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Vol.18. No.1 2019. 3. pp 23~42 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 * 박 영 주 ** · 정 희 경 *** · 류 준 혁 ****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rime Prevention Service around University in Daegu Region Park, Young Ju Jung, Hee Gyeong Ryu, Jun Hyuk 국문 요약 이 연구는 2018년도 K대학교 대학가를 중심으로 시행된 대구시 범죄예방사업의 효과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구시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K대학교 인근지역에서 안전진단, 주 민순찰, 인근 지하철역 안심거울 설치 등의 환경개선, 불법촬영 카메라 점검 및 캠페인, 폭력예방교육 등 범죄예방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업의 실시 전 후에 19세 이상의 지역주민 300명을 대상 으로 안전체감도 및 무질서, 범죄두려움, 경찰에 대한 인식, 지역유대와 비공식적 사회통제 인식의 차이 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범죄예방사업 시행 후의 안전체감도는 시행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무질서 인식 및 범죄두려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찰에 대한 신뢰성 등은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범죄예 방사업 시행 후, 시민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지역유대와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있어 서는 사업 전과 후에 있어서의 변화는 도출되지 않았다. 이것은 지역유대와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지역주 민 상호간의 친밀한 관계, 결속력 등을 의미하는 것인데, 범죄예방사업에서는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던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추후 범죄예방사업은 기존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주민간의 유대관계가 돈독해 질 수 있도록 지역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축제, 모임 등의 공동체 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사업 시행 전과 후의 주민 인식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 나, 표본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 그리고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통제지역을 대상으로 비교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 등이 한계로 남는다. 주제어 : 범죄예방사업, 주민 인식, 범죄 두려움, 무질서, 지역사회 유대, 비공식적 통제 * 이 연구는 대구여성가족재단 기본과제「2018 대구 안전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를 요약·분석하여 재구성 하였다. ** 제1저자, 대구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Researcher Fellow, Daegu Women&Family /foundation), E-mail : [email protected]. *** 공동저자, 대구여성가족재단 연구원(Researcher, Daegu Women&Family /foundation), E-mail : [email protected].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교신저자(Professor, Daegu Catholic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Vol.18. No.1 2019. 3. pp 23~42

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

박 영 주** · 정 희 경

*** · 류 준 혁****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rime Prevention Service around University in Daegu Region

Park, Young Ju ․ Jung, Hee Gyeong ․ Ryu, Jun Hyuk

국문요약

이 연구는 2018년도 K 학교 학가를 심으로 시행된 구시 범죄 방사업의 효과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구시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K 학교 인근지역에서 안 진단, 주

민순찰, 인근 지하철역 안심거울 설치 등의 환경개선, 불법촬 카메라 검 캠페인, 폭력 방교육

등 범죄 방사업을 실시하 다. 이 연구에서는 사업의 실시 ‧후에 19세 이상의 지역주민 300명을 상

으로 안 체감도 무질서, 범죄두려움, 경찰에 한 인식, 지역유 와 비공식 사회통제 인식의 차이

를 비교분석하 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범죄 방사업 시행 후의 안 체감도는 시행 에 비해 증가하 으며, 무질서 인식

범죄두려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찰에 한 신뢰성 등은 증가하여 반 으로 범죄

방사업 시행 후, 시민들의 인식은 정 으로 변화하 다. 그러나 지역유 와 비공식 사회통제에 있어

서는 사업 과 후에 있어서의 변화는 도출되지 않았다. 이것은 지역유 와 비공식 사회통제가 지역주

민 상호간의 친 한 계, 결속력 등을 의미하는 것인데, 범죄 방사업에서는 이와 련된 로그램이

충분히 반 되지 않았던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추후 범죄 방사업은 기존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 하는 한편, 주민간의 유 계가 돈독해 질 수 있도록 지역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축제, 모임 등의 공동체 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사업 시행 과 후의 주민 인식의 변화를 경험 으로 증명하 다는 에서 그 의의가 있으

나, 표본수가 상 으로 었다는 , 그리고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통제지역을 상으로 비교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 다는 등이 한계로 남는다.

주제어 : 범죄 방사업, 주민 인식, 범죄 두려움, 무질서, 지역사회 유 , 비공식 통제

* 이 연구는 구여성가족재단 기본과제「2018 구 안 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를 요약·분석하여 재구성 하 다.

** 제1 자, 구여성가족재단 연구 원(Researcher Fellow, Daegu Women&Family /foundation), E-mail :

[email protected].

*** 공동 자, 구여성가족재단 연구원(Researcher, Daegu Women&Family /foundation), E-mail : [email protected].

**** 구가톨릭 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교신 자(Professor, Daegu Catholic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Page 2: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24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Daegu crime prevention services that were

operated around K university in 2018 and then proposes improvement plans for future crime

prevention service. Various crime prevention services including safety inspection, resident

patrol, installation safety mirror in subway, inspection and publicity for illegal camera, public

education for violence prevention were operated around K university from April and October

2018. And on basis of survey data on 300 randomly selected residents, this research compared

before with after crime prevention service about resident safety perception, disorder perception,

fear of crime and perception toward police, community bonds, informal control.

This research found that first, when compared perceptions before crime prevention service

with perceptions after crime prevention service, the safety perception and public trust for police

increased and perception of disorder and fear of crime decreased. These results means that after

crime prevention service, public perception changed positively in various dimensions. Second,

community bonds and informal social control that mean close relations and cohesion between

community resident did not change, because crime prevention services did not include programs

to increase community bonds and informal social control. Therefore, crime prevention services

for future should be continued to maintain previous effects and add community festival and

community meetings to increase social bonds and cohesion between residents.

Although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we prove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services and show empirical changes in various resident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crime

prevention service, the sample size is relatively small, and there is no control group that could

compare with area with crime prevention services. These aspects are weakness in this research.

KeyWords : Crime Prevention Service, Resident Perception, Fear of Crime, Disorder,

Community Bond, Informal Control

Ⅰ. 서 론

학교는 학문을 탐구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자치활동을 이어가는 공간이다. 따라서 부분의

학들은 캠퍼스를 자연친화 으로 가꾸고 학생들이 학업과 여유를 즐기기에 편리하게 구성해 놓

았다. 특히 최근에는 이처럼 잘 가꾸어진 교정과 학 공간들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기 해 모든 시

민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학교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범죄 발생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그동안 학교는 학문을 연구하는 곳으로 범죄발생

과는 다소 분리되는 곳으로 인식되었으며, 학 내 는 학교 주변 범죄 방 환경에 한 심이

상 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결과, 부산의 모 학교에서는 성인 남자가 여학생 기숙사에 침입하여 성범죄 폭행을 자행

Page 3: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2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한 사례(골 타임즈, 2018. 12. 17), 교직원이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의 여자화장실에서 불법촬 을

한 사례(헤럴드경제, 2018. 12. 28)도 있었으며. 이 외 학 성범죄가 4년 새 3배 증( 이낸셜 뉴스,

2018. 03. 19)하기도 하 다. 이처럼 최근 언론에 보도된 학가에서의 범죄 발생 등을 사례를 볼

때, 학가를 심으로 범죄 방 환경에 한 사회 심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 고향을 떠

나 학가 주변 주택이나 원룸 등에서 자취를 하는 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가의 범죄 방 환경

조성에 해 지역 정부의 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이다.

