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황해익 ** 박성미 *** 탁정화 ****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 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운영과 실질적 지원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시 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보육교사교육 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전체 및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감사성향은 행복감과 행복감 하위요인 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 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을 증 진하기 위해서는 감사성향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매개효과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본 연구는 년도 부산대학교 부설 보육교사교육원의 연구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부산대학교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교수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플러스 연구원 교신저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부산대학교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생태유아교육연구

2015. 제14권 제2호 , 193 - 218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황해익** ․ 박성미*** ․ 탁정화****

요 약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

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운영과 실질적 지원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시

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195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보육교사교육

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전체

및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감사성향은 행복감과 행복감 하위요인(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을 증

진하기 위해서는 감사성향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자아탄력성(ego-resilience)행복감(happiness)감사성향(gratitude disposition)매개효과(mediating effect)

※ 논문접수 : 2015. 05. 01 / 수정본 접수 : 2015. 06. 08 / 게재승인 : 2015. 06. 19* 본 연구는 2013년도 부산대학교 부설 보육교사교육원의 연구비에 의해 수행되었음.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대학교 부설 보육교사교육원 교수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BK21 플러스 연구원(교신저자, [email protected])

1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Ⅰ. 서 론

유능한 유아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예비보육교사가 경험한 직전교육은 교직수행과정

에서 최초의 출발선을 결정한다. 직전교육은 보육교사로 거듭나기 위하여 보육관련 교과목

과 학점을 취득하는 과정으로(임부연, 김성숙, 송진영, 2014) 보육교사로 성장하고 발달함에

있어 다양한 신념을 형성하고, 보육교사로서 살아갈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는데 도움을 준

다. 보육현장에 근무하는 50%이상의 보육교사들은 보육교사교육원을 통하여 자격을 취득

한다(육아정책연구소, 2014). 보육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은 보육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결정

하는 요인임에 기반해 볼 때 보육교사양성과정에서 보육교사교육원의 책임과 역할을 간과

할 수 없다. 보육교사교육원을 통한 보육교사 자격과정은 전 연령층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

공하며 부모역할을 지원할 수 있는 통로이자 여성인력의 재취업을 돕는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김의향, 2010; 송응식, 2009). 하지만 보육교사교육원 자격양성과정은 짧은 기간 동안

일반교육과정, 전공과정, 교육실습 등의 이론적이고 실제적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에

는 한계가 있으며 이는 보육교사 전문성 부족과 연결되어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향상에 걸

림돌이 된다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서문희, 2004; 이대균, 김선구, 2009; 이미정, 2011; 이주

하, 2011). 보육교사교육원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에도 불구하고 보육교사교육원은 보육교

사양성과정과 보육의 질 형성에 높은 파급효과를 미치는 보육교사양성체계이므로 교사의

심리적 특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육교사교육원 관련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 제도의 발전방안을 살펴보

거나(김은설, 최윤경, 김문정, 2011; 김정신, 2011; 황해익, 박선해, 박성민, 김정신, 2007), 보

육교사교육원 출신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정도를 살펴본 연구(김현진, 2012), 보육교사의 전

문성이 가진 이데올로기를 비판적 시각에서 접근한 연구(이주하, 2011)가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예비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 역할을 하며 삶에 대한 자세와 신

념은 영유아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인적자원임에 비추어볼 때, 보육교

사교육원 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심리적

안녕감과 행복감은 교사의 삶의 충실도를 높이고(이미란, 김정원, 2011; 황해익, 탁정화, 강

현미, 2015) 전문성(고경미, 이선경, 심성경, 2014)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므로,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행복감을 점검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것은 보

육교사의 심리적 건강을 높이는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심리적 건강성을 점검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교사가 되기 이전부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195

터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 자아탄력성, 감사성향의

심리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최근 들어 심리적 건강성을 나타내는 특성 중의 하나로 행복감을 들 수 있다. 고대 철학

자의 사변적 관점에서 심리적 관점으로 행복감의 개념이 확대되면서 행복이 심리적 건강성

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행복을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으로 정의한 Diener(1984)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이

바로 행복이라고 접근하였다. Keyes와 Lopez(2002)는 긍정적 정신건강은 정서적 안녕, 심

리적 안녕, 사회적 안녕의 3가지 삶이 조화를 이루어야하며 안녕감은 가정, 직장, 사회 등

의 환경에서 조화를 이루어야한다고 보았다. 행복한 삶은 개인의 독특한 성품과 강점이 발

휘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Seligman(2002)은 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을 통하여 행복한 삶의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고 보았다(권석만, 2009;

Seligman, Rashid, & Parks, 2006). 여기서 즐거운 삶은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 차원에

