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 2 0 0 6년9월) 5 찬디가르市 행정지구 배치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Site-Layout for the Capitol of Chandigarh 이상준*·이 영* * *경원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 수료 / **경원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Lee, Sang Jun*·Lee, Young** ●●● 국문요약 연구는 꼬르뷔제(Le Corbusier)의 후기 작품인 인도 찬디가르(Chandigarh) 신수도 계획 중 행정지구 배치계획 분석에관한것이다. 찬디가르신수도계획은 1920년대 이후 발표된르 꼬 르뷔제의 도시계획안 중 유일하게 실현된 사례로서, 르 꼬르뷔제는 전체 도시 계획의 수석 자문 행정지구를 직접 설계하였다. 연구는행정지구 배치계획의 변화과정과 건축물의 구성특징을 꼬르뷔제의 도시계획과 건축 이론의 적용과 변형이라는 관점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는다음 과 같다. (1)행정지구의배치계획은우선 히말라야산맥을배경으로 하는 경관적 배려에서시작된 다. 특정건축물을 주도로로부터의 시계 목표물로 하는 관습적 태도에서 벗어나 시각축을 시의 대표성을 지닌주지사관저와 열린손 사이에 놓아열린 시계를확보하는 적극적인 경관수용태도 확인된다. (2)주지사관저와열린 손을 중심으로 하여 입법기관과 사법기관을 대응 배치하고, 행정업무기관을시의중심을 향하게 배치하여 정치적 상징성을 배치상에 구현하였다. (3)서로개 별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는 건축물들에 통일감을 주기 위해, a. 전체배치에서 주지사관저를 기 본단위로 하는 기하학적 바탕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b. 기후적특성을 살리기 위해 각 건축물의 입면에 브레이즈솔레이유를 사용하였으며 c. 소뿔을연상시키는 우산 모티브를 전 건축물에 다 양한 방법으로 적용시켜 동질감을 부여하고 다섯원칙 중 옥상정원의 개념을 지역적 특색으로 조 정하는 수법 등을 사용하였다. (4)각건축물들의 관계는 유동적 흐름을 지니게 된다. 즉고정된 시점에서 대상을 파악하는 투시도적인 시선뿐만 아니라 끝없는 움직임 속에서 대상이 파악되는 역동적인시선을구현하고 있다. ●●●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Le Corbusier’s(LC) architectural intentions on the site- layout for the Capitol of Chandigarh, India. Chandigarh project is the only constructed project of LC’s urban planning since 1920s. In this project, LC was the Master architect and designed the Capitol. The paper analyzes alteration process of site-layout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buildings in terms of proper application of LC’s Urban and Architectural principl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re abstracted as follows: (1) The site- layout for the Capitol was stemmed from a deep consideration for its panoramic landscape; (2) Juxtaposing the Governor’s Palace and the Open Hand in the middle site background, LC put the Parliament and the High Court facing each other at each side while he positioned the Secretariate building towards the rest of the City in order to symbolize each building’s identities; (3) Trying to endow a feeling of Unity with each separate buildings of different functions, LC positioned the Governor’s Palace in the top-middle of the site and modulated this as a fundamental module unit volume for all other buildings, adopted Brises-soleil for all buildings for climatic control and at the same time endowing a distinctive characters with each buildings, and the umbrella motif was also applied to each building’s top in various ways in order to create a certain homogeneity; (4)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LC

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 WordPress.com€¦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Le Corbusier’s(LC) architectural intentions on the site-layout for the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5

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An Analysis of the Site-Layout for the Capitol of Chandigarh

이상준*·이 영* *

*경원대학교건축학과박사과정수료/ **경원대학교건축학과교수

Lee, Sang Jun*·Lee, Young**

●●● 국문요약

연구는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후기작품인 인도찬디가르(Chandigarh) 신수도계획

중 행정지구배치계획분석에관한것이다. 찬디가르신수도계획은1 9 2 0년대이후발표된르 꼬

르뷔제의도시계획안중 유일하게실현된 사례로서, 르꼬르뷔제는전체도시계획의 수석자문

과 행정지구를직접설계하였다. 연구는행정지구배치계획의변화과정과건축물의구성특징을

르 꼬르뷔제의도시계획과건축이론의적용과변형이라는관점으로분석한다. 분석결과는다음

과 같다. (1)행정지구의배치계획은우선히말라야산맥을배경으로하는경관적배려에서시작된

다. 특정 건축물을 주도로로부터의 시계목표물로하는관습적 태도에서 벗어나 시각축을 시의

대표성을지닌주지사관저와열린손 사이에놓아열린 시계를확보하는적극적인경관수용태도

가 확인된다. (2)주지사관저와열린손을중심으로하여입법기관과 사법기관을대응배치하고,

행정업무기관을시의중심을향하게배치하여정치적상징성을배치상에구현하였다. (3)서로개

별적인기능을 지니고있는건축물들에통일감을주기위해, a. 전체배치에서주지사관저를기

본단위로하는기하학적바탕을근거로하고있으며, b. 기후적특성을살리기위해각 건축물의

입면에 브레이즈솔레이유를사용하였으며 c. 소뿔을 연상시키는우산모티브를전 건축물에다

양한방법으로적용시켜동질감을부여하고다섯원칙중 옥상정원의개념을지역적특색으로조

정하는 수법등을 사용하였다. (4)각건축물들의 관계는 유동적 흐름을 지니게 된다. 즉 고정된

시점에서대상을 파악하는투시도적인시선뿐만아니라 끝없는움직임 속에서 대상이 파악되는

역동적인시선을구현하고있다.

●●●Abstract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Le Corbusier’s(LC) architectural intentions on the site-

layout for the Capitol of Chandigarh, India. Chandigarh project is the only constructed project

of LC’s urban planning since 1920s. In this project, LC was the Master architect and designed

the Capitol. The paper analyzes alteration process of site-layout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buildings in terms of proper application of LC’s Urban and

Architectural principl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re abstracted as follows: (1) The site-

layout for the Capitol was stemmed from a deep consideration for its panoramic landscape;

(2) Juxtaposing the Governor’s Palace and the Open Hand in the middle site background, LC

put the Parliament and the High Court facing each other at each side while he positioned the

Secretariate building towards the rest of the City in order to symbolize each building’s

identities; (3) Trying to endow a feeling of Unity with each separate buildings of different

functions, LC positioned the Governor’s Palace in the top-middle of the site and modulated

this as a fundamental module unit volume for all other buildings, adopted Brises-soleil for all

buildings for climatic control and at the same time endowing a distinctive characters with

each buildings, and the umbrella motif was also applied to each building’s top in various

ways in order to create a certain homogeneity; (4)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LC

1. 서론

1.1 연구의배경및 목적

연구는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후기작품인 인도찬디가르(Chandigarh) 신수도

계획중 행정지구의배치계획에대한분석을 시도한다. 찬디가르신수도는르 꼬르뷔제가

제안해온도시계획안중에서유일하게실현된계획으로서1 9 2 0년대이후지속적으로발표

되었던 일련의 도시계획안의주요내용이 실재도시공간에서구현된 사례라는점과, 후기

의 모듈러 개념이 도시공간구조와 주요건축물을구성하는데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측

면에서 도시·건축에대한르 꼬르뷔제의이상향의실체를 직접분석할 수 있다는사례로

서그 의미가있다.

