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
정책보고서2012-05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명수정이병국심창섭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정책보고서∣2012-0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명수정∣이병국∣심창섭

Page 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연구진

연구책임자 명수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참여연구원 이병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심창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산학연정 연구자문위원

김종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미래전략실 실장)

서흥원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 과장)

강희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강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 2012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발행인 이병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우편번호) 122-706

전화 02)380-7777 팩스 02)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2년 8월 26일

발행 2012년 9월 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663-6 93530

Page 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서 언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앞으로 인류에게 닥칠 위험에 대한 많은 보고와 경고가 쏟아지

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후변화 대응은 주로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성에 입각한 기후변

화 완화에 주력하여 왔으나 점차 기후변화의 부정적 향이 커짐에 따라 완화 뿐만 아니

라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2012년은 극심한 폭염과 가뭄으

로 인한 피해가 큰 해로 기후변화 적응은 더욱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의 향은 산업계에도 예외가 아니어서 지난 2011년 태국의 대홍수는 컴퓨터

와 자동차 등 산업계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고, 우리나라도 2012년 초 예기치 않은 폭설로

물류대란이 발생하여 산업계에 피해를 초래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부문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정부 중심으로 수립, 추진해오던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더 확장시켜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방향 설정에 있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과제를 책임 맡아 수행한 명수정 박사를 비롯하여 참여 연구진,

그리고 설문 참여와 면담 등으로 본 과제에 많은 도움을 주신 산업계 관계자 여러분과

관련 전문가들의 조언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2012년 9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이 병 욱

Page 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국문요약

20세기 이후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해 지표면 평균 온도의 상승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홍수, 가뭄, 폭염 등의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선진국

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전략과 대책을 수립하는 등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0년 범정부적 차원에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을

발표하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정부부문 위주

로 이뤄지고 있으며 국가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민간부문, 특히 산업계의 기후변

화 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나 전략은 미비한 실정이다. 민간부문에서의 기후변화의

향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

외 문헌 및 사례조사와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를

개발하여 적용하 으며 산업계 주요 업종별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 다.

먼저 기후변화가 민간부문, 특히 산업계에 미치는 향을 조사하 으며 그 결과, 기후

변화 중 특히 홍수나 태풍과 같은 극한 기후 사상의 피해가 증가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2011년 태국에서 발생한 대홍수는 태국 산업계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도 향을 미쳐 기후변화의 향으로

발생 가능한 위기에 사전 대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또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을 비교하기

위해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를 개발하 다.

지수 분석 결과, OECD 회원국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적응 역량은 중간 정도로 파악되었다. 적응 역량 중 특히 자원과 인프라 역량은

낮고 기술 역량과 사회경제적 역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주어진

Page 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여건을 초월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사회경제적 역량을 강화하여 기후변화 리스크와

자원부족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한다. 또한 수송과 보건 등 기후변화 적응 역량 구축의

기본이 되는 관련 인프라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산업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인식과 향, 그리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적응수요 파악을 위해 산업계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기후

변화를 위기이자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산업계에 미치는 기후변화 위험요인을

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세제혜택 및 규제완화, 기후

변화 적응 교육과 연수 기회 제공 등의 정부 유인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정부의

적응대책 중 산업계에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는 ‘적응산업 및 에너지’를 꼽았으며 다음으

로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재난 및 재해’ 부문을 꼽았다. 따라서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인프라를 강화하고 기상 예·경보 체계를 강화하며 날씨경 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 다.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기업의 자발적 노력과

소비자의 자극 및 정부의 지원, 그리고 정보의 공유와 경쟁업체의 자극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산업계뿐만 아니라 정부를 비롯하여 소비자의 역할

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계를 중심으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기업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적응 전략 수립을 유도해야 한다.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리스크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적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정부에서는 산업계가 리스크 평가와 적응 전략 수립을 자발

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경 에 있어서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

을 위해서는 기업이 어떠한 외적 교란에도 업무 연속성에 지장을 받지 않으며 만약 피해

를 입더라도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기업의 회복력과 업무연속성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관련 보험을 활성화하고 기업 평가체계를 개선하며 모기업-협력업

체 간 적응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적응 인증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Page 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날씨경 과 연계하는 것도 필요하다. 나아가 기업의 평가체계에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와 적응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민간부

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으며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리스크 평가

및 업무연속성 관리와 적응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역량 강화가 필요하므로 이를 돕는

컨설팅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관련 정보의 제공 및 공유와 더불어 관련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업종별 적응 프로그램 혹은 이니셔티브를 구축하

고 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또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산업계 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포함한 민간부문 전체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기후변화 적응행동 주체 간의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은

사회 전체가 모두 나서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민관 파트너십

구축과 협력 강화로 기후변화에 적응해 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민간 부문 중 제조업 중심의 산업계에 대해 다룬 연구로 여러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산업계의 다른 부문과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미치는 향에

대한 전망, 민간부문 중 시민사회의 기후변화 적응 등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남겨두는

바이다.

주제어: 기후변화 적응, 민간부문, 산업계, 리스크, 적응 역량

Page 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차 례∣제1장·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가.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3

나. 연구 방법 ······························································································ 4

제2장·기후변화와 민간부문················································································· 6

1. 기후변화와 이상기후 ················································································· 6

2. 기후변화의 향과 민간부문 ·································································· 13

가.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 ································································ 13

나. 산업계 기후변화 피해 사례: 2011년 태국 대홍수 ························ 24

다. 기후변화와 산업계의 새로운 기회 ·················································· 30

3. 국가 수준의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 분석 ················ 32

가.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 파악을 위한 지수 개발 · 32

나.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의 적용 ······································ 36

다.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의 분석 결과 ····························· 37

라. 요약 및 시사점 ················································································· 44

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국내·외 동향 ······························· 45

제3장·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수요························································ 51

1. 산업계의 기후변화 인식과 향 및 적응 수요 조사 ·························· 51

가. 조사 설계 및 구성 ·············································································· 51

나. 조사 결과 ···························································································· 52

Page 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 조사 결과의 요약 및 소결 ····································································· 63

가. 요약 및 시사점 ··················································································· 63

나. 소결 ······································································································ 64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 65

1. 기업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강화 및 적응 전략 수립 ···················· 66

2. 기업경 에 있어서의 기후변화 적응 고려 ··········································· 69

가. 기업의 업무 연속성 강화 ·································································· 70

나. 기업 평가체계의 개선 ······································································· 75

다. 모기업-협력업체 간 적응 파트너십 강화 ······································ 77

라. 적응 인증제도의 도입 ······································································· 79

3.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 및 적응시장의 활성화 ·········· 84

4. 정보 제공 및 공유 강화와 교육 ···························································· 86

가.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개발 및 제공 ··············································· 87

나. 산업계의 적응 프로그램과 이니셔티브의 구축 유도 ···················· 87

다. 정보 공유 ···························································································· 88

라. 관련 전문가 양성 ··············································································· 89

5. 시민사회 참여 및 적응 주체 간 협력 강화 ········································· 90

제5장·결론 및 제언···························································································· 92

1. 결론 ············································································································ 92

2. 제언 ··········································································································· 93

참고 문헌················································································································ 95

부록························································································································ 101

Page 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Ⅰ. 기후변화 적응역량 및 리스크의 우리나라 순위와 상하위 5개국 101

부록 Ⅱ.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 관련 조사 설문지 ······························· 104

부록 Ⅲ. 중소기업의 기업평가 체계 ························································· 112

부록 Ⅳ. 기후변화 및 녹색경 관련 기업평가제도의 평가체계 ········· 114

부록 Ⅴ. 한국 표준산업 분류 ···································································· 119

Abstract ················································································································ 121

Page 1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표차례∣<표 2-1> 기후변화 전망 ···························································································7

<표 2-2> 기후변화의 부문별 리스크 ····································································17

<표 2-3>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미치는 향 ······················································19

<표 2-4> 2011년 태국 대홍수의 경제적 손실 ····················································25

<표 2-5> 2011년 태국 대홍수의 주요 업체별 피해 내역 ·································26

<표 2-6>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의 입력 항목 ···················35

<표 2-7>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별 해당 국가 ·······································44

<표 3-1> 설문지 구성 개요 ···················································································52

<표 3-2> 산업 부문별 기후변화 향에 대한 피해 정도 ·······························55

<표 3-3> 기후변화 향별 미래의 피해 전망 ····················································56

<표 3-4> 산업 유형별 향도가 큰 피해 유형 ··················································57

<표 4-1> 런던 Stansted 공항 리스크 관리 범주 ··············································67

<표 4-2> 일본의 기업 휴지보험료 성장 추이 ····················································74

<표 4-3> 기후변화적응인증 평가지표 구성(안) ·················································80

<표 4-4> 인증제도의 인센티브 비교 ···································································82

<표 4-5> 국의 기후변화 적응 인벤토리 ··························································88

<표 4-6> 적응 주체별 적응 행동 ·········································································90

Page 1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그림차례∣<그림 1-1> 연구 흐름도 ···························································································5

<그림 2-1> 전 세계 자연재해 발생 횟수 및 피해액 추이 ··································8

<그림 2-2> 극한 기후사상과 그로 인한 피해의 비선형 관계 ····························9

<그림 2-3> 2011년도 발생한 세계의 주요 자연재해 ·········································10

<그림 2-4> 세계의 자연재해 경향 (1980∼2011년) ···········································10

<그림 2-5> 2011년도 발생한 주요 재해 피해 ·····················································11

<그림 2-6> 2011년도 발생한 우리나라의 이상기후 현상 ·································12

<그림 2-7> 기후변화에 의한 산업계의 리스크와 기회요인 ······························15

<그림 2-8> 비즈니스 구성요소와 기후변화의 잠재적 향 ······························16

<그림 2-9> 기업의 취약성 지도 ···········································································18

<그림 2-10> 항만시설에서 기후변화의 향을 받는 주요 역 ······················21

<그림 2-11> 태풍 매미로 인한 부산항 신감만 컨테이너 부두 피해 ···············22

<그림 2-12> 기후변화와 관련 변수 및 항만 기능에 대한 리스크 ··················23

<그림 2-13> 침수된 태국의 Rojana 산업단지 ···················································25

<그림 2-14> 태국 대홍수로 인한 피해 정도 ····················································27

<그림 2-15> 태국 대홍수 이후 생산과 판매의 평상 수준으로의 회복 기간 ·28

<그림 2-16> 태국 대홍수로 인한 일본의 주요 자동차 업계의 업이익 손실 29

<그림 2-17> 태국 대홍수 전·후 일부 업종의 월간 생산지수 및 수출지수 ·29

<그림 2-18> 기후변화 리스크의 입력자료 체계 ················································33

<그림 2-19> 적응 역량의 입력자료 체계 ····························································34

<그림 2-20>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 개발 및 분석 흐름도 ···········37

<그림 2-21> 기후변화 리스크 중분류의 국가 간 비교 ·····································38

<그림 2-22> OECD 회원국의 기후변화 리스크 순위 ·······································38

Page 1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그림 2-23> 기후변화 리스크의 세부 항목별 자료 분포 ·································39

<그림 2-24> 적응 역량 중분류의 국가 간 비교 ················································40

<그림 2-25> 기후변화 적응 역량의 항목별 자료 분포 ·····································41

<그림 2-26> OECD 회원국의 적응 역량 순위 ···················································42

<그림 2-27> OECD 회원국의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분포 ····················43

<그림 2-28> 국가 적응 과정에 있어 민간부문의 참여를 강조하는 국 ······46

<그림 2-29> 국 도로공사의 적응 전략 수립 절차 ········································49

<그림 2-30> PSI의 세계 분포 ··············································································50

<그림 3-1> 체감 기후변화 현상 ···········································································53

<그림 3-2> 산업계에서 피해를 경험한 바 있는 기후변화 관련 현상 ············54

<그림 3-3> 산업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59

<그림 3-4>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필요한 것 ····················································59

<그림 3-5>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 ·························60

<그림 3-6> 기후변화 위기타개를 위해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것 ················60

<그림 3-7>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도움이 되는 적응 정책 ······················62

<그림 4-1> 리스크 평가를 위한 발생 가능성과 결과 매트릭스 ······················68

<그림 4-2> 기후변화 리스크의 스크리닝 과정 ··················································69

<그림 4-3> 업무 연속성을 위한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 전략 프로세스 ·········71

<그림 4-4> 기업의 기후 회복력 구축을 위한 다섯 단계 ·································72

<그림 4-5>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협력체계 강화 ···························78

<그림 4-6> 기후변화 컨설팅 시장 전망 ·····························································85

Page 1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1장·서론 ∣ 1

∣ 제1장 ․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산업혁명 이후 대기 중에 급격히 축적된 온실가스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뿐만 아니

라 지구 기후계에 교란을 가져와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예상치

못한 기상이변의 발생으로 일반 국민과 산업계도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는데 세계 보험업

계는 근래 들어 더 잦아진 이상기후와 각종 자연재해의 발생으로 인한 보험손실 또한

급증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Munich Re, 2012; UN, 2010; the Geneva

Association, 2009). Munich Re(2012)는 2010년 자연재해로 약 1,520억 달러의 경제

적 손실이 발생하 고 2011년에는 3,800억 달러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 다고 한 바

있다. 케냐는 엘니뇨와 라니냐의 향으로 인한 홍수와 가뭄으로 1998∼2000년 사이

GDP의 16% 가량의 피해를 입었다. 1997∼1998년 엘니뇨로 인한 홍수로 교통 인프라

부문에서 약 777백만 달러의 피해를 입었으며 2009년에는 오랜 가뭄으로 인한 수력발전

의 어려움으로 산업 생산이 1,400백만 달러 감소했다(IFC, 2010). 스턴보고서(Stern,

2006)에 따르면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기후변화 적응과 온실가스 감축이 없다면 기후변

화의 향으로 BAU 대비 매년 GDP 성장률의 5∼20%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

다.

그동안 인류는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기후변화 완화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기후

변화의 부정적 향이 점차 커지면서 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

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의 심화로 기후변화 적응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0년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을 수립하 다. 그러나 그

내용은 정부부문의 정책 위주로 마련되어 민간부문 중 특히 산업계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 정책과 대비는 부족한 한계가 있었다. 공공부문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도 기후

변화의 향으로 인한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으며 또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부문도 적극적으로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

Page 1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경제에서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훨씬

더 커 민간부문이 기후변화에 미리 대비하지 못한다면 국가경제 및 민생에 미치는 향과

그 파급효과는 예상 외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의 기후변

화 적응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11년 태국에서 발생한 대홍수와 폭우는 세계적인 생산단지 및 물류창고 역할을

해온 방콕 북부 산업단지를 침수시켜 컴퓨터, 반도체, 자동차 산업에 큰 피해를 끼쳤으며

그 향과 피해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기도 하 다. 특히 제조업을 비롯해 산업계를

포함한 민간부문에 미친 태국 대홍수의 향은 90% 정도로 공공부문의 손실보다 훨씬

크다(Aon, 2012; World Bank, 2012). 기후변화의 향이 점점 커지자 일부 업계는

이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해외 선진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도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정부 위주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 민간부문으로 하여금 기후변화

적응 노력에 동참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UN 기후변화협약에서도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민간부문의 개입을 촉진하기 위해 나이로비 작업 프로그램 Private Sector

Initiative(PSI)가 제안되었으나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국내 기업의 참여도

전무한 실정이다. 기후변화 적응은 정부만의 과제가 아니라 사회 전 부문이 함께 노력해

야 하는 일이며 민간부문의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기후변화의 심화로 세계적으로

민간부문에서도 그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나 산업계를 비롯한 우리나라 민간부문의 기후

변화 적응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2011).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산업계를 비롯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를 관리하여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는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요 산업계를 중심으로 민간부문에서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민간부문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더 나아가 민간부문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하도록 해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하고 기후변화

적응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삼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Page 1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1장·서론 ∣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가. 연구의 범위 및 내용

본 연구는 산업계를 중심으로 기후변화가 민간부문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고 민간부

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파악하여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

는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부문은 범위가 넓어 단일

과제에서 모두 다룰 수 없으므로 본 연구는 민간부문 중 산업계, 그 중에서도 제조업과

보험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즉,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계가 기후변화

적응에 실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계의 기후변화 향과 산업계가 기후변화

적응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과 그 수요를 파악하여 적응 정책 방향을 도출한다.

제2장에서는 먼저 기후변화와 이상기후, 기후변화가 민간부문에 미치는 향과 피해,

그리고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피해 사례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국제사회에서 글로벌 선진

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에 대한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지수를 개발

하여 산업계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현 위치를 점검한다. 마지막으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내·외

동향을 정리하 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과 기후변화의 향 그리

고 적응 수요를 살펴보기 위해 일부 업종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 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계의 기후변화 향 및 적응 지원에 대한 수요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 다.

제4장에서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도출을 위해

주요 산업부문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간담회와 산업계 관계자 면담 및 문헌조사와

국내·외 관련 제도 등을 바탕으로 정책 방향을 제시하 다.

제5장에서는 앞장에서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 으며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내용을 중심으로 향후 과제를 제안하 다.

Page 1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나.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와 관련 통계자료 분석, 그리고

면담과 간담회를 통한 산업계의 의견 수렴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민간부문에 미치

는 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문헌 및 관련 자료를 조사․분석하 다. 다음으로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 및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현 위치를 파악하 다. 또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주요 업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 으며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정책방안 도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 다. 또 산업계 간담회를 실시하여 산업계의 기후변

화 적응 및 국가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 다.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국내·

외 동향 파악을 위해서는 해외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적응 전략에 대한 관련 문헌

을 조사․분석하 으며 일부 해외 국가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교류로 관련 정보를 수집하

다.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 으며 최종적으로 민간부문의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도출하 다. 전체 연구의 흐름은 <그림 1-1>과 같다.

Page 1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1장·서론 ∣ 5

<그림 1-1> 연구 흐름도

Page 1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 제2장 ․ 기후변화와 민간부문 ∣1. 기후변화와 이상기후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특히 기후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난 100년(1912∼2008년) 간 우리나라 6대 도시의 평균기

온은 1.7℃ 상승하 으며 강수량은 19% 증가하 다. 또 지난 43년 간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은 약 8cm 상승하 으며 지난 41년 간 우리나라 근해 표면 수온은 1.31℃ 상승하

다(청와대, 2011).

주요 부문별로 기후변화가 미치는 향을 살펴보면 농업의 경우, 작물의 주요 생산지

가 이동하고 있으며 저위도 건조지역의 경우,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 생태계의 경우,

동·식물 멸종위험이 커져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으며 생태계 구조에 부정적 향이

초래되고 있고 건강 및 보건부문에서는 말라리아 등 매개체 질환이 확산되고 있으며

폭염과 한파로 인해 노인과 같은 취약인구의 피해가 늘고 있다. 수자원의 경우, 강수량은

늘어도 강우 강도 또한 늘어 가용 수자원은 오히려 부족해지는 현상으로 수자원 부족

피해도 늘고 있다. 해안과 저지대는 해수면 상승과 해안 침식으로 심한 경우 거주지를

옮겨야 하는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으며, 해일의 위험도 커지고 있다. 산업시설과 거주지

및 기반시설도 기후변화의 향을 받고 있는데 해안이나 하구지역과 같은 저지대 지역의

경우, 침수위험이 크며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기후변화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주요 기후변화 인자별 기후변화 전망은 <표 2-1>과 같다.

Page 1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7

기후변화

인자기후변화 전망

해수면 상승

- 해수면은 열팽창과 빙하가 더 빨리 녹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21세기 말에는 해수면이 18∼59cm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안정화된 이후에도 수 세기 동안 해수면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강우와 습도

- 고위도지역은 대체로 비오는 날과 강수량이 증가할 것이고 아열대 지역은 대체로

건조한 날들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연평균 강수량은 북유럽의 대부분 지역과 캐나다, 그리고 미국 동북부 지역과

남극 지역에서 늘 것으로 전망됨.

- 아시아 북부와 티베트 지역에서는 겨울 강수량이 늘 것으로 전망됨.

- 지중해와 호주, 뉴질랜드 일대의 중위도 내륙지역은 계절적인 가뭄 증가와

더불어 건조기의 빈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강풍 및

태풍과 같은

극한 사상

- 열대 저기압 활동의 강도 증가

- 돌발 홍수와 여러 지역에 걸친 광범위한 홍수의 빈도 증가

- 호주와 뉴질랜드 동부 및 지중해의 가뭄 리스크 증가

- 중부유럽과 중앙아메리카는 계절적 가뭄 증가

- 호주와 미국 서부와 같은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야생 화재의 증가

기타

- 유럽과 북미에서 강설 기간의 감소 및 적설량 감소

- 추운 낮과 밤의 감소, 서리 감소

- 앞으로 수십년 간 해빙의 가속화

- 구 동토의 감소

자료: IPCC(2012); IPCC(2007b); Solomon et al(2007).

<표 2-1> 기후변화 전망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IPCC(2012)는 ‘선제적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극한현상 및 재해 위험관리’에 대한 특별보고서에서 극한 기후사상과 기후변화 관련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하루 빨리 기후변화에 적응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IPCC는 1950년 이후 기상관측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고온현상과 집중호우가

늘고 있으며 해수면이 상승하고 유럽 남부와 아프리카 서부 지역은 가뭄이 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기후모델을 통해 21세기 후반에는 20년 빈도의 일최고기온

이 2∼5년 빈도로 더 자주 나타나고 20년 빈도의 일강수량은 5∼15년 빈도로 더욱

잦아질 것으로 전망하 다. 또한 지역에 따른 변이가 있으나 이상고온의 발생이 전 세계

Page 2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많은 지역에서 증가하고 호우 빈도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 다.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피해는 특히 자연재해의 발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 실제 전 세계의 자연재해 발생 횟수가 근래 들어 급증하고 있다.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 증가에 따라 그 피해도 늘어나는데 경제개발의 향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연재

해로 인한 피해액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실정이다(그림 2-1 참조).

(a) 자연재해 발생 횟수 (b) 피해액

자료: EM-DAT(2011).

<그림 2-1> 전 세계 자연재해 발생 횟수 및 피해액 추이

자연재해의 발생은 물리적으로 큰 피해를 남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재해의 강도가

커지면 피해도 커지게 된다. 바람의 경우, 바람의 강도와 피해가 선형 관계가 아니라

비선형 관계인데 이러한 이유로 태풍과 같은 극한 기후사상이 발생할 경우, 그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대형 태풍이 올 경우,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림 2-2>와 같이 최고 풍속이 25% 증가하면 건물에 미치는 피해는

650% 증가하게 된다(Australian Government, 2006).

Page 2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9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06).

<그림 2-2> 극한 기후사상과 그로 인한 피해의 비선형 관계

지난 2011년에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 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

된 홍수, 폭염, 가뭄, 산불 등이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초래하 다. 전

세계 자연재해의 경우,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의 연관

성을 유추할 수 있으며 앞으로 더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그림 2-3>은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 주요 자연재해를, <그림 2-4>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자연재해의 발생과 그 피해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1)

1) 본 자료는 기후 관련 현상뿐만 아니라 지진과 같은 지구물리적인 현상도 포함하고 있다.

Page 2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자료: Munich Re(2012).

<그림 2-3> 2011년도 발생한 세계의 주요 자연재해

주: 본 자료는 자연재해 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자료: Munich Re(2012).

<그림 2-4> 세계의 자연재해 경향 (1980∼2011년)

Page 2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11

지난 2011년 발생한 여러 자연재해는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초래하 다. 주요 자연

재해로 일본의 쓰나미와 뉴질랜드의 지진을 비롯해 태국의 대홍수와 미국의 토네이도와

및 미시시피강의 홍수 등을 들 수 있는데, 전 세계 경제에 심각한 파급효과를 가져왔던

태국 대홍수를 비롯해 2011년 발생한 주요 자연재해 발생에 따른 경제적 피해는 <그림

2-5>와 같다.2)

자료: Munich Re(2012).

