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2006학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 서천군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cipients' Eligibility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최 회 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 · 2017-11-22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06학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서천군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cipients' Eligibility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최 회 성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서천군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cipients' Eligibility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지 도 교 수 원 석 조

    이 논문을 사회 복 지 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4월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최 회 성

  • 최회성의 사회복지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장 김 종 인 (인)

    심 사 위 원 김 흥 주 (인)

    심 사 위 원 원 석 조 (인)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년 6월

  • - i -

    목 차국문초록 ⅳ영문초록 ⅵ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수급자 선정기준 관련논의 4 제1절 공공부조의 개념과 필요성 4 제2절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성립배경과 제도추진 경과 7 제3절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 10

    제3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사례 분석 18 제1절 소득인정액 관련 사례분석 18 제2절 부양의무자 관련 사례분석 22 제3절 특례기준 관련 사례분석 26 제4절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사례 비교분석 33

    제4장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6 제1절 문제점 37 제2절 개선방안 48

    제5장 결 론 55

    참고문헌 58

  • - iii -

    표 목 차

    기초생활보장법제정 추진경과 9 가구별 최저생계비(2005, 2006) 11 2006년도 부양능력 판정기준표(재산의 소득환산액 기준) 13 소득환산율 산출방식 14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사례 비교 33 수급자수와 구성비율(2004년) 36 지역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률 37 OECD 각국의 재산환산 기준표 50 부양의무자 기준의 개선방안 53

    그 림 목 차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의 변화 10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11 소득평가액 산정방식 12 부양의무자 기준의 적용 도해 15

  • - iv -

    국문초록

    국 민기초 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 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 서천군을 중심으로 -

    최 회 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저소득 빈곤층과 신체적 및 정신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최저한의 생계보장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정부의 복지제도로서 사

    회적 안전망의 최하위고 기초생활의 생활위험에 대응한 제도이다. 따라서 이

    제도는 빈곤취약계층의 생활 전반의 위험을 보장하기 위하여 생계유지를 위한

    현금급여와 최저한의 소비를 위협받고 있는 생활에 대한 현금급여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이전의 잔여적 ․ 시혜적 성격의 복지와는 달리하는 법의 전반적인 내용이 수급자의 권리를 중심으로 변경되었으며, 근로유

    인을 위해 자활사업과 근로활동을 연계하여 최저생활보장을 위한 계기를 마련

    하는 등 모든 국민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복지제도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이

    제도가 획기적인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6년 동안 실시해오면서 많은 성과도

    있음에도 아직도 많은 취약계층이 기초수급자 선정기준의 강화로 생활의 어려

    움을 겪는 등 선정기준의 비합리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 10월 이후 2005년 12월까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기준에 따른 사례의 문제 진단을 통하여 기초수급자 선정의 문제점과 개

  • - v -

    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5개의 장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기준의 선정이론으로서 공공부조 개념과 필

    요성, 기초생활보장법의 성립배경과 제도추진 경과, 수급자선정기준의 중요 기

    준이되는 소득인정액 기준, 부양의무자기준, 특례기준 등의 중요내용을 살펴보

    았다.

    제3장에서는 기초수급자 선정함에 있어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며 문제를 진

    단하였다.

    제4장에서는 사례의 문제 진단을 통하여 제기된 다양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제5장의 결론에 있어서 앞의 고찰과정에서 검출된 내용을 요약하고

    우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같은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급자 선정 기준과 관련하여 소득인정액 기준에 있어 추정소득, 근로

    소득공제, 소득인정액의 기준이 되는 재산의 소득환산율 등이 현실적이며 합

    리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부양의무자기준과 관련하여 부양의무자 선정기준을 완화하여 사각지대

    의 저소득층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부양의무자 범위의 단계적 축소를

    통하여 실질적인 부양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부양의무자

    가 있으나 가족관계단절로 실제 부양을 안 하는 경우 공무원이 반드시 사실

    확인을 하도록 하여 보호하는 방안을 적극 필요하다.

    셋째, 특례기준과 관련하여 사각지대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재산, 의료, 교

    육, 자활과 관련된 특례기준을 대폭완화하고 공공부분과 민간부분의 연계를

    통하여 보호대상자들에게 효과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토록 하여야 한다.

  • - vi -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Recipients' Eligibility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Choe, Hoe S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Wonkwang University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rapid economic growth enabled Korea to

    enforce the protection of low-income classes, leading a subsequent decrease

    in number of Livelihood Protection recipients. However, the economic crisis

    at the end of 1997 has brought a massive unemployment. It caused a great

    increase in the poor and number of Livelihood Protection recipients.

    Poverty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was a major social problem at that

    time.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afety net was necessary for

    coping with this serious social problem. In order to secure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the Government has made a new social assistance

    policy and enacte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September, 1999. It has been enforced as of October, 2000 with one year of

    preparation.

    Some of the changes include full coverage of the social safety net to

    secure the basic livelihood protection for the low-income class, a

  • - vii -

    comprehensive poverty countermeasure to enhance recipients’ ability to

    self-support, and strengthening of the rights of the recipients and social

    responsibility regarding poverty.

    And in order to secure the basic livelihood for the low-income class

    earning less than the minimum cost of living, living expenses are provided

    for these households regardless of their age and ability to work.

    Now the new public assistant syste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is being settled down. However, some recipients

    are continuously appealing to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eligibility of the

    NBLSS. They have pointed out that there are blind spots 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eligibility

    of the NBLSS and suggest feasibl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purpos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BLSS were reviewed and some cases of

    recipients who have troubles in the income, supporters and exceptional

    standard of eligibility were gathered and analysed.

    O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the alternatives for resolving the

    problem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income standard of eligibility should be realized and rationalized.

    Second, the supporters standard of eligibility must be more generous and

    be abolished step by step.

    Third, the exceptional standard of eligibility have to be reduced either to

    solve the problem of blind spots in the NBLSS.

  • - 1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1997년 외한위기로 인하여 저소득층 국민의 실직과 가족해체, 자살, 노숙자

    증가, 빈부격차의 심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자 정부는 생계유지가 어

    려운 생활보호대상자 및 저소득 실직자 등을 한시적 생활보호대상자로 선정하

    여 생계비, 의료비, 자녀학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저소득층의 생활안정을 지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저소득층이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는 사회

    안전망의 사각지대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생활보호 제도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다고 인식하는 정부는 생산적 복지1) 이

    념을 바탕으로 1999년 9월 7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제정하고, 2000년 10

    월 1일을 기해 시행하였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빈곤의 책임을 개인에게

    만 돌리지 않고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복지국가 이념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헌법 제34조에 명시된 생존권적 기본권에 근거하여 최저생계비 수

    준 이상의 국민생활을 보장하여야 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법률상의 의무를

    명시하고, 이와 같은 수준의 생존권은 국민들의 권리임을 분명히 하고 있어

    기존의 국가의 재량에 의한 자선적 생활보호급여에서 법적인 보장을 받는 권

    리성 급여로 전환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문진영, 2002).

    그러나 사람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시행됨에 따라 근로무능력자 뿐만

    아니라 근로능력자가구까지 모두 다 최저생활을 보장받고 있다고 믿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실상은 그러하지 못하다. 각 분야의 전문연구자로 구성된 「국1) 생산적복지는 정부가 소외계층들이 자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기 위해 복지 정책을 쓸때를 말한

    다. 예로 들면 일자리창출, 서민주택건설 등 사회적 약자들의 세 감면 등을 생산적 복지를 위한 정책

    이라고 할 수 있다.

  • - 2 -

    민기초생활보장평가단」조사에 따르면 상당수의 근로무능력자들이 여전히 기

    초보장수급자에서 제외된 채 어렵게 살아가고 있고, 탈락자 가구의 3/4가량이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생활보

    장제 수급신청을 냈다가 심사에서 탈락한 가구의 77.3%가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에 머무르고 있고, 이중 23.9%는 최저생계비의 절반에도 미달하는 것으

    로 조사됐다. 이러한 가구들이 탈락한 사유를 조사한 결과 부양의무자 기준

    미달이 45.3%로 가장 많고, 그 밖에는 소득기준 미달 17.1%, 재산기준 미달

    13.2%순으로 나타났다(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평가단, 2001).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 가구의 63%가 자신들이 탈락된 것 자체를 부

    당하다고 생각하고, 특히 탈락사유가 부양의무자 기준인 경우 탈락을 부당하

    다고 보는 비율이 73.8%나 됐다는 데 있다. 이후 매년 기초수급자 선정기준

    이 다소 완화되었으나 아직도 현실과 상당한 괴리감이 있고, 그것이 많은 수

    급권자를 방치하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노무현 정부는 복지이념을 참여복지2)로 정하고 ① 저소득층 위주를 탈피하여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소득보장 위주에서 의료 ․ 보육 ․ 주거 ․ 환경 ․ 문화 등 의 ․ 식 ․ 주 전반의 생활권 보장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는 복지의 보편주의, ② 복지는 1차적으로 국가의 책임이며, 외교 ․ 안보 등과 함께 국가가 당연히 공급해야 하는 인프라이자 공공재라는 국가의 책임주의, ③

    정책형성 과정에 주체로서 참여하며, 서비스의 선택 ․ 제공 및 평가과정에 이용자(참여주의)로서 참여하고, 보건 ․ 복지에 대해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누릴 능력을 계발함으로써 더 많은 혜택을 누림을 지향하는 국민의 참여 등 세 가

    지 복지이념을 제시하였다(보건복지부, 2003). 이와 같은 참여복지의 시각에

    서 보는 복지와 경제, 분배는 선순환 관계로서 이원적 ․ 대립적 구조가 아니

    2) 노 당선자가 사회복지분야 공약의 기본 개념으로 내세운 것으로서, 그간의 복지시책이 저소득층을 중

    심으로 하는 것이었다면 참여복지는 중산, 서민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수요자인 국민이 적극 참여하여 국민이 원하고 주문하는대로

    이루어지는 정책이다.