르 꼬르뷔제는찬디가르전체도시계획의 수석자문과 행정지구의주요건축물과지구

의 설계를 직접담당하였다. 1950년인도정부의 위탁으로 시작된찬디가르도시계획에서

르 꼬르뷔제는 전체시 지역을 행정지구, 상업지구, 교육지구, 주택지구등으로 규정짓고

각 지구를 7가지 유형의 교통망으로 연계시키는 계획을 주요안으로 구상하였다. 1986년

르 꼬르뷔제사후‘열린손(Open Hand)’의 모뉴멘트가완성됨과함께도시계획의실체가

완공되었지만, 행정지구의주지사 관저등의주요건물과 도시계획의일부분은계획이 수

정되거나실현되지않게된다. 완공된도시는서구의대도시가안고있는여러가지도시문

제를고려한 이상적인도시로서고안되었지만, 이를해결하기위해시설된 다양한 도시기

본시설의수준이 인도의 지역적 특성과 경제적 수준을 충분히고려하지않은이상향적계

획에치중되어있다는비판을받기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찬디가르 도시계획은 실현화된 르 꼬르뷔제의유일한 도시계획안이

라는이유만으로도중요한의미를가지고있다. 연구는실현된도시계획의특징을채록하

고, 르꼬르뷔제가가진도시와건축에대한이상향이실제화되는과정을분석함으로서이

론적논리체계가도시와 건축의 구체적인형태로 구성되는원리와과정에 대한관점을 제

시하는 것을목적으로한다. 즉행정지구배치계획의변화과정과의도를 해석하고배치계

획의변화내용이주요건축물 계획의 세부적인구성수법의변화로 이어짐을분석한다. 또

한 도시전체의윤곽과기능을 분배하는격자체계와행정지구의격자체계의관계를규명하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6

주제어 : 르꼬르뷔제, 인도, 찬디가르, 행정지구, 이상도시, 도시경관, 기하학적설계

K e y w o r d s: Le Corbusier, India, Chandigarh, Capitol, Ideal City, Cityscape,

Geometrical Design

Corresponding Author : Young Lee, Dept. of Architecture, Kyungwon

University, San65. Bokjung-Dong, Sujung-Gu, Songnam-Si, Kyunggi-Do,

Korea. Tel : +82-31-750-5298, E-mail : [email protected]

sustained his partner’s approach and this attitude created a feeling of special flow

between buildings, and in and out of each buildings. Instead of fixed point perspective

of old, LC tried to create a dynamic visual effect in which every objects should be

identified and related with human’s endless movement.

고, 행정지구의 배치계획이 단순히 기하학적 격자체계에 의해 만들어진 비인간적규모의

도시공간이아닌지역적특성을고려한변형된실체임을분석하는데연구의목적을둔다.

1.2 연구의범위와방법

연구는 전체 도시계획 지역 중 주지사관저(계획안), 고등법원, 국회의사당, 종합청사가

입지한행정지구를중심으로찬디가르도시계획의기하학적질서를분석하고, 초기계획안

과 최종확정안을비교를 통하여 순수기하학적질서의변화과정을도시경관의고려와주

요건축물의상징성확보라는측면에서해석을시도한다.

이를위해우선‘3 0 0만명을위한현대도시(Une Ville Contemporaine, 1922~25)’이후

지속적으로발표되는일련의도시계획안의특징을소개하고, 이러한계획안들의연속또는

변화로써찬디가르도시계획이 가지는의미를 정리한다. 또한과거의계획이 이론적 논리

체계로서만존재하는것과달리 구현된도시공간은지역적특색을고려한특수해로서존재

함을경관과도시구성분석을중심으로기술한다. 더나아가인도라는지역적특성과실질

적인건설단계에서의요구조건에의해주요 건축물계획의변화를추적하고어떠한건축적

지향으로나타나게되는지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찬디가르도시계획에관한문헌자료와도판자료를중심으로진행한다1 ). 초

기 스케치를비롯하여구체적인도시의형상과구성을확인할수 있는최초계획안, 계획과

정의변화내용을확인할 수 있는중간단계 및 최종확정안을중심으로변화과정을채록하

고그 원인과결과를유추하는방식으로진행한다.

2. 찬디가르도시계획의배경과특징

2.1 르꼬르뷔제의이상도시계획안과찬디가르

초기근대주의자들대부분이사회개혁에개입하였던것처럼르 꼬르뷔제역시1 9 2 0년대

이후새로운사회구조와도시공간구조의혁신을 위한이상도시계획안을발표한다. 동시대

의 다른건축가들역시미래사회에대한전망과계획안을제안하였지만르 꼬르뷔제의계

획안은더욱더 이론적이고, 미래사회에대한확고한이상향에대한함의를다루고있었으

며, 건축단위의구체적인묘사를포함하고있었다.

1 9 2 2년 발표된‘현대도시’와 이를파리( P a r i s )라는구체적인장소에적용시킨‘보아장계

획(Plan Vosin de Paris, 1925)’은 이 후 발표되는일련의 계획의 기본원리로서충분하

였고, 이러한계획안에대한비판과비현실성을감안하더라도근대사회의새로운도시공간

의 재편을 촉구하게 되는계기로서 작용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2 ). 그러나 기하학적인도

시의 윤곽과 구성방식, 중앙부, 도시주택부, 개발지대, 전원도시등으로 구분되는 철저한

조닝개념과같이기존도시질서와는다른이질적인도시건축의구성으로귀결되는르 꼬

르뷔제의‘도시( c i t e )’들은새로운자본주의시대의계급을창출하였다는비판론과이상향

적인계획안이가지는현실성의결여로인해실현의기회를갖지못하게된다(그림1 참조) .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7

1) 도판자료는Foundation Le Corbusier ed. (1982) The Le Corbusier Archive, New York: Garland publishing, Inc.와집문사편집(1978) 르꼬르뷔제전작품집, 서울: 집문사.

을활용하였으며, 도판명은르꼬르뷔제전작품집(집문사)에수록된동일자료를기준으로명시하였다.

2) 르꼬르뷔제의도시계획안은대지로부터분리된마천루와공원화된도시지면, 다소공상적이지만현재의대다수의도시에볼수있는고가도로등의교통가로계획등이주

요한요소로제안되었다. 또한도시공간의위계에따른다양한성격과구성형식의건축물들과지역이조닝되는것을주장하였다. 결과적으로이러한계획안의요소들이가

지는인위적이며철저한위계성은다양한논의를불러일으켰음에도불구하고실현화되지못하게된다. 그러나한편으로는이상의특징들이현재의도시에상당부분적용

되었고적어도도시공간구조의특정측면에서규범이되었다는점은부인할수없다.

3) 정진수(1989) Le Corcusier의도시안에서그의이념과주거건축에관한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권, 3호, 통권2 3호. p.40.