<그림 2-5> 2011년도 발생한 주요 재해 피해

주로 바람과 강수와 관련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상당함을 엿볼 수 있으며 전체적

인 손실에 비해 보험 보상을 받은 손실은 일부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이상기후 발생의 증가에 있어 예외가 아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라 이상기후 현상의 발생 빈도도 잦아져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 다. <그림

2-6>은 2011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각종 이상기후 현상의 전국 분포이다.

2) 일반적으로 지진은 기후변화와 관련 없는 재해 유형이지만 함께 나타내 관련 재해의 경제적 피해 규모를

짐작하게 해준다.

Page 2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자료: 녹색성장위원회 외(2011).

<그림 2-6> 2011년도 발생한 우리나라의 이상기후 현상

이처럼 예전과 다르게 기후가 점차 변해가면서 점차 이상기후가 자주 발생해 경제적

피해가 일상화되어가고 있는데 기후변화의 향으로 앞으로 이상기후의 위험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3) 따라서 산업계를 비롯한 민간부문에서도 미리 대비하지 않는다

면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기업경 에 있어서 이에 대비해 기후변화에 적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

3) 최근 혹한, 혹설, 폭우, 폭설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이 잦아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점차 일상화될 수 있으므

로 이것을 ‘새로운 정상’으로 삼자는 뉴 노멀(new normal)에 대한 제안이 있다. 즉,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발생 후 이를 예상하지 못한 천재지변이라 변명하지 말고 뉴 노멀에 대해 대비해야 된다는 것이며,

이는 기후변화 적응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Page 2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13

2. 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4)

가.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

기후변화는 전 세계의 산업계에도 향을 미쳐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

며 이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변화가 민간부문에 미치는

향은 다양하다. Schuchard(2011)은 기업이 기후변화에 취약해질 수 있는 요인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에서의 운 과 시장, 연안이나 홍수 및 경계지역

에서의 운 과 시장, 고도로 도시화된 지역에서의 운 과 시장, 가난하거나 생계가 어려

운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시장, 농작물, 그리고 눈(雪)과 같은 기후변화에 민감한 투입요

소에 대한 의존성, 고정된 자산이나 낙후된 기반시설에 대한 의존성, 복잡하고 긴 유통망

을 들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산업계에 기후변화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리스크를 초래하

게 된다.

대표적인 기후변화 리스크로는 재정 리스크, 운 리스크, 비즈니스 리스크, 명성

리스크, 그리고 물리적 리스크를 들 수 있다. 재정 리스크는 기후변화 현상의 직접적

향이나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제도의 향으로 발생하는 시장과 신용의 위험을 포함한

다. 1997년 교토의정서 발효 이후, UN 기후변화협약은 산업계의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유도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구축해감에 따라 산업계에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주로 의미하 으나 기후변화의 물리적 현상으로 인한 관련 비용 증대로 인해

발생하는 재정 리스크까지 확대되고 있다. 산업공정과 같은 공정 측면의 운 리스크는

기후변화의 물리적 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며 비즈니스 리스크는 제도와 가격변

동 등 복합적인 관련 요소의 변화로 인해 사업에 미치는 위험을 의미한다.5) 명성 리스크

4) 아직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개인이나 시민사회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실천 행동은 기후변화

완화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인 차원의 녹색소비의 실천이나 온실가스를 줄이는 녹색생

활 실천의 독려가 그런 단면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감축을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 완화가 아니라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의 부정적 향을 줄이고 기후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기후변화 적응에 초점을 맞춘다.

5) UNEP(2012)은 기업에 미치는 기후변화 리스크로 ‘규제 및 법적 리스크’와 ‘정치적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규제 및 법적 리스크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국가가 자연자원을 더 잘 관리하고 재해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각종 규제를 함에 따라, 이러한 규제가 기업에 초래할 수 있는 리스크이며, 정치적

Page 2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전략과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 방식 등으로 인해 생겨나

는 시장에서의 기업 이미지에 대한 리스크이다. 또한 태풍이나 홍수 등의 향으로 생산

기계가 손상될 경우, 물리적 리스크와 운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연재해로 인한

운송시스템 장애 발생으로 원료 및 제품 수송 중단 또는 지연될 경우, 기업 이미지에

피해를 초래하는 명성 리스크도 발생할 수 있다.

기후변화의 향으로 원자재 수급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는데, 1998년 온두라스와

과테말라 등 중남미를 강타했던 허리케인 Mitch의 경우, 바나나 플랜테이션에 큰 손실을

입혀 전 세계 바나나 시장에 10% 정도의 피해를 초래하 다.6) 미국의 대표적 바나나

수입업체인 Dole의 경우, 공급량의 70% 정도가 줄어 대체공급원 확보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했으며 4% 정도의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Schmitt, 2008). 이러한

리스크는 업체의 운 뿐만 아니라 재정과 명성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또 환경 변화에

따라 제품 수요 패턴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UKCIP(2010)는 기후변화가 미치는 향을 시장, 실행계획, 처리공정, 재정, 인력,

부지 등에 미치는 잠재적 향에 따라 명성, 운 , 재정, 환경, 보건 및 안전, 전략적

리스크로 나누고 있다. UKCIP는 기후변화는 산업계에 리스크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회요인이 됨을 강조하는데 이를 크게 생산 기회와 시장 기회로 분류하고 있다(그림

2-7 참조).

리스크는 특히 개도국의 경우, 자원과 식량 등 관련 문제로 국가 간 갈등과 정치적 불안이 더 커짐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리스크이다.

6) 온두라스는 허리케인 Mitch로 인해 약 7,000명이 사망하 고 교통 인프라의 70∼80%가 유실되었으며

농작물에 큰 피해를 보았는데 바나나 생산의 경우, 약 80%의 손실을 보았다.

Page 2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15

자료: UKCIP(2010).

<그림 2-7> 기후변화에 의한 산업계의 리스크와 기회요인

기후변화에 따른 산업계 리스크는 크게 서비스부문과 상품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

다. OECD(2011a)는 서비스의 경우, 자산, 현재 IP, 시장, 원자재, 공급망으로 이 중

시장은 다시 규제, 고객, 경쟁으로 나누고 있다. 상품부문의 경우, 물류와 중간제품으로

나누어 설명한다(그림 2-8 참조).

Page 2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자료: OECD(2011a).

<그림 2-8> 비즈니스 구성요소와 기후변화의 잠재적 영향

기후변화에 따른 산업계 리스크를 살펴보면, 제조업 및 농업·광업과 같은 1차 산업의

제품생산 활동과 소매 및 유통, 수송, 유틸리티의 상품 및 서비스 제공, 그리고 금융,

정보, 부동산 및 기타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표 2-2>와 같다.

Page 2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17

분류 부 문 리스크

제품

생산

제조업- 물리적 위험: 기상이변으로 인한 운 장애, 시설손상, 기온상승과

수질변화 및 물 가용성의 제한으로 인한 생산차질

농업 및

광업

- 물리적 위험: 기상이변으로 인한 운 위험 증가, 강수량 증가로 인한

홍수 위험, 해수면과 물 가용성 변화로 인한 자원 제한

- 공급망 및 원료 위험: 물 부족 현상

- 제품 수요 위험: 농산물의 품질, 수량 및 유형 변화

- 물류 위험: 원재료 및 농산품 수출·입 과정에서 수송장애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소매 및

유통

- 물리적 위험: 극한 기상현상으로 인한 운송 중 제품 손상

- 공급망 및 원료 위험: 공급 비효율과 지연 및 중단 현상, 물 부족과

연료가격 상승에 의한 위험 증가

- 규제 위험: 기업 명성과 소비자 만족도에 향을 미치는 제품 품질

저하

수송- 물리적 위험: 기상이변으로 인한 운 중단 및 지연에 인한 제품

손상, 홍수 및 산사태 등에 의한 운송 노선 변화

유틸리티

- 물리적 위험: 홍수 또는 극한 기상현상으로 인한 공급 중단,

기상이변으로 인한 업무 중단

- 공급망 및 원료 위험: 물 부족으로 인해 수력 및 열냉각 시스템을

가동하는 기타 발전소의 출력 감소

- 제품 수요 위험: 온도 변화로 인한 수요 변화

- 재정 위험: 물 부족 지역의 수자원 보호 비용 증가

서비스

제공

금융- 금융 위험: 기후취약지역의 투자 포트폴리오 위험 증가, 고객의

채무불이행 위험 증가

정보 - 물리적 위험: 기상이변으로 인한 운 중단, 운송 어려움

부동산

- 물리적 위험: 건설 프로젝트 지연 및 중단, 배수 문제로 인한 건물

손상, 기온상승에 따른 냉각 시스템 설치 비용 증가

- 규제 위험: 건축 및 설계 요구사항 변화

- 재정 위험: 기후변화 향으로 인한 기존 건물 가치 하락

기타

서비스

- 제품 수요 위험: 다양한 기후조건 변화로 인한 관광산업 수요 변화

및 관광 인프라 향

자료: OECD(2011a).

<표 2-2> 기후변화의 부문별 리스크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초래하는 피해는 다양한데 특히 극한 기후 사상에서 그 향이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폭우가 올 경우, 사무실이나 사업장에 접근이 불가능해지며

물이 모두 빠진 이후 청소에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또 공장가동이 불가능해져 산업체의

핵심 활동에 지장이 생길 수도 있으며 제 때 납품하지 못해 업체 이미지에도 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프리미엄 증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취약해지는 요소

Page 3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와 발생가능성 및 그 결과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를 취약성 지도로 나타내면 <그림

2-9>와 같다.7)

자료: Sheffi & Rice(2005).

<그림 2-9> 기업의 취약성 지도

<그림 2-9>는 기업의 일반적인 취약성을 경제 불황과 테러 공격, 교통장애, 자연재해

와 같은 외적 요인과 직장 내 폭력이나 컴퓨터 고장과 같은 내적 요인으로 표현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이에 더 많은 요소를 더해 기업이 취약해지는 과정을 더욱 복잡하게

한다.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이런 향과 결과는 업종의 특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미치는 향을 주요 업종별로 정리하면 <표 2-3>과 같다.

7) 본 취약성 지도의 경우, 기후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기업의 취약성을 묘사하고 있다.

Page 3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19

부문 기후변화의 물리적 향

전기 사업

- 이상고온 현상의 증가로 전력시스템의 최대용량을 초과하는 전력

피크 수요가 자주 발생

- 예측할 수 없는 극한기상 상태로 인한 시설 및 인프라 훼손 리스크 증가

- 잠재적인 물 부족으로 인한 수력발전소의 에너지 출력 불확실성

- 냉각 발전소에 물 공급의 불확실성

광산 - 홍수 등 극심한 기상현상으로 인해 사업운 의 물리적 리스크 증대

통합 석유·가스 - 날씨 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사업에 부정적인 향

식품, 담배 및 음료

- 극심한 기상상태로 인한 식품 공급 및 운 중단 리스크

- 장기간의 기상 이변으로 신선한 농산물 공급의 안전성 및 품질에

- 물 공급 및 원재료의 물리적 리스크

- 동물 감염(예를 들어, 조류 독감), 기생충 침입, 식물병, 야생동물로 인한

식품 오염 리스크

- 극한기후로 인한 수송 및 원재료의 보관과 냉장 장애

- 물공급 장애

- 따뜻해진 날씨 향으로 인한 병원균, 곤충 증가

- 생산시스템 유지비용 증가

건물 설계 및 건설

- 극심한 기상상태는 원자재 배달에 지장을 주며 현장 작업(예를 들어,

현장의 진흙탕 상태)에 향을 미치고 작업시간을 제한

- 극심한 기상상태로 인프라(예를 들어, 배수시설)에 향

- 여름철 과도한 열로 인해 일부 건설 공정과 현장 인력에 향

- 설계 기준에 기후변화의 대응책으로 더욱 명확하거나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함.

- 기존의 건물, 신축 건물 및 건설과정 중인 건물의 보험금이 더욱 비싸지거나

가입 자체가 어려울 수 있음

- 강풍과 강우사상 발생으로 인한 공사 지연 및 유지비 증가

- 홍수로 인한 건설 자재 공급 지장

보험 및 금융

- 자본타당성과 전체 자연재해 노출을 평가하는 재해 모델 개발의 필요성

증가

- 비즈니스 운 의 중단은 불확실해지고 재정에 더 향 미침

- 농업과 도시개발 간의 수자원 경쟁은 농작물 보험에 향을 미치며 상업적

리스크 증대

- 인간의 건강(열 스트레스, 매개충전염병, 자연재해) 리스크 증대

- 악천후 또는 극심한 기상상태의 장기간 지속으로 다량의 청구를 처리하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청구 비용 증가

- 국내 및 해외의 극한기후 사상으로 인한 피해에 민감

- 홍수 등 자연재해 발생에 특히 취약

<표 2-3>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Page 3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부문 기후변화의 물리적 향

농작물

- 여름철 더위로 냉장 유통 및 저장과 가축 수송에 어려움 발생

- 홍수 등으로 인한 교통 인프라 파손 또는 서비스 중단으로 자재 수송에

어려움 발생

- 관개시설에서 잠재적인 공급 중단과 용수 제한 가능

- 장비 및 기타 투자뿐만 아니라 농민과 인력의 전문성은 특정 작물과

연계되어 수익을 내지 못하거나 더 이상 지속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음

- 품질 문제: 곡물의 과열 또는 사전 세척 상품을 위해 물 이용 가능

- 서리발생 감소로 특정 작물의 질과 병해충 퇴치 감소에 향

- 무더위에 노출

- 강풍과 폭염, 폭우로 인해 농장 건물 파손 우려(가축의 안전 위협)

화학, 의학

- 대기 온도 증가, 수질 변동성 증가로 인한 화학공정에의 향

- 대부분의 화학공장들이 연안에 위치하여 해수면상승과 홍수에 취약

- 원자재 공급에 장애

유통- 공급망의 지장 초래 및 유통망의 비효율화

- 운송과 보관 과정에서의 제품 손실

관광

- 연안침식, 생태계 훼손 등으로 인한 관광자원 손실

- 특히 물과 관련된 관광활동이 예민

- 적설량 감소로 스키산업 업 피해

자동차 산업

- 공급체인 중단과 취약한 운송시스템으로 전 세계 운송비 상승으로 제품

가격 인상

- 강수량의 강도가 크거나(밀봉재, 와이퍼, 타이어에 향) 냉각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새로운 극한 이상기후를 견디는 차량 생산 필요

- 공정 환경이 더욱 뜨거워져 냉각의 필요성이 증가되며 특히 노동자의

건강과 제품의 생산실적에 중요한 향을 미침

- 습도가 증가하여 제품의 도색 시 건조에 장시간 소요

자료: Forfas et al(2010)와 Frances & Randall(2008)로부터 보완

이처럼 기후변화는 물리적, 제도적으로 많은 향을 미치고 있다. 기후변화의 향은

막대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 심화에 따른 산업계의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어 예상치 못한 상황의 발생에 대비해나갈 필요가 있다. 다음에서

는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향으로 인해 산업계의 다양한 리스크 발생에 대한 사례를

살펴본다.

∘ 항만시설에서의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산업계 리스크

항만시설의 경우, 주로 해안이나 강가에 위치해 해수면 상승과 태픙으로 인한 강풍과

Page 3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21

파도, 홍수로 인한 기후위험에 특히 많이 노출되어 있다.8) 따라서 항만시설에서의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 발생은 무엇보다 제품 수송에의 장애와 수송비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

다. 태풍과 같은 재해가 발생할 경우, 강풍과 번개 등으로 항만에서의 하역작업 시 크레

인 작동 등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며 폭우에 따른 침수 위험으로 항만시설과 선박이

파손될 수도 있다. 또한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수생식물 등의 번식이 증가해 항만

기능에 차질을 입힐 수도 있다. 항만시설에서 기후변화의 향을 받을 수 있는 역은

항해 및 정박부터 내륙 운송에 이르기까지 <그림 2-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자료: IFC(2011a).

<그림 2-10> 항만시설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주요 영역

2005년 미국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9)의 경우, 7m가 넘는 폭풍해일로 멕시코

만 항만시설의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인프라와 선박이 파손되는 등 큰 피해를 입혔고

복구비용으로 2억 5천만 달러가 지원되었다(USCCSP, 2008). 뉴올리언스 항의 경우는

카트리나 발생 약 2주 후 작업을 재개하 으나 6개월 간 항만시설의 70% 정도만 가동할

수 있었다. 국내의 경우도 2003년 태풍 매미의 강타로 부산항 컨테이너 크레인 8기가

8) 멕시코만의 항만시설의 64%는 해수면 높이가 61cm 상승했고 이 항구의 98%는 높이 5.5m의 폭풍해일의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USCCSP, 2008).

9) 2005년 9월 뉴올리언스주, 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앨라배마주 등 미국 남부지역을 강타한 시속

280km의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초대형 허리케인이다. 많은 인명 피해를 입었으며 주택·상가가 완전

침수되고 미 남부지역의 산업시설이 마비되어 한동안 미국 경제 침체, 국제유가 상승을 유발하 다.

Page 3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파손되고 3기가 궤도를 이탈해 물량 처리에 차질을 빚었고 컨테이너 11만여 개 중 20∼

30% 가량이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그림 2-11 참조).10)

자료: 구조위원회·강구조위원회(2003).

<그림 2-11> 태풍 매미로 인한 부산항 신감만 컨테이너 부두 피해

자연재해에 의한 항만 피해는 보험업계에도 향을 줄 수밖에 없다. 즉, 대규모 자연재

해 피해가 발생하면 보험요율이 상승하여 비용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재

해에 취약한 지역에 위치한 항구의 경우, 보험료 부담금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고 극단적

인 경우, 보험가입과 적용이 중단될 수도 있다. 기후변화와 기후 관련 변수 및 항만

기능에 향을 미치는 리스크는 <그림 2-12>에 나타냈다.

10) 한국일보. 2003. 9. 16. “컨테이너 수만 개 침수, 수출품 수천억 대 피해”

Page 3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23

기후변화 위험 복합 기후 변수 및 기후 관련 변수의 변화

- 평균 해수면 상승

- 폭풍해일의 높이 상승

- 폭풍 강도가 높아질 가능성

- 계절성 강수량의 변화

- 호우의 증가

- 계절성 기온상승

- 기온상승과 혹서의 증가

- 해수면 표면온도 상승

- 대기 중 CO2 증가

- 구름

- 증발

- 습도

- 안개

- 번개

- 수자원의 가용성

- 가뭄

- 수질

- 파랑기후

- 바다전류

- 해수의 pH

- 해저 조건

- 해안 범람

- 하천 유량

- 하천 범람

- 표면 범람

- 토양 침식

- 해안 침식

- 침하 및 상하운동

- 산사태

항만 성능의 위험 범위

- 수요, 무역 수준과 패턴

- 항해 및 정박

- 상품 처리 및 저장

- 항만시설 내에서의 이동수단

- 건물 및 장비 손상

- 항만 이외의 내륙 운송

- 보험 가용성 및 보험료

- 사회 성과: 인력의 보건 및 안전, 사회 관계

- 환경 성과

자료: IFC(2011a).

<그림 2-12> 기후변화와 관련 변수 및 항만 기능에 대한 리스크

∘ 펄프 및 제지산업에서의 기후변화 리스크

펄프 및 제지산업은 그 특성상 다양한 원료가 필요하며 생산 과정에 많은 양의 물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이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과 에너지 가격 상승, 운송비용 상승 등으로 인한 재정 리스크와

운 에 있어서의 리스크가 생겨난다. 펄프 및 제지의 경우, 원자재 획득에 특히 큰 어려

움을 겪을 수 있는데 원자재인 나무와 섬유종의 경우, 기후에 민감하여 기후변화 향으

로 가뭄이 장기화되거나 대규모 화재가 발생할 경우, 원자재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IFC, 2011b).11) 또 펄프와 종이 생산은 제조 공정에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한데

11) 2003년 유럽 폭염과 가뭄,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포르투갈에서

Page 3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기후변화 향으로 강수량이 감소할 경우, 수자원 부족으로 생산시설 가동에 위험요소로

작용해 운 리스크를 초래하게 되며, 기상악화로 상품수송에 차질이 생기면 기업의

명성에 부정적인 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 현상들이 산업계에 다양한 방식으로 리스크를 발생시

키는 원인이 된다.

나. 산업계 기후변화 피해 사례: 2011년 태국 대홍수

기후변화 현상 중에서도 특히 홍수와 같은 이벤트성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그 강도

와 지속성이 높을 경우, 산업 공정 및 물류 유통에 막대한 피해와 파급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 대표적 사례가 2011년 10월 발생했던 태국의 대홍수이다. 당시 태국은 대홍수로

인해 2011년 GDP의 1.7%가 감소하 다(Aon, 2012). 2011년 태국에서 발생한 홍수는

공공부문에 많은 피해를 끼쳤고 특히 방콕 북부에 몰려 있는 산업단지에 향을 주어

민간부문에 큰 피해를 주었다. 당시 대홍수로 인해 산업단지가 침수되어 자동차 업계

등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부품을 조달받지 못해 다른 나라의 컴퓨터 산업 등에도 향을

미쳐 세계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 <그림 2-13>은 침수된 태국의 한 산업단

지 모습이다.

만 직접적인 피해가 10.3억 유로가량 발생하 다(COPA COGECA, 2003). 또 겨울철 이상기온으로 인해

병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캐나다 서부의 겨울철 이상기온으로 대표적인 침엽수 해충인 소나무좀의 발생이

확산되기 시작해 2007년 기준, 소나무 숲 920만 헥타르로 확산되었으며 2013년에는 소나무 숲의 80%가

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3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25

자료: U.S. Marines.

<그림 2-13> 침수된 태국의 Rojana 산업단지

태국의 대홍수는 산업 뿐만 아니라 사회 기반시설에도 큰 피해를 초래하 다. 도로와

교량과 같은 운송 관련 기반시설이 홍수로 피해를 입을 경우, 사람들의 대피가 불가능해

지고 물류대란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산업계도 향을 받게 된다. 도로부문에만 발생한

피해는 45억 달러에 달하며 항공부문의 피해는 480만 달러에 달한다(Aon, 2012). 제조

업을 포함한 산업계의 피해는 그 향이 막대하 다. 태국 대홍수가 가져온 부문별 경제

적 손실은 <표 2-4>와 같으며 주요 업체별 구체적 피해 내역은 <표 2-5>와 같다.

부문경제적 손실

(10억 THB)비고

제조업 1,007 대부분의 손실이 산업계 공장에서 발생

관광 95 관광부문의 손실은 6개월 이상 지속

가계/사유재산 84 구조적 및 실내 손실 포함

농업 40 농업생산 손실

자료: World Bank(Aon(2012)에서 재인용).

