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 1 -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 <목 차> 제1절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의 개요 ·········································· 2 1. 필요성 ···································································································································· 2 2. 개념 및 이해 ························································································································ 2 제2절. 지역거버넌스의 전개 ····················································································· 4 제3절 지역거버넌스 체계의 구분 ············································································ 4 1. 공공 부문(Public Sector) ································································································ 5 2. 지역사회 부문(Community Sector) ············································································· 5 3. 민간 부문(Public Sector) ································································································ 6 4. 시민사회 부문(Civic Sector) ··························································································· 6 5. 중간관리지원조직_「도시재생지원센터」 ······································································ 8 제4절. 지역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네트워크 조성 ··············································· 9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1 -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

<목 차>

제1절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의 개요 ·········································· 2

1. 필요성 ···································································································································· 2

2. 개념 및 이해 ························································································································ 2

제2절. 지역거버넌스의 전개 ····················································································· 4

제3절 지역거버넌스 체계의 구분 ············································································ 4

1. 공공 부문(Public Sector) ································································································ 5

2. 지역사회 부문(Community Sector) ············································································· 5

3. 민간 부문(Public Sector) ································································································ 6

4. 시민사회 부문(Civic Sector) ··························································································· 6

5. 중간관리지원조직_「도시재생지원센터」 ······································································ 8

제4절. 지역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네트워크 조성 ··············································· 9

Page 2: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조성 매뉴얼

제1절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의 개요

1. 필요성

◯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가 전개됨으로서 정부중심의 정책 및 전개에 있어 기

존의 정부중심의 획일적이며 일방적인 탑다운 방식이 아닌 지역중심의 주민

자력형의 협력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이 강화됨

Ÿ 지역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가 책임을 가지

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정책을 함께 결정

Ÿ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의 상호협력, 네트워크 조성을 통해 원활한 정보

교류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 도시재생사업에 관련된 주요사항을 논의 · 결

정하고 서로 공유함으로 도시재생사업과 추진을 원활하고 성공적으로 추진

◯ 선진국의 도시재생정책을 보면 단순한 물리적인 재생보다는 사람들의 사회

경제적인 활동의 총체를 지탱하는 무대로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지역거

버넌스 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한 도시재생전략을 추진함

Ÿ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거버넌스 구축의 가장 우선적인 과제는 지역내 존

재하는 다양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역량

강화가 우선적인 과제

Ÿ 일본은 1998년 이러한 시민사회단체의 활발한 활동을 법적․제도적으로

인정하고 지원하기 위한 근거마련을 위해 『NPO법(특정비영리활동촉진

법)』을 제정1)

Ÿ 이를 계기로 시민사회단체와 행정, 시민사회단체 간, 시민사회단체와 시

민 간의 협력과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중간지원조직들의 활성화

Ÿ 선진국의 도시재생은 크게 인재활용 지원, 토지이용 유동화, 사회운동차

원에서의 3가지 측면에서 지역거버넌스 활성화를 추진

2. 개념 및 이해

◯ 거버넌스의 개념은 “다양항 행위자들이 자융적으로 호혜적인 상화 의존성에

기반을 두어 협력하도록 하는 제도, 조종형태”(kooiman.1993;김석준.2000),

1) 경우, 지방분권과 행정효율화라는 정부개혁의 실천이 구체적으로는 NPO 등 시민섹터와의 협동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으며. 정부권한과 재원의 이양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주민자치에 의한 지역의 유지관리를 실현

시킴으로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의 자원이용을 촉진

Page 3: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3 -

또는 “정부 조직의 공적조직과 사적 조직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나타난 상호

협력적인 조정양식”(ㄴStoker.1998)으로 국가, 시장, 그리고 시민사회의 행

위 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 파트너 쉽을 강조하며, 이러한 개념은 여러 행위

주체들이 다양한 차원에서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 상호 조정, 협력을 이루

어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협상적 거버넌스(Negoriated

Governance) 과정이라고 함2)

