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최종보고서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II)

2009년 11월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Page 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II)”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1월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참여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보건학과

을지대학교 보건산업대학 보건환경학과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병리학과

Page 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참 여 연 구 진

책임연구원 최경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고영림 을지대학교 보건산업대학

안병우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연구보조원 지경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정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윤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예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선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진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한선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지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상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이우진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신상경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김애리 용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문위원 류판동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박광식 동덕여자대학교

박찬구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안령미 동덕여자대학교

이성규 안전성평가연구소

정해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Page 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 -

1. 용역명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II)

2. 연구목적

가. 환경 노출수준과 위해성에 근거한 우선순위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선정

나.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국내·외 생태독성 자료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주요 잔류 의약물질의 저농도 만성노출 생태독성시험을 수행

다.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인체용 및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프레임워크의 개선점을 보완

3.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1) 2006, 2007, 2008년도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업의 잔류 의약물질의 실태조사 및 배출원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 평가 대상물질 선정

(2) 환경노출수준 및 위해성에 근거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나.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국내·외 생태독성 자료를 검토하여

부족한 자료 파악

(2) 국제 표준시험종 및 국내 고유종을 이용하여 저농도 만성노출 생태독성

시험 수행

(3) 동물용 의약물질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검토 및 활용

다.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1)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인체용 및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수행

(2) 2008년에 도출된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의 보완 및 확립

Page 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 -

4. 연구결과

가.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은 2006, 2007, 2008년도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업의 잔류 의약물질의 실태조사 및

배출원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주요 하천수 40지점 및 저질

4지점에서 보고된 27종의 인체용 및 동물용 의약물질 중 검출농도, 검출빈도

및 생태독성 자료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6종(oxytetracycline, sulfamethaz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의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

나.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은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급성노출에 비해

물벼룩 및 어류에 미치는 독성영향이 증가하였고, 번식과 관련된 개체

수준에서의 영향도 비교적 낮은 노출수준(μg/L범위)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내분비계 교란 지표인 생식소 중량지수를 측정한 결과 diclofenac 10 mg/L에

노출된 암컷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sulfathiazole 0.05 ~ 500 μg/L 에

노출된 수컷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또 다른

내분비계 교란 지표인 비텔로제닌 발현 정도 및 생식소의 조직학적 변화는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시험농도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인 oxytetracycline 등 6종은 예측환경농도 및

예측무영향농도를 토대로 유해지수를 산정한 결과 국내 물환경의 지표수에서

검출된 수준의 평균값과 최대값에서 유해지수 1을 초과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국내 물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의 오염수준이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음을 의미한다.

“2007년 의약품 품목별 생산실적자료(한국제약협회)”를 가공하여 국내 생산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을 정리한 결과 환경 중 예상농도가 0.1

μg/L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되는 성분은 acetaminophen, amoxicillin,

clarithromycin 등 96 성분이었다. 수계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환경예상농도 추정을 위하여 PhATETM 모형을 우리나라 4대강(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에 대하여 모의한 결과 수계 구획에 따라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보이는 지역이 있었다. 이는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동물용 의약물질 중 환경위해성평가가

필요한 수산용 의약물질의 성분을 제시하였다. 육상동물용 의약물질의 경우

축사에서 사육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유럽에서 사용하는 기본값을

적용하여 환경 중 예상농도를 추정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Page 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 -

목 차

요 약 문 ················································································································· 1

목 차 ·················································································································· 3

표 목 차 ················································································································· 6

그림목차 ················································································································· 8

약어정리 ················································································································· 9

부록목차 ··············································································································· 10

제 1장. 연구의 개요 ·························································································· 1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1

2. 연구 범위 및 세부내용 ···························································································· 18

가.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18

나.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18

다.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18

제 2장. 연구 방법 ······························································································ 19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19

가. 잠재적 환경위해성에 근거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19

나. 의약물질의 이화학적 특성에 근거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20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 21

가. 생태독성영향 평가의 실험방법 ······················································································ 22

(1) 시험생물종 ····················································································································· 22

(2) 시험방법 ························································································································· 24

(가)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 24

(나)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 25

(다)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 26

(라) 어류 내분비계 교란능력 평가 ··········································································· 27

(3) 대상의약물질의 노출수준 실측 ················································································· 28

(가) 기구 및 시약 ········································································································· 28

(나) 분석방법 ················································································································· 28

(4) 조직학적 변화 관찰 ····································································································· 33

Page 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 -

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검토 ·········································································· 34

다. 표준지표독성시험을 통한 시험생물종의 민감도 관리 ·············································· 34

3.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35

가.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35

(1) 잔류 의약물질의 물환경 생태위해성 평가 방법 ··················································· 35

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구동 ················································································ 36

(1) 인체용 의약물질 ··········································································································· 36

(가)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총생산량 산정 ····················································· 36

(나)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예상농도(PECsurfacewater) 추정 ·································· 38

(2) 동물용 의약물질 ··········································································································· 40

다. 필수 실태 조사물질 제안 ································································································ 41

제 3장. 연구 결과 ······························································································ 42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42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 46

가. 생태독성평가의 결과 및 고찰 ························································································ 46

(1)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 51

(가) Daphnia magna 21일 만성독성시험 ·································································· 51

(나) Moina macrocopa 3 brood 만성독성시험 ························································ 55

(2) 어류 만성독성시험 ····································································································· 58

(가)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 58

(나)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 62

(다) 어류 내분비계 교란능력 평가 ··········································································· 65

(라) 어류 조직학적 변화 관찰 ··················································································· 68

(3) 대상의약물질의 노출농도 실측 ················································································· 70

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검토 ·········································································· 73

다. 표준지표독성시험을 통한 시험생물종의 민감도 유지 확인 ·································· 74

3.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75

가.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75

(1)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위해성 평가 결과 ································································· 75

(가) 노출평가 ················································································································· 75

(나) 영향평가 ················································································································· 75

(다) 위해성 정량화 ······································································································· 79

Page 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 -

(라) 평가대상 의약물질 위해성 토의 ······································································· 79

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구동 ················································································ 81

(1) 인체용 의약물질 ··········································································································· 81

(가)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 81

(나)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총생산량 산정(2007년) ········································ 85

(다) 1단계: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예상농도(PECsurfacewater) 추정 ······················· 85

(라) 2단계: 인체용 의약물질의 위해도 스크리닝 ···················································· 91

① 노출수준 PECcorrected 추정 ················································································· 91

② PECcorrected와 독성정보를 이용한 위해도 스크리닝 (HQ) ·························· 96

(마) 3단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노출평가를 위한 PhATETM

모형의 적용 · 101

(2) 동물용 의약물질 ········································································································ 103

(가)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 103

(나) 1단계: 동물용 의약물질의 사전 스크리닝 ··················································· 105

① 수산용 의약물질 ······························································································· 105

② 육상동물용 의약물질 ······················································································· 111

다. 필수 실태 조사물질 제안 및 향후 개선방안 ···························································· 117

(1) 필수 실태 조사 인체용 의약물질 ·········································································· 117

(2)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개선 방안 ······························································ 120

제 4장. 결론 ······································································································ 122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122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 122

3.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126

참고문헌 ···························································································································· 128

부록 ···································································································································· 133

Page 1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 -

표 목 차

표 1. 국내 하수처리장 및 지표수 중 의약물질 검출농도 ····················································· 15

표 2.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조건 ································································································· 24

표 3.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조건 ····················································································· 25

표 4.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조건 ························································································· 26

표 5.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기기분석 조건 ····································································· 29

표 6.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머무름 시간, 모분자 및 생성이온 ·································· 29

표 7.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 33

표 8. 예상무영향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계수와 적용 기준 ························· 36

표 9.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노출 수준 요약 ······························································· 43

표 10. 가용 생태독성정보를 토대로 산정한 주요 잔류 의약물질의 예상무영향농도 ····· 44

표 11.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선정 ····················································································· 45

표 12.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의약물질 및 용도 ······································································· 45

표 13.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급성 및 만성 생태독성 자료 ··················································· 46

표 14. 본 연구에서 수행한 생태독성 시험과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 50

표 15. Daphnia magna 21일 만성독성시험 ················································································ 53

표 16. Daphnia magna 21일 만성독성시험결과 요약 ······························································ 54

표 17. Moina macrocopa 3 brood 만성독성시험 ······································································ 56

표 18. Moina macrocopa 3 brood 만성독성시험결과 요약 ···················································· 57

표 19. Oryzias latipes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의 생존능력변화 ··································· 59

표 20. Oryzias latipes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의 성장능력변화 ··································· 60

표 21. Oryzias latipes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결과 요약 ··············································· 61

표 22. Oryzias latipes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90일)의 생존 및 성장능력변화 ············· 63

표 23. Oryzias latipes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120일)의 생식능력변화 ··························· 64

표 24. Oryzias latipes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결과 요약 ··················································· 64

표 25.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ryzias latipes의 GSI와 HSI 변화 ··· 67

표 26.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ryzias latipes의 내분비계 교란평가

결과 요약 ····························································································································· 67

표 27.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ryzias latipes의 조직학적 변화 관찰

빈도 ······································································································································· 68

표 28.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설정농도 및 실측농도 ····················································· 71

표 29. 동물용 의약물질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 73

표 30. 위해성평가를 위해 사용된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물환경 노출수준 ······················· 75

표 31.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급만성 생태독성영향 ······················································· 77

표 3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별 예상무영향농도(PNEC) 값 ··········································· 79

표 33. 평가대상 의약물질 별 유해지수 산정 ··········································································· 79

표 34. 인체용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 단계 및 방법 ·························· 82

표 35. 우리나라 인체의약성분 중 1단계 스크리닝 기준 초과 성분 수 ····························· 85

표 36. 2007년 기준 PECsurfacewater가 0.1 μg/L를 초과하는 인체용 의약물질 ···················· 86

표 37. 2007년 기준 호르몬제 성분의 국내생산량 및 PECsurfacewater ···································· 90

Page 1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 -

표 38. 2007년 기준 6,000 kg 이상 생산된 의약물질 중 logKow 4.5 이상인 물질 목록 91

표 39. 2007년 기준 국내생산량이 6,000 kg 이상인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의 인체대사율,

하수처리장 처리효율 및 PECcorrected ·············································································· 92

표 40. 표 39에서 제시된 인체대사율과 하수처리장 처리효율의 참고문헌 목록 ············· 95

표 41. 의약물질 중 6,000 kg 이상 사용되는 주요 의약물질의 생태독성 자료 ··············· 96

표 42. 한강 PECPhATE 적용 결과 segment 농도가 0.1 μg/L 이상으로 추정되는 성분 101

표 43. 주요 가축에 사용된 의약물질의 환경유입 경로 ······················································· 103

표 44. 국내 승인 수산용 의약물질 유효성분 ········································································· 107

표 45. 수산용 구충제 중 2단계 환경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성분 ··················· 110

표 46. 우리나라에서 다량 사용되는 동물용 구충제 성분 ··················································· 111

표 47. 동물용 의약물질의 가축 무리 중 처치 비율 ····························································· 112

표 48. EMEA 지침에서 제시하는 축사 동물의 PECsoil 계산을 위한 값들 ····················· 115

표 49. 주요 의약물질의 국내 소비량 환경 중 예상농도 및 잠정 유해지수 요약 ········· 117

표 50. 물환경 실태조사가 필요한 물질 선정 ········································································· 119

표 51.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결과 ····························································································· 123

표 52. 어류 만성독성시험 결과 ································································································· 125

표 53.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환경 농도 대표값과 예측무영향환경농도를 이용한

유해지수의 산출 ·············································································································· 126

Page 1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 -

그림 목차

그림 1. 의약물질의 환경유입경로 ······························································································· 12

그림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흐름도 ····················································· 21

그림 3. 물벼룩 및 어류 만성독성시험에 사용될 시험생물종 ··············································· 22

그림 4. 물벼룩 배양과 먹이 ········································································································· 23

그림 5. 송사리 배양과 먹이 ········································································································· 23

그림 6.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 25

그림 7.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 26

그림 8. ELISA kit를 이용한 비텔로제닌 측정원리 ································································ 27

그림 9. Oxytetracycline의 검정곡선 ··························································································· 30

그림 10. Sulfamethazine의 검정곡선 ························································································· 30

그림 11. Diclofenac의 검정곡선 ·································································································· 31

그림 12. Chlortetracycline의 검정곡선 ······················································································ 31

그림 13. Erythromycin의 검정곡선 ···························································································· 32

그림 14. Sulfathiazole의 검정곡선 ······························································································ 32

그림 15. 의약물질의 품목별 생산실적자료의 구성 ································································· 37

그림 16.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도출 방법 ························································· 38

그림 17. 우리나라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PhATETM

구축 화면 ··············· 40

그림 18. 의약물질 노출에 따른 수컷 Oryzias latipes의 혈장 중 비텔로제닌 농도변화 · 66

그림 19. 표준지표독성시험을 통한 시험생물종의 민감도 유지확인 ··································· 74

그림 20.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 ············································ 82

그림 21.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 ·········································· 104

그림 22. 수산용 의약물질의 관련 법체계 ··············································································· 105

그림 23. 돼지용 항생제 baytril 사용설명서 ··········································································· 116

Page 1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 -

약어 정리

AF : Assessment Factor : 안전계수

CV : Coefficient of Variation : 변이계수

EC50 : 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 : 반수영향농도

ECB : European Chemicals Bureau : 유럽 화학물질국

EDC : Endocrine Disruption Chemicals : 내분비계 장애 물질

EIC : Environmental Introduction Concentration : 환경유입농도

ELISA :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효소면역측정법

ELS : Early Life Stage : 초기생애

EMEA : European Agency for the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 유럽 의약물질청

GSI : Gonad-somatic index : 생식소 중량지수

HQ : Hazard Quotient : 유해지수

HSI : Hepato-somatic index : 간 중량지수

LOEC :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 최소영향관찰농도

MDL : Method Detection Limit : 검출한계

MEC : Measur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 실측환경농도

MHW : Moderately Hard Water

NOEC :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 무영향관찰농도

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경제협력개발기구

PEC :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 예측환경농도

PNEC :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 예측무영향농도

US EPA :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미국 환경청

VTG : Vitellogenin : 비텔로제닌

Page 1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 -

부 록 목 차

부록 1.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별 생산량 도출과정 ················································· 134

부록 2. 4대강(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PhATETM 유역, segments, 유역입력

정보 ······································································································································ 139

부록 3.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별 생산량 (2007) ···················································· 143

부록 3-1. 분류번호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2. 분류번호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3. 분류번호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4. 분류번호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4. 의약물질 등 분류번호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예규) ········· 169

부록 5. 인체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 174

부록 5-1. 분류번호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부록 5-2. 분류번호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

산된 성분 (2007)

부록 5-3. 분류번호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부록 5-4. 분류번호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부록 6. 한강 PhATETM 모의 결과 ··············································································· 186

부록 7. 수산용 의약물질 관련 법체계 (국립수산과학원, 2008) ························· 202

Page 1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 -

제 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의약물질은 사람과 동물의 건강 및 축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물질이다. 그러나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염물질로서

잠재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의약물질의 사용으로 인한 편익이 크기 때문에,

사용되고 난 후 환경에 배출되었을 때 초래되는 부정적 영향 및 환경위해성은

적절히 고려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의약물질이 물환경을 오염시켜

생태계에 위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향후에 효과적으로 관리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의약물질은 매우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 물질의 집합으로 그 화학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물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어떤

의약물질은 투여용량의 약 80-90%가 뇨를 통해 활성물질로서 배출되기도 하는데,

이렇게 배출된 의약물질은 하수처리공정을 통하더라도 활성을 띤 형태로

수중생태계로 유입된다(Jjemba, 2006).

인체용 의약물질은 의약물질 제조, 사용자의 섭취 및 배설을 통해 환경에

직접적으로 방출된다. 동물용 의약물질도 사용 후 궁극적으로 토양과 물환경을

오염시켜 환경 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의약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예상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하여 의약물질도 다른 화학물질과

마찬가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체계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고 우려 물질에 대해서는

적절한관리가 필요하다.

Page 1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 -

인체용 의약물질 및 동물용 의약물질이 환경에 유입되는 경로는그림 1과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인체용 의약물질이 환경으로 유입되는 경로는 1) 제약공장 방류수 유출, 2)

의약물질이 환자에게 가는 과정에서의 배출, 3) 사용하지 않은 약을 병원에서 또는

환자가 하수구나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경우, 4) 환자가 복용한 약물이 대사되거나 또는

원형그대로배설되는 경우등으로나누어볼수있다.

사람의약품 동물의약품

어류양식장투약후 대소변을통한배출

불용의약품의drainage

불용의약품의매립

동물의사료첨가제

질병치료제

매립장침출수

강우에의한 유출

하수처리시설매립장침출수

강우에의한 유출

하수처리시설

방 류 수

퇴비, 액비로 시비

축산폐수처리시설

지하수지하수 오염오염슬러지의비료화

지표수지표수 오염오염

방 류 수

먹는먹는 물물 오염오염

그림 1. 의약물질의 환경유입경로

이러한 사용 및 배출 특성 때문에, 병원폐수나 제약공장폐수 이외에도 도시하수와

지표수에서 의약물질이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잔류 의약물질의 환경오염은 이미

1970년대에 Garrison 등(1976)과 Hignite와 Azarnoff(1977)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이들의 연구에 의하면 도시하수처리장에서 콜레스테롤 강하제인 clofibric acid와

해열제 salicylic acid가 1~95 μg/L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유럽에서 최초로 이루어진

종합적 보고는 영국의 Richardson과 Bowron에 의해 수행된 연구(1985)로서

의약물질이 물환경 중에서 1 μg/L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식수원 오염 가능성이

있음이 제시되었다.

Page 1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 -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의약물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2003년 국내에서

유통된 인체용 의약물질의 수는 15,000가지 이상이며(한국제약협회, 2003), 이 중

항생제는 약 120여 성분, 2,000여 종의 제품으로 제조, 판매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전체 의약물질 시장의 약 15% 정도인 항생제는 전 세계 항생제 시장

비중(7%)을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동물용 의약물질의 경우에도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가축의 사육밀도가 과밀하여

가축사육과 이에 따른 동물용 의약물질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영향도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5년 국내에서 생산된 동물용항생제의 양을 보면총 1,118톤으로 이

수준은 스웨덴의 80톤(2003년)과 낙농국가인 덴마크의 170톤(1997년)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며 영국의 735톤(2003년)보다도 높다(Kim et al., 2006). 특히 치료용 항생제에

비해 사료첨가용 등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의 양이 더 많아 쓰고 난 후 항생물질이

환경으로 배출될가능성이더우려된다.

또한 외국에서 위해가능성 때문에 사용이 금지된 동물용 의약물질이 우리나라에서는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된다. 국내에서 사료

첨가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온 항균제인 carbadox와 그 대사산물(desoxycarbadox,

hydrazine)이 유전독성물질로 발암성이 우려되므로 2001년 캐나다와 1999년

유럽에서 사료 첨가제로 carbadox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시켰다1).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1999년 유럽연합에서성장촉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 bacitracin과

virginiamycin도 유통되어왔다. 인체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fluoroquinolone계항생제의

경우에도 일부가 축산동물을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어 궁극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

2009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수계 중 의약물질 잔류농도 조사 결과를 보면

측정이 시도된 의약물질은 47종이며, 이 가운데 29종이 검출되었다(표 1). 검출

수준은 대체적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지표수보다 높았으나 그렇지 않은 물질도

보였다. 그 이유는 사람 이외의 배출원이 존재하거나 하수처리를 거쳐 활성을 띤

물질로 다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검출 빈도와 검출 수준이 높은 의약물질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의 연구는 아직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의약물질의 종류가 수천가지에 이르러 모든

의약물질의 생태계 독성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은 주요 생태독성시험종을 이용한

급성독성 자료가 대부분이다. Fent 등(2006)은 인체용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에 대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수많은 나라의 하수처리장 방류수, 지표수, 해수, 지하수,

그리고 일부 먹는물에서 다양한 종류의 인체용 의약물질이 저농도로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밝혀진 생태독성 정보는 매우 제한적임을 보고하였다.

일부 의약물질에 대한 급성독성 영향이 조사되고는 있으나, 물환경 중의

의약물질이 수서생물에 급성치사성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고한 연구는 거의

1) http://www.gov.on.ca/OMAFRA/english/livestock/ceptor/2001/sep01a9.htm

Page 1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 -

찾아보기 어렵고, 또한 사고로 인하여 고농도로 의약물질이 누출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의약물질 노출로 인해 수서생태계에 급성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의약물질에 대한 만성 생태독성 연구도 일부 수행된 바 있으나 구체적인

생태독성영향에 근거한 것이 아니고 수행된 연구도 극히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물환경 중 오염된 의약물질에 저농도로 장기간 노출될 경우 발생할지

모르는 만성 생태영향까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환경 중 의약물질에 대한 조사 및

관심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환경 중에 존재하는 의약물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함에 비해 가용한 재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모든 의약물질에 대해 이러한 만성적 생태영향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Ankley 등(2007)은 만성 생태영향 연구가

특이적 표적장기나 경로가 존재하는 생물종에 대해서 수행되거나 생리, 생태학적

관련성이 있는 만성지표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미국과 유럽 등지의 환경 중에서 다양한 의약물질이 하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토양 등에서 검출되고 있으며(Fent et al., 2006) 이러한 오염의 생태계 영향에 대한

조사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강 등 주요 하천에서 항생제, 항균제,

소염제 등의 의약물질이 빈번히 검출되어 국민 불안이 존재하고 잠재적 생태계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Kim et al., 2006).

이에 따라 주요 환경 잔류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국립환경과학원, 2008)가

진행되었으며, 의약물질의 분석방법 및 잔류실태 조사연구(국립환경과학원,

2006-2008)도 진행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환경 중에서

다빈도 고농도로 검출된 주요 잔류 의약물질 가운데 환경영향이 우려되는 주요

잔류의약물질을 선정하고 이러한 물질의 생태독성을 연구하여 환경위해성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Page 1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 -

표 1. 국내 하수처리장 및 지표수 중 의약물질 검출농도 (단위 : μg/L)

의약물질 하수처리장 방류수 지표수 참고문헌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1,7 Dimethylxanthine 0.174 0.005 0.685 0.134 0.005 0.451 Kim et al., 2005

Acetaminophen <LOD <LOD <LOD 0.044 0.000055 0.147 NIER, 2006

0.03 <LOD 0.16 - - - Han et al., 2006

0.002 0.001 0.009 0.05 0.001 0.439 Kim et al., 2005

0.046 0.002 0.11 0.042 0.002 0.21 Park, 2007

0.010 0.002 0.019 0.033 0.004 0.073 Kim et al., 2007

- - - 0.137 0.137 0.137 NIER, 2007

0.003 <LOD 0.009 0.033 <LOD 0.127 Choi et al., 2008

- - - 0.007 <LOD 0.041 NIER, 2008

Caffeine 0.278 0.019 0.873 0.213 0.0015 1.292 Kim et al., 2005

0.228 0.023 0.776 0.105 0.003 0.194 Kim et al., 2007

0.278 0.019 0.873 0.169 <LOD 0.373 Choi et al., 2008

Carbadox <LOD <LOD <LOD <LOD <LOD <LOD NIER, 2006

<LOD <LOD <LOD 0.002 0.002 0.01 Kim et al., 2006

Carbamazepine 0.16 <LOD 0.97 - - - Han et al., 2006

0.092 0.001 0.195 0.018 0.001 0.12 Kim et al., 2005

0.226 0.073 0.729 0.025 0.005 0.061 Kim et al., 2007

0.093 <LOD 0.195 0.008 <LOD 0.036 Choi et al., 2008

Chloramphenicol 0.006 0.005 0.044 0.008 0.005 0.043 Park, 2006

Chlortetracycline <LOD <LOD <LOD <LOD <LOD <LOD NIER, 2006

<LOD <LOD <LOD 0.013 0.002 0.793 Kim et al., 2006

0.184 0.030 0.410 0.823 0.020 5.400 NIER, 2007

- - - 0.002 <LOD 0.070 NIER, 2008

Cimetidine 4.933 0.01 7.763 0.153 0.003 1.338 Kim et al., 2005

4.933 <LOD 7.763 0.278 <LOD 1.338 Choi et al., 2008

Ciprofloxacin 0.012 0.000001 0.05 0.012 0.000001 0.14 NIER, 2006

0.085 0.001 0.024 0.001 0.001 0.001 NIER, 2007

- - - 0.001 <LOD 0.012 NIER, 2008

Clofibric acid 0.31 <LOD 0.74 - - - Han et al., 2006

Diclofenac 0.213 0.001 0.516 0.016 0.001 0.175 NIER, 2006

1.97 <LOD 10.96 - - - Han et al., 2006

0.040 0.009 0.127 0.003 0.001 0.007 Kim et al., 2007

0.050 0.030 0.079 - - - NIER, 2007

- - - 0.012 <LOD 0.318 NIER, 2008

Diltiazem 0.007 0.006 0.013 0.009 0.006 0.07 Kim et al., 2005

0.005 0.001 0.02 0.006 0.001 0.05 Park et al., 2007

0.004 <LOD 0.013 0.004 <LOD 0.013 Choi et al., 2008

Enrofloxacin <LOD <LOD <LOD 0.002 0.000001 0.035 NIER, 2006

0.012 0.002 0.087 0.011 0.002 0.08 Park et al., 2007

0.008 0.002 0.133 0.012 0.002 0.333 Kim et al., 2006

- - - 0.048 0.030 0.080 NIER, 2007

- - - 0.065 0.005 0.035 KFDA, 2007

- - - 0.001 <LOD 0.030 NIER, 2008

Erythromycin <LOD <LOD <LOD 0.009 0.005 0.08 NIER, 2006

0.13 0.008 0.294 0.003 0.002 0.005 Kim et al., 2007

0.090 0.040 0.210 0.028 0.025 0.033 NIER, 2007

- - - 0.004 <LOD 0.028 NIER, 2008

Page 2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 -

표 1. 계속 (단위 : μg/L)

의약물질 하수처리장 방류수 지표수 참고문헌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Florfenicol 0.011 0.002 0.213 0.014 0.002 0.31 Park et al., 2007

0.01 0.002 0.113 0.012 0.002 0.34 Kim et al., 2006

Gemfibrozil <LOD <LOD <LOD - - - Han et al., 2006

0.011 0.004 0.017 0.007 0.002 0.009 Kim et al., 2007

Ibuprofen 1.124 0.00041 10.84 0.304 0.00041 2.132 NIER, 2006

0.07 <LOD 0.31 - - - Han et al., 2006

0.065 0.010 0.137 0.028 0.011 0.038 Kim et al., 2007

0.075 0.075 0.075 - - - NIER, 2007

- - - 0.006 <LOD 0.050 NIER, 2008

Lincomycin 0.305 0.00003 1.175 0.167 0.00003 2.657 NIER, 2006

0.214 0.010 0.510 0.061 0.002 0.250 NIER, 2007

- - - 0.033 <LOD 0.429 NIER, 2008

Naproxen 0.111 0.0004 0.41 0.035 0.0004 0.326 NIER, 2006

0.128 0.020 0.483 0.011 0.002 0.018 Kim et al., 2007

0.114 0.010 0.390 0.030 0.010 0.070 NIER, 2007

- - - 0.011 <LOD 0.049 NIER, 2008

Neomycin 7.830 - - 0.940 0.940 0.940 NIER, 2007

Oxytetracycline <LOD <LOD <LOD 0.01 0.000035 0.239 NIER, 2006

<LOD <LOD <LOD 0.015 0.002 1.236 Kim et al., 2006

- - - 0.001 <LOD 0.027 NIER, 2008

Roxithromycin <LOD <LOD <LOD <LOD <LOD <LOD NIER, 2006

0.097 0.032 0.195 0.005 0.00005 0.036 Park, 2006

- - - 0.007 0.005 0.040 KFDA, 2007

Salicylic acid 2.43 <LOD 6.73 - - - Han et al., 2006

Sulfachloropyridazine 0.041 0.00075 0.149 <LOD <LOD <LOD Kim et al., 2005

0.004 0.002 0.023 0.002 0.002 0.06 Kim et al., 2006

Sulfadimethoxine 0.011 0.0015 0.07 0.002 0.002 0.013 Kim et al., 2005

<LOD <LOD <LOD 0.004 0.002 0.08 Kim et al., 2006

0.013 <LOD 0.070 0.006 <LOD 0.013 Choi et al., 2008

Sulfamethazine <LOD <LOD <LOD 0.022 0.000025 0.518 NIER, 2006

<LOD <LOD <LOD 0.025 0.003 0.111 Kim et al., 2005

0.159 0.002 1.558 0.011 0.002 0.123 Kim et al., 2006

- - - 0.296 0.296 0.296 NIER, 2007

- - - 0.016 <LOD 0.071 KFDA, 2007

- - - 0.024 <LOD 0.802 NIER, 2008

Sulfamethoxazole 0.199 0.000035 0.393 0.037 0.000035 0.224 NIER, 2006

0.193 0.025 0.492 0.025 0.003 0.082 Kim et al., 2005

0.062 0.01 0.173 0.048 0.002 0.2 Park, 2007

0.313 0.002 0.922 0.021 0.002 0.27 Kim et al., 2006

0.136 0.004 0.407 0.020 0.002 0.036 Kim et al., 2007

0.496 0.150 0.820 0.086 0.040 0.170 NIER, 2007

- - - 0.020 <LOD 0.067 KFDA, 2007

0.193 0.025 0.492 0.026 <LOD 0.082 Choi et al., 2008

- - - 0.012 <LOD 0.092 NIER, 2008

Page 2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 -

표 1. 계속 (단위 : μg/L)

의약물질 하수처리장 방류수 지표수 참고문헌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Sulfathiazole 0.013 0.000015 0.131 0.052 0.000015 0.283 NIER, 2006

<LOD <LOD <LOD <LOD <LOD <LOD Kim et al., 2005

0.025 0.002 0.357 0.007 0.002 0.123 Kim et al., 2006

- - - 0.494 0.010 1.880 NIER, 2007

- - - 0.020 0.012 0.253 KFDA, 2007

- - - 0.124 <LOD 4.626 NIER, 2008

Tetracycline <LOD <LOD <LOD 0.032 0.002 2.093 Kim et al., 2006

- - - 0.007 <LOD 0.031 KFDA, 2007

Trimethoprim 0.016 0.00002 0.061 0.000375 0.00002 0.005 NIER, 2006

0.055 0.002 0.174 0.011 0.002 0.049 Kim et al., 2005

0.061 0.019 0.153 0.035 0.00005 0.546 Park, 2006

0.006 0.002 0.017 0.009 0.002 0.11 Park et al., 2007

0.051 0.002 0.15 0.01 0.002 0.587 Kim et al., 2006

0.058 0.010 0.188 0.033 0.004 0.073 Kim et al., 2007

0.040 0.008 0.070 0.010 0.008 0.010 NIER, 2007

- - - 0.010 <LOD 0.060 KFDA, 2007

0.056 <LOD 0.174 0.010 <LOD 0.026 Choi et al., 2008

- - - 0.025 <LOD 0.344 NIER, 2008

Tylosin <LOD <LOD <LOD <LOD <LOD <LOD NIER, 2006

- - - 0.003 <LOD 0.061 NIER, 2008

Virginiamycin <LOD <LOD <LOD 0.003 0.002 0.187 Kim et al., 2006

LOD: Limit of detection

-: Not applicable

Page 2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 -

2. 연구 범위 및 세부내용

이 연구는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큰 주요 잔류 의약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 환경 중 의약물질 오염에 따른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단계로 수행된다.

가.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 2006, 2007, 2008년도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업의

잔류 의약물질의 실태조사 및 배출원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 평가

대상물질 선정

- 환경노출수준 및 위해성에 근거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나.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 환경위해성 평가 대상물질의 국내외 생태독성자료를 검토하여 생태독성자료에

대한 정보의 부족한 점을 파악

- 생태독성 정보의 부족한 점에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생태독성평가를 수행

: 물벼룩(Daphnia magna, Moina macrocopa) 만성독성시험

: 물고기(Oryzias latipes) 초기생장독성시험

: 물고기 내분비계교란능력시험

: 물고기 초기생장독성시험에서 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물질에 대해서 필요 시

1세대 만성시험 수행

- 동물용 의약물질의 경우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검토 및 활용

다.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 인체용 및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 중 노출자료, 처리효율 및 독성자료에

근거한 환경 위해성평가 수행

- 2008년 도출된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의 보완 및 확립

Page 2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 -

제 2장. 연구 방법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2006, 2007, 2008년도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업의

잔류 의약물질의 실태조사 및 배출원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 평가

대상물질을 선정하였다. 즉, 전국 주요 하천 지표수 40지점 및 저질 4지점에 대한

항생제 등 인체 및 동물 의약물질 27종의 잔류 실태조사에서 보고된 검출농도 및

검출빈도, 이 물질의 생태독성 자료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대상으로 생태독성

정보의 gap을 확인하고 필요한 독성정보를 생산하여 생태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데

활용하였다.

가. 잠재적 환경위해성에 근거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잠재적 환경위해성이 큰 의약물질을 평가대상 잔류의약물질로 선정하기 위해

인체 및 동물용 의약물질의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의 일반적인 방법론을 따라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 즉, 오염도 자료와 생태독성 정보 등 현재

가용한 자료를 활용하여 유해지수를 산정하고 그 수준에 따라 우선적인

위해성평가가 필요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

2006, 2007, 2008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조사한 27종의 의약물질의 물환경 검출

수준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물환경 중에서 측정된 오염수준을 평균(MECmean)과

평균의 95% 신뢰구간 상한(MEC95%UCL)으로 표현하였다. 한편 환경 중 의약물질의

검출수준은 그 당시 주민의 질병 이환율과 주요 질병의 발생 양상 및 계절적 변이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일부 지역에서 측정한 검출수준 뿐만 아니라

예상환경농도(PEC)를 보수적으로 추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따라서 가용한 자료를

활용하여 보수적인 예상환경농도(PEC)를 추정하고 이를 노출자료로 활용하였다.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여 해당 의약물질에 대해 보고된 생태독성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예상무영향농도(PNEC)를 산정하였다. 이 때 조사대상 의약물질에 대한

생태독성 정보의 부족한 점도 확인할 수 있다.

환경노출수준(MEC 또는 PEC)과 예상무영향농도(PNEC)를 토대로 잠정적

유해지수(tentative hazard quotient, tentative HQ)를 산출하고, 잠정적 유해지수의

수준에 따라 순위를 매겨 우선적인 조사연구와 상세 위해성평가를 필요로 하는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선정한다.

상위로 선정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이라고 하더라도 생태독성학적 정보가

Page 2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 -

충분하여 추가적인 조사연구 및 위해성평가가 필요하지 않은 물질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상물질로 선정된 27개 의약물질 중에서 상대적 환경위해성이 높으며

생태독성 정보의 부족한 부분이 많은 의약물질을 파악하고 이들 물질에 대한

상세한 생태독성 조사연구를 통하여 환경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나. 의약물질의 이화학적 특성에 근거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환경 중 오염수준이 낮더라도 지용성이 높은 의약물질은 환경 중 잔류성과

생물축적성이 높아(European Chemicals Bureau, 2003) 환경위해성 측면에서 나쁜

영향을 초래한다. 이러한 의약물질은 비록 환경 중 검출수준이 낮다고 하더라도

만성노출의 생태영향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2008년 실태조사가 수행된

27종의 의약물질 중에서 logKow값이 4.5 이상인 물질(Technical guidance document,

TGD)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로 선정하였다.

Page 2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1 -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기존에 보고되었던 의약물질의 생태영향을

검토하고 정리하여, 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데 부족한 생태독성영향 정보를

탐색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빈도 고농도 검출 의약물질에 대한 만성

저농도 노출의 생태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는 그림 2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림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흐름도

Page 2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2 -

가. 생태독성영향 평가의 실험방법

(1) 시험생물종

물벼룩은 국제표준 시험종인 Daphnia magna(그림 3(a))와 국내고유 시험종인 Moina

macrocopa(그림 3(b))를 사용하였으며 어류(그림 3(c))는 국제표준 시험종인 Oryzias

latipes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사용된 시험생물종은 한국화학연구원에서

분양받은 것으로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독성학 연구실에서 배양해

온 것이다.

(a) Daphnia magna (b) Moina macrocopa (c) Oryzias latipes

그림 3. 물벼룩 및 어류 만성독성시험에 사용된 시험생물종

Page 2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3 -

물벼룩(D. magna)은 21±1°C 조건에서 6 L 유리용기에 미국 EPA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배양수(moderately hard water, MHW)에 배양하였다. 배양수는 이틀에 한

번씩 교체하였으며 US EPA(2002)에 따라 YCT (yeast:cerophyll:Tetramin=1:1:1)와

조류(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를 하루에 한번 먹이로 공급하였다(그림 4).

물벼룩(M. macrocopa)은 국내고유 물벼룩 종으로 우리나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좋은 시험생물종이다. 오소린(Oh, 2007)의 연구에 의하면 국제표준

물벼룩 종인 D. magna와 비교하여 유사한 독성 민감도를 보이지만 생애주기가 짧아 8일

노출만으로도 만성평가를 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 되며 미국 EPA에서 표준 시험종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벼룩(Ceriodaphnia dubia)과 크기나 수명 또는 번식주기가 유사하다.

물벼룩(M. macrocopa)은 배양온도를 25±1°C 조건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물벼룩(D.

magna)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되었다.

송사리(O. latipes)는 탈염소 수돗물을 정수처리한 후 충분히 폭기한 물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송사리(O. latipes)는 25±1°C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하루에

두 번 당일 부화한 Artemia nauplii를 먹이로 공급하였다(그림 5). 배양수는

정기적으로 경도, 알칼리도,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등을 측정하였다.

(a) 물벼룩 배양 (b) 물벼룩 먹이

그림 4. 물벼룩 배양과 먹이

(a) 송사리 배양 (b) 송사리 먹이

그림 5. 송사리 배양과 먹이

Page 2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4 -

(2) 시험방법

(가)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물벼룩 만성독성시험은 OECD 화학물질 테스트가이드라인 211(Daphnia magna

reproduction test)과 오소린(Oh, 2007)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을 포함한 6개

농도군에 각각 10개의 반복군을 두었다. 각 시험 비커에는 생후 24시간 이내의 물벼룩을

1마리씩 넣고 성장 및 생식 능력을 관찰하였다. 실험용 희석수는 MHW (US EPA,

2002)를 이용하였으며 시험종은 서울대학교 환경독성학 연구실에서 배양하고 있는

생물군을 이용하였다. 물벼룩 만성독성시험을위한시험조건은 표 2와같다.

시험동물 Daphnia magna (<24 hr old) Moina macrocopa (<24 hr old)

광주기 16 hr light : 8 hr dark 16 hr light : 8 hr dark

온도 21±1°C 25±1°C

배양수 Moderately hard water Moderately hard water

시험수 교체 반지수식 반지수식

시험 기간 21일 7-8일 (대조군 3 broods)

먹이 Green algae +YCT Green algae +YCT

종말점누적 치사(생존능력)생식능력종증식율

누적 치사(생존능력)생식능력종증식율

표 2.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조건

종증식율은 다음의 Euler-Lotka 공식(Newman, 2010)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값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나오는 경우 종증식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음수인 경우에는 종

개체수가 감소하는것으로평가하였다.

Page 2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5 -

(나)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Early life stage (ELS) test]

어류의 수정란 및 치어는 생태계에서의 종 개체수 및 생태구조 유지에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화학물질노출에 민감하게 영향을받는다. 수정란의 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부화율

감소는 장기적인 개체수 감소로 이어지며 성어에 미치는 급성 및 만성 영향보다 오히려

생태계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있다.

어류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은 OECD의화학물질테스트가이드라인 210(fish early life

stage toxicity test)을 따라 수행하였다(그림 6). 대조군을 포함한 6개 이상의 농도군에

각각 4개의 반복군을 두었다. 1개의 농도군에는 최소 40개의 수정란을 배치시키고

대조군을 포함한 6개 이상의 농도군으로 노출하여 생존 및 성장 능력을 관찰하였다.

실험용 희석수는 탈염소 수돗물을 이용하였으며 시험종은 서울대학교 환경독성학

연구실에서 배양하고 있는 송사리를 이용하였다. 수정란 시기부터 최대 40일간 개체의

반응을관찰하였으며 어류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을 위한 시험조건은표 3과같다.

그림 6.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시험동물 Oryzias latipes (egg)

광주기 16 hr light : 8 hr dark

온도 25±1°C

배양수 탈염소 수돗물

시험수 교체 반지수식

시험 기간 40일

먹이 Artemia nauplii

종말점

누적 치사(생존능력)부화율부화하는데걸리는 시간체장 및 체중

표 3.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조건

Page 3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6 -

(다)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은 OECD의 전생애시험법(안)(fish full life-cycle toxicity test

draft)을 따라 diclofenac, erythromycin등 5개 대상 의약물질에 대해 수행하였다.

대조군을 포함한 6개 이상의 농도군에 각각 4개의 반복군을 두었다. 1개의 농도군에는

최소 40개의 수정란을 배치시키고 대조군을 포함한 6개 이상의 농도군으로 노출하여

생존 및 성장 능력을 관찰하였다. 실험용 희석수는 탈염소 수돗물을 이용하였으며

시험종은 서울대학교 환경독성학 연구실에서 배양하고 있는송사리를 이용하였다.그림

7과 같이 수정란 시기부터 성체까지에 이르는 최대 4개월간 개체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어류 1세대만성독성시험을 위한시험조건은 표 4와같다.

그림 7.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시험동물 Oryzias latipes (수정란)

광주기 16 hr light : 8 hr dark

온도 25±1°C

배양수 탈염소 수돗물

시험수 교체 반지수식

시험 기간 최대 120일

먹이 Artemia nauplii

종말점

누적 치사(생존능력)부화율부화하는데걸리는 시간체장 및 체중생식능력생식기의 변화

표 4.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조건

Page 3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7 -

(라) 어류 내분비계 교란능력 평가

① 수컷 송사리의 비텔로제닌 발현 평가

본 연구에서는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을 수행한 뒤 내분비계영향을 평가하고자

각 농도군 별로 15마리씩 60일 이상 더 노출시켰으며, 혈액을 채취하여 비텔로제닌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송사리 혈액 중 비텔로제닌은 검출 키트(Biosense Laboratories AS,

Bergen, Norway)를 이용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기법으로

측정하였다.

1세대 만성노출시험의 종료시점에서 성어의 꼬리의 미정맥에서 모세관을 이용하여

혈액(~1 μL)을채취하여송사리 비텔로제닌항체와 반응시킨후그림 8과같이 sandwich

ELISA법으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텔로제닌은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회귀식을이용하여송사리혈중 비텔로제닌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그림 8. ELISA kit를 이용한 비텔로제닌 측정원리

Page 3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8 -

(3) 대상 의약물질의 노출수준 실측

노출시험에 사용된 의약물질의 실제 농도와 노출기간 동안 처리군의 의약물질 농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노출조건의 의약물질의 농도를 실측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

의약물질 별로 최소 2개 이상의 농도군을 선택하여 노출 전․후의 시료를 채취하여

의약물질의농도를측정하였다.

