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공학백서의대상과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영자 자사의 SW관련 생산성, 수익성 및 품질 등을 벤치마킹하여 경영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혁신 및 투자우선순위 등 경영전략을 결정 하는데 기초정보로 활용 관리자(PM) SW프로젝트를 성공시키고 프로젝트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주요요소를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한 기초정보로 활용 SW프로젝트의 성공 또는 개발역량 혁신을 위한 선행투자의 설득 자료로 활용 SW개발자 업무 및 일정을 예측하고 품질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 업무의 구분, 프로세스에 따른 책임 등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 협 력체계 구축에 활용 학계 SW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식별하고, 과제를 컨설턴트 발굴하고, 개선방법 및 기법을 연구하는데 기초정보로 활용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는 SW공학적 요소를 정량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SW관리능력과 SW경쟁력 혁신에 기여할 수 있도록 SW공학백서를 발간합니다. SW공학백서는 SW기업들이 수행한 SW개발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SW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품질활동과 그에 대한 비용 등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수록하였습 니다. 이른바 SW품질비용을 가시화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품질활동에 우선순위를 두어 투자에 활용하도록 하였고, 품질향상에 소요되는 기간이나 투입인력, 비용 등을 고려함으로써 프로젝트 진행 시 생길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측하고,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활용토록 하였습니다. 121-795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길 240 누리꿈스퀘어 연구개발타워 13층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TEL 02)2132-1312 FAX 02)2132-1358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http://www.nipa.kr SW공학센터 : http://www.software.or.kr 이 책의 저작권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에 있습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값 20,000원 ‘소프트웨어 기업의 수익을 개선하기 위한 경영상의 이유’ , ‘현실적이지 않은 비용지불을 고집하는 고객을 설득하기 위한 근거’ , ‘적절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어야 하는 관리자의 책임’ , ‘개인의 능력을 인정받고 팀원과의 업무 협력을 원활이 하고 싶은 개발자의 권리’ , 합리적인 관리체계에 따라 소프트웨어프로젝트를 정량화시키고 체계화하는 것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WHITE BOOK : KOREA 2013 SOFTWARE ENGINEERING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SOFTWARE ENGINEERINGWHITE BOOK : KOREA 2013

SOFTWARE ENGINEERINGWHITE BOOK : KOREA 2013

SW공학백서의 대상과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 자자사의 SW관련 생산성, 수익성 및 품질 등을 벤치마킹하여 경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혁신 및 투자우선순위 등 경 전략을 결정

하는데기초정보로활용

관리자(PM)

SW프로젝트를성공시키고프로젝트조직을효율적으로관리하기

위해서 주요요소를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

한기초정보로활용

SW프로젝트의 성공 또는 개발역량 혁신을 위한 선행투자의 설득

자료로활용

SW개발자

업무 및 일정을 예측하고 품질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

업무의 구분, 프로세스에 따른 책임 등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 협

력체계구축에활용

학계및 SW프로젝트성과에 향을미치는요소를식별하고, 과제를

컨설턴트 발굴하고, 개선방법및기법을연구하는데기초정보로활용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는 SW공학적 요소를 정량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SW관리능력과 SW경쟁력 혁신에 기여할 수

있도록 SW공학백서를발간합니다.

SW공학백서는 SW기업들이 수행한 SW개발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SW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품질활동과 그에

대한 비용 등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수록하 습

니다.

이른바 SW품질비용을 가시화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품질활동에

우선순위를 두어 투자에 활용하도록 하 고, 품질향상에 소요되는

기간이나 투입인력, 비용 등을 고려함으로써 프로젝트 진행 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측하고,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활용토록하 습니다.

121-795 서울시마포구상암동길 240 누리꿈스퀘어연구개발타워 13층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TEL 02)2132-1312 FAX 02)2132-1358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http://www.nipa.kr

SW공학센터 : http://www.software.or.kr

이책의저작권은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에있습니다.

SO

FT

WA

RE

EN

GIN

EE

RIN

GW

HITE B

OO

K : K

OR

EA 2013

값20,000원

‘소프트웨어기업의수익을개선하기위한경 상의이유’,

‘현실적이지않은비용지불을고집하는고객을설득하기위한근거’,

‘적절한자원을할당하고프로젝트를성공으로이끌어야하는관리자의책임’,

‘개인의능력을인정받고팀원과의업무협력을원활이하고싶은개발자의권리’,

합리적인관리체계에따라소프트웨어프로젝트를정량화시키고체계화하는것은

경쟁력을확보하기위한첫걸음이다.

WHITE BOOK : KOREA 2013

SOFTWARE ENGINEERING

Page 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소프트웨어기업의수익을개선하기위한경 상의이유’,

‘현실적이지않은비용지불을고집하는고객을설득하기위한근거’,

‘적절한자원을할당하고프로젝트를성공으로이끌어야하는관리자의책임’,

‘개인의능력을인정받고팀원과의업무협력을원활이하고싶은개발자의권리’,

합리적인관리체계에따라소프트웨어프로젝트를정량화시키고체계화하는것은

경쟁력을확보하기위한첫걸음이다.

WHITE BOOK : KOREA 2013

SOFTWARE ENGINEERING

Page 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정보통신산업및 SW산업을효율적으로지원하고진흥기반을조성함으로서산업

의경쟁력을강화하고, 국민경제발전에이바지하고자노력하고있습니다.

2013년새정부의출범과신설부처인미래창조과학부의역할강화를위해서“창조산업육성을통한민간의

창의적인노력과함께, 정부도진흥과규제정책을효과적으로활용하여기업의성장을적기에도와야한

다”는 원칙에 따라, 새로운융합서비스 시장창출을위한 기술개발이나법제도 정비에더욱 박차를가해

우리기업이세계시장에서경쟁하는데뒤지지않도록생태계조성에적극노력하겠다는일환으로2013년

SW공학백서를발간하게되었습니다.

정보통신산업과SW산업의중요성이더욱높아지고새정부의창조경제의성공이SW산업에달렸다는것

은이미기정화된사실입니다.

국가적발전을위해서는 SW산업을획기적으로육성하는것이필요합니다. 또한“SW새마음운동”을통

해SW사용자와개발자, 인력양성교육자등세그룹이새로운마음으로다시시작해야합니다. 이를위해

서는국산SW를제값에주고사고, 품질확보를통해제대로만들고, 학교와산업에서후배들을제대로가

르치는것이필요합니다.

이렇게새로운마음으로새롭게시작하는“SW새마음운동”을통해국내SW산업을변화시키고경쟁력을

향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W산업발전과 경쟁력 강화의 근본이 되는 SW공학에 대한 정보가 가득한

2013년SW공학백서를발간하려합니다.

2013년SW공학백서를통해SW산업종사자들의관심과사랑을담아국내SW산업의발전과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활용되길기대합니다.

SW공학백서의발간을축하하며, 발간을위해노력해주신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장과관계자

여러분께감사의말 을드립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 박수용

SW공학백서의발간을축하하며...

Page 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정보통신산업진흥원SW공학센터에서SW공학백서를발간한지도어느덧5년이되었습니다.

그동안산업내, 산업간융복합화가급속하게진행되면서, SW가최종제품의가치와경쟁력을좌우하는핵심요소가되었고, 개발해야SW의규모나복잡도는점차확대되고있는것이현실입니다. 이에품질과경쟁력있는 SW를개발하는것이더욱중요하게되었습니다. 특히, 대기업참여제한에따라중소SW기업이공공정보화사업을전담해서개발해야상황에서SW의품질을확보하는것이주요관심사가되고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품질이확보된 SW를만들기도, SW개발과정을관리하기도어려운상황입니다. 아직도우리의SW개발현장은잦은요구사항의변경으로밤낮을지새우지만SW품질확보와고객만족은어렵고, 이런어려움때문에개발자들은 SW개발을포기하게되고, 관리자들은개발자확보를위해또다시새로운인력을훈련시켜채용하는등악순환이반복되고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SW기업들은 비용절감과 개발과정의 어려움을 이유로 체계적인 SW개발관리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발생한 SW제품상의 품질결함은 오히려 더 많은 추가비용지출로이어지고있을뿐만아니라기업의이미지나브랜드가치와같은무형자산에도심각한손실이발생하여기업의생존이위협받을수도있는상황입니다.

SW산업의경쟁력확보를위해서는차별화된기술과체계적이고정량적인관리기술과같은경쟁우위요소가필요합니다. 이것을해결할수있는방안이바로SW공학기반의‘SW비주얼라이제이션’입니다.발주자, 수주자, 관리자, 개발자등이해당사자가개발진척상황을알수있도록가시화하고수시로변경되는요구사항을통제할수있도록하는것입니다.

이러한‘SW비주얼라이제션’의 기반이되는것이 바로정량적 데이터와 SW개발현황, 관리현실을분석한 SW공학백서입니다. 금년도공학백서는국내 SW기업들이수행한 SW개발프로젝트의실측데이터를바탕으로SW품질향상을위해필요한품질활동과SW공학기술의적용현황, 그에대한비용등을체계적이고객관적으로분석한내용을수록했습니다.

품질비용을가시화하여기업으로하여금품질활동에우선순위를두어투자에활용할수있도록했고,품질향상에소요되는기간이나투입인력, 비용등을제시함으로써프로젝트진행시생길수있는문제점을사전에예측하고, 프로젝트를효율적으로관리하는데활용할수있도록했습니다. 금번 SW공학백서가국가경쟁력향상, 중소SW기업의품질과개발생산성을높이는데기여하고, SW기업과개발자들에게유용한정보를제공함으로써프로젝트의성공과품질확보에도움이되기를기원합니다.

끝으로 SW공학백서를발행함에있어주요데이터를제공해주신기업들과관계자여러분께깊은감사의말 을드립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센터장 이상은

국가 SW산업전반의품질경쟁력강화를기원하며...

Page 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Executive Summary : SW 품질 미래 경쟁력의 핵심

IT 융·복합화가진행되면서, 최종제품에서 SW의역할과기능이점차확대되고있으며, SW가최종제

품의부가가치를높이는역할을수행할뿐만아니라최종제품의경쟁력을좌우하는핵심요소가되었다.

한국산휴대폰이전세계시장의 30%를장악하고 TV 등 전자제품시장에서도한국기업들이석권하고

있다. 한국의 IT 분야가세계적으로인정받고통하는것이다. HW 분야에서는 세계적경쟁력을확보하

고있지만, 문제는더중요한분야인 SW가 로벌경쟁에서 리면서향후세계시장에서고전할수도

있다는위기론들이제기되고있다.

삼성전자가휴대전화·스마트폰시장에서노키아와애플을동시에누르고통합챔피언에등극했지만삼

성전자의자체모바일OS 바다는 2011년 2분기출시이후2~3%대에머무르며고전하고있다. 반면에

2012년 3분기에 구 의 안드로이드 운 체제의 시장 점유율은 52.5%에서 72.4%로 뛰어올랐다. 이에

따른 향으로애플의 iOS의점유율은 15%에서 13.9%로줄어들었고, 리서치인모션(RIM)과 심비안등

의OS도판매량과점유율모두약세를보 다.

구 의모바일OS 시장의독점은삼성을비롯한국내스마트폰제조업체들이구 의서비스나콘텐츠에

종속될수밖에없다는위기감을주고있다. 이경우국내스마트폰의HW 경쟁력은구 에의존할수밖

에없게되고, 제품경쟁력은그만큼줄어들게되는것이다. 또한이제까지의협력관계가향후경쟁자의

관계로바뀔수있음을의미한다. 실제로지난해구 이모토롤라를인수하면서스마트폰과태블릿 PC

를직접생산할수있는능력을갖추면서제기되었던우려사항이다. 구 은모토롤라를통해차세대스

마트폰인 X폰을하드웨어부터소프트웨어까지모두직접책임지고만들고있는것으로알려지고있다.

모발일기기뿐만아니라대부분의시스템에서 SW의비중이현저히증가하고있고, 향후에는 SW의규

모나복잡도가기하급수적으로증가할것으로예측되고있다. 이와같이SW에대한의존성이높아짐에

따라 SW의정 도나안전성과같은질적인향상도동시에요구되고있다. 또한SW결함과같은품질문

제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경제적 문제와 비용의 규모도 동시에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Axa

Rosenberg Group의고객계좌를관리하는SW상의결함으로인한피해금액이$242,000,000(2천 4백

20억)에 이르는것으로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100억원규모의공공기관정보시스템구축사업이

시스템구축이후발견된 1500개이상의결함으로인해하자보수를하다납기를맞추지못하고, 수주업

체는거액의지체보상금을지급한것으로알려지고있다.

SW의결함으로인한사회·경제적피해를줄이고, IT 융합제품의경쟁력을높이기위한방안마련이필

요한시점이다. 특히, 협소한국내시장에서 로벌기업과의경쟁에서어려움을겪고있는국내 SW기

업들의현실을감안할때‘ 로벌SW 품질경쟁력’확보를위한관심과노력이더욱절실하게요구된다.

4

Page 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Executive SummaryExecutive Summary

■SW품질혁신의핵심요소, SW공학

다기능화및대규모화되는SW를성공적으로개발하기위해서는요구사항분석에서부터유지보수에이

르기까지전과정에걸쳐예상되는어려움을해결하기위한체계적인관리와효율적업무수행을지원해

주는기술, 기법등을제공하는SW공학기술의적용이무엇보다필요하다.

효과적인 SW공학기술 적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업무

방식 및 흐름의 정의와 이를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Process),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조직 및 인력(People)

의 구성, 정의된업무방식과조직인력이효율적으로운

되기 위한 기반 인프라나 기술(Technology)의 3가지

핵심요소를 균형 있고, 조화롭게 갖추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지속적인노력이필요하다.

또다른측면에서는SW를개발하고폐기하기까지의과정인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

수관련기술과이를효과적으로운 , 관리하기위한기술인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관리,

도구및기법, SW품질관리관련기술도균형있고, 조화롭게갖춰야할것이다.

성공적인SW개발의목표는주어진일정과비용을준수하면서고객이요청하는품질수준의제품을만들

어내는것이다. 이런목표를달성하기위해서는앞서언급한핵심요소(프로세스, 인력, 기술)에대한투

자와노력이소요된다. SW를개발하는기업입장에서는얼마나많은품질비용을투입해야원하는성과

를얻을수있는지결정하는문제는어려운문제이다. 따라서적절한품질비용의투자와이에대한성과

에대한관리도필수적인요소이다.

따라서SW품질향상을위한활동과더불어그에따른비용이투입되었는지를측정하고, 이들활동들에

따른성과를지속적으로분석하고, 문제점을보완하려는노력이필요하다. 이런노력과분석을통해어

디에투자하는것이가장바람직한가를결정해야하며, 현실적으로품질이가장취약한부분에적극투

자할수있도록해야한다.

■국내SW공학수준현황

이번 SW공학백서에서는국내기업들의 SW개발프로젝트의성과(품질, 비용, 납기), 그리고그성과에

향을 미칠 수 있는 SW공학 수준과 SW품질비용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총 248개 조직의

5

Page 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6

292개프로젝트를대상으로조사를실시하 다.

<‘열등수준’을‘벗어난 국내 SW공학수준>

국내기업들의전체SW공학수준점수는100점만점을기준으로최하위수준등급등급을벗어난64.8점

이며, 주요 역에대한공학수준점수를살펴보면프로세스(process)수준점수가 68.7점, SW품질인력

(people)수준점수가61.1점, SW공학기술(Technology)수준점수가63.2점으로프로세스부문을포함한

전분야에서최하위공학수준등급인열등(Absent)수준을벗어난것으로나타났다.

2011년 대비 국내 SW공학수준 점수의 변동을 살펴보면, 프로세스(Process)수준 점수가 68.1점에서

68.7점으로, SW품질인력(people)수준 점수가 57.5점에서 61.1점으로, SW공학기술(technology)수준

점수가 59.7점에서 63.2점으로향상되었고전체SW공학수준점수는 62.4점에서 64.8점으로향상되었

다. 2009년에서2012년까지나타났던SW공학수준점수의불균형상태는2013년에는다소완화되는모

습을보이고있다. 하지만SW품질인력수준점수타나고있다. 이는국내기업들이SW 개발프로세스를

사내규정으로갖추고있지만, 해당프로세스와관련된활동을수행할 SW품질인력이부족하거나, 해당

프로세스를지속적으로수행할수있도록자동화된시스템들이부족하다는것을알수있다. 또한이는

SW 프로세스를기업의내부적으로내재화하는능력과프로세스개선의효율성을저해하는요인으로작

용한다.

1) SW공학수준등급은Advanced(80점이상), Average(80점미만 60점이상), Absent(60점미만) 으로구성됨

< 조사의 개념모델 >

SW개발 프로젝트 프로젝트 성과

품질

비용

납기SW공학 수준

프로세스

SW 품질인력

SW 공학기술

Page 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Executive Summary

7

<대기업 vs 중소기업간 SW공학수준 격차>

기업의 규모별 측면에서도 SW공학수준 점수격차는 2011년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프로세스

(Process), SW품질인력(People) 및SW공학기술(Technology)수준을포함한대기업과중소기업의SW

공학수준점수가유사하게증가했기때문이다. 기업규모별 SW공학수준별격차를살펴보면, 프로세스

역에서23.6점, 인력수준점수에는19.4점, 기술수주점수에서는29.점정도격차가존재하는것으로나

나났다. 대기업의경우프로세스, 인력, 기술수준점수중에서인력수준점수가낮게나타나고있다. 낮은

인력수준을보강하기위해체계적인개발프로세스와자동화도구의활용과같은기술수준점수로보완

하고있는것을알수있다.

< 2011년, 2012년 SW공학수준점수 비교 >

프로세스수준점수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SW공학수준점수

68.1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68.7 64.862.4

63.259.7

61.157.5

2012년2011년

< 기업 규모별 SW공학 수준 점수 비교 >

2011년

프로세스수준점수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SW공학수준점수

83.4

60.7

2012년 2011년

53.9

2012년

70.6

51.2

2011년

81.4

52.4

2012년

76.8

51.5

2011년

79.8

55.8

2012년

77.6

55.1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중소기업대기업

83.4

59.9

73.3

22.7 23.619.4 19.4

25.329.0

22.5 24.0

격차

Page 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8

< 로벌수준과 격차를 보이는 SW개발 생산성 및 운 결함 도>

SW 개발 생산성은 25.4FP/MM로 작년의 23.4 FP/MM에 비해 8.5%정도 향상되었지만 이는

ISBSG(International Software Benchmarking Standard Group)에서조사한31.69 FP/MM(2008년

도)의80% 수준이며, 일본의1000FP~3000FP 규모개발프로젝트의평균생산성인24.36과유사한수

준으로나타나고있다. 절대적인비교는불가능하지만미국내Best 5% 기업의생산성에비해서는불과

50% 수준이다. 국내SW개발생산성이벤치마킹대상들에비해많은차이를보이고있음을알수있다.

국내 SW개발프로젝트의 3개월간의운 결함 도를살펴보면, 0.15개/FP로 2011년의 0.16에 6%정도

향상되었다. 하지만이값은 ISBSG의2001년에서2009년까지의전체평균인0.06개/FP에비해2.5배

이상높고, 결함 도가가장낮은 2001년도의 0.025개/FP와 비교시 6배이상높고, 일본과비교하면

7.5배높은수치이다. 운 결함 도도생산성과마찬가지로 로벌수준과비교할때많은격차가있음

을알수있다.

2) Software Product Research사의 Best In Class

2001 2003200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일본)2012 (한국)2011

0.18

0.16

0.14

0.12

0.10

0.08

0.06

0.04

0.02

0.00

년도 운 결함 도(3개월) 빈도2001 0.025 292002 0.038 102003 0.053 272004 0.059 1042005 0.048 712006 0.067 412007 0.044 372008 0.056 292009 0.059 8

일본(2012) 0.020 521한국(2011) 0.153 106

< ISBSG R.11 데이터의 결함 도 분석결과 >

(단위 : 개/FP)

0.0250.038

0.053 0.0590.048

0.067

0.0440.056 0.059

0.02

0.153

구 분 생산성

SPR, BIC 50.0

ISBSG 31.69

일본 24.69

공학백서기준(2012) 25.4

< 벤치마킹 데이터와의 비교(생산성) >

(단위 : FP/MM)

※ SPR, BIC는 SPR사가 조사한 600여 고객의 Best 5%에 해당하

는 프로젝트의 평균임

※ ISBSG의 생산성 데이터, 2008SPR, BIC ISBSG SW공학백서

데이터기준

50.00

31.69

25.4

일본

24.69

60

50

40

30

20

10

0

Page 1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구 분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 총 품질비용

백서데이터기준(2012) 3.7% 8.9% 27.2% 19.1% 58.9%

백서데이터기준(2011) 3.8% 8.9% 27.3% 19.7% 59.7%

백서데이터기준(2010) 3% 8% 28.7% 21% 61%

< 전체 조사대상의 SW품질비용 구조 >

SW품질비용은 SW결함 감소 등 SW의 품질 향상을 위해 수행하는 품질관리와 관련된 활동비용을 원가로 계산한 것으로 이러한

품질비용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일정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투자하는 비용으로, 이는 다시 예방비용과

평가비용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번째는 품질결여로 인해 파생된 비용으로 흔히 실패비용이라 하고, 이는 다시 내부적으로 결함을

처리하는비용인내부실패비용과외부에서발생한결함을처리하는비용인외부실패비용으로나눌수있다

SW품질비용

구 분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 총 품질비용

CMM Level 1 1% 4% 22% 33% 60%

KnoxCMM Level 2 2% 9% 26% 20% 57%

모델기준CMM Level 3 5% 12% 25% 9% 51%

CMM Level 4 7% 10% 14% 4% 35%

CMM Level 5 11% 3% 5% 1% 20%

SW공학백서CMMI Level 1 3.7% 9.0% 28.5% 20.9% 62.1%

데이터기준CMMI Level 2 4.2% 9.6% 25.9% 20.4% 60.0%

(2012년) CMMI Level 3 4.2% 9.3% 25.3% 16.8% 55.6%

전체 3.7% 8.9% 27.2% 19.1% 58.9%

< Knox모델과 조사대상의 SW공학수준별 품질비용 구조 비교 >

Executive Summary

<비효율적인 SW품질비용 구조>

SW품질비용항목에응답한프로젝트를대상으로국내기업의SW품질비용현황을살펴보면, 2012년총

품질비용은 58.9%로 2011년도 59.7%에비해하면약 1%정도낮아진것으로나타났다. 이는전반적인

공학수준향상으로 내부실패비용과외부실패비용이줄었기때문이다.

SW 품질비용 모델인 Knox모델과 비교해 보면,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예방비용과 평가비용은

CMM level 2와 3수준으로지출하고있었지만품질의결여로발생하는비용인실패비용은 CMM level

2수준으로지출하고있었다. 특히, 실패비용중에서내부적으로결함을처리하는비용인내부실패비용

을많이지출했던것으로나타났다.

9

Page 1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10

백서기준(2012)

1009080706050403020100

CMM Level 제거 효율성(%)

Level 1 85.0

Level 2 89.0

Level 3 91.0

Level 4 93.0

Level 5 95.0

미국 최하위평균 60.0

백서기준(2012) 81.9%

< 미국 SW 평균 결함 도 >

81.9

미국하위수준

60.0

Level5

95.0

Level4

93.0

Level3

91.0

Level2

89.0

Level1

85.0

※ 자료: Software Assessment Benchmarks, and Best Practice(2000년), Software Quality in 2010: A Survey of The State of Art(2009.12)

품질비용분석에사용된국내SW 프로젝트를CMMI Level을기준으로나뉘어품질비용구조의변화를

살펴보면, 전체 품질비용은 CMMI Level이 증가할수록총품질비용이줄고있다. 이는 SW공학수준이

높으면품질비용구조도좋아지는것을간접적으로보여주는것이다. 하지만Knox 모델처럼Level이향

상되는만큼외부실패비용의감소효과가발생하지않고있다. 즉, 예방비용과평가비용은많이쓰면서

품질결여로발생하는내·외부실패비용도많이지불하는비효율적인품질비용구조를보이고있다. 이

는동일수준이라고하더라도SW공학프로세스를내재화하는능력에따라성과가달리질수있음을보

여주는것으로국내기업들의내재화수준이Knox 모델에서제시하고있는내재화수준에비해상대적

으로낮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저조한 결함제거율>

SW를개발하는동안수행하는동료검토, 테스팅등과같은결함제거활동들이얼마나효율적인지를나

타내는지표인프로젝트의결함제거율은81.8%로나타났다. 이는2011년도의81.8%와유사한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평균결함제거율은미국의최하위SW기업의평균결함제거율인60%보다는높게나타났

지만, 85%인CMM Level 1보다는다소떨어지는값이다.

이런결과는국내 SW개발프로젝트에투입되는품질비용의비효율성과유사한의미를내포하고있다.

즉, 품질을높이기위해많은노력을투입하고있지만원하는만큼의성과를내지못하는것으로있다.

이런현상이발생하는요인으로는단기적인목표에초점을맞추고프로세스이행에만초점을맞추고있

고, 이를지속적으로개선할수있는기업내부의시스템이나SW품질인력의확보와같은내재화 역에

서차이가나타나는것으로보인다.

Page 1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SW공학 비용초과율 비용초과율수준 등급 (2011) (2012)

Absent 0.074 0.073

Average 0.006 0.003

Advanced 0.0 -0.021

< SW공학수준 등급과 비용성과 >

0.074

0.0060.003

-0.021

0

0.08

0.06

0.04

0.02

0.00

-0.02

-0.042011년 2012년

0.073

Absent Average Advanced

SW공학 납기초과율 납기초과율수준 등급 (2011) (2012)

Absent 0.096 0.086

Average 0.012 0.002

Advanced 0.000 -0.010

< SW공학수준 점수와 납기성과 >

Absent Average

0.096

0.012 0.002

-0.01

0

0.12

0.10

0.08

0.06

0.04

0.02

0

-0.02

2011년 2012년

0.086

Advanced

Executive Summary

■ SW공학수준과성과분석

SW공학수준이높으면주어진예산범위내에서비용을준수하는지살펴본결과SW공학수준이높을수

록비용초과율이적은것으로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살펴보면, Absent, Average, Advanced 등급의

평균비용초과율은 2011년의 0.074, 0.006, 0.000에서 0.073, 0.003, -0.021(준수)으로분석되었다.

비용초과율은프로젝트계획수립시예측한프로젝트비용과프로젝트완료시실제투입한금액간의차

이를의미하며, 값이적을수록계획된비용을준수했다는것을의미한다.

또한 SW공학수준이높으면주어진프로젝트의일정을준수하는지살펴본결과SW공학수준이높을수

록납기초과율이적은것으로나타났다. 분석결과를살펴보면, Absent 등급, Average 등급, Advanced

등급의평균납기초과율은2011년의0.096, 0.012. 0.000에서0.086, 0.002, -0.010(준수)수준으로분

석되었다. 납기초과율도 비용초과율과 마찬가지로 값이 적을수록 납기를 준수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SW공학수준이높은조직의납기초과율이적다는것을볼수있다.

11

Page 1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12

SW개발프로젝트를통해개발된최종SW의품질을측정하는지표로서해당SW가최종고객에게전달

된 이후에 얼마나 많은 결함이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결함 도가 사용되었다.분석결과, Absent등급,

Average등급, Advanced 등급에 대해 2011년의 0.248개/FP, 0.174FP/개, 0.059FP/개에서 0.272개

/FP, 0.142FP/개, 0.054FP/개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SW공학수준이 높을수록 운 결함

도가낮게나타나는것을알수있다.

마지막으로 SW공학수준이 높으면 생산성이 좋은지를 살펴보았다. SW공학수준별 생산성을 살펴보

면, Absent, Average, Advanced 수준별 생산성은 2010년 20.7FP/MM, 22.2FP/MM,

26.3FP/MM에서 21.7FP/MM, 24.2FP/MM, 28.8FP/MM로 나타났다. 생산성도 공학수준이 높을

수록좋게나타났다.

< SW공학수준 등급과 품질성과(운 결함 도) >

SW공학 운 결함 도 운 결함 도수준 등급 (2011) (2012)

Absent 0.248 0.272

Average 0.174 0.142

Advanced 0.059 0.054

Absent Average Advanced

0.243

0.174

0.142

0.059 0.054

0.3

0.25

0.2

0.15

0.1

0.05

0

2011년 2012년

0.272

< SW공학수준 등급과 생산성 >

SW공학 생산성 생산성수준 등급 (2011) (2012)

Absent 20.7 21.7

Average 22.2 24.2

Advanced 26.3 28.8

전체 23.4 25.4Absent Average Advanced

21.7

35

30

25

20

15

10

5

0전체

20.724.222.2

28.826.3 25.4

23.4

2011 2012

(단위 : 개/FP, 개)

(단위 : FP/MM, 개)

Page 1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Executive Summary

<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 >

= 28.6% 28.6%생산성

생산성 납기초과율

비용초과율하위그룹

= 16.9 16.9

비용초과율비용초과율

= 0.089 0.089

비용초과율 납기초과율‘상위’그룹 ‘하위’그룹

= 0.056 0.056 = 0.1 0.1

‘하위’그룹 ‘중위’그룹

= -0.1 -0.1

‘하위’그룹 ‘중위’그룹

= 0.083 0.083

생산성 ‘상위’그룹

‘상위’그룹 ‘상위’그룹

= -0.011

= 37.3 37.3

-0.011

SW의운 결함 도에따라SW 프로젝트의성과인생산성, 비용초과율, 납기초과율등이어떻게바뀌

는지를분석하기하기위해데이터마이닝분석에서많이활용되는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분석을

실시하 다. 이를위해먼저분석대상SW의운 결함 도의4분위수를구하고, 도출된4분위수를기반

으로 1분위수를‘상위그룹’, 2분위수와 3분위수를‘중위그룹’, 마지막으로 4분위수를‘하위그룹’으로

분류하여의사결정트리분석을실시하 다.

결과의의미를살펴보면, 운 결함 도수준을결정하는가장중요한변수는생산성임을알수있다. 즉

생산성이높을수록‘상위’그룹으로, 낮을수록‘하위’그룹으로분류되었다. 일반적으로운 결함 도가

낮은조직일수록납기, 비용준수율이좋을것으로예상되나품질수준이낮은‘하위’, ‘중위’그룹의경우

반대의현상이나타나고있다. 이는품질이낮은운 결함 도‘하위’, ‘중위’그룹의경우납기및비용

을초과투입함으로인해일정수준의품질수준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분석할수있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을결과를바탕으로‘상위’그룹과‘하위’그룹의성과와관련된항목들차이를분석하

다. 즉, 결함제거효율을높이는데중요한역할을수행하는디자인인스펙션/정적분석, 코드인스펙션, 공

식테스트, 품질보증등과같은기법을활용하는것에따라성과가얼마나달라질수있는지를살펴보았다.

‘상위’그룹의경우, SW공학점수는 81.7점으로‘하위’그룹의프로젝트보다 34.8점이상높게나타나고

13

Page 1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14

구 분 비용초과(%) 납기초과(%) 운 결함 도(개/FP) 생산성(FP/MM) 공학수준(점수)

상위-37.4~7.4 -5.0~1.7 0.02~0.06 26.5 84.9

그룹

하위7.4~18.6 -3.6~21.5 0.2~0.71 19.8 45.1

그룹

①디자인인스펙션② 코드인스펙션 / 정적분석③공식테스트④품질보증

구분수익성지표

평균매출액 업이익률 매출액 순이익률 총자산 순이익률

상위그룹 10.5% 8.8% 8.8% 9.37

하위그룹 -7.0% -6.0% -2.9% -5.30

차이 17.4% 14.8% 11.7% 14.63

< SW공학수준 향상율과 경 성과 지표 >

있다. 또한주요프로젝트성과의분포를살펴보면비용과납기초과율은하위그룹에비해상위그룹이좋

았다. 생산성지표를살펴보면상위그룹은 33.4FP/MM으로하위그룹의 18.9FP/MM에비해 76.5% 좋

은것으로나타났다.

국내 SW 개발조직의결함제거율이 81.8%로해외수준에비해떨어지는것으로나타났지만, 결함을제

거하기위한주요한활동을(디자인인스펙션/정적분석, 코드인스펙션, 공식테스트, 품질보증 ) 잘수행

하는조직의성과가이들활동을잘수행하지못하는조직에비해상대적으로좋은것으로나타나고있

다. 따라서결함제거활동들에대한지속적인노력이필요함을알수있다.

마지막으로SW공학수준과경 성과와의관계를살펴보면, 2011년과2012년도수준조사에참여한업체

중공학점수의향상율기준으로상위그룹(상위20%) 기업과, 하위그룹(하위20%) 기업의주요경 성과

지표의값을측정하 다. SW공학수준향상율이높은상위20% 기업의수익성평균은9.37%로-5.30%

인하위20% 기업의수익성보다높게나타나고있다.

기업규모를기준으로 SW공학향상율과수익성을분석해본결과, 대기업군은공학수준점수향상율이

높은상위그룹(상위 20%)의수익성지표의평균값은 5.03%로하위 20%의 2.2% 보다 2배정도높게나

타났다. 중기업의경우상위 20%의평균수익성은 11.77%로하위 20% 기업의 -5.67에비해 3배이상

좋은것으로나타나고있다.

Page 1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구분수익성지표

평균매출액 업이익률 매출액 순이익률 총자산 순이익률

대기업군상위그룹 6.4% 5.0% 3.7% 5.03

하위그룹 4.0% 2.1% 0.5% 2.20

중소기업군상위그룹 12.0% 11.4% 11.9% 11.77

하위그룹 -6.9% -6.6% -3.5% -5.67

< 기업규모별 공학수준 향상율과 경 성과 지표 >

Executive Summary

■SW공학도구활용의성과분석

SW공학수준, 생산성, 품질등을단기간에올리는것은어려운작업으로인식되고있다. 왜냐하면단기

간에외부의도움을얻어새로운프로세스를정의할수있지만새로도입된프로세스가조직전반에걸

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면서, 관리되는 내재화 작업이 힘들기 때문이다. 조직 내에 새로운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지속적으로실행되기위해서는체계적인접근방식이필요하다. 조직내의프로세스를자동화

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통한 가시성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자금과 인력측면에서

열세인중소기업들에게자동화도구의활용을통해품질과생산성을높이는노력이절실한시점이다.

이번공학수준조사에서도구의도입및활용역량에따라성과가어떻게달라지는지살펴보았다. 이를위해조

직및프로젝트의도구활용수준을진단할수있는기술(Technology)수준하위구성요소인시스템인프라의

수준점수의사분위수를기준으로상위그룹(상위 20%)과하위그룹(하위 20%)으로구분하고두그룹간의SW

공학수준, 공학성과및경 성과간의비교를수행했다. 공학도구활용을통한성과분석모형은아래와같다.

15

< 공학도구 활용성과 분석모형 >

SW공학수준향상

납기/비용성과향상

경성과향상

공학도구활용

생산성향상

품질향상

Page 1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16

도구활용수준별상위그룹과하위그룹간공학수준및성과의차이를비교했을때상위그룹이하위그룹

에비해35.2점, 납기초과율은30%, 비용초과율은 11.75%, 운 결함 도는0.165, 개발생산성은8.5점

높은것으로나타나고있다. 특히개별도구별로분석했을때보다SW공학수준및성과에서상대적으로

큰차이를보이고있어SW공학수준및성과의개선을위해개별도구의도입과동시에도구활용에대한

전반적이수준향상을위한노력을해야함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 상위그룹과 하위그룹간의 품질비용 구조를 분석했을 때 총 품질비용은 상위그룹과 하위그룹 각각

55.5%, 61.3%로하위그룹에비해상위그룹에서상대적으로낮은품질비용을나타냈다. 품질비용의하위

구성요소별로 봤을 때 순응비용으로 분류되는 예방비용과 평가비용의 경우 하위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나왔다. 이는도구도입으로인해초기에발생할수밖에없는비용과도구활용및역량강화를위한교

육활동에투입된비용으로인해상대적으로하위그룹에비해높게나온것으로분석된다. 반면에非순응비

용으로분류되는내부실패및외부실패비용의경우상위그룹이하위그룹에비해낮게나왔다. 이는도구활

용을통해결함도출및수정에투입되는재작업비용을상대적으로낮출수있다는것을나타내고있다.

< 도구활용과 프로젝트 성과 >

하위그룹 상위그룹

46.1

21.3

81.3

29.8

0.055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0.5

0.4

0.3

0.2

0.1

0

-0.1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0.22

-0.0315-0.0157

0.152

0.086

구분 하위그룹 상위그룹 차이

SW공학수준 46.1 81.3 35.2

납기초과율 15.2% -1.57% 30%

비용초과율 8.6% -3.15% 11.75%

운 결함 도 0.220 0.055 0.165

개발생산성 21.3 29.8 8.5

< 도구활용 수준별 품질비용 분석 >

예방 평가 내부실패 외부실패 총품질비용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4.0% 3.6%9.8% 8.8%

24.4%28.3%

17.4%20.6%

하위그룹상위그룹

55.5%61.3%

Page 1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숫자로보는국내SW공학수준

도구활용성과가기업의경 성과에도긍정적인 향을미치는지를도구활용수준상위그룹과하위그룹

간의비교를통해살펴보았다. 즉, 도구활용수준에따라SW공학수준, 납기/비용성과, 생산성및품질향

상이경 성과와관계를분석하 다. 개념적인분석모델은아래와같다.

분석한결과를살펴보면, 상위그룹이하위그룹에비해모든지표에서양호한상태를보이고있었다. 특

히성장성및활동성지표의경우수익성지표에비해상대적으로큰차이를보이고있어전반적인도구

활용수준향상을통해성장성및활동성지표를개선시킬수있음을간접적으로확인할수있었다.

도구활용및도구활용역량개선을통해SW공학수준향상및성과개선이가능하며, 프로젝트의품질비용

구조개선및조직의경 성과개선에기여할수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또한이러한도구를활용하여

SW개발프로젝트를관리하기위해서는해당도구들을활용하여품질을관리할수있는전담조직의역할

이중요하다. 왜냐하면도구를통해수립된프로세스를지속적으로확인하는독립적인품질조직이필수적

인요소이기때문이다. 실제로품질관련전담조직인품질인증이나테스팅조직이독립적으로존재하는조

직의프로젝트성과가품질관련조직을갖추지못한조직보다성과가좋은것으로나타나고있다.

17

< 품질보증 및 테스팅 조직 유무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

하위그룹 상위그룹

46.1

21.3

81.3

29.8

0.055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0.5

0.4

0.3

0.2

0.1

0

-0.1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0.22

-0.0315-0.0157

0.152

0.086

품질보증/ 품질보증/구분 테스팅 테스팅 차이

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69 51 18

납기초과율 26 23 3

비용초과율 0.011 0.068 0.057

운 결함 도 0.005 0.066 0.061

개발생산성 0.118 0.025 0.137

< 도구활용 수준(시스템인프라 수준점수) 별 경 성과 분석 >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 수익성지표

구분 매출액 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매출액 총자산 평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업이익률 순이익률 순이익률

상위그룹 4.6% 43.4% 42.5% 5.9% 4.3% 3.9% 17.4%

하위그룹 -23.0% -160.2% -78.9% -1.0% 0.7% -0.4% -43.8%

차이 27.6% 203.6% 121.5% 6.9% 3.6% 4.3% 61.2%

Page 1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미래를향한준비

국내SW개발프로젝트의현황을분석한SW공학백서는SW공학수준, SW프로젝트성과, SW프로젝트

품질비용에대해조사하고, 그분석결과를제공하고있다. 이번SW공학백서를통해국내SW프로젝트

의현황을파악하고분석해본결과, 다음과같은시사점을발견할수있었다.

첫째, SW공학수준조사결과 SW공학수준점수는 64.8점으로 2010년(59.9점)에비해 3.8% 향상되어

Average 수준으로분석되었다. SW공학수준의하위요소인프로세스, 인력, 기술등이매우불균형적이

며, 불완전한상태인것으로조사되었다. 특히, SW공학주요 역별로수준을분석해보면, 정량적관리

및프로세스 역이가장취약한것으로나타났다. 또한SW공학수준을향상시키기위해필수적으로수

반되는품질비용에대해서도예방비용과평가비용을효과적으로사용하지못해실패비용이많았던것으

로분석되었다.

둘째, 이번조사를통해도출한SW개발생산성25.4FP/MM는 ISBSG에서조사한31.69FP/MM (2008

년도)의 73.8% 수준이며, 절대적인비교는불가능하지만미국내 Best 5% 기업의생산성에비해서는

불과46.8% 정도이다. SW개발생산성에 향을미치는재사용률향상이나SW결함에의한재작업감소

활동을통한생산성향상이시급함을엿볼수있는결과이다.

셋째, 프로젝트성과부문은2009년에비해다소향상된것을살펴볼수있다. SW프로젝트성과와관련

해서는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비율은44.4%(142개프로젝트중63개프로젝트)에서 45.2%(166개 75

개)로 향상되었다. 납기를 준수한 프로젝트 비율은 66%(153개 프로젝트 중 101개 프로젝트)에서

70.2%(198개 프로젝트 중 139개)로 나타났으며, 비용과 납기를 모두 준수한 프로젝트의 비율은

31.25%(176개 프로젝트 중 55개 프로젝트)에서 31.3%(225개 중에서 70개)로 작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납기성과가높은이유는납기성과위주의프로젝트수행방식과프로세스수준

을포함한SW공학수준의차이로인해발생한것으로보인다.

마지막으로기업들이SW개발프로젝트를성공적으로수행하기위해SW공학을도입하고, 이를기반으

로SW공학수준을높이는노력이필요한지를점검하기위해SW공학수준과품질성과(결함 도), 비용

및납기성과와의관계를분석하 다. 분석결과SW공학수준이높으면생산성을포함한성과가좋은것

으로나타나고있다. 이는개별SW기업들이프로젝트의성과를높이기위해SW공학수준을높여야한

다는것을보여주었다.

SW공학 수준등급별(Advanced, Average, Absent)로 결함 도의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Advanced등

급은 0.059개/FP, Average등급은 0.174개/FP, Absent등급은 0.248개/FP로 나타나 SW공학수준이

높을수록 결함 도는 적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체 운 결함 도는2010년 0.17FP/MM에서 0.16

18

Page 2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FP/MM로 다소 줄어들었다. 또한 수준별 비용초과율은 0.074 (Absent), 0.006(Average),

0.000(Advanced)이고납기초과율은 0.096(Absent), 0.012(Average), 0.00(Advanced)로분석되었다.

납기와비용초과율은SW공학수준이높을수록적게나타나서성과가좋은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 SW공학수준을향상하기위해필수적으로수반되는품질비용에대해서도 SW프로젝트성과와의

관계분석을통해품질비용특히, 평가비용이성과에긍정적인 향을미쳤다는것을확인하 다. 이는

평가비용 항목인 동료검토, 고객검토, 감리, 테스팅 활동들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함을

보여주는것이다.

전반적으로국내SW 개발프로젝트의성과를높이기위해서는SW공학수준을높이는방안도하나의대안

이될수있음을보여주고있다. 하지만SW공학수준을단기간에높이는것으로힘든일이다. 비단해외의

사례를보지않더라도국내 SW공학수준점수가 1년동안 3.4점정도향상된것을통해간접적으로알수

있다. 특히대기업에비해운용할수있는자금과인력측면에서상대적으로열세인중소기업에서SW공학

수준을높이는것은더더욱힘든것은사실이다. 비록 SW공학수준을높이는작업이힘든작업이라고하

더라도SW공학수준향상을통한품질경쟁력을확보하는작업은獨궈촹이아니라필수사항이되고있다.

SW기업들이자신들의현황을객관적으로판단하고, 향후개선방향을설정하기위해서는관련데이터의

정략적인수집및분석이필수적인작업이다. 하지만현재국내SW산업의열악한현실을감안한다면데

이터에근거한정량적인SW프로젝트관리는아직요원한일처럼보이는것도사실이다. 어려운작업인

SW개발프로젝트의정량적관리를정착시키기위해서는SW를개발하는기업들에서이러한상황을인

식하고, 당장실현가능한측정지표부터설정하고, 이를체계적으로관리하려는노력이시급하게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SW공학센터는 기업이 SW 프로젝트를 정량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내재화

할수있도록관련정보를지속적으로제공하기위해노력을기울일것이다.

숫자로보는국내SW공학수준

19

Page 2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

■숫자로보는국내SW공학수준

< SW공학수준점수 변화 (2009~2012) >

2009년 2010년 2012년

60.4

2011년

70

60

50

40

30

20

10

0

56.5 56.6

SW공학수준점수Tech수준점수Process수준점수 People수준점수

51.7

63.8

59 59.955.8

68.1

59.762.4

57.5

68.7

63.264.861.1

< SW공학수준 등급 분포 (2009~2012) >

2009년 2010년 2012년

47%

2011년

60%

50%

40%

30%

20%

10%

0%

16%

Advanced(%)Absent(%) Average(%)

37%

56%

24%20%

36%

22%

42%

37%

25%

38%

< 프로세스 역별 수준점수 (2007~2012) >

2007년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59.3

51.4

Process ManagementSupportProject Management Engineering

71.0

64.4

2008년

62.063.0

76.072.9

2009년

60.865.4

78.0

71.0

2010년

65.768.4

77.576.5

2011년

70.372.8

82.981.0

2012년

72.7 72.8

84.280.8

< 프로세스 이행 및 내재화 (2007~2012) >

2007년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이행수준 내재화수준

59.963.3

59.3

70.0

63.6

70.1

75.873.0

78.878.179.678.8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Page 2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Executive Summary

21

< 국내 프로젝트 비용성과 (2002~2012) >

2002년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비용준수프로젝트비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64%

38%

50%

37%

56% 56%

35% 36%

44%45%

48%

< 국내 프로젝트 납기성과 (2002~2012) >

2002년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납기준수프로젝트비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86%

65%

79%

72% 72%69%

75%

68%66%

70%

0%

< 테스트 결함 도 (2009~2012) >

2009년 2010년 2012년

0.2

2011년

0.3

0.25

0.2

0.15

0.1

0.05

0

0.18

0.05

인수테스트시스템테스트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0.27

0.14

0.06

0.21

0.27

0.14

0.06

0.21

0.26

0.12

0.06

0.19

0.16

< 운 결함 도 (2009~2012) >

2009년 2010년 2012년

0.24

0.170.16

0.15

2011년

0.3

0.25

0.2

0.15

0.1

0.05

0

평균운 결함 도

Page 2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SW공학백서의발간을축하하며 ........................................................................... 2

국가 SW산업전반의품질경쟁력강화를기원하며 ............................................. 3

Executive Summary ........................................................................................... 4

1편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 25

1.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 26

1.1 SW산업의실적및전망 .......................................................................................... 26

1.2 SW산업경쟁력분석................................................................................................ 29

1.3 SW경쟁력과 SW공학............................................................................................... 30

2. SW공학개요 .................................................................................................................. 32

2.1 SW공학의정의 ........................................................................................................ 32

2.2 SW공학의지식체계 ................................................................................................ 33

2.3 SW공학의변천사및미래전망 ............................................................................ 40

3. SW공학현황 .................................................................................................................. 61

3.1 기술적측면 .............................................................................................................. 61

3.2 조직 및인력측면 ................................................................................................... 74

3.3 정책적측면 ............................................................................................................. 75

[대책1] 산업업현장 착형 SW품질역량강화지원 ................................................... 90

2편 조사개요및현황분석 ............................................................................................. 97

4. 조사 개요 ........................................................................................................................ 98

4.1 조사 목적 ................................................................................................................. 98

4.2 조사 내용 ................................................................................................................. 98

4.3 조사 분석방법 ...................................................................................................... 110

5. 참여 기업및프로젝트의특성 .................................................................................... 116

5.1 SW 개발및품질인력현황 ................................................................................. 116

5.2 참여기업현황 ........................................................................................................ 118

5.3 대상 프로젝트특성 ............................................................................................... 124

6. SW공학수준 .................................................................................................................. 131

6.1 하위 구성요소별수준 ............................................................................................ 137

SW공학백서 2013

Contents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Page 2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SW공학백서 2013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6.2 향요소별수준 .................................................................................................... 144

6.3 SW공학 역별수준 ............................................................................................ 148

6.4 공급자유형별수준 ............................................................................................... 152

7. SW개발생산성 ............................................................................................................. 162

7.1 산출방법및현황 ................................................................................................... 162

7.2 프로젝트유형별 SW개발생산성 ........................................................................ 166

8. SW품질과품질비용 ..................................................................................................... 168

8.1 SW품질수준 ......................................................................................................... 168

8.2 SW품질비용 ......................................................................................................... 169

3편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 175

9. SW개발프로젝트성과 ................................................................................................ 176

9.1 비용준수율 .............................................................................................................. 177

9.2 납기 준수율 ........................................................................................................... 180

9.3 비용 및납기준수율 .............................................................................................. 183

10. 비용, 납기, 품질 분석 ................................................................................................ 184

10.1 SW공학수준과의관계 ......................................................................................... 185

10.2 SW개발생산성과의관계 ................................................................................... 195

10.3 변화인식수준과성과와의관계 ........................................................................ 200

11. 결함 도분석 ............................................................................................................. 203

11.1 결함식별단계분석 ............................................................................................... 203

11.2 비용절감효과분석 .............................................................................................. 206

11.3 결함제거율과성과분석 ....................................................................................... 208

12. SW공학수준과경 성과 ............................................................................................ 215

12.1 분석개요 ................................................................................................................ 215

12.2 SW공학수준점수와경 성과의관계 ............................................................... 216

12.3 SW공학수준향상율과경 성과의관계 ............................................................ 217

13. 도구 활용과성과분석 ................................................................................................ 218

13.1 분석개요 ................................................................................................................ 218

13.2 도구 활용별분석 ................................................................................................. 219

13.3 도구 활용수준별분석 ....................................................................................... 223

13.4 품질 관련조직의유무에따른성과분석 ............................................................ 225

부 록 ..................................................................................................................................... 227

Contents

Page 2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 a t i o n a l I T I n d u s t r y P r o m o t i o n A g e n c y

Page 2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

1.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2. SW공학개요

3. SW공학현황

SW공학백서 2013

Page 2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6

1.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1. SW산업의 실적 및 전망

IMF의 2012년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유럽 재정위기, 미국 경기 회복 지연, 신흥국가의 성장률 하락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12년에도 지속되고, 세계 경제성장률은 4.0%,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4.4%수준으로전망되었다. 2013년도국내외경제상황과관련된전반적인시장리스크가지속?에따라

투자와주요시장수요확대에다소간변화가예상되지만세계시장은4.9%, 국내시장은4.7% 성장할것

으로예측되고있다.

2012년 국내 SW생산 및 수출은 모발일 클라우드 서비스 확장, 소셜네트워크 사업의 확대와 범정부적

클라우드활성화정책의적극적인추진, 기업들의국제회계기준적용함에따라SW기업들의생산실적이

상승했다. 패키지SW 분야는기업정보 보호법발효와보안침해사고의증가로새로운정보기술에대한

범정부적보안대책추진과정보보안의중요성증가로인해보안SW를중심으로성장하고있다. 2012년

10월까지국내 IT 생산액은275조원규모이고, 전체 IT 생산액중에서7%에해당하는SW 부분은22조

45억원인것으로나타났다. 전체SW 생산액중에서패키지SW가3조3천억, IT 서비스가21조 1천억으

로분석되었다.

1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세계 SW 시장 전망 국내 SW 시장 전망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9,201.3 9,014.8 9,807.210,733.4 11,305.5

(단위 : 억 달러)6.0%

4.1% 4.5% 4.3%4.9% 5.3% 5.4%

세계 SW시장 규모 성장률

10,229.8

11,917.3

9,388.0

-2.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84.194.4

103.1108.4

(단위 : 억 달러)12.8%

6.0% 5.9%4.2% 4.7% 5.2%

4.4%

국내 SW시장 규모 성장률

98.4

113.2

89.1

-1.5%

85.4

* 자료 : IDC, 2012.11.

Page 2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7

2013년 IT 산업전망은스마트, 모바일, 클라우드의확산에따른개방형 IT 생태계구축확산, 창조적인

신기술출현등으로시장확대가기대되지만, 지능화된사이버보안위협, 공격적인특성분쟁리스크등

‘기회와위기’가상존할것으로분석되고있다. 2013년국내 IT 산업의생산액은 2012년대비 3.7% 증

가한344조원의생산을기록할것으로전망되고있다.

2012년SW 수출실적은전체적으로연말까지20억달러를넘는수준으로예측되고있다. '13년 SW수출

은지속적인패키지SW 수요증가와국내 IT서비스업체수출다변화로지속적인성장을기록할것으로

전망된다. 특히패키지SW는일본의보안SW 수요가지속적으로확대됨에따라일본시장을중심으로미

국등해외시장개척을통한수출증가와산업특화SW 솔루션으로수출이확대될것으로예상된다. 실제

로해외수출실적을올리기위해, 안랩, 시큐아이닷컴, 지란지교소프트, 파수닷컴등주요보안업체들이

해외매출확대를위해막바지치열한 업활동을전개중인것으로파악되고있다. 이들업체들이호소

하는 공통적인 어려움은 판로개척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해외진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것으로요청하고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2012년

구 분2011년

10월 당월 10월 누적

금액 증가율 비중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IT전체 3,298,299 2.4 100.0 287,601 4.0 2,759,761 0.7 100.0

SW 291,550 7.1 8.8 24,588 5.3 244,588 6.6 8.9

패키지SW 37,463 0.9 1.1 3,290 10.4 33,300 11.8 1.2

IT서비스 254,086 8.0 7.7 21,298 4.6 211,288 5.8 7.7

< SW의 생산 실적 분석 >

* KEA 2012.12

구분 11.10 11 12 12.1 2 3 4 5 6 7 8 9 10

SW127,7 134,5 173,2 97,4 101,5 122,2 147,8 197,5 184,6 173,7 198,9 215,0 215,9

(△11,8) (25,9) (4,9) (3,2) (10,9) (1,8) (35,4) (82,0) (54,9) (62,7) (62,7) (76,3) (69,1)

패키지SW27,3 33,7 39,8 20,2 21,8 25,8 26,5 45,6 66,2 75,7 84,0 95,1 111,5

(35,1) (85,3) (△36,4) (△4,9) (14,1) (△10,4) (28,6) (102,2) (90,6) (192,9) (229,2) (212,2) (307,7)

IT서비스100,3 100,7 133,3 77,1 79,6 96,4 121,3 151,9 118,4 98,0 114,9 119,9 104,5

(△19,4) (13,6) (30,1) (5,6) (10,10) (5,6) (36,9) (76,7) (40,2) (21,2) (23,8) (31,0) (4,1)

< SW의 수출 실적 분석 >(단위 : 백만달러, () : 전년 동월대비 %)

(단위 : 억원, %)

Page 2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8

하지만국내 SW산업은 세한규모로인해고급인력과기술을확보하는데어려움을겪고있다. 이로

인해국내기업이경쟁력을확보하지못해 로벌기업들이국내시장을장악하게되었고, 이는국내기업

들의퇴출로이어지는생태계의악순환에빠져있는상태다. 실제로국내패키지SW 시장은MS, 오라클

등 로벌대기업들이국내시장을장악하고있으며, 국내기업들은외국 로벌기업들과의경쟁을피

할수있는공공시장에의존해왔지만이시장에서도과당경쟁및저가경쟁으로수익을남기지못하고

있다. 이러한수익악화는결국다시SW기업의우수인력이탈과기술경쟁력취약으로이어지는악순환

이계속되풀이되고있는것이다.

이제까지국내의산업성장은자동차, 조선, 등세계최고수준의제조업과휴대폰, 반도체, 가전등정보

통신산업을중심으로성장해왔다. 하지만기존의우리나라가강점을보이고있는제조업분야에서도중

국등후발공업국과의경쟁이치열해지고있어 SW분야의경쟁력이확보되지않는다면우리주력산업

의경쟁력도지켜내기어려운위기를맞이할수있다.

