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mynewsletter.co.kr기본연 구 2014-23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이요행 이대창 김강호 강옥희 T.1577-7114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기본연구

    2014-23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이 요 행

    이 대 창

    김 강 호

    강 옥 희

    T.1577-7114 www.keis.or.kr

    369-811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태정로 6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이 요 행

    이 대 창

    김 강 호

    강 옥 희

  • • 연구 과제명 :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연구기간:2014년 2월 ~ 2014년 10월

    • 연구 수행자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이요행

    이대창

    김강호

    강옥희

    한국고용정보원 생애진로개발센터 연구위원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한국고용정보원 생애진로개발센터 연구위원

    한국고용정보원 생애진로개발센터 연구원

  • 목 차 i

    목 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가. 직업 간 이동 패턴 분석 ·················································3

    나. 직업이동의 수평, 수직 이동 분석 ··································3

    다. 직업이동 종단 분석 ·························································3

    라. 공공고용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3

    마. 직업이동 패턴의 직업지도 자료 생성 ···························4

    바. 정책적 제언 ······································································4

    제2장 기초분석 ··············································································5

    1. 고용보험 DB 직종 정비 ·······················································5

    2.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20

    3. 고용현황 분석 ······································································21

    가. 입사년도 분석 ································································21

    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 분석 ······································22

    다. 산업별 종사현황 분석 ···················································25

    라. 직종별 종사 현황 분석 ·················································28

    제3장 직업이동 분석 ···································································43

    1. 분석대상과 내용 ··································································43

    2. 직업이동 현황분석–한국표준직업분류(KSCO) ·················44

    가. 기초 직종이동 분석(2004-2013) ····································48

    나. 직업이동 요인 분석(2004-2013) ····································62

    3. 직업이동 현황분석–한국고용직업분류(KECO) ················75

    4.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직업이동 요인분석(2008∼2013) ····· 85

  • ii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제4장 직업이동 경로 분석 ··························································93

    1. 기초통계량 ···········································································93

    2. 직업이동 패턴 ······································································98

    가. 분석 방법 ·······································································98

    나. 중분류 수준의 직업이동 패턴 ····································103

    다. 소분류 수준의 직업이동 패턴 ····································111

    제5장 공공고용서비스 효과분석 ···············································133

    1. 분석대상과 내용 ································································133

    가. 워크넷 구직신청 ··························································133

    나. 취업성공패키지 참여 ···················································134

    2. 공공고용서비스와 직업이동 관계 분석 ···························135

    가. 공공고용서비스의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에 대한 효과분석 ··········································135

    나. 공공고용서비스의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직업이동에 대한 효과분석 ··········································139

    제6장 요약 및 결론 ···································································147

    참고문헌 ·····················································································188

    집단별 직종이동 matrix ··········································189

    직업 이동 경로 ·························································451

  • 목 차 iii

    표 목 차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2007-2005 소분류

    직종코드 매칭 ····································································6

    통합직종코드 ····································································12

    통합직종코드- 한국표준직업분류(구) 코드 매칭 ······16

    분석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0

    분석 대상의 입사년도 ····················································21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 ··· 24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대분류별 종사현황 ··························································26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한국표준직업분류(구)

    대분류별 종사현황 ··························································29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소분류별 종사현황 ··························································33

    고용보험DB 무작위 추출 및 추적자료 피보험자 ·····45

    고용보험DB 무작위 추출 및 추적자료 직업이동 여부 ··· 46

    고용보험DB 동일사업장내 직업이동 여부 ·················47

    고용보험 무작위 샘플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2004~2013) ·······················································48

    2004년 피보험자 직업별 이동방향비율(2004∼2013) ·····49

    2013년 고용보험 피보험자 직군별 2004년 직업경력

    구성비 ················································································50

    고용보험 무작위 샘플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2004∼2013) ······················································52

    고용보험 무작위 샘플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2004~2013) ·····················································54

    고용보험 무작위 샘플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2)(2004~2013) ·················································57

  • iv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고용보험 무작위 샘플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2004∼2013) ····················································60

    고용보험 직업이동 자료 기초통계치 ··························63

    경제활동인구조사 직군별 여성 취업자 분포 ··········65

    경제활동인구조사 직군별 근로자 평균연령 ············66

    직업이동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66

    청년층 직업이동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68

    45세 이상 중고령자 직업이동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70

    30대 여성층 직업이동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71

    직업 상향이동 프로빗 분석 ········································73

    직업 하향이동 프로빗 분석 ··········································74

    고용보험DB 무작위 추출 샘플 2008-2013 추적자료

    고용보험 가입현황 ························································76

    고용보험DB 무작위 표본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

    분류(KECO) 직업이동여부 ··········································77

    고용보험DB 무작위 표본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

    분류(KECO) 중분류단위 직업이동여부 ····················77

    고용보험DB 무작위 표본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

    분류(KECO) 중분류단위 직업이동 행렬 ··················80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중분류(전문/비전문구분) 직업이동 분석 ·················83

    고용보험DB를 이용한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

    (KECO) 직업이동 분석 기초통계량 ··························85

    고용보험DB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소분류 직업이동 Probit 분석 ······································88

    고용보험DB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중분류 상향 직업이동 Probit 분석 ····························89

    고용보험DB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중분류 하향 직업이동 Probit 분석 ····························91

  • 목 차 v

    고용보험 자격취득 횟수 ················································94

    고용보험 자격상실 사유 ················································96

    근무 기간(일) ····································································98

    분석 대상 직종분류 ························································99

    주요 직업(대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전체 ··· 104

    성별 주요 직업(대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105

    학력별 주요 직업(대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107

    연령별 주요 직업(대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109

    주요 직업(소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전체 ···112

    성별 주요 직업(소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 116

    학력별 주요 직업(소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122

    연령별 주요 직업(소분류)

    이동 경로(상위 100개 경로) ······································128

    워크넷 구인・구직지표 ··················································134

    고용보험DB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과

    고용서비스 자료 기초통계치 ······································136

    고용보험DB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직업이동과

    고용서비스 효과 분석 ··················································137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직업이동과

    공공고용서비스 상관 분석 기초통계량 ····················139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직업이동과

    공공고용서비스 관계 프로빗 분석 ····························142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상향

    직업이동과 공공고용서비스 관계 프로빗 분석 ······ 143

  • vi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하향

    직업이동과 공공고용서비스 관계 프로빗 분석 ······ 144

    2008년에서 2013년 직업별(중분류) 이동 직업 순위 ··· 151

    2008년에서 2013년 직업별(소분류) 이동 직업 순위 ··· 160

  • 목 차 vii

    그 림 목 차

    2004년 피보험자의 직군별 2013년 직업이동

    방향 비율 ······································································50

    2013년 피보험자의 직군별 2004년 직업경력구성비 ···51

    2004년 피보험자의 그룹별 2013년 직업이동방향

    구성비 ············································································53

    2008-2013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중분류(전문/비전문구분) 직업이동 분석 ···············85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 ······························115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남성) ····················120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여성) ····················121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고졸 이하) ··········126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대졸 이상) ··········127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45세 미만) ··········131

    직종 간 직업이동 연결망 구조(45세 이상) ··········132

  • 요 약 ix

    요약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직업이동 양태를 살펴보기

    위해 고용보험 DB를 분석하였다. 직업이동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2008년∼2013년 고용보험 자격을 유

    지한 근로자들 중에서 38.9%정도가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중

    분류 수준에서 2013년에 2008년과는 다른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중분류를 보다 세분하여 02직군부터 23직군을

    전문직/비전문직으로 양분할 경우 5년간 직업이동 비중은 42.3%

    로 높아진다. 직업이동여부를 KECO 소분류(3자리)로 파악할 경

    우 이동비중은 더 높아져 전체 51.47%가 5년 동안 직업을 바꾼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KECO 소분류 단위에서 직업이동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사업장이동여부이다. 사업장을 이동할 경우 직업

    이 바뀔 확률이 매우 높다. 다음으로 이동이 빈번한 직군인 관리

    직군(01), 경영회계사무 관련직(02) 직군, 또는 생산단순직군(22)

    에 소속되어 있는가 여부이다. 아울러 각각의 중분류 직업 내에

    서 전문직에 속할 경우 이동성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기업 속성과 관련해서는 사업장 규모를 낮추어 갈 경우

    가 직업이동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보다 큰 규모의 사업장으로

    이동시 직업이동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광역시

    지역으로 사업장 이동을 할 경우는 직업이동의 가능성이 낮고 오

  • x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히려 광역시도에서 중소도시나 농어촌지역으로 이동시 직업이동

    의 가능성이 높다.