  • - 3 -

    며, 복지증진을 통해 경제가 성장하고 경제성장을 통해 복지가 증진 될 수 있

    다는 것이다.

    한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연구는 적지 않다. 기존의 연구는 제도

    적 ․ 양적 연구에 치우쳐 있다. 다시 말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대상, 급여, 전달체계 등의 문제점을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기초수급자 선정

    기준의 문제점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전반에 있어서 기초수급자 복지서비스 전

    달에 제일 중요하게 작용하는 수급자 선정기준에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제1장 서론으로 연구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공공부조의 개념과 필요성,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성립배경과 제도추진 경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 등을 고찰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소득인정액기준, 부양의무자 기준, 특례기준 등의 사례

    를 분석하고, 제4장에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

    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결론을 맺었다.

    한편 본 연구는 사례연구이다. 2000년 10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국민기초수급자로 책정되어 복지서비스를 지급받고 있는 충남 서천군 수급권자

    중에서 기초 수급자 책정에 있어서 법적으로 문제점이 발생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사례의 연구를 위한 분석 틀은 사례개요, 대상자 생활실태, 개

    입과정, 문제 진단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 밖에 국내외 관련 서적과 각종 문헌

    과 통계자료, 조사자료,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참고하였다.

  • - 4 -

    제2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수급자 선정기준 관련논의

    제1절 공공부조의 개념과 필요성

    1. 공공부조 개념

    사회보장제도 가운데 하나인 공공부조는 사회보험과 함께 사회복지제도의

    주요한 부분으로 국민의 최저 생활보장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생활능력을 상

    실한 사람들에 대하여 국가가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촉진하여 절대적인

    빈곤에 대한 제도적인 대처방법이다. 공공부조의 용어는 Public Assistance

    (미국), National Assistance(영국), Socialce(프랑스)와 같이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적 부조, 사회부조, 국민부조, 빈곤구제정책, 무

    기여-소득보장정책 등의 이름으로도 일컬어지고 있으나, 1995년 사회보장기

    본법이 제정되면서 공식적으로 그 명칭을 ‘공공부조’라 하게 되었다.

    공공부조제도는 생활유지능력이 없는 빈곤한 생활상태에 있는 자들을 대상

    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빈곤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자산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이 자신의 근로능력으로 독립적인 생활

    을 할 수 있는지 또는 부양할 친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조사를 실

    시하고 있다. 따라서 자산조사와 상태조사를 실시한 후에 그 결과에 따라 서

    로 다른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서로 다르게 처분하고 있다.

    공공부조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대한 가족이나 민간에 의한 원조

    인 사적 부조가 아니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공공기관에 의한 원조이

    다. 따라서 원조를 제공하는 주체가 다르다.

    공공부조에 대한 개념은 연구자와 기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르면 공공부조란 사회보장제도

    의 하나로서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 국가 및 지

  • - 5 -

    방자치단체의 책임 하에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

    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그리고 공공부조를 국가책임 하에 도움을 요하는 사람들에게 무기여 급여를 제공하는 제도”라고 정의하기도 하고(장인협, 1992: 188), 또한 공공부조

    를빈곤한 생활상태에 있으며 자신의 능력으로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요보호상태에 있는 자의 신청 또는 청구에 근거하여, 국가가 정한 자립생활을

    하기에 부족한 생활수요에 대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전액공부부담에 의

    해 실시하는 보조적 급부이며, 사후적으로 대응하는 내셔널 미니엄을 달성하

    기 위한 최종적인 공적구제제도”라고 정의하기도 한다(장동일, 1995: 13).

    그리고 공적 부조는사회보험과 함께 국민의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에 대한 보장을 목적으로 하며, 더욱이 생활능력을 상실한 자들과 일정한 생

    활수준에 미달한 자들에 대하여 국가가 그들의 최저생활과 자립촉진을 목적으

    로 하여 수립한 가장 직접적이며, 최종적인 경제적 보호제도”라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최일섭 ․ 이인재, 1996). 또한 “공공부조 프로그램은 가난한 사람, 노인, 시각장애인, 다른 장애를 가

    진 사람같이 도움을 받아 마땅한 가난한 사람들과 아동을 양육하는 편모 또는

    편부가정들이 각자의 현재의 상황이 개선될 것 같지 않고, 그리고 다른 원조

    수단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이러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제공되는 공

    공 프로그램”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DiNitto, Diana M.& Dye, Thomas R,

    1987: 87).

    이상의 서로 다른 정의를 참고하여 공공부조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

    다. 공공부조란 국가가 빈곤한 국민들의 최저생활을 국고에서 무기여 급여를

    통해 보장하는 제도이며, 이는 일정한 수준 이하의 소득, 재산을 소유하고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으로 독립적인 생활이 불

    가능하거나 부양의무자의 도움을 받을 수 없어 보호를 필요로 하는 상태에 있

    는 자를, 국가가 신청에 근거하여 또는 직권으로 자산조사와 상태조사를 실시

  • - 6 -

    한 후, 수급자로 결정되면 이들에 대해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기초생

    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적인 최후의 안정망이라 할 수 있다.

    2. 공공부조의 필요성

    빈곤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한다. 공공부조는 빈곤이 사회문제로 대

    두된 이래 오랫동안 국가가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책으로 행하여 왔다.

    공공부조가 일찍이 발전하기 시작한 서구에서는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종교기관과 민간에서 자선적 또는 구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은 종교개혁 이래 쇠퇴해져가다가 구빈법이 탄생한 이래

    국가가 공적인 차원에서 국민의 세금을 재원으로 하는 공공부조를 실시하게

    되었다.

    Rejda(1988: 353-354)는 공공부조를 제공하는 배경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첫째, 빈민은 사회보험 및 기타 공공 소득보장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

    지 못하기 때문에, 공공부조를 통해서 빈민과 그 가족을 보호해주어야 한다.

    둘째, 어떤 사람들은 보조소득을 제공하여 보호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사

    회보험 및 기타 공공 소득보장 프로그램에서 얻어지는 급여가 적절하지 않은

    사람들, 재정 자원이 적거나 없는 사람들, 특별 욕구가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보조소득이 필요하다. 셋째, 어떤 사람들은 최저생활을 유지하기 어렵다. 대표

    적 예가 신체적․심리적․정서적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공공부조를 제공하여 이들의 어려움을 보상해주어야 한다. 넷째, 빈민에 대한 사

    회 가치가 변화했다. 인간 존엄과 관련된 가치는 경제적 관점에서 표현되는

    것이 아니다(노병일, 2001).

    공공부조는 현대 사회보장제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제도이다. 우리나라

    의 사회보장 기본법에 따르면 사회보장은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로 구성된다. 사회보험(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의료보험)은 일차적 안

    전망이라 불리는 반면 공공부조는 주로 이차적 안전망으로 불리며 국민적 최

  • - 7 -

    소한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제도로 평가되고 있다. 공공부조는 빈민

    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실시과정에서 낙인

    화, 근로의욕상실, 복지종속성, 공공재정부담 등과 관련된 문제가 또 다른 해

    결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때문에 공공부조는 꼭 필요한 사회복지제도이다.

    제2절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성립배경과 제도추진 경과

    1.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성립배경

    가. 경제위기의 도래

    IMF 경제위기로 인하여 생계유지가 어려운 저소득층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생활보호, 실업급여, 공공근로, 노숙자보호, 한시생활보호, 생업자금융자 등 사

    회안전망사업 실시되었다. 그러나 많은 저소득층이 사회보장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국가가 모든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을 제도

    적으로 보장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단순생계지원이 아닌 수급자의

    자립자활을 촉진하는 생산적 복지지향의 종합적 빈곤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나. 생활보호법의 문제점 보완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공공부조법인 생활보호법은 건국 이래 일제의 유물인

    조선구호령에 의지하여 오다가 1961년에 군사정권에 의해 법률 913호로 제

    정되었다. 당시 생활보호법은 생계보호만을 불완전하게 실시하다가 1969년에

    가서야 시행령이 제정되었다. 이후 경제성장과 더불어 빈부격차가 사회격차가

    사회 문제화 되고 복지국가 건설이 주창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2

    년, 1997년 각각 법개정과정을 거쳤으나 아직 구빈법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

    고 있었다.

