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고인룡 / Koh, In-Lyong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email protected] 20190807 “2019 대한민국 교육자치 콘퍼런스” 자유강연 I-1 교육공간과 학교 공간혁신” 서울세명초 @홍종화THE CORNERZ

교육공간과 학교공간혁신” - cea2019.org · 건축가의선정참여, 디자인협력및사용자의견전달, dqi 진행 학교공간관계자들의소통을촉진하고행정적,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고 인 룡 / Koh, In-Lyong

공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email protected]

20190807

“2019 대한민국 교육자치 콘퍼런스”

자유강연 I-1

“교육공간과학교 공간혁신”

서울세명초 @홍종화THE CORNERZ

人間時間空間

"주권” : 몸이 머물고 살아가는 한정된 공간에

Somewhere Place, 2011/ Ryan McGinley (부분)

장소(places)라는 것은 삶이 일어나는 공간을 의미한다.-크리스챤 노베르그 슐츠/ 장소의 혼-

장소 짓기_살기의 시간

삶이란 장소의 맥락에서 각자의 리듬으로 만들어 내는 기억의 연속이다.

흔적은 시간과 장소의 만남이다.

우리는 그 흔적을 통해 삶이라는 서사를 만나게 된다.

새로운 사회적 관계가 새로운 공간을 요구하고

새로운 공간이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낳는다.-앙리 르페브르,공간의 생산-

대량생산 시스템을 품은 학교공간

#대량생산,#표준화, #컨베이어벨트, #단순반복작업, #단순지식과 기능, 그리고 #성과급’

대량생산의 구조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학교라는 건물로 구축되어진 것이다.

(미국의) 학교는 ‘방과 종‘Cells & bells)이라는 개념으로 디자인 되어 왔다.

학생들은 교실이라 불리는 방에 종이 울릴 때까지 있다가 다른방으로 옮겨가는

방식이다. 지난 백년 동안 익숙해진 이런 학교 모습은 사실 “테일러주의”와

함께 탄생한 ‘산업혁명"의 결과이다. (-Prakash Nair/” Blueprint for Tomorrow”)

“1811년대 영국,랭커스터, 의 근로학교 교실

변하지 않는 교실, 학교, 구조학교공간 재구조화

교실

현관홀교무/행정

복도

운동장

화단

구령대

교문

관리 및 의전영역

교실

교사영역학생영역

학교 속의 공간 구조 ‘-프랙탈(fractal) 학교 : 공간 권력의 편재

교사영역

학생영역

교탁

태극기

칠판

앞문

뒷문

1. 균질한 학습공간 : 단위기능의 교실모듈2. 분명한 공간 구분 : 경계요소의 강화3. 단순한 공간 구조 : 상자형 공간의 연결, 적층4. 교류와 협력의 공간 부족 (계층적 권력공간 구조)5. 학교 구성원의 개인 및 사적 공간의 부재6. 사회구심적공간 부제 : 기능공간구성으로 교류공간부재7. 사회로 부터 안전한 독자 공간8. 다양한 교육 방법 시도 제한

교실의 공간구조

교육방법과 같이 한 교육공간 탐구

Montessori School : Maria Montessori(1870-1952)

자료: 류호섭 “힉교건축 발달사를 통해 본 미래학교 건축방향” 에서 정리

Jena Plan school : Peter Peterson(1884-1953)

교실(거실, living room), Family Group , 블록 시간, 써어클 대화 , 월드 오리엔테이션

Waldorf School(1919) : Rudolph Steiner(1861-1925, 인지주의 건축가)

Freinet(1934) : C.Freinet(1896-1966)

John Dewey(Laboratory School)

우리는 학교를 교과를 배우기 위한 별도의 장소가 아닌살아있는 사회 생활을 영위하게 해주는 도구적 장소로서생각해야 한다.

