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3, No. 2, pp. 69~90, 2014.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박 영 근 * < 요 약 > 본 연구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적장애아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분석 하기 위한 혼합연구(Mixed Method Study)이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통하여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지적 장애 특수학교 교사들, 특히 전공과 교사들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중 전환교육 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에 기반 하여 전반적인 전환교육 프로그 램의 질에 대한 전공과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질적 면담을 양적 연구에 뒤 이어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을 모두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수 행은, 교사들의 중요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전환교육 의 질이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급별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의 질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환 교육 전반에 걸친 수행에 대하여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환교육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전환교육의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부분들이 많이 괴리된 상태라서 효과적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전문 성을 요구하는 전환 평가가 특히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의 취업 까지 책임져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국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다. 개별화 전환계획 수립은, 교사의 부족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에 * 아이오와 대학교 특수교육과 박사수료(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octoral Student, Special Education, University of Iowa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3, No. 2, pp. 69~90, 2014.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박 영 근*

< 요 약 >

본 연구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적장애아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분석

하기 위한 혼합연구(Mixed Method Study)이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통하여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지적

장애 특수학교 교사들, 특히 전공과 교사들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중 전환교육

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에 기반 하여 전반적인 전환교육 프로그

램의 질에 대한 전공과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질적 면담을 양적 연구에 뒤

이어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을 모두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수

행은, 교사들의 중요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전환교육

의 질이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급별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의 질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환

교육 전반에 걸친 수행에 대하여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환교육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전환교육의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부분들이 많이 괴리된

상태라서 효과적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전문

성을 요구하는 전환 평가가 특히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의 취업

까지 책임져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국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다. 개별화 전환계획 수립은, 교사의 부족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에

* 아이오와 대학교 특수교육과 박사수료(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octoral Student, Special Education, University of Iowa

Page 2: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70

제대로 능력을 갖추어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사연수가 필요하고, 전환훈련은 좀 더 지역

사회에 기반한 훈련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관련 인사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

다고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추수지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학교 여건상 교사들이 담당

하기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추수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교사 인력을 확충하거나, 추수지도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핵심어 : 지적장애아,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 전환교육, 교사인식, 혼합연구

Ⅰ. 서 론

1. 연구 의의

오늘날 특수교육은 특별한 교육적 지원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실질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 실질적인 지역사회 통합이라 함은 학령기 학교 교육환경에서의 통합을 넘어

학교를 졸업한 이후 성인이 되어서도 고용과 취업을 통해 지역사회의 한 사회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이며, 의미 있는 성인의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통합을 의미한다(조인수, 2005).

이러한 의미 있는 성인의 삶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여가

및 취미활동을 누리며, 고등교육으로의 진학 및 고용 등 다양한 성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Biklen & Zollers, 1986). 따라서 학령기 기간 동안 질 높

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졸업한 이후에 독립적인 성인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준비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Kraemer & Blacher,

2001).

질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좋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잘 훈련받게 되면, 학교를 졸업한 이

후에 전환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이다. 장애를 가지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대학교에 진학을 하거나, 직장을 구하는 등의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게 된다. 하지만 장애를 가진 학생들, 특히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경우 더욱더

진로 선택의 폭이 좁고, 많은 경우 졸업 후 시설이나 가정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양질의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졸업 후 효과적인 사회적

전환, 성인사회로의 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줄 책임이 이들의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기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Page 3: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71

이렇게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진로로 직업 및 고등교육 프로그램으로의 진학 등 다양

해짐에 따라서 고등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및 훈련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증가로 인하여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졸업 후 성취할

수 있는 진로는 다양해졌지만, 고등학교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대로 준비되지 않는다면, 이러

한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는 것도 어려울 뿐 아니라, 성공적인 전환 및 정착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도 양질의 특수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수적

이라 할 수 있겠다. 양질의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은 반드시 긍정적인 전환성과를 가져올

것이며, 양질의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문적 및 사회적 발달의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기 때문이다.

중등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가운데 Halpern

(1984)은 미국 오레곤 주의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

였다. 그가 제시한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교육과정 및 교수

방법,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작업, 교육행정 5가지 영역이다. 그는 이 다섯 가지 척도를

가지고 오레곤 주의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의 국립특수교육원

에서도 지속적으로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데 2011년에 사용되었던 평가기준

은 교육과정, 개별화교육프로그램, 교육평가, 교과교구, 통합, 진로 및 직업교육, 교육행정

및 행정협조 등이었다. 이러한 기관들이 지속적으로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이유는, 평가를 통하여 좀더 양질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는 부분을 찾고, 프

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장에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

그램의 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에

여러 가지 중등특수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가운데 특히 전환교육의 질이 중등특

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고등부

및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환교육의 전반적인 수행에 대해서 질적 면담을 실시

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지적장애아 특수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을 알아보고, 특히 그 가운데 전환교육에만 초점을 맞추어 질적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우리

나라 지적장애 특수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반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되어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2. 연구 목적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장애인들의 고용을 위한 노력 및 사업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장

