산 후 삶은 무료함

교육문화회 평생학습 경험 ・평생학습을 통한 사회복지, 육아분야 자격증 취득

공동체 삶에 한 갈망 ・☆☆아 트 공동체 활동에 한 그리움

도서 회장님과의 인연 ・회장님의 권유, 설득

상황

맥락

A

아 트의

환경

조건

작은 도서 공동체 활동

・도서 지원사업 마을 내 운

・칠곡군에서 작은도서 700만원 지원

・새마을문고 지회에서 1년에 120만원 지원.

・도서 공간 생성

・도서 사자들 섭외

・ 사자들끼리의 공론장을 통한 공동육아 제안

・ 사자들끼리 조직 활동

・도서 사업을 하면서부터 여기 공간이 생겼어요.

규모가 큰 아 트・경북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세 수로 2635세 가

있음

어린 자녀를 둔 은

맞벌이부부의 큰 비

・평균연령이 28.6세가 되는 은이들의 마을

・신혼가구, 어린이들이 많은 마을

・다자녀가구가 많음

・주변에 등학교, 어린이집이 52개가 있음

문화소외지

・교통이 불편한 문화소외지

・석 읍은 도시도 아니고, 농 도 아닌 모호한

정체성이 있는 곳

심 상

나와

아이의

인격

동반성장

부모와 아이들의 계 개선 ・공감을 통한 부모 자식 간 계 개선

자녀들의 올바른 성장・공동육아 활동의 계 형성이 자녀들의 성장에

정 인 향

엄마들의 정 인 심리효과 ・엄마들의 스트 스 해소 소속감 제고

<표 3> 마을리더 인터뷰 결과

Page 12: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12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패러다임 상 범주 하 범주 개념어

조건

마을사업

진행의

어려움

산의 문제

・ 산에 따른 로그램 제한

・ 산 집행시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가지는

휴식기

어려운 계와 사소한 갈등

・힘든 의사결정 과정

・리더 활동 속에서 생길 수 있는 사소한 갈등들

・축제에 따른 주민들의 불만 사례

아 트가

가진

한계

임 아 트의 한계

・ 은 부부들의 짧은 정주기간

・주인의식 결여

・지원사업에서 아 트마을은 통마을에 비해

홀 받는 다고 여기고 있음

홍보의 어려움

・ 수막 거치에 한 어려움

・공고문 게시에 한 어려움

・인문학마을 이라는 정체성을 나타내

하드웨어의 부족

상호작용

주민들의

만족도

제고

주민들의 극 인 활동

・주민교사들의 고용을 통한 마을활동 진정성 제고

・주민교사 활동을 통한 경력단 극복

・청소년들의 소통활동을 통한 바른 육아

・부모 자식 사이의 소통 증가

・온라인 커뮤니티 밴드 활동 (115명의 회원)

・청소년 사단들의 활동

실제 인 공동체 활동목표

공유

・거창한 목표는 한계에 부딪힘

・작은 공동육아를 실천하는 공동체 활동

분양을 통한 정주의식 상승・분양을 통한 주민들의 주인의식 제고

・결속력 강화 아 트 분 기 환

마을

자치성

강화

주민들의 소통을 통한

효율 안

・자체 으로 운 하는 마을사업들

・명확한 업무분담을 통한 문성 강화

・주민들의 로그램 제안과 마을 리더들의 수용

마을 사업을 통한

재정 지원

・인문학 마을 리더교육을 받았어요.

・생활문화공동체 지원을 받고 있어요.

・ 산이 큰 로그램들의 진행용이

・생활문화공동체 사업종료 후의 고민들

다양한 교육 로그램 ・다양한 연령을 한 로그램 운

・ 로그램들에 한 늘어가는 주민들의 참여도

사시간 부여 ・1365 사시간 부여

결과

지속

참여

가능성

심리 안정 정

인간 계 형성

・마을 활동을 통한 스트 스 해소

・마을리더로서 발 되는 책임감, 사명감, 소속감

・삶의 재미를 찾아가는 공동체 활동

・마을리더들 사이에 정 인 인간 계 형성

・주민들과 리더들 사이에 정 인 인간 계 형성

새로운 공동체 활동에 한

・앞으로도 지속 인 도 의 시도

・아 트를 떠나지 않는 마을리더들

・ 동조합 설립

・비 리법인을 통한 장난감 도서 활동

<표 3> 마을리더 인터뷰 결과(계속)

Page 13: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1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그림 2> 마을리더 구술자료를 통한 근거이론 패러다임

Page 14: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14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축 코딩은 개방코딩에서 분해, 해체되었던 자료를 재조합하는 과정으로 본 근거자료에 의해

도출된 6개의 범주를 재조합한 패러다임 모형은 <그림 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출된 축코딩 모형은 동료연구자 연구참여자가 함께 검증하는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의

차에 따라 확인하고 검증하 다.

