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 길 2016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정 도 채

농업·농촌의 길 2016

Page 2: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의 성격6차산업 정책의 성격6차산업 정책의 성격

6차산업화 주요 추진 실적과 성과6차산업화 주요 추진 실적과 성과6차산업화 주요 추진 실적과 성과

6차산업화 추진 방향 및 과제6차산업화 추진 방향 및 과제6차산업화 추진 방향 및 과제

Contents

농업·농촌의 여건농업·농촌의 여건농업·농촌의 여건

Page 3: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업·농촌의 여건

Page 4: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업 생산의 축소농업 생산의 축소

4

단위 20142015(추정)

2016 2020 2025연평균 변화율(%)

15/14 16/15 25/15

경지면적 (천 ha) 1,730 1,711 1,695 1,657 1,623 -1.1 -0.9 -0.5

농가호당 경지면적 (ha) 1.54 1.59 1.60 1.65 1.71 3.3 0.2 0.7

농가 인구당경지면적 (a) 62.9 65.7 66.7 72.8 80.6 4.4 1.6 2.1

국민 1인당경지면적 (a) 3.43 3.38 3.34 3.22 3.12 -1.5 -1.3 -0.8

재배면적 (천 ha) 1,754 1,693 1,683 1,616 1,562 -3.4 -0.6 -0.8

경지이용률 (%) 104.2 101.7 102.0 100.2 98.9 -2.5%p 0.3%p -2.8%p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농업전망 2016

경지 이용 전망

주 : ( )는 부가가치율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농업전망 2016

농업 부문 부가가치 전망

20142015(추정)

2016 2020 2025연평균 변화율

15/14 16/15 25/15

부가가치(십억

농업26,113 27,165 26,152 27,336 29,206 4.0 -3.7 0.7

(58.1) (60.0) (59.7) (59.6) (58.9) (1.9%p) (-0.3%p) (-1.1%p)

재배업18,725 19,031 19,187 19,285 19,493 1.6 0.8 0.2

(71.9) (73.8) (74.6) (74.1) (73.5) (1.9%p) (0.9%p) (-0.3%p)

축산업7,388 8,134 6,965 8,050 9,713 10.1 -14.4 1.8

(39.1) (41.8) (38.5) (40.6) (42.2) (2.6%p) (-3.3%p) (0.4%p)

Page 5: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가 소득 전망농가 소득 전망

5

(단위, 천 원)

도시 근로자 가구 소득 대비 농가 소득 비율 변화

Page 6: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촌 사회 활력 저하농촌 사회 활력 저하

농촌 인구 감소 및 고령화

6

• 농촌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40년 경 농촌지역 총인구는 900만명 수준에 그

칠 것으로 전망

• 2040년 농촌 지역 고령인구 비중은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

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제17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발표자료

0%

10%

20%

30%

40%

50%

60%

2008년 2013년 2018년 2023년 2028년 2033년 2038년 2043년

농촌 -

2,000

4,000

6,000

8,000

10,000

2008년 2013년 2018년 2023년 2028년 2033년 2038년 2043년

천명

농촌인구 읍인구 면인구

<농촌 인구전망> <농촌 인구고령화 전망>

Page 7: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업 · 농촌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농업 · 농촌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

7

농촌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

• 농업, 농촌에 대한 국민의 지지가 계속될 것인가?

• 농업정책 및 농업·농촌 문제에 대한 관심 정도(관심 있다고 응답한 비율(%))

7

16.3%18.8%

17.0% 15.9%

39.3% 40.3%

33.3% 33.8%

61.9%58.5%

51.4% 52.1%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농업정책 농촌농업

문제에 대한 관심 정도

농업, 농촌에 대한 애착

정도

농업정책 농업농촌

문제와 나와의 관계

정도

농업의 실상과

농촌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

20대이하

3,40대

5,60대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농업·농촌에 대한 2015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재구성

20대

5·60대

Page 8: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화 정책의 지향

Page 9: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화의 정의와 의미6차산업화의 정의와 의미

6차산업화에 대한 이해

9

6차산업화란?6차산업화란?

