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
최종보고서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2015. 5.

지역거버넌스활성화를위한 현안과제해결방안연구webbook.me.go.kr/DLi-File/091/025/002/5622449.pdf · 제출문 환경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지역거버넌스활성화를위한현안과제해결방안연구“”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최종보고서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2015. 5.

  • 제 출 문

    환경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5. 5.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구진

    ▣ 연구책임자 오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부교수: ( )

    연 구 원 김성균 성결대학교 지역사회과학부 겸임교수: ( )▣

    연 구 원:▣ 오병용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총장( )

    연 구 원:▣ 김현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

    연구보조원 주 원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기획팀장: ( )▣

  • - i -

    CONTENTS

    요약문 ·······························································································································································ⅶ

    제 장 서론1

    연구의 필요성1.1 ·························································································································· 1

    연구의 목적1.2 ····························································································································· 3

    연구의 범위와 방법1.3 ················································································································· 3

    제 장 지역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과제 분석2 ‘ 21’

    지방의제 추진기구 기본현황 분석2.1 21 ····················································································· 5

    지방의제 추진기구 및 전국협의회 재정구조2.2 21 ·································································· 16

    종합정리2.3 ································································································································ 23

    제 장 지방의제 실무자 설문 분석3 21

    기본개요3.1 ································································································································ 25

    조사개요3.1.1 ········································································································································· 25

    설문분석3.2 ································································································································ 27

    실무경력 및 인식도3.2.1 ······················································································································· 27

    임원 조직 체계3.2.2 ······························································································································ 29

    주요임원선출 방식3.2.3 ························································································································· 31

    주요임원 직무3.2.4 ································································································································ 31

    사무국 업무 주요 증가 예측3.2.5 ········································································································ 33

    주요 임원 지방의제 이해 정도3.2.6 21 ································································································ 33

    지방의제 구성원 간 협력관계3.2.7 21 ·································································································· 34

    임원에게 필요한 역량3.2.8 ··················································································································· 34

    재원확보방안3.2.9 ·································································································································· 35

    지방재정법 개정에 따른 재정운영문제3.2.10 ······················································································ 36

    내 외적 문제3.2.11 ㆍ ······························································································································ 36

    종합정리3.3 ································································································································ 37

  • - ii -

    제 장 사례연구4

    외국의 지방의제 사례4.1 21 ······································································································ 39

    지방 지속가능성 과정으로서의 지방의제4.1.1 21 ················································································ 39

    유럽의 지방의제 프랑스와 아일랜드를 중심으로4.1.2 21: ··································································· 42

    한국의 지방의제 사례4.2 21 ······································································································ 44

    한국 지방의제 의 대표 사업4.2.1 21 ······································································································ 44

    한국 지방의제 의 네트워킹 강화4.2.2 21 ······························································································· 47

    기업과의 협력 사례4.2.3 ······················································································································· 50

    제 장 지방의제 현안과제 대응 방안5 21

    지방의제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5.1 21 ㆍ ·································································· 53

    제도적 근거에 의한 재정지원5.1.1 ······································································································· 53

    환경정책기본법 한계 및 과제5.1.2 ······································································································· 61

    지속가능발전법의 한계 및 과제5.1.3 ··································································································· 64

    종합정리5.1.4 ········································································································································· 67

    환경갈등해결을 위한 거버넌스 강화방안5.2 ············································································ 68

    환경갈등과 해결방식5.2.1 ····················································································································· 68

    한국 환경 거버넌스의 특징5.2.2 ·········································································································· 71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비전 및 전략구축 방안5.3 ··················································· 73

    개요5.3.1 ················································································································································ 73

    현실진단5.3.2 ········································································································································· 74

    중장기적 비전과 전략5.3.3 ··················································································································· 77

    전국 공동사업으로서 회복력 있는 도시 만들기5.3.4 ‘ ’ ········································································· 78

    제 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6

    연구의 요약6.1 ··························································································································· 79

    정책적 함의6.2 ··························································································································· 81

    부 록 ············································································································································· 82

  • - iii -

    ❑표 목차

    표 한국 지방의제 의 수립년도< 2-1> 21 ························································································· 8

    표 지방의제 추진과정의 운영주체< 2-2> 21 ·················································································· 9

    표 지방의제 사무국 운영형태< 2-3> 21 ························································································· 9

    표 지방의제 추진 관련 조례제정 여부< 2-4> 21 ········································································ 10

    표 지방의제 조례제정 연도< 2-5> 21 ··························································································· 10

    표 지방의제 추진기구 예산 현황< 2-6> 21 ·················································································· 16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 수입 및 지출현황< 2-7> ···················································· 18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 수입 감소 현황< 2-8> ························································ 19

    표 수입원별 연도별 현황< 2-9> ··································································································· 20

    표 연도별 회비 및 분담금 결정 및 납부 현황< 2-10> ······························································ 21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주요 경상비 및 주요사업비 현황< 2-11> ····································· 22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고정적 경상적 경비 현황< 2-12> ·················································· 22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내외 여건 종합< 2-13> ······························································ 24

    표 행정구역별 응답 현황< 3-1> ··································································································· 25

    표 시군구별 응답 현황< 3-2> ······································································································ 26

    표 설문에 응답한 지방의제 사무국< 3-3> 21 ·············································································· 26

    표 실무책임자의 실무 경력< 3-4> ······························································································· 27

    표 실무책임자 관심사항< 3-5> ····································································································· 28

    표 지방의제 임원 구조 현황< 3-6> 21 ························································································· 29

    표 대표 선출 방식< 3-7> ·············································································································· 31

    표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회장단 직무< 3-8> 21 ·········································································· 32

    표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운영위원장 직무< 3-9> 21 ··································································· 32

    표 지방의제 사무국 처장 직무< 3-10> 21 ㆍ ················································································· 32

    표 사무국 업무 제공 예측 수준< 3-11> ······················································································ 33

    표 주요임원의 지방의제 이해 수준< 3-12> 21 ············································································ 33

    표 지방의제 구성원 간 협력관계< 3-13> 21 ··············································································· 34

    표 지방의제 발전을 위해 임원에게 필요한 역량< 3-14> 21 ······················································ 35

    표 조례가 정하는 재원조달 방법< 3-15> ···················································································· 35

    표 지방재정법 개정에 따른 정부보조금 지원 관련 어려움< 3-16> ·········································· 36

    표 종합정리< 3-17> ······················································································································ 37

  • - iv -

    표 지방 지속가능성 과정의 다양성< 4-1> ··················································································· 39

    표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대 실천분야 사례< 4-2> 8 ································································ 44

    표 지속가능한 푸른이야기 의 내용< 4-3> 「 」 ················································································· 48표 인천의제 실천협의회의 인천의제 수립당시 간사단체< 4-4> 21 ·············································· 49

    표 국민운동육성 단체 관련 법령 비교< 5-1> ············································································· 56

    표 지역기반형 지원사업 관련법안< 5-2> ···················································································· 58

    표 중앙정부 부처의 지역기반형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원 관련 법안< 5-3> ···························· 59

    표 종합정리< 5-4> ························································································································ 67

    표 국내 대표적 환경 거버넌스의 주요 내용 및 특징< 5-5> ······················································ 71

    표 커뮤니티 기반형 사업 전달체계 정부부처별 추진체계 예시< 5-6> ( ) ····································· 76

  • - v -

    ❑그림 목차

    그림 연구의 진행 과정< 1-1> ········································································································· 4

    그림 지방의제 관계도< 2-1> 21 ······································································································ 7

    그림 지방의제 조직체계< 2-2> 21 ································································································ 11

    그림 지방의제 사무국 조직체계< 2-3> 21 ··················································································· 12