서 긍정적 감정을 느끼는 삶으로 과거의 삶에 대해서는 만족감을 느끼고 현재의 삶에서는

유쾌함과 즐거움을 느끼며 미래의 삶은 도전의식을 바탕으로 낙관적이고 희망감을 가지는

삶을 의미한다. 의미있는 삶은 소중함을 발견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개인적 의미 뿐

만 아니라 나눔과 봉사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의미를 추구하는 것이다. 몰입하는 삶

은 개인이 가진 성격강점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자기실현을 추구하는 것으로 매일의

삶에서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몰입을 경험하는 것을 중요하게 추구하는 삶이다. 이러한 3가

지 삶은 긍정심리학의 행복관을 반영하는 것으로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이끄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간주된다. 행복감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 마다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Seligman이 행복한 삶을 이끄는 조건으로 제시한 삶의 측면을 바탕으로 개인적 행복에 머

무는 행복의 개념에서 벗어나 쾌락적 측면, 자아실현적 측면, 사회관계적 측면을 포괄하는

수준에서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을 살펴보고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양성과

정 중의 하나인 보육교사교육원에서 자격을 취득한 보육교사 비율이 높다는 점, 예비보육

교사 시절은 보육교사관을 신념화하며 역할수행 방법을 연마하는 단계라는 점, 이 시기에

형성한 심리적 특성은 영유아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결정

하며 정신건강성을 고취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중요성에 기반하여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과의 관련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행복감을 높이는 요인은 성별, 연령, 경제적 수준, 교육, 직업, 결혼 유무 등 인구사회학

적 요인보다 심리적 요인에 의하여 더 큰 영향을 받는다. 행복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

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데, 유아교사 직무에 만족하거나 회복탄력성이 높

1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은 유아교사는 자신의 삶이 행복하다고 응답하였다(탁정화, 2015; 황해익, 2013; 황해익, 탁

정화, 홍성희, 2013). 또한 더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프레임을 가지고 있거나(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4) 영유아를 교육하고 보육하는 과정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으며(고경미, 이선경,

심성경, 2014),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황해익, 탁정화, 2014) 유아교사는 자신의 삶

에 더 만족하고 더 행복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

서의 행복은 성공을 유발하는 핵심기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Boehm & Lyubormirsky,

2008; Fredrickson, 2001) 다른 사람을 돕고자하는 경향이 높이고, 사회적 지지정도를 높이

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문용린, 2014). 이렇듯 행복감은 외부환경에서 주

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가고 발전해나가는 특성을 가지므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발견하는 작업을 통하여 증진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다양한 인구학적 배경을 가진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아탄력성을 들 수 있다. 개인이 가진 심리적 근력으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아탄력성은 위험한 환경 속에 높이거나 지속적인 스트레스

를 받는 상황에서 긍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고, 외상 사건으로부터 빠

르게 회복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해준다(김미진, 김병만, 2014; 한수련, 이정화,

2010). Atsushi 등(2002)은 자아탄력성을 평정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의 3가지 구성요인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흥미

와 관심의 다양성은 새로운 일과 경험에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의욕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

심을 가지는 특성을 의미하며, 감정조절은 어려운 상황에 처하였을 때 화를 내고 분노와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기보다는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긍정적 미래지향성은 자신의 미래

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잘 될 것이라는 희망을 바탕으로 미래의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구

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자아탄력성은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심

을 바탕으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미래를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성향으로 측정될 수 있

음을 알 수 있다.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유아교사를 대상으

로 자아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에서 관련성을 찾아보면,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사회지능을 높이고 조직몰입도를 높이는데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문태형, 2013) 자아탄력성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며(유지연, 황혜정, 2014; 정혜욱, 이옥형,

2011),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심리적 안녕

감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리진, 홍연애, 2013). 이렇듯 자아탄력성은 선택

의 결정권과 확신감과 연결되기 때문에 자아실현을 통한 행복감인 몰입하는 삶과 연결될 수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197

있으며, 고통과 괴로운 상황 속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의미있는 삶

을 통한 행복감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문제상황과 심리적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함에 있어 대처방안으로 작용하므로 즐거운 삶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

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인간의 긍정적 상태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감사는 행복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성격강점 중

의 하나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감사는 고대철학, 동·서양의 주요 종교에서 도덕적 인간이

갖추어야 하는 덕목으로 간주되어왔으며 최근 감사의 가치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는 심리

학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감사하는 태도와 빈도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Peterson & Seligman, 2004;

Lopez & Snyder, 2008). 감사를 VIA 성격강점 하위요인으로 분류한 Peterson과

Seligman(2004)은 선한 행동을 하거나 누군가를 도와주는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감사를 정

의하며 초월의 미덕에 속하는 성격강점으로 감사를 제안하였다. 이렇듯 감사는 일상적인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삶에 대한 통찰력을 높이는 자세와 연결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