즉, 학가에서의 범죄 발생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범죄두려움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별로

학가 범죄 방을 한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는데, 성남시는 불법촬 근 을 하여 경찰서

와 학교 간 약을 체결하여 학교 공 화장실을 심으로 불법촬 방 검을 실시할 정이

며(일간투데이, 2018. 12. 12), 부산은 지역 학교 기숙사에 한 범죄 방 안 환경 진단을 실시하

기도 하 다(뉴스1, 2019. 01. 04). 구는 범죄로부터 안 한 학가 환경조성을 해 안 캠퍼스

사업을 개하 는데, 2018년은 지역 거 학을 선정하고 시범사업을 실시하 다. 학교의 선정

은 재학생수와 국민안 처에서 제공하는 학교가 속한 구·군의 범죄 험지수, 그리고 주변의 상가

집 정도 거주 인구수 등을 고려하여 구소재의 K 학가 인근을 선정하고, 범죄 방환경조성

사업을 실시하 다. 범죄 방환경조성 사업의 구체 내용은 학가 안 진단 모니터링 실시와 더

불어 그 결과를 반 한 지역경찰의 집 순찰활동, 학내외 소상공 화장실의 불법촬 몰래카메

라 검, 학생과 주민이 함께 한 지역 순찰, 불법촬 방을 한 학가 인근 지하철역 안심거울

설치 학 내외 학생 주민을 상으로 한 폭력 방교육 폭력 방 캠페인이다.

그러나 이러한 범죄 방사업의 실시도 요하지만 무엇보다 이러한 범죄 방사업이 시행된 후

해당 지역의 학생과 주민들이 실제로 안 함을 느끼고 있는지 등 그 실효성을 검증하고 안 욕구

에 한 시민들의 수요를 반 하는 것 한 매우 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K 학교 인근

에서 시행된 범죄 방사업의 시행 과 후 범죄 방 인식조사를 실사‧분석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논의

1. 범죄예방사업의 효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

지역의 환경과 범죄와의 계는 지역의 환경 특성 에서 무질서가 범죄 범죄두려움과 련

이 있다는 무질서 모형에서 논의되었다. ‘깨어진 창문 이론’에 따르면 쓰 기 등이 버려진 방치된

지역, 리되지 않는 지역일수록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다(Wilson and Kelling, 1982). 따라서 범죄

방을 해서는 이러한 물리 인 지역환경의 개선이 요하다.

지역 무질서는 사회 무질서와 물리 무질서로 구분될 수 있다. 공공장소에서의 음주, 청소년

의 거리 배회와 질서 반 행 , 거리에서의 비행행 등은 사회 무질서의 징후이며, 황폐화된 건

Page 4: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26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물, 산재된 낙서, 쓰 기 투기 등은 물리 무질서의 징후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질서가 만연된 지역

에서 범죄발생이 높고, 범죄두려움이 높다. 이후 무질서와 범죄와의 계는 Shaw와 Mckay의 사회

해체이론에서 보다 구체화 되었다. 이들은 인구구성의 변화, 산업화 등으로 인해 지역사회의 문화와

조직, 통과 제도를 와해시키고, 지역사회가 사회의 도덕 기 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를

사회해체라 보았고(허경미, 2015: 118), 이러한 지역에서 범죄발생이 높다는 이른바 사회해체이론을

제안하 다. 즉, 구조 으로 해체가 이루어진 지역은 지속 으로 유 감 사회통합이 낮은 사람들

이 모이고, 이들은 지역사회의 문제에 심을 가지지 않으며, 결국 해당 지역은 무질서와 범죄, 일

탈이 만연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에서 Shaw와 Mckay의 사회해체론은 지역사회활동과 도시지역

개발 등 범죄 방을 한 정부정책에 많은 향을 주기도 하 다.

이후에도 지역 환경을 개선하여 범죄발생과 범죄두려움을 억제하려는 범죄 방사업은 범죄발생

가능성을 통제함으로써 범죄 방을 달성할 수 있다는 신고 주의 범죄이론에서 활발히 논의된다.

신고 주의 범죄이론은 고 주의 범죄학에 근거하여 인간은 자유의지와 합리성에 근거하여 구나

범죄자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범죄자의 특성에 제한하지 않는 경찰정책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고 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 주의 범죄학으로 발

하 고(윤우석, 2018). 신고 주의 범죄학 이론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방론(Crime Prevention

Thorough Environmental Design), 상황 범죄 방론(Situational Crime Prevention) 등 다양한 이

론으로 개되었다.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방론(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은 범

죄와 도시디자인과의 련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도시의 환경 디자인을 통해서 범죄가 감소될 수

있다고 본다(Tiwari, 2014: 2). CPTED는 1961년 Jane Jacobs의 서「미국 도시의 죽음과 삶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에서 ‘거리의 ’ 개념을 주장한 것에서 시작되었

다. 도시의 오랜 통이 도시의 통제력을 유지시키는 원동력이 된다고 보고, 오래된 도시 지역이

물리 으로는 쇠퇴할지라도 지역의 통제유지와 범죄억제 가능성이 있음을 지 하 다(김연수,

2013: 27).

CPTED는 물리 환경변화를 강조하는 1세 CPTED와 지역의 내재 기능(유 , 연계성, 문화,

사회자본)을 강조하는 2세 CPTED로 구분된다(윤우석, 2018: 191에서 재인용; Saville &

Cleveland, 2008). 1세 CPTED는 자연 감시, 근통제, 활용성 증 , 역성 강화, 그리고 유지

리라는 5가지 원리를 심으로 건축물 등 주거환경 설계를 통한 범죄 방을 강조한다. 그리고 2

세 CPTED는 실제 범죄가 발생하는 각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의 문화 , 사회 , 정서 욕구에

기 하여 범죄동기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박 주, 2014: 18에서 재인용; Saville & Cleveland,

2013: 95). 2세 CPTED의 략으로는 사회 응집(Social Cohesion), 연계성(Connectivity), 지역

사회 문화(Community Culture), 지역사회 역량(Threshold Capacity)을 제시하 다(Saville &

Cleveland, 2013: 94-99). 한편 최근의 CPTED는 지역주민의 극 인 참여를 강조하는 3세

Page 5: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2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CPTED로 발 하고 있다(윤우석, 2018: 191). 이러한 측면에서 구시의 학가를 심으로 한 범

죄 방사업은 환경개선 외에도 다양한 기 과의 거버 스 구축과 지역주민의 극 인 참여가 수

반되었다는 에서 3세 CPTED를 지향하고 있다.

이처럼 CPTED의 개념은 발 하고 있으며, 이러한 CPTED 이론 하에서 개되는 다양한 범죄

방 환경조성사업의 범죄 방 효과에 한 선행연구들이 많았다. 범죄 방 환경조성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은 범죄 방 환경조성사업의 범죄억제효과, 범죄두려움 감소효과, 범죄피해 감소효

과, 기타 인식변화를 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변화를 검증한 연구들이

부분이다.

