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FOCUS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운영팀 연구원([email protected])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운영팀 선임연구원([email protected])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FOCUS 4 권혜미*, 최영준** 도메인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영문, 한글, 숫자, 하이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kr’과 ‘.한국’ 2가지 종류가 있 다. ‘.한국’ 도메인은 인터넷주소로 한글을 사용함으로써 국민의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기 업 마케팅 및 홍보 활동에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 국민들의 인식이 부 족하고,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도메인의 활용 현황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서론 . ‘.한국’ 도메인의 이해 1.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발전 배경 2. ‘.한국’ 도메인의 이해 . ‘.한국’ 도메인 서비스 활용 현황 1. ‘.한국’ 도메인 서비스 현황 2. ‘.한국’ 도메인 서비스 문제점 . ‘.한국’ 도메인 활성화 방안 . 결론 59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운영팀 연구원([email protected])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운영팀 선임연구원([email protected])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FO

CU

S

4

권혜미*, 최영준**

도메인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영문, 한글, 숫자, 하이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kr’과 ‘.한국’ 2가지 종류가 있

다. ‘.한국’ 도메인은 인터넷주소로 한글을 사용함으로써 국민의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기

업 마케팅 및 홍보 활동에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 국민들의 인식이 부

족하고,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도메인의 활용 현황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Ⅰ. 서론

Ⅱ. ‘.한국’ 도메인의 이해

1.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발전 배경

2. ‘.한국’ 도메인의 이해

Ⅲ. ‘.한국’ 도메인 서비스 활용 현황

1. ‘.한국’ 도메인 서비스 현황

2. ‘.한국’ 도메인 서비스 문제점

Ⅳ. ‘.한국’ 도메인 활성화 방안

Ⅴ. 결론

59

Page 2: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60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Ⅰ. 서론

‘.한국’ 도메인에 대해 알고 있는가?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비영어권 국가들의 요구에 따라 영어가

아닌 자신들에게 접근이 쉬운 자국어를 이용한 도메인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에도 한글로 이루어진 도메인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한국’ 도메인이다.

‘.한국’ 도메인은 연상 단어를 통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는 방식으로 영문 도메인보다

접근이 용이하다. 보통 웹사이트의 연결 및 정보교환의 매개로만 국한되어 오던 인터넷주소

자원 확장 및 이용자의 도메인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도메인 서비스 도입 이후 등록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

다. ‘.한국’ 도메인 서비스가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은 물론, 대다수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주소창 입력보다는 포털 검색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시장에서 ‘.한국’ 도메인 서비스가 자리하는 가치와 중요

성,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한

계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도메인 서비스 시장의 수요를 고려한 ‘.한국’ 도메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한국’ 도메인의 이해

1. ‘.한국’ 도메인의 발전 배경

‘.한국’ 도메인에 관련하여 국제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도메인 서비스가 발전하면서 자국 문

자를 도메인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비영어권 국가들의 수요 증가부터 비롯된다.

자국어 도메인은 1990년대 후반부터 영문도메인 사용에 불편함을 느낀 비영어권 국가(중

국, 러시아 등)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논의되어 왔다.

2006년 중국이 ‘.cn’, ‘.com’, ‘.net’의 최상위 도메인명을 중국어로 호환하여 연결 작업을

성공하게 되면서 자국어 도메인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미국 및 전 세계 인터넷주소자원에

Page 3: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61

대한 국제정책을 수립하는 ICANN(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1은 인터넷 체계의 혼란만 가져다 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

하였으며, 인터넷 상용의 세계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IDN(다국어 도메인)2 체제의 도입이 시

급하다는 비영어권 국가의 팽팽한 입장 차이로 오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오랜 논쟁 끝에, 2009년 10월 ICANN(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이 개최한 제 36회 연례회의에서, 다국어 국가최상위도

메인의 도입계획을 확정하였다. 아울러 ‘한글.한글’ 인터넷 주소가 최종 승인되었다. 다음 해

인 2010년 9월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의 대표성과 인터넷 이용 시 주소 입력의 경제성을 고

려하여 한글 국가최상위도메인인 ‘.한국’의 도입을 확정하였다.