<표 2-4> 2011년 태국 대홍수의 경제적 손실

Page 3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업체명 피해 내역 피해액

Toyota

- 생산라인 수해 피해 최대 기업

- 생산 차량 26만 대 침수(총 생산량 전년 대비

3.4% 감소)

- 태국 3개 생산시설 모두 생산차질

- 해당연도 업이익

$750,000,000 감소

Nissan

- 차량 생산량 19,931대 감소(전년 대비 13.5%

감소)

- 핵심 생산라인의 피해는 없으나 부품 수급으로

인한 가동 중단

- 발표된 피해복구 비용

$67,600,000

Honda

- 부품 생산라인의 침수로 인한 2011년 말까지 미

국, 캐나다 공장의 생산률 50% 감소

- 생산라인 완전 복구시점 2012년으로 추정

- 재고 침수로 인한 손해

$88,300,000

- 생산라인 및 기자재 침수

$92,600,000(보험보상

$143,200,000)

Goodyear

- 생산공장 대부분의 핵심시설이 침수되어 11월

말까지 심각한 생산차질을 겪음

- 태국의 타 기업들의 생산량 회복에도 불구하고

타이어 공급차질은 2012년 3월까지 민간 항공산

업에 향

- 태국 대홍수로 인한 추산 피해액

$16,000,000

Sony

- 3개의 생산시설 중 2군데의 피해로 광범위한

생산 중단 발생

- 일부 카메라 라인업 신제품 출시의 불가피한 연기

- 생산시설 복구비용

$107,200,000

- 생산차질로 인한 손해 및 기타

비용 $55,900,000(보험보상

$58,900,000)

Western

Digital

- 태국 생산라인에서 하드 디스크 생산량의 60%를

담당하고 있었으나 홍수피해로 인해 2011년 말까

지 생산차질

- 생산량의 지속적인 감소로 평균 생산량 51%(약

24,000,000개) 감소

- 발표된 피해액 $199,000,000

Nikon

- 홍수로 인한 부품공장 피해 및 DSLR 생산라인의

중단(2011년 11월 30일까지)

- 2012년 3월말 예산 평균 생산량 회복

- 경 수지 및 업 감소로 인한

피해액 $302,000,000

<표 2-5> 2011년 태국 대홍수의 주요 업체별 피해 내역

(단위: 미 달러)

Page 3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27

업체명 피해 내역 피해액

Hitachi

- 2011년 4분기 하드 디스크 제조부문 생산량 절반

감소

- 화학공장 침수 및 그로 인한 브레이크 패드 제조

차질

- 발표된 해당연도 손실액

$176,400,000

ON

Semicondu

ctor

- 홍수로 인해 2012년 상반기까지 생산시설 가동

중단

- 침수 생산시설의 예상 재건 및 복구비용의 과도한

초과로 자사 생산라인의 이전

- 2011년 4분기 업이익의 14% 감소 발표

-

자료: Aon(2012).

자연재해의 피해는 업체가 보험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보험업계에까지 그 향을

미치게 되는데 보험당국에 의하면 2011년 12월 21일 기준으로 7월부터 12월까지 태국의

보험피해액은 108억 달러를 초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Aon, 2012). 이에 재보험회사들도

큰 피해를 보았다. 태국 대홍수로 인한 업계 피해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 2011년 10∼11

월 사이의 산업계 설문에 의하면 제조업의 경우, 86%가 보통 규모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

고 응답하 으며 비제조업의 경우, 69%가 보통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하 다(그

림 2-14 참조).

단위: 응답자(%)

자료: Bank of Thailand(2012).

<그림 2-14> 태국 대홍수로 인한 피해 정도

Page 4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2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이처럼 대규모 홍수가 발생할 경우, 산업계에 심각한 피해가 초래되며 제조업의 경우,

그 피해는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산업체에 피해가 발생하면 신속한 복구가 중요하다.

태국 대홍수의 경우, 피해가 발생한 후 원래대로 복구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과 판매에 대한 회복 기간은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43.3%가 회복 기간이 3개월 미만이라고 응답하 으나 그보다 더 많은 46.3%

가 4∼6개월, 그리고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고 응답한 경우도 10.4%나 되었다(그림

2-15 참조).

단위: 응답자(%)

자료: Bank of Thailand(2012).

<그림 2-15> 태국 대홍수 이후 생산과 판매의 평상 수준으로의 회복 기간

2011년 초 일본에서 발생했던 쓰나미의 경우도 일본 산업계에 막대한 향을 미쳤다.

업종과 업체별로 상황의 차이가 있지만 일본 쓰나미와 태국 대홍수를 비교했을 때도

태국 대홍수가 얼마나 큰 피해를 초래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그림 2-16 참조).

Page 4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29

자료: Haraguchi et al.(2012).

<그림 2-16> 태국 대홍수로 인한 일본의 주요 자동차 업계의 영업이익 손실

태국의 대홍수는 산업계의 생산량 뿐만 아니라 수출에도 향을 미쳤다. <그림 2-17>

은 일부 업종에 대해 태국 대홍수 전·후의 생산량과 수출에 대한 지수를 보여주고

있는데 홍수 이후 생산량 급감과 더불어 수출량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a) 월간 생산지수 (%) (b) 월간 수출지수 (%)

자료: Chongvilaivan(2012).

<그림 2-17> 태국 대홍수 전·후 일부 업종의 월간 생산지수 및 수출지수

업종의 공장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대홍수 이후 생산량이 감소하 으며

생산량의 감소는 곧 수출 감소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age 4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3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다. 기후변화와 산업계의 새로운 기회

기후변화는 온실가스 규제와 감축에 있어 이해당사자들과 소비자들의 태도 및 시장의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산업계에 다양한 형태의 리스크와 기회를 동시에 가져다주

었다. 마찬가지로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와 같은 기후변화의 물리적 향은 산업 공정

과정에도 향을 준다. 토목건설업의 경우, 이상기후로 공사가 지연되기도 하며 원자재

가 제때 공급되지 않아 공사지연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기온상승은 노동

자들의 작업환경을 악화시켜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에도 위협이 된다.

그러나 기후의 변화는 기후변화에도 끄떡없는 제품이나 빌딩 디자인과 같은 새로운 제품

의 생산과 같은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산업계에 있어 기후변화 적응 전략은

기후변화를 새로운 산업을 모색하는 기회로 삼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Sussman &

Freed, 2008).

농업이나 광업과 같은 1차산업이나 관광업은 날씨의 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농업의 경우, 온도와 강수량과 같은 재배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작물 재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기후변화에 잘 견디는 종자의 개발

이나 어업의 경우, 새로운 어장의 발견은 산업계에 기회가 되는 것이다. 관광업의 경우,

겨울철 적설량의 감소로 특히 겨울 스포츠 중심의 관광업계가 타격을 많이 받고 있는데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겨울 스포츠보다는 봄이나 여름 스포츠 중심의 관광자원을 개발해

갈 필요가 있다. 세계적으로 스키 리조트의 대부분이 겨울철 눈이 예전처럼 충분히 내리

지 않자 인공 강설제조와 같은 시설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다(Scott & McBoyle, 2007;

Burke et al., 2003).12) 스위스 알프스는 적설량이 감소함에 따라 스파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눈과 관련 없는 관광자원에 투자를 하기 시작하여 적설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관광객을 모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스키산업의 기후변화 적응 전략은

기후변화를 받아들이는 체념적 태도와 일시적인 정부 보조금을 받거나, 인공눈을 제조해

사업을 그대로 운 하거나, 여러 곳에 위치한 스키장이 공동으로 운 해 운 리스크를

12) 미국 몬태나 서부의 스키 리조트에서는 1850년대 이후로 빙하로 덮인 면적이 3/4이나 감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ge 4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31

줄이거나, 더 높은 고도에 위치한 스키장을 개발하거나 적설량과 상관없이 연중 가능한

새로운 관광산업을 개발하는 접근법과 같은 다양한 적응 전략이 있을 수 있다(Burke

et al., 2003). 특히 인공강설의 제조는 온난화를 극복하는 대표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이나 중동 국가의 경우, 실내 스키장도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3)

많은 기업체들은 이미 기후변화의 향과 홍수, 가뭄, 폭풍과 같은 극한 사상의 가능성

이 더 많아짐에 따라 경 계획에 있어 기후변화를 고려하고 있다. 보험업계의 경우,

재산과 건강과 농업, 비즈니스 방해와 같은 기후변화가 미치는 향을 규명하는 데 선두

적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전망에 따라 새로운 상품의 개발과

서비스 제공의 기회를 잡기 위한 산업계의 노력이 점차 확산될 것이다. 이렇듯 기후변화

는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수반해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새로운 경제활동과 부(富)를 창출

하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국 무역투자청(UK Trade & Investment)과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전 세계 7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

사에 따르면, 약 64%의 기업이 기후변화 적응이 새로운 기회라고 응답해 기후변화를

위기라고 인식하고 있는 기업 53%에 비해 11%가량 많았다. 또한 약 19%는 이미 기후변

화 대응 과정에서 수익을 창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UK Trade &

Investment. 2011). 따라서 산업계를 기후변화 적응을 새로운 경제활동 역으로 확장

할 수 있는 생산적 변화의 기회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는 자연환경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직·간접적으로 변화를 유발하고 있어 이로 인해

새롭게 발생하는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산업계의 자발적인 노력과 신산업 및 사업화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

13) 미국의 스키장들은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인공강설 시스템 구축이 늘고 있다(Scott & Boyle,

2007).

Page 4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3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3. 국가 수준의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 분석

본 절에서는 국가 수준에서 비교가 가능한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산업계에 대한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를 개발한다.

지표 및 지수는 특정 현상이나 공간에 대한 요약된 정보로 단순한 정보 이상의 함축된

의미가 있으며 복잡한 시스템이나 현상을 쉽게 이해하도록 해준다. OECD(2003)는 지표

란 어떤 현상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표현하지만 그 변수가 가지고 있는 정보

이상의 의미를 전달한다고 하 다. 글로벌 및 국가 차원의 지표 혹은 지수는 국가 및

특정 지역 간의 비교가 가능하며 한 국가나 지역이 글로벌 차원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파악하게 해주어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해준다.14) 여기서는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의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지수 개발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우리나라의 위치를

점검하고 민간부문의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줄이고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가.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 파악을 위한 지수 개발

지수는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

한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 지수는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지수이다. 본 연구의

지수는 기후변화로 인한 산업계의 리스크와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을 동시에 표현하

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도록 지수를 개발하 다. 본 지수는 우리나라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과 기후변화 리스크를 글로벌 선진국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현 주소를 파악하

고, 우리나라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

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서 지수의 구성과 입력자료를 살펴본다.

14) 국가 차원의 지표 및 지수로는 환경지속성지수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ESI), 환경성과

지수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PI), OECD Key Environmental Indicators 등이 있다.

Page 4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33

1) 지수의 구성 및 입력자료 구축

본 연구는 먼저 연구의 주 대상인 산업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와 기후

변화 적응 역량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으며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지수를 설계하

다. 이에 기후변화 리스크에 해당하는 변수와 기후변화 적응 역량에 해당하는 변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해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 다.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는 과거 발생한 자연재해의 피해 이력과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으로 구성하 다. 자연재해는 지난 30년간 자연재해 발생 건수, 사망자, 이재민

수, 연평균 GDP 손실을 나타내는 변수로 구성하 으며 기후변화는 A1B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기온상승에 대한 변화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로 구성하

다.15) 기후변화 리스크를 나타내는 입력 자료의 체계는 <그림 2-18>과 같다.

<그림 2-18> 기후변화 리스크의 입력자료 체계

적응 능력은 크게 기술 역량, 사회경제적 역량, 자원 역량 및 인프라 역량으로 구성하

다. 기술 역량은 다시 R&D 투자와 최신 기술력, 회사 수준의 기술흡수력, 과학자·엔

15)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은 평균기온 상승과 강우량과 같은 변수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균기온 상승의 경우 국가 간 변별력이 거의 없으며 강우량의 경우 불확실도가 특히 높아 자료의 활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온실가스 배출은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바탕으로

산업계가 기후변화 완화에 대한 원인 제공과 감축 노력에 대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어 입력변수로 선정하

다.

Page 4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3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지니어 능력 및 특허로 구성하 다. 사회경제적 역량은 각 국가의 취약인구와 1인당

GDP, 실업률, 고등교육 이수율 및 사회적 불평등을 나타내는 변수로 구성하 다. 자원

역량은 총 일차 에너지 공급, 전기 생산, 재생에너지 비율, 1인당 취수량 그리고 식량자급

률로 구성하 으며, 인프라 역량은 수송, 일반 공공서비스 지출, 공공질서 및 안전지출

그리고 보건 및 정보통신으로 구성하 다.16) 적응 역량은 민간부문의 산업 활동을 촉진

하기 위한 규제를 정비하고 산업 활동의 편의를 높이는 관련 기술과 인프라 현황을 반

할 수 있도록 설계하 다. 적응 역량을 나타내는 지표의 구성은 <그림 2-19>와 같다.

<그림 2-19> 적응 역량의 입력자료 체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수의 입력자료는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내용상 관련성과 자료의 획득성을 중심으로 선정하 다. 각

부문별 지표를 구성하는 입력자료와 단위, 리스크 및 적응 역량과의 관계 및 자료의

출처는 <표 2-6>과 같다.17)

16) 수송 및 보건 인프라의 경우 산업계와 관련이 적은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산업체에 원료 및 생산품

수송의 기본이 되는 인프라이다. 따라서 튼튼한 수송 인프라는 산업계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보건부문 또한 산업체 근로자들의 건강과 직접 관련이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간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향을 미치는 부문 중의 하나가 건강 부문으로 보건 인프라 또한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과 관련이

높다.

17) 적응 역량 세부 입력자료 중 관계가 +로 되어 있는 자료는 적응 역량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로 되어 있는 자료는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리스크에 대한 세부 입력자료도 이와 마찬가

지로 +는 리스크와 양의 관계, -는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Page 4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35

대분류 중분류/입력 변수 단위 관계 출처

기술

역량

R&D 투자

정부 투자 GDP 중 %

+

OECD

산업체 투자* - WEF

산학 R&D* - WEF

최신 기술력* - + WEF

회사 수준의 기술흡수력* - + WEF

과학자 및 엔지니어의 능력* - + WEF

USPTO 특허* - + WEF

사회

경제

역량

취약인구15세 미만 총인구 중 %

-OECD

65세 이상 총인구 중 % OECD

1인당 GDP 10억 US $ + OECD

실업률 % - OECD

고등교육 이수율 % + OECD

불평등

/빈곤

지니계수 - - OECD

빈곤층 비율 % - OECD

자원

역량

총1차

에너지공급

GDP당 US$당 toe+

OECD

1인당 1인당 toe OECD

전기 생산 TWh + OECD

공급 에너지 중 재생에너지 비율 % + OECD

원유 생산 만 톤 + OECD

1인당 취수량 1인당 m3 + OECD

식량자급률 % + FAO

인프라

역량

수송상품 수송 백만 톤-km + OECD

여객 수송 백만 승객-km + OECD

일반 공공서비스 지출 정부 지출 중 % + OECD

공공질서 및 안전 지출 정부 지출 중 % + OECD

보건

의사 수 천명당 명

+

OECD

간호사 수 천명당 명 OECD

공공 지출 GDP 중 % OECD

정보통신

컴퓨터 보유 가정 수 %

+

OECD

인터넷 가능 인구 % OECD

통신기기 보유 백명당 명 OECD

<표 2-6>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의 입력 항목

Page 4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3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대분류 중분류/입력 변수 단위 관계 출처

자연

재해

1980∼2010년 간 자연재해 발생 건수 건 + EM-DAT

인명 피해연평균 사망자 수 10만명당 명 + EM-DAT

연평균 이재민 수 10만명당 명 + EM-DAT

자연재해로 인한 연평균 GDP 손실률 % + EM-DAT

기후

변화

일최고기온

상승 (A1B)

2046∼2065 ℃+

IPCC

2081∼2100 ℃ IPCC

온실가스

배출

1인당 1인당 CO2 톤+

IEA

GDP당 US$당 CO2 ㎏ IEA

주: * 설문조사에 의해 구축된 자료로 단위가 없음.

자료: OECD(2011b); World Economic Forum(2011); FAO(2009);

EM-DAT(http://www.emdat.be); IPCC(2012); IEA(2011).

나.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의 적용

본 연구는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역량에 대한 세부 항목별 입력자료를 구하고 각

입력자료를 카테고리별로 단계에 따라 통합해 최종적으로 이를 리스크와 적응 역량의

대표값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 다. 구축된 개별 입력자료는 자료의 단위와 범위가 서로

달라 단계별로 구축 자료 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입력자료를 표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입력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자료의 표준화 방법으로 Z-스

코어 방법을 적용해 각 입력 항목을 재분류하고 최종적으로 10단계의 지수값을 갖도록

스케일을 재조정해 최종적으로 자료의 비교와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 다. 먼저 하위

단계의 입력값을 준비하고 각 단계별로 항목 간 연산으로 통합하 으며 각 부문별 최종

결과는 기후변화의 리스크와 적응 역량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하 다. 본 연구의 리스크-

적응역량 지수개발 과정과 분석의 흐름도는 <그림 2-20>과 같다.

Page 4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37

<그림 2-20>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 개발 및 분석 흐름도

기후변화 리스크는 자연재해와 기후변화의 두 중분류 하 총 8개의 세부 입력변수로,

적응 역량은 기술적 역량, 자원 역량, 사회경제적 역량, 인프라 역량의 4개 중분류에

대해 총 40개의 세부 입력 변수로 구성하 다. 세부 입력자료는 0부터 10까지 범위를

갖도록 표준화 과정을 거쳐 단계별로 연산하고 상위 단계에서도 표준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리스크와 적응 역량을 대표할 수 있는 값이 도출되도록 하 다.

다.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의 분석 결과

1) 기후변화 리스크

기후변화 리스크는 크게 자연재해와 기후변화의 중분류로 분류되어 있다. 자연재해의

경우 우리나라는 OECD 34개 회원국 중 16위 으며, 기후변화는 10위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지만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된 부문의 리스크가 큼을 보여준다(그림

2-21).

Page 5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3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a) 자연재해 (b) 기후변화

<그림 2-21> 기후변화 리스크 중분류의 국가 간 비교

크고 작은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호주와 미국의 경우도 리스크가 상당히 높아

각각 전체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리스크 순위는 OECD 34개

국 중 9위로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2-22 참조).

<그림 2-22> OECD 회원국의 기후변화 리스크 순위

기후변화 리스크의 세부 항목을 OECD 회원국 전체의 평균값과 비교해 나타내면 <그

Page 5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39

림 2-23>과 같다. 자연재해의 경우, 우리나라는 발생 횟수는 많으나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는 상대적으로 적다. 반면 기후변화 항목 중 온실가스 배출량은

OECD 평균보다 높으며 미래의 기온상승 전망치도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그림 2-23> 기후변화 리스크의 세부 항목별 자료 분포

2) 기후변화 적응 역량

기후변화 적응 역량은 기술 역량, 자원 역량, 사회경제적 역량, 그리고 인프라 역량으

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기후변화 적응 역량은 OECD 34개 회원국 중 16위로

중간 정도이다. 적응 역량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4개 회원국 중 기술 역량은

8위, 자원 역량은 26위, 사회경제적 역량은 7위, 인프라 역량은 26위이다. 즉, 우리나라

는 기술 역량과 사회경제적 역량은 뛰어나나 자원과 인프라의 역량이 낮아 이러한 부문을

중심으로 적응 역량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그림 2-24 참조).

Page 5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4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a) 기술 역량 (b) 자원 역량

(c) 사회․경제적 역량 (d) 인프라 역량

<그림 2-24> 적응 역량 중분류의 국가 간 비교

적응 역량의 세부 입력자료들을 살펴보면 기술 역량의 경우, 우리나라는 모든 세부

항목이 OECD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며 특히 기술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자원 역량의

경우 총일차에너지 생산과 전기 생산은 높으나 식량자급률과 재생에너지 비율이 낮아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사회경제적 역량

은 취약인구 비율과 실업률이 낮고 고등교육 이수율이 상당히 높은 반면, 사회불평등

지수에 해당하는 지니계수와 빈곤층 비율은 각각 15위와 7위이다.18) 인프라 역량은

보건과 일반 공공서비스 부문이 낮다. 보건은 특히 낮아 의사 수와 간호사 수와 같은

의료진수를 늘려 나가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반면 공공질서 및 안전과 정보통신에

대한 값은 높다(그림 2-25 참조).

18) 적응 역량의 입력자료의 경우 일부 입력치는 내용상 적응 역량과 반비례하는 자료가 있어 그 값이 클수록

적응 역량과 비례할 수 있도록 자료를 역으로 재조정하 다. 즉, 실업률이나 불평등/빈곤 값의 경우도

그 값이 낮을수록 적응 역량이 낮고 그 값이 높을수록 적응역량이 높게 나타나도록 표현하여 자료 해석의

용이성을 도모하 다.

Page 5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41

(a) 기술 역량 (b) 자원 역량

(c) 사회․경제적 역량 (d) 인프라 역량

<그림 2-25> 기후변화 적응 역량의 항목별 자료 분포

전체적으로 글로벌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적응 역량 순위는 OECD 34개

회원국 중 16위로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글로벌 선진국가의 적응 역량 비교는

<그림 2-26>과 같다.

Page 5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4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그림 2-26> OECD 회원국의 적응 역량 순위

반면, 기후변화 리스크는 9번째로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리스크가 높은 이유는 기후변화 중분류상의 온실가스 배출량

이 선진국 평균에 비해 GDP 대비 및 1인당 인구 대비 모두 높으며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

오에서도 다른 OECD 가입국가에 비해 기온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19) 특히 적응 역량 중 재생에너지 비율과 식량자급률 등에 대한 자원 역량이

낮아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과제이다.20)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을 그래프로 도식화한 그림은 <그림 2-27>과 같다. 우리나라는 4사분면에 포함되어

기후변화 리스크는 크지만 적응 역량은 양호한 유형의 국가에 속함을 알 수 있다.21)

19) 기상청(2009)에 의하면 한반도의 기후변화 진행 속도는 전 지구 평균보다 훨씬 빠른데 온도 상승의

경우, 지난 100년 간 온도 상승치가 두 배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균기온의 경우, 전 세계 평균은

0.74℃ 상승하는 데 반해 한반도는 1.5℃ 상승으로 두 배 정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 기후변화 적응 역량-리스크의 국가 순위는 부록 I에 수록하 다.

21) 구축된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은 리스크와 적응 역량에 대한 각 국가의 위치가 동시에 표현되도록

하 으며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개발하 다. 기후변화 리스크-적응역량 지수의 표현은 제1사분면의

경우, 적응역량이 높고 리스크는 낮아 가장 안정된 상황을 나타나며 제3사분면의 경우, 적응역량은 낮고

리스크는 높아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이 높은 국가들이 위치하도록 하 다.

Page 5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43

<그림 2-27> OECD 회원국의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분포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각 사분면에 해당하는 주요 국가는

<표 2-7>에 정리하 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후변화 리스크도 높지만 적응 역량이

높은 국가로는 일본, 벨기에,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체코, 룩셈부르크, 프랑스, 독일,

미국이 있다.

Page 5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4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리스크-적응 역량 해당 국가

1사분면리스크 낮음

적응 역량 높음

아이슬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뉴질랜드,

이스라엘, 국, 덴마크, 캐나다

2사분면리스크 낮음

적응 역량 낮음아일랜드, 터키, 칠레,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3사분면리스크 높음

적응 역량 낮음

이탈리아, 그리스, 포르투갈, 멕시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스페인, 폴란드, 체코, 호주

4사분면리스크 높음

적응 역량 높음

일본, 한국, 벨기에,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체코,

룩셈부르크, 프랑스, 독일, 미국

<표 2-7> 기후변화 리스크와 적응 역량별 해당 국가

리스크는 낮은 반면 적응 역량이 높은 국가로 아이슬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뉴질랜드와 같은 북유럽 국가들이 있으며 캐나다와 국, 이스라엘도 여기 속한다. 기후

변화 리스크도 낮으며 적응 역량도 낮은 2사분면에 해당하는 국가는 아일랜드, 터키,

칠레, 슬로베니아 및 에스토니아이다. 리스크는 높으나 적응 역량이 낮은 국가로는 이탈

리아, 그리스, 포르투갈, 멕시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스페인, 폴란드, 체코가 여기에

해당한다.