2.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 요소

1) 인과적 조건

근거이론에서 ‘인과 조건’은 어떤 상이 일어나게 되는 요인 는 원인 등의 조건을 나타

내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본 연구사례를 통한 인과 조건은 ‘마을공동체 활동에 한 참여동

기’가 이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인과 조건은 마을공동체 활동을 하는 개인 ․미시 인 이유가 마을

공동체 활동에 인과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연구참여자들은 출산 후 일상의 무료함을

극복하고, 모두가 함께하는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바람이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계기

로 이어졌다. 따라서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이유’라는 상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그에 따른

하 범주로 ‘무료함․우을증 극복’, ‘교육문화회 평생학습 경험’, ‘공동체 삶에 한 갈망’,

‘도서 회장님과의 인연’이라는 4개의 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전에 도서관 봉사를 했었어요. 도서관 봉사를 하다가 인문학마을로 넘어갔어요. 저는 이제 약간 우울증

을 심하게 겪었었거든요. 우울증이라고 전혀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감정기복이라는게 생겼나봐요. 저도

이제 심리학 공부를 따로 했긴 했었는데, 정작 다른 사람들의 심리는 알아볼 수 있지만, 제 심리를 모르겠더라

고요. 같이 이 일을 하자고 회장님 전화가 왔었어요. 그래서 저는 통화도 끊고, 생각해 보겠다는 말도 안하고,

오케이 한 거에요……

(참여자 C, 2018.01.16. 면담)

……(저는) 대구 사람이거든요. 쭉~ 살다가 결혼하면서 이쪽으로 이사를 와서 계속 맞벌이 하다가 애기를 봐

줄 사람이 없어서 큰 애를 낳으면서 애를 키우고 있는데, 너무 심심한거에요. 계속 일만 하던 사람이 집에

있으니까. 할 일이 없는거에요. 정말 우울증 걸리는줄 알았어요. 할 일이 너무 없어서 노는 김에 공부나 해보

자 싶어서 알아보다가 칠곡교육문화회관 평생학습강좌가 있거든요. 그래서 놀면 뭐하나 저거나 배워보자 해

가지고, 큰 애가 돌 지나고 16개월 쯤 되었을 때 자격증도 다니고 교문에 등록해서 공부를 시작했거든요…(중

략)…그거 하면서 회장님 만나고 회장님이 ‘니 뭐 할 일도 없는데 뭐하나, 봉사나 해봐라’해가지고 저는

그때 도서관이 있는지 알았어요…….

(참여자 B, 2018.01.18. 면담)

Page 15: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1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이들의 구체 인 진술을 통해서 당시의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들은 여러 가지 이유

로 당시 심리 불안 증세를 겪었고, 이러한 불안증세를 극복하기 한 안으로 마을공동체

활동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2) 상황적 맥락

상황 맥락은 심 상에 향을 미치는 환경이나 문제를 만들어내는 특정한 조건들로 상

호작용 략을 다루고, 수행하고, 조 하며 어떤 특수한 상에 응하기 하여 설정되는 구

체 인 상황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활동가들의 마을공동체에 한 경험의 상황 맥락으로 ‘작은 도서 공

동체 활동’, ‘규모가 큰 아 트’, ‘어린 자녀를 둔 은 맞벌이 부부의 큰 비 ’, ‘문화소외지’의

하 범주를 통해 ‘A아 트 마을의 환경 조건’이라는 상 범주 맥락으로 도출하 다.