2011년 2월 ICANN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한국’ 도메인의 관리 권한을 위임함에 따라

2011년 5월 25일부터 ‘.한국’ 도메인 이름 등록이 시작되었다.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시작은 그동안의 반쪽짜리 한글 도메인 서비스를 진정한 한글 도메

인으로 완성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2. ‘.한국’ 도메인의 이해

1) 도메인의 이해

‘.한국’ 도메인의 개념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 도메인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도메인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영문,

한글 등으로 만든 인터넷 주소이다.

도메인은 “.” 또는 루트(root)3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아래 그림과 같이 역트리(Inverted

tree)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루트 도메인 바로 아래의 단계를 1단계 도메인 또는 최상위 도메

인(TLD, Top Level Domain)4이라고 부르며 그 다음 단계를 2단계 도메인(SLD, Second

Level Domain)5이라고 부른다.

1 미국 상무부에서 도메인주소 관리를 위임받아 인터넷상에서의 도메인이름과 IP주소, 프로토콜의 범주와 포트번호를 할당하

는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유명 상표권에 대한 도용 분쟁을 해결하고, 새로운 최상위 도메인을 인가하기도 한다.

2 도메인 이름의 영역에 영문이 아닌 한글과 같은 자국어를 사용하는 도메인

3 계층적 또는 트리 구조의 디렉터리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첫째 디렉터리 또는 유닉스 운영 체제에서, 시스템 관리자를 나타

내는 사용자의 계정

4 인터넷 도메인 네임 중에서 최상위(도메인 네임의 문자열에서 오른쪽 끝 부분)에 있는 것

5 인터넷 주소에서 특정 관리 주체를 나타내는 URL의 일부분

Page 4: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62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도메인의 종류에는 국가도메인(ccTLD, country code Top Level Domain)6과 일반도메인

(gTLD, generic Top Level Domain)7이 있다.

국가도메인은 인터넷 상에서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kr(대한민국)’, ‘.jp(일본)’, ‘.cn(중국)’,

‘.us(미국)’ 등 영문으로 구성된 영문 국가도메인과 ‘.한국(대한민국)’과 같은 자국어 국가도메인이

있다. 인터넷 상에서 우리나라를 나타내는 국가도메인에는 ‘.kr’ 도메인과 ‘.한국’ 도메인이 있다.

6 국제적으로 나라 또는 특정 지역 그리고 국제 단체 등을 나타내는 인터넷의 도메인 이름에 배당한 고유 부호를 일컬으며, 최

상위 도메인으로 취급

7 특정한 조직 계열에 따라 사용되는 최상위 도메인이다. 도메인의 길이는 3 글자 이상이며 조직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이름이 다름

.(루트)

국가코드최상위도메인

희망문자열선택예) domain.kr

희망문자열선택예) samsung.co.kr

희망문자열선택예) president.go.kr

희망문자열선택예) kisa.or.kr

희망문자열선택예) 도메인.한국

희망문자열선택예) naver.com

.Kr

.co .go .or

.jp .cn .한국 .net .com .biz ...

일반최상위도메인

2단계

1단계최상위도메인

3단계

※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그림 1] 단계별 도메인 체계

한국.kr 예시) 한국인터넷진흥원.kr영문.kr 예시) kisa.krco.kr 예시) abc.co.kr

go.kr 예시) kcc.go.kr

or.kr 예시) kisa.or.kr

한글.한국

예시) 한국인터넷진흥원.한국

예시) 홍길동.한국

국가도메인

.kr .한국

※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그림 2] 최상위국가도메인 체계

Page 5: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63

‘.kr’에는 co.kr(회사), pe.kr(개인), go.kr(정부기관) 등이 있으며 등록인은 원하는 도메인

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국’ 도메인은 원하는 한글 표현 뒤에 ‘.한국’을 붙여서 홈페이지로 사용할 수 있는 한글

도메인이다. ‘.한국’ 도메인은 국제표준에 따른 서비스로, 현재 널리 사용되는 PC 웹브라우저

인 (IE 7.0, 파이어폭스 3.6 이상), 모바일 웹브라우저(사파리, 안드로이드2.2, IE모바일6버

전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국’ 도메인의 등록 기준은 <표 1>과 같다.