라. 요약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글로벌 선진국에 해당하는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 다. 개발된

지수를 적용하여 파악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높았으

나 적응 역량은 중간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는 적응 역량 중 특히 기술에

대한 역량은 뛰어나나 자원에 대한 역량과 인프라 역량이 낮았으며 기후변화 리스크에

해당하는 미래의 기후변화 전망치가 높았다.

온 인류가 다함께 노력해 온실가스를 충분히 감축한다면 기후변화의 진전을 어느 정도

막을 수는 있지만 기후변화 현상이 진행되는 것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또한 자원 역량의

경우, 자연적인 조건이므로 이러한 주어진 조건을 극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Page 5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45

우리나라는 이런 자연적인 조건을 초월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대응

역량 체계를 강화해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과 자원부족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한다. 또

수송과 보건과 같은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 요소를

더욱 강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도 줄여나가 지구적 차원의

환경문제인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국내·외 동향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정부는 다각도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수립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10.4)에 따라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2011∼2015)’을 수립하고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차원의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또 정부에서는 2010년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해 각 부문별로 기후변화

적응을 도모하고 있으며 일반 국민들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수준 향상

및 적응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도 펼치고 있다. 이중 민간부문과 관련된 적응대책은

다음과 같다.

- 산업/에너지 분야 기후변화 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유망사업 발굴 및 지원

- 산업분야별 적응 대책 수립 유도

- 기후변화 적응 필요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 향상 및 적응 능력 제고

민간부문이 자발적으로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사

전에 파악하고 자발적으로 적응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선도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국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가진 개별 주체

가 그 해결 방안을 자발적으로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가 적응계획에서도

지역사회와 산업계와 같은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과 적응 노력에 민간부문 참여의 중요

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국가안보 차원에서 정부가 관여하는 기후변화 리스크 감소

정책과 더불어 보험업계 및 지역사회와 지자체, 산업계에 의해 제안되는 혁신적인 정책

Page 5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4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개발을 중시하고 있다(그림 2-28 참조).22)

<그림 2-28> 국가 적응 과정에 있어 민간부문의 참여를 강조하는 영국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국은 DEFRA(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에서 공공기관을 비롯한 주요 산업체에 대해

적응 보고(Adaptation reporting authorities power)라는 제도를 실시하여 자발적인

적응 전략 수립을 유도하고 있다. 적응 보고는 크게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 평가’와

리스크 요소 파악을 바탕으로 한 ‘적응 계획 수립’ 그리고 수립된 ‘적응 계획의

이행’이라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다음에서 템즈 워터와 국 도로공사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살펴본다.

∘ 템즈 워터(Thames Water)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

템즈 워터는 런던과 템즈 밸리 지역을 담당하는 국 최대의 상수 및 하수처리 회사이

다. 템즈 워터는 핵심 비즈니스 전략의 일환으로 기후변화 적응을 다루고 있는데 지역사

회와의 협력 아래 기후변화 대응 역량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템즈 워터는 국

정부의 지침인 Adaptation Reporting Power에 따라 기후변화의 향 이해 및 대응을

22) 개인적 교류, UK DEFRA자료 제공.

Page 5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47

위한 준비 보고서를 발간하고 향후 5년간의 계획(2010∼2015)을 수립하 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Thames Water, 2011).

- 고객 서비스 수준 유지를 위해 범람 위험 하수도 관리

- 안정적인 물 공급 보장을 위해 인구성장과 기후변화의 향 예측

또한 인구성장과 기후변화에 따른 물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한 장기 수질관리 계획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2010∼2035))과 수자원․하수도 및 하수 홍수․홍수 회복력 3개 부문의 전략적 방향 정책을 수립하는 25개년 계획(2010∼2035)을

발간하고 누수율 실적 보고서에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연간 실행 보고서

2010/2011를 발간하 다. 템즈 워터는 업종 상 기후위험의 유형을 가뭄 및 홍수로 구분

하고 적응 활동으로 역량 강화, 교육, 인식 증진, 모니터링 및 평가 및 리스크/취약성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

∘ 영국 도로공사의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

교통부문은 재해관리에 있어 비상사태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그 중요성이

특히 높다. 국 도로공사(Highway Agency)의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기후변

화 적응 전략을 수립하 다.

첫째, 적응 전략의 목표와 의사결정 기준을 정의한다.

둘째, 도로공사에 향을 주는 기후의 경향성을 찾아 이를 규정한다.

셋째, 기후변화의 잠재 향에 따른 취약성을 파악하는데, 취약성은 다음과 같이 규정

한다.

- 네트워크 전략과 계획 관리 및 정의

- 디자인과 건설

- 네트워크 운 관리

- 내부 비즈니스 관리

넷째, 취약성에 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위험유형을 정리하고 리스크를 평가한다.

Page 6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4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이때 다루는 리스크는 다음과 같다.

- 자산상태 감소 및 안전

- 네트워크의 기능성

- 안전하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네트워크 유지를 위한 비용 증가

- 도로 현장 노동자들의 안전 위험 증가

- 기후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및 퀄러티 리스크 증가

- 비즈니스 관리 비용의 증가

다섯째,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부문별 옵션을 분석한다.

여섯째, 각 취약 부문에 대한 구체적인 ‘적응 행동 계획’을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며

다음으로 적응 프로그램을 검토한다. 취약성에 대한 옵션 분석과 적응행동 계획은 주기

적으로 조사 및 모니터링을 하고 검토해 개선해 나간다. 이런 적응 전략 수립 과정은

<그림 2-29>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Page 6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2장·기후변화의 영향과 민간부문∣ 49

자료: Kollamthodi(2010)

<그림 2-29> 영국 도로공사의 적응 전략 수립 절차

우리나라도 국처럼 국가의 적응 과정에 민간부문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제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UN 기후변화협약에서는 UNFCCC 나이로비 작업 프로그램 하 민간부문의 기후 변화

적응 노력으로 민간부문 이니셔티브(Private Sector Initiative, PSI)가 있다.23) 이

이니셔티브는 새로운 시장기회의 모색과 확장, 기후친화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비용절약과 물리적 운 을 포함한 기후변화 리스크의 감소 방안을 모색하며 기후에 안전

한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책임성도 강화하고 있다. <그림 2-30>은

PSI의 세계 분포이다.

23) 2012년 기준 나이로비 작업 프로그램에는 268개 파트너 기구가 있으며 그 중 민간부문 파트너가 63개이

다.

Page 6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5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자료: UNFCCC(http://unfccc.int).

<그림 2-30> PSI의 세계 분포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PSI 활동을 하는 기업이 없어 우리나라도 앞으로 적극적으로

세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동참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민간 부문의 적응을 위해 우리나라에

서 선도적으로 업종별 기후변화 적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기후변화 적응

이니셔티브에 참여한다면 국제적인 모범 사례가 될 것이다. 이는 기업의 이미지 관리에

도 도움이 될 것이며 기업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하는 바도 커질

것이다.

Page 6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51

∣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향과 적응

수요∣실제로 산업계가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향과

피해를 입고 있는지, 또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적인 적응수요가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해

서는 산업계를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가 필요하다. 본 장에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일부

업종에 대해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과 기후변화의 향 및 피해에 대한 설문을 실시

해 우리나라 산업계의 기후변화 향과 피해 및 적응 수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

다.24)

1. 산업계의 기후변화 인식과 영향 및 적응 수요 조사

가. 조사 설계 및 구성

산업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기후변화로 인한 향 및 피해 그리고 정책적 적응

수요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전국 각지의 산업계 주요 부문의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

로 이루어졌다. 설문에 응한 총 조사자는 100여명이었으며 조사는 2012년 7월 25일부터

8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지 구성은 <표 3-1>과 같다.25)

24) 산업계 전 분야에 걸친 기후변화 향과 업계의 정책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농업과 수산업,

광업과 같은 일차산업부터 서비스 업종까지 다양한 산업을 중심으로 조사해야 하지만 연구 기간 등 주어진

여건의 한계로 8개 분야의 제조업 및 보험·금융업을 중심으로 조사하 다.

25) 설문지의 작성은 관련 국내·외 문헌조사와 부문별 관계자 면담 및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완성되었다.

본 조사를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는 부록 II에 수록되어 있다.

Page 6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5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구분 주요 항목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에 대한 체감 유무, 적응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로 인한

업체의 피해 - 기후변화의 향, 업체의 기후변화 피해 경험 및 전망

기후변화와 산업계 리스크-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인식, 업체의 리스크 관리, 리스크 축소를

위한 정부의 역할

기후변화 적응 대책과

산업계-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강화해야 하는 부문

응답자 특성-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교육의

이수 여부, 연령대, 종사분야, 업무 경력

<표 3-1> 설문지 구성 개요

산업계 대상 설문은 화학, 철강, 자동차, 보험, 조선, 건설, 에너지, 식품 및 전기·전

자 총 9가지 주요 업종을 대상으로 각 부문별로 기후변화 및 적응에 대한 인식 여부와

기후변화로 인한 산업계의 향과 피해,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 기후변화 적응 대책

과 산업계 및 응답자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본 설문 응답자의 15%는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바 있으며, 10∼20년의 업무 종사 경력을 가진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0년 이상, 5∼10년 미만의 순이었다. 연령대는 40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대, 50대 순이었다.

나. 조사 결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대응책을 개발하고 대응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후변화와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적응에 대한 인식과 기후변화

에 대한 체감을 시작으로 산업계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다음은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관련 설문조사 결과이다.

Page 6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53

1)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적응 인지 및 체감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지도는 전체 응답자의 78%가 이미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 다. 인지도는 화학과 조선 부문이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에너

지와 식품, 그 다음이 자동차와 철강 부문이었다. 반면 자동차 업종은 가장 덜 인지하고

있었다. 또 40대가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30대, 50대 순이었으며 20대가

가장 덜 인지하고 있었다. 연령에 따른 인지도에 대한 차이는 유의미하 으나 업무 종사

기간에 따른 인지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98%가 체감하고 있다고 응답하 다. 앞으로 기후변화가 더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응답자는 97% 다. 또 가장 심하게 느끼고 있는 기후변화 현상은 ‘평균기온 상승’이

었고 ‘강수량 및 강우시기의 변화’, 그리고 ‘태풍 및 집중호우 발생’ 순이었다.

산업계 종사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체감하고 있는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응답은 <그림

3-1>과 같다.

<그림 3-1> 체감 기후변화 현상

2) 기후변화로 인한 산업계의 영향 및 피해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각 업체들의 향

과 피해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여부는 전체 응답자

Page 6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5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의 73%가 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다고 하 다. 기후변화의 향으로 인한 피해는 ‘에너

지 과소비로 인한 정전’ 및 ‘무더위로 인한 생산차질’이 가장 많은 것으로 응답되었

다. 다음으로 ‘태풍으로 인한 시설물 및 장비 파손’이었으며 ‘재해 발생으로 인한

원료 공급의 차질’, ‘폭설로 인한 생산 차질’, ‘소비자의 선호도 변화’와 ‘자연재

해로 인한 생산품 공급 차질’이 그 뒤를 이었고 홍수로 인한 피해도 다수 있었다. 산업계

종사자들이 피해를 경험한 바 있는 기후변화 현상을 그 응답 빈도를 중심으로 <그림

3-2>에 나타냈다.

<그림 3-2> 산업계에서 피해를 경험한 바 있는 기후변화 관련 현상

산업부문별 기후변화 향에 따른 과거의 피해 정도는 <표 3-2>에, 업체의 대응 능력

을 고려한 미래의 기후변화 전망에 따른 피해 전망은 <표 3-3>에 나타냈다.

Page 6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55

구분홍

에너지 ◯ ◯ △ △ ◯ ◯ ◯ ◎ ◯ △ ◯ ◯ ◯ △ ◯ ◯ ◯자동차 ◯ ◯ - △ ◯ △ ◯ ◯ ◯ ◯ ◯ ◯ ◯ △ △ ◯ ◯화학 △ △ - - △ - ◯ ◯ ◯ - △ - - △ - △ △

건설 ◎ ◯ ◯ ◎ ◯ ◯ ◯ ◯ ◯ △ ◯ ◎ △ △ ◯ ◎ ◯철강 ◯ ◯ - △ △ △ △ ◯ ◯ △ ◯ ◯ ◯ △ △ △ △

조선 ◯ - - △ △ △ △ △ △ △ ◯ △ ◯ △ △ ◯ △

식품 - ◯ △ △ △ ◯ ◯ ◯ ◯ ◯ ◯ ◯ ◎ △ ◯ ◯ ◯보험

금융◎ ◯ ◯ ◯ ◎ △ △ △ △ △ △ ◯ - △ △ △ △

전기

전자◯ ◯ △ △ ◯ ◯ ◯ ◯ ◯ ◯ ◯ ◯ ◯ △ △ ◯ ◯

전체 ◯ ◯ △ △ ◯ △ ◯ ◯ ◯ △ ◯ ◯ ◯ △ △ ◯주: ◎: 위험도 높음, ◯: 비교적 위험도 높음, △: 어느 정도 위험. -: 미미함.

<표 3-2> 산업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피해 정도

Page 6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5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구분홍

에너지 ◯ ◯ △ ◯ △ △ ◯ ◎ ◯ △ ◯ ◯ ◯ △ ◯ ◯ ◯자동차 ◯ ◯ △ ◯ ◯ △ ◯ ◎ ◯ ◯ ◯ ◯ ◯ △ △ ◯ ◯화학 △ △ - △ △ △ ◯ ◯ ◯ △ △ △ - △ △ △ △

건설 ◎ ◯ ◯ ◯ △ △ ◯ △ △ △ ◯ ◯ △ △ ◯ ◯ ◯철강 ◯ △ - △ △ △ △ ◯ ◯ △ ◯ ◯ ◯ △ △ △ △

조선 ◯ △ △ △ △ △ △ ◯ ◯ △ ◯ △ △ △ △ ◯ △

식품 ◯ ◯ △ △ △ △ ◯ ◯ ◯ ◯ ◯ ◯ ◯ △ ◯ ◯ ◯보험

금융◎ ◯ △ △ ◯ △ △ △ △ - - △ - △ - - △

전기

전자◯ △ △ △ △ △ ◯ ◯ ◯ ◯ ◯ △ ◯ △ △ △ △

전체 ◯ ◯ △ △ △ △ ◯ ◯ ◯ △ ◯ ◯ △ △ △ △

주: ◎: 위험도 높음, ◯: 비교적 위험도 높음, △: 어느 정도 위험. -: 미미함.

<표 3-3> 기후변화 영향별 미래의 피해 전망

Page 6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57

구분 경험 피해 유형 전망 피해 유형

에너지

단전, 홍수, 단수, 제품 출하 지연, 가뭄,

교통마비, 이미지 손상, 번개, 장비 훼손, 시설

파괴, 생산성 저하, 원자재 공급

단전, 단수, 원자재 공급, 제품 출하 지연,

교통마비, 가뭄, 지반 침하, 생산성 저하,

홍수, 이미지 손상

자동차

홍수, 단전, 원자재 공급, 교통마비, 제품 출하

지연, 생산성 저하, 단수, 번개, 가뭄, 시설

파괴, 통신마비

단전, 단수, 원자재 공급, 제품 출하 지연,

홍수, 통신마비, 교통마비, 가뭄, 번개,

시설 파괴, 생산성 저하, 지반 침하

화학 단전, 시설 파괴, 단수 단전, 단수

건설

홍수, 생산성 저하, 지반 침하, 교통마비,

산사태, 원자재 공급, 이미지 손상, 가뭄, 장비

훼손, 시설 파괴, 번개 , 단전, 단수

홍수, 지반 침하, 산사태, 생산성 저하,

교통마비, 가뭄, 원자재 공급, 이미지 손상

철강원자재 공급, 단전, 제품 출하 지연, 단수,

교통마비, 홍수, 가뭄

교통마비, 홍수, 단전, 제품 출하 지연,

단수, 원자재 공급

조선생산성 저하, 원자재 공급, 홍수, 제품 출하

지연

생산성 저하, 홍수, 원자재 공급, 단전,

시설 파괴, 단수

식품

제품 출하 지연, 원자재 공급, 시설 파괴,

생산성 저하, 장비 훼손, 교통마비, 홍수,

통신마비, 가뭄, 단전, 단수, 이미지 손상

원자재 공급, 제품 출하 지연, 교통마비,

생산성 저하, 홍수, 단전, 가뭄, 이미지

손상, 단수

보험

금융

홍수, 번개, 가뭄, 산사태, 교통마비, 지반

침하홍수, 번개, 가뭄

전기

전자

제품 출하 지연, 단전, 원자재 공급, 번개, 장비

훼손, 단수, 홍수, 가뭄, 시설 파괴, 생산성

저하, 통신마비, 교통마비

단전, 단수, 원자재 공급, 홍수, 제품 출하

지연

전체

홍수, 단전, 원자재 공급, 생산성 저하,

교통마비, 가뭄, 단수, 제품 출하 지연, 시설

파괴, 번개

단전, 홍수, 단수, 원자재 공급, 교통마비,

가뭄

<표 3-4> 산업 유형별 영향도가 큰 피해 유형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업체의 과거 경험 및 전망에 대한 향도가 크다고 응답된

상위 피해 유형을 업종별로 정리하면 <표 3-4>와 같다.

업종 중 특히 일기의 향을 많이 받는 현장에서의 작업 시간이 높은 건설업이 기후변

화의 여러 향에 대해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번개로 인한 피해나

정전 등이 발생할 때 반도체 제조 라인에 걸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전자

Page 7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5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를 비롯하여 에너지 부문도 여러 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26) 1차산업인 농업부문에 기후변화의 피해가 발생할 경우, 직접적으로 피해가 가는

식품산업의 경우도 기후변화로 인한 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산업과

철강과 같은 산업의 경우, 이상기후가 발생하게 되면 제품 출하에도 막대한 향을 미치

게 되어 기후변화에 민감해진다.27) 보험금융의 경우도 일부 항목에 대해 특히 피해가

클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모든 부문에 대해 비교적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록

보험업이 직접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물리적 피해를 입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보험보상과 관련된 기후변화의 향을 짐작할 수 있다.

3) 기후변화와 산업계 리스크

산업계가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를 얼마나 고려하는가는 앞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줄이는 작업과 직접 관련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항목이 된다. 본 연구 조사에

의하면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기후변화 리스크의 중요도 및 기업경 관리에 있어서의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고려도는 다음과 같다.

∘ 산업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가 산업계의 위기라고 답한 응답자는 15.56%, 기회라고 응답한 사람은

5.56%,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라고 응답한 사람은 78.9%이었다(그림 3-3 참조).

26) 특히 반도체 산업은 번개에 민감해 일본에서는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번개에 대한 예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회사도 있다.

27) 2011년 겨울 발생한 폭설로 인해 물류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Page 7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59

<그림 3-3> 산업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 기업경영의 리스크 관리에 있어서 기후변화 리스크의 중요성

기업경 의 리스크 관리에 있어서의 기후변화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59%

가 기후변화 리스크를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하 다. 약간 고려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7.8%,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3%에 달하 다.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 감소와 기업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기

업의 자발적인 노력’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리스크 저감을

위한 정부 지원’, ‘정보 공유’, 그리고 ‘소비자의 자극’ 순이었다(그림 3-4 참조).

<그림 3-4>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필요한 것

∘ 기후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

기후변화의 향으로 인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Page 7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6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 고 다음으로 ‘R&D 투자’, ‘기술개발 및 특허’와 ‘설비 투자’라

고 응답했으며 ‘산학연 파트너십 구축’도 다수 있었다(그림 3-5 참조).

<그림 3-5>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

∘ 기후변화의 위기 타개를 위해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것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타개와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것으

로는 ‘재정 지원’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규제의 완화’와 ‘세제 혜택’이었고 그 다음으

로 ‘대응 매뉴얼 제공’이었으며 ‘리스크 평가 가이드라인’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

‘정보 제공’과 ‘교육 및 연수 제공’이라고 응답했다(그림 3-6 참조).

<그림 3-6> 기후변화 위기타개를 위해 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것

Page 7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61

∘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주체28)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주체의 1순위로 중앙정부를 꼽은 응답자가 57%로

가장 많았고 기업을 1순위로 꼽은 응답자가 41%로 그 뒤를 이었다. 1순위를 지자체라고

답한 소수가 있었으나 민간단체나 개인을 1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전무하 다. 중앙정부

를 2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40%, 지자체를 2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32%, 그리고 기업을

2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24% 다. 3순위로는 지자체가 55%, 기업이 31% 고 민간단체

가 6.5% 다.

4) 기후변화 적응 대책과 산업계

정부는 2010년 환경부 총괄 아래 13개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수립하 다. 산업계에서는 이런 적응 대책이 산업계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비용을

줄이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각 해당업체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정책은 무엇인지,

그리고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어떤 부문을 강화해야 하는지를 조사하 다.

∘ 적응 대책과 산업계 기후변화 피해 비용

기후변화 적응 대책이 산업계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서는 60%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 고 중립이 31%,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7.8% 다. 업종별로는 화학, 전기·전자, 조선업이 가장 도움이 된다고 하 고

다음으로 식품 및 보험·금융이 도움이 된다고 하 다. 반면 에너지와 철강업이 상대적

으로 도움이 덜 되는 것으로 응답하 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 부문별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효과

기후변화 적응 정책 중 ‘적응산업 및 에너지’ 부문의 적응 대책이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답하 으며 그 다음으로 ‘기후변화 감시 및 모니터링’, ‘재난 및 재해’ 순이었으며

28) 개별 주체에 대한 순위를 매기도록 하 다.

Page 7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6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물 관리’와 ‘교육과 홍보’도 다수 도움이 된다고 답하 다. 그 다음은 ‘농업’과 ‘해양

및 수산’ 부문이었고 ‘생태계’와 ‘산림’ 및 ‘건강’은 소수만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고 답하

다(그림 3-7 참조).

<그림 3-7>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도움이 되는 적응 정책

따라서 적응산업 및 에너지,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재난 및 재해, 물 관리와 같은

부문은 정책개발 시 반드시 산업계의 수요와 의견을 수렴해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도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강화해야 하는 적응 정책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가장 강화해야 하는 적응 정책은 ‘적응산업 및 에너지’

부문으로 응답되었다. 다음으로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이었으며 ‘재난 및 재해’에 대한

수요도 높았다.

Page 7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3장 ․ 산업계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 수요 ∣ 63

2. 조사 결과의 요약 및 소결

가. 요약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산업계 기후변화 향과 적응에 대한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주요

제조업 중 건설, 전기·전자 및 식품과 같은 기후변화 민감 산업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런 기후변화 민감 산업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리스크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저감시켜 나가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전 산업에 걸쳐 단전으로 인한 피해를 가장

우선적인 피해 유형으로 전망하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안정적

인 전력공급에 힘써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홍수로 인한 피해가 크므로 침수에 대비해

시설물의 점검뿐만 아니라 산업단지의 입지구축에서부터 기후변화에 대한 향평가를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해 위기라고 인식하는 종사자들도 다수 있었으나 대부분

의 산업계 종사자들은 기후변화가 위기인 동시에 기회라고 응답하 다. 따라서 기후변화

로 산업계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살릴 수 있도록 관련 정보 제공을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재정

지원과 세제 혜택 및 규제 완화를 들었다. 그 다음으로 대응 매뉴얼 및 리스크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을 들었으나 면담 과정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매뉴얼과 리스크 평가

가이드라인 제공을 최우선적인 것으로 꼽았다. 또한 기후변화 교육 이수율이 극히 낮아

산업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적응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 다.