    그림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조직도< 2-4> ··············································································· 14

    그림 분석에 의한 현안과제 도출< 3-1> ······················································································ 38

    그림 분석에 의한 현안과제 도출< 5-1> ······················································································ 58

    그림 중간지원기구를 활용한 거버넌스 역할 정도< 5-2> ··························································· 74

    그림 새로운 비전과 목표 예시< 5-3> ( ) ························································································· 77

  • - vii -

    제 장 서론1

    지방의제 의 대표적인 성과들이 년의 경험을 쌓아온 추진기구로부터 신생21 20

    추진기구들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편차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확산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방의제 이 내 외부적으로 처한 현안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21 ㆍ

    대한 대응 방안 마련과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지방의제 이 처한 현안 문제들을 검토하여 지역 거버넌스의21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 이러한 현안 문제들을 극복해 나갈 몇 가지 대안을,

    지방의제 추진기구 활성화 과제로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지방의제21 . 21

    추진기구의 추진 현황에 관한 문헌을 비롯한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하되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현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지방의제 추진기구 사무국을 통한21 21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또한 와 국내외 사례들을 참고하였다. FGI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조직 측면에서 보면 외부적으로 볼 때 지방의제 의 역할 강화론이 국내외적으로, 21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의제 네트워크 기능은 약화 위기에 처해21

    있고 내부적으로 볼 때 상임회장과 사무총장 선출방식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처하여 지속가능발전 의제를 좀 더 구체화하면서 전국지속가능발전.

    협의회의 위상을 제고하고 국내외 사회적 역할과 대외협력에 초점을 맞춰 상임,

    회장을 위촉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사무총장 역시 지방의제 조직 내외의 주요, 21

    관계자들로 구성된 추천위원회 추천과 총회 인준에 인한 선출 형식으로 임명 형식

    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요 약 문< >

  • - viii -

    재정 측면에서 보면 외부적으로는 지방재정법 등 정부보조의 지원방식의 변경,

    되었고 지원제도가 미흡한 실정이고 내부적으로는 전체 예산 규모 축소에 따른,

    재정압박이 심화되고 있고 적정수준의 경상비 지출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금

    축소에 따른 실제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처하여 민관협력기구와.

    재정지원에 관한 제도 및 정책을 마련하고 공식적 비공식적 네트워킹을 강화함,

    으로써지방의제 의제도화노력과함께견실한네트워크구조를마련해갈필요가21

    있다 또한 정부보조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여 재정 구조의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으며 내부적 재정안정화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

    제 장 지방의제 실무자 설문 분석3 21

    지방의제 실무자 설문 분석 결과 지방의제 업무의 전문성은 지속적으로21 , 21

    축적되어 높은 편이나 지방자치단체장과 공무원의 관심 정도에 따라 부침을 거듭

    하는 재원으로는 지방의제 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21 .

    지방의제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지원책 마련이 가장 필수적이라는 것이다21 .

    지방의제 이 행정과 민간 사이에서 민관협력에 의한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을21

    매개하는 실질적인 중간지원기구로서의 역할도 일부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방의제 의 안정적인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어려운 재정, 21 .

    여건에서도 년의 지방의제 추진 역사를 쌓아온 성과에 대해 그 경중을 따지기20 21

    전에 지방의제 이 지방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그 위상이21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 안정된 사무국 지원 정치적 조건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사무국 그리고 민관협력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재정지원,

    등이 균형 있게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 - ix -

    지방의제 체제의 안정은 결국 제도화 리우 회의 이후의 등을21 , +20 Post-2015

    고려한 새로운 공동 의제 발굴 거버넌스 역량 강화 등을 모색함으로써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제 장 사례연구4

    가 정리한 세계 지방의제 의 년사는 지방정부 주도형 시민사회 주도ICLEI 21 20 ,

    및 민관협력형 지역 조직체들 간의 협력과 네트워크형 중앙정부 주도형 국제, , ,

    협력형 등으로 전 세계 년의 지방의제 추진 활동을 분석한 바 있다20 21 .

    한국의 지방의제 에 대한 몇 가지 비판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추세를21 ,

    보면 오히려 한국의 지방의제 이 세계적인 추세에서 전혀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21

    알 수있다 한국지방의제 의경우 지방정부주도형 시민사회 주도형 민관협력형. 21 , , ,

    지역 조직체들 간의 협력과 네트워크형 중앙정부 주도형 국제협력형 등의 유형이, ,

    다양하게 나타나고 축적되어 왔다.

    가 소개한 세계 지속가능발전 도시 우수사례들을 보면 첫째 지속가능ICLEI , ,

    발전과 지방의제 의 원칙을 도시계획의 전략과 목표에 통합시켜 왔다 둘째 중앙21 . ,

    정부와 지방정부의 다층적 거버넌스를 법적 재정적으로 뒷받침해 왔다 셋째, . ,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고 보장해 왔다는 등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거꾸로 보면 민관협력의 거버넌스 사례가 축적되어 있는 한국 상황에서 법적,

    근거와 지원 행정부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책화 중앙과 지방의 총체적인 접근이, ,

    결합된다면 더욱 모범적인 지방의제 과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활동으로 결실을, 21

    맺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x -

    한국의 경우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년에 추진하여 수립한 지속가능한2013 ‘

    지역공동체 대 실천분야의 예시들을 내세울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사례들을 축적해’ 8

    왔다 나아가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의 명칭을 지속가능발전협의회로 통일하는. 21

    것과 더불어 각 실천분야별 대표사업뿐만 아니라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차원의

    전국적인 지방의제 공통사업을 발굴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속가능발전이라는21 .

    틀 속에서 통합적인 관점을 지향하는 지역의 다양한 논의들이 펼쳐지는 지속가능

    발전 정책의 산실로 다양한 형식의 포럼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안산의제 이 기여했던 안산희망재단 푸른광명 의 생명평화축제 제천21 , 21 ,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기업 회원 사례는 기업의 참여가 지방의제 추진기구21

    자체의 재정적 기반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과의 파트너십에,

    대한 가능성과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역사회의 튼튼한 기반이자 향후 중요한.

    정책과 사업의 토대로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제 장 지방의제 현안과제 대응 방안5 21

    지방재정법의 개정에 따라 지방의제 재원조달이 난항에 부딪혀 있는 상황에서21

    단기적으로는 환경보전협회의 직무와 연관된 내용을 마련하여 환경정책기본법과의

    연계성을 제고하는 방안과 행정 및 재정 지원이 가능한 정도의 내용으로 지속가능

    발전법을 활용하여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나아가 중간지원기구의.

    설치가 미비한 상태인 기초자치단체 지역의 경우 중간지원기구로서의 역할도 일정

    기간 병행할 필요도 있다.

    거버넌스 역량 강화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그간의 환경갈등 해결 등 환경.

    거버넌스의 모범 사례를 보면 환경 거버넌스 조직은 시민들의 참여가 보장되지,

    않아 오랜 분쟁 끝에 논의 테이블을 만드는 수준의 거버넌스로 탄생된 경우가

  • - xi -

    많았다 다양한 당사자들을 참여시킴으로써 민 관 사이의 갈등이 아닌 새로운. -

    주체간의 갈등이 발생하여 환경 거버넌스가 또 다른 갈등을 양산하기도 하지만,

    환경 거버넌스의 대표적이고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되는 사례들은 대부분 어느 특정

    주체의 힘에 좌지우지 되지 않는 넓은 광의적 범위의 환경 거버넌스 특징을 보인다.