국내도최근에는제조업을비롯한건설, 서비스업에도 IT융합에의한디지털컨버전스가가속화되고있다

는 사실이다. 이런 융합화 추세는 SW산업 전략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런 변화는 타 산업과

IT, HW와 SW 역간결합을통한시너지효과를극대화하는방향으로추진되고있다. 국내의대기업들

도지난해부터 SW 경쟁력강화를위해인수합병(M&A) 등 다양한방법을강구하고있고, 미래준비경

차원에서 SW 역량을키우는데집중하고있다. 삼성전자의경우 SW 및특허대응강화와각사업부로흩

어진 SW관련 인력을 전담하는 별도의 S직군 신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LG전자도 SW경쟁력강화 조직인

“1등 SW 위원회”신설해서각사업부별로나눠져있던 SW 개발팀을연결해서 SW부문의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고, SW 명장제도를마련하여기업내SW 아키텍터를양성하고있다. NHN의경우는2013년부터

향후10년간1000억을투자하여SW 아카데미를개설하여SW 전문인력을양성할계획이다.

이러한기업들의노력은SW 경쟁력이없으면향후치열한경쟁시장에서살아남을수없다는인식이밑

바탕에깔려있다. 이와더불어향후5년이가장중요한시기로정보기술(IT)업계지도를새로그려야하

며, 이때가장중요한것은HW와 SW간의통합역량이며, 이를위해 SW의경쟁력을강화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이런SW 경쟁력강화의일환으로자신들이필요한SW 인력을자체적으로양성하려는움

직임을보이고있다.

한편, 정부에서도국내 IT 산업의경쟁력강화를위해건전한 SW 생태계조성과창의적인SW 융합인

재양성을지원하는프로그램을만들고, 국내 SW기업들이해외시장에진출할수있도록수출지원과국

제협력프로그램을강화하려는노력을기울이고있다. 이런 정부와민간기업의공동노력을통해국내

SW 산업의경쟁력을확보화고, HW와 SW가동반성장하며, 대기업과중소기업이함께발전할수있는

상생의기회를마련할수있을것으로보인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Page 3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9

1.2. SW산업 경쟁력 분석

2010년도의 SW산업은 로벌침체이후에도계속적인성장세를유지했지만, 분야별로보면희비가엇

갈렸다. 임베디드SW 분야는최근IT융합추세속에서생산액이크게증가하 으며, IT서비스분야는해

외수주실적이급증하면서생산액이증가한반면, 패키지SW 분야는국내기업에게여러가지악재가겹

치면서다소부진한경향을보 다.

국내SW시장의성장에도불구하고, SW시장은여전히 IT서비스중심으로재편되어있고, 패키지SW의경

우, 해외제품에대한의존도가높아 로벌SW기업들과경쟁할수있는국산패키지SW가거의존재하지

않는실정이다. 이는대기업을제외한국내대부분의SW기업들의 로벌시장에대한경쟁력과경험부족,

각종솔루션및기반이되는플랫폼에대한기술경쟁력과R&D 투자가부족하기때문인것으로보인다.

현재우리나라는세계와비교해봤을때, IT 산업에서SW가차지하는비중이현저히낮은편이다. 실제

로세계 IT시장에서SW의비중은약28%정도이지만국내의경우SW의비중은평균7.5%에불과하다.

또한, SW R&D 투자규모총3.2조원(2009년)으로MS 9.9조원의1/3수준이고, IBM 6.4조원의1/2수준

이다. 이는국내SW산업의R&D 투자규모가절대적으로작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이렇듯전세계적으로 IT융합추세에따라 SW의중요성이부각되고있지만, 정부와기업의R&D 투자

규모가작아기술및품질수준에서중국등개발도상국과의격차가줄어들고있다. 여러가지문제점들

이 지적되고 있으나, SW분야별로 살펴보면 임베디드SW의 수출이 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수입

SW를재수출하는형태이고, IT서비스의경우계열사간내부거래시장, 또는 1.6조원인공공SW시장에

의존하고있으며, 패키지SW의경우는 로벌제품의국내시장선점(전체시장의 75%)으로인해후발

주자의한계를드러내고있다.

이에정부에서는지식경제부를핵심으로범부처적SW산업육성방안을골자로한 'SW강국도약전략'을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강점 (Strength)

- 고난도대형시스템구축성공경험보유- 풍부한잠재 SW 인력보유- 세계적인수준의 IT 인프라보유

약점 (Weakness)

- 로벌 시장에대한경쟁력및경험부족- 솔루션, 플랫폼부재등SW기업의기술경쟁력부족- 정부와기업의 R&D 투자규모미흡

< SW산업의 SWOT분석 >

기회 (Opportunity)

- 정부의 SW산업발전의지- IT융합으로인해 SW중요성부각- 주력산업의고부가가치화에대한수요증대

위협 (Threats)

- 중국 등후발경쟁국과급격히줄어든기술격차- 고급 SW인력의전·이직등에의한이탈심화- IT융합에따라 SW품질의중요성대두

Page 3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0

발표하 다. 정부는▲SW생태계재편▲SW융합수요창출▲SW인재양성▲SW기술역량제고등 4대

핵심전략과12개정책과제를통해범정부차원에서차질없는SW 경쟁력강화정책을추진키로하 다.

특히, 블루오션으로각광받고있지만낮은국산화율을보인임베디드SW 활성화를위해제조업체와시

스템반도체업체, 임베디드SW 업체간연계를강화하고, 교통카드시스템과같은 SW와서비스간융

합을위한각종공공정보개방을추진해민간부문의신규융합서비스창출기회를넓혀나가기로하 다.

또한, SW산업관련인재양성을위해SW융합전문가의전문연수교육을추진하는한편SW융합채용연

수사업을마련해실제기업에서업무에바로투입이가능한고급인력도집중육성하기로하 다. 기술

강화를위해서는정부의SW연구개발(R&D) 투자를2013년까지현행보다두배이상늘린6,700억원으

로확대하고HW분야개발비용의10%를SW에서활용해나갈계획이다.

1.3. SW경쟁력과 SW공학

전세계적으로IT융합이가속화되고이에따른SW와SW품질의중요성이크게부각되고있다는사실은

아직국내SW기업들이 로벌품질경쟁력을갖추고있지못한상황에서는우리에게큰위기가될수도

있다. 하지만정부와민간의계속적인R&D 투자를바탕으로SW기술력과품질경쟁력을확보한다면우

리가우위를점하고있는주력산업을바탕으로‘T융합의신화’만들어낼수도있다.

여기서무엇보다중요한것은IT융합제품의품질경쟁력이다. 특히, SW에의해제어되는자동차나항공

기, 그리고중요한데이터를처리하는정보시스템의경우에는 SW제품에대한신뢰도가높아야한다.

작은오류나이상현상이치명적인결과를불러올수도있기때문이다. 이렇듯기존HW에서SW가수행

하는역할과범위가확대됨에따라SW의규모나복잡성은증대되고있으며, 이와더불어SW의신뢰성

및정 성등과같은SW의품질요구사항도늘어나고있다. 하지만SW크기의증가, SW기능의다양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관계 등과 같은 SW 운 환경의 변화로 인해 SW개발은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SW품질에대한우려도증가하고있다. 특히, SW는물리적인형태가없기때문에 SW개발과정에대해

정확하게이해하기가어렵고, 개발진행상황을파악하기도어렵다. 이로인해오류를발견해야할시기

를놓치거나오류에대한해결책을못찾는경우가빈번하게발생하고있다.

따라서SW개발에서부터유지보수에이르기까지전과정에걸쳐예상되는어려움을해결하기위해서는

체계적인관리와효율적인업무수행을지원해주는기술, 기법등의 SW공학기술적용은성공적인 SW

개발의필수적인요소이다. SW개발과정이효율적이라는것은비용과기간에대한예측이정확하고, 개

발에필요한도구및방법론과그의실행이숙달되어어떤과제가주어지든예측된비용으로정해진기

간내에좋은품질의SW를생산하는것을말한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Page 3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1

SW공학은HW의빠른발전으로인해발생한SW의수요와공급의차이를줄여보려는노력의산물이다.

주어진비용과자원을활용하여품질좋은SW를제한된기간내에생산할수있도록지원하는것이SW

공학의주된목적이다. 양적인측면에서는대규모의SW가요청되고, 질적인측면에서는SW의복잡도,

다양성이 증가될 것이기 때문에 SW프로젝트들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납기지연, 비용초과

등의문제와더불어최종적으로는 SW제품의품질저하로인해막대한피해가발생할수있다. 따라서

SW개발에서부터유지·보수및폐기에이르기까지SW개발및운용과정전체에걸쳐체계적인관리를

위한방법론으로서SW공학이중요하게되었다.

험프리는 SW가소수의탁월한능력을가진프로그래머에의해만들어지는것이불가능할정도로규모

가커짐에따라, SW개발프로젝트의성패는조직의 SW공학숙달정도에크게좌우된다 [Humphrey,

1989]고했다. 즉, SW규모가커질수록프로그래밍자체보다는SW를개발하는과정과계획, 및개발에

사용된도구들이SW개발의생산성과품질에큰 향을미친다는의미이다. 또한여러사람이협력하여

SW를개발하는경우프로젝트관리와개발경험이중요하기때문에SW공학은프로그램의설계나구현

방법에대한이론뿐아니라실제 SW 개발프로젝트의계획과실행에대한훈련이병행되어야하는것

이다.3)

SW공학기술을적용하여품질향상, 납기와비용준수율향상과같은성과를얻기위해서는SW공학기술

및적용절차에관한적절한훈련과노력이수반되어야하고, 이는항상비용지출로이어진다. 이러한비

용을 품질비용이라 하며, 보통 예방비용(Prevention Cost), 평가비용(Appraisal Cost), 그리고 실패비

용(Failure Cost) 크게3가지범주로구분한다. 원하는품질수준을확보하기위해어느정도비용을지출

할지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은 어려운 문제이다. 왜냐하면 원하는 SW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품질비용을

무한정늘릴수도없고, 무작정늘리다고해서계속성과가나온다고단정할수없기때문이다.

품질비용의효과를객관적으로살펴보기위해서는품질비용에대한올바른평가가이루어져야한다. 품

질에대한통제가감소하면결함발생위험이증가하고, 이는품질의문제로인해기업의손실로이어지

게된다. 기업들이품질비용을품질결여로인한손실비용을초과해서투자하는것은무의미하다. 왜냐하

면 SW품질과 비용은 적정수준으로 조절해야 하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관계가 있으며, 과도한

품질비용의투입은해당기업에게보다큰손실로이어지기때문이다.

따라서SW공학을적용하여효율적인성과를내기위해서는현재자신들이가지고있는역량에대한객

관적인평가와현재투입되고있는품질비용에대한평가가적절하게조화를이루어야한다. 즉, SW기

업들은자신들의취약한분야를식별하고, 해당분야에투입되고있는품질비용이적절한지를동시에고

려하여야한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3) 최은만, SW공학, 정익사

Page 3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2

2. SW공학개요

SW산업은SW산업자체로서뿐만아니라타산업의경쟁력을위한기반이되는국가적으로중요한전

략산업이다. SW산업내에서생성되는 SW들은미래로갈수록더욱그규모가커지고복잡도가증가할

것으로예측하고있다. 이는향후 SW가전체산업내에서담당해야하는역할과기능이확대될것이라

는것을의미하며, 동시에SW자체의복잡성과정 성이더욱중요해질것이라는것을의미한다.

양적인 측면에서는 대규모의 SW가 요청되고, 또한 질적인 측면에서도 SW의 복잡도가 증가될 것이기

때문에SW프로젝트들이체계적으로관리되지않을경우납기지연, 비용초과, 품질저하등의문제가발

생할수있다. 따라서SW개발에서부터유지·보수및폐기에이르기까지SW개발및운용과정전체에

걸쳐체계적인관리를위한방법론으로서SW공학이중요하게되었다.

2.1. SW공학의 정의

2009년도SW공학백서에서이미SW공학에대해정책적정의를내렸으며, SW공학을“SW산업을발전

시키는여러동인들을구조화시키고정립하여보다발전적인방향으로향상시킬수있도록지원하는것

으로SW공학기술, 인력, 관리체계등SW산업을구성하는요소를목적에따라유기적인체계로구성하

는활동을의미4)”하며, SW를개발하기위한전체생명주기에대한체계적이고정량적인접근방법5)”으

로정의한바있다.

2011년도 SW공학백서에서다루는 SW공학주요 역은 SWEBOK (Software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 2004)에서정의한 10개의지식 역을참조하여정의하 다. SWEBOK에서의 10개 역

들을살펴보면개발부문에서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5개의 역과관리부문에서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 5개 역을정의하고있으며, 본백서에서는개

발부문에서정의된SW유지보수를삭제하고, 관리부문에서정량적관리를추가하여SW공학 역을아

래와같이정의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4) 「SW산업발전을위한SW공학정책로드맵(舊 SW진흥원, 2007)」에따른 SW공학의정의

5) 「IEEE 610, Standard Glossary of Software Engineering Terminology」에따른 SW공학의정의

Page 3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3

2.2. SW공학의 지식체계

이번장에소개할 SW공학의지식체계는 SW공학센터에서추진한“SW공학표준커리큘럼개발6)”사업

의내용으로앞서정의한SW공학의주요 과상이하다는점을미리밝혀둔다. 이는앞서정의한SW

공학의주요 역은SW유지보수 역을제외하고정량적관리 역을추가하는등각 역별수준측정

이가능한 역을중심으로선정하 기때문이다.

SW공학은기술의발전, 한계를극복하기위한새로운접근법의시도등이활발하게일어나고있는분야

로타분야에비해지식으로다루어야할대상들의변화가빈번히발생하는분야이다. SW공학에포함되

는지식의범위가방대하기때문에SW공학범주에해당하는일부범주를기반으로타범위를하위에포

함하여이해하고자하는학문적, 기술적접근이존재하기도한다. 예를들면SW공학지식 역에해당하

는프로젝트관리분야를중심으로타지식 역까지를포함하는학문적접근, 교육이존재하고, 품질관

리를기준으로설계와구현에대한접근들이이루어지고있다.

또한, 현재 SW공학은범위가넓어SW공학전분야에서전문가수준에도달하는것이쉽지않아SW공

학일부범주에해당하는전문가만이육성되고있는실정이다. 그래서SW공학 역전체에대해수준높

은이해와전문성을필요로하는경우어느특정분야를중심으로전체를이해하려고하여타분야에대

한이해가왜곡되거나소홀히다루어지고누락되는경우가발생하기도한다.

SW공학지식체계는위와같이SW공학의특정분야를우선해이해하는일반적인접근법들이소홀히할

수도있는타분야에대한누락없이 SW 공학 역전체를이해하는수단을제공하는것을목적으로개

발하게 되었다. SW공학 지식체계를 개발하는데 있어 참조한 해외 지식체계로는 SW공학 분야 전반에

걸친지식들을정리해놓은 SWEBOK(Software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7)과 SW개발과정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6) SW공학표준커리큘럼에대한개략적인소개는부록참조

7) SWEBOK(Software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은 IEEE 산하의 SW공학표준위원회와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이 2004년 발표한 SW공학분야전체에걸친지식체계임.

개발부문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관리부문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 SW공학의 주요 역 >

Page 3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4

을관리하는데필요한지식을정리해놓은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8)을주

로활용하 다.

SWEBOK의지식 역중“SW공학도구와방법” 역은학계및업계의전문가들이협의한결과독립된지

식 역으로구분하기보다는관련도구와방법이주로활용되는다른지식 역의하부주제로포함시키는

것이향후사용자의이해와활용의편의성을높일수있을것이라고판단하여지식 역에서제외하 다.

그 결과, SW공학의 지식체계는 ①SW요구분석, ②SW설계, ③SW구현, ④SW테스트, ⑤SW유지보수/

진화, ⑥SW형상관리, ⑦SW프로젝트관리, ⑧SW프로세스, ⑨SW품질의9개지식 역으로분류하 으

며, 각 역별로단위주제와세부항목을추가하여지식체계를상세화하 다. (자세한사항은부록참고)

2.2.1. SW요구분석

SW 개발에있어서가장어려운부분은무엇을개발할것인가를정확히결정하는것이다. 이러한SW요

구분석은SW개발의실제적인첫단계로사용자의요구에대하여이해하는단계라할수있다. SW요구

분석단계는전체개발과정에서개발비용을감소시킬수있는결정적인단계로, 초기에요구사항을잘

분석하여, 정의하고관리하기위해투자한다면전체SW개발기간과비용의초과, 품질저하를미연에방

지할수있다.

이러한 SW요구분석에대한지식체계는①SW요구분석및요구공학개념, ②요구사항정의계획, ③요

구사항 추출, ④요구사항 분석, ⑤요구사항 명세, ⑥요구사항 검증, ⑦요구사항 관리, ⑧요구사항 분석

관련기법으로구성된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8)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은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지식, 기술, 도구, 기법의 응용을 다루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표준(IEEE, ANSI)임. PMBPK Guide는프로젝트수명주기, 5가지프로세스그룹, 그리고 9가지프로젝트관리의지식 역으로구성됨

지식 역 단위 주제

1.1 SW 요구분석및요구공학개념

1.2 요구사항정의계획

1.3 요구사항추출

SW 요구분석1.4 요구사항분석

1.5 요구사항명세

1.6 요구사항검증

1.7 요구사항관리

1.8 요구사항분석관련기법

Page 3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5

2.2.2. SW설계

무엇을개발할것인가를결정하는SW요구분석단계가지나면SW의내부구조를설계하고자료구조를

설계해야한다. SW 요구분석과정을개념적인단계라한다면, 설계과정은물리적실현의첫단계이다.

시스템설계는서브시스템들로이루어지는시스템구조를결정하고, 서브시스템들을HW나SW 등의구

성요소에게할당하게된다. 설계는품질에직접적인 향을미치며, 설계가제대로되지않으면안정감

있는시스템이만들어지지않는다. 이렇게만들어진안정감없는시스템은유지보수도어렵다.

이러한 SW설계를 위한 지식체계는 ①SW설계 기본개념, ②SW구조 및 아키텍처, ③SW상세 설계, ④

SW설계문서화, ⑤SW설계검증, ⑥SW설계도구, ⑦아키텍처설계기법, ⑧SW상세설계기법, ⑨SW설

계적용기술, ⑩SW설계기타로구성된다.

2.2.3. SW구현

SW구현단계의목표는설계명세를기반으로요구사항을만족할수있도록프로그래밍하는것이다. 프

로그램은상세설계나사용자지침서에기술된것과일치하도록코딩하여야한다. 구현단계에서가장중

요한작업중하나는코딩표준을정하고, 이를기반으로정확하고명확하게코드를작성하는것이다.

이러한 SW구현을 위한 지식체계는 ①SW구현 기본개념, ②SW구현 맵핑, ③SW코딩, ④SW리팩토링,

⑤SW구현검증, ⑥SW구현개발언어, ⑦SW구현맵핑기법, ⑧SW코드작성기법, ⑨SW리팩토링기법,

⑩SW구현참조기술⑪SW구현기타로구성된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지식 역 단위 주제

2.1 SW 설계기본개념

2.2 SW 구조및아키텍처

2.3 SW 상세설계

2.4 SW 설계문서화

SW설계2.5 SW 설계검증

2.6 SW 설계도구

2.7 아키텍처설계기법

2.8 SW 상세설계기법

2.9 SW 설계적용기술

2.10 SW 설계기타

Page 3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6

2.2.4. SW테스트

SW테스트란“시스템이정해진요구를만족하는지, 예상과실제결과가어떤차이를보이는지에대해수

동또는자동화된방법을동원하여검사하고, 평가하는일련의과정”을의미한다.[IEEE, 1993] SW테스

트는 SW품질보증을위한마지막단계로 SW의품질을확보하기위해결함을찾아내는일련의작업이

다. 여기에는개발한SW의품질에대한평가와품질향상을위한수정작업등이포함된다.

이러한 SW테스트의 지식체계는 ①SW테스트 기본개념, ②SW테스트 프로세스, ③SW테스트 관련 기

법, ④SW테스트관련도구로구성된다.

2.2.5. SW유지보수 / 진화

SW는다른시스템과는달리개발하는동안또는개발후에도많은변경을필요로한다. 사용자의요구사

항이계속변하며, SW를개발하는엔지니어도기술적인면에서변경을필요로하기때문이다. SW는이런

계속적인변경을수용할수있도록만들어져야한다. 이렇듯 SW유지보수/진화는고객에게 SW가인도되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지식 역 단위 주제

3.1 SW 구현기본개념

3.2 SW 구현맵핑

3.3 SW 코딩

3.4 SW 리팩토링

3.5 SW 구현검증

SW 구현 3.6 SW 구현개발언어

3.7 SW 구현맵핑기법

3.8 SW 코드작성기법

3.9 SW 리팩토링기법

3.10 SW 구현참조기술

3.11 SW 구현기타

지식 역 단위 주제

4.1 SW 테스트기본개념

SW 테스트4.2 SW 테스트프로세스

4.3 SW 테스트관련기법

4.4 SW 테스트관련도구

Page 3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7

어사용되는과정에서발생하는여러변경사항에대해적응하는활동이며, 변화에대비하는과정이다.

변경사항에적응하기위한활동인SW유지보수/진화에대한지식체계는①SW유지보수/진화기본개념,

②SW유지보수표준프로세스, ③SW유지보수/진화기법, ④SW유지보수/진화관련이슈로구성된다.

2.2.6. SW형상관리

SW를개발하거나유지보수하는과정에서변경을통제하는절차는SW개발과정의산출물들을관리하

고, 고품질의SW를얻기위해매우중요하다. SW형상관리는SW의개발및유지보수과정에서발생하

는각종산출물(문서, 프로그램등)에대한계획, 개발, 운용등을종합하여시스템의형상을만들고, 이

에대한변경을체계적으로관리·제어하기위한활동이다. SW 유지보수/진화가고객에게인도된이후

의변경관리임에비해형상관리활동은SW 수명주기전체, 즉인도이전의변경관리와인도이후의변

경관리를모두포함한다.

이러한 SW형상관리를위한지식체계는①SW형상관리개요, ②SW형상관리계획, ③SW형상식별, ④

SW형상통제, ⑤SW형상상태기록및보고, ⑥SW형상감사, ⑦SW배포관리와인도로구성된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지식 역 단위 주제

5.1 SW 유지보수 / 진화기본개념

SW 유지보수 / 진화5.2 SW 유지보수표준프로세스

5.3 SW 유지보수 / 진화기법

5.4 SW 유지보수 / 진화 관련이슈

지식 역 단위 주제

6.1 SW 형상관리개요

6.2 SW 형상관리계획

6.3 SW 형상식별

SW 형상관리 6.4 SW 형상통제

6.5 SW 형상상태기록및보고

6.6 SW 형상감사

6.7 SW 배포관리와인도

Page 3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8

2.2.7. SW프로젝트 관리

SW프로젝트관리는프로젝트의요구사항을충족시키기위한활동들에지식, 기술, 도구및기법을적용

하는것으로초기화, 계획, 수행, 감시및통제, 종료하는프로젝트의관리프로세스의적용및통합에의

해수행된다. [PMBOK, 2004] 일반적으로프로젝트관리자의역할은①요구사항식별②명확하고달성

가능한목표수립③적정한품질및작업범위를정하고, 일정및비용을예측하여자원에대한균형유

지④다양한이해관계자의서로다른요구나기대에대한명세서, 계획, 접근법의조화를포함하고있

다.9)

SW프로젝트관리는①SW프로젝트관리기본개념, ②프로젝트착수, ③프로젝트계획, ④프로젝트실

행, 모니터링및통제, ⑤성과검토및평가, ⑥프로젝트종료, ⑦프로젝트관리관련기법으로구성된다.

2.2.8.SW공학 프로세스

프로세스란주어진목적을위해수행되는일련의절차를의미한다. 절차가주어진일을해결하기위한

단순한일의순서라면, 프로세스는그순서가완전히정해진상태를의미한다. 주어진일을해결하는데

사용되는프로세스만알고있다면누구나그일을순서대로해결할수있게되는것이다.10)

현재많은조직에서SW품질을향상시키고이를일관성있게유지하기위해SW개발에효과적인프로세

스를도입하고개선하기위해노력하고있다. 이러한프로세스의개선노력은단순히특정방법이나도

구들을채택하거나혹은다른곳에서이용되는프로세스모델을그대로사용하는것을의미하지는않는

다. 동일한유형의 SW를개발하는조직들이라할지라도그조직만의지역적인요인과절차, 그리고표

준이항상존재하기때문이다. 다른조직에서사용된프로세스를단순히변경하여사용하는시도는프로

세스개선에결코도움이될수없다. 프로세스개선은측정과분석, 분석을통한변경이라는순환적인

활동을지속적으로해야하기때문이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9) 고석하, 홍정유, “SW 프로젝트관리”, 생능출판사

10) 한혁수, “SW공학의소개”, 홍릉출판사

지식 역 단위 주제

7.1 SW 프로젝트관리기본개념

7.2 프로젝트착수

7.3 프로젝트계획

SW 프로젝트관리 7.4 프로젝트실행, 모니터링및통제

7.5 성과 검토및평가

7.6 프로젝트종료

7.7 프로젝트관리관련기법

Page 4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9

SW공학프로세스는①SW공학프로세스개념, ②SW프로세스구현및변경관리, ③SW프로세스정의,

④SW프로세스평가, ⑤SW프로세스와제품측정, ⑥SW공학프로세스기법및도구로구성된다.

2.2.9. SW품질

SW품질은 주어진 요구사항을만족시킬 수 있는 SW속성의 정도라고 정의[IEEE]할 수 있으며, 명시적

또는 묵시적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SW제품이나 서비스의 능력과 관련된 특성 전체로도 정의

[ISO8402]할수있다.

SW제품평가에관한국제표준인 ISO/IEC 9126에서정의하고있는품질특성은기능성, 신뢰성, 사용

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이다. 하지만 SW의종류가다양하고사용목적이상이하기때문에 SW

품질특성을보편적이고, 일관성있게분류하기는힘들다. SW품질에대한표준중에서필요에따라품

질특성중적절한것을선택하여사용하여야한다.

SW품질은①SW품질관리기본개념, ②SW품질관리프로세스, ③SW품질관리기법, ④SW품질관리관

련이슈로구성된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지식 역 단위 주제

8.1 SW공학프로세스개념

8.2 SW 프로세스구현및변경관리

SW 공학프로세스8.3 SW 프로세스정의

8.4 SW 프로세스평가

8.5 SW 프로세스와제품측정

8.6 SW 공학프로세스기법및도구

지식 역 단위 주제

9.1 SW 품질관리기본개념

SW 품질9.2 SW 품질관리프로세스

9.3 SW 품질관리기법

9.4 SW 품질관리관련이슈

Page 4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0

2.3. SW공학의 변천사 및 미래 전망

이번장은Barry Boehm의“A View of 20th and 21th Century Software Engineering”을재구성하

여SW공학의도입배경과그간의시대적요구에따른변화과정, 그리고앞으로다가올미래전망에대

한내용을실었다. 어느분야든마찬가지겠지만SW공학분야에서도가치있는과거의주요한경험을식

별하여향후20~30년내에 향을줄수있는미래변화에발빠르게대응하기위해변천사를이해하는

것은매우중요하다.

1950년대는 SW개발프로젝트를위해HW공학과유사한 SW공학개념이도입되기시작하 지만 1960

년대에 SW에대한수요가급증하고이를구현하는인력들의경험과능력, 수적인부족이원인이되어

‘SW의위기(SW Crisis)’가발생하면서본격적으로SW공학이도입되었다.

이어1970년대는SW에대한수요가급증하면서SW개발인력이부족하게되었으며, 이를해결하기위해

SW전공자들이아닌비전공자들을대거투입하게되고, 이러한인력들은SW개발시SW가쉽게수정될

수있다는점으로인해선코딩-후수정하는접근방식을택하게되었다. 하지만선코딩-후수정에대한부

작용으로많은결함들이발견되면서구조적또는정형적기법들이발생하 으며, 분석, 설계, 구현등을

순차적으로진행하는폭포수모델을개발하여사용하기시작하 다.

하지만정형적기법은일반 SW개발자들이사용하기에는사용성이떨어지며, 폭포수모델은비용이많

이소요되고, 진척도가떨어진다는점을인식한 1980년대에는재사용성을높여효율적으로SW를개발

하기위해SW개발생산성을높이기위한방법들을연구하 다.

1990년대는시장에서경쟁우위를점하기위해제품의시장출시시간을단축해야했다. 이로인해SW개

발생산성에대한연구가활성화되었으며, 폭포수모델에서요구사항, 설계및구현등을동시에진행할

수있는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11)에집중한모델을활용하 다.

SW를둘러싼기술이나시장환경이급속하게변화하기시작한2000년대는이러한급속한변화에효과

적으로대응하기위해애자일방법론이본격적으로도입되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11)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은 순차적인 단계로 진행되던 과거의 제품과는 달리 전체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모든 부서가 통합된 정보통신망과 전산 시스템의지원아래동시진행과상호교류로제품개발의성공가능성을높이고개발기간과비용을줄이는방법. 개발과테스트까지의전과정을동시에반복진행하여완벽한신제품을최대한빨리시장에내놓음으로써높은수익률을확보하기위한방법.

Page 4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1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SW공학의 변천사 >

Crafting1960's

Skill Shortfalls

Demandgrowth,Diversity

Many defects

Spaghetti Code

Evolvability,Reusability

Formality; Waterfall1970's

FormalMethods

WaterfallProcess

StructuredMethods

Productivity1980's

Concurrent Process1990's

Agility; Vaule2000's

Global Integration2010's

SoftwareFactories

Standards,Maturity Models

Noncompliance

Processbureaucracy

AgileMethods

Rapid change

Slow execution

Model clashes

Rapid Change

Scale

Lack of scalability

Object-orientedMethods

Domain-specific SWarchitectures,

Product-line reuse

Business 4GLs,CAD/CAM, User

programming

DomainUnderstanding

SW craft-Code andfix-Heroic debugging

※ 출처 : A view of 20th and 21st Century Software Engineering, Barry Boehm

IntegratedSystems and

SW Engineering

Hybird Agile,Plan-driven

Methods

Collaborativemethods,

Infrastructure,Environment,value-based

methods;Enterprise

architectures;System building

by users

Process Overhead

Large Projects,Weak planning& control

HCI, COTS,Emergence

Rapid Change

Rapid ChangeLack of scalability

Global connectivity,Business Practicality,security threats, Massive systems ofsystems

Service-oriented

architectures,Model-drivendevelopment

Concurrent,Risk-driven Process

Rapid composition,Evolution environments

Stovepipes

Lack of scalability

Enterpriseintegration

Human factors

Page 4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2

2.3.1. 1950년대 : HW공학과 유사한 SW공학

1950년대는 SW공학에대한개념이아직정립되지않은시기로, 그당시에는 SW개발을위해HW공학

적인 접근이 시도되었다. 1950년대 말에 추진되었던 대표적인 프로젝트인 SAGE (Semi-Automated

Ground Environment) 프로젝트12)에는레이더공학자, 통신전문가, 컴퓨터공학자, 초기SW공학자등

이대거참여하 으며, 이들은SW를개발하는데있어기존의HW공학적인개념을적용한SW공학을적

용하기시작하 다.

그림에서보는바와같이SAGE 프로젝트의SW개발프로세스는연속적폭포수유형의모델을사용하

으며, 프로젝트에참여한수천명의SW개발자들을지원하기위해Lincoln Labs Utility System을개발

하여라이브러리및빌드관리와테스트를지원하기도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12) SAGE(Semi-Automated Ground Environment) 프로젝트는적항공기를탐지하고추적해서미국이나캐나다의 토를폭격하는것을예방하기위한프로젝트로MIT와 IBM 등이참여. 이프로젝트를통해 IBM이컴퓨터관련산업을주도하기시작함

< SAGE 프로젝트의 SW개발 프로세스 >

PROGRAMSPECIFICATIONS

OPERATIONAL PLAN

MACHINESPECIFICATIONS

OPERATIONALSPECIFICATIONS

CODINGSPECIFICATIONS

CODING

PARAMETER TESTING(SPECIFICATIONS)

ASSEMBLY TESTING(SPECIFICATIONS)

SHAKEDOWN

SYSTEM EVALUATION

Page 4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3

2.3.2. 1960년대 : SW개발 숙련도(Crafting)

HW공학적인 방법으로 SW를 개발하면서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게 되었고, HW와 SW는 여러 가지

면에서현저하게다르다는것을인식하기시작하 다.

특히, 1960년대는대규모시스템에대한수요와그에따른 SW에대한수요급증으로인해 SW 개발자

및엔지니어가부족하게되어인문학및사회과학전공자등타분야전공자들을고용해서훈련하기시

작하 다. 이는 1950년대에비해상대적으로좋아진메인프레임운 체제나각종유틸리티, 특히제2세

대 언어인 포트란이나 코볼이 개발되면서 비전공자들의 SW분야 입문이 쉬워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당시공학적인개념이부족한인력들은SW개발시선코딩-후수정접근방식을사용하게되었으며이는

창의적이기는했으나, 수정사항이과도하게발생하는스파게티코드(spaghetti code)14)를양산하 다.

이렇듯 1960년대는대규모시스템과그에따른SW에대한수요가급증하기시작하 으나, 이를구현하

는 인력들의 경험과 능력, 수적인 부족으로 인해 수요와 공급에 커다란 차이가 존재하 다. 이로 인해

NATO 과학위원회가 SW공학컨퍼런스(1968,1969)에서‘SW 위기(SW Crisis)’15)언급하며큰프로젝트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HW와 SW의 차이점 >

① SW는 HW에비해수정하기쉬움.

- 이로 인해당시개발자들에게는선코딩-후수정하는관행이생기게됨

② SW는오래쓰게되더라도낡지않지만, 유지보수비용은 HW 보다더많이소요됨

- SW신뢰성(Reliability)13)은 HW신뢰성 모델로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으며, 유지보수도 HW와는

전혀다른형태로진행됨

③ SW의비가시성으로인해개발진행상태를알기어려움

- SW개발 일정을 맞추기 위해 인원을 추가적으로 투입하면 일정이 더 지연되는 경우가 다반사 음

[Fred Brooks, Mythical Man-Month, 1975]

④ SW는요구사항을정의하기가어려움

- 5백만 달러의 HW장비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30페이지 정도의 요구사항이 필요하다면 동일한 금

액의 SW를구매하기위해서는약 1500페이지의요구사항이필요함 [Winstone Royce, 1970]

13) HW공학적인방법으로SW를개발하면서여러가지시행착오를겪게되었고, HW와 SW는여러가지면에서현저하게다르다는것을인식하기시작하 다.

14) 스파게티코드(spaghetti code)란 프로그램에서제어흐름이마치스파게티면발처럼얽혀져있는프로그램코드에붙여진이름. GOTO문의과다한사용이이러한코딩을유도했음

15) ‘SW의위기(SW Crisis)’라는용어는 F.L.Bauer가처음 1968년독일Garmisch에서열린첫번째NATO SW공학학회에서사용하기시작하 으며, 당시컴퓨터의계산용량과문제의복잡성이급격히증가함에따라컴퓨터프로그램이따라가지못해발생한충격을서술하기위해사용

Page 4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4

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방법과 원칙들이 필요함을 역설하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SW공학에대한연구가본격적으로시작하게되었다. 이렇듯SW공학은SW위기를극복하고자SW프로

그램개발에공학적인관점을도입한학제적인산물로 SW공학의모든이슈는고객의기대(품질), 비용

(예산), 납기(생산성)와관련된것이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 위기(SW Crisis)’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해결책 >

●SW위기의 원인은 전반적으로 SW개발의 복잡성에 따른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SW공학이 전문

분야로서상대적으로미성숙했던점과관련되어있음

① SW규모의대규모화, 복잡화에따른개발비용증대

② HW비용에대한 SW가격상승폭증가

③유지보수의어려움과개발적체현상발생

④프로젝트개발및소요예산예측의어려움

⑤신기술에대한교육및훈련부족

●위기는여러가지증상으로나타남

①프로젝트예산이초과됨

②프로젝트일정이지연되거나 SW가고객의손에제대로전달되지못함

③ SW품질이낮음(SW의비효율성, 요구사항을만족하지못함등)

④ 프로젝트관리가불가능하고, 코드관리가어려움

●SW의 위기를 타계하고자 다양한 방법론이 지난 수십 년간 개발되었지만 널리 공유된 견해는“만병

통치약은없다(No silver bullet)”는 것임.

- 프로젝트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경우에 통용될 수 있는 방법론은 없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며,

프로젝트가 규모가 크고, 복잡하며, 요구조건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실상 예측 불가능한 여

러가지위험에노출되어있음16)

16) Brooks, No silver bullet: Essence and accidents of software engineering. IEEE Computer, 1987

Page 4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5

2.3.3. 1970년대 : 정형성(Formality)17)과 폭포수 모델

1970년대에는 1960년대의일반적 SW개발문화 던선코딩-후수정접근방식에대한해결책은요구사

항분석→설계→구현의순차적프로세스를거치는SW개발방식이라고인식하기시작하 으며, 이러

한1960년대의패러다임을통해Royce의폭포수모델이탄생하게되었다.

초기폭포수모델은요구사항분석을통해요구사항이도출되기전에는설계가시작되지않는등순수한

순차적모델이었지만, 그이후전체규모의개발을수행하기전프로토타입활동을추가하고, 가능하면

동일한단계내에서결함을발견할수있도록하기위해산출물의확인및검증활동을강조하게되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1970년대 SW공학의 추세 >

Crafting1960's

Formality; Waterfall1970's

Skill Shortfalls

Many defects

Spaghetti Code

FormalMethods

WaterfallProcess

StructuredMethods

DomainUnderstanding

SW craft-Code and fix-Heroic debugging

Demandgrowth,Diversity

Large Projects, Weakplanning & control

17) 정형성(Formality)이란 수학을근거로수학적인표현과이의증명이가능한것이라고할수있는데, 소프트웨어개발의도구중의하나인프로그래밍언어가바로이정형화를근거로한것이라고할수있다. 그 이외에분석및설계등에서도부분적으로정형화기법들이사용되고있으며, 점차그사용범위가확대될것으로기대된다. 특히, 고신뢰도를요구하는소프트웨어의개발에서는정형화기법의활용이필수적이라고할수있음

Page 4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6

1970년대에는 Royce의폭포수모델과같은순차적프로세스뿐아니라프로그래밍도순차적으로해야

한다는구조적프로그래밍운동이일기시작했다. 당시구조적프로그래밍운동은아래와같은두가지

흐름으로전개되었다.

①수학적증명이나프로그램이가능한계산을통한구현에의해프로그램의정확성을높이는정형기법

②약간의 정형기법을 사용한 기술과 관리기법을 혼합한 하향식(top-down structured programming)

구조적프로그래밍기법

이러한구조적프로그래밍운동과더불어구조화된설계와프로그래밍, 구조화된프로그램설계언어와

같은개념들을적용한도구와방법론이개발되기도하 다.

한편, SW개발 프로세스를 강조한 모델들로 인해 SW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정량적인 접근이 가능해졌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Royce’s Waterfall Model >

※ 출처 : Royce, Managing the Development of Large Software Systems, 1970

Page 4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7

다. 정량적인접근이가능해짐으로써SW안정성추정모델의개발, SW품질에대한정량적인접근방식,

SW비용및일정추정모델개발등괄목할만한성과를거둘수있게되었다. 또한, SW 비용및일정추

정모델을통해비용발생요인들을식별할수있게되었으며, 직원교육훈련, 프로세스, 방법론, 도구및

자산의재사용을통해비용을줄일수있다는사실을알게되었다.

1970년대말에는정형성과폭포수모델에대한문제점이나타나기시작하 다. 정형기법의경우, 당시

SW개발자들은SW개발경험이없어대체로숙련도가떨어졌으며, 이런프로그래머들이정형기법을사

용하기에는확장성(Scalability)과사용성(Usability)이떨어지는단점이있었다. 또한, 폭포수모델의경

우, 과도한문서를요구하여진척도가떨어지고, 비용이많이드는단점이있다는사실을인식하기시작

하 다. 또한, SW개발비용이HW의비용을초과한다는사실을비용예측모델을통해발견하 으며, 이

로인해SW개발생산성에관심을가지기시작하 다.

SW도구측면에서는요구사항과설계관련도구를비롯하여테스트 역(테스트커버리지분석, 자동화

된테스트케이스생성, 단위테스트도구, 테스트추적성도구, 테스트데이터분석도구, 테스트시뮬레

이터와운 테스트지원도구)과형상관리 역에대한연구개발이진행되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Page 4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8

2.3.4. 1980년대 : 생산성과 확장성

1980년대는 1970년대에발생한주요한문제를해결하고, SW개발생산성을개선하기위한활동을수행

하 다. 특히, SW개발프로젝트에대한정량적인접근이가능해짐에따라

①개발단계에따른투입노력과결함의분포를알수있게되어개선 역의우선순위를정할수있게

되었으며,

②결함발생요인등주요비용발생요인들을제거하기위해직원교육훈련, 프로세스, 방법론, 도구및

자산의재사용등을통해전체개발비용을줄일수있는관리포인트를식별하게되었다.

미국방성은DoD-STD-2617과같은계약표준에서계약이행시각마일스톤마다관리자검토, 비용지

불처리및보상비용을서로연계시키는폭포수모델의사용을강제함에따라능력있는 SW개발업체를

선정하는 기준이 필요하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 국방성은 SW개발 조직의 SW프로세스 성숙도를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1980년대 SW공학의 추세 >

Formality; Waterfall1970's

Productivity1980's

Evolvability,Reusability

Noncompliance

Slow execution

Process Overhead

HCI, COTS,Emergence

Lack of scalabilityFormal

Methods

WaterfallProcess

StructuredMethods

DomainUnderstanding

SoftwareFactories

Business 4GLs,CAD/CAM, User

programming

Object-orientedMethods

Standards,Maturity Models

Page 5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9

평가하기위한방법론을개발하기시작하 으며, 미 국방성의지원을받은 SEI에서 SW-CMM을개발

하게되었다. SW-CMM은순차적인폭포수모델의요소들을유지하고있기는하지만특정방법론에독

립적으로구성되었으며, SW개발조직의능력평가와개선에대한효과적인틀을제공하 다.

SW-CMM으로촉발된 SW프로세스개선활동은재작업을줄임으로써생산성을급속히향상시켰지만,

SW개발업무에있어업무자체를줄이게되면생산성이파격적으로향상될것이라고인식하기시작하

다. 그래서 미 국방부는 SW생산성 향상을 위해 STARS (Software Technology for Adaptable

Reliable System) 프로그램을추진하 으며, 이프로그램에서SW개발시불필요한작업을없애기위한

혁신적이고점진적인방식을발표하 다.

①혁신적인방식으로는 1970년대초반의“자동프로그래밍”연구와비슷하게요구사항에서코딩까지

의정형적인명세와자동변환방식을강조

②점진적인방식으로는인력채용(Staffing), 재사용, 프로세스, 도구그리고통합환경에의해지원되

는관리활동을강조

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카네기멜론 대학에 SW공학센터(SEI/CMU)를 설립(1984년)하 으며,

유럽과일본에서도비슷한움직임을보 다. 각국의주요SW공학센터현황은아래와같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18) SW-CMM(Software Capability Maturity Model)은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에서 국방성의 자금을 지원받아 개발한 모델로국방성이발주한SW프로젝트의성공가능성을높이기위해입찰자들에대한능력을심사하기위해개발

구분 미 국 독 일 일 본

정부기관(유관기관) 미 국방성(SEI, '84) 독일연방(IESE, '99) 경제산업성(SEC, '04)

SW공학기초기술 기업에필요한기술 3대중점과제중심- SW개발프로세스 - SW개발프로세스 - 업무용 SW

주요연구분야 - SW보안기술 - SW 재사용 - 임베디드SW개발- SW 아키텍쳐 - SW보안기술 -선도SW프로젝트추진- Product Line 등 - e-Learning

< 국가별 SW공학센터 현황 비교 >

SW생산성향상을위해 국제표준 SW개발프로세스 미국 CMMI모델 중심으로특 징 프로세스및제품품질인증 개선모델(SPICE) 개발 등 개별기업에서철저한

활성화 국제표준화기구를통해확산 품질관리수행

Page 5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0

도구측면에서보면 1980년대는단계별로있던SW개발지원도구를통합하기시작한시기 다. 초기에

는통합프로그래밍지원환경(IPSE: Integrated Programing Support Environments)을강조하 으

나, 이는 추후 CASE(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 또는 SW Factory로 확장되어 갔다.

그리고이러한움직임은미국과유럽을중심으로이루어졌으나, 일본에서가장효과적으로적용되었던

것으로알려졌다.

다른한편으로는전문가시스템, 고급수준의프로그래밍언어, 객체지향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워크스테이션의성능향상, 비쥬얼프로그래밍등으로인해생산성향상방법들이많이

나타났다[Brook, No Silver Bullet, 1986]. Brook은 자동화를통해줄일수있거나간소화될수있는

업무와사람들의전문성과협업을요구하는핵심적인업무를구분하 으며, 이중핵심적인업무들은생

산성 문제에서 발생하는 주요 4가지 역인 복잡성, 순응성, 변경가능성 및 비가시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 다. 신속한프로토타이핑, 진화적인개발방법, 재사용을통한업무축소등핵심업무를효율적

으로수행함으로써생산성을향상시킬수있다고제안하 다.

이렇듯 1980년대의가장효율적인생산성제고방안은다양한형태의재사용을통한업무간소화 으며,

특히객체지향을통한재사용에관심을가지기시작하 다. 보다강력해진운 체제, 데이터베이스관리

시스템, GUI 빌더, 분산미들웨어및개인용워크스테이션간의상호작용자동화등과같은요인들로인

해과도한 SW개발기간을줄일수있는계기가되었다. 또한, 재사용프레임워크와특정도메인을위한

4세대언어의지원을받음으로써향상된도메인설계와이에대한공학적접근은어플리케이션컴포넌

트를효과적으로재사용할수있게하 다. Simula-67에기반한객체지향방법론은보다강력한SW재

사용활성화를이끌어냈으며, 특히, Smalltalk, C++, Java와같은객체지향프로그래밍언어와환경은

객체지향개발의급속한증가를유도하 으며, 이는SW재사용활성화에크게기여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19) 통합프로그래밍지원환경(Integrated Programing Support Environment)은 SW개발을지원하기위한관리적, 기술적툴들의집합을일컫음

20) CASE(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는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SW개발을 구조화하고, 제어하는데 컴퓨터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도구나 방법론등을포함하는과학적인접근방법을통칭하는말

21) SW Factory는개발환경을확장하고지침관련도구및리소스를제공하여새응용프로그램을쉽게시작할수있게함

2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은 당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을 완전히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다보는 혁명적 개념이었음. 동작보다는객체, 논리보다는자료를바탕으로구성. 프로그램은전통적으로논리적인수행결과를내는것이라는생각이지배적이었으나이러한논리보다는오히려다루고자하는객체라는시각에서접근한프로그래밍방법

23) Simula-67은 Simula를 기본으로 Algo60을포함시킨프로그래밍언어로, 시뮬레이션을위해디자인되었으며, 객체지향언어의기본이되는클래스개념을도입하여객체개념과자료추상화를인식시키는데크게기여함

24) Smalltalk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개념을지원하기위해특별히설계된프로그래밍언어. Smalltalk는 C++와는달리, 절차적언어의구문상에구현되지않고,C 언어의절차적구조를일부허용하는C++ 보다더욱엄격하게강화된규칙이적용된순수한객체지향적언어임

Page 5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1

2.3.5. 1990년대 : 동시 vs. 연속적 프로세스

1990년대는생산성향상을위해객체지향의활용이가속화되기시작한시기 다. 객체지향방법론은디

자인패턴25), SW 아키텍처및아키텍처기술언어, UML(Unified Modeling Language)26)의개발과같

은기술적인진보를통해강화되었으며, 인터넷과WWW(World Wide Web)의등장은경쟁이심화되는

시장에서SW의중요성과객체지향방법론모두를강화시키는결과를낳았다.

기업들은시장에서경쟁우위를점하기위해서는SW에대한경쟁력확보가중요하며, 자사제품에대한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Rapid change

< 1990년대 SW공학의 추세 >

Productivity1980's

Concurrent Process1990's

Lack of scalability

Lack of scalability

SoftwareFactories

FormalMethods

WaterfallProcess

AgileMethods

Business 4GLs,CAD/CAM, User

programming

Rapid composition,Evolution environments

Domain-specific SWarchitectures,

Product-line reuse

Concurrent,Risk-driven

Process

Object-orientedMethods

Standards,Maturity Models

HCI, COTS,Emergence

Enterprise integration

Human factors

Processbureaucracy

Rapid Change

Rapid Change

Slow execution

25) 디자인패턴은프로그램에서자주나타나는과제를해결하기위한방법중하나로과거의 SW개발과정에서발견된설계의노하우를축적하여패턴을정의하고,이후에재사용하기좋은형태로특정의규약을묶어서정리한것

26)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객체관련표준화기구인 OMG에서 1997년 11월 객체모델링기술, OOSE 방법론등을연합하여만든통합모델링언어로객체지향적분석·설계방법론의표준지정을목표로하고있음. 요구분석, 시스템설계, 시스템구현등의시스템개발과정에서개발자간의의사소통을원활하게이루어지게하기위하여표준화한모델링언어임.

Page 5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2

시장출시시간이단축되어야한다는것을인식하기시작하 다. 그래서요구분석→설계→구현→테

스트의순차적인프로세스를강조하는폭포수모델에서요구사항, 설계및구현을동시에진행할수있

는동시공학에집중한모델을활용하기시작하 다.

그림에서보듯 1980년대 후반에 HP는 폭포수모델을통한 SW개발에 4년 이상이소요되었으나, 다른

제품의생명주기는 2.75년에불과하다는것을발견하게되었다. SW 제품계열공학(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27)과재사용컴포넌트에대한투자(1986~87)는초기에오히려개발기간을증가시켰

으나, 결과적으로일정기간이지난후에는개발기간을1년으로단축(1991~92)하게되었다.

한편으로 1990년대에는요구공학, 아키텍처, 프로토타이핑, 주요컴포넌트개발에대한내용을담고있

는동시공학을지원하는프로세스를위해나선형모델이개발되었다. 나선형모델은시스템을개발하면

서생기는위험을관리하고최소화하려는것이주목적이었다.28) 나선형모델은폭포수모델과프로토타

입모델의장점에새로운요소인위험분석을추가하여만든것으로나선형모델을선택할것인가의문

제는전적으로위험수위에달려있다.

한편, 동시적, 점진적, 진화적 개발의 중요한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고속 개발도구(Rapid Application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출처 : A view of 20th and 21st Century Software Engineering, Barry Boehm

< HP의 제품계열기술 투자에 따른 개발기간 비교 >

Jan-86

48

Mar-87

53

Jul-87

61

Apr-91

19

Sep-90

20

Aug-89

22

Nov-91

12

Feb-92

13

70

60

50

40

30

20

10

0

(단위 : 개월)

27) SW 제품계열 공학(SPLE :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은 SW제품별공통적인부분과가변적인부분을구분하여하나의플랫폼을개발하면여러모델에동시적용할수있도록하는SW공학의한분야

28) 윤청, “패러다임전환을통한 SW공학”, 생능출판사, 2009

Page 5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3

Development)와2000년대에다루어질애자일방법론으로이어졌으며, 특히RUP29)는반복적이고진화

적인방법론에대한뛰어난업적으로평가받고있다.

이러한1990년대의주요이슈 던동시공학에중요한기여를한것은사실공개SW의개발이었다. 1960

년대의해커문화30)에 근원을둔공개SW는 Stallman의 자유SW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설

립과더불어GNU31)의 GPL(General Public License)32)로 1985년조직적모양새를갖추었으며, 이로써

이맥스에디터와GNU C언어컴파일러와같은여러개의유용한SW 패키지의자유로운사용과진화를

위한조건을갖추게되었다.

한편, 1990년에 강조된 사항은 프로그래머들이 아닌 일반 사용자에 대한 SW제품의 사용성으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33)에대한진지한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졌다. HCI는제록스사에

서개발자가아닌사용자중심의컴퓨터시스템을개발하면서구체화되었으며, 이후점차전문화, 세분

화되었다. 초기에는 CRT스크린설계등HW적인연구를주로하 으나, 최근에는인간의정보처리및

인지과정을 연구하여 쓰기 쉽고, 안전하며, 기능적으로 뛰어난 컴퓨터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데 중요한

비중을두고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30) 해커(Hacker)는 1960년대유용한컴퓨터프로그램을제작하고공개하는‘열정적인컴퓨터프로그래머’에서출발하여, 최근에는국가안보까지위협할수있는수준까지이름. 해커의출발지는 1960년대 미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으로‘모든정보는공개되어야한다’는진취적인슬로건을내걸고, 유용한컴퓨터프로그램을제작공익에사용할수있도록공개하면서‘해커’라는용어가등장.

31)GNU는 GNU’s Not Unix의 약자로유닉스(Unix)가 상업적확산에반발하여리처드스톨만의자유SW재단에서무료로개발하여배포하고있는유닉스호환운체제이며동시에그러한정보공유프로젝트를통칭하는말

32)일반공중라이선스(GPL : General Public License)는 자유SW재단에서배포하는GNU SW는일반공중라이선스라는협약에의해배포되는데, 이협약에따라GNU SW의복사본을가지고있는사람은누구든지그것을다른사람에게같은조건으로재배포하는것을제한하지못함

33)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은 인간과컴퓨터가쉽고편하게상호작용할수있도록작동시스템을디자인하고평가하는과정을다룬학문으로서이과정을둘러싼중요현상들에관한연구도포함됨. 컴퓨터과학에서는인터페이스의공학적설계에대한연구에중점을둠

Page 5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4

2.3.6. 2000년대 : 민첩성(Agility)과 SW의 가치

2000년대는신속한어플리케이션개발이라는트렌드와정보기술(웹기반협업지원)분야에서급속한변

화가일어났으며, 조직차원에서인수, 합병, 창업도활발히일어나는등시장환경측면에서급속한변화

가일어나기시작하 다. 이러한변화는계획들과명세화, 또는계약관행과성숙도모델에따라작성해

야하는문서들과많은충돌을야기하기시작하 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1990년 후반 ASD(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Crystal, eXtreme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Rapid change

< 2000년대 SW공학의 추세 >

Concurrent Process1990's

Agility; Vaule2000's

Lack of scalability

SoftwareFactories

WaterfallProcess

AgileMethods

Domain-specific SWarchitectures,

Product-line reuse

Hybird Agile,Plan-driven

Methods

IntegratedSystems and

SW Engineering

Object-orientedMethods

Standards,Maturity Models

HCI, COTS,Emergence

Enterprise integration

Human factors

Processbureaucracy

Rapid Change

Rapid Change

Rapid Change

Slow execution

Service-orientedarchitectures,Model-drivendevelopment

Rapid composition,Evolution environments

Concurrent,Risk-driven

Process

Stovepipes

Page 5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5

Programming(XP), FDD(Feature Driven Development), Scrum과 같은 많은 애자일 방법론34)들이

등장하 으며, 2000년대에본격적으로도입되기시작하 다.