정진수는이러한경향을르꼬르뷔제가순수주의형태언어를추종하는건축가집단의선구자로서물리적인개혁을통한보다훌륭한도시환경을추구하는데그의이상을두

었기때문으로설명하고있다. 따라서르꼬르뷔제가발표한도시계획에서나타나는이념과실제의구현은과격한행동주의가아닌관념적행위였으며그가추구한수단역

시현실적인해결이기보다는문제해결을위한이상에가까운것이라할수있다

이러한비판에따라그 후의일련의계획에서르 꼬르뷔제는이상과사실의격차를극복

하기 위해 수정과 보완을 시도한다. 1920년대의‘현대도시’가 계급차별이라고 비난받은

것에대해서1 9 3 0년에모든인민을위한도시계획을‘모스크바로의회답’이라고제안하였

으며, 이 계획은 1 9 3 5년에 확장 가능한 선형도시의 모양을 따서‘빛나는 도시(La Ville

Radieuse, 1935)’로 정리되었다. 그러나결과적으로이상의계획안역시르 꼬르뷔제의이

상향적 건축도시관을형상화하는데머무는한계를 드러내며비판받게되는데3 ), ‘보와장계

획’으로 대표되는‘파리 도시계획( 1 9 2 2 ~ 4 6 )’이 구체적인장소에 적용시킨계획안에서 결

과적으로더 이상장소에얽매이지않는유토피아적도시건축계획으로만존재하게되는것

을확인 할수 있다.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8

(a) 알지에도시계획 (b) 기존의도시와계획안의비교

<그림 2> 이상도시: 알지에도시계획안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알지에계획에서총체적인배경으로서의도시의경관을대규모의도시건조환경으로재이용되는변화를

보여준다. 자본주의의경제논리는주택이나도시를재개발하는용도보다고속도로를건설하는데더욱적극적임을지적하고, 고속도로

아래다층의인공대지위에주택과수직의전원도시를형성하게만든다. 알지에도시계획안은선형산업도시의개념으로발전된다.

<그림1> 이상도시: 300만명을위한현대도시와빛나는도시계획안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300만명을위한현대도시와보아장계획에서묘사된기하학적그리드패턴과토지이용방법은그후의

일련의도시계획의주요한계획요소로재등장하게된다. 빛나는도시계획에서는파리의실제토지이용상태를보여주는지도와르꼬

르뷔제가제안한토지이용패턴의변화를꼴라주로표현하고있다

(b) 기존의도시와현대도시의토지이용방법비교

Paris New York Buenos Aires

(a) 300만명을위한현대도시평면도

전후복구를위한유럽사회의재건과새로운도시건설에관한르꼬르뷔제의관심은새로

운 지역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알지에 도시계획(Urbanisation de la ville d’A l g e r ,

1 9 3 0 ~ 4 2 )’은‘현대도시’에 대한새로운적용의일환이다. 그러나알지에에는파리와다른

새로운도시의가로가제안되었다. 알지에만을따라생기는단상지대에대한‘플랜 오뷰’

는선형도시의개념과인공도시의개념이접합된빛나는도시의새로운양상으로전개되어

진다. ‘알지에도시계획’은 선형산업도시의개념으로발전된다. 선형도시의개념은교외의

전원도시들을 제거하고전통적인 환상형의 도시와 전원지대의 농촌지역의재구성 그리고

이들을연계하는교통로와교통로를따라개발되는산업도시로정리된다(그림2 참조) .

‘생디에 도시계획(Saint Die, 1945)’은 전쟁에 의해파괴된 도시의 재건프로젝트이다.

꼬르뷔제는‘생디에 도시계획’은 1 0 , 0 0 0명의 주민을 위한 주거시설을 해결하기 위해

6 , 0 0 0명을 위한 4개의 주거단위와 전원도시의 무늬로 배열된 단독주거들로 제안되었다.

무엇보다도이러한계획은 선형산업도시의적용으로서제안되었다는점에서의미가있다.

도시는2단계의차량도로체계(고속, 완속)와보행자도로체계로세심하게분리되며궁극적

으로주변의 도시또는지역과 선형산업도시로서 연결되도록 계획되었다. 또한 도심부의

건축물은용도와성격에따라다양한형태와규모로제안되며이러한건축물은기념비적인

규모의광장위에건립된다. 이러한‘생디에도시계획’의 도심부구성방식은찬디가르행정

지구 계획의 규범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계획안에서 제안된 주거시설( l ' U n i t e

d ' h a b i t a t i o n )은 이후마르세이유와베를린등지에실제로구현된다(그림3 참조) .

이상의 르 꼬르뷔제의 도시계획이론의 주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초기의 도시계획(안)은

근대화와산업화에따른토지이용방법의전환과 새로운사회질서의구축을도시와건축을

통해이념화하려는성격이강한반면에후기의도시계획(안)은전후도시의재건이라는구

체적인사회적목표를이룰수 있는도시의기능과구성원리에관한세부적인묘사에가깝

다고할 수있다.

이러한 점에서 찬디가르 도시계획은다음과 같은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게된다. 찬디가

르 도시계획에는‘3 0 0만명을 위한 현대도시’와‘빛나는 도시’에서 구상하였던 기하하적

질서에의해구축되는도시구조와‘알지에도시계획’과‘생디에계획’에서시도하였던선

형도시로서의개념과자연과의조화가실제도시공간에구현된유일한사례이며, 2차세계

대전이후발표한모듈러개념이도시공간구조와주요건축물을구성하는데적극적으로사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9

<그림3> 이상도시: 생디에계획안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생디에계획은선형산업도시개념이실제지역에적용된계획(안)이다. 생디에도심부에계획된도시의

구성과건축물은초기의도시계획안처럼이상적인형태와규모로제안되었다. 위계를가진도로에의해도시가구성되고건축물은용

도와성격에따라계획된다. 생디에의도심부계획은찬디가르의행정지구계획과구성면에서매우유사한전개과정을보인다. 또한계

획안에서제시된주거단위( l’Unite d’h a b i t a t i o n )는마르세이유와베를린에서실제로구현된다.

(a) Saint-Die 도심부배치도 (b) 재건부분표시

2.2 찬디가르도시계획의진행과정

찬디가르는르 꼬르뷔제가실현시킨유일한도시계획이다. 찬디가르는르 꼬르뷔제가제

안하였던일련의도시계획안들의필수적인전제조건인근대산업사회로의변환을위한사

회적, 경제적 조건을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는 점은매우역설적인 상황을 부여하게 된다.

찬디가르는인도의펀잡( P u n j a b )주 수도로서1 9 4 7년 인도와파키스탄이분리독립하게됨

에 따라파키스탄으로이양된구펀잡州의수도라호르( L a h o r e )市를대신하는새로운행정

도시로 계획되었다. 이미펀잡州의주민들은불안한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그곳을 떠나고

있는상황이였으며, 이에따라네루수상과인도정부는새로운신수도의건설을통하여 붕

괴되는지역사회를재구성하려하였다. 즉찬디가르市는인도의다른도시와는달리완벽하

게인위적으로계획된현대도시로개발되어지는것이요구되었다.

여러부지가후보지로상정되었으나델리와심라를잇는주도로상에서가까우며1년중

1 0달은메말라있는두 강 사이의계곡으로위치가결정되었다. 그곳의지형은히말라야의

지맥이시작되는넓은평야로강의 한 지류는후에도시적미기후를만들어내는거대한댐

으로 탈바꿈 하게 된다4 ). 네루수상에 의해 임명된 미국인 도시계획가 알버트 메이어

(Albert Mayer)와사고로 사망한 건축가 메튜노비끼(Mathew Nowicki)의첫 번째찬디

가르계획안은격자형주요도로들이대지의윤곽을따라서구부러져있는것이었다. 도로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10

4) Curtis, W. (1986) Le Corbusier: Ideas and Forms. New York: Phaidon Press. pp.188.

펀잡주의담당기술자였던바르마는지역수호신의직관이이결정에작용했다고주장한다.