    년의 축적된 지방의제 의 운동과 성과가 부각되고 있지 못한 것은 지역사회20 21

    내에서 지방의제 운동의 플랫폼 역할이 약화된 측면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21

    할 수 있다 최근 마을만들기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 문화마을 농어촌 공동체. , , , ,

    등 정부부처의 지원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활동이 확산되고 제도적 지원책이 마련

    되고 있는 데 비춰 지방의제 이 생활정치의 주역으로서 위상 제고를 위한 비전과21

    미션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방의제 의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사업비 지원 정도의 역할을 넘어 보다 적극21

    적으로 커뮤니티 기반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을21

    활용하여 중앙정부로서의 정책과 사업을 지방에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며 지방의제 전국 공통 사업을 함께 발굴해 나갈 필요도 있다, 21 .

    이미 전국적인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라는 비전을 수립한 바 있지만“ ” ,

    액션 안정 과 같은 기치로 지속가능발전과 지방의제 의 위상 제고를20, 20 21「 」기해 볼 수 있다 지방의제 의 안정화는 곧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는 기반이. 21

    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의 기본 원리의 목표와 연동해.

    볼 수 있다.

    최근 환경재난과 안전 분야가 가장 중요한 글로벌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주관 하에 전국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이 공통으로21

    수행할 수 있는 현 시기 대표사업으로 회복력 있는 도시 만들기 사업을 제안해‘ ’

    볼 수도 있다 기후변화 등으로 도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생존하며.

  • - xii -

    적응하면서 기후변화와 환경재난으로부터 신속히 회복할 수 있는 도시의 역량을

    구축해 갈 수 있다.

    제 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6

    지방의제 의 재정 문제는 사실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지만 지방재정법 개정에21

    따른 재정적 위기는 지역 차원의 다양한 상황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봉쇄하고

    있다는 점에서이전의위기상황과는다른측면이존재한다 법적제도화와는별도로.

    환경부로서는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함께 복원력 있는 도시 만들기 캠페인과‘ ’

    같은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면서 지방지속가능발전을 견인하는 데 기여할

    필요가 있다 차제에 지방 차원에 맡겨 둘 수 없는 영역에 대한 정책적 역할을.

    확고히 정립해 나갈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지방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거버넌스 시스템을 갖춰 나가는 데 도움을 주고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의제 추진조직의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 활동은 장기적인 관점을 견지하고21

    있다는 것과 통합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 있다는 데 강점이 있다 즉 행정의 다양한.

    계획들이 년 또는 년에서 최대 년을 바라보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후세대의1 5 20

    삶에 기준을 맞춰 정책과 사업을 마련하고 있고 경제발전 사회통합 환경보존의, , ,

    세 가지 축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면서 지방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은 지방의제 도입 초기에 지역 내 다양한 시민사회21 21

    영역의 네트워킹을 통해 여러 가지 제약들을 극복해냈던 경험을 되살려 다시금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에 집중함으로써 거버넌스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되어 그간 지방의제 이 성취해왔던 성공적인 정책과. 21

    사업 내용을 망라하고 그것이 지방 지속가능발전의 거버넌스 역량을 강화하는

    데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를 후속 연구를 통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 - 1 -

    제 장 서론1

    연구의 필요성1.1

    년 리우회의에서 전 세계 정상들이 모여 합의한 의제1992 ‘ 21(Agenda 21) 과 지방의제’ ‘ 21(Local

    Agenda 21)을 추진하기 위한 후속 회의들이 년 들어 한국에 소개된 이후 년부터 부산과’ 1994 1995

    인천을 시작으로 한국의 지방의제 이 추진되어온 지 년이 되고 있다21 20 .

    중앙정부에서는 도입 초기 외교부 차원의 국제회의 대응이라는 수준에서 접근되었다가

    당시행정자치부를거쳐환경부가주무부처를맡게되었으며 그뒤 년간한국의지방의제 은, 20 21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환경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한국의 지방의제 은 로컬 거버넌스를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민관협력의 거버넌스로. 21 ,

    그리고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거버넌스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플랫폼이

    되었다.

    그럼에도 한국의 지방의제 은 정치와 경제로 기울어 있는 불균형이 거버넌스의 현실을 지배21

    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부처 차원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해 왔고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지방,

    자치단체장과 담당 공무원의 관심 정도에 따라 부침을 거듭해 왔다 그 과정에서도 한국의.

    지방의제 은 지방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노력으로 년의 경험을 축적해 왔지만21 20 ,

    다시금 국가 차원의 정치 경제적 위기가 지방의제 의 지역 거버넌스를 활성화 하는 데 장애, 21

    요인이 되고 있다.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2 -

    현 시기 한국의 지방의제 이 처한 현실을 크게 보면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21 , .

    첫째 그간 축적해 온 민관협력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지방정부가, ,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예산을 민간단체 지원 예산으로 간주하고 있어서 지방의제 의 성격이21 21

    나 의의와 지방의제 추진을 위한 예산의 성격이 불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21 .

    둘째 중앙정부의 지방재정법 개정에 따라 민간단체 지원 근거가 약해짐으로써 이러한 불일치,

    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방정부의 노력 여하에 따라 지방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의제.

    추진 방식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지속가능발전과 지방의제 을 몰이해하고 있는21 , 21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지방의제 추진기구가 민관협력의 거버넌스와 지원을 요구할 수21

    있는 근거가 그나마 약화된 결과를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맥락에서 민관협력 거버넌스의 대표적인 기구로서의 위상을 지켜온 지방의제, 21

    이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지방정책 전 분야에 걸쳐 지방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지방정부로부터 사무국 운영비와 일부 사업 경비 정도를,

    지원받아온 상황에서 추진기구의 운영조차 위협받을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지방의제 의 대표적인 성과들이 년의 경험을 쌓아온 추진기구로부터 신생 추진기구들에21 20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편차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확산되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적으로는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내부 역량강화를 외부적으로는 미흡하나마 유지되어 왔던 지방의제, 21

    의 법 제도적 재정적 지원 체계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ㆍ

    이에 따라 한국 지방의제 출범 주년에 즈음하여 내 외부적으로 처한 현안들을 구체적으21 20 ㆍ

    로 분석하면서 여기에 어떻게 대응하며 지역 거버넌스를 더욱 활성화해 나갈 발판을 만들어갈,

    수 있을까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제 장 서 론1

    - 3 -

    연구의 목적1.2

    이 연구는 한국의 지방의제 이 처한 현안 문제들을 검토하여 지역 거버넌스의 활성화를21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 이러한 현안 문제들을 극복해나갈 몇 가지 대안을 지방의제 추진기구, 21

    활성화 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정부 기업 민간단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21 , , ,

    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지방의제 추진을 위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 등 관계법령 개정안을 마련하고 현안, 21 , ,

    과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21

    연구의 범위와 방법1.3

    한국의 지방의제 이 처한 현안 문제들을 점검하여 지역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21

    도출하고 현안 문제들을 극복하여 지방의제 추진기구 활성화의 과제 제시를 목적으로 하는, 21

    이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지방의제 의 추진 현황을 분석하고 현안 과제를 도출한다, 21 , .

    둘째 해외 사례를 현안 과제의 해결과 연계하여 분석한다, .

    셋째 한국 지방의제 의 성과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환경갈등을 해소를 예시로 제시한다, 21 , .

    넷째 지역 거버넌스활성화를위해 필요한지방의제 의 제도적 재정적지원방안을제시한다, 21 , .

    연구의 방법은 전국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추진 현황에 관한 문헌을 비롯한 문헌조사를21

    중심으로 하되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현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지방의제 추진기구 사무, 21 21

    국을 통한 설문조사를 병행하기로 한다 또한 지방의제 추진 활동과 지방지속가능발전에. 21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4 -

    기여해 온 지방의제 추진기구 내외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를 수행함으로써 발전 방안을21 FGI

    도출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해외 사례는 지방의제 추진 활동의 현안 과제를 해결하는. 21

    데 참고가 될 만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참고하였다.