A아 트는 2,635세 가 있는 단지의 아 트로, 인근 공장근로자들의 신혼집, 어린자녀를

둔 은 부부들에게 인기 있는 아 트이다. 따라서 어린자녀를 둔 은 맞벌이 부부들이 많이

살고 있다. 2004년에는 새마을도서 공동체 활동을 시작하여 아 트 마을 도서 을 심으로

독서 련 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었고, 이를 해 몇몇 주민들이 도서 사를 하면서 공

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때도 작은도서관이 아니고, 새마을도서관. 그거 활동하면서 애들 자체이제 칠곡 같은 경우는

새마을 공동 거기해서 지원을 해서 하거든요? 애들 특강 같은 거 한다거나 저희 애도 어렸었으니까

그때는, 특강같은거 있으면 다시 배우고, 그렇게 하면서 엄마들 모임이 시작하시게 된 거죠. 그래

서 활동 자체가 활성화 되어서 엄마들끼리 더 알게 되고, 엄마들 같이 활동하니까 계속 활동했

죠…….

(참여자 D, 2018.01.12.면담)

……여기는 정말 문화소외지이거든요. 어떻게 생각하면 부모님 다 데리고 가서 커버를 해줄 수 있으면 다행이

지만, 그래도 쉽지 않거든요. 여기저기 찾아다니면서 박물관 다니고, 안되는데 뭔가 같이 가족단위로 움직일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지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들이 칠곡군에는 거의 없어요…….

(참여자 A, 2018.01.12.면담)

한 A아 트는 버스가 2 밖에 다니지 않아, 교통 환경이 좋지 못한 곳이며, 이는 문화

술 향유활동에도 부정 인 향을 미치고 있었다. 주민들은 문화 술을 향유하기 해서 구미

는 왜 으로 나가야 했는데, 이동 수단의 불편함이 그들의 문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맥락이 ‘마을공동체 활동의 주체 참여’를 하는 맥락으로 작용하 다.

Page 16: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16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3) 심 상

근거이론에서의 심 상은 체 인 경험 과정의 핵심으로, 어떤 작용에 의해 다루어지며

조 되거나 련 집단의 심생각이나 사건들을 이른다(Strauss & Corbin, 1998). 따라서 면

담 시 화의 주요소재여야 하며, 심 상은 그 자체로 체 인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

다. 본 연구의 심 상은 ‘나와 아이의 인격 동반 성장’이며, 하 범주는 ‘부모와 아이들

의 계 개선’, ‘자녀들의 올바른 성장’, ‘엄마들의 정 인 심리효과’라는 하 범주로 도출하

다.

……(우리 아이들도) 알아가는거죠. 내만 힘들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다 얘기해보면 힘든 거 다 있고 하니

까. …(중략)… 우리 애도 외동인데, 중 1때 인문학 같이 하면서 같이 봉사하고 하는데, 같이 다니다 보니까

남들은 힘든 중2 사춘기를 우리는 별 그거 없이 하면서 보냈거든요. 마을 이모들이 와서 다 같이 얘기해주고,

제가 혼내면 왜 혼내고 하면서 애 편도 들어주고 하니까, 자기는 여기와서 다양한 이모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서 엄마가 하는 얘기는 잔소리가 될 수 있는데, 옆집 이모, 다른 집 이모들의 얘기는 다 듣고 하니까 사춘기도

남들처럼 힘들지 않게 보냈구요……

(참여자 C, 2018.01.16. 면담)

……활동하기 전에는 우울했는데 이제 나오니까 살만하고, 이럴 때 그거 공감해주는 사람 있으니까 되게 좋아

요. …(중략)…엄마들이 우울 할 때가 소속감이 없을 때 거든요. 나의 소속이 없다는 것이 그게 엄마들한테

되게 우울감을 주는거거든요. 남편은 회사에 소속되어 있으니까. 엄마는 시댁 소속에 아이소속에 소속감은

많아요. 그런데 별 필요 없는 소속감이잖아요. 그런데 내가 나가서 소속감도 생기고, 내가 하는 일에 대해서

인정받고, 할 일이 있으니까 그런 게 좋아요. 우울함을 이기는데 최고에요……

(참여자 B, 2018.01.18. 면담)

연구 참여자들의 공동육아 활동을 통해서 참여자들과 자식들 간 인격 인 동반 성장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식들과 함께하는 공동육아 활동을 통해 서

로에 해 공감을 이끌어내고, 공감은 이들의 계를 개선해주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리고

자녀들은 연구참여자들의 공동육아 리더로서 활동이 자신들의 삶에도 향을 주고 있다. 즉

공동육아 공동체 리더들의 활동은 자녀들에게 ‘마을리더의 아들, 딸’이라는 인식을 주고 있으

며, 이는 다른 형태의 책임감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책임감과 같은 의식의 형성은 자녀

들로 하여 올바르고 정직한 행동을 하게끔 유도한다는 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한 이들의 공동육아 활동을 통해 엄마들은 스트 스를 해소 할 뿐만 아니라, 개인 인 우울감

을 극복하고 마을에 한 소속감을 고취시킴으로써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출산 후 스트 스,

홀로 육아를 하는 외롭고 힘든 싸움에서 공동육아 활동은 이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

는 역할을 하고 있다.