산업계에서는 기후변화 적응의 주체로서 기업이 가장 먼저 나서서 적응 노력을 기울여

야 한다고 하 으며 중앙정부도 함께 나설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 다. 따라서 외적 요인

이 되는 기후변화에 산업계가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정부의 유인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정부의 적응 대책이 산업계의 피해비용 감소에 도움이 되는지 묻는 문항에서는

중립이 가장 많았으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절반 정도이나 도움이 안 되는 편이

라고 답한 응답자도 많아 민간부문에 도움이 되는 적응 정책을 개발해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업계에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는 특히 ‘적응산업 및 에너지’를

Page 7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6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으뜸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재난 및 재해’ 부문의 적응 정책을

꼽았다. 실제 산업계 면담과 간담회에서도 업계에서는 산업의 기반이 되며 기업의 안정

적 운 을 위한 에너지 공급의 중요성을 강조하 으며, 사전에 기후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가까운 시일에 대한 정확한 날씨정보 제공의 중요성

을 강조하 다. 또한 많은 업체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겪은 경험이 있어 재난재해

관련 정책이 중요하다고 응답하 다. 따라서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인프라 강화를

위해 기상정보 활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기상 예·경보 체계를 강화하고 더 나아가

날씨경 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 소결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기업의

자발적 노력과 소비자의 자극 및 리스크 축소를 위한 정부의 지원, 그리고 정보의 공유

및 경쟁업체의 자극에 대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에서도 기업의 자발

적 노력과 소비자의 자극에 대한 응답 비율이 높아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산업계 자체

및 민간부문의 일부인 소비자의 역할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이 중요하나

기후변화가 외부인자이며 적응 과정의 초반에는 산업계에서의 대응에 한계가 있으므로

국가 차원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과 더불어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 재정 지원과 같은 인센티브를 개발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제도와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승화하기 위해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모범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동종업종 간의 정보교환을 장려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산업계 네트워크를 구축해 관심 포인트를 중심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점차 민간이

자발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네트워크를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후

변화 적응에 필요한 지식 공유를 위한 플랫폼 구축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Page 7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65

∣ 제4장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본 장에서는 산업계를 중심으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산업계가 기후변화 적응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적으로 적응 역량이

갖추어져야 한다. 내적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수집과 공유가 필요하며

기후변화에 필요한 거버넌스 구축과 지원적인 조직 구조가 형성되도록 조직의 체계와

문화를 바꾸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런 내적 역량 강화가 자생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적응 초반에는 국가의 유인책이 필요하다. 즉, 정부에서는 산업계 외부에서 산업계

가 자발적으로 적응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도록 유도를 해나가야 한다. 적응 역량을

높이기 위한 외적 요소로는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을 고취와 공동연구와 전문가 교류

등으로 지식을 전파하는 것, 산업부문별 협회를 중심으로 교육 및 연수의 기회를 제공하

는 것이 필요하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산업계의 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규제기관을 통한

규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새로운 법규를 도입하고 각종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적응에는 재원이 필요한데, 재원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공공정책은 다음과 같은 편익을 가져올 수 있다(Oxfam, 2009).

- 기업의 새롭고 혁신적인 기술개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성장을 자극하는 새로

운 고용 촉진

- 기후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는 녹색기술 축적으로 장기적 경제성장

- 기후변화 향에 취약한 사회계층과 지역사회에 기여

- 기후변화에 따른 위협에 끄떡없는 사회 구축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안보 확보

다음에서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첫째, 기업경 에 있어

서의 기후변화 적응 고려, 둘째,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강화 및 적응 전략 수립, 셋째,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컨설팅업 및 적응시장의 활성화, 넷째, 정보 제공 및 공유

Page 7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6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강화와 교육, 그리고 시민사회 참여 및 협조로 나누어 적응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강화 및 적응 전략 수립

산업계의 기후변화에 대한 부정적 향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적응해나가

기 위해서는 리스크 관리와 적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의 기후변화 리스

크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기후변화의 향에 대한 리스크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후

변화 적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가 업체에 어떻게 향을 미치고 어떠한

기후변화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응 전략을 수립하도

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의 경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모든 기관이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하도록 하기 위해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는 정책의 평가와 관리를 하고 있다. 제2장

에서도 언급된 적응보고 제도도 사전에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하고 이를 바탕으

로 적응 전략을 수립하도록 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게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제도는

해당 기관에 리스크 평가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데 이 보고서에는 기후변화의 현재

혹은 추후에 예상되는 향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적응계획이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진행 상황 보고도 포함되어야 한다. 보고 해야 하는 대상 기관들이 3단계를 따라야 하는

데, 1단계는 위험의 평가와 위협 및 가능성에 대한 파악, 2단계는 적응 계획의 수립,

3단계는 적응 계획의 이행과 적응을 기존 구조에 포함하며 적응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다.29) 국의 경우 평가 보고서는 공개를 원칙으로 하지만 기업 보안을 위해

보고기관의 요청이 있으면 관계 지자체의 검토를 거쳐 특정 부분에 대해서는 기밀로

처리할 수 있다. 또 보고 자료가 요구사항에 적합한지 검토한 후, 특정 사항에 대해

추가적인 보고를 요청할 수도 있다. 정부는 이 보고서를 분석해 관련 정책 방향과의

29) 보고 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하는 보고 형식은 기후변화의 향, 접근법, 기능 수행 및 목적에

향을 줄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요약, 위험에 대처할 행동 제안, 불확실성과 가정들, 외부 상호작용과

적응에 장애물인 요소들, 관찰 및 평가이다.

Page 7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67

부합 여부를 판별하는 데 사용하며 차후의 정책 방향과 가이드라인 설립에 참고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산업계의 리스크 평가와 적응 전략 수립을 제도화한다면 산업

계가 기후변화 리스크를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적응 전략을 수립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진행 과정을 보고하도록 해 자발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향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기회로 활용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30) 리스크

평가의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도록 한다.

∘ 런던 Stansted 공항의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런던 Stansted 공항은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의 평가를 안전, 안보, 환경, 재정,

명성의 5가지 범주에 대해 실시하고 리스크 점수를 발생 가능성과 리스크 범주에 따른

결과에 대한 함수로 하여 기후변화 리스크를 평가한 후, 적응 행동을 결정한다. 런던

Stansted 공항의 리스크 관리 범주는 <표 4-1>과 같다.

1

Minor

2

Moderate

3

Significant

4

Substantial

5

Grave

발생

가능성

80%

Probable

50~80%

More than likely

30~50%

Less than likely

10~30%

Unlikely

< 10%

Improbable

안전 경미한 부상 주요 부상 단일 사망 다수 사망(<100) 다수 사망 (>100)

안보 경미한 규정 위반보고할 만한 규정

위반기소 공항 단기 폐쇄 공항 장기 폐쇄

환경 향 단기 지역 피해 단기 지방 피해 장기 지역 피해 장기 광범위 피해광범위 구 피해

재정

피해(£)1백만 이하 1백만~25백만 25백만~50백만 50백만~100백만 100백만 이상

평판 및

법적 제재

개선 통보

작은 지역 피해

금지 통보

주요 지역 피해

벌금

국내 언론 보도

대표 기소

국제 언론 단기

보도

대표 유죄 판결

국제 언론 장기

보도

자료: Jefferson(2011).

<표 4-1> 런던 Stansted 공항 리스크 관리 범주

30) 기업운 상 기밀 내용에 대해서는 국의 사례처럼 검토 등의 과정을 거쳐 보안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은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8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6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리스크 평가는 위의 분류체계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리스크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발생 가능성과 그 결과의 정도에 따라 리스크를 단계별로 나누어 리스크의 수준을

결정한다. <그림 4-1>은 리스크의 수준을 결정하는 발생 가능성과 결과의 함수에 따라

리스크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한 매트릭스이다.

자료: Jefferson(2011).

<그림 4-1> 리스크 평가를 위한 발생 가능성과 결과 매트릭스

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기후변화의 향과 리스크의 범주는 업종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를 통한 적응 전략을 수립하도록 하기 위해

서는 업종별로 리스크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과 매뉴얼 제공이 필요하다.

다음 단계로 리스크 평가 이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적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는 크게 3가지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리스크가 커

당장 조치를 취해야 할 수준, 둘째, 당장은 아니지만 리스크로 인한 잠재적 위험에 대비

해 모니터링과 미래의 재평가가 필요한 수준, 셋째,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가 별로

존재하지 않는 수준이다. 적응 전략은 업체의 리스크가 어느 수준인가에 따라 달라지므

로 업체에서는 먼저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의 존재 여부부터 물리적 자산과 제품 생산

공정부터 인프라 및 서비스 과정까지 리스크에 대해 스크리닝하고 이를 범주별로 나누어

관리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리스크의 일반적인 스크리닝 과정은 <그림 4-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age 8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69

자료: WRI(2009).

<그림 4-2> 기후변화 리스크의 스크리닝 과정

기후변화 리스크의 스크리닝 과정을 거친 후, 업체는 직면한 기후변화 리스크의 수준

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리스크에 따른 대응조치를 세우고 단기적 및 중·장기적 기후변화

적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적응 전략은 우선순위를 정해 시급한 것부터 이행해가야

하며 기후변화 리스크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정부는 산업계에서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와 적응 전략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과 더불어 자발적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제도를 고안해야 하며, 이런 과정을 산업계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도 및 지원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기업경영에 있어서의 기후변화 적응 고려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촉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경 에 있어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산업체의 경 에 있어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하도록 유도하

기 위해서는 관련 제도의 구축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산업계의 적응을 강조하는 기업의

업무 연속성 강화, 기업 평가체계의 개선, 모기업-협력업체간 적응 파트너십 강화, 그리

Page 8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7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고 적응 인증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가. 기업의 업무 연속성 강화

1) 기업 업무 연속성 및 회복력의 강화

산업 활동에는 끊임없이 내적, 외적 교란이 발생한다. 그러나 어떤 교란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업무는 계속되어야 한다. 기후변화는 특히 극한 기후 사상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

과 자연재해의 발생으로 기업의 업무 연속성에 부정적인 향을 초래할 수 있다.31) 따라

서 기후변화에 대비해 산업계의 업무 연속성을 관리해야 하는데 산업의 연속성에 향을

미치게 되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도 불구하고 업무가 계속되도록 하고 신속히 복구할

수 있는 회복력이 확보되어야 한다.32) ISO 22301은 사업 연속성 관리(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BCM)를 추구하기 위해 관련 전략과 운 틀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BCM은 기업의 생존전략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사업 연속성 관리 전략이다. 이것은 예상치 못한 비즈니스 중단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회복력의 확보체계를 제공하고 조직을 위협하는 잠재적 향을 식별해

이를 예방하는 총체적 관리 프로세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33)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기에 대비해 평상시 및 비상시의 위기관리를 통한 기업의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34)

31) 자연재해와 같은 극한 기후사상 이외에도 점진적인 변화인 평균기온 상승과 해수면 상승 등에 의해서도

업무의 연속성은 교란될 수 있다. 산업계가 대비해야 하는 기후변화 현상은 자연재해에 국한되지 않음을

강조하는 바이다.

32) 사업 연속성의 중요성을 보여준 사례로는 2001년 9.11테러 이후 전혀 업무에 지장 없이 다음날 신속히

업을 재개한 Morgan Stanley와 허리케인으로 주요 시설과 장비가 훼손된 이후에도 중단없이 제품을

생산한 GM의 경우가 사업 연속성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이호준과 유종기, 2011).

33) IMP: Incident Management Plan

34) BCM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7가지가 있는데, 이는 첫째,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 둘째, 비상 대응에 대한 역할과 책임 및 비상 시 행동요령 및 업무재개 관련 사전 교육과

훈련을 수령하는 사람들, 셋째, 핵심 업무와 프로세스 중단 시의 대체방안과 백업체계 및 복구자원을

확보하는 프로세스, 넷째, 주요 제조 공정과 사업장 안전 및 보안과 대체 장소 및 장비 사용 계약과

채널을 확보하는 시설과 장비를 포함한 자원, 다섯째, 탄력적인 공급망 수립과 공급업체의 협력 채널

확보를 위한 협력업체, 여섯째, 고객 등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와 업체의 평판에 대한 업체의 이미지, 일곱

Page 8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71

일반적으로 BCM 전략은 다음의 8단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준비 단계, 둘째, 상황

발생 단계, 셋째, 초동 대응 단계, 넷째, 지연된 향 단계, 다섯째, 전체 향 단계,

여섯째, 복구 준비 단계, 일곱째, 복구 단계, 여덟째, 장기적 향 단계.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를 위한 전략적인 프로세스는 <그림 4-3>처럼 나타낼 수 있다.

자료: 이호준과 유종기(2011).

<그림 4-3> 업무 연속성을 위한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 전략 프로세스

이처럼 업무연속성을 강화하는 것은 회복력 강화를 통한 피해 예방이 그 목적이다.

따라서 업무연속성의 확보와 더불어 회복력 강화가 필요하다. 산업계가 기후변화로부터

회복력을 강화하는 것은 단계별로 추진할 수 있다. 먼저 이슈가 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문제 해결을 위한 내부 전략을 세우고,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와 기회에 대해

평가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의 실행에 착수하여 진척

상황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다섯 단계를 거치면 다시 문제점을 파악하는 단계부터

다시 반복한다. <그림 4-4>는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업의 기후 회복력을

구축하는 기본적인 다섯 단계에 대한 도식이다.

째, 성과 평가에 대한 개선 활동이다.

Page 8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7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자료: PREP(2012).

<그림 4-4> 기업의 기후 회복력 구축을 위한 다섯 단계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문제점을 해결해나가고 미비한 점을 보완해나간

다면 기업의 회복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며 업무연속성이 향상될 것이다. 업무연속성

및 회복력 강화는 기업의 적응전략 수립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이다.

2) 보험 활성화를 통한 업무 연속성 유도

보험은 산업계의 리스크 관리자로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험은 기업의 업무 중단 시 업무재개에 필요한 자금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기업의 사업 연속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는 보험을 활용할 수 있다.35) 미국의

경우, 2001년 9․11 테러와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같은 기업에 큰 위협이 되는

재난재해로 인해 기업 운 이 멈출 경우, 업무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경 상의

피해를 줄이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미국은 2007년에 재난뿐만 아니라 모든 위기 관리

계획을 포괄한 재난관리 및 업무 연속성 관리 표준인 NFPA 1600(Standard on

35) 업무 중단 손해를 담보하는 기업 휴지보험(Business interruption insurance)은 다양한 형태로 운 되

고 있지만 주로 업무 중단의 손인이 화자나 폭발 및 지진, 노동쟁의, 전산설비 장애 등과 같은 리스크에

한정한다(이기형, 2011).

Page 8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73

Disaster/Emergency Management and Business Continuity Programs 2007)을

제정해 공공기업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도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NFPA, 2007)

.36)37)

국은 업계의 업무 중단과 같은 리스크에 대한 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Business Continuity Plan, BCP)에 대한 국 표준 규격을 제정해 업체들은

재난재해에 대비하고 회복역량을 높이기 위해 이런 보험을 활용하고 있다. 국 정부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업무의 연속성 계획을 수립할 경우, 해당 지자체의 지원을 의무화하

도록 2004년에 시민 비상대처법(Civil Contingencies Act)을 제정하 다. 국의 이런

업무 연속성 관리에 대한 표준 규격(BS 25999)은 기업이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기업 휴지보험에 가입하는 등 기업의 업무 연속성을 유도하는 데 기여하

다고 할 수 있다.38) 또 기업의 업무 연속성 관리를 위한 틀을 개발해 우수 실행 지침을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BCI, 2005). 국의 경우, 업무 연속성 관리

제정으로 보험사들은 정부의 업무 연속성 관리 정책을 새로운 시장개척의 발판으로 삼아

기업들에게 업무 연속성 관리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다양한 기업 휴지보험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39)40) 일본의 경우도 정부 차원에서 업무 연속성 관리에 대한 표준 규격을

제정해 기업의 리스크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36) NFPA. 2007. Standard on disaster/emergency management and business continuity

program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600.

37) 미국의 손해보험사는 업무 연속성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조업체와 상업용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업 종합보험과 사업자 종합보험을 통해 기업 휴지 손해담보를 제공하고 있다.

38) 국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는 2002년 ‘업무 연속성 관리 공공표준 PAS56’을

제정하 으며 2006년 ‘업무 연속성 관리 표준규격 BS 25999(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tandard)'의 첫 번째 표준 'BS 25999-1 실행지침'을 제정하 고 2007년에는 두 번째 표준인 'BS

25999-2 업무 연속성 관리의 명세서(Specification for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를 제정하

다.

39) Zurich Risk Engineering,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ervices를 개설하고 고객들에게

업무 연속성 관리 계획의 개발과 업무 연속성 관리 계획의 감사, 업무 중단의 모델링 업무에 대한 향분석

(Business impact analysis)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http://www.zurich.com).

40)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재해 등으로 인한 업무 중단에 대비해 기업 휴지 위험 진단에 대한 컨설팅 또한

확산되고 있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사업 향 분석(business impact risk), 리스크 관리체계 (risk

management framework), 리스크 평가(risk assessment), 사업 재개 계획(business resumption

plan), 비상 계획(contingency plan), 관련 교육과 훈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Page 8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7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일반적으로 대기업에 비해 자연재해 등으로 업무가 중단되는 위험이 더 큰 것을 고려해

‘중소기업의 BCP 책정 운용지침’을 마련하기도 하 다.41) 기업의 업무 연속성 관리

를 위한 일본정부의 유도로 일본의 보험시장은 기업의 업무 연속성을 위해 업 계속

비용보험과 종합보험 등 다양한 형태의 보험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휴지보험 시장 또한 커지는 추세이다(표 4-2 참조).

보험 유형 1998 2000 2004 20052008

(구성비, %)CAGR

화재 1,242,505 1,134,946 1,156,444 1,203,3291,416,959

(15.7)1.5

자동차 4,659,480 4,648,906 4,713,138 4,671,2684,352,143

(53.9)-0.8

기업 휴지 7,600 15,121 32,127 32,87371,570

(0.9)28.3

기타 1,810,293 1,661,193 1,723,568 1,751,2932,230,270

(27.6)2.4

합계 7,719,878 7,460,166 7,628,277 7,658,7638,070,942

(100)0.5

자료: 이기형(2011) 재인용.

<표 4-2> 일본의 기업 휴지보험료 성장 추이

(단위: 백만 엔)

우리나라의 기업 휴지보험은 독립된 보험 종목이 아니라 특정 상품 내 하나의 담보

위험이나 특약 담보 형태로 운 되고 있는데, 보험가입률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이기형,

2011).42) 우리나라 산업체의 업무 연속성 관리 방안으로 보험에 대한 활용도가 낮은

이유는 경 자들의 인식 부족과 다양한 보험 상품 부재가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

나 기후변화로 인해 점차 이상기후가 일상화됨에 따라 민간부문의 업무 연속성 유지를

41) 일본의 경우, 화재나 자동차보험 등 일반적인 보험시장의 보험료는 정체되어 있는 반면, 기업 휴지

보험은 연간 28.3% 이상 성장하 다(http://www.chusho.meti.go.jp).

42) 소규모 기업들이 주로 가입하는 화재보험의 경우 기업 휴지손해 담보 특약으로 화재, 폭발, 지진, 노동쟁

의 등의 손인으로 인한 업무 중단 손해를 보상하고 있으나 보험가입률은 1%도 안되는 실정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업의 경우, 화재 손해, 배상 책임 손해와 더불어 업무 중단 손해를 하나의 담보위험으로 가입하

는 재산종합보험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 가입률은 10% 정도이다(이기형, 2011).

Page 8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75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점차 커졌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국, 일본과 같은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의 업무 연속성 관리를 개별 기업의 몫으로만 두지 말고 정부

가 나서서 가이드라인과 관련법을 제정하고 보험업계도 이런 정부의 정책과 연계된 기업

휴지보험과 같은 상품을 적극 개발하여 민간부문의 업무 연속성 관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관련 위기상황이 발생해도 업무의 연속성에 별다른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해갈 필요가 있다.

나. 기업 평가체계의 개선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업평가 체계의 개선을 통해서도 가능

하다. 기업 활동에 향을 미치는 데는 여러 요소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기업에 대한

평판은 기업 활동에 특히 중요한 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기업평가 결과는 기업경

의 방향설정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평가 체계에 있어서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요소를 반 한다면, 기업의 자발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평가체계와 기후변화 및 녹색경 에 대한 기업평가와 관련된 제도 및 지표로는 중소

기업 평가체계,43) 대한민국 녹색경 대상44)과 글로벌 녹색경 대상 녹색경 지수,45)

43) 중소기업의 경우 기업의 기술성, 사업성, 경 관리능력을 중심으로 기술성은 기술개발기반, 핵심기술,

생산기술, 시장전망에 대해, 사업성은 시장전망, 시장경쟁력, 마케팅능력, 미래성장성에 대해, 그리고

경 관리능력은 전문성과 노사관계 등 내부통제능력에 대한 경 관리능력 및 경 기반에 대한 항목으로

평가한다. 기업의 평가체계에 대한 자세한 항목별 분류는 부록 III에 제시하 다.

44) 녹색경 이란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선언 이후 확산된 경 방식으로 환경친화적 경 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 자원 및 관리 체제를 일정한 절차와 기법에 따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환경경 을

포함한다. 녹색경 은 녹색기술 연구개발과 녹색산업 투자 및 고용확대 등을 사업자의 책무로 하며 자원과

에너지 절약 및 효율적 이용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녹색

성장위원회, 2009). 녹색경 대상은 환경부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환경친화적인 산업구조

구축으로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산업활동을 적극 추진하여 국가의 녹색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 산업발전의 기반마련을 위한 녹색경 분야의 대표적인 정부포상제도이다. 기업체 부문

은 녹색경 , 기후변화대응, 대·중소그린파트너십, 녹색기술, 친환경건설로 구분하여 포상한다. 부록

IV에는 기후변화와 녹색경 관련 지표 및 지수를 수록하 다.

45) 한국능률협회인증원과 한국능률협회는 조직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녹색,

사회책임, 지속가능, 품질, 안전, 기술, 정보보안 등 테마별 경 시스템과 수행실적이 우수한 기업 및

단체를 대상으로 포상하는 글로벌녹색경 대상(Global Standard Management Award)을 시행 중이다.

Page 8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7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지속가능경 보고서 환경성과지표,46) 탄소정보공개(Carbon Disclosure Project,

CDP)47) 등을 들 수 있다.

기업 신용평가의 경우 크게 재무적 요소와 비재무적 요소에 대해 이루어지며, 비재무

적 요소는 다시 계량비재무요소와 순수비재무요소로 나누어진다. 순수비재무요소의 경

우 산업 및 환경 업, 경 , 그리고 기술이 주평가 항목인데, 이러한 평가 체계에 있어서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와 적응을 위한 노력을 반 하는 항목을 포함할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중소기업 평가체계의 경우 세부 소항목에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위기 대응능력이나 사업의 연속성에 대한 평가항목이 없으며, 녹색경 이나 지속가

능경 보고의 관련 가이드라인도 아직까지는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담고

있지 못하다.48) 따라서 이러한 기업평가체계에 있어서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고려

하고 기업의 업무연속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 기후변

화와 관련된 기업의 활동을 보고하게 하는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CDP)의 성과보고서 작성에 있어 기후변화 적응노력에 대한 내용을 좀 더 많이

포함하게 유도하는 것도 한 가지 접근법이 될 것이다. CDP의 경우 우수탄소경 기업

(Carbon Performance Leader)을 선정하면서 처음에는 부담으로 작용하던 온실가스

중장기 녹색경 전략 수립 및 실천을 통해 환경오염 감소 및 규제 대응, 기업의 지속성장 동력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제고한 실적이 우수한 기업 및 단체가 신청하여 이를 평가하여 시상한다.