에 예비보육교사 개인의 삶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사는 개인적 이해와 관계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함으로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데 심리적 자원을 구축한다. 즉, 자신의 삶 속에서 감사의 경험을 발견하고

생활 속 긍정적 요인을 헤아려보는 기회는 자기성찰의 시간을 보내는데 도움을 주며

(Emmons & McCullough, 2003) 타인의 호의에 대하여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기회는 모

든 것을 축복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Emmons, 2004). 게다가 같은 스트레

스 상황, 부정적 사건에 처하더라도 감사성향이 높은 경우 건설적인 대처능력과 연결되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고취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Alex, Wood, & Alex,

2007) 문제를 외면하고 회피하기보다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합한 해

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이다(김유리, 이희경, 2012; 노지혜, 이민규,

2011; Folkman & Moskowitz, 2000; Watkins, 2004). 또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한 경우 감사

성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9·11 테러의 경험, 베트남전 참전의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을 대상으로 감사성향의 변화과정을 살펴본 연구(Fredrickson,

Tugade, Waugh, & Larkin, 2003; Kashdan, Uswatt, & Julian, 2005)에서도 그 효과성이

발견되었다. 다시말해 감사성향은 스트레스나 부정적 사건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긍

정적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감사성향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개인의 내외적 성

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여 강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때

1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문에 행복감을 높이는데 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김미진, 김병만, 2014; 김리진, 홍연애; 2013; 문용린, 2014) 성인이 가진 감사성향은 심리

적 안녕감을 높이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 기여를 하며(김주연, 진보래, 김주환,

2014) 감사성향은 안녕감을 높이는 매개변인으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류정희,

조발그니, 2009, 유주연, 박경, 2010). 이러한 선행연구를 종합해 볼 때 예비보육교사의 자아

탄력성은 행복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기여를 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감사성향은 행복감을

높이는데 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행복감 관련 연구들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며, 최근 들

어서는 특정한 직업군의 행복감을 살펴보기 위하여 현직유아교사나 보육교사의 현재 심리

적 수준을 진단하고 관련 심리적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들이 주로 수행되고 있으

나 대상의 보편화를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특성을 진단하고 증진방안을 모색하

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유아교사의 감사와 행복감의 연구가 수행되었다고

하더라도 감사일기쓰기 활동(박선민, 김아영, 2014; 양진희, 2013)의 효과성을 검증하거나

교사의 높은 감사성향(강수정, 이지연, 장진이, 2014;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이 행복

감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음이 증명하는 소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

성, 행복감, 감사성향의 인식정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작업은 행복감을 증진

함에 있어 자아탄력성에 주목하는 것 이외에도 생활 속에서 감사성향을 높임으로써 행복감

이 증진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전교육과정에서 예

비보육교사의 심리적 변인에 대한 수준을 진단하고 관련 변인의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는데 긍정적 기여를 할 것이며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운영과 실질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을 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의 인식정도는 어떠

한가?

둘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간 상관정도는 어떠

한가?

셋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199

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P시에 위치한 대학부설 보육교사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부를 배부한 뒤 198부가 회수되어 99%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무성의

한 응답사례와 임의 응답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3부를 제외한 195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에 대한 일반적 배경을 제시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N=195)

구분 내용  사례수 %

연령

25세 이하 15 7.7

26-30세 22 11.3

31-35세 20 10.3

36-40세 51 26.2

41-45세 45 23.1

46세 이상 42 21.5

결혼유무미혼 47 24.1

기혼 148 75.9

교육수준

고졸 68 34.9

전문대졸 60 30.7

대졸이상 67 34.4

2. 연구도구

1) 자아탄력성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Atsushi, Hitoshi, Shinji,

와 Motoyuki(2002)이 개발한 척도를 민동일(2007)이 수정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

도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의 3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되며 총

21문항으로 구성되는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5점 평정척도로 구성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행

복감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문항내용, 문항 수 및 신뢰도 다음 표 2와 같다.

2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표 2> 유아교사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별 문항 수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 수 신뢰도()

자아탄력성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7 .85

감정조절 8 .92

긍정적 미래지향성 6 .83

전 체 21 .95

2) 행복감

보육교사교육원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Seligman(2002)의 행복삼각형

척도를 사용하였다(하승수, 2012). 진정한 행복척도는 즐거운 삶, 몰입하는 삶, 의미있는 삶

의 3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되며, 각 7문항 씩 총 21문항으로 구성되며 ‘전혀 아니다(1점)’에

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

은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문항내용, 문항 수 및 신뢰도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유아교사 행복감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수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 수 신뢰도()

행복감

즐거운 삶 7 .85

몰입하는 삶 7 .89

의미있는 삶 7 .91

전 체 21 .95

3) 감사성향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 감사성향 측정하기 위해 McCullough, Emmons와

Tsang(2002)이 개발한 감사도구(GQ-6) 6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단일 요인 모형의

타당성이 확보된 도구로, 감사대상, 감사표현, 감사빈도, 감사표현의 즉각성 등에 대한 내용

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각 문항에 대해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

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사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문항 수 및 신뢰도는 표 4와 같다.