Page 17: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1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연구 참여자들은 공동육아 활동에 참여하면서 마을 공동체 활동에 한 반 인 기획부터

산집행․홍보 등 사사로운 일까지 많은 업무를 수행 해 나가야 한다. 공동체 활동의 리더로

서 이들은 정신 ․체력 으로 힘이 들지만, 이들에게 제공되는 물리 보상도 없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을 통해 얻는 즐거움, 아이들의 바른 성장 등이 부모와 자식 간에서 동반 성장을

유도하고, 이러한 을 이유로 공동육아 활동에 지속 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유로 본 연구의 심 상은 ‘나와 아이의 인격 동반 성장’으로 분석하 다.

4) 재 조건

재 조건은 어떤 상에 속하면서 보다 범 한 구조 맥락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것

은 특정한 맥락 안에서 취해진 상호작용 략을 조작하거나 강요하도록 작용한다. 본 연구에

서는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함’과 같은 인과 조건이 ‘힘들지만 잘하고 싶음’이라는 심

상에 향을 주는 것을 약화시키면서, 동시에 상호작용 략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범주

를 재 조건으로 설정하 다.

……있죠 당연히 있죠. 의견차는 분명히 있죠. 프로그램 선정할때도 있고, 프로그램 대상을 정할때도 그렇고,

비용을 정할 때도 그렇고, 없다고 하면 그게 거짓말이죠…….

(참여자 F, 2018.02.01. 면담)

……일단 나는 여기 임대아파트에 기껏 살다가 나는 더 좋은 아파트로 갈 거야. 아니면 나는 여기에 내가 오래

살 곳이 아니야. 그냥 잠깐 몇 년 동안 머무르다가 가는 곳이라는 마음에서 아니다 라고 생각들 하죠…….

(참여자 E, 2018.01.12.면담)

이러한 기 에 의해 마을활동가들의 마을공동체 활동 경험에 한 재 조건으로 ‘마을사

업 진행의 어려움’, ‘아 트가 가진 한계 ’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재 조건은 ‘A아 트 마

을의 환경 조건’이 ‘힘들지만 잘하고 싶음’에 향을 주는 것을 약화하거나 강화시키는 역할

을 한다. 한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출된 재 조건은 상호작용 략인 ‘주민들의 만

족도 제고’, ‘마을 자치성 강화’를 방해하는데 직 으로 련되어 있는 조건으로 설정하 다.

5) 상호작용 략

상호작용 략은 특정하게 인지된 상황 아래에 상을 다루고 조 하며 실행하고 처하도

록 분석된 략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의 만족도 제고’, ‘마을 자치성 강화’가 ‘힘

들지만 재미있음’이 근거이론 패러다임에서 ‘상호작용 략’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재 조

건의 부정 인 향에도 불구하고 연구 참여자들은 ‘주민들의 만족도 제고’와 ‘마을 자치성 강

Page 18: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18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화’라는 상 범주의 상호작용 략을 통해 정 인 향을 받고 있었다.

……처음에는 우리가 거창하게 시작을 했죠. 협동조합을 만들어서 그렇게 시작 했는데. 사실 그게

잘 안됐잖아요. 그런데 주민들이 열심히 하고 거기 만족하는 모습을 보니까 거기에 우리가 힘이 솟

는거에요. 재밌다 재밌다 다음에 또 하자, 하면 나도 도와줄게 이런 모습이 너무 좋더라고요.

(참여자 D, 2018.01.12.면담)

구술자료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보면 주민들은 마을 리더들이 진행하는 공동체 활동이 주

민 자신의 삶에도 만족을 느끼게 하고 있었다. 이러한 마을리더들과 주민들의 정 인 상호

작용은 마을리더들에게는 마을공동체 활동을 지속하는 큰 힘이 되고 있었다. 이에 마을리더들

은 지속 인 공동체 활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다양한 경험의 축 으로 이어져, 공동체 활동

에 있어서 문성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A아 트 마을은 마을리더들을 심

으로 행정기 문가의 개입보다 주민자치로서의 마을공동체 활동을 실천하고 있었다.