46) 지속가능 경 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조직의 활동에 따라 이해당

사자에 미치는 지속가능성 향을 공개하는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한다(GRI. 2011). 지속가능경 보고서

(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는 유엔환경계획(UNEP)산하기관인 GRI의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작성되며, GRI 보고 프레임워크는 경제, 환경, 사회 성과를 보고하기 위한 일반적 프레임워크 역할을

한다. 환경성과지표는 보고 조직의 생태계, 토지, 대기, 물을 비롯한 자연 환경에 대한 향을 조명,

환경지표는 투입(원료, 에너지, 용수 등)과 산출(대기배출물, 폐수, 폐기물) 관련 성과를 다루고 생물다양

성 및 환경법규 준수 성과 그리고 기타 관련 정보(환경 관련 지출, 제품/서비스의 향)도 다룬다.

GRI는 1997년 미국의 민간단체인 CERES와 UNEP가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으며 2002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둔 상설기관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지속가능 보고서

가이드라인인 GRI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47) CDP는 경 , 리스크 및 기회,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기업의 설문을 바탕으로 설문을 바탕으로 CDP와

국제자문기관인 PricewaterhouseCoopers LLP(PwC)가 공동으로 개발한 탄소정보공개지수(Carbon

Disclosure Leaders Index, CDLI)를 발표한다.

48) 기업은 이러한 보고서 작성을 통해 기업경 의 투명성과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활동을 더 강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Page 8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77

감축이 오히려 저탄소 기술수요 확산에 따라 산업의 기회가 되고 있으며, 점차 그 내용과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급망에서의 온실가스 배출과 수자원 부문의 리스크에

대한 정보도 수집하고 있으며, 또 업계의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정보 제공

의 역할로 투자자 입장에서도 도움이 되고 있다(PWC, 2012a; PWC, 2012b; PWC,

2010). 이러한 기업평가 관련 지표는 기업의 기후변화 적응 노력을 촉진하게 될 것이

다.49) 기업평가와 관련하여 활용될 수 있는 핵심 지표로 다음과 같은 역에 대해 구체적

세부지표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체계 구축

- 기업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수립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사회적 공헌

구체적으로는 ‘주기적 리스크 평가를 통한 적응계획 수립 및 보완’, ‘기업의 자산

및 공급망 안전성 확보’, ‘장기적인 관점과 지리적 요인을 고려한 투자’, 그리고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기여’, 그리고 기후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기후변화 향과 수요자 니즈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새로운 상품 개발을 위한 투자’ 와 같은 내용이 세부지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뒤에 나오는 <표 4-3>의 기후변화 적응인증 평가지표의 구성(안)을 참고하여

지표체계를 재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모기업-협력업체 간 적응 파트너십 강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대기업과 종소기업 모두의 적응역량이 강화되

49) WRI(World Resource Institute)와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보고 기준을 정하고 기업의 온실가스

관리 및 감축에 대한 성과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점차 많은 기업으로 그 참여가 확산되고 있다. 처음에

는 전 세계 500대 기업의 약 절반 정도가 이에 응하 으나, 점차 증가하여 2010년에는 세계500대 기업의

82%인 410개 기업이 참여하 다. CDSB(Climate Disclosure Standard Board)는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보의 공개를 촉진하기 위해 기후변화 보고에 대한 framework(Climate Change Reporting

Framework, CCRF)를 출간하 으며, 공개해야하는 컨텐츠 대상에는 리스크, 기회, 관리행동, 거버넌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CDSB, 2012).

Page 9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7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어야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이 주도하여 중소 규모 협력업체

의 기후변화 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모기업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적응 파트너십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 일환으로 업체의 공급망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취약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업체의 실질적인 개선 노력과 이행 및 성과에 대한 지원과 포상을 할

수도 있으며 보험 가입을 의무화 할 필요도 있다. 특히 제조-물류-유통업체 간 파트너십

이 중요한데, 모기업은 협력업체의 BCP를 요청하고 필요할 경우 기업 휴지보험을 활용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모기업-협력업체 간 적응 파트너십

강화를 <그림 4-5>와 같이 제안한다.

<그림 4-5>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협력체계 강화

실제 일부 대기업에서는 협력사 관리 정책의 일환으로 협력사와 연계한 평가를 실시해

기업의 지속가능 보고서에 그 결과를 싣고 있으며, 평가 부문으로는 노동, 보건안전,

윤리, 환경과 같은 부문이 있다. 따라서 협력사 대상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평가 대상 부문과 항목에 협력업체를 비롯한 모기업과 협력업체 모두에

대해 전체적인 기후변화 적응 노력과 성과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Page 9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79

라. 적응 인증제도의 도입

1) 적응 인증제도의 도입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적응의 방향이 명확해야 하며 기업 경 계획에

있어 기후변화 적응 요소가 반 되고 이것이 실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업의 기후변

화를 위한 노력에 대해 검증하는 적응인증제도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증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인된 인증기관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 인증기

관의 실질적인 운 을 위해서는 적응을 인증해주는 인정기관과 연수기관이 필수적이

다.50) 또 적응에 대한 인증 과정을 검증할 수 있는 인력의 체계적 육성과 제도의 효율적

운 , 더불어 금융권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앞으로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노력에 대해 그 과정과

성과를 객관화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완화와 마찬가지로 MRV51)와 같은 절차를 개발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주요 산업 부문별로 기후변화 적응에 대해 국제표준과 같은 기준을

만들어 나가야 하며, 적응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 등을 구축해가는 것이 필요하다.52)

적응인증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구체적 항목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후변화 적응 인증 평가지표 구성(안)은 <표 4-3>과 같다.

50) 이와 유사한 제도로 에너지 경 시스템의 국제 인증 규격인 ISO50001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부처별

로 산발적인 에너지 관련 정책 및 제도와 부처 간 이견 등으로 인해 외국계 인증기관이 에너지 경 시스템

인증 관련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에너지 인증기관은 사업을 운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51) MRV는 Measurable, Reportable, and Verifiable로 UNFCCC에서 온실가스 감축 성과에 대한 검증을

하는 방식이다.

52) Global SEP의 경우 미국과 일본이 주도해 2011년 4월 발족했으며 경 체제는 ISO50001, 설비 기준으로

는 SEP를 구축했고, EMAS의 경우 경 체제는 ISO14001, 성과 검증 기준을 채택하고 있다.

Page 9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8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세부항목

전략

비전 -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

∘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림에 대한 경 자의

의지

∘ 기후변화 적응전략 및 세부추진 계획 수립

기후변화

적응 경

- 기후변화 적응형 공정 구축

- 기후변화 적응 상품 혹은

서비스 개발

∘ 기업의 기후변화 적응 공정 개발 및 개선

∘ 기후변화 적응 제품 혹은 서비스 개발을

위한 투자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

업간 협조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업 간 협력 및

정보공유

∘ 협력업체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보공

유 및 지원

시스템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 기후변화 향에 대한 리

스크 평가 체계 구축

∘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수행 및 평가 보고

서 작성

∘ 리스크 평가 결과에 기초한 적응 계획

수립 및 지속적 보완

적응체계

구축 및

성과 관리

- 기후변화 적응 추진 조직

및 부서간 협력체계

∘ 기후변화 적응 추진 조직 구축

∘ 부서간 정보교환 및 협력체계 구축

- 기후변화 적응성과 관리∘ 기후변화 적응성과 관리 및 평가 체계

구축

사회․윤리적

책임

정보 공개-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

공개

∘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 공개

∘ 기후변화 적응 관련 내용이 수록된 보고서

발간

사회 공헌-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

응에 대한 공헌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지역주민과의 소통

체계 구축

∘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기여

자원

에너지

원자재

수급

- 안정적인 원자재 공급망

확보∘ 공급망 붕괴 대비 대체 공급원 확보

수자원

절약

- 용수사용 저감 및 수자원

확보

∘ 용수사용 절감 노력

∘ 가뭄대비 대응책 마련

에너지

절약

- 에너지 사용 저감∘ 에너지 절감을 위한 노력

∘ 단전 등을 대비한 비상시 대책 마련

- 에너지 자립∘ 공급에너지 중 재생에너지 비율 확대

∘ 자체적 에너지 공급 대책 구비

방재 및

안전

재해 대비- 기후변화 관련 자연재해

대비

∘ 기후변화 관련 재해유형별 재해 대비 매뉴

얼 구축

∘ 재해유형별 행동요령 교육 실시

안전

- 상설안전 체계 및 안전점

검 시스템 구축

∘ 안전점검 매뉴얼 구축

∘ 안전점검 담당체계 구축

∘ 안전점검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안전 교육 ∘ 주기적 안전교육 실시

<표 4-3> 기후변화 적응 인증 평가지표 구성(안)

Page 9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81

적응인증 제도가 도입될 경우 인증을 받고자 하는 업체가 존재해야 하며, 민간기업으

로 하여금 적응 인증에 대한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적응인증으로 인한 인센티브로는 세제혜택, 자금 지원, 연구사업 지원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적응 인증에 따른 인센티브는 다음과 같다.

- 적응 노력에 들어간 비용에 대한 정부의 보조

- 관련 업체의 은행 대출 비용 절감

- 세제 혜택

- 적응 마크 획득에 따른 기업체 혹은 해당 제품 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이미지가

개선될 수 있도록 홍보

기후변화 적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센티브를 고안한다면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타 인증제도의 인센티브 현황을 비교하면 <표 4-4>와

같다.53)

53) 건축부문의 인증 마크로 스위스의 친환경 건축 인증 마크인 MINERGIE가 있다. MINERGIE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주택에 부여하는 인증마크이며 스위스 건축협회(Schweizerischer Ingenieur und

Architektenverein, SIA)에서 부여한다. MINERGIE 마크의 성공 비결은 첫째, 꼼꼼한 인증 절차로

확실한 품질을 보장하며 둘째, 정부가 제시한 에너지 감축 기준보다 훨씬 엄격한 기준으로 스위스 정부

건축기준을 이끌어 가고 있으며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 MINERGIE 인증 건축물 보급을

위해 건물주에게 보조금을 지원하고 새로운 금융상품을 통해 금리혜택을 제공하며 이런 점을 인정받아

부동산 시장에서 7∼8%의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Page 9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8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구분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신기술 인증(NET)

기업 등

요건

벤처투자기업: 금융투자

등으로 자본금 10% 이상

연구개발기업; 기업 부설

연구소 보유, 연 개발비 5

천만 원 이상

신기술기업: 기술개발 사

업에 의한 총매출액 50%

이상

기술평가기업 : 기술성 및

사업화 능력 우수기업

창업 후 3년 경과 기업으로

OECD 기업혁신성 평가 매

뉴얼 (Oslo Manual)에 근

거한 평가 지표에 따라 기

술혁신 역량평가를 실시

한 결과, 기술경쟁력과 성

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기

업 (목적: 기술혁신형 중소

기업 발굴․육성)

인증일 기준 향후 2년 이내

상용화가 가능하거나 향

후 기존 제품 성능을 현격

히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

(목적: 기업 및 공공이 개

발한 신기술을 조기 발굴,

상용화와 기술 거래 촉진)

세제- 법인세, 소득세 등 감면

(2년)-

- 사업용 투자 자산 세액

공제

자금

- 정책자금 등 지원 시 우

- 기술보증 우대 지원

- 정책자금 등 지원 시 우

- 기술보증 우대 지원

- 금융지원 협약 보증

- 기술보증 우대 지원

판로- 조달청 물품구매 심사

등 우대

- 조달청 물품구매 심사

등 우대

- 조달청 물품구매 심사

등 우대

인력

- 병무청 병역 지정 업체

심사 우대

- 해외 기술인력 도입 지

- 병무청 병역 지정업체

심사 우대

- 국내·외 기술인력 도입

지원

- 고급 연구인력 고용 지

원 우대

IR

- TV/라디오 광고비 감면

혜택

- 코스닥 등록 우대

- TV/라디오 광고비 감면

혜택-

자료: 한국기상산업진흥원(2012).

<표 4-4> 인증제도의 인센티브 비교

적응인증 제도를 도입할 경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일부 부문에 대한

적응 인증제도 획득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 적응인증 제도의 확산을 위해

서는 기후변화 인증에 따른 인센티브가 있어야 하므로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의 개발과

재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적응 과정에 대한 인증은 정부가 직접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산업계 부문별로 시장을 활용한 시장 메커니즘을 개발해 장기적으로

는 민간에 의해 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여러 산업부문에 적응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다양한 적응 산업을 개발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산업분류체계

Page 9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83

를 재조정하고 분류체계에서 적응산업에 대한 분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54)

2) 적응 인증과 날씨경영과의 연계

산업계가 기후변화로부터 받는 향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예측하지 못한

이상기후의 발생이나 일기의 변화로 인한 향과 피해가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경 에 있어 기상정보를 활용한 날씨경 은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즉, 기상정보를 활용해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 및 기술, 마케팅

등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기업의 경우, 이미 기상정보의 활용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55)

이와 관련된 제도로 기상청의 날씨경 인증제도56)가 있다. 이는 날씨정보를 경 활

동에 다양하게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기상재해로부터 안정성을 획득했음을 인정

하는 제도로 기상정보의 활용을 통해 기업의 경 개선과 원가절감 등 기업경쟁력 제고의

발판 마련 및 중소기업의 매출 향상을 제고하고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산업체에 대해 날씨경 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업종별로 기상정

보를 활용한 날씨경 사례를 제공해 기업의 날씨경 컨설팅 및 교육과 홍보를 지원하고

날씨경 의 확산을 위해 날씨경 인증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해가는 것이 필요하

다. 이를 위해서는 날씨경 을 위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의 개발하고 먼저 적응 인증제

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57) 그러나 적응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기존 제도와 연계하

54) 산업 분류체계는 부록V에 수록하 다.

55) STX 조선의 경우, 기상정보의 활용으로 도장과 탑재 공정 일정을 조절하고 위험 기상이 예상되는 경우,

휴업령을 내려 효과를 거두고 있다. 기상정보 구매비는 400만 원이었으나 그 활용 가치는 47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한국기상산업진흥원, 2012).

56) 날씨경 인증제도는 2011년 11월 시행되어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경 하는 기업 및 단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상정보의 활용성(70%)과 기상 관련 기업 경 평가(30%)를 바탕으로 기업의 기상정보 활용,

기상정보 인프라 구축, 기상정보 인식 수준, 날씨경 성과 등으로 평가한다. 인증 심사는 현황 설명서

등을 바탕으로 서류, 현장, 최종 심사에 따라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인 경우,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유효 기간은 인증일로부터 3년이며 인증 기간 만료 30일 이전에 재평가를 신청한다. 2012년 2월 기준,

총 20개 기업 및 기관이 인증을 획득하 다. 현재 날씨 인증 제도는 기상청 사업 입찰 우대, 날씨경

컨설팅 지원, 기상사업화 컨설팅 지원, 날씨경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인증기업 마케팅, 홍보 활동 지원,

기상정보 대상 우대와 같은 지원 혜택이 있으며 기상청은 우대 범위를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Page 9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8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먼저 기후변화 적응 인증기관이 설비되어야 한다. 기후

변화 적응은 그 범위가 넓으므로 적응 인증기관은 부문별 적응에 대한 심의가 가능해야

할 것이다.

3.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 및 적응시장의 활성화

최근 기후변화 위험과 기회를 이해하고 기후변화 향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사업관리

의 도구로 전환하는 컨설팅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후변화 관련 컨설팅

산업이 확산되고 있다. BSR은 산업계는 기후변화에 의한 직접적인 사업 향을 넘어서

가뭄, 매개 질병, 기후 위험에 취약한 빈곤층, 개도국 주민, 여성 등 이해당사자들에게

기후변화가 어떻게 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기후변화 적응이

시급해짐에 따라 앞으로 컨설팅 서비스가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CCBJ(2008)은

일찍이 기후변화 컨설팅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는 19억 달러, 미국에서만 6억 7천만

달러 규모의 사장일 것이라고 추정한바 있으며 5년 내 그 시장이 두 배로 더 커질 것이라

고 예측한 바 있다(그림 4-6 참조).58)

57) 본 연구에서는 적응 인증제도의 도입과 기업의 날씨경 확대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안을 제안한다.

1안. 새로운 포괄적 적응마크(A) 도입: 독자적인 적응마크를 도입해 기후변화 적응이 필요한 여러 부문에

적용, 2안. 기존 분야의 인증제도 보완: 적응에 대한 요소 삽입, 예를 들면,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에

적응에 대한 요소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기존 제도 보완, 3안. 새로운 포괄적인 적응 마크(A)와 날씨경 인

증(W)과 같은 기존의 타 인증 제도와의 결합: 건축 등 기후변화 적응이 필요한 다양한 부문에 대해 기후변

화 적응 인증 제도를 적용하고, 날씨경 을 도입한 경우 W마크와 A마크를 연계하는 것이다.

58) 여기서 기후변화 컨설팅 서비스 시장은 탄소 발자국 분석, 기후변화 협력전략, 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 전략적 자문 서비스, 정책 개발, 녹색빌딩 서비스, 배출권 거래 및 옵셑, 기후변화 적응분석 및

계획으로 기후변화 적응은 이중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 분석과 계획으로 리스크 분석,

날씨 및 기후분석 연구, 사회 및 생태 연구, 경제 및 기술 분석, 프로그램 평가, 공공 교육을 포함한다.

Page 9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85

단위: 백만 달러

자료: CCBJ(2008)

<그림 4-6> 기후변화 컨설팅 시장 전망

이러한 시장은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가 만들어진 6년 후인

1976년에 6억 달러의 billing이 형성된 미국의 환경 컨설팅과 엔지니어링 시장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시장은 1980년에 두 배가 되었으며, 1990년에는 120억

달러로, 그리고 2008년에는 2,7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 다(CCBJ, 2008).

기후변화 적응 컨설팅 역은 기후변화 적응 전략 개발, 지속성을 담보하는 해결책

규명, 기후변화 위험 소통, 지역 편익 창출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새로운 산업의 개척

등이다. 이들은 사업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소개, 소비재, 에너지와 유틸리티,

재원조달 서비스, 음식료품과 농업, 정보통신기술, 광업, 운송 등에 대한 부문별 가이드

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산업 활동에 대한 컨설팅 기업의 기후변화 적응 서비스

활동의 증가는 최근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 위험 관리를 위한 적응

컨설팅업은 산업계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저감과 기회 포착이 중요해짐에 따라 기업

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민간부문은 기후변화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적응시장에서 중요

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과 접근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령,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홍수방어와

Page 9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8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효율적인 관개 시스템 구축에 투자하는 것은 추후 자연재해의 향을 줄임과 동시에

물리적 인프라 강화로 새로운 기술개발을 촉진으로 경제개발도 유도할 수 있다. 앞으로

적응시장에서 조기에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부문은 물 관리, 농업, 에너지

공급, 재해 대응, 보험, 연안과 자연자원 관리, 기후변화 정보 및 컨설팅 서비스이다.

그러므로 정부에서는 기업의 자발적인 적응 노력을 유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기후변화 적응시장 형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적응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적응

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고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한 재원을 할당해야 한다.

산업계는 제공되는 재원을 기후변화 적응을 통한 사업의 기회로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대응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4. 정보 제공 및 공유 강화와 교육

산업계의 기후변화 촉진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향이 어떤지, 그런 향에 대해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국의 경우, 산업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향에 대한 툴인 BACIAT(Business Areas Climate Impacts

Assessment Tool)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산업계가 기후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

록 이와 같은 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지식 공유를

위한 플랫폼도 구축할 필요가 있다. WeADAPT와 같은 지식 공유 플랫폼은 전 세계의

관련 파트너의 네트워크로 이해당사자들에게 풍부한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59) 우리나라

도 이러한 플랫폼의 구축으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정보와 관련 모범

사례를 발굴하여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제3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산업계 조사에서도 정보의 제공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응답자의

상당수가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하 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산업계 부문별로

기후변화의 향과 대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 사례를 나누어 업종별로 기후변화

59) WeADAPT는 실무자, 연구자 및 정책 입안자들에게 관련 정보와 경험 및 교훈을 제공하고 이를 지역사회

와 공유하는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온라인 오픈 스페이스이다. (http://weadapt.org/, Collaborating

on Climate Adaptation)

Page 9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87

에 대한 적응 방안을 함께 찾아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 이니셔티브

의 구성이 필요하며, 부문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과 매뉴얼을

개발, 제공해야 할 것이다.

가.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 개발 및 제공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어떤 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정부 중심의 기존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서도 기후변화 관련 여러 상황에

대비한 적응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부문별 매뉴얼이 개발 중이다. 산업계

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업종별로 기후변화의 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황에

대한 상황별 대응 매뉴얼의 개발과 배포가 필요하다. 이런 매뉴얼의 개발을 위해서는

업종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향 및 피해 사례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각 업종별 협회를

중심으로 정보 공유와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나. 산업계의 적응 프로그램과 이니셔티브의 구축 유도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어떤 산업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향에 대응해

어떤 적응 기술과 운 방식을 도입해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

다. 이를 위해서는 업종별 정보교환을 위한 긴밀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동종업체 간

정보를 교환하고 위기를 기회로 활용한 사례로 화학산업의 Responsible Care60)를 들

수 있다. 기후변화가 기업의 경 과 사회에 미치는 향을 고려하여 동종업계가 자발적

으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관련 네트워크와 프로그램 및 이니셔

티브가 구축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60) Responsible Care는 화학업계에서 화학제품의 개발부터 제조, 판매, 유통, 사용을 거쳐 폐기에 이르기

까지 전 주기에 걸쳐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경 방침으로 환경, 안전, 보건 대책의 실행,

개선을 위한 국제적인 운동이다.

Page 10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8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다. 정보 공유

업종별 적응 이니셔티브를 위한 네트워크가 구축된다면 기후변화 관련 사례의 수집이

좀 더 용이해질 것이며 적응 공유도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기후변화 적응 정보에 대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여기에 기후변화 적응의 모범 사례를 찾아 적응 인벤토리를 구축하

여 제공한다면 산업계에서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경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표 4-5>는 국의 관련 사례이다.

기관 정의 및 역할

공공

정부부처  정부 정책 구현 및 조언

정부기관  왕실 소속 집행기관으로 관련 정부부처에 권한을 위임

정부 프로그램  UKCIP 등 정부 투자 프로그램

정부출연 연구기관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Tyndall 센터 등 연구기관 재정 지원

지방정부/관공서  지역 및 지방 수준에서 정책을 전달하고 구현

위임정부  스코틀랜드, 웨일즈 등 기타 지역 정부

지역당국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사이에서 법적 규제에 따른 권력 행사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등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사이의 협력

민간 -  산업계, 파트너십, 기업 포함

기타

지역사회 및 NGO 자원봉사  경제적 이익 없이 자유 의지로 행동

협회 및 네트워크  회원 조직인 협회에 향을 미치는 그룹 간의 연결고리

개인  그룹에서 뚜렷한 의지나 아이템을 가진 한 사람

자료: UKCIP(2011).