<표 4> 유아교사 감사성향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수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 수 신뢰도()

감사성향 전체 6 .84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01

3. 연구절차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

성을 살펴보았으며 관련 심리측정도구 문항을 수집한 뒤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구성된 설

문지는 유아교육전문가 1인과 박사과정 이상의 학력을 지닌 유아교사 3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이해 정도, 도구의 타당성, 문제점 및 소요시간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유아교육전문가 3인에게 적절성을 검토 받은 뒤

배부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4년 6월 1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약 2주

간 유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부에 앞서 사전에 연구 참여 기관에

협조를 구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부한 뒤 상자함을 구비해두어 자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Window용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연

구대상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

를 분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

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원칙에 의거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

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의 인식 정도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2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표 5>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의 인식 정도

(N=195)

하위요인 평균(M) 표준편차(SD)

자아탄력성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3.56 .58

감정조절 3.51 .61

긍정성 미래지향성 4.02 .56

자아탄력성 전체 3.67 .48

감사성향 감사성향 전체 3.96 .55

행복감

즐거운 삶 3.57 .79

의미있는 삶 3.76 .72

몰입하는 삶 3.69 .77

행복감 전체 3.67 .73

표 5에서와 같이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감사성향, 행복감

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자아탄력성 인식의 평균은 3.67(SD=.48)로 보통보다 높은 인식수

준을 보였으며,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의 평균을 살펴보면 긍정적 미래지향성의 평균이

4.02(SD=.56)로 가장 인식정도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M=3.56,

SD=.58), 감정조절(M=3.51, SD=.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

사는 미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도가 다양한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감정을 조절하는

정도보다 높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감사성향의 평균값은 3.96(SD=.55)으로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감사인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도덕적 주체에 대하여 호의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감사성향정도가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을 살

펴보면 행복감의 평균값은 3.67(SD=.73)이었으며 보통보다 높은 수준에서 행복감정도를 가

지고 있었으며 행복감 하위요인 중 의미있는 삶(M=3.76, SD=.72), 몰입하는 삶(M=3.69,

SD=.77), 즐거운 삶(M=3.57, SD=.79)의 순으로 인식정도가 높았다. 이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은 삶 속에서 의미를 추구함으로써 느끼는 행복정도가 일시적 긍정

정서로 인한 행복보다 높은 인식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간의 상관관계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값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03

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 표 6

과 같다.

<표 6>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상관 (N=195)

하위요인 1 2 3 4 5 6 7 8

자아

탄력성

1.흥미와 관심의

다양성1

2.감정조절 .49***

1

3.긍정성

미래지향성.58***

.43***

1

4.자아탄력성 전체 .84***

.83***

.78***

1

행복감

5.즐거운 삶 .33***

.30***

.47***

.44***

1

6.의미있는 삶 .37***

.28***

.50***

.46***

.88***

1

7.몰입하는 삶 .38***

.28***

.48***

.45***

.88***

.91***

1

8.행복감 전체 .38***

.30***

.50***

.47***

.96***

.96***

.97***

1

**p<.01, ***p<.00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

과에 의하면, 자아탄력성은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7, p<.001), 즉,

자아탄력성이 높은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는 높은 행복감을 느끼며, 자아탄력성이

낮은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는 낮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간

수준에서 양의 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탄력성 하위요인과 행복감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보면,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과 행복감(r=.38, p<.001), 감정조절과 행복감

(r=.30, p<.001), 긍정성 미래지향성과 행복감(r=.50, p<.001) 간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

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아

탄력성과 즐거운 삶(r=.44, p<.001), 자아탄력성과 의미있는 삶(r=.46, p<.001), 자아탄력성과

몰입하는 삶(r=.45, p<.001) 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예비보육교사는 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에 대한 인식수

준이 높으며 자아탄력성이 낮은 예비보육교사는 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에 대

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표 8>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감사성향의 상관 (N=195)

하위요인 1 2 3 4 5

행복감

1.즐거운 삶 1

2.의미있는 삶 .88***

1

2)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 상관관계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의 상관 (N=195)

하위요인 1 2 3 4 5

자아

탄력성

1.흥미와 관심의

다양성1

2.감정조절 .49***

1

3.긍정성

미래지향성.59***

.43***

1

4.자아탄력성 전체 .84***

.83***

.78***

1

5.감사성향 전체 .34***

.16***

.51***

.39***

1

**p<.01, ***p<.00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아탄력

성과 감사성향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39, p<.001).

