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경제개혁리포트 2019-04 2019.3.14 기업 CEO-직원 상대보수 현황 분석 이창민/최한수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2019.3.14

기업 내 CEO-직원 상대보수 현황 분석

이창민/최한수

Page 2: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

목 차

요약

I. 들어가며

1. 연구 배경과 목적

2. 분석 대상과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내용과 방법

3. 연구의 한계

II. 전체임원보수 및 CEO보수 공시현황

1. 상장회사 기준 공시 현황

2. 대기업집단 기준 공시 현황

III.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1. 상장회사 기준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2. 대기업집단 기준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3. 지배주주 기준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4. 주요 산업별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Page 3: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3

요 약

▣ 경제개혁연구소는 2014~2017 년 기업 내 CEO-직원 상대보수(CEO-employee

relative pay) 현황을 조사, 분석함

○ CEO-직원 상대보수(CEO-employee relative pay)는 기업별로 CEO 개인의

총보수(퇴직급여 제외)를 직원 평균급여액으로 나누어 계산함

○ 분석 대상은 2014~2017 년 보수가 공시된 유가증권 상장회사 임원 중

CEO 로 분류될 수 있는 1,410 명, 보수가 공시된 코스닥 상장회사 임원 중

CEO 로 분류될 수 있는 624 명임. 이를 대기업집단 소속 여부로 나누면

대기업집단 소속 CEO 가 776 명, 비대기업집단 CEO 가 1,258 명임

▣ 기업 내 상대보수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집단 CEO 는 직원에 비해 21 배를

지급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비대기업집단 CEO 의 18 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

○ 대기업집단 CEO 는 2014~2017 년 평균적으로 14 억 2 천만원의 보수를

받고, 비대기업집단 CEO 는 평균적으로 9 억 2 천만원의 보수를 받음

통계학적으로 대기업집단 CEO 의 보수가 유의미하게 높음

○ 대기업집단 직원 평균보수는 6 천 9 백만원으로 비대기업집단 직원 평균보수

5 천 5 백만원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

○ 결국 CEO 수준에서 대기업집단과 비대기업집단의 보수 차이가 직원 수준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분석됨

▣ 2014~2017 년까지 4 년치 기업 내 상대보수의 시간 추이를 살펴보았음.

2014 년에 비해 2015, 2016 년에는 상대보수의 비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7 년에 다시 반등함

○ 전반적으로 2017 년과 그 이전을 비교하면 2017 년 상대보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짐

○ 대기업집단의 경우, 2014 년 상대보수 비율이 20.7 배였다가 2015 년 19.7 배,

2016 년 19.8 배였고, 2017 년에는 다시 23.6 배로 상승함

○ 결국, 이러한 추이를 가져오는 것은 CEO 보수와 직원보수의 상승률의

차이인데, 대기업집단의 경우 2015 년에는 직원보수가 CEO 보수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가 2016 년, 2017 년에는 다시 역전된 것으로 분석됨

Page 4: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4

▣ 대기업집단만을 가지고 기업 내 상대보수를 분석한 결과, CEO 가 지배주주일

경우 직원에 비해 28 배를 지급받고 있고 CEO 가 전문경영인인 경우 직원에

비해 17 배를 받고 있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함

○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 의 평균보수는 약 17 억 9 천만원으로 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CEO 의 평균보수 11 억 9 천만원보다 유의미하게 높음

○ 이와 동일한 분석을 비대기업집단만을 가지고 행하였을 경우, 비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 는 직원에 비해 19 배, 비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CEO 는

직원에 비해 15 배를 보수로 지급받고 있음

○ 결국 직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보수를 수령하는 CEO 는

대기업집단의 지배주주 CEO 인 것으로 나타남

▣ 기업 내 상대보수의 산업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대보수가 가장 높게 나온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26 배),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2 배)

이었고 반대로 가장 낮게 나온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1 배),

금융, 보험업(13 배)이었음

▣ 2014~2017 년까지 4 년치 지배주주 CEO 와 전문경영인 CEO 상대보수의 시간

추이를 살펴보았음. 주목할 만한 집단은 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 CEO 임

○ 다른 집단의 상대보수 추이는 전반적 상대보수 추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 들은 2014 년 상대보수가 24.2 배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 년 26.4 배, 2016 년 29.7 배, 2017 년 34.5 배에 이르고 있음

▣ 상대보수 기준 상위 30 명에 대한 분석 결과, 19 명이 대기업집단 CEO 이고

지배주주 CEO 가 20 명으로 분석됨

○ 상위 30 명은 본 보고서 분석 대상 CEO 전체의 상위 1.5%에 해당하는

초(super) 상위자들임

○ 대기업집단 지배주주로서 상위 1.5%에 포함된 CEO 는 이수영(오씨아이),

손경식(씨제이제일제당), 서경배(아모레퍼시픽), 최창원(에스케이디스커버리),

조양호(한진칼), 정지선(현대백화점), 조석래(효성), 신동빈(롯데제과),

신성재(현대하이스코) 등이 있음

▣ 본 보고서는 상대보수에 대한 기초통계분석을 넘어 상대보수 결정요인에 대한

Page 5: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5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음

○ 첫째, CEO 가 지배주주일 경우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구체적으로 지배주주 CEO 가 전문경영인 CEO 보다 상대보수의 배수에

있어서 8.5~9 정도 높음. 예를 들어, 전문경영인 CEO 가 직원보다 20 배를

보수로 받는다면 지배주주 CEO 는 직원보다 28.5 배~29 배를 받는 것임

○ 둘째, 같은 CEO 일지라도 그가 대기업집단에 속해 있는 경우 상대보수가

올라감. 즉, CEO 가 대기업집단 소속일 경우 비대기업집단 CEO 보다

상대보수의 배수가 5~6 정도 높음

○ 셋째, 이사회의 독립성(사외이사 비율)이 높을수록 상대보수가 낮아지고,

CEO 개인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본 보고서는 공시에 있어서 직원의 범위와 직원보수 공시 방법을 개선할 것을

제안함

○ 첫째, 직원의 범위를 명확히 하여야 하는데 공시의 취지 및 정보의

유용성을 고려했을 때 모든 임원(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고용인(Employee)이 직원의 정의로 적합함

○ 둘째, 직원보수 공시에 있어서 직원보수의 분포를 정확히 모르는

상황에서는 직원 1 인당 평균보수와 더불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규정과 같이 CEO 를 제외한 중간자(Median)의 보수를 공시하는 것이

필요함

Page 6: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6

기업 내 CEO-직원 상대보수 현황 분석

이창민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한양대학교 경영대학 부교수

최한수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조교수

I. 들어가며

1. 연구 배경과 목적

소득분배의 불평등에 대한 논의는 이미 활발하다. 또,미국을 중심으로 소득분

배의 불평등에 기업 내 보수(Compensation) 불평등이 기여를 하고 있다는 분

석이 있다. CEO 등 기업의 임원보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직원보수

증가 속도는 더디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왜 CEO 보수가 빠르게 증가하는가?”