<표 4-5> 영국의 기후변화 적응 인벤토리

기후변화 적응 관련 주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할 수 있으며 기후

변화 적응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례를 제공할 수 있다.61) 부문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우수 적응사례에 대한 포상제도의 도입은 우수 적응사례의 수집과 민간부문의 적응

노력에 동기를 부여하는 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정부는 주체별, 부문별로 다양한 적응

61) 기후변화에 대한 성공적인 사례 뿐 아니라 기후변화 적응을 시도하 으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는

적응에 대한 실패(maladaptation)사례도 다른 적응주체가 같은 시행착오를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Page 10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89

사례를 수집하여 이러한 정보가 효과적으로 공유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라. 관련 전문가 양성과 교육

앞서 살펴본 것처럼 산업계에서 기후변화 적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와 기후변화 향 및 리스크 평가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기업경 의 전략

도출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 기후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들의 수요 변화를 읽고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능력도 필요하

다. 이처럼 기후변화 적응 전략도출에는 기업이 기후변화-스마트 업체가 될 수 있도록

기업 스스로 준비해가야 하며 이 과정에 관련 전문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자발적인 내부 전문가 양성도 필요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관련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과 연수와 같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교육에 대한 수요는 제3장에서 살펴본 산업계 설문조사 결과에도

나타난 바 있다. 산업계 대상 교육 뿐 아니라 제도 교육 내에서도 기후변화 적응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특성화 교육기관을 지정하고 기후

변화 적응에 필요한 적응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전 부문에

걸쳐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 전반의 기후변

화 적응을 위해서는 산업계 뿐 아니라 소비자를 포함한 시민사회와 민간부문 전체의

적응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홍보도 함께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Page 10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9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5. 시민사회 참여 및 적응 주체 간 협력 강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촉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산업계가 자발적으로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기후변화 적응은 정부나 산업체가 독립적으

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민간부문만으로는 부족하며, 정부에서도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제도와 기반을 마련해주어야 하며, 시민사회에서도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협력하는 민간부문의 자발적 적응 행동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적응이 필요한 모든 수요자가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적응행동을

추구하여야 한다. 적응주체별 적응행동은 <표 4-6>처럼 정리할 수 있다.

적응 주체 적응 행동

정부

- 국가 수준의 적응 계획 수립

- 적응 노력에 인센티브 제공

- 적응 정책 개발

- 대국민 적응 홍보 및 교육

산업계와 정부- 정부가 재정 지원하고 산업체가 건설하는 사회기반시설 프로젝트 수행

- 공공·민간 파트너십 구축

산업계

- 산업 공정 개선 등 자발적인 적응

-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위기 상황 대비

- 고용인과 원자재 공급자 및 유통 파트너 협력

- 다른 부문의 적응 수요를 충족하는 상품 개발과 서비스 제공

산업계와 시민사회 - 산업체·시민사회 파트너십 구축으로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

시민사회

- 지역사회 기반의 적응 참여

- 지역사회의 적응 프로젝트 지원

- 개인 및 가구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 정보 공유

<표 4-6> 적응 주체별 적응 행동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시민사회가 할 수 있는 잠재력은 무척 큰데 그런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먼저 사람들로 하여금 기후변화가 빈곤이나 부패와 같은 사회문제만

큼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민사회와 민간단체는

Page 10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4장·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 91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와 향을 연결시키고 어떤 변화를 해야 하는지와 기후변화 문제의

시급성 등에 대해 지자체와 소통할 수 있으며 정책결정자들에게 그들의 지역사회에서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전달해 시급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시민

사회는 지역사회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기를 사전에 예방하고 비상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데, 지역사회의 기업에 대해서 평상시의 안전 관리 및

위기 관리에 시민이 동참하는 협력체계가 구축한다면 큰 효과가 낼 수 있을 것이다.

산업계의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관심도 중요하다. 특히 광범위한 범위에서

일어나는 재난 및 재해와 같은 경우, 정부가 모든 역할을 다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업도 해당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할 필요가 있다. 기업이

지역사회에 이런 투자를 하는 것은 정부의 적응 노력에 동참하는 것으로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는 데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실제 기업 활동은 산업단지 등 기업의

입지 여건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계가 안정적으로 노동력을 제공받고

에너지 및 원자재 공급을 원활히 받기 위해서는 산업단지가 입지한 지역 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도 중요할 수밖에 없다.62) 그러므로 산업계 그 자체 뿐 아니라 공장 등 산업계가

위치한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도 함께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업은

지역 시민사회 및 지자체와 협력해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 교통망과 통신망 등 지역사회의

기반시설을 보강하며 시민사회와 협력해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도 있다. 즉, 산업계

뿐 아니라 기업이 위치한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사회적 기업의 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기업 자체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기후변화 적응의 주체는 각자의 위치에서 적응을 위해 노력

해야 할 것이며, 적응 주체 간 협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62) 산업계는 기업이 위치한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에도 기여해야 한다. 공정여건상 멀리 떨어진 곳에

공장이 위치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한 경우는 지역사회 차원의 자연재해 대비와 교통시설 및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과 같은 사회기반시설의 확보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해당 지역에 특화된 기상정보가 공급되

지 않는다면 업체는 단기적, 장기적 기후변화 대응 계획 수립에 차질이 생기며, 폭우와 폭설에 대한

사전 경보체계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기업의 원자재 공급과 제품 유통에 큰 차질이 올 수 있다.

Page 10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9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 제5장 ․ 결론 및 제언 ∣1. 결론

산업화 이후 대기 중에 축적된 온실가스는 지구의 기후계에 교란을 가져와 기후변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는 20세기 이후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자연재해의 급증과 같은 부정적인 향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의 향으로 예상치 못한 호우와 폭설, 폭염과 혹한 및 극심한 가뭄과

같은 이상기후는 점차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미 배출한 온실가스로 인해서도 기후변

화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기 때문에 기후변화 적응은 피할 수 없는 인류 공동의 과제이다.

IPCC는 재앙 수준의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산업화 이전에 비해 지표면 평균온도의 상승

폭을 2℃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고 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을 기후변

화를 억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많은 과학자들은

재앙 수준의 향마저 초래할 수 있는 4℃ 이상의 온도 상승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EU를 중심으로 선진국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 전략과

대책을 수립해 적응에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0년 국가 적응대책 수립을 시작으

로 적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국가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나 전략이 미비한 실정이며, 산업계에

서는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조차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의 조사에 의하면 산업계

에서는 기후변화 적응의 주체로서 기업이 가장 먼저 나서서 적응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으며 중앙정부도 함께 나설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 다. 민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서는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기후변화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를

정비하고 관련 기술개발과 인프라를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

UN 기후변화 협상에서도 기후변화 적응의 시급성과 중요성에 대한 공감이 확산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적응 과정에서 민간부문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UN 기후변화

협상의 적응 부문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주요 아젠다로는 국가 적응 계획(National

Page 10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제5장·결론 및 제언 ∣ 93

Adaptation Plan, NAP)과 기후변화의 부정적 향으로 인한 손실과 피해를 다루는

작업 프로그램인 손실과 피해에 대한 작업 프로그램(Work programme on loss and

damage)이 있다. 지금까지 UN 기후변화 협상은 주로 감축 위주의 논의를 진행해왔으나

개도국 그룹을 중심으로 적응 지원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과 같은 재원이 감축과 적응에 균형을 맞추어 지출되어야 함이 강조되어

적응 부문의 활동이 점차 커질 것이다. 이런 국제사회의 재정 흐름은 민간부문에도 향

을 미쳐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민간부문의 투자 및 참여를 더 많이 요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심화에 대비해 우리나라 산업계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63) 2011년 세계경제포럼은 향후 예상되는 피해 규모 등을 고려해 최대의

글로벌 리스크로 기후변화를 꼽았다. 주요 글로벌 기업들 역시 기업의 미래 가치에 큰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후변화를 꼽고 있다. 기후변화는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이

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이 산업계를 중심

으로 한 민간부문이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적응 역량을 강화하게 되는데 기여하고, 앞으

로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여 기후변화의 위기가 기회로 승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 제언

본 연구는 단기간에 행해진 과제로 민간부문 전반에 걸친 기후변화 적응 방향을 도출

하는 데 여러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의 경우, 제조업을 중심으로 9개 업종만

을 다루었을 뿐 농업과 광업 등 1차 산업을 비롯한 다른 중요한 업종을 모두 다루지

못하 으며, 설문과 면담 또한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한계가 있었다. 또 업체에 대한

조사도 업종 중심으로 수행되어 기업체의 크기나 규모에 따른 조사는 진행되지 못하

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역의 민간부문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후속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와 산업계 외 기후변화 적응의 또 다른 중요한 주체인 시민사회의 기후변화

63) 독일의 재보험회사인 Munich Re의 경우,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도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보험의

역할을 강조하며 지속적으로 UN 기후변화 협약의 적응논의에 인풋을 제공하고 있다.

Page 10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9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향과 시민들의 적응수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룬 업종 이외 다양한 업종 및 사업 규모에 대해 기후변화의 향과

피해 내역을 상세히 조사하여 정책 방향을 찾고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해당 업종에서 필요한 기후변화 적응 수요가 무엇인지 업종별로 구체적으

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산업계의 기후변화 향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체의 부지 선정

부터 기후변화에 대한 향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구축에 대한 연구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언급한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하는 기업평가제도가 구체적으로 실현

될 수 있도록 산업계의 기후변화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산업계의 피해에 대한 경제적 분석을 시도하

지 못하 으므로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미치는 향에 대한 경제적 분석을 포함하여 미래

의 기후변화에 대한 산업계의 기후변화 향과 피해에 대해 전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민간부문인 산업계와 시민사회가 함께 협력하여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도록 모두가 기후변화 적응에 참여하도록 하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거버넌스 연구도 제안하는 바이다.

앞으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 다양한 적응 주체가

기후변화 적응행동에 동참하여 국가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Page 10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참고 문헌 ∣ 95

∣참고 문헌∣<국문 자료>

구조위원회·강구조위원회. 2003. “태풍 매미로 인한 신감만 컨테이너부두 하역장비(C/C) 피해

상황”. 「대한토목학회지」 51(10): 16-18.

기상청. 2009. 「한반도 기후변화 추세 분석」.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2011. 「기후변화 적응 신산업 유망산업 포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

원.

녹색성장위원회. 200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녹색성장위원회 외. 2011. 「2011년 이상기후 보고서」. 관계부처합동.

이기형. 2011. “기업 휴지보험을 활용한 업무 연속성 관리 방안”. KIRI Weekly. 142: 2-12.

이호준, 유종기. 2011. “위기대응: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라”. DBR, 78: 18-25.

한국기상산업진흥원. 2012. 「날씨경 인증 활성화를 위한 체계 구축 지원사업」.

환경부. 2010.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관계부처합동.

< 문 자료>

Aon Benfield. 2012. 2011 Thailand flood event recap report. Aon Corporation.

Australian Government. 2006. Climate Change Impacts & risk managemen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Australian Greenhouse Office.

Bank of Thailand. 2012. Thailand flood 2011: impact and recovery from business survey.

BCI. 2005. Good Practice Guidelin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The Business

Continuity Institute.

Burki, R., H. Elsasser, and B. Abegg. 2003. "Climate change - impacts on the tourism

industry in Mountain areas."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imate change and tourism.

Djerba. 9-11 April, 2003.

CDP. 2012. CDP Supply chain report 2012. A new era: supplier management in the

low-carbon economy.

CDSB. 2012. Climate change reporting framework. ed 1.1. Climate Disclosure Standard

Board.

Page 10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9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Chongvilaivan, A. 2012. Thailand’'s 2011 flooding: Its impact on direct exports and global

supply chains. Asia-Pacific Research and Training Network on Trade. ARTNeT.

COPA COGECA. 2003. Assessment of the impact of the heat wave and drought of the

summer of 2003 on agriculture and forestry.

DEFRA. 2010. Future Worlds Images. Adapting to Climate Change.

FAO. 2009.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09-2018.

Forfas. 2010.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ssues for business.

GRI. 2011. Sustainability Reporting Guideline 3.1. Global Reporting Initiative.

Haraguchi, M., S. Kim, and U. Lall. 2012. Flood and supply chains: a columbia water

center project.

IEA. 2011.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Highlight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FC. 2010. Climate risk and financial institu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Washington, DC.

. 2011a. Climate Risk and business: Ports.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Washington, DC.

. 2011b. Climate Risk Case Study: Bulleh Shah Paper Mills.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Washington, DC.

IPCC. 2007a.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07b.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12.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Jefferson, A. 2011. London Stansted Airport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 report

to DEFRA in response to a direction to report under the Climate Change Act 2008.

London Stansted.

Kollamthodi, S. 2010. Climate change adaptation: UK policy perspectives. TRB

Page 10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참고 문헌 ∣ 97

Environment and Energy Research Conference.

Munich Re. 2012. Annual report 2011.

. 2012. Earthquake, flood, nuclear accident. Topics GEO.

NFPA. 2007. Standard on disaster/emergency management and business continuity

program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600.

OECD. 2003. OECD Environmental Indicator: Development, Measurement and Use.

. 2011a. Private sector engagement i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pproaches

to managing climate risks. OECD Environment working group paper no. 39.

. 2011b. OECD Factbook 2011-2012.

Oxfam America. 2009. The new adaptation marketplace: Climate change and opportunities

for green economic growth.

PWC. 2010. Carbon disclosure project 2010 - Global 500 report. PricewaterhouseCoopers.

. 2012a. Carbon disclosure project 2012 - Global 500 report.

PricewaterhouseCoopers.

. 2012b. Business resilience in an uncertain, resource-constrained world.

PricewaterhouseCoopers.

Scott, D. and McBoyle, G. 2007.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ski industry. Mitig.

Adapt. Strat. Glob Change (2007) 12:1411-1431.

Schmitt, A. 2008. Using stochastic supply inventory models to strategically mitigate supply

chain disruption risk. Logistics Spectrum, 42(4):22-27.

Sheffi, Y. and J. B. Rice Jr. 2005. “A supply chain view of the resilient enterpris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47(1): 41-48.

Solomon, S., D. Qin, and M. Manning.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tern, N. 2006.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Sussman, F. G., and J. R. Freed. 2008. Adapting to climate change: a business approach.

Pew Center.

Page 11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9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Thames Water. 2011. Adaptation reporting power: Thames Water's response. Thames

Water Utilities Ltd.

The Geneva Association. 2009. The Geneva reports: risk and insurance research.

UK Trade & Investment. 2011. Adapting to an uncertain climate: A world of commercial

opportunities.

UKCIP. 2010. A changing climate for business. 3rd ed. UK Climate Impacts Programme.

. 2011. Making progress; UKCIP & Adaptation in the UK. UK Climate Impacts

Programme.

UN. 2010. Global Assessment Report. United Nations.

UNEP. 2012. Business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toward resilient companies and

communities. The Global compact․UNEP.USCCSP.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on transportation systems and

infrastructure: Gulf coast study. US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World Economic Forum. 2011.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1∼2012.

WRI. 2009. WRI Annual Report 2009.

<온라인 자료>

일본 중소기업청. http://www.chusho.meti.go.jp.

BSR. http://www.bsr.org/en/out-insights/climate-change-adaptation.

DEFRA reporting authorities. http://www.defra.gov.uk.

EM-DAT. http://www.emdat.be.

UNFCCC. http://unfccc.int.

US. Marine. http://www.marines.com.

WeADAPT. http://www.weadapt.org.

World Bank. http://www.worldbank.org.

Zurich Risk Engineering,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ervices.

http://www.zurich.com/riskengineering.

통계청. http://kostat.go.kr.

Page 11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참고 문헌 ∣ 99

한국일보. 2003년 9월 16일자. “컨테이너 수만개 침수, 수출품 수천억대 피해"

http://news.hankooki.com.

Page 11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Page 11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01

대분류 중분류 세부항목

우리

나라

순위

상위 국가 하위 국가

적응

역량

기술

역량

정부투자 4위이스라엘, 핀란드,

스웨덴, 한국, 일본

멕시코, 칠레, 폴란드,

슬로바키아, 그리스,

기업투자 9위일본, 스위스, 스웨덴,

핀란드, 독일

그리스, 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멕시코

산학투자 20위국, 스위스, 미국,

핀란드, 스웨덴

그리스, 슬로바키아,

이탈리아, 터키, 폴란드

최신

기술력19위

스웨덴, 스위스, 핀란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폴란드, 이탈리아,

멕시코, 그리스, 터키

회사수준

기술흡수력7위

스웨덴, 일본, 스위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폴란드, 그리스, 멕시코

과학자․ 엔지니어

능력

14위핀란드, 일본, 스웨덴,

미국, 아이슬란드

슬로베니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슬로바키아,

뉴질랜드

특허 4위일본, 미국, 이스라엘,

한국, 핀란드

터키, 멕시코, 폴란드,

칠레, 포르투갈

사회․경제적

역량

15세 미만

인구20위

멕시코, 이스라엘, 터키,

칠레, 아일랜드

일본, 독일,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그리스

65세 이상

인구30위

일본, 이탈리아, 독일,

그리스, 스웨덴

멕시코, 터키, 칠레,

이스라엘, 한국

1인당 GDP 22위룩셈부르크, 노르웨이,

미국, 스위스, 네덜란드

칠레, 멕시코, 터키,

폴란드, 헝가리

실업률 33위

스페인, 에스토니아,

슬로바키아, 아일랜드,

그리스

노르웨이, 한국, 스위스,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고등교육

이수율6위

캐나다, 이스라엘, 일본,

미국, 뉴질랜드

터키, 이탈리아,

포르투갈, 체코,

슬로바키아

<부록Ⅰ> 기후변화 적응역량 및 리스크의

우리나라 순위와 상·하위 5개국

Page 11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0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대분류 중분류 세부항목

우리

나라

순위

상위 국가 하위 국가

적응

역량

사회․경제적

역량

Gini 계수 15위칠레, 멕시코, 터키, 미국,

이스라엘

슬로베니아, 덴마크,

노르웨이, 체코,

슬로바키아

빈곤층 비율 7위멕시코, 이스라엘, 칠레,

미국, 터키

체코, 덴마크, 헝가리,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자원

역량

GDP당

총일차에너

지 공급

5위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캐나다, 핀란드, 한국

스위스, 그리스,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1인당

총일차에너

지 공급

10위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

캐나다, 미국, 핀란드

터키, 멕시코, 칠레,

포르투갈, 그리스

전기생산 6위미국, 일본, 독일, 캐나다,

프랑스

룩셈부르크, 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슬로바키아

재생에너지

비율34위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오스트리아

한국, 룩셈부르크, 일본,

국, 네덜란드

원유생산 17위미국, 캐나다, 멕시코,

노르웨이, 국

핀란드, 그리스, 스페인,

체코, 칠레

1인당

취수량16위

칠레,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에스토니아

룩셈부르크, 덴마크,

슬로바키아, 국, 체코

식량 자급률 26위프랑스, 체코, 헝가리,

독일, 슬로바키아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일본, 한국, 포르투갈

인프라

역량

상품수송 13위미국, 캐나다, 독일, 호주,

일본

룩셈부르크,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포르투갈,

덴마크

여객수송 12위미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아이슬란드,

오스트리아

일반공공서

비스 지출24위

벨기에, 스페인, 덴마크,

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체코, 미국,

뉴질랜드, 아이슬란드

공공질서 및

안전 지출12위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폴란드, 스페인, 네덜란드

독일, 스위스,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

의사수 32위

그리스,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스위스,

포르투갈

칠레, 터키, 한국, 멕시코,

일본

Page 11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03

대분류 중분류 세부항목

우리

나라

순위

상위 국가 하위 국가

적응

역량

인프라

역량

간호사수 29위아이슬란드, 스위스,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칠레, 터키, 멕시코,

그리스, 이스라엘

보건

공공지출32위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멕시코, 칠레, 한국, 터키,

이스라엘

컴퓨터 보유 9위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스웨덴,

노르웨이

터키, 멕시코, 칠레,

그리스, 미국

인터넷 가능

인구1위

한국, 네덜란드, 스웨덴,

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

터키, 멕시코, 칠레,

그리스, 포르투갈

통신기기

보유20위

에스토니아, 그리스,

룩셈부르크, 국, 독일

멕시코, 터키, 칠레,

슬로바키아, 일본

리스크

자연

재해

자연재해

발생건수8위

미국, 호주, 멕시코,

프랑스, 일본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핀란드, 슬로베니아,

스웨덴

자연재해로

인한 연평균

사망률

13위이탈리아, 룩셈부르크,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스웨덴

자연재해로

인한 연평균

이재민수

7위호주, 스페인, 멕시코,

미국, 칠레

덴마크, 룩셈부르크,

스웨덴, 핀란드,

에스토니아

자연재해로

인한 연평균

GDP 손실

18위호주, 미국, 포르투갈,

덴마크, 스웨덴

아이슬란드, 핀란드,

터키, 아일랜드, 노르웨이

기후

변화

기온상승(2

046-2065)12위

스위스, 슬로바키아,

폴란드, 네덜란드 외

호주,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캐나다

기온상승(2

081-2100)1위

일본, 한국, 독일,

네덜란드 외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캐나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

7위룩셈부르크, 호주, 미국,

캐나다, 에스토니아

터키, 멕시코, 칠레,

스웨덴, 헝가리

GDP당

온실가스

배출

8위에스토니아, 헝가리,

체코, 폴란드, 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일본,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Page 11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0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부록 II> 산업계 기후변화 적응 관련 조사

설문지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에 대한 산업계 현황 조사

안녕하십니까?

먼저 본 설문에 참여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날

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의 예방 및 과학적 해결을 추구하는 환경정책 전문연구기관입니다.

본 원에서는 현재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민간부문의 대응방향 설정」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은 그 일환으로, 우리나라 주요 산업계의 기후변화 영향과 기후변화 적

응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 및 업계의 대응 현

황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답변은 연구 이외의 다른 어떠한 용도로도 이용되지 않으며 개인에 대

한 정보가 유출되는 일이 없을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바쁘신 중에도 설문에 시간을 내어

주심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2012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과제책임자 명수정

※ 다음의 각 문항들에 대해 해당되는 예시의 □ 에 √ 표시를 해주시면 됩니다. 예시 ) □√

문1. 귀하께서는 기후변화 적응에 대해 이미 알고 있거나 들어보신 적이 있습니까?

□ 1. 예 □ 2. 아니오

Page 11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05

기후변화란 현재의 기후가 자연적인 요인과 더불어 인간의 경제활동에 의해 배출된 온실

가스의 축적으로 인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후변화 적응

이란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한 자연 및 인위적인 시스템 조절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완화시키고 더 나아

가 이를 기회로 활용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문1.1 귀하께서는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계십니까?

□ 1. 예 □ 2. 아니오

문1.1.1 만약 체감하고 계시다면 주로 어떤 현상을 가장 심하게 느끼시는지 해당 항목에 표시

해 주십시오. (중복응답 가능)

□ 1. 평균기온 상승 □ 2. 혹한 □ 3. 혹서

□ 4. 강수량 및 강우시기의 변화 □ 5. 폭설의 증가 □ 6. 해수면 상승

□ 7. 태풍 및 집중호우 등 재해 증가

□ 8. 기타 ( )

문1.2 귀하께서는 앞으로 기후변화가 더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하십니까?

□ 1. 예 □ 2. 아니오

문2 귀하가 종사하시는 업체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피해를 입고 계십니까?