농업(1차산업)과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식품∙특산품 제조∙가공(2차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체험∙관광 서비스(3차산업) 등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 근거법령 :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 14.6.3, 시행15.6.3)

농산물생산 ∙ 양식

특산물생산 ∙ 양식

기타 유 ∙ 무형자원

1차 산업

식품 제조 ∙ 가공

특산품 제조 ∙ 가공 등

2차 산업

유통 ∙ 판매, 체험 ∙ 관광 ∙

축제, 외식 ∙ 숙박 ∙ 컨벤션,

치유 ∙ 교육 등

3차 산업

1) 농업인 등 농촌지역주민 주도 2) 지역 부존자원의 활용

3) 창출된 부가가치 및 일자리가 농업·농촌으로 내부화,

지역 자본으로 형성되어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핵심요소

Page 10: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외소득 정책의 추진 성과와 한계농외소득 정책의 추진 성과와 한계

10

농가부업단지 육성- 풍부한 유휴인력을 활용하여 왕골공예품 등 생산

60년대

새마을공장 건설- 읍•면단지에 제조기업을 유치하여 농촌지역 일자리 창출

70년대

농공단지 조성 및 관광농원 조성- 농촌지역에중소규모 공업단지조성(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제정)

80년대

농촌관광 활성화, 정보화마을 조성- 농촌체험휴양마을 등 도시민 유치를 위한 농촌관광기반 확대

00년대

(성과)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등으로 농가소득 제고(한계) 기업 유치 등 외부 자원을 활용하여 농촌지역 재투자가

미흡하였고, 농업·농촌과의 연계성이 낮다는 한계

Page 11: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의 성격6차산업 정책의 성격

기존 농외 소득 정책과의 차별성

① 농가 계층을 고려한 소득 기반 확충

• 규모화, 전문화된 농업 경영체 육성과 병행한 중소농의 소득 기반 확충

추진(기존 농업 생산만으로는 중소, 고령농의 소득 기반 확충에 한계)

② 농업·농촌 자원 기반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및 내부화

• 6차산업화는 농업, 농촌 기반 부가가치의 지역 순환으로 농촌경제의 자족적

발전을 도모

③ 농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미래 인력 유입을 지향

• 귀농∙귀촌, 청년 창농 등 농업, 농촌을 둘러싼 새로운 기회요인을 활용하여

일자리 창출을 통한 새로운 계층의 농촌 유입을 적극 유도

11

Page 12: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의 성격6차산업 정책의 성격

기존 농외 소득 정책과의 차별성

12

④ 농업, 농촌 관련 산업∙경제 정책의 통합적 추진 추구

• 다양한 정책목표와 수단을 가진 농업, 농촌 정책들을 6차산업화 정책으로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추진

⑤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 확산

• 6차산업화 정책을 통해 농촌의 다원적 가치에 대해 전국민이 향유,

도농교류 활성화로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Page 13: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 지향6차산업 정책 지향

13

농촌의 자생적 산업 역량 강화를 통한 농촌 활력 제고

Page 14: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화 주요 추진 실적과 성과

Page 15: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

6차산업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법 제도 기반 구축

15

법적개념 정의

인증제도입

지원전문기관

지정

6차산업화지구제도입

인허가의제제도

도입

Page 16: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

지역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 6차산업지원센터(10개소) 설치

16

• 광역 지자체별 6차산업지원센터(10개소) 구성·운영

- 기획·경영·판로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멘토단 구성, 현장 상담 및 지역별 우수사례 발굴

Page 17: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

주요 지원 프로그램

17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도별

우수사례 → 중앙 우수사례)

대학생 농업농촌 6차산업화

사업모델 공모전

이달의 6차산업 인(人) 선정

농수산식품 창업 콘테스트

6차산업화 사업자 인증평가 및 사후관리

전문상담 및 코칭

안테나숍 운영

기초 실태조사

시설 디렉토리 구축 사업

유통업체 판매플랫폼

Page 18: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6차산업 주요 추진 실적

6차산업 지구 선정

18

공동인프라조성, 규제완화, 전후방산업연계등을통해지역특화산업클러스터로육성

* 지구현황(13개소) : 평창·강릉고랭지배추, 횡성한우, 영동포도와인, 서천소곡주, 공주알밤순창장류, 장수레드푸드, 영광찰보리, 문경오미자, 의성마늘, 하동녹차, 함양산양삼, 제주서귀포

Page 19: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참여 주체 증가6차산업 참여 주체 증가

6차산업화 참여 주체 증가

19

• 6차산업화에 해당하는 농업 다각화 활동 참여 농가 및 법인 수의 지속적인 증가

• 우수 경영체라고 할 수 있는 인증 경영체 증가 – 379개(‘14 예비인증) → 950(현재)

구분2010(A) 2014(B) 증감 증감률

(D-C)법인수 구성비(C) 법인수 구성비(D) 증감수(B-A) 구성비

법인수 8,361 100.0 15,043 100.0 6,682 100.0 0.0

농업생산 3,112 37.2 4,461 29.7 1,349 20.2 -7.6

농업생산이외 5,249 62.8 10,582 70.3 5,333 79.8 7.6

가공판매 1,568 18.8 3,154 21.0 1,586 23.7 2.2

유통판매 1,730 20.7 4,100 27.3 2,370 35.5 6.6

농업서비스 613 7.3 942 6.3 329 4.9 -1.1

기타 1,338 16.0 2,386 15.9 1,048 15.7 -0.1

(단위 : 개, %, %p)

자료: 통계청, 각 연도, 농어업법인조사

농업 다각화 활동 참여 농업 법인 현황

Page 20: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생산 부가가치 증가6차산업 생산 부가가치 증가

경영 다각화 활동 관련 부가가치 증가

20

• 농림업이 정체되는 것과는 달리, 농업 경영체가 창출하는 농업 생산 외 부가가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주: 농업 생산 외 활동은 농어업 법인조사의 가공․유통․음식․관광 활동으로 한정.자료: 통계청, 각 연도, 농어업법인조사.

