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173 Original Articles 순환기: 순환기: 순환기: 순환기:제 28 2 1998 백서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의한 혈관내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치료 사선과학교실, * 핵의학교실, ** 병리학교실 *** 김한수·윤명호·오영택 * ·전미선 * ·박찬희 ** ·김정선 *** ·탁승제·최병일 한국원자력연구소 미·박 Abstract The Effect of External Beam Radiation on Neointimal Formation in the Rat Carotid Injury Model Han-Soo Kim, M.D., Myeong-Ho Yoon, M.D., Young-Taek Oh, M.D.,* Mi-Sun Chun, M.D.,* Chan-Hee Park, M.D.,** Jung-Sun Kim, M.D.,*** Seung-Jea Tahk, M.D., Byung-Il W. Choi, M.D. Department of Cardiology, Radiation Oncology,* Nuclear Medicine** and Path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Young-Mi Kim, Ph.D., Kyung-Bae Park, Ph.D. Korean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BackgroundRestenosis after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remains a major obstacle to the long-term success of the procedure. Uncontrolled prolife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 in response to mechanical injury are important contributors to this process. External beam radiation or gamma radiation affects self-renewing tissues by arresting cell division, and therefore limits prolifera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clonal progen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xternal beam radiation( EBR) could reduce the extent of neointimal formation after balloon injury in the rat carotid injury model and, if it could, to define the minimum effective dose. Method32 Sprague-Dawley rats( mean weight370± 78g) underwent carotid injury by using 2F Fogarty balloon and EBR with doses ranging from 5 to 20 Gy. Rats were sacrificed after 2 weeks. The arteries were perfusion-fixed in paraformaldehyde. EBR was performed with 6 MeV electrons in a field of 3× 5cm using a linear accelerator. The dose was specified to a depth of 15mm. Histomorphometry was performed to compare external elastic lamina( EEL) areas( mm 2 ) , lumen area ( mm 2 ) and neointimal area( mm 2 ) of the injured segments. 교신저자:김한수, 442-380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전화) (0331) 219-5712, 전송) (0331) 219-5708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3 -

Original Articles 순환기:순환기:순환기:순환기:제제제제 2 8권권권권 제제제제 2호호호호 1998

백서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에 의한

혈관내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치료방사선과학교실,* 핵의학교실,** 병리학교실***

김한수·윤명호·오영택*·전미선*·박찬희**·김정선***·탁승제·최병일

한국원자력연구소

김 영 미·박 경 배

==== Abstract ====

The Effect of External Beam Radiation on Neointimal Formation in the Rat Carotid Injury Model

Han-Soo Kim, M.D., Myeong-Ho Yoon, M.D., Young-Taek Oh, M.D.,* Mi-Sun Chun, M.D.,* Chan-Hee Park, M.D.,** Jung-Sun Kim, M.D.,***

Seung-Jea Tahk, M.D., Byung-Il W. Choi, M.D. Department of Cardiology, Radiation Oncology,* Nuclear Medicine** and Path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Young-Mi Kim, Ph.D., Kyung-Bae Park, Ph.D. Korean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Background:Restenosis after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remains a major obstacle to the long-term success of the procedure. Uncontrolled prolife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 in response to mechanical injury are important contributors to this process. External beam radiation or gamma radiation affects self-renewing tissues by arresting cell division, and therefore limits prolifera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clonal progen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xternal beam radiation(EBR) could reduce the extent of neointimal formation after balloon injury in the rat carotid injury model and, if it could, to define the minimum effective dose.

Method:32 Sprague-Dawley rats(mean weight:370±78g) underwent carotid injury by using 2F Fogarty balloon and EBR with doses ranging from 5 to 20 Gy. Rats were sacrificed after 2 weeks. The arteries were perfusion-fixed in paraformaldehyde. EBR was performed with 6 MeV electrons in a field of 3×5cm using a linear accelerator. The dose was specified to a depth of 15mm. Histomorphometry was performed to compare external elastic lamina(EEL) areas(mm2), lumen area (mm2) and neointimal area(mm2) of the injured segments.

