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최근 들어 진단방법의 발전으로 조기 위암의 진단이 점차 늘 어감에 따라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대한 관심과 그 적응이 점 차 늘어가고 있다. 이는 침습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나 과연 암세포의 완전절제가 가능한가 및 그 재발률은 어느 정도 인가 하는 점은 여전히 큰 쟁점이 되고 있다. 조기 위암을 점막 절제술로 제거한 후에는 지속적인 추적 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점막 절제 부위에서 어떠한 병변이 다시 관찰될 경우엔 잔존암 이나 재발암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재발 여부 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앞으로 치료방침의 결정이나 환자의 예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점막 절 제 부위에 과형성 용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저자 들이 알기에는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아직 없다. 저자들은 조 기 위암의 점막 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용종성 위선암과 유사한 과형성 용종을 경험하였기에 이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과 병 리조직 소견을 연관지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보고 71세 남자가 건강검진을 위해 시행 받은 위내시경 검사상 위 전정부 전벽에 약 0.8 cm의 편평융기성 조기 위암(Type IIa) 모양 병변이 발견되었다(Fig. 1A). 이학적 검사와 검사실 소견 상 다른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복부 전산화 단층촬 영 소견에서도 복강 내 전이나 림프절 전이 등의 소견은 없었 다.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선암종으로 확진하였으며,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제거를 시도하였다. 이후 3개월 뒤에 시행한 추적 내시경 검사 소견상 점막절제 술을 시행 받았던 부위에서 자라나 있는 조직이 관찰되었으며 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재생조직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6개월 뒤에 다시 시행한 추적 내시경 검사상 점막 절제 부위에서 증 식되었던 조직은 폴립 모양으로 변하였으며 크기가 1.5 cm으 로 증가하였다. 이후 6개월 및 5개월의 시간 차이를 두고 시행 한 두 차례의 추적 내시경 검사 소견상 폴립 모양 병변은 점차 크기의 증가를 보였으며, 다분엽 모양으로 변화되었다 (Fig. 1B). 내시경적 조직검사상 육아조직의 소견을 보였으나 재발 한 위선암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 기로 하였다. 수술 전에 시행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상 약 3.0×1.4 cm 크 기의 경계가 잘 그려지는 다분엽 모양의 용종이 위의 유문동의 전벽에서 위내강으로 돌출되어 있었으며, 위벽에 비교적 넓은 기저가 있었다. 용종은 조영증강 문맥기 영상에서 140 HU 정 도로 조영증강이 매우 잘 되었으며, 그 기저부의 위벽은 정상 적인 층상구조가 소실되어 보였고, 주변 위벽에 비해 조영증강 이 잘 되고 있었다(Fig. 1C). 위 주변이나 복강 내에 커진 림 프절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재발한 암의 가능성을 배 제하기 어려워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제거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소견상 과형성 용종으로 최종 확진되었다(Figs. 1D, 1E). 위암의 표준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술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진단방법의 발전으로 인해 조기 위암의 발견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복강경을 이용한 위절제술이나 내시경을 이용한 점막절 제술 등의 최소 침습적 치료법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높아지 421 대한영상의학회지 2006;54:421-424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과형성용종: 증례 보고 1 임세경·신경숙·김하영·성재규 2 ·정현용 2 ·노승무 3 ·송규상 4 ·조준식 과형성 용종은 위에서 흔히 발생하는 과도한 상피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비종양성 병변이나, 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점막 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과형성 용종은 지금까지 문헌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조기위암의 점막 절제 부위에서 생긴 용종성 위선암과 유사한 과형성 용종의 전 산화단층촬영(CT) 소견과 병리조직 소견을 연관 지어 보고하고자 한다. 1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2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3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4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과학교실 이 논문은 2005년 10월 24일 접수하여 2005년 12월 23일에 채택되었음.

조기위암의내시경적점막절제부위에서발생한 과형성용종: 증례보고 · 2016. 6. 20.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yung-Sook, Shin, M.D., Department of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조기위암의내시경적점막절제부위에서발생한 과형성용종: 증례보고 · 2016. 6. 20.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yung-Sook, Shin, M.D., Department of

최근 들어 진단방법의 발전으로 조기 위암의 진단이 점차 늘

어감에 따라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대한 관심과 그 적응이 점

차 늘어가고 있다. 이는 침습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나

과연 암세포의 완전절제가 가능한가 및 그 재발률은 어느 정도

인가 하는 점은 여전히 큰 쟁점이 되고 있다. 조기 위암을 점막

절제술로 제거한 후에는 지속적인 추적 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점막 절제 부위에서 어떠한 병변이 다시 관찰될 경우엔 잔존암