    그림 은 연구의 진행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외 위협요인< 1-1> .

    을 중심으로 현안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고 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지방의제 추진 모형을 구축해 나갈. 21

    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기로 한다.

    그림 연구의 진행과정< 1-1>

    현실진단 사례분석 대안모색

    내부적 요인1.

    조직

    재정

    외부적 요인2.

    상위법개정

    해외사례1.

    함의 도출

    한국 사례2.

    가능성 모색

    한국형1.

    지방의제21

    지역 거버넌스2.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 - 5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2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 21’

    지방의제 추진기구 기본현황 분석2.1 21

    지방의제 의 성격2.1.1 21

    지방의제 은 년 리우회의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유엔환경개발회의21 1992 . (UNCED)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SSD)을 주창하며 의제‘ 21(Agenda 21) 에 합의했고 이 의제’ ,

    의 제 장이 지방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을 명시한 지방의제 이라 할 수 있다21 28 21 .

    또한 의제 은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여성 청소년 원주민 지방정부 노동조21 , , , NGO, ,

    합 기업 과학기술 농민 등 대 주요 그룹, , , 9 (9 Major Groups)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명시했다 이.

    때문에 지방의제 은 내용적으로는 지방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하고 형식적으로는 거버넌21 ( ) ,

    스라는 수단을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대 주요 그룹의 역할에 대한 강조는 다음과. 9

    같이 명시되었다.

    ∙지속가능하고 평등한 발전을 위한 전 세계 여성 활동∙지속가능발전에서 아동과 청년 활동∙원주민 및 그 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역할 강화∙지속가능발전의 동반 협력자로서 의 역할 강화NGO∙의제 실천을 위한 지방정부의 주도적 역할21∙노동자 및 노동조합의 역할 강화∙기업체 및 산업체의 역할 강화∙과학기술 분야∙농민 역할 강화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6 -

    한국에서는 년 부산에서 녹색도시부산만들기를 출발점으로 하여 현재까지 대다수의1995 ‘ ’

    지방에서 지방의제 을 수립하여 지방의제 을 추진하고 있다 년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21 21 . 2002

    된 리우 회의에서 한국의 지방의제 네트워크가 주목받기도 했는데 현재 여 개의 지방+10 21 , 100

    의제 추진 사무국이 설치 운영되고 있고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통해 네트워크의 네트21 , ,

    워크 활동이 전개되고 있는 것을 지칭한 것이다.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전국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의 모임이 시작되면서 전국 단위의21

    네트워크 구심점 역할론이 대두되면서 년대 들어 지방의제 전국협의회로 출범한 것으로2000 21

    서 각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이 자체 예산의 를 모아 운영하기로 한 기구다 지방의제 이21 1% . 21

    대 주요 그룹의 네트워크 즉 협력적 거버넌스에 의해 추진되는 것이라 할 때 전국지속가능발9 , ,

    전협의회의 네트워크 활동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전국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의 구심체로서 대 정부활동을 비롯하21

    여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을 대외적으로 대표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전국대회 지속가능발21 , ,

    전대상 공모전 지방의제 추진위원들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제반 관련 통계와 정보의, 21 ,

    수집 유지 제공 등과 연락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를 산하, , .

    기구로 두고 있기도 하다.

    지방의제 은 의제 을 지역 차원에서 구현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 지역행동계획이라 할21 21

    수 있다 리우 회의를 위해 발간된 세계 지방의제 년사 에 따르면 지난 년 동안. +20 < 21, 20 > , 20

    전 세계 지방의제 은 자연자원관리 대기질관리 수자원관리 에너지관리 교통문제 등을 우선21 , , , ,

    순위로 하여 지역행동계획을 마련하고 실천해 왔다 또한 폐기물 감소 환경보호에 관한 대중의. ,

    인식 제고 수질 도시환경 개선 등에서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되었다, , .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방 차원에서 행동하라 라는 경구가 의제 과 지방의제 의 연계‘ , .’ 21 21 ,

    즉 지구적 지속가능성의 위기와 지방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노력을 연계하는 것임을 상징적으로

    대변하고 있다 년 리우회의에서의 지방의제 을 년 리우 회의에서는 전 세계. 1992 21 2002 +10

    지방정부 지도자들이 모여 지방행동‘ 21(Local Agenda 21) 로 좀 더 능동적으로 나아갈 것을 결의했’

    고 년 세계총회와 리우 회의에서는 향후 도시의 세기를 위한 지방지속가능발, 2012 ICLEI +20 ‘ ’

    전을 도시정부들이 직접 개척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7 -

    이처럼 지방의제 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구차원의21

    계획인 의제 과의 유기적 연계 속에서 지역의 경제 사회 환경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한21 , ,

    새로운 행동 계획이자 구체적인 실천프로그램이다 또한 지방의제 은 행정 의회 기업 시민단. 21 , , ,

    체 노동자 농민 전문가 여성 청소년 등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 , , ,

    토론하고 합의하고 자기분야에서 분담된 행동을 하는 파트너십과 거버넌스를 존중하는 세, , 21

    기형 참여자치운동이자 사회개혁운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방의제 추진기구는 지속가. 21

    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핵심적인 민관협력기구라 할 것이다 그림 는 지방의제 이. < 2-1> 21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지구적 의제 국가적 의제 지역적 의제와‘ ’ , ,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지방의제 관계도< 2-1> 21

    지구적 의제

    지방의제21

    국가적 의제

    지역적 의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지속가능한 지역사회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8 -

    지방의제 사무국 현황2.1.2 21

    한국의 지방의제 은 년 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된 이래 해마다 꾸준히 확산되어21 1995 3

    이제는 개가 넘는 지방자치단체에 수립되어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 지방의제 이 수립200 21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에서는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요구가 지속적으.

    로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지방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의지와 욕구가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립년도에 따라 지방의제 추진과정의 발전단계는 다양할. 21

    수밖에 없는데 이는 몇 군데의 지방의제 수준을 놓고 전체를 평가할 수는 없다는 말이기도, 21

    하고 그만큼 지역의 사정이 다양하고 지방 차원의 대응도 다양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

    표 한국 지방의제 의 수립년도< 2-1> 21

    구분 지방자치단체 수 비율(%)

    년1995 3 1.3

    년1996 9 3.8

    년1997 12 5.0

    년1998 23 9.6

    년1999 31 12.9

    년2000 38 15.8

    년2001 16 6.7

    년2002 22 9.2

    년2003 13 5.4

    년2004 7 2.9

    년2005 14 5.8

    년2006 11 4.6

    년2007 5 2.1

    년2008 1 0.4

    년2009 2 0.8

    년2011 3 1.3

    무응답 30 12.5

    합계 240 100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9 -

    이런 상황은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방의제 추진과정의 운영주체 현황에서도< 2-2> 21

    나타난다 즉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 지방의제 이 수립되어 있음에도 그 가운데 절반 가까. 21

    이에 지속적인 운영주체가 존재하고 있고 민간이 주도하는 민간사무국은 약 인 개, 41.3% 99

    지자체에 설치되어 있다.

    표 지방의제 추진과정의 운영주체< 2-2> 21

    구분민간사무국 운영 행정운영

    개소 비율(%) 개소 비율(%)

    있음 99 41.3 9 3.8

    없음 141 58.8 231 96.3

    합계 240 100 240 100.0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민간 주도의 사무국은 개 지자체 에 설치되어 있다< 2-3> 96 (40.0%) .