박 주(2009)는 구시민 340명을 상으로 CPTED 구성요소에 한 인식을 조사하여 범죄두려

움과의 계를 살펴보았는데, 자연 감시가 높고, 유지 리가 잘되는 지역이라 인식할수록 범죄두

려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박 주․윤우석(2014)은 구시민 404명을 상으로

CPTED 인식과 범죄피해 험인식, 범죄두려움과의 계를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는 1세

CPTED와 2세 CPTED의 요소를 포함하여 조사하 는데, 2세 CPTED의 요소들은 범죄피해

험인지에 유의미한 향력이 없었으나 1세 CPTED의 유지 리와 근통제가 범죄피해 험인지

를 측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한편, 상황 범죄 방이론은 범죄발생기회를 차단하는 것을 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특히 범

죄자보다는 범죄발생 상황에 주목한 이론이다. 이에 따르면 범죄 책에 있어서도 개인의 처우보다

는 범죄에 따르는 손실을 극 화할 수 있는 외부상황의 조건을 형성하는 것을 요하게 생각하 다

(이성식, 2001: 167). 이러한 의 표 인 이론은 범죄기회이론(Garopalo, 1987), 일상활동이론

(Cohen and Felson, 1979) 등이다.

범죄기회이론은 범죄발생의 상황을 조 하고, 범죄발생 기회 차단의 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순찰을 강화하거나 CCTV를 설치하여 감시의 기회 확 의 이론 근거가 된다. 일상활동이론은 범

죄가 일어나기 한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하 는데, 표 의 정성(suitable target), 동기화된 범죄자

(motivational offender), 그리고 감독의 부재(absence of guardians)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요소가 충족되어야만 범죄가 발생하므로 이 가운데 한 가지만 없더라도 범죄는 발생하지 않는

다. 이러한 측면에서 범죄발생이 높은 장소에 범죄기회를 차단하려는 노력인 문단속과 자물쇠나 방

범창을 설치하는 것, 경찰순찰을 강화하는 것 등은 상황 범죄 방론의 주요한 략이다(이성식,

2001: 168).

2. K대학교 인근 범죄예방사업 내용분석

K 학가를 심으로 시행된 범죄 방사업은 인근 원룸이나 주택 단지 주변의 범죄발생 가능성과

지역 주민에게 개방되는 학교 캠퍼스 내 안 성 확보를 한 목 으로 실시되었다. 상지역인

Page 6: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28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K 학교 인근지역은 원룸, 아 트, 주택 등 주거지역과 상가지역, 소규모 공원과 ・ ・고등학교,

공장지역이 혼재된 곳이다.

학가 범죄 방사업은 안 진단, 주민순찰, 인근 지하철역 안심거울 설치, 불법촬 카메라 검

캠페인, 폭력 방교육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지역사회 안 망을 통해 데이트폭력과 디지털

성범죄 등 학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폭력 방이라는 공통의 심사를 심으로 민・

・학・연이 연 하여 범죄 방사업에 참여하 다.

우선, 안 진단을 해서 K 학교와 인근 지역을 심으로 범죄 방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환경

개선의 기 자료를 제공하 다. 모니터링은 성인지 의 범죄 방을 한 환경설계가 조성되

어 있는지를 구체 으로 악하고자 하 는데, 보행로, 차로 근통제/횡단보도, 조명 식재

등으로 구분된 지표에 따라 살펴보았다. 2018년 7월 2일부터 14일까지 학생 지역 주민으로 구

성된 모니터링단은 주간과 야간에 2인 1조로 모니터링을 실시하 으며, 험하기에 경찰의 집 순

찰이 요구되는 지 이 표시된 모니터링 결과는 경찰과 구시 그리고 주민 순찰단과 함께 공유하

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 로 8월 이후 경찰은 험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에 한 집 순찰을 실시

하 다.

둘째, 주민순찰은 지역 범죄 방환경을 유도하고자 캠퍼스 내・외를 심으로 정기 인 순찰을 실

시, K 학교 캠퍼스폴리스단과 (사)패트롤맘 회원, 신당지구 자율방범 원이 참여하 다. 순찰은

주로 캠퍼스폴리스단과 패트롤맘이 학기 인 4월부터 6월(상반기), 9월부터 10월(하반기)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18회를 수행하 다. 이 가운데 4월과 10월에는 각각 1회씩 구지방경찰청과 구

역시, 구여성가족재단, 구아동‧여성안 지역연 와 합동으로 순찰을 시행하 다. 특히 상반

기 순찰활동은 학가 반에 해 코스를 설정하여 진행한 반면, 하반기는 안 진단 모니터링 결

과를 반 하여 험지역을 심으로 코스를 재편성하여 실시하 다.

셋째, 지하철역 에스컬 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법촬 을 방하고, 주민들에게 불법촬 에

한 경각심을 제고하고자 K 학교 인근 지하철역 상행 에스컬 이터에 안심거울을 설치하 다.

∠자 형태의 거울 약 50여개가 역사 내 상행 에스컬 이터 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었으며

거울은 만일의 사태를 비하여 깨어지더라도 편이 튀지 않도록 처리하 다. 한 안심거울의 각

도는 거울을 보는 당사자 신체의 하체 부분이 보이게 함으로써 뒤에서 군가가 행할 수 있는 일련

의 상황에 해 본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 다.

넷째, 불법촬 카메라 검 캠페인은 구지방경찰청 인근 경찰서와 연계하여 K 학가

인근 상가일 의 공 화장실을 상으로 불법촬 카메라 설치 여부를 검하 으며, 교내는 캠퍼

스 폴리스단이 화장실 휴게실, 기숙사 등의 불법촬 카메라 설치 여부를 검하 다. 그리고

K 학가 일 캠퍼스 내에서 데이트폭력 불법촬 방을 한 캠페인과 인식개선 활동을

개하여 학생 주민들의 인식을 제고하 다.

다섯째, 취약 그 외 참여희망 지역을 심으로 폭력 방교육을 실시, 총 10회 이상의 교육이

Page 7: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2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진행되었는데, 캠퍼스폴리스단과 패트롤맘의 순찰자, 모니터링단, 학생 지역주민, 지역 소상공

인 등이 참여하 다. 교육은 폭력 방 문강사와 더불어 지역 경찰이 폭력 방교육, 성폭력 방

을 한 약물 진단 키트 교육, CPTED 련 교육 등의 내용으로 진행, 폭력에 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 하 다.

일정

추진사항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범죄 방

모니터링지표개발

모니터링단

모집

모니터링

실시결과보고

주민순찰 상반기 순찰 하반기 순찰

안심거울 설치 업무 의 설치

불법촬

카메라 검지표개발

모니터링단

모집검 검

캠페인 업무 의 계획수립 로그램 운

폭력 방교육 업무 의 계획수립 교육 운

사 사후 조사설문

개발사 조사 사후조사

<표 1 >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추진사항별 추진일정

Ⅲ. 연구설계

1. 연구개요

K 학가를 심으로 실시한 범죄 방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해서 K 학교 학생과 그 인

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9세 이상의 주민 총 300명을 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 다. 그리고 조

사과정에서 조사 상자에게 우리지역의 범주를 학교 인근이라고 설명하 다. 인식조사는 안 체

감도와 범죄두려움, 그리고 지역 내의 무질서의 변화, 유 기 에 한 신뢰도에 해서 범죄 방사

업 시행 과 시행 후 총 2차례 조사하 는데. 특히 사 조사에 응답한 응답자 100명을 패 로

구축하여 사후조사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 다. 그리고 나머지 200명은 상지역에 사업이 시행

되는 기간에 거주한 사람들을 상으로 하 다. 사 조사 조사기간은 2018년 4월 25일부터 일주일

간 실시하 으며, 사후조사는 사업이 종료되는 시 인 2018년 10월 4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하 다.