  • - 8 -

    외환위기에 따른 경제 불황과 사회전반의 구조조정 움직임에 따른 초유의

    대량실업으로 인해 빈곤문제가 더욱 악화되는 상황에서, 극빈층과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생활보호제도를 대폭 확충해야 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생활보호법은 보호대상을 인구 통계학적으로 특정 범주의

    사람들만 제한적으로 편협하게 규정하고 있었다. 때문에 사회안전망의 사각지

    대에 놓인 극빈층과 저소득층의 생존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렇듯 외환위

    기에 따른 대량실업을 맞이하여 생활보호법은 2차적 사회안전망으로서의 기

    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그래서 한시생활보호

    법3)이 등장했지만 어디까지나 한시적일 뿐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

    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은 될 수 없었다.

    이에 199년에 정부는 국민에게 인간다운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절대적 빈곤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생산적 복지이념을 바탕으로 동년 9월 7

    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제정함으로써 가족의 부양을 받지 못하는 최저생계

    비 이하의 가구에 대한 최저생활을 제도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종합

    적인 빈곤대책을 마련하게 되었다. 동법은 하위법령 제정 후 2000년 10월 1

    일부터 시행되었다. 이에 기초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지난 40여 년간의

    시혜적 단순보호차원의 생활보장제도로부터 저소득층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여 우리나라에서 가난을 없애려는 복지시책으로의 대전환을 의미하며,

    국가의 보호가 필요한 절대빈곤층의 기초생활을 국가가 보장하되, 종합적 자

    활지원서비스의 체계적 지원을 통해 생산적 복지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그 의

    의가 있다(최정일, 2004).

    2. 기초생활보장제도 추진경과

    생활보호법을 대체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정부의 생산적 복지 이념과

    3) 1997년 말의 외환위기를 계기로 긴박한 실업난에 대처하고자 기존의 생활보호제도를 확대하여 보호한

    제도이다. 그러나 임시방편인 생계지원책으로 이후 보완하여 1999년 9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탄생

    하게 되었다.

  • - 9 -

    시민단체, 정당, 정부 등 전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1999년 9월 7일 제정되

    었고, 1년여 준비기간을 거쳐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즉, 추진경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98년 기본적인 생활을 제

    도적으로 보장해야할 필요성 대두되어 45개 시민단체가「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추진연대회의」를 구성하였고, 1998년 10월 국민회의 이성재의원외 102

    인이 국민생활보장법 발의를 하였다. 이후 1999년 6월 21일 대통령께서 '생

    산적 복지'를 새로운 국정이념으로 채택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방침

    을 밝혔고, 1999년 8월 12일 국회 본회 의결로 1999년 9월 7일 공포되어

    2000년 10월 기초생활보장법이 시행되게 되었다(참조).

    기초생활보장법제정 추진경과

    제 도 주요변화내용

    법 제정

    추진경과

    - 1998년 45개 시민단체가「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추진연대회의」를 구

    성하여 제정 청원

    - 1998년 10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발의(국민회의 이성재의원외 102인)

    - 1999년 6월 21일 대통령께서 '생산적 복지'를 새로운 국정이념으로 채택

    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방침을 밝힘

    - 1999년 7월 국민기본생활보장법 발의(한나라당 김홍신의원외 131인)

    - 1999년 9월 7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공포

    - 1999년 10월 1일 국민기초생활보장추진준비단 발족

    - 1999년 12월 1일 2000년 최저생계비 공표

    - 2000년 2월 17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령․시행규칙 공청회 - 2000년 2월 17일~3월 7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령․시행규칙 입법예고 - 2000년 4월 1일 시․군․구별 기초생활보장추진단 구성 - 2000년 7월 27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령 제정․공포 - 2000년 8월 18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규칙 제정․공포 - 2000년 10월 1일 제도 시행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소개」, 2006.

  • - 10 -

    변경 전(’02년까지) 변경 후(’03년부터)

    - 소득평가액기준 ·········> 소득평가액 ─┐   │   │····>  │  ─┘ 

    ① 소득인정액기준 - 재산기준 ․금액기준 ․실물기준 (주택, 농지, 승용차)

    ─┐   │   │····>  │  ─┘ 

    재산의 소득환산액 (실물기준 폐지)

    - 부양의무자기준 ··················································> ② 부양의무자기준

    제3절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기준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자 선정기준으로서 수급권자의 범위는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또는 부양을 받을 수 없

    는 자로서,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자(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5조 제1항)로 규정하고 있다. 즉 수급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소득인정액 기준과 부양

    의무자 기준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이러한 조건의 수급권자에 해당하

    지 아니하여도 생활이 어려운 자로서 일정기간 동안 이 법이 정하는 급여의 일

    부가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자는 수급자로 본다(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5조 제2항).

    2003년부터 변화된 수급자의 선정기준은 소득인정액 도입에 따라 수급자 선

    정기준이 소득평가액 기준, 재산기준, 부양의무자기준에서 소득인정액 기준, 부

    양의무자 기준의 2개 기준으로 통합하였다(참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기준의 변화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3.

    4) 제3절의 내용은 주로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 2003 ․ 2005 ․ 2006의 내용을 요약 ․ 정리한 것임

  • - 11 -

    1. 소득인정액 기준

    소득인정액은 가구별로 산정된 소득인정액을 가구규모별 최저생계비와 비교

    하여 수급자 선정 및 급여액 결정을 하는 것으로서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과 재

    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말한다(참조).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 - 기초공제액 - 부채) × 소득환

    산율

    =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6.

    소득인정액 기준이란 수급권자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가구별 최저생계비 이

    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로 2006년도 가구별 최저생계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구별 최저생계비(2005, 2006)

    가구규모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2006(원/월) 418,309 700,849 939,849 1,170,422 1,353,242 1,542,3822005(원/월) 401,466 668,504 907,929 1,136,332 1,302,918 1,477,800

    주: 7인 이상 가구의 경우, 1인 증가시마다 189,140원씩 증가(7인 가구 1,731,522원)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6

    가. 소득평가액

    소득평가액은 과 같이 개별가구의 실제 소득에서 가구 특성에 따른

    지출요인과 근로를 유인하기 위한 금액을 뺀 소득금액을 말한다.

  • - 12 -

    소득평가액 산정방식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에 따른 지출요인을 반영한 금품

    - 근로활동을 통해 얻은 소득에 대한 공제액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6.

    여기서 말하는 실제소득이란 근로소득, 사업소득(농업소득, 임업소득, 어업소

    득, 기타 사업소득), 재산소득(임대소득, 이자소득), 기타 소득(사전이전소득, 부

    양비, 공적이전소득), 추정소득을 합산한 금액으로 퇴직금, 현상금, 보상금 등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금품과 교육, 보육, 기타 이와 유사한

    금품을 제외한 금액이다.

    나. 재산의 소득환산액

    2002년까지 1~2인 가구는 3,100만원, 3~4인 가구는 3,600만원, 5인 이상

    가구는 3,800만원의 재산 소유자까지만 보호하여 왔으나, 2003년부터는 재산

    의 소득환산제를 시행하고 있다.

    재산의 소득환산제란 기본재산 규모를 초과하는 일반재산, 금융재산(생활준비

    금 300만원 공제), 승용차 등 재산금액을 소득으로 환산하여 수급자의 소득에

    합산하는 제도이다(참조).

  • - 13 -

    부양의무자가구

    수급권자가구

    부양

    능력

    판정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소득

    재산의

    소득

    환산액

    소득

    재산의

    소득

    환산액

    소득

    재산의

    소득

    환산액

    소득

    재산의

    소득

    환산액

    소득

    재산의

    소득

    환산액

    소득

    재산의

    소득

    환산액

    1인

    없음 50

    35

    84

    47

    113

    57

    140

    67

    162

    74

    185

    82미약50~10

    084~13

    4113~1

    63140~1

    91162~2

    13185~2

    35

    있음 100 134 163 191 213 235

    2인

    없음 50

    47

    84

    59

    113

    69

    140

    79

    162

    86

    185

    94미약50~13

    484~16

    8113~1

    97140~2

    25162~2

    46185~2

    69

    있음 134 168 197 225 246 269

    3인

    없음 50

    57

    84

    69

    113

    79

    140

    89

    162

    96

    185

    104미약50~16

    384~19

    7113~2

    26140~2

    53162~2

    75185~2

    98

    있음 163 197 226 253 275 298

    4인

    없음 50

    67

    84

    79

    113

    89

    140

    98

    162

    106

    185

    114미약50~19

    184~22

    5113~2

    53140~2

    81162~3

    03185~3

    26

    있음 191 225 253 281 303 326

    5인

    없음 50

    74

    84

    86

    113

    96

    140

    106

    162

    114

    185

    122미약50~21

    384~24

    6113~2

    75140~3

    03162~3

    25185~3

    47

    있음 213 246 275 303 325 347

    6인

    없음 50

    82

    84

    94

    113

    104

    140

    114

    162

    122

    185

    130미약50~23

    584~26

    9113~2

    98140~3

    26162~3

    47185~3

    70

    있음 235 269 298 326 347 370

    2006년도 부양능력 판정기준표(재산의 소득환산액 기준)

    (단위 : 만원)

    주: 부양능력 판단 : ‘부양의무자가구 재산의 소득환산액’과 ‘수급권자가구 및 부양의

    무자 가구의 최저생계비합의 100분의 42’를 비교하고, 부양의무자가구의 실제소

    득을 기준으로 판단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6.