애인들의 고등교육을 위해서도 힘을 쏟고 있는 실정이다.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포함

Page 4: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72

해서 모든 사람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자신이 적성과 흥미에 따라 직장을 선택하

거나, 고등교육을 받기를 원한다. 직업을 통해서 경제적인 혜택을 누릴 뿐만 아니라, 자아

실현을 이루기 위한 도구로, 사회에 통합되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방편으로 직장을 선택하기도 하고(조인수, 2005), 고등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효용성을 높

임으로써 좀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기도 한다. 하지만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경우 이러한

진로 등을 선택하고 준비되어 가는데 있어서 장애가 없는 학생들보다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히 지적장애와 같이 인지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

생들의 경우 중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좀 더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렇

게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좀 더 양질의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가정 하에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진단하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중등특수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가운데 특히 교사들이 전환교육을 중요시 하고 있다는 것

을 알게 되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전환교육에만 초점을 둔 질적 면담을 실시함

으로써, 양적연구를 통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

로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해 본다. 둘째, 여러 중등특수교육 질적 구성

요인들 가운데 전환교육에만 초점을 둔 질적 면담을 통하여, 교사들의 전환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다.

Ⅱ. 연구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 design) 중 등위통합방

법설계(equal status mixed method design) (염시창, 2001)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양적, 질적 연구 방법을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즉,

유사하거나 동일한 연구 문제에 대해 양적 및 질적 접근 방법 각각의 문제의식, 자료 수집,

자료 분석들을 진행하여 상호보완적인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연구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답을 제공하였다(황윤세, 2013). 따라서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질을 평가

하기 위하여 설문을 통한 양적연구와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 방법을 통합하여 활용하

였다.

1. 연구 참여자

Page 5: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73

1) 양적 연구

양적연구의 대상은 대구, 경북, 경기, 부산광역시의 10개 공ㆍ사립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중ㆍ고ㆍ전공과 교사들이다.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가능한 한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배경의 특수교사들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중등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여, 이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선택된 10개 특수학교 중등부 이상의 특수교사들 146

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여, 108명의(74%) 교사들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 가운데

중등부 이상 학년의 교사가 아니거나, 불성실하게 설문에 답한 6명을 제외하고 총 102명

의(70%)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배경변인별 현황은 <표 2-1>과 같다.

<표 2-1> 연구 대상의 배경변인별 현황

구 분 대상수 백분율

급 별

중학부 33 32

고등부 44 43

전공과 25 25

성 별남자 34 33

여자 68 67

교사 경력

5년 이하 37 36

5년 이상 ~ 10년 이하 15 15

10년 이상 50 49

최종 학력대학교 62 61

대학원 40 39

자격증직업교사 및 특수교사 11 11

특수교사 91 89

2) 질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S 특별시, D 광역시, P 광역시, Y 광역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환교육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는 교사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현황은 <표 2-2>과 같다.

Page 6: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74

<표 2-2> 연구 참여자 현황

학교 구분 직업 공립/사립 담당학년

서울소재 A학교특수교사 A 공립학교

전공과

특수교사 B 공립학교

대구소재 D학교

특수교사 C 사립학교

특수교사 D 사립학교

특수교사 E 공립학교

특수교사 F 공립학교

부산소재 F학교

특수교사 G 사립학교

특수교사 H 사립학교

특수교사 I 공립학교

특수교사 J 공립학교

울산소재 E학교

특수교사 K 공립학교

특수교사 L 공립학교

특수교사 M 공립학교

특수교사 N 공립학교

연구 참여자 선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지역의 전공과에서 근무하는 교사 현황

을 파악하여 예비 목록을 준비하였다. 양적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구성 요소로, 전환교육을 가장 중요한 구성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질적 면담은 주로 전환교육에만 초점을 맞추었고, 다양한 급별의 교사들 가운데

특별히,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의 중요도 인식 수준이 중등부, 고등부 교사들에 비해서

높았기 때문에 전공과 교사들만 면담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면담자료를 현장기록노트와 녹음기를 활용하여 기록하였다. 질적 면담을 위해서

해당 학교의 교실을 방문하여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시간은 약 30분이었다.

2. 연구 도구

1) 양적 연구

설문지는 크게 3개 영역을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영역은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고, 두 번째 영역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현재 해당 교사가 근무하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중등특수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Halpern(1984)

Page 7: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75

제시한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지표를 참고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교실 실정에 맞

게 번안,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은 크게 다섯가지 즉,

교육과정 및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 등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각

영역 및 문항수는 <표 2-3>에 제시되어 있다. 특수교사들은 5점 척도의 설문에 응답하도록

문항을 제시하였다.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과 교수 2인 및 특수교육

분야 박사 졸업생 3명을 통하여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들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라

문항을 재수정하여 설문을 작성하였다. 각 설문문항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

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Ch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크론바하 알파 계수는 <표 2-3>와 같다. 아래와 같이 각각의 항목 및 전체적인 수준이