□ 1. 예 □ 2. 아니오

문2.1 입고 계시다면 주로 기후변화의 어떤 영향으로 인한 피해를 입고 계십니까? (중복응

답 가능)

□ 1. 무더위로 인한 현장업무 혹은 생산라인의 차질

□ 2. 혹한으로 인한 현장업무 혹은 생산라인의 차질

□ 3. 폭설로 인한 현장업무 혹은 생산라인의 차질

□ 4. 홍수로 인한 현장업무 혹은 생산라인의 차질

□ 5. 물 부족으로 인한 현장업무 혹은 생산라인 차질

□ 6. 태풍으로 인한 시설물 및 장비 파손

□ 7. 홍수발생으로 인한 정전

□ 8. 홍수발생으로 인한 침수

Page 11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0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 9. 에너지 과다소비로 인한 정전

□ 10. 잦은 번개의 발생으로 인한 시설물 및 장비 파손

□ 11. 자연재해 발생으로 인한 생산품 공급의 차질

□ 12. 국내 및 다른 나라의 자연재해 발생으로 인한 원료공급의 차질

□ 13. 기후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선호도 변화로 인한 제품 판매의 변화

□ 14. 기타 ( )

문2.2 다음에 열거된 기후변화의 직접적 영향 혹은 간접적 영향에 대해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업

체에서 경험한 피해의 정도를 해당 칸에 표시해 주십시오.

기후변화 영향

해당

없음

아무런

영향이 없다

영향이

미미하다

다소 영향이

있다

매우 영향이

크다

□ 1 □ 2 □ 3 □ 4

1. 홍수 및 폭우 ․ 침수 □ □ 1 □ 2 □ 3 □ 4

2. 가뭄 ․ 물부족 □ □ 1 □ 2 □ 3 □ 4

3. 산사태 □ □ 1 □ 2 □ 3 □ 4

4. 지반 침하 □ □ 1 □ 2 □ 3 □ 4

5. 번개 ․ 화재 □ □ 1 □ 2 □ 3 □ 4

6. 장비 훼손 □ □ 1 □ 2 □ 3 □ 4

7. 시설 파손 □ □ 1 □ 2 □ 3 □ 4

8. 단전 □ □ 1 □ 2 □ 3 □ 4

9. 단수 ․ 공업용수 부족 □ □ 1 □ 2 □ 3 □ 4

10. 통신마비 (전화불통 포함) □ □ 1 □ 2 □ 3 □ 4

11. 원자재 공급 중단 □ □ 1 □ 2 □ 3 □ 4

12. 도로 ․ 철도 등 교통수단 마비 □ □ 1 □ 2 □ 3 □ 4

13. 제품 출하 지연 □ □ 1 □ 2 □ 3 □ 4

14. 건물관리비, 보험료 증가 □ □ 1 □ 2 □ 3 □ 4

15. 기업 이미지 손상 □ □ 1 □ 2 □ 3 □ 4

16. 생산성 저하 □ □ 1 □ 2 □ 3 □ 4

Page 11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07

문2.3 다음에 열거된 기후변화의 직접적 영향 혹은 간접적 영향에 대해 해당업체의 대응 능력을

고려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전망하여 주십시오.

기후변화 영향

해당

없음

별 다른

피해 없이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대부분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어느 정도의

피해 예상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

□ 1 □ 2 □ 3 □ 4

1. 홍수 및 폭우 ․ 침수 □ □ 1 □ 2 □ 3 □ 4

2. 가뭄 ․ 물부족 □ □ 1 □ 2 □ 3 □ 4

3. 산사태 □ □ 1 □ 2 □ 3 □ 4

4. 지반 침하 □ □ 1 □ 2 □ 3 □ 4

5. 번개 ․ 화재 □ □ 1 □ 2 □ 3 □ 4

6. 장비 훼손 □ □ 1 □ 2 □ 3 □ 4

7. 시설 파손 □ □ 1 □ 2 □ 3 □ 4

8. 단전 □ □ 1 □ 2 □ 3 □ 4

9. 단수 ․ 공업용수 부족 □ □ 1 □ 2 □ 3 □ 4

10. 통신마비 (전화불통 포함) □ □ 1 □ 2 □ 3 □ 4

11. 원자재 공급 중단 □ □ 1 □ 2 □ 3 □ 4

12. 도로 ․ 철도 등 교통수단 마비 □ □ 1 □ 2 □ 3 □ 4

13. 제품 출하 지연 □ □ 1 □ 2 □ 3 □ 4

14. 건물관리비, 보험료 증가 □ □ 1 □ 2 □ 3 □ 4

15. 기업 이미지 손상 □ □ 1 □ 2 □ 3 □ 4

16. 생산성 저하 □ □ 1 □ 2 □ 3 □ 4

문3 귀하께서는 기후변화가 산업계의 위기라고 생각하십니까? 혹은 기회라고 생각하십니

까?

□ 1. 위기이다 □ 2. 기회이다 □ 3. 위기뿐 아니라 기회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age 12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0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문3.1 귀하께서는 기업경영의 리스크 관리에 있어 기후변화 리스크가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

각하십니까?

전혀 중요하지 않다 아주 중요하다

□ 1 □ 2 □ 3 □ 4 □ 5

문3.2 귀하가 종사하시는 업체의 경영관리에서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를 고려하고 계십니까?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아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 1 □ 2 □ 3 □ 4 □ 5

문3.3 귀하께서는 기업의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 감소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

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1.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 2. 경쟁업체의 자극

□ 3. 소비자의 자극 -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신제품 수요 및 환경문제에 능동적으로 대

응하는 기업이라는 이미지의 개선 등

□ 4. 기후변화 리스크 감소를 위한 정부의 지원

□ 5. 관련 정보의 공유 - 국내외 기업의 기후변화 적응 사례 등

문3.4 귀하께서는 기업이 기후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

라고 생각하십니까?

□ 1. R&D 투자 □ 2. 기술개발 및 특허

□ 3. 설비 투자 □ 4. 산학연 파트너십 구축

□ 5.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 파악

□ 6. 기타 ( )

문3.5 기업의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타계와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정부가 제공할 수 있

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중복응답 가능)

□ 1.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에 필요한 가이드라인 제공

□ 2. 기후변화에 대한 리스크 감소를 위한 대응 매뉴얼 제공

□ 3. 위기타계 노력에 대한 규제의 완화

□ 4. 위기타계 노력에 대한 세제 혜택

Page 12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09

□ 5. 기술개발에 필요한 재정 지원

□ 6. 정부차원의 기후변화 적응 교육 및 연수 기회 제공

□ 7. 관련 정보 제공 (관련 성공사례 공유 및 기술이전)

□ 8. 기타 ( )

문3.6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주체는 누구라고 생

각하십니까? 괄호 안에 순위를 기입해 주십시오.

1. 기업 ( ) 2. 중앙정부 ( ) 3. 지자체 ( )

4. 민간단체 ( ) 5. 개별시민 ( )

정부에서는 2010년 환경부 총괄 하 13개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다음과 같은 ‘국가기후변화적

응대책’을 수립하였습니다.

1. 폭염, 대기오염, 전염병으로부터 국민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 대책 수립

2. 집중호우 및 태풍 등으로 인한 인명/재산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재난/재해 대책

수립

3. 홍수/가뭄 시 식수원과 생활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물관리 대책 수립

4. 산림의 건강성과 생산성 증진 및 산림재해 저감을 위한 산림 분야의 대책 수립

5. 해수면 상승, 수산물 피해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도록 해양/수산업 분야의 관리 대책 수립

6. 병해충 증가 등 농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농업분야의 관리 대책 수립

7. 생물다양성 부족 등 생태계 파괴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생태계 분야의 관리 대책 수립

8.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을 위한 대책 수립

9. 에너지 안정성확보와 산업 분야별 적응 대책 수립 등 적응산업/에너지 분야의 적응대책

수립

10. 국내외 적응정책 추진기반 확립을 위한 교육과 홍보 및 국제협력을 위한 대책 수립

문4.1 귀하께서는 이러한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산업계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비용을 줄이

는데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매우 도움이 된다

□ 1 □ 2 □ 3 □ 4 □ 5

Page 12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1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문4.2 해당업체에 가장 도움이 되는 정책은 어떤 부문입니까? (중복응답 가능)

□ 1. 건강 □ 2. 재난/재해 □ 3. 물관리 □ 4. 산림

□ 5. 해양/수산업 □ 6. 농업 □ 7. 생태계

□ 8.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 9. 적응산업/에너지

□ 10. 교육과 홍보 및 국제협력

문4.3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어떤 부문의 정책을 강화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문5 귀하는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 획득하셨습니까?

□ 1. 기업자체의 교육

□ 2. 텔레비전

□ 3. 인터넷

□ 4. 신문

□ 5. 책

□ 6. 정부기관 및 지자체의 정책 홍보

□ 7. 직장동료

□ 8. 가족 및 친구

□ 9. 기타 ( )

문5.1 귀하께서는 기후변화 적응 관련 교육을 이수한 적이 있습니까?

□ 1. 예 □ 2. 아니오

문5.2 있다면 몇 시간의 교육이었습니까?

□ 1. 3시간 이하 □ 2. 3-5시간 □ 3. 5-10시간 □ 4. 1-3일 □ 5. 3일 이상

문5.3 어떻게 참여하시게 되었습니까?

□ 1. 의무 교육 □ 2. 자발적인 참여

문5.4 귀하께서는 종사하고 계신 업체는?

□ 1. 에너지 □ 2. 자동차 □ 3. 화학 □ 4. 건설

□ 5. 철강 □ 6. 조선 □ 7. 식품 □ 8. 보험․금융

□ 9. 전기․전자 □ 10. 기타 ( )

Page 12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11

문5.5 귀하께서는 본 업체에 얼마나 오래 종사해 오셨습니까?

□ 5년 미만 □ 5-10년 미만 □ 10-20년 미만 □ 20년 이상

문5.6 귀하의 연령대는 어떻게 되십니까?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Page 12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1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부록 III> 중소기업의 기업 평가 체계

1. 기업평가 등급별 정의

등급 표기 등급 정의 비고

SA 등급+ SA+ 기술성과 사업성이 매우 우수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고 경제 여건 및 환경 변화에 충분한 대처가

가능해 사업 부실화 가능성이 거의 없음.

매우 우량◯ SA

SB 등급

+ SB+기술성과 사업성이 우수하여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고 경제 여건 및 환경변화에 적절한 대처가

가능해 사업 부실화 가능성이 적음.

양호◯ SB

- SB-

SC 등급

+ SC+현재의 기술력과 사업성이 보통 수준이고 미래 성장

가능성도 보통 수준이며 장래의 경제 여건 및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부 불안한 요소가 있음.

보통◯ SC

- SC-

SD 등급

+ SD+ 현재의 기술력과 사업성이 다소 미흡한 수준이고

미래 성장 가능성도 보통 이하 수준으로 장래의

경제 여건 및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불안한 요소가

있음.

보통 이하◯ SD

- SD-

SE 등급+ SE+ 기술성과 사업성 측면에서 위하고 있는 사업의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고 미래 성장 가능성도 거의

없는 편으로 사업 부실화 가능성이 높음.

위험◯ SE

Page 12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13

2. 3년 이상 기업 제조업(일반형)의 평가 항목 체계

대항목 중항목 소항목

기술성

기술개발 기반

기술개발 환경

기술개발 인력

연구개발 투자

핵심기술

기술개발 실적

핵심기술의 우위성/차별성

기술의 응용 및 확장 가능성

생산기술

생산 효율성

설비 적정성

품질 혁신

공정 개선

사업성

시장 전망

시장 성장성

경쟁 강도

시장 환경

시장경쟁력시장 지위

제품 경쟁력

마케팅 능력판매 관리

거래 안정성

미래 성장성매출 성장성

미래 수익성

경 관리 능력

경 관리 능력

전문성

신뢰성

사업 추진력

경 관리 능력내부 통제

노사관계

경 기반

경 안정성

신용 상태

자금조달 능력

Page 12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1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부록 IV> 기후변화 및 녹색경 관련

기업평가제도

1. 대한민국 녹색경영대상

○ 부문별 평가(600점) - 녹색경

분류 항목 세부사항 배 점

계획녹색경

시스템 계획

녹색비전 및 방침 90

25녹색경 평가 25

법규 및 그 밖의 요구사항 15

녹색경 추진계획 및 세부목표 25

실천녹색경

시스템 실행

자원, 책임 및 권한 200

30

적격성, 훈련 및 인식 30

의사소통 30

문서화 20

문서관리 20

환경일반 운 관리 40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30

관리

녹색경

시스템 점검 및

조치

모니터링 및 측정 200

30

법규 준수 평가 30

부적합 시정 조치 및 예방조치 40

기록 20

내부 심사 30

경 검토 50

에너지

관리

에너지관리 추진계획 및 참여도 20

에너지절약 기술적용 및 효과 10

성과

시스템

환경성과

녹색성과평가 수립 및 적용 50

10

지구온난화가스(GHG)배출 저감 실적 10

오염물질 처리로 인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10

제품 혹은 건설사업의 환경친화성 표시 등

환경성 정보제공 실적10

녹색(환경) 및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실적 10

대응국제환경

규제대응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 파악 및 교육 참여 10 10

인증

녹색경

인증ISO 14000인증, 녹색기업지정 30

15

기타 인증 신기술(NET), 신제품(NEP) 및 기타인증 등 15

계 600

Page 127: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15

○ 부문별 평가(600점) - 기후변화대응

분류 항목 세부사항 배 점

에너지 및

자원 관리

에너지 및

자원절약

추진관심도

에너지관리위원회 조직 및 운 실태 70

15

정기적인 에너지절약 추진실적 분석 10

에너지절약정책 참여도 15

에너지절약 투자 실적 20

에너지관리추진계획 수립 및 운용실적 10

에너지

절약

에너지자원

절약실적

노후설비 개체 추진실적 150

50폐열회수 관리 실적 35

공정개선 추진 실적 40

운전관리강화 25

온실가스

저감

온실가스저감

실적

온실가스관리 위원회 조직 및 운 실태 150

10

온실가스 저감 대응전략 25

온실가스 대응 기술투자 실적 30

온실가스 저감실적 50

향후 온실가스 저감계획 20

기업의 탄소관련 정보 공개 15

에너지

기술이용

에너지절약

기술적용

에너지절약기술 적용 7035

에너지절약기술의 절감효과 35

에너지절

약 촉진

에너지절약

계몽활동

사내 에너지절약포상 및 제안제도 운 60

20대내외 에너지절약 교육(참여)실적 20

사내 에너지절약 홍보추진 실적 20

국제

환경규제

국제환경규제

대응성

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 파악 50

20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관련 교육실적 15

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관련 제도 참여실적 15

인증녹색경 인증 ISO 14001 인증, 녹색기업지정 50

30기타 인증 신기술(NET), 신제품(NEP) 및 기타인증 등 20

계 600

Page 128: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16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2. 글로벌 녹색경영대상 녹색경영지수

평가항목 평가 요소 배점

전략적 녹색경

(지속가능경 )

시스템 계획 및 실행

- 회사 일반현황 파악

- 대내외 여건분석

- 환경(지속)측면 및 환경(지속) 향 분석

- 벤치마킹 및 SWOT 분석

- 비전 및 원칙

- 실천과제의 중장기 계획

400

녹색경 (지속가능경

) 성과 및 주요

활동실적

- 녹색(지속)경 세부목표와 추진계획의 설정 및 달성

- 녹색(지속)경 성과의 분석 및 평가

- 경제적/환경적(사회적)측면의 환경(지속)경 성과

- 녹색(지속)경 성과 지속적 개선 주요 활동 여부

500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환경(지속가능)경 정보의 공개

- 이해관계자 관계100

Page 129: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17

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환경성과지표

환경성과 지표 세부 내용

원료중량 또는 부피 기준 원료 사용량

재생 원료 사용 비율

에너지

1차 에너지원별 직접 에너지 소비량

1차 에너지원별 간접 에너지 소비량

절약 및 효율성 개선으로 절감한 에너지량

에너지 효율적이거나 재생가능에너지 기반 제품/서비스 공급 노력

및 해당 사업을 통한 에너지 감축량

간접 에너지 절약 사업 및 성과

용수

공급원별 총 취수량

취수로부터 큰 향을 받는 용수 공급원

재사용 및 재활용된 용수 총량 및 비율

생물다양성

보호 구역 및 생물다양성 가치가 높은 구역 또는 주변지역에 소유,

임대, 관리하고 있는 토지의 위치 및 크기

보호 구역 및 생물다양성 가치가 높은 구역에서의 활동, 제품,

서비스로 인하여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향

보호 또는 복원된 서식지

생물다양성 관리 전략, 현행 조치 및 향후 계획

사업 향 지역 내에 서식하고 있는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지정 멸종 위기종과 국가지정 멸종위기 종의 수 및 멸종 위험도

대기배출물, 폐수 및

폐기물

직·간접 온실가스 총 배출량

기타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감축사업 및 성과

오존층 파괴물질 배출량

NOx, SOx 및 기타 주요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최종 배출지별 총 폐수 배출량 및 수질

형태 및 처리방법별 폐기물 배출량

중대한 유해물질 유출 건수 및 유출량

바젤 협약 부속서 I, II, III, VIII에 규정된 폐기물의 운송·반입·반출·

처리량 및 해외로 반출된 폐기물의 비율

보고 조직의 폐수 배출로 인해 향을 받는 수역 및 관련 서식지의

명칭, 규모, 보호상태 및 생물다양성 가치

제품 및 서비스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 향 저감 활동과 성과

판매된 제품 및 관련 포장재의 재생 비율

법규 준수 환경 법규 위반으로 부과된 벌금액 및 비금전적 제재 건수

운송 제품 및 원자재 운송과 임직원 이동의 중대한 환경 향

전체 환경 보호 지출 및 투자 총액

Page 130: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18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4.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채점 방식 내용 질문 내용

거버넌스- 그룹과 개별 반응

- 개별 실적

전략

- 리스크 관리 접근방법

- 전략

- 정책입안 시 참여

목표 및 이니셔티브

- 목표

- 배출 회피

- 배출 감축 전략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및

기회

기후 변화 리스크

- 규제 리스크

- 물리적 리스크

- 기타 리스크

기후변화 기회

- 규제 기회

- 물리적 기회

- 기타 기회

온실가스

배출

배출 방법론- 기준 연도

- 방법론

배출 데이터 1: 작성 범위, Scope

1 & 2 배출, 정확도, 제외

- 작성 범위 및 Scope 1 & 2 배출

- 제외

- 데이터 정확도

배출데이터 2: Scope 1 & 2 검증,

생물학적으로 흡수된 이산화탄소

배출

- Scope 1의 외부인증 또는 검증

- Scope 2의 외부인증 또는 검증

- 생물학적으로 흡수된 이산화탄소 배출

Scope 1 직접 배출 - Scope 1 직접 배출

Scope 2 간접 배출 - Scope 2 간접 배출

Scope 2 계약상의 협정- Scope 2의 계약상 배출

- 저탄소 인증

에너지 - 에너지

온실가스 배출 실적- 배출 이력

- 배출 강도

배출 거래- 배출 거래

- 탄소 크레딧

Scope 3 배출- Scope 3 배출

- Scope 3 배출: 배출 실적

Page 131: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부록 ∣ 119

드대분류 소분류

A

농업 (01)

작물재배업

축산업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작물재배 및 축산 관련 서비스업

수렵 및 관련 서비스업

임업 (02)

어업 (03)

어로 어업

양식 어업

어업 관련 서비스업

B 광업 (05~08)

C 제조업 (10~33)

D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35~36)

전기업

가스 제조 및 공급업

증기, 냉·온수 및 공기조절 공급업

수도사업

E 하수 ․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37~39)

F 건설업 (41~42)

G 도매 및 소매업 (45~47)

H 운수업 (49~52)운송업

운송 관련 서비스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55~56)숙박업

음식점업

J출판, 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58~63)

출판업

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방송업

통신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정보서비스업

K금융 및 보험업

(64~66)

금융업

보험 및 연금업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L부동산업 및 임대업

(68~69)

부동산업

임대업

M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70~73)

연구개발업

전문 서비스업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부록 V> 한국 표준산업 분류

Page 132: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20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드대분류 소분류

N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74~75)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84)공공행정 및 국방

사회보장 행정

P 교육 서비스업 (85)

초등교육기관

중등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기타 교육기관

교육지원 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6~87)보건업

사회복지 서비스업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90~91)

S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94~96)

협회 및 단체

수리업

기타 개인 서비스업

T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 활동 (97~98)

U 국제 및 외국기관 (99)

자료: 통계청(http://kostat.go.kr).

Page 133: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Abstract ∣ 121

Abstract

The Direction of Policy Making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Private Sector

Since the 20th century, damage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globally from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heat waves, as well as the mean temperature rise of the Earth. Along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that are exerting efforts to adapt to the climate change through drawing up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Korea is putting in effort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ith the National Strategic Pla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2011-15, which was promulgated in 2010. However, these efforts are mostly government-driven. Concrete plans or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re not so well established in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industrial sector, that constitutes the greater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As the damages from the climate change in the private sector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for the private secto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ndeavor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of the industrial sector of the nation.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library research for relevant documents and cases and developed an index for climate change risk and adaptive capacity of the industrial sector in order to do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study also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major fields of the industrial sector.

Page 134: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22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of the private sector in Korea.

The study started with the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 on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industrial sector, and found that damages have increased from extreme weather events, especially from floods and typhoons. One drastic example was the Thailand Great Flood in 2011, which resulted in colossal disasters to the Thai industries and adverse impacts on the global econom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index for the climate change risk adaptive capacity of the industrial part in order to compare the climate change risks and adaptive capacities of Korea with those of major countries of the world.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Korea's risk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countries', but its adaptive capacity was ranked in the middle. As for the adaptive capacity of Korea,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were weak, while technology and socioeconomic capacities were strong. Further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crease in socioeconomic capacity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sources.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frastructures in transportation and health,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building up climate change adaptive capacities.

Next, the study identified the present state of the industrial sector through a survey on the perceptions about climate change and the adaptation needs. A questionnaire survey reveal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climate change to be both risk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s support and incentives are needed in order to help the industrial part overcome the climate change risks and turn them into opportunities. Financial support, tax benefits, relaxation of regulation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helpful. Among the government's adaptive measures, ‘adaptation business and energy' was chosen to be the most helpful policy for industries, followed by ‘monitoring and projecting climate change' and ‘disast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arly warning system of the climate change and to activate the weather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help the industrial sector make use of the weather information in their efforts to strengthen the climate change adaptative infrastructures.

Page 135: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Abstract ∣ 123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requires the industries' voluntary efforts, stimulation from the customers, governmental support, information sharing, and the rivals' stimulation. In other words, the industrial sector, the government, and the customers jointly play their important ro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direc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industry to intensify their risk management for climate change and draw up adaptation strategies. The prerequisite of the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is risk assessment, which will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industries' voluntary risk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y planning. It should then prepare supportive measures to implement the plans.

Second, the industry should be urged to conside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ir business management. In order to adapt to the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for the indust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for business continuity and resilience so that the business may maintain its continuity unaffected by external disturbances and quickly recover from damages. This will require more active insurance plans, improvement of the business assessment system, and intensification of the adaptation partnership between the main and cooperating businesses along with the entire supply channel. A certification system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and connection with the weather management can be considered for introduction. Also, it is necessary to lead the industries to include adaptation effort in their sustainability re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nsulting businesses and adaptation marke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s th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still low in the private sector, capacity enhancement is needed to assess the risk, manage the business continuity, and draw up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Activation of the consulting business would be helpful.

Fourth,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sharing, and intensified education and publicity are desire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daptation programs or initiatives for individual business sectors and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Manual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each

Page 136: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webbook.me.go.kr/DLi-File/091/018/011/5552355.pdf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124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industrial sector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Professional education and publicity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industries but also for the entire private sector, including the customers.

Fifth,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gents.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requires the involvement of the entire society. Construction and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will expedite the private sector's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current study has narrowed its focus on mostly the manufacturing part of the industrial sector and, therefore, has limitations. Future research can be expected to address other parts of the industrial sector, the projection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industries, and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by the civilian societies.

keywords: Climate Change Adaptation, Private Sector, Industrial Sector, Risk, Adaptative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