애자일방법론의도입배경에는SW개발자체가과거와양상이바뀌었다는전제가있었다. 1990년대후

반이전까지의SW개발은장기간에걸쳐많은자원과충분한비용을투입하여진행하 다. 이당시SW

공학이나많은관리방법론들이모두이러한종류의프로젝트를대상으로하 다. 그러나 1990년대후

반에들어서면서 SW 개발기간은매우짧지만 SW는매우복잡하고개방적이었다. 또한, 사회상황이나

시장변동에따라변화가심했고요구사항도시시각각변했다. 그래서이미고전적인 SW공학이나관리

기법만으로는대처할수없게되었던것이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애자일 방법론의 종류 >

①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eXtreme Programing) - 애자일 방법론의 대표주자로 애자일 방법론 보

급에 큰 역할을 함. 이 방법은 고객과 함께 2주 정도의 반복개발을 하고, 테스트와 우선 개발을 특징

으로하는명시적인기술과방법을가지고있음

②스크럼(Scrum) - 30일마다 동작 가능한 제품을 제공하는 반복적인 개발주기(Sprint)를 중심으로 하

고있음. 매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에서 짧은시간의개발을 하는팀을위한프로젝트 관리중

심의방법론

③크리스털 패 리(Crystal Family) - 프로젝트의 규모와 향의 크기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방법론을

제공함. 그중에서 가장 소규모 팀에 적용하는 크리스털 클리어는 익스트림 프로그래밍만큼 엄격하지

도않고효율도높지않지만프로젝트에적용하기쉬운방법론임

④ FDD(Feature-Driven Development) - 기능 마다 2주정도의 반복 개발을 실시. UML을 이용한 설

계기법과도 접한관련이있음

⑤ ASD(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 SW개발을 혼란 자체로 규정하고, 혼란을 대전제로 그

에 적응할 수 있는 SW개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법론. 내용은 다른 방법론들과 유사하

지만, 합동 어플리케이션 개발(Joint Application Development; 사용자나 고객이 개발에 참가하는

개발방법론)을 사용

상기 소개된 애자일 방법론들은 각자 다른 특징과 적용 범위가 있으며, 서로간의 조합도 가능하다. 여러

방법 중에서 자신의 프로젝트에 맞는 부분을 취사선택하여 조합하고, 또 독자적인 방법을 만들어 냄으

로써큰효과를올리고있다.

<출처 : 위키백과>

34) 애자일방법론(Agile Methods)은 어느특정개발방법론을지칭하는것은아니고애자일(Agile = 기민한) 개발을가능하게해주는다양한방법론전체를일컫는용어. XP(eXtreme Programming)이 애자일방법론의대표적인방법. 최근에는애자일게임보급등의여파로 SW공학뿐아니라다양한전문분야에서실용주의적사고를가진사람들이애자일방법론을적용하려는시도를하고있음

Page 5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6

2000년대 IT사용자조직의최대관심사는사용성과편익, 그리고비용이었다. 애자일방법론에서도짧

은반복주기를통해SW를개발해야하는민첩성(Agility)과일반사용자의사용성을강조하 으며, 이는

고객에적절하게대응하기위한것이었다. IT사용자들은제품의기능이나구매가격보다제품의사용성

과가치를강조하는경향을보이게되며, 이런경향은제품과프로세스상에서의우선순위와기업의마

케팅전략이나경쟁우위등에도 향을미치게되었다.

제품의시장출시시기가단축되고, SW의가치가중요해짐에따라어떤방법으로 SW를개발해야하는

지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는 종합적인 기준이 필요했으며 가치 기반 SW공학(Value-based SW

Engineering)35)이중요해졌다. 가치기반접근법은위험이적고동적인프로젝트에적합한경량의애자

일 방법론(Agile Method)과 고 위험의 보다 안정화된 분야에 적합한 계획 주도 방법론(Plan-Driven

Method)36)을선택하는데있어중요한기준을제공하게되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애자일 방법론 계획 주도 방법론

Benefit Release, Invents Strength, Comfort

Focus on Environment changing Plans, Architectures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Spec and process

compliance

DriverCustomer-driven,

Plan-drivenTacit Knowledge driven

CSF clos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upport, (Critical Success Factor) Infrastructure

변화에대한태도 변화를포용 변화를위험으로인식

위험에대한태도 위험에대해반응 상황을앞서서주도

< 애자일 방법론과 계획 주도 방법론의 개념적 비교 >

※ 출처 : Balancing Agility and Discipline by Barry Boehm, Richard Turner

35) 가치 기반 SW공학(Value Based Software Engineering)은 전체 SW 개발 생명주기상에서경제적인요소를고려하는방법임. SW개발 생명주기상에서사용된프로세스, BP, 관리적또는기술적결정, 또는이를위해사용한도구나기술등을통해비즈니스상의가치를최대화하기위한공학적개발패러다임

36) 계획주도방법론(Plan-Driven Method)은 SW개발시필요한사항에대해계획을철저히세우고이에따라개발하는방법론으로계획이항상선행하면절차적으로움직여많은문서작업을요구하는방법론

Page 5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7

적시시장출시가가장중요한문제이긴했지만SW안전성숙도(Dependability)37)에대한문제인식도증

가하 다. 세계의금융, 교통, 통신, 에너지, 의학및응급서비스등사회기반이되는인프라에서SW의

취약성이증가하면서취약한SW가재앙이될수있음을인식하기시작하 다. 이러한계속되는변화를

수용하면서 높은 신뢰성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상용기성품(COTS; Commercial off-the-shelf)38)시스

템과컴포넌트를활용할수있는기회가많아졌다. 상용기성품은짧은기간에중요한기능을가진제품

을신속하게개발할수있게하 지만, 이런변화들은결함의또다른원천이되었다. 상용기성품의소스

코드접근제한은사용자들이안전성숙도를개선할수있는기회를제한하는결과를낳았다.

상용기성품판매자들의제품차별화는사용자들로하여금다양한제품을사용할수있게하 지만서로

다른제품들간의호환성에문제가발생하 다. 이에사용자들은사용의편의성을위해상용기성품의호

환성을높이고자통합을시도하 다. 전사적아키텍처(EA: Enterprise Architecture)39)와 모델주도형

아키텍처(MDA: Model-Driven Architecture)40)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 주도형 개발(MDD: Model-

Driven Development)41)은 이런호환성문제를개선하기위한것이었다. 모델주도형개발은은행이나

자동차등의도메인모델개발을강조하 으며, 특정도메인을기반으로하는흐름은비즈니스SW를위

한4GL과제품계열기술, 모델주도형개발까지계속되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37) SW안전성숙도(SW Dependability)는 Availability, Reliability, Safety, Security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Sommervile)로 시스템의 Dependability는 시스템에 대한신뢰(Trustworthiness)를의미하며Dependable System은사용자에게신뢰받는시스템을의미

38) 상용기성품(COTS; Commercial off-the-shelf)는 쉽게획득할수있도록미리만들어진제품들을가리키며, 이용어는때로국방조달규격에도사용됨

39) 전사적아키텍처(EA: Enterprise Architecture)는 기업의목표와요구를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 IT인프라각부분이어떻게구성되고작동돼야하는가를체계적으로기술하는작업으로복잡한기업의모습을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등다양한축면에서분석하고표현해이해하기쉽도록정보체계를구축하는의미로도사용

40) 모델 주도아키텍처(MDA: Model-Driven Architecture)는 객체컴포넌트표준그룹인객체관리그룹(OMG)에서 내세운모델중심의 IT아키텍처로서모델을구조적 선택과 기술적인 목표에서 독립시킴으로써 모델의 부가가치를 강조하는 기술. 객체관리그룹이 기존 개발한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MDA 사용은 현재의시스템에새로운응용프로그램을통합하는환경을제공함

41) 모델주도개발(MDD: Model-Driven Development)은 MDA를기반으로하는개발방법. 비즈니스로직, 성공사례(BP) 등을추상화한모델을어플리케이션개발,코드생성, 테스트, 유지보수등에이용하는개발방법

42) 4GL(Fourth-generation programming language)이란 4세대컴퓨터가사용된시기에개발된언어를의미하며, 보통 3세대언어인순차적프로그래밍언어이후의언어를의미함

요 소 애자일 방법론 계획 주도 방법론

크 기소규모에적합. 대규모에적합.

개인의경험지식에의존하여확장성미흡 비용이많이들고, 진척도가느림

Criticality 높은 criticality 제품에대해검증안됨 높은 criticality에 적합

Dynamism 역동적환경에적합안정적인환경에적합.

역동적환경에서는재작업비용이큼

Personnel 능동적 규범에잘따르는성향

Culture Thriving on chaos Thriving on order

< 애자일 방법론과 계획 주도 방법론의 5대 주요 요소 >

※ 출처 : Balancing Agility and Discipline by Barry Boehm, Richard Turner

Page 5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8

2.3.7. 2010년대 전망 : 로벌화 및 시스템의 시스템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모델 주도형 아키텍처(MDA)의 효과 >

※ 출처 : IBM, 2009

< 2010년대 SW공학의 추세 >

Agility; Vaule2000's

Global Integration2010's

Hybird Agile,Plan-driven

Methods

IntegratedSystems and

SW Engineering

Service-orientedarchitectures,Model-drivendevelopment

Collaborative methods,Infrastructure, Environment,

value-based methods;Enterprise architectures;System building by users

Rapid composition,Evolution environments

※ 출처 : A view of 20th and 21st Century Software Engineering, Barry Boehm

Model clashes

Scale

clobal connectivity, BusinessPracticality, security threats,Massive systems of systems

Page 6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59

인터넷의발전으로인한 로벌네트워크의연결, 더나아가지역의한계를벗어난유통과모바일서비

스는전세계적으로전략적협업과동기화를가능케하 다.

이는해외아웃소싱을통한비용절감의기회를제공할것이며, 의사소통의어려움과관리의어려움이존

재하겠지만3시간대운 을통한신속한개발을가능하게된다. 예를들면, 미국, 유럽, 일본, 중국및대

만은제조및서비스조직, 인도는콜센터, 개발도상국은데이터입력센터, 인도, 중국, 러시아와개발도

상국은SW개발센터등을운 함으로써각조직들은핵심역량에집중하게되었으며, 핵심역량에적극적

인혁신을추구하여가장낮은가격에질좋은서비스를제공하게된다. 이는내부적인경쟁뿐아니라

국가간경쟁을치열하게할것이다.

이를위해SW와SW공학은성공을위한핵심적인요인이될것이며, SW공학을시스템공학, 마케팅, 재

무및핵심도메인기술들과통합하는새로운기술이중요할전망이다. 하지만각국가의문화에맞게기

술을보완하는진화는계속될것으로예상된다.

시스템이란필요한기능을실현하기위해관련요소들을조합한집합체이다. SW도독립적으로존재하

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면, 은행의 업무 전산화에 사용되는

SW는현금자동인출기, 중앙컴퓨터등의HW와고객의거래계좌에대한원장이보관된데이터베이스,

전표등의서류, 은행업구가진행되는절차, 실제수납을받는은행원등과유기적인상호작용을하게

된다. 각 서브시스템은다른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자극에대하여 향을받고반응함으로써상호작용

하고, 이들이통합되어하나의거대한시스템이형성된다.

이런시스템의시스템(system of system)은여러개의독립된시스템을통합한시스템을의미하며매우

크고, 역동적진화그리고요구사항의잦은변경, 복잡한사회또는기술적요구사항과같은이슈들을다

루는시스템으로 2010년대조직의경쟁력을위한자신들의제품, 서비스는SW와관련된SW집약적시

스템의시스템을통합하는능력에달려있다하더라도과언이아닐것이다.

1990년대와 2000년대초기에 ISO/IEC 1220743)과 ISO/IEC 1528844) 같은전사적프레임워크에서SW

프로젝트에적용할수있는표준들이나타나기시작하 으며, 동시에미연방전사적아키텍처프레임워

크와 같은 전사 아키텍처들이 다수의 상업용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45) 패키지들과함께개발되고발전되어왔다. 이런프레임워크와지원패키지들은기존조직

들이네트워크를기반으로하는시스템의시스템을개발하는것을가능하게하 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43) ISO/IEC 12207는 SW 생명주기프로세스와관련직무또는활동을정의한표준

44) ISO/IEC 15288은시스템생명주기프로세스를정의한표준

45)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제조업을포함한다양한비즈니스분야에서생산, 구매, 재고, 주문, 공급자와의거래, 고객서비스제공등주요프로세스관리를돕는여러모듈로구성된통합애플리케이션SW 패키지를뜻함

Page 6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0

성공적인시스템의시스템을위한주요한핵심요소는다양한잠재적이해관계자들과적시에의사결정

하는능력, 신속한요구사항갈등해결및잠재적경쟁관계에있는여러판매자들의행위들을조정하는

능력이다. 앞선 시대에서이해당사자가많아요구사항의잦은변경이일어날때는나선형모델에대한

고려가필요하다는것을발견하 다. 관련하여현재까지진행된논의중에서가장좋은접근방식을제

시하는방법은 RUP(Rational Unified Process)로, RUP는“①위험요소를고려하여반복적으로개발

하라②요구사항을관리하라③컴포넌트기반의구조를도입하라④SW를시각적으로설계하라⑤품질

을지속적으로확인하라⑥변화를통제하라”를강조하고있다.

2.3.8. 2020년대 및 그 이후 전망

2020년대는컴퓨터나컴퓨터의역할을하는기기활용이증대될것으로예상되며이러한활용의증대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지능형 먼지(Smart dust), 지능형 재료(smart materials), 나노기술,

MEMS(Micro Electrical Mechanical Systems)과새로운유형의어플리케이션(센서네트워크, 정합적

이고, 유연한재료, 인간보철물)이만들어질것으로예상된다.

이러한새로운유형의플랫폼과어플리케이션은이들의기능, 성능및의존성을검증하고이를시스템과통

합하기위한환경을제공해야하는SW공학에도전과제를제시하고있다. 다양한컴퓨터의활용은새롭고강

력한SW공학적접근을가능하게만들고있다. 보다강력한자기모니터링SW(Self-monitoring SW)와추

세분석, 침입탐지혹은PPC(Proof Carrying Code)를가능하게할것으로보인다. 또한, 패턴지향프로그래

밍(Pattern-Oriented Programming), 다차원 지향 프로그래밍(Multi-Aspect Oriented Programming),

그리고전문적피드백을가진예제를통한프로그래밍과같은접근이가능하게될것으로전망된다.

또한, 도메인지식, 프로그래밍지식, 시스템공학지식혹은경 지식에기반을두고개발자에게피드

백을제공할수있는보다강력한SW와시스템공학이가능하게되며, 이는사용자나프로그래머들에게

안전벨트와에어백과같은동일한기능을수행하고, ‘보고말하기를문서화’하는보다강력한시스템질

의와데이터마이닝기술의지원, 현실적인가상게임지향시스템과SW 공학교육및훈련지원이가능

하게될전망이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46) 지능형먼지(Smart dust)는 지하철이나사무실등주변에뿌려놓으면온도, 빛, 진동, 성분등을감지하고분석할수있는초소형센서를의미. ≪포춘≫이선정한세계를바꿀 10대미래기술가운데하나

47) 지능형 재료(Smart materials)란 외부의 신호나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여 기본적인 성질이나 구조를 바꾸어 특정한 일을 할 수 있는 재료로써 환경에 따라움직이며 적응하는 생명체의 특징을 모방하여 만든 것임. 대표적인 예로는 사람의 활동이나 기후에 따라 알맞게 반응하는 주택용 전자색채유리(Electro-chromatic window)가있음

48) MEMS(Micro Electrical Mechanical Systems)는반도체칩에내장된센서등과같은아주작은기계장치와컴퓨터를결합하는기술로, MEMS장치는반사경이나센서와같은일부기계장치가제작되었던아주작은실리콘칩위에마이크로회로를포함하고있음

49) Proof-carrying code(PCC)는 호스트시스템이 신뢰성을 검증할 수 없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 중하나로 제안되었으며,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은 반드시 그 코드가 미리 정의된 안전성 정책(Safety Policy)에 따라 동작함을 보여주는 안정성 증명(Safety proof)을함께제공해야함

Page 6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1

3. SW공학현황

앞선장에서는국·내외SW산업동향, 국내SW산업의경쟁력과SW공학에대한내용을살펴봄으로써,

IT산업의지속성장을위해서는SW산업의 로벌경쟁력확보가필요하며, SW산업이 로벌경쟁력을

확보하기위해서는무엇보다 SW품질경쟁력을확보하는것이필요함을살펴보았다. 이 번장에서는국

내SW산업이가지는SW공학의현황과문제점에대해기술적인측면, 인력적인측면, 정책적인측면에

서살펴봄으로써SW품질경쟁력을확보하기위해서어떠한노력을경주해야하는가를살펴보았다.

3.1. 기술적 측면

3.1.1.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현황

SW공학백서에서는국내SW개발조직의SW공학수준을조사한“SW공학수준조사”의베이스프레임인

CMMI의Process Area와앞에서정의한SW공학주요 역과의관계를활용하여SW공학주요 역별

국내수준을유추하 다. 이는 이미 2009년도 SW공학백서에서밝힌바와같이각조사에따라목적과

활용, 그리고적용에이견이존재할수도있지만 SW공학주요 역에대한국내수준을파악하기에는

큰무리가없을것으로판단된다.

100점을기준으로한 SW공학주요 역별국내수준은다음과같다. 대체적으로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등기술부문은평균 76점정도인반면, 형상관리, 품질관리, 프로세스등관리부문은낮은

점수대를보이고있어앞으로이 역을강화할수있는노력이필요한것으로나타났다. 특히프로세스

는59.6점, 도구및기법은61.2점, 정량적관리는61.4점으로나타나상대적으로많은노력이필요한상

태이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SW공학 주요 역별 국내 수준 >

기술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부문 (76.9) (75.3) (75.6) (74.4)

형상관리(71.2)

프로젝트관리(73.9)

관리 프로세스(59.6)

부문 도구및기법(61.2)

품질관리(68.1)

정량적관리(61.4)

Page 6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2

2010년과 2011년의 SW공학주요 역별국내수준을비교해본결과, 그동안취약 역으로분류되어

왔던관리부문 역들의수준이향상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 프로젝트관리, 도구및기법, 품

질관리, 정량적관리 역의향상이두드러지게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관리분야의점수가상대적으

로취약한것으로나타나이분야에대한혁신적인노력이절실한것으로나타났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2011년 증감률2012년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6.5

3.5

1.5

< SW공학 주요 역별 국내 수준 추이 비교 >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7.0

6.0

5.0

4.0

3.0

2.0

1.0

0.0

구 분 주요 역 2011년 2012년 증감률(%)

요구사항 74.4 76.5 2.1

기술부문분석/설계 73.7 75.8 2.1

구현 73.8 76.9 3.1

테스트 74.4 77.6 3.2

형상관리 68.6 72.8 4.2

프로젝트관리 71.9 74.3 2.4

관리부문프로세스 58.4 59.9 1.5

도구 및기법 58.0 62.1 4.1

품질관리 65.5 69.0 3.5

정량적관리 56.0 62.5 6.5

4.1

2.4

4.2

3.23.1

2.12.1

76.5 74.4 75.8 73.776.9 73.8 77.6 74.4 72.8

68.674.3

71.9

59.958.4

62.158.4

69.065.5 62.5

56.0

Page 6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3

3.1.2. SW공학 주요 역별 기법 및 도구 현황

SW를개발하는과정에는각진행단계별로여러가지기법이나도구가필요하다. SW공학주요 역별

기법이나도구를사용함으로써SW개발생산성과품질을높일수있기때문이다. 하지만기법이나도구

의사용이완벽한 SW의개발을보장하는것은아니다. 아래는 SW공학주요 역별기법및도구현황

이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구 분 기 법 도 구

- SADT - Facilitated meeting - Doors- Analysis Pattern - Observation - RequisiePro- Interview - Questionaire - Caliber

요구사항 - Scenario - UML - DemandMGT- Req. reviews - IDEF - eASEE rm- FSM - Fish-Born- Prototyping - Formal Spec.

- ADL - SPL - Rose[RT] - RealtimeStudio- IDL - MSC - RSA - Statemate- DFD - ERD - TAU2 - DaVinci

설 계- IDEF - UML - Rhapsody - ASCET- CRC - CWM - EA - Simulink- SADT - BPMN - Together - StateFlow- CBD - Design Pattern - ArgoUML - LabView

- ATAM - ERWin

- Code stepping - Code Reuse - Visual Studio - Stateflow Coder- Assertions - J2EE/J2SE... - JBuilder - TargetLink

구 현- Debugging - .Net - Eclipse - LabView

- CORBA - ASCET - Matlab- Realtime WS - Rose[RT]

- RSD

- Equivalence - Control - LoadRunner - QAC/C++partitioning - flow based criteria - TestRT - LDRA

- Boundary - Data-flow - Purify - codeTestvalue analysis based criteria - TestQuest - KlockWork

테스트- Decision table - Flowgraph - CodeScroll - vectorCAST- Formal spec. - Call graph - Coverity - Resortbased testing - Error guessing - PolySpace - Logiscope

- Random testing - Mutation testing - BoundChecker- Coverage measure- Fault seeding

< SW공학 주요 역별 기법 및 도구 현황 >

Page 6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4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기 법 도 구

- Versioning - SW Library - ClearCase - Subversion- Baseline - SW Building - ccc/Harvest - BitKeeper

형상관리- SW Release - SourceSafe - StarTeam

- PVCS - AllChange- Synergy - CMVision- CVS - Xstream

- WBS - Gantt Chart - Project 2007 - Project Mgt프로젝트관리 - Critical Path Analysis - COCOMO - Rational Portfolio Mgr - eASEE pm

- PERT Chart - Function Point

- CMMI - ITUP - Rational Method Composer- SPICE - SPI-PM - Eclipse Process Framework- Method/1 - SOA Gov- Navigator - OPAL

프로세스- IEM - RUP- 4Front - GS Method- SDEM/SDAS - Agile(XP 등)- Macroscope - TDD- MSF - PSP/TSP- OpenUP - PuLSE

- Mgt. Review - ClearQuest - ControlDesk- Technical Review - LABCAR - Interio

품 질 - Inspections - Robot - QT Center- Walk-throughs - LabView - QA Center- Audits - ASM

Page 6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5

3.1.3. SW개발 방법론 현황

현재대부분의SW개발프로젝트들은RUP나CBD방법론에기초하여전체프로젝트의윤곽을잡고, 세

부개발이나국지적으로는Agile방법론과같은철학으로개발을하게된다. 기법이나도구가완벽한SW

를보장하는만병통치약은아니듯SW개발및관리방법론하나만으로모든SW 프로젝트를성공시킬수

는없다.

SW개발방법론은 SW를어떻게만들것인가를결정하는기술적인요소들을제시한다. 또한, 프로젝트

에대한계획과추정, 요구사항분석, 코딩등개발프로젝트진행단계에서요구하는기법과수행되어야

할과제를제시한다. 국내외SW개발방법론의현황은다음과같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구 분 방법론 개발기관

Method/1 엑센추어 (舊앤더슨컨설팅, 미국)

NAVIGATOR 캡 제미니언스트앤 ( 프랑스)

IE (Information Engineering Methodology) 제임스마틴( 국)

4FRONT 딜로이트컨설팅(미국)

SDEM, SDAS Fujitsu (일본)

Macroscope Fujitsu-DMR Consulting (미국)

해 외MSF (MS Solution Framework) Microsoft (미국)

OpenUP EPF (Eclipse Process Framework, 미국)

ITUP (IBM Tivoli Unified Process) IBM Global Services (미국)

SPI-PM Portal Sierra Systems (캐나다)

RUP IBM Rational (미국)

ISPW-6 Software Process LIP6 (Laboratoire d'Informatique Paris 6, 프랑스)

GS Method IBM BCS (미국)

PuLSE Fraunhofer IESE (독일)

마르미-I (SADT)마르미-II (IE & OOAD)

ETRI마르미-III (CBD)마르미-EM (임베디드)

국 내INNOVATOR 삼성SDS

WAY4U LG CNS

POS-IEM 포스데이타

HSDM 현대정보기술

HIST4FRONT 한진정보통신

< SW개발 방법론 현황 >

Page 6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6

3.1.4. SW프로세스 품질인증 현황

SW를생산하는조직이고품질의 SW를생산하기위해갖추어야할기본사항을준수하는지에대한보

증을SW를구입하는기관이요구하는경향이점차늘어나고있다. 또한구입자들은구입하는SW가요

구되는기능을만족하는지, 제대로구현이이루어졌는지, 시험이제대로되었는지에대한검증을요구하

고있다.50) 하지만, 이러한역할을하게될국제SW프로세스품질인증은‘간판’으로만존재한다는비판

을받고있다.

최근TTA는CMMI 레벨3 이상을획득한기업제품47개를시험평가한결과, 평균결함수가60.6개에

이르고, CMMI를획득하지않은기업의SW평균결함수는50.3개로CMMI 레벨 3을획득한기업보다

결함수가오히려적었다고밝혔다.51) 또한, GS인증을여러번받은기업도SW 결함수가줄지않은것으

로나타났다. 이는기업들이SW개발프로세스를표준화하지않아품질이향상되지않는악순환이반복

되고있다는방증으로, 개발에맞춰프로세스를최적화하여내재화하려는기업도있지만상당수기업들

은CMMI나SPICE 등SW프로세스품질인증을받은후관련인력을해체하는등내재화작업이미흡했

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이와관련하여국내외SW 품질인증제도와SW 프로세스인증현황을살펴

보면아래와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50) 윤청, “패러다임전환을통한SW공학”, 생능출판사, 2009

51) 국제 SW품질인증‘있으나마나’, 전자신문, 2010. 04.29

구분 조사 대상 개 요

국내 SP인증SW기업및개발조직의 SW 프로세스(프로젝트관리, 개발, 지원, 조직 관리, 프로세스개선) 품질역량수준을심사하여등급을판정하는제도

CMMI미국 SEI가 제품또는서비스의개발, 획득, 유지보수하기위한조직의공정및관리능력을향상시키기위한가이드제공을목적으로개발한인증제도

SPICEISO/IEC 15504 국제표준을기반으로제품또는서비스의개발, 획득, 유지보수하기위한조직의공정및관리능력을향상시키기위한가이드제공및심사를목적으로개발한인증제도

해외TUViT Trusted ISO/IEC 9126 표준의내부품질속성중하나인유지보수성및그하위속성들인분석성,

Product Maintainability 변경성, 안정성, 시험성에대한평가를실시하고인증을부여하는제도

eSourcing 서비스제공자에게는자체프로세스능력개선수단으로, 고객에게는아웃소싱서비스수준및Capability ModelIT 사업자 평가척도로활용될수있는인증제도

IEC 61508 IEC 61508은 프로세스산업에서개발된표준으로사용자가인증된제품을설치하고안전을인증 위해인정된공정수준을확보하 는지를평가하여인증을부여하는제도

< 국내외 SW 품질인증 제도 소개 >

Page 6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7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구 분 SP인증(국내) CMMI(해외) SPICE(해외)

주관 지식경제부 SW공학연구소(CMU/SEI) ISO/IEC

운 및관리 NIPA SW공학센터 SW공학연구소(CMU/SEI) ISO/IEC JTC1 SC7 WG10

국내기준 시장표준(미국) 국제표준

특징 조직차원의능력성숙도평가 조직차원의능력성숙도측정 프로세스별능력성숙도측정

단계적모형 단계적모형, 연속형모형 연속형모형

등급(단계) 3단계(1등급~3등급) 5단계(level 1~level 5) 6단계(level 0~level 5)

프로젝트관리프로세스 개발 Process Management Primary life cycle분류의 지원 Project Management Supporting life cycle차별성 조직관리 Engineering Support Organizational life cycle

프로세스개선

심사방법 SW프로세스품질인증심사방법 SCAMPI A SPICE 심사방법

심사대상문서와인터뷰 문서와인터뷰 문서와인터뷰

(증거유형)

인증신청 인증기관 선임심사원 선임심사원

인증심의기구 인증심의회 존재하지않음 존재하지않음

인증유효기간 3년 3년 존재하지않음

심사원선임심사원(외부) 선임심사원(내부/외부) 선임심사원(외부)+ 심사원(외부) + 심사원(주로내부) + 심사원(외부)

인증부여주체 인증기관 선임심사원 선임심사원

심사및인증기관

선임심사원을확보한지역시행인증센터(LTC)

인증 관리 민간기업(TP)

인증심의회 존재함 존재하지않음 존재하지않음

선임심사원전문기관(NIPA SW공학센터) SW공학연구소(CMU/SEI) 지역시행인증센터(LTC), ISO

양성및관리

심사원 : 교육이수와경력 예비심사원 : 교육이수(SW엔지니어링경력 5년또는

심사원 : 교육 이수자경력 3년또는프로세스 심사원 : 2회 이상심사참여·

심사원 컨설팅경력 3년이상) 참관, 72시간의교육이수

자격 선임심사원 : 심화과정교육이수, 선임심사원 : 교육이수와경력80시간이상의심사수행과경력 (Systems & SW Engineering 선임심사원 : 심사원으로(SW엔지니어링경력 10년 또는 분야에서의최소 10년의 Project 120시간이상심사참여,프로젝트관리경력 5년또는 management & engineering 교육 및실무경력 10년 이상프로세스컨설팅경력 5년이상) 경험, 최소2년의기술인력관리경험)

< 국내외 주요 SW 프로세스 품질인증 비교 >

※ 출처 : NIPA, 2010

인증기관

인증방법

인증주체

Page 6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8

미국SEI가제품또는서비스의개발, 획득, 유지보수하기위한조직의공정및관리능력을향상시키기

위한가이드제공을목적으로개발한프로세스개선모델인CMMI의획득현황은아래와같다. 전반적

으로Level 2와 3에집중된현상을보이고있으며, 미국이나인도의경우에CMMI의최고수준인Level

5를획득한조직이많은것을볼수있다.

SW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국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은 SW기업 및 개발 조직의 SW프로세스 품질 역량 수준을 심사하여 등급을 판정하는 제도이

다. 국내에서시행되고있는SW프로세스(SP) 품질인증에대한현황은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국가 Not Given Level 2 Level 3 Level 4 Level 5 합계

중국 11 52 1,048 31 24 1,166

미국 34 313 472 3 52 874

인도 2 9 241 1 70 323

스페인 8 98 44 2 3 155

일본 6 26 71 3 2 108

프랑스 7 67 29 0 0 103

브라질 0 56 40 0 4 100

대만 0 41 44 3 0 88

멕시코 2 38 35 1 5 81

한국 5 27 38 7 3 80

아르헨티나 4 36 14 0 2 56

기타 30 190 254 11 32 517

합계 109 953 2,330 62 197 3,651

< 주요국의 CMMI 획득 현황 >

국가 Not Given Level 2 Level 3 Level 4 Level 5 합계

2007 2 6 8 0 2 18

2008 0 11 13 2 0 26

2009 2 6 14 2 1 25

2010 1 4 3 3 0 11

합계 5 27 38 7 3 80

(단위 : 건)

※ 출처 : CMU/SEI, List of Published SCAMPI Appraisal Results(2011. 9. 기준)주)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인증의 유효기간 도입('07)으로 유효기간 3년이 경과한 조직은통계에서 제외. ‘Not Given’은

Continuous(연속형 모델)방식에서 특정 역에 대한 심사만 이루어져 Level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임

< 한국의 연도별 CMMI 획득 현황 >(단위 : 건)

※ 출처: CMU/SEI, List of Published SCAMPI Appraisal Results(2011. 9 기준)

Page 7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69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획득년도 기업명 인증등급

비트컴퓨터 2등급

쉬프트정보통신㈜ 2등급

(주)엠플러스컨설팅 2등급

(주)웨이버스 2등급

2009년 (주)위니텍** 2등급

(주)포시에스** 2등급

(주)한국공간정보통신 2등급

(주)이넥션코퍼레이션 2등급

SQI소프트㈜ 2등급

(주)디유넷 2등급

(주)비즈니스25 2등급

(주)에스아이에스 2등급

(주)와이즈넛 2등급

(주)이엠테크놀로지** 2등급

2010년(주)티맥스소프트 2등급

(주)한국무역정보통신 2등급

(주)한국이디에스 2등급

대우정보시스템(주) 2등급

인피언컨설팅(주) 2등급

한국인포비즈(주) 2등급

현대정보기술(주) 2등급

(주)텔레칩스 2등급

(주)링크제네시스 2등급

(주)윈포넷 2등급

(주)윈스테크넷** 2등급

2011년 (주)새롬씨앤씨 2등급

(주)케이엘넷 2등급

(주)픽소니어 2등급

롯데정보통신(주) 2등급

유큐브(주) 2등급

(주)야긴스텍** 2등급

(주)웨이버스 2등급

(주)위니텍** 2등급

(주)비트컴퓨터 2등급

(주)클립소프트 2등급

2012년 (주)지플러스** 2등급

(주)포시에스** 2등급

(주)엠투소프트** 2등급

(주)화인에스아이 2등급

(주)토탈소프트뱅크** 2등급

(주)유니텍** 2등급

< SW 프로세스(SP) 품질인증 획득 현황 >

※출처 : NIPA, 2011.12.31 기준※등급은 1~3등급으로구분되나, 인증은 2등급또는 3등급만주어짐※ ** 전사인증업체

Page 7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0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2009년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제도 운 기관으로 지정된 후 2009년도에는

총 15건의심사(획득 9건), 2010년도에는총 16건의심사(획득 12건), 2011은 16건, 2012년에는 13건의

인증심사가이루어졌다. 이중인증을받은총기업개수42개기관으로인증획득율은70%이다.

국내SW 최종제품에대한시험인증인GS인증은국산SW제품의품질향상을통한국내SW산업활성

화를위해 SW산업진흥법제13조에의거, 국제표준을준용한한국형평가모델에따라테스트를수행하

여품질인증기준을통과한SW에인증을부여하는인증제도로현재TTA에서수행하고있다. GS인증에

대한현황은다음과같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협회(KOSTA)는지난해부터추진돼온SW 아키텍트자격인증제를통해제1회인증

자를배출하 다. SW 아키텍트는 SW의품질생산성에 향을미치는핵심요소인아키텍쳐(기본구조)

를설계, 결정하는사람으로SW 개발전과정에걸쳐기술분야의의사결정을하는SW 개발책임자이다.

국내공식아키텍트현황은아래와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합계

인증심사건수 15 16 16 13 60

인증획득건수 9 12 10 11 42

< SW 프로세스(SP) 품질인증 제도의 인증 획득률 현황 >(단위 : 건, %)

※ 출처 : NIPA, 2012.12월 18일 기준

구분 2001~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누적 합계

인증건수 250 219 203 270 231 292 72 440 1977

< GS인증 현황 >

※ 출처 : 디지털타임즈, 2012.07. 기준

(단위 : 건)

인증등급 자격명 자격인원

Level 1 아키텍트 14명(삼성SDS 1명, LG CNS 4명, 현대모비스 7명, CJ시스템즈 1명, 삼성전자 1명)

Level 2 시니어아키텍트15명(삼성SDS 5명, LG CNS 2명, SK C&C 5명, GS SHOP 1명,

언스트앤 1명, 우리에프아이에스 1명)

Level 3 마스터아키텍트 -

< 공인 SW 아키텍트 인증 현황 >

※ 출처 : 한국소프트웨어기술지흥협회 홈페이지(http://www.kosta-certi.com)

Page 7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1

3.1.5. SW공학 R&D 투자 현황

2013년도국가연구개발(R&D) 예산이 15조 9,725억원으로책정되었다. 대형국책사업과기초연구, 재

난/재해대응기술을비료해줄기세포등전략분야에투자를확대하 다. 전체R&D 예산중국가과학기

술위원회가배분조정한▲5년이상중장기대형사업▲미래성장동력창출▲기초과학분야등의관련

예산은전년대비8.3% 증가한10조7,212억원으로편성됐다.

부처별 예산은 교과부(5조 400억원), 지경부(4조6843억원), 방사청(2조3179억원)으로 전제 R&D 예산

의75%을차지했다. 재난재해및기상이변관련투자확대에따라방재청과기상청예산이각각36.7%,

28.2%가 늘어났다. 이에 반해 SW 분야의 R&D 투자는 총 2,105억원으로 2011년의 1,996억에 비해

5.5% 증가한수치이지만, 총국가R&D 투자액(15조9,725원)의 1.3% 수준이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연도별 국가 R&D 예산 >

구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연평균증가율

예산 81,396 93,461 106,300 119,567 130,456 141,218 10.9

기금 16,233 17,323 17,138 17,437 18,446 19,026 2.4

총 투자 97,629 110,784 123,437 137,014 148,902 160,244 9.7

2007년

81,396

16,233

97,629

2008년

17,323

93,461

2009년

17,138

106,300

2010년

119,567

17,437

2011년

18,446

130,456

180,000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

총투자기금 예산

110,784123,437

137,014148,902

2012년

19,026

141,218

160,244

※ 출처: http://dashboard.ntis.go.kr

Page 7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2

2013년정부부처별R&D 예산은 17조 219억으로올해대비6.2% 증가한것으로나타나고잇다. 하지만

지경부의2013년SW분야의R&D예산은2012년(1413억)에비해150억원가량줄어든1265억으로삭감

됐다.

이같은결과는2010년부터진행되어왔던WBS 사업지원이마무리됨에따라감소한것으로분석된다.

WBS사업지원에힘입어실제지경부SW 분야R&D예산은2010년부터상승곡선을탔다. 2009년 809

억에그쳤던지경부SW R&D 예산은2010년1041억, 2011년 1538억으로급증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2012년 R&D 예산 중점투자분야 >

핵심 과제

기초 과학

주요지표/사업

기초/원천연구투자비중

과학비즈니스벨트

신성장동력 /

녹색기술

신성장동력 & R&D투자

녹색기술 & R&D투자

로벌

경쟁력

소프트웨어

줄기세포

중소기업

중소기업전용 R&D

대/중소기업상생(구매조건부, 민관공동투자사업)

재난 재해

지진·원자력안전등

감염병·동물전염병

11년

47.4%

100억원

2.2조원

2.5조원

1,966억원

601억원

6,238억원

800억원

626억원

506억원

12(안)

50.6%

2,100억원

2.8조원

3.0조원

2,105억원

1,004억원

7,095억원

1,010억원

796억원

653억원

* 출처: 2012년 R&D 예산 편성(안) 기획재정부/국가기술위원회

Page 7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3

지경부뿐만아니라방송통신위원회의HTML5와빅데이터사업역시예산이삭감됐다. 방통위는차세대

인터넷 비즈니스 강화 사업으로 HTML5 활성화를 위해 총 95억원의 예산을 신청했지만 신청금액의

20%에도못미치는16억원으로최종결정됐다. 정부가국가경쟁력강화차원에서얘기했던빅데이터역

시45억원의신청금액중3분의1수준인13억원으로통과됐다.

전문가들은정부의이같은 IT 관련분야예산삭감은결국미래성장동력상실로이어질것이라고우려

하고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등선진국들이현재가장투자하고있는분야가클라우드, 빅데이터등IT

신기술과 SW산업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반대로 창조지식산업으로 분야인 SW투자가 오히려

줄어들고있다고우려를나타내고있다.

특히, SW공학과관련된정부R&D 투자규모는현재261억원(2012년)52)으로이는국가R&D 투자액의

0.02%에해당하는투자규모이자SW R&D 투자규모의 1.24%에해당하는규모이다. 최근 IT융합시장

의급속한성장으로인해SW에대한중요성이한층높아졌으며, 이에따라SW 품질경쟁력에대한시장

의요구도높아져가는사실을감안한다면SW품질경쟁력을높일수있는SW공학에대한투자도많이

부족한실정이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52) 정보통신산업진흥원SW공학센터의 'SW공학경쟁력강화’사업과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테스트기반조성’사업을합산

Page 7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4

3.2. 조직 및 인력 측면

3.2.1. SW공학 인력 현황

현재 SW산업인력은 2010년기준으로약 17만 6천명정도인것으로추정되며, 타산업의전산직까지

포함하면71만 9천명인것으로추정된다. 분야별로살펴보면, IT서비스가가장많은 13만 3천명이고,

그다음으로패키지SW와임베디드SW 순이다.

상기직군중에서 SW공학과직접적으로관련이없는기획직군과기술 업/마케팅직군을제외한 SW

개발직군과운 /관리직군의인력들을합한인력들인SW공학관련인력은총7만여명정도로추정되

며, 임베디드SW 분야는다른직군인력보다개발인력을상대적으로많이보유하고있는것으로보이며,

IT서비스는운 /관리인력을상대적으로많이보유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SW전문인력중직군별로살펴보았을때, 기획과기술 업및마케팅직군을제외한직군을SW공학관

련인력으로분류할수있으며, 이분류에따르면, 현재SW공학과관련된인력은SW 개발과운 /관리

직군에있는인력들이라할수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IT서비스 82 88 92 110 121 133

SW산업 패키지SW 29 30 32 29 31 33

인력 임베디드SW - 7 7 15 10 10

소계 111 125 131 154 162 176

타산업전산직 541 544 569 558 545 543

합 계 652 669 700 712 692 719

< SW산업 인력 현황 (상시종사자 수 기준) >(단위 : 천 명)

※ 출처 : KEA(2011. 9)

주) 2008년부터 IT서비스의 범위(홈페이지제작, 호스팅서비스 추가)가 확대, 2010년 인력 수는 잠정치이며, 임베디드SW 인력은 NIPA에서 조사한 임베디

드SW 전문인력 추정치로 2009년 9월 기준이고, 2010년은 2009년 데이터 준용

구분 IT서비스 패키지SW 임베디드SW 전체

전체 39,263 17,803 13,059 70,125

< SW분야별 SW공학 관련 인력 수 >(단위 : 명)

Page 7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5

3.3.정책적 측면

3.3.1.국내외 주요 유관기관 현황

(1) 해외주요유관기관현황

세계각국은 SW공학관련기관을설립하여지원함으로써 SW공학기술의연구개발및산업계적용을

통해SW산업의육성을위해힘쓰고있다. 미국은1960년대 'SW위기(SW Crisis)'를경험하면서SW품질

개선을위한관리모델을본격적으로개발및보급하고있으며, 유럽은미국과의SW품질경쟁을염두에

두고1980년대후반부터SW품질제고를위한다양한프로젝트를수행하고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국가 명 칭 설립 역할 및 주요 활동

SEI - SW공학기술을실용적으로진보시켜 SW공학기술을선도(Software Engineering 1984 - 세계 최고수준의 SW공학연구소

Institute) - 연구개발, 기술지원및컨설팅미국

DACS- 미 국방성의 SW기술정보분석센터및 SW공학기술정보제공

(Data & Analysis 1995- SW기술정보를온/오프라인으로제공하는중심허브역할

Center for Software)- SW공학기술에대한개발, 시험, 검증 및전수지원서비스- SW기술 48개 분야에대한연구및뉴스레터발행

IESE(Institute for - SW 개발프로세스정립및 SW 개발을위한기술지원

독일Experimental Software

1999- 연구개발, 컨설팅및기술이전

Engineering)

CSE - SW 기업의 SW 품질과개발생산성향상을지원해줌아일랜드 (Center for Software 1991 - Best Practice 구축 및확산

Engineering) - 연구개발, 컨설팅, 인력양성

CSER - 첨단 SW공학연구를통해대학의 SW공학교육과정의질을높이고고급인력을양성캐나다 (Consortium for Software 1996 - 산·학·연컨소시엄형태로설립됨

Engineering Research) - 연구개발, 인력양성

SEC - SW 개발능력강화와선진 SW 개발기술연구를통해 SW기업의경쟁력향상을지원일본 (Software Engineering 2004 - 연구개발, 표준화, 인력양성, 기술보급

Center) - 임베디드SW 개발능력강화를위해첨단 SW공학기술개발

SEC - SW공학고급인력양성(전문석사과정)중국 (Software Engineering 2003 - 북경대학, 상해교통대학, 우한대학등 2004년에 36개 대학에설립, 대학별로 3년간

Center) 35억원 씩 1,200억원(10억위엔) 지원

Page 7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6

(2) 국내주요유관기관현황

주요유관기관으로는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SW공학센터와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SW연

구부문, 그리고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SW시험인증단등이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

센터는국내SW산업의품질경쟁력향상을위해SW공학기술의연구개발과산업계전파에주력하고있

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SW 연구부문은 SW관련핵심기술과원천특허확보에집중하고있고, 한

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SW시험인증단은 국내에서 개발된 SW제품에 대한 시험 인증 서비스에 힘쓰고

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SW공학센터2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SW연구

197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SW시험인증단

1988

명칭 설립년도 역할 및 주요 활동

SW공학센터는 SW공학선도기술의도입·전파에주력하고있으며, SW공학기술산업현장적용등을통해대학및전문연구기관과기업현장을연결하는중심허브역할담당

SW개발프로젝트의성공여부와문제점을미리예측하여 SW품질과생산성, 제품결함등을총체적으로진단할수있는 SW공학컨설팅등 SW공학관련전문컨설팅제공추진

SW품질과생산성, 비용 등을체계적으로추적평가할수있는데이터수집체계를강화하여SW기업들이이를손쉽게활용하게함으로써전체적인국가 SW품질향상주도

세부사업-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제도운- SW공학요소기술연구및개발- SW공학기술현장적용지원- SW공학컨설팅서비스제공

1996년 부설시스템공학연구소(SERI) 이관 설치

임베디드및컴포넌트분야의 SW개발방법론에관한기술개발및보급※마르미-III 방법론, 마르미-RE(재공학) 방법론등

현재 SW연구부문에서 SW기술연구개발- 다양한산업에적용할수있는임베디드SW 플랫폼기술, 편리한지식서비스를위한스마트모바일 SW 기술과차세대클라우드컴퓨팅기술, 인간 친화적인터페이스를창조하는감성 ICT 기술, 인터넷의안전성을강화하는인터넷정보보안기술분야등에서핵심기술과원천특허확보에집중

※ SW연구부문은클라우드컴퓨팅연구부, 음성언어정보연구부, 임베디드SW 연구부, 지식정보보안연구부, 차세대컴퓨팅연구부로구성

SW제품에대한시험인증서비스제공및정보통신관련표준의제·개정, 보급 등의업무수행

< 국내 주요 유관기관 현황 >

Page 7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7

3.3.2. 법 제도 현황

SW산업의진흥을위해각종법령이제·개정되고, 제도가시행되어왔다. 이러한SW산업의진흥을위

한법·제도적인노력은크게중소기업의사업참여기회확대와SW사업의제값받기, 그리고, SW사업

의품질제고차원에서시행된것이다.

SW사업의진행단계(기획및발주준비단계, 평가및계약단계, 사업관리단계, 운 및유지보수단계)

별관련법령과규정은다음과같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SW사업 진행단계별 관련 법령 및 규정 >

* 출처 : NIPA, 2009

Page 7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8

3.3.2.1. SW사업 기획 및 발주 준비단계 관련 법령 및 규정 현황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제도 및 정책 관련 법령 및 고시

- 국가계약법시행규칙 (추진근거)

법령-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임치제)- 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정보화수준)- 정보시스템의효율적도입및운 등에관한법률 (ITA, ISP 추진)

- 분리발주대상 SW고시 - SW사업대가의기준

- SW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및세부지침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중소기업진흥및제품구매촉진에관한법률 (중소기업간경쟁품목지정)

고시 - 중소기업제품공공구매제도운 요령 (중기청)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법령 - 중소기업기본법 (중소기업의범위)

- 중소기업진흥및제품구매촉진에관한법률 (중소기업간경쟁품목지정)

고시 - 대기업인 SW사업자가참여할수있는사업금액의하한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법령 - 국가계약법 (원가산정)

- 엔지니어링진흥법 (설계원가산정)

고시 - SW사업대가의기준,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기준

법령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고시 - SW사업제안서보상운 규정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정보시스템의효율적도입및운 등에관한법률 (상호운용성평가등)

고시- SW사업관리감독기준(발주계획서, RFP작성부문)- SW기술성평가기준 (평가배점및한도등)

법령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고시- (표준) SW사업발주·관리프로세스 (국가표준)- SW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및세부지침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국가계약법 (입찰자격)

고시 - SW사업자신고요령

SW분리발주제

GS우선구매제

대기업참여하한제

SW사업대가

RFP 명확화

W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

제안서보상제

사업자신고제

중소기업참여확대

제값받기

SW사업품질제고

Page 8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79

3.3.2.2. SW사업 평가 및 계약 단계 관련 법령 및 규정 현황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구분 제도 및 정책 관련 법령 및 고시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법령 -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임치제)

- 국가계약법 (낙찰자결정방식)

- SW기술성평가기준 (중소기업보호육성항목)

고시- SW품질인증기준 (GS인증제품적용및규모등)- SW프로세스품질인증기준 (인증획득여부)- SW사업제안서보상등에관한운 규정등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국가기술자격법, 자격기본법

고시 - SW기술자신고요령, 국가기술자격제, 국가공인민간자격증운 규정등

법령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고시- SW사업자신고요령, SW산업정보관리전문기관지정(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SW산업협회)

기술성평가제

SW인력양성체계구축

SW산업정보관리

중소기업참여확대

SW사업품질제고

Page 8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0

3.3.2.3. SW사업 사업관리 단계 관련 법령 및 규정 현황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제도 및 정책 관련 법령 및 고시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대중소상생협력법

고시- SW사업하도급적정성판단기준 (중소기업을하도급자로선정시 5점가점부여)- 하도급적정성판단전문지원기관지정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법령 - 대중소상생협력법

- 하도급거래공정화에관한법률

고시 - SW사업하도급적정성판단기준 (하도급대금지급방식의적정성 50점)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국가계약법 (추진근거)

고시 - SW사업대가의기준 (과업내용변경대가산정방법등)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대중소상생협력법

고시 - SW사업하도급적정성판단기준 (하수급인의사업수행능력 50점)

법령-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ITA법, 국가계약법, 보안업무규정

고시- SW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및세부지침- (행안부) 정보시스템감리기준등

법령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고시- SW프로세스품질인증제도운 지침고시- SW프로세스품질인증기관지정 (NIPA)

법령 - SW산업진흥법 (추진근거)

고시 - 품질인증기준, 품질인증의실시등

법령- SW산업진흥법 (사업관리)- ITA법 (감리), 국가계약법 (검수)

고시 - SW사업관리감독기준, 정보시스템감리기준등

과업변경대가

과학적사업관리

SW프로세스(SP)품질인증제

GS인증제

종료및인수

하도급사전승인

하도급사전승인

하도급사전승인

중소기업참여확대

제값받기

SW사업품질제고

Page 8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1

3.3.3. 정부 정책 현황

3.3.3.1.해외 정부 정책 현황

(1) 미국

미국은지속적인국가경쟁력강화및유지를위해SW 관련중장기전략을마련하고정책화를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전략 프로그램으로는 SW생산성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STARS(Software Technology for Adaptable Reliable System)와 미국 SW연구센터에서 수립한

Software 2015가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o 미 국방부에공급하는 SW의생산성과안정성을높이기위해 SW 생산비용을줄이고생산시기를앞당기는등SW의품질향상추진

o 군사기술분야에대한기술혁신적접근을연구하고검증하고자비슷한종류의시스템개발에쓰이는제품공정모델을도출(STARS Product-Line Development)하여 생산성향상도모

o 주관기관 : 미 국방부산하조직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Agency)

o 주요 참여기관 : The Air Force Electronic Systems Center (ESC), Boeing, Loral FederalSystems(formerly IBM Federal Systems), and Loral Defense Systems-East 등

o STARS의 목표와비전, 임무를설정하고기술적이슈로서재사용, 프로세스, SW공학환경 (인력, 개발조직등),기술이전등에대한전략수립

o 항공통제시스템, 재무시스템, 비행시뮬레이션, 가상전투시스템등의동종시스템개발에쓰이는제품공정공학모델개발

o 아키텍처기반재사용가이드라인및전략적모델, 도메인분석, 프로세스자산라이브러리등방법론에따른전략과그에따른모델제시

< STARS(Software Technology for Adaptable, Reliable System) >

개요

목적

추진기관

주요내용

o 미국 SW산업의지속적인경쟁력확보와신뢰성있는 SW제품및시스템개발능력의향상도모

o SW의신뢰성개선, SW 전문인력교육및배치, SW R&D 재활성화, SW산업혁신강화

o 주관기관 : SW연구센터(CNSS: Center for National Software Studies)o 참여기관 : 미 경쟁력위원회(Council on Competitiveness), 미국정보기술협회(ITA: Information TechnologyAssociation of America), SW생산성컨소시엄(SPC: Software Productivity Consortium) 등

o 전략적방법을①SW 신뢰성개선, ②SW 전문인력교육및배치, ③SW R&D 재활성화, ④SW산업혁신강화등 4가지로나누어각각의분류별로전략적인방안을제시

< Software 2015: A National Software Strategy to Ensure US Security and Competitiveness >

개요

목적

추진기관

주요내용

Page 8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2

(2) 유럽

유럽은SW생산능력향상및기술적용범위확대를위한ESPRIT를추진하고있으며, 미래경쟁력확보

를위한SW 기술로드맵을수립하여추진하고있다.

ESPRIT(The European Unions IT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me, 1994)은

유럽위원회산하산업총국에서경쟁이전단계의기술을중심으로산학연이공동으로연구?개발하는전

략프로그램이며, 유럽 IT 진흥기구에서는핵심 역의기술변화를모니터링하여시장에서원하는미

래기술을예측하고경쟁력을확보할수있도록SW공학관련로드맵을제시하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o 유럽 내다국적기업과중소기업이 로벌시장에서 IT관련기술과서비스를제공함으로써국제경쟁력을가질수있도록하기위한프로그램

o EU의 각기관들로부터수렴한 R&D 과제에대한제안을통합적으로관리

o 유럽위원회산하산업총국 (DG III, the Directorate General for Industry of the European Commission)

o SW기술, 컴포넌트및서브시스템, 멀티미디어기술 4가지로분류하여장기연구추진o 패러다임의변화에따른차세대기술개발을위한장기연구추진o 전 산업에서 SW생산능력수준향상과어플리케이션의적용범위확대를위한연구추진

< ESPRIT >

개요

목적

추진기관

주요내용

o 핵심 역의기술변화를모니터링하여시장에서원하는기술을예측하고경쟁력을확보할수있도록로드맵제시

o 미래시장경쟁력확보를위한예측과발전모델제시

o 유럽IT진흥기구 (ITEA: Information Technology for European Advancement)

o 시장, SW공급자, 조직화등기술지원분야의발전을위한단기, 중기, 장기 발전전략제시o SW공학을컴포넌트, 아키텍처재사용, 모델기반개발, 구조화등으로분류하여단기, 중기, 장기 발전방향제시

< Technology Roadmap for SW-Intensive Systems >

개요

목적

추진기관

주요내용

Page 8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3

3.3.3.2. 국내 정부 정책 현황

현재SW공학관련정부정책은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SW공학센터와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추진되고있다. 앞선장에서설명한대로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SW 관

련핵심기술과원천특허확보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국내에서개발된SW제품의시험인증서비스

에힘쓰고있으며,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SW공학센터에서는국내 SW산업의품질경쟁력향상을위해

SW공학기술의연구개발과산업계전파에주력하고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구 분 주요 사업 비 고

SW공학데이터수집및관리체계연구 SW공학백서

SW공학기반연구SW사업대가산정체계개선연구

SW인력양성체계연구SW직무수행능력표준, SW공학커리큘럼개발

융합SW 신뢰성기술개발

SW공학기술연구개발아키텍처중심의 SW개발기술연구

차세대금융 SW 프레임워크개발

Product Line 기반 융합 SW개발플랫폼연구

SW공학기술현장적용지원 중소기업의 SW공학기술현장적용지원

WBS 품질관리WBS(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품질관리

정부주도 SW R&D 과제품질관리 2012년 추진예정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

SW 품질평가기반기술연구

SW 테스트기반조성사업개방형실험실(Open Lab) 구축 및지원

SW시험전문기술산업계보급및확산

수출용 SW의 로벌품질역량강화

< SW공학센터의 주요 사업 현황 >

Page 8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4

(1) SW공학기반연구

SW공학의 저변확대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SW공학 관련 데이터 수집 및 관리체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공공부문 SW사업대가산정체계를개선하며, SW산업의중심이되는 SW인력에대한양성체

계를구축하는등의연구를진행하고있다.