교신저자:김한수, 442-380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전화) (0331) 219-5712, 전송) (0331) 219-5708

Page 2: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4 -

Results:EEL are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different radiation group. Low dose EBR(5Gy and 10Gy) had no siginificant impact on neointimal hyperplasia in rat carotid injury model. However, in high dose group(15Gy and 20Gy) neointimal area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1) indicating high dose EBR markedly prevented neointimal hyperplasia.

Conclusion:Radiation therapy may be an effective adjun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restenosis rate after successful angioplasty in the rat carotid injury model. KEY WORDS:Radiation therapy·Neointimal formation·Restenosis.

서 론

관상동맥에 협착성질환이 있을 경우 치료방법으로

서 경피적 관동맥 확장성형술(percutaneous trans-

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이 1977년 Gruentzig

에 의해 최초로 시도된 이래 관상동맥질환 치료의 확

고한 시술방법으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1), 우리나

라에서도 비교적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시술이다2-4).

관동맥 확장성형술은 시술기구의 발전, 시술경험의 다

양한 축적에 의해 적용범위도 단혈관질환에서 다혈관

질환으로, 안정성 협심증에서 불안정성 협심증 및 더

나아가 급성심근경색에 이르기까지 점차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

풍선도자를 이용한 관동맥 확장성형술은 임상적 및

시술적 성공률이 95%정도 되지만 시술중 혹은 직후

에 발생되는 급성폐색(acute closure)과 재협착(re-

stenosis)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5-9). 재협착의 경

우 30∼45%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

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therectomy, rotablation,

transluminal extraction catheter(TEC)의 이용, ex-

cimer laser coronary angioplasty, stent의 삽입 등

의 새로운 방법들이 시도되었으나 이중 stent 시술이

외에는 뚜렷하게 재협착을 줄인다는 보고는 없는 상

태이다.

임상적으로 재협착을 줄이기 위하여 항혈소판제10-11),

항응고제12-14), 스테로이드제15), calcium channel

blockers16), colchicine17)등을 이용하여 시행된 사람

에서의 많은 연구에서 아직 재협착을 줄인다는 약제

나 방법은 밝혀져 있지 않다.

관동맥 확장성형술 후에 나타나는 재협착의 기전은

크게 vascular remodeling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extracellular matrix의 형성등으로 설명되고 있으

며18-21), stent 시술이 재협착을 줄이는 이유는 혈관

자체가 축소되는 vascular remodeling을 물리적으로

막기 때문으로 이해되고 있다. 재협착 병변에서의 혈

관내 증식(neointimal hyperplasia)은 풍선도자의 확

장에 의한 혈관손상에 대한 반응이다22-27). 방사선투

여는 세포분열을 억제시킴으로서 재생하는 조직에 효

과가 있고 clone의 원조들(progenitors)의 숫자를 감

소시킴으로서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관내의 평활근세포는 정상적으로는 세포분열이 왕

성하지 않다. 그러나 혈관에 대한 물리적인 손상이나

자극은 평활근세포의 혈관내막층으로의 이동, 증식,

matrix 조직의 형성 등의 반응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양의 방사선의 투여는 보다 빨리 증

식하는 세포를 죽이므로써 혈관내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28-32).

본 연구에서는 rat carotid artery injury model을

사용하여 적은 용량의 external beam radiation(EBR)

으로 효과적으로 혈관내 증식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지를 관찰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효과적인 방사선의

용량이 어느 정도 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혈관내 증식의 유발

체중이 350∼450g 정도의 Sprague-Dawley rat

(평균체중:370±78g)을 ether가 들어있는 통속에

마취시킨 후 ketamine 100mg/kg를 근육주사하여 마

취를 유지하였다. 목에서 midline incision을 한 다음

right common, external 및 internal carotid artery

를 노출시켰다. External carotid artery를 통하여 2F

의 Fogarty arterial embolectomy catheter(Baxter

Edwards Healthcare Corp., Irvine, Calif.)를 집어

넣어 common carotid artery 및 thoracic aorta까지

Page 3: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5 -

도달하도록 하였다. Balloon에 0.65ml의 공기를 넣어

잡아당겨서 common carotid artery의 혈관내피세

포 denudation 및 medial stretch를 유발시켰다.