    넷째, 워크넷 구직지원서비스는 직업이동에 정(+)의 효과를 주

    는 반면, 취업성공패키지와는 상반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즉, 워

    크넷 구직지원서비스는 직업의 상향이동 및 하향이동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취업성공패키지의 경우 상향이동과 하

    향이동에 다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하향이동 가능성이 낮은 바람직한 현

    상을 보였으나, 반면 참여 횟수가 증가할 경우 하향이동 가능성

    이 높아졌다. 이는 대다수 취업성공패키지 대상자들이 취업이 절

    박한 계층이므로 하향 취업이라도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

    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이동 양태를 요약 정리하기 위해 2008년 현재 KECO 중

    분류 및 소분류를 기준으로 2013년에 이동한 빈도가 많은 직종

    순으로 10순위까지 분석하였다. 먼저 중분류 수준에서의 분석 결

    과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직종에서 타 직종으로

    의 이동보다는 동종 직종을 유지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보건・의

    료 관련직(79.4%)을 필두로 금융・보험 관련직(77.8%), 경비 및 청

    소 관련직(73.3%), 운전 및 운송 관련직(70.3%)에서 동종 직종을

    유지한 비율이 특히 높았으며,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69.5%),

    교육 및 자연과학・사회과학 연구관련직(64.8%), 경영・회계・사무

    관련직(62.6%) 음식서비스 관련직(61.6%) 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리직, 경영・회계・사무관련직, 그리고 금융・보험 관련

    직은 상호 이동이 가장 많은 직종에 속했다. 관리직은 경영・회

    계・사무관련직으로 15.1% 이동했고, 경영・회계・사무관련직은 관

    리직으로 12.0% 이동했다. 또 금융・보험 관련직은 경영・회계・사

    무관련직으로 10.8% 이동했다.

    셋째, 전 직종에서 관리직 및 경영・회계・사무관련직으로의 이

    동이 나타났다. 관리직으로의 이동은 승진을 통한 이동을 의미하

    기 때문에 전 직종에서 나타나는 것은 타당하다. 적은 비중이기

  • 요 약 xi

    는 하지만, 건설, 기계, 재료, 화학, 섬유 및 의복, 전기・전자, 정보

    통신, 식품가공,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등 기술/기능 분야에

    서도 경영・회계・사무직으로의 이동이 나타난 것은, 기술/기능 분

    야에서 사무직으로의 직업 이동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넷째, 거의 모든 직종에서 건설, 기계, 재료, 전기・전자, 정보

    통신,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등 기술/기능 분야로의 이동이

    나타났다. 특히 관리직, 경영・회계・사무관련직, 그리고 금융・보험

    관련직에서 기술/기능 분야로의 이동이 나타난 것은 사무/관리

    직에서 기술/기능직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섯째, 모든 직종에서 비 숙련직인 환경・인쇄・목재・가구・공

    예 및 생산단순직으로의 이동이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주된 직

    업에서 어떤 이유로든 탈락한 이후 동종 또는 유사 직종으로의

    재취업에 실패한 경우에 비 숙련직으로 입직하는 것으로 해석된

    다. 경비 및 청소 관련직으로의 이동도 거의 모든 직종에서 나타

    났는데 마찬가지 이유로 해석된다.

    여섯째, 타 직종으로부터 이동이 거의 없는 직종은 법률・경

    찰・소방・교도 관련직, 화학 관련직, 섬유 및 의복 관련직, 식품가

    공 관련직, 농림어업 관련직, 금융・보험 관련직 등이었다. 이들

    중 법률・경찰・소방・교도 관련직과 금융・보험 관련직은 업무 독

    점형 자격을 요구하거나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하는 직종으

    로 타 직종에서의 재취업을 통한 직업 이동은 어려운 직종인 것

    으로 보인다. 반면 화학 관련직, 섬유 및 의복 관련직, 식품가공

    관련직, 농림어업 관련직은 대부분 저임금이며 3D 직종으로 알려

    져 있어 재취업 시 회피 직종인 것으로 보인다.

    중분류 상에서의 직업이동이 전체 직종의 이동 양상을 큰 틀

    을 설명해 준다면, 소분류 상에서의 직업이동을 살펴보는 것은

    보다 상세한 직업 수준에서의 이동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재취

    업알선이나 경력개발 계획 수립에 있어서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소분류 수준에서의 직업이동에서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xii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첫째, 중분류 수준에서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직

    업에서 동종 직업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

    나고 있어 근로자들의 직업이동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을 알 수 있다. 특히, 보건・의료 관련직, 금융・보험관련직, 법률・

    경찰・소방・교도관련직 등 전문직 및 직무수행에 있어 필수적으

    로 자격 및 면허가 요구되는 직업일수록 이러한 경향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의사(92.6%), 기자(80.7%), 경찰・소방・교도 관련직

    (80.0%), 발전장치조작원(78.6%), 금융 및 보험관련 사무직(76.7%),

    약사(75.5%), 자동차 운전관련직(75.1%), 수의사(75.0%) 등의 직업

    이 동종 직업 유지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토목 및 채

    굴관련직, 어업관련직의 경우 동일 직업이 아닌 건설, 생산, 정보

    통신 관련 관리직(27.7%)과 농업, 원예, 축산 및 임업관련 종사자

    (37.5%)로 각각 이동한 경우가 1순위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 두 직업의 경우도 동일 직업은 아니지만 관련분야의 관리직과

    유사 업종으로 직업이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보험

    관련 영업직의 경우 26.7%만 동일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 직종에 비해 그 비중이 낮았으며, 개인서비스 관련 관

    리직(33.5%), 문화・예술・디자인, 방송 관련 관리직 (32.0%), 학원

    강사(33.7%), 계기검침, 수금 및 주차관리 관련직(31.1%), 건축 완

    성 관련직 (30.6%), 판금관련직(32.3%), 도장원 및 도금원(33.8%)

    등의 직업도 동일 직업 유지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 이동 시 전반적으로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관리

    직, 전문직으로의 이동 등 직업의 상향이동 현상이 나타나고 있

    다는 점이다. 특히, 건설관련직, 문화・예술・디자인・방송관련직,

    정보통신 관련직, 영업 및 판매관련직, 미용・숙박・여행・오락・스

    포츠 관련직에서 이러한 경향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

    적으로, 건축완성 관련직에서는 건설, 생산, 정보통신 관련 관리

    직(21.6%), 건축, 도시계획, 토목 및 측량 관련 기술자(14.9%) 등

    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건축, 도시계획, 토목 및 측량 관

    련기술자의 경우 건설, 생산, 정보통신관련 관리직(19.9%)으로의

  • 요 약 xiii

    직업이동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판매관련 단순직에 종사한

    근로자의 경우 판매원(14.9%), 경영, 회계 관련 전문직(5.2%)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전 직종에서 전반적으로 이전 직업 경력과 상관없는 저

    숙련 분야로의 하향 직업이동 현상 또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다. 상위 10위안에 분포해 있는 이동 직업들을 살펴보면 직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경비 관련직, 생산관련단순직, 가구・간

    판제작・공예원 및 기타 제조 관련직 등으로의 이동이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오랜 숙련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관리직의 경우에도 환경・인쇄・목재・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