(가) 기구 및 시약

본 연구의 평가대상물질인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CAS No: 2058-46-0),

sulfamethazine (CAS No: 1981-58-4), diclofenac sodium salt (CAS No: 15307-79-6),

chlortetracycline hydrochloride (CAS No: 57-62-5), erythromycin (CAS No: 114-07-8),

sulfathiazole (CAS No: 144-74-1) 등의 표준물질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된 simeton

(CAS No: 673-04-1)은 Sigma-Aldrich사(St. Louis, MO, USA)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

(나) 분석방법

노출에 사용한 의약물질 시료는 분석에 적당한 농도가 되도록 이동상 용매로 희석한

후, 실린지필터로여과하여 LC MS/MS (Agilent 1100 series HPLC (Agilent Technology,

USA); API4000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Applied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sulfamethazine, sulfathiazole과 erythromycin은

분자구조에 양성자 1개가 붙은 [M+H]+가 이온화의 일반적인 경로가 된다. 따라서

elctronspray ionization(ESI) positive mode에서 분석하였다.

반면, diclofenac은 이동상의 조성에 비해 강한 산성 물질이기 때문에 분자구조에

양성자 1개가 떨어지는 [M-H]-와 [M-CH3CO]-가 이온화의 일반적인 경로가 되므로

elctronspray ionization (ESI) negative mode에서 분석하였다.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기기분석 조건은 표 5에,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머무름

시간, 모분자 및생성이온은 표 6에 제시하였다.

Page 3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9 -

표 5.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기기분석 조건

의약물질명 지표 분석 방법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Sulfamethazine

Sulfathiazole

Erythromycin

Column Waters Xterra 150×2mm, 3um

Mobile phase A: 10 mM ammonium formate and 0.3%Formic acid

in water, B: methanol

Gradient Time(min) 0 10 15 16 25

Solvent B(%) 10 100 100 10 10

Column flow rate 200 μL/min

Injection volume 5 μL

Column temperature 30℃

Ionization mode Positive in electrospray

Capillary voltage 5.5 kw

Gas temperature 400℃

GS1 40

GS2 60

Diclofenac Column Luna C18(Phenominex, 3um, 150×2.0 mm)

Mobile phase A: 5 mM ammonium acetate in water

B: methanol

Gradient Time(min) 0 10 15 16 25

Solvent B(%) 10 100 100 10 10

Column flow rate 200 μL/min

Injection volume 5 μL

Column temperature 30℃

Ionization mode Negative ion electrospray

Capillary voltage - 4.5 kw

Gas temperature 400℃

GS1 40

GS2 60

표 6.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머무름시간, 모분자및생성이온

의약물질명 머무름 시간 (min) 모분자 (m/z) 생성이온 (m/z)

Oxytetracycline 3.05 461 443

Sulfamethazine 6.64 279 124

Diclofenac 12.68 294 214

Chlortetracycline 5.54 479 462

Erythromycin 11.40 735 83

Sulfathiazole 5.98 256 108

표준물질의 피크면적을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면적으로 나눈 값을 y 값으로 하고

표준물질의 농도를 x 값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분석대상 물질 검량선의

직선성은 양호하였으며(r > 0.99), 이들을 다음 그림에 나타내었다(그림 9 - 그림

14).

Page 3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0 -

그림 9. Oxytetracycline의 검정곡선

그림 10. Sulfamethazine의 검정곡선

Page 3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1 -

그림 11. Diclofenac의 검정곡선

그림 12. Chlortetracycline의 검정곡선

Page 3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2 -

그림 13. Erythromycin의 검정곡선

그림 14. Sulfathiazole의 검정곡선

Page 3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3 -

분석대상 의약물질별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표 7과 같다. 분석기기가 일정한

반응을 보이는 가장 낮은 농도를 선택하여 이 농도를 7회 반복 분석한 후 반복

분석한 농도의 표준편차 값을 구해 이 표준편차 값의 3.143배에 해당하는 농도를

검출한계(method detection limit, MDL) 값으로 제시하였고 이 검출한계의 4배에

해당하는 농도를 정량한계(reliable quantitation limit, RQL) 값으로 제시하였다.

표 7.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의약물질명 검출한계(ng/mL) 정량한계(ng/mL)

Oxytetracycline 1.1 4.4

Sulfamethazine 0.3 1.2

Diclofenac 0.3 1.2

Chlortetracycline 7.0 28.0

Erythromycin 1.0 4.0

Sulfathiazole 0.08 0.32

(4) 조직학적 변화 관찰

생식소의 조직학적 관찰을 위해 노출군으로부터 4마리의 물고기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안락사 시킨 다음 35% formalin에 1시간, Bouin's solution(75% saturate picric acid

solution, 20% formalin, 5% glacial acetic acid)에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ethyl

alcohol과 xylene baths를연속적으로수행하여탈수시킨다음 paraffin에고정하였다.

생식소가 위치한 부위를 중점적으로 보이도록 유의하여 longitudinal section을

제작하였으며, 이 때 rotary microtome (HM 315; Microm, Heidelberg, Germany)을

사용하였다. 만들어진 절편은 슬라이드에 올려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한

다음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Page 3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4 -

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검토

동물용 의약물질의 경우 토양과 식물에 미치는 노출경로가 존재하므로 문헌 검토를

통해 토양생물과 식물생태 독성자료를 파악하여 독성값 산출에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Pubmed, ISI Web of Science, Scopus 등 외국의 학술데이터베이스는 물론 DBpia,

한국학술정보 등국내 학술자료를광범위하게 검색하고관련보고서를검토하였다.

다. 표준지표독성시험을 통한 시험생물종의 민감도 관리

시험물질에 대한 시험생물종의 상대적인 민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표준지표독성시험(standard reference toxicant test)을 수행하였다. 즉,

시험생물종(D. magna, M. macrocopa, O. latipes)을 지표독성물질로 사용한 염화아연(zinc

chloride, ZnCl2)에 급성 노출시켜반수영향농도(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 EC50)를

구하고, 이 값을 이전에 얻은 값들과 비교하는 control chart를 작성하여 시험동물의

민감도를 확인하였다.

물벼룩 표준지표독성시험은 US EPA (2002) 지침의 물벼룩(D. magna) 48시간

급성독성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어류 표준지표독성시험은 부화된 지 10

~ 14일된 송사리(O. latipes) 치어로 OECD 화학물질 테스트가이드라인 203을 수정하여

48시간급성독성시험을수행하였다.

이 결과가 이전에 축적된 결과로부터크게벗어날경우(>2 standard deviation)에는 이

시험동물로수행한독성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지않는다(US EPA, 2002).

Page 3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5 -

3.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가.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본 연구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2006, 2007, 2008)을 비롯한 국내 기존

조사연구에서 보고된 주요 잔류의약물질의 환경노출수준을 토대로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생태독성 정보의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 수행된 생태독성정보에 근거한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토대로

유해지수(hazard quotient, HQ)를 산출하였다.

(1) 잔류 의약물질의 물환경 생태위해성 평가 방법

물환경 생태위해성 평가는 대상 유해물질의 환경 중 오염수준과 독성정보를

고려하여, 위해가능성을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환경 중

오염수준(환경농도, environmental concentration)이, 생태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는 오염물질의 농도(예측무영향농도, PNEC)와 비교하여 얼마나

높은지를 알아보았다. 즉, 물환경 생태위해도는 유해지수(HQ)로 정량화되며, HQ가

1 이상이 된다면 환경 중 유해물질의 오염수준이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HQ는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HQ = EC/PNEC

HQ = 유해지수

EC = 환경농도

PNEC = 예측무영향농도

여기에서 환경농도(EC), 즉 대상 유해물질의 오염수준은 실측된 자료가 있는 경우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이 연구에서 평가대상 물질로 선정된 잔류

의약물질은 모두 우리나라 물환경에서 모니터링되고 있기 때문에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환경농도를 결정하였다.

Page 4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6 -

한편 대상 잔류의약물질의 독성정보로는 예측무영향농도(PNEC)가 사용된다.

PNEC값은 문헌조사 결과 가장 민감한 생물종의 관찰점에 해당하는 독성값을

선택한 후 적절한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럽

화학물질국(European Chemicals Bureau, ECB)에서 권고되는 안전계수의 값은 표

8과 같다.

안전계수 가용 데이터

1,000 3개의 trophic level(어류, 물벼룩, 조류)에서 1개 생물종 이상의 급성 L(E)C50값

100 1개 생물종의 만성 NOEC값(어류나 물벼룩)

단, 가장 낮은 만성 NOEC값보다 더 낮은 급성 L(E)C50값이 존재할 경우, 급성

L(E)C50값을 사용

50 2개의 trophic level에 존재하는 2개 생물종 이상의 만성 NOEC값(어류, 물벼

룩, 조류 중 2종류)

단, 가장 낮은 만성 NOEC값보다 더 낮은 급성 L(E)C50값이 존재할 경우, 급성

L(E)C50값을 사용

10 3개의 trophic level에 존재하는 3개 생물종 이상의 만성 NOEC값(어류, 물벼

룩, 조류)

단, 가장 낮은 만성 NOEC값보다 더 낮은 급성 L(E)C50값이 존재할 경우, 급성

L(E)C50값을 사용

표 8. 예상무영향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계수와 적용 기준

(Source: European Chemicals Bureau, 2001)

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구동

이 연구를 통해 2008년 제안된 인체 및 동물용 의약물질 환경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를 실제 구동해봄으로써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 인체용 의약물질

(가)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총생산량 산정

국내에서 사용되는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총생산량은 환경 중 농도를

추정하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총 생산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한국제약협회(Korea Pharmaceut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KPMA)에서 제공한

“2007년 약효별 실적분류 데이터베이스(약 20,000여 품목)” 에 등록된 의약물질을

사용하였다. 한국제약협회에 등록된 인체용 항생제의 해당 성분을 함유하는

의약제품명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대한민국 의약정보센터인 “KIMS OnLine"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KIMS OnLine은 의약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Page 4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7 -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를 통하여 해당 의약제품의 유효 성분과

함량(mg), 유효 성분의 ATC code (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system),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공되고 있는 의약품 분류(의약품등분류번호에

관한 규정)인 복지부 분류코드 등의 정보를 구할 수 있었다.

한국제약협회에 등록된 인체 의약물질 데이터베이스에는 완제의약물질, 마약,

한외마약, 향정신성의약물질, 원료의약물질, 의약외품 등 제조구분별로 구분된

의약물질의 품목별 생산실적이 등록되어있다. 즉 의약물질 성분별 생산량 자료가

아닌 약효군별 의약물질 품목수 및 생산금액이 조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 그림

15는 제약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는 생산실적자료의 예이다.

그림 15. 의약물질의 품목별 생산실적자료의 구성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인체용 항생제의 성분별 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

그림 16과 같은 방법을 취하였다. "2007년 약효별 실적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항생제 제품에 대하여 유효성분과 함량, 해당 성분의 KIMS OnLine에서 제공하는

성분과 함량(mg)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성분별 ATC code를 부여하였다. 해당

제품별로 박스, 케이스, 병 등으로 포장단위가 다르므로 개별포장단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하나의 제품에 여러 성분이 포함되어있는 복합제인 경우에는

함유 성분을 각각 분류하여 성분별로 생산량(kg)을 계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만 수출을 목적으로 생산되는 품목의 생산량은 내수용 총 생산량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KIMS OnLine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없는 의약물질에 대해서는

개별 제약회사 홈페이지 및 전화 문의를 통해 누락되는 의약물질을 최소화하였다.

두 명의 연구원이 독립적으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서 생산량을 산정한 결과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자료 정리 과정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부록 1).

Page 4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8 -

인체용 항생제의 질량 단위 생산량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개별 의약물질 유효성분의 질량 단위 생산량(kg)=

개별 제품의 생산량(box) × 포장단위(tablets/box) × 성분함량(mg/tablet) × unit

conversion(1kg/1000mg)

위의 식을 통해 개별 의약물질 유효 성분의 질량 단위 생산량을 계산한 후,

의약물질의 유효 성분에 부여된 ATC code별로 취합하여 인체용 항생제의 성분별

총 생산량을 구하였다. 이때 해당제품이 주사제, 시럽제, 또는 연고제일 경우

농도정보를 확인하여 질량(mg)으로 환산한 후 성분별 총 생산량 산정에

반영하였다.

그림 16.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도출 방법

(나)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예상농도(PECsurfacewater) 추정

환경 중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평가를 위해서는 의약물질의 환경 중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의약물질의 환경 중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에는 미국 식품의약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상유입농도(expected introduction

concentration, EIC)와 유럽연합의 EMEA에서 언급하고 있는 환경 중

예상농도(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PEC) 산정 방법이 있다.

미국 식품의약청의 예상유입농도(EIC)는 공공하수처리시설(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 system)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양을 기준으로 예상농도를

계산하는데, 아래의 식에 의해서 산정하며 다음과 같은 3가지 가정을 한다. 1)

당해년도에 생산된 의약물질은 모두 사용되며, 공공하수처리시설로 들어간다. 2)

미국 전역의 의약물질 생산과 사용은 지역의 인구와 폐수발생량과 비례한다. 3)

의약물질의 대사분해 산물은 고려하지 않는다.

Page 4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39 -

EICaquatic(μg/L) = A × B × C × D

여기서,

A : kg/year produced for direct use

B : 1/liters per day entering water treatment system

C : years/365 days

D : 109 μg/kg (conversion factor)

2005년 유럽연합에서 제시한 의약물질의 환경 중 예상농도 추정식은 아래와 같다.

식에서 제시된 것처럼 환경 중 의약물질의 농도를 추정할 때 시장침투율 (market

penetration factor)이 적용된다. 이 식은 의약물질이 시장에 나오기 이전에

의약물질의 사용량 또는 생산량에 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의약물질의 섭취용량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PEC = DOSEai × Fpen / WASTEWinhab × DILUTION × 100

여기서,

DOSEai : Maximum daily dose of active substance consumed per inhabitant

Fpen : Percentage of market penetration (default of 1)

WASTEWinhab : Amount of wastewater per inhabitant per day

DILUTION : Dilution factor (set to 10)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의약물질의 생산량을 구축하였으므로 미국

식품의약청에서 제시하는 모형으로 의약물질의 예상유입농도(EIC)를 추정하였다.

또한 좀 더 현실적인 예측환경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약성분의 체내

대사율, 하수처리를 통한 제거율뿐 아니라 대상 수계의 특성(유량, 인구, 하수처리

특성 등)을 모두 고려하고자 PhATETM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4대강, 즉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을 대상으로 PhATETM

모형을 구축하였다(그림 17). 4대강 수계 PhATETM 모형의 하수처리 시설 위치 및

수계도, segments, 유역정보 등은 부록 2에 제시하였다.

Page 4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0 -

그림 17. 우리나라 4대강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PhATETM 구축 화면

(2) 동물용 의약물질

수산용과 육상동물용 의약물질은 환경 중으로 유입되는 경로가 다르므로 이를

구분하여 환경위해성평가를 실시하며, 본 연구에서는 1단계 사전 스크리닝(의약물질

생산량, 총 잔류량을 이용하여 노출량 간이 추정으로 대상의약물질을 선별)까지

구동하였다.

Page 4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1 -

다. 필수 실태 조사물질 제안

향후 실태조사와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는 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소비되는 의약물질 활성성분의 양과

예측환경농도(PECcorr), 그리고 잠정적 유해지수를 고려하였다. 즉 국내 소비량,

예측환경농도, 유해지수 측면에서 중요한 잔류 의약물질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현재 물환경 노출실태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잔류 의약물질 목록과 비교하여,

실태조사 등에 추가되어야 할 물질을 탐색하였다.

Page 4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2 -

제 3장. 연구 결과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환경 중 검출농도, 검출빈도 및 생태독성 자료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 2006, 2007,

2008년도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업에서 조사된 인체

및 동물 의약물질 27종에 대해, 지표수와 하수 및 축산폐수 처리장의 유입수와

방류수를 포함한 우리나라 물환경 중에서 검출이 보고된 수준을 이용하여

평균(MECmean)과 평균의 95% 신뢰구간 상한(MEC95%UCL)을 구하였다(표 9). 또한

2003년 사람용 의약물질 생산량 자료에 근거하여 보수적 예상환경농도(PEC)를

구하였다(표 9). 예상무영향농도(PNEC)는 생태독성자료 문헌조사 결과 가장 민감한

생물종의 관찰점에 해당하는 독성값을 선택한 후 가용 자료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안전계수(assessment factor, AF)를 적용하여 도출하였다(표 10). 유럽

화학물질국(European Chemicals Bureau, ECB)에서 권고하는 안전계수의 값은 표

8과 같다. 의약물질의 환경노출수준(MEC 또는 PEC)과 예상무영향농도(PNEC)를

토대로 아래의 식에 의해 잠정적 유해지수(tentative HQ)를 산출하였으며, 잠정적

유해지수의 수준에 따라 순위를 매겨 우선적인 조사연구와 상세 위해성평가를

필요로 하는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표 11).

tentative HQ = PEC/PNEC

tentative HQ = 잠정적 유해지수

PEC = 예측환경농도

PNEC = 예측무영향농도

이렇게 선정된 의약물질 중에서 1) 가능하면 조류 이외의 다른 생물종에서 얻은

독성도 높고, 2) 2006~2008년 중 고르게 잠정적 유해지수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 logKow 값이 높게 추정되어 장기 노출의 독성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4) 분석이 용이한 6가지 의약물질을 만성생태독성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최종 선정물질로 선택하였다.

Oxytetracycline와 sulfamethazine은 MEC에 근거한 잠정적 유해지수가 1

이상으로 높게 나와 선정하였으며,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이 조류 이외의

다른 생물종(물벼룩)이고 분석이 용이하므로 우선순위는 1순위로 하였다.

Diclofenac은 PEC에 근거한 유해지수가 1이상으로 높게 나와 선정하였으며,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이 조류이외의 다른 생물종(물벼룩)이고 logKow 값이 4.02로

장기 노출의 독성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어 우선순위는 1순위로 하였다.

Chlortetracycline은 MECmean에 근거한 잠정적 유해지수가 102.85로 가장 큰 값을

Page 4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3 -

나타내기에 선정하였으며,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이 조류이므로 우선순위는

2순위로 하였다. Erythromycin은 MECmean에 근거한 잠정적 유해지수가 1이상으로

높게 나와 선정하였으며,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이 chlortetracycline과 같이

조류이므로 우선순위는 2순위로 하였다. Sulfathiazole은 잠정적 유해지수가 1에

가깝고, 환경 중에서 자외선 조사를 받아 독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Kim et

al., 2009)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고 분석이 용이한 점을 감안하여

선정하였으며,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이 조류이외의 다른 생물종(물벼룩)인

것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는 2순위로 하였다.

Sulfamethoxazole은 MEC에 근거한 잠정적 유해지수가 1이상으로 높게 나와

선정하였으며,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이 조류이고 분석의 용이함이

떨어지므로 우선순위는 3순위로 하였다. Mefenamic acid는 logKow 값이 5.28로

높게 나와 선정하였으며, 기타 사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우선순위는 3순위로

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환경위해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 평가

대상 의약물질은 oxytetracycline, sulfamethaz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이다.

Pharmaceuticals 2006년 조사 2007년 조사 2008년 조사 2006-2008년통합PEC*

(μg/L)MEC

mean

MEC

95% UCL

MEC

mean

MEC

95% UCL

MEC

mean

MEC

95% UCL

MEC

mean

MEC

95% UCL

Chlortetracycline 0.90 1.80 153.37 252.59 0.00 0.01 51.43 84.80

Oxytetracycline 0.55 1.19 16.36 33.04 0.00 0.00 5.64 11.41

Lincomycin 255.26 755.79 289.23 890.59 0.04 0.06 181.51 548.81 0.11

Sulfamethazine 24.07 44.18 3.49 5.90 0.03 0.05 9.19 16.71

Erythromycin 0.02 0.02 0.08 0.12 0.00 0.00 0.03 0.05 0.11

Sulfamethoxazole 0.60 1.06 1.21 2.75 0.02 0.02 0.61 1.28 0.22

Diclofenac 0.12 0.17 0.00 0.01 0.01 0.02 0.05 0.07 0.20

Sulfathiazole 104.56 177.82 34.96 56.76 0.21 0.46 46.58 78.35

Acetaminophen 1.43 2.25 5.12 8.11 0.01 0.02 2.19 3.46 10.14

Tyrosine 0.07 0.11 0.18 0.30 0.00 0.00 0.09 0.14

Neomycin 0.20 0.37 0.00 0.00 0.10 0.19 0.07

Ciprofloxicin 0.02 0.03 0.01 0.02 0.00 0.00 0.01 0.02 0.19

17-β estradiol 0.00 0.00 0.00 0.00 0.00

Acetyl salisylic acid 2.31 3.53 0.03 0.03 1.17 1.78 0.70

Enrofloxacin 0.02 0.04 0.01 0.02 0.00 0.00 0.01 0.02

Ibuprofen 0.69 1.00 0.03 0.07 0.02 0.03 0.25 0.36 2.13

Naproxen 0.25 0.37 0.11 0.19 0.02 0.02 0.13 0.19 0.62

Trimethoprim 0.01 0.01 0.06 0.14 0.02 0.02 0.03 0.06 0.06

Estrone 0.00 0.00 0.00 0.00 0.00

Florfenicol 0.01 0.01 0.01 0.01

Ethinyl oestradiol 0.00 0.00 0.00 0.00 0.00

Mefenamic acid 0.07 0.10 0.09 0.13 0.08 0.11 0.85

Cephradine 0.01 0.01 0.01 0.01 0.01 0.01 0.50

Vancomycin 0.00 0.00 0.00 0.00 0.02

Cefadroxil 0.00 0.00 0.00 0.00 0.36

Estriol 0.00 0.00 0.00 0.00

Penicillin G procain 0.02 0.03 0.00 0.00 0.01 0.02

표 9.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노출 수준 요약 (단위: μg/L)

(Source: 국립환경과학원,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분석방법 연구. 2006, 2007, 2008)

*2003년 생산량 실적에 근거한 예측환경농도(Park, 2005)

Page 4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4 -

표 10. 가용 생태독성정보를 토대로 산정한 주요 잔류 의약물질의 예상무영향농도

의약물질 분류 종 이름 관찰점 독성값

(mg/l)

참고문헌 #

Trophic

level

안전

계수

PNEC

(μg/L)

17-βestradiol 담수

척추동물

Oncorhynchus

mykiss

21d,EC50 0.00015 Boxall et al., 2008 1 100 0.0015

Erythromycin 담수 조류 Synechococcus

leopoldensis

Growth NOEC 0.002 Ando et al., 2007 1 100 0.02

Ciprofloxicin 담수 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48hr,EC50 0.005 Halling-Sørensen et

al., 2000

1 100 0.05

Oxytetracycline 담수 조류 Anabaena

cylindrica

Growth NOEC 0.0031 Ando et al., 2007 2 50 0.062

Diclofenac 담수

무척추동물

Ceriodaphnia dubia 7d,reproduction

NOEC

1 Ferrari et al., 2004 3 10 0.1

Neomycin 담수

무척추동물

Daphnia magna 21d,adult

survival NOEC

0.03 Park and Choi, 2008 1 100 0.3

Tyrosine 담수 조류 M. aeruginosa 7d,EC50 0.034 Halling-Sørensen et

al., 2000

1 100 0.34

Chlortetracycline 담수 조류 M. aeruginosa 7d,EC50 0.05 Halling-Sørensen et

al., 1998

1 100 0.5

Sulfamethoxazole 담수 조류 S. leopoliensis Growth NOEC 0.0059 Ferrari et al., 2004 3 10 0.59

Enrofloxacin 담수 조류 M. aeruginosa 5d,EC50 0.049 Robinson et al., 2005 2 50 0.98

Estrone 해수

무척추동물

Tisbe battagliai 10d,LC50 0.1 Boxall et al., 2008 1 100 1

Ethinyl oestradiol 담수

척추동물

O. mykiss 96hr,EC50 1.6 Webb, 2001 0 1000 1.6

Oxytetracycline 담수

무척추동물

C. dubia 7d,LC50 0.18 Isidori et al., 2005 2 50 3.6

Sulfamethazine 담수

무척추동물

C. dubia 7d,reproduction

NOEC

0.25 Ferrari et al., 2004 2 50 5

Acetaminophen 담수

무척추동물

Moina macrocopa 7d,reproduction

NOEC

0.31 NIER, 2008 2 50 6.2

Lincomycin 담수 조류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Growth NOEC 0.07 Isidorietal, 2005 2 10 7

Acetyl salisylic acid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21d,no. of

offspring NOEC

1 Marques et al., 2004 1 100 10

Lincomycin 담수

척추동물

Oryzias latipes 21d,juvenile

survival NOEC

0.1 NIER, 2008 2 10 10

Ibuprofen 담수

척추동물

D. magna 21d,adult

survival NOEC

0.1 NIER, 2008 3 10 10

Naproxen 식물 Lemna minor EC50 24.2 Cleuvers, 2003 0 1000 24.2

Sulfamethoxazole 담수

무척추동물

C. dubia 7d,NOEC 0.25 Ferrari et al., 2004 3 10 25

Florfenicol 담수 조류 P. subcapitata 72hr,NOEC 2.9 UK EA, 2006 1 100 29

Trimethoprim 담수 조류 Anabeana variabilis growth NOEC 3.1 Ando et al., 2007 2 50 62

Enrofloxacin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21d,first day of

reproduction

NOEC

5 Park and Choi, 2008 2 50 100

Sulfathiazole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21d,no. of young

per female NOEC

11 Park and Choi, 2008 1 100 110

Trimethoprim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21d,First day

reproduction

NOEC

6 Park and Choi, 2008 2 50 120

Ciprofloxicin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48hr,NOEC 60 Halling-Sørensen et

al., 2000

1 100 600

Chlortetracycline 담수

무척추동물

O. latipes 96hr,LC50 78.9 Park and Choi, 2008 1 100 789

Erithromycin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48hr,LC50 210.6 Di delupis et al.,

1992

1 100 2106

Tyrosine 담수

무척추동물

D. magna 48hr,EC50 680 Wollenberger et al.,

2000

1 100 6800

Page 4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5 -

표 11.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선정

의약물질 예비

선정

여부

우선

순위

PNEC PNEC

도출에

사용된

생물종

MEC에 근거한

잠정적 유해지수

PEC에

근거한

유해지수

LogKow

HQ

mean

HQ

95%UCL

Chlortetracycline O 2 0.5 조류 102.8536 169.5916 NA 0.27

Oxytetracycline 0.062 조류 90.9236 184.0858 NA NA

Lincomycin 7 조류 25.9301 78.4017 0.0157 0.29

Lincomycin 10 어류 18.1510 54.8812 0.0110 0.29

Sulfamethazine O 1 5 물벼룩 1.8388 3.3417 NA NA

Erythromycin O 2 0.02 조류 1.6520 2.4216 5.5000 2.48

Oxytetracycline O 1 3.6 물벼룩 1.5659 3.1704 NA NA

Sulfamethoxazole O 3 0.59 조류 1.0282 2.1620 0.3729 0.48

Diclofenac O 1 0.1 물벼룩 0.4668 0.6602 2.0000 4.02

Sulfathiazole O 2 110 물벼룩 0.4234 0.7122 NA NA

Acetaminophen 6.2 물벼룩 0.3527 0.5579 1.6355 0.27

Tyrosine 0.34 조류 0.2504 0.4010 NA NA

Neomycin 0.3 물벼룩 0.3385 0.6207 0.2333 NA

Ciprofloxicin 0.05 조류 0.2147 0.3328 3.8000 NA

Chlortetracycline 789 어류 0.0652 0.1075 NA NA

Sulfamethoxazole 25 물벼룩 0.0243 0.0510 0.0088 0.48

Ethinyl oestradiol 1.6 어류 0.0001 0.0001 0.0000 4.12

Ciprofloxicin 600 물벼룩 0.0000 0.0000 0.0003 NA

Erythromycin 2106 물벼룩 0.0000 0.0000 0.0001 2.48

Mefenamic acid O 3 U NA 5.28

NA: Not available

이 연구에서 환경위해성 평가대상으로 선정한 의약물질은 표 12와 같다.

표 12.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의약물질 및 용도

용도 의약물질명

인체용 소염제 diclofenac

동물용 항생제 chlortetracycline, sulfamethazine, sulfathiazole

인체/동물용 항생제 oxytetracycline, erythromycin

Page 5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6 -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참고문헌

Oxytetracycline 담수 조류 Chlorella vulgaris 48h,EC506.4

(4.9-8.4)Pro et al.,2003

  Anabaena cylindrica 48h,EC50 0.032 Ando et al.,2007

  Anabaena flos-aquae 48h,EC50 0.39 Ando et al.,2007

  Anavaena variabilis 48h,EC50 0.36 Ando et al.,2007

  M. aeruginosa 48h,EC50 0.23 Ando et al.,2007

  Microcystiswesenbergii 48h,EC50 0.35 Ando et al.,2007

  Synechococcusleopolensis 48h,EC50 1.1 Ando et al.,2007

  Nostoc sp. 48h,EC50 7.0 Ando et al.,2007

  Synechocystis sp. 48h,EC50 2.0 Ando et al.,2007

S. capricornutum 48h,EC504.18

(3.88-4.49) Liguoro et al.,2003

담수 식물 L. gibba Chronic EC10 0.730 Brain et al.,2004

L. gibba Chronic EC50,wet weight

1.010 Brain et al.,2004

L. gibba 7d,LOEC 1 Brain et al.,2004

L. gibba 7d,EC50 1.152 Brain et al.,2004

Lemna minor 7d,EC50 4.92 Pro et al.,2003

담수무척추동물 D. magna 24h,EC50 22.64 Isidori et al.,2005

D. magna 24h,EC50831.6

(396.51–1267)Park andChoi,2008

D. magna 48h,EC50621.2

(437.71–804.8)Park andChoi,2008

M. macrocopa 24h,EC50137.1

(87.88–186.2)Park andChoi,2008

M. macrocopa 48h,EC50126.7

(88.6–164.7)Park andChoi,2008

C. dubia 48h,LC50 18.65 Isidori et al.,2005

D. magna 48h,LOEC 100 Wollenberger etal.,2000

D. magna 21d,EC50 46.2Wollenberger etal.,2000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가. 생태독성평가의 결과 및 고찰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급성독성결과 문헌 고찰 요약은 표 13과 같으며, 가용한

자료가 없어 본 연구에서 수행한 생태독성시험의 종류는 표 14와 같다.

Sulfamethazine의 경우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이후 대조군의 생존율이

OECD의 전생애시험법(안)에서 요구되는 기준(80%)을 충족하지 못하여 본 보고서에

제시하지 않았다.

표 13.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급성 및 만성 생태독성 자료 (단위: mg/L)

Page 5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7 -

표 13.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참고문헌

Oxytetracycline담수척추동물 O. latipes 48h,LC50

215.4(19.30–411.6)

Park andChoi,2008

O. latipes 96h,LC50110.1

(69.82–150.3)Park andChoi,2008

Morone saxatilis 24h,LC50 150 US EPA,2001

M. saxatilis 48h,LC50 125 US EPA,2001

M. saxatilis 72h,LC50 100 US EPA,2001

M. saxatilis 96h,LC50 75 US EPA,2001

L. macrochirus 96h,LC50 >100 US EPA,2001

O. mykiss 96h,LC50 >116 US EPA,2001

Lepomismacrochirus 96h,LC50 >100 US EPA,2001

O. mykiss 96h,LC50 >116 US EPA,2001

해수 미생물 V. fischeri 5min,IC50235.4

(167–333)Park andChoi,2008

V. fischeri 15min,IC5087

(50.8–148.9)Park andChoi,2008

해수무척추동물 Penaeus vannamei 48h,NOEC

intoxication 54.9-160.9 US EPA,2001

OxytetracyclineHCL

담수조류 S. capricornutum 72h,EC50 0.342 Eguchi et al.,2004

S. capricornutum 72h,NOEC 0.183 Eguchi et al.,2004

C. vulgaris 72h,EC50 7.05 Eguchi et al.,2004

C. vulgaris 72h,NOEC <3.58 Eguchi et al.,2004

담수 미생물 Pseudomonads MIC50 1.0±0.0 Halling-Sørensenet al.,2001

Escherichia coli MIC50 32.0±0.0Halling-Sørensenet al.,2001

담수척추동물

Salvelinusnamaycush 24/96h,LC50 <200 Marking et al.,1988

Oxytetracyclinedihydrate 저서 미생물 F. fimetaria 21d,LC/EC50

>5,000(mg/kg d.w.) Baguer et al.,2000

F. fimetaria 21d,LC/EC50

reproduction>5,000

(mg/kg d.w.)Baguer et al.,2000

담수 조류 S. capricornutum 7d,EC50 5 Holten Lützhøft etal.,1999

M. aeruginosa 7d,EC50 0.207 Holten Lützhøft etal.,1999

S. capricornutum 7d,EC50 4.5Holten Lützhøft etal.,1999

M. aeruginosa 7d,EC50 0.231Holten Lützhøft etal.,1999

해수 조류 Rhodomonas salina 7d,EC50 1.6Holten-Lu¨tzhøft etal.,1999

Sulfamethazine 담수 식물 L. gibba 7d,EC50 1.277 Brain et al.,2004

담수무척추동물

D. magna 48h,EC50174.4

(158.4-191.9)Kim et al.,2007

D. magna 48h,EC50 185.3 Jung et al.,2008

D. magna 48h,EC50 147.5 Kim et al.,2006

D. magna 24h,EC50506.3

(390.7–622.0)Park andChoi,2008

Page 5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8 -

표 13.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참고문헌

Sulfamethazine 담수무척추동물

D. magna 48h,EC50215.9

(169.7–274.9)Park andChoi,2008

M. macrocopa 24h,EC50310.9

(243.9–378.0)Park andChoi,2008

M. macrocopa 48h,EC50110.7

(89.50–136.9)Park andChoi,2008

담수척추동물 O. latipes 48h,LC50 >100 Kim et al.,2007

O. latipes 96h,LC50 >100 Kim et al.,2007

Diclofenac 담수 조류 Scenedesmussubspicatus 72h,EC50

71.9(65.5-79.1)

Michael Cleuvers.,2004

  Pseudokirchneriellasubcapitata 96h,LOEC 20.0 Ferrari et al., 2003

담수 미생물Brachionuscalyciflorus 48h,LOEC 25.0 Ferrari et al., 2003

담수무척추동물 C. dubia 48h,EC50 22.7 Ferrari et al., 2003

D. magna 48h,EC50 22.4 Ferrari et al., 2003

D. magna 48h,EC50 68.0 Michael Cleuvers,2004

담수척추동물

D. rerio 10d,survivalNOEC

4 Ferrari et al., 2003

해수 미생물 V. fischeri 30min,EC50 11.5 Ferrari et al., 2003

Chlortetracycline 담수 조류Microcystisaeruginosa 7d,EC50 0.05

Halling-Sørensen2000

S. capricornutum 7d,EC50 3.1Halling-Sørensen2000

P. subcapitata

72h,IC50

growth

inhibition

1,800 Yang, et al. 2008

담수 식물 L. gibba 7d,growthNOEC

0.1 Brain et al.,2004

L. gibba Chronic EC10 0.036 Brain et al.,2004

담수무척추동물

D. magna 24h,EC50380.1

(318.0–422.2)Park andChoi,2008

D. magna 48h,EC50225.0

(192.0–258.0)Park andChoi,2008

M. macrocopa 24h,EC50515.0

(398.8–631.1)Park andChoi,2008

M. macrocopa 48h,EC50272.0

(224.0–320.0)Park andChoi,2008

담수척추동물

O. latipes 48h,LC5088.4

(60.0–100.0)Park andChoi,2008

O. latipes 96h,LC5078.9

(64.2–93.6)Park andChoi,2008

해수 미생물 V. fischeri 5min,IC50 >20.0 Park andChoi,2008

V. fischeri 15min,IC5013.0

(10.0–17.2)Park andChoi,2008

Erythromycin  담수 조류 A. variabilis 48h,EC50 0.43 Ando et al.,2007

A. cylindrica 48h,EC50 0.035 Ando et al.,2007

A. flos-aquae 48h,EC50 0.27 Ando et al.,2007

Page 5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49 -

표 13.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참고문헌

 Erythromycin 담수 조류 M. aeruginosa 48h,EC50 0.023 Ando et al.,2007

M. wesenbergii 48h,EC50 0.023 Ando et al.,2007

S. leopolensis 48h,EC50 0.16 Ando et al.,2007

Nostoc sp. 48h,EC50 0.2 Ando et al.,2007

  Synechococcus sp. 48h,EC50 0.23 Ando et al.,2007

P. subcapitata NOEC 0.0103 Eguchi et al.,2004

P. subcapitata 48h,EC50 0.0366 Eguchi et al.,2004

C. vulgaris 48h,EC50 33.8 Eguchi et al.,2004

B. calyciflorus 48h,EC50 27.53 Isidori et al.,2005

B. calyciflorus

Chronic48hr,EC50,population

growth

0.94 Isidori et al.,2005

담수 식물 L. gibbaChronic7d,EC50,

wet weight>1 Brain et al.,2004

L. gibbaChronic7d,EC50,

frond number>1 Brain et al.,2004

L. gibbaChronic7d,EC50,

chlorophyll a>1 Brain et al.,2004

L. gibbaChronic7d,EC50,

chlorophyll b>1 Brain et al.,2004

L. gibbaChronic7d,EC50,

carotenoids>1 Brain et al.,2004

담수무척추동물 D. magna 48h,LC50 210.6

Dojmi Di Delupiset al.,1992

D. magna 24h,EC50 22.45 Isidori et al.,2005

Thamnocephalusplatyurus 24h,EC50 17.68 Isidori et al.,2005

C. dubia 48h,EC50 10.23 Isidori et al.,2005

C. dubia

Chronic7d,EC50,

populationgrowth

0.22 Isidori et al.,2005

담수척추동물 Danio rerio 96h,EC50 >1,000 Isidori et al.,2005

해수무척추동물 Artemia (cysts) 48h,NOEC <10 Migliore et al.,1997

Artemia(cysts) 120h,LC100 <10 Migliore et al.,1997

Sulfathiazole 담수무척추동물

D. magna 24h,EC50 1,866Migliore et al.,1993

D. magna 48h,EC50 851Migliore et al.,1993

D. magna 24h,EC50616.7

(291.7–1,303.6)Park andChoi,2008

D. magna 48h,EC50149.3

(115.8–192.5) Kim et al.,2007

M. macrocopa 24h,EC50430.1

(371.2–488.9)Park andChoi,2008

Page 5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0 -

표 13.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참고문헌

Sulfathiazole 담수무척추동물

M. macrocopa 48h,EC50391.1

(341.9–440.3)Park andChoi,2008

D. magna 48h,EC50 135.7 Jung et al.,2008

D. magna 96h,EC50 78.9 Jung et al.,2008

D. magna

21d,first dayof

reproductionLOEC

35Park andChoi,2008

D. magna

21d,first dayof

reproductionNOEC

11 Park andChoi,2008

D. magna21d,number of

young perfemale LOEC

35 Park andChoi,2008

D. magna21d,number of

young perfemale NOEC

11 Park andChoi,2008

담수척추동물 O. latipes 48h,LC50 >500 Kim et al.,2007

O. latipes 96h,LC50 >500 Kim et al.,2007

L. punctatus 48h,LC50 >100 Wilford,1966

L. macrochirus 48h,LC50 >100 Wilford,1966

O. mykiss 48h,LC50 >100 Wilford,1966

S. trutta 48h,LC50 >100 Wilford,1966

S. fontinalis 48h,LC50 >100 Wilford,1966

S. namaycush 48h,LC50 >100 Wilford,1966

해수 미생물 V. fischeri 5min,IC50 >1,000 Kim et al.,2007

V. fischeri 15min,IC50 >1,000 Kim et al.,2007

의약물질명

Daphnia magna Moina macrocopa Oryzias latipes

21일 만성 3 brood 만성어류

초기생장단계1세대

내분비계

교란

Oxytetracycline O O O O O

Sulfamethazine O O O

Diclofenac O O O O O

Chlortetracycline O O O O O

Erythromycin O O O O O

Sulfathiazole O O O O O

표 14. 본 연구에서 수행한 생태독성 시험과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Page 5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1 -

(1)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가) Daphnia magna 21일 만성독성시험

담수 물벼룩종인 D. magna를 이용하여 OECD 시험법 211에 따라 21일

만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급성독성시험의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독성시험의

노출농도를 정하였다. D. magna 만성독성시험 결과는 표 15와 같으며,

최소영향관찰농도(LOEC) 및 무영향관찰농도(NOEC)는 표 16과 같다. Olmstead와

LeBlanc(2000)의 방법에 따라 D. magna 암수를 구별하였고, 어미가 수컷으로 판명된

개체는 산자수 산출시 제외시켰다. 만성노출 결과 어미의 생존율, 번식률,

종증식률을 평가하였다. 종증식률은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 산자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치사 이하의 농도에서 영향을 받아 이 두 변수가 변하게 되면

종증식률 역시 변하게 된다(Stearns, 1976).

Oxytetracycline은 27.7 mg/L 수준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으며,

만성노출 시 생존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최대농도(NOEC)는 9.23

mg/L에서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number

of young per female) 및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number of young per brood)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9.23 mg/L 노출군에서 번식에 유의한 영향이

관찰(LOEC)되었으며 번식영향의 NOEC은 3.08 mg/L에서 관찰되었다. 체장 및

종증식율(population growth rate, r)은 oxytetracycline의 농도가 증가해도

대조군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Sulfamethazine은 만성독성시험의 최대농도인 30 mg/L 수준에서도 생존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및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0 mg/L

노출군에서 번식에 유의한 영향이 관찰(LOEC)되었으며 번식영향의 NOEC은 3.3

mg/L에서 관찰되었다. 체장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증식율은

sulfamethaz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Diclofenac은 75 mg/L 수준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만성노출

시 생존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최대농도(NOEC)는 25 mg/L에서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및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5 mg/L 노출군에서 번식에

유의한 영향이 관찰(LOEC)되었으며 번식영향의 NOEC은 8.33 mg/L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diclofenac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장 및 종증식율이

감소하였다.

Chlortetracycline은 100 mg/L 수준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만성노출 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및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23 mg/L 노출군에서 번식에 유의한 영향이

Page 5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2 -

관찰(LOEC)되었으며, 체장의 감소는 11.1 mg/L 노출군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영향이 관찰되었다. Chlortetracyclin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증식율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Erythromycin은 100 mg/L 수준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만성노출 시 생존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최대농도(NOEC)는 33.3

mg/L에서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및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3.3 mg/L 노출군에서 번식에 유의한

영향이 관찰(LOEC)되었으며 번식영향의 NOEC은 11.1 mg/L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erythromyc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장이 감소하였으며, 종증식율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Sulfathiazole은 20 mg/L 수준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는 증가하였으며,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6.66 mg/L 노출군에서 번식에 유의한 영향이

관찰(LOEC)되었으며 번식영향의 NOEC은 2.22 mg/L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체장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sulfathiazol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증식율이

감소하였다.