분석을 하여 spss 20.0 로그램을 이용하 고, 빈도분석과 T검정을 이용하여 사업 시행 ‧후

지역주민들의 안 체감도와 범죄두려움 등의 인식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범죄 방사업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개선 을 도출하 다.

Page 8: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30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2. 설문지 구성

학가 범죄 방사업은 종국 으로 학생과 인근 주민들의 범죄나 범죄피해율, 나아가 시민들

의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것이지만, 약 7개월간의 사업 시행으로 이러한 변화를 직 으로 확

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범죄 방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과 시민들의 체감

안 도와 범죄두려움의 인식변화를 토 로 범죄 방사업의 효과성을 측정하 다.

즉, 이 연구에서는 범죄 방사업 시행 후에 학생과 인근 주민들이 인식 체감안 도의 변화는

어떠한지, 지역의 범죄 방 환경이 개선되었다고 인식하는지, 그리고 이들이 인식하는 범죄두려움

이 감소하 는지를 측정하 다. 조사내용은 체감안 도, 무질서인식, 범죄두려움, 지역유 , 범죄

방활동인식으로, 체감안 도는 여성가족부의 여성안 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설문문항 지표의 구

성을 참고하여 지역의 반 인 범죄발생추세에 한 인식과 반 인 안 인식도, 야간보행에

한 안 한 정도, 여성범죄로부터 안 한 정도 등으로 구성하 다.

무질서 인식은 물리 무질서와 사회 무질서의 징후가 범죄와 련성이 높다고 보고, 물리

무질서와 사회 무질서로 구분하여 측정, 범죄 방사업으로 인한 무질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

다. 물리 무질서는 지역 길거리의 쓰 기 정도, 리하지 않는 빈집이나 공터, 거리의 어두운 정도

등으로 조사하 고, 사회 무질서는 술에 취한 사람, 비행청소년의 정도, 싸우는 소리 등으로 측정

하 다.

1995년 Ferraro는 험해석모델을 제시하면서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한 두려움, 불안과 같은 정

서 반응이며, 지역 특성이 범죄두려움에 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범죄 방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지역의 환경변화가 주민들의 범죄두려움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편, 무질서한 지역에서 거주하는 구성원들은 범죄두려움을 느끼고 지역에서 오래 살지 못하며

이주하게 된다. 그러한 지역에서 주민들은 이동이 잦고, 서로 잘 모르고 지낼 가능성이 높으며, 그로

인해 범죄가 통제되지 못한다는 Shaw와 Mckay의 사회해체이론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박 주,

2010: 58-59). 즉, 무질서한 지역은 거주 불안정 등으로 지역사회의 해체를 야기하며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지역은 지역구성원간의 유 와 결속력이 약화되어 범죄가 통제되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러

한 에서 지역주민간의 친 감, 그리고 지역주민들이 범죄를 억제하는 정도인 지역유 와 비공식

통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범죄 방활동 인식은 지역주민과 경찰, 유 기 이 수행하고 있는 범죄 방사업을 지역주민이

인지하고 있는지와 이러한 사업을 통해서 범죄 방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경찰에 한 신뢰도와 만

족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주민이 인지하는 사업의 범죄 방에의 도움정도를 측정하 다.

Page 9: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3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구분 설문지의 구성

체감안 도 · 지역의 범죄발생추세/ 반 안 인식/야간보행안 /여성범죄 안 인식

무질서 · 물리 무질서/사회 무질서

범죄두려움 · 범죄피해 두려움(본인/가족/지역/ 도/강도/폭행/성폭행)

지역유 비공식 통제 · 지역 주민 간 유 /범죄발생 시 행동

범죄 방활동 인식 · 경찰에 한 신뢰, 경찰만족도, 순찰만족도, 지역사회경찰활동인식

<표 2 > 조사설문의 구성

Ⅳ. 분석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 상자는 1차 조사와 2차 조사 각각 300명이며, 성별은 남성 120명, 여성 180명을 조사하

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우선 1차 조사에는 20 가 54.3%로 가장 많았고, 50 이상(27.7%), 30-40

(18.0%) 순이었으며, 2차 조사도 20 (54.7%), 50 이상(23.3%), 30-40 (22.0%) 순으로 비교

고르게 나타났다. 조사 상 지역이 학과 그 주변임을 고려, 학교 재학 여부를 조사한 결과,

학교 재학생은 1차 45.7%, 2차 44.0%이었으며, 재학생이 아닌 경우는 1차 54.3%, 2차 56.0%로 나

타났다.

최종학력은 1차와 2차 모두 졸자의 비율이 높았고, 고졸, 2년제 학 졸업자 순으로 나타났으

며, 거주지역은 아 트 단지와 원룸 등 다세 주택 거주자가 거의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들의 거주형태는 1차 조사에서는 월세(반 세 포함)가 43.7%로 가장 높았으며, 2차 조사에서

는 자가(가족소유 포함)의 비율이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록 거주형태가 1차 조사와 2차

조사의 경우 다소 차이가 났으나 이것은 조사구역과 성별, 연령 , 재학생인지의 여부 등을 비교

고르게 맞추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 고, 그 차이는 10% 미만이므로 결과에 큰 향은 미치

지 않을 것으로 단된다.

조사 상자들의 직업형태는 정규직 임 근로자가 10.7%(1차), 17.0%(2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비정규직 임 근로자, 자 업자의 순이었다. 그리고 학생 학원생이라고 응답한 조사

상자는 41.0%(1차), 44.0%(2차)로 조사되었다. 한편, 1차 조사자 100명은 패 로 구축하여 2차

조사에도 설문조사를 실시하 으며, 나머지 200명은 사업이 수행되는 기간 동안 지속 으로 거주했

던 200명을 상으로 실시하 다.