    직종과 경비 및 청소관련 직종에 해당하는 직업이 상위 10위안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취업의 어려움과 체계적인 경

    력개발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근로자들이 자신의 이전 경험과 지

    식을 반영하지 못한 채 직업의 하향 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

    여, 향후 근로자들의 경력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

    요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좀 더 세부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추후

    연령별, 학력별 등 다양한 요인들과 함께 직업이동 양태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특징은 대부분의 직업에서 경영・회계 관련 전문직,

    경영관련 사무직, 회계 및 경리관련 사무직 등 경영・회계・사무

    관련 직종으로의 이동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전반적으

    로 동일 직업 유지비율 자체가 매우 높기 때문에 타 직업으로의

    이동 빈도 수 자체가 높지는 않은 편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법률전문직, 법률관련사무직,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 등이 포함

    되는 법률・경찰・소방・교도 관련 직종과 영업원 및 상품중개인,

    판매원 등이 포함되는 영업 및 판매 관련 직종, 그리고 정보통신

    관련 직종에서 경영・회계・사무 관련 직종으로의 이동 비중이 높

    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경영비서 및 사무보조원에서 경영관련

    사무직(12.4%)이나 경영, 회계 관련 전문직(9.9%)로 이동하거나,

  • xiv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회계 및 경리 관련 사무직에서 경영 관련 사무직(12.3%)이나 경영,

    회계 관련 전문직(10.4%)로 이동하는 등 사무직 내에서 이동하는

    비율도 높은 편이다. 이외에도 빈도 수 자체가 높지는 않지만 금

    융 및 보험 관련직, 미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관련직, 문화・

    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 기계관련직, 건설관련직 등 타 분야에

    서도 경영・회계・사무 관련 직종으로의 이동이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화학관련직종, 섬유 및 의복 관련직

    종, 농림어업관련직종, 식품가공관련직종, 법률・경찰・소방・교도

    관련직종, 금융・보험 관련직종으로의 직업이동은 매우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상기 직종에는 화학공학기술자, 섬유공학기술자,

    식품공학기술자 등 엔니지어급의 높은 기술을 요하거나 법률전

    문직,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 등 직무수행에 있어 자격이나 면

    허, 정규교육과정 이수 등을 요구하는 직업들이 포함되어 있어

    직업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직업이동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고용직

    업분류(KECO)의 중분류와 소분류를 기준으로 각각 직업이동 경

    로를 분석하고, 직업이동 경로를 도식화하기 위해 직종 간 연결

    망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결망 구조 분석 결과, 생산관련단순직이

    다른 직업과의 연결고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경영관련 사

    무직, 건설, 생산, 정보 통신관련 관리직, 기타보건의료 관련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림어업 관련직의 경우 다른 직종

    으로 이동 경로가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 간 이동확률이

    높은 경우를 살펴보면 생산관련단순직으로의 이동확률이 높은

    직종은 도장원 및 도금원, 금속 제조관련 조작원, 인쇄 및 사진현

    상 관련 조작원 등이었으며, 경영관련 사무직으로의 이동확률이

    높은 직종은 식품공학기술자, 작가 및 출판 관련직, 창작 및 공연

    관련직 등으로 이 경우 전혀 다른 특성의 직업으로 이동하는 경

    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1제1장 서 론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근로자의 생애 근로기간 연장은 세계적인 추

    세이며 과제이다. 연장된 생애 근로기간 동안 근로자는 최소 2~3번의

    직업 전환을 경험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은 여러

    측면에서 함의를 갖는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근로자는 생애 경력개발

    의 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경력 과정에서 다음 경력을 위한 준비를 병행

    해야 한다. 1단계 경력을 마친 후에 다음 단계의 경력을 준비하는 시대

    에서 경력 과정과 경력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대로 전환해야 한

    다. 둘째, 공공 고용서비스 측면에서, 근로자의 직업 이동에 대한 축적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별 근로자의 경력 개발 방향에 대한 컨설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근로자의 경력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전 경력

    경험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 인력수급 정책 수립의 측면에서, 근로

    자의 직업 이동 현황은 인력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근로자의 직업이동 현황을

    거시적으로 관찰한 분석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근로자의 직업이동에

    관한 선행 연구는 매우 드물어, 몇 개의 선행 연구(박진희, 2012; 방하남

  • 2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등, 2011; 김안국, 2005)가 있을 뿐이다. 이 연구들은 근로자 전체의 직업

    이동 현황을 분석했다기 보다는 베이비부머, 대학생 등 연구자의 관심

    에 따라 특정 세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박진희(2012)는 고용보험 DB를 이용해 베이비붐 세대의 노동이동을

    분석하고, 고용보험 취득 이후 한 번도 노동이동을 하지 않은 베이비부

    머는 5.6%(약 20만 명)이며, 노동이동을 한 번 이상 한 베이비부머들은

    평균 2.62개의 고용보험 가입 일자리를 가진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나이가 어릴수록, 남성일수록 평균 일자리 수가 많았다.

    방하남 등(2011)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직업이동 유형과 이동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일 일자리

    에서 같은 직업을 유지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일자리와 함께 직업도

    바뀌는 경우, 일자리 이동은 했으나 동일한 직업군에 종사하는 경우, 동

    일 일자리 내에서 직업이 바뀌는 경우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또한

    1998년의 일자리에서 직업 변동 없이 유지되는 사람은 해가 갈수록 지

    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다른 일자리로 이동함과 동시에 직업도 바뀌

    는 경우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김안국(2005)의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생 자료와 고용보험 DB를 결합

    한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대졸 청년들의 졸업 후 4년

    동안 평균 취업횟수는 1.68회였고, 노동이동시 업종과 직종이 일치하는

    경우는 적었다. 첫 직장 이동에서 동일산업 동일직종으로 이동하는 경

    우는 24.6%에 불과하였고, 동일직종을 유지하면서 산업을 바꾸는 이동

    이 21%, 동일 업종에서 직종을 바꾸는 이동이 24.7%, 직종과 업종을 모

    두 바꾸는 이동이 29.6%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직업 이동 현황을 살펴보는데 목

    적이 있다. 근로자들이 어떤 직업에서 어떤 직업으로 이동하고, 이동시

    수평・수직의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러한 이동에 직업훈련과 같은

    공공고용서비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3제1장 서 론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본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직업 간 이동 패턴 분석

    직업 간 이동패턴 분석은 고용보험가입자를 추적 조사하여 2004년

    말과 2013년 말의 직업 상태를 비교분석한다.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및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에 따라 각각 2004년과 2013년 고용보험가

    입여부 그리고 직업종류를 행렬(matrix) 형태로 정리하여 이동 양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동 양태는 취업알선 또는 직업훈련 등 고용

    서비스 정책입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직업전환을 위한 정

    보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직업이동의 수평, 수직 이동 분석

    직업이동을 직업 간 수평이동 또는 직업 내 수직이동 차원에서 분석

    한다. 직업이동을 상향이동과 하향이동이라는 수직이동 그리고 전혀 다

    른 직업으로의 수평이동으로 개념화한다. 그리고 이들 수직이동, 즉 상

    향이동과 하향이동을 결정하는 요소들이 어떤 것들인가를 다중로짓회

    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이나 프로빗(probit) 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다. 직업이동 종단 분석

    직업이동의 순차적 이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sequential analysis

    를 수행한다. 이 분석은 직업을 수차례 이동한 근로자들이 어떤 직업을

    거쳤는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라. 공공고용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직업이동에 직업훈련과 같은 공공고용서비스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

    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Work-net DB와 HRD-net DB를 고용보험 DB

  • 4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와 연계 활용할 것이다.

    마. 직업이동 패턴의 직업지도 자료 생성

    분석결과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그래프나 표의 형태로 다양하게 산

    출하여 취업알선이나 직업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생성한다.