(2) SW공학기술연구개발

의료장비, 금융, 모바일, 제조분야등에서요구되는융합 SW공학기술을연구개발하고있으며, 모바일

환경에따른신규산업도메인분야의SW공학기술을추가개발하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주요 사업 세부 내용

SW공학데이터수집및 SW개발조직의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등 SW공학지표발굴및개발을통해 SW공학데이터관리체계연구 수집및관리체계연구

SW사업대가산정공공부문 SW사업대가산정체계의선진화및적용의합리성향상을위한대가기준개선연구

체계개선연구

SW인력 SW공학커리큘럼및 SW직무수행능력표준을기반으로 SW기업이요구하는기술인력을적시에양성체계연구 효과적으로양성하는체계연구

< SW공학기반 연구 주요 내용 >

주요 사업 세부 내용

고신뢰융합SW의안정성확보기술개발및적용융합SW 신뢰성기술개발(의료장비) 고신뢰융합SW의생산성향상기술개발및적용

고신뢰융합SW의품질향상및보안관련기술개발및적용

금융 SW를위한 SW공학핵심요소기술연구차세대금융 SW 프레임워크개발(금융) 금융 SW를위한금융공학지식연구

금융 SW 프레임워크개발및검증방법연구

MID서비스 SW아키텍쳐설계방법론및 SaaS개발아키텍처중심의 SW개발기술연구(모바일) MID서비스시스템관리및품질보증기법개발

MID 미디어응용서비스개발및설계기법최적화

융합SW 개발을위한제품라인방법론연구Product Line 기반 융합 SW개발플랫폼연구(제조) SW와미들웨어동시모델링을위한통합개발환경연구

융합SW 제품라인방법론을산업도메인에적용

< SW공학기술 연구 개발 주요 내용 >

Page 8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5

(3) SW공학기술현장적용지원

SW공학기술투자에대한낮은인식및여력부족으로시장환경변화에대한기술적대처가미흡한기

업들을위해 SW공학기술을적용하여궁극적으로 SW 품질및개발생산성을향상시키고자 SW공학기

술현장적용지원사업을실시하고있다.

(4) WBS 품질관리

지식경제부에서주도하고있는WBS(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의 로벌품질수준달성을위해

개발全단계에제 3자적관점의독립적이고객관적인, 그리고예방적이고통제적인 SW 품질관리를추

진하고있다.

또한 SW품질관리기준및프로세스를구축하여이를정부가주도하고있는SW R&D 과제에적용함으

로써, 정부주도R&D 과제가선진수준의품질경쟁력을확보할수있도록유도하고, 동시에검증된SW

나SW 개발산출물을발굴하여이를산업계전파·공유할수있는체계를수립하기위해힘쓰고있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SW공학기술 현장적용 지원 사업 내용 >

주요 사업 세부 내용

WBS 프로젝트로선정된항공, 자동차, 모바일SW 등WBS(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품질관리 ‘SW+제조업’분야 3개과제와의로, 교통, 보안SW 등

‘SW+서비스업’분야 4개과제에대한 SW품질관리수행

< 국가적 SW품질 고도화 지원 사업 개요 >

Page 8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6

(5)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은국내SW기업의품질경쟁력및신뢰성향상을위해SW기업및개발조직의

SW프로세스품질역량수준을심사하여등급을판정하는제도로, SW 및정보시스템을개발하고, 관리

하는국내SW기업을대상으로하고있다.

최근지식경제부와행정안전부가국가정보화수·발주제도개선의방안으로정보시스템기술평가시

SP인증업체에대해우대가점을부여할계획으로SP인증기업가점의시행은올하반기에시작될예정

이다.

(6) GS 품질인증

GS 품질인증은ISO/IEC 9126, ISO/IEC 12119, ISO/IEC 14598를기반으로한국형평가모델을개발하

고이를근거로SW제품에대한시험/인증서비스로국내SW제품의품질향상유도및국내SW 시장활

성화를목적으로시행되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 개요 >

Page 8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7

(7) SW 품질평가기반기술연구

S/W 품질평가기반기술연구는향후일어날새로운분야의시험·인증에대비하여사전에관련기초기

술조사및연구, 국제표준화활동, 시험항목도출, 항목별평가방안연구및선행시험등을수행한다.

S/W 품질평가체계개선연구는같은SW 제품이라도끊임없이진화하기때문에현재적용중인S/W 평

가모듈을지속적인연구를통해개선해나가는것을목적으로하고있으며, 외국선진시험·인증기관의

사례조사분석및국제표준화활동등을통해선진기법을습득하여현품질평가모듈의개선및점진적

인국제화를모색한다.

(8) 개방형시험실(Open Lab) 구축및지원

SW를개발하는기업이제품품질및생산성향상을위해개발과정중에직접자사제품을테스트할수

있도록시험장비, 시험자동화도구, 지원인력등의시험인프라를구축하여지원하는사업이다.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SW시험 인증 절차 >

Page 8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8

(9) SW 시험전문기술산업계보급/확산

SW 시험전문기술보급프로그램을운형하여정보통신기술협회의시험인증센터에축척된시험전문기술

을업계에전수하는프로그램이다.

(10) 수출용SW의 로벌품질역량강화

수출용SW의 로벌품질역량강화는국내SW업체의품질개선및투자위험부당경감을위한수출

용SW 현지화컨설팅및시험지원, 가이드라인을제공하는사업이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 테스팅 기반조성사업 개요 >

SW 테스트 기반조성사업

SW품질평가기반기술연구

Open Lab구축/지원

SW시험전문기술보급확산

수출용 SW로벌

품질역량강화

제공 서비스

GS시험인증

BMT

품질현지화시험

Tested제공

기대효과

제품품질향상

개발기간단축

신뢰도증가

마케팅지원

Page 9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89

3.3.3.3. 국내 SW 품질 강화 대책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 비전 및 추진전략 >

Page 9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0

[ 대책1] 산업현장 착형SW품질역량강화지원

1. SW품질 가시화 지원도구 개발·보급(SW Visualization)

■ SW개발 현황의 가시화를 위한 종합 품질관리 지원도구 개발

개발자및관리자가쉽게시각적으로SW를개발하고관리할수있게지원해주는유형별품질지표

및全주기지원도구개발

* (주요 역) 요구사항, 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등

지원도구는저렴한비용으로누구나쉽게활용할수있도록공개SW로우선적으로발굴하고필요

시추가개발

* Java, C/C++ 개발환경대상 Tool Chain 우선 개발

■ SW Visualization 시범사업 및 SW전문기업 보급 추진

SW품질향상지원도구의분야별실효성검증을위해IT융합주요R&D 등 10대시범분야를선정하

여시범적용

* SW Visualization 개발 환경인 Tool Chain 시스템도입지원및컨설팅제공

구축한품질관리지원도구를국내기업현황에맞게적용·내재화할수있도록SW전문기업에맞

춤형보급추진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산업발전 및 IT융합 확산에 향력이 큰 5대 주력산업

자동차

IT

에너지

IT

국방·항공

IT

섬유

IT

조선·해양

플랜트IT

국민생활과 접하게 연계된 5대 서비스 분야 지원

건강한 IT

헬스케어, 먹을거리 교육, 교통 재난, 치안

편리한 IT 안전한 IT

< SW Visualization 적용 10대 시범 분야 대상 >

Page 9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1

2. SW품질관리 기술 연구·개발 및 현장적용 확대

■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SW공학기술 현장적용 지원 확대

高신뢰가요구되고국제표준이엄격히적용되는 SW분야를적극발굴하여 SW공학기술현장적용

지원을확대

* 로봇, 자동차, 원자력, 항공, 국방, 의료 등이대표적高신뢰성 SW활용분야

공인된SW품질전문가가On-Site로기업의품질관리역량내재화를지원하는‘SW품질전문가파

견사업’추진

■ 산업현장수요에기반한SW품질관리기술개발및보급추진

신산업분야의서비스개발을위한SW공학적용가이드를개발·보급하여중소기업의新시장진입

촉진

* 高신뢰성이요구되는융합SW분야와 Cloud Computing, Big-Data 분야

융합SW 제품의품질제고및생산성강화를위해 SSPL*(System & Software Product Line)의

국내적용방안연구및개발

* 다양한소비자요구에맞춘제품군생산을위해아키텍처나컴포넌트등핵심 SW자산을재사용하기위한기술

중소기업이활용가능한SW아키텍처참조모델의개발과확산추진

* 참조모델을기반으로시스템개발시적용컨설팅및전문가멘토링제공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Page 9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2

3. 산업현장 맞춤형 SW품질 전문인력 양성 및 해외진출 지원

■ 선진국 수준의 SW품질관리를 위한 테스트 전문인력 양성 강화

현장에서바로적용할수있도록실습위주의SW 테스트전문교육확대를통해“1만 SW품질관리

인력양성”추진

* 대학생/대학원생대상 SW 테스트전문가양성과정을개설?운

테스트교육과정과연계된민간기술자격의국가공인및적극적홍보를통한신뢰성·공신력확보

추진

* TTA에서운 하는 CSTS(Certified SW Test Specialist) 자격 등대상

■ 산·학·연 연계를 통한 SW품질분야 고급인력 양성

「대학 IT연구센터(ITRC) 육성 사업」등을 통해 산·학·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SW공학기술 연

구·개발및고급인력양성

「SW공학표준커리큘럼」을활용한실습위주의현장맞춤형SW품질전문인력양성과정개발및

교육기관확산지원

* SW공학표준커리큘럼 : SW품질전문인력이갖춰야할지식과 skill 정의

■ 로벌 품질관리 역량 제고를 통한 해외진출 지원

국제적품질및신뢰성규격에대한조사·정보제공및국제표준준수활동지원

* 도메인별신뢰성품질기준조사, 품질기준에따른품질활동가이드개발·보급및멘토링등애로사항해결지원

수출용SW를위한국제화·현지화시험및컨설팅확대

* 수출용 SW 테스트베드제공범위를일본에서미국, 중국 등으로확대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Page 9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3

4. SW인증제도(GS, SP) 개선 및 인센티브 확대

■ 사전 컨설팅, 심사비 지원 등 중소기업 지원 강화

SP인증심사업무프로세스개선을통한심사비경감(1천만원수준, 2등급기준)과중소기업대상

인증심사비50% 지원(획득조건)

- SP인증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인증 사전진단을 위한 SW품질역량 수준진단과 해당 전문가의

One-point 컨설팅추진

* SW공학센터에서프로세스분야전문가를중심으로전문가풀을구성

GS인증획득을위한제품품질개선컨설팅지원과해당제품에대한GS인증수수료추가할인을

통해인증제품확대

* 컨설팅을받은중소기업이해당제품으로 GS인증신청시추가 10% 할인

■ 인센티브 확대, 로벌화를 통한 인증의 신뢰성·효용성 제고

SW품질역량을갖춘기업의시장참여확대를위해SP인증기업우대제도확대

* 일반용역적격심사(조달청), 국방SW 연구개발사업자선정(방사청), 병역특례업체선정(중기청)시 SP인증기업우대추진

수요자가 인증을 획득한 기업과 제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DB를 구축하고 홈페이지, 메일링

등을통해상세정보제공

국내 인증제도의 신뢰도 등을 국제적으로 홍보하고 개도국 등에 우리 SW인증시스템을 전파하여

인증기업의해외진출기반조성

* SP, GS 인증의국제표준화및해외인증(CMMI 등)과 상호인정추진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Page 9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4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5. 공공 정보화 사업 및 정부 SW R&D 사업 품질 관리 강화

■ 공공 정보화 사업의 SW품질 중심 발주 및 관리·검증강화

공공정보화사업발주시사업자의품질관리계획제출의무화추진

품질관리계획에따른적정품질관리수행여부를공인인증기관의시험결과서에근거하여최종

검수를시행하는방안검토

* 소프트웨어사업관리감독에관한일반기준개정검토

■ 공공 정보화 사업 발주자와 PMO의 SW품질관리 역량 제고

공공정보화사업발주자와PMO 대상SW품질교육강화

* (발주자) SW사업발주·관리� 프로세스, 품질 관련동향, 성공사례등교육* (PMO) 정보화사업품질방법론과기법, BMT 수행방법등교육

공공정보화사업에필요한SW 구매시PMO가BMT 실시를발주기관에요청할수있도록근거마

련추진

* 발주기관의정보화예산낙찰차액을 BMT 수행비용으로사용하여참여기업의비용부담경감추진

■ 정부 SW R&D 과제 수행 시 따라야 할 품질기준 보급·확산

정부SW R&D의경우외부전문기관의체계적품질관리추진

* 수출 목적과제, 항공·자동차·의료·철도등안전성이슈로체계적인품질관리가필수적인분야에시범적용

SW R&D 품질검증기준의개발및시범적용을통한지속적인개선과품질관리우수사례선별을

통한공유·확산

* 시범사업추진결과에따라품질기준준수요구를사업요청서(RFP)에 명시하는등 SW R&D 관리규정개정추진

Page 9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5

6. SW품질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 SW품질 지원 공공기관의 확대 및 역량 강화

SW품질강화대책의추진을위해정보통신산업진흥원부설‘SW공학센터’를SW 품질중심기관

으로확대개편추진

* SW품질향상 지원도구 개발·보급(SW Visualization), 발주자/발주기관의 SW품질기술지원 전담조직 신설 및 SP인증제 확대에따른인원확충

GS 인증확대및테스트인력양성을위해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SW시험인증단을 SW시

험연구소로확대

■ CEO 교육, 포상, 성공사례 홍보 등을 통한 품질인식 제고

SW품질인식제고와투자유도를위해SW분야CEO 이외에제조, 유통등타산업에서도참여가

능토록CEO 교육과정확대

SW R&D, 정보화사업등에서SW품질을혁신적으로개선한기업및개인을발굴하여SW품질대

상을시상하고우수사례홍보

* 품질 및 SW공학분야컨퍼런스인 SW Quality Insight에서 년 1회 시상

■ SW품질 포럼 및 커뮤니티 구성·운

SW품질전문가및개발자를대상으로「SW품질포럼」을구성하여우수한 SW공학적용사례및기법

교류·확산

* 프로세스, 아키텍처, 테스팅, QA 등 SW개발전분야를통합하여추진

요구사항, 설계·구현, 테스팅, 유지보수등「SW공학기술별커뮤니티」를운 하여표준및기법에

대한공유확산추진

* SW공학센터포털을통해운 을지원하고년 1회 합동세미나추진

SW품질과생산성혁신의길, SW공학 1

Page 9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 a t i o n a l I T I n d u s t r y P r o m o t i o n A g e n c y

Page 9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

2. 조사개요및현황분석

4. 조사 개요

5. 참여기업및프로젝트의특성

6. SW공학수준

7. SW개발생산성

8. SW품질및품질비용

SW공학백서 2013

Page 9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8

4. 조사개요

4.1. 조사 목적

SW공학현황분석을통해국내 SW기업의 SW공학기술적용현황을파악하고, SW기업이수행한프로

젝트의성과수준을파악하여취약분야의기술지원등SW공학기술보급정책의근거를마련하기위해조

사를실시하 다. 또한, 국내 SW기업들에게 SW산업의전반적인 SW공학수준과 SW개발프로젝트성

과, 그리고그성과에 향을미칠수있는품질활동비용등에대한정량적인식을심어주기위해조사

를실시하 다.

4.2. 조사 내용

4.2.1. 조사 대상

조사대상의모집단은전국의총6,290개 SW기업을대상으로하 으며, 이는조사여건등을감안하여

전국의 SW기업체 중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임베디드SW산

업협의회보유기업리스트를기준으로한것이다.

4.2.2. 조사 구성

본조사를통해수집된 SW공학데이터는①SW공학수준데이터②SW프로젝트성과데이터③SW프로

젝트품질비용데이터④SW제품결함데이터이다. 자세한구성은다음과같다.

2 조사개요및현황분석

Page 10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99

SW공학현황분석을위한조사는 SW공학수준데이터 258개항목(SW공학프로세스 145개항목, SW

공학인력71개항목, SW공학기술42개항목), SW프로젝트성과데이터14개항목, SW품질비용데이

터7개항목, SW환경데이터9개항목과SW제품결함데이터84개항목에대해실시하 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내 용

프로세스, 인력, 기술로구분

(1) SW공학수준데이터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 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로구분

(2) SW프로젝트성과데이터 납기성과, 비용성과, 품질성과로구분

(3) SW프로젝트품질비용데이터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으로구분

(4) SW제품결함데이터ISO/IEC 9126에서 제시한 품질특성별로 구분(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 SW공학 현황 분석을 위한 조사 데이터 구성 >

< 조사의 개념모델 >

SW개발 프로젝트 프로젝트 성과

품 질

비 용

납 기SW공학 수준

프로세스

인 력

기 술

Page 10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0

각데이터별세부측정항목및지표는다음과같다

(1) SW공학수준데이터 : 프로세스, 인력, 기술로구성

①프로세스수준점수

- 성공적인SW개발활동에있어서반드시수행되어야하거나수행이필요한활동들이SW기업에서제

대로수행하고있는지를확인하기위한지표로프로세스이행수준지표와프로세스내재화수준지표

로구성

프로세스이행수준지표는프로젝트관리, 개발, 지원, 프로세스관리4개의 역에대한하위점수

로구성되며, 4개 역의수준점수를종합하여점수로산정,

프로세스내재화수준점수는프로세스이행이조직전반에걸쳐원활하게이루어지기위하여필요

한사항을확인하는지표로프로세스관리내재화수준점수와프로세스정의내재화수준점수로구

성되며, 이두가지요소의수준점수를종합하여점수로산정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프로세스

프로세스이행수준

프로세스내재화수준

인력

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전문가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기술

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및기법

정보활용

SW공학수준지표

< SW공학수준 지표의 구성 >

Page 10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1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프로세스 수준 점수 구성 >

프로젝트관리역군수준점수

개 발역군수준점수

지 원역군수준점수

프로세스관리역군수준점수

Process 수준점수

Process 이행 수준점수 Process 내재화수준점수

요구사항관리

프로젝트계획

CMMI L2수준 프로세스 역프로세스관리내재화

도출

프로세스정의내재화

CMMI L3수준 프로세스 역

CMMI L4수준프로세스 역

CMMI L5수준프로세스 역

프로젝트모니터링및 통제

제품 및프로세스품질보증

형상관리측정 및분석

공급업체계약관리

조직프로세스기획

조직프로세스정의

조직교육 의사결정 위험관리통합

프로젝트관리

요구사항개발

제품통합확인검증기술솔루션

원인분석및 해결

조직혁신및

적용관리

조직프로세스성과관리

정량적프로젝트관리

가중치적용

종합

종합

Page 10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2

②조직및인력수준점수

- 원활한SW개발을위하여필요한인력보유, 지원조직의보유, 인력육성을위한교육수준등인력

측면에서필요한사항이제대로갖추어졌는지를확인하기위한지표로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

전문가보유,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으로구성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항목 측정지표 세부 내용

프로젝트계획, 프로젝트모니터링및통제, 통합 프로젝트관리, 위험관리,

공급업체계약관리, 정량적프로젝트관리

요구사항관리, 요구사항개발, 기술 솔루션, 제품통합, 검증, 확인

측정및분석, 형상관리, 제품 및프로세스품질보증, 의사결정, 원인분석및

해결

조직프로세스기획, 조직 프로세스정의, 조직 교육, 조직 혁신및적용관리,

조직프로세스성과관리

조직정책수립, 프로세스계획, 리소스제공, 역할 할당, 조직원교육, 산출물

형상관리, 이해관계자식별및참여, 프로세스모니터링및통제, 객관적평가,

상위관리자현황검토

프로젝트정의프로세스수립, 개선 정보수집

프로세스

프로세스

이행수준

프로젝트관리

개발

지원

프로세스관리

프로세스

관리내재화

프로세스정의내재화

프로세스

내재화

수준

< 프로세스 수준 점수를 위한 측정지표 및 세부내용 >

항목 측정지표 세부 내용

원활한 SW개발지원을위한조직차원의전문지원조직체계의구성수준을

확인하기위한지표

SW개발시필요한주요역량을보유한사내전문가보유수준을확인하기

위한지표

SW개발프로젝트수행시 SW공학프로세스이행을위하여필요한역할

구성을확인하기위한지표

SW기업조직원의역량강화를위한교육체계및경 진지원등의수준을

확인하기위한지표

외주인력, 인력 백업체계및순환체계등조직인력운 을확인하기위한

지표

조직및인력

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전문가보유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 조직 및 인력 수준 점수를 위한 측정지표 및 세부내용 >

Page 10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3

③인프라및기술수준점수

- SW기업의조직원들이SW개발을제대로수행하기위하여필요한인프라(프로세스체계, 자동화시

스템및툴보유)의구성과활용여부, 프로세스자산및조직정보관리활용정도등으로특정기술

에대한수준이아닌SW개발에있어서기본적으로갖추어지거나적용되어야하는기술(인프라, 체

계, 기법, 시스템, 툴등) 수준을확인하기위한지표로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

및기법, 정보활용으로구성

(2) SW프로젝트성과데이터 : 납기성과, 비용성과, 품질성과로구성

①납기성과: 고객과합의한프로젝트종료일을준수하 는지를나타내는지표

②비용성과: 고객과계약한프로젝트의계약비용과프로젝트종료시점의실적비용을분석한지표

③품질성과 : 프로젝트가종료된이후수집된운 결함 도(3개월)에 응답한프로젝트의평균을기

준으로분석을수행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항목 측정지표 세부 내용

체계적인 SW개발활동에필요한프로세스체계구성의적절성을확인하기위한

지표

효율적인 SW개발및관리를위한자동화시스템구성의적절성을확인하기위한

지표

SW개발각단계별로필요한개발표준및기법의보유수준을확인하기위한지표

SW개발프로젝트수행시참조가능한정보의보유및관리여부와공유수준을

확인하기위한지표

인프라

및기술

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및기법

정보활용

< 인프라 및 기술 수준 점수를 위한 측정지표 및 세부내용 >

Page 10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4

(3) SW프로젝트품질비용데이터

- 품질비용은 SW 결함감소등 SW의품질향상을위해수행하는품질관리와관련된활동비용을원

가로계산한것으로크게두가지종류로나눌수있다. 첫번째는일정품질을달성하기위해투자

하는비용으로, 이는다시예방비용과평가비용으로나눌수있다. 두번째는품질결여로인해파생

된비용으로흔히실패비용이라하고, 이는다시내부적으로결함을처리하는비용인내부실패비

용과외부에서발생한결함을처리하는비용인외부실패비용으로나눌수있다.

①예방비용: 결함발생을방지하기위해수행하는활동에대한비용

②평가비용: 주입된결함을찾는데투입되는비용

③내부실패비용: 내부적으로결함을수정하기위한재작업비용

④외부실패비용 : 외부에서발생한결함을수정하기위한비용으로오픈이후결함조치나납기지연

으로인해추가되는비용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항목 측정지표 비 고

납기초과율이 100%보다작은값을가지면프로젝트가계획종료일보다일찍

완료되었음을나타내며, 100%보다클경우에는프로젝트가지연되었음을의미

비용초과율이 100%보다작은값을가지면계약비용보다적은비용을투입하 고,

100%보다클경우에는계약비용보다더많은비용을투입하여프로젝트를

완료했음을의미

운 결함 도는프로젝트가완료된이후 3개월동안발견된결함수를프로젝트

규모(FP)로 나눈값

납기성과

비용성과

품질성과

납기초과율

비용초과율

운 결함 도

< 프로젝트 성과를 위한 측정지표 및 세부내용 >

Page 10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5

(4) SW제품결함데이터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항목 측정지표 세부 내용 비고

프로젝트계획및관리

교육및기술지원

품질활동(프로세스점검, 내부 검토)

백업/보안관리

품질활동(동료검토, 고객검토, 감리),

테스트

품질활동(동료검토, 고객검토, 감리 후후속조치)

테스트후결함조치

결함조치(오픈이후결함조치)

납기지연

SW

프로젝트

품질비용

예방비용

평가비용MM 단위로

데이터수집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 SW프로젝트 품질비용을 위한 측정 지표 및 세부내용 >

항목 측정지표 세부 내용 비고

적합성, 정확성, 상호운용성, 보안성, 준수성

성숙성, 결함허용성, 회복성, 준수성

이해성, 학습성, 운용성, 친 성, 준수성

시간반응성, 자원효율성, 준수성

분석성, 변경성, 안정성, 시험성, 준수성

적응성, 설치성, 공존성, 대체성, 준수성

SW품질

특성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

Page 10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6

(5) SW공학주요분야별기술수요데이터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주요분야 관련 기술

프로젝트견적기술, 원가관리기술, 제품기획기술, 위험관리기술, 협력업체관리기술, 문제해결기술,

의사소통기술, 프로젝트관리기술, 프로젝트관리관련툴기술

요구공학기술, 정보전략계획수립(ISP), EA(Enterprise Architecture), IT 투자성과평가기술,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비즈니스도메인관련

기술, 요구사항관리툴관련기술

데이터모델링기술, DBMS 관련기술, 프로세스모델링기술, 아키텍처설계기술, 디자인패턴,

프레임워크, 데이터구조론, 분석/설계툴관련기술

프로그래밍언어, 웹 프로그래밍기술, 시스템프로그래밍기술, NW 프로그래밍기술, 운 체계관련기술,

데이터베이스관련기술, 대용량데이터관리기술, SQL튜닝관련기술, 데이터베이스튜닝관련기술,

정보보호(보안) 기술, 시스쳄제어프로그래밍기술, 디바이스드라이버개발기술, OS커널분석및포팅

기술, 임베디드코드최적화기술, 미들웨어구조분석기술, 디버깅기술, 구현 툴관련기술

White Box 테스팅기법, Black Box 테스팅기법, 코드 인스펙션, 결함관리기술, 테스팅툴관련기술

SW Metric, 통계, 데이터수집및통계툴관련기술

형상관리, 변경관리, 요구사항추적성, 형상관리툴관련기술

SW품질관리기술, 동료검토관련기술, 결함관리기술, SW신뢰성, 품질관리툴관련기술

프로세스관련모델(CMMI, SPICE 등), 지식관리관련기술, 프로세스개선관련기술(6시그마등), 프로세스

관리툴관련기술

프로젝트관리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팅

측정및분석

형상관리

품질관리

프로세스

Page 10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7

4.2.3. 조사 실시

o 조사기간

- 조사대상기간: 2012년 1월1일~ 2012년12월31일

- 조사실시기간: 2012년8월~ 12월

4.2.4. 조사 방법

4.2.4.1.조사의 기본방침

조사의이해를위해사전에작성자에게조사의목적과활용, 용어의정의등에대한충분한정보를제공

하 으며, 설문 항목의 목적과 활용을 인지한 상태에서 설문을 작성하도록 유도하 다. 조사 과정에서

다음의조사기본방침을준수하 다.

①데이터작성의용이성을위해설문은간단하고명료하게구성한다.

②작성자에게목적과활용등관련정보를사전에충분히이해시킨다.

③데이터의충실한회신을위해조사기간을충분히갖는다.

④제공된데이터는수집단계에서추가가공하거나보정하지않는다.

⑤데이터로서가치가떨어지는설문은수집단계에서제거한다.

⑥수집에서발생한문제를지연시키거나묵인하여분석에 항을미치지않도록한다.

⑦보안을위해해당프로젝트의명칭이나로우데이터는제3자에게절대양도하지않는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Page 10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8

4.2.4.2.조사 방법

총288개항목의데이터를수집하 으며, 이메일조사를기본원칙으로진행하 다. 분석의일관성을위

해SW공학수준데이터, SW프로젝트성과데이터, SW프로젝트품질비용데이터는동일한프로젝트의

동일한응답자를대상으로하 다.

개발된설문의완결성을위해사전조사를실시하 으며, 사전조사에서나온문제점을보완한후실제조

사를실시하 다. 실제조사의조사대상프로젝트는 2010년도개발이완료된프로젝트를위주로하 으

며, 설문응답의신뢰성을높이기위해프로젝트관리자위주로설문을작성하게하고, 프로젝트관리자

가파악하기힘든경우에는관련인원들에게협조를요청하여작성토록하 다.

4.2.4.3. 자료처리및통계분석

수집된자료는자료내검(에디팅), 부호화(코딩)를거친후컴퓨터에입력하여자료파일을만들었으며,

입력된자료는미니탭 14나엑셀 2007 프로그램을사용하여통계처리하 다. 수거된설문서는정 조

사를실시하 고, 이상치나오기로보이는데이터에대해서는데이터제공기업이나제공자에게재확인

을요청하 다. 이러한작업을여러번재확인을반복하여분석의기초가되는자료로채용하 다.

4.2.4.4. 자료의검증

수집된자료들은다음과같은자료검증작업을거쳐최종확정하 다.

①먼저수거된설문서에포함된내부체크로직(합계, 비교, 결측치등확인)을통해잘못입력된자료가있

는지를확인하 으며잘못기입됐다고판단되는자료에대해서는피조사자에게재확인하는과정을거침

②입력이잘못된자료나누락된자료를최종점검한후에는각각의측정항목별로수집된자료에대한

정규성검증을실시. 정규성검증은수집된개별측정항목들의자료가정규분포를따르는지를확인

하는가장보편적인통계적기법으로이는향후SW공학백서에담기게되는개별측정항목에대한분

석결과및측정항목간의관계분석(상관분석, 회귀분석등) 결과의신뢰성을높이기위한작업임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조사 진행 절차 >

조사대상및모집단설정 조사설계 사전조사 실제조사 데이터

처리및분석

Page 11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09

이처럼분석결과의신뢰성을높이기위해수집된자료를검증하는작업을여러번거치기는했으나, 프

로젝트를수행하면서발생하는여러가지경험자료를측정하고분석하는문화가정착되지않은우리나

라현실을감안한다면상기에서수행했던자료검증작업이자료의무결성을담보하기에는아직무리가

있는것이사실이다. 향후프로젝트의경험자료를축적하여이를활용하기위한체계를갖춰야하는기

업이나이를지원하기위한정부의각별한노력이요구된다하겠다.

4.2.5. 표본 설계

4.2.5.1.대상 모집단

이번조사의대상이되는모집단은전국의SW기업체로총6,290개업체이다. 이중임베디드SW분야의

경우, 정확한모집단분포를알수없어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임베디드SW산업연합회에서보유한

기업리스트를포함시켰다. SW분류별로대상모집단의분포를보면다음과같다.

o SW 분류별기준: SW 분류를IT서비스, 패키지SW, 임베디드SW로구분하 으며, 상세내용은아래와같음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업체 수(개) 비율(%)

4,231 67.3%

1,770 28.1%

289 4.6%

6,290 100.0%

IT서비스

패키지SW

임베디드SW

합계

< SW분류별 대상 모집단 >

* 출처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원(KEA)과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임베디드SW산업협의회

보유 기업 리스트 기준

< SW분류별 기준 >

구분 내용

정보시스템에대한기획, 구축, 운용 등모든과정상에서비스를제공한업종으로써 IT컨설팅, SI, 운

및 유지보수등을포함

이용도가높은프로그램상품으로제공되는 SW. 재무, 생산관리등의응용패키지SW와연산에관련된

기능을수행하는시스템패키지를모두포함

산업기기나가전제품등에내장된 SW로써가전, 휴대폰, 전자기기, 항공기, 차량 등의산업에 HW에

내장된 SW

IT서비스

패키지SW

임베디드SW

Page 11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0

4.2.5.2. 표본 설계

표본설계를위한층화지표로는앞서설명한 SW분류를활용하 으며, 이를통해모집단을층화하여설

계하 다. 표본수는목표허용오차, 조사비용및여건등을고려하여각분류별로대상모집단의10%를

표본으로삼았으며, 최종660개의표본수가최종적으로선정되었다.

다만, 층별표본수가최소60개이상되게하여적은수의표본이배분되는일부층의특성을잘반 하

면서도전체표본의구성은크게다르지않게하 다. 또한, SW공학수준데이터를비롯한SW공학데이

터의추이비교가가능하도록하기위해지난해조사에참여했던기업들을표본에포함시켰으며, 정보통

신산업진흥원SW공학센터에서수행하는사업에참여하는기업들의전반적인현황을파악하기위해기

존사업에참여했던기업들도표본에포함시켰다.

4.3. 조사 분석 방법

아래의그림은SW개발프로젝트의특징을나타내는항목및항목간주요관계를표시한것이다. SW공

학수준조사를위해주요데이터항목간관계도를바탕으로프로젝트의특징을나타내는관계모델을개

발하고, 측정지표를도출하 으며, 도출된측정지표를바탕으로데이터를수집/분석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최종 표본 배분 현황 >

대상 모집단 표본 수SW 분류

업체 수(개) 비율(%) 업체 수(개) 비율(%)

4,231 67.3% 490 63.3%

1,770 28.1% 182 23.5%

289 4.6% 102 13.2%

6,290 100.0% 774 100.0%

IT서비스

패키지SW

임베디드SW

전체

Page 11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1

4.3.1. SW공학데이터 표준화

수집한데이터들을분석하는데있어지표의성격상개별프로젝트에서응답한값들을단순평균하여비

교할수있는데이터(CMMI 인증단계, 평균교육시간등)들도있지만대부분의데이터들은프로젝트의

규모를 고려하여 비교하여야 한다. 하지만 수집한 데이터에서는 프로젝트 규모를 나타내는 단위(FP,

LOC 등)가각기달랐으며, 아예프로젝트규모를산정하지않은프로젝트들도있었다. 이를보완하기위

해SW공학백서에서는프로젝트규모를기능점수(FP)를사용하여표준화하는작업을수행하 다.

이번 SW공학백서에서 표준화를 위해 사용된 프로젝트 규모는 기능점수로 통일하 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LOC로변환한값들을함께기재하 다. 하지만모든설문응답이기능점수로프로젝트규모를응답

한것이아니기때문에다음기준에따라설문응답프로젝트들의기능점수를아래와같은방법으로추

정하여사용하 다.

○기능점수로프로젝트규모를응답한프로젝트의경우해당값을사용

○코드라인 수로 프로젝트 규모를 응답한 프로젝트의 경우 코드라인 수를 기능점수로 변환하여 사용

(2007년SW사업대가기준에따라46.6LOC를1FP로계산)

○기능점수와코드라인수모두응답하지않았을경우, 순수 SW개발금액을기능점수로변환 (2009년

SW사업대가기준에따라572,933원을1FP로변환)

○3가지값을모두응답하지않았을경우, 계약MM를기능점수로변환(2009년 SW사업대가기준/SW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주요 데이터 항목 간 관계도 >

Page 11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2

기술자노임단가에따라1MM를7.25FP로변환)

4.3.2. 상세분석을 위한 프로젝트 유형별 구분

프로젝트유형별구분에대한자세한사항은다음과같다.

프로젝트규모나기간은명확한구분이어려워데이터를작은값부터순서로정렬한후4분위수를기준

으로구분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응답 수

기능점수로프로젝트규모응답 141

코드라인수로프로젝트규모응답→기능점수로환산 67

순수 SW개발비를기능점수로환산 17

계약MM를기능점수로환산 26

미응답 41

합계 292

< SW공학 데이터 표준화 현황 >

구 분 상세 구분

프로젝트유형 IT서비스, 임베디드SW, 패키지SW

고객산업군 공공, 제조(의료, 전자, 자동차, 조선, 국방/항공, 기타), 금융, 정보통신, 유통/서비스

개발유형 신규개발, 재개발, 성능개선및고도화

참여형태 단독, 컨소시엄, 하도급

계약방식 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수의계약, 자체개발

개발생명주기 폭포수모형, 프로토타입모형, 나선형모형, 반복 및점증적모형, 사용안함

개발방법론정보공학방법론, 객체지향방법론, CBD 방법론, Agile 방법론, 별도의임베디드SW개발방법론, 사용안함

프로젝트규모 소규모, 중소규모, 중대규모, 대규모(사분위수를기준으로구분)

프로젝트기간 단기, 중단기, 중장기, 장기(사분위수를기준으로구분)

외주정도 외주미사용, 1~19%, 20~39%, 40~59%, 60~79%, 80~100%

고객참여여부 고객참여, 고객 미참여

< 프로젝트 유형별 구분 >

Page 11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3

4.3.3. 통계적 분석 방법

제3편에서 설명하게 될 SW공학 현황 분석을 위해서는 평균이나 표준편차 등 기초적인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데이터를분석하 으며, 제4편에서는 SW공학데이터항목간관계를파악하고, 그 항목과성

과와의관계를파악하기위해상관분석및분산분석, 회귀분석등통계적방법을사용하여분석하 다.

이러한통계적분석을위해아래와같은원칙을바탕으로진행하 다,

①수집한데이터는정 조사를실시하여불량데이터는제외한다. 여기에서말하는불량데이터란직접

적인 향을미치지않는변두리값이아니라분석에필요한데이터의부족이나데이터간부정합등

을의미한다. 불량데이터에대해서는가능한데이터를제공한기업에확인하여다시조사한다.

②모든데이터의분포(분산), 변수간의관계는분포도및상관도를사용하여확인한다.

③규모, 공수, 생산성, 납기, 품질비용, 테스트의분포를명확히하고프로젝트유형등상세한요소로

나누어분석한다.

④조사항목간상호관계를분석한다.

⑤프로젝트특징을고려하여그룹핑을하고, 보다상세하게분석한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비 고

소규모 계약MM가 54.6MM 이하인프로젝트

중소규모 계약MM가 54.6MM ~ 73.4MM 사이의프로젝트

중대규모 계약MM가 73.4MM ~ 116.4MM 사이의프로젝트

대규모 계약MM가 116.4MM를초과하는프로젝트

< 프로젝트 규모별 구분 >

구 분 비 고

단기 계약기간이 7.8개월 이하인프로젝트

중단기 계약기간이 7.8 ~ 10.2 개월 사이의프로젝트

중장기 계약기간이 10.2 ~ 11.2개월 사이의프로젝트

장기 계약기간이 11.2개월을초과하는프로젝트

< 프로젝트 기간별 구분 >

Page 11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4

4.3.3.1. 기초 통계량

기초통계량이란수집된데이터의특성을나타내는값을의미하며, 가장일반적인기초통계량으로는평

균과표준편차가있다. SW공학백서에서는응답의개수와평균을주로사용하 으며, 편차가커서평균

과중위수가차이가많이나는경우는중위수도함께표시하 다.

4.3.3.2. 상관분석

상관분석이란 지표들이 서로 얼마나 선형적으로 접하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통계적인

분석방법이다. 상관분석에서는지표들간의관계를상관계수(r)를이용하여설명하며, r값은-1에서 1사

이의값을가진다. r값이1에가까울수록양의상관관계를가지며, r값이-1에가까우면음의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r값이0에가까울수록상관관계가없음을의미한다. 만약, 프로젝트팀원들의경력과테

스트결함수와의상관계수가 -0.7이라면팀원들의경력과테스트결함수와의음의상관관계를가지고

있다고말할수있으며, 이는프로젝트팀원들의경력이높을수록테스트에서발견되는결함수가줄어

든다는것을의미한다.

4.3.3.3. 분산분석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 ANOVA)은세개이상의서로다른그룹에서동일한지표를수집하

여그룹들의평균이차이가있는지를통계적으로검정하는방법이다. 예를들면, 발주기관업무 역별

로테스트결함 도의차이가있는지를통계적으로확인하기위해서는공공, 제조, 금융, 정보통신, 유

통/서비스 역의평균테스트결함 도와표준편차를이용하여분산분석을수행하면그결과를알수

있다. 만약발주기관업무 역별테스트결함 도에대한분산분석결과, 차이가있다고밝혀지면어떤

업무 역의테스트결함 도가다른그룹들과차이를보이는원인을밝힘으로써향후테스트결함 도

를낮출수있는방안을마련할수있을것이다. 이때사용할수있는통계적방법이분산분석이다.

4.3.3.4. 회귀분석

마지막으로회귀분석은상관분석에서 2개의지표간의상관관계가있다는분석결과가나왔다면이지표

들간의관계를방정식으로나타내는통계적인방법이다. 쉽게설명하면상관분석은2개의지표들간에

관계가있는지만을알려주지만회귀분석은어떤관계가얼마큼있는지를알려주는것이라고할수있

다. 예를들면, 앞의상관분석예에서프로젝트팀원들의경력과테스트결함수와의상관계수가-0.7이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Page 11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5

기때문에음의상관관계를가지고있다고했다. 상관분석의결과는상관관계의여부만알려주지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말해 주지는 않는다. 만약 이 두 가지 지표간의 회귀분석 결과 [테스트 결함 도 = -

0.04*팀원경력 + 0.2]라는 방정식을 얻었다면 팀원들의 평균 경력이 1년 증가하면 테스트 결함 도는

0.04만큼감소한다는사실을말해준다. 이렇듯회귀분석은2개의지표들간의관계가있는경우이들간

의관계가어떠한지에대해알고싶을경우사용할수있다.

4.3.3.5. 의사결정 트리 (Decision Tree) 분석

의사결정트리는데이터마이닝분석의대표적인분석방법이다. 인공지능, 기계학습, 통계분석에서도역

시의사결정트리알고리즘은많이활용되고있다. 이 분석방법은주어진데이터를분류(classification)

하는목적으로사용되며, 목표변수가범주형인경우사용되며, 목표변수가수치형인경우에는경정트리

알고리즘에적용할수없다. 목표변수가수치형인데이터에적용하고한다면목표변수를수치형변수에

서범주형변수로이산화한수적용한다.

결정트리알고리즘들은기본적인생성방식은유사하며가지를분리하는방식(분리에사용될기준을선

택하는방식)에서의약간의차이를갖는다. 분리방식의차이점을살펴보면아래와같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알고리즘 평가지수(선택방법) 비고

ID3 Entropy 다지분류(범주)

C4.5 Information Gain 다지분류(범주) 및 이진분리(수치)

C5.0 Information Gain c4.5와 거의유사

CHAID 카이제곱(범수), F검증(수치) 통계적접근방식

CART Gain Index(범주), 분산의차이(수치) 통계적접근방식, 항상 2진분리

<의사결정트리 분석 알고리즘>

Page 11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116

5. 참여기업및프로젝트의특성

5.1. 참여기업 현황

이번조사에는총 248개기업이참여하 으며, 조사에참여한기업의업종분류별현황을살펴보면, IT

서비스가가장많은 47.6%를차지하 으며, 패키지SW가 27.8%, 임베디드SW가 24.6%를차지하 다.

국내전체SW기업의분포와비교해보았을때임베디드SW의참여율이높았던것으로나타났다.

조사에참여한기업의규모를살펴보면, 대기업이 79개, 중소기업이 169개 다. 참여한기업의분포는

현재국내전체의대기업과중소기업비율에비해조사대상기업에서는대기업의참여율이높았다.

조사에참여한기업의규모를살펴보면, 대기업이 79개, 중소기업이 169개 다. 참여한기업의분포는

현재국내전체의대기업과중소기업비율에비해조사대상기업에서는대기업의참여율이높았다.

구 분국내 전체* 본 조사

개수 비율 개수 비율

IT서비스 4,231 67.3% 118 47.6%

패키지SW 1,770 28.1% 69 27.8%

임베디드SW 289 4.6% 61 24.6%

전 체 6,290 100.0% 248 100.0%

< 업종 분류별 현황 >

* 출처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원(KEA)과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임베디드SW산업협의회 보유 기업 리스트 기준

구 분국내 전체* 본 조사

개수 비율 개수 비율

대기업 271 4.3% 79 31.9%

중소기업 6,019 95.7% 169 68.1%

전 체 6,290 100.0% 248 100.0%

< 기업 규모별 현황 >

* 출처 : NIPA, SWOutlook, 2009

Page 11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7

참여기업의품질인증획득현황을살펴보면, 품질인증을획득하지못한조직이60.3%로인증을획득한

조직(39.7%)보다많았던것으로조사되었다.

참여한기업들에게SW품질인증관련하여CMMI, SPICE, SP 품질인증, 그리고 ISO 9000 또는20000

획득여부를조사한결과, ISO 9000 또는20000과CMMI의비중이상당히높았다. 앞서살펴본인증획

득기업수와다른이유는중복인증을획득한기업이존재하기때문이다. 또한CMMI의획득비율을살

펴보면대기업의비율이82.0%로 18.0% 수준인중소기업보다높게나타났지만, SP품질인증제도는중

소기업의인증획득비율이87.5%로12.5%수준인대기업보다높게나타나는것을알수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빈 도 비 율

인증획득 116 39.7%

인증미획득 176 60.3%

전 체 292 100%

< 인증획득 여부별 현황 >

인증획득 인증미획득

39.7%

60.3%

100.0%90.0%80.0%70.0%60.0%50.0%40.0%30.0%20.0%10.0%0.0%

구 분CMMI SPICE SP품질인증 ISO 9000 또는 20000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대기업 41 82% 0 0% 3 12.5% 16 66.7%

중소기업 9 18% 1 100% 21 87.5% 8 33.3%

합 계 50 100% 1 100% 24 100% 24 100%

< 참여기업들의 품질인증획득 현황 >

Page 11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8

5.2. 대상 프로젝트 특성

5.2.1. 개요

조사참여기업에서수행한프로젝트총 292개 프로젝트의프로젝트유형별, 개발유형별, 참여형태별,

계약방식별, 개발생명주기별, 개발방법론별등프로젝트의특성에따른분포는다음과같다. 이번조사

에서는 2011년에비해프로젝트유형에서 IT서비스프로젝트가 0.9% 많았으며, 패키지SW가 0.8%, 임

베디드SW가 0.1% 적었다. 개발유형별로는재개발프로젝트는줄었고, 성능개선프로젝트가작년에비

해많이참여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2011년 2012년

프로젝트 수 비율 프로젝트 수 비율

IT서비스 129 50.5% 150 51.4%

패키지SW 70 27.5% 78 26.7%

프로젝트유형 임베디드SW 56 22.0% 64 21.9%

기타 0 0.0% 0 0.0%

미응답 - - - -

신규개발 133 52.2% 151 51.7%

재개발 62 24.3% 61 20.9%

개발유형 성능개선 60 23.5% 78 26.7%

기타 0 0.0% 2 0.7%

미응답 - - - -

단독 169 66.2% 195 66.8%

컨소시엄 44 17.3% 49 16.8%

참여형태 하도급 42 16.5% 48 16.4%

기타 0 0% 0 0.0%

미응답 - - - -

경쟁입찰 121 47.6% 149 51.0%

제한경쟁입찰 43 16.9% 45 15.4%

계약방식수의계약 60 23.5% 63 21.6%

자체개발 28 11.0% 35 12.0%

기타 0 0% 0 0.0%

미응답 - - - -

합 계 255개 100.0% 292개 100.0%

< 조사 참여 프로젝트 현황 >

Page 12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19

5.2.2. 프로젝트 유형

조사참여기업이수행한프로젝트의유형별분포를살펴보면, 조직의정보시스템구축을포함한SI사업

이주를이루는IT서비스형태의프로젝트가51.4%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패키지SW 26.7%, 임

베디드SW 21.9% 순으로나타났다.

5.2.3. 개발유형

조사참여기업의SW프로젝트개발유형별현황은신규개발의비중이 52.2%로가장높게나타났다. 기

존시스템을일부변경하거나새로운기능을추가하는일부성능개선및고도화는26.7% 수준으로나타

났고, 만들어진시스템을다시개발하는개발유형은재개발하는사업이20.9%로나타났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빈 도 비 율

IT서비스 150 51.4%

패키지SW 78 26.7%

임베디드SW 64 21.9%

기타 0 0.0%

전체 292 100%

< 프로젝트 유형별 현황 >

패키지SW

26.7%

IT서비스

51.4%

임베디드SW

21.9%

60.0%

50.0%

40.0%

30.0%

20.0%

10.0%

0.0%

재개발

20.9%

신규개발

52.2%

성능개선및고도화

26.7%

기타

0.7%

60.0%

50.0%

40.0%

30.0%

20.0%

10.0%

0.0%

구 분 빈 도 비 율

신규개발 151 52.2%

재개발 61 20.9%

성능개선및고도화 78 26.7%

기타 2 0.7%

미응답 0 0.0%

전체 292 100%

< 개발유형별 현황 >

Page 12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0

5.2.4. 참여형태

또한, 참여형태별현황을살펴보면, 단독으로수행한프로젝트의비중이가장높았으며, 다른사업자와

공동으로사업을수행하는컨소시엄형태가 16.8%이고, 다른사업자가수주한프로젝트를다시받아서

수행하는하도급형태의비율은16.4%인것으로나타나고있다.

5.2.5. 계약방식

프로젝트 계약방식별 현황은 경쟁 입찰로 계약한 프로젝트가 47.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고,

제한경쟁입찰 방식이 15.4%, 수의 계약한 프로젝트가 21.6% 다. 자체개발 형태의 프로젝트 비율도

12.0%로나타났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빈 도 비 율

단독 195 66.8%

컨소시엄 49 16.8%

하도급 48 16.4%

기타 0 0.0%

전체 292 100%

< 참여형태별 현황 >

구 분 빈 도 비 율

경쟁입찰 149 47.6%

제한경쟁입찰 45 15.4%

수의계약 63 21.6%

자체개발 35 12.0%

기타 0 0%

전체 292 100%

< 계약방식별 현황 >

경쟁입찰

47.6%

제한경쟁입찰

15.4%

수의계약

21.6%

자체개발

12.0%

50.0%45.0%40.0%35.0%30.0%25.0%20.0%15.0%10.0%5.0%0.0%

컨소시엄

16.8%

단독

66.8%

하도급

16.4%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Page 12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1

5.2.6. 개발방법론

개발방법론별현황은객체지향방법론이 38.0%로가장많았으며, 그다음으로정보공학방법론과 CBD

방법론이각각 31.2%, 22.3%로나타났으며, Agile방법론과임베비드방법론은각각 5.1%, 2.1%로나타

났다.

5.2.7. 규모산정 방식

프로젝트의규모를산정하는방식은기능점수를활용하는비율이 48.3%로가장많은비율을차지하고

있고, 코드라인방식을활용하는프로젝트의비율이 22.9%, 투입공수방식을사용하는프로젝트의비

율은8.9%로나타났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빈 도 비 율

정보공학방법론 91 31.2%

객체지향방법론 111 38.0%

CBD 방법론 65 22.3%

Agile 방법론 15 5.1%

임베디드방법론 6 2.1%

사용안함 4 1.4%

기타 0 0%

전체 292 100%

< 개발 방법론별 현황 >

정보공학방법론

32.2%

객체지향방법론

38.0%

CBD방법론

22.3%

Agile방법론

5.1%

임베디드방법론

2.1%

사용안함

1.4%

45.0%40.0%35.0%30.0%25.0%20.0%15.0%10.0%5.0%0.0%

기능점수

48.3%

코드라인수

22.9%

투입공수

8.9%

기타(개발비용)

5.8%

미응답

14.0%

50.0%45.0%40.0%35.0%30.0%25.0%20.0%15.0%10.0%5.0%0.0%

구 분 빈 도 비 율

기능점수 141 48.3%

코드라인수 67 22.9%

투입공수 26 8.9%

기타 17 5.8%

미응답 41 14.0%

전체 292 100%

< 프로젝트 규모 산정방식별 현황 >

Page 12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2

5.2.8. 외주비율

조사참여프로젝트에서의외주정도는외주를사용하지않는프로젝트가 38.1%이고외주를사용했던

프로젝트가61.9%로나타났다. 외주를사용한프로젝트중에서는20%~39%의외주를사용한프로젝트

비율이 23.3%로가장높았고, 20%미만의외주사용비율을보이는프로젝트는 19.2%로나타나고있다.

40%~59%와60%~79%의비율을보이는프로젝트는비슷한분포를나타내고있었다.

5.2.9. 고객참여

프로젝트의고객참여여부별현황은살펴보면, 고객이참여한프로젝트가95.2%로매우높게나타나고

있다. 이는고객들이SW개발프로젝트에대한관심이높다는것으로보여주고있다. 반면, 고객이참여

하지않은프로젝트는4.8%에불과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빈 도 비 율

외주미사용 112 38.1%

1~19% 56 19.2%

20~39% 68 23.3%

40~59% 29 9.9%

60~79% 27 9.2%

80~100% 0 0%

전체 292 100%

< 외주 정도별 현황 >

외주미사용

38.1%

1~19%

19.2%

20~39%

23.3%

40~59%

9.9%

60~79%

9.2%

80~100%

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구 분 빈 도 비 율

고객참여 278 95.2%

고객미참여 14 4.8%

전체 292 100%

< 고객 참여 여부별 현황 >

고객참여 고객미참여

95.2%

4.8%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00%

Page 12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3

5.2.10. 고객 산업군

SW프로젝트수행후제품을납품한고객의산업군별현황을살펴보면, 정보통신이 29.8%로가장많았

으며, 그다음으로제조분야가26.7%, 금융분야가21.9%, 유통/서비스분야가13.0%, 공공분야가8.6%

의순이었다.

5.2.11. 개발생명주기

조사참여기업이수행한 SW개발프로젝트에서활용한개발생명주기는전통적개발생명주기인폭포

수 모형이 가장 많은 44.2% 으며, 그 다음으로 반복 및 점증적 모형이 28.8%, 프로토타입 모형이

17.1%, 나선형모형이6.8% 다. 개발생명주기를사용하지않은프로젝트의비율도3.1%로나타났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빈 도 비 율

공공 25 8.6%

제조 78 26.7%

금융 64 21.9%

정보통신 87 29.8%

유통/서비스 38 13.0%

기타 0 0%

전체 292 100%

< 고객 산업군별 현황 >

공공

8.6%

제조

26.7%

금융

21.9%

정보통신

29.8%

유통/서비스

13.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구 분 빈 도 비 율

폭포수모형 129 44.2%

프로토타입모형 50 17.1%

나선형모형 20 6.8%

반복및점증적모형 84 28.8%

사용안함 9 3.1%

기타 0 0%

전체 292 100%

< 개발 생명주기별 현황 >

폭포수모형

44.2%

프로토타입모형

17.1%

나선형모형

6.8%

반복및점증

28.8%

사용안함

3.1%

50.0%45.0%40.0%35.0%30.0%25.0%20.0%15.0%10.0%5.0%0.0%

Page 12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4

5.3.도구 적용 현황

5.3.1.공수관리 도구

조사대상 292개프로젝트중공수관리와관련하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 189개로전체의 64.7%

를나타냈다. 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MS-Excel로83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고있었다.

5.3.2.진척관리 도구

조사대상 292개 프로젝트중진척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 185개로 63.4%가진척관리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2011년에 이어 2012년에도 MS제품군을 활용한 도구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며,

Trac, DotProject, TeamForge의빈도가그뒤를잇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공수관리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TwinCamp, Collanos, Mingle, RS Project Manager 등

Excel MS-Project RedMine PMS Planner Omniplan ITSM 기타

83

41

27

19

8 6 5 8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 진척관리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Agile On Demand, Visio, OnTime, TeamPulse 등

Excel MS-Project Trac ITSM DotProject TeamForge Achievo Merlin GanntProject

기타

64

45

15 1410 10 8 6 4

36

70

60

50

40

30

20

10

0unfudle

Page 12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5

5.3.3. 위험관리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위험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83개로28.4%가위험관리도구를사

용하고있었으며다른도구에비해사용빈도가상대적으로낮게나타났다. 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

되는도구는MS-Excel로29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고있었다.