Page 10: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32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구 분

실험 지역

1차 조사 2차 조사

명 % 명 %

체 300 100.0 300 100.0

성별남성 120 40.0 120 40.0

여성 180 60.0 180 60.0

연령

20 163 54.3 164 54.7

30 -40 54 18.0 66 22.0

50 이상 83 27.7 70 23.3

K 학교 재학 여부그 다 137 45.7 132 44.0

아니다 163 54.3 168 56.0

패 여부패 (1차 조사자와 동일) 100 33.3 100 33.3

코호트( 상 지역 거주자) 200 66.7 200 66.7

최종학력

졸이하 5 1.7 2 .7

졸 14 4.7 7 2.3

고졸(재학포함) 62 20.7 83 27.7

2년제 졸(재학포함) 23 7.7 30 10.0

졸(재학포함) 192 64.0 171 57.0

학원 이상(재학포함) 4 1.3 7 2.3

거주 지역

원룸 등 다세 주택 105 35.0 111 37.0

아 트 단지 109 36.3 140 46.7

상가 75 25.0 30 10.0

기타 11 3.7 19 6.3

거주 형태

자가(가족소유 포함) 116 38.7 149 49.7

세(월세 없는 경우) 42 14.0 38 12.7

월세(반 세 포함) 131 43.7 105 35.0

기타 11 3.7 8 2.7

직업 형태

정규직 임 근로자 32 10.7 51 17.0

비정규직 임 근로자 28 9.3 25 8.3

자 업자 112 37.3 78 26.0

학/ 학원생 123 41.0 132 44.0

기타 5 1.7 14 4.7

<표 3>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체감안전도의 변화

체감안 도는 반 인 안 성, 혼자 밤에 걸어 다니는 것, 여성범죄로부터의 안 성 등으로 측

정하 으며, 세 문항 모두 T검정 결과 유의수 .05에서 범죄 방사업 시행 에 비하여 시행 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우리 지역은 반 으로 안 하다’의 경우 ‘ 그 지 않다’ 1 에서 ‘매우 그 다’ 5 으

Page 11: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3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로 평균을 비교한 결과 1차 조사에서 3.25 , 2차 조사 3.42 으로 0.17 증가하 다. 한 ‘우리지

역은 혼자 밤에 걸어 다니는 것이 안 하다’에서는 1차 조사 시 2.96 으로 보통이하로 부정 평가

가 다소 높았던 반면, 2차 조사에서는 3.24 으로 정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우리지역은 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학 등의 범죄로부터 안 하다’의 경우 1차 조사 3.09 에서 2

차 조사 3.25 으로, 0.16 증가하 다.

이 듯 체감안 도에 한 분석결과 특히, 야간밤길안 도에 한 주민들의 체감안 도가 사업

시행 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범죄 방사업과정에서 야간순찰과 범죄 방 모니터

링 결과를 반 하여 험지역에 해서 경찰의 집 인 순찰의 강화에 기인한 것으로 단된다.

한편, 반 인 지역의 안 성과 성폭력이나 가정폭력 등의 안 성 역시 증가하 는데, 이것은 상

지역의 디지털 성범죄 등 불법촬 방을 한 안심거울 설치와 캠페인의 향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결론 으로 범죄 방사업 시행 후 주민들의 거주지역 안 인식정도가 높아졌으며, 밤길 도보 안

인식과 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학 등의 범죄로부터의 안 인식도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증가

를 보이고 있었다.

거주지역 분야별 체감 안 도 명 평균( ) T

1) 우리지역은 반 으로 안 하다1차조사 300 3.25

-2.737**2차조사 300 3.42

2) 우리지역은 혼자 밤에 걸어 다니는 것이 안 하다1차조사 300 2.96

-3.812***2차조사 300 3.24

3) 우리지역은 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학 등의 범죄로부터

안 하다

1차조사 300 3.09-2.267*

2차조사 300 3.25

<표 4> 거주지역 분야별 체감 안전도

주 : 1. 평균 : 5 척도, 매우 그 다(5 ), 그 다(4 ), 보통이다(3 ), 그 지 않다(2 ), 매우 그 지 않다(1 )

2. *p<0.05, **p<0.01, ***p<0.001

3. 지역 무질서의 변화

지역 무질서는 물리 무질서와 사회 무질서로 구분하여 조사하 다. 물리 무질서는 건물의

창문이 깨어진 채로 방치되고 벽에 낙서가 그려져 있거나 거리에 쓰 기와 차량 등이 방치된 지역

등을 의미하는 것이며, 사회 무질서는 만취한 사람들이 공공질서를 지키지 않거나 불량청소년들

이 거리에서 배회하는 등의 행동이 만연된 지역의 징후를 의미하는 것이다.

사 ·사후 조사결과 물리 무질서와 사회 무질서를 측정한 부분의 문항에서 유의수 .05에

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먼 물리 무질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우리지역의 길거리는 쓰

Page 12: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34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기나 오물, 낙서 등으로 인해 지 분하다’의 경우 3.49 에서 3.29 으로 나타나 인식정도는 감소

하 다. 그리고 ‘우리지역은 리하지 않는 빈집이나 공터가 많다’고 인식하는 정도도 2.75 에서

2.63 으로 나타나 범죄 방사업 시행 후 인식정도가 감소하 음을 알 수 있다. 한 ‘우리지역은

밤이 되면 거리가 어두운 편이다’의 경우에는 3.50에서 3.23 으로, ‘우리 지역은 어둡고, 후미진 곳

이 많다’도 3.49 에서 3.19 으로 나타나 인식이 개선되었다.

야간에 특히 어두움을 느끼는 정도는 가로등의 불빛과 련이 있는데, K 학교 인근지역의 경우

할 구청에서 원룸 일 의 가로등 조도를 높이는 공사를 시행하 고, 어두운 지역의 경우에는

가로등을 추가 으로 설치하 다. 이 결과 시민들이 체감하는 밤거리의 어두움이나 후미진 곳의 경

우 조도의 개선으로 인해 어둡다고 인지하는 정도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사회 무질서의 인식변화를 살펴보면, ‘우리지역에는 야간에 술에 취한 사람들이 많다’의

경우 3.63 에서 3.41 으로 감소하여, 범죄 방사업 시행이후에 지역에서 주취자가 상 으로 감

소하 다고 인식하는 주민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우리지역은 불량청소년으로 보이는 학

생들이 많다’의 경우에도 3.03 에서 2.93 으로 감소하 으며, ‘우리지역에는 시끄러운 고함소리나

싸우는 소리를 많이 들을 수 있다.’의 경우에도 3.32 에서 3.12 으로 감소하 다. 이러한 결과는

모니터링 결과를 할 구청과 경찰이 공유하면서 해당지역의 환경이 정비된 것과 지역주민과 학

생 그리고 경찰이 지역일 를 정기 으로 순찰하면서 지역의 범죄 방에 심을 가진 결과에 기인

한 것으로 보인다. 한 지역주민 스스로도 범죄 방 활동에 참여하면서 지역 내의 문제에 심을

가지고 자발 으로 기 질서를 지키거나 음주행 를 자제한 결과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 지역은 평소 매우 무질서 하다’는 2.93 에서 2.79 으로, ‘우리지역은 범죄가 자주

발생한다’도 2.71 에서 2.60 으로, 범죄 방사업 시행 후에 인식이 감소, 무질서의 개선효과가 나

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반 으로 무질서가 개선된 것은 범죄 방사업의 일환인 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해 지역에서 실시한 범죄 방 캠페인과 학생 주민을 상으로 한 다양한 폭력 방 교육 등이

체감인식의 개선으로 나타난 것이다.