“나는 모든 아이들이 나에게 또 서로서로에게 잘 보이는 공간, 알고 이해 받는 곳, 안전하다고 느끼는 곳, 소중하게 여겨지는 곳을 만들고 싶다. 가정, 사회 등아이들의 삶 속에서 배움의 원재료를 많이 얻기를 바라고, 아이들의 여러 세계가 서로 자연스레 넘나들기를 바란다. 삶과 배움이 상호작용하고 서로 침투하며통합되고 이어지는 환경을 만들고 싶다.

윌리암 에어스, 「가르친다는 것」

1920년대-현재 /덴마크 아동교육디자인전시회 2015

교육과 교육 환경

https://blog.naver.com/ayfud22/221516230851

Knowing by doing –맘껏 실패를 허하는 교실

공간을 다루는 이유:공동체(사이)를 만드는 것

11

人間時間空間

시민성이해와 변화

일상 속 실천

공간을 통해이웃과 사회를 이해하는 방법을 익히려는 것이다. 공간의 수용자에서 공간의 정당한 소비자로, 최종적으로 창의적인 사회적 공간 창조자로 만드는길이기도 하다.

창의성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는 배움의 위 아래가없는 시대이다. ‘적응과 변화’가 배움의 양상

이며 ‘함께 배움’이 유일한 방법이다

학교의 시간-학교의 공간

삶과 교육을 위한 터잡기, 새로운 시공간 틀 짜기

人間時間空間

akeplace/frame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tm

학습의 변화가 학교를 바꾼다.

1단계 : 전형적인 교실2단계 : 사선배치를 통한 변화

교서 학생 대면 방식의 변화와 영역 구성

3단계 : 교사주도권을 바꾸는 배치소그룹별 문제탐구를 통한 학생주도권 상승

4단계 : 기술영역의 확대학습과정에 따른 구성

(연구,실험,제작, 발표 등의 영역구성

5단계 : 팀별 창의적 생각을 만드는 교실그룹별 주제별 자유로운 공간구성, 결과의 전시와 발표

Anne Taylor, Linking Architecture and Education,Univ. of New Mexico Press, 2009. p284,285

• 근대적 구조를 바꾸는 학교공간조직 변화 :공간 재배치, 중심의 이동과 분산

• 학교내 자리잡은 공간권력구조의 전환 : 민주적 공간구조와 개인공간의 조성, 평등공간

• 학교공동체가 공유하는 교육비젼과 학교공간 마스터플랜의 수립

•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 : 마을-학교공동체, 생활 SOC수용

• 교류와 연결: 사회구심적 공간 , 연계공간의 활용

•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에 대응하는 유연하고 민첩한 학습공간

• 공동체 참여 설계과정에 의한 공간주권의 실천

• 학생중심학습공간,통합학습영역, 소그룹, 개별적 학습, 복합놀이공간 등 다양한 학습공간

학교공간 재구조화? 학교공동체를 만들 수 있는 장소 : 시민의 탄생

교육청

기획-계획

교육지원청

시행

교육부

기획

예산

사업기획 사업계획

사업비

시설

프로그램

시설

프로그램용도 위

사 업 비

결정 /배분예산

건축가

적용

설계

실시

설계도면

가 격 입 찰

시공사

공사

조 달 자 재

완공시설기간

규모

기획설계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사후 디자인관리

✓건축가의 설계범위

⚫ 현재 시설사업 행정 관리 영역

시공감리

지금까지 학교시설사업 절차: 공간의 구조와 절차의 구조

개별학교

집행 , 관리

교사,학생,

교육공동체

사용

• 시설관련 기술적 전문성을 이유로 폐쇄구조 발생

• 건축가의 역할 제한으로 학교공간의 질적 향상 시도 지체

공급자 중심

개별부서 추진

결과중심

DESIGN / BUILD

사용자 중심

통합 추진

과정중심

DESIGN / BUILD

室 空間

학교시설사업 절차 와 공간혁신사업 절차 의 지향

지자체

평생교육지원

생활SOC

• 사용자로 부터 시작하는 교육적 상상력의 실현과정 : 참여설계과정 적용

• 건축가들의 공간적 상상력과 전문성을 지원하는 사업구조 : 제도개선

우리학교공간혁신추진단

공간혁신촉진자

함께하는 사용자 참여디자인 진행과 시민경험

비젼

참여 기준 평가

요구 합의인식

이해공감

사용자참여설계

“참여 디자인 과정의 기본적인 구성요소(ingredient)는

문제에 대한 점차적 깨달음을 통한 개인적 학습이다”