Page 5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3 -

의약물질명농도

(mg/L)

생존

능력(%)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일)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체장(mm) 종증식율

Oxytetracycline Control 90 10.2 ± 1.7 65.1 ± 8.6 11.6 ± 1.9 3.7 ± 0.2 0.29

3.08 100 9.7 ± 0.9 64.2 ± 8.4 11.3 ± 2.2 3.7 ± 1.4 0.30

9.23 80 9.4 ± 1.1 30.0 ± 1.2 * 8.2 ± 2.1 * 3.2 ± 0.3 0.29

27.7 10 * - - - - -

83.3 10 * - - - - -

250 0 * - - - - -

Sulfamethazine Control 100 9.6 ± 1.1 77.7 ± 12.1 16.6 ± 2.3 3.5 ± 0.3 0.29

0.36 100 10.1 ± 2.3 63.5 ± 27.5 14.4 ± 4.2 3.4 ± 0.3 0.27

1.10 80 10.3 ± 0.7 72.3 ± 9.9 17.0 ± 1.3 3.5 ± 0.1 0.29

3.30 90 9.2 ± 1.0 83.6 ± 12.5 16.6 ± 2.5 3.6 ± 0.2 0.31

10.0 90 11.4 ± 2.0 * 55.6 ± 10.4 * 14.1 ± 2.8 3.6 ± 0.2 0.23

30.0 70 14.0 ± 0.0 * 5.6 ± 5.7 * 5.6 ± 5.7 * 3.7 ± 0.1 0.09

Diclofenac Control 90 12.8 ± 1.6 80.7 ± 15.9 22.9 ± 2.9 3.4 ± 0.2 0.28

0.93 90 13.0 ± 2.1 77.4 ± 20.5 23.2 ± 4.7 3.4 ± 0.2 0.28

2.77 100 13.8 ± 2.2 68.1 ± 21.8 21.1 ± 3.4 3.1 ± 0.4 0.26

8.33 100 13.5 ± 1.4 56.6 ± 23.0 17.8 ± 5.0 3.3 ± 0.2 0.26

25.0 100 14.4 ± 1.9 20.6 ± 14.1 * 11.1 ± 6.7 * 3.2 ± 0.1 0.18

75.0 0 * - - - - -

Chlortetracycline Control 80 14.5 ± 3.3   40.8 ± 14.4   9.8 ± 2.0   3.5 ± 0.2   0.20

1.23 80 12.1 ± 1.5   27.0 ± 4.8   6.3 ± 1.1 * 3.3 ± 0.2   0.22

3.70 80 11.0 ± 1.2 27.5 ± 11.8   5.8 ± 2.8 * 3.2 ± 0.2   0.24

11.1 70 13.3 ± 2.6   12.4 ± 7.9 * 4.4 ± 2.6 * 2.8 ± 0.3 * 0.13

33.3 70 12.7 ± 2.5   0.7 ± 1.9 * 0.4 ± 0.9 * 2.7 ± 0.1 * -

100 0 * -   -   -   -   -

Erythromycin Control 100 11.8 ± 1.8 82.6 ± 14.3 16.0 ± 3.0 4.1 ± 0.2 0.27

3.70 100 10.7 ± 1.3 72.0 ± 26.4 13.0 ± 3.8 3.7 ± 0.7 0.26

11.1 80 10.5 ± 0.8 68.3 ± 30.3 12.9 ± 5.1 3.7 ± 0.7 0.27

33.3 70 11.5 ± 1.9 19.0 ± 21.1 * 5.9 ± 5.1 * 3.3 ± 0.6 * 0.27

100 40 * - - - - -

300 0 * - - - - -

Sulfathiazole Control 100 9.8 ± 0.8 71.0 ± 10.6 14.1 ± 3.2 3.3 ± 0.1 0.29

0.73 100 11.3 ± 3.2 53.4 ± 23.5 13.9 ± 4.3 3.5 ± 0.3 0.29

2.22 90 11.0 ± 1.9 56.9 ± 29.4 15.7 ± 4.0 3.7 ± 0.2 0.25

6.66 70 16.0 ± 0.2 * 21.9 ± 8.4 * 10.9 ± 4.2 3.5 ± 0.2 0.15

20.0 50 * - - - - -

60.0 0 * - - - - -

표 15. Daphnia magna 21일 만성독성시험a

a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concentration. Asterisk (*) denote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p < 0.05).

- : Not available.

Page 5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4 -

표 16. Daphnia magna 21일 만성독성시험결과 요약 (단위: mg/L)

의약물질명 생존능력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

체장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Oxytetracycline 9.23 27.7 9.23 >9.23 3.08 9.23 3.08 9.23 9.23 >9.23

Sulfamethazine 30.0 >30.0 3.30 10.0 3.30 10.0 10.0 30.0 30.0 >30.0

Diclofenac 25.0 75.0 25.0 >25.0 8.33 25.0 8.33 25.0 25.0 >25.0

Chlortetracycline 33.3 100 33.3 >33.3 3.70 11.1 <1.23 1.23 3.70 11.1

Erythromycin 33.3 100 33.3 >33.3 11.1 33.3 11.1 33.3 11.1 33.3

Sulfathiazole 6.66 20.0 2.22 6.66 2.22 6.66 6.66 >6.66 6.66 >6.66

NOEC: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LOEC: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Page 5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5 -

(나) Moina macrocopa 3 brood 만성독성시험

국내에 서식하는 물벼룩종으로 알려진 M. macrocopa를 이용하여 3 brood

만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급성독성시험의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독성시험의

노출농도를 정하였다.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 결과는 표 17과 같으며,

최소영향관찰농도(LOEC) 및 무영향관찰농도(NOEC)는 표 18과 같다. 3 brood

만성독성시험은 한 마리의 어미가 3 brood를 생산할 때까지 노출시켜 생존과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통 7~8일 가량 소요된다.

Oxytetracycline은 시험 농도(83.3 mg/L)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번식영향으로 노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 산란 횟수 및

종증식률이 감소하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ulfamethazine은 50 mg/L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는 특별한 농도 의존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산란 횟수 및 종증식율은 노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Chlortetracycline은 50 mg/L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는 증가하였으며,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산란 횟수 및 종증식율은 노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Diclofenac은 150 mg/L 수준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노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및 종증식율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rythromycin은 시험 농도(150 mg/L)에서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 산란 횟수와 종증식률은

특별한 농도 의존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Sulfathiazole은 33.3 mg/L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치사율(LOEC)이 관찰되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 산란 횟수 및 종증식률은 특별한

농도 의존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1회 산란 시 낳는 산자수는 11.1 mg/L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age 6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6 -

의약물질명농도

(mg/L)

생존

능력(%)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 (day)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산란 횟수 종증식율

Oxytetracycline Control 90 3.00 ± 0.00 61.67 ± 13.52 3.89 ± 0.33 1.17

3.08 70 3.00 ± 0.00 71.86 ± 17.08 4.00 ± 0.58 1.10

9.23 80 3.00 ± 0.00 65.50 ± 9.93 3.88 ± 0.35 1.10

27.7 80 3.57 ± 0.53 47.29 ± 13.97 3.57 ± 0.53 1.10

83.3 20 * - - - -

250 0 * - - - -

Sulfamethazine Control 100 2.10 ± 0.32 50.30 ± 8.25 5.00 ± 1.05 1.42

1.85 90 3.22 ± 1.09 53.44 ± 12.54 4.89 ± 1.17 1.23

5.56 90 2.22 ± 0.44 54.11 ± 7.80 3.22 ± 0.67 1.26

16.7 80 2.13 ± 0.35 48.63 ± 6.67 4.75 ± 0.71 1.21

50.0 50 * - - - -

150 0 * - - - -

Diclofenac Control 80 3.50 ± 0.76 31.18 ± 11.44 3.00 ± 0.93 0.73

1.85 60 3.67 ± 0.52 22.33 ± 7.45 2.33 ± 0.52 0.56

5.56 100 4.70 ± 1.25 19.50 ± 11.11 1.80 ± 1.03 0.57

16.7 80 4.13 ± 1.87 20.63 ± 12.97 2.50 ± 1.60 0.67

50.0 60 3.33 ± 0.82 41.83 ± 5.71 3.33 ± 0.52 0.67

150 0 * - - - -

Chlortetracycline Control 90 3.11 ± 1.17 44.33 ± 10.67 3.78 ± 0.67 1.01

1.85 90 3.22 ± 1.09 42.89 ± 12.99 3.56 ± 0.73 0.93

5.56 90 3.67 ± 0.87 37.67 ± 9.87 3.22 ± 0.67 0.80

16.7 70 3.43 ± 0.98 37.57 ± 6.21 3.43 ± 0.53 0.84

50.0 10 * - - - -

150 0 * - - - -

Erythromycin Control 80 3.12 ± 0.64 62.63 ± 11.53 3.75 ± 0.46 0.94

1.85 90 2.67 ± 0.71 70.11 ± 11.10 3.89 ± 0.33 0.96

5.56 90 3.00 ± 0.82 55.14 ± 14.09 3.43 ± 0.79 0.83

16.7 80 2.50 ± 0.53 71.00 ± 10.07 4.00 ± 0.00 1.01

50.0 70 2.50 ± 0.55 70.17 ± 11.41 4.00 ± 0.00 0.93

150 10 * - - - -

Sulfathiazole Control 100 2.90 ± 0.57 60.00 ± 11.08 2.90 ± 0.57 1.32

3.70 100 2.70 ± 0.48 66.00 ± 13.06 2.70 ± 0.48 1.38

11.1 100 2.80 ± 0.42 37.80 ± 8.53 * 2.80 ± 0.42 1.12

33.3 30 * - - - -

100 0 * - - - -

300 0 * - - - -

표 17. Moina macrocopa 3 brood 만성독성시험a

a 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concentration. Asterisk (*) denote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p < 0.05).

Page 6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7 -

표 18. Moina macrocopa 3 brood 만성독성시험결과 요약

의약물질명 생존능력 첫 번째 새끼를

낳는 시기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

총 brood 수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Oxytetracycline 27.7 83.3 27.7 >27.7 27.7 >27.7 27.7 >27.7

Sulfamethazine 16.7 50.0 16.7 >16.7 16.7 >16.7 16.7 >16.7

Diclofenac 50.0 150 50.0 >50.0 50.0 >50.0 50.0 >50.0

Chlortetracycline 16.7 50.0 16.7 >16.7 16.7 >16.7 16.7 >16.7

Erythromycin 50.0 150 50.0 >50.0 50.0 >50.0 50.0 >50.0

Sulfathiazole 11.1 33.3 11.1 >11.1 11.1 >11.1 11.1 >11.1

NOEC: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LOEC: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Page 6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8 -

(2) 어류 만성독성시험

(가)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

송사리(O. latipes)를 이용하여 TG210에 따라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급성독성시험의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독성시험의 노출농도를

정하였다. 부화율 및 성장 단계별(larvae-juvenile) 생존능력을 표 19에, 성장능력을

표 20에, 최소영향관찰농도(LOEC) 및 무영향관찰농도(NOEC)는 표 21에

제시하였다.

송사리 초기생애 1개월 동안 oxytetracycline은 시험 농도(최고 50 mg/L)에서

노출된 알과 larvae, juvenile에서 유의한 치사율이 관찰되지는 않았다. 신장과

습중량에 미치는 영향은 최대 관찰농도인 50 mg/L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태

요인은 시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ulfamethazine은 시험 최고 농도인 200 mg/L에서 노출된 알과 larvae,

juvenile에서 유의한 치사율이 관찰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시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습중량과 상태 요인이 감소하였고, 200 mg/L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iclofenac을 노출시킨 결과 시험 농도(최고 10 mg/L)에서 노출된 알과 larvae,

juvenile에서 유의한 치사율이 관찰되지는 않았다. 시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습중량과 상태 요인이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Chlortetracycline에 초기생애 1개월 동안 노출된 송사리는 시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화율, larvae, juvenile의 치사율이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습중량, 상태 요인은 최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특별한 농도 의존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Erythromycin은 시험 농도(최고 1,000 mg/L)에 노출된 알에서는 유의한 치사율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000 mg/L 농도에서 larvae, juvenile의 생존률에 유의한

영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신장과 습중량은 1,000 mg/L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상태 요인은 농도 의존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Sulfathiazole에 초기생애 1개월 동안 노출된 송사리는 시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화율, larvae, juvenile의 치사율이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500 mg/L

농도에서 부화된 시기의 유의한 영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신장, 습중량 및 상태

요인은 특별한 농도 의존적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Page 6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59 -

의약물질명농도

(mg/L)부화능력(%)

Larvae

생존능력(%)

Juvenile

생존능력(%)

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일)

Oxytetracycline Control 88.33 ± 3.33 84.89 ± 6.30 84.89 ± 6.30 8.90 ± 0.37

0.005 86.67 ± 10.89 74.46 ± 15.06 74.46 ± 15.06 8.71 ± 0.58

0.05 91.67 ± 8.39 66.61 ± 17.31 66.61 ± 17.31 8.49 ± 0.68

0.5 95.00 ± 6.38 69.13 ± 16.73 69.13 ± 16.73 8.29 ± 0.50

5 91.67 ± 10.00 68.30 ± 22.52 66.63 ± 25.43 8.02 ± 0.67

50 81.67 ± 10.00 70.07 ± 24.45 70.07 ± 24.45 8.38 ± 0.59

Sulfamethazine Control 100.00 ± 0.00 90.00 ± 6.67 85.00 ± 3.33 9.30 ± 1.09

0.02 95.00 ± 6.38 86.03 ± 5.33 82.58 ± 6.22 9.56 ± 1.48

0.2 91.67 ± 6.38 87.72 ± 10.25 77.11 ± 17.98 9.27 ± 1.03

2 95.00 ± 6.38 83.86 ± 10.18 82.19 ± 10.11 9.21 ± 1.06

20 81.67 ± 12.62 85.68 ± 11.24 82.35 ± 12.73 9.02 ± 1.09

200 88.33 ± 10.00 90.18 ± 7.43 84.76 ± 7.01 9.13 ± 1.19

Diclofenac Control 87.50 ± 8.74 91.91 ± 7.52 91.91 ± 7.52 9.80 ± 0.38

0.001 93.75 ± 4.17 93.18 ± 4.55 93.18 ± 4.55 9.93 ± 0.43

0.01 91.67 ± 6.80 97.92 ± 4.17 97.92 ± 4.17 10.01 ± 0.46

0.1 95.83 ± 4.81 95.64 ± 5.04 95.64 ± 5.04 9.58 ± 0.50

1 87.50 ± 8.33 95.45 ± 5.25 95.45 ± 5.25 10.02 ± 0.51

10 79.17 ± 22.05 93.75 ± 12.50 93.75 ± 12.50 10.58 ± 0.80

Chlortetracycline Control 95.24 ± 5.04 76.00 ± 2.76 74.98 ± 2.96 8.70 ± 0.52

0.004 96.67 ± 3.85 58.33 ± 9.62 56.67 ± 8.20 8.78 ± 0.39

0.04 95.00 ± 6.38 70.15 ± 11.97 64.65 ± 9.33 8.88 ± 0.78

0.4 91.67 ± 3.33 78.30 ± 5.39 78.30 ± 7.78 8.47 ± 0.13

4 91.67 ± 6.38 78.50 ± 7.11 76.71 ± 10.18 8.61 ± 0.39

40 91.67 ± 6.38 64.41 ± 15.06 64.41 ± 15.06 8.46 ± 0.71

Erythromycin Control 85.00 ± 11.39 92.66 ± 5.50 92.66 ± 5.50 10.46 ± 0.43

0.01 88.33 ± 6.38 94.51 ± 6.89 94.51 ± 6.89 10.11 ± 1.14

0.1 90.00 ± 11.55 96.43 ± 7.14 96.43 ± 7.14 10.22 ± 0.43

1 80.00 ± 27.22 94.37 ± 7.32 94.37 ± 7.32 10.90 ± 0.84

10 95.00 ± 6.38 98.33 ± 3.33 98.33 ± 3.33 10.07 ± 0.55

100 96.67 ± 3.85 96.55 ± 3.99 96.55 ± 3.99 9.76 ± 0.28

1,000 86.67 ± 5.44 71.41 ± 19.19 * 27.17 ± 11.07 * 10.18 ± 0.64

Sulfathiazole Control 93.33 ± 0.00 89.29 ± 9.22 87.50 ± 8.99 10.50 ± 0.58

0.05 83.33 ± 12.77 79.53 ± 6.03 79.53 ± 6.03 11.25 ± 0.50

0.5 83.33 ± 8.61 86.17 ± 14.25 86.17 ± 14.25 11.75 ± 0.96

5 81.67 ± 10.00 88.42 ± 7.78 86.63 ± 9.28 11.50 ± 1.29

50 88.33 ± 19.15 85.87 ± 9.99 79.09 ± 1.10 11.25 ± 0.50

500 91.67 ± 10.00 96.41 ± 4.17 96.41 ± 4.17 12.75 ± 1.26 *

표 19. Oryzias latipes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의 생존능력변화a

a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concentration. Asterisk (*) denote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p < 0.05).

Page 6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0 -

의약물질명 농도(mg/L) 시료수 신장(mm) 습중량(㎎) 상태요인

Oxytetracycline Control 25 9.83 ± 1.63 10.32 ± 3.58 1.12 ± 0.37

0.005 19 13.77 ± 1.11 11.77 ± 4.77 0.98 ± 0.30

0.05 15 10.03 ± 1.93 11.57 ± 5.04 1.08 ± 0.22

0.5 18 9.82 ± 1.41 10.11 ± 5.13 0.99 ± 0.20

5 16 10.37 ± 1.87 10.83 ± 6.82 0.87 ± 0.11

50 15 10.41 ± 1.01 10.71 ± 3.29 0.93 ± 0.14

Sulfamethazine Control 4 8.74 ± 0.31 7.30 ± 0.32 1.10 ± 0.15

0.02 4 8.87 ± 2.33 7.78 ± 1.66 1.42 ± 0.98

0.2 4 9.06 ± 1.80 7.08 ± 0.62 1.09 ± 0.51

2 4 8.59 ± 0.90 5.25 ± 1.34 0.82 ± 0.05

20 4 9.10 ± 0.85 5.73 ± 1.30 0.76 ± 0.10

200 4 9.33 ± 0.19 5.28 ± 0.38 * 0.65 ± 0.04 *

Diclofenac Control 4 11.7 ± 0.06 13.37 ± 2.76 0.84 ± 0.10

0.001 4 11.7 ± 0.13 12.98 ± 5.98 0.82 ± 0.46

0.01 4 11.9 ± 0.05 11.05 ± 2.03 0.65 ± 0.07

0.1 4 11.4 ± 0.12 9.38 ± 3.47 0.61 ± 0.05

1 4 11.1 ± 0.20 10.08 ± 5.11 0.65 ± 0.12

10 4 11.0 ± 0.25 10.03 ± 6.14 0.68 ± 0.08

Chlortetracycline Control 10 8.64 ± 1.32 7.22 ± 3.06 1.08 ± 0.25

0.004 12 7.97 ± 2.19 5.89 ± 3.07 1.32 ± 1.15

0.04 7 9.16 ± 1.90 7.41 ± 3.95 0.90 ± 0.16

0.4 11 8.54 ± 1.67 5.74 ± 3.44 0.86 ± 0.13

4 10 9.02 ± 1.45 6.91 ± 3.51 0.88 ± 0.19

40 8 8.58 ± 1.70 6.44 ± 3.96 0.91 ± 0.27

Erythromycin Control 4 9.43 ± 1.46 12.6 ± 2.06 1.30 ± 0.07

0.01 4 9.99 ± 2.29 14.1 ± 7.21 1.38 ± 0.35

0.1 4 10.78 ± 1.09 16.2 ± 4.92 1.28 ± 0.30

1 4 10.09 ± 1.08 11.9 ± 2.57 1.16 ± 0.14

10 4 10.08 ± 1.17 14.1 ± 8.04 1.29 ± 0.41

100 4 10.95 ± 1.82 14.3 ± 6.38 1.05 ± 0.14

1,000 2 7.15 ± 1.16 * 6.3 ± 0.14 * 1.86 ± 0.54

Sulfathiazole Control 4 12.75 ± 1.26 21.05 ± 6.66 0.99 ± 0.66

0.05 4 11.75 ± 1.50 21.20 ± 11.19 1.27 ± 0.43

0.5 4 12.00 ± 1.83 18.40 ± 8.04 1.01 ± 0.01

5 4 10.50 ± 1.91 12.23 ± 5.61 1.02 ± 0.18

50 4 11.25 ± 0.96 15.65 ± 2.65 1.10 ± 0.10

500 4 11.50 ± 1.91 21.50 ± 6.80 1.46 ± 0.47

표 20. Oryzias latipes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의 성장능력변화a

a 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concentration. Asterisk (*) denote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p < 0.05).

Page 6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1 -

표 21. Oryzias latipes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결과 요약 (단위: mg/L)

의약물질명알 치어(larvae) 치어(juvenile)

부화율 부화된 시기 생존능력 생존능력 신장 습중량 상태 요인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Oxytetracycline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Sulfamethazine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 200 20 200

Diclofenac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Chlortetracycline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Erythromycin 1,000 >1,000 1,000 >1,000 100 1,000 1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Sulfathiazole 500 >500 5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NOEC: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LOEC: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Page 6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2 -

(나)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

송사리(O. latipes)를 이용하여 OECD의 전 생애시험법(안)에 따라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어류 초기생장단계독성시험을 토대로 하여

노출농도를 정하였다. 90일 기간 동안의 생존능력, 신장, 체중 및 상태요인의

변화는 표 22에 제시하였다.

Oxytetracycline 및 chlortetracycline에 90일 동안 노출된 송사리는 시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어 생존율, 신장, 습중량 및 상태요인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iclofenac은 노출 최대농도인 10 mg/L에서도 성어 생존율 및 신장이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습중량과 상태요인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Erythromycin은 노출 최대농도인 1,000 mg/L에서 모두

치사하였으며, 100 mg/L 이하 농도에서는 신장, 습중량 및 상태요인이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Sulfathiazole은 노출 최대농도인 500 mg/L에서도

성어 생존율, 신장, 습중량 및 상태요인이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90일 노출에서 1달 간 연장하여 120일 기간 동안 노출시킨 암수 성어의

생식능력변화는 표 23에, 최소영향관찰농도(LOEC) 및 무영향관찰농도(NOEC)는 표

24에 제시하였다.

Diclofenac에 120일간 노출시킨 암수 성어에서 생산된 알은 부화율과 부화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10 mg/L에 노출되었을

경우 수정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LOEC). Erythromycin에

120일간 노출시킨 암수 성어에서 생산된 알은 수정능력 및 부화능력이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100 mg/L에 노출되었을 경우 부화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LOEC).

Sulfamethazine은 어류초기생장단계독성 이후 대조군의 생존능력이 OECD

전생애시험법(안)의 기준인 80%를 넘지 못하여 1세대 만성독성시험과 내분비계

교란능력평가시험 결과는 모두 인정하지 않고 보고서에서 제외하였다.

Page 6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3 -

표 22. Oryzias latipes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90일)의 생존 및 성장능력변화a

의약물질명 농도(mg/L)

N 성어 생존력(%)

N 신장 (mm) 습중량 (mg) 상태요인

Oxytetracycline Control 14 93.33 ± 11.55 5 24.60 ± 1.82 133.10 ± 25.57 0.89 ± 0.08

0.005 14 93.33 ± 11.55 5 24.80 ± 1.30 135.92 ± 27.02 0.88 ± 0.08

0.05 15 100.00 ± 0.00 4 24.50 ± 1.29 136.43 ± 23.72 0.92 ± 0.08

0.5 14 93.33 ± 11.55 5 25.60 ± 1.14 173.66 ± 42.84 1.04 ± 0.26

5 15 100.00 ± 0.00 6 24.17 ± 1.47 125.67 ± 26.49 0.88 ± 0.07

50 15 100.00 ± 0.00 6 23.83 ± 0.75 109.22 ± 14.68 0.80 ± 0.06

Diclofenac Control 15 93.33 ± 11.55 6 24.08 ± 1.11 136.23 ± 21.71 1.01 ± 0.33

0.001 18 100.00 ± 0.00 5 23.70 ± 0.27 131.00 ± 27.63 0.99 ± 0.23

0.01 20 100.00 ± 0.00 5 23.60 ± 1.67 121.40 ± 37.73 0.90 ± 0.09

0.1 17 85.00 ± 19.15 3 23.83 ± 1.61 121.60 ± 26.57 0.89 ± 0.06

1 19 83.75 ± 19.74 6 22.25 ± 2.32 106.73 ± 37.11 0.94 ± 0.08

10 19 85.00 ± 30.00 6 22.00 ± 1.30 106.42 ± 26.04 0.99 ± 0.15

Chlortetracycline Control 15 100.00 ± 0.00 6 24.67 ± 2.42 153.73 ± 48.82 0.99 ± 0.07

0.004 14 93.33 ± 11.55 5 25.60 ± 2.51 161.66 ± 50.12 0.95 ± 0.18

0.04 15 100.00 ± 0.00 6 23.67 ± 2.34 140.08 ± 47.27 1.02 ± 0.13

0.4 14 93.33 ± 11.55 5 25.40 ± 1.14 163.82 ± 25.83 1.00 ± 0.14

4 15 100.00 ± 0.00 6 23.83 ± 1.60 130.00 ± 29.96 0.95 ± 0.14

40 15 100.00 ± 0.00 6 25.00 ± 2.45 154.57 ± 50.71 0.96 ± 0.14

Erythromycin Control 20 100.00 ± 0.00 7 27.57 ± 1.13 156.26 ± 24.74 0.75 ± 0.12

0.01 16 80.00 ± 16.33 5 26.80 ± 1.30 156.68 ± 23.36 0.81 ± 0.09

0.1 20 100.00 ± 0.00 7 26.43 ± 1.40 132.90 ± 16.62 0.72 ± 0.11

1 20 100.00 ± 0.00 7 26.00 ± 3.27 129.90 ± 44.92 0.71 ± 0.04

10 20 100.00 ± 0.00 6 27.00 ± 1.10 140.02 ± 10.68 0.71 ± 0.08

100 20 100.00 ± 0.00 7 27.29 ± 1.50 148.56 ± 21.44 0.73 ± 0.02

1,000 0 0.00 ± 0.00 * 0 - - -

Sulfathiazole Control 15 90.00 ± 14.14 5 23.00 ± 3.81 150.40 ± 66.72 1.07 ± 0.12

0.05 15 100.00 ± 0.00 9 25.00 ± 3.20 173.82 ± 34.29 1.05 ± 0.27

0.5 15 100.00 ± 0.00 9 26.44 ± 1.74 176.67 ± 51.37 0.94 ± 0.16

5 15 100.00 ± 0.00 9 25.78 ± 2.05 163.37 ± 36.37 0.99 ± 0.12

50 15 100.00 ± 0.00 9 25.33 ± 3.32 177.24 ± 28.18 1.04 ± 0.13

500 15 100.00 ± 0.00 9 25.89 ± 3.41 191.06 ± 30.87 1.06 ± 0.18

a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concentration.

Page 6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4 -

표 23. Oryzias latipes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120일)의 생식능력변화a

의약물질명 농도

(mg/L)

N 수정능력(%) 부화능력(%) 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일)

Diclofenac Control 41 55.04 ± 14.02 95.83 ± 8.33 9.25 ± 0.96

0.001 21 56.11 ± 5.36 80.95 ± 32.99 10.00 ± 0.00

0.01 23 74.17 ± 1.18 86.36 ± 19.28 8.50 ± 0.71

0.1 19 78.95 ± 0.00 100.00 ± 0.00 8.00 ± 0.00

1 24 54.55 ± 45.45 100.00 ± 0.00 8.67 ± 1.15

10 10 0.00 ± 0.00 * - -

Erythromycin Control 57 97.00 ± 3.46 96.88 ± 3.61 11.54 ± 0.73

0.01 48 68.00 ± 31.53 59.99 ± 28.51 10.68 ± 0.67

0.1 36 89.67 ± 9.07 89.68 ± 9.01 10.35 ± 0.36

1 42 76.00 ± 28.74 70.49 ± 39.66 10.96 ± 1.51

10 26 100.00 ± 0.00 100.00 ± 0.00 9.97 ± 0.46

100 43 97.50 ± 5.00 95.00 ± 10.00 9.81 ± 0.33 *

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diclofenac and erythromycin concentration

with female and male sample.

*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control (p < 0.05).

-: Not applicable.

표 24. Oryzias latipes 어류 1세대 만성독성시험결과 요약 (단위: mg/L)

의약물질명 성어 노출된 어미에게서 받은 알

생존능력 신장 습중량 상태 요인 수정률 부화율 부화된 시기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NOEC LOEC

Oxytetracycline 50 >50 50 >50 50 >50 50 >50 - - - - -

Diclofenac 10 >10 10 >10 10 >10 10 >10 1 10 1 >1 1 >1

Chlortetracycline 40 >40 40 >40 40 >40 40 >40 - - - - - -

Erythromycin 100 1,0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 100

Sulfathiazole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 - - - - -

NOEC: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LOEC: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Page 6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5 -

(다) 어류 내분비계 교란능력 평가

어류 난황전구단백질인 비텔로제닌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암컷 어류에서만

분비되는 단백질로서 환경오염물질 노출에 의한 내분비계교란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염물질에 노출된 수컷 어류에서 비텔로제닌이 유도되는 경우

수컷 어류의 수정능력 감소나 번식에 대한 영향을 암시한다.

Oxytetracycl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에

노출된 수컷 O. latipes의 ELISA 분석 결과,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이는 본 연구의 실험 농도에서는 수컷 어류에서의 비텔로제닌 발현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수컷 O. latipes의 혈장 비텔로제닌 농도

변화는 그림 18과 같다.

의약물질의 노출에 의한 어류 생식소의 변화는 분자적 수준의 영향평가인

비텔로제닌 발현시험결과와 더불어 개체 수준에서 만성노출시험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며, 궁극적으로 의약물질의 번식영향을 신속하게 예측·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에 노출된 수컷 O.

latipes의 생식소 중량지수(GSI) 및 간 중량지수(HSI) 평가 결과, diclofenac 10

mg/L에 노출된 암컷 성어의 생식소 중량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표 25). 또한, sulfathiazole 0.05~500 mg/L에 노출된 수컷

성어의 생식소 중량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표 25).

Oxytetracycline의 경우 생존 개체가 적어 생식소 중량지수의 관찰이 불가능하였다.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 latipes의 내분비계 교란평가 결과를

표 26에 요약하였다. Oxytetracycl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의 내분비계 교란 무영향관찰농도는 각각 50, 1, 40, 100, <0.05 mg/L인

것으로 나타났다.

Page 7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6 -

그림 18. 의약물질 노출에 따른 수컷 Oryzias latipes의 혈장 중 비텔로제닌 농도

변화

Page 7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7 -

표 25.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ryzias latipes의 GSI와 HSI 변화

의약물질명 농도(mg/L)

GSI (%) HSI (%)

n male n female n male n female

Diclofenac Control 3 2.37 ± 2.98 3 2.80 ± 3.51 3 1.78 ± 0.68 3 2.44 ± 0.92

0.001 3 1.99 ± 2.08 2 4.70 ± 2.36 3 1.93 ± 0.59 2 2.40 ± 1.26

0.01 3 0.95 ± 0.31 2 5.88 ± 7.30 3 1.04 ± 0.32 2 2.05 ± 1.21

0.1 3 0.84 ± 0.32 0 - 3 1.91 ± 0.13 0 -

1 3 0.83 ± 0.43 3 3.29 ± 2.15 3 1.95 ± 0.84 3 2.75 ± 1.05

10 3 1.24 ± 0.48 3 13.77± 5.23 * 3 2.18 ± 1.38 3 2.82 ± 0.50

Chlortetracycline Control 2 2.43 ± 1.08 1 3.44 ± 0.00 2 0.94 ± 0.21 1 9.69 ± 0.00

0.004 1 2.91 ± 0.00 2 4.35 ± 0.67 1 0.76 ± 0.00 2 10.44 ± 7.86

0.04 2 3.28 ± 0.62 1 3.24 ± 0.00 2 0.82 ± 0.36 1 14.57 ± 0.00

0.4 1 3.05 ± 0.00 2 2.15 ± 0.12 1 1.86 ± 0.00 2 7.24 ± 8.47

4 2 2.50 ± 1.18 1 2.14 ± 0.00 2 1.07 ± 0.28 1 13.03 ± 0.00

40 1 1.87 ± 0.00 2 3.37 ± 1.12 1 0.64 ± 0.00 2 5.47 ± 5.05

Erythromycin Control 5 1.34 ± 0.12 6 10.12 ± 1.56 5 0.89 ± 0.96 6 3.30 ± 1.05

0.01 4 1.15 ± 0.44 4 7.94 ± 3.50 3 1.35 ± 1.10 4 2.29 ± 1.80

0.1 4 0.94 ± 0.25 3 12.52 ± 0.11 4 0.64 ± 0.48 3 4.04 ± 0.54

1 4 1.33 ± 0.36 4 11.79 ± 1.54 4 1.23 ± 0.77 4 3.34 ± 0.71

10 4 1.24 ± 0.39 3 11.76 ± 2.53 4 1.29 ± 0.34 3 5.60 ± 2.65

100 4 1.44 ± 0.55 4 12.11 ± 1.54 4 0.86 ± 0.28 4 1.48 ± 1.93

Sulfathiazole Control 1 5.88 ± 0.00 4 12.82 ± 2.83 1 1.65 ± 0.00 4 2.67 ± 0.14

0.05 6 1.51 ± 2.11 * 3 8.58 ± 4.55 6 2.22 ± 0.45 3 4.00 ± 2.08

0.5 6 0.68 ± 0.33 * 3 8.04 ± 3.35 6 1.71 ± 0.56 3 1.60 ± 0.94

5 6 0.66 ± 0.39 * 3 4.10 ± 3.29 6 1.05 ± 0.73 3 1.53 ± 0.46

50 6 0.53 ± 0.56 * 3 7.04 ± 0.62 6 1.82 ± 0.64 3 3.55 ± 0.29

500 6 2.10 ± 2.10 * 3 9.97 ± 9.84 6 1.53 ± 0.58 3 2.42 ± 0.78

Values represent mean ± standard deviation of each concentration.

*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p < 0.05).

표 26.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ryzias latipes의 내분비계 교란

평가결과 요약 (단위 : mg/L)

의약물질명 생식소 중량지수 수컷 어류의 비텔로제닌 발현 변화

NOEC LOEC NOEC LOEC

Oxytetracycline - - 50 >50

Diclofenac 1 10 10 >10

Chlortetracycline 40 >40 40 >40

Erythromycin 100 >100 100 >100

Sulfathiazole <0.05 0.05 500 >500

- : Not available.

Page 7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8 -

(라) 어류 조직학적 변화 관찰

어류 조직학적 변화 관찰 결과, sulfathiazole 및 erythromycin에 노출시킨 일부

물고기에서 신장의 공포형성(vacuolation)과 초자양 소적(hyaline droplet)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diclofenac, oxytetracycline, chlorotetracycline, sulfamethazine을

노출시킨 물고기에서는 인지할 수준의 어떠한 변화도 발견되지 않았다. 신장의

공포형성은 대개 저산소증이나 순환장애 시에 나타날 수 있으며, 초자양 소적은

사구체의 손상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일부 대조군에서 신장의 공포형성과 초자양

소적이 발견되었고, 시험물질 노출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유의성 있는 결과로 판단되지 않는다. 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것은 일차적으로 시험물질의 독성을 유발할 만큼의 충분한 용량이

되지 못하였거나, 시험물질이 본 실험에 사용한 물고기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관찰한 어류의 조직학적 변화를 요약하여 표 27에 첨부하였다.

표 27. 의약물질의 1세대 만성노출(120일)에 따른 Oryzias latipes의 조직학적 변화

관찰 빈도

의약물질명 농도(mg/L) Nkidney hyaline droplet kidney vacuolation

mild moderate severe mild moderate severe

Oxytetracycline Control 4 0 0 0 0 0 0

0.005 4 0 0 0 0 0 0

0.05 4 0 0 0 0 0 0

0.5 4 0 0 0 0 0 0

5 4 0 0 0 0 0 0

50 4 0 0 0 0 0 0

Sulfamethazine Control 4 0 0 0 0 0 0

0.02 4 0 0 0 0 0 0

0.2 4 0 0 0 0 0 0

2 4 0 0 0 0 0 0

20 4 0 0 0 0 0 0

200 4 0 0 0 0 0 0

Diclofenac Control 4 0 0 0 0 0 0

0.001 4 0 0 0 0 0 0

0.01 4 0 0 0 0 0 0

0.1 4 0 0 0 0 0 0

1 4 0 0 0 0 0 0

10 4 0 0 0 0 0 0

Chlortetracycline Control 4 0 0 0 0 0 0

0.004 4 0 0 0 0 0 0

0.04 4 0 0 0 0 0 0

0.4 4 0 0 0 0 0 0

4 4 0 0 0 0 0 0

40 4 0 0 0 0 0 0

Page 7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69 -

표 27. 계속

의약물질명 농도(mg/L) Nkidney hyaline droplet kidney vacuolation

mild moderate severe mild moderate severe

Erythromycin Control 9 1 0 0 0 0 0

0.01 3 0 0 0 0 0 0

0.1 5 2 0 0 3 0 0

1 5 0 0 0 3 1 0

10 6 1 0 0 2 0 0

100 5 1 0 0 0 0 0

1,000 5 0 0 0 1 1 0

Sulfathiazole Control 4 2 1 1 0 0 0

0.05 4 2 0 0 0 0 0

0.5 3 1 0 0 0 0 1

5 4 2 0 0 0 0 0

50 4 2 2 0 0 0 0

500 4 2 0 0 2 0 0

Page 7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0 -

(3) 대상의약물질의 노출농도 실측

생태독성시험에서 설정한 설정농도가 노출기간 동안 잘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에 사용한 의약물질의 실제 농도를 측정하였다. 특히 독성시험에 사용한

생물종에 따라서 노출기간 동안 노출되는 의약물질의 농도가 달라지는지 또한

확인하였다. 시험생물종 별로 조사대상 의약물질의 설정농도(nominal

concentration)와 실측농도(measured concentration)는 표 28과 같다.

어류 독성시험에 사용된 diclofenac의 경우 노출 전후에 측정한 실측농도가

전반적으로 설정농도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특히 고농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이는 diclofenac의 logKow값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고농도 stock 용액을

제조할 때 원활하게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반면 농도실측시

표준용액을 제조할 때에는 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했기 때문에 노출시료에 비해

용해도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수분해 반감기가 짧은 chlortetracycline의 경우, 48시간 노출기간 동안 농도의

변이가 비교적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런 물질의 경우에는 유수식(flow-through)

실험조건에서 일정한 수준의 농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노출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노출실험을 48시간 또는 1주 3회 교체의 반지수식

교환방식(semi-static renewal)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시험물질의 분해 및 농도

저감을 잘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 설정농도에 근거하여 산정한 diclofenac과 chlotetracycline의

독성값은 실제의 독성을 일정 수준 과소평가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얻은 독성값에 근거하여 위해성평가를 수행할 때에는 이러한 불확실성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하며 위해성평가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age 7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1 -

표 28.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설정농도 및 실측농도 (단위: mg/L)

의약물질명 시험생물종 LOD 설정 실측농도

(ng/mL) 농도 노출 전 48시간 노출 후

Oxytetracycline Daphnia magna 1.1 0 < LOD < LOD

3.08 3.00 2.48

9.23 4.23 6.60

27.7 21.90 18.40

83.3 81.50 30.40

250 132.00 153.00

Sulfamethazine Daphnia magna 0.3 0 < LOD < LOD

0.36 0.74 0.74

1.10 1.30 1.43

3.30 4.86 4.88

10.0 14.60 13.40

30.0 32.40 35.00

Diclofenac Daphnia magna 0.3 0 < LOD < LOD

0.93 0.91 0.95

2.77 2.13 2.31

8.33 6.15 7.01

25.0 17.60 18.00

75.0 50.10 59.80

Chlortetracycline Daphnia magna 7.0 0 < LOD < LOD

1.85 0.74 0.19

5.56 1.99 0.50

16.7 7.50 2.15

50.0 31.70 5.49

150 84.50 59.00

Erythromycin Daphnia magna 1.0 0 < LOD < LOD

3.70 3.04 3.42

11.1 8.38 8.96

33.3 29.80 32.30

100 79.00 91.00

300 288.00 314.00

Sulfathiazole Daphnia magna 0.08 0 < LOD < LOD

0.73 0.32 0.35

2.20 1.55 1.80

6.60 4.22 5.05

20.0 13.70 17.20

60.0 40.30 50.90

Page 7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2 -

표 28. 계속 (단위: mg/L)

의약물질명 시험생물종 LOD 설정 실측농도

(ng/mL) 농도 노출 전 48시간 노출 후

Oxytetracycline Oryzias latipes 1.1 0 < LOD < LOD

0.005 < LOD < LOD

0.05 < LOD < LOD

0.5 0.03 0.03

5 5.83 5.66

50 63.60 45.70

Sulfamethazine Oryzias latipes 0.3 0 <LOD <LOD

0.02 0.04 0.03

0.2 0.22 0.21

2 2.81 3.11

20 22.40 23.30

200 226.00 278.00

Diclofenac Oryzias latipes 0.3 0 <LOD <LOD

0.001 0.002 0.002

0.01 0.01 0.01

0.1 0.12 0.12

1 0.85 0.66

10 4.93 3.83

Chlortetracycline Oryzias latipes 7.0 0 <LOD <LOD

0.004 <LOD <LOD

0.04 <LOD <LOD

0.4 0.09 0.01

4 2.77 0.67

40 35.00 6.93

Erythromycin Oryzias latipes 1 0 <LOD <LOD

0.01 0.006 0.022

0.1 0.08 0.14

1 1.12 1.33

10 12.10 11.70

100 114.00 130.00

1,000 1,130.00 1,390.00

Sulfathiazole Oryzias latipes 0.08 0 <LOD <LOD

0.05 0.039 0.040

0.5 0.36 0.33

5 4.22 4.29

50 40.40 40.90

500 516.00 432.00

Units are in mg/L unless otherwise noted.

LOD: Limit of detection.

Page 7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3 -

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검토

주요 잔류 의약물질에 대해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수행된 토양생물 및 식물

생태독성영향 평가 결과는 비교적 많지 않다. 현재까지 보고된 육상 생태독성

자료를 요약한 결과는 표 29와 같다.

표 29. 동물용 의약물질의 토양생물 및 식물생태독성 자료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참고문헌

Oxytetracycline 육상척추동물

Anasplatyrhynchos 8d,LC50

>5,620mg/L

US EPA, 2001

Folsomia fimetaria 7d,LOEC>5,000

mg/kg soil US EPA, 2001

Oxytetracyclinedihydrate

육상무척추동물

Enchytraeuscrypticus

21d,LC/EC50

reproduction

2,701(-843~5,619)mg/kg d.w.

Baguer et al., 2000

Aporrectodeacaliginosa

21d,LC/EC50

reproduction

4,420(2,592-5,246)mg/kg d.w.

Baguer et al., 2000

Diclofenac 육상 조류 Gyps bengalensis 2 d LD500.1-0.2mg/kg

Swan et al., 2006

Chlortetracycline 육상척추동물

X. laevis 96h,NOEC >100mg/L

Richards et al.,2006

Erythromycin 육상식물 Zea mays 2d,LOEC,length

<1mmol/L

Umbeck et al.,1983

Zea mays 2d,NOEC,length

<100mmol/L

Umbeck et al.,1983

Values in parenthesis are 95% confidence interval.