    바. 정책적 제언

    분석 및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 취업알선에 필요한 시사점 및

    공공고용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 5제2장 기초분석

    제 2 장

    기초분석

    1. 고용보험 DB 직종 정비

    본 연구에서 사용할 2004~2013 고용보험 DB의 직종 코드는 한국표준

    직업분류(KSCO) 또는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에 따라 입력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분류는 각각 2008년과 2007년에 개정된 바 있다. 따라서

    2004~2013간의 직업이동 분석을 위해서는 분절된 직업분류를 교정해야

    한다. 먼저 본 연구에 필요한 직종코드를 정의하기 위해 2007년 KECO

    직종코드와 2005년 KECO 직종코드를 다음 표와 같이 매칭시켰다.

  • 2007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2005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비

    11

    고위

    공무

    원 및

    기업

    고위

    임원

    11

    고위

    공무

    원 및

    기업

    고위

    임원

    12

    경영

    지원

    , 행

    정 및

    금융

    관련

    관리

    자12

    사업

    , 금

    융 및

    사무

    관련

    관리

    13

    사회

    서비

    스관

    련 관

    리자

    (교육

    ・법률

    ・보건

    등)

    13

    사회

    서비

    스관

    련관

    리직

    15

    건설

    및 생

    산 관

    련 관

    리자

    14

    건설

    , 생

    산,

    정보

    통신

    관련

    관리

    16

    정보

    통신

    관련

    관리

    17

    영업

    , 판

    매 및

    운송

    관련

    관리

    자15

    개인

    서비

    스관

    련관

    리직

    18

    음식

    , 숙

    박,

    여행

    , 오

    락 및

    스포

    츠관

    련관

    리자

    14

    문화

    , 예

    술,

    디자

    인,

    방송

    관련

    관리

    자16

    문화

    , 예

    술,

    디자

    인,

    방송

    관련

    관리

      

    17

    농림

    어업

    관련

    관리

    2005 K

    EC

    O의

    015로

    통합

    하여

    정리

    19

    환경

    , 청

    소 및

    경비

    관련

    관리

    자2007 K

    EC

    O 코

    드로

    살려

    서 활

    21

    경영

    및 행

    정 관

    련 전

    문가

    21

    경영

    , 회

    계 관

    련 전

    문직

    22

    회계

    , 세

    무 및

    감정

    평가

    관련

    전문

    23

    광고

    , 홍

    보,

    조사

    , 행

    사기

    획 관

    련 전

    문가

    22

    경영

    관련

    사무

    24

    경영

    지원

    및 행

    정 관

    련 사

    무원

    25

    생산

    관련

    사무

    26

    무역

    및 운

    송 관

    련 사

    무원

    27

    회계

    및 경

    리 관

    련 사

    무원

    23

    회계

    및 경

    리관

    련 사

    무직

    28

    안내

    ・접수

    , 고

    객응

    대,

    통계

    조사

    관련

    사무

    원24

    안내

    및 고

    객관

    련 서

    비스

    29

    비서

    및 사

    무보

    조원

    25

    비서

    및 사

    무보

    조원

    31

    금융

    , 보

    험관

    련전

    문가

    31

    금융

    , 보

    험관

    련전

    문직

    32

    금융

    및 보

    험 관

    련 사

    무원

    32

    금융

    및 보

    험관

    련사

    무직

    33

    보험

    관련

    영업

    원33

    보험

    관련

    영업

    41

    대학

    교수

    (시간

    강사

    포함

    )41

    대학

    교수

    및 교

    육관

    련전

    문직

    42

    장학

    관 및

    교육

    관련

    전문

    한국

    고용

    직업

    분류

    (KEC

    O)

    2007

    -20

    05 소

    분류

    직종

    코드

    매칭

    6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2007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2005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비

    43

    자연

    과학

    , 생

    명과

    학관

    련전

    문가

    42

    자연

    과학

    , 생

    명과

    학관

    련전

    문직

    44

    인문

    사회

    과학

    관련

    전문

    가43

    인문

    사회

    과학

    관련

    전문

    45

    자연

    과학

    , 생

    명과

    학관

    련 시

    험원

    44

    자연

    과학

    , 생

    명과

    학관

    련 시

    험원

    46

    학교

    교사

    45

    학교

    교사

    47

    유치

    원교

    48

    학원

    강사

    및 학

    습지

    교사

    46

    학원

    강사

    51

    법률

    전문

    가51

    법률

    전문

    52

    법률

    관련

    사무

    원52

    법률

    관련

    사무

    53

    경찰

    , 소

    방,

    교도

    관련

    종사

    자53

    경찰

    , 소

    방,

    교도

    관련

    61

    의사

    61

    의사

    62

    수의

    사62

    수의

    63

    약사

    63

    약사

    64

    간호

    사 및

    치과

    위생

    사64

    간호

    65

    치료

    사65

    치료

    66

    의료

    장비

    및 치

    과 관

    련 기

    술 종

    사자

    66

    의료

    장비

    및 치

    과관

    련 기

    술직

    67

    의료

    및 보

    건 서

    비스

    관련

    종사

    자67

    기타

    보건

    의료

    관련

    68

    의료

    복지

    관련

    단순

    종사

    71

    사회

    복지

    및 상

    담 전

    문가

    71

    사회

    복지

    전문

    72

    보육

    교사

    , 육

    아도

    우미

    및 생

    활지

    도원

    72

    보육

    사 및

    생활

    지도

    73

    성직

    자 및

    종교

    관련

    종사

    자73

    종교

    관련

    81

    작가

    및 출

    판 전

    문가

    81

    작가

    및 출

    판 관

    련직

    82

    학예

    사,

    사서

    및 기

    록물

    관리

    사82

    학예

    사,

    사서

    및 기

    록물

    관리

    83

    기자

    83

    기자

    84

    창작

    및 공

    연 관

    련 전

    문가

    84

    창작

    및 공

    연 관

    련직

    85

    디자

    이너

    85

    디자

    인 관

    련직

    7제2장 기초분석

  • 2007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2005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비

    86

    영화

    , 연

    극 및

    방송

    관련

    전문

    가86

    영화

    , 연

    극 및

    방송

    관련

    전문

    87

    영화

    , 연

    극 및

    방송

    관련

    기술

    종사

    자87

    영화

    , 연

    극 및

    방송

    관련

    기술

    88

    연예

    인 매

    니저

    및기

    타문

    화/예

    술관

    련 종

    사자

    88

    연예

    인 매

    니저

    및 기

    타문

    화/예

    술 관

    련직

    91

    선박

    , 항

    공기

    조종

    및 관

    제관

    련 종

    사자

    91

    선박

    , 항

    공기

    조종

    및 관

    제 관

    련직

    92

    철도

    , 지

    하철

    기관

    사 및

    관련

    종사

    자92

    철도

    , 지

    하철

    기관

    사 및

    관련

    93

    자동

    차 운

    전원

    93

    자동

    차 운

    전 관

    련직

    94

    물품

    이동

    장비

    조작

    원94

    크레

    인 및

    지게

    차 운

    전 관

    련직

    95

    배달

    원 및

    운송

    관련

    단순

    종사

    자95

    운송

    관련

    단순

    101

    영업

    원 및

    상품

    중개

    인101

    영업

    원 및

    상품

    중개

    102

    부동

    산중

    개인

    102

    부동

    산중

    개인

    103

    판매

    원 및

    상품

    대여

    원103

    판매

    104

    계산

    원 및

    매표

    원104

    판매

    관련

    단순

    105

    노점

    ・이동

    ・방문

    판매

    원 및

    판매

    관련

    단순

    종사

      