<표 1> ‘.한국’ 도메인의 등록 기준

체계 2단계 체계(‘한글.한국’)로 시행

구성

·17자 이하이어야 하며, 한글이 1글자 이상 포함되어야 함

·시작과 끝에 하이픈[-]이 없어야 함

·세번째와 네번째에 연이어 하이픈[-]이 올 수 없음

등록 문자

· 유니코드8 한글 11,172자

·영문 알파벳 [A-Z] [a-z]

·숫자 [0-9] 하이픈 [-]

등록 유보어 ·공공의 이익 또는 특수 목적으로 사전에 목록을 정한 단어로써 등록 제한

※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8

2) ‘.한국’ 도메인의 가치

‘.한국’ 도메인의 가장 큰 가치는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한글로 구성되어진 도메인이라는

점이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모바일 브라우저의 사용이 보편화된 요즘 ‘.한국’ 도메인은 PC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에서 그 편리성이나 우수성을 잘 보여준다. 복잡한 영

문 URL을 외워 입력하는 대신 기억하기 쉬운 한글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모바일웹에서 인지

가 쉽고 입력이 간단하여 연령층에 구애받지 않고 널리 사용될 수 있다. 4~5인치 스마트폰

화면에서 복잡한 영문과 숫자 URL을 입력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한국’ 도메인

의 활용도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덧붙여 영문 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터넷 접근성을 높이고, 이용 편익

증진의 효과가 있다. 인터넷주소를 한글로 사용함으로써 국민의 정보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된

8 컴퓨터에서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제적인 문자 코드 규약

Page 6: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64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다. 이는 ‘.한국’ 도메인의 홍보 효과와도 직결된다. 한글이라 알리기도 기억하기도 쉬운 홈페

이지 주소는 순수 한글을 사용함으로써 한글 회사 브랜드, 이름을 그대로 홍보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즉 ‘.한국’ 도메인을 사용함으로써 기업을 홍보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품명과 일치하는 도메인을 활용할 경우 홍보의 파급 효과

가 증진된다. 이처럼 ‘.한국’ 도메인은 기업 마케팅 및 홍보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인터넷

비즈니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예를 들어 기업명을 인지하여 기업의 홈페이지를 접속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기존의 영문 도메인의 경우, 기업명을 듣고 포털 사이트에서 기업명을 검색하고, 검색 결

과 중 기업의 홈페이지를 찾아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나, 반면에 한글도메인은 간단하게

주소창에 ‘기업명.한국’을 입력하면 된다. 이는 정보의 습득과 동시에 바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약할 수 있어 경제성에서 우위를 점한다.

<표 2> 영문 및 한국 도메인 접속 절차

구 분 접속 절차

영문 도메인기업명 인지 → 포털사이트 접속 → 기업명 검색 → 검색결과에서 해당 웹페이지를 찾아

클릭 → 해당 홈페이지 접속

한국 도메인 기업명 인지 → 주소창에 ‘.한국’ 도메인 인력 후 접속

또한, 전 세계 어디에서 사용해도 동일한 홈페이지가 연결되는 국제 표준의 홈페이지 주소

라는 점이 주목할 만한 점이다.

아울러 ‘.한국’ 도메인 서비스는 피싱사이트9에 대한 일부 대안이 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통해 보안 승급 등의 내용으로 문자를 보내 거짓된 피싱사이트로의 접속을

유도하여 접속한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정보 유출을 일으키는 피해가 속출하

고 있다. 피싱사이트는 인터넷 주소와 사이트 구성을 유사하게 만들어 이용자들을 속여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만든다. 은행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의 철자 중 한 개의 철자를 교묘하게

바꾸는 등의 수법으로 은행의 주소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지 않은 많은 이용자들이 정보 유

출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피싱사이트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인지와 구분이 수월한 ‘.한국’ 도메