◯ 거버넌스의 개념은 단순한 시민참여보다 적극적인 개념으로서 국가기관인

행정, 자본영역인 기업, 시민사회구성원인 시민집단 간의 관계에 기반한 협

력과 참여의 파트너십을 통해 공공의 문제를 해결해간다는 점에서 매우 유

용한 틀임

◯ 특히, 행정, 기업, 주민이라는 주체가 참여하면서 주체간의 관계도 다양하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기에 도시재생에 있어서 유용한 개념틀이 될 수 있음

◯ 지역거버넌스는 정부와의 수평적 협력관계와 동시에 민간부문과의 협력을

중시함

Ÿ 정부와 시장이 해결할 수 없는 제3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비정부조직

을 비롯한 시민사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인식을 바탕으로 지역거버넌스

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증대

Ÿ 이러한 시대적 환경과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지방화시대에 지방정부

와 시민사회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공공문제의 처방을 모색하는 것이 지역

거버넌스(Local Governance)라 총칭3)

Ÿ 기존 정부주도의 통치(government)와 차별화되는 거버넌스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자간의 자기 통치적 네트워크,

혹은 국가, 시장, 시민사회 등 상호의존적 행위자들 간의 자율적 · 수평적

복합조직(heterarchy)이라 정의4)

Ÿ 지역거버넌스에는 공공, 민간 그리고 비정부조직간의 자기조직적 네트워

크의 개념으로 참여와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 활성화가 핵심적 사항으로 파

트너쉽은 네트워크라는 기제를 통해 발현5)

Ÿ 지역거버넌스는 지역이라는 공간적 범위로 국한되고 지방정부와 지역내

2) , 김근태: “파트너십 형성을 통한 도시재생방안:영국 셰필드시 사례 연구”. 국토연구 제 57

권.2008.6.p.19-48

3) 박기관, “로컬거버넌스의 실험과 정책과제- 지역사회 실천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3권 제1

호, 2009.3, p.26

4) Jessop, Bob.(2000). “overnment Failure” in Gery Storker(ed.),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London: Macmillan Press Ltd.

5) 박기관, 상게서, p.30

Page 4: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4 -

의 다양한 자발적 조직이 포함되는 파트너쉽의 네트워크화라는 속성이 내재

Ÿ 지역거버넌스를 “지역주민, 지역대학 및 연구기관, 지역단체, 지방자치

체, 중앙정부 등이 민관협력의 정책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지역이 갖고 있는

공동의 과제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라 정의6)

제2절. 지역거버넌스의 전개

◯ 지역거버넌스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지역사회의 인적ㆍ

물적자본 등이 조직화되어 시민사회와 공동체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바탕으

로 다양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적 대안으로서 대두됨

◯ 특히, 의료복지7), 환경관리, 노동분야, 지역개발, 도시계획, 마을만들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음

Ÿ 지역사회에 기초한 이해관계자들의 계획과정 참여를 통해 상호 책임과

협력, 경험학습과 성찰적 대화, 그리고 사회적 자본 형성의 계기 제공

◯ 최근 들어 중앙부처별로 추진하고 있는 각종 정책사업에서도 관련법에 근거

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통해 산학관민의 협력적 사업 추진을 도모함

◯ 지역거버넌스의 전개는 정부부처의 정책사업은 물론 도시재생, 근린재생 사

업의 추진에 있어, 기존의 일방적인 하향적 추진방식이 아닌 지역과 주민에

의한 상향적 추진방식으로 전환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민조직을 비롯한 지

역내 다양한 유관조직, 기관들간의 연계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업의 패키지화

를 촉진함과 함께 지역 · 주민 자력형 사업추진방식의 확산 도모를 가능하게

◯ 특히, 최근 지정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8)」 에서도 지

역 협업체제의 구축·운영, 주민협의체 구성, 도시재생지원기, 도시재생지원센

터의 설치, 주민의견청취,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등 지역주

민 단체에 의한 도시재생사업의 시행 등 도시재생의 추진체계, 도시재생전략

계획 수립, 도시재생사업의 시행 과정에서 지역거버넌스 체계의 중요성이 강

조됨

제3절 지역거버넌스 체계의 구분

◯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거버넌스 체계는 공공 부문(Public Sector), 지역사회