6) 결과

이 같은 과정을 통해서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마을 리더들은 마을에 해 지속 인

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것으로 단된다. 이러한 이유는 ‘심리 안정 정 인간 계

형성’, ‘새로운 공동체 활동에 한 기 ’ 하 범주를 통해 유추 할 수 있다. 우선 ‘심리 안정

정 인간 계 형성’을 구성하는 개념어들을 살펴보면, ‘마을 활동을 통해 스트 스 해소’

를 할 수 있었고, ‘마을리더로서 책임감, 사명감, 소속감’이 발 된다고 하 다. 그리고 ‘삶의

재미를 찾아가는 공동체 활동’에 정 으로 평가하 고, ‘마을 리더들 사이에서 정 인 인

간 계 형성’, ‘주민들과 리더들 사이에서 정 인 인간 계 형성’으로 진술된 것으로 보아,

마을공동체 활동이 인간 계도 정 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참여자들은 ‘새로운 공동체 활동에 한 기 ’심리를 가지고 있었다. 마을리더들

은 인문학 마을공동체 사업 외에도 아 트 마을을 기반으로 공동체 사업에 해 지속 으로

도 하고 이에 한 활동을 실천하고자 한다. 이를 해서 아 트를 떠나지 않을 것임을 개념

어들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한 지속가능성의 제고를 해 동조합과 비 리법인의 활동

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공동체 활동의 ‘ 재’에 그치지 않고, ‘미래’를 비하는 리더들의 계획

을 생각할 수 있다.

……저희 마을 성격에 맞는 지원사업이 있으면 지원을 할거구요. 그리고 협동조합에서 장난감 도서관을 하고

Page 19: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있으니까 그걸 더 신경써야 하고. 그리고 저희도 사업을 해야죠. 수익사업을. 꾸준히 운영비가 나올 수 있는

그게 있어야 하거든요…….

(참여자 B, 2018.01.18.면담)

연구참여자들은 ‘앞으로 지속 인 도 을 시도’하고 있었고, 이는 공동체 활동으로 인해 발

생하는 정 인 요소로 인해서 ‘아 트를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자부하고 있었다. 그리고 앞

으로는 ‘ 동조합’을 만들고, ‘비 리 법인’ 등의 새로운 조직을 통해서 산을 지원받고, 마을

공동체 활동에 있어 산지원을 넘어 수익창출을 통한 자립을 시도하기 한 새로운 공동체

활동을 기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하 범주들을 토 로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를 ‘지

속 참여 가능성’이라 분석하 다.

3.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과정에 대한 전반적 기술

1) 상황 계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의 선택코딩 과정을 마을리더들이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상황

계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핵심범주를 도출하 다. 근거이론 근에서 ‘상황 계’는

심 상인 마을공동체 활동의 상과 상황 맥락에 향을 미치는 인과 조건, 그리고 심

상에 향을 미치는 상황 맥락과의 향 계와 상황 인 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마

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마을리더들이 어떠한 인과 조건과 상황 맥락에 향을 받아

심 상인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가를 밝히고자 함 이다. 이러한 상황 계에

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첫째,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마을리더들은 그들의 개인 인 상황(무료함・우울증, 공

동체 삶에 한 갈망)과 경험(교육문화회 평생학습 경험, 도서 회장님과의 인연)으로

인해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과 조건은 A아 트가

가지는 상황 맥락에 직․간 인 향이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인과 조건’은 ‘힘들지만

잘하고 싶음’이라는 심 상에 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를 통해 ‘인과 조건’과 ‘ 심 상’

간의 계를 악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황 맥락’ 역시 심 상에 직, 간 인

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려는 A아 트의 ‘환경 조건’은 마을공

동체 활동의 참여에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의 상황 계를 통해 인과 조건(마을공동

체 참여이유)과 상황 맥락(A아 트 마을의 환경 조건), 그리고 심 상(부모와 자녀의

인격 동반 성장) 사이의 계를 악해 볼 수 있었으며, 지 까지 언 한 세 종류의 패러

다임은 상호 간 직․간 인 향을 끼친다는 상황 계를 알 수 있다.