5.3.4. 요구사항관리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요구사항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87개로29.8%가요구사항관리

도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MS-Excel로 25개프로젝트에서사

용하고있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위험관리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Risk Radar, 자체관리도구등

Excel issue Tracker Gira CrystalBall Mantis RiskExpert bootStrap 기타

29

14 13

9 8

4 42

35

30

25

20

15

10

5

0

< 요구사항관리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QPack, TestLink, Polarion, OSRMT, AgileWrap, 등

Excel Requistepro AccessDB Doors NexCore CliberRM CaseSpec 기타

25

11 11 12

8 7 7 6

30

25

20

15

10

5

0

Page 12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6

5.3.5. 데이터모델링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데이터모델링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89개로30.5%가데이터모델링

도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ER-WIN으로32개프로젝트에서사

용하고있었다.

5.3.6. 프로세스모델링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프로세스모델링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 153개로 52.4%가프로세스

모델링도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Rational Rose로 44개프로

젝트에서사용하고있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데이터모델링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Visio, metaDocu 등

ERWIN DA# ToaddataModeler

DBDesigner exERD MysqlWorkBench

기타

32

23

14

96

32

35

30

25

20

15

10

5

0

< 프로세스모델링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TIBCO, ProcessMaker, ModelSphere 등

Rose Visio StarUML Together Questetra ArisExpress Bizagi 기타

44

3330

22

7 75 5

50

45

40

35

30

25

20

15

10

5

0

Page 12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7

5.3.7. 구현 관련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프로세스모델링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114개로39%가구현관련도

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 Eclipse로 42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

고있었다.

5.3.8. 코드인스펙션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코드인스펙션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 104개로 35.6%가코드인스펙

션도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PMD로 34개프로젝트에서사용

하고있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구현 관련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AJAX WebShop, BlueJ, dbForge, Ebase Xi, Final Builer 등

Eclipse VisualStudio RationalSuite

Venkman Firebug QtCreator Debugbar 기타

42

22

9 10 11

7 6

Drip

34

45

40

35

30

25

20

15

10

5

0

< 코드인스펙션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CodeCompare, Neptunner, SQL Enlight 등

PMD CodeAnatyzer Clover FindBugs CodeScroll Sourcelnsight Crucible 기타

34

16

119 9 8 7 6

4

CheckStyle

40

35

30

25

20

15

10

5

0

Page 12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8

5.3.9. 테스트 관련 도구

조사대상 292개프로젝트중테스트관련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 93개로 31.8%가테스트관련도

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JUnit 으로28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

고있었다.

5.3.10. 형상관리 관련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형상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154개로52.7%가형상관리도구를

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 SVN 으로 44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고있

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테스트 관련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SpiraTeam, Rapise, ITP, AdminTrac, Spiratest 등

Junit LoadRunner Perf Jennifer LeakFinder Cactus SimpleTest 기타

28

19

1311

86 5

3

30

25

20

15

10

5

0

< 형상관리 관련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CaseSpec, Cradle,.NET Meta Expert, .NET LInker, ChangeMiner 등

SVN CVS VSS FileServer ClearCase Harvest ChangeMiner

Dimension PerForce 기타

44

33

2119

7 6 6 53 2

8

50

45

40

35

30

25

20

15

10

5

0Arch

Page 13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29

5.3.11. 프로세스 관리 관련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프로세스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39개로13.4%가프로세스관리

도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GroupWare (자체프로세스관리도구

개발)로22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고있었다.

5.3.12. 품질관리 관련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품질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70개로24%가품질관리도구를사

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MS-Excel로 24개프로젝트에서사용하고있

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프로세스관리 관련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EstimatorPAL, Visio 등

GroupWare ITScope LeakFinder 기타

22

10

2

5

25

20

15

10

5

0

< 품질관리 관련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CheckMarx, Gerrit 등

Excel Mantis BugZillar Gira Resort Trac LUKAS 기타

24

13 12

3

75

42

30

25

20

15

10

5

0

Page 13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0

5.3.13. 정량적 관리 관련 도구

조사대상292개프로젝트중정량적관리도구를활용했던프로젝트는139개로47.6%가정량적관리도

구를사용하고있었으며그중에서도가장많이활용되는도구는MS-Excel로 85개프로젝트에서사용

하고있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정량적 프로젝트관리 관련 도구 사용 현황 >

기타 SAS, Vizend 등

Excel SDMetrics SPSS 기타

85

24

SDMetrics

17

2

SAS

38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Page 13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1

6. SW공학수준

이장에서는 SW프로세스수준을포함한국내 SW기업의전반적인 SW공학수준을파악하고자하 다.

국내 SW기업의전반적인현황에대한데이터를확보하여SW기업의현재수준을파악함으로써산업계

에는기업이당면한과제와개선방향을식별하고, 국가적으로는국내SW기업의발전을위한정책마련

시활용가능한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하 다.

이번 SW공학백서에서는총 248개조직의 292개프로젝트데이터를수집하 다. 이번장의 SW공학수

준분석은프로젝트차원의분석이아니라조직차원의수준을분석한것으로총248개조직을대상으로

분석하 다. 다만, 2011년도조사와의추이비교를위해서는 2011년도에참여한조직중 2012년도에도

참여한103개프로젝트를대상으로비교분석하 다.

SW공학수준은체계적이고효율적인 SW개발을위해필요한요소들이국내 SW기업내에서얼마나잘

구성되어적용되고있는지를파악하기위한것이다. SW공학수준은체계적이고효율적인SW개발을위

한체계적업무방식에대한정의나이에대한적용수준을나타내는프로세스(Process) 수준과조직및

인력이효율적으로운 되기위해필요한기반인프라를갖추었는지를나타내는인력(People) 수준, 그

리고효율적인SW개발및관리를위한자동화시스템구성이나SW개발각단계별로필요한개발표준

및기법의보유수준을확인하기위한기술(Technology) 수준으로구성되어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Process

프로세스이행수준

프로세스내재화수준

People

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전문가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Technology

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및기법

정보활용

SW공학수준지표

< SW공학수준 분석을 위한 지표 구성 >

Page 13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2

SW공학수준점수는체계적이며효율적인SW개발을위해갖추어야할요소에대한수준을점수화한것

으로프로세스(Process), 인력(People), 기술(Technology) 각각의수준점수를반 하여산정된다. 자세

한점수구성은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성요소 하위 구성요소 내 용

프로세스이행 SW개발수행시조직차원에서필요한활동들의이행수준을확인하기위한지표

프로세스프로세스내재화

조직내프로세스의일시적이행이아닌지속적이행과개선이가능하기위하여필요한

활동의수준확인을위한지표

전문지원조직체계원활한 SW개발지원을위한조직차원의전문지원조직체계의구성수준을확인하기

위한지표

사내전문가보유 SW개발시필요한주요역량을보유한사내전문가보유수준을확인하기위한지표

인력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SW개발프로젝트수행시 SW공학프로세스이행을위하여필요한역할구성을

확인하기위한지표

조직원역량강화SW기업조직원의역량강화를위한교육체계및경 진지원등의수준을확인하기

위한지표

조직인력운 외주인력, 인력 백업체계및순환체계등조직인력운 을확인하기위한지표

프로세스인프라 체계적인 SW개발활동에필요한프로세스체계구성의적절성을확인하기위한지표

시스템인프라 효율적인 SW개발및관리를위한자동화시스템구성의적절성을확인하기위한지표

기술 개발표준및기법 SW개발각단계별로필요한개발표준및기법의보유수준을확인하기위한지표

정보활용SW개발프로젝트수행시참조가능한정보의보유및관리여부와공유수준을

확인하기위한지표

< SW공학수준 점수 구성 요소 >

Page 13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3

또한 SW공학수준점수는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의중요성을고려하여다른가중치를부여하여

산출되며, 각 SW공학수준은점수대에따라Advanced, Average, Absent의 3등급으로구분하 다. 개

별등급별조직의특성은다음과같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SW공학수준점수 산정방법

SW공학수준 등급

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에가중치를주어 SW공학수준점수산정(각 역별가중치는워킹그룹내전문가들과의논의를통해델파이방식으로결정)

SW공학수준은점수대에따라 Advanced, Average, Absent 3등급으로구분- 각 등급에대한점수대와 SW기업의특성은아래와같음

< SW공학수준 점수산정 및 등급 기준 >

등 급 점수대 등급별 SW기업 특성

프로세스, 인력, 기술세 역이균형을이루며실제업무환경에서모두

Advanced 80점 이상성과를보이고있는상태로대부분의 역에대한지속적인개선노력이능동적으로이루어지고있는수준의조직으로경 진을포함한모든조직원의의지와개선이행노력이실제성과로얻어지고있는조직

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의일부만이실제업무환경에서일부의성과를보이고있으나아직완전한균형을이루지못한상태. 일부 역에대한지속적인개선노력이능동적으로이루어지고있으며,

Average60점 이상 일부 역은준비가이루어지고있는개선과준비가병행으로이루어지고80점 미만 있는수준의조직.

경 진을포함한모든조직원의의지와개선이행노력이조금씩가시화되고있으나고성숙조직으로의전환을위하여지속적인의지와보다많은개선이행노력이필요한조직

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이매우불균형적이며불완전한상태이며, Absent 60점 미만 개선에대한준비또한부족한수준의조직으로경 진을포함한모든

조직원의강한의지와개선이행노력이시급한조직

Page 13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4

총 248개 조직을 대상으로 한 SW공학수준조사에서는 프로세스(Process) 수준 점수가 68.7점, 인력

(People) 수준점수가 61.1점, 기술(Technology) 수준점수가 63.2점이며, 이를종합한 SW공학수준점

수는64.8점을보여주고있다. 프로세스및기술수준에비해인력수준점수가낮은것은조직체계, 사

내전문가보유, 조직원역량강화등조직의안정성개선을위한기본적인준비없이프로세스개선활

동이이루어졌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이는결국해당기업들의SW 개발프로세스의내재화를어렵

게만드는요인이며, 국내 SW기업의 세성을보여주는한단면이다. 따라서능력있는SW개발자를확

보하는데어려움을겪고있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2011년대비2012년전체기업의SW공학수준분포를비교해보면, 2011년도에비해Absent 조직의비

율은감소했지만(▼18.7%), Advanced조직과Average조직은각각1%, 17.7% 증가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수준 등급 분포 >

Advanced

24% 25%20%

37.7%

56%

37.3%

Average Absent

60%

50%

40%

30%

20%

10%

0%

2011년 2021년

< SW공학수준 구성 역별 점수와 SW공학수준 점수 >

프로세스수준점수

68.7

인력수준점수

61.1

기술수준점수

63.2

SW공학수준점수

64.870

60

50

40

30

20

10

0

Page 13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5

2012년 조사대상 중 2011년도에 참여한 103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SW공학수준 점수에 대한 추이를

비교해보면, 2011년도 72.6점에서 2012년도 75.8점을기록하여 4.4% 상승한결과를보여주고있으며,

세부적으로프로세스수준점수,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는각각0.9%, 6.0%, 8.3% 향상된수준

을보여주었다.

각 SW공학수준별조직의SW공학수준점수와그구성요소별점수를살펴보면, Advanced 수준조직과

Absent 수준조직간의평균점수차이율에서프로세스(Process) 수준점수차이율은 86.6%로나타났으

며, 인력(People) 수준점수와 기술(Technology) 수준점수의 차이율은 각각 82.5%와 105.4%로 나타났

다. 이는 2011년차이율인91.1%, 122.6%, 114.2%보다격차가완화된것으로이러한현상은Advanced

수준조직과Absent 수준조직의역량차이가점점줄어들고있다는것을보여준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SW공학수준 구성 요소별 수준 점수 비교 >

프로세스수준점수

61.965.7 67.5

73.278.479.1

71.076.2

57.159.6 62.7

59.3

67.0

58.5

64.2 66.666.870.3

60.964.1

68.367.1

72.6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SW공학점수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 SW공학수준 조직별 SW공학수준 비교 >

프로세스수준점수

89.7

75.1

86.6%

48.1

81.0

64.5

44.4

67.0

42.8

86.6

69.5

45.4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SW공학수준점수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0%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 Average 공학수준 Absent 공학수준

90.7%

87.9 105.4%

75.8

82.5%

Page 13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6

연도별SW공학수준및공학수준을구성하는하위구성요소(Process, People, Technology)별점수추세

를보면2009년이후SW공학수준및공학수준구성하위요소의수준점수는향상되는추세를보이고있

다. 하위구성요소별로봤을때2011년이전에는SW공학수준향상에Process수준향상이기여를했다면

2011년이후부터는인력(People), 기술(Technology) 수준의향상이SW공학수준향상에기여를한것으

로보인다. 이는SW공학수준을구성하는Process, People, Technology 3개하위구성요소간의균형을

의미하며 프로세스 개선노력을 통해 인력(People) 및 기술(Technology)수준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수있다.

실제 SW공학수준점수별 SW공학수준등급의분포를살펴보면, Absent 조직의구성비율은감소하고,

Advanced 공학수준조직의비율은소폭으로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수준 및 하위구성요소 수준 추세분석 >

2009 2010 2011 2012

70

65

60

55

50

SW공학수준점수Tech 수준점수People 수준점수Process 수준점수

64.862.4

59.9

56.6

51.7

55.8

57.5

61.1

63.2

59.7

59

60.4

63.8

68.168.7

< SW공학수준 등급별 분포 추세분석 >

2009 2010 2011 2012

60%

50%

40%

30%

20%

10%

0%

Advanced(%)Average(%)Absent(%)

38%

42%

56%

16%

47%

20%22%

25%

37%36%

24%37%

Page 13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7

6.1. 하위 구성요소별 수준

6.1.1. 프로세스 수준

6.1.1.1. 프로세스 이행 수준 및 내재화 수준

프로세스이행수준점수는2011년 78.1점에서 2012년 78.8점으로, 프로세스내재화수준점수는78.8점

에서 79.6점으로각각 0.7점과 0.8점 소폭상승하 다. 2011년도와비교했을때각각의증감율은이행

과내재화수준에서비슷한수준을나타내고있어프로세스에대한투자가균형적으로분배되고있는것

으로분석된다.

SW공학수준별로프로세스수준을구성하는프로세스이행수준점수와내재화수준점수의평균을비교

해보면, Advanced 공학수준조직의프로세스이행수준점수와내재화수준점수는각각87.8점과92.5

점이었으며, Absent 공학 수준 조직의 프로세스 이행 수준점수와 내재화 수준점수는 각각 54.4점과

38.5점이었다.

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Absent 공학수준조직간의점수차이율에있어서는프로세스이행수준

점수의차이율이 61.5% 으며, 프로세스내재화수준점수의차이율이 139.9%로나타나프로세스내재

화수준에서차이가더많이발생되었음을확인할수있다. SW공학수준이낮아짐에따라프로세스이행

수준의차이보다프로세스내재화수준의차이가더크게발생하 음을확인할수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프로세스 이행 및 내재화 수준 비교 >

* 2011년 조사대상 조직 중 2010년도에 참여한 61개 조직(85개 프로젝트)을 대상으로 함

2010년2007년 2008년 2009년 2011년 2012년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프로세스이행수준

63.370.0 70.1

73.078.1 78.8 79.6

프로세스내재화수준

59.9 59.363.6

75.8 78.8

Page 13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8

6.1.1.2. 프로세스 역군별 현황

CMMI의주요프로세스 역(Key Process Area)는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역, 엔지니

어링(engineering), 지원(support), 프로세스관리(process management) 역군과같이4가지로구분

된다. SW공학수준조사에포함된CMMI 레벨별프로세스 역군별구성은아래와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프로세스 역군 Level 2 Level 3

프로세스관리조직프로세스중점(OPF)

(Process Management)- 조직 프로세스정의(OPD)

조직 훈련(OT)

프로젝트관리프로젝트계획(PP)

위험관리(RSKM)

(Project Management)프로젝트감시및통제(PMC)

공급자계약관리(SAM) 통합 프로젝트관리(IPM)

요구사항개발(RD)

기술 솔류션(TS)

엔지니어링(Engineering) 요구사항관리(REQM) 제품통합(PI)

검증(VER)

확인(VAL)

형상관리(CM)

지원(Support) 프로세스및제품품질보증(PPQA) 의사결정(DAR)

측정 및분석(MA)

< CMMI 레벨과 프로세스 역군 분류>

< SW공학수준 조직별 프로세스 이행 수준 및 내재화 수준 비교 >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프로세스이행수준점수

87.9

74.9

54.4

프로세스내재화수준점수

92.5

139.9%

38.5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0%

61.5%

75.3

Page 14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39

프로세스 역군별로 2011년 대비 2012년 수준점수를 비교해보면 공학(Engineering) 역군, 지원

(Support) 역군은각각 1.3점, 2.4점 향상되었으며, 프로세스관리(Process Management) 역군은

작년과동일한점수 다. 하지만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역군은 81.6점에서 80.8점으

로0.8점이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프로세스 역군별로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Absent 공학수준조직간의수준점수차이율을살펴

보면, 프로젝트관리, 엔지니어링, 지원, 프로세스관리 역군의차이율은각각57.4%, 50.5%, 78.9%,

75.9%로나타났다. 프로젝트관리나엔지니어링 역군에비해지원과프로세스관리 역군의차이가

심한것으로조사되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SW공학수준 조직에 따른 프로세스 역군별 수준 비교 >

Project Management

91.2

76.8

91.9

80.9

70.1

45.3

83.3

66.2

47.4

Engineering Support Process Management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75.9%78.9%

81.1

* 2012년 조사대상 조직 중 2011년도에 참여한 103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함

57.4%50.5%

< 프로세스 역군별 수준 비교 >

Project Management

64.4

72.9

71.0

76.381.680.8 84.2

72.7 72.871.078.0

82.9

59.362.0

60.8

65.770.3

51.4

63.065.4

68.472.8

Engineering Support Process Management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77.576.0

58.061.1

Page 14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0

6.1.1.3. 프로세스 역별 현황

프로세스 역별로2011년대비 2012년수준점수를비교해보면대부분의프로세스 역에서향상되었

음을확인할수있다. 세부적으로는요구사항관리(REQM), 기술솔루션(TS), 의사결정(DAR) 역은 상

대적으로 큰 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프로젝트 관리(PMC), 조직프로세스정립(OPD), 위험관리

(RSKM) 역들은작년대비소폭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REQM (요구사항관리) 67.5 76.4 78.5 79.7 81.9 85.4

PP (프로젝트계획수립) 71.1 79.1 80.1 81.6 85.0 85.2

PMC (프로젝트관리) 80.8 78.9 73.4 84.2 87.1 83.3

PPQA (프로세스및제품품질보증) 63.8 66.8 64.8 74.6 76.2 78.4

CM (형상관리) 73.1 69.1 70.7 69.5 76.0 78.3

MA (측정 및분석) 57.4 57.5 55.6 60.5 70.6 71.5

SAM (공급업체계약관리) 70.6 82.3 68.4 66.7 79.6 81.4

RD (요구사항개발) 75.0 76.2 79.3 81.3 82.6 82.1

TS (기술 솔루션) 71.4 79.1 75.5 74.9 82.5 86.8

VER (검증) 66.1 68.2 69.1 71.0 80.1 81.1

VAL (확인) 75.7 82.2 84.6 81.6 87.3 87.4

PI (제품 통합) 70.1 73.7 81.1 76.7 83.0 82.4

OPF (조직 프로세스중점관리) 49.4 66.1 67.3 73.7 75.2 75.9

OPD (조직 프로세스정립) 52.4 54.2 56.3 62.9 70.6 67.9

OT (조직 교육훈련) 52.4 68.6 72.5 68.5 72.6 74.6

IPM (통합 제품팀관리) 56.9 69.3 70.9 79.6 83.3 82.3

DAR (의사결정) 42.9 56.7 52.2 58.3 59.4 62.6

RSKM (위험관리) 42.9 54.8 62.1 69.3 73.1 72.0

< 프로세스 역별 수준 비교(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

REQM

90.0

85.0

80.0

75.0

70.0

65.0

60.0

55.0

50.0

45.0

40.0PP PMC PPQA CM MA SAM RD TS VER VAL PI OPF OPD OT IPM DAR RSKM

2011년2008년 2009년 2010년 2012년

Page 14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1

프로세스 역별로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Absent 공학수준조직간의수준점수차이율은아래의

그림과같다. 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Absent 공학수준간의차이가큰프로세스 역들은측정및분

석(MA), 공급업체 계약관리(SAM), 의사결정(DAR)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차이율은 90.0%, 111.7%,

100.8% 이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분 Advanced Average Absent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

REQM (요구사항관리) 93.4 83.8 55.4 68.6%

PP (프로젝트계획수립) 92.5 81.0 68.7 34.5%

PMC (프로젝트관리) 89.5 83.2 67.2 33.2%

PPQA (프로세스및제품품질보증) 86.0 76.4 47.7 80.2%

CM (형상관리) 84.1 80.9 54.4 54.7%

MA (측정 및분석) 83.2 64.4 43.8 90.0%

SAM (공급업체계약관리) 92.2 74.1 43.6 111.7%

RD (요구사항개발) 89.5 78.2 62.0 44.2%

TS (기술 솔루션) 93.5 79.0 59.6 56.8%

VER (검증) 91.6 77.3 53.6 71.1%

VAL (확인) 94.8 83.6 73.8 28.5%

PI (제품 통합) 88.6 83.8 62.0 42.9%

OPF (조직 프로세스중점관리) 84.6 71.3 48.9 73.0%

OPD (조직 프로세스정립) 79.4 60.4 45.6 74.1%

OT (조직 교육훈련) 85.9 67.0 47.6 80.5%

IPM (통합 제품팀관리) 94.5 78.1 60.2 57.1%

DAR (의사결정) 71.2 58.6 35.5 100.8%

RSKM (위험관리) 87.5 67.8 50.2 74.2%

120.0%

100.0%

80.0%

60.0%

40.0%

20.0%

0.0%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 SW공학수준 조직에 따른 프로세스 역별 수준 비교 >

REQM

120.0

100.0

80.0

60.0

40.0

20.0

0.0PP PMC PPQA CM MA SAM RD TS VER VAL PI OPF OPD OT IPM DAR RSKM

68.6%

34.5% 33.2%

80.2%

54.7%44.2%

56.8%

71.1%

28.5%

42.9%57.1%

74.2%80.5%

74.1%73.0%

100.8%90.0%

111.7%

Page 14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2

6.1.2.인력 수준

2011년대비2012년인력(People) 수준점수를비교하면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전문가보유부문에대한

수준은작년과유사하거나소폭으로감소했으나,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 프로젝트수행역할체

계부문의수준향상으로인해인력수준점수의전반적향상을보인것으로분석된다.

인력(People) 수준점수를구성하는각요소에대하여SW공학수준조직별로살펴보면,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에서상대적으로높은수준차이를확인할수있다. 특히효율적인

력운 과관련된조직의역량을나타내는조직인력운 과, 체계적인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정립부문에

서각각122.8%, 117.3%의차이가남을알수있다. 이는하위공학수준으로갈수록효율적인력체계수

립을위한지원역량미흡과프로젝트에서인력확보및운 이어렵다는것을의미한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수준 조직별 인력 수준 비교 >

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전문가보유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

86.0

72.5

56.1

81.373.4

60.7

75.5

58.7

62.2

34.7

65.1

39.5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0%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117.3%122.8%

83.4%

53.3%

85.977.3

41.2

34.1%

2008년 2009년 2010년

< 인력 수준 비교(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

※ * 2012년 조사대상 조직 중 2011년도에 참여한 103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함

전문지원조직체계 사내전문가보유 조직원역량강화 조직인력운 프로젝트수행역할체계

60.566.1

76.578.677.9

63.064.4

79.677.576.6

55.559.953.756.8

66.1

39.145.1

52.656.7

69.3

56.262.3

67.572.0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60.2

2011년 2012년

Page 14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3

6.1.3. 기술 수준

기술(Technology)수준의하위구성요소별평균점수를2011년과비교해보면, 모든하위구성요소에서수

준점수의향상을나타냈다. 특히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와같은기술수준구성을위한인프라적

측면보다인프라구축이후기술활용을위한표준수립및도구활용을통해수집된데이터의재활용역량

을나타내는개발표준및기법과정보활용부문의수준향상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나전반적인기술수

준점수의향상을보인것으로분석된다.

기술(Technology) 수준점수를구성하는각요소에대하여SW공학수준조직별로살펴보면, 프로세스인

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및기법, 정보활용모든구성요소에서수준점수의차이를확인할수있

다. 특히SW의체계적이며효율적인개발을위해필수적인개발표준및기법에대한수준점수의차이율

은 141.3%로가장크게나타났다. 특히개발표준및기법은엔지니어링수준에직접적인 향을미치게

되고, 이는곧SW의품질수준에도큰 향을미치게되는요소이다. 이러한결과는하위공학수준조직

으로갈수록효율적인개발역량강화를위한기반과환경이매우열악하다는것을의미하기도한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SW공학수준 조직별 기술 수준 비교 >

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및기법 정보활용

86.9

64.5

46.4

91.8

75.2

46.0

68.0

36.5

53.9

35.2

120

100

80

60

40

20

0

180%160%140%120%100%80%60%40%20%0%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133.0%

141.3%

87.3%

99.4%

88.0

< 기술 수준 비교(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

※ 2012년 조사대상 조직 중 2011년도에 참여한 103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함

프로세스인프라 시스템인프라 개발표준및기법 정보활용

63.069.7

61.067.972.2 73.5

57.1

84.383.683.8

53.759.6

67.770.077.3

49.5

62.769.6

58.2

68.0

100

80

60

40

20

0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81.9

Page 14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4

6.2. 향요소별 수준

6.2.1. 기업 규모별 SW공학수준

2012년조사대상248개조직에대해기업규모별로SW공학수준에대한분석을실시하 다. 먼저대기

업군을살펴보면, 프로세스(Process) 수준, 인력(People) 수준, 기술(Technology) 수준과이를종합한

SW공학수준 모두 2011년에 비해 다소 증가하 음을 알수 있다. 중소기업군을 살펴보면, 프로세스

(Process) 수준이소폭감소하 으나인력(People) 수준, 기술(Technology) 수준의증가로인해전반적

인공학수준은소폭증가하 음을알수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군의 SW공학수준을 비교하면, 대기업은 SW공학의 모든 분야에서 70점 이상으로

Average 등급이고, 프로세스수준점수는83.4점을기록해서Advanced 등급임을알수있다. 반면에중

소기업의 경우 SW공학 수준의 모든 면에서 60점미만으로 Absent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사이의SW공학수준의격차가2011년에비해서다소줄어들기는했지만격차는여전한것으로

보인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기업규모별 SW공학 수준 점수 비교 >

2011년프로세스수준점수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SW공학수준점수

83.4

60.7

2012년

83.4

59.9

2011년

70.6

51.2

2012년

73.3

53.9

2011년

76.8

51.5

2012년

81.4

52.4

2011년

77.6

55.1

2012년

79.8

55.8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중소기업대기업

Page 14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5

6.2.2. 품질인증 보유여부별 SW공학수준

전체응답조직중품질인증을보유한조직과품질인증을보유하지않은조직의비율은39.7%대60.3% 다.

2011년조사된구성비인38%대62%에비해이번조사에서는품질인증보유조직이약2% 증가하 다.

품질인증보유 조직의 SW공학수준 점수가 품질인증 미보유 조직의 SW공학수준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있다. 이와같은결과는품질인증보유조직들이기존의받은품질인증을유지하기위해프로세

스개선이나전문인력확보등과같은품질인증을유지하기위한노력들과 접한관련이있는것으로

보인다. 실제로CMMI의경우기업의지속적인프로세스개선과내재화를유지하기위해레벨의유효기

간을3년으로정해두고있다.

품질인증보유에따른인증보유조직군과인증미보유조직군을비교하여보면, 품질인증보유조직군

의 2012년 SW공학수준전체평균은 76.7점으로Average 공학수준나타났으나, 품질인증미보유조직

군은56.9점으로60점미만의Absent 수준으로분석되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품질인증 보유 유무별 SW공학수준 점수 비교 >

2011년프로세스수준점수 인력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SW공학수준점수

82.0

59.4

2012년

80.5

60.9

2011년

70.4

49.4

2012년

71.2

54.5

2011년

74.0

50.8

2012년

77.0

54.1

2011년

74.8

53.8

2012년

76.7

56.9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인증미보유인증보유

인증보유조직 인증미보유조직

< 조사대상 품질인증 보유 조직과 미보유 조직 차지 비율 >

70%

60%

50%

40%

30%

20%

10%

0%2011년

38.0%

62.0%

2012년

39.7%

60.3%

※ 2012년 조사대상 조직 중 2011년도에 참여한 103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함

Page 14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6

6.2.3. 개발역량과 지원역량별 SW공학수준

SW조직의 개발역량과 지원역량별 SW공학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SW공학수준 조사의 참조모델인

CMMI의프로세스 역군을분류하여분석하 다.

먼저, SW프로젝트 개발역량과 관련이 있는 엔지니어링(Engineering) 역군을 개발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역군으로 분류하 으며, 지원역량과 관련이 있는 3개의 역군인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 역군,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역군, 지원(Support) 역군을지원역

량을측정하기위한 역군으로나누어분석을실시하 다.

SW공학수준 조직에 따른 SW조직의 개발역량과 지원역량별 SW공학수준점수를 비교해 보면,

Advanced 공학수준조직의경우개발역량(91.9점)과지원역량(85.2점)의수준차이(6.7점)가적게나타

났지만, Absent 공학 수준 조직의 경우 개발역량(61.1점)과 지원역량(50.2점) 간의 수준차이(10.8점)이

상대적으로큰것으로조사되었다. 특히, 개발역량의경우, 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Absent 공학수

준조직의차이율을보면 50.5%에불과하지만지원역량의경우차이율은 69.7%에이르는것으로나타

났다.

이는기업규모별분석에서도나타났듯이조사대상조직중중소기업대부분이Absent 수준을면치못

하고있었으며, 이Absent 공학수준조직들은개발역량의부족보다는지원역량의부족에서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큰차이를보이고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수준 조직에 따른 개발역량과 지원역량별 SW공학수준 점수 >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개발역량

91.9

80.9

지원역량

71.1

69.7%

50.2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50.5%

61.1

85.2

Page 14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7

6.2.4. 프로세스 보유 비율

조직프로세스보유비율을살펴보면, 조사대상조직들이현재자신들이가지고있는프로세스를효율적

으로운 하고, 관리하기위한기반구조를가지고있는지를나타내는조직의프로세스보유비율은프로

세스의 내재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즉 조직내에서 프로세스를 새롭게 도입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기위해서는이를위한시스템이나도구와같은체계가잘갖추어져있어야한다.

프로세스보유비율의변화를살펴보면2011년에비해모든프로세스의보유비율이상승했으며, 특히위

험관리프로세스의경우상대적으로큰상승을보인것으로조사되었다. 이는앞서살펴본프로세스이

행점수의향상율보다프로세스내재화의향상율이높게나타난것을설명해주는결과이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프로세스 역 2010년 보유비율 2011년 보유비율

프로젝트계획 75% 78%

프로젝트견적 65% 68%

프로젝트관리 72% 74%

형상관리 70% 71%

품질보증 70% 75%

측정및분석 62% 63%

공급업체관리 43% 46%

요구사항관리 63% 66%

검토(동료검토) 59% 62%

의사결정 50% 54%

위험관리 62% 79%

프로세스개선및관리 60% 60%

교육훈련 34% 40%

< 프로세스 보유비율 비교(2011년, 2012년) >

프로젝트계획

78

프로젝트견적

68

교육훈련

40

프로세스관리

60

위험관리

62

79

의사결정

54

검토(동료검토)

62

요구사항관리

66

협력업체관리

46

측정및분석

63

품질보증

형상관리

71

프로젝트관리

80%

70%

60%

50%

40%

30%

20%

10%

0%

65

72 7470 70

75

43

62 63

75

59

50

60

34

2011년 2012년

Page 14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8

6.3. SW공학 역별 수준

SW공학주요 역별수준점수는 SW공학수준조사의프로세스 역별이행점수를기반으로 SW공학의

10개분야별수준점수를산출하 다. SW공학수준점수와SW공학주요 역별연계도는아래와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 수준 점수와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점수 연계도 >

기술부문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축 테스트품질관리형상관리

관리부문공학도구및방법

프로세스프로젝트관리정량적관리

PA Category Level 2 Level 3 Level 4 Level 5

ProcessOrganizational Process Focus Organizational Organizational

ManagementOrganizational Process Definition for IPPD Process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Training Performance Deployment

ProjectProject Planning Integrated Project Quantitative

ManagementProject Monitroring and Control Management for IPPD Project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Risk Management ManagementRequirements Development

Technical SolutionEngineering Requirements Management Project Integration

VerificationValidation

Configuration Management CasualSupport Process and Product Quality Assurance Decision Analysis and Resolution Analysis and

Measurement and Analysis Resolution

<SW개발 Life-Cycle>

<CMMI Process Areas>

※프로세스수준조사의테크놀리지수준구성역별평균점수의개발

표준및기법참조

Page 15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49

SW공학주요 역에대한수준을살펴보면프로세스관리를제외한나머지모든 역에서 Average 수

준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술부문은 Average 수준이고, 관리부문에서는 2011년도와 비교했을

때도구및기법, 정량적관리 역에서Absent 수준을벗어나Average수준으로진입한것으로조사되

었으나프로세스관리 역은여전히 Absent 수준을벗어나지못하고있어이부분에대한개선노력이

필요한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 2012년도대상조직중2011년도에참여한103개프로젝트에대해추이를비교해본결과, 전반적

으로향상된결과(▲1.8%)를 보여주고있다. 요구사항 4.3%, 구현 1.0%, 형상관리 3.1%, 도구 및 기법

8.6%, 품질관리2.9%, 정량적관리1.2%가향상되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요구사항

기술부문 관리부문

76.9 75.6

분석/설계

75.3 75.0

구현

75.6 76.4

테스트

76.1 77.4

형상관리

71.2 71.8

프로젝트관리

73.9 73.8

프로세스

59.859.6

도구및기법

61.2

품질관리

68.1

정량적관리

59.2 61.458.0

67.2

<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9080706050403020100

2011년 2012년

기술 부문 관리부문

구분 요구 분석/구현 테스트

형상 프로젝트 프로 도구 및 품질 정량적사항 설계 관리 관리 세스 기법 관리 관리

2011년 76.9 75.3 75.6 76.1 71.2 73.9 59.8 58.0 67.2 59.2(공학수준) (Ave.) (Ave.) (Ave.) (Ave.) (Ave.) (Ave.) (Abs.) (Abs.) (Abs.) (Abs.)

2012년 75.6 75.0 76.4 77.4 71.8 73.8 59.6 61.2 68.1 61.4 (공학수준) (Ave.) (Ave.) (Ave.) (Ave.) (Ave.) (Ave.) (Abs.) (Abs.) (Abs.) (Abs.)

* Adv.= Advanced, Ave.=Average, Abs.= Absent

Page 15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0

SW공학주요 역별수준을기술부문과관리부문으로나누어살펴보면, 기술부문은2011년82.9점에서

2012년 84.2점으로전년대비 1.6% 향상되었고, 관리부문은 75.0점에서 75.5점으로 0.6% 상승하 다.

전반적인수준은기술부문보다관리부문이낮으며, 전년대비향상율도기술부문이높은것으로분석되

었다.

SW공학수준조직별 SW공학주요 역에대한 SW공학수준점수를살펴보면, Advanced 조직의수준

과Absent 조직의수준차이는평균70.6% 다. 세부적으로기술부문에해당하는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역은평균51.6%의차이를보 고, 관리부문에해당하는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

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역은평균83.2%의차이를보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 주요 역별 국내 수준 점수 비교 >

요구사항

85.4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0.0%

8.0%

6.0%

4.0%

2.0%

0.0%

-2.0%

-4.0%

-6.0%

81.9 82.182.6 84.083.1 84.283.778.376.0

81.681.777.371.2

78.476.271.5

79.177.7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전체

1.8%1.2%

2.9%

8.6%

-4.8%

-0.1%

3.1%

0.6%1.0%

-0.6%

4.3%

2011년 2012년 증감율

* 2011년 조사대상 조직 중 2010년도에 참여한 61개 조직(85개 프로젝트)을 대상으로 함

<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기술부문 vs. 관리부문 >

100.090.080.070.060.050.040.030.020.010.00.0

1.8%

1.6%

1.4%

1.2%

1.0%

0.8%

0.6%

0.4%

0.2%

0.0%기술부문

82.9

관리부문

75.575.0

전체

77.677.0

1.6%

0.6%

0.8%

2011년 2012년 증감율

70.667.9

70.6

84.2

Page 15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1

특히, 도구및기법의경우는다른 역에비해거의2배가량높은차이를보 다. 이러한현상은기술부

문보다관리부문에서특히, 도구및기법 역에서Advanced 공학수준조직과Absent한공학수준조

직의역량차이가아직크다는것을보여준다.

SW공학수준 조직별 기술부문과 관리부문 평균점수에 대한 Advanced 공학 수준 조직과 Absent 공학

수준조직간의수준점수차이율을살펴보면, 기술부문의차이율이50.5%, 관리부문의차이율이69.7%

로 나타났다. 또한 Average, Absent 공학 수준 조직의 기술부문과 관리부문 평균 차이율도 32.6%와

41.5%의차이를보 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SW공학수준 조직별 SW공학 주요 역수준 평균점수 비교 >

요구사항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0%분석/설계

기술부분 관리부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68.6%

44.2% 47.3 46.4 54.2% 59.274.1%

141.3%

80.2%90.0

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전체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

기술 부문 관리부문

요구 분석/구현 테스트

형상 프로젝트 프로 도구 및 품질 정량적사항 설계 관리 관리 세스 기법 관리 관리

Advanced 93.4 89.5 91.6 93.2 84.1 91.6 79.4 88.0 86.0 83.2

Average 83.8 78.2 80.4 80.5 80.9 78.0 60.4 68.0 76.4 64.4

Absent 55.4 62.0 62.2 63.7 54.4 57.5 45.6 36.5 47.7 43.8

전체 75.6 75.0 76.4 77.4 71.8 73.8 59.6 61.2 68.1 61.4

Absent VS68.6% 44.2% 47.3% 46.4% 54.7% 59.2% 74.1% 141.3% 80.2% 90.0%

Advanced

SW공학수준

Page 15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2

6.4. 공급자 유형별 수준

공급자유형별(IT서비스, 임베디드SW, 패키지SW)로SW공학주요 역별수준을살펴보면, IT서비스분

야의SW공학수준이가장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IT서비스분야는전체조사대상조직의평균수준보

다높았으며, 각 SW공학주요 역에서도평균수준보다높았다. 반면, 패키지SW의경우, 전체조사대

상조직의수준보다낮았으며, 각SW공학주요 역에서도수준에대한편차가큰것으로조사되었다.

6.4.1. IT서비스분야의SW공학주요 역별수준

공급자유형중 IT서비스분야의SW공학주요 역별수준은각 역별평균보다높았다. 전체기업의

수준과 IT서비스분야의수준편차를분석해보면 IT서비스분야가평균 4.0점이상높았으며, 이는 IT

서비스분야의대부분프로젝트가 SI형태로다른유형에비해정형화되어있고, 개발난이도가낮기때

문인것으로보인다. 특히도구및기법 역의점수차이가다른 역에비해많이나타나는현상이나

타나고있다. 이는 IT서비스산업이이전의투입인력위주의사업수행방식에서벗어나기존의경험과지

식을패키지화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또한품질관리 역은상대적으로상승폭이작아아직도납기

위주로프로젝트가진행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수준 조직별 기술부문 점수 및 관리부문 수준 평균점수 비교 >

100.0

80.0

60.0

40.0

20.0

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기술부문

80.9

91.9

관리부문

66.8

69.7%

50.2

71.176.3

50.5%

Advanced 공학수준조직 Average 공학수준조직 Absent 공학수준조직 전체 Absent 대비 Advanced 차이율

85.2

61.1

Page 15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3

SW공학주요 역중구현, 테스트 역의수준점수가80점대로나타났으며, 프로세스관리, 도구및기

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역은60점대 다. 한편2011년과비교해볼때도구및기법(▲7.5점), 프로

세스(▲5.0점), 형상관리(▲4.5점) 역이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반면품질관리(▲0.7점) 역은상대

적으로증가율이낮은것으로나타났다.

IT서비스형태로공공, 제조, 금융, 정보통신, 유통서비스분야프로젝트에적용된SW공학 역별수준

은다음과같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IT서비스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 IT 서비스부문 SW공학 주요 약별 수준 차이분석 >

요구사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8.0

7.0

6.0

5.0

4.0

3.0

2.0

1.0

0.0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78.8 79.175.0

80.276.4

81.676.3 76.2

64.668.7

61.268.868.1 65.6

3.2

4.1 3.84.2 4.5

2.4

5.0

7.5

0.7

4.2

75.671.8 73.8

61.4

전체 IT서비스(2011) 차이(전년대비)

구분 전체 IT서비스 차이(IT서비스-전체)

요구사항 75.6 78.8 3.2

분석/설계 75.0 79.1 4.1

구현 76.4 80.2 3.8

테스트 77.4 81.6 4.2

형상관리 71.8 76.3 4.5

프로젝트관리 73.8 76.2 2.4

프로세스 59.6 64.6 5.0

도구 및기법 61.2 68.7 7.5

품질관리 68.1 68.8 0.7

정량적관리 61.4 65.6 4.2

77.4

59.6

Page 15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4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IT 서비스의 공공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0

0.0

-2.0

-4.0

-6.0

-8.0

-10.0

-12.0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68.6 65.0

79.1

64.3

80.2

68.1

81.676.3

64.6

47.3

68.758.9

68.8

49.1

-8.1

-9.9

-7.2-7.3 -7.7-6.4

-8.8

-4.962.3

-8.2

78.8 76.265.6

1.0

전체(IT서비스) 공공 차이(작년대비)

< IT 서비스의 금융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5.0

4.0

3.0

2.0

1.0

0.0

-1.0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88.482.179.1

86.880.2

87.281.6

76.3

64.62.2

0.6

3.2

1.31.1

1.4

-0.7

2.5

85.4

4.6

78.8 76.2

2.8

전체(IT서비스) 금융 차이(작년대비)

74.779.1

68.8

< IT 서비스의 제조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1.5

1.0

0.5

0.0

-0.5

-1.0

-1.5

-2.0

-2.5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84.3 80.779.185.1

80.286.4

81.6 81.376.3 79.1

66.464.6 68.7

-1.6 -1.5

1.3

-0.6 -0.5

-1.2

-1.8

0.0

0.1

78.8 76.2

65.6

-1.1

72.371.2

전체(IT서비스) 제조 차이(작년대비)

68.8

79.6

73.482.0

60.258.2

68.7

86.0

65.6

Page 15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5

6.4.2. 임베디드SW 분야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임베디드SW 분야의SW공학주요 역별수준은전체수준과비교했을때약 1점정도낮은것으로분석

되었다. 가장큰차이를보이는 역은형상관리 역으로전체와비교했을때4점이낮은것으로나왔는

데이는임베디드개발유형이HW형상관리에비해 SW형상관리에상대적으로미흡한수준을나타내고

있는것으로분석된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IT 서비스의 유통 서비스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5.0

4.0

3.0

2.0

1.0

0.0

-1.0

-2.0

-3.0

-4.0

-5.0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80.085.3

79.1 77.880.2

77.081.6

75.276.3 75.8

60.064.6 65.868.7 68.8

-4.4

78.8 76.2

65.6

전체(IT서비스) 유통서비스 차이(작년대비)

62.568.3

< IT 서비스의 정보통신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8.0

6.0

4.0

2.0

0.0

-2.0

-4.0

-6.0

-8.0

-10.0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61.9

-7.7

78.880.2

63.4

76.3

66.076.2

54.9

64.6

45.7

68.7

56.3

68.8

52.3

65.6

전체(IT서비스) 정보통신 차이(작년대비)

81.675.472.575.979.1

2.1 2.4

1.00.0

3.6

5.0

0.9

0.0

4.4

0.5

-0.3-1.0

3.8

2.32.0

0.9

-1.1

5.4

Page 15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6

임베디드SW의SW공학주요 역별수준은대부분이 'Average' 수준이었다. 다만프로세스(56.9점), 도

구및기법(59.0점) 역의수준은‘Absent' 수준으로상대적으로이 역이취약한것으로나타났다. 이

중수준이가장낮은프로세스 역의개선방안을기반으로전반적인SW공학수준향상방안을마련해

야할것으로보인다.

임베디드SW의형태로공공, 제조, 금융, 정보통신, 유통서비스분야프로젝트에적용된SW공학 역별

수준은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임베디드SW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 임베디드SW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차이분석 >

요구사항

75.6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6.0

4.0

2.0

0.0

-2.0

-4.0

-6.0

75.6

분석/설계

72.775.0

구현

74.576.4

테스트

74.977.4

형상관리

67.871.8

프로젝트관리

73.7

프로세스

56.959.6

도구및기법

61.2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60.961.4

자이(작년대비)전체 임베디드SW

59.00.0

구분 전체 IT서비스 차이(IT서비스-전체)

요구사항 75.6 75.6 0.0

분석/설계 75.0 72.7 -2.3

구현 76.4 74.5 -1.9

테스트 77.4 74.9 -2.5

형상관리 71.8 67.8 -4.0

프로젝트관리 73.8 73.7 -0.1

프로세스 59.6 56.9 -2.7

도구 및기법 61.2 59.0 -2.2

품질관리 68.1 73.4 5.3

정량적관리 61.4 60.9 -0.5

68.1

-2.3-1.9

-2.5

-4.0

-0.1

-2.7 -2.2

5.3

-0.5

73.8 73.4

Page 15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7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임베디드SW의 금융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0.0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2.0

10.0

8.0

6.0

4.0

2.0

0.0

-2.0

-4.0

77.380.3

74.579.0

74.967.8

76.6 78.4

59.0

75.071.6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자이(작년대비)전체임베디드SW 금융

2.8

-3.1-2.9

4.4

-2.5

56.9

74.0

-0.5-0.2-1.8

75.6 72.7 73.7

< 임베디드SW의 제조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0.0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2.0

10.0

8.0

6.0

4.0

2.0

0.0

-2.0

-4.0

77.0 78.674.5

-0.5

67.8

-1.2

56.359.0

65.0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자이(작년대비)전체임베디드SW 제조

4.3

80.09.9

-2.2

77.2

0.0

56.952.9

2.50.9

2.7

82.975.6 72.7 73.7

< 임베디드SW의 공공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3.3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2.0

10.0

8.0

6.0

4.0

2.0

0.0

-2.0

-4.0

83.3 82.574.5

79.874.9 73.8

67.8

81.5

73.770.8

59.0

79.273.4

60.460.9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자이(작년대비)전체임베디드SW 공공

10.4

4.25.8

2.0

-0.7

56.9

-3.3

-0.5

1.8

-0.7

4.0

75.6 72.7

74.0

-1.1

73.4

60.9

0.8

73.4

60.9

80.074.9

59.5

-2.1

Page 15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8

6.4.3. 패키지SW 분야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패키지SW 분야의SW공학주요 역별수준은모든 역에서평균보다낮았다. 다른공급자유형(IT서

비스, 임베디드SW)에서나타난수준과비교해도가장낮게나타났다. 패키지SW 분야의수준이가장떨

어지는요인중하나는다른분야에비해중소기업의비중이높았다는점을들수있다. 실제로세유형

별로 중소기업의 참여비율을 살펴보면, 패키지SW중 중소기업의 비율은 8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임베디드SW의 정보통신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0

70

60

50

40

30

20

10

0

12.0

10.0

8.0

6.0

4.0

2.0

0.0

75.672.4 72.7

69.774.5

72.174.9 72.4

67.865.5

73.7 72.1

56.9 52.759.0

53.4

73.4 73.3

60.959.5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차이(작년대비)전체임베디드SW 정보통신

0.7

3.4 3.1 3.1

1.2 1.50.3

1.82.5

10.0

< 임베디드SW의 유통서비스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0

70

60

50

40

30

20

10

0

3.0

2.0

1.0

0.0

-1.0

-2.0

-3.0

-4.0

-5.0

-6.0

75.670.0

63.8 64.467.8

48.2

73.7

65.4

56.9 59.0

46.9

73.459.4

46.9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차이(작년대비)전체임베디드SW 유통서비스

0.9

-1.8-1.2

-2.6

-5.0

-1.3

2.4 1.4

0.3

-3.1

72.774.974.5

51.8

60.964.8

Page 16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59

패키지SW 분야의 SW공학수준은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등 개발 역에서는 모든 역이

'Average' 수준이었다. 그러나프로세스(52.4점), 도구및기법(48.7점), 정량적관리(53.8점) 역의수준

은 해당 역별 평균 수준(59.6점, 61.2점, 61.4점)보다 각각 7.2점, 12.5점, 7.6점 편차를 보이며

Absent 수준을나타내고있어상대적으로취약한것으로조사되었다. 수준이상대적으로낮은도구및

기법, 정량적관리프로세스개선방안을기반으로전반적인SW공학수준향상방안을마련해야할것으

로보인다.

패키지SW의 형태로 공공, 제조, 금융, 정보통신, 유통서비스 분야 프로젝트에 적용된 SW공학 역별

수준은다음과같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패키지SW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차이(패키지·전체대비)전체 패키지 SW

< 패키지SW의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차이 분석 >

요구사항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0.0

-2.0

-4.0

-6.0

-8.0

-10.0

-12.0

-14.0

75.669.5

75.069.0

76.470.5

77.471.2 71.8

66.5

73.869.1

59.6 61.2

48.7

68.162.2 61.4

53.8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6.1

구분 전체 IT서비스 차이(IT서비스-전체)

요구사항 75.6 69.5 -6.1

분석/설계 75.0 69.0 -6.0

구현 76.4 70.5 -5.9

테스트 77.4 71.2 -6.2

형상관리 71.8 66.5 -5.3

프로젝트관리 73.8 69.1 -4.7

프로세스 59.6 52.4 -7.2

도구 및기법 61.2 48.7 -12.5

품질관리 68.1 62.2 -5.9

정량적관리 61.4 53.8 -7.6

-7.6

-5.9

-12.5

-7.2

-4.7-5.3

-6.2-5.9-6.0

52.4

Page 16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0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패키지SW의 공공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 패키지SW의 금융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 패키지SW의 제조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0

70

60

50

40

30

20

10

0

12.0

10.0

8.0

6.0

4.0

2.0

0.0

-2.0

-4.0

-6.0

69.572.0

69.064.0

70.5 70.6 71.275.3

66.571.4 69.1 68.7

52.448.7

60.0 62.260.0

53.8 57.5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차이(작년대비)전체패키지SW 공공

4.0

-4.0

0.31.3

0.01.0

-2.9

10.0

0.0

5.0

57.1

요구사항

80

70

60

50

40

30

20

10

0

25.0

20.0

15.0

10.0

5.0

0.0

-5.0

69.563.6

69.066.4

70.5 70.5 71.2 70.1 69.166.5

52.448.7

51.7

62.2

56.8 53.853.4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차이(작년대비)전체패키지SW 제조

14.713.1

7.18.7

4.5

11.1

-1.1

19.8

15.1

9.0

51.3

66.5

요구사항

80

70

60

50

40

30

20

10

0

0.0

-1.0

-2.0

-3.0

-4.0

-5.0

-6.0

-7.0

-8.0

-9.0

69.5

56.0

69.0 70.5 70.7 71.268.3 67.1

69.164.2

52.448.7 46.3

62.2

52.5 53.857.5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차이(작년대비)전체패키지SW 금융

-8.3

-4.0-2.0

-1.6

-3.3

-4.2

-6.3

-1.1

-2.9

-1.4

52.9

66.5

64.9

66.0

Page 16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1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패키지SW의 정보통신 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80

70

60

50

40

30

20

10

0

5.0

4.0

3.0

2.0

1.0

0.0

-1.0

-2.0

-3.0

-4.0

-5.0

69.566.9 69.0

61.2

70.567.6

71.2 72.266.564.3

69.1 66.4

52.448.7 44.7

53.849.0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차이(작년대비)전체패키지SW 정보통신

-4.6-2.6

0.4

0.90.0

-1.5

-3.8

3.8

-0.9 -0.5

48.9

63.562.2

차이(작년대비)전체(패키지 SW) 유통서비스

< 패키지SW의 유통서비스분야 SW공학 주요 역별 수준 >

요구사항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8.0

6.0

4.0

2.0

0.0

-2.0

-4.0

90.7

69.0 70.575.7

71.2 71.8 69.1

81.3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도구및기법

48.7

품질관리 정량적관리

2.1

52.458.1 53.8

59.262.2

75.0

49.2

-0.7

90.0

2.0

2.3

6.2

0.5

-3.1

4.6

3.6

69.5

0.7

70.566.5

Page 16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2

7. SW개발생산성

7.1. 산출방법 및 현황

SW공학백서에서 SW개발생산성을별도의장으로구분하여설명하는이유는생산성향상이 SW를개

발하는데소요되는시간을단축하여개발조직전체입장에서보면개발에소요되는비용의감소로이어

질수있기때문이다.

일반적으로생산성향상을위해서는개발업무를최대한구조화해단순화하고, 소단위개발조직운 , 재

사용성향상, 고급언어와좋은툴활용, 선진기술의적극활용, 능력있고경험많은개발자투입, 생산

성향상목표설정, 적정한개발기간설정, 설정된개발기간내프로젝트완수등의형태로프로세스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프로젝트 생산성 향상은 SW품질 향상과 더불어 SW공학기술을 적용하는

궁극적인목적이기때문에프로젝트생산성분석결과는중요한의미를가지고있다.

SW개발생산성은 SW를개발하기위해투입하는요소의양에대한산출물의양을말한다. 일반적으로

생산성은투입에대한산출의비율을의미하는효율성과산출물의질이나내용을중시하는효과성의개

념을동시에내포하지만, 현실적으로효과성측면을고려한생산성지표를산출하는데는어려움이있기

때문에SW공학백서에서는투입에대한산출의비율만을고려하기로한다.

SW공학백서에서의 SW개발 생산성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에서 단위 투입인력(1MM)을

통해얼마나많은SW를개발하는지를나타내는지표이다.

이번조사를통해수집된생산성데이터는전체 292개프로젝트중에서 141개프로젝트(48.3%)에불과

했다. 이러한낮은응답비율은아직까지국내SW개발조직들이생산성을파악하기위한제반체계들을

갖추지못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생산성을파악하기위해서는먼저프로젝트에투입되는인력들

의투입공수가관리되어야하지만국내SW개발프로젝트의경우일부공공프로젝트나대형SI 업체를

제외하고는제대로투입인력을관리하는경우가드문것이현실이다. 뿐만아니라, 투입공수를관리하

고있더라도프로젝트의규모를정확하게파악할수없는경우에는생산성을계산하기가현실적으로불

가능하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개발생산성 = 프로젝트전체 FP

(단위 FP/MM)프로젝트투입MM

Page 16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3

국내SW업계에서는2008년부터SW사업대가기준을기능점수로계산하게하여이러한문제점을개선

해나가고있지만, 아직까지기능점수를활용하여프로젝트규모를산정하는경우는앞에서언급한바와

같이공공프로젝트나대규모 SI 프로젝트를제외하고는찾아보기힘든것이현실이다. 하지만, 관련하

여정부차원에서의개선노력이계속되고있기때문에개선되어질것으로기대하며이번SW공학백서

에서는수집된141개프로젝트의생산성을기준으로그의미를분석해보고자한다.

수집된 141개프로젝트의생산성은아래그림에서와같이분포되어있으며, 이프로젝트의평균생산성

은 25.4 FP/MM 이었다. 이는지난해발간된 SW공학백서에서조사된프로젝트의평균생산성 23.4

FP/MM과비교했을때8.5% 향상된수치이다.