    105

    모델

    및 판

    매홍

    보직

    드 매

    칭이

    어려

    워 코

    드 삭

    111

    경호

    원,

    청원

    경찰

    , 보

    안관

    련 종

    사자

    111

    경비

    관련

    112

    경비

    113

    청소

    원,

    가사

    도우

    미,

    그외

    청소

    관련

    단순

    종사

    자112

    청소

    및 파

    출부

    관련

    115

    계기

    검침

    , 수

    금 및

    주차

    관리

    관련

    단순

    종사

    자113

    계기

    검침

    , 수

    금 및

    주차

    관리

    관련

    114

    세탁

    원 및

    다림

    질원

    124

    세탁

    및 드

    라이

    클리

    닝직

    2007 K

    EC

    O 1

    14 코

    드를

    2005 K

    EC

    O 1

    24 코

    드로

    변경

    121

    이,

    미용

    관련

    서비

    스 종

    사자

    121

    이,

    미용

    및 관

    련 서

    비스

    122

    결혼

    및 장

    례 관

    련 서

    비스

    종사

    자122

    결혼

    및 장

    례관

    련 서

    비스

    123

    여행

    서비

    스관

    련 종

    사자

    123

    여행

    , 운

    송 및

    숙박

    관련

    시비

    스직

    124

    승무

    원125

    숙박

    시설

    서비

    스관

    련 종

    사자

      

    124

    세탁

    및 드

    라이

    클리

    닝직

    8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2007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2005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비

    126

    오락

    및 여

    가 시

    설 서

    비스

    관련

    종사

    자125

    오락

    및 여

    가관

    련서

    비스

    127

    스포

    츠 및

    레크

    레이

    션 관

    련 종

    사자

    126

    스포

    츠,

    레크

    리에

    이션

    관련

    131

    주방

    장 및

    조리

    사131

    주방

    장및

    조리

      

    132

    조주

    KEC

    O 1

    32코

    드로

    변경

    132

    식당

    서비

    스관

    련 종

    사자

    133

    식당

    서비

    스 관

    련직

    141

    건축

    및 토

    목 관

    련 기

    술자

    시험

    원141

    건축

    , 도

    시계

    획,

    토목

    및 측

    량관

    련기

    술자

    142

    건설

    구조

    관련

    기능

    종사

    142

    전통

    건물

    건축

    예외

    적으

    로,

    2005 K

    EC

    O 1

    42~

    145코

    드를

    2007 K

    EC

    O코

    드 1

    42로

    통합

    143

    철근

    , 철

    골 및

    콘크

    리트

    144

    석공

    및 조

    적원

    145

    목공

    143

    건설

    마감

    관련

    기능

    종사

    자146

    건축

    완성

    관련

    145

    건설

    및 채

    굴기

    계 운

    전원

    147

    건설

    기계

    운전

    146

    토목

    및 채

    굴 관

    련 종

    사자

    148

    토목

    및 채

    굴 관

    련직

    147

    건설

    및 광

    업 관

    련 단

    순 종

    사자

    149

    건설

    및 광

    업관

    련단

    순노

    무자

    144

    배관

    공 

     코

    드 매

    칭이

    어려

    워 코

    드 삭

    151

    기계

    공학

    기술

    자・연

    구원

    시험

    원151

    기계

    공학

    기술

    자(엔

    지니

    어)

    152

    기계

    장비

    설치

    및 정

    비원

    152

    기계

    장비

    설치

    및 정

    비원

    153

    운송

    장비

    정비

    원(자

    동차

    제외

    )153

    운송

    장비

    정비

    원(자

    동차

    제외

    )

    154

    자동

    차정

    비원

    154

    자동

    차정

    비원

    155

    금형

    및 공

    작기

    계 조

    작원

    155

    금형

    ,공구

    제조

    및 공

    작기

    계조

    작원

    156

    냉난

    방관

    련 설

    비 조

    작원

    156

    냉난

    방관

    련설

    비조

    작원

    157

    자동

    조립

    라인

    및 산

    업용

    로봇

    조작

    원157

    로봇

    조작

    및 자

    동조

    립라

    인조

    작원

    158

    자동

    차 및

    자동

    차 부

    분품

    조립

    원158

    운송

    차량

    및 기

    계관

    련 조

    립원

    159

    운송

    차량

    및 기

    계 관

    련 조

    립원

    161

    금속

    및 재

    료공

    기술

    자・연

    구원

    및 시

    험원

    161

    금속

    및 재

    료공

    학기

    술자

    (엔지

    니어

    )

    162

    판금

    , 제

    관 및

    섀시

    관련

    종사

    자162

    판금

    관련

    9제2장 기초분석

  • 2007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2005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비

    163

    단조

    원 및

    주조

    원163

    단조

    예외

    적으

    로,

    2005 K

    EC

    O 1

    63~

    164코

    드를

    2007 K

    EC

    O코

    드 1

    63으

    로 통

    합164

    주조

    164

    용접

    원165

    용접

    165

    도장

    기 및

    도금

    기 조

    작원

    166

    도장

    원 및

    도금

    166

    금속

    가공

    관련

    장치

    및 기

    계 조

    작원

    167

    금속

    제조

    관련

    조작

    167

    비금

    속제

    조관

    련 장

    치 및

    기계

    조작

    원168

    비금

    속제

    조관

    련 조

    작원

    171

    화학

    공학

    기술

    자・연

    구원

    시험

    원171

    화학

    공학

    기술

    자(엔

    지니

    어)

    172

    석유

    및 화

    학물

    가공

    장치

    조작

    원172

    화학

    물,

    플라

    스틱

    및 고

    무제

    조관

    련조

    작원

    173

    화학

    ・고무

    및 플

    라스

    틱 제

    품 생

    산 기

    조작

    181

    섬유

    공학

    기술

    자・연

    구원

    시험

    원181

    섬유

    공학

    기술

    자(엔

    지니

    어)

    182

    섬유

    제조

    기계

    조작

    원182

    섬유

    제조

    관련

    조작

    183

    섬유

    가공

    관련

    조작

    원183

    섬유

    가공

    관련

    조작

    184

    의복

    제조

    원 및

    수선

    184

    직물

    , 모

    피,

    가죽

    , 의

    복가

    공 관

    련직

    185

    재단

    , 재

    봉관

    련 기

    능종

    사자

    186

    제화

    및 기

    타 직

    물 관

    련 기

    계조

    작원

    및 조

    립원

    191

    전기

    및 전

    자 공

    학 기

    술자

    ・연구

    원 및

    시험

    원191

    전기

    전자

    공학

    기술

    192

    전공

    192

    전공

    193

    전기

    , 전

    자기

    기 설

    치 및

    수리

    원193

    전기

    , 전

    자기

    기설

    치 및

    수리

    194

    발전

    및 배

    전장

    치 조

    작원

    194

    발전

    장치

    조작

    195

    전기

    및 전

    자설

    비 조

    작원

    195

    전기

    설비

    조작

    196

    전기

    ・전자

    부품

    및 제

    품제

    조기

    계조

    작원

    196

    전기

    , 전

    자부

    품 및

    제품

    제조

    장치

    조작

    197

    전기

    ・전자

    부품

    및 제

    품조

    립원

    197

    전기

    /전자

    부품

    /제품

    조립

    및 검

    사원

    201

    컴퓨

    터 하

    드웨

    어 및

    통신

    공학

    기술

    자・연

    구원

    201

    컴퓨

    터 및

    통신

    공학

    기술

    자(엔

    지니

    어)

    202

    컴퓨

    터 시

    스템

    설계

    전문

    가202

    컴퓨

    터 및

    정보

    시스

    템 관

    련직

    203

    소프

    트웨

    어 개

    발 전

    문가

    10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2007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2005 개

    정 한

    국고

    용직

    업분

    류(K

    EC

    O)