    2003년부터는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과 수급자의 실제소득을 합산한

    금액(소득인정액)이 수급자 선정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생계비 지급기준으로도

    활용된다.

  • - 14 -

    소득환산제의 시행으로 현재 소득이 낮으나 재산이 기준을 다소 초과하는 저

    소득 계층의 보호범위가 현행 재산기준으로 볼 때 약 1.5배 확대되었다. 2002

    년에는 4인 가구 기준으로 최고 3,600만원의 재산보유자까지 보호하여 왔으나,

    2006년도에 공제되는 수급권자 재산범위특례 규정에 있어서는 노인, 중증장애

    인 등 근로능력이 없는 자로만 구성된 가구는 소득환산에서 제외하는데 있어 단

    재산가액이 6,000만원 이내로, 금융재산이 지역별 기본 재산액 이하이고 소득

    환산율이 100% 적용되는 승용차가 없는 가구에 한하여 특례규정을 두고 있다.

    소득환산율은 일반재산의 경우에는 지역별 전세가격 등 재산수준, 신규 수급

    자 규모 등을 감안하여 기본재산액을 초과하는 일반재산을 2년 동안에 최대한

    사용하는 경우의 월 4.17% 환산율을 적용하며, 금융재산의 경우 현금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재산의 1.5배 수준의 월 6.26% 환산율을 적용

    하고, 승용차를 보유하는 경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 보호하기 곤란하다

    는 현재의 국민 정서를 감안하여 월 100% 환산율을 적용된다(참조).

    소득환산율 산출방식

    재산의 종류 일반재산 금융재산 승 용 차

    소득환산율 월 4.17% 월 6.26% 월 100%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6.

    2. 부양의무자 기준

    부양의무자 기준의 규정에 있어서 다음의 요건에 해당하는 자로서 적용을

    한다(기초생활보장법 제5조, 시행령 제4조․제5조). ① 부양의무자가 없는 경우

    ②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는 경우

    ③ 부양의무자가 부양능력이 미약한 경우로서 수급권자에 대한 부양비 지

  • - 15 -

    부양의무자 유 부양능력 유 부양이행 부양의무자기준 X

    부양불능․기피 등 부양의무자기준 ○

    (부양능력 미약) 수급권자에 대한 부양비 지원을 전제로 선정 부양의무자기준 △

    부양능력 무 부양의무자기준 ○

    부양의무자 무 부양의무자기준 ○

    원을 전제로 부양능력이 없는 것으로 인정하는 경우

    ④ 부양능력 있는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요컨대 부양능력이 있는 부양의무자로부터 부양을 받고 있는 가구는 수급권

    자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참조).

    부양의무자 기준의 적용 도해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006.

    3. 특례기준

    가. 재산범위특례(수급권자 재산범위의 특례)

    재산범위특례 적용대상자로는 노인, 중증장애인 등 근로능력이 없는 자로만

    구성된 가구는 소득환산 대상에서 제외(단, 재산가액이 6,000만원 이내로, 금

    융재산이 지역별 기본재산액 이하이고 소득환산율이 100% 적용되는 승용차

    가 없는 가구에 한함)된다. 지역별 기본재산액은 대도시 3,800만원, 중소도

    시 3,100만원, 농어촌2,900만원이다. 적용대상자에 있어서 근로능력이 없는

  • - 16 -

    자로는 18세 미만의 자, 65세 이상의 자(다만, 종전 노령기준에 의하여 근로

    능력이 없는 수급자로 인정된 경우에는 64세도 포함), 임산부(임신 중에 있거

    나 분만 후 6월 미만의 여자),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촉진법 시행령 제4

    조에 의한 중증장애인,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질병 또는 부상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질병, 부상 또는 그 후유증으로 3월 이상의 치료 또는 요양이 필요

    한 자, 공익근무요원 등 법률상 의무를 이행중인 자를 말한다.

    나. 의료급여 특례

    의료급여 특례 적용대상자로는 실제 소득에서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지출

    되는 의료비를 공제하면 수급자 선정요건에 해당하나, 수급자 선정 이후에는

    공제 대상 지출이 발생하지 않아 소득일정액이 최저생계비를 초과하는 가구에

    해당된다.

    급여내용으로 의료급여는 지속적인 의료비 지출을 요하는 가구원 개인에 대

    해서만 지급한다. 즉 1종 의료급여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희귀

    난치성 질환자와 2종 의료급여로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희귀

    난치성 질환을 제외한 기타 질환자를 말한다.

    다. 교육급여특례

    교육급여 적용대상자로는 실제소득에서 중․고등학생 학비(입학급, 수업료)로 지출되는 비용을 공제하면 수급자 선정요건에 해당하나, 수급자 선정 이후에

    는 공제 대상 지출이 발생하지 않아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를 초과하는 가

    구가 해당된다.

    급여내용으로 교육급여는 해당 학생 개인만 지급하고, 해산급여, 장제급여는

    교육급여 특례수급자가 출산 또는 사망 시 지급(구민건강보험법에 의하여 해

    산비, 장례비를 지급받는 수급자는 해당금액을 차감하여 지급)된다.

  • - 17 -

    라. 자활급여 특례

    자활급여 특례 적용대상자로는 수급자가 자활근로, 자활공동체, 자활인턴 등

    자활사업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로 인하여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를 초

    과한 경우에 해당된다.

    기준초과의 판정시점은 자활사업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로 인하여 3개

    월 평균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을 초과하는 시점이므로 그 다음달부터 자활급

    여 특례자로 선정(다만, 보장기관이 자활사업을 실시하지 못하는 달은 평균산

    정기간에서 제외)된다.

    즉 일반수급자에서 자활급여 특례자로 지정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생

    계, 주거급여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지급되고 나머지 급여는 해당 수급자

    가구에 계속 지급하며, 전월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초과하는 경우는 당월

    생계, 주거급여 지급하지 않고 전월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경우는

    당월 생계, 주거급여를 지급한다.

    급여내용으로 생계, 주거급여 중지된다. 단, 자활급여특례자를 보장기관의

    귀책사유로 자활사업에 참여시키지 못하거나 사업기간 단축 등 부분적으로 실

    시되어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이하인 경우는 지급(수급자 본인의 귀

    책사유로 미 참여시는 제외)한다.

    생계, 주거급여 지급시 전체 가구원수 기준으로 급여액 산정하고, 자활급여

    는 해당자 개인에 대하여 자활근로, 자활공동체, 자활인턴 등에 참가할 수 있

    도록 자활급여를 계속 지급한다.

    자활특례기간은 자활사업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로 인하여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을 초과하여 생계급여 등을 중지한 달로부터 3년간으로 한정한다.

  • - 18 -

    제3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기준의 사례 분석

    제1절 소득인정액기준 관련 사례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사례에 있어서 소득인정액과 관련하여 2000

    년 10월 1일 이후에 선정된 수급자의 소득평가액 및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기

    준하여 책정 및 관리를 해오면서 문제가 된 일용근로자 소득문제, 사전이전소

    득 문제, 재산의 소득환산의 문제점 등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1. 소득평가액 기준

    가. 사례개요

    1년 전 남편과 이혼하여 임시고용직에 근무하며 자녀를 부양하고 있는 여

    성이 가장인 모자가정 사례.

    나. 생활실태

    수급대상자 나A씨는 '99년 1월경 자녀는 본인이 양육하기로 하고 남편과

    협의 이혼하고 친정집에서 와서 자녀를 부양하고 있으나 허리 디스크로 심한

    노동은 할 수 없어 자녀의 부양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특히, 자녀 허B는 가슴뼈가 휘어서 심장을 압박하여 수술을 하여야 하나 수

    술비가 부족하여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수술비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현재 거처는 시골 친정집도 생활이 어려워 수급자 혜택을 보고 있는 관계로

    부양의무자인 모친으로부터도 자녀의 수술비 등을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처지

  • - 19 -

    였다.

    또한 시골집의 주거 환경이 열악하여 생활이며 아이들 학교 다니는 문제 등

    으로 큰 불편을 겪으며 지내고 있었다. 이후 재차 면사무소에 방문하여 자녀

    의 병원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모색 하던 중, 자녀의 부족한 수술비를

    충청남도 모자가정 지원금 100만원을 지원 받게 되어 자녀의 수술을 마치게

    되었다.