<표1> 르꼬르뷔제도시계획안연대별지역별분류

지역/ 도시계획 개념관련계획(안)

3 0 0백만의현대도시(Ville Contemporaine) ·1 9 2 2년최초안- 1925년에스프리누보관전시

빛나는도시(La Ville Radieuse) ·1 9 2 5년위르바니즘- 1927년건축을향하여- 1935년빛나는도시

알지에계획(Urbanisation a Algier)·1 9 3 0 ~ 3 2년오뷔A계획- 1933년오뷔B계획- 1933년퐁식계획안, 텔렝리가도계획안, 뒤랑계획안- 1934년

오뷔C계획- 1938년오뷔D계획- 1939년오뷔E계획- 1942년알지에마스터플랜

남미의도시계획(Urban. en Amerique)·1 9 2 9년최초스케치- 1936년리오데자네이로계획안- 1938년부에노스아이레스계획안- 1950년보고타

(콜롬비아)계획안

스페인( B a r c e l o n e ) ·1 9 3 2년마샤계획

스위스( G e n e v e ) ·1 9 3 3년쥬네브, 우안지구계획

스웨덴( S t o c k h o l m ) ·1 9 3 3년스톡홀름도시계획

앙베르( A n v e r s ) ·1 9 3 3년앙베르도시계획

누므르( N e m o u r s ) ·1 9 3 4년누므르도시계획

빛나는농촌(Le Village Cooeratif) ·1 9 3 4 ~ 3 8년농업조합촌계획

바따( d′H e l l o c o u r t ) ·1 9 3 5년델로꾸르도시계획

체코(Vallee Zlin) ·1 9 3 5년즈린계곡기본계획

프랑스( S a n i t - D i e )

(Saint Gaudens) ·1 9 3 8년생클루드계획- 1 9 4 5년생디에계획- 1946~51년경공업재건계획- 1945~46년생고당계획-

1 9 4 5 ~ 4 8년라로셀-파리계획안- 1947년마르세이유구항계획- 1951년마르세이유-슈드계획(La Rochelle-Rallice)

( M a r s e i l l e )

인도( C h a n d i g a r h ) ·1 9 4 1 ~ 5 1년찬디가르계획

독일( B e r l i n ) ·1 9 5 8년베를린도시계획

프랑스( F i r m i n y - V e r t ) ·1 9 6 0 ~ 6 5년피르미니-베르계획

자료. 한영기(1994), 근·현대건축의도시성해석과재현특성에관한연구, 서울대석사, p114 표재구성

파리도시계획(Plan Vosion de Paris)·1 9 2 2년파리계획최초스케치- 1 9 2 5년보와장계획:Plan - 포르트메이요- 1930년- 보와징계획: Model

1 9 3 6년파리계획- 1938년파리불량가구No.6 - 1945~46년파리계획

용되었다는점에서르 꼬르뷔제의건축적질서가도시공간단위로확장된실체로서의미를

부여할수있다.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11

5) 도시중심부에업무지구, 남동쪽외곽에공업지구, 최상부에행정지구를배치하는것은알버트메이어의계획에서도찾아볼수있다.

6) Von Moos, S ; 최창길·예명해공역(1987) Le Corbusier; Elements of a Synthesis ; 르꼬르뷔제의생애, 1판. 서울: 기문당. p.193.

이러한계획변경에대하여무스는그의저서‘르꼬르뷔제의생애’에서다음과같이기술하였다. 최초의가장중요한변경은아마도교통에관해서였을것이다. 메이어가

크게커브를이룬도로를계획했던것과는달리그는(르꼬르뷔제) 곧은도로를배치하였다. 다만도시중심의정면대로(Jan Marg)를횡단하는수평의도로는가볍게만곡시

켰다. . .아마도샹디가르(찬디가르)를인도의수도에가깝게하려는강력한의도가있었기때문에펀잡에서는그토록간단하게메이어案에대한르꼬르뷔제의변경안이통과

되었을것이다.

일단은동쪽경계에서철도역사가있는공업지역과연결되며다른일단은두 개의강이만

나는북쪽 끝에있는행정중심지구와연결되고, 두개의하천이있는자연계곡이부지를가

로지르며커다란업무중심지구를가운데에서구분하고있다(그림4 참조) .

노비끼사망후제인드류(Jane Drew)와맥스웰후라이(Maxwell Fry)에의해추천된르

꼬르뷔제는 인도에서 작업을 해야한다는 것과 낮은설계비 때문에 인도대표들의요청을

처음에는거절을했으나, 대부분의작업이파리에서실행되어야한다는그의주장이받아들

여져결국 도시전체에 대한 수석건축자문역과 행정지구의 건축가의 직분을 승낙하였다.

1 9 5 1년 봄 르 꼬르뷔제는인도로 가서인도의 건축가들과같이4주간작업을하여계획안

을 완성하였는데, 계약서에명시대로원리적으로는메이어의안을따르고있으나5 ), 후라이

와르 꼬르뷔제모두굴곡진도로들이다소연약하게보인다고판단해서변화를위한몇 곳

을제외하고는직각격자형으로되돌렸다. 이로써보다기념비적인도로체계가갖추어졌으

며6 ), 도시 내에서의길 찾기와인지성이높아졌고히말라야지맥을배경으로하는전체행

정지구의기념비적경관이이루어졌다.

두 개의자연계곡 사이에 있던 업무지구는 동쪽의 계곡을 메워서 타지구와의 연결성을

높였으며, 머리, 몸, 팔, 척추등 새 계획안의인간의 몸을연상시키는도형이 상업지구중

심지를지나는주요축 상의도로에의해강조되어서전체계획안은‘빛나는도시’의 형태

와 가깝게되돌아갔다. ‘빛나는도시’와 구성형태는유사하나구성요소의구체적인형식은

변화되는데, 머리부분에 위치한 행정을 위한마천루는 보다현실적인규모의 행정지구와

개별건축물로변하였고, 주몸체의자치적중층아파트는육체노동자들을아래에놓고재

판관과고급공무원들을위쪽에 분산시키는여러주거유형의점철로바뀌었다. 무엇보다도

(a) 알버트메이어의계획안 (b) 르꼬르뷔제의계획안

<그림4> 찬디가르도시계획의변화The Le Corbusier Archive(1982) 르꼬르뷔제는도심중심부의업무지구, 남동쪽의공업지구, 최상부의행정지구등을배치한메이어의

계획안의골격을유지하였으나, 대지의윤곽과다른격자체계의조닝과교통체계를정비한다. 전체교통체계는7가지종류의교통망

( 7 V의법칙)에의해이루어지며, 전체도시는모듈러에의해격자형으로구획되도록(각섹터의표준치수는1 , 2 0 0 m×800m 내외로구

획됨) 계획이수정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의 이상도시계획안에서 등장하던 고층건물이 사라진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인도에는충분한대지가있고주민들의옥외생활을감안하여그의고층집합주거유

형이제한된적절성을가진다는것을르 꼬르뷔제가인식하고있었음을시사해준다(그림5

참조) .

찬디가르는 도시형성배경에서언급되었듯이 다분히 정치적인 도시였으며, 인위적인 도

시였다. 즉전체도시는이러한정치적목표와이것에인위적으로가치를부여해주는주거

지구의 구성이라는이중적인규모로 진행되게된다. 즉전체도시계획의마스터플랜은 도

시설계의 이중규모를 창안하게 됨을 의미한다. 넓은 대로와 주요한 복합용도의 건축물은

도시의 기능과 결부되어 기념비적인규모로 계획되고, 주거지구는보행자 지향의 보다작

은가정적인규모가공존하게된다.