Page 7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4 -

다. 표준지표독성시험을 통한 시험생물종의 민감도 유지 확인

시험 물질에 대한 시험생물종의 상대적인 민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표준지표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표준지표독성물질로 염화아연(ZnCl )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 19와 같다. 미국

EPA(2002) 지침에 따라 표준 독성물질에서 얻은 독성값의 변이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control chart를 통해 확인하였다.

(A)

(B)

(C)

그림 19. 표준지표독성시험을 통한 시험생물종의 민감도 유지 확인

(A) Daphnia magna 48시간 독성시험

(B) Moina macrocopa 48시간 독성시험

(C) Oryzias latipes 96시간 독성시험

Page 7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5 -

3.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가.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1)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위해성 평가 결과

(가) 노출평가

자료의 대표성과 포괄성을 고려하여 물환경 생태위해성평가를 위해서 활용한

노출수준은 2006-2008년에 조사된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보고 결과를

활용하였다(국립환경과학원 2006, 2007, 2008). 전국 4대강 유역의 지표수에서

보고된 값의 평균(MECmean)을 사용하였으며 노출수준 평균의 95% 신뢰구간

상한치(95% upper confidence limit, MEC95%UCL)를 노출수준의 보수적인 추정치로

활용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추정된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우리나라 물환경 중

노출수준은 다음 표 30과 같다.

표 30. 위해성평가를 위해 사용된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물환경 노출수준 (단위:

ug/L)

의약물질명지표수 실측농도

MECmean MEC95%UCL

Oxytetracycline 0.0039 0.0095Sulfamethazine 0.0342 0.0724Diclofenac 0.0122 0.0224Chlortetracycline 0.1266 0.2498Erythromycin 0.0108 0.0133Sulfathiazole 0.1027 0.2156

(나) 영향평가

평가대상 의약물질별 국내외 생태독성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는 표 31과 같다.

생태독성 연구결과를 토대로 PNEC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표 9의 지침에 근거하여

적절한 안전계수를 적용하였다.

Oxytetracycline의 경우는 조류, Daphnia, 물고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 NOEC가

보고되어 있었으므로 안전계수 10을 사용하였다. 만성독성시험 NOEC 중 가장

민감한 독성값은 조류(algae)에서 보고되었다. 조류 만성독성 NOEC의 경우 담수

서식 녹조류(green algae)로 생태독성시험에 많이 사용되는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72시간 성장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0.183 mg/L (Eguchi et al.,

2004)와 남조류(blue green algae)인 cyanobacteria 중 Anabaena cylindrica 144시간

성장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0.0031 mg/L (Ando et al., 2007)이었다. 남조류를

Page 8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6 -

이용한 독성시험의 경우 상대적으로 표준 독성시험종이 아니고 해당 독성값도

독성시험방법을 제안한 연구에서 보고된 값이었으므로 PNEC 산출을 위해

사용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독성시험종으로 많이 사용되는 P. subcapitata

독성시험에서 얻은 값을 이용하여 PNEC을 산출하였다.

Sulfamethazine의 경우는 Daphnia, 물고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 NOEC가

보고되어 있었으므로 안전계수 50을 사용하였다. 만성독성시험 NOEC 중 가장

민감한 독성값은 이 연구에서 얻은 것으로 물벼룩 Daphnia magna 21일

번식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3.3 mg/L였다.

Diclofenac의 경우는 조류, Daphnia, 물고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 NOEC가

보고되어 있었으므로 안전계수 10을 사용하였다. 만성독성시험 NOEC 중 가장

민감한 독성값은 물벼룩 Ceriodaphnia dubia 7일 번식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1

mg/L (Ferrari et al., 2003)이었으며 이 농도는 이번 연구에서 수행하여 얻은

물고기 Oryzias latipes 알 수정율 NOEC과 같았다.

Chlortetracycline의 경우는 수서 식물, Daphnia, 물고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

NOEC가 보고되어 있었으므로 안전계수 10을 사용하였다. 녹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를 이용한 독성시험결과도 보고되어 있었으나(Halling-Sorensen et al.,

2000) 표준 독성시험종이 아니며 EC50가 제시되어 있을 뿐 NOEC를 찾을 수 없어

PNEC 산출에 활용하지 않았다. 만성독성시험 NOEC 중 가장 민감한 독성값은

수서 식물 Lemna gibba 7일 성장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0.1 mg/L (Brain et al.,

2004)이었다.

Erythromycin의 경우는 조류, Daphnia, 물고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 NOEC가

보고되어 있었으므로 안전계수 10을 사용하였다. 만성독성시험 NOEC 중 가장

민감한 독성값은 조류(algae)에서 보고되었다. 조류 만성독성 NOEC의 경우 담수

서식 녹조류(green algae)로 생태독성시험에 많이 사용되는 P. subcapitata 72시간

성장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0.0103 mg/L (Eguchi et al., 2004)와 남조류(blue

green algae)인 cyanobacteria 중 Synechococcus leopoldensis 144시간 성장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0.0020 mg/L (Ando et al., 2007)이었다. 남조류의 독성값의 경우

oxytetracycline과 같은 이유로 PNEC 산출을 위해 사용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독성시험종으로 많이 사용되는 P. subcapitata 독성시험에서 얻은 값을

이용하여 PNEC을 산출하였다.

Sulfathiazole의 경우는 Daphnia, 물고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 NOEC가 보고되어

있었으므로 안전계수 50을 사용하였다. 만성독성시험 NOEC 중 가장 민감한

독성값은 이번 연구에서 얻은 것으로 물벼룩 Daphnia magna 21일 번식시험에서

NOEC로 보고된 2.22 mg/L였다.

Page 8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7 -

표 31.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급만성 생태독성값 고찰 (단위: mg/L)

의약물질명노출

기간시험생물종 관측지표 독성값 참고문헌

Oxytetracycline

급성 L. gibba 7d EC50 1 Brain et al., 2004

D. magna 48h EC50 621.2 Park and Choi, 2008

M. macrocopa 48h EC50 126.7 Park and Choi, 2008

C. dubia 48h EC50 18.65 Isidori et al., 2005

O. latipes 96h LC50 110.1 Park and Choi, 2008

만성 P. subcapitata 72h growth NOEC 0.183 Eguchi et al., 2004

A. cylindrica 144h growth NOEC 0.0031 Ando et al., 2007

D. magna 21d EC10 7.4Wollenberger et al.,

2000

D. magna21d survival/growth

NOEC9.23 This study

D. magna21d reproduction

NOEC3.08 This study

M. macrocopa7d reproduction

NOEC>27.7 This study

O. latipes1mo survival/growth

NOEC>50 This study

O. latipes3mo survival/growth

NOEC>50 This study

Sulfamethazine

급성 D. magna 48h EC50 174.4 Kim et al., 2007

M. macrocopa 48h EC50 110.7 Park and Choi, 2008

O. latipes 96h LC50 >100 Kim et al., 2007

만성 D. magna21d survival/growth

NOEC>30 This study

D. magna21d reproduction

NOEC3.3 This study

M. macrocopa7d survival/growth

NOEC16.7 This study

O. latipes 1mo survival NOEC >200 This study

O. latipes 1mo growth NOEC 20 This study

Diclofenac

급성 D. magna 48h EC50 22.43 Ferrari et al., 2003

C. dubia 48h EC50 22.7 Ferrari et al., 2003

D. rerio 10d survival NOEC 4 Ferrari et al., 2003

만성 P. subcapitata 96h NOEC 10 Ferrari et al., 2003

C. dubia 7d NOEC 1 Ferrari et al., 2003

D. magna 21d survival NOEC 25 This study

D. magna21d reproduction

NOEC8.33 This study

M. macrocopa 7d survival NOEC 50 This study

M. macrocopa7d reproduciton

NOEC>50 This study

O. latipes1 and 3 mo survival

NOEC>10 This study

O. latipes Egg fertility NOEC 1 This study

Page 8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8 -

표 31. 계속 (단위: mg/L)

의약물질명노출

기간시험생물종 관측지표 독성값 참고문헌

Chlortetracycline

급성 D. magna 48h EC50 225 Park and Choi, 2008

M. macrocopa 48h EC50 272 Park and Choi, 2008

O. latipes 96h LC50 78.9 Park and Choi, 2008

만성 M. aeruginosa 7d EC50 0.05Halling-Sorensen et

al., 2000

L. gibba 7d growth NOEC 0.1 Brain et al., 2004

D. magna 21d survival NOEC 33.3 This study

D. magna21d reproduction/

growth NOEC3.7 This study

M. macrocopa7d survival/

reproduction NOEC16.7 This study

O. latipes1 mo survival

NOEC>40 This study

O. latipes3 mo survival

NOEC>40 This study

Erythromycin

급성 D. magna 48h EC50 210.6Di Delupis et al.,

1992

C. dubia 48h LC50 10.23 Isidori et al., 2005

D. rerio 96h EC50 >1,000 Isidori et al., 2005

만성 P. subcapitata 72h growth NOEC 0.0103 Eguchi et al., 2004

S. leopoldensis 144h growth NOEC 0.0020 Ando et al., 2007

L. gibba 7d growth EC50 >1 Brain et al., 2004

L. gibba 7 d growth NOEC 0.01 Pomati et al., 2004

D. magna 21d survival NOEC 33.3 This study

D. magna 21d growth NOEC 11.1 This study

M. macrocopa 7d survival NOEC 50 This study

M. macrocopa 7d growth NOEC >50 This study

O. latipes1 mo survival

NOEC100 This study

O. latipes3 mo survival

NOEC>100 This study

O. latipesTime to hatch

NOEC10 This study

Sulfathiazole

급성 D. magna 48h EC50 149 Kim et al., 2007

M. macrocopa 48h EC50 391 Park and Choi, 2008

O. latipes 96h EC50 >500 Kim et al., 2007

만성 D. magna21d reproduction

NOEC11 Park and Choi, 2008

C. dubia 7d EC50 7.20 Isidori et al., 2005

D. magna21d survival/growth

NOEC6.66 This study

D. magna21d reproduction

NOEC2.22 This study

M. macrocopa 7d survival NOEC 11.1 This study

M. macrocopa7d reproduction

NOEC>11.1 This study

O. latipes1 mo survival/

growth NOEC>500 This study

O. latipes3 mo survival/

growth NOEC>500 This study

Page 8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79 -

이 연구에서 도출한 PNEC값은 표 32와 같다.

의약물질명 종명 관측지표독성값

(mg/L)참고문헌 안전계수

PNEC

(μg/L)

Oxytetracycline P. subcapitata 72h growth NOEC 0.183 Eguchi et al., 2004 10 18.3

Sulfamethazine D. magna 21d reproduction NOEC 3.3 This study 50 66

Diclofenac C. dubia 7d reproduction NOEC 1 Ferrari et al., 2003 10 100

Chlortetracycline L. gibba 7d growth NOEC 0.1 Brain et al., 2004 10 10

Erythromycin P. subcapitata 72h growth NOEC 0.0103 Eguchi et al., 2004 10 1.0

Sulfathiazole D. magna 21d reproduction NOEC 2.22 This study 50 44

표 3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별 예상무영향농도(PNEC) 값

(다) 위해성 정량화

평가대상 의약물질에 대해서 환경농도(EC) 및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토대로

유해지수(HQ)를 산정한 결과는 표 33과 같다. 환경 중 측정농도(EC)는 2006-2008년

조사된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결과 지표수 검출수준의 평균(MECmean)과

평균의 95% 신뢰구간 상한치(MEC95%UCL)를 활용하였다(국립환경과학원 2006, 2007,

2008). 표 33의 유해지수 산정 결과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조사대상 의약물질을

대상으로 물환경 중 검출수준의 보수적인 대푯값인 평균의 95% 신뢰구간

상한치(MEC95%UCL)를 사용한 경우에도 유해지수 1을 초과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표 33. 평가대상 의약물질 별 유해지수 산정

의약물질명

환경 중 측정농도(EC)PNEC

(μg/L)

유해지수(HQ)

MECmean

(μg/L)MEC95%UCL (μg/L)

based on

MECmean

based on

MEC95%UCL

Oxytetracycline 0.0039 0.0095 18.3 0.0002 0.0005

Sulfamethazine 0.0342 0.0724 66 0.0005 0.0011

Diclofenac 0.0122 0.0224 100 0.0001 0.0002

Chlortetracycline 0.1266 0.2498 10 0.0127 0.0250

Erythromycin 0.0108 0.0133 1 0.0108 0.0133

Sulfathiazole 0.1027 0.2156 44 0.0023 0.0049

(라) 평가대상 의약물질 위해성 토의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위해성 산출에는 몇 가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PNEC

Page 8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0 -

산정에 사용한 독성시험 생물종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시될 수 있다. 평가 대상

의약물질 중 oxytetracycline과 erythromycin의 경우에는 문헌에 보고된 가장

민감한 만성독성시험의 NOEC값은 표준 독성시험종이 아닌 남조류

(cyanobacteria)에서 발견되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PNEC 산출을 위해 사용하지

않았다. 만약 남조류 만성독성 NOEC (Oxytetracycline 0.0031mg/L; Erythromycin

0.002 mg/L)값을 활용하여 PNEC을 산정하여도 oxytetracyline과 erythromycin의

MEC95%UCL에 근거한 보수적 HQ값은 각각 0.031과 0.067로 여전히 1보다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PNEC값 산출을 위해 남조류 만성독성 NOEC값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평가 대상 잔류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판정 측면에서는 큰

영향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독성시험에 사용한 의약물질의 실측농도와 설정농도의 차이도 중요한 불확실성의

원인이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물질 중 diclofenac과 chlortetracycline은 설정농도와

실측농도와의 차이가 비교적 크거나 노출기간 동안의 농도 변화가 컸다. 이 때문에

이 두가지 물질의 독성값이 실제의 독성을 과소평가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diclofenac과 chlortetracycline의 PNEC은 문헌에 제시된 독성값에

근거하였다. Diclofenac과 chlortetracycline의 경우, 이 연구에서 PNEC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값(Brain et al., 2004; Ferrari et al., 2004)도

설정농도였으며, 이 연구와 마찬가지로 반지수식 교체방식으로 진행된 것이었다.

따라서 PNEC 도출을 위해 활용한 기존 연구에서도 우리 연구에서 관찰한 수준의

농도변이가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연구에서 관찰된 수준의 농도감소 또는

변이를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그 변이의 폭이 대부분 10배 이하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Diclofenac과 chlortetracycline의 환경 중 검출농도 평균의 95% 신뢰구간

상한값(MEC95%UCL)에 근거하여 구한 유해지수값은 최고 0.025에 불과하여,

설정농도와 실측농도 사이의 차이를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두 가지 물질의 환경오염

수준은 실제의 위해가능성이 우려되는 수준 이하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이

연구에서 생산한 독성값 중 PNEC을 산정하기 위해 직접 활용된 sulfamethazine과

sulfathiazole의 경우에는 노출기간 중 농도변화가 비교적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 연구에서 평가대상 의약물질로 선정된 6종의

물환경 잔류 의약물질은 현재 국내 환경에 오염된 수준에서 단독으로는 물생태계에

위해를 초래할 가능성은 미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Page 8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1 -

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구동

(1) 인체용 의약물질

(가)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우리나라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는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I), 국립환경과학원 2008>에서 제안된 바 있다. 우리나라

인체용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는 이미 시판중인 기존 의약물질을

대상으로 하는데, 다음과 같은 이유로 EMEA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근간으로 하여 제안되었다.

- EMEA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방법은 여러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계속 개선이 되고 있어 현실을 잘 반영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반해 미국 FDA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방법은 신약의 승인을 위해

활용되는 방법으로 1998년 개정된 이후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다.

- 각 평가 단계별로 필요한 시험방법이 OECD 또는 ISO와 같은 국제표준

시험법으로 제시되어 있다.

- 생태영향 이외에도 의약물질의 환경거동 자료 등 노출특성에 영향을 주는

정보도 활용하므로 좀 더 현실적인 환경위해성 평가가 가능하다.

- 단계에 따라 독성평가뿐 아니라 노출농도추정을 정교하게 함으로써 위해성

평가의 주요 구성 요소인 독성과 노출 모두 정교하게 평가되는 장점이

있다2).

- 모든 단계에 동일한 기준(유해지수 > 1)을 적용하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갈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혼돈이 적다3).

단, 우리나라 인체용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에서 사전 스크리닝을

위한 1단계 참조치로는 EMEA의 환경예상농도(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in surfacewater) 기준인 0.01 μg/L 대신 미국 FDA의 사전 스크리닝

수준인 예측유입농도(Expected Introductory Concentration) 기준으로 1 μg/L

(PECsurfacewater 기준으로 0.1 μg/L)를 적용한다. 환경 중 농도 추정의 경우, 미국과

유럽의 의약물질 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는 주로 신약 승인을 위해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오염수준을 실측하는 내용은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2) 미국 FDA의 경우 모든 단계에 동일한 노출농도, 즉 최대예측환경농도(maximum expe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MEEC)를 적용하고 독성평가만 단계에 따라 강화된다.

3) 미국 FDA의 단계별 기준은 LC50(또는 EC50)와 MEEC(대개의 경우 예측유입농도에 해당)의 비율이

TIER 1에서 1,000, TIER 2에서 100, TIER 3에서 10으로 강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동일한 의약물질

에 대하여 EMEA의 기준과 미국 FDA의 기준을 적용할 때 어떠한 차이를 보일지는 시범적용을 해

보아야 할 것이다.

Page 8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2 -

제시한 우리나라 인체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는 이미 생산이 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의약물질을 대상으로 하므로 Phase II 단계에서 예측환경농도

추정을 위해 PhATETM 등의 모형을 활용하거나 실제 환경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는 EMEA의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근간으로 1단계 사전 스크리닝(의약물질 생산량, Kow 추정치를

이용하여 노출량 간이 추정으로 대상의약물질을 선별),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환경

거동자료 및 기본 수질독성자료를 이용하여 간이 위해도를 추정), 3단계 위해도

평가(배출, 거동, 생태 영향에 대한 포괄적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상세한 노출평가 및 영향평가를 수행) 단계로 프레임워크가 도출되었다. 인체용

기존 의약물질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은 다음 표 34 및 그림 20과

같다.

표 34. 인체용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 단계 및 방법

평가단계 위해성 평가 수준 목표 평가 방법 필요한 자료와 시험

1단계 사전 스크리닝 노출량 간이 추정을

통한 대상물질 선별

참조치(PECsurfacewater

0.1 μg/L) 초과여부

의약물질 유통량(생산량) 자료

의약물질 Kow 추정치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 간이 위해도 추정 위해성 평가 환경 거동자료

기본 수질독성자료

3단계 위해도 평가 대상물질 및 매체

특이적 위해도 평가

위해성 평가 배출, 거동, 생태영향에 대한 포

괄적 데이터세트

그림 20.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

Page 8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3 -

① 1단계 사전 스크리닝

의약물질의 생산량(유통량)을 이용하여 예상한 예측환경농도가 참조치 0.1 μg/L

이상인 물질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PEC = EIC/10

EIC = (A x B) / (C x D)

PEC = 예측환경농도

EIC = 예측유입농도

A = 직접 사용하는 연간 의약물질 생산량 (kg/year)

B = 단위환산 109 μg/kg

C = 하루에 하수처리시스템으로 가는 폐수량 (1인 하루 하수발생량 x 인구)

D = 단위환산 365 day/year

단, 의약물질의 logKow값이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환경 중 잔류성, 생물축적성

및 독성을 단계적으로 평가하여 환경위해성을 파악해야 하므로(European

Chemicals Bureau, 2003) 예외를 적용한다. 또한 참조치 0.1 μg/L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생태독성영향을 초래할 경우에는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을 수행하도록

한다.

②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

더욱 정교한 노출량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환경농도를 추정하고 의약물질의

가용한 생태독성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무영향농도를 산정한다. 이를 토대로 아래와

같은 식으로 유해지수를 산정한다.

HQ = PEC/PNEC

HQ = 유해지수

PEC = 예측환경농도

PNEC = 예측무영향농도

유해지수가 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단계 위해도 평가를 수행한다. 유해지수가

1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특수한 상황에서는 3단계 위해도 평가를 진행해야할 경우도

있다. 예측환경농도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의약물질의 체내 대사율 및 하수처리장

처리율, 가수분해, Koc 등을 고려하여 정교한 예측환경농도를 추정해야 하며

의약물질의 실측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실측값을 활용한다. 또한 예측무영향농도를

산정할 때 어류, 물벼룩, 조류 등 널리 통용되는 독성 시험종으로부터 얻어진

Page 8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4 -

급만성 독성자료를 토대로 물환경 예측무영향농도(PNECwater)를 산정한다. 이 때

적절한 안전계수를 적용해야 하는데 안전계수의 선정은 European Chemicals

Bureau(2003)의 표준화된 방법이나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계수를 활용한다.

③ 3단계 위해도 평가

3단계 위해도 평가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상세 노출평가와 상세 독성영향

평가를 수행한다.

상세 노출평가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위해성 평가를 위하여 지역의

하천에서 예상되는 의약물질의 환경 중 농도를 추정한다. 이는 EMEA의 방법론을

근간으로 하여 해당 유역의 주민 인구수와 1인당 하수발생량, 해당 지역의

하수처리장 처리율 등이 고려된 모형을 활용하되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다른

노출모형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해가 우려되는 수계의 경우, 의약물질

오염수준 실측을 통한 실측환경농도를 활용한다. 오염도를 실측할 때는 배출원의

특성과 유량에 따른 환경농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오염수준이 심할

것으로 예측되는 조건을 포함하도록 한다. 원물질의 10% 이상이 대사물질로

배출되는 경우 대사물질의 예측환경농도도 평가해야 한다.

상세 독성영향 평가에서는 어류, 물벼룩, 조류를 이용한 표준 만성독성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PNECwater를 산출한다. 이때 시험방법은 OECD의 공정시험 방법을

이용한다. 우리나라 토착의 고유 생물종을 이용한 급만성 독성평가도 병행할 수

있다. 이 때 적절한 안전계수를 적용해야 하는데, 안전계수의 선정은 European

Chemicals Bureau(2003)의 표준화된 방법이나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계수를

활용한다. 저서생물의 경우 독성평가를 통하여 구해진 독성값을 퇴적물 중

예상농도 (PECsediment)와 비교한다. 만약 Koc 값이 10,000 L/kg을 초과하는 물질이

생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해당 의약물질의 육상 환경 중 농도가 추정되어야

한다. 이때 European Union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Substances (EUSES)

(http://ecb.jrc.it/)의 SimpleTreat 모형과 같이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다른 모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양 중 생분해도, 토양 무척추동물에 미치는 독성,

육상식물 및 미생물에 미치는 급성영향 등이 평가되어야 한다. 원물질의 10%

이상이 대사물질로 배출되는 경우 대사물질의 예측무영향농도도 평가해야 한다.

Page 8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5 -

(나)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총생산량 산정(2007년)

국내에서 생산되는 의약물질의 성분별 구분 및 생산량은 별도의 통계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환경위해성평가가 우선 필요한 의약물질을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제약협

회에서 제공한 ‘의약물질 품목별 생산실적자료’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어

사용되는 인체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DB를 앞의 연구방법에서 기술한 바와 같

은 과정을 거쳐 구축하였다. 20,000 여 제품을 주요 의약성분으로 분류한 결과 약

1,000 여종의 성분에 대하여 연간 생산량을 추산하였다. 이 중 갈근, 은행, 한방 복

합제 등과 같은 생약성분, 대상성 의약물질(비타민제, 혈액 및 체액용약 등), 생물학

적 제제, 약리활성 성분이 아닌 부형제 등, 진단용약, 마약 등은 이 연구에서 제외

하였다. 이들을 제외한 967종의 인체의약성분을 환경 중 노출에 근거한 대상물질

선정의 출발목록으로 정의하고 복지부 분류코드에 따라 구분하여 부록에 첨부하였

다(부록 3).식품의약품안전청 예규인 <의약품 등 분류번호에 관한 규정>은 부록에

첨부하였다(부록 4).

(다) 1단계: 인체용 의약물질의 환경예상농도(PECsurfacewater) 추정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환경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에 따라 일차적으로 생산량을

기준으로 평가대상 물질을 선정하였다. 미국 FDA의 기준에 따라 예측유입농도 1

μg/L 이상 즉, 예측환경농도 0.1 μg/L 이상인 물질을 대상 물질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인구(48,456천 명)와 일인당 하수발생량(약 340 L/일)을 적용할 경우,

미국 FDA의 기준(EIC로 1 μg/L)에 해당하는 연간 생산량은 6,000 kg이다.

마찬가지로 EMEA 기준(PECsurfacewater로 0.01 μg/L)에 해당되는 생산량은 연간 600

kg이다. 본 연구에서 추산한 성분별 생산량 자료를 보면 연간 6,000 kg이상 생산된

성분은 모두 96종이며, 600 kg 이상 생산된 물질은 319종으로 파악되었다(표 35).

표 35. 우리나라 인체의약성분 중 1단계 스크리닝 기준 초과 성분 수

지침 참조치 초과기준

2003년 2007년

해당

생산량(kg/year)

해당

성분수

해당

생산량(kg/year)

해당

성분수

미국 FDA EIC 1 ppb 7,000 122 6,000 96

EMEA PEC 0.01 ppb 700 371 600 319

(2003년 해당 생산량 source: 국립환경과학원, 2008)

다음 표 36은 2007년 기준 국내생산량이 6,000 kg 이상인 성분과 PEC를 의약물질

분류번호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이들 물질은 우선 1단계 스크리닝에서 참조치를

초과한 것이므로 2단계 위해성평가가 진행되어야 한다. 단, 생산량이 6,000kg

이상인 성분 중, 장내 유효균종(분류번호 237 - cultured Bacillus

subtilis/Strept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Saccharomyces cerevisiae hansen CBS

Page 9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6 -

5926)과 무기염류(분류번호 219 - calcium polystyrene sulfonate, 분류번호 234 -

calcium carbonate, magnesium, 분류번호 238 - monosodium phosphate, sodium

phosphate, 분류번호 239 - calcium polycarbophil, 분류번호 259 - potassium

citrate), 그리고 식물추출액(분류번호 131 - Vaccinium myrtillus)인 경우는 위해성

평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기준은 아니나 향후 연구확장을

위하여 EMEA의 기준을 적용할 경우의 국내생산량 기준이 되는 600 kg 이상

생산된 의약물질 성분은 분류번호별로 부록 5에 제시하였다.

일련

번호

성분명 CAS No. 분류

번호*

ATC code 국내생산량

(kg)

PECsurfacewater

(μg/L)

1 aceclofenac 89796-99-6 114 M01AB16 49,791 0.83

2 acepifylline 18833-13-1 229 R03DA09 8,413 0.14

3 acetaminophen 103-90-2 114

A03DB,A03DB04,A08AA56,M03BA53,M03BB53,N02,N02AX52,N02B,N02BE01,N02BE02,N02BE51,N02BE52,N02BE71,N02CX,R01BA52,R05CA10,R05DA,R05DA20,R05FA,R05FA02,R05X,R06AB04

765,730 12.73

4 acetylcysteine 616-91-1 222 R05CB01 59,869 1.00

5 albendazole 54965-21-8 642 P02CA03 10,580 0.18

6 alibendol 26750-81-2 239 A03 67,491 1.12

7 almagate 66827-12-1 234 A02AD03,A02AX 828,699 13.78

8 aminophylline 317-34-0 211 R03DA05 7,241 0.12

9 amoxicillin 26787-78-0 618J01CA04,J01CR01,J01CR02 201,798 3.36

10 aspirin 50-78-2 114B01AC06,N02BA01,N02BA51

57,409 0.96

11 atenolol 60966-51-0 214C07AB03,C07CB03,C07CB53,C07FB03

12,344 0.21

12benexatebetadexhydrochloride

78718-52-2 232 A02X 6,356 0.11

표 36. 2007년 기준 PECsurfacewater 가 0.1 μg/L를 초과하는 인체용 의약물질

생산량이 6,000kg 이상인 성분 중 장내 유효균종(분류번호 237 - cultured Bacillus

subtilis/Strept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Saccharomyces cerevisiae hansen CBS 5926)과

무기염류(분류번호 219 - calcium polystyrene sulfonate, 분류번호 234 - calcium carbonate,

magnesium, 분류번호 238 - monosodium phosphate, sodium phosphate, 분류번호 239 -

calcium polycarbophil, 분류번호 259 - potassium citrate), 그리고 식물추출액(분류번호 131

- Vaccinium myrtillus)인 경우는 제외함.

*의약물질의 성분별 분류번호

113: 항전간제 114: 해열, 진통, 소염제 122: 골격근이완제 214: 혈압강하제

229: 기타의 호흡기관용약 232: 소화성궤양용제 234: 소화제 238: 하제, 완장제

239: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618: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42: 구충제

Page 9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7 -

일련

번호

성분명 CAS No. 분류

번호*

ATC code 국내생산량

(kg)

PECsurfacewater

(ug/L)

13 boehmite 60675-59-4 232 A02X 94,266 1.57

14 carbamazepine 298-46-4 113 N03AF01 8,897 0.15

15 cefaclor 53994-73-3 618 J01DC04 142,546 2.37

16 cefadroxil 50370-12-2 618 J01DB05 91,990 1.53

17 cefmetazole 56796-39-5 618 J01DC09 6,266 0.10

18 cefotaxime 64485-93-4 618 J01DD01 10,901 0.18

19 cefradine 38821-53-3 618 J01DB09 32,481 0.54

20 ceftezole 41136-22-5 618 J01DB12 9,835 0.16

21 ceftriaxone 104376-79-6 618 J01DD04 8,641 0.14

22 cefuroxime 6454e4-07-6 618 J01DC02 13,813 0.23

23 chlorphenesin 886-74-8 122 M03BX 19,146 0.32

24cholinealfoscerate

28319-77-9 119 N07AX02 21,542 0.36

25 cimetidine 51481-61-9 232 A02BA01 141,844 2.36

26 ciprofloxacin 85721-33-1 629 J01MA02 12,106 0.20

27 clarithromycin 81103-11-9 618 J01FA09 54,843 0.91

28 clavulanate 61177-45-5 618 J01CR02,J01CR03 28,783 0.48

29 clonixin 55837-30-4 114M01AX,M01AX-c,M01BX 23,567 0.39

30 dexibuprofen 7447-40-7 114 M01AE14 57,731 0.96

31 diltiazem 33286-22-5 217 C08DB01 7,070 0.12

32 dimenhydrinate 523-87-5 235 A04A,A04AD 6,324 0.10

33 dimethicone 107-51-7 234 A02AF,A09A,A09AA,A09AA02

47,814 0.80

34 dioctahedralsmectite

237 A07BC05 106,872 1.78

35 diomagnate 234 A02AA,A07BC 63,471 1.06

36 domperidone 57808-66-9 239 A03FA03 23,012 0.38

37 doxofylline 69975-86-6 222 R03DA11 15,224 0.25

38 ecabet 86408-72-2 232 A02X 31,005 0.52

39 eperisone 64840-90-0 122 M03B,M03BX 11,588 0.19

40 eprosartan 133040-01-4 214C09CA02,C09DA02 16,956 0.28

41 erdosteine 84611-23-4 222 R05CB15 12,016 0.2

42 ethambutol 74-55-5 622 J04AK02 12,721 0.21

43 etodolac 41340-25-4 114 M01AB08 6,783 0.11

44 flavonoids 68916-91-6 215 C05CA53 7,215 0.12

45 gabapentin 60142-96-3 113 N03AX12 25,051 0.42

표 36. 계속

* : 의약물질의 성분별 분류번호

113: 항전간제 114: 해열, 진통, 소염제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122: 골격근이완제 213:

이뇨제 214: 혈압강하제 215: 혈관보강제 217: 혈관확장제 222: 진해거담제

232: 소화성궤양용제 234: 소화제 235: 최토제, 진토제 237: 정장제 239: 기타의 소화기관

용약 618: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22: 항결핵제

Page 9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8 -

일련

번호

성분명 CAS No. 분류

번호*

ATC code 국내생산량

(kg)

PECsurfacewater

(ug/L)

46 glucosamine 3416-24-8 114 M01AX05 44,213 0.74

47 hederae helix 222 R05DB 119,381 1.99

48 hydrochlorothiazide

8049-49-8 213 C03AA03,C03AX01,C07BB02

7,235 0.12

49 ibuprofen 15687-27-1 114M01AE01,M01AE51 145,849 2.43

50 irbesartan 138402-11-6 214C09CA04,C09DA04 9,782 0.16

51itopridehydrochloride

122892-31-3 239 A03FA 10,511 0.17

52 ketoprofen 56105-81-8 264 M02AA10 11,417 0.19

53 l-carbocysteine 49673-81-6 222 R05CB03 14,557 0.24

54 levodropropizine 78990-63-3 222 R05DB27 6,276 0.10

55 levosulpiride 23672-07-3 239 A03FA 9,720 0.16

56 lincomycin 7179-49-9 611 J01FF02 57,441 0.96

57 lithium 554-13-2 117 N05AN 6,865 0.11

58 losartan 124750-99-8 214 C09CA01,C09DA01

6,614 0.11

59 loxoprofen 80382-23-6 114 M01AE 19,294 0.32

60 mefenamic 61-68-7 114 M01AG01 51,014 0.85

61 methocarbamol 532-03-6 122M03BA03,M03BA53

35,284 0.59

62 methylsalicylate 119-36-8 264 M02A,M02AC 9,393 0.16

63 metronidazole 99616-64-5 641J01FA,J01XD01,P01AB01

11,705 0.19

64 minoxidil 38304-91-5 267 C02DC01,D11AX,D11AX01

24,810 0.41

65 nabumetone 42924-53-8 114 M01AX01 21,103 0.35

66 naproxen 22204-53-1 114 M01AE02 69,274 1.15

67 nizatidine 76963-41-2 232 A02BA04 9,311 0.16

68 ofloxacin 82419-36-1 629 J01MA01 12,212 0.20

69 oxiracetam 62613-82-5 119 N06BX07 30,146 0.50

70 pancreatin 8049-47-6 233A09A,A09AA,A09AA02 68,004 1.13

71 polysaccharide 9004-59-5 421 L01XX 7,051 0.12

72 potassium citrate 866-84-2 259A12BA02,G04BX 6,554 0.11

표 36. 계속

* : 의약물질의 성분별 분류번호

113: 항전간제 114: 해열, 진통, 소염제 117: 정신신경용제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122: 골격근이완제 213: 이뇨제 214: 혈압강하제 215: 혈관보강제 222: 진해거담제

232: 소화성궤양용제 234: 소화제 238: 하제, 완장제 239: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264: 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 267: 모발용제(발모, 탈모, 염모, 양모제)

259: 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421: 항악성종양제

611: 주로 그람양성군에 작용하는 것 622: 항결핵제 629: 기타의 화학료법제

641: 항원충제

Page 9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89 -

일련

번호

성분명 CAS No. 분류

번호*

ATC code 국내생산량

(kg)

PECsurfacewater

(ug/L)

73 povidone-iodine 25655-41-8 261D08AG02,G01AX11,R02AA15 68,695 1.14

74pseudoephedrinehydrochloride

6138-79-0 222 R01BA02 12,505 0.21

75 pyrazinamide 98-96-4 622 J04AK01 8,631 0.14

76 ranitidine 66357-35-5 232A02,A02AX,A02B,A02BA02

36,864 0.61

77 rebamipide 90098-04-7 232 A02BX 43,129 0.72

78 riboflavin 26193-20-4 114 R05FA,R05X 8,752 0.15

79 ribostamycin 25546-65-0 618 J01GB10 7,789 0.13

80 rifampicin 13292-46-1 613 J04AB02,J04AM 10,156 0.17

81 roxithromycin 80214-83-1 614 J01FA06 6,447 0.11

82 sennae fructusangustifoliae

85187-05-9 238 A06AB56 38,329 0.64

83 simaldrate 1317-27-7 234 A02AD01 7,890 0.13

84 sucralfate 54182-58-0 232 A02BA,A02BX,A02BX02

47,709 0.79

85 sulfamethoxazole 723-46-6 621 J01EE01 12,296 0.20

86 sulfasalazine 599-79-1 621 A07EC01 11,806 0.20

87 talniflumate 66898-62-2 114 M01AX 164,145 2.73

88 teprenone 6809-52-5 232 A02X 7,540 0.13

89 tiropramide 55837-29-1 124 A03AC05 16,562 0.28

90 triflusal 322-79-2 219 B01AC18 17,242 0.29

91 trimebutine 34140-59-5 239A09A,A09AA,A03AA05,A09AX,C05AX

29,209 0.48

92 urea 58069-82-2 266D02AE01,D02AE51,D05AX,D07XA01

14,710 0.24

93 ursodeoxycholicacid

128-13-2 236 A05AA02,A05AA,A05C

15,750 0.26

94 valproic acid 99-66-1 113 N03AG01 32,433 0.54

95 vancomycin 1404-93-9 611 J01XA01 6,539 0.11

96 zaltoprofen 89482-00-8 114 M01AE 6,076 0.10

표 36. 계속

* : 의약물질의 성분별 분류번호

113: 항전간제 114: 해열, 진통, 소염제 122: 골격근이완제 124: 진경제

211: 강심제 219: 기타의 순환계용약 222: 진해거담제 232: 소화성궤양용제 236: 이담제

238: 하제, 완장제 239: 기타의 순환계용약 611: 주로 그람양성균에 작용하는 것

613: 주로 항간성균에 작용하는 것 614: 주로 그람양성균, 리케치아, 비루스에 작용하는 것

618: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21: 설화제 622: 항결핵제

Page 9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0 -

생산량이나 사용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환경예상농도가 0.1 ppb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호르몬제와 같이 생태독성영향을 초래하는 경우 예외를 적용하여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 표 37은 2007년 자료에서 호르몬제(분류번호 240)의 성분별 국내생산량 및

PEC를 정리한 것이다.

일련번호 성분명 CAS No. 분류번호* ATC code

국내생산량(kg)

PECsurfacewater

(μg/L)1 carbimazole 22232-54-8

243

H03BB01 12 0.0002

2 levothyroxine 51-48-9 H03AA01,H03AA03 13 0.00022

3 methimazole 60-56-0 H03BB02 119 0.002

4 propylthiouracil 51-52-5 H03BA02 2,453 0.041

5 nandrolone 434-22-0244

A14AB01 1 0.00017

6 oxymetholone 434-07-1 A14AA05 4 0.00064

7 betamethasone 378-44-9

245

D07AC01,H02AB01,H02BX,R06AB52 31 0.00052

8 deflazacort 14484-47-0   41 0.00069

9 dexamethasone 50-02-2 H02AB02 217 0.0036

10 epinephrine 51-43-4 C01CA24 11 0.00018

11 hydrocortisone 50-23-7D07AA02,D07XA01,H02AB09 200 0.0033

12 methylprednisolone 83-43-2 H02AB04 590 0.0098

13 norepinephrine 138-65-8 C01CA03 4 0.00064

14 prednisolone 50-24-8 D07AA03,D07BA01,D07CA03,H02AB06

1,150 0.019

15 simvastatin 79902-63-9 C10AA01,C10AA02 12 0.00019

16 titrated centellaasiatica extract

D07BA01,D07BA04,D07CA01,D07XA01

10 0.00017

17 tocopherol acetate 58-95-7 A11JC,M02AC 50 0.00083

18 triamcinolone 124-94-7 H02AB08 287 0.0048

19chlormadinoneacetate 1961-77-9

247

G03DB06 75 0.0013

20 conjugated estrogen 249 4 0.0007

21 danazol 17230-88-5 G03XA01 5 0.00087

22 estradiol 58-28-2 G03CA03,G03FA01,G03FA12

10 0.00017

23 estropipate 7280-37-7 G03CA07 2 32

24 medroxyprogesteroneacetate

71-58-9 G03DA02 10 0.00016

25 nomegestrol acetate G03DB04 3 0.00048

26 tibolone 5630-53-5 G03DC05 98 0.0016

27 clomifene 911-45-5

249

G03GB02 64 0.0011

28 cyclofenil 2624-43-3 G03GB01 469 0.0078

29 danazol 17230-88-5 G03XA01 49 0.00082

표 37. 2007년 기준 호르몬제 성분의 국내생산량 및 PECsurfacewater (단위: μg/L)

* : 의약물질의 성분별 분류번호

241: 뇌하수체호르몬 243: 갑상선, 부갑상선호르몬제 244: 단백동화스테로이드제

245: 부신호르몬제 247: 난포호르몬제 및 황체호르몬제

249: 기타의 호르몬제(항호르몬제를 포함)

Page 9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1 -

다음 표 38은 2007년 자료에서 국내 생산량이 6,000kg 이상인 물질 중 특히

logKow값이 4.5 이상인 성분을 정리한 것이다.