2011 2012 2013 증가율(11→13)

6차산업 법인수 4,497 5,678 6,938 54.3%

농업생산 외 부가가치(십억) 1,268.9 1,521.6 1,755.9 38.4%

농림업 부가가치(십억) 26,721 27,359 27,376 2.5%

가공법인수 2,046 2,472 3,022 47.7%

수입(백만) 3,474,543 4,216,983 5,312,973 52.9%

유통법인수 2,525 3,243 3,896 54.3%

수입(백만) 5,733,836 6,878,241 7,888,798 37.6%

음식・관광법인수 340 506 644 89.4%

수입(백만) 86,357 138,204 163,364 89.2%

농업법인의 농업 생산 외 활동 부가가치 증가

Page 21: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생산 부가가치 증가6차산업 생산 부가가치 증가

6차산업 참여 농가의 부가가치 및 소득 증가

21

• 직∙간접적으로 6차산업 지원 사업에 참가한 농가들의 매출, 소득 그리고 부가가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농가 대비 소득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주 : 전년대비 증가율 = (2015년 값- 2014년 값)/2014년 값사업전대비 증가율 = (2015년 값 – 2013년 값)/2013년 값

자료: 농진청, 2015, 6차산업화 시범사업 성과분석통계청, 2015, 농가경제조사

6차산업 사업 참여 농가의 소득 및 부가가치 변화

2013년 2014년 2015년 전년대비 사업전 연평균

6차산업참여농가

매출 44,117 58,493 81,306 39.0 84.3 35.8

소득 43,282 50,935 56,577 11.1 30.7 14.3

부가가치 56,435 60,924 68,036 11.7 20.6 9.8

전체 농가소득 34524 34950 37215 6.5 7.7 3.8

(단위: 천원, %)

Page 22: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가 겸업소득 증가농가 겸업소득 증가

22

농가유형 농가비율2010 2013 2015 증가율(10-15)

농가소득 겸업소득 농가소득 겸업소득 농가소득 겸업소득 농가소득 겸업소득

고령소농 45.5% 2,210 152.6 2,270 185.0 2,470 196.9 11.8% 29.0%

고령중대농 17.4% 3,550 283.1 3,300 242.2 3,750 248.3 5.6% -12.3%

청장년소농 21.4% 3,800 587.3 4,110 645.4 4,140 536.3 8.9% -8.7%

청장년중대농 15.7% 5,850 587.9 5,510 784.8 6,980 875.7 19.3% 49.0%

농가 유형별 연 평균 농가소득 및 겸업소득 변화

주 : 고령농(65세이상), 중대농(표준영농규모 – 2.0ha 이상)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중지역단위 6차산업화를 통한 농촌경제활성화 연구(연구수행중)

(단위: 만원, %)

농가의 다각화 관련 소득 증가

• 모든 농가유형에서 농가 소득이 증가하며, 청장년 중대농의 겸업소득 증가율이 높음.

• 경제 여건이 열악하고, 농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고령 소농의 경우 6차산

업화 소득에 해당하는 겸업소득의 증가세가 높게 나타남.

Page 23: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도농 교류 확대도농 교류 확대

농촌 관광, 체험프로그램 등을 통한 도∙농 교류 기반 확대

23

자료: 김광선, 2016, ‘문화를 생산하고 꿈을 파는 창조산업으로 거듭나야 할 농촌 관광’, 웹진 문화관광

농촌관광 총량 변화

§ 6차산업 정책의 추진과 그 성과로 인해 농업 경영체의 6차산업화 인지도 및 참여

의사는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6차산업화 정책 인지도 여부 – 97.4%(KREI, 2015년 농업인 대상 조사)

• 농업인의 70%가 6차산업화 참여 의향 있음(동 조사)

단위 : 일

Page 24: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화 추진 방향 및 과제

Page 25: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농가의 참여 확대농가의 참여 확대

대다수의 농가는 독자적인 6차산업화 보다는 타 주체와의 연계를 통한

6차산업화 참여를 희망

• 일반 농가의 경우 로컬푸드, 지역 공동체 등 지역 내 타 주체와의 거래관계 형성을 통해

6차산업화에 참여하고자 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남.