Balloon을 3회 통과시킨 후에 catheter를 제거하고

external carotid artery를 결찰하였다. 방사선치료의

연구방법에 따라 처치하고, rat를 회복시킨 후에 2주

간 정상적인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2. External beam radiation

External beam radiation은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

으며 방사선 조사가 rat의 carotid artery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x-ray에 비해 적은 깊이에서

최대선량에 도달할 수 있는 전자선을 이용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balloon injury 직후에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치료에 사용되는 선형가속기는 Varian 2100

C/D 기종(Varian, USA)을 이용하였다. 전자선의 에

너지는 9MeV를 사용하였으며 균일한 선량 분포를 위

하여 0.5cm의 조직등가물질로 조사면의 표면을 덮었

다. 방사선 조사면적은 rat carotid artery의 크기와

전자선의 조직내 선량분포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5×

5cm의 면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조사면적 및 rat의 크

기를 고려하여 방사선 차페체를 납으로 제작하여 방

사선 조사시 rat의 10cm위에 위치시켜 국소 조사만

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3. Radiation therapy protocol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

lloon injury를 받은 대조군의 right carotid artery를

left carotid artery와 비교함으로써 판정하였다.

Right common carotid artery에 balloon injury

를 받은 32마리의 rat를 대조군과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눈다. 대조군(n=5)은 balloon injury를 받고 방사

선치료를 받지 않은 군이고, 방사선치료군(n=27)은

external beam radiation을 받은 군으로 방사선 용량

에 따라 5Gy(n=7)군, 10Gy(n=6)군, 15Gy(n=6)

군 및 20Gy(n=8)군으로 나누었다.

4. 조직학적 및 형태학적 분석

혈관손상 2주후 쥐들을 sodium pentobarbital 과용량

(75mg/kg)으로 죽인 후 jugular vein을 통하여 10mL

의 PBS(pH 7.4)으로 혈관계를 씻어낸 후 10%for-

malin을 사용하여 120mmHg의 압력으로 perfusion-

fixation 하였다.

절제된 rat의 common carotid artery는 3개의 분절

로 나누어 횡으로 자르고 paraffin에 고정시켰다. 5μm

의 두께로 자른 후 hematoxylin 및 eosin으로 염색

하였다. 현미경으로 100배의 배율로 intima의 면적을

측정하고 intimal elastic lamina로 경계되는 동맥의

직경 및 혈관의 perimeter를 측정하였다. 3개의 se-

gment에서 측정한 측정치의 평균을 구하였다.

5. 통계처리

모든 측정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조

직학적 차이에서의 통계처리를 대조군 및 각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군을 비교하였고, 5Gy, 10Gy, 15Gy과

20Gy군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의의는

p<0.05를 유의한 것으로 판정한다.

결 과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비교적 실험시술 및 방사선

치료를 잘 견디었으며 20Gy군에서 경한 정도의 표피

박리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Balloon injury를 받고 14일 만에 관찰한 대조군의

조직학적 소견은 혈관내로 평활근세포를 비롯한 증식

현상과 그로 인한 혈관내강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혈관면적(vessel area)은 externl elastic

lamina의 면적으로 산출하였으며 대조군 및 각 방사선

치료 군에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혈관내

강의 면적(lumen area)은 대조군의 0.26±0.10mm2

에서 5Gy 및 10Gy군에서는 각각 0.29±0.12mm2

및 0.31±0.10mm2으로 되었다가 15Gy 및 20Gy군

에서는 각각 0.38±0.10mm2(p<0.01 vs 대조군) 및

0.39±0.08mm2(p<0.01 vs 대조군)으로 증가하였다.