(Henry Sanoff, 2000)

• 자각을 통한 문제의 본질은 이해하는 교육적 효과

• 다양한 의견의 노출과 의사결정의 과정으로 인한 개방적 효과

• 조정과 타협을 통한 합의를 바탕으로 하는 소통적 효과

• 자신의 의견의 반영과 실현을 통한 자존적 효과

• 함께 디자인 하고 같이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한 공동체형성효과

• 문제의 다면적 이해와 다양한 실현방법의 적용을 통한 창의적 효과

공동체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한 효과

● 학교공동체 참여과정 기획,진행

● 공간혁신사업의 촉진 (소통,합의)

● 워크숍, 공간교육, 디자인 조정

함께하는 학교설계 공동체 참여디자인의 주체들

● 전문적 디자인 대안

●실현 가능한 방법의 제시

● 전문적 노하우

● 구체적인 경험

● 학교의 가치와 비젼

● 학교의 특화된 요구,제안

● 관련 수업등의 기획,진행

● 정책과 행정 지원

● 자금의 배분과 운영구상

● 결정권 및 집행권

학교공간혁신촉진자

(퍼실리테이터)

학생교사

학부모

건축가디자이너

행정관리

함께하는 학교설계 퍼실리테이터:학교공간혁신촉진자의 역할

학교공간혁신촉진자(퍼실리테이터) ● 학교공동체 참여과정 기획,진행 및 조정:사용자참여설계 주도

● 교사들과 함께 “공간수업” 지원, 교사연수,디자인워크숍 진행

● 학교교육환경 비젼의 합의 도출과 디자인컨셉,설계 지침 마련

● 참여주체(학생, 교사, 학부모, 행정등)들의 의견 수렴, 사업여건 판단

● 건축가의 선정참여, 디자인 협력 및 사용자 의견전달, DQI 진행

● 학교공간 관계자들의 소통을 촉진하고 행정적, 절차 일정등 합의 유도

● POE 절차의 진행 및 디자인관리

● 단계별 보고서 작성 및 기록과 정리, 피드 백

학교설계를 위한 사용자 참여 설계의 모든 단계에서사업의 진행, 교육, 워크숍을 진행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

사업을 참여자와 함께 기획, 진행, 중재하는 역할과건축설계과정 및 건축물의 사후관리 및 평가단계등

건축 전 과정에 대한 기획, 조정, 자문을 수행하는 사람

• 공간의 재가치화 : 문제발견-가치부여-공간의 실현

• 배운의 장소와 생활의 장소가 생긴다

• 새로운 환경이 새로운 생각과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 이름을 바꾸면 공간이 바뀐다 :새로운 이름으로 공간 호명하기

• 다르게 생각하면 달라 진다 :수업을 반영하는 공간

• 실이 아니라 영역이 생긴다. :공간이 이어지고 우리들은 소통한다.

• 실이름이 아니라 행위가 보인다.

• 융합과 복합의 장소가 융복합의 배움을 만든다.

• 마주 보고 모이는 장소가 생긴다. : sociopetal space (사회적 구심공간)

• 교실의 축이 바뀌고 유연해 진다.

• 관계와 연구: 교사들의 공간이 생긴다.

• 학교 중심, 경계가 변한다.

• 지역사회와 접점이 생긴다:학교공간의 사회적 성격

장소의 발견 – 공간의 혁신 : 관찰과 이해-문제의 이해-요구의 구성

건축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관계를 만들어 내지 않으면

감동도 만들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인간을 신뢰하고

무엇인가를 만들 때,

만약에 그것이 건축이라면

정말 훌륭한 건축이 되지 않을까요?

Toyo Ito

고 인 룡 [email protected] 010 6430 7787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