    소분

    류비

    204

    웹 전

    문가

    205

    데이

    터베

    이스

    및 정

    보시

    스템

    운영

    전문

    206

    통신

    및 방

    송 장

    비기

    사 및

    설치

    및 수

    리원

    203

    방송

    , 통

    신장

    비 설

    치 및

    수리

    211

    식품

    공학

    기술

    자・연

    구원

    시험

    원211

    식품

    공학

    기술

    212

    제과

    ・제빵

    원 및

    떡 제

    조원

    212

    식품

    가공

    관련

    213

    식품

    가공

    관련

    기능

    종사

    214

    식품

    제조

    기계

    조작

    221

    환경

    공학

    기술

    자・연

    구원

    관련

    시험

    원221

    환경

    공학

    기술

    222

    산업

    안전

    및 에

    너지

    , 기

    타공

    학기

    술자

    ・연구

    원 및

    시험

    원222

    비파

    괴,

    안전

    공학

    관련

    223

    환경

    관련

    장치

    조작

    원(상

    하수

    , 소

    각)

    223

    환경

    관련

    장치

    조작

    원(상

    하수

    , 소

    각)

    224

    인쇄

    및 사

    진현

    상 관

    련 조

    작원

    224

    인쇄

    및 사

    진현

    상 관

    련조

    작원

    225

    목재

    , 펄

    프,

    종이

    가공

    및 제

    조관

    련조

    작원

    225

    목재

    , 펄

    프,

    종이

    가공

    및 제

    조관

    련조

    작원

    226

    가구

    , 목

    제품

    조립

    및 제

    조관

    련종

    사자

    226

    가구

    , 간

    판제

    작,

    공예

    원 및

    기타

    제조

    관련

    227

    공예

    원,세

    공원

    및악

    기제

    조원

    ,기타

    기능

    종사

    228

    간판

    제작

    ・설치

    및 기

    타제

    조관

    련기

    계조

    작원

    229

    생산

    관련

    단순

    종사

    자227

    생산

    관련

    단순

    231

    작물

    재배

    종사

    자231

    농업

    , 원

    예 및

    축산

    관련

    기술

    예외

    적으

    로,

    2005 K

    EC

    O 2

    31~

    232코

    드,

    2007 K

    EC

    O 2

    31~

    233코

    드를

    통합

    하여

    ‘231농

    업,원

    예,축

    산및

    임업

    관련

    종사

    자’

    신규

    코드

    부여

    232

    낙농

    및 사

    육 관

    련 종

    사자

    232

    농업

    , 원

    예,

    축산

    및 임

    업 관

    련직

    233

    임업

    관련

    종사

    234

    어업

    관련

    종사

    자233

    어업

    관련

    235

    농림

    어업

    관련

    단순

    종사

    자234

    농림

    어업

    관련

    단순

    240

    군인

    241

    군인

    석 제

    외 코

    11제2장 기초분석

  • 12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구분통합직종코드

    코드 직업명

    01

    관리직

    11 고위공무원 및 기업고위임원

    12 사업, 금융 및 사무관련 관리직

    13 사회서비스관련관리직

    14 건설, 생산, 정보통신 관련관리직

    15 개인서비스 관련관리직

    16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관련관리직

    19 환경, 청소 및 경비 관련 관리자

    02

    경영・회계・사무 관련직

    21 경영, 회계 관련전문직

    22 경영관련 사무직

    23 회계 및 경리관련 사무직

    24 안내 및 고객관련서비스직

    25 비서 및 사무보조원

    03

    금융・보험 관련직31 금융, 보험 관련 전문직

    32 금융 및 보험관련사무직

    33 보험관련영업직

    04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연구

    관련직

    41 대학교수 및 교육관련전문직

    42 자연과학, 생명과학관련전문직

    43 인문사회과학관련전문직

    44 자연과학, 생명과학 관련 시험원

    45 학교교사

    46 학원 강사

    05

    법률・경찰・소방・교도 관련직

    51 법률전문직

    52 법률관련사무직

    53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

    06

    보건・의료 관련직

    61 의사

    62 수의사

    63 약사

    64 간호사

    통합직종코드

    2005년과 2007년 KECO 코드를 정비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할 통

    합 직종코드는 다음 표와 같다.

  • 13제2장 기초분석

    구분통합직종코드

    코드 직업명

    65 치료사

    66 의료장비 및 치과관련기술직

    67 기타보건 의료 관련직

    07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71 사회복지전문직

    72 보육사 및 생활지도원

    73 종교 관련직

    08

    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

    81 작가 및 출판 관련직

    82 학예사,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

    83 기자

    84 창작 및 공연 관련직

    85 디자인 관련직

    86 영화, 연극 및 방송관련전문직

    87 영화, 연극 및 방송관련기술직

    88 연예인매니저 및 기타문화/예술 관련직

    09

    운전 및 운송 관련직

    91 선박, 항공기 조종 및 관제 관련직

    92 철도, 지하철 기관사 및 관련직

    93 자동차 운전 관련직

    94 크레인 및 지게차운전 관련직

    95 운송관련단순직

    10

    영업 및 판매

    관련직

    101 영업원 및 상품중개인

    102 부동산중개인

    103 판매원

    104 판매관련단순직

    11

    경비 및 청소 관련직

    111 경비 관련직

    112 청소 및 파출부 관련직

    113 계기검침, 수금 및 주차관리 관련직

    12

    미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관련직

    121 이,미용 및 관련서비스직

    122 결혼 및 장례관련서비스직

    123 여행, 운송 및 숙박관련 시비스직

    124 세탁 및 드라이클리닝직

    125 오락 및 여가관련서비스직

    126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관련직

  • 14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구분통합직종코드

    코드 직업명

    13

    음식서비스 관련직

    131 주방장 및 조리사

    133 식당 서비스 관련직

    14

    건설 관련직

    141 건축, 도시계획, 토목 및 측량관련기술자

    142 건설구조관련 기능 종사자

    146 건축완성 관련직

    147 건설기계 운전원

    148 토목 및 채굴 관련직

    149 건설 및 광업관련단순노무자

    15

    기계 관련직

    151 기계공학기술자(엔지니어)

    152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

    153 운송장비정비원(자동차제외)

    154 자동차정비원

    155 금형, 공구제조 및 공작기계조작원

    156 냉난방관련설비조작원

    157 로봇조작 및 자동조립라인조작원

    158 운송차량 및 기계관련 조립원

    16

    재료 관련직

    161 금속 및 재료공학기술자(엔지니어)

    162 판금 관련직

    163 단조원 및 주조원

    165 용접원

    166 도장원 및 도금원

    167 금속제조 관련조작원

    168 비금속제조관련 조작원

    17

    화학 관련직

    171 화학공학기술자(엔지니어)

    172 화학물, 플라스틱 및 고무제조관련조작원

    18

    섬유 및 의복 관련직

    181 섬유공학기술자(엔지니어)

    182 섬유제조관련조작원

    183 섬유가공관련조작원

    184 직물, 모피, 가죽, 의복가공 관련직

    19

    전기・전자 관련직191 전기전자공학기술자

    192 전공

    193 전기, 전자기기설치 및 수리원

  • 15제2장 기초분석

    구분통합직종코드

    코드 직업명

    194 발전장치조작원

    195 전기설비조작원

    196 전기,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장치조작원

    197 전기/전자부품/제품조립 및 검사원

    20

    정보통신 관련직

    201 컴퓨터 및 통신공학 기술자(엔지니어)

    202 컴퓨터 및 정보시스템 관련직

    203 방송, 통신장비설치 및 수리원

    21

    식품가공 관련직

    211 식품공학기술자

    212 식품가공 관련직

    22

    환경・인쇄・목재・ 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

    221 환경공학기술자

    222 비파괴, 안전공학 관련직

    223 환경관련 장치조작원(상하수, 소각)

    224 인쇄 및 사진현상관련조작원

    225 목재, 펄프, 종이가공 및 제조관련조작원

    226 가구, 간판제작, 공예원 및 기타제조 관련직

    227 생산관련단순직

    23

    농림 어업 관련직

    231 농업, 원예, 축산 및 임업 관련 종사자

    233 어업 관련직

    234 농림어업관련단순직

    고용보험 DB에는 직종코드가 KECO 3 digit와 KSCO 1 digit 중 하

    나로 혼합되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KSCO를 기초로 직업이동을 분석

    하기 위해서는 KECO 코드를 KSCO 코드로 전환시켜야 한다. 전환시킨

    결과를 다음 표와 같다.