르 꼬르뷔제는전체도시계획의수석자문역을수행하면서주거지구는그의 사촌인 피에

르 잔네르(Pierre Jeanneret)에게세부적인 계획진행을 일임하고 그 자신은 국회의사당,

종합청사, 고등법원, 주지사관저(계획안) 등이모여있는행정지구 계획에 중점을 두게된

다. 르 꼬르뷔제는 행정지구 계획을 수립함에있어서 전체 도시와의연계성을확보하여야

했고대상부지의광대한스케일과정치적상징성을동시에해결하는데중점을두었다. 이를

위해행정지구는도시의기하학적체계의연장으로계획되었으며, 물리적그리고시각적간

격을조절할수있는건축적조작을통해행정지구의규모와상징성을확보하려하였다.

3. 행정지구배치계획분석

3.1 배치의상징성: 삼권의분리와경관의고려

르 꼬르뷔제가새로운인도를위한찬디가르신수도계획에서해결해야했던첫과제중의

하나는히말라야산맥을배경으로한넓은 평지위에서어떻게자연경관을고려하며건축물

상호간에서로적절한크기감( S c a l e )을 부여할것인가 이었다. 이는르 꼬르뷔제가부지에

관한첫 스케치를하면서파리의개선문에서꽁코드광장을거쳐루브르박물관에이르는거

리의배치도를행정지구계획안과비교하여전체와부분의크기를결정하는데사용한것을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12

(a) 찬디가르행정지구배치도 (b) 빛나는도시계획안

<그림5> 찬디가르행정지구와빛나는도시계획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빛나는도시의머리부분에위치한행정기관을위한마천루는찬디가르에서독립된중저층의건축물로

변화되어나타난다. 이러한도시공간구조와건축의변화는현대도시와빛나는도시사이에도다른양상으로나타났는데, 현대도시의

계층화된주거지의구조와중앙부의행정지구는빛나는도시에서사라지고도시의머리부분으로이동하는결과로나타났다.

1 .국회의사당2 .종합청사3 .주지사관저4 .고등법원

5 . .분별의계곡6 .주지사관저의샘물7 .열린손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13

7) 배치에서각건축물의치수는현지를답사한후축소수정되었다. 특히주지사관저계획초기에는모듈러에서큰치수가채용되었기때문에거인을위한계획안이되고말았

으며, 다시작게조정되어인간적인척도가되고있음을인정하고있다.

보면짐작할 수 있다7 ). 또 하나는 삼권분립의 정치적 상징성을 어떻게 건축물들의상호배

치관계 속에서표현할 것인가 하는것이었는데, 삼권을상징키 위하여 행정부를대표하는

주지사관저와열린손에서 바라보는방향으로볼 때, 좌측에고등법원과우측에 국회의사

당을배치시켜하나의안정된질서를창조하였다. 이에따라주지사관저는찬디가르행정

지구의 북쪽최상단부에 위치하여, 입법과 사법기관을 관장하고 전체 행정지구를 조망할

수있는 배치를가지게된다(그림6 참조) .

초기안과결정안사이의가장큰변화는초고층으로예정되었던종합청사가옆으로길게

뉘어져 8층높이로 낮게조정되었다는것인데, 경관스케치에서알 수 있듯이 행정지구뒤

의 산맥을향한시계의확보와더불어이에대항치않는 경관의창출이르꼬르뷔제의건축

적지향이었음이짐작할 수있다(그림7 참조) .

(a) 초기배치안 (b) 조정된배치안

<그림6> 행정지구배치계획의변화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초기배치안과조정된배치안을비교할때, 가장큰변화는첫번째로는종합청사의형태와수직적구성

이변화된점을들수있으며, 두번째로는국회의사당(도판기준좌측)와고등법원(도판기준우측)의축의배치가일직선에서추후세부

적인건축계획이결정됨에따라의도적인꺽임이발생하게되는점을들수있다. (이러한축의변형은3 . 2장에서다시다룬다)

(a) 초기배치상태

(b) 결정된배치상태의경관적고려

<그림7> 경관을고려한스케치비교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초기배치상태와조정된배치상태를입면스케치를통해비교해보면종합청사의수평·수직적규모와

배치방향에서매우다른양상으로전개되고있음을확인할수있다. 또한의도적인것인지는알수없으나, 배경으로등장하는히말라

야산맥의외형도더욱더확장되어묘사되고있음을알수있다.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14

8) 1925년이후철근콘크리트와여타재료에의한그의건축형태와유화사이에는완전한동일성이성립되었다. 형태상의생각이회화와함께건축과도시계획까지도활기를주었다.

9) 그의기준선은주택이나회관에사용되기이전에이미유화의구도작업에서태어난것이다. 그리고모듈러를방편으로해서벽화나유화의구도작업을조정한다. 이것이기하학적인조

직구성을주어서평면에우선하는구도의기본적특질을만든다.

그러나, 그 밖의건축물들에게서는초기의 기본배치개념이 지속되어있는데, 주지사관

저와열린손, 국회의사당, 고등법원으로대변되는삼권분립의상징성이그대로충실히지

켜지고 있다. 다만결정안에서는르 꼬르뷔제의배치에 관한형태구성개념이더욱발전된

것을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한마디로중심으로부터의 교묘한 이탈이라고 부를수 있다.

우선초기안에서는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의위치가서로단순하게하나의축에의하여연

계가되어있는데비하여, 결정안에서는이 축에서조금어긋나게고등법원이배치되어입

구에 놓여있는 반사못들과 더불어서 보다 동적인 외부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종합청사의

배치도도로에의해구획된영역내에있는초기안으로부터영역의사이를걸치는거대한

다리와같은배치결정안이보다역동적으로느껴지며, 국회와법원에서결정된법안이종

합청사라는전도체를거쳐서전체시에전달이된다는상징적상황을암시하고있다.

3.2 배치의기하학적질서: 물리적·시각적간격의조절

르 꼬르뷔제는행정지구의배치를해나가는동안하나의거대한캔버스를채워나가는화

가의태도를지니고있었다. 찬디가르계획당시그의하루일과를보면, 오전중에는화가

로서화판위에서 작업을 하고오후에는건축가로서설계에 몰두했는데이 화가적태도가

단일건물이아닌여러동의건축물로이루어진행정지구의배치도를그려냄에있어그 역

할을했다고생각된다8 ).

당시제작된고등법원의벽장식타피스트리( T a p e s t r y )를 보면, 행정지구배치도와의유

사성을 발견할 수 있는데, 형태요소적 유사점과 기하학적 유사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형태적요소는인도의신도시에적합한상징성을가진것으로태양, 달, 별, 손, 사행선. . .등

인데, 이형태요소들이천짜기작업시에편리하며또완성후에는서로이어지도록계획된

하나의 바탕격자위에서 상호긴장된 구도관계를이루며 배치되어있다. 이기하학적질서

는 그림에서와같이정방형격자를기본으로X방향으로는일정한간격을유지하여조직을

만들고, Y방향으로는정방형 격자의 변형으로 하여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나 모든선들은

규정선내에서존재한다9 ).