Page 20: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20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2) 핵심범주: 지속 인 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해 가족의 인격 성장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인 마을리더들의 공동육아 공동체 활동의 참여에 한 이야기

윤곽을 형성하고 이 같은 과정에서 핵심범주를 발견하고자 하 다. 이야기 윤곽은 연구의 핵

심범주를 다른 범주나 개념에 체계 으로 연 시켜 그 연 성을 확인하면서 다듬으며 범주를

기술하는 과정으로서 서술을 통해 개념화로 가기 한 과정이다. 따라서 마을리더들의 마을공

동체 활동 경험을 살펴본 본 연구에서는 핵심범주를 ‘지속 인 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해 가족

의 인격 성장’으로 설정하 으며, 이에 해 이야기 윤곽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 다.

마을공동체 활동을 참여하고 있는 마을리더들은 각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 요인, 사람

계, 기 심리 등에 의해 공동육아 공동체의 리더로서 활동을 시작하 다. 이들이 거주하고

있는 A아 트 마을은 공동체 활동을 요구하는 환경 조건이 참여를 진하는 맥락으로 작용

하여 이들은 마을공동체 활동에 주체 으로 참여하 다. 이들은 자식들과 함께 육아공동체 활

동에 참여함으로써 엄마와 아이를 넘어, 가족구성원 모두가 인격 인 성장을 하고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

참여 이후 마을리더들은 ‘ 산의 문제’, ‘어려운 사람 계와 사소한 갈등’, ‘임 아 트의 한

계 ’, ‘홍보의 어려움’이라는 사회문화 인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이 이 바로 본 연구의 ‘

재 조건’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 재 조건’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더들은 ‘주

민들의 만족도 제고’, ‘마을 자치성 강화’를 하며 재 인 조건을 극복하는 ‘상호작용 략’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따라서 리더들은 마을공동체 활동의 지속 인 참여를 통해서 자신들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의 변화와 성장을 느끼게 되고, 한 마을 공동체의 질 발

에 해서 지속 인 고민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이야기 윤곽을 통해서 마을리더로서 마을

공동체에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과 고난, 힘듦을 경험하지만, 그들의 즐거움

과 성취감, 만족감, 심리 치료를 해 마을공동체 활동에 참여한다는 이야기의 윤곽과 핵심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Ⅴ. 결론 및 시사점

최근 많은 마을공동체에서 ‘공동육아’를 실천하고 있으며, 여기에 한 심도 계속 늘어나

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육아 공동체를 진행하는 마을리더들의 참여요인은 무엇이며 이

들의 참여경험은 어떤 것인가에 한 의문으로 시작하 다. 이에 공동육아 마을공동체 활동을

하고 있는 마을리더들의 지속 참여요소와 공동체 활동의 참여 과정을 칠곡군 A아 트 다정

한 이웃 공동체의 사례를 통해 악하고자 하 다. A아 트 공동육아 공동체는 새마을도서

사업을 통해 공동체가 형성되었으며, 최근 인문학 도시 조성사업, 생활문화공동체 사업 등에

Page 21: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2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선정으로써 다양한 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공동육아 마을공동체이다.

본 연구수행을 하여 질 연구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을 용하여 A

아 트 공동체의 마을리더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 다. 연구 결과, 마을리더들이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는 참여자들의 개인 ․심리 인 원인요소들이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공동체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산의 문제, 어려운 계와 사소한 갈등, 임 아 트의 한계 ,

홍보의 어려움 등이 방해요소로 나타났지만, 마을공동체 활동에 한 즐거움, 재정 지원, 다

양한 로그램 등으로 인한 주민들의 만족도 증가 등이 공동체 활동의 정 요인으로 작용

하여 이들의 참여를 극 화 시키고 있었다. 한 이들의 참여를 진시키기 해서는 정

인 인간 계와 새로운 공동체 활동에 한 기 등이 앞으로 희망의 메시지를 달하고 있었

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한 핵심범주는 ‘나와 아이의 인격 성장과 함께 지속 인 마

을활동 참여하기’로, 이들은 스스로 마을리더임을 인식함으로써 지속 인 마을활동을 기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동육아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과정을 바탕으로 결론 시사 을 분석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리더들의 경우 공동체 활동을 통해 심리 인 질병의 극복․ 정 인 인간 계 형