6) , 이호창;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2010년 제10권 제1호,

2010.3, 129

7) 1998년 12월 국민건강보헙법의 제정으로 건강보험의 통합의 비전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건의료분야의 다양한

참여주체간의 의료복지에 관한 지역거버넌스의 구축이 활성화되고 있음

8) 법률 제 11868호, 2013.6.4. 제정, 2013.12.5. 시행

Page 5: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5 -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27조(주민자치회의 설치)

풀뿌리자치의 활성화와 민주적 참여의식 고양을 위하여 읍·면·동에 해당 행정구역의 주민으로

구성되는 주민자치회를 둘 수 있다.

제28조(주민자치회의 기능)

부문(Community Sector), 민간 부문(Private Sector), 시민사회 부문(Civic

Sector) 그리고, 이를 관리하고 운영 ·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인 도시재생지

원센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 체계로 구분됨

1. 공공 부문(Public Sector)

◯ 지자체의 도시재생과, 교육청 등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조직, 시정연

구원, 도시계획상임기획단 등 유관 공공기관, 그리고 시의회를 주요 협업 관

계자(파트너)로 구성하여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대한 협력과 연계네트워크를

체계화시킴

◯ 특히, 자치단체의 경우 지역자력형 도시재생지원 중간관리조직인 도시재생지

원센터를 설립·운영하며 행정조직 내부의 협력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

요함

2. 지역사회 부문(Community Sector)

◯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과 관점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주민의 역량과 자력적

재생을 위해 지역주민, 상인들을 포함한 다양한 레벨의 주민조직 및 주민 협

의체를 주요 협업 관계자(파트너)를 포함함

◯ 2014년도 지방선거 이후 자치단체별 읍면동단위의 주민자치회의 설립이 본

격화되며,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지역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주민

자치회의 적극 활용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주민조직의 네트워크화를 구축

하는데 용이함

◯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9)」 제9조 사무배분의 원칙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라 사무를 배분하는 때

에는 민간부문의 자율성을 존중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관여를 최소

화하여야 하며, 민간의 행정참여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음

◯ 또한, 동법 제3편 지방행정체제개편에 따르면 주민자치회를 읍면동별로 두

어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화하는 근거규정을 두고 있음

9)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종합적·체계적·계획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기본원칙·추진과제·추진체제 등을

규정함으로써 성숙한 지방자치를 구현하고 지방의 발전과 국가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국민

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법률 제11829호, 2013.5.28., 제정]

Page 6: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6 -

① 제27조에 따라 주민자치회가 설치되는 경우 관계 법령, 조례 또는 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일부를 주민자치회에 위임 또는 위탁할 수 있다.

② 주민자치회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주민자치회 구역 내의 주민화합 및 발전을 위한 사항

2. 지방자치단체가 위임 또는 위탁하는 사무의 처리에 관한 사항

3. 그 밖에 관계 법령, 조례 또는 규칙으로 위임 또는 위탁한 사항

제29조(주민자치회의 구성 등)

① 주민자치회의 위원은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위촉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위촉된 위원은 그 직무를 수행할 때에는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자로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하며 권한을 남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주민자치회의 설치 시기, 구성, 재정 등 주민자치회의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따로

법률로 정한다.

④ 안전행정부장관은 주민자치회의 설치 및 운영에 참고하기 위하여 주민자치회를

시범적으로 설치·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 2014년도 지방선거이후 자치단체별로 읍면동단위의 주민자치회의 설립이

본격화되면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축에

주민자치회의 적극적 활용이 가능함

◯ 특히, 도시재생사업 유형중 근린재생사업의 추진에 있어서는 지방행정의 일

부사무를 위임 수탁하여 처리할 수 있는 조직인 주민자치회와 수평적인 연

계협력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임

Ÿ 향후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주민자치회와의 유기적인 협력적 관계 확립이

중요

3. 민간 부문(Public Sector)