이나 재발암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재발 여부

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앞으로 치료방침의 결정이나 환자의

예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점막 절

제 부위에 과형성 용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저자

들이 알기에는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아직 없다. 저자들은 조

기 위암의 점막 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용종성 위선암과 유사한

과형성 용종을 경험하였기에 이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과 병

리조직 소견을 연관지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보고

71세 남자가 건강검진을 위해 시행 받은 위내시경 검사상 위

전정부 전벽에 약 0.8 cm의 편평융기성 조기 위암(Type IIa)

모양 병변이 발견되었다(Fig. 1A). 이학적 검사와 검사실 소견

상 다른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복부 전산화 단층촬

영 소견에서도 복강 내 전이나 림프절 전이 등의 소견은 없었

다.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선암종으로 확진하였으며,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제거를 시도하였다.

이후 3개월 뒤에 시행한 추적 내시경 검사 소견상 점막절제

술을 시행 받았던 부위에서 자라나 있는 조직이 관찰되었으며

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재생조직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6개월

뒤에 다시 시행한 추적 내시경 검사상 점막 절제 부위에서 증

식되었던 조직은 폴립 모양으로 변하였으며 크기가 1.5 cm으

로 증가하였다. 이후 6개월 및 5개월의 시간 차이를 두고 시행

한 두 차례의 추적 내시경 검사 소견상 폴립 모양 병변은 점차

크기의 증가를 보였으며, 다분엽 모양으로 변화되었다(Fig.

1B). 내시경적 조직검사상 육아조직의 소견을 보였으나 재발

한 위선암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

기로 하였다.

수술 전에 시행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상 약 3.0×1.4 cm 크

기의 경계가 잘 그려지는 다분엽 모양의 용종이 위의 유문동의

전벽에서 위내강으로 돌출되어 있었으며, 위벽에 비교적 넓은

기저가 있었다. 용종은 조영증강 문맥기 영상에서 140 HU 정

도로 조영증강이 매우 잘 되었으며, 그 기저부의 위벽은 정상

적인 층상구조가 소실되어 보였고, 주변 위벽에 비해 조영증강

이 잘 되고 있었다(Fig. 1C). 위 주변이나 복강 내에 커진 림

프절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재발한 암의 가능성을 배

제하기 어려워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제거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소견상 과형성 용종으로 최종 확진되었다(Figs.

1D, 1E).

고 찰

위암의 표준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술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진단방법의 발전으로 인해 조기 위암의 발견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복강경을 이용한 위절제술이나 내시경을 이용한 점막절

제술 등의 최소 침습적 치료법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높아지

─ 421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6;54:421-424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 부위에서 발생한과형성용종: 증례 보고1

임세경·신경숙·김하영·성재규2·정현용2·노승무3·송규상4·조준식

과형성 용종은 위에서 흔히 발생하는 과도한 상피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비종양성 병변이나,

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점막 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과형성 용종은 지금까지 문헌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조기위암의 점막 절제 부위에서 생긴 용종성 위선암과 유사한 과형성 용종의 전

산화단층촬영(CT) 소견과 병리조직 소견을 연관 지어 보고하고자 한다.

1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2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3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4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과학교실이 논문은 2005년 10월 24일 접수하여 2005년 12월 23일에 채택되었음.

Page 2: 조기위암의내시경적점막절제부위에서발생한 과형성용종: 증례보고 · 2016. 6. 20.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yung-Sook, Shin, M.D., Department of

고 있다.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이란 내시경 수기를 통해 조기 위암 등

의 병리조직을 획득함으로써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과적 치료법에 비해 개복수술 및 전신마취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환자의 시간적, 경제적인 부담도 적은 것

이 큰 장점으로, 1980년대에 소개된 이래 외과적 치료와 비교

하여 재발률, 사망률 등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

다(1, 2). 현재는 내시경 부속기구 및 수기의 발전으로 인해 기

─ 422 ─

임세경 외: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과형성용종

A B

C D

E

Fig. 1. Hyperplastic polyp arising from mucosectomy site in a 71-year-old man with EGC IIa.A. Endoscopic finding shows a 0.8 cm sized, slightly elevated le-sion in the anterior wall of the gastric antrum (arrows).B. Afte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20 months follow-up endoscopy shows a polypoid mass at the site of EMR.C. Axial CT scan obtained during the portal venous phase shows awell defined polyp with intense enhancement in the anterior wallof prepyloric antrum of the stomach (arrow). D. Photomicrography shows a finger-like projection of hyperplas-tic polyp, which has broad base. At the base of the polyp, submu-cosal layer of the gastric wall is thickened and replaced by abun-dant fibrosis (*) (H & E, ×1)E. Photomicrography shows hyperplasia of mucosal glands. Noteinfiltration of numerous inflammatory cells and abundant con-gested vessels in the stroma (arrows) (H & E, ×100).