    그러나 자녀의 수술이 잘되어 한시름을 놓았으나 그것도 잠시 세대주 나A

    씨는 계속하여 집에서 지낼 수가 없어 취업 문제 등을 상담하여와 모자가정

    기술교육 또는 고용촉진 직업훈련 등을 받아서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 좀더 나

    은 여건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떻겠냐고 권유하였다. 이에 나A씨는

    앞으로 기회가 있으면 직업 훈련 받을 것임을 의사 밝히고 돌아갔다.

    이후 나A씨는 직업훈련(모자가정 직업훈련-피부미용)을 받으며 그 동안 일

    용직으로 있던 (주)동방아그로 부여공장을 2001. 6.22자로 퇴직하게 되었다.

    계속하여 3개월간 피부미용 훈련과정을 수료한 후 미용실이나 또는, 개인적으

    로 피부 미용 관리를 하면서 경험도 쌓고 앞으로 그런 쪽에서 취업을 했으면

    하고 원하고 있으나 아직 시골에서의 취업문이 좁으며 보수도 적어서 앞날이

    불투명하나 희망을 갖고 수료할 때까지 열심히 다닐 것을 권유하여 수료를 마

    치게 되었으나, 자녀의 2차 수술관계로 재취업을 하지 못하고 자녀의 교육관

    계 등으로 인근 면에 이사하면서 조그만 연립주택을 장만하고 전에 다니던 직

    장에 재취업하여 자녀를 부양하며 지내고 있다.

    수입원은 몸이 허약하여 자주 쉬는 관계로 50만원 ~ 70만원미만으로 수입

    원이 일정하지 않아 부족분은 정부의 생계비지원 통해 충당하고 있다.

    다. 개입과정

    - 2000년 9월 : 기초수급자 신청

    - 2000년 10월 : 기초수급자 책정(모자가정)

  • - 20 -

    - 2001년 5월 : 직업훈련 상담

    - 2001년 6월 : 미용 직업훈련학원 입원

    - 2004년 11월 : 충남공동모금회 학습장비 지원대상자 선정조사

    라. 문제진단

    현재 세대주 나A씨는 (주)동방아그로에서 근무(디스크치료 중), 자녀인 허B

    는 심장질환으로 2차에 걸쳐 수술을 하였으며(서천고등학교 재학), 막내 허C

    는 동강중학교에 재학하나 허리디스크 초기로 물리치료 받고 있어 가족모두가

    질병을 앓으며 지내고 있는 저소득 모자가정이다. 이에 장기적 의료비 경감방

    안으로 2종에서 1종으로 변경보호가 요구되는 가정이나 현행 의료법으로 해

    결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남는다.

    특히 세대주는 경미한 질병을 앓고 있어 치료기간이 명시된 진단서가 제출

    은 어려우나 경제활동을 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직장을 다니다 쉬면

    은 전 월의 소득원을 적용하는 현 소득적용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본인의 의지도 문제가 되어 직장을 다니다 쉬면서 진단서를 제출하면 보충급

    여를 제공하여 생활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나태를 조장하는 한 원

    인을 국가가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재산의 소득환산액기준

    가. 사례개요

    승용차 및 화물자동차를 이전하였으나 명의가 남아있어 어렵게 선정된 사례.

    나. 생활실태

    수급대상자 세대주 김A씨는 첫 번째 처(권B)와는 1999년 10월에 협의 이

    혼하고, 두 번째 처(박C)는 1999년 12월에 재혼하였으나 2001년 고물상을

  • - 21 -

    비롯하여 모든 재산 팔아서 가출하였다. 그 당시 고물상(서천고물상)을 운영하

    였으나, 처(박C)가 재산. 수입 및 지출 등 모든 것을 관리하고 있었다. 당시에

    도망할 때 김A씨의 명의로 된 승합자동차 및 화물자동차 8대를 누군가에게

    명의 이전 없이 팔았으나 고스란히 김A씨 명의로 되어 있어서 계속 체납자로

    남아있었다.

    또한 건강보험료 역시 장기간 체납(1999년 5월 ~ 2005년 3월 현재까지)으

    로 체납액은 3,032,590원이며 보험료 미납으로 질병이 중한데도 병원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였다. 세대주 김A씨는 고물상을 운영 할 당시에 자기

    집에서 일하던 남산리 김D씨의 집에서 신세를 지다가, 군산지역 고물상에서

    ’04.9월 ~ 11월까지 경비로 일을 하기도 하였으나, 당뇨 합병증으로 숨이 가

    쁘고 힘이 없어서 더 이상 일을 할 수가 없어서 다시 서천읍 화금리로 다시

    이사와 김E씨의 월 세집 방1칸에서 신세를 지고 있었다.

    특히 자(김E)는 월 20만원씩 주기로 하고 친분이 있는 할머니가 키우고 있

    으나, 양육비 4개월 이상 밀린 상태이고 수급자로써 지원을 받으면 아이를 데

    리고 와서 키울 계획이었다.

    다. 개입과정

    - 2005년 3월 16일 : 기초수급자 신청

    - 2005년 3월 23일 : 금융재산조회 및 소득, 재산조회

    - 2005년 3월 28일 : 기초수급자 책정

    라. 문제진단

    처음 수급자 신청시 ct는 몸을 심하게 떨고 있었으며, 한눈에 보기에도 질

    병이 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차량(8대) 문제는 사실조사 확인하

    여 처리하였으나, 재무담당에서 체납자를 보호 한다는 것에 대하여 반발이 있

    었으나 납득시키고 수급자 책정을 통하여 중증인 알콜 치료를 도와 건강이 호

  • - 22 -

    전되어 비정기적으로 고물 수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ct는 다시 알콜을 시작하고 계속적인 질병 재발 및 악화 등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요구되었다.

    제2절 부양의무자 기준 관련 사례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사례에 있어서 부양의무자 기준과 관련하여

    부양의무자가 없는 경우,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는 경우, 부양능

    력이 있어도 부양받을 수 없는 경우 등의 선정사례를 기준하여 독거노인, 가

    정위탁아동, 중증장애인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문제점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1. 부양의무자가 없는 경우

    가. 사례개요

    70평생을 부양자없이 살아온 무의탁독거노인의 사례.

    나. 생활실태

    기초수급대상자 백A씨 미혼으로 70평생을 홀로 지내온 무의탁 독거노인으

    로 현재는 관절장애로 거동이 불편한 상태로 지내고 있다.

    백A씨는 거동이 어려워 대부분 하루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있으며, 가끔씩

    마을 부녀회장이 왕래하여 교회, 시장, 병원 외출시 모시고 다니며 보살펴 주

    고 있다.

    2003년도 9월초 생활실태 조사차 방문하였을 때 거동이 그다지 불편하지

    않아 문밖출입 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었다.

  • - 23 -

    당시의 어려움은 구옥 건물로 비가 오면 습기가 많아 지내기가 곤란하고 거

    동이 불편하여 부식 등을 해결하여 지내기가 곤란하다고 하여, 계속하여 홀로

    지내기가 어려우니 군내의 노인요양시설에 들어가 여생을 보내는 것을 권하니

    생각해보겠다고 하며 아직은 그다지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같아 몇 가지

    궁금한 점을 물어본 후 상담을 종결하고 돌아왔다.

    이후 이장을 통하여 자주 요양시설 입소를 권유하였으나 별 반응이 없어 더

    이상 권유하지 않고 필요한 밑반찬서비스를 제공하여 부식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었다.

    2005년 2월 친척의 도움으로 잠시 서울로 전출하여 지내다가 다시 이곳으

    로 내려와 예전처럼 마을 부녀회장의 도움을 받으며 지내고 있는 실정이다.

    백A씨는 전 ․ 답 및 주택 또한 전무인 자로 주위의 도움에 의존하여 생활하고 있으며, 주택은 구옥으로 낡아 긴급 보수를 요하나 재산 및 근로 능력이 없어

    보수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2005년 금융자산조회 결과 금융재산 7,000,000원이 정기예탁 되어있어 이자

    수입(금융재산이율 3.8%) 28,205원 적용하였으며, 소득은 무료임차료 33,000

    원을 적용하였다.

    다. 개입과정

    - 1998년 9월 : 장애인등록

    - 2000년 9월 : 기초수급자 신청

    - 2000년 10월 : 기초수급자 책정

    라. 문제진단

    무의탁 독거노인 백A씨는 슬하에 자녀가 없고 ‘98년 9월 장애등록이후 거

    동장애로 홀로 일상생활을 자유스럽게 할 수가 없게 되자, 기초급여 및 마을

    주민들의 도움으로 생활하고 있다. 담당자의 몇 차례 요양시설을 권유하였으

  • - 24 -

    나 예전의 좋지 않은 인식이 몸에 배어 계속하여 혼자 지내기를 좋아하여 편

    히 여생을 보낼 수 있는 환경이 있음에도 요양원 입소를 거절하여 주위의 안

    타까움을 사고 있다.