9 불특정 다수의 이메일 사용자에게 신용 카드나 은행 계좌 정보에 문제가 발생해 수정이 필요하다는 거짓 이메일을 발송해

가짜 웹 사이트로 유인하여 관련 금융 기관의 신용 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 등을 빼내는 신종 해킹 기법. 개인 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낚시하듯이 개인 정보를 몰래 빼내는 것을 말함

Page 7: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65

인을 사용하면 피싱사이트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도메인의 주소는 자칫

철자를 착각할 수 있어 혼동이 쉽지만 ‘.한국’ 도메인은 간결하고 정확한 인지할 수 있다는 점

이 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된다. 이미 다수의 은행 사이트들은 ‘.한국’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 도메인은 ‘인터넷주소 자원에 관한 법률’10에 의해 설립된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안

정적인 관리로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종료일 통합, SMS 발송

서비스 등 ‘.한국’ 도메인의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메인 운영 관련 비상상황 발생 시 시차, 언어 등의 문제없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도

메인 관련 분쟁 발생 시 국내 법원, 국내 분쟁 조정기관을 통해 해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Ⅲ. ‘.한국’ 도메인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1. ‘.한국’ 도메인 서비스 현황

1) ‘.한국’ 도메인 서비스 등록 현황

‘.한국’ 도메인 서비스를 개시한지 초기 9개월 만에 등록 건수가 21만 건을 돌파했다. 과거

‘`한글.kr’` 도메인이 1년 간 8만 737건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여준

셈이다. 이에 도메인 관련 전문가들은 ‘.한국’ 도메인과 같은 자국어 도메인을 사용한다는 측

면에서 자부심을 가지고 서비스 개시 1년이 안 된 시점에서 20만 건이 넘는 등록 건수는 성

공적이라고 전망하였다. 그러나 현재 2014년 기준으로 연도별 ‘.한국’ 도메인 등록 현황을 살

펴보면 서비스 개시 초기의 기대와 전망과는 달리 급감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국가도메인 ‘.kr’ 도메인과 ‘.한국’ 도메인의 등록 건수

111만 건 중에서 ‘.한국’ 도메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5.4%로 60,247건으로 매우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정부 및 공공 기관의 등록률이 6.4%로 3,882건으로 매우 낮아, 활성화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10 인터넷주소자원의 개발·이용을 촉진하고 인터넷주소자원의 안정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인터넷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가사회의 정보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Page 8: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66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표 3> ‘.한국’ 도메인 등록 현황(2013.12.31 기준)

구 분 등록건수 비율(%) 비고

정부·공공기관 3,882 6.4 행정기관,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 포함

일반인 56,365 93.6 법인사업자 및 개인 등 포함

합 계 60,247

※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년 5월 처음 ‘.한국’ 도메인 서비스를 개시한 지 2년 만에 등록건수가 71% 이상 급감

했다. ‘.한국’ 도메인은 최초 21만 건의 등록 건수룰 기록하였고 최고 22만 건을 돌파하였다.

2013년 말 기준 약 6만 건, 현재 2014년 초 기준 5만 9천여 건으로 계속하여 감소하고 있다.

2) ‘.한국’ 도메인의 이용 현황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2013년 말 ‘.한국’ 도메인 이용 현황 파악하기 위하여 불특정 일

반인 및 ‘.한국’ 도메인 등록자들을 대상들을‘.한국 도메인 이용 실태 및 행태 조사’를 실시하

였다. 조사 주요 내용으로는 ‘.한국’ 도메인 인지 여부, 활용 여부 및 용도, 이용 경험 및 등록

의향, 미사용 이유, 정책 제안 등이었다.

(1) 불특정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한국’ 도메인 인지 및 이용경험 여부는 응답자 154명 중 84%(129명)가 ‘.한국’ 도메인에

(단위: 개)

210,621

330,000

220,000

110,000

0

-110,000

-220,000

0

0

0

0

0

02011 2012 2013 2014

91,708

한국 도메인수 증감치

60,247 59,333

※ 출처 : 인터넷통계정보검색시스템(ISIS

[그림 3] ‘ .한국’ 도메인 서비스 등록건수 연도별 현황

Page 9: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67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 중 52%(67명)가 ‘.한국’ 도메인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

다’고 응답하였다.