지역무질서 인식 명 평균( ) T

1) 우리지역의 길거리는 쓰 기나 오물, 낙서 등으로 인해

지 분하다

1차조사 300 3.492.513*

2차조사 300 3.29

2) 우리지역은 리하지 않는 빈집이나 공터가 많다1차조사 300 2.75

1.7812차조사 300 2.63

3) 우리지역은 밤이 되면 거리가 어두운 편이다1차조사 300 3.50

3.736***

2차조사 300 3.23

<표 5> 지역 무질서에 대한 인식정도

Page 13: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3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주 : 1. 평균 : 5 척도, 매우 그 다(5 ), 그 다(4 ), 보통이다(3 ), 그 지 않다(2 ), 매우 그 지 않다(1 )

2. *p<0.05, **p<0.01, ***p<0.001

4. 범죄두려움의 변화

범죄두려움은 본인의 범죄피해와 가족의 범죄피해 두려움, 도나 강도, 폭행 그리고 성폭행에

한 두려움의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유의수 .05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나는 우리지역에서 낮에 범죄피해를 당할까 두렵다’의 경우 2.37 에서 2.17 으로 두려움이

감소하 으며, 한 ‘밤에 범죄피해를 당할까 두렵다’의 경우에도 3.05 에서 2.83 으로 두려움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 도 피해와 련하여서는 특히 두려움이 감소하 는데, ‘나는

집을 비운 사이에 도둑이 들어와 돈이나 물건을 훔쳐갈까 두렵다’의 경우에는 2.77 에서 2.46

으로, ‘나는 집에 강도가 침입하여 가족을 ·폭행하여 돈이나 물건을 빼앗아 갈까 두렵다’의

경우에는 2.70 에서 2.43 으로 감소하 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이 참여한 지역 순찰과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지속 으로 험지역을 순찰한 것이 야간 침입 도에 한 두려움을 감소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노상에서의 폭행과 성폭행의 두려움 역시 반 으로 사 조사에 비하여 사후조사에서 감

소하 는데, ‘나는 낯선 사람에게 폭행을 당할까 두렵다’의 경우 2.70 에서 2.52 으로, ‘나는

군가에게 성폭행을 당할까 두렵다’의 경우에도 2.69 에서 2.43 으로, ‘나는 우리가족 군가

가 성폭행을 당할까 두렵다’는 2.71 에서 2.54 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

민들이 직 참여하여 지역을 상으로 범죄 방 순찰활동을 개하는 한편, 성폭력 방키트에

한 캠페인 안내, 응요령 등 반 으로 다양한 범죄 방 활동의 개의 결과로 시민들의 범죄

두려움이 감소한 것으로 단된다.

지역무질서 인식 명 평균( ) T

4) 우리지역은 어둡고 후미진 곳이 많다1차조사 300 3.49

3.962**

2차조사 300 3.19

5) 우리지역에는 야간에 술에 취한 사람들이 많다1차조사 300 3.63

2.683**

2차조사 300 3.41

6) 우리지역은 불량청소년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많다1차조사 300 3.03

1.2682차조사 300 2.93

7) 우리지역에는 시끄러운 고함소리나 싸우는 소리를 많이 들을 수

있다

1차조사 300 3.322.449*

2차조사 300 3.12

8) 우리지역은 평소 매우 무질서하다1차조사 300 2.93

1.9512차조사 300 2.79

9) 우리지역은 범죄가 자주 발생한다1차조사 300 2.71

1.6142차조사 300 2.60

Page 14: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36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범죄두려움 명 평균( ) T

1) 나는 우리지역에서 낮에 범죄피해를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2.37

2.811**

2차조사 300 2.17

2) 나는 우리지역에서 밤에 범죄피해를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3.05

2.663**

2차조사 300 2.83

3) 나는 우리지역에서 낮에 가족들이 범죄피해를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2.52

2.811**

2차조사 300 2.31

4) 나는 우리지역에서 밤에 가족들이 범죄피해를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2.95

1.7452차조사 300 2.80

5) 나는 집을 비운사이에 도둑이 들어와 돈이나 물건을 훔쳐갈까

두렵다

1차조사 300 2.773.752***

2차조사 300 2.46

6) 나는 집에 강도가 침입하여 가족을 폭행하여 돈이나 물건을

빼앗아갈까 두렵다

1차조사 300 2.703.460**

2차조사 300 2.43

7) 나는 우리지역에서 강도에게 , 폭행을 당해 돈이나 물건을

빼앗길까 두렵다

1차조사 300 2.693.054**

2차조사 300 2.45

8) 나는 낯선사람에게 폭행을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2.70

2.232**

2차조사 300 2.52

9) 나는 군가에게 성폭행을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2.69

3.184**

2차조사 300 2.43

10) 나는 우리가족 군가가 성폭행을 당할까 두렵다1차조사 300 2.71

2.078*

2차조사 300 2.54

<표 6> 범죄두려움 체감도

주 : 1. 평균 : 5 척도, 매우 그 다(5 ), 그 다(4 ), 보통이다(3 ), 그 지 않다(2 ), 매우 그 지 않다(1 )

2. *p<0.05, **p<0.01, ***p<0.001

5. 지역유대 및 비공식 통제 변화

지역유 는 거주하는 지역에서 지역주민들 간의 친 한 계 는 지역주민들 간의 유 와 결속

력, 조직화의 정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유의수 .05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유 를 5가지 문항으로 측정하 는데, 지역주민 서로 간 왕래정도, 지역의 일

에 한 이야기 정도, 지역주민 간 서로 돕는 정도, 주민 간 신뢰 등이다. 이러한 5가지 항목 모두

사 조사와 사후조사에서 3.00 미만으로 부정 의견이 높았다.

‘우리 지역 사람들은 부분 잘 알고 지낸다’의 경우 2.89 에서 2.83 , ‘우리 지역 사람들은 서로

의 집을 왕래하면서 지낸다’의 경우 사 조사와 사후조사 모두 2.39 으로 나타났다. ‘우리 지역 사

람들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에 해 자주 이야기한다’는 2.67 에서 2.58 으로, ‘우리 지역 사람들

Page 15: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3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은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서로 잘 돕는다’의 경우 2.73 에서 2.70 , ‘우리 지역 사람들은 신뢰하고

믿을 만 하다’는 2.89 에서 2.86 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유 의 경우에는 반 으로 3.0 이하로 낮았는데, 이는 범죄 방사업이 시행되는

지역이 학가 근처로 원룸이나 상가가 많아 유동인구가 많기에 부분의 지역주민들이 친 한

계를 유지하는 것은 상 으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 이러한 지역 주민간의 유 는 범죄

방 환경을 개선하거나 순찰을 하는 등 범죄 방환경의 개선 보다는 지역주민들이 함께 자리할

수 있는 로그램을 통해서 개선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시의 범죄 방사업에서는 구성되지 않은

부분이기에 상 으로 한계가 있었다고 단된다.