이러한타피스트리의형태요소와기하학적질서가행정지구내에서3차원으로재탄생되

어 있다. 우선눈에띄는것은태양이있는정방형요소로국회의사당의평면형태를연상시

키는데, 위치상으로도중심에 가장가까이 놓여있으며이 2차원의태양이 회의장의천창

으로3차원화되고지붕층에서하나의거대한얼굴로되어드러나있다. 뱀을닮은사행선

은 조경요소로다시나타나며, ㄱ자형과ㅣ자형, 구형은각각고등법원과행정동의평면형

과 유사하다. 또한겹쳐져있는여러구형적 조직구성은각 주요건축물앞에계획된보행

자용덱크와 반사못으로 그리고 중심에 뿌려져있는 듯한무정형 도형들은 건축물 사이를

채워주는인공언덕으로구현되어있다. 그리고열린손에까지이르러서는실제의배치와위

치상의차이는있으나, 요소별로는거의일 대일대응관계로일치하고 있다(그림8 참조) .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15

10) ‘행정지구의구성은그것이아무리광대하더라도전체에대해서도부분에대해서도오늘날에와서는거의㎝단위로규정되어있다.’고말한르꼬르뷔제의말은이를뒷받침한다.

행정지구의배치는 전체평지에 크기감각을부여하기위한큰 격자속에서 나누어진작

은 격자들의질서속으로파생되어나간다. 우선찬디가르시의몸체부분을이루는격자체계

가 그대로 머리부분으로 연장되어서 그 격자는 모서리를 나타내는 기념비적 기둥에 의해

암시되고 있으며 이 내부에 주지사관저, 국회의사당과 행정동이 대각선방향으로 놓인다.

이 격자의동쪽변에시의중심상업지구로부터직선으로연결된보도와차로가주지사관저

와 이어져 있으며 그 동쪽에 이 격자의 1 / 4크기로서보다 작은기둥으로모서리가암시되

어 있는격자속에고등법원이대응되게배치되어있다. 이격자는주지사관저의뒤뜰안에

서 보다작은 격자로 나뉘어지면서 전체의 배치내에서의 부분적 크기감각이 지속적으로

느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행정지구의 기하학적 기본틀은 기둥들을 이어보면큰

정방형과두개의작은 정방형이서로겹쳐져있는형태인데, 이것은르꼬르뷔제가전체도

시의격자체계를존중하면서또한보도와차로로부터의시계에의한경관적균형도유지하

려는배려에서결정된것이라고하겠다.

이러한격자체계는평면적으로만적용된것이아니고결국하나의단위적볼륨을상정시

키고있는데, 그 기본단위가바로주지사관저가 되고있다1 0 ). ‘행정지구의 구성은 그것이

아무리 광대하더라도 전체에 대해서도 부분에 대해서도 오늘날에 와서는 거의㎝ 단위로

규정되어있다.’고 말한르 꼬르뷔제의말은이를뒷받침한다. 이것을좀 더 설명하면, 먼

저 결정안배치도에나타나있는기념비적성격이강한큰 기둥들을A, B, C, D라고정하여

서로연결하고작은기둥들도각각E, F, G, H, I, J라고정하여서로연결하면1개의큰정

사각형과2개의작은정사각형을만들수 있다. 그리고이것을주지사관저의정원격자하

나와크기를비교하면, 바로작은정사각형의1 6등분한크기와같다는것을알 수 있다. 이

1 6등분된격자의크기가주지사관저의바닥면적이되어, 이로써전체배치계획에서시각적

기본단위가되며동시에크기감각에일정한질서를부여하는도구가되고있다(그림9 참조) .

(a) 대법정벽걸이(사진) (b) 대법정벽걸이스케치

<그림8> 타피스트리의형태요소와기하학적질서Le Corbusier 전작품집( 1 9 9 7 )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16

11) 이러한내용은3.3 행정지구주요건축물배치와입면해석에서다룸.

다른건축물의바닥면적도모두주지사관저와비례관계속에있는데, 국회의사당건물은

기본모듈격자를4개합친정사각형이되며, 종합청사건물의길이는기본의5배이고건물

의 폭은1 / 2로 전체면적의2 . 5배와같다. 고등법원건물과그 주변의반사연못등의치수도

모두모듈러의치수를채택해서모두비례관계속에있다. 이모듈러에의한정확한치수계

획에관한내용은 추후더 연구되어야할 과제인데, 치수적기본단위는아마도더 적은단

위일것으로짐작이된다1 1 ).

그림에서각정사각형의꼭지점들을연결하여각각K, L, M이라고하면, 동서로긴축선

과 각 정사각형의중심과만나는 남북축선이상정된다. 바로이들규정선에의해전체건

축물의 위치가 결정되었는데, D와C의 남북연결축 상에주요진입도로가있으며, K와L

의 동서연결축상에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이놓여있다. 국회의사당의입면선의시작, 고

등법원의반사못가장자리그리고종합청사의입면선등이규정선들과일치하고있고삼권

분립을나타내주는건물들은모두D, K, C, N으로만들어지는큰 다이아몬드의구형속에

모두포함되어일체감을주고있어전체의 배치계획이엄격한 기하학적바탕위에서시작

되어이루어졌음을알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배치들은 규정선들의기하학적질서를 그대로 드러내는것이아니라 고

등법원의배치처럼교묘한기교로처리되는데, 고등법원의정면은내부법정의수용으로인

하여대칭이이루어지지않기에국회의사당으로부터연결되는중심축은8개의소법정으로

이루어지는정면부분의중심을지나고비대칭으로놓인정문은이 기본축에서어긋나묘한

동적균형을만들고있다. 동일한감각으로처리된예가있는데, 주지사관저와후정의격자

틀도어긋나있어관저의 인식성을높여주고있으며의미없이 어긋난것이아니라내부의

평면질서와연계되면서전면광장의보행로에까지이어져서내·외부공간이동시에관련

을가지도록하고있다.

<그림9> 행정지구의기하학적질서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도판을바탕으로분석, 전체도시와연관된그리드패턴은기념비적기둥에의해암시된다. 기념비적성

격의기둥의크기에따라A-B-C-D / E-F-G-(H-I)-J 의윤곽을따라1개의큰사각형과2개의작은사각형을이루고있다. 전체행정지구

의중심축은D - C의남북축으로이루어져있으며, 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을연결하는K - L - M의동서축이교차된다. 또한전체격자모

듈은주지사관저의바닥면적의1 6배에해당한다. 최종적으로이러한격자모듈은건축물의내부기능과모듈구성을고려한출입동선

의조절(국회의사당-고등법원)을통해교묘히조작되며, 주지사관저와후정의경우추가적인격자모듈과미세한위치이동으로조작되

어진다(주요건축물배치해석에서다룸).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17

3.3 행정지구주요건축물배치와입면해석

행정지구내건축물의배치는앞에서지구의상징성과경관그리고보차분리라는르꼬르

뷔제의신도시에대한개념과함께그의회화적접근에의한고도로계산되어이루어졌다

는 것이파악되었다. 그러나이러한그의생각은 배치에만국한된것이아니라, 건물의내

부기능에따르는 평면의 구성과 보차분리에의해서 파생된 보행자와자동차에의한 두 가

지 시각에 대한입면의 조정과함께서로다른형태와규모에 따르는이질적형태의각 건

축물에소뿔과닮은형태 모티브를입면에부여시켜 강력한통일감을만들고있다.

(1) 국회의사당

국회의사당건물은행정지구내의동서축 상에서고등법원과대칭으로배치되어있다. 앞

서 지적하였듯이초기안은완벽한동일축선상위에2개의건물이배치되었지만조정된계

획에서양건물의출입구를 조절하여꺽어진축선으로배치되도록조정되었다. 초기안에서

는 전면두 칸으로 기둥이 중앙에 놓이고 남측에 경사로가있는비대칭적 안이었다. 후에

전면5칸으로크기감이조정되었고, 최종안에서는결국7칸이되어다른건축물과의크기

비교에의해현실적으로조정되었다.