‘.한국’ 도메인 사용방식 및 미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 67명중 76%(51명)가 인터넷

주소창에 ‘.한국’ 주소를 직접 입력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영문홈페이지 포워딩에 의한 연결이

19%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도메인 미사용 이유로 ‘기존 영문도메인이 더 익숙해서’ 라는

응답이 53%(33명)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 도메인의 낮은 인지도(24%)’등이 있었다.

‘.한국’ 도메인 등록 경험 및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 129명 중 29%(38명)가 ‘.한국’을

등록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 중 87%(33명)가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국’ 도메인 인지 여부

모른다16%

없다48%

있다52%

알고있다84%

‘.한국’ 도메인 이용 경험 여부

[그림 4] ‘.한국’ 도메인 인지 여부 및 이용 경험 여부

‘.한국’ 도메인 사용 방식

접속한 영문홈페이지의

‘.한국’ 홈페이지연결설정19%

‘.한국’ 도메인의 인지도가 낮아서

24%

포털에서 검색이 되지 않아서13%

기술적 요인때문에2%

기존영문도메인이더 익숙해서53%

인터넷브라우저

주소창에 ‘.한국’도메인 직접 입력

76%

즐겨찾기추가 후 이용3%

기타2%

기타8%

‘.한국’ 도메인 미사용 이유

[그림 5] ‘.한국’ 도메인 사용방식 및 미사용 이유

Page 10: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68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 전체 33명 중‘.한국’ 도메인 활용 용

도에 대해서는 회사 및 브랜드 홍보용 홈페이지 운영이 49%(16명)로 가장 많았으며, 홈페이

지 접속 경로 다양화(24%), 기존 영문 홈페이지와의 연결(15%) 등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한

국’ 도메인을 등록 후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않는 이유를 살펴보면, ‘.한국’ 도메인의 낮은 인

지도가 60%(3명)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 요인 및 기존 영문도메인이 더 익숙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국’ 도메인 등록 의향에 대해서는 응답자 91명 중 42%(38명)가 ‘.한국’ 도메인을 등록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한국’ 도메인 등록 예상 시기는 1년 이후가 53%(20명)로 가장

많았고, 7개월 이상 1년 이내, 2개월 이상 6개월 이내, 1개월 이내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도메인 등록 경험

없다71%

활용하지 않는다13%

활용한다87%

있다29%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 여부

[그림 6] ‘.한국’ 도메인 등록 경험 및 활용 여부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 용도

카페, 블로그 등커뮤니키 구축

9%

기존 영문홈페이지와의 연결

15%

홈페이지 접속경로 다양화24%

기타3% 기술적 요인

때문에20%

기존 영문도메인이더 익숙해서20%

‘.한국’ 도메인의인지도가 낮아서

60%

회사 및 브랜드홍보 홈페이지

운영49%

‘.한국’ 도메인 등록 후 미활용 이유

[그림 7] ‘.한국’ 도메인 활용 용도 및 미활용 이유

Page 11: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69

반대로, ‘.한국’ 도메인 등록의향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75%(40명)로 가장 많았고, ‘영문도메인을 더 선호해서’가 17% 등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표 4>와 같으며 ‘.한국’ 도메인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 강

화, 공공기관의 이용 활성화, 개인 무료제공, 한글 이메일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등의 정

책적 의견이 있었다.