성 등에 한 정 인 혜택을 갖게 되었다. 이는 마을리더로서 마을공동체 활동에 더욱 몰입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개인 인 행복감․만족감 등의 정 인 감정으로 이어졌다. 마

을리더로서 마을주민들을 한 공동육아 로그램을 기획하고 비하며 진행하는 모든 과정

에서 재미와 몰입의 상들이 나타나며, 이는 행복감으로 표출되는 것이다. 지훈(2016)은 마

을리더들이 공동체 활동에서 다양한 계와 의미 있는 활동을 하고, 활동들의 결과로 성취

감․소속감․인정․연 감․자부심 등의 인식을 통해 행복으로 구성된다고 하 다. 본 연구

의 사례인 A아 트의 마을리더들 역시 마을공동체 활동을 함으로써 소속감․성취감․만족

감․즐거움 등을 느끼고 있다는 진술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둘째, 마을공동체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주민들이 참여를 유도하거나 참여자의 심도

를 높여 주민들의 의사결정참여와 주인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을공동

체 로그램을 기획할 때,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 하여야 하며, 마을리더들의 충분한 논

의 끝에 주민들의 참여를 극 화 할 수 있는 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아 트마

을공동체의 의식을 회복하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해서 ‘주민참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

나치지 않기 때문이다. 김혜 (2015)은 지역주민의 의사결정참여와 심리 주인의식이 농

마을조직의 활동에 몰입할 수 있는 정 인 향을 미친다고 분석하 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극 인 의사결정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 인 상호소통은 마을 공동체 활동에서 꼭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른 마을 는 기 과의 연계를 통해 활동범 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재 A아

트 로그램들 에서 경북 칠곡의 다른 통마을 농 마을에 한 답사 교류를 하는

Page 22: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22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로그램이 있지만, 모두 단기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조 더 심화 발

시켜 통 농 마을과의 지속 인 교류 로그램을 확 시킬 필요가 있다. 공동체 구성

원들은 타 마을 혹은 기 과의 지속 인 교류를 통해 더욱 다양한 로그램들을 할 수 있으

며, 아 트가 아닌 다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장인 (2013)과 배

식․김강 (2012)은 사회통합과 지역균형발 , 그리고 시민들의 행복과 실질 효용성을

해 도시-농 마을 간의 교류는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도 부합하고

있다.

넷째, 마을공동체 사업 종료 이후의 지속가능성 확보 여부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은 공

동체 지원사업이 끝난 후에도 자생 인 모델의 구축을 해 동조합 는 비 리법인을 조

직하기 한 시도를 하는 등 나름 로의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었다. 마을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은 마을공동체 해체를 억제하고, 공동체 인 문화를 정착하기 해 필요하다(이재민, 2018).

본 연구의 사례에서도 마을공동체 활동이 실질 인 공동체 해체 상에 한 안으로 작용

하기 해서는 지속가능성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연구참여자들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한 상이 상호작용 략으로 도출되었다.

기타의견으로, 홍보문제를 언 할 수 있다. A아 트의 경우 가장 시 한 문제가 홍보 문제

다. 아 트의 주거지 유형 특성상 입주자 표 회의 리사무소와의 극 인 소통을 통

해 수막 거치, 공고물 게시 부착 기한 연장 문제, 마을공동체 활동을 알리는 입간 설치

등에 해 조속한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이외에도 마을공동체의 성공 인 수행을 해서 행

정기 , 문가주체, 마을주체의 선순환체계 구축이 요구되며, 기존의 마을자치조직과 호혜

인 계를 설정하는 문제도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마을리더들은 공동육아공동체에 참여하는 과정과 이유를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통해 ‘지속 인 공동체 활동 참여를 통해 가족의 인격 성장’이라는

결과를 도출하 다. 이는 마을리더 자신만의 성장이 아니라 내 아이와 자신, 나아가 내 가족의

인격 성장을 진한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자신의 성장이 가족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가족의 성장이 아 트 마을 공동체의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동육아 마을공동체 활동 에서 마을리더들을 참여자만으로 연구를 진행하 기

때문에 체 마을 주민들의 참여경험과 참여과정의 의미를 변하지 못하는 한계 이 있다.

