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요약서】 【요약】 건축물 주위 밝기 변화에 따라 조명 기구의 밝기를 조절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 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조명 기구는 건축물 내에 설치된다. 메모리는 상기 조명 기구의 기준 조도를 저장한다. 조도 센서는 상기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재 조 도를 감지한다. 영상 데이터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 기구를 온/오프 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 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로부터 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조명 기구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대표도】 도 1 【색인어】 조명 시스템 1/18

M04 5398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M04 5398

【요약서】

【요약】

건축물 주위 밝기 변화에 따라 조명 기구의 밝기를 조절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

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조명 기구는 건축물 내에 설치된다. 메모리는 상기 조명 기구의 기준 조도를 저장한다.

조도 센서는 상기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재 조

도를 감지한다. 영상 데이터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 기구를 온/오프 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

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로부터

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조명 기구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대표도】

도 1

【색인어】

조명 시스템

1/18

Page 2: M04 5398

【명세서】

【발명의 명칭】

건축물 조명 시스템{BUILDING LIGHTING SYSTEM}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제공부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조명 기구 100: 제어 서버

200: 입력 장치 210: PC

220: 리모콘 230: 무선 단말기

300: 제어기 310: 인터페이스 장치

311: 유선 인터페이스부 312: 적외선 인터페이스부

313: 무선 인터페이스부 320: 메모리

400: 조도 센서 500: 영상 제공부

502: 카메라 504: 이미지 센서

2/18

Page 3: M04 5398

506: 송신기 600: 전원 공급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건축물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

망을 이용하여 영상 제공부에 의해 원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구조물(빌

딩) 주위의 조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감지신호에 대한 조명 기구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에는 수명이 길고 전기 사용료가 저렴하며 효용 범위가 넓

은 엘이디 조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이러한 엘이디 조명은 자체

소비전력이 5W 미만이므로 전기 사용료를 80~90% 절감할 수 있으며, 수명은 반영구

적이기 때문에 처음 구입하고자 할 때는 경제적 부담을 느끼지만 장기적 사용 시에는

이용 가치가 크다.

현재 이러한 엘이디 조명은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고층의 현관 로비, 백화

점 내 간접 조명 등과 같이 교체가 어렵거나 장시간 사용해야 하는 특수 장소와, 상점

이나 빌딩 등과 같은 인테리어의 직/간접 조명, 곡각 지점의 직/간접조명, 귀금속, 화장

3/18

Page 4: M04 5398

품 등의 쇼우 케이스(Show Case) 내부 조명, 각종 무대 장치, 박물관 전시회장의 조명,

건물 또는 교량 경관 조명, 및 간판 조명 등과 같은 구조물 및 빌딩에 적용되어 사용 되

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엘이디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가 조명을 온 시키고자 할

때 주위의 조도 변화에 상관없이 동일한 밝기로 조명하여, 조도 변화에 따라 적합한 밝

기의 조명을 할 수 없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주위 밝기 변화에 따라 조명 기구의 밝기를 조절 가능하고 사

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을 제공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도 조절 및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외부의 제어 서

버와 조명 기기간의 무선화를 통하여 수행함으로 사용상 용이성을 더욱 배가 시키고

지저분한 배선으로 인한 사고 위험성이나 미관상의 불쾌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엘

이디를 이용한 건축물 조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조명 시스템은 건축물 내

4/18

Page 5: M04 5398

에 설치된 조명 기구; 상기 조명 기구의 기준 조도를 저장하는 메모리;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용자

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

명 기구를 온/오프 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로부터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조

명 기구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조명 기구의 내부에 내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

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

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조명 시스템은 또한 조명 기구; 상기 조명 기구에 대하

여 원격지에 위치하며, 시스템 운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령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

는 제어 서버;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의 상기 조명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입력 장치;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

5/18

Page 6: M04 5398

라 달라지는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

공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 및 건축물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 장치와 유/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의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 기구를 온/오프

시키고, 기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

부로부터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조명 기구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6/18

Page 7: M04 5398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조명 시스템은, 제어 서버(100), 입력 장치(200), 메모리

(320), 제어기(300), 조도 센서(400), 및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 서버(100)는 원격지에 위치하며, 시스템 운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령을 통

신망을 통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제어 서버(100)는 여러 개의 사업장을 운용하는 본

사 또는 제 3 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서버(100)는 여러 개의 사업

장을 운영하는 본사 또는 제 3 의 장소에 위치하여, 시스템 운용자가 조명 온/오프 또는

색상 변환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력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

할을 한다.