    이런 지자체의 지방의제 추진기구가 지난 년의 한국 지방의제 을 선도해 왔다고 할 수21 20 21

    있다.

    표 지방의제 사무국 운영형태< 2-3> 21

    구분 개소 비율(%)

    상설 96 40.0

    공무원 1 0.4

    비상근 21 8.8

    합계 118 49.2

    민관협력의 거버넌스에 대한 담론과 실제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지방의제 추진과정21

    이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지속가능발전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

    는 제도화 문제라 할 수 있다 표 는 지방의제 추진 관련 조례제정 여부를 보여주는. < 2-4> 21

    것으로서 현재 조례로 뒷받침되고 있는 경우는 개 지자체 에 머무르고 있다29.6%(71 ) .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10 -

    표 지방의제 추진 관련 조례제정 여부< 2-4> 21

    구분 지방자치단체 수 비율(%)

    있음 71 29.6

    없음 169 70.4

    합계 240 100.0

    지방의제 의 조례가 제정된 연도를 보면 년대 초반에 많은 지자체에서 지방의제 의21 , 2000 21

    추진을 조례로 뒷받침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년대 중반 이후 한국에서 지방의제. 1990

    추진과정이 본격화되기도 했지만 년 리우 회의의 지방행동 결의를 전후로 한21 , 2002 +10 ‘ 21’

    관심과 노력을 반영하기도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지방의제 조례제정 연도< 2-5> 21

    구분 응답자수 명( ) 비율(%)

    년1996 2 .8

    년1998 6 2.5

    년1999 6 2.5

    년2000 6 2.5

    년2001 14 5.8

    년2002 10 4.2

    년2003 7 2.9

    년2004 12 5.0

    년2005 2 .8

    년2006 1 .4

    년2008 1 .4

    년2011 2 .8

    년2012 1 .4

    년2013 1 .4

    무응답 169 70.4

    합계 240 100.0

    현재 지방의제 이 수립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로는 충남 계룡시 금산군 부여군 전북 순창21 , , ,

    군 그리고 경남 양산시 등이다, .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11 -

    지방의제 조직체계2.1.3 21

    그림 은 현재 지방의제 조직체계가 연계되고 있는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2-2> 21 .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역단위와 기초단위의 지방의제 이 독자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21

    도 광역단위 지방의제 은 기초단위 지방의제 을 총괄하고 있고 광역단위와 기초단위 지방의21 21 ,

    제 은 모두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중심으로 네트워킹 되어 있다21 .

    그림 지방의제 조직체계< 2-2> 21

    전국지속가능

    발전협의회

    광역단위

    지방의제21

    기초단위

    지방의제21

    그림 는 지방의제 사무국을 중심으로 한 조직체계의 연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광역단< 2-3> 21 .

    위로서는 개 광역단위에 모두 사무국이 설치되어 있고 기초단위로서는 개 기초단위에17 , 82

    사무국이 설치되어 있다 광역단위와 기초단위의 지방의제 사무국들은 전국지속가능발전협. 21

    의회와 네트워킹 되어 있고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교육과 연구사업을 위해 산하에 한국지,

    속가능발전센터를 두고 있다.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12 -

    그림 지방의제 사무국 조직체계< 2-3> 21

    광역< >광역단위

    지방의제21(17)

    광역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 , , , , , ,•

    광역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 , , , , , , ,•

    제주

    기초< >

    자치시 :• 경기고양 과천 광명 광주 구리 군포 김포 남양주, , , , , , , ,

    부천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성 안양 양주 여주, , , , , , , , ,

    오산 용인 의왕 의정부 이천 파주 평택 포천 하남, , , , , , , , ,

    화성(27), 강원강릉 동해 속초 원주 춘천 태백, , , , , (6),

    충북제천 청주 충주, , (3), 충남공주 당진 보령 서산, , , ,

    아산 천안, (6), 전북군산 익산 전주, , (3), 전남나주 목포, ,

    순천 여수, (4), 경북경주 포항, (2), 경남거제 밀양 사천, , ,

    진주 창원 통영, , (6)

    행정시 :• 서귀포 제주, (2)

    자치군 :• 경기가평 연천, (2), 강원정선 평창 화천, , (3), 충남논산,

    서천 예산 태안 청양 홍성, , , , (6), 전북임실(1), 전남무안,

    보성 신안 영암 화순, , , (6)

    자치구 :• 인천계양ㆍ남구ㆍ남동ㆍ부평ㆍ서구(5)

    기초단위

    지방의제21(82)

    협의회< > 전국협의회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교육- ( ㆍ연구기관)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13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구조2.1.4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운영규정에 의해 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즉 운영규정 제 조 임원. 9 (

    의 종류와 정수 에 근거하여 협의회를 구성한 것이다)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규정

    제 조 임원의 종류와 정수9 ( )

    전국협의회는 다음 각 호의 임원을 둔다.

    상임회장 인1. 1

    공동회장 인 이내2. 17

    감사 인3. 2

    운영위원장 인4. 1

    사무총장 인5. 1

    회장단은 광역의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임회장은 광역단위의 의제 대표로 구성된.

    회장단 가운에 인을 호선에 의해 선출한다 상임회장은 내부적으로는 업무 총괄 및 총회의1 .

    의장의 역할 수행할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는 지방의제를 발전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대외적인 성격을 고려할 때 상임회장의 사회적 책임과 위상이 대단히 중요하다. .

    사무총장은 대의원에 의한 선출 방식으로 선출되고 있다 전국협의회의 사무국처장단의 의장.

    과 회무를 총괄하는 사무총장은 총회에 의해 선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전국협의회의 사무총장은,

    자치단체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지방의제 사무국의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선출되는 구조다21 .ㆍ

    그림 는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조직도를 나타낸 것이다< 2-4>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규정

    제 조 임원의 구성 및 선출10 ( )

    상임회장은 공동회장단회의에서 호선하고 총회에서 추대한다.①

    ② 공동회장은 광역 지방의제 추진기구 이하 광역협의회 대표 중 추천한 인으로 구성한다21 ( ) 1 .

    감사는 운영위원회에서 추천하여 총회에서 인준한다.③

    사무총장은 총회에서 선출한다.④

    운영위원장은 운영위원회에서 호선한다.⑤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14 -

    그림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조직도< 2-4>

    상임회장 호선에 의한 선출< >

    공동회장 광역의제 대표 중 인 추천< 1 >

    감사 운영위원회 추천 총회인준< / >

    운영위원장 운영위원회 호선< >

    사무총장 총회선출<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역사와 한국의 지방의제 이 처하고 있는 몇 가지 현안들을 고려21

    할 때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회장에 대한 위상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즉 광역단위 회장, .

    단에 의한 호선 방식의 선출과 아울러 사회적 책임과 위상을 제고하는 방식의 선출방식 검토가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년의 지방의제 추진 활동과 광역단위의 네트워크 조직이라는. 20 21

    점을 고려할 때 네트워크 조직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대외적 사회적 역할 강화를 위한 새로운ㆍ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속가능발전과 지방의제 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높은 외부 인사. 21

    를 선임하여 지방의제 의 대외협력을 제고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 볼 시점이다21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규정

    제 조 임원의 직무12 ( )

    공동회장은 전국협의회를 대표하며 지역의 지속가능발전과 지방의제 의 활성화를 위해, 21①

    성실히 노력하고 본회 운영위원회에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

    상임회장은 전국협의회의 업무를 총괄하고 총회의 의장이 된다, .②

    상임회장은 공동회장으로 구성된 공동회장단 회의를 소집하여 전국협의회 사업 및 운영에③

    관한 자문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감사는 전국협의회의 회계와 업무집행 상황을 감사하여 총회에 보고한다.④

    운영위원장은 운영위원회의 의장이 된다.⑤

    사무총장은 사무국처장단회의의 의장이 되고 총회와 운영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회무를⑥

    처리하며 회무 집행의 책임을 진다, .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15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사무총장 역시 상임회장의 위상에 맞게 현재 대의원에 의한 선출

    방식을 적극적인 사무총장의 역할 증진을 위해 조직 내부는 물론 조직 외부를 망라하여 사무총

    장의 역할 증진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공동회장 광역과 기초의. ,

    사무처국장 외부 전문가와 환경부 담당과장 등 명 이내의 추천위원회를 한시적 비상설기구( ) , 10

    로 구성하여 사무총장을 추천하고 총회가 인준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규정

    제 조 전국사무국처장단회의 구성 및 기능23

    전국사무국처장단회의 구성은 전국협의회 정회원으로 지방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 처( )①

    장이 일원이 된다.