번호 성분명 Cas No. 분류번호* LogKow

(KOWWIN

v1.67estimate)

2007년

생산량(Kg)

1 clonixin 55837-30-4 114 4.58 23,567

2 dimethicone 9006-65-9 234 7.69 47,814

3 mefenamic 61-68-7 114 5.28 51,014

4 rifampicin 13292-46-1 613 4.24 10,156

5 ursodeoxycholic acid 128-13-2 236 5.06 15,750

표 38. 2007년 기준 6,000 kg 이상 생산된 의약물질 중 logKow 4.5 이상인 물질 목록

* : 의약물질의 성분별 분류번호

114: 해열, 진통, 소염제 234: 소화제 236: 이담제 618: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라) 2단계: 인체용 의약물질의 위해도 스크리닝

① 노출수준 PECcorrected 추정

위의 표 37에서 제시된 목록은 매우 보수적으로 PEC를 추정한 결과이다. 즉,

국내에서 생산된 양이 일 년 간 모두 소비되고 인체 내에서 전혀 대사되지 않아

전량 체외로 배출되며 하수처리 시설을 거치더라도 전혀 걸러지지 않는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추정된 값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환경위해성평가 2단계에서는 대상

의약물질의 체내 대사율과 하수처리율을 고려하여 환경예측농도를 추정하였다(표

39). 그러나 의약물질의 하수처리율은 자료가 제한적일뿐 아니라 처리 방식에 따라

처리 효율이 크게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하수처리장 방식에 따른 각

의약성분의 처리효율에 관한 자료는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인체대사율이나

하수처리장 처리효율 자료가 없는 경우 보수적으로 100% 배설율과 0% 처리율을

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2단계 환경위해성 평가의 환경예상농도 추정방법에

근거하여 환경 중 가능한 노출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환경독성자료와 비교하여

스크리닝 수준의 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Page 9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2 -

일련번호

성분명 분류번호

국내생산량(kg)

인체대사율(%)

하수처리장처리효율(%)

PECcorrected

(μg/L)

1 aceclofenac 114 49,791 661

1.8529

0.28

2 acepifylline 229 8,413 702

1.8528

0.04

3 acetaminophen 114 765,730 953 9927 0.0064

4 acetylcysteine 222 59,869 7830 1.8529 0.22

5 albendazole 642 10,580 14

7.0728

0.17

6 alibendol 239 67,491 ㅡ ㅡ 1.12

7 almagate 234 828,699 305

ㅡ 9.65

8 aminophylline 211 7,241 9031

ㅡ 0.01

9 amoxicillin 618 201,798 30~407 1.8828 2.31

10 aspirin 114 57,409 18 1.9128 0.93

11 atenolol 214 12,344 109

1.8528

0.19

12benexate betadexhydrochloride 232 6,356 ㅡ ㅡ 0.11

13 boehmite 232 94,266 ㅡ 1.8529

1.54

14 carbamazepine 113 8,897 7511

2.9628

0.04

15 cefaclor 618 142,546 6011

1.8628

0.93

16 cefadroxil 618 91,990 10~2012

1.8528

1.35

17 cefmetazole 618 6,266 ㅡ 1.8529

0.10

18 cefotaxime 618 10,901 ㅡ 1.8629 0.18

19 cefradine 618 32,481 55~8012

1.8628

0.24

20 ceftezole 618 9,835 1013

1.8528

0.14

21 ceftriaxone 618 8,641 ㅡ ㅡ 0.14

22 cefuroxime 618 13,813 ㅡ 1.8529 0.23

23 chlorphenesin 122 19,146 8514

1.8728

0.05

24cholinealfoscerate 119 21,542 ㅡ 1.85

290.35

25 cimetidine 232 141,844 48 1.8629

1.20

26 ciprofloxacin 629 12,106 2516

1.8528

0.15

27 clarithromycin 618 54,843 ㅡ 7.2329

0.84

28 clavulanatepotassium

618 28,783 ㅡ 1.8529 0.47

29 clonixin 114 23,567 ㅡ 60.1728

0.16

30 dexibuprofen 114 57,731 9011

ㅡ 0.10

31 diltiazem 217 7,070 25~5011 3.8128 0.09

32 dimenhydrinate 235 6,324 ㅡ ㅡ 0.10

33 dimethicone 234 47,814 ㅡ 99.9529

0.0004

34dioctahedralsmectite 237 106,872 ㅡ ㅡ 1.78

35 diomagnate 234 63,471 9017

ㅡ 0.11

36 domperidone 239 23,012 ㅡ 25.7229

0.28

37 doxofylline 222 15,224 ㅡ ㅡ 0.25

38 ecabet sodium 232 31,005 ㅡ ㅡ 0.52

39 eperisone 122 11,588 ㅡ ㅡ 0.19

40 eprosartan 214 16,956 ㅡ ㅡ 0.28

41 erdosteine 222 12,016 2011

ㅡ 0.16

42 ethambutol 622 12,721 5011

1.8528

0.10

43 etodolac 114 6,783 ㅡ 26.9729

0.08

표 39. 2007년 기준 국내생산량이 6,000 kg 이상인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의 인체대사

율, 하수처리장 처리효율 및 PECcorrected

Page 9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3 -

일련번호

성분명 분류번호

국내생산량(kg)

인체대사율(%)

하수처리장처리효율(%)

PECcorrected

(μg/L)

44 flavonoids 215 7,215 ㅡ ㅡ 0.12

45 gabapentin 113 25,051 ㅡ 1.8528

0.41

46 glucosamine 114 44,213 549

1.8528

0.33

47 hederae helix 222 119,381 ㅡ ㅡ 1.99

48 hydrochlorothiazide 213 7,235 ㅡ ㅡ 0.12

49 ibuprofen 114 145,849 8718

28.7228

0.23

50 irbesartan 214 9,782 ㅡ ㅡ 0.16

51 itopride 239 10,511 ㅡ ㅡ 0.17

52 ketoprofen 264 11,417 ㅡ 6.8528 0.18

53 l-carbocysteine 222 14,557 ㅡ ㅡ 0.24

54 levodropropizine 222 6,276 ㅡ ㅡ 0.10

55 levosulpiride 239 9,720 70~9019 ㅡ 0.05

56 lincomycin 611 57,441 4~720

1.8628

0.90

57 lithium 117 6,865 ㅡ 90.5129

0.01

58 losartan 214 6,614 ㅡ 5.7829

0.10

59 loxoprofen 114 19,294 ㅡ ㅡ 0.32

60 mefenamic 114 51,014 4821 81.1628 0.08

61 methocarbamol 122 35,284 ㅡ 1.8628 0.58

62 methylsalicylate 264 9,393 ㅡ 7.8728

0.15

63 metronidazole 641 11,705 2011

1.8528

0.15

64 minoxidil 267 24,810 ㅡ ㅡ 0.41

65 nabumetone 114 21,103 ㅡ 6.4328

0.33

66 naproxen 114 69,274 99.122 7.5528 0.01

67 nizatidine 232 9,311 ㅡ 1.8528 0.16

68 ofloxacin 629 12,212 30.119

1.8528

0.14

69 oxiracetam 119 30,146 109

ㅡ 0.45

70 pancreatin 233 68,004 0.0511

ㅡ 1.13

71 polysaccharide 421 7,051 ㅡ ㅡ 0.12

72 potassium citrate 259 6,554 ㅡ 1.8529

0.11

73 povidone-iodine 261 68,695 ㅡ ㅡ 1.14

74 pseudoephedrine 222 12,505 38 1.928 0.20

75 pyrazinamide 622 8,631 28.38 1.8529 0.10

76 ranitidine 234 36,864 388

1.8528

0.37

77 rebamipide 232 43,129 907

ㅡ 0.07

78 riboflavin 114 8,752 ㅡ 1.8529

0.15

79 ribostamycin 618 7,789 ㅡ 1.8529

0.13

80 rifampicin 613 10,156 98.67 42.0528 0.0014

표 39. 계속

Page 9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4 -

일련번호 성분명

분류번호

국내생산량(kg)

인체대사율(%)

하수처리장처리효율(%)

PECcorrected

(μg/L)

81 roxithromycin 614 6,447 1023

4.0529

0.09

82sennae fructusangustifoliae 238 38,329 ㅡ ㅡ 0.64

83 simaldrate 234 7,890 ㅡ ㅡ 0.13

84 sucralfate 232 47,709 3~511 ㅡ 0.77

85 sulfamethoxazole 621 12,296 40.824

1.8828

0.12

86 sulfasalazine 621 11,806 1025

22.228

0.14

87 talniflumate 114 164,145 ㅡ ㅡ 2.73

88 teprenone 232 7,540 ㅡ ㅡ 0.13

89 tiropramide 124 16,562 ㅡ ㅡ 0.28

90 triflusal 219 17,242 6011 2.3428 0.11

91 trimebutine 239 29,209 ㅡ 16.0629

0.40

92 urea 266 14,710 ㅡ 1.8529 0.24

93ursodeoxycholicacid 236 15,750 ㅡ 37.35

290.16

94 valproic acid 113 32,433 1.826 4.2428 0.51

95 vancomycin 611 6,539 ㅡ 1.8529

0.11

96 zaltoprofen 114 6,076 ㅡ ㅡ 0.10

표 39. 계속

Page 9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5 -

표 40. 표 39에서 제시된 인체대사율과 하수처리장 처리효율의 참고문헌 목록

번호 참고문헌

1 http://www.rxlist.com/script/main/srchcont_rxlist.asp?src=aceclofenac&x=29&y=11

2 http://www.medicinescomplete.com/mc/clarke/current/CLK0008.htm

3 http://pre-pg.blogspot.com/2008/01/acetaminophen-tylenol.html

4 http://us.gsk.com/products/assets/us_albenza.pdf

5 http://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731708598002106

6 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artid=105434

7Hirsch, R., Ternes, T., Haberer, K. and Kratz, K. L. : Occurrence of antibiotics in the

aquatic environment.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5, 109-118,1999.

8 http://www.freepatentsonline.com/4601895.html

9 Inform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www.medsafe..govt.nz.

10 http://www.blackwell-synergy.com/doi/abs/10.1111/j.1440-1797.1996.tb00066.x

11 IPCS Inchem., http://www.inchem.org/

12Cutler, R. E., Blair, A. D. and Kelly, M. R. : Cefadroxil kinetics in patients with renal

insufficiency Infection, 8(5), S592-S597, 1980.

13

Nishida, M., Murakawa, T., Kamimura, T., Okada, N., Sakamoto, H., Fukada, S,,

Nakamoto, S., Yokota, Y. and Miki, K. :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Ceftezole,

a New Cephalosporin Derivative.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10(1), 1-13,

1976.

14 Gold Standard Inc., http://gsm.about.com

15http://inchemsearch.ccohs.ca/inchem/jsp/search/search.jsp?inchemcasreg=1&Coll=inchem

all&serverSpec=charlie.ccohs.ca%3A9900&QueryText1=cimetidine&QueryText2=&Search.x=

59&Search.y=21

16http://inchemsearch.ccohs.ca/inchem/jsp/search/search.jsp?inchemcasreg=1&Coll=inchem

all&serverSpec=charlie.ccohs.ca%3A9900&QueryText1=ciprofloxacin+&QueryText2=&Search

.x=50&Search.y=14

17http://emc.medicines.org.uk/emc/assets/c/html/displayDocPrinterFriendly.asp?document

id=16949

18 http://dmd.aspetjournals.org/cgi/content/full/26/4/332

19 http://www.rxlist.com/script/main/srchcont_rxlist.asp?src=levosulpiride&x=22&y=11

20 http://www.emea.europa.eu/pdfs/vet/mrls/049798en.pdf

21 http://www.rxlist.com/cgi/generic/mefenamic_cp.htm

22 http://doi.wiley.com/10.1002/jps.2600691105

23 http://en.wikipedia.org/wiki/Roxithromycin

24 http://www.rxlist.com/script/main/srchcont_rxlist.asp?src=sulfamethoxazole&x=29&y=12

25 http://www.rxlist.com/script/main/srchcont_rxlist.asp?src=sulfasalazine&x=35&y=10

26 http://www.rxlist.com/script/main/srchcont_rxlist.asp?src=valproic+acid&x=50&y=7

27M.J. Go´mez, M.J. Martinez Bueno, S. Lacorte, A.R. Fernandez-Alba, A. Aguera: Pilot

survey monitoring pharmaceuticals and related compound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located on the Mediterranean coast, Chemosphere 66 993–1002, 2007

28US EPA.[2007]. Estimation Programs Interface SuiteTM for MicrosoftⓇ Windows, v4.00.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29US EPA.[2009]. Estimation Programs Interface SuiteTM for MicrosoftⓇ Windows, v4.00.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30Rodenstein D, DeCoster A, Gazzaniga A.: Pharmacokinetics of oral acetylcysteine:

absorption, binding and metabolism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orders. Clin

Pharmacokinet. 1978 May-Jun;3(3):247-54.

31https://online.epocrates.com/noFrame/showPage.do?method=drugs&MonographId=89&A

ctiveSectionId=7

Page 10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6 -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mg/L)

참고문헌

Acarbose 담수 무척추동물 Daphnia sp. acute EC50 >1,000 FDA-CDER, 1996

담수

척추동물Unsepecified fish acute EC50 >1,000 FDA-CDER, 1996

Acetaminophen

담수 조류Scenedesmus

subspicatuschronic EC50 134 Henschel et al., 1997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30.1

(23.2-39.0)Kim et al., 2007

D. magna acute LC50 20.1 Han et al., 2006

Daphnia pulex acute EC50 136 Lilius et al., 1995

Brachionus

calyciflorusacute EC50 5,306 Calleja et al., 1994

담수 척추동물 Scinax proboscideus 24hr, LC50 29.6 Calleja et al., 1994

Brachydanio rerio

(zebrafish)acute EC50 378 Henschel et al., 1997

Pimephales promelas

(Fatheadmonnow)acute LC50 814 Brooke et al., 1984

P. promelas acute LC50 814 Broderius et al., 1995

해수

무척추동물

Streptocephalus

proboscideu24hr, LC50 29.6 Calleja et al., 1994

Artemia salina 24hr, EC50 577 Calleja et al., 1994

Albendazole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0.0679 Oh et al., 2006

D. magna acute LC50 180.4Iannacone et al.,

2007

Amoxicillin 담수 박테리아Microcystis

aeruginosaIC50 0.0037 Holten et al., 1999

담수 조류 P. subcapitata chronic IC50 >250 Holten et al., 1999

해수 조류 Rhodomonas salina chronic IC50 >3,108 Holten et al., 1999

Aspirin

(acetyl

salicylic acid)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88.1

(72.8-106.6)Cleuvers, 2004

B. calyciflorus acute LC50 141 Calleja et al., 1994

D. magna acute EC50

1,293

(635.6-2,631)Marques et al., 2004a

Daphnia longispina acute EC50

647.3

(155.7-3,694)

Marques et al.,

2004b

② PECcorrected와 독성정보를 이용한 위해도 스크리닝 (HQ)

의약물질 중 6,000 kg 이상 사용되는 물질 중 환경 중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거나 생태독성자료를 찾을 수 있는 의약물질의 생태독성 자료는 표 41과 같다.

표 41. 의약물질 중 6,000 kg 이상 사용되는 주요 의약물질의 생태독성 자료

Page 10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7 -

표 41.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단위: mg/L)

참고문헌

Aspirin

(acetyl

salicylic acid)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chronic

reproduction

NOEC

1 Marques et al., 2004a

D. magna acute EC50

30.1

(23.2-39.0)Kim et al., 2007

D. magna acute LC50 20.1 Han et al., 2006

D. pulex acute EC50 136 Lilius et al., 1995

B. calyciflorus acute EC50 5,306 Calleja et al., 1994

B. calyciflorus acute EC50 3,748.8 Calleja et al., 1993

Atenolol 담수 조류Desmodesmussubspic

atuschronic IC50 620 Cleuvers, 2004

담수 diatomCyclotella

meneghiniana96hr, EC50 31.6 Ferrari et al., 2004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313 Cleuvers, 2004

담수 척추동물 P. promelas

chronic

growth

NOEC

3.2 Winter et al., 2007

P. promelas

chronic

reproduction

NOEC

10 Winter et al., 2007

Carbamazepi

ne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100 Kim et al., 2006

D. magna acute EC50

76.3

(64.4-88.1)Kim et al., 2006

D. magna acute EC50 >100 Cleuvers, 2002

담수 척추동물 O. latipes acute EC50 35.4 Kim et al., 2006

O. latipes acute EC50 35.4 Kim et al., 2006

Cefuroxime 담수 조류 P. subcapitatachornic

NOEC91

GlaxoSmithKline,

2004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1,000

GlaxoSmithKline,

2004

담수 척추동물 O. mykiss acute LC50 >120GlaxoSmithKline,

2004

Ciprofloxacin 담수 조류 M. aeruginosa chronic EC50 0.005Halling-Sørensen et

al., 2000

Pseudomonas putida chronic EC50 0.08 Kummerer et al.,2000

P. subcapitata chronic EC50 2.97Halling-Sørensen et

al., 2000

M. aeruginosa chronic EC50 0.017 Robinson et al., 2005

P. subcapitata chronic EC50 18.7 Robinson et al., 2005

담수 식물 Lemna minor chronic EC50 0.203 Robinson et al., 2005

Page 10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8 -

표 41.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단위: mg/L)

참고문헌

Ciprofloxacin 담수 식물 L. gibba chronic EC10 0.106 Brain et al., 2004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60

Halling-Sørensen et

al., 2000

담수 척추동물 B. rerio acute LC50 >100Halling-Sørensen et

al.., 2000

P. promelas NOEC >10 Robinson et al., 2005

Clarithromyci

n담수조류 P. subcapitata chronic IC50 0.046 Yang et al., 2008

P. subcapitata chronic IC50 0.002 Isidori et al., 2005

담수

무척추동물B. calyciflorus acute LC50 35.46 Isidori et al., 2005

B. calyciflorus chronic IC50 12.21 Isidori et al., 2005

D. magna acute EC50 25.72 Isidori et al., 2005

C. dubia acute EC50 18.66 Isidori et al., 2005

C. dubia chronic LC50 8.16 Isidori et al., 2005

담수 척추동물 D.rerio acute LC50 >1,000 Isidori et al., 2005

해수 미생물 Vibrio fischeri EC50 >100 Isidori et al., 2005

Domperidone 담수 척추동물 Cyprinus carpiohormone

NOEC5 Lin et al., 1995

Ibuprofen 담수 미생물 Hydra vularis

chronic

reproduction

NOEC

10 Pascoe et al., 2003

H. vularis

chronic

survival

NOEC

10 Pascoe et al., 2003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101.2 Cleuvers, 2004

D. magna

chronic

reproduction

NOEC

1.23 NIER, 2008

D. magna

chronic

reproduction

NOEC

20Heckmann et al.,

2007

D. magna

chronic

survival

NOEC

20Heckmann et al.,

2007

M. macrocopa

chronic

survival

NOEC

50 NIER, 2008

Planorbis carinatuschronic

growth NOEC1.02 Pounds et al., 2008

Page 10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99 -

표 41.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단위: mg/L)

참고문헌

P. carinatuschronic

reproduction

NOEC

2.43 Pounds et al., 2008

P. carinatuschronic

survival

NOEC

5.36 Pounds et al., 2008

D. magna acute EC50 101.2 Cleuvers, 2004

D. magnachronic

reproduction

NOEC

20 Han et al., 2006

담수 척추동물 O. latipes acute LC50 >100 Gros et al., 2006

chronic

survival

NOEC

0.1 NIER, 2008

담수 조류 D. subspicatus chronic IC50 342.2 Cleuvers, 2004

해수 미생물 V. fischeri EC50 0.0121 Barcelo et al., 2001

Ketoprofen 해수 미생물 V. fischeri EC50 0.0156 Barcelo et al., 2001

Lincomycin

(hydrochlorid

e)

담수 조류 P. subcapitata chronic IC50 0.07 Isidori et al., 2005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379.3 Delupis et al., 1992

D. magna acute EC50 23.18 Isidori et al., 2005

D. magna

chronic

reproduction

NOEC

1.23 NIER, 2008

M. macrocopa

chronic

survival

NOEC

200 NIER, 2008

C. dubia acute EC50 13.98 Isidori et al., 2005

C. dubia chronic LC50 7.2 Isidori et al., 2005

B. calyciflorus chronic IC50 0.68 Isidori et al., 2005

담수 척추동물 O. latipes

chronic

survival

NOEC

0.1 NIER, 2008

해수

무척추동물Artemia sp. 72hr, EC50 283.1 Migliore et al., 1997

Mefenamic

acid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3.95 Gros et al., 2006

Artemia sp. 72hr, EC50 8.04 Gros et al., 2006

Naproxen 담수 조류 P. subcapitata chronic IC50 31.82 Isidori et al., 2005

D. subspicatus chronic IC50 625.5 Cleuvers, 2004

해수 미생물 V. fischeri EC50 0.0356 Barcelo et al., 2001

Page 10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0 -

표 41. 계속

의약물질명 분류 종명 종말점 독성값

(단위: mg/L)

참고문헌

Naproxen 해수 미생물 V. fischeri EC50 0.0212 Barcelo et al., 2001

담수

무척추동물B. calyciflorus chronic IC50 62.48 Isidori et al., 2005

C. dubia acute EC50 66.37 Isidori et al., 2005

B. calyciflorus chronic IC50 0.56 Isidori et al., 2005

C. dubia chronic LC50 0.33 Isidori et al., 2005

D. magna acute EC50 166.3 Cleuvers, 2004

Ofloxacin 해수 미생물 V. fischeri 24hr, EC50 0.01359 Backhaus et al., 2000

V. fischeri 24hr, NOEC 0.00113 Backhaus et al., 2000

담수 조류 P. subcapitata chronic IC50 1.44 Isidori et al., 2005

담수

무척추동물B. calyciflorus chronic IC50 0.53 Isidori et al., 2005

C. dubia chronic LC50 3.13 Isidori et al., 2005

B. calyciflorus acute LC50 29.88 Isidori et al., 2005

D. magna acute EC50 31.75 Isidori et al., 2005

C. dubia acute EC50 17.41 Isidori et al., 2005

담수 척추동물 D. rerio acute LC50 1,000 Isidori et al., 2005

Ranitidine

hydrochloride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650 US EPA, 2001

Riboflavin 담수 척추동물 P. promelas acute LC50 0.0643 US EPA, 2001

Sulfamethoxaz

ole담수 조류 P. subcapitata chronic IC50 1.53 Eguchi et al., 2004

담수 식물 Lemna gibba chronic EC50 0.081 Brian et al., 2004

담수

무척추동물D. magna acute EC50 123.1 Park and Choi, 2008

M. macrocopa acute EC50 70.4 Park and Choi, 2008

담수 척추동물 O. latipes acute LC50 >562.5 Park and Choi, 2008

해수 미생물 V. fischeri 5min, IC50 74.2 Park and Choi, 2008

V. fischeri 15min, IC50 78.1 Park and Choi, 2008

Page 10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1 -

(마) 3단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노출평가를 위한 PhATETM 모형의 적용

우선 한강을 대상으로 2007년 생산량이 6,000 kg 이상인 성분에 대하여 PhATETM

모형을 적용한 결과(부록 6), 구획(segment)별로 다른 농도가 추정되었다. Segment

농도 중 최대값(PECPhATE,max)을 기준으로 예측환경농도가 0.1 μg/L 이상인 물질을

표 42에 제시하였다. 앞의 목록이 우리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한 목록이라면

PECPhATE에 근거한 목록은 한강 유역에만 해당되는 목록이다.

일련번호

성분명 분류번호

국내생산량(kg)

PECsurfacewater

(μg/L)PECcorrected

(μg/L)PECPhATE, max

(μg/L)

1 aceclofenac 114 49,791 0.83 0.28 3.96

2 acepifylline 229 8,413 0.14 0.04 0.69

3 acetaminophen 114 765,730 12.73 0.0064 0.88

4 acetylcysteine 222 59,869 1.00 0.22 1.55

5 alibendol 239 67,491 1.12 1.12 5.63

6 amoxicillin 618 201,798 3.36 2.20 5.64

7 aspirin 219 57,409 0.96 0.93 1.3

8 atenolol 214 12,344 0.21 0.19 0.72

9benexate betadexhydrochloride 232 6,356 0.11 0.11 0.75

10 carbamazepine 113 8,897 0.15 0.04 0.73

11 cefaclor 618 142,546 2.37 0.93 10.12

12 cefadroxil 618 91,990 1.53 1.35 2.73

13 cefmetazole 618 6,266 0.10 0.10 0.74

14 cefotaxime 618 10,901 0.18 0.18 1.29

15 cefradine 618 32,481 0.54 0.24 0.77

16 ceftezole 618 9,835 0.16 0.14 1.15

17 chlorphenesin 122 19,146 0.32 0.05 1.82

18 choline alfoscerate 119 21,542 0.35 0.35 2.55

19 cimetidine 232 141,844 2.36 1.20 8.10

20 ciprofloxacin 629 12,106 0.20 0.15 0.41

21 clarithromycin 618 54,843 0.91 0.84 0.46

22 clonixin 114 23,567 0.39 0.16 1.13

23 dexibuprofen 114 57,731 0.96 0.10 6.26

24 diltiazem 217 7,070 0.12 0.09 0.41

25 dimethicone 234 47,814 0.80 0.0004 5.48

26dioctahedralsmectite 237 106,872 1.78 1.78 12.88

27 domperidone 239 23,012 0.38 0.28 0.72

28 doxofylline 222 15,224 0.25 0.25 1.84

29 ecabet sodium 232 31,005 0.52 0.52 3.74

30 eperisone 122 11,588 0.19 0.19 1.46

31 eprosartan 214 16,956 0.28 0.28 2.05

32 erdosteine 222 12,016 0.20 0.16 1.15

33 ethambutol 622 12,721 0.21 0.11 0.75

34 gabapentin 113 25,051 0.42 0.41 2.92

35 glucosamine 114 44,213 0.74 0.33 2.82

36 hydrochlorothiazide 213 7,235 0.12 0.12 0.87

37 ibuprofen 114 145,849 2.43 0.32 5.44

38 irbesartan 214 9,782 0.16 0.16 0.87

39 itopride 239 10,511 0.17 0.17 1.27

표 42. 한강 PECPhATE 적용 결과 segment 농도가 0.1 μg/L 이상으로 추정되는 성분

Page 10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2 -

일련번호

성분명 분류번호

국내생산량(kg)

PECsurfacewater

(μg/L)PECcorrected

(μg/L)PECPhATE, max

(μg/L)

40 levodropropizine 222 6,276 0.10 0.10 0.76

41 levosulpiride 239 9,720 0.16 0.05 1.17

42 lincomycin 611 57,441 0.96 0.90 0.47

43 lithium 117 6,865 0.11 0.01 0.47

44 losartanpotassium

214 6,614 0.11 0.10 0.75

45 loxoprofen 114 19,294 0.32 0.32 2.32

46 mefenamic 114 51,014 0.85 0.08 1.59

47 methocarbamol 122 35,284 0.59 0.58 4.17

48 methylsalicylate 264 9,393 0.16 0.15 1.35

49 metronidazole 641 11,705 0.19 0.15 0.27

50 nabumetone 114 21,103 0.35 0.33 2.38

51 nizatidine 232 9,311 0.15 0.16 1.12

52 ofloxacin 629 12,212 0.20 0.14 0.19

53 oxiracetam 119 30,146 0.50 0.45 3.27

54 potassium citrate 259 6,554 0.11 0.11 0.78

55 pyrazinamide 622 8,631 0.14 0.10 0.28

56 ranitidine 234 36,864 0.61 0.37 0.47

57 rebamipide 232 43,129 0.72 0.07 4.68

58 riboflavin 114 8,752 0.15 0.15 1.04

59 ribostamycin 618 7,789 0.13 0.13 0.93

60 rifampicin 613 10,156 0.17 0.001 0.69

61 roxithromycin 614 6,447 0.11 0.09 0.28

62 simaldrate 234 7,890 0.13 0.13 0.95

63 sucralfate 232 47,709 0.79 0.77 0.28

64 sulfamethoxazole 621 12,296 0.20 0.12 0.52

65 sulfasalazine 621 11,806 0.20 0.14 0.99

66 talniflumate 114 164,145 2.73 2.73 0.19

67 teprenone 232 7,540 0.13 0.13 0.91

68 tiropramide 124 16,562 0.28 0.28 1.99

69 triflusal 219 17,242 0.29 0.11 1.21

70 trimebutine 239 29,209 0.48 0.40 2.96

71 urea 266 14,710 0.24 0.24 1.77

72 ursodeoxycholicacid

236 15,750 0.26 0.16 1.19

73 vancomycin 611 6,539 0.11 0.11 0.77

74 zaltoprofen 114 6,076 0.10 0.10 0.73

표 42. 계속

Page 10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3 -

(2) 동물용 의약물질

주요 가축에 사용된 동물용 의약물질이 환경 중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EMEA에서

는 다음 표 43과 같이 정리하였다. 수산용과 육상동물용 의약물질은 환경 중 유입

경로가 다르므로 이를 구분하여 환경위해성평가를 실시한다.

표 43. 주요 가축에 사용된 의약물질의 환경유입 경로

가축 현탁액 도포 목초지 투약 시 손실배설을 통한

직접 유입

소 o o o o

돼지 o

말 o o

양/염소 o o o

닭, 오리 o

양어 o o

(가)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

동물용으로 사용되는 기존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는 VICH의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지침을 근간으로 하여 제안된 바 있다(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I), 국립환경과학원 2008). 동물용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의 체계는 그림 21과 같이 수산용과 육상동물용으로 구분하여 1단계 사전

스크리닝(의약물질 생산량, 총 잔류량을 이용하여 노출량 간이 추정으로

대상의약물질을 선별),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환경 거동자료 및 기본 수질

독성자료를 이용하여 간이 위해도를 추정), 3단계 위해도 평가(수생태계 및 침적토

환경 영향, 어류 생물축적성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세한 독성영향평가를 수행)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Page 10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4 -

수산용 의약물질 육상동물용 의약물질

STOP

-사용량, 총 잔류량(모 의약물질

+관련 대사체)개념을 적용하여

노출 수준(EICaquatic)추정

1단계

사전

스크리닝

-사용량, 총 잔류량(모 의약물질

+관련 대사체)개념을 적용하여

노출 수준(PECsoil)추정*

STOP

No

- EICaquatic > 1μg/L

- 체내/체외구충제

- PECsoil > 100μg/kg

- 체내/체외구충제

No

-의약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환경 중 거동

-환경영향(급성독성)

(담수와 해수)

2단계

위해도

스크리닝

-의약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환경 중 거동

-환경영향 (토양 & 수생태계 급

성독성)

No HQ(PEC/PNEC) > 1

HQ(PEC/PNEC) > 1

No

-환경영향(만성독성, 초기성장독

성시험, 번식, 성장저해)

-필요시 침적토 영향 연구

-필요시 어류 생물축적성 연구

3단계

위해도 평가

-환경영향(장기질소전환연구,식

물성장연구, 수생태계 번식/초기

성장 및 성장저해연구)

-필요시 침적토 영향 연구

-필요시 어류 생물축적성 연구

No HQ(PEC/PNEC) > 1

또는 BCF > 1000

HQ(PEC/PNEC) > 1

또는 BCF > 1000

No

심층 연구

또는 위해성관리 대책 마련

심층 연구

또는 위해성관리 대책 마련

그림 21.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안) (Source:

국립환경과학원 2008)

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시작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경우는

환경위해성 평가 자체가 면제되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환경 중 분포나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비타민, 전해질, 단백질,

펩타이드 등)

- 비식용 동물에 적용되는 경우(비식용 동물의 정의는 나라마다 상이)

- 주요 종에 이미 비슷한 방법의 사용 승인이 난 동물용 의약물질을 소수

종에 사용하는 경우

- 목축동물 중 소수에만 사용되는 경우

- 동물에 사용했을 때 대부분 대사되는(원물질 5% 이하만 배출하는) 경우

Page 10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5 -

위와 같은 범주에 속하지 않아 환경위해성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동물용

의약물질은 수산용과 육상동물용으로 구분하여 환경위해성 평가 절차를 시작한다.

수산용 의약물질의 경우 양어장 배출수에서의 농도가 1 μg/L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2단계로 넘어간다. 또한 체내/체외구충제의 경우 배출수 농도에

관계없이 2단계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여야 한다. 육상동물용 의약물질인 경우 토양

중 예측농도(PECsoil)가 100 μg/kg이 초과하는 경우 2단계로 넘어간다. 동물의

체내·외에 적용되는 구충제의 경우에도 자동으로 2단계로 넘어간다. 그 이유는

구충제의 경우 표적생물과 생물학적 연관성이 있는 비표적(non-target) 생물에

부정적 건강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 1단계: 동물용 의약물질의 사전 스크리닝

동물의약물질은 약사법 제85조(동물의약품등에 대한 특례)에 의거하여 농림부장관

소관이며, 동물의약품등 취급규칙(농림부령 제 1372호) 제2조에서 “동물의약물질이

라 함은 동물용으로만 사용함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물질을 말하며 양봉용, 양잠용,

수산용 및 애완용(관상어를 포함) 의약물질을 포함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수산용

항생제를 비롯하여 동물용의약물질은 허가기관인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① 수산용 의약물질4)

양식어류에 적용되는 수산용 의약물질은 약사법에서 위임받은 수의과학검역원이

관리기관이다. 다음 그림 22는 수산용 의약물질 관련 법체계이다. 상세한 설명은 부

록 7에 수록하였다.

그림 22. 수산용 의약물질 관련 법체계 (Source: 국립수산과학원, 2009)

4) 수산용 의약물질 관련 통계 및 자료는 국립수산과학원 어병정보센터(http://fdcc.nfrdi.re.kr) 참조

Page 11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6 -

현재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에서 허가된 수산용의약물질은 약 600여 품목이 있

으며, 세부종류로는 신경계(마취제), 소화기계(사료첨가 소화촉진제), 비뇨생식계(호

르몬제), 대사성약(비타민제, 강화제), 보조적의약물질(사료점결제)을 제외하고, 약

360여 품목(백신 포함)이 어류질병과 관련한 치료와 예방 약품이다. 어류질병과 관

련된 약품(백신 제외)은 약 60여 유효성분이 있다.

어류 양식의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 고밀도로 양식하므로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

병원성 세균에 대한 생물 자체의 저항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치료와 사전 예방을 위해 대부분의 어류 양식장에

서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수의과학검역원의 승인을 받아 사용 중

에 있는 수산용 항생제는 51개 성분 350여개 품목이다. 수산용 항생제 판매량의 공

식적인 자료는 확보하지 못한 실정에 있으나 동물약품협회의 협조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수산용 항생제는 2004년 218톤, 2005년 258톤, 2006년 221톤으로 총괄 집계

되었다. 이러한 판매량은 어디까지나 제약회사를 통해 판매된 양을 통계 처리한 내

용이므로 실제로 어류 양식장에서 사용한 항생제의 사용량에 대하여는 현재로서는

실태파악이 불가능하다5).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산용 항생제 성분은

oxytetracycline, ampicillin, amoxycillin, erythromycin, oxolinic acid 등이 있다. 현

재 사용 금지된 항생제(동물용 의약물질 기준)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한 말라

카이트 그린, 클로르암페니콜, 니트로퓨란 등 3종이 있다. 다음 표 44에 우리나라에

서 승인된 수산용 의약물질 유효성분을 항균항생물질(antibiotics), 구충제

(anthelmintic), 소독제(disinfectant)와 백신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5) 그러나 수산동물질병관리법 시행령(2008.12.22)과 관련하여 현재 제정 중에 있는 하위법령과 위임된

각종 고시를 통하여 양식어업인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수산용 약품에 대하여 사용기록을 의무화 하는

규정이 제정될 것이므로 향후에는 실태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age 11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7 -

표 44. 국내 승인 수산용 의약물질 유효성분 (Source:국립수산과학원, 2008)

■ 항균·항생물질(Antibiotics) ○ : 성분별 사용허가 대상어종

대상어종

유효성분

아목시실린(Amoxycillin) × × × ○ × × × × × × × × × × × × × × × × ×

아목시실린 삼수화물(Amoxycillintrihydrate)

× × × ○ × × × × × × × × × × × × × × × × ×

암피실린(Ampicillin) × × × ○ × × × × ○ ○ × ○ × × × × × × × × ×

암피실린 나트륨(Ampicillin sodium) × × × ○ × × × × × × × × × × × × × × × × ×

암피실린 삼수화물(Ampicillintrihydrate)

× × × ○ × × × × ○ ○ × × × × × × × × × × ×

세파드록실(Cefadroxil) × × × × × × × × × × × × × × × × × × × × ○

세파렉신(Cephalexin) ○ ○ × ○ × × × × × ○ × × × × × × × × × × ×

세파렉신 일수화물(Cephalexinmonohydrate)

○ ○ × ○ × × × × × ○ × × × × × × × × × × ×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 × × × × × × × ○ × × × × × × × × × × × ×

염산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HCl) ○ × × × × × × × ○ × × × × × × × × × × × ×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 ○ × ○ × × × × × × × × × × × × × × × × ○

염산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hyclate) ○ ○ × ○ × × × × × × × × × × × × × × × ×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 ○ ○ ○ × × × × ○ ○ ○ × ○ ○ × × × × × × ×

에리스로마이신티오시안산염(Erythromycinthiocyanate)

○ × ○ ○ × × × × ○ ○ ○ × ○ ○ × × × × ○ × ×

플루메퀸(Flumequine) ○ ○ × ○ ○ × × × ○ ○ ○ ○ × × × × ○ × × × ○

플로르페니콜(Florfenicol) × × × ○ ○ × × × ○ ○ ○ × × ○ × × × × × × ×

황산 겐타마이신(Gentamycin sulfate) ○ × × × × × × × × ○ × ○ × × × × × × × × ×

키타사마이신(Kitasamycin) × × × ○ × × × × × ○ × × × × × × × × × × ○

염산 린코마이신(Lincomycin HCl) × × × ○ × × × × × × × × × × × × × × × × ×

나리딕산 (Nalidixicacid) × × × ○ × × × × ○ ○ ○ ○ × ○ × × × × × × ×

네오마이신(Neomycin) × × × × × × × × ○ ○ × ○ × ○ × × × × × × ×

황산 네오마이신(Neomycin sulfate) × × × × × × × × × × × × × × × × × × × × ○

옥소린산 (Oxolinicacid) × × × ○ × × × × ○ ○ ○ ○ × ○ × × × × × × ○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 × ○ ○ × × × × ○ ○ × ○ × × × ○ × × × × ×

염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HCl)

○ ○ ○ ○ × × ○ ○ ○ ○ ○ ○ × ○ ○ ○ × × × × ○

Page 11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8 -

대상어종

유효성분

물·시설

4급암모늄염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quateraryammonium salt)

× × ○ ○ × × × × ○ ○ × ○ × × × ○ × × × × ×

피로미드산 (Piromidicacid) ○ × × ○ × × × × ○ ○ ○ ○ × × × × × × × × ○

스피라마이신 (Spiramycin) × × × ○ × × × × × × × × × × × × × × × × ×스피라마이신엠보네이트염 (Spiramycinembonate)

× × × ○ × × × × × × × × × × × × × × × × ×

설파디메톡신 나트륨(Sulfadimethoxine sodium) × × × ○ × × × × ○ ○ × ○ × ○ × × × × × × ○

설파모노메톡신(Sulfamonomethoxine) × × × ○ × × × × ○ ○ × ○ × × × × × × × × ×

설파모노메톡신 나트륨(Sulfamonomethoxinesodium)

× × × ○ × × × × ○ ○ ○ ○ × × × × × × × × ×

설피속사졸 (Sulfisoxazole) × × × ○ × × × × ○ ○ × ○ × ○ × × × × × × ×염산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HCl) × × ○ ○ × × × × ○ ○ ○ × × ○ ○ × × × × × ×

치암페니콜(Thiamphenicol) ○ × ○ ○ × × × × × ○ × × ○ ○ × ○ × × × × ×

아목시실린 삼수화물+스피라마이신 (Amoxycillintrihydrate+ Spiramycinadipate)

× × × ○ × × × × ○ ○ × ○ ○ × × × × × × × ×

암피실린+ 황산콜리스틴(Ampicillin+Colistinsulfate)

× × × × × × × × × × × × × × × × × × × × ○

아목시실린삼수화물+염화라이소자임+ 아이페네신+염산시프로헵타딘(Amoxycillin trihydrate+Lysozymechloride+Guaifenesin+Cyproheptadine HCl)

× × × ○ × × × × × × × × × × × × × × × × ×

세파렉신+ 황산겐타마이신(Cephalexin+ Gentamycinsulfate)

○ × × × × × × × × × × × × × × × × × × × ×

에리스라마이신티오시안산염+설파디아진+트리메토프림(Erythromycinthiocyanate+ Sulfadiazine+Trimethoprim)

○ ○ × ○ × × × × ○ ○ ○ ○ × × × × × × × × ○

염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황산네오마이신(OxytertacyclineHCl+Neomycin sulfate)

× × ○ ○ × × × × ○ ○ × ○ × × × × × × × × ○

4급암모늄염옥시테트라사이클린+황산네오마이신(OxytertacyclineHCl+Neomycin sulfate)

× × × ○ × × × × × × × × × × × × × × × × ○

설파디아진+ 트리메토프림(Sulfadiazine+Trimethoprim)

× × × × × × × × × × × × × × × × × × × × ○

설파모노메톡신+오르메토프림(Sulfamonomethoxine+Ormethoprim)

× × × × × × × × × × × × × ○ × × × × × × ×

티아무린+염산독시사이클린(Tiamulin hydrogenfumara+Doxycyclinehyclate)

○ ○ × ○ × × × × ○ ○ × × × × × × × ○ × × ×

트리메토프림+ 조사마이신(Trimethoprim+Josamycin)

× × × ○ × × × × × × × × × × × × × × × × ○

■ 항균·항생물질(Antibiotics) ○ : 성분별 사용허가 대상어종

Page 11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09 -

대상어종

유효성분

넙치

조피볼락

돔류

방어

농어복어

보리새우

축양전복

뱀장어

송어류

연어류

잉어

틸라피아

은어

미꾸라지

메기붕어

향어

어란

물·시설

어류

이산화염소

(Chlorine dioxide)× × × × × × × × ○ × × ○ × × × × × × × ○ ○

디에프-100

(DF-100)× × × × × × ○ × × × × × × × × × × × × ○ ○

포비돈아이오다인

(Povidone iodine)× × × × × × × × × × × × × × × × × × ○ × ×

목초액

(Guaiacol)× × × × × × × × × × × × × × × × × × × ○ ×

클로라민-T

(Chloramin-T)× × × × × × × × × × × × × × × × × × × ○ ×

과산화수소

(Hydrogenperoxide)

× × × × × × × × × × × × × × × × × × × ○ ×

대상어종

유효성분

넙치

조피볼락

돔류

방어

농어복어

보리새우

축양전복

뱀장어

송어류

연어류

잉어

틸라피아

은어

미꾸라지

메기붕어

향어

어란

물·시설

어류

에드와드병

(Edwardsiellatarda)

○ × × × × × × × × × × × × × × × × × × × ×

연쇄구균증

(Streptococcusiniae)

○ × × × × × × × × × × × × × × × × × × × ×

이리도바이러스병

(Iridovirus)× × ○ ○ × × × × × × × × × × × × × × × × ×

■ 구충제(Anthelmintic) ○ : 성분별 사용허가 대상어종

대상어종

유효성분

넙치

조피볼락

돔류

방어

농어복어

보리새우

축양전복

뱀장어

송어류

연어류

잉어

틸라피아

은어

미꾸라지

메기붕어

향어

어란

물·시설

어류

비치오놀

(Bithionol)× × × ○ × ○ × × × × × × × ○ × × × × × × ○

푸마길린

(Fumagillin)× × × × × × × × ○ ○ × ○ × × × × × × × × ×

프라지콴텔

(Praziquantel)× ○ × × × × × × × × × × × × × × × × × × ×

트리클로르폰

(Trichlorofon)× × × × × × × × ○ × × ○ × × × × × × × × ×

포르말린

(Formalin)○ × × × × × × × × × × × × × × × × × ○ × ×

■ 소독제(Disinfectant) ○ : 성분별 사용허가 대상어종

■ 백신(생물학적제제, Vaccine) ○ : 성분별 사용허가 대상어종

표 44에 정리된 수산용 의약물질 유효성분 중 구충제 성분 5가지(bithionol,

fumagillin, praziquantel, trichlorfon, formalin)는 양어장의 배출수 농도에 관계없이

환경위해성 평가 2단계로 진행하여야 한다(표 45).

Page 11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0 -

표 45. 수산용 구충제 중 2단계 환경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성분

성분명 CAS No 주요 사용어종

Bithionol 97-18-7 방어, 북어, 은어

Fumagillin 23110-15-8 뱀장어, 송어, 잉어

Praziquantel 55268-74-1 조피볼락

Trichlorfon 52-68-6 뱀장어, 잉어

Formalin 50-00-0 넙치, 어란

구충제 이외의 성분에 대하여는 양어장별로 사용량과 양어장 수량에 근거하여

EICaquatic을 계산하여 판단한다. EICaquatic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어장 또는 다른

수산물을 제한된 공간에서 기르고 나서 배출수를 환경을 내보내기 이전에 처리가

가능한 곳이라야 한다. 즉 수산 양식장에서 나오는 배출수 중에 수산의약물질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EICaquatic 계산은 “총 잔류량" 개념에 따른다. 즉

물환경 중에 유입되는 모든 약성분(원래 물질 + 대사체 + 수산물이 섭취되지 않고

그대로 물에 들어간 약)을 포함한다. 수산 양식장에서 배출수 처리 등을 적절히

하고 있다는 것이 입증이 되면 EICaquatic을 다시 수정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총량이 100% 배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수산용 의약물질의 EIC는 개념상 의약물질의 리터 당 사용권고량과

같으므로, 예측이 매우 용이하다.