◯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민간 사업체와의 협업이 필요한 사업들에 대

한 협력자로서의 기업들(가능한 지역 기반 기업)을 협업 관계자(파트너)로

포함해야 함

◯ 도시재생사업 추진할 시 지역 기반의 인력, 향토, 문화, 자연자원 등을 활용

하여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소득,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등을 적극 활용하며, 지역내 상가 등 민간 사업체의

철저한 파악 과정(예를 들어 ppgis에 기반한 지역자원조사방법 등)을 통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

4. 시민사회 부문(Civic Sector)

◯ 지역내 대학, 지역의 전문가, 근린재생 사업별 관련 전문가 및 지방의제, 다

양한 지역기반 NGO 그룹 등을 협업 관계자(파트너)로 포함함

◯ 지역내 대학의 산학협력단의 각종 정부지원 정책사업 및 다양한 정부지원기

Page 7: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7 -

구분 파트너쉽 구축 내역

전북대 산학협력단 주택건설관련 및 녹색기술 지원 분야

전주대 산학협력단 창업지원 및 시장경영컨설팅분야

표 2. 전주 지역내 대학 산학협력단과 파트너쉽 구축 내역

관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하여 도시재생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도모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지역연계협력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지역

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함

Ÿ 도시재생 지역거버넌스의 중심적인 기능과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여건

을 지닌 지역대학 산학협력단과의 연계 강화

Ÿ 특히 지역대학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 R&D

사업 및 정책연구 등을 도시재생사업과 상호연계시킴으로서 파급효과 극대

화 가능

Ÿ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지역내 입지한 대학들과

의 산학연 협력적 파트너쉽 구축은 도시재생사업의 연계협력 시너지효과 증

대로 도시활력을 제고하는 핵심적 지역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

Ÿ 지역대학이 기존에 구축하고 있는 산학협력단내 다양한 R&D 연구센터

가 추진하는 정책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하고 공동연구

및 기자재등 공동사용 등 협력방안 협약 체결 확대

Ÿ 지역대학 관련학과 교과과정에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와 상가활성화 기법

등에 도시재생에 대한 원격강의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도시재생전문가

양성기반 단계적 확충

Ÿ 지역대학의 전문적인 R&D 연구성과를 활용하고 도시재생기법등을 종합

적으로 연계하여 도시재생사업에 주민과 협력하여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

는 시범프로젝트의 발굴하며 지역대학 산학협력단과 공동연구세미나, 포럼

등 개최하여 협력관계를 지속

Ÿ 지역대학 산학협력단의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여 공동연구를 1:1 매칭펀

드 방식으로 추진

Ÿ 도시재생 관련 전문가 집단의 사회활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대학 산

학협력단의 전문연구조직의 연구교수명단과 중앙부처의 정책사업을 중간관

리하기 위한 조직과 각종 연구조직 등의 실태를 파악하여 도시재생 전문인

력 DB를 구축

Page 8: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8 -

우석대 산학협력단 상가마케팅 및 재래시장 유통활성화 지원 분야

기전대 산학협력단 주민건강관리 및 의료복지 지원 분야

비젼대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활용 주민참여 시스템기반 지원 분야

예원대 산학협력단 문화를 활용 상권활성화 지원 분야

◯ 자생적인 NGO 등과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 자산적 협력관계(파트너쉽)를 구

축함

◯ 주민참여적인 계획의 수립과 주민역량강화를 위한 주민학교 운영 등 지역내

자생적인 민간조직 등과 협력하며 다양한 사회적 자본과의 연계를 위한 네

트워크 포럼 등을 추진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

5. 중간관리지원조직_「도시재생지원센터」

◯ 자치단체의 경우 중간관리조직인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여야

하고 행정조직 내부의 협력적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함

Ÿ 센터는 자자체 행정조직의 하부로서의 위상이 아닌 수평적 협력조직으

로서 인식하고 공생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자율적인 조직운영과 권한

을 부여하고 적극 협조

Ÿ 중간관리조직 역할을 담당하는 도시재생지원센터와 같은 기관은 행정조

직의 성격을 지닌 것과 별도의 공적 법인 성격을 지닌 것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처별 정책사업의 지역단위 추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의 수행을 지원