에 대한 연구와 토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임원-직원 보수 격차

에 관한 최신 연구로는 다음의 연구들이 있다. Shin et al. (2015)는1 경영자-종

업원 보상배수(executive pay multipl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그것이 기업성

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들은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를 공시자료를

통해 사내이사 평균임금을 직원 평균임금으로 나누는 방식을 사용하여 측정하

였다. 2000~2009 년 사이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가 약 6 배에서 약 8 배로 증

가하였다. 김석진 임정대(2015)는 2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가 기업성과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들은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를 공시자료를 통해 임

원 평균임금을 직원 평균임금으로 나누는 방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2002~2014 년 사이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가 3.8 에서 6.3 으로 증가

1 Shin, J.Y., Kang, S.C., Hyun, J.H. and Kim, B.J., 2015.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effects of executive pay

multiples: Evidence from Korea. ILR Review, 68(1), pp.53-78.

2 김석진, 임정대, 2015.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pp.594-635.

Page 7: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7

하였다. 김재엽 최장호(2018)는3 경영진과 종업원과의 임금격차가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들도 역시 2015 년 공시자료를 사용하여 등기

이사 평균보수를 종업원의 평균보수로 나누어 임금격차를 측정하였다. 임금격

차의 평균값이 3.7 로 나타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임원-직원 상대 보수를 계산함에 있어서 CEO개인이 수령한 보수

를 사용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즉, CEO-직원 상대보수(CEO-employee

relative pay)를 계산하였다. 앞서 소개한 Shin et al. (2015)에서는 경영자-종업원

보상배수가 6-8 배이고, 김석진 임정대(2015)에서는 2014 년 경영자-종업원 보

상배수가 6.3 배이다. 또, 김재엽 최창호(2018)에 따르면 경영진과 종업원과의

임금격차가 3.7 배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보고서의 분석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수치로 이는 CEO 개인의 보수가 아닌 여러 임원의 평균보수를 사용하였

기 때문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본 연구가 가능한 것은 2013 년 이후 등기임원

에게 지급되는 평균보수 뿐만 5 억원 이상 수령한 임원의 경우 개인별 보수도

공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i) 상장회사의 상대보수, (ii) 대기업집단 소

속회사와 기타회사의 상대보수 차이, (iii) 지배주주 일가와 전문경영인의 상대

보수 차이, (iv) 주요 산업별 상대보수 차이, (v) 상대보수 상위 30 인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또, 상대보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2. 분석 대상과 방법

(1) 분석 대상

분석 대상 회사는 2014 년부터 2017 년까지 상장법인(유가증권 상장회사와 코

스닥 상장회사)이다. 4 개년 모두 상장을 유지한 회사만 포함된 것은 아니고,

한 번이라도 임원보수 공시를 한 회사는 모두 포함하였다. 회사채 등을 발행하

여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게 된 비상장법인 및 코넥스 상장회사는 제외하였다.

분석 대상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http://dart.fss.or.kr)에

2018 년 3 월 31 일까지 제출된 유가증권 상장회사 및 코스닥 상장회사5의 보고

3 김재엽, 최장호, 2018. TMT-종업원 임금격차와 조직성과. 노동정책연구, 18(3), pp.75-106

5 이 중 스팩 및 투자회사 등은 제외하였다

Page 8: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8

서이다. 사업보고서 제출 후에도 정정공시를 통해 공시내역이 수정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보고서는 4 월 30 일자 정정공시까지만을 반영하였으므로 사업보고

서상 최종 수치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보고서는 CEO-직원 상대보수가 초점이다. 보수가 공시된 임원의 수는

3,050 명이고, 이 중에 CEO는 2,087 명이다. 분석의 범위가 2014 년부터 2017

년까지이기 때문에 동일 CEO가 두 번 이상 포함될 수 있다. CEO의 범위는 직

위가 회장, 사장, 대표이사, 은행장 등인 임원을 포함하였다. 한 회사에 복수의

CEO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별도의 표본으로 간주하고 분석

하였다.

(2) 분석 방법

임원 보수는 급여, 상여, 기타근로소득, 퇴직소득, 기타소득의 항목으로 나뉘어

공시되며, 회사에 따라 성과급을 별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주식매수선택권의

경우 금감원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상 행사되어 이익이 실현된 경우에 한해

당해 연도에 공시의무가 있다. 본 보고서는 공시된 보수총액에서 퇴직 소득을

제외한 보수를 CEO 총보수의 주요 지표로 사용하였다. 퇴직금은 회사가 보고

한 퇴직소득 외에 기타소득 중 퇴직금 관련 급여(예컨대, 퇴직금 한도초과액

등)를 포함한 것이다.

직원평균보수는 사업보고서상의 1 인 평균급여액을 사용하였다. 1 인 평균급여

액은 직원에게 지급된 보수총액을 직원 숫자로 나눈 것이다. 공시양식에 따르

면 직원평균보수 관련 정의는 다음과 같다.

ⅰ. 직원의 수는 “제 4 장 사업의 내용”에 따른 사업부문별로 구분하여 기재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하되, 사업부문별로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노무직, 기능직, 사무

직, 전문직, 영업직, 관리직 등 적절한 기준으로 구분하여 기재할 수 있다.

ⅱ. 성별은 ‘남’과 ‘여’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ⅲ.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정규직 및 종전에 기간제 근로자등이 기간의 정

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된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제 2 조제 1 호의

기간제 근로자

Page 9: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9

단시간 근로자: 사용자가 고용한 근로자로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및

기간제 근로자 중 「근로기준법」제 2 조제 1 항 제 8 호의 근로자

ⅳ. 급여총액은 소득세법 제 20 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

명세서의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기재한다.