Page 11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1 -

② 육상동물용 의약물질

육상동물용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평가 진행 여부는 우선 이들 의약물질이 토양

환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배설물이 철저하게 따로 수

집되고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면 이 때 사용된 의약물질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는 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목장에서 가축을 키우거나 배설물이 철저히 관리

되지 않는 축산농가의 경우 토양 중 예상농도(PECsoil)를 추정하여 100 μg/kg이 넘

을 경우 환경위해성 평가 2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구충제의 경우 토양환경 중 예

상농도와 관계없이 2단계로 진행한다. 우리나라에서 다량 사용되는 동물용 구충제

성분은 fenbendazole, ivermectin, milbemycin oxime, triclabendazole 등이 있다

(Kim et al., 2008, 표 46). 이 성분 중 milbemycin oxime은 개, 고양이의 심장사상

충에 쓰이는 성분이다. 따라서 축산업처럼 일정 공간에 집중적으로 쓰이는 성분이

아니므로 동물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평가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6).

표 46. 우리나라에서 다량 사용되는 동물용 구충제 성분

성분명 CAS No structure 사용2단계 EPA

필요여부

Fenbendazole 43210-67-9

양, 소, 말, 어

류, 개, 고양

이, 토끼, 물

Ivemectin 70288-86-7말, 개, 사료

첨가제○

Milbemycin oxime 129496-10-2 개, 고양이 ×

Triclabendazole 68786-66-3 소, 양, 염소 ○

6) VICH GL6 (Ecotoxicity Phase I)의 "Question 3: Will the VMP be used only in non-food animals?"

에 해당하는 성분인 경우

Page 11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2 -

EMEA 지침7)에 따르면 PECsoil은 육상동물의 경우 축사에서 길러지는 경우와 주로

야외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를 구분하여 계산식을 적용한다.

PECsoil은 소수 이상의 동물이 처치를 받는 경우에 계산을 시작한다. 무리 중 얼

마나 많은 가축이 처치를 받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field trial data 등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습득할 수 없는 경우 다음 표 47에 제시된 값을 기본값

으로 적용한다.

표 47. 동물용 의약물질의 가축 무리 중 처치 비율

Product group % herd treatment

Anthelmintics 100

Products for treatment of diarrhoea in calves, lambs and pigs

(excluding products administered in feed and water)30

Coccidiostatics 100

Ectoparasiticides 100

Intramammary preparations:

for drying off

in lactating animals

100

250

Antibiotics (feed and water medication) 100

Antibiotics (injectable)

all pig treatments

respiratory infections in cattle

foot rot in sheep

50

50

100

Teat dip and sprays 100

All products for poultry 100

All products for fish 100

* The % herd treatments in the table were compiled after discussion with veterinary surgeons in a

number of EU Member States

축사동물은 일생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게 되므로 동물용 의약물질의 처치도

실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활성을 띤 약품 성분은 배설을 통해 마구간이

나 외양간에 쌓이게 되고, 이것이 거름으로 농지에 뿌려짐으로써 환경에 유입된다.

축사동물의 PECsoil은 활성 의약성분을 포함한 거름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축사동물의 PECsoil은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된 의약물질 총량을 1 헥타르 넓이에 5

cm 깊이까지 거름으로 뿌려진 경우에 대하여 농도를 구하는 것으로 다음 식과 같

다. 단위 헥타르 당 가축의 수는 연간 공간 회전율(P)에 해당 지역의 질소 생산량

(Ny)과 EU의 평균 토지 질소 부하(170 kg/ha)의 비를 고려하여 추정한다.

7) Revised Guideline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Veterinary Medicinal Products In

Support of the VICH Guideline GL6 and GL38.

http://www.emea.europa.eu/pdfs/vet/era/41828205enfin.pdf (Nov. 2008)

Page 11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3 -

위의 식은 최악의 경우를 가정하고 soil 중 농도를 추정하는 식이다. 즉, 동물에

투여된 모든 약이 100% 배설되고 이것이 모두 환경으로 들어간다고 가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대사율이나 분뇨에서의 분해율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 식은 단위 킬로그램의 토양이 일 년 동안 얼마만큼의 동물용 의약물질에 오염

되는지를 추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D*Ad*BW는 동물 한 마리 치료에 사용된 약품

의 양을 나타낸다. Fh는 생산주기 한 회당 이 약으로 처치를 받을 동물의 비율을

나타낸다. 어느 그룹의 동물이든 한번은 해당 약으로 치료를 받게 될 것이라 가정

하는데, 이것은 변수 “P (animal turnover rate)"를 식에 넣음으로써 반영한다. 여기

까지해서 D*Ad*BW*Fh*P는 일 년에 해당 장소에서 해당 약의 평균 사용량이 된다.

이만큼의 약 성분이 분뇨로 들어가는 것이다. 분뇨 중 해당 성분의 농도는 그 장

소에서 일 년동안 대상 동물이 만들어내는 분뇨의 양을 고려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

다. 어느 지역에서 발생하는 분뇨의 양은 질소를 기준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상당히

상수에 가까운 지표일 뿐 아니라 농학에서 매우 일반적인 접근이다. 따라서

(D*Ad*BW*Fh*P)/Ny는 분뇨 중 질소 1 kg 당 의약물질의 양이 된다. 유럽에서는

거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질소를 170 kg/ha/year 로 정하고 있다. 이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일 년에 헥타르의 면적에 뿌려질 수 있는 의약물질의 최대량

을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은 토양 표면 5cm에 고루 퍼진다고 가정하며, 토양의 밀도

(1,500 kg/m3) * 10,000 m2/ha * 0.05 m, 즉 750,000 kg의 토양에 해당한다. 이 식

을 통하여 토양 1 kg당 의약물질의 연간 PEC가 계산된다.

Page 11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4 -

PECsoil을 계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변수는 아래와 같다.

1) D: 활성성분의 일일 사용량 (mg/kgbw/day)

2) Ad: 처치에 필요한 날 수 (day)

3) BW: 해당 동물의 체중(kg)

4) P: 동물의 연간 공간 회전율(회/place/year)

5) Fh: 무리 중 처치비율 (0-1)로 (표 47활용)

6) Ny: 해당 공간에서 연간 발생하는 질소량 (kg/pace/year)

7) H: Housing factor (일 년 내내 실내에 있는 경우 1, 반년동안 실내에 있는 경우

0.5 등)

8) Nitrogen spreading limit: EU의 경우 통계조사 결과 170 kg/ha로 이 값을 기본

값으로 적용

9) Bulk density of dry soil (kg/m3): EU의 경우 1,500 kg/m

3

EU에서는 축사에서 길러지는 동물의 경우 PECsoil을 계산하는 데에 필요한 변수

들의 기본값을 기존 연구(CORPEN, 1999; Montfort, 2006; Smith and Frost, 2000a;

Smith and Frost, 2000b)들을 토대로 하여 정하였다(표 48). 이 지침에 주어진 기본

값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적용한다면 개별 의약성분의 가축별 일일 사용량

(mg/kgbw/day, D)과 처치일수 (day, Ad) 정보만 확보하면 PECsoil을 추정할 수 있

다.

향후에 우리나라 축산 방식과 토양의 특성을 1단계 ERA에서부터 더 잘 반영하기

위하여 위의 9개 변수 중 D와 Ad를 제외한 7개 변수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이루어

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1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5 -

표 48. EMEA 지침에서 제시하는 축사 동물의 PECsoil 계산을 위한 값들

Animal type Number of animals

related per place per

year

Body

weight

(kg)

Nitrogen produced

in 1 year per place

(kg.N.y-1

)

Housing

factor1

Calf 1.8 140 10 1

Dairy cow 1 425 60 0.5

Cattle (0-1 year) 1 200 18 0.5

Cattle (>2 years) 1 450 35 0.5

Weaner pig (to 25 kg) 6.9 12.5 2.25 1

Fattening pig (25-125 kg) 3 65 7.5 1

Sow (with litter) 1 240 262 1

Broiler 9 1 0.23 1

Laying hen 1 1.6 0.35 1

Replacement layer 2.6 0.8 0.24 1

Broiler breeder 1 1.7 0.69 1

Turkey 2.7 6.5 0.9 1

Duck 7 1.6 0.41 1

Horse 1 400 35 0.5

Rabbit 8 1.4 0.352 1

1This term has been included in the equation to account for the fact that some animal types

spend some time of the year in housing and some time on the pasture. In the PEC calculation it

is assumed that the animal is treated during the period it is in housing and that the total dose is

excreted in housing. The dose will then reach the environment when manure is spread.2

This value has been corrected from the value in the paper by Montforts (2006) as there was a

transcription error from the original source data.

Page 12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6 -

사례) 양돈장에서 Enrofloxacin을 사용한 경우 PECsoil의 추정.

예를 들어 Enrofloxacin 성분의 항생제, baytril (그림 23)을 축사에서 기르는 식

용 돼지에 사용하는 경우의 PECsoil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그림 23. 돼지용 항생제 baytril 사용설명서

Baytril 0.5% pig solution = 5,000 mg/1,000 mL = 5 mg/mL

Daily dose: 체중 2kg 당 1mL 투약 = 2.5mg/kg

3일간 경구투여

BW 65 kg

회전율 3회

연간발생 질소량 7.5 kg/year

이상과 같은 변수를 PEC 추정식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

kgugyearNkg

yearNkgtimeskgdaysdaykgmgPECsoil /2.4410001/.5.705.0100001500

1/.1703653//5.2=´

´´´´´´´´´

=

즉, 양돈장에서 Erofloxanin을 용법에 따라 사용한 경우 PECsoil은 44.2 μg/kg으로

추정되므로 2단계 EPA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고 할 수 있다.

Page 12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7 -

다. 필수 실태 조사물질 제안 및 향후 개선방안

(1) 필수 실태 조사 인체용 의약물질

향후 실태조사와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는 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소비되는 의약물질 활성성분의 양과

예측환경농도(PEC, PECcorrected, and PECphate, max), 그리고 잠정적 유해지수를

고려하였다. 즉 국내 생산량, 예측환경농도, 유해지수 측면에서 중요한 잔류

의약물질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현재 물환경 노출실태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잔류 의약물질 목록과 비교하여, 실태조사 등에 추가되어야 할 물질을 탐색하였다.

다음 표 49는 1단계 위해성 평가에서 국내 생산량을 근거로 선정된 의약물질의

국내 생산량, 의약물질 섭취 후 체외 배출율과 하수처리장 처리율을 고려한 환경

중 예상농도(PECcorr), 가용 정보를 고려하여 산출한 PNEC값과 이에 근거한 HQ를

요약한 것이다.

표 49. 주요 의약물질의 국내 생산량, 환경 중 예상농도 및 잠정 유해지수 요약

물질명 국내

생산량(kg)

logKow Excretion

rate(%)

하수처리장

제거 효율

(%)

PECcorr

(μg/L)

PNEC

(μg/L)

근거 HQ

acetaminophen 765,730 0.27 5 99 0.0064 10 NIER 2008 0.001

amoxicillin 201,798 0.97 70 1.88 2.20 - - -

talniflumate 164,145 NA 100 0 2.73 - - -

ibuprofen 145,849 3.79 13 28.72 0.32 100 NIER 2008 0.003

cefaclor 142,546 NA 40 1.86 0.93 - - -

cimetidine 141,844 0.57 48 1.86 1.20 - - -

dioctahedral smectite 106,872 NA 100 0 1.78 - - -

cefadroxil 91,990 -0.08 90 1.85 1.35 - - -

naproxen 69,274 3.10 0.9 7.55 0.01 0.33 Isidori et al. 2005 0.03

pancreatin 68,004 NA 99.95 0 1.13 - - -

alibendol 67,491 NA 100 0 1.12 - - -

acetylcysteine 59,869 22 1.85 0.22 - - -

dexibuprofen 57,731 NA 10 0 0.10 - - -

lincomycin hydrochloride 57,441 0.29 96 1.86 0.90 70 Isidori et al. 2005 0.013

aspirin 57,409 1.13 99 1.91 0.93 10 Marques et al. 2004 0.093

clarithromycin 54,843 3.18 100 7.23 0.84 0.46 Yang et al. 2008 1.826

mefenamic 51,014 5.28 52 81.16 0.08 4 Gros et al. 2006 0.02

aceclofenac 49,791 NA 34 1.85 0.28 - - -

dimethicone 47,814 7.69 100 99.95 0.0004 - - -

sucralfate 47,709 NA 97 0 0.77 - - -

glucosamine 44,213 -4.23 46 1.85 0.33 - - -

rebamipide 43,129 NA 10 0 0.07 - - -

ranitidine hydrochloride 36,864 0.29 62 1.85 0.37 650 US EPA 2001 0.001

methocarbamol 35,284 -0.26 100 1.86 0.58 - - -

cefradine 32,481 NA 45 1.86 0.24 - - -

valproicacid 32,433 2.96 98.2 4.24 0.53 - - -

ecabet sodium 31,005 NA 100 0 0.52 - - -

oxiracetam 30,146 NA 90 0 0.45 - - -

Page 12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8 -

물질명 국내

생산량(kg)

logKow Excretion

rate(%)

하수처리장

제거 효율

(%)

PECcorr

(μg/L)

PNEC

(μg/L)

근거 HQ

trimebutine 29,209 3.62 100 16.06 0.40 - - -

minoxidil 24,810 1.35 100 0 0.41 - - -

gabapentin 25,051 -1.37 100 1.85 0.41 - - -

clonixin 23,567 4.58 100 60.17 0.16 - - -

domperidone 23,012 3.35 100 25.72 0.28 5 Lin et al. 1991 0.14

nabumetone 21,103 3.22 100 6.43 0.33 - - -

loxoprofen 19,294 NA 100 0 0.32 - - -

chlorphenesin 19,146 0.82 15 1.87 0.05 - - -

triflusal 17,242 2.09 40 2.34 0.11 - - -

eprosartan 16,956 NA 100 0 0.28 - - -

tiropramide 16,562 NA 100 0 0.28 - - -

ursodeoxycholic acid 15,750 5.06 100 37.35 0.16 - - -

doxofylline 15,224 NA 100 0 0.25 - - -

urea 14,710 -1.56 100 1.85 0.24 - - -

cefuroxime 13,813 0.29 100 1.85 0.23 >120 GSK 2004 <0.002

ethambutol 12,721 -0.41 50 1.85 0.11 - - -

pseudoephedrine 12,505 0.68 97 1.9 0.20 - - -

sulfamethoxazole 12,296 0.48 59.2 1.88 0.12 1.53 Eguchi et al. 2004 0.078

atenolol 12,344 -0.03 90 1.85 0.19 32 Winter et al. 2007 0.006

ofloxacin 12,212 -0.20 69.89 1.85 0.14 14.4 Isidori et al. 2005 0.01

erdosteine 12,016 NA 80 0 0.16 - - -

ciprofloxacin 12,106 NA 75 1.85 0.15 1.1 Brain et al. 2004 0.136

sulfasalazine 11,806 3.81 90 22.2 0.14 - - -

metronidazole 11,705 -0.00 80 1.85 0.15 1 Wollenberger et al. 2000 0.15

eperisone 11,588 NA 100 0 0.19 - - -

ketoprofen 11,417 3.00 100 6.85 0.19 - - -

cefotaxime sodium 10,901 0.64 100 1.86 0.18 - - -

albendazole 10,580 NA 99 7.07 0.17 68 0.0025

itopride hydrochloride 10,511 NA 100 0 0.17 - - -

rifampicin 10,156 4.24 1.4 42.05 0.001 - - -

ceftezole sodium 9,835 -2.74 90 1.85 0.14 - - -

irbesartan 9,782 NA 100 0 0.16 - - -

levosulpiride 9,720 NA 30 1.86 0.05 - - -

methylsalicylate 9,393 2.60 100 7.87 0.15 - - -

nizatidine 9,311 NA 100 1.85 0.15 - - -

carbamazepine. 8,897 2.25 25 2.96 0.04 35 Kim et al. 2006 0.001

riboflavin 8,752 -1.05 100 1.85 0.15 - - -

ceftriaxone 8,641 NA 100 0 0.14 - - -

pyrazinamide 8,631 -0.53 71.7 1.85 0.10 - - -

acepifylline 8,413 -1.34 30 1.85 0.04 - - -

simaldrate 7,890 NA 100 0 0.13 - - -

ribostamycin 7,789 -8.05 100 1.85 0.13 - - -

teprenone 7,540 NA 100 0 0.13 - - -

aminophylline 7,241 NA 10 0 0.01 - - -

hydrochlorothiazide 7,235 -0.1 100 0 0.12 - - -

diltiazem hydrochloride 7,070 2.79 75 3.81 0.09 - - -

표 49. 계속

위의 표 49에 제시된 PECcorr와 HQ를 고려한 상위 15개 의약물질의 목록을

나열하고, 이를 현재 물환경 실태조사 대상물질과 비교하였다. 물환경 중 오염

농도를 반영하는 PECcorr와 독성까지를 반영하는 HQ 측면에서 중요한 물질 중

실태조사 대상물질에 속하지 않는 의약물질로 clarithromycin이 파악되었다.

PECcorr를 고려했을 때 상위에 속하는 의약물질 중 kremezin과 dioctahedral

smectite는 각각 활성탄소와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물질로 환경 위해성 측면의

중요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Page 12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19 -

우선순위 선정의 근거 기존 모니터링

대상물질

물환경 실태조사

필요 물질PECcorr HQ

Talniflumate Clarithromycin Ibuprofen Clarithromycin

Amoxicillin Metronidazole Cimetidine  

Dioctahedral smectite Domperidone Sulfamethoxazole  

Cefadroxil Ciprofloxacin Acetaminophen  

Pancreatin Salicylic acid Naproxen  

Alibendol Sulfamethoxazole Carbamazepine.  

Cimetidine Naproxen Diltiazemhydrochloride  

Cefaclor Mefenamic Ciprofloxacin  

Salicylic acid Lincomycin hydrochloride Salicylicacid  

Lincomycin hydrochloride Ofloxacin    

Clarithromycin Atenolol    

Sucralfate Ibuprofen    

Methocarbamol Albendazole    

Valproic acid Ranitidine hydrochloride    

Escarbet sodium Carbamazepine    

아래 표 50에서 제안한 물질은 생산량과 예상환경농도와 같이 용량에 근거한

것으로 환경 중 잔류성 및 먹이사슬 축적은 고려되지 않았다. 즉 지용성이 큰

물질(logKow>4.5)의 실태조사가 추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표 49에서

제시한 HQ는 문헌상 현재 보고되어 있는 독성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것이다.

그러므로 호르몬과 같이 생리학적 활성이 매우 큰 물질의 독성관측지표가 적절히

반영된 HQ가 아니다. 따라서 생리학적 활성이 큰 호르몬 물질 등에 대한

실태조사와 위해성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표 50. 물환경 실태조사가 필요한 물질 선정

Page 12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0 -

(2)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평가 개선 방안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별 생산량 / 사용량 자료 구축을 위한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제약회사들이 매년 한국제약협회에 자발적으로 보고하는

생산실적자료를 기준으로 2007년 한 해 동안의 성분별 생산량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도출하였던 2003년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의약성분의 생산량이 해마다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해에 생산된

의약물질이 그 해에 모두 소비되는 것이 아니므로 조사 시점에 따라 생산량에

차이가 나는 것은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의약물질의

양을 대표할 수 있는 값을 구하기 위하여 여러 해를 대상으로 생산량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일을 위하여 한국제약협회가 구축하는 생산실적

자료에 성분별 구분을 추가한다면 향후 생산량 자료 구축에 용이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생산량에 근거한 환경예상농도는 생산된 의약물질이 전량 소비된다는 가정에서

추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생산량과 사용량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 들의

차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부 중요한 의약성분에 대하여(항생제, 호르몬제

등) IMS health 등에서 유료로 사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입하여 사용량 자료와

비교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의약물질의 환경농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하수처리설비의 처리효율에 관한

연구가 주요 대상 의약성분에 대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

하수처리효율을 고려하여 PECcorrected를 추정하기는 하였으나 대부분의 성분에

대하여 하수처리효율을 의약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근거한 모형(US EPA의 EPI

suite)에서 추정한 값을 적용한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 하수처리장의 처리방식에

따른 개별 의약물질의 처리효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구축한 PhATETM 모형을 활용한 환경예상농도 추정을 환경위해성

평가 2단계에서 적용할 것을 적극 제안한다. 대부분의 의약성분은 PEC가 0.1 ppb를

초과하였다고 해도 인체대사율과 하수처리효율을 반영한 PECcorrected에서 0.1 ppb

이하로 나오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이들 성분에 대하여 PhATETM를

구동한 결과 수계 구획에 따라 수십배 높은 농도를 보이는 곳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PhATETM 모형을 구동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므로 환경위해성평가의

3단계가 아니라 2단계에서 적용함으로써 수계의 위험지역을 우선 선정,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물용 의약물질의 경우 사용량에 관한 근거 자료 확보가 쉽지 않았다. 수산용

의약물질의 경우는 국립수산과학원의 자료가 활용 가능하였으나 육상용 동물약품의

경우동물약품협회의 자료 협조가 여의치 않아 기초 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과제에서는 동물용 의약물질을 관리하는 관계 기관과의 협조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기초자료 생산이 구조적으로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ge 12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1 -

육상동물용 의약물질의 PECsoil을 추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변수들의 경우 이

연구에서는 유럽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고 있는 값들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동물의

평균 체중, 동물의 연강 공간 회전율, 무리 중 처치 비율, 연간 질소 발생량, 실내

거주 기간 비율, 토양의 평균 밀도 등 우리나라 축산농가의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들에 대한 국산화가 필요하다. 또는 특정 지역의 가축밀도를 활용하여 PECsoil을

추정하는 식을 개발하는 것도 고려해 볼 일이다.

Page 12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2 -

제 4장. 결론

본 연구는 잔류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 관리를 위하여 1) 노출수준과 유해성에

근거한 우선순위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을 선정하고,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국내·외 생태독성 자료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여 주요 잔류 의약물질의 저농도

만성노출 생태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3) 이를 토대로 주요 잔류 의약물질의 만성

독성정보를 활용한 생태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2008년에 도출된

위해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구동하여 보았다.

1. 환경위해성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선정

2006, 2007, 2008년도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업에서

보고된 27종의 인체용 및 동물용 의약물질 중 검출농도, 검출빈도 및 생태독성

자료에 근거하여 환경위해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6종(oxytetracycline,

sulfamethaz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의

의약물질을 선정하였다.

2.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의 생태독성연구

본 연구에서는 oxytetracycline, sulfamethaz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의 저농도 만성노출 생태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물벼룩종인 D. magna와 국내고유 물벼룩종인 M.

macrocopa를 사용하였다(표 51).

Oxytetracycline은 D. magna 만성독성시험 결과 9.23 mg/L의 낮은 농도에서도

번식능력의 감소를 보였으나,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에서는 83.3 mg/L

농도에서 유의한 치사율만 관찰되었고 번식과 관련된 종말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ulfamethazine을 D. magna에 만성노출 시켰을 때 10.0 mg/L 농도에서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번식에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에서는 50.0 mg/L 농도에서 유의한 치사율만

관찰되었고 번식과 관련된 종말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iclofenac은 D. magna 만성독성시험 결과 25.0 mg/L의 농도에서도 번식능력의

감소를 보였으나,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에서는 150 mg/L 농도에서 유의한

치사율만 관찰되었고 번식과 관련된 종말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lortetracycline을 D. magna에 만성노출 시켰을 때 1.23 mg/L의 낮은 농도에서

번식에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여기에서 관찰된 번식영향은 물벼룩 어미의

Page 12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3 -

한배에 생산하는 새끼의 수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제로 중요한

번식영향이라고 할 수 있는 어미 한 마리당 생산 산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에서는 50.0 mg/L 농도에서 유의한 치사율만

관찰되었고 번식과 관련된 종말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rythromycin은 D. magna 만성독성시험 결과 33.3 mg/L의 농도에서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번식에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에서는 150 mg/L 농도에서 유의한 치사율만

관찰되었고 번식과 관련된 종말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ulfathiazole을 D. magna에 만성노출 시켰을 때 6.66 mg/L 농도에서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산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번식에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M. macrocopa 만성독성시험에서는 33.3 mg/L 농도에서 유의한 치사율만

관찰되었고 번식과 관련된 종말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51. 물벼룩 만성독성시험 결과 (단위: mg/L)

의약물질명 종말점Daphnia magna Moina macrocopa

생존능력 번식능력 성장능력 생존능력 번식능력

Oxytetracycline LOEC 27.7 9.23a >9.23 83.3 >27.7c

NOEC 9.23 3.08 9.23 27.7 27.7

Sulfamethazine LOEC >30.0 10.0a

>30.0 50.0 >16.7c

NOEC 30.0 3.30 30.0 16.7 16.7

Diclofenac LOEC 75.0 25.0a

>25.0 150 >50.0c

NOEC 25.0 8.33 25.0 50.0 50.0

Chlortetracycline LOEC 100 1.23b 11.1 50.0 >16.7c

NOEC 33.3 <1.23 3.70 16.7 16.7

Erythromycin LOEC 100 33.3a

33.3 150 >50.0c

NOEC 33.3 11.1 11.1 50.0 50.0

Sulfathiazole LOEC 20.0 6.66a

>6.66 33.3 >11.1c

NOEC 6.66 2.22 6.66 11.1 11.1

a NOEC and LOEC were based on number of young offspring per female.b NOEC and LOEC were based on number of young per brood. Number of young per female

was not affected.c NOEC and LOEC were determined based on significant survival effect on adult.

Page 12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4 -

또한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어류인 O. latipes는 저농도 만성 노출 시 μg/L ~

mg/L 범위에서 생존, 번식, 성장 등에 영향을 받았으며, 그 결과는 표 52와 같다.

Oxytetracycline은 O. latipes에 만성노출 시켰을 때 모든 노출농도(최대 50

mg/L)에서 유의한 생존능력, 번식능력, 성장능력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Sulfamethazine은 송사리(O. latipes)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에서 200 mg/L

농도에 노출되었을 때 성장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초래했다. 그러나 생존능력은

모든 노출농도(200 mg/L)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Diclofenac은 송사리(O. latipes) 1세대 만성독성시험에서 10 mg/L 농도에

노출되었을 때 암수 성어에서 생산된 알의 수정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내분비계 교란 지표인 생식소 중량지수를 측정한 결과 10 mg/L에

노출된 암컷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송사리(O. latipes)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 및 1세대 만성독성시험에서 생존능력 및 성장능력은 모든 노출농도(10

mg/L)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Chlortetracycline은 O. latipes에 만성노출 시켰을 때 모든 노출농도(최대 40

mg/L)에서 유의한 생존능력, 번식능력, 성장능력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Erythromycin은 송사리(O. latipes)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에서 1,000 mg/L

농도에 노출되었을 때 larvae 및 juvenile의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초래했으며,

1세대 만성독성시험에서는 100 mg/L에 노출되었을 경우 암수 성어에서 생산된

알의 부화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송사리(O. latipes)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 및 1세대 만성독성시험에서 성장능력은 모든 노출농도(10

mg/L)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Sulfathiazole은 송사리(O. latipes)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에서 500 mg/L 농도에

노출되었을 때 부화된 시간이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송사리(O.

latipes) 1세대 만성독성시험에서 내분비계 교란 지표인 생식소 중량지수를 측정한

결과 0.05 mg/L에 노출된 수컷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larvae, juvenile

및 성어의 생존능력 및 성장능력은 모든 노출농도(500 mg/L)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은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급성노출에 비해 O. latipes에 미치는 독성영향이 증가하였고, 번식과 관련된

영향도 비교적 낮은 노출수준(μg/L)에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ge 12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5 -

표 52. 어류 만성독성시험 결과 (단위: mg/L)

성장단계 종말점의약물질명

OTC SMZ DCF CTC ETM STZ

Egg 부화능력 LOEC >50 >200 >10 >40 >1,000 >500

NOEC 50 200 10 40 1,000 500

부화시간 LOEC >50 >200 >10 >40 >1,000 500

NOEC 50 200 10 40 1,000 50

Larvae 생존능력 LOEC >50 >200 >10 >40 1,000 >500

NOEC 50 200 10 40 100 500

Juvenile 생존능력 LOEC >50 >200 >10 >40 1,000 >500

NOEC 50 200 10 40 100 500

성장능력 신장 LOEC >50 >200 >10 >40 >1,000 >500

NOEC 50 200 10 40 1,000 500

습중량 LOEC >50 200 >10 >40 >1,000 >500

NOEC 50 20 10 40 1,000 500

Adult 생존능력 LOEC >50 NA >10 >40 1,000 >500

NOEC 50 NA 10 40 100 500

번식능력 수정능력 LOEC NA NA 10 NA >100 NA

NOEC NA NA 1 NA 100 NA

부화능력 LOEC NA NA >1 NA >100 NA

NOEC NA NA 1 NA 100 NA

부화시간 LOEC NA NA >1 NA 100 NA

NOEC NA NA 1 NA 10 NA

성장능력 신장 LOEC >50 NA >10 >40 >100 >500

NOEC 50 NA 10 40 100 500

습중량 LOEC >50 NA >10 >40 >100 >500

NOEC 50 NA 10 40 100 500

내분비계 ELISA LOEC >50 NA >10 >40 >100 >500

교란 NOEC 50 NA 10 40 100 500

GSI LOEC NA NA 10 >40 >100 0.05

NOEC NA NA 1 40 100 <0.05

Abbreviation: OTC-Oxytetracycline, SMZ-Sulfamethazine, DCF-Diclofenac, CTC-Chlortetracycline,

ETM-Erythromycin, STZ-Sulfathiazole,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GSI-

Gonadosomatic index, NA-Not available.

Page 13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6 -

3.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평가대상 잔류 의약물질인 oxytetracycline, sulfamethazine, diclofenac,

chlortetracycline, erythromycin, sulfathiazole의 환경 중 측정농도와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토대로 유해지수를 산정한 결과가 표 53에 요약되어 있다.

환경 중 측정농도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6-2008년에 조사한 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 실태조사 보고의 지표수 중 검출농도의 평균(MECmean)을 이용하였고,

환경 중 농도의 보수적인 추정치로 평균값의 95% 신뢰구간의 상한치(MEC95%UCL)를

활용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문헌에 보고된 독성값과 이 연구에서 파악된 독성값을

모두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평가대상물질의 PNEC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환경

중 측정농도로 MEC95%UCL을 사용했을 때도 유해지수가 1을 초과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표 53. 평가대상 의약물질의 환경 농도 대표값과 예측무영향환경농도를 이용한

유해지수의 산출

의약물질명

환경 중 측정농도(EC)PNEC

(μg/L)참고문헌

유해지수(HQ)

MECmean

(μg/L)

MEC95%UCL

(μg/L)

based on

MECmean

based on

MEC95%UCL

Oxytetracycline 0.00394 0.00952 18.3 Eguchi et al. 2004 0.0002 0.0005

Sulfamethazine 0.03420 0.07242 66 This study 0.0005 0.0011

Diclofenac 0.01216 0.02242 100 Ferrari et al. 2003 0.0001 0.0002

Chlortetracycline 0.12662 0.24979 10 Brain et al. 2004 0.0127 0.0250

Erythromycin 0.01084 0.01330 1.0 Eguchi et al. 2004 0.0108 0.0133

Sulfathiazole 0.10267 0.21561 44 This study 0.0023 0.0049

보수적으로 가정된 노출수준에서도 유해지수가 1에 근접한 의약물질이 없다는

것은 국내 물환경 중 잔류 의약물질의 오염수준이, 단독으로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음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물환경에서 잔류농도를 평가한 의약물질의 종류는 47종으로

알려졌다(최경호 외 2009). 그러나 실제로 사용하는 의약물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현재까지 환경 중 농도가 측정되지 않은 물질들의 환경오염수준을

추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의약품 품목별

생산실적자료(한국제약협회)”를 가공하여 국내 생산 인체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을 정리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환경 중 예상농도가 0.1 μg/L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성분을 파악하였다. 환경 중 예상농도가 0.1 μg/L 이상으로

추정되는 물질은 acetaminophen, amoxicillin, clarithromycin 등 96 성분이었다.

Page 13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7 -

수계는 지역에 따라 유량과 기타 환경조건, 인구수, 인구구성비, 의약품 사용양상,

하수처리 양상 등이 상이하여, 의약물질 오염수준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수계 의약물질 오염수준의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PhATETM 모형을 적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환경예상농도를

추정하였다. 2007년 생산량이 6,000 kg 이상인 성분을 대상으로 한강에 대하여

예상환경농도를 추정한 결과, segment 농도 중 최대값(PECPhATE, MAX)을 기준으로

예측환경농도가 0.1 μg/L 이상인 물질은 모두 73종으로 파악되었다. PhATETM

모형에 의한 환경농도 최대 추정값이 실제의 농도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역에 따라서 특별히 높은 농도로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관리에 지역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향후 환경 중 의약물질의 환경위해성평가 및 관리를 위해서는 현재 모니터링이

되지 않고 있더라도 예상환경오염수준과 잠재적인 독성 등에 근거하여 환경 중

측정대상물질을 확대하고, 필요한 경우 모니터링과 환경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

접근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PECcorr와 가용한 생태독성 정보를

고려할 때 clarithromycin은 향후 모니터링 또는 환경위해성평가가 필요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Page 13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8 -

참고문헌국립환경과학원. 2006.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 경기대

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인터페이스 정보기술.

국립환경과학원. 2007.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 (II). 경기

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2008. 잔류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실태조사(I). 용인대학교, 한

국수자원공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2008. 잔류 의약물질 환경위해성 평가(I). 서울대학교, 순천향대학

교, 용인대학교.

최경호, 김판기, 박정임, 2009. 의약물질의 환경오염과 환경보건. 한국환경보건학회

지. 35, 433-446

Ando, T., Nagase, H., Eguchi, K., Hirooka, T., Nakamura, T., Miyamoto, K.,

Hirata, K. 2007. A novel method using cyanobacteria for ecotoxicity test of

veterinary antimicrobial agents.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6,

601-606

Backhaus, T., Scholze, M., Grimme, L.H. 2000. The single substance and mixture

toxicity of quinolones to the bioluminescent bacterium Vibrio fischeri. Aquatic

Toxicology 49(1-2), 49-61.

Baguer, A.J., Jensen, J., Krogh, P.H. 2000. Effects of the antibiotics oxytetracycline

and tylosin on soil fauna. Chemosphere 40, 751-757

Bayer. 1997. Baytril 10% injection: Safety Datasheet 345354/01. Bayer, Newbury,

UK. Di Delupis D.G., Macri A., Civitareale C., Migliore L. 1992. Antibiotics of

zootechnical use: effects of acute high and low dose contamination on Daphnia

magna Straus. Aquatic Toxicology. 22, 53‐60

Brain, R.A., Johnson, D.J., Richards, S.M., Sanderson, H., Sibley, P.K., Solomon,

K.R., 2004. Effects of 25 pharmaceutical compounds to Lemna gibba using a

seven-day static-renewal test.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3,

371-382

Broderius, S.J., Kahl, M.D., Hoglund, M.D. 1995. Use of joint toxic response to

define the primary mode of toxic action for diverse industrial organic

chemicals.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9, 1591-1605

Brooke, L.T., Call, D.J., Geiger, D.L., Northcott, C.E. 1984. Acute toxicities of

organic chemicals to fathead minnows (Pimephales promelas). Center for Lake

Superior Environmental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 WI, USA, p.414.

Calleja, M.C., Persoone, G., Geladi, P. 1993. The predictive potential of a battery

of ecotoxicological tests for human acute toxicity, as evaluated with the first 50

Page 13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29 -

MEIC chemicals. ATLA-Altern. Laboratory Animal 21(3), 330–349

Calleja, M.C., Persoone, G., Geladi, P. 1994. Human acute toxicity prediction of

the first 50 MEIC chemicals by a battery of ecotoxicological tes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2, 173-187

Cleuvers M. 2003. Aquatic ecotoxicity of pharmaceuticals including the

assessment of combination effects. Toxicology Letters 142(3), 185-94.

Cleuvers, M., 2004. Mixture toxicity of the anti-inflammatory drugs diclofenac,

ibuprofen, naproxen, and acetylsalicylic acid.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59, 309-315

CORPEN (Management Committee For Reducing Pollution by Nitrates,

Phosphates and plant protection products derived from agricultural activities)

Assessing the nitrogen and phosphorus effluent generated by rabbit breeding

stations 'Animal Feed" Group "Rabbits Subgroup" November 1999

Di Delupis, D.G., Macri, A., Civitareale, C., Migliore, L. 1992. Antibiotics of

zootechnical use: effects of acute high and low dose contamination on Daphnia

mage hStraus. Aquatic Toxicology 22, 53-60

Eguchi, K., Nagase, H., Ozawa, M., Endo, Y.S., Goto, K., Hirata, K., Miyamoto,

K., Yoshimura, H. 2004.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gents for veterinary use

in the ecotoxicity test using microalgae. Chemosphere 57, 1733–1738

Ferrari, B., Mons, R., Vollat, B., Fraysse, B., Paxeus, N., Lo Giudice, R., Pollio,

A., Garric, J. 2004.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six human

pharmaceuticals: are the current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procedures

sufficient for the protection of the aquatic environment?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3, 1344-1354

Gros M, Petrovic M, Barcelo D. 2006. Development of a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ology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for screening and trace level determination of pharmaceuticals in

surface and wastewaters. Talanta 70(4), 678-90.

Halling-Sørensen, B. 2000. Algal toxicity of antibacterial agents used in intensive

farming. Chemosphere 40, 731–739

Han, G.H., Hur, H.G., Kim, S.D. 2006. Ecotoxicological risk of pharmaceutical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occurrence and toxicity to Daphnia

magna.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5, 265-271

Heckmann LH, Callaghan A, Hooper HL, et al. 2007. Chronic toxicity of

ibuprofen to Daphnia magna: Effects on life history traits and population

dynamics. Toxicology Letters 172(3), 137-45.

Henschel, K.-P., Wenzel, A., Diedrich, M., Fliedner, A. 1997. Environmental

Page 13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0 -

Hazard Assessment of Pharmaceuticals.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25, 220–225

Holten-Lützhøft,H.C., Halling-Sorensen, B., Jorgensen, S.E. 1999. Algal toxicity of

antibacterial agents applied in Danish fish farming.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36, 1-6

Hughes, J.S. 1973. Acute Toxicity of Thirty Chemicals to Stripped Bass (Morone

saxatilis). Presented at the Western Association of State Game and Fish

Commissioners in Salt Lake City, Utah. (July). Cited in Webb, S.F. "A Data‐

based Perspn Weve on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H the

Pharmaceuticals I ‐ Collation of Available Ecotoxicity Data". Ie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 Sources, Fate, Effects and RisksStripped

(Kümmerer, K. Ed.). Springer, New York, 317‐343

Isidori, M., Lavorgna, M., Nardelli, A., Pascarella, L., Parrella, A. 2005. Toxic and

genotoxic evaluation of six antibiotics on non-target organism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46, 87-98

Isidori M, Lavorgna M, Nardelli A, Parrella A, Previtera L, Rubino M. 2005.

Ecotoxicity of naproxen and its phototransformation produc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48(1-3), 93-101.

Jung, J., Kim, Y., Kim, J., Jeong, D.H., Choi, K. 2008. Environmental levels of

ultraviolet light potentiate the toxicity of sulfonamide antibiotics in Daphnia

magna. Ecotoxicology 17,37-45

Kim, J., Oh, S., Park, S., Kim, P.-G., Park, J., Jeong, D., Choi, K. 2006.

Prioritizing major veterinary antibiotics in Korea. Abstract presented at Asia

Pacific SETAC Beijing, China September 2006

Kim, Y., Choi, K., Jung, J., Park, S., Kim, P.G., Park, J. 2007. Aquatic toxicity of

acetaminophen, carbamazepine, cimetidine, diltiazem and six major

sulfonamides, and their potential ecological risks in Korea. Environment

International 33, 370-375

Kim, Y.H., Jung, J.Y., Kim, M.H., Park, J., Boxall, A.B.A., Choi, K., 2008. Prioritizing

veterinary pharmaceuticals for aquatic environment in Korea”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Pharmacology, 26, 167-176

Kim, J., Park, Y.N., Choi, K. 2009. Phot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responses in

Daphnia magna under exposure to sulfathiazole and environmental level

ultraviolet B irradiation. Aquatic Toxicology, 91, 87-94

Kummerer, K., al-Ahmad, A., Mersch-Sundermann, V. 2000. Biodegradability of

some antibiotics, elimination of the genotoxicity and affection of wastewater

bacteria in a simple test. Chemosphere 40, 701-710

Lilius, H., Hastbacka, T., Isoma, B. 1995. A comparison of the toxicity of 30

Page 13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1 -

reference chemicals to Daphnia magna and Daphnia pulex.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4, 2085-2088

Marques, C.R., Abrantes, N., Goncalves, F. 2004a. Life-history traits of standard

and autochthonous cladocerans: I.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acetylsalicylic

acid. Environmental Toxicology 19, 518-526

Marques, C.R., Abrantes, N., Goncalves, F. 2004b. Life-history traits of standard

and autochthonous cladocerans: II.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acetylsalicylic

acid metabolites. Environmental Toxicology 19, 527-540

Migliore, L., Cinzia, C., Gianfranco, B., Di Delupis G.D. 1997. Toxicity of several

important agricultural antobiotics to artemia. Water Research 31, 1801-1806

Montforts M.H.N.N. 2006 Validation of the exposure assessment for veterinary

medicinal produc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58, 121-136

Newman, M.C. 2010. Fundamentals of Ecotoxicology. 3rd Edition, CRC Press.

Nunes, B., Carvalho, F., Guilhermino, L. 2005. Acute toxicity of widely used

pharmaceuticals in aquatic species: Gambusia holbrooki, Artemia

parthenogenetica and Tetraselmis chuii.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61, 413-419

Oh, S.R. 2007. Development of a standard 7-day chronic toxicity test method

using indigenous aquatic macroinvertebrate Moina macrocopa. Mater of Public

Health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lmstead, A.W., LeBlanc, G.A. 2000. Effects of endocrine-active chemicals on the

development of sex characteristics of Daphnia magna.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9, 2107-2113

Park, J. 2005.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 and Management Approaches

in Korea. KEI-2005-RE-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ark, S., Choi, K. 2008. Hazard assessment of commonly used agricultural

antibiotics on aquatic ecosystems. Ecotoxicology 17, 526-538

Pascoe, D., Karntanut, W., Muller, C.T. 2003. Do pharmaceuticals affect

freshwater invertebrates? A study with the cnidarian Hydravulgaris.

Chemosphere 51(6), 521–528

Peterson, S., Batley, G., Scammell, M. 1993. Tetracycline in Antifouling Paints.

Marine Pollution Bulletin 26

Pomati, F., Netting, A.G., Calamari, D., Neilan, B.A. 2004. Effects of

erythromycin, tetracycline and ibuprofen on the growth of Synechocystis sp. and

Lemna minor. Aquatic Toxicology. 67, 387-396

Pounds, N.A., MacLean, S., Webley, M., Pascoe, D., Hutchinson, T.H. Growth

and reproductive effects of ibuprofen in the freshwater ramshorn snail

Page 13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2 -

Planorbiscarinatus. Society of Experimental Biology Annual Meeting, Edinburgh,

UK; 2004. March29–April2

Pro, J., Ortiz, J.A., Boleas, S., Fernandez, C., Carbonell, G., Tarazona, J.V. 2003.