여기에서주목되어야할 것은내부의기둥배열조직이전면에덧붙여진포르티코에서기

계적으로반영되는것이아니라광장에서의크기감각에의해독립적인입면으로구성되며

기둥이 전면의 중앙에 오던것을수정하여서고전적인정면성이강조된는점이다. 보차분

리에따라발생되는높이차에의한2가지입면에대한배려는초기안에서는경사로를이용

하여필로티에해당되는부분을입면중 1층에한정시키려시도하였으나, 결정안에서는이

를2개층으로 확대하고있다(그림10 참조) .

(a) 국회의사당평면도 (b) 축선의조작

(c) 국회의사당입면도

<그림10> 행정지구의배치질서1: 조작된축선의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

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도판을바탕으로분석, 국회의사당의전체바닥면적은주지사관저바닥면적( a )의4배로이루어져있으

며회의장은정확하게정북방향으로돌려져있다. (화살표A) 또한(b) 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을연결하는축선은출입구와보행광장의

바닥패턴및상징물을이용하여조작되어있다.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18

지붕위의요소들은상원과 하원을상징하는천창으로위계가 높은태양을 상징하는상

원의회의장천창위치가좀 더 위계가높은주지사관저쪽으로놓여있는것이이채롭다. 이

러한대응이고등법원에서도일어나는데, 8개의소법정과1개의대법정과출입구로이루어

진 정면에서는위계가높은대법정이주지사관저쪽으로놓여서같은배치논리가적용되고

있다. 또한 주지사관저의 후정 크기는 격자에 의하여 비롯되었지만 동시에 국회의사당의

북측출입구와 후정가장자리 윤곽선이 연계되어있어하나로 통합된 구조속에서 전체와

부분의관계를이루고있다.

(2) 고등법원

초기의배치계획에서는국회의사당과마주보고있는축에법원의전체입면중심이맞추

어져있었으나, 내부프로그램의수용으로대칭으로만들기 어려웠으며 또한국회의사당

과같이확대된브리즈솔레이유( B r i s e s - s o l e i l )인 포르티코도향이정반대인관계로수용치

않기로 한 듯하다. 따라서 이 축은일단8개의 소법정으로 된 부분의 중심에 맞추고 이를

보행자 덱크로 L자형으로꺽어다시이차적으로이를입구로비의중심에 맞추어 놓았다.

이것이 전체 지구배치에 대칭을 기계적으로 고집하지 않는 미묘한 동적균형을 제공하게

된다(그림9 참조) .

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사이에형성된광장은그 폭이약 4 0 0 m로일반적인수준의광장

의 규모를 넘어서는것이었다. 이러한 규모는권위주위의상징이라는비평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꼬르뷔제의스케치와메모를참고해볼 때, 이러한과격한규모의광장은

인도의자연풍광을재현하고자한결과로 볼 수 있다. 수직수평으로교차하는축을중심으

로 형성된광장은주지사관저뒤편의히말라야산맥의경관을수용하기위해광활한인도

의 들판을 상징하는배려인 것이다(그림11 참조, 광장을관통하는수직축선의 조작에 대

해서는주지사관저에서다룸) .

(a) 고등법원동선체계 (b) 광활한광장의규모

(c) 고등법원입면도

<그림11> 행정지구의배치질서2: 지역적경관특성을재현한중앙광장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도판을바탕으로분석, 고등법원의동선은주체에따라구분되었고주지사관저와가까운쪽에대법정을

위치시켜상징적의미를부여하였다. 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사이의400m 폭의광장은르꼬르뷔제의스케치에서나타나듯이인도의

광활한풍광을재현하고히말라야산맥으로의경관을확보하기위한것이다.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19

이처럼꼬르뷔제는인도라는지역적특성을행정지구의배치와건축물계획에적극적으

로 반영하고자하였는데, 고등법원의경우입지된향에대한고려가건물의입면계획에적

극적으로반영되었다. 이는초기안과최종안모두전체덩어리에대한개념이유지되고있

다는점에서 더욱설득력이 높다. 즉중앙광장에서바라보이는 방향이 남쪽으로(역광으로

바라보이는상태) 입면의 부분들이햇빛을 받아잘 보이는 국회의사당과는조건이 반대가

되며, 이런 상황이 우산의 형상으로된 실루엣이 강한상자형태로 윤곽이 결정하게 된다.

또한상부에 아취형의개구부를두고햇빛을 도입시켜음영에 의한대조적 효과를 시도한

것으로생각되며전면연못에 비치면전체가닫혀진 하나의상자로서인식되기도한다.

내부공간의구성면에서는위계가높은대법정을주지사관저쪽으로향하게하여전체의

배치위계를 지켰으며, 출입구다음에 8개의 소법정들이 놓여있는 기본평면계획도 유지되

고 있으나, 최종안에서의가장큰 변화는초기에는남측의복도로혼합되어있던각 법정의

동선을 내·외부로분리시켜일반인출입구를외부에서직접들어갈 수 있도록하고법관

은 각실의후면에있는복도를따라들어오는독립된입구를마련했다는것이다. 특히대법

정의외부출입구는중앙에위치시켜놓고소법정에서는한쪽으로놓아위계를다르게하여

브리즈솔레이유가적극적으로도입된각법정의 입면에서이를상징적으로잘 나타내고있

다(그림11 참조) .

(3) 종합청사

초기의 고층계획안은경관스케치에서길이2 5 4 m로 늘려진 9층건물로바뀌었다. 긴청

사 건물은 6개의 블록으로분절되어있다. 전체평면은 구조기둥의배열이큰 중앙의 장관

실 블록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2개부분이 상하좌우로 서로점대칭 되어있으며 남쪽끝에

블록이 하나추가되어있다. 건물정면기준으로 시각적 중심에 해당하는장관실블록이 위

계가높은북쪽으로쏠려있어일관되게중심성이표현되고있으며이를위해우산의 모티

브도이 부분의지붕과전면중앙에놓여있다.

1층평면도의장관실부분하층을기준으로좌우의기둥의간격이2배가되도록설계되었

는데, 이러한것은차량의동선처리를원활하게하기위한것과보차분리에따르는입면상

필로티의적용을버스로진입되는1층과국회의사당으로부터의보행용다리로접근되는2

층에서 복합적으로적용하기위한입면의조정으로판단된다. 따라서멀리 보행자 덱크에

서 바라다 보이는 입면도 장관실 블록까지필로티가있으며가까이오는버스에서보이는

입면에서도 필로티부분을보게된다1 2 ). 브리즈솔레이유로전체입면을 구성하면서장관실

블록에서는다른패턴으로처리하여상징적변화를꾀하였다(그림12 참조) .

건물내부의코어의형태는직선적요소로이루어진외·내벽의디자인과는달리곡선적

인 형태로이루어져건물외면에서풍기는딱딱함을건물내면에서곡선으로처리하여부드

러움과르 꼬르뷔제가추구하는자유로운평면을보여주려고하였고, 매일3 , 0 0 0명의공무

원이모여들므로절대적인수직교통수단이되는경사로도곡선으로만들어브리즈솔레이

유로구성된입면에서대조되어인식되고있다.

12) 차량이동을위한길은행정지구공원하부를가로지르고있으며공원을산책하는사람에게는차량이보이지않도록되어있다.

(4) 주지사관저

주지사관저는지구전체의계획에서시각적인중심이었던것뿐만아니라각건축물과의

크기에 대한기본단위역할을 주기위해계획되었다. 이것은후정격자계획에서도나타나

지만행정부분과경호부분을보행자 덱크 아래로 감추고 순수정방형의평면과 기단위에

들어올려진단순한덩어리를추구함에서도확인되고있다.