이는 감사성향이 높은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는 자아탄력성 정도가 높으며, 감사성

향이 낮은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는 낮은 자아탄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

아탄력성 하위요인과 감사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과 감사성향

(r=.34, p<.001), 긍정성 미래지향성과 감사성향(r=.51, p<.001)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중간 수준의 양의 선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조절과 감사성향(r=.16, p<.001)

간의 상관은 약한 수준에서 양의 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감사성향 상관관계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감사성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 표 8과

같다.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05

3.몰입하는 삶 .88***

.91***

1

4.행복감 전체 .96***

.97***

.97***

1

5.감사성향 전체 .40***

.49***

.41***

.45***

1

**p<.01, ***p<.00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감사성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행복한 삶과

감사성향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45, p<.001). 행복감

하위요인과 감사성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즐거운 삶과 감사성향(r=.40, p<.001), 의미있

는 삶과 감사성향(r=.49, p<.001). 몰입하는 삶과 감사성향(r=.41, p<.001)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성향과 행복감 하위요인 간에 중간 수준에서 정적 선형성

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3.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사성

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회귀분석 절차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1단계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지를 검정하는 과정이

고, 2단계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며, 3단계는 독립변

수와 매개변수가 동시에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는 과정으로 진행

된다.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표 9>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 (N=195)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β t R F

1단계 자아탄력성 감사성향 .45 .08 .39 5.59 .15 31.30

2단계 자아탄력성 행복감 .71 .10 .47 7.03 .22 49.47

3단계자아탄력성

행복감.53 .10 .34 5.06

.30 38.39감사성향 .42 .09 .32 4.65

***p<.001

2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위에 제시된 표 9와 같이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에 따르면, 1단계는 독립변

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감사성향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자아탄력성(B=.45)이 높을수록 감사성향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이 감사성향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2단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B=.71, p<.001)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을 설명하는 정도는

22%인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는 과정으로 자아탄력성(p<.001)과 감사성향(p<.001)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

을 주었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B=.53). 감사성향이 높을수록(B=.42) 행복감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설명력이 상승하였으며

(15%⇨30%)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표준화계수 값이 감소(.47⇨.34)하였음에 기반

해볼 때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Z값은

3.59(p<.001)로 감사성향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즐거운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

<표 10>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즐거운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N=195)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β t R F

1단계 자아탄력성 감사성향 .45 .08 .39 5.59 .15 31.30

2단계 자아탄력성 즐거운 삶 .72 .11 .44 6.52 .19 42.56

3단계자아탄력성

즐거운 삶.55 .12 .33 4.75

.26 30.40

감사성향 .39 .10 .27 3.86

***p<.001

위에 제시된 표 10과 같이 1단계에서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07

사성향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자아탄력성(B=.45)이

높을수록 감사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이 감사성향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

사의 즐거운 삶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B=.72, p<.001) 자아탄력성이 즐거운 삶을

설명하는 정도는 19%인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는 자아탄력성(p<.001)과 감사성향(p<.001)

이 즐거운 삶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

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B=.55). 감사성향이 높을수록(B=.39) 즐거운 삶 정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설명력이 상승하였

으며(15%⇨26%)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표준화계수(.44⇨.33)가 감소하였음에 기반

해볼 때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즐거운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Z값은

3.21(p<.001)로 감사성향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즐거운 삶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미있는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

<표 1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미있는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의 매개효과 (N=195)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β t R F

1단계 자아탄력성 감사성향 .45 .08 .39 5.59 .15 31.30

2단계 자아탄력성 의미있는 삶 .69 .10 .46 6.84 .21 46.83

3단계자아탄력성

의미있는 삶.47 .10 .31 4.68

.32 42.50

감사성향 .48 .09 .37 3.98

***p<.001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1단계에서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감사성향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었으며(p<.001) 자아탄력성

(B=.45)이 높을수록 감사성향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이 감사성향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

사의 의미있는 삶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B=.69, p<.001) 자아탄력성이 의미있는

삶을 설명하는 정도는 21%인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는 자아탄력성(p<.001)과 감사성향

(p<.001)이 의미있는 삶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교

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B=.47). 감사성향이 높을수록(B=.48) 의미있는

삶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설명

력이 상승하였으며(15%⇨32%)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표준화계수(.46⇨.31)가 감소

하였음에 기반해볼 때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미있는 삶의 관계에

서 감사성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Z값은

3.65(p<.001)로 감사성향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의미있는 삶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몰입하는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

개효과

<표 12>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몰입하는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의 매개효과 (N=195)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ß t R F