Page 3: 조기위암의내시경적점막절제부위에서발생한 과형성용종: 증례보고 · 2016. 6. 20.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yung-Sook, Shin, M.D., Department of

존의 절대적인 적응증을 점차 확대하여 가고 있으며, 따라서 조

기 위암의 중요한 치료법으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위암의 재발 위험성이 가장 큰 쟁점이다. 완

전절제율은 최초 병변의 크기 및 위치, 절제방법 및 조직소견

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불완전절제로 판정된 경우에는 재시술

이나 수술적 치료로 전환하게 된다(3). 병리학적으로 완전절제

로 판정이 되었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요하는데, 암

의 재발 여부는 앞으로 치료방침의 결정이나 환자의 예후에 현

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따라서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

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점막절제술을 시행 받은 부위에 융기

성 병변이 보이면 무엇보다도 먼저 재발성 위암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점막절제술 후 과형성 용종이 생긴 경우는 매

우 드물며 거의 보고된바 또한 없다(4). 과형성 용종은 상피세

포의 과도한 비종양성 증식으로, 만성 염증 부위에서 재생 상

피가 과다하게 증식된 것으로 추측하고는 있으나 정확한 발생

기전은 잘 알려졌지 않다(5). 이형성 세포로 구성되며, 궁극적

으로는 침습성 암종으로 발전하는 선종성 용종과는 달리 악성

화 될 가능성이 없다(6).

지금까지 보고된 과형성 용종의 영상의학적 소견은 주로 위

의 이중조영바륨검사 소견에 관한 것으로, 1 cm 이하의 크기

를 갖는 표면이 매끄러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무경성 결절이

전형적인 소견이며, 대부분 위체부와 위저부의 후벽에 비슷한

크기의 병변이 다발성으로 관찰된다고 알려졌다(6). 하지만, 드

물게 보고되고 있는 거대 과형성 용종은 그 크기가 2-6 cm에

달하며, 수엽형 또는 유경형을 보인다. 이들은 작은 증식성 폴

립들이 합쳐져서 커다란 소엽상 종괴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되

기도 하나 그 근본적인 발생기전은 분명하지가 않으며, 사실 선

종성 용종이나 소엽상 위암과의 감별진단이 어려워 반드시 확

진을 위한 조직생검을 요한다(5).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후에 과형성 용종이 발생한 경우는 보

고된 바가 더욱 드문데, 그 기전으로는 두 가지 정도의 가설이

제기된 바 있다. 하나는 인위적인 궤양의 치유과정에서 발생하

는 재생상피의 증식이라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이미 Ito 등

(7)과 Imaeda 등(8)이 유문선의 증식으로 구성된 융기형 반흔

이 위궤양의 치유과정에서 생길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이러한 유형이 주로 위동부에서 흔한 것으로 보아 아마도 위의

연동운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본 증

례도 조기 위암이 위동부에서 발생하였던 경우였으며, 점막절

제술을 시행 받았던 기저부의 점막 하층은 섬유화된 반흔조직

이 두껍게 자리 잡고 있었다. 다른 한가지의 가능성은 잔존한

종양에서 변화된 증식성 병변이라는 것이나 이는 종양의 발생

기전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생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따

라서 첫 번째 가설이 더 타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4).

과형성 용종에 대한 위의 이중조영바륨검사 소견은 종종 보

고되어 왔으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해서는 별로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위의 유문동의 전벽에서 위내강으로 돌

출한 약 3.0×1.4×0.5 cm의 다분엽 모양 용종으로 일반적인

과형성성 용종과는 달리 위벽에 비교적 넓은 기저를 보이고 있

었다. 이는 아마도 용종이 기존의 점막절제술후의 반흔에서 발

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문맥기 전산화단층촬영 영상

에서 조영증강이 140 HU 정도로 매우 잘 되었는데, 조직학적

으로는 주로 점막 성분인 선상피의 증식으로 이루어진 과형성

용종이었으며, 보통의 과형성 용종에 비해 간질에 염증세포의

침윤 및 울혈 된 혈관의 증식이 많은 점이 특이했다. 기저부의

점막 하층은 주변의 정상 점막 하층보다 두껍고 주로 섬유화된

반흔조직으로 치환되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전산화단층촬영 영

상에서 용종 기저부의 위벽이 주변 위벽에 비해 정상적인 층상

구조가 소실되어 보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 증례는 수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는데, 무엇보다도 위암