.70 이상이므로 이 설문 문항은 타당한 내적 일치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2-3> 설문지의 구성 영역과 내용

영역 문항수 Cronbach’s α교육과정 및 교수 18 .948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

협력 11 .923

전환교육 11 .955

문서화 10 .875

행정적 지원 5 .816

계 55 .975

2) 질적 연구

질적 연구를 수행한 이유는 양적연구를 수행한 결과 교사들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가운데 전환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교사들의 급별가운데 전공

과 교사들이 특히 전환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환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서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해서는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인 면담을 수행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면담 질문을 구성할 때 전환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을 고려하여, 이 분야에 전문성이 있

는 교수와의 협의 과정을 거쳐, 전환교육에 전반에 걸친 인식 및 질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의 틀을 만들고, 그에 따라 면담 문항을 구성하게 되었다. 또한 이렇게 작성된

면담 문항은 다른 특수교육과 교수 두 명을 통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토하였고, 특수교사

두 명을 통하여 검토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제공한 피드백에 따라서 문항을 수정하였다.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용된 면담 문항의 질문 영역 및 내용들은 <표 2-4>에 제시

되어 있다.

Page 8: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76

<표 2-4> 면담 질문 구성 요인

질문 영역 질문 내용

전환평가 현재 전환평가는 어떻게 수행하고 계십니까?

전환계획 현재 전환계획은 어떻게 세우고 계십니까?

전환훈련 현재 전환훈련은 어떻게 수행하고 계십니까?

전환배치 학생들의 전환배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추수지도 추수지도는 어떻게 수행하고 계십니까?

3. 자료 수집

자료 수집의 절차는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성공

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양질의 중등특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가정 하에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진단하고자 먼저 양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가운데 특히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을 중요시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전환교육에만 초점을 둔 질적 면담을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

으로 실시함으로써, 양적연구를 통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료수집 절차를 설명하자면, 먼저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전문가의 의견

에 따라 항목 내용을 수정하고, 예비 설문을 실시한 다음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전국의 10개 공ㆍ사립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에게 배포하였다. 설문지를 배포

하기 전에 부장교사들을 통하여 중등학교 이상의 교사들이 이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였고,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의 설문지를 일괄적으로 수거하였다.

설문을 통한 양적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뒤에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위하여 면담 질문을

구성하였다. 심층면담 질문을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수정한 뒤에 전공과 담임 중에서 실제

로 학생들에게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해당 지역의 전공과에서 근무하는 교사 현황을 파악하여 예비 목록을 준비

하고, 해당 교사의 추천을 받아 참여대상자를 넓혀가는 방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

하여 대상자를 구하였다. 선정된 전공과 교사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 방법, 윤리적 문제에

관한 설명을 미리 이메일로 전송하였다. 실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시작하기 전에 면담 내용

은 연구자 외에는 어느 누구도 접근 할 수 없고, 연구의 결과로 제시될 때에도 면담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도록 익명으로 제시된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교사들이 자신의 어려움과

생각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면담을 하기 전에

Page 9: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77

면담 내용의 전사를 위해서 녹음이 필요함을 선생님들께 알리고, 동의를 구한 뒤 녹음하

였다. 면담을 실시한 후에 이틀 안에 면담 내용을 전사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좀 더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면담 질문은 수정하여 다음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내용

은 일주일 안에 전사하였다,

4. 자료 분석

1) 양적 연구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자료의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중요도 인식을 묻는 문항에는 ‘전혀 중요

하지 않다’ 1점, ‘중요하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중요하다’ 4점, ‘매우 중요하다’ 5점

으로 배점하였고, 현재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1점, ‘잘 이

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2점, ‘보통이다’ 3점,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4점, ‘매우 잘

이루어지고 있다’ 5점으로 하여 채점했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확인을 위한 통계적 검증

을 위해 Cronbach’s α를 구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들의 배경변인 및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교사인식 및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분

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중요도 인식 및 현재 수행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독

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2) 질적 연구

특수교사 14명의 면담을 전사한 자료는 총 A87장 분량이었다. 전사 작업은 연구자가

직접 수행하였고, 전사를 실시한 이후에 면담자에게 보내어 전사한 자료가 실제 본인의

면담 내용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면담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어 나가면서, 특수

교사들이 사용한 단어와 문장들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추출된 개념들을 범주화하면서 관련

개념들의 연관성을 찾아서 유목화 해 나가는 지속적 비교 연구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지속적인 비교과정을 통하여 기존에 생성된 개념들과 유사하거나 관련된 내용이 나오면,

관련 개념 속으로 범주화 시켜 편성시켰고, 새로운 개념이 나오면 새로운 범주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주제의 범주, 영역, 관계 등을 살펴 종합적으로 분석 및 정리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통하여 자료들의 개념을 분석하고, 개념화, 유목화 해 나가는 가운데에,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대해 전문성을 가진 교수와의 지속적인 토론과 자문을 통

하여, 이 연구의 자료를 범주화, 유목화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판단에 대한 오류가 없으며,

Page 10: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78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결과를 분석하여 1차 초안을 작성한 후에는 면담에 참여

한 교사 중 2명을 선정하여 연구 결과 해석을 읽게 하고, 연구자가 분석한 원자료와 이를

토대로 내린 해석 및 결론이 타당성이 있는지를 평가(member checking)해 보는 과정을

거쳤다(차은주, 김영재, 2012).