직원보수를 이해함에 있어 유의해야할 것은 본 보고서의 분석 대상인 직원에

는 정규직 외에 이른바 비정규직(예컨대 기간제 근로자나 단시간 근로자)도 포

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비정규직의 급여가 정규직에 비해 낮은 현실을 감안하

면 이 보고서에서 계산된 상대보수비율은 우리가 체감하는 상대보수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기타 이 보고서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i) 대규모 기업집단: 각 해당년도에 공정위가 지정한 대규모기업집단(상호출자제

한기업집단)을 의미하며, ‘기타회사’는 전체 상장회사에서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

된 회사들을 제외한 나머지 회사들임. 각 해당년도 중 소속 대기업집단이 변경되

었을 경우에도 최초 지정된 기업집단 소속 기준으로 판단하였음

ii) 지배주주 일가: 회사의 지배주주와 그 친인척, 그리고 공동경영을 영위하는 자

를 모두 포함한 개념임

ⅲ) 전문경영인: 지배주주 일가가 아닌 임원을 의미

3. 연구의 한계

(1) 표본의 대표성 문제

본 보고서 분석 대상은 임원 개인별 보수를 공시한 회사이다. 그런데 2014 년

의 경우 전체 상장사의 24.8%, 2015 년의 경우 전체 상장사의 24.8%, 2016 년

의 경우 전체 상장사의 26%6 만이 1 명 이상 개별임원의 보수를 공개하였다.

즉, 전체 상장회사를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6 강정민, 2015. 2014 년 임원보수공시 현황 분석. 경제개혁리포트, pp.1-33., 이수정, 2015. 2014 년

임원보수공시 현황 분석. 경제개혁리포트, pp.1-33., 이수정, 2017. 2016 년 임원보수 공시 현황

분석. 경제개혁리포트, pp.1-47. 등 참고. 2017 년의 경우 정확한 통계자료가 부재함.

Page 10: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0

(2) 각 회사별 사업보고서 공시 방식의 차이에 따른 한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보고서에서 직원평균보수는 사업보고서상의 1 인

평균급여액을 사용하였다. 1 인 평균급여액은 직원에게 지급된 보수총액을 직

원 숫자로 나눈 것이다. 그러나 회사마다 직원의 정의를 좀 달리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전체-사내이사=직원), LG전자는 (전체-등

기임원=직원), 대부분의 기업은 사업보고서상에 직원의 정의를 밝히지 않고

있다. 상법상의 임직원 개념을 생각하면 직원의 정의는 (전체-등기임원=직원)

이나 일반적인 인식에서는 (전체-등기임원-미등기임원=직원)인 것으로 보이는

데, 회사마다 정확한 직원의 정의를 사업보고서 상에 밝히지 않고 있다.

(3) 상대보수 의미의 한계

본 보고서에서 CEO의 범위는 직위가 회장, 사장, 대표이사, 은행장 등인 임원

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미등기 임원이 등기임원보다 더 많은 급여를 지급받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CEO-직원 상대보수가 최고 급여수령자와 직원의 급여 비

율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II. 전체임원 및 CEO 보수 공시 현황

1. 상장회사 기준 공시 현황

분석 대상 임원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4~2017 년 보수가 공시된 유

가증권 상장회사 임원 중 CEO로 분류될 수 있는 1,410 명, 보수가 공시된 코스

닥 상장회사 임원 901 명 중 CEO로 분류될 수 있는 624 명이다.

<표 1> 상장회사 기준 임원별/CEO별 보수 공시 현황 (단위: 명,%)

유가증권 상장회사 코스닥 상장회사 기타 전체

보수가 공시된 임원의 수 2,038 (67) 901 (30) 111 (3) 3,050 (100)

보수가 공시된 CEO 의 수 1,410 (67) 624(30) 53 (3) 2,087 (100)

Page 11: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1

2. 대기업집단 기준 공시 현황

임원 수를 기준으로 보면, 대기업집단 소속 임원 1,262 명이 개별 보수를 공시

했는데 이 중 CEO로 분류될 수 있는 임원이 815 명이고, 비대기업집단의 경우,

보수를 공시한 임원이 1,788 명인데 이 중 CEO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이

1,272 명이다. <표 1>에 기타로 분류된 회사는 채권발행 회사 및 코넥스 상장

회사(1 개)인데 본 보고서의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표 1-1> 대규모기업집단 기준 임원별/CEO별 보수 공시 현황 (단위: 명,%)

대기업집단 상장회사 비대기업집단 상장회사 전체

보수가 공시된 임원의 수 1,262 (41) 1,788 (59) 3,050 (100)

보수가 공시된 CEO 의 수 815 (39) 1,272 (61) 2,087 (100)

Ⅲ.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1. 상장회사 기준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유가증권 상장회사 CEO의 평균보수액(퇴직소득제외)7은 12 억 2 천만원으로 코

스닥 상장회사 CEO의 평균보수액 8 억 4 천만원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유가증권 상장회사 직원의 평균보수액은 6 천 5 백만원으로 코스닥 상

장회사 직원의 평균보수액 5 천만원보다 역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보고서의 관심사인 기업 내 상대보수를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 상장기업은

평균 19 배였다. 직원보수 평균에 비해 CEO 들이 19 배의 더 많은 보수를 받

고 있는 것이다. 코스닥 상장기업의 경우에도 평균 19 배였다. 두 집단 사이의

보수비율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7 이하부터는 주요 분석에서 CEO 보수액은 퇴직소득 제외한 액수를 사용하였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퇴직소득 제외한 보수액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Page 12: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2

<표 2> 상장회사의 CEO, 직원, 기업 내 상대보수 현황 (단위: 명, 백만원, 배)

CEO 보수 직원보수 기업 내 상대보수

관측치 평균보수액 평균보수액

(퇴직소득 제외) 관측치 평균보수액 관측치 평균상대보수

평균상대보수

(퇴직소득제외)

유가증권 1,410 1,358*** 1,223*** 1,394 65*** 1,394 21.9 19.4

코스닥 624 940 848 608 50 607 21.3 19.1

전 체 2034 1229 1108 2,002 60 2,001 21.7 19.3

***, **, *는 평균차이 검정이 1%, 5%, 10% 수준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유가증권 상장회사 CEO 평균보

수액 1,223 백만원은 코스닥 상장회사 CEO 평균보수액 848 백만원보다 1%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높다.

.

Page 13: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3

2. 대기업집단 기준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대기업집단 상장계열사 CEO의 평균보수액은 14 억 2 천만원으로 비대기업집단

CEO의 9 억 2 천만원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직원보수 평균은

대기업집단의 경우 6 천 9 백만원, 비대기업집단은 5 천 5 백만원으로 대기업집

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기업 내 상대보수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집단은 평균 21 배를 나타냈다. 직원보

수 평균에 비해 CEO 들이 21 배를 받고 있는 것이다. 비대기업집단의 경우 평

균 18 배를 나타냈다. 두 개 표본집단 사이에는 상대보수에 있어서 통계학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대기업집단 CEO가 상대보수 측면에서 비대기

업집단 CEO보다 높다는 것이다.