사실 SW개발생산성은투입인력의경력, 프로젝트규모등에따라그값이크게달라질수있다. 지난

해 SW공학백서에수록되었던생산성데이터의비교를통해수집된생산성데이터들의분포가유사한

지를파악하 다. 그래프에서보는바와같이수집된생산성데이터들을오름차순으로정렬하여그래프

로표현한그림을비교해보면전반적으로 2011년도 수집된데이터와 2012년 데이터는유사한패턴을

보이는것을알수있다.

이번조사를통해수집된국내SW개발생산성은개발완료된프로젝트데이터의실적투입공수를기준

으로평균25.4 FP/MM이었으며, 프로젝트초기에견적된계획공수기준으로는25.3 FP/MM로나타나

계획과실제생산성의값이거의일치하고있다. 약간의차이가발생한이유는프로젝트를진행하면서초

기견적한계획투입공수보다조금더많은공수를실제투입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즉, 납기지연

으로인해추가적인인력이투입되고이로인해생산성이떨어졌던것으로볼수있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 SW개발 프로젝트 생산성 현황 (2012년) >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45

40

35

30

25

20

15

10

5

0

생산성(2012년)

생산성(2011년)

< SW개발 생산성 현황 (2011년) >

0 20 40 60 80 100 120

40

35

30

25

20

15

10

5

0

Page 16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4

국내에서조사된SW개발생산성데이터는2002년부터2008년까지는SW비용산정자료에서발췌했으

며, 2009년이후는 SW공학백서를위한데이터조사를기반으로산출된숫자이다. 국내 SW개발생산

성데이터의추이를살펴보면, 2002년부터 2009년까지조금씩향상되고있음을알수있다. 2007년의

경우는 32.3 FP/MM로나타났지만 2002년부터조사된생산성데이터의전체적인흐름으로보아조사

대상표본의수나조사대상표본의선정이잘못되어나타난결과로보는것이맞을것같다.

ISBSG 데이터와비교해보면, 전체적으로 2007년을제외한국내 SW개발생산성은 ISBSG에비해격

차를 보여 왔었다. 특히 2002년에서 2006년까지는 거의 2배 이상의 차이가 존재하 으나 그 이후

ISBSG의약70% 수준까지향상되었음을알수있다. 여러가지요인들이있겠지만정부는SW공학기술

을보급하고, 체계적으로적용하기위해정책적노력을기울이고, SW기업들은 SW생산성에대한인식

을전환하여이를향상시키기위한각고의노력을기울 기때문인것으로보인다. 또한공개 SW의보

급이활성화와저렴한도입비용으로인한공개SW의도입의증가도생산성향상에기여한것으로판단

된다.

2009년의 ISBSG의생산성이국내성에비해낮은것으로나타나고있지만실제로2009년의생산성지

표를산출하는데사용된프로젝트가 11개로샘플사이즈가작기때문에대표성을갖는다고보기에는다

소무리가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연도별 국내SW 프로젝트 생산성(FP/MM) 비교 >

2002년

12

2003년

12

2004년

18

2007년

32.3

2006년

17

2005년

16

2008년

21.9

2010년

22.3

2011년

23.4

2012년

25.4

2009년

22.3

35

30

25

20

15

10

5

0

Page 16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5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한국 12 12 18 16 17 32.3 21.9 22.3 22.3 23.4 25.4

ISBSG 63.35 31.86 29.84 19.85 31.53 15.34 31.69 15.0 - - -

ISBSG데이터수

433 280 655 369 548 88 48 11 - - -

(단위 : FP/MM, 개)

< 벤치마킹 데이터와 연도별 SW 생산성(FP/MM) 비교 >

2002년

12

63

12

32

18

30

1620

17

32

16

32

15

22.3

2003년 2004년 2007년2006년2005년 2008년 2010년

23.4

2011년

25.4

2012년2009년

70

60

50

40

30

20

10

0

22.321.9

32.3

국내생산성 ISBSG생산성

(일본추가)

Page 16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6

7.2. 프로젝트 유형별 SW개발 생산성

SW개발생산성을주요한프로젝트유형별로비교해보면다음과같다. 우선개발유형별로살펴보면, 성

능개선이 가장 높은 27.1FP/MM 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재개발(25.0FP/MM)과 신규개발

(24.0FP/MM)순으로조사되었다. 성능개선의생산성이높게나타난요인은이전개발산출물을기반으

로재사용성이늘어나기때문인것으로보인다.

참여형태별로는 컨소시엄(21.6FP/MM) 혹은 하도급(24.2FP/MM)을 주는 프로젝트보다는 프로젝트를

단독수행(26.4FP/MM)하는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컨소시엄 혹은 하도급의 경우

두개이상의조직이공통작업을위해의사소통을해야하는경우가늘어나기때문으로보인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생산성 빈 도

신규개발 24.0 59

재개발 25.0 30

성능개선 27.1 52

전체 25.4 141

< 개발유형별 개발 생산성 >

재개발

25

신규개발

24

성능개선

27.130

20

10

0

컨소시엄

21.6

단독

26.4

하도급

24.2

30

20

10

0

구 분 생산성 빈 도

단독 26.4 91

컨소시움 21.6 14

하도급 24.2 36

전체 25.4 141

< 참여형태별 개발 생산성 >

(단위 : FP/MM, 개)

(단위 : FP/MM, 개)

Page 16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7

기업규모별생산성데이터를분석해보면대기업의생산성은27.9FP/MM, 중소기업은 21.9FP/MM 수

준이었다. 중소기업의생산성은대기업의약80% 수준으로이는인력과자금을포함한SW 개발인프라

가대기업에비해중소기업이열악하기때문으로분석된다.

CMMI의인증유무에따른SW개발생산성데이터를비교해보면CMMI 인증을받은기업의생산성은

28.6 FP/MM, CMMI 인증을받지못한기업의생산성은24.2 FP/MM이었다. CMMI 인증에따른생산

성분석결과는기업규모별분석결과와비슷한형태를띠고있다. CMMI 인증을받은기업의생산성과

대기업의생산성이유사한수준이며, 미인증기업의생산성과중소기업의생산성이유사한수준이다. 이

는 CMMI 인증의경우비용에대한부담이커서인증을받은기업이대부분대기업이기때문인것으로

보인다.

분석결과를살펴보면CMMI 인증을받은기업의생산성이CMMI 미인증기업보다높았다. CMMI의인

증을받은기업들은기본적인 SW개발프로세스가갖추어져있고, 조직적인차원에서공통으로활용할

수있는표준프로세스가갖추어져있어이를통해개별프로젝트의특성을반 할수있는체계가잘갖

추어져있기때문으로풀이된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생산성 빈 도

대기업 27.9 81

중소기업 21.9 60

전체 25.4 141

< 기업규모별 개발 생산성 비교 >

중소기업

21.9

대기업

27.9

전체

25.4

30

20

10

0

중소기업

21.9

대기업

27.9

전체

25.4

30

20

10

0

구 분 생산성 빈 도

CMMI인증 28.6 38

CMMI 미인증 24.2 103

전체 25.4 141

< CMMI 인증별 개발 생산성 비교 >

(단위 : FP/MM, 개)

(단위 : FP/MM, 개)

Page 16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8

8. SW품질과품질비용

이장에서는국내 SW개발프로젝트의품질과품질비용을분석하 다. 품질비용의경우, SW개발프로

젝트의성공여부와관계없이필수적으로지출해야하는비용이지만, 품질비용을사용하는목적이SW개

발프로젝트의성공을위해서지불하는만큼품질비용과성과와의관계를살펴보고자노력하 다. 하지

만, 프로젝트의성공이품질비용뿐아니라프로젝트개발환경, 프로젝트오너쉽, 프로젝트추진정책등

여러가지요인에의해결정된다는것을사전에인지하여야한다.

8.1. SW품질 수준

국내SW개발프로젝트의품질성과현황을살펴보기위해조사대상프로젝트중운 경함 도항목에응

답한 106개프로젝트에대한운 결함 도를분석하 다. 운 결함 도는 프로젝트가완료된이후3

개월동안발견된결함수를프로젝트규모(FP)로나눈값이다.

분석결과, 운 결함 도는평균0.15 개/FP로나타났으며, 이는 2011년 0.16개/FP에비해약 5.3% 낮

았다. 이번SW공학데이터수집단위가프로젝트단위로이루어졌고, 프로젝트가끝난이후운 단계는

이번설문의주응답자인 SW프로젝트관리자(PM)의 관리범위를벗어나기때문에‘3개월’이라는한계

를주기는했지만운 결함 도의응답률(36.3%)은저조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년 도 운 결함 도 빈 도

2009년 0.24 14

2010년 0.17 35

2011년 0.16 75

2012년 0.15 106

< 운 결함 도 분석결과 >

2009년

0.24

2010년

0.17

2011년 2012년

0.16 0.15

0.30

0.25

0.20

0.15

0.10

0.05

0.00

(단위 : 개/FP)

Page 17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69

8.2. SW품질 비용

SW공학백서의품질비용항목은아래표에서와같이크게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

패비용으로구분되며, 개별품질비용에포함되는세부항목들은항목별로조사대상프로젝트에서투입한

공수를수집하여계산하 다. 품질비용데이터들은모두조사대상프로젝트에서투입공수(M/M)로수집

하 으며, 수집된 투입공수(M/M)를 전체 프로젝트 투입공수(M/M, 실적 기준)로 나눈 값을 활용하여

SW 품질비용현황을분석하 다. 또한, 국내품질비용분석자료와해외자료와의직접적인비교를위

해국내SW공학수준중에서프로세스수준점수를바탕으로유사CMMI 능력성숙도수준을도출하고,

도출된CMMI 능력수준을기준으로품질비용분석을실시하 다.

이번조사에서수집된품질비용관련데이터들은조사대상프로젝트292개에서 66개만수집되어응답

율(22.6%)이저조했다. 이러한응답율은2011년에비해다소나아지기는했지만여전히낮은수치로이

는국내 SW기업들이 SW프로젝트를정량적으로측정해서체계적으로관리하는능력이나체계가갖추

어져있지않거나정량적관리체계를갖추고있더라도품질과관련된비용에대한관리가부실하게이루

어지고있음을보여주고있는것이다.

SW개발프로젝트의품질비용항목은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과같이크게4

부분으로구성되어있다. 예방비용은프로젝트에서결함발생을미리방지하는데초점을둔활동이고,

평가비용은주로동료검토나테스트와관련된비용을의미하며, 내부실패비용은평가비용으로인해발

생한결함을처리하는데소요되는비용을의미한다, 마지막으로외부실패비용은프로젝트완료후에유

지보수단계나고객이직접사용하는과정에서발생하는결함을처리하는데드는비용이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분 및 지표 측정 지표 비고

프로젝트관리 프로젝트계획및관리

예방비용교육기술지원 교육및기술지원

예방품질활동 프로세스점검, 내부 검토

자원관리 백업, 보안관리

평가비용평가품질활동 동료검토, 고객검토, 감리 MM단위로수집

테스트 단위/통합/시스템/인수테스트수행

내부실패비용내부실패품질활동 동료검토/고객검토/감리후후속조치

테스트 단위/통합/시스템/인수테스트결함조치

외부실패비용결함 오픈이후결함조치

납기지연 프로젝트납기지연

< SW품질비용 항목 >

Page 17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0

품질비용은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모두를더한값으로응답한66개프로젝

트의평균품질비용은전체프로젝트투입공수의 58.9% 정도인것으로조사되었다. 평균품질비용이

58.9%라는의미는조사대상프로젝트에서평균적으로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

용의합이전체프로젝트개발비의 58.9% 정도를차지하고있다는것이다. 이는 2011년의 품질비용인

59.8%에비해0.9%정도낮아진수치이다.

이는조사대상SW개발프로젝트에주어진고객의품질요구사항을만족시키기위해서전체프로젝트의

절반이상에해당하는자원을투입하고있는것이다. 품질비용이차지하는비용이높다는것은프로젝트

수행조직의SW공학역량이떨어진다는의미로이는다시SW개발프로젝트의납기나비용을초과하도

록만드는요인으로작용하게된다.

국내 SW프로젝트의 품질비용 현황들을 해외 SW기업들과 직접 비교해 보기 위해 유사한 품질모델인

Knox 모델과비교분석하 다. Knox 모델에서의평가비용항목과SW공학백서에서의평가비용항목들

과는약간의차이를보이고있지만, 그외예방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등은거의유사하기

때문에 Knox모델과의 비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조사된 결과 예방비용, 평가비

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이전체개발비에서차지하는비율은3.7%, 8.9%, 27.2%, 19.1%로조

사되었으며, 총품질비용은전체개발비대비58.9%를차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조사결과를Knox모델과비교해보면, 전체품질비용측면에서는국내 SW기업들이 2009년과마찬가

지로여전히CMMI 성숙단계 1단계수준에머물러있는것으로판단되지만, 예방비용은CMMI 성숙단

계2단계수준과비슷하고, 평가비용및내炤甁� 실패비용도CMMI 성숙단계2단계수준과비슷한구성

비율을보이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이는국내 SW기업이품질강화활동을조금씩시작하는단계로들어서고있음을의미함과동시에품질

강화활동이아직큰결실을보지못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즉, 결함을방지하고이에따른재작업

을줄이기위해투자하는예방비용은많이쓰고있지만결함방지효과를얻는데는실패하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 총 품질비용

SW공학백서데이터기준(2012년) 3.7% 8.9% 27.2% 19.1% 58.9%

< Knox모델과 조사대상의 품질비용 구성 비율 >

Page 17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1

하지만2012년품질비용의경우SW공학수준별상세분석을해보면, 수준등급에따라총품질비용이줄

어들고있음을볼수있다. SW공학수준이높을수록품질비용의차이가최대6.5%정도벌어지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nox 모델에서 CMMI 성숙도수준이높아짐에따라총품질비용이떨어지는것과같

은현상을보여주는것이다. 하지만SW공학백서데이터를기준으로살펴보면CMMI Level 1과Level 2

의차이는Knox 모델에비해상대적으로적은것을볼수있다.

Knox 모델에서CMMI Level 1에서CMMI Level 3까지진화함에따라나타나는특징을살펴보면Level

1에서는 품질비용의 비중이 외부 실패비용, 내부 실패비용, 평가비용, 예방비용 순이나 Level 2에서는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평가비용, 예방비용순이다.

이런현상은예방비용과평가비용의비중이높아짐에따라식별되는결함이나문제점들이늘어나게되

고이를처리하는데필요한내부실패비용이늘어나게되는것이다. 내부에서많은문제점들이식별되

고해결됨에따라그결과로외부실패비용이줄어드는경향을보여주고있다. 즉, 품질목표를달성하기

위해 쓰는 비용인 예방비용과 평가비용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SW결함을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인

실패비용이낮아지는것이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 총 품질비용

CMM Level 1 1% 4% 22% 33% 60%

KnoxCMM Level 2 2% 9% 26% 20% 57%

모델기준CMM Level 3 5% 12% 25% 9% 51%

CMM Level 4 7% 10% 14% 4% 35%

CMM Level 5 11% 3% 5% 1% 20%

SW공학백서CMMI Level 1 3.7% 9.0% 28.5% 20.9% 62.1%

데이터기준CMMI Level 2 4.2% 9.6% 25.9% 20.4% 60.0%

(2012년) CMMI Level 3 4.2% 9.3% 25.3% 16.8% 55.6%

전체 3.7% 8.9% 27.2% 19.1% 58.9%

< Knox모델과 조사대상의 SW공학수준별 품질비용 구조 비교 >

Page 17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2

품질수준목표를달성하기위해사용하는비용인‘순응비용(Conformance cost) 대비SW제품의품질이

낮아서지출해야하는비용인비순응비용(Nonconformance cost)의비율을살펴보면, Knox모델의경

우 Level 1은 약 11배에 이르고, Level 2는 4.2배, Level 3은 2배, Level 4는 1.1배, Level 5인 조직은

0,4배로비순응비용의비중이낮아지며순응비용의비중이높아지는것을알수있다. 순응비용대비

비순응비용의비율이낮아진다는것은예방비용과평가비용의효율성이좋다는것을보여주는지표이

다. 예를 Knox 모델에서 CMM 레벨 3와레벨4는동일한수준의순응비용을투입하고있지만, 비순응

비용에서약1.8배정도의차이가발생하고있다.

반면, SW공학백서데이터의품질비용구조를살펴보면, CMMI Level 1에서 Level 3까지 내부실패비

용, 외부실패비용, 평가비용, 예방비용순으로Level에상관없이동일한품질비용구조를가지고있다.

또한순응비용대비비순응비용의비율은전체적으로3.7배 고, Level 1 조직은3.9배, Level 2 조직은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총품질비용

< 벤치마킹 데이터와 품질비용 구조 비교 - Knox 모델 >

70%

60%

50%

40%

30%

20%

10%

0%Level 1

14

22

33

60

Level 2

2

9

2620

57

Level 3

5

12

25

9

51

Level 4

710

14

4

35

Level 5

11

3 51

20

예방비용 평가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총품질비용

< 벤치마킹 데이터와 품질비용 구조 비교 - SW공학백서 데이터 >

70%

60%

50%

40%

30%

20%

10%

0%CMMIL 1

49

28

21

62

CMMIL 2

410

2620

60

CMMIL 3

49

25

17

56

Page 17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3

3.3배, Level 3 조직은 3.1배로조사되었다. 이는기존의Knox 모델처럼프로세스성숙도수준이높으

면높을수록순응대비비순응비율이낮게타나고있다. 하지만Knox 모델처럼프로세스성숙도가높

아짐에따라감소하는폭이크지않다는특징을보이고있다. 예를들어Knox 모델에서는CMM 레벨3

수준이면순응대비비순응비율이4.2에서 2로 50%이상줄어들고있지만국내의경우는3.3에서 3.1로

소폭감소하기는했지만감소의폭이작음을알수있다. 이는결국국내 SW기업들의예방비용과평가

비용의효율성이다소비효율적으로사용되고있음을보여주는것이다.

조사개요및현황분석 2

구 분 예방비용 평가비용순응비용 내부 외부 비순응비용 비순응비용/

(예방+평가) 실패비용 실패비용 (내부+외부) 순응비용

Level 1 1% 4% 5% 22% 33% 55% 11

KnoxLevel 2 2% 9% 11% 26% 20% 46% 42

모델기준Level 3 5% 12% 17% 25% 9% 34% 2

Level 4 7% 10% 17% 14% 4% 18% 1.1

Level 5 11% 3% 14% 5% 1% 6% 0.4

SW공학백서Level 1 4% 9% 13% 28% 21% 49% 3.9

데이터기준Level 2 4% 10% 14% 26% 20% 46% 3.3

(2012년) Level 3 4% 9% 13% 25% 17% 42% 3.1

전체 4% 9% 13% 27% 19% 46% 3.7

< Knox모델과 백서기준의 순응 대비 비순응 비율 >

< 연도별 품질비용 및 하위 구성요소 간 추세분석 >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평가비용예방비용 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총품질비용

8.9%8.9%8.0%10.0%

5.0%

27.0%

20.0% 21.0% 19.7%19.1%

28.0% 27.3%27.2%

3.7%3.0% 3.8%

62.0% 61.0%59.7%

58.9%

Page 17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N a t i o n a l I T I n d u s t r y P r o m o t i o n A g e n c y

Page 17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3

3.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9. SW개발프로젝트성과

10. 비용, 납기, 품질 분석

11. 결함 도분석

SW공학백서 2013

Page 17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6

9. SW개발프로젝트성과

이장에서는SW개발프로젝트의성과(비용, 납기, 품질) 현황을분석하 다. 조사대상프로젝트의비용

과납기, 그리고품질성과에대한현황을살펴보기는했으나, 본백서에서는품질성과를제외한비용과

납기성과두가지성과항목만으로프로젝트의성공여부를판단하 다. SW개발프로젝트의목적상정

해진기간내(납기성과)에주어진비용(비용성과)으로고객과합의한품질(품질성과)의산출물을인도했

는지를살펴보는것으로성공여부를판단해야하나, 품질성과의경우고객과합의된품질에대한정의도

모호할뿐아니라이를달성했는지의여부를구분하는기준도모호하여프로젝트성공관련분석에서는

제외하고, SW공수준별결함 도분석에만활용하 다. 납기성과의경우는프로젝트계약기간을중심으

로납기를준수하 거나납기이내에개발을완료한경우성공으로판단하 고, 비용성과는계약대비

실제들어간비용으로성공여부를판단하 으며, 계약비용을준수하 거나그이하로절감하 을경우

를성공으로판단하 다.

미국Standish Group은Chaos 보고서를통해프로젝트결과에대한성공, 실패, 도전현황을조사하여

발표하고있다. 일각에서는Chaos 보고서에서제시하고있는자료의신뢰성에의문을제시하고있기는

하지만미국내에서수행하고있는SW개발프로젝트에대한현황을살펴보기에큰무리는없을것으로

판단된다. Standish Group에서 제시하고 있는 SW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은 납기준수(Delivered on

time), 비용준수(on Budget), 요구되는특징과기능(Required features and functions)을갖추는것이

다. ‘성공’은이모든목표를달성한프로젝트를의미하며, ‘실패’는제품이고객에게인도되지못하고

프로젝트가중도에중단된경우, ’도전’은계획에는미달했으나산출물을고객에게인도한경우다.

3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Page 17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7

9.1. 비용준수율

국내 SW개발프로젝트의비용성과현황을살펴보기위해조사대상프로젝트중비용을준수한프로젝

트비율을분석하 다. 이를비용준수율이라하 으며, 비용성과를측정하기위한항목에응답한프로젝

트대비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의비율로계산하 다. 또한, 개별프로젝트의비용성과를측정하기위

해고객과계약한프로젝트의전체투입인력과비교하여실제프로젝트투입인력을분석하 으며, 이를

비용초과율이라하 다. 비용초과율이100%보다작은값을가지면프로젝트계약투입공수보다적은인

력을투입하여프로젝트를완료했음을나타내며, 100%보다클경우에는계약투입공수보다더많은인

력을투입하여프로젝트를완료했음을의미한다.

비용성과를측정하기위한항목에응답한총 203개프로젝트중에서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는

105개(51.7%) 고, 비용을 준수한 프로젝트는 98개(48.3%)로 비용준수율은 48.3% 다. 국내 SW개발

프로젝트의절반을넘는프로젝트가계획된비용을초과했던것으로나타났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Standish Group 조사 프로젝트 현황 >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성공 16% 27% 26% 20% 34% 29% 35% 32%

실패 31% 40% 28% 23% 15% 18% 19% 24%

도전 53% 33% 46% 49% 51% 53% 46% 44%

1994 1996 1998 20022000 2006 2008

60

50

40

30

20

10

0

성공 실패 도전

16

31

53

27

40

33

2628

46

2023

49

34

15

51

2004

29

18

53

35

19

46

32

24

44

※ CHAOS REPORT, Standish Group, 2009

Page 17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8

또한, 비용관련항목에응답한총203개프로젝트의비용초과율은평균102.0%로프로젝트를완료하기

위해프로젝트의계약금액보다평균2.0% 정도를더투입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한편, 비용을준수하지못한 105개프로젝트의비용초과율분포를살펴보면 1~10% 초과한프로젝트가

84개로가장많았고, 11~20% 초과한프로젝트가15개, 20%이상초과한프로젝트가6개로나타났다. 전

체적으로볼때비용을 1~10%초과한프로젝트는동일비율을나타냈으나, 21%이상비용을초과한프로

젝트의비율은3%에서5.7%로증가해2012년비용초과율과관련된성과는2011년에비해더나빠진것

으로분석되었다.

비용초과율이10%이내인프로젝트를비용준수한프로젝트로간주하 을때는비용준수한프로젝트가

98개(48.3%)에서 182개(89.7%) 프로젝트로증가하게되며, 이는 85.7% 향상된수치이다. 따라서비용

성과차원에서SW공학기술의적용및보급확산을통해기업의SW공학수준을향상시킨다면비용준수

율을향상시킬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경우평균7.7%의비용이초과한것으로조사되었다. SW프로젝트개

발단계별로계획대비비용초과를나타내는비용초과율은테스트(11.3%), 이행(10.9%), 구현(10.0%) 순서

로발생했다. 이런현상은고객들이산출물이가시화되면서요구사항을변경하기때문으로보인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빈 도 비 율

비용미준수 105 51.7%

비용준수 98 48.3%

합계 203 100.0%

< 비용 준수 현황 >

비용미준수 비용준수

51.7%48.3%

60.0%

50.0%

40.0%

30.0%

20.0%

10.0%

0

구 분 빈 도 비 율

1~10% 초과 84 80.0%

11~20% 초과 15 14.3%

21%이상초과 6 5.7%

전체 105 100.0%

< 비용 미준수 프로젝트 분포 >

1 ~ 10%초과

80%

11 ~ 20%초과

14.3%

21~30%초과

5.7%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Page 18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79

실제로비용미준수프로젝트와준수프로젝트의요구사항변경율을프로젝트진행단계별로나누어비

교/분석해 보았다. 설계단계의 요구사항 변경율은 준수 프로젝트가 20.1%로 비용 미준수 프로젝트의

14.3%보다높게나타났지만, 구현, 테스트, 이행단계에서는비용미준수프로젝트의요구사항변경율이

준수한프로젝트보다높게나오고있다.

한편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계약대비투입공수편차인평균공수초과율은 20.1%로조사되

어 2011년도의 11.9%와비교했을때약 2배이상증가한비율을나타냈다. 이는비용을준수하지못한

프로젝트의경우작년과비교했을때약2배의추가투입공수가발생한것으로분석되며, 공수증가대비

비용의증가가적은것은추가투입되는공수에대한정당한비용을고객으로부터받지못하는프로젝트

현실을반 한것으로분석된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프로젝트의 단계별 비용초과율 >

< 비용성과 별 프로젝트 단계별 요구사항 변경율 >

프로젝트 단계 비용 초과율

분석 0.2%

설계 2.9%

구현 10.0%

테스트 11.3%

이행 10.9%

전체(평균) 7.7% 분석

0.2%

2.9%

10.0%11.3% 10.9%

7.7%

12%

10%

8%

6%

4%

2%

0%

설계 구현 테스트 이행 전체

설계

20.1%

14.3%

구현

11.8%

17.1%

테스트

10.8%

18.1%

이행

4.1%5.8%

25.0%

20.0%

15.0%

10.0%

5.0%

0.0%

비용준수프로젝트의요구사항변경율

비용초과율

비용미준수프로젝트의요구사항변경율

Page 18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0

9.2. 납기 준수율

비용성과와마찬가지로국내SW개발프로젝트의납기성과현황을살펴보기위해조사대상프로젝트중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의비율을분석하 다. 이를납기준수율이라하 으며, 납기성과를측정하기위

한항목에응답한프로젝트대비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의비율로계산하 다. 또한, 개별프로젝트의

납기성과를측정하기위해고객과합의한프로젝트종료일을얼마나준수하 는지를분석하 으며, 이

를납기초과율이라하 다. 납기초과율이 100%보다작은값을가지면프로젝트가계획종료일보다일

찍완료되었음을나타내며, 100%보다클경우에는프로젝트가지연되었음을의미한다.

납기 관련 항목에 응답한 총 234개의 프로젝트 중 납기를 준수하지 못한 프로젝트는 61개 프로젝트

(26.1%) 으며,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는 173개(73.9%)로 납기준수율은 73.9% 다. 비용준수율에비

해납기준수율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난이유는조사대상프로젝트들이계약을통해프로젝트를추진

한경우가많기때문에발주자와의계약을이행하기위해추가적인비용을투입해서라도납기를준수하

려고노력했던것으로분석된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비용성과 별 프로젝트 단계별 공수초과율 >

분석

8.5% 8.8%

설계

10.3%

13.6%

구현

9.1%

28.4%

테스트

5.5%

26.2%

이행

2.4%

16.5%

전체

7.5%

20.1%

30.0%

25.0%

20.0%

15.0%

10.0%

5.0%

0.0%

비용미준수 비용준수

Page 18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1

전체292개프로젝트에서납기초과율에대해응답한프로젝트234개프로젝트(80.1%)의납기초과율평

균은2.3%로나타났다. 프로젝트진행단계별납기과율을분석해보면, 분석단계 5.8%, 설계단계 6.8%,

구현단계2.1%, 테스트단계0.3%, 이행단계2.3%의일정지연이발생한것으로나타났다. 비용초과율은

프로젝트 진행 전반부보다는 후반부의 초과율이 높은데 반해서 프로젝트 일정지연은 프로젝트 초반에

많이발생하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이런현상이나타나는이유는프로젝트의초기단계에서는일정보

다는비용에더많은관심과노력을기울이지만프로젝트종료일이가까워지면서비용보다는납기에보

다많은관심을기울이고있다는것을보여주는것이다.

한편, 납기를 준수하지 못한 61개 프로젝트의 납기초과율 분포를 살펴보면 1~10% 초과한 프로젝트가

28개로가장많고, 11~20% 초과한프로젝트가24개, 21% 이상초과한프로젝트가9개로조사되었다.

비용초과율과마찬가지로납기초과율이 10%이내인프로젝트를납기준수한프로젝트로간주하 을때

는납기준수한프로젝트가 173개(73.9%)에서 201개(85.9%)로증가하게되며, 이는 16.2% 향상된수치

를보이는것이다. 따라서납기성과차원에서도SW공학기술의적용및보급확산을통해기업의SW공

학수준을향상시킨다면납기준수율을향상시킬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구 분 빈 도 비 율

납기미준수 61 26.1%

납기준수 173 73.9%

합계 234 100.0%

< 납기 준수 현황 >

납기미준수 납기준수

26.1%

73.9%80.0%70.0%60.0%50.0%40.0%30.0%20.0%10.0%0.0%

구 분 빈 도 비 율

1~10% 28 45.9%

11~20% 24 39.3%

21%이상 9 14.8%

전체 61 100.0%

< 납기 미준수 프로젝트 분포 >

1~10%

2830

25

20

15

10

5

011~20%

24

21~30%

9

Page 18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2

한편, 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경우평균 12.2%의납기가초과한것으로조사되었다. 개발단

계별로보면, 설계단계의초과율이22.7%로가장높았고, 그다음으로분석(18.7%), 구현(14.5%), 이행

(4.8%), 테스트(3.3%) 단계순이었다. 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는분석과설계단계의납기초과율

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나고있는데이러한현상은프로젝트초기단계에발주자의요구사항을정의하

고관리하는데어려움을겪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된다. 실제로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요구

사항변경율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납기 미준수 프로젝트 단계별 납기초과율 >

분석

18.7%

설계

22.7%

구현

14.5%

테스트

3.3%

이행

4.8%

전체

25.0%

20.0%

15.0%

10.0%

5.0%

0.0%

12.2%

< 납기 미준수 프로젝트 단계별 납기초과율 >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비용준수프로젝트비율 납기준수프로젝트비율

68%

36%44% 45%

48%

74%66%

70%

Page 18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3

9.3. 비용 및 납기준수율

SW공학수준조사를통해수집한총292개프로젝트중비용과납기항목에응답한227개프로젝트를추

출하고, 이를기반으로비용및납기성과분석을진행하는것으로국내SW개발프로젝트의성공률을조

사하 다.

분석을위해프로젝트의유형을비용과납기준수(성공), 비용과납기미준수(실패), 비용만준수(실패),

납기만준수(실패)한프로젝트등4가지유형으로분류하여분석하 다. 분석결과전체292개프로젝트

중비용과납기모두준수한프로젝트, 즉성공한프로젝트는93개로약41.0% 수준이었으며, 이는2011

년의31.1%에비해약10% 향상된결과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구 분2011년 2012년

Frequency Percent Frequency Percent

비용과납기준수 (성공) 70 31.1% 93 41.0%

비용과납기미준수 (실패) 69 30.7% 84 37.0%

비용만준수 (실패) 5 2.2% 5 2.2%

납기만준수 (실패) 81 36.0% 45 19.8%

합계 225 100% 227 100%

< 비용 및 납기 준수 현황 >

비용과납기준수(성공)

93

비용과납기미준수(실패)

84

비용만준수(실패)

5

납기만준수(실패)

45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Page 18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4

10. 비용, 납기, 품질분석

SW공학수준과성과분석은기업이보유하고있는SW 공학수준과SW개발프로젝트의성과와의관계를

살펴보기위한분석이다. 이부분에서정의하는SW공학수준은체계적이며효율적인SW개발을위하여

갖추어져야하는요소(프로세스, 인력, 기술)에대한수준을점수로산정한값으로이수준점수와SW개

발 프로젝트의 성과 변수인 비용준수(비용성과), 납기준수(납기성과), 결함 도 (품질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 다. 이장에서품질성과변수로고려하고있는결함 도는오픈이후의결함 도인운 결함

도를사용하 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와의관계를분석하기위해SW공학수준점수와SW공학수준등급을사용

하 으며, SW공학수준등급은 SW공학수준점수를구성하는프로세스수준점수, 기술수준점수, 인력

수준점수를Advanced 등급, Average등급, Absent 등급과같이3등급으로구분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등급 점수대 등급별 SW기업 특성

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이균형을이루며실제업무환경에서모두성과를보이고있는

Advanced 80점 이상상태로대부분의 역에대한지속적인개선노력이능동적으로이루어지고있는수준의

조직으로경 진을포함한모든조직원의의지와개선이행노력이실제성과로얻어지고

있는조직

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의일부만이실제업무환경에서일부의성과를보이고있으나

아직완전한균형을이루지못한상태.

Average60점 이상 일부 역에대한지속적인개선노력이능동적으로이루어지고있으며, 일부 역은준비가

80점 미만 이루어지고있는개선과준비가병행으로이루어지고있는수준의조직.

경 진을포함한모든조직원의의지와개선이행노력이조금씩가시화되고있으나고성숙

조직으로의전환을위하여지속적인의지와보다많은개선이행노력이필요한조직

프로세스, 인력, 기술 세 역이매우불균형적이며불완전한상태이며, 개선에대한준비

Absent 60점 미만 또한부족한수준의조직으로경 진을포함한모든조직원의강한의지와개선이행노력이

시급한조직

< SW공학수준 등급별 SW기업 특성 >

Page 18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5

10.1. SW공학수준과의 관계

10.1.1. SW공학수준과 비용

SW공학수준과주어진예산을준수했는지를나타내는비용성과와의관계를분석하기위해전체 292개

프로젝트중에서비용관련항목에응답한프로젝트 203개가사용되었다. 앞서도밝혔듯이전체 SW개

발 프로젝트의 약 48.3%인 98개 프로젝트가 주어진 비용범위 안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 고, 나머지

51.7%인105개프로젝트가주어진비용예산을준수하지못했던것으로분석되었다.

SW공학수준에따른비용초과율을살펴보면, Absent, Average, Advanced 등급의평균비용초과율은

각각0.073, 0.003, -0.021 이었으며, SW공학수준등급이높을수록비용초과율이적게나타났다. 이는

SW공학수준등급이높으면높을수록비용초과율이낮아질수있음을의미한다.

또한비용성과를기준으로비용을준수한SW개발프로젝트의평균SW공학수준점수는77.7점, 비용을

준수하지못한SW개발프로젝트의평균SW공학수준점수는55.5점으로분석되었다. 이는비용을준수

한 SW프로젝트를수행했던조직의 SW공학수준이높아비용성과를만족시키기위해서는 SW공학수준

에대한고려가필요함을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SW공학수준등급 비용초과율 빈 도

Absent 0.073 74

Average 0.003 61

Advanced -0.021 68

총 계 203

< SW공학수준 등급과 비용초과율 >

Absent

0.073

Average

0.003

Advanced

-0.021

0.08

0.06

0.04

0.02

0.00

-0.020

-0.040

구 분 SW공학수준점수 빈 도

비용준수 77.7 98

비용미준수 55.5 105

< SW공학수준 점수와 비용성과 >

비용준수 비용미준수

77.7

55.5

100

80

60

40

20

0

Page 18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6

SW공학수준별에따라비용편차율이다르게나타나는지를통계적으로검증하기위해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SW공학수준에 따라 비용편차율의 평균값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0.1.2. SW공학수준과 납기

SW공학수준과 SW프로젝트의성과변수인납기성과와의관계를위해서전체조사대상 292개 SW개발

프로젝트중에서납기와관련된항목에응답한 234개의프로젝트값들이분석에활용되었다. 분석대상

인234개의SW개발프로젝트중에서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는173개, 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

가61개 다.

SW공학수준에따른납기초과율을살펴보면, Absent, Average, Advanced 등급의평균납기초과율은각

각0.086, 0.002, -0.010 이었으며, SW공학수준등급이높을수록납기초과율이적게나타났다. 비용초

과율과마찬가지로이는SW공학수준등급이높으면높을수록납기초과율이낮아질수있음을의미한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340 2 .170 40.402 .000

집단-내 .842 200 .004

합계 1.182 202

< SW공학수준별 비용편차율 분산분석 결과 >

종속변수 : 비용편차율

SW공학수준등급 납기초과율 빈 도

Absent 0.086 68

Average 0.002 93

Advanced -0.010 73

총 계 234

< SW공학수준 등급과 납기초과율 >

Absent

0.086

Average

0.002

Advanced-0.010

0.10

0.08

0.06

0.04

0.02

0.00

-0.02

Page 18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7

분석결과, 납기를준수한 173개 SW개발프로젝트의SW공학수준점수는 73.4점이었으며, 납기를준수

하지못한61개프로젝트의평균값은52.8점으로,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와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간

에는20.6점의차이를보여주고있다. 이는납기를준수한SW프로젝트를수행했던조직의SW공학수준

이높아납기성과를만족시키기위해서도SW공학수준에대한고려가필요함을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별에따라납기편차율이다르게나타나는지를통계적으로검증하기위해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SW공학수준에 따라 납기편차율의 평균값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222 2 .111 32.718 .000

집단-내 .983 289 .003

합계 1.205 291

< SW공학수준별 납기편차율 분산분석 결과 >

종속변수 : 납기편차율

구 분 SW공학수준점수 빈 도

납기준수 73.4 173

납기 미준수 52.8 61

< SW공학수준 점수와 납기성과 >

납기준수 납기미준수

73.4

52.8

80

60

40

20

0

Page 18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8

10.1.3. SW공학수준과 품질

SW공학수준과품질성과의관계분석을위해전체조사대상292개의데이터중에서운 결함 도관련

항목에응답한프로젝트중실측치를제외한106개의데이터를분석하 다. SW공학수준등급판정기준

에따라분류한결과, 106개의SW개발프로젝트중Absent 등급이39개, Average 등급이21개, 그리고

Advanced 등급이46개로나타났다.

이들 3개 집단(Absent, Average, Advanced)별로 결함 도의 평균값들을 비교해 보면, Absent 등급

SW개발프로젝트의평균결함 도는0.272개/FP, Average 등급SW개발프로젝트의평균결함 도는

0.142개/FP, 그리고Advanced 등급SW개발프로젝트의평균결함 도는0.054개/FP로분석되었다.

이는 SW공학수준등급이좋을수록평균운 결함 도가낮고, SW공학수준등급이낮을수록평균운

결함 도가높음을보여주는결과이다. 이는개별SW기업들이자신들의제품품질을높이기위한하

나의방안으로SW공학수준에대한고려가필요함을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별에따라운 결함 도가다르게나타나는지를통계적으로검증하기위해일원분산분석

을실시하 다. 분석결과에따르면, SW공학수준에따라운 결함 도의평균값이다르다는것을보여

주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공학수준등급 운 결함 도 빈 도

Absent 0.272 39

Average 0.142 21

Advanced 0.054 46

< SW공학수준 등급과 품질성과(운 결함 도) >

Absent

0.272

Average

0.142

Advanced

0.054

0.30

0.25

0.20

0.15

0.10

0.05

0.00

(단위 : 개/FP, 개)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1.009 2 .505 30.276 .000

집단-내 1.716 103 .017

합계 2.726 105

< SW공학수준 등급별 품질성과(운 결함 도) 분산분석 >

종속변수 : 비용편차율

Page 19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89

10.1.4. 하위 구성요소별 SW공학수준과의 관계

10.1.4.1. SW프로세스 수준과 성과

SW공학수준을구성하는요소는크게프로세스, 인력, 기술로구성된다. 여기서는 SW공학수준을구성

하는세 역들중에서프로세스수준과 SW개발프로젝트의성과와의관계를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상위수준의분석인 SW공학수준과 SW개발프로젝트와의분석결과와유사한형태로나타났다. 프로세

스수준은프로젝트의비용, 납기, 품질성과를높이는데기여하는것으로분석되었으며분석결과는다

음과같이간략하게제시하 다.

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집단의SW프로세스수준점수는 81.5점으로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

프로세스수준점수인57.7보다23.8점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프로세스수준점수가높은조직

일수록비용을준수할수있는확률이높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SW프로세스수준점수와납기성과와의관계를보면,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집단의프로세스수준점

수는 77.0점으로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집단의프로세스수준점수인 54.5점보다 22.5점높게

나타났다. 납기성과도비용성과와동일하게납기성과가좋은조직의 SW공학수준점수가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SW프로세스 수준 점수와 비용성과 >

비용준수 비용미준수

81.5

57.7

100

80

60

40

20

0

구 분SW프로세스

빈 도수준 점수

비용준수 81.5 98

비용미준수 57.7 105

< SW프로세스 수준 점수와 납기성과 >

납기준수 납기미준수

77.0

54.5

100

80

60

40

20

0

구 분SW프로세스

빈 도수준 점수

납기준수 77.0 173

납기 미준수 54.5 61

Page 19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0

SW프로세스 수준 등급별 결함 도를 살펴보면, Absent 등급의 결함 도 평균값이 0.256개/FP,

Average 등급의결함 도평균값이0.192개/FP, Advanced 등급의프로젝트결함 도평균값이0.059

개/FP로나타났다. 이는프로세스수준이높으면결함 도가낮아지는것을의미한다.

10.1.4.2. 인력수준과 성과

SW공학수준을구성하는세 역들중에서인력수준과SW프로젝트성과와의관계를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상위수준의분석인SW공학수준과SW프로젝트성과와의분석결과와유사한형태로나타났다.

분석결과를간략하게살펴보면아래와같다.

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집단의인력수준점수는70.9점으로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인력수

준점수인 55.1점보다 15.8점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다. 인력수준점수 역에서도다른 역과마찬가

지로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의SW공학수준점수가높게나타났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 프로세스 운빈 도

수준등급 결함 도

Absent 0.256 33

Average 0.192 25

Advanced 0.059 48

< SW프로세스 수준 등급과 품질성과(운 결함 도) >

Absent Average Advanced

0.256

0.192

0.059

0.30

0.25

0.20

0.15

0.10

0.05

0.00

구 분 인력수준점수 빈 도

비용준수 70.9 98

비용미준수 55.1 105

< 인력 수준 점수와 비용성과 >

비용준수 비용미준수

70.9

55.1

80.0

60.0

40.0

20.0

0.0

Page 19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1

인력수준점수와납기준수와의관계에대한결과를살펴보면,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집단의인력수준

점수는 68.0점으로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집단의인력수준점수인 54.1점보다 13.9점이높은

것으로분석되었다.

인력 수준 등급 3개 집단의 결함 도를 살펴보면, Absent 등급의 결함 도 평균값이 0.287개/FP,

Average 등급의결함 도평균값이0.131개/FP, Advanced 등급의프로젝트결함 도평균값이0.055

개/FP로나타났다. 이는인력수준이높으면결함 도가낮아지는것을의미한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구 분 인력수준점수 빈 도

납기준수 68.0 173

납기미준수 54.1 61

< 인력 수준 점수와 납기성과 >

납기준수 납기미준수

68

54.1

80.0

60.0

40.0

20.0

0.0

인력 수준 운빈 도

등급 결함 도

Absent 0.287 34

Average 0.131 31

Advanced 0.055 41

< 인력 수준 점수와 품질성과(운 결함 도) >

Absent Average Advanced

0.287

0.131

0.055

0.30

0.25

0.20

0.15

0.10

0.05

0.00

Page 19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2

10.1.4.3. 기술수준과 성과

SW공학수준을구성하는세 역들중에서마지막으로기술수준과 SW프로젝트성과와의관계를살펴

보았다. 분석결과는상위수준의분석인 SW공학수준과 SW프로젝트성과와의분석결과와유사한형태

로나타났다. 분석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집단의기술수준점수는 79.4점으로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기술수

준점수인52.9점보다26.5점이높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이러한결과는앞서살펴본프로세스수준이

나인력수준과동일한결과를보여주는것이다. 이는결국SW공학수준점수의하위구성요소인프로세

스, 인력, 기술수준이높으면비용성과가높다는것을수치적으로보여주는결과이다.

기술수준점수와납기준수와의관계에대한결과를살펴보면,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집단의기술수준

점수는 73.9점으로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집단의기술수준점수인 49.1점보다 24.8점이높은

것으로분석되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인력수준점수 빈 도

비용준수 79.4 98

비용미준수 52.9 105

< 기술 수준 점수와 비용성과 >

비용준수 비용미준수

79.4

52.9

80.0

60.0

40.0

20.0

0.0

구 분 인력수준점수 빈 도

납기준수 73.9 173

납기미준수 49.1 61

< 기술 수준 점수와 납기성과 >

납기준수 납기미준수

73.9

49.1

80.0

60.0

40.0

20.0

0.0

Page 19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3

기술 수준 등급 3개 집단의 결함 도를 살펴보면, Absent 등급의 결함 도 평균값이 0.265개/FP,

Average 등급의결함 도평균값이0.132개/FP, Advanced 등급의프로젝트결함 도평균값이0.054

개/FP로나타났다. 이는기술수준이높아지면결함 도가낮아지는것을의미한다.

10.1.5. 성공 프로젝트 분석

앞장에서설명하 듯이비용과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를성공한프로젝트로정의하고, 전체프로젝트

292개 중성공한프로젝트 93개를대상으로성과분석을실시하 다. 93개 성공프로젝트는성과분석

대상인납기와비용에대한요구사항을이미충족시킨프로젝트이기때문에납기와비용성과는분석에

서제외하 다. 성공프로젝트를기반으로 SW공학수준이좋으면성과가좋은지를살펴보기위해품질

관련성과인결함 도와생산성의차이를살펴보았다.

SW공학수준 등급을 기준으로 Absent에서 Advanced등급까지 운 결함 도를 살펴보면, 0.338개

/FP, 0.102개/FP, 0.060개/FP 수준이고, 생산성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24.1FP/MM, 25.5FP/MM,

28.7FP/MM로나타났다. 성공프로젝트의성과분석결과도이전의분석결과와동일하게 SW공학수준

이높으면, 성과가좋다는것을다시한번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구 분SW공학수준

빈 도점수

Absent 0.265 41

Average 0.132 22

Advanced 0.054 43

< 기술 수준 점수와 품질성과(운 결함 도) >

Absent Average Advanced

0.265

0.132

0.054

0.3

0.25

0.20

0.15

0.10

0.05

0.00

Page 19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4

성공한프로젝트의 SW공학수준점수와납기만준수하거나비용만준수한프로젝트의 SW공학수준점

수를분석해보면, 성공프로젝트93개의평균SW공학수준점수는77.3점이었으며, 납기나비용만을준

수한프로젝트의평균SW공학수준점수는각각71.0점, 84.7점이었다.

또한 납기나 비용만을 준수한 프로젝트들의 SW공학수준 점수를 살펴보면 비용을 준수한 프로젝트의

SW공학수준점수가높은것을알수있다. 이는납기준수보다비용준수가어렵다는것을보여주는것으

로프로젝트일정지연이발생하게되면투입요소를늘려서납기를맞추는것은가능하지만이로인한비

용은줄일수없기때문이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운 결함 도 생산성

(개/FP) (FP/MM)

Absent 0.338 24.1

Average 0.102 25.5

Advanced 0.060 28.7

< 성공 프로젝트의 SW공학수준 등급과 품질성과 >

Absent Average Advanced

0.338

24.1

0.102

25.5

0.060

28.70.400

0.350

0.300

0.250

0.200

0.150

0.100

0.050

0.000

30.029.028.027.026.025.024.023.022.021.0

운 결함 도 생산성

기술 수준 등급 생산성 빈 도

납기준수 71.0 45

비용준수 84.7 5

납기/비용준수 77.3 93

< 성공 프로젝트의 SW공학수준 점수 >

Absent

71.0

Average

84.7

Advanced

77.3

100.0

80.0

60.0

40.0

20.0

0.0

SW공학수준점수

(단위 : FP/MM, 개)

Page 19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5

10.2. SW개발 생산성과의 관계

10.2.1. SW개발 생산성과 SW공학수준

SW공학수준과생산성과의관계분석을위해전체조사대상292개의데이터중에서생산성관련항목에

응답한프로젝트는 141개 다. SW공학수준등급판정기준에따라분류한결과, 141개의SW개발프로젝

트중 Absent 등급이 46개, Average 등급이 35개, Advanced 등급이 60개로나타났다. 이들 3개집단

(Absent, Average, Advanced)별로 생산성평균값들을비교해보면, Absent 등급 SW개발프로젝트의

생산성은21.7FP/MM, Average 등급은24.2FP/MM, Advanced 등급은28.8FP/MM로분석되었다.

SW 개발생산성과 SW공학수준등급간분석결과를살펴보면, Absent와 Average 등급사이에는생산

성의차이(2.5FP/MM)가 작게나타났지만, Average와 Advanced 등급사이의생산성은상대적으로많

은차이(4.6FP/MM)를보이고있다. 전체적으로SW공학수준등급이높으면생산성이높은것으로나타

났으며, 이는 SW공학수준등급이좋을수록생산성이높고, SW공학수준등급이낮을수록생산성이낮

음을보여주는결과라하겠다.

SW공학수준별에따라생산성이다르게나타나는지를통계적으로검증하기위해일원분산분석을실시

하 다. 분석결과에따르면, SW공학수준에따라생산성의평균값이다르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기술 수준 등급 생산성 빈 도

Absent 21.7 46

Average 24.2 35

Advanced 28.8 60

전체 25.4 141

< SW공학수준 등급과 생산성 >

Absent

21.7

Average

24.2

Advanced

28.830.0

25.0

20.0

15.0

10.0

5.0

0.0

(단위 : FP/MM, 개)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1361.614 2 680.807 20.949 .000

집단-내 4484.674 138 32.498

합계 5846.289 140

< SW공학수준별 생산성 분산분석 >

종속변수 : 생산성

Page 19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6

10.2.2. 생산성과 비용 및 납기성과의 관계

SW개발생산성과비용성과와의관계는프로젝트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와비용을준수하지못한프로

젝트사이에SW개발생산성의차이를비교분석하 다. 비용성과의경우생산성과 접한관련이있다.

생산성이높으면동일한개발분량을보다적은인원으로개발가능하기때문에비용준수가능성이높아

지게된다.

분석결과를살펴보면, 비용을준수한프로젝트의 SW개발생산성은 27.2FP/MM으로비용을준수하지

못한프로젝트의생산성24.5FP/MM 보다높았다. 이는개발생산성이높은조직이상대적으로비용을

잘준수하고있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SW 개발생산성과비용편차율사이의관계를살펴보기위해SW 개발생산성과비용편차율사이의상관

관계를분석하 다. 분석결과에따르면생산성과비용편차율의관계는음의상관계(-.264)가있는것으

로나타나고있다. 즉, 생산성이높으면비용편차율이줄어들고, 비용(예산)준수율이높아지는것으로나

타나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단위 : FP/MM, 개)

구 분 생산성 빈 도

비용준수 27.2 73

비용미준수 24.5 45

< 생산성과 비용성과 >

< 생산성과 비용편차율 상관관계 >

구 분 생산성 비용편차율

생산성 1 -.264**

납기편차율 -.264** 1

비용준수 비용미준수

27.2

24.5

27.527.026.526.025.525.024.524.023.523.0

**: 유의수준<0.01

Page 19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7

상관관계분석결과를바탕으로생산성과비용편차율과의인과관계를살펴보기위해회귀분석을실시하

다. 회귀모형은비용초과율을종속변수로, 생산성을독립변수로설정하 다.분석을위해설정된회귀

모형을도식화하면아래와같다.

회귀분석결과생산성은납기초과율과의관계는음의관계를나타내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생산성

이향상될수록납기초과율이작아지게되는것으로생산성이높아질수록납기편차율을줄임으로써, 전

체프로젝트의납기성과에긍정적인 향을미치는것을알수있다. 예를들어생산성이한단위향상될

경우납기초과율은0.03만큼떨어진다는것을의미한다. 회귀분석을통해산출된회귀식은다음과같다.

SW개발생산성과납기성과와의관계는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가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에비

해SW개발생산성이좋은지를중심으로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개발생산성이좋은조직일경우적은

인력으로많은작업을수행할수있기때문에납기를준수할확률이높아지게된다. 분석결과를살펴보

면, 납기를준수한프로젝트의SW개발생산성은26.7FP/MM 으며, 납기를준수하지못한프로젝트의

SW개발생산성은21.6FP/MM 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생산성과 납기편차율 분석모형 >

생산성 비용편차율

모형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유의확률B 표준오차 베타

1(상수) .072 .024 2.981 .003

생산성 -.003 .001 -.2.64 -3.935 .004

a. 종속변수: 비용편차율

< 생산성과 비용편차율 회귀분석 결과 >

비용초과율 = 0.72 - 0.03*생산성

Page 19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8

SW 개발생산성과납기편차율사이의관계를살펴보기위해SW 개발생산성과비용편차율사이의상관

관계를분석하 다. 분석결과에따르면생산성과납기편차율의관계는음의상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

나고있다. 즉, 생산성이높으면납기편차율이줄어들고, 납기준수율이높아지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상관관계분석결과를바탕으로생산성과납기편차율과의인과관계를살펴보기위해회귀분석을실시하

다. 회귀모형은납기초과율을종속변수로, 생산성을독립변수로설정하 다.분석을위해설정된회귀

모형을도식화하면아래와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단위 : FP/MM, 개)

구 분 생산성 빈 도

납기준수 26.7 102

납기미준수 21.6 37

< 생산성과 납기성과 >

납기준수 납기미준수

26.7

21.6

30.0

25.0

20.0

15.0

10.0

5.0

0.0

< 생산성과 납기성과 >

구 분 생산성 비용편차율

생산성 1 -.317**

납기편차율 -.317** 1

**: 유의수준<0.01

< 생산성과 납기편차율 분석모형 >

생산성 납기편차율

Page 20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199

회귀분석결과생산성은납기초과율과의관계는음의관계를나타내는것으로분석되었다. 이는생산성

이향상될수록납기초과율이작아지게되는것으로생산성이높아질수록납기편차율을줄임으로써, 전

체프로젝트의납기성과에긍정적인 향을미치는것을알수있다. 예를들어생산성이한단위향상될

경우납기초과율은 0.03만큼떨어진다는것을의미한다. 전체모델의설명력을나타내는 R2값은 0.94

로나타났다. 회귀분석을통해산출된회귀식은다음과같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모형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유의확률B 표준오차 베타

1(상수) .092 .020 4.590 .000

생산성 -.003 .001 -.317 -3.935 .000

a. 종속변수: 납기편차율

< 생산성과 납기편차율 회귀분석 결과 >

납기초과율 = 1.24 - 0.03*생산성

Page 20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0

10.3. 변화인식 수준과 성과와의 관계

DICE모델은기업이얼마나성공적으로변화를주도하고실행할수있는지를산출하는데사용될수있는

분석기법이다. 변화의성공을위한구성요소로는변화의수행및개선활동의공식적인검토주기와같은

기간(Duration), 프로세스개선을추진하는인력의역량및투입되는공수와같은성실성(Integrity), 경

진의 변화인식 수준 및 지원의지와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조직원의 인식수준과 같은 조직몰입

(Commitment), 변화를위해현장에서느끼는추가투입공수와같은노력(Effort)을통해조직의변화인

식수준을진단하 다. 각구성요소별상세설명은아래와같다.

DICE모델의계산공식은간단한질문을통해, 각각의요인에1점(매우좋음)부터4점(매우안좋음)까지점

수를부여하고아래의공식을활용하여변화인식에대한수준을판단할수있도록점수를산정한다.