Ⅲ. 연구 결과

1.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1)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현재 수행수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

수준의 영역별, 문항별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이 <표 3-1>에 제시되어 있다.

<표 3-1>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중요 인식 수준 및 현재 수행 인식수준

구분중요 인식 수준 현재 질적 수준

t(p)M(SD) M(SD)

교육과정과 교수 4.19(.57) 2.99(.68) 13.646***

협 력 3.99(.59) 2.87(.72) 12.158***

전환 교육 4.22(.58) 3.14(.77) 11.353***

문서화 4.08(.53) 3.26(.65) 9.784***

행정적 지원 4.15(.60) 3.05(.76) 11.296***

전 체 4.12(.50) 3.05(.64) 13.389***

***p< .001

5가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은 전체 평균이

4.12이다. 질적 구성요인 각 영역별 중요도 인식 평균값은 5개 모든 영역에서 ‘척도4-중요

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특수교사들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5가지,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 모두가 질 높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교사들은 중등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가운데, 전환교육이 가장 중요한 구성요인 이라고 인

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79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 수준에 대한 지적장애학교 교사들의 영역별, 문항별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은 <표 3-1>과 같다. 현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프로그램의 질에 대

한 인식수준은 3.05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척도3-보통’과 유사한 수준으로, 5

가지 질적 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현장의 프로그램 운영 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질적 구성요인 간 중요도 인식수준 차이

지적장애 특수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5가지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특수교

사들의 중요 인식 수준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표 3-2>와 같다.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

을 위한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 담당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질적인

향상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2.65,

P=.033).

<표 3-2>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질적 구성요인 간 중요도 차이

항목교육과정과 교수 협 력 전환 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

F PM(SD) M(SD) M(SD) M(SD) M(SD)

중요도 4.19(.57) 3.99(.59) 4.22(.58) 4.08(.53) 4.15(.60) 2.645 .033*

*p< .05

3) 교사 급별에 따른 질적인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 교사들의 급별에 따른 질적인 특수교육 프로

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표 3-3>와 같다.

<표 3-3> 교사 급별에 따른 질적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차이

배경

변인구분 빈도 %

중요도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 교육

M(SD) tㆍF M(SD) tㆍF M(SD) tㆍF

급별

중학부 33 32 4.24(.61)

3.40*

4.06(.58)

6.54*

4.32(.51)

4.50*고등부 44 43 4.02(.58) 3.75(.58) 4.01(.66)

전공과 25 25 4.37(.43) 4.24(.54) 4.40(.46)

Page 12: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80

배경

변인구분 빈도 %

중요도

문서화 행정적 지원 중요도 전체

M(SD) tㆍF M(SD) tㆍF M(SD) tㆍF

급별

중학부 33 32 4.06(.44)

3.72*

4.17(.58)

2.15

4.17(0.58)

.50**고등부 44 43 3.94(.61) 4.00(.67) 3.95(0.56)

전공과 25 25 4.30(.46) 4.32(.51) 4.32(0.41)

*p< .05, **p< .01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5가지 질적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 차이는 급별

(F=5.03)변인에서 1% 수준에서 유의미 했다. 세부 영역별로 나누어 보면, 교사의 급별

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수(F=3.40)’, ‘전환교육(F=4.51)’, ‘문서화(F=3.72)’ 영역에서

5% 수준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협력(F=6.54)’은 1% 수준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적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구성요인들 가운데 전환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 급별에 따라서는 전공과에서 근무하는 교

사들이 특히 전환교육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후의 질적 연구에

서는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인 중 전환교육 프로그램

에만 초점을 맞추어 반 구조화된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면담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전환 교육 프로그램의 현재 질적 수준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전환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이야기 하였다.

전환서비스 자체가 광범위해서, 아직도 좀 더 많은 경험들을 하고, 나름의 전략들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하였다.

저는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전환 서비스 자체가 너무 광범위한 서비스들이라서 제가 직업 분야

를 전공 했다고 하더라도 다 잘 알고 있는게 아니니깐, 학생들에게 알맞은 전환 서비스를 제공 한다

는 건 아직 어려워요. 경력이 좀 쌓이고 많이 경험을 쌓아야 학생들에게 적합한 노하우나 그런 게

생기지 않을까요(J).

Page 13: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81

1) 전환 평가

전환평가에 대해서 교사들은 좀 더 전문성이 필요한 부분이므로 간단한 검사 정도는 할

수 있으나, 전문적인 전환사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들 들

어 교사 A는 “평가라는 게 지금 저희가 ○○장애인고용공단 이라던가 ○○장애인공단이라

던가 아니면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해서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우리 교사들이 그냥

하기에 적당한...... 적성 검사 정도는 연수를 받고 할 수 있는데 전문적인 평가는 못하고

있습니다” 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교사 E의 다음 언급 “제가 제일 약한 부분이 평가에요.