<표 3> 대기업집단 기준 CEO, 직원, 기업 내 상대보수 현황 (단위 :명, 백만원)

CEO 보수 직원보수 기업 내 상대보수

관측치 평균보수액 평균보수액

(퇴직소득 제외) 관측치 평균보수액 관측치 평균상대보수

평균상대보수

(퇴직소득제외)

대기업집단 776 1,550*** 1,415*** 771 69*** 771 23.2* 20.9***

비대기업집단 1,258 1,031 919 1,231 55 1,230 20.8 18.3

전 체 2,034 1,229 1,108 2,002 60 2,001 21.7 19.3

***, **, *는 평균차이테스트가 1%, 5%, 10% 수준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Page 14: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4

아래에서는 기업 내 상대보수의 연도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2014

년에 비해 2015, 2016 년에는 상대보수의 비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7 년에 다시 반등하였다. 2017 년과 그 이전을 비교해보면 2017 년 상대보수

가 그 이전의 상대보수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

대기업집단의 경우, 2014 년 상대보수가 20.6 배였다가 2015 년 19.7 배, 2016 년

19.8 배였고, 2017 년에는 다시 23.6 배로 상승했다. 결국, 이러한 추이를 가져오

는 것은 CEO 보수와 직원보수의 상승률의 차이인데 2015 년에는 직원보수가

CEO 보수보다 빠른 폭으로 증가했다가 2017 년에는 역전된 것으로 추론된다.

<표 4>기업 내 상대보수 연도별 변화 (단위: 명, 배)

2017 년 2016 년 2015 년 2014 년

관측수 상대보수 관측수 상대보수 관측수 상대보수 관측수 상대보수

상장회사 구분

유가증권 370 20.5 357 18.4 330 19.4 337 19.3

코스닥 181 21.8 153 17.6 139 17.3 134 18.9

기업집단 여부

대기업집단 196 23.6 190 19.8 182 19.7 203 20.6

비대기업 집단

355 19.4 320 17.2 287 18.2 268 18.1

전 체 551 20.9 510 18.2 469 18.8 471 19.2

Page 15: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5

3. 지배주주 기준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이면서 CEO를 맡고 있는 임원의 평균보수액은 17 억 9

천만원으로 대기업집단 내 전문경영인 CEO의 11 억 9 천만원보다 통계학적으

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상대보수 측면에서 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 CEO는 직

원 평균보다 28 배를 받고 있었으며, 전문경영인 CEO는 17 배를 나타냈다.

비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이면서 CEO를 맡고 있는 임원의 평균보수액은 9 천

4 백만원으로 비대기업집단 내 전문경영인 CEO의 8 천 6 백만원보다 통계학적

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상대보수 측면에서 비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 CEO는

직원 평균보다 19 배를 받고 있었으며, 전문경영인 CEO는 15 배를 나타냈다.

<표 5> 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 전문경영인 상대보수 현황 (단위: 명, 백만원, 배)

대기업집단 비대기업집단

관측치 평균보수 상대보수 관측치 평균보수 상대보수

지배주주 289 1,787*** 28.0*** 910 941** 19.4***

전문경영인 482 1,193 16.7 320 858 15.1

전체 771 1,415 20.9 1,230 919 18.3

***, **, *는 평균차이테스트가 1%, 5%, 10% 수준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Page 16: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6

대기업집단 내 상대보수 시간추이를 살펴보았을 때 주목할 만한 점은 대기업

집단 내 지배주주 CEO상대보수 추이이다. 다른 표본집단의 상대보수 추이는

전반적 상대보수 추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들은

2014 년 24.2 배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 년 26.4 배, 2016 년

29.7 배, 2017 년 34.5 배에 이르고 있다. 여기서 본 보고서의 초점은 아니지만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연도별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의 관측치이다.

Page 17: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7

2014 년 104 명 이후로 60 명대로 관측치가 떨어졌다.8

<표 6>기업 내 상대보수 연도별 변화 (단위: 명, 배)

2017 년 2016 년 2015 년 2014 년

관측수 상대보수 관측수 상대보수 관측수 상대보수 관측수 상대보수

대기업 집단

지배주주 62 34.5 58 29.7 65 26.4 104 24.2

전문경영인 252 20.7 239 18.0 215 19.8 204 19.0

비대기업 집단

지배주주 134 18.5 132 15.4 117 15.9 99 16.9

전문경영인 103 16.4 81 14.9 72 13.3 64 15.5

전 체 551 20.9 510 18.2 469 18.8 471 19.2

4. 주요 산업별 CEO, 직원 및 상대보수 비교

기업 내 상대보수를 산업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상대보수

가 가장 높게 나온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으로 26 배를 나타냈다. 그 뒤로 사

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이 22 배,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이 21

8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들의 상대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원인 중에 하나가 보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받는 지배주주 CEO들이 표본에서 사라진 것일 수도 있다. 2014 년 당시 지배주주 일가 등기임원들이

미등기임원 전환,보수 삭감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보수공시를 회피한 사례도 존재한다.

Page 18: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8

배이다. 상대보수가 가장 낮게 나온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으로

11 배를 나타냈다. 그 뒤로 금융, 보험업이 12 배, 건설업이 15 배로 분석되었다.

도매 및 소매업은 CEO 보수도 전체 평균보다 높지만, 직원보수도 전체 평균보

다 낮아 상대보수가 높게 나타났다.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은 직

원보수가 평균보다 낮아 상대보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샘플이 10 개로 적

은 한계가 있다.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은 직원보수가 전체평균보다 높

아 상대보수가 낮게 나타났다. 금융, 보험업의 경우 역시 직원보수가 평균보다

높아 상대보수가 낮게 나타났다. 건설업도 마찬가지이다. 산업특성에 기반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추후 연구과제이다.