계산된결과는Win, Worry, Woe의3등급으로정의된다. Win, Worry, Woe등급의정의는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DICE점수 계산공식 >

DICE 점수 = D + (2 × I) + (2 × C1) + C2 + E

구성요소 설 명

Duration(기간) D 프로세스개선활동에대한공식적인검토활동주기

Integrity(성실성) I 프로젝트개선활동을주도하고있는인력또는팀의역량과투입되는공수의정도

Commitment C * C1: 경 진의변화인식에대한인식수준및지원역량(조직몰입) * C2: 프로세스개선에대한현장조직(개발자/관리자)의 인식수준

Effort(노력) E변화를수행할경우추가로투입될공수의예측치.(현재 수행하고있는업무에어느정도의추가투입공수가발생할것인지에대한예측)

<Hard Factors 구성요소 별 설명>

Page 20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1

SW공학수준등급에따라분류한결과, 변화인식수준등급(Win, Worry, Woe)별로구성비율을비교해보

면Advanced의변화인식및개선역량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Absent는상대적으로낮은것으로나

타났다. 즉공학수준이높을수록변화에대한인식및개선에대한역량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실제로

Advanced 등급의Win(높음)의비율은57.5%, Average등급은32.7%, Absent 등급은 12.8%로나타나

고있다.

비용성과에따라분류한결과, 변화인식수준등급(Win, Worry, Woe)별로구성비율을비교해보면비용

준수프로젝트의변화인식및개선역량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비용미준수프로젝트는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을 준수한 프로젝트의 Win 등급비율은 55.1%로 비용 미준수 프로젝트의

16.2%에비해서3.4배이상높게나타나고있다.

이는흔히SW개발프로젝트에SW공학을적용하면개발이외에해야할일들이늘어나기때문에프로

젝트의일정이나비용을준수하기어렵다는것을뒤집는결과이다. 즉 SW공학이효율적으로적용되고

관리될경우추가적인재작업과같은불필요한작업이줄어들기때문에 오히려납기나비용준수율이

좋아진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DICE 등급 설명

Win (높음) 경 진의개선에대한지원과개선주체의역량이높아개선의성공확률이높음

Worry (중간) 경 진의개선의지및개선주체의역량이중간정도있며개선의성공을확신할수없음

Woe (낮음) 경 진의개선의지및개선주체의역량이부족하며, 조직원의거부감이개선성공확률이매우낮음

구 분 Win(높음) Worry(중간) Woe(낮음)

Advanced 57.5% 26.0% 16.4%

Average 32.7% 25.5% 41.8%

Absent 12.8% 16.5% 70.6%

< SW공학수준과 변화인식 수준 >

Advanced

57.5

100.0%

80.0%

60.0%

40.0%

20.0%

0.0%

26.0

16.4

Average

37.225.5

41.8

Absent

12.8 16.5

70.6

WIN WORRY WOE

Page 20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2

납기성과에따라분류한결과, 변화인식수준등급(Win, Worry, Woe)별로구성비율을보면납기준수프

로젝트의변화인식및개선역량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납기미준수프로젝트는상대적으로낮은것

으로나타났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 분 Win(높음) Worry(중간) Woe(낮음)

비용준수 55.1% 30.65 14.3%

비용미준수 16.2% 21.0% 62.9%

< 비용준수 별 변화인식 수준 >

비용준수 비용미준수

55.1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30.6

14.3 16.221

62.9

구 분 Win(높음) Worry(중간) Woe(낮음)

납기준수 46.8% 28.9% 24.3%

납기미준수 14.8% 24.6% 60.7%

< 납기준수 별 변화인식 수준 >

납기준수 납기미준수

46.8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8.924.3

14.8

24.6

60.7

WIN WORRY WOE

WIN WORRY WOE

Page 20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3

11. 결함 도분석

11.1. 결함식별단계 분석

국내 SW개발 프로젝트의 운 결함 도를 로벌 수준과 비교하기 위해 2009년 6월 배포된 ISBSG

R.11의산업데이터의분석결과와비교/분석하 다. ISBSG 산업데이터에포함된 5054개프로젝트정

보중에서 2000년이후에수집된총 459개프로젝트의운 결함 도를산출했다. 총 459개프로젝트

의 10년 평균 결함 도는 0.094개/FP로 분석되었으며, ISBSG의 결함 도의 변화추이는 2000년도의

0.239개/FP를정점으로크게떨어지고, 그이후에는0.025에서0.059 사이를기록하고있다.

국내 SW개발 프로젝트의 운 결함 도는 0.15개/FP로 ISBSG 전체 데이터의 평균 결함 도 0.05개

/FP와비교해서 3.0배이상높고또한 ISBSG 데이터중결함 도가가장낮은 2001년 0.025개/FP와

비교시6.0배이상높게나타나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단위 : 개/FP)

년 도 운 결함 도 빈 도

2011년 0.16 75

2012년 0.15 106

< SW공학백서 기준 운 결함 도 분석결과 >

2011년 2012년

0.16

0.15

0.18

0.17

0.16

0.15

0.14

2001 2003200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2

0.18

0.16

0.14

0.12

0.10

0.08

0.06

0.04

0.02

0.00

년도 운 결함 도(3개월) 빈도2001 0.025 292002 0.038 102003 0.053 272004 0.059 1042005 0.048 712006 0.067 412007 0.044 372008 0.056 292009 0.059 82012 0.153 106

< ISBSG R.11 데이터의 결함 도 분석결과 >

(단위 : 개/FP)

0.0250.038

0.053 0.0590.048

0.067

0.0440.056 0.059

0.153

Page 20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4

한편, ISBSG의경우결함이가장많이식별되는단계는테스트단계(43%), 구현단계(31%), 설계단계

(15%), 분석 단계(9%), 이행 단계(2%)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국내는 테스트단계(65.1%), 구현단계

(10.4%), 이행단계(10.4%), 설계단계(9.4%), 분석단계(4.7%) 순으로나타나고있다.

ISBSG나국내데이터에서가장많은결함이식별되는단계는테스트단계라는공통점이있으나테스트

단계가차지하는비율이국내데이터가ISBSG 데이터보다약2배정도높았으나, 국내데이터의경우단

위테스트가테스트단계에포함되어있기때문이다. 즉, 단위테스트의경우일반적으로개발자들이구

현단계에서수행하는경우가대부분이기때문에이를구현단계에포함시키면구현단계에서의비율이약

34.0%가되고테스트단계의비중이약41.5% 수준으로떨어져전체적으로 ISBSG와유사한형태를갖

추게된다.

ISBSG 데이터와국내데이터를비교했을때, 눈에띄는점은분석단계와설계단계의결함식별율이

다. 국내데이터는두단계를합쳐서약14.2%의결함이식별되지만ISBSG의경우약24%의결함을식

별하고있다. 이는개발프로젝트의초기단계에서결함을보다많이식별하고있지못하다는것이다.

일반적으로결함을처리하는비용은결함을식별하는단계가늦으면늦을수록비용이많이소요되기때

문에국내의경우결함발견의효율성측면에서다소비효율이발생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이는비용

뿐아니라전체프로젝트일정에도부담을줄수있는요인이다.

전체 292개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결함 도에 대해 응답한 프로젝트는 133개 프로젝트(45.5%) 으며,

프로젝트에서수행된전체테스트활동에서의결함 도는평균 0.156개/FP로 나타났다. 국내 SW기업

들의테스트결함 도 0.156개/FP는 NASA나미국 SEI에서발표한테스트결함 도와도차이를보이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ISBSG 자료 > < 2011년 백서 데이터 >

< 결함 식별단계 분석결과 >

Page 20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5

고있다. 테스트종류별결함 도를살펴보면해외의경우단위테스트에서많은결함을발견하여이후

테스트활동들을안정적으로가져가는추세를보이고있었으며, 국내의경우도각각의테스트단계별결

함은다소많았지만단위, 통합, 시스템테스트를진행하면서결함이소폭감소하고있는추세를보 다.

하지만, 외국에비해국내는단위테스트이후결함의감소폭이크지않았다. 이는외국과비교해상대적

으로단위테스트의효율성이떨어지는것을의미하며, 향후국내개발프로젝트에서도단위테스트위주

의테스트활동을강화해야할필요가있을것으로판단된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구분단위 통합 시스템 인수테스트 테스트 테스트 테스트

NASA 0.19 0.09 0.05

SEI 0.25 0.05 0.05 0.05

SW공학백서기준(2011년)

0.26 0.21 0.14 0.06

SW공학백서기준(2012년)

0.26 0.19 0.12 0.06

< 벤치마킹 데이터와의 비교(테스트 결함 도) >

단위 통합 시스템 인수

0.26

0.19

0.12

0.050.06

0.30

0.25

0.20

0.15

0.10

0.05

0.00

SEI SW공학백서기준(2012년)

0.05 0.05

(단위 : 개/FP)

0.25

Page 20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6

11.2. 비용절감효과 분석

품질이좋은SW를사용하면품질이나쁜SW를사용할때보다비용절감효과가있는지를결함 도를기

반으로분석하 다. 이를위해 ISBSG 릴리즈 8에사용되었던비용절감비율(percentage savings) 모델

을활용하 다. 비용절감비율모델은품질이좋은제품과나쁜제품을직접비교하기위해필요한상세한

제약조건을최소화한모델이며, 절대적인비교보다는상대적인비교의의미를많이포함하고있다.

운 결함 도(Delivered defects)의비용을평가하는공식은다른제품대비해당제품의“구매후비용

절감비율(percentage post-purchase cost savings)”계산하기위해사용된다. 고객이보다좋은품질

의SW를구매함으로써발생하는비용절감을추정하기위한모델을끌어낼수있다.

모델을개발하기위해서는몇가지가정이필요하며, 충분한벤치마킹데이터들이있고, 실행가능한것

이어야한다. 이러한문제를해결하기위한하나의방안은보수적인가정을기반으로한것이다. 최상의

품질을 달성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절감 효과를 간접으로 추정하는 것으로“lower bound

model”할수있다.

즉, 최상의품질을가진제품을사용하는고객을기준으로중간정도의품질을사용하는고객에비해어

느정도비용절감효과가있는지혹은최상의품질을사용하는고객이최하의품질을사용하는제품에

어는정도비용절감효과가있는지를분석하는방법이비용절감비율분석이다.

이모델의도출과정등의자세한설명은 <부록>에첨부하 으며, 분석을위해사용된비용절감비율모

델은다음과같다.

ISBSG 보고서에서는비용절감효과를분석하기위해상위10% 그룹, 하위 10% 그룹, 그리고중위수값

을가지는중간그룹을추출하여이들간의비교분석을실시하 다. 이번백서에서도 ISBSG 보고서의

분석결과와직접비교를위해동일한기준을적용하여분석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비용절감비율(Percentage Savings) = ( 1 - ) × 75

* QA : 결함 도가 낮은 SW 제품의 결함 도 * QB : 결함 도가 높은 SW 제품의 결함 도

QA

QB

Page 20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7

분석결과, 상위 10% 그룹과중간그룹간의비용절감효과는 59.0%로, 상위 10%의제품을사용하는고

객이중간그룹의제품을사용하는고객보다제품의운 및유지단게에서 59.0%의 비용을절감할수

있는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상위 10% 그룹은하위 10% 그룹보다약71.4%를절감하는효과를볼수

있는것으로나타났다.

국내분석자료를기반으로해외자료와비교해보면상위 10%와하위 10% 그룹간에나타나는비용절

감효과는호주, 캐나다, 미국등과유사한수준으로나타났고, 상위 10%와중간그룹간의비용절감효

과는네델란드, 국과유사한수준으로나타났다. 작년과비교하여상위10%와중간그룹간의비용절감

효과에서는큰차이를보이지않고있었으나, 상위 10%와하위10%간의비용절감효과는약 3% 상승하

다. 이는하위10%그룹의품질수준이작년과비교하여낮아져비용절감효과가상승한것으로보인다.

실제 Absent 공학수준의 운 결함 도는 2011년도 0.248개/FP에서 0.272개/FP로 Advanced,

Average 공학수준등급이모두감소한것에반해0.024개/FP 증가한것으로조사되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호주 캐나다 인도 국네달란드일본 미국 한국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69.8%

상위 10% vs 중간 그룹 상위 10% vs 하위 10%

53.3%

69.8%66.0%

75.3%72.0% 74.3%

63.8%69.0%

60.0%

74.3%

60.8%

70.5%

52.0%

71.4%

59.0%

국 가 상위 10% vs 중간 그룹 상위 10% vs 하위 10%

호주 53.3% 69.8%

캐나다 66.0% 69.8%

인도 72.0% 75.3%

일본 63.8% 74.3%

네덜란드 60.0% 69.0%

국 60.8% 74.3%

미국 52.0% 70.5%

한국 59.0% 71.4%

< 그룹 간 비용절감 비율 분석 결과 >

Page 20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8

11.3. 결함제거율과 성과분석

양질의 SW를개발하고생산하는일은시장출시기간을단축하고, 높은시장점유율을달성하는중요한

요소로인식되고있다. 비록모든산업분야전반에걸쳐서입증되지못하고있지만, SW품질과생산성

간의관계는실증적데이터를통해잘입증되고있다. 예를들어, 1970년초기에 IBM은품질이가장좋

은 SW개발프로젝트가가장짧은개발일정과가장높은생산성을보인다는것을발견했다. 이러한현

상이발생하는요인은SW에내재되어있는결함을제거하는일에실제로가장많은비용과시간을소요

했기때문이었다.

일반적으로인스펙션(Inspection)과 테스팅을엄격하게적용하게되면개발일정이나비용이더소요될

것으로생각하지만앞선 IBM의사례는일반적인상식과는다른결과를보여주었다. 엄격한인스펙션이

나테스팅을통해사후에발생할수있는결함을미리예방하는등적극적품질활동을수행한프로젝트

들은일정을준수한반면, 고객이요구한최소한의품질만을만족시키는소극적품질활동을수행한프로

젝트들은많은결함으로인해일정을준수하지못했다.

인스펙션이나테스팅활동과같은결함제거활동이얼마나효과적인지를살펴보는지표가결함제거효

율성이다. 결함제거효율성은전체식별된결함수대비개별단계에서결함제거활동을통해제거된결

함의비율을의미한다. 예를들어SW를개발하면서인스펙션활동이나테스팅을통해총900개의결함

이식별되고, 3개월간의실제운용중에서발견한결함이100개일경우결함제거효율성은90%가된다.

결함제거효율성은다음과같이계산된다.

아래의그림은미국기업들을대상으로수집된결함 도와결함제거율을기반으로 3가지유형(미흡, 평

균, 최상위그룹)으로분류하고있다. 미흡으로분류되는기업들은품질의중요성에대한인식이없는조

직으로 기능점수 당 결함수가 8~10개이고, 결함제거율의 범위는 55%에서 65% 수준이다. 평균기업은

미국대부분의SW기업이속하는군으로기능점수당결함이 4~6개수준이고, 결함제거율은 75~85%

수준이다. 마지막으로최상위기업은품질수준이최상위인군으로기능점수당결함수가1~3개이고, 결

함제거율을 90%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평균 결함제거율은 약 85% 수준이며 AT&T, IBM,

Motorola, Raytheon 및Hewlett-Packard와같은최상위회사들의프로젝트들은99% 수준을달성한

것으로알려지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결함제거효율성 = (개발단계에서제거된결함수 / 식별된전체결함수) × 100

Page 21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09

SW의결함이발생하는 역은요구사항, 설계, 코딩, 문서화, 결함수정오류(Bad fix)를포함해다양한

역에서발생하고있으며, 이런 SW의결함들은일괄적으로쉽게제거되지않고있다. 특히, 요구사항

과설계상의결함과결함수정오류들은해결하기가장어려운 역이다. SW결함을완전히제거하는작

업은아주어려운작업이며, 대부분의SW가실제로제품화될때까지도평균적으로기능점수당0.75개

의결함은고객에게전달되는것으로분석되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100959085807570

결함제거효율

기능점수당

결함수

50 55 60 65

10

9

8

7

6

5

4

3

2

1

0

* 출처: Software Assessments, Benchmarks and Best Practices(Caper Jones, 2000)

미흡(Malpractice)미흡(Malpractice)

美 평균

최상위

< 미국 SW기업의 평균 결함수 및 결함제거율 범위 >

결함 유입단계 잠재 결함 수제거 효율성(%)

내재된 결함 수(Defect Origins) (Defect Potentials) (Delivered Defect)

요구사항 1.00 77 0.23

설 계 1.25 85 0.19

코 딩 1.75 95 0.09

문서화 0.60 80 0.12

결함수정오류 0.40 70 0.12

총 계 5.00 85 0.75

< 결함 유입단계별 미국 평균 결함 제거 효율성 >

* 출처 : Software Assessments, Benchmarks and Best Practices(Caper Jones, 2000)

(단위 : 개/FP)

Page 21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0

기능점수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SPR(Software Product

Research)사는 CMM level에 따른결함제거율과내재된결함수분석을실시하 다. CMM level에 따

른결함제거효율성을살펴보면, Level 1 조직은 85% 수준이고, Level 5 조직은 95% 수준인것으로나

타나고있다.

여러결함제거방안중에서하나의방안을통해SW의모든결함을해결할수는없다. 이런사실은미국

최상위 품질수준의 기업들이 결함 예방(prevention), 검토(review) 혹은 인스펙션과 다양한 테스트 등

관련여러활동의조합을통해이루어지는것을통해확인할수있다. 결함을예방하고제거하기위한여

러가지방안중에서개별방안들의결함제거효율성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CMM 성숙도잠재 결함 수

제거 효율성(%)내재된 결함 수

(Defect Potentials) (Delivered Defect)

Level 1 5.00 85 0.75

Level 2 4.00 89 0.44

Level 3 3.00 91 0.27

Level 4 2.00 93 0.14

Level 5 1.00 95 0.05

< CMM 성숙도별 결함 제거 효율성 >

* 출처 : Software Assessments, Benchmarks and Best Practices(Caper Jones, 2000)

결함제거 방안 최하(Lowest) 중간(Median) 최상(Highest)

1. 요구사항검토 20% 30% 50%

2. 상위 설계검토 30% 40% 60%

3. 상세 기능설계검토 30% 45% 65%

4. 상세 로직설계검토 35% 55% 75%

5. 코드 인스펙션혹은정적분석 35% 60% 85%

6. 단위 테스트 10% 25% 50%

7. 새로운기능테스트 20% 35% 55%

8. 통합 테스트 25% 45% 60%

9. 시스템테스트 25% 50% 65%

10. 외부 베타테스트 15% 40% 75%

누적효율성 75% 97% 99.99%

< 결함 제거 방안별 효율성 >

* 출처 : Software Quality In 2010 : A Survey of The State of The Art

Page 21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1

대표적인 결함제거 방안인 ①디자인 인스펙션(design inspection), ②코드 인스펙션(code inspection)

혹은정적테스팅(static testing), ③품질보증(quality assureance) 및 ④정식테스팅(formal testing)

활동의수행여부를기반으로결함제거율을분석한자료를살펴보면, 4가지활동을전혀수행하지않는

기업들의결함제거율은최하30%에서최상 50%수준으로나타났고, 4가지방안을모두다적용한기업

의결함제거율은최하 95%에서최상 99.9% 수준으로제시되고있다. 두집단간차이는최고 69.9%에

서최하45%까지격차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이번백서데이터중에서운 결함 도가포함된106개프로젝트를대상으로국내SW개발프로젝트의

결함제거율을분석해보았다. SW개발프로젝트의단계별로식별된결함제거율분포를살펴보면, 요구

사항단계는3.7%, 설계단계 5.4%, 구현단계 6.1%, 단위테스트 25.3%, 통합테스트 20.1%, 시스템테

스트 13.2%, 인수테스트 8.0%로개발단계에서제거된결함제거율은 81.9%로나타났고, 3개월간의실

제운용단계의결함제거율은18.1%로나타났다.

국내 SW개발기업의결함제거율 81.9%는 작년과유사한비율을보이고있으나아직은 CMM Level 1

수준과비교해도약 3%정도의격차를보여주고있다. 이런결과는결국국내 SW개발프로젝트내에서

수행되고있는품질비용의비효율성과유사한의미를내포하고있다. 즉, 품질을높이기위해많은노력

을들이고있지만, 투입하는노력만큼의효율성을얻지못하고있는것이다. 또한결함을제거하기위해

수행하는인스펙션이나테스팅과같은활동의성과가외국에비해떨어지고있다는것을보여주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SW 결함제거 방안별 효과

결함제거 활동 수행여부 결함제거율

전부수행최하 중간 최상

95% 99% 99.9%

전부수행안함최하 중간 최상

30% 40% 50%

①디자인인스펙션②코드인스펙션및혹은정적테스팅③품질보증④정식테스팅

* 출처 : Software Quality In 2010 : A Survey of The State of The Art

단계 요구사항 설계 구현단위 통합 시스템 인수 운 단계

전체테스트 테스트 테스트 테스트 (3개월)

단계별 3.7% 5.4% 6.1% 25.3% 20.1% 13.2% 8.0% 18.1%100%

계 81.9% 18.1%

< 국내 SW개발 단계별 결함제거 효율성 >

Page 21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2

국내SW 프로젝트에서결함제거활동들을수행함에따라SW개발프로젝트의성과(납기/비용초과율, 결

함 도, 생산성)지표들이어떻게달라지는지를살펴보았다. 즉, SW제품의결함을줄이기위해활용되고

있는디자인인스펙션, 코드인스펙션혹은정적테스팅, 품질보증및정식테스팅과같은활동들을수행

할경우결함 도, 납기, 비용등프로젝트성과의변화를분석했다.

국내 SW개발프로젝트를대상으로사전분석작업의일환으로위에서제시한 4개의결함제거활동들이

이루어지고있는지를확인하 다. 운 결함 도, 생산성, 납기및비용데이터를포함하고있는83개국

내프로젝트들은SW개발단계별로공식인스펙션을모두시행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테스팅, 정

적분석및품질보증활동은수준조사데이터중이들활동과관련이있는CMMI의주요프로세스 역

인 확인(Validation), 검증(Verification), 프로세스 및 제품 품질보증(Process and Product Quality

Assurance) 역의고유프랙티스(specific practice) 활동수행여부를통해확인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백서기준(2012)

1009080706050403020100

CMM 성숙도 결함제거율(%)

Level 1 85

Level 2 89

Level 3 91

Level 4 93

Level 5 95

미국하위수준 60

백서기준(2011) 81.9

< 결함제거율 비교 >

81.9

미국하위수준

60.0

Level5

95.0

Level4

93.0

Level3

91.0

Level2

89.0

Level1

85.0

< 의사결정 트리 분석을 위한 개념적 모델 >

코드인스펙션

공식테스팅

품질보증

디자인인스펙션/정적분석

납기/비용

결함 도

생산성

프로젝트 성과

Page 21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3

분석방법은데이터마이닝에서많이활용하고있는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를사용하 다. 이를위

해먼저분석대상 SW개발프로젝트의운 결함 도의 4분위수를구하고, 구해진 4분위수를기반으로

1분위수를‘상위’그룹, 2분위수와3분위수를‘중위’그룹, 마지막으로4분위수를‘하위’그룹으로분류하

여의사결정트리분석을실시하 다. 분석도구는WEKA를사용하 으며, 분류알고리즘으로는명목변

수와연속형변수를분석할수있는대표적인알고리즘인C4.5를사용하 다.

결과의의미를살펴보면, 운 결함 도수준을결정하는가장중요한변수는생산성임을알수있다. 즉

생산성이 높을수록‘상위’그룹으로, 낮을수록 하위’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일반적으로 운 결함 도가

낮은조직일수록납기, 비용준수율이좋을것으로예상되나품질수준이낮은하위’, ‘중위’그룹의경우

반대의현상이나타나고있다. 이는품질이낮은운 결함 도하위’, ‘중위’그룹의경우납기및비용을

초과투입함으로인해일정수준의품질수준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분석할수있다.

의사결정트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성과 항목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 다.

즉, 결함제거율을높이는데중요한역할을수행하는①디자인인스펙션, ②코드인스펙션/정적분석,

③공식테스트, ④품질보증등과같은기법을활용하는것에따라성과가얼마나달라질수있는지를

살펴보았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의사결정나무 분석결과 >

= 28.6% 28.6%생산성

생산성 납기초과율

비용초과율하위그룹

= 16.9 16.9

비용초과율비용초과율

= 0.089 0.089

비용초과율 납기초과율‘상위’그룹 ‘하위’그룹

= 0.056 0.056 = 0.1 0.1

‘하위’그룹 ‘중위’그룹

= -0.1 -0.1

‘하위’그룹 ‘중위’그룹

= 0.083 0.083

생산성 ‘상위’그룹

‘상위’그룹 ‘상위’그룹

= -0.011

= 37.3 37.3

-0.011

Page 21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4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일단‘상위’그룹의 경우, SW공학점수는 81.7점으로 하위’그룹의 프로젝트보다

34.8점이상높게나타나고있다. 또한주요프로젝트성과의분포를살펴보면비용과납기초과율은하

위그룹에 비해 상위그룹이 좋았다. 생산성 지표를 살펴보면 상위그룹은 33.4FP/MM으로 하위그룹의

18.9FP/MM에비해76.5% 좋은것으로나타났다.

비록국내SW개발조직의결함제거율은81.9%로전반적으로해외사례와비교했을때CMM Level 1수

준에도미흡한것으로나타났지만결함을제거하기위한활동인 5개의주요활동(디자인인스펙션, 코드

인스펙션혹은정적테스팅, 품질보증, 공식테스트)을수행하는조직의성과가이들활동을잘수행하지

못하는조직에비해상대적으로좋은것으로나타나고있다.

앞서언급한것처럼개별결함제거활동들의성과들이효과가있는것으로분석되었기때문에인력과비

용측면에서대기업에비해상대적으로부족한중소기업들은이들방안중에서자신의수준에맞는개선

방안을찾는노력이필요하다. 또한중소기업들이효율적인개선을추진할수있도록유도하는지원방안

과같은정책적인지원방안도고려해야할것으로보인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결함 도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사이의 성과 비교 >

구 분 비용초과(%) 납기초과(%) 운 결함 도(개/FP) 생산성(FP/MM) 공학수준(점수)

상위0.2% -0.8% 0.05 33.4 81.7

그룹

하위6.2% 4.5% 0.33 18.9 46.9

그룹

①디자인인스펙션② 코드인스펙션/정적분석③공식테스트④품질보증

Page 21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5

12. SW공학수준과경 성과

12.1. 분석개요

본장에서는기업의경 성과에SW공학수준이어떠한 향을미치는지와경 성과에따라기업의SW

공학수준및성과간의관계에대해분석해보았다. 경 성과분석을위한대상지표로성장성및활동성

지표 (매출액증가율, 업이익증가율, 당기순이익증가율)와수익성지표(매출액 업이익률, 매출액순

이익률, 총자산순이익률)를통해서경 성과를측정하 다.

2012년도 수준조사기간(2012.6 ~ 2012.12) 동안 2012년도 경 성과 지표(최종보고서)는 공시되지 않

아, 12월말까지공시된분기/반기재무제표보고서를기준으로경 성과를분석하 으며 2011년도에서

2012년도에연속적으로 SW공학수준조사에참여한기업중경 성과지표를공지한 35개기업에대해

서만 분석을 수행하 다. 경 성과 지표 공시정보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하 다.

(http://dart.fss.or.kr)

경 성과지표는해당기업이얼마나활발하게경 활동을하고있는지를나타내는성장성과활동성지표

와매출과이익등이전년에비해얼마나증가했는가를나타내는수익성지표로구성되었다. 해당지표의

하위지표와산출식은아래와같다.

SW공학수준과경 성과분석을위해 2가지관점에서분석을수행하 다. 첫째, 해당시점(2011년도)에

서의 공학수준 점수와 경 성과 간 분석을 수행하 다. 둘째, 공학수준점수의 향상율(2011년도 대비

2012년도공학수준점수향상율)을기준으로경 성과와의분석을통해공학점수가향상됨에따라경

성과에변화가있는지를확인하 다. 또한각각의분석에서는공학수준점수및공학수준점수향상율의

4분위수를통해상위그룹(상위20%)와하위그룹(하위20%)을샘플링하여각그룹별차이를분석하 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경 성과지표 별 측정공식 >

지표구분 측정지표명 측정공식

매출액증가율 당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100

성장성및활동성지표 업이익증가율 당기 업이익 / 전기 업이익× 100

당기순이익증가율 당기순이익 / 전기순이익× 100

매출액 업이익률 업이익 / 매출액× 100

수익성지표 매출액순이익률 당기순이익 / 매출액× 100

총자산순이익률 당기순이익 / 총자산× 100

Page 21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6

12.2. SW공학수준 점수와 경 성과의 관계

2012년도 수준조사에 참여한 업체 중 공학점수를 기준으로 상위그룹(상위 20%)기업과 하위그룹(하위

20%)기업의주요경 성과지표의값을측정하 다. 2012년도공학수준점수가높은상위그룹의경 성

과지표 6개항목의평균값은 18.5%로공학수준이낮은하위그룹이-180.0%%인것에비해경 성과가

양호한것으로분석되었다. 지표별추세를살펴보면, 수익성지표 3개항목에서는큰차이를보이고있

지않으나, 성장성및활동성지표에서는큰차이를보이고있다. 이는공학수준을높임으로인해성장성

및활동성관련지표의개선을이룰수있음을간접적으로나타내고있다.

위분석은기업의규모를고려하지않고전체조사대상그룹의경 성과지표를분석한것이다. 하지만

기업의규모를고려하지않을경우경 성과에 향을미칠수있는기업의재무적인요소및기업의인

프라와같은공학수준이외의요소에의해경 성과가왜곡되어해석될수있으므로, 기업규모별세그먼

트분류를통해동일한기업규모군별로상위그룹과하위그룹을재분류하여경 성과를분석해보았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SW공학수준점수와 경 성과 지표 >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 수익성지표

구분 매출액 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업이익 총자산 평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업이익률 순이익률 순이익률

상위그룹 9.0% 48.8% 38.8% 6.1% 4.3% 4.0% 18.5%

하위그룹 -19.2% -853.1% -196.3% -5.5% -4.6% -1.3% -180.0%

차이 28.2% 901.9% 235.1% 11.6% 8.9% 5.3% 198.5%

< 기업규모별 공학수준점수와 경 성과 지표 >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 수익성지표

구분 매출액 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매출액 총자산 평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업이익률 순이익률 순이익률

대기업군상위그룹 -2.8% 100.0% 112.9% 4.0% 2.3% 0.9% 36.2%

하위그룹 11.7% 3.1% 5.6% 11.3% 8.6% 3.4% 7.3%

중소기업군상위그룹 11.5% 4.0% 78.7% 12.7% 12.4% 12.4% 22.0%

하위그룹 -25.6% -1145.6% -248.1% -7.1% -6.7% -2.1% -239.2%

Page 21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7

기업규모별공학수준점수와경 성과지표분석결과중소기업군의경우공학수준의점수가높은상위

그룹의기업들은하위그룹의기업들에비해모든지표에서양호한결과를보이고있었으나, 대기업군의

경우성장성및활동성지표의경우상위그룹이하위그룹에비해높은것으로나타났으나, 수익성지표

에서는반대현상이일어나고있다. 즉 대기업의경우에는공학수준을높임으로인해기업의성장성및

활동성지표를개선할수있음을간접적으로확인할수있었다.

12.3. SW공학수준 향상율과 경 성과의 관계

2012년도수준조사에참여한업체중2011년도부터연속적으로참여한업체의공학수준점수향상율의

사분위수를기준으로상위그룹(상위20%)과하위그룹(하위20%)의주요경 성과지표를분석하 다.

2011년도업체중2012년도에연속적으로수준조사에참여한업체중공학점수개선율이높은상위그룹

의경 성과지표6개항목의평균값은7.6% 로공학수준점수의개선율이낮은하위그룹(하위20%)이-

198.8% 인것에비해경 성과지표가높은것으로분석되었으며, 6개경 성과지표모두상위그룹이

하위그룹에비해높게나왔다. <SW공학수준점수와경 성과지표>에서와마찬가지로성장성및활동

성지표의차이가수익성지표에비해높았으며공학수준개선활동을통해성장성및활동성지표를높

일수있음을확인할수있다.

앞서 살펴본분석은기업의규모를배제한동일한조건에서분석을진행하 다. 하지만기업의규모에

따라기업들의환경이다를수있다. 즉대부분의중소기업들은대기업에비해인력과자금면에서차이

가있기때문에직접적으로비교하는데다소간무리가있어보인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공학수준점수 개선율과 경 성과 지표 >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 수익성지표

구분 매출액 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매출액 총자산 평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업이익률 순이익률 순이익률

상위그룹 9.0% -29.9% 38.4% 10.5% 8.8% 8.8% 7.6%

하위그룹 -14.3% -867.4% -295.2% -7.0% -6.0% -2.9% -198.8%

차이 23.3% 837.4% 333.5% 17.4% 14.8% 11.7% 206.4%

Page 21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8

이러한차이를살펴보기위해서동일한기업군으로분류하고, 기업규모를기준으로공학수준과경 성

과와의차이를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살펴보면대기업군, 중소기업군모두상위그룹의기업들은하위

그룹의기업들에비해경 성과지표가모두높게나왔다. 이는기업규모와관계없이SW공학수준개선

활동을통해기업의경 성과를높일수있음을확인할수있다.

13. 도구활용과성과분석

13.1. 분석개요

본장에서는 도구활용 여부에 따른 SW공학수준, SW공학성과 및 경 성과의 차이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도구활용여부를확인할수있는기술수준(Technology)구성하위요소인시스템인프라설문항목을

기준으로활용그룹과미활용그룹을구분하고, 각그룹간의SW공학수준, SW공학성과및경 성과비교

를수행하 으며두그룹간차이검증을수행해도구활용유무가 SW공학수준및성과의차이에 향을

미치고있는지를카이제곱검증을통해확인하 다. 또한도구의도입및활용수준을판단할수있는시

스템인프라 수준점수를 기준으로 도구활용 수준 상위그룹(상위20%)과 하위그룹(하위20%)을 구분하고

각그룹간SW공학수준, SW공학성과및경 성과간의차이를분석하 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기업규모별 공학수준 향상율과 경 성과 지표 >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 수익성 지표

구분 매출액 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매출액 총자산 평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업이익률 순이익률 순이익률

대기업군상위그룹 10.4% 51.9% 34.9% 6.4% 5.0% 3.7% 19.4%

하위그룹 -0.6% -64.4% -101.0% 4.0% 2.1% 0.5% -26.6%

중소기업군상위그룹 10.3% -56.3% 49.7% 12.0% 11.4% 11.9% 6.5%

하위그룹 -9.7% -1064.7% -327.1% -6.9% -6.6% -3.5% -236.4%

Page 22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19

13.2. 도구 활용 별 분석

도구사용여부를확인할수있는시스템인프라항목들을통해개별도구별도구활용그룹과미활용그룹

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 SW공학수준 및 SW공학성과를 비교하 다. 조사대상 도구 그룹 중 SW개발

및관리활동을수행하면서활용빈도가높은도구인프로젝트관리도구, 요구사항관리도구, 코드인스펙션

도구, 테스트도구, 형상관리도구5개를기준으로SW공학수준및성과를비교하 다.

프로젝트관리도구사용유무별두그룹간의공학수준및성과차이를비교했을때프로젝트관리도구를

사용하는그룹이미사용그룹에비해서SW공학수준및공학성과에서모두양호한수준을보 다. 또한

두 그룹 간 차이검증을 수행한 결과 프로젝트관리 도구활용 유무에 따른 SW공학수준 및 SW공학성과

간에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존재하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는프로젝트관리도구를활용하는것이

SW공학수준및성과에 향을미치고있음을나타내는것이다. 특히납기초과율은사용그룹과미사용

그룹간차이가상대적으로매우커프로젝트관리도구를통해납기초과율을줄일수있음을간접적으로

확인할수있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프로젝트 관리도구 사용유무 별 분석 >

활용그룹 미활용그룹

69.5

26.3

50.0

20.8

0.242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구분 사용그룹 미사용그룹

SW공학수준 69.5 50.0

납기초과율 -0.52% 10.92%

비용초과율 0.13% 7.89%

개발생산성 26.3 20.8

운 결함 도 0.125 0.242

0.125

0.130.52

10.92

7.89

Page 22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0

요구사항관리도구사용유무별두그룹간공학수준및성과차이를비교했을때요구사항관리도구를사

용하는그룹이미사용그룹에비해서SW공학수준및공학성과에서모두양호한수준을보 다. 또한두

그룹간차이검증을수행한결과요구사항관리도구활용유무에따른SW공학수준및SW공학성과간에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요구사항 관리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SW공학수준및성과에 향을미치고있음을나타내는것이다.

코드인스펙션도구사용유무별두그룹간공학수준및성과의차이를비교했을때코드인스펙션도구

를사용하는그룹이미사용그룹에비해서 SW공학수준및공학성과에서모두양호한수준을보 다.

특히운 결함 도에서는다른도구에비해상대적으로높은차이를보 다. 이는 SW개발단계에서의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요구사항관리도구 사용유무 별 분석 >

활용그룹 미활용그룹

73.2

26.7

52.9

23.3

0.204%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구분 사용그룹 미사용그룹

SW공학수준 73.2 52.9

납기초과율 -0.36% 7.04%

비용초과율 -0.67% 6.05%

개발생산성 26.7 23.3

운 결함 도 0.114 0.204

0.114%7.04%6.05%

-0.67%-0.36%

< 코드인스펙션 도구 사용유무 별 분석 >

활용그룹 미활용그룹

70.4

26.0

54.5

24.0

0.265%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구분 사용그룹 미사용그룹

SW공학수준 70.4 54.5

납기초과율 -0.10% 6.91%

비용초과율 -0.87% 6.26%

개발생산성 26.0 24.0

운 결함 도 0.107 0.265

0.107% 6.91%6.36%

-0.87%-0.10%

Page 22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1

코드품질확보를위한코드인스펙션도구의도입을통해운 단계에서발생할수있는잠재결함을상당

수감소시킬수있음을말해주고있다. 또한 두그룹간에차이검증을수행한결과코드인스펙션도구

활용유무에따른 SW공학수준및 SW공학성과간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존재하는것으로나

타났는데, 이는코드인스펙션도구를활용하는것이SW공학수준및성과에 향을미치고있음을나타

내는것이다.

테스트도구사용유무별두그룹간공학수준및성과의차이를비교했을때테스트도구를사용하는그

룹이미사용그룹에비해서SW공학수준및공학성과에서모두양호한수준을보 다. 코드인스펙션도

구의경우프로그램실행하지않고테스트를지원하는정적분석도구라면테스트도구의경우에는테스

트데이터생성및성능검증, 로직기반검증코드및테스트케이스생성, 결함관리등동적분석을수행하

는도구로일반적으로수작업으로하기힘든자동생성기능을포함하고있어정적분석도구에비해개발

생산성의차이가상대적으로크게나타나고있었다. 또한두그룹간에차이검증을수행한결과테스트

도구활용유무에따른SW공학수준및SW공학성과간에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존재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테스트도구를활용하는것이SW공학수준및성과에 향을미치고있음을나타내는

것이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테스트 도구 사용유무 별 분석 >

활용그룹 미활용그룹

72.8

27.3

53.8

22.0

0.204%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구분 사용그룹 미사용그룹

SW공학수준 72.8 53.8

납기초과율 -0.43% 6.58%

비용초과율 -0.56% 6.39%

개발생산성 27.3 22.0

운 결함 도 0.114 0.204

0.114%6.58%6.39%

-0.56%-0.43%

Page 22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2

형상관리도구사용유무별두그룹간의공학수준및성과차이를비교했을때형상관리도구를사용하는

그룹이미사용그룹에비해서 SW공학수준및공학성과에서모두양호한수준을보 다. 또한두그룹

간차이검증을수행한결과형상관리도구활용유무에따른 SW공학수준및 SW공학성과간에는통계

적으로유의한차이가존재하는것으로나타났는데, 이는형상관리도구를활용하는것이 SW공학수준

및성과에 향을미치고있음을나타내는것이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형상관리 도구 사용유무 별 분석 >

활용그룹 미활용그룹

72.9

26.6

53.2

23.1

0.216%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구분 사용그룹 미사용그룹

SW공학수준 72.9 53.2

납기초과율 -0.10% 6.65%

비용초과율 -0.81% 6.09%

개발생산성 26.6 23.1

운 결함 도 0.111 0.216

0.111%6.65%6.09%

-0.81%-0.104%

Page 22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3

13.3. 도구 활용 수준별 분석

앞에서개별도구별활용유무에따라 SW공학수준및성과간의관계를분석했다면이번엔전반적인도

구의도입및활용역량의수준에따른분석을추가적으로수행했다. 조직및프로젝트의도구활용수준

을진단할수있는기술(Technology)수준하위구성요소인시스템인프라의수준점수의사분위수를기준

으로상위그룹(상위 20%)과 하위그룹(하위 20%)으로구분하고두그룹간의 SW공학수준, 공학성과및

경 성과간의비교를수행했다.

도구활용수준별상위그룹과하위그룹간공학수준및성과의차이를비교했을때상위그룹이하위그룹

에비해상대적으로SW공학수준및공학성과에서모두양호한수준을보 다.

특히개별도구별로분석했을때보다SW공학수준및성과에서상대적으로큰차이를보이고있어SW

공학수준및성과의개선을위해개별도구의도입과동시에도구활용에대한전반적이수준향상을위한

노력을해야함을확인할수있었다.

또한상위그룹과하위그룹간의품질비용구조를분석했을때총품질비용은상위그룹과하위그룹각각

55.5%, 61.3%로하위그룹에비해상위그룹에서상대적으로낮은품질비용을나타냈다. 품질비용구성

하위요소별로봤을때순응비용으로분류되는예방비용과평가비용의경우하위그룹에비해상대적으

로높게나왔다. 이는도구도입으로인해초기에발생할수밖에없는비용과도구활용및역량강화를위

한교육활동에투입된비용으로인해상대적으로하위그룹에비해높게나온것으로분석된다. 반면에

비순응비용으로분류되는내부실패및외부실패비용의경우상위그룹이하그룹에비해낮게나왔다. 이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도구활용 수준(시스템인프라 수준점수) 별 분석 >

활용그룹 미활용그룹

46.1

21.3

81.3

29.8

0.055%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5.00%

공학수준 납기초과율 운 결함 도비용초과율개발생산성

구분 사용그룹 미사용그룹

SW공학수준 46.1 81.3

납기초과율 15.2% -1.57%

비용초과율 8.6% -3.15%

운 결함 도 0.220 0.055

개발생산성 21.3 29.8

0.220%

-2.57%

-3.35%

8.6%

15.2%

Page 22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4

는도구활용을통해결함도출및수정에투입되는재작업비용을상대적으로낮출수있다는것을나타내

고있다. 즉도구활용수준을높여프로젝트후반부에서발생할수있는재작업공수및추가비용투입

을감소시켜전체적인프로젝트품질비용구조를개선시킬수있는것으로분석된다.

마지막으로 도구활용을 통해 품질비용을 개선시켰다면 개선된 비용이 경 성과에 어떤 향을 미치고

있는지를분석해보았다. 도구활용수준상위그룹과하위그룹간의경 성과지표를분석한결과상위그

룹이하위그룹에비해모든지표에서양호한상태를보이고있었다. 특히성장성및활동성지표의경우

수익성지표에비해상대적으로큰차이를보이고있어전반적인도구활용수준향상을통해성장성및

활동성지표를개선시킬수있음을간접적으로확인할수있었다.

결론적으로도구활용및도구활용역량개선을통해 SW공학수준향상및성과개선이가능하며, 프로젝

트의품질비용구조개선및조직의경 성과개선에기여할수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공학수준점수 개선율과 경 성과 지표 >

성장성 및 활동성 지표 수익성지표

구분 매출액 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액 매출액 총자산 평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업이익률 순이익률 순이익률

상위그룹 4.6% 43.4% 42.5% 5.9% 4.3% 3.9% 17.4%

하위그룹 -23.0% -160.2% -78.9% -1.0% 0.7% -0.4% -43.8%

차이 27.6% 203.6% 121.5% 6.9% 3.6% 4.3% 61.2%

예방 평가 내부실패 외부실패 총품질비용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3.6%

상위그룹 하위그룹

4.0%8.8%9.8%

28.3%24.4%

20.6%17.4%

61.3%

55.5%

< 도구활용 수준별 품질비용 분석 >

Page 22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5

13.4. 품질 관련조직의 유무에 따른 성과분석

앞에서살펴본것처럼SW공학관련도구를효율적으로사용하면SW개발프로젝트의성과나나아기경

성과도좋아지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프로세스개선을추구하는기업들이직면하는고민은외부의

컨설턴트나 SW공학도구의도움을받아추진한프로세스개선의효과를지속적으로유지하는것이고

민이다. SW 프로세스개선의성과를효율적인내재화를위해서는새로정의된프로세스의수행여부와

성과를지속적으로관리하고, 개선방향을설정하는조직내독립적인품질관리조직이필수적인요소이

다. 이러한조직내독립적인품질관리조직을갖추고있는지에따라프로젝트의성과가달라지는지를기

업의규모에따라달라지는지살펴보았다.

품질인증조직을갖추고있는조직의프로젝트성과가품질인증조직의프로젝트성과보다좋게나타나는

것을알수있다. SW공학수준점수와개발생산성은품질인증조직을보유한조직이높게나타나고, 납기

초과율, 비용초과율및운 결함 도도좋아지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품질인증조기의효과가기업의규모에따라차이가나는지를살펴보기위해, 대기업과중소기업으로구

분하여품질인증조직의효과를살펴보았다. 기업의규모에따른프로젝트의성과도품질인증조직을보

유한조직이우수한것으로나타나고있다.

SW공학수준과프로젝트성과분석 3

< 품질보증 조직의 존재유무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

(전체)OA조직보유 (전체)OA조직미보유

69.2

26.5

56.5

22.8

0.241

80

70

60

50

40

30

20

10

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계열 1 계열 3 계열 5계열 4계열 2

구분 품질보증 품질보증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69.2 56.6

개발생산성 26.5 22.8

납기초과율 0.58% 5.34%

비용초과율 0.19% 5.89%

운 결함 도 0.105 0.2410.19

5.895.34

0.105

0.58

Page 22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6

품질인증조직과더불어테스팅조직의유무에따른프로젝트성과도살펴보았다. 먼저결론부터살펴보

면, 품질인증조직과유사한결과가나타나고있다. 즉, 테스팅조직을갖추고있는조직의프로젝트성과

가더우수한실적을나타내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기업규모별 품질보증 조직의 존재유무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

(대기업) (중소기업)

구분 품질보증 품질보증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58.7 52.3

개발생산성 22.8 21

납기초과율 2.70% 7.28%

비용초과율 5.01% 7.25%

운 결함 도 0.189 0.301

구분 품질보증 품질보증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81.2 73.7

개발생산성 28.2 26.6

납기초과율 -0.95% -0.77%

비용초과율 -2.85% 0.85%

운 결함 도 0.056 0.086

< 기업규모별 품질보증 조직의 존재유무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

(대기업) (중소기업)

구분 품질보증 품질보증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59.3 44.7

개발생산성 21.9 21.9

납기초과율 4.17% 9.61%

비용초과율 5.23% 7.96%

운 결함 도 0.232 0.277

구분 품질보증 품질보증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80.8 51.9

개발생산성 27.9 27.8

납기초과율 -0.94% 0.00%

비용초과율 -2.4% 0.00%

운 결함 도 0.06 0.128

< 품질보증 조직의 존재유무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

(전체)OA조직보유 (전체)OA조직미보유

68.6

25.9

45.3

22.7

0.268

80

70

60

50

40

30

20

10

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계열 1 계열 3 계열 5계열 4계열 2

구분 품질보증 품질보증조직보유 조직미보유

SW공학수준 68.6 45.3

개발생산성 25.9 22.7

납기초과율 1.64% 8.30%

비용초과율 0.87% 7.32%

운 결함 도 0.131 0.2680.87

8.307.32

0.131

1.64

Page 22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4

부 록

부록 A. SW공학데이터측정지표명세서

부록 B. SW공학주요분야별요소기술정의

부록 C. SW공학분야별요소기술현황및수요조사

부록 D. 데이터항목정의요약

부록 E. SW공학표준커리큘럼

부록 F. 유형별상세구분설명

부록 G.비용절감비율공식도출하기

SW공학백서 2013

Page 22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8

부록A. SW공학데이터측정지표명세서

1. SW프로젝트 성과 데이터

2. SW프로젝트 품질비용 데이터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지표명 설명 계산식 단위

품질성과

비용성과

납기성과

운 (양산)

결함 도

테스트

결함 도

비용초과율

납기초과율

개발완료된 SW가운 혹은양산시

얼마나많은결함을가지고있는지

나타내는지표

테스트에서얼마나많은결함을

찾아냈는지를나타내는지표

전체투입인력과비교하여실제프로젝트

투입인력이증가혹은감소하 는지를

나타내는지표

프로젝트종료일을준수하 는지를

나타내는지표

∑(개발완료후 3개월동안발견된

결함(중대, 중간, 경미결함)수 / 프로젝트

규모(FP)

∑(단위, 통합, 시스템, 사용자승인

테스트에서발견된결함수 / 프로젝트

규모(FP)

(1–((프로젝트실제투입MM – 프로젝트

계획투입 MM) /프로젝트계획투입

MM)*100

(1–((프로젝트계획종료일 - 프로젝트

실제종료일) / 프로젝트계획

기간(일))*100

결함수/FP

결함수/FP

%

%

구분 지표명 설명 단위

예방비용

프로젝트관리

(계획수립)

프로젝트관리

(통제)

교육및

기술지원

품질활동

(프로세스점검)

품질활동

자원관리

(백업/보안관리)

형상관리

프로젝트계획서에품질활동계획서가포함되는경우품질과관련된부분만

입력. 형상관리셋업을포함

프로젝트통제(위험관리포함) 공수

프로젝트내부의오리엔테이션, 교육 및강사공수모두포함. 시스템진단(시스템

테스트제외) 및 튜닝공수, 프로세스및툴지원관련공수포함

프로세스심사, 착수점검, 톨게이트등을포함

프로젝트팀내부적으로, 혹은 고객과함께Informal한 검토활동에투입된공수

(결함기록을하지않는내부검토및세미나등)

백업활동또는보안점검등을포함

(시스템테스트상의보안테스트는제외)

프로젝트팀에서형상관리활동을위해투입한공수

MM 단위로

데이터수집

Page 23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29

부 록 A

구분 지표명 설명 단위

평가비용

품질활동

(장비검수)

품질활동

(동료검토)

품질활동

(고객검토)

품질활동 (감리)

품질보증

테스트

(단위테스트)

테스트

(통합테스트)

테스트

(사용자승인테스트)

테스트

(인수테스트)

도입 HW/SW에대한검수활동

동료검토수행시수정을제외한계획수립, 오리엔테이션, 검토활동을포함.

검토와수정이합쳐서들어가있는경우적절히분리를해야함.

고객검토시수정을제외한계획수립, 오리엔테이션, 검토활동을포함. 검토와

수정이합쳐서들어가있는경우적절히분리를해야함.

감리준비, 감리대응, 내부감리수행공수

프로젝트팀에서품질보증활동을위해투입한공수

단위테스트수행공수(개발자및테스트전문인력)

통합테스트수행공수를나타내며통합테스트에준하는추가테스트의경우도

포함. 통합테스트환경구축, 데이터준비등준비작업도포함. 결함수정공수와

분리해야함.

결함수정공수와 분리해야함

시범운 테스트도포함. 결함수정공수와분리해야함

MM 단위로

데이터수집

구분 지표명 설명 단위

내부

실패비용

외부

실패비용

품질활동

테스트활동

결함

(오픈이후결함조치)

납기

(프로젝트납기지연)

품질활동(장비검수후결함조치)

품질활동(동료검토후결함조치)

품질활동(고객검토후결함조치)

품질활동(감리후후속조치)

품질활동(품질보증지적사항결함조치)

테스트(단위테스트결함조치)

테스트(통합테스트결함조치)

테스트(시스템테스트결함조치)

테스트(사용자승인테스트결함조치)

오픈이후발생한결함의조치에투입된공수를산정. 계약서상에명시된

무상유지보수는제외

오픈이지연된경우지연이후실제오픈까지의모든공수를납기지연으로판정

MM 단위로

데이터수집

Page 23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0

부록B. SW공학주요분야별요소기술정의

1. 요구사항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공학기술 설명

요구공학기술

요구사항의획득, 분석, 명세, 검증 및변경관리등에대한제반활동과원칙에대한체계적이고총괄적인

접근하여일관성있는요구사항생성및관리를위해체계적, 반복적으로수행하는데사용되는모든기술을

말한다. 요구사항관리에포함되는모든생명주기(SDLC)활동과이를지원하는프로세스를포함한다.

정보전략계획수립기업의경 전략을지원할수있는정보화전략을도출하여, 전사 관점의통합된시스템구현과투입되는인력및

(ISP)자원의효율적투자계획을수립하는기술이다. 현행업무와기존시스템을분석하고, 이로부터향후에바람직한

정보시스템의전체모습을마련하는과정을말한다.

EA(Enterprise 업무(Business Process)와 어플리케이션(Solution & System), 정보(Data), 기술(Technology) 등 기업내 IT

Architecture) 관련 요소를종합적으로고려하여모두를포괄하는아키텍처로접근/해결하려는차세대정보관리방법론이다.

IT 투자성과평가조직내부에서최적사업포트폴리오구성능력개발및올바른정보화투자의사결정을할수있게정보화투자

성과분석(IT ROI)을 하는기술이다.

BPM(Biz. 업무 프로세스를중심으로사람과시스템을유기적으로통합하여, 실행 및통제함으로서프로세스를지속적으로

Process 개선하여최적화할수있도록관리하는것을 BPM이라한다. BPM은 사전에정의된일련의규칙/절차에따라,

Management) 단위 Task 간의정보/지식흐름의자동화를통해, 효율적인프로세스관리를지원하는통합도구이다.

SOA(Service Service라 불리는분할된 Application 조각들을단위로 loosely-coupled하게연결하여하나의완성된

Oriented Application을 개발하기위한 S/W 아키텍처를말한다. 또한 업무구조를재사용이가능한컴포넌트형태로

Architecture) 구축하고프로세스기반통합을통하여시스템을구축하는방안이다.

제품기획

제품개발프로그램을기획하고정의하는단계로서, 고객의요구및기대를충족하기위해제품을구상하는

단계입니다. 설문 및여러경로를통하여파악된고객의요구사항과경쟁회사의벤치마킹결과, 과거의실패

경험, 그리고양산시예상되는문제점들을근간으로하여제품특성과설계목표등이선정되어야합니다. 이

단계에서선정된제품특성과설계목표는설계및공정단계에반 되어야한다.

3단계를통하여제품및공정설계와개발에반 되어야합니다.

커뮤니케이션기술 다양한비즈니스전반에걸쳐발생할수있는소통부족및장애를극복할수있도록지원하는기술로써,

(인터뷰, 협상) 효과적인프리젠테이션방법, 협상기술, 체계적인문제해결프로세스등이이에속한다.

요구사항관리툴

요구분석/협상/관리등의요구공학의체계적인관리를위하여 요구사항분석가가산업체혹은프로젝트에서

관련기술

요구사항을전문적으로관리할수있는조직을구성하고, 요구사항기법을적용하여요구공학프로세스의일반화

및정착화를목표로하고있다. 이를 구현하기위해서요구공학관리도구를개발하고이를활용하게되는데

여기에서사용되는관련기술을요구사항관리툴관련기술이라한다. 대표적인요구사항관리툴에는 IBM

Rational의 DOORS, RequisitePro, Borland의 CaliberRM 등이있다.