<표 4> ‘.한국’ 도메인 등록 현황(2013.12.31 기준)

설문 항목 조사 결과

‘.한국’ 도메인 인지 여부 84% (154명 중 129명)

‘.한국’ 도메인 이용 경험 52% (129명 중 67명)

‘.한국’ 도메인 등록 경험 29% (129명 중 38명)

‘.한국’ 도메인 등록 의향 42% (91명 중 38명)

향후 ‘.한국’ 도메인 등록 의향

1년 이후53%

2개월~6개월 이내16%

7개월~1년 이내26%

있다42%없다

58%

‘.한국’ 도메인 등록 예상 시기

[그림 8] ‘.한국’ 도메인 등록 의향 및 등록 예상 시기

없다58%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75%원하는

도메인이없어서4%

등록방법 및절차가 복잡해서

2%

영문도메인을 더선호해서17%

기타 2%

‘.한국’ 도메인 등록 의향이 없는 이유

[그림 9] ‘.한국’ 도메인 등록의향이 없는 이유

Page 12: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70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2) 기등록인

기 등록인을 기준으로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 여부 및 용도를 살펴보면, 기 등록인 응

답자 425명 중 78%인 333명이 현재 ‘.한국 도메인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주 활용 용도로는 ‘회사 및 브랜드 홍보 홈페이지 운영’이 39%(131명)로 가장 많았으며, 홈

페이지 접속 경로 다양화(29%), 기존 영문 홈페이지와의 연결(14%), 커뮤니티 구축(8%), 투

자 또는 재판매(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도메인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한국 도메인의 낮은 인지도’가 43%(40명)로 가

장 많았으며, 기존 영문도메인이 더 익숙해서(25%), 기술적 요인(14%), 제3자로부터의 방어

적 차원의 등록(11%)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 등록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표 5>와 같으며, ‘.한국’

도메인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홍보, 수수료 인하, 모든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 하도록 이용환

경 개선, 포털 검색 서비스에 ‘.한국’ 도메인 추가, 관공서 의무 사용 등의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

1년 이후

2개월~6개월 이내16%

7개월~1년 이내26%

있다42%없다

58%

회사 및 브랜드 홍보홈페이지 운영

39%

카페, 블로그 등커뮤니티 구축

9%

기존 영문홈페이지와의 연결

14%

자산 가치를 고려한투자 또는 재판매

5%

홈페이지 접속 경로다양화29%

활용하고 있다78%

활용하지 않는다22%

기타 4%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현재 활용 여부 ‘.한국’ 도메인 활용 용도

[그림 10]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현재 활용 여부 및 용도

기존 영문도메인이 더 익숙해서25%

기술적 요인 때문에14% ‘.한국’ 도메인의

인지도가 낮아서42%

단순히 제3자의 등록을방지하기 위해 등록

11%

기타 7%

‘.한국’ 도메인 미활용 이유

[그림 11] ‘.한국’ 도메인 미활용 이유

Page 13: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71

<표 5> 기 등록인 대상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 여부 및 이용 현황

설문 항목 조사 결과

‘.한국’ 도메인 등록 후 활용 여부 78% (425명 중 333명)

‘.한국’ 도메인 이용 경험 71% (245명 중 301명)

2.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문제점

‘.한국’ 도메인 서비스의 문제점은 앞서 살펴본 조사 결과에서 충분히 추측이 가능하다.

‘.한국’ 도메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는 있지만 직접 등록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낮다는 점이

가장 크게 대두되는 문제점이다.

위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한국’ 도메인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직접적인 이유가 영

문 도메인이 ‘.한국’ 도메인보다 익숙하다는 것이다. 습관적으로 기존 도메인인 ‘.com’이나

‘.kr’, ‘.net’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하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훨씬 익숙하기 때문에 ‘.한국’

도메인에 대한 수요 증진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한국’ 도메인을 활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낮은 인지도를 지적했다. 낮은 인지도로 인하여 이용자들의 낮은 수요로 연결되고,

이용자의 수요 부족의 이유로 포털 사이트나 웹 서비스 제공자가 ‘.한국’ 도메인 등록과 활용

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도메인을 등록한 경우에도 ‘.한국’ 도메인을 통한 홍보 및

마케팅의 활용도 역시 매우 낮으며, 일반적으로 쓰이는 한글 대표 키워드의 경우 이미 특정

회사들의 소유권을 점유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도메인 등록 제한 등이 함께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도메인을 따로 주소창에 입력하기 보다는 포털 사이트

를 통한 검색 서비스를 선호하기 때문에 ‘.한국’ 도메인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를 인지하지 못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한국’ 도메인을 입력할 때 등록되지 않은 미등록 도메인이