    전국사무국처장단회의는 연 회 이상 개최한다2 .②

    ③ 전국사무국처장단회의는 당해년도 및 차기년도 지방의제 공통사업 및 조직발전방안에21 대한

    논의 및 합의기구 성격을 가진다.

    기타 세부사항은 내규로 정한다.④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16 -

    지방의제 추진기구 및 전국협의회 재정구조2.2 21

    지방의제 추진기구 재정운영 현황2.2.1 21

    지방의제 추진과정은 사무국 운영과 함께 제반 네트워크 사업을 위한 사업비를 필요로21

    한다 표 은 지방의제 추진기구의 예산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 2-6> 21 .

    표 지방의제 추진기구 예산현황< 2-6> 21

    구분 년도

    본예산순수의제예산( ) + +① ② ③

    별도사업비 ④

    위탁공모 등( /

    본예산 외)

    합계

    + + +① ② ③ ④비고

    사업비①

    사업비 +② ③

    인력운영비②

    순수인건비( )

    기본경비③

    인력운영비 외( )

    전체 25,466,292,401 18,906,116,185 6,191,994,520 26,961,088,230 77,525,492,236

    광역단위

    추진기구

    소계 11,497,149,503 6,684,770,791 3,024,450,056 14,525,045,872 35,731,417,122

    년2011 2,056,008,837 1,731,328,130 451,653,033 2,802,800,000 7,041,790,000 개지역16

    년2012 1,961,396,942 1,203,746,220 517,696,838 3,103,540,000 6,786,380,000 개지역16

    년2013 2,132,368,374 1,290,823,204 768,355,672 3,213,071,200 7,404,618,450 개지역17

    년2014 2,779,395,350 1,321,923,237 706,275,413 3,086,441,672 7,894,035,672 개지역17

    년2015 2,567,980,000 1,136,950,000 580,470,000 2,319,193,000 6,604,593,000 개지역17

    기초단위

    추진기구

    소계 13,969,142,898 12,221,345,394 3,167,544,464 12,436,042,358 41,794,075,114

    년2011 2,612,642,113 2,171,698,060 615,126,989 1,890,409,877 7,289,877,039 개지역50

    년2012 2,860,971,315 2,419,166,187 626,446,455 2,448,950,247 8,355,534,204 개지역51

    년2013 2,881,297,952 2,568,689,490 631,954,605 3,058,908,561 9,140,850,608 개지역55

    년2014 2,874,752,908 2,743,159,395 718,192,161 2,957,721,588 9,293,826,052 개지역55

    년2015 2,739,478,610 2,318,632,262 575,824,254 2,080,052,085 7,713,987,211 개지역50

    단위 원( : )

    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광역단위와 기초단위 공히 전체 예산이 증감을 거듭하고 있으면서,

    년 들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장의 관심 등 지역의 상황에 따라 부침이2015 .

    있었지만 최근 들어 재정운영 문제가 현안으로 더욱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17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재정구조의 현실2.2.2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경우 운영규정에 의한 재원조달은 회비와 분담금 지방자치단체,

    지원금 환경부 지원금 기부금 및 수입금으로 정하고 있다 즉 네트워크 구조의 성격상 회비와, , .

    분담금 그리고 원활한 활동을 위한 지원금으로 재정구조를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네트워킹 당사자인 광역과 기초단위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이 재정적 위기에 처한 것이 전국협21

    의회의 재정구조에도 그대로 반영될 뿐만 아니라 현재 환경부의 지원 여시 연구용역 형태의

    사업비로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지방의제 과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민관협력 거버넌스로서의 성격과 기능은 운영규정21

    제 조 정부의 참여와 협조 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조항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전국대31 ( ) .

    회 총회 공동회장단 회의 운영위원회 전국사무처장단회의 특별위원회 사무국 고문 및 자문, , , , , , ,

    위원단 활동 등 전국협의회의 기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지방의제 의 원활한 네트워킹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으며21 ,

    지방의제 과 지방지속가능발전 추진의 파트너로서 환경부의 역할을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21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규정

    제 조 재원의 조달30 ( )

    전국협의회의 유지 및 사업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다음 각 호의 재원으로 충당한다.①

    회비와 분담금1.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2.

    환경부의 지원금3.

    기부금 및 기타 수입금4.

    제 항의 규정에 의한 회비 및 분담금의 금액은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1 .②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규정

    제 조 정부의 참여 및 협조31 (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속가능발전 전국대회 총회 공동회장단 회의 운영위원회, , , ,①

    전국사무국처장단회의 특별위원회 사무총국 고문 및 자문위원단의 활동 등 전국협의회의, , ,

    기능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② 환경부는 전국협의회의 사업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한다.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18 -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재정운영 현황2.2.3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재정 규모는 년 억 원 정도에서 년 억 원 정도로2010 5 2014 2.7

    축소되었다 지출 규모로 보면 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이다 이는 중앙과 지방정. , 2010 .

    부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추진 노력이 후퇴한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고 지방지,

    속가능발전 노력의 허브로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역할 수행이 위기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 수입 및 지출현황< 2-7>

    구분 수입 (A) 지출 (B)(A) - (B)

    원 %

    년2014 274,592,411 233,663,926 40,928,485 85

    년2013 269,475,447 235,764,912 33,710,535 87

    년2012 319,079,827 315,833,084 3,246,743 99

    년2011 327,650,426 325,650,426 2,000,000 99

    년2010 515,523,970 513,339,903 2,184,067 100

    단위 원( : )

    구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수입 (A)

    지출 (B)

    이런 상황을 표 에서와 같이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 수입 감소 현황을 통해< 2-8>

    좀 더 정확히 볼 수 있다 사무국 수입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데 년을 기준으로 할 때. , 2010 ,

    전체 수입이 년에는 년 대비 에서 년에는 로 하락하고 있는 것이2011 2010 63.55% 2014 53.26%

    다 기본적인 네트워크 활동이나 전국 단위의 사업 추진은 물론 전국협의회의 경상비 운영에도.