Page 23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1

2. 분석/설계

부 록 B

SW공학기술 설명

개발방법론 기업전체또는주요부문을대상으로정보시스템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축에정형화된기법들을상호연관성(정보공학) 있게통합/적용하는데이터중심방법론

개발방법론 요구분석, 설계, 구현, 시험 등의 SW생명주기에객체지향개념을접목시켜일관된모델을가지고 SW를개발하는(객체지향) 방법론

개발방법론 컴포넌트단위의개발/조립/유지보수를통해현대경 이필요로하는정보시스템의신속한구축, 변경 확장의(CBD) 용이성을추구하며, 타 시스템과의호환성을달성하고자하는개발방법론

개발방법론SW개발분야의다양한변화를수용하고대응할수있게만든개발방법론으로써, 문서에대한부담을줄이면서

(Agile)변화에쉽게대응하며고객의입장에초점을맞춘개발방법론. 요구사항의변화를잘수용하며개발중작동하는SW를고객에게자주전달하여확인하여효율적 SW개발을위한개발방법론

데이터모델링주어진설계패턴에따른각종프로그래밍하는것에서벗어나프로그래밍을위한데이터구조물을확립하여

기술안정적인데이터베이스시스템구축및유지관리를위해활용되는모든기술. ERD를 작성하는개념적데이터모델링으로부터논리적, 물리적데이터모델링등의범주로구분됨

DBMS 관련기술 방대한양의데이터를통합적으로생성, 저장, 관리를효율적으로하는데사용되는기술

프로세스모델링 시스템의일반적인작동은물론이고표준절차에대한대안과예외들도파악하여다양한범주의프로세스모델을기술 구현하는기술이다. 비즈니스프로세스를하위프로세스로구조화하는데서출발한다.

아키텍처설계

전체시스템에대한방향과완성도를결정짓는매우중요한부분으로 SW설계에서프레임워크, 디자인패턴등을활용하여 SW기본구조를정의하고설계하는모든활동을말함. 즉 SW가어떻게작동하는지를설명하는프레임워크로써, SW목적을달성하기위해각컴포넌트가무엇이며어떻게상호작용하는지, 정보가어떻게교환되는지를설명하는활동

디자인패턴

많은사람들이효율적인 SW설계노하우를응용할수있게프로그램개발에필요한객체지향설계솔루션을패턴화한기술. 즉 프로그램개발에자주등장하는문제를같은작업을반복하여설계하지않고, 여러 번반복하여사용할수있는문제에대한솔루션을기술한것

프레임워크

SW의구체적인부분에해당하는설계와구현을재사용이가능하게끔일련의협업화된형태로클래스들을제공하는것으로, 구체적이며확장가능한기반코드를가지고있으며, 설계자가의도하는여러디자인패턴의집합으로구성되어있음

프로세스(ARM)

ARM프로세스는이동전화, PDA와 같은 32Bit 임베디드시장에서가장많이사용되는프로세서로저전력,

아키텍처

고성능의 32Bit RISC 아키텍처, 강력하고간단한명령어지원, Big/Little Endian 지원 별도의 Fast 인터럽트방식제공등의우수한특징을가지고있다. 이러한 ARM 프로세서기반의 SW최적화를위한방법을프로세스아키텍처라한다.

시스템 SW(RTOS)

대부분의실시간시스템은보통병행적이고협동적인프로세스들로설계되고이러한프로세스들의관리를

아키텍처설계

지원하기위해대부분의실시간시스템은실시간운 체제(RTOS: Real Time Operation System)를 포함해서구성된다. 이러한 RTOS를 실행하기위해순차적이고협동적인프로세스를설계를해야하는데이를 ROTS아키텍처설계라한다.

데이터구조론구현시적절한해법을보다쉽게찾기위한방법을터득하여효율적인 SW를만들기위해데이터의알고리즘을이해하고체계화한이론을말함

분석/설계툴 아키텍처설계부터데이터/프로세스모델링등분석/설계작업의구조화, 효율화를위하여기법및도구를관련기술 활용하고있다. 대표적분석/설계도구로는 Rational Software Architect, ROSE, Together 등이 있다.

Page 23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2

3. 구현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공학기술 설명

프로그래밍언어시스템을구동시키는 SW를작성하기위한언어. 일반적으로프로그래밍언어와 SW를구분하지않고 SW를프로그래밍언어로보기도한다. 대표적프로그래밍언어로는 C가있다.

웹 프로그래밍기술World Wide Web에서사용중인다양한프로그래밍언어를활용하는기술을말함. 웹 프로그래밍기술로써는JSP, ASP, PHP 등이있다. 이중 Java를 활용한 JSP는 그가벼움과안정성, 사용성등의장점을앞세워가장많이활용되고있음

시스템프로그래밍 시스템운 을위해사용되는프로그래밍기술을말함. 현재 시스템프로그래밍분야에서널리사용되고있는기술 Unix 및 Linux 시스템을중심으로파일, I/O, 프로세스, 통신 관련고급시스템프로그래밍분야가존재함.

N/W 프로그래밍 시스템기반및통신프로그램작성이필요할시활용되는기술을말함. 특히 리눅스기반의시스템및네트워크기술 프로그래밍방법을진행하는데많이활용됨.

운 체계컴퓨터의하드웨어를직접적으로제어하고관리하는일을하는시스템 SW를말한다. 최근에는가상화기술의발전에힘입어실제하드웨어가아닌하이퍼바이저위에서실행되기도함

데이터베이스여러사람에의해공유되어사용될목적으로통합관리되는정보의집합을말함. 논리적으로연관된하나이상의자료의모음으로그내용을고도로구조화한것. 즉, 몇 개의자료파일을조직적으로통합하여자료항목의중복을없애고자료를구조화하여기억시켜놓은자료의집합체라고할수있음

대용량데이터 대용량 DB환경에서의 Application 개발 및데이터관리전반에활용되는기술. 대용량데이터운 환경에서관리기술 효율적인관리를위한 DB 튜닝, 함수를통한성능향상등이포함됨

SQL 튜닝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질의어)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정보를얻거나갱신하기위한표준대화식프로그래밍언어로써많은수의데이터베이스관련프로그램들이 SQL을 표준으로채택하고있다. 기업정보시스템의핵심인 RDBMS를 최적화해구현을위해 SQL 구현이나성능에가장중요하고기본이되는것으로성능개선을위한방법으로 SQL 튜닝을활용하고있다.

데이터베이스튜닝데이터베이스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자체, 운 체제등의조정을통하여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성능을향상시키는작업. 갈수록복잡화, 대량화되고있는시스템을그대로유지하면서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최적화하는방안으로데이터베이스튜닝을활용됨

정보보호 (보안)기술 정보유출해커침입, 바이러스침투등다양한정보범죄에대한보안인증및패치와관련된모든기술

시스템 운 체제나컴파일러같은응용프로그램과컴퓨터시스템간의중개적역할을하는프로그램을말하며이러한제어프로그래밍 시스템프로그램을만드는것을시스템프로그래밍이라함

디바이스드라이버

임베디드SW에서디바이스드라이버(device driver)는 하드웨어와운 체제및응용프로그램사이의연결고리

개발

역할을하는핵심구성요소로서, 응용 프로그램이하드웨어에서제공하는기능을사용할수있도록제어및상호동작을위한일관된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SW이다. 최근 임베디드SW의효율적인개발방법, 특히 HW와맞닿아있는저수준(low-level)의 SW인디바이스드라이버를개발하는체계적이고효율적인방법에대한중요성이증대되고있다.

OS 커널분석및OS커널은리눅스, 윈도NT 등 OS체계에서가장핵심적인연산이이루어지는부분을의미하며코어(core)라고

포팅표현하기도한다. 대표적인것이리눅스커널이다. 커널과그응용프로그램을활용하여임베디드시스템구축시,시스템에맞도록커널을최적화하기위해서인터럽트와타이머, 메모리관리방법등을이용하기도한다. 이런최적화된커널설정방법을충분히이해하고최적화하여타깃시스템에포팅을하여야함

임베디드코드 임베디드시스템에서발생할수있는런타임오류들을제거하기위해프로그램설계단계에서부터프로그램

최적화 코드를최적화를염두에두고설계를하는것을임베디드코드최적화라고함. 이를 위해런타임오류를방지하는코드기법, 속도 및메모리최적화등이필요함.

미들웨어구조분석애플리케이션을직접연결하지않고독립적인미들웨어는독립적인제3자의역할을함으로써애플리케이션모두에코드를추가할필요가없다. 비즈니스파트너나공급자들과데이터공유를해야하는기업의애플리케이션들많아지고분산화될수록이러한미들웨어의중요성과미들웨어구조분석을통한미들웨어도입이중요시된다.

디버깅 프로그램상의오류(버그)를 찾아내어바로잡는과정

구현툴관련기술(디버깅툴포함)

프로그램상오류를잡아내는대표적인디버깅툴로서임베디드시스템에활용하는 Trace32가 있다.

Page 23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3

4. 테스트

5. SW형상관리

부 록 B

SW공학기술 설명

테스트기법개발자관점에서프로그램소스레벨의모든논리적경로를파악하거나경로들의복잡도를계산하여테스트하는

(White Box Test)기법이다. 문장 역, 물리적경로, 논리적경로에대한시험으로주로단위테스트및통합테스트워크스루를통해

수행한다.

테스트기법 통합시험및인수시험시사용자관점에서원시코드를보지않고, 실행의기능단위로수행하는테스트

(Black Box Test) 기법이다(I/O중심). 사례를통한테스트방법으로데이터위주또는입출력위주의시험방법이다.

Code Inspection

프로젝트내부에서작업산출물(Code)을 확인하는것으로, 상대적으로복잡도가높은산출물에대한결함을

식별하는방법으로 walk-through 등에 비해 formal한 방법이다. Code inspection은 개발표준을이용하여

Code를 점검하여 Code를 최적화(혹은표준에맞도록) 재구성하는과정을말한다.

결함관리개발과정에서발견된결함을수집, 분석하고결함정보공유를통한신속, 정확한결함조치를수행하며결함예방

활동을위한결함에대한기본데이터를제공하는활동을결함관리라한다.

테스팅툴관련

프로젝트를진행하면서가장컨트롤이어렵고예측이난해하며비용의산정이어려운것이테스팅단계이다.

기술

오래전부터그러했고현재에도많은사이트들이테스팅을 Ad hoc으로진행하고있다. 이러한환경속에테스팅

프로세스및방법론의중요성이높아지며, 이를 정착시키기위해테스팅툴및그에관련기술의활용이높아지고

있다. 현재 JUnit, Bounds Checker, ACT, Test Coverage, Purify 등 해외제품은물론많은국내테스팅관련

툴이활용되고있다.

SW공학기술 설명

형상관리

형상항목을식별(identify)하여 그기능적, 물리적특성을문서화하고, 그러한특성에대한변경을제어하고, 변경

처리상태를기록및보고하고, 명시된요구사항에부합하는지확인하는일련의사항에대하여기술적, 행정적인

지침과사후관리를적용하는원칙(discipline)

변경관리

변경관리는베이스라인으로설정된작업산출물에대한변경을통제하고, 작업 산출물에대한변경요청으로

인하여변경이필요한경우체계적인절차를따라변경을하는것으로작업산출물의변경시형상항목의

무결성과추적성을확보하는데그목적이있다

요구사항추적성제출된요구사항에대한반 여부를추적하는것으로, 요구사항, 프로젝트계획, 산출물간의양방향추적성이

유지되어야한다.

형상관리툴관련형상관리툴을활용하지않고효율적인형상, 변경관리는실제로어렵다. SW이슈관리, 형상관리, 배포관리,

기술테스팅등변경통합관리지원및문서, 소스의관리는물론 요구사항, 품질보증관리의간접적지원등많은

부분에서활용되고있다. ClearCASE, CVS, Visual Source-Safe 등이대표적인형상관리툴이다.

Page 23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4

6. 프로젝트 관리

7. 프로세스 관리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SW공학기술 설명

프로젝트견적

프로젝트초기에프로젝트를진행하는데필요한비용, 공수, 일정 및범위등에대한추산을하고이를

(FP 등)

효율적으로관리하는것을말한다.대표적인방법으로 FP가 있는데이는 S/W 기능규모를표현하는단위로서사용자에게제공하는기능을논리적관점에서식별하여 S/W 규모를측정하는방법이다.

원가관리원가관리란정해진예산범위내에서(목표예산) 프로젝트가완료될수있도록하기위한제반조치및활동을말한다.

제품기획

제품개발프로그램을기획하고정의하는단계로서, 고객의요구및기대를충족하기위해제품을구상하는단계입니다. 설문 및여러경로를통하여파악된고객의요구사항과경쟁회사의벤치마킹결과, 과거의실패경험, 그리고양산시예상되는문제점들을근간으로하여제품특성과설계목표등이선정되어야합니다. 이단계에서선정된제품특성과설계목표는설계및공정단계에반 되어야한다.

위험관리위험관리는프로젝트의위험을식별, 분석 및적정하게대응하기위한체계적인활동으로프로젝트수행과정에서예상되는 Risk를 사전예측하고이에대한예방을하며, 또한 프로젝트수행과정에서봉착하는 Risk를 인지하고이에대한대안을수립하여프로젝트수행과정에서위험요인을제거하는모든활동을의미한다.

협력업체관리 프로젝트수행을위한개발, 구매, 발주 등을내부리소스가아닌외부리소스사용목적으로협력업체선정지원, (구매 및발주포함) 계약, 관리, 평가를포괄하는업무를협력업체관리라한다.

의사소통(프레젠테이션, 다양한비즈니스전반에걸쳐발생할수있는소통부족및장애를극복할수있도록지원하는기술로써,협상등) 기술 효과적인프레젠테이션방법, 협상기술, 체계적인문제해결프로세스등이이에속한다.

프로젝트관리툴프로젝트일정및프로젝트관리의기초에여러가지도구를활용하는기술로써, 대표적인것으로 MS Project가

관련기술있다. MS Project Tool을 활용하여프로젝트의범위, 일정, 원가, 자원을효과적으로계획할수있고, 수행에따른현황을체계적으로분석하고시종조치계획을수립할수있게도와주는기술이다.

SW공학기술 설명

SW공학

SW위기의문제점들을해결하기위한학문으로서, SW개발과정에공학적으로접근하여생산성을높이고개발된

SW의신뢰성을보장하기위한모든것을의미한다. SW의개발, 운 , 유지보수및소멸에대한체계적인접근

방식을나타낸학문이다.

프로세스관련모델

조직의전반적인수준을평가하는모델로써프로세스관련모델인 CMMI, SPICE등이많이채택되어진다. 이들

(CMMI, SPICE 등)

중 가장대표적인것으로 CMMI가 있다. 이전 CMM이 SW개발(SW-CMM) 부분에대한프로세스성숙도평가모델인데반해, CMMI는 SW는물론이고시스템, 서비스등에대한프로세스전반에걸친성숙도평가모델이다. 그리고 S/W 프로세스를심사하여개발과정을개선하고조직의능력을판정하여개발리스크를최소화하기위한프로세스평가표준인 ISO/IEC 15504 (SPICE)도 많이활용된다.

지식관리관련

조직이나기업의인적자원이축적하고있는개별적인지식을체계화하여공유하기위해사용되는기술이다.

기술

기업이나조직의지식을이용하기쉽게축적하여해당지식을기업의전략이나정책수립, 의사 결정에사용할수있도록적절한시간에, 적절한사람에게, 적절한지식을제공하기위해많은조직과기업들이지식관리시스템(KMS)형태로운 하고있다.

프로세스개선관련프로세스개선관련방법으로대표적인 6시그마는제조분야에서제품의품질을개선하기위해처음시작했으나

기술(6 시그마등)현재는제조, 연구, SW등다양한분야에서활용하는프로세스및품질수준을향상시키기위한문제해결방법이다. DMAIC, DFSS 등 다양한접근방법을활용할수있다.

Page 23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5

8. 품질관리

9. 정량적 관리

부 록 B

SW공학기술 설명

SW품질관리

SW품질관리란 SW가기술적요구사항을만족한다는믿음을제공하기위한계획적이고체계적인모든활동이며

(보증) 기술

고객과합의한요구사항을달성하기위한계획수립및관리하고제품또는서비스의질을향상시키는데필요한

기법과활동을포함하고있다. SW품질관리는품질관리접근법, SW공학기술(방법론과도구들), 정형 검토,

다단계테스팅전략수립, 변경 통제, 개발 표준절차보증, 측정과보고메커니즘을모두포함한다.

SW품질관리(보증) 기술이란이러한 SW 품질관리를위해서활용되는모든활동, 공학 기술등을포함한다.

동료검토관련기술

SW항목및개발과프로세스대한결함및개선사항을파악하기위하여해당작업산출물을동료가정해진절차에

따라검토하는행위로써동료검토를위한계획수립, 준비, 수행 및결과분석에사용되는모든기법및기술을

말한다.

결함관리개발과정에서발견된결함을수집, 분석하고결함정보공유를통한신속, 정확한결함조치를수행하며결함예방

활동을위한결함에대한기본데이터를제공하는활동을결함관리라한다.

SW신뢰성

IT 산업 활성화에따라 SW신뢰성문제가산업적중요성이더욱커지고있다. 특히 최근에자동차, 항공기등

융합 SW산업발전함에따라이러한산업에서는 S/W 오작동이나불시의작동중지등으로심각한결과를초래할

수있기때문에이러한시스템에서고도의 SW신뢰성확보가요구된다.

품질관리툴관련요구사항을만족시키기위한체계적인품질관리활동과관련하여활용되는도구및기술등을말한다. 대표적인

기술도구로써는 SW품질인증, 감리 등이고, 그 외 품질활동에활용되는관리도, 흐름도등을모두관련기술의범주에

포함할수있다.

SW공학기술 설명

SW SW관련현상, 특성, 결과를수치로표현하는활동이나프로세스

Measurement 측정대상을검사하고(활동, 프로세스) 그 결과를기록(숫자와그래프)으로남기는활동을말한다.

SW Metric

프로세스, 컴포넌트, 시스템속성이숫자로계량된측정항목(Measure)을 의미한다. 즉, 두 개 이상의

측정항목으로계산된복합적지표를의미한다. 예를 들면, 결함 도는결함수에규모(FP)를 나눈값(결함

수/규모)이며결함 도는품질의 Metrics의 일부가된다.

통계과학적근거측실제우리의관심사에대한정확한목표가설정되고, 필요한자료와정보가경제성및정 도를

고려하여최적한방법으로집단현상에대한구체적인양적기술을하는것을통계라한다.

데이터수집및복잡한통계또는 SW공학분석을개발하려는경우데이터(통계) 수집 및분석도구를사용하여많은시간과

통계툴관련기술단계를절약할수있으며정확도및효율성을높일수있다. 각 분석에데이터와매개변수등을활용하여결과

값을그래프, 테이블, 값 등으로표시할수있다. 대표적인도구로써 MiniTab 등이 있다.

Page 23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6

부록C. SW공학분야별요소기술현황및수요조사

주요 SW공학 역인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관리,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관리, 품질관리, 정량적 관리

등 9개분야에서활용되고있는 SW공학기술에대한현황과향후수요를 5점척도로조사하여분석.

■ SW공학기술 보유 및 수요 총괄 현황

국내기업에서현재가장필요로하는기술분야는프로젝트관리와테스트분야로각각 3.98점, 3.88점의 수요를보여줌.

반면에정량적관리는 3.11점으로상대적으로가장낮은수요를보임. SW공학모든분야에서 SW공학기술에대한향후수

요정도는현재수요정도보다좀더높게조사되었으며, 현재 수요정도도현재보유정도보다좀더높게나타남.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프로젝트관리

3.98

3.51 3.68 3.84 3.88

3.11

3.65 3.68 3.64

요구사항 분석/설계 구현 테스트 정량적관리 형상관리 품질관리 프로세스관리

4.5

4.0

3.5

3.0

2.5

2.0

1.5

1.0

0.5

0

< SW공학 주요 역별 현재 수요정도 - 종합 >

Page 23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7

● 요구사항 분야

요구사항에 관한 SW공학기술 중 현재 가장 필요한 기술은 요구공학과 의사소통 기술로 나타났으며, 각각 3.94점, 3.86점

을기록. 반면 IT투자성과평가는 3.03점으로가장낮음.

대체적으로요구사항관련기술의향후수요정도는현재수요정도보다좀더높게조사되었으나, 현재 보유정도는현재수

요정도에 훨씬 미치지 못함. 특히, 성과평가 관련 기술은 현재 보유정도와 수요정도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기술로 나타

났으며, 이는 대부분의 조직들이 요구사항 관련 SW공학기술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해당 SW공학기술의 보유정도

가낮다는것을의미함.

부 록 C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 요구사항 분야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요구공학

3.94 3.86 3.78 3.77 3.553.41

3.34 3.23 3.15 3.03

의사소통 Tool 도메인 SOA ISP BMㅖ 제품기획 EA 성과평가

4.5

4.0

3.5

3.0

2.5

2.0

1.5

1.0

0.5

0

Page 23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8

● 분석/설계 분야

분석/설계 단계에 적용되는 SW공학기술 중 현재 가장 필요한 기술은 데이터모델링 기술(4.01점)과 아키텍처 설계기술

(3.94점)로 조사되었다. 반면, 디자인패턴, 데이터구조론에관한기술은현재수요정도가가장낮음.

분석/설계를 위한 SW공학기술의 향후 수요정도는 대체적으로 현재 수요와 비슷한 비율로 좀 더 높게 조사되었으나, 현재

보유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에 미치지 못했으며, 특히 DBMS 관련 기술의 경우, 현재 수요정도는 3.81점이었으나, 현재 보

유정도는 2.44점으로그차이가가장크게나타남.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데이터모델링기술

아키텍처설계

DBMS관련기술

프로세스모델링기술

프레임워크 분석/설계툴관련기술

디자인패턴 데이터구조론

4.5

4.0

3.5

3.0

2.5

2.0

1.5

1.0

0.5

0

< 분석/설계 분야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4.013.94 3.81 3.73 3.67 3.62

3.33 3.29

Page 24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39

● 구현분야

구현 단계에 적용되는 SW공학기술 중 현재 가장 필요한 기술은 웹프로그래밍 기술(4.15점), 프로그램언어(4.13점), 그리고

SQL튜닝(4.02점)임. 반면 Tool, 정보보호에관한기술은 3.61점과 3.47점으로가장낮게나타남.

구현 관련 SW공학기술에 대한 현재 수요정도는 요구사항이나 분석/설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구현에 대한 SW공학

기술의향후수요정도는현재수요정도보다약간높게조사되었고, 현재보유정도는현재수요정도에훨씬미치지못함.

부 록 C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웹프로그램밍기술

4.15 4.134.02

3.933.89

3.733.67 3.61

3.47

프로그래밍언어 SQL튜닝 DB 디버깅 대용량DB DB튜닝 Tool 정보보호

4.4

4.2

4.0

3.8

3.6

3.4

3.2

3.0

< 구현분야의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Page 24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0

● 테스트 분야

SW공학기술 중 테스트 분야에서 현재 가장 필요한 기술은 Black-Box 테스트 기법(4.15점)과 코드인스펙션(3.97점)이고,

테스팅 툴 관련 기술은 현재 수요정도 뿐 아니라 향후 수요정도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 이는 테스팅 툴에 대한 활

용및인식이아직고전적테스트기법에대한활용에비하여상대적으로낮기때문임.

테스트에 대한 SW공학기술의 미래 수요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현재수요와 미래수요 간의 격차가 거의

나지 않음. 하지만 해당 기술의 현재 보유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와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필요한 기술의

수요정도가현재와향후에는변함이없겠지만, 현재 보유정도는많이떨어져있다는의미임.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4.2

4.1

4.0

3.9

3.8

3.7

3.6

3.5

3.4

3.3

< 테스트 분야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테스트기법(Black Box)

코드인스펙션 결함관리 테스트기법(White Box)

테스팅툴관련기술

4.15

3.97

3.87

3.77

3.64

Page 24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1

● 형상관리 분야

형상관리 분야에서 SW공학기술 중 현재 가장 필요한 기술은 변경관리(3.71점)와 형상관리 툴 관련기술(3.67점)이고, 형상

관리 기술은 3.58점으로 가장 낮음. 그러나 형상관리 분야에서 SW공학기술 들 간의 현재 수요정도는 상대적으로 다른 분

야에비해편차가적음.

형상관리에 대한 SW공학기술의 향후 수요정도는 현재 수요정도보다 좀 더 높게 조사되었고, 현재 보유정도는 현재 수요

정도에 미치지 못함. 특히 요구사항 추적에 관한 기술은 현재 보유정도와 현재 수요정도 차이가 가장 많이 남. 이는 많은

조직들이아직도코드나문서등의형상항목을관리하고무결성을유지하는활동에대한인식이낮기때문임.

부 록 C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3.75

3.70

3.65

3.60

3.55

3.50

< 형상관리 분야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변경관리 형상관리툴관련기술 요구사항추적성 형상관리

3.71

3.67

3.64

3.58

Page 24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2

● 프로젝트 관리 분야

프로젝트관리에적용되는 SW공학기술중현재가장필요한기술은일정/비용/범위에대한프로젝트관리기술(4.18점)과

협력업체관리기술(4.13점)이고, 프로젝트관리도구관련기술과제품기획기술이각각 3.81점, 3.66점으로가장낮음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SW공학기술의 향후 수요정도는 다른 분야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현재 수요정도보다 좀 더 높게 조

사되었고, 현재 보유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에 비해 낮음. 특히, 위험관리나 제품기획, 그리고 원가관리 기술은 필요한 정

도에비해가장낮게나타남.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프로젝트관리

4.18

4.13 4.12

4.054.01

3.99

3.83 3.81

3.66

협력업체관리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기술 위험관리 원가관리 견적 프로젝트관리도구

제품기획

4.3

4.2

4.1

4.0

3.9

3.8

3.7

3.6

3.5

3.4

<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Page 24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3

● 프로세스 분야

조직의 프로세스 관련 SW공학기술 중 현재 가장 필요한 기술은 CMMI/SPICE 등과 같은 프로세스 관련 모델 기술(3.76

점)과 지식관리관련기술(3.72점)로 조사. 반면, 프로세스관련툴에관한기술은 3.5점으로가장낮게나타남.

프로세스에 대한 SW공학기술의 향후 수요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와 비슷하거나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보유

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에 비해 상당히 낮음. 특히, 프로세스 툴 관련 기술과 지식관리 관련 기술은 필요한 정도에 비해 가

장낮은수준의기술을보유하고있음.

부 록 C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3.80

3.75

3.70

3.65

3.60

3.55

3.50

3.45

3.40

< 프로세스 분야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프로세스관련모델 지식관리관련기술 프로세스개선관련기술 프로세스툴관련기술

3.76

3.72

3.573.5

Page 24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4

● 품질관리

품질관리에적용되는 SW공학기술중현재가장필요한기술은품질관리기술(3.86점)로 조사 되었으며, 그 다음으로결함

관리, SW신뢰성으로나타남. 반면, 품질관리툴관련기술은 3.51점으로가장낮음.

품질관리를 위한 SW공학기술의 향후 수요정도는 대체적으로 현재 수요와 비슷한 비율로 좀 더 높게 조사되었으나, 현재

보유정도는 현재 수요정도에 미치지 못함. 특히 품질관리 도구의 경우, 현재 수요정도는 3.65점이었으나, 현재 보유정도는

2.42점으로그차이가가장크게나타남.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3.9

3.8

3.7

3.6

3.5

3.4

3.3

< 품질관리 분야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품질관리기술

결함관리 동료검토 SW신뢰성 품질관리툴관련기술

3.86

3.72

3.683.63

3.51

Page 24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5

● 정량적 관리

정량적관리분야의 SW공학기술중현재가장필요한기술은 SW Metric(3.14점)이었으며, 통계 기술은 3.07점으로가장

낮은것으로나타남. 이는다른분야의기술수요정도에비해상대적으로낮은점수임.

정량적 관리의 기술에 대한 현재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1점대 전체 SW공학기술 역에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이는 아직 많은 조직들이 정량적 관리의 필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를 인식하더라도 실제 운 할

능력을갖추지못하는조직이많음을의미

부 록 C

[ 현재 수요정도 VS 현재 보유정도 ] [ 현재 수요정도 VS 향후 수요정도 ]

3.16

3.14

3.12

3.10

3.08

3.06

3.04

3.02

< 정량적 관리를 위한 SW공학기술 현재 수요정도 >

SW Metric 데이터수집및통계툴관련기술 통계

3.14

3.11

3.07

Page 24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부 록 D

246

부록D. 데이터항목정의요약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데이터 항목(2009년)

제품및서비스내용 ①IT서비스②Embedded ③Package ④DC(Digital Contents) ⑤기타

Application. 유형 N/A

개발유형 ①신규개발②재개발③성능개선(고도화) ④기타

개발플랫폼 N/A

실행플랫폼 N/A

이행형태 ①단독②컨소시엄③하도급④기타

SDLC 모델 ①폭포수모형②나선형모형③프로토타입④기타

아키텍처 N/A

단계별도구사용 기입식

개발방법론 ①정보공학방법론②객체지향방법론③CBD방법론④Agile방법론⑤임베디드개발방법론⑥기타

계약방식 ①경쟁입찰②제한경쟁입찰③수의계약④기타

사용언어 기입식

금액산정방식 N/A

규모측정방식 ①FP ②SLOC ③기타

프로젝트수행역할 ①프로젝트관리자②PMO ③분석/설계자④개발자⑤테스터⑥QA ⑦형상관리자⑧DBA ⑨아키텍트

테스트종류 ①단위테스트②통합테스트③시스템테스트④인수테스트

시스템 open후 구분 인도후 3개월

결함심각도 N/A

개발단계 ①분석②설계③구현④테스트⑤이행(안정화)

회사규모 ①대기업②중소기업③공공(정부기관, 공사, 연구소등)

매출액규모 기입식

회사년수 기입식

인력규모 기입식

품질인증 ①SPICE ②CMMI ③SW프로세스인증제도④ISO9000 ⑤기타

Page 24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7

부록E. SW공학표준커리큘럼

1. SW공학커리큘럼 개요

■ 개발 필요성

SW프로젝트의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등에따른납기지연, 비용초과, 품질저하등프로젝트수행에많은문제점이

발생되었고이러한 문제해결을위해 SW공학의필요성이증대됨

SW공학의 중요성을 인식한 주요국에서는 SW공학지식체계, SW공학교육가이드 및 다양한 형태의 SW공학교육을

제공중이나,

국내에서는 전문SW공학교육훈련기관 부재와 산업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공학가이드 부재로 현장인력의 SW공학 지

식, 스킬향상을위한체계적인 SW공학가이드, 교육커리큘럼개발보급이필요

■ 개발목적

SW개발현장에서 SW품질 및 SW개발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SW개발인력, PM, 아키텍트, 품질관리자 등이

참조할수가이드제공및기업교육훈련담당자의 SW인력의공학역량강화프로그램개발운 시참조자료제공

대학 및 교육훈련기관에서 체계적인 SW공학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육기관 종사들의 교육과정개발 및 운 참

조자료제공

SW산업 및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SW공학관련 지식, 스킬체계, 교육훈련체계 마련 및 공급으로 SW기업, SW

인력경쟁력제고기여

부 록 E

※미국의 경우 SWEBOK(SW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 SEEK(SW Engineering Education Body of

Knowledge), 이러닝교육등개발보급

Page 24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8

2. 개발내용

SW공학을 9개 지식 역으로 구분하고 분야별 필요지식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식분야별 SW공학 표준커리큘럼과

표준커리큘럼을활용한 SW공학전문분야별학습트랙을개발

< SW공학표준커리큘럼 산출물별 연관관계 >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Page 25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49

■ SW공학지식리스트

SW공학지식 역을 9개분야로분류, 해당지식 역의학습에필요한지식을정리

즉, 각 지식 역별로해당지식 역을이해하기위해필요한기본개념, 프로세스, 관련 기법, 도구 및이슈등을정리

부 록 E

SW요구분석

SW설계

SW구현

SW테스트

SW유지보수진화

SW형상관리

SW프로젝트관리

SW프로세스

SW품질

SW공학지식리스트

지식 역 단위주제 지식항목 상세항목요구사항정의

1.1.1 요구사항개요 좋은요구사항의조건요구사항의특성

1.1.2 일반적인요구사항의계층과형태분류 요구사항의구분및예1.1.3 요구사항패턴에의한분류 요구사항패턴, 패턴 카탈로그1.1.4 SW 요구사항과관련된이해당사자 이해당사자1.1.5 요구사항개발프로세스표준 Robertson, SEPO, DOE

주제 역정하기1.2.1 프로젝트범위정의 업무배경모델링

Context Diagram1.2.2 이해당사자식별및관점인식 이행당사자및관점1.2.3 SW 요구공학업무환경구축 요구공학팀및의사소통체계1.2.4 위험 및제약사항정의 위험, 비용, 및 일정1.2.5 프로젝트타당성결정 타당성평가항목1.3.1 요구사항추출시고려사항 요구사항추출시고려사항1.3.2 요구사항추출프로세스 요구사항추출프로세스

1.4 요구사항분석 1.4.1 요구사항분석프로세스 모델링, 협상1.5.1 요구사항명세프로세스 명세기준정의, 명세서작성

1.5.2 요구사항명세형식 IEEE std 830-1998TTA SW 요구사항명세표준

1.6.1 요구사항검증프로세스 검증절차

1.6.2 요구사항검증체크리스트 요구사항문서검증개발요구사항검증

1.6.3 요구사항검토프로세스 수행절차및검토기법

1.6.4 요구사항검증기타방법 프로토타이핑테스트케이스생성

1.7.1 요구사항변경제어 요구사항변경요인요구사항변경프로세스

1.7.2 요구사항추적제어 추적매트릭스, 추적형태1.7.3 요구사항형상제어 요구사항의형상관리1.7.4 요구사항관리도구 도구의기능, 선정기준

1.8.1 요구사항추출기법 인터뷰, 프로토타이핑추출기법선정시고려사항

1.8.2 요구사항분석기법 모델링, 유즈케이스우선순위결정, 요구사항협상요구사항명세서, 텍스트모델

1.8.3 요구사항명세방법 유즈케이스및그래픽모델정형모델

1.2 요구사항정의계획

1.7 요구사항관리

1.8 요구사항분석관련기법

1.6 요구사항검증

1.5 요구사항명세

1.3 요구사항정의

1.1 SW 요구분석및요구공학개념

SW요구분석

Page 25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0

■ SW공학표준커리큘럼

SW공학 9개 지식분야별교육과정을제시하며전산업에적용가능한범용적인 SW공학교육가이드제공하며, 과목

수준은 3단계로구분함(Bloom's Taxonomy 차용)

SW공학 지식분야별 초급, 중급, 고급 3단계로 구분하여 SW공학전체를 보여주는 교육과정체계도와 분야와 수준에

해당하는세부과목별교육훈련내용이담긴 26개 과목개요서제공

< SW공학 분야별 교육훈련체계도>

< 표준커리큘럼 교육과정 수준개념 >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표준 SW공학 커리큘럼 계층 구조 Bloom’s Taxonomy

A [ Application ]- 개념을특정상황에적용할수있는수준

Advanced Course : 이전 과정들의지식을통합하고

실무에활용할수있도록하는과정

Intermediate Course : 고급과정을학습하기위해

필요한개념, 원칙, 이론에대한이해심화과정

Introductory Course : SW공학전반의기존적인

지식에대한이해를위한과정

L3

L3

L3

C [ Comprehension ]- 개념을설명할수있을정도로이해하는수준

R [ Recall ]- 개념에대한정보를기억하는수준

Page 25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1

■ 표준커리큘럼활용 SW공학전문가 학습 Track

5개 전문분야 직무별 수행과업(대분류, 중분류), 필요지식?스킬 및 직무수행역량향상을 위한 SW공학 학습순서 및 과목

을제시함.

1. SW개발자

2. 프로젝트관리전문가(PM)

3. SW 아키텍처전문가

4. SW 테스트전문가

5. SW 품질전문가

< 전문직무 지식·스킬 및 학습트랙 >

부 록 E

수행 과업 지식 & 스킬대분류 과업 중분류 과업 필요지식 필요스킬

1.품질관리

품질관리기획

품질관리동향파악및

분석

품질요구사항

정의및관리

품질평가

품질통제및개선

2. 표준화관리

표준화관리체계구축

협상관리

표준화관리및개선

PMP, CMMI 등과 같은표준화프로세스관리방법등활용방벙.품질보증및감사프로세스에관한이해기술종합분석기법전략분석방법등SW 품질관리계획수립방법등현황분석방법SW 품질직접방법등요구공학

문제해결방법등(이슈드리, Flashbone 등)망점분석방법등(SWOT, Position 등)요구사항분석방법론요구사항추적관리기법주요기술 역에대한이해프로젝트관리에관한이해SW 품질평가방법론SW 품질추적방법SW 품질유지방법론품질개선전략수립방법등SW표준화체계구축방법등조직구성이동프로세스관리방법프로세스개선방법론프로젝트관리기법SW공학SW라이프사이클에대한이해조직내개발프로세스에대한이해협상관리방법등etc

품질 요구사항분석품질관리계획수립품질관리동향분석품질평가품질관리표준화체계수립표준화관리협상관리개인/조직성과장려프로젝트장려산업및동향에대한이해커뮤니케이션협상/설득etc

SW공학기초

▶ ▶

SW

요구분석

SW아키텍처실무

SW

설계

SW

모일링실무

HCI

설계

SW

구현

임베디드SW설계

SW

품질

Page 25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2

부록F. 유형별상세구분설명

1. 공급자 유형별

2. 개발 유형별

3. 참여 형태별

4. 계약 방식별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비고

IT 서비스정보시스템에대한기획, 구축, 운용 등모든과정상에서비스를제공한업종으로써 IT컨설팅, SI, 운 및

유지보수등을포함

임베디드 SW산업기기나가전제품등에내장된 SW로써가전, 휴대폰, 전자기기, 항공기, 차량 등의산업에 HW를제외한

내장된 SW

패키지 SW이용도가높은프로그램상품으로제공하는 SW로써, 재무, 생산관리등의응용패키지 SW와연산에관련된

기능을수행하는시스템패키지등을모두포함

구분 비고

신규개발 새로운시스템및기능을구현하는개발형태

재개발 기존의시스템및기능을전반적으로다시개발하는형태

성능개선 기존시스템의기능을개선하는개발형태

구분 비고

단독 계약한조직이타기업의참여없이계약범위의제품을단독으로개발하는형태

컨소시엄 여러기업이나조직이각자의강점을특화하여공동으로프로젝트에참여하는형태

하도급일정프로젝트에참여하는업체가납품제품에대하여일부제품, 파트, 인력 등에대하여다른기업에

도급을다시주는형태

구분 비고

경쟁입찰 경쟁입찰을통해따라계약상대자를선정하여이루어지는방식

제한경쟁입찰회사규모, 기술, 지역 등의제한적요소를선정하여이에합당한조직(개인)만이입찰에참가하여경쟁할수있는방식

수의계약 경쟁이나입찰없이임의로계약상대자를선택하여맺는방식

자체개발 SW제품을내부자원을활용하여자체적으로개발하는방식

Page 25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3

5. 품질인증 획득 여부별

6. 외주 정도별

7. 고객 참여 여부별

8. 개발 생명주기별

부 록 F

구분 비고

품질인증기업 CMMI, SPICE, SP품질인증제도에대한인증을획득한기업

품질미인증기업 CMMI, SPICE, SP품질인증제도에대한인증을획득하지못한기업

구분 비고

외주미사용 프로젝트관련총투입인력 MM 중 외주MM가차지하는비율이 0%

외주 50% 미만 프로젝트관련총투입인력 MM 중 외주MM가차지하는비율이 50% 미만

외주 50% 이상 프로젝트관련총투입인력 MM 중 외주MM가차지하는비율이 50% 이상

구분 비고

고객참여 고객이검토나테스트등의활동을수행하는프로젝트

고객미참여 고객참여가없는프로젝트

구분 비고

폭포수모형 고전적라이프사이클패러다임으로분석, 설계, 개발 구현, 시험, 유지보수를순차적으로접근하는생명주기모형

나선형모형시스템을개발하면서생기는위험을관리하고최소화하기위해점진적으로시스템을개발하는형식으로계획화

→위험성분석→공학화→고객평가등의과정을거치는생명주기모형

프로토타입 개발대상인시스템주요기능을초기에운 모형으로개발하는점진적개발모형

사용않음 위의생명주기모형을사용하지않고 ad-hoc형태로개발

Page 25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4

9. 개발 방법론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구분 비고

정보공학정보시스템계획수립, 분석, 설계, 구축에정형화된기법들을상호연관성있게통합/적용하는데이터중심

방법론

객체지향요구분석, 설계, 구현, 시험 등의 SW 생명주기에객체지향개념을접목시켜일관된모델을가지고 SW를

개발하는방법론

CBD 컴포넌트단위의개발/조립/유지보수를통해타시스템과의호환성을강조하는개발방법론

Agile다양한변화를수용하고대응할수있게만든개발방법론으로써, 문서에대한부담을줄이면서변화에쉽게

대응하며고객의입장에초점을맞춘개발방법론

임베디드 임베디드 SW개발을목적으로한개발방법론

사용않음 위의개발방법론의활용없이 ad-hoc 형태로개발

Page 256: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5

부록G. SW제품결함현황

■ 개요

SW 시험인증을 받은 SW제품의 규모를 산정하기 위해, 해당 제품에서 제시되고 있는 주요 기능을 분해하여 기능점

수(Function Point)를 산정한후결함 도를분석함

SW시험사례의분류는아래의표와같이 12가지로분류되고총 213개의 SW시험사례를대상으로분석

부 록 G

구분 내용

학교의각종콘텐츠를서비스및관리하기위한교수학습시스템이나한자학습용프로그램, 강의 내용을교육용 SW 교육용콘텐츠로제작, 상황별(광장, 학교, 체육관, 터미널, 비즈니스존, 쇼핑센터, 문화센터, 푸드코드) 어단어,

어대화, 퀴즈를통해 어회화를학습하는 어교육용프로그램등의기능을수행

제조업체와협력업체간의일괄적인물류관리방법을제공하기위한공급망관리솔루션이나조직내등록된다양한기업용 SW 정보(노하우, 법령, 규정등)를관리하는지식관리프로그램, 기업내의전자우편, 전자결재, 데이터베이스등을결합하여

서류작성, 결재, 문서보관등의업무를전사적으로처리할수있게해주는그룹웨어프로그램기능을수행

데이터베이스 DBMS 상에공간자료들을저장, 관리하고사용자가그자료들에접근할수있도록해주는공간데이터엔진이나LDAPSW (Ligh 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형식의 DB를 실시간모니터링및관리하는솔루션등의기능을수행

디지털콘텐츠 SW지적문서의이미지및데이터를관리하기위한프로그램이나유치원홈페이지구축및관리솔루션, 손쉽게홈페이지를구축하고운 할수있게해주는웹페이지저작솔루션등의기능을수행

웹과기업의웹기반기간시스템사이에위치하면서웹기반분산시스템개발을도와주고안정적인트랜잭션처리를미들웨어 SW 보장해주는미들웨어소프트웨어나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 웹 페이지등으로부터텍스트를추출하여색인

데이터베이스를구축하고, 사용자가원하는검색어에대한데이터를제공하는검색엔진프로그램등의기능을수행

서버및데스크탑에존재하는컴퓨터바이러스와스파이웨어를탐지하고제거하기위한안티바이러스/보안용 SW 스파이웨어프로그램, 스팸 메일을자동으로분석하고판단함으로써대량의스팸메일로부터내부메일시스템을

보호하는프로그램, 개인 PC의정보유출을방지하는온라인 PC 방화벽프로그램등의기능을수행

기업내부의서버및네트워크장비를통합적으로관리하는 EMS(Enterprise Management System) 솔루션이나, 시스템관리소프트웨어 웹애플리케이션서버(WAS : Web Application Server)의 서비스및자원사용률에대한성능을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성능관리(APM :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프로그램등의기능

컴퓨터의가동과함께핵심부(Kernel)가 주기억장치에올려져컴퓨터를작동시키고하드웨어및소프트웨어를운 체제 관리하여응용프로그램이효율적으로실행될수있는환경을제공하는 32bit 및 64bit 서버용리눅스운 체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와소프트웨어를구동및관리하여응용프로그램과서비스가효율적으로실행될수있는환경을제공하는

32bit 및 64bit 서버용리눅스운 체제등의기능을수행

웹서비스인터넷상의저장공간에사용자가파일을저장, 공유 및백업 할수있도록지원하는웹디스크솔루션, 웹서비스소프트웨어 인터넷을기반으로 상통화를하기위한인터넷폰(VoIP) 솔루션, 웹상에서정형또는비정형화된양식을

배포하여, 양식에맞게데이터를취합하고, 취합된문서를공유할수있도록지원하는프로그램등의기능을수행

유틸리티 하드디스크상의데이터를 구삭제하는프로그램, 학교 및기업내에서사용자간실시간으로메시지와파일을소프트웨어 주고받을수있도록지원하는메신저프로그램, 다양한압축포맷을지원하는파일압축소프트웨어등의기능을수행

프로그램개발 UML2.0 모델링언어를통해시스템개발분석·설계를수행하는 UML 모델링도구, C 언어로작성된관련 소스코드를대상으로소스코드를실행하지않고예상되는소스코드상의결함을검출하는정적소스코드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기업용 SW를개발하기위한오픈소스기반의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등의기능을수행

공간데이터구축및관리와다양한 GIS 응용 프로그램개발이가능한개발컴포넌트프로그램이나공간데이터를GIS 소프트웨어 저장하고공간연산함수를제공하는 GIS엔진, 개발자가공간데이터를 3차원으로모델링하여, GIS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할수있도록도와주는COM(Component Object Model) 기반의GIS 개발컴포넌트라이브러리등의기능을수행

Page 257: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6

부록H. 비용절감비율공식도출하기

다음의 은“Chapter 7 - Appendix B - Deriving the Percentage Cost Saving Equation, 69p-71p (ISBSG, The

Benchmark Release 8)”의 내용을번역한내용을요약정리한것임을밝혀둔다.

운 결함 도(Delivered defects)의 비용을 평가하는 공식은 다른 제품 대비 해당 제품의“구매 후 비용절감 비율

(percentage post-purchase cost savings)”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객이 보다 좋은 품질의 SW를 구매함으로써

발생하는비용절감을추정하기위한모델을끌어낼수있다. 두 판매자로부터두제품을선택한고객의경우를시나리오로

한다. 그 제품들은같은기능을수행하는것으로한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가정이 필요하며, 충분한 벤치마킹 데이터들이 있고,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우리

가 택한 접근방식은 보수적인 가정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 가정들은 최상의 품질에는 미치지 못하는 품질에 대한 비용

절감을추정하는결과를가져올것이다. 이것이일명“lower bound model”이라고할수있다.

고객이한 SW제품을구매한비용인 post-purchase cost는 다음과같다.

같은 기능을 수행(FP가 같음)하는 두 종류의 제품(A, B)이 있다고 하자. A가 B보다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다(A의 결함

도가 B보다 낮다)고 가정하자. 이 두 제품의 규모는 같으며,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고객은 이 두 제품을 선택할

수있다. 이럴 경우고객이 B제품대신 A제품을사용함으로써발생하는비용절감은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Q : 결함 도를기반으로정의된제품의품질. 결함 도는 FP당 릴리즈이후에발견된결함수를의미

● S : 제품의규모 (FP)

● C : 고객의“결함처리비용”으로주로설치와구매후발생하는문제에기인한다.

● P : 고객이발견한결함의비율. 예를들면 P가 0.01이면, 이것은한고객이해당 SW에서발견할수있는모든결함의

1%를발견할수있다는의미임

고객비용 = Q × S × C × P ------------------------------------- (등식 1)

고객비용 = × 100 --------------------------- (등식 2)[ 고객비용B ]- [ 고객비용A ]

고객비용B

Page 258: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7

부 록 H예를 들면 비용절감 비율이 20%라고 한다면, 이는 한 고객이 A제품을 구매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installation and

post purchase costs)이 B제품을구매함으로써발생하는비용보다 20%가적게든다는것을의미한다.

동일한 기능을수행하는시스템을선택한다는가정을했기때문에제품 A와 B의 규모도같다. 그래서 비용절감비율등식

은다음과같다.

등식 3은 아래와같이단순화된다.

제품 B가 A보다결함이많기때문에다음수식 5가성립하게된다.

이는다시 [등식6]이 된다.

그래서, 우리가다음식을사용한다면, 우리는사실비용절감비율을위한하한선(lower bound)을 계산한것이다.

절감비율 = × 100 ---------------------- (등식 3)[ QB × CB × PB ]- [ QA × CA × PA ]

QB × CB × PB

절감비율 = ( 1 - ) × 100 ------------------------------ (등식 4)QA × CA × PAQB × CB × PB

● PA : 고객이제품 A에서발견한결함비율

● PB : 고객이제품 B에서발견한결함비율

( 1 - ) ( 1 - ) ----------------------------- (등식 6)QA × CA

QB × CB

QA × PA × CA

QB × PB × CB

( 1 - ) ----------------------------------------- (등식 7)QA × CA

QB × CB

PB PA ---------------------------------------------- (등식 5)

Page 259: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8

[등식7]의“C (결함 당비용)”은 두가지요소(완화비용, 회피비용)로 구성되며그내용은다음과같다.

① 완화비용(mitigation costs) : 결함 발생으로인해생길수있는비용

②회피비용(avoidance costs) : 설치비용및과다한(redundant) 시스템비용

고객들의 완화비용은 결함 감소와 선형 관계(linearly proportional)에 있다는 것은 증명된 사실이다. 이는 결함 수가 감소

할수록고객비용(완화비용)은 비례하게감소한다는것을의미한다. 그래서완화비용은상수로처리한다. (Ca = Cb)

그러나 회피비용은 결함과는 비선형(non-linearly) 관계에 있다. 사실, 많은 경우 결함수가 0에 가까워질 때까지 감소된

결함의 혜택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록 과다한(redundant)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결함이 있어도 회피비용이 발

생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하나의 결함일지라도 전체 시스템을 멈추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일부 고객의 비

용은 SW제품에 결함 수가 0이라 할지라도 회피비용은 없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설치비용은 결함수와 상관없이 항상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왜냐하면 새로운 SW와 결합하는 레거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는 버그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

이다. 그래서 이 회피비용과관련해서“결함수가감소된다하더라도이감소된결함은고객에 항을미치지못한다.”(결

함 수가 0이어야지만 회피비용이 생기지 않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결함 도는 0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는 보수적인

가정을하 다. 그래서여기모델에서 [등식7]의“C”는완화비용만포함된다.

최근 수집된 데이터들로 인해 우리는“구매 후 고객비용의 75%는 완화비용이고 나머지 25%는 회피비용이다.53)”라는 또

다른 보수적인 가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SW의 결함이 거의 없는 경우에라도 25%의 구매 후 비용(회피비용)이 발

생한다는것을의미한다.

여기서 한 보수적인 가정을 설명하기 위해 NIST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제조 분야의 결함 당 비용은 평균

4,018,588 (미 달러)이며각회사당설치, 승인, 유지보수, 그리고과다한시스템비용의합계는 258,213 (미 달러)이다. 만

약 1년에 40개의 심각한(major) 결함이 발생한다고 하면 완화비용은 사실상 회피비용에 비해 굉장히 큰 액수가 될 수 있

다. 그래서만약고객비용의 75%가결함감소에따라줄어들수있는완화비용이라고한다면, [등식8]은 다음과같다.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절감비율 = × 100 × 0.75 = ( 1 - ) × 75 ----------------------- (등식 8)QB - QA

QB

QA

QB

53) RTI, “The Economic Impact of Inadequate Infrastructure for Software Testing”Technical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 U.S.Department of Commerce, 2002.

Page 260: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59

부 록 H이는 개선된 품질로부터 발생하는 구매 후 비용절감에 대한 하한선(lower bound)을 제공한다. [등식8] 관련 흥미로운 사

실 2가지가 있다. 첫째, 실제로 와 에 대해 비교 가능한 수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 와 가 가시적으로 존재하지 않다

하더라도 블랙박스 기술(black-box technique)을 사용하여 그 비율을 추정하는 가시적인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모델이 실용적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몇 가지 사항을 가정할 때의 과도한 보수성은 고객의 품질비용과 관련하여 내

릴수있는결론을희석시키지않을것이다.

Page 261: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260

참고문헌

●고석하, 홍정유, SW 프로젝트관리, 생능출판사, 2010

●권기덕, “스마트폰이IT시장에미치는 향”, SERI, 2009

●윤청, “패러다임전환을통한SW공학”, 생능출판사, 2009

●유지은, 정제호, “스마트폰시대의SW 해외진출전략연구”, NIPA, 2009

●최은만, 소프트웨어공학론, 정익사, 2007

●한국SW진흥원(舊), SW산업발전을위한SW공학정책로드맵, 200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조사분석보고서, 2010

●한혁수, SW공학의소개, 홍릉과학출판사, 2007

●NIPA, SWOutlook, 2009

●NIPA, SW인력현황조사, 2008

●A. Alain, et al. Guide to the “Software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 (SWEBOK), IEEE Computer Society, 2004

●Brooks, No silver bullet: Essence and accidents of software engineering. IEEE Computer, 1987

●B. Boehm, “A view of 20th and 21st century software engineering,”In ICSE ’06: Proceedings of the 2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2006, pp. 12-29.

●B. Boehm, R. Turner, “Balancing Agility and Discipline: Evaluating and Integrating Agile and Plan-Driven Methods,”

in ICSE '04 Proceedings of 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2004

●C. Jones, SW Assessments, Benchmarks, and Best Practices, Addison Wesley, 2000

●C. Jones, "Software Quality in 2010: A Survey of The State of Art" 2009. 12

(http://www.sqgne.org/presentations/2010-11/Jones-Nov-2010.pdf)

● I. Sommerville, Software Engineering, Addison Wesley, 2008

● IEEE, Software Body of Knwledge, 2004

●IEEE, IEEE 610, Standard Glossary of Software Engineering Terminology, 1990

● ISBSG, The Benchmark Release 11, 2010

● ISBSG, The Benchmark, Release 8, 2004

●SEI, List of Published SCAMPI Appraisal Results, 2010

●SEI, TSP(Team SWProcess) Work Book

●S. T. Knox, “Modeling the Cost of. Software Quality,”Digital Technical. Journal, Vol. 5, No. 4, 1993, pp. 9-16.

●VDC, “Embedded Processors-2008 Global Market Demand Analysis”, VDC Research Group, 2008.

●W. W. Royce. Managing the development of large software systems: Concepts and techniques. In Proc. WESCON, 1970

참고문헌

Page 262: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집필 및 검수위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SW공학센터는 SW품질경쟁력강화와 SW개발생산성향상을위해관련정책수립및연구수행추진

(우 : 121-795) 서울시마포구상암동길 240 누리꿈스퀘어연구개발타워 13층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TEL. 02-2132-1312 FAX. 02-2132-1358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http://www.nipa.kr

SW공학센터 : http://www.software.or.kr

┃집필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이 상 은센터장

이 재 덕팀장

김 승 권수석

디자인 및 편집 / 인쇄

디엔비 / 삼신인쇄TEL. 02-2285-6477 FAX. 02-2285-6540

Page 263: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Page 264: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센터장 이상은 | 팀장 이재덕 | 수석 김승권

「SW공학백서 2013」은

국내 SW산업의 경쟁력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내 주요 SW기업의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본 자료를 활용할 때에는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age 265: kosta.or.krTranslate this pagekosta.or.kr/mail/2013/KOSTA/download/2013_SW_Engineering.pdf · 2015-06-01kost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