  • 16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통합직종코드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 코드

    01

    관리직

    11 고위공무원 및 기업고위임원

    1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2 사업, 금융 및 사무관련 관리직

    13 사회서비스 관련관리직

    14건설, 생산, 정보통신 관련

    관리직

    15 개인서비스관련관리직

    16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관련관리직

    19 환경, 청소 및 경비 관련 관리자

    02

    경영・회계・사무 관련직

    21 경영, 회계 관련전문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22 경영관련 사무직

    4 사무직원23 회계 및 경리관련사무직

    24 안내 및 고객관련서비스직

    25 비서 및 사무보조원

    03

    금융・보험 관련직

    31 금융,보험 관련전문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32 금융 및 보험관련사무직 4 사무직원

    33 보험관련 영업직 5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

    04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 관련직

    41 대학교수 및 교육관련 전문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42 자연과학, 생명과학관련전문직

    43 인문사회과학관련전문직

    44 자연과학, 생명과학 관련시험원

    45 학교교사

    46 학원 강사

    05

    법률・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

    51 법률전문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52 법률관련사무직 4 사무직원

    53 경찰, 소방, 교도관련직 5

    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

    (* 서비스근로자에는

    공공서비스 근로자도 포함)

    06

    보건・의료 관련직

    61 의사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62 수의사

    통합직종코드- 한국표준직업분류(구) 코드 매칭

  • 17제2장 기초분석

    통합직종코드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 코드

    63 약사

    64 간호사

    65 치료사

    66 의료장비 및 치과관련기술직

    67 기타보건 의료관련직

    07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71 사회복지전문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72 보육사 및 생활지도원

    73 종교 관련직

    08

    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

    81 작가 및 출판 관련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82 학예사,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

    83 기자

    84 창작 및 공연 관련직

    85 디자인 관련직

    86 영화, 연극 및 방송관련전문직

    87 영화, 연극 및 방송관련기술직

    88연예인 매니저 및 기타문화/예술

    관련직

    09

    운전 및

    운송 관련직

    91 선박, 항공기조종 및 관제 관련직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92 철도, 지하철 기관사 및 관련직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93 자동차 운전 관련직

    94 크레인 및 지게차 운전 관련직

    95 운송관련단순직 9 단순노무직근로자

    10

    영업 및

    판매 관련직

    101 영업원 및 상품중개인 5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

    102 부동산중개인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03 판매원 5

    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104 판매관련단순직

    11

    경비 및

    청소 관련직

    111 경비 관련직 5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

    112 청소 및 파출부 관련직 9 단순노무직근로자

    113계기 검침, 수금 및 주차관리

    관련직 9 단순노무직근로자

    12

    미용・숙박・ 121 이, 미용 및 관련 서비스직 5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

  • 18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통합직종코드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 코드

    여행・오락・스포츠

    관련직

    122 결혼 및 장례관련 서비스직

    123 여행, 운송 및 숙박관련 서비스직

    124 세탁 및 드라이클리닝직

    125 오락 및 여가관련 서비스직

    126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관련직

    13

    음식서비스

    관련직

    131 주방장 및 조리사 5

    서비스근로자 및 상품화 시장

    판매근로자133 식당 서비스 관련직

    14

    건설 관련직

    141건축, 도시계획, 토목 및 측량

    관련기술자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42 건설구조관련 기능 종사자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

    146 건축완성 관련직

    147 건설기계 운전원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148 토목 및 채굴 관련직

    149 건설 및 광업관련 단순노무자 9 단순노무직근로자

    15

    기계 관련직

    151 기계공학기술자(엔지니어)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52 기계장비 설치 및 정비원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153 운송장비정비원(자동차제외)

    154 자동차정비원

    155금형, 공구제조 및 공작기계

    조작원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156 냉난방관련설비조작원

    157 로봇조작 및 자동조립라인조작원

    158 운송차량 및 기계관련조립원

    16

    재료 관련직

    161금속 및

    재료공학기술자(엔지니어)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62 판금 관련직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163 단조원 및 주조원

    165 용접원

    166 도장원 및 도금원

    167 금속 제조관련 조작원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168 비금속제조관련 조작원

    17

    화학 관련직

    171 화학공학기술자(엔지니어)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72화학물, 플라스틱 및

    고무제조관련조작원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 19제2장 기초분석

    통합직종코드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 코드

    18

    섬유 및

    의복관련직

    181 섬유공학기술자(엔지니어)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82 섬유제조관련조작원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183 섬유가공관련조작원

    184직물, 모피, 가죽, 의복가공

    관련직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

    19

    전기・전자 관련직

    191 전기전자공학기술자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192 전공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

    193 전기, 전자기기설치 및 수리원

    194 발전장치조작원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195 전기설비조작원

    196전기,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장치조작원

    197전기/전자부품/제품조립 및

    검사원

    20

    정보통신

    관련직

    201컴퓨터 및

    통신공학기술자(엔지니어)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202 컴퓨터 및 정보시스템 관련직

    203 방송, 통신 장비설치 및 수리원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

    21

    식품가공

    관련직

    211 식품공학기술자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212 식품가공 관련직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

    22

    환경・ 인쇄・ 목재・

    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

    221 환경공학기술자 2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222 비파괴, 안전공학 관련직

    223환경 관련 장치 조작원(상하수,

    소각)

    8 장치기계조작원 및 조립원224 인쇄 및 사진현상관련조작원

    225목재, 펄프, 종이가공 및

    제조관련조작원

    226가구, 간판제작,공예원 및

    기타제조관련직 7 기능원 및 관련근로자

    227 생산관련단순직 9 단순노무직근로자

    23

    농림어업

    관련직

    231농업, 원예, 축산 및 임업 관련

    종사자 6 농업 및 어업 숙련근로자

    233 어업 관련직

    234 농림어업관련단순직 9 단순노무직근로자

  • 20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2.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직업이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고용보험 DB 순수피보험자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자료의 방대함에 따른 자료처리상 불편함을 피하

    기 위해 전체의 1/100 무작위 샘플을 추출해 이용하였는데, 2004년 12

    월 피보험자의 1/100 무작위 샘플을 그 이후 추적한 것과 2004년 12월

    이후 신규로 피보험자들 중에 역시 1/00 무작위 샘플을 취하여 그들이

    피보험자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또한 추적한 것이다. 그 결과 고용

    보험 DB 직종 정비를 거쳐 최종 활용된 분석대상자는 총 262,335명으

    로, 이중 남성은 57.8%, 여성은 42.2%를 차지하고 있다.

    구분 빈도 %

    전체 262,335 100.0

    성별남 151,608 57.8

    여 110,727 42.2

    연령

    29세 미만 98,678 37.6

    30-39 68,517 26.1

    40-49 51,454 19.6

    50-59 30,052 11.5

    60이상 13,634 5.2

    학력

    중졸 이하 17,156 6.5

    고졸 114,703 43.7

    전문대졸 34,386 13.1

    대학교졸 62,143 23.7

    석사 이상 4,834 1.8

    불류불능 29,113 11.1

    주: 연령, 학력은 최초 피보험자격취득 시의 연령과 학력을 의미함

    분석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단위: 개소

  • 21제2장 기초분석

    입사년도 빈도 % 입사년도 빈도 %

    1963 1 0.0 1989 769 0.3

    1964 1 0.0 1990 842 0.3

    1965 4 0.0 1991 974 0.4

    1966 1 0.0 1992 969 0.4

    1967 6 0.0 1993 1,060 0.4

    1968 10 0.0 1994 1,373 0.5

    1969 13 0.0 1995 5,434 2.1

    1970 20 0.0 1996 2,630 1.0

    분석 대상의 입사년도(단위: 명, %)

    최초 피보험자격 취득 시 연령을 살펴보면 20대 이하가 37.6%로 가

    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30대(26.1%), 40대(19.6%),

    50대(11.5%), 60대 이상(5.2%) 순이었다. 학력별로 살펴보면 고졸이

    43.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대학교 졸이 23.7%%, 전

    문대졸이 13.1%, 석사 이상이 1.8%를 차지하고 있다.