    미치지 못하는 압박이 되고 있다.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19 -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 수입 감소 현황< 2-8>

    구분 수입 년 대비 매년 예산비율2010

    년2014 274,592,411 53.26

    년2013 269,475,447 52.27

    년2012 319,079,827 61.89

    년2011 327,650,426 63.55

    년2010 515,523,970 100

    단위 원( : )

    0

    20

    40

    60

    80

    100

    120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14년53.26

    2013년52.27

    2012년61.89

    2011년63.55

    2010년100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수입원은 회비 정부지원금 기부금 수입금 연구용역 일반후원, , , , , ,

    기타수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정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총액대비 회비는 매년. ,

    일정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 년 대비 분의 규모로 감소한 정부 지원금 측면에서2010 3 1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표 는 수입원별 연도별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회비의 총액은 상대적으로 일정하지만< 2-9> . ,

    정부 지원금이 줄면서 회비의 비율이 약간 높아 보이는 수준이라 할 수 있다.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20 -

    표 수입원별 연도별 현황< 2-9>

    구분 총액 회비 정부지원금 기부금 수입금 연구용역 입찰( ) 일반후원 전년도이월

    년2014 274,592,411 74,835,000 100,000,000 1,000,000 10,442,976 71,659,700 1,119,500 15,535,235

    % 100 27.25 36.42 00.36 03.80 26.10 00.41 05.66

    년2013 269,475,447 72,482,500 100,000,000 5,422,704 64,354,000 1,300,000 3,246,743

    % 100 26.90 37.11 02.01 23.88 00.48 01.20

    년2012 319,079,827 70,460,000 200,000,000 2,293,127 2,300,000 2,000,000

    % 100 22.08 62.68 00.72 00.72 00.63

    년2011 327,650,426 70,370,000 200,000,000 4,513,759 20,000,000 1,822,600 2,184,067

    % 100 21.48 61.04 01.38 06.10 00.56 00.67

    년2010 515,523,970 75,693,030 341,344,175 1,175,212 6,170,000 15,250,393

    % 100 14.68 66.21 00.23 01.20 02.96

    단위 원( : )

    년 정부지원금 보조금 녹색협력과 빈그릇운동 폐자원관리과 원2010 : ( ) 150,000,000 + ( ) 191,344,175※

    2014년 % 2013년 % 2012년

    총액

    회비

    정부지원금

    기부금

    수입금

    연구용역(입찰)

    일반후원

    전년도이월

    전반적으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 각 단위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이 납부하는 회비는 전

    국협의회의 재정운영 뿐만 아니라 전국네트워크의 지속적 운영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회비 납부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회비 납부의 경우 운영규정 제 조. 30

    재원의 조달 항에서 회비의 일정액을 정하도록 하고 있다( ) 2 .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비의 결정액은 전체 수입 총액 대비 년을 제외하고는< 2-10> 2010

    정도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며 납부액은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22~26% 21~27% .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21 -

    표 연도별 회비 및 분담금 결정 및 납부 현황< 2-10>

    구분총액 결정 납부

    (B)- (A)원 % 원 % (A) 원 % (B)

    년2014 274,592,411 100 72,000,000 26 74,835,000 27 1

    년2013 269,475,447 100 71,000,000 26 72,482,500 27 1

    년2012 319,079,827 100 71,000,000 22 70,460,000 22 0

    년2011 327,650,426 100 80,000,000 24 70,370,000 21 -3

    년2010 515,523,970 100 70,000,000 14 75,693,030 15 1

    단위 원( : )

    표 과 표 은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주요 경상비와 주요 사업비 현황< 2-11> < 2-12> ,

    그리고 고정적 경비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다시 한 번 전국협의회의 경상적 경비는.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전체 수입이 줄어든 상황에서 경상적 경비.

    비율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오히려 현재의 재정위기 상황에서 최대한으로 긴축 운영 중에

    있다는 것이다.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22 -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주요 경상비 및 주요사업비 현황< 2-11>

    구분 년2014 년2013 년2012 년2011 년2010

    지출결산액(A) 233,663,926 235,764,912 315,833,084 325,650,426 513,339,903

    기본경비기본경비 23,261,320 34,757,577 35,902,895 32,454,151 28,620,266

    비율 (%) 9.95% 14.74% 11.37% 9.96% 5.57%

    인건비인건비(B) 103,789,740 119,296,550 138,463,630 117,251,035 130,734,579

    인건비비율(B/A) 44.42% 50.60% 43.84% 36.00% 25.47%

    주요사업

    의제개발 추진분야(C)ㆍ 55,060,424 41,281,045 54,512,700 78,761,410 34,523,375

    의제개발 추진비율(C/A)ㆍ 23.56% 17.51% 17.26% 24.19% 6.72%

    교류 협력 홍보 교육분야(D)ㆍ ㆍ ㆍ 48,288,412 37,557,690 84,690,359 79,384,150 82,348,325

    교류 협력 홍보 교육분야ㆍ ㆍ ㆍ

    비율(D/A)20.67% 15.93% 26.81% 24.38% 16.04%

    회의 조직운영분야(E)ㆍ 3,264,030 2,872,050 2,263,500 17,799,680 20,769,346

    회의 조직운영분야비율(E/A)ㆍ 1.40% 1.22% 0.72% 5.47% 4.046%

    저탄소녹색도시만들기지원사업 6,199,000

    저탄소녹색도시만들기지원 비율 1.21%

    빈그릇 시범사업( ) 164,753,652

    빈그릇 시범사업 비율( ) 32.09%

    지방정부정상포럼2010 9,189,900

    지방정부정상포럼 비율2010 1.79%

    그린스타트사업 36,201,460

    그린스타트사업 비율 7.05%

    고정적 경상적 경비 기본경비 인건비: + 127,051,060 154,054,127 174,366,525 149,705,186 159,354,845

    단위 원( : , %)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고정적 경상적 경비 현황< 2-12>

    구분 년2014 년2013 년2012 년2011 년2010

    지출결산 비율 100 100 100 100 100

    기본경비 비율 9.95 14.74 11.37 9.96 5.57

    인건비 비율 44.42 50.60 43.84 36.00 25.47

    고정적 경상적 경비 기본경비 인건비: + 54 65 55 46 31

    단위( : %)

  • 제 장 지역 거버넌스 추진기구로서 지방의제 의 현안 과제 분석2 ‘ 21’

    - 23 -

    종합정리2.3

    이상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 표 이다 조직 측면에서 보면 외부적으로 볼 때 지방의제< 2-13> . ,

    의 역할 강화론이 국내외적으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의제 네트워크21 21

    기능은 약화 위기에 처해 있고 내부적으로 볼 때 상임회장과 사무총장 선출방식의 개선 필요성,

    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처하여 지속가능발전 의제를 좀 더 구체화하면서 전국지속가능발전협.

    의회의 위상을 제고하는 데 나설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외 사회적 역할과 대외협력에 초점을.

    맞춰 상임회장을 위촉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사무총장 선출제도 지방의제 의 네트, 21

    워크 성격을 고려하여 조직 내외의 주요 관계자들로 구성된 추천위원회 추천과 총회 인준에

    인한 선출 형식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재정 측면에서 보면 외부적으로는 지방재정법 등 정부보조의 지원방식의 변경되었고 지원제,

    도가 미흡한 실정이고 내부적으로는 전체 예산 규모 축소에 따른 재정압박이 심화되고 있고,

    적정수준의 경상비 지출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금 축소에 따른 실제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처하여 민관협력기구와 재정지원에 관한 제도 및 정책을 마련하고 공식적. ,

    비공식적 네트워킹을 강화함으로써 지방의제 의 제도화 노력과 함께 견실한 네트워크 구조를21

    마련해갈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보조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여 재정 구조의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으며 내부적 재정안정화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24 -