혈관내 증식의 최대두께(maximal intimal thickness)

는 대조군의 0.16±0.07mm에서 5Gy 및 10Gy군에

서는 각각 0.13±0.05mm으로 변화가 없다가 15Gy

및 20Gy군에서는 각각 0.08±0.01mm(p<0.01 vs 대

조군, 5Gy군 및 10Gy군) 및 0.01±0.00mm (p<0.01 vs 대조군, 5Gy군 및 10Gy군)으로 감소하였다. 혈관

내 증식 면적(neointimal area)의 변화도 이와 유사

하게 대조군의 0.14±0.07mm2에서 5Gy 및 10Gy군

에서는 각각 0.13±0.08mm2 및 0.14±0.07mm2으

Page 4: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6 -

로 변화가 없다가 15Gy 및 20Gy군에서는 0.06±0.01

mm2(p<0.01 vs 대조군, 5Gy군 및 10Gy군) 및 0.01

±0.00mm2(p<0.01 vs 대조군, 5Gy군 및 10Gy군)

으로 15Gy 이상군부터 현저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관

찰할 수 있었다. 한편 medial area는 대조군 및 각

방사선치료 군에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Table 1 및 Fig. 1). Fig. 2, 3에서는 대조군을 비롯

하여 5, 10, 15 및 20Gy의 방사선을 투여하였을 경

우 elastin staining으로 각각 저배율 및 고배율로 관

찰한 것으로 혈관내 증식이 15Gy 이상군부터 현저하

게 감소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고 안

본 연구는 실험적으로 balloon injury 방법을 이용

하여 동맥혈관에 증식반응을 일으키도록 하고 방사선

치료(external beam radiation)를 시도함으로서 방사

선치료의 가능성을 시험한 것으로서 일정한 정도 이

상의 방사선 용량을 조사한 경우 평활근세포의 증식

을 포함한 혈관내 증식반응이 현저히 감소함으로 관

찰한 것이다.

1. 혈관손상 후의 증식반응과 방사선 투여

방사선투여는 세포분열을 억제시킴으로서 재생하는

조직에 효과가 있고 clone의 원조들(progenitors)의

숫자들 감소시킴으로서 증식을 억제하게 된다. Ionizing

radiation을 배양된 fibroblast에서 thymidine uptake

와 collagen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술후에 적은 양의 방사선치료가 수술후의 증

식성 상처나 keloid의 형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라

고 보고되고 있고 10Gy(1000rad) 정도로 분할된 용

량으로 투여할 경우 정상적인 상처의 치유과정을 방

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37).

동맥혈관의 손상 후에 생기는 평활근세포의 증식은

중막층(media)에서 시작하여 internal elastic lamina

를 넘어 내막층(intima)으로 이동하여 생기며 결국

proteoglycan등으로 구성된 extracellular matrix와

함께 혈관의 협착을 유발하게 된다. Majesky 등40)은

balloon을 이용한 혈관손상 후에 평활근세포가 G1

phase로 들어가는 것을 암시하는 평활근세포 orni-

thine decarboxylase 활성도가 증가가 6시간 후에

최고치에 달하고 9시간 까지 급격히 감소함을 관찰하

였고, S phase를 나타내는 [3H] thymidine index

가 33시간에 최고치를 보이고 48시간 까지 감소하였

다고 하였다. Clowes 등27)은 neointima에 평활근세

포에 의한 thymidine uptake가 12주까지 남아 있다

고 하더라도 2주후에는 평활근세포의 증식이 관찰되

지 않는다고 하였다. Balloon injury model에서 정맥

내 heparin의 투여에 의한 항증식 효과는 18시간까지

두드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이러한 결과들은

평활근세포들이 혈관손상 후에 빠른 시간 내에 증폭

기(replicative cell cycle)에 들어가며 이러한 세포의

clone들이 지속적으로 증식하여 결국 혈관 내 증식

(neointimal hyperplasia)를 유발하는 것이다.