직업평가라던지 사회생활적응도 평가라던지 이런 건 조금 전문적인 분야더라구요.”에서 알

수 있듯이 교사들이 전환평가를 하기에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환평가는 전문 기관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전문성으로 인해 교사가 직접하는 것보다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좀더 신뢰성 있는 검

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저희는 지금 기간평가에 의뢰해서 하고 있어요. 사실 제일 어려운 부분인데. 학교에서 아직 평가가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는 게 선생님들이 제일 어려워하는 게 평가에요. 평가는 선생님들이 아직 많이

접하지 않았고. 신뢰도가 기관평가가 더 신뢰도가 있구요. 전문 평가사가 있으니까(D).

전문 기관을 통해서 평가를 받은 후에 교사들은 그것을 토대로 하여 직접 관찰을 함으

로써 좀 더 정확한 교육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전문기관을 통한 평가는 학생들을 오랜시

간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단기간의 객관적인 평가만 하기 때문에 학생들을 오랫동안 지켜

보는 교사들의 판단이 함께 활용되어야 좀 더 정확한 교육적 평가를 내릴 수 있다고 교사

들은 인식한다. 교사 I는 학생을 위해서 전문기관의 평가와 자신의 교사적 판단을 상호 보

완한 평가를 “전문기관을 통해서 평가를 받은 후에는 제가 학교에서 직접 부딪혀 봅니다.

1년 동안 상반기, 하반기동안 지켜보면서, 작업을 시켜 보면서 이 학생이 어떤 작업을 할

때 작업률이 가장 높게 나오는지 봅니다. 작업 태도도 관찰하거든요” 라고 묘사하였다.

2) 전환 계획

교사들은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전환교육계획 수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특

히 교사 N의 “직무분석해서 가능한 학생들은 취업하는 방향으로. 학생들의 능력치에 따라

서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의 언급에서 알 수 있듯이 전환교육의 계획을 주로 취업에 맞

추어서 학생들의 적성과 능력에 적합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가운데 전환교육 계획에 대해서는 생소하게 여기는 교사들이 있었다. 교사들마다 개별화

교육계획(IEP)은 오래전부터 세워 와서 많이 익숙하게 여기는 편이지만, 개별화 전환교육

Page 14: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82

계획(ITP)에는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교사들이 많이 있었다. 교사 A는 “솔직히 말하면,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이라는 게 용어 자체도 굉장히 생소한 사람도 많을 거에요. 지금까지

보편화된 게 아니에요.” 라고 자신의 개별화 전환교육계획에 대한 인식을 말해 주었다. 뿐

만 아니라 일부의 교사들은 개별화 전환교육계획 수립을 학생과 교사들의 필요에 따라서

하기 보다는, 해야 하니깐 의무적으로 작성하고 있고, 형식적인 문서화 작업이상의 의미를

두지 않는 교사들도 많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에 대해 교사 B는 “구체적으로 학교 평

가 때문에 서류 장부는 만들어놔요. 단기 목표, 장기 목표. 이건 학교 실적도 들어가고.....

이건 하나의 형식이거든요. 서류는 법적인 거 말고는.” 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 L은

“형식적으로 작성하는게 .. 한번 해 놓으면 말 그대로 학생 행동변화가 생기고 어떤 기능에

변화가 생기면 삽입도 하고 재수정되고 그래야 하는데 한번 작성해 놓으면 1년 가는 게

이게 참......” 이라며 형식적인 계획 작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전환교육계획을 실제로 세우는데 있어서 수행수준을 물어본 결과, 교사들은 전환교육계획

수행 준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준비수준보다 많이 일을 실제로 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의

준비 수준에 상관없이 전환교육계획 수립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뭐 제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이 부딪히다 보니깐 좀 더 많은 것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때그때

계획을 세우기 전에, 바로바로 되어야하고 영화 보러 가는데 폭력적인 것을 보고 옆에 있는 애들

을 어떻게 했다 그러면 또 바로 지도가 들어가게 되고 하니깐 사실 이론적으로 공부하고 준비하게

되는 것 보다는 더 많은 것을 하게 되고(M)

하지만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계획 수립을 실제로 수행하다 보니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 경우가 많음을 교사 F는 “일단은 오래 전공과를 처음 맡아서 계획은 굉장히 거창하

게 짜는데, 실제로 아이들 교육과정 운영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서 미처 내가 기대수준이

너무 높았구나 하는..... 시행착오가 있는 것 같고......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계가 잘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와 같이 언급하였다.

3) 전환 훈련

전환훈련 프로그램을 선정하는데 있어서는 교사들이 학부모들의 의견 수렴과, 최근의

고용시장 상황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있었다.