    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내외 여건 종합< 2-13>

    구분 주요내용 고려사항

    조직

    외부적

    요인

    지방의제 의 역할 강화론 제기21•

    지방의제 네트워크 기능 약화 위기21•

    지속가능발전 의제의 구체적 실체 요구→

    전국협의회 위상제고 필요→

    내부적

    요인

    상임회장 선출방식 개선 필요•

    사무총장 선출방식 개선 필요•

    대외협력을 강조하여 상임회장 위촉→

    대의원 선출제를 내외 추천위의 추천과→

    총회 인준으로 전환

    재정

    외부적

    요인

    •지방재정법 등 정부보조의 지원방식 변경

    지원제도 미흡•

    민관협력기구와 재정지원에 관한 제도→

    및 정책 마련

    공식적 비공식적 네트워킹 강화/→

    내부적

    요인

    전체 예산 규모 축소에 따른 재정압박•

    심화

    양호한 수준의 회비납부 및 적정수준의•

    경상비 지출과 정부 지원금 축소의 격차

    정부보조의 대안 다원화→

    내부적 재정안정화 전략 구축→

  • - 25 -

    제 장 지방의제 실무자 설문 분석3 21

    기본개요3.1

    조사개요3.1.1

    한국의 지방의제 이 처한 내외 위기요인과 현안을 검토하고자 이 연구는 전국의 지방의제21 21

    사무국 실무자를 대상으로 사무국 운영 실태와 주요 임원 및 사무국원의 지방의제 에 대한21

    인식도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에는 전체 지방의제 사무국 개소 가운데 개소에서 응답하여 응답률 를21 99 64 65%

    보였고 광역단위 지방의제 사무국은 개 기초단위 지방의제 사무국은 개 사무국에서, 21 16 , 21 48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사무국을 행정구역과 시군구 단위로 구분해본 것이 표 와 표 이다< 3-1> < 3-2> .

    표 행정구역별 응답 현황< 3-1>

    구분 응답자수 명( ) 비율(%)

    광역 16 25.0

    기초 48 75.0

    합계 64 100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26 -

    표 시군구별 응답 현황< 3-2>

    구분 응답자수 명( ) 비율(%)

    광역 16 25.0

    시 39 60.9

    군 6 9.4

    구 2 3.1

    무응답 1 1.6

    합계 64 100

    표 설문에 응답한 지방의제 사무국< 3-3> 21

    광역 기초 광역 기초 광역 기초 광역 기초

    부산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대구광역시   수원시 청주시 전주시

    인천광역시   고양시 제천시 익산시

    남동구 과천시 충청남도   전라남도  

    부평구 구리시 천안시 여수시

    광주광역시   안성시 서산시 순천시

    대전광역시   화성시 공주시 신안군

    울산광역시   파주시 논산시 경상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여주시 보령시 창원시

    강원도   군포시 서천시 통영시

    원주시 시흥시 예산군 밀양시

    강릉시 안산시 경상북도  

    동해시 안양시 경주시

    태백시 김포시제주특별자

    치도  

    평창군 오산시 제주시

    정선군 의왕시 서귀포시

    화천군 이천시

    평택시

    가평군

    전체 개 사무국64

  • 제 장 지방의제 실무자 설문 분석3 21

    - 27 -

    설문분석3.2

    실무경력 및 인식도3.2.1

    지방의제 사무국 실무책임자의 사무국 경력은 년차 년차 년21 5~9 38.7%, 10~19 21.0%, 20

    이상 로 약 이상이 사무국 활동이 전문성을 갖춘 기간 이상의 활동을 하고 있는3.2% , 70%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가 중견 이상의 실무 경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참조. (< 3-4> ).

    표 실무책임자의 실무 경력< 3-4>

    구분 응답자수 명( ) 비율(%)

    년 미만1 5 8.1

    년1~3 18 29.0

    년4~9 24 38.7

    년10~19 13 21.0

    년 이상20 2 3.2

    합계 62 100.0

    다음으로 실무책임자의 현재 관심사항은 마을 생태환경 에너지, (14.2%), (13.3%), (13.3%),

    기후변화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지방의제 이 생태환경 에너지 문제 기후변(10.0%) . 21 , ,

    화 대책 등에 대한 관심과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것에 비춰보면 점차 마을과 지역에,

    대한 관심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표 참조(< 3-5> ).

  • 지역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제 해결방안 연구

    - 28 -

    표 실무책임자 관심사항 복수응답< 3-5> ( )

    구분 응답수 비율(%) 구분 응답수 비율(%)

    마을 17 14.2 지방의제 법제화21 1 0.8

    생태환경 16 13.3 지속가능발전도시계획 1 0.8

    에너지 16 13.3 지속가능성 1 0.8

    기후변화 12 10.0 지속가능성평가 1 0.8

    공동체 3 2.5 지역갈등해결 1 0.8

    도시재생 3 2.5 지역경제 1 0.8

    자원순환 3 2.5 지역공동체 1 0.8

    지속가능발전교육 3 2.5 해양 1 0.8

    지표 3 2.5 마을교육사업 1 0.8

    교육 2 1.7 기후 1 0.8

    자전거 2 1.7 먹거리 1 0.8

    청소년 2 1.7 환경보전 1 0.8

    마을만들기 2 1.7 정책협의 1 0.8

    건강 1 0.8 갈등 1 0.8

    교통 1 0.8 정책수립 1 0.8

    기록 1 0.8 생태도시 1 0.8

    문화 1 0.8 기후에너지 1 0.8

    사회적 경제 1 0.8 정책제안 1 0.8

    생물다양성 1 0.8 생태지도 1 0.8

    생활환경 1 0.8 적정기술 1 0.8

    습지 1 0.8 물 1 0.8

    시민참여 1 0.8 산림 1 0.8

    의제발굴 1 0.8 주민참여 1 0.8

    전통문화 1 0.8 친환경먹거리 1 0.8

    정책사업 1 0.8 합계 120 100

  • 제 장 지방의제 실무자 설문 분석3 21

    - 29 -

    임원 조직 체계3.2.2

    한국의 지방의제 추진기구들의 임원구조는 하나의 체계를 이루지 않고 각기 지역의 상황에21

    맞추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방의제 사무국의 대표를 상징하는 임원의 경우 상임회. 21 ,

    장 의장 공동회장 대표회장 협의회장 공동대표 등 다양한 명칭의 직위를 사용하고 있었다, , , , ,

    표 참조 지방의제 의 역량 집중을 위해 지속가능발전협의회 명칭으로 통일하는(< 3-6> ). 21 ‘ ’

    것과 함께 임원 구조와 명칭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표 지방의제 임원 구조 현황< 3-6> 21

    상임회장 공동회장 감사 운영위원장 분과위원장 사무국장(1/1), (6/6), (2/2), (1/1), (3), (1/1),

    운영위원(20/17)

    공동회장 운영위원 정책위원 교육홍보위원 특화사업위원 실천사업위원9, 25, 22, 11, 12, 9,

    추진위원 생태문화마을시민운동본부운영위원 녹색기업위원ESD 9, 12, 15

    고문 공동회장 운영위원장 부운영위원장 감사(5/8), (3/2), (1/1), (1/1), (2/2)

    상임회장 공동회장 부회장 고문및자문의원 약간명 위원(1/1), (5/1), (5/3), ( /9), (100/35)

    상임회장 공동회장 감사 운영위원장 상임회장겸임 사무처장1/1, 2/2, 2/2, 1/1,( ) 1/1

    회장 부회장 감사 운영위원장(1/1), (2/2), (2/2), (1/1)

    공동회장(5/2)

    위원장 부위원장 감사 운영위원회 사무처장 위원1/1, 1/1, 2/2, 15/10, 1/1, 50/50

    상임회장 공동회장 운영위원장 분과위원장 사무국장1, 3, 1, 4, 1

    공동회장 제한없음 감사 운영위원장 사무처장( /3), (2/2), (2/2), (1/1)

    운영위원 기타13, 36

    공동회장 감사 사무국장(4/4), (2/2), (1/1)

    공동회장 운영위원회 위원장 사무국(2/2), 15, 1, (1/2)

    협의회장단 이내 감사 운영위원회 내외 사무국장(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