1단계 자아탄력성 감사성향 .45 .08 .39 5.59 .15 31.30

2단계 자아탄력성 몰입하는 삶 .72 .11 .45 6.75 .20 45.55

3단계자아탄력성

몰입하는 삶.55 .11 .34 4.94

.27 32.61

감사성향 .39 .10 .28 3.98

***p<.001

1단계 검증결과에 따르면,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감사성향에 유

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자아탄력성(B=.45)이 높을수록 감

사성향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이 감사성향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단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몰입하는 삶 정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B=.72, p<.001) 자아탄력성이 몰입하는 삶을 설명하는 정도는 20%인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09

.45 .42

.53(.71 )

.45 .39

.55(.72 )

.45 .48

.47(.69 )

.45 .39

.55(.72 )

[그림 1]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는 자아탄력성(p<.001)과 감사성향(p<.001)이 몰입하는 삶에 유의미

한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B=.55). 감사성향이 높을수록(B=.39) 몰입하는 삶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몰입하는 삶의 설명력이 상승하였으며

(15%⇨27%)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표준화계수(.45⇨.34)가 감소하였음에 기반해

볼 때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몰입하는 삶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Z값은

3.21(p<.001)로 감사성향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몰입하는 삶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변인에 대한

수준을 점검하고 관련 변인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보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실질적 지원방안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별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의 정도를 살펴본 김미진과 김병만(2014),

문태형(2013), 이순복과 원지현(2013)의 연구와 유사한 수준이다.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에 대

한 인식을 살펴보면 긍정성 미래지향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흥미와 관심의 다양

성, 감정조절 순으로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다. 예비보육교사의 감사성향 정도를

살펴보면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보육교사의 감사성향(황해익, 탁정

화, 강현미, 2015)과 감사일기쓰기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정도를 살펴본 연구

(양진희, 2013)와 유사한 결과이다. 예비보육교사의 감사성향은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유

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보육교사양성교육과정을 통하여 교사인성을 형성하는데 기반이

되는 기본소양이 길러졌거나 예비보육교사의 연령의 다양화로 인하여 나타난 것으로 유추

해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후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겠다. 다음으로 예비보육교사

의 행복감을 살펴보면 보통수준보다 높았으며 이는 행복삼각형 척도로 행복감을 살펴본 김

지영(2011)과 임영진(2010)의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 행복감 하위요인 별 인식정도를 살펴

보면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 즐거운 삶의 순으로 인식정도가 높았다. 이는 예비보육교

사는 자신의 삶에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성이

쾌락적 차원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는 행복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행복경험을 보

고한 연구(박병기 외, 2014)에서 아이들과 함께 있을 때, 동료교사와 나눔을 실천하는 과정

에서, 학부모로 인정을 받을 때 행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때 만5세 유아들 또한 행복함을 느낀다(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이렇듯 보육

교사는 영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돌봄과 사랑을 실천하는 역할이 요구되며(임부연, 김성

숙, 송진영, 2014) 보육교사 직업군은 관계지향적인 특성이 강조되기 때문에(이주하, 2011)

이러한 직업적 특성이 행복추구경향성에 영향을 미쳐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으나 이와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11

관련해서는 추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의 총합 및 하위요인

에 있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행복

감정도가 높았는데 이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행복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

구(김리진, 홍연애, 2013; 탁정화, 2015; 황해익 외, 2015)와 유사한 결과로, 자아탄력성은 좌

절과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행복감을 높이는 심리적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김경수, 2014; 김유미, 2013)과 대학생(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2006)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경우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정서를 덜 경험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벗어나는 속도가 빠르며 상황을 잘 대처하는 경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행복감

을 높이는 요인으로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감사성향과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면,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행복감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강수정 등(2014), 박선민과 김아영의 연구(2014)결과와 일치한

다. 또한 감사일기쓰기 활동(박선민, 김아영, 2014; 양진희, 2013)과 교사의 감사성향(강수정,

이지연, 장진이, 2014;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이 행복감을 높인다고 보고한 결과와

본 연구는 유사하였다. 이렇듯 감사성향은 긍정정서를 증진시키고 부정정서를 감소시킬 뿐

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높은 영향력을 가진 성격강점이므로(김유리, 이희경,

2012; McCullough, Emmons & Tsang, 2002) 서로 정적 관련성이 보고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감사성향이 높은 사람의 특성을 연구한 Emmons(2010)는 감사는 자신이 살아있고 깨

어있음을 느끼도록 돕고 자신의 가치에 대해 높일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따라서 감사의 이러한 측면이 행복감과 연결되어 개인

의 만족도를 높이고 관계적 측면을 증진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감사성향과 행복감이 서로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의 정