그러니까 이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이전에 설문조사를 합니다. 학부모나 교사들한테. 내년도 직업

교육을 했을 때 어떤 프로그램을 넣는 게 좋을지. 사실 매년 트렌드가 바뀌니까. 새롭게 운영했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있느냐고 설문조사를 하고, 많이 나온 것들을 우선해서 반영하려고

노력합니다(A).

Page 15: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83

효과적인 전환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직업 훈련을 시키기 위한 시설이 필

요함을 교사 C는 “효과적 훈련을 위해서는 좋은 직업훈련 시설이 필요하겠죠. 저희 같은

경우에는 전문실이 부족하거든요. 직업 전문실. 좋은 기자재와 좋은 재료가 필요하죠. 그

래서 아이들이 그 직업에 가장 맞는 아이들을 찾아내야 되고. 맞춰서 지도해야 되지. 직업

맞춤식으로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 H는 제대로 된 전환 훈련을 시

키기 위해서는 작업 현장에 직접 나가서 훈련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어 다음과 같이 “직접 그 현장에 나가서 배우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우리학교 같은 경우

매월 2째, 4째 수요일날 바깥에 보호작업장 하고 연계해서 아이들이 직접 가서 작업 해보

도록 합니다. 협력 업체랑 협약을 맺어서 현장실습을 할 뿐 아니라, 그곳에 있는 사람들과

어울리는 시간을 가졌구요.” 지역사회에 기반한 전환훈련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4) 전환 배치

학생들을 졸업 후에 적절한 장소로 전환을 시키는데 있어서는 대체로 교사들이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직업배치였다. 학생이

원하는 직업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일자리가 있어야 하지만, 일자리가 한정되

어 있어서 학생이 일을 선택하기 보다는 정해진 일자리에 따라서 학생이 보내지는 경우가

많았다.

부족한 건 매칭 서비스가 좀 힘들더라구요......가장 힘들었던 게 뭐냐 하면 흥미는 음식과 관련이

있다고 나왔어요. 근데 이 학생한테 맞는 직업을 못 찾아서 결국 제조업으로 갔어요. 일을 하고 있

는데, 이 학생이야 가서 시키면 일을 하겠지만, 기왕이면 저는 그 학생이 흥미를 보이는 쪽으로 일을

구할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그게 잘 안되니까 좀 그렇고. 이건 뭐 지적장애나 모든 장애를 봐도

본인 희망 직종이랑 현재 직종이 다를 경우가 많아요(I).

또한 교사들이 몇 년 동안 지켜보면서 교사 판단으로는 적절하게 직업 배치를 시켰다고

생각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이 있고, 생각지도 않았던 문제가 발생해서 고용유지에

실패하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치가 가장 어려워요. 나름 판단해서 배치를 하는데, 얘한테 적절하지 않을 때도 있어요. 그런 부분

들 때문에 굉장히 고심을 해야 되는 부분이에요. 또 막상 배치를 했는데 생각지도 않은 문제들이

나타나서 취업이 단기적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아요. 그런데 직업에 따라서 아이들의 인생이 좌우

되기도 하잖아요. 그래서 배치하는 일이 제일 고심스럽죠(G).

사실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적절한 곳에 취업을 시키는

Page 16: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84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많은 교사들은 교사가 이 일을 하기 보다는 국가적인 기

관이 나서서 학생들의 취업에 좀더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바라고 있었다. 예를 들어 교

사 K는 “실질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교육 기관이 취업까지 책임을 진다는 거 자체가 상당

히 문제가 있는 거에요. 고3을 마치고 나서 성인 전환기에서 장애인 고용공단이나 정부

기관에서 복지부, 노동부가 같이 장기적으로 유치까지 신경써주면 편한데, 학교 선생님이

배치까지 하는 건 무리입니다.” 라며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원하고 있었다.

5) 추수지도

추수지도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장애가 없는

학생들의 경우 스스로 본인의 마음을 컨트롤 할 수 있지만,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경우,

스스로 마음을 다 잡고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가 그렇게 쉽지 않은 일이다.

추수지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사실. 추수지도가 안되면 애들이 중간에 그만두게 되니까. 그러니까

선생님도 공부하다가 하기 싫을 때 있잖아요. 그 때 우리는 스스로 컨트롤이 되지만, 우리 친구들

은 그게 안되기 때문에 다독인다던가, 심하게 잘못될 땐 혼내기도 하고. 밀었다 당겼다 해서 계속

유지할 수 있어야 되니까 제일 중요한 게 추수지도인 것 같아요(G).

장애가 없는 학생들의 경우 학생들이 직접 학교로 찾아오지 않는 경우 추수지도를 하는

경우가 없으나, 장애를 가진 아이들의 경우 그것이 현실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사가 직접

찾아가서 추수지도를 해야 한다.

일반 선생님들은 가서 졸업생들이 와가지고 선생님 고민 있어요. 자기들이 찾아오잖아요. 우리가

직접 대학에 가는 건 아니잖아요. 사업체를 가는 것도 아니고. 근데 우리는 우리가 직접 뛰어야 되요.