    따라서 홀로 지내는 독거노인을 위하여 요양원 정원이 초과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설득하여 입소토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요양원의

    확대도 요구된다.

    또한 요양시설에 입소하지 못하여 마을 주민들의 도움에 의하여 전적으로

    생활하는 대상자에게는 보호자에게 보호수당의 지급 필요성이 제기된다.

    2. 부양능력이 있어도 부양받을 수 없는 경우

    가. 사례개요

    배우자와 자녀의 가족관계가 단절된 기초수급자 선정사례.

    나. 생활실태

    기초수급대상자 이A씨는 전답이 전무하고 부양자가 있으나 도움을 전혀 주

    지 않아 2004년 2월말 어려움을 있음을 이장님을 통하여 민원을 접수하게 되

    었다.

    수급대상자 이A씨는 슬하에 2남2녀의 자녀가 있으나 배우자와 가정불화로

    인하여 8년 전부터 헤어진 후(사실상 이혼한 상태며 호적상 부부관계 등재됨)

    현재까지 왕래가 없어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자녀들도 모친이 부친과 불화를 일으키자 전혀 왕래가 없어 사실상

    가족관계가 단절된 상태이다.

    2년 전까지 공공근로를 통한 어렵게 생계를 꾸려왔으나 연령관계로 지금은

    근로를 할 수가 없어 이웃주민의 도움으로 근근하게 생계를 연명하고 있는 실

    정이다.

  • - 25 -

    특히 2003년 12월 충청남도 공동모금회로부터 한시적 생계비를 지원 받는

    등 어려운 저소득 가정으로 기초보장을 통한 자활근로 및 의료혜택을 간절히

    바라고 있었다.

    2004년 2월 자녀의 소득을 조회결과 출가한 1녀는 350만원, 2녀는 380만

    원의 소득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출가한 자녀는 당시 30%부양비를 적용하

    게 되어있는데 가족관계가 단절되어 부양비 0원으로 적용하였으며, 또한 1남

    은 단순노무 100만원, 2남은 회사원 160만원의 소득원이 확인되었다. 여기서

    2남은 소득원은 부양비 판정기준으로 보면 부양능력 있음으로 적용되어 부친

    이 수급자로 보호를 받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왕래가 없고 마을 주민들의 인우보증확인서 제출로 자녀의 부양비를

    모두 0원으로 적용하여 수급자 보호를 받게 되었다. 소득원으로 사전이전소득

    5만원과 재산으로 구옥 건물 평가액 5백만원을 적용하였다.

    다. 개입과정

    - 2003년 2월 : 기초수급자 신청

    - 2003년 3월 : 기초수급자 책정(자활근로 조건부수급자)

    - 2004년 4월 : 집수리사업실시

    - 2005년 1월 : 조건부수급자 중지(연령초과)

    라. 문제진단

    오래전(8년)부터 배우자 및 자녀들과 가족관계가 단절되어 왕래가 없어 2년

    전 공공근로를 통하여 생계를 유지해 왔으나 작년부터 연령관계로 일자리를

    찾지 못하여 소득이 없게 되자 마을 주민의 도움으로 근근하게 생활하고 있어

    기초보장 보호(조건부수급자)를 통한 자활근로 및 의료급여를 보호를 받고 있

    는 가정이다.

    2005년 4월11일 배우자와 전화상담 한 결과 알콜 질환으로 배우자 및 자

  • - 26 -

    녀를 부양하지 못하고 가족들 모두한테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자녀들 역

    시 생활이 어려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하면서 왕래를 하지 못하는 사

    실을 확인하였다.

    현 기초보장법 규정에 의하면 부양자가 부양능력이 있으면서 부양하지 않을

    경우 부양비를 징수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나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데 문제가

    있다. 즉 현실적으로 전혀 왕래하지 않은 부양자와 수급권자의 가족관계 단절

    의 문제를 어떻게 규정하는가의 문제이다.

    제3절 특례기준 관련 사례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사례에 있어서 특례기준과 관련하여 수급권

    자 재산범위특례, 개인단위 보장에 따른 수습권자 범위의 특례인 의료급여, 교

    육급여, 자활급여 특례 등의 선정사례를 통하여 대상자의 선정에 따른 특례대

    상자의 문제점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1. 재산특례 기준

    가. 사례개요

    근로능력이 없는 노인세대에 관련된 사례

    나. 생활실태

    노인세대로 근로능력이 없으며 슬하에 자녀들이 있으나 모두 사업 실패 및

    뚜렷한 직장이 없어 부양능력이 미약하고, 세대주 나A는 건강이 매우 좋지 않

    아 의료 지원이 필요한 세대임. 소득원은 처의 임시근로 100천원으로 파악 되

    었다.

    본인의 금융재산은 정보통신부(생계정기예금) 5,000천원 - 300만원(기본공

  • - 27 -

    제) = 2,000천원, 처의 조B : 총 금융재산 정보통신부(생계정기예금) 20,000

    천원, 자녀인 나C 세대의 총 금융재산은 교보생명(개인연금저축21C슈퍼골드

    연금보험 개인정액형) 4,479천원, 자녀인 나D 세대의 총 금융재산 삼성생명

    (뉴기쁨둘행복셋연금보험개인1종) 4,832천원, 자녀인 나E 세대 총 금융재산

    정보통신부(저축예금) 8,671천원 과 동량동(온라인자립예탁금) 4,049천원으로

    부양비 37천원 적용하여 소득사항으로는 책정기준에 부합되었으나, 일반재산

    에 있어서 건물, 토지, 금융재산 등의 총 재산가액이 38,211천원 재산기준을

    초과하였다. 그러나 재산특례기준을 적용하여 수급자 책정기준에 적합하여 보

    호를 받고 있는 노인세대이다.

    다. 개입과정

    - 2004년 7월 : 기초수급자 신청

    - 2004년 7월 : 금융재산 및 소득조회

    - 2004년 7월 : 기초수급자 책정(재산특례)

    - 2005년 6월 : 본인 및 부양의무자 금융재산 및 소득조회

    라. 문제진단

    근로능력이 없는 노인세대이나 재산이 일반재산 기준 2,900만 원 이상 초

    과 되었으나 재산특례기준에 적합하여 보호를 받고 있다. 슬하에 3남 2녀의

    자녀를 두었으나 별다른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본인 소유의 건물, 대지

    외의 약간의 금융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생활하는 데 어려움과 노인성 질환

    등으로 수급자 보호를 필요로 하여 이에 따른 보호를 받고 있다.

    당시의 본인 소유의 금융재산은 2,400만원으로 이자 수입은 적지만 기초수

    급자로서는 상당한 금융자산을 소유하고 있어 현실의 정서로는 이해하기 어려

    운 특례기준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사례이다.

  • - 28 -

    2. 의료특례 기준

    가. 사례개요

    갑작스런 급성백혈병 진단으로 인해 의료비 혜택을 받고자 의료특례 신청을

    하였던 사례.

    나. 생활실태

    의료특례 1종 대상 김A는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C93)으로 희귀 난치병으

    로 2004.6.12일 진단 후 2004.6.14치료를 시작했으며, 카톨릭 대학교 성모병

    원에서 치료중인 상태며 현재 항암치료 3번을 받음. 예상치료기간 6 ~ 12개

    월(이후 최소 3년 관찰이 필요) 으로 예상치료비는 약 3,000 ~ 3,500만원으

    로 2004.6.10일부터 15일까지 6일간 치료기간 치료비 2,144,495원 납부하였

    으나 계속될 진료비부담으로 인하여 의료급여를 신청한 세대이다.

    가족은 남편인 김B는 서천경찰서 경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또한 자녀인

    김C는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현재 2차례 수술을 받았다. 후유증으로 간질 증

    상이 있으며 이모가 간병하고 있다.

    부양의무자인 남편의 부모 김K(친부모)는 전남 장흥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딸이 어린이집을 운영하다 실패하여 건물 경매 건을 낙찰

    받았으나 채무가 1억 4천 이상으로 실제 재산은 없으며, 시골에서 농사를 하

    면서 본인들의 생활유지를 어렵게 하고 있는 관계로 진료비를 지원해주기 어

    려운 가정형편이다. 따라서 부양의무자 소득, 재산기준은 부양능력 없음으로

    판정되었다.

    장인인 박P는 장항소재 그랜드예식장을 운영하였으나 부도로 인해 넘어가

    고 소유하고 있는 건물과 토지는 가압류 및 경매진행상태로 채무가 14억 1천

    5백만으로 재산인정액은 부채 7억8백만으로 채무가 너무 많아 금융기간을 방

    문할 수없어 등기부등본 채무서류를 제출하였으며, 채무 및 부도로 인해 외부

  • - 29 -

    출입도 거의 없이 생활하고 실정이다.