• 농가의 다수를 차지하는 고령농, 중소농의 참여 활성화 방안 모색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제1차 농촌융복합산업육성기본계획 수립 연구

6차산업 참여 방식 설문조사 결과

참여 방식 응답비중

농가 독자적으로 추진 24.2%

기존 민간기업과 거래관계 형성 8.4%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추진 23.7%

로컬푸드를 통한 판매, 가공, 체험프로그램 참여 41.1%

기타 2.6%

계 100%

25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중 지역단위 6차산업화를통한 농촌경제 활성화 공동 연구

농가유형별 겸업소득 비중

농가 유형 전체 농가비중 겸업소득비중

고령 소농 45.5% 8.0%

고령 중대농 17.4% 6.5%

청장년 소농 21.4% 13.0%

청장년 중대농 15.7% 12.5%

Page 26: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지역단위 6차산업화 추진지역단위 6차산업화 추진

6차산업 가치사슬의 확산

• 6차산업화 정책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농가, 경영체의 참여 유도

• 생산-가공-유통-관광경영체간네트워킹을통한시너지 창출

26

개별 경영체

6차산업화

지역단위

6차산업화

정책위상 개별 품목・제품육성 ‘지역전략산업화‘로격상

지원대상 개별 경영체6차산업 관련

전후방연계산업

정책목표개별 경영체(농가, 법인)

소득 증대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동반 성장

지원방식부문별 지원

(산업정책)

통합 지원

(산업정책+지역정책)

개별 경영체 가치사슬

클러스터 화

Page 27: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의 방향6차산업 정책의 방향

정책대상 확대

• 우수경영체지원에더해융복합산업거래관계형성유도

• 농공상연대 활성화, 농공상융합형 중소기업 육성 등을통해 지역네트워크 형성 유도

• 개별 경영체의 다각화 è 농촌산업 전반으로 확대

• 협력 네트워킹 지원 및 중개 전문가 육성

산업생태계(가치사슬) 중심으로 정책 대상을 확대

27

Page 28: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의 방향6차산업 정책의 방향

지역전략산업 육성으로 위상 강화

지역전략산업 육성

• 개별산업 지원에서 지역전략산업으로 위상 재정립

• 혁신의 관점에서 농촌산업 시스템을 보고 지역산업과동반 성장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됨

• 기존 품목/제품 중심의 정책지원 탈피→ 기존 방식은 지역 파급효과가 한정적임

• 거점 조성을 통해 자생적 발전을 위한 규모화를 달성

28

Page 29: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6차산업 정책의 방향6차산업 정책의 방향

6차산업을 매개로 한 통합적 농촌 정책 모색

통합적 농촌정책추진

• 귀농, 귀촌, 청년 창농 등을 융복합산업에 적극 활용

• 공동체 자생기반 마련을 위한 커뮤니티비즈니스 모델발굴 및 지원

• 농촌산업 정책과 지역개발 정책 통합 추진

• 지역사회 기반 경제활동 주체들을 육성

29

Page 30: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지역 내 협업 및 분업체계 구축

30

정책 과제정책 과제

§ 선도업체가주도해온6차산업화모델을지역내협업과분업체계구축방식으로전환

• 개별농가단위에서까지2∙3차융복합활동에일률적으로참여토록유도하는것은

다수의농가여건을고려할때, 비효율적임

• 농산물생산에주력할농가와가공‧체험관광등의다각화를확대할농가및법인을

구분하여지역단위에서여러주체들간협업을유도하는것이필요함

§ 지역내다양한사업주체들이각자의특성에맞도록6차산업화참여기회를확대

• 가공센터등을확대하여영세농가들이용이하게이용할수있도록유도

• 역량있는귀농∙귀촌인및청년인력을대상으로지역단위6차산업활동에참여할

기회를제공하여전문성을강화

§ 6차산업화의체계적인추진을위한지역의지원체계활성화

• 지자체들로하여금6차산업화추진과정에서민간부문육성및인큐베이팅을

지속적으로추진하도록유도

Page 31: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소비 기반 확충

31

정책 과제정책 과제

§ 공급중심의6차산업외연확대에서발전하여, 제품∙서비스에대한소비기반확충추진

• 6차산업활동참여법인및농가확대를통해공급기반을확대하는데주력하였지만,

일부를제외하고는관련제품구매의향이높지않고,6차산업화세분시장도

발달되지않은상황

• 6차산업관련제품이소비자에게차별성있는제품으로인식되고독자적시장을

확보하도록정부차원에서인증제도등을보다내실있게운영

• 지역내전통문화, 생태환경, 지질, 경관등다양한무형자산을활용한새로운

제품,서비스개발

Page 32: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 농업·농촌의6차산업화 2016. 11.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농업·농촌의길201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