걔네들이 오지를 못하니까. 시스템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그게 우리가 해야 될 일이기는 하지만 여건

이 그렇게 쉽지 않아요(E).

교사들은 실제로 추수지도를 한 경험담을 들려주었다. 학생들이 학교에 있을 때는 다

아는 교사, 친구들이었는데 일을 하러 가서는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심리적으로, 육체적

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가끔씩 찾아가는 것만을 통해서도 학생들에게 노동에 대한 동

기부여를 해 줄 수 있었다. 교사 J는 “저는 전공과를 했을 때 일주일에 한 번씩 한달 두달

세달 정도까지 자주 갔어요. 아이들이 가주면 반가워해요. 여기는 다 모르는 사람인데 와

주면 되게 반가워해요. 선생님 와준 거에 대해서 되게 크게 생각해요.” 라며 자신의 추수

지도 경험담을 들려주었다.

Page 17: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85

하지만 이렇게 추수지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교사가 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이 있었다. 대부분의 어려움들은 교사들의 경우 근무

시간과, 추수지도를 나가는 시간이 겹치기 때문이었다.

왜 못하고 있냐면요. 우리가 4시 반까지 근무를 하거든요. 그러면 학생들은 3시 40분이 되면 하

교를 합니다. 3시 40분에 하교하고 나면 또 학교 일정이라는 게 있잖아요. 그러다 보면 퇴근 시간

까지 교사가 학교에 있게 되는 거에요. 그러면 내가 근무하는 시간이 그 학생들의 활동 시간이란

말이에요. 그렇게 되면 추수 지도라는 건 그 현장에 찾아가야 하는데 그게 힘들다는 거죠. 그렇다

고 수업 시간 중에 나가게 되면, 다른 선생님이 제가 해야 할 수업을 대신해야 하니 그것도 다른

선생님들께 피해를 주게 되구요. 괜히 미안하기도 하구요(A).

따라서 특수교사들이 추수지도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추수지도를 전담할 교사를

배치하거나 추수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업무를 줄여줌으로써 추수지도에 좀 더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

의 인식 조사를 위하여 양적연구를 먼저 실시하였고, 양적연구의 결과 중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전환교육에 대한 전공과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질적 면담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5가지 구성요인,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 모든 항목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

현재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는 그 수행수준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중등특수교

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다섯 가지 프로그램 구성 요인들 모두에서 중요도

인식수준에 맞게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찾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 특별히 특수교사들은 5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 가운데 전환

교육과 관련된 요인들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생

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성공적으로 성인생활로의 전환, 독립생활로의 전환 및 직업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질 높은 전환교육을 제공 받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

Page 18: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86

었다. 이를 통해 이후의 높은 전환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결과는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해 결과중심의 전환교육이 잘 이루어졌을 때 성공적인 전환성과

를 얻을 수 있고,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졸업 이후의 성인 사회에서 독립적인 주체로써

그 역할을 잘 담당할 수 있다고 한 조인수(2005)의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한다.

셋째, 학교 급별에 따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전공과 교사들이 중등부, 고등부 교사들에 비해서 전환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인들 가운데 특별

히 전환교육에만 초점을 맞추어 질적 면담을 수행하였고, 특별히 전공과 교사들만을 선정

하여 전환교육에 대한 질적 면담을 수행하였다.

전공과 교사들을 통하여 전환교육의 전반적인 수행에 대한 인식을 질적 면담을 통하여

알아본 결과, 첫째, 전환교육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

하거나, 전환교육의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부분들이 많이 괴리된 상태여서 효과적

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학생들의 장애 및 특성들이 매우 다양하여 개별

화된 전환교육을 수행하기가 어려워 효과적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

하는 교사들이 많이 있었다. 이는 특수교사들이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하여 체계적인 전환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전환교육 수행의 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한 Seo(2007)의 연구와 지적장

애아 교사들은 결과중심 전환교육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수행

도는 평균 이하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 박은희, 조인수(2012) 연구와 유사한 결과

라 할 수 있다.

둘째, 전환교육의 전반적 과정 중 전환평가는 좀 더 전문성이 필요한 부분이라, 전문적인

전환사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교사들이 다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환평가는 전문 기관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교사들이 개별화 교육

은 이미 익숙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개별화 전환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생소하게 느끼는 교사들이 있었고, 형식적인 문서화 작업 이상의 의미를 두지 않는 교사

들도 많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교사의 준비 수준에 상관없이 전환교육계획 수립은

해야 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전환교육계획 수립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준비 수준보다 많은

일을 실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준비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일을 해야

만 하는 경우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형식적으로 처리하기 쉽기 때문에, 교사 연수

를 통하여 전환계획 수립과 관련된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환훈련에 대해서는 좀 더 전문적인 직업 훈련을 실시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

한데, 가장 훌륭한 훈련 시설은 바로 작업 현장을 통한 전환 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Page 19: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87

이러한 지역사회 기반 교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사업체 인사들의 인식 개선

이 요구되어지고, 함께 일하게 될 비장애인 동료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요구되어