많이 있기 때문에 입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글을 사용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반면 주소창에 한글을 입력이 불가능한 사용자에게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문제이다. ‘.한국’ 도메인을 대표도메인으로 단독 설정해서 사용하

게 될 경우 주소창을 통한 접근 방식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Page 14: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72 INTERNET & SECURITY FOCUS May 2014

Ⅳ. ‘.한국’ 도메인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다양한 홍보 및 마케팅, 도메인 수수료 인하, 모든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사용자 이용환경 개선, 관공서의 ‘.한국’ 도메인 의무 사용 등

다양한 의견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들이 현실화 되려면면 ‘.한국’ 도메인에 대한 사용자

수요 확대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 도메인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저변을 확대시켜 이용자의 수요를 확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 및 공공기간에서 우선 등록·활용하여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홍보하는 기반을 확보해야 한다. 영향력이 있는 미디어 매체를 통해 ‘.한국’ 도메인에 대한 개

념과 가치를 이용자들에게 이해시키고 널리 알려야 할 것이다.

안전행정부, 문화체육부 등 한글과 관련한 정부 및 단체들과 연계하여 협력 사업을 발굴하

고 추진해야 한다. 한글학회의 우리말 바로쓰기 사업과 연계하여 ‘.한국’ 도메인을 무료로 지

원하고 홍보하는 것도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포털사이트와 연계한 한글날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면 한글 노출 지원을 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013년 10월

한 달 동안 한글파괴 실태를 인식하고 올바른 한글 표기를 위해 포털사이트와의 공동 캠페인

을 진행하여 영문이 아닌 한글 홈페이지 홍보가 시행한바 있다. 그 외에 영향력 있는 매체 등

을 활용하여 적극 홍보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된다. 유명 지상파 프로그램 등을 활용

하여 ‘.한국’ 도메인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한국’ 도메인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개인·기업에 비해 영

향력이 큰 정부·공공기관을 활용하여 ‘.한국’ 도메인 사용을 확대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

요하다. 한글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홍보하고 국내 모든 계층의 인터넷 이용 편의를 위해 모든

정부·공공기관에서 ‘.한국’ 도메인을 활용할 경우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으로 주요 웹서비스 사업자와 연계하여 ‘.한국’ 도메인 활용의 확대를 추진하는 것 또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와 블로그, 카페 등과 연계한 협력

사업을 발굴·추진함으로써 SNS 사용자별로 ‘.한국’ 도메인 등록을 지원하는 SNS 명함 서비

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도메인 이용 여건 조성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한글 이메일과 같은 부가서비스가 도입될 경우 자연스럽게 이용자들은 ‘.한국’ 도메인을 자

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등록대행자, 웹호스팅社 등과 한글 이메일

Page 15: F O C U S 4 활성화 방안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FOCUS · 2014. 6. 16. · 픈)로 만든 인터넷주소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FOC

US

FOCUS 4 ‘.한국’ 도메인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73

서비스 도입 및 정부부처, 지자체 등과 협력한 개인 한글 이메일 주소 확산 사업 등의 추진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직 ‘.한국’ 도메인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한국’ 도

메인을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알려주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한국’ 도메인이 국

민 모두에게 친숙하고 편리한 서비스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기호 및 이용 패턴을 끊

임없이 분석하고 연구하여 진화하는 이용자의 수요에 맞추어 최적의 공급 서비스를 개발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도메인의 사용 확대를 위해 민·관 협력

하에 ‘.한국’ 도메인 활성화 여건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한국’ 도메인은 영어 중심의 인터넷 이용환경에서 우리 언어인 한글을 기반으로 문자·언

어의 자주성(自主性)을 확보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인터넷주소자원이다. 영어 비문해 계층의

인터넷 접근성과 도메인 이용편익 증진, 정보격차 해소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외적으로

우리 한글의 우수성을 전파하는 계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013 한국인터넷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한국 도메인 도입 결과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통계정보검색시스템, http://isis.kisa.or.kr, 검색일: 201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