Ÿ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다양한 조직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서 도시재생사업의 시너지효과를 창출

◯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도시재생전략계획 및 사업의 추진 지원뿐만 아니라 주

민의 의견조정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항을 지원하며, 주민의 커뮤니티 역

량구축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교육장 제공, 의사소통의 공론장의 역

할, 마을기업의 창업 및 운영지원 등등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조직으

로서 주민과 소통하며 행정, 각 기관 등 협업관계자 및 거버넌스와의 수평적

관계를 유지해야 함

◯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다양한 연구 및 공동사업을 거버넌스 체계로 추진하기

위해 지역내 다양한 정부부처지원 공공단체와의 MOU를 체결하여 지역거버

넌스의 기반 마련을 수월하게 추진함

Page 9: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9 -

구축기관 협약일시 협약 체결 내용 비고

전주대학교창업보육지원센터

2011.11.10

Ÿ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청년 및 노인 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 검토

Ÿ 상가지구 내 빈점포에 대한 청년 및 실버 창업 교육 및 벤처창업지원 공동 추진

중기청

전주한식반찬산업클러스터 사업단

2011.12.16

Ÿ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상가지역 내 빈점포 및 노후 미이용 공간의 활용을 통하여 한식반찬 체험공간 조성 사업 등과 한식반찬 창업프로그램 발굴추진

Ÿ 한식반찬창업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지원 및 사무공간 공동이용

농림부

전북녹색환경 지원센터

2011.12.30

Ÿ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전주 도시재생 TB지역 내 토양 및 수질오염 등 환경기초조사연구 공동 추진

Ÿ 전주 도시재생 TB지역 내 녹색환경기술적용을 위한 교육 및 시범사업 공동으로 추진

Ÿ 녹색환경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의 지원 및 사무공간 공동이용

환경부

전주문화원 및 진북문화의 집

2012.2.6

Ÿ 도시재생과 문화환경조성을 위한 교육 및 연구협력을 위하여 자료와 정보 공유를 추진

Ÿ 도시새생 및 문화환경을 위한 연구활동이나 주민교육 등의 행사시 시설사용에 대해 협조

문체부

전주소상공인지원센터

2012.2.9

Ÿ 도시재생과 상업 환경조성을 위한 교육 및 연구협력을 위하여 자료와 정보의 공유 추진

Ÿ 연구 및 교육활동에 따른 시설사용 시 사용기관이 사용에 따른 제반사항에 대해 협조

중기청

사회적기업지원센터

2012,4.11

Ÿ 도시재생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창업지원교육 및 연구협력을 위하여 자료와 정보공유 추진

Ÿ 연구 및 교육활동에 따른 시설 사용시 사용기관이 사용에 따른 제반사항에 대해 협조

노동부

전주공예품전시관

2012.9.21

Ÿ 상가재생과 연계한 협력을 위하여 자료와 정보공유 추진

Ÿ 도시재생 및 공예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활동, 주민교육 등 행사시 시설 이용 협조

전주시

한국 리모델링협회 전북지회

2012.12.18Ÿ 교육 및 연구협력을 위하여 자료와 정보공유

추진Ÿ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 별도의 연구조직 구성

전문단체

전주대학교 창업지원단

2013.1.7Ÿ 창업지원자 교육 및 컨설팅 지원Ÿ 창업지원을 위한 정보공유와 창업지원 공동프

로그램 및 사업의 발굴 협조중기청

표 3 전주도시재생센터의 각종 단체와의 MOU 체결 내용

제4절. 지역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네트워크 조성

◯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거버넌스 구축과 네트워크의 조성은 단계적로 접근되