    남편은 경찰관이나 부채관계로 봉급 등이 압류상태이다. 주거는 아파트에서

    무료임차하고 있으나 채무관계로 경매가 진행 중이다.

    다. 개입과정

    - 2004년 7월 : 의료급여 신청

    - 2004년 7월 : 본인 및 부양의무자의 금융재산과 소득조회

    - 2004년 7월 : 의료특례 1종으로 수급자 책정

    라. 문제진단

    희귀난치성질환으로 의료비 지출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근로소득으

    로 인해 어렵게 책정된 가구이다. 급여신청자의 의료비 지출 예상금액 등을

    서류로 제출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으며 진단 시까지 소요되는 각종 검사비

    용 등은 사후에 보상받을 방법이 없어 수급자 책정 시까지 상당히 많은 의료

    비용이 소요된다.

    3. 교육특례 기준

    가. 사례개요

    모친의 폐결핵 및 늑막염 질환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가정

    의 자녀의 교육급여 선정사례.

    나. 생활실태

    교육특례대상자 최A의 가족은 부모님과 3형제로 구성되었으며, 주거환경은

    이모집 가옥을 무료임차여 지내고 있다. 특히 모친은 폐결핵, 결핵성 늑막염

    (A162) 매일 병원에 다니며 약물가료를 하면서 지내고 있는 실정이다.

  • - 30 -

    모친의 부양의무자 친정부모는 종천면에 거주 하면서 국가유공자연금(애국

    지사를 제외한 연금)으로 생활하는 관계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기타

    부양의무자는 없는 상태이다.

    모친은 축협(소속 : 진주햄)에서 비정규 직원으로 일을 하다가 산부인과 질

    병(상피내암)으로 그만두고 강동성심병원에 입원하여 수술치료를 받았으며, 또

    한 폐결핵 및 결핵성늑막염이란 진단을 받고 정기적인 검진과 약물치료를 하

    고 있다(치료기간: 6개월 이상).

    부친은 마서면 소재 삼양교통에서 운전직으로 일을 하고 있으나 남편의 소

    득만으로는 병원비 및 수업료를 비롯하여 생활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서천고등학교와 서천여자정보에 재학 중인 자녀의 수업료 내기가 어려

    워 다음 학기에 수업료를 어디에서 마련할까 고민이 되어 교육급여를 신청하

    게 되었다.

    맞벌이를 해야지만 유지되는 가정형편인데, 모친이 질병으로 일을 하지 못

    하고 있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어 자녀의 교육급여 모친의 의료급여

    지원을 절실히 바라고 있었다.

    가족의 소득으로 부친은 상시고용소득 1,100,000원을 신고하였으며, 친정

    부모님의 부양비 123,632원, 국민연금 126,285원, 기타소득(사적이전-무료임

    대) 으로 55,000원(친정 언니 집-제3자의 집적용 ), 사적이전소득:100,000원

    (친정언니-경제적 형편 양호), 재산의 소득산정액 : 0원(재산은 '89년 식 승용

    차 1대뿐, 차령 10년 이상→ 보장기관인정차량으로 적용)으로 적용하였다.

    따라서 소득인정액은 총 1,378,632원이며 여기서 두 자녀 학자금(415,500원)

    을 공제하여 교육급여 특례대상자 선정보호가 해당되었다. 모친의 질병이 완쾌되

    고 다시 취업하여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자금지원 필요한 가정이다.

    다. 개입과정

    - 2005년 3월 : 교육급여 신청

  • - 31 -

    - 2005년 3월 : 본인 및 부양의무자의 금융재산과 소득조회

    - 2005년 4월 : 교육특례 수급자 책정

    라. 문제진단

    부친이 직장을 다니고 있으나 수입이 많지 않고, 모친도 질병으로 매일 병

    원에 다니고 있는 저소득 가정으로 두자녀의 교육비 감당이 어려워 교육특례

    급여를 받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가정이다. 특히 교육비와 더불어 모친의 의

    료비 등이 이중으로 경제적 고통을 안고 살아가는 세대이다. 현재 수업료 외

    기성회비와 학교 운영비는 혜택을 보지 못하는 교육급여의 문제점으로 수업료

    외 교육비는 모두 부모가 부담을 하게 되어 많은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은 교

    육비 해결에 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

    4. 자활특례 기준

    가. 사례개요

    자녀의 부양비 등으로 수급자 선정이 어려워 조건부 자활특례자로 선정된 사례.

    나. 생활실태

    자활특례자 나A씨는 남편이 2000.6.20 사망 하자 혼자 남의 논(한산이씨

    소유) 선제 8마지기를 지었으나 현재는 서천으로 전입(2002.03.11)후 자활근

    로사업(취로사업)으로 생계유지를 해오고 있다.

    부양의무자인 2남 1녀 중 1남은 인천 부평에서 용접관련업체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1녀는 전자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다.

    2남은 현재 서해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관계로 대학 수업료 납부 등의 경제

    적 어려움이 많아 계속하여 자활근로를 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5.09.01 ~ 09.30 일까지 참여(주4일 근무)를 살펴 보면은 총 근로일수

    는 15일, 금여는 255,000원, 실비 : 45,000원, 8월 월차수당 : 없음으로 하

  • - 32 -

    여 총 지급금액 : 300,000원(급여+실비+월차수당)이다.

    따라서 월 소득적용으로 255,000원(급여+월차수당) 소득인정액으로 적용하

    였다. 공제사항으로 → 근로소득(자활공공근로) => 255,000원 * 30% =

    76,500원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자활특례자로 생계비 및 자활장려금은 지급하지 않았으며. 재산은 전

    세보증금 2,500만원 외에 재산은 없는 저소득가정으로 파악되었다.

    다. 개입과정

    - 2000년 10월 : 기초수급자책정

    - 2002년 2월 : 조건부 자활급여특례자 변경보호

    - 2004년 6월 : 자녀 윤B 취업관계로 조건부 수급자 중지

    라. 문제진단

    남편이 갑작스런 사망으로 자녀들이 교육비 및 생활비의 가중으로 자활근로

    를 통하여 살아오고 있는 자활특례가정이다. 특히 2남 외에 다른 자녀는 취업

    을 하였으나 수입원이 그리 많지 않아 모친을 도와줄 수 없고, 대학자녀를 둔

    가정으로 대학 수업료 등의 경제적 어려움이 많음을 상기 상담사례에서 엿볼

    수가 있다.

    그러나 취업하고 있는 자녀의 수입은 80만원 미만으로 신고 되어있으며, 자

    녀의 대학에 들어가는 경비가 어디서 충당하고 있는지가 문제다. 수입원이 월

    30만원으로 생활하고 있는 가정으로는 이해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가진 가정

    이라 생각할 수가 있다. 즉 취업한 자녀의 도움이 없이는 납득이 가지 않아

    상담과정에서 자녀의 수입원이 정당하게 밝혀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 - 33 -

    제4절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사례 비교분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에 있어서 소득인정액기준, 부양의무자기준,

    특례기준과 관련하여 대표적 선정사례를 비교하면 와 같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사례 비교

    사례 개 요 선정기준상의 문제점

    1

    ▶ 남편과 이혼한 후 임시고용직에 근무하며 자녀를 부양하고 있는 여성이 가장인 모자가정

    - 질병으로 자주 직장을 쉬게 되므로 인하여 전 월의 소득을 적용하는 현 소득적용기준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음.

    2

    ▶ 승용차 및 화물자동차를 이전하였으나 명의가 남아있어 어렵게 선정된 세대

    - 자동차를 사실상 처분하였어도 명의가 그대로 남아 있으면 사실증명이 어려운 현실을 감안할 때 자동차 운행여부 확인 등에 조사의 비중이 요구되고 있음.

    3▶ 70평생을 부양자없이 살

    아온 무의탁 독거노인 세대

    - 거동불편으로 지속적인 간병인 및 도우미 지원이 요구되고 있으며

    - 간병인, 도우미 등에게 보호자 수당의 지급 필요성이 제기됨.

    4▶ 배우자와 자녀의 가족관

    계가 단절된 세대

    - 자녀가 부양능력이 있어 부양비를 징수하여야 하나 가족관계 단절로 부양비 징수는 현실적 적용이 곤란함.

    5▶ 근로능력이 없는 노인세대

    - 금융재산이 2400만원 소유하고 선정된 세대로 서(재산특례기준 적용) 현실의 정서와는 맞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6▶ 급성백혈병 진단으로 의

    료비 혜택을 받고자 의료특례 신청한 세대

    - 진단기간 등으로 의료특례 기준이 적용되어 장기간 입원 치료할 경우 많은 의료비를 부담을 안고 있음.

    7▶ 모친의 폐결핵 등 질환

    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

    - 교육특례가구로서 교육비 외 기성회비, 운영비 등의 추가 교육비와 의료비등의 이중고를 안고 있음.