    3. 고용현황 분석

    본 절에서는 분석대상의 고용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입사년도, 사

    업장 규모별, 산업별, 직종별 종사현황을 분석하였다.

    가. 입사년도 분석

    분석 대상의 입사년도를 살펴보면 1963년도부터 2014년 까지 분포하

    고 있었으며, 분석대상자의 상당수가 2000년대에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에 입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03년 입사자가 39,071명으로

    전체의 14.9%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2004년 입사자가 8.9%, 2002

    년 입사자가 8.2%, 2005년과 2006년 입사자가 각각 6.3%, 6.0%로 나타

    났다.

  • 22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입사년도 빈도 % 입사년도 빈도 %

    1971 17 0.0 1997 2,744 1.0

    1972 14 0.0 1998 4,857 1.9

    1973 63 0.0 1999 5,782 2.2

    1974 63 0.0 2000 9,925 3.8

    1975 67 0.0 2001 12,609 4.8

    1976 108 0.0 2002 21,605 8.2

    1977 159 0.1 2003 39,071 14.9

    1978 244 0.1 2004 23,286 8.9

    1979 229 0.1 2005 16,411 6.3

    1980 195 0.1 2006 15,634 6.0

    1981 232 0.1 2007 13,918 5.3

    1982 258 0.1 2008 12,793 4.9

    1983 316 0.1 2009 14,019 5.3

    1984 454 0.2 2010 13,378 5.1

    1985 398 0.2 2011 12,749 4.9

    1986 467 0.2 2012 12,091 4.6

    1987 666 0.3 2013 11,603 4.4

    1988 691 0.3 2014 1,112 0.4

    주: 상기 입사년도는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의 입사년도를 말함

    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 분석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을 살펴보면, 10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한 경우가 전체의 30.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0인에서 30인 미만 사업체가 17.0%, 30인에서 100인 미만 사업체가

    16.4%, 100인에서 300인 미만 사업체가 13.4%, 1000인 이상 사업체가

    13.2%로 나타났다.

    성별로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을 살펴보면,

    남성(27.9%)과 여성(33.2%%) 모두 10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하는 경우가

  • 23제2장 기초분석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을 살펴

    보면, 전 연령대에서 10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하는 비중이 가장 높게 나

    타났다. 다만, 29세 미만의 경우 1000인 이상 사업체에 종사하는 경우가

    17.6%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학력별로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사업장 규모별 종사현황을 살펴

    보면, 전반적으로 10인 미만의 사업장에 근무하는 비율이 높았다. 다만,

    석사이상(18.5%), 대학교졸(15.9%)의 고학력자는 다른 학력에 비해 1000

    인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비율이 다소 높았다.

  • 구분

    전체

    1-

    9인

    10-

    29인

    30-

    99인

    100-

    299인

    300-

    499인

    500-

    999인

    1000인

    이상

    전체

    빈도

    262,3

    35

    78,9

    35

    44,7

    27

    42,9

    07

    35,2

    12

    11,7

    47

    14,1

    66

    34,6

    41

    전체

    %100.0

    30.1

    17.0

    16.4

    13.4

    4.5

    5.4

    13.2

    성별

    남빈

    도151,6

    08

    42,2

    27

    26,0

    05

    26,2

    50

    21,9

    26

    6,9

    24

    8,0

    10

    20,2

    66

    행 비

    중(%

    )100.0

    27.9

    17.2

    17.3

    14.5

    4.6

    5.3

    13.4

    여빈

    도110,7

    27

    36,7

    08

    18,7

    22

    16,6

    57

    13,2

    86

    4,8

    23

    6,1

    56

    14,3

    75

    행 비

    중(%

    )100.0

    33.2

    16.9

    15.0

    12.0

    4.4

    5.6

    13.0

    연령

    29세

    미만

    빈도

    98,6

    78

    25,9

    30

    14,9

    01

    15,5

    29

    13,3

    83

    4,9

    99

    6,6

    05

    17,3

    31

    행 비

    중(%

    )100.0

    26.3

    15.1

    15.7

    13.6

    5.1

    6.7

    17.6

    30-

    39

    빈도

    68,5

    17

    23,0

    65

    11,6

    47

    10,6

    02

    8,5

    28

    2,7

    34

    3,3

    05

    8,6

    36

    행 비

    중(%

    )100.0

    33.7

    17.0

    15.5

    12.4

    4.0

    4.8

    12.6

    40-

    49

    빈도

    51,4

    54

    17,2

    35

    9,6

    81

    8,5

    10

    6,6

    68

    1,9

    16

    2,0

    79

    5,3

    65

    행 비

    중(%

    )100.0

    33.5

    18.8

    16.5

    13.0

    3.7

    4.0

    10.4

    50-

    59

    빈도

    30,0

    52

    8,9

    65

    5,6

    24

    5,4

    73

    4,4

    98

    1,3

    67

    1,4

    71

    2,6

    54

    행 비

    중(%

    )100.0

    29.8

    18.7

    18.2

    15.0

    4.5

    4.9

    8.8

    60이

    상빈

    도13,6

    34

    3,7

    40

    2,8

    74

    2,7

    93

    2,1

    35

    731

    706

    655

    행 비

    중(%

    )100.0

    27.4

    21.1

    20.5

    15.7

    5.4

    5.2

    4.8

    학력

    중졸

    이하

    빈도

    17,1

    56

    3,5

    81

    3,1

    15

    3,7

    87

    3,2

    74

    1,0

    06

    1,0

    26

    1,3

    67

    행 비

    중(%

    )100.0

    20.9

    18.2

    22.1

    19.1

    5.9

    6.0

    8.0

    고졸

    빈도

    114,7

    03

    36,0

    86

    19,6

    61

    18,9

    27

    15,5

    27

    4,7

    38

    5,7

    66

    13,9

    98

    행 비

    중(%

    )100.0

    31.5

    17.1

    16.5

    13.5

    4.1

    5.0

    12.2

    전문

    대졸

    빈도

    34,3

    86

    11,5

    90

    6,0

    27

    5,3

    83

    4,3

    68

    1,5

    06

    1,7

    91

    3,7

    21

    행 비

    중(%

    )100.0

    33.7

    17.5

    15.7

    12.7

    4.4

    5.2

    10.8

    대학

    교졸

    빈도

    62,1

    43

    17,7

    66

    10,6

    58

    9,5

    28

    7,7

    22

    2,9

    15

    3,6

    69

    9,8

    85

    행 비

    중(%

    )100.0

    28.6

    17.2

    15.3

    12.4

    4.7

    5.9

    15.9

    석사

    이상

    빈도

    4,8

    34

    899

    677

    830

    807

    379

    348

    894

    행 비

    중(%

    )100.0

    18.6

    14.0

    17.2

    16.7

    7.8

    7.2

    18.5

    불류

    불능

    빈도

    29,1

    13

    78,9

    35

    44,7

    27

    42,9

    07

    35,2

    12

    11,7

    47

    14,1

    66

    34,6

    41

    행 비

    중(%

    )100.0

    30.1

    17.0

    16.4

    13.4

    4.5

    5.4

    13.2

    최초

    피보

    험자

    격취

    득자

    의 사

    업장

    규모

    별 종

    사현

    황(단

    위:

    명,

    %)

    24 근로자 직업이동 연구

  • 25제2장 기초분석

    다. 산업별 종사현황 분석

    최초 피보험자격취득자의 산업별 종사 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2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