상기 통신망은 유선 인터넷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며, 상기 컴퓨터(210)

및 무선 단말기(230)와의 접속을 위한 수단으로서, 초고속 정보 통신망, 위성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 등 네트워크의 특징과 상관없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200)는 상기 제어 서버(100)로부터의 상기 조명 온/오프 명령을 수신

하고 그에 따른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입력 장치(200)는 각 사업장(예를 들면, 구조물 또는 빌딩 내부)에 위치하

7/18

Page 8: M04 5398

여, 원격지의 상기 제어 서버(1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조명 온/오프 제어신호 또는

색상 변환 명령어를 수신하거나, 현장 관리자가 리모콘(220)을 통해 직접 입력한 조명

온/오프 제어신호 또는 색상 변환 명령어 관련 신호를 수신 하면, 이를 상기 제어기

(3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입력 장치(200)는 상기 원격지의 제어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210) 및 무선 단말기(220), 또는 리모콘(230) 등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

하다. 상기 무선 단말기(220)는 무선 인터넷용 노트북,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

(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Radio Frequency) 및 초 광대역 통신(UWB)의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210)는, 도면상에는 1 대로 도시 되어 있지만, 위치 및 거리

상 인접하여 근거리 통신망(예를 들면, LAN)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전산상 방화벽이 구

축된 기업(관공서, 단체) 등의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특정한 엘

이디 조명을 관리 및 제어하는 그룹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엘이디 조

명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표시방법, 수정, 삭제 등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상기 제어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 (3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하의 실시 예에서, 정보 데이터 신호는 메시지의 표시방법, 수정, 삭제 등의 효율적인

8/18

Page 9: M04 5398

관리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신호 또는 색상 변환 명령

어 관련 신호를 망라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310)는 상기 입력 장치(200)로부터 상기 정보 데

이터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수신하면 이를 상기 제어기(300)로 출력하는 역할

을 하며, RS-232C, RS422, RS485 또는 USB 동글 방식을 통해 상기 입력 장치(200)

와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부(311), 적외선 근거리 통신 방식

을 통해 상기 입력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외선 인터페이스부

(312), 및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Radio

Frequency) 및 초 광대역 통신(UWB)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입력 장치(200)와

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무선 통식 방식을 이용할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230)는 시스템 운영자

또는 구조물(빌딩) 내의 현장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용 프로

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313)를 거쳐 상기 제어기(300)로 전

송한다.

상기 메모리(320)는 건축물 내에 설치된 조명 기구의 기준 조도를 저장한다. 조

도 센서(400)는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재 조도

9/18

Page 10: M04 5398

를 감지한다. 상기 조도 센서(400)는 상기 조명 기구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제공부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는 카메라(502), 이미지 센서(504), 및 송신기

(506)를 포함한다. 카메라(502)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이미지 센서(504)

는 상기 카메라(502)로부터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기(506)는 상기 이미지 센서(504)로부터의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

(300)로 송신한다.

제어기(300)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 장치(300)와 유/무선을 통해 접속

되어, 상기 입력 장치(200)로부터의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 기구를 온/오프

시킨다. 상기 제어기(300)는 기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

구(10)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10)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로부터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조명 기구

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300)은 DM512로 구현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명

10/18

Page 11: M04 5398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서버(100)는 원격지에 위치하여, 시스템 운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령을 통

신망을 통하여 입력 장치(200)로 전송한다.

입력 장치(200)는 상기 제어 서버(100)로부터의 상기 조명 온/오프 명령을 수신

하고 그에 따른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조도 센서(400)는 조명 기구(10)에 내장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

는 현재 조도를 감지한다.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기(300)

로 제공한다.

제어기(300)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 장치와 유/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입력 장치(200)로부터의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 기구(10)를 온/오프 시

킨다.

제어기(30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기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를 제어한다. 제어기(300)는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500)로부터의 상기 영상 데

이터를 상기 조명 기구(10)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11/18

Page 12: M04 5398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

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물 조명 시스템에 의하면, 건축물 주위 밝기 변화에 따

라 조명 기구의 밝기를 조절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

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조명 기구에 대한 근거리 또는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도

록 함으로써, 조명 기구에 설치된 건축물에 직접 이동하여 않으면서 조명 기구에 대한

조명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제어 서버와 조명 기기간의

무선화를 사용상 용이성을 더욱 배가 시키고 지저분한 배선으로 인한 사고 위험성이나

미관상의 불쾌감을 극복할 수 있다.

12/18

Page 13: M04 5398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건축물 내에 설치된 조명 기구

상기 조명 기구의 기준 조도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 기구를 온/오프 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

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로부터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조명 기구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조명 기구의 내부에 내장되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

【청구항 3】

13/18

Page 14: M04 539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

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송

신기를 포함하는 건축물 조명 시스템.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가 전원 공급부를 내장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모듈로 구현되는 유/무선 겸용 건축물 조명 시스템.

【청구항 5】

조명 기구;

상기 조명 기구에 대하여 원격지에 위치하며, 시스템 운용자의 조명 온/오프 명

령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 서버;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의 상기 조명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조명 제

어 신호를 전송하는 입력 장치;

건축물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 밝기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재 조도를 감지

하는 조도 센서;

14/18

Page 15: M04 5398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 및

건축물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 장치와 유/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입력 장치

로부터의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 기구를 온/오프 시키고, 기준 조도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명 기구의 주위의 현재 조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턴-온된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로부터의 상기 영상 데이

터를 상기 조명 기구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건축물 조명 시

스템.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의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송

신기를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건축물 조명 시스템.

【청구항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겸

용 건축물 조명 시스템.

15/18

Page 16: M04 5398

【도 면】

【도 1】

16/18

Page 17: M04 5398

【도 2】

17/18

Page 18: M04 5398

18/18