<표 7> 상장회사의 주요 산업별 CEO, 직원, 기업 내 상대보수 현황(단위: 명, 백만원, 배)

CEO 보수 직원보수 기업 내 상대보수

관측치 평균보수액 평균보수액

(퇴직소득 제외) 관측치 평균보수액 관측치

평균상대

보수

평균상대보수

(퇴직소득제외)

건설업 67 1,087 933 67 63 67 17.7 14.8

금융 보험업 184 1,054 989 170 86 170 13.3 12.3

도매 및 소매업 204 1,358 1,170 204 51 204 30.1 25.6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10 1,091 1,021 10 45 10 23.2 21.6

운수업 44 1,170 1,041 44 58 44 20.6 18.8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14 937 937 12 86 12 10.8 10.8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265 1,307 1,262 264 66 264 21.0 20.3

제조업 1,092 1,234 1,094 1,080 57 1,079 21.9 19.2

출판, 영상,

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

103 1,260 1,158 100 61 100 21.7 20.0

* 산업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대분류를 사용하였다. 주요 산업이라 함은 본 보고서의 분석 표본에서 관측치가 10

개 이상이 되는 산업을 말한다

Page 19: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19

.

Page 20: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0

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아래는 상대보수 기준 상위 30 명에 대한 분석이다. 상위 30 명은 본 보고서

분석 대상의 약 1.5%에 해당하는 초상위자들이다. 본 보고서의 분석자료가 패

널 자료(2014~2017 년)이므로 동일인이 여러 번 포함될 수 있다.9 우선, 상위

30 명 중 19 명이 대기업집단 소속이다. 그리고 지배주주가 20 명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집단 지배주주로서 상위 1.5%에 포함된 CEO는 이수영(오씨아이), 손경

식(씨제이제일제당), 서경배(아모레퍼시픽), 최창원(에스케이디스커버리), 조양호

(한진칼), 정지선(현대백화점), 조석래(효성), 신동빈(롯데제과), 신성재(현대하이

스코) 등이 있다.

<표 8>상대보수 상위 30 명(단위: 배)

회사명 년도 상장 이름 지배주주

여부

대기업집단

여부 대기업집단 상대보수

(주)제이티씨 2017 코스닥 구철모 1 0

461.9

삼성전자(주) 2017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208.3

(주)넷게임즈 2017 코스닥 박용현 0 0

201.2

오씨아이㈜ 2017 코스피 이수영 1 1 오씨아이 188.9

삼성전자(주) 2015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148.0

씨제이제일제당(주) 2015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147.1

씨제이제일제당(주) 2016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144.0

삼성전자(주) 2014 코스피 신종균 0 1 삼성 142.8

(주)아모레퍼시픽 2017 코스피 서경배 1 1 아모레퍼시픽 142.2

(주)영원무역홀딩스 2015 코스피 성기학 1 0 135.0

(주)서원 2015 코스피 조시영 1 0 126.6

유진기업 2015 코스닥 유경선 1 0 112.1

에스케이디스커버리(주) 2017 코스피 최창원 1 1 에스케이 111.1

제로투세븐 2014 코스닥 조성철 0 0

109.2

에스케이디스커버리(주) 2017 코스피 김철 0 1 에스케이 106.2

9 CEO가 해당 회사 뿐 아니라 다른 회사에서 보수를 수령하더라도 본 보고서에서는 보수를 합산하지 않고

해당 회사로부터 수령한 보수만을 사용하였다. 기업 내 CEO-직원 간 상대보수를 살펴보는 것이 본

보고서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Page 21: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1

씨제이제일제당(주) 2014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103.7

(주)한진칼 2014 코스피 조양호 1 1 한진 102.1

(주)뉴트리바이오텍 2017 코스닥 권진혁 1 0

101.7

삼성전자(주) 2014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92.0

(주)씨엠에스에듀 2017 코스닥 이충국 1 0

89.2

씨제이제일제당(주) 2017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82.0

(주)엔씨소프트 2017 코스피 김택진 1 0

75.1

(주)제주항공 2016 코스피 안용찬 0 0

74.7

(주)현대백화점 2014 코스피 정지선 1 1 현대백화점 72.1

삼성전자(주) 2017 코스피 신종균 0 1 삼성 72.0

키움증권(주) 2016 코스피 권용원 0 0

71.9

(주)효성 2015 코스피 조석래 1 1 효성 71.0

롯데제과(주) 2017 코스피 신동빈 1 1 롯데 69.5

현대하이스코 2014 코스피 신성재 1 1 현대자동차 69.2

(주)효성 2016 코스피 조석래 1 1 효성 68.8

* 지배주주 여부에서 1 이면 지배주주, 0 이면 전문경영인을 나타낸다.대기업집단 여부에서 1 이면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

0 이면 비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임을 나타낸다.

앞서 분석에 따르면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의 상대보수의 평균이 28.05 배

로 전체표본이 아닌 하위표본(sub-sample) 중에서 상대보수가 가장 높은 표본

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 상대보수 상위 30 명을

별도로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기 위해 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CEO 상대보수 상위 30 명도 함께 살펴보았다.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 중 복수로 순위에 올라있는 사람을 살펴보았다. 손

경식의 경우 씨제이제일제당 CEO로 상위 30 위에 네 차례 포함되었으며, 서경

배는 아모레퍼시픽 CEO로 세 차례, 정지선은 현대백화점 CEO로 네 차례, 조

석래는 효성 CEO로 세 차례, 신동빈은 롯데제과 CEO와 롯데쇼핑 CEO로 각각

한 차례, 구본무는 엘지 CEO로 세 차례, 정몽구는 현대자동차 CEO로 두 차례

포함되었다.

Page 22: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2

<표 9>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상대보수 상위 30 명 (단위: 배)

회사명 년도 상장 이름 지배주주

여부

대기업집단

여부 대기업집단 상대보수

오씨아이㈜ 2017 코스피 이수영 1 1 오씨아이 188.9

씨제이제일제당(주) 2015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147.1

씨제이제일제당(주) 2016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144.0

(주)아모레퍼시픽 2017 코스피 서경배 1 1 아모레퍼시픽 142.2

에스케이디스커버리(주) 2017 코스피 최창원 1 1 에스케이 111.1

씨제이제일제당(주) 2014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103.7

(주)한진칼 2014 코스피 조양호 1 1 한진 102.1

씨제이제일제당(주) 2017 코스피 손경식 1 1 씨제이 82.0

(주)현대백화점 2014 코스피 정지선 1 1 현대백화점 72.1

(주)효성 2015 코스피 조석래 1 1 효성 71.0

롯데제과(주) 2017 코스피 신동빈 1 1 롯데 69.5

현대하이스코 2014 코스피 신성재 1 1 현대자동차 69.2

(주)효성 2016 코스피 조석래 1 1 효성 68.8

롯데쇼핑(주) 2014 코스피 신격호 1 1 롯데 68.2

(주)현대백화점 2015 코스피 정지선 1 1 현대백화점 66.1

(주)현대백화점 2016 코스피 정지선 1 1 현대백화점 64.8

(주)현대백화점 2017 코스피 정지선 1 1 현대백화점 64.6

(주)지에스 2016 코스피 허창수 1 1 지에스 63.8

에스케이씨(주) 2014 코스피 최신원 1 1 에스케이 63.5

(주)효성 2014 코스피 조석래 1 1 효성 63.4

(주)아모레퍼시픽그룹 2017 코스피 서경배 1 1 아모레퍼시픽 62.5

롯데쇼핑(주) 2017 코스피 신동빈 1 1 롯데 62.1

(주)아모레퍼시픽 2014 코스피 서경배 1 1 아모레퍼시픽 60.7

㈜엘지 2017 코스피 구본무 1 1 엘지 60.4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주) 2017 코스피 조양래 1 1 한국타이어 60.3