진다. 전환배치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대체로 어렵다고 인식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학생들

을 위한 일자리가 한정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일자리를 선택하기 보다는 정해진 일자리에

따라서 학생이 보내지는 경우가 많고,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의 취업까지 책임지는 것이

어려워, 국가 기관이 나서서 학생들의 취업에 좀 더 노력을 기울여 줄 필요가 있겠다. 따라

서 학생들을 제대로 훈련시키고, 학생들의 적성 및 특기에 맞는 직종을 찾는 것은 학교가

맡고, 국가 기관은 장애인 일자리 확대 및 장애인 고용법 개선을 통하여 교사와 협력하는

것이 효율적인 전환배치를 위한 방안으로 생각된다. 학생들 가운데 고용을 이루기는 했으

나, 고용을 오래 유지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이를 위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추수지도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교에서 주어지는 과도

한 업무로, 추수지도를 나갈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고, 교사

들의 업무시간과 학생들의 근무시간이 겹쳐 추수지도를 나가기가 쉽지 않다고 여기는 교사

들이 다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추수지도를 전담할 수 있는 교사를 배치하거

나, 추수지도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업무를 줄여주거나, 추수지도를 나가는 것을 학교 주요

업무로 생각하여, 학교 근무시간 중에라도 추수지도를 나갈 수 있는 학교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현장에서 전환교육을

제공하는 교사의 의견과 목소리에만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 졌다는 제한점이 있다. 일부

교사들은 자신의 전환교육 수행의 정도가 낮을지라도 면담에서는 솔직한 자신의 수행 수준

을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실제적인 수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제로 전환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학생들의 의견, 실제 교실 관찰, 면담 대상의 확장(부모, 학

교장, 동료교사)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지적장애 특수

학교 교사들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의 인식이 모든 특수교사, 혹은 모든 지적장애 담당

교사들의 의견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서는 면담의 대상을 지적

장애 특수학교 뿐만 아니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지적장애 학생들을 담당하는 교사들과

의 면담을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Page 20: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88

참 고 문 헌

국립특수교육원 (2010). 장애학생 진로ㆍ직업 교육의 내실화 방안. 제17회 국내 세미나 자료집.

박은희, 조인수 (2012). 지적장애특수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결과중심전환교육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3(1), 93-122.

박정식 (2005). 특수학교 전환교육 실행수준과 촉진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염시창 역 (2001). 통합연구방법론: 질적 양적 접근방법의 통합. 서울: 학지사.

유애란 (1999). 전환교육에 필요한 교사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9, 99-109, 한국직업재활

학회.

이성용, 김경화 (2010). 장애청소년의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특수교육학연구,

45(3), 155-187.

조인수 (2002).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과 서비스.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조인수 (2005). 전환교육.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차은주, 김영재 (2012). 인문, 사회과학편: 운동중단 학생선수의 직업경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1(4),

125-136.

한경근 (2013). 특수학교의 직업전환교육에 대한 지역사회 기관의 인식: 개별화 전환교육 계획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6(2), 1-19.

Biklen, D., & Zollers, N. (1986). The focus of advocacy in the LD field.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9, 579-586.

Benitez, D. T., Morningstar, M. E., & Frey, B. B. (2009). A multistate surve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transition competencie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32(6), 6-16.

Halpern, A. S. (1985). Transition: a look at the foundations. Exceptional Children, 51, 479-486.

Kraemer, B., & Blacher, J. (2001). Transition for young adul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School preparation, parent expectations, and family involvement. Mental Retardation, 39,

422-435.

LeCompte, M. D., & Preissle, J. (1993).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2nd ed.). San Diego: Academic Press.

Seo, Hyunmin. (2007). Korea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ransition

Competencies.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ansas.

Titus-Schmahl, K. M. (20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ransition Competencies

and Transition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Southwest Minnesota State University, Marshall,

Minnesota.

Page 21: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89

<Abstract>

Analyz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ransition Services Program: A Mixed Method Study

Park, Yung Keun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quantitative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and to evaluate

the current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survey study, special school teacher recognized

that the five quality component are all important component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five

quality components of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peration,

transition, document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ransi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 was perceived as low. Also,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 post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among

five quality indicator the most. Thus,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implemented

with only post 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their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According to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teachers expressed that they felt undereducated

Page 22: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4-%B9...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3권 제2호)90

about transition services and how to apply them most effectively to each individual

student’s needs. Yet despite their perceived importance, most special school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implement more exact

transition assessment for their students, and indicated that more professional

training was required in this area. When asked about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planning, educators stated that it was higher than their preparations

for building transition planning. This is due to the necessity for building transition

plans despite lacking in the necessary skills. Thus, the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transition services is necessary. Teachers thought that transition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as practically through community based instruction. Also,

national support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vide en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in order to help teachers to

provide effective follow-up service for students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who can work for follow-up

services.

Key Words :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transition education, teacher perception, mixed method research

논문접수 : 2014. 04. 30 / 논문심사일 : 2014. 06. 01 / 게재승인 : 2014. 0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