적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이후 감사

성향이 높아졌으며(Kashdan, Uswatt, & Julian, 2005) 9·11 테러의 경험(Fredrickson,

Tugade, Waugh & Larkin, 2003; Kashdan, Uswatt & Julian, 2005,)은 일상생활 속에서 감

사경험을 더 많이 헤아릴 수 있고 감사대상으로 인식한 정도가 높았으며 감사강도를 높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자아탄력성은 감사성향을 높이는데 긍정

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감사성향은 자신에게 피해를 입힌 사람에게

느끼는 원한과 적개심을 수용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연결시키므로(Villiant, 1993) 어

2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원만한 상태로 이끄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과 시너지 작용을 하는

심리적 기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감사성향은 행복감과 행복감 하위요인(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하는 삶)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난관

에 부딪치거나 스트레스 상황을 회피하기 보다는 해결책을 모색하며(전희숙, 2007) 상황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경향이 강하다(Amilkan, Risinger, &

Swickert, 1995; Tugade & Fredrickson, 2004). 또한 자아탄력성은 자아통제력을 바탕으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동기를 조절하는 능력이므로(Block & Kremen, 1986) 문제상황을

극복하고 행복이 충만한 삶을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과정과 연결되기 때문에 행복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한다. 특히, 자아탄력성이 감사성향과 함께 작용하는 경우 행복감

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사성향은 긍정적 정서를 높이며 삶에 대한 만족감

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활력을 높이고 낙관적으로 사고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

문에(권석만, 2009; McCullough et al, 2002) 감사성향이 매개할 경우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

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사성향은 삶에 대하여 낙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가지는

데 도움을 주고, 영적인 특성과 연결되며 상대방의 행동에 공감하고 조망할 수 있는 기회

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긍정적 경험을 음미하고 자기반성을 기회를 가질 수 있도

록 돕는 심리적 변인이므로(Seligman, 2011) 이러한 특성이 즐거운 삶, 의미있는 삶, 몰입

하는 삶을 증진시킨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예비보육교사가 건

설적인 방향으로 자아탄력성을 발휘하며, 생활 속에서 작은 요소에서 감사함을 발견할 수

있는 감사성향을 가지고 있을 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행복감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를 풍요롭게 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은 개인적 차원의 행복감을 넘어 보육교사 조직적 행복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비보육교사 직전교육시기부터 스스로의 강점을 충분히 발휘하는 경험을 발휘하고

감사성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될 때, 예비보육교사 또한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는

데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행복한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갈 미래의 자원인 영유

아들의 정신건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결과내용을 바탕으로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

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정서적 측면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요청된다. 보육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보육기초, 발달 및 지

도, 영유아교육, 건강·영양 및 안전, 가족 및 지역사회협력 등, 보육실습의 6가지 구분된 기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13

준에 의거하여 관련 교과목과 학점을 이수해야한다(영유아보육법, 2014). 하지만 관련 교과

목에서는 영유아를 돌보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적 측면이 강조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져 있으므로 교직성향과 인성적 측면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포함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기반해 볼 때, 예비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 감사성향, 행복감 등을

지원하고, 건강한 심리정서적 측면을 기르기 위한 교과목 개설이 요구되는 바이다. 예비보

육교사의 교직성향은 유아, 가족,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며(조운주, 2014; Almerico,

Johnston, Henriott,& Shapiro, 2011), 보육교사 역할을 수행하거나 영유아들과 상호작용하

는 과정에서 유아의 학습동기, 감사하는 태도, 행복감, 자아탄력성형성에 긍·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직전교육기간이나 실습기간에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을 지원하

고 교직성향을 기를 수 있는 멘토링 제도나 상담센터의 운영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보

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보육교

사의 개인적 차원의 행복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 역할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직업적 행복감

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전국보육교사교육원 연합회 차원

에서 심리·정서적 지원 우수 지원사례를 발굴하여 관련 내용을 알릴 필요가 있으며 보육교

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학술대회와 세미나를 개최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

향을 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지

역에 위치한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표집이 이루어졌으므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

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의 보육교사교육원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아탄력성, 행복감, 감사성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는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허위문항과 사회적 선호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추가하여 관련 도구를 타당화

하여 보고과정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2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참고문헌

강수정, 이지연, 장진이(2014). 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대인관계 유능

성의 조절효과. 열린교육연구, 22(1), 257-277.

고경미, 이선정, 심성경(2014).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감 및 전문성 발달수준과의 관계. 한

국교원교육연구, 31(1), 69-94.

권석만(2009).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학지사.

김경수(2014).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리진, 홍연애(201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

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7(2), 263-282.

김유리, 이희경(2012). 감사성향이 안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학생생활연구, 25, 19-35.

김유미(2013).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설, 최윤경, 김문정(2011). 보육 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방안. 한

국교원교육연구, 28(3), 265-286.