초기의주된출입구는정면에 있지않았고서쪽광장에서브리즈솔레이유를통하여2층

으로직접들어오는보행자 전용현관이있었는데이러한 배치는 이 광장에서직접후정으

로도들어갈수있도록하려했던 것으로판단된다. 이안은정면성과출입구가분리되는점

으로해서나타나는정면성의약화로인하여기피되고최종안에서는출입구가중앙은아니

지만정면에 배치되어서 정면의의미가 부여되었으며, 정면성을더 강조하기위하여 양측

면을두터운벽으로하고개구부도일부분으로한정하게된다. 이건물은멀리서부터보이

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강력한 대칭의 형태를 띠고있으나 입면상의창문은내부의기능

에 맞추어대칭에얽매이지않고있는데이는전체지구배치에서위치상정가운데놓여있

지 않고열린손과마주서 있어서 보행자도로에서나차로에서보이는중심축은산맥쪽으

로 자연스럽게흐르도록되어있기때문이다. 보차분리에서나타나는입면상황은타건물과

동일하게필로티부분을2개층으로확대시켜해결했다(그림13 참조) .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20

(a) 종합청사평면다이어그램: 기준층및1층

(b) 종합청사입면도

<그림12> 행정지구의배치질서3: 경관을고려한주동의변화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도판을바탕으로분석, 초기경관스케치검토를통해종합청사는고층의마천루를누워놓은형태로변

화된다. 종합청사의바닥면적은주지사관저의바닥면적을기준으로5배, 기둥배열은1.25:1.25:1.5:(1):1.5:1.25 로이루어져있으며, 저

층부의D _ E _ F블록의기둥간격은2배이며, 6개블록은장관실이위치한D블록을중심으로좌우2개블록이점대칭을이루고있다. 결

과적으로장관실블록은주지사관저와가까운쪽에위치하게된다.

Urban Design 24찬디가르市행정지구배치분석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 21

4. 결론

찬디가르행정지구의배치계획은기하학적질서와경관적요소를고려한조정에의해결

정되었음을확인할수 있다. 전체도시와연계된기하학적그리드패턴은기념비적인기둥

에 의해암시되고있으며, 주요건축물의위치와규모를결정하는기본원칙으로사용되었

다. 또한 행정지구의배치계획은인도의 광활한 자연의 풍광을 고려하여건축물의주동형

태와 위치를 조정하였고 이러한 고려는 개별건축물 단위에서 주축의 조작과 내부평면의

결정요인으로작용하게된다. 세부적인수법과의미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행정지구의배치계획은우선히말라야산맥을배경으로하는경관적배려에서시작되

었다. 이는특정건축물을접근동선상의시계목표물로하는관습적태도에서벗어나시

각축을시의대표성을지닌주지사관저와열린손 사이에놓아열려있는시계를확보하

면서산을 적극적인경관으로수용한태도에서확인된다.

2. 주지사관저와열린손을중심으로양편에법을만드는국회의사당, 법으로심판하는고

등법원을마주보게배치하고, 법대로시행하는종합청사를시의중심을향하게배치함

으로써각 건축물이갖는정치적상징성을배치상에서구현하였다.

3. 행정지구배치계획의주요변화과정은중앙광장의규모와구성방식을유지하면서다양

한동선축과경관축을확보하기위한방향으로보완되었는데,

첫째, 현지답사를통해건축물의규모를현실적인규모로축소조정하였으며

둘째, 종합청사를수직구성에서수평구성으로조정하여경관을확보하였고

셋째, 국회의사당과고등법원을 연결하는축을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상징적 규모의 중

앙광장규모를유지하면서도공간의긴장감을유지할수있도록 보완되었다.

4. 또한서로개별적인기능을지니고있는건축물들에통일감을주는방법으로,

첫째, 주지사관저를기본단위로하는기하학적바탕을근거로하고있으며

둘째, 기후적특성을 살리기위해각 건축물의입면에브리즈솔레이유와반사연못을반

복적으로사용했으며이것으로각건축물에독특한개성을부여하였다.

셋째, 소뿔을연상시키는우산모티브를전 건축물에다양한방법으로적용시켜동질감

(a) 주지사관저모형(계획안) (b) 경관을고려한광장

<그림13> 행정지구의배치질서4: 중심축으로의경관을고려한관저와열린손ルコルビュヅエの全住宅(Le Corbusier HOUSES)(2001), Le Corbusier 전작품집(1997) 도판을바탕으로분석, 주지사관저(계획안)은

전체지구의중심의좌측으로벗어나있다. 2개의레벨을가지는진입동선(보행/차량)은행정지구의중심축을따라계획되었고. 주지사

관저는시각의중심축에서벗어나열린손과마주보는위치에앉아있으며, 중앙광장에서의시각은개방감을가지며히말라야산맥을볼

수있도록배려되었다.

Urban Design 24 이상준·이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제7권제3호( 2 0 0 6년9월)22

을 부여했으며이로서5원칙중옥상정원의개념을발전시켰다.

5. 전체의배치는그의화가적 시각에서비롯되었는데, 이로써각 건축물들은서로명료하

게만구분되는것이아니라 그 사이를 오고가는유동적 흐름을 지니게 된다. 즉고정된

시점에서 대상을 파악하는 투시도적인 시선뿐만 아니라 끝없는 움직임 속에서 대상이

파악되는역동적인시선을구현하고 있다.

참고문헌

1 . 김석환(1996) 인도의르꼬르뷔제작품을찾아서1, 건축사, 325권.

2 . 정진수(1989) Le Corcusier의도시안에서그의이념과주거건축에관한고찰, 대한건

축학회논문집, 5권, 3호, 통권2 3호. pp.40.

3 . 집문사편집(1978) 르꼬르뷔제전작품집. 서울: 집문사.

4 . 한영기 (1994) 근·현대건축의 도시성 해석과 재현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

p p . 1 1 4 .

5 . Giedion, S. 김경준역 (1998) Space, Time and Architecture: 공간, 시간, 건축, 5

판. 서울: 시공문화사.

6 . Joedicke, J. 윤재희, 지연순공역(1995) Space and Form in Architecture: 건축의

공간과형태, 1판. 서울: 세진사.

7 . Von Moos, S. 최창길, 예명해 공역 (1987) Le Corbusier: Elements of a

Synthesis: 르꼬르뷔제의생애, 1판. 서울: 기문당.

8 . 東京大學校 工學部 建築學科 安藤忠雄 硏究所 (2001) ルコルビュヅエの全住宅 ( L e

Corbusier HOUSES). Tokyo: TOTO出版.

9 . Colquhoun, A. (1991) Modernity and the Classical Tradition: Architectural

Essays 1980-1987. Cambridge (MA): The MIT Press.

1 0 . Colquhoun, A. (1981) Essays in Architectural Criticism: Mordern Architecture

and Historical Change. Cambridge (MA): The MIT Press.

1 1 . Curtis, W. (1986) Le Corbusier: Ideas and Forms. New York: Phaidon Press.

1 2 . Foundation Le Corbusier ed. (1982) The Le Corbusier Archive. New York:

Garland Publishing, Inc.

투고2 0 0 6 . 0 4 . 3 0

1차심사완료2 0 0 6 . 0 6 . 0 7

2차심사완료2 0 0 6 . 0 6 . 2 8

최종수정본접수2 0 0 6 . 0 6 .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