Table 1. Results of computer assisted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elastin-stained rat carotid artery

Control(n=6) 5Gy(n=7) 10Gy(n=7) 15Gy(n=8) 20Gy(n=8)

Vessel(EEL) area(mm2) .54±.10 .56±.13 .60±.09 .59±.10 .55±.13 Lumen area(mm2) .26±.10 .29±.12 .31±.10 .38±.10* .39±.08* MIT(mm) .16±.07 .13±.08 .13±.05 .08±.01** .01±.00** Neointimal area(mm2) .14±.07 .13±.08 .14±.07 .06±.01** .01±.00** Medial area(mm2) .14±.04 .14±.01 .15±.03 .15±.03 .15±.06 Values are mean±SD;*p<0.01 versus control; **p<0.01 versus control, 5Gy and 10Gy;EEL, external elastic lamina;MIT, maximal intimal thickness

Fig. 1. Effect of four doses of radiation on vessel(EEL)area, lumen area and neointimal area.

Page 5: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7 -

Fig. 2. Representive micrographs(×40 instrument magnificantion) of elastin-stained section from rat carotid artery. A:Samples from uninjured artery B:Samples from injured control group C:5Gy-treated group D:10Gy-treated group E:15Gy-treated group F:20Gy-treated group.

Page 6: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8 -

Fig. 3. Representive micrographs(×200 instrument magnification) of elastin-stained section from rat carotid artery. A:Samples from uninjured artery B:Samples from injured control group C:5Gy-treated group D:10Gy-treated group E:15Gy-treated group F:20Gy-treated group.

AAAA

CCCC

EEEE

BBBB

DDDD

FFFF

Page 7: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79 -

2. 방사선 투여 용량과 시기

방사선 투여는 세포분열의 초기에 progenitor cell

을 죽이거나 증식기능을 억제하여 결국 clone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서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Shi-

motakahara 등42)은 rat carotid injury 모델을 사용

하여 방사선 투여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 효과를 혈관

손상 후 1일째와 2일째를 비교하였을 때 1일째가 더

욱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Sinchair28)도 분열하는 세포

에서 metaphase 동안이 방사선 투여에 가장 민감한

시기이며 방사선에 의해 DNA 및 chromosome이 변

화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손상

후 바로 방사선 투여를 하였는데 역시 유사한 혈관내

증식의 억제현상을 관찰할 수 있어 결국 증식될 평활

근세포의 clone이 방사선에 의해 손상되거나 변화되

어 일어난 것이 아닌가 생각되나 이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투여하는 방사선의 용량과 조직 반응과의 관련성에 관

하여 여러 in vivo 연구29-32)에서 약 800에서 1600cGy

정도의 single dose의 방사선 투여가 충분한 생물학

적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보다 적은

용량의 방사선을 투여하고자 할 경우는 분할해서 반

복 투여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imotaka-

hara등42)은 rat에서 750, 1500 및 2250cGy의 용량

을 투여한 결과 1500과 2250cGy에서는 혈관내 증

식이 의의있게 감소함을 보고하였다. Schwartz등43)은

돼지의 관상동맥에 metallic coil을 사용하여 손상을

유발시킨 후 external beam radiation을 400cGy 및

400cGy씩 2회 분할 투여하였는데 오히려 혈관내 증

식이 약간 증가함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external beam radiation을 이용하여 500, 1000,

1500 및 2000cGy의 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적어도

1500cGy이상의 방사선이 투여되어야 혈관내 증식이

Fig. 4. Representive micrographs(×200 instrument ma-gnificant) of neointimal smooth muscle α-actinstain from injured rat carotid artery. A:Samples from injured control group, B:10Gy-treated group, C:20Gy-treated group.

Page 8: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80 -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혈관내 증식에서

adventitia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44)

rat carotid artery 손상시에는 혈관을 대개 노출시킨

상태에서 실험을 시행하기 때문에 adventitia층에 손

상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아 돼지의 관상동맥 손상 모

델과는 방법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3. 본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에서는 external bem radiation 방법을 사

용하였으나 이 방법은 조직에 비교적 균등하게 원하

는 방사선 용량을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병변이 없는 정상조직에도 불필요한 방사선이 투여된

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1500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방법으로 혈관내 증식반응이 억제

됨을 확인하였으므로 정상조직에 방사선이 투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원하는 부위에만 방사선이

효과적으로 투여되도록하는 방법을 더욱 연구하는 것

이 필요할 것이다.