Effect assessment of antimicrobial pharmaceuticals on the aquatic plant Lemna

minor.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70, 290-295

Richards, S.M., Cole, S.E. 2006. A toxicity and hazard assessment of fourteen

pharmaceuticals to Xenopus laevis larvae. Ecotoxicology 15, 647-656

Robinson, A.A., Belden, J.B., Lydy, M.J. 2005. Toxicity of fluoroquinolone

antibiotics to aquatic organisms.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4,

423-430

Smith K. A., Frost J.P. 2000a. Nitrogen excretion by farm livestock with respect

to land spreading requirements and controlling nitrogen losses to ground and

surface waters. Part 1: cattle and sheep. Bioresource Technology 71, 173-181

Smith K. A., Frost J.P. 2000b. Nitrogen excretion by farm livestock with respect

to land spreading requirements and controlling nitrogen losses to ground and

surface waters. Part 2: pigs and poultry. Bioresource Technology 71, 183-194

Stearns, S.C. 1976. Life History Tactics : A Review of the Ideas, The Quartery

Review of Biology 51, 3-47

Swan, G.E., Cuthbert, R., Quevedo, M., Green, R.E., Pain, D.J., Bartels, P.,

Cunningham, A.A., Duncan, N., Meharg, A.A., Oaks, J.L., Parry-Jones, J.,

Shultz, S., Taggart, M.A., Verdoorn, G., Wolter, K. 2006. Toxicity of diclofenac

to Gyps vultures. Biology Letters. 2, 279-282.

Tsubouchi, T., Saito, T., Mizutani, F., Yamauchi, T., Iwanaga, Y. 2003. Stimulatory

action of itopride hydrochloride on colonic motor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06(2), 787-793.

US EPA. 2001. ECOTOX Database System. Prepared for USEPA,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Health and Environmental Effects

Research Laboratory, Mid-Continent Ecology Division (MED), Duluth, MN, by

OAO Corporation, Duluth, MN

US EPA. 2002. Methods for Measuring the Acute Toxicity of Effluents and

Receiving Waters to Freshwater and Marine Organisms. 5th Edition.

EPA821-R-02-012.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Webb, S.F. 2001. A data based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human pharmaceuticals II: aquatic risk characterisation. In: K¨ummerer, K.,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 Sources, Fate, Effects and Risks.

Springer-Verlag, Berlin

Wilford W.A. 1966. Toxicity of 22 Therapeutic Compounds to Six Fishes. US

Page 13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3 -

Dept. of the Interior, Fish & Wildlife Service, Bureau of Sports Fisheries &

Wildlife ‐ Resource Publication 3eutWashington DC December. Cited in Webb,

S.F. A Data‐based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Human Pharmaceuticals I Collation of Available Ecotoxicity Data. In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 Sources, Fate, Effects and Risks. 2004.

(Kümmerer, K. Ed.). Springer, New York, 317-343.

Wollenberger, L., Halling-Sørensen, B., Kusk, K.O. 2000.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veterinary antibiotics to Daphnia magna. Chemosphere 40, 723-730.

Page 13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4 -

부록

부록 1.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별 생산량 도출과정

본 연구과제에서 사용되는 의약물질의 총 생산량 DB를 구축하기 위해 “2007년 약효별 실

적분류 (한국제약협회)”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품의 정확한 정보를 알기위해 대한민국 의약

성분센터인 “KIMS Online(http://kimsonline.co.kr)"에서 제공하는 내용을 반영하였다.

§ 1단계

KIMS OnLine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해당 제품명을 입력하여 제약회사별로 목록을 검색한

다.(예, 아세트아미노펜)

§ 2단계

‘해당 제품 목록보기’에서 제품 검색하며, 이때 단일제, 복합제, 현재 생산/유통 되지 않은

제품이 있을 경우 모두 검색하여 구축한다.

Page 13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5 -

§ 3단계

“2007년 약효별 실적분류”에서 분류번호(보건복지부 code)로 검색하여 해당제품을 선택한다.

이때 이 때, 실적분류 DB에 해당제품명의 함량이 없을 경우 KIMS OnLine에서 용량을 검색

하여 구축한다.

Page 14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6 -

§ 4단계

해당제품 함량을 파악한 후 해당제품의 사용량(kg)을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KIMS Online에서 제시한 ATC code도 함께 입력한다.

총량(사용량)(kg) = 해당제품명의 성분함량(mg)/1,000,000 × 포장단위 × 생산량

단, 해당제품명의 성분함량이 ‘g’ 인 경우 : ÷ 1,000

예) 아세트아미노펜정 300 mg(경동제약)의 총량(kg)

= 300/1,000,000 × 1,000 × 32,719 = 9,815.70

Page 14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7 -

<유의사항>

1. 해당 제품이 시럽일 경우 그 성분이 몇 mL 중에 들어있는 양인지 확인하고 계산한다.

Page 14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8 -

2. 해당 제품의 포장단위가 아래와 같을 경우는 곱하여 계산한다.

예) 포장단위 : 12T*20 일 경우 240으로 계산

3. 제약회사에서 동일제품에 대해 함량이 다르게 생산할 경우가 있다. 이때 “2007년 약효별

실적분류“에서 동일한 제품에 대해 함량이 한 제품만 제시되었을 경우는 나머지 함량으로

계산하여 DB를 구축한다.

Page 14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39 -

STP Treatment TypePopulation

Served(person)

Flow Rate(millions ofgallons/day)

Next SegmentDistance

(mile)

PALDANGAdvanced

Treatment Ⅰ10,000 23770.3 5.41

KURIAdvanced

Treatment Ⅰ360,000 32 1.8

TANCHEON Secondary 1,720,000 238.8 2.23

JOONGNANG Secondary 2,798,000 402.9 2.05

AHNYANG Secondary 1,009,707 97.8 11.68

NANJI Secondary 1,795,000 235.2 2.67

부록 2. 4대강(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PhATETM 유역, segments, 유역입력

정보

2-1. 한강

a. STPs input data for PhATETM

model to run for the Han River

SegmentMean Flow

(ft3/s)

Velocity

(ft/s)

Depth

(ft)

Width

(ft)

Length

(mile)

1 23,770.3 3.87 8.56 716.28 8.02

2 423.78 2.76 1.29 118.97 1.8

3 14,218.4 2.93 5.36 905.04 7.27

4 720.77 3.18 1.51 150.4 2.24

5 15,185.3 2.5 4.72 1,288.7 2.67

6 847.6 3.47 1.82 133.86 2.05

7 33,789.07 3.05 6.4 1,739.07 9.81

8 193.5 3.05 6.4 1,739.07 9.81

9 34,844.99 3.07 6.45 1,759.2 2.67

10 34,844.99 3.07 6.45 1,759.2 2.67

11 24,980.9 2.82 5.69 1,552.99 18.2

b. PhATETM

Input Data of the Han River

Page 14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0 -

STP Treatment TypePopulation

Served(person)

Flow Rate(millions ofgallons/day)

Next SegmentDistance

(mile)

DAECHEONG(FAKE)

Advanced

Treatment Ⅰ10,000 1,717.1 2.49

DAEJEON Secondary 1,475,961 164.3 6.22

CHEONGJUJOCHIWON

(FAKE)Secondary 714,744 79.2 14.92

GONGJUAdvanced

Treatment Ⅰ129,862 8.4 21.13

BUYEOAdvanced

Treatment Ⅰ80,115 3.1 6.84

NONSAN Secondary 132,814 3.5 4.97

2-2. 금강

a. STPs input data for PhATETM

model to run for the Keum River

SegmentMean Flow

(ft3/s)

Velocity

(ft/s)

Depth

(ft)

Width

(ft)

Length

(mile)

1 2,656.55 1.09 4.84 502.15 2.49

2 653.39 0.77 2.12 400.35 6.21

3 3,421.07 2.24 3.26 468.37 10.56

4 1,509.56 1.51 3.55 280.64 14.91

5 5,108.30 3.85 5.83 227.23 15.53

6 5,996.04 3.51 9.01 189.45 21.13

7 6,331.78 0.40 12.58 1,265.49 6.84

8 555.11 0.59 5.34 175.09 4.97

9 7,311.30 0.16 16.02 2,827.33 21.75

b. PhATETM

Input Data of the Keum River

Page 14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1 -

STP Treatment TypePopulation

Served(person)

Flow Rate(millions ofgallons/day)

Next SegmentDistance

(mile)

AN DONGAdvanced

Treatment Ⅰ140,000 19.2 37.28

JEOM

CHONESecondary 28,684 110.9 6.21

GUMIAdvanced

Treatment Ⅰ284,824 1,186.2 21.75

SIN CHEONAdvanced

Treatment Ⅰ466,661 1,778.3 14.30

HAP CHEON Secondary 55,840 19 17.40

JIN JUAdvanced

Treatment Ⅰ290,000 433.3 42.25

BUGOK Secondary 4,224 16.8 14.91

MILYANG Secondary 11,008 115.6 8.10

2-3. 낙동강

a. STPs input data for PhATETM

model to run for the Nakdong River

SegmentMean Flow

(ft3/s)

Velocity

(ft/s)

Depth

(ft)

Width

(ft)

Length

(mile)

1 138.43 1.24 0.73 111.22 4.35

2 710.41 1.36 1.17 254.57 37.9

3 237.75 1.35 1.16 91.25 6.84

4 971.67 1.30 1.77 264.76 41.01

5 2,222.35 0.69 3.61 252.32 21.75

6 564.46 1.55 1.07 192.47 13.3

7 2,801.87 0.90 6.56 501.28 31.07

8 480.76 1.19 1.47 224.78 17.4

9 5,122.10 1.02 10.60 573.51 18.02

10 863.77 8.69 1.71 270.10 42.25

11 6,429.57 0.56 6.70 1,284.32 10.56

12 7,769.40 0.24 23.75 1,207.78 14.29

13 245.188 0.63 1.92 172.20 8.08

14 7,538.76 1.11 0.51 92.23 28.58

b. PhATETM

Input Data of the Nadong River

Page 14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2 -

STP Treatment TypePopulation

Served(person)

Flow Rate(millions ofgallons/day)

Next SegmentDistance

(mile)

GwangjuAdvanced

Treatment Ⅰ1,415,953 147.13 27.96

Jang

seongSecondary 48,507 2.8 18.64

NajuAdvanced

Treatment Ⅰ97,475 4.15 11.81

Ham

pyeongSecondary 38,956 1.49 10.56

2-4. 영산강

a. STPs input data for PhATETM

model to run for the Yeongsan River

b. PhATETM

Input Data of the Yeongsan River

SegmentMean Flow

(ft3/s)

Velocity

(ft/s)

Depth

(ft)

Width

(ft)

Length

(mile)

1 254.27 0.46 2.49 180.30 27.96

2 160.93 0.76 1.52 149.23 18.64

3 1,149.58 1.87 1.95 280.23 11.81

4 2,530.20 0.65 6.59 423.02 10.56

Page 14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3 -

부록 3. 인체용 의약물질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1. 분류번호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2. 분류번호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3. 분류번호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부록 3-4. 분류번호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Page 14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4 -

부록 3-1. 분류번호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11 전신마취제

enflurane 12

isoflurane 2

propofol 435

112 최면진정제doxylamine succinate 415

zolpidem tartrate 204

113 항전간제

carbamazepine 8,897

ethosuximide 75

gabapentin 24,724

ibuprofen 57

lamotrigine 45

oxcarbazepine 29

phenytoin 2,517

sodium valproate 29

topiramate 2,084

valproic acid 32,433

vigabatrin 1,991

zonisamide 546

114 해열, 진통, 소염제

aceclofenac 49,791

acemetacin 622

acetaminophen 754,850

alminoprofen 423

ambroxol 12

amfenac sodium 236

aspirin 13,717

auranofin 1

benzydamine 97

brompheniramine 2

bucillamine 235

chlorzoxazone 396

cinnoxicam 5

ciprofloxacin 54

clonixin 23,567

cyanocobalamin 0

dexibuprofen 57,731

dextromethorphan 34

dextrose 1,060

diclofenac 5,888

di-methylephedrine 1

emorfazone 494

ephedrine 718

ergotamine tartrate 2

etodolac 6,783

fenoprofen 3,610

flufenamic 39

glucosamine 44,213

hydroxocobalamin 2

Page 14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5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14 해열, 진통, 소염제

hydroxychloroquinesulfate 99

ibuprofen 145,792

ibuproxam 2,418

imidazole 299

ketoprofen 72

ketorolac 349

lonazolac calcium 366

lornoxicam 43

loxoprofen 19,294

mefenamic 51,014

meloxicam 966

morniflumate 3,629

nabumetone 21,103

naproxen 69,274

nimesulide 4,391

oxaprozin 689

piroxicam 877

pranoprofen 466

proglumetacin 1,638

propacetamolhydrochloride

679

pseudoephedrine 459

pyrazinobutazone 473

riboflavin 8,752

salicylamide 58

salicylate 52

salsalate 876

sulindac 555

talniflumate 164,145

tenoxicam 14

tiaprofenic 287

tolfenamic acid 333

tramadol 5,116

zaltoprofen 6,076

115 각성제, 흥분제 modafinil 57

116 진훈제

dimenhydrinate 6,157

diphenidolhydrochloride 16

betahistine mesylate 23

117 정신신경용제

amisulpride 322

amitriptyline 1,253

amoxapine 28

aripiprazole 59

bromperidol 20

bupropion 1,469

buspirone 174

chlorpromazine 2,622

chlorprothixene 88

choline alfoscerate 197

Page 15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6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17 정신신경용제

cimicifugae 1,488

clobazam 32

clomipramine 82

dothiepin 0

fluoxetine 1,041

fluvoxamine 222

haloperidol 224

hydroxyzine 168

hyperici 80%methanoldried ext

149

hypericum 1,133

imipramine 462

levomepromazine 233

lithium 6,865

milnacipran 146

molindone 21

nemonapride 24

nortriptyline 302

paroxetine 195

perphenazine 67

pimozide 7

quinupramine 35

risperidone 84

sertraline 436

sulpiride 1,666

thiothixene 2

tianeptine 208

tofisopam 3,904

trazodone 1,689

ulpiride 31

venlafaxine 113

zotepine 419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acamprosate 3,281

acetaminophen 2,394

afloqualone 807

amantadine 993

aspartate 2,060

benserazide 15

benztropine 27

biperiden 2

carbidopa 545

carnitine 297

choline alfoscerate 21,032

donepezil 87

eperisone 586

gabapentin 327

hypericum 5

l-asparatate-L-arginine 1,860

levodopa 2,062

memantine 131

Page 15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7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methocarbamol 5

orphenadrine 954

oxiracetam 30,146

piracetam 2,565

procyclidine 15

selegiline 11

tiapride 9

trihexyphenidyl 24

121 국소마취제

lidocaine 4,729

benzocaine 84

bupivacaine 82

mepivacaine 58

benoxinate 17

tetracaine 1

epinephrine 0

procaine 0

122 골격근이완제

acetaminophen 826

aescin 33

amorphous aescin 20

atracurium 10

baclofen 496

chlorphenesin* 19,146

clemastine 0

cyclobenzaprine 31

dantrolene 137

eperisone 11,001

gallamine triethiodide 70

meloxicam 2

methocarbamol 35,279

orphenadrine 606

pridinol 37

rocuronium 40

thiocolchicoside 89

tolperisone 3,624

vecuronium 77

123 자율신경계

aclatonium 2,282

bethanechol 141

diethylpropion 5

glycopyrrolate 0

neostigmine 0

octylonium 985

oxybutynin 30

phendimetrazine 73

phentermine 69

pyridostigmine 302

124 진경제

acetaminophen 6,260

aminoethanol 127

atropine 1

benztropine 30

Page 15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8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24 진경제

caroverine 197

cimetropium 1,485

dicyclomine 43

difemerine 30

enalapril 3

fenoverine 594

hydroxocobalamin 6

hyoscine 11

octylonium 26

phloroglucinol 3,768

pipoxolan 19

scopolamine 647

timepidium 22

tiquizium 11

tiropramide 16,562

trospium 38

129 기타의 말초신경용약dehydrated alcohol 0

scopolamineN-butylbromide 8

131 안과용제

carbachol 0

latanoprost 0

chlorpheniramine 0

azulene 0

naphazoline 0

tetrahydrozoline 0

benoxinate 0

tranilast 0

cetrimide 0

pirenoxine 0

timolol 0

cobamamide 0

polyvinyl 0

chondroitin 0

gatifloxacin 0

aminoethyl 0

azelastine 0

trifluridine 0

pranoprofen 0

ciprofloxacin 0

polysorbate 1

evofloxacin 1

phenylephrine 1

diclofenac 1

prednisolone 2

cyclopentolate 2

ketotifen 1

levofloxacin 2

obramycin 2

tropicamide 3

Page 15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49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31 안과용제

anhydrous 3

potassium 3

dexamethasone 4

chlorphenamine 5

homatropine 6

acyclovir 7

sulfamethoxazole 7

aminocaproic 8

pilocarpine 9

carteolol 11

tobramycin 13

chloramphenicol 14

hyaluronic 18

fluorometholone 28

sodium 30

cromoglycate 39

methazolamide 39

troxerutin 49

solcoseryl120concentrate 63

ofloxacin 71

povidone 140

polyvinylpyrrolidone 207

bendazac 1,468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1,747

Vaccinium myrtillus 10,220

132 이비과용제

chlorpheniramine 59

bromelain 30

sodium chloride 21

phenylephrine 13

ofloxacin 8

sodium 8

radix gentianae 5

budesonide 1

ciprofloxacin 0

ipratropium 0

benzethonium 0

139 기타의 신경계 및감각기관용의약물질

propyleneglycol 277

141 항히스타민제

acetaminophen 337

aluminium aspirin 38

anhydrous 44

belladonna 40

bepotastine 528

carbinoxamine 2

cetirizine 2,188

chlorphenamine 620

chlorpheniramine 14

clemastine 6

cyproheptadine 0

Page 15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0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41 항히스타민제

diphenhydramine 25

diphenylpyraline 0

dipotassium 231

doxylamine 25

ebastine 259

emedastine 15

fexofenadine 1,184

loratadine 372

lysozyme 179

mequitazine 340

methylephedrine 6

mizolastine 9

oxatomide 971

pheniramine 21

phenylephrine 220

piprinhydrinate 299

pseudoephedrine 3,162

trimebutine 260

triprolidine 17

142자격료법제(비특이성면역원제포함)

azathioprine 74

cyclosporin 55

glycophosphopeptical 292

hydroxychloroquinesulfate

1,600

microemulsioncyclosporine

416

pidotimod 20

standardizedlyophilizate ofbacterial lysate ofE.coli

167

tacrolimus hydrate 3

149 기타의 알레르기용약

alismatis rhizoma 193

azelastine 62

epinastinehydrochloride 58

fexofenadinehydrochloride 949

pemirolast potassium 30

pranlukast 2,317

190 기타의 신경계 및감각기관용의약물질

acetaminophen 804

atractylodesjaponica 480

Page 15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1 -

부록 3-2. 분류번호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11 강심제

aminophylline 6336

amrinone 0

denopamine 11

digoxin 8

dobutamine 126

ubidecarenone 82

212 부정맥용제

adenosine 38

amiodaronehydrochloride

65

arotinololhydrochloride

1,648

carteolol hydrochloride 32

esmolol hydrochloride 62

flecainide acetate 697

mexiletinehydrochloride

57

propranololhydrochloride

4

quinidine sulfate 152

213 이뇨제

acetazolamide 633

azosemide 117

chlorthalidone 39

furosemide 2,925

hydrochlorothiazide 7,163

indapamide 13

metolazone 53

propranololhydrochloride

118

spironolactone 452

torasemide 94

xipamide 30

214 혈압강하제

alacepril 86

amosulalolhydrochloride 59

atenolol 10,187

barnidipinehydrochloride 113

betaxololhydrochloride 159

bevantololhydrochloride

316

bisoprolol fumarate 26

cadralazine 2

candesartan cilexetil 447

captopril 322

carvedilol 2,563

chlorthalidone 35

Page 15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2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14 혈압강하제

cicletaninehydrochloride 38

cilazapril 39

cilnidipine 513

clarithromycin 70

diltiazemhydrochloride

1,743

doxazosin 46

efonidipinehydrochloride

227

enalapril maleate 865

eprosartan 16,956

felodipine 413

fosinopril sodium 17

hydralazinehydrochloride

26

hydrochlorothiazide 72

imidaprilhydrochloride

138

indapamide 21

irbesartan 9,782

labetalol hydrochloride 162

lacidipine 98

lisinopril 59

losartan potassium 6,614

manidipinehydrochloride 165

minoxidil 28

nicardipinehydrochloride 59

nilvadipine 2

nisoldipine 116

nitrendipine 33

olmesartan medoxomil 2,118

perindopriltert-butylamine

82

phentolamine mesylate 1

prazosin hydrochloride 1

ramipril 271

S-atenolol 63

spironolactone 294

temocaprilhydrochloride

3

terazosin 150

tripamide 35

215 혈관보강제

chromocarbdiethylamine

1,186

diosmin 660

flavonoids 7,215

217 혈관확장제

benidipine 130

buflomedil 2,497

dilazep 272

Page 15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3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17 혈관확장제

diltiazemhydrochloride 5,328

dipyridamole 397

etofylline nicotinate 3

flunarizine 89

isosorbide 2,446

lercanidipine 1,374

molsidomine 56

naftidrofuryl 156

nicametate citrate 1,879

nicorandil 444

nifedipine 422

nimodipine 363

nitrendipine 50

nitroglycerin 5

tolazoline 1

trimetazidine 1,165

verapamil 973

218 동맥경화용제

acipimox 655

atorvastatin 1

bezafibrate 2,090

clopidogrel 5,676

etofibrate 187

fenofibrate 1,733

gemfibrozil 993

lovastatin 451

mesoglycan sodium 805

nicotinic acid 587

pitavastatin calcium 55

pravastatin 373

simvastatin 3,746

soysterol 792

219 기타의 순환계용약

abciximab 0

alprostadil 0

amezinium metilsulfate 9

amlodipine 2,064

aspirin 43,692

atenolol 2,157

benzoyl aconine 0

bisoprololhemifumarate

33

calcium dobesilate 5,964

calcium polystyrenesulfonate 57,818

celiprolol 953

cholestyramine resin 1,550

cinepazide 148

citicoline 1,150

Page 15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4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19 기타의 순환계용약

coumarin 0

dopamine 421

eburnamonine 59

edetate sodium 3

ethanolamine oleate 3

furosemide 600

ibudilast 198

ifenprodil tartrate 4

indapamide 10

limaprost 0

lovastatin 248

metoprolol 288

midodrine 4

nicardipine 11

nicergoline 986

nifedipine 56

pentoxifylline 4,268

polystyrene sulfonate 5,173

propranolol 1,057

protirelin 0

proxyphylline 335

ramipril 10

simvastatin 14

torasemide 0

triflusal 17,242

viquidil HCl 129

222 진해거담제

acetaminophen 259

acetylcysteine 59,869

ambroxol 4,964

aminophylline 905

ammonium chloride 289

anhydrous

theophylline1,998

azelastine 9

bamifylline

hydrochloride1,217

benproperine

phosphate1,394

benzonatate 1,319

bromhexine

hydrochloride625

budesonide(micronized) 1

butamirate citrate 64

carbocysteine 3,856

cetirizine

dihydrochloride3

chlorpheniramine

maleate3

Page 15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5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22 진해거담제

cloperastine 81

crotamiton 169

dextromethorphan

hydrobromide290

dextromethorphan

phenolphthalinate12

diethylaminoethyl

theophylline

hydrochloride

1,101

doxofylline 15,224

ephedrine

hydrochloride10

erdosteine 12,016

fenoterol

hydrobromide114

formoterol fumarate 80

fudosteine 232

glimepiride 3

glycyrrhizin 149

guaifenesin 308

hedera canariensis 23

hederae helix 119,357

herb hederae helicis 40

hexoprenaline sulfate 6

ipratropium bromide 1

ivy 4,582

ketotifen fumarate 40

l-carbocysteine 14,557

levo-cloperastine

fendizoate1,580

levodropropizine 6,276

methyl

N,S-diacetyl-L-cysteinate4,696

myrtol 1,404

neltenexine

monohydrate315

noscapine 84

oxomemazine 4

oxtriphylline 192

platycodi radix 599

potassium

guaiacolsulfonate23

pseudoephedrine

hydrochloride12,240

salbutamol sulfate 41

s-carboxymethylcysteine 5,277

sobrerol 5,790

Page 16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6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22 진해거담제

thenothiola sodium 5,011

theophylline 5,219

tipepidine hibenzate 262

tranilast 410

229 기타의 호흡기관용약

acebrophylline 2,795

acepifylline 8,413

alibendol 956

bambuterol

hydrochloride59

chlorpheniramine

maleate0

ciprofloxacin

hydrochloride108

dextromethorphan

hydrobromide8

diprophylline 831

echinacea 26

guaifenesin 147

Menthae Herba 882

methyl

N,S-diacetyl-L-cysteinate11

ox lung extract 1

oxolamine citrate 317

ozagrel hydrochloride 291

potassium

guaiacolsulfonate77

pseudoephedrine

hydrochloride265

232 소화성궤양용제

benexate betadex

hydrochloride6,356

biodiastase 14

bismuth 265

boehmite 94,266

cetraxate hydrochloride 245

cimetidine 141,576

dizet-100 4

domperidone maleate 58

ecabet sodium 31,005

egualen sodium 2

famotidine 3,114

glycopyrrolate 1

lansoprazole 1,100

levosulpiride 44

misoprostol 4

nizatidine 8,989

Page 16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7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32 소화성궤양용제

omeprazole 1,016

pantoprazole 812

pirenzepine

hydrochloride9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2,022

proglumide 196

ranitidine 34,555

rebamipide 43,129

revaprazan 3,270

roxatidine acetate

hydrochloride1,047

sodium alginate 3,548

sofalcone 2,473

sucralfate 47,709

sulglycotide 1,873

sulpiride 93

temazepam 29

teprenone 7,540

triamcinolone

acetonide3

trimebutine maleate 680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2,291

troxipide 2,103

urogastrone 5

233 건위소화제 pancreatin 65,461

234 제산제

almagate 828,699

calcium carbonate 49,980

cimetidine 268

diclofenac

diethylammonium236

dimethicone 45,882

diomagnate 63,471

hydrotalcite 2,631

magnesium 197,029

ranitidine

hydrochloride2,309

simaldrate 7,890

simvastatin 4

235 최토제, 진토제

chlorpheniramine

maleate6

dimenhydrinate 167

meclizine 52

ondansetron 19

scopolamine 6

Page 16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8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36 이담제

artichoke 1,788

azintamide 809

bisacodyl 77

carduus marianus ext 258

cellulase 156

dihydroxydibutylether 1,319

naphthylacetic acid 104

ursodeoxycholic acid 15,730

237 정장제

acrinol 133

berberine 463

biodiasmin-F 100 288

bismuth subnitrate 166

Clostridium butyricum 492

creosote 1,544

cultured Bacillus

subtilis/Streptococcus

faecium

26,055

dioctahedral smectite 106,872

glimepiride 5

glycyrrhiza extract 795

lactobacillus 65,860

loperamide

hydrochloride39

Saccharomyces

cerevisiae hansen CBS

5926

21,135

scopolia extract 1

Streptococcus faecalis 5,679

thiamine nitrate 21

238 하제, 완장제

agiocur pregranules 28,804

aloe ferox 35

bisacodyl 979

calcium hydrogen

orthophosphate

dihydrate

2,047

cascara sagrada 1,558

choline alfoscerate 313

dehydrocholic acid 25

docusate sodium 8

ispaghula husk 4,221

monosodium

phosphate10,926

PEG 3350 5,965

plantaginis Semen 1,127

Page 16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59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38 하제, 완장제

powdered senna

fructus59

sennae fructus 38,329

sennosides 20

sodium benzoate 12

sodium dihydrogen

phosphate3,203

sodium phosphate 61,623

sodium picosulfate 10

239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aldioxa 31

alibendol 66,535

alverine 3,315

balsalazide disodium 1,163

biodias 191

bromelain 2,894

bromopride 10

calcium polycarbophil 6,107

carnitine hydrochloride 30

cellulase 19

cinnamomi cortex 196

clebopride maleate 124

dexpanthenol 447

domperidone 22,954

glycyrrhizae ra 329

inosiplex 20

itopride hydrochloride 10,511

levosulpiride 9,676

lidamidine

hydrochloride2

magnesium aluminium

metasilicate184

mebeverine

hydrochloride1,824

mesalamine 1,823

mesalazine 657

metoclopramide 643

mosapride citrate 1,339

nifuroxazide 3,001

oxethazaine 45

pancreatin 2,543

papaverine

hydrochloride18

pinaverium bromide 2,387

rhei rhizoma 735

simethicone 3,283

trimebutine 28,190

zingiberis rhizoma 260

Page 16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0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43갑상선,

부갑성호르몬제

carbimazole 12

levothyroxine sodium 13

liothyronine sodium 0

methimazole 119

propylthiouracil 2,453

244 단백동화스테로이드제oxymetholone 4

nandrolonedecanoate 1

245 부신호르몬제

betamethasone 31

deflazacort 41

dexamethasone 217

epinephrine 11

fluocinonide 0

hydrocortisone 200

methylprednisolone 590

norepinephrine 4

prednisolone 1,150

simvastatin 12

titrated centella

asiatica extract10

tocopherol acetate 50

triamcinolone 287

247 난포호르몬제 및황체호르몬제

chlormadinone acetate 75

conjugatedestrogen 4

danazol 5

estradiol 10

estropipate 2

medroxyprogesterone

acetate10

nomegestrol acetate 3

pantoprazole 0

tibolone 98

249기타의 호르몬제

(항호르몬제를 포함)

cyclofenil 469

clomifene 64

danazol 49

256 치질용제 trimebutine 79

259 기타의 비뇨생식기관및 항문용약

centaurium erythraea 44

ononidis radix extract 420

alfuzosin

hydrochloride75

finasteride 126

flavoxate

hydrochloride2,151

methylbenzethonium

chloride5

mirodenafil

hydrochloride46

papaverine

hydrochloride1

Page 16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1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59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policresulen 46

potassium citrate 6,554

povidone-iodine 153

propiverine 391

ritodrine hydrochloride 212

tamsulosin

hydrochloride9

terazosin

hydrochloride3

tolterodine l-tartrate 22

trospium chloride 35

udenafil 295

261외피용

살균소독제povidone-iodine 68,695

264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

aescin 0

alclometasone

dipropionate1

amcinonide 1

benzethonium chloride 0

betamethasone valerate 4

borneol 246

budesonide 0

cajuput oil 0

calamine 7

capsaicin 1

clobetasol propionate 7

crotamiton 663

desonide 10

desoxymethasone 37

dexamethasone

propionate2

dibucaine

hydrochloride135

diclofenac 967

diphenhydramine 3,640

felbinac 178

flurbiprofen 888

fluticasone propionate 0

glycol salicylate 3,724

guaiazulene 2

halcinonide 1

hydrocortisone 586

indometacin 245

indomethacin 69

ketoprofen 11,354

lidocaine 463

menthol 616

methylprednisolone

aceponate1

methylsalicylate 12,20

Page 16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2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64 진통, 진양, 수렴,소염제

mometasone furoate 19

piroxicam 2,178

prednicarbate 82

prednisolone

17-valerate3

salicylic acid 1

thymol 31

tocopheryl acetate 8

triamcinolone

acetonide0

266 피부연화제(부식제를 포함)

adapalene 1

benzoyl peroxide 22

benzyl alcohol 5

dipotassium

glycyrrhizinate0

hydrocortisone 9

lactate 434

salicylic acid 337

sulfur precipitated 26

urea 14,710

267모발용제

(발모, 탈모, 염모,양모제)

calciumpantothenate 181

finasteride 8

methyltestosterone 0

minoxidil 24,782

thioglycollic acid 217

zincpyrithione 23

Page 16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3 -

부록 3-3. 분류번호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419 기타의 세포부활용약 actovegin concentrate 1

421 항악성종양제

carboplatin 24

cisplatin 10

cyclophosphamide 119

cytarabine 13

doxifluridine 1,277

enocitabine 1

etoposide 52

fluorouracil 564

gemcitabine 6

hydroxyurea 247

irinotecanhydrochloride 9

leuprolide acetate 0

megestrol acetate 1,527

mercaptopurine 21

methotrexate 23

mitoxantronehydrochloride 0

oxaliplatin 4

paclitaxel 9

polysaccharide 7,051

tamoxifen citrate 76

tegafur 202

vinblastine sulfate 0

vincristine sulfate 0

429 기타의 종양치료제

aesculushippocastanum L.leaves ext

221

famciclovir 13

levamisolehydrochloride 4

thymomodulin 43

431 방사성 의약물질tetrakiscopper(I)tetrafluoroborate 0

490기타의 조직세포의기능용의약물질

titrated centellaasiatica extract

50

Page 16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4 -

부록 3-4. 분류번호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의 성분별 생산량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11 주로 그람양성균에작용하는 것

amoxicillin 459

arbekacin sulfate 2

benzathinepenicillinG 67

fusidic acid 303

lincomycinhydrochloride 57,246

penicillinGpotassium 651

sodium fusidate 1,136

teicoplanin 55

vancomycinhydrochloride

6,539

612 주로 그람음성균에작용하는 것

amikacin sulfate 1,007

amoxicillin 16,642

aztreonam 68

carumonam sodium 531

ceftibuten 63

colistin sodiummethanesulfonate 3

doxycycline hyclate 104

mecillinam 145

tobramycin 83

613주로 항간성균에작용하는 것

amikacin sulfate 381

cefaclor 1

cefmenoxime 129

cycloserine 427

kanamycin sulfate 737

lincomycinhydrochloride

195

micronomicin 168

rifabutin 30

rifampicin 10,156

streptomycin sulfate 162

tobramycin 85

614주로 그람양성균,리케치아, 비루스에작용하는 것

acetylspiramycin 235

cefixime 19

erythromycin 5,324

josamycin 823

kitasamycin 156

midecamycin acetate 1,857

roxithromycin 2,756

615주로 그람양성,

음성균, 리케치아,비루스에 작용하는 것

amoxicillin 656

chloramphenicol 3,122

doxycycline 3,221

minocyclinehydrochloride 612

tetracyclinehydrochloride 1,571

616 주로 곰팡이, 원충에작용하는 것

clotrimazole 28

griseofulvin 370

nizatidine 322

Page 16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5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17 주로 악성종양에작용하는 것

ceftriaxone sodium 3

dactinomycin 0

doxorubicinhydrochloride

5

daunorubicinhydrochloride 0

epirubicinhydrochloride 1

idarubicinhydrochloride

0

mitomycin C 0

618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amikacin 594

amoxicillin 184,041

ampicillin 1,801

astromicin sulfate 119

bacampicillinhydrochloride

3,390

cefaclor 142,546

cefadroxil* 91,990

cefalexin 4,298

cefamandole nafate 628

cefatrizinepropyleneglycol 2,825

cefazedone sodium 4,233

cefazolin sodium 2,465

cefbuperazone sodium 543

cefcapene pivoxil 822

cefdinir 1,459

cefditoren pivoxil 1,263

cefepime hydrochloride 519

cefetamet pivoxilhydrochloride 235

cefixime 1,785

cefmetazole sodium 6,266

cefminox 1,566

cefodizime sodium 323

cefonicid sodium 121

cefoperazone sodium 1,121

cefotaxime sodium 10,901

cefotetan 1,124

cefotiam 2,307

cefoxitin sodium 670

cefpiramide sodium 600

cefpirome sulfate 23

cefpodoxime proxetil 1,394

cefprozil 1,931

cefradine 32,481

cefroxadine 1,676

ceftazidime 2,738

cefteram pivoxil 283

ceftezole sodium 9,835

Page 17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6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18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ceftizoxime sodium 1,354

ceftriaxone 8,638

cefuroxime 13,813

cephalothin sodium 105

ciclacillin 3,591

cilastatin 513

clarithromycin 47,059

clavulanate potassium* 28,783

doxycyclinehydrochloride

207

flomoxef sodium 1,862

fosfomycin trometamol 36

gentamicin sulfate 813

imipenem 513

isepamicin sulfate 725

levofloxacin 80

loracarbef 317

meropenem 708

methylol cephalexinlysinate 2,176

nafcillin sodium 182

netilmicin sulfate 965

piperacillin 2,271

potassium sorbate 28

ribostamycin 4,196

roxithromycin 3,691

sodium benzoate 5

sodium chloride 0

sulbactam 3,219

sultamicillin tosilate 159

tazobactam 1,679

thiamphenicol 245

ticarcillin sodium 30

tobramycin sulfate 85

619기타의 항생물질

제제(복합항생물질제제를 포함)

amikacin sulfate 13

ampicillin sodium 3,063

clarithromycin 7,784

clindamycin 1,006

Page 17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7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19기타의 항생물질

제제(복합항생물질제제를 포함)

levofloxacin 8

metronidazole 982

piperacillin 1,077

ribostamycin 3,592

sisomicin sulfate 15

spectinomycin 298

spiramycin 1,841

sulbactam sodium 2,017

tazobactam 13

621 설화제

silver sulfadiazine 96

sulfadiazine 490

sulfamethoxazole 12,289

sulfasalazine 11,806

tetroxoprim 20

trimethoprim 2,146

622 항결핵제

calciump-aminosalicylate

2,625

ethambutol 12,721

isoniazid 1,301

isonicotinic acidhydrazide

4,338

prothionamide 495

pyrazinamide 8,631

623 치나제clofazimine 15

dapsone 797

629 기타의 화학료법제

acyclovir 4,487

balofloxacin 556

ciprofloxacin 11,944

enoxacin 101

famciclovir 1,548

fleroxacin 37

fluconazole 2,528

gatifloxacin 605

gemcitabine 56

gemifloxacinmesylate 65

inosiplex 3,034

itraconazole 4,824

levodropropizine 89

levofloxacin 5,141

lomefloxacin 223

metronidazole 2,047

nalidixic acid 500

nelfinavir mesylate 94

norfloxacin 2,456

ofloxacin 12,133

pefloxacin

methanesulfonate12

ribavirin 833

rufloxacin 19

sparfloxacin 15

Page 17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8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29 기타의 화학료법제

taurolidine 192

terbinafine 1,951

tosufloxacin 556

zidovudine 225

641 항원충제

albendazole 291

chloroquine phosphate 752

hydroxychloroquine

sulfate5,296

ketoconazole 928

metronidazole 8,676

ornidazole 58

primaquine 259

secnidazole 192

tinidazole 1,389

642 구충제

albendazole 10,289

flubendazole 3,968

praziquantel 273

Page 17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69 -

부록 4. 의약물질 등 분류번호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예규)

의약품등 분류번호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예규 제196호(2009. 8.24, 제정)

제1조 의약품등 분류번호를 별표와 같이 정한다.

제2조(유효기간) 이 훈령은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훈령을 발령한 후의 법령이

나 현실 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야 하는 2012년 8월 24일까지

효력을 가진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훈령은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종전 예규의 폐지) 종전의 「의약품등분류번호에관한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예규 제7호, 1998.4.16)」은 이를 폐지한다.