김의향(2010). 보육교사교육원 평가인증 시행방안: 평가방법의 절차.. 한국보육교사교육원 연합회

학술세미나 자료집, 83-88.

김정신(2011). 보육교사교육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21(1), 1-19.

김주연, 진보래, 김주환(2014). 생활 만족도와 감사 성향이 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

보, 58(4), 238-262.

김지영(2011). 성격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현진(2012). 보육교사의 기관변인에 따른 역할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교육원 졸업생

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2), 47-66.

노지혜, 이민규(2011). 나는 왜 감사해야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1), 159-183.

노지혜, 이민규(2012). 한국판 감사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1(1) 329-354.

류정희, 조발그니(2009).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청년

을 위한 종교 교육에서 감사가 지니는 함의, 인간연구, 17, 69-105.

문용린(2014). 행복교육. 서울:리더스북.

문태형(2013).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지능과 조직몰입간의 관계. 아동교육, 22(1), 5-19.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15

민동일(2007).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병기, 김미애, 이세현, 권태순, 김지영, 이시은(2014). 유아교사의 행복 경험: 여섯 교사의 내러

티브 탐구. 아동교육, 23(3), 205-224.

박선민, 김아영(2014). 감사일지쓰기가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

연구, 26(2), 347-369.

서문희(2004). 영유아보육법 개정의 의미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91, 95-102.

송응식(2009). 보육교사 교육정책 및 제도: 보육교사 수요전망에 따른 양성제도의 개선방안. 보

육교사교육원 학술세미나 자료집, 21-34.

양진희(2013).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59-280.

영유아보육법(2014).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유주연, 박경(2010). 자기애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4), 1-23.

유지연, 황혜정(201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

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31-146.

육아정책연구소(2014). 통계연보.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이대균, 김선구(2009). 보육교사교육원 평가인증제 시행을 위한 논의,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117-136.

이미란, 김정원(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이미정(2011). 보유교사교육원에 대한 공과분석에 대한 토론. 보육교사교육원 설립 20주년 학술

세미나. 41-58.

이순복, 원지현(2014).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

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이운성, 심숙영(2014).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아동

연구, 23(4), 337-354.

이주하(2011). 보육교사에 작용하는 전문성 이데올로기 비판: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교육학

논총, 32(2), 1-16.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713.

임부연, 김성숙, 송진영(2014). 유아교사론. 서울:양서원.

임영진(2010). 성격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2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문.

전희숙(2007).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아탄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혜욱, 이옥형(2011). 초임유아교사와 경력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

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4.

조운주(2014).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 인성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육아지원연

구, 9(2), 101-123.

탁정화(2015).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5(3), 235-264.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

육연구, 12(2), 157-180.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

육학논집. 18(1), 341-363.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황해익, 박선해, 박성민, 김정신(2007). 보육교사교육원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열

린유아교육연구, 12(4), 75-95.

황해익, 탁정화(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53-177.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 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_____________________(2015). 보육교사의 감사성향에 따른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유아교

육학논집, 19(1), 299-320.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Almerico, G., Johnston, P., Henriott, D., & Shapiro, M.(2011). Dispositions assessment in

teacher education:Developing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 college classroom and

the field. Research in High Education Journal, 11, 1-19.

Amirkhan, J. H., Risinger, R. T., & Swickert, R. J.(1995). Extraversion: a hidden personality

factor in coping?. Journal of Personality, 63, 189-212.

Atsushi, O., Hitoshi, N., Shinji, N., & Motoyuki, K.(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35, 57-6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217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51, 1173-1183.

Boehm, K. J., & Lyubomirsky, S.(2008). Does happiness promote career succes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 101-116.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Folkman, S., & Moskowitz, J. T.(2000). Positive effect and the other side of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47-654.

Frdrickson. B. L.(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

and 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4, 218-226.

Kashdan, L., Uswatt, G, M., & Julian, T.(2005).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terans. Behavior Research Therapy, 44(2), 177-199.

Keyes, C., & Lopez, S. J.(2002). Toward as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5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McCullough, M. E., R. A. Emmons., & J. Tsang.(2002).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12.

Peterson, C., & Seligman, M. E. P.(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ligman, M.(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Tugade, M. M., & Fredrickson, B. L.(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 320-333.

Vaillant, G. E.(2010). 행복의 조건. (이덕남 역). 서울: 프런티어. (원저 2002 출판).

Watkins, P. C.(2004).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 (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pp.167-19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go-resilience and happi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Hae Ik Hwang · Seong Mee Park · Jeong Hwa Ta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happi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5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go-resilience, happiness, gratitude

disposition of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all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total scores of ego-resilience, happiness,

gratitude disposition and their separate scores in each subfacto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disposition of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happi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boost the ego-resilience

and happi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t's required to strengthe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