방사선을 투여하는 시기도 본 연구에서는 혈관손상

후 바로 방사선 투여하여 역시 유사한 혈관내 증식의

억제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혈관손상 후 바로 시

행하는 것과 1일 후나 수 일후에 투여하는 것과는 비

교하지 않았다. 향후 투여하는 가장 효과적인 시기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 약

연구배경:

경피적 관동맥 확장성형술은 약 40∼50%에 이르는

재협착이 큰 문제점으로 남아있는데 재협착 병변에서

의 혈관내 증식(neointimal hyperplasia)은 smooth

muscle cell의 이동, 증식 및 mitrix의 형성 등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러한 혈관내막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

해 방사선치료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rat carotid artery에 풍선도자(Fogarty balloon

catheter)를 이용하여 혈관에 손상을 주는 rat carotid

artery injury model을 사용하여 적은 용량의 external

beam radiation(EBR)으로 효과적으로 혈관내 증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고, 필요한 최소한

의 효과적인 방사선의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관찰하

고자 하였다.

방 법:

32마리의 Sprague-Dawley rats(평균체중:370

±78g)의 carotid artery에 2F Fogarty balloon

catheter를 이용하여 혈관에 손상을 주고 linear ac-

celerator을 이용하여 3×5cm의 field 및 15mm의

깊이에서 6MeV electrons으로 EBR을 시행하였다. 2

주 후에 혈관을 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하

고 조직학적으로 external elastic lamina(EEL) area

(mm2), lumen area(mm2) 및 neointimal area(mm2)

을 측정하였다. Balloon injury를 받은 32마리의 rat을

대조군과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군(n=5)

은 balloon injury를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군

이고, 방사선치료군(n=27)은 external beam radiation

을 받은 군으로 방사선 용량에 따라 5Gy(n=7)군,

10Gy(n=6)군, 15Gy(n=6)군 및 20Gy(n=8)군으

로 나누었다.

결 과:

Balloon injury를 받고 14일 만에 관찰한 대조군의

조직학적 소견은 혈관내로 평활근세포를 비롯한 증식

현상과 그로 인한 혈관내강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전

체적인 혈관면적은 external elastic lamina의 면적으

로 산출하였으며 대조군 및 각 방사선치료 군에서 의

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투여한 방사선의 용

량과 혈관내강의 면적(lumen area) 및 혈관내 증식

면적(neointimal area)의 변화는 적은 용량의 방사선

투여(5, 10Gy)에서는 혈관내 증식을 억제하지 못하

였으나 15Gy 이상의 방사선 용량에서는 혈관내 증식

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실험적으로 balloon injury방법을 이용하

여 동맥혈관에 증식반응을 일으키도록하고 방사선치료

(external beam radiation)를 시도함으로서 방사선치

료의 가능성을 시험한 것으로서 일정한 정도(15Gy)

이상의 방사선 용량을 조사할 경우 평활근세포의 증

식을 포함한 혈관내 중식반응이 현저히 감소함을 관

찰할 수 있었다.

중심 단어:방사선치료·혈관내 증식·재협착.

Page 9: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81 -

References

1) Holmes DR Jr, Vlietstra RE, Smith HC, Vetrotec BW, Kent KM, Cowely MJ, Faxon DP, Gruentzig AR, Kelsey SF, Detre KM, van Raden MJ, Mock MB: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a report from the PTCA registry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 J Cardiol 53:77C-81C, 1984

2) 김한수·심원흠·장양수·조승연·이웅구 : 다혈

관 및 다협착 병소에 대한 경피적 관동맥 확장성

형술(PTCA)의 조기결과. 순환기 22(4):524, 1992 3) Kim HS, Tahk SJ, Cho YK, Kim W, Shin JH, Choi BI

William:Palmaz-Schatz coronary stenting with routine high pressure ballooning, without anticoagulation or in-travascular ultrasound. J Invas Cardiol 8(1):50, 1996

4) Ishizaka N, Issiki T, Saeki F, Ishizaka Y, Ikari Y, Yama-guchi T:Angiographic follow-up after successful percu-taneous coronary angioplasty for chronic total coronary occlusion:experience in 110 consecutive patients. Am Heart J 127(1):8-12, 1994