거주 지역 주민 간 유 명 평균( ) T

1) 우리 지역 사람들은 부분 잘 알고 지낸다1차조사 300 2.89

.8552차조사 300 2.83

2) 우리 지역 사람들은 서로의 집을 왕래하면서 지낸다1차조사 300 2.39

.0462차조사 300 2.39

3) 우리 지역 사람들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에 해 자주 이야기한다1차조사 300 2.67

1.2832차조사 300 2.58

4) 우리 지역 사람들은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서로 잘 돕는다1차조사 300 2.73

.3712차조사 300 2.70

5) 우리 지역 사람들은 신뢰하고 믿을 만하다1차조사 300 2.89

.3922차조사 300 2.86

<표 7> 거주 지역 주민 간 유대에 대한 인식정도

주 : 1. 평균 : 5 척도, 매우 그 다(5 ), 그 다(4 ), 보통이다(3 ), 그 지 않다(2 ), 매우 그 지 않다(1 )

2. *p<0.05, **p<0.01, ***p<0.001

한편, 범죄행 에 해서 국가가 형벌로 처벌하는 것을 공식 통제라고 한다면, 지역주민들이

비행행 나 옳지 못한 행 에 해서 감시하고 제재하는 것은 비공식 통제이다. 비공식 통제는

6개 문항으로 구성하 는데, 불량청소년들에 한 이웃이나 본인의 개입에 한 인지, 낯선 사람들

에 한 이웃이나 본인의 개입, 괴롭힘을 당하는 사람에 한 이웃이나 본인의 개입 등이다. 이처럼

비공식 통제에 해서는 유의수 .05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반 으

로 3 이하로 나타났다.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만약 동네에 불량스럽게 보이는 학생들이 모여서 담배를 피우거나 시끄

럽게 한다면 동네 이웃들은 개입할 것이다.’의 경우 2.63 에서 2.65 으로, 같은 상황에서 본인의

개입은 2.51 에서 2.60 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히 청소년들이 모여 있다거나 집 앞에 낯선 사람들

이 배회하는 등의 행동에 해서는 본인이나 이웃들의 개입은 비교 낮다고 인식하 다.

그러나 ‘만약 집 앞에서 군가가 괴롭힘을 당하거나 맞고 있다면 동네 이웃들은 개입할 것이다’

Page 16: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38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의 경우 2.99 에서 3.06 으로, 같은 상황에서 본인의 개입에 해서는 3.05 에서 3.16 으로 증가

하 다. 이는 다른 행 와 달리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폭행상황에 해 본인뿐만 아니라 동네이웃

들도 극 으로 행동할 것이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공식 통제 역시 구시의 범죄 방사업과 직 으로 련되어 제고될 수 있는 변화

는 아니기에 통계 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비공식 통제 명 평균( ) T

1) 만약 동네에 불량스럽게 보이는 학생들이 모여서 담배를 피우거나

시끄럽게 한다면 동네이웃들은 개입할 것이다

1차조사 300 2.63-0.286

2차조사 300 2.65

2) 만약 동네에 불량스럽게 보이는 학생들이 모여서 담배를 피우거나

시끄럽게 한다면 나는 개입할 것이다

1차조사 300 2.51-1.157

2차조사 300 2.60

3) 만약 집 앞에 낯선 사람이 돌아다닌다면 동네이웃들은 개입할 것이다1차조사 300 2.54

-0.7182차조사 300 2.59

4) 만약 집 앞에 낯선 사람이 돌아다닌다면 나는 개입할 것이다1차조사 300 2.50

-1.6912차조사 300 2.62

5) 만약 집 앞에서 군가가 괴롭힘을 당하거나 맞고 있다면 동네

이웃들은 개입할 것이다

1차조사 300 2.99-0.993

2차조사 300 3.06

6) 만약 집 앞에서 군가가 괴롭힘을 당하거나 맞고 있다면 나는 개입할

것이다

1차조사 300 3.05-1.551

2차조사 300 3.16

<표 8> 비공식적 통제에 대한 인식정도

주 : 1. 평균 : 5 척도, 매우 그 다(5 ), 그 다(4 ), 보통이다(3 ), 그 지 않다(2 ), 매우 그 지 않다(1 )

2. *p<0.05, **p<0.01, ***p<0.001

6. 범죄예방활동 인식 변화

경찰에 한 주민의 신뢰와 정 인 인식의 변화는 범죄 방효과의 제고에 요한 역할을 하는

데, 이는 안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찰인력만으로 안 요구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고 이에 한

해결책 하나가 경찰과 시민 간의 우호 인 계를 통한 지역의 자율 범죄 방능력을 향상시키

는 것이다. 경찰에 한 시민의 지지는 신고율을 높이는 한편, 경찰에 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증언을 높이고, 지역에 한 자율 인 범죄 방활동을 활성화시키고, 경찰에 극 인 력을 하는

등 부족한 경찰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홍태경, 2017: 218). 이러한 에서 구

시 범죄 방사업을 통해 경찰이 시민들과 함께 범죄 방활동을 수행한 것은 경찰에 한 인식 개선

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경찰과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범죄 방활동에 한 평가와 경찰에

Page 17: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3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한 신뢰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경찰 지역주민들의 범죄 방 순찰활동에 한 정 인식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지역주

민들은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 로그램이 시행된 이후에 유의수 .05에서 통계

으로 유의미한 정 인식의 증가가 나타났다.

우선 ‘우리지역의 경찰은 범죄 방을 해 요한 역할을 한다’의 경우 그 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3.30 에서 3.46 으로, ‘우리 지역의 경찰은 범죄발생 후 피해자를 해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 인식하는 정도는 3.10 에서 3.32 으로 증가하 다. 이것은 데이트폭력 불법촬 에 한 개

념과 시민들의 처방법 그리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 에 해 경찰이 참여하여 캠페인과 교육

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극 으로 응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 ‘우리지역은 시민 학생들을 심으로 범죄 방을 한 순찰이 이루어진다’의 경우에는

2.92 에서 3.30 으로, ‘지역주민이 순찰을 하면 범죄두려움이 감소한다’의 경우 3.42 에서 3.55

으로 증가하 다. 그리고 ‘나는 지역 주민들의 순찰활동에 만족한다’의 경우 2.99 에서 3.20 으로

증가하 다.

이러한 결과는 학가를 심으로 정기 으로 지역주민과 경찰 그리고 학생들이 자발 으로 순

찰활동을 개하 고, 그 결과 지역주민들은 지역이 보다 안 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9> 거주 지역 경찰활동 및 지역사회 순찰활동에 대한 인식정도

거주 지역 경찰활동 지역사회 순찰활동 명 평균( ) T

1) 우리 지역의 경찰은 범죄 방을 해 요한 역할을 한다1차조사 300 3.30

-2.445*

2차조사 300 3.46

2) 우리 지역의 경찰은 범죄발생 후 피해자를 해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1차조사 300 3.10-3.374**

2차조사 300 3.32

3) 우리 지역의 경찰은 범죄신고를 받으면 즉시 출동할 것이다1차조사 300 3.39

-2.967**

2차조사 300 3.60

4) 우리 지역의 경찰은 동네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도움을 요청하면

극 으로 응한다

1차조사 300 3.32-2.482*

2차조사 300 3.49

5) 우리지역은 시민 학생들을 심으로 범죄 방을 한 순찰이

이루어진다

1차조사 300 2.92-5.198***

2차조사 300 3.30

6) 지역주민이 순찰을 돌면 범죄두려움이 감소한다1차조사 300 3.42

-1.999*

2차조사 300 3.55

7) 나는 지역 경찰 활동에 만족한다1차조사 300 3.19

-2.557*

2차조사 300 3.36

8) 나는 지역 주민들의 순찰활동에 만족한다1차조사 300 2.99

-3.041**

2차조사 300 3.20

주 : 1. 평균 : 5 척도, 매우 그 다(5 ), 그 다(4 ), 보통이다(3 ), 그 지 않다(2 ), 매우 그 지 않다(1 )

2. *p<0.05, **p<0.01, ***p<0.001

Page 18: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40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Ⅴ. 결 론

이 연구는 구시 학가 범죄 방사업의 효과를 검하기 한 목 으로 수행되었다. 구시의

학가 범죄 방사업은 안 진단, 주민순찰, 인근 지하철역 안심거울 설치, 불법촬 카메라 검

캠페인, 폭력 방교육 등 다양한 로그램으로 구성하 다. 특히, 지역사회 안 망을 통해 데이

트폭력과 디지털 성범죄 등 학가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폭력 방이라는 공통의 심사

를 심으로 시민과 학생, 구시와 경찰, 연구기 과 시민단체 등이 연 하여 범죄 방사업에

참여하 고, 범죄 방사업이 진행되는 K 학교 학생과 주민들의 인식 개선에 을 맞추었다.