㈜엘지 2016 코스피 구본무 1 1 엘지 60.0

㈜엘지 2015 코스피 구본무 1 1 엘지 59.4

현대자동차(주) 2014 코스피 정몽구 1 1 현대자동차 58.9

현대자동차(주) 2015 코스피 정몽구 1 1 현대자동차 58.3

㈜호텔신라 2014 코스피 이부진 1 1 삼성 58.0

* 지배주주 여부에서 1 이면 지배주주, 0 이면 전문경영인을 나타낸다.대기업집단 여부에서 1 이면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

0 이면 비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임을 나타낸다.

Page 23: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3

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CEO 중 복수로 순위에 올라있는 사람을 살펴보았다.

권오현의 경우 삼성전자 CEO로 상위 30 위에 네 차례 포함되었으며, 신종균은

삼성전자 CEO로 네 차례, 윤부근은 삼성전자 CEO로 네 차례, 김해성은 이마

트 CEO로 세 차례, 김태한은 삼성바이오로직스 CEO로 두 차례 포함되었다.

<표 10> 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상대보수 상위 30 명 (단위: 배)

회사명 년도 상장 이름 지배주주

여부

대기업집단

여부 대기업집단 상대보수

삼성전자(주) 2017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208.3

삼성전자(주) 2015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148.0

삼성전자(주) 2014 코스피 신종균 0 1 삼성 142.8

에스케이디스커버리(주) 2017 코스피 김철 0 1 에스케이 106.2

삼성전자(주) 2014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92.0

삼성전자(주) 2017 코스피 신종균 0 1 삼성 72.0

삼성전자(주) 2017 코스피 윤부근 0 1 삼성 65.5

삼성물산(주) 2017 코스피 최치훈 0 1 삼성 63.9

삼성전자(주) 2016 코스피 권오현 0 1 삼성 62.5

(주)동부하이텍 2017 코스피 최창식 0 1 동부 62.0

(주)이마트 2016 코스피 김해성 0 1 신세계 56.0

삼성바이오로직스(주) 2017 코스피 김태한 0 1 삼성 54.3

삼성전자(주) 2014 코스피 윤부근 0 1 삼성 53.8

(주)이마트 2015 코스피 김해성 0 1 신세계 48.1

삼성전자(주) 2015 코스피 신종균 0 1 삼성 47.5

삼성전자(주) 2016 코스피 윤부근 0 1 삼성 47.0

삼성바이오로직스(주) 2016 코스피 김태한 0 1 삼성 40.6

(주)이마트 2017 코스피 이갑수 0 1 신세계 40.2

㈜엘지생활건강 2015 코스피 차석용 0 1 엘지 39.8

씨제이이앤엠(주) 2016 코스닥 김성수 0 1 씨제이 39.3

(주)이마트 2014 코스피 김해성 0 1 신세계 38.4

삼성전자(주) 2016 코스피 신종균 0 1 삼성 37.2

삼성전자(주) 2015 코스피 윤부근 0 1 삼성 36.6

삼성화재해상보험(주) 2017 코스피 안민수 0 1 삼성 35.1

(주)에스원 2017 코스피 육현표 0 1 삼성 34.9

Page 24: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4

씨제이제일제당(주) 2016 코스피 김철하 0 1 씨제이 34.8

씨제이(주) 2016 코스피 이채욱 0 1 씨제이 34.3

(주)신세계푸드 2014 코스피 김성환 0 1 신세계 33.8

(주)현대그린푸드 2015 코스피 오흥용 0 1 현대백화점 33.7

엘지디스플레이㈜ 2017 코스피 한상범 0 1 엘지 33.5

* 지배주주 여부에서 1 이면 지배주주, 0 이면 전문경영인을 나타낸다.대기업집단 여부에서 1 이면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

0 이면 비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임을 나타낸다

Ⅳ.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아래는 상대보수의 결정요인에 대한 간단한 회귀분석이다. 본 보고서는 CEO의 개인적

특성(지배주주여부), 기업의 지배구조 특성(대기업집단 여부, 이사회 규모, 사외이사 비

율, 해당 CEO 지분율,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 기업의 재무적 특성(총자산, 레버리지,

ROA, 주가수익률, Market to book ratio) 등을 설명 변수로 사용하였다. 기존 경제학,

재무학 연구에서 CEO 보수의 결정요인으로 주로 사용되었던 변수들을 차용한 것이다.

또한 최근 Faleye등10의 상대보수 연구가 차용한 설명변수들도 고려하였다.

보수결정요인의 기본은 계약당사자 간의 협상력(bargaining power)이다. CEO와 이사회

간의 협상력, 경영진과 직원과의 협상력 등을 의미한다. 본 보고서의 분석에서 CEO와

이사회 간의 협상력을 나타내는 변수로 CEO의 지배주주 여부, 사외이사 비율과 해당

CEO 지분율을 사용하였다. CEO가 지배주주인 경우 협상력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사

외이사 비율이 낮을 경우 지배구조가 좋지 않기 때문에 CEO의 힘 또는 협상력이 높다

고 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CEO의 주식보유 지분율이 높을 경우 협상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회귀분석의 한계는 직원의 협상력을 나타낼만한 설명변수(예를 들면,

노조조직율)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표 11>와 <표 12>에서는 상대보수 결정요인에 대한 최소자승회귀분석(OLS)을 수행

하였다. 두 표의 차이점은 패널자료 분석에서 산업고정효과와 연도고정효과를 고려했

느냐 안 했느냐의 차이다.

10 Faleye, O., Reis, E. and Venkateswaran, A., 2013. The determinants and effects of CEO–employee pay

ratios. Journal of Banking & Finance, 37(8), pp.3258-3272.