5) Kent KM: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Am J Cardiol 61:67G-70G, 1988

6) Mabin TA, Holmes DR Jr, Smith HC, et al:Follow-up clinical results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Circulation 71:754-60, 1985

7) Nobuyoshi M, Kimura T, Nosaka H, Mioka S, Ueno K, Yokoi H, Hamasaki N Horiuchi H, Ohishi H:Restenosis after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serial angiographic fellow-up of 229 patients. J Am Coll Cardiol 12:616-623, 1988

8) Nobuyoshi M, Kimura T, Ohisi H, Horiuchi H, Nosaka H, Hamasaki N, Yokol H, Kim K:Late restenosis after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 Am Coll Cardiol 17:198B, 1991

9) Waller BF, Pinkerton CA, Orr CM, Slack JD, VanTassel JW, Peters T:Restenosis 1 to 24 months after clinically successful coronary balloon angioplasty:a necropsy study of 20 patients. J Am Coll Cardiol 17:58B-70B, 1991

10) Schwartz L, Bourassa MG, Lesp’erance J, Aldridge HE, Kazim F, Salvatori VA, Henderson M, Bonan R, David PR:Aspirin and dipyridamole in the prevention of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N Engi J Med 318:1714-1719, 988

11) Chesebro JH, Webster MW, Zoldhelyi P, Roche PC, Badimon L, Badimon JJ:Antithrombotic therapy and progress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Circulation 86 (suppl VI):100-110, 1992

12) Thornton MA, Gruenzing AR, Hollman J, King SB, Dougls JS:Coumadin and aspirin in prevention of recurrence after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a randomized

study. Circulation 69:721-727, 1984 13) Clows AW, Karnowsky MJ:Suppression by heparin of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in injured arteries. Nature 265:625-626, 1977

14) Ellis SG, Roubin GS, Wilentz J, Douglas JS Jr, King SB:Effect of 18 to 24 hour heparin administration for prevention of restenosis after uncomplicated coronary angioplasty. Am Heart J 117:777-782, 1989

15) Pepine CJ, Hirshteld JW, Macdonaid RG, Henderson MA, Bass TA, Goldberg S, Savage MP, Vetrovec G, Cowley M, Taussig AS:A controlled trial of corticosteroids to prevent restenosis after coronary angioplasty. Circulation 81:1753-1761, 1990

16) O’Keefe JH, Ororgi LV, Hartzler GO, Good TH, Lgion RW, Webb DL, McCellster BD:Effects of diltiazem on complications and restenosis after coronary angioplasty;a randomized blinded study placebo-controlled trial. J Am Coll Cardiol 67:373-376, 1991

17) O’Keefe JH, McCaillster BD, Bateman TM, Kuhnlein DL, Ligon RW, Hartxier GO:Ineffectiveness of colchicine for the prevention of restenosis after coronary angioplasty. J Am Coll Cardiol 19:1597-1600, 1992

18) Schwartz RS, Murphy JG, Edwards WD, Camrud AR, Vlietstra RE, Holmes DR Jr:Restenosis after balloon angioplasty:a practical proliferative model in porcine coronary arteries. Circulation 82:2190-2000, 1990

19) Bowles CR, Olcott C, Pakter RL, Lombard C, Mehigan JR, Walter JF:Diffuse arterial narrowing as a result of intimal proliferation:a delayed complication of embol-ectomy with the Fogarty balloon catheter. J Vasc Surg 7:487-494, 1988

20) Okadome K, Kuroki M, Ohtsuka K, Muto Y, Inokuchi K:Initial histopathology of the autovein graft in late occlusion after arterial reconstruction. J Cardiovasc Surg 27:241-247, 1986

21) Clowes AW, Reidy MA, Clowes MM:Mechanisms of stenosis after arterial injury. Lab Invest 49:208-215, 1983

22) Ueda M, Becker AE, Tsukada T, Numano F, Fujimoto T:Fibrocellular tissue response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an immunocytoche-mical analysis of the cellular composition. Circulation 83:1327-1332, 1991