어야 함

Page 10: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10 -

Ÿ 도시재생추진시스템의 일환으로서 PPP활성화 촉진 및 지원을 단계적으

로 추진

Ÿ 지역내 도시재생주체와 다양한 사회적 자본들간의 유기적인 파트너쉽

구축을 단계적으로 발전

Ÿ 초기단계인 ‘지역연계 협력단계’는 새롭게 도입되는 도시재생사업의 효

율적인 추진을 위한 도시재생지원 중간관리조직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되는 조직간의 연계협력기반을 구축함

Ÿ 중간단계는 ‘지역연계 네트워크화’ 로서 단순히 사업추진을 위한 개별

조직간의 연계협력을 넘어선 공생적인 차원에서의 사업추진과 공동연구를

모색하고 이를 촉진시키기 위한 거버넌스의 네트워크의 조직화단계라고 할

수 있음

Ÿ 성숙단계인 ‘지역연계 파트너쉽화’ 는 광역적인 거버넌스의 네트워크 조

직화를 기반으로 공동으로 사업을 발굴 · 선정하고 패키지화하여 추진할 수

있는 협력단계로서 지역거버넌스의 시너지효과가 가장 활성화되는 단계

그림 1. 단계별 도시재생추진 시스템 「PPP 시스템」

Page 11: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11 -

◯ 지역거버넌스 체계는 「공공 부문」 「지역사회 부문」 「민간 부문」 「기

타 시민사회 부문」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포함하는 협업 체계로 중간관

리조직인 「도시재생지원센터」가 도시재생, 근린재생 사업 등 관련된 사항

을 추진 · 지원 하며 도시재생의 사업 추진별 구성된 의사결정과 실행기구인

「근린재생 협력 네트워크」 간의 ‘수평적 관계의 파트너쉽’ 구축을 기반으

로 네트워크를 조성·확대하는 것이 중요함

Ÿ 지역거버넌스 구축의 다양한 파트너들 간 협업을 통한 협력적 계획 및

실행과정을 거치 고, 특히, 파트너쉽의 결속력이 더욱 강화되고 지속성을 가

지기 위해 각 부문 협업 관계자(파트너)들의 정기적 미팅이 필요

Ÿ 「근린재생 협력 네트워크」는 사업추진을 위한 각각의 협력 파트너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

그림 2. 지역거버넌스 체계 및 네트워크구축 구조도

Page 12: 지역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크 조성 매뉴얼ur-jeonjutb.org/we/pdf_down/04-지역거버넌스 구축... · 2016-12-27 · - 2 - 【04】지역거버넌스 구축/네트워크

- 12 -

주요 파트너

부문 실행

기타사항

(제3차 축제조직위원회에 참여)

노송동 주민조직 ○ ○ 대표 11인

인후1동 주민조직 ○ ○ 대표 3인

인후2동 주민조직 ○ ○ 대표 7인

중앙동 주민조직 ○ ○ 대표 6인

진북동 주민조직 ○ ○ 대표 1인

전주도시재생지원센터 ○ ○ ○ 위원회 활동 지원

전주시 도시재생과 ○ 필요시 행정 지원

5개동 동사무소 ○ ○5개동 동장 5인 및 각 동 지원 공무

원 5인 (자문), 주민홍보 지원

전주시자원봉사센터 ○ ○ ○ 센터장 (자문)

전북자원봉사종합센터 ○ △ ○ 센터장 (자문)

아리랑하우스 대표 ○ △ ○ 대표 (자문)

동문예술거리추진단 ○ △ ○ 대표 (자문)

인후문화의집 ○ △ ○ 대표 (자문)

(주)세상그리미 ○ △ ○ 대표 (자문)

지역 교육기관 ○ ○풍남초교, 전주초교 교장, 풍남유치원

원장 (자문)

전통문화콘텐츠연구소 연 ○ ○ ○ 대표 (자문)

선비문화체험관우리누리 ○ △ ○ 대표 (자문)

지역 종교단체 ○ △ ○ 동현교회 담임목사 (자문)

* △ 표기는 향후 축제 프로그램들이 구체화될 경우 관련성이 높은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계하여 협력 사

업 가능성이 높음을 표시함

표 4. 제3회 전주천사마을축제 조직위원회의 주요 협업관계자(파트너) _2013년 7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