Page 25: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5

우선 CEO가 지배주주일 경우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지배주

주 CEO가 전문경영인 CEO보다 상대보수 배수에 있어서 8.5~9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CEO가 대기업집단 소속일 경우 비대기업집단 CEO보다 상대보수 배수에 있어서

5~6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의 규모(총자산)가 커질수록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ROA(총자산이익

률) 또는 산업조정 ROA(산업조정된 총자산이익률)와 상대보수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MTB(Market to book ratio)와 상대보수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지배구조 변수에 있어서는 이사회 독립성(사외이사비율)이 높을수록 상대보수가 낮아

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EO 개인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사회의 독립성이 높을 경우, 지배구조가 좋고 CEO의 힘 또는 협상력이 낮아

지기 때문에 상대보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CEO 개인의

지분율이 높을 경우 CEO의 힘 또는 협상력이 강해져서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표 11> 상대보수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설명변수 1 2 3 4

지배주주 더미 8.95***

(10.44)

8.98***

(10.41)

8.93***

(9.88)

8.97***

(9.88)

대기업집단 더미 5.75***

(6.27)

5.71***

(6.21)

5.99***

(6.30)

5.93***

(6.27)

코스피 더미 .89

(1.26)

1.02

(1.45)

.98

(1.35)

1.12

(1.55)

총자산 7.70e-11***(3.24) 7.73e-11***

(3.25) 7.40e-11***(3.01)

7.41e-11***

(3.01)

레버리지 -.02

(-0.99)

-.02

(-0.98)

-.008

(-0.35)

-.005

(-0.24)

ROA .30**

(2.16)

.28**

(2.00)

Stock Return -.01**

(-1.99)

-.01*

(-1.79)

산업조정 ROA .31**

(2.40)

.31**

(2.27)

산업조정 Stock Return -.01**

(-2.09)

-.01**

(-2.49)

MTB 1.00***

(2.74)

1.02***

(2.76)

.90***

(2.59)

.95***

(2.67)

Page 26: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6

이사회 규모 -.14

(-0.96)

-.17

(-1.12)

사외이사비율 -9.84***

(-3.26)

-10.06***

(-3.32)

해당 CEO 지분율 .09***

(2.57)

.10***

(2.90)

외국인투자자 지분율 .07**

(2.53)

.07***

(2.75)

상수항 8.57***

(6.09)

8.52***

(6.24)

12.06***

(6.39)

12.03***

(6.40)

관측치 1,898 1,887 1,877 1865

R-squared 0.1145 0.1179 0.1277 0.1321

* 지배주주 더미는 CEO가 지배주주일 경우 1, 아니면 0 의 값을 가진다.대기업집단 더미는 CEO가 대기업집단 소속일

경우 1, 아니면 0 의 값을 가진다.코스피 더미는 기업이 코스피 상장일 경우 1, 코스닥 상장일 경우 0 이다.레버리지는

타인자본비율로 (총부채/총자산)*100 이다. ROA는 총자산이익률이고,Stock Return은 배당 등을 고려한 주가수익률이다.산

업조정 ROA와 산업조정 Stock Return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대분류를 사용하여 각 산업에 속한 모든 기업의 평균

ROA와 Stock Return을 계산한 후, 개별기업의 ROA와 Stock Return에서 차감하였다.MTB는 Market to book ratio이다.사

외이사 비율은 전체 이사회에서 사외이사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 *는 1%, 5%, 10% 수준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가로 안의 숫자 t값을 나타낸다.

<표 12> 상대보수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설명변수 1 2 3 4

지배주주 더미 8.59***

(9.98)

8.59***

(9.96)

8.62***

(9.81)

8.65***

(9.79)

대기업집단 더미 5.19***

(5.04)

5.23***

(5.05)

5.44***

(5.00)

5.47***

(5.01)

코스피 더미 1.25*

(1.89)

1.37**

(2.06)

1.08

(1.43)

1.16

(1.52)

총자산 8.64e-11***

(3.56)

8.66e-11***

(3.57)

7.88e-11***

(3.15)

7.80e-11***

(3.12)

레버리지 -.001

(-0.10)

-.001

(-0.09)

.009

(0.50)

.01

(0.54)

ROA .16***

(3.17)

.15***

(2.89)

Stock Return -.006

(-1.05)

-.007

(-1.24)

Page 27: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7

산업조정 ROA .16***

(3.09)

.15***

(2.81)

산업조정 Stock Return -.004

(-0.84)

-.005

(-0.98)

MTB .88***

(2.56)

.91***

(2.58)

.79**

(2.30)

.81**

(2.33)

이사회 규모 -.11

(-0.72)

-.11

(-0.75)

사외이사비율 -9.51***

(-2.62)

-9.59***

(-2.62)

해당 CEO 지분율 .13***

(2.92)

.13***

(2.98)

외국인투자자 지분율 .09***

(3.87)

.10***

(4.09)

상수항 7.64***

(2.59)

5.14**

(2.44)

10.20***

(2.94)

9.14***

(3.38)

산업고정효과 YES YES YES YES

년도고정효과 YES YES YES YES

관측치 1,803 1,791 1,784 1,771

R-squared 0.1393 0.1398 0.1521 0.1532

* 지배주주 더미는 CEO가 지배주주일 경우 1, 아니면 0 의 값을 가진다.대기업집단 더미는 CEO가 대기업집단 소속일

경우 1, 아니면 0 의 값을 가진다.코스피 더미는 기업이 코스피 상장일 경우 1, 코스닥 상장일 경우 0 이다.레버리지는

타인자본비율로 (총부채/총자산)*100 이다. ROA는 총자산이익률이고,Stock Return은 배당 등을 고려한 주가수익률이다.산

업조정 ROA와 산업조정 Stock Return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대분류를 사용하여 각 산업에 속한 모든 기업의 평균

ROA와 Stock Return을 계산한 후, 개별기업의 ROA와 Stock Return에서 차감하였다.MTB는 Market to book ratio이다.사

외이사 비율은 전체 이사회에서 사외이사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 *는 1%, 5%, 10% 수준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가로 안의 숫자 t값을 나타낸다.

V. 결론 및 시사점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 내 상대보수는 CEO-직원 상대보수(CEO-employee relative pay)를 의미하

고 개별 기업별로 CEO 총보수(퇴직급여 제외)를 직원 1 인 평균급여액으로 나

눈 값이다. 분석 대상은 2014~2017 년 보수가 공시된 유가증권 상장회사 임원

중 CEO로 분류될 수 있는 1,410 명, 보수가 공시된 코스닥 상장회사 임원 중

CEO 로 분류될 수 있는 624 명이다. 이를 대기업집단 소속 여부를 기준으로

Page 28: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8

나누면 대기업집단 소속 CEO가 776 명, 비대기업집단 CEO가 1,258 명이다.