23) Cereek B, Sharifi B, Barath P, Bailey L, Forrester JS:Growth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coronary arterial restenosis. Am J Cardiol 68:24C-33C, 1991

24) Gravanis MB, Roubin GS:Histopathologic phenomenon at the site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a problem of restenosis. Hum Pathol 10:477-485, 1989

25) Johnson DE, Wakely PE Jr:The morphology of restenosis after coronary artery balloon angioplasty. Circulation 80 (suppl):II-64, 1980

26) Clowes AW, Schwartz SM:Significance of quiescent smooth muscle cell migration in the injured rat carotid

Page 10: 경동맥에서 Balloon Injury 에 의한 증식반응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 2014-10-11 · Fogarty balloon injury가 적절하게 되었는지는 ba-lloon injury를 받은

- 182 -

artery. Circ Res 56:139-145, 1985 27) Clowes AW, Reidy MA, Clowes MM:Kinetics of cellular

proliferation after arterial injury. I:smooth muscle cell growth in the absence of endothelium. Lab Invest 49:327-333, 1983

28) Sinclair WK:Cyclic x-ray responses in mammalian cells in vitro. Radiat Res 63:620-643, 1968

29) Withers HR, Mason K, Reid BO, Dubravsky N, Barkley HT Jr, Brown BW, Smathers JB:Response of mouse intestine to neutrons and gamma rays in relation to dose fractionation and division cycle. Cancer 34:39-47, 1974

30) Thames HD, Withers HR, Mason K, Reid BO:Dose-survival characteristics of mouse jejunal crypt cells. Int J Radiat Onco Biol Phys 7:1591-1597, 1981

31) Withers HR:The dose-survival relationship for irradiation of epithelial cells of mouse skin. Br J Radiat 40:187-194, 1967

32) Withers HR, Hunter N, Mason K, Barkley HT, Mason KA, Smathers JB:Radiation survival and regeneration of spermatogenic stem cells of mouse testis. Radiat Res 57: 88-103, 1974

33) Kovalic JJ, Perez CA:Radiation therapy following ke-loidectomy:a 20-year experienc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77-80, 1989

34) Levy DS, Salter MM, Roth RE:Postoperative irradia-tion in the prevention of keloids. Am J Roentgenol 127:509-510, 1976

35) Enhamre A, Hammar H:Treatment of keloids with ex-cision and postoperative x-ray irradiation. Dermatologica 167:90-93, 1983

36) Anthony P, Keys H, Evarts CM, Rubin P, Lush C:Pre-

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with early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high risk patients undergoing total hip arthroplasty:comparison of 10Gy vs 20Gy schedul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3:365-9, 1986

37) Sylvester JE, Greenberg P, Selch MT:The use of post-operative irradiation for the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after total hip replacement.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4:471-476, 1988

38) Park KB, Kim JR:Studies on preparation of Dyspro-isum-165 metallic macroaggregate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Kor J Nucl Med 227:28, 1994

39) Park KB, Kim JR:Preparation of Dy-165-Ho-166 macro-aggregates for use in radiation synovectom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sotopes, 1995

40) Majesky MW, Schwartz SM, Clowes MM, Clowes AW:

Heparin regulates smooth muscle cell S phase entry in the injured rat carotid artery. Circ Res 61:296-300, 1987

41) Clowes AW, Clowes MM:Kinetics of cellular proliferation after arterial injury:Inhibition of smooth music growth by heparin. Lab Invest 52:611-616, 1985

42) Shimotakahara S, Maybeg MR:Gamma irradiation in-hibits neointimal hyperplasia in rats after arterial injury. Stroke 25:424-428, 1994

43) Schwartz RS, Koval TM, Edwards WD, Camrud AR, Bailey KR, Brown KR, Brown K, Vliestra RE, Holmes DR:Effect of external bean irradiation on neointimal hyperplasia after experimental coronary artery injury. J Am Coll Cardiol 19:1106-1113, 1992

44) Shi Y, Pieniek M, Fard A, O’Brien J, Mannion JD, Zale-wski A:Adventitial remodeling after coronary arterial injury. Circulation 93:340-348,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