    8▶ 자녀의 부양비 관계로

    수급자선정이 어려워 자활특례자로 선정된 세대

    - 대학생 자녀를 부양하는 세대로서 수입원이 사실적으로 규명되지 않고, 또한 수입원 추적이 어려워 현 전산망을 통한 소득원 조회의 한계점이 대두됨.

  • - 34 -

    또한 대표적 사례들을 비교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사례1의 경우 남편과 이혼한 후 임시고용직에 근무하며 자녀를 부양하고 있

    는 여성이 가장인 모자가정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모자가정

    의 경우는 본인과 자녀들이 질병으로 자주 병원에 다니고 있으며, 특히 세대

    주가 잦은 질환으로 직장을 쉬면서 매달 추정소득 및 전월소득 적용으로 생계

    급여가 수시 변동되어 소득적용에 있어서 기준적용 시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

    기되고 있다.

    사례2의 경우 승용차 및 화물자동차를 이전하였으나 명의가 남아있어 어렵

    게 선정된 세대의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세대의 경우 자동

    차를 실제로는 소유하고 있지 않으나 명의가 등재되어 담당자의 사실 확인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기준의 강화로 인하여 담당자

    판단으로 기준적용에 한계점을 안고 있다.

    사례3의 경우 70평생을 부양자 없이 살아온 무의탁 독거노인 세대로서 사

    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세대는 부양자가 없는 관계로 본인의

    실제소득과 재산 외는 별다른 선정기준 적용을 받지 않는 세대이다. 특히 고

    령으로 근로능력이 없고 거동이 어려워 주위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

    고 있으나 도우미 등 자원이 부족하여 재가보호가 어려워 시설보호를 통한 선

    정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례4의 경우 배우자와 자녀의 가족관계가 단절된 세대로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세대는 세대주가 알콜중독으로 배우자 및 자녀를 돌

    보지 않아 가족들이 모두 가출하여 왕래하지 않아 가족관계가 단절되었으나,

    자녀가 부양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급자 선정을 하였다. 따라서 자녀한

    테 부양비를 징구하도록 되어있으나, 현실적으로 연락이 없고 왕래하지 않아

    자녀한테 부양비 징구가 어렵다. 이에 관계규정 완화를 통하여 가족관계가 단

    절된 세대에 한하여 특례규정을 신설하여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 - 35 -

    사례5의 경우 재산특례기준에 의한 근로능력이 없는 노인세대 사례를 통하

    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세대는 금융자산을 책정당시 2,400만원을 보유하

    고 있었으며, 금융자산 외에 토지 등을 보유하여 일반기준 적용할 경우에 기

    초선정에서 제외되나 재산특례적용으로 선정보호를 받고 있는 세대이다. 그러

    나 수급자의 경우 금융자산의 과다 보유는 현 국민정서와 맞지 않는 문제점으

    로 대두되고 있어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사례6의 경우 배우자의 급성백혈병 진단으로 인해 의료비 혜택을 받고자 의

    료특례 신청한 세대로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세대는 희귀

    난치성질환으로 의료비 지출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세대주가 상시근로자인 관

    계로 어렵게 의료특례자로 선정되었다. 특히 선정되기까지 많은 진단비용과

    더불어 장기간 입원치료를 통해서만 의료급여혜택을 볼 수가 있기 때문에 경

    제적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의료특례선정의 완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사례7의 경우 모친의 폐결핵, 늑막염 등 질환의 어려움과 자녀의 교육비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저소득 교육특례가정을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

    다. 이 세대는 두 자녀가 교육특례를 받고 있으나 모친의 질환과 남편의 적은

    보수로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자녀의 수업료 외에는 혜택이 없

    어 의료비등과 연계된 혜택이 요구된다.

    사례8의 경우 자녀의부양비로 수급자선정이 어려워 자활특례자로 선정된

    세대로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 세대는 대학생 자녀를 부양

    하며 조건부 자활특례대상자로 보호를 받고 있다. 그런데 취업한 자녀가 있으

    나 소득이 정확히 추적되지 않아 구두상담을 통하여 소득을 적용하여 소득전

    산 조회의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미혼인 자녀가 부모와 같이 동거

    하지 않는 경우는 부양비를 적용하지 않는 방안이 모색되어 자활특례자가 자

    립의지를 더 한층 고취시켜 자립생활의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해야 된다.

  • - 36 -

    제4장 국민기초수급자 선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0년 10월부터 시행되는 기초생활보장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발생할 여지가 높아 제2의 시회안전망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없을 것 같

    이 보인다.

    원래 기초생보법의 대상은 제1차 사회안전망인 4대 보험만으로 보장할 수 없

    는 저소득 실직자, 실업급여 소진자, 실업급여 미수급자 등 사회보장사각지대

    에 있는 한계계층을 포괄하여 저소득층의 시회안전망 구실을 하여야만 되는

    것이다.

    2004년 12월 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아래의 과 같이 약

    142만4천명(75만3천가구)으로 전 인구 대비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의 비율인

    수급률은 2.9%이다(참조). 수급자의 종류별로 보면, 일반수급자가 대부

    분(93.9%)이고, 시설수급자는 6.1%이다. 따라서 생활보호대상자 확대수준은

    고용보험의 성숙도, 실업률, 경제성장률 등과 연계하여 신축적으로 설정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매년 확대되고 있다.

    수급자수와 구성비율(2004년)

    (단위: 명, %)

    구 분 계 일반수급자 시설수급자수급자수 1,424,088 1,337,714 86,374구성비 100.0 93.9 6.1

    자료 :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2005.

  • - 37 -

    지역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률

    (단위: %)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9 1.7 3.2 3.2 2.3 3.8 2.8 1.6 1.8 3.9 3.7 4.1 5.9 6.7 4.6 3.2 3.7

    주: 수급률 = 지역의 수급자수/지역의 전체인구 × 100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 2005.

    그런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기본이 되는 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 ․ 규칙, 세부지침 등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수급권자의 선정기준에 있어서 소득인

    정액기준, 재산기준, 부양의무자기준, 특례기준 등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

    고 있다. 앞서 제시한 사례에서도 문제 진단을 통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제시

    하였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절 문제점

    1. 소득인정액기준

    소득인정액기준은 이원화된 수급자 선정방식의 합리성을 제고하고 근로유

    인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2년도부터 실질적으로 적용하여 왔으나, 기존수급

    자를 대거 탈락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즉, 소득 및 재산조사

    를 통하여 얻은 소득을 환산하여 공제하고 나머지 부족분을 지급하는 보충급

    여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수급대상자 조사에 있어서 상시고용소

    득, 임시고용소득, 일일고용소득 등의 있어서 소득적용은 상시고용 외는 합리

    적인 소득적용이 어렵다. 또한 추정소득, 이자소득, 임차소득, 기타소득 등에

    다양한 소득적용 기준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부합되지 않은 요소가 많다.

  • - 38 -

    가. 추정소득의 적용

    현행 추정소득적용기준은 조건부 수급자에 대하여 소득파악이 곤란할 경우

    를 대비하여 일정한 기준 일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조건부 수급자의 소득 파

    악이 어려운 경우에 한 달에 9일의 소득을 추정하도록 한 것은 실제 소득이

    추정소득에 못 미치는 수급권자를 탈락시키는 조항이고, 또한 일반수급자의

    경우 근로가 불분명할 때 사회복지공무원이 추정소득을 9일이상 적용하게 되

    어있어 담담공무원이 임의적으로 추정소득을 적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으로

    수급대상자들이 실제소득이 없는데도 근로유인이라는 명목아래 많은 최저생계

    비에도 못 미치는 급여를 받는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나. 근로소득 공제제도의 유명무실

    2인 가구의 아들이 취업상태로 소득이 70만원으로 수급권자가 될 수 없고

    집에서 놀 경우에는 최저생계비 30만원 ~ 60만원까지의 생활수준이 보장되

    고 의료비가 면제되어 실제로 노는 것이 더 나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는

    국민의 정부의 정책기조인 생산적 복지에 정면으로 위배된 것이다.

    다. 근로 유인조건 불이행으로 인한 급여 중지

    수급권자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위한 생계급여는 기본급여에 따라 주어지

    는 보충적인 급여이지만 노동을 조건으로 지급되는 조건부 급여가 아니다. 그

    러나 정부는 복지병의 방지와 근로의욕의 고취를 위한 명목으로 조건부급여제

    도를 도입하여 직업교육, 공공근로, 자활사업 등의 사업에 참가조건으로 생계

    비를 지급하도록 했고,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권자가 알선된 작업장에서 일하

    지 않을 경우에는 수급권을 박탈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 근로능력이 있어도

    실업상태에서 수급권자에서 배제되거나 급여를 중지 당하게 될 것이다.

    이 제도는 모법의 기본 취지에 맞지 않고 단기적으로는 제도의 대상자를 줄

    이는 효과가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빈곤 덫을 초래하여 제도에 필요한 예산

  • - 39 -

    규모를 늘리는 효과를 가지는 역효과를 유발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