범죄 방사업의 효과는 사업 시행 과 시행 후 시민들의 안 체감도 무질서, 경찰에 한 인

식의 변화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는데, 반 으로 정 으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

주민 상호 간의 친 한 계, 결속력 등을 의미하는 지역유 와 비공식 사회통제에 있어서는 사

업 과 후에 있어서의 변화가 도출되지는 않았다. 이것은 구시 범죄 방사업의 내용에 지역주민

들의 유 와 결속력을 높이기 한 로그램이 충분하지 못하 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 범죄

방사업에서는 기존의 효과를 지속될 수 있도록 로그램을 확 하는 한편, 주민간의 유 계가 돈

독해 질 수 있도록 지역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축제나 모임 등 지역 공동체 활동을 추가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범죄 방사업의 시행 후 해당 지역 시민들의 인식차이를 심으로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한 이

연구는 시민들의 체감안 도와 무질서, 범죄두려움, 경찰 신뢰 등 범죄 방과 련된 시민들의 인식

변화를 경험 으로 증명하 다는 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확실한 효과검증을 해서는 사업

시행 ‧후의 조사 상자가 동일하게 구성되는 패 데이터로 구성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코호트 조사가 시행되었다는 , 표본수가 300명으로 상 으로 었다는 , 그리고 ‘범죄 방사

업’이 시행되는 지역과 그 지 않은 지역(통제지역)의 ·후 비교가 이루어지지 못하 다는 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Page 19: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구지역 학가 범죄 방사업 후 인식차이 분석 4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참 고 문 헌

강석진․박지은․이경훈, 2009,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지역 방범용 CCTV 효과성 분석”, 「 한건축학회 논

문집」, 25(4): 235-244.

김성언, 2009, “상황 범죄 방론에 한 비 검토”, 「형사정책연구」, 20(1): 1045-1079.

김연수, 2013, “도시재생사업과 범죄 방: 도시재생사업과 CPTED, 무질서, 그리고 범죄두려움의 계를 심

으로”, 「한국경찰학회보」, 42: 23-59.

김윤 ․김후성, 2016, “상황 범죄 방 이론을 활용한 여성 안 귀가 시스템 디자인 연구: IOT기술과 드론을

활용한 치안 책의 가능성을 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3): 81-91.

박 주, 201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방(CPTED)의 효과에 한 연구: 구주민의 주거환경에 한 인식이

범죄피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향을 심으로”, 「한국경찰연구」, 9(1): 55-82.

박 주, 2014, “ 구지역 범죄 험성 구여성의 셉티드 인식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세미나 자료집」.

박 주․윤우석, 2014, 「범죄로부터 여성이 안 한 지역사회 환경 조성방안」, 구여성가족재단.

박 주․윤우석, 2014, “CPTED 인식이 여성의 험인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향 분석:  구지역 거주여

성을 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6: 80-109.

박 주․정희경, 2018, 「2018 구 안 로그램 효과성 분석」, 구여성가족재단.

송 규․장석헌, 2013, “도보순찰과 차량순찰의 효과성 연구: 경찰에 한 만족도와 범죄에 한 두려움을 심

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53: 112-136.

윤우석, 2018, “경찰 안심귀갓길 조성사업의 효과성 분석: 2016년 구미시 실험사례를 심으로”, 「한국경찰학회

보」, 68: 185-223.

이성식, 2001, “경찰순찰활동의 범죄 방효과에 한 경험 연구: 구지역 조사를 심으로”, 「형사정책」,

13(1): 165-191.

이성식, 2003, “지역무질서, 지역유 와 범죄피해의 계”, 「피해자학연구」, 11(1): 87-106.

임동 ․이유미․강부성, 2010,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한 CPTED 범죄 방 효과에 한 연구”, 「한국셉테드학

회지」, 2(1): 149-159.

정진성․장윤식, 2014, “방범용 CCTV에 한 인식이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향”, 「한국경찰연구」,

13(2): 341-368.

최수형, 2013, CCTV와 범죄 방효과 : 안산시 사례, 한범죄학회·한국셉테드학회·한국범죄비행학회 춘계공동

학술.

홍태경, 2017,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시민들의 경찰만족도에 미치는 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6(4):

215-242.

Cohen, L. E. and M. Felson, 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Garofalo, 1987, Reassessing the Lifestyle Model of Criminal Victimization, Positive Criminology, In

Page 20: 대구지역 대학가 범죄예방사업 전후 인식차이 분석이러한 고전주의 범죄학은 이후 범죄 상황과 기회의 통제를 강조하는 신고전주의 범죄학으로

42 박 주 ‧ 정 희 경 ‧ 류

대구경북연구 제18권 제1호

Gottfredson, M., and Hirschi, T. (eds.), Positive Criminology: Essays in Honor of Michael J. Hindelang,

Sage, Beverly Hills, Calif.

Kelling, G. L., T. Pate, D. Diekman and C. E. Brown. 1974. The Kansas City Prevention Patrol Experiment

: Summary Report, Washington DC : Police Foundation.

Saville, G. and Cleveland, G, 2008, Second-Generation CPTED: The Rise and Fall of Opportunity Theory.

In: Atlas, R., Ed., 21st Century Security and CPTED: Designing for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CRC Press, Fort Lauderdale.

Saville, Gregory and Gerard Cleveland, 2013, “Second-Generation CPTED Rise and Fall of Opportunity

Theory” in 21st Century Security and CPTED, CPC Press.

Tiwari, Reena, 2014, “Designing a Safe Walkable City”, Urban Design International, 20(1).

Wilson, J.Q. & Kelling, G.L, 1982, “Broken Windows: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Theories of

Crime”, Deviance & Punishme, 3.

이낸셜뉴스(http://www.fnnews.com/news/201803191025499796), 2018. 03. 01, “장정숙, 최근 5년간 학내

성범죄 발만 320건”.

일간투데이(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967), 2018. 12. 12, “성남시-경찰서-

학교 약 몰카 공 화장실 불법 촬 범죄 방”.

골 타임즈(http://www.thegolf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135), 2018. 12. 17, “폭력 휘두르고

성추행, 부산 여학생 기숙사 침입 사건 발생”.

헤럴드경제(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228000018), 2018. 12. 28, “몰카 은 학교직원, 재

범에도 집행유 결 근거는?”.

뉴스1(http://news1.kr/articles/?3516660), 2019. 01. 04, “부산경찰청, 학교 기숙사 상 범죄취약환경 검”.

논문접수일:2019. 02. 09, 심사완료일:2019. 02. 26, 최종원고:2019. 0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