Page 17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0 -

[별표]

의 약 품 분 류 표

분류번호 약효분류 분류번호 약효분류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푬

110 중추신경계용약

111 전신마취제

112 최면진정제

113 항전간제

114 해열, 진통, 소염제

115 각성제, 흥분제

116 진훈제

117 정신신경용제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120 말초신경계용약

121 국소마취제

122 골격근이완제

123 자율신경제

124 진경제

125 발한제, 지한제

129 기타의 말초신경용약

130 감각기관용약

131 안과용제

132 이비과용제

139 기타의 감각기관용약

140 알레르기용약

141 항히스타민제

142 자격료법제(비특이성 면역원제포함)

149 기타의 알레르기용약

190 기타의 신경계 및 감각기관용의약물질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

210 순환계용약

211 강심제

212 부정맥용제

213 이뇨제

214 혈압강하제

215 혈관보강제

216 혈관수축제

217 혈관확장제

218 동맥경화용제

219 기타의순환계용약

220 호흡기관용약

221 호흡촉진제

222 진해거담제

223 함소흡입제

229 기타의 호흡기관용약

230 소화기관용약

231 치과구강용약

232 소화성궤양용제

233 건위소화제

234 제산제

235 최토제, 진토제

236 이담제

237 정장제

238 하제, 완장제

239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240 호르몬제(항호르몬제를 포함)

241 뇌하수체호르몬제

242 수액신호르몬제

243 갑상선, 부갑상선호르몬제

244 단백동화스테로이드제

245 부신호르몬제

246 남성호르몬제

247 난포호르몬제 및 황체호르몬제

248 혼합호르몬제

249 기타의 호르몬제(항호르몬제를 포

함)

250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251 요로소독제

252 자궁수축제

253 통경제

254 피임제

255 비뇨생식기관용제(성병예방제포함)

256 치질용제

259 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260 외피용약

261 외피용살균소독제

262 창상보호제

263 화농성질환용제

264 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

265 기생성 피부질환용제

266 피부연화제(부식제를 포함)

267 모발용제(발모, 탈모, 염모, 양모제)

268 욕제

269 기타의 외피용약

290 기타의 개개의 기관용 의약물질

Page 17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1 -

분류번호 약효분류 분류번호 약효분류

300 대상성 의약물질

310 비타민제

311 비타민A 및 D제

312 비타민Bl제

313 비타민B제(비타민Bl을 제외)

314 비타민C 및 P제

315 비타민E 및 K제

316 혼합비타민제(비타민A,D 혼합제를

제외)

319 기타의 비타민제

320 자양강장변질제

321 칼슘제

322 무기질제제

323 당류제

324 유기산제제

325 단백아미노산제제

326 장기제제

327 유유아용제

329 기타의 자양강장변질제

330 혈액 및 체액용약

331 혈액대용제

332 지혈제

333 혈액응고저지제

339 기타의 혈액 및 체액용약

340 인공관류용제

341 인공신장관류용제

349 기타의 인공관류용제

390 기타의 대사성 의약물질

391 간장질환용제

392 해독제

393 습관성중독용제

394 통풍치료제

395 효소제제

396 당뇨병용제

398 종합대사성제제

399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물질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

410 조직부활용약

411 클로로필제제

412 색소제제

419 기타의 세포부활용약

420 종양용약

421 항악성종양제

429 기타의 종양치료제

430 조직세포의 치료 및 진단 목적

431 방사성 의약물질

439 기타의 조직세포의 치료 및 진단

490 기타의 조직세포의 기능용의약물질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

610 항생물질제제

611 주로 그람양성균에 작용하는 것

612 주로 그람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13 주로 항간성균에 작용하는 것

614 주로 그람양성균, 리케치아, 비루스에

작용하는 것

615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 리케치아,

비루스에 작용하는 것

616 주로 곰팡이, 원충에 작용하는 것

617 주로 악성종양에 작용하는 것

618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619 기타의 항생물질 제제(복합항생물질

제제를 포함)

620 화학료법제

621 설화제

622 항결핵제

623 치나제

624 구매제

625 후란계 제제

629 기타의 화학료법제

630 생물학적 제제

631 백신류

632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633 항독소 및 렙토스피라혈청류

634 혈액제제류

635 생물학적 시험용제제류

636 생물학적 제제

639 기타의 생물학적 제제

Page 17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2 -

분류번호 약효분류 분류번호 약효분류

640 기생동물에 대한 의약물질

641 항원충제

642 구충제

649 기타의 기생동물에 대한 의약물질

690 기타의 병원생물에 대한 의약물질

700 치료를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의약물질

및 관련제품

710 조제용약

711 부형제

712 연고기제

713 용해제

714 교미교취착색제

715 유화제

719 기타의 조제용약

720 진단용약

721 X선조영제

722 일반검사용 시약

723 혈액검사용 시약

724 생화학적 검사용 시약

725 면역혈청학적 검사용 시약

726 세균학적 검사용제

727 병리조직검사용 시약

728 기능검사용 시약

729 기타의 진단용약

730 공중위생용약

731 방부제

732 방역용 살균소독제

733 방충제

734 살충제

739 기타의 공중위생용약

740 관련제품

741 캅셀류

790 기타의 치료를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의약물질

791 반창고

799 따로 분류되지 않고 치료를 주목적

으로 하지 않는 의약물질

800 마 약

810 알카로이드 마약(천연)

811 아편알카로이드계 제제

812 코카알카로이드계 제제

819 기타의 알카로이드계 마약(천연마

약)

820 비알카로이드계 마약

821 합성마약

829 기타의 비알카로이드계 마약

890 기타의 마약

900 위생응품

1100 의료용구

2000 화장품

2010 어린이용제품류(의약부외품에 해당되

는 것은 제외)

어린이용 샴푸

어린이용 로숀

어린이용 오일

어린이용 크림

기타 어린이용 제품류

2020 목욕용제품류(의약부외품에 해되는

것은 제외)

목욕용 오일

목욕용 정제

목욕용 캅셀

기타 목욕용 제품류

2030 눈화장용 제품류

아이브라운펜슬

아이라이나

아이샤도우

아이로숀

아이메이컵리무버

마스카라

기타 눈화장용제품류

2040 방향용제품류

코 롱

향 수

분말향

향 낭

기타 방향용 제품류

2050 두발용제품류

헤어컨디쇼너

헤어스프레이

혜어스트레이트너

퍼머넨트웨이브

린 스

샴 푸

토 닉

드레싱

헤어구루밍에이드

웨이브셋트

기타 두발용제품류

2060 염모용제품류(의약부품에 해당 되는

것은 제외)

헤어틴트

헤어칼라 스프레이

기타 염모용제품류

Page 17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3 -

분류번호 약효분류 분류번호 약효분류

2070 메이컵용제품류

볼연지

훼이스파우다

립스틱

화운데이숀

메이컵베이스

루 즈

립그로스

메이컵 획사티브

기타 메이컵용 제품류

2080 메니큐어용제품류

베이스코트 및 안더코트

네일크림

네일로숀

네일익스탠드

네일폴리쉬

네일에나멜

네일폴리쉬리무버

네일에나멜리무버

기타 메니큐어용 제품류

2090 면도용제품류

아프터쉐이브로숀

수염유연제

남성용탈쿰

프리쉐이브로숀

쉐이빙크림

기타 면도용 제품류

2100 기초화장품제품류(의약부외품에 해당되

는 것은 제외)

크린싱제품(콜드크림, 크린싱로숀, 크

린싱리퀴드 및 패드)

얼굴, 신체 및 손제품(크림, 로숀, 파

우다 및 스프레이)

홀몬제품(크림, 로숀, 파우다 및 스프

레이)

모이스춰라이진제품(크림, 로숀,파우

다 및 스프레이)

나이트제품(크림, 로숀, 파우다 및

스프레이)

스킨라이트너

스킨후레쉬너

주름제거제

기타 기초화장용 제품류

2110 일소 및 일소방지용 제품류

썬탄겐

썬탄크림

썬탄리퀴드

옥내일소제품

2190 기타 화장품류(따로 분류되지 않는

화장품)

Page 17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4 -

부록 5. 인체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부록 5-1. 분류번호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부록 5-2. 분류번호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kg 이상 생산된 성

분 (2007)

부록 5-3. 분류번호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부록 5-4. 분류번호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 중 연간 600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Page 17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5 -

부록 5-1. 분류번호 100 (신경계 감각기관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13 항전간제

carbamazepine 8,897

gabapentin 24,724

oxcarbazepine 29,355

phenytoin 2,517

topiramate 2,084

valproic acid 32,433

vigabatrin 1,991

114 해열, 진통, 소염제

aceclofenac 49,791

acemetacin 622

acetaminophen 754,850

aspirin 13,717

clonixin 23,567

dexibuprofen 57,731

dextrose 1,060

diclofenac 5,888

etodolac 6,783

ephedrine 718

fenoprofen 3,610

glucosamine 44,213

ibuprofen 145,792

ibuproxam 2,418

loxoprofen 19,294

mefenamic 51,014

meloxicam 966

morniflumate 3,629

nabumetone 21,103

naproxen 69,274

nimesulide 4,391

oxaprozin 689

piroxicam 877

proglumetacin 1,638

propacetamolhydrochloride

679

riboflavin 8,752

salsalate 876

talniflumate 164,145

tramadol 5,116

zaltoprofen 6,076

116 진훈제 dimenhydrinate 6,157

117 정신신경용제

amitriptyline 1,253

bupropion 1,469

chlorpromazine 2,622

cimicifugae 1,488

fluoxetine 1,041

hypericum 1,133

lithium 6,865

sulpiride 1,666

Page 18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6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117 정신신경용제tofisopam 3,904

trazodone 1,689

119 기타의 중추신경용약

acamprosate 3,281

acetaminophen 2,394

afloqualone 807

amantadine 993

aspartate 2,060

choline alfoscerate 21,032

l-asparatate-L-arginine 1,860

levodopa 2,062

orphenadrine 954

oxiracetam 30,146

piracetam 2,565

121 국소마취제 lidocaine 4,729

122 골격근이완제

acetaminophen 826

chlorphenesin 19,146

eperisone 11,001

methocarbamol 35,279

orphenadrine 606

tolperisone 3,624

123 자율신경계aclatonium 2,282

octylonium 985

124 진경제

acetaminophen 6,260

cimetropium 1,485

phloroglucinol 3,768

scopolamine 647

tiropramide 16,562

131 안과용제

bendazac 1,468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1,747

vaccinium myrtillus 10,220

141 항히스타민제

cetirizine 2,188

chlorphenamine 620

fexofenadine 1,184

oxatomide 971

pseudoephedrine 3,162

142 자격료법제(비특이성면역원제포함)

hydroxychloroquinesulfate

1,600

149 기타의 알레르기용약fexofenadinehydrochloride

949

pranlukast 2,317

190 기타의 신경계 및감각기관용의약물질

acetaminophen 804

Page 18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7 -

부록 5-2. 분류번호 200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11 강심제 aminophylline 6,336

212 부정맥용제arotinololhydrochloride

1,648

flecainide acetate 697

213 이뇨제

acetazolamide 633

furosemide 2,925

hydrochlorothiazide 7,163

214 혈압강하제

atenolol 10,187

carvedilol 2,563

diltiazemhydrochloride

1,743

enalapril maleate 865

eprosartan 16,956

irbesartan 9,782

losartan potassium 6,614

olmesartan medoxomil 2,118

215 혈관보강제

chromocarbdiethylamine 1,186

diosmin 660

flavonoids 7,215

217 혈관확장제

buflomedil 2,497

diltiazemhydrochloride

5,328

isosorbide 2,446

lercanidipine 1,374

nicametate citrate 1,879

trimetazidine 1,165

verapamil 973

218 동맥경화용제

acipimox 655

bezafibrate 2,090

clopidogrel 5,676

fenofibrate 1,733

gemfibrozil 993

mesoglycan sodium 805

simvastatin 3,746

soysterol 792

219 기타의 순환계용약

amlodipine 2,064

aspirin 43,692

atenolol 2,157

calcium dobesilate 5,964

calcium polystyrenesulfonate 57,818

celiprolol 953

cholestyramine resin 1,550

Page 18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8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19 기타의 순환계용약

citicoline 1,150

furosemide 600

nicergoline 986

pentoxifylline 4,268

polystyrene sulfonate 5,173

propranolol 1,057

triflusal 17,242

222 진해거담제

acetylcysteine 59,869

ambroxol 4,964

aminophylline 905

anhydrous

theophylline1,998

bamifylline

hydrochloride1,217

benproperine

phosphate1,394

benzonatate 1,319

bromhexine

hydrochloride625

carbocysteine 3,856

diethylaminoethyl

theophylline

hydrochloride

1,101

doxofylline 15,224

erdosteine 12,016

hederae helix 119,357

ivy 4,582

l-carbocysteine+14,557

levo-cloperastine

fendizoate1,580

levodropropizine 6,276

methyl

N,S-diacetyl-L-cysteinate4,696

myrtol 1,404

pseudoephedrine

hydrochloride12,240

s-carboxymethylcysteine 5,277

sobrerol 5,790

thenothiola sodium 5,011

theophylline 5,219

229 기타의 호흡기관용약

acebrophylline 2,795

acepifylline 8,413

alibendol 956

diprophylline 831

Menthae Herba 882

Page 18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79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32 소화성궤양용제

benexate betadex

hydrochloride6,356

boehmite 94,266

cimetidine 141,576

ecabet sodium 31,005

famotidine 3,114

lansoprazole 1,100

nizatidine 8,989

omeprazole 1,016

pantoprazole 812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2,022

ranitidine 34,555

rebamipide 43,129

revaprazan 3,270

roxatidine acetate

hydrochloride1,047

sodium alginate 3,548

sofalcone 2,473

sucralfate 47,709

sulglycotide 1,873

teprenone 7,540

trimebutine maleate 680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2,291

troxipide 2,103

233 건위소화제 pancreatin 65,461

234 제산제

almagate 828,699

calcium carbonate 49,980

dimethicone 45,882

diomagnate 63,471

hydrotalcite 2,631

magnesium 197,029

ranitidine

hydrochloride2,309

simaldrate 7,890

236 이담제

artichoke 1,788

azintamide 809

dihydroxydibutylether 1,319

ursodeoxycholic acid 15,730

237 정장제

creosote 1,544

dioctahedral smectite 106,872

glycyrrhiza extract 795

saccharomyces

cerevisiae hansen CBS

5926

21,135

streptococcus faecalis 5,679

Page 18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0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38 하제, 완장제

agiocur pregranules 28,804

bisacodyl 979

calcium hydrogen

orthophosphate

dihydrate

2,047

cascara sagrada 1,558

ispaghula husk 4,221

monosodium

phosphate10,926

PEG 3350 5,965

plantaginis Semen 1,127

sennae fructus 38,329

sodium dihydrogen

phosphate3,203

sodium phosphate 61,623

239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alibendol 66,535

alverine 3,315

balsalazide disodium 1,163

bromelain 2,894

calcium polycarbophil 6,107

domperidone 22,954

itopride hydrochloride 10,511

levosulpiride 9,676

mebeverine

hydrochloride1,824

mesalamine 1,823

mesalazine 657

metoclopramide 643

mosapride citrate 1,339

nifuroxazide 3,001

pancreatin 2,543

pinaverium bromide 2,387

rhei rhizoma 735

simethicone 3,283

trimebutine 28,190

243 갑상선,부갑성호르몬제

propylthiouracil 2,453

245 부신호르몬제 prednisolone 1,150

259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flavoxate

hydrochloride2,151

potassium citrate 6,554

261외피용

살균소독제povidone-iodine 68,695

264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

crotamiton 663

diclofenac 967

diphenhydramine 3,640

flurbiprofen 888

glycol salicylate 3,724

ketoprofen 11,354

Page 18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1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264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

menthol 616

methylsalicylate 12,220

piroxicam 2,178

266 피부연화제(부식제를 포함)

urea 14,710

267모발용제

(발모, 탈모, 염모,양모제)

minoxidil 24,782

Page 18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2 -

부록 5-3. 분류번호 400 (조직세포의 기능용)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421 항악성종양제

doxifluridine 1,277

megestrol acetate 1,527

polysaccharide 7,051

Page 18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3 -

부록 5-4. 분류번호 600 (항병원생물성) 의약물질 중 연간 600 kg 이상 생산된 성분

(2007)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11주로 그람양성균에작용하는 것

lincomycinhydrochloride 57,246

penicillin G 651

sodium fusidate 1,136

vancomycinhydrochloride 6,539

612 주로 그람음성균에작용하는 것

amikacin sulfate 1,007

amoxicillin 16,642

613주로 항간성균에작용하는 것

kanamycin sulfate 737

rifampicin 10,156

614주로 그람양성균,리케치아, 비루스에작용하는 것

erythromycin 5,324

josamycin 823

midecamycin acetate 1,857

roxithromycin 2,756

615주로 그람양성,

음성균, 리케치아,비루스에 작용하는 것

amoxicillin 656

chloramphenicol 3,122

doxycycline 3,221

minocyclinehydrochloride 612

tetracyclinehydrochloride 1,571

618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amoxicillin 184,041

ampicillin 1,801

bacampicillinhydrochloride

3,390

cefaclor 142,546

cefadroxil* 91,990

cefalexin 4,298

cefamandole nafate 628

cefatrizinepropyleneglycol 2,825

cefazedone sodium 4,233

cefazolin sodium 2,465

cefcapene pivoxil 822

cefdinir 1,459

cefditoren pivoxil 1,263

cefixime 1,785

cefmetazole sodium 6,266

cefminox 1,566

cefoperazone sodium 1,121

cefotaxime sodium 10,901

cefotetan 1,124

cefotiam 2,307

cefoxitin sodium 670

cefpiramide sodium 600

cefpodoxime proxetil 1,394

Page 18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4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18 주로 그람양성,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cefprozil 1,931

cefradine 32,481

cefroxadine 1,676

ceftazidime 2,738

ceftezole sodium 9,835

ceftizoxime sodium 1,354

ceftriaxone 8,638

cefuroxime 13,813

ciclacillin 3,591

clarithromycin 47,059

clavulanate potassium* 28,783

flomoxef sodium 1,862

gentamicin sulfate 813

isepamicin sulfate 725

meropenem 708

methylol cephalexinlysinate

2,176

netilmicin sulfate 965

piperacillin 2,271

ribostamycin 4,196

roxithromycin 3,691

sulbactam 3,219

tazobactam 1,679

619기타의 항생물질

제제(복합항생물질제제를 포함)

ampicillin sodium 3,063

clarithromycin 7,784

clindamycin 1,006

metronidazole 982

piperacillin 1,077

ribostamycin 3,592

spiramycin 1,841

sulbactam sodium 2,017

621 설화제

sulfamethoxazole 12,289

sulfasalazine 11,806

trimethoprim 2,146

622 항결핵제

calciump-aminosalicylate

2,625

ethambutol 12,721

isoniazid 1,301

isonicotinic acidhydrazide

4,338

pyrazinamide 8,631

Page 18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5 -

분류번호 약효분류 성분명 국내 생산량(kg)

623 치나제 dapsone 797

629 기타의 화학료법제

acyclovir 4,487

ciprofloxacin* 11,944

famciclovir 1,548

fluconazole* 2,528

gatifloxacin 605

inosiplex 3,034

itraconazole 4,824

levofloxacin 5,141

metronidazole 2,047

norfloxacin 2,456

ofloxacin 12,133

ribavirin 833

terbinafine 1,951

641 항원충제

chloroquine phosphate 752

hydroxychloroquine

sulfate5,296

ketoconazole 928

metronidazole 8,676

tinidazole 1,389

642 구충제albendazole 10,289

flubendazole 3,968

Page 19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6 -

부록 6. 한강 PhATETM 모의 결과

PhATETM

modeled segmental concentrations of the selected pharmaceuticals

graph results

1) Aceclofenac 2) Acepifylline

3) Acetaminophen 4) Acetylcysteine

5) Albendazole 6) Alibendol

Page 19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7 -

7) Almagate 8) Amoxicillin

9) Aminophylline 10) Aspirin

11) Atenolol 12) Benexate betadex hydrochloride

Page 19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8 -

13) Boehmite 14) Carbamazepine

15) Cefaclor 16) Cefadroxil

17) Cefmetazole sodium 18) Cefotaxime sodium

Page 19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89 -

19) Cefradine 20) Ceftezole sodium

21) Ceftriaxone 22) Cefuroxime

23) Chlorphenesin 24) Choline alfoscerate

Page 19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0 -

25) Cimetidine 26) Ciprofloxacin

27) Clarithromycin 28) Clavulanate potassium

29) Clonixin 30) Dexibuprofen

Page 19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1 -

31) Diltiazem hydrochloride 32) Dimenhydrinate

33) Dimethicone 34) Dioctahedral smectite

35) Diomagnate 36) Domperidone

Page 19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2 -

37) Doxofylline 38) Ecabet sodium

39) Eperisone 40) Eprosartan

41) Erdosteine 42) Ethambutol

Page 19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3 -

43) Etodolac 44) Flavonoids

45) Gabapentin 46) Glucosamine

47) Hederae helix 48) Hydrochlorothiazide

Page 19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4 -

49) Ibuprofen 50) Irbesartan

51) Itopride hydrochloride 52) Ketoprofen

53) I-carbocysteine 54) Levodropropizine

Page 19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5 -

55) Levosulpirde 56) Lincomycin

57) Lithium 58) Losartan potassium

59) Loxoprofen 60) Mefenamic

Page 20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6 -

61) Methocarbamol 62) Methylsalicylate

63) Metronidazole 64) Minoxidil

65) Nabumetone 66) Naproxen

Page 20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7 -

67) Nizatidine 68) Ofloxacin

69) Oxiracetam 70) Pancreatin

71) Polysaccharide 72) Potassium citrate

Page 20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8 -

73) Povidine-iodine 74) Pseudoephedrine hydrochoride

75) Pyrazinamide 76) Ranitidine

77) Rebamipide 78) Riboflavin

Page 20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199 -

79) Ribostamycin 80) Rifampicin

81) Roxithromycin 82) Sennae fructus angustrfolia

83) Simaldrate 84) Sucralfate

Page 20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0 -

85) Sulfamethoxazole 86) Sulfasalazine

87) Talniflumate 88) Teprenone

89) Tiropramide 90) Triflusal

Page 20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1 -

91) Trimebutine 92) Urea

93) Ursodeoxycholic acid 94) Valproic acid

95) Vancomycin 96) Zaltoprofen

Page 20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2 -

부록 7. 수산용 의약물질 관련 법체계 (국립수산과학원, 2008)

알아두면 도움되는 수산용 의약물질 알아두면 도움되는 수산용 의약물질

관련법규관련법규

여기에 기재된 법규 내용은 양식어업인이 알기 쉽게 수산용 의

약물질과 관련되는 조항을 발췌하여 요약하였으니, 자세한 사항

은 본 책자의 “참고가 되는 홈페이지주소”에서 해당 법률명으

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약사법(법률 제8852호, 일부개정 2008.2.29)

가. 제2조(정의)

○ 제4호 : 의약물질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을

말한다.

㉮ 대한약전에 실린 물품 중 의약외품이 아닌 것

㉯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

하는 물품 중 기구·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 제7호 : 의약외품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제4

호㉯목 또는 ㉰목에 따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은 제외한다)으로서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지정하는 것을 말함.

㉮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

되는 섬유·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 전염병 예방을 위하여 살균·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나. 제85조(동물용 의약물질 등에 대한 특례)

○ 제1항 :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의 소관사항 중 동물용으로만 사용하는 목

적의 의약물질 또는 의약외품에 관한 소관부서는 농림수산식품부이고,

해당규정의 농림부령을 발할 때는 식품의약품안전청장과 협의하여야

함.

Page 20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3 -

○ 제2항 : 동물용의약물질의 사용 기준을 정할 수 있음.

○ 제3항 : 제2항에 따라 사용기준이 정해진 동물용 의약물질을 사용하는

자는 그 기준을 준수해야 하나, 수의사 및 수산질병관리사의 진료 또는

처방에 따라 사용할 경우는 그 기준을 지키지 않아도 됨.

○ 제5항 : 기르는어업육성법에 따른 수산질병관리원 개설자는 제44조에도

불구하고 수산생물양식자에게 수산생물용 의약물질 판매 가능

다. 제98조(과태료)

○ 제1항 : 각호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제10호 : 제85조(동물용의약물질 등에 대한 특례) 제3항(사용 기준 준

수)을 위반하여 동물용의약물질의 사용 기준을 지키지 아니

한 자

○ 참고 : 약사법시행령 제39조(과태료의 부과․징수절차)

□ 동물용의약품등 취급규칙(일부개정 2008.5.19 농림수산식품부령 제9

호)

※ 약사법에 의거 실제적인 약품의 제조, 수입, 판매 등에 관한 사항을 규

가. 제2조(정의)

○ 제1항제1호 : 동물용의약물질이라 함은 동물용으로만 사용함을 목

적으로 하는 의약물질으로, 수산용 및 애완용(관상어 포함) 의약물질을

포함.

○ 제1항제2호 :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이라 함은 어패류 등에 사용함

을 목적으로 하는 동물용의약물질

○ 제1항제3호 : 동물용의약외품이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함.

㉮ 구중청량제·욕용제(浴用劑)·세척제·탈취제 등 애완용제제, 축사소독제,

해충의 구제제 및 영양 보조제로서의 비타민제 등 동물에 대한 작용

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 제1항제6호 :사료첨가제라 함은 비타민제·푸로비타민제·항생물질·항

균제·항산화제·항곰팡이제·효소제·생균 제·아미노산제 및 미량광물질등

사료에 첨가하여 질병의 예방, 결핍물의 보충, 사료효율의 증진 및 성

장촉진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동물용의약물질 또는 동물용의약외품을

Page 20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4 -

말함.

나. 제4조(동물용의약물질 등의 제조업 허가신청 등)

○ 동물용 의약물질을 제조하는 자는 소정의 서류들을 첨부하여 검역원장

에게 제출

다. 제5조(동물용의약물질 등의 제조품목 허가 신청 등)

○ 동물용 의약물질의 제조품목허가를 받으려 하는 자는 소정의 서류들을

첨부하여 검역원장에게 제출

라. 제46조(동물용의약물질의 안전사용기준)

○ 검역원장은 동물용의약물질의 사용으로 인한 공중위생상 위해를 방지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 법제85조제2항에 의해 동물용의

약물질 안전사용기준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음.

○ 제2호 : 동물용의약물질의 오용·남용 방지를 위한 사용대상동물, 용법·

용량 및 사용금지기간 등

□ 동물용의약물질의 안전사용기준(국립수의과학검역원 고시 제

2007-25호 2008.1.2)

※ 사용대상어종, 용법 및 용량, 휴약기간의 준수

가. 제1조(목적)

○ 약사법 제85조제2항 및 동물용의약품등 취급규칙 제46조의 규정에 의해

동물의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용의약물질의

안전사용기준을 정함으로써 동물체내에 잔류로 인한 국민 건강의 위해

를 방지함이 목적

나. 제2조(정의)

○ 제1호 : “동물용의약물질”이라 함은 동물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사용하는 의약물질

○ 제2호 :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이라 함은 수생동물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사용하는 동물용의약물질

○ 제3호 : 대상동물이라 함은 식용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어류 등

○ 제4호 : 휴약기간이라 함은 식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동물용의약물

질을 일정기간 사용을 금지하는 기간

○ 제5호 :출하제한기간이라 함은 수의사 또는 수산질병관리사의 진료

또는 처방에 의하여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을 사용한 경우 동물 체내

잔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하전 일정기간 출하를 제한하는 기간

다. 제3조(사용자의 준수사항)

Page 209: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5 -

○ 법 제85조제3항 및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 제46조의 규정에 의하여 동

물용의약물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음 사항을 준수

○ 제1호 : 별표 1에 제시한 동물용의약물질을 사용할 때에는 대상동물,

용법 및 용량과 휴약기간을 준수해야 함.

○ 제2호 : 수의사 또는 수산질병사관리사의 처방에 의하여 별표 1에 제시

한 대상동물 이외의 동물에 사용하거나 용량을 증량하여 사용할 경우,

수의사 또는 수산질병관리사의 출하제한지시서에 의한 출하제한기간을

준수해야 함.

○ 제4호 : 별표 1에 제시되어 있지 아니한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로서 식품

위생법 제7조제1항에 따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품목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제품의 포장 및 용기 등에 표시된 사항인 대상동물(어종), 용법용량

및 휴약기간을 준수해야 함.

라. 제4조(수의사 또는 수산질병관리사의 사용특례)

○ 법제85조제3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수의사 또는 수산질병관리사의

진료 또는 처방에 의하여 동물용의약물질 또는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

을 사용할 경우, 대상동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게 출하제한지시서

를 발급해야 하고, 이 경우 이 기준에서 정한 휴약기간 이상의 기간

을 출하제한기간으로 지시하여야 함.

Page 210: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6 -

동물용의약물질 대상 동물 용 법 · 용 량 휴약기간

후로르페니콜

(Florfenicol)

방어, 송어, 은어,

뱀장어

1일 용량으로 체중 kg당 10mg이하 양을 사료 혼합

경구투여

방어 5일

송어, 은어14일, 뱀장어 7

후루메퀸

(Flumequine)

방어, 광어, 송어,

잉어, 붕어, 뱀장어

1일 용량으로 체중 kg당 20mg이하 양 사료 혼합하여

경구투여

방어, 광어, 송어, 잉어,

붕어, 뱀장어 8일

옥소린닉산

(Oxolinic acid)

방어

송어

잉어

뱀장어

1일 용량으로 체중 kg당 30mg이하 양 사료 혼합하여

경구투여

1일 용량으로 체중 kg당 20mg이하 양 사료 혼합하여

경구투여

1일 용량으로 체중 kg당 10mg이하 양 사료 혼합하여

경구투여

1일 용량으로 체중 kg당 20mg이하 양 사료 혼합하여

경구투여

방어 16일

송어 21일

잉어 28일

뱀장어 25일

옥소린닉산

(Oxolinic acid)

뱀장어

은어

5g을 물 1톤에 녹여 약욕

10g을 물 1톤에 녹여 약욕

뱀장어 25일

은어 14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Oxytetracycline)

방어, 뱀장어, 송어,

참돔, 넙치, 조피볼락,

담수어(잉어, 메기)

1일 용량으로 체중 1kg당 50mg(역가) 이하 양 사료

혼합 경구투여

방어 20일, 뱀장어 20일,

송어 30일, 참돔 20일, 넙

치 40일, 조피볼락 20일,

담수어(잉어, 메기) 20일

포르말린

넙치약욕시 투여량(ml/물 1톤)은 100-200ml, 1시간

※ 배출방법 : 처리용수의 20배이상 희석하여 배출

100도일(degree day)

100

= --------

수온(℃)

어란(무지개 송어

및 연어)

약욕시 투여량(ml/물 1톤)은 1,000-2,000ml, 1시간

※ 배출방법 : 처리용수의 200배이상 희석하여 배

-

【별표 1】

□ 안전성 및 유효성 문제성분 함유제제 등에 관한 규정(국립수

의과학검역원 고시 제2006-7호 2006.11.30, 일부개정안 입안예고 국립수의

과학검역원 공고 제2008-154호 2008.09.22)

가. 제1조(목적)

○ 이 규정은 약사법 제26조제8항 및 제34조제5항, 의료기기법 제6조제7항

및 동법 제14조제5항,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 제8조제1항제1호 및 제7

호의 규정에 의하여 안전성․유효성 문제성분 함유제제와 소해면상뇌

증 등 위해질병의 감염우려가 있는 원료성분 함유품목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제조․수입품목 허가(신고)를 제한 또는 금지함으로써 동물용의

약물질 등의 제조․수입관리에 적정을 기함을 목적

나. 제2조(안전성 및 유효성 문제성분 함유제제)

○ 동물용의약품등취급규칙 제8조제1항제1호의 규정에 의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제제는 다음 각 호와 같음.

1. 무기비소제제

2. 피리메타민제제(다만, 수의사 진료용 주사제는 제외한다)

3. 항갑상선물질

Page 211: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7 -

4. 성장촉진홀몬제(다만, 생체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성분과 그 유도체

및 시험기관에서 무해함이 인정된 제제는 제외한다)

5. 니트로후란제제(후라졸리돈, 후랄타돈, 니트로푸라존, 니트로빈 및 니트로

푸란토인 등)

6. 클로람페니콜 제제 (다만, 외용제는 제외한다.)

7. 디메트리다졸

8. 기타 발암성 등 안전성 및 유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당펩

타이드계 항생제(아보파신, 반코마이신 등), 클로르프로마진, 클렌부

테롤, 이프로니다졸, 말라카이트-그린, 콜치신, 스트리키닌, 디에칠스

틸베스트롤, 유기염소제 및 클로르포름 함유제제

□ 수산업법(일부개정 법률 제8852호 2008.2.29)

가. 제77조(자원보호에 관한 명령)

○ 제1항제5호 : 수산동식물에 해로운 물체나 물질을 버리거나 흘리는 행

위, 수질의 오탁(汚濁) 및 오염에 대한 제한이나 금지

○ 제1항제6호 : 수산동식물의 병해 방지에 관한 사항과 양식 및 병해 방

지를 목적으로 하는 약품 또는 물질의 사용에 관한 제한이나 금지

□ 수산자원보호령(일부개정 대통령령 제20677호 2008.2.29)

가. 제19조(자원보호를 위한 수질보전 등)

○ 제1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법 제77조제1항제5호나

제6호에 따라 관계 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수산동식물의 번식·보호를 위

한 수질보전의 기준을 정하고 양식이나 병해방지를 위한 약품 및 물질

의 사용기준과 그 사용의 제한·금지에 관한 사항을 정함.

○ 제2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수질보전

의 기준을 정하거나 약품 및 물질의 사용기준을 정하고 그 사용을 제

한·금지하는 경우에는 즉시 고시하여야 함.

○ 제3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정한 기준

에 맞는 수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관계 부처의 장

과 협의하여 관계인에게 시정 및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지시할 수 있

음.

나. 제37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 제3항 : 제19조에 따른 제한·금지 사항을 위반한 자

Page 212: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8 -

□ 수산동물질병관리법(법률 제8789호 2007.12.21, 법률 제8852호

2008.2.29 일부개정, 법 시행일, 2008.12.22)

○ 제40조 (허가받지 아니한 의약물질 등의 사용제한 등) :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수산동물양식시설에서 수산용 의약물질이 오·남용되거나 허가를

받지 아니한 의약물질 또는 화학물질의 사용으로 인하여 농림수산식품

부령으로 정하는 공중위생상의 중대한 위해는 발생할 우려는 공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수산동물양식자에게 해당 수산용 의약물질 또는 허

가받지 아니한 의약물질 또는 화학물질에 대한 사용제한 또는 사용금

지를 명할 수 있음.

○ 동법 시행규칙 제40조(수산동물용의약물질 등의 사용제한)

- 제40조(수산동물용의약물질 등의 사용제한) 법 제40조 전단에서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공중위생상의 중대한 위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해를

말한다.

1. 수산동물 체내의 잔류물로 인한 국민건강에의 위해

2. 수질 또는 수중 생태계의 심각한 오염이나 파괴

Page 213: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09 -

수산동물용의약물질로 사용제한 물질 (제40조제2항 관련)

1. 무기비소제제

2. 피리메타민제제(다만, 수의사 진료용 주사제는 제외한다)

3. 항갑상선물질

4. 성장촉진홀몬제(다만, 생체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성분과 그 유도체 및 시험기

관에서 무해함이 인정된 제제는 제외한다)

5. 니트로후란제제(후라졸리돈, 후랄타돈, 니트로푸라존, 니트로빈 및 니트로푸란토인 등)

6. 클로람페니콜 제제 (다만, 외용제는 제외한다.)

7. 디메트리다졸

8. 발암성 등 안전성 및 유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당펩타이드계 항생제(아보

파신, 반코마이신 등), 클로르프로마진, 클렌부테롤, 이프로니다졸, 말라카이트-그린,

콜치신, 스트리키닌, 디에칠스틸베스트롤, 유기염소제 및 클로르포름 함유제제

9. 시프로플록사신, 노플록사신, 페플록사신, 오플록사신(단, 2008.6.30일까지 제조된

제품의 경우, 제품 유효기간까지 사용 가능)

10. 메틸렌블루, 과망간산칼륨, 황산동, 차아염소산칼륨

11. 기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2조제3호 및 제4호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시행령

제2조 규정에 따른 유독물 및 관찰물질. 단, 약사법 제85조에 의거 수산동물용

의약물질로 허가받은 물질은 제외한다.

Page 214: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10 -

항생제 유효성분명기준치

(㎎/㎏)구분 식약청 관련고시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0.2 어류, 갑각류 제2004-18호(2004.3.2)플루메퀸(Flumequine) 0.5 어류, 갑각류 제2006-15호(2006.4.20)

옥소린산(Oxolinic acid) 0.1 어류, 갑각류 제2006-15호(2006.4.20)엔로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합계(Enrofloxacin,

ciprofloxacin)

0.1 어류, 갑각류 제2006-15호(2006.4.20)

옥시테트라싸이클린,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테트라싸이클린

합계(Oxytetracycline,

0.2어류, 갑각류,

전복제2007-63호(2007.9.6)

◇ 수산용 의약물질(항생․항균물질) 잔류허용기준

□ 기타 참고 법률

■ 식품의 기준 및 규격중 개정(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51호

2008.8.13)

○ 식품위생법 제7조제1항의 규정에 의해 식품공전 제2. 식품일반에 대한

공통기준 및 규격, 5. 식품의 기준 및 규격, (11) 동물용의약물질의 잔

류허용기준 설정

○ 잔류동물용의약물질의 기준 적용

① 관련법령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조

또는 수입 품목허가를 하지 아니하는 동물용의약물질(대사물질 포함)

은 검출되어서는 안됨. 이에 해당되는 주요 물질은 아래와 같으며, 아

래에 명시하지 않은 물질에 대해서도 관련법령에 근거하여 본 항을

적용할 수 있음.

번호 식품 중 검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물질

1

니트로푸란{푸라졸리돈(Furazolidone), 푸랄타돈(Furaltadone), 니트로푸라

존(Nitrofurazone), 니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e), 니트로빈(Nitrovin)

등} 제제 및 대사물질2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3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 및 대사물질4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DES)5 디메트리다졸(Dimetridazole)6 클렌부테롤(Clenbuterol)

7 반코마이신(Vancomycin)8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9 티오우라실(Thiouracil)

10 콜치신(Colchicine)11 피리메타민(Pyrimethamine)12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Page 215: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11 -

chlortetracycline, tetracycline)

독시싸이클린(Doxycycline) 0.05 어류 제2007-63호(2007.9.6)아목시실린(Amoxicillin) 0.05 어류, 갑각류 제2007-63호(2007.9.6)암피실린(Ampicillin) 0.05 어류, 갑각류 제2007-63호(2007.9.6)설파제 총합(14종)* 0.1 어류 제2007-63호(2007.9.6)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불검출 어류, 갑각류 제2008-51호(2008.8.13)오플록사신(Ofloxacin)** 불검출 어류, 갑각류 제2008-51호(2008.8.13)

페플록사신(Pefloxacin)** 불검출 어류, 갑각류 제2008-51호(2008.8.13)린코마이신(Lincomycin)** 0.1 어류, 갑각류 제2008-51호(2008.8.13)콜리스틴(Colistin)** 0.15 어류, 갑각류 제2008-51호(2008.8.13)

기준치 미설정 항생제*** 0.03 수산물 제2008-51호(2008.8.13)

* 설파제 총합: 설파클로르피리다진(Sulfachlorpyridazine), 설파디아진

(Sulfadiazine), 설파디메톡신(Sulfadimethoxine), 설파메톡시피리다진

(Sulfamethoxypyridazine), 설파메라진(Sulfamerazine), 설파메타진

(Sulfamethazine, Sulfadimidine), 설파메톡사졸(Sulfamethoxazole), 설파모

노메톡신(Sulfamonomethoxine), 설파티아졸(Sulfathiazole), 설파퀴녹살린

(Sulfaquinoxaline), 설파독신(Sulfadoxine), 설파페나졸(Sulfaphenazole),

설피속사졸(Sulfisoxazole), 설파클로르피라진(Sulfachlorpyrazine,

Sulfaclozine)의 합

** 시행일: 2008년 11월1일, *** 시행일: 2010년 1월1일

♣ 2008년도 현재 입안예고 중인 잔류허용기준치

항생제(농약) 유효성분명기준치

(㎎/㎏)구분 식약청 입안예고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0.2 어류, 갑각류 공고 제2008-95호(2008.5.29)

델타메쓰린(Deltamethrin) 0.03 어류 공고 제2008-95호(2008.5.29)

■ 수산물품질검사법,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법률 제9009호 2008.3.28

일부개정)

가. 법 제42조(수산물의 안전성조사)

○ 제1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수산물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확보를 위

하여 다음 각 호의 자재 등과 수산물에 남아 있는 중금속, 패류독소,

식중독균, 항생물질, 그 밖에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유해물질이

생산단계인 수산물의 경우에는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허용기준

을 넘는지를, 저장단계 및 출하되어 거래되기 이전 단계인 수산물의 경

우에는 「식품위생법」 등 관계 법령에 따른 잔류허용기준을 넘는지를

각각 조사(이하 "안전성조사"라 한다)하여야 함.

나. 법 제43조 (안전성조사 결과에 대한 조치)

Page 216: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12 -

○ 제1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안전성조사 결과 남아 있는 중금속, 패

류독소, 식중독균, 항생물질, 그 밖에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유

해물질이 제42조제1항에 따른 허용기준이나 잔류허용기준을 넘는 경우

에는 생산ㆍ저장 또는 출하하는 자에게 서면으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하여야 함. 다만, 제2호의 조치는 생산단계에

서만 할 수 있음.

1. 허용기준이나 잔류허용기준의 초과 사실 통지

2. 용수ㆍ어장ㆍ자재 등의 개량명령과 이용ㆍ사용의 금지

3. 그 수산물의 출하연기명령, 용도전환명령 또는 폐기명령과 처리 방법

의 지정

○ 제2항 : 제1항에 따른 조치를 받은 수산물의 생산자는 조치 내용에 따

라 용수ㆍ어장ㆍ자재 등을 개량하거나 그 이용ㆍ사용의 중지 또는 그

수산물에 대하여 출하연기, 용도전환 또는 폐기 등을 하여야 함.

○ 제3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조치를 받은 수산물의 저

장자나 출하자가 통지된 내용에 따라 그 수산물에 대하여 출하연기, 용

도전환 또는 폐기 등을 하지 아니하면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

고 관계 법령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하여 줄 것을 요청하여야 함.

다. 법 제46조(출입, 조사, 시료 채취 등)

○ 제1항 :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

항의 확인ㆍ조사ㆍ점검ㆍ검사ㆍ재검사ㆍ검역 또는 재검역을 위하여 필

요하면 관계 공무원으로 하여금 해당 영업장소, 사무소, 창고, 항공기,

선박, 해양시설, 양식시설이나 그 밖의 유사한 장소에 출입하여 수산물,

수산가공품, 자재, 시설, 오염물질 및 동물용의약물질 등에 대하여 확인

ㆍ조사ㆍ점검ㆍ검사ㆍ재검사ㆍ검역 또는 재검역하게 하거나 필요한 최

소량의 시료를 무상으로 채취ㆍ수거하게 할 수 있으며 영업 관계의 장

부나 서류를 열람(이하 "출입등"이라 한다)하게 할 수 있다.

5. 제24조의3에 따른 오염물질의 배출, 가축의 사육행위 및 동물용의약

물질의 사용 여부 확인ㆍ조사

9. 제42조에 따른 안전성조사

○ 제2항 : 제1항에 따라 관계 공무원이 출입등을 하는 때에는 수산물, 수산

가공품, 자재, 시설, 오염물질 및 동물용의약물질 등의 생산자, 가공자,

소유자, 점유자, 판매자 또는 관리인 등은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부

ㆍ방해 또는 기피하여서는 안됨.

라. 시행령 제38조(잔류허용기준 초과사실의 조치 및 처리방법)

Page 217: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13 -

○ 법 제43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

의 1의 경우에 따라 조치하여야 함.

1. 수산물에 잔류된 유해물질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해·소실되어 일

정기간이 지난 후 당해 수산물을 식용으로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 유해물질이 법 제42조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농

림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허용기준 또는 「식품위생법」등 관계법령에

의한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감소하는 기간까지 출하연기(생산단계 및

저장단계에 있는 수산물에 한한다)

2. 수산물에 잔류된 유해물질의 분해·소실기간이 길어 당해 수산물을 식

용으로 출하할 수는 없으나 사료·공업용원료 등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 다른 용도로의 전환

3. 제1호 또는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방법에 따라 수산물을 처리할 수 없

는 경우 : 폐기

마. 시행규칙 제69조(유해물질의 잔류허용기준)

○ 법 제4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잔류허용기준은 다음 각호의 유해물질

을 대상으로 하여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

1. 항생물질 : 옥시테트라싸이클린

5. 그 밖에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수산물의 안전성확보 및 국민의 건강보

호를 위하여 특히 조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유해물질

■ 친환경수산물인증에 관한 세부실시요령(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고시 제2008-4호 2008.8.4)

○ 제8조(생산과정조사 등)

․제2호: 제1항에 따른 생산과정조사요령은 별표 2와 같으며, 조사회수는

반기 1회 이상 실시함. 다만, 소비자단체, 유통업체 등의 조사 요청 및

지원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에는 수시로 조사를 할 수 있음.

〔별표 2〕

친환경수산물인증품 생산과정 조사요령(제8조관련)

□ 단계별 조사항목

1. 종묘입식단계

◦ 종묘의 구입내역(일시, 품명, 구입처, 구입량, 무병증명서 등), 양식어장이 친환경수산물

인증을 받은 양식어장과 일치 여부 등

2. 양식관리단계

◦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의 사용내역과 기록유지 여부, 유기산 등의 화학물질 사용여부.

수산용 동물용의약물질 등의 사용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 양식어장에서 의심이

가는 시료를 채취하여 잔류물질 분석실시

Page 218: 잔류의약물질환경위해성평가2 수정보고서 100609d[1] - me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4979.pdf · 2015-11-03 · bo p bo qbo rsbo ti= uvbo ()wp ()x eyp

- 214 -

〈참고가 되는 홈페이지 주소〉

○ 수산동물방역센터(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운영)- http://fdcc.nfrdi.re.kr/main/main.jsp

○ 동물약품편람(수산용 의약물질 제품) 검색(한국동물약품협회 운영)- http://lwoffice.co.kr/kvpd/

○ (사)한국동물약품협회 제품명 검색- http://kahpa.or.kr/index_k.htm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법령정보- http://www.nvrqs.go.kr/Main_Index.asp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동물약품 정보- http://www.nvrqs.go.kr/Ex_Work/Animal_medicine/main.asp

○ 식품의약품안전청 법령정보- http://kfda.go.kr/index2.html

○ 법제처 종합법령센터- http://www.klaw.go.kr/

○ 국립수산과학원- http://www.nfrdi.re.kr/

○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http://www.nfpqis.go.kr/

○ 농림수산식품부- http://www.mifaf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