한 공동육아 공동체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갈등 과정, 주민들의 불만 등 공동육아 공동체를 진

행하는 데 있어 부정 인 요소들에 하여 효과 으로 분석하지 못하 다. 향후 연구에서는 마

을공동체에 참여하는 마을리더 뿐만 아니라, 마을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장기 지속 인 자

료수집과 이를 분석한 보다 심층 인 마을공동체 활동에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age 23: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한 근거이론 근: 경북 칠곡 A아 트 ‘다정한 이웃공동체’의 사례 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참 고 문 헌

강순주․이보배․김진 ․이종수, 2014, “아 트 단지 내 커뮤니티 운 요소와 유형별 활성화 방안”, 「한국주

거학회논문집」, 25(2): 109-120.

김기홍, 2014, 「마을의 재발견」, 올림.

김미란, 2008, “육아공동체에서 부모참여의 가능성과 한계: 가족에 의한 공동체의 형성과 경계들”, 「교육사회학

연구」, 18(3): 19-60.

김정희, 2000, “핵가족 어머니 육아와 품앗이 공동육아: 간계층 어머니와 아이의 체험을 심으로”, 「한국여

성학」, 16(1): 95-129.

노병찬․주덕, 2016,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참여 만족도에 따른 사회 자본 차이 분석: 자발 공동체 참여

경험의 조 효과를 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 241-259.

박 범, 2012, “지역 특성과 리더에 의한 농 마을만들기의 지속가능성 고찰”, 「한국농 건축학회논문집」,

14(3): 41-50.

박승, 2016, “여성 마을리더의 자기효능감이 리더십에 미치는 향: 개인 특성의 조 효과를 심으로”, 조

선 학교 석사학 논문.

박은식, 2007, “농 마을리더의 역할 역량분석, 농 자원과 생활”, 110: 3-10.

박진아․김병석, 2014, “근린환경만족도 지역사회 애착도가 마을만들기 활동 참여에 미치는 향 연구: 한

남1 재정비 진지구를 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2): 215-226.

박한식․김남조, 2008, “농 마을 리더의 역량분석과 역량모델 개발”, 「 연구」, 23(3): 239-256.

배 식․김강 , 2012, 「서울시 교류 력사업의 략 근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백 민․김용찬․채 길․김유정․김 란, 2016, “시민들의 가치지향, 정치 이념성향, 그리고 마을공동체 활

동 참여의 계”, 「사회과학논집」, 47(1): 239-263.

오승 ․박천오․진종순, 2010, “농 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한 실증연구: 농 통테마마을

을 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9(1): 191-217

우민정․주 , 2011,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품앗이 육아공동체 참여과정에서 겪는 정 경험과

어려움”,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47: 168.

윤석정, 2014, “여성리더들의 아름다운 비행: 마을사업과 마을강좌 성공비결”, 「주민자치」, 29: 56-59.

윤 상․김소윤․김성록, 2015, “농 지역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한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4(2): 319-

327.

이경석, 2016, “공동육아를 한 활동 공간 연계형 임 아 트 건축 구상”, 한양 학교 석사학 논문.

이아람, 2015, “품앗이 육아에서 어머니들이 겪는 어려움과 극복과정”, 북 학교 석사학 논문.

이 림, 2008, “품앗이 육아가 가르쳐 것”, 「창비어린이」, 6(3): 245-248.

이왕기․정승 , 2014, “고령사회에 응한 마을만들기 략 -인천지역 마을활동가 설문결과를 심으로”, 「한

국도시설계학회지」, 15(1): 137-150.

Page 24: 마을리더의 공동육아공동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육아 공동체가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아이들을 전인격적으로 키우며,

24 이 재 민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3호

이재민, 2018, “마을 만들기의 개를 통한 아 트 마을공동체의 성장 단계 연구: A군 드림아 트와 육아아

트의 사례”, 「지역과문화」, 5(2): 79-98.

장인 , 2013, “지방자치단체간 도농교류 활성화를 한 인식조사와 정책 함의”,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3): 177-200.

조윤경, 2011, “ 동 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돌 의 의미화와 가족 계의 변화”, 고려 학교 박

사학 논문.

지훈, 2016, “마을에서 공동체활동을 하는 주민들은 행복할까”, 「열린충남」, 75(0): 82-87.

조홍식 외, 2015, 「질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근」, 학지사.

Strauss & Corbin,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Martin, P. Y., & Turner, B. A. ,1986, “Grounded Theory and Organiz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AppliedBehavioral Science, 22(2): 141-157.

논문접수일:2019. 10. 15, 심사완료일:2019. 11. 13, 최종원고:2019.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