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부위에서 자라나는 조직은 재발암이

나 남아 있는 암조직일 가능성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비록 내

시경적 조직검사 소견상 육아조직으로 확인되었지만 조직검사

는 병변의 크기에 비해 아주 작은 일부분에서만 시행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위암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었다. 또한 무엇보

다도 추적 내시경검사에서 지속적으로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비

록 순수한 과형성 용종은 악성변화의 위험성이 없으나, 선종성

성분을 가진 일부에서는 종양성 변환을 할 수도 있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이다(9).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조기 위암을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제

거한 후에 점막 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과형성 용종을 경험하였

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이에 대한 영상의학

적 소견을 숙지하고 친숙해짐으로써 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치

료한 조기 위암 부위에서 발생한 병변의 감별진단시에 잔존암

이나 재발암과 함께 과형성 용종의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며, 수술 전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Nakagoe T, Tanaka K, Yasutake T, Sawai T, Tsuji T, NanashimaA, et al. Long-term outcomes of intragastric endoscopic mucosalresection using a modified buess technique for early gastric cancer.Dig Surg 2003;20:141-147

2. Kojima T, Parra-Blanco A, Takahashi H, Fujita R. Outcome of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review of theJapanese literature. Gastrointest Endosc 1998;48:550-554

3. 김은순, 이정환, 류수형, 김유섭, 문정섭. 위선종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 점막절제술의 연구-완전절제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점막절제술 전후의 조직학적 차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4;28:223-229

4. Yoshikane H, Asai T, Sakakibara A, Ayakawa T, Taki N,Kawashima H, et al. Gastric hyperplastic polyp occuring at the re-section site of gastic adenoma. Endoscopy 1999;31:563-565

5. Cherukuri R, Levine MS, Furth EE, Rubesin SE, Laufer I. Gianthyperplastic polyps in the stomach: radiographic findings in sevenpatients. AJR Am J Roentgenol 2000;175:1445-1448

6. Levin MS. Benign tumors of the stomach and duodenum. In GoreRM, Levin M. Textbook of gastrointestinal radiology. Philadelphia :Saunders, 1994:575-578

7. Ito S, Kishi S, Mori H, Akagi G. An elevated type of gastric ulcerscar. Gastrointest Endosc 1979;25:58-60

8. Imaeda H, Iwao Y, Tsuzuki Y. A case of giant gastric hyperplasticpolyp developing after endoscopic mucosectomy for early gastic

─ 423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6;54:421-424

Page 4: 조기위암의내시경적점막절제부위에서발생한 과형성용종: 증례보고 · 2016. 6. 20.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yung-Sook, Shin, M.D., Department of

cancer(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Gastroenterol Endosc1996;38:2853-2857

9. 강대영, 고경혁, 김우호. 위장관질환. In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제 5판. 서울; 고문사, 2003:558

─ 424 ─

임세경 외: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 부위에서 발생한 과형성용종

J Korean Radiol Soc 2006;54:421-424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yung-Sook, Shin,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640 Daesa-dong, Jung-ku, Daejeon, 301-721, Korea. Tel. 82-42-220-7832 Fax. 82-42-253-0061 E-mail: [email protected]

Hyperplastic Polyp Arising from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Site of Early Gastric Cancer: A Case Report1

Se Kyong Lim, M.D., Kyung Sook Shin, M.D., Ha Young Kim, M.D., Jae Kyu Sung, M.D.2, Hyun Yong Jung, M.D.2, Seong Moo Noh, M.D.3, Kyu Sang Song, M.D.4, June Sik Cho, M.D.

1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4Department of Path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yperplastic polyps are common gastric lesions that are characterized by nonneoplastic epithelial hyperpla-sia. However, to our knowledge, there are no reports of a hyperplastic polyp arising from an endoscopic muco-sectomy site of early gastric cancer. We describe the CT findings with a histopathology correlation in a case ofa hyperplastic polyp arising from a mucosectomy site that mimicked polypoid gastric cancer.

Index words : Stomach, neoplasms Stomach, surgery End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