기업 내 상대보수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집단 CEO는 직원에 비해 21 배를 지급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기업집단 CEO의 18 배보다 통계학적으

로 유의미하게 높다. 대기업집단 CEO는 2014~2017 년 평균적으로 15 억 5 천

만원의 보수를 받고, 비대기업집단 CEO 평균적으로 10 억 3 천만원의 보수를

받고 있다. 통계학적으로 대기업집단 CEO의 보수가 유의미하게 높다.

대기업집단 직원 평균보수는 6 천 9 백만원으로 비대기업집단 직원 평균보수 5

천 5 백만원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 결국 CEO 수준에서 대기업집

단과 비대기업집단의 보수 차이가 직원 수준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

2014~2017 년까지 4 년치 기업 내 상대보수의 시간 추이를 살펴보았다. 2014

년에 비해 2015, 2016 년에는 상대보수의 비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7 년에 다시 반등하였다. 전반적으로 2017 년과 그 이전을 비교하면 2017

년 상대보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대기업집단의 경우, 2014 년 상대보수가 20.6 배였다가 2015 년 19.7 배, 2016 년

19.8 배였고, 2017 년에는 다시 23.6 배로 상승하였다. 결국, 이러한 추이를 가져

오는 것은 CEO 보수와 직원보수의 상승률의 차이인데, 대기업집단의 경우

2015 년에는 직원보수가 CEO 보수보다 빠른 폭으로 증가하였다가, 2016 년,

2017 년에는 다시 역전된 것으로 분석된다.

지배주주 CEO와 전문경영인 CEO 상대보수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집단의 경우

CEO가 지배주주일 경우 직원에 비해 28 배를 지급받고 있고, CEO 가 전문경영

인인 경우 직원에 비해 17 배를 받고 있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

하다.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의 평균보수는 약 17 억 9 천만원으로 대기업집

단 전문경영인 CEO의 평균보수 11 억 9 천만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와 동일한 분석을 비대기업집단만을 가지고 행하였을 경우, 비대기업집단 지

배주주 CEO는 직원에 비해 19 배, 비대기업집단 전문경영인 CEO는 직원에 비

해 15 배를 보수로 지급받고 있었다. 결국 직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보수를 수령하는 CEO는 대기업집단의 지배주주 CEO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2017 년까지 4 년치 지배주주 CEO 와 전문경영인 CEO 상대보수의 시간

Page 29: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29

추이를 살펴보았다. 주목할만한 집단은 대기업집단 내 지배주주 CEO이다. 다

른 표본집단의 상대보수 추이는 전반적 상대보수 추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대기업집단 지배주주 CEO들은 2014 년 상대보수 24.2 배에서 시작하여 지속적

으로 증가, 2015 년 26.4 배, 2016 년 29.7 배, 2017 년 34.5 배에 이르고 있다.

기업 내 상대보수의 산업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대보수가 가장 높게 나온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26 배),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2 배)이었

고 반대로 가장 낮게 나온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1 배), 금융,

보험업(13 배)이었다.

상대보수 기준 상위 30 명에 대한 분석 결과, 19 명이 대기업집단 CEO이고 지

배주주 CEO가 20 명으로 분석되었다. 상위 30 명은 본 보고서 분석자료의 상

위 1.5%에 해당하는 초(super) 상위자들이다. 대기업집단 지배주주로서 상위

1.5%에 포함된 CEO는 이수영(오씨아이), 손경식(씨제이제일제당), 서경배(아모

레퍼시픽), 최창원(에스케이디스커버리), 조양호(한진칼), 정지선(현대백화점), 조

석래(효성), 신동빈(롯데제과), 신성재(현대하이스코) 등이 있다.

본 보고서는 상대보수에 대한 기초통계분석을 넘어 상대보수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가 지배주주일 경우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배주주

CEO가 전문경영인 CEO보다 상대보수 배수에 있어서 8.5~9 정도 높게 나타났

다. 예를 들어, 전문경영인 CEO 가 직원보다 20 배를 보수로 받는다면 지배주

주 CEO 는 직원보다 28.5 배~29 배를 받는 것이다.

둘째, CEO가 대기업집단 소속일 경우 비대기업집단 CEO보다 상대보수 배수에

있어서 5~6 정도 높았다.

셋째, 이사회의 독립성(사외이사 비율)이 높을수록 상대보수가 낮아지고, CEO

개인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상대보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보고서는 상대보수를 CEO 개별 보수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상대보수는 CEO 개별 보수를 직원 1 인당 평균보수로 나누어 계산하였

는데 아쉬운 점은 직원 1 인당 평균보수의 공시 방식이다. 우선 직원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어서 두번째로 공시의 취지와 상대보

수를 측정하는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직원은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 모두를 포

함하는 임원을 제외한 나머지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원 보수의 분포를

정확히 모르는 상황에서 대표적 직원의 보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미국 증권

Page 30: 경제개혁리포트ww2.mynewsletter.co.kr/kcplaa/201903-3/3.pdf5. 상대보수 상위자 분석 IV. 상대보수에 대한 회귀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ERRI 경제개혁리포트2019-04

ERRI 경제개혁리포트 2019-04호

경제개혁연구소 30

거래위원회(SEC) 규정1112과 같이CEO를 제외한 모든 임직원의 중간(median)자

의 보수도 공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11In 2015, the Commission adopted a rule that requires a registrant to disclose the ratio of the compensation of

its principal executive officer (PEO) to the median employee's compensation as mandated by the Dodd-Frank Act.[1] Item 402(u) of Regulation S-K sets forth the disclosure requirements and provides registrants with substantial flexibility to determine the pay ratio. For example, Instruction 4.1 to Item 402(u) provides that registrants may use reasonable estimates both in the methodology used to identify the median employee and in calculating the annual total compensation or any elements of total compensation for employees. Additionally, Instruction 4.2 permits a registrant to use its employee population or statistical sampling and/or other reasonable methods in determining the median employee.

https://www.sec.gov/corpfin/announcement/guidance-calculation-pay-ratio-disclosure

12Instruction 4.1 to Item 402(u) provides that:

[R]egistrants may use reasonable estimates both in the methodology used to identify the median employee and in calculating the annual total compensation or any elements of total compensation for employees other than the PEO.

https://www.sec.gov/corpfin/announcement/guidance-calculation-pay-ratio-discl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